22
1225 大韓經營學會誌 18권 제3(통권 50) 20056(pp. 12251246) SCM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성재(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초빙교수 ), 1저자, [email protected] 윤종원(중앙대 대학원 박사과정 ), 공동저자, [email protected] 요 약 SCM과 BSC 등 전략적 관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고객지향 혹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지표 중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영성과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 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을 SCM과 BSC 도입유형에 따라 6개의 그룹유형으로 나 누어 SCM과 BSC의 활용정도와 성과평가유형 그리고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SCM과 BSC 도입유형에 따라 6개의 그룹간에는 통계적으로 경영성과 와 SCM과 BSC시스템의 활용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SCM과 BSC 활용정도에서 제품리더 십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요인에 고객친밀감은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은 3가지 경영성과 모두에서 정(+)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특히, 전체성과 보다는 비재무성과에 좀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 업지향 성과평가요인은 영향정도가 작고, 전체성과에서는 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단순히 전략적 관리기법을 도입하여 적용하는 것이 경영성과의 향 상에 도움이 되겠지만, 조직 내의 전략 달성을 위하여 고객지향 중심의 비재무적 성과평가지표를 선택 할 경우에 더욱 높은 경영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관리기법의 도입시 조직 내의 성과평가 유형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더욱 향상된 경영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제어 : 공급사슬관리, 균형성과표, 성과평가, 계층적 분석방법, 핵심성공요인 Ⅰ. 서 론 Johnson & Kaplan(1987)은 현재의 관리회계시스템을 “적합성 상실”한 시스템이라 언급하 ․접수일자 : 2005. 02. 25 ․게재확정일자 : 2005. 04. 02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1225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통권 50호) 2005년 6월(pp. 1225~1246)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 성과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1)

유성재(KAIST 테크노경 학원 빙교수), 제1 자, [email protected]

윤종원( 앙 학원 박사과정), 공동 자, [email protected]

요 약

SCM과 BSC 등 략 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고객지향 혹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지표 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 성과가 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

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을 SCM과 BSC 도입유형에 따라 6개의 그룹유형으로 나

어 SCM과 BSC의 활용정도와 성과평가유형 그리고 경 성과와의 계를 규명하기 한 연구이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SCM과 BSC 도입유형에 따라 6개의 그룹간에는 통계 으로 경 성과

와 SCM과 BSC시스템의 활용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하 다. 둘째, SCM과 BSC 활용정도에서 제품리더

십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요인에 고객친 감은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에 가장 크게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은 3가지 경 성과 모두에서 정(+)의 유의한 계를

보 다. 특히, 체성과 보다는 비재무성과에 좀더 정(+)의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

업지향 성과평가요인은 향정도가 작고, 체성과에서는 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단순히 략 리기법을 도입하여 용하는 것이 경 성과의 향

상에 도움이 되겠지만, 조직 내의 략 달성을 하여 고객지향 심의 비재무 성과평가지표를 선택

할 경우에 더욱 높은 경 성과를 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리기법의 도입시 조직 내의

성과평가 유형을 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더욱 향상된 경 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제어 : 공 사슬 리, 균형성과표, 성과평가, 계층 분석방법, 핵심성공요인

Ⅰ. 서 론

Johnson & Kaplan(1987)은 재의 리회계시스템을 “ 합성 상실”한 시스템이라 언 하

․ 수일자 : 2005. 02. 25 ․게재확정일자 : 2005. 04. 02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2: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26

면서, 통 인 리회계시스템은 주로 재무보고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기 해 설계되고

운 되어 왔기 때문에 로세스 개선 생산성의 향상을 하여 노력하는 실무경 자들에

게 합하지 못함을 지 하 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공 사슬 리(supply chain ma-

nagement: SCM)’와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는 1990년 반부터 우리나라

에 극 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 상당한 기업들이 도입하여 운 하고 있다.

SCM과 BSC 등 략 리기법의 도입여부와 채택된 성과평가 유형이 고객지향 혹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지표 심인지의 여부에 따라 기업의 경 성과가 향을 받는 것으로 조

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을 SCM과 BSC의 도입여

부에 따라 6개의 그룹유형으로 분류하여 SCM과 BSC시스템의 활용정도와 성과평가유형 그

리고 경 성과와의 계를 규명하기 한 연구이다.

기업이 SCM과 BSC를 도입하게 되면, 기업은 다양한 성과평가 요인을 활용하게 되며 어

떠한 형태로든 기업의 성과평가시스템에 요한 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라 조직의 성

과평가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일 것이며, 조직 반 수 에서 경 성과에 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SCM과 BSC를 도입하여 활용능력이 진화할수록 성과평가유형은

향을 받게 되고, 이는 곧 경 성과에도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도출해 볼 수 있다.

지 까지의 문제 제기를 통해 본 연구에서 실증 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목 을 구체

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의 그룹유형 간에는 SCM과 BSC의 도입유

형에 따라 SCM과 BSC 활용정도와 경 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SCM과 BSC를

도입하여 활용능력이 진화할수록 세부 인 활동 리에 필요한 정보는 재무 정보만으로는

불충분하게 되며, 다양한 비재무 지표에 의한 리가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SCM과 BSC

의 도입유형에 따라 시스템의 활용정도와 경 성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SCM과 BSC 활용정도는 성과평가유형과 경 성과에 직·간 으로 유의한 향을 미

칠 것이다. SCM과 BSC를 도입 후 발 될수록 기업은 다양한 성과평가 요인을 사용하게 되며,

진 으로는 비재무 지표에 한 사용이 증 될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로든 기업의 성

과평가시스템에 요한 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라 조직 반의 수 에서 기업성과에 향

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SCM과 BSC를 도입하여 발 할수록 성과평가유형은

향을 받게 되고, 이는 곧 경 성과에도 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도출해 볼 수 있다.

미래의 경 환경은 더욱 경쟁 으로 변화될 것으로 상되며, 이에 따른 SCM과 BSC의

심도 그만큼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들이 SCM과 BSC 같은 새

로운 리기법을 도입하고자 할 때 경 성과를 향상시키기 하여 성과평가유형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한 시사 을 제공할 것으로 기 된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3: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27

Ⅱ. 선행연구의 검토

2.1 성과평가 연구

성과측정은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조직의 경 능률을 향상시키기 한 것이 근본 인 목

이다. 따라서 회계학 분야에서는 과거부터 회계정보가 조직구성원의 성과평가에서 수행되는

역할에 해 논의되어 왔다. 기존에는 성과평가에 한 연구가 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비재

무 성과평가지표와 기업성과간의 계를 규명하는 방향으로 환되고 있다.

