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외외외외 외외외 외외외외외 2 외 외외외 , 외외외 , 외외외 , 외외외 , 외외외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Embed Size (px)

DESCRIPTION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2 조 박형주 , 백재승 , 송영근 , 오인혁 , 천석인. 문화재란 ?. 문화재 는 조상들이 남긴 건물 · 조각 · 공예품 · 서적 · 서예 등의 유물 · 유적 가운데 역사적 · 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 연주 · 무용 · 음악 · 공예 · 기술 등에서 역사적 ·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및 기념물 · 민속자료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해외소재 한국 문화유산 소재국별 현황 (1996 년 12 월 , 당시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2 조 박형주 , 백재승 , 송영근 , 오인혁 ,천석인

Page 2: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문화재란 ?

문화재는 조상들이 남긴 건물 ·조각 ·공예품 ·서적 ·서예 등의 유물 ·유적 가운데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거나 역사 연구에 자료가 되는 유형문화재 , 연주 ·무용 ·음악 ·공예 ·기술 등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 및 기념물 ·민속자료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

Page 3: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해외소재 한국 문화유산 소재국별 현황 (1996 년 12 월 , 당시 )

일본 - 29,637 - 45.7%미국 - 14,562 - 22.5%영국 - 7,189 - 11.1%독일 - 5,246 - 8%소련 - 2,560 - 4%프랑스 - 1,518 - 2%덴마크 - 1,470 - 2%중국 - 1,434오스트리아 - 679체코 - 250폴란드 - 135헝가리 - 58벨기에 - 56스웨덴 - 48네덜란드 - 8스위스 - 1캐나다 - 1

Page 4: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1. 직지심체요절 : 전 세계에 남아있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 2001 년 9 월 4일 < 승정원일기 > 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현존하는 것은 하권 1 책 뿐인데 , 1800년대 말 콜랭 드 플라시 주한 프랑스 공사가 프랑스로 가지고 갔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이는 독일 쿠텐베르크의 활자보다 78 년 이상 앞서 편찬되었다 .

Page 5: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1. 직지심체요절 : 전 세계에 남아있는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 2001 년 9 월 4일 < 승정원일기 > 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현존하는 것은 하권 1 책 뿐인데 , 1800년대 말 콜랭 드 플라시 주한 프랑스 공사가 프랑스로 가지고 갔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이는 독일 쿠텐베르크의 활자보다 78 년 이상 앞서 편찬되었다 .

Page 6: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파리국립도서관의 우리의 직지심체요절 보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55&aid=0000056301

Page 7: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2. 수월관음도 : 관음보살이 오른발을 왼쪽무릎에 올린 반가좌 자세로 바위 위에 걸터앉아 선재동자를 굽어보고 있는 모습으로 , 『화엄경』의 내용 중 한 장면을 그린 것이다 .관음보살의 등 뒤로는 한 쌍의 대나무가 표현되어 있고 , 앞쪽으로는 버들가지가 꽂힌 꽃병이 있으며 주위에 금가루로 원형을 그려 놓았다 .

Page 8: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2. 수월관음도 : 관음보살이 오른발을 왼쪽무릎에 올린 반가좌 자세로 바위 위에 걸터앉아 선재동자를 굽어보고 있는 모습으로 , 『화엄경』의 내용 중 한 장면을 그린 것이다 .관음보살의 등 뒤로는 한 쌍의 대나무가 표현되어 있고 , 앞쪽으로는 버들가지가 꽂힌 꽃병이 있으며 주위에 금가루로 원형을 그려 놓았다 .

Page 9: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3. 외규장각도서 : 1782 년 2 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으로 ,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를 비롯해 총 1,000 여 권의 서적을 보관하였으나 , 1866 년 ,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일부 서적을 약탈하고 ,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다 .

Page 10: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외국에 반출된 우리문화재

3. 외규장각도서 : 1782 년 2 월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서관으로 ,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를 비롯해 총 1,000 여 권의 서적을 보관하였으나 , 1866 년 ,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일부 서적을 약탈하고 ,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다 .

Page 11: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 문화유산위원회 >

문화유산의 보호 , 보존을 위한 행정 감시와 개혁 , 문화재 관련법의 개정 운동과 더불어 대안적인 문화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 또한 서로 홍보하고 도우며 우리나라의 고유하 고멋있는 문화재를 찾기 위해 힘쓴다 .

Page 12: 외국으로 반출된 우리문화재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

유형문화재 보호 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 1) 문화재를 손을 대어 만지거나 훼손하지 않는다 . 2) 문화재의 주위를 청결히 한다 . 3) 문화재의 관람 규칙을 잘 지키고 , 허가 없이 들어가거나

사진을 찍지 않는다 . 4) 문화재의 가치를 알고 아끼는 마음을 갖는다 .

무형문화재 보호 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 1) 문화재를 널리 퍼뜨리도록 노력한다 . 2) 무형 문화재 ( 탈춤 , 노래 등 ) 을 자주 감상한다 . 3) 문화재를 아끼는 마음을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