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Click here to load reader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8권 제3호­2012년 9월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1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신 용 욱**ㆍ박 상 혁***

Case Study on the Activation Agricultural Community Business through Building On-off Network in Gyeongnam

Shin, Yong WookㆍPark, Sang Hyeok<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find a solu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community business as a

business as a business model of the creation of real satisfaction for the region’s residence. In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how community building project, which is recently

emerging as a new paradigm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past, we have lived community

units, but nowadays many communities have been destroyed by the capitalization and the

urbanization even in the rural area. This report studies essential elements needed for

successful 'Rural Community Business' through case studies of 'Dandelion Village' in

Gyoengsangnamdo. In order to do so, we analyzed this villages according to a theoretical

'Sustainable Community Business Model.' We constructed successful business model of

'Rural Community Business' based on six groups - 'Community Leader,' 'Teamwork,'

'Sustainable Population Influx,' 'Sustainable Voluntary Participations of Community

Members,' and 'Sustainable Networking.'

Key Words : Business Ecosystem, Community Business,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On-off Network

Ⅰ. 서론1)

한국에서 지방은 수도권과 달리 인식되어 공동화

되고 황폐화된 곳으로만 여겨지고 있다. 지난 10년

* 본 연구는 2011년 경남발전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경남과학기술학교 농학ㆍ한약자원학부 조교수

*** 경남과학기술학교 전자상거래ㆍ무역학과 부교수(교신저자)

동안(1998~2008년 기준) 총 244개 시ㆍ군ㆍ구 중에서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94개에 불과하고 150개 지역에

서는 감소되었는데, 감소된 지역은 주로 농촌지역이

다. 농촌 지역사회의 지속적 인구유출이 농촌 지역사

회의 대표적인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인구의 지속적

인 유출로 인해 농촌지역에서는 고령화가 전국 평균

의 2배 이상을 상회하고 일부지역은 3배에 육박하여

Page 2: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72 제8권 제3호

<표 1> EU 농촌개발 전략 가이드라인[9]축 내용 핵심자원활동

1농업, 임업

경쟁력 강화

역동적인 기업가 정신 육성

농림업의 친환경적 성과개선

농업부분의 구조조정

2환경 및

농촌다움개선

농업 경관의 보전

유기농업의 기여 강화

지역균형발전 촉진

3

농촌경제의

다양화와 삶의

질 향상

소규모기업 육성

광의의 농촌경제에서 경제활동

활성화 및 고용률 증진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혁신과 공급확대

4

상항식 지역

개발 전략의

채택

지역파트너십 형성

민관파트너십 강화

지역거버넌스 개선

농촌지역의 커뮤니티 해체가 가시화 되고 있는 현실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 들어 농촌정책 사업

과 지역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고자 정부 부처에서는

마을만들기 관련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부처별 진

행되는 사업의 특성으로는 농수산식품부에서 추진하

는 농촌지역사회개발을 위한 농촌관광과 도시민 유

치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사업분야로 농어촌관

광개발, 특산품개발 및 식품가공, 도농교류(귀농) 컨

설팅 및 교육, 숲가꾸기, 산림서비스 등이 있다. 환경

부는 환경보전과 녹색성장관련사업이 주를 이루며

행정안전부에서는 인터넷 유통 및 정보기술 서비스,

마을만들기 컨설팅의 분야에서 마을 만들기 사업을

특화하고 있고 문화관광부는 문화ㆍ역사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마을디자인 및 마을축제 컨설팅 등

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는 지역연고산업분야

로 특산품개발, 전통공예, 전통시장 활성화 등 지연산

업 활성화와 관련된 마을 만들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

다[15].

이러한 중앙부처 지원의 마을 만들기 사업을 통해

농촌체험시설, 숙박시설 등의 하드웨어적인 개발이

진행되기도 하고 일부 농촌관광 프로그램 등의 소프

트웨어적인 제품이 개발되었지만, 사업성과 자발성의

부족으로 인해 일자리 및 소득 창출로 이어지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마을 만들기 지원성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콘텐츠를 추출하고 주민 조직화

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해

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농촌

마을종합개발사업은 개발을 둘러싼 이해관계의 대립

과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즉, 일부 주민에 의한 사

업 주도는 또 다른 소외와 배제를 가져오며, 소수의

마을리더 중심으로 권한이 집중되는 문제도 발생시

킨다. 이해진[11]은 농촌지역개발이 장소적 경제적 발

전뿐만이 아니라 농촌 공동체의 재생과 형성을 향한

농촌 주민의 사회적, 시민적 개발의 과정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즉, 전통적 농촌공동

체로의 회귀가 아니라 교육 학습 공동체, 경제 공동

체, 시민 공동체와 같은 새로운 커뮤니티의 형성이

선행되어 이해관계의 대립과 이익갈등을 조정하고

합의하는 공동체적 관점을 지향하며 인적자원, 사회

자본, 민주적 리더십, 주민 주체의 집합적 역량을 개

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하였다. 한편, 유럽

의 경우 농촌개발정책에 있어서 농촌개발을 위한 4가

지 축을 정하여 경영경쟁력, 환경개선, 삶의 질 개선

및 지역거버넌스 개선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농촌개발정책은 <표 1>의

‘농촌개발을 위한 전략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되어

2007년부터 각 국가별 농촌개발전략 계획과 프로그램

이 실행되고 있다[9]. 이에 국내에서도 지역개발을 위

한 계획을 실천함에 있어서 기업가정신, 지역환경보

전, 지속가능한 경제활성화와 지역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모델의 제시가 필요로 하다.