성과평가시스템에 한 기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재무 지표 심의 통 인 성과평가

제도의 문제 이 제기되면서 고객만족도 등 비재무 지표의 비 을 확 한 략 성과평가

시스템의 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의 유용성에 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는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와 재무성과와의 계를 살펴

보는 연구로서 비재무 측정치가 과연 미래의 재무성과에 한 정보를 제공하는 선행지표

인가에 한 연구이다. 둘째는 BSC와 련된 연구를 들 수 있다.

성과평가시스템의 요성에 한 비재무 성과평가지표 심의 표 연구로는 Lynch

& Cross(1995), Balkcom et al.(1997), Ittner & Larcker(1998) 등을 들 수 있다. Linch &

Cross(1995)는 기업의 성과평가를 크게 통 과 략 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고

객가치 창조의 경 이념을 달성하기 한 략 성과평가시스템을 강조하 다. Balkcom et

al.(1997)은 략 성과평가를 략수립, 거래계획, 측정과 통제, 경 자 보상계획과 재무

, 품질 , 고객 , 종업원 의 재무 /비재무 성과평가지표를 종합 으로 분류하

다. Ittner & Larcker(1998)는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에 의한 성과측정, BSC와 비재무 성

과평가지표 그리고 경제 가치 측정분야의 연구동향을 종합 으로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향

을 제시하 다. 이와 같이 성과평가지표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의 확 를 강조하는 선행

연구들은 비재무 지표가 재무 지표로 표되는 기업성과를 제고시키는 선행지표로서 역

할을 강조하 다.

국내의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와 기업의 경 성과를 다룬 연구로는 이경태ㆍ정문종(1998),

안태식ㆍ김완 (2000), 유원종(2000), 정문종(2003) 그리고 이창 (2003)가 있다. 이경태ㆍ정

문종(1998)의 연구는 비재무 정보의 활용이 기업성과에 부분 으로 상승효과를 주는 것으

로 찰되었으나 활용도에 따른 기업성과의 차이는 충분히 유의 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안태식․김완 (2000)은 은행의 수신액은 업 의 특성, 업 의 연령 변수 등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많아서 고객만족도의 향상이 즉각 인 수신액의 향상으로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원종(2000)은 품질, 유연성, 고객만족 그리고 자원 리 효율성이라는 비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4: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28

재무 성과측정치의 활용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창

(2000)의 연구에서는 증거거래소에 상장된 76개 제조기업을 상으로 BSC의 고객 련측정

치, 내부 로세스 련 측정치 그리고 학습 성장 측정치의 활용정도가 성과 의 비율

에 향을 미치며,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SCM과 BSC의 성과평가에 한 연구

2.2.1 SCM의 성과평가에 한 연구

SCM이란 “제품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최종 으로 매될 때까지의 모든 로

세스를 연결시켜 리하는 것으로서 공 업체, 제조, 매, 유통, 그리고 고객과 련 있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라고 정의 내리듯이 어느 한 조직 혼자서가 아닌 모든 조직의 통합된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SCM의 성과평가에 한 표 인 연구는 PRTM Consulting

(1994), Beamon(1999), Brewer & Speh(2000), Lambert & Stock(1993), SCOR모델(2000) 등

이 있다.

PRTM Consulting(1994)은 공 사슬(supply chain)의 성과측정을 해 성과지표를 고객만

족/품질, 시간, 비용, 자산의 4개 분야로 구분하여 각각의 성과평가 요소를 제안하 다. 그리

고 Beamon(1999)의 연구는 Resource(자원)-Output(산출물)-Flexibility(유연성)로 구성된

임웍을 제시하고, Brewer & Speh(2000)은 BSC의 재무-고객- 로세스-학습 신 역

을 SCM에 맞게 수정하여, 각 역별로 표 측정항목을 제시 다. 정성 (qualitative) 성

과에 한 측정에 해서 Christophe (1994)는 고객만족, Nicoll(1994)은 정보의 흐름, Davis

(1993)는 공 자 성과, Johns & Randolph(1995)는 험 리에 해서 강조하 다.

Lambert & Stock(1993)은 비용과 제품 비율을 심으로 양 성과 측정항목을 제시하

고, 질 요소로는 공 사슬 내 갈등과 력의 정도, 정보이용 정도, 기능 수행력 등을 심

으로 성과평가 항목을 제시하 다. SCOR모델은 SCC(Supply Chain Council)에서 개발하여

보 하고 있는 표 인 공 사슬 로세스 퍼런스(process reference) 모델이며, 기업의

공 자로부터 고객에 이르기까지 계획, 구매, 생산, 유통이 이루어지는 공 사슬을 통합 으

로 분석한다는 데 그 기 를 두고 있다.

2.2.2 BSC의 성과평가에 한 연구

BSC는 기존의 재무 성과 평가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Kaplan & Norton이 기존의

재무성과지표를 보완하면서 미래의 경 성과에 향을 주는 고객만족, 내부 로세스, 학습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5: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29

신 등을 포함한 성과측정의 패러다임 변화로 진행되었다. BSC는 기업의 비 과

략으로부터 성과 역들을 별하고, 각 성과 역에서 추구하는 사업성과를 리 가능한

몇 개의 성과측정치로 명료하게 통합함으로써 략 인 경 리를 가능하게 하 다.

BSC는 통 인 성과평가제도에 비해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이 있다. 첫째, 네 가지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것이고, 둘째, 재무와 비재무 성과측정치들 사이에 선행지표

와 후행지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품질과 고객만족과 같은 다양한 BSC의

측정치는 경 자의 리 노력을 매개한다고 제하고 비재무 측정치가 재무성과를 유도

한다는 내용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Kaplan & Norton(1992, 1996)은 장단기 의사결정에서 경 자의 단기 재무측정치를 강

조하는 근시안 태도를 경감시키기 하여 BSC의 활용을 주장하 으며, Banker, Potter &

Srinivasan(1998)은 고객만족도 측정치가 미래 재무성과와 양(+)의 상 계가 있다는 것을

18개 호텔을 상으로 실증분석 하 다. Ittner & Larcker(1998b)의 연구에서는 고객만족도

와 재무성과와의 계를 고객수 , 사업단 수 , 기업수 에서 고객만족 측정치가 고객의

구매행태와 재무성과는 유의 인 계가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 다.

