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국립중앙도서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디브러리 총서 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Embed Size (px)

DESCRIPTION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총서 시리즈5.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Citation preview

Page 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국립중앙도서관

정보소외계층서비스디브러리총서5

Page 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5권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제5장 이용자시나리오기반정보서비스 지침개발

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지침의 의의 | 1422. 이용자 시나리오분석에서의 정보소외계층 관련 서비스분석 | 1463. 서비스 지침 개발(안) | 152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1. 콘텐츠 개발 추진과제의 설정 | 1582. 장애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 1633. 노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 1694. 이주민용 콘텐츠 개발계획 | 172

제7장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디자인및시설계획

1. 기존 설계안 분석 | 1822.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계획 | 188

제8장 결 론

1. 결론 | 198

[참 고 문 헌] 214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2. 연구의 범위 | 14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1. 정보소외계층 현황분석 | 16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 303. 설문조사 분석 | 514. 사례조사 분석 | 57

제3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1. 주요추진과제 분석 | 722. 계획수립 기본방향 | 75

제4장 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개발

1. NDL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 822. NDL IC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 107

목 차

Page 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5권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표 Ⅳ-3] 중앙행정기관(57개) 웹 접근성 준수실태(평균 72.4점) | 87

[표 Ⅳ-4] 2006년 세계전자정부 홈페이지 접근성 준수 실태 | 88

[표 Ⅳ-5] 특정 업무 수행시간비교(단위 : 초) - 일반인과 장애인 | 89

[표 Ⅳ-6] 세부계획상 세부추진과제와 본 과업 추진과제의 연관성 | 112

[표 Ⅳ-7] 세부계획상 유형별 정보서비스 세부추진과제 | 113

[표 Ⅳ-8] 장애유형별 활용기기 | 115

[표 Ⅳ-9] 배움나라의 청각장애인용 리터리시 프로그램 | 128

[표 Ⅳ-10] 배움나라의 시각장애인용 리터리시 프로그램 | 128

[표 Ⅳ-11] 노인용 리터리시 프로그램(안) | 130

[표 Ⅳ-12] 수원 외국인 노동자 쉼터 사례 | 133

[표 Ⅳ-13] 국내 공공도서관의 이주민 대상 정보서비스 현황 | 134

[표 Ⅵ-1] 전통적 콘텐츠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비교 | 159

[표 Ⅵ-2] 세부계획상의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추진과제 | 161

[표 Ⅵ-3] 디지털 음성전자 도서관 2007년 11월 신간자료 비율 | 165

[표 Ⅵ-4] DAISY 구성파일 | 166

[표 Ⅵ-5] 국내 점자도서관의 콘텐츠 보유 현황 | 167

[표 Ⅵ-6] 국내 민간도서관의 이주민 대상 정보서비스 현황 | 174

[표 Ⅵ-7] 이주민 장서구입 대상 국가 도서관 홈페이지 현황 | 178

[표 Ⅶ-1] 도서관에 설치하여야 하는 편의시설의 분류 | 183

[표 Ⅶ-2] 편의시설별 설치기준 | 185

[표 Ⅶ-3]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용결과(지하3층) | 186

[표 Ⅶ-4]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용결과(지하2층) | 188

[표 Ⅷ-1] 정보소외계층 수요 추정 | 200

[표 Ⅷ-2] 정보소외계층의 배려 요소 | 202

[표 Ⅷ-3] 타 과제와 정보소외계층의 추진과제와의 연관성 분석 | 203

[표 Ⅷ-4] 정보소외계층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 204

[표 Ⅷ-5]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 204

[표 Ⅷ-6] 세부계획상 유형별 정보서비스 세부추진과제 | 206

[표 Ⅱ-1] 「정보격차에 해소에 관한 법률」과「도서관법」에서의 정보소외계층유형 | 19

[표 Ⅱ-2] 등급별 장애현황 | 21

[표 Ⅱ-3] 유형별 장애현황 | 22

[표 Ⅱ-4] 장애등급별 유형별 총괄표 | 23

[표 Ⅱ-5] 서울시 5개구 거주 장애인중 국립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3개유형의 4-6급 장애인수 추정 | 23

[표 Ⅱ-6] 65세 이상 고령자 현황 | 24

[표 Ⅱ-7] 국내 체류외국인 현황 | 24

[표 Ⅱ-8] 장기체류외국인 국적별 현황 | 25

[표 Ⅱ-9] 장기체류외국인 체류자격별 현황 | 25

[표 Ⅱ-10] 등록외국인 구별 현황 | 26

[표 Ⅱ-11] 결혼이주민의 서울시 현황 | 26

[표 Ⅱ-12] 새터민 정보화 교육 실적 | 27

[표 Ⅱ-13] 소외계층 수요추정 | 27

[표 Ⅱ-14] 상용보조공학기기 지원품목 | 49

[표 Ⅱ-15] 정보소외계층의 배려 요소 | 50

[표 Ⅱ-16] 도서관 내 장애인 지원시설의 인지 여부 | 51

[표 Ⅱ-17] 도서관 이용 시 가장 소외되는 계층 | 52

[표 Ⅱ-18]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 주요 대상 | 53

[표 Ⅱ-19] 정보소외계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정보 서비스 분야 | 54

[표 Ⅱ-20]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 | 55

[표 Ⅱ-21]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실태조사 결과 | 64

[표 Ⅱ-22] 장애인 특수학교 도서관 시설 실태조사 결과 | 67

[표 Ⅱ-23] 장애인 특수도서관 서비스 실태조사 결과 | 69

[표 Ⅲ-1] 타 과제와 정보소외계층의 추진과제의 연관성 분석 | 73

[표 Ⅲ-2] 정보소외계층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 74

[표 Ⅲ-3]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 74

[표 Ⅳ-1] 웹 접근성에 대한 주요 정의 | 83

[표 Ⅳ-2] 주요 지침별 검사항목 | 87

표 목차

Page 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5권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그림 Ⅳ-22] 생활 및 건강 프로그램 운영 예 | 131

[그림 Ⅳ-23] 경제 프로그램 운영 예 | 131

[그림 Ⅳ-24] 노래교실 프로그램 운영 예 | 132

[그림 Ⅳ-25] 댄스 교실 프로그램 운영 예 | 132

[그림 Ⅳ-26] 기타 프로그램 운영 예 | 132

[그림 Ⅳ-27]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멀티미디어 열람실 평면도 | 135

[그림 Ⅴ-1]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이동수단) | 146

[그림 Ⅴ-2]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이동안내) | 147

[그림 Ⅴ-3]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기기대여) | 147

[그림 Ⅴ-4]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열람) | 147

[그림 Ⅴ-5]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단행본 열람) | 148

[그림 Ⅴ-6]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모바일열람) | 148

[그림 Ⅴ-7]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멀티미디어 열람) | 148

[그림 Ⅴ-8]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회원가입) | 149

[그림 Ⅴ-9]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이용안내) | 149

[그림 Ⅴ-10]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IC예약) | 150

[그림 Ⅶ-1] 1층 장애인 편의시설 | 185

[그림 Ⅶ-2] 2층 장애인 편의시설 | 187

[그림 Ⅶ-3] 전용공간 제1안 | 190

[그림 Ⅶ-4] 전용공간 제2안 | 191

[그림 Ⅶ-5] 전용공간 제3안 | 192

[그림 Ⅶ-6] 전용공간 제4안 | 193

[그림 Ⅶ-7] 정보소외계층 공간 | 194

[그림 Ⅶ-8] 글로벌라운지 공간 | 195

[그림 Ⅱ-1] 시각장애인을 위한 홈페이지(국립중앙도서관) | 39

[그림 Ⅱ-2] 도서관 내 장애인 지원시설의 인지여부 | 51

[그림 Ⅱ-3] 도서관 이용 시 가장 소외되는 계층 | 52

[그림 Ⅱ-4] NDL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 주요 대상 | 53

[그림 Ⅱ-5] 정보소외계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정보서비스 분야 | 54

[그림 Ⅱ-6]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 | 55

[그림 Ⅳ-1] 웹 접근성 관련 구성요소 | 84

[그림 Ⅳ-2] NDL 포털서비스 구성도 | 90

[그림 Ⅳ-3] 보건복지부의 글자확대서비스 | 92

[그림 Ⅳ-4] 보건복지부의 대상자별 맞춤서비스 | 93

[그림 Ⅳ-5] 문화관광부의 국적별 언어맞춤서비스 | 94

[그림 Ⅳ-6] 대한장애인체육회의 단축키 제공 서비스 | 94

[그림 Ⅳ-7] 한국은행의 화면확대서비스 | 94

[그림 Ⅳ-8] B통신사의 메신져 통신중계서비스 | 95

[그림 Ⅳ-9] 국립중앙도서관의 시각장애인용 서비스 | 96

[그림 Ⅳ-10] 도서정보듣기 서비스 | 97

[그림 Ⅳ-11] window XP-narrator 기능 사례 | 98

[그림 Ⅳ-12] 매직터치스크린사례 | 101

[그림 Ⅳ-13] 헤드마스터플러스 | 101

[그림 Ⅳ-14] 헤드마우스(Head Mouse) | 102

[그림 Ⅳ-15] I Gesture 패드 사례 | 103

[그림 Ⅳ-16] 미디어 센터를 위한 음성리모컨 | 105

[그림 Ⅳ-17] 웹 네비게이션 사례 | 106

[그림 Ⅳ-18] 해득력(Literacy)의 진화과정과 스펙트럼 | 126

[그림 Ⅳ-19] 정보해득력의 계층구조와 개념도 | 127

[그림 Ⅳ-20] 컴퓨터 교실 프로그램 운영 예 | 130

[그림 Ⅳ-21] 외국어 교실 프로그램 운영 예 | 131

그림 목차

Page 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9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8 총서발간사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 시범사업"을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으로 편찬될 것이며,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되어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

다.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한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는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델

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고

합니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고 있습니다.

총서발간사

Page 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Page 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3제1장 서론

으로 인해 정보 빈곤이 유발되지 않도록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정보서

비스 및 시설을 제공하여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정보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장애인과 관련된

법적 최소 기준에 충족될 뿐 상대적으로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는 국립중앙도서관뿐만

아니라, 전국 980여 개의 도서관에 구비된 장애인 지원 서비스시설도 아직 완전하게 갖추어

지지 않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도서관 선진국에 비해 정보소외계층의 유형별 정보요구와 정보

추구행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등이 준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NDL에서

는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디지털 기기의 공공성을 확대하고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시설

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정보소외계층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우리사회가 노령화사회로 점차 접어들면서 노령인구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와 함께 사회활

동의 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정보활동이 필요하다. 국가 대표도서관은 증가되는 노령인구를

위한 특별한 정보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여야 한다. 이에, NDL은 노령인구에게 쉽고 편

안한 디지털 정보 활용 환경을 제공하고, 평생학습을 위해 존재한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지

식정보시대에 도태되지 않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디

지털 시설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NDL의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습득한

정보활용능력을 바탕으로, 노인들을 NDL의 정보서비스를 보조하는 인력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 가운데 노인은 방문이용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

한 이용에도 불구하고, 노인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이나 시설을 다양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NDL은 기존 시설에서 충족되지 못한 정보요구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

시설을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국립디지털도서관(National Digital Library, 이하 NDL)은 2001년 대통령 업무보고 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국가적 책무와 IT 강국으로 정보복지의 필요성에 따라 건립의 당위성

이 공식적으로 제기되었다. NDL의 책무와 역할은 새로운 도서관 혁신의 모델로써 디지털

정보자원을 체계적으로 수집·정리·보존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국가지식자원의 디지털 게

이트웨이가 되기 위함이다.

●정보접근 수단의 보유 여부에 따라 계층 간의 정보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이에 따라 정보격

차가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요인의 해소를 위해, 정보

서비스 기관에서는 장애인, 환자, 군인, 수감자, 외국인, 혼혈인, 이주민, 새터민, 구직자 등

의 소수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변화

와 요청에 따라 NDL에서는 국가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써 정보정보소외계층의 일상생활과

교육 및 생계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능동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

다. 따라서 NDL을 통해 정보정보소외계층이 보다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계획을수립하고자 한다.

● NDL은 국가의 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써 개관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취약 계층의 경제적·

신체적·정신적 이유로 인해 발생된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즉, NDL

은 소수계층, 즉 장애인, 실직자, 환자 등의 사회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경제적 빈곤

12

제1장 서론

Page 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2. 연구의 범위

2.1 공간적 범위

가. 1차 범위 : 국립디지털도서관 내부

나. 2차 범위 : 국립디지털도서관 외부, 국립중앙도서관 및 주변 일대

2.2 시간적 범위

가. 목표년도 : 2009년(일부의 경우 2009년 이후도 분석대상에 포함)

나. 기준년도 : 2007년

2.3 내용적 범위

가.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나.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다.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라.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14

제2장

정보소외계층의서비스 현황분석

1. 정보소외계층 현황분석

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3. 설문조사 분석

4. 사례조사 분석

Page 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② 정보격차의 개념

이 법에서는“정보격차”를‘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정보격차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구체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먼저 정보격차의 원인이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사회적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는 점이다. 우리가 흔히 정보소외계층으로 분류하는 장애인은 정보격차의 원인 측면에서는 여러 가

지 요인 중 하나 즉 신체적 여건으로 인한 정보격차의 발생에 불과하다. 반면 포괄적 개념에서의 정

보소외계층은 단순한 신체적 여건을 뛰어넘어 다른 요인만으로도 발생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특징은 정보격차가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라는 점이다. 이는 본 과제인 정보소외계층 서

비스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매우 함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정보격차가 결국 기회의 불

공평한 부여로 인한 격차임을 전제하면 이에 대한 대책 역시 균등한 기회의 제공에 맞춰져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특히 집이나 직장에서 국립중앙도서관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와 직접

국립디지털도서관을 방문하여 원하는 자료를 열람하는 경우 기회의 제공을 위한 정책이 근본적으

로 달라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일반인들 역시 국립중앙도서관을 방문하는데 기본적인 정보격차가 존재한다. 주로 지역

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직접 방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이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지방에 사는 주

민이 서울 주민보다 일정 부분 정보격차에 의한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의 해소를 위해 거리적 장애로 인한 사항을 모두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상당한 무리가 수

반될 수밖에 없다. 오히려 이의 해소를 위해서 각 지방의 공공도서관과 제휴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이

보유한 장서를 순회 열람한 든지 포털 사이트의 접속 서비스를 강화하여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원하는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방안이다.

마찬가지로 정보격차로 인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중에 특히 국립디지털도서관을 직접

방문하고자 하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서비스 역시 이러한 제약 조건이 불가피하게 일어남을 감안

한 후 수립되어야 결과적으로 모든 계층에 대한 균등한 기회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나. 정보소외계층의 개념과 유형

①「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의 정보소외계층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7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1. 정보소외계층 현황분석

1.1 정보격차의 발생과 정보소외계층의 존재

가. 정보격차의 개념

①「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의 입법취지

인터넷의 등장과 온라인 산업의 발달이 모든 정보에 대한 균등한 접근의 기회가 보장될 것이라는

초기의 낙관론은 사라지고 전 세계적으로 정보 불균형(Digital-Devide)으로 인한 폐해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특히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에서는 정보의 불균형이 궁극적으로 삶

의 질을 훼손시키고 나아가 소득이나 취직과 같은 기본적인 경제활동까지 그 파장이 퍼져 나갈 경

우 과거 산업시대와는 비할 수 없는 매우 심대한 사회문제가 야기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 매우 심각

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01년 1월 16일 법률 제6356호로 제정된「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을 통해 정

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도서관법 제 18조)이 정보격차와 이에 따른 정보소외

계층에 대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는「도서관법」에서 별도로‘지식정보격차

의 해소’(제8장)를 위해 도서관의 책무를 규정하고 해소의 지원 및 국립장애인도서관 지원센터를

설립, 운영토록 한데서도 잘 나타나 있다.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의‘정보’가「정보격차 해소에 관

한 법률」에서 규정한‘정보’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임을 감안할 때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개념과

분류의 출발점을「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된 개념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은 합리적이다.

16

제2장정보소외계층서비스현황분석

Page 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Page 1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1.2 정보소외계층의 유형별 현황 및 총수 추정

가. 장애인

① 장애인의 정의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장애인을‘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 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하고 동법 시행령 제2조와 시행규칙 제2조에서 장애인에 대한 종류

와 기준을 자세하게 명시하고 있다. 1989년까지는 장애를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 등 총 5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나, 2000년 1월 제1차 장애범주 확대를 통하여 뇌병변, 신장, 심장, 정

신, 발달장애 등 5개 항목이 추가되어 총 10개로 확대되었으며, 다시 2003년 7월 제2차 장애범주

확대를 통해 호흡기, 간, 안면, 장루·요루, 간질 등 5개가 더 추가되어 현재 총 15개의 장애 유형이

명시되어 있다. 또한 장애의 등급은 1급에서부터 6급까지 6개의 등급이 있으며 장애인으로 등록하

기 위해서는 본인이나 법정대리인 및 보호자가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이를 등록하여야 한다.

한편「국가 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된 장애인이 별도로 있다. ‘상이유공자’

라고도 부르는 이들 역시 장애인에 포함된다.

② 장애인 현황

전국적으로 장애인은 2007년 3월 현재 약 200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서울시에는 약 32만

명이 등록되어 있어 전국 대비 16%가 서울에 거주하고 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하여 실제 디지털도

서관에 방문하기가 쉽지 않은 중증장애인을 장애 등급 기준 1급에서 3급까지로 보았을 때 전국적

으로는 약 89만명이 이에 해당되며 서울 지역은 약 14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 중에서도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디지털도서관에 방문하기가 비교적 수월한 5개구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57,365명이며 이 중 실제로 방문 가능한 4급~6급의 장애인 수는 31,182명으로 추정되었다.

[표 Ⅱ-2] 등급별장애현황 (단위 : 명)

21

③ 본 과업에서 다루는 정보소외계층의 유형

「도서관법」에서 규정한 장애인, 노인, 수급권자 중에서 장애인과 노인을 정보소외계층에 포함시

키는 것은 당연하지만 수급권자의 경우는 본 과업에서 제시될 여러 가지 시설이나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

은 사실이지만 누구에게도 개방되는 국립디지털도서관 내에서 수급권자만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과업에서는 수급권자를 정보소외계

층의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다.

이외에 어떤 계층을 추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과업

추진팀의 내부 협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먼저「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명시된 정보소외계층 중 아동은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

취지와 이용 연령 제한 계획을 감안하여 제외하기로 하였다.

농어촌 지역주민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의 위상을 감안할 때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수

립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주로 정책적인 문제일 뿐 실제로 본 과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국립디지털

도서관과 관련된 서비스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라는 지적이 있어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상이유공자는 대부분의 경우 장애인과 중복되기 때문에 장애인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여성의 경우 입법취지로 볼 때 전업주부나 형편이 어려운 여성 등 사회적 약자의 개념이 적용되

어야 하는데, 본 과업에서는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인 여성을 주목하고 이

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취지에 부합한다고 보고‘결혼 이주민’

을 정보소외계층에 포함하였다.

다음으로「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이나「도서관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으나 사회적 약자로

존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와 새터민을 추가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모든 외국인 근로자가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온

단순노동자, 가정부 등이 포함될 것이다. 새터민의 경우도 최근 그 숫자가 급증하고 있고 우리나라

의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이들을 위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종합하여 본 과업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정보소외계층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 65세 이상의 노인

• 이주민(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중 여성, 새터민)

20

구분 계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전국 2,010,595 192,772 347,059 352,891 280,763 377,947 459,163

서울시 324,560 30,880 57,463 56,178 45,560 59,005 74,979

강남구 12,200 1,464 2,518 2,235 1,478 2,114 2,361

관악구 16,697 1,378 2,518 2,235 1,478 2,144 2,361

동작구 12,725 1,138 2,328 2,152 1,680 2,330 3,097

서초구 8,353 933 1,552 1,477 1,083 1,607 1,701

용산구 7,390 709 1,332 1,328 1,098 1,312 1,611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3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 Ⅱ-4] 장애등급별유형별총괄표 (단위 : 명)

[표 Ⅱ-5] 서울시 5개구거주장애인중국립디지털도서관을이용할수있는3개유형의 4-6급장애인수추정 (단위 : 명)

나. 노인

2007년 현재 서울시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786,580명이고 이 중 5개구의 노인 인구

는 158,324명이다. 다른 계층과 유사하게 노인 역시 지리적 여건을 무시할 수 없지만, 실

제 이용계층은 훨씬 늘어날 수 있는 계층이다. 그 이유로는 우선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을 실제 이용하는 계층

중에 노인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점, 그리고 족보나 희귀본처럼 도서관이 소장하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3

다음으로 유형별 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총 15개 범주 가운데 물리적 공간계획이나 별도의 서비

스가 필요한 장애인을 지체, 시각, 청각 장애인으로 보았을 때 전국적으로 약 147만 명으로 전체 장

애인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지역은 약 24만 명으로 서울시의 전체 장애인 중 73%를 차지하

고 있다. 마지막으로 인접지역 5개구는 41,060명(전체 장애인 대비 72%)으로 분석되었다.

[표 Ⅱ-3] 유형별장애현황 (단위 : 명)

마지막으로 전국적인 통계자료만이 제시되기는 하지만 장애인의 등급과 유형을 비교 분석한 자

료를 살펴보기로 한다. 앞에서도 분석한 바와 같이 각 등급별 혹은 유형별 장애인의 지역별 분포도

는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수요를 추정하기 위해 유형별

등급 비율을 적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의 장애 등급별 유형별 통계표를 분석한 결과 지체 장애인 중 4-6급의 비율은 73%, 시각 장

애인은 76%, 청각 장애인은 55%로 나타났다.

이를 서울시의 5개구에 등록되어 있는 유형별 장애인 수에 곱하면 실제 방문이 가능한 3개 유형

의 총 인원을 추정할 수 있다. 추정 결과 지체장애인은 21,327명, 시각장애인은 4,796명, 청각장애

인은 3,050명으로 나타나 총 29,173명이 디지털 도서관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시설과 서비스의 집

중이 필요한 장애인의 기준 수요로 추정되었다

정보소외계층현황분석

22

구분 전국 서울시 강남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 용산구

지체 1,070,450 171,317 6,004 8,792 6,509 4,131 3,779

시각 209,968 35,414 1,245 1,937 1,379 902 856

청각 189,348 31,588 1,077 1,643 1,395 724 687

언어 14,885 2,321 94 105 91 52 76

정신지체 137,102 20,109 771 947 697 615 378

뇌병변 200,062 35,906 1,375 1,624 1,356 954 801

신장 45,485 10,430 503 508 400 345 241

심장 14,017 2,723 117 133 113 72 250

정신 77,700 11,921 502 544 401 250 278

발달(자폐증) 11,261 2,579 225 109 101 102 40

호흡기 13,399 2,406 87 106 93 60 59

간 6,083 1,351 86 59 42 64 26

안면 1,936 316 11 13 10 2 3

장루•요루 10,723 2,232 60 112 90 63 60

간질 8,176 1,407 43 65 48 17 29

계 2,010,595 324,560 12,200 16,697 12,725 8,353 7390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3

구분 계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계계 소계

2,010,595 192,772 347,059 352,891 280,763 377,947 459,163

외부

신체

기능

장애

지체 1,070,450 41,108 86,557 161,011 198,547 295,688 287,539

뇌병변 200,062 52,678 58,969 47,998 18,549 13,061 8,807

시각 209,968 31,185 8,098 11,365 10,605 17,532 131,183

청각 189,348 4,716 45,988 34,140 36,530 36,348 31,626

언어 14,885 123 1,663 6,355 6,735 5 4

안면 1,936 58 339 678 859 1 1

내부

기관

장애

신장 45,485 1,917 36,078 19 202 7,269 -

심장 14,017 680 2,693 10,507 6 131 -

호흡기 13,399 2,495 3,719 7,184 1 - -

간 6,083 941 1,209 1,432 66 2,436 -

장루•요루 10,723 19 194 845 4,188 5,476 1

간질 8,176 160 996 2,550 4,470 - -

정신

적 장

정신지체 137,102 40,524 54,196 42,380 2 - -

발달(자폐) 11.261 4,264 4,931 2,065 - - 1

정신 77,700 11,904 41,429 24,363 3 - 1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3

구분전국 서울5개구

합계 4~6급 비율 합계 4~6급 추정

지체 1,070,450 781,774 73.0% 29,215 21,327

시각 209,968 159,320 75.9% 6,319 4,796

청각 189,348 104,504 55.2% 5,526 3,050

계 1,469,766 1,045,598 71.1% 41,060 29,173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정보소외계층 현황분석

Page 1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 Ⅱ-8] 장기체류외국인국적별현황 (단위 : 명)

[표Ⅱ-9] 장기체류외국인체류자격별현황 (단위 : 명)

다음으로 서울시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등록 외국인은 2006년 12월

말 현재 206,616명으로 전체 등록외국인의 28%가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를 다시 국적별로 살펴보기 위해 전체 국적을 OECD 가입국이거나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불

이상인 선진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비선진국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왜냐하면, 선진국 국적의 보유자는 정보소외계층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며, 오히려 실제 컴퓨

터 등을 통해 자국의 정보나 한글교육에 뒤쳐진 후진국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

이기 때문이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5

고 있는 자료에 대한 열람의 욕구가 매우 높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기준 수요에서 노인은 실제 5개구 노인인구를 그대로 적용

하는 것이 타당하다.

[표 Ⅱ-6] 65세 이상고령자현황 (단위: 명)

다. 이주민

① 이주민 총괄

2007년 8월을 기준으로 법무부 출입국 관리 사무소는 국내 체류 외국인이 100만 명을 돌파하였

다고 발표하였다. 이 중에서 장기체류 외국인을 포함한 등록 외국인이 약 72만 명이고 불법체류자

는 약 22만 명으로 추정되었다. 등록외국인을 다시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외국인 근로자가 전체의

56%인 40만 명이고 그 다음으로 결혼 이주민이 14% 수준인 10만 5000명, 외국인 유학생이 7% 수

준인 4만 7천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새터민은 2004년 이후 매년 2,000명 이상이 국내에 정착

하고 있다.

[표 Ⅱ-7] 국내체류외국인현황 (단위 : 명)

② 외국인 근로자 현황

장기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적을 조사한 결과 중국 국적이 356,409명으로 전체 등록외국인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이는 베트남(59,796명), 필리핀(41,937명), 우즈베키스탄(11,398명) 등 최

근 국내로의 진출이 활발한 3개국의 총인원 113,122명보다 3.1배 많은 수치이다.

24

<자료> 서울통계연보, 서울특별시청, 2007

구분 전국 서울시구별

강남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 용산구

소계 - - 34,292 38,358 34,137 27,140 24,397

총계 4,365,218 786,580 158,324

<자료> 법무부 보도자료, “체류외국인 100만명 돌파", 2007.8

구분 총계 구분 소계 목적별 소계 비율

국내체류외국인

(단기체류 외국

인 포함)

100,254

등록외국인(장기체류 외국

인)724,967

외국인 근로자 404,051 56

외국인 유학생(국어연수생 포함) 47,479 7

결혼 이민자 104,749 14

불법체류자 225,273

<자료> 법무부 보도자료, “체류외국인 100만명 돌파", 2007.8

구분 국적 현황 국적 현황

장기체류 외국인

중국 365,409 우즈베키스탄 11,398

베트남 59,796 파키스탄 8,746

필리핀 41,937 캐나다 6,952

태국 30,890 방글라데시 8,465

미국 48,817 네팔 4,992

인도네시아 23,309 인도 4,129

대만 21,984 러시아 4,056

몽골 20,212 영국 3,107

일본 18,673기타 39,452

스리랑카 11,652

총계 724,967

<자료> 법무부 보도자료, “체류외국인 100만명 돌파", 2007.8

구분 체류자격 현황 체류자격 현황

장기체류 외국인

유학 26,175 연구 2,184

산업연수 50,434 예체능 3,766

일반연수 2,789 특정직업 6,092

국어연수 10,527 연수취업 64,467

종교 1,721 비전문취업 139,910

상사주제 1,494 방문동거 42,475

기업투자 7,635 취업관리 49,262

무역경영 2,182 결혼이민자 103,152

교수 1,233 방문취업 91,381

회화지도 15,769 기타 92,319

합계 724,967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 Ⅱ-12] 새터민정보화교육실적 (단위 : 명)

라. 정보소외계층 총괄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종합하여 향후 본 과업을 수립하는데 기준 역할을 하게 될 정보소

외계층의 총 수요를 추정하였다.

[표Ⅱ-13] 소외계층수요추정 (단위 : 명)

1.3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의 필요성

가. 장애인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는 1656년 영국 John Troughton이 St John's 대학에 입

학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대한 봉사가 시작되었고 1857년 Liverpool 공공도서관에서 맹

인에 대한 봉사업무를 시작하였다. 장애인은 특징적으로 기기나 서비스를 공통적으로 공

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TTS기기는 청각장애인에게 필

요가 없으며, 청각장애인을 위한 FM보청기의 경우는 시각장애인에게 아무런 필요가 없

다. 이러한 특성은 도서관에서 모든 장 애인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측면에

서 각각의 정보서비스를 개발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 도서관에서 장애인 서비스는 주로 신체적 장애인과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 이외에 공공

도서관에서 서비스의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계층은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이다.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를 갖는 이용자는 지체장애의 경우, 도서관의 물리적인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7

분석결과 선진국을 제외한 총 외국인 등록 수는 강남구가 3,910명, 관악구가 10,475명, 동작구가

5,849명, 서초구가 3,001명, 용산구가 5,595명 등 총 28,830명으로 조사되었다.

[표 Ⅱ-10] 등록외국인구별현황 (단위 : 명)

③ 결혼 이주민 현황

한국인 남자와 결혼한 외국인 여성은 전국적으로 103,152명이다. 이 중 서울시에는 6,168명이 거

주하고 있으며 중국 국적이 전체의 68%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베트남이 880명, 필리핀이 159

명 등으로 나타났다.

[표 Ⅱ-11] 결혼이주민의서울시거주현황 (단위 : 명)

④ 새터민 현황

북한에서 탈북한 사람들이 합법적 절차를 거쳐 대한민국에 입국할 경우 하나원 및 민간기관에서

일정기간 교육을 받은 후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새 출발을 하게 된다.

새터민의 경우 이들의 숫자가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는 점과 새터민의 장래 수요추정이 매우

어려운 것 점, 또한 교육이 종료된 후 일반 사회에 편입될 경우 더 이상 새터민의 지위로 보기 어려

운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2년 정도의 교육기간을 거친다는 전제하에, 매년 약 2,000명 정도가 새롭게

교육을 받는 다고 가정하면 서비스의 대상으로 추정되는 총인원은 교육을 받는 기간을 감안하여 총

4,000명으로 추정하였다.

26

<자료> 국적별 외국인 현황, 강남구청 자료, 2006.12

구분 서울시구별

강남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 용산구

선진

206,616

3,784 303 547 2,703 5,403

후진 3,868 9,833 5,837 2,967 5,423

무국적 6 4 4 4 2

기타 36 38 8 30 170

소계 7,694 10,778 6,396 5,704 10,998

<자료> 서울통계연보, 서울특별시청, 2007

국적 현황 국적 현황 국적 현황 계

일본 268 필리핀 159 러시아 50

6,168중국 4,214 베트남 880 몽고 100

미국 123 태국 48 기타 326

<자료> 남북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 접근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12

구분 2002 2003 2004 2005 계 비고

기초교육 58 1,103 1,919 1,616 4,696 하나원

실용교육 - 63 138 536 737 민간기관

구분 장애인 노인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새터민 합계

전국 2,010,595 4,824,238 404,051 103,152 4,000 7,346,036

서울시 324,560 786,580 206,616 6,168 4,000 1,327,924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② 결혼이주민

결혼 이주민은 해외 국적을 갖고 있는 외국인이 우리나라 국민과의 결혼을 통해 우리나라 국적을

취득한 경우를 의미한다. 공공도서관에서 주된 서비스대상으로서 정보소외계층으로 간주하는 결혼

이주민은 외국인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주로 개발도상국으로서 우리나라 관할내에 자국의 문화원이

나 문화관련 시설을 개소하지 않은 국가의 국민이다. 왜냐하면 자국의 문화원이 대한민국 관할 내

에 있을 경우에 최소한의 문화적 혜택과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채널을 갖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결혼을 통해 귀화한국적취득자는 대부분 여성으로서 결혼이민자 중 여성이 차

지하는 비율은 88.3%를 차지하고 있다. 80년대는 종교단체를 통해 주로 일본여성이 입국했으나

90년대 초에는 한·중 수교 이후 중국동포와 중국한족의 결혼이주가 활발한데 이어 1990년대 중반

이후 필리핀, 태국, 몽골 등으로 국적이 확대되었고, 최근에는 베트남, 몽골, 우즈베키스탄 출신 등

으로 국적도 다변화 하고 있다.

이 계층의 특징은 대부분 언어적 제약이 따르며, 또한 결혼에 의한 귀화이민이기 때문에 특성상

농어산촌에 산재되어 있어 지리적으로 국립디지털도서관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을 위한 서비스 역시 콘텐츠 위주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특히 최근 들어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자녀의 교육문제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③ 새터민

새터민은 북한에서 이탈한 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써 법적인 용어는 북한이탈주민이다.「북한이

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새터민을“북한에 주소·직계가족·배우자·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터민은 북한에 연고가 있다는 것만 차이가 있을 뿐, 최소한의 언어 소통이 가능한 일

반 국민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계층이다. 이 계층은 시설이나 신체적 제한을 갖지 않으며, 일반

국민들이 이용하는 도서관 서비스(시설 및 인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특별한 배려가 없어도 무리가

없다.

다만 새터민을 위한 별도의 정보를 제공해 줄 필요는 있다. 우리나라와 북한과의 언어적 괴리감

이나 문화적 차이, 자본주의 경제 체제에 대한 교육, 정보기기의 활용 교육 등은 새터민의 원활한

정착을 위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콘텐츠이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9

시설의 보완만을 필요로 하며, 그 밖의 장애를 갖는 이용자의 경우, 시설을 포함하여 기기

와 함께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함께 필요하다.

또한 정신적 장애를 갖는 장애인의 경우, 일반 공공도서관의 시설과 인력이외에 별도의

인력이 요구될 수 있다.

나. 노인

「도서관법」에서 노인을 65세 이상으로 규정한 것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 수치적 기준이

라기보다 정년을 맞고,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최소한의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시작

점을 65세로 판단한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경로연금의 지급 개시조건을 만 65세부터로

지정한 노인복지법에서도 잘 나타난다.

도서관에서 노인을 위한 서비스는 크게 시설적 측면과 기기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설적 측면에서는 공공기관의 일부인 도서관의 경우 민간인이 관리하는 일반 건축물에

비해 훨씬 엄격한 시설을 갖추도록 여러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건설교통부를 중심

으로 무장애 공간(barrier free)의 확대 정책을 꾸준히 시행하고 있다.

기기적 측면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기기의 상당 부분이 노인을 위한 기기와 중복된다. 따

라서 국립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들 중 기기 서

비스가 필요한 경우에 대비한 기기 확보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과업에서도 이

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의 확보를 제안할 것이다.

다. 이주민

①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는 외국국적을 갖고 우리나라에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거주하고 있

는 계층을 의미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신체적인 장애보다 언어 소통의 제한을 갖는 경우가 대

부분이다. 또한 동남아 국가의 경우 대사관이나 영사관이 국내에 개설되어 있더라도 적극적으로 자

국민에 대한 문화 복지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계층은 시설적 혹은 기기적 제한도 없으며, 도서관에 물리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신체

적 제한도 없다. 오히려 자국에 대한 정보와 한국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기 위

한 콘텐츠의 제공이 가장 중요한 서비스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

28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있도록 시설이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2.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분류

가. 일반적인 도서관 정보서비스 분석

① 정보서비스의 정의

정보서비스(information service)란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정보시스템에 접근하는 이

용자들이 지닌 요구를 분석하고, 그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 형태, 규모, 범위 등을 파

악하여, 적절한 정보를 직접 제공하여 주거나, 적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해 주는 전문적인 서비스 영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도서관에 있어서 정보서비스란 각 기관

내·외부의 이용자에 대한 봉사 전반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구체적으로 도서관에서 개발, 조직하고

있는 자료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거나, 혹은 접근 가능한 외부의 정보원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직접적인 영역을 위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도서관이용교육,

독서상담 및 독서치료, 연구보조, 그리고 서평이나 번역 등에 이르는 포괄적인 영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다.

② 정보서비스의 유형

정보서비스 분야의 발전과 영역 확장에도 불구하고 정보서비스의 핵심은 결국 정보를 얻고자 하

는 이용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정보이용자의 요구와 해당 정보시스템의 상태, 사회

적 여건 등에 따라 정보서비스는 다양한 내용을 지니는데, 번지(Bunge)와 보프(Bopp)에 의하면 정

보서비스 는 정보제공(information), 안내(guideline), 그리고 교육(instruction)의 세 가지 영역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A. 정보제공(Information)

a. 질의에대한해답제공

정보이용자들이 직접적으로 혹은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등의 간접적 수단을 통하여 정보시

스템에 접근한 후 나타내는 최초의 행위는 주로 질의의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정보서비스

담당자의 기본적인 요건은 정보이용자들의 질의에 담긴 정보요구를 파악해 내는 능력과 동시

에 가용한 참고정보원에 대한 정통한 지식을 겸비하고 있어야 한다.

