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사상체질학회지�J�.�o�f �S�a�s�a�n�g �C�o�n�s�t�. �M�e�d�V�o�l�. �1�5�. �N�o �2�. �2�0�0�3

�*률훌�R홈훌에 根휠훌 �� 四훌�l훌훌 形成에 관판 文활的 킹훌훌

훌 훌 澈�

�I �A�b�s�t�r�a�c�t �I

�A �L�i�t�e�r�a�t�u�r�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a�s�a�n�g�C�o�n�s�t�i�t�u�t�i�o�n�a�l �M�e�d�i�c�i�n�e �o�n �t�h�e �b�a�s�i�s �o�f �C�h�a�n�n�e�l�-�q�i �t�h�e�o�r�y

�K�i�m �S�u�n�g �C�h�u�'�*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W�o�n�k�w�a�n�g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K�w�a�n�g�j�u

�O�b�j�e�c�t�i�v�e�:

π�1�e �p�u�r�p�o�s�e �o�f �t�h�i�s �s�r�u�d�y �i�s �t�o �d�i�s�c�o�u�r�s�e �u�p�o�n �t�h�a�t �t�h�e �c�o�n�s�t�r�u�c�t�i�o�n �o�f �S�a�s�a�n�g �G�>�n�s�t�i�r�u�t�i�o�n�a�! �M�e�d�i�c�i�n�e �h�a�s �a �s�i�g�n�i�f�i�c�a�n�t�p�r�o�p�e�r�t�y �o�f �O�r�i�e�n�t�a�l �M�e�d�i�c�i�n�e �b�y �e�x�p�l�a�i�n�i�n�g �t�h�e �d�i�s�p�a�r�i�t�y �o�f �t�h�e �v�i�s�c�e�r�a �a�n�d �b�o�w�e�l�s �o�f �f�o�u�r �c�o�n�s�t�i�t�u�t�i�o�� �t�h�r�o�u�g�h �t�h�e �s야�c�i�a�!

�q 따�!�i�t�y �o�f �y�i�n�g�-�q�i �a�n�d �w�e�i 껴�i �c�i�r�c�u�l�a�t�i�n�g �i�n �h�w�n�a�n �I�x 성 �y �o�n �t�h�e �b�a�s�i�s �o�f �t�h�e �c�h�a�n�n�e�l 껴�i �t�h�e�o�t�y �o�f �r�H�u�a�n�g�d�i �N�e�i�j�i�n�&�D

�C�o�n�c�l�u�s�i�o�n�:

�1�. �P�r�i�m�o�r 버 �a�l 켜 �i �i�s �t�h�e �c�o�n�g�e�n�i�t�a�l �e�s�s�e�n�c�e �i�n�h�e�r�i�t�e�d �f�r�o�m �t�h�e �p�a�r�e�n�t�s �a�n�d �p�e�c�t�o�r�a�l�-�q�i�, �y�i�n�g�-�q�i �a�n�d �w�e�i�-�q�i�i�s �t�h�e �a�c�q�u�i�r�e�d �e�s�s�e�n�c�e �d�e�r�i�v�e�d �f�r�o�m �t�h�e �f�<�x 녕 �a�n�d �a�i�r �t�h�a�t �h�u�m�a�n �e�a�t �a�n�d �b�r�e�a�t�h�e�.

�2�. �Y�i�n�g�-�q�i �a�n�d �w�e�i�-�q�i �c�i�r�c�u�l�a�t�e�s �i�n �t�h�e �m�e�r�i�d�i�a�n �s�y�s�t�e�m �b�y �t�h�e �s�t�r�e�n�g�t�h �a�n�d �p ‘�!�S�h�i�n�g �o�f �p�e�c�t�O�r�a�l�-�q�i�u�n�d�e�r �t�h�e �i�n�f�l�u�e�n�c�e �o�f �p�r 띠�1�0�r�d�i�a�l�-�q�i

�3�. �Y�i�n�g�-�q�i�, �b�y �t�h�e �p�u�s�h�i�n�g �f�u�n�c�t�i�o�n �o�f �p�e�C�t�o�r�a�l�-�q�i�, �d�e�t�e�r�m�i�n�e�s �l�a�r�g�e �l�u�n�g�-�s�m�a�l�l �l�i�v�e�r �a�n�d �s�m�a�l�l�l�u�n�g�-�l�a�r�g�e �l�i�v�e�r �a�c�c�o�r�d�i�n�g �t�o �t�h�e �i�n�n�a�t�e �q�u�a�n�t�i�t�y �o�f �q�i �a�n�d �b�l α닝 �.

�4�. �W�e�i�-�q�i�, �b�y �t�h�e �p ‘�!�S�h�i�n�g �f�u�n�C�t�i�o�n �o�f �p�e�C�t�o�r�a�l 떼 �, �d�e�t�e�r�m�i�n�e�s �l�a�r�g�e �s�p�l�e�e�n�-�s�m�a�l�l �k�i�d�n�e�y �a�n�d �s�m�a�l�l�s�p�l�e�e�n�-�l�a�r�g�e �k�i�d�n�e�y �a�c�c�o�r�d�i�n�g �t�o �t�h�e �i�n�n�a�t�e �q�u�a�n�t�i�t�y �o�f �q�i �a�n�d �b�l ∞�d�.

�5�. 까�I�e �h�e�a�r�t �i�n �t�h�e �t�h�e�o�t�y �o�f �t�h�e �m�e�r�i�d�i�a�n �s�y�s�t�e�m ’�s �f�e�t�u�s�-�n�o�u�r�i�s�h�i�n�g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v�i�s�c�e�r�a �a�n�d �b�o�w�e�l�s �a�s �g�o�v�e�r�n�i�n�g �h�u�m�a�n �I�x 성�y �a�n�d �s�e�v�e�n �e�m�o�t�i�o�n�s�.�6�. �I�t �i�s �c�o�n�s�i�d�e�r�e�d �t�h�a�t �T�a�i�y�a�n�g �p�e�r�s�o�n �a�n�d �T�a�i�y�i�n 야 �r�s�o�n �h�a�v�e �t�h�e �c�o�n�s�t�i�t�u�t�i�o�n �i�n�f�l�u�e�n�c�e�d �b�y �y�i�n�g�-�q�i�.�7�. �I�t �i�s �c�o�n�s�i�d�e�r�e�d �t�h�a�t �S�h�a�o�y�a�n�g �p�e�r�s�o�n �a�n�d �S�h�a�o�y�i�n �p�e�r�s�o�n �h�a�v�e �t�h�e �c�o�n�s�t�i�t�u�t�i�o�n �i�n�f�l�u�e�n�c�e�d �b�y �w�e�i 떼 �.

�T�h�e �i�n�q�u�i�t�y �i�n�t�o �s�e�v�e�r�a�l �l�i�t�e�r�a�r�u�r�e�s �o�n �t�h�e �b�a�s�i�s �o�f �t�h�e �c�h�a�r�m�e�l�-�q�i �t�h�e�o�t�y �o�f �f�H�u�a�n�g�d�i �N�e�i�j�i�n�g�.�! �l�e�a�d�s �u�s�t�o �t�h�e �i�d�e�a �t�h�a�t �t�h�e �c�o�n�s�t�r�u�c�t�i�o�n �o�f �S�a�s�a�n�g �C�o�n�s�t�i�t�O�t�i�o�n�a�i �M�e�d�i�c�i�n�e �i�s �a�n�o�t�h�e�r �w�e�l�l�-�i�m�p�l�i�e�d �r�e�p�r�e�s�e�n�t�a�t�i�o�n�o�f �t�h�e �p�r�o�p�e�r�t�y �o�f �t�h�e �m�e�r�i�d�i�a�n �d�o�c�t�r�i�n�e �i�n �t�h�e �e�x�i�s�t�i�n�g �O�r�i�e�n�t�a�l �M�e�d�i�c�i�n�e�.�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c�o�n�t�i�n�u�a�l �s�r�u�d�i�e�s �o�f �l�i�t�e�r�a�t�u�r�e�s �a�n�d �S�a�s�a�n�g �C�o�n�s�t�i�r�u�t�i�o�n�a�l �M�e�d�i�c�i�n�e�A�c�u�p�u�n�c�t�u�r�e �a�r�e �n�e�c�e�s�s�a�r�y �h�e�n�c�e�f�o�r�t�h�.

�K�e�y �w�o�r�d�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h�a�o�y�a�n�g �p�e�r�s�o�n�, �S�h�a�o�y�i�n 야 �r�s�o�n�, �T�a�i�y�a�n�g �p�e�r�s�o�n�, �T�a�i�y�i�n�p�e�r�s�o�n�, �P�e�c�t�O�r�a�l �q�i�, �Y�i�n�g �q�i�, �W�e�i �q�i�, �M�e�r�i�d�i�a�n �d�O�C�t�r�i�n�e�, �C�h�a�n�n�e�l�-�q�i�.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교신저자 깅성철 �, 주소�) 광주광역시 냥구 주월동 ’�4�3�-�8 전화 �) �0�6�2�-�6�7�0�-�6�4�4�2�, �F�a�x�) �0�6�2�-�6�7�0�-�6�7�6�7�,

�E�-�m 때 �b�e�r 뼈�!�@�h�a�n�m�a�i�l�.�n�e�r

�- �3�8 �-

�- 했氣꿇에 根 �!�I�t 한 四흉빼 �}�i �����I�£ 에 관한 文 �J�X�t�r�-�J 考쭉 �-

�I�. 總 論한의학에서는 인체의 기본구성요소를 氣血

로 인식하여 心身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였다

특히 氣는 몸과 마음의 근본구성요소이며 인

체는 웬氣로 구성되고�, 經氣의 순환을 통해

생명을 영위하며 살아간다 經氣는 인체내의

생명력인 正氣로서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활동

을 유지하고 질병예방능력을 가지며 原氣 �, 宗

氣 �, 營氣�, 衛氣의 네 종류가 있다�I�)

經氣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 하나는 經絡자체의

原氣를 말하는 것으효 經絡이 부모로부터 선

천적으로 물려받은 기능적인 원동력을 의미하

는 것과 다른 하나는 후천적으로 받아들인 水

殺之氣와 呼�U�&之氣에서 발생한 宗氣 �, 쏠氣�, 徐�f氣를 말하며�, 순氣의 推動을 받아서 營氣와

짧氣가 뭔폐을 통해 �A將內外를 쉬지 않고 흐

르는 현싱을 가리킨다���)

고대 동양인들의 인체에 대한 사유체계방식

도 “ �A身 �I�J 、字숨”로서 인체가 자연의 大宇寅와

서로 상응하는 질서가 있다는 사고와 또 자연

과 더불어 인체에는 반드시 氣가 존재하고 氣

는 인체의 생명활동이라는 인식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의학의 기본학설은 黃帝內經을 근거로 한

經絡學設 �, �n훌象學說 �, 陰陽五行說 둥이 있다�.

李濟馬의 東醫꿇世保元 醫�i原論에서 “此-書 亦是古 �A之經驗而五藏六 �H府經絡훌훌法病證修養之辯

實是醫家 格致之宗主而홈 �n���J�f 自 出也”라 하

여�3�)�,黃帝內經은 購服 �, 經絡 �, 鐵�$�, 病證�, 修養

등의 다양한 古 �A들의 경험이 수록되어 있어

여러 한의학의 醫家 學說。�l 나 醫術의 原理는

內經의 영향을 받아서 성립되었음을 인정하고

있다 �.