Sim & Koh(1998)는 BSC의 핵심 성공요인간의 인과 계를 상 계분석과 회귀분석으로

실증․검증하 다. Gartrell(1990)은 R&D를 증가시키는 기업이 BSC를 사용하면 높은 성과

가 있으며, Bhagat & Welch(1995)는 재의 R&D 비용과 미래의 주가는 유의한 상 계

가 있음을 나타냈다. Hoque & James(2000)는 BSC의 활용과 기업성과는 서로 유의 인

계가 있으며, 기업규모가 클수록 BSC를 더 많이 활용한다고 주장하 다.

몇몇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이노베이션, 로세스 개선, 고객가치 그리고 시장 유율과

의 연 성에 한 논문이 있으며, 특히 Bitner, Brown & Meuter(2000)는 효율 인 정보시

스템의 사용이 고객서비스와 매우 유의한 계가 있고, 정보시스템의 투자와 시장 유율은

유의한 계가 없음을 증명하 다. Banker, Konstans & Mashruwala(2000)는 생산성의 증

가와 직무만족은 유의한 계가 있음을 연구했다.

Ⅲ. 실증 연구

3.1 연구모형 가설

Kaplan & Norton(1996a, 1997)은 BSC 련 논문을 통하여 기업의 비 과 략을 달성시

키는 통합된 성과평가시스템으로서 BSC의 활용을 강조하 다. Hoque & James(2000)는

BSC의 활용과 기업성과는 서로 유의 인 계가 있으며, 기업규모가 클수록 BSC를 더 많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6: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30

이 활용한다고 주장하 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틀 안에서 SCM과 BSC 활용정도와 성과평

가 유형 그리고 경 성과 변수간에 유의한 향을 분석하기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

정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연구모형은 SCM과 BSC의 활용정도와 성과평가 유형 그리고

경 성과간의 인과 계를 나타내며, 각 의 잠재변인 간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활동간 경

로흐름을 통해 직 효과와 간 효과로 분석하여 종합 인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토 로 SCM과 BSC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가 성과평가지

표와 경 성과에 얼마나 많은 향을 미치는지, 향을 미친다면 세부 인 측정변수 별로

그 향의 정도에 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한 구체 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

까지의 문제 제기를 통해 본 논문은 Brewer & Speh(2000)의 SCM기업의 BSC 연계모형 그

리고 Hoques & James(2000)의 BSC 활용모형 등을 참고하여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 다.

<그림 1> 연구모형

e4

e2

e3

X1

X2

X3

운 의 우수성

제품리더십

고객친 감

Y1 Y3 Y4 Y5 Y6 Y7 Y8

기업지향성과평가

고객지향성과평가

Y9 Y10 Y11 Y12 Y13 Y14 Y15 Y16

e12 e13 e14 e15 e16 e17 e18 e19

체성과 Y17

Y18

Y19

비재무성과

재무성과

1

1

1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e20

e21

e22

Y2

e4 e5 e6 e7 e8 e9 e10 e11

SCM과 BSC

활용정도 1

1

1

1

1

1

1

1

주1: Xn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장된 측정변수이고, εn은 오차항임.

주2: X 1: 운 의 우수성(operation excellence), X 2

: 제품리더십(product leadership), X 3: 고객과의 친 감

(customer intimacy), Y 1: 수익성, Y 2

: 흐름, Y 3: 자산운용효율성, Y 4

: 재무구조의 안정성, Y 5: 총공

사슬 리비용, Y 6: 로세스 품질향상, Y 7

: 종업원생산성, Y 8: 단 비용 감, Y 9

: 제품서비스․품질, Y 10:

시성의 인도성과, Y 11: 유연성의 고객처리시간, Y 12

: 고객충성도, Y 13: 생산의 유연성, Y 14

: 공 사슬

응시간, Y 15: 정보흐름 리, Y 16

: 요소의 처, Y 17: 체성과, Y 18

: 비재무성과, Y 19: 재무성과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7: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31

본 논문에서는 SCM과 BSC에 의하여 상장기업과 코스닥 기업을 6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경 성과 변수와 직ㆍ간 인 유의한 향을 미칠 것으로 상되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 다.

[가설 1] 증권거래소 등록기업과 코스닥기업의 그룹유형 간에는 SCM과 BSC의 도입유형

에 따라 SCM BSC 활용정도와 경 성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SCM과 BSC 활용정도는 성과평가유형과 경 성과에 직·간 으로 유의한 향

을 미칠 것이다.

3.2 연구변수의 조작 정의 측정

3.2.1 거래소기업과 코스닥기업의 그룹유형

본 연구에서는 Jayson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SCM과 BSC의 도입여부를 “ ” 는 “아

니오”로 측정하 다. 다만, 조사 상 기업이 SCM과 BSC 도입을 검토한 후 재 실행 비

이거나 는 재는 도입포기 상태이지만 도입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도입과정 기업으로

분류하고 분석 상에서는 제외하 다. 도입을 검토한 후 재는 도입포기 상태이며 앞으로

검토 후 도입할 계획이 있는 경우, 는 도입하지도 않았으며 도입계획도 없는 경우에는 미

도입 기업으로 분류하여 연구 상에 포함하 다.

<표 1> 상장기업과 코스닥기업의 그룹유형1)

분류

거래소 기업 코스닥 기업

BSC

도입 미도입 도입 미도입

SCM

도 입그룹 1

(ESCM-BSC)

그룹 2

(ESCM)

그룹 5

(KSCM-BSC)N/A

미도입그룹 3

(EBSC)

그룹4

(Non-ESCM-BSC)N/A

그룹 6

(Non-KSCM-BSC)

1) 그룹1: SCM과 BSC를 도입한 거래소 상장기업, 그룹2: SCM을 도입한 거래소 상장기업, 그룹3:

BSC을 도입한 거래소 상장기업, 그룹4: SCM과 BSC 를 미도입 는 도입 인 거래소 상장기업,

그룹5: SCM과 BSC를 도입한 코스닥 상장기업, 그룹6: SCM과 BSC를 미도입 는 도입 인 코스

닥 상장기업.

이경태․정문종(1998)의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기업의 리회계 실태분석과 평가에서 비재무 지표

의 요성에 한 인식정도에 해 평균값을 가지고 4그룹으로 분류하 다. 5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항목에서 평균값 3.75이상을 1그룹, 평균값 3.6이상에서 3.75미만을 2그룹, 평균값 3.4이상 3.6미

만을 3그룹, 평균값 3.4 미만을 4그룹으로 분류하 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8: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32

3.2.2 연구변수 측정 상

기업 략, 기업환경, SCM BSC 활용정도, 그리고 기업성과에 한 변수는 <표 2>와

같이 기존의 문헌에 수록된 지표 등을 종합·분석하여 리커트(Likert type scale)형 5 척도

를 개발하여 사용하 다.

