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공고 제2009 - kpgi.co.krkpgi.co.kr/upload/gi_farm_55_doc.pdfCD ¢£ r1¤¤ 연 도 별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20011,421.559.456.29.428.055.9203.9121.687.494.598.313.241.9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공고 제2009 - 17호

농산물품질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5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19조제2항의

규정에 의거 지리적표시의 등록 사항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09. 3. 30.

국 립 농 산 물 품 질 관 리 원 장

지리적표시의 등록 공고

1. 지리적표시등록일자 및 등록번호

◦ 등록일자 : 2009. 3. 27.

◦ 등록번호 : 제55호

2. 지리적표시 등록신청인의 성명․주소 및 전화번호

◦ 성명 :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

◦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397-8

◦ 전화 : 052-239-5333

3. 지리적표시의 등록대상품목 및 등록명칭

◦ 등록대상품목 : 배

◦ 등록명칭

- 한글 : 서생간절곶배

- 영문 : Seosaengganjeolgot Pear

4. 지리적표시 대상지역의 범위

◦행정구역상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일원으로 한다.

5. 품질의 특성과 지리적 요인과의 관계

◦품질의 특성과 지리적 요인과의 관계는 [별첨1]과 같다.

6. 신청인의 자체품질기준

◦신청인의 자체품질기준은 [별첨2]와 같다.

[별첨1]

품질의 특성과 지리적 요인과의 관계

제 1 절 서생의 지리적 특성

1. 지리적 위치

○ 면적 : 36.78 ㎢

○ 위치상 서쪽은 부산의 기장과 경계를 하고 있고 북쪽은 온양과

온산을 마주하고 있고 동쪽과 남쪽의 일부는 바다와 접하고 있다.

○ 서생은 한반도 동남쪽에 위치하고 동경 129°16′09′′부터

127°21′94′′까지 북위 35°19′33′′부터 35°23′84′′에 위치하

고 있다.

○ 서생의 경도와 위도

단경도와 위도의 극점

지 명 동 경 북 위

동 단 대송리 간절곶 129°21′94′′ 35°21′06′′

남 단 신암리 비학마을 129°18′82′′ 35°19′33′′

서 단 화산리 물용곡 129°16′09′′ 35°22′69′′

북 단 화정리 이애소 129°18′83′′ 35°23′84′′

※ 자료 : 「일반 현황」, 서생면, 2007, 「첨부 4-1」

2. 기후

○ 서생은 온난 다습한 온대기후 지역에 속하며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다. 서생은 태양의 남중고도가 연중 높아 순복사량이 많은

편이다.

○ 온난다우의 해양성 기후를 이루며 연평균기온은 14.3℃, 1월 평

균기온 2.0℃, 8월 평균기온 26.3℃, 연강수량은 1,135.7mm 임.

○ 일조시간

- 배나무는 광선 부족에 매우 민감한 과수이다. 차광에 의한 건물

량 생성기능은 사과와 같이 타 과수에 비하여 가장 심하게 영향

을 받는 과수이다. 과실의 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선의 효과는

광선 투과가 다른 봉지를 20세기 품종에 씌운 후 성숙과실의 당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봉지를 씌우지 않은 과실의 당도가 가

장 높고 종류에 따라 7~8%까지 차이가 있었다. 광선투과가 가

장 낮은 흑색 봉지구에서는 5%로 감소되어 차광과 당도가 관계

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일조시간에 기인한 광선투

과가 많을수록 당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 온도

배는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나 배의 생육기간인 4~

10월의 평균기온이 20℃내외이고 과실 발육기인 8~9월에는 평균

기온이 22℃이상인 지역이 양질의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지

라고 할 수 있다. 좋은 품질의 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육기의

온도가 높고 수확기까지의 적산온도가 높아야 한다. 서생의 연평

균 기온은 대체로 13~15℃이다. 배나무는 영하의 온도가 5시간

정도만 지속되어도 동해를 입으므로 겨울 동안에 그 이하로 온도

가 떨어지지 않는 지역에서만 재배가 가능하다.

○ 일교차

낮과 밤의 온도 차이는 배의 착색 및 당분의 함량과 관계가 크

며 야간의 온도가 낮을수록 호흡에 의한 소모량이 적어 착색과

당의 축적에 효과적이다. 서생배는 생육기간 중의 일교차가 약

10℃로 다른 배 주산지에 비해 더 크거나 유사하여 육질의 치밀

함을 유지하고 색깔내기와 당도 향상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

○ 서생의 기상개황

연도 및

월별

기 온 (℃) 강수량

(mm)

상대습도 (%)

평균 평균최고 극값최고 평균최저 극값최저 평균 최소

2001 14.6 31.2 35.7 -1.9 -9.8 869.1 58 5

2002 14.4 19.3 35.0 10.2 -6.1 1,559.8 59 5

2003 14.3 19.1 35.4 10.3 -9.9 1,864.1 62 9

2004 15.2 20.5 36.3 11.1 -10.6 1,250.1 57 7

2005 14.3 19.4 35.5 10.0 -10.4 1,135.7 57 8

※ 자료 : 「통계 연보」, 서생면, 2007, 「첨부 4-2」

○ 일조시간

배가 최적의 광합성작용을 하는데 평균 광도는 15,000Lux 정도이며

한 여름 맑은 날의 햇빛 광도는 100,000Lux 정도로 절대적으로 부

족하지 않다. 그러나 흐린 날이 계속되어 일조시간이 부족하게 되거

나 수관 내부가 복잡하여 햇빛의 투과가 나쁘면 가지의 신장이 불량

해지고 꽃눈형성, 착과 및 과실발육, 착색 등이 나빠지게 된다.

○ 서생 지역은 년중 평균 일조시간이 2,245.1 시간으로 일조량이

매우 풍부하여 고품질의 배를 만드는데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지

고 있다.

○ 풍속은 배의 낙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서생의 경우

낙과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2.3m/s 정도의 풍속을 나타내고

있다.

○ 서생의 일조시간 및 풍속

연도 및

월별

바 람 (m/s)일 조 시 간 (hr)

평균풍속 최대풍속 최대순간풍속

2001 1.9 11.1 19.0 2,320.1

2002 1.6 13.1 24.3 2,252.4

2003 2.2 18.3 33.2 1,965.5

2004 2.3 14.8 29.1 2,361.6

2005 2.4 11.5 24.9 2,325.9

※ 자료 : 「통계 연보」, 서생면, 2007, 「첨부 4-2」

○ 강수량

배는 생육기간 중에 강수량이 많고 습도가 높은 기후 조건에서 재

배해야 과피색이 좋고 석세포가 적어 품질이 우수한 과실이 된다.

배의 생육에는 연중 강우량이 1,200~1,400mm 정도, 생육기간인 4~

10월에는 800mm 이상의 강우량이 필요하다. 서생의 강수량을 보면

연강수량이 1,135.6~1,584.4mm 이고 생육시기인 4~10월에는

936.3~1,365.6mm 이다.

○ 서생의 강수량 (단위 : mm)

연 도 별 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1 1,421.5 59.4 56.2 9.4 28.0 55.9 203.9 121.6 87.4 94.5 98.3 13.2 41.9

2002 1,584.4 49.6 7.2 86.5 91.1 112.9 52.6 326.6 592.6 99.9 89.9 3.5 47.5

2003 627.0 26.7 50.5 40.4 156.6 352.8 269.0 469.8 223.1 145.2 4.5 114.5 11.0

2004 1,250.1 10.7 51.1 20.5 124.5 104.0 201.8 102.0 264.9 273.6 6.7 64.7 25.6

2005 1,135.6 36.4 34.4 102.9 48.1 52.6 72.5 148.1 210.6 392.2 12.2 24.5 1.1

※ 자료 : 「통계 연보」, 서생면, 2007, 「첨부 4-2」

3. 토양환경

가. 물리․화학적 특성

○ 과실의 생산력을 좌우하는 요인으로서 토양 조건을 빼 놓을 수

가 없다. 토양 내의 산소농도가 부족하면 새 가지의 생장이 억제

되고 극단적으로 부족하여 2% 이하가 되면 새 뿌리의 생장이 억

제된다.