四象醫學이 그 동안 한의학적 기본학셜과

전혀 다른 독특한 체계라 하여 정통이 아닌

學說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나 이제는 한국 한

의학의 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화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 그러기 위해서는 四象醫

學이 한의학적 학문체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인체의 체질이 왜 네가지 일까 하는 四象體質

의 성립이유를 최근까지 댐學의 영향으로 굶

子의 四端이나 中庸 등의 댐學精神에서 유래

를 찾아 四象體質이 성립되었다는 說�4�.�5�)이 있

는데 이는 결국 四象醫學이 정통 한의학의 범

주에서 벗어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 그러나黃帝內經의 經絡學說은 氣가 존재한다는 인식

하에서 성립한 學說로 藏象學說의 논리적 근

거가 될 뿐만 아니라 氣의 성립이론인 經氣論

이 띠象醫學의 �R훌 �H府大시、關係 즉 藏 �R府之氣의

彈弱關係와 밀접한 연관이 되어 있다�.이에 저자는 黃帝內經의 經氣 �p�i倫을 중심으로

인체의�*옆

�*용을 순행하는 營氣와 衛氣의 經氣

적 특성을 가지고 때象 �A의 �R훌 �n府大小關係를

설명하여 四象體質의 성립이 한의학의 특징을

잘 함축 표현함을 논술하고자 古代 文厭을 통

하여 알아 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l�l�. 맑究方法�1�. 歷代�X厭에서 經氣論에 關聯.된 部分을

찾아 原氣 �, 宗氣�1 營氣�, 衛氣의 生理作用과 �{�J좁

行에 對하여 살펴보았다 �.

�2 發生學的 관점에서 본 經絡 養�%說의 내

용을 살펴보았다 �.�3�. 經氣와 四象體質과의 相關假說을 세웠다�.�4�. 東醫줍世保元중의 四象體質형성의 내용

과 古典의 관련내용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I�l�l�. 本 論

�1�. 經氣의 生理作用과 個行

�(�1�) 經氣의 定意와 分類

經氣는 인체내의 훨氣 혹은 正氣로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하고 질병예방능력

을 가지며 原氣 �, 宗氣�, 營氣�, 衛氣의 네 종류

�- �3�9 �-

*징 �f�k�t �*Å»�1�tÇX �*×��*댐、웠 父따로부터 불려받은 先天之웠

슨�=�-�H�,�1�'�;�:�j�<�'�» 쯤�와 힘JiR블*훨IJ하는後天之fkt

월�값 k�값으로個行하는 後天之상

���i �� �*Æ©�g��Ç<¸\ 뼈行하는 後天之�

�- 사상채질의학회지 지 �1�1�5 권 제 �2호 �2�0�0�3 �-

가 있다’�-�6�)經氣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經絡자체의 原氣를 말하는 것으로 經

絡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先天의 기능적인

원동력을 의미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後天的

으로 받아들인 水뤘之氣와 呼吸之氣에서 발생

한 宗氣와 營氣 �, 衛氣를 말하며 原氣의 영향

력 하에 營氣와 衛氣가 宗氣의 推動을 받아

�*�,�!�1 펴없과 絡服을 통해 �A體內外를 쉬지 않고 흐

르는 현상을 가리킨다�2�.���,�7�-�9�)

經氣論은 한의학

에서�*됐용學說의 토대가 되는 기본이론이며

經氣의 순환은 곧 인체의 생명력을 가리킨다

고 볼 수 있다�.

〈素問 � 離合합뻐論 �>�6�)

“훤氣者 �, 혈氣也”

〈靈樞 � 刺節륨那篇 �>�7�)

“훨氣者 所受於天 與殺氣井而充身者也”

〈難經 � 六十六難 �>�8�)

“簡下딸間動氣者 �A之生命 �, 十二經之根本也

故名日原氣 �"�.

〈젖짧쪼 � 營衛三흙 �>�9�)

“然쏠氣衛氣 無非資籍於宗氣 宗월 �,盛則 쏠縮�U

흉則 營衛弱롯”

〈靈樞 � 쩨홈篇〉기

“쏠월�,者 泌其律滾 注之주服 化以寫血 以營며

末 內注표臨六뼈”

〈靈樞 � 쏠衛生會篇 �>�7�)

“ �A受氣於앓 줬入於몹 以傳於뼈 五職六�R府縣以

受氣 氣淸者鳥營 �i훌者寫衛 營在服中 衛在眼

外 쏠周不休 五十而復大會 陰陽相實 如環無端”

〈찢짧잊� 쯤衛三쏠、 �>�9�)

“衛氣者 陽氣也 衛氣出於下흙‘�"

표 �l 經氣의 分類와�*험生

�(�2�) 原氣의 生理作用

原氣는 先天之氣로 元氣 또는 뽑빔�l動氣라고하며 �6�\�, 부모로부터 물려받아서 일생동안 유지

되는 生理的 �, 病理的 경향성을 가진 氣로 다

시 자손에게 물려주는 특정을 지닌 氣다�. 즉인체가 성장하는 동안 몸의 발달을 주관하며

부모의 체형과 성격 등의 유전성을 나타내는

氣라고 볼 수 있다�I�)

또한 原氣는 經絡이 기능

하고 활동하는 기초가 되고 後天之氣인 운氣 �,

營氣�, 衛氣는 모두 原氣를 기초로 생긴다”

�f徐�*靈 �n�t읍의 醫學源 �i�f�i�t 論에서 생명을 부여받을

때는 이미 分數가 정해진다고 하였는데 �, 이

分數는 原氣의 의미로서 氣血안에서 多少의

일정한 數뭘 �:을 이루면서도 氣血에 앞서 主宰

하는데 形體를 이룰 때에 이미 정해져 있으며

인간수명의 長短과 體質의 랬弱이 原氣에 따

라서 결정된다고 보았다”

原氣는 賢에 저장되어 있으며 딸廠의 病인

元陰과 賢職의 氣인 元陽으로 나뉘고 元陰은

인체생명활동의 물질적 기초가 되며 �, 元陽은

인체생명활동의 기본인 기능을 의미한다�1�0�)原

氣는 이미 생명을 부여받은 인체에서는 賢에

저장되어 있다가 부모의 父精과 母血의 결합

으로 兩精이 만나연 神이 생긴다�7�)

이 神은

血과 氣 및 쏠氣와 衛氣가 서로 和通하여야

五觸이 생기며 神氣가 心에 간직되고 塊뼈이

갖추어지면서 사람이 된다고 하였다끼 따라서

原氣는�*엎용과 職뼈의 발생과정과 기능활동에

�- �4�0 �-

�-�i�'�i�j�! 혔뚫에 �m�.톨한 四훌빼홈 形成에 관힌 文�t�i�t�r�.�.�J �� 휠 �-

밀접한 작용을 하는데�, 原氣는 先天의 氣에

속하고 宗氣는 後天의 氣에 속하며 �, 이들 상

호간에 밀접한 연계로 인하여 後天의 氣인 營

氣는�*돼따을 순행하고 衛氣는 絡服으로 순행

해서 職 �R府와 �J�V�j 骨 둥 全身에 영향을 미치며

이들 經氣의 작용으로 �f됐용과 廳船 및 節骨氣

血의 특정을 결정할 수 있다 �. 따라서 부모로

부터 물려받아서 인체가 성장하는 동안 몽의

발달을 주관하며 부모의 체형과 성격 등의 유전

성을 나타내는 先天之氣인 原氣의 영향으로 四

象體質이 성립한다는 經氣澈낀 假說을 세웠다�.

〈難經 � 六十六難 �>�8�)

“簡下賢間動氣者 �A之生命也 十二經之根本也

故名日原氣 짧 �f훌原 �1�\�. 五鷹六�R府之有病者 皆取

其原大也”

〈靈樞 � 九鐵十二原篇 �>�7�)

“표械有흉也 應出十二原”

〈靈樞 � 本神篇 �>�7�)

“故生之來謂之精 兩精相博謂之神”

〈靈樞 � 天年篇 �>�7�)

“以 �f�l�J�f 용基 �, 以父鳥植�, 先坤者死�, 得神者生也”

“黃帝日 何者罵神 ��皮伯日 血氣 �E和 �, 營衛 �E通 �,

五흩 �E成 �, �)빼氣舍心 �, 짧觸畢具�, 乃成鳥 �A�"〈徐靈�8읍醫書全集 � 醫學源流論 �>�2�1�)

“當其受生之時 �E有定分寫 所謂定分者 �R동氣�,也視之不見 求之不得 附於氣血之內 宰乎氣 �,血之

先 其成形之時 �E有定數”

표 �2�. 原氣와 後天之氣의 相關性

原氣�i元氣�j�-營氣�-�> �*��해따

�}�/

짧、、 衛氣�-�-�> 絡服

�(�3�) 宗氣의 生理作用

宗氣는 後天之氣로써 뼈가 吸入한 淸氣와

水殺精氣가 合하여 형성되며 뼈中에서 기능화

하여 營氣와 衛氣의 순환을 推動하는 동력이

된다�1�0�)宗氣는 뼈中의 左쭈�L下部인 심장 처에

위치하며 외적인 출현은 虛里大에서 나타나고

기능은 뼈의 호홉활동을 推動시켜 호홉과 음

성의 彈弱을 조절하며 心氣의 推動을 도와 혈

액을 운행시켜서 四뾰의 寒溫과 활동을 유지

하게 한다�1�0�)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의 推敵�F用으로인해 對待關係를 가지는 鷹器의 상태가 나타

나는데 �, 하나는 宗氣가 營氣를 推動하여 手太

陰뼈經에서 足廠陰 �}�J�f 經으로 순환하는 麻와 �8주의 對待關係를 가지며 �, 다른 하나는 宗氣가

衛氣를 推動하여 생기는 뽑의 體原之內에서

牌의 �R쫓 �m�:之內로 순환하는 賢과 牌의 對待關

係를 가진다�.

宗氣의 推動作用에 의해서 營氣와 衛氣가

�*짚絡을 따라 全身을 순환하는데

�9�)’ 原氣의 영

향력아래서 선천적으로 훌職받은 師 �}�J�f 經파 賢

牌經의 氣의 量과 偏差�6�-�7�.�W�-�2�1�)

에 따라서 騙 �R府의

對待關係를 형성하면서 宗氣의 彈弱推動作用

의 도움으로�*쪼絡을 순환하는 假說을 세울 수

있다 �.

이 러한 經氣의 작용들을 四象體質과 결부시

켜보면 太陽 �A의 경우에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營氣를 彈하게 推動作用을 일으키면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서 뼈經은 多

氣한 상태로 순행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府

經은 少氣한 상태로 氣의 偏差에 따라 순행되

어 뼈大빠小한 체질을 형성하며 �, 太陰 �A의 경

우에는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營氣를 弱

하게 推動作用을 일으키면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서 뼈經은 少氣한 상태로 순행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府經은 多氣한 상태

로 순행되어 �8주大뼈小한 체질을 형성한다 �. 少

�- �4�1

�- 사상체질의학회지 제 �1�5 권 제 �2호 �2�0�0�3 �-

「키 홈

�r�-�-�l�! �1 �,�,�, �,�| 師 ���.�, 카 �r�-�-�l �I 皮빼 �1 �1 四末 �|�L�-�-�.�J �L 카 衛 �H之間뉴녁分肉 �|

�L�-�-�.�J �L�-�-�J �L�-�-�J

陰 �A의 경우에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衛

氣를 랬하게 推動作用을 일으키면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서 딸의 題原은 多氣한

상태가 되고 그 웹총關係가 되는 牌의 體原은

少氣한 상태로 순행되어 딸大牌�1、한 체질을

형성하며 �, 少陽 �A의 경우에는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衛氣를 弱하게 推動作用을 일으

키면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서 賢의

體原은 少氣한 상태가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

는 牌의 體原은 多氣한 상태로 순행되어 牌大

뽑小한 체질을 형성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실제 內經에서는 素問과 靈樞에서 선천적으로

풍부받은 인체 �*�J�i 댐따의 氣血多少를 살펴보면

뼈經과 �I�f�f 經 �, 賢經과 牌經의 경우에서만 多氣

와 少氣의 두가지 상태가 각각 문헌에 나타난

다 �. 그리고 각�*댐따마다 氣의 多少편차를 가

지고 있는 것은 多氣한 곳에서 少氣한 곳으로

氣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고 사료된다 �.

