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 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이중만 정다미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이중만정다미

Page 2: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이중만, 최민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Page 3: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정보 검색

검색 인터페이스 (search dashboard 발제)

쿼리 분석

검색랭킹 모델링

텍스트 분석

텍스트 마이닝 (LDA 토픽모델링 발제)

데이터 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연결망 (Socail network) (이번 발제)

온톨로지

관심분야 : 정보 검색, 시맨틱검색, 텍스트 분석

Page 4: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Ⅰ 서론

• 기술 융합시대에 연구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 연구자들의 협력

• 연구자들간의 공동 집필 분석(co-authorship analysis) :

사회적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

SNA 방법을 이용한 공동 집필 분석을 통해 국내 융합기술 분야 연구자들 간의 연구 협력 관계 이해(NBI)

Page 5: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 협력의 증가

• 연구자 협력 관계 : 하나의 논문을 공동으로 저작한 경우

• 과학분야 공동 집필 논문 비중 증가 – 연구 수행 비용 증가 – 지식 및 기술 세분화 : 지식교환 통한 협력 필요 – 협력을 통해 고급 지식 창조 가능성 높음

-> 융합기술 중요성 대두 – 협력이 논문의 생산성에 긍정적 영향 끼침

Page 6: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Ⅱ 이론적 배경

2. 사회적 네트워크로서의 공저자망 연구

• 네트워크(network)?

• 사회적 연결망(social network, SN) -> SNA(Social Network Analysis)

노드(node) -> 연구자

연결선(edge) ->협력관계

Page 7: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Ⅱ 이론적 배경

2. 사회적 네트워크로서의 공저자망 연구

• 소규모 그룹 대상 – Milgram의 실험 : ‘여섯 단계(six degree)’

• 대규모 사회적 연결망 분석 연구 – 영화배우들 간의 공동 출연관계 – 과학자들 간의 연구 협력관계 – DB와 인터넷 발달로 가능

• 국내 연구 – 연구의 연결망 구조: 좁은 세상과 위치 효과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2007) • 연구자들 가깝게 연결되어 있음 • 네트워크 내 구조적 위치가 연구성과에 영향 줌

Page 8: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 자아 중심 네트워크(ego-centric network) – 연구자를 중심으로 과학자들이 어떻게 협력하는지 보는 것 – 에르되스 수 분석 연구

• 특정 저널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 분야 전체 대상 네트워크 분석

창훈

진한

아라

주경

동진

유진

숙영

1

1

1

2

3

2

Page 9: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용어 (네트워크 특성 나타내는 지표들) – 평균 거리 : 모든 과학자들 간의 거리를 평균한 것 – 최대 거리 : 두 과학자간의 거리 중 최대 거리 – 군집화 정도(clustering coefficient)

: 연구자 삼각형(triangle) 나타나는 정도

-> 연결 밀도 알 수 있음 – 집중도(centrality)

: 한 꼭지점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정도

창훈

진한

아라 ?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0: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연결성(degree) 기준 집중도 – 공동 저자수 – 연결성 기준 집중도가 높다

-> 공동으로 논문 작성한 동료 연구자가 많다

창훈

진한

아라

민기

주경

동진

재홍

보연

숙영

보미

다미

ex) 창훈 공동연구자 : 5 아라 : 4 진한 : 5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1: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중간성(betweeness) 기준 집중도 – 최단 거리(그림)

유정

아라

민기

재홍

현진 보미

다미 창훈

숙영

혜승

엄지

ex) 민기-숙영 최단거리 : 4개

① ② ③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2: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중간성(betweeness) 기준 집중도

정규화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두 꼭지점 s와 t의 최단경로 개수

꼭지점 v를 통과하는 최단경로 개수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3: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중간성(betweeness) 기준 집중도 – ‘민기’의 중간성 기준 집중도 CB(민기) : 0 – ‘아라’의 중간성 기준 집중도 CB(아라) : 0.014

– 중간성 집중도 높은 연구자

-> 임의의 두 연구자 사이의 다리역할을 잘하는 연구자

유정

아라

민기

재홍

현진 보미

다미 창훈

숙영

혜승

엄지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4: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근접성(closeness) 기준 집중도

– 전체 연구자들과 얼마나 가깝게 연결되어 있는가 판단

꼭지점 v와 나머지 꼭지점들 사이의 최단거리 합

역수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5: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근접성(closeness) 기준 집중도 – Cc(민기)