<표 2> 연구모형의 이론변수와 측정변수의 요약

요인의 상세구분 잠재요인 요인에 포함된 측정변수

개념 개수 잠재요인명 변수 설문항목 참고문헌

외생

개념3

SCM과

BSC

활용정도

운 의 우수성 X1 A21-A25 Kaplan & Norton(1996)

Ittner, Larcker & Rajan(1997)

Hoque & James(2000)

제품의 리더쉽 X2 A27-A31

고객과의 친 감 X3 A33-A38

내생

개념5

기업지향

성과평가

재무 이익 Y1-Y4 C13-C16 Kaplan & Norton(1996)

Brewer & Speh(2000)

Hoque & James(2000)

내부 로세스 Y5-Y8 C9-C12

고객지향

성과평가

고객만족 Y9-Y12 C1-C4

신 학습 Y13-Y16 C5-C8

경 성과 Y17 D1-D10

Brewer & Speh(2000)

Ittner, Larcker & Rajan(1997)

PRTM Consulting(1994)

SCOR모델(2000)

재무

성과

매출액증가율

Y18 D1-D5

주문충족리드타임

자산활용도

사이클타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비재무

성과

생산유연성

Y19 D6-D10

종업원 만족도

고객만족도

제품/서비스 경쟁력

성과평가의 효과성

3.2.3 성과평가지표

거래소와 코스닥기업의 성과평가를 측정하는 성과평가지표는 다음의 <표 3>과 같이 나타

낼 수 있다. 즉, 1단계 략목표, 2단계 성과평가 측정 2개 항목2), 3단계 성과평가

요인(PF: Perspectives Factors) 4개 항목, 4단계 핵심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s) 16개 항목, 5단계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40개 항목의 5

2) SCC(Supply Chain Council)에서 개발하여 보 하고 있는 SCOR모델(2000)의 분류기 을 따랐다.

SCOR모델(2000)은 표 인 공 사슬 로세스 퍼런스(process reference)모델이며, 기업의 공

자로부터 고객에 이르기까지 계획, 구매, 생산, 유통이 이루어지는 공 사슬을 통합 으로 분석한다

는데 그 기 를 두고 있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9: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33

개 계층으로 표 할 수 있으며, 각 평가지표의 분류는 Brewer and Speh(2000)의 공 사슬

리와 BSC 연계모형, PRTM Consulting(1994), Hoque & James(2000) 그리고 SCOR모델

(version 3.1)의 표 로세스에서 제시한 평가지표를 근거로 분류하 다.

<표 3> 거래소/코스닥 기업의 성과평가지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목표 측정 4가지 핵심성공요인 핵심성과지표

고객

만족

제품서비스/품질 사후서비스횟수, 불평건수, 클 임 건수

시성의 인도성과 고객 요청일에 한 인도,

고객 약속일에 한 인도

유연성의

고객처리시간 충족률(fill rate), 주문충족 리드타임

고객충성도 재매출액/ 체매출액(%), 정시인도율,

반품율, 송장 정정 취소율

학습

제품 로세스 신 공 자 충족율, 공 자 정시 인도율,

공정 교체시간, 생산 증분의 유연성

공 사슬 응시간 재 계획 사이클 타임, 원재료 구매 리드타임

정보흐름 자원 리 인도가능시간 통보, 인도소요시간

요소의 처 생산계획 달성도 , 경쟁기업의 모니터링

내부

로세스

총 공 사슬 리비용 주문 리비용, 물품획득비용, 재고유지비용,

공 사슬 련 융/계획/MIS비용

로세스 품질향상 생산/물류 사이클타임 단축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근로자 1인당 부가가치

단 비용 감 보증비용, 반품처리비용, 할인비용

재무

이익

수익성 물류자산과 운 비용의 감소

순환 사이클

타임

평균외상매출기간(일),

평균외상매입기간(일)

자산운용 효율성 재고회 율 , 측의 정확도(%),

재고자산 진부화 정도(%)

재무구조의 안정성 순 자산회 율 , 자원활용율, 설비이용율

고객 신뢰성 약속기일 인도성과, 주문충족 리드타임, 주문충족율, 완 주문충족

응성 공 사슬 응시간, 생산유연성

기업 비용 공 사슬 리비용, 보증 반품처리비용, 부가가치노동생산성

자산 리 공 재고일수, 흐름 사이클타임, 순자산 회 율

Supply-Chain Council (2000), “Supply-Chain Operations Reference-Model,” Version 3.2, March, 1-6.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0: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34

Ⅳ. 실증분석 결과

4.1 조사표본의 통계 분포

본 연구의 연구 상 기업은 2004년 10월말 재 한국 신용평가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기

업들 가운데 제3시장을 제외한 1567개의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 에서 상

장등록일 2년 이내의 423개 기업을 제외한 1144개의 상장기업을 설문조사 상으로 선정하

다. <표 4>와 같이 설문지는 1144개의 기업에 총 1240부를 발송하여 192부를 회수하여

15.4%의 회수율을 보 다. 회수된 설문지 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 다고 단되는 13부의

설문지와 도입과정기업의 12부는 분석결과의 을 흐리게 할 수 있으므로 분석에서 제외

시켰다.

<표 4> SCM과 BSC의 도입유형에 따른 설문지 회수 황

업종설문지배부

설문지회수

회수율불성실한설문지수

제외이용가능한 설문지수

이용가능율

기계/ 속 164 18 13.2 3 15 11.1

기/ 자제조 201 28 15.1 2 2 24 13.4

자동차/도소매 196 24 13.3 24 13.0

융 64 21 32.2 2 19 29.6

조선 39 13 33.3 13 33.3

화학/섬유 129 21 17.3 3 2 16 13.2

건설 109 23 23.4 4 19 19.3

유통 118 21 20.5 21 20.5

통신/서비스 153 31 22.4 4 3 24 17.3

기타 67 5 5.8 5 5.8

합계 1240부 205부 16.5% 13부 12부 180부 14.4%

<표 5> 설문지 배부 회수 황

분류회수된 설문지 분석 상 설문지

설문에 응답한기업수

불성실한설문지 수

도입과정기업

제외기업

분석 상기업수

거래소

SCM․BSC 도입기업 34 1 3 0 30

SCM 도입기업 32 2 0 0 30

BSC 도입기업 31 1 0 0 30

SCM․BSC 미도입기업 37 1 6 0 30

코스닥SCM․BSC도입기업 37 7 0 0 30

SCM․BSC 미도입기업 34 1 0 3 30

합계 205 13 9 3 180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1: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35

따라서 연구 상기업은 <표 5>와 같이 120개의 거래소기업과 60개의 코스닥기업이고, 연

구 상이 되는 최종 인 분석 상 설문지는 180부로 결정되었다.