표 �3�. 營�,衛氣와 宗氣의 關聯圖

�[

빠빼베ι빼

�]

宗氣隨宗氣而行

�| 水 �� �I �I

�l 뤘 �I �r�-�I 轉 �|�| 之 �1�- 카 �I �I

�[첼 懷마-평

〈찢짧쪼 � 營衛三쏠、 �>�9�)

“然營氣衛氣 無非資籍於宗氣 宗氣盛 �f�t�l�J 營衛

져�] 흉則 營衛弱훗”

〈素問 � 平�A氣象論 �>�6�)

“뿜之大絡 名티虛里 �f륙隔絡 �R힘 出於左쭈 �L下 其

動應衣 服宗氣也”

〈靈樞 � 쩌客篇 �>�7�)

“표殺入於몹也 其�*홈 �*�8 ‘律꺼�X宗氣 分웠三隨 故宗

氣積於뼈中 出�M�P�n�l�; 以實心服而�4댐乎�n及뀔”〈素問 � 血氣形志、篇

�>�6�.�2�0�)

“夫 �A之常數 太陽常多血少氣 少陽常少血多氣

陽明常多氣多血 少陰常少血多氣�, 厭陰常多血

少氣 太陰常多훨�,少血 此天之짧數”

〈靈樞 � 五흡五味�>�7�,�2�1�)

“夫 �A之常數 太陽常多血少氣 少陽常少血多氣

陽明常多氣多血 뭘�f陰常多氣少血 少陰常多血

少氣�, 太陰常多血少氣 �, 此天之뿜數”

�,�, �,�,�, �I 훌鷹 �f�-�+�-�; 키훌服 �|

�1�-�.�. 카之中 �f�-�L�, �I �I�� 뉘�J �L�-�-�J �L 키職路뉴�-�T�J �1

�t�.�.�u�.

���| 絡眼 �|

�j �I�L�-�-�J

�- �4�2 �-

�- 했혔뚫에 �.�m�i�l�t 한 四훌빼 �N �J�i����에 관한 文 �I�I 的 �3종헬 �-

표 �4�. 宗氣推動과 홉훌짧對待關係假說

�f�f�l�( 氣�,�( 元氣�,�)

흙�:�� �f�- 太 ���M�i 혈 �<�5�J�j 大 �)�n�> 足廠陰 �I�I�f 혈 �(�1�I�f�/�J 、�)

提 �/�i�i�f�r�1 �f�t�z 훌�����( 휴大 �)�-�-�> 빼之없原

�(빠�I�J 、 �)

�;�;�f�, 氣

弱 、、�*�� �f�- 太양 �M�i�i 영 �<�M�i�/�J 、 �)�-�-�> �J�E�J�X�� 융 �I�I�f 혈 �(�l�l�f 大 �)

§짝 �f�i�i�.�:�f�f 之얹따�( 뿜 �I�J 、

�) �n�> 빼之�G따 �(빼大

�)

�(�4�) 쏠氣의 生理作用과 �)�I�I잉行

가 �) 깥값의 生理

營氣의 주요 생리기능은 血냈을 생산하고

全身을 영양하며 �n훌�|冊와 �*�l�D�J�!�& 의 내부를 순환

한다 �"�Q�; �;팎꽤이 服中에서 血값을 化生한다 �.

쏠氣가 �R�i�t�i 經의 服中으로 들어와 혈액을 구

성한다�7 ’

�.

〈靈樞 � 쩌홈篇 �>�'�)

“營氣者 泌其 �j좋波 �j主之 �f�j샌값 化以찌血”

〈靈樞 � 營衛生會 �>�7�)

“ �t 注於師服 乃化而윗血”

�@ 全身에 營養을 공급한다 �.營氣가 全身을 순행하는 동안 鷹服와

�*옆용

등에 영양물질을 공급하여 전신의 上下內外를

營運한다”

�<폈樞 � 쩌客쩌�\�>�7�)

“씁氣者 泌其律減 注之手服 化以첼血 以營띠

末 內注五熾六 �l冊”

나 �) 營氣의 領環

營氣는 服中을 流注하며 營氣는 쉬지 않고

주행하는데 五十에서 다시 大會하며 생명이

있는 한 끝이 없이 순환하며 �, 宗氣의 推動을

받아 一呼에 三τ�t�, 一 �n及에 三 �,�t 씩 인체의 呼

�n及에 따라 手太陰뼈經에서부터 시작하여 足做

陰府經의 �*�g펴反을 순환한다기 �. 이 러 한 營氣의

순환에서 뼈와 �H의 많 �R府對待關係가 형성된

다 �.

�<靈樞 � 쏠衛生會篇 �>�7�)

“ �A受氣於폈 殺入於뿜 以傳於뻐 五鷹六�n府癡

以受氣 氣淸혼 -寫씁 �;웹者월衛 營在服中 �4월在�n�!�&

外 營周不休 五十而復大會 陰陽相貴 如環無

端”

�<靈樞 � 五十營篇�>�,�)

“故 �A�- 呼服再動�, 氣行三 �-�t�, �-�0 及服까훔動 �,

氣行三τ�t�, 呼吸定딩‘ �, 氣行六τ�t�. 十息、氣行六 �R�.�,

日行二分�. 二百七十息 �, 氣行十六文二 �R�. 氣行

交通於中 �, 一周於身 水下二刻 �, 日行二十五分�.

五百며十息、 �, 氣行再周於身 �. 水下四刻 �, 日行四

十分 �. 二주七百息 �, 氣行十周於身 �. 水下二十刻 �,

日行五宿二十分 -萬三千五百息 �, 氣行五十營

於身”

�- �4�3 �-

표 �6�. 宗氣와 營氣의 個環에 대한 模式圖l

任服←督服

推動之氣 �N �/ 手食指端宗氣 手太陰뼈經 手陽明大路經

「--→↓ 算{旁足大봐端

足太陰牌經 足陽明뽑經

µL ��1�¹�-�-�*手小指端

手少陰Jtj훌훌 手太陽小腦經足五glti圖內剛) ↓內眼角

足太陽廳Rt經

↓뼈中手四指端

手少陽三魚經/

足大glt端外뼈) ↓外眼角

足厭陰RF輕 足少陽體經

�L�-�-�-�-

�- 사상채질의학회지 제 �1�5 권 제 �2호 �2�0�0�3 �-

표 �5�. 營氣의 個環에 대한 模式圖

中府

�-�-�E 드〕 �E꿀〕-�많흘〕心中 心中 뼈中 天地

�! 홉 떠↓홉 ↑뚫 ↓짧�a행子없

뜯흘〕 �7숫

�9피內‘�| 大�| 뻐

接經 �! 옆‘陽’

맴뿔

手足 手 足 手 足

�- �4�4 �-

�- �,엎힐월에 �*�J�f 한 四훌빼 �I�n���� 에 관한 文 �1�t�r�.�J 혹 �! 홈 �-

다�) 營氣가 偏環하는 �*�� 펴�@의 한較홉

�1�) 十二�*댐�!�K�: 營氣가 순행하는 正經을 稱한

다’�)

�2�) 十二總 �I�J �: 十二�*��獅에서 분출된 縮行하

는 支服을 稱한다’�)

�I�) 陽經의�*뿔 �I�J �: 體股內部에서 體表의 頭

짧部 등으로 浚出하여 본래의 十二總따中의 同名의

�*댐�@으로 分流한다 �.

니 陰經의�*됐 �I�J �: 同名의

�*댐없으로는 다시

歸入하지 않고 그와 表훌가 되는 陽經의�*됐”

과 合流한다 �.

�3�) 奇經八服 �: 任服�뿔服�衝服�帶服�陽

짧服 � 陰짧服 � 陽維服 � 陰維服으로 十二�*맴�@

에서 분출된 큰 支服으로 奇經八服은 대부분

의 經服이 織行하며 左右 대칭적이지만 橫行

하는 것과 樞幹의 정중선에 분포된 것도 있

다�5�)

�(�5�) 衛氣의 生理作用과 �I�I벼行

가 �) 衛氣의 生理

衛氣의 주요 생리기능은 外쩌의 홉入을 방

어하고 鷹服 �, �l�U�l�l 최 �, 皮毛 등을 溫養하며 �f�f��의 협탑世을 조절하고 통제한다

�7용 �,�1�1�-�1�2�)

�C�D�I�U�l 表를 保衛하며 外쩨의 훔入을 방어한

다�.衛는 保衛의 뭇으로 피부에 가득 찬 衛氣는

외부에서 오는 쩌氣에 저항하는 방어선과 같

아서 �%氣가 인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8�)

〈難經 � 三十難 �>�8�)

“몹 �{爆寫氣 以�{專與 �R�i�P �R�i�P 乃主氣 氣乃馬衛 �.

衛者護也 此是�A之標↑멸之氣 行於�*댐辰之外 畵

行於身 夜行於廳 衛護 �A身 故日衛氣”�@ 購�R府 �, �l�U�l�l 처 �, 皮毛 둥을 溫養한다�.衛氣는 전신을 溫뻔하게 하며 안으로는 緣

服를�, 밖으로는 節肉과 皮毛를 溫뻔하게 한다

까衛氣가 和順하면 인체 內外의 온도가 적당

해져서 緣�R府�, 形體 �, 九嚴가 정상적으로 생리활

동을 한다 �. 만약 衛氣가 不足하면 溫뻔하는

力量이 賞弱해지므로 寒象이 출현한다�1�1�)

동시

에 衛氣는 水훌왔좁微로서 전신을 充養하는 작

용을한다 �.〈靈樞 � 本藏篇 �>�7�)

“衛氣和 則分肉解利 皮 �I휩調柔 勝理徵密‘옷”

〈讀醫隨筆 � 氣血精神論 �>�1�1�)

“衛氣者 熱氣也 �. 凡�J�I�l�l 肉之�p�f�f 以能溫 水뒀之

所以能化者 衛氣之功用也�. 虛 �&�I�J病寒 �, 實則病혈‘”

�Q�)�1�U�l 勝의 開合과 �f�f 浪의 排뺀을 조절하고

통제한다 �.衛氣의 활동은 �J�I�l�l 陳를 열고 닫음으로써 �f�f

뼈의 협납世을통한 인체의 水浪代謝와 體溫을

조절하게 되어 인체내의 환경과 외부 환경과

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1�2�)

〈景옮全書 �.�f�f 證 �>�1�2�)

“퓨發手陰而出手陽 �, �J�l�:밟根本則由陰中之營氣�, 而其開閒則由陽中之衛氣”

