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1 신신신신 신신∙신신신 (2) . 신신신신 신신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 Upload
    enya

  • View
    92

  • Download
    6

Embed Size (px)

DESCRIPTION

Ⅰ. 여명기의 문학.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역사전기소설. 시기 1905 년부터 한일합방까지 주요 내용 민족 주체성에 입각한 애국 계몽사상 전파 대표적 작가 장지연 , 박은식 , 신채호 등 주요 작품 ① 애국부인전 ( 장지연 , 1907), 서사건국지 ( 박은식 , 1907), 이태리건국삼걸전 ( 신채호 , 1908)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Ⅰ. 여명기의 문학

Page 2: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

1) 시기 1905 년부터 한일합방까지

2) 주요 내용 민족 주체성에 입각한 애국 계몽사상 전파

3) 대표적 작가 장지연 , 박은식 , 신채호 등

4) 주요 작품

① 애 국 부 인 전 ( 장 지 연 , 1907), 서 사 건 국 지 ( 박 은 식 , 1907),

이태리건국삼걸전 ( 신채호 , 1908)

② 을지문덕 ( 신채호 , 1908), 강감찬전 ( 우기선 , 1908), 이순신전

( 신채호 , 1908), 최도통전 ( 신채호 , 1909), 연개소문전 ( 박은식 ,

1911)

역사전기소설

Page 3: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3

5) 문체한문투 문장을 대중화시켜 사용

6) 참고

신채호 , 꿈하늘 (1916) , 용과용의 대격전 (1928)

Page 4: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4

논의

1. 역사전기소설이란 장르명칭 안자산 , 김태준 : ‘ 역사소설’

임화 : ‘ 정치소설’

1978 년 ‘한국개화기문학총서’로 영인본 10 권 발행 ( 역사전기소설 )

이재선 , ‘ 애국부인전 , 을지문덕 , 서사건국지’ ( 한국일보사 , 1975) ;

‘ 역사적 전기적 문학’

2. 역사전기소설 구분 필요 번역 역사전기소설 + 창작 역사전기소설

강영주 , 김영민 등이 창작 역사전기소설만 역사전기소설의 범주에

포함시키자고 주장

Page 5: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5

3. 역사전기소설과 신문매체 대중성 및 통속성과의 관련성 문제

4. 역사전기소설과 역사 ( 정사와 야사 ) 의 문제 신채호의 ‘이순신전’ , 신채호의 ‘조선상고사’

5. 역사전기소설과 번역의 문제 번역의 의미에서

번역과 문체의 문제

6. 역사전기소설의 시기 문제 권업신문 , 해조신문 등 ( 디아스포라 문학의 일면 )

Page 6: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6

1) 번역번안소설의 역사적 의의 근대적 소설 개념이 정착될 때까지만 유효

2) 서구작품의 번역 모험 , 인도주의적 정신 , 사회개혁 의지 , 과학공상적 세계

걸리버유람기 , 몽떼끄리스또백작 ( 이후 해왕성으로 번안 ),

레미제라블 ( 애사 , 너 참 불상타 ) 부활 ( 가주사 애화 해당화 ),

철세계

3) 일본작품의 번안 조중환의 장한몽 ( 미기홍엽의 금색야차 )

구연학의 설중매 ( 말광철장의 설중매 )

번역번안소설

Page 7: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7

4) 비교문학적 과제로서의 번역번안소설 중국 : 서구 사회과학과 민권사상에 초점

일본 : 서구화 , 문명 개화에 초점

한국 : 오락성

Page 8: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8

논의

1. 근대소설의 정착 과정 ‘ 매일신보’

순 한글의 한국어 문장을 정착시키는 데에 기여

소설의 대중성 확보

작품들

Page 9: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9

매일신보 , 1912.8.11

Page 10: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0

Page 11: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1

(1) 신소설의 대두와 개념

신소설의 명칭 이인직의 ‘혈의 누’ ( 출판물 ) 에서부터 사용 :

