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이 명 환 ** 김 은 숙 ***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생태유아교육연구

2011. 제10권 제4호 , 149 - 170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 명 환** ․ 김 은 숙***

요 약

본 연구는 숲유치원(매일반)과 주2회 숲에서 체험교육을 하는 숲그룹유치원 그리고 숲체험

교육을 하지 않는 H유치원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여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였다.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세 집단의 평균점수와 연령

별 평균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집단으로 보았다. 숲에서의

교육 후 주의집중력검사를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한 결과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

력 평균점수는 39.50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38.08, H유치원 유아는 32.32로 나타났

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령에 따른 결과는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

중력 평균점수는 42.73로 가장 높았으며, 숲그룹 유아는 41.42, H유치원 유아는 34.74의 순으

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만4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

중력 평균점수는 36.27, 숲그룹 유아는 34.75, H유치원 유아는 29.8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숲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유아는 정서적 안정이 이

루어질 뿐 아니라, 사물을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숲에서의 놀이와 활동을 통해

서 자연스럽게 집중력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숲유치원(forest-kindergarten)

숲그룹(forest-group)

주의집중력(attentiveness)

※ 논문 접수 : 2011. 10. 31 / 수정본 접수 : 2011. 11. 29 / 게재 승인 : 2011. 12. 12

* 본 연구는 2010년도 산림청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인천대학교 숲유아교육연구소 연구원

Page 2: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5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가 점점 핵가족화 되어가고 가정의 자녀수가 줄어들면서 그 어느 때보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녀의 생활전반에 대하여 지나친 개입을 하고 있는 실정이

다. 이로 인해 자녀들은 부모에 대한 높은 의존심을 가지게 되며, 자기조절의 어려움, 사회성

부족 등의 문제를 갖게 되지만 우리사회의 높은 교육열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깊은 관심이

필수조건이 될 수 밖에 없는 처치에 놓여있다. 또한 아동이 가정에서 보다 유치원이나 학교에

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가고 있기에 교육기관은 아동의 지적성장뿐 아니라 심리적인 발달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교육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어야 하지만 실제 교

육환경은 이를 충족시켜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학습이외의 것에 대한 관심이나

욕망들이 서로 충돌할 때 집중력이 저하된다는 연구에서 보여 지는 것처럼 그 문제의 심각성

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김영진, 2003).

우리는 요즘 아이들의 모습 속에서 불안, 우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라는 특성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으며, 규범적인 요소가 강한 학교생활이 시작되면서 비로소 집중력 부족이 표면

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실제로 학교적응을 위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아동의 비율이 높게 상

승하고 있다. 이처럼 아동기의 문제행동과 더불어 중요하게 간주되는 것이 주의집중력이라고

볼 수 있다. 주의집중력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의식을 집중해가

는 능력으로 주의집중력의 부족으로 발생되는 문제와 더불어 정서적 불안정으로 인한 주의집

중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아동에게 불안한 상황이 지속되거

나, 동기가 부족한 경우, 우울성향이 있는 경우와 같이 정서적 안정이 부족한 경우에 집중력

이 저하되는 것을 보면 정서안정, 주의집중력의 어느 한 가지만 부족하더라도 서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기에 학교부적응의 악순환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김지연, 2007).

학령전기 혹은 학령기에 가장 흔하고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유아기 장애 중 하나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이다. ADHD 유아들의 주의집중

력결핍, 충동성과잉행동과 같은 주요 증상은 이차적인 문제를 야기하는데, 즉 학업부진, 또래

와의 관계악화,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곤란,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악화 등을 들 수 있다. 이

차적 문제들은 대개 유아초기에서 시작되어 아동청년기까지 진행되는 장기적인 결과를 보이

며 심지어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심리적 반응, 학업성취 및 적응신경 심리적 상태등의 문제가

Page 3: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51

계속 된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성격장애나 반사회적 행동, 낮은 자존감 등도 계속 문제가 되

며 증세가 호전된 이후에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시 재발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류문화, 1996).

주의집중력은 인간 발달 초기단계부터 발달되어야하는 중요한 능력이며 지속적으로 형성

되어 가야하는 능력으로 연령의 증가와 함께 의도적인 주의통제, 적극적, 계획적인 통제력의

향상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능력이다(이숙희, 2001). 그러므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자극들을 분류하고 선별하는 작용으로서 주의집중력은 유기체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가는 인간 삶의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므로 사고 및 모든 심리적 기능에까지 지대한 영향

을 미친다. 이처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은 개인의 의지적인 내적능력으로 상호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으며 심리적 안정은 집중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

는 무엇보다 자신의 심리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심리적 통찰에 있어

정서의 자각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대부분의 심리상담은 억제되었던 감정들을 인

식하도록하고 자신의 감정을 수용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양육환경과 아동의 집중력에 관련한 연구들(유경임, 2006; 이숙희, 2001)에 의하면 부모의

안정적 양육과 정서교감은 아동의 심리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아동 생활전반에 영향

을 미치며 학습 시 집중력과의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아동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정서

를 경험하고 발달시키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를 이해하고 표현하게 된다(안정현,

2003). 특히 Buck(1984)은 아동이 부정적 정서를 표현했을 때 부모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받

게 되면 자신의 정서를 숨기도록 학습되어진다고 지적한 반면 부모가 아동의 부정적인 정서

에 대해 터놓고 공감적으로 반응하면 아동은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숲과 자연에서의 교육이 주의집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관련된 연구를 고찰

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미시간 대학의 캐플린부부 연구팀은 1970년 초반 미국 산림청 산하에서 9개년 계획으

로, 대자연으로 모험을 떠나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에서의 매혹적

요소는 심리적 피로를 풀어주고 지향적 집중의 피로를 덜어주며, 회복적 치유를 받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장소로 대자연을 꼽았다(Kaplan, 1998). 뉴욕 대학의 인간 생태학자인 낸시웰

