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df - Gastronomic tourism

Transcript
Page 1: Gastronomic tourism

Gastronomic Tourism

의문

§ 음식은 자국문화의 집대성

§ 음식과 문화, 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Tourist 들이 접하는 음식과 문화의 관계

§ 여행지 음식은 단순히 맛만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님

§ 새로운 경험과 다른 문화에의 접신이라는 Tourist 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야 함

ü 우리는 과연 여행지에서의 음식을 통해 타국의 실제 생활문화에 접선하고 있는가?

현상

§ Tourist 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변형된 여행지의 음식문화

§ urisum 이 생각하는 대표적인 여행지의 음식문화현상

Standardization : 이태원에서 먹은 카레와 인도에서 먹은 카레

Hybridization : 북경오리맛 KFC 트위스터와 돌솥카레라이스

Specialization : 전주비빔밥은 언제부터 전주비빔밥이었을까

ü 관광지에서의 이러한 현상은 여행지라는 공간/장소의 사회문화적 재구성에 의해 일어남

ü 관광지는 other/local culture 가 섞인 제 3 의 공간.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제 3 의 문화

- 위와 같은 사회문화적 현상은 ‘만들어진’ 각국의 나라의 이미지를 기대하는 Tourist 와

- 상품으로서의 Tourism culture 를 기획하는 공급자 쌍방의 태도에서 비롯됨

관련 여행사회학 챕터

- Chapter 5. Landscape of tourism

- Chapter 6. Global tourism, local culture

- Chapter 7. Tourism, space and reappearance

관찰

§ 전제 : 인위적인 Tourism culture 가 여행 경험을 반드시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 앞서 제시한, 음식에 반영된 Standardization, Hybridization, Specialization 개념들이

여행 경험에 있어 긍정/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을 관찰.

ü 관광에 특화된 Food culture 가 Tourist 들에게 줄 수 있는 ‘다른’ 경험소에 집중

ü Local food culture 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관찰

의미

§ 제 3 의 문화로서의 Tourism culture 가 Tourist 들에게 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의 의미

§ 여행지 음식문화의 categorizing 을 통해 여행지 음식문화의 현상, 요소를 정리

§ 각각의 요소가 여행경험에 주는 영향 발견

장소선정

§ 베이징

§ 대도시이면서 Tour/Local 의 성격이 혼재되어 있는 장소. 여러 케이스를 관찰할 수 있는 장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