본 연구는 지자체의 자립적 고용창출과 지역사회

내 실질적 소득창출을 위한 핵심정책 사업으로서 마

Page 3: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3

<표 2> 4가지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비교[6]구분 BoP 모형 지역개발 모형 소액금융 모형 SLEN 모형탄생

배경

MNCs들의

새로운

시장개척

사회적

투자의

효율성 저하

저소득층

창업기회

제공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가난극복

대상

연소득

1500불

이하

저소득층

지역주민 지역주민지역주민+외부

분야저소득층

소득향상

지역경제활

성화

창업자금

조달

지속가능한

사업

을 만들기 사업의 커뮤니티 비즈니스화 방안을 모색

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2010년

마을기업으로 선정되어 사업을 진행 중인 경남 산청

군의 마을기업 민들레베이커리의 사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대상인 민

들레베이커리는 내부적으로는 자발적 참여의식과 마

을 공동체목표 추구, 외부적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on-off network)를 통한 기업생태계 (business

ecosystem)형성한 사례를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커뮤

니티 비즈니스의 모델을 연구하고자한다.

Ⅱ. 이론적 배경2.1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연구 2.1.1 커뮤니티 비즈니스 개념

박용규[6], 함유근ㆍ김영수[17] 등 국내연구자들은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 CB)를 지역

사회의 현안 문제를 행정, NPO, 자원봉사 등이 아닌

지역주민 주도로, 지역자원을 활용해, 비즈니스 형태

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즉 커뮤니티 비즈니스(CB)는 지역사회의 현안을

비즈니스 방식을 활용해 해결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

는 이익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사업을 일컫는 것으

로 비영리조직(NPO) 등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결성

한 조직이 주체가 되어 상가 활성화, 특산품 판매, 폐

기물 재활용, 취업 교육 등 지역의 현안 과제를 수익

자 부담 원칙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내

릴 수 있다.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관한 국내 사례를 살펴보면,

정부나 지자체의 주도로 진행된 사업이 주를 이루어,

국외 연구에 비해 자생적으로 형성된 커뮤니티 비즈

니스 사업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추진되어온 많은 정부 주도의 농업 마을 활

성화 사업을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으로 연결시킬

방안을 모색하여 지속가능한 민간주도의 커뮤니티비

즈니스 모델의 정착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2.1.2 커뮤니티 비즈니스 발전모델

다양한 학문분야를 이용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방

법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피라미드 바닥

(Bottom of the Pyramid, BoP) 모형(Prahalad and

Hart, 2002), 포터의 지역개발(inner cities) 모형

(Porter, 1995), 소액금융(micro finance) 모형

(sundaresan, 2008), 지속가능한 지역사업의 네트워크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s, SLEN) 모형

[2]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에서의 비즈니스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한 연구방법인 SLEN 모형

을 기초로 보완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표 2 참조)

2.1.3 커뮤니티 비즈니스 연구의 중요성

첫째, 지역주도의 자활프로그램으로서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방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 진단하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하겠다

는 의지와 노력이 없으면 국가 차원의 지원이 별다른

Page 4: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74 제8권 제3호

<표 3> 부처별 커뮤니티 비즈니스 유사사업 비교[5]구분 사회적 기업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커뮤니티 비즈니스(CB)

시범사업주관 노동부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목적 고용창출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접근방

식복지 복지+경제 경제

수단

사회서비스

생산에 의한

고용창출

자원활용을 통한

고용창출

지역자원활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

추진세

력정부 지자체 전문 민간기구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이에 자립적이고 지속 가

능한 내생적 지역발전 전략으로서의 커뮤니티 비즈

니스의 잠재력과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타진할 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일자리 창출의 효과적

수단으로서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주목받고 있다. 일

회성 사업, 일자리의 질 등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에 대한 실효성이 빈약한 현실과 제조업의 고용 없는

성장 확대로 인한 현실을 미루어 볼 때 지역 차원의

고용창출을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현실이다. 셋째, 최근 사회적 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부의

각 부처별 사회적 기업 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

사업 추진이 <표 3>과 같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17] 각 부처별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사업이 무분별하게 추진될 경우, 구상이전에 사업화

에만 초점을 맞추어 시행하면 실패가능성이 높기 때

문에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

다.

2.2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과 생태계생태계는 공동운명체라는 개념을 전제로 특정 환

경내의 다수의 조직들이 경쟁과 협력 메커니즘을 동

시에 가지면서 상호 운명을 공유하도록 자생적으로

연결된 커뮤니티를 의미한다[22]. 즉, 기업생태계란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 실현 공간에서 기술과 지식,

경험, 자원, 역량, 혁신적 아이디어 등을 교류, 교환,

결합하여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공진화를 하는 공동

체 집합을 의미한다[20]. 따라서 커뮤니티비즈니스가

성공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업생태계가 활성

화되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적이다[3, 5]. 이러한 생태

계의 구조는 다수의 느슨하게 상호 연결된(loosely

coupled) 참가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연계

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으로 잘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5-6, 10].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의 커뮤니티 비즈

