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Seowon/KimJinho/03.pdf · •...

Preview:

Citation preview

2차대전

김 진 호

2014년 1학기

공산혁명

볼쉐비즘

2/50

• '평화·토지·빵'을 약속하는 볼셰비키의 강령은 굶주린 도시 노동자들과, 이미 무

더기로 부대를 이탈해 있던 사병들 사이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비록 7월봉기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혁명의 때가 무르익은 듯이 여겨졌다. 11월 7일 볼셰비키와

좌익 사회주의 혁명당원들은 정부청사와 전신국 및 기타 전략적 요지를 점거함으

로써 거의 피 한방울 흘리지 않고 쿠데타를 성공시켰다

공산혁명

서유럽의 공산혁명

3/50

• 스파르타쿠스단: 1914년 가을부터 1918년말까지 독일에서 활동한 혁명적 사회

주의 단체.

• 카를 리프크네히트, 로자 룩셈부르크, 클라라 체트킨, 프란츠 메링이 1916년 공

식 창설했다.

• 이 단체의 이름은 그들이 불법으로 유포하던 〈스파르타쿠스브리펜

Spartakusbriefen〉이란 팜플렛에서 유래했다. 사회민주당의 한 분파로 발전하

여 제1차 세계대전 때의 독일의 역할을 격렬히 반대하고 사회주의 혁명을 주장

했다. 스파르타쿠스단은 1918년 12월 30일부터 1919년 1월 1일까지 전당대회

를 개최해 독일공산당으로 개칭했다. 한편스파르타쿠스 단원들은 12월에 시위

를 조장해 1919년 1월 베를린에서 스파르타쿠스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1월 15일 룩셈부르크와 리프크네히트는 베를린 경찰 최고직을 장악하고 있었던

보수적 의용단(Frei-korps)에게 베를린에서 체포되어 살해당했다.

파시즘

파시즘

4/50

• 이 운동은 1922~43년 이탈리아, 1933~45년 독일, 1939~75년 스페인 정계를

지배했으며, 그밖에도 여러 시대에 다른 몇몇 나라들을 지배했다. 일반적으로 모

든 국가주의적 전체주의 운동이나 그런 정부를 가리킬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

파시즘

파시즘

5/50

• 이탈리아어 '파시스모'(fascismo)는 라틴어 ' 파스케스'(fasces)에서 유래한 것

으로서 이 말은 고대 로마에서 권위의 상징이었던 도끼를 포함하여 느릅나무나

자작나무 가지의 묶음을 의미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19년에 이탈리아 파시

즘 운동의 표상으로 이 상징을 채택했다.

파시즘

파시즘

6/50

이탈리아의 파시즘을 야기시킨 무솔리니(Benito Mussolini)

파시즘

나치즘

7/50

• 제1차 세계대전을 공식적으로 마무리한 베르사유 조약(1919)은 독일의 참여없

이 작성된 것으로써 막대한 배상금과 영토의 포기를 강요하여 독일인들의 반발

을 샀으며, 히틀러는 이들 감정을 교묘하게 이용

파시즘

나치즘

8/50

1차 대전 직후인 1923-24년 사이 독일의 인플레이션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고, 유럽에서가장 경제적 상황이 안 좋았던 곳은 독일이었다. 독일의 한 주부가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돈을 태우고 있다.

파시즘

나치즘

9/50

1923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나치)의 히틀러는 전후 베르사유 질서에 불만을품었다. 그는 뮌헨에서 폭동을 일으키고 쿠데타를 감행했으나 실패했다. 이를뮌헨폭동이라 한다. 뮌헨폭동 당시 나치의 폭동을 지지하는 군대가 뮌헨 시내에서 시위하는 모습.

경제공황

경제공황

10/50

• 제1차 세계대전이후 미국은 유럽에 막대한 수출을 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미국

경제는 최대의 호황을 누리게 됨

• 금융업들이 투자를 종용하면서 경제적 거품이 일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럽이 경

제적으로 회복되자 과도한 금융거품은 공황발생의 원인이 됨.

• 미국발 금융위기는 전 세계로 퍼져 유럽까지로 공황상태로 만들고 이는 나치즘

발호의 원인으로 작용

경제공황

경제공황

11/50미국의 경제공황기인 1931년 무료급식소에서 커피와 도넛을 얻기위해 줄지어서있는 실업자들

2차대전의 기원

2차대전의 기원(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12/50

• 1919년 9월 나치의 전신인 독일노동당에 가입.

