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발간등록번호 31-9735032-000628-14 이슈와 논점 이슈와 논점|제204호|2011년 2월 28일|발행처 국회입법조사처|발행인 심지연|www.nars.go.kr SNS 확산의 의미와 쟁점 및 과제 조희정 * 서비스 설립연도 사용자 수 ( 만 명) Facebook(미국) 2004 600 MySpace(미국) 2003 66 Twitter(미국) 2006 200 Orkut(미국) 2004 100 QQ(중국) 2009 523 Cyworld(한국) 1999 25 Mixi(일본) 2000 20 Vkontakte(러시아) 2006 91 Skyrock(프랑스) 2007 21 1. 들어가는 말 아직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새 로운 세계질서 (New World Order)로 단정하기는 이르다 . 그러나 온라인 인맥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커뮤니티형 서비스 로서의 SNS2006이후 급속히 성장하여 정치 ·경제 ·사회를 아우 르는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 현재 , 전세계 SNS 사용자는 약 8억 명이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페이스북의 경우 6억 명이 70개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 주요 SNS의 설립연 도와 사용자 수는 [1]과 같다 . 이 가운데 한 국은 SNS 원조격인 싸이월드 (2,500만 명 ), 그 다 음으로 페이스북 (378만 명 )과 트위터 (250만 명 )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 . [표 1] 주요 SNS 설립연도와 사용자 수 200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된 인터넷 초기의 모습이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에 주력했고 , 2005년 미국 선거에서 기폭제가 된 유투브 (YouTube)가 텍스트를 넘어선 동영상의 효과 에 주목하게 만들었다면 , 2006년부터 붐이 일 기 시작한 SNS는 이제 연결을 강조하고 있다 . 이 글은 SNS의 세계적 현황을 파악하고 트위 터와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SNS로 인해 초래되는 새로운 변화가 한국 사회에 던지는 의미와 향후 대응과제에 대해 알아본다 . 수많은 계량적인 지표와 사건 속에 숨어 있는 소셜 (social)과 네트워크 (network)의 의미를 정 리함으로써 그것이 단순한 기술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 의미있는 사회변화의 실체로 사용자에게 다가올 수 있는 지점을 포착하고자 하는 것이다 . 2. SNS의 특징 (1) 속보성 트위터의 경우 초당 3,000~4,000개의 글이 올 라오는데 , 이와 같은 속보성은 SNS의 가장 대표 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 많은 SNS 사용자가 기존 매스미디어를 통해 늦게 걸러지는 뉴스와 * 사회문화조사실 문화방송통신팀 입법조사관, 정치학박사, 788-4715, [email protected]

test2

  • View
    626

  • Download
    6

Embed Size (px)

DESCRIPTION

http://www.slideshare.net/login

Citation preview

Page 1: test2

발간등록번호 31-9735032-000628-14

이슈와 논점

이슈와 논점|제204호|2011년 2월 28일|발행처 국회입법조사처|발행인 심지연|www.nars.go.kr

SNS 확산의 의미와 쟁점 및 과제조 희 정 *

서비스 설립연도 사용자 수(백만 명)

Facebook(미국) 2004 600MySpace(미국) 2003 66Twitter(미국) 2006 200Orkut(미국) 2004 100QQ(중국) 2009 523Cyworld(한국) 1999 25Mixi(일본) 2000 20Vkontakte(러시아) 2006 91Skyrock(프랑스) 2007 21

1. 들어가는 말

아직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새

로운 세계질서(New World Order)로 단정하기는

이르다. 그러나 ‘온라인 인맥 구축을 목 으로

하는 커뮤니티형 서비스’로서의 SNS는 2006년

이후 속히 성장하여 정치·경제·사회를 아우

르는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재, 세계 SNS 사용자는 약 8억 명이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페이스북의 경우 6억 명이

70개 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주요 SNS의 설립연

도와 사용자 수는 [표 1]과 같다. 이 가운데 한

국은 SNS 원조격인 싸이월드(2,500만 명), 그 다

음으로 페이스북(378만 명)과 트 터(250만 명)

순으로 사용하고 있다.

