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285-324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ol. 24.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06. 3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 초등교육을 중심으로강인애(경희대학교) ** 남선우(경희대학교) *** [email protected] / 010-2066-1172 <요 약> 지식정보시대 또는 디지털 시대로 불리는 21세기를 맞이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사회, 문화 분야에서 여러 연구나 문헌을 통해 강조되어오는 패러다임 전환이 실지로 교육에서 도 일어나고 있으며, 그러한 변혁의 핵심에 정보통신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미 교 육 분야에서는 IT기반 학습이라는 이름하에 활발한 연구와 적용이 있어왔다. 그러나 교회 교육 분야에서는 IT기반 학습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 넷 세대 학습자들과의 소통을 통한 교회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IT기반 교 육환경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만 이때 전제되어야 하는 점은 IT기반 학습의 초점 IT가 아니라 학습에 있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시대에 급부상하고 있는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의 한 종류인 블로그(Blog)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해 보았다. 용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S교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 제자훈련을 받고 있는 20명의 학생이었으며, 기간은 20079월부터 10월까지 8 주간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해 면담과 성찰저널, 블로그 활용 내용분석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적용 결과로서 블로그 활용 교육은 학습자들 사이에서 자기표현 및 상호작용 을 통한 관계형성의 공간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 이 논문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년 연차학술 대회 때(4. 4) 발표한 논문임 ** 제 1저자 : 강인애(경희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연구위원) [email protected] *** 교신저자 : 남선우(경희대학교 강사, 열림교회 목사) [email protected]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Embed Size (px)

DESCRIPTION

ㅇㅇㅇㅇ ㅇㅇㅇㅇ

Citation preview

Page 1: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285-324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ol. 24.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06. 3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강인애(경희대학교)**

남선우(경희대학교)***

[email protected] / 010-2066-1172

<요 약>

지식정보시대 또는 디지털 시대로 불리는 21세기를 맞이하여, 이미 오래전부터 사회, 문화 분야에서 여러 연구나 문헌을 통해 강조되어오는 패러다임 전환이 실지로 교육에서

도 일어나고 있으며, 그러한 변혁의 핵심에 정보통신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미 교

육 분야에서는 IT기반 학습이라는 이름하에 활발한 연구와 적용이 있어왔다. 그러나 교회

교육 분야에서는 IT기반 학습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21세기 넷 세대 학습자들과의 소통을 통한 교회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IT기반 교

육환경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만 이때 전제되어야 하는 점은 IT기반 학습의 초점

은 IT가 아니라 ‘학습’에 있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시대에 급부상하고 있는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의 한 종류인 블로그(Blog)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해 보았다. 적용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 장로회 S교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 제자훈련을 받고 있는 20명의 학생이었으며, 기간은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 8주간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해 면담과 성찰저널, 블로그 활용 내용분석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적용 결과로서 블로그 활용 교육은 학습자들 사이에서 자기표현 및 상호작용

을 통한 관계형성의 공간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 이 논문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년 연차학술 회 때(4. 4) 발표한 논문임

** 제 1 자 : 강인애(경희 학교 교수, 경희 학교 교육발 연구원 연구 원)

[email protected]

*** 교신 자 : 남선우(경희 학교 강사, 열림교회 목사) [email protected]

Page 2: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86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기반으로 할 때, 블로그 기반 학습 환경은 ‘주일학교’에 국한되어있는 교회교육의 문제

점을 ‘평생학습’으로서의 교회교육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주제어:소셜 소프트웨어, 블로그, 웹 2.0, 구성주의, 교회교육

Ⅰ. 서론

모든 것이 급변하는 현시대에서, 이러한 변화를 야기하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는 단연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

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사회, 교육, 문화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야기 시켰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들 간에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

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이 만나고

관계를 맺는 방식은 철저히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존재하는 오프라인

환경의 지배를 받아왔다. 그러나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과 네트워

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 간의 소통과 연결은 시간과 공간의 한

계를 벗어나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아가 서로 관계를 맺는 방식이나 상

호작용 등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 왔다(Christopher, 2004; Coates,

2002; Shirky, 2004; Suter et al., 2005). 예를 들어, 이제는 휴대전화 번호

를 주고받는 것처럼 너무나 자연스럽게 서로의 미니홈피나 블로그의

URL을 주고받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렇듯 개별성을 기반으로

하는 상호 작용성 및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기술을 ‘소셜 소프

트웨어(social software)’라고 명명하고 있다.

‘소셜 소프트웨어’는 web 2.0 시대의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서, 블로

그(Blog), 위키(Wiki),1) 팟캐스트(Podcast)2)등의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으

1) 키(Wiki)는 1994년 커닝험(W. Conningham)이 개발한 웹 사이트 콘텐츠 생성 툴

(tool)로서 력 쓰기를 목 으로 개발 되었으며, ‘빨리 빨리’라는 의미를 지닌 키

는 그 어원에 걸맞게 기존 사이트들은 운 자에 의해서 운 되었으나 키는 이용자들이

새로운 웹 페이지를 손쉽게 생성하고 나아가 타인의 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는 개방형 편

Page 3: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87

며, ‘소셜(social)’이라는 단어가 암시하듯이, 본래의 목적도 구성원 개개

인의 개별성이 부각되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사용자간의 사회적, 협

력적 관계형성, 곧 ‘네트워크화된 개별성’(강인애, 2006)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러한 소셜 소프트웨어의 특징은 ‘개별화된 학습과 더불어서 협

력적 학습’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패러다임(Bridges, 2000; Brown,

2006)과 맥을 같이 하면서, 학습자들 간의 팀 활동을 기반으로 이루어

지는 정보 탐색 및 공유, 지식 구성 및 창출의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매체이자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노기

영, 2008; 최재화, 김학래, 2006; Chen, 2007; Doolan, 2006; Morgan &

Smith, 2008).

그렇다면 이처럼 혁신적인 첨단의 정보통신의 영향을 받아 개별화된

학습자들 간의 상호 작용 및 관계 형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작금의

교육적 상황을 성경에서의 예수님 교육방법에 대입하여 설명할 수 있

을 것인가? 성경에 나타난 예수님의 교육방법을 보면, 비록 요즘의 정

보통신기술은 아니었으나, 분명 말씀과 대화라는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개별 학습자들의 상황 및 주변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교육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3) 또한 예수님께서는 장소, 시간 등을 정하지 않고, 필

요한 상황이 펼쳐지면 언제, 어디서라도, 누구에게든 말씀을 전하시고

자 하셨다.4) 결국 말씀과 대화라는 ‘매체’를 기반으로 청중들과의 ‘대

집기능을 지원한다. 이것은 웹상의 콘텐츠에 한 공동의 심과 극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김동식 외, 2008).

2) 팟캐스트(Podcast)는 애 컴퓨터가 도입한 인터넷 기반 음악방송 서비스로 방송국이나

개인이 제공하는 음악방송 등의 콘텐츠를 청취자가 인터넷으로 다운받아 PC나 MP3

이어 등의 휴 기기에서 감상하는 일련의 행 로 기존의 일방향 인 라디오 방송이 아

닌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고, 한 청취자가 방송을 생성

하는 주체가 될 수 있는 방식이다(이은민, 2006).

3) 베드로와 안드 를 제자로 부르심(마 4:17-19); 직업이 어부인 것을 아시고, 사람을

낚는 어부로 부르심 세리 를 부르심( 5:27-39); 세리에 한 부정 인 인식을 통해

죄인을 하여 오신 사명을 말 하심 가나안 여인과의 화(마 15:21-28); 당시 유 인들

의 타민족에 한 을 활용하여 여인의 믿음을 보심.

