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모모모모모모모 모 모모모모 모 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Breastfeeding has proven to offer nutritional, immunological, and emotional benefits to breastfed babies. However, it is known that an elevated rate of mothers stop breastfeeding due to insufficient milk production, exposure to anesthetics and analgesics in the intrapartum period, ingestion of antidepressants, or use of illicit drugs. However, most of these cases are no longer justifiable. For example, there are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increase the breast milk volume. Drugs with a short half-life will be quickly eliminated from the mothers. Even those cases of women with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s who require treatment with for example paroxetine or sertraline, the drug levels detected in the infant blood are low or nil. Some drug dependent women can safely breastfeed if they are being treated with methadone. Thus, breastfeeding women who have concerns due to their exposures, or conditions, need to receive proper counseling including the advantages of breastfeeding. Key words: Breastfeeding, galactogogues, antidepressants, drug dependent women 서서 모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1,2,3) 모모모, 모모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 모모. 모모, 모모 모 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모,(4) 모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paroxetine 모모 sertraline 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5.)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 모 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illicit drug use, Maternal urine toxicology test, active drug use 모모모 모모모모. 모 모모모모모 모모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 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 모모모모 모모모 모모모모모모 모모. 1. 서서서서서서서(galactogoues) 모모모모모모모(galactogogues 모모 lactogogues) 모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모모 모모 모모모모모 모모 모모 모모 모모모 모모 모모.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관동대학교 제일병원 한정열

초록

Breastfeeding has proven to offer nutritional, immunological, and emotional benefits to breastfed babies. However, it is known that an elevated rate of mothers stop breastfeeding due to insufficient milk production, exposure to anesthetics and analgesics in the intrapartum period, ingestion of antidepressants, or use of illicit drugs. However, most of these cases are no longer justifiable. For example, there are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increase the breast milk volume. Drugs with a short half-life will be quickly eliminated from the mothers. Even those cases of women with postpartum depressive disorders who require treatment with for example paroxetine or sertraline, the drug levels detected in the infant blood are low or nil. Some drug dependent women can safely breastfeed if they are being treated with methadone. Thus, breastfeeding women who have concerns due to their exposures, or conditions, need to receive proper counseling including the advantages of breastfeeding.

Key words: Breastfeeding, galactogogues, antidepressants, drug dependent women

서론

모유수유가 영아에게 영양적, 면역학적, 정서적으로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수유부가 젖량의 부족이나 출산과정의 약물 노출, 산후우울증으로 인한 약물노출, 그리고 약물 중독 등으로 인해 모유수유를 중단한다.(1,2,3) 하지만, 모유수유부에게 생기는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이 가능하며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젖량 부족의 경우는 젖량을 늘리기 위한 비약물적 방법과 약물요법의 병행이 필요 하다. 그리고 출산과정의 통증을 조절하기 위한 진통제나 마취제 역시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출산 후 발생하는 우울증의 빈도가 적지 않아서,(4) 산후우울증의 치료는 모유수유부 자신과 영아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이 다양하게 있지만 많은 경우에 모유수유를 중단 하거나 치료약물을 중단하여 병을 키운다. 하지만 우울증 치료약으로 paroxetine 이나 sertraline 은 영아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5.) 그리고 약물중독이 있는 여성의 경우는 모유수유가 가능한 상태인지 아니면 모유수유를 할 수 없는 상태인지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선별기준은 수유부의 산전관리, 최근의 illicit drug use, Maternal urine toxicology test, active drug use 여부가 포함된다. 본 종설에서는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을 중심으로 약물의 유용성과 안전성 및 위험성에 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1. 모유분비촉진제(galactogoues)

모유분비촉진제(galactogogues 또는 lactogogues) 모유의 생성의 시작,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것을 보조해주는 약물 또는 다른 물질로 정의 된다.

모유생성은 신체적, 정신적요인과 다양한 호르몬의 복합작용을 포함한 복잡한 생리적 과

정이다.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한 젖의 분비는 출산으로 태반의 만출, 그리고 프로게스테

Page 2: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론의 감소 그리고 높은 프로락틴 상태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이외에도 관여하는 호르몬

으로는 에스트로겐, 옥시토신, 성장호르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그리고 인슐린 등이 있

다.(6)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로는 젖 분비에 있어서는 프로락틴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따라서, 모유분비촉진제로 프로락틴 분비는 도파민에 의한 프로락틴의 생성 억제효과를

조절하는 negative feedback system 의 기능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도파민 농도가 감소

될 때 뇌하수체전엽에서 프로락틴 분비가 증가된다. 즉, 도파민 길항제는 프로락틴분비를

증가시켜 모유생성을 증가시킨다.(7) 수유부와 영아가 질병에 걸리거나, 입원 또는 직장으로 인해 아기와 정기적으로 떨어져야 되는 경우 모유분비촉진제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가장 빈도가 높은 경우는 아이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는 수유부로 젖의 분비를 촉진하고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입양아이의 모유수유와 재수유의 경우도 사용된다.

