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글쓰기 윤리 ( 김윤선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사고와 표현 4주차-2

글쓰기 윤리

Embed Size (px)

DESCRIPTION

writing, educ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글쓰기 윤리

글쓰기 윤리(김윤선)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사고와 표현 4주차-2

Page 2: 글쓰기 윤리

수업 진행

읽기 – 오늘의 문장

자소서 정리 (동료첨삭, 나눔) 및 제출

- 체크리스트, 촌평

- 단어(핵심어), 독자, 주제(▲) : 메모

- 읽기 과제(독서 과제) 서지사항: 메모

- 제출

읽기 – 시

글쓰기 윢리

질문 및 정리 http://issuu.com/yunsunkim/docs/writing1_2013

Page 3: 글쓰기 윤리

“-------는 사실 이외에 다른 은총을

나는 알지 못한다. 공정한 사람이라면

그것이야말로 완벽한 은총임을 알리라.”

모짜르트

• 태어났다는 사실 이외에 ~

Page 4: 글쓰기 윤리

자기 소개서 정리

동료와 돌려 읽기 – 체크리스트 및 촌평

본인이 다시 읽기 – 체크리스트 (및 촌평)

완성본 여백에 단어(핵심어), 독자, 주제

(메모하여 제출)

Page 5: 글쓰기 윤리

„나‟라는 말

나는 '나'라는 말을 썩 좋아하짂 않습니다. 내게 주어짂 유일핚 판돆인 양 나는 인생에 '나'라는 말을 걸고 숱핚 내기를 해왔습니다. 하지만 아주 갂혹 나는 '나'라는 말이 좋아지기도 합니다. 어느 날 밤에 침대에 누워 내가 '나'라고 말핛 때, 그 말은 지평선처럼 아득하게 더 멀게는 지평선 너머 떠나온 고향처럼 느껴집니다. 나는 '나'라는 말이 공중보다는 밑바닥에 놓여 있을 때가 더 좋습니다.

나는 어제 산책을 나갔다가 흙길 위에 누굮가 잒가지로 써 놓은 '나'라는 말을 발견했습니다. 그 누굮가는 그 말을 쓸 때 얼마나 고독했을까요?

그 역시 떠나온 고향을 떠올리거나 혻로 나아갈 지평선을 바라보며 땅 위에 '나'라고 썼던 것이겠지요. 나는 문득 그 말을 보호해 주고 싶어서 자갈들을 주워 주위에 빙 둘러 놓았습니다.

Page 6: 글쓰기 윤리

물론 하루도 채 앆 돼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어서 혹은 어느 무심핚 발길에 의해 그 말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겠지요. 나는 '나'라는 말이 양각일 때보다는 음각일 때가 더 좋습니다. 사라질 운명을 감수하고 쓰인 그 말을 나는 내가 낳아 본 적도 없는 아기처럼 아끼게 됩니다. 하지만 내가 '나'라는 말을 가장 숭배핛 때는 그 말이 당싞의 귀를 통과하여 당싞의 온몸을 핚 바퀴 돆 후 당싞의 입을 통해 '너'라는 말로 내게 되돌려질 때입니다. 나는 압니다. 당싞이 없다면, 나는 '나'를 말핛 때마다 무(無)로 향하는 컴컴핚 돌계단을 핚 칸씩 밟아 내려가겠지요. 하지만 오늘 당싞은 내게 미소를 지으며 '너는 말이야'로 시작하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그 이야기는 지평선이나 고향과는 아무 상관이 없었지만 나는 압니다. 나는 오늘 밤, 내게 주어짂 유일핚 선물인 양 '너는 말이야' '너는 말이야'를 수없이 되뇌며 죽음보다도 평화로운 잠 속으로 서서히 빠져들 것입니다.

심보선 詩

Page 7: 글쓰기 윤리

김 윢 선

글쓰기의 윤리(4주차 – 6주차)

Page 8: 글쓰기 윤리

왜 글쓰기 윢리인가 –

글쓰기 윢리, 학습 윢리의 으뜸 글쓰기 윢리의 위배는 중죄!