니스가 성공하려면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학은

기업에게 매력적인 혁신의 원천을 제공하며, 기업은

산학협력을 통해 직접적으로는 대학으로부터 다양한

기술과 우수한 인력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

지게 된다[1, 3-4, 14]. 이러한 매개체를 중심으로 온오

프 네트워크 구축되어 있을 경우 기업생태계는 안정

적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자체에만 초점을 맞

추는 것이 아니라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커뮤

니티 비즈니스 환경을 둘러싼 주요 생태계의 구성원

들인 기업, 정부기관, 지자체, 연구소 등과의 네트워

크를 구성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

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3.1 사례연구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영역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동체 주민들과의 인터뷰, 내부 자료, 기사 등을 바

탕으로 정성적 사례 연구방법(qualitative case

method)을 수행하였다. 조직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시

적(micro level)이고 시스템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관

Page 5: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5

찰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직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서는 많은 사례기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 등의 방식

으로 연구하는 것보다는 동일기업 내부의 실질적인

변화과정을 자세하게 관찰하는 기법이 효과적이다

[19].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동일한 대상에서 일어나는

요인들을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인터뷰하

는 방법을 택했다. 이로써 간접경험에서 오는 비약이

나 상상에 의한 불일치, 시공간적인 단절성 등에서

오는 지나친 가정(assumption)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사례라는 방법론적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해 특성이 다른 부서와 직위를 가진 2명

이상의 피대담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다. 이는 정성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

이는 데에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뷰 내용은 피대담자에게 비밀보장을 전제로

(confidentiality statement)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대

담 내용은 문서로 옮겨 기록하였다[19]. 기록된 대담

내용은 차후의 분석을 위한 원천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마을기업의 현황과 매출현황에 대한

사내외의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였으며 이는 연구대

상의 배경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사용하였다.

3.2 연구대상개요: 민들레공동체3.2.1 인문지리적환경

경남 산청군 신안면 갈전리 갈전마을은 전형적인

산골마을로서, 주요 특산물은 단감과 밤이며, 주민의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는 전업 농업인들이다. 연령

대는 60대에서 80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청년회가

없는 고령화된 마을이다. 또한 마을의 발전을 견인할

정도의 뛰어난 자연경관, 문화유산 같은 것이 없는

지역이다.

3.2.2 연구대상 구성

민들레 공동체는 마을 안에 민들레 학교, 민들레

공방, (사)대안기술센터와 민들레 베이커리를 설립하

여 지속가능한 커뮤니티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창의

적인 다양한 시도들을 해왔다. 즉, 지속적인 교육을

위한 민들레 학교, 대안적인 에너지 생산을 위한 (사)

대안기술센터, 문화생활로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위한

민들레 공방 그리고 지역특산을 활용한 로컬푸드의

확산을 위한 민들레베이커리로 구성되어 있다.

민들레 학교는 농촌지역의 젊은 가정들이 자녀들

의 교육 때문에 떠나가는 것을 막고 좋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설립이 되었다. 현재는 지역공동체와 협

력하는 모범적인 대안학교로서 자리잡고 있다. 민들

레 공방은 천연염색, 종이뜨기, 잎새 프린트 등을 통

해서 농촌체험 마을의 대표적인 체험거리를 제공하

는 곳이 되었다. (사)대안기술센터는 재생에너지, 생

태건축, 퍼머컬쳐 등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마을 만들기 운동 등을 펼치고 있으며, 전국에서

갈전마을이 에너지 자립 혹은 그린에너지 체험마을

로 나아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고 있다. 민들레

베이커리는 산청지역에서 생산되는 우리밀과 지역특

산인 두충, 도라지, 민들레, 둥글레 등의 약재를 첨가

하여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지역의 대표

적인 마을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Ⅳ.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요소4.1 커뮤니티 리더십과 팀워크

농민들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는 확대재생산 과

정에서 생산비의 절감이 필연적이었다. 화학비료, 화

학제초제 및 살충제 등을 사용한 농작물재배와 기계

화가 가져온 농업노동력의 생력화는 공동체 내에 존

Page 6: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76 제8권 제3호

<표 4> 미시적 수준에서의 통합성과 연계성통합성(integration)

(공동체 내부의 연대)낮다 높다

연개성(linkage)

(공동체 외부의

연결망)

높다 Anomie 사회적 기회

낮다 비도덕적 개인주의 비도덕적 가족주의

재하는 농업노동력의 교환관계의 빈도가 현저하게

감소됨으로 인해 지역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이 약화

되어지고 있다.

송인하[8]는 특정한 공동체 내에서 사회적 연대와

일반화된 신뢰가 강력할수록 이런 형태의 사회적 자

본은 점점 더 많아진다. 아래의 <표 4>는 마을공동체

의 통합성과 연계성의 다양한 범주를 보여주고 있다.

초대 기독교의 무소유정신과 지속가능 이상향으로

서의 농촌을 지향하는 정신을 기본으로 영성과 생태,

지역과 조화를 목표로 1992년에 설립된 민들레공동체

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피폐해진 농촌을 지속가

능한 이상향으로 다시 일으켜 세우는 데 있다. 일상

속에서 무소유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의 실천은 유

기농, 생태건축, 대체에너지, 공동생산과 공동분배, 민

주적 의사결정, 영성수행 등으로 발현되고 있다.

