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마음빼기 명상 중재 효과

Preview:

Citation preview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마음빼기명상 중재효과

이인수 ( 한국교통대학교 ), 전영희 (울산애니원고등학교 ), 최은희 ( 경복대학교 )

- 2015 년 한국교통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

서론

• 2013 년 1 월 이동전화 가입 5,300 만명 이상 가입

• 우리나라 전체 인구 1 인당 1 개를 가직 있음 .

• 세계 최고의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 인터넷 중독에서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고 잇음

1. 스마트폰 현실

2.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

• 스마트폰 중독은 기존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전화 중독이

결합된 형태로 나타남 .

• 스마트폰 중독은 성적저하나 학교부적응의 생활변화

• 성격변화 , 정체성의 혼란 , 현실감의 저하 , 건강악화 , 척추측만증이나 디스크 등의 신체증상

• 언어발달의 지장

• 우울 , 불안 , 충동 , 공격성 등의 정신건강에 영향

3. 스마트폰 중독의 조절변인

- 자기통제력 -

• 자기통제력 상실은 인터넷 중독으로 발전하는 핵심적 요인

•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까지 자기조절력 향상이 스마트폰

중독 완화에 영향을 미침

• 자기조절력에 부모의 양육태도 ,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침

• 스트레스 , 우울 등이 영향을 미침 .

•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스트레스 감소와

자기통제력 향상 방안 필요

4. 학교의 정신적 문제해결 대안

- 명 상 -

• 인간의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고 자기수양을 통해서

성숙에 이르게 하는 방법

• 명상을 아동이나 청소년에 적용하여 학업수행능력 향상

및 불안감소 , 독립성 및 자존감 증가

• 명상은 학교 분위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5. 마음빼기 명상의 원리

• 인간의 마음 - 자기라는 몸과 마음이 살아오면서 기억 및

무의식 중에 저장된 생각의 일체

• 기억 - 영상으로 저장되어 사람의 마음과 행동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침 .

• 마음빼기 명상 - 살면서 쌓아온 자기라는 마음을 버리고

본래의 마음자리 , 본성을 깨닫는 프로그램

6. 마음빼기 명상과 인지상담 비교

• 유사점 - 모두 대상자의 인식과 상황에 대한 수용태도를

변화시켜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킴 .

• 차이점 - 인지상담은 정서 발생의 원인을 인지 및 신념에

두고 있어 인지체계의 변화를 통하여 문제해결에

접근하며 , 마음빼기 명상은 기억 속에 남아있는 감정을

직접 제거함으로써 역기능적 사고의 발생조건을 없애어

문제해결에 이를 수 있음 .

7. 마음빼기 명상의 효과

• 청소년 , 대학생 , 교사를 대상으로 적용 - 불안 , 우울 , 스트레스 및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 .

• 효과

- 청소년의 분노와 불안을 감소시켜 수업의 집중도를 높임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향상

- 학생의 우울 , 불안 , 스트레스 감소하고 자아존중감 증가

9. 연구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마음빼기 명상의 원리를

적용한 학교기반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자기통제력 ,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및 지속효과를 규명하고자 함 .

연구방법

1. 개요

• 본 연구는 고등학교 2 학년 학생에게 아침

자율학습시간에 마음빼기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통제력 ,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및 지속효과를 확인한

중재연구임 .

2. 연구설계

그룹기초조사

( 중재 전 )중재

(12 주 )사후조사

( 중재 후 )

추후조사

( 중재 4 주

후 )

실험군 O마음수련 명상 + 스 마 트 폰 중 독 관 련 자료 제공

O O

비교군 O스 마 트 폰 중 독 관 련

자료 제공O O

3. 연구대상

• 2 개의 반의 담임교사에게 먼저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여 동의 . 학생 동의 부모 동의 받음 .

• 한국교통대학교 IRB 승인 받음 .

• G-power3.1 을 이용하여 대상자 수 산출 . 유의수준

0.05, 검정력 80%, 효과크기 0.80, 실험군과 대조군

비율 1:1 로 총 52 명으로 결정되었고 , 총 대상자 49명으로 사후 검정력 산출 .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80, 검정력 80.0002% 로 산출됨 .

