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Upload
    sinbi-

  • View
    1.745

  • Download
    11

Embed Size (px)

DESCRIPTION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4년 7월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시민사회단체학과 장 상 미

Citation preview

Page 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

시 민 사 회 단 체 학 과

장 상 미

2004

Page 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 0 0 4년 7월

성공회대학교 N G O 대 학 원

시민사회단체학과 장 상 미

Page 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장상미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지 도 교 수 박 상 필 (인)

심 사 위 원 장 조 효 제 (인)

심 사 위 원 김 창 진 (인)

심 사 위 원 박 상 필 (인)

성공회대학교 N G O 대 학 원

Page 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i -

국 문 초 록

오늘날 시민단체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회세력이다. 시민단체에 투입되

는 자원의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개입하는 사회적 의제의 종류와 범위도 매우

방대하다. 1989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창립을 기점으로, 지난 15년 간 한국

의 시민단체는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독특한 경험

과 사례를 축적해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민단체의 동학을 탐구하기 위하여 특정한 단체를 선

정, 해당 단체의 주요한 조직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정보화시대의 새롭고 대안적인 운동으로서 인터넷상의 시민운

동을 실천하고 있는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이다. 연구자는 조

직 내부자로서 참여관찰과 문헌연구를 통해 ‘시민행동’의 조직적 특성을 일정한

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99년 ‘시민행동’이 창립될 즈음, 기존의 시민단체들은 금융실명제, 소액주주

운동, 총선시민연대 등을 통해 폭발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확보하는 와중이었고,

국제적으로도 NGO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었다. 그런만큼 시민단체의 도

덕성, 책임성 등에 있어서 내외부적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던 때이기도 했다.

새롭고 대안적인 운동을 내세운 ‘시민행동’의 창립은 이러한 사회적 조건과 무

관하지 않은 것이었다. 단체를 창립하면서 ‘시민행동’은 기존의 시민운동이 갖는

특징이자 한계점으로 ‘추상적 시민,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정책대안 생산 중

심, 집회와 시위 중심, 중앙집중형 조직, 내부민주주의 미약’ 등을 들었다. 그리

고 대안으로서 ‘성찰적 시민, 구체적 과제, 시민의 행동중심, 온라인 운동, 네트

워크 조직, 내부 민주주의 확대’를 내걸었다.

지난 5년 간의 활동을 통해 ‘시민행동’은 그러한 대안을 현실화하기 위해 다각

Page 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ii -

도로 노력을 기울여왔고 일정부분 성과를 거두었다. 우선 납세자주권, 정보인권,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새로운 의제를 발굴하고 이슈화함으로써 변화의 흐

름을 놓치지 않는 미래지향적인 활동을 벌이는 조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정보전달과 자원동원의 중요한 사례를 남기기도 하였으며,

초기의 불안정한 조직적 조건을 투명성과 책임성 등 조직운영상의 묘미를 살림

으로써 성공적으로 돌파해 왔다.

그러나 ‘시민행동’은 이른바 ‘대안적 시민운동’으로서의 이같은 성과를 단지 선

언적인 수준으로서가 아니라 운동의 전형으로 정착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

다. 각각의 사업별 활동은 정책대안생산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시민운동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재정적 안정은 여전히 요원한데다 직접행동 및 내부민주주

의의 측면에 있어서는 형식적 수준의 실험이 되풀이되고 있는 상태이다.

종합하자면, ‘시민행동’은 이상적으로는 전혀 새로운 운동을 추구하되 실질적

으로는 기존 시민운동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심스럽게 변화를

모색해온, 일종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이는 조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장

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조직적 전망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과도기적 상태

가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 변화하는 사회적 조건에 따라 행위주체의 다양성을

높이는 한편 조직의 가치와 활동내용, 운영방식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인적자

원확보와 재정안정화를 위해 조직 내외부적 조건을 변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주요어: 시민단체, 시민운동, 좋은기업만들기운동, 예산감시운동, 정보인권운동,

인터넷, 행위주체, 조직구조, 가치, 영향력, 선택지점

Page 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iii -

목 차

Ⅰ. 서 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대상과 의의 ···································································································2

3. 연구범위와 방법 ··································································································· 3

Ⅱ. ‘함께하는 시민행동’ 조직분석 ··············································································5

1. 주요 행위주체 ·······································································································5

1) 발기인 그룹 ······································································································5

(1) 전 경실련 상근활동가 그룹 ······································································ 6

(2) 전 경실련 예산감시위원회 그룹 ······························································· 6

(3) 후기 참여자 그룹 ······················································································· 6

2) 창립 준비위원 ·································································································· 7

3) 회원 ···················································································································8

4) 운영위원 ············································································································9

5) 각종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 ········································································10

6) 사무처 상근활동가 ·························································································11

7) 자원활동가 ······································································································13

2. 연혁 ······················································································································15

1) 창립 및 조직운영부문 ···················································································15

(1) 창립준비위원회 출범 ················································································15

(2) 제1차 회원총회 ·························································································15

(3) 공식 이메일뉴스레터 마이캔 창간 ·························································16

(4) 온라인총회 ·································································································16

Page 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iv -

(5) 창립 1주년 기념행사 - ‘시민행동 무대에 오르다’ ······························ 16

2) 좋은기업만들기운동부문 ···············································································17

(1) 안티닉스 연대활동 ····················································································17

(2)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 ··············································································17

3) 예산감시운동부문 ···························································································18

(1) 예산감시네트워크 발족 ············································································18

(2) 제1회 밑빠진독상 시상 ············································································18

(3) 밑빠진독을막는두꺼비 캠페인 ·································································19

4) 정보인권운동부문 ···························································································19

(1) 개인정보유출방지를 위한 푸른방패 캠페인 시작 ·································19

(2) 정보사회의제만들기 연속토론회 ·····························································20

(3) 노무현 대통령에게 리눅스 컴퓨터 선물하기 추진모임 (노리추) ······· 20

5) 기타 부문 ········································································································21

(1)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민단체』출간 ··············································21

(2) 아시아 개발은행 항의메일보내기 운동 ··················································22

(3) 번역으로세상바꾸기 카페 개설 ·······························································22

(4) 또다른세상을만드는사람들 아시아편 ······················································23

(5) 커뮤니티 에피소드 개설 ··········································································23

3. 배경, 맥락, 환경, 공간 ·······················································································24

1) 시민단체의 역사 ·····························································································24

2) 시민단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 ······································································26

3) 각종 지표별 통계 ···························································································28

(1) 경제지표 ·····································································································28

(2) 사회지표 ·····································································································29

(3) 기타 지표 ··································································································· 31

Page 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v -

4) 법제도적 환경 ································································································· 31

(1) 기부금품모집규제법 ·················································································· 32

(2)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 32

(3) 법인세법 ····································································································· 33

(4) 정보공개법 ································································································· 33

4. 구조 ······················································································································ 35

1) 조직구조 ·········································································································· 35

(1) 규약상의 조직구조 ···················································································· 35

(2) 의사결정구조 ····························································································· 38

(3) 외부 조직 ···································································································44

2) 조직관리 ··········································································································46

(1) 사무처 운영 ·······························································································46

(2) 회원 현황 ···································································································52

(3) 회원, 자원활동가 및 후원자 관리 ·························································· 58

(4) 재정구조 ·····································································································59

5. 가치 ······················································································································ 64

1) ‘시민행동’의 가치 ··························································································· 64

(1) 1999년 - 2003년 ························································································ 65

(2) 2004년 ········································································································· 68

2) 가치의 실현 ····································································································· 71

(1) 활동유형과 가치 ························································································ 72

(2) 상근활동가 개인평가 ················································································ 73

(3) 운영방식과 가치 ························································································ 74

6. 영향력 ·················································································································· 77

1) 성과 ·················································································································· 77

Page 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vi -

2) 해당 부문에서의 인지도와 영향력 ······························································· 78

3) 언론보도현황 ···································································································80

7. 선택지점 ··············································································································81

1) 2000년 - 2003년 ·····························································································81

(1) 사업영역과 방식 ························································································81

(2) 재정 ·············································································································83

(3) 인적자원 ·····································································································84

2) 2004년 ··············································································································85

(1) 사업영역과 방식 ························································································85

(2) 재정 ·············································································································86

(3) 인적자원 ·····································································································86

Ⅲ. 분석결과에 대한 총평 ·························································································88

1. 주요 행위주체 ·····································································································88

2. 구조 ······················································································································88

3. 가치 ······················································································································90

4. 영향력 ··················································································································91

5. 선택지점 ··············································································································92

Ⅳ. 결론 ······················································································································94

참고문헌 ·······················································································································97

부록 ···························································································································105

Abstract ·····················································································································123

Page 1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vii -

그림목차

[그림 1] ‘시민행동’ 조직분석틀 ··············································································4

[그림 2] 창립 준비위원의 직업별 분포 ································································· 7

[그림 3] ‘시민행동’ 규약상의 조직구조 ······························································· 37

[그림 4] ‘시민행동’ 의사결정구조도 ·····································································44

[그림 5] ‘시민행동’ 연도별 총 회원수 추이 ······················································· 52

[그림 6] ‘시민행동’ 회원의 연도별 가입자 수 ····················································53

[그림 7] ‘시민행동’ 회원의 지역별 분포 ·····························································53

[그림 8] ‘시민행동’ 회원의 성별 분포 ·································································54

[그림 9] ‘시민행동’ 회원의 출생연도 분포 ··························································54

[그림 10] ‘시민행동’ 회원의 직업별 분포 ··························································· 55

[그림 11] ‘시민행동’ 회원의 가입경로별 분포 ····················································56

[그림 12] ‘시민행동’ 회원의 회원자격별 구성비율 ············································ 57

[그림 13] ‘시민행동’ 회원의 회비부담액 분포 ····················································57

[그림 14] ‘시민행동’ 회원의 회비납부방법별 구성비율 ·····································58

[그림 15] ‘시민행동’ 연도별 수입총액추이 ·························································· 60

[그림 16] ‘시민행동’ 항목별 수입비율 변화추이 ················································ 60

[그림 17] ‘시민행동’ 연도별 지출총액추이 ·························································· 61

[그림 18] ‘시민행동’ 항목별 지출비율 변화추이 ················································ 62

[그림 19] ‘시민행동’의 사명 1 ·············································································· 66

[그림 20] ‘시민행동’의 새로운 운동모형 ····························································· 68

[그림 21] ‘시민행동’의 사명 2 ·············································································· 70

[그림 22] ‘시민행동’의 독창성 ·············································································· 71

Page 1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viii -

표 목 차

<표 1> ‘시민행동’ 연도별 회원수의 변화 ····························································8

<표 2>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직업별 인적구성 ·················································9

<표 3> ‘시민행동’ 각 위원회 및 기구 현황 ·······················································10

<표 4> ‘시민행동’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직업별 인적구성 ······························ 11

<표 5>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현황 ·······················································12

<표 6>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의 상근 전 경력 ····································13

<표 7>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29

<표 8> 한국의 주요 사회지표 ············································································· 30

<표 9> 기타 관련지표 ··························································································· 31

<표 10> ‘시민행동’ 온라인 회원총회 연도별 참석자와 참석률 ······················ 39

<표 11> ‘시민행동’ 회원자격과 총회의결권 ······················································· 39

<표 12> ‘시민행동’ 연도별 운영위원회 인적구성 ·············································40

<표 13>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임금체계 ············································· 47

<표 14> ‘시민행동’ 상근활동가 수와 근속연수 ·················································50

<표 15> ‘시민행동’ 사직자의 사직이유와 이동경로 ········································· 51

<표 16> ‘시민행동’ 연도별 수입 ··········································································59

<표 17> ‘시민행동’ 연도별 지출 ·········································································· 61

<표 18> ‘시민행동’ 사업부서별 활동내용 분류 ················································· 72

<표 19> ‘시민행동’ 연도별 활동내용 ·································································· 73

<표 20> ‘시민행동’ 상근활동가가 평가한 가치와 활동주제의 일치정도 ······· 74

<표 21> ‘시민행동’ 상근활동가가 평가한 실행능력상의 한계 ························ 74

<표 22> ‘시민행동’의 주요 사업성과 ·································································· 78

<표 23> ‘시민행동’ 외부 의사결정기구 참여현황 ············································· 79

<표 24> ‘시민행동’ 언론보도현황 ········································································80

<표 25> ‘시민행동’의 주요 선택지점 ··································································81

Page 1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 -

Ⅰ. 서 론

1. 문제제기

오늘날 시민단체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회세력이다. 시민단체에 투입되

는 자원의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개입하는 사회적 의제의 종류와 범위도 매우

방대하다.

국내에서 시민단체가 탄생한 시점은 일반적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

련)이 창립한 1989년을 기준으로 한다1). 이는 전 세계적으로 탈냉전시대의 새로

운 대안세력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비정부조직(NGO)이 활성화되기 시작

한 시기와도 일치한다. 초기에는 1980년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형성, 훈련된

사회운동세력을 적극 유입시키며 급속히 성장한 시민단체는 15년이 흐른 현재

그 규모와 정책개입 수준, 일반 시민의 지지도에 있어서 강력한 사회세력으로

인정받고 있다2). 동시에 도덕성, 투명성, 책임성 등에 있어서 시민단체에 대한

사회적인 기준이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운신의 폭을 규정받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한국의 시민단체는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독특한 경험과 사례를 축적해왔다. 그에 비해 시민단체의 동학을 거시적인 관점

에서 살펴볼 수 있는 뚜렷한 연구성과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그간 학계에서

1) 물론 1989년 이전에도 YMCA, 흥사단 등 자발적 결사체들이 존재했으나, 이러한 단체들

은 당시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의 탈정치화된 사회운동으로 존재하여, 1989년 이후 등장한

시민단체의 성격과는 거리가 있다(조희연, 2000).

2) 한국의 시민단체 수는 2004년 현재 2만 여개로 추정되고, 단체 당 평균 회원수는 500여명

이다(박상필; 2004). 또한 정부의 각종 위원회에는 시민단체 활동가가 으레 포함되는 경향

을 보이고 있으며 청와대에는 시민사회 수석이 설치되어있기도 하다. 한편 2001년 한 언

론사의 조사에 따르면 시민단체의 영향력은 정치권, 각 당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이것

은 전해 2000년 2위를 차지했던 것에서 다소 떨어진 것이지만 4위 이내에서 정치권을 제

외하고는 유일하게 영향력 있는 사회세력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결과였다(시사저널; 2000, 2001).

Page 1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 -

는 시민사회 개념논쟁에서부터 시민운동의 존재와 성격을 규정하기 위한 학제

적 연구가 일정부분 시도된 바 있으며3), 1999년부터는 대학 내에 시민운동 및

시민단체 연구기관이 설치되어 본격적인 연구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러한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민사회론, NPO/NGO 개념 등은 서구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한국의 시민단체를 체계적으로 분석

해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더구나 사회적 맥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적, 물

적 자원의 요구에 직면한 시민단체의 현실에 비추어볼 때 학계에서 그간 수행

해온 철학적, 이론적 고찰의 단계를 넘어서는 실증적 연구를 통한 현상의 파악

과 이론화 작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조건과 요구에 부

응하는 연구성과가 나오기 위해서는 우선 일정한 지표를 통한 개별 사례의 분

석 결과물이 집적될 필요가 있다.

2. 연구대상과 의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민단체의 동학을 이론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별

사례의 분석물이 집적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선행연구의 하나로서,

특정한 단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단체가 갖는 조직구조상의 주요 특성을 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은 1999년 창

립하여 정보화시대의 새롭고 대안적인 운동으로서 인터넷상의 시민운동을 실천

하고 있는 단체다. 내용적으로는 예산감시운동, 기업감시운동, 정보인권운동 등

을 주요 사업 부문으로 갖고 있다. ‘시민행동’ 창립의 배경에는 1999년의 소위

경실련 사태, 즉 한국의 대표적인 시민단체로 인식되어온 경실련이 창립 이후

3) 크게는 행정학, 정치학, 사회학 등의 영역에서 NGO, 시민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을 주제로

한 각종 논문이 발표되어 왔다.

Page 1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 -

10년 만에 겪은 심각한 내부분열사태가 있었다4). 당시 경실련을 사직한 일단의

활동가 및 전문가들이 그 경험을 토대로 기존 시민운동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

는 한편 정보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운동의 내용과 방식

을 설정하면서 ‘시민행동’을 창립하였다. 창립 5주년을 맞는 2004년 현재, ‘시민

행동’은 지난 5년을 돌아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재정립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민행동’의 조직구조를 일정한 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시민단체의 조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일차적 연

구성과를 제공하는 한편, 경실련 및 기존의 시민운동을 넘어서 ‘시민행동’이 실

현하려 한 새로운 운동의 내용과 적절성 여부, 사회적 의의 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3. 연구범위와 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시민행동’이 창립을 준비하던 1999년으로부터, 창립 5주년

을 맞이하는 2004년까지의 제반 활동과 구성원, 내/외부의 관련 자료를 포괄한

다. 구체적으로는 분석을 위해 요구되는 자료의 성격에 따라 2004년 2월 제5차

정기회원총회까지, 혹은 연구가 마무리단계에 들어간 2004년 5월까지로 범위에

있어서 편차를 둘 것이다.

연구를 위한 분석의 틀로는 2003년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에서 작성한 시

민단체 조직분석틀(분석틀)을 사용하며, 분석틀의 형식에 따라 연구대상을 주요

행위주체, 연혁, 배경/맥락/환경/공간, 구조, 가치, 영향력, 단체가 직면한 선택지

4) 1999년 1월에 발생한 경실련 사무총장의 칼럼표절사건에 대해 문제제기와 함께 조직개혁을 요

구한 일단의 내부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결국 상당수가 조직을 떠나

게 된 사태를 말한다. (하승창, 2001).

Page 1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 -

점 등으로 범주화한다.

[그림 1] ‘시민행동’ 조직분석틀

함께하는시민행동

주요행위주체

가치

선택지점

배경, 환경맥락, 공간영향력

구조

연혁

조직구성원의특성과 역할

주요 사건의 개요

조직의 구조와 특성을규정하는 외부적 조건

일반적 구조와의사결정구조,관리방식과 현황

지향하는 가치와실제 실현정도

해당 부문에서의활동성과와 인지도

조직운영상의주요한 선택과그 결과, 향후전망

분석에는 참여관찰법과 문헌연구방법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된다. 참여관찰방

법은 주요 행위주체들과 일정기간 같은 공간에 머물면서 면담, 심층대화 등의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논문에서 사용할 분석틀에 기본적으로 내재된

방법이다. 즉 연구자가 연구대상 단체에 직접 소속되어 있을 것을 전제로 하는

분석틀인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대상인 ‘시민행동’에서 2001년부터 2004년 현

재까지 상근활동가로 관여함으로써 일정기간 참여관찰을 지속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전반적 흐름을 관장하고 관점을 부여하는 1차적 토대로서

연구자의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된 정보와 그에 대한 평가를 활용하고, 2차적으

로 문헌연구를 통해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Page 1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 -

Ⅱ. ‘함께하는 시민행동 ’ 조직분석

1. 주요 행위주체

시민단체는 동일한 가치를 공유하는 사람들로 구성되는 집단이다. 따라서 엄

격한 법/제도에 의해 규정되는 정부나 이윤추구라는 시장원리에 따르는 기업과

는 달리, 가치에 기반한 구성원의 능동적인 행위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므로 조

직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요 행위주체별 활동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의 창립준비기간부터 2004년 5월 현재까지 약

5년 간 조직 내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한 주요 행위주체로는 발기인 그룹, 창

립 준비위원, 회원, 운영위원, 각종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 사무처 상근활동가

등을 들 수 있다5). 이 절에서는 이들 주요 행위주체의 직능, 역사, 동기, 연결성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발기인 그룹

‘시민행동’ 창립과정에 있어서 가장 초기의 역할을 담당한 이들로 1999년 9월

창립준비위원회를 발족시킨 주체이다. 이들은 크게 경실련 상근활동가 그룹, 경

실련 예산감시위원회 그룹, 후기 참여자 그룹 등으로 나누어진다. 대개 소위 경

5) 본 논문에서 상근활동가는 반상근을 포함한 사무실 근무와 급여수급의 두 조건을 충족하

는 경우로 한정하고 ‘상근활동가’라는 용어와 ‘활동가’라는 용어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

기로 한다. 위의 두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나 단체의 활동에 일정하게 기여하고 있는 자원

활동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자원활동가’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Page 1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 -

실련 사태를 겪으면서 비슷한 시기 경실련에서 나와 새로운 활동을 모색하던

시민단체 활동가 및 전문가 그룹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1) 전 경실련 상근활동가 그룹

소위 경실련 사태로 인해 경실련을 사직한 후 자신들의 경험을 토대로 기존

의 시민운동을 비판하며 새로운 시민운동 모델을 고민했던 4-5명의 활동가들이

다. 이들은 함께 세미나를 진행하면서 국내외 시민운동의 주요 사례를 조사하며

조직설립작업을 시작, 이후 나머지 그룹과 함께 ‘시민행동’ 발기인그룹을 구성했

다.

(2) 전 경실련 예산감시위원회 그룹

경실련의 내부 단위였던 예산감시위원회가 소위 경실련 사태를 맞아 단위 전

체의 결의를 통해 분리 독립했다. 이들은 비슷한 시기 독립한 사)환경개발연구

소와 달리 독자적인 단체를 설립하기는 무리였지만6), 집단적으로 예산감시운동

을 계속 할 의지를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향후 진로를 모색하던 중 전 경실련

상근활동가 그룹이 먼저 시작한 조직설립작업에 동참하여 ‘시민행동’ 발기인그

룹이 되었다.

(3) 후기 참여자 그룹

후기 참여자 그룹은 앞의 두 그룹이 새로운 단체의 지향과 원칙을 설정하고

참여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후기에 결합한 개인 및 그룹들을 지칭한다.

6) 경실련 산하조직으로 이미 사단법인화 되어있던 단위가 그대로 독립한 경우이다. 이후

사)환경정의시민연대로 개칭하여 현재까지 독자적인 환경단체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Page 1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 -

개인적으로 참여한 이들은 전 경실련 상근활동가 그룹과 비슷한 경험을 가졌으

나 뒤늦게 개별적으로 결합하였다. 그룹으로 참여한 이들은 민주시민교육 프로

그램을 구상하고 있던 인터넷 시민학교, 그리고 사학비리 관련 활동을 고민하던

바른교육시민행동 등이다. 이들은 일정 수준의 기반이 형성될 경우 분리할 수도

있는, 일종의 느슨한 네트워크 형태를 추구하며 발기인 그룹에 합류했다.

2) 창립 준비위원

발기인 그룹을 중심으로 창립총회 직전까지 ‘시민행동’에 준비위원으로 참여한

이는 모두 188명이다. 이들의 직업군을 살펴보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창립 준비위원의 직업별 분포

자영업/회사원22%

일반시민20%

교수/교사/연구원19%

시민운동가15%

전문직10%

자원활동가8%

언론5%

예술가1%

자영업/회사원

일반시민

교수/교사/연구원

시민운동가

전문직

자원활동가

언론

예술가

자료: ‘시민행동’ 제1차 회원총회 자료집, 2000

자영업/회사원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일반시민, 교수/교사/연구원이다. 사무

처 상근활동가 15명을 포함한 시민운동가가 그 뒤를 잇는다. 준비위원 대부분은

Page 1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 -

이전에 경실련을 통해 시민단체에 참여한 경험을 갖고 있었다7). 한편 자원활동

가가 8%((15명)로 별도 표기된 것은 준비과정에서 각종 위원, 상근활동가를 제

외하고도 자발적인 실무참여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창립 후 이들은 전원 회원으

로 전환하여 ‘시민행동’ 인적구성의 근간을 이루었다.

3) 회원

앞서 설명한 대로 ‘시민행동’의 회원은 창립준비위원으로 참여한 188명으로 출

발하였으며 이후 그 수는 완만하게 성장하였다.8)

<표 1> ‘시민행동’ 연도별 회원수의 변화

연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회원수 (명) 188 233 409 557 692

주: 회원총회 성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즉 후원회원 일부를 제외한 수치이다. 참고로 2004년의 경우

총회 한달 후인 2004년 3월 총회원은 713명이었다.

자료출처: ‘시민행동’ 제1차 회원총회 자료집, 2000, 기획실 회원보고서, 2003, 회원정보, 2004

회원구성은 직업군으로 볼 때 사무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계

층적으로는 도시중산층 사무직을 중심으로 하는 화이트칼라에 속한다. 가입경로

7) 창립준비위원회 출범식 자료집(1999)의 경과보고서를 보면 참여자의 성격이 더욱 뚜렷이 드러

난다. 1999년 5월, ‘새로운 시민단체’ 조직을 위해 모인 초기 참여자 8명은 모두 전 경실련 활

동가들이었으며 창립당시 그대로 상근활동가로 남았다. 그리고 사무실을 얻는 등 초기 준비과

정에서 후원자로 참여한 14명은 경실련 관여자 및 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점차로 학

계와 전문직 인사의 비율이 증가하는데, 이들 역시 직간접적으로 경실련 활동 경력을 지니고

있었다.

8) 그에 따라 회원이 내는 회비도 점차 그 비율이 증가하여 2003년 말에는 ‘시민행동’ 전체 재정

의 50%를 차지하였다. 이로써 ‘시민행동’은 회원 1인당 평균회비부담액1)과 납부율이 상당히

높은 회원구조를 갖게 되었다.

Page 2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 -

상 임원 및 상근활동가의 권유가 절대다수를 차지하여 회원 대부분이 임원 및

상근활동가의 지인이거나 활동영역을 공유하는 이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9)

4) 운영위원

운영위원은 단체의 전반적인 의사결정과 운영 실무에 관여해온 주체이다. 대

표, 선출직 운영위원, 당연직 운영위원 등으로 구성되며 2000년 창립당시 1기로

출범한 후 2004년 현재 3기 운영위원이 활동 중이다.

<표 2>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직업별 인적구성

직업 1기 (2000-2001) 2기 (2002-2003) 3기 (2004-2005)

교수 5 9 12

시민운동가 6 6 7

경영/관리직 5 5 3

변호사 1 3 1

회계사 1 1 1

종교인 0 1 1

계 18 25 25

자료: ‘시민행동’ 연도별 온라인총회 웹사이트

직업군을 살펴보면 1기에는 시민운동가, 교수, 경영/관리직이 비율 상 큰 차이

없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10), 2기와 3기에서는 시민운동가 수가 비슷하게

9) 보다 자세한 회원 및 재정현황은 4절에서 따로 기술하기로 한다.

10) 초기 경영/관리직 비율이 높은 것은 다양한 직업과 경력을 가진 운영위원이 포진함으로써 학

계 중심의 조직구조와 운동형태를 탈피하려는 의도 때문이었는데 점차 교수의 수가 증가하여

초기 의도는 무색해진 것으로 보인다.

Page 2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 -

유지된 반면 경영/관리직 수가 줄어들고 교수가 급증하여 교수 및 시민운동가가

주축이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민운동가 비율이 높은 것은 당연직인 사무

처장 및 실/국장이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5) 각종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은 조직 구조상으로 운영위원에 버금가는 지위를

갖는 의사결정 및 실행단위의 구성원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사업에 대한 자문과

의견조율 수준에서 최소한의 역할을 맡아왔다.