나�) 衛氣의 個環

衛氣의 순행은 營氣와 같이 하루에 표十며

인데 낮에는 陽經�t 을 밤에는 五鷹의 �a훗댐之內를 순행한다

�5�.�7�)낮에는 足太陽勝빠經上에서

시작하여 手太陽¥또�1�:�, 足少陽�*포�1�:�, 手少陽經

上�, 足陽明짧上�, 手陽明經�t 을 순행하여 다시

足太陽經上으로 이어져 陽分에 二十五回를 순

행하며�, 밤에는 賢의 體原에서 시작하여 五鷹

을 調하며 그 行이 相克의 차례가 되는 뽑�,心�, 뼈 �, �H주 �, 牌의 體原을 相傳하여 一調가 되

고 다시 뽑의 陰分에 注효�}는데 �, 陰이 다하고

陽이 出하면 다시 덤에서 合하여 畵行을 陽二

十五調次하며 �, 夜行을 陰二十五調次하여 畵夜

에 모두 五十調를 行한다�7�)

衛氣는 原氣의 일부분으로 몹中의 先天之精

氣에 근원하는데�, 뽑은 下뿔、에居하므로 衛出

下뿔라 한다�9�)衛氣의 化生關係는 부모로부터

받은 命門相火에서 근본하는 것으로 賢中의

陽氣로부터 化生하며 �, 牌몹에서 化生된 水뤘

精微에서 不斷히 滋養되며 上흙 宗氣의 宣散

作用에 의해 散布된다’�,�7�)

�- �4�5 �-

표 �7�. 衛氣의 個環에 대한 模式圖

陽짧주陰(目朋)

足太짧짧上 ‘-�/ \ 陰굉lif없끓팀開)

手太陽훌t 추陽Ii)}짧上

(훌

ι足少짧짧上 足陽Ii)}짧上�(

、 �/

手少훌짧上

�- 사상채질의학회지 제 �1�5 권 제 �2효 �2�0�0�3 �-

衛氣순환의 원동력은 原氣의 영향력아래서

宗氣에서 받고 個行은 自力으로 이루어지는데

팀開하면 牌氣가 커져 衛氣가 歸腦짚의 뻐表

나 皮 �I혐分肉之間으로 나오며 �, 目閒하면 手足

三陽經의 �J�I�l�l 表 � 皮 �I협分肉之問을 行하던 衛氣

가 뽑으로 들어오므로 딸氣가 커지고 상대적

으로 牌氣는 작아지는 것이다 �. 衛氣가 手足三

陽經의 �J�I�l�l 表나 皮 �I협分肉之問을 行할때는 �8훌 �R府

之氣의 偏差가 존재하지 않지만 五職의 陰分

으로 行할 때는 職 �R府之氣에 큰 영향을 미친

다 �. 따라서 牌氣가 大하면 目開하려는 작용이

彈해지고 �, 흡氣가 大하면 텀閒하려는 작용이

彈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衛氣의 순환에

서 쁨과 牌의 職뼈對待關係가 형성된다 �.

〈했樞 � 휩氣行篇 �>�"‘

�*�-�T�*�I�. 之行 �-�-�8 一夜표十周於身 션�I�f�J 行於陽 �: 十표周 夜行

於陰二 �+�1�1�. 周 周於표服 �J�l�:�r 앉平 �t�!�. 않짧 �, �I써항出於 �E�I�. �g 服�I�I�I�J 항�t 行於 ���J�i�, 偏 �I頁下 足太뼈 �, ��댐 �'�I�f�F 至 �I�H�I�i 之端 其�1�&흉 �,

別於目 �i�J�/�:�'�I�J�-�. 下주太 ���. 下至주小해之端外 �j�[�!�I�J 其散홉 �, 써於

目짧�'�I�J�-�, 下足少陽�, 注 �I�J 、指 �:처튜之間 以上偏手少陽之分 �, 下

至 �I�j 에읍 �:쳐듭之해 �I�. �5�J�I�J 者以上至 �I�f 前 �. 合於뼈���, 注 �.�I�E 陽明以�-�f

行�,�i�£ 해上 �, 入표指之멈�l 其없者 �, 從耳下下手 �I�W�; 때 �, 入大指

之핍�I�, 入掌中 �. 其至於足也 �, 入足心 �.�i�l�i 內짧 �, �'�F 行陰分 �, 復合於텀 �, 故윌-周 �"

‘陽싫於陰 �, 陰受氣슷 其拍入於陰 �"�. �,면從足少陰注於 �f�J�'�,

�'�i�'¥ �i主於 �,�I�i 、�. 心 �i�t 於빼 �. �m�l�i�i�'�i�M�-�I�i�f�. �l�I�f�i�t 於牌

�"

牌復 �I�T 於뽑훌周 �n

�(五藏의

臨原之內 �)

�/ \

�(홉�D

�-�+

�- �4�6 �-

뿜 →표」→ 足太陽

經上 �N

、 �/ 、

핀 판웰�/ ↑

떠←댐

�- �f�i�n�!�! 융에 根짜한 염훌 �a�M �H���1�i�X 에 관한 文 �a�l 的 �i륭뭘 �-

표 �8 街氣의 뽑表個環에 대한 模式 �l찮�l

짧←�I

內 ���-���-

다�) 術氣가 備-環하는�*�� 해�@의 種類

�1�) 十五絡服 �: 十二絡服과 任服과 협�n�� 및

牌之大絡이 絡服의 主體가 되므로 통상 十五

大絡이 라 稱한다”

�2긴�) 絡 �8服���: 十五絡�n服�E에서 분출된 橫힘로

散布된 服을 稱한다’�)

�3�) 孫絡 �: 絡服에서 분출된 꽤小한 支服

을 稱한다’�)

�4�) 浮絡 �: 絡服가운데 體表에 浮現된 支服

을 稱한다’�)

�5�) 血絡 �; �i쭈絡가운데 皮 �I협에 노출된 細少한

血管을 血絡이라 한다�)�)

�2�) 經絡養 �8쉰說

�*옆용의 발생학적 관점에서 기술한

�*됐용養服

設은 先天之氣에 따라서 발생하는 經絡과 이

에 따른 職뼈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체질의

형성과 관련이 깊다�. 임신중 腦廠의 형성은

발생학적으로 先天之氣인 原氣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체질을 연

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學說일 것으로 사료

된다 �.經絡養始說은 徐之才가 〈迷月養�g쉰法〉을

최초로 언급한 이래로�*옆용과 緣 �R府의 발생을

果元方의 〈諸病源候論〉과 孫思、邊의 〈備急千

金要方〉과 葉天士가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

�*옆용養�%說은 태아가 성장하면서 經絡이 형

성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 �1�2�;�i�\ 맴�@의 형성과정

에서 心은 君主의 官으로 쩌氣를 받지 않으며

모든 養 �%에 관여하기 때문에 �1�0 개월 동안의

班振月數에 따른 迷月養 �%에는 心經이 배정되

지 않았다�1�)

또한 黃帝內經에서는 心經의 五

輸 �1�\�. 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 心은 표職六뼈의

大主이기 때문에 一身을 主宰하고 쩌氣를 받

지 않아서 五廳 �* 이 없다고 설명했으며�7�)

’ 許

浚의 東醫寶鍵에서도 心。�l 神을 간직하고 �-

身의 君主가 되어서 七情을 統짧하고 萬機를

�- �4�7 �-

�- 사상채질의학회지 저�1�1�5 권 지�1�2 호 �2�0�0�3 �-

뼈�f�l밟한다고하였고낀에서도

心은 -身의 主宰로서 心의 喜愁哀樂

의 감정이 뼈牌 �H�f 뽑의 大小를 형성송�}는데 결

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관점은 모두 心을

職뼈의 중심이자 ‘心主神明’의기능으로 인식

했다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선인들은 여러 가

지 관점과 분야에서 心을 隨服 및 經絡형성과

정에서 형성되는 피조물이 아니라 창조하는

위치에 있다고 인식했으며 이는 李濟馬의 心

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 따라서 心은 五鷹六뼈의 大主로서 精神

이 머무르는 곳으로 父精과 母血의 兩辯이 相

빵하면 神이 생기며 神은 心에 간직되어 七 �|좁

을 統짧하는데 喜愁哀聚의 감정의 氣運이 아、

을 動하면 五鷹六뼈가 다 搖動하여 �n훌 �l빠의 大

小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 氣血을 調和롭게

하는 營氣와 衛氣가 순환을 하게 되면서 經絡

과 服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四象體質이

형성된다는 經氣의 相關假說을 세웠다 �.

〈備急、千金要方�>�l���)

“班帳�}

月 名 �n조 �8감 �H�f�n 따養之 無食 �8뿔辛 不월力

事”

“빠娘 二月 名始홉 뼈服養之 無食辛 �;操”

“빠振 三月 名始服 心包 �n�l�&養之 無悲哀思應�:驚動”

“빠婚 며月 始受水氣 三흙‘服養之 和 �,�e�. 、농、 節欲

食“�M�H辰 五月 始受火氣 牌服養之 無食乾 無勞應”“ �*娘 六月 始受金氣 몹�n�l�&養之 無�#味 無大짧身欲微勞”

“빠娘 七月 始受木氣 �n�r�!�j�n�l�& 養之 欲食避寒”“ �*婚 八月 始受土氣 大陽服養之 無食�:熾物”“旅振 九月 始受石 .氣 賢 �n�l�k 養之 無處 �i설冷”“짧�娘 十月 熾服皆具 將脫 �n�l�k 養之 得時而生”

〈東醫줍世保元 � 鷹�n府論 �>�4�)

“心뭘-身之主宰 �"

〈東醫흙世保元 � 四端論�>�4�)

“五훌之心中央之太홉也 五藏之�n�i�f�i�n 뿔府딸은 떠

維之四象也”

“哀氣直升 ���b 氣�*꿇升 喜氣放降 영얻氣�P섭降”

“太陽 �A 哀性遠散而愁‘ �I웹足急 哀性遠散 �Q�I�J 氣注

뼈而뼈益盛 愁‘情�f足急 則氣激 �H�f 而 �8千益혐 �I�J 太陽

之腦局 所以成形於뼈大 �H�f小也少陽 �A 愁↑生宏抱而哀 �'�t휩足急、 愁性宏抱 �Q�I�J 氣注

牌而牌益盛 哀↑휩足急�Q�I�J 氣激뽑而뽑益혐 �I�J 少陽

之職局 所以成形於牌大 �I품 �4 、也

太陰 �A 흙性 �J�� 張而樂 �|좁�f足急 喜性 �I옳張 則氣注

�H�f 而 �8주益盛 樂’�|혜足急 則氣激뼈而뼈益생 �I�J 太陰

之腦局 所以成形於 �8千大뼈 �I�J 、也

少陰人 쨌性深짧而흉‘ �I휩足急 樂性深 �[�J�'�(�t �Q�I�J 氣注

賢而賢益盛 �;喜 �'�1혜足急‘ �Q�I�J 氣激牌而牌-益합�I�J 少陰

之願局 所以成形於賢大 �M�V�J 、也”

〈靈樞 �. ���B 客篇�>�7�)

黃帝티 手少陰之服獨無 �n�� 者 何也 �. 뼈 �f디티 少

陰 �, 心服也 �. 心者�, 五홉六服之大主也�, �,춤神之所舍 ���. 其 �O훌핸固 �, ���B�� 能容也 �. 容之 �Q�i�J�.�L�, 、傷 �, �,�e�. 、

傷�i�Q�I�J 神去 �, 神去則死돗 �. 故諸쩌之在於 �,�e�. 、쯤 �, 皆在於心之包絡 包絡者 �, 心主之服也 �, 故獨無 �n��

馬 �.〈靈樞 � 口問篇 �>�7�)

“心者五藏六빠之主也 ...悲哀愁뿔則心動心動

則五藏六뼈皆搖 搖 �Q�I�J 宗服感 �.�.

