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한한한 한한한한 : 한한한 한한 한한한 ( 한한한한한한한한한 )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Embed Size (px)

DESCRIPTION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박종현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한국의 경제성장은 “ 기적 ”. “ 한국의 경제성장은 기적 ”, Lucas, R. . (1993). "Making a Miracle". Econometrica . 61(2) 1960 년만 해도 필리핀과 남한은 동일한 생활수준 인당 GDP 는 두 나라 모두 640 달러 . 1960 년부터 1988 년까지 필리핀의 인당 GDP 는 연평균 1.8% 성장 . 같은 기간 동안 남한은 6.2 % 경제성장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박종현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Page 2: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의 경제성장은 “기적”• “ 한국의 경제성장은 기적” , Lucas, R. . (1993).

"Making a Miracle". Econometrica. 61(2)• 1960 년만 해도 필리핀과 남한은 동일한 생활수준

– 인당 GDP 는 두 나라 모두 640 달러 .– 1960 년부터 1988 년까지 필리핀의 인당 GDP 는 연평균

1.8% 성장 . 같은 기간 동안 남한은 6.2% 경제성장– 1993 년 현재 , 멕시코 , 포르투갈 , 유고슬라비아와 비슷한

생활수준을 달성 . 필리핀 사람들보다는 세 배 이상 부유– 1993 년 시점에서도 기적이라는 평가

• 한국의 경제성장은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이라는 보다 큰 틀 속에서 주로 언급

Page 3: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경제성장의 핵심 요인은 무엇인가 ?

• 생산성 상승 , 기술진보 by 신고전 성장이론(Lucas 1993) 과 내생성장이론 (Romer 1993; Nelson & Pack 1999)

• 요소투입 증가 , 높은 저축률과 높은 투자율 by Young(1995), Kim & Lau(1994)

Page 4: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생산성 상승의 원인은 무엇인가 ?

• 선진 기술의 적극적인 습득과 흡수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상승했고 이를 통해 고속 성장이 가능 . 기술수용이론 (Assimilation)

• 선진 기술의 습득과 흡수를 가능케 한 것이 바로 혁신과 학습 그리고 기업가정신 (Nelson & Pack 1999)

• 선진국과의 지식 격차 (idea gap) 을 좁히는 것이 성장의 핵심 관건 . “ 경제발전을 가로막는 것은 object gap 보다는 idea gap 이다” (Romer 1993)– 전자가 공장이나 원료의 부족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면 ,

후자는 생산적 아이디어의 창출이나 흡수를 가로막는 장벽을 지칭

Page 5: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생산성 상승은 크지 않았다는 반론• 성장회계방정식과 회귀분석에 기초한

실증분석을 해 보면 , 생산성 상승의 정도는 미미 (Young(1995), Kim & Lau(1994))–한국 등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은 높은 저축률과

투자율을 지속할 수 있었던 것에서 찾아야–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은 높은

저축률과 투자율을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이며 , 이와 관련해서는 정부 역할이 결정적 (Collins & Bosworth 1996). Rodrick(1995) 과 Stiglitz(1996) 도 비슷한 주장

Page 6: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의 두 단계• 생산성 상승 또는 기술수용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을 두 단계로 나누어 주목– 1960 년대에는 자본의 단순한 축적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반면 , 70 년대와 80 년대에는 외부 세계의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습득했는데 , 이것이 기적의 비결 . 수출품의 다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 또한 1970 년대 들어와서인데 , 이 또한 기술의 습득과 관련이 깊다 (Nelson & Pack 1999)

– 수출 , 외국인직접투자 등 개방은 외부의 지식을 습득하는 주요 통로 (Brahmbhatt et al. 2010)

Page 7: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성장을 주도한 것은 수출인가 투자인가 ?