<표 3> ‘시민행동’ 각 위원회 및 기구 현황

(단위:명)

위원회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정책위원회 1 1 1 1 (공석)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 2 2 5 3 3

예산감시시민행동 20 20 20 20 20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행동 4 (2001년 1월 분리독립)

인터넷시민학교 1 1 11 11 11

공익소송센터 (신설) 13 13 13 14

정보인권시민행동 (2004년 2월 신설) 1

시민행동길찾기특별위원회 (한시적인 특별위원회로 운영) 6

계 28 37 50 51 49

주: 기존 위원 중 2인이 ‘시민행동’ 길찾기 특별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자료: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회의록, 2000-2004, 사무처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현재 주요 사업단위로 활동하고 있는 것은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 예산감시

시민행동, 정보인권시민행동이며, 그 외 정책위원회, 인터넷 시민학교, 공익소송

센터는 독자적인 사업보다는 타 사업단위의 지원활동을 주로 하고 있다11).

Page 2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 -

<표 4> ‘시민행동’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직업별 인적구성

(단위:명)

직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교수 22 20 31 301) 31

변호사 2 9 10 9 10

회계사 3 4 4 4 4

시민운동가 0 3 3 6 3

공무원 1 1 1 1 1

경영관리직 0 1 1 1 0

언론인 0 0 1 0 0

계 28 37 50 51 49

주: 기존 위원 중 2인이 시민행동 길찾기 특별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자료: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회의록, 2000-2004, 사무처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위원의 수는 초기에 점차 증가하다 2002년부터 50여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직업별로는 교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변호사와 회계사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6) 사무처 상근활동가

사무처 상근활동가는 각 위원회 및 기구 위원과 함께 주요 사업부문의 핵심

적인 행위주체로서, 모두 사무실에서 상근 또는 반상근12)하며 실무를 담당한다.

11)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행동은 발기인 그룹 중 후기 참여자 그룹으로 참여한 바른교육시민행

동의 후신으로, 지향차이를 이유로 1년 만에 분리 독립하였다. 한편 시민행동 길찾기 특별위원

회는 운영위원회의 결의로 설치된 임시 특별위원회로, 2003년 9월부터 12월까지 활동 후 해산

했다.

12) 상근, 반상근은 근무조건을 표현하는 개념이다. 주5일, 일일 8시간으로 규정되어 있는 ‘시

민행동’ 사무실에서의 근무시간을 완전히 수행하는 경우는 상근, 부분적으로 수행하는 경

우는 반상근으로 표현한다.

Page 2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 -

2004년 현재 사무처의 상근활동가는 모두 16명이며, 연도별 사무처 상근활동가

현황은 <표 5>와 같다.

<표 5>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현황

(단위: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사무처장 1 1 1 1 1

실/국장 4 2 2 4 5

팀장 9 11 8 6 5

신입활동가 0 0 3 5 4

회계 1 1 1 1 1

계 15 15 15 16 16

창립 당시 사무처 규모는 15명으로서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유지되어 왔다.

당시 활동가들은 조직설립을 제안하는 단계에서부터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모두 경실련에서 길게는 6년에서 짧게는 1년까지 상근한 경력을 갖고 있었으

며13) 경실련 근무 전에는 대부분이 학생운동14)경력을, 소수의 실국장이 노동운

동15) 및 종교운동16)경력을 갖고 있었다.

13) 이렇게 비슷한 경험과 실무능력을 공유한 활동가들로 사무처를 구성함으로써 ‘시민행동’은 조

직의 기반을 다지는 데 드는 기회비용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입이 불안정한

초창기에 인건비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떠 안게 되었다. 이 부담은 그

대로 상근활동가의 몫이 되어, 창립 후 2년이 지날 때까지도 적정수준의 급여를 받지 못하는

열악한 조건을 감수해야 했다. 특히 2001년 한해동안은 사무처 전체가 일괄적으로 월 50만원

급여를 받았으며 그나마 규칙적이지 않았다. (참고로 당시 정부추산 최저생계비는 4인가족 기

준 956,250원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2002년 단계적 급여정상화에 들어가 2003년부터 최소한의

수준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일정부분 해소되었으나 여전히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지는 못한 상

황이다.

14) 한국 사회에서 학생운동이라는 개념은 체제 및 권력에 대한 비판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대학

생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회운동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와 비슷한 맥락

에서 판단하되 활동가 본인의 진술을 우선으로 하였다.

15) 한국사회에서 노동운동이라는 개념은 임금노동자의 노동조건 및 생활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노동자들이 스스로 펼치는 조직적인 운동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1970

Page 2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3 -

<표 6>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의 상근 전 경력

(단위: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학생운동 9 11 9 8 7

노동운동 4 2 2 2 2

종교운동 1 1 1 1 1

기타 1 1 3 5 6

계 15 15 15 16 16

경실련 상근 경력을 지닌 모든 활동가들이 팀장 직위를 가졌으며, 시민단체

활동경력이 전혀 없는 신입활동가17)는 2002년부터 채용되기 시작했다. 시민단체

활동 이전의 경력을 보면 학생운동 출신 활동가가 계속해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기존 활동가의 사직과 신입활동가 채용으로 그 비율은 점차 달라지고

있다.

7) 자원활동가

이미 창립 준비위원 구성에서 보았듯이 ‘시민행동’에서는 자원활동가18)의 활동

년대와 1980년대에 학생운동 출신으로서 노동현장에 투신하여 노동자 조직화를 위해 투쟁했던

활동가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였으며, 역시 활동가 본인의 진술을 우선으로 하였다.

16) 본 논문에서 종교운동이라는 개념은 종교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변화를 추구하는 운동을 가리

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17) 본 논문에서 신입활동가라는 용어는 시민단체 상근경력이 없는 상태로 ‘시민행동’ 사무처에

채용되어 팀장 직책이 부여되지 않은 상근활동가를 지칭한다. 신입활동가는 상근 후 약 2년

내에 일정한 역량이 인정될 경우 팀장 직책을 갖는다.

18) 형식적으로는 특정 위원회의 위원이 아닌 전문가 그룹 역시 자원활동가로 볼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 자원활동가라는 용어는 그러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적인 의미에서 자원활동을 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한다.

Page 2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4 -

이 초기부터 매우 활발했는데, 이것은 애초부터 자원활동가를 단체의 핵심역량

으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참여를 장려해왔기 때문이다. 주로 지인을 통해 단체

에 관여하게 되는 자원활동가들은 단순하고 일시적인 업무보다는 사업별 팀의

구성원으로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자원활동가의 활동사례로는 시민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인 세계시민운

동정보채널 업데이트용 컨텐츠 번역, 해외에 체류하면서 현지의 상황을 국내에

전달하는 해외통신원 활동, 책 출판을 위한 기획과 편집작업, 창립기념행사 등

각종 행사의 기획과 연출 및 진행, 자료조사와 연구작업, 웹사이트 설계와 디자

인 등이 있었으며 대부분 자신의 직업 및 전문기술을 그대로 살려서 활동에 참

여함으로써 자발적 동기와 전문성 등을 갖춘 자원활동가로서 기여해왔다.

Page 2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5 -

2. 연혁19)

1) 창립 및 조직운영부문

(1) 창립준비위원회 출범

1999년 5월에 일단의 활동가와 전문가가 모여 사무실을 얻고 발족을 준비한

지 4개월 후인 9월 9일 109명의 준비위원으로 구성된 창립준비위원회가 발족하

였다20). 행사 전날 공식 웹사이트 www.ww.or.kr21)가 개통되었으며, 출범식 참

석자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상의 새로운 시민운동을 상징적으로 표현하

는 사이버 식수로 방명록을 대신하였다.

(2) 제1차 회원총회

창립준비위원회로 출범한 후 일정한 조직구조와 활동체계를 갖춘 ‘시민행동’은

2000년 1월 22일 - 23일 제1차 회원총회를 개최하여 준비위원으로 참여한 188

명의 회원과 함께 공식 창립하였다. ‘시민행동’ 역사상 유일하게 오프라인에서

열린 이 총회는 숭실대 사회봉사관에서 30여명의 회원들과 함께 1박 2일간 워

19) 보다 상세한 연표는 부록 5를 참조하라.

20) 발족취지문은 부록 2을 참고하라.

21) 창립준비위원들은 단체 설립을 준비하면서 웹사이트 구축을 매우 중요한 과제로 보고 7월부

터 인터넷팀을 꾸려 도메인을 선정하고 웹사이트를 기획하였다. 인터넷팀은 도메인네임을 단

체의 약칭을 사용하는 당시의 경향과 달리 기억하기 쉽고 다중적인 의미(watch watch watch,

we watch world 등)를 담을 수 있도록 www.www.or.kr로 선정하였으나 이것이 공익성을 띤

도메인이라는 이유로 한국인터넷정보센터로부터 등록을 거부당했다. 이에 대해 여러 차례 항

의와 질의응답과정을 거치면서 결국 www.ww.or.kr을 등록하게 된다. 한편 이 사건은 창립준

비과정에 있던 ‘시민행동’이 관련 사안의 정책결정과정에 개입한 첫 사례이기도 하다.

Page 2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6 -

크샵 형태로 개최되었다.

(3) 공식 이메일뉴스레터 마이캔 창간

2000년 6월 13일, 일종의 웹진이자 단체의 소식지로서 이메일 뉴스레터 마이

캔이 창간되었다22). 딱딱하고 무거운 주제들을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와 연결시

켜 쉽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컨텐츠를 담고 있었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구독자가 급증하여 2001년 1월 경 이미 3,000여명을 확보하였다.

(4) 온라인총회

2001년 1월, 제2회 정기회원총회가 온라인총회23)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을 통해

개최되었다. 시민단체 중에서는 최초로 시도된 이 온라인총회는 2000년 제1회

회원총회 당시 한 회원의 제안으로 규약에 반영된 후 사무처에 의해 구체화된

것으로, 이후 다른 단체들에서도 활용된 바 있다24).

(5) 창립 1주년 기념행사 - ‘시민행동 무대에 오르다’

2001년 1월 18일 ‘시민행동’은 창립총회 후 1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

다. 이 행사는 기획, 연출, 진행, 출연 등 행사 전반을 자원활동가 및 회원이 주

22) 마이캔(MyCAN)은 수신자의 능동적 위상을 표현하는 ‘my’라는 단어와 단체의 영문명

(Citizens' Action Network) 머릿글자이며 소리나는 깡통, 그리고 ‘할수 있다’라는 긍정적 의미

를 지닌 단어이기도 한 'CAN'을 더하여 다양한 뜻을 담아 만든 이름이다.

23) ‘시민행동’ 온라인총회의 배경과 맥락을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서는 온라인총회 실무를 맡

아온 활동가가 커뮤니티 에피소드에 올린 글을 보라. (Freeman, 인터넷과 시민운동,

http://epi.ww.or.kr/choasin, 33-37번 게시물)

24) 진보넷, 부산청년정보문화센터 등이 있다.

Page 2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7 -

도하는 문화행사로 치러져, 시민사회단체의 기념행사로서는 새롭고 신선한 시도

라는 평을 받으며 이후 ‘시민행동’이 개최하는 주요 행사25)의 기획에 있어서 하

나의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2) 좋은기업만들기운동부문

(1) 안티닉스 연대활동

안티닉스는 한 의류업체에서 인터넷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상금 3억 원을 걸

고 도메인 네임을 공모했으나, 공모 결과 당선자가 관련사 직원임이 밝혀지자

응모했던 네티즌사이에서 “닉스(NIX) 도메인 사건 해결을 위한 네티즌 행동”이

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자발적인 항의운동이었다. ‘시민행동’은 1999년 8월 - 10

월 이 운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국내 최초로 사이버시위를 조직하는 등

활동을 벌임으로써 결국 해당업체로 하여금 사과와 함께 상금 3억 원을 사회에

환원하게 만드는 성과를 얻었다.

(2)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

2002년 11월,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은 장애인을 전면에 내세운 SK사의 기

업이미지광고에 대해 법정 의무고용율도 지키지 않는 사실을 지적하며, 장애인

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철폐할 것을 요구하는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 첫 보고

서를 발표하였다. 이 캠페인은 이후 2003년 1년 간 가면을 벗겨라 보고서 시리

25) 창립기념회, 후원의 밤, 소규모 후원회인 작은 만남 등. 각각의 행사는 일종의 메시지를

담은 타이틀과 함께 여러 가지 공연과 예술작품 등으로 꾸며졌다.

Page 2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8 -

즈와 가면광고컨테스트 등으로 이어지며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3) 예산감시운동부문

(1) 예산감시네트워크 발족

2000년 3월 3일, ‘납세자의 날’26)을 기념하며 ‘시민행동’은 전국적으로 30여 개

단체와 함께 ‘납세자대회’라는 행사를 열고 ‘예산감시네트워크’를 발족시켰다. 지

부가 아닌 형태로 지역단체와 연대하여 활동을 전개하는 독특한 사례로서 이

네트워크는 ‘시민행동’이 이후 밑빠진독상, 예산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연대활동을 통해 지역에 산재한 단체들과 함

께 소통하며 일정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

(2) 제1회 밑빠진독상 시상

예산감시시민행동은 예산감시운동의 대중적 확산을 목표로 최악의 예산낭비

사례에 대해 수여하는 불명예상인 밑빠진독상27)을 제정하였다. 2000년 8월 예산

감시네트워크 회원단체인 하남민주연대와 함께 그 첫 번째 수상자로 ‘1999 하남

국제환경박람회’ 사업으로 200여 억 원의 적자를 낸 하남시를 선정하였다. 이후

국내 최초의 납세자소송을 제기하는 등 후속작업을 펼친 결과 12월에는 67개

단체와 함께 납세자소송에관한특별법(안)을 입법청원하기에 이르렀다. 시상은

26) 국세청에서 ‘조세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는 날로, 예산감시운동단체들은 납세자 권리를

강조하는 뜻에서 이것을 ‘납세자의 날’로 고쳐 부르고 있다.

27)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낭비와 그에 대한 부실한 대응이 마치 ‘밑빠진독에 물붓기’와 같

이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게 만들고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Page 3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9 -

상장 및 예산낭비에 대한 분석자료를 담은 밑빠진독상 보고서와 함께 실제 밑

부분이 깨져있는 항아리28)를 들고 직접 수상자로 선정된 기관을 방문하여 전달

을 시도함으로써 더욱 주목을 끌었다.29)

(3) 밑빠진독을막는두꺼비30) 캠페인

예산감시시민행동은 밑빠진독상이 고액의 예산낭비방지 및 절감효과를 보이

며 일정한 사회적 인지도를 확보하기에 이르자 2001년 7월, 시민을 대상으로 한

예산감시운동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한편 자발적인 시민의 움직임을 이끌어

내기 위해 밑빠진독을막는두꺼비 캠페인을 추진한다 그러나 창립 후 최초

로 시도한 본격적인 대중캠페인이자 장기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운동으로서

추진된 이 캠페인은 예상과 달리 일정기간동안 궤도에 오르지 못하여 결국

잠정 중단되었으며 이후 이 같은 대중적인 캠페인이 다시 기획된 바는 없

4) 정보인권운동부문

(1) 개인정보유출방지를 위한 푸른방패 캠페인 시작

28) 이것은 시중에서 구입한 온전한 항아리를 직접 깨뜨려 만드는데, 초기에는 사회운동에 적극

관여하고 있는 한 조각가가 이 상의 의미에 적극 공감하여 스스로 작품을 만들어 보내준 것을

사용하였고 이후에는 자체제작하였다. 실제 불명예상인 이 상은 대개 수상을 거부당하여 민원

실에 접수하거나 그도 아니면 상징적으로 닫혀진 출입구 앞에 내려놓는 식으로 전달되었다.

29) 역대 밑빠진독상 수상내역과 후속작업 등에 대해서는 부록 4를 참조하라.

30) ‘밑빠진독에 물붓기’라는 속담에서 영감을 얻어 붙이게 된 밑빠진독상에서 한단계 더 나

아가 콩쥐팥쥐 설화에 등장하는 밑빠진독을 막는 두꺼비의 이미지를 차용해옴으로써 대

중적 이해와 공감을 얻기 위해 지어진 이름이다.

Page 3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0 -

1999년 9월 시작된 푸른방패 캠페인은 도청, 감청 등의 이슈로부터 정보화시

대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문제로서 프라이버시문제를 인식하고 개인정

보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공론화하기 위

한 것으로 ‘시민행동’이 공식적으로 벌인 최초의 캠페인이었다. 초기에는 인터넷

팀 안에서 국회에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을 요구하는 이메일 발송과 푸른방패 배

너 달기 등의 활동으로 시작한 후 PC통신사, 인터넷 상의 상업적 웹사이트 등

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실태조사와 시정요구로 일정한 성과31)를 거두어갔으

며 2001년 관련단체들과의 연대체인 프라이버시보호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2) 정보사회의제만들기 연속토론회

2001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간 진행된 연속토론회로, 정보사회로 가는 과

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연구하여 바람직한 각 분야별 변화의 상을 모색하고

이에 근거한 우리 사회의 새로운 의제를 설정, 공론화 하여 궁극적으로 시민들

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을 목표로 했다. 총 10차례에 걸친 이 연속토론회

에 참여한 분야별 전문가는 60여명에 달했다. 이를 통해 정보인권시민행동은 맹

아단계에 있던 정보화사회의 의제들을 일별하여 이후 Cyberspace 공개념, 시민

을 위한 전자정부, 프라이버시 보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캠페인 등의 활동영

역을 도출하였다.32)

(3) 노무현 대통령에게 리눅스 컴퓨터 선물하기 추진모임 (노리추)

2003년 3월, 정보인권시민행동 웹사이트의 소프트웨어차별제보게시판에 모인

31) 2001년 9월 유니텔, 10월 인티즌에 각각 요구한 개인정보보호정책 개선 요구가 받아들여

진 바 있다.

32) 토론회 개요와 참여자 유형에 대해서는 부록 5를 참조하라.

Page 3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1 -

네티즌들이 노리추라는 자발적인 모임을 만들었다. 이는 말 그대로 노무현 대통

령에게 리눅스 컴퓨터를 전달하여 직접 사용해보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에서

의 정보접근 차별 문제33)를 적극적으로 제기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민행동’은

이들의 취지를 적극 지지하면서, 모임의 구성원들이 직접 기획과 모금, 실행과

정을 꾸려나가는 동안 부분적으로 활동을 보조하였다. 한달 후인 4월 22일 노리

추는 정보통신의 날에 맞추어 ‘시민행동’ 상근활동가들과 함께 청와대 국민참여

수석실을 방문하여 자신들이 모금한 돈으로 마련한 리눅스컴퓨터를 전달하였다.

5) 기타 부문

(1)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민단체』출간

‘시민행동’의 발기인 그룹과 일단의 자원활동가들이 ‘새로운 시민운동’의 모델

을 찾기 위해 진행한 자료조사작업의 성과물을 모아 1999년 10월 펴낸 책이다

(‘시민행동’, 1999). 시민사회운동의 역사가 막 10년에 접어들던 당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시민단체 뿐 아니라 해외 NGO의 현황과 의미를 분석한

이 책은 출간 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의 제36회 청소년권장도서로 지정되기도

했다.34)

33) 당시 전자정부 웹사이트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짐으로써 리눅스

나 매킨토시 등 다른 환경의 PC 사용자들은 사이트 접근과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상당부분

제약을 받아야 했다. 정보인권시민행동은 이미 2002년 정부홈페이지의 정보접근 불평등 보고

서를 발표한 후 특정 브라우저를 지원한다는 표기가 있는 경우와 특정 프로그램으로만 볼 수

있는 첨부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등에 대한 시정 의견서를 제출하였으며 대부분의 정부기관이

이를 받아들이고 시정조치를 취한 바 있었다. 이후 ‘시민행동’은 공공기관 홈페이지 사용과 관

련한 설문조사 등을 거쳐 ‘시민친화적 공공기관 홈페이지 운영 가이드라인’을 작성, 배포하여

이 문제를 주요 의제로 삼게 되었다.

34) 이후로 ‘시민행동’은 계속해서 활동의 성과를 모은 단행본을 출간해왔는데, 인터넷 시민학교에

Page 3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2 -

(2) 아시아 개발은행 항의메일보내기 운동

2000년 9월, 아시아 개발은행이 정부와 손잡고 파식강 유역 개발사업을 진행

하면서 그 지역에 살고 있던 주민 10만여 명(대개 빈곤계층)을 강제 이주시키려

하자 LOCOA라는 단체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항의운동이 일어났다. 그 해 10월

10일, ‘시민행동’도 당시 ‘시민행동’의 해외통신원이기도 하던 LOCOA 활동가의

제안으로 아시아개발은행에 항의메일보내기 운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열흘간

‘시민행동’의 캠페인 사이트를 통해 약 60여 통의 메일이 발송된 후 곧바로 아시

아개발은행의 사업계획이 철회되는 성과를 거두었다.35)

(3) 번역으로세상바꾸기 (번세바) 카페 개설

2003년 5월, ‘시민행동’의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사이트의 운영을 담당하던 상

근활동가가 자원활동가들의 자율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한 포

탈사이트에 카페를 개설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번역으로세상바꾸기 카페, 일명

번세바이다. 이후 번세바는 ‘시민행동’ 뿐만 아니라 여러 시민단체들이 필요로

하는 번역컨텐츠를 생산해내는 독자적인 자원활동가 그룹으로 활동의 폭을 넓

혀갔으며, 그 해 말 온라인커뮤니티비엔날레2003에서 참여부문 으뜸상을 수상,

부상으로 받은 디지털 카메라를 이주노동자농성단에 기증하기도 했다. 카페 개

서 온라인으로 진행한 강좌를 모아 펴낸 [하승창의 NGO이야기] (2001),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사이트에 집적된 컨텐츠를 갈무리한 [또 다른 세상, 또 다른 비전] (2002), 2001년 3월부터 10

월까지 진행한 연속토론회에서 발표된 주요 논문을 모아 펴낸 [인터넷 한국의 10가지 쟁점]

(2002) 등이 있다.

35) 한국에서의 항의메일보내기운동이 유일하거나 핵심적인 요인이 되었다고 주장할 근거는 없으

나 캠페인을 제안한 LOCOA 활동가는 나름대로 이 운동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분

석한다. 한편 이렇게 사업을 중도에 철회하는 것은 아시아개발은행 역사상에도 유례가 없는

일이었으며 이후 국제금융기구들 사이에서 NGO활동의 중요한 사례로 회자되기도 하였다.

Page 3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3 -

설 1주년을 맞이한 2004년 5월 현재 카페 회원은 690여명이며 그간 정기적으로

나 간헐적으로나 실제 번역자원활동에 참여한 회원은 100여명에 달한다.

(4) 또다른세상을만드는사람들 아시아편

2003년 2월 인터넷 시민학교는 또다른세상을만드는사람들 아시아편 프로그램

을 진행, 아시아 각국의 시민운동가를 현지 취재하여 다섯 개의 다큐멘터리를

완성하였다. 이는 국내에 아시아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인적 교류를 풍부히 하

여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의 국제연대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었

다. 뒤이어 11월에는 국내에서 아시아 연대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와 활동가들

이 한자리에 모여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는 ‘아시아의 시민사회운동’ 워크샵을

개최하기도 했다.

(5) 커뮤니티 에피소드 개설

2003년 9월, 기존에 웹사이트의 한 코너로 운영되던 회원게시판을 '따뜻한 사

람들의 특별한 이야기, 에피소드'라는 이름을 가진 독자적인 사이트로 확대 개

편하였다. 이는 ‘시민행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일상의 소회로부터 사회의

다양한 의제까지를 담아내는 시민들의 커뮤니티로서 ‘시민행동’의 활동을 풍부

히 하고 시민운동에 일정한 영감을 제공할 것을 기대하며 만들어진 것이다.

2004년 5월 현재 77개의 다양한 주제를 가진 에피소드가 운영되고 있다.

Page 3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4 -

3. 배경, 맥락, 환경, 공간

여기서는 ‘시민행동’이 1999년 창립하고 이후 활동을 펼쳐나가는 데에 영향을

미친 외적 요인으로서 시민단체의 역사, 시민단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각종 지

표별 통계, 법제도적 환경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1) 시민단체의 역사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을 주축으로 하는 민중운동이 주도한 1987년 민주화투쟁

은 한국 사회를 민주화 이행기로 접어들게 하였다. 그러나 이 이행기는 짧은 기

간 내에 위로부터의 보수적 민주화와 제도화로 접어들고 민중운동은 분열, 쇠퇴

하였다(최장집, 2002).

반면 이행기에 확대된 제도적 공간을 기반으로 제도화수준이 높은 거대 시민

단체들이 주요한 사회세력으로서 전면에 부각되기 시작했는데(조희연, 2002; 조

대업, 2003) 그 대표적인 사례가 1989년 창립한 경실련이다. 이른바 합리적 대안

제시 세력으로서 토지공개념과 금융실명제 등의 의제를 갖고 등장한 경실련은

특히 김영삼 정부가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정부 정책결정과정의 파트너로 받아

들여지며 단기간에 급속하게 성장했다. 언론의 집중적 조명으로 더욱 증폭된 이

같은 현상은 이내 학계에서도 한국 시민사회의 존재유무, 성격 및 시민운동에

대한 논쟁이 촉발되는 계기가 된다. 1994년에는 50여 개의 시민단체가 모여 한

국시민단체협의회를 결성하였으며 최초의 민간지원기금으로서 시민운동지원기

금이 창립되기도 했다. 국제적으로는 리우환경회의(1992), 비엔나인권회의(93),

카이로인구회의(1994) 등 일련의 국제연합 회의에서 비정부조직(NGO)36)의 참여

36)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의 약자로, 1945년 국제연합이 출범하면서 정부간조직

이외에 국제연합과의 협의주체로 일단의 단체들을 포함시키면서 사용한 용어다. 이후 국

제연합과의 관계를 떠나 비당파성, 비종교성, 자발성, 공익성, 자율성 등을 기본 원칙으로

Page 3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5 -

가 보장되고 주요 NGO와 그 활동가들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는 등 냉

전 종식 후 새로운 대안세력으로서 NGO의 역할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흐름이 언론을 통해 국내에 소개되면서 NGO가 그간 일정한 실체로 자리잡은

시민단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통용되는 현상이 생겨난다.

1990년대 후반에 접어들자 비민중운동적 성격을 강조한 기존의 시민단체와 달

리 참여연대 등 친민중운동적 지향을 가진 시민단체가 출현하기 시작한다. 대표

적으로 1994년 창립한 참여연대는 법률적, 정책(대안)적, 진보적 시민운동을 자

신의 정체성으로 내세우고 보다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의제를 다룸으로써 경

실련과 마찬가지로 짧은 시간 안에 대중적인 지지를 확보한다. 특히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 이후 재벌기업들을 상대로 벌인 소액주주운동은 시민운동의

영향력을 극적으로 확대시켰으며 동시에 사적 이익을 위한 운동이라는 비판을

받게 되기도 한다(조희연, 1999).

‘시민행동’이 창립된 1999년은 시민운동이 민중운동과 함께 본격적인 분화의

단계로 접어드는 시기이다. 1999년 당시 시민의신문에 의해 시민사회, 지역자치/

빈민, 사회서비스, 환경, 문화, 교육/학술, 종교, 노동/농어민, 경제 등 부문별로

집계된 사회단체의 총 수는 20,000여 개에 달했으며 지부를 제외하면 4,023개로

집계되었다.37) 2000년 총선시민연대를 통해 일정한 연대의 틀을 형성한 국내의

시민단체들은 기존의 한국시민단체협의회를 통합하여 2001년 시민사회단체연대

회의라는 광범위한 상설적 협의기구를 창립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 국제 NGO

는 국제연합 회의에 파트너로 참여하는 수준을 넘어 헤이그 평화회의, 서울

NGO대회 등 독자적인 모임을 여는 한편, 1999년 11월 시애틀 세계무역기구 제

3차 각료회의를 무산시키는 등 전세계적인 반세계화 투쟁의 흐름을 형성하기에

운영되는 단체를 통칭하는 용어로 폭넓게 사용되어왔다.