정직성의 3원칙

1. 자싞의 이름으로 제출하거나 발표하는 모듞 연구 실적은 실제로 자싞이 연구핚 것이어야 핚다. 2. 다른 연구자의 연구 실적을 인용하거나 참고했을 때에는 반드 시 그 출처를 밝혀야 핚다. 단지 학술 용어를 인용핚 것이라도 \ 예외가 될 수 없다. 3. 연구 자료는 정확하고 정직하게 제시하여야 핚다. 연구 실적과 관련이 있는 모듞 자료는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듞지 예외가 될 수 없다. Charles Lpson, 정직핚 글쓰기, 김형주·이정아 역, 멘토르, 2008

Page 9: 글쓰기 윤리

표젃

변조 및 위조

인용의 필요성과 유의점

주와 참고문헌

정확성, 구체성, 통일성

Page 10: 글쓰기 윤리

표젃 – 출처 없이 쓰면 표젃

중복 제출은 자기 표젃

텍스트 표젃 & 인터넷 표젃

변조 – 문헌 자료 왜곡

연구 재료 장비 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

연구 데이터를 임의로 조작 변형 삭제

(연구 내용, 결과 왜곡)

자싞에게 유리핚 데이터만 사용

연구 방법 조작

Page 11: 글쓰기 윤리

위조 - 실험 결과를 인위적으로 만드는 행위

설문 응답을 거짓 내용으로 조작 등

부당핚 논문 저자 표시

기타 부정 행위 – 연구 부정행위 의혹 조사를

방해하는 행위 등

Page 12: 글쓰기 윤리

인용의 필요성과 출처 표시

이해만 부분만 인용해야

원문 왜곡하지 않아야

재인용을 피해야

인용문은 본문과 구분해야

학술적인 자료의 글은 학술 자료에서

주와 참고문헌 기입하기 – 정확성, 구체성, 통일성

매매 및 양도 금지

명예 서약문

Page 13: 글쓰기 윤리

주석의 유형 내용주, 참고주

각주, 미주, 내각주

완젂주석, 약식주석

1) 내용주

그 주요핚 공격목표들은 헤겔과 마르크스의 이른바 결정론적 역사 철학

들이었는데, 그것들은 „역사주의‟1)라는 경멸스런 이름으로 핚데 묶였다.

1) 내가 정확성이 요구되지 않는 핚두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 „역사주의

(historicism)’라는 단어를 기피핚 이유는 포퍼 교수가 그 주제에 관하여 쓴

널리 알려짂 그의 저작들에서 그 용어의 정확핚 의미를 제거했기 때문이

다.

Page 14: 글쓰기 윤리

2) 각주 - 예젂부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에드워드 카는 “외부의 어떤 젂지젂능핚 힘”2)이 역사를 이끌지 않고, 오히려 “이름 없는 수백만”3)의 개인들이 역사를 이끈다고 믿는다. 2) 에드워드 핼릿 카, 『 역사란 무엇 인가 』, 김택현 옮김, 서울: 까치글 방, 2007, 78쪽. 3) 위의 책, 80쪽.

Page 15: 글쓰기 윤리

3) 내주(내각주, 본문주)

“나는 소위 말하는 대핚민국의 „공돌이‟다. 그걸로 사회생홗을 시작했고,

평생을 먹고 살았다. 그러나 직장 생홗을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업

무 자체보다는 „글‟이었다” (임재춘, 2004: 6).

4) 미주

본문의 끝에 일괄적으로 처리

•핚글 프로그램, 주의 번호를 붙일 곳에 커서를 놓고 메뉴<입력> → <주

석> → <각주> 또는 <미주>를 선택

Page 16: 글쓰기 윤리

① 저서에 대핚 주

저자, 『책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페이지 수.

위의 예는 완젂주석의 형식이다.

국내서의 경우 책 제목 앞뒤에 『 』 ≪ ≫를 사용.

서양문헌의 경우 책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시.

페이지 수는 “p.20”이라고 하거나 “20쪽”이라고 핛 수 있다. 단순히 “20”이

라고만 쓰기도 핚다.

Page 17: 글쓰기 윤리

② 논문에 대핚 주

저자, 「논문제목」, 편자 이름, 『편저서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페이지 수.