정보이용자들의 질의를 참고질의(reference question)라고 하는데 참고질의는 정보요구

정보소외계층서비스

31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2.1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개념

가. 관련 법률을 통해 나타난 서비스의 개념

앞에서 언급한「도서관법」제43조에서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시설과 자료 및 프로

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규정은 동법 제43조 제2항에서 규정된“지식정보서비스”라는

개념과 함께 본 과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대상을 매우 명확하게 나

타내주는 개념이다.다시 말해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법에서 명시한 다양한 서비스를 도서

관이 적극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그 서비스에는 시설과 자료 및 프로그램도 당연히 포함

되는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본 과업에서는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도서관법과 마찬

가지로 3가지의 영역으로 적용하되, 과업의 주요과제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시설, 콘텐츠

및 서비스로 바꾸어 표시하기로 한다.

나. 능동적 서비스의 개념 도입 필요성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중에서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논의할 때 특히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은 서비스의 대상인 정보소외계층을 직접 대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도서관이 앞장서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 이른바 능동적 서비스의 필요성이다.

“공공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2)면 공공도서관은 정보화 사회의 혜택을

지역주민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분배하는데 있어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시

설 중의 하나로서 다른 공공시설과는 달리 지역주민의‘알 권리’에 서비스의 초점을 맞추

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신체적 또는 환경적 조건에 문제가 없는 일반 주민에게만 적

합한 수동적 서비스라고 명명하였다. 이와 반대로 자신의 신체적 또는 환경적 문제로 인하

여‘알 권리’조차 알지 못하거나 알아도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는 지역주민에게도

공공도서관은 이를‘알릴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서비스라

고 표현하였다. 능동적 서비스는 결국 정보소외계층에 속한 지역주민 혹은 국민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서비스와 이를 인지한 주민

이 적극적으로‘알 권리’를 행사할 경우 일반인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30

2) "공공도서관의 노인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김선호,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3권 제 4호, 2002

Page 1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하고 있는 서지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정보서비스 담

당자는 색인, 초록, 서지 등을 확인하여 완벽한 형태의 서지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이

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입수할 수 있도록 돕는다.

c. 도서관상호대차와문헌복사(Inter-Library/Document Delivery Service)

필요로 하는 자료의 서지사항을 확인한 후 해당 자료가 자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는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타 도서관을 찾아낸 후 이들로부터 자료를 외부 대출하거나, 혹은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복사를 의뢰하여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전문적인 문헌제공서비스기관

을 이용하여 자료를 입수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d. 레퍼럴서비스(Referral Service)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가 도서관이 아닌 관공서, 기업체, 교육기관, 민간단체 등 다른

사회 기관에 소장되어 있거나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외부자원과 이용자를 연결

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이는 주로 학술적인 요구보다는 이용자가 지닌 일상생활에서의 어려

움을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으로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통

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요구의 유형에 따른 해결과정을 기록한 외부자원파일(resource file)을

유지하여 참고하고 있다.

e. 유료봉사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일정의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보다 고급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가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들은 통상 일기예보 수준의 정보만으로도 생활에 불편함이 없지만,

항공사나 선박회사들은 보다 완벽하고 자세한 기상 정보를 얻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

여야 한다. 흔히 정보브로커(information broker)라고 불리는 각종 유료정보서비스 기관들

이 이렇게 차별화된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등장하여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데, 정보서비스 담당자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이들 기관들을 안내해 주거나, 혹은 스스로

유료 정보의 입수와 관리에 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정하기도 한다.

B. 안내(Guidance)

정보서비스의 또 다른 영역은 직접적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와는 달리 일상생활의 변화를

위한 전략을 세운다거나, 혹은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떠한 행동을 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이다. 이럴 경우 사서는 직

33

의 표현양식으로서, 정보요구는 테일러(Robert S. Taylor)에 의하면 내면적 요구(visceral

need), 의식적 요구(conscious need), 표현된 요구(formalized need), 그리고 시스템에 맞

도록 변환된요구(compromised need)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질의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

기 위해서는 참고질의 속에 담긴 이러한 요구들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참고

질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 즉답형질의(Ready-Reference Questions)

이용자나 사서가 한 두가지 정도의 주요 참고정보원만을 조사 함으로써 간단히 해답에 이를 수 있는

질문을 의미한다. 주로 인물정보, 지리정보, 역사적 사건 등의 사실의 확인을 위한 간단한 조사를 동반

한다. 단, 해답이 제공된 후 질문자의 요구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는 가정에서 즉답형 질의 가운데

일부는 조사형 질의나 연구형 질의로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 지시형질의(Directional Questions)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바를 비교적 분명히 알고 있는 경우, 주로 특정 자료나 목록의 위치 등을 묻

는 경우 방향이나 위치만을 알려주는 형태로서 도서관의 안내데스크를 방문하는 이용자 질의의 대략

30~5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빈도를 나타낸다.

• 조사형질의(Specific Search Question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두가지의 이상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가령 간단

한 강연을 준비한다든지, 특정 이슈에 대한 입장을 요약, 정리하여 발표한다든지 할 때, 단순한 사실의

확인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므로 필요한 자료의 조사를 요하는 경우이다. 즉답형 질의가 주로 참고정

보원에 대한 조사만으로 해결되는 것과는 달리, 조사형 질의는 보다 포괄적인 자료 조사를 필요로 한

다.

• 연구형질의(Research Type Questions)

많은 조사형 질의들이 서비스 수행과정에서 연구형질의로 변화하는데, 연구형 질의는 해답을 위해 상

당기간에 걸친 많은 양의 자료조사를 요하는 경우이다. 정보검색에 이은 적합성 검증과정을 반복적으

로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행본, 저널, 문서자료, 신문기사, 색인과 전문데이터베이스 등 정보원의

유형에 관계없이 광범하고 심도 있는 자료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b. 서지확인(Bibliographic Verification)

도서관을 찾아오는 상당수의 이용자들이“○○○ 작가의 최근작”또는“○○○ 인물을 다

룬 소설”등 불완전한 서지정보만을 가지고도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연구를 위한 참고자료의 경우에도 이용자가 소유

32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자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나 주로 도서관 이용교육, 서지교육

(BI, bibliographic instruction), 도서관 이용자 교육(library user education/instruction),

또는 도서관지도(library instruction)등이 많이 사용되는 용어들이다.

도서관 이용자 교육의 초점은 도서관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정보/자료의 홍수 속에서

적절한 정보를 찾고, 찾아낸 정보를 평가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과정으로 주로 다음과 같은 유형

에 걸쳐 이루어진다.

■인쇄물 안내자료 / 온라인 안내자료(help guide)

■온라인 자습(online tutorials)

■ 정보검색용단말기(information kiosk)

■ 도서관 견학(library tours)

■연구조사 상담 시 1대1교육

■ 방문 온라인목록실습(drop-in OPAC training)

■ 1회 강의

■ 특정주제중심의 교과목통합 교육(대학/학교도서관)

■ 학점과목으로 개설되는 도서관이용교육(대학도서관)

도서관 분야에서 이용자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대학도서관 분야로, 최근

몇 년 동안 각 대학과 대학도서관들이 이용자교육에 새로운 관심을 가지고 도서관교육의 구체적

으로 프로그램들을 고안하여 실시하는데, 대략“정보검색교육”, “학술정보이용교육”, “도서관이

용교육”등 다양한 명칭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은 온라인 목록 이용법

을 위주로 도서관 자료 이용법, 국내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용법 등에 관한 교육을 주로 실시

하고, 별도의 요청이 있을 경우 특별교육을 수행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별도 제작된 도

서관홍보/이용자교육용 영상매체를 사용하기도 하며, 이 외에 교수와 대학원생 등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학술데이터베이스 이용교육은 수시로 공급업체의 교육담당자가 방문하여 교

육하고 있다 .

D. 기타

이외에도 정보서비스는 단위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대외 협력과 홍보기능, 정보봉사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와 Q&A,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 전자게시판관리, 새로운 데이터베

35

접적인 해답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자문이나 조언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 독서상담(Reader's Advisory Service)

전통적으로 정보서비스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기능으로, 어린이든 성인이든 이용자에게

최적의 자료들을 선정해주고 향후의 독서계획을 설정해 주며, 이를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하는

역할이다.

b. 독서치료(Bibliotherapy)

독서치료는 책읽기를 통하여 사람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인 고통을 완화하고, 나아가 그들

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독서치료의 관건은 대상

이 겪고 있는 정신적인 어려움을 파악하여 상황별로 구분한 후, 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자

료의 리스트를 개발하고, 이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독서 프로그램을 적용해 나가는 활동이다.

이는 도서관과 사서의 서비스 영역이 지역사회 의 정신보건(mental health)문제에 깊이 개

입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영역이다.

c. 보고서작성(Term Paper Counseling)

대학원생, 학부 학생들이 연구논문이나 기말보고서를 준비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구문제의

설정에서부터 연구방법의 선택과 적용, 자료의 확보, 참고문헌 작성 등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한다.

d. SDI(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선택적 정보제공(SDI)은 이용자별 관심역역에 따른 정보봉사(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주로 도서관 홈페이지 둥에 이용자 등록 메뉴를 설정하여 이

용자들이 몇 가지 세부주제를 관심영역으로 등록하도록 한 다음, 특정 주제의 자료들이 도서

관에 입수될 경우 자동적으로 이 주제영역을 관심영역으로 등록한 이용자들에게 해당 자료의

서명, 목차 등의 서지정보가 통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관련 주제영

역에 있어서 항상 최신정보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C. 교육(Instruction)

정보서비스는 도서관이 봉사대상으로 삼고 있는 지역, 또는 기관의 구성원들을 능동적으로 도

서관 이용자들로 교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내용적으로는 기초적인 도서관견학에서부터 구조화

된 워크숍이나 강의에 이르기까지, 이용자들이 도서관의 기능을 충분히 인식하도록 하고 도서관

34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1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① 장애인 정보서비스

A.장애인 정보서비스 유형

도서관에서의 장애인 정보서비스의 기본은‘모든 사람에게 모든 책을’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용자의 이러한 요구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의 평등정신에 기초한 것이다. 그래서 도서관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고려해야 한다. 즉, 누구든지 이

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도서관의 설립철학이라고 할 것이다. 장애인정보서비스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자료와 이용자를 연결하는 방법

– 책을 집어 건네주기

– 낮은 서가 설치하기

– 서가와 서가 사이 넓히기

– 우편대출 및 단체, 시설 대출 서비스

– 자택배본(택배서비스)

■자료를 이용자가 알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

– 시각장애인이나 눈이 불편한 고령자 등에게 대면낭독

– 테이프나 점자 자료제작, 대출

–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이나 수화 삽입 비디오 대출 서비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화나 점자 등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확보

■시설과 설비, 기기의 확충

– 접근 및 이동시설

– 이용이 가능한 편의시설

– 음성인식 또는 장애인용 키보드가 설치된 컴퓨터 설치

Kishore는 도서관에서 장애를 가지로 있는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였다.

■목록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 개가예약자료(open reservation)로 보관중인 자료 중

많이 이용되는 자료와 강의 테이프를 제공

■도서관 서가에 있는 자료 배달

■부분적으로 시력 장애를 보이는 이용자를 위해서 도서관 자료를 크게 확대복사

■서가내위치한자료의특정부분정보서비스

37

이스나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경우 도서관 직원에 대한 교육, 정보서비스 담당 조직의 관리 및 평

가 등의 부가적인 기능도 포괄하고 있다.

나. 디지털 정보서비스 분석

정보기술의 발전과 정보통신망의 확산에 따라 이제는 이용자 스스로가 필요한 정보를

직접 검색하고 입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 결과 사서와 이용자가 직접 대면하는 정보봉사로부터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봉사로

서비스의 축이 이동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

는 정보원을 위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뿐 아니라 FAQ(Frequently Asked

Questions), Ask a Librarian 등의 Ask-A서비스, 그리고 Q&A와 같은 게시판을 이용한

온라인 정보서비스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을 이용한 정보서비스는 전자우편이나,

온라인서식, 전자게시판형식을 이용하는 방법에서부터 화상회의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온

라인 대화(chatting)를 이용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형식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온라인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용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다든지,

익명성으로 인하여 정보서비스 기관이나 사서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데, 가령 대

면접촉이 일어나지 않아 이용자의 연령, 학력 등 신상정보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이용자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가 어렵고 아울러 참고면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용

자의 정보요구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용자의 질의가 너무 간단하여 사서가 이해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다. 그리고 사

서에게 많은 전자우편이 접수되므로 메일 박스 용량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는 점, 업무

종류 이후에 접수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지연되는데 대한 불만 요인 등도 지적되고 있다.

요컨대, 인터넷의 눈부신 성장과 정보원으로서의 인터넷 콘텐츠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정보서비스 담당자는 도서관의 문헌정보와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이용

자의 질의를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주제 지식, 그리고 이용자의 인간적 측면에 대

한 이해를 골고루 갖추어야 한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이러한 디지털 정보서비스가 도서관의 전통적 참고봉사를 완전히 대

체하는 개념이 아니라, 인터넷 환경에 부응하여 기존의 확장하는 개념이라는 사실이다.

다. 정보소외계층별 유형별 정보서비스 특성분석

36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국립중앙도서관(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제외)에서 현재 실시 중인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를 시설과 서비스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장애인을위한시설

▶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설치(10대)

▶ 장애인 전용승강기의 설치(1대)

▶ 장애인 전용화장실의 설치

-총21개소

-본관 1~ 6층/ 사서연수관 1, 2층/ 국제회의장 1층/ 자료 보존관 1층

▶ 계단을 대신하는 경사로의 설치

-본 관, 국제회의장, 자료보존관 입구

▶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블록, 양개도어, 점자안내도의 설치

-유도블록 : 건물내부 각층 화장실, 엘리베이터 부분, 외부 일부

-양개도어 : 본관, 자료보존관

-점자안내도 : 본관1층

-약시자 충돌방지용 띠 : 본관출입구, 정보봉사실 입구

■ 신체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구비

-전동스쿠터2대, 수동흴체어2대

b. 장애인을위한서비스

▶ 장애인 도서관 지원 DB구축

-시각장애인을 위한 원문DB와 종합목록의 제공

▶ 시각장애인용 홈페이지 구축

-시각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홈페이지 운영( http://sigak.nl.go.kr/nl)

[그림Ⅱ-1] 시각장애인을위한홈페이지(국립중앙도서관)

39

■장애인에 따라서 대여기간을 연장하거나 대여 규정을 수정

■전화 문의를 허용하고 참고정보서비스 제공

■도서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안내를 하며 정보 습득 방법 지도

■오디오, 비디오 시설 제공

■CD-ROM, 디스크 등 컴퓨터로 지원되는 학습 도구들의 사용 지원

■크고, 단순하면서도 분명한 내용으로 적절한 소장위치에 대한 표시를 해두어

이용의 편리 도모

또한 각 장애 유형에 따라 특수화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a.시각장애인

도서관정보서비스는 점자용 프린터, 테이프 복사기, 크주웰 판독기(Kurzweil, 문자를 동시

에 말로 출력) 등과 같은 기기를 준비해두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료의 내용을 크게 확대

할 수 있는 TV, 소리 인식 및 소리 로 내용을 알려주는 컴퓨터 기기 등을 비치해둔다.

b. 언어및청각장애인

전화로 응답을 원하는 장애인의 요구에 대해서 TTD 의사 소통기(TTY-문자전화로 알려진

기기)를 보유한다. 사서는 수화에도 익숙해야 한다.

c. 신체장애인

신체적 불편으로 도서관에서 휠체어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는 이용자를 위해서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문을 열고 닫는 것 등 도서관 설비를 이용함에 있어 어려

움이 없어야한다.

d. 정신장애인

정신적인 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도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독서 하는 데는 지장이 없게끔 도서관은 자료의 위치나 검색을 돕는다. 자료가 인쇄형태인

지 전자적인 형태인지 등을 알려줄 수도 있고 목록 카드를 찾거나 컴퓨터에 입력하는 명령어

등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병이 있는 장애인은 독서

를 통해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으며 우울증을 극복하는데 도서관 자료가 도움이 된다.

B.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실시 중인 장애인 서비스

38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안내, 자료 대출, 사용 가능한 보조 기기와 소프트웨어, 그리고‘Ask library'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지역이나 전국에서 실시되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는 노인 대상의 정보교

육, 여가활동, 교양강좌, 음악회, 연극, 극장, 전시회, 복지시설, 병원 및 응급센터 등에 관한

정보를 별도의 가칭 'Ready Reference Shelf for Older Peoples'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B. 콘텐츠의 개발

a. 지역특성에맞는주제별콘텐츠의개발

노인용 콘텐츠에는 노인이 요구하거나 필요로 하는 모든 인쇄 및 전자 매체 뿐만 아니라 비

도서 자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료 전부를 공공도서관 홀로 모두 수서할 수 있는 현실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부 자료는 모든 공공도서관에서 기본적으로 확보하고 2차적 자료는 공공도서관

의 특성에 맞게 자원공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분담 수서한다.

b. 신문및뉴스료의확보

언론을 통하여 기사화된 노인에 관한 신문의 기사나 방송 및 TV의 뉴스, 그리고 프로그램

등은 관련기관의 협조를 얻어 스크랩, 녹음테이프, 또는 녹화 필름 등의 형태로 수집한다.

c. 음반및영화필름의확보

노인이 과거에 즐겨 들었거나 보았던 흘러간 옛 노래에 관한 음반이나 영화필름을 관련기

관의 협조를 얻어 수집 또는 복사한다.

C. 서비스의 확대

a. 노인전용공간의확보

노인은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의 다른 이용자 계층과는 별도로 그

들이 보다 자유롭게 필요한 정보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들만을 위한 전용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이 공간 내에서 모든 서비스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b. 신체적또는감각적보조기기및소프트웨어의확보

공공도서관에서는 신체적 그리고 인지적 능력 등이 떨어진 노인을 위하여 휠체어뿐만 아니

라 돋보기와 같은 광학적 확대경, 인터넷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특수 소프트웨어, 예를 들

면 웹 브라우저이면서 전자 합성어 출력 장치인 Brooks Talk, 그리고 단어 맞추기 퍼즐과 같

41

▶ 자료실 이용서비스

-디지털 자료실

○전용좌석 : 높낮이 조절 가능 테이블(9석), 일반좌석(5석)

○지원 프로그램 : Screen-reader(화면읽기)프로그램, 모니터 확대 프로그램

○컴퓨터 조작도구 : 마우스스틱(3종), 마우스(3종), 키보드(2종), 마우스스틱 보관통(2종),

헤드 포인트, 타이핑 보조기구, 팔 받침대

-정보봉사실

○전용좌석(2석), 저 시력용 독서확대기(2대)

-각 주제별 자료실

○전용좌석(각 실당 4석~6석)

c.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를 한 국가 시책 수립 및 총괄, 장애인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기준 및 지침의 제정,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학습교재·이용설명서

등의 제작·배포,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와 특수설비의 연구 및 개발, 장애인의 정보서비

스를 담당하는 전문직원 교육, 장애인의 정보서비스를 위한 국내외 도서관과의 협력, 장애인

에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업무를 담당한다.

② 노인서비스 정보서비스

공공도서관에서 개발되어야 할 노인 서비스의 유형 및 정책에 관한 방향에 대해서는 전술한

“공공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3)”에서 발췌, 편집하였다.

A. 인터페이스의 개발

a. 노인전용웹페이지의개발

신체적으로 불편하지만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노인을 위하여, 직접적인 방문

없이 자신들이 필요한 정보나 자료, 또는 보조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노인 전용 웹 페이지를

개발한다. 이 웹 페이지에서는 기본적으로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제공

된다.

b. 건강, 보건및문화인프라의콘텐츠개발

노인 전용 웹페이지의 콘텐츠에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조사된 주제별 정보 목록, 소장 자료

40

3) "공공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김선호,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3권 제 4호, 2002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활동을 보조 또는 지원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자원봉사자에게 적합한 교육을 실시한다.

h. 편의시설의확대

공공도서관의 접근과 이용에 방해가 되는 기존의 출입문, 계단, 난간, 휴게실, 공중전화

부스, 음료수대, 그리고 각종 안내표시 등과 같은 시설은 노인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거

나 이해할 수 있도록 그것의 구조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변경한다.

③ 이주민 서비스

정보의 공공적 제공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적 기관인 도서관은 국민뿐만 아니라 이주민들의 한국

사회 정착과 자신들의 정체성 유지, 모국 정착 준비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책무를 가지고 있

다. 이는 1931년 출판 이후 전 세계 도서관 서비스의 철학적 지침이 되어온 랑가나단의 5법칙(Five

law of library science) 중 두 번째인“Books are for all"에 잘 드러나 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인

종, 언어, 국적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도서관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도서관은 새로운 이

용자 그룹으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민들을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장서와 서비스를 개발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94년에 제정된 IFLA(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와 UNESCO의 <공공도서관 선언(IFLA /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94)>에도 도서관의 이주민 봉사를 위한 근거가 제시되고 있다. 이 선언에 의하면 공공도서관의

봉사는 나이, 인종, 성별, 종교, 국적, 언어 또는 사회적 신분에 관계없이 모두에게 평등하게 제공되

어야 하며 소수 언어 사용자 등과 같은 사람들을 위해서는 특별한 봉사와 자료이용이 필요함을 선

언하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문화간의 대화를 장려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들의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침으로 개발된 IFLA/UNESCO 가이드

라인에서도 공공도서관은 민족과 문화가 다른 사람들을 공공도서관의 잠재적 이용자로 인식하고

그들의 사회 적응을 돕고 모국문화 매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주민 커뮤니티와 협의하여 해당집단 출신의 도서관 직원 채용이나 그들의 문화

와 전통, 지식을 반영하는 장서구비 등과 같은 적절한 방법을 수립할 뿐만 아니라 이주민들의 독서

진흥과 문맹퇴치, 환경적응을 위해 교사, 부모, 기타 관련자들과 협력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한편 세계 각 국의 도서관 헌장이나 도서관 종사자의 윤리선언 등에도 이주민을 위한 도서관서비

스의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1948년에 제정된 미국 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의 <Library Bill of Rights>에서는 출생(origin), 배경(background), 관점(review)

43

은 기억보조게임 등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이러한 기기나 소프트웨어는 관외

로 대출되어야 한다.

c. 자료및정보접근에관한교육프로그램의개발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정보 접근에 관한 노인용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한

다.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은 가능한 한 다른 이용자와 차별화하여 실시한다. 노인의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공공도서관은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의 노인 정보화

교육지원 사업과 한국정보문화센터의 정보격차해소 사업단과 협력한다.

d. 노인관련기관및시설과의네트워크구성

공공도서관은 지역의“노인복지회, 경로당, 노인교실 그리고 노인 휴양소4)”와“노인 요양

시설, 실버노인요양시설, 유료노인용양시설, 노인 전문 요양시설, 유료노인전문요양시설, 노

인전문병원5)”그리고 대한노인회의 지부와 같은 노인 관련 협회나 기관 등과 정보 서비스 네

트워크를 구성한다.

e. 직접방문서비스의확대실시

거동이 불편하거나 동선이 집이나 보호 및 편의시설로 제한되어 있는 노인을 위하여, 공공

도서관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서비스가 그들이 원하는 집이나 장소 또는 시설의 현관에

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최소한 2주에 한 번씩 이동도서관이나 자원봉

사자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공공도서관은 이것에 합당한 방문 서비스 스케쥴을 개발한

다.

f. 인쇄매체의낭독서비스

시각적 또는 신체적 문제로 인하여 일반 활자의 신문을 읽는데 불편을 느끼는 노인을 위하

여 이들이 요청할 경우, 필요한 내용을 대신 읽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낭독 또는

대독 서비스는 주로 자원봉사자를 활용한다.

g. 입구에서출구까지밀착안내서비스

공공도서관은 노인이 직접 방문할 경우, 그들의 요청에 따라 도서관에 들어올 때부터 나갈

때까지 일대일 밀착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주로 자원 봉사자를 활용하며, 자원

봉사자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의 인터넷 사용, 자료 열람 및 대출 등 과 같은 모든

42

4) 노인복지법, 제36권 노인여가복지시설5) 노인복지법, 제34권 노인여가복지시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비스 모델로써 Information Commons를 시설과 서비스에 접목함으로써, 학습자로서 이

용자가 그들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적의 도서관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

한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도서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Information

Commons의 철학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10)

– 도서관은 협업공간으로써 개인의 열람보다 도서관 자원과 함께 정보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든 도서관 자원이 통합된 열린 공간이다.

–열람공간이 축소되고, 정보서비스 데스크의 확장을 통해 이용자들은 직 접 방문하거나 온라

인을 통해 손쉽게 참고사서의 도움을 받는다.

–모든 참고사서들은 IT기반의 정보기술 전문가로서 이용자들에게 기존의 서비스와 함께 IT에

기반한 자료매체와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 특히 참고사서들은 정보기술자문가로서 도서관 이용자 교육을 주관한다.

이와 같이 Information Commons는 기본적으로‘정보서비스(reference service)를 강화하여

이용자에게 정보기술(IT) 집약형 시설(Library)을 모든 이(everyone)에게 개방하는’도서관의 새로

운 발전모델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모든 이’는 일반 국민으로서 일반 국민의 범주에는 장애인을

비롯한 앞의 정보소외계층에 해당하는 계층도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Information Commons의

철학은 도서관의 시설과 공간에 어떤 이용자라도 격차 없는 정보서비스 제공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이용자 중심의 개별화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 공간에서는 이용자에

게 정보활용기술(Information Literacy Skills)을 교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활하게 입

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용자 교육이 강조된다.11) 이를 통해 정보소외계층에게 정보 활용 기술관

련 이용자 교육을 도서관에서 지원하여, 이 계층이 독립적이며 자발적인 정보활용능력을 습득하도

록 한다. 한편 Information Commons의 특징은 서비스의 통합과 함께 시설의 통합도 의미한다.

즉, 도서관 서비스의 중심이 이용자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이용자가 개별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해

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서로 이동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가 필요할 때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정보소외계층서비스

45

등의 이유로 도서관 이용 권리가 부정되거나 축소될 수 없음을 선언하고 있고, 1997년 한국도서관

협회가 제정한 <도서관인 윤리선언>에도“도서관인은 도서관과 이용자의 자유를 지키고 정보접근

의 평등권을 확립한다.”, “도서관인은 이용자의 이념, 나이, 성별, 사회적 지위등을 이유로 차별하지

아니한다.”등과 같이 이주민들에 대한 서비스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2.3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 제도, 기기적 배려의 필요성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목표는 이용자를 위한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

에게 지적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일반인을 위한 서비스 목표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러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필요한 시설적 부분과 제도적 부분, 기기적 부분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가. 시설적 배려

시설적 배려는 도서관의 물리적 시설과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정보소외계층이 도서관

에 직접 물리적으로 방문 하였을 때, 정보서비스 혜택을 누리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도록

시설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유지의 목표는 일반 국민을 위한 정보

서비스와 동일한 수준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정보소외계층과 일반국민들에게 제공되

는 서비스는 물리적 공간이건 혹은 가상적 공간이건 동일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

문에 공평하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① Information Commons 전략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에 대한 기본 구상은 시설 및 서비스, 정보기술(기기)가 통합된

Information Commons 개념을 도입한다. Information Commons는 정보와 인력을 바탕으로 참

고서비스와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이용자들의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는 통합 이용자서비스 공간6)을

의미한다. 초창기 Information Commons는 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이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도

서관과 조력자들이 협력하여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주된 서비스의 내

용은 멀티미디어와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한 교육이었다.7) Betty와 White도 Information

Commons의 필요한 요인에 대하여 대학도서관 공간에 이용자들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시설과 서비스 인력, 공간으로 설명하고 있다.8) MacWhinnie도 Information Commons에 대

해 정보 기술과 정보 자원, 정보서비스를 통합하여 도서관 공간에서 이용자에게 최적의 정

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9) 이와 같이 많은 연구자들은 새로운 정보서

44

6)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38(1): 707) Susan Beatty, 2006. "Collaboration in an Information Commons: Key elements for successful support of eliteracy."

ITALICS, 5(4):2348) Betty,S., White, P.2005. "Information Commons: Models for eLibrary and the Integration of Learning."Journal of

eLibrary, 2(1):2-149) Laurie A.MacWhinnie. 2003. "The Information Commons: The Academic Library Of The Future." portal : Library

and the Academy, 3(2):241-25710)Diane Dallis. Carolyn Walters. 2006. "Reference service in the commons environment." Reference Services Review.

34(2) : 255-25711) Donald Beagle. 2004.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Envisioning the Information Commons' Future: Conference

Refort." Library Hi Tech News, 21(10):4-6.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과 같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서관에서 이용자 교육은 정보서비스의 고유한

임무 가운데 하나로써 모든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실질적으

로 일반 이용자 교육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및 인적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터민과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이용자 교육을 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특히 결혼이주

민들은 동남아시아 국가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현 공공도서관 인적 구성으로 이를 해결하

는 것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다음과 같이 계

층별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협업 교육

협업교육은 공공도서관에서 주관하되, 실제교육을 해당 도서관이외의 기관에 의뢰하는 것을 의

미한다. 정보소외계층은 앞에서 조사한 바와 같이 그 대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정보소외계층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도서관에서 계층별 특성에 따라 달리 배려되어야 한다. 시설적인 것과 기기적

인 것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에서 갖추어야할 요소이지만, 일반적인 도서관 이용자 교육

이외의 특수 교육 등은 이러한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타기관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다.

② 정보소외계층별 서비스

국가 및 민간조직에서 서비스 이용자 집단을 구분하는 방식은 사람들의 욕구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들은‘장애인’이라는 하나의 범주 안에 모든 장애인들이 포함되는 것

으로 가정하지만, 실제로 장애인의 욕구는 그렇게 간단하게 정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서비

스 조직이 65세 이상 노인, 성인 장애인으로 서비스 대상을 정한 경우, 장애인으로 노인이 된 사람

들이 이러한 집단의 어느 하나에 정확하게 맞지 않기 때문에 이들 욕구는 종종 간과될 수 있다. 이

는 정보소외계층별로 각 계층에 대한 이용자 연구가 이루어진 후에 서비스 전략이 개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A. 장애인

장애인들의 정보격차를 줄이고, 일반 국민으로서 정보화의 혜택을 스스로 얻도록 하기 위해서

는 도서관을 통해 컴퓨터 활용교육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로 인해 컴퓨터 조작과 인터넷 접속 및 활용에 대한 물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

다. 이는 도서관에 교육을 위해서 또한 실제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을 위해서 장애유형에 맞는 기

기들을 설치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47

다. 일반적으로 정보소외계층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스스로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

공하는 부서를 찾아내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계층이다. 따라서 통합이 강조된 Information

Commons 환경은 정보소외계층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즉,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접근이 용이한 통합된 공간배치가 되어야 한

다.

② 공동활용전략

사회복지학적으로 참여형 시설은 기존의 정보소외계층 가운데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적 서비스

를 정보소외계층이 직접 선택한 시설을 의미한다. 이는 기존의 정보소외계층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들이 그들의 관점에서 장애인의 보호를 위해 시설을 마련한 것에 대한 대응접근 방식이다.

즉, 장애관련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담론으로 제기되는 것이 소비자주의와 당사자주의이다. 소비

자주의는‘주는 대로 받는’수동적 서비스 수혜자라는 관점에 대항하여 상품의 구매자와 같이‘상

품을 선택하는’적극적인 구매자 또는 서비스의 선택자라는 관점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는 흐름이라

고 할 수 있다. 당사자주의는 장애 문제는 특별한 훈련을 받은 전문가에 의해서

판단될 문제가 아니라 장애인 당사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본인 스스로 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는‘자기결정’의 원칙을 제기하는 이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별보다 함께하는 정책이 실질적인 정보소외계층에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정보소

외계층을 위한 서비스제공을 위해 비장애인과 장애인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한 공간에서 차별 없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설이다. 즉, 특별한 공간으로 구분하여, 장애의 유형에 따라

혹은 소외유형에 따라 서비스 공간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공간가 시설을 마련

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의 자판이 비장애인용 자판과 같이 한·영문자가 기록되어 있

지만, 자판‘F'와 ’J'키에 좌·우 손가락의 배열을 구분하기 위해 표시된 점자들은 장애인과 비장애

인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나. 제도적 배려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 가운데 새터민과 결혼이주민들에 대한 서비스는 대

부분 교육에 크게 의존한다. 왜냐하면 새터민과 결혼이민자 들을 위한 지원은 신체적 지원

보다 기존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설이나 콘텐츠들을 활용하지 못하는 정보격차로

써 정보문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 계층의 이용자들은 한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보기

기에 대한 사용법을 습득하면 현재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시설을 일반 국민

46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의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정보기기에 대한 배려는 장애인을 위한 배려정책

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기기는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의미하며, 이에 대한 상품화는

국가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이다. 다음은 국가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상용 보조

공학기기 가운데 국가에서 구입을 위한 자금을 보조하는 품목이다. 이는 대부분 장애인과

노년층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고가의 수입품이나, 상품을 국가에서 개발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제이다. 즉, 국

가차원에서 정보기기에 대한 개발과 투자를 통해 장애인의 정보획득에 있어 비장애인과

동일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정보화 기반을 조성한다.

[표 Ⅱ-14] 상용보조공학기기지원품목

이상과 같이 도서관 시설 내에서 혹은 원격의 공간에서 장애인이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접근하여 비장애인과 같이 동일한 정보획득이 가능하도록 보조공학기기는 상용화되어 사

용하고 있다.

또한 정보기기로서 보청기를 비롯하여 시각장애인 컴퓨터, TV자막수신기, 독서확대기,

브레일라이트 등도 국가유공자로서 장애를 갖고 있는 보훈대상자에게 국가보훈처에서 보

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장애인을 위한 정보기기는 유형별로 완비되어 있어, 도서관에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49

B. 노인

정보소외계층으로서 노인을 정보혜택 계층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시설과 공간에 대한 배려

보다 IT기기에 대한 친숙성을 높이기 위한 이용자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2006년에 실시한 장노년층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의하면 노인들이 인터

넷을 이용하지 않은 주 이유로써‘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서’라는 대답이 가장 높게 조사되

었다. 특히 60세 이상의 노인과 중졸 이하의 노인들이 상대적으로 인터넷과 컴퓨터의 활용에 대

해‘필요성 부재’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도서관에서 노인을 위해 최우선

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정보소외극복 정책은 이용자 교육이다. 특히, 연령별로 사용방법의 어려움

을 인식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노인계층이라도 노령 정도에 따라 이용자 교육수준을 다르

게 해야 한다.

C. 결혼이주민

결혼이주민은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서비스정책에 있어 상대적으로 교육적 측면이 강조되는 계

층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 이들을 위해 국가차원의 표준 교육 프로그램과 개발된 표준

교재로써 이용자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결혼이민자들은 대부분 도시보다 농어촌 배우자와 결혼하여 거주지가 공공도서관의 봉사

공간과 지리적으로 많이 떨어져 있다. 이는 결혼이주민들이 실제 공공도서관에 방문하여 도서관

의 공적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

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관 원격서비스로써 디지털도서관의 활용을 위해 정

보격차를 극복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것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결혼이주민을 위한 컴퓨터와 인터넷사용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공공도서관에 개설해야 한다.

