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Vol. 42(2):115131 http://dx.doi.org/10.4217/OPR.2020.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June 2020 Article 제주해협 HFR 자료의 유효 범위 산정과 M 2 조류 특성 분석 오경희 1* · 이석 1 · 박준성 2 · 송규민 1 · 정다운 1 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85 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85 Estimation of Effective Range of HFR Data and Analysis of M 2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Jeju Strait Kyung-Hee Oh 1 , Seok Lee 1 , Joonseong Park 2 , Kyu-Min Song 1 , and Dawoon Jung 1 1 Ocean Circulation and Climat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usan 49111, Korea 2 Instrumen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usan 49111, Korea Abstract : The effective range of surface current data observed by high-frequency radar (HFR) operated in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by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imated and the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of the M 2 tidal current of the Jeju Strai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HFR data, the M 2 tidal current corrected from 25 hours current data observed by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was compared with the M 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analyzed from the surface currents of HFR. The reliability of HFR data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e components of these two data sets, and the effective range of HFR data was estimated through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The observation periods of HFR used in the analysis were from 2012 to 201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ive range of HFR data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time. During the analysis perio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 2 current ellipses from the data of KHOA and the HFR was greater in the eastern than in the western part of the Jeju Strait, and represented a high reliabilit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Jeju Strait. The tidal current of the Jeju Strait analyzed using the HFR data revealed a seasonal variability a relatively weak in summer and a strong in winter, about a 17% fluctuations between the summer and winter based on the length of the semi-major axis of tidal ellipse. Appraisals and results of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bility of the M 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using HFR data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meaningful. Key words : high-frequency radar, Jeju Strait, effective range and reliability, seasonal variation, M 2 tidal current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Vol. 42(2):115–131http://dx.doi.org/10.4217/OPR.2020.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June 2020

Article

제주해협 HFR 자료의 유효 범위 산정과 M2 조류 특성 분석

오경희1*·이석1

·박준성2·송규민1

·정다운1

1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852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49111)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 385

Estimation of Effective Range of HFR Data and Analysis of M2 Tidal 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Jeju Strait

Kyung-Hee Oh1, Seok Lee1, Joonseong Park2, Kyu-Min Song1, and Dawoon Jung1

1Ocean Circulation and Climat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usan 49111, Korea2Instrumen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usan 49111, Korea

Abstract : The effective range of surface current data observed by high-frequency radar (HFR) operated in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by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imated and

the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of the M2 tidal current of the Jeju Strai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HFR data,

the M2 tidal current corrected from 25 hours current data observed by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was compared with the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analyzed from the

surface currents of HFR. The reliability of HFR data was confirm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e

components of these two data sets, and the effective range of HFR data was estimated through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The observation periods of HFR used in the analysis were from 2012 to 201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ive range of HFR data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time.

During the analysis perio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2 current ellipses from the data of KHOA and the

HFR was greater in the eastern than in the western part of the Jeju Strait, and represented a high reliabilit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rts of the Jeju Strait. The tidal current of the Jeju Strait analyzed using the HFR data

revealed a seasonal variability a relatively weak in summer and a strong in winter, about a 17% fluctuations

between the summer and winter based on the length of the semi-major axis of tidal ellipse. Appraisals and

results of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variability of the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using

HFR data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meaningful.

Key words : high-frequency radar, Jeju Strait, effective range and reliability, seasonal variation, M2

tidal current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Page 2: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16 Oh, K.-H. et al.

1. 서 론

해양에서 표층의 해수유동을 관측하는 직접적인 방법

으로는 크게 해류계를 설치해서 고정점에 대한 자료를 획

득하는 방법과 표류부이를 투하해서 해류의 거동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방법들은 해양 환경

변동에 따른 자료를 직접적으로 획득한다는 장점이 있지

만 자료 획득에 있어 시공간적인 제약이 많고 광범위한

해역에 대한 해수유동을 관측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다

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경적 변화 요인이 많고 지형적으

로도 복잡한 연안역의 표층 해수유동장을 관측하는 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시공간적으로 유효한

표층 해수유동장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고주파 HFR (High-Frequency Radar)이다. HFR은 Crombie

(1955)의 Bragg scatter 연구에 대한 실험적 발견에서 시작

된 이후 현재는 표층 해수유동장을 관측하기 위해 전 세

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준 실시간으로 표층 해수

유동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에 따

라 15 km에서 200 km 이상의 영역까지 광범위하게 해수

유동을 관측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 가

능하다(Harlan et al. 2010).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이후

에 HFR이 도입되면서 이를 활용한 표층 해수유동장에 대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김 등 2006, 2008;

이 등 2008; 최 등 2016; Choi et al. 2019; Son et al. 2007).

HFR은 지상에 설치하는 원격 감지 장치로 관리가 용이

하고 해안선을 따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안역의 복

잡한 해수유동장을 모니터링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HFR

자료는 설치 후 준 실시간으로 넓은 영역에 대해 자료를

생산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주변의 지리적 특성

즉 안테나보다 높은 건물 혹은 전파의 진행을 방해하는

방해물,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파 잡음(noise)과 같은 주변

전파 환경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점도 있다(Seasonde

2009). HFR은 경우에 따라 관측 영역의 전파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연안에서 세밀한 공간해상도의 표

층 해수유동장을 관측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는 제주해협의 표층

해수유동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주도 북부 연안에

HFR를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송과 조 2012). 이렇게 수집

된 자료는 제주 해협 해수의 유동을 이해하고 오염물질

확산을 예측하는 모델을 검증(Choi et al. 2019)하는 자료

로 활용 되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해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자료가 생성되고는 있지만 자료의 유의성과 활용성

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제주해협

에서 관측되고 있는 HFR 자료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관측 영역 전체에서 생산되고 있는 HFR 자료가 시

공간적으로 얼마나 유의한 자료를 생산해 내는 지를 파악

하고 자료의 정확도와 유효 영역 등을 조사하였다. HFR

자료의 유속 오차는 HFR의 radial이 이루는 각과 연구해

역내의 물리적 현상의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이 등 2008; Chapman et al. 1997). 그렇기 때문에

HFR 자료의 유속의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비

교하기 위한 보다 정확한 비교대상 유속 자료가 필요하고

지리적 환경적 물리현상 차이를 고려한 심층적 비교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예측 자료를 제외하