즈는 “어린이들은 녹색공간에 있으면 집중력이 높아지고 사고력도 명확해지며,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라고 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도심 지역에 살던 불우한 아이들이 자연

과 가까운 살기좋은 지역으로 이사한 경우, 이사하기 전과 후에 인지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이 향상되었다는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아이들의 집중력

Page 4: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5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Louv, 2005). 또한 스웨덴의 한 연구팀은 탁아소

두 곳의 아이들을 비교하였는데, 한 곳은 고층건물로 둘러싸인 조용한 놀이공간으로 주변에

는 풀과 벽돌길이 있었고, 다른 한 곳은 숲 한 가운데에 과수원이 자리잡고 있어 사시사철 늘

밖에서 놀 수 있는 곳 이었다. 연구결과 숲에 위치한 탁아소 아이들은 날씨와 상관없이 매일

바깥활동을 하였는데, 고층건물에 둘러싸인 탁아소 아이들보다 운동협응력과 집중력이 높게

나타났다(Grahn, 1997).

이렇듯 주의집중력은 환경과 정서상태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에 정서적 안정감은 주의집

중력 발달에 꼭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위축되고 불안한 정서를 갖고 있는 아동은

무기력 또는 우울감을 느끼고 이러한 경우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는(권은경, 2008) 연구

에서 보듯이, 아동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자연환경 속에서 유아는 정서를 조절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자연

환경 속에서 유아가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며, 주의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은 독일

Gorges(1999)연구와 Häfner(2002)의 연구결과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독일 Gorges(1999)는 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1년동안 학기초, 학기중, 학기말로 3번 나누

어 사례연구를 하였는데, 집중력에 있어 일반유치원에 취원했던 유아들보다 숲유치원에 취원

했던 유아들에게서 매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독일 Häfner(2002)의 초등학교에 취

학한 후 취학전 일반 유치원과 숲유치원을 취원했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종단적 연구에서도

숲유치원에 취원했던 아동들이 일반유치원에 취원하였던 아동들보다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집중력과 몰입하는 능력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한 바와 같이 숲에서 활동은 유아

의 주의집중력과 관련이 있음을 사례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자연에서의 주의집

중력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외국의 논문들은 다 수 있으나, 국내에서 이 방면의 연

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숲이라는 환경 속에서의 행해지는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숲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봄으로

써 유아를 위한 교육의 장소가 실내와 더불어 자연 속에서도 실천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

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문제

이에 이 연구에서 숲이라는 환경 속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Page 5: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53

연구문제 1. 숲에서 활동은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숲에서의 활동을 통한 유아의 주의집중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Ⅱ. 숲의 교육적 의의 및 가치

1. 숲의 교육적 의의

숲이란 ‘수풀의 준말’로 나무와 풀이 우거진 곳으로 풀이된다. 또한 생태학적으로 숲은 ‘수

목이 다수를 점하는 식물과 동물의 자연적인 집합체’로 정의한다. 숲은 영어로는 ‘forest’라고

하는데 라틴어의 ‘forestis’, 즉 사냥터에서 나온 말이다. 이는 숲에 동물이 많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숲은 육지면적의 28%를 차지하는 거대한 생태계로서 온갖 유무형의 구성원이 서

로 교묘히 얽혀 있는 그 자체가 살아 있는 유기체이다. 또 숲은 기후의 조절자로서, 지구의

허파로서 지구환경을 생물이 살아 숨쉴 수 있는 상태로 항상 유지하며 각종 생물의 서식지도

겸하고 있다. 따라서 숲은 단지 인간만을 위한 공간은 아니며 육지 생물의 중요한 생존기반

인 것이다(윤상욱 외, 1998: 13).

숲은 다양한 생명체가 어울려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숲은 생태계의 구성요소로 볼

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의 기본 요소를 완전하게 갖추고 있으며, 이 3가지 구성요소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생태교육의 장으로 대표될 수 있다.

도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오늘날 산림 휴양의 수요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울창한 숲은

풍요롭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며 마음의 안정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숲에서는 피톤

치드(phytoncide)라는 방향성 물질이 발산되기에, 인간에게 해로운 균의 살균작용을 하고, 수

목의 향기와 수액에 포함된 테르펜계 물질은 숲의 치유효과를 가져온다고 한다. 또한 산림을

찾는 휴양객 대부분이 도시 생활에서 오는 피로 회복과 휴식, 도시로부터의 탈피, 혼자의 시

간을 갖는 것 등을 휴양 동기로 밝히고 있어 숲이 우리 인간에게 주는 심리적 및 치유적 가

치는 매우 지대하다 할 것이다(박용구, 2003).

아울러 숲의 다양한 물리적 환경은 피톤치드 못지않게 놀라운 효과가 있다. 숲의 고요함,

자연적인 경관, 숲의 색채 이 모든 것이 숲으로 들어가는 사람의 마음을 치료하고, 숲의 기상,

흐르는 물, 울퉁불퉁하고 가파른 길은 사람의 신체를 치료한다. 숲의 푸른색, 싱그러운 향기,

흙의 감촉, 맑은 물소리와 새소리 등은 사람의 감각 기관을 자극한다. 맑고 푸른색은 시각적

Page 6: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5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으로 청량감을 주고, 크고 넓은 숲의 전경을 바라보면 눈의 피로가 풀리게 된다고 하는데, 이

와 관련하여 숲속에서 동공은 인공 기후 실험실보다 3배나 반응이 컸다고 보고되었다(신원

섭, 1998).