약물로서 모유분비촉진제(Pharmaceutical Galactogogues)

모유분비촉진제로는 도파민길항제로 돔페리돈(domperidone)과 메토클로프라마이드

(metoclopramide)가 사용되어 왔다. Campbell-Yeo ML 등이 well-design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blinded 연구에 의하면, 31 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에서 돔페리돈이

젖 량을 의미 있게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다. 하지마, 이 연구도 14 일까지만 젖 량의 변

화를 보아서 장기적인 효과는 평가하지 못하였다.(8)

최근 캐나다 마더리스크프로그램에서 3 개의 RCT 논문을 활용한 메타분석에서 위약 처방군에 비교해서 돔페린돈 처방군이 모유분비량이 평균 7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또, 한 연구에서는 돔페리돈이 경산부보다는 초산부에서 더 반응을 잘하여 프로락틴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10) 돔페리돈은 말초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함으로 프로락틴을 증가시킴으로써 젖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12) 돔페리돈은 또 하나의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인 메토클로프라마이드와 비교 시 blood brain barrier 를 잘 통과하지 않음으로써 추체외로 부작용(extrapyramidal side effects)이 적어 선호된다. (13,14) 실제로, 두통, 입 마름, 그리고 복통 같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캐나다 등 많은 나라에서 장운동 촉진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모유분비촉진제로는 “off-label”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2004 년 미국 FDA 에서는 돔페리돈 사용 환자에서 심부정맥의 증례보고로 인한 우려로 사용 할 수 없는 상태이다. (16) 한편, 모유로 전달되는 양은 극히 적어서 모체용량의 0.01%만이 모유로 전달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는 돔페리돈이 모유수유에 적합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17) 메토클로프라마이드(Metoclopramide)의 경우 모유분비촉진제로서 여러 high quality 의 RCT 연구에서 위약군에 비교해서 젖 분비의 양과 모유수유기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8-20)

약초, 음식물, 그리고 차로서 모유분비촉진제(Herbals, Foods, and Beverages as Galactogogues)

Page 3: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우리나라를 비롯한 비서방 국가에서는 산후에 여러 방법으로 모유수유를 도울 수 있도록 수유부를 돌보며 대략 1 개월간은 따뜻하게 하고 휴식을 취한다. 그리고 산모의 기력을 회복하고 모유수유를 촉진하기 위해 전통적 음식과 약초를 복용 한다.(22) 약초들은 모유분비촉진제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부 약초들은 모유분비촉진제로서 알려져 있다. Fenugreek, goat’s rue, milk thistle, oats, dandelion, millet, seaweed, anise,

basil, blessed thistle, fennel seeds, marshmallow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약초의 작용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이들의 대부분은 과학적으로 평가되어 있지 않다. 일부 fenngreek 연구에서 모유의 증가는 위약 효과(placebo effect)로 인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약초의 사용은 표준화된 약 용량의 부재, 불순물 가능성, 알레르기 가능성, 그리고 약물상호작용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경구로 복용 시 다양한 약초들이 혈중 와파린, 헤파린, 이외의 혈액응고억제제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frenugrek 의 심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여러 보고들이 있다. (23)

2. 모유수유와 진통제 및 마취제

출산 중에 정상적인 통증에 반응하여 생성된 옥시토신, 엔도르핀, 그리고 아드레날린은 초기 모유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4) 한편, 출산 중 또는 산후에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약물들은 출산 중의 고통을 줄여주고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출산의 과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생아의 신경행동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모유수유 시작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출산 중 진통제와 마취제

1. 비약물적 통증 완화법으로 최면요법이나 침은 출산 중 통증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25) 또한, 라마즈 등도 효과가 있다. 이들 요법은 약물을 사용을 줄여준다. (26)

2. 출산 중 산모에게 주어진 약물에 의해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진정효과나 지연된 젖 빨기는 모유수유의 성공에 영향을 미쳐 젖 생성과정을 지연시키거나 억제시켜 영아의 지나친 체중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27)

