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과제번호 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2012. 7 · 연구책임자: 배상훈(성균관대)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과제번호 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2012. 7

· 연구책임자: 배상훈(성균관대)

Page 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연구과제명국 문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영 문 A study on th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quality and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at the higher education level

연구참여자 공동연구원 : 4 명 연구보조원 : 4 명

연구참여자 인적사항

구 분 소 속 직 위 성 명 연락처

연구책임자 성균관대학교 부교수 배상훈 02-760-0564

공동연구원 중앙대학교 부교수 송해덕동국대학교 조교수 장환영고려대학교 연구교수 김혜정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전수빈

연 구 비 45,000 천원 연구기간 2011년 7월~2012년 6월

연 구 결 과 보 고 서

한 국 교 양 기 초 교 육 원

Page 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연구책임자 배 상 훈 소 속 성균관대학교

연구과제명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수한

강사의 확보, 교육과정 및 교재의 개발,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

식의 제고를 포함한 다양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양기초교육

의 발전을 위한 방안 중에서 특히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에 대한 분석 및

진단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대학에서 이루

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를 진단하고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평가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활용 중인

교양기초교육 관련 평가 도구를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관련 전

문가들의 견해를 폭넓게 청취하였다. 그 결과,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에 관련되는 요인을 크게 투입요인, 과정요인, 산출요인으로 나누고, 각 요인별로 평가항목과 문항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설문 문항은 학생 및 학교의 배경 변인, 개별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체제, 대학이 제공하는 교양기초교육 내용(과목 유형), 대학생의 교양기초

교육 참여 실태, 학생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 참여에 따른 성과로 구성하였다. 서울 소재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 도구를 적용하여 봄으로써 평가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총 51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우선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2개 문항), 교양기초교육의 내용(2개 문항), 학생

들의 학습참여(2개 문항), 학생들의 학습참여에 따른 성과(2개 문항) 등 4개 영

역을 대상으로 크론바흐 알파 값을 산출한 결과, 신뢰도 계수는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상대로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5개 요인은 1)학생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 학습을 위한 노력과 관

련된 3개 문항, 2)대학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 운영 체제의 적절성과 관련된 6개 문항, 3)대학 교양기초교육 수업의 적절성 및 효과성과 관련된 5개 문항, 4)대학생의 교양기초교육 참여의 정도 및 질과 관련된 4개 문항, 5)대학 교양기

초교육 참여에 따른 성과와 관련된 1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분산의

54.7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2012년 2차년도 연구에서는 본 연구(1차년도 연구)가 제시한 평가

도구를 보다 많은 대학의 연구대상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평가 도구를 정교화

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이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협의회’와 협력하여 실시하고 있는 학부교육의 질과 성

과 분석 종단연구와 연계하여 수행할 것을 제시하였다.

○ 연구요약문

Page 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목 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가. 연구의 필요성 ····································································································································1

나. 연구 목적 ············································································································································2

2. 연구내용 및 방법 ····································································································································2

가.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 정립 ························································2

나. 기초교양교육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지표 개발 ··································································3

다. 기초교양교육의 질적 수준과 성과 평가 도구 개발 ··································································3

II. 이론적 고찰 ····················································································································4

1. 교양기초교육의 개념 ······························································································································4

2.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관점 ····················································································································6

가. 일반 자유교육 ····································································································································6

나. 기초교육 ··············································································································································6

3.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에 관한 관점 ····························································································7

가. 교양기초교육의 질 ····························································································································7

나. 교양기초교육의 성과 ························································································································8

III. 교양기초교육 평가를 위한 접근 방향 ··································································9

1. 평가내용의 문제: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9

2. 평가내용의 주체: 누가 평가할 것인가? ···························································································10

3. 평가방법의 문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11

4. 평가대상의 문제: 누구를 평가할 것인가? ·······················································································12

Page 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IV. 교양기초교육 평가 관련 국내외 사례 ··································································13

가. CAAP(Collegiate Assessment of Academic Proficiency) ······················································14

나. CLA(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15

다. ETS Proficiency Profile ·················································································································16

라. CBASE(College Basic Academic Subjects Examination) ·······················································17

마.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18

바. NSS(National Student Survey) ····································································································19

사. AHELO(Assessment of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20

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교양교육 평가 ························································································21

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22

차. 루브릭(Rubric), 캡스톤 프로젝트(Capstone Project) ·······························································23

V. 평가도구의 개발 ········································································································25

1. 평가차원의 구분 ····································································································································26

2. 평가영역 및 항목의 범주화 ················································································································26

3. 평가요소 추출 및 문항 설계 ··············································································································29

VI.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 ··················································31

1. 설문대상 ··················································································································································31

2. 설문내용 ··················································································································································33

가. 배경변인 ············································································································································34

나. 설문문항 ············································································································································35

3. 설문결과 ··················································································································································36

가. 기초분석결과 ····································································································································36

나.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55

다. 평가도구의 타당도 분석결과 ········································································································56

VII. 제언 ·····························································································································60

Page 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표 목차

<표 Ⅱ-1>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개념 정의 ·····························································································5

<표 V-1>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투입-과정-산출의 평가차원 ···························································26

<표 V-2> 평가영역 및 항목 범주화 ········································································································28

<표 V-3> 평가요소 추출 및 문항 수 ······································································································29

<표 Ⅵ-1> 응답 학생의 배경변인별 분포 ·······························································································33

<표 Ⅵ-2> 배경변인에 따른 설문문항 구성 ···························································································34

<표 Ⅵ-3>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설문문항 구성 ···········································································35

<표 Ⅵ-4> 학교의 교양기초교육 배경변인 설문결과 ···········································································36

<표 Ⅵ-5> 교양기초교육 과정의 내용영역별 수강한 과목 수 ···························································38

<표 Ⅵ-6> 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양기초교육 내용영역 ···············································40

<표 Ⅵ-7> 교양수업의 수강을 위해 학습활동에 투자한 시간 ···························································42

<표 Ⅵ-8> 교양수업에 성실히 출석한 정도 ···························································································44

<표 Ⅵ-9>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학습활동에 참여한 정도 ·····························································46

<표 Ⅵ-10> 학교 수준의 교양기초교육 운영만족 ·················································································48

<표 Ⅵ-11>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 만족 ···················································································50

<표 Ⅵ-12> 교양수업을 수강한 후 지식, 가치관, 인성 및 역량 등의 향상 ···································52

<표 Ⅵ-13>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 ···················································································54

<표 Ⅵ-14>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n=518) ·····················································55

<표 Ⅵ-15> 문항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수정된 문항-총점 상관 ···················································57

<표 Ⅵ-16> 직각으로 회전하여 추출된 5요인의 요인구조와 부하량 (>.30) ···································59

Page 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Ⅳ-1] CAAP 평가 ·····························································································································14

[그림 Ⅳ-2] CLA 평가 ································································································································15

[그림 Ⅳ-3] ETS Proficiency Profile 평가 ······························································································16

[그림 Ⅳ-4] CBASE 평가 ····························································································································17

[그림 Ⅳ-5] NSSE 평가 ·······························································································································18

[그림 Ⅳ-6] NSS 평가 ·································································································································19

[그림 Ⅳ-7] AHELO 평가 ··························································································································20

[그림 Ⅳ-8] 대교협의 교양교육평가 ·········································································································21

[그림 Ⅳ-9]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22

[그림 Ⅳ-10] 루브릭, 캡스톤 프로젝트 평가 ··························································································23

[그림 Ⅳ-11]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의 교양기초교육 평가 루브릭 ····························24

[그림 Ⅴ-1]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절차 ·······································································25

[그림 Ⅵ-1]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 화면 ·······································31

Page 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 -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m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창의적 인재의 양성을 위한 대학의 역할이

확대되고, 그 일환으로 교양기초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m 그 동안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을 전공교육을 위한 예비

교육 또는 비학술적 상식교육 수준으로 이해하던 관점을 극복하고,

­ 학생들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안목을 바탕으로 핵심역량을 갖추어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음

­ 이러한 맥락에서 21세기 새로운 교육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근본적 변화와 혁신을 유도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관련 정보와 지식을 발전시키고 공유하기 위해 2010년 한국대학교

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이 설립되었음

m 국가 차원에서 대학 교양기초 교육의 발전과 개별 대학 수준에서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우수 강사와 확보, 교육과정 및 교재의 개

발, 전문적인 지원기관의 설립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

­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히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에 대한

진단 및 분석의 필요성에 주목함

­ 구체적으로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체제 및 학생들의 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 수준에서 교양기초 교육에 참여한 성과를 실증적으

로 분석하며,

­ 분석 결과를 다시 교양기초 교육의 발전에 환류하여 활용하는 선순

환적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됨

Page 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 -

나. 연구 목적

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음

­ 일반적으로 평가도구의 개발은 평가도구의 개발, 시범 적용 및 타당

화, 평가도구 보완 및 안정화, 확대 적용 및 분석이라는 장기적 관점

에서 수행되어야 함

­ 본 연구는 평가도구의 개발과 안정적 시행을 목적으로 하는 총 4년연구 중 1년차 연구로서 2차년도에 수행할 시범 적용에서 사용될 평

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음

m 구체적으로 1차년도에 수행할 과제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기초교

양교육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 틀을 만들고, △이를 토대

로 기초교양교육의 질적 수준과 성과를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한 지

표 및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음

2. 연구내용 및 방법

가.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 정립

m 먼저 분석 또는 평가의 대상인 ‘교양기초교육의 질’ 이란 무엇을 의미

하는지를 밝힐 필요가 있음

­ 다시 말해 질 높은 교양기초 교육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

되어야 하고, 대학 교육현장에서 질 높은 교양기초 교육은 어떠한

양상으로 구현되며, 교육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증거는 무엇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음

­ 특히 학생 관점에서 질 높은 교양기초 교육의 성과는 어떻게 발현되

고 측정될 수 있는지가 중요함

m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교수, 학생 등 관련 주체와 전

문가들의 인식에 대한 질적 조사를 통하여 효과적이고 질 높은 교양

기초교육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한 종합적 개념 틀을 구상하였음

Page 1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 -

나. 기초교양교육의 질적 수준 분석을 위한 지표 개발

m 효과적이고 질 높은 기초교양교육에 대한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그양상과 질적 수준을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

였음

­ 구체적으로 평가대상 영역, 세부 항목, 및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음

m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거쳤음

­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투입, 과정, 성과와 관련된 질적 수준 분석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기존 대학정보공시, 인증평가, 언론사 등에 의한 대학평가에서 활용