• 1921년 나치당의 지도자가 됨.

• 공산주의자들의 방해로부터 보호하려는 돌격대(SA)조직.

• 1923년 프랑스의 루르점령(독일의 배상금 미지불)으로 독일에서 혼란이 야기.

이를 틈타 쿠데타를 일으킴.

• 5년 뒤 출옥후 친위대(SS)조직.

2차대전의 기원

2차대전의 기원(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기조)

13/50

• 베르사유 조약의 폐기

• 의회 정치 폐지

• 식민지 회복

• 반유태주의

• 중산층 보호

• 초기에는 1%의 군소정당으로 시작. 미국 자본 유입으로 나치의 주장이 설득을

얻지 못하다가 1929년 경제대공황을 계기로 세력 확장. 세력 확장을 위해 테러

감행.

2차대전의 기원

2차대전의 기원(나치의 반공정책)

14/50

• 중산층은 대자본가와 대립하는 동시에 공산주의에 대해서도 반감을 품음.

• 독일의 자본가와 군인들도 나치 지지

• 바이마르 공화국의 외교정책에 비판적이었던 국수주의자들과 일반 국민의 지지.

2차대전의 기원

2차대전의 기원(반유대주의)

15/50

• 노동 계급에 있어서 유태인 자본가는 혐오 대상.

• 우파에게는 유태인 혁명가는 공포의 대상.

•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은 이러한 반유태주의를 이용 세를 확장하고 국민을 결

집시킴.

2차대전의 기원

나치의 지지도 변화

16/50

• 1924년 12월 선거 : 20석

• 1928년 선거 : 12석

• 1930년 9월 총선 : 577석중 107석, 사민당에 이어 제2당이 됨. 공산당

• 1932년 7월 선거 : 608석중 230석, 제1당이 됨. 공산당은 100석

2차대전의 기원

히틀러의 총리취임

17/50

• 1933년 1월 30일 히틀러는 힌덴부르크 대통령으로부터 조각을 의뢰받고 총리

에 취임함.

• 권력장악후 자신의 권력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 의회 해산.

• 투표 1주일 전인 1933년 2월 27일 밤 제국 의회 의사당에 불을 지르는 사건을

조작. 그 책임을 공산당에게 전가함.

• 1933년 총 선거에서 SS의 테러와 폭력이 난무하는 가운데 유권자의 44%인

288석을 획득. 국가 사회주의 노동자당이 제 1당이 됨.

2차대전의 기원

수권법

18/50

• 1933년 3월 23일 돌격대(SS)가 의사당에서 협박적인 시위를 하는 가운데 가톨

릭 중앙당과 연합하여 정부의 독재권 확립과 바이마르 헌법정지를 규정한 수권

법 통과

• 히틀러는 5월에서 7월에 걸쳐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을 불법화하고 가톨릭 중앙

당의 활동을 금지.

• 1934년 1월 연방참의원을 폐지하여 독일을 연방국가가 아닌 중앙집권적 국가를

만듦.

• 8월 힌덴부르크가 사망하자 대통령제를 폐지하고 대통령과 총리를 겸하는 총통

이 됨

2차대전의 기원

제3제국

19/50

• 히틀러는 나치 체제를 제 3제국으로 명명.

• 전체주의 사회로써 개인을 국가에 예속시키고 비판이 허용되지 않음(닫힌사회).

• 경제는 철저한 국가 통제 경제체제로 전환.

• 통제 경제하에 독일의 산업의 급속한 발전이 있었음.

• 실업자 수의 감소(독일인들을 공공사업과 군수공장에 동원)

2차대전의 기원

제3제국

20/50

• 노동수첩 소지와 그것에 의한 통제, 이직의 자유 통제

• 근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적은 비용으로 휴양, 관광, 여행, 오락의 기회를 줌.

• 기업도 국가의 통제를 받음.

• 가톨릭 교회는 나치의 인종주의에 대해 일체의 언급을 회피.

• 본 회퍼의 고백교회는 나치에 대해 정면 비판. 희생 당함.

• 독일의 지식인들이 나치의 반인륜적인 행위에 대해 침묵.