더 나아가 숲이 원초적으로 지니고 있는 문학성, 예술성, 종교적 배경으로 인하여 숲속에

서의 삶의 경험은 인류사에서 훌륭한 문학과 예술의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숲은 천지 만물

의 소재들 중 나무를 예술의 소재로 빈번하게 사용하였음을 전해 내려오는 노랫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즉, 숲과 나무들은 우리 생활과 동떨어져 멀리 있는 것이 아닌 우리민족과 함께

우리 주변에 있어 왔다는 것이다. 특히 음악에 있어 노랫말에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나무

는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한국 사람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로 꺾이지 않는 강인한 절개, 지조,

변함없는 영속성이나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나무이다(전영우, 1997).

이와 같이 우리나라 민족의 삶은 숲과 나무를 중심으로 자연과 늘 함께 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숲에서의 삶이 우리 민족의 숲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앞으로 숲에서의

바람직한 교육이 충분히 펼쳐질 수 있는 정신적, 물리적 환경을 천연적으로 지니고 있어 숲

에서의 유아교육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본다.

2. 숲의 교육적 가치

자연을 대표하는 장소는 바로 숲이며, 자연이란 원래의 순수한 상태로의 존재를 말한다.

일찍이 Comenius는 자연의 원리에 따르는 합자연의 원리, 또는 자연의 질서에 따른 객관

적 자연주의를 강조하였다. 그는 키케로의 말을 인용하여 ‘만일 우리가 자연을 안내자로 삼고

따라간다면 결코 길을 잃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Comenius는 직관의 원리에 기

초하여 감각-실물적 교육방법을 강조하여, 엄격하고 추상적인 주입식 위주의 교육방법이 아

니라, 유아의 자연성 계발에 적합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구체적인 실물과 감각을 통

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Keatinge, 1917).

루소는 에밀 에서 유아교육은 감각적인 체험에 기초한 놀이 중심의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정봉구 역, 1987).

“자연을 관찰하라, 그리고 자연이 여러분들에게 지시해 주는 길을 따르라. 자연은 끊임없

이 어린이들을 훈련시킨다. 자연은 모든 종류의 시련을 가지고 어린이들의 체질을 단련시킨

다. 자연은 일찍부터 어린이들에게 고통과 아픔이 어떤 것인가를 가르쳐 준다.”고 보았다.

Sandhof(1998)는 숲에서의 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숲에 사는 생물체의 연관에 대하여 많

은 지식을 갖게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지식은 단순히 지적인 방법을 통해서 획득된 것이 아

Page 7: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55

니고, 직접적인 체험과 감각적인 경험으로 얻어진 것이기에 더 소중하고 의의가 있다. 즉 유

아들은 숲의 활동을 통하여 숲의 요구를 수용하게 되고, 자연과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규칙

과 경계선이 있음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남효창(2004)은 숲이라는 자연이야말로 아이를 아이답게 길러낼 수 있는 가장 훌륭한 공간

이고, 숲은 우리 내부의 숨겨진 감성을 일깨우고, 생명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며, 온갖 생물을

차등 없이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곳이라고 하였다. 즉 숲은 인간이 오감을 통해 경

험하고 체험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존재하는 가장 훌륭한 장소가 될 수 있다. 숲에서의 체험

교육은 자연 속의 어떤 대상을 인지하고 체험하는 행위로 자연과 인간의 교감은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 따라서 자연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폭넓은 관점에서 인간이 자

연에 다가감으로써 주체들을 연결하는 생태 교육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아교육사조 측면과 숲에서의 활동에서 고찰해 볼 때 교육은 자연과 조화를 이

루는 교육이 되어야 함이 많은 교육사상가들과 숲교육 실천가들에 의하여 강조되어 왔으며,

궁극적으로 인간의 전인적 발달은 자연과의 만남에서부터 원만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교육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유아에게 있어서 숲에서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는 신체적인 적기에 적절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Schetz, 2007). 이 시기의 아이들은 움직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동작활동으로

인하여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오감각을 통한 활동이 뇌의 작용들을 촉진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숲에서 아이들로 하여금 동작활동과 여러 가지 감각을 이용하는 활동을

하게 하는 것은 학교에 가서 또는 평생을 살아가면서 뇌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계기가 된다. 아이들은 자신의 주변의 모든 것들과 상호작용하며 배우게 된다. 숲에서는 인위

적인 놀잇감이 아닌 자연물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아이 상

호간에 주의력을 가지고 매일 새로운 사물을 탐구하고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숲

은 아이들로 하여금 사회성이 발달되도록 이끈다. 특히 어릴 때부터 역할놀이를 통해 후에

어른이 되어서 필요한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숲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이명환, 2007).

숲자체가 교실인 숲유치원에는 완성된 장난감이 없기 때문에 숲에 산재해 있는 자연소재를

창의적으로 가지고 놀면서 자기들끼리 많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 아이들은 단순한 나뭇가지

하나를 소방관의 호수로, 요리를 하는 도구로 쓰기도 하고, 동화책에 나오는 요술봉으로 대치

하거나 혹은 하나의 망치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놀이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창의성과 사

회성발달과 함께 많은 대화를 자연스럽게 나누게 되기에 언어발달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의사소통과 상호교류가 잘 되게 된다.

Page 8: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5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아이들은 직접적인 체험과 감각을 통하여 주변세계를 배우게 된다. 숲유치원은 아이들에게

그들의 모든 감각을 통하여 자연환경을 올바르게 감지할 수 있는 가능성과 능력을 부여한다.

아이는 성인들과는 다른 학습방법으로 배운다. 우선 아이들은 그들 자신이 질문을 던지고, 어

떤 사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대상 사물을 보고, 만져보고, 냄새맡고, 듣고, 맛보고 그리고

직접 온 몸으로 체험해 보아야 하는데, 이는 호기심, 자발적 행위, 실험에 관한 흥미가 아이의

내면세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Seitz, 1996).