다. 기기적 배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해 정보기기는 대체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정보기기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장애인을 제외하고, 다른 정보소외계층은

신체적인 제한보다 언어나 경제적 제약으로써 별도의 정보기기보다 제도나 이용자 교육부

분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신체기능의 저하(시력, 청력,

보행 속도, 인지 능력)로 인한 격차와 소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정보기기

48

분류 품목 유형 분류 품목 유형

정보

접근

무지점자기

시각

작업가구특수작업의자

전유형점자프린터 작업물 운송장치

화전확대SW/HW

의사소통

신호장치

청각

음성출력SW/HW 골도전화기

독서확대기 문자전화기

문서인식SW/HW 화상전화기

대형모니터 소리증폭장치

특수키보드

전유형

주파수변조장치시각

입력보조장치

사무보조

음성메모기

선택장치 시각장애인계산기

전유형

특수SW 책장넘김도구

자세보조장치 수화기홀더

작업

가구

높낮이 조절 테이블 팔지지대

경사각 작업테이블 물건집게

휠체어용 작업테이블 필기보조도구

<자료>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보조공학센터, 2006.2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3. 설문조사 분석

3.1 도서관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분석

본 과업을 위해 별도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크게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구분된다. 먼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서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해 두 가지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가. 도서관 내 장애인 지원시설의 인지여부

[그림Ⅱ-2] 도서관내장애인지원시설의인지여부

[표Ⅱ-16] 도서관내장애인지원시설의인지여부

도서관 이용 시 장애인 지원시설에 대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

면, 도서관 이용자 응답자(806명)중‘모른다’60.9%(491명), ‘알고있다’39.1%(315명)로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응답자가 장애인 지원시설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고있다 모른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51

이를 구입하여 서비스 공간에 배치하는 것과 사용자 교육 예산과 프로그램 계획만 수립하

면 장애인을 위한 정보입수채널을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해외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

자와 같이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기기는 해당 언어로 OS가

입력되어야 한다. 단, 해당 국가의 OS로 운영되는 정보 기기에 대한 사용법과 정보입수방

법에 대한 질의를 사서에게 문의하였을 경우에 이에 대한 대응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즉,

도서관에서 단순하게 정보기기의 배치만으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기기 부분에 대한

서비스를 완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인력 확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라. 종합

광의적 의미의 지식정보소외계층을 배려할 중점적 분야를 시설적, 인적, 기기적 측면에

서 구분하여 하나의 표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표 Ⅱ-15] 정보소외계층의배려요소

50

구분 시설적 배려 기기적 배려 인적 배려 비고

장애인 ◯ ◯ ◯

노인 ◯ △ —

수급권자 — — ◯

해외이주노동자 — — △ 교육

새터민 — — — 교육

결혼이민자 — △ △ 교육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3

※(정보소외계층 유형별 배려, ○는 필수, △는 선택, —는 관련성 약함)

구분 빈도 백분율(%)

알고있다 315 39.1

모른다 491 60.9

합합계계 880066 110000..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0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나. 도서관 이용 시 가장 소외되는 계층

[그림Ⅱ-3] 도서관이용시가장소외되는계층

[표Ⅱ-17] 도서관이용시가장소외되는계층

도서관을 이용하는데 가장 소외되고 있는 계층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798명)의 38.2%(305명)가 신체적 장애인라고 응답하였으

며, 외국인 근로자 29.7%(237명), 아동 13.9%(111명), 고령층 13.0%(104명), 기타 5.1(41

명)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반인이 생각하는 도서관을 이용하는데 가장 소외되는 계층으로는 신체적

장애인과 외국인 근로자임을 알 수 있다.

신체적장애우

고령층 외국인노동자

아동 기타

3.2 도서관 사서 대상 설문조사 분석

가. NDL 정보 소외계층 정보서비스 주요 대상

[그림Ⅱ-4] NDL 정보소외계층정보서비스주요대상

[표Ⅱ-18] NDL 정보소외계층정보서비스주요대상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 주요 대상을 누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1순위의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장애인 응답자(175명)의 36.0%(63명)로 가장 많이 응답되었고, 그 다음

으로 정보적 접근이 취약한 지역의 국민이 20.6%(36명), 저소득층 자녀가 17.7%(31명),

노인이 15.4%(27명), 국제결혼 여성이 4.6%(8명), 외국인 노동자는 3.4%(6명), 다문화가

정 자녀가 2.3%(4명)로 응답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서관 사서가 생각하는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 주요 대상은 장애

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아직까지 장애인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선진국의 정보서비스 수준

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 낙후성을 면치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5352

구분 빈도 백분율(%)

신체적 장애인 305 38.2

고령층 104 13.0

외국인노동자 237 29.7

아동 111 13.9

기타 41 5.1

합합계계 779988 110000..00

구분 빈도 백분율(%)

장애인 63 36.0

노인 27 15.4

외국인노동자 6 3.4

국제결혼여성 8 4.6

다문화가정자녀 4 2.3

저소득층자녀 31 17.7

정보적접근이취약한지역의주민 36 20.6

합합계계 117755 110000..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장애우 노인 외국인노동자

국제결혼여성

다문화가정자녀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저소득층자녀

정보적 접근이취약지역 주민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별 정보서비스 제공과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정보서비스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정보소외

계층 주요 대상을 묻는 질문의 응답결과와 동일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다.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

[그림Ⅱ-6] NDL정보소외계층정보서비스로필요한유형(다중응답)

[표 Ⅱ-20] NDL정보소외계층정보서비스로필요한유형(다중응답)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다중응

답 결과를 살펴보면, 평생교육이 다중응답(348명)의 30.5%(106명)로 가장 많이 응답되었

고, 그 다음으로는 정보문해교육이 30.2%(105명), 직업/취업정보가 14.1%(49명), 도서관

이용교육이 11.2%(39명), 독서교육이 10.9%(38명), 문화행사정보는 2.9%(10명), 기타가

0.3 %(1명)로 응답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평생교육과 정보문해교육을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소외계층서비스

55

장애인을 제외한 정보소외계층은 정보적 접근이 취약한 지역의 국민, 저소득층 자녀

순으로 나타났다.

나. 정보소외계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정보서비스 분야

[그림Ⅱ-5] 정보소외계층을위하여우선적으로개발되어야할정보서비스분야

[표Ⅱ-19] 정보소외계층을위하여우선적으로개발되어야할정보서비스분야

정보소외계층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정보서비스 분야는 무엇이라고 생

각하는지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장애인 별 정보서비스 제공이 응답자 173명의

50.9%(88명)로 가장 많이 응답되었고, 그 다음으로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34.1%(59명), 다문화 가정에 대한 정보서비스는 9.2%(16명), 기타가 3.5%(6명), 외국인

국가별 자료봉사가 2.3%(4명)로 응답되었다.

결론적으로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정보서비스 분야로 장애인

54

장애우별정보서비스

제공

외국인국가별자료봉사

다문화가정에 대한정보서비스

저소득층자녀에 대한정보서비스

기타

60.0

50.0

40.0

30.0

20.0

10.0

0.0

구분 빈도 백분율(%)

장애우별 정보서비스 제공 88 50.9

외국인국가별자료봉사 4 2.3

다문화가정에대한정보서비스 16 9.2

저소득층자녀에대한정보서비스 59 34.1

기타 6 3.5

합합계계 117733 110000..00

구분응답

케이스 백분율(%)빈도 백분율(%)

정보문해교육 105 30.2 60.0

평생교육 106 30.5 60.6

직업/취업정보 49 14.1 28.0

독서교육 38 10.9 21.7

도서관이용교육 39 11.2 22.3

문화행사정보 10 2.9 5.7

기타 1 0.3 0.6

합합계계 334488 110000..00 119988..99

정보문해교육 평생교육 직업/취업정보 독서교육 도서관이용교육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문화행사정보 기타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2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4. 사례조사 분석

4.1 국외사례 분석

가. London City Hall 구분

정보소외계층서비스

57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DL 정보소외계층 정보서비스로 필요한 유형은 정보문해교육과 평생교육

이 가장 많았으며, 이외에도 직업/취업교육이 많았다.

반면 일반 공공도서관에서 주로 시행하는 도서관 이용교육이나 독서교육, 문화행사정보

에 대한 요구성은 정보소외계층에서 요구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3.3 분석 종합 및 시사점

본 과업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정책에 직접적인 반영이 가능한 결과가 도출되

지 못한 점이 도출되었다. 물론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설문 문항에

포함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은 명확하지만 고도의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

로 한 설문조사의 경우 보다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면 훨씬 효율적이었을

것이다.

다만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질문

은 본 과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정보문해교육을 지적한 것에 대해서

는 이의가 없지만 도서관 이용교육보다 평생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비율이 높게 나온 것은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중앙도서관이 일반국민의 평생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통상적으로 각 지역의 공공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에서 담당해야 할 서비스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결혼이주민이나 새터민과 같이 일부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별

도의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만큼 부분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하는 것은 가능하다.

56

구구분분 LLoonnddoonn CCiittyy HHaallll

분류 공공기관

위치 The Queen's Walk, More London, SE1 2AA

특징

「영국 시청사」는 2002년 설립된 최신건축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인 노먼 포스터에 의

해 디자인되었다. 건물전체가 정보소외계층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공공시설물의 면모를 갖추었

다. 특히 계란형태의 외관과 어울러져 프리젠테이션 룸 및 챔버룸 등의 주요시설이 자리한

1~3층에는 모든 이동통로가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층별 경사도를 활용하여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다

•계단없이 층별 이동 가능한 복도 : 건물전체가 정보소외계층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Large Map :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

•장애인들의 실질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애인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의

Large Map을 제공한다. Large Map은 지하 및 지상경로, 자전거, 버스, 지하철, 택시,

자동차 등의 다양한 경로를 말해준다.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Tactile maps(촉각지도)를 제공한다. 소개책자로서 시설을 촉각으로

쉽게 느낄 수 있게 만든 플라스틱 주형의 지도이며,오디오 가이드CD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Tactile maps은 무료로 대여가 가능하다.

•건물입구에서는 운영자에게 수화정책 등을 설명하는 영상이 담긴 비디오 폰을 대여할 수

있다.

•입구의 자동 회전문은 휠체어가 진입 가능한 폭으로 설계되었으며,외부의 노란버튼을 누르

면, 쉽게 진입할 수 있는 문이 자동으로 열린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3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라. Tate Modern Arts Gallery

정보소외계층서비스

59

나. 네덜란드 국립도서관(KB)

다. La villette Science Museum

58

구구분분 네네덜덜란란드드 국국립립도도서서관관

분류 공공기관

위치 Koninklijke Bibliotheek Prins Willem-Alexanderhof 5 2595

특징•복지국가인만큼 정보소외계층을 배려한 별도 공간 비율이 높음

•특히 계층별로 특별 제작된 가구 및 집기시설을 설치하였음

•네덜란드국립도서관내 장애인을 위한 시설 : 장애인을 위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높낮이 조절 책상과 장애인용 간이 엘리베이

터를 갖추고 있다.

구구분분 LLaa vviilllleettttee SScciieennccee MMuusseeuumm

분류 박물관

위치 Parc de la villette, Paris, France

특징

「라빌리뜨 과학산업관」은 계획 초기부터 모든 관람객들, 특히 장애인들(신체장애인, 시각장애인, 청

각장애인, 정신장애인)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설계의 목표는 특히 어린이들을포함해서 서

로 다른 모든 사람들이 스스로 자유롭게 전시관을 순회하며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1986년

3월, 개관이후 특별부서를 만들어 현재 한 명의 시작장애인과 두 명의 청각장애인을 포함한5명의 직

원이 있다.이들은 과학산업관의 전시와 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해 모니터 요원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건축적 접근성

모든 전시관과 시설물은 관람객의 출입과 관람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각 층으로의 진입은 리프트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편의시설로 신체 장애자들을 위한 화장실이 있다.

자동 티켓 판매시스템은 관람객의 일반적인 흐름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일반적으

로, 모든 관람객들은 전시관과 특별 구역(미디어 도서관, Louis-Lumiere 영화관 등)의 30,000㎡안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모든 전시물은 점자형태의 안내보드를 갖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콘텐츠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Test점자 외에 Image 및 입체도형물을 많이 활용하였다.

•전시용 양각 점자

점자 옆에는 오디오 안내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고, 이용시설 안내의 각층을 입체화하여

쉽게 체감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구구분분 TTaattee MMooddeerrnn AArrtt GGaalllleerryy

분류 전시시설

위치 Bank side, London SE1, England

특징

•영국국립현대미술관으로 17세기 이후 다양한 현대미술작품 전시함

•교육센터, members room 등 다양한 이용자 공간으로 휴식, 문화공간으로 이용됨

•영국을 대표하는 Modern Gallery로써 파격적인 색채를 활용하여 현대적인 감각을 강조하며 각

공간 및 디바이스의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함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접근편의성 : Visual DescriptionTate Modern Arts Gallery내의 모든 전시회는 입구, 브로셔, 웹페이지의 캘린더 등에서 모든 이용자가 접근 가능한지 여부를아이콘으로 표시해두어 방문 전 홈페이지 및 전화로 확인이 가능하다.

- BSL Interpretation : 모든 작품의 캡션에 다국어로 번역이 되었는지 여부

- Step-Free Access : 휠체어 및 유모차 접근 가능 여부 (Tate Modern Arts Gallery내의 모든 시설이 휠체어 및유모차가 접근 가능하도록 시설을 갖추었으므로 매 전시마다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음)

- Hearing Loop : 청각장애인을 위한 청각루프시스템이 적용되었는지 여부

- Visual Description : 양각 점자의 활용여부

•Clore Information Room

Tate Modern Arts Gallery 1층에 위치한 정보서비스실에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지원 가능한 인력이 대기, 운영업무를 수행하

고 있다.

•Touch Tours(터치 투어)프로그램

Touch Tours Program은 Tate Modern Gallery에서 자체 운영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투어는 정교하게 조각된 3차원의 입체 양각 점자를 통하여 테이트 모던 내에 진열된 오브젝트를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한

다. 테이트 모던의 소장된 콜렉션 중 일부는 리빙페인팅 그룹(The Living Paintings Trust)을 통하여 재 생산되었으며, 재활용된

모형,작품 등 은 직접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본시설

Tate Modern Arts Gallery의 입구, 엘리베이터, 화장실 등 기타 공간에서 눈에 띄는 정보소외계층

의 배려를 위한 보드가 있다.

•건물 내 휠체어 대여

2층 주출입구에 배치하여 예약을 통해 임대가 가능하다. 전화로 예약을 하거나 방문당일에도 대여가

가능하다.

•휠체어 이동의 편의 배려

장애인 전용 엘리베이터 외에 층간 이동을 고려한 낮은 각도의 슬로프 배치

•Large-Print Captions

안내데스크에 지원을 요청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크게 인쇄된 브로셔 및 오디오 가이드를 지원받

을 수 있다. 모든 컬렉션에 대한 오디오 투어를 받으려면 2파운드의 비용이 소요된다.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3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라. 광주점자도서관

마. 대구대학교점자도서관

바. 한국점자도서관

정보소외계층서비스

61

4.2 국내사례분석

가. LG상남도서관

나. 대전점자도서관

다. 부산점자도서

60

구구분분 LLGG상상남남도도서서관관((책책 읽읽어어주주는는 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서울시 종로구 원서동 136번지

특징

•독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유무선 인터넷 및 전화를 통해 음성도서를 들려주는 서비스 제공

•유비쿼터스 기술은 NFC/RFID기술을 활용하여 웹 서비스나 무선 인터넷 연결을 통해 원하는

음성도서를 PC나 시각장애인용 전용 휴대폰으로 내려 받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저장된 음성도서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현

구구분분 대대전전점점자자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 8-18

특징

•시내중심가에 위치하여 입지나 교통편을 우수함

•이용서비스로는 전화택배와 우송서비스가 있음

•독후감공모전 및 점자도서(교재, 기술서적 등)제작 및 녹음도서 제작

•전화 및 월간지를 통해 홍보를 하고 있음

•간행물‘대청의 샘터’발간

•시정지 등에 도서관 홍보자료 게재함

구구분분 부부산산점점자자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2동 24-65

특징

•지하철역과는 15분여 거리, 버스정류장에서는 5분여 거리로 접근성 양호함

•총3층 건물로 1층은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가 운영하는 부산점자도서관이, 2, 3층에는 공공도

서관인 사상도서관이 위치함

•신축 건물로 문턱이나 안내보도 블록, 장애인 주차장, 화장실, 엘리베이터 등 장애인 이용에 불

편이 적도록 설계됨

•시각장애인 대상 점자책 및 녹음테이프 우편배달(관내 이용이 아닌 우편배달 서비스)

•점자도서 및 녹음도서의 직접 제작 및 배포

•각종 사업진행(후원홍보사업, 문화체육사업, 자원봉사자관리사업, 독서진흥사업)

구구분분 광광주주점점자자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 19-4번지

특징

•버스정류장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음

•이동도서관(방문대출서비스), 우편대출, 홈페이지 내 오디오 서비스

•점자도서제작(의뢰 후 제작까지 일주일 소요, 주로 책이 아니라 전단지 등 생활필요 문서)

•녹음도서 제작(자원봉사자 활용), sens reader 프로그램 (e-book을 읽어주는 프로그램 보급)

구구분분 대대구구대대학학교교점점자자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

특징

•근처에 버스정류장이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도 많음

•각종 편의시설 구비(점자인쇄기, 타자기, 프린터기, 저 시력 장애인용 독서확대기 비치, 장애인

열람 실 전용 화장실, 각층 엘리베이터, 점자 보도블록)

•온라인 봉사 및 대면낭독서비스

•점자교과서 출판, 녹음도서 제작 및 대출, 행정기관 안내책자의 점자출판, 전국점자도서관 종합

목록 발행

•시각장애인의 언어생활 지원, 시각장애 대학생 교수-학습지원, 교육 및 재활상담,

시각장애인 지도자의 훈련, 장애인 인식개선 사업, 시각장애인을 위한 문화교육 및 행사,

기타점자도서 제작

•점자음성안내수목원, 점자출판박물관 운영 중

구구분분 한한국국점점자자도도서서관관

분류 특수도서관

위치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2동 510-23

특징

•점자도서 제작, 데이지 도서 제작, 묵/점자 혼용도서 및 촉각도서발간, 유아 및 아동용 통합교

재 발간,‘빛이 머문 자리’, ‘문화광장’발행, 각종 점자 간행물 발간

•점자 및 녹음도서 대출 서비스, 학습지원, 온라인 봉사 및 대면낭독 서비스

•문화교육 및 행사, 장애인 인식개선 사업 등 추진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Page 3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4.3 장애인도서관현황

정보소외계층서비스

63

사. 대구광역시시립동부도서관

아. 대전한밭도서관

62

구구분분 대대구구광광역역시시시시립립동동부부도도서서관관

분류 공공도서관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664-19

특징

•근처에 버스정류장이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이 다양함

•장애인 편의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음(휠체어 및 각층 엘리베이터, 저시력 장애인용 독서 확대

기 비치, 음성지원 컴퓨터 비치, 장애인 열람실 전용 화장실, 전용 주차장 및 점자 보도블록 등)

•점자 및 녹음도서 우송서비스

구구분분 대대전전한한밭밭도도서서관관

분류 공공도서관

위치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

특징

•대전 시내 외곽에 위치하였으며, 교통편이 다양하지 못하여 이용에 불편함

•진입로를 비롯한 편의시설(전용주차장,경사로,유도블록)이 양호함

•무료우송서비스와 병원문고를 지원함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지체장애인과 노인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취약계층서비스를 하고 있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체험학습을 실시중이며, 소외계층을 위한 음악회를 개최하고 있음

•녹음도서 및 점자도서 제작함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표Ⅱ-21] 장애인도서관서비스실태조사결과(공공도서관)

Page 3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6564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표Ⅱ-21] 장애인도서관서비스실태조사결과(공공도서관)

[표Ⅱ-21] 장애인도서관서비스실태조사결과(공공도서관)

Page 3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6766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표Ⅱ-22] 장애인특수학교도서관시설실태조사결과

[표Ⅱ-22] 장애인특수학교도서관시설실태조사결과

Page 3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6968 제2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표Ⅱ-23] 장애인특수도서관서비스실태조사결과

[표Ⅱ-23] 장애인특수도서관서비스실태조사결과

Page 3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3장

정보소외계층의서비스 기본방향

1. 주요추진과제 분석

2. 계획수립 기본방향

Page 3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 ◎ : 연관성 매우 높음 ○ : 연관성 있음 × : 연관성 없음※ 제1과제 :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제2과제 :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제3과제 :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제4과제 :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타 과제와의 연관성은 일방향과 쌍방향으로 구분된다.

일부 과제의 경우 그 과제로 부터의 결과물이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에 선행되어 도출되

어야 하는 경우 (예: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발) 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결과물이 타 과

제에 선행 되어야 하는 경우 (예: NDL공간전략) 및 상호간에 일정부분 동일한 연관성을

지니는 경우 (예: 새로운 열람서비스 구축방안) 등이 바로 그것이다.

나. 정보소외계층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본 과업 1. 정보소외계층의 현황 분석 (Ⅱ.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中)에서 국립디

지털도서관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정보소외계층을 장애인, 노인, 이주민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및 새터민) 으로 분류한바 있다. 정보소외계층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73제3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1. 주요추진과제 분석

1.1 주요추진과제의 설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계획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시한 추진과제는 다음과 같다.

- 제1과제 : NDL 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 제2과제 :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 서비스 지침 개발

- 제3과제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 제4과제 :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1.2 추진과제별 연관성 분석

가. 타 추진과업과의연관성 분석

2007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화 사업과 관련된 총 용역과제는 14개이다. 이들과 정보소

외계층 서비스 계획의 추진과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72

제3장정보소외계층서비스기본방향 구분 제 1과제 제 2과제 제 3과제 제 4과제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NDL LI개발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개발 및 수립

NDL 장서관리시스템 개발 지침 및 기능 표준화

NDL 장서관리 파일럿 시스템 개발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NDL 공간전략

미디어 스튜디오 공간 디자인 및 운영 방식 연구

새로운 열람서비스 구축방안

현황 분석 및 국내외 사례조사

홍보동영상 제작

표준 메타데이터 모델 및Semantic Language연구 개발

× × × ×

[표 Ⅲ-1] 타 과제와정보소외계층의추진과제와의연관성분석

Page 3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2. 계획수립 기본방향

2.1 과업추진 기본방향

NDL 운영전략 세부계획에서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계획의 수립목적을“장애인의 정보격차 해

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국가도서관 차원의 디지털 정보서비스의 구현과 다 문화 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및 다국어 정보 서비스 창출”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정보소외계층을 포함한 모든 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국가 도서관의

기본책무임을 감안하면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계획 역시 일반인과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

를 받을 수 있는 제반 장애요인의 제거가 기본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문제는 모든 정보소외

계층이 동일한 수준의 환경에 놓여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장애인도 장애 정도에 따른 등급이 다

르고, 장애 유형도 상이하다. 노인 역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할 수준이 개인별로 조금씩

다르다. 이주민의 경우는 우리나라에 대한 지식수준이나 한국어 해독능력이 천차만별이다. 결국

이렇게 상이한 환경에 처해 있는 정보소외계층에게 어느 수준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

직한가에 대한 국가도서관 차원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2.2 추진과제별 기본방향

가.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① 과업추진의도

일반적으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접근의 제약에 대해서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

이 단지 정보소외계층만의 문제는 아니다. 반대로 직접 도서관을 방문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

는‘알 권리’의 측면에서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별도의 배려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국립

디지털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환경에 알맞

은 최적의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 본 과제의 기본적인 의도로 볼 수 있다.

② 중점추진분야

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은 자칫 본 과업의 다른 과제인‘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과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포털이라는 매체와 정보소외계층이라는 이용자 중에서 어느 것에 더 중심을 두느냐

정보소외계층서비스

75

[표 Ⅲ-2] 정보소외계층유형과의연관성분석

다.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본 과업 2. 정보소외계층서비스 현황 분석 (Ⅱ.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中) 에서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를 시설, 콘텐츠 및 서비스로 분류한바 있다.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유형과의 연관성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Ⅲ-3] 정보소외계층서비스유형과의연관성분석

※ ◎ : 연관성 매우 높음 ○ : 연관성 있음 × : 연관성 없음

74 제3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구분이용자 시나리오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 디자인및 시설계획

장애인

노인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새터민

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

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구분이용자 시나리오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 디자인및 시설계획

시설

콘텐츠

서비스

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

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Page 3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를 바탕으로 서비스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사례분석만을 통한 서비스 지침의 개발

은 자칫 비현실적이거나 비효율적인 정책만을 위한 정책으로 귀결되기 쉬운 약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선진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침을 마련하는 것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매우 중요

한 요인이다. 이미 정교한 수준의 표준화 지침까지 마련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

로 한국적인 특징을 감안하여 독창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서비스 지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본 정

보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 하겠다.

③ 기본방향

- 선진국에서의 정보소외계층 관련 정책, 지침, 표준화 방안의 주요 특징

- 주요 사항별 가이드라인의 제시

- 이용자 시나리오에서 나타난 정보소외계층의 시나리오별 대응 방향

- 정보 서비스 정책 지침(안)의 수립

다.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① 과업추진의도

도서관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 특히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콘텐츠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실제 공공기관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빠른 시일 내에 사용가능한 콘텐츠가 수없이

많다. 이들 전부를 비교 분석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에 적용하는 것이 본 과제의 목표는 아니다.

오히려 현재 상태의 국립디지털도서관에 대한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 바탕 위에서 준공 시

점을 전후하여 일단 부족하지만 곧바로 정보소외계층에게 서비스가 가능한 콘텐츠에 대해 중점적

으로 연구하여 제시하는 것이 본 과업의 기본목표이다.

실제 디지털 자료에 대한 장서 정책이나 실제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의 규모 등을 감안하면 3-4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콘텐츠의 개발보다 바로 사용 가능한 콘텐츠의 개발이 훨씬 시급한 과제

이며 이의 부분적 해소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방향을 유도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고자 한다.

② 중점추진분야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 중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로의 전환이 완료되었거나 준공 전 까지 개발완료가 가능한 콘텐츠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장기 예산정책을 감안하여 준공 시점까지 개발 가능한 별도의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77

에 따라 관점이 달라질 뿐 본질적인 내용은 동일하다고 보아야 한다.

반면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은‘NDL 공간전략’의 한 부분으로서의 인포메이

션 코먼스 공간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포털과 비슷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정보소외계층에

서 다루어지는 시설과 서비스를 공간전략에서 즉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훨씬 의의가 크다.

또한 실제로 포털 사이트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반면 공간에

서의 서비스 개발은 오히려 정보소외계층의 방문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앞에서 언급한 능동적 서

비스의 기본 취지와도 부합된다.

아울러 다른 세 가지 과제에서 서비스 지침이나 정책, 콘텐츠와 시설 부문이 중점적으로 다루어

질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정보 서비스에 국한하여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다.

③ 기본 방향

- 포털 환경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의 특징 분석

- 포털 환경 하에서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계획의 수립

- 유사 사례 분석 및 기술개발을 감안한 포털 서비스 개발의 제안

-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 하에서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계획의 수립

나.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① 과업추진의도

이 과업의 본질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별도의 정책이나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전 단

계로서 정보소외계층용 정보 서비스 지침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미 UN이나

미국,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서비스 정책과 지침을 분석하여 국립디지

털도서관뿐만 아니라 전국 공공도서관에서 통용될 수 있는 정형화된 서비스 지침을 만들

고자 하는 것이 국립디지털도서관측의 기본 입장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2002년 8월

에 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도서관 발전 종합 계획’에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도서관의

서비스 확대에 대한 기본방향만이 제시되었을 뿐이다. 구체적이고도 표준화된 세부 실행

계획이 없는 것이다.

② 중점추진분야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과제의 주요 전제 조건으로‘이용자 시나리오’가 존재한다. 모든 경

우의 수를 감안한 이용자 시나리오 상에 나타난 정보소외계층의 시나리오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이

76 제3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Page 4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면까지 고려된 디자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③ 기본방향

-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도면을 통한 정보소외계층 전용 공간 디자인의 문제점 분석

- 사례 분석을 통한 공간 디자인 트렌드 분석

- 정보소외계층별 전용 공간 필요성 분석

- 적정 규모 및 예상 수용인원의 산정

- 디자인 및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서비스

79제3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의 개발범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록 단기간 내에 실현되기는 어려우나 국가의 대표도서관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콘텐츠의 범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③ 기본방향

- 정보소외계층별 콘텐츠 현황 및 특성 분석

-디지털화가 가능한 콘텐츠 범위 분석

- 국가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위한 콘텐츠 확보 기본방향

- 중장기 콘텐츠 확보 기본계획의 제안

라.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및 시설계획

① 과업추진의도

국립디지털도서관 내에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전용 공간을 두어여 한다는 점에 대해 상당한 논란

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회의 균등성이나 개인으로서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는 측면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효율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특수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일부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일반인과는 별도로 디자인된 공간

에서 별도의 시설이나 서비스를 공급받을 권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전체 도서관 공간의

기본 방침을‘차별 없는 서비스’의 제공에 두되 특수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전용 공간이 일부 필

요함을 인정하고 이를 위한 시설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중점추진분야

공간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적정 수요의 추정과 관련법규 및 제도

에 맞는 시설의 제공이다. 먼저 수요의 추정은 비단 공간의 면적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서비스까

지 파급효과가 미치는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기본설계나 실시설계 과정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다른 도서관의 사례 및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적정 면적 및 일 예상인원 등을 도출하는 것이 1차적

추진 목표이다.

다음으로 법규 및 제도에 맞는 시설의 제공이다. 건축법이나 소방법 등 재난의 발생 시 우선적으

로 정보소외계층을 대피시킬 수 있는 방법에서부터 책상의 높이나 주위와의 거리 등 인체공학적 측

78

Page 4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4장

NDL포털과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1. NDL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2. NDL IC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Page 4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환경을 말한다. 따라

서 NDL 포탈은 국가대표 도서관 포털이며,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기록관, 박물관 등

과 같은 정보관련 기관에 산재 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정부나 공공기관, 개인이 제작한 각

종 공공접근 또는 개방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상업적으로 구축하여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는 디지털 장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제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1.2 웹 접근성과 정보소외계층

가.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의 개념

NDL 포털에서의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포털 환경에서 정보소외계

층이 가장 먼저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 즉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자체에 접근하는 것에 대

한 격차발생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웹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이것을 잘 설명해주는 용

어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정보소외계층의 웹 접근성 관련 사항을 요약해보았다.

먼저 웹 접근성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Ⅳ-1] 웹 접근성에대한주요정의

이를 사용자 관점에서 정의하면‘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

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전술서 p4)이라고 볼 수 있다.

83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1. NDL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1.1 포털의 개념과 NDL포털

가. 포털의 개념

포털은 특정 정보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 정보의 과잉 문제점을 해결하

기 위한 변형 환경(Transformational Environment)이다. 포털이 정보 및 상업거래를

위한 일차적인 수단이 됨에 따라 모든 유형의 도서관은 포털이라 부르는 다양한 구조 및

서비스를 생각하고, 계획하고, 구축하게 되었다.

한편, 정보는 대안의 웹 자원으로부터도 이용가능하게 되었고, 도서관은 다양한 새로운

정보 서비스와 경쟁하게 되었다. 도서관의 도구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기 어렵다

면, 이용자는 대체 정보자원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도서관 웹 환경을 효과적이

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요구로 해석된다. 이러한 경향은 빠르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환경

에서 수백만의 장서와 저널을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들에게 그리고 과거와 현재 계속해서

자신을 전통적인 지식의 관리자로서 인식하는 도서관들에게 특히 도전이 되고 있다. 도서

관은 업무와 웹서비스의 구조로서 웹 포털을 빠르게 수용하고 있다.

나. NDL 포털의 개발의의

“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에서는 NDL에서의 포털개발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82

제4장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Wikipedia(2006)표준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웹 페이지에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장애인들도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기술은 사용자 에이전트에 포함됨

Microsoft(2002)

구분

W3C WAI(2006 a) &Thatcher, et.al.(2006)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콘텐츠를인지하고(Perceivable), 운영하고(Operable), 이해하고 (Understandable),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한(Robust)하게 웹 콘텐츠를 만드는 것

정의

접근성이란 접근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모든 사용자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할 수있도록 만드는 것

<자료> 국내외 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 및 개선방안(KADO 이슈리포트 통권 31호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⑦ 평가도구(Evaluation Tools)

웹 접근성 평가도구로 HTML Validators, CSS Validators, Bobby, KADO-WAH, A-Prompt

등이 포함

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① 개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2004년 12월 23일 제정한 정보

통신 단체표준 TTAS.OT-10.0003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제작

하는 방법에 관한 지침이다.

국제표준화기구인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WAI(Web Accessbility Initiative)

에서 1999년 5월 제정한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WCAG : Web Content Accessbility

Guidelines 1.0)과 WCAG 2.0초안(2003년 6월 24일판)을 참고하였으며, 부분적으로 미국 재활법

508조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② 4대 주요 지침

웹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주요 지침은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

해의 용이성, 기술적 진보성이며 각각 몇 개의 검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A. 인식의 용이성

글로 표현할 수 없는 콘텐츠를 제외하고 장애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B. 운용의 용이성

콘텐츠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들은 장애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C. 이해의 용이성

모든 콘텐츠는 가능한 한 그 내용과 사용 방법을 모든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해야 한

다.

85

나. 웹 접근성의 구성요소

웹 접근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그림]과 같이 크게 7가지로 구분된다.(W3C WAI,2006b)

[그림Ⅳ-1] 웹 접근성관련구성요소

① 콘텐츠(Contents)

인터넷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로 텍스트, 이미지, 음성, 구조나 표현을 위한 마크업 또는 코드

(웹 접근성을 준수한 콘텐츠 제작 필요)

② 웹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등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웹상의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브라우저 등 사용자 에이전트가 접

근성을 보장해야 함)

③ 보조기술(Assistive Technologies)

장애인, 노인 등이 컴퓨터나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면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 대체 키보드, 스위치, 스캐닝 소프트웨어, 화면 확대 프로그램 등(보조기술 자체의 접근성

준수와 더불어 웹 접근성을 준수한 콘텐츠를 제대로 인식해야 함)

④ 사용자(Users)

웹을 이용하는 사람(장애인, 노인 등 정보소외계층 포함)

⑤ 개발자(Developers)

디자이너, 코더(Coder),저작자 등

⑥ 저작도구(Authoring Tools)

웹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웹을 제작하는 도구의 접근성 필요)

84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 Ⅳ-2] 주요지침별검사항목

라. 주요포털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 분석

①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는 웹 접근성 실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 2005년 9월 1일부터 27일까

지, 57개 중앙행정기관, 16개 지방자치단체, 4개 입법 사법기관 등 77개 공공기관 홈페이지와 5개

기업, 5개 검색포탈 사이트 등 10개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하였

다.

이 평가는“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의 13개 지침을 대상으로 61개 체크리스트를 이용

하여 실시하였으며, 웹 접근성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Internet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1.0”을 모두 준수하는 웹 사이트는 하나도 없었으며, 접근성의 기본 준수 사항인 대체

텍스트를 제대로 제공하는 사이트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7개 공공기관 사이트의 전체 평

균은 100점 만점에 72.4점으로 중앙행정기관 72.4점, 지방자치단체 71.6점, 입법 사법기관 72.2점

으로 기관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술서 p23-24)

[표 Ⅳ-3] 중앙행정기관(57개) 웹 접근성준수실태(평균72.4점)

87

D. 기술적 진보성

현재 개발된 보조기술로는 접근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웹 콘텐츠는 가용한 보조기술을 이용하

여 접근할 수 있도록 대체 콘텐츠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다음의 표는 4개의 주요 지침에 포함된 14개의 검사항목을 정리한 것이다.

86

•영상매체의 인식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매체는 해당 콘텐츠와 동기 되는 다른 대체 매체를제공해야 한다.

지침

인식의용이성

•텍스트 아닌 콘텐츠의 인식 : 텍스트 아닌 콘텐츠 중에서 글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는해당 콘텐츠가 가지는 의미나 기능을 동일하게 갖추고 있는 텍스트로도 표시되어야 한다.

내용

•색상에 무관한 인식 :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색상을 배제하더라도 인지할 수 있도록구성되어야 한다.

•논리적 구성 : 콘텐츠의 모양이나 배치는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여야 한다.이해의용이성

기술적진보성

운용의용이성

•데이터 테이블 구성 : 데이터 테이블은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 쉘의 내용에 대한 정보가충분히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온라인 서식 구성 : 온라인 서식을 포함하는 콘텐츠는 서식 작성에 필요한 정보, 서식 구성 요소,필요한 기능, 작성 후 제출 과정 등 서식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프레임의 사용 제한 : 콘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는 최소한으로 하며, 프레임을 사용할 경우에는 프레임별로 제목을 붙여야 한다.

•이미지 맴 기법 사용 제한 : 이미지 맴 기법이 필요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측 이미지 맵을 사용하며 서버 측 이미지 맵을 사용할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텍스트로 구성된 대체 콘텐츠를제공해야 한다.

•깜빡거리는 객체 사용 제한 : 콘텐츠는 스크린의 깜빡거림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키보드로만 운용 가능 : 키보드(또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만으로도 웹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반복 네비게이션 링크 : 웹 콘텐츠는 반복적인 네비게이션 링크를 뛰어넘어 페이지의 핵심부분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반응시간의 조절 기능 : 실시간 이벤트나 제한된 시간에 수행하여야 하는 활동 등은 사용자가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읽거나 상호작용을 하거나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신기술의 사용 : 스크립트, 애플릿 또는 플러그 인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요소들은 현재의 보조기술의 수준에서 이들 프로그래밍 요소들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해줄 수 있을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기술적진보성

•별도 웹사이트 제공 : 콘텐츠가 13개 검사 항목을 만족하도록 최대한 노력하였으나 해결되지않는 부분이 남아있다면 텍스트만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또는 웹 사이트)를 별도로제공해야 한다.

