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Part I - The Origin of Life 생생생 생생 A person probing the universe he lives in will encounter two hundred fifty billion galaxies each the home of about three hundred billion stars. Every one of these magnificent systems operate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laws and in a particular order. There is a plan, a design, and a balance in every part of the universe. 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 3000생 생생 생생 생생생생 2500생 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생 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The earth occupies a miniscule part of this vast universe and it too has a perfectly-designed system incorporating extremely complex and delicate balances. Unlike any other known heavenly body, its atmosphere and its surface support life. Water, which covers the biggest part of the earth’s surface,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life. The temperature range, orbital properties, and surface of the earth all demonstrate that this planet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life. 생생생 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 생 생생, 생생 생 생생 생생 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생생생 생 생 생생 생생. This unique planet of ours is the home of an incredibly complex and comprehensive vitality. Millions of different plant and animal species live on earth in perfect harmony. This harmony is so perfectly established that it is capable of surviving intact unless deliberately intervened in by human beings. But how did these systems and living things originate? 생생생 생생생 생 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 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 생 생생생 생생생. When living things on earth are examined, a manifest design is to be observed. Every living thing is furnished with extremely complex systems that enable it to play its role in the overall system to the best of its ability. 생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 생생생생 생생생 생생생생생 생생 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생생 생 생생생 생생생. Since life is planned, designed, and organized, it certainly must have a Creator. And that Creator has been introducing Himself to mankind since the beginnings of the world. He is Allah, the one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Part I - 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A person probing the universe he lives in will encounter two hundred fifty billion galaxies each the home of about three hundred billion stars. Every one of these magnificent systems operate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laws and in a particular order. There is a plan, a design, and a balance in every part of the universe.

인간이 살고 있는 우주를 규명하다 보면 각각 3000억 개의 별로 이루어진 2500억 개의 은하수를 만나게 된다. 이 거대한 조직들은 각각 특정 법칙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우주의 모든 조직에는 다 조직이 있고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나름의 법칙이 있다.

The earth occupies a miniscule part of this vast universe and it too has a perfectly-designed system incorporating extremely complex and delicate balances. Unlike any other known heavenly body, its atmosphere and its surface support life. Water, which covers the biggest part of the earth’s surface, is one of the basic elements of life. The temperature range, orbital properties, and surface of the earth all demonstrate that this planet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life.

지구는 이 거대한 우주에서 극히 작은 부분이지만 우주의 복잡한 질서 속에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우주의 다른 구성물들과는 달리 지구의 대기와 대지는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대부분은 물로 덮혀 있는데 물은 생명체의 가장 기본 요소 중의 하나이다. 지구의 온도, 자전 및 공전, 지각 이 모든 것은 이 행성이 생물체가 살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This unique planet of ours is the home of an incredibly complex and comprehensive vitality. Millions of different plant and animal species live on earth in perfect harmony. This harmony is so perfectly established that it is capable of surviving intact unless deliberately intervened in by human beings.

But how did these systems and living things originate?

우리의 독특한 이 행성은 포괄적으로 말하여 이 지구상의 복잡한 구조를 가진 온갖 생명체들의 고향이자 집이다. 수백 만개의 동물 종들은 지구 상에서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살고 있다. 이런 조화는 아주 완벽하여 인간에 의해 고의로 방해 받지만 않았다면 각각의 생물체들이 손상되지 않고 살 수 있었을 것이다.

When living things on earth are examined, a manifest design is to be observed. Every living thing is furnished with extremely complex systems that enable it to play its role in the overall system to the best of its ability.

지구상의 생물체들을 살펴보니 어떤 분명한 형태가 관찰되었다. 각각의 생물체들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구조들로 인하여 생물체들은 생물 조직 체계 안에서 가장 최적의 기능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Since life is planned, designed, and organized, it certainly must have a Creator. And that Creator has been introducing Himself to mankind since the beginnings of the world. He is Allah, the one and only God, Who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from nothing and Who fashioned everything therein.