되는 지표 조사

­ 정부 고등교육 정책방향, 재정지원 평가 등에서 활용되는 각종 지표

조사

­ 주요국에서 대학교육의 질 평가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학생설문조

사, 대학생 학습 성과 등의 주요 지표 분석

다. 기초교양교육의 질적 수준과 성과 평가 도구 개발

m 최종적으로 효과적이고 질 높은 교양기초교육의 질에 대한 개념 및

측정지표를 기반으로 개별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 교육의 질

적 수준과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음

­ 구체적으로 정보 수집의 용이성, 정책적 유용성, 평가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등을 종합 고려한 조사 도구(설문지)가 개발되었음

­ 개발된 평가도구는 실제 대학생에 대한 시범 조사를 통하여 타당성

과 신뢰성을 확인하였음

m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평가와 분석을 위한 정책 인프라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음

Page 1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 -

II. 이론적 고찰

1. 교양기초교육의 개념

m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양기초 교육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여야 하며,

­ 이를 통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가

치, 지향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

m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교양기초교육 전문가 좌담회 결과에 따르면,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개념에 대한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며,

­ 각 대학별로 교육 철학, 인재상, 및 교육 여건에 따라 다양한 내용의

교양기초교육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m <표 II-1>은 국내외 학자들의 교양기초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보여주고 있으며,

­ 시대적 환경과 개별 학자의 학문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음

Page 1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 -

구분 개념

AAC&U

(2009)

§ 모든 학생들이 향유하는 자유교육과정의 일부이며,

지적인 문화시민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적

토대 형성을 위한 교육

Adler

(1966)

§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모든

사람이 받아야 하는 공통된 과업

Hutchins

(1936)

§ 전문직업교육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공통된 인

간의 본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모든 사람이 받아

야 하는 보편적인 교육

Nichols & Nichols

(2001)

§ 세대 간의 일반적인 형태의 지식, 기술, 관점 및 가

치 등 문화유산의 전수 및 소통을 위한 교육

§ 졸업생들이 기본적인 사고, 지식, 행위를 할 수 있

도록 하는 필수요소이자, 재학생들이 대학의 교육과

정에 참여하는 동안 성취해야 하는 공통요소

강명구, 김지현

(2010)

§ 직업적 준비를 추구하지 않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유와 지식체계를 형성하는 교육

§ 사회적으로 요청되는 기본적 소양을 함양하는 교육

김경희

(1996)

§ 자유학과와 고전어 중심의 종래의 ‘자유학문적 교

육’ 내용에 대중적․실용적․기초적인 성격을 가미

한 교육으로, 전문교육이 경직성이나 편협성에 빠져

전인으로서의 인격적․학문적 성장을 제약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교육

김지현

(2007)

§ 가치로운 인간성 발전의 영역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일에 내재적 열정으로 참여하고 지식의 점유를 위한

도제적 활동을 수행하여 한 단계 향상하고 이를 도

움으로써 진리체험을 해내는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

손동현

(2006)

§ 올바른 세계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바탕으로 세계화

된 새로운 정보사회에서 비판적 창의적 사고와 원

활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공동체적 문화적

삶을 자율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주체적인 지도자

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임재윤

(1988)

§ 삶을 구성하는 의미 전체, 또는 문화의 전체에 관한

지식을 통해서 현재적인 삶의 심층적 구조를 이해

하고 이를 인격적으로 내면화시킴으로서 확고한 인

생관 또는 세계관을 갖고 능동적으로 삶에 대처하

도록 하는 교육

<표 Ⅱ-1>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개념 정의

Page 1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6 -

2.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관점

m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좌담회에 따르면,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바탕을 이루는 관점은 ‘자유교육’과 ‘기초교육’으로 요약될 수 있음

가. 일반 ‧자유교육

m 이 관점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교양기초교육은 교양교육에 관한

Hutchins의 사상에 기반하여, 인문적․철학적 관점에서 직업교육과 구

분되는 일반 교육(General Education) 또는 자유 교육(Liberal Education)을 의미함 (손동현, 2005)

­ Hutchins는 비인간화, 몰가치화 되어가고 있는 기성교육에 대해 비

판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인류가 쌓아온 위대한 가치와 원리를 통

하여 현실 사회를 가치롭게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제공해주는 자유

교양교육을 제시하였음(전일균, 2005)

m 일반 교육 혹은 자유 교육은 둘 다 직업교육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교양기초교육은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유와 지식체계 형성을 위한

자유롭고 일반적인 성격을 가져야 한다고 봄

나. 기초교육

m 한편 기초교육의 관점에서 교양기초교육을 기초수학, 기초과학, 기초

영어 등 전공에 진입하여 전공과정을 이수하는데 필요한 기본 기술

(basic skills)의 습득을 제공하는 교육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강명구․김지현, 2010)

­ 기초교육의 관점에서 ‘기초’는 전공교육을 위한 수단이라기보다 모

든 인간이 알아야 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적인 교육으로 의미가

강조되기도 함(강명구․김지현, 2010)

m 이와 같이 교양기초교육은 전통적인 맥락에서의 일반‧자유교육과 함

께 전공교육만을 통해서 형성할 수 없는 다양한 기본 지식 및 기술의

습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는 데서 그 의미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을 것임

Page 1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7 -

3.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에 관한 관점

가. 교양기초교육의 질

m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의 질은 교육이라는 구조적 체제

를 만들어내는 많은 요인들로 가시화될 수 있으며,

­ 교육의 질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형성 혹은 결정되는가 하는 것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함 (민경찬, 임현진, 손동헌, 2005)

m 특히 대학교육에 있어 질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투입-과

정-산출이라는 체제적 관점을 바탕으로 많은 논의가 있었으며,

­ 이는 교양기초교육의 질에 관한 관점에도 함의를 줄 수 있음

m 문제는 이러한 체제적 관점 하에서 대학교육의 질 결정요인은 주로

투입 요소나 산출 결과에 국한되어 논의되는 경향이 있으며

­ 이러한 한계 속에서 과정으로서의 교육 활동이나, 강의의 실제, 학생

경험 등은 교육의 질 요소로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음(민경찬, 임현진, 손동헌, 2005)

m 따라서 교양기초교육의 질에 대한 관점은 교양기초교육활동을 형성

하는 투입, 과정, 산출의 각 요인들 전체가 상호관계 속에서 교양기초

교육의 질의 특성과 그 수준을 결정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에서부

터 출발해야 함

­ 즉, 교양기초교육의 질을 형성하는 요소들은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

는 다양한 양상 속에서 교육과정 수행과 이로 인한 다양한 결과적

요소들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을 것임

Page 1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8 -

나. 교양기초교육의 성과

m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는 일반적으로 교양기초교육을 통해 습득하게

되는 지식의 영역 측면과 인지적 능력이나 스킬 함양 측면으로 구분

할 수 있음(AAC&U, 2009)

­ 또한 교양기초교육을 통해 습득하게 되는 지식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기초 지식과 사유체계를 의미하며

­ 이러한 측면은 교양기초교육의 특성 중 일반‧자유교육의 관점과 긴

밀히 연관됨

m 한편 기초교육의 관점에서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는 전공 심화 과목의

수강 이해에 기본이 되는 인지적 능력과 스킬은 비판적 사고력, 읽기

및 쓰기 능력, 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이러한 능력과 스킬의 변화를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로 경험하게 됨

m 교양기초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Nelson Laird, Niskode-Dossett, & Kuh(2009)는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인지적

스킬, 실용적 스킬, 개인적 사회적 책임으로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를

구분하고 있음

Page 1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9 -

III. 교양기초교육 평가를 위한 접근 방향

1. 평가내용의 문제: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내용으로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는 앞서 살

펴본 바와 같이, 체제이론(투입, 과정, 산출)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음

m 투입 요소 평가

­ 대학의 인재상, 행․재정적 지원, 교육과정의 개발․운영 등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관

평가의 내용과 관점이며, 전통적인 접근방식임

­ 대학이 교육 인프라를 잘 갖추고 지원을 잘하면 교양기초교육의 질

이 우수해질 것이라는 가정에 입각하며, 교양기초교육 자체의 질을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음

­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수행한 교양교육평가는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수(Professor)수업 및 평가, 교육기본시설 등의 교양기초교육의

투입요소를 중심으로 시행되었음

m 과정요소 평가

­ 학생의 교육 참여, 학습경험의 질 등을 교육수요자인 학생의 관점에

서 평가하는 것을 의미함

­ 학생의 학습과정이 교육의 질을 판단하는데 의미가 있다는 가정에

입각하며, 학생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항을 다루는 것으로 교양기초

교육의 질을 학생이 체험하는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파악할 수

있음

­ 미국의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ment)는 대학생의

학업노력, 학습경험의 질, 교수/교우와의 상호작용, 교내외 학업관련

활동 등 학습과정 요인에 초점을 맞춘 대표적인 평가 사례임

Page 1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0 -

m 산출요소 평가

­ 대학이 제공하는 교양기초교육 과정을 수행함에 따른 학생의 역량, 기술수준, 지식, 태도, 수행 수준의 향상 등을 평가하며 대학에서 이

루어지는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는 무엇이며 성과가 목적한대로 달성

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하는 방식을 의미함

­ 이러한 관점은 성과가 좋으면 투입, 과정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입증

할 수 있다는 가정에 입각하여 평가를 시행하는 것으로 대학마다 교

양기초교육의 성과 목표가 다르므로 이를 일률적인 기준을 가지고

측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2007)는 이

러한 산출요소 평가의 관점에서 대학 학부생이 가져야할 역량 성과

를 진단하는 대표적 평가도구라 할 수 있음

2. 평가내용의 주체: 누가 평가할 것인가?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주체에 관한 문제 역시 대학교육의 평가주체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관련 있으나

­ 일반적으로 대학 스스로 자체평가를 하느냐, 아니면 외부 제3자에

의한 외부평가를 하느냐로 구분해 볼 수 있음

m 대학의 자체평가는 대학별로 여건과 환경 특성에 따른 자체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평가역량과 객관성의 문제를 가짐

m 반면, 외부평가는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대학의 책무

성을 강화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 평가 주체가 정부 등 공공 기관일 경우, 평가결과의 활용과 관련하

여 대학 서열화와 대학별, 학문별 특성 반영의 어려움이 있음

Page 1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1 -

3. 평가방법의 문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m 국내외 대학들은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평가