장르 개념은 김태준의 ‘조선소설사’에서 본격화 : 구소설→신소설→소설

신소설

Page 12: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2

신소설에 대한 평가 ( 교재 64-66 쪽 및 71-72 쪽 )

김태준 ‘조선소설사’ 구미 , 일본 문예의 모방 고대소설과 구분되고 아직 ‘그 완비한 역에 달하지 못한 자’로서

일반소설과 구분되는 과도기적 혼혈아 “ 중국식의 장회소설만으로도 만족할 수 없으니 , 설화의 취미를 좀더

풍부하게 하며 언문일치의 문체로서 어떤 한 개의 사건을 취급하여 그 사건의 추이를 따라 순간의 행동과 대화까지 그대로 쓰는 것”

임화 ‘신문학사’ 현대소설과의 사이를 점유하고 있는 문학사적 과도기의 소설 재래의 형식을 빌어 새 형식을 표현하는 것

조동일 , ‘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신소설은 외국문학의 이식이 아니라 고소설로부터 기인

김영민 , ‘ 한국근대소설사’ 신소설의 직접적인 양식적 기원으로서의 신문 논설 주목

Page 13: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3

(2) 개화기 소설의 형성 요인 ( 교재 66-73 쪽 )

1) 개화사상2) 신문의 발행

① 신문의 대중적 파급력 인쇄술 및 교통수단의 발달 국한문혼용체 및 국문체를 통한 대중들에 대한 접근성

② 신문과 소설 듣는 소설에서 읽는 소설로의 전환 근대적 의미의 대중적 독자 탄생

③ 신문과 신소설 신소설의 통속성 강화 신소설에 삽화들을 삽입하는 경우 등장

Page 14: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4

듣는 소설에서 보는 소설로의 전환

조추재의 ‘기이’에 수록된 전기수 이야기

수 ( 叟 ) 가 동문 ( 東門 ) 외에 거하여 언문소설 ‘숙향’ , ‘ 소대성’ , ‘ 심청’ , ‘

설인귀’ 등과 같은 전기를 구송하는 것이었다 . 매월 초 1 일에 제 1 교 하에 앉고 2 일에 제 2 교 하에 앉고 3 일에 이현 ( 배오개 ) 에 앉고 4 일에 교동구에 앉고 5

일에 대사동 ( 인사동 ) 구 ( 口 ) 에 앉고 6 일에 종루에 앉아 소상하다가 이윽고 7

일부터 연해 내려오고 내려와서는 올라가고 올라왔다가 또 내려가서 그 달을 맞추고 달을 고쳐서는 또 이와 같이 하여 선독 ( 善讀 ) 하는 고로 사람들이 방관잡위하였다 . 대개 가장 끽긴하게 심히 들을 만한 구절에 이르러서는 문득 묵묵히 말이 없으므로 사람들이 그 하회 ( 下回 ) 를 듣고자 다투어 돈을 던져주니 이것이 이른바 요전법이다 .

Page 15: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5

3) 한글운동① 문체적 측면에서의 신소설 ( 언문일치적 노력 )

당대의 실제적인 언어생활을 수용하려 노력 신소설의 언문일치 지향은 중심 세계관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 민족에

대한 자각 )

예 – 만세보

Page 16: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6

(3) 개화기 소설의 양식적 특성 ( 교재 73-78 쪽 )

신소설의 양식적 특징에 대한 기존 논의 비판① 신소설을 연장으로 파악하는 입장② 신소설을 근대적인 문학양식으로 파악하는 입장

① 의 문제점 → 신소설의 고소설적 구조에 집중함으로써 신소설이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면모를 적극적으로 평가하지 못함② 의 문제점 → 신소설에서 표면적으로 언표되고 있는 개화 사상이라든가 혹은 묘사되고 있는 근대적 문물들의 ‘새로움’만을 집중적으로 관찰함으로써 , 신소설의 구성방식이 기본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고소설의 영향을 의도적으로 무시