Page 2: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생물체가 구성되고 조직되면서부터 아마도 생물체의 구성과 조직을 만들어줄 창조자가 존재했을 거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 창조자는 이 세상이 시작될 때 인간에게 자신을 알려왔다. 그 창조자가 바로 하나님(알라)이며 유일신으로서 무에서 이 세상을 창조했고 모든 것을 만드셨다.

The theory of evolution that was advanced in the 19th century denies this evident fact of creation. This theory holds that the species on earth were not created by God but came into being as a result of processes governed entirely by chance.

진화 이론은 19세기부터 거론되기 시작했는데 이 이론은 생명체가 창조된 것임을 부정한다. 이 이론은 지구상의 모든 종들이 신에 의해 창조된 것이 아니라 우연에 의한 과정의 결과물로 나온 것이라 주장한다.

The founder of this theory was an amateur naturalist named Charles Darwin. Darwin expounded this theory in his book The Origin of Species, which was published in 1859.

이 이론의 창시자는 찰스 다윈이라는 자연주의자인데 다윈은 1859년에 출판된 자신의 저서인 ‘종의 기원’에서 이 이론을 밝히고 있다.

Darwin’s book was an instant success. But its popularity was due more to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book rather than its scientific worth. Darwin’s ideas provided considerable support for the materialistic philosophy, which denied the existence of God. The founder of dialectical materialism, Karl Marx dedicated his book Das Kapital to Darwin and wrote on the cover: “To Charles Darwin, From a devoted admirer”.

다윈의 저서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그 명성은 과학적 가치라기보다는 이상적인 암시와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다윈의 생각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유물론에 의해 크게 지지를 받았다. 변증법적 유물론자인 마르크스는 그의 저서 ‘Das Kapital’을 다윈에게 헌정하였다. 그의 책 표지에는 ‘다윈에게, 당신의 열렬한 추종자로부터’라고 쓰여있었다.

Darwin’s theory argued that all species descended from a common ancestor by means of little cumulative changes at long periods of time. Darwin could advance no sound evidence to prove this claim. Indeed he was himself aware of the great many facts that invalidated his theory. He admitted these in his book in a chapter entitled “Difficulties on Theory”. Darwin’s hope was that these difficulties would be overcome by new scientific discoveries. But in fact, advances in science would refute Darwin’s claims one by one.

다윈의 이론에 의하면 모든 종들은 공통의 조상에서 출발한 오랜 기간에 걸쳐진 변화의 결과로 내려온다고 한다. 다윈은 이 주장을 입증할 증거들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 못했다. 참으로 그는 스스로 그의 이론이 성립되지 않은 많은 요소들을 알고 있었다. 그는 그의 저서에서 ‘이론에 있어 차이점’이라는 장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인정하고 있다. 다윈은 이러한 차이점이 새로운 발견으로 극복되길 희망했다. 그러나 사실상 과학의 발전이 다윈의 주장을 하나씩 반박하고 있다.

Darwin proposed that all species evolved successively from a common ancestor.

But how did that first living thing come into being?

다윈은 모든 종이 하나의 조상에서 시작, 진화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어떻게 하나의 생물체가 모든 종의 기원이 될 수 있는가.

Darwin did not address this question at all in his book. He was not even aware that this point was one of the biggest refutations of his theory. The primitive understanding of science in his day assumed that life had a very simple structure. According to a theory called “spontaneous generation”,

Page 3: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which was popular since the medieval age, it was believed that living things could easily arise from non-living matter. It was commonly thought that frogs spontaneously arose from mud and bugs from food leftovers. And some curious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prove these theories. A handful of wheat was left on a rag and mice were expected to arise from the mixture.

다윈은 그의 모든 저서에서 이러한 의문점에 대해 기술하지 않고 있다. 그는 심지어 이 문제가 그의 이론에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조차 알지 못했다. 그가 살던 시대의 과학에 대한 이해는 매우 초보적으로 생물체의 구조가 아주 단순하다고 추정했던 시기였다. 중세에 유행이었던 소위 ‘자연 발생’이라는 이론에 의하면 생물체는 무생물체에서 쉽게 생성될 수 있다고 믿었다. 개구리가 진흙에서 생겨나고 벌레가 음식 찌꺼기에서 생겨난다는 것은 그 당시 흔한 생각들이었다. 그리고 이런 이론을 증명하기 위한 몇몇 호기심 어린 실험이 행해졌다. 누더기에 쌓인 한 줌의 밀과 쥐가 서로 결합되어 진화할거라고 믿었다.