3.Epidural analgesia 나 anesthesia 를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 시키는 경우 종종 출산 중에 과다하게 정맥으로 수액을 준다. 이러한 수액은 모체의 부종 뿐만 아니라 출산 체중과 신생아 체중감소와 관련된다. 신생아의 혈당과다증과 반응성 과인슐린증을 일으킨다.(28)

4. 출산 중에 정맥이나 근육에 주는 opiate 는 출산 후 1 시간내 신생아의 젖 빨기에 대한 반사를 막는다.

a) 만약 opiate 를 사용한다면, fentanyl 또는 sufentanyl 같은 short acting opiate 가 추천된다.

b) Meperidine/Pethidine/Morphine 은 적은 용량으로 출산 1 시간 전이나 출산 4 시간 이전에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신생아에서 호흡억제, 청색증,

그리고 서맥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c) Nalbuphine/ Butorphanol/Phentazocine 은 dpioid 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호흡기 관리에 어려움, 호흡억제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약물들은 fetal heart rate monitoring 을 방해 한다.

d) 진통제의 정맥 및 근육주사의 용량(특히 반복 투여)과 시기는 신생아에게 크게 영향을 미친다. 예, 펜타닐을 분만전 1 시간이내, 또는 meperdiine/phetidine 을 출산 전 1-4

시간에 주는 경우 신생아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29)

5. Epidural analgesia 는 출산 중 옥시토신의 감소와 산후 2 일째 옥시토신과 프로락틴의

Page 4: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감소와 관련된다.(30) 그리고, 인공분만(instrumental delivery)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와 수유부의 분리가 많아진다.

만약 epidural analgesia 를 하는 경우 약물의 최소용량과 motor block 을 최소화 해야한다. Fentanyl >150µg 사용시 모유수유율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피해야 한다.

Spinal-epidural analgesia 와 Patient 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가 선호된다.(31)

제왕절개술을 위한 마취

부분마취(epidural, intrathecal, spinal)가 전신마취보다 선호된다. 수유부와 영아의 분리를 최소화 하고 가능한 수유를 빨리 시작해야 한다. 영아는 수술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회복실에서 시작되는 경우도 장점이 있다.( 32) 전신마취를 하는 수유부는 수술 후 의식이 깨어나면 바로 모유수유 가능하다.

산후 진통제

1. Non-opioid analgesics 는 모유수유 하는 수유부에게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선호된다.

a. Acetaminophen/paracetamol/ibuprofen 은 안전하고 효과가 있음.

b. Ketorolac 은 제왕절개술 후 흔히 사용된다. 출산 중 사용은 태아의 혈액 순환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궁수축을 억제하고, 혈소판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켜서 금지되고 있다. 하지만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에서는 모유수유 중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분류하고 있다. (29)

c. Diclofenac suppositories 도 산후 진통제로 사용되며 모유에서 아주 낮은 농도를 보여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d. Celecoxib 와 같은 cyclooxygenase-2 억제제는 수유부가 출혈의 위험이 있을 때 장점이 있다. Cost 와 심혈관 위험을 함께 고려하여 사용하되 젊고 건강한 여성에서 단기간으로 소량 사용되어야 한다.

2. 통증과 opioid analgesia 는 모유수유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주사제사용

- Meperidine/pethidine 은 산후 모유수유부에게 피해야 한다. 신생아에서 진정효과가 보고되어 있음.(33) 하지만,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서는 모유수유에 적합한 것으로 분류하고 있음. 따라서, 만약 사용시는 신생아의 진정효과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

- Morphine 을 낮은 용량으로 주사제로 주는 것이 meperidine/pethidine 보다 선호된다. 이유는 모유로 통과나 경구흡수율이 Morphine 이 적다.(34)

- PCA(patient-controlled intravenous analgesia)를 제왕절개술 후 선택되었을 때 morphine 또는 fentanyl 이 meperidine/pethidine 보다 선호된다.

- Butorphanol 은 모체용량의 0.5%만이 모유에서 나타남.

- Nalbuphine 도 모체용량의 0.59%만이 영아에 감.

- Hydromorphone(대략 morphine 보다 7-11배 강력한 통증억제효과)도

Page 5: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모체용량의 0.67%만 영아에 감.

b. 경구용 약물

- Hydrocodone 은 모유수유부에서 자주 사용되며, 모체용량의 3.7%미만이 영아에 감. Hydrocodone 을 10mg 이상 또는 반복 사용시 신생아에게 진정효과가 나타나는지 잘 관찰하여야 함.