○ 토양의 수분 함량의 경우에는 20% 이하에서는 배 묘목의 생육

이 눈에 띄게 억제되고 15% 이하가 되면 지상부의 생육이 정지

되며 10% 내외가 되면 뿌리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굵기도 가늘어

지며 새뿌리도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 배의 생육에 적합한 이상적인 토양은 하층까지 배수와 통기가

잘 되면서 수분 공급이 원활한 토양이다.

○ 배나무는 토양 반응에 대한 적응 범위가 비교적 넓은 편이지만

최적 산도는 PH 5.5 부근이다. 토양은 비옥하고 유기질이 풍부하

고 경토가 깊은 식양토나 사양토가 적합하다.

○ 서생의 표토 토성

구 분 면 적 (㎡)

양질조사토 0 (0%)

양질세사토 453,923 (1.3%)

양질사토 0 (0%)

세사양토 49,655 (0.1%)

사양토 8,265,729 (22.3%)

양토 20,431,895 (57.5%)

미사질양토 5,555,752 (15.6%)

미사질식양토 763,258 (2.1%)

식양토 0 (0%)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6」

○ 서생의 심토 토성

구 분 면 적 (㎡)

역질 3,094,697 (8.7%)

사력질 21,905 (0.1%)

사질 490,800 (1.4%)

사양질 9,156,977 (25.8%)

미사사양질 0 (0.0%)

미사식양질 397,072 (1.1%)

식양질 19,360,706 (54.5%)

식질 2,998,050 (8.4%)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6」

○ 서생의 경우 표토는 배의 재배에 적합한 식양토나 사양토가 전

체의 25.4%를 차지하고 있다. 심토는 식양토, 사양토 비율이 약

82% 정도를 점하고 있어 배 재배에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배 재배에는 평지가 적지라 할 수 있으나 평지라 해도 배수가

잘 안 되거나 지하 수위가 높은 곳에서는 높은 공중 습도로 인해

병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반면에 경사지는 배수 및 광선의 수

광량이 양호하고 공중 습도가 낮아 병해 발생이 적은 이점이 있

지만 경사가 급하면 토양 유실이 심하고 재배관리에 수고가 많이

든다.

○ 서생의 경사

구 분 면 적 (㎡)

0~2% 2,189,863 (6.2%)

2~7% 3,789,819 (10.7%)

7~15% 9,819,338 (27.6%)

15~30% 12,795,599 (36.0%)

30~60% 5,336,692 (15.0%)

60~100% 1,588,913 (4.5%)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6」

○ 서생의 배 재배지는 15% 이내의 경사를 이룬 지역이 전체의 약

45%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배의 생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

고 할 수 있다.

○ 배나무의 생장이나 과실 생산력은 재배지의 물리성이 크게 좌우

한다. 이상적인 속흙은 물 빠짐성이 좋고 뿌리가 용이하게 뻗어

나갈 수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 서생의 배수등급

구 분 면 적 (㎡)

매우 양호 7,469,156 (21.0%)

양호 18,245,592 (51.4%)

약간 양호 4,123,744 (11.6%)

약간 불량 4,457,573 (12.5%)

불량 300,924 (0.8%)

매우 불량 923,226 (2.6%)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6」

○ 서생의 경우 물 빠짐성이 좋은 양호 이상의 재배 적지가 전체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 배나무는 산소농도가 부족할 때 신초생장이 억제된다. 토양공기

의 산소농도가 7~8% 일 때 배 묘목은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있게 된다. 배 묘목 생육에 미치는 토양 수분함량은 30~40% 가

가장 양호하다. 20% 이하에서는 생육이 현저히 억제되고 15%가

되면 지상부의 생육이 정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항 등을 종합

해 보았을 때 서생 지역의 배 재배 적지는 다음과 같다.

○ 서생의 배 재배 적지

구 분 면 적 (㎡)

최적지 9,228,601 (25.4%)

적지 6,996,146 (19.2%)

가능지 5,594,643 (15.4%)

저위 생산지 1,648,426 (4.5%)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6」

○ 서생 지역에서 적지 등급 이상의 비율은 약 44.6%를 차지하고

있다.

제 2 절 서생의 인적 특성

1. 배 재배기술의 상향 평준화

○ 서생면의 배 재배는 전 농가가 일반적으로 실용화된 기술을 적

용하고 있으며 유관 농업기술센터 등과 유기적인 정보교류를 행

하고 있다. 또한 서생면에 위치한 지역 농협은 법인에 대한 금전

적 지원 및 교육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서생간절곶배의 친환경농산물인증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인증번호 : 제 07-01-4-12 호, 제 07-01-4-10 호

(2) 인증구분 : 저농약농산물

(3)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397-8 (제 07-01-4-12 호)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화산리 1180 (제 07-01-4-10 호)

(4) 인증품목 : 배

(5) 재배면적 : 917,211 ㎡ (제 07-01-4-12 호)

277,293 ㎡ (제 07-01-4-10 호)

※ 자료 : 「친환경농산물인증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8, 「※첨부 4-1」

2. 울주군 및 서생면의 지원

○ 서생배의 적극적인 홍보 및 판촉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농산물 국제 박람회 및 국내․외 전시회 참가활동을 활발히 장

려하고 있다.

○ 울주군의 지역특화사업추진과 관련,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사업수 : 127 개 사업

(2) 사업비 : 219,996,000 원

(3) 사업 세부내용 (단위 : 천원)

- 유황 : 127ha*12말*3회*8=36,576

- 주정 : 127ha*3말*35=13,335

- 당밀 : 127ha*5말*20=12,700

- 골비액비 : 30세트*250=7,500

- CPK 제조(추비용) : 88,925

- CPK 제조(기비용) : 60,960

- 분상과석 : 127ha*12포/20kg*11*3회=50,292

- 염화가리 : 127ha*3포/20kg*9.4*3회=10,744

- 쌀겨 : 127ha*90kg*0.2*3회=6,858

- 흑설탕 : 127ha*6kg*1.2*3회=2,743

- 천보 : 127ha*4봉*12*3회=18,288

※ 자료 : 「지역특화사업 추진계획」, 울주군청, 2008, 「※첨부 4-1」

제 3 절 지리적 특성과 품질특성과의 인과관계

1. 지리적 위치와의 인과관계

○ 동해를 가까이 하고 있는 서생은 일년 내내 해양성 기후로 기온

이 따뜻하고 바람 또한 적당하게 불어 배 재배에 적합하다.

○ 서생배의 당도가 높은 이유로 바다가 가져다 주는 생장 조건을

들 수 있다. 설탕을 더욱 달게 하려면 소금이 적당히 섞여야 하

듯 서생배가 단 것은 염분 섞인 해풍을 받으며 자라기 때문이라

고 할 수 있다.

○ 해무의 발생 빈도는 기온과 일교차에 비례한다. 즉 해무의 발생

이 잦을수록 기온은 상승하고 일교차는 커지게 된다. 높은 기온

과 큰 일교차는 배의 품질 및 당도 향상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서생 지역은 해무현상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에 따른 기

온과 일교차도 다른 배 주산지에 비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자료 : 「동해 및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해무의 특성과 예측 가능성 조사」,

이동규 외 2명, 부경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97, 「※첨부 4-1」

○ 배 주산지의 평균 기온과 일교차는 다음과 같다.