The maggots on meat were also taken as evidence that life could generate from non-living matter. But later it was understood that such maggots did not form spontaneously but that they emerged from microscopic larvae deposited on the meat by flies.

음식 속의 구더기 역시 무생물에서 생물체가 생겨날 수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후에 이 구더기들이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니라 그 음식 속에 있던 미생물에서 나타난 것임이 밝혀졌다.

And in Darwin’s time, the belief that microbes could emanate easily from non-living materials was very common.

그리고 다윈이 살던 시기에는 미생물이 무생물에서 쉽게 생성된다는 생각이 흔하게 받아들여졌다.

But five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Origin of Species, the famous French biologist Louis Pasteur scientifically refuted these myths that lay ground for evolution. Pasteur, after lengthy studies and experiments, reached this very important conclusion

그러나 ‘종의 기원’이 출판된 지 5년 후에 프랑스의 저명한 생물학자인 루이 파스퇴르는 진화에 관한 이러한 미신을 반박했다. 파스퇴르는 오랜 연구와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Can matter organize itself? No. Today there is no circumstance known under which one could affirm that microscopic beings have come into the world without parents resembling themselves. (Louis Pasteur, Fox & Dose, Origin of Life, p. 4-5)

자체적으로 발생이 가능한가? 그렇지 않다. 부모를 닮지 않은, 즉 부모 없이 생성되는 생물체는 없다.

(루이 파스퇴르, Fox & Dose, 생명의 기원, p. 4-5)

The first evolutionist to take up the issue of the origin of life in the 20th century was the Russian biologist Alexander Oparin. His aim was to explain how the first living cell, the alleged common ancestor of all living beings according to the theory of evolution, could emerge.

20세기 들어 생명의 기원에 관한 주제를 끌어난 진화론자는 러시아인 생물학자인 알렉산더 오파린이었다. 그의 목적은 진화론에 의한 생물의 시작이 되는 가장 기본 단위인 생물 세포가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In the 1930s, Oparin formulated a number of theories to show how the first living cell could arise from inanimate matter by chance. However, his efforts ended in failure and Oparin himself had to confess:

Page 4: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1930년대에 오파린은 무생물에서 초기 생물 세포가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보여주는 일련의 이론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고 오파린은 이렇게 말하였다.

Unfortunately, the origin of the cell remains a question that is actually the murkiest aspect of the whole theory of evolution. (Alexander Oparin, Origin of Life, p. 196)

불행히도 세포의 기원에 관한 문제에서 진화론에 관한 측면은 여전히 의문 사항으로 남는다.

Evolutionists that followed Oparin conducted experiments to find an evolutionist explanation to the origin of life. The most famous of these experiments was conducted by the American chemist Stanley Miller in 1953. Miller obtained a few simple organic molecules by triggering a reaction among gasses that he claimed would have been present in the primitive earth atmosphere.

오파린의 이론을 따르는 진화론자들은 생명의 기원을 진화론적 측면에서 설명해주는 실험을 행했다. 이 실험들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미국의 화학자 스탠리 밀러가 1953년에 행한 것으로 , 밀러는 초기 지구의 대기의 성분이라 주장되는 아주 단순한 구조를 가진 공기 중의 유기 분자를 얻었다.

At the time, this experiment was regarded as a scientific proof for evolution. It turned out to be no such thing at all. Later discoveries showed that the gass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gasses that had been present in the early atmosphere of the world. Miller himself eventually admitted to the invalidity of his experiment.