- 일부 모유수유부의 경우 Codeine 사용시 morphine 으로 빠르게 대사되어 영아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Codeine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 하지만, 모유수유부 대부분에서는 안전하다.(35)

- Oxycodone 도 산후에 일부 수유부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RID(Relative infant dose: 모체에 투여되는 양에 비교해서 영아가 노출되는 양의 비율)(1)는 3.5%이다. 하지만, 지속적이고 반복투여는 신생아에서 진정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드물게 ultrarapid metabolizer 가 있다.

- Buprenorphine 은 RID 가 1.9%임. 반감기가 평균 37 시간정도로 길어서 사용시 영아의 관찰이 필요함.

c. Epidural/spinal 에 사용약물

- 1회의 opioid medications(예, neuraxial morphine)은 모체혈중에도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모우수유에 영향을 주지 않음. Morphine 의 아주 적은 용량도 효과적임.

- 지속적인 제왕절개술 후 epidural infusion 은 opioid exposure 를 최소화 하면서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다. 한연구에 의하면 수술 후 extradural continuous bupivacaine 을 주입시 그렇지 않은 군에 비교해서 통증 점수가 낮고 영아에게 먹인 모유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6)

모유수유부에서 수술 중 마취

1. 산후 수유부에서 약물사용 시 영아의 나이, 영아의 건강, 수유의 기간, 약물을 대사하는 능력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마취제들은 6 개월이상된 영아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신생아, 조산아, 그리고 호흡곤란이 있는 아이에서 사용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 정상아와 6 개월이상의 아이를 가진 수유부의 경우 마취에서 깨고 안정되면 모유수유 가능함.

3. 치과치료나 다른 간단한 시술 시 1회로 사용되는 마취제의 경우 수유부가 깨어나고 안정되면 모유 수유 가능하다. 짧게 작용하는 fentanyl, midazolam 이 선호되지만 meperidine/pethidine 이나 diazepam 도 모유수유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임.

4. 지방흡수술 같은 성형외과 수술하여 국소용 마취제(lidocaine/xylocaine,

lignocaine)가 대용량 투여되는 경우 모유수유하기 전에 12 시간동안 모유를 짜내서 버리는 것이 좋다.

5. 무호흡, 저혈압, 쳐져 있는 아이의 경우 수술 후 수유를 재개하기 전에 몇 시간의 간격을 둠으로써 아기를 보호 할 수 있다.

Page 6: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3. 모유수유부에서 항우울제 사용

산후에 우울증을 경험하는 여성은 5-25%까지 보고되고 있다. (37-39) 산후 우울증은 수유부와 영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산후우울증은 치료가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산후우울증은 잘 치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산후우울증의 치료로는 psychotherapy, 항우울증 약물투여, 그리고 이들의 병합요법이 있다. 여기에서는 항우울증 약물 치료와 관련하여 알아본다. 우선 Table 1 은 모유 수유부에서 항우울증약물 치료 시 위험성과 장점에 관해 보여주고 있다.

Table 1 RISKS AND BENEFIT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IN LACTATING

WOMEN(40)

• The risks of untreated postpartum depression include:- persistence of symptoms- possible increase in severity of symptoms, including

deterioration in functioning, and thoughts (or even actions) of self-harm or harm to others

- relationship discord- impaired parenting- child neglect- effects on the child’s development (including

behavior, social, and cognitive).• The risks of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include:

- Maternal: side effects of the medication, potential drug interactions

- Infant: exposure through breastmilk transmission; limited data onthe long-term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 The benefits of treatment include the resolution of depressive symptoms

that, in turn, will potentially improve maternal self-esteem, parenting, maternalinfant interaction, and child outcomes.

Page 7: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 The med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breastfeeding to infants and mothers are well established. Depressed mothers may benefit additionally from breastfeeding because of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active,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ir infant’s care and development.

• The risks of breastfeeding for depressed mothers should be considered and may include:

- Sleep deprivation due to total dependence on the mother may exacerbate or precipitate depressive symptoms.

- If mothers are nursing and taking medications, the feelings of guilt and anxiety associated with exposing their infant to medication may exacerbate their depressive symptoms.