구분 평균 기온 (℃) 일교차 (℃)

서생면 14.3 9.88

나주시 14.2 9.23

천안시 11.5 9.86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2. 기후와의 인과관계

○ 앞서 언급했듯이 배는 다른 과수에 비해 일조량 부족에 가장 심

하게 영향을 받는 과수이다. 특히 칼륨 성분이 부족할 경우 일조

량이 확보되지 않은 단과지의 과실은 비대 성장이 억제되어 소과

가 될 확률이 높다.

○ 현재 우리나라의 배 주산지의 일조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년도

지역2001 (hr) 2002 (hr) 2003 (hr) 2004 (hr) 2005 (hr) 평 균

서생 2,320.1 2,252.4 1,965.5 2,361.6 2,325.9 2,245.1

나주 1,910.3 1,705.3 1,750.3 1,750.3 2,082.1 1,839.6

천안 - 2,984.1 1,984.2 2,197.4 2,121.5 2,101.0

안성 - 2,435 1,818 2,080 1,910 2,060.7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서생 지역은 다른 배 주산지에 비해

년중 일조시간이 제일 풍부하여 고품질의 배를 만드는데 천혜의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일조량은 안토시아닌 색소의 생성

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데 서생 지역의 경우 이것의 생성에

충분한 양의 일조량이 공급되고 있다.

○ 배는 연평균 기온이 7℃ 이상이면 재배가 가능하지만 동해(凍害)

피해, 품질 저하 등을 고려할 때 연평균 기온이 대체로 14~15℃

정도여야 한다. 보통 연평균 기온 11℃ 전후 지역의 과실 당 함

량은 14~15℃ 지역의 것보다 2~3% 가 낮은 반면 산 함량은 높

아서 품질이 저하된다.

○ 현재 우리 나라의 배 주산지의 월별 평균기온은 다음과 같다.

(단위 : ℃)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서생면 2.0 2.6 7.5 15.1 17.9 23.3 25.5 26.3 22.5 16.5 10.7 1.2 14.3

나주시 2.6 2.5 7.3 12.2 18.4 22.6 24.5 27.0 20.5 18.2 11.0 3.6 14.2

천안시 -0.9 -0.3 4.5 10.7 17.8 20.7 22.3 25.0 17.8 14.4 6.2 -0.5 11.5

안성시 -3.3 -2.5 3.3 12.4 16.7 22.1 25.1 24.8 21.4 13.2 7.0 -5.1 11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 위의 표에서 보듯이 서생 지역의 경우 연평균 기온이 14.3℃ 로

서 고품질의 배 재배에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앞에서 언급했듯이 낮과 밤의 온도 차이는 과실의 착색, 당분의

함량에 영향을 미친다. 밤의 온도가 낮을수록 호흡에 의한 소모

량이 적어 착색과 당의 축적에 효과적인데 서생배의 경우 생육

기간 중 일교차가 약 10℃로 다른 배 주산지에 비해 커서 육

질의 치밀함을 유지하고 당도향상에 유리한 영향을 준다.

○ 현재 우리나라 배 주산지의 월별 평균 일교차는 다음과 같다.

(단위 : ℃)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서생면 8.9 8.6 10.6 11.7 11.2 8.9 7.3 7.7 6.7 9.3 12.0 9.7 9.88

나주시 8.1 9.4 11.5 10.5 10.2 9.3 5.6 8.1 9.1 11.2 9.5 8.3 9.23

천안시 9.3 10.1 13.7 11.5 10.5 9.8 6.3 8.5 11.4 14.2 12.0 10.5 9.86

안성시 11.5 11.4 13.0 13.2 14.9 11.2 8.5 8.9 9.3 12.2 13.2 10.3 10.18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 서생은 안성 지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일교차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고품질의 배 재배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겠다.

○ 풍속은 배의 낙과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서생의 경우

낙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 2.3 m/s 정도의 풍속을 나타

내었다.

○ 우리나라 배 주산지의 월별 평균 풍속은 다음과 같다. (단위 : m/s)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서생면 2.7 2.9 2.6 2.6 2.2 2.3 1.9 2.3 2.4 2.0 1.7 3.0 2.3

나주시 1.6 2.0 2.0 2.1 2.0 1.8 2.1 1.4 1.7 1.1 2.0 1.5 1.8

천안시 1.5 2.1 2.6 2.7 1.9 1.7 1.6 1.5 1.4 1.2 1.7 1.6 1.8

안성시 - - - - - - - - - - - - -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 배 재배 지역은 강수량이 많고 배수가 불량할 경우 습해가 발생하

고 가지가 도장하여 꽃눈수가 감소하고 병충해가 증가하고 과실 품

질이 저하되는데 서생 지역의 경우 배의 생육기간인 4~10월에

강수량이 1,135.7mm로 병충해 발생 염려가 적어 타 지역에 비해

우수한 품질의 배 재배가 가능하다.

○ 배 주산지의 월별 평균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 (단위 : mm)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서생면 36.5 34.4 102.9 48.1 52.6 72.5 148.1 210.6 392.2 12.2 24.5 1.1 1,135.7

나주시 16.1 51.9 15.0 87.8 204.3 226.7 478.3 295.5 46.8 18.2 41.7 37.9 1,520.2

천안시 25.2 18.5 6.1 78.6 79.0 120.0 535.1 63.5 22.2 21.5 56.3 17.2 1,043.2

안성시 1.0 30.5 43.5 8.5 58.0 132.5 310.0 249.0 303.5 44.5 32.0 23.5 1,237

※ 자료 : 「각 지역 통계연보」, 2007, 「첨부 4-2」

○ 서생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하여 월별 강우량이 일정한 편이며 생육

기인 4~10월의 강우량이 습해의 피해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적

당하여 배의 생육에 유리하고 맛을 결정하는 중요 시점인 8월 이후

의 강우량도 타 지역과 비교 시 전반적으로 좋아 배의 재배에 유리

하다.

3. 토양(토성)과의 인과관계

○ 배의 생육에 적합한 이상적인 토양은 하층까지 배수와 통기가 잘

되면서 수분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토양이다. 배나무는

토양 반응에 대한 적응 범위가 비교적 넓은 편이지만 고품질의 배

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기질이 풍부하고 경토가 깊은 식양토나

사양토가 적합하다.

○ 배 주산지별 표토 토성 (단위 : ㎡, %)

구 분 양질조사토 양질세사토 양질사토 세사양토 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 미사질식양토 식양토

서생 0 (0)453,923

(1.3)0 (0)

49,655

(0.1)

8,265,729

(22.3)

20,431,895

(57.5)

5,555,752

(15.6)

763,258

(2.1)0 (0)

나주 0 (0) 0 (0) 0 (0)12,926,088

(2.3)

11,514,509

(2.0)

438,846,373

(77.2)

81,801,714

(14.4)

22,658,425

(4.0)

1,013,795

(0.2)

천안19,573,586

(3.2)

894,093

(0.1)

1,317,212

(0.2)

4,361,746

(0.7)

167,501,067

(27.0)

403,379,867

(65.1)

21,001,775

(3.4)

1,734,194

(0.3)0 (0)

안성3,840,835

(0.7)

1,460,576

(0.3)

309,618

(0.1)

9,810,214

(1.8)

220,084,787

(41.3)

287,483,820

(53.9)

8,324,749

(1.6)

1,673,232

(0.3)0 (0)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배 주산지별 심토 토성 (단위 : ㎡, %)

구 분 역질 사력질 사질 사양질 미사사양질 미사식양질 식양질 식질

서생3,094,697

(8.7)

21,905

(0.1)

490,800

(1.4)

9,156,977

(25.8)0 (0)

397,072

(1.1)

19,360,706

(54.5)

2,998,050

(8.4)

나주116,222,143

(20.4)

96,170,291

(16.9)

430,477

(0.1)

35,559,782

(6.3)

10,910,035

(1.9)

41,994,914

(7.4)

211,846,742

(37.2)

55,626,308

(9.8)

천안27,361

(0.0)

46,028,943

(7.4)

6,461,035

(1.0)

398,309,840

(64.3)

1,728,094

(0.3)

13,544,108

(2.2)

145,276,247

(23.4)

8,387,880

(1.4)

안성113,743

(6.0)

16,346,657

(3.1)

5,915,675

(1.1)

360,677,870

(67.7)

2,216,523

(0.4)

6,968,042

(1.3)

137,602,794

(25.8)

3,146,605

(0.6)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서생의 경우 표토는 배의 재배에 적합한 식양토나 사양토가 전체의

25.4%, 심토는 약 82%를 점하고 있다. 나주의 경우 표토 6.2%, 심

토 약 53%를 나타내고 있고 천안은 표토 27.3%, 심토 약 85%를 차

지하고 있다. 안성은 표토가 41%, 심토 약 87%의 점유율을 나타내

고 있다.