고는 연구해역에서 HFR의 표층 해수유동장 영역을 포괄

하고 있는 가용한 관측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

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 또한 표층 뜰개를 이용하거

나 해류계 관측을 통해 해수유동 특성을 이해하는데 초점

을 두고 있다. 이런 자료들이 축적이 되면 향후 연구 해역

에서 생산되는 HFR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현재까지는 연

구 해역 전반에 대한 HFR 자료의 표층 해수유동장을 평

가할 수 있는 관측 자료가 거의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주해협에서 관측되었던 기존 해류

계 단기 관측 자료들을 이용하여 HFR 자료의 시공간적인

유의성을 파악하고, HFR 자료를 통해 제주해협 조류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HFR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해협 조류의 시공간적 특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는 보

고된 바가 없다. 분석에 사용된 HFR 자료와 해류계 관측

자료에 대해서는 2장에서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두 자료

의 조류타원 비교 결과와 시공간적인 분석을 통한 유효

범위 분석 결과 및 HFR 자료에 의한 제주해협 조류 특성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종합하

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2. 자료 및 방법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제주도 북부 제주해협의 표

층 해수유동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북서부 연안에 위치

한 애월 지역과 북동부 연안에 위치한 김녕 지역에

CODAR (Codar Ocean Sensors, http://www.codar.com)사

의 HFR를 설치하여 201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Fig. 1).

CODAR의 HFR은 적어도 서로 다른 두 지점 이상에서 측

정된 radial 자료를 중첩된 해역에 대해 합성하여 유속 벡

터를 만든다. 제주해협에 설치된 HFR의 주파수는 13 MHz

로 약 90 km까지 관측이 가능하며, 3 km × 3 km 의 격자

해상도(Fig. 1에서 점으로 표시)를 갖고 있다. 유속 벡터의

시간 범위(time coverage)는 75분이며, 매 정시에 유속 벡

터 자료를 도출하였다. 즉 12:00 자료는 11:22.5–12:37.5

사이의 평균자료이다. 분석에 사용된 HFR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Page 3: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17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이 논문에서는 장기간 관측된 HFR 자료를 평가하기 위

해 같은 해역에서 관측된 해류계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HFR 자료와 해류계 자료를 조화분해한 후 두 자료의 조

류성분 비교를 통해 HFR 자료의 유의성을 파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HFR 자료는 2012년 4월부터 2014년 12

월까지 수집된 자료로, 자료의 특성과 분포영역을 바탕으

로 월별로 50% 이상 자료 획득률을 보이는 격자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Fig. 2는 관측 연도에 따른 HFR 자료의 평균

획득률을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 제주도와 근접한 곳은 획

득률이 높고 외해로 갈수록 획득률이 낮아지고 있다. 평균

적으로 제주해협을 포함해서 추자도 인근해역까지 50%

이상 자료 획득률을 보인다. HFR 자료는 안테나에서 전

송된 전파가 반사되어 수신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HFR

에서 거리가 멀수록 신호(signal)/잡음(noise)의 비가 낮아

Fig. 1. Study area and location of HFR sites (AW: Aewol, KN: Kimnyong) in Jeju Island. Radial coverage range from

each site is drawn by lines. Dots denote a grid set to produce a total vector from the radial data. Grey circles

with numbers 1 to 12 are the stations where the M2 tidal ellipses from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data and the monthly data of HFR were compared. C99 (Black diamond) is an ADCP mooring station

during Mar./04/1999–Dec./23/1999 by KIOST

Table 1. Characteristics of HFR operation in Jeju Island by KIOST

LocationJeju Island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Frequency 13.415 MHz 13.470 MHz

Range 50–90 km

Radial Resolution 3 km

Angular Resolution 5°

Time coverage 75 min

Observation periods 2012.4–2014.12

Page 4: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18 Oh, K.-H. et al.

지고 자료의 품질과 획득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관측

해역에서도 안테나와 먼 외해로 갈수록 자료의 획득률이

낮아지고 있다. 연도에 따라 자료의 획득률이 차이를 보이

는데 이에 대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다양한 환

경적 변화 요인에 의해 발생된 현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HFR 자료는 한 시간 간격으로 생성된 자료를 한 달 자

료로 결합한 후, POL (Proudman Oceanographic Laboratory)

의 TIRA 프로그램(Bell et al. 1999)을 이용하여 동서방향

성분과 남북방향 성분으로 조화분석하여 M2 분조 조류의

진폭과 위상을 계산한 후에 조류타원으로 조합(이하 HFR

조류타원) 하였다.

HFR 자료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조류 자료는 국립해

양조사원(KHOA)에서 관측한 25시간 해류 관측 자료로부

터 보정된 M2 성분으로 Lee et al. (2019)에 의해 재분석된

자료(이하 KHOA 조류타원)이다. Lee et al. (2019)는 제

주해협 인근에서 관측된 일주야 해류계 자료를 6개의 주

요 반일주조(M2, S2, N2, K2, O2, 2N2) 분조들 사이의 진폭

비와 위상차를 이용하여 M2 분조를 보정하였으며, 이렇게

보정된 M2 분조 조류타원은 정성적으로 수치모델 결과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의미있는 조류타원을 구하기 위해서는 장

기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야 하며 최소한 1개월 이상의

관측 기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제주해협 HFR 관측영역에

서 비교에 활용 가능한 1개월 이상의 해류계 관측 자료는

거의 없기 때문에 KHOA 단기 해류계 관측 자료를 사용

하였다. KHOA 단기 해류계 자료는 연구 해역 전 영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HFR 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에 적절하다.

연구해역에서 수집된 장기 해류 관측 자료로는 1999년

제주항 인근에서 해저면 계류 ADCP를 이용하여 약 10개

월 정도(3월 4일–12월 23일) 관측된 자료가 있다(Fig. 1의

C99 정점). 이 자료는 비록 조류의 분석이 가능한 최상층

Fig. 2. Distributions of annual acquisition ratio (AR) of HFR

data in each year

Fig. 3. M2 tidal ellipses of KHOA data(red) and HFR data

(black) obtained at station 11 in Fig. 1, and ellipse

with blue color results from ADCP data which

observed at 34 m deep of station C99

Page 5: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19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의 수심이 해수면 아래 34 m 이지만 순압성이 우세한 조류

의 특성을 고려하여(Lee et al. 2011) 비교하였다(Fig. 3).