둘째, 아이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것은 ‘더러움’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Schetz, 2007). 여

기서의 더러움은 일반적인 더러움이 아닌 자연을 통한 더러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면역기능이 있어서 더러움에 반응할 수 있는 방어기제가 만들어진다. 화학적인 더러움은 아

이들의 신체를 상하게 하지만, 숲에 있는 자연적인 더러움들은 이미 수천 년 동안 인류와 함

께 하였기에 인간의 면역에 위해적인 요소들이 아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어릴때부터 이러한

면역에 적응하지 못한 도시의 아이들은 알레르기를 갖게 된다고 하였다. 독일의 많은 아이들

도 알레르기를 갖고 있는데, Schetz 박사가 1960년에 연구할 당시 독일의 3%의 어린이가 알

레르기를 갖고 있었으나, 지금은 30%에 해당하는 어린이들이 알레르기로 고통을 당하고 있

다고 하였다.

셋째, 아이들에게 사회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성의 발달과정은 중단되거나 방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 특히 어릴 때부터 역할놀이를 통해 후에 어른이 되어서 필요한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숲에서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넓게 펼쳐진 자유스런 공간은 유아의 공격성이 누적되지 못하게 하며, 움직임의 욕구를 충

분히 해결해 준다. 그룹의 크기가 작아 유아들간에 상호작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유아들

서로가 가깝게 바라보며, 접촉하며 활동할 수 있어 공동의 연대감을 결속시킬 수 있다. 이는

그룹에서 생기는 일에 대하여 책임감을 느끼고 그룹을 위하여 활동하도록 이끌게 되기 때문

이다. 또한 숲유치원에서의 “규칙이해”를 들 수 있다. 숲유치원에서 요구하는 규칙은 유아들

의 직접체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에 애매하지 않고 명백하다. 교사는 지켜질 규칙에 관

하여 유아에게 이해가 가도록 설명하고, 그 규칙의 필요성을 알게 해 준다. 숲에서 행해질 사

회적 행동규범을 유아에게 가르칠 때 단지 “그 아이”가 아니라 “그룹 속의 그 아이”라는 개

념에서 출발한다(Unterberg, 1998). 숲이 주는 자극으로 인한 또래와의 빈번한 대화와 자연

소재물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활동 등을 통해 일반유치원 보다 언어적 상호작용이 더 많이

촉진된다(Bickel, 2001).

넷째, 앞으로 아이들이 살아가는 세상은 각자의 천성대로 살아가야 되는 세계가 더더욱 요

구되기에 아이들의 개성 신장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이들 또한 숲에서 부딪히는 여러

Page 9: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57

문제 상황들을 바르게 인식하고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아이

들은 숲에서 자연체험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난관을 극복하는 방법을 몸소 피부

로 느껴가며 자연스럽게 획득하게 된다. 숲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은 아이들로 하여금 자립심

을 갖게 하고, 정서적 안정 속에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도록 이끈다. 이는 후에 성인이 되

어서 사회생활을 할 때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밑거름이 된다.

유아들은 근본적으로 감각과 운동적 조작을 통해 세상을 배운다. 따라서 유아의 감각을 자

극하고 운동적 조작이 가장 적절한 곳은 바로 자연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자연 환경은

유아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숲의 넓은 공간에서 다양한 움직임

을 통하여 아이들은 매일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 아이들은 숲에서 평지와는 달리 고르

지 못한 길을 걷기도 하고, 경사진 언덕을 오르내리거나, 쓰러져 있는 나무 위를 걸으면서 균

형을 잡는 방법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숲의 다양성은 계속되는 동작활동으로 이어지게 되며 “아이들의 존재란 움직이

는 존재” 라는 말과 같이 아이들의 진정한 존재의 의미를 우리는 숲에서 찾게 된다.

이명환(2003)에 의하면 숲에서 체험 교육을 통해 유아는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스러운 관계

를 배우게 되며, 유아의 신체와 정신을 전인적으로 성장 발달 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자

연 속에서 놀이를 중심으로 하는 체험활동을 하면서 유아는 모든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구

성하며 전인적인 성장 발달을 할 수 있기에 ‘자연은 교육의 원천’이라고 밝히고 있다.

숲에서의 체험 교육은 자연 현장에서 놀이나 이야기, 모험과 실험을 통해 자연과 직접 만

나는 생동감 있는 교육이다. 유아들은 직접 체험함으로 자연을 이해하고, 사랑하며 자연에 동

화되어간다. 그리고 무엇인가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익히게 되고, 아

울러 창의력과 감성이 키워진다. 유아가 자연 체험을 통해 얻은 생생한 기억력과 창의력은

자연과 인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그 안에 존재하는 인간의 자의식을 고

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생태 교육의 총체적인 장인 숲에서의 체험교육은 자연과 인간의 유기

적인 관계를 알게 해준다(Schede, 2000).

숲에서의 자연 체험은 지적능력을 키우는 지식 전달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그보다 가

치 있는 것, 즉 어린이들 자신이 하나의 생명체로서 자연 환경과 함께 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감성’을 일깨울 수 있다. 자연 안에서 동식물을 감지하기 위해서 유아들은 모든 감각 기

능을 사용해야 한다. 단지 나무의 모양이나 나뭇잎의 특징을 아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나무의 고유한 냄새, 바람에 나부끼는 나뭇잎의 소리, 나무와 다른 식물의 관계, 나무와 토

양의 관계, 나무와 동물의 관계 등을 느끼고 체험하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이 숲에서의 교육과 아이들의 특성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숲이라는 공간은 아이

Page 10: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5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들로 하여금 순수한 유아로서 생활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주며, 아이들이 자유롭게 움직

일 수 있는 공간, 마음껏 웃고, 울고, 춤추고, 꿈꿀 수 있는 공간이 무한대로 펼쳐져 있다. 이

러한 공간 속의 매일의 숲 속 교육활동은 유아에게 있어 실제로 흥미 있고 박진감 넘치는 모

험생활이 되며, 활기찬 아이들의 본연의 모습대로 성장․발달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Ⅲ. 주의집중력

1. 주의집중력의 개념

주의집중력이란 무수한 내․외적인 경쟁 자극 중에서 적절한 자극을 선택, 수용하고 그것

에 의식을 집중하는 인지활동능력을 말한다. 어떤 과제에서 성공하려면 필요한 자극을 적절

히 선택하고 이를 수용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인 주의집중력이 필요하다. 최근

에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증세를 보이는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아동들

은 지속적인 집중력 곤란과 충동 억제 어려움의 특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학습장애

및 또래집단 내의 부적응, 정서 불안 상태에 이르게 하는 등의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강위

영․정대영, 2001).