구분

1

2

3

4

5

6

7

8

9

10

청와대

대통령경호실

감사원

국가정보원

중앙인사위원회

국가청렴위원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민경제자문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중소기업특별위원회

71.2

72.0

68.9

68.7

74.9

71.6

67.4

69.9

72.0

70.5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사이트 점수

국민고충처리 위원회

비상기획위원회

청소년위원회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부

행정자치부

외교통상부

법무부

국방부

71.8

76.5

73.2

89.9

69.0

71.5

77.4

69.2

66.6

70.5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구분 사이트 점수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대검찰청

병무청

경찰청

소방방재청

74.2

66.7

75.3

83.6

73.1

70.4

65.8

73.6

63.3

65.6

구분 사이트 점수

<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2), 2005 웹 접근 실태조사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접근성이 높은 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와 접근성이 낮은 사이트

를 장애인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려 4.8배 정도의 시간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5] 특정업무수행시간비교(단위 : 초) - 일반인과장애인

※ 주 괄호의 숫자는 접근성이 높은 사이트에서 일반인이 특정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100으로 설정하여 다른 것들을 비교한 결과임

마. 웹 접근성과 NDL포털에서의 정보소외계층서비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배려를 계획하

고 이를 반영하는 것은 절대적인 의무사항이다. 특히 시각, 청각, 지체 장애자 등 일부 정

보소외계층은 직접 NDL을 방문하기에 앞서 먼저 포털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려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대부분 포털이나 웹 페이지가 현재까지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NDL포털에서의 정보소외 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최대

한 반영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할 수밖에 없다.

반면 포털을 제공하는 자의 입장에서 보면 아무리 뛰어난 웹 사이트상의 기술을 적용하

더라도 이를 공급받는 수요자(정보소외계층)가 충분한 보조기술장치를 갖추지 않았을 경

우 이러한 서비스의 공급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NDL내에서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별도의 전용공간이나 보조기술 장치의

대여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다. 정보소외계층의 NDL방문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고시키

기 위한 유력한 도구 중의 하나로 포털 서비스 내에 웹 콘텐츠 접근성 개선을 위한 콘텐츠

나 프로그램의 충분한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표현하면 수요자가 아직까지 최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포털 상의 콘텐츠를 이

용할 수 있는 보조기술장치가 없다는 이유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외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89

[표 Ⅳ-3] 중앙행정기관(57개) 웹 접근성준수실태(평균72.4점)<계속>

② 브라운 대학교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미국 브라운 대학교에서는 매년 세계 전자정부 홈페이지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평가는 총 198개 국가, 1,782개의 전자정부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조사는 온라인 정보제공, 접근성, 프라이버시 및 보안 등을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

년도 브라운 대학교의 전자정부 웹 사이트 평가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으나 웹 접근성 준수 수준은

15%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4] 2006년세계전자정부홈페이지접근성준수실태

③ 접근성 수준과 장애인 접근의 상관관계 분석

영국 장애인 인권위원회가 2004년 4월 시각장애인의 인터넷 이용 애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

한 심층 면접(Focus Group)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인과 장애인 모두 접근성이 낮은 사이트를 이

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이 낮을 경우 일반인에 비해 장애인이 이용하기 매우

88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노사정위원회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

기획예산처

법제처

국정홍보처

국가보훈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67.5

76.0

66.4

65.9

70.9

72.5

69.5

67.6

67.9

30

31

32

33

34

35

36

37

38

사이트 점수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가족부

72.6

72.1

69.0

69.9

85.3

85.0

71.7

80.3

65.1

49

50

51

52

53

54

55

56

57

구분 사이트 점수

기상청

문화재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중소기업청

특허청

식품위약품안전청

해양경찰청

전자정부

72.9

70.9

70.8

77.4

71.7

75.7

77.6

81.4

77.1

구분 사이트 점수

<자료>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2), 2005 웹 접근 실태조사

국가WCAG 1.0준수율(%)

2005 2006

호주

오스트리아

캐나다

중국

대만

덴마크

프랑스

스웨덴

68

80

70

0

92

71

23

52

65

40

77

4

73

57

23

70

국가WCAG 1.0준수율(%)

2005 2006

독일

영국

홍콩

일본

한국

뉴질랜드

노르웨이

미국

50

68

15

35

0

64

47

44

75

75

42

75

15

64

57

54

<자료> 브라운대학교(2006), Global E-Government 2006

구분 통제그룹(일반인) 시각장애인

접근성이 높은 사이트

접근성이 낮은 사이트

36초(100)

52초(146)

114초(321)

173초(486)

<자료> 국내외 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 및 개선방안(KADO 이슈 리포트 통권 31호)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구체적으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계획의 추진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정보복지 서비스

■ 장애인, 아동, 노령인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활용 서비스 방안 연구개발

■ 탈북자, 구직자 등을 위한 정보활용 서비스 방안 연구개발

■정보복지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B. 다문화 서비스

■다문화 환경의 외국인 노동자, 이주민, 혼혈인 등을 위한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방

안의 연구개발

■ 다문화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나.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

세부계획‘제2장 NDL포털’의 중점과제 5(NDL포털 서비스 구축)의 세부과제 18(소수

계층 서비스의 개발)에 포함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현황 및 문제점

●시각장애인을 위해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홈페이지를 별도

로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음. 주요 제공정보는 자료찾기(간략검색과 상세검색모두 제공), 열린

마당, 공개자료실, DB소개, 도서관행사, 도서관 안내, 관련 사이트, 질문모음, 사이트 맵, 도움

말 등 임

●외국인들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영어, 일어, 중국어, 스페인, 프랑스어, 독일

어 등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음. 주요 제공정보는 국립중앙도서관 소개(관장 인

사말, 연혁, 조직, 시설 등)와 이용안내 (이용시간, 자료실 위치 등),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요 활

동(자료입수, 자료조직, 도서관 협력 등) 등 안내 자료와 자료 찾기(간략검색과 상세검색의 중

간적 형태)등 임

●화면확대, 문자기반 서비스 외에 웹페이지 음성출력(TTS, Text To Speech) 기능 등 장애인을

위한 일부 중요한 요소기술들이 제공되지 않음

●시각, 청각, 지체 등 장애인 유형별로 요구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주요 외국어 외에 주요 이주민 국가의 언어들과 언어별 콘텐츠들이

91

다. 모든 포털에서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가장 최신의 기술을 이미 확보하고 있

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개발되어야 한다.

1.3 선행연구 분석

가.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

① NDL 포털 서비스 구성도상에서의 소수계층 서비스

기본계획에서는 NDL포털 서비스 구성도를 제시하면서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복지

서비스와 소수민족, 소수인종을 위한 다문화 서비스를 'Outreach 서비스‘의 하나로 규정하고 이를

통칭하여 소수계층 서비스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Ⅳ-2] NDL 포털서비스구성도

② NDL 포털의 아웃리치

서비스 중점과제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개발계획 NDL 포털의 아웃리치 서비스는 NDL 포털

서비스가 사회적 계층이나 신분에 구애받지 않는 열린 서비스를 지향하는 활동을 말한다. 즉, 장애

인이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복지 서비스를 강화하고, 국내 거주의 소수민족 및 소수인종을 위

한 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이 해당된다. 또한 각급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에서 NDL 포털 서

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서비스도 포함된다.

90

• 소수계층 서비스⋏ 정보복지 서비스(장애인, 사회적 약자)⋏ 다문화 서비스(소수민족, 소수인종)

• 포털 개방 서비스

• 주제별 포털• 지역별 포털• 이용대상별 포털• 자료유형별 포털• 분관 포털• 맞춤 포털

검색 서비스

일반

개인

통합검색

맞춤 검색라이센스 검색

공지 서비스지식 서비스

개인공지 서비스개인지식 서비스정보상담 버시브온라인 레파지토리

참여 서비스

NDL 포털

Subpartd

Outreach 서비스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② 대상자별 맞춤서비스

장애인, 아동·출산, 노인, 기초생활수급자 구분을 하여 본인이 해당되는 계층을 선택하면 계층

별 담당부서소개, 소식, 정책, 건강보장, 일자리지원, 여가 활동지원, 재가노인복지, 자료(발간, 일

반, 통계, 사진), 관련법규, 전자투표, 일정 등의 안내를 받아볼 수 있다.

[그림Ⅳ-4] 보건복지부의대상자별맞춤서비스

나. 문화관광부

① 홈페이지 음성지원 기능

문화관광부 홈페이지에는 음성지원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홈페이지 → 음성서비스 안내 → F12키 → 마우스의 이동에 따라 해당배너, 해당게시판, 해당제

목을 음성으로 안내해준다

예 : 안녕하십니까 문화관광부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음성서비스를 받으시려면

F12키를 눌러주십시오

② 국적별 언어맞춤서비스

홈페이지 우측 상단에 해당되는 나라별 언어가 있어서 클릭을 하면 홈페이지상의 언어가 선택한

언어로 바뀐다.

93

제공되고 있지 않음

●노령인구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

② 주요 쟁점 및 조치방향

● NDL 전체 포털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소수계층의 독자성을 가진 포털 서비스 제공

●장애인과 노인 등 웹 콘텐츠 접근과 이용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접근편의를 위해 개발된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제1판)”의 적용

●NDL 소수계층별(장애인/이주민/노령계층) 포털의 요소기술 설정

●NDL 소수계층 포털의 콘텐츠 구축 대상과 범위를 우선적으로 장애인, 이주민, 노령인구

등으로 설정

③ 세부추진과제

● 장애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노령인구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소수계층 유형별 콘텐츠 대상과 범위 선정

1.4 사례분석

가. 보건복지부

① 글자확대서비스

원하는 대로 글자크기 변경가능하며, 확대는 5단계까지 축소는 1단계까지 가능하다.

92

[그림Ⅳ-3] 보건복지부의글자확대서비스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Ⅳ-5] 문화관광부의국적별언어맞춤서비스

다. 대한장애인 체육회

대한장애인 체육회(www.kosad.or.kr) 홈페이지에는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웹 도우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림Ⅳ-6] 대한장애인체육회의단축키제공서비스

라. 한국은행

한국은행 홈페이지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확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각장애인 전

용 선택 후, 마우스 커서를 작은 메뉴 위에 올리면 글씨가 커져 보기 편하게 되어 있고 음성도 제공

한다.

[그림Ⅳ-7] 한국은행의화면확대서비스

마. 민간기업

① A항공사의 단축키 서비스

다음은 국내 기업인 A항공사의 시각장애인 홈페이지 상의 단축키 서비스이다.

● 키보드 a를 누르시면 그래픽모드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키보드 h를 누르시면 홈으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1을 누 르시면 항공권 구입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2을 누르시면 지점 연락처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3을 누르시면 도움이 필요한 고객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4을 누르시면 서비스 안내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 5을 누르시면 아시아나 클럽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6을 누르시면 여행정보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7을 누르시면 아시아나 소개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8을 누르시면 메뉴안내로 이동합니다

● 상단 숫자키 1을 누르시면 이용 도움말로 이동합니다

② B통신사의 메신저 통신중계서비스

음성통화가 불가능한 청각장애인이나 언어장애인들이 중계자를 통해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신중계서비스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실시하고 있는‘통신중계서비스’의 단점인 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네이트온상의 아이콘만 클릭하면 바로 중계자와 연결가능하다.

[그림Ⅳ-8] B통신사의메신저통신중계서비스

9594

NDL포털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NDL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4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Ⅳ-10] 도서정보듣기서비스

1.5 NDL 포털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계획

가. 주요추진과제의 설정

전술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p234-237)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세

부 추진과제로 다음의 네 가지를 설정한 바 있다.

- 장애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노령인구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 소수계층 유형별 콘텐츠 대상과 범위 선정

그런데 마지막 과제인 소수계층 유형별 콘텐츠 대상과 범위 선정은 별도 과제 중 하나인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과제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포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 중에서 장애인과 노인의 기능적 요건은 실질적으

로 같다고 보아야 한다.

이를 종합하여 본 과업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과제로 다음의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① 장애인 및 노인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97

바. 국립중앙도서관

① 시각장애인용 서비스

홈페이지 우측상단에 보면 시각장애인이라는 배너가 보이고 이를 클릭하면, 화면의 축소, 확대

와, 글씨 색깔바꾸기, 배경 색깔 바꾸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Ⅳ-9] 국립중앙도서관의시각장애인용서비스

② 음성도서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 후 음성안내 멘트에 따라 소리책을 청취함, 소리책을 듣기 위한 플레이어의 모

든 기능이 키보드 조작으로 가능하다.

③ 홈페이지를 통해 도서정보 듣기

홈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도서 검색 후 검색된 도서의 서명, 저자, 출판년도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재생가능하다.

또한, 검색됨 도서뿐만 아니라, 신간도서, 베스트셀러, 추천도서 등도 도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

한다.

96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② 화면확대, 문자/화면 색상 조절, 볼륨 조절 기능

A. 화면확대 소프트웨어

시각 기능에 제한이 있는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

램이며 이미 여러 가지 제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므로 향후 NDL 포털에 대한 구체적인 개

발단계에서 적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B.엘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저시력 장애인용 화면확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무상 보급하고 있다.

엘비 화면 확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화면을 확대해서 볼 수 있고, 확대 화면상에서 컴퓨터

를 활용할 수 있다.

컴퓨터 사용에 제약이 많은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이 엘비를 사용해 다양한 윈도우 응용 프로그

램을 사용 할 수 있다. 저시력 장애인용 화면확대 프로그램은 그 동안 미국 Aisquared사가 개발

한 줌텍스트, 빅샷 등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었지만 가격이 70만원대로 고가인데다 국내에 잘 알

려지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엘비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2년간 1억 7000만원을 투

입해 개발한 제품으로 2002년 4월부터 특수학교, 직업훈련원, 공단 지방사무소, 시각장

애인기관, 공단 등에 무료배포하고 인터넷을 통해 무료 공개하고 있다. 따라서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보다 컴퓨터를 이용하기가 편해질 것이다. 향후 NDL포털에서도

엘비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줌 텍스트

컴퓨터 화면 확대 프로그램 중 세계적으로 가장 뛰어난 확대화면 선명도를 자랑한다.

컴퓨터화면확대프로그램(약시자용) 확대배율이 2~16배이고, 모든 Windows 환경과 호환가능

하다.

그 외 창모드, 구분선, 색상, 돋보기 등의 여러가지 모드 지원한다.

③ 이미지로 제공될 경우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도록 텍스트 설명(ALT

태그) 제공

A. 스크린 리더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화면의 내용을

99

②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나. 장애인 및 노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이 부분은 일부의 경우 포털환경에서의 서비스 뿐만 아니라 IC환경에서의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① 문자의 음성출력이 가능한 Text기반 포털

A. TTS(Text to Speech)기술

문자 정보 또는 기호를 인간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들려주는 기술이다.

음성 합성 방법은 음소에 대한 발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시켜 연속된 음성을 생

성하게 되는데, 이 때 음성의 크기, 길이, 높낮이 등을 조절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합성해내며 이

를 위해 자연어 처리 기술이 포함되어야 한다.

B. wind

ows XP - narrator 기능화면에 이벤트 알림, 입력된 문자 읽기, 활성항목으로 마우스 포인터

이동하고, 최소화된 상태로 내레이터 시작한다.

[그림Ⅳ-11] windows XP - narrator 기능사례

98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록 해 준다. 키보드는 일반 키보드를 사용해도 되고 화면키보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스크린 상

에서 글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윈도우 95, 98, NT 4.0, ME, 2000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림Ⅳ-12] 매직터치스크린사례

C. 헤드마스터플러스

마우스를 머리의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헤드포인팅 시스템으로 컴퓨터 화면 상에서 프로그램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때 사용한다. 머리를 좌우 및 위 아래로 움직여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수 있으며 선택은 입에 물고 있는 튜브를 불면되고 마우스 버튼클릭은 튜브를 두 번 클릭하는

방식으로 하면 된다.

또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사용하려면 스위치를 포트에 꽂아 사용하면 된다. 제품구성은

컨트롤박스, 헤드마스터용 헤드셋, 튜브 10개, 각종 잭, 전원연결 아답터(110V), 영문매뉴얼 등으

로 되어 있다. 가격은 약 200만원정도이다. 실행하는 모습을 보려면 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왼쪽 보드메뉴의‘보조도구’를 눌러 헤드마스터플러스를 선택하고 그림을 선택하면 활용하는

모습을 3차원으로 볼 수 있다.

[그림Ⅳ-13] 헤드마스터플러스사례

101

읽어 소리로 들려주는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인 프로그램들로는 드림보이스, 센스리더, 이브 등이 있다.

B. 알트 텍스트

스크린리더가 인식가능한 일종의 라벨. 이미지에 알트 텍스트를 삽입하여 이미지에 대한 설

명을 음성으로 전해주는 기능이 있다.

●예시

<img src=”http://www.psnnet.net/wp/~”alt=”그림내용설명”/> 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

하면 된다. 보통 이미지 안의 내용을 알트 텍스트에 적어놓는데, 이렇게 하면 시각장애인이 스크

린 리더를 쓸 때, 혹은 이미지를 일부러 껐을 때 설명이 보이기 때문에 불편이 적은 웹 서핑을 즐

길 수 있다.

④ 마우스 기능을 대체할 키보드 명령어 입력 기능(IC 공간 내 사용 가능)

A. 발 마우스(No hands mouse)

양손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한 손만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양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

된 마우스이다. 손에 장애가 없는 이들도 손으로 다른 일을 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한쪽 발은

마우스를 클릭하는 데 사용하고 한쪽 발은 커서의 이동에 사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반 마우

스를 포트에 꽂는 대신에 발 마우스의 잭을 포트에 끼워 주면 된다.

또한, 일반 마우스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Y형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가격은 약 40만

원 정도이다. 고용개발원에서는 캐드 및 그래픽 프로그램, 애플사의 매킨토시 컴퓨터 이용 시 3

개의 특수키(Control, Alt, Shift 등)를 동시에 입력해야 하는 작업을 할 때 사용하도록 3개의 버

튼을 하나로 구성한 발 마우스도 개발되어 있다.

B. 매직터치스크린

모니터 면에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장착하면 모니터를 눌러서 컴퓨터를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스

크린장치로서 마우스나 키보드의 역할을 한다.

양손에 장애가 있어 키보드 이용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화면키보드를 통하여 워드자료를 입력

할 수 있으며 인터넷 서핑 등의 웹 자료를 이용할 때 마우스 스틱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

다. 가격은 35만 원 정도이다. 손가락이나 제품에서 제공하는 펜을 사용하여 스크린을 눌러 끌고

가면 마우스커서가 이동을 하고, 두 번 누르면 더블클릭한 상태가 되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

100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F. I Gesture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이 시스템은 빛과 약간의 움직임만을 정보로 한 멀티터치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패드위에서 손을 병뚜껑을 여는 것과 같이 손을 돌리면 되며, 스크린을 최대

화/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손을 오므리거나 펴면 된다.

이 기술은 음성 속도에 따른 처리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음성 인식 기술보다 더 유연하다고

하며 이 기술로 인해서 사용자만이 알 수 있는 움직임으로 비밀번호를 대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재 Finger Works란 업체가 이 기술을 응용한 터치패트와 키보드를 판매중이며 I Gesture

패드는 179달러, 키보드는 199달러이다.

[그림Ⅳ-15] I Gesture 패드사례

⑤ 동영상/음성 콘텐츠 제공시 상세한 자막이나 수화, 장면해설 제공

A. 수화를 음성으로 번역하는 장치

간단한 조작과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된 장갑을 끼고 정해진 신호를 입력하거나

수화를 하면 스피커가 달린 수신기에 신호가 전달, 음성으로 변환한다. 모션캡쳐기술과 음절이나

문장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B. 수화, 음성 번역

글러브를 끼고 수화하면 의미가 파악되며, 자판입력하면 모니터에 수화가 가능하다.

청각 장애인들에게는 말이나 문자는 외국어나 마찬가지이다. 그들은 수화를 통해 외부와 의사

소통을 하기 때문이다.

청각장애인들의 이 같은 고통을 해소해주기 위한 수화 번역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과학

기술원 변증남교수-박규태팀이 개발 중인「표준 수화 통역 시스템」은 초등학생 수준의 수화를

알아듣고 전달하는 통역 컴퓨터다. 24개 센서를 부착한「사이버 글러브」를 양손에 끼고 수화를

하면, 컴퓨터는 손가락의 굴절 정도, 손등의 방향, 공간 위치 등을 계산해서 무슨 의미인지를 알

103

D. 헤드마우스(Head Mouse)

마우스와 같은 장비를 머리의 움직임으로 작동하는 헤드포인팅 시스템이다.

이마에 스티커를 붙이면 모니터 위의 센서가 이를 감지해서 마우스를 작동시킨다. 선택은 튜브

스위치나 화면입력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헤드마우스는 화면입력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여 일반 마우스나 키보드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제품의 사양을 보면, 사이즈가 7.3×5.7×1.5 인치 작업 범위는 4~60 인치, 작업 가능

각도는 55。까지 작업을 할 수 있다. 가격은 250만 원 정도이다.

QuadJoy는 앞에서 설명했던 헤드마우스 등과 다르게 입이나 턱으로 조이스틱을 조절하여 마

우스를 움직이는 장치이다. 조이스틱을 많이 움직일수록 마우스커서의 움직임이 빨라지며 마우

스 버튼은 별도의 스위치를 빨고 부는 방식으로 작동시킨다. 스위치 잭을 사용 하지 않는 경우 비

장애인의 도움을 받아 일반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면 되며 버튼작동은 빨대를 이용하는 것보다 힘

이 덜 든다. 제품은 Windows 95, 98, 98SE, ME, 2000, XP에서 호환된다. 제품구성과 사양을

보면 자유롭게 구부리기 쉬운 꺽쇠 막대와 5개의 버튼이 있으며 포인터의 속도와 더블클릭의 속

도를 조정할 수 있다. 가격은 110만 원 정도이다.

[그림Ⅳ-14] 헤드마우스사례

E. 퀵 글랜스

컴퓨터에 장착하여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마우스커서를 움직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윈도우

98/XP에서 작동한다. 커서를 위치시키고 싶은 곳을 쳐다보는 것으로 마우스를 움직일 수 있으며

클릭은 눈을 깜빡이면 작동한다(스위치 사용 가능). 종류로는 노트북용과 데스크탑 용이 있다. 포

함된 장비는 컴퓨터용 카메라, 불빛, 전원, 케이블, 사용설명서(영문) 등이다. 가격은 약 600만 원

정도이다.

102

iGseture Numpad iGseture Pad TouchStreem Mini

TouchStreem LP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의미와 문맥을 이해하여 그에 맞는 기능이 실행가능하며, 사람마다 틀린 음성(주파수, 억양 등)

의 차이를 정형화된 데이터로 가공하는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주변 소음과 사람의 음성을 효과

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현재 스테레오 마이크를 사용하여 소리의 위상차를

이용해 소음을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소리의 방향을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음성인식이외에 음성합성(인간의 목소리를 합성)과 자연언어처리를 개발 중이다.

이미 개발을 완료한 업체들 중 Voice Box의 음성인식 기술은 Toyota의 음성인식 대시보드 시

스템에 사용되고 있는데, context 인식 기술이 탁월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traffic'이

라고 말하면 이 단어가 교통 상황을 의미하는 건지, 아니면 스티브 윈우드의 노래 'traffic'을 의미

하는 건지, 또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하고 마이클 더글라스가 주연한 영화를 의미하는 것인지

를 이용자가 말한 문맥을 통해 파악하여 반응한다.

또한 Tellme Network의 시스템은 콜센터와 114 정보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데, 시스템이 자

동으로 1년에 100억 개의 단어 발음을 캡쳐해 계속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인식률을

높인다.

Vocera Communication의 시스템은 무선기술과 연동을 통해 이용자가 음성으로 요구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준다. 예를 들면, 의사들은 이 시스템용 소형 단말기를 통해 환

자 치료 등과 관련하여 필요한 병원 내 의사나 간호사를 검색하여 바로 통화할 수 있다.

B. 미디어 센터를 위한 음성 리모컨

음성인식을 이용한 미디어센터 컨트롤 프로그램이다.

XP의 미디어센터나 Vista 홈 프리미엄, 얼티메이트 에디션에 포함된 미디어센터를 음성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리모콘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음성으로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림Ⅳ-16] 미디어센터를위한음성리모컨사례

105

아낸다. 이렇게 컴퓨터가 통역한 의미는 전화선을 타고 먼 곳에 있는 정상인들을 위해 글이나 음

성으로 표현된다.

반대방향의 통역도 물론 가능하다. 정상인들이 컴퓨터 자판으로“안녕하십니까. 만나서 반갑습

니다.”라고 입력하면, 수화컴퓨터는 이 글을 3차원 그래픽의 수화로 변환시켜 모니터에 올려 청

각장애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표준 수화통역 시스템」은 지금까지 20여개의 기본적인 수화

동작과 31개의 지문자(수화의 자모음)에 대한 인식시스템이 개발됐다.

현재 1백70개 단어는 직접 통역을 하고, 그 밖의 단어는 지문자를 하나씩 통역해서 의미를 전

달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웬만한 단어는 지금도 의사전달이 가능하다. 모든 통역이 실시간

으로 이뤄지는 것이 또 다른 장점이다.

NDL포털에서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이 시스템의 도입을 적극 권장한다.

C. 문장을 수화로 자동변환

최근 일본의 한 기업은 일본어문장을 입력하면 수화(手話) 애니메이션(animation)이 자동적으

로 생성되는「일본어-수화번역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늘 사용하는 일본어문장을 단어 단

위로 자동분할해서 개발한 수화지식 데이터베이스로 수화로 자동 변환한다. 수화를 모르는 사람

이라도 컴퓨터로 간단히 3차원의 그래픽 수화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신기술은 우선 입력된 일본어 문장을 해석해 단어단위로 자동 분할해 일본어의 단어열을 생성

한다. 계속하여 수화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생성한 일본어 단어 열로부터 수화의 단어 열로

자동변환 한다. 그 때 수화에서는 같은“오르다.”라는 동사가 목적에 따라 수화동작이 다르기 때

문에 그것을 판별해 정확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단어의 표기나 품사의

종류 등 여러 가지 단어의 정보나 각 단어에 대응하는 수화단어 색인 등을 별도로 보관해, 일본어

단어 열과 수화 단어 열과의 의미를 포함해 정확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인명이나 고유명사 등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어는 자동적으로 손가락(指)문자나 단(單)한자의 수화표현으로 자

동 변환하도록 했다. 한국어를 기반으로 한 수화 애니메이션 기술이 개발될 경우 NDL의 도입을

적극 권장한다.

⑥ 그 외 음성인식, 수화번역 등 최신 정보기술의 적용

A. 음성인식기술

사람 고유의 억양과 발음을 잡아내어 알아듣고 그대로 실행하는 기술이다.

104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남북한 공통 정보화 교육 용어사전(2005년 11월 정통부 발간)

●통일문학용어사전(2008년 8월 목표 한국문학예술위원회)

●북한용어사전 (국정원 발간)

●겨레말 큰사전 (2013년 완간 목표)

2. NDL IC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2.1 IC개념과 NDL IC의 개발의의

가.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개념

도서관은 장서보존을 위한 서가와 열람 공간의 제공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

원에 대한 접근과 학습 및 연구를 위한 지원, 그리고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

써 교육의 중심 역할과 이용자 및 정보의 효율적 연결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또한 연구와

과제 해결을 위한 전문적 지식을 지원하고 최신의 정보기술과 편안한 연구공간의 제공, 그

리고 이용자들이 스스로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적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한 서비스와 기술, 그리고 정보자원에 대한 통합적 제공을 위한 하나의 모델이 바

로 Information Commons(정보 공유 공간)이다.

나.NDL IC의 의의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에서는 NDL의 IC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

다.

NDL의 인포메이션 코먼스는“디지털 기반의 정보서비스와 도서관 정보자원을 통합하

고,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과 관련된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와 정보 레퍼

런스(information reference)를 정보 전문가에게 지원받으며, NDL의 정보자원에 자유

롭게 접근하고 공유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이다.

107

C. 시각장애인 및 저 시력자를 위한 웹 네비게이션 (넷 라이트)

인터넷의 웹 콘텐츠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안내를 통해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이다.

기존의 웹사이트에 간단한 적용과 설정으로 웹 접근성과 사용성을 완벽하게 지원해주며 이용

자의 자동식별 처리에 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림Ⅳ-17] 웹 네비게이션사례

다.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① NDL이용안내와 검색기능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기능에 대한 주요 외국어 및 주요

이주민 국가 언어 적용 운영체제에 다국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팩을 설치하면 원하는

나라의 언어를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

사용자 언어설정을 최초 등록하면 각 사용자 프로필에 저장되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자동으로 원하는 언어로 설정이 유지된다.

② 북한이탈주민(이하‘새터민’이라 칭함)과 중국계 한국인(조선족)과 같이 한국어에

대한 읽기는 가능하지만 어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주민을 위한 용어사전 기능다음

과 같은 사전을 모아서 새터민을 위한 별도의 웹 사이트상에 사전 검색 서비스를 실시

하도록 한다.

106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언어통역 및 다국어지원 인터페이스 제공

–정보 활용 및 컴퓨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한국관련 디지털 정보원 사이버 한국 문화 교실 운영

C. 소수계층을 위한 전용 헬프 데스크 운영

–1대1 개인 안내서비스 제공

–디지털 기기 대여서비스 운영

–다국어 지원 및 번역 서비스 제공

–이용자 질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 FAQ 및 지식 DB 구축

–정보서비스 만족도 조사 및 평가

D.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연계 기관과의 협력 모형 구축

–정보복지서비스를 위해 사회적 약자와 관련된 기관과의 협력모형 구축

–다문화 서비스를 위해 소수민족과 관련된 기관과의 협력 모형 구축

–유관 기관이 연계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정책 및 평가지침 개발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 운영

E. 인포메이션 코먼스 내에 노령인구를 위한 서비스 제공

–노령인구를 위한 정보검색 인터페이스 지원

–노인전용 휴식 공간 마련

–노인대상의 정보서비스 개발

F. 노령인구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노인들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노인들의 실버취업을 위한 생계지원 프로그램 개발

–NDL 내의 노인 인력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제공

109

특히,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물리적 공간과 NDL 포털을 통한 디지털 공간에서 통합

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가 제공되는 하이브리드형 공간”을 말한다.

2.2 선행연구 분석

가.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

①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

정보접근 수단의 보유 여부에 따라 계층 간의 정보격차가 점점 커지면서, 정보격차가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서비스 기관에서는 장애인, 환자, 군인, 수감자,

외국인, 혼혈인, 이주민, 새터민, 구직자 등의 소수계층에 대한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

하고 있다. 그러므로 NDL에서는 국가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써 정보소외계층의 일상생활과 밀착

된 디지털콘텐츠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반의 정보 활용 및 생계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NDL을 통해 정보소외계층이 보다 자유롭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NDL에서는 국가의 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써 개관과 동시에 디지털 정보소외계층의 경제적·신

체적·정신적 이유로 인해 발생된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한다. 이에, NDL

에서는 소수계층, 즉 장애인, 실직자, 환자 등의 사회적 약자들과 외국인, 혼혈인, 새터민 등의 소수

민족들의 정보요구에 적합한 디지털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정

보 빈곤이 유발되지 않도록 인포메이션 코먼스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정보서비스 및 시설을 제공하

여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한 정보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②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개발계획

A.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복지 서비스 제공

–디지털 특수 장비 지원

–디지털 기기 대여 서비스

–정보 활용 및 컴퓨터 활용 교육 프로그램 운영

B. 소수민족을 위한 다문화 서비스 제공

–디지털 기기 대여서비스

108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애인을 위한 파일의 전송 허용을 포괄하는 저작권법 개정이 필요하다.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전체적인 서비스 제공과 공간 활용 효율성의 측면에서 인포메이션

코먼스 시설팀과의 지속적 협의가 필요하다.

② 노령인구를 위한 서비스

A. 현황 및 문제점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 중에서 노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는 상황인 가운데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노약자를 위한 편의 시설(경사로, 주차장 등)과 일

부 노약자를 위한 정보이용 기기(확대 독서기, PC 입력 보조도구, 열람석 등)들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지역 공공도서관들은 점차 노령인구를 대상으로 노인들을 위한 서비스들을 적극적으

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비해 노인층 이용자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은

현재 일부 정보이용 기기 외에 노령인구를 배려한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지 않다.

●국립중앙도서관에는 노령인구의 정보 리터리시 개발과 다양한 정보, 문화 프로그램 업무를

전담하는 전문 인력이 전무한 실정이다.

●노약자를 위한 정보이용 기기도 체계적으로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

B. 주요 쟁점 및 조치방향

●노령인구는 시력, 청력, 근력 등 제반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장애인과 함께 노약자로 분류

되는 사회적 경향이 존재한다.

●노령 인구와 장애인의 도서관 정보이용에 있어 유사성이 존재하므로 이에 기반한 인포메이

션 코먼스 공간 설계와 시설, 장비, 포털 구축이 필요하다.

●노령인구 전용 공간 또는 노령인구+장애인 전용 공간으로 일반이용자 이용공간과는 독립

하여 보호할 필요하다.

●노령인구의 독자적인 특성이 존재 하므로 시설과 장비, 공간은 장애인 이용자층과 공유의

흐름으로 갈 수 있지만 각종 정보 상담과 정보 리터리시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는“실버”적

인 독자성을 가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노령인구 관련 콘텐츠 구축을 위한 주제영역 선정 작업 필요하다.

●노령인구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원활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111

G. 노인복지관련 기관과의 협력 모형 구축

–노령인구를 위한 다양한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기관과 협력 모형 구축

–정부부처 및 사회복지기관, 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노인복지프로그램

나.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

① 소수계층을 위한 서비스

A. 현황 및 문제점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 점자블록, 화장실,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

프트 등의 법정 편의 시설과 PC 입력 보조도구, 확대독서기 등의 정보이용 장비를 부분적으로 구

비하고 있다.

반면 국립중앙도서관은 장애 유형(시각, 청각, 지체 등)에 맞는 다양한 정보이용기기들을 체계

적으로 구비하고 있지 못한다. 또한 장애인의 정보요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정보서비스와 장애인

의 정보 리터리시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그리고 이러한 업무를 전달하는 전문 인력이 전무한 실

정이다.

B. 주요 쟁점 및 조치방향

소수계층 중 저소득층, 구직자, 병원 입원 환자 등을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소수계층 서비스

영역보다 일반적인 인포메이션 코먼스 서비스 이용에 포함시켜 NDL의 소수계층 서비스를 장애

인(시각/청각/지체)과 이주민(이주노동자, 결혼이주민/북한이탈주민, 조선족)을 중심으로 특화시

킬 필요가 있다.

대면 도서 낭독서비스나 점자도서, 오디오 도서 제작 서비 스 등은 개별 공공도서관과 점자도

서관 단위에서 제공할만한 서비스로 NDL의 정체성과는 부합하지 않아 NDL 서비스 영역에서 제

외한다.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장애인을 위한 정보이용 공간을 일반인과 독립된 전용 공간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과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 구축의 주제와 범위, 언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bbf와 같은 시각장애인 점자 전용파일 외에 점자변화 및 음성출력이 가능해 시각장애인들

이 선호하고 있는 점자/음성도서 디지털 콘텐츠(txt, hwp, doc, mp3)의 구축과 서비스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현행 저작권법에 허용되어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녹음, 복제, 배포 외에 시각장

110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세부계획상의 추진과제별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이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표 Ⅳ-7] 세부계획상유형별정보서비스세부추진과제

위의 표를 통해 3가지의 정보소외계층 유형별로 각각 정보상담 서비스/ 리터러시 프로

그램 교육 서비스/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주요 과제

목표임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멀티미디어 관련된 부분은 콘텐츠 개발 부문과 중복되는 면이 없지 않으나 콘

텐츠의 개발부분을 제외하고 효과적인 관리 및 대출/반납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

루기로 하겠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IC 및 NDL포털의 정보 상담 서비스

-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교육 서비스

-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서비스

각각의 서비스를 다루면서 정보소외계층의 모든 유형에 공통적인 사항을 먼저 다루고

계층별로필요한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별도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나. IC의 정보상담서비스(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 일부 병행 가능)

① IC의 정보상담서비스

A. 서비스 기본방향(열린 공간과 프라이버시)

인터넷 포털과 달리 IC공간에서의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정보상담 서비스를 논의하기에 앞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바로 프라이버시의 문제인데 이는 특히 외모에서 크게 차

이가 나지 않는 결혼이주민,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포털의 경우 익명

성을 전제로 이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찾기 위해 NDL 포털을 방문하는 것은 가능하다. 똑같은 이

113

2.3 NDL IC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계획

가. 주요 추진과제의 설정

세부계획의 제3장(인포메이션 코먼스) 중 중점과제 10(정보소외계층 서비스)에 세부과

제 29(소수계층을 위한 서비스)와 과제 30(노령인구를 위한 서비스)에서 정보소외계층 서

비스를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은 세부과제의 내용을 보면, 본 과업의 추진과제 중 본 과제의 영역에 상대적으

로 연관성이 떨어지는 내용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의 일부는 타 과제영역에서 다

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선행연구 상의 세부추진과제가 어느 부분에 포함되어야 할지를 결정

한 후 본 과제에서 다루어야 할 부분만 별도로 정리한다.

[표 Ⅳ-6] 세부계획상세부추진과제와본과업추진과제의연관성

위의 표에서 구분된 바와 같이 본 과업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이다.