37) 이 내용은 시민의신문이 매 2년마다 발표하는 한국민간단체총람을 참고하여 작성된 것

이다. 한편 이에 대해 박상필은 NGO 개념으로 접근할 때 이 조사에서 사용된 각종 단체

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아 통계자료로서는 거의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2004)

Page 3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6 -

이르렀다.

2) 시민단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

시민단체가 규모와 사회적 영향력에 있어서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고 참여하

는 시민의 폭이 넓어지면서 시민단체의 역할과 방식에 대한 일련의 비판이 제

기되기 시작한다.38) 이러한 비판은 시민단체 내외부의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동

시에 시민운동에 대한 일종의 진정성을 평가하는 잣대로 작용하게 되는데, 크게

합법적 운동, 정치적 중립 유지, 회원에 의한 재정자립 등이 그것이다.39)

먼저 합법적 운동과 정치적 중립이라는 기준은 경실련이 창립 당시 민중운동

과의 차이점을 부각시키면서 내건 시민운동의 정의에서 비롯한 것이다. 시민운

동은 ‘비폭력적 평화운동’이라는 정의가 그것인데(경실련, 1989), 여기에는 민주

화투쟁을 주도한 기존의 민중운동과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는 의미가 담겨 있

다. 이러한 정의야말로 제도화된 공간에서 시민운동이 지배계급의 저항을 최소

화하는 한편 일반 시민의 강력한 지지를 획득하며 급속히 성장할 수 있었던 주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시민단체에 있어서 특별히 합법적 운동이라는 기준이 강하게 부각될 수 있었

던 이유는 법제도가 합리적 주체로서의 시민이 지켜야 할 최소한의 사회적 합

의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민단체의 주요 활동이 실제로 법제도 개선에

집중되어 온 것도 그러한 인식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2000년 총선

시민연대의 낙천낙선운동이 선거법을 위반한 불법적 운동으로 규정되면서 이

38) 하승창(2001)은 시민운동에 대한 사회적 비판을 크게 백화점식 의제선정, 언론플레이 중

심, 재정의 정부의존, 시민없는 시민운동 등으로 선별한 바 있다.

39) 이 세가지 기준의 정체와 적절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민과세계] 제3호에서 다루

어진 바 있다(참여사회연구소, 2003).

Page 3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7 -

기준은 심각한 의문에 직면하였다.40) 경실련의 경우 불법적 활동을 할 수 없다

는 이유로 이들과 일정한 선을 그으며 단체의 위상을 제고하지만, 총선시민연대

의 활동은 이후 시민불복종운동 개념이 시민운동에 적극 유입되는 계기가 된다

(이대훈, 2003).

한편 정치적 중립이라는 기준 역시 ‘제도권 내에서 움직이지만 제도정치를 지

향하지는 않는다’는 경실련의 선언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후 1990년대 중반 일

련의 선거에서 경실련 조직내 주요 인사가 출마했다 참패하고, 1997년 ‘김현철

비디오테이프사건’41)을 겪는 등 부정적인 경험을 하면서 이 기준은 안팎으로 더

욱 강화되었다. 또한 시민단체가 정치지체(political lag)를 겪고 있는 한국 사회

에서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정당을 대신해 과도기적으로 준정당적

역할을 맡고 있다는 해석이 간접적으로 이 기준을 뒷받침해주었다(조희연,

1999). 그러나 민주화 이행이 계속되고 국가에 대한 시장의 영향력이 확대되면

서 시민운동이 국가에 대응하는 선에서 자신을 규정하기보다 적극적인 정치적

행동, 더 나아가 정치세력화까지 고민할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이 정치적 중립

성이라는 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홍일표, 2003

).42)

마지막으로 회원에 의한 재정자립이라는 기준이 있다. 이 기준은 종종 시민없

는 시민운동이라는 비판과 함께 제기되곤 하는데, 시민운동은 회원으로 참여하

는 다수의 시민에 의해 실천되어야 하며 그 회원들이 내는 회비를 통해 재정적

자립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없는 시민운동이라는 비판은 애초에 시민

40) ‘시민행동’은 2000년 총선시민연대에는 참여하였으나 2004년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

나 이것이 합법적 혹은 불법적 운동이라는 기준 때문은 아니었다.

41) 1997년, 세간에 떠돌던 김영삼 전 대통령의 아들인 김현철씨의 국정 개입 사건의 증거가

될 비디오 테이프가 경실련에 입수되었는데, 입수과정이 정상적인 경로라 할 수 있는 제

보나 신고 또는 내부 고발 등이 아니라 경실련 관계자의 절도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럼에

도 경시련이 이를 제때 그리고 즉각 공개치 않고 은폐하려 한 의혹이 제기된 사건 (하승

창, 2001, 하승창의 NGO이야기, 역사넷, p.115)

42) 2004년 3월 탄핵반대범국민행동 참여와 관련해서 ‘시민행동’ 내부에서도 정치적 중립에 대한

회원의 이의제기가 있었다.

Page 3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8 -

단체 내부에서 자성적으로 사용된 용어가 언론에 의해 유용된 측면이 있으며,

주요 시민단체들이 상당한 규모의 회원조직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에서의

시민운동이 점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다지 적절한 비판이 아닌 것으로 인식되

고 있다(하승수, 2003). 그러나 회원에 의한 재정자립 문제는 상황이 다르다. 특

별히 정부 및 기업의 행위를 감시하는 활동을 벌이는 경우에는 정부로부터 사

업비를 지원 받거나 기업 명의의 후원금을 받는 것 자체가 이미 활동의 진정성

을 훼손하게 될 것이므로 단체에 치명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

나 활동영역과 방식에 따라 이러한 기준은 달라질 수 있으며 시민단체 전체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3) 각종 지표별 통계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시민행동’의 활동내용과 관련 있는 통계를 중심으로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와 사회지표, 기타 지표를 살펴봄으로써 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을 파악해본다.

(1) 경제지표

먼저, 기본 통계로서 총인구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증가비율은 낮아졌다. 국민

총생산(GDP)과 1인당 총소득(GNP)는 증가하였다. 최저생계비(4인 기준)는 2003

년 1,019,411원이었다. 물가상승률은 2002년 가장 높았고 조세부담률은 완만히

증가했다.

<표 7> 한국의 주요 경제지표

Page 4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29 -

연도

(년)

총인구(명)

(증가율 (%))

국내총생산

(억 달러)

1인당총소득

(달러)

물가상승률

(%)

조세부담률

(%)

최저생계비1)

(원)

1999 46,617명 (0.71) 4,452 9,438 0.8 19.5% .

2000 47,008명 (0.84) 5,118 10,841 2.3 21.8 .

2001 47,343명 (0.71) 4,820 10,162 4.1 22.5 956,250

2002 47,640명 (0.63) 5,469 11,493 2.7 21.8 989,790

2003 47925명 (0.60) 6,052 12,646 3.6 22.3 1,019,441

주: 1) 보건복지부 생활보장과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른 4인가족 기준 월별 최저생계비이다.

자료: 통계청, 보건복지부

1인당 총소득이 증가하긴 했지만 물가상승률과 조세부담율, 그리고 최저생계

비가 늘어남에 따라 가계는 더욱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이 ‘시

민행동’의 예산감시운동에 대한 일반 시민의 지지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

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사회지표

출산율은 저하하고 이혼율은 증가하였으며 대학진학률은 계속 높아져 80% 가

까이 도달하고 있다. 국민 평균수명은 2000년 76.53년이고 문맹률은 2002년

1.7%이다. 2000년 재정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율은 2002년 2.84%

이다. 장애인의무고용준수율은 완만히 늘고 있으나 2002년 21.0%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실업률은 2003년 3.4%로 비슷하게 지속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에 비

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한편 주관적 계층의식은 1999년의 경우 중류가

54.9%, 하류가 44.0%로 나타났으며 하류층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8> 한국의 주요 사회지표

Page 4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0 -

연령출산율

(여성 1인당)

이혼율

(‰)

대학진학률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율 (%)

장애인의무고용

준수율 (%)

실업률

(%)

1999 1.42 2.5 66.6 (생계보조) 3.5 15.7 0.3

2000 1.47 2.5 68.0 * 법제정 17.6 4.1

2001 1.30 2.8 70.5 3.0 21.2 3.8

2002 1.17 3.0 74.2 2.84 21.0 3.1

2003 3.5 79.7 3.4%

자료: 통계청

출산율이 저하되고 이혼율이 증가한 것은 여성의 직업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IMF 이후 급증한 실업자율이 잠시 가라앉았다가 2000년 다시 급증한 것은 주로

고등교육을 받은 인력 중 상당수가 직업을 갖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법적으로 2%로 규정되어 있는 장애인의무고용율로 점차 증가하

긴 하나 극히 낮은 준수율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지표들은 ‘시민행동’의 기업

감시운동이 채용시 연령제한문제 및 장애인의무고용 불이행 등에 대하여 문제

제기를 하게 되는 요인이었다.

정보화 부문의 주요 지표를 살펴보면, 2003년 현재 정보통신기기 보유율에서

이동전화가 67.8%, PC통신 및 인터넷이 34.5%, 초고속인터넷가입이 21.8%로,

전반적인 정보화수준이 높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정보입수 경로는 방송이

92.1%, PC 및 인터넷 44.1%, 신문 43.2%, 가족 및 지인 40.4% 등의 순서로, PC

및 인터넷을 통한 정보입수 경향이 매우 높다. 주당 컴퓨터 이용시간은 15.2시

간이며 인터넷을 통해서는 자료검색이 71.6%, 메일이용이 54.9%, 게임이 50.0%

로 높게 나타난다. 정보화가 준 영향에 대해서는 편리함이 81.7%이고 사생활침

해가 55.2%로, 정보화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뿐 아니라 동시에 각종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3). 이렇게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인구가 늘면서 동시에 각종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은 ‘시민행

동’이 정보인권운동을 통해 다양한 의제를 발굴하고 공론화하는 배경이 되고 있

Page 4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1 -

다.

(3) 기타 지표

그밖에 각종 지표 중 유의미한 것으로, 2002년 비영리섹터의 총생산중 비율은

2.2%이며 고용률은 2.7%이다. 인간개발지수와 언론자유지수, 정부 투명성 지수

등은 모두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특별히 정부 투명성 지수는 ‘시

민행동’의 예산감시운동이 추진한 예산 투명성 지표개발 작업과 관련이 있다.

<표 9> 기타 관련지표

비영리섹터의

총생산중 비율 (2002)

비영리섹터의 고용률

(2002)

인간개발지수

(1999)

언론자유지수

(2004)

정부 투명성 지수

(2001)

2.2% 2.7% 0.875 29점/100점 4.1/10

자료: 박상필, 2004 에서 재구성

한편 2002년 성인 자원봉사 참가율은 16.3%, 주당 자원봉사 시간은 1.9시간으

로 낮은 수준이다. 2000년 시민단체 재정 수입원 중 회비 및 자체수입은 46.0%,

정부지원은 27.7%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일간지의 시민단체 보도량은 1990년

대 초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1999년 1,000건을 넘어서고 총선시민연대가 활동했

던 2000년에는 무려 2,500건 가까이로 늘어났으며 이후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다

(박상필, 2004).

4) 법제도적 환경

마지막으로 시민단체의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법제도적 환경을 기부금품모집

Page 4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2 -

규제법,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법인세법, 정보공개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기부금품모집규제법

기부금품모집규제법은 1951년 당시 반강제적인 모금행위가 성행하는 폐단을

막기 위해 제정된 것으로 각종 사회단체가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기부금을 모

집하기 위해서는 행정자치부 장관 혹은 지역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를 어길 시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모집비용을 2% 이내로 정하고

있어 모집활동에 필요한 비용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등 이 법은 시민

단체의 모금활동을 상당히 제약하고 있어 여러 차례 개정요구가 있었으나 받아

들여지지 않고 있다.

(2)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은 1999년 비영리민간단체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목

적으로 제정되었다. 이 법에 의거하여 등록한 민간단체에 대해 행정자치부가 사

업비에 한하여 재정지원을 할 수 있으며 등록된 민간단체는 조세감면 및 우편

요금감액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약 150억

원의 공익사업지원금이 공모를 통해 각 민간단체에게 지원되었으며 2004년에는

100억 원으로 축소되어 있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지원법을 갖고 지원을 받아온

관변단체에 대해서도 지원이 결정되는가 하면 조세감면 등 주요 혜택은 시민단

체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만큼 효과적인 장치가 아니어서 지속적으로 그 실효성

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 ‘시민행동’은 2001년 서울시에 비영리민간단체로

등록하였으나 공모사업에 참여한 적은 없다.

Page 4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3 -

(3) 법인세법

법인세법 부과 징수에 관한 법으로서 1998년 전문 개정된 후 지속적으로 일부

개정 되어왔다. 이 법은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지정기부금단체를

‘민법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법인으로, 사업목적에 공공성이 있는 단체’에 한해

지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법인으로 설립하지 않은 대다수의 시민단체

는 회원의 회비를 포함한 각종 후원금 등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을 부여하지 못

하고 있으며, 이 점은 ‘시민행동’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비영

리민간단체지원법에 의거하여 등록한 단체에 대해 지정기부금 대상단체로 지정

하는 등 시행규칙을 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02).

(4) 정보공개법

국민에게 공공기관의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부여하며 1996년 제정된 법이다.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공공기관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각급 학교,

특수법인 등이 포함된다. 정보공개청구서를 접수받은 기관은 공개여부를 15일

이내에 통보해야 한다. 비공개결정을 통지한 경우 이의신청, 행정심판, 행정소송

등의 절차로 이의제기가 가능하다. 이 법을 활용하여 ‘시민행동’은 여러 차례 정

보공개청구를 통해 운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으나 공개되는 정보의

형태나 공개 및 비공개 결정의 범위가 천차만별이어서 법제의 운영을 보다 현

실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상 네 개의 법외에도 지방자치법상 주민감사 청구제도와 조례 제정 및 개

폐청구 제도 등이 있으나 실효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밖에 시민운

Page 4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4 -

동을 활성화하는 데에 필수적인 법제로서 ‘시민행동’의 공익소송센터가 주축이

되어 입법청원한 바 있는 납세자소송법(안) 그리고 집단소송법(안) 등이 있으나

2005년 시행을 앞두고 있는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을 제외하면 거의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하승수, 2001).

Page 4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5 -

4. 구조

조직의 구조는 가치의 실현방식과 주요 행위주체 사이의 관계, 하위문화 등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규약, 규정 등에서 구체화되고 의사결정구조 및 운영방식,

구성원의 규모와 특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시민행동’의 구조를 조직구조와 조직관리의 두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1) 조직구조

(1) 규약43)상의 조직구조

① 회원총회

조직의 최상위에는 회원 전원이 참여하는 총회가 자리하고 있으며 연 1회 정

기총회와 필요시 임시총회로 열리게 된다. ‘시민행동’의 회원은 기본적으로 회비,

후원금 및 자원활동을 근간으로 그 자격이 판별되며, 총회에 참석하여 임원을

선출하고 주요 사업과 재정에 대한 결정 등에 참여한다. 물론 총회 이외에도 일

상적인 단체 운영, 의사결정, 사업별 활동에 참여할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지며

회비납부의 의무가 있다. 이와 같은 ‘시민행동’의 회원 자격은 각종 단체에서 일

반적으로 발견되는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다.

② 고문, 감사

고문은 사업추진에 있어 자문과 지도의 역할을 담당하며 5인 이하로 규정되

43) ‘시민행동’ 규약은 아래와 같이 개정되었다.

2001년 1월 부분개정 / 2002년 2월 부분개정 / 2004년 2월 부분개정

Page 4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6 -

어 있다. 감사는 ‘시민행동’의 재정 및 사업을 감사하고 보고할 의무를 지니며 2

인으로 규정되어 있고 실제 임무의 성격에 따라 회계사 및 변호사가 그 역할을

맡고 있다.

③ 공동대표단

회원총회가 선출하는 단체의 대표로서 제반 업무를 총괄하며 구성원 중 1인

이 운영위원장을 겸임한다.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2003년까지는 상임

대표 및 공동대표 체제를 운영함으로써 상임대표가 운영위원장을 맡는 등 대표

단의 권한이 상임대표 1인에게 집중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으나 2004년 제5차

회원총회를 통해 상임대표를 폐지하고 공동대표단으로만 구성하였다.

④ 운영위원회

운영위원회는 총회를 통해 선출되는 선출직 운영위원과 규약상의 각 위원회

및 활동기구의 대표, 사무처장, 사무처 국/실장 등이 맡는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구성된다. 월 1회 이상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단체의 조직 운영 및 활동내용을

의결하고 집행한다. 임기는 2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운영위원장은 대표 중 1

인이 맡는다.

⑤ 각 위원회 및 기구

각 위원회 및 기구의 대표는 위원회에서 선출되고 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으

며, 당연직 운영위원 직위를 갖는다. 2004년 현재 정책위원회, 좋은기업만들기시

민행동, 예산감시시민행동, 정보인권시민행동, 인터넷 시민학교, 공익소송센터 등

총 6개의 위원회 및 기구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⑥ 사무처

Page 4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7 -

사무처는 조직운영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기획실과 함께,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실무부서로서 정책실, 좋은기업만들기국, 예산감시국, 정보인권국, 사)인

터넷시민학교굿시티즌 사무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실에 소속된 웹기획팀

은 2004년 신설되어 인터넷 관련 전략수립과 사업실행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로,

비공식적 기획위원단을 갖고 있다.

이상 기술한 ‘시민행동’ 규약상의 조직구조를 간략히 표현하면 [그림 3]과 같

다.44)

[그림 3] ‘시민행동’ 규약상의 조직구조

회원총회

공동대표단

운영위원회

사무처위원회 및 기구

고문 감사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

예산감시시민행동

정보인권시민행동

정책위원회

사)인터넷시민학교

공익소송센터

좋은기업만들기사무국

예산감시국

정보인권국

정책실

사)인터넷시민학교 사무국

기획실

44) ‘시민행동’ 창립준비위원회 자료집 외에는 그간 문서로 작성되어 공식적으로 통용된 조직도는

없다. 이 점에 대해 사무처 상근활동가 한 명은 “도표로 위계를 표시하는 방식으로서의 조직도

는 유연한 조직체계를 표현하는 데에 적합한 방식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조

직의 구조를 그려내는 일반적인 준거는 규약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규약을 기

준으로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조직도를 사용한다.

Page 4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8 -

(2) 의사결정구조

‘시민행동’은 창립준비단계에서부터 내용적으로는 위원회 및 전문가보다는 상

근활동가를 중심에 놓고 업무체계를 편성하는 등 실무자 중심의 의사결정구조

를 추구해왔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형식적 구조를 규정하는 규약은

그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의 위원회 및 전문가 중심의 단체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구조를 갖고 있다. 그 결과 일정부분 형식이 내용을 통제함으

로써 창립 초기부터 추구해온 이른바 ‘실사구시적 의사결정구조’45)가 공고화단

계에 들어서지 못하고 과도기적 상태를 유지해온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앞서 살펴본 조직구조를 염두에 두고, 조직 내 의사결정과정에서 실

질적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간 회의구조를 중심으로 ‘시민행동’의 의사결정구조

를 살펴보기로 한다.

① 회원총회

정기회원총회는 조직의 제반 활동을 보고 받고 계획을 인준하며 임원을 선출

하는 등의 임무를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 이미 여러 차례 언급된 바와 같이

‘시민행동’의 정기회원총회는 창립총회로 열린 2000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온라

인으로 개최되었으며 과반수의 출석을 요구하는 규정상 매년 회원의 절반은 반

드시 총회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각종 보고와 계획을 살피고 임원선출을 위한

투표에 동참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무처 상근활동가의

45) “...실사구시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갖는 단체가 되고자 한다. 그간의 시민단체의 의사결정구조

는 시민운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누가 참여하는 운동이냐가 중심이었다. 우리는 이

를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 참여하는가로 기준을 바꾸고자 한다. 전자는 어쩔 수 없이 자원봉

사하는 사람이든 상근운동가든 ‘일’의 책임을 맡는 사람을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구조, 역할이

분명한 의사결정구조만이 시민단체에서의 관료적이고 편의적인 의사결정을 배제하는 열쇠이

다.” (함께하는 시민행동, 2002)

Page 5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39 -

전화작업을 통해 대부분의 회원이 단체의 활동과 관련된 견해를 직간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표 10> ‘시민행동’ 온라인 회원총회 연도별 참석자와 참석률

연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총회원 (명) 233 409 557 635

참석자 (명) 144 220 285 329

참석률 (%) 61.8 53.7 51.2 52

자료: ‘제5차 온라인 회원총회 평가서’ ‘시민행동’, 2004

한편, 회원은 총회의결권과 관련해서 일반회원, 후원회원, 자원활동회원으로

구분된다. 후원회원은 회비 혹은 후원금을 납부하되 총회의결권 등 일부 권리와

의무는 임원과 상근활동가에게 위임하는 경우이고, 자원활동회원은 회비 혹은

후원금은 납부하지 않으나 자원활동으로 일정하게 조직에 기여함으로써 회원으

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보장받는 경우이다.

<표 11> ‘시민행동’ 회원자격과 총회의결권

회원구분 자격판별요건 총회의결권

일반회원 회비 O

후원회원 후원금 X

자원활동회원 자원활동 O

자료: ‘시민행동’ 규약 및 사무처 상근활동가 탐문, 2003

이와 같이 회원자격이 세심히 고려되는 이유는 과반수로 성원되는 온라인총

회의 특성상 성원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전 회원의 자격의 판별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정기총회 뿐 아니라 일상적으로도 회원의 의사결정과정

Page 5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0 -

개입을 활성화하여 조직 내 민주성을 높이는 일인데, ‘시민행동’은 이를 위해 주

간뉴스레터 마이캔 등 주요 뉴스레터와 웹사이트를 통해 상시적인 의사소통과

의견 취합의 통로를 확보하고 그 내용을 적극 반영하고 있다.

② 운영위원회

조직 운영과 관련한 제반 사항이 의제로 상정되고 결정된다. 또한 각 위원회

및 기구에서 논의, 결정된 내용이 보고되며 경우에 따라 운영위원회가 위원회

및 기구간 조정역할을 맡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무처 상근활동가가 팀장으

로서 해당 위원회 및 기구에 안건을 제안하고 의견을 취합, 조율하는 중심적 역

할을 맡음으로써 상대적으로 위원회 및 기구의 결정권이 약하며 사업부서별 주

요 의제들이 곧바로 운영위원회에 상정되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표 12> ‘시민행동’ 연도별 운영위원회 인적구성

(단위:명)

직위 1기 (2000-2001) 2기 (2002-2003) 3기 (2004-2005)

대표 1 3 3

선출직 운영위원 8 11 11

당연직 운영위원 9 11 11

계 18 25 25

자료: ‘시민행동’ 연도별 온라인총회 사이트

대표 중 1인이 운영위원장을 맡으며 회의를 주관한다. 그밖에 대표, 선출직 운

영위원, 당연직 운영위원 간에 권한과 역할의 차이는 없다. 당연직 운영위원은

각 위원회 및 기구의 대표와 사무처장 및 실/국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구성

원 중 상근활동가 비율이 높다. 월례 운영위원회는 2000년 2월 시작되어 2004년

5월까지 계속되고 있으며 사업 및 재정보고를 포함한 회의자료와 내용은 모두

Page 5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1 -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왔다.

③ 각 위원회 및 기구

규약에 규정된 바와 달리 최종적인 결정권은 대개 운영위원회에 있으며 실무

관할은 상근활동가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위원들은 주로 해당 사안에 관한

자문역할을 맡는 편이나 각 위원회 및 기구의 특성상 편차가 있다. 한편 운영위

원회 결의로 설치되는 특별위원회는 2003년 하반기에 설치되었던 시민행동 길

찾기 특별위원회가 유일한데, 위원들은 발제와 토론 등 공동작업을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한 기본계획안을 제출하는 임무를 지녔으며 결정권은 전혀 갖지 않았

다. 각 위원회 및 기구의 기능과 편제는 다음과 같다.

정책위원회는 1999년 6월 구성된 ‘시민운동 10년의 평가와 반성’ 포럼을 모태

로 하여 2000년 창립총회와 함께 정책위원회로 출범하였다. 새로운 시민운동의

비전을 만들고 전문성을 확보하는 등 연구활동을 주로 하고, 초기에는 인터넷과

정보화 관련 사업을 병행했다. 위원회는 위원장 1인이 담당하고 사무처를 기반

으로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2004년 1월부터는 위원장 공석으로 의사결정권한이

운영위원회에 귀속되어있으며 사무처에 정책실(상근활동가 2인)을 두고 있다.46)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 1999년 6월 준비모임을 시작하였으며 ‘시민행동’ 주요

사업부문 위원회 중 가장 먼저 구성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공론화하고

이를 기업의 실천을 요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그 기조는 기업의사회적책

임법 제정운동, 연기금 사회책임투자 요구운동, 기업의 극과극 보고서, 광고를

통한 기업감시운동인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 등의 활동으로 반영되어왔다. 초기

2-3년 간은 위원 활동이 저조하고 사무처 상근활동가의 이동과 부침이 많아 매

우 불안정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으나 2002년부터 사무처 역량을 강화하여 안정

화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현재 위원 3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사무처에 좋은기업

46) 이는 2003년 시민행동 길찾기 특별위원회가 정책위원회 폐지안을 내놓았으나 운영위원

회가 당분간 과도기적 형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Page 5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2 -

만들기사무국(상근활동가 2인)을 두고 있다.

예산감시시민행동 발기인 그룹 중 전 경실련 예산감시위원회 그룹이 그 전신

으로, 1999년 10월에 준비모임을 시작하였으며 창립 초기 ‘시민행동’의 사업부문

중 가장 독보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최악의 예산낭비

사례에 대해 수여하는 밑빠진독상, 납세자운동 연구를 위한 예산포럼, 예산감시

네트워크 연대활동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며 밑빠진독상선정위원회라는 별도의

기구도 갖고 있다. 밑빠진독상선정위원회는, 밑빠진독상 수상자후보를 검토하여

운영위원회의 의견을 청취한 후 최종결정을 내리는 주체로서 비교적 높은 의사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 사무처에 예산감시국(상근활동가 3인)을 두고 있다.

정보인권 ‘시민행동’은 창립초기에는 정책위원회에 소속되어 정보정책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2001년 정보사회의제만들기 연속토론회를 통해 구체적인 과

제를 발굴하고 활동을 넓힌 끝에 2004년부터는 정책위원회에서 분리하여 독자

적인 기구로 공식 출범하였다. 크게 의사소통의 권리와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두

개의 사명을 중심으로 활동과제를 편성하고 있다. 위원장 1인이 있고 사무처에

정보인권국(상근활동가 2인)을 두고 있다.

인터넷 시민학교는 성찰적 시민만들기를 주제로 2000년부터 온라인 학습과정

개발과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활동해왔다. 특히 시민성, 시민운동과 관

련된 강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한편 인터

넷 시민학교는 유연한 네트워크 조직이라는 ‘시민행동’ 초기의 운영원칙을 실현

하기 위해 2002년 11명의 이사진으로 구성된 사단법인으로 등록함으로써 형식

적으로는 독립적 체제를 갖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사무처 활동가로는 타부서

임무와 겸직하는 사무국장 1인이 있다.

공익소송센터는 2001년 공식 출범하였으며 공익적 소송을 추진하거나 공익소

송에 필요한 법체계 등을 정착시키기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한 다른 사업

부서에서 필요로 하는 법률적 자문과 소송실무 등을 담당하기도 한다. 변호사가

Page 5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3 -

주축이 된 14인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4년 현재 사무처에 부서를 갖

고 있지는 않다.