○ 배 재배에는 평지가 적지라 할 수 있으나 배수가 잘 안되거나

지하 수위가 높게 되면 습도로 인해 병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배 재배지의 적당한 경사는 병해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주요한 역

할을 한다.

○ 우리나라의 배 주산지의 경사 분포는 다음과 같다. (단위 : ㎡, %)

구 분 0 ~2 % 2 ~7 % 7 ~15 % 15 ~30 % 30 ~60 % 60 ~ 100%

서생2,189,863

(6.2)

3,789,819

(10.7)

9,819,338

(27.6)

12,795,599

(36.0)

5,336,392

(15.0)

1,588,913

(4.5)

나주120,754,288

(21.2)

86,472,199

(15.2)

153,973,191

(27.1)

60,981,599

(10.7)

81,880,741

(14.4)

64,698,755

(11.4)

천안64,375,286

(10.4)

97,795,268

(15.8)

129,981,088

(21.0)

82,014,018

(13.2)

145,902,389

(23.5)

99,695,553

(16.1)

안성61,390,025

(11.5)

103,468,052

(19.4)

101,690,317

(19.1)

60,402,617

(11.3)

100,646,185

(18.9)

105,390,729

(19.8)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서생은 15% 이내의 경사를 이룬 재배지가 전체의 약 45% 정

도를 차지하고 있어 50%의 비율에 육박하는 타 주산지에 비해

배 생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 배 재배 지역은 배수가 양호해야 동해(凍害) 및 서리피해 등을

줄일 수 있고 토양 배수가 양호할수록 수량지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생배 재배지역은 배수가 양호하며 특히 배수등

급이 “양호” 이상이 전체의 85% 정도를 차지해 수분의 흡수

가 잘되고 뿌리가 썩지 않아 생육에 좋은 환경이다. 토양이 습

해지면 산소가 부족하여 뿌리가 해를 입게 되므로 결국 배수조건

이 양호하면 생산량과 품질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 배 주산지 별 배수등급은 다음과 같다. (단위 : ㎡, %)

구 분 매우 양호 양호 약간 양호 약간 불량 불량 매우 불량

서생7,469,156

(21.0)

18,245,592

(51.4)

4,123,744

(11.6)

4,457,573

(12.5)

300,924

(0.8)

923,226

(2.6)

나주97,682,360

(17.2)

266,266,192

(46.8)

77,476,924

(13.6)

114,212,561

(20.1)

10,839,527

(1.9)

2,283,320

(0.4)

천안156,710,356

(25.3)

286,338,691

(46.2)

60,547,645

(9.8)

84,969,958

(13.7)0 (0)

31,196,922

(5.0)

안성184,491,618

(34.6)

172,909,874

(32.4)

53,155,327

(10.0)

101,712,124

(19.1)0 (0)

20,718,945

(3.9)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서생의 경우 물 빠짐성이 좋은 “양호” 이상의 배수 등급이 전체

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나주는 77%, 천안은 81%, 안성은

약 76%의 “양호”이상 배수등급을 나타낸다. 위의 결과로 유추해

볼 때 서생 지역은 유의적으로 다른 배 주산지에 비해 생육에 있

어서 더 우수한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배나무는 뿌리가 쉽게 자랄 수 있도록 토층이 깊어야 뿌리의 발

달이 광범위하게 되고 비료분의 흡수 기회가 많아져서 비료를 효

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동해나 여름철 고온장애

를 받는 일이 없게 된다. 서생배 재배지역의 경우 토심이 전반

적으로 깊어 뿌리의 발달과 양분의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배

나무의 생육에 매우 적합한 토양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배주산지 별 유효 토심은 다음과 같다. (단위 : ㎡, %)

구 분 매우 얕음 얕음 보통 깊음

서생 37,563 (0.1) 5,127,564 (14.4) 21,579,282 (60.8) 8,775,810 (24.7)

나주 96,903,359 (17.0) 147,343,844 (25.9) 135,050,651 (23.7) 189,463,001 (33.3)

천안 30,958,825 (5.0) 191,808,174 (30.9) 233,922,186 (37.7) 163,074,343 (26.3)

안성 12,548,201 (2.4) 150,748,527 (28.3) 196,284,758 (36.8) 173,406,395 (32.5)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서생 지역은 보통 이상의 토심이 약 8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

다. 이에 비해 나주는 57%, 천안은 64%, 안성은 69%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서생 지역의 토양은 토심이 다른 주산지에 비해 전반적

으로 깊어 뿌리발달 및 비료, 양분의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배

나무 생육에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배나무의 생육에 있어서 토양의 산소농도는 신초생장에 많은 영

향을 미친다. 보통 토양 내 산소 농도가 7~8% 일 때 정상적인

생육을 하게 되며 토양 내 수분 함량은 30~40%가 가장 적당하

다. 수분이 20% 이하에서는 생육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15%

가 되면 지상부의 생육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항을 종

합하여 볼 때 서생 지역의 배 재배 적지는 약 4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배 주산지 별 재배 적지 비율은 다음과 같다. (단위 : ㎡, %)

구 분 최적지 적지 가능지 저위생산지

서생 9,228,601 (25.4) 6,996,146 (19.2) 5,594,643 (15.4) 1,648,426 (4.5)

나주 235,175,338 (38.9) 44,088,700 (7.3) 30,081,453 (5.0) 48,193,483 (8.0)

천안 114,197,832 (18) 66,897,559 (10.6) 61,489,141 (9.7) 64,029,268 (10.1)

안성 107,752,527 (19.5) 101,252,386 (18.3) 42,644,868 (7.7) 45,318,785 (8.2)

※ 자료 : 「농업토양정보시스템 (ASIS)」, 농촌진흥청, 2008, 「첨부 4-8」

○ 서생의 배 재배 지역의 적지 등급 이상 비율은 약 47% 이다. 나

주는 45%, 천안 29%, 안성은 38%의 비율을 나타낸다. 서생은

단위 면적 당 고품질의 배를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자연 조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제 4 절 인적특성과 품질특성과의 인과관계

1. 배 재배 기술의 상향 평준화

○ 서생 지역의 배 재배는 농업기술센터 및 농협 등과 유기적인 정

보교류를 행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다.

○ 서생배는 친환경 측면의 홍보를 강화하여 소비자 인지도를 높여

우수한 공급자로서의 위치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 서생배는 저농약 고효율 방제의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여 소비자

에게 품질 좋은 배를 공급하고 있다.

○ 병충해 방제는 병충해 종합관리에 의거 실행되며 개인 방제력에

따라 7회~9회 정도를 실시한다. 농약의 사용은 「농약관리법」

의 안전사용기준에 명시된 양의 절반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저농약 고품질의 배를 생산하고 있다.

2. 울주군 및 서생면의 지원

○ 울주군 및 서생면의 적극적인 홍보와 판촉활동 및 박람회, 전시

회 등의 참가활동은 궁극적으로 서생배의 품질향상에 일조하고

있다.