방법을 활용하며, 일반적으로 표준화 평가와 대학별 자체개발 평가로

구분할 수 있음

m 표준화된 평가

­ 표준화된 제작 절차, 검사 내용, 검사 실시 조건, 채점과정 및 해석

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를

평가하는 방식을 의미함

­ 교양교육 질과 성과 평가를 위한 표준화 평가 도구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국에서 개발된 CAAP(Collegiate Assessment of Academic Proficiency), CLA(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CBASE(College Basic Academic Subjects Examination), ETS Proficiency Profile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m 대학별 자체개발 평가

­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교양기초교육의 영역과 내용에 따라 평가대상

을 구분하여 자체적으로 평가방법을 구안, 적용하여 교양교육을 평

가하는 방식을 말함

­ 교양기초교육의 자체평가 방법으로는 포트폴리오(portfolio) 평가, 루브릭(rubric)을 활용한 평가, 교수나 학생들의 자기보고

(self-report) 평가, 대학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교양교육 평가도구, 대학교육 인증평가 등이 활용되고 있음(AAC&U 2009; 박혜림

2007)

m 이러한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방법들은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사고력,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교양기초교육의 학습성과(실제 역량)를 직접적으로 측정․평가하는 방식과 설문평가나 자기보고식 평가를

활용하여 교양기초교육의 학습성과 및 경험에 대한 인식이나 만족도

를 간접적으로 측정․평가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음

Page 1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2 -

4. 평가대상의 문제: 누구를 평가할 것인가?m 교양기초교육 시행주체인 대학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교양기초교육의 수요자이자 참여자인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나 경험, 역량을 평가할 수 있음

m 대학 기관 평가

­ 주로 투입요인들의 개선에 초점을 두어 운영에 필요한 행․재정적 지

원, 인사관리, 제도적 효율성, 대학운영의 합리성을 제고함

­ 그러나 대학 교육여건이라는 투입요인의 개선에 초점을 둔 방식은

계량적 지표에 치중한 나머지 정성적이고 질적 측면을 소홀히 다룬

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

m 학생 평가

­ 대학교육의 질을 학생들의 학습성과로 규정하는 대학교육의 질에 대

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평가관점이라 할 수 있음

­ 투입 요소의 평가보다 방법적으로 어려우나 교육의 질을 학생들의

교육성취로 파악함으로서 교수(teaching)의 질, 학생노력의 질,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제고를 가져올 수 있음

Page 2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3 -

IV. 교양기초교육 평가 관련 국내외 사례

m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평가와 관련된 국내의 선행 연구물은 2001년실시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교양교육 평가에 따른 후속 연구가 대

부분이며

­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를 측정하는 평가 도구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라

기보다는 주로 평가 영역 및 준거 개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임 (박창언, 2001; 박혜림, 2007; 홍윤기, 2008)

m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개발에 참고하기

위한 선행 연구 분석으로 기존에 국내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평가도

구를 탐색하였음

­ 일반적으로 대학 교양기초교육을 평가하는 도구는 표준화된 도구의

형식을 띄고 있었으며,

­ 평가의 관점은 평가 도구에 따라 일반․자유 교육 관점을 가지거나

기초교육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음

­ 이하에서는 각 평가 도구를 평가의 주체, 평가의 방법, 평가 내용 및

영역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음

Page 2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4 -

가. CAAP(Collegiate Assessment of Academic Proficiency)

m 평가주체 및 방법

­ CAAP는 미국 고등교육 평가 전문기관 ACT가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학습성과를 측정․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한 표준화된 평가 도구임

m 평가내용 및 영역

­ 객관식 문항과 글짓기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를 직접적으로 평가함

­ CAAP는 ①쓰기(Writing), ②읽기(Reading), ③수학능력(Mathematics), ④과학능력(Science), ⑤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의 영역을

측정함

m CAAP는 평가에 참여하는 대학의 교양교육 과정의 목표 및 과정에

따라 평가영역을 선택․조합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음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CAAP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그림 Ⅳ-1] CAAP 평가

Page 2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5 -

[그림 Ⅳ-2] CLA 평가

나. CLA(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m 평가주체 및 방법

­ 미국의 CAE(Council for Aid to Education)가 교양교육을 통해 배양

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핵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평가도구임

m 평가내용 및 영역

­ 대학 신입생과 4학년을 대상으로 수행과업영역과 분석적 글쓰기 영

역으로 구성된 지필평가 실시하여 성과의 Gap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양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학습성과를 직접적으로 측

정․평가함

­ CLA를 통해 ①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 ②분석적 사고력

(Analytic reasoning), ③글쓰기 능력(Writing skills), ④문제해결 능력

(Problem solving)을 평가할 수 있음

m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과제수행 방식(Open-ended task performance)을 통해 평가를 실시하지만 개인수준의 성과가 아닌 교

양교육 과정을 실시하는 기관의 성과를 평가 대상으로 함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CLA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6 -

[그림 Ⅳ-3] ETS Proficiency Profile 평가

다. ETS Proficiency Profilem 평가주체 및 방법

­ ETS에서 일반 교양교육을 통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 평가

방식의 평가도구로 개발하였으며 미국 주립대학협의회가 주관하는

대학책무성 시스템(VSA)에 의해 일반교양교육 학습성과 평가도구로

선정되었음

m 평가내용 및 영역

­ 학생 수준의 교육성과로 ①비판적 사고력(critical thinking), ②읽기

(reading), ③쓰기(writing), ④수학(mathematics) 능력을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과학의 영역에서 하나의 통합적인 평가도구로 측정함

m 각 대학의 교육과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평가문항을 대학이 자체적

으로 추가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ETS Proficiency Profile을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7 -

[그림 Ⅳ-4] CBASE 평가

라. CBASE(College Basic Academic Subjects Examination)

m 평가주체 및 방법

­ University of Missouri의 ARC(Assessment Resource Center)가 대학 교양

교육의 학습성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표준화된 평가 도구임

m 평가내용 및 영역

­ 교양교육을 통해 향상된 학생들의 지식과 해석적 사고력, 전략적 사

고력, 적응적 사고력 등의 사고능력 수준을 선택형 문항과 글짓기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평가로 직접적으로 측정․평가함

­ CBASE는 지식의 영역에서 ①언어(Language: English), ②수학

(Mathematics), ③과학(Science), ④사회(Social studies), 사고역량의 영역

에서 ①해석적 사고력(Interpretive reasoning), ②전략적 사고력(Strategic reasoning), ③적응적 사고력(Adaptive reasoning)의 영역을 측정함

m CBASE는 각 평가영역의 학습성과에 대한 점수와 성취수준 정보를

다른 학생들의 정보와 함께 제공하므로 교양교육 과정 및 프로그램

의 질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 평가 주체, 평가 내용 및 방식에 따라 CBASE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

과 같음

Page 2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8 -

[그림 Ⅳ-5] NSSE 평가

마.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m 평가주체 및 방법

­ 인디애나 대학 고등교육 연구센터에서 대학교육의 질 평가를 위해

실시중인 표준화된 평가도구임

m 평가내용 및 영역

­ 대학 신입생과 4학년생을 대상으로 대학이 학생들의 학습 성과 제고

에 기여하는 정도를 12개의 대영역과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질

문하는 107개의 문항으로 평가함

­ NSSE는 ①학문 및 지성적 경험, ②지적 활동, ③ 읽기․쓰기, ④과제, ⑤시험, ⑥부가적인 대학생활, ⑦풍부한 교육적 경험, ⑧관계의 질, ⑨시간사용, ⑩학교환경, ⑪교육적․개인적 성장, ⑫ 전반적 만족도의

영역으로 학생 대상의 설문을 실시함

m NSSE는 학생의 교육경험 중 가장 중요한 측면을 반영한다고 판단되는

42개의 문항을 통해 5가지 기준(학문적 도덕 수준, 교수와 학생 간 교류, 지원적인 대학 환경, 능동적․협동적 학습, 풍부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NSSE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9 -

[그림 Ⅳ-6] NSS 평가

바. NSS(National Student Survey)

m 평가주체 및 방법

­ HEFCE(Hig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for England)에서 대학수

업 질의 영역 중심 지표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개발된 평가도구

로 입학 수준의 질이 교육의 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인식하에 개발

하였음

m 평가내용 및 영역

­ 파트타임 학생이나 재적 및 휴학 상태의 학생들을 제외한 졸업 예정

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수업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

­ NSS는 크게 ①교수활동, ②평가 및 피드백, ③학습 지원, ④조직 및

운영, ⑤학습 환경, ⑥개인개발, ⑦전반적인 만족도 등 총 7개의 영

역으로 구성됨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NSS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0 -

[그림 Ⅳ-7] AHELO 평가

사. AHELO(Assessment of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m 평가주체 및 방법

­ OECD가 개발한 평가도구로서, 제작절차, 검사내용, 검사의 실시조

건, 채점과정 및 해석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교양교육

의 질과 성과를 평가하는 표준화 평가의 방식임

m 평가내용 및 영역

­ 학생 수준의 교육성과에 대한 평가로 일반 핵심능력 영역, 전공 영

역, 학습 성과 배경요인 영역, 가치부가 영역으로 구성됨

m AHELO는 대학생의 학습성과 제고에 기여하는 대학의 역량 평가와

대학의 교육 기능 개선을 위한 컨설팅 제공에 초점을 둠

­ 평가의 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AHELO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1 -

[그림 Ⅳ-8] 대교협의 교양교육평가

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교양교육 평가

m 평가주체 및 방법

­ 2001년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실시한 기관 평가의 관점으로 전통적인

접근 방식이며 표준화 평가의 방식을 따름

m 평가내용 및 영역

­ 대학이 올바르게 교양교육을 시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며, 교육목

표, 교육과정, 교수, 수업 및 평가, 교육 기본 시설, 개선 노력 및 발

전계획의 6개 평가 영역으로 구성됨

m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교육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교양과목의 범위나 수준별 교육, 학제적 성격의 교양과목의 개념이

분명히 제시되지 않아서 왜곡된 결과가 보고되었다는 평가가 있음

(박혜림, 2007)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이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2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2 -

[그림 Ⅳ-9]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m 평가주체 및 방법

­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표준화 평가 도구이며 대학생이 대

학 졸업 후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한 직업

기초능력을 소유하고 있는지를 측정함

m 평가내용 및 영역

­ 고등교육 성과측정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대학에서 함양하

는 직업기초능력을 의사소통능력, 정보의 처리 및 활용 능력, 종합적

사고력, 글로벌 역량 등의 인지적 능력과 대인관계 및 협력, 자기 관

리 등의 비인지적 영역 등의 총 6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여 평가함

m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는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로 학생이 가지게 될