1999년 서부경남 농촌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운동

을 해 오던 민들레 공동체가 현재의 위치로 이주하면

서 마을이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들이 만들어지

기 시작했다. 교통오지인 각종 봉사활동과 함께 유기

농업이 시도되었다. 2006년 5월 5일부터 순차적으로

민들레 공동체는 마을 안에 공방, 대안기술센터와 대

안 학교, 베이커리의 순으로 설립하였다. 대안학교는

농촌지역의 젊은 가정들이 자녀들의 교육 때문에 떠

나가는 것을 막고 좋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설립

하였다.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인 저탄소 녹색마을을

만들고자(사)대안기술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천연염색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위해 공방을 세웠

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대안학교 학

생들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커리를

세운 것도 공동체적인 삶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다른 공동체와 비교하여 신앙공동체의 성향이 강하

므로 리더 중심의 지속적인 가치공유가 원활하며 결

속력이 강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최정신 등[16]이 국내에 공동체 마을을 동호인 마

을, 친환경 마을 이념 또는 종교 공동체 마을 등으로

분류하여 7개의 마을을 조사대상으로 선정, 설립목적

과 성격에 따라 주생활 공동체 마을과 이념공동체 마

을로 대별하여 설립과 운영의 주민참여정도, 지도자

의 역할, 공동활동의 양상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계획공동체 마을중 주생활공동체 마을의 경우 마을

설립단계에서는 주민참여가 이루어 졌으나 이후에는

지속적인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공동활동의 종류

와 참여도 및 이를 뒷받침할 만한 공동생활시설도 부

재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념 공동체 마을의 특징은

종교나 철학적 이념으로 형성된 공동체이므로 공동

활동의 종류와 참여도가 높았으며 주민 간 협력도 잘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졌으며 주민참여에서 주민 개

인 보다는 지도자의 역할비중이 큰 것이 특징이었다

고 한다[16]. 또한 모두 공동생산 공동소유의 원리에

따라 생활하므로 소유권의 분쟁을 찾아보기 어렵다.

계획공동체(intentional community)란 이러한 생활

을 의도적으로 이루어 보려는 사람들의 실증적인 운

동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자연과의

소통을 위주로 환경 친화적 생활을 영위하는 친환경

마을(eco­village) 둘째, 일상적인 가사노동 경감과 공

동육아 등과 같은 커뮤니티 중심의 생활공동체인 코

하우징(cohousing) 셋째, 종교적인 이념을 중심으로

구성된 영성 중심의 공동체(religious community) 등

으로 분류할 수 있다[13]. 계획공동체 마을이 지속적

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주민간의 공동체 의식을 고

양시키고 친밀감을 높이는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이

를 지원해 줄 수 있는 공동 활동 프로그램과 공동생

Page 7: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7

<표 5> 마을 계획시 주민참여방법[13]간디숲속 민들레

마스터플랜 전문가계획 주민계획

전문가교육 여부 유 무

개별주택 설계방법 건축가설계+주민참여 건축가설계+주민설계

계획 시 주민모임

횟수1회/월 1회/주

마을구성 진행방식 전문가주도 주민주도

지도자 역할 학교와의 협의재정, 목표설정,

의사분쟁 조정

지도자 결정방법연 1회 투표

(연임가능)정회원 그룹

활시설의 구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러한 활동에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정신 등[16]이 보고한 자료중 공동체마을의 주민

참여방법을 같은 면소재지에 소속된 인근 마을과 비

교하여서 민들레공동체의 형성의 특징을 살펴본 결

과는 <표 5>와 같다. <표 5>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마

을대표의 역할도 지역의 인근 공동체에 비해서 역할

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영성중심의

공동체인 산안마을, 두레마을과 비교해 봐도 자치규

약은 민들레 마을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지속가능한 투자: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지원 4.2.1 자립가능한 농촌마을의 기반의 자발적 조성

민들레 공동체의 귀농, 정착은 숲속간디마을이라

는 귀농, 귀촌자 중심의 새로운 마을과 간디학교라는

새로운 대안학교가 갈전마을에 세워질 수 있도록 영

향을 끼쳤다. 이러한 도시민의 귀농, 귀촌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농촌마을이 부흥할 수 있는 여건을 만

들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민들레 공동체는 마

을의 자립적 경제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여러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①(사)대안기술센터 연계-마을기업인 민들레 베이

커리와 관련된 대표적인 추진사업으로는 태양열 조

리기 개발 및 보급 사업을 들 수 있다. 2006년 5월부

터 태양열 조리기 관련 워크숍 개최, 2009년 2월 볼프

강 쉐플러 초청 쉐플러 태양열 시스템 세미나 및 워

크숍 개최하여 국내최초 쉐플러 태양열 시스템 기술

을 보급하였다. 그로인한 재생에너지 시설이 쉐플러

태양열 조리기, 박스조리기, 자전거 발전기, 풍력발전

기, 태양전기 100와트, 바이오매스 에너지 체험시설

등을 보유하여 베이커리에 필요한 대안에너지를 확

보하였다.

②민들레 학교연계- 민들레학교의 개교로 통해 대

안교육을 위한 외부인구의 유입효과와 함께 재학중

인 학생의 학부형의 동호회가 형성되어 학교 및 공동

체가 운영하는 각종사업에 자발적으로 지원하는 효

과를 가지게 되었다. 직접적인 마을기업에의 영향으

로는 학교 교사 및 학생들의 인적자원의 참여로 제빵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③공동체 연계사업-2007년부터 갈전마을에 우리밀

파종 및 생산, 우리밀 판매 운동을 전개하여서 2010

년 2월부터 매달 1회씩 마을 장터를 운영하여 우리밀

생산기반을 확충하였다.