-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 이주민을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 노령인구를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112

지침 항목 내용

소수계층을위한서비스

노인인구를위한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실시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구축

장애인을 위한 정보이용 장비 운용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구비

이주민을 위한 정보서비스실시

이주민을 위한 콘텐츠 구축

이주민을위한정보이용정비및편의시설구비

노령인구를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노령인구를 위한 콘텐츠 구축

노령인구를 위한 정보이용 장비 운용

노령인구를 위한 편의시설 구비

지속적인 노령인구 서비스개발 및 전파를위한 이용 시나리오 분석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지속적인소수계층 서비스개발 및 전파를 위한이용 시나리오 분석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 전용 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장애인 이주민 노령인구

온라인 및 오프라인정보상담 서비스

IC 및 NDL포털의 정보상담 서비스 IC 및 NDL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

장애인 정보리터러시 프로그램

이주민 정보리터리시 교육 프로그램 노령인구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

장애인 멀티미디어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이주민을 위한 멀티미디어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노령인구를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다. 장애의 유형에 특성을 숙지하고 응대해야 하며, 기본적인 점자와 수화 정도는 알고 장애

인의 요구에 응하는 것이 좋다. 참고봉사나 대면낭독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서비스가 가능

한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도록 한다. 특히 전문 전담 사서의 경우 해당 장애를 지닌 장애인 직

원이 서비스하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장애인의 요구사항을 가장 잘 파악

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용자의 자격에 대해서

확인 절차를 밟지 않는다. 이용자가 자료를 대출하고자 할 때 장애인등록증을 보여 달라고 하

는 등 굳이 장애인임을 확인하는 절차를 밟지 않는 것이 좋다. 시각장애인 또는 노인, 지체장

애인 등 바로 확인이 되는 장애인은 관계없지만 문자해독장애인, 학습장애인, 장애인 이용자

의 대리인 등은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c. 장애유형에알맞은보조기기의효율적활용

도서관 서비스의 가장 기본은 자료로서, 일반자료를 그대로는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어떻게 그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가 또는 어떤 유형의 자료로 서비스해야 하는

가를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표 Ⅳ- 8] 장애유형별활용기기

d. 자원봉사자프로그램의도입

장애인 서비스를 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요건 중 하나는 바로 자원봉사자의 확보이다. 몇몇

장애인 서비스를 하고 있는 공공도서 관은 이미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자원봉사

115

유로 IC를 방문하는 것은 그다지 쉬운 문제는 아닐 것이다. 특히 주변 사람들을 지나치게 의식하

는 경향이 몸에 밴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더욱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아무리 훌륭한 콘텐츠가

NDL 내부에 구축되어 있어도 이의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질 가능성이 훨씬 더 높은 경우가 발생

한다면 NDL IC공간 내에서의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IC의

정보상담 서비스는 프라이버시의 확보 여부에 따라 장애인 및 노인/ 이주민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B. 장애인과 노인

a.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정보상담 서비스의 기본원칙

장애인과 노인이 NDL을 방문할 경우 이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 서비스는 일반인의 경

우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자료를 빠르게 찾아주는 기능과 공간 내에서

의 이동에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한 각종 편의시설의 제공, 마지막으로 시각이나 청각 장애인

등 특수 장애인을 위한 별도의 보조기구활용 등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뿐이다. 이 중에 첫 번

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뒤에서 다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정보상담 서비스를 자료

탐색 기능에 국한하여 다루기로 한다.

장애인과 노인이 NDL을 방문하였을 경우 이들은 일반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자료를 검색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화면 확대기 등 일부 보조기구가 이미 확보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 상담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대상은

장애인 중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이어야 한다. 이들은 보조기구만으로는 원하는 정보를 얻

는데 한계가 있는 계층으로 대면 서비스가 불가피하다.

다시 말하면 시각 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서비스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상시 배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지체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신체 장애인과 일부 노인을 위해서는 이들

이 이동할 때나 다른 서비스를 원할 경우 즉시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출입할 경우 호출기능이 부착된 별도의 기기(RFID카드 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직원을 호출할 경우 가급적 최단시간 내에 접근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

b. 전문전담사서의중요성

담당사서는 이용자를 대할 때 동정하는 태도나 고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하고, 이용자의 요

구에 항상 친절하고 성심껏 대해야 한다. 담당사서는 장애의 유형에 맞는 자세를 갖춰야 한

114

구분저

시력인맹인

학습장애인

청각장애인

지체장애인

노인문자해독장애인

독서 확대기

텍스트 확대 소프트웨어

토킹북 플레이어

점자 프린터기

무지점자기

스크린 리더

점역 프로그램

음성 인식기술

녹음기/데크

페이지 넘기기

자막 처리

해설 추가비디오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5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참고봉사

일본에서는 문자정보봉사 또는 개인적인 봉사(Private Service)등으로 불리는데 이용자의 개인적 요구

에따라그들이원하는자료 를그들이이용가능한형태로제작하여이용할수있도록해주는것을말

한다. 참고봉사와대면낭독의차이점은대면낭독이즉시일어나는봉사인데반해, 참고봉사는요구에의

하여일정한기간을준비하여음성만이아닌다른형태의자료로도변환하여봉사하는것이라는데있다.

C. 이주민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이들을 위한 정보 상담 서비스는 원칙적으로‘이들이 원할 경우’에

만 국한하여야 한다. 과도한 관심이 오히려 심각한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불러 올 수도 있기 때문

이다. 단, 이들만을 위해 전용 상담 창구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 또 하나의 문제

점은 IC 공간내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데스크 요원만으로 이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

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에 있다.

결국 이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정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시설

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운영상의 적절한 대응에 달려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위한 별도의 전담 서비스는 장애인이나 노인과는 달리 필요하지 않다고 보아야 한다. 원칙적으로

NDL을 방문할 수준이라면 어느 정도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는데 큰 장애물은 없다고 보아야 하

기 때문이다.

② NDL 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

A. 장애인

a. 수화상담

청각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상담서비스는 상담자와 내담자 1대1로 이루어지며 채팅 또는 캠

을 사용하여 수화로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이때 상담과정은 반드시 비공개로 처리된다.

상담자가“자리 비움”또는“상담 중”일 때는 상담이 불가능하나 상담예약하기 기능을 이

용하여 상담예약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담예약신청을 하면 관리자에게 이메일이 보내어지며 관리자는 예약된 시간에 내담자를

기다려 화상상담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상담원이 사진, 상담분야, 이메일주소, 이름, 소속 등이 담긴 프로필을 제공한다. 화상

상담실 설치 매뉴얼 및 화상상담실 이용 매뉴얼을 제공해 이용편의를 제공해준다.

b. 전문가상담

117

자를 활용하여 장 애인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국립디지털도서관의 특성상 서비 스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가 많은데 이를 전부 도서관 자체인력으로 충원하는 것은 불가능하

다. 관할구청인 서초구청과 연계하여 자원봉사 자의 모집과 육성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

e. 기타서비스계획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정보 상담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독서장애를 고려한 서비스

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동안 도서관을 거의 이용하지 않았던 장애인들에게 도서관을 이용

하게 하고, 자료를 활용하여 풍요로운 여가와 문화생활을 향유하고 자신의 지식정보향상과

함께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여 재활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PR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장애인 및 노인들에게 도서관 이용에 관해서 알리는 일이

다. 장애인들은 일반인에 비해 국립중앙도서관 이용에 대한 지식이 떨어진다. 하물며 국립디지털도서관

이 개관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도서관 자료와 서비스내용, 이

용방법등을알리는것이급선무이다. 또한회원에게는신간목록에대한정보를꾸준히제공하여정기적

으로도서관을이용하도록유도해야한다.

•관내서비스

도서관 서비스 중 가장 기본으로서 장애인 이용자가 도서관을 방문하여 이용하는 자료의 양과 질의 정도

가 계속적인 이용을 결정짓게 된다. 이용자가 적다고 해서 도서의 양이 적거나 이용자의 독서 수준을 임

의로 결정하여 질적인 수준을 맞추지 못한다면 이용자들은 결코 다시 오지 않을 것이다. 또한 담당사서

와의커뮤니케이션도도서관이용에가장중요한요소로작용한다. 청각장애인을위해서수화를, 시각장

애인을 위해서 점자로 알고 있다는 것은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큰 역할을 수행

할수있다는것이므로, 폭넓게지식을습득하고노력하고, 이용자를항상주의깊게관찰하여장애로인

한불편한점을적극대처해줄수있도록한다.

•대면낭독서비스

대면낭독의 장점은 이용자의 주체적인 독서, 조사, 정보획득 등을 보장하고 또 자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

을가능하게한다는점에있다. 이서비스에서 가장중요한것은대면낭독자이다.

대면낭독자의 자격으로는 자료에 정통하고, 이용자의 흥미나 관심을 정확히 판단하여 자료를 소개하거

나검색할수있으며, 낭독상다양한처리기법(예를들면도표읽는법등)을알고, 이용자의요구에유연

하게대응하는낭독을하는사람이다.

116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상담원의 전화 상담을 원하실 경우 전화번호를 확인, 입력해주시고, 원치 않으실 경우에는 원치 않음

을체크하시면됩니다.

•한가지상담질문에대해여러명의상담원께서답변을주실수 있습니다

–상담의진행상태가완전히종료되기전까지는답변을더기다려보는것이좋습니다.

•답변내용은“상담실”의‘내상담일지’를통해서확인하실수있습니다.

c. 인터페이스개발

노인들의 정보탐색을 위해서는 주제별 검색엔진, 즉 디렉토리 타입이 유리하며, 키워드 검

색도 지원되어야 한다. 검색 환경에 익숙치 못하고 신체적 지각적 능력이 쇠퇴하고 있는 노인

들의 탐색을 돕기 위하여는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최근의 연구에 나타나 있는 노인 인터페이스 개발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노인은 시각탐색 능력이 약하고 선택적 주의력을 가지므로 스크린은 적절한 정보조직과 정보량을 제

공하는것이중요하며, 그림과글자모두빠르게움직이는것을피해야한다.

•기억은 연령과 함께 쇠퇴하기 때문에 현재의 위치나 이전 링크의 파악에 문제가 있으므로, 링크나 레

퍼런스의사용을최소화한다.

•활자체의크기는노인이쉽게읽을수있는12font 정도가적당하다.

•노인은색채를구분하는능력이떨어지므로(예, 그린과블루) 사용상의주의가필요하며, 소수의색체

를사용하는것이좋고,(예. 흑백과다른한가지). 옅은배경에진한글자가효과적이다.

•단계별로명확한지시문을제공하며, 지시문에는노인들이아는단어를사용한다.

•링크는 보기 쉬운 위치에 크게 표시하며(그래픽 버튼은 180x22 pixel)근처에 충분한 빈 공간을 두어

잘못선택하지않도록한다.

•조기성을위하여레이블은의미있는단어를사용하고일상적인관행을변경시키지않는다.

•입력시간이나반응시간에제한을두지말아야한다.

d. 인터페이스디자인

노인용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그것의 구성요소와 디자인 방법에 관한 포털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텍스트

노인은 내용이 밀집되어 있거나 너무 자세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에서 작업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왜냐하면 노인은 페이지에 있는 거의 모든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텍스트

119

복지 관련 단체들이 전문 상담원을 통해서 상담을 해주는 서비스이다. 자기가 쓴 글에 대해

서는 비공개로 전환가능하며, “내 상담일지”를 통하여도 확인가능하다.

c. 분야별 상담사례제공

분야별로 상담사례를 제공해 비슷한 사례를 찾아 답변을 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B. 노인

a. 온라인참고서비스개발

대부분의 노인들은 비공식정보원을 선호하며 구두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는 노인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도움을 주도록 참고 서비스로

개발되어야 한다. 노인들은 또한 정보원에 대한 지식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서비스는 레

퍼런스 서비스를 포함한다. 참고서비스는 다른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제공될 수 없는 도서관

고유의 전문가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자신의 문제표출을 꺼리는 노인들의 행동양식에 따라

사생활이 보호되도록 e-mail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문응답 서비스의 축

적에 따라 빈번한 질문과 답변을 모은 FAQ를 제공할 수 있다.

b. 상담서비스

노인들에게 게시판을 이용해 정보상담서비스를 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고 원활한 정보상담

처리를 위하여 질문내용을 게시판에 적을 경우 노인들에게 상담내용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가입하기를 요청한다. 전문가의 상담의 경우, 구체적인 답변이 어려운 경우에는 상담원이 노

인 분에게 전화를 드릴 수 있으며, 상담 글 작성 완료 전에 상담원의 전화 상담을 원하는 분들

에게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확인,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한 가지 상담 질문에 대해 여러 명의 상담원이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고, 답변 내

용은“내 상담일지”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예) 도움나라노인서비스

•상담내용은자세하게기재하셔야원하시는명확한답변을받으실수있습니다

–질문이 명확하지 않으면 원하시는 명확한 답변을 받기가 어렵습니다.원하시는 대답을 얻기 위해서는

필요한정보(본인의상황과처한여건, 궁금한내용등)들을최대한구체적으로기입해주십시오.

•상담 답변시구체적인 답변이 어려운 경우를 위하여, 전문가상담의 경우상담원께서 회원님께 전화를

드릴수 있습니다

–상담원이 회원님께 전화를 드리기 위해서 전문가상담 코너에서는 회원님의 전화번호를 확인합니다.

118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자기법은노인의눈을피로하게만들므로사용을피하여야한다.

글자체의 크기는 10포인트 이상을 사용하여야 하며, 웹의 본문용으로는 최소한 12-14포인트 이상이 되

어야하고, 제목용으로는본문의글자크기보다2포인트이상커야한다.

인터페이스에 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글자체는 세리프(serif)와 산소 세리프(sans serif)이다. 세리프는

명조체와 같이 글자 획의 끝 모양이 예각으로 되어 있으며, 산소 세리프는 고딕체처럼 끝 모양이 직각으

로 되어 있다. 인쇄용으로는 세리프가 보기 좋고 읽기도 좋을지 모르지만, 노인용 텍스트에서는 산소 세

리프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글자의 굵기와 관련해서, 굵은 글자는 크게 보이는 반면에, 그것의 가

독성은떨어지므로, 단지제목이나키워드를강조하고자할경우에만굵은글자체를사용하여야한다.

■색깔

50세의 빛인지양은20세와그것과비교하여50%로감소하며, 이러한감소는60세에이르면66%로높

아진다. 이러한 현상은 노인의 색 식별능력과 색 대조의 민감성 감퇴와 연관된다. 노인은 일반적으로 청

색빛에약하며, 여러가지색깔을분류하고비교하는데어려움을겪는다. 이들이색대조에서주로많이

실수하는색깔은청색-녹색분야이다.

따라서노인이보다편하게볼수있는색을사용하기위하여색의3가지속성인색조, 밝기, 그리고채색

을고려하여색깔을사용하여야한다.

인터페이스에서 노인의 색 식별 및 대조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색 대조표의 반대쪽에 있는

색깔을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청색을 기본색으로 선택하였다면, 반대쪽에 있는 오렌지색을 사용

함으로써노인의색식별및대조능력을높일수있다.

노인의 눈은 생리적인 이유로 인하여 쉽게 피로해 진다. 따라서 매우 밝거나 반짝이거나 또는 흩어 퍼지

는색의사용은피하여야한다.

인터페이스를개발할때색깔과관련해서다음과같은사항을고려해야한다.

- 청색, 녹색, 적색의사용을피해야한다.

- 배경색으로순수한백색은피하여야한다.

- 농도가묽은색을사용하여야한다.

- 밝은색의배경에어두운색의문자를사용하여야한다.

- 깜박이는이미지나애니메이션의사용을최소화하여야한다.

- 단순한배경을사용하여야한다.

시력이감퇴되고시각을통한인지력또한떨어지는노인에게복잡한배경은정보를읽는데어려움을초

121

와 관련해서, 노인의 가장 큰 특징은 노안으로 인하여 시각의 폭이 좁아지고 안구의 움직임이 느려짐으

로써, 읽는시간이오래걸릴뿐만아니라속도또한느려진다는것이다.

노인은 매우 분명하게 표현된 제목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를 선호한다. 노인은 시각적 탐색 기술이나

선택적 주의 집중 능력이 떨어지므로, 복잡하거나 혼란스러운 텍스트로부터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으며

동시에 부적절한 정보로 인하여 정보활동을 방해 받기 쉽다. 따라서 필요한 제목의 텍스트만 간단하게

제공되어야하며중요한정보는역상처리하여야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무엇보다도 전체적인 텍스트의 양이

적어야 하며, 지시적인 텍스트 역시 간단하여야 더욱 효과가 있다. 전체적인 텍스트를 간단하게 하기 위

하여, 부적절한 텍스트 정보를 최소화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텍스트의 길이는 약 7-11개의

단어를사용한것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 노인은 일반인에게 상식적인 수준인 용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기술

과관련된전문용어는분명하게정의되어야하고, 정의된용어의의미는인터페이스전체를통하여일관

적으로적용되어야한다.

텍스트로 구성된 한 개의 문단에는 단지 한 개의 개념만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독성을 높이기 위

하여 이러한 문단의 정렬은 왼쪽 정렬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만 제목은 중앙정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노인용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청각 및 시각적 내용에 대해서는 그것과 동등한 대체물로

텍스트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이미지, 그래픽, 이미지 맵, 애니메이션과 같은 비-텍스트 요

소에 대하여 텍스트를 동시에 제공하여야 하며, 청각 및 시각 요소의 내용과 텍스트의 내용이 동일한 것

인지도반드시확인하여야한다. 만일그래픽을사용하고자한다면간단하고아주적절한그래픽만을사

용하여야한다.

■글자크기와글자체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때 글자체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이 읽기 편한 글자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노인은 비록 전체의 성능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보다 큰 글자

크기를좋아하는경향이있다. 그러므로가능하다면글자크기를증대시킬수있는기능을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야한다.

노인용인터페이스에사용되는글자체와관련해서, 여러가지글자체가혼용되어있는텍스트나글자폭

이 작거나 또는 장식적인 글자체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특히 글자의 입체감을 주기 위한 그림

120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조이다.

복잡한 구조는 특히 공간 및 작업 기억 능력이 떨어진 노인으로 하여금 항해하는 도중에 쉽게 길을 잃어

버리도록 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하고 일관된 항해 기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방

향상실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bread crumb”항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고, 또 한 가지

는 노인의 인지적 수준에 맞는 사이트 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깊이와 방법을 사용함으로

써, 노인이항해도중에언제어디서나방향및항해정보를얻을수있고자신의현위치를항상알수있

도록하여야한다.

■사운드

노인용인터페이스에서사운드를사용하고자할경우에는보다낮은주파수의음을사용하여야한다.

높은 음의 사운드를 듣는 능력은 노화와 더불어 쇠퇴한다. 따라서 노인의 주의를 필요로 하거나 경고음

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 이들의 인터페이스에서는 보다 낮은 주파수의 사운드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범위는500-1000의주파수가추천된다.

노인용인터페이스에서사용되는텍스트는인공합성음으로도제공할필요가있다.

이러한 인공합성음은 시각적으로나 인지적 문제로 인하여 독서 장애를 갖고 노인에게는 매우 중요한

정보제공원이될수있다.

C. 결혼이주민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에 의하면 결혼이민자가 겪

는 가장 큰 애로점으로 언어와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단절감이 공통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다행

스럽게도 최근 들어 국내의 많은 인권단체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지원 정책이 실행되고 있고 특히, 외국인 여성(주로 동남아시아)과

한국인 남성 사이에 태어난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도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분석하면, 공통적인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일방향적인 언어와 문화 소

통 프로그램’이 바로 그것이다.

외국인 여성에게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토록 하고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올바르게 알려

주는 것이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한국인들이 결혼이주민의 해당 국가에 대한

언어와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통로의 확보’를 NDL포털에서 추구하는 결혼이민자의 정보서비스의

123

래하므로, 텍스트의가독성을떨어드린다. 그러므로워터마크나가능한한입체로고는사용하지말아야

한다.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와 비트의 수에 따라 색깔의 표현에 차이가 발생하지만, 특히 색깔을 사용할 때

주의하여야할것이한가지있다. 색약자에대하여고려해야한다.

색약자는 특정한 색에 대하여 색 대조를 잘 인식할 수 없으므로, 이들을 위해서는 밝은 색깔은 더욱 밝게

하여야하고어두운색은더욱어둡게하여야그들의색대조력을높일수있다.

■링크

노인은 링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조심한다. 이것은 노화로 인한 작업 메모리와 운동 조정 능력의

감퇴가 인터페이스의 링크를 사용하는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영향력을 줄이기 위하여 우선

적으로 노인용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링크에는 일관되게 밑줄이 사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누구나

밑줄 친 텍스트는 하이퍼링크라는 것을 알고 있다. 만약에 링크가 아닌 텍스트에 밑줄이 쳐져 있어야 하

며, 링크가아닌텍스트에는밑줄이반드시없어야한다.

또한 노인이 링크를 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하여 분명하게 알 수 있도록 실행단어 링크-링크

(action-word links-links)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링크의 결과를 분명하게 알면 알수록 노인은 그것

을사용하기를보다좋아하며, 그것을클릭하는속도도보다빨라진다.

적합한수의링크역시노인의인터페이스사용을편안하게한다. 인터페이스의편안한가독성과신속한

스캐닝을위하여링크의수는최대10-12개를넘지않아야하며, 추천되는링크숫자는3-6개이다.

인터페이스의 링크 위치 역시 노인의 인터페이스 사용에 영향을 끼친다. 링크를 배치할 때에 내부 링크

는 모니터 화면의 위쪽 왼편에, 외부 링크는 오른쪽이나 좀 더 낮은 왼쪽에, 그리고‘홈페이지로 되돌아

가기’는위쪽왼편코너나맨아래쪽중앙에배치하여야한다.

그리고링크용으로사용되는버튼의크기는일반적인것보다는다소큰180x22화소이상의크기를사용

하여야 한다. 이외에 한 가지 주의할 것은 노인용 인터페이스에서 가능한 한 스크롤바의 사용을 피하여

야 하는데, 그 이유는 노인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스크롤바를 정확하게 맞추는 데 행동적 어려움을 겪고

있을뿐만아니라신속한화면이동은이들의주의력을떨어뜨리기때문이다.

■항해술

노인은자신의인지능력이감퇴함에따라, 인터페이스의단순한구조를선호한다. 따라서가능하다면인

터페이스를 디자인할 때 매우 깊은 계층 구조는 피하여야 한다. 추천되는 인터페이스의 계층 구조는 깊

은 구조보다는 넓은 구조이며, 이상적인 깊이는 홈페이지와 같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3단계로 구성된 구

122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b. 비자및국적취득가능성테스트서비스

출입국관리사무소와 연계하여 불가피하게 불법 체류 신분으로 전락했거나 비자 시효의 만

료가 임박한 외국인 근로자 또는 한국에서 영주권 혹은 시민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

해 정보의 보호를 전제로 정해진 문항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현재의 자신 상태를 체크해 주는

서비스이다.

c. 친구찾기서비스

외국인 근로자 가운데 일부는 잦은 회사 이동으로 인해 친구와의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NDL 포털 내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정회원으로 가입했을 경우 친구찾기 사이

트와 연계하여 일정한 정보만으로도 찾고자 하는 친구를 검색해주는 서비스의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E. 새터민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에 의하면 새터민이 국내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영어, 컴퓨터, 자본주의 경제 상식 등 세 가지를 들고 있다. 물론 일정기간 정부

기관의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초지식을 배우기는 하지만 실제로

사회에 진출한 새터민들의 대부분이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위해 NDL 포털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영역이 도출된다. 인터넷에서의 익명성은 새터

민이 지니고 있는 주위 사람들의 냉대와 편견이라는 또 하나의 장애물을 피해 원하는 정보를 얻

거나 교육을 받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 새터민일촌맺기운동

새터민이 회원에 가입하면서 자신이 새터민임을 밝히고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다른

회원들 중에서 새터민을 위한 교육봉사자의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지원한 경우에 한해 일정

수준의 지식제공 능력을 체크한 후 일대일로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다. 새터민과 자원봉사자

모두 익명이 보장되며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영어, 컴퓨터, 경제 등 세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b. 교육용교재제공서비스

새터민이 북한을 탈출할 당시의 교육수준이나 지적 능력은 천차만별이다. 이들이 과연 국

내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가를 먼저 아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NDL 포털 회원

의 경우 기본적인 사항을 체크 한 후 이를 측정하여 각각에 맞는 단계를 설정, 이를 새터민에

125

핵심과제로 설정하고자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를 위해 포털에서 제공되어야 할 정보

서비스로 다음의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a. 해당국가대사관및문화원링크시스템

결혼이주민을 위한 별도의 사이트를 구축한 후 해당국가의 국기를 클릭하면 곧바로 대사관

이나 문화원과 같은 모국 사이트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b. 카페및블로그설치지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확보를 위해서는 인터넷상에서 커뮤니티의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NDL포털에 접속하는 결혼이주민의 경우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의 교육문제 때문에 접

속하는 경우가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서비스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또한 결혼이주민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접점이 바로 한국인 남편들이다. 이들이 아내와 그

조국을 이해하고 문화와 전통을 배우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결혼이주민과 관련된 많은

갈등이 치유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국적을 지닌 사람들끼리 혹은 같은 지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끼리 남편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동아리 형태로 운영할 경우 결혼이주민만의 모

임보다 훨씬 더 활성화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통로가 확보될 것이다.

D.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노동관련 부문과 생활관련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부문에 대해서는 많은 사이트에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NDL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오히려

외국인 근로자 가운데 비교적 한국에서의 체류기간이 길고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준이면서

산업체 파견 근로자와 같이 해당 국가에서의 최종학력이 높은 일부 근로자가 NDL을 방문할 가

능성이 훨씬 높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눈높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적용가능한 정보서비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외국인근로자관련판례제공서비스

외국인 근로자 스스로가 자신에게 닥친 문제에 대해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수준일 경우

유사한 사례에 대한 한국 법원의 판단에 대해 자료를 구하게 된다. 물론 법원 사이트에서도

이를 검색할 수 있으나 한국인조차도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구조는 아닌 점에 착

안하여 NDL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판례 모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124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 이유는 평생 학습의 핵심은 다음에 도시한 문자해득력에서 매체 및 주제해득력을 거쳐 정보해

득력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평생학습과 정보해득력은 정보사회의 삶을 견인하는 양대

지주이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평생학습프로그램의 핵심메뉴도 정보해

득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그림Ⅳ-19] 정보해득력의계층구조와개념도

② 장애인

A. 평생학습욕구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

컴퓨터 활용 및 인터넷 이해와 같은 지식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보해득력, 노동기회 확대와 노

동시장에의 통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시민의식 고취와 촉진하기 위한 시민교육 등을 실시한

다.

B. 인터넷 교육(배움나라의 예를 중심으로)

a. 청각장애인

본 과정은 청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로서, 강사가 직접 강

의와 수화를 동시에 진행하여 장애인 정보접근성에 대해 충분이 배려함으로써, 컴퓨터를 쉽

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컴퓨터 사용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기초적

인 컴퓨터 조작능력부터 컴퓨터 관리에 이르는 다양한 PC활용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컴퓨터 운영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작동원리를 익힘으로써 자신의 컴퓨터

를 최적화하여 컴퓨터 기초 및 활용을 마스터할 수 있도록 한다.

127

게 알려주고 세 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보 중에서 현 수준에 가장 알맞은 교재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실시한다.

다.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 교육서비스

① 리터리시 프로그램 교육서비스의 의의

인터넷과 디지털 정보기술이 초래한 지식기반사회의 무수한 키워드 중에 가장 주목의 대상으로

부상한 것이 국내에서 정보문해 또는 정보활용능력 등으로 역칭되는 정보해득력(Information

Literacy)이다. 이 용어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

으나, 그 진화와 응용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다음 그림을 보면 범주와 내용이 분명하다.

[그림Ⅳ-18] 해득력(Literacy)의 진화과정과스펙트럼

다만 그 대상을 도서관계로 제한하면 ALA에서“개인이 정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평가하고 효

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요구되는 능력의 집합체”로 정의한 것이 가장 범용적이다. 부언하면 정보해득

력은“각종 정보기술과 통신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개인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지

식정보를 추적·평가·조합·활용하는 총체적 능력”을 말한다. 그리고 정보해득력은 평생학습과

자주학습의 부분집합으로 존재하지만 요체에 해당하며, 공공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을 비롯한 공공

및 민간부문의 다양한 교육·문화·체육시설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때 평생학습을 통한 국민의

삶의 질이 제고되고 국가발전과 국제경쟁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함의와 중요성 때문에 19세기 초반에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의 문자해득을 위한 교육시

설로서의 입지를 다져 1930년대에‘민중의 대학’으로 회자되었듯이 디지털 시대의 공공도서관은

문자해득력에 컴퓨터 활용능력을 결합한 정보해득력을 강화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126

해득력의 진화 해득력의 진화

구전 준해든력

해득력 신해득력 기능적해득력

전통적해득력

기초해득력

컴퓨터해득력

도서관해득력

문화해득력

정보해득력

문자 해독력(독서•쓰기•산술)

매체 해독력(A-V•전자매체•컴퓨터•네트윅)

주제 해독력(건강•경제•법률•종교•역사등)

정보해독력

정보검색교육

대출/DDS이용법

서지도구이용교육

도서관이용지도 독서재료

선택교육

정보선별분석교육

정보통신기술교육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B. 교육서비스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대부분 PC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에 퇴직하거나, 학교나 직장에서 인터넷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던 연령층이다,

그러나 인터넷 비이용자들의 교육에 대한 참여의식은 대단히 높다. 인터넷 접근 및 활용 능력

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수적인데, 현재 노인층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은 기회측면에서나

교육 내용 및 효과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노화는 인지능력의 변화를 가져오고, 노인층

은 전형적으로 젊은이보다 컴퓨터 학습이 느리고 더욱 많은 보조와 실습을 필요로 하므로, 교육

의 유형과 내용 교재의 설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Kelly와 Charness는 노인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리뷰 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다

음과 같다.

•노인은 학습이 느리고 교육평가 결과가 낮다.

•노인교육에는 개별적 진도와 즉각적 에러 수정이 필요하다.

•컴퓨터 보조교육은 노인에게 효과가 적다

•교재는 최소한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평균 교육 시간은 48.94였으며 대체로 활용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을 위한 교육은 40~50시간정도로 윈도우 운영체제, 문서작성

(WP), e-mail, 인터넷 기초, 인터넷 고급검색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며, 단순한 교재를 가지고 실

습위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 교육은 성인 일반 교육과 달리 세부적인 사항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데, 예를 들면 키보

드 자판에 관한 사항이라던가, 윈도우 교육에서 마우스 클릭이나 드래깅 같은 사항도 확실하게

학습이 되어야 한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다수의 노인들이 교육시간을 기억 못할 정도로 장기간 교육을 (수년, 수개

월)받았는데, 이것은 노인들의 기억 문제보다도 반복적인 참여에 기인하였다. 노인들은 단기간

집중교육을 수행하기가 어려우므로 내용별로 불럭화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습

과 에러수정을 위하여 소집단으로 운영해야 하며, 수강자가 많은 경우에는 연령별 분반이 필요할

것이다.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는 인터넷 사용법과 활용법을 중심으로 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계획하

도록 한다.

129

[표 Ⅳ-9] 배움나라의청각장애인용리터러시프로그램

b. 시각장애인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를 통해 인터넷 사용법을 학습하여 실생활에

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장애인용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스환경이

아닌 윈도우 환경에서 정보검색, 문서작성, 인터넷 활용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표 Ⅳ-10] 배움나라의시각장애인용리터러시프로그램

③ 노인

A.지식정보를 활용한 학습프로그램

컴퓨터 활용에 관한 교육, 인터넷 이해와 이용에 관한 교육, 도서관 이용지도, 독서법 지도, 독

서회 운영의 지도 및 지원, 독서토론회 개최, 종이문화와 디지털세계의 이해, 언어(한글, 한자, 외

국어)습득기회의 제공, 생활법률의 강의 및 상담교실, 고향 및 동창회 홈페이지 탐방과 이용, 유

네스코 문화유산의 이해 등을 제공하여 준다.

128

강의 내용 강의 내용

1강

2강

3강

4강

5강

6강

7강

8강

9강

10강

오리엔테이션

내 컴퓨터 알아보기

윈도우 XP사용하기

윈도우 프로그램 창

윈도우 창 다루기

윈도우 바탕화면 꾸미기

윈도우 환경 설정하기

윈도우 탐색기

파일과 폴더 관리1

파일과 폴더관리2

11강

12강

13강

14강

15강

16강

17강

18강

19강

20강

보조 프로그램 활용하기2

사용자 계정 관리하기

사용자 계정 관리하기

프로그램 추가/제거

마우스 설정하기

내게 필요한 옵션

프린터 추가하기

바이러스 검사하기

시스템 관리하기1

시스템 관리하기2

강의 내용 강의 내용

1강

2강

3강

4강

5강

6강

7강

8강

9강

10강

윈도우즈의 개념

윈도우즈 스크린 리더

드림보이스를 이용한 윈도우즈 사용하기

원도우즈 탐색기1

원도우즈 탐색기2

파일 및 폴더 압축하기

편집기 사용하기1

편집기 사용하기2

PC 활용하기1

PC 활용하기3

11강

12강

13강

14강

15강

16강

17강

18강

19강

20강

PC 활용하기3

PC 활용하기4

PC 활용하기5

인터넷 활용하기1

인터넷 활용하기2

인터넷 활용하기3

인터넷 활용하기4

인터넷 활용하기5

아웃룩 익스프레스 활용하기1

아웃룩 익스프레스 활용하기2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Ⅳ-21] 외국어교실프로그램운영예

[그림Ⅳ-22] 생활및건강프로그램운영예

[그림Ⅳ-23] 경제프로그램운영예

131

[표 Ⅳ-11] 노인용리터러시프로그램(안)

C. 평생교육프로그램

노인을 위한 평생 교육 프로그램을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만 노인들의 경우 평균수명의 증가로 정보 취득에 대한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이며 국가도서관으로서 일정 부분 이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이나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까지

는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의 그림들은 노인복지회관 등 노인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운영 중인 분야별 학습 프로그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Ⅳ-20] 컴퓨터교실프로그램운영예

130

강의 내용 강의 내용

1강

2강

3강

4강

5강

6강

7강

8강

9강

10강

컴퓨터의 기초

컴퓨터를 조작하는 도구들

한글 윈도우즈는 무엇인가요?1

한글 윈도우즈는 무엇인가요?2

인터넷은 무엇인가요?

인터넷을 하려면1

인터넷을 하려면2

인터넷 익스플로어와 친해지기

출발! 인터넷 여행

인터넷 익스플로어 활용하기

11강

12강

13강

14강

15강

16강

17강

18강

19강

20강

전자우편이 무엇인가요?

인터넷으로 편지를 쓰자

나만의 독특한 메일 보내기

내 목소리로 편지를 보내자

인터넷으로 음악, 영상 이용하기1

인터넷으로 음악, 영상 이용하기2

인터넷으로 신문, TV보기

원하는 정보 내가 찾는다

실생활에 도움되는 인터넷1

실생활에 도움되는 인터넷2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④ 결혼이주민 및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원칙적으로 정보 취득 능력을 고양시

킬 수 있는 컴퓨터 및 디지털 기술 활용에 국한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표 Ⅳ-12] 수원외국인노동자쉼터사례

노인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근로자 및 결혼 이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경우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보 서비스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133

[그림Ⅳ-24] 노래교실프로그램운영예

[그림Ⅳ-25] 댄스교실프로그램운영예

[그림Ⅳ-26] 기타프로그램운영예

132

강의 내용

1강

3강

4강

5강

6강

7강

8강

10강

11강

12강

1강

2강

3강

4강

5강

6강

7강

8강

9강

10강

11강

12강

컴퓨터의 기초

타자연습

타자연습

타자연습

타자연습

타자연습

타자연습

윈도우

윈도우

정리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한글워드

MS 워드

MS 워드

MS 워드

정리

교육내용

컴퓨터용어, 켜고끄기, 키보드, 마우스사용, 창다루기

겹자음, 이중모음

낱말연습

낱말연습

짧은 글 연습

짧은 글 연습

놀이마당

게임, 계산기

그림판

프로그램 열기, 닫기, 글자입력

문장입력, 저장, 불러오기, 인쇄

복사, 붙여넣기, 그리기마당

영역설정, 글자모양

문단모양

특수문자 입력

문서마당 사용

표 만들기

실행, 입력, 인쇄

글꼴, 단락

표 그리기, 그림 넣기

자리연습 http://kr.kids.yahoo.com/http://jr.naver.com

타자연습2강

윈도우9강 바탕화면 살펴보기, 내 컴퓨터, 폴더, 파일, 복사, 이동, 붙여넣기

참고자료 및 프로그램

발음 프로그램 활용

한컴 타자연습

<자료> 여성결혼이민자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 Audio : Audio 장비, 어학학습기 등

- Video : TV, DVD Player 등

- Virtual Reality : 42" PDP, DVD Player, 진동소파 등

- New Arrivals : Portable DVD Player

- Global Networking Lounge : 6개 언어(독어, 러시아어, 불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

어)환경으로 된 전용 PC

[그림Ⅳ-27] 고려대학교학술정보관멀티미디어열람실평면도

b. CDL 이용규정

CDL 이용규정은 고려대학교 백주년 기념 디지털 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원활한 이용을 위해 다른 도서관과는 별도로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것이다.