• 민기-아라 최단거리 : 1 • 민기-유정 2, 민기-재홍 2 … •

– Cc(아라) = 0.056

– 즉, ‘아라’가 ‘민기’에 비해 네트워크 상 다른 연구자에게 접근하기가 쉽다

유정

아라

민기

재홍

현진 보미

다미 창훈

숙영

혜승

엄지

( ) =0.036

Ⅱ 이론적 배경

3.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변수

Page 16: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세가지 집중도 변수 연구성과와 연구비 수주에 영향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2007)

• 집중도 분석

-> 연구자들의 공저자망 이해

• NBI융합기술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분석

• 55년간 축적된 논문 정보 DATA로 씀

Ⅱ 이론적 배경

다른 SNA 연구와의 차별성

Page 17: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Ⅲ 연구 방법 연구자 데이터 수집

• 융합 전문 DB 없고, ‘융합-’, ‘나노-’검색 결과 너무 적음 -> 융합 연구자 먼저 도출 -> 이들이 참여한 논문을 융합기술 분야의 논문이라 정의 (이 논문의 취약점)

– 국내 융합기술 연구자 목록 (1,440명)

: 융합기술 분야 전문가 인터뷰 통해 도출 – 한국학술정보㈜ DB에서 추출한 연구자

: 공학 및 자연과학, 의학 분야 논문 전체 연구자 135,9480명 – 1,440명 중 DB에 있는 논문을 쓴 저자 1,095명

Page 18: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Ⅲ 연구 방법

연구자 식별

• 연구자 식별 어려움 (연구자 ID 없음)

• 동명이인 오류 – 소속기관, 연구분야, 생년월일 정보 이용해 연구자 구분 – 위의 정보들 없음 – 인터뷰 통해 확보한 1,440명 중 같은 이름 없었음

• 이명동인 오류, 한글-영문이름 매칭 – 한글이름, 영문이름 다르게 취급 (실제보다 연구자 증가) – 동일 철자의 경우 동일인 간주 (실제보다 연구자 감소) – 증가 감소 상쇄 효과 기대

Page 19: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Ⅲ 연구 방법

연구 수행

• 30만건 논문 정보 MS-SQL서버 이용 데이터 정제

• 네트워크 분석용 소프트웨어 Pajek

• 융합기술 연구자 네트워크와 다른 분야 비교분석 (J. W. Grossman, 2002)

Page 20: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Ⅳ 분석 결과

• 집중형 네트워크 • 일부 연구자들 최대 하위집단과 연결 x

Page 21: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융합기술 연구의 경우

• 높은 논문 생산성 • 평균 공동 저자수 적음 • 구성원들 사이의 거리 가

까움 • 군집화 낮음

-> 연결 밀도 낮다

Ⅳ 분석 결과

의학 이론 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컴퓨터 과학 수학

Page 22: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Degree Centrality : 공동 저자수 분포 • 전체 70% 가량 5명 이하의 공동연구자 가짐

Ⅳ 분석 결과

연결성 기준 집중도

Page 23: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Betweeness Centrality : 연구자들 사이의 다리역할 정도 • 2명이 연구자 사이의 최단 경로 형성하는데 중요 역할

-> 2명 없다면 연구자간 평균거리 멀어지거나 -> 아예 연결 끊길 수도 있음

Ⅳ 분석 결과

중간성 기준 집중도

Page 24: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Closeness Centrality : 연구자들 사이의 조밀도 • 서로 비슷한 거리만큼 떨어져있음

Ⅳ 분석 결과

근접성 기준 집중도

Page 25: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 집중도 측면에서 중요한 꼭지점

• 식별번호 9번 13번 연구자 중요 -> 융합기술 연구 리더 역할

Ⅳ 분석 결과

Page 26: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Ⅴ 결어

• 다른 과학 분야에 비해 인당 논문 편수 높음 • 공동 저자수 매우 적음

– 다양한 분야 연구자 참여 x – 서로 다른 분야의 논문 작성, 분석 방식 등 작업 어려움

• 구성원간 거리는 가깝지만 양자 간 연구로 머물러있음 • 소수의 연구자가 크게 영향끼침 • 연구자간 인력이동(Mobility) 확대 필요

Page 27: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Ⅴ 결어

• 연구의 한계점 – 좀 더 많은 데이터 필요 : 융합기술 연구자 명단 확보 – 연구자 논문이 융합기술과 관련된 것은 아님 – 동명이인, 이인동명 오류 해결방안 필요

Page 28: (발제) 융합기술전문가의 공동연구에 대한 사회적 연결망 분석 _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 -이중만 /정다미 x2012autumn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