4.2.2 마을발전의 기반마련 - 녹색농촌체험마을

녹색농촌체험 지정은 마을 발전을 위한 기반을 조

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9년에 농림부 지원의 2억

원과 자부담금 3000만원으로 시작된 사업은 75평 규

모의 마을 게스트 하우스를 완공하였다. 이로서 마을

공동수입이 전혀 없었던 것을 연간 400만원 이상의

수입을 마련하였으며 방문객과 숙박객의 증가로 신

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회를 만들었다.

녹색농촌마을 만들기 사업을 위해서 노인회와 부

녀회, 민들레 공동체, 산골농장(마을내의 양계단지)

등이 협력했다. 노인회와 부녀회는 부지 확보를 위한

많은 역할을 했으며, 민들레 공동체는 프로그램과 관

Page 8: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78 제8권 제3호

련 체험 내용들을 만들었고, 산골농장은 자부담 비용

과 부지 비용, 외부 협력 등을 이끌어 내었다. 초기의

가장 큰 어려움은 녹색 농촌 체험마을을 만들어야 하

는 필요성과 그 이유들에 있어서 의견을 통합하는 것

이었다. 실제로 고령화된 마을에서 주민 다수는 그

필요성과 이유들을 가지지 못했었다. 하지만 민들레

공동체와 산골농장의 설득작업을 통하여 주민들이

의견을 모으게 되었다. 두 번째는 부지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상대적으로 아랫마을 보다 토지값이 비싼

마을 내부에서는 어느 누구도 땅을 내어 놓을려고 하

지 않았다. 이것 때문에 다소 주민간에 분쟁이 있기

도 했지만 산청군의 도움으로 군유지를 값싸게 매입

할 수 있게 되어서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이

를 계기로 공동체와 외부와의 협력이 강화되기 시작

하였다.

4.2.3 연계사업 - 갈전리 녹색마을 사업

갈전리 녹색마을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총 사

업비 30억원으로 진행된 사업으로 경상남도와 산청

군이 20억 규모의 재정을 지원하고 마을에서 10억을

자부담하여 재생에너지와 퍼머컬쳐, 지역사회개발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센터를 건립하는 사업

으로 2010년부터 시작되어 2011년에 완료되었다.

4.2.4 도약사업 -자립형 공동체 기업 만들기 시범 사업선정

자립형 공동체 기업만들기 시범사업은 2010년에

선정되어 사업비 7600만원으로 행정안전부에서 시범

사업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민들레 공동체는 그간 녹

색농촌체험마을 사업과 녹색마을 사업으로 조성한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마을기업을 운영할 수 있는 기

반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자립형공동체 기업만들기

사업을 준비하면서 행정안전부에 민들레공동체에 소

속된 대안기술센터의 핵심기술인 태양열 조리기와

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빵과 과자를 굽어 내는 그린

제과제빵 사업을 제안하여 시범사업에 선정되었다.

2010년9월13일에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선정되어 공장을 2011년 3월 9일에 완

공하여 3월 10일부터 영업허가를 받아 4인의 직원으

로 시작하였다. 고용효과로는 2015년 까지 상근직 10

명, 일용직 5명 고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산

청군 신안면 내 지역민, 특히 귀농자 일자리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지역활성화 측면에서는 로컬푸드운동

과 연계하여 산청지역에서 재배한 우리밀, 쌀, 그리고

산청지역의 지역특산물인 한약재 4종류의 소비촉진

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체험 관광

및 관련교육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V.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생태계 형성

5.1 지속가능한 네트워크-산학협력 5.1.1 제품개발 및 기획과정

창원문성대학과 협약으로 제빵컨설팅 8회를 통하

여 제빵기술을 이전받고 공장장을 중심으로 3개월의

기간동안 제조, 포장 및 공동체마을 내 시식, 설비 운

영 테스트 등의 제빵과정을 시험 운영하면서 제품 20

여가지에 대한 기술자문과 검토가 있었다. 하지만 브

랜드를 대표할 만한 대표 빵제품에 대한 컨셉을 확정

치 못하던 과정에서 산청지역의 특산물인 약초를 이

용한 “약초빵”이라는 이미지를 구체화하고 이를 대

표상품으로 지정하라는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의

자문을 받아들였다. 이에 민들레, 두충, 도라지, 둥글

레 등의 산청지역 대표약재의 분말 및 추출물을 첨가

하고 친환경조건에서 재배한 우리밀을 이용한 약초

빵이란 이미지를 바탕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산청지역

Page 9: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9

<표 6> 마을기업 업무분담직원 담 당 비 고

K대표 총괄, 경영기획, 대외협조, 지역사회협력

K총괄 재료구매, 방문접대, 체험견학 체험견학소개

K관리 회계, 세무관리, 결제방법, 보험처리 회계관리

K공장장제품개발, 가격결정, 생산계획, 주문접수,

재고관리, 제품검수, 고객불만분석제품개발지원

L영업수요처발굴, 영업계획, 배달, 수금, 반품,

환불

수요처

발굴지원

P홍보홍보계획수립, 블로그관리,

제품카탈로그제작블로그 제작

C설비 생산수행, 포장, 배송, 설비관리 포장재 지원

<표 7> 마을기업 소셜네트워크 체계SNS종류 URL 주소 개설일블로그 http://minbakery.tistory.com 2011. 11

트위터 http://twitter.com/dandelionbakery 2011. 10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minbakery 2011. 12

내 농산물을 바탕으로 하는 “민들레베이커리”의 구

체적이고 가시화된 이미지 도출하였다.

