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개별원가계산 - KOCWcontents.kocw.net/KOCW/test/document/2013/skku/BaekTae... ·...

Preview:

Citation preview

제4장 개별원가계산

주요 내용

개별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을 한다.

•작업원가표로 개별원가계산을 한다.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은 어떻게 정하는가?

•서비스업의 개별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에서는 실제원가가 흘러간다.

•실제원가계산은 제조간접원가 실제배부율을 사용한다.

•실제원가계산은 기간말까지 기다려야 한다.

개별원가계산 개별작업별로 원가계산을 한다

▶ 개별원가계산(Job-Order Costing)

- 개별작업별로 제조직접원가를 별도로 집계하고, 제조간접원가는 배분하여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방법

- 직접제조원가의 비중이 높고 개별작업별로 생산이 이루어지는

건설업, 조선업, 인쇄업 등의 업종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가계산

<그림 4.1> 개별원가계산의 제조원가흐름

작업원가표로 개별원가계산을 한다

▶ 작업원가표(Job-Cost Sheet)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항목별로 기입하여

집계하는 표

직접재료원가 = 직접재료수량 × 직접재료 단위당 가격

<표 4.1> 작업원가표의 직접재료원가 부분

(커피전문점의 1달 커피 6,000잔 제조의 예)

직접재료원가

재 료 명 수 량 단 가 원 가

커피 원두 42kg kg당 30,000원 126만원

합계 126만원

직접노무원가=직접노무시간 (작업시간)×시간당 임금

<표 4.2> 작업원가표의 직접노무원가 부분

직접노무원가

작업자명 작업시간 시간당 임금 원 가

주방직원 김가배 200시간 10,000원 200만원

주방직원 이슬비 250시간 10,000원 250만원

주방직원 박찬호 150시간 10,000원 150만원

합계 600시간 600만원

제조간접원가 = 배부기준량 ×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표 4.3> 작업원가표의 제조간접원가 부분

제조간접원가

배부기준량 (작업시간)

배부율 (작업시간당 제조간접원가)

원 가

배부액 600시간 2,000원 120만원

합계 120만원

배부기준의 일반적 선정기준

인과관계

- 자원사용의 원인이 되는 활동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를 사용하여 배부

- 가장 타당한 기준

- 품질검사부문의 원가를 검사시간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배부

수혜기준

- 원가발생을 초래한 결과의 수혜 정도를 확인하여 수혜 비율에 따라 배부

- 광고비를 광고효과에 의해 배부

부담능력

- 원가의 부담능력에 비례하여 배부

- 사업부의 영업이익이나 매출액에 기준한 관리자 급료 배부

공정성

- 배부 부담자들 사이의 공정성을 만족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배부

- 공정성에 대한 주관적 판단의 차이가 문제

제조간접원가 배부율은 어떻게 정하는가?

▶ 제조간접원가 배부율(Overhead Rate)

제조간접원가 배부율 = 총제조간접원가 / 총배부기준량

커피전문점의 예 :

- 배부기준으로 직접노무시간을 사용

- 직접노무시간 : 실제 또는 예상 시간을 사용

- 총제조간접원가와 총직접노무시간의 합산기간 :

1년, 1달 등

서비스업의 개별원가계산

법률법인, 회계세무법인, 광고대행사 등의 전문직 서비스업의

개별원가계산 사용

- 작업 건마다 개별적으로 원가(판매관리비)를 계산

- 판매관리비는 기간비용이므로 원가계산은 의사결정용임

- 재료비가 없음

- 인건비와 경비가 중요 : 특히 인건비가 큰 비중

- 인건비를 작업 건 별로 집계 : 관련 인원의 개별 작업시간을 기록

- 경비는 인건비, 작업시간, 직접원가 합계액 등을 기준으로 배부

제조업에서도 가격결정, 수익성분석을 위해 판매관리비를

제품별로 집계 및 배부함

실제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에서는 실제원가가 흘러간다.

▶ 실제원가계산(Actual Costing)이란?

- 실제 발생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방법

<그림 4.2> 실제원가계산 제조원가흐름

실제원가계산은 제조간접원가 실제배부율을 사용한다.

▶ 계산식:

제조간접원가 실제배부율

= 실제 총제조간접원가 / 실제 총배부기준량

▶ 적절한 배부율 계산 기간은 얼마인가?

배부율을 1개월 마다 계산한다면

- 월별로 서로 다른 배부율 사용의 문제가 생김

- 수선비, 난방비 등의 월별, 계절별 요인이 반영되는 문제

- 단위당 고정원가가 작업시간에 반비례하여 계산됨.

실제원가계산은 기간말까지 기다려야 한다.

배부율을 1년마다 계산한다면

- 실제 총제조원가를 계산하기 위해서 연말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

- 배부율 계산 단위 기간 증가

⇒ 배부율의 안정성은 증가하나 적시성은 감소함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