그 당시 이 실험은 진화론의 과학적인 증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 실험은 아무런 입증을 못 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후에 이루어진 발견에서 보면 실험에 사용된 공기는 지구 생성 초기의 대기와는 매우 다른 것으로 판명되었다. 밀러 자신도 결국 그의 실험이 아무것도 입증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Every evolutionist attempt in the 20th century to account for the origin of life has ended in failure. Jeffrey Bada, a professor of geochemistry and a leading advocate of the theory of evolution, confesses this fact in the February 1998 issue of Earth, one of the leading periodicals of evolutionist literature:

모든 진화혼자들이 20세기 들어 생명의 기원에 대해 설명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진화론의 주창자인 제프리 바다라는 지구화학자는 유명 진화론 학회지 중의 하나인 ‘지구의 이슈’1998년도 2월 판에서 다음과 같이 고백하고 있다.

Today as we leave the twentieth century, we still face the biggest unsolved problem that we had when we entered the twentieth century. How did life originate on Earth? (Jeffrey Bada, Earth, Feb. 1998)

오늘날 20세기에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커다란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지구상에서 생명체는 어떻게 탄생되었는가.

The biggest impasse confronting evolution is the incredibly complex structure of the living cell.

Every living thing on earth is made up of cells about a hundredth of a millimeter in size. Some living things are made up of a single cell. Yet even these single-celled organisms are remarkably complex in their composition. They have complicated functions to survive and even little motors to move.

진화론에 있어 가장 큰 곤경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생물체가 너무나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은 매우 미세한 크기의 세포들로 형성되어 있다. 몇몇 생물은 단세포 생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단세포 생명체도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들은 복잡한 작용을 통해 생존해나간다.

Page 5: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In Darwin’s time, this complex structure of the cell was unknown. With the primitive microscopes of those days, cells appeared to be little more than featureless stains. However, powerful electron microscopes invented around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began revealing just how complex and organized a living cell really was. They laid bare a complexity and organization that could not be a product of chance.

다윈이 살던 시대에는 세포의 이러한 복잡한 구조가 알려지지 않았었다. 이 시기의 초기 현미경으로는 세포란 그저 형태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20 세기 중반 들어 성능이 뛰어난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생물 세포의 구조가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지 밝혀지기 시작했다.

A living cell is comprised of thousands of tiny parts that work in harmony. To make a comparison, within the cell there are power-stations, high-tech factories, a complex databank, huge storage systems, advanced refineries, and a seemingly conscious cell membrane that controls what enters and leaves the cell.

살아있는 세포는 수천 개의 작은 부분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비교를 하자면 세포막 세포 속에는 동력을 내는 부분, 높은 기술을 가진 공장, 복잡한 이론 창고, 저장 시스템 등등의 역할을 하는 부분들이 모두 있어서 세포 속에 들어오고 나가는 모든 것들을 관리하고 있다.

In order for the cell to survive, all of these organelles have to exist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hat such an intricate and complex system could have emerged as a result of coincidences.

세포가 살기 위해서는 모든 세포기관들이 동시에 존재하여야 한다. 이렇게 복잡하고 복합적인 시스템이 우연히 나온 결과로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Today, not even the most sophisticated laboratory has been able to produce a single living cell from non-living matter. Indeed this is fully acknowledged to be impossible and efforts to produce living cells from non-living matter have been abandoned.

오늘날에도 정교하지 않은 실험실은 무생물에서 생물 세포를 추출해낼 수 없다. 참으로 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며 무생물에서 생물세포를 추출하려는 실험은 거의 포기된 상태이다.

But the theory of evolution claims that this system, which man with all the intelligence, knowledge, and technology cannot succeed in reproducing, came into existence by chance. Sir Fred Hoyle, a prominent English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explains the impossibility of this with an example:

그러나 진화론의 주장은 지능을 갖고 있고 과학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인간이 생물세포 추출에 실패한 것은 우연의 결과라고 한다. 저명한 영국인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프레드 홀레는 예를 통해 이것의 불가능함을 설명하고 있다.

The chance that higher life forms might have emerged by chance is comparable with the chance that a tornado sweeping through a junk-yard might assemble a Boeing 747 from the materials therein. (Fred Hoyle, Nature, 12 Nov. 1981)

고등 생물체가 우연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주장은 쓰레기로 휩쓸려진 토마토에서 보잉 747기를 만들 수 있는 물체들을 모을 수 있다는 말과 비교할 수 있다.