역량을 규정하는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음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이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3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3 -

[그림 Ⅳ-10] 루브릭, 캡스톤 프로젝트 평가

차. 루브릭(Rubric), 캡스톤 프로젝트(Capstone Project)m 평가주체 및 방법

­ 2009년미국대학협의회(AAC&U)가 주도하여교양교육에 대해실시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교양교육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 대상자의 77% 이상이 루브릭(Rubric), 캡스톤 프로젝트(Capstone Project) 등의 자체적으로

대학이 개발한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교양교육 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m 평가내용 및 영역

­ 교양교육의 결과로 나타난 학생의 학습성과 혹은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방법임

m 대학이 평가도구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식이기에 교양

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을 실제적으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하는데 있어 유용성이 인정되어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를 위한 방향 설정은 앞서 살펴본 교양기초교육

의 국내외 평가사례를 바탕으로 평가내용,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

대상 등을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음

­ 평가주체, 내용 및 방식에 따라 이를 분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음

Page 3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4 -

[그림 Ⅳ-11]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의 교양기초교육 평가 루브릭

(Gerretson & Golson, 2005)

Page 3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5 -

① 평가접근의 선정

Ÿ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하여 체제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투입, 과정, 산출의 측면에서 평가 차원을 선정함 Ÿ 이는 교양기초교육을 위한 투입, 과정, 성과가 기대수준

을 충족하거나 또는 최소한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는 분석적 관점을 제공해 줌으로써 교양교

육의 질과 성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

② 평가항목 추출

및 문항 개발

Ÿ 선행연구와 국내외 교양기초교육 평가 사례 분석, 전문

가 인터뷰를 바탕으로 투입, 과정, 산출 요인별로 평가

항목 추출 및 문항 개발

Ÿ 특히, 대학 교양기초교육이 제공하는 과목 유형과 교양

기초교육 참여 성과 관련 문항은 자유교육과 기초교육

의 관점을 반영함

Ÿ 그러나 교양기초교육을 수강한 학생의 역량이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는 직능원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평

가" 도구가 있고, 대학별로 교양기초교육이 목표로 하는 구

체적인 역량이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기로 함

③ 평가도구 확정

Ÿ 설문문항은 학생 및 학교 배경변인, 교양기초교육 제공

과목 유형,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교양기초교육 성과로 구성

Ÿ 문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예: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를 사용

④ 설문조사 실시

Ÿ 대상 : 성균관대학교 및 중앙대학교 학부 재학생

Ÿ 실시시기 : 2012년 5월 2일~ 23일Ÿ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⑤ 결과분석

Ÿ 총 881명의 응답자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518명의

데이터 분석

Ÿ 기초분석 / 신뢰도분석 / 요인분석 수행

V. 평가도구의 개발

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절차는 다음 [그림 Ⅴ-1]와 같

은 순서로 이루어졌음

[그림 Ⅴ-1]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절차

Page 3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6 -

1. 평가차원의 구분

m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기본 평가도구 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평가 차원을 투입-과정-산출의 체제적

관점에서 구분하였음

­ 즉, 교양기초교육의 질을 형성하는 하위 요소들은 실제 교육이 이루

어지는 다양한 양상 속에서 투입-과정-산출의 교육 활동 수행과

이로 인한 다양한 결과적 요소들로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음

­ 특히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는 교양기초교육 과정을 통해 교육의 수요

자인 학생이 성취하게 되는 긍정적 결과 혹은 변화 정도로 규정할

수 있음

m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투입-과

정-산출의 평가차원을 다음 <표 Ⅴ-1>와 같이 구분하고자 함

투입 과정 산출

§ 교육과정 목표

§ 교과목 편성 및 구성

§ 교육과정 운영체제

§ 교육과정 운영

§ 교수의 교수활동

§ 학생의 학습경험

§ 지식,기술,태도,역량 향상

§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

§ 강의평가 점수 향상

<표 Ⅴ-1>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투입-과정-산출의 평가차원

2. 평가영역 및 항목의 범주화

m 본 연구에서는 투입, 과정, 산출의 교양기초교육 평가 차원 구분을

바탕으로 하고

­ 교양기초교육의 특성, 평가대상, 방법, 내용 등을 고려하여 교양기초

교육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평가영역 및 항목을 다음가 같이 범주

화하였음

Page 3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7 -

m 교양기초교육의 투입 요인

­ 교과목 편성 내용 및 교과목 이수체계, 교육과정 운영체제 등의 교

육과정과 관련된 요인

­ 교양 과목 전담 기구 설치 유무, 대학의 예산 규모, 전임 교원 수, 교원 1인당 학생 수 등의 학교 지원 요인으로 평가 항목을 범주화하였음

­ 이는 거시적 관점에서 교양기초교육의 전반적인 운영체제를 투입 요인

으로 고려한 것임

m 교양기초교육의 과정 요인

­ 과정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인지한 수업활동 운영, 교수의

교수활동, 학생의 학습경험 및 참여를 평가항목으로 정리하였음

­ 이는 미시적 관점에서 교양기초교육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제

교수-학습 활동을 과정 요인으로 반영하고자 한 것임

m 교양기초교육의 산출 요인

­ 산출 요인은 교양기초교육의 성과와 관련 있는 것으로 일반‧자유 교

양으로서의 교양기초교육과 기초교육으로서의 교양기초교육의 측면

에서의 산출 요인을 두루 고려하였음

­ 평가 도구에서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에 따라 학생이 달성하게 되는

지식, 기술, 태도, 역량 향상과 전반적인 만족도의 향상을 평가항목

으로 구분하였음

­ 특히 산출 요인은 교양기초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직접적인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향상 및 신장하게 되는 요인을 평가항목으로 범주화하

였음

Page 3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8 -

m 이상과 같이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평가영역 및 항

목의 범주화는 다음 <표 Ⅴ-2>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투입-과정-산출의 평가차원과 비교해볼 때 평가항목이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되었음을 알 수 있음

평가영역 평가항목

투입 요인

§ 교과목 편성 내용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 운영체제

과정 요인

§ 수업 활동 운영

§ 교수의 교수 활동

§ 학생의 학습 경험 및 참여

산출 요인

§ 학생의 지식, 기술, 태도 향상

§ 학생의 역량 향상

§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

<표 Ⅴ-2> 평가영역 및 항목 범주화

Page 3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9 -

3. 평가요소 추출 및 문항 설계

m 교양기초교육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평가요소 추출 및

문항 설계는 평가영역별로 기존의 선행연구와 국내외 교양기초교육

평가 사례 등을 참고하여 설정하였으며 다음 <표 Ⅴ-3>와 같음

평가

영역

평가

항목

평가

요소

문항

설문지

번호

투입

§ 교과목 편성 내용

§ 교과목 이수 체계

§ 교육과정 운영체제

§ 학생의 배경변인

§ 과정 이수 및 편성체계,

전담기구 유무 등의 운

영체제

§ 과정 내용에 따른 수강

과목 수와 중요도 평가

8 1~7, 10

과정

§ 수업 활동 운영

§ 교수의 교수 활동

§ 학생의 학습 경험

및 참여

§ 교수의 수업활동 운영

평가

§ 수업활동에 참여하거나

투자한 정도

3 8~9, 11

산출

§ 학생의 지식, 기술,

태도 향상

§ 학생의 역량 향상

§ 전반적인 만족도

향상

§ 지식, 기술, 태도, 역량 향

상 등에 관한 성과 인식

§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수

준 평가

2 12~13

<표 Ⅴ-3> 평가요소 추출 및 문항 수

m 투입 영역

­ 인문철학 영역, 자연과학 영역, 의사소통 영역 등으로 교양기초교육의

과정 내용을 평가문항으로 설계하였고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

기초교과목 영역 분류’ 자료를 참고하였음

Page 3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0 -

m 과정 영역

­ 교수의 수업 활동 운영 평가에 관한 문항은 주요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을 참고하였음

­ 학생들이 수업활동에 참여하거나 투자한 정도에 관한 문항은 미국의

대학에서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 차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NSSE(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의 학문적 도전 수

준, 교수와 학생 간 교류, 능동적․협동적 학습 관련 문항을 참고하여

구성하였음

m 산출 영역

­ 학생들이 달성하게 되는 성과 영역에 대한 문항 설계는 2009년 미국

대학협의회(AAC&U)가 주도하여 교양교육에 대해 실시한 조사 보고

서 중 교양기초교육의 성과에 관한 문항을 참고하였음

­ 아울러 주요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의 목표를 분석하여 한국적

맥락을 반영하였음

Page 3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1 -

[그림 Ⅵ-1]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 화면

VI.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

1. 설문대상

m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분석, 국내외 교양기초교육 평가

사례 검토, 전문가인터뷰 등을 통해 개발한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의 학

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m 2012년 5월 2일부터 5월 23일까지 3주간의 설문기간 중 전체 응답자는 881명이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 포함된 데이터는 제외하고 총

518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음

Page 3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2 -

m 응답 학생의 배경 변인별 기술 통계는 다음 <표 Ⅵ-1>과 같음

­ 설문에 응답한 학생 518명 중 여자는 61.2%, 남자는 38.8%로 여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 28.0%, 2학년 23.6%, 3학년 23.2%, 4학년

25.3%인 것으로 나타나 1학년 학생이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알 수 있음

­ 나이별로는 20~24세 75.7%, 25~29세 18.7%로 20대가 전체의

9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음

­ 학생들의 응답을 전공계열에 따라 살펴보면 상경계열 19.1%, 인문계열

18.1%, 공학계열 17.4%의 순으로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Page 4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3 -

배경변인 인원(명) 비율(%)

성별

여자 317 61.2

남자 201 38.8

소계 518 100.0

학년

1학년 145 28.0

2학년 122 23.6

3학년 120 23.2

4학년 131 25.3

소계 518 100.0

나이

19세 이하 17 3.3

20~24세 392 75.7

25~29세 96 18.5

30~39세 8 1.5

40세 이상 5 1.0

소계 518 100.0

전공계열

인문 94 18.1

사회 72 13.9

상경 99 19.1

법학 10 1.9

사범 28 5.4

자연 76 14.7

공학 90 17.4

예체능 27 5.2

의학 19 3.7

치학 0 0.0

약학 3 0.6

기타 0 0.0

소계 518 100.0

합계 518 100.0

<표 Ⅵ-1> 응답 학생의 배경변인별 분포

2. 설문내용

m 전체 1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내용은 크게 1) 교양기초교육 내용, 2)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3)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4) 교양기

초교육의 성과 요인 등으로 구분하였음.