Page 4: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88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화’를 적극 활용하셨으며, 그런 과정 중에서 개인 청중들의 필요, 수준,

관심에 초점을 두고 문제를 풀어가셨으며, 장소와 시간을 가리지 않고

필요한 자들에게 다가가셨던 예수님의 교육방식은 정보통신기술이라는

현시대의 매체를 활용하여, 협력적 학습 환경을 통해 개별성을 드러내

고자하는 이 시대의 교육방식과 일맥상통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예수님께서는 정해진 시간과 장소만을 교육의 장소로 삼지 않

으셨던 모습을 상기해볼 때, 현재의 교회교육의 대명사로 불리는 ‘주일

학교(Sunday School)’라는 말은 일주일 중에 주일 하루만을 교회 교육의

시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듯 한 모습을 주면서, 과연 진정으로 사람의

전인격을 다루어야 하는 교회교육이 단지 ‘주일학교(Sunday School)’라

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억매여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적 성

찰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본래의 예수님의 교육방식을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

하여 적용하자는 취지와 더불어 새로운 교육 환경의 변화에 교회교육

역시 신속한 적응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웹 2.0 시대에 적합

한 교회교육의 한 방식으로서 소셜 소프트웨어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

며, 교육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

그램을 개발,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블로그라는

매체에 기반을 둔 교회교육을 통해 예수님이 강조하셨던 학습자 개인

에 대한 진정한 관심을 회복하고, 한정적으로 주일에만 이뤄지는 교회

학교 운영을 넘어서서 진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교회 공

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삶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나눔, 교제, 만남을 이룰 수 있는 교회교육의 새로운 방식으

4) 삭개오를 부르심( 19:1-10); 여리고로 지나가는 길 에 뽕나무 의 삭개오를 부르

시고, 함께 식사하심, 밤 에 방문한 니고데모(요 3:1-21); 밤 에 사람들의 을 피하여

방문한 니고데모에게 복음을 제시하심, 사마리아 여인과의 화(요 4:1-54); 도여행

만난 사마리아에게 복음을 하심.

Page 5: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89

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다음에서는 먼저 간단히 블로그의

교육적 함의와 더불어, 이를 어떻게 교회교육에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하여 논의하도록 하겠다.

Ⅱ. 블로그와 교회교육

1.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학습자의 모습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

고 있다. 곧, 이전 학습자는 일방적인 지식의 소비자(consumer)이자 수용

자로서의 모습이었다면, 디지털 기술로 인해 누구나 쉽게 글을 쓰고, 편

집하고, 출판할 수 있게 되면서, 학습자는 지식의 소비자(Consumer)에서

생산자(Producer)를 뛰어 넘어, 이 두 가지 모두를 자유자재로 활용 할

수 있는 프로슈머(prosumer)5)로서의 역할이 요구된다. 프로슈머로서의

학습자는 학습 전반 활동에 대한 전적인 책임과 주인의식을 지니면서,

자신의 학습 욕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정하고,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탐색하고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 시행하고 학습결과를 도출하는 일련

의 과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Garcia et al., 2009;

Rennie, 2007; Tapscott, 1999; 2008).

이와 같은 자기 주도적 특성을 지닌 프로슈머로서의 학습자들의 특

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표 1 참조). 곧, 오늘날의 학습자는 결코

IT를 벗어나서는 생각할 수 없을 만큼 IT와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

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IT와 함께 태어났으며, 이들에

5) 로슈머(Prosumer)는 미래학자 앨빈 토 러가 ‘제3의 물결’에서 사용한 단어로 생산

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고, 소비자

이면서 생산을 하기도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단어로 이단어의 등장은 디지털 명이 수

동 소비자를 능동 소비자로 변화시키고, 능동 소비자를 다시 디지털 로슈머로

진화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권성호 외 2005).

Page 6: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90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게 새로운 매체는 그들 삶에서 결코 분리할 수 없는 삶의 도구이자 방

편이 되고 있다. 즉,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IT

는 학습의 대상이 아니라 늘 몸으로 받아들이고 같이 살아가는 존재라

고 할 수 있다.

단편적인 예로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들은 새로운 매체를 접하였을

때 문서화된 매뉴얼을 보기보다는 그것 자체를 가지고 즐김으로 인해

기능을 익힌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들은 지역을 뛰어넘어 관계

를 형성한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커뮤니티를 통해 인

종적, 국가적, 문화적, 종교적 차이를 넘어서서 같이 협력하고, 소통하

는 것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소위 ‘글로벌 상호작용’을 한다. 이들은

이와 같은 상호작용을 할 때에도 그들만의 언어와 방식으로 소통을 한

다.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들은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수행할 수 있다.

과거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과 비교하여 현재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비교해서 본다면 극명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의 학생들은 조용한 도서실에 앉아서 책에 의지하여 집중적으로 공부

했다면,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들은 공부를 할 때 눈은 책을 보고, 귀로

는 MP3를 듣고, 한쪽 손에는 펜을 들고, 다른 쪽 손에는 핸드폰 문자

를 보내는 세대이다. 결국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들은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소비자(Consumer)이면서 생산자(Producer)인 프로슈머(Prosumer)

이자 창조자(Creator)의 역량을 소유해야 한다(Tapscott, 1999; 2008).

그렇다면 오늘날 이와 같은 디지털 시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습

자들에게 예수님께서 오신다면 어떻게 복음을 전파하셨을까? 2,000년

전의 예수님은 이미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고 계셨다(김희자, 1998;

남선우, 2008; 서신, 2002). 예수님은 제자들을 가르치실 때 우선적으로

제자들 개개인의 상황이나 배경을 이해하시고, 그것에 기반하여 개별화

된 방법으로 제자들을 양육하셨다. 요한복음 3장에 밤늦게 찾아온 니고

데모, 요한복음 4장의 사마리아 여인, 요한복음 8장의 간음하다 잡힌

Page 7: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91

여인의 경우만 보더라도 예수님께서는 학습자 개개인을 중심으로 생각

하시고, 그들의 개별적 문제에 접근하시고 그리고 해결해 주셨다. 또한

성경 곳곳에 나타난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비유의 말씀들을 보면 당시

의 학습자들이 처한 맥락이나 상황에 비유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

고 계신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수님은 이미 네크워크화된 사역을 진행하셨다. 예수님의 복음

사역의 대상은 경건한 유대인만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셨다. 열방과 온

민족을 향한 부르심이셨다.6) 이에 예수님 스스로도 한 지역에만 거주하

신 것이 아니라 매일같이 장소를 옮겨가시며 복음을 전파하시며,7) 지역

민들과 관계를 형성하셨다. 마태복음 10장에 제자들을 파송하시면서도

동일하게 명령하셨다. 이와 같이 예수님께서는 장소와 대상을 가리지

않고, 세상의 모든 민족과 관계를 형성하시며 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

셨다.

연구자 21세기 학습자의 특성

Oblinger

(2003)

• 컴퓨터는 더 이상 테크놀로지가 아니다.

• 인터넷이 TV보다 더 좋다.

• 현실(reality)이라는 것은 더 이상 현실(real)이 되지 않는다.

• 뭔가를 하는 것(doing)이 아는 것(knowing)보다 중요하다.

• 학습이란 논리적인 것이 아니라 닌텐도와 같은 것이다.

•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그들 삶의 방식이다.

• 키보드를 두드리는 것이 손으로 쓰는 것보다 편하다.

<표 1> 21세기 학습자의 특성

6) 가복음 5장의 세리 를 부르신 사건, 마가복음 7장에 나타난 수로보니게 여인의

기록, 가복음 7장의 백부장의 종을 살리신 사건 등등 성경 가운데서 많은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마태복음 28장 19 에 ‘그러므로 희는 가서 모든 족속(all nations)

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라고 구체 으로 제시

하고 계시다.

7) 마태복음 8:20 “ 수께서 이르시되 여우도 굴이 있고 공 의 새도 거처가 있으되 오직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 하시더라”

Page 8: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92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Oblinger

(2003)

• 항상 연결(connected) 되어 있는 것이 필수다.

• 잠시라도 기다려야 하는 것을 참을 수 없다.

• 소비자(consumer)와 창조자(creator)의 차이가 모호하다.

Naseh

(2001)

• 디지털 커뮤니티의 지식기반에 익숙/ 기여한다.

• 학습이나 학습활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얻는다.

• 디지털 커뮤니티와 지식공유에 매우 너그럽다.

• 컴퓨터나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변화에 쉽게 적응한다.

• 삶과 학업, 그리고 직장에까지 기꺼이 적용 IT를 적용한다.

• 지역과 국가의 디지털 여행은 물론, 글로벌 디지털 여행을 즐기

면서 새로운 무엇인가를 찾고 만들고 실험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모색에 열심이다.