Modern biochemistry has also revealed the unimaginably complex design of the DNA molecule. The structure of the DNA molecule was discovered by two scientists, James Watson and Francis Crick, in 1955. Their discovery demonstrated that life was much more complex than anyone had previously

Page 6: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envisioned. Himself a confirmed evolutionist, Francis Crick, who received a Nobel prize for this discovery, came to confess that a structure like DNA could never have emerged by chance.

모뎀 생화학은 또한 DNA의 복잡한 구조를 밝혀냈다. DNA의 분자 구조는 1955년에 제임스 와트슨과 프랜시스 크릭이라는 두 과학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생명체가 이전에 상상하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확고한 진화론자였던 프랜시스는 이 실험으로 노벨상을 수상하였는데 그는 DNA같은 구조가 우연으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고백하였다.

DNA is a giant molecule that exists in the nucleus of the cell. Every detail of a living being’s physical and physiological makeup is coded in this double helix. All the information about our bodies from the color of our eyes to the structure of our internal organs and the shape and functions of our cells are programmed in sections called “genes” in the DNA.

DNA는 핵 속에 존재하고 있는 거대한 분자이다. 모든 생물체의 세부 구조에 관한 코드가 이 두 개의 나선형 구조 속에 존재하고 있다. 눈동자의 색에서 내부 장기 구조, 세포의 형태와 기능 등에 관한 우리 몸의 모든 정보가 DNA 속의 유전인자 속에 존재하고 있다.

The DNA code is made up of the sequence of four different “bases”. If we think of each one of these bases as a letter, DNA can be likened to a databank made up of an alphabet of four letters. All the information about a living thing is stored in this databank.

DNA 코드는 4 가지 다른 기본 구조의 연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본 구조들을 글자로 비유하여 생각해보면 DNA는 4글자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창고에 비유될 수 있다. 생명체에 관한 모든 구조들은 이 데이터 은행에 저장된다.

Of course, such an amazing structure could never have been formed by chance.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sees life as the result of mere coincidences and haphazard happenings is helpless to explain anything in the face of the incredible complexity of DNA.

물론 이런 놀라운 구조가 우연으로 구성될 수는 없다. 생명체가 단순한 우연의 일치로 인한 것이라는 진화의 이론은 DNA의 믿을 수 없을 만큼 정교한 구조에 대해 그 어떤 것도 설명해줄 수 없다.

It is evident that the DNA, the cell, and all living beings are products of an exalted and perfect creation. And since such a creation truly exists, then there must also be a Creator, Who has an eternal power, knowledge, and wisdom.

DNA와 다른 모든 생물체는 고귀하고 완벽한 창조물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리고 이런 창조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절대적인 힘을 가진 창조자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Whatever living being we observe in nature, we behold what great power the Creator has. Each of the millions of living things and species in nature is a work of art. And like every work of art, they introduce to us the artist to whom they owe their existence. That is Allah, the Lord of the earth, the heavens, and all that is in between.

우리가 자연의 어떤 존재를 관찰하던 간에 우리는 창조주의 놀라운 힘에 직면하게 된다. 자연상의 수백만 이상의 생물체와 종들은 예술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예술 작품이 그러하듯이 자연은 우리에게 그들의 존재를 있게 한 예술가를 말해준다. 그 예술가가 바로 알라(하나님)로 그는 세상의 주인이며 우리 가운데에 계신다.

Part II - Imaginary mechanisms of evolution

Page 7: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진화의 가공의 메커니즘

The evolutionist scenario that “life generated from non-living matter by chance” is disproved by science today. In addition, there is no mechanism in nature to carry out the alleged process called “evolution”. There is no natural mechanism whereby a single cell can be transformed into a more complex living creature and then go on and become the ancestor of millions of different living species.