해수면 아래 34 m 수심의 관측 자료(C99)에서 계산된 M2

조류타원(청색)의 장축 길이가 KHOA 조류타원의(적색)

장축 길이보다 조금 큰 값을 보이지만 두 자료는 대체로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KHOA의 25시간 해류 관측 자료는

표층에서 관측된 자료이고 ADCP는 34 m 에서 관측된 것

이기 때문에, ADCP 34 m 자료가 표층 자료를 대표한다고

는 말할 수 없지만 두 자료의 유의성을 바탕으로 25시간

해류 관측 자료가 유의미한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여기서 제시된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흑

색)은 정점 C99와 근접한 위치의 자료(Fig. 1의 정점 11)이

다. HFR 조류타원은 정점 11에서 관측된 2012년 월별 조

류타원을 연평균한 것이다. 대체로 세 자료 모두 유사한

조류타원 특성을 보이지만 34 m 층의 ADCP 조류타원의

장축 길이가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해저경계층의 수심

범위와 자연적인 조류의 연직 변동성(Lee et al. 2011)을

고려할 때 유의미한 편차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Fig. 4에 제시된 것처럼 분석에 사용된 KHOA 조류타

원은 69개 지점 (‘+’ 표시) 에서 관측된 자료에서 계산되

었으며 연구 해역 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자료를 통해

제주해협 전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HFR 자료에서 생산되

는 조류타원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9개 지점에서 분석된 동서성분과 남북성분의

진폭(A)과 위상()을 AC = Acos , AS = Asin로 변환하

고 변환된 자료를 HFR 자료의 격자에 내삽하여 자료를

생성하였다. 각 격자에서 내삽된 AC, AS 자료를 다시 조

합하여 진폭과 위상을 계산하고 조류타원으로 조합하였

다. 이렇게 구성된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 성

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광범위한 HFR의 표층 해수유동장을

포함하는 가용한 해류 관측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

으로 매우 어렵다. 현재까지는 KHOA의 해류계 관측 자

료가 거의 유일한 관측 자료이며, 이 논문에서 사용된

KHOA 조류타원은 25시간 해류 관측 자료 중에서도 가용

한 자료만을 추출해서 조화상수 보정을 거쳐 재구성된 것

이다. KHOA의 해류계 관측 자료는 선박과 표층부이를

이용하여 표면하 수 m 정도의 수심에서 해류계를 통해 표

층해류를 관측한 것이며 관측 시기의 차이가 크다(Lee et

al. 2019). 표층해류는 특성상 바람 등 외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관측 시기와 관측 방법이 다른 해류계 자료

와 HFR 자료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더 큰 오차를

유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자료의 관측 시간 차이와

무관하게 비교할 수 있고 관측 깊이 차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조류의 분조 중 관측 시간 길이에 가장

덜 민감하고 최대 분조인 M2 분조를 이용하여 KHOA 자

료와 HFR 자료의 조류타원을 비교하였다.

조류는 성층의 변화와 같은 해양 환경에 영향을 받아

Fig. 4. Distribution of KHOA M2 tidal ellipses used in the analysis. Crosses sign represent stations (total 69 sites) of

current data by KHOA. Tidal ellipses with blue denote interpolated data to the HFR grid. Red and blue solid

line mean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Current scale is drawn by circle with radius of 30 cm/s in

the left bottom

Page 6: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0 Oh, K.-H. et al.

계절 변동을 보이며 때에 따라 위상 변조가 나타나는 경

우가 있어 조위의 변동보다는 큰 자연변동성을 가진다. 그

러므로 KHOA의 25시간 단기 해류 관측 자료에서 보정된

조류의 특성 또한 연평균 특성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

며, 분석에 사용된 KHOA 조류타원이 변하지 않는 값이

라고 단정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정성적으로 유의한 의

미를 가지고 있고,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 모

두 오차가 있음을 고려하더라도 두 자료에서 계산된 조류

타원의 변동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HFR 자료의 유의성

을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HFR 자료는 간접적인 방법이지만 실제 관측된 해류 자료

를 근거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3. 결 과

HFR 자료의 조류타원 비교

HFR 자료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석 기간에 수집

된 월별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을 비교하였다

(Fig. 5). 비교 정점은 Fig. 1에 제시된 12개 정점에서 추출

된 자료이다. 두 자료를 비교하기에 앞서 우선 12개 정점

에서 시간에 따른 HFR 자료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HFR 조류타원의 변동성을 조사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각각의 시기에 각 정점에서

HFR 조류타원의 조류 성분을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식

(1)을 통해 HFR 자료의 조류 편차를 계산하였다.

cos

cos

sin

sin

cos

cos

sin

sin

(1)

여기서 H는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에 대한 조류 성분을, R

은 비교대상 자료에 대한 조류 성분을 의미한다. 이렇게

계산된 값은 물리적으로는 한 주기 동안의 조류 유속 편차

의 평균에 해당한다. U, V, ,

는 각각 동서성분과 남북

성분으로 나눈 유속 성분의 조화 상수로 계산된 각각의 진

폭(, , , )과 위상(

,

,

,

)을 뜻한다.

식 (1)에서 H에는 월별 HFR 조류타원 성분을, R에는

연평균 HFR 조류타원(월별 조류타원을 연평균한 조류타

원) 성분을 대입하여 시간에 따른 HFR 조류의 편차(D)를

계산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편차는 다시 연평균 HFR 조

류타원의 장축(major axis)에 대한 비(DR = D/major axis)

로 계산되어 연평균에 대한 변동성을 제시하였다(Table

2). HFR 자료는 다양한 환경적 변수 등으로 인해 정량화

된 오차범위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경험적으로 두 자료

의 편차비가 30% 이하이면 오차가 적은 가용한 자료라

판단된다. 2012년의 정점 4와 6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시기에 30% 이하의 수치를 보이고 있어 HFR 조류타원의

월별 변동성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HFR 조류타원의

변동이 크지 않다는 것은 HFR 자료가 유의한 범위 내에

서 변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수치가 HFR 자료의 직

접적인 신뢰도를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시

간에 따른 변동 특성을 통해 HFR 자료의 유의성 판단 지

표로 사용할 수 있다.