SSRIs

SSRIs계 약물은 항우울증약으로 가장 추천되고 많이 사용되고 있다. Citalopram,

Escitalopram, Fluoxetine, Fluvoxamine, Paroxetine, Sertraline 이 있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의 이동을 막아 시납스에서 세로토닌의 활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우울증과 불안치료에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fibromyalgia, neuropathic pain,

월경전증후군 치료에도 사용된다. 이 약물의 흔한 수유부에서의 부작용은 위장관 이상으로 구토나 설사, 두통, 성기능이상, 과민성, 진정효과가 나타난다. 이 약물들의 반감기는 대부분은 24-48 시간이지만 fluoxetine 은 4-6 일로 길다. 최근 SSNRIs(selective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나 SNRIs(selectiv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가 더 좋은 효과와 적은 부작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에 포함된 약물들은 Venlafaxine, desvenlafaxine, duloxetine 이 있으며 모두 모유수유에 적합한 것으로 아려져 있다.(5)

모든 SSRIs계 약물은 모유에서 검출된다. 하지만 paroxetine 과 sertraline 은 영아의 혈중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한편, fluoxetine 과 citalopram 은 각각 영아의 혈중에서 모체용량의 22%와 17%가 검출된다. .(41) Fluoxetine 과 citalopram 사용시 일부에서 영아에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잠을 잘 못 잔다거나, 배 아픔, 안절부절, 잘 먹지 않음, 졸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42,43) fluoxetine 을 사용했던 경우 영아에서 경련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44) 미국 FDA 에서는 fluoxetine 의 약품설명서에 모유수유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권하고 있다. (45)

TCA/heterocyclics

Amitriptyline, amoxapine, clomipramine, desipramine, doxepine, maprotiline,

nortriptyline, trimipramine 은 TCAs계 약물로 과거에 항우울증약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우울증과 불안증뿐만 아니라 저용량으로는 불면증과 만성통증에도 사용된다. 이들의 작용기전은 norepinephrine 의 이동을 막아 시납스에서 활용성을 증가 시키고 도파민과

Page 8: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세로토닌 펌푸도 차단 시킴으로써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들 약물은 동시에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 H1 histamine receptors, 그리고 alpha-1-adrenargic

receptors 를 차단함으로써 여러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 부작용에는 저혈압, 진정효과,

입마름, 뇨정체, 체중증가, 성기능이상, 변비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과용량 사용시 부정맥과 사망에 대한 보고도 있다. 이 약물들 중 단지 nortriptyline 만이 모유수유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영아의 혈중에서 검출되지 않으며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46,47) 한편, doxepin 은 노출된 영아에서 근긴장 저하, 잘 먹지 않음, 구토와 진정효과가 나타남. 하지만, 모유수유 중단 후 호전되었다.(48)

그 외 항우울제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로 lorazepam, clonazepam, midazolam 이 흔하게 사용되고 이들은 불안증을 줄이고 수면을 돕는다. 일부 약물들은 영아에 진정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노출량을 최소화 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히스타민제 사용도 진정효과를 위해서 사용되는데 diphenylhydramine,

dimenhydrinate, doxylamine 은 대략 RID 가 0.7-1.5%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한편,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은 아니지만 산후 불면증에 zopiclone 과 zolpidem 은 RID 가 1.4%로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다. 비전형적 항정신질환 약물은 정신질환과 조울증, 우울증에 사용되는데 가장 흔하게 risperidone, quetapine, olanzapine 은 RID 가 각각 4.3%,

0.09%, 1.6%로 낮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5)

4. 약물중독여성에서 모유수유

불법 약물사용과 합법적인 물질 남용은 가임 여성에게는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의 한 조사에

의하면 15-44세의 임신여성에서 불법약물의 사용빈도는 5.2%인 것으로 밝혀졌다. (49)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임신부에서 불법약물 사용에 대한 빈도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

불법약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에서는 여러 가지 약물에 동시에 흡연이나 알코올에 노출되기

쉽고, HIV, Hepatitis B/C, 그리고 영양결핍에 걸리기 쉽다. 또한, 약물 치료가 필요한

정신과질환을 동반해서 모유수유 선택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일반적으로 불법약물을

사용하는 엄마에서는 모유수유가 금지되고 있다. (50,51) 대부분의 불법약물들은 모유에서

검출되어, phencyclidine hydrochloride, cocaine 이 모유에서 검출된 보고가 있으며,

(52,53) 영아에서 독성을 나타낸 경우도 있다. (54) 하지만, 이런 경우도 모유와 모유수유의

장점은 여러 위험에 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Opioid 에 중독된 임신부와 산후여성에서

methadone 치료는 선호되는 치료방법이다. 모유에서 검출되는 methadone 의 양은 아주

소량이다. 따라서 methadone 치료에 의해 안정된 여성은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55,56)