○ 배의 품질은 기술수준이나 장비의 성능보다는 개발된 기술이나

장비를 사용하는 농업인의 자질, 노력에 의해 좌우되는데 본 영

농조합법인은 이러한 농업인의 자질, 노력의 발현에 커다란 역할

을 하고 있다. 군내 농업기술센터, 농협 및 영농조합법인의 끊임

없는 기술개발 노력은 서생배의 재배기술을 국내 최고수준으로

이끄는데 일조하고 있다.

[별첨2]

자체품질기준

제1절 적용범위

○ 이 기준은 지리적 표시품으로 등록된 서생배의 재배부터 출하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에 걸쳐 생산자가 준수해야 할 자체 기준을

마련하여 서생배의 명성, 품질 및 기타 특성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규정함.

제2절 생산기준

1. 재배과정

가. 품종의 선택

○ 서생간절곶배의 품종은 신고로 함.

나. 묘목의 선택

○ 우량한 묘목의 구입이 필요한데 우량한 묘목은 농림부에 등록

허가된 묘목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묘목은 대체적으로

가을철에 우량한 묘목을 확보하기가 쉽다.

○ 환경 적응성이 양호하면서 왜화도가 알맞은 묘목을 선택하여 관

리하기 쉽고 생산과실도 우수한 품질의 대목으로 선정한다.

○ 가지 발생이 양호한 규격묘를 심도록 하고 근두암종병, 역병, 바

이로이드 등에 감염되지 않은 충실한 묘목이어야 한다.

다. 재식시기

○ 묘목심기는 가을 낙엽 후부터 봄 발아 전까지 가능하다. 서생배

는 가을심기를 하는데 이것은 겨울에 뿌리에 흙이 잘 밀착되어

이듬해 뿌리 활착과 생육이 좋아진다. 심는 시기가 늦어지면 발

아가 더디고 그해 생육도 불량해진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남부

지방은 가을에, 추운 지방은 봄에 일찍 심는 것이 좋다.

라. 토양 관리 및 시비기준

(1) 배나무의 토양 적응성

○ 배나무는 건조에 약하고 수분요구도가 다른 과수보다 높고 유기

물이 많은 양토 또는 사양토에 적합하고 다비성이다.

○ 토양 경도에 따른 신장관계

- 토양경도 18~20mm 전후 : 가는 뿌리 발달이 용이

- 토양경도 21~25mm 전후 : 가는 뿌리 발달 심한 저해

- 토양경도 29mm 이상일때 : 가는 뿌리 전혀 못자람

○ 토양 내 산소 농도는 2%에 불과하지만 좋은 생장을 위해서는

10% 이상의 산소가 요구되며 새 뿌리의 발생을 위해서는 15%

이상의 산소가 필요하므로 토양 공극을 30% 이상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2) 토양 개량

○ 심경에 의한 방법

- 시기 : 월동기 (낙엽이 지면서~얼기 전)

- 방법

1) 윤구식 : 나무의 둘레를 원형으로 구덩이를 파는 방법. 수령에

따라 차차 넓혀감. 배수 불량지는 습해의 우려가 있음.

2) 도랑식 : 나무사이를 도랑 형태로 깊이 파는 방법. 배수 불량지

에 좋다.

3) 구덩이식 : 나무 주위 몇 곳에 넓이 및 깊이를 60~80cm로 파

고 유기물을 넣는 방법 - 배수 불량지에서는 습해의 우려가 있

으므로 신중한 시행이 요구된다.

(3) 수분관리

○ 배수가 불량하여 토양내의 습도가 높으면 토양 내 산소가 부족

하고 환원물질이 생겨 새 뿌리가 상하기 쉽고 칼륨 및 마그네슘

흡수가 억제되게 된다.

○ 배수 : 토양의 배수는 암거 배수로 행한다.

<그림 6-1> 암거배수 처리시설 단면도

50~100㎝

모래, 자갈

또는 왕겨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관

또는 나뭇가지

○ 관수

1) 관수시기

- 5월 중․하순 ~ 6월 중순, 9월 상 ~ 하순

- 10 ~ 15일간 23 ~ 30mm의 강우가 없을 때

2) 관수량(㎥) = 관수면적(㎡)*관수토심(m)*(20-10)/100

= 1,000*0.3*0.1 = 30㎥ (톤)

- 관수효과 : 관수를 하면 토양 내의 무기양분 유효도가 증가되어

무기양분의 흡수가 증가하게 된다.

- 관수방법 : 토양 조건과 기술수준에 따라 표면관수, 살수관수, 점

적관수 등으로 나누어 행한다.

<표 6-1>관수가 수량 및 평균과중에 미치는 영향

품 종 처 리과실수

(개/주)

과중

(g)

수 량 (kg)

주당 수량 10a당 수량

신고관 수 46.9 490 23.1 763

자연강우 42.9 443 19.0 627

(4) 시비

○ 비료의 역할

1) 질소 (N)

- 질소 과다 시 도장지의 발생이 많으며 화아 분화가 적고 병해충

발생이 심함

- 생육 초기의 전엽수를 증가시키고 엽면적을 확대함.

- 질소 부족 시 생장속도가 느리고 과실발육이 불량하여 품질이

떨어지고 잎은 황화 낙엽됨.

2) 인산 (P)

- 인산은 체내 이동이 잘되며 마그네슘이 신초나 열매로 이동 시

함께 이동할 수 있어 서로 도와줌.

- 가지와 잎의 생장을 충실하게 하고 수량 증가.

- 인산 과다 시 토양염류가 집적되나 이동이 극히 제한되어 증상

발견이 어려움.

- 인산 결핍 시 발아가 지연되고 어린 잎이 기형이 되고 암록색을

띠고 뿌리 생장 억제

3) 칼륨 (K)

- 칼륨의 대부분은 영양 생장기에 흡수되며 과실의 자람에 따라

이동.

- 6월 중 칼륨이 부족하면 과실 비대가 극히 불량.

- 동화 산물의 이동을 촉진, 과실 발육 및 당도, 저장성을 향상.

4) 칼슘 (Ca)

- 효소의 활성화, 단백질 합성 및 이온의 선택적 흡수조절 가능

- 에틸렌 발생을 적게 하고 호흡을 억제하여 저장력을 향상시킴.

- 망간의 활성화 및 마그네슘, 인산의 불용화 방지

- 수동적 흡수에 의존하므로 증산작용이 활발할 때 흡수속도가 빠

르며 뿌리표피가 갈변 후는 흡수가 거의 불가능.

○ 수체 상태에 의한 시비 처방

1) 신초의 생육상태와 수세

- 낙엽 이후 그해 자란 가지의 상태로 수세를 판단하는데 수세 충

실형은 발육지 길이가 60~70cm 정도, 굵기는 중간, 절간이 길지

않고 다소 굴곡이 있으며 잎눈이 다소 돌출되었다.

2) 도장지 발생정도와 수세

- 도장지와 발육지는 직립하므로 육안 구별이 힘들며 단지 편의상

잎눈에서 나온 것(발육지), 숨은 눈에서 나온 것(도장지)으로 구

분한다.

3) 가지와 눈의 상태

- 질소가 과다한 경우는 도장하고 눈 상태는 크나 충실치 못하다.

- 질소가 부족하면 가지가 짧고 가늘며 눈의 상태가 빈약하다.

<그림 6-2> 꽃눈 형태와 충실도

충실한 화아 약한 화아 불충실한 화아(2차과지)

4) 낙엽상태

- 낙엽시기가 늦거나 오랜 시간에 걸쳐 낙엽되는 것은 질소시용이

많거나 생육후기까지 질소가 많이 흡수된 상태이다.

- 낙엽이 빠른 것은 양 수분 부족, 결실과다로 수세가 약한 상태이다.

- 낙엽시기는 10월 하순경이고 1~수회 서리가 내리면서 일제히 낙

엽된다.

