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인터랙티브디자인 산업디자인과 이미진 사물인터넷 조사 및 아이디어 방향

3 인터랙

  • Upload
    -

  • View
    200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인터랙티브디자인

산업디자인과 이미진

사물인터넷

조사 및 아이디어 방향

집안의 온도조절을 자동을 해주는 온도조절기. 네스트는 사용자가 온도를 조절하는 습관을 학습하여 알아서 조절하고,

바깥 날씨까지 파악해서 조절하고,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도 판단하여 똑똑하게 조절 해준다.

에너지 절약을 돕는 정교한 기능들이 있고, 전력 사용량이 많은 때에 네스트가 자동으로 전력 사용을 줄이기도 한다.

Research사물인터넷 사례

네스트 (Nest)

/01

Research사물인터넷 사례/01

줄리 (Zuli)

블루투스를 내장하고 있어서, 집안 내에 Zuli가 3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사용자가 안방에서 거실로 이동하면 안방 불이 자동으로 꺼지고 거실의 전등과 TV가 켜지는 등,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는 기능을 만들 수 있다. 그 외에 스마트폰을 통한 on/off, 타이머 설정, 램프의 밝기 조절 등의 기능을 한다.

Research사물인터넷 사례/01

S+ by ResMed

수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해주는 기기. 이 제품은 Radio wave를 통해 사용자의 정확한 수면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다양한 센서가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호흡 등의 신체 정보를 분석하고,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빛, 노이즈, 온도 등)의

상태를 레코딩하여 통합적인 분석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더 나은 수면을 위한 방법을 제시해주기도 한다.

Idea사물인터넷 제안/02

알람 베개

혼자 일어나기 힘들고 누가 깨워줘야만 일어 날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한 <알람 베개>.

핸드폰과 베개를 연동해놓고, 핸드폰을 조작하면 베개에서 진동이 울리거나 음악이 울려퍼지거나 하여

베개를 베고 있는 사람을 깨울 수 있는 시스템이다.

베개는 무게도 감지할 수 있어서 자고 있던 사람이 일어났는지도 확인 할 수 있다.

Phone Pillow

Idea기반 기술 동향/02

통신방식으로는 유선방식인 USB, 무선 방식인 블루투스, IEEE 802.15.4(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의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기기간의 직접 융합 스마트 기기와 센서에 내장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두 기종 간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Idea기반 기술 동향/02

기기간의 직접 융합 - 사례

Nike Plus+

운동화와 앱을 연동하여 러닝에서 일상 활동까지,

Nike+는 원하는 모든 활동을 측정하고 시간에 따른

결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Idea기반 기술 동향/02

기기간의 직접 융합 - 사례

Phillips HUE 스마트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LED 전구로, ios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하며 조명의 색상까지 조절할 수 있다.

그냥 색상을 팔레트에서 찍어 바꾸는 것이 아니라 사진 등에 있는 색을 추출해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 집을 내가 어제 본 바다색, 아침에 먹은 완두콩 색으로 바꿀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