4. 연구도구

- 스마트폰 중독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에서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사용

• 4 개 하위요인 - 일상생활장애 , 가상세계 지향성 , 금단 , 내성

• Likert 식 4 점

• Cronbach's α 값 – 스마트폰 중독 전체 0.88, 일상생활장애 0.76, 가상세계지향성 0.56, 금단

0.73, 내성 0.73

- 자기통제력

• Gottfredson 과 Hirschi(1990) 의 자기통제력 척도와

김현숙 (1997) 이 Kendall 과 Wilcox(1979) 의

자기통제평정척도 (Self-Control Rating Scale: SCRS) 를

번안 하면서 청소년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척도를 참고로 하여

남현미 (1999) 가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

• 장기적인 만족추구 요인 (10 문항 ) 과 즉각적인 만족추구

요인 (10 문항 ) 의 총 20 문항으로 점수범위는 20 점에서

100 점까지이며 , 5 점 척도로 구성됨 .• 남현미 (1999) 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 는 0.78

이었으며 ,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alpha 는 0.75

- 스트레스 대처방식

• Lazarus 와 Folkman(1984) 이 개발한 도구를 김정희

(1988) 가 요인분석하여 수정과 번안한 것을 다시 정유미

(2004) 가 수정하고 보완한 도구를 이용함 .• 하위 범주 - 문제중심적 대처 , 정서중심적 대처 , 사회적지지

추구 , 소망적사고 대처

• 5 문항씩 총 20 개의 문항 . 전혀 그렇지 않다’ 1 점에서 ‘매우

그렇다’ 4 점까지의 4 점 Likert Scale. 점수가 높을수록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함 .• Cronbach’α 는 .87∼.93 이었으며 , 본 연구에서의 Cron-

bach's alpha 는 .87 임 .

5. 중재

• 마음 빼기하는 방법으로 8 단계 과정 중 1 단계 적용

• 2015 년 4 월부터 12 주간 , 아침자율 학습시간 매주

2회 , 회당 20 분씩 실험군의 교실에서 집단프로그램

진행

• 중재제공자는 현직 교사로서 마음수련 교원회에

등록되어 있는 교원 중에서 마음빼기명상 강사 자격증이

있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적 중재의

필요성을 공유한 고교 교사로서 연구 목적과 방법에

동의한 교사

6. 자료 분석 방법

• IBM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

•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에 따른

동질성은 카이제곱 검정과 t-test 이용하여 분석

• 실험군과 대조군의 마음수련 전과 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 , 자기통제력 ,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군 내의 차이 paired t-test, 군 간의 차이는 AN-COVA 를 이용하여 분석 , Repeated Measure Anova 이용

연구결과 및 결론

1. 연구대상자 간 사전 동질성 검정

표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N=49, N(%))

구분 실험군 (n=24) 대조군 (n=25) 전체 (n=49) χ2 p

성별남자 4(16.7) 4(16.0) 8(16.3)

0.004 0.950여자 20(83.3) 21(84.0) 41(83.7)

종교유 8(33.3) 5(20.0) 36(73.5)

1.117 0.291무 16(66.7) 20(80.0) 13(26.5)

등교 시

핸드폰

제출

유 6(25.0) 17(68.0) 23(46.9)9.090 0.003

무 18(75.0) 8(32.0) 26(53.1)

스마트폰

중독 교육

유 0( 0.0) 3(12.0) 3( 6.1)3.068 0.080

무 24(100.0) 22(88.0) 24(93.9)

표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N=49, M±SD)

구분 실험군 (n=24) 대조군 (n=25) t p

스마트폰중독

일상생활장애 11.96±2.87 10.60±3.08 1.596 0.117

가상세계 지향성 3.46±1.06 3.44±0.92 0.065 0.949

금단 7.92±2.96 8.04±2.48 -0.158 0.875

내성 10.54±2.21 8.64±1.89 3.244 0.002

총점 33.88±7.19 39.00±7.13 1.543 0.130

자기

통제력

즉각적 만족추구 25.08±4.17 26.60±5.45 -1.091 0.281

장기적 만족추구 30.87±5.74 32.08±4.46 -0.822 0.415

스트레스 7.79±1.59 5.72±2.19 3.779 <0.001

스트레스

대처방식

문제중심적 대처 10.25±2.29 11.56±2.60 -1.869 0.068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 12.29±2.16 12.52±3.31 -0.285 0.777

소망적 사고 대처 12.79±1.96 12.20±2.94 0.832 0.410

정서중심적 대처 10.38±2.83 10.24±2.30 0.184 0.855

2. 마음빼기 명상의 효과

표 4. 마음빼기명상이 스마트폰 중독 , 자기통제력 , 스트레스 ,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N=49, M±SD)

구분 pretest posttest t(p)*F

(p)

스마트폰

중독

일상생활

장애

실험군 11.96±2.87 10.54±2.03 3.365(0.003) .386(.548)대조군 10.60±3.08 9.96±2.89 1.655(0.111)

가상세계

지향성

실험군 3.46±1.06 3.13±1.04 1.696(0.103) 1.197(.280)대조군 3.44±0.92 3.36±0.95 0.527(0.603)

금단실험군 7.92±2.96 6.83±2.32 2.269(0.033) 4.458

(.040)대조군 8.04±2.48 7.84±2.29 0.894(0.380)

내성실험군 10.54±2.21 9.13±1.83 3.015(0.006) .391

(.535)대조군 8.64±1.89 8.44±2.10 0.707(0.486)