­ 또한 평가도구 개발 시 고려해야 할 학생 및 학교 변인 등을 탐색하

기 위하여 설문 대상자의 배경변인도 설문에 포함하였음

Page 4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4 -

설문영역 설문문항문항

번호

배경변인

Ÿ 나이

Ÿ 성별

Ÿ 학년

Ÿ 전공계열

1,2,3,4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배경변인

Ÿ 교양기초교육 과정이 주로 실시되는 학년

- 1, 2학년

- 전 학년

Ÿ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운영되는 기관

- 전담기구(교양학부, 기초교육원, 학부대학 등)

- 관련 전공학과

5

<표 Ⅵ-2> 배경변인에 따른 설문문항 구성

가. 배경변인

m 배경변인은 <표 Ⅵ-2>와 같이 설문대상자 배경변인과 학교수준의 교

양기초교육 배경변인의 두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음

Page 4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5 -

나. 설문문항

m <표 Ⅵ-3>에서 알 수 있듯이 설문문항은 1) 교양기초교육 내용, 2)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3)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4) 교양기초교

육의 성과 영역으로 구성하였음

m 또한 문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문항은 5점 Likert 척도

(예:‘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를 사용하였음

설문영역 설문문항문항

번호

교양기초

교육내용

Ÿ 교양기초교육의 내용영역별 수강한 과목 수

Ÿ 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양기초교육 내용영역6,7

교양기초

교육

학습활동

참여

Ÿ 교양수업의 수강을 위해 학습활동에 투자한 시간

- 준비 및 예습 시간(1주일 평균)

- 복습 시간(1주일 평균)

- 과제수행을 위한 시간(1주일 평균)

Ÿ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학습활동에 참여한 정도

- 성실한 출석

- 발표, 질문, 토론 등에 적극적 참여

- 교수와 수업과 관련하여 이야기하거나 논의

- 다른 학생들과 수업과 관련된 이야기하거나 논의

8,9

교양기초

교육

운영체제

Ÿ 학교 수준의 교양기초교육 운영만족

- 교양기초교육과 대학의 인재상 및 특성화 부합 정도

- 다양한 과목 개설과 수강선택의 용이함

- 최신 경향의 내용을 반영하는 과목 구성

- 이수학점의 적절성

- 강의규모(학급당 학생 수)의 적절성

Ÿ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 만족

-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성취 수준 명확성

- 교재와 자료의 적절성

-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

- 시험 및 과제의 유용성

- 명확한 평가기준과 성적평가의 공정성

10, 11

교양기초

교육

성과

Ÿ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지식, 가치관, 인성 및 역량 등의

향상

Ÿ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

12, 13

<표 Ⅵ-3>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설문문항 구성

Page 4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6 -

3. 설문결과

m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실시된 설문

분석결과를 ‘기초분석결과’,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평가도구의

타당도 분석결과’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음

가. 기초분석결과

m 교양기초교육의 배경

­ 설문응답 학생들이 재학 중인 학교의 교양기초교육 배경변인 설문에

응답한 결과는 아래 <표 Ⅵ-4>에서 확인할 수 있음

구분

예 아니오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교양기초교육

과정이

주로 실시되는

학년

1, 2학년 329 63.5 189 36.5 518 100.0

전 학년 235 45.4 283 54.6 518 100.0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운영되는 기관

전담

기구437 84.4 81 15.6 518 100.0

전공

학과34 53.1 30 46.9 64 100.0

<표 Ⅵ-4> 학교의 교양기초교육 배경변인 설문결과

­ 교양기초교육 과정이 주로 실시되는 학년에 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

면 1, 2학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3.5%, 전 학년(1, 2, 3, 4학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5.4%로 나타났음

* 설문응답 학생들이 재학 중인 학교에 따라 교양기초교육 과정이 주

로 실시되는 학년에 대해 응답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Page 4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7 -

­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운영되는 기관에 대한 설문에서는 전담기구

(교양학부, 교양대학, 교양기초교육원, 기초교육원, 기초교육대학, 학부대학 등)를 통해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이

84.4%의 결과를 보였음

* 교양과목이 전담기구에서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응답자

들 중 전공학과에서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53.1%로 나타났음

* 설문응답자들이 재학 중인 대학의 경우 교양기초교육 전담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문결과를 통해 교양기초교육 전담기구

에 대해 인식이 아직 미흡한 학생이 존재함을 알 수 있음

m 교양기초교육의 내용

­ 교양기초교육의 내용 요인은 학습자들이 인문철학 영역, 사회과학

영역, 자연과학 영역 등의 내용 영역별로 수강한 과목 수와 학교에

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 영역 등과 관련하여 조사

하였음

­ 교양기초교육 과정의 내용 영역별로 설문응답자들이 수강한 과목 수

에 대한 설문결과는 아래 <표 Ⅵ-5>와 같음

Page 4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없음 1과목 2과목 3과목 4과목이상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인문철학 영역 43 8.3 179 34.6 142 27.4 69 13.3 85 16.4 518 100.0

② 사회과학 영역 136 26.3 181 34.9 122 23.6 42 8.1 37 7.1 518 100.0

③ 자연과학 영역 203 39.2 156 30.1 54 10.4 21 4.1 84 16.2 518 100.0

④ 문화예술 영역 248 47.9 161 31.1 74 14.3 22 4.2 13 2.5 518 100.0

⑤ 융복합 영역 410 79.2 77 14.9 27 5.2 2 0.4 2 0.4 518 100.0

⑥ 종교 및 신학 영역 448 86.5 62 12.0 6 1.2 2 0.4 0 0.0 518 100.0

⑦ 사회봉사 영역 397 76.6 104 20.1 15 2.9 2 0.4 0 0.0 518 100.0

⑧ 진로탐색및 경력개발 영역 364 70.3 111 21.4 38 7.3 4 0.8 1 0.2 518 100.0

⑨ 의사소통 영역

(글쓰기, 말하기 등)55 10.6 158 30.5 234 45.2 40 7.7 31 6.0 518 100.0

⑩ 정보기술활용 영역 297 57.3 160 30.9 47 9.1 11 2.1 3 0.6 518 100.0

⑪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82 15.8 162 31.3 178 34.4 45 8.7 51 9.8 518 100.0

<표 Ⅵ-5> 교양기초교육 과정의 내용영역별 수강한 과목 수

- 3

8 -

Page 4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9 -

­ 응답자들이 재학 중 한 번도 수강하지 않은 교양과목의 영역은 종교

및 신학영역이 86.5%, 융복합 영역이 79.2%, 사회봉사 영역이 76.6%의 비율이었음

­ 반면, 4과목 이상 수강한 교양과목 영역은 인문철학 영역 16.4%, 자연과학 영역 16.2%,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이 9.8%의 비율을 보였

­ 한 과목 이상을 수강한 응답자의 비율은 인문철학 영역 91.7%, 의사

소통 영역 89.4%,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84.2%인 것으로 분석됨

­ 이를 통해 설문응답 학생들이 수강한 교양과목들이 주로 인문철학

영역,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의사소통 영역에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 재학 중인 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양기초교육 내용영역에

관한 설문 응답결과는 다음 <표 Ⅵ-6>과 같음

Ÿ 학교에서 전혀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교양기초교육

영역으로는 종교 및 신학 영역이 42.7%였으며 융복합 영역과 사회

봉사 영역이 25.3%, 정보기술활용 영역이 18.5%의 비율을 보였음

Ÿ 학교에서 매우 많이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고 응답자들이 인식한 교

양기초교육 영역으로는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이 25.7%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의사소통 영역 15.3%, 인문철학과 자연과학 영역이

10.2%였음

Ÿ 이는 설문응답 학생들이 수강한 교양과목들이 주로 인문철학 영역,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의사소통 영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

는 결과로 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양과목일수록 필수교양

등으로 지정되어 학생들의 수강비중이 높기 때문일 것이라 여겨짐

Page 4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전혀 아님 조금 보통 많이 매우 많이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인문철학 영역 22 4.2 97 18.7 209 40.3 137 26.4 53 10.2 518 100.0

② 사회과학 영역 30 5.8 98 18.9 195 37.6 151 29.2 44 8.5 518 100.0

③ 자연과학 영역 61 11.8 149 28.8 184 35.5 71 13.7 53 10.2 518 100.0

④ 문화예술 영역 80 15.4 182 35.1 193 37.3 53 10.2 10 1.9 518 100.0

⑤ 융복합 영역 131 25.3 193 37.3 148 28.6 39 7.5 7 1.4 518 100.0

⑥ 종교 및 신학 영역 221 42.7 173 33.4 104 20.1 15 2.9 5 1.0 518 100.0

⑦ 사회봉사 영역 131 25.3 188 36.3 159 30.7 36 6.9 4 0.8 518 100.0

⑧ 진로탐색및 경력개발 영역 93 18.0 159 30.7 179 34.6 66 12.7 21 4.1 518 100.0

⑨ 의사소통 영역

(글쓰기, 말하기 등)22 4.2 53 10.2 178 34.4 186 35.9 79 15.3 518 100.0

⑩ 정보기술활용 영역 96 18.5 127 24.5 207 40.0 79 15.3 9 1.7 518 100.0

⑪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24 4.6 48 9.3 147 28.4 166 32.0 133 25.7 518 100.0

<표 Ⅵ-6> 학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양기초교육 내용영역

- 4

0 -

Page 4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1 -

m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요인은 학습자들이 교양수업을 수강하

면서 예습 및 복습, 과제수행 등에 얼마만큼 시간을 투자했는지, 교양수업에 성실히 출석했는지, 발표, 질문, 토론 등을 통해 참여의 적

극성을 가졌는지, 교수 및 수업 동료와 교류가 활발했는지에 대한

학습자들의 경험을 측정하였음

­ 설문응답자들이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예습 및 복습, 과제수행 등

의 학습활동에 1주일 평균 투자한 시간을 묻는 설문에 응답한 결과

는 아래 <표 Ⅵ-7>에 제시되어 있음

Ÿ 교양수업의 준비 및 예습을 위해 1주일 평균 투자한 시간은 1시간

미만이 56.4%, 투자한 시간 없음이 21.8%, 2~3시간이 17.0%인 것으

로 나타났음

Ÿ 학습자들이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복습을 위해 1주일 평균 투자한

시간은 1시간미만이 51.4%, 2~3시간 26.8%, 투자한 시간 없음이

16.0%의 비율로 조사되었음

Ÿ 교양수업의 과제수행을 위해 1주일 평균 투자한 시간에 대한 응답

비율은 2~3시간 49.4%, 1시간미만 24.1%, 4~5시간 15.4%이었음

Ÿ 이상의 설문결과를 통해 설문응답 학생의 절반 이상이 1주일에 일

정한 시간을 교양수업의 예습 및 복습, 과제수행 활동에 할애하고

있으나 예습 및 복습 보다는 과제수행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을 알 수 있음