Page 17: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7

대안 고소설적 구성방식 + 신소설의 새로움 신소설 작품들 속에서 고소설적 요소들과 새롭게 나타난 요소들이 맺고 있는

관계 고찰 필요

이인직의 ‘치악산’

후실 김씨 전처 소생 홍철식홍참의

이판서

부인고부갈등

완고 개화

보수 · 개화

① 기본갈등

Page 18: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8

② 우연성

고소설의 경우

천상계

신소설의 경우

우연성개화

우연성

일본의 군의관 ,

구완서 등

Page 19: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19

③ 역전

개념 이해고소설에는 나타나는 않는 신소설에만 나타나는 서술적 특징

대표적 이해최찬식의 ‘추월색’이인직의 ‘혈의 루’

④ 일본소설의 영향

탐정소설적 구성 방식이해조의 ‘모란병’ , ‘쌍옥적’

Page 20: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0

여성의 시련과 성취 여성의 모험 → 성적 수난 → 극복 → 개화의 가능성으로 연계

역사전기소설 신소설

문체 국한문체 국문체

대상 남성 여성

주제 국가와 민족 일상생활

논의

Page 21: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1

신소설의 근대적 면모자유결혼 강조 : 혈의 루 , 모란봉여성의 가출 ‘추월색’의 정임

신소설의 리얼리즘적 요소이해조 ‘화의 혈’

Page 22: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2

임화가 논의한 신소설의 특징

① 문장의 언문일치 , ② 소재와 제재의 현대성 , ③ 인물과 사건의 실재성

“ 실재성이란 기실 사실성을 결과하는 것으로써 신소설은 실상 구소설과

결별하면서 조선의 소설문학사상 (上 ) 에 리얼리즘의 형식을 유치한

형식으로나마 맨처음 기여한 것이다 .”

Page 23: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3

(4) 개화기 소설의 전개 – 작가와 작품 ( 교재 78-87 쪽 )

1) 이인직

① 이인직에 대한 평가

김동인 “여하튼 이 ‘귀의 성’뿐으로도 이 작가를 조선 근대소설 작가의 祖라고 서슴지 않고 명언할 수가 있다 .”

임화 “이인직은 단지 가장 우수한 신소설작가일 뿐만 아니라 실로 신소설이란 양식을 창조한 사람이다 . 이인직의 손으로 비로소 신소설이란 것이 조선문학사 위에 등장한 것이다 . 그의 소설의 영향을 받아 다른 사람들도 신소설이란 것을 쓰게 되고 독자도 역시 그를 통하여 신소설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 “

Page 24: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4

② 이인직의 작품들 일본 ‘都新聞’에 실린 일본어 습작 소설 ‘과부의 꿈’이 최초 ‘백로주강상촌’ (1906년 국민신보 ), ‘ 단편’ ( 만세보 )

혈의 누 , 귀의 성 , 치악산 , 은세계 , 빈선랑 일미인 , 모란봉 등

③ ‘ 은세계’에 대한 분석

최병도↔

관원의횡포

옥녀 옥남∙↔

의병

Page 25: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5

신소설에서 보여주었던 고전소설적 면모가 많은 부분에서 감소 가정소설 형식 일탈 , 우연성 감소 , 권선징악적 주제의식 약화

새롭게 등장하는 긴장관계 농민들과 정부 관료의 갈등 , 농민군과 지식인 사이의 대립

당대의 현실을 본질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갈등관계 형상화 최병도의 죽음 : 개화파와 보수파의 갈등 , 갑신정변 옥남과 의병 : 개화사상의 절대성이 부정되는 현실 반영

Page 26: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6

참고사항

1. 이인적의 개인사 동경정치대학에 유학 , ‘都新聞’ 견습생으로 활동 1906년 대한신보 주필 , 만세보 주필 대한신문 사장 취임 (1907)