• 생산성 상승 및 기술수용을 주장하는 진영에서는 수출에 주목 , 생산성 상승에 부정적인 사람들은 투자를 강조

• 주류경제학의 표준적인 설명은 수출주도형 성장으로 표현 가능 . 1950 년대까지는 수입대체 산업화 . 이중환율 , 높은 무역장벽 , 금융억압 . 1950 년대 말 수입대체 산업화의 한계에 노정 . 특히 미국 원조의 축소로 외화가 부족해지자 , 외화 획득을 위해 수출주도형 전략으로 전환

• 평가절하를 통한 환율의 일원화 , 수출 용도의 수입품에 대해서는 사실상 관세를 면제시켜주는 방식의 수출 지원 , 고금리 , 일정 부문의 수입 자유화 등 . 그리고 안정화 정책 , 인적 자본 및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공공투자 등이 결합 . 그 결과 1960 년대 중반부터 수출이 크게 증대 . 비교우위 부문에 수출이 특화됨과 동시에 소득 , 투자 , 저축 , 생산성 등이 모두 증가

Page 8: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투자가 결정적이었다는 주장• Rodrick(1995) 은 투자가 결정적이었다고 주장 . 경제성장을

향한 도약은 1960 년대 초반의 급격한 투자 수요 증가였다는 것

• 로드릭은 정부가 의식적으로 자본의 사적 수익률을 높였던 것이 투자를 끌어올린 핵심 동인이었다고 주장 . 투자를 가로막은 장애물들을 제거하는 한편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 . 여기에 더해 도약을 가로막던 조정 실패 문제를 해소 . 투자 보조금 , 행정 지도 , 공기업 등 전략적 개입이 결정적

• 로드릭은 한국과 대만의 제도적 환경 자체가 성장에 유리한 조건이었다는 점을 강조 . 우수한 인적 자본과 소득 및 부의 고른 분배 . 경제주체들이 지대 추구 대신 지대 창출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Page 9: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수출의 중요성에는 의견이 일치 • 그러나 주류경제학과 발전국가론 모두

수출주도형 전략이 기업을 규율하고 생산성 상승을 가져옴으로써 성장에 결정적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

• 세계은행의 보고서인 <The East Asian Miracle>(1993) 은 표준적 설명에 수정주의의 반론 중 일부를 수용한 것

Page 10: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경제성장의 주역은 누구인가 ?

• 리스크를 기꺼이 감당한 혁신적인 기업가 (Nelson & Pack) 對 유능한 관료 (Stiglitz)

• Nelson & Pack(1996) 은 민간의 활력을 강조 . 한국과 대만은 재정 보수주의 (fiscal conservatism) 의 기조를 유지했고 , 이로 인해 관료 부문의 규모가 크지 않아 고학력층들이 정부 부문 대신 민간의 기업 부문으로 대거 진출해 경제성장을 주도할 수 있었다는 것

• 발전국가론 (Amsden 1989, Wade 1990) 에서는 자원배분 과정에서 정부가 산업정책을 통해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을 강조 . 보조금 , 교역 제한 , 행정 지도 , 공기업 , 정책자금 , 신용 할당 등

Page 11: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경제성장에서 정부의 핵심 역할은 ?• getting the price right(주류경제학 ) vs. getting the price wrong

또는 getting interventions right (발전국가론 ) • 전자는 정부가 시장 , 특히 가격기구를 왜곡시키지 않았다는 점을 높이 평가 .

투입물과 산출물의 상대가격이 안정화되면서 생산자들은 생산성 개선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는 것 .

• 후자는 정부가 개별 기구의 협소한 시야를 뛰어넘어 장기적 ·사회적 관점에서 자원배분을 적극적으로 주도했으며 , 이 과정에서 가격기구를 왜곡하기도 했는데 이는 경제성장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올바른 개입이었다고 주장

• Rodrick(1995)은 정부가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투자를 가로막은 장애물들을 제거하는 한편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도약을 가로막던 조정 실패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고 평가 . 투자 보조금 , 행정 지도 , 공기업 등 전략적 개입이 결정적이었다는 것 . 로드릭은 정부가 제도를 바로 세웠다 (getting in-stitutions right)는 점도 강조 . 우수한 인적 자본과 소득 및 부의 고른 분배로 인해 경제주체들이 지대 추구 대신 지대 창출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

Page 12: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가치창출 및 성장촉진자로서의 정부

• 정부가 개입을 통해 지대를 창출하고 이를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배분 . 반면 , 다른 나라들의 경우 지대 추구 행위 속에서 지대를 갈라먹고 소진 . 이게 결정적 차이라는 것 .