Keelle 와 Neil(1987)은 주의집중력을 세 가지 범주로 개념화 하였다. 첫째, 주의집중력은

정보의 선택적 입수(Selective intake)과정으로 정보처리 기제의 제한된 처리 용량 때문에 감

각기억과 반응결정 단계에서 여과장치의 기능을 한다고 하였다. 둘째, 주의집중력은 부호 통

합 또는 부호 특성 통합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셋째, 주의집중력은 제한된 용량의 특

정 정보처리 단계가 아니라 기억에 접근하는 정보의 흐름을 조정하고 예상하는 정보에 대하

여 수용의 자세를 갖도록 하는 통제과정이라 하였다.

주의집중력의 요소는 자기 통제력,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

다. 자기 통제력은 가장 상위의 개념으로 집중에 방해가 되는 여러 다른 자극들을 통제하고

피하게 만들며 일정한 시간 동안 과제를 해결해야할 때 정확성과 속도와의 딜레마 속에서 어

떻게 효율적으로 과제를 수행해내느냐 하는 것과 관계된 요소이다. 선택적 주의력은 필요한

자극에 대해 방향을 정하여 주어진 시간 안에 얼마나 많은 과제를 해결하였는가와 관계된 요

소이다 지속적 주의력은 시간이 지나도 특정한 자극에 대해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

다. 이 요소는 통합적 능력과 관계하고 각성, 그리고 활성력과 같은 뇌 에너지의 활성수준과

Page 11: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59

관련이 있다(김정권, 1994).

주의집중력에 관한 다양한 개념과 정의를 정리해보면, 주의집중력은 자극에 집중하여 필요

한 자극을 선택, 수용하고 이러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신적인 힘으로서 심리

적 기능에 중요한 영항을 미치며 많은 활동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2.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매우 다양하다.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력은 지능과 언어발달, 학습경험 등의 인지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능이 높거나 습득한 어휘가 많을수록, 또는 학습경험이 풍부할수록 뇌가 정보를 원활히 수

집, 저장, 인출할 수 있는 능력인 정보처리능력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주의집중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한국집중력센터 www.ikcc.co.kr).

둘째, 주의집중력은 정서 상태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정서적 안정감과 자신감은 주의

집중력 발달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위축되고 불안한 정서를 갖고있는 아동은 무기력 또는 우

울함을 느끼기 쉽고 이러한 경우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 무기력증이나 우울증에 빠진

아동은 몸은 잘 움직이려 하지 않거나 어떤 일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학습 상황에서도

금방 힘들어하고 멍하거나 기운이 없다. 집중은 상당한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정신활동이기 때문에 우울하고 무기력한 아동은 주의집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유경임,

2006). 따라서 어른들로부터 야단을 자주 맞는 경우 가까운 사람들과의 헤어짐, 친구로부터의

따돌림, 가족 불화 등은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인간은 관

심이 있거나 자신이 잘 하는 일에 대해서는 흥미를 갖고 오랜 시간 집중하기 마련이다. 따라

서 칭찬과 격려를 통하여 동기를 제공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길러주는 것은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셋째, 행동적인 측면에서 신체 건강, 생활 습관과 자세, 물리적 환경이 주의집중력에 영향

을 미친다. 신체 건강상의 문제가 있거나 피로하면 주의집중력이 방해를 받는다. 또한 피로하

거나 건강하지 못하면 몸이 나른하고 모든 일이 귀찮아지며 의욕과 집중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휴식으로 피로를 회복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것 또한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잘 갖춰진 생활 습관과 자세, 주변의 물리적 환경도 주의집중에 큰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이다.

Page 12: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6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Ⅳ.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숲유치원과 숲그룹유치원, H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4, 5세반 유아 84명의 유아들이다. 연구 대상 중 숲유치원 유아 22명, 숲그룹유치원 유아 24

명, H유치원 유아 38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4월 1일부터 2011년 2월

10일까지였다. 연구대상 유아들의 평균연령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집단의 남․녀 별 평균 월령

구 분 사 례 수 평 균 월 령

숲유치원

(매일반)

만 4세 11 56

만 5세 11 69.8

전 체 22

숲그룹유치원

만 4세 12 56.3

만 5세 12 69.2

전 체 24

H유치원

만 4세 19 56.2

만 5세 19 68.6

전 체 38

2. 연구환경

연구의 대상인 숲유치원은 매일반 형태로 유아들이 매일(주5일) 숲으로 와서 아침모임, 대

집단활동(이야기나누기, 새노래, 동시, 게임 등), 간식, 자유놀이, 정리정돈, 동화 및 귀가의 하

루일과가 진행되었다. 숲유치원은 숲 입구에 악천후에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가 마련되어 있

기는 하나 숲에는 완성된 건물이 없어 실내에서의 활동을 그대로 숲으로 옮겨 활동을 하고

있다.

숲그룹유치원은 주2~3회 숲으로 와서 아침모임, 대집단활동, 간식, 자유놀이, 동화 등의 활

동이 진행되었다. 숲그룹유치원은 실외에 정원과 텃밭을 가꾸고 있으며, 유치원 주변이 바로

숲으로 연결되어 있어 숲에서 활동을 진행하지 않는 날에는 반드시 1시간씩 숲주변을 산책하

Page 13: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61

거나 바깥놀이를 하였다.