〈東醫寶鐘 �>�1�7�)

“ �,�e�.藏神 않一身君主統짧七�I좁 뼈�f�l함萬機 七情

者 喜愁충�思悲鷹恐也又塊神�;한‘뼈志、 以鳥神主

故亦皆名神也〈內經註 �>�"

〈靈樞�! �. 天年篇 �>�7�)

“以母鳥基 �, 以父 �� 植 �, 先빼者 �9�E�, 得神者生也”“黃帝티 何者원神 ��皮伯티 血氣 �.�E�. 휘�J�, 營衛 �E

通 �, 五훌훌 �E成 �, 神氣舍心 �, 塊때畢具�, 乃成 ���A�.�"〈靈樞 � 本神篇 �>�7�)

“故生之來謂之精 兩精相뺑謂之神”

�- �4�8 �-

月 �5�J�1�j *振中 形成되는 �*³��@

�1�-�2g� �J�}�f}“¬ü ‰ø}“

�3�-�4g� 心包經과 =魚經

�5�-�6g� 牌經과 몹經

�7�-�8g� �R�i�!�i�*ʼ¬ü 大陽經

�9�-�1�0g� 뽑經과 勝빠經

文 훌t 心에 대한 認짧

賣해�內經 五鷹六服之大主也,精神之所舍也

훌뽑寶*훌 �,�(�.…Ïy^ 월-身君王

{햄쏟、千金要方五짧專精之本 帝王精神之}꺼舍,

帝王옳領

東醫뚫i!!:保元心훌一身Z主宰

표屬之,(.、中央之太極

�- 앨혔꿇에 根빼한 염훌빼홈 �j�f���.�I�i�i 에 관한 文�1�t�t�r�.�:�J �����-

표 �9�. 班振 �1�0個月의�*¥

�*용養 �R감說

표 �1�0�. 文없에 나타난 心에 대한 認識

�3�) 經氣와 며象體質의 상관성

經氣는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하

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능력을 가지며 原氣�,

宗氣�, 營氣 衛氣의 네 종류가있다�)�-�6�)原氣는

�*옆용이 기능하고 활동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

에���)�.

�*옆용과 械 �R府의 발생과정에 밀접한 작용

을 한다 �. 宗氣는�*앞용이 氣血을 운행하는 추

진에너지이며 �, 營氣와 衛氣는 宗氣에 따라 전

신을 순행한다’�)

原氣는 先天의 氣에 속하고

宗氣는 後天의 氣에 속하는데 이들 상호간에

는 밀접한 연계가 있어서 營氣와 衛氣를�*땀용

으로 움직인다�)

原氣는 先天的으로 부모로부

터 받아서 타고난 氣로써 인간이 살아가는 동

안에 호홉과 음식의 섭취로 인해 만들어진 宗

氣의 랬弱에 의해 鷹略와 節骨氣血의 특질을

결정할 수 있다�. 宗氣는 �8힘中之氣로 뿔氣와

衛氣를 推動하는 氣인데 쏠氣는 呼吸에 따라

움직이는 氣고 �, 衛氣는 水뤘之氣로서 호홉과

는 상관없이 순수하게 水눴의 힘을 받아 스스

로 움직이는 氣다’�)

營氣는 宗氣에 따라 呼吸에 의해서 �l 呼어�1�1 �3τ�t�. �1吸에 �3�-�-�t 으로 �I 息에 �6�-�-�t 을 �1�1�- 하는데 인

체의 呼吸에 따라서 手太陰뼈經에서 시작하여

足廠陰맑經으로 가며 이를 계속 순환하는 것

이다�)�,�7�)

즉 師經에서 시작하여 �8주經까지 계속

해서 순환하여 뼈와 빠의 緣 �R府對待關係를 형

성한다 �.衛氣도 宗氣의 영향을 받아서 순환하는데

水의 陽氣속성을 가진 �i월氣로써 標흉 �?읍利하여

�*�&댐없내로 들어가지 않고 스스로 各經의 �J�l�I�L 表

나 皮 �I협分肉之間 혹은 五職의 廳原으로 순행

하는데 衛氣가 手足三陽經上으로 순행할 때는

緣服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표屬의 �R찾맴之內로 순환할 때만이 職 �R府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

로 賢과 牌의 緣 �R府對待關係를 가진다 �.心은 五職六服의 大主로서 精神。�l 머무르는곳으로 心의 감정적 변화 즉 喜愁哀樂이 생기

연 心이 動하고 心動하면 五藏六服가 다 動搖

하여 宗服이 感하면 先天之氣인 原氣의 영향

력아래서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 宗

氣가 營氣를 彈하게 推動하면 뼈氣가 彈하고

�J�}�f 氣가 弱한 뼈大府小한 太陽�A체질과 宗氣가

營氣를 弱하게 推動하면 뼈氣가 弱하고 �J�}�f 氣

가 彈한 �8꾸大師小한 太陰 �A체질이 형성되며 �,宗氣가 衛氣를 彈하게 推動하면 뽑氣가 彈하고 牌氣가 弱한 賢大牌 �j 、한 少陰 �A처�l 질과 宗

氣가 衛氣를 弱하게 推動하여 賢氣가 弱하고

牌氣가 彈한 牌大뽑小한 少陽 �A체질이 형성된

다는 經氣論的 相關假說을 세울 수 있다고 사

료된다 �.

따라서 經氣는 宗氣 推홈꺼�F用의 §옳弱에의

해서 營氣와 衛氣가�*옆용을 순환하는데 原氣

의 영향력아래서 선천적으로 훌願받은 師府經

과 賢牌經의 氣의 量과 偏差�6�.�7 짜 �2�1�)

에 의해서

緣服의 對待關係를 형성하면서�*잊

�*용을 순환한

다고 假說을 세웠다 �.

결론적으로 四象�A의 경우에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營氣와 衛氣에 彈한 推動作用을

�- �4�9 �-

經氣 훌혔와 衛氣의 \l���H�IÈ•��

營氣太陽A: 宗훌훌-)節*(多훌)--)땀小(少훨)太陰A: 宗氣끓->師小(少氣)-->땀大(多氣)

衛氣少陰A: 宗氣꿇->뽑大(多氣)-->牌小(少氣)少陽A: 宗氣꿇->뽑小(少혔)-->牌大(多氣)

�- 시상채질의획희지 제 �1�5 권 재 �2효 �2�0�0�3 �-

일으키면 해당�*없용과 鷹 �R府는 多氣한 상태가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해당�*짚

�*용과 職 �R府는

少氣한 상태가 되며 �, 宗氣가 營氣와 衛氣에

弱한 推動作用을 일으키면 해당�*쪼

�*용과 屬 �R府

는 少氣한 상태가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해당�*옆용과 緣略는 多氣한 상태가 되어 經氣

가 순행되는데 전체적인 氣의 總量을 유지하

연서 氣의 偏差을 가지고 순환하는 것으로 사

료된다�.

표 �1�1�. 經氣와 며象體質相關假說

�4�) 東톨훌훌世保元의 며象體質形成에 관한 古

典비교연구

四象 �A의 성립의 이유를 밝히고 있는 東뽑

뚫世保元파 黃帝內經 �, 東醫寶鍾 둥의 古典내

용을 비교해서 四象 �A�� 훌器가 가진 氣의 大小

關係를 셜명하고자 한다 �.�(�1�) 李濟馬선생은 예전 사랍들의 저술한 醫

書를 통하여 四象�A의 職服性理를 발견하였

다 �.李濟馬선생은 醫源論에서 선인들의 저술한

醫활를 통하여 우연히 며象�A의 騙빠性理를

얻었다고 셜명하고 黃帝內經의 책은 난해하나

선조들이 經驗한 것으로서 騙略 �, �k�.옆용�, 鍵法 �,

病證�, 修養 둥에 관하여 많은 가르침이 있으

니 의사가 본받을 중요한 책으로 의술의 착안

이 內經에서 나온다고 했으며 �, 黃帝內經의 學

說은 다 믿을 것은 못되나 양發의 功이 크다

고 했다�4�)

특히 辦證論에서는 內經의 靈樞에

서 四象 �A의 외형이 다소 나타나 있다고 설명

한 것이나 內經이후 쓰여진 �f흉寒論은 內經의

熱病을 발전시켜 전문화했으며 �, 東醫寶鍵 둥

의 저술에도 內經의 내용을 인용하고 절대적

논거로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의학의 기본이

론이나 학설이 內經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볼 때씬 黃帝內經은 李濟馬선생이 후

일 四象 �A의 體質醫學올 상세히 연구할 수 있

는 실마리를 얻었다고 사료되며 �, 특히 李濟馬

선생은 張件景의 �<�1�$ 寒論〉과 傷寒原理를 정

밀하게 정리하고 臨뚱에 응용하도록 쓴 朱뾰

의 〈活�A폴〉와 �1�0�0 여종의 醫홉를 참고해서

만든 許浚의 東醫寶鐘을 醫家로서 최고의 공

로와 업척을 남긴 것으로 명가하고 있다�4�)

〈東醫짧世保元 � 醫源論 �>�4�)

“… 因前 �A之違 偶得四象 �A�I 훌뼈性理 �"

此꿇 亦是古 �A강쪼驗而五藏六服繼용鍵法病證修養之辯 多有所양發則實是醫家格致之운

主而홈服之所自出也 �"“ �.�.�. 若以醫家動勞功業 論之則 홉�以張�{뿌景 朱

�J�J�b�; 許浚 鳥首 �"〈東醫좁世保元 �. �$�.양證論 �>�1�)

“훌휘를홉中 有太少陰陽표行 �A홉而�l용得外形

未得騙理 蓋太少陰陽 �A 早有古품之見而 未盡

精究也�" �< 靈樞� 通天篇 �>�7�)

“蓋有太陰之 �A�, 少陰之 �A�, 太陽之 �A�, 少陽之 �A�,

陰陽和平之 �A�. 凡표 �A者 其態小同 其節骨氣血

各不等”

“太陰之�A�, 多陰而無陽 �, 其陰血園 �. 其衛氣禮

陰陽不和�*훌 �)�J�1�j 而멜皮 不之훌 �i행�, 不能移之”

“少陰之 �A�, 多陰少陽 小뽑而大앓 �, 六뼈不홉

其뚫明服小 太陽服大 必、審調之其血易脫 其

氣易敗也”

“太陽之�A�, 多陽而少陰 �, 必‘譯調之�, 無脫其陰

而 �i寫其陽 �. 重脫者易狂 陰陽皆脫者 �, 暴잦�E不知 �A也”

“少陽之 �A�. 多陽少陰 �, 혈小而絡大 �, 血在中而

氣外 �, 寶陰而虛陽 �, 獨�i혈其絡服則彈 �. 氣脫而흉 �,中氣不足 �, 病不起也 �"

“太陰之�A 其狀짧짧然黑-色�, 念然下意 �, 臨臨然長大 뼈然未懷”

“少陰之�A 其狀淸然屬然 固以陰�I뾰 立而操 �d혔

行而 �f以代”

�5�0 �-

�- 經를論에 �m�J�l�f 힌 四 �f�U�I�W �J�f��成에 관한 文�a�x 的 �� 쭈 �-

“太陽之 �A 其狀합훌 �H諸댐 �, 反身折爛”“少陽之 �A 其狀立 ���I�J�9 귀�I�n 行 ���I�J 好搖 其兩뽑兩 �M

�I�l�i�J 힘出於背”

〈素問 � 熱論篇�>�7�)