[표 1] 주요 SNS 설립연도와 사용자 수

2000년 반부터 활성화된 인터넷 기의

모습이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제공에 주력했고,

2005년 미국 선거에서 기폭제가 된 유투

(YouTube)가 텍스트를 넘어선 동 상의 효과

에 주목하게 만들었다면, 2006년부터 붐이 일

기 시작한 SNS는 이제 연결을 강조하고 있다.

이 은 SNS의 세계 황을 악하고 트

터와 페이스북으로 표되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SNS로 인해 래되는 새로운 변화가 한국 사회에

던지는 의미와 향후 응과제에 해 알아본다.

수많은 계량 인 지표와 사건 속에 숨어 있는

소셜(social)과 네트워크(network)의 의미를 정

리함으로써 그것이 단순한 기술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의미있는 사회변화의 실체로 사용자에게

다가올 수 있는 지 을 포착하고자 하는 것이다.

2. SNS의 특징

(1) 속보성

트 터의 경우 당 3,000~4,000개의 이 올

라오는데, 이와 같은 속보성은 SNS의 가장 표

인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SNS 사용자가

기존 매스미디어를 통해 늦게 걸러지는 뉴스와

* 사회문화조사실 문화방송통신 입법조사 , 정치학박사, 788-4715, [email protected]

Page 2: test2

정보보다는 SNS를 통해 제공되는 신속한 정보

에 주목하고 있다.

속보성은 정보유통을 빠르게 한다는 에서는

매우 유익한 속성이지만, 잘못된 정보의 유통도

그만큼 빠를 수 있다는 은 많은 비 론자들이

우려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SNS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잘못된 정보

에 한 정정까지 해낼 수 있다는 에서 아직

까지는 루머의 확산보다는 속보성이 더 좋은 장

으로 평가되고 있다.

(2) 연결성

SNS라는 말이 상징하는 것처럼 IT의 확산이

가져온 가장 큰 효과는 세계의 연결에 있다. 정

보와 사람이 실시간으로 지속 으로 약한 유

(weak ties)를 유지하면서도 계망을 확장한

다는 것은 과거의 홈페이지 서비스에서는 기

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더구나 이 게 연결된 세계가 6단계(six

degrees)만 거치면 아는 사람들로 연결된 작은

세계(small world)가 된다는 은 SNS의 다른

매력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촘촘하게 연결된 네

트워크 세상에서 신뢰와 좋은 평 을 얻은 정보

와 사람이라면, 순식간에 시공간을 월하여

될 수 있다는 에 SNS의 다른 력이 있다.

(3) 개방성

참여·공유·개방을 표방하는 웹 2.0서비스에

서 시작된 개방성이라는 속성은 비로소 SNS 서

비스에서 완성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비

스 제작에서의 코드를 공개하여 수많은 응용서

비스로 확산하는 방식이나, 개별 SNS의 내용이

다른 SNS로 연결되는 것은 개방성이라는 철학

이 제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1)

로벌 SNS의 이러한 개방성에 비해 흔히 국

내 SNS의 낮은 수 의 개방성이 비 의 상이

되기도 하는데, 온라인 공간이 오 라인의 실제

생활보다 더 나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략은 기술, 사람과 서비스의 개방에서 가능하다

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3. 대표적인 SNS 사례

(1) 트위터

트 터는 140자의 단문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사람들끼리 메시지를 주고받는 마이크로

블로그(micro blog)서비스의 일종이다. 블로그

의 일반 인 포스 (posting)에 비해, 140자라

는 자수의 제한은 이미 규모면에서 충분히 마

이크로 하다. 그러면서도 140자라는 규모는 그

것이 모바일의 문자 메시지 제한규모와 같다는

에서 휴 폰과의 긴 한 계를 드러낸다.

[표 2] 국가별 트위터 순위순위 국가 점유율

1 미국 22.20%2 일본 20.91%3 브라질 9.34%4 인도네시아 7.52%5 덴마크 5.68%6 영국 3.32%7 네덜란드 2.37%8 한국 2.20%9 멕시코 1.88%

10 캐나다 1.67%11 중국 1.63%

* 자료 : http://tweetsentiments.com

PC에서 웹을 통해서도 트 터를 충분히 사용

1) 샵나우(쇼핑몰), 라이브스트림(인터넷방송), 마켓플레이스(벼룩시장), 티켓몬스터(소셜 커머스), 위메이크프라이스(소셜 커머스) 등은 이들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성장한 서비스들이다.