이 규정 중에서 멀티미디어 자료관리와 대출/반납 서비스에 관련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좌석이용방법

멀티미디어 열람실의 좌석이용은 원칙적으로 CDL 홈페이지를 통한 예약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예약은

반드시사용전일에만해야하며예약후현장의KIOSK에서좌석배정확인증을발급받아이용한다. 좌석

이비어있는경우에한하여당일현장KIOSK에서좌석을배정받을수도있다.

멀티미디어열람실은1회당최소30분에서최대3시간까지이용가능하며, 연장은불가능하지만사용자

가없는경우에한해재발급은가능하다.

예약된 시각으로부터 20분이 경과하도록 좌석배정확인증을 발급받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예약이 자

동 최소화된다. 또한 이용 도중 CDL 출입관리시스템을 통과하여 외출 후 1시간 20분이 경과하면 남은

135

[표 Ⅳ-13] 국내공공도서관의이주민대상정보서비스현황

라.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서비스

① 사례분석

A.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의 멀티미디어 열람실 내부에서 모든 멀티미디어 자료의 관리와 대출

반납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a. 기기및시설

활용매체에 따라 6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 multimedia : CD, DVD Title Play 전용 PC 및 멀티미디어 재생관련 S/W

134

구분 도서관 한글교실 문화교실정보화교육

이동도서관

이주민언어장서

비고

전남 나주공공도서관

전남 고흥공공도서관

전남 구례공공도서관

전남 목포공공도서관

전남 장흥공공도서관

인천북구도서관

인천중앙도서관

인천연수도서관

8

서울용산도서관

강원인제도서관

전북순창도서관

1

2

3

4

5

6

7

9

10

11

일반시민대상

일반시민대상

일반시민대상

일반시민대상

일반시민대상

일반시민대상

한국교육개발원공모를통한 문화교실 예산지원

한글교재제작(베트남어+한국어), 이주민 전용교통수단(승합차)제공

07년 목포지역알기문화 프로그램추진예정

한국외국인선교회와공동으로 진행

현재 모든 프로그램일시적 중단 상태

사할린동포복지회관과공동 진행, 올해 거동불편동포노인 책 읽어주기사업계획

수업일에 교육청에 통학차량지원(이주민전용)

교육청 사업으로도서관은 장소만 제공

영어동화책코너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6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한다. 청구기호에 따라 영상자료실 서가에서 자료를 직접 찾아 담당 사서에게 학생증과 찾은 자료를 제

시하면 번호표를 받은 후 빈 자리에서 이용하는 시스템이다. 모든 이용이 끝나면 이용하던 자료와 번호

표를담당사서에게제출하고학생증을돌려받은후퇴실한다.

■특별관외대출

교내 수업과 행사에 필요한 자료의 경우 담담교수가 확인한 영상자료 대출 신청서를 작성하여 관외대출

이가능하다.

원칙적으로당일대출/반납이지만사전수업준비가필요한경우최대3일까지대출이가능하다.

b. 장애학생지원실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근로복지법이 규정한 장애인만 이용할 수 있으며 장애학

생 이용 전용석, 저시력자용 도서확대기, 점자사전 108책 및 PC 2대가 설치되어 있다. 특별

한 도우미가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 한하여 도우미 1인에 한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C.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의 경우에는 장애인에 대해 모든 자료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운영하

고 있다. 장애인 열람지원실 앞에 있는 헬프 데스크에서 이용신청서를 작성하면 지원실내의 모든

시설 및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자자료를 제외한 도서관 내의 모든 자료를 데스크

에 구두로 신청하여 이용할 수 있다.

② 일반인 열람서비스와의 관계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관리와 대출/반납 서비스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국립디

지털도서관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관련 서비스 방침이 우선적으로 정해져야 한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정보소외계층이 일반인 이용자와 동일한 수준에서 열람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는 일반

원칙 하에서 보면 대부분의 서비스가 일반인 이용자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완하는 수준으로 정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멀티미디어 자료의 경우 국립디지털도서관의 기본 방침은 일부 전문적 기술이 요구되는 미

디어 스튜디오를 제외하고 개방제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NDL 공간에 일단 입실한 모든 이용자

가 자신이 원하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어디에서든 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관련 서비스 역시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 운영 방침을 준수하여야

하며 점자도서와 같은 특수 콘텐츠를 제외한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자료는 정보소외계층에게도 동

일한 기준으로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37

시간과관계없이좌석이용이자동취소된다.

장애인 전용 좌석은 일반 이용자는 이용할 수 없으며 예약에 의하지 않고 현장에서 좌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자료이용방법

현장에서 자료대출과 좌석배정을 동시에 받는 경우에는 예약 시스템이나 좌석배정시스템을 이용하지 않

고멀티미디어자료실Help Desk에서신청한다.

자료의 관외 대출은 불가하며 멀티미디어 자료실내 지정된 좌석에서 이용해야 하며 예약된 좌석배정 시

간을초과할수없다.

1회 대출건수는 RFID 시스템 상에 등록되어 있는 1건의 대출단위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케

이스에들어있는1 내지2장의DVD나CD를1건으로간주한다.

자료실 내 Help Desk에 학생증을 보관하고 예약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수령하여 이용한다. 만약 멀티미

디어 자료를 이용하지 않는 자료실 이용자는 신분증을 별도로 보관하지 않는다. 자료 반납 확인 후 신분

증을돌려받는다.

■전자정보원의이용

전자정보원의 다운로드 허용범위는 동일 PC에서 1일 기준 50건 이하이며 동일 PC에서 동일 출판사의

원문을다운로드하는경우에는1일30건이하로제한된다.

음의경우는불법이용사례에해당된다.

-전자적, 기계적수단(다운로딩프로그램, 엔진, 로봇등)으로원문을 다운로드하는행위

-상업적인목적으로원문파일을전송하거나복제하는행위

-전체이슈를다운로드하는행위

-기타개인의학문적인목적에의한이용이라고보여지기어려운다운로드

B.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시설중 영상자료실과 장애학생 지원실과 관련된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a. 영상자료실

중앙도서관의 영상자료실은 멀티미디어 전용석 24석과 관련자료 6,626개를 보유하고

있다.

■입실및퇴실

도서관홈페이지에서원하는자료를검색하거나, 도서관홈페이지→자료검색→영상자료목록을선택

136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서관을 방문했는데, 막상 이용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을 경우 입게 될 피해가 일반인에 비해 너무

크다. 따라서 지정좌석제는 아니더라도 일평균 방문이 예상되는 정보소외계층의 숫자를 미리 파

악하여 이들을 위한 최소한의 좌석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139

③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계획

A. 전용창구 및 사서의 배치

지체 장애인, 시각 및 청각 장애인 등 별도의 보조기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전용공간

을 설치할 것이다. 이 전용공간에는 별도의 전용 창구가 설치되고 전담사서가 배치되어 시설을

이용하는 모든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밀착형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운

영하고 있는 원스톱 자료 상담 서비스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이 외에도 특수 콘텐츠를 전담

하는 사서를 배치하여 시각 장애인에게는 일대일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B. 일반 멀티미디어 열람실 이용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전용공간을 제외한 일반 열람실을 이용하는 정보소외계층은 일반인과 동일한 멀티미디어 자료

열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만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가 국립 디지털 도서

관에서 규정한 정보소외계층에 속해 있는지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일반 열람실 내

에 설치 될 헬프 데스크에서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지원 서비스가 행해질 수 있도록 운영

될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신체 장애인의 경우 모든 멀티미디어 자료의 대출과 반납은

사서나 도우미가 대행하도록 하며 별도의 절차 없이도 자료의 접근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주민의 경우는 글로벌 라운지에 설치될 다국어 지원 시스템을 적극적

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시 해당 외국어 통역이 가능한 직원의 배치

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C. 자료열람, 대출 및 반납 절차의 최대 축소

만약 일반인 이용자가 멀티미디어 자료의 열람이나 대출을 위해 5단계의 절차가 필요하다면

정보소외계층에게는 이를 한 단계 또는 두 단계로 축소하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축소해야 할 절차로는 사전 예약제의 미적용, 대출시 신분증을 맡기는 절차의 생략, 반

납 시 정해진 장소(자료실 창구)까지 이동하는 대신 전담 도우미가 대행하는 등을 들 수 있다.

D. 일반열람실의 최소 좌석 유지 제도의 실시

개방형을 채택하는 멀티미디어 열람 서비스는 지정좌석제를 운영하지 않고 별도의 열람시간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늦게 도착한 일부 이용자의 경우 원하는 자료를 원하는 장소에서 열람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정보소외계층은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들여 국립디지털도

138 제4장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지침의 의의

2. 이용자 시나리오분석에서의 정보소외계층 관련 서비스 분석

3. 서비스 지침 개발(안)

Page 7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1차적 목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서비스 지침은‘장애인 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지침’이나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처럼 선언적이거나 추상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

다. 오히려 프로그램 매뉴얼이나 표준화 시나리오 등이 훨씬 더 적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미

국립디지털도서관은 공사가 진행 중인 상태이며 곧바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실시하

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실제 포털을 통하거나 직접 방문을 통해 국립 디지털 도서관을 찾을 것으

로 예상되는‘정보소외계층을 위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에 구축하고자 하는 서

비스의 방향과 내용에 대한 총괄적인 지침서’가 정보 서비스 지침의 개념이다.

1.3 유사 서비스 지침 사례 분석

가. 유료 노인 요양시설 서비스 표준화 연구

① 개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06년 12월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의 발주를 받아 제출한 보고서로 유

료 노인 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을 위해 서비스 공급자가 준수하여야 할 서비스의 내용을 표준화

(매뉴얼화)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② 연구방법

1) 선행 연구 분석

2)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실시

3) 각종 법적 기준 검토

4) 해외 시설 및 제도 분석

③ 표준화의 개념과 의의

보고서에서는‘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상소득계층 이상의 소비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설 및 서비스의 제공기반 등을 표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는 시설뿐만 아니라 서비

스의 질을 제고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고 규정하고 있다.

④ 표준적 노인수발서비스 개발(안)

2006년 노인수발보험 1차 시범사업에 의하여 요양시설에서 제공하는 기본서비스를 살펴보면 신

체수발서비스, 전문간호서비스, 기능훈련서비스, 복지지원서비스, 식사 및 영양 서비스, 의료서비

143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지침의 의의

1.1 선행계획에서의 요구사항 분석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에서 정보 서비스 지침 개발과 관련된 추진과제는‘지속

적인 소수계층 및 노령인구 서비스 개발 및 전파를 위한 이용 시나리오 분석’이다. 이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첫 번째, 이용자 시나리오에 기반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두 번

째로는 지속적인 서비스 개발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지침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

다.

이용자 시나리오에 기반한 계획의 수립과 관련하여 이미 추진되고 있는 별도의 용역과제인‘이

용자 시나리오 분석’상에 나타난 정보소외계층 관련 시나리오를 분석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정

보 서비스 지침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며 이용자 시나리오를 전제로 한 지침이 어느 수준까지

제시되어야 하는 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1.2 정보서비스 지침의 개념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는 포털과 IC환경에서

의 구체적인 서비스 개발 방안, 특수한 콘텐츠의 개발, 전용공간의 시설 등 서비스, 콘텐츠, 시설

(솔루션 포함)의 세 가지를 망라하고 있다. 반면 정보 서비스 지침 개발은 이를 모두 포함한 개념

이자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실제 운영과정에서 실행되어야 할 구체적인 서비스의 방향 및 내용에

142

제5장이용자시나리오기반정보서비스지침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서울복지재단이 2006년 발표한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매뉴얼 중 하나로서 이외에도 재가복

지 프로그램 매뉴얼, 노인 요양시설 서비스 매뉴얼 등이 있다.

② 매뉴얼의 필요성 및 목적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은 기관 당 평균 140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 이용 연인원

평균은 673,409명으로 1일 평균 1,800여명의 노인들이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많은 이용인원과 다양한 사업을 수행해야 하는 노인종합복지관의 평균 종사자수는

23명으로 이들이 아무리 훌륭한 전문가들이라 하더라도 다소 한계에 부딪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

2005년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보면,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계

획의 정확성과 실시 후 평가 및 피드백에 있어서 부족한 점이 많음을 언급하고 있다.

③ 매뉴얼 구성내용

첫째,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배경, 필요성, 목적, 목표, 운영

방침, 기본지식, 관련개념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실천과정을 종합적으로 알 수 있는 흐름도와 구체적인 세부절차 및 실천방법을

자세히 기술하여 종사자들이 프로그램의 계획부터 종결 및 결과보고까지의 일련의 체계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각 프로그램 내 단위 프로그램의 설천방법을 필요성, 목적, 목표, 수행인력, 대상, 흐름도,

수행절차 및 내용, 결과보고, 서비스 점검 등의 순으로 자세히 제시하여 종사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회교육 프로그램 매뉴얼 상에 나타난 집필 방향 및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노인종합복지관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본지식과 관련 개념 제시

- 노인 사회교육 프로그램 실천과정을 흐름도로 제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종사자들의 이해도모

- 실천과정의 세부절차 및 실천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프로그램 설계에서 종결까지 전문성

제고

- 노인사회교육 프로그램을 건강증진, 교양교육, 정보화교육, 동아리(자치활동 프로그램), 특별

행사 등으로 구분하여 각 프로그램의 실천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

- 매뉴얼을 통하여 각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평가까지의 수행절차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신입직원, 실습생 교육에 활용

- 우수프로그램 사례, 각종 양식, 운영지침 등을 제시하여 현장 종사자들이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성

145

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가서비스로 전문치료프로그램, 여가프로그램, 건강진단 및 예방접종, 호

스피스 서비스, 특수환자케어, 뇌졸중 등 중증치매 특별 관리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서울시가 운영 중인 노인요양서비스 인증지표는 크게 2개의 영역 즉 서비스

지표와 조직운영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서비스 지표는 요양시설에서 이용자에게 직접적인

서비스전달과 관련된 항목들로 인증지표가 구성되며, 조직운영 지표는 조직, 인력, 재무관리 등 시

설의 경영과 관련되어 있고, 사회복지시설의 경영 효율성, 투명성, 전문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모든

시설에 적용되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인적자원관리, 정보 문서관리, 재정회계관리, 계획수립 및 평

가, 리더쉽, 시설관리, 지역사회관계관리, 이용자 관리 등 총 8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⑤ 주요국가의 현황 및 법적 인증기준

일본에서는 유료노인홈에서의 서비스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기본적 사항(34항목), 건물/설비(7항

목), 생활서비스 제공(8항목), 식사서비스 제공(7항목), 수발서비스 제공(31항목), 의료와의 연계(3

항목)가 있다.

⑥ 유료 노인 요양시설 서비스의 표준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유료노인요양시설 서비스의 표준안을 제시하면서 용어의 정의 개발, 시설

서비스 프로세스(과정) 개발 및 시설서비스 기반구조 개발의 3개 부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프로세스 측면에서는 입주 전 단계, 입주 단계, 퇴거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

른 서비스의 내용을 표준화하였다.

입주 전 단계는 주로 상담 및 계약내용으로서 계약체결에 대한 수속, 계약 내용에 대한 설명이 이

루어진 후 구체적인 입주 설명 시 중요사항에 대한 설명, 체험입주, 입주모집 등을 제시하고 있다.

입주 단계에서는 이용료 지불과 시설서비스 제공 등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용료 지불 단

계에서는 계약 형태에 따른 다양한 이용료 지불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산정기준 등이 제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퇴거 시 준수되어야 할 각종 절차가 제시되어 있다.

시설서비스 기반 구조 개발은 기본사항, 설치주체, 설치장소, 품질관리체계, 사업수지계획, 정보

개시 등 6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서비스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나. 사회교육 프로그램 매뉴얼

① 개요

144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Ⅴ-2] 이용자시나리오분석 (이용안내)

[그림Ⅴ-3] 이용자시나리오분석 (기기대여)

[그림Ⅴ-4] 이용자시나리오분석 (열람)

147

④ 매뉴얼 활용방법

- 기관 내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체계 확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 이용자 중심의 전문 서비스 제공 시 기본 자료로 활용

- 신입직원 교육 자료 활용

- 노인종합복지관 실습생 교육 자료 활용

2.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에서의 정보소외계층 관련 서비스 분석

2.1 서비스 분석 요약

[그림Ⅴ-1] 이용자시나리오분석 (이동수단)

146

서비스 구분

공통서비스

컴퓨터 열람서비스

이동수단

회원 인증

이용안내

입실 및 퇴실

로비검색용PC를 이용

인쇄

장애인 및 노인의 Sit 검색(좌석에 앉아서 원문과 브라우저 등의 열람을 동반한검색 수행)

복사카드 결재방법(장애인, 노약자)

점자용 프리터 및 네트워크 프린터(장애인, 노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장애인을 위한 콜 밴 운영

장애인의 회원인증 없이 입실

정신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노인, 외국인이 사람에게서 안내받을 경우

외국인이 미리 통역신청을 못했을 경우

장애인, 시각장애인, 외국인이 PDA를 이용해 안내받을 경우

외국인이 요청한 언어로 된 PDA가 없을 경우

장애인, 노약자, 외국인이 안내판을 이용해 안내받을 경우

장애인이 개인소지품을 사물함에 넣은 뒤 입실

NDL 장애인콜밸 신청

(장애인)

전화나 NDL포털에서장애인 콜밴서비스 신청

콜밴 이용

약속된 장소에서 약속된 시간에 콜밴 탑승

NDL 도착

(비장애인, 장애인, 외국인)

NDL 방문

자원봉사도우미 신청

장애인/외국인 경우NDL포털이나 전화를

이용하여 미리 자원봉사도우미 신청

안내데스크

① 일반인일 경우 안내데스크 안내원에게열람실 위치확인

② 청작장애인일 경우안내데스크에서 수화 자원봉사자 요청

③ 외국인일 경우 안내데스크에서 통역가능한 자원봉사자요청

입실

(휠체어 대여)

NDL 방문

지체장애인 자녀를위해 휠체어와안내PDA 대여

입실

PDA를 통하여이용안내 및 이용절차

설명 들음

휠체어 및안내PDA 대여

휠체어 및안내PDA 이용

핸드폰의위치안내

시각장애인을 위한핸드폰의 음성

위치안내

음성도서다운로드

집에 가서 열람하기위해 핸드폰으로음성도서 다운로드

음서도서코너

시각장애인을 위한음성도서코너 입실

음성도서 열람

음성안내 받으며점자키보드 이용하여

음성도서 열람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Ⅴ-8] 이용자시나리오분석 (회원가입)

[그림Ⅴ-9] 이용자시나리오분석 (이용안내)

149

[그림Ⅴ-5] 이용자시나리오분석 (단행본열람)

[그림Ⅴ-6] 이용자시나리오분석 (모바일열람)

[그림Ⅴ-7] 이용자시나리오분석 (멀티미디어열람)

148

(장애인)

NDL 포털(방문) 접속

'헬렌켈러' 키워드 검색

시각장애인용화면으로 이동

텍스트 위주의 시각장애인용 화면으로 이동

NDL아이디/비밀번호

검색 로그인 원문열람

① NDL이미지뷰어에서글자확대하여 열람

② 뷰어의음성지원기능이용하여 오디오로열람

(외국인)

NDL 포털(방문) 접속

'한국문화' 키워드 검색

영문사이트화면으로 이동

외국인용 영문사이트화면으로 이동

회원가입 후NDL아이디/비밀번호

검색 로그인 원문열람

① NDL이미지뷰어에서영문버튼클릭하여영어로원문열람

모바일로N이 포털 접속

(시각장애인)

음성인식 모바일이용하여 음성으로NDL포털 접속

검색

음성으로 '헬렌켈러'검색

오디오북열람

① '시작'이란 음성으로오디오북 열람 시작

② '멈춤'이란 음성으로오디오북 열람 중지

(시각장애인)

NDL 포털(방문) 접속

'헬렌켈러' 키워드 검색

시각장애인용화면으로 이동

텍스트 위주의 시각장애인용 화면으로 이동

NDL아이디/비밀번호

검색 로그인 원문열람

소리로 듣는 화면해설영화로 제작된

'헬렌켈러' 영화열람(청각장애인)

NDL 포털(방문) 접속

'인터넷 쇼핑몰창업절차 1단계' 동영상

상세정보 열람

검색

'인터넷 쇼핑몰 창업'키워드 검색

NDL아이디/비밀번호

상세정보열람

로그인 원문열람

NDL멀티플레이어에서자막버튼 클릭하여

자막 지원되는 동영상열람

(외국인)

NDL 포털(방문) 접속

다국어 페이지로변환

제시된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다국어 페이지로 변환

필수/선택 입력사항입력

로그인

아이디어/비밀번화 찾기

회원가입

약관/개인정보보호정책 열람 및 동의

다른서비스 이용

좌석예약시스템 이동

NDL 포털(방문) 접속

(장애인)

시각장애인 페이지로 이용

글자 확대/축소 설정

오디오북열람

다른 서비스 이용

- 통합검색- 자료여람

음성안내 듣기

조작키로 메뉴 작동

NDL 포털(방문) 접속

(외국인)

다국어 페이지로 변환 브라우징이용안내열람

다른 서비스 이용

'사이트맵'

제시된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하여다국어 페이지로 변환

텍스트/이미지/동영상/플래시 열람

(후, 텍스트/이미지인쇄)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나. 비예약제와 기점별 서비스

일반인과 평등한 서비스를 제공하여도 큰 문제가 없는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예약제를 실시할 필

요는 없으며 전담서비스 요원을 배치하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기점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것은 정보소외계층이 주로 이용하

는 시설이나 서비스를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도출한 후 그 주변에 인원이나 시설 및 장비를 제공하

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새로운 열람서비스 부분에서의 인터페이스 전략 수립과도 일정 부분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공간

상의 인터페이스 중에 정보소외계층의 인터페이스에 서비스를 집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모든 정보소외계층에 대응 가능한 인력이나 시설을 배치하는 것이 합리적인가에

대한 문제점이 모두 해소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51

[그림Ⅴ-10] 이용자시나리오분석 (IC예약)

2.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중점 분야 분석

가. 예약제와 전담서비스

모든 정보소외계층을 예약제로 운영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시각, 청각, 지체 장애자 및 거

동이 불편한 노인, 일부 외국인의 경우 예약제를 통한 운영이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보조장치나 별도의 공간을 제공해야 할 경우 예약에 의한 운영은 서비스 공급자의 입장에

서도 사전 대처가 가능한 측면에서 불시방문보다는 훨씬 수월할 것이다. 이 경우 예약은

포털을 통한 예약을 원칙으로 하되, 전화나 팩스 등을 통한 예약도 허용해야 할 것이다. 예

약의 당사자인 정보소외계층이 포털에 직접 접근하기가 쉽지 않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예약자에 한하여 전담직원이나 자원봉사자를 일대일로 대응하여 입실부터 퇴

실까지의 모든 과정을 서비스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전담서비스가 바로 그것

인데 원칙적으로는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인력의 충원

문제, 공간별 서비스 제공 내용의 상이, 유형별 전담서비스 체계 구축의 한계 등으로 인해

완벽한 전담서비스 체계가 형성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150

NDL 포털(방문) 접속

(장애인)

시각장애인 페이지로 이용

글자 확대/축소 설정

로그인/관리자인증

IC 좌석예약

자료검색/열람

음성안내 듣기

조작키로 메뉴 작동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 3조 (보편적 서비스)

서비스제공자는 NDL을 방문하는 모든 정보소외계층이 장애를 가지지 않은 자와 동등

한 수준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하며, 일부 보조기구 등

의 활용을 위한 별도의 공간 등 최소한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인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제 4조 (접근의 동등성)

모든 정보소외계층은 NDL의 포털사이트와 인포메이션 코먼스 공간 내에서 일반인과

동일한 정보의 접근성을 보장받아야 하며, 본 지침은 이를 위한 구체적 운영지침을 제공한

다.

제 5조(콘텐츠의 제공)

서비스제공자는 NDL의 모든 콘텐츠가 정보소외계층에게 동일한 수준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이 경우‘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등 관련 지침의 규정

을 최대한 준수하여야 한다.

제 6조(관련기관과의 협조)

서비스제공자는 정보소외계층의 유형별로 국가기관, 산하기관, 등록되어 있는 협회 및

단체 등과 콘텐츠 교류 및 프로그램 공유 등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제 2장 이용자 시나리오에 의한 서비스 지침

제 7조(회원 가입 및 회원증의 교부)

① 서비스제공자는 모든 정보소외계층이 NDL포털 상의 국립디지털 도서 관 회원 가

입절차에 의해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제반 시스템을 구축 한다.

② 별도의 서비스가 필요한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회원 가입 시스템 상에 이를 인지할

153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3. 서비스 지침 개발(안)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 서비스 지침 개발(안)

제 1장 총 칙

제 1조 (목적)

이 지침은 장애인, 노인, 이주민 등 신체적, 정신적 제약으로 인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이하‘NDL'이라 칭한다)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제공하는 시설, 설비, 소프트웨어, 콘

텐츠 및 서비스(이하‘정보 서비스’라 칭한다)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자(이하‘정보소외계

층’이라 칭한다)가 NDL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NDL 관

련 직원 및 자원봉사자가 서비스 제공 등에 필요한 사항 등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2조 (용어 정의)

①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정보소외계층”이라 함은 다음의 자를 말한다.

가.「장애인 복지법」제 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

나.「국민기초생활보장법」제2조 제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급권자

다. 만 65세 이상의 노령자

라.「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제 2조 제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북한 이탈

주민(이하‘새터민'이라 칭한다)

마.「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제 2조에서 규정하고 있 는 외국인 근로자

바.「재한 외국인 처우 기본법」제 1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혼이민자

사. 기타 특별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계층

2. “정보 서비스”라 함은 NDL에서 제공하는 유형·무형의 정보 제공 서비스 중에서 정보소외계

층을 위한 서비스를 말한다.

3. “서비스 제공자”라 함은 NDL 직원 및 NDL의 요청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②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본조 제1항에서 정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서관법 및 관련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152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설치하며, 2명 이상이 상주하도록 한다.

제 10조(기타 서비스)

① 정보소외계층은 국립중앙도서관과 NDL을 별도의 절차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별도의 안내 시스템을 운영하도록 한다.

③ 장애인 협회 등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NDL로의 이동을 위한 교통 수단의 제공

등을 적극 도입하여야 한다.

제 3장 관리 운영 지침

제 11조(정보소외계층 전담 서비스 조직의 설립)

① NDL내에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전담하는 조직을 설립한다.

② 조직의 설립 시 국립장애인 도서관 지원센터와 긴밀히 협의하도록 한다.

③ 세부조직은 직책 및 업무 범위는 별도로 정하도록 한다.

④ 조직의 구성원 중에는 정보소외계층별로 고도의 전문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인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제 12조(예산편성의 예외)

① 관련법규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와 관련된 예산을 최우선

적으로 반영한다.

② 매년 말을 기준으로 전년도 정보소외계층의 이용 실적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익

년 3월말까지 차기년도에 필요한 추가 설비 및 서비스의 범위를 선정하고 이에 필

요한 예산계획을 제출하도록 한다.

제 13조(공공 도서관 연계체계 구축)

155

수 있는 별도의 장치 혹은 항목이 구성되어야 한다.

③ 시각 장애인을 위한 회원증에는 그 형식 여하를 불문하고 시각장애인 이 직접 인지

할 수 있는 점자가 설치되어야 한다.

④ 외국인등록증이 없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를 강구한다.

⑤ NDL 현장에서 직접 회원 가입을 원하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전담직 원을 배치하

도록 하며, 일반인에 비해 가입의 지체를 유발하는 모든 요인을 최대한 배제하도록

한다.

제 8조(예약제의 실시 및 전담 서비스 요원의 상주)

① 정보소외계층 중 지체장애인, 특수한 외국어의 서비스가 필요한 외국인근로자 및

결혼이주민 등을 위해 예약제를 실시한다.

② 예약제는 포털 사이트, 전화, 팩스, 우편 접수 등 모든 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

도록 한다.

③ 예약자에 한하여 모든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담 서비스 요원을 상 주하도록 하

며, 상주 요원의 자격, 인원, 업무 범위 등은 별도로 정한다.

제 9조(열람 서비스)

① 인포메이션 공간 내에서의 모든 열람 서비스를 정보소외계층이 자유롭 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외국인을 위한 정보 제공에 필요한 경우 별도의 소프트웨어 및 정보통 신기기를 설

치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안내 시스템을 구축한다.

③ 지체 장애인 등 별도의 보조기구와 서비스가 필요한 자를 위하여 별도 의 전용 공간

을 설치하도록 한다.

④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구축한다.

⑤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정보통신기기 및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구축한다.

⑥ 새터민을 위한 정보제공시스템을 별도로 개발하여 인포메이션 공간 및 포털 사이트

상에 이를 구축한다.

⑦ 인포메이션 공간 내에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전담 서비스 창구를 최소 세 군데 이상

154 제5장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7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1. 콘텐츠 개발 추진과제의 설정

2. 장애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3. 노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4. 이주민용 콘텐츠 개발계획

① NDL은 정보소외계층의 원활한 도서관 이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매년 정보소외계층

이용자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공공 도서관 등에 배포한다.

② 정보소외계층의 콘텐츠 확보를 위해 다른 공공 도서관과의 연계체계를 구축하여 공

동제작 및 배급 등의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제 14조(정보 공개)

① 정보소외계층의 모든 이용 실적에 관한 정보를 포털 사이트에 공개하 도록 한다.

② 포털 사이트 상에 정보고충처리반을 운영하여 실제 정보소외계층이 필 요한 서비스

를 최대한 확보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제 4장 운영 평가 지표의 개발 및 평가 지침

제 15조(운영 평가 지표의 개발)

① NDL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의 계획 단계부터 실제 집행 단계 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표화하는 운영 평가 지표를 개발한다.

② 운영 평가 지표는 서비스 지표와 운영 지표로 구분하고 세부 지표의 항목은 별도로

정한다.

제 16조(평가 지침)

운영 평가 지표를 활용하여 매년 외부의 전문위원 및 기관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

성하여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며, 평가 결과는 모든 서비스제공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

되어야 한다.

부 칙

제 1조(효력의 발생)

이 지침은 국립디지털도서관의 공식 개관 일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156

Page 8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 Ⅵ-1] 전통적콘텐츠와멀티미디어콘텐츠의비교

나. 디지털 도서관의 콘텐츠 관리범위

전통적인 도서관에서의 콘텐츠 관리는 자원의 확인, 콘텐츠의 수집, 메타데이터의 생성,

자원의 가치 평가 및 검증, 유지 및 관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 멀티미디어 기반의

새로운 콘텐츠관리는 적합한 웹 콘텐츠와 이용자 연결,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강화, 콘텐츠

의 지적 매핑, 이용자 접근성을 높여주는 디스플레이 및 레이아웃, 콘텐츠의 갱신 및 편집

을 유용하게 하는 것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콘텐츠 관리 범위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 메타데이터 관리

- 링크관리

- 웹사이트 레이아웃

- 브라우저 클라이언트(Browser Client)

- 버전관리

- 사용권한(Authority) 관리

- 검색엔진

- 그래픽 네비게이션

- 로그화일(Log File)

- 레이블링(Labeling)

- 순위정렬(Lanking)

159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1. 콘텐츠 개발 추진과제의 설정

1.1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콘텐츠의 개념과 범위

가. 콘텐츠의 개념

콘텐츠란‘목차’, ‘만족’, ‘포함된 내용물 혹은 학습능력이나 범위’, ‘명백한 자원’, ‘의

미를 포함하는 구성물’, ‘어떤 패키지 속의 구체적인 의미로서 만족을 주는 내용물’을 뜻

한다. 따라서 저널 속에 들어 있는 문장이나 사진, 그림 등의 구성요소 즉, 문자나 단어 등

의 텍스트, 그래픽, 사진, 그림, 레이아웃 등의 이미지, 그리고 음성을 포함한 저작물에 해

당하는 모든 것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 개념은 주로 전통적 의미의 콘텐츠를 지칭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과 통신기술의 융합에 의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

념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는‘전통적인 콘텐츠에 정보통신기술을 바탕

으로 하여 각종 멀티미디어 기술을 가미하여 재창조 된’콘텐츠를 의미한다.

한편 도서관에서는 인터넷상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여 도서관에서 다루

는 전통적인 형태의 정보원 중에서 게임이나 오락정보, 광고 등의 상업성 정보를 제외한

교육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개념으로 한정하여 지식콘텐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158

정보소외계층콘텐츠개발 비교항목 전통적 콘텐츠

제작방식

서비스 제공(유통,배포)

정보 제공 경로

저작권 인정범위

제공된 콘텐츠의 내용이나 분야에 따라제작방식이 결정됨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동제작(정보제공, 영상, 음향,시나리오 등이 혼합)

기존 매체를 통한 전통적 물류전송방식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정보통신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일방적 정보제공 및 수용(단방향성) 상대의 의사 및 정보를 콘텐츠에 즉각적으로 반영(쌍방향성)

복제권, 배포권복제권, 배포권 외에 새로운 기술적 요소에 대한 저작권개념 도입

<자료> 「멀티미디어 개론」,박영배 외저, 2003

정보소외계층서비스

제6장

Page 8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1.2 핵심추진과제의 설정

가. 선행연구 분석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기본계획상에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관련

된 추진과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반면 이후에 작성된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

계획상에는 장애인, 노인 및 이주민을 위한 콘텐츠 개발계획이 추진과제로 제시되어 있다.

본 과업에서 추진가능한 과업의 범위를 검토하기 위해서 세부계획에서 제시된 관련 과제

를 그대로 적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표Ⅵ-2] 세부계획상의정보소외계층콘텐츠개발추진과제

161

다. 메타 브라우징 서비스

메타브라우징 서비스(Meta browsing Service)는 웹상의 무수한 자원중 이용자가 원하

는 콘텐츠만을 집중화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용자가 특정한 정보만을 원하

고 자주 검색하고, 대출 이용한다면 이와 관련 주제들의 텍스트와 링크모음, 동영상, 이미

지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웹상의 메타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으로서 콘텐츠 맞춤화(Contents

Customizing)라고 할 수 있다.

① 이용자 프로파일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웹사이트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와 빈번 검색어의 히스토리 파일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개인화된 eCRM를 구현할 수 있

다.

② 콘텐츠 체계화

콘텐츠의 구조체계는‘콘텐츠 체계’와‘콘텐츠 구조’로 구성된다. 콘텐츠 체계는 항목들이 공유

하는 특성을 정의하고, 그 항목들을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묶어내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콘텐츠 구

조는 콘텐츠 항목과 묶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유형을 정의한다.

콘텐츠의 구조는 크게 하향식 계층구조, 하이퍼텍스트 구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로서 상향

식 구조로도 구분되는데 대부분의 구조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이용한 상향식 접근구조로 이루어

져 있다.

③ 콘텐츠 그룹화

정보를 유기적인 형태로 편성하여 높은 수준의 번주에서의 콘텐츠 체계화를 이루기 위한 단계다.

콘텐츠간의 관련성에 의해 그룹화를 하는 과정은 이용자에게 관련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전략으로서 개발되어야 한다.

④ 콘텐츠 매핑

콘텐츠 매핑 과정에서는 기존의 콘텐츠들을 논리적인 콘텐츠 구성요소 즉, 단위정보로 나누거나

묶는 작업이 필요하다. 콘텐츠는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나오거나 다양한 포맷으로 주어지는데 이 콘

텐츠는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위로 배치되어야 한다.