이완용의 비서 원각사 설립 : 연극개량운동 종사

2. 당대 현실의 소설적 형상화 3. 언문일치의 신문체

Page 27: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7

2) 이해조

① 이해조의 작품들 잠상태 ( 한문 ), 고목화 , 빈상설 , 홍도화 ( 상 ), 화성돈전 (번역 ), 철세계

(번역 ), 구마검 , 원앙도 , 박정화 , 홍도화 ( 하 ), 자유종 , 화세계 , 만월대 ,

월하가인 , 모란병 , 화의 혈 , 구의산 , 쌍옥적 , 춘외춘 , 탄금대 , 홍장군전( 역사소설 ), 구미호 , 강명화실기

초기 : 신소설 , 1910년대를 넘어서면서 판소리 개작소설 ( 신작 구소설 )

② 이해조에 대한 평가 왕족 출신으로서의 한계

가정소설 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함 , 권선징악 주제

Page 28: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8

③ 작품에 대한 논의

구마검 함진해의 집안이 무당 ( 구습 ) 에 의해 망할 위기에 처하지만 , 판사의

재판 ( 근대제도 ) 에 의해 구제된다는 줄거리 그러나 구습과 근대제도의 갈등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님

통속성 고소설 형식 차용 , 당대의 흥미 요소 삽입 통속성 강화 (1910년 이후부터 ), 신작 구소설 등의 예

Page 29: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29

3) 최찬식

① 최찬식의 작품들 추월색 (1912), 금강문 (1914), 해안 (1914), 안의 성 (1914), 백장홍

(1914), 우의 (1915), 도화원 (1916), 궤상의 몽 (1917), 종소리 (1917),

부랑자 경고가 (1918), 삼강문 (1918), 능라도 (1919), 동정의 눈물(1921), 춘몽 (1924), 백련화 (1926), 자작부인 (1926), 용정촌 (1926)

② 최찬식에 대한 평가 통속화 , 친일화의 경향 농후

Page 30: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30

4) 그 밖의 개화기 작가와 작품

소경과 안증방이 문답 (1905)

거부오해 (1906)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이해조의 ‘자유종’ 육정수의 ‘송뢰금’ 이상협의 ‘재봉춘’ 반아의 ‘몽조’

논자에 따라 ‘시사토론소설’로 묶기도 한다

Page 31: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31

(5) 개화기 소설의 문학사적 위치 ( 교재 87-88 쪽 )

① 고소설과 신소설의 관계② 신소설과 근대소설의 관계

개인의 문제와 관련 루카치 ‘소설의 외적 형식은 개인의 전기적 형식’

: 근대소설이란 어떤 초월적이거나 집단적인 믿음으로부터 해방된 개인③ 신소설 주요 작가에 대한 평가

이인직 : 고소설적 형식에 구애받지 않거나 혹은 그 형식을 잘 이용해서 당대의 근본적인 문제들 , 갈등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

이해조 : 당대 현실 문제와 고소설적 형식을 조화시키지 못하고 그 둘 사이에서 동요하다가 결국 흥미 위주의 고소설로 되돌아감

최찬식 : 일본 소설의 통속성에 영향을 받아 , 흥미만을 중시하는 통속적인 작품들을 씀으로써 신소설의 몰락을 직접적으로 보여줌

Page 32: 신소설과 역사∙ 전기물 (2)

32

정리

① 역사전기소설 시기 , 주요내용 , 대표적 작가 , 주요작품 , 문체 등

② 번안번역소설 역사적 의의 , 서구작품의 번역 , 일본작품의 번안 , 비교문학적 과제

③ 신소설 ‘ 신소설’의 개념 , 신소설에 대한 기존의 평가 , 신소설 발생의 요인 고소설의 형식적 측면과 개화 사상 , 주요 작가들의 경향

④ 기타 소설들 토론체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