○ 토양 검정에 의한 시비 처방

1) 과수의 생육상태와 포장 조건에 따라 구획을 나누어 토양 검정

을 실시한다.

2) 토양검정 후에 시비할 경우는 복합비료가 아닌 단비위주로 시용

한다.

3) 비료를 줄 때는 유기물의 투입종류, 양에 따라 질소량을 가감한다.

4) 시비방법 및 비종에 따른 비율

- 질소의 표토 시용 (관비) : 30 ~ 50% (90%)

- 표면관수에 의한 질소시비 : 50 ~ 70%

- 질소의 엽면시비 : 11 ~ 75%

- 인산의 표토시용 (관비) : 30% (40%)

- 칼륨의 표토시용 (관비) : 40% (80%)

(5) 토양 분석은 시비량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되므로

3~5년마다 반드시 해당기관에 분석을 의뢰하도록 한다. 신규개

원의 경우 개원 전 반드시 토양분석을 하도록 한다. 토양분석과

엽분석(필요하다면 과실 분석)을 병행하면 시비량을 신뢰성 있게

산출할 수 있다.

(6) 과다한 비료 사용은 피해야 하며 유해물질 또는 토양을 오염시

킬 수 있는 성분이나 부산물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비료, 하수 침전물과 쓰레기 재생퇴비 등은 사용할 수 없다.

마. 정지 및 전정 기준

(1) 정지 및 전정의 목적

○ 수관 내 무효공간을 최소화하여 기부에서부터 결실을 유도.

○ 격년결과에 의한 해거리를 방지.

○ 수목의 균형 유지

(2) 배나무의 생육특성

○ 가지가 적립성으로 과실간의 양분경합이 심함.

○ 도장지 발생이 많아 광환경이 나빠짐.

○ 꽃눈형성 및 유지가 쉬워 격년결과 위험이 적음.

○ 가지생장의 연속성이 없음.

(3) 가지의 종류와 결과 습성

○ 가지의 종류

1) 결과지 : 꽃눈이 형성되는 가지.

- 장과지 : 30 cm 이상

- 중과지 : 12~20 cm

- 단과지 : 2~5 cm

2) 발육지 : 숨은 눈에서 발생된 가지와 잎눈에서 생장되는 가지

- 잎눈에서 생장된 가지를 유인하면 액화아가 잘 형성됨.

3) 도장지 : 가지의 구부러진 곳, 세력이 강한 가지에서 발생한 가지

○ 결과습성

1) 2년생 가지에서 꽃눈이 형성되면 3년생 가지에서 개화 결실함.

2) 주 결실 부위는 단과지군으로 정화가 형성되며 생강아라고 함.

3) 정화에 결실된 과실이 좋고 묵은 단과지군의 과실은 액화아보다

품질이 떨어짐.

4) 묵은 단과지군의 경우 화아 충실도가 나쁘고 양분소모가 많으므

로 아래와 같이 잘 정리해야 함.

<그림 6-3> 단과지군의 전정법

(4) 전정과 생육반응

○ 강전정 : 영양생장이 왕성해지고 꽃눈형성이 적어지며 수세 강해짐.

○ 약전정 : 생식생장이 강해져 꽃눈 형성이 많고 수세가 약화 안정됨.

(5) 정지 전정 시 유의사항

○ 햇빛을 잘 받는 나무가 되도록 가지 배치를 잘 해야 함.

○ 작업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야 함.

○ 주간의 높이는 토양 조건, 신고, 수세, 재식거리에 알맞게 조절.

1) 주지는 직선이 되도록 사립형으로 유인.

2) 주지의 선단가지(연장지)는 적당한 세력으로 유지시킴.

3) 여름 전정은 적기에 적량(최소한 도장지의 30%는 남김)을 해야 함.

4) 최적 엽면적 지수가 되도록 전정량을 조절.

(6) Y자수형 구성 요령

○ 2 ~ 3년차 전정법

1) 주지는 3년차까지 유인하지 않고 곧게 키운다.

2) 주지기부에서 발생되는 가지는 조기 제거

3) 주지에서 발생한 가지는 신초 비틀기, 적심 등을 하여 생장을

억제하여 세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함.

○ 4 ~ 5 년차 전정법

1) 4년차 봄 수액이동이 활발할 때 유인.

2) 유인 시 분지각도가 좁은 것은 굵기의 1/3 정도 5 cm 간격으로

목질 부를 4 ~ 10 군데 상처를 내고 유인.

3) 유인 후 연장지의 세력이 약화되기 쉬우므로 배면의 상부눈을

남기고 전정

4) 생육기의 신초는 2~3년차와 같이 여름전정, 적심, 염지 등을 하

여 주지상에 단과지와 중과지를 형성.

5) 주지 유인시에는 활처럼 휘지 않게 유인하고 사립형으로 유인하

는 것이 도장지 발생이 적어 밀식장애를 줄일 수 있음.

○ 5년차 이후의 전정방법

1) 5년차 이후 수형을 완성시킴.

2) 수형 완성 후 세력이 약화되지 않게 하고 단과지, 중과지 위주

로 결실시키며 발생 각도가 넓은 가지를 이용.

3) 밀식 장해 시 간벌을 실시하고 간벌 시 측지를 주지와 직각이

되게 형성시켜 세력을 분산.

바. 제초 및 병충해 방제

○ 농약의 사용은 「농약관리법」의 안전사용기준에 명시된 양의

절반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병충해 방제는 병충해종합관리에 의거 실행하며 개인 방제력에

따라 7회~9회 정도를 실시한다.

○ 사용하는 모든 농약은 기록을 유지해야 한다.

사. 결실관리

(1)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화․수분기 기상조건

- 기온이 12℃에서 개화 시작, 15℃ 이상에서 3~4일 후 만개.

- 15℃ 전후 2시간 내에 암술머리가 붙은 꽃가루가 발아하여 3시

간 후 암술머리를 통과 화주안으로 착상.

○ 결과지의 종류와 세력

- 겨드랑이 꽃눈은 단과지 꽃눈보다 결실율이 낮고 과형이 나쁨.

- 단과지 중 덧눈의 세력이 강한 것은 결실율이 좋지 않음.

○ 개화기 약제 살포

- 살충제 : 개화기 중에 방화곤충의 활동을 방해하여 수정이 저하

- 살균제 : 꽃가루 활력을 떨어뜨려 결실율 저하시킴.

(2) 열매솎기 (적과)

○ 착과량과 과실크기

- 과실크기 = 세포수 * 세포의 크기

- 세포의 수 : 작년 저장양분에 의한 세포분열이 많고 적음이 좌우.

- 세포의 크기 : 잎에 의해 좌우

○ 적과와 과실 크기

- 적당한 적과는 도장지 생장 억제와 과실을 조기에 크게 만듬.

- 과다 착과 시 이듬해 꽃눈 부실해짐.

- 과다 착과 시 동해로 인한 줄기, 가지 마름병 발생 많음.

○ 적과의 실제 요령

1) 나무 전체를 먼저 한다.

- 주지 및 큰 가지의 기부와 끝 부분 30cm 정도는 우선 솎아냄.

- 장과지 또는 곁가지(측지)의 끝눈에 달리는 열매를 솎아냄.

- 수관 외부를 먼저 끝낸 뒤에 수관 내부를 솎아냄.

2) 가지의 적과를 실시한다.

- 밑으로 처지거나 곧장 치솟는 가지에 달린 과실은 우선 솎아냄.

- 과총엽이 없는 열매는 솎아냄.

- 옆으로 비스듬히 나와 달리는 열매를 남김.

3) 한 과총(열매꼬투리)의 적과 요령

- 6 번째 이상의 열매를 제거함.

- 3~4번과 중 1과를 남기고 나머지 기부에서 1, 2 번과와 끝쪽의

5번과를 솎아냄.