Fig. 5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각각의 시기에 12개

의 정점에 대한 월별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을

비교한 것이다. 제주도 연안과 가장 근접한 정점 중 정점

10과 11에서는 모든 시기에 HFR 조류타원의 월별 변동이

크지 않고 두 정점 모두 KHOA 조류타원과 잘 일치하고

있다. 정점 12의 경우 2012년(Fig. 5a)에는 HFR 조류타원

과 KHOA 조류타원의 장축 경사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장

축의 길이는 다르다. 반면, 2013년(Fig. 5b)과 2014년(Fig.

5c)에는 HFR 조류타원들은 월별 변동성이 작고 KHOA

조류타원의 장축과 유사한 크기이지만 그 경사의 차이가

크다.

제주해협 서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 7에서는 모든 시기

에 월별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이 잘 일치하고

있고, 제주해협 중앙부에 위치한 정점 8에서도 HFR 조류

타원과 KHOA 조류타원이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다. 해

협 동쪽에 위치한 정점 9에서는 2012년(Fig. 5a)에는 HFR

조류타원은 월별 변동성이 다른 시기에 비해서는 약간 크

지만,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의 장축의 길이와

Table 2. Mean deviation ratio (DR) of the monthly HFR

M2 tidal ellipse from the annual-mean of monthly

HFR M2 tidal ellipse in each station (numbers 1

to 12) in Fig.1

Station 2012 (%) 2013 (%) 2014 (%)

1 18 12 9

2 11 10 12

3 9 5

4 31 24

5 13 12 6

6 30 18

7 10 7 9

8 9 6 5

9 13 11 12

10 11 8 8

11 9 7 8

12 16 6 11

Page 7: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1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경사는 유사하다. 반면 2013년(Fig. 5b)과 2014년(Fig. 5c)

에는 HFR 조류타원의 월별 변동성은 작지만 KHOA 조류

타원과는 차이를 보인다.

관측 영역의 북서부 해역에 위치한 정점 1과 2에서는

HFR 조류타원의 월별 변동성이 크지 않고 거의 모든 시

기에 KHOA 조류타원과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추자도

Fig. 5a. Monthly variation of M2 tidal ellipse from the HFR data in 2012 at each station marked by grey circle in Fig.

1. The ellipse in red solid line denotes the result from in KHOA data

Page 8: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2 Oh, K.-H. et al.

북부 해역에 위치한 정점 3에서는 HFR 조류타원의 월별

변동성은 작지만, 장축의 길이가 KHOA 자료의 조류타원

보다 작은 값을 보인다. 2014년(Fig. 5c)에는 비교 자료가

많지 않다. 정점 4에서는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

원의 장축 길이와 경사가 모두 차이를 보인다. 2014년

(Fig. 5c)에는 가용한 HFR 자료가 없다.

추자도 남서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 5에서는 HFR 조류

타원의 월별 변동성이 크지 않다. 그러나 KHOA 조류타

Fig. 5b. Same in Fig. 5a, except for 2013

Page 9: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3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원보다 장축의 길이가 작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해협 동

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 6에서는 시기별로 HFR 조류타원

은 월별 변동성이 차이가 나고, KHOA 조류타원과도 큰

차이를 보인다. 2014년(Fig. 5c)에는 사용 가능한 HFR 자

료가 없다.

시공간적인 분포 구조로 보면 제주해협 중앙부와 서쪽,

북서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에서 HFR 조류타원이 상대적

으로 월별 변동성이 작고 KHOA 조류타원과 비교적 잘

Fig. 5c. Same in Fig. 5a, except for 2014

Page 10: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4 Oh, K.-H. et al.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FR 조류타원도의 시공간적 분포

연구해역에서 KHOA 조류타원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Fig. 4), 제주도 연안에 근접한 지점에서는 장축의 방향이

해안선과 평행하게 나타난다. 추자도와 제주도를 잇는 선

을 중심으로 제주해협 동쪽 해역에서는 조류타원의 장축

의 방향이 주로 동서 방향으로, 서쪽 해역과 북부 해역에

서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왕복성 운동이 나타난다. 관측

영역 전반에 걸쳐 조류타원도의 크기는 ±50 cm/s 이하이

지만 제주도 북동쪽 해역과 추자도 주변 해역에서는 ±50

cm/s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큰 값을 보인다. 제주해협 동쪽

해역과 북부 연안에 근접한 해역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조류가 우세한 반면 제주해협 서쪽 해역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조류가 지배적이다.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HFR 자료의 조류타원도에 대한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2년부터 2014년

까지 각 연도별 월평균 조류타원을 평균한 연평균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Fig. 4)을 비교하였다(Fig.

6). 여기서 나타낸 연평균 HFR 조류타원은 Fig. 2에 제시

된 AR 50% 이상 영역에서 계산된 월별 HFR 조류타원을

연단위로 평균한 자료이며, KHOA 조류타원은 HFR 격자

에 내삽된 자료를 추출한 것이다.

2012년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의 분포를 보

면, 관측 영역 전반에 걸쳐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

타원이 매우 유사한 분포 구조를 보인다. 제주해협 동쪽

해역에서는 조류타원도의 장축의 방향이 주로 동서 방향

으로, 서쪽 해역에서는 북서-남동 방향의 왕복성 운동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단, 일부 HFR 관측 경계 부분과 추자

도 주변해역 특히 추자도와 보길도 사이의 해역에서는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이 차이를 보인다.

2013년도에는 관측 영역 중앙부에서는 KHOA 조류타

원과 HFR 조류타원이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HFR 관측 영역 경계 부분으로 갈수록 두 자료의 크기와

방향이 차이를 보인다. 특히, 제주해협 서쪽 해역에서는

두 자료가 잘 일치하고 있는 반면 해협 동쪽 해역에서는

경계 부분으로 갈수록 조류타원도 장축의 방향이 서로 차

이를 보인다. 추자도 북동부 해역에서는 조류타원의 크기

와 방향 모두 차이를 보인다. HFR 관측 영역은 2012년보

다 전체적으로 약간 축소되었다.

2014년도에는 관측 영역 중앙부와 제주해협 서쪽 해역

에서는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이 비교적 잘 일

치하고 있다. 그러나 HFR 관측 영역 경계 부분으로 갈수

록 두 자료가 차이를 보인다. 이전 시기와 다르게 제주도

연안과 인접한 해역에서도 두 조류타원이 차이를 보인다.