• 열정적으로 IT기반 학습 환경과 디지털 커뮤니티를 새로 만들어

간다.

• 디지털 커뮤니티를 통해 문화, 종교, 국가 간의 거리를 좁히는 일

종의 대사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 디지털 커뮤니티와 사회를 존중하며 그들 간에 필요한 기준이나

절차를 협력적으로 만들어 간다.

• 학습과정에 주체가 되어서 만들어 갈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요구

한다.

• 개별성을 존중한다. 그러면서도 글로벌에도 완벽하게 적응한다.

• 디지털 세계에서 가장 사회화된 세대면서 동시에 물리적 세계에

서는 가장 고립된 세대이기도 하다.

또한 예수님께서는 성도간의 교제를 중요하게 여기시며 스스로 모범

을 보이시고,8) 제자들에게도 가르치셨다. 그래서 제자들을 전도대로 파

송하시면서 지역민들의 집에 거하며 그들과 함께 생활하게 하셨다. 이

런 가르침은 예수님께서 승천하신 이후에 초대교회가 형성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났다.9)

이상의 예수님의 가르침에 대한 모습을 요약하자면, 첫째, 학습자 개

8) 가복음 7장의 바리새인의 집 방문, 가복음 19장의 삭개오 가정의 방문,

9) 사도행 2:42 “ 희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며 떡을 떼며 기도하기를

힘쓰니라”

Page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93

개인을 충분히 이해하시고, 그들의 상황과 배경을 고려하시는 가르침이

셨으며, 둘째, 장소와 시간에 구해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그들 간의 네

트워킹, 모임, 관계형성, 교류를 강조하시고 계시다. 그리고 이러한 예

수님의 교육 방식은 21세기 학습자들과의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요

소와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예수

님의 가르침의 특징을 상기해볼 때, 예수님께서 오늘날 여기에 오셔서

가르침을 주신다고 했을 때, 분명 예수님께서도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

용하여 일일이 개개인 학습자들의 관심과 요구를 이해하고 들어주시려

하셨을 것이고, 또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의 교제와 만남

에 익숙한 네트워크화된 학습자들에게 매우 적합하고 설득력 있게 다

가오셨을 것이다.

2.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 블로그 그리고 기독교 교육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그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이전의 학습

방식보다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늘 존재했다. 특히 디지털 시

대에 있어서 다른 어느 때보다 최첨단의 IT로 무장된 교육은 더더욱 그

렇게 되리라 생각할 수 있다(윤준수, 1998; Innis, 1950; Negrofonte, 1995).

그러나 예를 들어, 70년대 후반부터 시작한 CAI활용 수업을 기존 교실

수업과 학습효과에 있어서 비교를 한 메타 연구 결과를 보면, ‘둘 다 별

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라고 제시되어 있다(Clark, 1994).

마찬가지로 Brown & Duguid(2002)에 따르면, IT가 가지고 올 다양한 장

밋빛 예측은 다분히 기술 결정론자들의 성급한 예측이었으며, 대부분은

최첨단 매체에 압도되거나 함몰되어가는 모습이 아니라, 도리어 그런 매

체를 사회문화적 요인에 비추어, 취사선택하는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다시 말해, 매체나 기술이 분명 우리 사회의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그로 인해 인간, 문화, 정신 등의 가치가 등한시 될

Page 1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94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수 없으며, 오히려 기술을 도움을 받아 이들의 가치는 더욱 부각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Brown & Duguid, 2002).

이렇듯 기술 결정론적 입장과 사회 구성론적 입장간의 극명한 대립적

관계 속에서 다소 중립적 가능성, 다시 말해 기술적 도움을 통해 인간,

문화, 정신의 가치와 요소를 오히려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

닌 기술이 바로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라고 할 수 있다

(Morbille, 2006). 소셜 소프트웨어는 웹 2.010)의 기술적 기반을 바탕으로

사람들 간의 소통과 연결을 좀 더 활발하게 해주는 도구들을 일컫는 말

로서,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서 블로그(blog), 위키(wiki)를 꼽을 수 있다

(Anderson, 2007). 블로그나 위키 역시 기술적 기능이나 본래의 목적에

있어서 구분되지만11)(Woolf, 2006),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기본적으

로 자기표현과 더불어 인간의 사회성과 관계형성 능력을 더욱 증폭시키

는 소프트웨어(강인애, 2008; 최재화ㆍ김학래, 2006; 황대준, 2007;

Coates, 2002; Haythornthwaite, 2005; Suter et al., 2005)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인 미디어’로 불리는 블로그(김지수, 2004b; 권상희, 2005)는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구(권태훈, 2008)로서, 주로 웹 일기장 또는 ‘개인의 온라인

일기장’이라고 할 수 있다(Blood, 2002; Eastment, 2005; Winer, 2003). 곧,

시간 순서대로 일들을 기록하고 최근의 글이 상단에 보이는 자신만의

기록장이자, 세상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알리는 공개적인 일기

장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이미 정해져 있는 지식이나 정보를 그대로

받아서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에 따라, 자신의 취향이나 관점

에 따라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고 꾸 수 있다.

10) 웹 2.0의 특징을 참여, 공유, 개방으로 정리되는데(문용은, 2007; O’Reilly, 2005)

구나 지식을 형성하여 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고, 이 정보를 구나 재구성하

여 다시 할 수 있게 된다.

11) 키는 력 쓰기를 기반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져가는 것이고, 블로그

는 개인에 의해 운 되는 개인미디어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Page 11: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95

다시 말해서, 블로그를 매력적인 매체로 만드는 이유는 블로그는 ‘나

만의 것’, ‘나만의 온라인 공간’이라는 점이다. 곧, 사용자의 생각과 관

심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하고, 그것을 나름의 목차에 따라 제시

하고, 또한 ‘스킨’이라 불리는 블로그 배경 화면을 내가 원하는 대로 장

식하고 꾸미면서 사용자의 개성과 관심을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다

(Blood, 2002; Cameron & Anderson, 2006; Eastment, 2005; Winer, 2003).

그리고 이러한 블로그의 기술적 특징을 교육현장으로 그대로 연결시킬

때, 앞서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학습자의 특징이자 학습 환경이 특징이

라고 할 수 있는 ‘네트워크화된 개인’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체가 될 수 있다(Alexander, 2006).

또한 블로그의 대중성에 이바지하는 특징적 기술의 하나가 바로 ‘트

랙백(trackback)’ 기능이다. 이를 통해 흩어져 있는 정보를 손쉽게 개인

의 블로그로 옮겨올 수 있으며, 단순한 텍스트 형태의 페이지뿐만 아니

라 그림과 영상, 동영상, 음향 등 복합매체를 손쉽게 개인 블로그로 옮

겨와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김준우 외, 2006;

Bryant, 2003; Steve, 2006)(그림1 참조).

뿐만 아니라 트랙백이라는 기술적 특징은 자신의 블로그를 누가 방

문했으며 누가 자신이 블로그에 올린 글(포스트)를 다시 복사해서 가지

고 갔는지,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남의 글의 출처는 어디인지 등의 모

든 관계의 구조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곧, 이전의

홈페이지에서의 상호작용성과 비교하여 더욱 다양하고 투명하게 그러

나 더욱 복잡한 구조와 관계로 이루어진 그물망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Downes, 2005; Will, 2008).

물론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학습 커뮤니티, 학습 홈페이지도 관계성

과 상호 작용성으로 특징 지어질 수 있으나, 이들의 상호관계성은 블로

그의 그것과 분명 구분될 수 있다(그림 2와 그림 3을 참조). 곧, [그림 2]

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의 학습 커뮤니티는 교수자의 홈페이지를 중심

Page 12: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96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으로 위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학습 홈페이지의 소유권은 궁극적으

로 교수자 또는 운영자에게 있는 것으로서, 학습자는 학습 홈페이지의

참여자, 수혜자에 불과했다. 즉 자신의 뜻에 따라 운영되기보다는 교수

자 또는 운영자에 의해 만들어진 한정된 공간의 틀 속에서 학습자는

활동할 수 있다. 반면 [그림 3]에서 볼 수 있듯이, 블로그의 관계 그물

망은 어느 것이 중심이고 어느 것이 주변인지 알 수 없게 복잡하게 다

단계층으로 얽혀있으며, 각 블로그의 운영자는 개개인 학습자 자신이

되어있다. 이러한 블로그의 관계망의 구조는 한마디로 ‘탈 중심적인 학

습 환경’의 구체적인 학습 환경으로서의 모습을 띠고 있다(강인애,

2008).