Page 4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투자한 시간

없음1시간 미만 2~3 시간 4~5 시간 5시간 이상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준비 및 예습을 위해

투자한 시간113 21.8 292 56.4 88 17.0 17 3.3 8 1.5 518 100.0

② 복습을 위해 투자한 시간 83 16.0 266 51.4 139 26.8 23 4.4 7 1.4 518 100.0

③ 과제 수행을 투자한 시간 13 2.5 125 24.1 256 49.4 80 15.4 44 8.5 518 100.0

<표 Ⅵ-7> 교양수업의 수강을 위해 학습활동에 투자한 시간

- 4

2 -

Page 5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3 -

­ 교양수업에 매 시간마다 성실히 출석했는지를 묻는 설문에 학습자들

이 응답한 결과는 다음 <표 Ⅵ-8>에 제시되었음

Ÿ 교양수업에 성실히 출석하는 정도에 대해 설문응답자의 68.7%가 매

우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렇다는 응답비율도 20.7%로 나타나 설

문응답자들은 교양수업에 대체적으로 성실히 출석하고 있다는 점

을 확인할 수 있음

Page 5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그렇지 않음 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교양수업에 성실히 출석 2 0.4 7 1.4 46 8.9 107 20.7 356 68.7 518 100.0

<표 Ⅵ-8> 교양수업에 성실히 출석한 정도

- 4

4 -

Page 5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5 -

­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발표, 질문, 토론 등의 학습활동, 교수 및 수

업 동료와 교류 등에 참여한 정도에 대해 분석한 설문결과는 다음

<표 Ⅵ-9>와 같음

Ÿ 교양수업 시간에 발표, 질문, 토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했는

지에 대한 설문에는 ‘가끔’ 40.3%, ‘자주’ 25.9%, ‘거의 안

함’ 15.8%의 응답비율을 보였음

Ÿ 교양수업의 내용 및 과제, 시험 등에 대해 교수와 이야기하거나 논

의한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비율이 ‘가끔’ 41.5%, ‘거의 안함’ 29.7%, ‘자주’ 12.9%로 나타났음

Ÿ 다음으로 교양수업의 내용 및 과제, 시험 등에 대해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하거나 논의한 정도의 응답결과는 ‘가끔’ 40.0%, ‘자주’ 30.9%, ‘거의 안함’ 13.1%로 조사되었음

Ÿ 이상과 같이 설문응답자들의 학습활동 참여는 ‘가끔’ 한다는 비

율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교양수업의 내용 및 과제, 시험 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비중은 교수보다 다른 학생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음

Page 5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 분

전혀 안함 거의안함 가끔 자주 매우 자주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교양수업 시간에 발표, 질문,

토론 등에 참여16 3.1 82 15.8 209 40.3 134 25.9 77 14.9 518 100.0

② 교양수업에 대해 교수와 이야기

하거나 논의60 11.6 154 29.7 215 41.5 67 12.9 22 4.2 518 100.0

③ 교양수업에 대해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하거나 논의24 4.6 68 13.1 207 40.0 160 30.9 59 11.4 518 100.0

<표 Ⅵ-9>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학습활동에 참여한 정도

- 4

6 -

Page 5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7 -

m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요인은 학교 수준의 교양기초교육 운영 만족

도와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 만족도에 대해 학습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음

­ 설문응답자들이 재학 중인 대학의 학교 수준에서 교양기초교육 운영

의 만족도에 대해 응답한 결과는 다음 <표 Ⅵ-10>과 같음

Ÿ 교양기초교육과 대학의 인재상 및 특성화 부합 정도, 이수 학점의

적절성 항목에 대해서는 각각 48.1%, 43.1%로 ‘보통’이라고 응답

한 학생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음

Ÿ 다양한 과목 개설과 수강선택의 용이함 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는

‘그렇지 않음' 30.9%, ’보통‘이 27.8%, ’전혀 그렇지 않음‘ 24.7%의 비율을 나타내었음

Ÿ 시대적 변화를 고려하여 최신의 내용을 반영하는 교양과목들로 재

학 중인 대학의 교양기초교육이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한 응답결과

는 ‘보통’ 39.6%, ‘그렇지 않음’ 26.8%, ‘그러함’ 21.0%의 비

율을 보였음

Ÿ 학급당 학생 수를 의미하는 강의규모의 적절성에 대한 응답결과는

‘보통’ 31.7%, ‘그렇지 않음’ 25.5%, ’전혀 그렇지 않음‘ 21.0%의 비율을 나타내었음

Ÿ 특히 다양한 과목 개설과 수강선택의 용이함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를 통해

교양과목 개설과 수강 선택권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음

Page 5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교양기초교육과 대학의 인재상

및 특성화 부합 정도31 6.0 111 21.4 249 48.1 111 21.4 16 3.1 518 100.0

② 다양한 과목 개설과 수강선택의

용이함128 24.7 160 30.9 144 27.8 75 14.5 11 2.1 518 100.0

③ 최신 경향의 내용을 반영하는

과목 구성53 10.2 139 26.8 205 39.6 109 21.0 12 2.3 518 100.0

④ 이수학점의 적절성 29 5.6 66 12.7 223 43.1 178 34.4 22 4.2 518 100.0

⑤ 강의규모(학급당 학생 수)의 적절성 109 21.0 132 25.5 164 31.7 99 19.1 14 2.7 518 100.0

<표 Ⅵ-10> 학교 수준의 교양기초교육 운영만족

- 4

8 -

Page 5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9 -

­ 다음으로 설문응답자가 학교에서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에 대

해 전반적인 수준 만족도를 응답한 결과는 <표 Ⅵ-11>에서 확인할

수 있음

Ÿ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 성취수준의 명확성, 명확한 평가기준과 성

적평가의 공정성 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는 ‘보통’이 각각 46.3%, 49.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Ÿ 교양수업 교재와 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보통’ 40.5%, ‘그러함’ 33.4%, ‘그렇지 않음’ 17.0%의 비율로 조사되었음

Ÿ 흥미와 지적호기심 유발을 위한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에 대한 설문

결과는 ‘보통’ 37.1%, ‘그러함’ 24.9%, ‘그렇지 않음’ 24.9%의 비율을 나타내었음

Ÿ 시험 및 과제가 교양수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를

조사한 유용성 항목에 대한 응답결과는 ‘보통’ 39.6%, ‘그러

함’ 34.0%, ‘그렇지 않음’ 15.3%로 분석되었음

­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설문응답자들은 교양기초교육 운영과정의

각 항목에 대해 대체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음

­ 특히 교양수업에 있어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 설문 경우 ‘그렇지 않

음’과 ‘그러함’이라는 상반된 결과가 각각 24.5%, 24.9%로 비슷

한 비율로 조사되었음

* 이는 흥미와 지적호기심 유발을 위해 교양수업에서 활용되는 수

업방법이 학생들이 수강한 교양과목에 따라 편차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결과는 교양과목의 질적 수준 개선에 활

용할 수 있을 것임

Page 5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성취

수준의 명확성24 4.6 90 17.4 240 46.3 147 28.4 17 3.3 518 100.0

② 교재와 자료의 적절성 28 5.4 88 17.0 210 40.5 173 33.4 19 3.7 518 100.0

③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 54 10.4 127 24.5 192 37.1 129 24.9 16 3.1 518 100.0

④ 시험 및 과제의 유용성 26 5.0 79 15.3 205 39.6 176 34.0 32 6.2 518 100.0

⑤ 명확한 평가기준과 성적평가의

공정성21 4.1 52 10.0 254 49.0 161 31.1 30 5.8 518 100.0

<표 Ⅵ-11>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 만족

- 5

0 -

Page 5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1 -

m 교양기초교육의 성과

­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교양수업을 수강한 후의 개인적 성과를 지식, 가치관, 인성 및 역량 등과 관련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Ⅳ-12>와 같음

Ÿ <표 Ⅵ-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체 항목에 있어 ‘조금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전공

과목에 대한 기초지식의 경우 ‘조금 향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9.4%를 차지하였음

Ÿ 글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소통 능력 항목은 ‘매우 향상’의 응답

비율이 31.3%로 나타났으며 비판적․분석적 사고능력,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항목도 ‘매우 향상’의 응답비율이 각각 26.3%, 22.6%이었음

Ÿ 전공과목에 대한 기초지식,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비판적․분석적 사고능력, 의사소통 능력 항목은 설문응답자의 2/3 이상이

‘조금 향상’ 또는 ‘ 매우 향상’ 이라고 응답하였음

Ÿ 세계시민의식, 수리적(수량적), 사고능력, 정보기술활용 능력 항목

은 설문응답자의 절반 이하가 ‘조금 향상’ 또는 ‘ 매우 향상’ 으로 응답한 것으로 분석됨

Ÿ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양기초교육의 성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 성과가 우수한 영역과 그렇지 못한 영역을 분석하여 교양기

초교육의 내용, 운영체제 및 과정 등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활

용할 수 있을 것임

Page 5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전혀 그렇지

향상없음

거의

향상없음

조금

향상

매우

향상

모르겠음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① 전공과목에 대한 기초지식 62 12.0 93 18.0 256 49.4 98 18.9 9 1.7 518 100.0

②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59 11.4 88 17.0 243 46.9 117 22.6 11 2.1 518 100.0