- 3~4번과가 병충해, 기계적 상처, 동록이 생겼으면 2번과와 5번

과를 남기고 다소 장원형이고 열매꼭지가 굵고 긴 것이 좋음.

4) 과총의 선택 및 과총간의 거리

- 열매를 솎은 뒤 열매간의 거리는 최소한 15cm 이상 되도록 하

여 수확 시 열매가 서로 맞닿지 않아야 함.

- 거리가 적당하다면 가능한 한 열매가 굵은 과종을 남김.

- 아들꽃 또는 아들열매는 우선 솎아내야 함.

5) 남기는 과형의 모양

- 과형의 좌우가 같고 반듯하며 적과할 때 다소 길쭉한 형으로 꽃

이 깨끗이 떨어져 남아있지 않은 무체과.

- 다음과 같은 과형은 우선 솎아냄.

① 표면이 울퉁불퉁한 과일.

② 과면에 골이 져있는 과일.

③ 과면이 깨끗하지 못하거나 동록이 낀 과일.

④ 꽃이 깨끗이 떨어지지 않고 남아있는 유체과

○ 과일을 솎는 시기 및 순서

- 1차적과 : 예비적과는 꽃가루 받이 및 수정이 끝나서 착과 여부

가 확실히 드러나는 꽃이 진 뒤 7~10일부터 시작. (나무전체와

과총적과 위주)

- 2차적과 : 본적과로서 한 과총 내의 3~4번과 중에서 한 개 남

김. 최종 수확할 과실 수보다 20% 더 남김.

- 3차적과 : 마무리 적과로서 이때 수확 예상량보다 10% 더 남김.

(3) 봉지 씌우기

○ 목적

1) 병충해 방제 - 방제 횟수를 줄여 노동력 절감.

2) 과피 보호 및 외관 미려 - 상품화율 제고

3) 청정과일, 무공해 식품 생산

○ 봉지 종류와 과실 품질

1) 봉지 내 온․습도와 과실

- 봉지 내 미기상변화에 따라 과실 굵기, 당도, 즙, 코르크 발생 영향.

- 저온 다습형 봉지와 고온 건조형 봉지로 구분.

<표 6-2> 봉지에 따른 과실 특성

과실의 특성 고온 건조형 저온 다습형

크 기 작 음 큼

육 질 단단함 연 함

과 즙 적 음 많 음

당 도 높 음 낮 음

코르크화 많 음 적 음

과 피 두텁고 단단함 얇고 연함

광 택 적 음 많 음

2) 봉지의 광선 투과량과 과실 특성

- 투광량은 30~40% 적당, 낮으면 과피색이 황백화, 높으면 녹색.

○ 봉지 씌우는 시기

1) 과실 코르크화가 시작되는 만개 30일 이내.

2) 과피 황갈색 품종 : 생리적 낙과 끝나는 6월 상순 ~ 장마 전

완료.

아. 수확 및 저장

(1) 수확 적기

○ 과피의 녹색이 사라지고 품종 고유의 황갈색을 띰.

○ 꽃이 떨어진 자리인 체와부쪽의 지색이 엷은 녹색~엷은 황색을 띰.

○ 쪼개보면 씨가 갈색에서 흑색으로 변함.

○ 과육에서 품종 특유의 풍미를 느낄 수 있음.

○ 품종의 평년 수확기보다 20일 정도 앞서부터 5일~7일 간격으로

비교적 굵은 과일을 몇 개 수확하여 과피색, 크기, 맛 등을 예년

과 비교하여 수확시기 판정.

(2) 수확요령

○ 한번에 수확을 끝내거나 과수원을 몇 부분으로 나누어 수확할

경우 과일 크기가 차이가 많이 나며 수확에 많은 노력이 소모되

므로 적어도 3차례 이상 나누어 수확해야 함.

1) 우선 가장 굵은 열매부터 수확

2) 한 나무에서는 수관 외부부터 수관 내부의 순서로 수확.

3) 큰 가지는 선단부, 중간부, 기부로 3등분하여 선단부를 먼저 하

고 기부는 가장 늦게 함.

(3) 저장

○ 저장조건 : 온도는 1~3℃, 습도는 85~90%가 좋음.

- -1℃ 이하는 좋지 않고 5℃ 이상은 장기저장에 불리함.

○ 저온 저장고 입고 : 벽면 30cm, 통로 50cm, 천장 50cm의 간격

유지.

- 저온 저장 전에 반드시 노지에서 예건 실시.

- 생리 장해과는 수확 후 저장 전에 조기 처분할 것.

자. 영농일지 작성

○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의 조합원은 〔별지 2호 서식〕에 의거, 영

농일지를 작성하여야 함.

○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은 연 1회 이상 무작위로 전체 조합원 10%

의 표본수를 수집하여 영농일지 작성 여부를 검사.

○ 영농일지 미 작성시 품질관리계획서의 개별기준에 의거, 조치를

취함

제3절 최종 생산물의 품질기준

1. 등급기준

가. 배의 등급기준

○ 배의 품질기준은 다음 <표 6-3>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함

<표 6-3> 배의 품질기준

구분 특 품 상 품

낱개의 고르기

별도로 정하는 무게 구분표

[표 6-4]에서 무게가 다른것이

섞이지 않은 것

별도로 정하는 무게 구분표

[표 6-4]에서 무게가 다른것이 5%

이하인 것

무 게별도로 정하는 무게 구분표

[표 6-4]에서 「중」이상인 것

별도로 정하는 무게 구분표

[표 6-4]에서 「소」이상인 것

색 택품종 고유의 색택이 뛰어난 것

(60 % 이상)

품종 고유의 색택이 양호한 것

(40% 이상 60 % 미만)

당 도 12°Bx 이상 11°Bx 이상

신 선 도윤기가 나고 껍질의 수축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

껍질의 수축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

중점결과 없는 것 없는 것

경결점과 없는 것 10% 이하인 것

○ 표 <6-3>이외의 위생요구사항은 식품위생법에 따른다. 단 보존

료 및 색소 등의 첨가물은 검출되어서는 안됨.

○ 등급은 생산품의 특급, 상급에 한해서만 지리적표시제를 사용함

나. 무게 기준

○ 배의 무게기준은 다음과 같다.

<표 6-4> 무게기준

구 분 특 대 대 중 소

1개의 무게 (g) 700 이상 600 ~ 750 500 ~ 600 375 ~ 500

다. 보존료 기준

○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 일반시험법에 따름.

2. 포장기준

가. 용기 기준

○ 유통과정에서 배가 손상되지 않도록 식품위생법에 따른 기구 및

용기․포장 기준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사용함.

나. 포장 기준

○ 지리적표시품의 포장 치수는 한국산업규격(KS A1002)에서 정한

수송포장계열치수 69개 모듈과 골판지 상자의 포장 규격 및

T-11형 파렛트(1,100*1,100mm)의 평면 적재효율이 90% 이상인

것으로 하고 높이는 배의 포장이 가능한 적정 높이로 함.

○ 포장 단위는 농산물표준규격의 포장 규격의 거래단위를 참고하

여 유통과정에서 배가 손상되지 않도록 포장 시 보호조치를 강

구하며 포장재는 외포장의 경우 3, 5, 10, 15kg 골판지 상자, 내

포장의 경우 PE포장이나 플라스틱 용기 등을 사용함.

<표 6-5> 외포장 규격

거 래 단 위 포장재 종류포장치수 (mm)

권 장길이 너비 높이

3 kg 골판지 (Open Top Box) 366 275 110 ○

5 kg 골판지 (Open Top Box) 550 366 110 ○

10 kg 골판지 510 360 190

15 kg 골판지 510 360 280 ○

<표 6-6> 소포장 및 내포장 규격

거 래 단 위 포장재 종류 권 장

낱 개 포 장

PE 포장, 플라스틱 용기 등

2 개 포 장 ○

4 개 포 장 ○

6 개 포 장 ○

소 포 장 PE 포장 (테이프, 철끈 사용) ○

3. 표시기준

가. 지리적표시품의 표시

○ 농산물품질관리법 제20조 규정에서 정한 지리적표시품의 표시

및 표지사항에 대한 표시기준에 따름.