제주해협 서쪽 경계 부분에서도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이 차이를 보이며, 추자도 주변 해역과 동쪽 해역

에서는 조류타원의 크기와 방향이 모두 서로 다른 분포를

보인다. 2014년도 HFR 관측 영역은 이전 시기보다 조금

더 축소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제주도 동부 연안 끝 해역

까지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북쪽으로는 추자도 인근 해역

까지만 포함되어 있다.

Fig. 6. Distributions of the M2 tidal ellipses from KHOA

data(red) and the annual-mean HFR data(blue) which

is combining monthly M2 tidal ellipse of HFR data

in 2012, 2013, and 2014. Current scale is drawn by

circle with radius of 30 cm/s in the left bottom

Page 11: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5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두 조류타원의 전반적인 분포를 보면 KHOA 조류타원

과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인다. 단, 일부 해역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HFR 관측 경계 해역에서 주로 차이가 크

게 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KHOA 조류타원을

참값이라고 정의 내릴 수 없어 두 자료를 정량적으로 비

교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KHOA 조류타원이 유의한 오

차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고 있으며, 조류타원도의 방향

이 기존에 보고된 연구결과(최 등 1995)와 다르지 않다.

그리고 두 자료의 차이가 나타나는 경계 해역의 HFR 조

류타원이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HFR

자료의 편차를 추측해 볼 수 있다. 두 자료가 비교적 잘

일치하는 2012년도의 조류타원 분포를 보면 제주해협 동

쪽 해역에서는 KHOA 조류타원의 장축과 HFR 조류타원

의 장축이 유사하게 주로 동서 방향으로 왕복성 운동이

나타난다. 반면, 같은 해역임에도 불구하고 2013년과

2014년도에는 두 자료의 장축 길이와 경사가 모두 차이를

보인다.

HFR 자료의 유효 범위

HFR 자료의 활용 가능한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Fig.

6에 제시된 KHOA 조류타원과 연평균 HFR 조류타원의

시공간적 분포 자료를 바탕으로 두 자료의 편차를 계산하

고 이를 정량화하였다.

KHOA 조류타원과 연평균 HFR 조류타원의 조류 성분

들을 분리하여 식 (1)을 이용하여 조류 편차를 계산하였

다. 식 (1)에서 H에는 연평균 HFR 조류타원의 조류 성분

을 적용하고, R에는 비교대상 자료인 KHOA 조류타원의

조류 성분을 적용하였다. 두 자료의 편차(D)를 KHOA 조

류타원의 장축(major axis)으로 나눈 후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 사이의 편차비(DR = D/major axis)를 계

산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편차비를 통해 관측 영역 전반에

서 두 자료의 조류 편차를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자료의 오차 범위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두 자료의 편차

와 편차비 등을 통해 HFR 자료의 활용 범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두 자료의 편차가 작은 곳은 확률적으로 자료의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Fig. 7은 KHOA 조류타원과 연평균 HFR 조류타원의

편차비를 시공간적 분포로 나타낸 것이며, 이렇게 계산된

편차와 편차비 중에서 정점 1–12(Fig. 1)에 해당하는 값을

Table 3에 제시하였다. 2012년의 경우, 경계면 부분과 추

자도와 보길도 사이의 해협 부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영

역에서 30% 이하의 편차비를 보인다. 제주도 연안과 제주

해협 중앙부 해역에 위치한 정점 7에서 11까지와, 서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 1과 2에서는 두 자료의 편차 값이 약

4–13 cm/s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편차비도 18–27%로 낮

은 수치를 보인다. 관측 영역 경계 부분에서는 비교적 편

차가 크게 나타나며, 특히 추자도 북동부 해역에서는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 사이의 장축 길이의 차

이에 의한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정점 4에서 편차

값은 약 57 cm/s 이고, 편차비는 약 60%이다. 제주도 연안

과 제주해협 중앙부에서는 비교적 편차가 작게 나타나며,

동쪽보다는 서쪽 해역이 조류 편차 값이 작은 영역이 더

넓게 분포하고 있다.

2013년에는 제주해협 동쪽 해역에서 두 자료의 편차비

Fig. 7. Distributions of the deviation ratio (DR) of the

annual-mean M2 tidal ellipse of HFR data from the

M2 tidal ellipses of KHOA data in 2012, 2013 and

2014. Thick contour line is represented 30% line

of DR

Page 12: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6 Oh, K.-H. et al.

가 2012년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다. 정점 6에서의 값을

비교해 보면 2012년에는 41%의 편차비를 보이지만 2013

년에는 95%로 장축 경사의 차이로 인해 거의 2배 증가하

였다. 정점 9에서도 27%에서 58%로 편차비가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서쪽 해역에서는 경계에 근접한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30% 이하의 편차비를 보인다. 추

자도 북동부 해역에 위치한 정점 4에서는 79 cm/s 이상의

높은 편차 값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제주도 연안 해역과

제주해협 중앙부에서 낮은 편차비를 보이며, 서쪽 해역보

다는 동쪽 해역이 높은 편차 분포를 보인다.

2014년에는 이전 시기와 유사하게 서쪽 해역에서 비교

적 낮은 편차 값을 보인다. 이 시기에도 관측 경계 영역으

로 갈수록 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서쪽 해역보다는 동쪽

해역에서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서쪽 경계 부근에서는

2013년보다 비교적 편차가 큰 값들이 분포하고 있다. 제주

도 연안과 제주해협 중앙부, 서쪽 해역에서는 편차가 낮은

값들이 분포하고 있다. 서쪽 해역에 위치한 정점 1과 2에

서는 약 8–11 cm/s의 편차 값과 23–29%의 편차비를 보이

며, 제주도 연안과 중앙부에 위치한 정점 7–8, 10–11에서

는 약 4–13 cm/s의 편차 값과 21–36%의 편차비를 보인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에는 관측 영역 전반에 걸쳐 HFR 자료의 조류 편차가 다

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유효값으로 평가하

고 있는 30% 이하의 편차 값을 갖는 영역이 관측 경계

해역을 제외한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 나타났다. 이에

비해 2013년과 2014년에는 30% 이하의 유효값을 갖는 영

역이 관측 해역의 서쪽에 편중되어 있으며 관측 해역의

동쪽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편차값을 보인다. 이 기간에는

제주해협 동쪽 해역보다는 중앙부와 서쪽 해역에 위치한

자료의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도별로

HFR 자료의 유효범위가 차이가 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

직 명확하게 파악되고 있지 않다. 다만, 2012년에는 이 시

기의 HFR 관측이 다른 시기보다 환경적 영향을 덜 받았

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는 각 시기마다 관

측되는 HFR 자료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렇게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의 조류

편차를 확인함으로써 관측 영역에서 HFR 자료의 유효 범

위를 예측해 볼 수 있다.