5.1.2 조직의 역할분담

2010년 4월에 총 2회에 걸친 지식경제부 지정 지역

연고산업육성사업 (RIS)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의보

감촌 사업단(이하, 동의보감촌 RIS사업단) 의 수혜기

업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민들레 베이커리에

대한 기업 컨설팅을 통하여 현장애로사항 해결하였

다. 이때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사업시작 시점에

서의 마을 기업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 정의가 부족

하다는 내부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를 핵심해결과제

로 선정하고 컨설팅 한 결과 아래의 <표 6>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 업무의 효율이 증대효과

를 가져오게 되었다.

5.1.3 대학 내의 지역특화사업단의 마을기업 지원

민들레공동체의 마을기업인 민들레 베이커리의 성

공적인 사업모델 정착을 위해서 동의보감촌 RIS사업

단에서는 베이커리 포장재 디자인지원 1회, 제품카탈

로그 제작지원 1회의 기업지원 2회를 지원하였고

2011년 9월 영국 템즈강에서 산청군과 공동으로 시식

회개최 10월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총회장 시

식회, 11월에 국내거주 외국인 사절단으로 구성된 산

청관광서포터즈 시식회를 지원하여 오프라인 홍보행

사를 3회 지원하였으며, 같은해 9월~ 11월 동의보감

촌 RIS사업단이 기획한 ‘지리산약초학교’ 과정 2회와

‘귀농귀촌인 을 위한 제빵체험’ 1회 등 총 3회의 체험

관광을 개최하여 체험관광을 통한 홍보를 지원하였

다.

5.2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네트워크 형성현장 애로 사항을 취합하던 중 “민들레 베이커리”

와 그 제품들을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방안에 대한 논

의가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위하여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체계를 구축키로 하였다. 즉, 사업시작시점을

중심으로 제작된 홈페이지는 사업초기 빈약한 컨텐

츠로 공개될 경우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

줄 수 있고, 홈페이지라는 미디어의 특성상 공식적인

느낌이 있어서 민들레베이커리와 민들레 공동체의

가치를 이해하는 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해서 블로그

를 중심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를 구성하기로 하였

다(표 7 참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의 교수와 학

생의 도움으로 기존에 개인이 운영하던 블로그를 베

이커리 차원의 블로그로 새롭게 신설하고 이 블로그

에 포스팅된 글을 홍보하기 위하여 트위터와 페이스

북 계정을 신설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1년 9월부터

사전준비를 시작하여 트위터, 블로그, 페이스북의 순

Page 10: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80 제8권 제3호

서로 차례로 개설하여서 민들레베이커리의 판매 및

제조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소비자와 소통

하는 창구로 마련하였다.

5.3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 성과여러 사업의 유치로 인해 마을이 활성화 되자 청년

회가 다시 결성이 되었고, 민들레 공동체와 기존마을

주민들의 직거래를 통해 농산물 유통이 쉬워지고, 농

가소득도 증대되게 되었다. 대안학교인 민들레 학교

신설과 (사)대안기술센터의 언론홍보로 인해 도시민

의 귀농문의와 함께 귀농이 증가되고 있다. 갈전마을

에만 2006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약 30가구 이상의

가정이 귀농, 귀촌하였으며, 마을의 대안학교의 학부

형 네트워크로 인해 지역농산물을 판매하거나 혹은

제빵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도농네트워크가 점점 커

지고 있다.

2009년에 완료된 녹색 농촌마을 사업을 통해서,

2010년 1월부터 10월까지 약 4, 000명 이상의 사람들

이 방문, 견학, 체험 등을 한 결과, 마을 공공기금이

형성되게 되었으며 녹색마을 사업으로 마을의 기반

시설이 확충되고, 행정안전부 지원 자립형 공동체 기

업 만들기 사업으로 조성된 민들레 베이커리로 인해

제빵실습체험과 판매로 지속적인 마을 소득원을 확

보하였다고 자평하고 있다.

Ⅵ.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공요인6.1 공동체성의 확보

마을 공동체는 마을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심리적

인 동질감을 갖게 하는 사회적 공동체를 말한다. 생

활양식의 변화뿐만 아니라 마을을 이루는 지역민의

공동체의식과 이를 구심점으로 하는 마을 주민들 간

의 유대관계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마을기업

의 지속적인 유지와 확산을 위해서는 내부적 유대관

계인 공동체의식 또는 리더십과 내외부를 아우르는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작용할 때 마을공동체를 기

반으로 하는 마을기업의 성공적인 정착이 예견된다.

임정엽[12]은 발표자료를 통해 ‘주민커뮤니티가 주

도하는 공동체사업활성화가 지역발전의 요체’ 라고

한 바 있다. 커뮤니티비즈니스의 성패는 객관적인 사

회경제적 조건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이보다 결정적

인 조건은 지역커뮤니티의 준비정도와 추진역량이다.