○ 지리적표시품으로 등록된 서생간절곶배를 적극 홍보하고, 일반배

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포장재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소비자의 눈에 띄는 좋은 위치, 식별하기 쉬운 크기, 아름다운 색

상으로 표시함.

○ 지리적표시품으로의 등록 명칭은 다음과 같음

1) 표시 및 표시사항

등록명칭 : 서생간절곶배(SeosaengGanjeolgot Pear)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지리적표시등록 제000호

생산자 :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

주 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397-8

(전화 : 052-239-5333)

이 상품은 농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하여 지리적 명칭을 보호받는 특산품입니다.

2) 표시방법

○ 크기 : 15kg들이(450×305×260mm) 포장재를 기준으로 하되 포

장재의 크기에 따라 표지의 크기를 가감한다.

○ 위치: 포장재 측면에 표시하되 포장재 구조상 측면표시가 어려

울 경우에는 표시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 문자 : 도형의 글자 첫부분과 마지막 글자의 끝부분이 도형 양

쪽의 수직선과 일치하도록 배열한다.

○ 색상 : 도형 좌상단의 문양은 적색, 우하단의 문양은 청색으로

하고 글자는 흑색으로 한다.

○ 도안의 크기 : 가로 8cm×세로 8cm(15kg들이 기준) 내외로 한다.

○ 글자의 크기(포장재 15kg들이 기준)

- 등록명칭(한글, 영문): 가로 2.0cm(57point)×세로 2.5cm(71point )

- 등록번호, 생산자, 주소(전화) : 가로1.0cm(28point)×세로1.5cm(43point )

- 기타문자 : 이 상품은 농산물품질관리법에 의하여 지리적 명

칭을 보호 받는다(가로 0.8cm(23point)×세로

1.0cm(28point)

나. 일괄표시

○ 농산물품질관리법 시행규칙 제6조 제2항에서 정한 기준에 따름

1) 표시사항 : 다음 사항을 아래 양식에 따라 포장의 보기 쉬운 곳

에 일괄 표시하여야 함

◦품목명 ◦원산지 ◦품종 ◦등급 ◦중량(개수)

◦생산자 ◦반품안내 ◦전화번호 ◦보관방법

2) 표시방법 : 일괄표시사항의 기재는 다음에 정한 방법에 따라 표시

◦ 품목명 : ‘서생간절곶배’(SeosaengGanjeolgot Pear)라고 표시

◦ 원산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으로 표시

◦ 품 종 : ‘신고 ’ 등 품종명 표시

◦ 등 급 : ‘특품’, ‘상품’으로 표기

◦ 무 게 : 15, 10 , 5 , 3kg 중 한 가지를 기재하거나 개수를 병기

할 수 있으며, 속포장을 한 경우 속포장 단위를 표시

◦ 생산자 : 개인실명 또는 법인명 기재

◦ 반품안내 : ‘내용물이 표시내용과 다른 경우 교환하여 드립니

다’ 라고 기재

◦ 전화번호 : 조합법인 또는 회원의 전화번호 기재

◦ 보관방법 : ‘통풍이 잘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십시오’ 라고 기재

3) 표시금지사항

농산물품질관리법에 명시된 ‘허위표시 등의 금지사항’과 식품위생

법, 정관 등에 제시된 표시금지사항 등의 관련 규정에 따름

※ 예

- ⌜청결⌟, ⌜청정⌟, ⌜최고⌟, ⌜제일⌟, ⌜스페셜⌟, ⌜베스트⌟등의 표현으로 소비자를 현혹시키거나 현혹시킬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의 사용을 금지.

- 상품에 함유된 성분과 다른 내용의 표시⋅광고

- 질병의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내용 또는 의약품으로 혼동할 우

려가 있는 내용의 표시⋅광고 등

제4절 생산 판매 및 이력관리

○ 법인은 지리적표시품의 생산유통 등을 투명하고 철저하게 관리하

기 위하여 [별지 제1호 서식]의 서생간절곶배 지리적표시품 생산⋅

판매량 기록대장을 작성 비치하고 관계자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열

람하게 하여야 함

○ 지리적표시품은 서생간절곶배 지리적표시 자체품질기준의 특품, 상

품에 부합하는 배만을 판매하여야 하며, 다른 배를 판매해서는 아

니됨

제5절 출하

1. 지리적표시품의 출하

가. 공동출하

○ 지리적표시품을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을 통해 공동으로 출하하고

자 하는 자는 다음의 검사과정을 거쳐 합격한 것에 한해 지리적

표시를 하여 출하함.

○ 서생간절곶배 공동 출하처 : 서생농협 산지유통센터

○ 인근 지역의 배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선별작업을 아래와 같이

수행함.

(1) 선별시기 : 이사회의 협의를 거쳐 선별시기 결정

(2) 서생간절곶배 선별 시 조사원의 상시 거주

(3) 서생간절곶배의 선별 시 인근 지역 배의 유입을 조사원의 감시

하에 엄격히 통제함

(4) 사전에 산지유통센터와 협의를 하여 서생간절곶배의 선별시에

는 인근지역 배를 선별하지 않도록 함.

○ 조합원 및 단체회원 구성원의 출하 시 포장재 배부 및 관리방법

(1) 법인은 지리적표시 표지를 스티커 형식으로 제작

(2) 법인은 조합원 및 단체회원의 생산계획을 감안하여 지급. 다만

이 경우 조합원 및 단체회원은 지리적표시 표지 사용 및 판매

량을 법인에 보고하고 조사에 응하여야 함.

(3) 법인은 연 1회 이상 표지 사용량과 판매량을 조사, 부정사용을

방지

나. 지리적표시품의 검사

(1) 서생배 검사절차

전수검사 → 품위검사 → 중량검사 → 검사증 발급 → 검사부 작성

(2) 검사방법

○ 전수검사

○ 품위검사

1) 당도

- 12°Bx 이상 : 비파괴 선별기를 통한 측정.

- 11°Bx 이상 : 비파괴 선별기를 통한 측정.

2) 색택

- 60% 이상 : 비파괴 선별기를 통한 측정.

- 40% 이상 60% 미만 : 비파괴 선별기를 통한 측정.

3) 결점

- 농산물 검사․검정의 표준계측 및 감정방법(농관원 고시

2005-15호)에 따라 결점과 혼입율을 산출하되 화력건조과정에서

열을 받아 변색이 되었어도 광택이 있는 것은 정상과로 처리함.

○ 중량검사

- 등급판정이 끝난 배는 수검자가 입회한 가운데 무게를 달고 이

의가 없을 때에는 등급별로 적재함.

○ 검사증 발급

- 검사증은 출하자 별로 2부를 작성하여 원본은 조사원이 보관하

고 부본은 출하자에게 교부함.

○ 지리적표시품 표시 및 일괄표시

- 검사를 마친 후 조사원 입회하에 등급별로 간절곶배영농조합법

인에서 정한 포장단위 무게 및 포장방법에 따라 포장하고 간절곶

배영농조합법인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지리적표시품 표시 및 일

괄표시함.

○ 검사부 작성

- 검사부는 [별지 2호 서식]에 따라 검사현장에서 작성하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검사 당일에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대표의 결재를

받아야 함.

○ 판매실적 관리

-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은 지리적표시품 판매실적을 [별지 1호]서

식의 서생간절곶배 지리적표시품 생산판매량 기록대장에 기록하

고 간절곶배영농조합법인 대표의 확인을 받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