HFR 자료에 의한 제주해협 조류 특성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HFR 자료의 유효범위를 분석한

결과 제주해협 중앙부와 서쪽해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신

뢰도가 높은 자료가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 자료의 신

뢰도가 비교적 높은 제주해협 중앙부 해역에 위치한 자료

(Fig.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박스 영역)를 바탕으로 제주

해협에 분포하는 조류의 계절적 변동을 살펴보았다. Fig.

8은 비교적 신뢰도가 높은 제주해협 중앙부 해역에 위치

한 격자에서 추출한 HFR 조류타원 자료를 이용해서 제주

해협 조류의 변동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된 자료는

2012년 4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이며, 참고로 Fig. 8에서

x축 시간 단위의 월(month)은 365.25/12로 환산해서 계산

된 것이다.

Table 3. The M2 tidal ellipse parameter of KHOA data in the 12 selected stations in Fig. 1 and deviation (D) and deviation

ratio (DR) of the annual-mean M2 tidal ellipse of HFR data from the M2 tidal ellipses of KHOA data

Sta.

KHOA tidal ellipse 2012 2013 2014

major

(cm/s)

minor

(cm/s)

inc

(deg.)

phase

(deg.)

D

(cm/s)

DR

(%)

D

(cm/s)

DR

(%)

D

(cm/s)

DR

(%)

1 37.7 -8.8 141.0 323.0 4.6 12 3.9 11 10.3 27

2 37.1 -0.4 146.7 311.7 7.0 19 8.9 24 6.3 17

3 65.4 -13.5 157.8 304.8 19.9 31 13.3 20 20.8 32

4 95.2 -1.9 148.9 298.3 55.2 58 79.4 83

5 61.8 3.8 174.3 293.2 24.2 39 28.9 47 18.1 29

6 38.3 0.4 174.3 295.4 4.1 11 36.0 94

7 21.8 -3.6 169.3 307.4 2.4 11 4.0 19 3.8 17

8 35.7 0.8 168.0 306.4 6.9 19 7.7 22 12.6 35

9 46.5 2.8 176.8 303.8 10.3 22 26.0 56 24.6 53

10 26.9 -1.7 7.4 124.7 2.7 10 4.5 17 6.3 23

11 34.4 -0.8 9.0 127.3 6.2 18 6.3 18 9.8 28

12 67.4 -5.7 3.2 110.0 26.5 39 27.2 43 25.7 38

Page 13: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7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M2 분조 조류타원의 반장축의 크기를 보면 대체로 7–9

월에 작고 10–1월에 상대적으로 큰 계절 변동이 나타난다

(Fig. 8a). Fig. 8b에 제시된 값은 (a)에 제시된 각 정점에서

의 반장축 크기를 전체 기간의 평균값으로 나누어 반장축

크기의 변동률로 나타낸 것이다. 이 반장축의 월별 시계열

자료로부터 M2 분조 조류의 계절변동을 정량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식 (2)를 이용하여 계절변동성을 포함하는 주기

성분을 적용하여 각 주기의 진폭과 위상을 조사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각각 12개월과 6개월 주기를 적용하였다.

cos

(2)

여기에서 과

은 각각 변동 주기에 해당하는 진폭과

위상을 의미한다. 이때 year

cycle이며 첨자 은 주파

수이다. 즉, 은 12개월 주기, 는 6개월 주기를

의미한다. 평균()과 각 성분의 진폭과 위상을 최소자승

법(Least Square Method)으로 구하였다. 다시말해, 12개월

과 6개월 주기의 성분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주기에 대한

진폭과 위상을 계산하였다.

Fig. 8. (a) Temporal variations of the M2 semi-major axis calculated at the grid in the boxed area in Fig. 1. (b) Conversion

of the semi-major axis variation shown in (a) to the variation rate to the mean value at each time. (c) Dotted

line denotes the mean value of semi-major axis variation rate of (b), and red solid line represents semi-major axis

of the M2 tidal ellipse reconstructed using frequency components of 6 and 12 months calculated from eq. 2

Page 14: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8 Oh, K.-H. et al.

Fig. 8c는 (b)에 제시된 M2 분조 반장축 변동률을 시간

에 대해 평균한 월평균값(점선)과 식 (2)로 계산된 12개월

과 6개월 주기 성분으로 계산된 진폭과 위상으로 재구성

시킨 시계열 변동 특성(실선)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12개

월과 6개월 두 주기 성분만으로 재구성된 M2 분조 반장축

의 시계열 변동 특성이 제주해협에서 관측된 M2 분조 반

장축의 변동 특성과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다. 두 시계열

분포의 반장축의 크기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재구

성된 반장축의 시계열 구조가 관측자료의 반장축 변동을

적절하게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는 Fig. 8c에서 재구성시킨 M2 분조 반장축의

12개월과 6개월 주기 성분에 대한 진폭과 위상의 계산 결

과를 보여준다. 위상은 1월 1일 0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반장축 크기가 최대가 되는 시간을 환산할

수 있다. 결과에서 12개월 주기 성분은 약 7.4%의 진폭으

로 1월말 정도에 최대가 되며 6개월 주기 성분은 약 2.5%

의 진폭으로 11월 중순경 최대값을 보인다. 두 성분의 조

합되어 12월 중순경 진폭은 평균에 비해 약 10% 정도 큰

최대값이 나타나고 8월 중순에 평균에 비해 약 7.4% 정도

작은 최소값이 나타난다.

4. 결론 및 토의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는 제주해협 표층 해수유동장

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주도 북부 해역에 HFR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주해협에서 생산되고 있

는 HFR 자료를 분석하여 신뢰도가 높은 자료에 대한 유

효 범위를 조사하였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해협에서

M2 분조 조류의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HFR 자료를 평가

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의 25시간 해류 관측 자료로부

터 보정된 M2 분조 조류 성분(Lee et al. 2019)을 사용하였

다. HFR 자료의 격자에 재구성시킨 KHOA 조류타원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수집된 HFR 자료에서 계산된 M2

조류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해협 중앙부와 서쪽 해역에서는 M2 분

조 조류타원의 크기와 방향들이 거의 모든 시기에 걸쳐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반면, 제주해협 동쪽 해역에서는

2012년을 제외하고는 두 자료의 조류타원이 장축 경사의

차이에 의해 큰 편차를 보였고, 추자도 북부 해역에서는

장축 길이의 차이에 의해 큰 편차를 보였다. 분석된 자료

중에서는 2012년에 관측된 HFR 조류타원이 KHOA 조류

타원과 가장 잘 일치하였고 유의한 영역도 가장 넓었다.