Page 3: test2

구분 대표적인 사례

실시간

재난

보도

- 2007년 10월 LA 소방국, 캘리포니아 화

재 관련 속보 제공

- 2008년 5월 중국 쓰촨성 지진 최초 알림

- 2008년 11월 인도 뭄바이 테러 사건의

희생자 뉴스 공유

- 2009년 1월 15일 미국 허드슨강에 추락

한 비행기 사고를 최초 알림

- 2009년 7월 중국 위구르 유혈 사태를

가장 먼저 보도(CCTV는 하루 늦게 시위

사건을 보도)

- 2010년 1월 21일 아이티 지진 보도 및 구호 활동

정치활동

- 2008년 10월 이스라엘, 가자 지구 공격

에 대한 공식 발표로 활용(트위터를 공식

적으로 활용한 세계 최초의 정부)

- 2008년 미국 대선, 오바마의 선거 플랫

폼으로 적극 활용됨

- 2009년 5월 독일, 연방대통령 재선거에

서 일부 하원의원이 인터넷을 통해 사전

선거결과 발표

- 2009년 6월 중국, 트위터와 플리커 접

속 차단(e-만리장성)

- 2009년 6월 이란 부정선거에 항의 도구로

활용(순식간에 6천명이 친구(follower)로 등록)

- 2009년 7월 영국 정부, 공무원들에게

국민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트위터 활용

확대 지침 지시.

- 2009년 7월 일본 선관위, 이미지 선거금지조

항에 위배되므로 선거운동시 트위터 사용 금지

- 2010년 3월 프랑스 지방선거에서 트위

터의 정치적 활용 유용성에 대한 논란

- 2010년 5월 영국 총선에서 트위터 활용 확대

- 2010년 한국 6․2 지방선거에서 선거독려운동

으로 활용됨

- 2011년 1월 튀니지와 이집트 시민혁명

사회운동- 2008년 4월 11일 이집트, 미국 대학생이

반정부 사진으로 인해 체포된 사건 알림. 미

/캠페인

국의 지인과 정부의 노력으로 다음날 석방.

- 오노 요코의 ‘월요일에 고기 안먹기 운동’

전개로 수많은 사람들이 채식주의자로 전환

- 적십자, 그린피스, 어메리칸 캔서 등의

시민단체들의 운동 활발

- 한국 : 구순구개열 어린이 돕기 운동을

통해 140명의 어린이 도움

- 한국 : 각종 수혈

- 한국 : 아나바다 장터, 독거노인과 고아원에

김치 나누기행사(100% 트위터 자원봉사자)

- 한국 : 트윗 나눔운동(트위터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트윗 한개당 1원, 2009년 11

월 29일 기준 402명 참여, 1039만원 모금)

- 한국 : 재능기부운동(카이스트 정재승

교수의 지역소규모 도서관 과학강연자 모

집운동, 10시간에 500명 기부)

할 수 있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은 이동 에 매

우 사소한 이야기(small talk)를 소통하는 장(場)

으로 트 터를 활용한다. 한 스몰 토크가 큰

사건(big thing)을 만들어내는 사례는 매우 많다.

트 터는 헌 증서를 모으고, 매스미디어보다

빠르게 천재지변과 사고 소식을 하며, 순식간

에 지식기부운동을 만들어낸다. 최근에 일어난

이와 같은 사례를 분야별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트 터 활용의 표 사례

(2) 페이스북

미국 하버드 에서 시작되었으나 2006년부터

는 일반인에게 개방됨으로써 세계 으로 인기

를 끌고 있다. 페이스북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인도네시아, 국 순이며, 미

국의 경우 인구의 반인 약 1억 5천만 명이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378만 명으로 세

계 사용자 순 29 이다.