④ 사무처

‘시민행동’의 사무처는 위원회와 함께 의제를 설정하고 의견을 취합하며 운영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집행과정을 주관한다. 공식적인 사무처 내부 회의구조로

는 일정과 기타 안건을 논의하기 위한 주1회 정기 사무처 회의와 부서별 협의

를 위한 실/국장 회의가 있으며 최종적인 의사결정권은 사무처장이 갖는다. 보

충적인 회의구조로는 사업보고와 계획을 점검하고 협의하기 위한 분기별 상근

활동가 워크샵이 있다. 회의구조 외에 상근활동가 사이의 상시적인 의사소통과

정보공유를 위해서는 비공개 메일링 리스트와 상근활동가 CUG(Closed User

Group)47)가 활용되고 있다.

⑤ 정책협의회

한편 이상의 의사결정구조상 각 주체들은 연2회 정책협의회를 통해 조직 내

외의 전반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협의한다. 특히 2002년 상반기 정책협의회는

‘시민행동’의 가치와 조직전체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평가를 내렸으며 2003

년 상반기 정책협의회에서 그 작업을 위해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결의하는

등 의 역할을 한 바 있다.

이상 주요 의사결정구조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그림 4]와 같다.

47) 폐쇄이용자그룹(Closed User Group, CUG): 권한이 부여된 회원들만 접근할 수 있는 PC통신

또는 웹상의 일종의 커뮤니티를 칭하는 용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민행동’ 상근자 CUG는

2003년 9월 웹상에 설치한 것으로, 항목별 자료 업데이트와 외사소통을 위한 일련의 게시판이

나열된 구조를 갖고 있다. CUG는 일정과 회의결과 등의 공지 뿐 아니라 활동과 관련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학습이 일어나고 개인적인 소회와 고민 등을 나눔으로써 활동가

간 인간적인 교류의 차원을 넓혀주는 장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Page 5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4 -

[그림 4] ‘시민행동’ 의사결정구조도

정책협의회

각 위원회 및 기구 사무처 상근활동가 자원활동가

운영위원회

회원총회

(3) 외부 조직

위에서 나열한 바와 같이 조직구조상에 명확한 위치를 갖고 있는 요소들 외

에 개별적으로 ‘시민행동’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활동내용에 있어서도 관련성을

갖는 조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예산감시네트워크

전국의 약 40개 단체가 예산감시운동의 활성화와 납세자소송법, 주민투표, 참

여조례제정 운동 등 공동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구축하고 있는 상시적인 네트워

크이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예산감시시민행동에서 수여하는 밑빠진독상의 수상

후보가 추천되며 수상자로 결정될 경우 후속작업 역시 네트워크 단체들과 공동

으로 추진하게 된다.

Page 5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5 -

② 번역으로세상바꾸기 (번세바)48)

인터넷 상의 번역자원활동가들의 모임으로, 2003년 5월에 다음 카페에서 시작

해서 현재 약 600여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시민행동’ 상근활동가에 의해 시

작된 카페이나 운영과 참여 모두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민행동’ 웹

사이트의 컨텐츠 뿐 아니라 다수의 시민사회단체에서 필요로 하는 문서를 번역

하는 자원활동가 모임으로 성장해 있다. ‘시민행동’은 번세바에서 이루어진 번역

자원활동에 대해 본인이 원할 경우 자원활동확인증을 발급한다.

③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해외통신원

해외통신원은 개인적인 목적으로나 직업상의 이유로나 해외에 장기 체류하게

되는 이들이 현지 소식을 특별히 시민사회 이슈를 중심으로 국내에 전달해줌으

로써 일종의 통신원 역할을 하고 있는 자원활동가들이다. 이들이 보내오는 소식

은 1차로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에 게재되며 경우에 따라 ‘시민행동’의 사업내용

으로 구체화되기도 한다.

④ 커뮤니티 에피소드

‘시민행동’ 웹사이트에 형성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시민행동’ 조직구성원 뿐 아

니라 일반 시민에게도 열려있는 공간이다. 에피소드 개설 승인 여부와 서비스

관리 등이 웹기획팀 임무로 되어 있으나 개인 혹은 그룹이 개설한 각 에피소드

는 자율적, 자발적으로 운영된다. ‘시민행동’은 단체들이 대개 직간접적으로 운영

하는 회원조직이 없는 대신 에피소드를 적극적으로 운영하면서, 이 커뮤니티가

시민사회의 다양한 가치가 공유되는 과정에서 자율적인 시민모임이 형성되어

‘시민행동’의 기존 활동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또 다른 시민운동의 맹아가

발생해 나오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8) http://cafe.daum.net/worldngo

Page 5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6 -

⑤ 정보트러스트

인터넷상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디지털 정보를 복원하고, 보전할 가치가 있는

사이버공간의 지식과 정보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모금으로 공공재화하는

운동으로, ‘시민행동’이 필요성을 제안하고 추진주체로 참여하였으며 사무국 활

동가를 파견하고 있는 연대기구이다. 현재 사단법인화를 목표로 준비위원회가

결성된 상태이다.

2) 조직관리

(1) 사무처 운영

① 규정49)

내부 규정으로는 문서관리규정, 임금규정, 상근규정 등이 있으며 체계를 갖추

어 문서화된 규정으로는 문서관리규정이 유일하고 그 외에는 실무적으로 적용

되고 있다.

먼저 문서관리규정은 총칙, 운영의 원칙, 문서의 작성, 문서의 수발 및 처리,

문서의 통제, 문서의 보존 및 폐기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리의 책임과

권한은 기획실장에게 부여되어 있다.50)

임금규정은 크게 기본급, 호봉급, 근속수당, 직책수당, 자녀수당으로 이루어져

49) 2003년 ‘시민행동’ 기획실 주요문서를 참조하였다.

50) 특이한 점은 모든 문서가 원칙적으로 전자화되어 보관된다는 것인데, 이 정책은 온라인 상에

서의 활동은 중시하는 단체의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형성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자정

보의 유실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나 문서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나 전자화된 형태 뿐 아니

라 지면에 인쇄된 형태로도 보관할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Page 5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7 -

있고, 식비보조금과 상여금은 책정되어있지 않다.

<표 13>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임금체계

항목 금액 비고

기본급 70만원 2004년 상향조정 (젼년도 55만원)

호봉 2만원 2004년부터 만 19세부터 적용

근속수당 2만원 2004년 상향조정(전년도 1만원). 무급휴가기간 제외

직책수당

처장 15만원

실/국장 10만원

팀장 5만원

2004년 하향조정 (전년도: 처장 40만원, 실/국장 30만원,

팀장 20만원, 신입활동가 10만원)

가족수당 자녀수당 3만원 2004년 신설. 맞벌이 여부와 관계없음

기타규정반상근(혹은 주3일)근무시 표준급여액의 50%지급

수습(3개월)의 경우 표준급여액의 60% 지급

상근규정으로는 주5일 근무제가 초기부터 운영되었고, 점심식사시간 포함 일

일근무시간은 8시간이다. 출산/육아휴직과 안식년이 보장되며 여름휴가와 과제

휴가51)를 합해 총 3주의 휴가가 활용되고 있다.

직책은 사무처장, 실/국장, 팀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무처장은 사무처 전반

을 관할하고 인사 및 사업부문의 결정권을 갖는다. 실/국장은 공식적으로 해당

실/국의 구성원들에 대한 관할권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로는 핵심사안에 대한 최

소한의 결정권을 발휘하며 팀장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활동주제와 내용을 갖

고 실무를 담당한다.52) 팀장은 각각 소속된 사업단위 안에서 독자적인 활동주제

를 갖고 활동하는데, 사무처 내부에서 팀과 팀원을 갖는 직책은 아니다. ‘시민행

51) 상근활동가 재교육을 위해 본인이 자원할 경우 총2주간 과제휴가를 쓸 수 있다. 이 경우 휴가

기간에 목표로 하는 과제를 미리 선정하고 이후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되어있는데 활용도가 높

지는 않은 편이다.

52) 사무처 내부에서는 구성원의 근속연수가 계속 올라가고 이들의 활동 의욕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승진이나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사무처 직

제를 운영해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더 나아가 실국장 체계마저도 배제

한 채 사무처 활동가 전원이 동등한 직위에서 임무를 적절히 분담하는 체계로 운영해가

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Page 5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8 -

동’에서 팀이라는 단위는 활동주제별로 관련된 위원, 상근활동가, 자원활동가 등

의 행위주체를 모두 포괄하는 것이며, 실무 차원에서 상근활동가가 해당 팀의

장이 되는 것이다.53) 신입활동가의 경우 약 2년의 상근활동을 통해 일정한 역량

이 인정되어 팀장 직책을 갖기 이전에는 따로 직책이 없지만54) 실무활동에 있

어서의 권한과 책임은 팀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② 교육, 훈련

상근활동가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은 공식적으로 신입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이

있고 필요에 따라 비정기적인 강연과 주제토론이 개최된다.55) 신입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은 사무처가 처음으로 상근활동가를 공개 채용한 2002년부터 시작되었

으며 단체 활동의 제반사항과 시민사회운동 일반에 대한 학습을 신입활동가들

이 요청하는 내용을 토대로 실시되고 있다.56) 그밖에 외부 기관이 실시하는 교

육 또는 해외연수 프로그램의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장된다.

③ 업무의 흐름

사무처 업무에 주로 활용되는 도구는 의사소통과 자료공유를 위해 활용되는

53) 이것은 활동가의 전문성과 행위주체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전제될 때 가능한 체계인데, ‘시민

행동’은 이미 풍부한 경험과 실무능력을 갖춘 활동가들이 초기 멤버를 구성하였고, 이메일과

웹사이트를 통해 행위주체간 의사소통을 활성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이러한 체계를 비

교적 성공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54) 시민단체의 사무처 직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사례가 없으나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신

입간사, 간사, 평간사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민행동’은 ‘간사’라

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결정된 사항을 실행하는 수동적인 행위자

로서 직책상 가장 말단에 있는 활동가를 지칭하는 것으로 통용되어 왔기 때문에, 수직적 위계

화보다는 수평적 의사결정구조를 선호하는 ‘시민행동’의 가치나 조직구조와 맞지 않는다고 판

단했기 때문이다.

55) 2003년 시민행동 길찾기 프로그램의 경우 조직의 사명과 가치를 재확립하기 위하여 사

무처 상근활동가들을 대상으로 1년간 수차례의 강연과 토론회가 연속적으로 조직되었다.

56) 2002년 신입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의 자세한 내용은 부록 6을 참조하라.

Page 6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49 -

개인 이메일과 웹사이트 운영과 자료보존을 위한 PC, 서버, 네트워크 등의 시스

템 장비와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그밖에 전화, 팩스 등이 있으며 이러한

도구들이 대략 업무의 형태를 규정하고 있다. 즉 이메일과 웹사이트, 기타 소프

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통해 주요 업무를 처리하고 동시에 기록한다. 업무시간은

상근활동가의 출퇴근 시간이 긴 점을 감안,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통

제의 정도는 비교적 약하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야근이나 휴일근무, 당

직 등은 하지 않는다. 매주 첫 근무일에는 우선 상근활동가들이 보고와 계획을

포함한 주간일정을 이메일과 CUG를 통해 직접 공지하고 그 내용을 기획실에서

취합한 후 사무처 회의에서 공동으로 협의, 조정한다.57) 다음 부가적인 조정단

계로 실/국장 회의가 있고, 결정사항은 즉각 공지된다. 상근활동가들은 업무 도

중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의견과 정보, 자료를 수시로 이메일로 배포하거

나 CUG에 공지하고 의견을 모음으로써 상호이해와 공동작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활동내용은 부서별로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들과 공유되고

필요시 운영위원회에도 메일링 리스트를 통해 수시로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사

무처의 모든 활동내용은 월례 운영위원회에 보고되고 조정, 협의, 의결과정을

거치게 된다. 피드백은 각 업무단계별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④ 인사현황

2000년 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인사현황을 중심으로 사무처 운영과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된다.

첫째, 상근활동가 평균 근속연수가 상대적으로 높고 사직, 신규채용 등으로 인

한 이동이 극히 적다는 점이다. <표 14>를 보면 활동가의 근속연수가 단체 설

립연수를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립초기인 2000년 1월의 경우 평균근속

연수는 2.8년으로, 전원이 경력이 있는 활동가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당연한

57) 활동의 기획과 진행 상황을 회원 및 일반 시민과 공유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사무처 회의내

용을 웹사이트를 통해 규칙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Page 6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0 -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 2004년 5월의 경우 평균 근속연수는 4.6년으로, 이는

지난 4년 간 기존에 경력을 갖고 있던 상근활동가 중 7명이 신입활동가로 대체

되긴 하였으나 그 속도와 규모가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나머지 8명은 여전히

상근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표 14> ‘시민행동’ 상근활동가 수와 근속연수

시기 상근자수 (명) 근속연수합계 (년) 일인당평균연수 (년)

2000년 1월 15 42 2.8

2004년 5월 15 69 4.6

자료: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둘째, 상근활동가 규모가 초기부터 현재까지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2000년 창립당시 15명으로 출발한 상근활동가는 그 해에 특별채용으로 1명이

채용된 것 외에는 모두 공개채용 형태로 2002년 3명, 2003년 2명, 2004년 2명의

신입활동가가 채용되고 기존 활동가들 중에서는 순차적으로 8명이 사직함으로

써 현재까지 계속해서 15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회원과 운영위원의 규모,

그리고 재정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지속 가능한 조직구조를 구축하

는 방향으로 사무처가 운영되어 왔음을 뜻한다.

셋째, 상근활동가가 활동을 그만둔 경우 그 이동경로가 동일직종인 타 단체인

경우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2000년 1월부터 2004년 5월 현재까지 사직자 8명의

사직이유와 이동경로를 <표 15>에서 살펴볼 수 있다. 사직의 주된 이유는 진로

변경이며 그 다음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이직이다. 진로변경을 희망했던 이

들은 직접적인 이유는 아니었을지라도 조직적 전망과 개인적 전망의 차이가 비

교적 큰 편이었다는 공통점을 지니며 상근활동가로서의 삶 자체를 거부하는 경

우는 별로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이동경로가 타 단체에서의 상근활

동인 사례는 전무하다.

Page 6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1 -

<표 15> 사직자의 사직이유와 이동경로

사직자 사직년도 사직이유 이동경로

A 2000 진로변경희망 대학원/시의원

B 2000 조직운영상 견해차이 개인사업

C 2001 경제적 어려움 학원강사

D 2001 진로변경희망 프리랜서/무직

E 2003 진로변경희망 개인사업

F 2003 진로변경희망 무직

G 2004 경제적 어려움 무직

H 2004 진로변경희망 정당

자료: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물론 이것은 ‘시민행동’에서만 나타난 특성이라고는 볼 수 없다. 지금까지 시

민사회단체간 인력의 수평이동이 전반적으로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기 때문

이다. 수치상으로 연구된 바 없으나 특정 시민사회단체 경력자가 타 단체로

이직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활동가들의 증언을 통해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단체의 승진과정이 폐쇄적이며 공식적인 체계를 갖추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의사결정구조상 상위에 속하는 직위의 경우 담당자 선

정 시 타 업종에 비해 훨씬 많은 맥락이 요구되는 편이어서, 단체들은 경력

자가 사직한 경우라도 신입활동가를 채용하는 것으로 대체하곤 한다.58) 그

러나 한편으로는 ‘시민행동’의 사직자들이 이미 경실련 활동경험을 가진 상태에

서 새롭고 대안적인 운동을 모색하면서 창립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가

들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직은 곧 활동 중지를 뜻하며 타 단체로의 이직은

58) 최근에는 규모가 큰 단체들 중심으로 상근경력이 그리 오래지 않은 이들 사이에 약간씩

이직이 발생하고 있으나 역시 수치화된 자료는 없다. 상황을 보다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서는 시민사회단체의 인적자원 관리와 단체간 수평이동 경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수

행될 필요가 있다.

Page 6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2 -

애초에 고려대상이 아니었다고 볼 수도 있다.

(2) 회원 현황59)

여기서는 연도별 회원규모의 변화 양상과 함께 2004년 현재 회원 현황을 항목

별로 분석한 그래프를 통해 ‘시민행동’ 회원현황을 파악해보기로 한다.

① 회원 규모

2004년 초 ‘시민행동’ 총 회원수는 모두 692명으로 단체의 재정자립을 위한 목

표치 1,000명에는 미달하지만 지난 4년 간 꾸준히 증가해왔고, 특히 2003년에 가

입자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그림 5] 연도별 총 회원수 추이 (단위:명)

188235

354

504

692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주: 1) 전년도 12월말 통계를 기준으로 함. (2004년의 경우 2003년 12월말 통계)

자료: ‘시민행동’ 제1차 회원총회 자료집, 2000, 기획실 회원보고서, 2003, 회원정보, 2004

59) 이 부분은 ‘시민행동’ 기획실에서 관리하고 있는 회원정보 중 2003년 12월 말까지를 분석

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Page 6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3 -

[그림 6] ‘시민행동’ 회원의 연도별 가입자 수 (단위:명)

24

140 139149

194

46

0

50

100

150

200

250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알수없음.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② 일반적 분포

회원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직업, 지역, 성, 연령을 중심으로 분

석해본다.

[그림 7] ‘시민행동’ 회원의 지역별 분포

서울61%

경기23%

강원1%

경상6%

충청1%

기타/모름5%전라

3% 서울

경기

강원

경상

전라

충청

기타/모름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Page 6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4 -

[그림 8] ‘시민행동’ 회원의 성별 분포

남성80%

여성20%

남성

여성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그림 9] ‘시민행동’ 회원의 출생연도 분포

15

70

273259

7

68

0

50

100

150

200

250

300

1940년 1950년 1960년 1970년 1980년 알수없음.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먼저 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많고 경기를 포함하면 84%로 거의 대부분

을 차지하게 된다. 회원 중 내부구성원의 지인이 많고 지역별 지부를 두지

않는 특성상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80%로 압도적으로 많으며 연령대는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30대, 40

Page 6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5 -

대가 77%를 차지하고 있다. 직업별로는 사무직 또는 관리직으로서 회사원

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자영업, 시민운동가, 교수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고 있다.

[그림 10] ‘시민행동’ 회원의 직업별 분포

58

9

38

4

57

23

3

12

258

59

24

10

9

63

21

8

3

18

3

7

5

0 50 100 150 200 250 300

기타모름

경영관리직

공무원

교사

교수

대학(원)생

무직

변호사

회사원

시민운동가

언론인

예술/체육인

의사

자영업

전문기술직

정치인

종교인

주부

프리랜서

학원강사

회계사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③ 가입경로

회원가입 경로는 주위권유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그간 임원과 활동가 등 내부

관계자들이 지인을 대상으로 가입을 권유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해왔기 때문이

다.

Page 6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6 -

[그림 11] ‘시민행동’ 회원의 가입경로별 분포

주위권유85%

웹진1%

알수없음4%

언론보도0%

프로젝트1%

인터넷9%

주위권유

인터넷

프로젝트

웹진

언론보도

알수 없음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두 번째로 많은 인터넷 회원가입은 최근 들어 증가추세에 있는데, 이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활동을 접하고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회원으로서 ‘시민행동’ 내부

구성원의 폭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④ 회원자격과 회비

크게 일반회원과 후원회원으로 나뉘는 회원자격을 기준으로 보면 ‘시민행동’에

는 일반회원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후원회원은 극히 적은 1%에 불과하다. 회비

부담액은 6,000원 - 10,000원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5,000원 이하로 나타나며

11,000원 이상 고액회원은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시민행동’ 창

립초기 고액회원이 많았고 이후 회원가입 시 적정 회비 수준을 10,000원으로 유

지해왔으며 최근 들어 인터넷을 통해 가입하는 회원이 늘어나면서 5,000원 이하

소액회원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Page 6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7 -

[그림 12] 회원자격별 구성비율

일반회원99%

알수 없음0%

후원회원1%

일반회원

후원회원

알수 없음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그림 13] ‘시민행동’ 회원의 회비부담액 분포 (명)

159

380

67

31

2

18

34

1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5,900원이하

6,000원~10,000원

11,000원~20,000원

21,000원~30,000원

31,000원~40,000원

41,000원~50,000원

51,000원 이상

미정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Page 6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8 -

[그림 14] ‘시민행동’ 회원의 회비납부방법별 구성비율

수시3%

자동이체6% 평생

5%

CMS86%

기타/모름0%

수시

자동이체

평생

CMS

기타/모름

자료: ‘시민행동’ 기획실 제공 회원정보, 2004

(3) 회원, 자원활동가 및 후원자 관리

회원, 자원활동가 및 후원자의 관리는 사무처 기획실 업무로 지정되어 있다.

문서상으로 체계를 갖춘 회원 및 자원활동가 규정은 2001년 한차례 입안되었으

나 공식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자격과 권리 및 의무는 규약에 규정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상설된 교육 프로그램은 없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인

터넷 시민학교,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등 정보자료와 강의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가 활용된다. 회원전용뉴스레터와 사안에 따라 일시적으로 개설되는 의견게시판

이 회원 의견취합을 위한 통로로 활용된다.60)

자원활동가는 특정한 사업내용을 갖고 참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경우에

60) 최근의 사례로는 2004년 3월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당시 탄핵반대범국민행동 참여와

관련한 의견을 모으기 위해 뉴스레터와 게시판이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사무처에서 작

성하고 운영위원회가 검토하여 공동대표 명의로 발표된 성명서 내용에 대해 몇차례 토론

이 진행되었으며, 견해차이를 이유로 3명의 회원이 탈퇴한 바 있다.

Page 7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59 -

따라 일정기간 사무실에서 상근하기도 한다. 예외적으로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사회봉사활동을 접수받아 운영하는 사례가 있지만 성과를 얻기 어려워 선호되

지 않고 있다.

후원자는 정기적, 부정기적으로 후원금을 기부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2001년

굿시티즌, 2002년 희망클럽 등으로 그룹화 하였다. 개인후원자라도 정부 및 기

업명의로 기부하는 경우는 후원이 거부된다.

(4) 재정구조

① 재정현황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시민행동’ 전체 재정현황을 수입부문과 지출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시민행동’ 재정현황을 살펴본다.

<표 16> ‘시민행동’ 연도별 수입

(단위:원)

수입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회비수입 30,717,200 64,322,942 138,434,700 154,980,145

후원/모금수입 125,689,599 209,901,319 46,960,861 53,473,750

사업수입 15,544,100 39,353,300 67,784,920 102,772,471

기타 58,674,503 458,616 7,149,061 7,630,604

계 230,625,402 314,036,177 260,329,542 318,856,970

자료출처: ‘시민행동’ 온라인 총회 재정보고, 2001, 2002, 2003, 2004

먼저, 수입규모는 총액이 약 2억 3천만 원 - 3억 2천만 원 수준으로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회비/후원/모금에 의한 수입비율이 60% - 80% 수준으로 큰

폭을 차지하고 있다.

Page 7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0 -

[그림 15] ‘시민행동’ 연도별 수입총액추이 (단위:원)

230,625,402

314,036,177

260,329,542

318,856,970

0

50,000,000

100,000,000

150,000,000

200,000,000

250,000,000

300,000,000

350,000,0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수입총액

자료: ‘시민행동’ 온라인 총회 재정보고, 2001, 2002, 2003, 2004

[그림 16] ‘시민행동’ 항목별 수입비율 변화추이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기타

사업수입

후원/모금

회비수입

자료: ‘시민행동’ 온라인 총회 재정보고, 2001, 2002, 2003, 2004

Page 7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1 -

다음으로 지출은 2억 6천만 원 - 3억 원 수준으로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건비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사업비와 일반관리비는 비슷한 수준

이다. 지출총액이 증가하면서 인건비 비율은 줄고 사업비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

다.

<표 17> ‘시민행동’ 연도별 지출

(단위:원)

지출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인건비 185,335,780 174,745,000 157,183,000 163,874,000

사업비 65,699,286 44,798,777 62,102,935 87,895,235

일반관리비 12,747,125 39,154,940 59,210,687 38,143,436

기타 6 66,000 0 9,540,107

계 263,782,197 258,764,717 287,897,533 299,452,778

[그림 17] ‘시민행동’ 연도별 지출총액추이 (단위:원)

263,782,197 258,764,717

287,897,533299,452,778

100,000,000

120,000,000

140,000,000

160,000,000

180,000,000

200,000,000

220,000,000

240,000,000

260,000,000

280,000,000

300,000,0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Page 7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2 -

[그림 18] ‘시민행동’ 항목별 지출비율 변화추이 (단위:원)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기타

일반관리비

사업비

인건비

자료: ‘시민행동’ 온라인 총회 재정보고, 2001, 2002, 2003, 2004

② 재정운영원칙61)

창립 초기부터 공식/비공식적으로 공유되어온 재정운영 원칙은 다음과 같이

은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이 중에는 완벽히 지켜진 것도 있지만 그

렇지 않거나 변화될 가능성을 보이는 것도 있다.

첫째, 회비부담액과 납부율이 일정한 회원 1,000명을 확보한다. 이것은 사무처

임금과 사업비 등을 고려할 때 회비 비중을 60% 수준으로 잡은 목표이다.62) 앞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003년 말 ‘시민행동’ 회원수는 692명이다.

둘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기업의 직접적 지원을 배제한다. 예산감시, 기업

감시, 정보인권운동 등 단체의 활동이 이들 기구에 대한 감시와 조정을 주로 하

고 있으므로 재정원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공유되어왔다. 이에 따라

61) 이 부분은 2003년 11월 한국비영리학회에서 사무처장이 발제한 내용을 참고로 작성되었

다. (하승창, 2003)

62) 2003년 말 기준 후원/모금을 제외한 회비 비중은 48.6%이다.

Page 7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3 -

‘시민행동’ 수입구조에서 정부 및 기업의 지원금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63)

셋째, 적정 사업규모와 적정 인원을 유지한다. 이 원칙으로 볼 때 사무처 상근

활동가의 인원은 재정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높았으므로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적정 인원을 최대 20명으로 잡고 평균 15명으로 유지

하면서 재정규모를 확대시켜온 결과 조만간 안정화단계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넷째, 재정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시민행동’은 출범당시부터 현재까지 매

월, 매년 재정상황을 웹사이트를 통해 그대로 공개해왔다. 이것은 회원이 낸 회

비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고 보장하기 위한 것인 한편

단체 및 시민운동 일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설정한 중요한 원칙이었

다. 현재까지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다.

다섯째, 전자정보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한다. ‘시민행동’은 초기부터 복사비

및 통신비 등 경상비를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전자화된 정보교류방식을 채택

하였다. 사업방식도 자체 웹사이트와 온라인토론회 등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지출 규모를 최소화하였다.

63) 다만 2003년에는 민간 재단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사업수입 중 국가인권위원회

가 포함되어 있었다. 국가인권위원회를 지원받아서는 안되는 정부조직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

서는 내부적으로 논란이 있었다.

Page 7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4 -

5. 가치

시민단체는 자신이 처한 사회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을 읽고 그로부터 도출되

는 주요 가치를 중심으로 행위주체와 조직구조를 형성하고 사회적 영향력을 얻

는 집단이다. 따라서 창립단계에서부터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는 다양한 측면에

서 제고되면서 활동내용을 규정하고, 동시에 조직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

오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여 점진적으로 변화, 발전해간다.

시민단체가 가치를 표현하는 형태는 다양한데, 창립 과정에서 생산되는 창립

선언문 혹은 발기선언문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가치와 활동원칙을 표현하고 규

약을 통해 공식적으로 반영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서구 중심의

비정부조직(NGO)과 같이 간결한 문장으로 이루어진 사명선언문(misiion

statement)을 활용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이렇게 설정된 가치는 조직이 생

산하는 각종 성명서, 논평 등의 문서와 구체적인 사업내용, 활동방식에서 반복

적으로 표출된다.