이 시기에는 HFR 관측 영역의 일부 부분을 제외한 거의

모든 해역에서 두 자료의 조류 편차가 30% 이하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다만, 경계 부분에서는 두 조류타원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고 특히 추자도 북동부 해역에서 가장

크다. 2013년과 2014년에도 관측 영역의 경계 부분으로

갈수록 두 자료의 조류타원 크기와 방향이 차이를 보였다.

특히, 서쪽 해역에 비해 동쪽 해역으로 갈수록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모든 시기에 걸쳐 전반적으로 신뢰도가 높

은 곳은 제주해협 중앙부와 서쪽 해역이다. 관측 시기에

따라 HFR 자료의 획득률이 차이를 보였고 신뢰도가 비교

적 높은 자료의 영역도 다르게 나타났다.

편차가 큰 자료는 대체로 자료 획득률이 낮은 경우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자료 획득률이 낮다고 해서 편차가 항

상 크지는 않으며 신뢰도가 낮은 것은 아니다. 2013년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두 자료의 편차는 HFR 자료의 취

득률에 상관없이 30 cm/s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자료

취득률이 50% 인 격자에서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따

라서 자료 획득률만으로 자료의 신뢰성을 판정하기 어려

우며 관측 환경의 변화와 전파의 잡음 등 다양한 변수들

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HFR 조류타원과 KHOA 조류타원이 동쪽 해역에서 특

히 큰 편차를 보이는 원인에 대해서는 향후 더 연구가 진

행되어야 할 부분으로 여기서는 명확히 파악되고 있지 않

지만 몇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볼 수 있다. 우선 KHOA의

해류 관측 정점(Fig. 4)이 서쪽보다 동쪽 해역에서 상대적

으로 적어 내삽 과정에서 조류 특성이 적절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된 제주해협의

KHOA 조류타원도 분포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크

게 다르지 않다(최 등 1995). 분석된 KHOA 조류타원도의

장축 길이가 일부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장축의 경사

는 기존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동쪽 해역

에서 나타나는 두 조류타원도의 장축 경사 차이는 HFR

자료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동쪽 해역에

서는 김녕(KN) HFR radial 방향과 조류타원의 장축 방향

이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어 김녕 HFR radial의 크기가

조금만 달라져도 HFR 조류타원 장축과 KHOA 조류타원

의 장축 방향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제주해협 동쪽에서 HFR radial 자료의 획득률이

낮은 데 이는 전파환경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Fig. 9는 애월(AW)과 김녕(KN) 각각의 사이트에서 수집

된 HFR radial 자료의 연평균 획득률을 나타낸 것이다.

2012년도에는 전반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관측 범위와 획

Table 4. Amplitude and phase of the sinusoidal functions

seasonal variability of reconstructed M2 semi-

major axis (red line) in Fig. 8c

Period Amplitude (%) Phase (deg.)

12 month 7.4 18.1

6 month 2.5 -53.0

Page 15: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29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득률을 보였다. 2013년도와 2014년도에는 김녕 사이트에

서는 HFR을 중심으로 서쪽 해역에서 자료 획득률이 높게

나타나고 동쪽으로는 확장되지 못하고 있다. 애월 사이트

에서는 2013년도에는 중앙부 해역에서의 획득률이 다른

시기보다 약간 낮고, 2014년도에는 관측범위가 제주해협

중앙부에 한정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HFR에서 멀어질수

록 자료 획득률이 낮아지고 있으며, 동쪽으로 갈수록 상대

적으로 낮은 획득률을 보였다. 자료의 획득률이 자료의 품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2013년도와

2014년도에 동쪽 해역에서 HFR 조류타원의 방향이

KHOA 조류타원과 차이가 나고, 이로 인해 HFR 자료의

신뢰 영역이 서쪽해역으로 편중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명

확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조류타원의 편차 분포

(Fig. 7)에서 2013년도가 2014년도보다 동쪽 해역에서 더

Fig. 9. Distributions of annual acquisition ratio of HFR radial data at AW and KN sites in each year

Page 16: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30 Oh, K.-H. et al.

큰 편차를 보인다. 아직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

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자료 획득률과 HFR 자료의

신뢰성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 될

것이다.

HFR 자료가 전파나 관측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

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바이다(Chapman et al. 1997;

Seasonde 2009). HFR radial 자료의 획득률을 살펴봤을 때

2012년이 주변 환경이 가장 관측에 적합했던 시기이며

HFR 자료가 환경적 영향을 덜 받은 시기로 판단된다. 실

제로 HFR가 설치되고 관측이 시작된 이후에 애월 지역

HFR 장비 주변에 장애물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2012년

말부터는 관측 영역 내에 액화천연가스 기지가 착수되기

시작하면서 관측 영역의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

였다. 이와 같은 환경 변화가 애월 지역 HFR radial의 분

포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정

확한 원인은 향후 추가 연구에서 분석될 것이다.

HFR 자료는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간접적인 방법이지만 제주해협 전 해역에서 관측된 표층

해류의 특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자

료의 활용도 또한 높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에서는 장기

관측 자료인 HFR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 해협의 M2 분조

조류타원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뿐만 아니라 M2 분조 조류

의 계절 변동성도 제시하였다. 비교적 자료의 신뢰도가 높

은 해역을 대상으로 M2 분조 조류 성분을 계산하여, M2

분조 반장축 크기의 시계열 변동을 통해 제주해협의 M2

분조 조류가 여름철에 약하고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강한

계절 변동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름철에 비해

겨울철의 M2 분조 조류가 약 17% 정도 강한 뚜렷한 계절

변동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특성은 이 해역에서 겨울철

조석의 진폭이 여름철 진폭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Kang

et al.(2002)의 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지금까지 HFR 자료

를 이용하여 제주해협 조류의 특성과 계절 변동성을 조사

한 결과는 보고된 바가 없기 때문에 이 결과는 의미가 있

다고 판단되며, 장기간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HFR 자료

는 제주해협 조류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과 계절 변동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계절 변동 등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에 의해 자연