그리고 methadone 에 의한 단기적, 장기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7,58) Opiate 에 자궁내에서 만성적으로 노출된 아이들은 신생아 금단증상 (Neonatal

abstinence syndrome) 이 나타날 수 있다. 포함된 증상들로는

Page 9: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신경학적 과민증(tremors, irritability, increased wakefulness, high-pitched crying,

increased muscle tone, hyperactive reflexes, seizures, frequent yawning and

sneezing), 위장관 기능이상(poor feeding, uncoordinated and constant sucking,

vomiting, diarrhea, dehydration, poor weight gain), 그리고 자율신경 증후(increased

sweating, nasal stuffiness, fever, mottling of skin)가 있다.(59) 이들 금단증상들은 출산

후 48-72 시간이내에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일부 영아에서는 이들 증상이 4 주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었다.(60)

이런 경우에 methadone 에노출된 아이들은 모유수유와 모유로부터 장점을 갖는다. 모유

수유한 아이들은 심한 신생아 금단증상 (Neonatal abstinence syndrome)이 적게

나타난다. (61,62) Buprenorphine 도 임신 중 및 산후에 opioid 중독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약물로 모유로 분비되는 양이 적고 모유수유아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63,64)

맺음말

모유수유는 영아에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이유로 모유수유를 포기하게 된다. 젖 량 부족, 출산과정에 사용되는 진통제 및 마취 약물과 산후우울증시 치료를 위한 약물 노출 그리고 불법 약물 사용 및 중독은 모유수유를 포기하게 되는 중요한 요인들이다. 젖량 부족은 일차적으로는 바른 모유수유방법을 통해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모유분비촉진제인 돔페리돈을 사용함으로써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출산 중 사용되는 진통제 및 마취 약물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고 장기적이고 반복적 투여가 아니라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산후우울증의 경우에 사용되는 약물 중 fluoxetine 과 citalopram 같이 RID 가 10%를 넘지 않는 경우라면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불법적 약물사용과 중독의 경우도 methadone 으로 치료 시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모유수유가 가능하다. 따라서, 모유수유 중 약물 사용은 모유수유의 장점과 약물노출로 인한 위험과 이익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1. 한정열 등, 임신 중 약물노출에 따른 임신결과 및 수유 중 약물노출 부작용평가. 모태독성학 군자출판사 2009.

2. Li R, Fein SB, Chen J, et al. Why mothers stop breastfeeding: Mothers’ self-reported reasons for stopping during the first year. Pediatrics 2008;122(Suppl 2):S69–S76.

3. Rajan L. The impact of obstetric procedures and analgesia anaesthesia during labour and delivery on breast feeding. midwifery 1994;10:87–10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Drugs. The transfer of drugs and other chemicals into human milk. Pediatrics 2001;108:766–789

4. Chaudron LH, Szilagyi PG, Kitzman HJ, et al. Detection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by screening at well-child visits. Pediatrics 2004;113: 551–558

5. Rowe H, Baker T, Hale TW Maternal medication, drug use, and breastfeeding. Pediatr Clin North Am. 2013 Feb;60(1):275-94.

6. Hale T, Hartmann P, eds. Textbook of Human Lactation. Hale Publishing,

Page 10: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Amarillo, TX, 2007. 7. Murray L, ed. Physicians’ Desk Reference, 63rd ed. Thomsen Reuters,

Montvale, NJ, 2009. 8. Campbell-Yeo ML, Allen AC, Joseph K, et al. Effect of domperidone on the

composition of preterm human breast milk. Pediatrics 2010;125:e107–e114.

9. Alla Osadchy,Myla E.Moretti, and Gideon Koren Effect of Domperidone on Insufficient Lactation in Puerper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bstet Gynecol Int. 2012;2012:642893)

10. Wan EWX, Davey K, Page-Sharp M, et al. Dose-effect study of domperidone as a galactagogue in preterm mothers with insufficient milk supply, and its transfer into milk. Br J Clin Pharmacol 2008;66:283–289.

11. G. J. Hofmeyer and B. Van Iddekinge, “Domperidone and lactation,” The Lancet, vol. 1, no. 8325, p. 647, 1983.

12. G. J. Hofmeyr, B. Van Iddekinge, and J. A. Blott, “Domperidone: secretion in breast milk and effect on puerperal prolactin levels,”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 92, no. 2, pp. 141–144, 1985.

13. P. M. Laduron and J. E. Leysen, “Domperidone, a specific in vitro dopamine antagonist, devoid of in vivo central dopaminergic activity,” Biochemical Pharmacology, vol. 28, no. 14, pp.2161–2165, 1979.