4.2 가설의 검정

4.2.1 가설 1의 검증

먼 , “SCM과 BSC의 도입유형에 따른 증권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의 그룹유

형 간에는 경 성과와 SCM과 BSC 시스템의 활용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

는 가설 1을 검증하기 하여 ‘경 성과”와 “SCM과 BSC 시스템의 활용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그룹유형을 독립변수로 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 다. 그

결과는 <표 6>과 <표 7>에 나타나 있다.

<표 6> 그룹간 경 성과의 차이분석 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균Scheffe의 다 비교 검정(유의확률)

F 값유의확률

채택여부그룹1 그룹2 그룹3 그룹4 그룹5 그룹6

성과

그룹1 4.048 1 0.051* 0.053* 0.000*** 0.032* 0.000***

26.59 0.022** 채택

그룹2 3.743 1 0.509 0.000*** 0.423 0.000***

그룹3 3.944 1 0.000*** 0.711 0.000***

그룹4 3.113 1 0.001*** 0.890**

그룹5 3.901 1 0.000***

그룹6 3.211 1

재무

성과

그룹1 4.100 1 0.033* 0.063* 0.000*** 0.073* 0.000***

24.69 0.000*** 채택

그룹2 4.012 1 0.598 0.000*** 0.923 0.000***

그룹3 3.933 1 0.000*** 0.911 0.000***

그룹4 3.009 1 0.003*** 0.832

그룹5 3.201 1 0.000***

그룹6 3.696 1

비재무

성과

그룹1 3.996 1 0.053* 0.042* 0.000*** 0.063* 0.000***

16.82 0.001*** 채택

그룹2 3.885 1 0.807 0.000*** 0.743 0.000***

그룹3 3.956 1 0.000*** 0.844 0.000***

그룹4 3.217 1 0.003*** 0.780

그룹5 3.870 1 0.000***

그룹6 3.220 1

주: *p<0.1, ** p<0.05, ***p<0.01

<표 6>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체성과의 F값은 26.597이며,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의 F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2: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36

값은 각각 24.69와 16.82로 나타나 유의수 0.05와 0.01에서 볼 때 그룹간 경 성과의 차이가

통계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룹간 차이가 존재할 때 명확하게 어떤 그룹에

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밝히기 해서 Scheffe지수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2․

3․5그룹간 그리고 4․6그룹간의 경 성과에는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의수 0.01과 0.05에 1그룹과 2․3․5그룹, 1그룹과 4․6그룹, 2․3․5그룹과 4․

6그룹간 경 성과에는 유의 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SCM과

BSC의 도입여부에 따라 그룹간 경 성과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가설

1은 채택된다.

<표 7> 그룹간 SCM과 BSC 활용정도의 차이분석 결과

종속변수

독립변수 사례수 평균

Scheffe의 다 비교 검정(유의확률) F 값

유의확률

채택여부

그룹1 그룹2 그룹3 그룹5

운 의

우수성

그룹1 30 4.212 1 0.001*** 0.001***

0.000***

16.01 0.017** 채택그룹2 30 3.633 1 0.022 0.001***

그룹3 30 3.864 1 0.000***

그룹5 30 3.913 1

제품

리더쉽

그룹1 30 4.100 1 0.003*** 0.001*** 0.000***

14.75 0.001*** 채택그룹2 30 3.710 1 0.211 0.001

***

그룹3 30 3.724 1 0.001***

그룹5 30 3.809 1

고객

친 감

그룹1 30 4.136 1 0.001*** 0.001*** 0.000***

9.82 0.001*** 채택그룹2 30 3.823 1 0.807 0.000***

그룹3 30 3.944 1 0.000***

그룹5 30 3.917 1

주: *p<0.1, ** p<0.05, ***p<0.01

분석결과에 의하면, <표 7>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룹간 SCM과 BSC의 활용정도에는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룹간 차이가 존재할 때 명확하게 어떤 그룹에

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밝히기 해서 Scheffe지수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2․

3그룹간에는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의수 0.01에서 볼 때, 1그룹(ESCM-

BSC)과 2․3․5그룹, 5그룹(KSCM-BSC)과 2․3그룹간 활용정도에는 유의 인 차이가 존

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SCM과 BSC를 도입여부에 따라 1․2․3․5그룹간

활용정도는 차이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가설 1은 채택된다.

4.2.2 가설 2의 검증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3: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37

4.2.2.1 구조방정식 모형의 설정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모형은 공분산구조방정식(Covariance St-

ructural Model) 이라고도 불리는데, 구성개념간의 이론 인 인과 계와 상 성의 측정지표를

통한 경험 인과 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개발된 통계기법이다. 가설 2의 구조방정식 모형

은 기업의 경 성과에 직 인 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 성과평가유형으로 악하 으

다. SCM과 BSC 활용정도는 기업의 성과평가유형을 통하여 경 성과에 간 으로 향을

미치고, 선행변수로부터 향을 받는 성과평가유형은 기업의 경 성과에 직 인 향을 미

칠 것으로 가정하 다.

4.2.2.2 연구모형의 합성 평가

(1) 기 연구모델의 검증

앞의 3단계 방법에 의거하여 가설 2의 기 모델에 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반추정치

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반 인 모델의 합도는 다음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장

수용수 에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모델의 재설정(model respecification)

일반 으로 측정모델의 합도를 개선시키기 해서는 첫째, 요인을 다른 요인에 련시

켜보는 방법, 둘째, 요인을 모델에서 제거시키는 방법3), 셋째, 측정오차의 상 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표 9>와 같이, 연구모형의 표 오차 검증 결과, 고객지향성과 평가유형

요인에 한 측정변수 Y16항목이 모델의 합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모델에서

제거하 다. 그리고 오차항 ℯ13변수와 ℯ14변수가 이론 으로 상 성이 있다고 보고, 두 변

수의 계를 미지수로 하기 해서 오차항 ℯ13과 ℯ14를 연결하여 처리하 다.