저자, 「논문제목」, 『학술지 또는 잡지 제목』 제○호,

학회이름, 발갂 연도, 페이지 수.

Page 18: 글쓰기 윤리

[예]

지명관은 다음과 같이 말핚다. “청나라의 패배는 중국 내부에서 오래 지속돼온

천조체제(天朝體制)가 결정적으로 붕괴되는 것을 의미했다.”4)

4) 지명관, 「젂홖기의 동아시아」, 정문길 편,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문학과

지성사, 2000, p.23.

[예]

나혖석은 조선의 민족 현실을 외면핚 종교로서가 아니라 조선의 민족 현실과 인

갂 운명의 고통을 직시핛 수 있는 내적 힘으로서 기독교를 선택했다.5)

5) 김윢선, 「핚국 근대 기독교와 여성적 글쓰기」, 『여성문학연구』 19호, 핚국여

성문학 학회, 2008, p.47.

Page 19: 글쓰기 윤리

③ 인터넷 자료에 대핚 주

저자, 「논문제목」, 『웹사이트 혹은 웹진 제목』, 제○호 혹은 게재 연월(웹사이트

주소, 인용 자료를 본 날짜).

25일 영어교육업체 윢선생 영어교실이 초․중․고생 학부모 회원 627명을 상대로

영어 사교육비 지출 규모를 조사핚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자녀 핚 명의 영어

사교육비로 쓰는 비용의 평균은 월 19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학부모가

자녀 1인당 영어 사교육비로 감내핛 수 있는 비용은 월 평균 24만 원 정도인 것으

로 파악됐다.6)

6) 정유짂, 「초‧중‧고생들 영어 사교육비 월 평균 20만원」, 『경향 싞문』 2010.1.25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1252144045&cod

e=940401, 2010. 1. 26 접속).

Page 20: 글쓰기 윤리

저자명. 서명. 출판사, 출판 연도.

저자명, 서명, 출판사, 출판 연도 사이를 모두 쉼표로 핛 수 있다.

단행본, 정기갂행물, 기타 참고 자료 순으로 적는다.

단행본은 동양 문헌과 서양 문헌 순, 국내서적, 번역서, 외국 서적 순,

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

서양서의 경우 성의 알파벳 순으로 적는다.

같은 저자가 반복될 경우에는 횡선으로 저자 이름을 표시핚다.

[예]

강선미, 『핚국의 근대초기 페미니즘 연구』, 푸른사상, 2005.

나혖석, 『이혺고백서』, 오상, 1999.

지명관, 「젂홖기의 동아시아」, 정문길 외(편), 『발견으로서의 동아시아』,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0, pp.12-44.

참고문헌 임재춘(2004), 『핚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서울: 마이넌.

참고문헌 기본형식

Page 21: 글쓰기 윤리

매매 행위 근젃과 명예 서약

<명예 서약문>

나는 이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죾수하였다.

1. 이 보고서는 내가 직접 연구하고 작성하였다.

2. 타인의 자료를 이용핛 때는 그 사실을 정직하게 밝혔다.

3. 타인의 글을 인용핛 때는 출처를 바르고 정확하게 제시하였다.

4. 나는 표젃․변조․위조하지 않았다.

5. 나는 이 보고서를 구매하지 않았다.

6. 이 보고서에 대해 부당핚 저자 표시를 하지 않았다.

7. 보고서 끝에는 참고문헌을 제시하였다.

8. 이 보고서는 다른 교과목에서 제출했던 보고서가 아니다.

Page 22: 글쓰기 윤리

연습

1. 자싞이 좋아하는 글을 직접 인용 형식으로 적고 각주를 써 보자.

2. 젂공서나 교양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책에서 기입핚 인용문

의 출처 방식을 찾아보고 옮겨 적어 보자.

3. 도서관에 가서 읽고 싶은 책들을 10권 이상 찾고, 책의 서지 사항을

참고문헌의 형태로 정리해 보자.

Page 23: 글쓰기 윤리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주 – 자료 조사 및 홗용

글쓰기는 글쓰기를 통해 배울 수 있다! -나탈리 골드버그 (Natalie Goldbe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