14. J. A. Barone, “Domperidone: a peripherally acting dopamine2-receptor antagonist,” Annals of Pharmacotherapy, vol. 33,no. 4, pp. 429–440, 1999.

15. E. W. X. Wan, K. Davey, M. Page-Sharp, P. E. Hartmann, K. Simmer, and K. F. Ilett, “Dose-effect study of domperidone as a galactagogue in preterm mothers with insufficient milk supply, and its transfer into milk,”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vol. 66, no. 2, pp. 283–335, 2008.

16. N. Ahmad, J. Keith-Ferris, E. Gooden, and T. Abell, “Making a case for domperidone in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vol. 6, no. 6, pp. 571–576, 2006.

17. R. M. Ward, B. A. Bates, W. E. Benitz, D. J. Burchfield, J.C. Ring, and R. P. Walls, “The transfer of drugs and other chemicals into human milk,” Pediatrics, vol. 108, no. 3, pp.776–789, 2001.

18. Hansen WF, McAndrew S, Harris K, et al. Metoclopramide effect on breastfeeding the preterm infant: A randomized trial. Obstet Gynecol 2005;105:383–389.

19. Lewis PJ, Devenish C, Kahn C. Controlled trial of metoclopramide in the initiation of breast feeding. Br J Clin Pharmacol 1980;9:217–219.

20. Sakha K, Behbahan AG. Training for perfect breastfeeding or metoclopramide: Which one can promote lactation in nursing mothers? Breastfeed Med 2008;3:120–123.

21. Seema, Patwari AK, Satyanarayana L.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promote exclusive breastfeeding. J Trop Pediatr 1997;43:213–216.

22. Kim-Godwin YS. Postpartum beliefs and practices among non-Western cultures. Am J Matern Child Nurs 2003;28:74–78.

23. Tiran D. The use of fenugreek for breast feeding women. Complement Ther Nurs Midwifery 2003;9:155–156 .

24. Smith L. Impact of Birthing Practices on Breastfeeding, 2nd ed.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 2010.

25. Smith CA, Collins CT, Cyna AM,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pain management in labou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6;(4):CD003521.

26. Simkin PP, O’Hara MA. Nonpharmacologic relief of pain during labor: Systematic reviews of five methods. Am J Obstet Gynecol 2002;186(5 Suppl Nature):S131–S159.

27. Mizuno K, Fujimaki K, Sawada M. Sucking behavior at breast during the early newborn period affects later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Pediatr Int 2004;46:15–20.

Page 11: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28. Chantry CJ, Nommsen-Rivers LA, Peerson JM, et al. Excess weight loss in first-born breastfed newborns relates to maternal intrapartum fluid balance. Pediatrics 2010;127:e171.

29. Hale TW. Medications and Mothers’ Milk, 14th ed. Hale Publishing, Amarillo, TX, 2010.

30. Jonas W, Johansson LM, Nissen E., et al. Effects of intrapartum oxytocin administration and epidural analgesia o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oxytocin and prolactin, in response to suckling during the second day postpartum. Breastfeed Med 2009;4:71–82.

31. Loubert C, Hinova A, Fernando R. Update on modern neuraxial analgesia in lab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f the last 5 years. naesthesia 2011;66:191–212.

32. Mathur GP, Pandey PK, Mathur S, et al. Breastfeeding in babies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Indian Pediatr 1993;30:1285–1290.33. Wittels C, Scott DT, Sinatra RS. Exogenous opioids in human breast milk

and acute neonatal neurobehavior: A preliminary study. Anesthesiology 1990;73:864–869.

34. Feilberg VL, Rosenborg D, Broen CC, et al. Excretion of morphine in human breast milk. Acta Anaesthesiol Scand 1989;33:426–428.

35. Madadi P, Koren G, Carns J, et al. Safety of codeine during breastfeeding. Can Fam Physician 2007;53:33–35.

36. Hirose M, Hara Y, Hosokawa T, et al. The effect of postoperative analgesia with continuous epidural bupivacaine after cesarean section on the amount of breast feeding and infant weight gain. Anesth Analg 1996;82:1166–1169.

37. O’Hara MW, Neunaber DJ, ekoski EM. Prospective study of postpartum depression: Prevalence, course, and predictive factors. J Abnorm Psychol 1984;93:158–171.

38. Chaudron LH, Szilagyi PG, Kitzman HJ, et al. Detection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by screening at well-child visits. Pediatrics 2004;113: 551–558.