생명은 무생물에서 우연히 생겨난다는 진화론자들의 시나리오은 오늘날 과학으로 증명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자연에는 진화라고 인용할 어떤 과정이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은 찾아볼 수 없다. 어떻게 하여 단세포에서 복잡한 구조를 지닌 생물체로 변화하는지, 어떻게 그것이 수백만 다른 종의 기원이 되는지를 말해주는 자연적인 메커니즘은 없다.

Darwin proposed a single concept as his evolutionary mechanism: natural selection. The title of his book clearly reveals the importance he gave in this mechanism: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다윈은 그의 진화 메커니즘에 관하여 ‘자연의 선택, 혹은 자연적인 선택’ 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자연의 선택에 의한 종의 기원’ 이라는 그의 저서의 표제를 보면 그가 이 메커니즘에 얼마나 비중을 두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Natural selection is based on the idea that strong individuals that are well adapted to their habitats will survive. For example in a herd of deer threatened by predators, the ones that can run faster will survive. After a while, the herd will consist mostly of strong, swift individuals as the weaker and slower ones fall prey. However, this mechanism does not cause deer to evolve: it does not transform them into another species, for instance, horses. Natural selection only eliminates weak, disabled, and sick individuals and ensures the permanence and health of a particular species. It has no evolutionary power.

자연의 선택은 서식지의 적응에 성공한 강한 개체가 생존에 성공한다는 생각에 근거한다. 예를 들어 육식동물에 의해 위협받는 사슴 무리 속에서는 가장 빠르게 달릴 수 있는 사슴이 살아남는다. 얼마가 지나면 약하고 느린 사슴들은 희생되고 그 무리는 가장 강하고 빠른 사슴들로 구성될 것이다.

Darwin was also aware of this problem. This is why he confessed in The Origin of Species that

다윈은 이런 문제점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종의 기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Natural selection can do nothing until favorable variations chance to occur. (Charles Darwin, The Origin of Species, 1st. ed., p. 177)

자연은 좋은 쪽으로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는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는다

About the emergence of favorable traits, Darwin was deeply influenced by one of his contemporaries, the French biologist Lamarck. Lamarck thought that living things passed their acquired traits to future generations. In Lamarck’s view, giraffes evolved from deer like creatures. Their necks extend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s they tried to reach higher branches for food. Lamarck also believed that if the arms of the members of a family were cut off for generations, the babies would start to be born armless after a while. Darwin, who was quite influenced by these examples, came up with an even bolder claim. In The Origin of Species, he argued that some bears, while trying to hunt in water, evolved into whales.

Page 8: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우성의 발생에 관해서 다윈은 프랑스의 생물학자 라마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라마크는 생물은 그들이 획득한 특성을 다음 세대로 전달한다고 생각했다. 라마크의 견해에 의하면 기린은 사슴 같은 모습에서 진화했다고 한다. 기린의 목은 대를 거치면서 지금과 같이 가지의 과일을 따먹을 정도의 길이로 길어졌다고 한다. 그는 또한 만약 가족 구성원의 팔이 다음 세대를 위해 없어졌다면 얼마간 후에 다음에 태어나게 되는 아이는 팔이 없는 상태로 태어날 것이라 이야기했다. 다윈은 이런 예들의 영향을 크게 받아 어떤 결론에 이르게 되었는데, 종의 기원에서 그는 물에서 사냥하는 곰들은 고래로 변화된다고 이야기했다.

But both Lamarck and Darwin were wrong. Their ideas were contrary to some fundamental laws of biology. In their day, genetics, microbiology, or biochemistry did not exist at all as branches of science. The laws of inheritance were not known at all. Indeed both Lamarck and Darwin thought that hereditary traits were transferred through the blood.

그러나 라마크나 다윈 둘 다 틀린 결론을 냈다. 그들의 생각은 생물학의 기본 법칙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그 당시에는 유전학, 미생물학, 생화학은 과학의 범주로 여겨지지 않았던 시기였다. 유전의 법칙은 전혀 알려지지 않았었다. 라마크와 다윈은 유전적인 특성은 피에 의해 이어진다고 생각했다.

Due to this primitive level of science at the time, the imaginary scenarios of the theory of evolution were not looked upon as odd at all. Darwin’s theses had a great impact on the scientific circles of his day.