이와 같이 블로그라는 매체는 학습자 개인의 개성의 표출장이면서 동

시에 그가 속한 커뮤니티의 구성원들과의 복잡다단한 관계망을 경험할

수 있는 온라인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블로그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자기표현(개별화)와 복잡한 관계성 또는 상호작용성은 21세기 교육

이 추구하는 학습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블

로그를 활용한 교육적 의미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Retrieved June 15, 2008 from

http://www.dal.co.kr/blog/archives/000042.html

[그림 1] 트랙백의 구조도

Page 13: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97

[그림 2] 홈페이지 중심의 제한된 학습 형태

[그림 3] 블로그 간의 수평적 학습 형태

이상의 블로그의 교육적 특징, 곧, 자기표현의 장이자 관계형성의 장

이라는 특징은 블로그를 기독교 교육에서도 활용할 가치를 지니고 있

음을 주목하게 한다(표 2 참조).

곧,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기표현의 장이라는 특징은 교육

적으로 볼 때, 개별 학습자의 취향, 관심, 배경, 수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듯이, 마찬가지로 이것은 기독교 교육에서 강조하는

Page 14: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298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개인 신앙의 성숙정도, 발달정도, 및 현재의 상황에 대한 객관적 관찰

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서상희, 2006).

또한 블로그 간의 다양한 관계 그물망 형성이라는 특징은 기독교교

육에서 강조하는 교회공동체의 형성과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주

고 있으며, 학습자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나아가 온라인 공동체라는 특징으로 인해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넘어

서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은 본 연구의 주

된 관심이라고 할 수 있는 교회교육의 지속성은 물론 나아가 평생교육

으로서의 교회교육의 위치 확립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서상

희, 2006; 신동명, 2009).

블로그의

기술적 특징 교회 교육에서의 활용안

자기표현의 장

• 학습자들의 신앙의 성숙정도 및 관심에 대한 표현 및 기록

의 장

• 이에 따라 교회학교 교사 및 교역자들의 각 학습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후 이들과의 관계 및 신앙 상담에 대한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

복잡다단한

관계망 형성

• 교회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온라인 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 교회 교육의 한계성인 주일 하루만의 교육을 넘어선 지속적

인 교회교육의 실천 가능성 제공

<표 2> 블로그의 기술적 특징에 기반한 교회 교육 활용안

이상의 블로그를 이용한 교회교육 활용방안을 기반으로 하여, 다음에

서는 실제로 블로그를 활용하여 교회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많은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블로그의 교육적 특징

(곧, 자기표현과 관계형성 및 공유)이 과연 교회교육에서도 적용 및 발

휘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로서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교회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블로그 기반 교회교육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Page 15: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299

Ⅲ.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1.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소재의 대한예수교 장로회 합

동측 소속의 S교회 초등학생 5, 6학년으로 구성된 소년부 중 ‘제자훈련’

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20명의 학생(남학생 11명, 여학생 9명)과 교사 5

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기간은 2007년 9월부터 10월까지 8주 과정

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앞서 언급했던 블로그의 두 가지 특징, 곧 개

별성과 관계형성이라는 특징이 과연 교회교육의 상황에서도 가능한지

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방식에 있어서 기존 교회에

서 실시되고 있던 제자훈련 프로그램과 달리 두 가지 새로운 학습방식

을 도입하여, 설계, 적용하였다. 첫째, 강의 또는 설교 중심으로 이루어

지던 교육 프로그램을 PBL이라는 방식, 곧,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모둠

별로 해결, 발표해 나가는 방식으로 재구성했으며, 둘째, 오프라인 상에

서만 이루어지던 교육을 온라인, 곧, 블로그를 활용한 교육과 혼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혼합형 교육, 곧, 블렌디드(blended) 학습방식으로

개발, 적용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

교육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주로

블로그 활용 학습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분석을 위한 자료로서는 학생의 경우, 면담 및 성찰저널에 대

한 내용과 그들의 블로그 활용 모습을 사용했으며, 교사의 경우에는 그들

의 블로그 활동 모습 및 그들과의 면담 결과를 활용, 분석하였다. 교사 및

학습자 대상의 면담은 모두 본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무작위 추

출에 의해 학생은 20명 중 10명을, 교사는 5명 전원에게 실시되었다.

Page 16: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00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2.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

정에 의해서 진행되었다. 우선 본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문제기반학습

(Problem-Based learning; 이후는 PBL)’12)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총 8주 동안 6차시의 야외 학습을 제외하고 총 7문제가 주어졌다(표 3과

표 4를 참조). 각 차시마다 [그림 4]가 보여주는 학습과정에서 처럼, 각

각의 문제마다 교회에서의 학습(오프라인)과 이후 이어지는 온라인(블로

그 기반)학습 활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전체 12주 중에

PBL 한 문제에 대한 수업 진행과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에 모여서 이루어지는 off-line 수업을 시작하는데, 우선 수업 시작 부분

에서 설교나 강의 대신에, 학생들이 풀어야 할 문제와 연관이 된 ‘성경

에 근거한 실제 삶의 이야기’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 및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학생들

에게 문제를 제시하였는데,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주어진 PBL 문제는

단편적 성경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문제가 아닌 복합적으로 신앙(말

씀)과 삶(행동)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문제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어서 학습자들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둠 활동을 진행

한다. 모둠 활동을 통해 도출된 해결 안을 다시 성경에서는 어떻게 제

시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모둠 활동을 통해 확인하여, 성경적 해결안

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제시된 성경적 해결안을 중심으로 목회자는 학

12) PBL은 학습할 지식이나 정보에 한 교수자의 강의나 직 인 제시를 지양하고, 련

주제나 내용을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결지을 수 있는 내용으로 바꿔서 일종의 ‘문제’

는 ‘과제’ 형식을 제시한 다음에 학생들이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할 내

용을 습득하고, 자기 주도 이며 력 학습방식을 습득하는 교수-학습모형의 하나이

다(강인애 외, 2007; 장경원, 2006; Barrow & Myers, 1993). PBL을 활용하여 이

루어졌던 실제 교회교육사례는 ‘ 안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 PBL : 등학교 계 성

경학교 사례연구’(강인애ㆍ남선우, 2008)를 참조.

Page 17: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01

습을 정리하고, 말씀을 선포함으로써 적극적인 생활의 적용을 촉구하며

마무리 한다. 여기까지가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정이며, 이후는

각자 집으로 돌아가서 교회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삶으로 어떻게 적용

시킬 것인지와 매일 이루어지는 QT 내용을 각자의 블로그에 작성하도

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했듯이, 블로그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수업단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려고 한다. 따라서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PBL 학습과정에 대한 소개는 생략하고, 대신 블로그 기반 학습을 하기

위한 가장 첫 단계인 블로그 학습 환경 설계 부분에 대한 설명을 제시

하고 이어서 구체적으로 블로그 학습 환경을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활

용하였는지를 설명하겠다.

1. 학습 목표

‣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 기독교의 기본 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신앙을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다.

2. 주차별 학습 주제

차 시 주 제 비 고

1주차 하나님은 어떤 분이실까요? 신 론

2주차 예수님은 누구일까요? 기독론

3주차 예수님은 왜 돌아가셨을까요? 구원론

4주차 어떻게 하나님과 대화를 할 수 있을까요? I (성경) 서 론

<표 3> 학습 목표 및 주차별 학습 주제

5주차 어떻게 하나님과 대화를 할 수 있을까요? II (기도) 서 론

6주차 야외 학습-성령 수양회 성령론

7주차 교회란 무엇일까요? 교회론

8주차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신앙생활

Page 18: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02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그림 4] 각 PBL 문제당 이루어지는 블렌디드 학습활동 과정

성실교회 소년부를 열심히 다니던 혜민이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친한 친구

준기가 물어 본 것에 대해서 대답해 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어느 날 혜민

이랑 준기가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의 대화입니다.