160

구분 통합데이터베이스(메타데이터)구축

장애인

노인

- 점자도서, 녹음도서, 확대도서, 시각장애인 전용 점자파일, 장애인을 위한 멀티미디어자료(장면해설, 수화,자막 등 포함), 장애인 콘텐츠를 저장한 일반 문서파일(txt, hwp, doc 등), 음성도서파일(mp3) 등 민간 점자도서관, 장애인 단체 및 공공도서관 소장 장애인 관련자료에 대한 통합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 장애인 콘텐츠를 저장한 일반 문서파일 (txt, hwp,doc 등), 음성도서 파일(mp3), 장면해설/수화/자막포함 동영상 파일(mpg, wmv등)에 대한 원문 연계시스템 구축(저작권이 해결된 자료에 한해 실시)

NDL포털과 하위콘텐츠 개발

- NDL하부의 소수계층(시각장애인용) 포털 운영(이미지가 아닌 text/대 활자 기반)

- 통합데이터 DB와 원문 연계시스템을 NDL포털에서 운영

- NDL 독자적인 장애인 관련 콘텐츠, NDL 이용안내,NDL 활 용 교육, 각종 정보 리터러시 관 련 콘텐츠,웹진 등을 개발하여 NDL 포털에서 운영

- 해당사항 없음

- NDL하부의 노령층 포털 운영(큰 이미지나 text기반,쉬운 용어)

- 노령인구를 위한 전문적인 콘텐츠 개발- NDL 이용안내, NDL 활용 교육, 각종 정보 리터러시관련 콘텐츠, 노령인구를 위한 웹진 등을 개발하여NDL 포털에서 운영

이주민

- 민간 이주민 도서관에서 소장중인 주요 이주민국가에서 발간된 자료에 대한 통합 메타데이터데이터베이스 구축

- 메타데이터 구축 시 주요 이주민 국가의 언어처리지원

- 이주민 도서관의 효율적 장서구입 및 그를 통한메타데이터 확충을 위해 국립중앙도서관 수서관련파트와 이주민 국가 장서구입 절차 지원방안모색

- NDL하부의 소수계층(이주민용) 포털운영(주요 외국어및 이주민 국가 언어지원)

- 이주민 도서관 통합 메타데이터 DB를 NDL포털에서운영

- NDL 독자적인 이주민 관련 콘텐츠(이주민의 한국생활과 모국정착을 위한 콘텐츠 등), NDL 이용안내,NDL 활용교육, 각종 정보 리터러시 관련 콘텐츠, 웹진 등을 개발하여 NDL 포털에서 운영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2. 장애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2.1 장애인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

가. 장애유형별 문화욕구 분석

사단법인 장애인 권익문제 연구소와 장애인 문화센터가 공동으로 조사한“장애인 문화

욕구와 문화시설 편의시설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시각, 청각 및 지체 장애인이 원하는 문

화정보 욕구를 알아보았다.

① 문화 향유 실태

A. 영화

청각 장애인의 영화 관람 경험 비율이 다른 장애인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유로는 외화에

한글 자막처리가 되어 있어서 청각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체 장애인은 영화관의 시설적 측면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B. 전시 공연

영화와는 반대로 시각장애인의 경험비율이 지체장애나 청각장애보다 높게 나타났다. 장애 특

성별로 선호경향이 뚜렷한 차이가 나는데 시각장애인은 연극 공연이나 청각을 위주로 한 콘서트

등을 찾는 반면 청각장애인은 시각 위주의 미술관 등을 자주 찾고 있다.

C. 독서

시각장애인의 경우 다독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시각장애인들이 정보습득의 도구로

책을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읽을거리는 점자책보다는 음성 녹음을 선호

한다는 것도 유의해야 할 점이다.

② 문화 활동 욕구

A. 희망 문화체험

시각장애인은 희망하는 문화체험으로 여행과 스포츠 관람을 선호한 반면 청각장애인은 영화감

상과 여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3

나. 본 과업에서의 추진과제 설정

① 콘텐츠 구축의 기술적 요인 포함 여부 검토

앞에서 제시한 세부계획을 살펴보면 정보소외계층 유형별로 메타데이터를 구축하도록 과제가 설

정되어 있으며, 메타데이터 DB와 원문 연계시스템을 NDL 포털에서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반면 NDL 전체의 메타데이터 구축방안에 대한 기술적 요인은 아직 확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NDL 포털에서 어떤 기술을 이용하여 연계시스템을 구축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NDL 전체의 장서관리 및 메타데이터 구축방

안과 연계가 가능한 기술적 요인들을 규정하는 것은 과업의 취지에 비춰볼 때 현 단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부분이다.

또한 포털을 이용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방안에 대해서는 이미 4장에서 다루어졌기 때문에 이 장

에서 추가로 이를 다룰 필요 역시 없다.

이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이 장에서 다루게 될 콘텐츠 개발 추진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② 정보소외계층별 추진과제의 설정

A. 장애인

- 장애인이 원하는 콘텐츠 유형 분석

- 국내 장애인 관련 도서관, 단체의 콘텐츠 보유 현황 및 적용기술분석

- NDL이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안

B. 노인

- 노인이 원하는 콘텐츠 유형 분석

- NDL이 독자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콘텐츠 제안

C. 이주민

- 이주민이 원하는 콘텐츠 유형 분석

- 국내 이주민 관련 도서관, 단체의 콘텐츠 보유 현황 및 적용기술분석

- 이주민용 장서 구입을 위한 대상 국가의 설정

- 이주민 장서구입 절차 지원방안 모색

162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생생뮤직박스’는 가요, 팝송, 영화, 드라마, CF, 종교음악 등 2만 여곡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

는 시스템이다.

‘돋보기 영화관’은 실시간으로 영화를 다운 받을 수 있는 사이트로 역시 책갈피 기능이 있다.

‘미디어 학습 지원센터’는 어학자료와 법률,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문자료와 각종 정보를 구비하

고 있다.

‘믿음으로 여는 세상’은 주로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 관련 정보를 원스톱으로 제공해주는

사이트이다.

② 한국시각장애인 복지재단 디지털 음성전자도서관

디지털 음성 전자 도서관이 2007년 10월 발표한 11월 신간 목록 60편을 분류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표Ⅵ-3]디지털음성전자도서관 2007년 11월 신간자료비율

100%특히 주목 할 점은 소설이나 문학작품 중에서 최근 신간 서적들이 음성 콘텐츠로 제작된 점

이다. 이는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콘텐츠 중 신간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의미한 현상으로 보여 진다.

다. 청각장애인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

청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콘텐츠는 시각장애인과 달리 수화 혹은 자막처리 시스템만

확보된다면 일반인의 그것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특히 디지털 도서관의 경우 멀티미디

어 중심의 콘텐츠가 주로 공급될 것이기 때문에 한국어 기반 프로그램의 경우 별도의 자막

서비스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콘텐츠에도 적용되지만 보조기기나 장비와도 밀접

한 관계가 있다.

한국영화 자막 전문 사이트(www.kmdeaf.pe.kr)과 같은 민간 사이트도 운영되고 있는

데 이 사이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처리 시스템을 통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165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B. 희망 문화강좌

시각장애인은 악기연주나 노래와 스포츠 강좌를 선호한 반면 청각장애인은 문학과 스포츠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시각장애인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

시각장애인이 국립디지털도서관을 포함한 도서관에서 선호하는 콘텐츠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연구결과나 논문이 거의 발표되지 않은 영역이다.

이는 두 가지의 문제 때문인데 첫 번째는, 본격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공급

이 시작 된지 아직 충분한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아직까지는 수요자(시각

장애인)보다는 공급자(도서관)의 입장에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고, 두 번째

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준과 원칙하에 콘텐츠를 분담, 생산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

되어 있지 않아 관련 자료들을 이용한 연구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간접적으로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유추할 수 있는 자료들은 최

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대표적인 방법이 점자도서관 중 보유 장서 기준으로

5,000권 이상인 도서관들이 최근 발표하는 새로운 콘텐츠의 경우 과거보다는 시각장

애인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자료들에 대

한 분류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다.

① 호산나 복지재단 시각장애인 종합 정보센터

호산나 복지재단이 운영하는 홈페이지(www.hsnwel.or.kr)는 2006년 대대적인 홈페이지 개편

을 통해 기존의 전자도서관을‘시각장애인 종합정보센터’로 명칭을 변경하여 전자도서관, 음악감상

실, 영화감상실, 도서요약 서비스, 미디어 학습지원센터 등으로 구분,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확대하

였다.

먼저 기존의 전자도서관은 6,000여권의 다양한 도서가 등록되어 있는데 이 중 소설이 2,258권으

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논문/학술 정보, 문학, 인문 사회과학, 교양 문화 여가의

순으로 보유하고 있다.

또한‘북하이웨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였는데 이는 방대한 분량의 도서를 10-20 페이지

분량으로 요약하여 한 권의 책을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이다. 현재 약

3,000권이 확보되어 있으며, 나중에 다시 읽을 수 있도록 책갈피 기능도 갖추고 있다.

164

구분생활/여가

교양 종교 경영인문/사회

문학 어학 합계

권수

비율

8편

13%

12편

20%

2편

3%

2편

3%

8편

13%

27편

47%

1편

1%

60편

100%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니라 장애인 등록증 사본 등 관련 신분증명서류를 근거로 실제 이용 가능한 지 여부를 심

사한다. 또한 다운로드 받은 DTB 콘텐츠의 불법 공유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운로드받은

DTB 파일을 재생하려면 온라인상에서 회원 인증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어야 하며, DTB

플레이어도 회원으로 인증 받은 이용자만이 다운로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나. 점자 도서관 콘텐츠 보유현황

국내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도서관 중 자료 유형별로 소장 콘텐츠를 명시한 6개 점자

도서관의 콘텐츠보유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Ⅵ-5] 국내점자도서관의콘텐츠보유현황

가. 시각장애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를 국립디지털도서관이 독자적으로 개발하기에 앞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 다른 도서관이나 관련단체에 산재되어 있는 콘텐츠의 현황을 조사

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다.

기술표준화의 문제, 링크 수준, 저작권의 해결 등 선결되어야 할 부분이 없지 않지만

국가 대표 디지털 도서관의 위상에 알맞게 이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크게 두 가지 정도의 별도 콘텐츠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① 제3세계 문학 전집 발간

국내에서 운영 중인 대부분의 점자 도서관에서 제외되어 있는 콘텐츠가 제3세계 작가의 문학

작품 영역이다.

이는 수요의 측면에서 비롯되기도 하겠지만 개별 도서관에서 자체 콘텐츠로 개발하기가 쉽지

않은 부분으로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총괄하여 이를 제작하고 공공도서관과의 연계 시스템을 통하여

167

2.2 유관단체 콘텐츠 보유현황 분석

가. LG상남도서관

책 읽어주는 도서관에서 배포하는 콘텐츠는 시각장애인과 독서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콘

텐츠인 디지털 토킹북(Digital Talking Book)이다. 도서관은 디지털 토킹북 종류 중에서

세계적 표준인 DAISY(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를 따라 콘텐츠를 제작

한다. DAISY는 1996년 결성된 컨소시엄을 통해 마련된 기준으로 NISO(National

Information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지정한 ANSI/NISO Z39.86(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Z39.96)표준을 준

수한다.

DAISY파일은 음성파일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압축하여 제작하는데, 다음과 같은 파

일로 구성된다.

[표Ⅵ-4]DAISY 구성파일

이처럼 구조화된 디지털 파일로 제작된 DAISY 파일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여러 편의 기

능을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이용자는 페이지, 장, 절 또는 단어 등을 일시에 검색할

수 있으며, 책갈피를 삽입하거나 읽는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반복사용이나 계절

과 소장시간에 따른 음성파일의 음질 변질을 배제할 수 있으며, 어떤 DTB 플레이어에서

도 도서관의 도서를 재생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현행 저작권법상 시각장애인에게만 이와 같은 디지털콘텐츠 서비스를 허락하고 있기 때

문에, 일반이용자의 콘텐츠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자체 개발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하여 인증을 허락받은 이용자만 콘텐츠 이용

이 가능하다. 책읽어주는 도서관의 이용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회원 가입뿐만 아

166

파일명 내용

Package 파일 DTB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 수록

Textual content 파일 마크업 된 텍스트 파일

오디오 파일 책을 녹음한 파일로 보통 mp3파일로 생성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파일

NCX(Navigation Control File for XML Application)파일

오디오와 텍스트 파일을 연결하는 정보 수록

이용자가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모든 포인트에 대한 정보 수록

구분점자도서

전자도서

녹음도서

CD도서

비디오도서

일반도서

마포점자도서관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부천점자도서관

대구대학교점자도서관

부산점자도서관

제주점자도서관

2,173책

5,938권

6,617권

4,861책

1,679권

283종

5,586권

6,400권

758종

1,748책

7,824종

969종

3,094점

12,699책

844점

761장

189종

664점

538책

1,538종

33종

136책

9,802권

88권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3. 노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3.1 노인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

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노인이 요구하는 정보나 일반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 간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선입견과

함께 대부분의 도서관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노인이 관심을 갖는 정보는

일반인과 차이가 있으며, 그것의 종류에 있어서도 일반인과 달리 그 주제의 폭이 매우 제

한되어 있다. 노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미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콘텐츠를 먼저 조사 분석한다. 한국정보문화진

흥원에서는 노인 전용의 콘텐츠 개발 분야를 다음과 같은 8개로 선정하였다.

●치매정보 : 치매에 대한 증상, 예방, 치매 전문병원, 요양시설 안내정보

●평생교육정보 : 노인대상의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 안내 및 교양강좌 정보

●노년건강정보 : 노인병, 질환, 운동, 영양 관련 정보

●학술자료정보 : 노인관련 복지, 문화 등의 관련 논문 정보

●노인레포츠정보 : 게이트볼 규칙, 경기법 등 노인 오락 및 취미 프로그램 정보

●노인복지시설정보 : 노인 복지관, 양로원 등 노인 전용 복지시설 정보

●실버용품정보 : 지팡이, 용변기구 등 노인 전용 용품, 재활, 장례용품정보

●간병인정보 : 간병 기초상식, 복지 서비스, 강좌 및 세미나 정보

그리고 동 센터에서는 노인과 장애인에 관한 공통 콘텐츠 개발분야로는 다음과 같은 3

개의 분야를 선정하였다.

●교통시설정보 : 지하철, 장애인 택시회사, 차량이동서비스 등 안내정보

●편의시설정보 : 관공서, 공공시설 및 위탁시설에 대한 편의시설 안내정보

●법령/시책 정보 : 장애인 및 노인에 대한 관련 법규, 복지제도, 법률 정보

나. 기타 선행연구 분석

Moore와 Young은 그들의 연구에서 노인들이 도서관에 요구하는 정보의 종류로 소득

유지, 교통 및 이동, 건강 및 간호, 주거환경 및 주택, 영양관리, 가정부 서비스, 취업, 소비

169

공유하는 방안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② 신간 소개 콘텐츠 개발

대부분의 언론기관에서 매주 한 번씩 신간을 소개하는 기사를 발표하고 있는 현실에서 시각장애

인을 위해 신간의 콘텐츠는 시일이 다소 걸릴지라도 이를 미리 소개해 주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시각 장애인이 최신 서적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과 같은 시기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나. 청각장애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중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자체적으로 구축할 콘텐츠로 역시

두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① 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최신 콘텐츠는 민간기관이나 자체 사이트에서

자막 처리하는 서비스를 이미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전의 영화 중 예술성이 높은 작품

들을 청각장애인이 접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이러한 콘텐츠를 중심으로 관련기관과 협력을

통해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② 스포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청각장애인의 문화 욕구 실태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청각장애인의 상당수가 스포츠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의 특성상 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콘텐츠의 개발이 쉬운 일은 아니

다. 초기에는 국가대표 경기 등을 중심으로 생방송 프로그램이 아니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청각장

애인에게 들려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자체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168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희귀본에 대한 디지털 작업을 먼저 실시하여 노인이 디지털 도서관에 접속하거나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신문자료 콘텐츠의 개발

국립중앙도서관을 방문하는 노인의 상당수가 신문 등 정보 콘텐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위해 문자 확대기 등 별도의 보조기기나 장비를 갖춘 상태에서 디지털 신문

자료에 대한 노인용 콘텐츠를 별도로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특히 과거

신문의 경우 현재 언론재단이나 신문사 등에서 웹 사이트를 통해 일부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으나 노인이 이를 직접 열람하는 것이 불편한 것도 사실이다.

다. 고서 전문 콘텐츠의 개발

일반 도서관에서 디지털 콘텐츠로 개발하기 쉽지 않은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방대한 고

서 콘텐츠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와 같은 고문서에서부터 접근제한이 해제된 국가 문

서 등 특정한 노인계층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방안을 제안한다.

171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문제, 그리고 법률적 문제 등이라고 주장하였다.

위에서 조사된 정보의 종류와 더불어, 미국 보건성의 노인관리부(Administration on

Aging)의“ElderPage: Information for Older Persons and Families"와 우리나라의

노인 정보 웹진인 ”실버빌“의 홈페이지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여 종합해 보면, 노인이 요구

하거나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제1차 접근 주제

–복지제도 및 법률

–노후 생활의 계획, 경제적 문제(사기, 투자, 상속 등)

–재교육, 재취업, 교육 및 학술 정보

–건강, 운동, 재혼 및 성생활

–오락 및 동호인 모임

–여행 및 날씨

●제2차 접근 주제

–치매 및 노인성 질환

–응급센터, 복지시설, 간병인 제도

–전통과 관습(장례 및 제사)

–종교

–노인 용품

위에서 1차적 접근 주제란 주로 노동력이 있고 건강에 문제가 없는 중년층 노인이 일상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생활, 건강, 경제, 그리고 교육 관련 정보이고, 2

차적 접근 주제란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고령층 노인이 주로 접근하는 의료 관련

주제이다.

3.2 독자 개발 콘텐츠 제안

가. 디지털 족보 콘텐츠의 제공

이미 국립중앙도서관은 노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고문서나 희귀본을 상당 부분 소

장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로의 변환 작업에 있어 노인을 위한 콘텐츠 중 하나로 족보나

170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에 벌어지는 사회적 현상과 관련이 있는데 아이의 어머니가 제대로 아이를 가르치기 위해

서는 먼저 결혼이주민이 한국어를 배우는 것도 필요하지만 한국어와 해당 모국어를 동시

에 볼 수 있는 콘텐츠가 훨씬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다. 새터민

2000년 이후 국내에 들어 온 새터민들은 이전의 새터민과 전혀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을 지니고 있다. 먼저 여성 및 가족동반 입국자 비율이 높아졌다는 점과 탈북 동기가 단순

한 생존차원의 동기보다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한 이주민 성격의 탈북주민들이 증가했

다는 점이다. 이들은 북한에서 최하층보다는 중상류층에 속했던 사람들이 상당수를 차지

한다.

이러한 새터민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해 나가면서 겪는 문제 가운데 정치 사상적 적응은

그다지 큰 이슈가 아니고 오히려 경제적 적응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 연

구자료에 의하면 새터민 중 경제활동인구의 30-40%가 한국에서 실업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음으로 지적되는 것이 문화적 적응인데 2003년 통일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북한이주

민들은 자신들이 사용하는 어투, 어휘, 뉘앙스가 상이한 용어 등의 요인 때문에 고충을 겪

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어를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데 걸리는 기간은 대략 3

년이라고 보고해서 언어습득이 만만찮은 과제임을 알 수 있다.

4.2 유관단체 콘텐츠 보유현황 분석

가. 민간 이주민 도서관 콘텐츠 보유현황

한국이주노동자인권센터의 드림도서관(인천시 가좌동), 아시아인권문화연대의 꼬마도

서관(경기도 부천), 아시아평화인권연대의 민들레 도서관(부산시 전포동), 대전 외국인 노

동자와 함께 하는 모임의 이동도서관(대전시 대화동)등이 민간도서관 차원에서 이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노동자 도서관 선교회의 외국인 노

동자도서관(대구시 성서동)는 2007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

났다.

173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4. 이주민용 콘텐츠 개발계획

4.1 이주민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

가.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가 우리나라에서 살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기본인 한국어에 대한 습득은

물론이고 한국사회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요구된다. 또한 인간적 본성에 의해 그리

고 자신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떠나온 모국에 대한 정보도 원하게 된다. 특히 외국인 근로

자의 대부분은 한국에서 일정기간 일한 뒤에는 다시 모국으로 돌아가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하므로 그 상이의 지적 공백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모국사회에 대한 정보가 공급되

어야 한다.

이미 제4장에서 포털 환경을 중심으로 외국인 근로자나 결혼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정

보 서비스의 제공을 제안한 바 있게 때문에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콘텐츠는 주로 해당 국

가에 대한 정보 제공 위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당국가의 대표

도서관과의 연계 시스템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디지털 기반의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개

발하기에 앞서 효율적인 링크 시스템만 확보하여도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커다란 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나. 결혼이주민

포털 환경에서의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외하고 결혼이주민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가 무엇

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된 결과물이 거의 없다. 다만 우리나라보다 훨씬 앞서 다민족 국가를

형성한 미국 등의 도서관에서 전개한 정책을 살펴보면 개략적인 콘텐츠 제공의 방향은 유

추가 가능할 것이다. 이들 도서관에서는 새로운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 필수적인 언어 습득

을 위한 지원 이외에도 이주민 출신 국가의 언어로 된 자료와 다중언어로 이루어진 자료

대출 서비스, 주요 이주민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직원들을 통한 다중언어 참고 서비스 등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이주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혼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정책 차원의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결혼이주민을 위

한 중요한 콘텐츠로 해당국가의 언어와 한국어를 초등학교 이하 수준에서 동시에 배울 수

있는 통합 언어 학습 콘텐츠의 개발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주로 자녀의 출산 이후

172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다. 아시아인권문화연대의 꼬마도서관

꼬마도서관의 자료는 약 4천여권 정도인데 스리랑카, 몽골, 베트남, 네팔, 필리핀, 방글

라데시, 러시아어, 태국, 한국어 등으로 된 자료가 구비되어 있다. 주제는 주로 문학류와

같이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자료가 중심이다. 이 자료들은 이 단체와 친분이 있는 이주

노동자 중에서 모국으로 귀국한 사람에게 기존 도서목록을 보내고 중복되지 않도록 구입

해달라고 부탁하거나 타 시민단체 활동가가 국제회의 참석차 동남아 지역으로 갈 경우 부

탁을 해서 현지에서 인기가 좋은 도서 등을 구입해서 오는 방법으로 입수되고 있다.

도서관 자료들은 도서관리 프로그램인‘책꽂이’를 통해 DB로 구축되고 있다. 하지만 대

부분의 자료가 현재의 프로그램에서 지원되지 않는 동남아 지역 언어로 된 자료여서 목록

구축에 상당한 애로가 존재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임시방편으로 그 언어권 출신 노동자에

게 발음을 부탁하여 한국어로 음역하여 DB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인근공공도서관이나 타 민간도서관과의 협력은 아직 이루어진 바 없으나 이주노동자

언어로 된 장서를 가진 단체와의 협력은 매우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목록 교환 등

여건만 된다면 상호대차를 실시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라. 아시아평화인권연대의 민들레 도서관

이 도서관은 평화와 인권 등의 주제와 관련된 국내서 700여권과 중국, 캄보디아, 필리

핀,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의 국가에서 출판된 그림책과 동화책, 신화, 일반도서 약 300여

권 등 총 1천여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있다. 국내 장서는 쌈지도서관으로 지정되면서 예산

지원을 통해 구입된 도서와 회원이나 활동가들의 기증으로 마련되었으며, 외국 장서는 도

서관 쪽에서 개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이 단체와 친분이 있는 이주민들이 모국방

문 후 돌아오면서 도서를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외 한국에서 국제인권운동을 하다

가 현지에 유학을 간 활동가나 그 지역에 거주하는 동포가 도서를 선정, 구입해서 보내는

경우도 있다.

이 도서관의 장서들은 대부분 도서대여점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DB를 구축하였는데,

베트남 등 외국도서들은 프로그램에서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 장부에 수기로 관

리하고 있다.

175

[표Ⅵ-6] 국내민간도서관의이주민대상정보서비스현황

나. 한국이주노동자인권센터의 드림도서관

이 도서관은 현재 3천여권의 장서와 5백여편의 영상물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주노동자

와 인권, 아동서적 등의 한국어 장서 외에 방글라데시아어, 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영어,

러시아어, 힌디어, 우르드어, 몽골어, 스리랑카어, 태국어 등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외

국자료는 주로 소설, 시, 수필 등 문학 외에 컴퓨터, 언어교육을 비롯한 실용도서로 구성되

어 있고 일부 국가의 경우는 잡지류도 소장하고 있다.

자료구입은 주로 신뢰관계가 있는 국내 거주 이주노동자나 국내 지인을 통해 현지인과

연결하여 구입을 대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 러시아어 자료는 한국 내 출판사의 도움을

받았고 인도네시아의 경우는 한국외대 인도네시아학과의 지원을 받아 구입을 하였다. 자

료구입 과정에서는 귀국 후 정착에 도움이 될 자료, 언어습득 등 실용적 도움을 줄 자료,

이주노동자의 눈높이에 맞는 자료, 전집류가 아닌 자료 등과 같은 선정기준을 제시하고 있

다. 그리고 매일 장시간의 노동을 하는 이주노동자의 입장을 생각해서 가급적 가벼운 주제

의 도서를 선정하려고 하고 있으며 도서 외에도 영상자료나 만화자료들로 구비하고 하고

있다.

도서관 자료들은‘북코리아 닷컴’이라는 도서유통 회사에서 배포한 도서관리 프로그램

을 통해 DB로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영어 외의 외국 자료들은 프로그램에서 언어지원이

되지 않아 한글로 음역하여 입력하는 등 목록 입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74

구분 도서관 이주민 언어 장서 목록 DB구축

드림도서관

꼬마도서관

민들레도서관

외노모임이동도서관

외국인노동자이동도서관

3000여권장서(방글라데시/인니/베트남/힌디/러시아/몽골/태국등)와 5백여편 영상물 한글 음역하여 DB(도서관리회사프로그램)

4000여권(스리랑카/몽골/베트남/네팔/필리핀/방글라데시/러시아/태국/영어 등)

300여권(중국/캄보디아/필리핀/베트남/방글라데시 등의 그림책과동화책, 신화중심)

300여권의 장서(인도네시아 도서 100여권을 3부씩 구입)와약간의 비디오 자료

한글 음역하여 DB(도서관리회사프로그램)

한글 음역하여 DB(도서관용책꽂이 프로그램)

수기(국내서는 도서대여점 프로그램으로 DB)

수기

자체제작 프로그램으로 DB

1

2

3

4

5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8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이 아닌 관계로 공식적인 중국 대표 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이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

을 수 있는 이점이 없다. 세 번째 원칙에 벗어나는 경우로서 일단 중국을 제외한 10개국을

대상국가로 설정하였다.

나. 결혼 이주민

결혼 이주민 역시 외국인 근로자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기로 한다.

결혼 이주민의 경우 중국을 제외하면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필리핀, 몽고, 태국 등 5개

국이 대상국가로 설정되었다.

외국인 근로자와 비교하여 보면 결혼 이주민에 속하는 국가 전체가 외국인 근로자의 해

당국가에 포함된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 이주민을 포함하여 해당국가와의 연계 시스템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국가는 총 10개 국으로 나타났다.

4.4 이주민 장서구입 절차 지원방안 모색

가. 해당국가의 국가 도서관 현황 분석

이주민 장서구입의 대상이 되는 10개국 모두 한국에 대사관이 진출해 있으며 한국 역시

10개국 모두에 대사관이 개설되어 있다. 그러나 문화원이나 영사관과 같이 해당국가의 국

민을 보호 지원하는 별도의 기구가 한국에 진출한 곳은 한 곳도 없다.

또한 10개국 모두 국가도서관의 홈페이지가 개설되어 있다.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9개

도서관이 영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은 러시아어만 지원되고 있다.

한국도서관 협회의 국제교류를 살펴보면 일본 및 중국 도서관 협회와 업무교류를 추진

하고 있을 뿐 이들 국가와의 교류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177

마. 대전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 하는 모임의 이동도서관

이 이동도서관은 현재 인도네시아 도서 100여권을 3부씩 구입하여 총300권의 장서와

약간의 비디오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데, 이 장서들의 주제는 주로 교양서적, 종교, 건강,

언어, 문화, 정치 등이다. 입수된 장서들은 리스트를 작성하고 관리, 배포되며, 대출에 대

한 기록은 장부로 관리하고 있다.

바. 외국인 노동자 도서관 선교회의 외국인 노동자 도서관

현재 개관 준비 중이어서 아직 이주민 언어로 된 장서는 구비되지 못하고 있으나 앞으로

약 6 개월 정도에 걸쳐 현지에 있는 선교사 지인들과 메일 연락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구

입할 계획으로 있다. 다만 어린이 도서관에는 한글로 된 7천여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도서관 전산화와 관련하여 현재 어린이 도서관장서는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DB를

구축되고 있으나 대출은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수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

4.3 이주민용 장서 구입을 위한 대상 국가의 설정

가.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중 이주민용 콘텐츠의 대상이 되는 국가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원칙을 적용하기로 한다.

첫 번째, 해당국가의 국내 체류 인원이 많은 나라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두 번째, OECD에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UN이 정한 극빈국가에 해당하는 국가를 우선

적으로 고려한다.

세 번째, 우리나라에 온 근로자가 해당국가의 다수민족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보면 중국,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몽고, 스리랑

카,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만, 일본 등은

체류 인원은 많으나 두 번째 원칙에 해당되어 이를 제외하였다. 남은 문제는 중국인데 현

재 우리나라에 주로 들어와 있는 중국인은 조선족이다. 이들은 한국어를 어느 정도 이해하

고 있고 본국과의 교류도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의 다수민족

176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해당국가의 국민이 직접 보게 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별도로 한국어로 번역할 필요성

은 없을 것이나 지속적인 구입체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립디지털도서관 내에서도 이들

국가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여 정기적인 웹 사이트 검색 등 해당 콘텐츠

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179

[표Ⅵ-7] 이주민장서구입대상국가도서관홈페이지현황

나. 장서구입 절차 지원방안 원칙

해당국가의 장서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웹 기반의 콘텐츠를 제공받는 것 이외에

출판물로 받는 방법도 검토할 수 있으나 이는 디지털 도서관의 성격에도 맞지 않고 해당국

가와의 정기적인 연계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주민을 위한 해당국가

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유가 최신 자료를 습득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리적 기간을 고려해

도 실익이 없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이 완료된 후 해당국가와의 접

촉을 통해 디지털 자료의 전달방법과 표준화 기술의 적용 여부 등을 논의한 후 해당 콘텐

츠를 정기적으로 공급받는 방안과 웹사이트 혹은 홈페이지 링크 시스템 등 연계방안을 함

께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선적으로는 NDL 포털 상에 이주민을 위한 하부 포털을 개설하고 이곳에 10개 국가의

국가 도서관을 링크하는 시스템을 먼저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이들 나라의 대부분이 아직까지 디지털 납본이나 콘텐츠 제작을 시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순링크 기능 이외에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받거나 구입하는 것은 단기적으

로 어려울 수 있다.

이의 해소를 위한 방법으로는 지원 단체의 협조를 받아 이주민이 원하는 해당국가의 콘

텐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우선적으로 출판물의 형태로 구입하여 국내에서 디지

털화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178

국가명 홈페이지 영어지원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몽골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www.nlv.gov.vn

www.nlp.gov.ph

www.nlt.go.th

www.pnri.go.id

www.pmis.gov.mn

www.natlib.lk

www.natlib.nz

www.nlp.gov.pk

www.nanl.gov.bd

www.nnl.gov.np

×

<자료> 해당국가 웹사이트 검색

제6장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디자인 및 시설계획

1. 기본 설계안 분석

2.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계획

Page 9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대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설을 총칭한다.

나. 도서관법에서의 관련 규정

도서관법 제5조(도서관의 시설 및 자료)에 따라 동법 시행령 별표1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경우 전체 열람석의 10% 범위 안에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시설 및 자료를 갖추도록 규

정하고 있다.

다. 장애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서의 관련 규정

① 법률에서 도서관 시설범위

이 법 제3조(편의시설 설치의 기본원칙)에서는 장애인 등이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을 이용함

에 있어 가능한 최단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

제3조에 의한 별표1(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에 의하면 건축법에 의한 용도 분류상 도서관으로서

동일한 건축물 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이상인 시설은 이 법에서 규

정한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따라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이 법의 적용을

받는 시설이다.

② 설치대상 편의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

동법 시행령 제4조에 의한 별표2(대상시설별 편의시설의 종류 및 설치기준)에 의하면 도서관에

설치해야 할 편의시설은 의무시설 8개와 권장시설 5개 등 총 13개 시설이다.

[표 Ⅶ-1] 도서관에설치하여야하는편의시설의분류

183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1. 기존 설계안 분석

1.1 서론

본 과업에서 적용하고 있는 장애인, 노인 및 이주민 모두가 도서관의 시설과 관련된 법규 적용

을 받는 것은 아니다. 주로 장애인과 노인 등 신체적 장애가 있는 계층이‘장애가 없는 상태(bar-

rier free)'의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법률 및 제도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국립디지털도서관의 경우 이미 기본설계와 실시설계가 완료되어 공사에 착수하였기 때문

에 건축법이나 다른 법률에서 규정한 시설 관련 법규는 상당부분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절에

서는 정보소외계층의 전용공간을 다루기에 앞서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제반 시설이 기존 설계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문제점이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거나 전용공

간의 디자인을 위해 일부 설계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이를 제안하는 방향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1.2 도서관 시설 관련 법규 분석

가. 장애인 편의시설의 정의

장애인 편의시설이라 함은 장애인들의 신체적·정신적 손상이나 결함에 의하여 여러 가

지 시설 이용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들의 사회 적응·활동 및 단순한

이동 등에 있어서 비장애인들과 다름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모든 장애인이 가

지고 있는 사회적 불리함을 인적·물리적·사회적 자원의 활용과 협력을 통해 가능한 최

182

제7장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디자인및시설계획

구분교육연구시설

도서관비고

매개시설

주출입구접근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의무

의무

의무

내부시설

출입구(문)

복도

계단 또는 승강기

의무

의무

의무

의무

위생시설

대변기

소변기

세면대

화장실

욕실

샤워실/탈의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표Ⅶ-2] 편의시설별설치기준

1.3 기존 설계안 분석

앞에서 살펴 본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의 설치기준에 맞춰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에 반영되

어 있는 설계안을 검토하였다.

[그림Ⅶ-1] 1층 장애인편의시설

185

13개 편의시설의 구체적인 설치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Ⅶ-1] 도서관에설치하여야하는편의시설의분류(계속)

184

구분교육연구시설

도서관비고

권장

권장

권장

의무

권장

권장

안내시설

기타시설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객실/침실

관람석/열람석

접수대/작업대

매표소/판매기/음료대

임산부등을 위한 휴게시설

(2)장애인전용 주차 구역

(가) 부설주차장에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주차장법령이 정하는 설치비율에 따라 장애인의 이용

이 편리한 위치에 구분·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부설주차장의 주차대수가 10대 미만의 경우를

제외하며, 산정된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주차대수 중 소수점이하의 끝수는 이를 1대로 본다.

(나) 자동차 관련시설 중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설치하는 노외주차장에는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을 주차장법령이 정하는 설치기준에 따라 장애인의 이용이 편리한 위치에

구분·설치하여야 한다.

(3) 높이차이가 제거된 건

축물 출입구

편의시설의 종류

(1)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가) 대상시설 외부에서 건축물의 주출입구에 이르는 접근로는 장애인 등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유효폭·기울기와 바닥의 재질 및 마감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나) 접근로를 (가)의 주출입구에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곤란하거나 주출입구보다 부

출입구가 장애인등의 이용에 편리하고 안전한 경우에는 주출입구 대신 부출입구에 연결하여

접근로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기준

(가) 건축물의 주출입구와 통로에 높이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턱 낮추기를 하거나 휠체어 리프트 또

는 경사로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가)의 주출입구보다 부출입구가 장애인등의 이용에 편리하고 안전한 경우에는 주출입구 대신

부출입구의 높이 차이를 없앨 수 있다.

(4) 장애인등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 등

(가) 건축물의 주출입구와 건축물안의 공중의 이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사무실 등의 출입구(문)중

적어도 하나는 장애인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유효폭·형태 및 부착물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

여야 한다.

(나) 교통시설의 승강장에 이르는 개찰구중 적어도 하나는 장애인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너비 등을

고려하여 편리한 구조로설치하여야 한다.