그 당시 과학의 초보적 수준 때문에 진화에 대한 상상의 각본은 전혀 이상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다윈의 이론은 그 당시 과학의 궤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However, Darwin was still distressed. In the chapter “Difficulties on Theory”, he wrote:

그러나 다윈은 여전히 고민했는데 그의 저서 중 ‘이론의 다른점’ 을 보면 If it could be demonstrated that any complex organ existed, which could not possibly have been formed by numerous, successive, slight modifications, my theory would absolutely break down. (Charles Darwin, The Origin of Species, 1st. ed., p. 189)

만약 어떤 복잡한 기관이 있는데 그것이 복합적이고 연쇄적인 변형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면 나의 이론은 확실하게 무너져버릴 것이다.

Darwin’s fears proved to be true soon after his death. The laws of inheritance discovered by an Austrian botanist, Gregor Mendel, caused Lamarck’s and Darwin’s assertions to collapse. The science of genetics that develop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roved that it was not acquired physical traits but only genes that were transmitted to subsequent generations.

다윈이 우려하던 바는 그의 사후에 곧 밝혀졌다. 오스트리아 식물학자인 그레고르 멘델에 의해 밝혀진 유전의 법칙에 의해 다윈과 라마크의 주장은 무너졌다. 20세기 초의 유전학은 그것이 후천적인 특징이 아니라 오로지 종을 거듭하여 전해지는 유전인자에 의한 것임을 밝혀낸 것이다.

This discovery made it clear that a scenario suggesting that acquired traits accumula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generated different living species was implausible.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inheritable variations for Darwin’s proposed mechanism of natural selection to choose from. Subsequently, the theory of evolution as advanced by Darwin has been collapsed early in the 20th century.

Page 9: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이 발견으로 후천적 특성은 세대를 거치며 전해지고 서로 다른 종들 사이에서는 전해지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른 말로 하면 다윈의 자연 선택적 메커니즘에 의해서 유전되어지는 변이는 없다는 것이다. 그 결과 다윈에 의해 발전된 진화론은 20세기 초기에 들어서는 무너지게 되었다.

All the other efforts by evolutionists in the 20th century, they did nothing but confirmed natural selection had no evolutionary power. A famous evolutionist, the English paleontologist Colin Patterson, admitted this when he said:

20세기 진화론자들의 온갖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연의 선택이 진화론에 의한 것임을 증명해내지 못했다. 고생물학자이자 유명한 진화론자인 영국인 콜린 패터슨은 이렇게 말하였다.

No one has ever produced a species by mechanisms of natural selection. No one has ever got near it and most of the current argument in neo-Darwinism is about this question. (Colin Patterson, BBC, Cladistics, 4th March 1982)

그 누구도 자연 선택의 메커니즘에 의한 종을 만들어낼 수 없다. 그 누구도 그 비슷한 흉내조차 할 수 없으며 신 다윈주의의 현 주장은 이러한 의문점을 낳는다.

Twentieth-century science ha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are systems and organs with extremely complicated and intricate mechanisms at work in living beings. These systems and organs will not function even if a single component of them is lacking. This characteristic, called the “irreducible complexity” of life is evidence that these structures must have emerged at once and fully formed. This fact definitely demolishes the evolutionist claim that living beings evolved gradually by natural selection through minor changes over time.

20 세기의 과학은 또한 생물체에게는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진 조직과 기관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들 조직과 기관들 중 한 부분만 결여가 되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특성을 소위 생명체의 감축 불능의 복잡성이라고 하는데 이런 구조는 한꺼번에 발생하여서 형성된다. 이런 사실은 진화론자들이 생명제차 자연의 선택에 의해 점진적으로 발달된다고 하는 주장에 반대되는 것이다.

When it was clear that the mechanism of natural selection proposed by Darwin had no evolutionary power, evolutionists had to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the theory.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they added a second mechanism called “mutation”

다윈에 의해 제기된 자연의 선택에 의한 메커니즘이 진화론을 뒷받침하지 못하므로 진화론자들은 그들의 이론에 근본적인 수정을 하게 된다. 자연의 선택 이론에 덧붙여 그들은 돌연변이라는 메커니즘을 추가한다.