혜민 : 우와! 큰 교회가 두 개나 있네.

준기 : 에이 바보! 길 건너편에 있는 건 교회가 아니야.

혜민 : 뭐! 무슨, 둘다 꼭대기에 십자가가 있잖아. 그러니까 교회지.

준기 : 아니야 잘 봐! 길 건너편에 있는 건 십자가랑 닭같이 생긴 것이 같이 있잖아.

그리고 저기 이름에도 OO 성당이라고 써있잖아.

혜민 : 그렇네, 정말 십자가랑 닭 모양이 같이 있네...

준기 : 혜민이 너는 교회 열심히 다니니까 교회랑 성당이 뭐가 다른지 알지? 뭐가

달라?

둘다 예수님 믿는 곳 아니야?

혜민 : 음... 교회에는 목사님이 계시고, 성당에는 신부님이 계시고... 그리고 또.. 음...

여러분은 고민에 빠진 혜민이를 어떻게 하면 도울 수 있을까요? 우리 친구

들 고민에 빠져 있는 혜민이를 돕기 위하여 Let’s Go!

<표 4> 문제 시나리오 예 -7주차 ‘교회란 무엇일까요?’

1) 블로그 학습 환경 설계

블로그 학습환경은 개인 학습공간 및 팀원들 간의 협력학습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활용목적에 맞도록 구성하였다. 현재 국내에 1인 미디어

의 대표적인 매체는 블로그와 미니홈피13)가 있다. 처음 진행에 있어서

학생들의 매체 활동능력 및 가입의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기존에 가

Page 1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03

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1인 미디어를 조사한 후 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국내 N사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이용하기로 했다. 일단 사용할 블로

그를 선택한 후 학생들에게 교회교육을 위해 기본적으로 몇 개의 메뉴

를 생성하도록 요청하였다(표 5 참조).

블로그 메뉴 내 용

① 말씀 일기예배 시간 말씀을 요약하고, 자신의 삶 속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기록하는 방이다.

② QT 일기

매일 말씀을 묵상하고 묵상의 내용을 기록하는 방이다. QT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도서출판 두란노의 “예수님이 좋

아요”, 성서유니온의 “어린이 매일성경” 중에서 학생들이 스스

로 택하여 QT를 실시한다.

③ 성찰저널주일 모둠 모임 후 모임에 대한 후기와 함께 모둠 모임을 통해서

어떤 변화와 새로운 다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기록하는 방이다.

④ 질문방

1, 2, 3과정 중 생소한 단어, 표현, 기타 의문이 생겼을 때 그

것을 정리하여 남기는 방이다. 그러나 질문을 남김으로만 끝내

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도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

여 자료를 검색하면서 계속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표 5> 블로그 메뉴

이어서 다른 학습자들과의 관계망을 형성하기 위해 이웃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주소록을 생성하고, ‘RSS Reader’를 활용하여 학생 상호 간에

정보 및 의견이 활발하게 공유될 수 있도록 스크랩, 트랙백, 파일 첨부

등 블로그의 여러 가지 기능들과 ‘RSS Reader’ 설치법과 사용법을 안내

하였다. 이러한 블로그의 관계망 형성을 위한 기술적 기능을 설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매번 다른 학생들의 블로그를 방문, 상호 피드백을 주

13) 블로그와 미니홈피는 큰 범주 속에서 같은 1인 미디어다. 화면의 디자인 외에 기능 한

차이가 없음을 제로 미니홈피는 다른 블로그의 형태로 보고 필자는 블로그와 미니

홈피를 구분하여 생각하지 않고 동일한 매체로 보고 본 연구 과정을 진행하 다.

Page 2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04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면서 다양한 상호작용, 관계형성의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목회자의 경우는, 해당 주의 예배 전에 예배와 관련된 성경 본문, 관

련 영상, 관련 있는 읽을거리 등을 미리 작성, 올려놓음으로써, 학생들

이 사전에 목회자 블로그를 방문하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차주 예

배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그림 5 참조).

[그림 5] 담당 목회자의 블로그에 올려진 학습자료

2) 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이상의 블로그 활용 학습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난 뒤, 본격적인 블

로그 기반 학습활동이 시작되었다. 우선 학생들은 예배와 성경공부를

통해 새롭게 학습한 내용과 성찰한 것을 자신의 블로그에 작성, 올려놓

는다. 이러한 글쓰기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예배와 성경공부 내용을 다

시 한 번 생각하고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QT 교제를 선택하여 매일 경건의 시간을

가진 후 그 결과를 블로그에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말씀 정리와 QT

를 하는 과정 속에서 생긴 의문 사항들은 질문방에 올려놓도록 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은 이상의 개별 학습공간이자 자기표현 공간으로서의 블

Page 21: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05

로그 사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학습자들 간의 관계형성을 위한

활용에 참여하도록 독려하였다. 예를 들어, 자신의 블로그에서의 학습

활동을 할 때마다, 다른 학생들의 블로그도 방문하여 그들이 작성한 말

씀 노트, QT 일기, 질문방 등에 새롭게 생성된 글들을 확인하도록 하였

다. 이때 ‘RSS Reader’를 활용하여 블로그에 올려진 새로운 글들을 확인

하면서,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모둠원들의 생각들을 읽고, 간혹 자신

의 의견을 덧글 기능을 통해서 남겨두도록 하였다.

3.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이와 같이 8주에 걸쳐 이루어진 블로그 기반 교회교육의 결과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입각하여, 과연 교회교육에 블로그를 활용했을 경우

에도 블로그는 학습자들의 자기표현의 장(개별성의 표출)이자 관계형성

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

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로는 학생들과 교사의 블로그에 올려진 내용

및 면담 내용 그리고 담당목회자로서의 본 연구에 참여, 관찰한 연구자

의 관찰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1) 자기표현의 장으로서의 블로그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을 실시하기로 한 후 학생들과 상의하여

기존에 이미 많이 가입되어 있는 N 포털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사용

하기로 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교신저자이자 목회자로서 학생들의 교

육을 담당하고 있던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블로그 사용법을 가르치고자

하였으나, 이미 기존에 미니홈피를 사용하고 있던 학생들이었기 때문

에, 블로그 가입부터 시작하여 블로그 꾸미기에 이르기까지 거의 어려

움 없이 스스로 개인의 블로그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자신들의 마음대로 배경화면, 음악, 메뉴 구성등이 손쉽게 이루

Page 22: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06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어지는 블로그의 특성을 금방 파악하여 각자 독특한 개성을 표현하는

블로그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6 참조).

[그림 6] 개성에 따라 장식된 학습 공간으로서 블로그

이런 학생들의 모습을 보면서 이들은 앞서 언급했던 21세기 학습자

들로서의 특성을 분명히 지닌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이라는 점과 더불

어, 블로그는 자기표현의 공간이라는 사실을 그들 개개인의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의 홈페이지나 카페의 경우에는 반드시 관리자가 특정인으

로 정의되어 있고, 소유권에 있어서도 나의 것이라는 것보다 ‘우리의

것’이라는 느낌이 강했다면, 반면에 블로그의 경우에는 일단 관리가 쉽

고 소유권이 나에게 있는 것으로 인식함으로 인해 더욱 적극적인 관리

Page 23: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07

와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마치 기분에 따라 방안의 가

구를 옮기는 것과 같이 학습자은 수시로 기분에 따라 스킨, 배경음악,

글꼴 등을 변경함으로 항상 자신의 블로그에 생동감과 새로운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였다(그림 7 참조).

[그림 7] 기분에 따라 스킨으로 분위기를 바꾸었다고 교사 블로그에

글을 남긴 글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교회교육을 위해 목회자가 학생들에게 제시된

블로그 목차를 그대로 생성하기 이전에 이미 자신의 일상, 관심분야 뿐

만 아니라, 본인이 담고 싶은 여러 종류의 소재들을 자신의 주관에 따

라 정리하고 분류하면서, 각자의 다양한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었다(그림 8 참조).

Page 24: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08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그림 8] 교회교육에 사용된 개인 블로그에 생성된 다양한 메뉴

더욱이 학생들은 단지 블로그를 교회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일상생활을 기록하는 다이어리로도 활용하고 있었다.