4.2.2.3 수정모델의 합성 평가와 가설 검증

<표 10>과 같이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형의 합도를 단하기 한 평가기 평가결

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수정모형이 보다 바람직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나타났다. 수정모형

을 기반으로 합도를 단하여 보면, 자료에 부합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χ 2값이 116.870으

3) 경로계수의 표 오차가 2.5 이상으로 매우 큰 경우에는 모델의 합치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으므

로 이들 항목들을 제거해가는 방법.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4: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38

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합도를 설명하는 기 부합지수(GFI)와 이를 확장한 수정부합지수

(AGFI)의 경우 양호한 모형을 나타내는 0.8에 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연구모형의 합도4)

특징/비교 연구모형 권장수용수 최악모델 최 모델

χ 2 0.000 χ 2값과 임계치의 비교 0.05이하 0.05이상

χ 2/df 1.63 2이하 2이상 1에 근

χ 2의 p값 0.001 0.05 이상 0 1

기 부합지수(GFI) 0.746 0.9이상 0 1

수정부합지수(AGFI) 0.693 0.9이상 0 1

원소평균자승잔차(RMR) 0.085 0.05이하 0.1이상 0에 근

표 부합지수(NFI) 0.724 0.753 0.809 0.9 이상

증분 합지수(IFI) 0.872 0.05이하 0.949 1에 근

간명표 합지수(PNFI) 0.600 0.6이상 0 0.6이상

근사오차제곱평균제곱근(RMSEA) 0.102 0.05이하 0.1이상 0.01이하

<표 9> 모델 수정의 요약

변수 최 연구모델 수정 모델

Y16( 요소의 처) - Y16항목 제거(표 오차이용)

Y10( 시성의 인도성과)

Y11(유연성의 고객처리시간)-

오차항 ℯ13과 ℯ14 고정

(수정지수 이용)5)

4) χ 2(Chi-square)통계량은 반 인 합도의 측정치로서 수용가능한 권장 최소 유의수 은 0.05 이

상이고, 0.1 는 0.2를 과하면 비유의성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모형의 유의수

은 0.000으로 나타나 모델이 불완 하고 부 합하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χ 2/df는 비율이 1

에 가까울수록 제시된 모델과 자료 사이의 높은 합도를 보여주는데, 본 연구모형은 1.64로 어느

정도 권장수용수 (Q<2)에는 근 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좋은 합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없다.

평균제곱잔차 제곱근(RMR: root mean square residual) 지수는 권장수용기 에 한 인 기

은 없으나 0.05이하이면 합도가 높은 모델로 평가된다. 그러나 연구모형의 RMR 값은 0.085로

권장수용수 (0.05이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사오차자승평균(RMSEA: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은 보통 0.05~0.08의 범 를 수용범 로 보는데, 연구모형은 0.102

로 나타났다. 합지수(GFI: goodness-of-fit index)는 회귀분석의 R 2와 비슷하게 해석되는 비통계

측정치로서 모형의 합도를 나타내고 수용가능을 한 기 은 없으며, 보편 인 권장수

용수 은 0.90 이상이다. 연구모형의 GFI는 0.746으로 권장수용수 에는 못 미치고 있다. 합지수

(GFI)를 모델내의 자유도로 조정한 값인 조정 합지수(AGFI: adjusted goodness-of-fit index)는

추가 인 모수를 포함하는 것에 한 벌칙함수(penality function)를 고려한 것으로서 연구모형의

AGFI는 0.693으로 권장수용수 0.9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다.

5) 수정모형의 합도를 향상시키기 해서 수정지수(modification index)를 용하 다. 수정 지수는

연구모형에서 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어도 5이상, 보수 인 경우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5: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39

원소평균잔차(RMR: Root Mean Square Residual)의 경우, 0.035로 0에 근 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간명도 역시, 0.643으로 간명도 단기 인 0.6이상인 것으로 나타

나 수정모형이 연구모형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χ 2의 p 값의 경우 0.05이상

으로 나타나 합한 모형이라고 단 할 수 있다.

<표 10> 연구모형 수정모형에 한 합성 비교

특징/비교 연구모형 수정모형 단기

df 87 62 모수가 추정된 다음의 이용가능한 정보 단 의 수

χ 2 141.048 116.870 을수록 바람직(표본의 크기에 련이 깊음)

χ 2/df 1.62 1.295 1~2내지 3정도가 바람직

χ 2의 p값 0.001 0.059 ≥0.05 바람직

기 부합지수(GFI) 0.746 0.845 ≥0.90 바람직, 0.8 양호

수정부합지수(AGFI) 0.693 0.773 ≥0.90 바람직

원소평균자승잔차(RMR) 0.071 0.035 0에 가까우면 양호

표 부합지수(NFI) 0.724 0.809 모형의 양호한 정도

증분 합지수(IFI) 0.872 0.949 1에 가까울수록 양호한 모형

간명표 합지수(PNFI) 0.600 0.643 간명도 ≥0.6이면 바람직

근사오차제곱평균제곱근(RMSEA) 0.102 0.070 ≥0.05 바람직

수정모형이 어느 정도 합하다고 단하여 <그림 2>와 같이 표 화 회귀계수를 심으

로 경로계수를 도출하 으며, SCM과 BSC 활용정도는 고객지향성과평가 보다 기업지향 성

과평가유형에 좀더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으며, 고객지향 성과평가유형은 기업지향 성과

평가유형보다 경 성과에 좀더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구조방정식 분석한 결과, ⅰ) SCM과 BSC 활용요인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와 고

객지향 성과평가 모두에 정(+)의 유의한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

의 우수성’과 ‘제품리더십’ 요인은 기업지향 성과평가요인에 향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객친 감’ 요인은 고객지향 성과평가 요인에 향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ⅱ) 기업지향

성과평가요인에서는 제품리더십 요인이(회귀계수 0.626, CR=3.382 > t=1.96) 가장 크게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에서는 고객과의 친 감 요인(회귀계

수 0.733, CR=5.375 > t=1.96)이 가장 크게 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기업

지향 성과평가요인과 고객지향 성과평가요인간의 공분산 정도는 0.027로 유의하지 않은 것

는 10이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AMOS에서 제공하는 지정값을 기 으로 하여 수정지수를

용하 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6: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40

<그림 2> 경로모형 분석결과

e4

e2

e3

X1

X2

X3

운 의우수성

제품리더십

고객친 감

Y1 Y3 Y4 Y5 Y6 Y7 Y8

기업지향성과평가

고객지향성과평가

Y9 Y10 Y11 Y12 Y13 Y14 Y15

e12 e13 e14 e15 e16 e17 e18

체성과 Y17

Y18

Y19

비재무성과

재무성과

1

1

1

1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e20

e21

e22

Y2

e4 e5 e6 e7 e8 e9 e10 e11

1

1

1

1

1

SCM과 BSC

활용정도

모델 합도 지표

χ 2 : 80.284 df: 62

χ 2/df: 1.295<2.0

0.522

0.626

0.278

0.3730.451

0.733

0.027

1.153 0.5231 0.092 0.025 0.102 0.078

0.032

0.028

0.052

1.063

1.251

0.653

10.923

0.482 0.733 0.322 1.1620.419

1.095

* 각 경로상의 숫자는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로, Critical Ratio가 1.96 이상이면 경로계수는 유

의하다고 할 수 있다.

