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연구 결과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과 1510550 민혜원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 Upload
    minewon

  • View
    29

  • Download
    4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연구 결과 보고서 시각영상디자인과 1510550 민혜원

Page 2: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Topic

바우하우스의 타이포그래피

1

Page 3: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역사와 철학

바우하우스(Bauhaus)는 독일 바이마르에 있던 조형학교이다.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미술학교와 공예학교를 병합하여 설립하였다. 바우하우스라는 이름은 독일어로 '집을 짓는다'는 뜻의 하우스바우(Hausbau)를 도치시킨 것이다. 주된 이념은 건축을 주축으로 삼고 예술과 기술을 종합하려는 것이었다.

바이마르에서 출발한 바우하우스에서는 요하네스 이텐(Johannes Itten), 라이오넬 파이닝거(Lyonel Feininger), 폴 클레(Paul Klee), 오스카 슐레머(Oskar Schlemmer),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등이 교육을 담당하였다.

2

Page 4: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역사와 철학

초기에는 공예학교 성격을 띠다가 1923년에 이르러서야 예술과 기술의 통일이라는 연구성과를 평가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로피우스와 이텐 사이에 대립이 생겨 이텐이 바우하우스를 떠난 뒤에는 모호이너지(Laszlo Moholy-Nagy)가 후임으로 참가하였다.

이 때부터 비로소 교육방침이 정착되어 바우하우스의 특색으로 자리잡았는데,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예비과정에서 반년간 기초 조형훈련을 받고 토목·목석조각·금속·도자기·벽화· 글라스그림·직물·인쇄의 각 공방으로 진급한다. 거기서 형태교사에게 조형 이념을 배우면서 공작교사에게 실제적인 기술을 배워 익히는 것이다.

2

Page 5: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1925년에는 경제적 불황과 우파의 출현, 정부의 압박 등으로 폐쇄 위기에 처했으나 데사우시(市)의 주선으로 시립 바우하우스로 재출발하게 되는데, 이 시기를 데사우기(期)로 부른다. 이 시기부터는 이미 종합적 안목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였기 때문에 각 공방에서 3년의 과정을 마친 다음에는 모든 것을 통괄하는 건축과정으로 넘어갔다.

바이마르 시절의 졸업생들이 교수진으로 참여하면서 바우하우스는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고, 새로운 생산방식에 따른 디자인 방식의 도입은 물론, 공업화를 추구해 실제로 산업계와 제휴하기도 하였다. 이 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1926년 그로피우스가 설계한 교사(校舍)로, 공업시대 특유의 구조와 기능미가 잘 나타난다. 그리고 1925년부터 《바우하우스 총서》 14권을 간행하여 디자인 사고의 형성에도 기여한다.

1

Contents : 역사와 철학2

Page 6: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1928년 그로피우스가 떠난 뒤에는 스위스 건축가 한네스 마이어(Hannes Meyer)가 그 자리를 이어받아 바우하우스는 다시 한 번 그 성격을 바꾸게 된다. 마이어는 바우하우스의 형식주의적인 면을 공격하고, 민중에 대한 봉사야말로 디자인의 역할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건축이 모든 의미의 미적 과정이라고 역설하였다.

1930년 마이어가 데사우시와 관계가 좋지 못하여 바우하우스를 떠난 후에는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가 교장으로 부임하였다. 그는 1932년 나치스의 탄압으로 데사우를 쫓겨나면서도 베를린에 사립 바우하우스를 설립하였으나 1933년 나치스는 이마저도 완전히 폐쇄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망명 교사나 졸업생들이 그 명맥을 계속 이어 나갔으며, 1955년에는 바우하우스 졸업생 막스 빌(Max Bill)이 다시 울름조형대학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Contents : 역사와 철학2

Page 7: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역사와 철학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이념은 이후 독일보다는 오히려 미국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이는 설립자 그로피우스가 하버드대학교 건축부장으로, 마지막 교장이었던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일리노이공과대학 건축학부장으로 각각 부임하고, 모호이너지가 시카고에 뉴바우하우스를 개설한 데 힘입은 바 크다. 즉 이들로 인해 미국 동부에서는 하버드대학교를 중심으로, 중부에서는 일리노이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건축의 양대 산맥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위원회를 결성해 시카고의 건축가들을 일리노이공과대학으로 초빙, 시카고 철골 고층 건물의 신기원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렇듯 바우하우스는 1933년에 완전히 폐쇄되기는 했지만, 이 곳에서 제작한 제품들은 많은 곳에서 모방되었다. 또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물건들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설계하는 방법 역시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교수법과 교육이념 역시 세계 곳곳에 널리 보급되어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예술 교육과정에 포함될 만큼 현대 조형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2

Page 8: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헤르베르트 바이에르(Herbert Bayer, 1900~1985)의 소문자 알파벳 전용 서체 유니버설체(Universal, 1925)

2

Page 9: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야콥 에르바르(Jakob Erbar, 1878~1935)의 에르바르(Erbar or Erbar-Grotesk, 1926)

2

Page 10: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루돌프 코흐(Rudolf Koch, 1876~1934)의 카벨(Kabel or Cable, 1927)

2

Page 11: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폴 레너(Paul Renner, 1878~1956)의 푸투라(Futura, 1927)

2

Page 12: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Joost Schmidt(1893~1948)의 작품

2

Page 13: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Joost Schmidt(1893~1948)의 작품

2

Page 14: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헤르베르트 바이에르(Herbert Bayer, 1900~1985)의 작품

2

Page 15: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헤르베르트 바이에르(Herbert Bayer, 1900~1985)의 작품

2

Page 16: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헤르베르트 바이에르(Herbert Bayer, 1900~1985)의 작품

2

Page 17: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라슬로 모호이너지(Laszlo Moholy-Nagy , 1985~1946)의 작품

2

Page 18: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Contents : 디자인

라슬로 모호이너지(Laszlo Moholy-Nagy , 1985~1946)의 작품

2

Page 19: 디자인과문화 연구결과보고서 - 1510550 민혜원

3

지금 봐도 촌스럽지 않은 디자인들이 무려 약 100년 전의 것이라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지금 봐도 이렇게 놀라운데, 그 당시 과거에 직접 보았더라면 얼마나 더 놀라웠을까?

‘생활 속의 디자인’을 실천한 ‘바우하우스 정신’을 본받아 더욱 성장하는 디자이너가 되겠다.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