그날에 있었던 일들을 핸드폰에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서

블로그에 새로운 포스트로 등록하거나 자질구레한 개인적 일상을 기록

하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과 프로필을

정리하고, 즐겨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카툰을 정리하기도 하였는데, 이

런 모든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 간에 서로의 관심사를 확인하거나, 거기

서 어떤 공통점이나 공유되는 관심거리를 발견하여, 그것을 통해서 적극

적인 상호 관계 맺기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블로그가 그들에게는

일종의 ‘e-포트폴리오(e-portfolio)’14)와도 같은 기능 및 역할로서 이용되

14)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쓰거나 제작한 학습 련 작품들을 지속 이면서 체계 으로 모아

Page 25: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09

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Crowe et al., 2003; Tosh & Werdmiller,

2004).

나아가 자기표현의 장으로서의 블로그의 기능은 블로그에 올려진 학

생들의 글을 통해서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학생A의 경우,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진 성찰저널에 자신이 현재 겪고 있는 신앙적 갈

등과 고민을 적고 있었다.

오늘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것에 대해서 배웠다. 강도사

님께서는 나 때문에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었다고 하셨다. 그런데

아직 나는 잘 모르겠다. 내가 무슨 잘못을 많이 했다고.... - 학생 A의 성찰저널 중

이러한 성찰저널 내용을 읽고 난 뒤에, 목회자와 담당 교사는 학생

A의 이러한 신앙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자료를 주고 직접 이야기를

하면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후 학생 A가 자신의 블로그의 QT 란

에 적은 다음의 글은 이러한 도움이 긍정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

록 하고 있었다.

강도사님과 선생님이 학교로 찾아오셔서 맛있는 것을 사주셨다. 또 사

주세요`∼∼

그리고 예수님께서 왜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는지 설명해 주셨다. 예수님께서 나 때문에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다시 살아나신 것을

쪼금 알게 되었다.

둔 개인별 작품집 혹은 서류철 모음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포트폴리오는 장기간에 걸친

발달이나 성취를 나타내 보여주는 의도 이고도 선별 인 작업 물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최애경, 2005). 특히 e-포트폴리오는 자미디어와 서비스를 이용한 웹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리시스템이다. 학습자들은 자신들의 역량을 보여주고 자신들의 학습에 한

자기성찰(reflection)을 할 수 있는 작업 시물(artiacts)을 디지털 형식으로 구축하고 리

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개인성장, 경력계획, 이력서 등을 체계 으로 비할 수 있

다(Tosh & Werfmuller, 2004).

Page 26: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10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그래서 이제부터라도 죄를 쪼금 짓도록 노력해야겠다.- 학생 A의 QT일기 중

이와 비슷한 상황은 교사 A와 교사 B와 이루어진 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들 역시 학생들의 개개인 블로그를 통해서 학

생들이 무엇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생각들을 하고 있는지 직,

간접적으로 알 수 있어, 신앙 지도 및 학생과의 관계형성에도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었다.

어린이들의 블로그를 돌아다녀 보면 요즘 어린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

는지 조금은 알 수 있는 것 같아요. 재영이는 태권도를 좋아하구, 희진이

의 꿈은 발레리나고, 하윤이는 지난 주에 가족과 함께 에버랜드에 다녀

왔고, ………, 그래서 어린이들을 주일 날 만나도 매일 만났던 것 같아

쉽게 대화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A 교사 면담 중

OO이 신앙이 이렇게까지 깊은 줄은 생각도 못했어요. 교회서 보면 장

난만 심한 아이인 줄 알았는데 QT를 한 것을 보면 신앙생활에 대해 많

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다른 친구들 QT에 댓글 달아준 것을 보면 평소 OO 같지 않다

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B 교사 면담 중

또한 학생들은 교사의 블로그를 방문하여 일상적인 안부와 더불어

자신의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이야기하며 기도를 요청하며 교사의 반

응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암튼.. 본론으루..ㅋㅋ 제가 이젠 자주들어올려구 작정했습니다. 작심삼

일이 되지 말아야 할텐데.. 암튼.. 기도제목있어용!! 저희반 선생님이 무

서우셔용...ㅠㅠ 그선생님을 사랑으로 품을 수 있게 됬으면 좋겠어용... ㅠ

Page 27: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11

ㅠ 기도해주세용∼!!- 정OO 어린이가 J교사의

블로그 방명록에 남겨 놓은 글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비록 서로 목적과 방식은 다르지만, 교

사 및 학생들 모두 적극적으로 블로그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이미 인터넷에 익숙한 학습자들에게는 블로그는 비단 학습의 도구

로서가 아니라 인터넷 속의 존재하는 ‘나만의 방’으로 인식하면서, 자신

을 표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반면에 그들이

블로그에 올린 글, 블로그 목차 등을 통해 교수자나 목회자는 학습자들

의 신앙적 상태, 개인적 문제 등의 ‘개별성’을 파악하여 학습자를 지도

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다.

2) 관계형성의 장으로서의 블로그

앞서 블로그를 처음으로 개설하고 꾸미는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적극

적이고 솔선수범하던 학생들은 일단 자신들의 블로그를 개설하고 꾸미

고 난 뒤에는 활용 방법에 대한 별다른 교육이 없이도 상호간에 관계

맺기(서로이웃)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었다. 곧, 서로에게 스킨(블로

그 배경화면)을 선물하고, 이벤트를 걸고, 방명록에 글을 남기며 서로

방문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새로운 상호관

계 맺기를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림 9 참고)

Page 28: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12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그림 9] 블로그를 방문해 새로운 관계 맺기를

시도하는 학생과 선생님

학습자들은 블로그에 개인의 성찰저널이나 QT 내용을 기록하는 활동

으로만 그치지 않고, 나아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그것을 다른 학

습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하여 공유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

들은 상대방의 유용한 정보를 ‘트랙백’과 ‘스크랩(scrap)’ 기능을 활용해

자신의 블로그로 자료를 수집, 또는 공유하면서 신속하게 학습자간의

지식 및 정보 공유 활동을 이루어갔다. 곧, 각 학습자의 블로그는 일종

의 허브(hub)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면서 개인이 수집한 정보를 빠르게

공유시키고 전달시키는 역할을 했는데, 이런 학습 과정을 통해서도 적

극적인 상호작용 및 관계형성이 발생하고 있었다(그림 10 참고)

Page 2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13

[그림 10] 교사 블로그의 자료를 스크랩 후 재구성한 블로그

학생들의 블로그에서의 활발한 활동은 새삼 그 학생들의 다른 면을

발견하게 되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곧, C교사는 평소 교회 활동에

소극적이며 수동적으로 참여하던 학생이 블로그 상에서 적극적으로 활

동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답했다. 또한 D교사는 이런

모습이 오프라인 활동에도 적극적이지는 않지만 소극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다고 답했다.

OO가 이렇게 활발한 아이인 줄은 몰랐어요. 교회서 만나서 말 한마디

하지 않던 녀석이 블로그 안부 게시판에는 매일 같이 들어와서 안부를

묻고 친구들이 조금만 것만 질문을 해 놓아도 어디서 그것을 찾아왔는지

댓글을 다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해요.- C 교사 면담 중

A선생님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평소 공과공부 시간에 조용하기만

하던 OO가 블로그에 있는 다른 친구들의 질문과 답에 대해 공과공부 시

Page 3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14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간에 다시 물어보면 조용하기는 하지만 대답은 하더라구요.- D 교사 면담 중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만들어 활용하던 자신의 블로그의 내용들이 포

털 사이트의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되어 교회를 벗어난 익명의 제 3자

들에게까지도 공유되는 것을 보고, 더욱더 자신의 학습에 대한 자신감

과 성취감을 얻게 된다는 사실도 발견할 수 있다.

오늘 심심해서 N 검색창에 어제 큐티 제목을 넣어봤다. 그런데 어제

내가 큐티를 하고 블로그에 올려놓은 것이 검색되었다. 신기해서 내 이

름을 넣어봤더니 내 블로그가 검색 되었다. 정말 신기하다. 매일 같이 글

을 올리는까 검색도 되는 구나.. ^^앞으로도 계속 빠지지 말고 큐티해서 글을 올려놔야 겠다.