주1: Xn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장된 측정변수이고, εn은 오차항임.

주2: X 1: 운 의 우수성(operation excellence), X 2

: 제품리더십(product leadership), X 3: 고객과의 친 감

(customer intimacy), Y 1: 수익성, Y 2

: 흐름, Y 3: 자산운용효율성, Y 4

: 재무구조의 안정성, Y 5: 총공

사슬 리비용, Y 6: 로세스 품질향상, Y 7

: 종업원생산성, Y 8: 단 비용 감, Y 9

: 제품서비스․품질, Y 10:

시성의 인도성과, Y 11: 유연성의 고객처리시간, Y 12

: 고객충성도, Y 13: 생산의 유연성, Y 14

: 공 사슬

응시간, Y 15: 정보흐름 리, Y 16

: 요소의 처, Y 17: 체성과, Y 18

: 비재무성과, Y 19: 재무성과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7: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41

을 알 수 있다(CR=0.067 < t=1.96). ⅳ) 기업지향성과평가요인은 비재무성과와 재무성과에

미미한 향을 미치며(회귀계수 0.028, 0.052, CR=3.233, 2.945 > t=1.96), 체 성과에는 유

의한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회귀계수 0.524, CR=1.220 < t=1.96). ⅴ) 고객지

향 성과평가요인은 3가지 경 성과 모두에서 정(+)의 유의한 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

히, 체성과 보다는 비재무성과에 좀더 정(+)의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회귀계수

1.251, CR=5.325 > t=1.96).

이상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결과 가설 2는 채택되었으며, 표 화 회귀계수를 심으로

정리하면, <표 11>과 같다.

<표 11> 구조방정식 경로계수의 추정치(estimate) 유의성 지표

경로표 화회귀계수

C.R P 경로표 화회귀계수

C.R P

기업지향 ⇒운 의 우수성 0.522 3.241 0.001 Y4⇒기업지향 0.733 0.382 0.703

고객지향⇒운 의 우수성 0.373 3.015 0.001 Y5⇒기업지향 0.322 1.107 0.268

기업지향⇒제품리더십 0.626 3.382 0.001 Y6⇒기업지향 1.162 5.764 0.000

고객지향⇒제품리더십 0.451 3.021 0.041 Y7⇒기업지향 1.095 4.410 0.222

기업지향⇒고객과의 친 감 0.278 2.623 0.032 Y8⇒기업지향 0.419 2.822 0.005

고객지향⇒고객과의 친 감 0.733 5.375 0.001 Y9⇒고객지향 1.153 4.352 0.176

체성과⇒기업지향 0.032 1.220 0.005 Y10⇒고객지향 0.523 1.679 0.093

비재무성과⇒기업지향 0.028 3.232 0.005 Y12⇒고객지향 0.092 0.868 0.385

재무성과⇒기업지향 0.052 2.945 0.005 Y13⇒고객지향 0.025 0.232 0.816

체성과⇒고객지향 1.063 4.785 0.000 Y14⇒고객지향 0.102 0.740 0.459

비재무성과⇒고객지향 1.251 5.325 0.001 Y15⇒고객지향 0.078 0.718 0.473

재무성과⇒고객지향 0.848 4.373 0.001 기업지향 ⇔ 고객지향

0.027 0.067 0.349 Y2⇒ 기업지향 0.923 3.575 0.000

Y3⇒ 기업지향 0.482 3.043 0.002 ε13⇔ ε14 0.203 0.938 0.472

아래의 <표 12>는 경 성과 요인에 따른 직 효과와 간 효과 총효과를 보여주는 것

으로 직 효과에서는 고객지향성과평가에서 비재무성과(1.251), 간 효과에서는 고객친 감·

고객지향성과평가·비재무성과(0.916)의 경로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요인

간 총효과를 알아보면, SCM과 BSC활용 단계에서는 고객과의 친 감 요인을, 기업의 성과

평가유형 단계에서는 고객지향의 성과평가, 그리고 경 성과에서는 비재무 성과 경로의 총

효과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8: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42

<표 12> 직 효과와 간 효과 체효과

구분 경로체성과

경로계수비재무성과경로계수

재무성과경로계수

체효과

직효과

1. 체·비재무·재무성과⇒기업지향성과평가 0.032 0.028 0.052 0.112

2. 체·비재무·재무성과⇒고객지향성과평가 1.063 1.251 0.653 2.877

간효과

1. 체·비재무·재무성과⇒기업지향성과평가⇒ 운 의우수성

0.016 0.014 0.027 0.057

2. 체·비재무·재무성과⇒고객지향성과평가⇒ 운 의우수성

0.396 0.466 0.243 1.105

3. 체·비재무·재무성과⇒기업지향성과평가⇒ 제품의리더쉽

0.020 0.017 0.032 0.069

4. 체·비재무·재무성과⇒고객지향성과평가⇒ 제품의리더쉽

0.479 0.564 0.294 1.337

5. 체·비재무·재무성과⇒기업지향성과평가⇒ 고객친 감

0.008 0.007 0.014 0.029

6. 체·비재무·재무성과⇒고객지향성과평가⇒ 고객친 감

0.779 0.916 0.478 2.173

Ⅴ. 결 론

본 연구는 략 리기법인 SCM과 BSC, 성과평가지표 그리고 기업성과의 계를 규

명하기 하여 SCM/BSC가 성과평가지표와 기업성과에 어떠한 향을 미치는지에 하여

연구하고자 하 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은 SCM과 BSC의 도입유형에 따라 활용정도와 경 성과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여, SCM과 BSC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체결

과로 볼 때, SCM과 BSC를 도입한 유형에 따라 그룹간에는 통계 으로 경 성과와 SCM과

BSC시스템의 활용정도는 차이가 존재하 다. 왜냐하면, SCM과 BSC를 도입 후 진화될수록

기업은 세부 이고 다양한 비재무 성과평가지표에 의한 리가 진 으로는 증 될 것이

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로든 기업의 성과평가시스템에 요한 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

라 기업 반에 걸쳐서 활용정도는 다양해질 것이며, 기업성과에 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둘째, 가설2의 연구결과는 고객지향 성과평가 유형이 SCM과 BSC 사용과 기업성과를 매

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SCM과 BSC시스템의 사용은 고객지향성과평가 유형을 채택할

경우 기업의 경 성과는 더욱 향상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부분

의 기업이 변하는 환경 하에서 경쟁우 를 확보하기 한 략 리기법 도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이 경우 단순히 략 리기법을 도입하여 용하는 것이 기업성과 향상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19: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43

에 도움이 되겠지만, 조직 내의 략 달성을 하여 고객지향 심의 성과평가 유형을 선택

할 경우에 더욱 높은 경 성과를 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리기법의 도입시

조직 내의 성과평가 유형을 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더욱 향상된 기업성과를 달

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사 도출에 있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 이 존재한다.