39. Gaynes BN, Gavin N, Meltzer-Brody S, et al. Perinatal Depression: Prevalence, Screening Accuracy, and Screening Outcomes. Evidence Report/Technology Assessment No. 119. Prepared by the RTI–University of North Carolina Evidence-Based Practice Center, under Contract Number 290-02-0016. AHRQ Publication Number 05-E006-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ockville, MD, 2005.

40. THE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PROTOCOL COMMITTEE ABM Clinical Protocol #18: Use of Antidepressants in Nursing Mothers BREASTFEEDING MEDICINE Volume 3, Number 1, 2008

41. Weissman AM, Levy BT, Hartz AJ, et al. Pooled analysis of antidepressant levels

in lactating mothers, breast milk, and nursing infants. Am J Psychiatry 2004;161:1066–1078.

42. Lester BM, Cucca J, Andreozzi L, et al.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fluoxetine

hydrochloride and colic in an infant.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93;32:1253–1255.

43. Schmidt K, Olesen OV, Jensen PN. Citalopram and breast-feeding: Serum concentration and side effects in the infant. Biol Psychiatry

2000;47:164–165.44. Brent NB, Wisner KL. Fluoxetine and carbamazepine concentrations in a

nursing mother/infant pair. Clin Pediatr 1998;37:41–44. 45. Nightingale SL. Fluoxetine labeling revised to identify phenytoin

interaction and to recommend against use in nursing mothers. JAMA 1994;271:1067.

46. Wisner KL, Perel JM. Nortriptyline treatment of breast-feeding women. Am J Psychiatry 1996;153:295.

47. Wisner KL, Perel JM. Serum nortriptyline levels in nursing mothers and

Page 12: 모유분비촉진제 및 모유수유 중 약물  - 한정열

their infants. Am J Psychiatry 1991;148:1234–1236. 48. Frey OR, Scheidt P, von Brenndorff AI. Adverse effects in a newborn infant

breast- fed by a mother treated with doxepin. Ann Pharmacother 1999;33:690–

693. 49. Results from the 2007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National

Findings. http:==www.oas.samhsa.gov= nsduh=2k7nsduh=2k7Results.cfm#2.6 (last accessed December 8, 2008.

50. Howard CR, Lawrence RA. Breast-feeding and drug exposure. Obstet Gynecol Clin North Am 1998;25:195–217.

51. Ito S. Drug therapy for breastfeeding women. N Engl J Med 2000;343:118–126.

52. Kaufman R, Petrucha RA, Pitts FN, et al. PCP in amniotic fluid and breast milk: Case report. J Clin Psychiatry 1983;44: 269–270.

53. Winecker RE, Goldberger BA, Tebbett IR, et al. Detection of cocaine and its metabolites in breast milk. J Forensic Sci 2001;46:1221–1223.

54. Chasnoff I, Lewis DE, Squires L. Cocaine intoxication in a breast fed infant. Pediatrics 1987;80:836–838.

55. Geraghty B, Graham EA, Logan B, et al. Methadone levels in breast milk. J Hum Lact 1997;13:227–230.

56. Jansson LM, Choo R, Velez ML, et al. Methadone maintenance and breastfeeding in the neonatal period. Pediatrics 2008;121:106–114.

57. Jansson LM, Choo RE, Harrow C, et al. Concentrations of methadone in breast milk and plasma in the immediate neonatal period. J Hum Lact 2007;23:184–190.

58. Jansson LM, Choo R, Velez ML, et al. Methadone maintenance and long-term lactation. Breastfeed Med 2008;3:34–37.

59.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Drugs. Neonatal drug withdrawal. Pediatrics 1998;101:1079–1088.

60. Kandall SR,Gartner LM. Late presentation of drugwithdrawal symptoms in newborns. Am J Dis Child 1974;127:58–61.

61. Ballard JL. Treatment of neonatal abstinence syndrome with breast milk containing methadone. J Perinat Neonatal Nurs 2002;15(4):76–85.

62. Arlettaz R, Kashiwagi M, Das-Kundu S, et al. Methadone maintenance program in pregnancy in a Swiss perinatal center (II): neonatal outcome and social resources.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5;84:145–150.

63. Grimm D, Pauly E, Poschl J, et al. Bup and Norbup concentrations in human BM samples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Ther Drug Monit 2005;27:526–530.

64. Marquet P, Chevral J, Lavignasse P, et al. Buprenorphine withdrawal syndrome in a newborn. Clin Pharmacol Ther 1997;62:569–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