- 채OO 성찰일기 중

OO가 큐티를 한게 검색엔진에 나왔다고 해서 검색을 해봤더니 정말

나왔다. 그래서 내껏도 해봤다. 그런데 내꺼는 나오지 않았다. 왜 그러

지.... 내 블로그는 뭐가 잘못됐나?내가 큐티를 자주 빼먹어서 그런가? 이제는 빼먹지 알아봐야지..ㅋㅋ

강도사님 내꺼는 왜 안나오는 거에요?- 이OO 성찰일기 중

저는 아직 초등학생인데요..ㅋㅋ 그래도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니 정

말 기분 좋네요. 앞으로도 제 블로그에 자주 방문해 주세요^^- 정OO 방명록 중

학습이 이루어지는 기간에 동료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지 못

하고 있을 때는 학습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블로그를 자발적으로 찾아가

학습에 참여하기를 독려하는 협동학습의 모습도 나타났다(그림 11 참고).

좀 힘드시나보네... 그래두 열심히 해보는게 어때??????????

Page 31: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15

내가 직접 찾아다니면서 선물까지 줬는데.- 정OO 댓글 중

[그림 11] 학습자 간에 학습참여를 독려하는 내용의 예

IT에 친숙한 학습자들에게 블로그는 일종의 새로운 놀이터와 같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내 방이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내 방에 누군가가 찾

아와서 내가 꾸며 놓은 것을 보고, 그것에 대해 관심을 가져 주고, 또

한 내가 만든 것을 누군가가 봐주는 것 자체가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이

새로운 동기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렇듯 자신에

게 서로 간에 관심을 기울여주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은 비

단 학교교육에서 뿐만이 아니라 오히려 교회교육에서 더욱 의미 있게

받아들여야할 것이다. 교회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공동체간의 상호 협

력적, 상보적 삶이라는 점을 상기시켜볼 때, 블로그에서 보여준 학습자

Page 32: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16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들 간의 정다운 모습, 적극적인 공동체의 모습은 교회교육의 새로운 방

식으로서의 블로그 기반 교육의 가치를 더욱 드러나게 할 수 있을 것

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곧,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은 21세기의 학습자의 특성을 가장 잘 활용하고 표현해

주고 있는 것으로서, 우선적으로 학습자 스스로 여러 가지 활동과 과정

을 통해서 개인 블로그를 통해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과 모습은 학습자 개개인의 신앙생활, 일상생

활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교회교육의 입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신

앙적 성장을 관찰 할 수 있는 소중한 포트폴리오가 아닐 수 없었다.

또한 블로그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서로의 블로

그를 방문하며 생활의 소소한 것에서부터 학습의 과정에 이르기까지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고, 나아가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동

료 학습자들을 격려하는 등의 모습을 보임으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와 같은 적극적인

상호 협력적, 상호 보완적 공동체 활동은 사도행전 2장에서 강조하듯

서로의 아픔, 기쁨을 함께 공유하면서 서로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도와주는 아름다운 성도간의 교재와 비교되어 교회교육에서의 바라는

바람직한 공동체의 구체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겠다.

나아가 블로그 기반 교회교육방식은 주일 하루만 이루어지는 주일학

교라는 교회교육에 대한 제한적 시각에서 벗어나, 교회교육은 시간과

공간을 벗어나 자유롭고 지속적으로 언제든지 이루어지는 평생교육 개

념으로서의 교회교육으로 새롭게 개념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의

하나라고 볼 수 있었다. 결국, 블로그 기반 교회교육은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교회 교육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이자 새로운 학습 환경으

로서 고려해볼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Page 33: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17

Ⅳ. 결론 및 제언

비록 시대가 아무리 변한다 하더라도 성경에 의거한 하나님의 말씀

은 절대적으로 변할 수 없는 진리의 말씀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진리의

말씀을 전하는 방식은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적응하여 변화될

수 있는 여지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논리 하에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프로슈머’로서 ‘네트워크화된 개별화’를 강조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회교육은 이전의 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접근과 방식

이 필요로 하는 시기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교회교육의 변화의 원동

력으로서 ‘정보통신기술’이라는 요소를 떠올리게 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대표적인 정보통신기술의 하나인 ‘블로

그’라는 소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회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첫째, 교

회교육의 대상인 21세기형 학습자, 곧, 디지털 원주민으로서의 학습자

들에게 필요한 교육방식을 구안하고, 둘째, 블로그라는 매체를 통해 ‘주

일학교(Sunday School)’라는 이름에 의해 공간적으로는 교회 안에, 시간

적으로는 주일 하루에 국한되어 이해되었던 교회교육의 개념에서 해방

되어 언제, 어디서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평생교육으로서의

교회교육으로서 재개념화를 시도하고, 셋째, 교회교육에서 강조하는 개

인 학습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신앙적 양육과 성

장을 가속화 하고, 넷째, 더불어 블로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협력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온라인 공동체를 통해 교회교육에서 강조하

는 참된 신앙의 공동체의 구체적 형상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는 작은 숫자 속에서 이루어진 수업이기에 일반화하는

데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볼 때, 좀 더

다양한 환경과 대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블로그 기반 교회교육의

필요성은 분명하다고 보겠다. 또한 IT 활용 교육이 모든 교육의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아님도 분명하다. IT 디바이드(divide)

Page 34: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18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라는 문제도 존재하고, 블러그 활용이 주로 쓰기, 읽기 능력을 주요능

력으로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취약한 사람들에게는 불편한 교육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에 자주 언급되듯이 다른 사람들

과의 소통과 공유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댓글 문제로 인해 자칫 사람

들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교육이

요즘의 청소년들과 좀 더 원활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추구하고자 한다

면, 교회교육에서 IT 활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활용의 문제가 되고

있으며, 다만 활용시 그 방법론적 입장에서 좀 더 진지한 준비와 논의

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주신 문화명령15)과 예수님께서 사역하신 모습을 보면 예

수님께서는 진리를 위해서,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서 모든 것을 적

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명하실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오늘날의 기독교

교육은 그러한 예수님의 사역하신 모습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일

까? 이러한 반성적 성찰과 고민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이라는 방식에서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세상 끝까지 이르러 복음의 증인이 되는 예수님의 제자를 세우는 데

더욱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블러그의 잠재력을 구체적인 한 사례

를 통해 조심스럽게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강인애 (2006). 디지털 시대의 학습테크놀러지. 서울: 문음사.

(2008). 청소년과 e-Learning. 청소년문화포럼, 17, 10-32.

강인애ㆍ남선우 (2008). 대안적 기독교 교육방법으로서 PBL : 초등학교 계절 성

경학교 사례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1, 403-439.

15) 창세기 1: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하나님이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

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

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Page 35: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19

강인애ㆍ정준환, 정득년(2007). PBL의 실천적 이해. 서울 : 문음사.

권상희 (2005). 블로그 양식: 커뮤니케이터, 구성형태, 내용, 연결성에 따른 장르

유형분석 연구. 사이버 커뮤티케이션학보, 15, 93-135.

권성호ㆍ심현애 (2005). 디지털 ‘생비자(Prosimer)’의 수행영역 확대를 위한 미디

어 리터러시 교육내용 설계 전략.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2), 219-241.

권태훈 (2008). 웹2.0 기술을 활용한 도서관 블로그 운영 사례: 포항공과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사대도협회지, 9, 205-227.

김동식ㆍ선종삼ㆍ김수현(2008). 위키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지식 외현화를 지원하

는 의미협상 도구의 개발 및 효과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4), 53-83.

김준우ㆍ김연수ㆍ박천웅 (2006). 블로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산업

경영시스템학회지, 29(3). 96-102.

김지수 (2004a). 블로그의 사회문화적 진화와 이슈. 정보통신정책, 16(8), 18-36.

(2004b). 1인 미디어, 블로그의 확산과 이슈. 정보통신정책, 16(22), 31-43.

김희자 (1998). 교사론.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남선우 (2008). 대안적 기독교교육 교육방법으로서 PBL : 초등학교 계절 성경학

교 사례연구. 경희 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서울.

노기영 (2008). 뉴미디어의 의사소통성과 쌍방향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

고서 08-15.