H유치원은 대집단활동 및 자유놀이를 실내에서 진행을 하였다. H유치원은 아파트 단지내

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지 내 공원이 마련되어 있어 매일 20분씩 산책을 하였다. 또한 인근 주

변의 산으로 1달에 1회 숲으로 산책을 하였다.

3. 연구도구

이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의 주의집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연주․조복희(2001)가 유아

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 관계연구에서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Corbett(1998)의 Mr. CUCUI

를 사용하였다. Mr. CUCUI는 1974년 Stephen Diaz가 개발한 것으로 내적 일치성 신뢰도로

계산된 신뢰도 계수(α)가 .86으로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 Mr. CUCUI는 사람 모습의 형태

를 11부분으로 나누고 몸의 한 부분에서부터 다섯 부분까지 임의의 위치에 7가지 색 중 서로

다른 색을 칠한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는 색이 칠해진 Mr. CUCUI를 각 유아에게 5초

동안 보여준 후 가린 다음, 색이 칠해지지 않은 Mr. CUCUI를 주고 색이 칠해져 있던 해당

부분에 동그라미를 그리게 한 후 맞춘 부분의 수로 평가한다.

즉, 사용된 Mr. CUCUI 카드는 총 20장으로 1가지 색이 1곳에 색칠해진 카드 5장, 2가지

색이 색칠해진 카드 5장, 3곳에 색칠해진 카드 5장, 4가진 색이 색칠해진 카드 5장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색깔은 유아들이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빨강, 노랑, 파랑, 초록 4가지 색으로 제한

되어 있다. 유아가 맞춘 부분은 1점씩 점수화 하여 총점을 50점으로 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주의집중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4. 연구절차

이 연구에서는 숲에서의 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 4월에 사전검사를 진행하였으며, 2011년 2월 초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는 검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사방법에 대한 교사교육을 실시한 후 2명의 교사

가 3일 동안 숲유치원과 숲그룹유치원, H유치원의 유아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채점은

연구자가 직접 담당하여 실행하였다.

Page 14: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6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Ⅴ. 결과 및 해석

1. 숲에서 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 이전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있어 숲유치원과 숲그룹유치원인 실험집단과 비

교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2> 실험 전 집단에 따른 주의집중력 평균점수의 차이검증

집 단 평 균(M) 표준편차(SD) F

숲유치원 (n=22) 30.95 7.63

2.87숲 그 룹 (n=24) 30.25 6.63

H유치원 (n=38) 27.24 5.56

표 2에서 실험 전 집단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0.95(표준편차 7.63), 숲그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0.25(표준편차 6.63),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27.24(표준편차 5.56)의 순이다. 이 세 집단의 평균점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한 결과 F=2.87, p>.05로

나타나 세 집단의 평균점수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 세 집단은 동질

집단으로 볼 수 있다.

2) 사후검사

숲에서의 교육 이후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있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3> 실험 후 집단에 따른 주의집중력 평균점수의 차이검증

집 단 평 균(M) 표준편차(SD) F

숲유치원 (n=22) 39.50 6.38

13.56***

숲 그 룹 (n=24) 38.08 5.95

H유치원 (n=38) 32.32 5.15

***p<.001

Page 15: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63

표 3에서 실험 후 집단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9.50(표준편차 6.38)로 가장 높으며, 숲그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8.08

(표준편차 5.95),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2.32(표준편차 5.15)의 순이다. 이

세 집단의 평균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한 결

과 F=13.56, p<.001로 나타나 세 집단의 평균점수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 이 세 집단의 평균점수에 대한 사후검증인 쉐페검증을 실시하였다. 쉐페검증 결과는 표 4

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4> 세 집단간 쉐페검증 결과

집 단 숲유치원(실험집단)

숲그룹(실험집단)

H유치원(비교집단)

숲유치원 실험집단 1.41(p=.704) 7.18 (p=.000)

숲그룹 실험집단 5.77 (p=.001)

H유치원 비교집단

사후검증결과 숲유치원과 숲그룹의 점수차이는 1.41이였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는 않았다. 그러나 숲유치원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는 7.18로 가장 크게 차이가 났으며, 숲그

룹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도 5.77 로 나타났다. 이 두 점수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나, 숲에서의 교육은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2. 숲에서의 활동이 유아 연령에 따른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1) 사전검사

숲에서의 교육 이전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있어 연령에 따라 숲유치원과 숲그룹유치원인 실

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F-검증)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다.

Page 16: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6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표 5> 실험 전 집단의 연령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평균점수의 차이검증

집 단 평 균(M) 표준편차(SD) F

만5세

숲유치원 (n=11) 33.91 7.92

2.41숲 그 룹 (n=12) 33.25 4.45

H유치원 (n=19) 30.00 3.59

만4세

숲유치원 (n=11) 28.00 6.36

1.29숲 그 룹 (n=12) 27.25 7.24

H유치원 (n=19) 24.47 5.81

표 5에서 실험 전 연령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3.91(표준편차 7.92)로 가장 높으며, 숲그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

점수는 33.25(표준편차 4.45)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0.00(표준편차 3059)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F= 2.41(p>.05)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

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28.00(표준편차 6.36)로 가장 높으며, 숲그

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27.25(표준편차 7.24),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

수는 24,47(표준편차 5,81)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F= 1.29, p>.05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후검사

숲유치원에서의 교육 이후 주의집중력에 대하여 연령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

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6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6> 실험 후 집단의 연령에 따른 주의집중력의 평균점수의 차이검증

집 단 평 균(M) 표준편차(SD) F

만5세

숲유치원 (n=11) 42.73 4.73

13.30***숲 그 룹 (n=12) 41.42 3.45

H유치원 (n=19) 34.74 5.13

만4세

숲유치원 (n=11) 36.27 6.34

5.96**숲 그 룹 (n=12) 34.75 6.15

H유치원 (n=19) 29.89 3.98

***p<.001,

**p<.01

Page 17: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65

표 6에서 실험 후 연령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42.73(표준편차 4.73)로 가장 높으며, 숲그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