변동성을 가지는 조류의 특성상 HFR 조류타원의 조류 성

분이나 보정된 KHOA 조류타원의 조류 성분 또한 정량화

되어 있지 않지만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HFR

자료를 검증하기 위해 제주해협 전 영역을 포함하는 광범

위한 영역에 대한 비교자료로 KHOA 조류타원을 사용하

였지만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KHOA 조류타원이 반드시

기준이 되는 절대적인 값이라고 단정하지는 않는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 결과(Lee et al. 2019)에서 KHOA

조류타원이 정성적으로 유의하다는 결과를 보여줬고,

KHOA 조류타원과 HFR 조류타원 모두 오차가 있음을 고

려하더라도 여기서 제시한 것처럼 관측 영역 전반에 대한

두 조류타원의 변동성을 비교함으로써 편차에 따라 HFR

자료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양질의 해류계 관측 자료가 축적이 되면 HFR 자료

에 대한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해 질것으로 판단되며, 관

측 자료와 예측 자료들을 활용해서 HFR 자료의 신뢰성을

지수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사 사

본 연구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주요사업 북서태평양

순환과 기후변동성이 한반도 주변해역 변화와 물질순환

에 미치는 영향 I-제주난류 변동성과 역할(PE99811) 과제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김영배, 정우진 (2006)

새만금 4호 방조제 완성 전·후 HF 레이다로 관측된 표층

M2 조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1(2):37–48

김창수, 이상호, 손영태, 권효근, 이광희, 최병주 (2008) 새만

금 연안역에서 HF 레이다에 의해 관측된 조하주기 표층

해류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1):56–66

송규민, 조철호 (2012) 고주파 해수면 관측레이더의 국내 설

치 및 운영방안: 하드웨어 부문. Ocean Polar Res 34(4):

453–462

이상호, 문홍배, 백혜연, 김창수, 손영태, 권효근, 최병주

(2008) 금강하구 연안역에서 HFR로 측정한 유속의 정확

도.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1):42–55

최병호, 정홍화, 조양기 (1995) 한국 남서해역의 조사 산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7(2):163–169

최영진, 김호균, 이동환, 송규민, 김대현 (2016) HF–Radar 관

측자료의 단주기 변동성 분석 및 정확도 분류. 한국해안·

해양공학회논문집 28(6):319–331

Bell C, Vassie JM, Woodworth PL (1999) POL/PSMSL tidal

analysis software kit 2000 (Task-2000). Permanent service

for mean sea level, Birkenhead, 21 p

Chapman RD, Shay LK, Graber HC, Edaon JB, Karachintsev

A, Trump CL, Ross DB (1997) On the accuracy of HFR

surface current measurements: Inter-comparisons with ship-

based sensors. J Geophys Res 102(C8):18737–18748

Choi J-W, Song K-M, Choi J-Y (2019) Accuracy improvement

of particle tracking model using 2-D current measurement

(HF-radar) data. J Coastal Res 91:251–255

Crombie DD (1955) Doppler spectrum of sea echo at 13.56

Mc/s. Nature 175:681–682

Harlan J, Terrill E, Hazard L, Keen C, Barrick D, Whelan C,

Page 17: Vol. 42(2):115 Ocean and Polar Research - Korea Science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19163739957.pdf · Aewol Kimnyong Longitude 126.3161°E 126.7638°E Latitude 33.4691°N 33.5649°N

131HFR data and M2 tidal current in the Jeju strait

Howden S, Kohut J (2010) The integrated ocean obser-

ving system high-frequency radar network: Status and

local, regional, and national applications. Mar Technol

Soc J 44(6):122–132

Kang SK, Foeman MGG, Lie H-J, Lee J-H, Cherniawsky J,

Yum K-D (2002) Two-layer tidal modeling of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with application to seasonal variability

of the M2 tide. J Geophys Res 107(C3):1–19

Lee S, Lie H-J, Cho C-H, Kang SK, Teague WJ, Chang K-I,

Song K-M, Oh K-H (2011) Vertical structure of the M2

tidal current in the Yellow Sea. Ocean Sci J 46(2):73–84

Lee S, Oh K-H, Jang S-T, You HY, Park J, Song K-M (2019)

M2 tidal current estimation from one-day observation data

off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Ocean Sci

J 54(1):39–50

Seasonde (2009) Seasonde information. http://www.support.

seasonde.com/index.php Accessed 2 Nov 2012

Son Y-T, Lee S-H, Kim C-S, Lee JC, Lee G-H (2007) Surface

current variability in the Keum River Esturay (South

Korea) during summer 2002 as observed by high-frequency

radar and coastal monitoring buoy. Cont Shelf Res 27:43–

63

국문 참고자료의 영문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s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Kim C-S, Lee S-H, Son Y-T, Kwon H-K, Lee K-H, Kim

Y-B, Jeong O-J (2006) Changes of surface M2 currents

as onserved by HF rada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fourth tidal dyke closing. J Kor Soc Oceanog 11(2):37–48

Kim C-S, Lee S-H, Son Y-T, Kwon H-K, Lee K-H, Choi

B-J (2008) Variations in subtidal surface currents observed

with HF radar in the costal waters off the Saemangeum

areas. J Kor Soc Oceanog 13(1):56–66

Song K-M, Cho C-H (2012) Effective installation and operating

of high frequency ocean surface radars in Korea - part

1: hardware. Ocean Polar Res 34(4):453–462

Lee SH, Moon HB, Baek HY, KIM CS, Son YT, Kwon HK,

Choi BJ (2008) Accuracy of HF radar-derived surface

current data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Keum river

estuary. J Kor Soc Oceanog 13(1):42–55

Choi BH, Chung HW, Cho Y-K (1995) Tidal computations

for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7(2):163–169

Choi YG, Kim H-K, Lee D-H, Song K-M, Kim D-H (2016)

Short-Term variavility analysis of the HF-Radar data and

its classification scheme.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8(6):319–331

Author’s Information

Kyung-Hee Oh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Seok Lee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Joonseong Park

Research Speciali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yu-Min Song

Senior Research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Dawoon Jung

Post Master Scienti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Received Feb. 3, 2020

Revised May. 11, 2020

Accepted May. 25,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