서상희 (2006). 웹 기반 의사소통매체를 활용한 ‘경건의 시간’에서의 전환학습 효

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서울.

서 신 (2002). 예수님의 교육방법론연구. 칼빈논단, 469-492.

신동명 (2009). 멀티미디어의 교회내 현황과 계층별 활용방안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석사 논문. 서울.

윤준수 (1998).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스.

이은민 (2006). 팟캐스트(Podcast) 시장분석. 정보통신정책, 18(7). 27-32.

장경원 (2006). 온라인 PBL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활동 특성 분석.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12(3), 33-63.

최재화, 김학래 (2006). IT와 미래 경영 : 지식경영과 전략; 사회적 소프트웨어의

지식경영 활용. 한국 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1-209.

황대준 (2007). Web 2.0과 교육정보서비스 체제의 변화. 정보처리학회지, 14(4),

4-13.

Page 36: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20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Alexander, B. (2006). “Web 2.0: A new wave of innov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EDUCAUSE (March/April), 33-44.

Anderson, P. (2007). “What is Web 2.0? Ideas, technolog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Technology & Standards Watch. Retrieved December 29, 2007

from http://www.jisc.ac.uk/media/documents/techwatch/tsw0701b.pdf

Barrows, H., & Myers, A. (1993).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Blood, R. (2002). “Weblogs: A history and perspective.” In Perseus Publishing

(Eds), We’ve gotblog : How we blogs are changing our culture(pp.

79-92). Cambridge, MA: Perseus Publishing.

Bridges, D. (2000). “Back to the future: The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e 21st century.”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0(1), 37–55.

Brown, J. (2006). New learning environments for the 21st century:

Exploring the ed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38(5), 18-24.

Brown, J. & Duguid, P. (2002) The Social life of information.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ryant, L. (2003). Smarter, simpler, social : An introduction to online

social software methodology. Retrieved Mar 16, 2008 from

http://www.headshift.com/moments/archives/sss2.html

Cameron, D. & Anderson, T. (2006). “Comparing weblogs to thread discussion

tools in online education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2(11), Retrieved July 4, 2008 from

ternational Journal of Iw.itdl.org/Journal/ Nov_06/article01.htm.

Chen, Y. (2007). Wiki Technology as a Scaffolding Tool in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m Mutimedia, Taichung,

Taiwan: Dec. 10-12, 459-463. Retrieved October 20 2008 from

http://ieeexplore.ieee.org/xpl/freeabs_all.jsp arnumber=4476012

Christopher, A. (2004). Tracing the Evolution of Social Software,

Retrieved Jul 23, 2009 from

Page 37: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21

http://www.lifewithalacrity.com/2004/10/tracing_the_evo.html.

Clark, R. (1994). “Media will never influence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2(2), 21-29.

Coates, T. (2002). On the augmentation of hu,na social networking

abilities. Retrieved APR 6, 2009 from

http://www.plasticbag.org/archives/2002/12/

on_the_augmentation_of_human_social_networking_abilities/.

Crowe, J., Karayan, S., Maliski, S., McCambridge, T. & Gathercoal, P.

(2003). “On Implementing Web-based Electronic portfolios.” paper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03 Chesapeake, VA.

Doolan, M. A. (2006). “Effective strategies for building a learning community

online using a Wiki.” Blended Learning Conference Proceedings, 51-63.

Downes, S. (2005). “E-Learning 2.0.” eLeaning magazine (10/15). Retrieved

March 10, 2007 from http://www.elearnmag.org/subpage.cfm?section

=archives&article=toc2005.

Eastment, D. (2005). Blogging. ELT Journal, 59(4), 358-361.

Garcia, Y., Gonzalez, B., & Garcia, J. (2009). Prosumers and accessibility: how

to ensure a productive interaction. Proceedings of the 2009 International

Cross-Disciplinary Conference on Web Accessibililty, (pp. 50-53).

Haythornthwaite, C. (2005). “Social networks and internet connectivity

effect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8(2), 125-147.

Innis, H. (1950). Empire and communications. Oxford: Clarendon Press.

Morbille, P. (2006). 검색 2.0: 발견의 진화. Yuna (역). 서울: 한빛 미디어(주).

Morgan, B & Smith, R. D. (2008). “A Wiki for classroom writing.” The

Reading Teacher. 62(1). 80-82

Nasseh, B. (2001). Internet-generation & adult learners will create major

challenge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21st Century.

Retrieved March 2, 2009, from

http://www.bsu.edu/classes/nasses/nasseh/study/learners.html

Negroponte, N. (1995). Being Digital. N.Y: Knopf.

Oblinger, D. (2003). “Boomers, x-geners, and millenials: Understanding

Page 38: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22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the new students.” EDUCAUSE review July/Aug. 36-37, Retrieved

March 2, 2009, from

http://www.educause.edu/ir/library/pdf/erm0342.pdf

Rennie, E (2007). “Community media in the prosumer era.” 3C media. 12(3),

24-32. Retrieved July, 10, 2009 from http://www.cbonline.org.au

Shirky, C. (2004). situated software. Retrieved APR 6, 2009 from

http://www.shirky.com/writings/situated_software.html

Steve Cayzer (2006). What next for Semantic Blogging?. Digital Media

Systems Laboratory. HP Laboratories Bristol. Retrieved March 2,

2009, from

http://www.hpl.hp.com/techreports/2006/HPL-2006-149.pdf

Suter. V., Alexander, B., Kaplan, P. (2005). “Social software and the

future of conferences right now.” EDUCAUSE review, Jan/Feb.

47-59. Retrieved APR 7, 2009 from

http://www.educause.edu/ir/library/pdf/erm0513.pdf.

Tapscoott, Don (1999). N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유영만 (역). 서울: 물푸레.

Tapscoott, Don (2008). 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the Wor. McGraw-Hill.

Tim O`Reilly (2005). What is Web 2.0 Design Patterns and Business

Models for the Next Generation of Software. Retrueved APR 7, 2009

fromhttp://www.oreillynet.com/pub/a/areilly/tim/news/2005/09/30/w

hat-is-web-20.html

Tosh D. & Werdmuller, B. (2004). ePortfolios and weblogs: one vision for

ePortfolio development. Retrueved APR 7, 2009 from

http://www.eradc.org/papers/ePortfolio_weblog. pdf

Will, R. (2008). “The hyper-connected classroom.” Independent School, 67

(2), 40-45.

Winer, D. (2003). What makes a web-log a web-log? Retrieved July 7, 2006

from http://blogs.law.harvard.edu/whatmakesaweblogaweblog.html

Woolf, B. (2006). “Wiki vs. Blog.” IBM developerWorks. Retrieved November 2006 from

http://www-03.ibm.com/devloperworks/wikis/display/woolf/Wiki+vs.+Blog

Page 3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9.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 연구 323

Abstract

A Case Study of Blog-Enabled Churc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ang, Inae

Professor,

Kyung Hee University

Nam, Sunwoo

Doctoral Student,

Kyung Hee University

As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new educational

approaches or environments, IT mediated learning in school has been

actively practiced and researched. The church education, however, has

been relatively lagged behind in utilizing IT based educat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Net generation learner, and hence, expand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church education in this society, it is quite

imperative to adopt IT mediated church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case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pply a

blog-based church education to twenty 5th and 6th graders in the S

church during Sep. to Oct. 2007. Blog as a representative service of

social software represents and manifests the main features of web 2.0,

which usually comes down to participation and sharing, networked

individuality.

The case study, according to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blog posts from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showed how actively the blog-based learning can facilitate the desires of

Page 40: 블로그를 활용한 교회교육 사례연구

324 기독교교육논총 제24집

self-disclosure, self-identity of the learners within multi-layered and

multi-directed interaction among the participants as an emotionally

connected learning community.

This results of the case study, in conclusion, imply the meaningful

possibility that the blog-based church education can shift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church education as ‘Sunday School’ limited in space

(church) and time(Sunday), into the new concept as ‘life-long learning’

happening anytime, anyplace continuously to the learners.

Key words | Social Software, Blog, Church Education, Christian Education,

IT-mediated learning

원 고 수 : 2010. 04. 30

게 재 승 인 : 2010. 06. 07

논 문 심 사 : 2010. 0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