점수는 41.42(표준편차 3.45)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4.74(표준편차 5.1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F= 13.30, p<.00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

아의 경우 숲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6.27(표준편차 6.34)로 가장 높으며, 숲그

룹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는 34.75(표준편차 6.15) H유치원 유아의 주의집중력 평균점수

는 29.89(표준편차 3.98)의 순이다. F= 5.96, p<.01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세 집단의 평균점수에 대한 사후검증인 쉐페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표 7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7> 세 집단간 쉐페검증 결과

집 단

만 4 세 만 5 세

숲유치원(실험집단)

숲그룹(실험집단)

H유치원(비교집단)

숲유치원(실험집단)

숲그룹(실험집단)

H유치원(비교집단)

만4세

숲 유 치 원실 험 집 단

1.52(p=.079)

6.38(p=.012)

숲 그 룹실 험 집 단

4.86(p=.058)

H 유 치 원비 교 집 단

만5세

숲 유 치 원실 험 집 단

1.31(p=.794)

7.99(p=.000)

숲 그 룹실 험 집 단

6.68(p=.001)

H 유 치 원비 교 집 단

사후검증결과 만4세아의 경우 숲유치원과 숲그룹의 점수차이는 1.52이였으나 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숲그룹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도 4.86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숲유치원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는 6.38로 가장 많은 차이가 났으며,

통계적(p〈.05)으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으로 매일 오는 유아의 경우 주의집중력

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만5세아의 경우 숲유치원과 숲그룹의 점수차이는 1.31이였으

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숲유치원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는 7.99로

가장 크게 차이가 났으며, 숲그룹과 H유치원의 점수차이도 6.68 로 나타났다. 이 두 점수차이

Page 18: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6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숲에서의 교육은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숲에서 유아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하기에 지루해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집중하여

놀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연은 늘 있던 자리에 존재하기에 어제 만났던 자연을 오늘도

만날 수 있다. 자연 속에서 유아들은 자연 자체에 익숙해지기 시작하면서 주변을 살피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었다. Dewey는 경험의 원리 중 ‘계속성의 원리’를 주장하면서 이전의 경험과 현

재의 경험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성을 가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속적인 경험은 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은 교육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유아들은 숲

을 이동하면서 자연에 익숙해지면서 자연을 만나게 되는 경험을 갖게 되고, 이러한 경험은 유

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자연스럽게 이를 만져보는 등의 탐색활동을 계속하여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다. 탐색이 시작되면서 아이들에게 있어 숲은 이제 단지 그 곳에 있는 막연한 대상이

아니라 관찰할 대상이 되어 볼거리가 풍부해지고 집중하여 놀이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으

며, 숲에 와서 아이들은 이제 편안하고 안정감을 갖고 집중하여 활동하게 되었다.

Ⅵ. 결 론

이 연구는 숲이라는 환경속에서 매일반 형식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 전형적인 숲유치원과,

일주일에 2회 숲에서 활동하는 숲그룹유치원, 그리고 숲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반유치원을

대상으로 숲교육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의 교육이 일반유치원의 실내에서의 교육보다 유아의 집중력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만5세아의 경우 숲에서 활동하는 유아의 주의집중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만4세아의 경우에도 매일 숲에서 활동하는 숲유치원의 유아에게서 주의집중

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지 1주일에 2회에 결쳐 숲에서 활동을 하더라도 숲교육을 실시

하지 않는 일반유치원의 유아보다는 주의집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에 앞으로 일반유치

원에서도 최소 1주일에 2회 정도는 숲에서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는 것을 시사하

고 있다.

또한, 숲에서 아이들은 자연에 대해 관심과 호기심을 갖고 자연물을 탐색하고 경험할 것들

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풍부한 자연속에서 아이들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으며, 학습경험이 풍부해졌을 뿐 아니라 경험한 것은 대부분 직접 보고, 만지고,

Page 19: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67

느낄 수 있는 체험교육이었기에 아이들은 체험한 것에 대해 언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에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숲에서 아이들은 매일 산행을 하기에 하체근력이 강화가 되어

신체가 건강해졌다. 이러한 정서적 안정감, 언어표현력의 발달, 신체적 건강 등은 유아의 주

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숲활동을 매일 실시하는 숲유치원에서의 현장관찰과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자료

를 통하여서도 유아가 숲에서 활동을 할 때, 숲 속의 정적함을 통하여 내면의 정서적 안정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사물을 집중하여 관찰할 수 있고, 놀이와 작업을 함에 있어 자연스럽게

집중력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들의 집중력 촉진 내지 향상을 위해서,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예방하거나 치유하는 차원에서도 숲에서의 활동이 일반유

치원이나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숲의 교육적인 효과부분인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친 영향만을 살펴보았으나,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측면에서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언어발달 등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연구

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숲이라는 장소에서 교육이 진행되기에 적절한 물리적인 환경과

교사교육도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숲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교실과는 다르게 넓게 열려 있

는, 온갖 자연물이 내재되어 있는 무한한 공간이기에 유아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는 많은 교사 수가 요구된다. 또한 숲이라는 장소는 많은 등산객들도 사용하는 장소이기에,

유아가 탐구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배타적인 장소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숲에서의 교육이 제대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지역산림청이나 공원관리소에서 관심을 갖고 유

아들이 교육장소로 마음놓고 숲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까지 유아를 위한 숲에서의 교육을 실천하면서, 공간적인 제약과 더불어 유아의 체력

과 관련하여 시간적인 제약도 함께 수반됨을 알 수 있었다. 숲유치원의 경우 하루에 4시간 정

도 오전에만 교육이 이루어지기에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른 연장교육이나, 종일교육은 전혀

진행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 등의 경우 숲의 교육적 효과는 이해하나, 실제로

숲유치원을 보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반유아교육기관에서 오전에 숲에서 활동을

하고, 오후 다시 유아교육기관으로 돌아가 오후 활동을 연계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숲그룹유

치원이 활성화 되는 것이 숲유치원 활성화의 바람직한 한 방안이라고 사려된다.