“ �f�g寒一 日 �, 巨陽受之�, 故뼈 �I뒀痛體짝랬 �. 二日�,陽明受之 �, 陽明主肉 �, 其�n따俠흉絡於덤 �, 故身熱

텀훌 �, 而흉乾不得톰�A也 �. 三日 �, 少陽受之 �, 少陽主

爛 �, 其�n�l�f�d�J 좁쩍絡於耳 �, 故쩍뼈痛而耳첼 三陽經

絡皆受其病�, 而未入於腦者 �, 故可규而 �E�. 四 日�,

太陰受之 �, 太 �I쏠服布뿜中 �,�*양於양 �, 故 �R훌滿而템

乾 �. 五日�, 少陰受之�, 少陰服貴賢絡 �1�1�;、�n힘 �, 緊좀

本 �, 故口操좀乾而鴻 �. 六日�, 做 �|쏠受之�,�� 陰 �H�I�M홈

�F윷뚫而絡 �1�1�;�'�i�j 꾸 �, 故때滿而舞縮 �. 三陰三陽五熾六

�l冊皆受病 �, 榮챔잔不行 �, 五職不通則死롯 �. 其不兩

�!환 �I�I�;�' 寒者 �: 七 日 �E陽病흉 �, 뼈痛少愈 �, 八 �H 陽明

病줬 �, 身熱少愈 �; 九 �H 少 �|場病줬 �, 耳짧微 �I벼 �; �-�j 一 �H

太 �P�;�i�-�i�i 꾀 찾 �, �i�j훌 �i�l�o�X�"�i�1�n 故 �, �n�l�] 쟁、欣食 �; 十 �- 日 少陰病

핫‘ 담止不滿 �, 좀乾 �E而 �l벚 �, 十二日 �l新陰病흉 �, 짧�

純少맺微下 �, 大氣皆去 �, 病 日 己옷 �"

�m 心은 五磁六빠의 大主로서 一身을 主宰

하며 �9퍼牌�8주웹의 형성에 관여한다

心은 君主의 官으로 太웰에 해당하고 心은

뻐牌府뽑의 形成과 調節에 관여한다끼 특히

정서적 감정의 변화가 心動하게 하고 心動할

때에 職빠가 動搖하여 �*�i�j�l�K 에 영향을 미친다

는 內經의 내용은 心의 喜愁哀樂의 기운이 뼈

牌 �I�f�f 賢의 大小를 형성한다는 李濟馬선생의 四

象體質형성과정과 관점이 유사하다고 사료된

다 �. 특히 經絡養 �9슴說에도 태아가 성장하면서

經絡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心은 君主의 官으

로 모든 養 �%에 관여하기 때문에 班婚月數에

서 心經은 배정하지 않았다�I���)또한 內經에서

心經의 표輸 �1�\ ° �1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心은

五熾六빠의 大主이기 때문에 -身을 主宰하고

뻐氣를 받지 않아서 五倫大이 없다고 설명했

으며�? 許浚선생의 東醫寶�鍵에서도�,�e�, 、이 神을

간직하고 一身의 君主가 되어서 七情을 統짧

하고 萬機를 조절한다고 하였다�1�7�)

따라서 선

인들은 여러 가지 관점과 분야에서 心을 觸 �n府

및 經絡형성과정에서 형성되는 피조풀이 아니

라 창조하는 위치에 있다고 인식했으며 �, 이는

李濟馬선생의 心은 --身의 主宰로서 心의 경할

愁哀樂의 감정이 �9며牌 �I�f�f 賢의 大 �I�J 、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생각과 동일

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

〈東醫찮世保元 � 四端論 �>�4�)

“五훌之心中央之太훨也 五藏之뼈牌 �I�f�f 뽑은 四

維之四象也”

“哀氣直升愁氣橫升 喜氣放降 樂氣 �P섭降”“太陽 �A 哀性遠散而愁情 �t足急 哀性遠散 �H�I�J 氣

注聊而聊益盛 愁’�l휩足急‘ 則氣激 �1�J�f 而 �1�J�f 益홉 �I�J

太陽之鷹局 所以成形於뼈大딴小也

少陽 �A 愁性宏抱而哀情 �f足急 愁性宏抱 �H�I�]

氣注牌而牌益盛 哀’�l혜足종�: �Q�I�J 氣激흡而흡益홉�n�J

少陽之職局 所以成形於牌大賢 �I�J 、也

太陰 �A�: 喜性廣張而찢情�f足急 喜性 �I옳張 �H�I�J

氣�,注 �1�J�f 而 �1�J�f 益盛 樂 �|웹足쓸�: �H�I�J 氣激師而椰益홉�n�J

太陰之熾局 所以成形於 �8주大뼈 �I�J 、也

少陰 �A 혔性探確而喜情�f몽急 앙양性�i똥確�i �I�I �I�J

氣注흡而뿔益盛 훌 �|휩足急 �H�I�J 氣�,激牌而牌益홉�n�J

少陰之職局 所以成形於띔大牌小也

〈東醫壽世保元 � 腦 �R府論 �>�4�)

“心월-身之主宰 �"〈靈樞 �. ���� 客篇 �>�7�)

黃帝티 手少陰之服獨無輸者 何也 �. ��皮伯티

少陰 �, ι、服也 �. 心者�, 五홉六眼之大主也 �, 精神之所舍也 �. 其械뺑固 �, ������ 能容也 �. 容之 �Q�I�J 心傷�,

心 �f�g 則神去 �, 神去 �H�I�J 死돗 �. 故諸耶之在於心者 �,

皆在於心之包絡 �. 包絡者 �, 心主之服也 �, 故獨無

�8兪휠 �.〈靈樞 � 口問篇 �>�7�)

“心者五藏六冊之主也 ...悲哀愁憂則心動心動

則五藏六勝皆搖 搖 �Q�I�J 宗服感 ”

〈東醫寶錯 �>�1�7�)

“�,�e�, 藏神 ���- 身君主 統짧七情 빼�{睡萬機 �-�-�1�:�;�-�/ 훔

者 훌愁쭉�思悲驚恐也 又塊 �j뼈화‘ �Q없志、 以寫神主

故亦皆名神也〈內經註 �>�"

�5�1

�- 사싱채질의학회지 제 �1�5 권 지�1�2 효 �2�0�0�3 �-

�(�3�) 李濟馬선생은 經絡學說을 후학들이 더욱

연구할 분야로 인식하였다 �.

東醫룹世保元에 나타난 經絡이나 經大에 관

련된 문구에서 李濟馬선생이 서로 다른 견해

가 있는 것처럼 보이나 사실 〈醫源論〉의經

絡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三陰三陽病의 辦

證의 차이는 그 이치가 題背表夏인 四象體質

의 病證에 있으니 반드시 經絡의 전변되는 기

존의 짧寒論식 六經�1혐의 변화로 해석할 펼요

는 없다는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傷寒論의 三

陰三陽病에 관한 해석상의 문제를 언급한 것

으로 사료되며 經絡과 四象體質과의 관련성을

언급하는 내용은 아니다 �. 오히려 〈少陰 �A�i�z論〉에서는 후학들에게 며象 �A의 鐵슛을 찾을

것을 당부하는 것으로 볼 때 이는 經絡學說에

대한 연구가 향후 며象醫學이 새롭게 발전해

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이를 제

시한 것으로 사료된다�4�)

또한 李濟馬선생은

靈樞합중에서太少陰陽�A의 外形을 얻었고 古

플之見이 나타나 있다고 했는데 內經의 靈쉬앓

홉는�*쪼

�*양學說을 밝힌 대표적인 침구서인 점

을 감안하면 職 �|冊의 氣의 多少가 經絡을 통해

서 며象體質의 외형을 형성한다는 것이 四象

醫學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

〈東醫홉世保元 � 醫�i原論 �>�4�)

“三陰三陽者 辦證之同異也 其理在於題背表훌

而 不必求其�*앞용之變也”

〈東醫홉世保元 � 少陰 �A�i�z 論 �>�4�)

“홉見少陰 �A中氣病 좀卷不語 有醫

鐵合삼 �A而其效如神其他諸病之藥不能速效有之 蓋활숭

亦有太少陰陽四象 �A應用之슛而必有升降훌훌速之妙 훌是不可不察 �"〈東醫좁世保元 � 辦證論 �>�4�)

“뚫樞�!�:�;홉中 有太少陰陽五行 �A홉而�l용得外形

未得隨理 蓋太少陰陽 �A 早有古품之見而 未盡精究也”

�(�4�) 촬氣의 呼吸 및 律뻐排 �i世작용은 太陰 �A

과 太陽 �A의 生理病理的 상태와 밀접한 관계

가있다 �.

쏠氣는 律 �i�I�� 과 관련이 있으며 쏠氣의 순환

은 인체의 呼吸에 따라 이루어지는 까닭에

〈四端論〉의 �J�}�f 과 뼈는 呼�i�J�& 과 氣뼈의 門戶

라는 특성을 반영하며 �, 뼈의 呼散之氣가 彈하

고 맑의 吸홉£之氣가弱한 太陽 �A처�1 질과 뼈의

呼散之氣가 弱하고 맑의 吸取之氣가 랬한 太

陰 �A체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營氣는 呼吸에 따라 움직이는 氣이고 �l 呼에 �3

τ�t�, �I吸에 �3�-�t 으로 �l�E�i�.�t�.�:�. 、에 �6�-�t 을 行하는데 手

太 �I찮뼈經에서 시작하여 足做陰府經으로 가며

이를 계속 반복해서 순환하는 것이다�7�)

즉 쏠

氣는 呼�i�J�)�,�t 에 따라 뼈經에서 시작하여 �J�}�f 經까

지 뼈와 �8주의 對待關係를 가지며 계속해서 순

환을 하며 律淑을 生慶分泌하는 것으로 볼

때 �, �n주뼈는‘ �n乎�n及氣째之門戶’로 보는 四象醫헬

의 관점과도 유사한 生理的 특정을 보인다 �.따라서 촬氣의 呼 �i�J�& 및 律 �i�1�� 排 �t世작용은 太陰

�A과 太陽 �A의 生理病理的 상태와 밀접한 관

계가있다

〈東훌훌룹世保元 � 四端論 �>�4�)

“뼈以呼府以 �n及 府뼈者 �p�¥�1�& 氣뻐之門戶也”〈靈樞 �.�� 客篇 �>�7�)

“營氣 �,者 짧其律減 注之�j�i 샌따 化以뭘血 以榮四

末 內注五藏六服”

〈靈樞 � 五十촬篇 �>�7�)

“ �A�- 呼眼再動 氣行三�-�t�, 一吸服亦再動 氣行

三 �-�t�, 呼�i�J�& 定息 氣�4듀치τ�t�"

�(�5�) 衛氣의 땀의 배설기능은 少陰 �A과 少陽

�A의 生理病理적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衛氣는 水중뚱之氣의園氣에서 化生하여 映理

의 開合과 �f�f�� 의 업티世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少陰 �A은 땀을 지나치

게 흘리면 亡陽證을 유발하고 少陽 �A은 表꿇

病을 막론하고 手足掌心에 땀이 나면 병이 풀

리고 땀이 나지 않으면 병이 풀리지 않는다고

하여 땀의 여부는 少陰 �A과 少陽 �A의 체질감

�- �5�2 �-

�- 용혔뚫에 �m�i�l 한 四훌빼 �I�n���1�£ 에 관한 文 �t�i�t�r�.�J ���, 홈 �-

별이나 病의 輕重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4�)

특히 衛氣는 足心을 통해 흡의

體原之內로 들어가고 인체가 활동할 때는 手

三陽�*쪼�t 에서 掌中으로 순환하니 少陽 �A의 手

足掌心에 땀이 나면 病이 풀린다는 이치는 衛

氣가 활발히 활동한다는 뭇으로 病 �%를 잘 이

겨낸다는 뭇으로 이해할 수 있다 �. 따라서 衛

氣의 發 �i�f 기능은 少陰 �A과 少陽 �A의 生理病理

的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

衛氣는 水默之氣로서 呼吸과는 상관없이 순수

하게 水뤘의 힘을 받아 스스로 움직이는 氣이

며�, 賢牌는 ‘出納水훌�:�t�;�Z�. 府庫’로 보는 四象醫學

의 관점과도 유사한 生理的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衛氣의 땅의 배셜기능은 少陰 �A과 少

陽 �A의 生理病理적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

다 �.