(5)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복도 등

(가) 복도는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유효폭, 바닥의 재질 및 마감과 부착물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나) 교통시설의 주출입구로부터 대합실 및 승강장에 이르는 통로는 유효폭, 바닥의 재질 및 마감과

부착물 등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편의시설의 종류 설치기준

(6) 장애인들의 통행이

가능한 계단, 장애인용

승강기,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휠체어리프트,

경사로 또는 승강장

(가) 장애인등이 건축물의 1개 층에서 다른 층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이용에 편리한

구조로 계단을 설치하거나 장애인용 승강기, 장애인용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리프트 또는 경사

로를 1대 또는 1곳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장애인등이 이용하는 시설이 1층에만 있는 경

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가)의 건축물중 6층 이상의 연면적이 2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층수가 6층인 건축물로서

각층 거실의 바닥면적 300제곱미터이내마자 1개소이상의 직통계단을 설치한 경우를 제외한

다)에 근린공공시설, 노유자시설 중 장애인시설 및 노인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및 도서관, 공공업무시설, 숙박시설, 판매시설, 관람집회시설중 공연장 및 관람장, 전시시설, 방

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청소년수련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인용 승강기, 장애인용 에스컬레

이터, 휠체어리프트 또는 경사로를 1대 또는 1곳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그림Ⅶ-2] 2층 장애인편의시설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87

[표Ⅶ-3] 장애인편의시설설치기준적용결과(지하3층)

186

점자블록

구분 설치기준 설치가능여부 설치적용여부적용부분

매개시설

주출입구접근로 의무주출입구까지 안전한 보행로 확보가능함

자동차 도로와 분리 및 단차 없이 이동가능하게설치함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주출입구높이차이 제거

의무 동일레벨로 출입구 통과 가능함 주출입구 부분에 단차 설치하지 않음 ②

장애인용 주차 의무주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설치가능함

주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3.3×5m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설치함

내부시설

출입구(문) 의무 출입구 유효폭 80㎝이상 확보 출입구 유효폭 80㎝이상 확보 적용 ④

복도 의무 유효폭 2M 이상 확보 가능함 유효폭 2M이상 확보 적용 ⑤

계단 또는 승강기 의무 장애인용 승강기 1대 설치 가능함장애인용 승강기 2대 설치, 시각장애인용점형 블록 설치함

경사로기울기는 1/12이하 최소 유효폭1.2M이상 확보 가능함

1/12의 기울기로 경사로 설치함, 유효폭 최소2.5M이상 확보함

대변기 소변기세면대

의무지하3층, 지하2층에 장애인 전용 화장실 남, 여각 1개소 설치함

-주출입구 로비부분에 각종 안내표지판을 설치, 화장실 출입구 벽면에 점자 안내판 설치

유도 및

안내시설

관람석열람석

의무

의무

로비에 점자블록 설치함 화장실 출입구 바닥에점자블록 설치함

관람석의 1%이상 확보 1석당폭 90㎝, 깊이 130㎝이상 확보

300석 강당에 6개석 설치 1석당폭 90㎝, 깊이 140㎝ 확보함

구분 설치기준 설치가능여부 설치적용여부적용부분

매개시설

주출입구접근로 의무주출입구까지 안전한 보행로 확보가능함

자동차 도로와 분리 및 단차 없이 이동가능하게설치함

주출입구높이차이 제거

의무 동일레벨로 출입구 통과 가능함 주출입구 부분에 단차 설치하지 않음 ②

장애인용 주차 의무주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설치가능함

주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3.3×5m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설치함

내부시설

출입구(문) 의무 출입구 유효폭 80㎝이상 확보 출입구 유효폭 80㎝이상 확보 적용 ④

복도 의무 유효폭 2M 이상 확보 가능함 유효폭 2M이상 확보 적용 ⑤

계단 또는 승강기 의무 장애인용 승강기 1대 설치 가능함장애인용 승강기 2대 설치, 시각장애인용점형 블록 설치함

경사로기울기는 1/12이하 최소 유효폭1.2M이상 확보 가능함

1/12의 기울기로 경사로 설치함, 유효폭 최소2.5M이상 확보함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Page 9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고 전문사서의 도움만 있다면 공간 내에서 일반인과 똑같은 환경 하에서 디지털 도서관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측면에서의 무장애를 실현하기 위해

서는 정보소외계층이라는 이유만으로 일반인과 격리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오히려 더 심각한 장애요인을 발생시킨다는 점을 감안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정보소외

계층을 위한 별도의 전용공간을 최소화한다는 기본원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 전용공간이 필요한 정보소외계층의 범위

① 장애인 및 노인

장애인과 노인의 일부는 전용공간이 필요하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일부 보조기기나 인력의 도움만

있으면 큰 문제가 없는 장애인과 노인은 일반인과 동일한 열람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한다.

따라서 전용공간을 마련해야 할 최소한의 범위로 장애등급이 심한 지체 장애, 시각 장애 및 청각

장애인을 설정하고자 한다.

② 이주민

이주민의 경우 신체적 장애로 인한 전용공간의 필요성보다는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 측면과 사회

적 소수의 배려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도서관 운영의 효율적 측면이라 함은 특정국가의 이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실시하는데 있어 소프

트웨어나 장비의 집중이 필요한 경우 이를 분산시켜 얻을 수 있는 편익이 없을 때에 한하여 특정구

역을 이주민을 위한 전문 콘텐츠가 집중되어 있는 공간으로 개발하는 데서 얻게 되는 효율성을 의

미한다.

사회적 소수의 배려 측면이라 함은 이주민 중 일부가 정식으로 도서관 출입이 어려울 경우, 즉 외

국인 등록이 되어 있지 않아 회원가입이 힘든 이주민도 함께 배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회원가

입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도서관 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약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는 범위 내에서 이들을 위한 일부 서비스를 정식 열람 공간이 아

닌 별도의 공간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수준의 서비스는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이주민의 비율이 매

우 높은 프랑스 등 대부분의 선진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불법 체류자를 위한 공간을 국가도서관에

서 제공하고 있다.

189

[표Ⅶ-4] 장애인편의시설설치기준적용결과(지하2층)

2.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계획

2.1 NDL공간에서의 전용공간 필요성 검토

가. 전용 공간 최소화의 원칙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를 시설과 콘텐츠와 프로그램(서비스)으로 구분하였을 때

콘텐츠 및 서비스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최대한의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원하는 정보

를 쉽게 그리고 빨리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무장애(barrier

free)정책이기 때문이다.

또한 국립디지털도서관을 방문하는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편의시설 역시 관련법규에서

규정한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

다만 이런 편의시설을 제외하고 실제 열람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인포메이션 코먼스 공

간 내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별도의 전용공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세심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열람 공간 내부에 들어 온 정보소외계층은 일반인과 동일한 수준의 도서관 이용을

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장애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일부 장비와 기기 및 소프트웨어 그리

188

점자블록

구분 설치기준 설치가능여부 설치적용여부적용부분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

대변기 소변기세면대

의무지하3층, 지하2층에 장애인 전용 화장실 남, 여각 1개소 설치함

-주출입구 로비부분에 각종 안내표지판을 설치, 화장실 출입구 벽면에 점자 안내판 설치

유도 및

안내시설

관람석열람석

의무

의무

로비에 점자블록 설치함 화장실 출입구 바닥에점자블록 설치함

관람석의 1%이상 확보 1석당폭 90㎝, 깊이 130㎝이상 확보

300석 강당에 6개석 설치 1석당폭 90㎝, 깊이 140㎝ 확보함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나. 전용공간 제2안

그러나 과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미디어센터 공간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전체 도서관의 기능 측면에서 정보소외계층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고 클러스터 공간 내에

장애, 비 장애를 구분하지 않는 방침이 정해지면서 특수 장애 및 정보소외계층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초기에 제시했던 공간의 규모가 너무 크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미디어 센터의 확

대와 이에 따른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의 규모 축소를 검토하였다.

[그림Ⅶ-4] 전용공간제2안

191

2.2 전용공간의 위치 및 기능 결정과정

가. 전용공간 제1안

최초 단계에서의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서관의 좌측부분

전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당초 우측부분에 위치한 전용공간을 이동하기로 결

정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정보소외계층이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거리와 불편함을 최소화

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간이라는 점과 비상시를 고려하였을 때 탈출경로의 용이점 및 멀티

미디어의 이용이 상대적으로 편리한 점 등이 고려되었다.

[그림Ⅶ-3] 전용공간제1안

190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라. 전용공간 제4안

최종안인 제4안은 미디어센터, 일반 클러스터 공간 및 교육공간까지 모두 고려한 안으

로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동선을 최소화하고 관리인 공간에 배치된 관리인이 미디어센터

및 정보소외계층 , 클러스터 공간의 일부를 총괄함으로써 같은 관심을 받는 공간으로 배치

한 안으로 계획하였다.

[그림Ⅶ-6] 전용공간제4안

193

다. 전용공간 제3안

그러나 제2안은 미디어 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클러스터 공간을 함께 이용하는 비율

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그 핵심 동선 상에 전용공간이 위치하여 정보소외계

층의 프라이버시를 지나치게 고려하지 않은 안이라는 의견이 회의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

에 따라 변경된 안은 미디어 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정보소외계층의 이용자 동선을 분

리하고 프라이버시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 안이다. 반면 이 안은 기기 지원 및 교

육공간과의 연계성이 다소 낮으며, 관리자와의 동선이 멀어지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림Ⅶ-5] 전용공간제3안

192 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서비스

Page 9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95제7장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나. 글로벌 라운지 공간

이주민을 위한 글로벌라운지 공간은 여러 차례의 검토 끝에 지하3층의 로비 부분으로

결정하였다. 지하2층의 경우 주출입문 주변에 해당시설을 배치할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점과 외국인 근로자가 주로 버스나 전철을 이용하여 도서관을 방문할 것으로 예

상되므로 동선 상 지하3층이 지하2층보다 수월하게 접근이 가능한 점도 고려되었다. 그러

나 무엇보다도 회원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라도 접근이 가능한 최적의 장소라는 점이

최우선적으로 감안된 결과이다.

이 공간을 이용하는 이주민들은 해당국가의 정보를 여러 가지 시설과 장비를 이용하여

볼 수 있으며, 위성채널을 통해 해당국가의 언론매체까지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

다.

[그림Ⅶ-8] 글로벌라운지공간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디자인계획

2.3 전용공간 디자인 계획

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공간

최종적으로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공간을 지하2층의 통로 주변으로 제안하였다. 위치

및 기능 결정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무엇보다도 화재 등 긴급 상황 시 대피가 수월한 지

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전문 헬프 데스크의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열람이 수월한 점

도 일부 감안되었다.

[그림Ⅶ-7]정보소외계층공간

194

Page 9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 론

1. 결 론

2. 정책 제언

Page 10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199198

타난다. 첫 번째, 「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정보소외계층’이던 명칭이‘지식정보소외계

층’으로 바뀐 점이고, 두 번째로는 시행령 상에‘지식정보소외계층’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이다.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권자

– 65세 이상의 노인

「도서관법」에서 규정한 장애인, 노인, 수급권자 중에서 장애인과 노인을 정보소외계층에 포함시

키는 것은 당연하지만 수급권자의 경우는 본 과업에서 제시될 여러 가지 시설이나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이들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

은 사실이지만 누구에게도 개방되는 국립디지털도서관 내에서 수급권자만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과업에서는 수급권자를 정보소외계

층의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다.

이외에 어떤 계층을 추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과업

추진팀의 내부 협의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먼저「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서 명시된 정보소외계층 중 아동은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

립취지와 이용 연령 제한 계획을 감안하여 제외하기로 하였다.

농어촌 지역주민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의 위상을 감안할 때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수

립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주로 정책적인 문제일 뿐 실제로 본 과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국립디지털

도서관과 관련된 서비스의 직접적인 대상은 아니라는 지적이 있어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상이유공자는 대부분의 경우 장애인과 중복되기 때문에 장애인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보았다.

여성의 경우 입법취지로 볼 때 전업주부나 형편이 어려운 여성 등 사회적 약자의 개념이 적용되

어야 하는데, 본 과업에서는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을 통한 외국인 여성을 주목하고 이

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취지에 부합한다고 보고‘결혼 이주민’

을 정보소외계층에 포함하였다.

1. 결 론

1.1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가. 정보소외계층 현황분석

1) 정보격차의 발생과 정보소외계층의 존재

인터넷의 등장과 온라인 산업의 발달이 모든 정보에 대한 균등한 접근의기회가 보장 될 것이라는

초기의 낙관론은 사라지고 전 세계적으로 정보불균형(Digital-Devide)으로 인한 폐해는 갈수록 심

해지고 있다. 특히 국가나 공공기관에서는 정보의 불균형이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훼손시키고 나아

가 소득이나 취직과 같은 기본적인 경제활동까지 그 파장이 퍼져 나갈 경우 과거 산업시대와는 비

할 수 없는 매우 심대한 사회문제가 야기될 것이라 점에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를 시

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01년 1월 16일 법률 제6356호로 제정된「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을 통해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규정하고 있다.

이 법에서는“정보격차”를‘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제2조 5항에서“정보소외계층”은‘정보격차로 인하여 정보통신서비

스와 정보통신제품 등을 이용하기 어려운 계층’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또한, 동법 제1조의 목적에

서는“이 법은 저소득자, 농어촌 지역주민, 장애인, 노령자, 여성 등...”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정보소

외계층을 5가지 정도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서관법」에 의한 정보소외계층이「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에 의한 것과 일부 다른 점이 나

제8장결론

Page 10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01200

써 정보문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 계층의 이용자들은 한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보기

기에 대한 사용법을 습득하면 현재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시설을 일반 국민

과 같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서관에서 이용자 교육은 정보서비스의 고유한

임무 가운데 하나로써 모든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실질적으

로 일반 이용자 교육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 및 인적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터민과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이용자 교육을 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특히 결혼이주

민들은 동남아시아 국가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현 공공도서관 인적 구성으로 이를 해결하

는 것에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다음과 같이 계

층별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해 정보기기는 대체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정보기기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왜냐하면, 장애인을 제외하고, 다른 정보소외계층은

신체적인 제한보다 언어나 경제적 제약으로써 별도의 정보기기보다 제도나 이용자 교육부

분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신체기능의 저하(시력, 청력,

보행 속도, 인지 능력)로 인한 격차와 소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정보기기

의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인에 대한 정보기기에 대한 배려는 장애인을 위한 배려정책

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기기는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의미

하며, 이에 대한 상품화는 국가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이다. 다음은 국가 차원에

서 장애인을 위한 상용 보조공학기기 가운데 국가에서 구입을 위한 자금을 보조하는 품목

이다. 이는 대부분 장애인과 노년층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고가의 수입품이나, 상품을

국가에서 개발하여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정

책적 지원과제이다. 즉, 국가차원에서 정보기기에 대한 개발과 투자를 통해 장애인의 정보

획득에 있어 비장애인과 동일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정보화 기반을 조성

한다.

광의적 의미의 지식정보소외계층을 배려할 중점적 분야를 시설적, 인적, 기기적 측면에

서 구분하여 하나의 표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정보격차 해소에 관한 법률」이나「도서관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으나 사회적 약자로

존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와 새터민을 추가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경우 모든 외국인 근로자가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온 단순노동자, 가정부 등이 포함될 것이다.

새터민의 경우도 최근 그 숫자가 급증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현

실을 감안할 때 이들을 위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종합하여 본 과업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정보소외계층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 65세 이상의 노인

- 이주민(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중 여성, 새터민)

② 정보소외계층의 유형별 현황 및 총수 추정

본 과업을 수립하는데 기준 역할을 하게 될 정보소외계층의 총 수요를 다음과 같이 추정

하였다.

[표 Ⅷ-1] 정보소외계층수요추정

나.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현황분석

시설적 배려는 도서관의 물리적 시설과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정보소외계층이 도서관

에 직접 물리적으로 방문 하였을 때, 정보서비스 혜택을 누리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도록

시설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유지의 목표는 일반 국민을 위한 정보

서비스와 동일한 수준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정보소외계층과 일반국민들에게 제공되

는 서비스는 물리적 공간이건 혹은 가상적 공간이건 동일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

문에 공평하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 가운데 새터민과 결혼이주민들에 대한 서비스는 대

부분 교육에 크게 의존한다. 왜냐하면 새터민과 결혼이민자 들을 위한 지원은 신체적 지원

보다 기존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설이나 콘텐츠들을 활용하지 못하는 정보격차로

구분 장애인 노인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새터민 합합계계

전국 2,010,595 4,824,238 404,051 103,152 4,000 77,,334466,,003366

서울시 324,560 786,580 206,616 6,168 4,000 11,,332277,,992244

서울시 비율 16% 16% 51% 6% 10% 1188%%

Page 102: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03202

- 제2과제 :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 서비스 지침 개발

- 제3과제 :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 제4과제 :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2007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화 사업과 관련된 총 용역과제는 14개이다. 이들과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계획의 추진과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 : 연관성 매우 높음 ○ : 연관성 있음 × : 연관성 없음

※ 제1과제 :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제2과제 :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제3과제 :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제4과제 :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타 과제와의 연관성은 일방향과 쌍방향으로 구분된다.

일부 과제의 경우 그 과제로부터의 결과물이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에 선행되어 도출되어

야 하는 경우(예: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발)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의 결과물이 타 과제

에 선행되어야 하는 경우 (예: NDL공간전략) 및 상호간에 일정부분 동일한 연관성을 지니

는 경우(예“ 새로운 열람서비스 구축방안) 등이 바로 그것이다.

본 과업에서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정보소외계층을 장애인, 노인,

구분 제 1과제 제 2과제 제 3과제 제 4과제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NDL LI개발

장서개발정책 기본모형 연구 개발 및 수립

NDL 장서관리시스템 개발 지침 및 기능 표준화

NDL 장서관리 파일럿 시스템 개발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NDL 공간전략

미디어 스튜디오 공간 디자인 및 운영 방식 연구

새로운 열람서비스 구축방안

현황 분석 및 국내외 사례조사

홍보동영상 제작

표준 메타데이터 모델 및Semantic Language연구 개발

× × × ×

[표 Ⅷ-3] 타 과제와정보소외계층의추진과제와의연관성분석

[표Ⅷ-2] 정보소외계층의배려요소

다. 설문조사분석

본 과업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정책에 직접적인 반영이 가능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한 점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물론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설문 문항

에 포함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은 명확하지만 고도의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일반적 설문 문항만 포함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다만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유형에 대

한 질문은 본 과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정보문해교육을 지적

한 것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지만 도서관 이용교육보다 평생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비율

이 높게 나온 것은 다소 의외의 결과이다. 중앙도서관이 일반국민의 평생교육서비스를 제

공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통상적으로 각 지역의 공공도

서관이나 전문도서관에서 담당해야 할 서비스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결혼 이주민이나 새터민과 같이 일부 정보소외계층의 경우 별도의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

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만큼 부분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다.

1.2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기본방향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계획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시한 추진과제는 다음과 같다.

- 제1과제 : NDL 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구분 시설적 배려 기기적 배려 인적 배려 비고

장애인 ◯ ◯ ◯

노인 ◯ △ —

수급권자 — — ◯

해외이주노동자 — — △ 교육

새터민 — — — 교육

결혼이민자 — △ △ 교육

<자료>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3

※(정보소외계층 유형별 배려, ○는 필수, △는 선택, —는 관10련성 약함)

Page 103: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05204

부 추진과제로 다음의 네 가지를 설정한 바 있다.

●장애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노령인구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소수계층 유형별 콘텐츠 대상과 범위 선정

마지막 과제인 소수계층 유형별 콘텐츠 대상과 범위 선정은 별도 과제 중 하나인 정보소

외계층 콘텐츠 개발 과제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포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 중에서 장애인과 노인의 기능적 요건은 실질적으

로 같다고 보아야 한다.

이를 종합하여 본 과업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과제로 다음의 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장애인 및 노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 도출

장애인 및 노인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은 다음과 같다.

●문자의 음성출력이 가능한 Text기반 포털

●화면확대, 문자/화면 색상 조절, 볼륨 조절 기능

●이미지로 제공될 경우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도록 텍스트 설명(ALT

태그)제공

●마우스 기능을 대체할 키보드 명령어 입력 기능

●동영상/음성 콘텐츠 제공 시 상세한 자막이나 수화, 장면해설 제공

●그 외 음성인식, 수화번역 등 최신 정보기술의 적용

이주민 포털 구현을 위한 기능적 요건은 다음과 같다.

●NDL이용안내와 검색기능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기능에 대한 주요 외국어 및 주요 이

주민 국가 언어 적용

●새터민과 중국계 조선인과 같이 한국어에 대한 읽기는 가능하겠지만 어휘에 대한 이

해가 부족한 이주민을 위한 용어사전 기능

나. NDL IC환경에서의 서비스개발

본 과업에서 다루어져야 할 내용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이다.

이주민(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및 새터민)으로 이들 계층과 추진과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Ⅷ-4] 정보소외계층유형과의연관성분석

※ ◎ : 연관성 매우 높음 ○ : 연관성 있음 × : 연관성 없음

가.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유형과의 연관성 분석

본 과업에서는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를 시설, 콘텐츠 및 서비스로 분류한바 있다. 이들

서비스의 유형과 추진과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표 Ⅷ-5] 정보소외계층서비스유형과의연관성분석

※ ◎ : 연관성 매우 높음 ○ : 연관성 있음 × : 연관성 없음

1.3 NDL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환경에서의 서비스 개발

가. NDL포털환경에서의 서비스개발

전술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p234-237)에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세

결론

구분이용자 시나리오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 디자인및 시설계획

장애인

노인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주민

새터민

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

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구분이용자 시나리오분석을 통한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정보소외계층콘텐츠 개발

정보소외계층전용공간 디자인및 시설계획

시설

콘텐츠

서비스

NDL포털과인포메이션코먼스

환경에서의서비스개발

Page 10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07206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한 각종 편의시설의 제공, 마지막으로 시각이나 청각 장애인 등 특수 장애인

을 위한 별도의 보조기구 활용 등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뿐이다. 이 중에 첫 번째를 제외하고는 대

부분 뒤에서 다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정보상담 서비스를 자료 탐색 기능에 국한하여

다루기로 한다.

장애인과 노인의 정보상담서비스로는 전문 전담 사서를 배치하고, 장애 유형별 알맞은 보조기

기의 효율적 활용 및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의 도입이다.

기타 서비스 계획으로는 장애인과 노인들에게 도서관 이용에 관해서 알리는 PR과 관내 서비

스, 대면 낭독 서비스, 참고봉사가 있다.

이주민들을 위한 정보 상담 서비스는 원칙적으로‘이들이 원할 경우’에만 국한하여야 한다. 과

도한 관심이 오히려 심각한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불러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들만을 위해 전

용 상담 창구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IC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데스크 요원만으로 이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에 있다.

결국 이들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정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시설

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운영상의 적절한 대응에 달려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들을

위한 별도의 전담 서비스는 장애인이나 노인과는 달리 필요하지 않다고 보아야 한다. 원칙적으로

NDL을 방문할 수준이라면 어느 정도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는데 큰 장애물은 없다고 보아야 하

기 때문이다.

B. NDL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

NDL 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에서 장애인을 위한 정보상담서비스로는 수화상담, 전문가 상담,

분야별 상담사례제공이 있으며 노인들을 위한 정보상담서비스로는 온라인 참고서비스개발과 상

담서비스와 인터페이스 개발이 있다.

결혼이주민은 해당국가 대사관 및 문화원 링크 시스템, 카페 및 블로그 설치 지원이 있으며 외

국인 근로자는 외국인 근로자 관련 판례 제공 서비스와 비자 및 국적 취득 가능성 테스트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가 있다.

새터민은 새터민 일촌 맺기 운동, 교육용 교재 제공 서비스가 있다.

②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 교육서비스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이주민을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노령인구를 위한 정보서비스 실시

세부계획상의 추진과제별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이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표 Ⅷ-6] 세부계획상유형별정보서비스세부추진과제

위의 표를 통해 3가지의 정보소외계층 유형별로 각각 정보상담 서비스/ 리터러시 프로

그램 교육 서비스/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주요 과제

목표임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멀티미디어 관련된 부분은 콘텐츠 개발 부문과 중복되는

면이 없지 않으나 콘텐츠의 개발부분을 제외하고 효과적인 관리 및 대출/반납 시스템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다루기로 하겠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IC 및 NDL포털의 정보 상담 서비스

-정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교육 서비스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서비스

각각의 서비스를 다루면서 정보소외계층의 모든 유형에 공통적인 사항을 먼저 다루고

계층별로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별도로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① IC 및 NDL포털의 정보 상담 서비스

A. IC의 정보상담서비스

IC의 정보상담서비스의 기본방향을 열린공간과 프라이버시로 잡았으며, IC의 정보상담서비스

는 프라이버시의 확보 여부에 따라 장애인 및 노인/이주민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과 노인이 NDL을 방문할 경우 이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 서비스는 일반인의 경우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다만 이들이 원하는 자료를 빠르게 찾아주는 기능과 공간 내에서의 이동에

장애인 이주민 노령인구

온라인 및 오프라인정보상담 서비스

IC 및 NDL포털의 정보상담 서비스 IC 및 NDL포털의 정보상담서비스

장애인 정보리터러시 프로그램

이주민 정보리터리시 교육 프로그램 노령인구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

장애인 멀티미디어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이주민을 위한 멀티미디어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노령인구를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

Page 105: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09208

한다.

– 평생교육프로그램

노인을 위한 평생 교육 프로그램을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만 노인들의 경우 평균수명의 증가로 정보 취득에 대한 욕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국가도서관으로서 일정 부분 이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이나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까지는 적

용이 가능할 것이다.

결혼 이주민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원칙적으로 정보 취득 능력을 고양시

킬 수 있는 컴퓨터 및 디지털 기술 활용에 국한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노인과 마찬가지로 외국인 근로자 및 결혼 이주민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경우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보 서비스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③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 및 대출/반납서비스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계획으로는 전용 창구 및 사서의 배치, 일반 멀티미디어 열람실 이용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자료열람, 대출 및 반납 절차의 최대 축소, 일반 열람실의 최소 좌석

유지 제도의 실시를 계획한다.

1.4 이용자 시나리오 기반 정보서비스 지침 개발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 시범사업에 있어 이용자 시나리오 분석에서의 정보소외계층 관련 서비

스를 분석해보면 다음 같으며, 이 분석을 토대로 정보서비스 지침개발을 했다.

서비스 구분

공통서비스

컴퓨터 열람서비스

이동수단

회원 인증

이용안내

입실 및 퇴실

로비검색용PC를 이용

인쇄

장애인 및 노인의 Sit 검색(좌석에 앉아서 원문과 브라우저 등의 열람을 동반한검색 수행)

복사카드 결재방법(장애인, 노약자)

점자용 프리터 및 네트워크 프린터(장애인, 노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장애인을 위한 콜 밴 운영

장애인의 회원인증 없이 입실

정신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노인, 외국인이 사람에게서 안내받을 경우

외국인이 미리 통역신청을 못했을 경우

장애인, 시각장애인, 외국인이 PDA를 이용해 안내받을 경우

외국인이 요청한 언어로 된 PDA가 없을 경우

장애인, 노약자, 외국인이 안내판을 이용해 안내받을 경우

장애인이 개인소지품을 사물함에 넣은 뒤 입실

장애인을 위한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으로는 다음과 같다.

– 평생학습욕구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

컴퓨터 활용 및 인터넷 이해와 같은 지식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정보해득력, 노동기회 확대와 노동

시장에의 통합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 시민의식 고취와 촉진하기 위한 시민교육 등을 실시한다.

– 인터넷 교육

청각장애인과정은 청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로서, 강사가 직접

강의와 수화를 동시에 진행하여 장애인 정보접근성에 대해 충분히 배려함으로써, 컴퓨터를 쉽게 이

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컴퓨터 사용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기초적인 컴퓨터

조작능력부터 컴퓨터 관리에 이르는 다양한 PC활용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컴퓨터 운영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기초적인 작동원리를 익힘으로써 자신의 컴퓨터를 최

적화하여 컴퓨터 기초 및 활용을 마스터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장애인과정은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를 통해 인터넷 사용법을 학습

하여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 장애인용 전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스환경이 아닌 윈도우 환경에서 정보검색, 문서작성,

인터넷 활용 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노인을 위한 정보리터리시 프로그램으로는 다음과 같다.

– 지식정보를 활용한 학습프로그램

컴퓨터 활용에 관한 교육, 인터넷 이해와 이용에 관한 교육, 도서관 이용지도, 독서법 지도, 독서

회 운영의 지도 및 지원, 독서토론회 개최, 종이문화와 디지털세계의 이해, 언어(한글, 한자, 외국

어)습득기회의 제공, 생활법률의 강의 및 상담교실, 고향 및 동창회 홈페이지 탐방과 이용, 유네스

코 문화유산의 이해 등을 제공하여 준다.

– 교육서비스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대부분 PC가 널리 보급되기 이전에 퇴직하거나, 학교나 직장에서 인터넷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던 연령층이다. 이에 비해 인터넷 비이용자들의 교육에 대한 참여의

식은 대단히 높다. 인터넷 접근 및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수적인데, 현재 노인층을 대상으

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은 기회측면에서나 교육 내용 및 효과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노화

는 인지능력의 변화를 가져오고, 노인층은 전형적으로 젊은이보다 컴퓨터 학습이 느리고 더욱 많은

보조와 실습을 필요로 하므로, 교육의 유형과 내용 교재의 설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인터넷 사용법과 활용법을 중심으로 한 리터리시 프로그램을 계획하도록

Page 106: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제8장 결론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11210

일부 감안되었다.

이주민을 위한 글로벌라운지 공간은 여러 차례의 검토 끝에 지하3층의 로비 부분으로

결정하였다. 지하2층의 경우 주출입문 주변에 해당시설을 배치할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점과 외국인 근로자가 주로 버스나 전철을 이용하여 도서관을 방문할 것으로 예

상되므로 동선상 지하3층이 지하2층보다 수월하게 접근이 가능한 점도 고려되었다. 이에

비해 무엇보다도 회원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라도 접근이 가능한 최적의 장소라는 점

이 최우선적으로 감안된 결과이다.

이 공간을 이용하는 이주민들은 해당국가의 정보를 여러 가지 시설과 장비를 이용하여

볼 수 있으며, 위성채널을 통해 해당국가의 언론매체까지 이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안하고

자 한다.

다. 정보소외계층 시설계획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시설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특별팀을

2007년 10월부터 11월까지 운영하였다. 이 팀은 외부 전문 회사와의 협조를 통해 국립디

지털도서관에서 구현 가능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검토를 거쳤으며, 특

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등 정보소외계층별 연구기관 및 지원단체의 자문과 국립 장애인

도서관 지원센터 등 국립중앙도서관의 내부 전문가와의 자문을 거쳤다.

2. 정책제언

정보소외계층을 위해 NDL에서 이루어져야 할 서비스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다.

첫째, 국가의 대표 디지털 도서관으로서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배려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는 이미지를 대외에 각인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인 콘텐츠나 매체 및 시설은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전문도서관이 더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이들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의 이미

1.5 정보소외계층 콘텐츠 개발

가. 장애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장애인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과 유관단체 콘텐츠 보유현황 분석을 통해 장애인용 독자

개발 콘텐츠를 제안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3세계 문학 전집 발간 및 신간 목록 콘텐츠를 개발한다. 청각장애

인을 위해 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스포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한다.

나. 노인용 콘텐츠 개발계획

노인용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을 통해 노인용 독자 개발 콘텐츠를 제안한다. 디지털족보

콘텐츠의 제공과 신문자료 콘텐츠의 개발 및 고서 전문 콘텐츠를 개발한다.

다. 이주민용 콘텐츠 개발계획

이주민 선호 콘텐츠 유형 분석과 유관단체 콘텐츠 보유현황 분석과 이주민용 장서 구입

을 위한 대상국가의 설정 및 이주민 장서구입 절차 지원방안 모색한다.

1.6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및 시설계획

가. 기존 설계안 분석

도서관법과 장애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서의 관련 규정에서 살펴본 장

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의 설치기준에 맞춰 기본설계 및 시설설계에 반영되어 있는 설계

안을 검토하였다.

나. 정보소외계층 전용공간 디자인 계획

최종적으로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공간을 지하2층의 통로 주변으로 제안하였다. 위치

및 기능 결정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무엇보다도 화재 등 긴급상황 시 대피가 수월한 지역

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전문 헬프 데스크의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열람이 수월한 점도

Page 10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212

참고문헌

지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시설적인 무장애 개념보다는 무형적인 무장애 개념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아무리 정보소

외계층을 위한 시설을 잘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이 실제 방문하여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을

느낀다면 아무도 이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인과 비교할 때 정보소외계층이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전문요원의 양성이나 자원봉사자의 충원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비스 구축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하

기 편리한 시설과 보조 장치는 더욱 발전할 것이다. 유연성 있는 집행계획에 의거, 순차적으로 이

런 기술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 계획이 제시되어야 한다.

Page 108: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참고문헌

정보소외계층서비스

215214

『Global E-Goverment 2006』, 브라운대학교, 2006

http://sigak.nl.go.kr/nl

www.hsnwel.or.kr

www.kmdeaf.pe.kr

www.nlv.gov.vn

www.nlp.gov.ph

www.nlt.go.th

www.pnri.go.id

www.pmis.gov.mn

www.natlib.lk

www.natlib.nz

www.nlp.gov.pk

www.nanl.gov.bd

www.nnl.gov.np

www.mohw.go.kr

www.mct.go.kr

www.kosad.or.kr

www.bok.or.kr

참고문헌

김선호,『공공도서관의 노인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3권 제4호, 2002

정재영,『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

학회지, 38(1):70, 2007

김용득, 김미옥,『이용자 참여의 개념 구조 : 한국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한국사회복지학, 59(2) :

40-41, 2007

LG CNS 국립디지털도서관 운영전략 세부계획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2006, pp363

『국내외 행정기관의 웹 접근성 준수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KADO 이슈리포트 통권

31호

『2005 웹 접근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

『새터민의 문화갈등과 문화적 통합방안』, 통일연구원, 2006

『여성결혼이민자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조용완,『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

2007

박영배 외저, 『멀티미디어 개론』, 2003

『남북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 접근방안』,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12

Susan Beatty,『Collaboration in an Information Commons : Key elements for successful

support of eliteracy』, ITALICS, 5(4):234, 2006

Betty,S., White, P.2005. "Information Commons: Models for eLibrary and the Integration of

Learning."Journal of eLibrary, 2(1):2-14

Laurie A.MacWhinnie. 2003. "The Information Commons: The Academic Library Of The

Future." portal : Library and the Academy, 3(2):241-257

Diane Dallis. Carolyn Walters. 2006. "Reference service in the commons environment."

Reference Services Review. 34(2) : 255-257

Donald Beagle. 2004.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 Envisioning the Information

Commons' Future: Conference Refort." Library Hi Tech News, 21(10):4-6.

Page 10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 총서3. 디지털장서관리및연구개발 |

책임연구원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이수상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서태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전략팀 책임연구원)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조용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김정숙 김초롱 변아영 서옥연 최원찬 이순영 위성광 이경화

한현진 원시내 조현석 조명대 장인호 이유진 장원홍

자 문 위 원 | 김영기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홍기 (서울대학교 치의학과 교수)

| 총서4. 디브러리이용자공간구축 |

책임연구원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김성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황옥경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최철영 (삼성전자(주) 차장)

김정아 (삼성전자(주) 책임) / 민경섭 (삼성전자(주) 책임)

김경태 (삼성전자(주) 선임) / 이혜연 (중앙디자인(주) 상무)

박지훈 (중앙디자인(주) 과장) / 정미영 (중앙디자인(주) 주임)

고범창 (엔터엠 이사) / 성시애 (중앙대학교대학원 기록관리학 석사)

길영은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원) / 오세훈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과장)

김규환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 박찬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이미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임정길 이준우 김정심 정수진

자 문 위 원 | 이공희 (국민대 건축공학과 교수) / 정찬근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원장)

| 총서5. 정보소외계층서비스 |

책임연구원 |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고범창 (엔터엠 이사) / 성시애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석사)

김경태 (삼성전자(주) 선임) / 김창환 (삼성전자(주) 선임) / 이혜연 (중앙디자인(주) 상무)

박지훈 (중앙디자인(주) 과장) / 정미영 (중앙디자인(주) 주임)

정무영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과장) / 김규환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박찬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 / 이미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사)

보조연구원 | 김정심 정수진

자 문 위 원 | 최두진 (정보문화진흥원 정보격차해소연구센터장)

이영숙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지원센터 사무관) / 김정호 (엑스비젼테크놀로지 이사)

홍경순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팀장) / 이완우 (나사렛대학교 교수)

「2007 디브러리 총서」를 만든 사람들

총 괄 |최경호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단장)

실무팀 |조영주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사무관)

박현주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전문연구관)

박진호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전문연구관)

류희경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주무관)

박수현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 사서실무관)

지원팀 |여위숙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정보화담당관)

김수미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전산주무관)

박신정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전산주무관)

박일심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사서주무관)

홍영아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담당관실 사서실무관)

추진팀 |총괄책임 양수형 (삼성전자(주) 솔루션사업그룹장)

총괄PM 복준성 (삼성전자(주) 차장)

부문PL 김미희 (삼성전자(주) 선임) / 김희석 (오티앤씨(주) 이사)

최현정 (유니닥스(주) 차장)

지원총괄 임진환 (삼성전자(주) 솔루션영업그룹장)

| 총서1. 디브러리포털사이트모형개발 |

책임연구원 | 조현양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최재황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박영호 ((주)오티엔씨 부장) / 이혜영 ((주)오티엔씨 과장)

연구보조원 | 윤세진 장혜정 정의석 최선희 권욱일 서정민

자 문 위 원 |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총서2. 이용자시나리오연구개발 |

책임연구원 | 노동조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 구 원 | 박영호 ((주)오티엔씨 부장 / 윤세진 ((주)오티엔씨 과장)

이혜영 ((주)오티엔씨 과장 / 장혜정 ((주)오티엔씨 대리)

연구보조원 | 정의석 권욱일 서정민 박지훈 김경태 변지수

자 문 위 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Page 110: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디브러리 총서 5

정보소외계층 서비스

2007년 12월 22일 인쇄2007년 12월 31일 발행

발행처 국립중앙도서관 국립디지털도서관준비기획단주소 서울시 서초구 반포로 664전화 02 590 0747

전송 02 590 0571

제작·편집 페덱스킨코스코리아

ISBN 978-89-7383-237-8 94020

978-89-7383-232-3(세트)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