③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

와 가치관66 12.7 113 21.8 249 48.1 69 13.3 21 4.1 518 100.0

④ 세계시민 의식 103 19.9 151 29.2 199 38.4 43 8.3 22 4.2 518 100.0

⑤ 비판적・분석적 사고능력 39 7.5 91 17.6 240 46.3 136 26.3 12 2.3 518 100.0

⑥ 수리적(수량적) 사고능력 105 20.3 156 30.1 177 34.2 59 11.4 21 4.1 518 100.0

⑦ 의사소통 능력

(글쓰기, 말하기 등)24 4.6 74 14.3 243 46.9 162 31.3 15 2.9 518 100.0

⑧ 정보기술활용 능력 104 20.1 138 26.6 189 36.5 66 12.7 21 4.1 518 100.0

⑨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92 17.8 139 26.8 202 39.0 67 12.9 18 3.5 518 100.0

⑩ 외국어 구사 능력 68 13.1 126 24.3 228 44.0 79 15.3 17 3.3 518 100.0

⑪ 인성 함양 86 16.6 125 24.1 215 41.5 66 12.7 26 5.0 518 100.0

<표 Ⅵ-12> 교양수업을 수강한 후 지식, 가치관, 인성 및 역량 등의 향상

- 5

2 -

Page 6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3 -

­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이 대학에서 수강한 교양수업의 전반적인 질적

수준에 대해 응답한 설문결과는 다음 <표 Ⅵ-13>에 제시되어 있음

Ÿ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해 설문응답자의 47.5%는 보통 수준이라

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높음’이 24.1%, ‘낮음’이 21.8%의

비율을 나타내었음

Ÿ 이를 통해 전반적인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해 설문응답자의 절

반에 가까운 비율이 보통 수준이라고 응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음

Ÿ 또한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해 ‘높음’과 ‘낮음’이라는 상

반된 결과가 비슷한 비율로 분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상당수의 학생들에 있어 대학에서의 교양수업 수준에 대한 기대와

요구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으로 해석됨

Page 6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구분

아주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합계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인원

(명)

비율

(%)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22 4.2 113 21.8 246 47.5 125 24.1 12 2.3 518 100.0

<표 Ⅵ-13>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

- 5

4 -

Page 6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5 -

구분 문항 수 Cronbach α

교양기초교육 내용 2 .810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2 .703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2 .871

교양기초교육 성과 2 .893

전체 8 .915

<표 Ⅵ-14>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n=518)

나. 평가도구의 신뢰도 분석결과

m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신뢰도를 점검하기 위

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음

m 신뢰도 분석은 전체 설문문항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한 후, 교양기초

교육의 내용, 학습활동 참여, 운영체제, 성과 등 4개 요인별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음

m 다음 <표 Ⅳ-14>와 같이 전체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도 계수 α는 .915로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음

m 하위 영역의 신뢰도 역시 .893~.703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교양기초

교육의 성과, 운영체제, 내용, 학습활동 참여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음

­ 이상의 분석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신뢰로운 교양기초

교육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Page 6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6 -

다. 평가도구의 타당도 분석결과

m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

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음

­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기초교과목 영역 분류’ 자료를 토대로

교양기초교육의 내용과 관련된 문항을 제외한 교양기초교육 학습 활

동 참여, 운영 체제, 성과 등의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

하였음

m 우선 회수된 자료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표 Ⅵ-15>와 같이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 모든 문항의 r이 총점과 1개의 항목 (9-1)에서 1.2의 상관을 보였으

며 다중공선성으로 판단되는 문항(r >.80)은 없었음

m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위한 자료 구조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해

Kaiser-Meyer-Olkin (KMO) 검사 및 Bartlett의 구형성을 검증한 결과, KMO 값은 .92으로 최소 적절성 판단 기준으로 알려진 .05보다 크며, 매우 좋은 표본의 적절성을 의미하는 .90을 초과하였음(Hutcheson & Sofroniou, 1999)

­ 또한 Bartlett의 구형성검사 결과가 x2(406) = 6035.74, p < .001로 나타

나 문항 사이의 상관관계가 충분히 크다는 것을 확인하여(Lattin, Carroll, & Green, 2003)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을 위

해 적절한 자료임을 확인할 수 있음

m 본 연구에서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추출은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요인 회전방식은 요인간 독립성이

고려된 직각회전방식(Varimax)을 적용하였음

m 각 요인에 포함되는 문항을 결정하기 위해서 요인부하량(factor loading)이 .30이상인 경우를 선정기준을 정하였는데 첫 분석에서 고

유치(eigenvalue)가 1 이상인 요인이 5개가 추출되었으며 5개의 요인

이 전체 분산의 54.72%를 설명하고 있음

Page 6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7 -

구분 문항번호

문항 내용 평균 표준편차

수정된문항-총점

상관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참여

8.1 준비와 예습 시간 (1주일 평균) 2.06 .810 .357

8.2 복습 시간 (1주일 평균) 2.24 .820 .317

8-3 과제수행을 위한 시간 (1주일 평균) 3.03 .915 .293

9.1 성실한 출석 4.56 .743 .120

9.2 발표, 질문, 토론 등에 적극적 참여 3.34 1.012 .340

9.3 교수와 수업과 관련하여 이야기하거나 논의 2.69 .981 .447

9.4 다른 학생들과 수업과 관련하여 논의 3.31 .993 .357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10.1 교양기초교육과 대학 인재상 및 특성화 부합 정도 2.94 .889 .517

10.2 선택가능한 교양과목의 다양화 2.38 1.072 .505

10.3 최신 경향의 내용을 반영하는 과목 구성 2.78 .967 .561

10.4 이수학점의 적절성 3.19 .911 .474

10.5 강의 규모의 적절성 2.57 1.101 .410

11.1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성취 수준 명확성 3.08 .877 .629

11.2 교재와 자료의 적절성 3.13 .923 .570

11.3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 2.86 1.008 .642

11.4 시험 및 과제의 유용성 3.21 .947 .604

11.5 명확한 평가기준과 성적평가의 공정성 3.25 .864 .433

교양기초교육성과

12.1 전공과목 기초지식 2.81 .938 .514

12.2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2.87 .960 .602

12.3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2.74 .979 .572

12.4 세계시민 의식 2.48 1.034 .618

12.5 비판적 분석적 사고 능력 2.98 .913 .596

12.6 수리적(수량적) 사고 능력 2.49 1.062 .532

12.7 의사소통 능력(글쓰기, 말하기) 3.14 .860 .530

12.8 정보기술 활용 능력 2.54 1.072 .515

12.9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2.58 1.034 .618

12.10 외국어 구사 능력 2.71 .986 .485

12.11 인성 함양 2.65 1.057 .580

13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 2.98 .850 .658

<표 Ⅵ-15> 문항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수정된 문항-총점 상관

Page 6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8 -

m 다음 <표 Ⅵ-16>은 최종 5개 세부 요인으로 구분되는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문항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음

­ 요인 1은 대학생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 수강 결과 나타난 지적 성

취와 관련된 문항임. 본 요인은 다시 자유교육과 기초교육의 관점에

따라 이분하여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음

­ 요인 2는 미시적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을 위한 수업의 적절성과 효

과성에 관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음

­ 요인 3은 거시적 차원에서 대학이 운영하는 교양기초교육 전반의 적

절성과 만족도에 관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음. 특히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에 대한 문항은 교양기초교육 운영 체제의 학교

수준 운영 만족 요인에 포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요인 4는 대학생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에 대한 학습 참여의 질을

진단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음

­ 요인 5는 대학생 차원에서 교양기초교육 수강을 위하여 노력한 정도

를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음

m 이상의 요인 구조는 체제이론 관점에서 볼 때,

­ 대학생의 교양기초교육과 관련된 투입 요인(요인5), 대학생 및 대학

차원의 과정요인(요인4, 요인2, 요인3), 대학생 차원의 산출요인

(요인 1)으로 개념화 할 수 있음

Page 6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9 -

구분 문항 번호 문항 내용

요인부하량1 2 3 4 5

교양기초교육성과

요인 1

12.8 정보기술 활용 능력 .739

12.4 세계시민 의식 .734

12.9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702

12.6 수리적(수량적) 사고 능력 .699

12.3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670

12.11 인성 함양 .652

12.5 비판적 분석적 사고 능력 .639

12.2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611 .395

12.1 전공과목 기초지식 .531

12.7 의사소통 능력(글쓰기, 말하기) .523

12.10 외국어 구사 능력 .485 .370

교양기초교육

운영체제

요인 2

11.4 시험 및 과제의 유용성 .717

11.2 교재와 자료의 적절성 .712 .308

11.1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성취 수준 명확성 .698 .351

11.5 명확한 평가기준과 성적평가의 공정성 .694

11.3 다양한 수업방법 활용 .326 .612

요인 3

10.2 다양한 과목개설과 수강선택의 용이함 .789

10.3 최신 경향의 내용을 반영하는 과목 구성 .305 .695

10.5 강의 규모의 적절성 .598

10.1 교양기초교육과 대학 인재상 및 특성화 부합 정도 .554

10.4 이수학점의 적절성 .342 .541

13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식 .426 .515

교양기초교육

학습활동 참여

요인 4

9.2 발표, 질문, 토론 등에 적극적 참여 .771

9.3 교수와 수업과 관련하여 이야기하거나 논의 .640

9.4 다른 학생과 수업과 관련하여 이야기하거나 논의 .634

9.1 성실한 출석 .458

요인 5

8.1 준비와 예습 시간 (1주일 평균) .791

8.2 복습 시간 (1주일 평균) .775

8.3 과제수행을 위한 시간 (1주일 평균) .630

<표 Ⅵ-16> 직각으로 회전하여 추출된 5요인의 요인구조와 부하량 (>.30)

Page 67: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60 -

VII. 제 언

m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제공되는 교양기초교육의 질과 성과를

분석 또는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하는데 있음

­ 설문 문항은 체제 이론의 관점을 반영하여 교양기초교육과 관련된

투입 (교과목 편성내용, 이수체계, 운영체제), 과정 (수업활동 교수의 교수활동, 학생의 학습참여), 산출 (지식, 기술, 태도의 함양, 역량 향

상, 만족도)의 차원에서 구성하였고,

­ 개발된 평가 도구를 시범 적용한 결과,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인되었음

m 2012년에 수행될 2차년도 연구에서는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 도구를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

가 있음

Ÿ 방법론적으로 ‘한국교양기초교육원’과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협의회(에이스 협의회)’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학부교육의 질

과 성과분석을 위한 종단 연구’와 연계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함으

로서 대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의 실행 가능성을 보

다 높일 수 있음

Ÿ 아울러 이러한 연계는 대학의 교양기초교육을 학부교육의 핵심 요

소로 본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음

­ 2차년도 연구로 1차년도에 개발된 평가도구를 활용한 조사에 참여한

대학에 대하여는 각 지표별로 값을 산출하고, 분석 모형을 개발하여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효과성 및 성과 등에 대하여 시범 분석을 수행

할 필요가 있음

Page 68: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61 -

Ÿ 이 경우 대학 규모, 소재지, 설립 유형, 특성화 여부 등으로 구분하

여,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Ÿ 분석 결과를 통하여 개별 대학 차원 또는 국가 차원에서 대학 교양

기초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모색함

Page 69: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62 -

참고문헌

강명구, 김지현(2010). 한국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와 기초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의 과

제. 아시아교육연구, 11(2), 327-361.