Mutations are alterations or distortions that take place in the DNA of living beings, mostly as a result of external effects, such as radiation or chemical action. The theory of evolution now holds that living things are differentiated from one another and develop as a result of mutations.

돌연변이는 생명체의 DNA 에서 일어나는 변질 혹은 곡해와 같은 것으로 대부분 방사능이나 화학적 물질에 의한 외적인 영향의 결과로 생겨난다. 진화론은 생명체는 제각기 다르며 돌연변이의 결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한다.

This cannot be true, for mutations only damage the information in the DNA and give only harm to a living being. No beneficial mutation has yet been observed either in nature or in laboratories.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DNA의 정보는 손상을 입게 되고 이는 생명체에 오직 해가 되기 때문이다. 돌연변이로 인한 이득은 지금까지는 자연상 혹은 실험으로도 밝혀진 바가 없다.

Page 10: Evrimin Cokusu(  생명의 기원-한국어)the  collapseofevolutionThe Origin of Life  생명의 기원 Korean/English

Since mutations do not add new genetic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for living beings to acquire new organs through mutations: no reptile could ever acquire wings nor could an eyeless creature develop eyes by mutations.

돌연변이는 그 어떤 새로운 유전적인 정보를 더해주는 것이 아니므로 생명체가 유전으로 인해 새로운 기관을 갖게 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돌연변이로 인해 파충류에게 날개가 생길 수도, 눈이 없는 어떤 생명체에게 눈이 생길 수도 없다는 것이다.

For decades, evolutionists subjected different living beings to the effects of radiation and chemicals in an attempt to obtain favorable mutations; what they always ended up with were disabled, deficient, or barren creatures.

수십 년간 진화론자들은 좋은 쪽으로 변화하는 돌연변이에 대한 결과를 얻고자 생물체에 대해 방사능과 화학 실험을 했다. 그러나 그들이 얻은 결과는 항상 장애가 있거나 결함을 갖고 태어나는 생물체였다.

Countless experiments carried out on fruit flies have shown that the effects of mutations are not beneficial but rather destructive or fatal.

Mutations disrupt the perfect DNA code of a living thing and turn it into a freak of nature.

과일에 대해 수많은 실험이 행해졌는데 이 실험들은 돌연변이의 영향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것과 오히려 파괴적이고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을 뿐이었다. 돌연변이는 생물체의 DNA의 코드에 혼란을 유발하고 결함을 유발함이 입증되었다.

This is why Professor Richard Dawkins, one of the most renowned advocates of the theory of evolution of our day, hesitates when he is asked to give a single example that increases the genetic information.

이것이 현재 진화론에서 가장 명성 있는 사람 중의 하나인 리차드 교수가 유전자 정보가 발전된 샘플을 요청 받고 망설였던 이유이다.

Professor Dawkins, can you give an example of a genetic mutation or an evolutionary process which can be seen to increase the information in the genum?

Richard Dawkins: …………. (Silence)

리차드 교수님, 게놈 안의 유전 정보가 돌연변이나 진화론적 과정에 의해 우성 쪽으로 변화된 과정을

보여주는 진화론적 샘플을 제공 해주실 수 있습니까?

The truth is very evident. Life has such a complex design that can never come about by chance. A mechanical watch cannot be formed as a result of the coincidental assembling of cogs, and it proves that there is an intelligent watchmaker. Likewise, life embodies a superior design that proves the existence of a Creator Who has created it from nothing.

사실은 명백하다. 생명체는 결코 우연으로 만들어질 수 없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메커니즘은 우연에 의해 형성될 수 없으며 이는 이성적인 창조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생명은 무에서 유를 만들 수 있는 창조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whole universe is the outcome of a flawless creation. The exalted wisdom, power and knowledge of the Creator shows itself in everything He has created.

전 우주는 완벽한 창조의 산물이다. 창조주의 고귀한 지혜, 능력과 지식은 그가 창조한 것들을 통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