• 독일인의 생활공간(Lebensraum)을 만들어야 함을 주장

2차대전의 기원

제3제국의 반유대주의정책

21/50

• 1933년 4월 공무원법을 제정하여 공직에서 추방. 교육기관, 병원, 은행에서 근

무 금지.

• 유태인과 유태인과의 혼혈 금지.

• 다윗의 별을 박은 완장을 차야했음.

• 저술활동과 연극및 음악회 상연도 금지.

• 외국으로 이주는 가능하나 재산은 모두 남겨두어야 함.

• 1939년 이후 유태인은 나치 돌격대와 친위대에 의해 수용소에서 집단 수용되고

가스실에서 집단 처형됨.

2차대전의 기원

독일국민들의 나치지지도 상승

22/50

• 대다수의 독일인들이 공포심을 느끼지만 생활수준의 향상과 안정, 영토 팽창에

대해 히틀러에 환호함.

2차대전의 기원

2천만 마르크 지폐

23/50

독일의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2천만 마르크 지폐. 1차 대전 이후 악화된 경제적 상황은 나치즘의 원인이 되었다

뮌헨회담

오스트리아와의 합병

24/50

• 히틀러는 대독일주의를 지향.

• 1936년 7월 체결된 독일, 오스트리아 협정은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보장하나 오

스트리아의 나치당은 통합을 주장.

• 1938년 3월 11-12일 자정 독일군은 오스트리아에 진주. 이튿날 독일은 오스트

리아와의 합병을 선포.

뮌헨회담

주데텐 양도 요구

25/50

•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 지방에 거주하고 있던 350만의 독일인들이 자치를 요

구.

• 히틀러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독일로의 양도를 주장. 체코슬로바키아는 거부.

• 프랑스는 체코슬로바키아를 지지. 영국은 프랑스를 지지.

• 주데텐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자 영국 총리 챔버린이 히틀러 접촉. 타협안

제시했으나 히틀러에 의해 거부.

• 1938년 9월 27일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은 평화회담 제의.

뮌헨회담

주데텐 양도 요구

26/50

• 히틀러는 뮌헨에서의 회동에 동의

• 9월 29일 열린 뮌헨 회담에서 히틀러의 요구가 전부 수락됨.

27/50

뮌헨회담

뮌헨회담

주데텐 양도 요구

28/50

고백교회

본회퍼

29/50

개신교의 고백교회는 본 회퍼(Dietrich Bonhoeffer)를 중심으로제3제국 정부의 사악성에 대해 정면 비판했으며 이로 인해 탄압을 받았다. 이당시 독일의 많은 지식인들이 나치의반인륜적 행위들에 대해서 침묵

뮌헨회담

주데텐 양도 요구

30/50

뮌헨회담

독소불가침조약

31/50

• 스탈린은 영국과 프랑스에 독일의 침략에 대응

하기 위한 방위동맹 제의. 그러나 협상이 지지

부진함.

• 1939년 8월 23일 독소불가침 조약 체결

• 히틀러는 폴란드를 침공할 때 소련의 중립을

보장받음.

2차대전의 발발

독일의 폴란드 침공(1939년 9월 1일)

32/50

• 히틀러는 폴란드 영내에 있는 단치히(현재의 그다니스크)를 요구.

• 8월 31일 최후 통첩, 9월 1일 침공.

• 영국과 프랑스는 9월 3일까지 철수 요구. 철수가 이루어지지 않자 독일에 선전.

2차 대전 발발. 전면전으로 확산.

• 폴란드를 2주 만에 완전 정복

2차대전

독일의 프랑스 점령

33/50

• 독일은 중립국인 덴마크와 노르웨이

점령하고 영국과 대서양에 대한 공

군및 해군 작전의 기지 확보.

• 영국의 챔버린 수상은 전시 내각 조

• 서부전선에서 프랑스의 마지노선을

사이에 두고 교착전 전개.

2차대전

독일의 프랑스 점령

34/502차대전중 독일의 파리함락(1940년 6월 23일)

2차대전

독일의 프랑스 점령

35/50

• 독일은 중립국인 덴마크와 노르웨이 점령하고 영국과 대서양에 대한 공군및 해

군 작전의 기지 확보.

• 영국의 챔버린 수상은 전시 내각 조직.

• 서부전선에서 프랑스의 마지노선을 사이에 두고 교착전 전개.