‘시민행동’은 창립준비단계에서 나온 ‘‘시민행동’의 사명: 우리가 하고자 하는

시민운동’이라는 문서와 창립준비위원회 발족선언문, 그리고 공식적으로는 규약

의 전문과 총칙을 통해 단체가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해왔다(‘시민행동’; 1999).

그런데 2003년에는 시민행동 길찾기 특별위원회 활동을 통해 창립 4주년만에

가치와 전반적인 조직구조를 일정하게 재정립하는 작업을 수행한 바 있다. 따라

서 이 장에서는 특별위원회 이전과 이후를 연도로 구분하여 ‘시민행동’이 내건

가치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것이 사업단위별 활동내용 및 유형과 의사결정구조

상의 민주주의, 투명성과 참여성 등 조직 전반에 있어서 어떻게 실현되어왔는지

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1) ‘시민행동’의 가치

Page 7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5 -

(1) 1999년 - 2003년

1999년 상반기, 초기의 ‘시민행동’ 발기인 그룹은 ‘한국 시민운동의 한 걸음 전

진을 위하여’라는 제안서를 통해 지난 10년의 시민운동사를 일별하고 시민운동

이 사회적 맥락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요구받고 있음을 설명하고 ‘납세자로서,

유권자로서, 소비자로서의 시민’이 권리와 의무를 깨닫고 행동하는 사회, 보편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적 발전 개념, 인터넷상의 시민운동을 통한 참여의 제고

등을 주요한 가치로 지적하였으며 곧이어 ‘‘시민행동’의 사명: 우리가 하고자 하

는 운동’ 문서를 통해 다음과 같은 10가지의 구체적인 사명을 표현하였다.

1. 납세자이자 유권자이며 소비자인 시민의 권리를 요구하며 의무를 실천하는 운동

2. 인터넷으로 시민운동의 영역을 확장하는 운동

3. 전국을 네트웍으로

4.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시민운동, 인터넷

5. 좀더 세밀하게, 좀더 구체적으로, 좀더 지속적으로

6. 모든 시민운동은 환경운동이다

7. 문화를 창조하는 시민운동

8. 이론적 토대가 있는 시민운동

9. 의사결정구조는 시민운동의 정신대로, 실사구시로64)

10. 정부의 직접지원배제

이 10가지 항목은 단순한 가치를 선언한 것이라기보다는 주체, 묙표, 활동방

식, 운영원칙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조화될 수 있다.

64)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를 선언하는 문서에서 의사결정구조를 구체적으로 언급할 뿐 아니라 특

별히 강조하는 형태를 띤 것은 본 논문에서 수차례 기술한 바와 같이 활동가들에게 체화 되어

있는 이전의 경험이 던져준 강렬한 문제의식이 영향을 주었음이 분명하다.

Page 7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6 -

[그림 19] ‘시민행동’의 사명 1

운영원칙

주체납세자, 소비자, 유권자로서의 시민

목표정부/기업 영역에서의 시민권리요구, 실천

시민운동 영역확장/이론적 토대 및 문화창조

자율적 합리적 운영 (네트웍, 실사구시 의사결정)생태적 감수성 (환경)

독립적 재정운영 (직접지원배제)

활동방식새로운 공간, 자발적 참여 (인터넷)

이렇게 도출된 가치들이 2000년 1월 창립총회에서 확정된 규약 전문에 반영됨

으로써 ‘시민행동’의 가치를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문서로 사용되어왔다.65)

새로운 세기, 새로운 미래는 부도덕한 권력이나 자본이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미래는

바로 보통시민들의 건강한 삶과 꿋꿋한 실천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상식이 통하는 사회,

보통 시민들이 행복한 사회, 누구나 권리를 누리고 또 그러기 위해 자신의 의무를 행하

는 사회가 바로 우리가 바라는 미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정의와 평등,

평화를 위해 시민이 실천하는 시대를 열어가고자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만듭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시민이 주체로서 - 유권자로서, 납세자로서, 소비자로서의 자

65) 그러나 전문을 살펴보면 ‘‘시민행동’의 사명’ 문서와 달리 규약의 전문에서는 생태적 감수성,

문화를 창조하는 시민운동의 정신 등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다.

Page 7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7 -

기의 권리와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 나가고자 합니다. 정부정책이나 사회문제에 대해 시

민들이 개별적 이익이나 집단적 이익을 넘어서 사회전체의 이익에 대해 발언하고 행동

하는 장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기획하고 결정하며 함께

실천하는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시민운동의 새 장을 열어 가겠습니다. 또한 사업중

심의 네트웍을 건설하여 운동단체와 참여시민의 역량을 모아 함께 사업하고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보민주화와 정보의 정의를 실현하는 일에도 앞장서고자 합니다. 물론 정

보화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의 잘못된 정책과 예산낭비에 대해서도 보다 세심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시민과 보다 친숙한 시민운동을 만들기 위해 시민문화를 만들

어가겠습니다. 접근하기 어렵고 참여하기 어려운 시민운동이 아닌, 누구나 참여하고 생

활 속의 운동으로 자리잡기 위한 시민문화를 만들어나가는데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우리는 "시민과 함께 세상을 바꾼다"는 말이 결코 이상적인 꿈만은 아니라고 생각합

니다. 시민의 힘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난 10년의 활동 속에서 깨달았기 때문에 우리는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꿈을 현실로 바꾸기 위한 우리의 여정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상과 같이 1999년 - 2003년 사이에 ‘새로운 운동’으로서 ‘시민행동’이 추구한

가치가 조직의 구조와 문화, 운영방식 등에 적용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주요 특

성을 도식화한 것으로 [그림 20]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림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시민행동’이 본 기존 시민운동의 한계는

추상적 시민을 기반으로 정책대안 생산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중형 조직형태

를 통해 포괄적 범주의 사업을 다루는 것이다. 그에 반해 ‘시민행동’이 추구한

이른바 ‘새로운 시민운동’은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로서의 성찰적 시민이 인터넷

을 활용한 네트워크 조직으로 연결되어 구체적인 과제를 실현하는 것이다. 즉

가치를 실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시민운동이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

다면, ‘시민행동’은 전문성과 역동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운동을 전개하겠다는 것

이다.

Page 7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8 -

[그림 20] ‘시민행동’의 새로운 운동모형

‘성찰적’ 시민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

‘성찰적’ 시민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

정책대안 생산 중심정책대안 생산 중심

추상적 시민추상적 시민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경제정의, 통일, 사회복지 등)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경제정의, 통일, 사회복지 등)

Off-line 집회, 시위Off-line 집회, 시위

중앙집중형 조직중앙집중형 조직

위임 다수의 회원 총회위임 다수의 회원 총회

구체적 과제 실현

(예산낭비감시,개인정보보호 등)

구체적 과제 실현

(예산낭비감시,개인정보보호 등)

시민의 행동 조직시민의 행동 조직

인터넷 활용 On-line 시위 등인터넷 활용 On-line 시위 등

Network 조직Network 조직

On-line 회원총회

운영의 민주주의 확대

On-line 회원총회

운영의 민주주의 확대

개념

주제

방식

방법

조직

운영

기존 시민운동기존 시민운동 시민행동시민행동

‘성찰적’ 시민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

‘성찰적’ 시민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

정책대안 생산 중심정책대안 생산 중심

추상적 시민추상적 시민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경제정의, 통일, 사회복지 등)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경제정의, 통일, 사회복지 등)

Off-line 집회, 시위Off-line 집회, 시위

중앙집중형 조직중앙집중형 조직

위임 다수의 회원 총회위임 다수의 회원 총회

구체적 과제 실현

(예산낭비감시,개인정보보호 등)

구체적 과제 실현

(예산낭비감시,개인정보보호 등)

시민의 행동 조직시민의 행동 조직

인터넷 활용 On-line 시위 등인터넷 활용 On-line 시위 등

Network 조직Network 조직

On-line 회원총회

운영의 민주주의 확대

On-line 회원총회

운영의 민주주의 확대

개념

주제

방식

방법

조직

운영

기존 시민운동기존 시민운동 시민행동시민행동

자료: ‘시민행동’ 두꺼비 프로젝트 사업계획서, 2001:6

(2) 2004년

‘시민행동’은 2003년 진행한 시민행동 길찾기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토대로 제5

차 정기총회를 통해 규약을 개정함으로써 가치에 일정한 변화를 가져왔다.

먼저 전문은 특정 문단이 삭제되고 대신 다른 한 문단이 추가되었는데, 삭제

된 것은 기존에 가치를 표현한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주체와 목표가 기술되

어 있던 다음 문단이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시민이 주체로서 - 유권자로서, 납세자로서, 소비자로서의 자

기의 권리와 사회적 정의를 실현해 나가고자 합니다. 정부정책이나 사회문제에 대해 시

민들이 개별적 이익이나 집단적 이익을 넘어서 사회전체의 이익에 대해 발언하고 행동

Page 8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69 -

하는 장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그리고 추가된 것은 다음 문단으로, 보다 구체적인 가치로서 기존에 명확

히 표현되지 않았던 평등, 안전, 생태적 지속가능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시민행동’은 인종과 성, 국적, 연령, 직업,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지 아니하며, 빈곤과

위험으로부터 자유롭고,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디딤돌을 놓아

갈 것입니다.

한편 삭제된 내용 중 주체를 표현한 부분으로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로서의

시민’은 전문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목적을 기술한 본문의 제2조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다.

제2조【목적】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모색하고 실천하는 시민들의 네트워크를 형

성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한다.66)

이처럼 변화된 가치를 담아낼 활동내용은 제3조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되

었다.

제3조【사업】 ‘시민행동’은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

행한다.

1. 사회전반의 제도와 체계를 감시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와 시민참여사업

2. 새로운 가치를 지향하는 운동과제와 방식을 개척하는 사업

3. 자발적인 시민들의 운동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하는 사업

4. 기타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67)

66) 개정전: 제2조【목적】 납세자, 소비자, 유권자로서 시민의 의무와 권리를 능동적으로 실천해

나감으로써 사회정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67) 개정전: 제3조【사업】 ‘시민행동’은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

Page 8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0 -

이상 개정 이후의 현행규약을 중심으로 전문과 총칙이 표방하고 있는 ‘시민행

동’의 가치는 앞서 기존의 사명을 구조화한 것과 같은 항목으로 분석할 때 아래

와 같이 구조화된다.

[그림 21] ‘시민행동’의 사명 2

주체

활동방식

운영원칙

목표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모색하고 실천하는 시민

새로운 공간, 자발적 참여 (인터넷)

자율적, 독립적 운영 (네트웍, 실사구시 의사결정)생태적 감수성 (환경)

독립적 재정운영 (정부지원배제)

평등 , 안전, 지속가능성이보장되고개인과 공동체가 조화로운 사회

생태적

활동방식과 운영원칙에 있어서는 거의 변화가 없지만 기본 가치를 담고 있는

목표와 주체 부분에서 기존의 ‘권리’중심의 가치로부터 ‘조화’로 강조점이 옮겨져

있다. 이로부터 ‘시민행동’은 변화된 사회적 맥락에 따라 더 이상 1차적 권리추

구에 머무르지 않고 개인의 차원과 공동체의 차원 등 양 측면에서 동시에 만족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가는 것을 조직의 주요 사명으로 삼게 되었음을 알

한다.

1.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및 방법에 대한 연구와 교육 및 여론 형성을 위한 사업

2.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의 권리 수호를 위한 시민들의 감시와 참여 사업

3. 기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반 사업

Page 8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1 -

수 있다.

2) 가치의 실현

2004년 ‘시민행동’이 일정부분 새로운 가치를 설정하였으나 변화가 막 시작된

단계일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기존 가치와 상반된다기보다는 보다 체계화되고

범위가 확장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활동을 통한 가치의 실현정

도를 파악하는 데에 기존 가치가 적용되어온 시기를 다루는 것이 합리적일 것

이다.

[그림 22] ‘시민행동’의 독창성

전문적예산감시운동

선도적개인정보보호

운동 부각

세계의 시민단체벤치마킹

성찰적인터넷시민교육

정보사회의제만들기

수평적네트워크조직운영

열성적인젊은 운영진

창의적인 사무처

시민과의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시민운동창의성유연성

[그림 22]는 ‘시민행동’이 2001년 작성한 특정문서68)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68) ‘시민행동’ 두꺼비 프로젝트 사업계획서, 2001

Page 8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2 -

‘시민행동’ 조직구조 속에서 가치가 실현되는 경로와 형태를 포괄적으로 담아내

고 있다. 그림과 같이 조직 내부에서 가치가 실제로 발현되는 경로는 여러 측면

을 들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크게 ‘시민행동’의 주요 활동유형과 사무처 상근활

동가의 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활동유형과 가치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시민행동’의 연혁을 토대로 활동유형을 분석하면 <표

18>과 같다.

<표 18> ‘시민행동’ 연도별 활동유형

(단위:건)

연도 토론회/워크샵 성명/논평 보고서/출판 캠페인/소송 외부연대 계

1999 4 4 1 1 2 12

2000 15 22 12 5 10 64

2001 17 12 16 7 4 46

2002 18 17 20 10 4 70

2003 26 54 22 22 16 140

자료: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회의록 1999년 - 2003년, 재구성

2002년까지는 토론회/워크샵, 성명/논평, 보고서/출판 등 연구와 의견제시 활

동이 주를 이루고 캠페인/소송과 같은 직접적인 행동은 상대적으로 덜하다. 그

러나 2003년에는 성명/논평이 압도적으로 증가하고 나머지 활동은 비슷한 비율

로 진행되었는데 전체적인 활동의 양은 증가하였다.

이것을 다시 사업부서별 활동내용으로 분류하면 <표 19>와 같다. ‘시민행동’

은 그동안 감시활동과 정책개입, 법제도개선활동을 주로 해 왔으며 교육과 정보

전달활동이 중간수준, 직접행동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이루어져왔다.

Page 8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3 -

<표 19> ‘시민행동’ 사업부서별 활동내용

정책 기획 좋은기업 예산감시 정보인권 공익소송 시민학교

감시 △ ○ ○ ○ △

정책개입 ○ ○ ○ ○ ○

법제도개선 ○ ○ ○ ○ ○

교육 ○ △ ○ △ △ ○

정보전달 ○ △ △ △ ○

직접행동 △ △ △ ○

주: ○ = 관련성 높음, △ = 중간.

이같은 결과로 볼 때, ‘시민행동’이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통해 자발적

행동과 실천을 강조하고자 한 조직적 가치를 그간의 활동을 통해 구체적인 성

과로 이끌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상근활동가 개인평가69)

<표 20>은 ‘시민행동’ 사무처 상근활동가가 느끼는 자신의 활동과 가치의 일

치정도를 보여준다.

활동가들은 단체가 추구하는 가치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활동 사이의 일치

도를 대개 중간 수준으로 보고 있으나, 개인적 전망과 활동주제의 일치도는 높

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활동가들이 단체의 가치에 동의하고 자신의

활동주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으나 그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으며 활동가 자신의 실행능력에 있어서 부족함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69) 이 자료는 2003년 9월, 시민행동 길찾기와 특별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사무처 상근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보고서를 이를 연구자가 독해한 후 항목별로 개량하여 생성한 것이다.

개인보고서는 활동가 개인별 활동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작성되었으며 평가대상자 13명 중 11

명이 제출하였다.

Page 8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4 -

결과로 보인다.

<표 20> ‘시민행동’ 상근활동가가 평가한 가치와 활동주제의 일치정도

(단위:명)

수준 단체가치와 활동주제의 일치도 개인적 전망과 활동주제의 일치도

높음 3 8

중간 6 0

낮음 2 3

자료: ‘시민행동’ 상근활동가 CUG, 2004 에서 재구성

다음으로, 활동가들이 꼽은 실행능력의 한계는 <표 21>과 같다.

<표 21> ‘시민행동’ 상근활동가가 평가한 실행능력상의 한계

(단위:명)

전문성 의사소통 역동성 실효성 분석력

4 2 2 2 1

자료: ‘시민행동’ 상근활동가 CUG, 2004 에서 재구성

전문성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의사소통, 역동성, 실효성, 분석력의 부족이 비

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활동가에게 많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는 조직

내 의사결정구조의 특징상 개인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수준이 높다는 점, 그리

고 새로운 시민운동을 추구한다는 조직의 기본 전제에 의해 주요 활동주제의

대중화 혹은 제도화 수준이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3) 운영방식과 가치

여기서는 ‘시민행동’이 스스로 내건 가치뿐만 아니라 투명성, 책임성, 내부 민

Page 8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5 -

주주의 등 시민단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 가치를 중심으로 그 실현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① 투명성

‘시민행동’은 창립준비단계에서부터 운영위원회 회의록 등 주요 의사결정과정

과 결과를 뉴스레터를 통해 회원에게 공지하고 있다. 또한 회의록 자체를 웹사

이트에 게시함으로써 일반 시민들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다.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보고되는 월별 재정상황도 빠짐없이 공개하고, 주기적으로

재정현황분석 자료를 웹사이트에 게시하여 그 내용에 대한 질문이나 문제제기

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필요한 경우 보완한다. 의사결정사항에 대한 회원의

문제제기에 대하여는 운영위원회 및 사무처의 즉각적인 답변과 필요시 관련자

료를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회원이 요구할 경우 운영위원회 참석도 보

장된다. 2004년 3월부터는 매주 열리는 사무처 상근활동가 회의 내용도 간략한

설명과 함께 웹사이트에 공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민행동’은 모든 활동의 과

정과 결과를 회원 및 일반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

다.

② 책임성

사업부문별로 발표되는 보고서, 성명, 논평 등은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부문의 전문가에 의해 분석되며 필요시 후속작업이 병행된

다.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기 위한 근거로 주

요 사회 지표를 활용하여 정밀한 보고서를 작성, 해당 기업에 직접 전달하고 회

신되는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캠페인을 벌인다. 예산감시시민행동의 밑빠진독상

은 에산낭비사례 분석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발표하는 보고서를 근거로 사

용하며 분석은 행정학, 경제학 부문의 학자와 회계사에 의해 실시된다. 밑빠진

Page 8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6 -

독상 발표 후에는 감사원 감사청구, 소송, 입법청원 등의 후속활동을 벌인다. 한

편 일방적인 감시를 넘어 예산의 낭비를 사전에 방지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 지방의회 의원과 관련 시민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예산학교를 열어 교

육을 실시하는 한편, 법제도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활동도 병행한

다. 정보인권시민행동은 사안별 제보게시판을 통해 피해사례에 대한 자문과 법

률적 지원활동을 벌이며 그러한 사례를 토대로 관련 부문의 정책결정과정에 의

견서, 논평, 성명, 소송 등의 형태로 개입한다.

③ 내부 민주주의

‘시민행동’은 2001년 제2회 정기회원총회부터 모든 총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하

여 회원 과반수의 출석을 성원으로 하여 회의를 성사시켜왔다. 따라서 직접민주

주의 원리는 상당부분 실현되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총회에 대

한 내부평가서70)를 보면 단순한 웹사이트 접속과 투표만으로 회원의 능동적인

참여를 보장하고 실현시켰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형식적으로 ‘시민행

동’의 공동대표, 선출직 운영위원, 사무처장 등의 선출은 회원총회의 권한인데

반해 그간 이와 같은 주요 임원의 선출은 운영위원회가 추천한 단일 후보를 총

회가 그대로 인준하는 식으로 이루어져옴으로써 회원의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실질적인 행사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70) 제5차 정기총회를 치른 후 작성된 내부평가서를 보면, 첫째 회원의 규모가 커질수록 적극적인

참여자의 비율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점, 둘째 안건에 대한 직접적인 반론

이나 의사개진, 토론 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형식적 접근성이 높은 대신 내용

적 접근성 낮은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시민행동’, 2004)

Page 8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7 -

6. 영향력

이 부분에서는 ‘시민행동’이 스스로 설정한 가치에 따른 일련의 활동이 지니는

영향력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실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성과를 올

렸는지, 또한 관련 부문의 정책에 있어서 어떠한 구체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었는

지, 전문성과 효율성은 어느 정도로 인정받고 있는지를 주요 사업성과, 해당 부

문에서의 인지도와 영향력, 언론보도현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성과

‘시민행동’이 1999년부터 2003년까지 거둔 주요 성과를 사업별로 정리하면 <

표 22>와 같다.

양적으로 가장 많은 성과를 거두고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사업인 밑빠진독상

의 경우, 총 1조 4400억 원의 예산낭비를 사전에 막은 성과를 올렸으며 상당수

의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그 사례가 실림으로써 사회적 공신력을 확보했다. 한편

감시를 넘어 참여예산제를 확립하기 위한 활동을 통해 납세자소송법 도입을 촉

구하여 주요한 사회적 의제로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운동을 통해서는 내부거래를 통해 부정직성을 드러낸 기

업에 대해 전액을 구호단체에 기부함으로써 사회에 환원하게 하는 성과를 거둔

것이 초기의 대표적인 성과였다. 또한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을 통해 기업들 사

이에 만연하는 연령제한과 장애인의무고용율 불이행 등의 행태를 고발하여 시

정하게 만드는 성과를 거두어왔다.

프라이버시보호캠페인을 통해서는 인터넷 포탈사이트 등에서의 개인정보보호

현황에 대해 이의를 제기, 시정조치를 끌어내었으며 시민이 만드는 전자정부 사

업을 통해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의 홈페이지를 감시하여 접근성 차별 등

Page 8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8 -

을 지적, 시정조치를 끌어내기도 하였다. 정보인권의 두 활동 모두 해당 부문의

주요 가이드라인을 최초로 제안하고 일정부분 반영시키는 성과를 거두어왔다.

<표 22> ‘시민행동’의 주요 사업성과

부문 사업 성과

좋은기업기업의 사회적

책임

안티닉스 연대활동으로 3억원 사회환원조치

금융감독위원회 분식회계 감사 현황 분석 - 처벌 강화

주식시장 공시제도 미비점 지적 - 제도 강화

과장광고로 사회문제를 부추긴 삼성생명 배너광고 항의 - 삭제

KTF사의 신입사원공개채용 응시 연령 제한 항의 - 시정

장애인고용관련 SK사 항의 - 고용율 상향조정과 내부교육실시

예산감시

밑빠진독상

총 28회 시상 후 사업중단으로 1조 4400억 낭비방지효과

중고교 교과서 7곳에 시민운동 사례로 수록됨

- 14회 국회전자투표장치 이후 사용율 높아짐

- 15회 한국과학재단 전문경력인사지원제도 현실화 (요령개선)

- 18회 산업기술재단 지원금 요령개선

- 19회 미스코리아 대회 지원 행자부, 국무조정실 등 대부분 중단

- 20회 원격제어에어컨지원사업 무작위적 운영을 벗어나 법제화

참여예산

참여예산조례 - 울산 동구, 광주 북구

납세자소송법 입법청원 - 2002년 대선공약, 2004년 정부 주도의 주

민소송제 도입추진중

정보인권

프라이버시

인터넷 기업의 약관 및 개인정보보호정책 변경 (유니텔, 인티즌)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설정

인권위 진정으로 NEIS의 개인정보 침해 항목 상당부분 수정

전자정부공공기관 홈페이지 모니터링으로 소프트웨어 차별 축소 성과

공공기관 홈페이지 가이드라인 설정

2) 해당 부문에서의 인지도와 영향력

‘시민행동’이 활동하는 부문에서의 인지도와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1999년부

터 2003년 사이 내부구성원들의 각종 정부조직 및 민간조직 주요 의사결정기구

에의 참여현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Page 9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79 -

<표 23> ‘시민행동’ 외부 의사결정기구 참여현황

정부조직 민간조직

감사원 부정방지대책위원회 위원

국민연금기금운용 기획단장

우정사업평가위원회 위원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체평가위원

(공정거래위원회 주관)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세정혁신위원회

정보통신부 혁신위원회

정부 혁신 위원회 공기업 평가위원

행정자치부 정부 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행정자치부 재정분권 T/F팀 위원

행정자치부 주민투표법 자문위원

안산세무서 과세전 적부심사위원

안산 21세기위원회 재정세제분과 전문위원

미지센터 기획위원

안산경실련 집행위원

민우회 생강모임 자문위원

예산감시네트워크 간사단체

온라인소비자단체협의회 회장, 위원

프라이버시보호마크제정을위한연구위원

프라이버시보호네트워크 간사단체

개인정보보호백서 편찬위원

정보트러스트운동 간사단체

리우+10 한국민간위원회

GRI 아시아지역 라운드테이블

시민의신문 편집기획위원회 위원

시민방송 RTV 이사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및 운영위원

주) 내부구성원 개인의 영향력에 기인한 것이라도 ‘시민행동’의 활동과 관련있을 경우 포함하였다.

자료: ‘시민행동’ 운영위원회 회의록. 2000년 - 2004년,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정부조직에서는 ‘시민행동’이 공신력을 크게 인정받고 있는 활동에 해당하는

예산 및 재정 부문에서 주요 논의대상자로 선임되어왔다. 특별히 예산감시시민

행동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및 지방의회 의원, 그리고 지역 시민단체 활동가

등을 대상으로 예산편성과정 및 감시운동에 대한 일련의 교육을 실시하는 등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위원회의 위원으로 선임된 각종 사안들에 대해

서는 대개의 경우 정부가 변화의 의지를 갖고 의사결정과정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시민행동’의 의견을 청취하였다기보다는 단발적, 형식적 위원회를 꾸려 시

민단체의 의견을 듣는 수준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아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웠다. 반면 민간조직에서는 ‘시민행동’이 비교적 맹아단계의 의제이지만 해

당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을 펼쳐온 정보인권 관련 부문에서 외부조직 참여

율이 높고 그 외의 부문에서도 여러 시민단체들과 함께 연대조직을 출범시키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맡는 등 해당 부문의 리더십을 일정하게 인

Page 9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0 -

정받고 있다.

3) 언론보도현황

시민단체의 활동에 대한 언론의 관심은 1990년대에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총선시민연대 활동 당시 정점을 이루었으며 이후로 약간 하락하였을 뿐 평균

주요일간지의 연 보도회수는 2,000건 수준에서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언론

의 관심과 지면의 노출빈도가 높은 한국의 시민단체로서 ‘시민행동’이 그간 주

요 언론에 노출되어온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그 영향력을 파악해본다.

<표 24> ‘시민행동’ 언론보도현황

(단위:건)

연도 종합일간지 시사잡지 TV 방송

1999 73 5 0

2000 200 22 0

2001 198 26 4

2002 201 20 2

2003 210 14 5

계 882 87 11

자료: 한국언론재단 뉴스검색사이트 카인즈, 1999년 - 2003년, 중앙일보 사이트, 1999년 - 2003년

종합일간지는 2000년부터 꾸준히 연평균 약 200건, 시사잡지의 경우 약 20건 수

준을 유지하고 있다. 기간 내 총합을 볼 때 카인즈에 포함되지 않은 중앙일보를

제외하면 종합일간지는 762건인데, 같은 기간 주요 시민단체 중 참여연대(10,398

건), 환경연합(8,692건), 경실련(7941건)과 비교할 때 극히 낮은 수준이지만 같은

시기 창립한 문화연대(789건), 환경정의(711건)와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나

타난다.

Page 9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1 -

7. 선택지점

조직은 운영되는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몇 가지 선택의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보통 사회적 배경과 맥락의 변화, 그리고 내부 운영상의 특성 등이 그러한 선택

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여기서는 ‘시민행동’이 단체운영에 있어서 직면한 주

요 선택지점의 종류와 결과, 이유 등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1) 2000년 - 2003년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시민행동’이 직면한 주요 선택지점은 사업영역과 방

식, 재정운영, 인적자원 별로 <표 25>와 같이 정리된다.