• 정부는 기업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 . 담합보다는 건강한 협조관계 . 정부는 성과에 근거해 민간에 자원을 배분 . 부패의 범위를 상대적으로 줄이고 사회적 목표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기업들이 행동할 강력한 유인을 제공

• 적극적인 공교육정책을 포함한 평등주의적 정책은 안정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을 제공했으며 생산적 활동에 참여할 유인으로 작용 . 정부는 장을 활용하고 시장을 창조 . 이게 성장촉진 . 동아시아의 정부는 대단히 유능한 정부 (Stiglitz 1996)

Page 13: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자본주의의 다양성 학파• 자본주의의 다양성 학파 (Varieties of Capital-

ism)– 국제적 수준의 제도적 다양성에 주목하는

비교자본주의분석– 표준적인 신고전학파 교과서에 나오는 시장경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 미국식 이외의 다양한 자본주의의 가능성에 대한 주목• 미국형 자본주의와 대안적 자본주의간의 대립을 놓고 진

행 . 대안적 자본주의란 미국과 유사한 수준의 성과를 낮은 사회적 비용으로 실현하는 사회

Page 14: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자본주의의 다양성 학파• Andrew Shonfield(1964) 는 프랑스와 독일이 미국과 아주

다른 제도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 또는 다른 제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 고도성장이 가능하다고 주장– 국유은행 , 국영기업 , 복지국가 , 포괄적인 경쟁규제 , 공적인

연구개발 투자 , 지시적 계획 등 경제활동에 대한 국가의 광범위한 개입을 정당화

• Michel Albert(1991) 의 < 자본주의 대 자본주의 >– 네오 아메리카 모델과 라인 모델 . 미국과 독일 . 개인적 업적의 강

조 , 단기금융 이익의 중요성 , 관계의 취소가능성 및 유연성을 강조하는 사회와 장기적 관계 , 집단적 업적 , 합의에 입각한 사회 .

• David Soskice 와 Peter Hall 의 Liberal Market Econ-omy vs. Coordinated Market Economy

• Robert Boyer, Colin Crouch, Bruno Amable 등

Page 15: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시장기반형 자본주의• 기업간 및 개인간 경쟁원리에 기반한 이노베이션 및 생산 시스템 .

행위주체들은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조정되고 , 시장 메커니즘은 이 모델의 기반을 이루는 결정적인 관계를 규정

• 이 모델의 경쟁력은 행위주체들에게 주어진 인센티브의 강도 및 인센티브에 반응하는 행위주체의 능력에 입각 . 각 개인은 유연한 노동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면서 교육직업훈련에 투자 . 노동시장에서는 기능의 수요에 따라 광범위한 임금분산이 발생

• 각 기업은 규제가 완화된 제품시장으로부터 고이윤을 기대하면서 혁신을 수행 . 제품시장에서는 신규 진입자에게 유리한 격렬한 경쟁이 가능 . 지적소유권은 엄격한 특허제도에 의해 보호 . 금융시장을 기초로 한 시스템은 신기술을 갖는 기업을 창업하는데 유리 . 기업통제시장을 통해 기업경영을 규율하는 장치로서 작동 . 이 모델에 가까운 나라는 지식이 코드화되고 발본적인 이노베이션이 중요한 활동과 서비스 활동에 특화하는 것이 일반적 . 미국 영국 캐나다․ ․ ․호주에 더해 노르웨이가 추가

Page 16: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유럽대륙형 자본주의• 이 모델에서는 이노베이션의 추진력 , 그 코드화 , 관리에 있어 국가 등

공적 제도가 결정적 역할을 담당 . 정부가 경제조절 과정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

• 교통통신 건강 뿐 아니라 일반적 군사적인 거대 공공프로그램에 대한 ․ ․공공지출에서 발생하는 수요에서 유래 . 교육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기초연구는 주로 공적으로 수행

• 연구성과의 민간영역으로의 이전 가능성이나 직업훈련 및 민간기업 니즈와의 긴밀한 일치라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기도

• 은행에 의한 신용할당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공공규제가 역할을 수행 . 은행기반형 신용시스템은 소기업 및 신규기업보다는 대기업을 우대