총점실험군 33.88±7.19 29.63±5.72 3.428(0.002) 2.943

(.093)대조군 39.00±7.13 29.60±7.25 1.806(0.083)

표 4. 마음빼기명상이 스마트폰 중독 , 자기통제력 , 스트레스 ,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N=49, M±SD)

구분 pretest posttest t(p)*F

(p)

자기

통제력

즉각적

만족추구

실험군 25.08±4.17 27.75±4.14 -2.155(0.042) 2.998(.090)대조군 26.60±5.45 25.40±5.53 0.844(0.407)

장기적

만족추구

실험군 30.87±5.74 34.00±4.33 -2.031(0.054) 7.446(.009)대조군 32.08±4.46 30.24±4.84 1.297(0.207)

스트레스실험군 7.79±1.59 5.67±2.18 4.977(<0.001) 5.584

(.022)대조군 5.72±2.19 5.72±1.88 .000(1.000)

스트레스

대처방식

문제중심적

대처

실험군 10.25±2.29 12.29±2.29 -3.336(0.003) .096(.758)대조군 11.56±2.60 10.60±2.45 1.467(0.155)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실험군 12.29±2.16 12.79±2.59 1.078(0.475) .923(.342)대조군 12.52±3.31 13.76±3.80 -1.059(0.300)

소망적

사고 대처

실험군 12.79±1.96 12.92±2.39 0.000(1.000) .259(.613)대조군 12.20±2.94 12.44±3.04 -0.258(0.799)

정서중심적

대처

실험군 10.38±2.83 10.25±2.21 -0.325(0.748) 2.727(.905)대조군 10.24±2.30 11.80±2.78 -2.129(0.044)

표 5. 마음빼기명상의 지속효과 검증 ( 실험군 ) (N=24, M±SD)

구분 pretest(a) posttest(b) follow up test(c) F p

스마트폰

중독

일상생활장애 11.96±2.87 10.54±2.03 9.25±2.47 7.1880.004

(a>b, a>c)

가상세계 지향성 3.46±1.06 3.13±1.04 2.96±0.86 2.836 0.069

금단 7.92±2.96 6.83±2.32 6.46±1.79 2.755 0.083

내성 10.54±2.21 9.13±1.83 7.92±2.34 12.665<0.001

(a>b, a>c)

총점 33.88±7.19 29.63±5.72 26.58±6.45 9.9820.001

(a>b, a>c)

자기

통제력

즉각적 만족추구 25.08±4.17 27.75±4.14 36.88±6.82 54.937<0.001

(c>a, b>a)

장기적 만족추구 30.87±5.74 34.00±4.33 34.38±4.83 2.935 0.074

스트레스 7.79±1.59 5.67±2.18 5.08±2.57 20.965<0.001

(a>b, a>c)

스트레스

대처방식

문제중심적 대처 10.25±2.29 12.29±2.29 12.75±2.69 5.6970.010

(b>a, c>a)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 12.29±2.16 12.79±2.59 12.88±3.23 .254 .778

소망적 사고 대처 12.79±1.96 12.92±2.39 12.79±2.28 .043 .943

정서중심적 대처 10.38±2.83 10.25±2.21 10.63±2.04 .444 .647

Pretest post test Follow up test0

5

10

15

20

25

30

35

40

11.9610.54 9.25

10.54 9.13 7.92

33.88

29.6326.58

일상생활장애 내성 총점

Pretest post test Follow up test0

5

10

15

20

25

30

35

40

25.0827.75

36.88

7.795.67 5.08

10.2512.29 12.75

즉각적 만족추구 스트레스 문제중심적 대처

3. 주요결과와 시사점

• 마음빼기명상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이 중단되거나

감소하며 , 금단 정도를 감소시킴 .• 지속효과 - 스마트폰으로 인한 중독 정도와 하위요인인

일상생활장애 , 및 내성에 대해 지속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줌 .•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보다 집중력이 있고 ,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며 , 욕구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자기통제력의 장기적 만족추구성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 .

• 또한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인 즉각적인 만족추구

성향은 충동적이고 , 자기위주로 생각하며 , 말보다는

행동이 앞서는 경향이 있는 것을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속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음 .• 마음빼기명상은 스트레스 감소에 대해 지속효과를

가지고 있었음 .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자기통제력 및 스트레스를 강화시킬 뿐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을 관리할 수 있는 직접적인 중재가 될 수 있다는 것과

학교와 같은 지역사회 세팅에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

검증하였음 .• 마음빼기명상은 청소년인 중학교 , 고등학교 및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스트레스 관리와 스마트폰 중독 관리 방법으로

지역사회에서 유용한 중재방법이 될 것임을 확인하였음 .• 다른 하위요인들에 대한 마음빼기명상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기간과 추후검사를 달리한 반복연구를 통하여

하위영역별로 마음빼기명상이 효과를 가지게 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연구를 추후과제로 삼고자 함 .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