<표 25> ‘시민행동’의 주요 선택지점

연도 사업영역과 방식 재정운영 인적자원

20002000 총선시기 유권자운동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행동’ 분리

2001 밑빠진독을막는두꺼비 캠페인 사무실 건물구입

2002 인터넷시민학교 사단법인화 급여정상화 신입활동가 공개채용

2003이라크파병반대캠페인

조직 가치와 구조 개편국가인권위원회 공모사업

정책위원장,

상임대표 폐지

자료: ‘시민행동’ 주요 연표, 2004. 상근활동가 탐문, 2004년 5월

(1) 사업영역과 방식

① 유권자운동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맞아 ‘시민행동’은 유권자운동의 일환으로

Page 9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2 -

독자적인 총선관련 사이트를 열고 의원활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 활동

을 벌였다. 그러나 동시에 회원으로 있던 총선시민연대의 활동이 가속화되면서

이 운동은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행

동’은 2002년 대통령선거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 시기에도 독자적인

유권자운동을 지속적으로 모색하였다. 이는 조직의 사명에 명시된 ‘납세자, 유권

자, 소비자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그러나 4년이 지나

도록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결국 잠정 중단된 상태

로 머물러 있다.

② 네트워크 모델

비교적 초기에 있었던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행동’의 분리는 조직이 집중할

사업영역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비교적 거리가 먼 부문이 탈락되는 과정이었다.

반면 2002년 인터넷시민학교 사단법인화는 창립 후 일정 시기가 지난 시점부터

비교적 기반이 마련된 사업을 독립시켜 부문별 성장이 용이하도록 만든다는 이

른바 네트워크 모델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첫 시도였다. 그러나 2년이 지난 2003

년 말 ‘시민행동’이 조직개편과정에서 기존의 네트워크 모델의 실효성을 제고하

면서 시민학교는 다시금 내부조직으로 그 위상을 변화시키게 된다.

③ 대중적 캠페인

2001년 밑빠진독을막는두꺼비 캠페인은 ‘시민행동’이 최초로 시도한 대중 캠페

인으로, 조직 내부에서도 특정 활동을 지지하는 회원 그룹을 확보하고 활동의

주요 기반으로 삼으려 하는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막상 추진한 뒤

성과가 거의 드러나지 않고 내부 동력이 강화되지 못하여 결국 6개월만에 폐기

되었으며 이후 사업과 관련한 그와 같은 대중적 캠페인은 다시 시도되지 않았

다.71)

Page 9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3 -

(2) 재정

① 사무실 건물 구입

2001년 11월, ‘시민행동’은 창립 초기부터 함께 이동해 온 환경정의와 공동으

로 현재의 사무실 건물을 구입하였다. 두 단체가 지분을 나누고 부족한 부분은

대출과 모금으로 충당하여 구입한 이 건물은 당시 경매에서 낙찰된 것으로 비

교적 저렴한 수준이었다. 주요 시민사회단체들이 정부기관 및 언론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로구 지역 내에서 임대 형태로 사무실을 갖는 것과 달리

좀 더 외곽에 위치한다는 단점이 있었지만72), ‘시민행동’은 그동안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사무실 임대료를 대폭 절감하고 임대료 인상 등으로 인한 이

전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부채를 안고서도 건물을 구입하는 결정을 내

리게 되었다.73)

② 급여정상화

2002년 ‘시민행동’은 초기에 상당히 불안정하게 지급되던 상근활동가 급여를

단계적으로 정상화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것은 회원수가 완만하게 성장하고 납

부금액도 높아짐에 따라 일정부분 재정의 규모가 커진 상황과 상근활동가의 기

본권을 보장할 수 있는 조직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의지가 더해진 결정이었다.

2002년과 2003년, 급여정상화 이후 임금지급은 정확한 날짜를 지키지 못하는 경

71) 한편 2003년 활발히 진행된 이라크파병반대 캠페인은 ‘시민행동’이 사업부서와 직접적인 관련

이 없는 현안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대중적인 캠페인을 실시한 사업으로서 사

안의 중요성이나 성과 면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된다.

72) 구체적으로는 서울시 종로구 안국동 일대와 연지동 기독교연합회관 등으로 ‘시민행동’도

이전에 두차례 사무실 이전을 하면서 거쳐간 곳들이었다.

73) 비슷한 시기에 녹색연합, 녹색미래 등 몇몇 단체가 연이어 같은 지역으로 사무실을 이전하면

서 언론에 의해 ‘시민단체 성북동 시대’의 한 사례로 보도되기도 했다. (‘시민단체들 새 보금자

리 성북구 일대로 대이동중’ 국민일보 2002년 1월 9일자)

Page 9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4 -

우는 있지만 대체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상화 이후에도 급여

액 자체는 최저생계비 기준에도 못 미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③ 국가인권위원회 공모사업

2003년 ‘시민행동’은 국가인권위원회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두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 및 기업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는다는 단체의

원칙과 관련하여 논쟁이 발생하였는데, 국가인권위원회가 비록 독립적인 기구이

긴 하지만 엄밀히 말해 정부기관이기 때문이었다. 결국 공모사업을 시행하는 것

으로 결론지어졌으나 이로 인해 정부 및 기업 지원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3) 인적자원

① 사무처 신입활동가 공개채용

2002년, ‘시민행동’은 최초로 신입활동가 공개채용을 실시하였다. 기존 시민단

체 상근 경력이 있는 활동가들로 꾸려져 2년 넘게 유지되어온 사무처에서 새로

운 활동가를 공개채용의 형태로 모집한다는 것은 상당한 부담을 안겨주는 일이

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변화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선택이기도 했다.

2001년 7월부터 인턴과정을 거친 2명과 2002년 1월 특별 채용된 1명 등 총 3명

의 신입활동가가 2002년부터 정식 채용된 후 조직 내에서 일정한 임무를 맡고

역할을 해 나감에 따라 이후 매년 신입활동가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② 상임대표, 정책위원장 폐지

창립당시부터 동일한 임무를 맡아왔던 상임대표와 정책위원장이 2004년 직책

을 반납함에 따라 상임대표는 폐지되고 공동대표로 전환하였으며 정책위원장은

Page 9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5 -

공석이 되었다. 조직이 점차 활동영역과 내용을 발전시켜나가는 반면 임원의 인

적구성은 계속 정체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임대표와 정책위원장의 변화는 임무

를 맡았던 본인들의 강력한 의지로 인해 이루어진 결정이었다.

2) 2004년

이번에는 2004년 현재, ‘시민행동’이 직면하고 있는 주요 선택지점을 살펴봄으

로써 조직의 향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사업영역과 방식,

재정운영, 인적자원의 세 항목으로 정리한다.

(1) 사업영역과 방식

‘시민행동’이 그간 벌여온 주요 사업영역은 기업감시, 예산감시, 정보인권운동

을 들 수 있다. 애초에 ‘납세자, 유권자, 소비자로서의 시민’을 주체로 내세우면

서 납세자로서 예산감시, 소비자로서 기업감시, 유권자로서 선출직 공무원 감시

등이 주요 활동부문으로 선정되었으나 이 중 유권자운동은 몇 차례 벌인 사업

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사무처 역량이 투입되지도 못하여 탈락된 상태이다. 한편

정보인권운동은 초기에 주로 운동의 수단으로 간주되던 인터넷이 운동의 공간

이자 대상이 된 경우로 비교적 새로운 의제를 담고 있는 운동이다. 이러한 사업

영역은 장기적으로는 변화된 가치에 따라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추구하는

운동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으나 그 방향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제 막 시작된 단

계이다.

활동방식에 있어서는 보고서 및 의견서, 논평, 성명, 워크샵 및 토론회 등 주

로 정책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제도개선을 꾀하는 정책개입형 활동이

Page 9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6 -

대부분이며, ‘시민행동’이 새로운 운동방식으로 제안한 온라인에서의 직접행동이

촉발되고 진행된 사례는 비교적 드물다.74)

(2) 재정

사무처 상근활동가 급여의 안정적 지급과 급여액 현실화가 이루어지지 못하

고 있는 점은 여전히 재정운영에 있어서 핵심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시민

행동’이 현재 사무처 규모를 계속 유지하는 선에서 최소한 재정자립과 안정화를

위해 요구되는 회원 규모를 1,000명으로 보고 있는데75), 회원 수의 성장추이를

볼 때 이 목표는 2005년 말 즈음에야 달성될 수 있으므로 당분간은 재정적 어

려움이 지속될 것이어서 이를 효과적으로 보완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재정에 관한 원칙에 있어서도 선택이 요구되고 있다. 우선 국가인권위원

회 공모사업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정부 지원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되지 않고,

구분 자체가 불가능한 측면이 있다. 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직접적인 지

원이 아니라 재단이나 기타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간접적인 지원의 경우 그 진

위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기업의 경우 활동과 핵심적

인 연관성이 없는 경우 사회공원 차원에서 지원하는 기금을 활용하는 것이 나

쁘지 않다는 의견도 제출되고 있다.

(3) 인적자원

74) 단발적인 활동으로 닉스도메인사건 당시 온라인시위, 아시아개발은행 항의메일보내기, 노무현

대통령에게리눅스보내기추진모임 등이 있었다. 그리고 자원활동가 모임으로서 온라인상에 형

성된 번역으로세상바꾸기 카페를 이러한 사례로 들 수 있다.

75) “2003년 1월, 회원 500명을 넘어서는 시점부터 급여는 최소한의 적정수준에 다다를 수 있게

되었으나 앞으로도 계속 상근활동가를 15명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 상근자 복지를 적절히 보장

하는 선에서는 최소한 회원 1,000명으로부터 월 1,200만원 정도의 회비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하승창, 2003)

Page 9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7 -

임원의 경우 상근활동가에 비해 전 경실련 관여자 그룹의 비중이 여전히 높

으며 직업군으로도 교수에 과다하게 편중되어 있어 조직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제고하는 데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공동대표와 사무처장의 경우 이미 3

기 째 연임을 하고 있어 조직적으로 이들을 이을 다음 세대를 준비해야 할 시

점에 와 있다.

사무처의 경우 신입활동가 채용이 꾸준히 이루어짐으로써 2004년 현재 창립시

기부터 활동한 경력 활동가의 절반이 신입활동가로 교체되어 있다. 그러나 전체

적으로 활동가들의 평균 연령이 점차 높아지고 (현재 평균 34세) 근속연수도 올

라가면서 개인적 전망과 함께 조직운영상에 있어서도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Page 9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8 -

Ⅲ. 분석결과에 대한 총평

지금까지 ‘시민행동’의 조직적 특성을 크게 주요 행위주체, 연혁, 배경/맥락/환

경/공간, 구조, 가치, 영향력, 선택지점 등의 범주로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분

석결과를 바탕으로 ‘시민행동’을 항목별로 평가한 후 연구자의 시각으로 총평을

내려보기로 한다.

1. 주요 행위주체

‘시민행동’ 초기 발기인 그룹에 참여한 이들은 모두 경실련으로 대표되는 기존

시민운동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한 채 단체를 창립하였다. 또한 이들은

이후 운영위원과 사무처 상근활동가로서 이후 운영에 있어서 주요 행위주체로

서 핵심적 역할을 맡아왔다. 상대적으로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 회원, 자원

활동가 등은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역할 비중이 적었다. 이것은 실무자 중심의 의

사결정 및 실행구조를 갖는다는 운영원칙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운영위원 및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위원 구성은 직업상으로 볼 때 초기와 달리

점차 교수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이는 조직의 전문성을 높이는 반면 다양

성, 역동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보인다. 반면 초기에는 비슷한 경험과 경력

을 지닌 상근활동가로 이루어져있던 사무처는 점진적인 신입활동가 채용과 위

계구조의 최소화를 통해 다양성을 확보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구조

Page 10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89 -

‘시민행동’의 구조는 규약상으로는 기존의 시민단체 사이에 보편화되어있는 위

계가 대부분 그대로 수용되어 있으며 각 위원회 및 기구와 사무처의 관계는 위

계적이다. 이것은 ‘시민행동’의 의사결정구조가 각 위원회 및 기구와 사무처, 그

리고 자원활동가가 수평적으로 팀을 이루고 활동을 벌여나가며 그 상위에는 운

영위원회와 회원총회만이 존재하는 비교적 간결한 형태인 것을 볼 때, 현실과는

다소 동떨어진 구조라 할 수 있다. 특히 명목상 설치되어있는 위원회가 제 구실

을 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고, 오히려 사무처와 운영위원회에 의해서만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각 행위주체간 역할의 범위가 모호해지고 있다. 규

약을 통해 공식화되는 조직의 구조는 직간접적으로 실제 의사결정구조를 규정

짓게 되므로 두 구조간 이러한 차이는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시

민행동’이 조직의 근간으로 삼은 ‘새로운 시민운동’, ‘대안적 시민운동’의 상이 의

사결정구조를 통해 일정부분 실천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실

제 의사결정구조를 중심으로 규약상의 구조 역시 빠른 시일내에 현실화할 필요

가 있다.

조직관리의 측면에서는 역사가 그다지 길지 않은 만큼 정형화된 규정보다는

협의와 조정에 의한 유연한 관리 및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편이다. 사무처

상근활동가의 직책 역시 최소한의 위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내부 의사소통

과 의사결정과정에서 민주성과 자발성을 높이는 기제가 되었다. 또한 상근활동

가의 사직 및 신입활동가 충원이 급격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져 온 것은

초기단계에서 조직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이었다.

재정구조를 보면 수지 측면에서 무리한 집행이 이루어진 경우가 별로 없다.

수입부문에서 회비 및 후원금, 기부의 비중이 전체의 60%에서 크게는 8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지출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 및 경상비와

비슷한 비중으로서 회비에 의한 재정자립이라는 단체의 원칙과 사회적 기준을

Page 10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0 -

충족시키기에 적합한 구조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상근활동가 인건비

지급이 안정화,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다 2003년부터는 후원회를 통한 모금

수입의 비중이 커짐으로써 이러한 전망을 다소 어둡게 만들고 있다. 정부 및 기

업지원과 프로젝트 의존을 배제한다는 재정운영의 원칙에 따라 재정안정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상근인력의 규모를 유지 혹은 축소하고 회원의 규모를 빠른

시일내에 일정수준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후원회뿐만 아니라 자원을 확충

할 수 있는 여타의 방안모색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회원은 2003년 말 현재 700여명 수준으로 그다지 큰 규모는 아니지만 회비납

부율이 높고 납부액도 적지 않은데, 이는 회비수입에 기반한 안정적인 수입구조

를 형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되어주고 있다. 구성원은 주로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

하는 30-40대 화이트칼라 계층의 남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정책개입형 활동을

주로 하는 시민사회단체의 일반적 회원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같은

구조는 인터넷 상의 시민운동을 통해 다양한 시민의 참여를 제한하는 물리적

조건을 완화시키겠다는 조직의 활동원칙과는 맞지 않는다. 최근 들어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인터넷 가입 회원과 커뮤니티 에피소드 이용자 등 사이트 접속

자의 폭이 점차 넓어지고 있는 점은 미약하나마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나갈 가

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3. 가치

‘시민행동’이 초기에 내세운 가치는 최근 약간의 변화를 겪은 상태다. 운동의

주체가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실천하는 시민에서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모색

하고 실천하는 시민’으로 변화되었고, 목표가 권리 및 의무 실현에서 ‘조화’를 추

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존 가치와 변

Page 10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1 -

화된 가치 모두 전반적으로 그 범주와 성격이 시민운동 전체를 포괄할 정도로

매우 추상적이며, 부분적으로는 그 내용이 방법론과 혼재되어 있어 가치에 기반

하여 실행과정을 설계하거나 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어려운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그간 시민행동이 방법론에 해당하는 부분을 거의 실행하지

못한 것을 볼 때 뚜렷이 드러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가치의 범주를 보다 구

체화하고 그 실행단계에서 합리적인 방법론을 도출시킴으로써 이상과 현실간의

괴리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일반적으로 조직이 담지할만한 운영방식상의 가치로

서 투명성, 책임성, 내부민주주의를 살펴본 결과 ‘시민행동’은 그간 활동내용

과 결과에 대한 공개, 후속활동 추진, 다양한 행위주체의 참여를 유도하는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이러한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현해온 것으로 판단

된다. 다만 내부민주주의에 있어서 형식상의 장치를 넘어서는 실질적인 참

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영향력

‘시민행동’이 그간 전략적으로 무게를 두어 활동해온 영역은 예산감시, 기업감

시, 정보인권 등이 있다. 이 세 가지 주제는 각각 해당 부문에서의 영향력과 인

지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그 차이는 간접적으로 ‘시민행동’의 역량

과 특성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법제도적 공간

과 사회적 공간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부문은 예산감시운

동이며, 법제도 이외의 사회적 공간에서 비교적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부

문은 정보인권운동이다. 그리고 두 공간 모두에서 영향력이 미진한 부분은 기업

감시운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부문별 전문성과 실행능력의 차이이기보다

Page 10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2 -

는 각 부문이 다루는 의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문별 차이를 줄이고 전반적인 ‘시민행동’의 영향

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비교적 새로운 각각의 의제들을 보다 구체

화, 대중화하여 성과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곧 운동방식에 대한 성찰의

지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시민행동’의 그간의 활동은 정책

결정과정에 개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적 운동형태가 주를 이루고 다수의

시민과 함께 직접적인 행동을 조직, 촉진하는 활동은 미미한 상태에 머물러 왔

다. 따라서 가치의 실현 뿐 아니라 영향력 제고를 위해서도 주요 의제에 대한

대중적 인식을 높이고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선택지점

시민행동이 직면한 선택지점은 크게 사업영역과 방식, 재정, 인적자원의 부문

에서 나타났다.

사업영역과 방식에 있어서는 초기에 설정한 사업영역 중 유권자운동이 탈락

하고 사업방식으로 설정한 정보화관련 활동이 정보인권운동으로 자리를 잡았다.

조직의 위계화와 비대화를 지양하기 위해 설정한 네트워크 모델은 인터넷시민

학교를 통해 실험된 바 있지만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하여 그 실효성을 제고하

게 되었다. 또한 최초로 시도된 본격적인 대중캠페인으로서의 밑빠진독을막는두

꺼비 캠페인이 시작단계에서 폐기되면서 대중적 캠페인 기획에 대해 회의를 갖

게 되었다. 창립당시부터 중요시되어온 온라인을 통한 직접행동의 활성화는 사

업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도 못함으로써 근본

적인 점검이 필요한 상태에 와 있다.

Page 10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3 -

재정에 있어서는 대다수의 시민단체들과 달리 창립 후 2년만에 사무실 건물

을 구입하고 다음해에는 급여정상화에 돌입하는 등 다소 위험부담이 있는 선택

을 하였지만 그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정부 및 기업의 재정지원을 배제

한다는 재정운영의 원칙이 국가인권위원회 공모사업의 경우 예외를 허용하게

되었고, 그 이전에 근본적으로 재정운영원칙에 대한 논란이 내부 구성원간에 제

기되고 있기도 하다. 이는 회원수와 회비비중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의 문제뿐

아니라 상근활동가 급여 및 운영비를 정상적으로 지출해야 한다는 요구와 맞물

려 있는 것으로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조직 내부만 아니라 외부적 조건까

지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인적자원의 측면에서는 다양성의 문제가 가장 핵심적이다. 상근활동가의 경우

경실련 출신 활동가가 점차 줄고 신입활동가가 채용되면서 점진적이고 조심스

러운 변화를 이루어가고 있다. 하지만 조직의 인지도가 낮고 상근활동가의 전문

성이 높은 이유로 인해 채용할 수 있는 인력의 풀이 매우 제한되어있는 문제가

있다. 운영위원의 경우는 변화의 정도가 더욱 낮은데다, 직업군으로는 교수를

중심으로 오히려 동질성이 높아지고 있다. 회원의 경우 연령, 지역, 성, 직업, 계

층별 분포가 극도로 편중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와 활

동영역, 활동방식에 맞는 역동성을 발휘하기 어려운 조건을 형성하게 되므로 향

후 조직의 인적구성을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Page 10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4 -

Ⅳ. 결론

본 연구는 한 시민단체의 조직구조와 특성을 일정한 틀에 따라 분석한 것으

로, 1989년을 기점으로 약 15년이라는 짧은 기간 안에 양적 물적으로 급격한 성

장을 이룬 한국의 시민단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수

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시민행동’)은 1999년 정

보화시대의 새롭고 대안적인 운동으로서 인터넷상의 시민운동을 실천하기 위해

창립된 단체다. 당시 시민단체들은 금융실명제, 소액주주운동, 총선시민연대 등

을 통해 폭발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확보하는 와중이었고, 국제적으로도 NGO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었다. 동시에 그 시기는 시민단체의 도덕성, 책임성

등에 있어서 내외부적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던 때이기도 했다. 새롭고 대안적

인 운동을 내세운 ‘시민행동’의 창립은 이러한 사회적 조건과 무관하지 않은 것

이었다.

2001년부터 약 3년 간 조직의 자원활동가 및 상근활동가로 관여해 온 연구자

는 참여관찰과 문헌연구를 통해 ‘시민행동’의 조직적 특성을 일정한 틀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립당시 ‘시민행동’은 기존의 시민운동이 갖는 특징이자 한계점으로 ‘추상적

시민, 포괄적 범주의 사업영역, 정책대안 생산 중심, 집회와 시위 중심, 중앙집중

형 조직, 내부민주주의 미약’ 등을 들었다. 그리고 대안으로서 ‘성찰적 시민, 구

체적 과제, 시민의 행동중심, 온라인 운동, 네트워크 조직, 내부 민주주의 확대’

를 내걸었다. 지난 5년 간의 활동을 통해 ‘시민행동’은 그 대안을 현실화하기 위

해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여왔고 일정부분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특히 밑빠진

독상의 경우 중앙집중화되지 않은 자율적 연대체인 예산감시네트워크를 기반으

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둠으로써 전문성과 대중적 호소력이 모두 높은 활동

Page 10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5 -

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보인권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새로운

사회적 의제를 발굴하고 이슈화함으로써 변화의 흐름을 놓치지 않는 미래지향

적인 활동을 벌이는 조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항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른바 ‘대안적 시민운동’이 선언

적인 수준을 벗어날 수 있을 만큼 운동의 전형으로 정착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행위주체의 동질성이 매우 높으며, 가치와 활동주제

의 구체화수준이 높지 않다. 또한 활동방식은 정책대안을 생산하는 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온라인 운동, 네트워크 조직, 내부민주주의 등에 대한 고민과

시도가 계속되고 일정부분 성과를 얻기도 했지만 여전히 실험적인 단계에 머물

러 있을 뿐, 조직 전반을 지배하는 동력으로 자리잡지는 못하였다. 회원 및 재

정구조에 있어서는 원칙이 중시되는 건강한 구조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

었으나 여전히 안정화단계에 접어들지 못하고 내부구성원의 일정한 희생을 요

구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은 자칫 내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변화를 요구하는 집단과 안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집단 간에 갈등과 대립을 불러일으키는 요소

로 작용할 수 있는데, ‘시민행동’은 조직운영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실무자를 중

심으로 한 간결한 의사결정구조를 갖는 등 운영의 묘미를 살림으로써 그 같은

위험요소를 최소화하는 데에 성공해온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자면, ‘시민행동’은 이상적으로는 전혀 새로운 운동을 추구하되 실질적

으로는 기존 시민운동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심스럽게 변화를

모색해온, 일종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이는 조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장

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조직적 전망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과도기적 상태

가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 변화하는 사회적 조건에 따라 행위주체의 다양성을

높이는 한편 조직의 가치와 활동내용, 운영방식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인적자

원확보와 재정안정화를 위해 조직 내외부적 조건을 변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Page 10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6 -

이와 같은 변화는 비단 ‘시민행동’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며, 시민사회의

성숙과 함께 한국의 시민운동이 공통적으로 안고있는 문제이자, 앞으로 함께 풀

어나가야 할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시민행동’이 직면한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해나가는 과정은 기존의 시민운동이 해결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

적 시민운동, 정보화 및 전지구화를 배경으로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시민운동의

가능성과 사회적 의미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Page 10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7 -

참고문헌

1. 외부자료

1) 국내문헌

강상욱, 2001, “우리나라 NGO의 성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

학위논문

경실련, “발기선언문” 1989 경실련 홈페이지 http://www.ccej.or.kr

김광식, 1999, 『한국 NGO 시민사회단체, 21세기의 희망인가』, 동명사

김동춘 편, 2002, 『2001 NGO리포트』, 도서출판 아르케

김선미, 2003, “정책결정과정에서 NGO 영향력의 유형론적 분석모델”, 「시민사회와

NGO」제1권 제1호,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김양은, 2003, “인터넷 시대의 네티즌 파워”, 「시민사회와 NGO」제1권 제2호, 한양대

학교 제3섹터연구소

김영래․김혁래, 1999, “한국 비정부조직(NGO)의 현황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회학

술발표회」, 한국정치학회

김용민, 2000, “시민단체의 목적전치에 관한 연구 - 시민없는 시민운동과 대안적 시민공

동체 문화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정린, 1999, 비영리조직 이사회의 특성, 권력, 역할수행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정부, 2001, “NGO의 조직화방식 변화와 정부-NGO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학교 대학

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정훈, 2002, “시민운동의 현재, 2001년 평가와 2002년 전망과 과제”, 「참여사회연구소

정책포럼 자료집」, 참여사회연구소

김호기․유팔무 편, 1995,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남재석, 2002, “한국 NGO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재정자립방안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Page 10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8 -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박상필, 1998, “시민단체의 자주성과 공익활동능력”,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

학위논문, 1998

______, 2001a, “NGO의 개념적 논의”, 『NGO가이드 - 시민․사회운동과 엔지오 활

동』, 한겨레신문사

______, 2001b, 『NGO와 현대사회』, 도서출판 아르케

______, 2001c,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한울

______, 2001d, “NGO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고찰”, 「민주사회정책포럼 토론회」민주사회

정책연구원

______, 2002,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도서출판 아르케

______, 2003, “NGO 개념의 역사와 실체”, 『NGO시대의 지식 키워드 21』, 도서출판

아르케

______, 2004, “한국 시민사회의 측정”, 「아시아 시민사회 : 비교론적 모색 - 연구결과

발표회 자료집」, 성공회대학교 아시아NGO정보센터

박영선, 2003, “참여연대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

박원순, 1999, 『NGO, 시민의 힘이 세상을 바꾼다』, 예담출판사

______, 2001, “한국시민사회 발전을 위한 고민과 대안”, 「시민운동의 과거.현재.미래

토론회 자료집」, 시민운동지원기금

______, 2002, 『한국의 시민운동-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당대

보건복지부, 1999, 「보건복지통계연보」

__________, 2001, 「보건복지통계연보」

__________, 2002, 「보건복지통계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02,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안 마련" 세미나 자

료집」,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신종철, 2000, “정보화시대 시민운동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2000 시민대회 워크샵

자료집」, 한국시민단체협의회

양기호, 2001, “NGO활성화를 위한 법률제도개선상의 유의점”, 「민주사회정책포럼 토론

Page 11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99 -

회」민주사회정책연구원

양현모, 2000, “NGO 의사결정과정 -경실련과 참여연대 사례”, 한국행정연구원

원유미, 2002, “시민단체의 재정자립화 방안 연구 - 연대회의 주요단체를 중심으로”, 경

희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재현, 2000, “글로벌시민사회에 동참하는 한국시민운동”,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유팔무 외, 1999,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도서출판 한울