• 사회민주주의적 구도와 달리 노사정의 삼자교섭은 곤란•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에서 이탈리아가 빠지고 대신 벨기에와 ․ ․

아일랜드가 추가

Page 17: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사민주의형 자본주의• 노동조합과 경영단체가 충분한 교섭력을 확보한 가운데

사회적 파트너로서의 각 분파의 이익을 대표• 상황에 대응하는 교육직업훈련 시스템에 의해 잘 훈련된

경쟁력 있는 노동력이 제공• 이 유형에 가까운 경제는 소규모개방경제 . 고도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외적인 경쟁조건에 적응해야만 하는 경제

• 포괄적인 복지국가가 노동재편성 과정의 리스크로부터 개인을 보호

• 건강과 환경관련 활동들에서 경쟁우위•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등․ ․ . 노르웨이가 빠지기 시작 .

Page 18: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메조 코포라티즘형 자본주의• 노동시장은 대기업집단이라는 메조 레벨에서 내부화되고

특수한 임금설정 관행 및 특수한 형태의 고용안정이 유지• 자금조달은 기업이 장기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금융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 기업활동은 그룹 내부에서 조정• 이로부터 점진적인 이노베이션의 실행이 가능 . 교육

시스템은 일반적 기능에 초점을 맞춘 범용교육 중심 . 기업특수적 특수적 기능은 내부이동 및 OJT 를 통해 그룹 내에서 획득

• 이 모델에 가까운 나라는 고숙련 노동력과 빈번한 작업조정이 필요한 복잡한 제조업에 유리한 반면 , 대신 급진적 기술혁신 및 과학기반적 이노베이션을 기초로 한 활동에는 취약

• 일본에 더해 한국이 추가

Page 19: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유럽형 자본주의의 분화• 미국식 자본주의가 전세계적으로 확산 . 시장기반형 메커니즘이 많은 경제에서 깊이 침투하는데 , 시장기반형 메커니즘의 우위는 금융부문과 노동관계라는 한정된 하부 시스템에 집중 . 유럽도 그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형으로 분화 중 . 프랑스와 독일로 대표되는 유럽대륙형 이외에 알프스형과 지중해형

• 알프스형에는 오스트리아와 스위스가 포함 . 지중해형에는 스페인 , 이탈리아 , 그리스 , 포르투갈 등이 포함 . 알프스형이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으며 , 지중해형은 노동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

Page 20: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 자본주의의 위치는 ?1. 생산물시장의 규제가 광범위하게 존재 . 스위스나 이탈리아와 같은 범주2. 자본임노동관계 . 노동시장의 유연화 정도는 보통으로 , 네덜란드 독일․ ․

스웨덴과 같은 범주 . 일본 오스트리아보다 고용보장이 강한 편․ . 노사관계 측면은 핀란드 스웨덴과 같은 범주․ . 노조 조합원 숫자는 많은 편이며 , 일본․노르웨이 등에 비해서는 노사관계가 적대적이고 , 실업급여는 높지 않은 편 . 고용정책 측면에서는 적극적 노동정책을 펼치지 않는 국가군에 속함 . 미국․노르웨이 벨기에 스위스 영국 캐나다 호주 한국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 ․ ․ ․ ․ ․ ․ ․

3. 금융시스템 측면에서는 확실한 자본시장 중심형인 미국 네덜란드 영국이나 ․ ․전통적인 은행 중심형인 독일 일본 프랑스 등과는 차이가 있으며 핀란드․ ․ ․노르웨이 아일랜드 등과 같은 군에 소속․

4. 사회보장제도 측면에서는 미국 캐나다 일본과 같은 군에 소속․ ․ . 사적인 사회보장 시스템의 전형 . 다른 클러스터에 비해 세수에서 자산과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물품 및 소비에 대한 과세의 비중이 낮다 . 한국은 자유주의적 잔여주의의 특징

5. 교육제도 측면에서는 미국 일본 영국 호주 캐나다 등과 함께 공적 지출의 ․ ․ ․ ․비중이 비교적 적은 고등교육 시스템으로 유형화

Page 21: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사민주의와 한국 자본주의• 이념적인 사민주의형 모델과의 거리를 계측 .