하지만 고령화된 농촌지역에서는 이런 일을 주도할

커뮤니티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속적으로 마을기

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정책적으로 뒷

받침하여 주민조직을 활성화 시키고 주민참가형 기

업을 보육, 육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민들레공동체가 내적으로는 공동체생활을 통한 마

을내의 공동체성을 보유하면서 마을대표를 중심으로

생태계를 조성하여 다른 지역보다 마을기업이 조기

에 정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대안기술연구소를

통해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을 보급함으로 국내

외 네트워크 형성에 일조를 하였으며 대안학교를 중

심으로 도농교류를 통한 마을로의 지속적인 인구유

입을 통하여서 마을기업 운영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외적으로는 관, 학의 지원으로 지역 내에서 지속적인

자립경제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핵심 요인은 갈전마을에서 살

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철학이며 리더십이다. 이는 민

들레 공동체의 가장 큰 원동력이다. 재생에너지를 기

반으로 하는 (사)대안기술센터, 대안교육을 추구하는

민들레 학교, 대안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민들레 공방

과 마을기업을 표방하는 민들레베이커리 등으로 구

성된 민들레 공동체의 철학과 삶의 방향은 하나의 목

표의식아래 각각의 역할을 수행해 가며 공동체의 발

전을 이끌어낼 수 있게 했다.

Page 11: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81

6.2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생태계형성재생에너지를 생활에 적용하고 살아가는 공동체의

생활모습이 온라인 미디어 및 공중파 방송과 신문에

보도되면서 외부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응을 얻게 되

었으며 중앙과 지자체의 공무원들의 방문과 행정, 재

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면서 마을기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투입이 시작되었다. 대안학교를 기반으

로 하는 학부모 공동체와 인근지역 대학의 산학연 지

원이 기존 정부지원의 하드웨어적인 인프라를 구축

한 기반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지원, 마케팅 및 홍

보를 지원함으로서 민들레 공동체의 마을기업의 토

대가 강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마을공동체는 단순한 소득증대 보다는 일관된 마

을 공동체의 원칙으로 재생에너지와 생태건축을 기

반으로 퍼머컬쳐와 유기농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

래마을을 추구해 오고 있다. 여기에 아울러 후세대를

양성하는 대안교육과 대안학교가 마을을 뒷받침하는

한 축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민들레 공방을 통한

지역문화발전, 민들레베이커리를 통한 지역의 자립경

제구조를 만들어 내는 자립형 공동체 사업이 국내외

뜻을 같이하는 협력자들과 함께 온오프라인 네트워

크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형성하게 된 것

으로 보인다.

Ⅶ. 결론 및 시사점전통적으로 비즈니스 커뮤니티가 발전하기 위해서

는 자연경관, 문화유산, 지리적 특성 등이 마을 발전이

나 지역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국내의

여러 성공한 마을들 대부분은 이와 같은 여러 환경적

인 요인들에 의해서 성장 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

만 민들레공동체의 경우는 다르다. 마을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문-지리학적 조건, 생태조건 등은 특별할 것이

없는 평범한 마을이다. 오직 마을이 가진 인적자원을

마을 발전을 이끌어 내는 원동력으로 삼은 것이 특징

이다. 자연경관, 문화유산, 지리적 장점 등이 전혀 없었

지만 이곳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목표와 가치

관 즉, 산업화과정에서 상실된 마을공동의 공동체성을

이 마을에서는 전래의 공동체성은 아니지만 영성중심

의 신앙공동체, 생태공동체로서 일관된 리더십아래에

협력하는 공동체성을 이어나가고 다른 마을이 지향하

는 개인소득향상, 마을공동자본 확충이라는 목표에서

벗어나 일관된 생태계확보를 목표로 하는 것이 이 마

을의 성공요소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핵심가치

를 온오프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사회, 대학, 지자체 등

과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다양한 계층의 지지기반

을 구축한 것도 성공요소라고 할 수 있다.

즉, 산업화시대의 특징인 소득창출이나 경제성장

에만 모든 마을사업의 중심을 두면 안 된다는 측면을

우리에게 시사한다. 과거 소득창출을 목적으로 했던

여러 마을들의 다양한 정부사업들의 결과가 돈과 관

련된 문제 특히 혜택의 분배과정에서 오는 문제들로

인하여 분열되거나 상처를 입었다. 또한 농촌의 그

순수함과 풍성함도 잃어버리게 되어 결국 마을의 공

동체성을 훼손하게된 것이다. 민들레 공동체의 경우

오히려 증가 된 수입을 어려운 이웃과 인근 마을, 북

한과 아시아, 아프리카 빈곤퇴치를 위한 기금으로서

혹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만들기를 위한 기금으로

서 활용함으로써 생태계를 건강하게 하는 요소가 되

고 있다. 또한 마을개발방향이 다방면에서 진행되어

야 한다. 즉, 자연환경, 문화, 경제, 교육, 리더십강화,

철학 등이 마을 발전의 방향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야 한다. 지금까지 정부주도의 마을개발사업은 개별

