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쌀 쌀쌀 쌀쌀쌀쌀 쌀 쌀쌀 쌀쌀쌀쌀

쌀 협상 타결내용

Embed Size (px)

DESCRIPTION

쌀 협상 타결내용. 부속서 5 : 관세화 유예 (’04 년까지 ). Section A. : 선진국에 대한 관세화 유예 조치 6 년 동안 , 4% 에서 8% 로 증량 ( 매년 0.8% 증량 ). 일본은 ’99 년에 쌀 관세화 (’00 년 이후 77 만 톤 수입 ). Section B. : 개도국에 대한 관세화 유예 조치. 10 년 동안 1% 에서 4% 까지 증량. 쌀 관세화 유예의 의미 1 : 시장격리. 국영무역 ( 조달청 , 농수산물 유통공사 ) 을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쌀 협상 타결내용

쌀 협상 타결내용쌀 협상 타결내용

Page 2: 쌀 협상 타결내용

부속서 부속서 5 : 5 : 관세화 유예관세화 유예 (’04(’04년까지년까지 ))

Section A: 선진국에 대한 관세화 유예 조치6 년 동안 , 4% 에서 8% 로 증량 ( 매년 0.8% 증량 )

Section B : 개도국에 대한 관세화 유예 조치10 년 동안 1% 에서 4% 까지 증량

일본은 ’ 99 년에 쌀 관세화 (’00 년 이후 77 만 톤 수입 )

Page 3: 쌀 협상 타결내용

쌀 관세화 유예의 의미 1 : 시장격리

국영무역 ( 조달청 , 농수산물 유통공사 ) 을 통해 수입하고 , 가공용으로만 방출

개방화로 인한 농가피해가 거의 없었음 .

Page 4: 쌀 협상 타결내용

관세화 유예의 의미 2 : 추가 수입방지

관세화 하였을 경우

If 관세부과 후 수입가격 < 국내가격

MMA 이외에도 추가로 수입될 가능성

관세화 유예 : 추가수입이 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

그러나 이러한 이유 때문에 ’ 04 년까지 국내 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 .

Page 5: 쌀 협상 타결내용

관세화 유예 , 한국 쌀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겠는가 ?

Page 6: 쌀 협상 타결내용

국내 생산 쌀

수입 쌀

쌀 공급과잉구조

가공용으로 방출하여 해결

대북지원으로 해결

관세화 유예 : 한국 쌀 시장에 미친 영향

쌀 가격 : 정치적으로 결정

쌀 가격 인상 but 추가수입 안됨쌀 가격 지속적으로 상승

(2) 국내 쌀 : 수요 < 공급

(1) 수입 쌀로 인한 과잉공급구조

Page 7: 쌀 협상 타결내용

쌀 재협상의 주요 타결내용쌀 재협상의 주요 타결내용

1.시장접근물량 : 4%(’04 년까지 ) 약 8% 로 증량 (’14 년까지 )

2. 이행기간 : 2014 년까지 10 년 연장 (‘05-’14)

3. 일정물량은 식용으로 판매

4. Country Quota 부여 ( 국별 쿼터 )

Page 8: 쌀 협상 타결내용

구분국 별 쿼 터

총량쿼터 총계계 중국 미국 태국 호주

‘05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20,347

225,57

5

‘06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40,694

245,92

2

‘07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61,042

266,27

0

‘08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81,389

286,61

7

‘09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101,73

6

306,96

4

‘10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122,08

3

327,31

1

‘11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142,43

0

347,65

8

‘12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162,77

8

368,00

6

‘13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183,12

5

388,35

3

‘14205,22

8

116,15

950,076 29,963 9,030

203,47

2

408,70

0

연도별 시장접근물량과 국별쿼터단위 : 톤

Page 9: 쌀 협상 타결내용

식용 수입 쌀과 소비비중

연도 식용 쌀 소비 (A) 시판용 수입 (B) 비중 (%) (B)/(A)

‘05 3,853 천톤 22.6 천톤 0.5 %

‘06 3,775 34.4 0.9

‘07 3,717 47.9 1.2

‘08 3,666 63.6 1.7

‘09 3,609 79.8 2.2

‘10 3,567 98.2 2.7

‘11 3,502 104.3 3.0

‘12 3,446 110.4 3.2

‘13 3,363 116.5 3.5

‘14 3,271 122.6 3.7

참고 : 식용쌀 소비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추정치임 .

Page 10: 쌀 협상 타결내용

쌀 관세화 유예 연장의 찬반 논쟁

1. 개방화 하기에는 쌀 산업의 취약성반대논리 : 과거 UR 이후 경쟁력 상실잃어버린 10 년 => 잃어버릴 10 년의 가능성

2. 관세화를 하면 국제가격 불확실성이 그대로 국내에 영향

반대논리 : 인정하지만 ’ 15 년 이후 관세화되면 피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단지 일시적으로 회피하는 것일 뿐

더욱이 보험료를 영구히 지급해야 하는 이상한 보험제도로 보험료가 매우 비싸다 .

혹시 국제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에 대비하여 일종의 보험

Page 11: 쌀 협상 타결내용

3. DDA 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쌀을 조기에 관세화 만약 DDA 협상 : 쌀 개방화의 정도가 급격 충격을 줄 수 있음

반대논리 : DDA 협상 진행상황을 볼 때 일부 예외품목을 인정하기 때문에 쌀의 급격한 개방화는 있지 않을 것이다 .

하지만 반대논리의 주장이 100% 확신을 가질 수 없었다 .

결국 ‘ 05-’14 년 동안 추가적인 관세화 유예를 받음

Page 12: 쌀 협상 타결내용

’14 년 이전에 조기관세화를 하여 어쩔 수 없이 수입되는 물량을 고정시켜야 했음 .

그러나 이미 물 건너갔음 .

Page 13: 쌀 협상 타결내용

’15 년 이후 관세화에 대비

점차 국내 쌀 시장을 시장지향적으로 개편하여 개방화 시점에서 경쟁력 확보

정치 논리보다는 시장논리로 농업문제를 해결

- 과잉 공급구조를 해결 : 가격하락으로 해결 - 수입 쌀 관리를 농가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해서 안 된다 . 수입 쌀의 품질 : 현미수입 vs. 백미수입 국영무역 수입 vs. 실 수요자 수입 가공용 판매 vs. 식용판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