핀란드가 이 이념모델에 가장 가까운 나라이며 한국이 가장 거리가 먼 나라

• 사민주의형의 특징 . 보편주의 복지국가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높은 노조조직률 , 산별노조 , 노조의 정치조직화 , 비례대표제 등

Page 22: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의 다양성• 신자유주의가 정부를 매개로 한 기존의 기업간 관계 및 노사관계를

크게 훼손시켰는지 여부를 둘러싼 논쟁 (Schumidt 2001; Mann 1997; Radice 2000). 신자유주의가 조정시장경제 (coordinated market economy) 또는 관리된 자본주의 (managed capital-ism) 의 전통을 얼마나 약화시킬 것인지를 둘러싼 논쟁으로 확산

• 과거 유럽대륙에서는 정부가 통화 산업 노동 사회정책의 영역에서 ․ ․ ․적극적 역할을 담당했으나 , 신자유주의의 득세로 자본주의의 국가별 다양성이 쇠퇴할 것이라는 ‘수렴가설’ (convergence thesis) 이 대두

• 반면 자본주의의 국가별 다양성을 여전히 지지하는 사람들도 존재 . 규제완화 , 자유화 , 민영화 등을 국가가 어느 정도는 제도화한다는 것 . 이들 두 극단의 중간에 자리한 혼종가설 (hybrdization) 도 존재 . 세계화의 압력은 단일하지만 이에 대한 국민국가의 대응은 독특하다는 것 (Campbell et al. 2006; Sodederberg et al. 2005)

Page 23: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과 일본의 경험• Yong Wook Lee, Sun Young Kwak. (2009). Neo-Lib-

eral Korea and Still Developmentalist Japan: Myth or Reality?. Global Economic Review. Vol. 38, No. 3

• 1990 년대 이후 한국과 일본이 신자유주의적 개혁을 추진 .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한국의 경우 신자유주의 개혁이 대대적으로 진행되었다고 평가 . 특히 규제완화를 통해 .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국가가 ‘재규제’ (reregulation) 을 통해 경제체제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지난 10 여년을 끌어왔다는 평가가 일반적 . 한국의 수렴가설에 부합되는 나라라면 , 일본은 발산가설에 부합되는 나라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 . 그렇다면 , 신자유주의 개혁의 정도 , 강도 , 내용 등이 두 나라에서 크게 달랐을까 ?

Page 24: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의 신자유주의 개혁• 금융자유화 및 금융규제완화에 집중하기로 . 발전국가의 쇠퇴를 주장하는 핵심 논거가 바로 이들이므로 . 발전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거론되었던 것이 바로 금융부문에 대한 국가의 통제 . 금융부문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를 제한하기 위해 고안된 제도개혁 그리고 금융자유화 및 금융규제완화 . 여기에 외국인투자 확대가 추가 거론되기도 .

• 대표적인 금융제도개혁으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 강화와 통합 금융감독기구 설치가 거론 (Hall 2003; Pirie 2005). 이들은 한국이 신자유주의 기조로 이행을 했다는 결정적인 증거로 거론 . 한국 정치경제의 신기원을 여는 일대 사건이라는 것 (Pirie 2005, 31). 이러한 제도변화가 통화정책을 정치권의 통제로부터 독립시킨 것이며 한국의 발전국가의 종말을 웅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

• 이후 외국인 투자에 대한 기존의 규제를 모두 없애고 자본자유화를 한층 확대하는 방향에서 추가적인 탈규제 및 자유화가 진행 .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외국인 지분 증가 및 금융업종 사이의 경계가 크게 완화 .

• 금융기관의 외국인 소유 증가 및 금융부문 사이의 칸막이를 사실상 해체하는 정책이 한국경제가 신자유주의로의 이행을 밟고 있다는 대표적인 증거로 해석 . 전자는 전통적인 산업정책의 해체를 , 후자는 은행 중심 시스템으로부터 자본시장 중심 시스템으로의 이행을 의미한다는 것

Page 25: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금융개혁과 신자유주의의 관계 ?