• 1940년 5월 베네룩스 3국을 공격하여 프랑스의 마지노선의 정면 돌파를 피함.

• 남쪽의 프랑스 군을 격파하여 파리로 진격. 6월 15일 베르덩 함락.

• 6월 22일 프랑스는 독일에 항복하며 휴전 조약 체결.

• 프랑스 페텡 장군을 중심으로 하는 비시(Vichy)정부 수립.

2차대전

레지스탕스

36/50

• 프랑스 드골장군은 영국에 망명. 자유프랑스 정부를 결성하여 히틀러에 대항.

• 프랑스 본토에서 지하 레지스탕스들이 결성되어 반나치 활동을 벌임.

2차대전

37/50

2차대전

38/50

2차대전

독일의 아프리카 파견

39/50

• 이태리의 발칸과 아프리카 진출에 대해 영국군과 각국의 저항의 완강.

• 히틀러는 1941년 봄에 롬멜 장군의 기계화 전차부대를 아프리카에 투입시킴.

• 유고슬라비아와 그리스도 공격하여 발칸반도도 지배함.

• 1941년 전반기에 히틀러는 소련을 제외한 전 유럽을 정복.

2차대전

독일의 아프리카 파견

40/50

2차대전

독일의 스탈린그라드 공격

41/50

• 히틀러는 최대 목표를 소련에서의 독일인을 위한 생활공간(Lebensraum) 확보

에 둠.

• 1961년 6월 22일 소련 공격 시작.

• 9월에 레닌그라드, 10월에 우크라이나 점령.

• 소련 특유의 동장군으로 인해 진격이 멈추어 짐.

2차대전

미국의 무기대여법 통과

42/50

• 루즈벨트 행정부는 영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1941년 3월 무기 대여법

(Lend-Lease Act) 제정하여 영국과 추축국과 싸우는 모든 세력에 전쟁 물자

제공.

• 히틀러는 미국과의 직접적인 충돌은 피하려 함.

• 그러나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미국은 태평양 전쟁에 개입하

게 되고 히틀러는 12월 11일 미국에 선전포고함.

2차대전

43/50독일공군으로부터 공습받고 있는 런던

2차대전

일본의 진주만 기습

44/50

• 중국에서 아무 소득도 없이 오랫동안 계속된 전쟁에 싫증난 일본은 유럽의 상황

을 이용하여 동아시아에 있는 유럽 식민지를 강탈하기로 결심. 인도차이나 반도

점령은 미국, 영국, 네덜란드로부터 강력한 반발을 일으킴.

• 미국은 일본에 대한 금수 조치, 미국내 일본 자산을 동결(1940년 7월 25일)시킴.

• 일본은 주요 에너지원인 원유의 비축량이 줄어들면서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맡게

됨.

• 노고에 정부가 물러나고 군부 내각인 도조내각이 들어서면서 미일관계 악화

• 12월 7일 새벽 하와이 진주만에 전투기 제로를 이용한 기습 공격 단행

2차대전

45/50

2차대전

46/50

진주만 폭격 다음날인 1941년 12월 8일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문서에 사인하는 루즈벨트 (좌), 진주만 공습 직후 미국은 유럽문제에 개입하기로 한다. 1941년 12월 11일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문서에 사인하는 루즈벨트(우)

2차대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1944년 6월 6일)

47/50

• 아이젠 하워 장군은 악천후가 예상되는 가운데 영국 도버해협을 넘어 프랑스 노

르망디로 상륙함.

• 연합군은 빠른 속도로 상륙하면서 8월말 파리를 해방시킴.

• 동부 전선에서는 소련이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를 회복.

2차대전

48/50

2차대전

49/50

2차대전

추축국의 패배

50/50

• 이태리의 무솔리니 실각하고 1943년 9월 8일 항복함.

• 베를린이 동서의 연합군으로부터 포위됨. 독일 1945년 5월 7일 항복.

• 일본의 포츠담 선언 수용 거부. 미국의 원폭 투하(히로시마, 나가사끼).

• 일본은 포츠담선언을 수락하고 무조건 항복(1945년 8월 15일).

• 1945년 도쿄만내에 있는 미주리 호에서 연합군 최고 사령관인 맥아더 장군과

일본 외무 장관과의 항복 문서에 조인이 이루어짐(1945년 9월 2일).

감사합니다

51/33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