적인 정부부서의 지원으로 마을의 경관 및 건설 등의

하드웨어만 지원하는 사업, 디지털활용능력을 지원하

는 사업, 교육등의 마을 핵심역량을 지원하는 사업

등이 각각 개별적으로 시행되어오면서 통합적인 측

면의 전방위의 지원이 어려웠었다. 하지만 민들레 공

Page 12: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182 제8권 제3호

동체에서는 통합적인 가치관을 일관되게 주장해 오

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마을기업으로서의 민들레베이커리의 운영으로 지

역의 농산물을 이용한 생태적 개발을 통하여 귀농인

구 유입을 촉진할 수 있으며, 관광자원화 및 체험시

설의 유치로 유동인구를 증가시켜 지역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민들레베이커리에서 나온 여러 가지 제품들이 오

프라인 및 온라인 미디어를 통해 지역 내외에 알려짐

으로 인해 마을기업을 통한 지역 인지도의 상승, 도

농교류의 증진 및 관광객의 유치로 지역경제에 직ㆍ

간접영향을 미쳐 마을 주민의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제빵과정에서의

주민의 역할이 마을기업에 대한 주인의식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주민간 원활한 의사소통의 계기로

유도하여 마을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할 계기가 될 수

있다. 마을의 자생적인 노력과 대학의 산학연협력으

로 온오프 네트워크가 구축된 마을의 지속가능한 생

태계가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김기찬, “기업생태계관점에서 연구개발 전략과

플랫폼 리더십: 대, 중소기업 상생협력과 R&D에

의 시사,” 중소기업연구, 제31권, 제2호, 2009, pp.

157-175.

[2] 김영수ㆍ박종안,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

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 농촌체험 관광마을을 중심

으로,” 농촌사회, 제19권, 제2호, 2009, pp. 167-206.

[3] 김창완ㆍ박상혁ㆍ손성문ㆍ장경원, “문제해결형

산학연계 모델 사례연구,” 기업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012, pp. 39-64.

[4] 박병무, “지역산학협력모델 및 네트워크구축에

관한 연구-광역경제권역별 선도산업육성과 대학

의 산학협력 특성화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문

화연구, 제21권, 2009, pp. 281~297.

[5] 박상혁ㆍ김창완, “경남지역 산학협력을 통한 IT

벤처기업의 경쟁력 강화,” 디지털정책연구, 제9

권, 제6호, 2011, pp. 125-135.

[6] 박용규, “지역활성화의 새로운 대안, 커뮤니티비

즈니스,” CEO Information, 제728호, 삼성경제연

구소, 2009.

[7] 배순한ㆍ서재교ㆍ백승익, “온라인 커뮤니티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탐색적연구: 사회연결망분석

을 이용하여,” 지식경영연구, 제11권, 제2호,

2010, pp. 17-35.

[8] 송인하,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지방자치연구, 통권14호, 2010, pp. 33-65.

[9] 오현석, “EU의 농촌개발 전략의 변화,” 농어촌과

환경, 통권98호, 2008, pp. 81-94.

[10] 이동욱ㆍ최재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특성

이 구전과 혁신의 수용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3권, 제

3호, 2007, pp. 69-79.

[11] 이해진,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

개발 사업,” 농촌사회학회지, 제19권, 제1호,

2009, pp. 7-47.

[12] 임정엽, “지역활성화를 위한 완주군의 전략과 정

책,” 국회정책토론회 발표자료 「커뮤니티비즈

니스,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모델과 발전방

안」, 2010.

[13] 전호상, 계획공동체 마을의 공간구성, 성균관대

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7.

[14] 정해용,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지역 산업인력

수급분석: 충남지역 제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산업정보학회 논문지, 제7권, 제2호, 2011, pp.

147-159.

[15] 지경배, “마을만들기사업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10.

Page 13: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남 산청군 민들레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온오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83

신 용 욱Shin, Yong Wook

2007년 3월~현재경남과기대 농학ㆍ한약자원학과 조교수

2006년 8월 경희대학교 한약학과(약학박사) 2003년 8월 경희대학교 약학과(약학석사) 2001년 2월 경희대학교 한약학과(약학사)관심분야 : 지역특화산업, SNSE-mail : [email protected]

박 상 혁Park, Sang Hyeok

2003년 3월~현재경남과기대 전자상거래무역학과 부교수

2003년 2월 한양대학교 경영학박사 1994년 8월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석사 1992년 2월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학사관심분야 : 소셜미디어, 사회적 기업E-mail : [email protected]

논문접수일 : 2012년 6월 21일 수 정 일 : 2 0 1 2 년 7 월 4 일게재확정일 : 2012년 7월 13일

[16] 최정신, “국내 계획공동체 마을의 주민참여의 실

태 및 특성,”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9권, 제5

호, 2008, pp. 93-102.

[17] 함유근ㆍ김영수, 커뮤니티 비즈니스 - 지역 경제

를 살리는 새로운 대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

[18] 함유근ㆍ김영수ㆍ이국희ㆍ이석준, “지역사업의

지속 가능성 결정 요인: SLEN이론에 따른 국내

사례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0권, 제2호, 2008,

pp. 125-149.

[19] Ericson, A. K. and Simon, H. A., Protocol

Analysis: Verbal Reports as Data, The MIT

Press, 1984.

[20] Moore, J. F., The Death of Competition:

Leadership and Strategy in the Age of Business

Ecosystem, Harper Paperbacks, 1997.

[21] Orlikowski, W. J., “Improvising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Over Time: A Situational

Change Perspectiv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 7, No. 1, March 1999.

[22] Peltoniemi, M., “Preliminary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business

ecosystems,” Emergence: Complexity and

0rganization, Vol. 8, No. 1, 2006, pp. 10~19.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