〈東醫壽世保元 � 少陰 �A�i�z 論 �>�4�)

“少陰 �A病 有二吉證 �A中 �i�f 一吉證也 �"“少陰�A病 有二急끊 發熱 �i�f 多 一急‘證也 �"〈東醫뚫世保元 � 少陽 �A 牌受寒 表寒病論 �>�4�)

“論티少陽 �A病 無論表憂病 手足掌心

有 �i�f 則病解 手足掌�'�L 、

不‘규則雖全體皆 �i�f 而病不解”〈東醫꿇世保元 � 辦證論 �>�4�)

γ �.�. 太陰 �A 虛규則完實也 少陰 �A 虛 �i�f 則大病

也 �"

〈東醫꿇世保元 � 四端論 �>�4�)

“牌以納賢以出 賢牌者出納水좋£之府庫也”

〈靈樞 � 衛氣行篇 �>�7�)

‘陽氣出於目 �, 目眼 �H�I�J항�t 行於頭 �, 備項下足太陽 �, 個背下至

小指之端 其散者�, 別於目짧뿜 �, 下手太陽 �, 下至手 �+�t 읍之端外빼 其散者 �, 別於目짧흙�, 下足少陽 �, 注 �I�J�4�1�'�1 次휩之댐 �l 以上個手少關之分 �, 下至�I�J�4�1�'�1�* ’指之間 別者以」二至耳前 �, 合於

짧服�, 注足陽明以下行 �, 좋해上 �, 入표指之댐�1 其散흉 �, 從耳

下下手陽明 �, 入大해之間 �, 入훌中 其至於足也 �, �)�.�.�J�i ι、�, 出

內훌훌�,�"�r�1�'�f�f�i 쏠分�,�m 合於딩 �, 故없-周”

�I�V�. 考 察

李濟馬선생의 四象醫學은 인간의 신체적 구

조와 생리적 기능은 물론 이에 따른 심성적

情意와 정신적 욕구로서의 喜�愁�哀�樂을

가장 큰 문제로 삼았고 �, 나아가서는 인간의

윤리적 생활의 근원으로서 好善 �, 惡惡과 우주

론적 원리로서의 性命을 근간으로 한 구체적

구조의 통일체로 간주했다는 데서 孔 � 굶과

朱子學과는 전혀 다른 독창적 新 �A間學인 동

시에 醫學으로 성립되었다�4�,�1�8�)

四象醫學에서는 天機와 �A事는 물론이요 �,

性과 命 �, 知와 行 �, 好善과 惡惡�,�1�: 昇과 下降 �,輕淸과 重質 �, 哀愁와 喜樂�, 上魚와 下魚�, 溫熱

과 寒冷�, 淸氣와 園�t宰 둥의 四象論的 陰陽對

待關係로 형성 되어 있다�4�,�1�8�)

한의학에서 氣는 몸과 마음의 근본구성요소

이며 �, 인체는 經氣로 구성되고 經氣의 순환과

陰陽氣運의 調和를 통해 생명을 영위하며 살

아간다 �. 經氣는 인체내의 률氣 혹은 1�氣로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하고 질병의

예방치료능력을 가지며 原氣 �, 宗氣�, 營氣 衛

氣의 네 종류가 있다�I�)

經氣에는 두 가지 의

의가 있는데�, �k�;쪼�*용자체의 原氣를 말하는 것으

로�*땀용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선천의 기능

적인 원동력을 의미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후

천적으로 받아들인 水뒀之氣와 呼吸之氣에서

발생한 宗氣와 쏠氣 �, 衛氣를 말하며 營氣와

衛氣가 宗氣의 推動을 받아서�*옆용을 통해 �A

體內外를 쉬지 않고 흐르는 현상을 가리키며�2�)�,四象體質의 형성과 가장 관련이 큰 經氣는

原氣로서 �, 原氣의 영향력 하에서 宗氣의 推動

작용으로 인해 營氣와 衛氣가�*옆용을 순환하

면서 鷹船의 특질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

다 �-한의학은 마음인 �'�L파 육체의 身이 둘이 아

닌 하나 즉 心身-元論的 사유체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心은 신체의 주인으로 창조자의

�- �5�3 �-

�- 사상채질의학회지 제 �1�5 권 제 �2호 �2�0�0�3 �-

역할을 한다는 고대 동양인들의 인식관을 반

영하고 있다�. 현재 각광을 받고있는 신경과학

�(�N�e�u�r�o�s�c�i�e�n�c�e�) 분야에서도 기존의 �'�L 、身二元論의

사고는 오류였음을 인정하고 새롭게 心身-元論적 입장으로 바해어 가고 있는 추세에 주목

해야 한다 �. 며象醫學에서는 心。�1�- 身을 主宰

하고 太極에 해당하므로 뼈牌府賢의 形成과

調節에 관여한다는 주장과 黃帝內經에서도 心

이 五鷹六뼈의 大主로서 정서적 감정의 변화

가 心動하게 하고 心動할때에 緣略가 動搖한

다는 내용은 心의 喜愁哀찢의 감정기운이 �n�i�P

牌�8千뽑의 大小를 형성한다는 李濟馬선생의 四

象體質형성관점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사료

된다 �. 특히�*쪼

�*용養�g읍說에서도 태아가 산모의

체내에서 성장하면서�*옆용과 緣服가 형성되는

데 十二 �*�� 댐따의 형성과정에서 心經은 君主의

官으로 모든 養 �%에 관여하기 때문에 �1�0�7�H 월

동안의 ���H 辰月數중에서 心經은 배속되지 않았

다�I���)또한 心經의 五輸 �* 이 없는 이유에 대해

서도 內經에서는 心이 五職六뼈의 大主로서

뻐氣를 직접적으로 받지 않기 때문에 心經에

五驗 �* 이 없다고 셜명했으며�7�)�,許浚선생의 東

醫寶鍵에서도 心이 神을 간직하고 -身의 君

主가 되어서 七情을 統훌훌하고萬機를 조절한

다고 하였다끼 이와 같이 선인들은 心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과 분야에서 心을 職冊 및 經

絡형성과정에서 조절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제로 피조물로 여기지 않았는데 이는 李濟

馬선생의 喜愁哀樂의 감정을 가진 心이 -身의 主宰로서 뼈牌빠뽑의 大小에 결정적인 역

할을 수행한다는 생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李濟馬선생은

�*옆용學說을 후학들이 더욱 연

구할 분야로 인식했는데 �, 東醫뚫世保元의 〈少

陰 �A�¥�z 論 �>�4�)에서 후학들에게 四象 �A의 鐵웅이

반드시 있을 것이므로 갚아 있게 연구하고 찾

을 것을 독려하는 것으로 볼 때 이는 經絡과

四象體質鐵에 관한 연구가 향후 四象醫學。 �l

새롭게 발전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

하고 이를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黃帝內經의 經絡學說은 經氣를 중심으로 氣

가 존재한다는 인식 하에 성립한 學說로 모든

醫홉에서 비판 없이 인정하는 한의학의 핵심

적 學說이며 職象學說의 논리적 근거가 된다 �.經氣는 뻐氣에 대항하는 인체의 생명력인

正氣라고 하는데 原氣�, 宗氣�, 營氣�, 衛氣로 나

뀐다까 이중 原氣는 先天之氣로 부모로부터

물려받아서 일생동안 유지되는 生理的 �, 病理的 경향성을 가진 氣로 다시 자손에게 물려주

는 氣다 �. 인체가 성장하는 동안 몸의 발달을

주관하며 부모의 체형과 성격 등의 유전성을

나타내는 氣라고 볼 수 있으며 체질과 관련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原氣는 經絡이 기능

하고 활동하는 기초가 되는 先天之氣로�*엎용

과 隨服의 발생과정에 밀접한 작용을 하며 賢

精에 저장된다 �. 이미 생명을 부여받은 인체에

서는 賢精에 저장되어 있다가 부모의 父精과

母血의 결합으로 兩精이 만나연 神이 생기며 �,

이 神은 血과 氣 및 쏠氣와 後慮가 서로 和通

하면서 五鷹이 생기고 神氣가 心에 간직되어

야 짧뼈이 갖추어지면서 사람이 된다고 하였

다�7�)

따라서 原氣는�*앞용파 �R廠府의 발생과정

에 밀접한 작용을 하는 先天의 氣이고 宗氣는

上部에 集積되어 있는 後天의 氣로서 이들 상

호간에는 밀접한 연계를 갖고 後天의 氣인 營

氣와 衛氣를�*웠용으로 움직여서 이들 經氣의

작용으로�*앞용과 騙略 및 �J�U�j 骨氣血의 특질을

결정할 수 있다�.운氣는 뼈中之氣로 營氣와 衛氣를 推動하는

氣인데 營氣는 呼吸에 따라 움직이는 氣이고 �,

衛氣는 水폈之氣로서 呼吸과는 상관없이 순수

하게 水왔의 힘을 받아 스스로 움직이는 氣이

다�,�9�)

營氣는 宗氣에 따라 呼吸에 의해서 �4늄�}는

데 �l呼에 �3�i�. �1吸에 �3�i 으로 �1핑에 �6�i�" 을 行

하는데 手太陰뼈經에서 시작하여 足戰陰府經

�- �5�4 �-

�- 뻐흉論에 根 �J�f�t 한 면象빼 �M �J�f���1�£ 에 관헌 文 �1�1�f�t�:�) 촉월 �-

으로 가며 이를 계속 반복해서 순환하는 것이

다�? 즉 뻐經에서 시작하여 府經까지 뼈와 府

의 對待關係를 가지며 계속해서 순환을 하는

것이다

衛氣도 宗氣에 영향을 받아서 行하는데 水

줬의 陽氣속성 을 가진 �}웹氣로써 標淚消利하여

�*���[�[ 內로 들어가지 않고 目開하면 手足三陽經

上을 行하며 텀閒하면 五職의 陰分으로 行하

는데 足少陰이 注하는 賢에서 시작하여 牌까

지 순환하며 營氣와의 연결은 絡服에서 이루

어진다끼 즉 뽑에서 시작하여 牌까지 對待關

係를 가지며 계속해서 순환을 하는 것이다

衛氣순환의 원동력은 宗氣에서 받고 個行은

自力으로 이루어지는데 目間하면 牌氣가 커져

術氣가 將脫�*땀의 �J�I�l�l 表나 皮 �I협分肉之댐 �l으로 나

오며�, 目 閒하면 手足三陽經의 �J�I�l�l 表 � 皮 �r펴分肉之멈�l을 行하던 �4¥�f氣가 딸의 �8껏原으로 들어오

므로 뽑氣가 커지고 상대적으로 牌氣는 작아

지는 것이다 �. 짧�I氣가 手足三陽經上의 �J�I�l�l�: 表나

�r�k�r 현分 �I친之出 �j을 行할때는 �9훌 �l빠에 영향을 미치�A�] 않지만 五熾의 陰分으로 行할 때는 廠冊에

랜한 영향을 미친다 �. 따라서 原、氣의영향력

아래서 宗氣의 推動作 �f검으로 인해 對待關係를

가지는 熾器의 상태가 두 가지 경우로 나타난

다 하나는 宗氣가 營氣를 推動하여 手太陰뼈

經에서 足 �l級陰 �}�}�f 經으로 순환하는 뼈와 빠의

對待關係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宗氣가 衛氣

를 推動하여 생기는 흡의 勝原之內에서 牌의

脫原之內로 순환하는 뽑과 牌의 對待關係를

가진다 �.또한 營氣는 律짧과 관련이 있으며 呼吸에

따라 이동하는 까닮에 〈四端論〉에 府과 뼈

는 呼吸氣浪의 門戶라는 특성을 반영하며 뼈

의 呼散之氣가 랬한 太陽�A체질과 빠의 吸取

之氣가 彈한 太陰 �A처�l 질을 만드는 것으로 사

료된다 �. 따라서 쏠氣의 呼吸 및 律波排 �t世작용은 太陰 �A과 太陽 �A의 生理病理的 상태와 밀

접한 관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

���j 氣는 水 �i���'�\�.�;�J�<�X 之氣의 �i�9�J�J 氣에서 化生하여 除理

의 開合과 �?千波의 排 �t世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 특히 少陰 �A은 땀을 지나치