• 금융개혁 자체가 신자유주의 국가로의 이행을 정당화해주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도 가능 . 실제로 독립적인 금융감독기구는 정책조정자로서 과거 재무부가 담당하던 일을 대체했을 뿐이며 국가의 금융부문에 대한 통제는 계속되었다는 주장도 가능

• 생산이나 분배 또는 규제의 지배적인 원리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면 그것은 패러다임 이행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 것 . 그게 아니라면 , 세계화의 새로운 힘에 기존의 발전국가가 전략적으로 대응한 결과라는 해석이 가능

Page 26: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한국과 일본인들의 가치관• 자유주의 가치와 경제발전 가치들 사이의 흥미로운 조합을 발견

– 한국과 일본 모두 주주가치보다는 이해당사자의 가치를 선호 . 일본보다는 한국 사람들이 이해당사자의 가치를 더 적극적으로 옹호

– 민간기업의 소유 및 정부의 책임성과 관련해서는 일본이 한국보다 자유주의적 가치를 더 옹호 . 일본의 경우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정부소유보다는 민간소유를 선호 . 정부 책임과 관련해서는 일본은 지난 20년 동안 사람들의 태도가 일정한 반면 한국은 정부가 국민경제에 대해 책임이 크다는 견해가 최근 들어 급증

– 소득분배와 경쟁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한국 사람들이 일본 사람들에 비해 더 자유주의적인 입장을 표명 . 소득불평등이 경제성장의 자극요인이라는 견해가 우세 . 경쟁이 시장에 우호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견해도 증가 .

• 한국과 일본 양국 사람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주가치 및 소득불평등에 대해 보다 자유주의적 태도를 띠기 시작– 한국에서는 사적소유 , 정부의 책임 , 경쟁에 대해서는 반자유주의적 정서가 확대 .

일본 사람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경쟁 , 정부의 책임 , 사적 소유 등에 대해 신자유주의적 정서를 늘렸지만 , 정부의 역할에 대한 공공의 기대는 오히려 증가

– 한국보다는 오히려 일본이 자유화에 대해 더 수용적임을 시사 . 한국은 신자유주의 , 일본은 발전국가라는 통념과는 크게 배치

Page 27: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기업 - 금융관계의 추이• 한국 정부가 금융자유화 및 탈규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것은 사

실 . 그럼에도 한국이 일본에 비해 외국인 직접투자가 눈에 띌 정도로 크게 증가한 것은 아님– 1998 년부터 2001 년까지는 크게 증가 . 그러나 2002 년 이후부터는

증가세가 현저하게 둔화 . 신자유주의적 개혁이 해외로부터의 투자를 추가로 늘렸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

• 한국과 일본의 경우 대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있었던 상호주식보유 관행이 계속 유지– 정부는 계속해서 상호주식 보유를 줄이려 했지만 그 효과는 미미 . 30 대

재벌 기업들 중 1/3 이 이 관행을 지속• 기업 소유구조 , 기업의 자금조달 , 외국인 직접투자 , 상호주식보유

등에 대한 경험적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볼 때 , 한국이 일본보다 신자유주의 개혁이 더 거세게 진행되었다는 통념의 근거는 튼튼하지 않다

Page 28: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향방은 ?

• 정부의 역할 변화론 ?– 규제국가로의 변화 vs. 발전국가 재편론– 정부는 심판만 보고 성장의 노력은 민간으로

위임된다는 게 전자라면 , 후자는 정부의 후견기능은 유효하다는 게 후자

– 존재와 당위의 혼재 . 가령 , 장하준의 경우에는 규제국가로 가고 있는데 이는 한국경제에 성장잠재력을 훼손할 것이라고 보는 듯 . 반면 , Chu, Yin-wah 의 경우 정부의 후견기능은 여전히 유효하며 한국의 장기적 성장잠재력은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고 낙관 (정보통신산업의 발전 )

Page 29: 한국의 경제성장 :  해외의 시각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향방은 ?

• 한국경제는 더욱 강해졌나 ?–성장잠재력이 더욱 강화되었나 ?–잠재성장률 ?–선진국형 혁신체제를 확립했나 ?

• 의식과 관행 그리고 제도에 어떤 변화가 생겼나 ?–낡은 교육체제로 선진국형 혁신체제를 세우는

것이 가능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