이대훈, 2003, “시민불복종과 법치주의적 상상력 - 합법성의 도그마에 대하여”, 「시민

과 세계」2003년 상반기 제3호, 참여사회연구소

장상미, 2002, “회원과 자원활동가”, 『7명의 현장활동가가 쓴 NGO 실무핸드북』, 도서

출판 아르케

장상철, 2001, “전환기의 한국사회, NGO의 역할은 무엇인가?”, 「제9차 민주사회정책포

럼」,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장여경, 2001, “인터넷과 NGO”, 『NGO가이드 - 시민․사회운동과 엔지오 활동』, 한겨

레신문사

정창수, 2002, “시민단체의 예산감시운동 연구 - 밑빠진 독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대엽, 1999, 『한국의 시민운동 - 저항과 참여의 동학』, 나남출판

조효제, 2000, “참여의 예술, 변혁의 과학 : 지속 가능한 NGO 운동의 모색”, 『NGO의

시대』, 창작과비평사

______, 2001, “국제 NGO 운동의 현황과 쟁점”, 『NGO가이드 - 시민․사회운동과 엔

지오 활동』, 한겨레신문사

______, 2003, “한국 시민운동의 발전과 도약”, 「시민과 세계」2003년 상반기 제3호, 참

여사회연구소

조희연, 1999, “참여연대 5년의 성찰과 전망” 「참여연대 창립 5주년 심포지엄 자료

집」, 참여사회연구소

______, 2000, “한국 시민사회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NGO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아르케

______, 2001a, “시민운동을 보는 민중적 관점, 민중운동을 보는 시민적 관점?”, 「제6차

Page 11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0 -

민주사회정책포럼」, 민주사회정책연구원

______, 2001b, “시민․사회운동과 정치: 한국정치와 NGO의 정치개혁운동”, 「시민사회

포럼 워크샵 자료집」, 중앙일보 시민사회연구소

______, 2001c, “시민․사회운동과 NGO의 지속가능성, 전문성, 책임성을 위하여”,

『NGO가이드』, 한겨레신문사

______, 2001d, “시민사회의 정치개혁운동과 낙천낙선운동”,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2』,

한울

______, 2003, “한국NGO의 현황”,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의신문사

참여연대, “창립선언문” 1994 참여연대 홈페이지 http://www.peoplepower21.org

최미향, 2000, “정책과정에 있어서 NGO의 역할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행정

학과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1999a, 「경제활동인구연보」

______, 1999b, 「인구동태통계연보」

______, 1999c, 「사회통계조사보고서」

______, 2000a, 「경제활동인구연보」

______, 2000b, 「인구동태통계연보」

______, 2000c,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______, 2001a, 「경제활동인구연보」

______, 2001b, 「인구동태통계연보」

______, 2002a, 「경제활동인구연보」

______, 2002b, 「장래인구추계 2000~2050」

______, 2003a, 「경제활동인구연보」

______, 2003b, 「인구동태통계연보」

하승수, 2001, “시민운동과 법”, 『NGO가이드 - 시민․사회운동과 엔지오 활동』, 한겨

레신문사

______, 2003, “한국의 시민운동, 정말 '시민없는 시민운동'인가? - 자립성의 도그마에

대하여”, 「시민과 세계」2003년 상반기 제3호, 참여사회연구소

하승창, 2000a, “인터넷으로 세상바꾸기, 가능한가?”, 「인터넷으로 세상바꾸기 워크샵

Page 11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1 -

자료집」, 함께하는 시민행동

______, 2000b, “사이버 시민사회운동의 현황과 과제”, 함께하는 시민행동 홈페이지

http://www.action.or.kr

______, 2000c, “시민운동 10년이 낳은 문제”, 「제1차 동서정책포럼 ‘시민운동, 이대로

좋은가’ 자료집」,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소

______, 2001, 『하승창의 NGO이야기』, 도서출판 역사넷

한국은행, 1999, 「계간 국민계정」

________, 2000, 「계간 국민계정」

________, 2001, 「계간 국민계정」

________, 2002, 「계간 국민계정」

한국인터넷정보센터, 2003, 「2003년 상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함께하는 시민행동, 1999,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민단체』, 홍익미디어 CNC

_________________, 2000a, “시민단체 상근자의 정보마인드 조사”, 「인터넷으로 세상바

꾸기 워크샵 자료집」, 함께하는 시민행동

_________________, 2000b, “시민사회단체 홈페이지 운영원칙”, 「사회운동단체, 홈페이

지 운영원칙 워크샵 자료집」, 인권운동사랑방 외

_________________, 2001, 『또 다른 세상, 또 다른 비전』, 도서출판 역사넷

_________________, 2002, 『인터넷 한국의 10가지 쟁점』, 도서출판 역사넷

행정자치부, 2000,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현황”, 행정자치부

__________, 2001,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현황”, 행정자치부

__________, 2002,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현황”, 행정자치부

__________, 2003,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현황”, 행정자치부

홍일표, 2003, “전략적 용량의 한계에 도달한 한국 시민운동의 ‘정치적 중립’ - 중립성의

도그마에 대하여”, 「시민과 세계」2003년 상반기 제3호, 참여사회연구소

홍일표․하승수, 2003, “시민참여의 한일비교 - 제도와 운동의 동학”, 「시민사회와

NGO」제1권 제2호, 한양대학교 출판부

Page 11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2 -

2) 국외문헌

Anheier et al, 2001, Global Civil Society 2001, Oxford University Press; 조효제 외

공역, 2004, 지구시민사회, 도서출판 아르케

Cohen, J. and Arato, A. 1992,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Cambridge: MIT

Press

Erenberg, J. 1999, Civil Society: The Critical H istory of an Idea, New York:New

York University Press; 김유남 외 공역, 2002, 『시민사회, 사상과 역사』, 도서

출판 아르케

Petras, J. 1999, "NGOs : in the Service of imperialism",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Vol. 29, No. 4; 문성호 역, 2000, “NGO는 없다, 운동귀족이 있을 뿐”,

「월간 말」, 2000년 167호

Bond, Michael, 2000, "The Backlash Against NGOs", Perspective Mazazine, No. 2;

시민행동 역, “NGO에 대한 반발”,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www.worldngo.net

Salamon, Lester M. 1999, America's nonprofit sector: a primer, The Foundation

Center, 이형진 역, 2000, 『NPO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아르케

3) 언론자료

중앙일보 조인스닷컴 http://joins.com

한국언론재단 카인즈 http://www.kinds.or.kr

- 종합일간지: 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서울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 시사잡지: 뉴스메이커, 뉴스피플, 시사저널, 씽크머니, 이코노미21, 이코노미스트, 주

간동아, 주간조선, 주간한국, 한겨레21, 신동아, 월간조선, 월간중앙

- TV방송뉴스: KBS, MBC, SBS

- 인터넷신문: 데일리팜, 민중의소리, 브레이크뉴스, 시민의신문, 아이뉴스, 24 오마이

뉴스, 이데일리, 이윈컴, 조세일보, 프레시안

Page 11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3 -

2. 내부자료

1) 일반문서

1999, 「창립준비위원회 출범 및 개소식 자료집」, 창립준비위원회 사무국

1999-2003, 「운영위원회 회의록」, 각 월별, 사무처

1999-2003, 「상근활동가 워크샵 사무처장 발제문」, 각 분기별, 사무처장

2000-2003, 「정책협의회 자료집」, 각 연도별, 사무처

2000, 「창립총회 자료집」, 사무처

2002, 「1999-2000 함께하는 시민행동 백서」, 사무처

2002, 「신입활동가 교육 프로그램」, 사무처 기획실

2003, 「문서관리규정」, 사무처 기획실

2003, 「임금규정마련을 위한 자료」, 사무처 기획실

2003, 「웹사이트 로그분석」, 사무처 기획실

2) 전자문서

1999 - 2004, 대표 홈페이지 www.ww.or.kr / www.action.or.kr

1999 - 2004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홈페이지 www.worldngo.net

1999 - 2004 예산감시시민행동 홈페이지 www.0098.or.kr

1999 - 2004 좋은기업만들기시민행동 홈페이지 care.ww.or.kr

2000 - 2004 프라이버시보호캠페인 홈페이지 www.privacy.or.kr

2000 - 2004 인터넷시민학교 홈페이지 www.goodcitizen.or.kr

2000 - 2003 공익소송센터 홈페이지 www.peoplelaw.or.kr

2000 - 2004, 회원데이터베이스, 사무처 기획실

2000 - 2004, 이메일 뉴스레터 마이캔, 제1호 - 제120호 (2004년 5월 현재)

2000, 창립1주년 기념 홈페이지

Page 11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4 -

2001 - 2004, 온라인총회 홈페이지, 각 연도별

2001 - 2004 정보인권시민행동 홈페이지 digital.ww.or.kr

2001 - 2002 청소년학교 YAN 홈페이지 yan.goodcitizen.or.kr

2003 - 2004 또다른세상을만드는사람들 홈페이지 human.goodcitizen.or.kr

2003 - 2004 커뮤니티 에피소드 홈페이지 epi.ww.or.kr

2003 - 2004 상근활동가 CUG

3. 참여관찰기간과 내용

1) 2001년 3월 - 12월: 자원활동가로서 외부관찰

(1) 주 1회 사무실 방문

(2) 창립 2주년 기념 회원의 밤 참석

2) 2002년 1월 - 2004년 5월: 상근활동가로서 내부관찰

(1) 주 1회 사무처 회의

(2) 월 1회 운영위원회 회의

(3) 연 4회 상근활동가 워크샵

(4) 연 2회 정책협의회

(5) 연 1회 창립기념행사

(6) 기타 일상활동과 면접, 상근활동가 CUG 접근 등

Page 11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5 -

부록

[부록 1] ‘시민행동’ 창립준비위원회 발족취지문 / 1999년 9월 9일

시민과 함께 세상을 바꿔 나갑시다 !

민주주의와 사회정의를 위한 시민의 노력은 한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온 동력이며 역사였습니

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일반화된 부패와 권위주의적 사회문화, 부도덕한 경제질서는 아직 시민들

이 원하는 만큼 개혁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치는 국가의 미래를 계획하고 시민들에게 희망을 주기는커녕 구시대의 파당적인 행태를 벗어

나지 못한 채 오히려 권력을 향한 이합집산이 횡행하고 정치개혁은 소리만 요란할 뿐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격이라는 우려와 비아냥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습니다.

경제에 있어서도 IMF경제위기라는 절박한 현실 앞에서도 진정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재벌과의 흥정과 힘겨루기, 조급한 단기적 정책에 급급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의 양상과는

다른 점도 있지만 장기적 전망을 지니지 못한 개혁정책은 중산층의 붕괴와 노동자들의 생존권에

대한 위기감만 키워가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에 대한 교육 역시 경쟁과 대립, 현실적응을 위한 기술만을 가르칠 뿐 미래에 대한

꿈과 이상은 교육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교육의 변화 없이 미래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또한 교육

제도와 체제는 여전히 보수적이며 관료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사회는 20:80이라는 소수로의 부의 집중과 다수의 하락으로 밀려가고

있습니다. 정치적 사건에 대한 불평등한 법 집행,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수뢰와 현금도난 및 미화의

혹사건, 옷로비사건, 파업유도사건, 그린벨트의 졸속해제 등은 개혁의지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과

시민들의 자조감만을 키우고 말았습니다. 탈옥수에 대한 미화, 부유층 절도에 대한 대리만족 등

사회파괴현상에까지 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될 지경입니다. 미래의 희망이 꺾이는 현실, 이것이

21세기를 향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입니다.

새로운 세기, 새로운 미래는 부도덕한 권력이나 자본이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미래는 바로 보통

시민들의 건강한 삶과 꿋꿋한 실천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상식이 통하는 사회, 보통 시민들이 행

복한 사회, 누구나 권리를 누리고 또 그러기 위해 자신의 의무를 행하는 사회가 바로 우리가 바라

는 미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정의와 평등, 평화를 위해 시민이 실천하는 시대를

열어가야 합니다.

시민행동은 시민들이 스스로를 실현하는 운동을 전개하겠습니다 .

보통시민들이 함께하고 실천하는 운동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일반시민, 상근활동가, 전문가 모

두가 참여하고 실천하는 운동을 전개하고자 합니다. 형식적인 참여와 언론에 의존하는 운동을 지

Page 11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6 -

양하고자 합니다. 시민이 주체로서 - 유권자로서, 납세자로서, 소비자로서의 자기의 권리와 사회

적 정의를 실현해나가고자 합니다. 정부정책이나 사회문제에 대해 시민들이 개별적 이익이나 집단

적 이익을 넘어서 사회전체의 이익에 대해 발언하고 행동하는 장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시민행동은 전문적이며 지속적인 견제와 감시의 역할에 힘쓰겠습니다 .

시민행동은 사안별 일회적 운동방식에서 벗어나 정부와 의회, 기업, 교육 등에 대한 지속적인

운동을 수행하겠습니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이며 구체적인 감시와 대안제시를 통해 세상의 변화와

개혁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시민행동은 시민운동의 이론정립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시민운동을 통해 한국사회의 미래에 대한 정의로운 전망과 대안적 목표를 세워보고자 합니다.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중인 시민운동단체와 협력하여 경실련으로부터 출발된 10년 동안의

시민운동역사와 앞으로의 실천결과를 연구,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시민운동의 가치와 이론 정

립에 노력하겠습니다.

시민행동은 지식정보화시대에 맞는 정보화시민운동의 주체가 되겠습니다 .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기획하고 결정하며 함께 실천하는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

는 시민운동의 새 장을 열어 가겠습니다. 또한 사업중심의 네트웍을 건설하여 운동단체와 참여시

민의 역량을 모아 함께 사업하고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보민주화와 정보의 정의를 실현하는

일에도 앞장서고자 합니다. 물론 정보화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의 잘못된 정책과 예산 낭비에 대해

서도 보다 세심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시민행동은 새로운 시민문화 창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시민과 보다 친숙한 시민운동을 만들기 위해 시민문화를 만들어가겠습니다. 접근하기 어렵고

참여하기 어려운 시민운동이 아닌, 누구나 참여하고 생활 속의 운동으로 자리잡기 위한 시민문화

를 만들어나가는데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시민운동이 넘어야 할 산은 아직 많습니다. 시민단체는 스스로가 외부에 요구하는 만큼 도덕성

과 순수성이 있어야 하고, 재정은 투명하고 독립적이어야 하며 보다 민주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가

져야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정치편향적이라거나 시민 없는 시민운동이라는 사회적 비판에 대

해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제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첫발을 내딛고자 합니다.

우리는 “시민과 함께 세상을 바꾼다”는 말이 결코 이상적인 꿈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시민

의 힘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난 10년의 활동 속에서 깨달았기 때문에 우리는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꿈을 현실로 바꾸기 이한 우리의 여정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기를 바

랍니다.

Page 11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7 -

[부록 2] ‘시민행동’의 사명: 우리가 하고자 하는 운동 / 1999년 9월 9일

1. 납세자이자 유권자이며 소비자인 시민의 권리를 요구하며 의무를 실천하는 운동

우리는 운동의 중심을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실현하기 위해 스스로의 행동을 조직하는 데 두고

자 한다. 시민운동이 시민단체의 운동을 넘어서기 위해 시민이 스스로 납세자이자 유권자이자 소

비자 임을 깨닫고 자신의 권리이자 동시에 의무인 정부와 기업에 대한 감시에 나서야 한다고 믿

는다. 그러기 위해서 시민단체 스스로 운동의 중심을 시민들의 행동을 조직하는 것으로 옮겨가야

한다. 시민들이 자신들의 개별이익을 넘어서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나서는 것은 납세자로서,

유권자로서, 소비자로서의 시민 자신의 의무를 깨달을 때 가능하다.

2. 인터넷으로 시민운동의 영역을 확장하는 운동

인터넷은 이제 더 이상 가상의 공간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인터넷은 이미 현실이다. 향후 1-2

년내에 인터넷 이용자는 국내에서만 1,000만을 넘어설 것이 분명하다. 인터넷을 외면하는 시민운

동은 시민과의 접촉면을 스스로 차단하는 시민운동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하고자 하는 시

민운동이 인터넷상에서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인터넷이 우리의 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표현

한다면 우리의 운동은 CYBER@REAL<REAL@CYBER, [email protected]>

이다.

3. 전국을 네트웍으로

인터넷시대의 조직구조는 네트웍이다. 시민운동 자체가 네트웍시스템이지만 우리는 아직도 중

앙집권적인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는 지역조직을 만들기 보다 지역과 함께 할 수 있는 사업

을 중심으로 네트웍을 건설하고자 한다. 단체 대 단체의 네트웍이 아닌 사업중심의 네트웍이 우리

가 건설하고자 하는 네트웍이다.

4.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시민운동, 인터넷

시민이 참여하는 시민운동은 우리의 기본적인 사업방식이다. 우리는 이를 위해 인터넷을 기본

적인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간의 시민운동은 모든 시민을 현실의 공간으로 불러모으려 했다. 인력

의 부족, 시간상의 제약은 참여의 정도를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참여자를

제한한다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는 인터넷이 이를 극복하는 주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정부와 기업을 향해 모여 들여 요구하고 행동하는 시민들을 인터넷상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5. 좀 더 세밀하게, 좀 더 구체적으로 , 좀 더 지속적으로

지금까지 시민운동은 정부의 각종 정책에 대한 대안 내놓기를 중심으로 하여 언론을 이용한 여

론 확산이라는 패턴을 가진 것이었다. 우리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좀 더 세밀하게, 좀 더 지속적

으로 감시하고 견제하는 운동패턴을 운동의 중심에 놓고자 한다. 이러한 방식이 운동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운동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일조하리라 믿는다. 이를 위

해 우리는 정부와 의회, 기업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데 있어 중심적인 매개고리가 되는 수단을 기

획하고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려 한다.

Page 11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8 -

6. 모든 시민운동은 환경운동이다

우리는 우리가 하고자 하는 시민운동에 기본적으로 환경정의라는 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믿는

다. 생태계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들이 지금의 환경운동의 중심으로 되어 있지만 우리는 환경

운동의 영역이 보편적인 시민운동의 과제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예컨대 기업을

감시하는 운동이 기업의 생산과정에서부터 얼마나 친 환경적인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가를 감

시하는 것이 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산의 책정이 얼마나 친 환경적인 패러다임아래서 되고

있는지 감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7. 문화를 창조하는 시민운동

시민운동에도 문화가 필요하다. 정서적으로 공감을 불러일으킬 때 운동은 세상을 바꾸는 큰 힘

이 된다. 시민운동의 집회와 행사에는 문화가 없다. 여성운동으로부터 문화를 배워야 한다. 우리는

문화가 창조되는 운동을 하고 싶다.

8. 이론적 토대가 있는 시민운동

10년이 지난 시민운동의 이론적 토대는 아직 취약하다. 시민운동이 보다 발전하고 튼튼한 토대

를 갖기 위해 시민운동에 대한 이론적 천착은 반드시 필요한 과제이다.

9. 의사결정구조는 시민운동의 정신대로, 실사구시로

실사구시적인 의사결정구조를 갖는 단체가 되고자 한다. 그간의 시민단체의 의사결정구조는 시

민운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누가 참여하는 운동이냐가 중심이었다. 우리는 이를 어떤 일

을 하는 사람이 참여하는가로 기준을 바꾸고자 한다. 전자는 어쩔 수 없이 자원봉사하는 전문가와

상근운동가를 갈라놓기도 했다. 자원봉사하는 사람이든 상근운동가든 ‘일’의 책임을 맡는 사람을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구조, 역할이 분명한 의사결정구조만이 시민단체에서의 관료적이고 편의적인

의사결정을 배제하는 열쇠이다.

10. 정부의 직접 지원 배제

정부의 직접 지원은 받지 않으려 한다. 정부가 시민운동이 발전하도록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

고 옳은 방향이라고 믿는다. 다만 정부와 시민단체가 각각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는 그 지원방식은 간접지원 방식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자처한 이상 정부의 직접지원은 받지 않으려 한다.

Page 12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09 -

[부록 3] ‘시민행동’ 규약 - 시민행동의 비젼과 사명 / 2004년 2월 부분개정

전문

새로운 세기, 새로운 미래는 부도덕한 권력이나 자본이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미래는 바로 보통

시민들의 건강한 삶과 꿋꿋한 실천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상식이 통하는 사회, 보통 시민들이 행

복한 사회, 누구나 권리를 누리고 또 그러기 위해 자신의 의무를 행하는 사회가 바로 우리가 바라

는 미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정의와 평등, 평화를 위해 시민이 실천하는 시대를

열어가고자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만듭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기획하고 결정하며 함께 실천하는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시민운동의 새 장을 열어 가겠습니다. 또한 사업중심의 네트웍을 건설하

여 운동단체와 참여시민의 역량을 모아 함께 사업하고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보민주화와 정보

의 정의를 실현하는 일에도 앞장서고자 합니다. 물론 정보화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의 잘못된 정책

과 예산낭비에 대해서도 보다 세심한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할 것입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시민과 보다 친숙한 시민운동을 만들기 위해 시민문화를 만들어가겠습니

다. 접근하기 어렵고 참여하기 어려운 시민운동이 아닌, 누구나 참여하고 생활 속의 운동으로 자

리잡기 위한 시민문화를 만들어나가는데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시민행동은 인종과 성, 국적, 연령, 직업,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지 아니하며, 빈곤과 위험으로부

터 자유롭고,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디딤돌을 놓아갈 것입니다.

우리는 "시민과 함께 세상을 바꾼다"는 말이 결코 이상적인 꿈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시민

의 힘이 존재한다는 것을 지난 10년의 활동 속에서 깨달았기 때문에 우리는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꿈을 현실로 바꾸기 위한 우리의 여정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기를 바

랍니다.

제 1 장 총칙

제1조【명칭】 이 단체는 '함께하는 시민행동(CITIZENS ACTION NETWORK)'이라 칭하고, '시

민행동'이라 약칭한다.

제2조【목적】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를 모색하고 실천하는 시민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회발

전에 기여한다.

제3조【사업】 시민행동은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1. 사회전반의 제도와 체계를 감시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와 시민참여사업

2. 새로운 가치를 지향하는 운동과제와 방식을 개척하는 사업

3. 자발적인 시민들의 운동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하는 사업

4. 기타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Page 12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0 -

제 2 장 회원

제4조【자격 및 가입】 시민행동의 목적에 찬동하는 자로 가입원서를 제출하고 약정한 회비를 냄

과 동시에 회원이 된다. 단, 회비를 내지는 않지만 자원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 중 회원가입의사

를 밝힌 사람, 시민행동에서 상근자나 임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거나 수행한 사람은 회원

으로 한다

제5조【회원의 권리】 회원은 다음의 권리를 갖는다.

1. 시민행동의 운영 및 의사결정, 사업별 활동에 참여할 권리

2. 시민행동 내의 선거권과 피선거권

제6조【회원의 의무】 회원은 다음의 의무를 진다.

1. 시민행동의 설립 목적 실현을 위한 사업과 교육에 적극 참여할 의무

2. 시민행동이 제정하는 모든 규칙을 준수할 의무

3. 회비를 납부할 의무

제7조【후원회원】 회원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행사하지 않으면서 시민행동의 목적에 찬동하여

일정액의 후원금을 납부하는 회원을 후원회원으로 한다.

제8조【회원 탈퇴】 회원이 탈퇴하고자 할 때는 탈퇴의사를 밝힘으로 해서 언제든지 탈퇴할 수

있다.

제9조【재산상 처리】 회원이 그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기납한 각종 회비 부과금의 반환 및 기

타 재산상의 청구를 할 수 없다.

제 3 장 기구

제 1 절 총회

제10조【구성 및 지위】 총회는 최고 의결기구로서 그 구성원은 회원이 된다.

제11조【소집】

①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가 있다.

② 정기총회는 연 1회 개최한다.

③ 임시총회는 재적 회원 5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거나, 운영위원회의 결의가 있을 때 대표에 의

해 소집된다.

④ 총회는 7일 이전에 각 회원들에게 인터넷 홈페이지 등으로 공지하고 개별 통보되어야 한

다.

Page 12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1 -

제12조【권한 및 의결】① 총회는 다음 각 호를 포함한 시민행동의 운영에 관한 중요사항을 토

의․ 결정하며, 회원 과반수 출석으로 성립하며 출석 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1항의

1호는 출석회원 2/3 찬성으로 의결한다.

1. 규약의 변경 및 해산에 관한 사항

2. 대표 및 선출직 운영위원, 사무처장의 선출

3. 감사의 선임

4. 사업계획, 예산 및 결산에 관한 사항

5. 기타 중요사항

② 1항의 출석과 의결은 전자통신매체를 통해서도 할 수 있다

제 2 절 운영위원회

제13조【운영위원장】 대표 중 1인이 운영위원장을 겸임한다.

제14조【지위 및 권한】 운영위원회는 총회의 위임을 받아 시민행동의 조직과 운영 및 활동에 관

한 주요 사항들에 대해 토의하고, 결정하여 집행하는 상설기구이다.

제15조【구성】 운영위원회는 총회에서 선출한 운영위원과 당연직 운영위원으로 구성한다. 당연직

운영위원은 규약상의 각 위원회 및 활동기구의 대표, 사무처장, 사무처의 국․실장으로 한다. 단

특별위원회는 제외한다.

제16조【임기】운영위원의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단, 보선인 경우 잔여임기를 임기로

한다.

제17조【소집】 운영위원회의 소집은 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운영위원 1/3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운영위원장이 소집한다.

제18조【의결】 운영위원회는 재적 인원 과반수 출석과 출석 인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서면 및 전자투표로 결의할 수 있으며, 또한 타 위원에게 회의 출석

대리권을 위임할 수 있다.

제 3 절 대표, 고문, 감사

제19조【공동대표 및 상임대표】 공동대표는 시민행동을 대표하고, 제반 업무를 총괄하며, 회원의

추천으로 총회에서 선출하고 대표 중 1인이 운영위원장을 겸임한다.

제20조【고문】 시민행동의 사업 추진에 있어 자문과 지도를 받을 학식과 덕망을 갖춘 분 5인 이

하를 고문으로 추대할 수 있다.

Page 12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2 -

제21조【감사】 감사는 운영위원회의 추천과 총회의 의결을 거쳐 2인 이상을 두며, 시민행동의 재

정사항과 사업에 관한 감사를 하고, 그 결과에 대해 보고할 의무를 갖는다.

제22조 【임기】대표, 고문, 감사의 임기는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단, 보선인 경우 잔여임기를

임기로 한다.

제 4 절 위원회 및 기구

제23조【위원회 및 기구의 구성】 각 위원회 및 기구는 위원장 1인을 두고 필요에 따라 부위원장

을 둘 수 있다.

제24조【위원장】위원장은 위원회에서 선출하여 운영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으며, 각 위원회 및 기

구를 대표하여 업무를 총괄한다.

제25조【특별위원회】특별위원회는 운영위원회의 결의로 설치한다.

제26조【위원회 및 기구의 자율성】 각 위원회 및 기구는 사업 영역 내에서의 활동에 대해 독립

적 결정권을 가지며, 모든 활동에 대해 보고할 의무를 갖는다.

제27조【정책위원회】 시민운동 정신의 지속적 계발과 시민행동의 이념적 근간을 마련하고, 사회

현안의 현실 대응에 관한 제반 사업을 담당한다.

제28조【좋은 기업 만들기 시민행동】 소비자로서 권리를 실현하고, 기업의 경제․사회적 역할을

감시,할 수 있는 제반 사업을 총괄한다.

제29조【예산감시 시민행동】 납세자로서 국민의 권리를 실현하고, 국가 재정 정의를 실현하기 위

한 제반 사업을 총괄한다.

제30조【공익소송센터】제도적 보호가 미흡한 시민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시민권익소송, 납세자소

송, 소비자소송, 투자자소송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관한 공익기획소송, 예방적 법률구조를 위한 법

률상담활동, 시민권리의식 제고를 위한 법률교육활동 등을 총괄한다.