[표 4] 국가별 페이스북 사용 규모순위 국가 사용자 수(명)

1 미국 151,820,4602 인도네시아 34,999,0803 영국 28,828,8204 터키 26,198,2005 필리핀 22,515,820

29 한국 3,780,980

* 자료 : http://www.socialbakers.com

일상 인 정보 공유와 인맥의 교류 외에 교육,

정치참여, 정부 서비스, 채용 등의 분야에서 페이

스북이 극 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활

용은 사용자 수의 증가만큼 더욱 확 될 것으로

망되고 있다. 한 기업들은 새로운 소셜 커머

스(social commerce)의 장(場)으로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새로운 이윤 창출 략을 기획하고 있다.

Page 4: test2

150-703 서울시 등포구 의사당로 1 국회입법조사처 (Tel. 02-788-4510) ISSN 2005-744X

구분 내용

교육 - 다양한 강좌 개설, 열린 교육 서비스

정치참여- 2008년부터 미국 선거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됨- 2011년 튀니지와 이집트의 시민혁명에서 그룹 개설 등을 통해 활용됨

정부

서비스

- 미국 백악관,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호주 법원, 뉴질랜드 경찰 등이 적극적으로 사용함

채용/해고- 정부와 기업 채용시 SNS 프로파일 요구- 페이스북에 올라와 있는 개인의 의견 때문에 해고당하는 사례도 발생함

‘자유가 그 모든 유행처

럼 지나가지 않기 위해서’는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실익을 위한 ‘한국의 전략’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슈와 논 」은 국회의원의 입법활동을 지원하

기 해 수시로 발간되는 최신 국내외 동향

안에 한 정보 소식지입니다.

※ 본 내용을 허가 받지 않고 복제하거나 재해

서는 안 됩니다.

[표 5] 페이스북 활용의 대표 사례

4. SNS 관련 쟁점

(1) SNS는 안전한가

SNS의 연결성은 공개된 정보를 종합하여 일종

의 로 일링(profi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단히 이다. 이는 소비

자의 특성을 악할 수 있

다는 에서 기업에는 새로

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

만, 범죄자에겐 용이한 범죄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2)

(2) SNS는 미디어인가

휴 폰과 연동됨으로써 더욱더 빨라지고 있는

SNS의 실시간 속보성은 매스미디어의 역할을 축

소시키고 때로 하기도 한다. 언제나 원하는 시

간에 콘텐츠를 발신할 수 있는 SNS가 기존 언론

과 방송의 자리를 체하는 경향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 에서 뉴욕타임즈나 BBC와 같은 기존

의 매스미디어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SNS와

연동하거나 IT를 종합 으로 활용하는 략으

2) EU는 이미 SNS의 프라이버시 정책을 엄격히 제한하는 법안을 추진중이고, 우리나라의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페이스북에 국내 사용자를 위

한 새로운 규정을 요구하여 제도를 개선한 바

있다.

로 변화한 사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확하

고 신속한 정보 달의 기회는 이제 모든 공간

으로 확 되고 있기 때문이다.

5. 맺음말

SNS의 확산은 단순한 인터넷 련 시장만이 아니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반에 향을 미치고 있다.

먼 , 경제 인 측면에서 SNS는 새로운 이윤창

출의 기회를 제공한다. 다수의 사용자는 다수의

소비자이기 때문에, 이들의 연결성을 활용한 소셜

커머스의 확 는 이윤의 극 화 시장체계 속에

서 소비자의 권한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다.

다음으로 정치 측면에서

SNS 사용자는, 유권자로서 더

욱 극 인 선거운동과 집단

행동을 개할 수 있다. 물론

공 자로서 정치인과 정당, 정

부도 정책수렴과 정책홍보를

강화하는 효율 인 수단으로

SNS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측면에서 SNS는 개방과

공유를 통해 다양한 문화 발 의 계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하버드 의 식(Lessig) 교수가 지 하듯

이 “자유가 그 모든 유행처럼 지나가지 않기 해

서”는 SNS를 규제의 상으로 제한하려는 성 함

보다는, 다양한 분야에서 SNS를 극 으로 활용했

을 때 얻을 수 있는 실익을 한 ‘한국의 략’을

고민하는 것이 훨씬 더 생산 인 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