김경희(1996).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개념과 운영 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30, 111-135.

김용숙 외(2001). 2011학년도 학문분야평가인증제 교양교육분야 종합보고서. 한국대학

교육협의회.

김지현(2007).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재개념화. 교육원리연구, 12(2), 115-151.

민경찬, 임현진, 손동헌(2005). 기초학문 진흥 및 확산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의 강화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보고서.

박창언(2001). 대학 학부 교양 과정 평가 준거 설정. 고등교육연구, 12(2), 1-27.

박혜림(2007).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 준거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109-132.

손동현(2005). 교양기초교육의 의의와 학부대학의 지향.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신설

기념 심포지엄 발표자료.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손동현(2006).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 37, 203-231.

이영화, 김주창, 진영종, 김범춘(2003). 대학 인문교양교육의 현황 진단 및 정책 대안. 인문사회연구회 정책총서.

임재윤(1988). 대학교양교육의 의미와 목적. 한국교육, 15(2), 39-56.

전일균(2005). 자유교양교육론의 현대적 의미 : 허친스의 교양교육론을 중심으로. 인문

연구, 49, 25-48.

천정미(2003). R. M. Hutchins의 교양교육의 개념과 대학교육의 목적. 교육철학, 23, 299-313.

Page 70: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63 -

최정윤 외(2007). 한국 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최정윤 외(2009).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하병학(2008). 교양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정과 과제. 사고와 표현, 1(1), 115-144.

홍윤기(2008). 교양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체제 개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Allen, M. J. (2006). Assessing General Education Programs. Bolton, MA: Anker Publishing.

Association of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09). Trends in Learning outcomes, General education, and assessment. Hart Research Associates.

Gerretson, H., & Golson, E. (2005). Synopsis of the use of course-embedded assessment in a medium sized pubic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54(2), 139-149.

Hutcheson, G., & Sofroniou, N. (1999). The multivariate social scientist. London: Sage. Lattin, J., Carroll, J. D., & Gree, P. E. (2003). Analyzing multivariate data. Pacific Grove, CA: Duxbury Press.

Nelson Laird, T. F., Niskode-Dossett, A. S., & Kuh, G. D. (2009). What General Education Courses Contribute to Essential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58(2), 65-84.

Nichols, J. O., & Nichols, K. W. (2001).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New York : Agathon Press.

http://www.act.org/caap/index.htmlhttp://arc.missouri.edu/Content/CBASE/Default.aspxhttp://www.collegiatelearningassessment.orghttp://www.ets.orghttp://www.nsse.iub.eduhttp://www.kcesa.re.krhttp://www.konige.kr

Page 71: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1 -

[ 부록 ]

교양기초교육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우리나라 교양기초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하여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질

과 성과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여러분의 교

양기초교육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오니, 성심껏 응답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절대 비밀이 보장되며, 연구 목적으로만 활용됩니다.

※ 다음은 교양기초교육의 기본배경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나이

① 19세 이하 ② 20~24세 ③ 25~29세 ④ 30~39세 ⑤ 40세 이상

2. 성별

① 여성 ② 남성

3. 학년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

4. 전공계열

① 인문계열 ② 사회계열 ③ 상경계열

④ 법학계열 ⑤ 사범계열 ⑥ 자연계열

⑦ 공학계열 ⑧ 예체능계열 ⑨ 의학계열

⑩ 치학계열 ⑪ 약학계열 ⑫ 기타(구체적으로 명시)

Page 72: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2 -

문항 없음 1과목 2과목 3과목4과목

이상

① 인문철학 영역

(예: 논리, 도덕, 윤리, 역사, 문학, 어학 등)

② 사회과학 영역

(예: 사회, 심리, 경제, 사회복지, 법률, 행정, 국제사회 등)

③ 자연과학 영역

(예: 기초수학, 기초물리, 기초화학, 자연, 기술, 공학 등)④ 문화예술 영역

(예: 문화현상, 음악, 공연, 영화, 미술, 디자인 등)⑤ 융복합 영역

(예: 인문+과학, 공학+문화예술 등)

⑥ 종교 및 신학 영역

⑦ 사회봉사 영역

⑧ 진로탐색 및 경력개발 영역

⑨ 의사소통 영역(글쓰기, 말하기 등)

⑩ 정보기술활용 영역

⑪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5. 재학 중인 대학의 교양기초교육과 관련하여 다음의 항목에 대해 응답해주십시오.

1) 우리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은 주로 1, 2학년 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경향이 있음

① 예 ② 아니오

2) 우리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은 전 학년(1, 2 ,3, 4 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경향이 있음

① 예 ② 아니오

3) 교양과목은 전담기구(예: 교양학부, 교양대학, 교양기초교육원, 기초교육원, 기초교육대학, 학부대학

등)에서 개설되어 운영 중임

① 예 ② 아니오

☞ ① 예인 경우, 문 6번으로 이동

4) 교양과목은 관련 전공학과에서 개설되어 운영 중임

① 예 ② 아니오

※ 다음은 교양기초교육의 내용에 관한 질문입니다.

6. 귀하는 대학교에 입학한 이후, 아래의 교양기초교육 과정 내용을 얼마나 수강하였습니까?

Page 73: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3 -

문항전혀

아님조금 보통 많이

매우

많이

① 인문철학 영역

(예: 논리, 도덕, 윤리, 역사, 문학, 어학 등)

② 사회과학 영역

(예: 사회, 심리, 경제, 사회복지, 법률, 행정, 국제사회 등)

③ 자연과학 영역

(예: 기초수학, 기초물리, 기초화학, 자연, 기술, 공학 등)

④ 문화예술 영역

(예: 문화현상, 음악, 공연, 영화, 미술, 디자인 등)

⑤ 융복합 영역

(예: 인문+과학, 공학+문화예술 등)

⑥ 종교 및 신학 영역

⑦ 사회봉사 영역

⑧ 진로탐색 및 경력개발 영역

⑨ 의사소통 영역(글쓰기, 말하기 등)

⑩ 정보기술활용 영역

⑪ 외국어 및 국제화 영역

문항투자한 시간 없음

1시간

미만

2~3

시간

4~5

시간

5시간

이상

① 교양수업의 준비 및 예습을 위해 1주당 평균 투자한 시간

② 교양수업의 복습을 위해 1주당 평균 투자한 시간

③ 교양수업의 과제수행을 위해 1주당 평균 투자한 시간

7. 재학 중인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은 다음의 내용을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까?

※ 다음은 교양기초교육 관련 학습활동에 관한 질문입니다.

8.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다음의 항목에 대해 투자한 정도를 응답해주십시오.

9. 교양수업을 수강하면서 다음의 항목에 대해 참여한 정도를 응답해주십시오.

1) 교양수업에 매 시간마다 성실히 출석하였음

① 전혀 그렇지 않음 ② 그렇지 않음 ③ 보통 ④ 그러함 ⑤ 매우 그러함

2) 교양수업 시간에 발표, 질문, 토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

① 전혀 안함 ② 거의 안함 ③ 가끔 ④ 자주 ⑤ 매우 자주

Page 74: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4 -

문항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① 교양수업의 목표와 학업성취 수준이 명확했음

② 교양수업 교재와 자료들이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제공됨

③ 다양한 수업방법이 사용되어 흥미와 지적호기심을 유

발하였음

④ 시험 및 과제는 교양수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음

⑤ 교양수업의 평가기준이 명확하고 성적평가는 공정했음

문항전혀

그렇지

않음

그렇지

않음보통 그러함

매우

그러함

① 교양기초교육과 대학의 인재상 및 특성화 전략이 부합하였음

② 다양한 교양과목이 개설되어 수강선택이 용이했음

③ 시대적 변화를 고려하여 최신의 내용을 반영하는 교양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음

④ 교양기초교육 과정의 이수학점은 적절했음

⑤ 교양기초교육의 강의규모(학급당 학생 수)는 적절함

3) 교양수업의 내용 및 과제, 시험에 대해 교수와 이야기하거나 논의하였음

① 전혀 안함 ② 거의 안함 ③ 가끔 ④ 자주 ⑤ 매우 자주

4) 교양수업의 내용 및 과제, 시험에 대해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하거나 논의하였음

① 전혀 안함 ② 거의 안함 ③ 가끔 ④ 자주 ⑤ 매우 자주

※ 다음은 교양기초교육의 운영체제에 관한 질문입니다.

10. 대학에서 수강한 교양기초교육과 관련하여 다음의 내용을 응답해주십시오.

11. 대학에서 수강한 교양수업의 운영과정에 대해 전반적인 수준을 응답해주십시오.

Page 75: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5 -

문항전혀

향상없음

거의

향상없음

조금

향상

매우

향상

모르겠음

① 전공과목에 대한 기초 지식

② 자신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③ 사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④ 세계시민 의식

⑤ 비판적․분석적 사고 능력

⑥ 수리적(수량적) 사고 능력

⑦ 의사소통 능력(글쓰기, 말하기 등)

⑧ 정보기술 활용 능력

⑨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⑩ 외국어 구사 능력

⑪ 인성 함양

※ 다음은 교양기초교육의 성과에 관한 질문입니다.

12. 교양수업을 수강한 후, 다음 항목에 대해 어느 정도의 향상이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13. 대학에서 수강한 교양수업의 질적 수준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① 아주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설문에 참여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Page 76: 2012. 7 RR2012-18-399... · 2012-10-19 · ※과제번호rr2012-18-399 [연구결과보고서] 대학 기초교양교육의 질과 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연구

� 이 연구는 1차년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연구 및 교과목개발 사

업에 관한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의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 있으며,� 연구에 제시된 정책대안이

나 의견 등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

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37-748�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Tel� :� 02-6393-5294� � /� Fax� :� 02-6393-5288

Website� :� konige.kr

원 장 :� 손동현 ([email protected])

사무국장 :� 최종철 ([email protected])

전 문 원 :� 김소현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