제31조【인터넷 시민학교】시민이 유권자로서, 납세자로서, 소비자로서 직접 권리를 찾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제32조【정보인권】자율과 관용에 기반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하여 의사소통의 권리확장과 프라

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업을 총괄한다

Page 12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3 -

제 5 절 사무처

제33조【설치 및 구성】 운영위원회의 결의 내용을 집행하기 위한 사무처를 두며, 사무처장과 위

원회 및 기구의 실․국장, 약간의 상근자를 둔다.

제34조【사무처장】 사무처장은 사무처 전체를 총괄하며, 회원의 추천을 통해 총회에서 선출한다.

제35조【실․국장】 각 위원회 및 기구의 업무를 총괄하며, 사무처장의 추천과 운영위원회의 동의

를 받아 대표가 임명한다.

제36조【상근자】 사무처장은 위원회 및 기구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상근자를 채용할

수 있으며, 사무처장은 인사 결과를 운영위원회에 보고한다.

제 4 장 재정

제37조【재원】 시민행동의 재원은 회원의 회비, 후원금, 특별모금, 기타수익으로 한다.

제38조【회계연도】 회계연도는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39조【예산 및 결산】 ① 세입 및 세출 예산은 사무처에서 편성한 후 운영위원회의 의결을 거

쳐 총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총회는 이를 회계연도 개시 전까지 처리하여야 한다.

② 회계연도 경과 2개월 이내에 감사로부터 회계감사를 받아 전년도의 결산안을 운영위원회에 제

출하여야 한다.

제 5 장 보칙

제40조【정치활동의 제한】공동대표, 운영위원 및 각 위원회의 위원과 사무처장은 정당에 평당원

이외의 직책을 가질 수 없다.

제41조【품위유지】시민행동의 임원은 시민행동의 철학과 방향에 반하는 활동을 하거나 그러한

조직에 참여해서는 안된다.

제42조【준용규정】규약에 명시되지 않은 규정은 민주주의의 일반원칙과 운영위원회의 결의에 의

한다.

부칙

이 규약은 2004년 2월 26일부터 시행한다.

Page 12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4 -

[부록 4] ‘시민행동’ 온라인총회 운영규정 / 2001년 1월 10일

취지

회원 총회는 회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시민행동의 최고 의사 결정기구이다. 따라서 회원들이 모

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현실적인 공간 및 시간상의 제약으로 일정한 날에 한자리에 모여

서 지난 사업을 공유하고 이후 사업계획과 재정계획을 확정하기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민행동은

이러한 회원 총회의 폐단을 극복하고, 정보화 시대 시민단체 회원 총회의 새로운 모습을 도모하고

온라인 총회를 개최한다.

온라인 총회는 1월중 시민행동의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 및 결산보고 △임원 선출 △사업 계

획 및 예산안 심의 등 회의 안건을 공지하고 회원들은 각 안건에 대한 가부 및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아니더라도 시민행동에 관심이 있는 시민이라면 의결권을 행사할 수는 없으나

각 안건에 대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이러한 사이버 총회를 통해

1) 회원 및 시민들과 함께 시민행동의 활동을 공유하고

2) 조직의 의사결정에 회원참여를 확대하여 함께 결정하고 함께 참여하는 시민운동의 모범을

창출하며

3) 시민들의 의견수렴을 통해 시민들이 시민행동에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 총회에 참석할 수 없는 회원들에게는 우편을 통해 안건을 우송, 의결권을 행사하

도록 한다.

운영규정

온라인 총회은 시민행동의 규약에 따라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운영된다.

1) 총회의 의장

회원총회의 의장은 상임대표가 한다. 단 온라인 총회에서의 원할한 의사 소통을 위해 의장을

보좌하여 사무처장과 각 사업 담당 국장이 의장의 동의를 받아 개진된 의견에 대해 보고하거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2) 총회 기간

총회기간은 익년 1월, 운영위원회의 결의로 1월중 일정기간 시민행동 홈페이지를 통해 개최한

다. 단, 운영위원회 의결로 제출된 안건 외에 추가된 안건을 논의하기 위한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안건에 대한 제안은 총회가 끝나는 시점을 기준으로 4일 전까지 가능하다.

Page 12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5 -

3) 회원의 권리

회원은 지난 99년 9월 9일 발기인 대회 이후 시민행동에 한번 이상 회비를 낸 회원이면 시민행

동 규약 제6조(회원의 권리)에 따라 누구나 선거권 및 피선거권, 안건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단, 규약 8조(후원회원)에 따라 후원회원과 시민들은 각 안건에 대한 의견은 개진할 수 있으

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4) 안건의 제안 및 채택

운영위원회가 제출한 안건에 대한 번안 동의나 수정안 제출, 기타 안건의 발의는 안건 제안 후

동의와 제청을 통해 채택된다.

5) 안건의 의결

각 안건에 대한 의결은 시민행동 규약 제14조(총회의 권한 및 의결)에 따라 출석 회원 과반수

의 찬성으로 한다.

※ 본 규정은 2001년 1월 5일, 시민행동의 운영위원회에서 심의, 통과되었습니다.

Page 12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6 -

[부록 5] ‘시민행동’ 주요연표 / 1999년 - 2003년

1999.05.24 서울시 종로구 연지동 기독교연합회관 501호에 사무실 마련

1999.06.30 포럼 개최 : 한국 시민운동의 10년 평가와 전망

1999.07.29 함께하는 시민행동 인터넷 도메인 등록 / www.ww.or.kr

1999.09.09 함께하는 시민행동 창립준비위원회 출범식 개최 / 기독교연합회관 대강당

1999.09.27 개인정보유출방지를 위한 푸른방패 캠페인 시작

1999.10.12 99'서울 NGO대회 참가, 미국 시민단체 CAGW초청 토론회 개최

1999.10.13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민단체 : 홍익I&C> 책 출판

1999.10.23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사이트 개통 www.ww.or.kr/world/

1999.12.18 예산낭비제보전화 1588-0098 개통

2000.01.22 함께하는 시민행동 제1차 창립총회 개최 / 숭실대 사회봉사관

2000.02.28 프라이버시보호캠페인 사이트 오픈 www.privacy.or.kr

2000.03.03 예산감시네트워크 결성, 납세자와 함께하는 거리공연 개최

2000.03.10 인터넷 시민학교 굿 시티즌 www.goodcitizen.or.kr 개교

2000.03 4.13총선 유권자 참여마당 www.ivote.or.kr 싸이트 개설, 운영

2000.06 이메일진 마이캔 제1호 발간

2000.06.29 공적자금 사이트 "내 돈을 함부로 쓰지 마라" 개통

2000.07.18 공익소송센터 홈페이지 개통 www.peoplelaw.or.kr

2000.08. 제1회 밑빠진 독상 시상 - 99 하남 국제환경박람회

2000.09 시민운동가 대상 정보화 시대의 시민운동 전략 워크샾 개최

2000.09. 국감시민연대 공동 사무국 및 웹사이트 운영

2000.10.12 '99 하남환경박람회 예산낭비에 관한 납세자소송 제기

2000.10 아시아개발은행 항의메일 보내기 운동으로 필리핀 파식강 주민 강제철거 중단

2000.11.29 "시민사회단체, 홈페이지 운영, 어떻게 해야 하나" 공동토론회 개최

2000.11.30 "인터넷은 시민운동의 희망인가" 인터넷 토론회 개최

2000.12. “납세자소송에관한특별법(안)” 입법청원

2000.12.22 종로구 가회동으로 사무실 이전

2001.01.10 시민단체 최초로 온라인 회원 총회 개최

2001.02.19 서울시로부터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증을 교부받음

2001.02.20 완전감자은행 피해주주 집단 손해배상청구소송

2001.02.25 프라이버시보호네트워크 구성, 간사단체 맡음

2001.02.28 청소년 학교 YAN 오픈 기념 토론회 - 청소년 정보격차,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2001.04.04 서울시 및 구청 홈페이지제작 및 이용실태 정보공개청구결과 발표

2001.04.17 제1회 정보사회의제만들기 토론 :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지적재산권

2001.05.16 하남시 납세자소송 각하결정에 관한 입장 발표

2001.08.10 기업 구조조정의 극과극 보고서 발표

2001.09.04 시민프로젝트, 두꺼비 프로젝트 사이트 오픈 join.ww.or.kr

Page 12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7 -

2001.09.04 창립 2주년 기념 행사 " 모정 2001 9개의 풍경 " 개최

2001.10.22 프라이버시보호핸드북 발간

2001.10.24 개인정보 침해 이유로 (주)SBSi의 약관에 대해 약관심사청구

2001.11. 국내 50여개 인터넷 사이트 개인정보보호실태조사 결과 발표

2001.11. 프라이버시에 관한 시민의식조사 설문결과 발표

2001.12.16 프라이버시보호가이드라인 발간

2001.12.18 유가증권 발행 주관 증권사의 극과극 보고서 발표

2002.01 이슈페이퍼 제1호 발간 : 가제「시민통신」

2002.01.18 서울시 예산감시네트워크 1차회의

2002.01.24 엘지 김치냉장고 하자 문제에 관한 소비자행동 돌입

2002.02.27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총회에서 이필상 상임대표 공동대표로 선출됨

2002.03 인터넷 시민학교 굿시티즌 사단법인설립

2002.04 청소년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웹기반 프로그램 개발사업

2002.04.02 e-메일 주소 리스트 판매자 검찰 고발

2002.04.10 「당신이 희망입니다 - 시민행동 백서 1999~2001」150부 발간

2002.04.27 정부 홈페이지의 정보접근 불평등 보고서 발표

2002.05.14 2002년 한국시민운동상 수상 : 상금 500만원

2002.05.16 정부 홈페이지 불평등 요소에 관한 정부측 답변 내용 분석 발표

2002.06.06 회원, 상근자, 운영위원이 함께하는 봄산행

2002.06.10 2002년 밑빠진독상의 선택, 이런 후보는 찍지 맙시다.' 발표

2002.07 해외 NGO정보네트워킹 프로젝트 - 세계 NGO단체에 대한 DB구축 및 검색서비스

완료

2002.08.12 광주은행 BW 행사가격 25배 인상피해자 집단소송 원고접수

2002.08.21 리우+10 한국민간위원회 보고서 제출 및 요하네스버그 회의 참석

2002.09.16 '기업의 사회보고제도, 어떻게 볼 것인가?' 토론회 개최

2002.9.26 공공기관 홈페이지 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발표

2002.10 메신저 액티비스트 운동 - 대선시기 유권자운동

2002.11.07 수해지역 자원활동 참여

2002.12.12 '가면을 벗겨라' 캠페인 시작

2002.11.14 정보사회 기본권 보장을 위한 33대 공약 - 대선 후보 정책 공동 제안

2002.11.15 재정투명성 지표로 본 외국 자치단체와 한국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정보공개 평가토론회

2002.11.23 보편적 접근권을 위한 시민단체 홈페이지 운영자 간담회

2002.12.05 시민친화적인 공공기관 홈페이지 운영 가이드라인 발표

2002.12.17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전세계 NGO 정보DB 및 검색서비스 오픈 기념 강연

2003.01.13 WSIS(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 아시아 지역회의 참가 (1.13-1.15)

2003.01.27 25일 인터넷 대란에 관한 시민행동 입장

2003.02.10 온라인총회(2.18까지)

2003.03 2002시민운동연감 발간

Page 12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8 -

2003.03 교과서에 밑빠진독상 수록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정치교과서)

2003.03 성북구 지역단체(환경정의시민연대, 인권실천시민연대)와 공동으로 반전캠페인 실시

2003.03 희망기금 제 1호 - 역사넷 신준수사장이 매달 10만원의 독서기금 지원

2003.03.06 NEIS 캠페인 페이지 개설 및 릴레이메일 보내기 운동 시작

2003.03.19 미국의 이라크 공격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침 반대 성명

2003.04.02 시민행동 길찾기 교육- 조직내에서의 의사소통 어떻게 할 것인가?

2003.04.22 노무현 대통령에게 리눅스 선물하기 행사

2003.05.15 (가칭) 분권과 참여을 위한 시민사회 네트워크 출범

2003.06.11 81년 이후 졸업생 손해배상 청구 소송 / 기자회견

2003.06-14 제1회 두꺼비 예산학교 진행 - 천안

2003.06.19 기업의 사회보고제도 간담회

2003.06.23-29 조지 오웰 탄생 100주년 기념 빅 브라더 주간 집중행동

2003.07 또다른세상을만드는사람들 웹사이트 오픈 http://human.goodcitizen.or.kr

2003.07.08 NEIS 반대와 정보인권 수호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발족

2003.07.31 노동감시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2003.08.12 강제 단전단수조치 국가인권위에 진정

2003.08.12 프라이버시 법제 개선을 위한 연속 워크숍 - ‘프라이버시 보호 법제, 어떤 모습이어

야 하는가?'

2003.09.22-10.22 가면광고 컨테스트 개최 및 광고감시 모임 개시

2003.11.06 공공기관의 개인정보파일 보유 실태 조사보고서 발간

2003.11.06 2003년 후원의 밤, 「이구동성」

Page 130: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19 -

[부록 6] ‘시민행동’ 수지계산서 / 2003년

(단위:원)

지출부 수입부

계정과목 당기(2003년) 전기(2002년) 계정과목 당기(2003년) 전기(2002년)

1. 인건비 163,874,000 157,183,080 1. 회비수입 154,980,145 138,434,700

급 료 162,924,000 149,080,000 시민학교 cms 8,900,000 8.800.000

잡 급 950,000 4,000,000 cms 85,612,980 63,696,420

퇴직급여 4,103,080 일반회비 13,135,000 16,770,000

특별회비 47,332,165 49,168,280

2. 일반관리비 38,143,436 62,102,935 2. 모금수입 53,473,750 46,960,861

복리후생비 18,024,975 23,427,056 후원금 5.100.000 14,930,861

여비교통비 107,100 191,200 4주년 후원금 48,373,750 0

통신비 4,160,821 4,581,560 집들이 후원금 6,080,000

지급임차료 0 4,219,366 3주년 후원금 14,050,000

수선비 35,000 0 이사모금 11,900,000

보험료 755,090 1,257,050

운반비 40,000 37,000

교육훈련비 881,000 3,011,500

회의비 2,063,550 1,189,740

소모품비 2,417,060 2,001,040

지급수수료 819,490 517,950

광고선전비 50,000 605,000

건물관리비 7,599,350 11,136,763

잡비 1,190,000 50,000

이사비용 0 9,877,710

3. 사업비 87,895,235 59,210,687 3. 사업수입 102,772,471 67,784,920

출장비 750,000 0 프로젝트지원 97,388,780 43,172,140

행사비 56,676,235 28,883,306 행사사업수입 5,383,691 3,235,000

도서인쇄비 2,998,000 3,801,000 자료판매수입 40,000

연대지원금 2,590,000 1,660,000 두꺼비수입 20,346,030

연대사업비 975,000 2,050,000 리우연대지원 991,750

두꺼비행사비 0 6,052,542

시민학교cms 8,900,000 8,800,000

학교지원금 15,106,000 7,963,839

4. 기타비용 9,540,107 9,400,831 4. 기타수입 7,630,604 7,149,061

이자비용 9,540,107 9,393,708 이자수익 130,694 73,356

잡손실 7,123 수입임대료 3,400,000 1,960,000

잡이익 4,100,000 115,705

상금 5,000,000

지 출 계 299,452,778 287,897,533 수 입 계 318,856,970 260,329,542

수지차액 19,404,192 수지차액 27,567,991

합 계 318,856,970 287,897,553 합 계 318,856,970 287,897,553

Page 131: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0 -

[부록 7] ‘시민행동’ 신입활동가 교육 프로그램 / 2002년 3월

■ 시민운동 세미나

1.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이해하기

☞ 시민사회에 대한 철학, 사회학적 이론과, 그로부터 도출되는 시민운동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간단한 세미나를 가짐으로써 시민사회와 시민운동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자료 : <사회학>(한국산업사회학회, 2000) 제11장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NGO란 무엇인가> 제1장 시민사회와 NGO(정태석)

2. 한국 시민운동 돌아보기

☞ 한국의 시민운동이 어떤 과정을 통해 생성, 변화, 발전해왔으며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를

현장에서의 사례들을 통해 볼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읽고 토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자료 : <하승창의 NGO 이야기>(역사넷. 2001)

3. 세계 시민운동 살펴보기

☞ 비단 한국에서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시민운동의 흐름을 살펴보고,

시민운동가로서 국제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 자료 : <NGO란 무엇인가> 제3장 글로벌 시민사회와 NGO(주성수)

■ 함께하는시민행동 알기

1. 조직의 역사와 현황 살펴보기

☞ 함께하는시민행동의 출발부터 현재까지의 약사와 조직구조, 사업방향 등을 알아본다. (단체 및

각 팀의 이념과 활동원칙을 중심으로) 사무처장, 각 팀 대표 1인씩의 짧은 강의와 자료보기

※ 자료 : 메인 홈페이지, 정관(규약), 회의록, 기타 팀별 자료

2. 선후배간의 대화

☞ 현장에서 먼저 뛰고 있었던 선배들의 경험과 고민들을 나누고, 처음 시작하는 후배들의 포부를

들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시민행동 비하인드스토리~!)

Page 132: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1 -

■ 시민운동 실무

1. PC 관리 지침과 웹기획&관리과정 단기 특강

☞ 사무실에서 PC를 사용하면서 염두에 두어야 할 지침과 웹기획&관리에 대한 강좌를 통해 ‘인

터넷 시민운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의정감시, 정보공개청구 , 법제 관련 특강 (공공기관 관련 업무 공통편)

☞ 입법 과정에 대한 이해 및 개입지점, 정보공개청구 요령, 집회신고서 제출방법 등의 구체적인

실무 지침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자료 : <시민사회단체의정연수>(국회 자료집) 등

3. 이웃 단체 방문/견학

☞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혹은 시민행동과는 다른 영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단체들을 방문

해 그 단체 고유의 특징과 배울점을 찾아보고 그곳의 활동과들과 교류하는 시간을 갖는다.

4. 시민행동 문서 작성/관리 규정, 양식, 간단한 작성 요령(보도자료, 성명서, 논평 등)

☞ 내부/외부 문서작성 혹은 메일작성/발송 지침과 기타 사무실 내에서 공유해야 할 규칙들에 대

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 특별활동 (등산, 연극/영화/공연관람 등)

Page 133: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2 -

[부록 8] 역대 밑빠진독상 수상자와 이후 진행상황 / 2000년 - 2004년

수상자 대상사업 낭비액수 비고

1회 하남시 하남국제환경박람회 186억원

납세자 소송 제기(260명의 시민)

자치단체장 최초 국회증인출석(고양시,

하남시), 재개최무산 낭비막음,

시장사퇴, 보궐선거 낙선

2회 금융감독위 제일은행 공적자금 12조 3천억원 국회 공적자금특위구성

3회 익산시 익산보석박물관 448억원민주당 당내 경선탈락 ,사업연기

무소속출마로 4등낙선(7명중)

4회(재)천년의

문천년의 문 838억원

대통령재가로 천년의 문 사업 백지화,

천사모 등 조직됨, 재단해체

5회금융감독위

원회6개은행 공적자금 24조원 소액주주 소송제기 중

6회 청원군 초정약수스파텔 199억원

뇌물혐의로 구속, 군수직상실

(발표직전 보석으로 풀려나있던 중

발표후 재심 유죄판결)

7회 건설교통부 시화호 6,220억원 이후 모니터 중

8회㈜부산관광

개발유람선 테즈락호 50억원 유람선 매각함 (매달 1억 절약)

9회 행정자치부전국토무궁화심시사

업550억원

감사원 감사 후 담당과장 등 주의조치

사업축소 300억원 예산삭감

10회 농림부 새만금개발 6조원 환경단체와 연계 모니터 중

11회 건설교통부 전주신공항건설사업 1,219억원기획예산처 2002년 예산전액삭감

- 국회에서 다시 10억책정 - 논란 중

12회 속초시 청초호유원지사업 1,205억원감사원 감사 후 주의조치, 강행중

시장 재당선

13회

부산아시안

경기대회조

직위원회

잘못된 계약체결 61억원 계약재체결, 환수함, 김운용위원장 사퇴,

14회 국회 전자투표장치 11억 3천만원 적극사용 약속

15회한국과학재

전문경력인사지원제

도198억9천만원 요령개선으로 시민행동 요구수용

16회근로복지공

직무유기로

가산세납부32억6천만원 감사원 감사후 9명 문책, 변상은 진행중

(뒷면에 계속)

Page 134: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3 -

수상자 대상사업 낭비액수 기타

17회환경부/지방

자치단체

음식물쓰레기

감량기기85억원

감사청구, 중복감사로 감사참고,

실패한 사업인정

18회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재단 지원금 493억원 감사청구, 요령개선

19회14개지방자

치단체미스코리아대회 지원 1억2천만원

행자부, 국무조정실조도 2003년 대부분

중단

20회 한국전력원격제어에어컨지원

사업45억4900만원

한전측에서 재심요청 - 재심결과

변경없음통보해줌. 사업개선안 제출

21회 교육부 교육행정시스템 503억원 사업축소중

22회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기금 459억원 감사원감사 - 보고서내용 인정

23회 고양시 노래하는분수대 24억원 독상접수 - 사업축소결정

24회 건교부 경인운하 1조원 감사원감사 - 중단유력

25회 서울시 성산배수지건설공사 209억원 사업중단

26회 충청남도 (주)중부농축산 66억(770억원) 매각중단 - 논란중

27회 39개지방자

치단체

새마을회관건립지원 1706억원 울산대표시상-각지역예산삭감진행중

28회한,민,자

3당정당국고보조금 381억원

Page 135: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4 -

[부록 9] 정보화사회의제만들기 토론회 개요 / 2001년

취지

정보사회의 도래와 기술의 발전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사회 모든 분야

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정보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을 연구하여 바람직한 각 분야별 변화의 상을 모색하고 이에 근거한 우리 사회의 새로운 의제를

설정, 공론화하여, 궁극적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정보사회의제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프로그램

제1회 -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지적재산권 / 2001년 4월 17일

소리바다 및 냅스터 법정 분쟁에 대한 의견 (양정환 소리바다)

MP3는 상품이다 (이창주 한국음반산업협회)

정보공유, 저작권 침해인가? (오병일 공유적 지적재산권모임IPleft)

디지털시대의 지적재산권과 정보공유 (김형렬 오리진지식정보센터)

제2회 - 정보사회에서의 정보불평등해소 / 2001년 4월 25일

정보공개와 공공정보공유(김동노 연세대 사회학)

정보사회의 불평등문제와 해소방안 (조정문 한국전산원)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부, 기업, 시민사회의 역할(신광우 정보문화센터)

정보빈곤극복을 위한 컨텐츠격차해소(원종필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제3회 -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방안과 과제 / 2001년 5월 11일

정부개혁과 정자정부(오철호 숭실대 행정학)

전자정부법 제정에 따른 문제점 (정충식 경성대 행정학)

공공기관의 전자적 행정서비스의 제공, 이용 그리고 만족수준(서진완 인천대 행정학)

전자정부의 역기능 문제 (황승흠 성신여대 법학)

전자정부구현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역할 (최영훈 광운대 행정학)

제4회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사회적 과제 / 2001년 5월 24일

정보사회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정책과제

Page 136: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5 -

개인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에 관한 몇가지 법적 이슈

주민등록관련 피해사례 및 주민등록번호의 문제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의 현황

프라이버시 보호 규제모델분석과 시민사회 역할

헌법적 기본권으로서의 개인정보통제권 재구성

제5회 - 디지털 경제와 노동시장의 변화 / 2001년 6월 15일

정보화사회와 디지털양분화(안주엽 한국노동연구원)

고용형태의 변화와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 (김주일 한국기술교육대)

디지털경제시대의 인력양성 (김호균 명지대 지식정보학부)

제6회 - 전자상거래와 소비자권리 확대 / 2001년 6월 22일

전자상거래의 최근동향과 전망 (심상렬 광운대 국제통상학)

전자상거래 활성화 과제 (강성진 한국소비자보호원)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법제정비의 방향 (김은기 한국사이버대학교)

제7회 - 인터넷혁명과 참여민주주의 / 2001년 6월 28일

정보화와 21세기 정치 (유석진 서강대 정치외교학)

디지털시대의 정치과정의 변화와 참여민주주의 발전방향 모색 (오일환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

터)

제8회 - 정보사회의 도래와 평생교육의 중요성 / 2001년 10월 11일

지식정보사회와 우리 교육의 방향 (박인우 고려대 교육학과)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평생교육패러다임(정민승 한국디지털대 교육학과)

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 (유지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교육학술정보화의 방향과 사회운동의 과제 (손병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조사연구실장)

제9회 - 인터넷과 새로운 문화형성의 과제 / 2001년 10월 23일

인간행동의 규칙과 사이버 공간의 의미(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사이버 현상과 새로운 문화 형성의 과제(민경배 사이버문화연구소 소장)

제10회 - 정보사회로의 전환과 시민운동 / 2001년 10월 26일

21세기 정보사회, 우리 사회의 방향과 시민사회의 역할 (윤영민 한양대 정보사회학과)

Page 137: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6 -

ABSTRACT

Organizational analysis of Shimin-danche (civic organizations):

A case study of the Citizens' Action Network (CAN)

Jang, Sang-mi

Department of NGO studies

The Graduate School

Sungkonghoe Univ.

Shimin-danche (civic organizations) are one of the great influential

sectors in Korea today. They take part in a wide range of social issues with

huge resources and public support. Since the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CCEJ) was founded in 1989, Shimin-danche and

Shimin-undong (civic activism) have made unprecedented achievement over

the past fifteen yea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organization, to gauge the dynamics of Simin-danch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itizens' Action Network (CAN), an organization

advocating the 'alternative civic activism' via the internet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era. As a member of this organization, I trie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dditional materials. The

followings are the facts.

CAN was founded in 1999. In those days, various Shmin-danche

were growing rapidly. Especially, the success of several campaigns

Page 138: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7 -

-'real-name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nakchun-naksun-undong in general election 2000', etc.- had guaranteed

great social influence and accountability on Shmin-danche. In addition, the

number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was increasing rapidly all

over the world. But to that extend, the criticism was also deepening on the

organizational democracy, morality, and transparency. Concerning these

circumstances, CAN stressed the idea of alternative civic activism as a

critical concept of organizing. It argue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imin-danche was the abstractive concept of 'citizen', centralized structure,

overly various issues, one-sided advocating, and lack of organizational

democracy. And then, it promoted self-reflective citizen, specific issues, direct

action and proper organizational democracy. During the last five years, CAN

partially succeeded in performing these subjects. Firstly, it called attention

successfully to the issues of taxpayers' right, privacy protection, accessability

to inform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it pioneered in

online networking and mobilization as an effective way to activate direct

civic action. Thirdly, it passed over the initial instability with sufficient

administrative rules, for example, transparency, responsibility, and procedural

democracy.

Despite these results, it seems that the alternative civic activism

stays on the level of a declaration, not a substantial dynamic of the

organization. First, one-side advocating remains as a leading methodology.

Second, financial base is not yet stable. Third, of direct civic action is not an

intimate strategy.

In short, CAN is an organization in the transition stage, preforming

Page 139: 시민단체 조직분석 - 함께하는 시민행동을 중심으로 (2004)

- 128 -

slow but steady progress from the existing Simin-danche to the alternative

civic activism. For the sustainable organizational development, it need to limit

the field of the transition stage, and change the interior and exterior

circumstances to obtain sufficient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base.

keywords: Shimin-danche, Shimin-undong, civil organization, civic activism,

corporation watch, budget watch, human right in information era,

internet, subject, structure, value, influence, cho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