게 흘리면 亡陽證을 유발하고 少陽 �A은 表憂

病을 막론하고 手足掌心에 땀이 나연 병이 풀

리고 땀이 나지 않으면 병이 풀리지 않는다고

하여 땀의 여부는 少陰�A과 少陽 �A의 체질감

별이나 病의 輕重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 �. 특히 律짧는 足心을 통해 띔의

脫原之內로 들어가고 낮에 활동시에는 手三陽

�*쪼�t 에서 掌中으로 순환하니 少陽 �A의 手足掌

心에 땀이 나면 病이 풀린다는 이치는 衛氣가

활발히 활동한다는 뜻으로 病쩌를 잘 이겨낸

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따라서 徐�f氣가 주관하는 땀의 배설기능은 少陰

�A과 少陽 �A의 生理病理的 상태와 밀접한 관

계가 있다 �.따라서 氣의 성립이론인 經氣論이 四象醫學

의 熾 �R府大小關系 즉 �O훌�|빠之氣의 �F뭘弱관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心은 五熾六뼈의 大主로서 網神이 머무르는

곳으로 父精과 母血의 兩精이 相뺑하면 神이

생기며 神은 心에 간직되어 七 �|좁을 統짧하는

데 喜愁哀찢의 감정의 氣運이 心을 動하면 五

鷹六 �R府가 다 搖動하여 職 �R府의 大 �I�J 、를 형성 하

고 이 과정에서 氣血을 調和롭게 하는 營氣와

衛氣가 순환을 하게되면�*앞용과 빼훌�R府에 직 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心의 감정적 변화

인 喜愁哀樂���o�l 생기연 心。�l 動하고 心動하면

五藏六뼈가 다 動搖하여 宗服。�l 感하면 先天

之氣인 原氣의 영향력아래서 宗氣의 꿇弱作用

으로 營氣를 推動하여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과 偏差에 따라 뼈氣가 多氣하고 �8주氣가 少

氣한 뼈와 �}�}�f 이 對待關係를 가진 太陽 �A체질

과 뼈가 少氣하고 府氣가 多氣한 太陰 �A체질

이 형성되고 �, 宗氣의 행弱作用으로 衛氣를 推

動하여 賢氣가 多氣하고 牌氣가 少氣한 賢과

�5�5

�- 사싱체질의학회지 제 �1�5 권 제 �2호 �2�0�0�3 �-

牌가 對待關係를 가진 少陰�A체질과 딸氣가

少氣하고 牌氣가 多氣한 少陽 �A처�l 질이 형성된

다는 經氣論的 �f없說을 세울 수 있다 �.결론적으로 四象�A의 경우에 原氣의 영향력

하에 宗氣가 쏠氣와 衛氣에 꿇한 推動作用을

일으키면 해당 經絡과 磁 �R府는 多氣한 상태가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해당 經絡파 職 �R府는

少氣한 상태가 되며 �, 宗氣가 營氣와 衛氣에

弱한 推굶에�F用을 일으키연 해당 經絡과 �8홉 �R府

는 少氣한 상태가 되고 그 對待關係가 되는

해당�*옆용과 빼훌�8府는 多氣한 상태가 되어 經氣

가 순행되는데 전체적인 氣의 總量을 유지하

면서 氣의 偏差를 가지고 순환하는 것으로 사

료된다 �.

향후 四象醫學이 李濟馬선생의 철학적 사유

근거를 찾는 연구방향에서 이제는 �A體를 대

상으로 한 한의학적 접근과 연구를 풍해서 한

의학적 체계를 갖추고 四象醫學의 世界化를

위한 여러 방면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經氣論에 근거한 四象體質 형성에 관한 연

구는 經絡學說을 바탕으로 한 기존 한의학적

관점에서 며象醫學을 연구하는 論文으로 향후

四象體質의 經 �t 과�*앞용에 관한 연구 및 四象

體質鐵의 연구방향올 제시하는데 큰 愈義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v�. 結 論

黃帝內經과 東醫뚫世保元을 중심으로 文敵

考察을 通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

�l 原氣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先天之氣이

고 宗氣 �, 뿔氣�, 짧氣는 �A體의 呼吸作用과 水

�W�i의 짧取로 생겨난 後天之氣이다 �.

�2�. 原氣의 영향력아래서 운氣의 彈弱推벌까�F

用에 의해 쏠�氣와衛氣가 經絡을 순행한다 �.

�3�. 營氣는 宗氣의 推動을 받아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 뼈大와 府�/�J 、 �, 뻐小와 땀

大의 對待關係를 형성한다�.

�4�. 後�i氣는 宗氣의 推動을 받아 선천적으로

받은 氣의 量에 따라 牌大와 띔�/�J 、 �, 뽑大와 牌

小의 對待關係를 형성한다 �.

�5�.�*앞용養 �8쉰說과 四象醫學의 心은 七情을

統짧하는 君主之官으로 經絡과 �n훌冊의 형성에

관여한다 �.

�6�. 太陽 �A과 太陰 �A은 짤氣의 영향을 받는

體質로 사료된다 �.

�7�. 少陽 �A과 少陰 �A은 徐�i氣의 영향을 받는

體質로 사료된다 �.

이에 저자는 黃帝內經의 經氣論을 중심으로

四象體質 성립관계를 문헌을 통하여 알아 본

결과 四象醫헬의 성립이 經絡學說을 토대로

한 한의학의 특질을 잘 함축 표현하였으며 �,

향후 지속적인 文빼�t考察과 四象體質鐵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5�6 �-

�- 훌훌뚫에 根빼한 연훌빼 �W �J�f���1�i�X 에 관한 文 �t�i�� 考향 �-

�V�I�. 參 考 文 敵

�1�. 金完熙外 �, 東醫生理學�, 서울 �: 慶熙大學校出

版局 �, �1�9�9�3�, �p�.�1�5�0�.

�2�. 大田大學校 陣醫科大學 第 �1�1 期 共編�, 鐵갖

經繹解釋 �, 서울 �: 醫聖堂 �, �1�9�9�9�, �p�.�7�0�.

�3�.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 四象醫學 �,

서울 �: 집문당 �, �1�9�9�7�, �p�p�.�3�9�, �6�6�, �4�4�3�.

�4�. 洪淳用 �, 李ζ �j돔 �, 四象醫學原論 �, 서울 �: 행림

출판 �, �1�9�7�3�, �p�p�.�1�6�-�1�8�, �2�0�, �3�2�-�3�3�, �3�6�-�3�7�, �3�9�,

�4�5�, �4�7�-�4�8�, �9�2�, �9�5�, �1�0�6�, �1�1�3�, �1�3�8�, �1�4�4�, �2�0�8�,

�2�1�7�, �2�5�1�.

�5�. 全國韓醫科大學 鐵갖經大學敎室�, 鐵갖學�(上�)�, 서울 �: 集文堂 �, �1�9�8�8�, �p�p�.�3�7�, �4�2�, �4�3�, �6�0�,

�6�2�-�6�4�.

�6�.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 東洋醫學

빠究院出版部 �, �1�9�8�5�, �p�p�.�6�5�, �1�0�4�. �1�1�6�.

�7�. 洪元網�, 精校黃帝內經靈樞�J 서울 �: 東洋醫學

빠究院出版部 �, �1�9�8�5�, �p�p�.�1�3�, �6�8�, �1�1�1�, �1�1�9�,

�1�2�0�, �1�5�9�, �2�1�3�, �2�4�1�, �2�9�8�-�2�9�9�, �3�0�2�-�3�0�3�, �3�1�7�,

�3�2�4�, �3�3�3�.

�8�. 俊鍵星 �, 難經校注 �, 北京 �:�A 民衛生出版社 �,

�1�9�9�1�, �p�p�.�5�9�, �1�1�5�.

�9�. 張介홉 �, ���M���C�/�:�)�, 서울 �: 大星文 �i�t 社 �, �1�9�8�9�,

�p�p�.�l�9�2�, �1�9�4

�1�0�. 大韓東醫生理學會 �, 東醫生理學�, 서울 �: 慶

熙大學校出版局 �, �1�9�9�3�, �p�p�.�8�6�-�8�7�, �1�6�7�.

�1�1�. 周學海 �, 讀醫隨筆 �, 江蘇省 �: 江蘇科學技術

出版社�. �1�9�8�3�, �p�.�3�4�.

�1�2�. 張介寶 �, 景폼全書 �(上�)�, 서울 �: 大星文�{ 따土 �.

�1�9�8�8�, �p�.�2�3�8�.

�1�3�. 裵秉哲 �, 今釋黃帝內經〈素問 �>�, 서울 �: 成

輔社 �, �1�9�9�4�, �p�.�2�5�6�.

�1�4�. 裵秉哲 �, 今釋貴帝內經〈靈樞 �>�, 서울 �:�J�1�X

훌빼 �!�f�d�:�, �1�9�9�5�, �p�p�.�4�8�6�-�4�8�7�, �6�0�3�.

�1�5�. 孫思、週�, 千金要方 �, 서울 �: 大星文化社 �,�1�9�8�4�, �p�p�.�2�1�-�2�4�, �2�3�3�, �2�3�6�.

�1�6�. 鄭遇’뼈�, 醫學史 �, 익산 �. 서울공판사 �, �1�9�8�7�,

�p�.�4�l�.

�1�7�. 許浚 �, 東醫寶鍵�(內經篇 �)�, 서울 �: 大星�)�( 化

�!�f�d�:�, �1�9�8�5�, �p�.�1�6�3�.

�1�8�. 洪淳用 �, 四象該擔保元 �, 서울 �: 書짧堂 �,

�1�9�9�7�, �p�.�7�8�.

�1�9�. 徐靈 �R�f�;�;�, 徐靈 �R윤醫�;멸全集 �, 台北 �: 洲出版社�,

�1�9�8�2�, �p�.�5�5�.

�2�0�. 李慶雨 �, 編注譯解 黃帝內經素問�, 서울 �:

여강출판사 �, �1�9�9�5�, �p�p�.�9�9�-�1�0�0�.

�2�1�. 李慶雨 �, 編注譯解 黃帝內經靈樞�, 서울 �:

여강출판사 �, �2�0�0�0�, �p�.�2�1�5�.

�5�7 �-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