Page 20: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6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참고문헌

강위영․정대영(1996). 주의력결함 과잉행동 아동지도. 서울: 국립특수교육원.

권은경(2008). 만다라그리기가 중학생의 주의집중력과의 상관관계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진(2003). 학습상담연구. 서울: 양서원.

김은숙(2010).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정권(1994). 특수학교경영핸드북. 서울: 형설출판사.

김지연(2007). 명상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정서안정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효창(2004).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청림출판.

류문화(1996). 자기교시훈련이 주의집중결함 과잉행동 아동의 문제행동수정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용구(2003). 삼림욕과 건강. 나무․숲․사람.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 대학.

신원섭(1998). 도시 사회에 있어서 숲의 의미와 가치. 산림, 285, 57-63.

안정현(2003).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경임(2006).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윤상욱․이인순․윤화영․심재욱(1998). 숲과 환경과 인간. 서울: 문음사.

이숙희. 가정환경과 아동의 주의집중력 발달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환(2003). 독일의 숲유치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23-48.

(2007). 자연 친화적 유아교육의 모델 독일의 숲유치원. 서울: 교육아카데미.

전영우(1997). 노랫말에 나타난 한국인의 수목관. 김기원편. 숲과 음악. 서울: 수문출판사.

오연주․조복희(2001), 유아의 주의집중과 운동능력 관계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2(1).

19-32.

Bickel, K.(2001). Der Waldkindergarten, ohne Ort: Norden Media,11-68.

Brown, E. G., Laird, R. D., Pettit,G. S., Mize, j., and Lindsey, E. (1994). Mother-child

conversation about peers: Contributions to competence. Family Relation, 43, 425-432.

Buck, R (1984).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New york: Guilford.

Corbett, K. (1998). Motor development and attentional capacity in the young child: A

Page 21: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169

neo-Piagetian Perspective. Chair: Steven Pulos.

Freud, M. (1998). Ein Männlein spielt im Walde, in : Arbeitsgemeinschaft Natur-und

Umweltbildung, a.a.O., 90-94.

Gorges, R. (2002): Waldkindergartenkinder im ersten Schuljahr–eine empirische

Untersuchung.

Grahn, P. (1997). Ute pa Dagis. Stad&Land, Nr. 145 (Outdoor daycare. City and country),

Hasselholm, Sweden.

Häfner, P. (2002). Natur-und Waldkindergärten in Deutschland-eine Alternative zum

Regelkindergarten in der vorschulischen Erziehung, Dissertation an der Universität

Heidelberg.

Kaplan, R. Kaplan, S. & Ryan, L. (1998). With People in Mind: Design and Management

for Everyday Nature(Washington, D.C., Island Press).

Keatinge, M. W.(1917). The Great Didactic London : Part Z. A., & c. Black Ltd.

Keele, S.W., & Neil, W.T. (1978). Mechanisms of attention. In E. C. Carterette, & M.P.

Friendman(Eds.). Handbook of Perception(Vol. 9), New York : Academic Press.

Louv, R. (2005). Last Child in the woods. New York.

Rousseau J. J.(1762). 에밀. (정봉구 역). 서울: 범우사.

Sandhof, K. (1998). Mit Kinder in der Welt, Ökotopia Verlag, Münster, 17-22.

Schede, H-G. (2000). Der Waldkindergarten auf einen Blick, München : Kösel Verlag,

7-77.

Schetz(2007). 2007년 유럽유아교육기관 탐방 연수자료.

Seitz, M., & Hallwachs, U. (1996). Montessori oder Waldorf, Kösel, München, 96-98.

Unterberg, P. (1998). Der Waldkindergarten aus der Sicht einer Mutter, in :

Arbeitsgemeinschaft Natur-und Umweltbildung, a.a.O., 24-45.

Zimmer, R. (1995). Leben braucht Bewegung-Förderung der ganzheitlichen Entwicklung

한국집중력센터 www.ikcc.co.kr

Page 22: 이 명 환 김 은 숙이 명 환** ․ 김 은 숙*** $%&'( )* + , $%& -. /0 1 23 , $%& 4,05 6 789:(;'( )* 2"< = >$? @ABCDE F@ABC 5GHIJ"#4,0KL"#MNMOP$?"#7Q3 R $%&'( S TSU'V

17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Abstract

The Effects of Forest Education on Children's Attentiveness

Myung-Hwan Lee ․ Eun-Sug Kim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rest education affects children's attentiveness by comparing

three groups of children: children in a forest-kindergarten who meet in a forest everyday,

children in a forest-group who experience a forest twice a week, and children in H

kindergarten who do not experience a forest education at all. The pre-test on the children's

attentiveness revealed that, before the experi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also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After education in a forest, a test measuring the children's attentiveness was conducted. An

one-way ANOVA (F-test) revealed that the forest-kindergarten children achieved the highest

average score for attentiveness level (39.50), followed by the forest-group children (38.08),

which in turn, was followed by the children in the H kindergarten (32.32).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education in a forest affected the children's

attentiveness.

The results by age were as follows: for children of age 5, the average scores of

attentiveness were 42.73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41.42 (forest group children), and 34.74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children of age 4, the average scores were 36.27 (forest

kindergarten children), 34.75 (forest group children), 29.89 (children in H kindergarten). For

both ag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education in a forest promotes children's attentiveness as well as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that play and activity in a forest naturally enhance children's ability to

pay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