첫째, SCM과 BSC 도입기업의 샘 수가 한정되어 있다. 아직까지 SCM과 BSC를 도입한

기업체의 수가 많지 않아 통계 으로 실증분석 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SCM과 BSC의 활용정도에 한 명확한 정의가 부족했다. 성과평가 측정치의 요

도와 활용정도를 동시에 설문하 으나 일 성 없는 응답들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해서는 응답자들이 쉽고, 명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변수의 정의가 필요하다.

셋째, 어떤 종류의 시스템이든 일단 도입하고 나면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효과가 언제 나

타나는지에 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도입 당해연도, 1차년도, 혹은 2차년도 길게는 3~

4년도가 지나야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스템의 도입효과를 보는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단 연구의 필요성

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 다. 향후에는 진정한 시스템 도입의 효과를 보기 해서는 time

lag를 고려한 종단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결론 으로, 향후에는 이러한 한계 을 극복하기 한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지속 으로 수

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실질 으로 SCM과 BSC를 심으로 한 시스템을 운 하는 다수의 기업들을 표본

으로 추출하여야 한다. 둘째, SCM과 BSC의 도입유형에 따라 기업성과와 활용정도의 차이

를 보고자 할 때에는 횡단면 인 연구가 아닌 종단면 인 연구분석을 통해 분석하여야 한

다. 셋째, 다양한 환경변수를 통제하기 하여 산업별, 규모별, 업종별로 집단을 구분하여 다

각 인 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20: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44

참 고 문 헌

박인선 (1998), 활동기 제품수명주기수익성분석을 활용한 신제품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에

한 연구: A자동차회사를 심으로, 앙 학교 박사학 논문.

윤 선․이국용 (2004), “SCM의 성공 인 확산에 한 연구,” 한경 학회지, 17(2), 55-77.

이창 ․김순기 (2005), “성과평가 보상제도에서 성과측정치에 한 실증연구,” 한경 학회

지, 18(1), 267-296.

이동찬 (1997), 활동기 원가 리 시스템에 한 개업내부고객의 만족도와 경 성과에 한 연구,

앙 학교 박사학 논문.

정문종 (2003), “새로운 생산방식과 비재무 성과측정치의 활용과 가치,” 회계 , 12(3), 한국

회계학회, 101-125.

Aboody, D. and B. Lev (1998), “The Value Relevance of Intangibles: The Case of Software

Capitaliza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6, 161-191.

Andersen, L. David, Frank Britt, and Donavon J. Favrer (1997), “The Seven Principles of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57.

Banker, R., G. Potter, and D. Srinivasan (1998),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n Incentive

Plan Based on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 Working Paper,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Cornell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Pittsburgh, 220-240.

Banker, R., D. C. Konstans, and R. Mashruwala (2000), “A Contextual Study of Links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Turnover, Customer Satisfac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Working Paper, University of Dallas at Texas, 65-92.

Cooper, C. Martha, Douglas M. Lambert and Janus D. Pagh (1997), “Supply Chain

Management: More than a New Name for Logistic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Management, 8(1), 1-13.

Fogarty, T. J. (1996), “An Examination of Job Tension and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and Outcomes in Public Accounting,”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8, Fall, 269-285.

Hoque, Z. and W. James (2000),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2, 1-20.

Ittner, C. D. and D. F. Larcker (1997), “The Performance Effects of Process Management

Techniques,”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43, 523-543.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21: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 1245

Ittner, C. D. and D. F. Larcker (1998a), “Are Non-Financial Measures Leading Indicators of

Financial Performance?: An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6, Supplement, 1-35.

Ittner, C. D. and D. F. Larcker (1998b), “Innovation in Performance Measurement: Trends

and Research Implication,”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10, 41-44.

Johnson, H. T. and R. S. Kaplan (1987), “Relevance Lost: The Rise and Fall of Management

Accounting,” Harvard Business School, Boston, 220-224.

Kaplan, R. S. and D. P. Norton (1992),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0, January/February, 71-79.

Kaplan, R. S. and D. P. Norton (1996a), The Balanced Scorecard: Translating Strategy into

Action,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aplan, R. S. and D. P. Norton (1996b),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Harvard Business Review, 74, January/February, 75-85.

Kaplan, R. S. and D. P. Norton (1996c),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Strategy,”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9, Fall, 53-79.

Kaplan, R. S. and A. A. Atkinson (1998), Advanced Management Accounting, 3rd ed., New

York: Wiley.

Norton, D. (1997), Creating Future Value with the Balanced Business Scorecard, London:

Keynote Address at Business Intelligence, February, 24-57.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

Page 22: SCM과 BSC의 활용정도가 성과평가지표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성재․윤종원

大韓經營學 誌 제18권 제3호 2005년 6월1246

Study on Impact of SCM/BSC Application Degree o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Corporate Performance

Yu, Seong-Jae*․Yun, Jong-Weon

**6)

Abstract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research topics in

managerial accounting. The balanced scorecard was proposed by Kaplan & Norton in 1992,

in response to the perceived weakness in traditional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ment. The

Balanced Scorecard is claimed to be an effective combination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implementation type of SCM and

BSC, typ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used, and corporate performance. SCM/BSC

group types are derived from Stock Exchange and Kosdaq companies, which consist of 180

compani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 types firms in

term of corporate performance and used in SCM/BSC system information.

Second, companies that emphasize more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tter corporate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use more financial measures. Companies that move

from using non-financial measures can be expected to have set long-term goals and

improved ability to predict future results which ultimately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for the company.

Keywords : Supply chain management, Balanced scorecard, Key success factor

*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KAIST, Seoul, Korea

** Ph.D. Course,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Copyright (C) 2005 NuriMedia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