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 1 - 아시아금융학회·포럼4.0 공동 주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한강의 기적” 경제개발 5개년 계획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2012년 11월 14일 미래 한국경제의 전망과 새로운 발전모형 이 현 훈 (강원대학교) 1. 들어가며 2. 내부환경의 변화 3. 외부환경의 변화 4. 지속가능발전 전략 I: 포용성장 5. 지속가능발전 전략 II: 녹색성장 6. 맺음말 연락처: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교수, 아태협력아카데미 원장 전화: 010-5371-6186; Email: [email protected] - 2 - 요약문 우리나라는 1962년 처음 경제개발5개년 계획을 추진한 이후, 1997년 외화위기가 발생할 때까지 매우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전반적인 사회적 후생수준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외환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 전 세계적인 글로벌화, IT 기술혁명에 따라 사회적 불평 등은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왔다. 한편으론 중진국 소득수준에 접어들면서 경제성장률은 지 속적으로 감소되어 왔는데 앞으로 고령화가 급속히 지속됨에 따라 성장잠재력은 더욱 더 약 화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에너지 및 자원 집약적인 산업구조로 인하여 환경의 지속가능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발전 모형이 필요하다. 이는 성장잠재력을 강화시키는 한 편, 사회적 불평등을 축소시키고,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전 계층의 삶의 만족도 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성장, 사회적 발전,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각각 독립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이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하는 포용성장(Inclusive Growth)과 경제성장과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윈윈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성장(Green Growth)을 두개의 성장전략 축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 모형이어야 한다. 포용성장 전략은 교육 및 고용기회의 형평성을 크게 높이고 생산적 복지를 강화함으로써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의 시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녹색성장 전략은 생산부문뿐만 아니라 소비부 문에서 생태효율성(Eco-efficiency)를 높일 수 있는 녹색세제(Green tax) 개혁, 환경 비친화 적인 보조금 감축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환경관련 산업의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 -

아시아금융학회·포럼4.0 공동 주최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한강의 기적” 경제개발 5개년

계획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2012년 11월 14일

미래 한국경제의 전망과 새로운 발전모형

이 현 훈

(강원대학교)

목 차

1. 들어가며

2. 내부환경의 변화

3. 외부환경의 변화

4. 지속가능발전 전략 I: 포용성장

5. 지속가능발전 전략 II: 녹색성장

6. 맺음말

연락처: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교수, 아태협력아카데미 원장

전화: 010-5371-6186; Email: [email protected]

- 2 -

요약문

우리나라는 1962년 처음 경제개발5개년 계획을 추진한 이후, 1997년 외화위기가 발생할

때까지 매우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전반적인 사회적 후생수준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외환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 전 세계적인 글로벌화, IT 기술혁명에 따라 사회적 불평

등은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왔다. 한편으론 중진국 소득수준에 접어들면서 경제성장률은 지

속적으로 감소되어 왔는데 앞으로 고령화가 급속히 지속됨에 따라 성장잠재력은 더욱 더 약

화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에너지 및 자원 집약적인 산업구조로 인하여 환경의 지속가능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발전 모형이 필요하다. 이는 성장잠재력을 강화시키는 한

편, 사회적 불평등을 축소시키고,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전 계층의 삶의 만족도

를 증대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성장, 사회적 발전,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각각 독립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이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하는 포용성장(Inclusive

Growth)과 경제성장과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윈윈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성장(Green

Growth)을 두개의 성장전략 축으로 하는 지속가능발전 모형이어야 한다. 포용성장 전략은

교육 및 고용기회의 형평성을 크게 높이고 생산적 복지를 강화함으로써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의 시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녹색성장 전략은 생산부문뿐만 아니라 소비부

문에서 생태효율성(Eco-efficiency)를 높일 수 있는 녹색세제(Green tax) 개혁, 환경 비친화

적인 보조금 감축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환경관련 산업의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

Page 2: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3 -

1. 들어가며

1.1.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현재까지의 경제발전모형 비교

1.2. 행복이란 무엇인가?

- 전통적 자본주의 경제학적 시각: 물질의 소비량이 커지면 행복도 커진다.

è 즉, "경제성장만이 행복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과연 그런가?

è 일인당 국민소득: $ 89 (1962) è $ 22,424 (2011)

è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예전에 더 살기 좋았다고 하는가?

è 자살률 증가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즉, 풍요로운 물질 소비가 행복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1.3. 새로운 성장의 패러다임?

- 김대중정부 - 생산적 복지

- 노무현정부 - 참여복지

- 이명박정부 – 녹색성장(2008년), 동반성장 (2010년), 공생발전(2011년)

- 차기 정부 – 경제민주화????

- 4 -

2. 내부환경의 변화

2.1. 성장잠재력 약화

- 외환위기 발발 이후 실질경제성장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음.

Page 3: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5 -

출처: OECD (2012), 한국경제보고서, 한국어판.

- 이러한 성장잠재력 둔화는 선진국형 경제로 진입함에 따른 자연적 현상이나, 경제환경에

따라 국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향후 인구고령화가 더욱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성장잠재력은 더욱 약화될 전망임

- 6 -

(1) (2) (3) (4)Total population (log) -0.350*** -0.203*** -0.430*** -0.217***

(0.030) (0.018) (0.044) (0.023)

Youth age share (% of total) -0.014*** -0.014***

(0.003) (0.003)

Old age share (% of total) -0.017*** -0.031***

(0.006) (0.007)

Youth age share (log, % of total) -0.508*** -0.488***

(0.106) (0.114)

Old age share (log, % of total) -0.106* -0.229***

(0.055) (0.064)

GDP per capita in the previous period (log) -0.444*** -0.463*** -0.348*** -0.371***

(0.034) (0.034) (0.032) (0.033)

Gross capital formation (% of GDP) 0.009*** 0.010*** 0.012*** 0.012***

(0.001) (0.001) (0.002) (0.002)

Average schooling years in the total population 0.014** 0.014** 0.031*** 0.030***

(0.007) (0.007) (0.008) (0.007)

Openness (total trade divided by GDP) 0.001*** 0.001*** 0.001*** 0.001***

(0.000) (0.000) (0.000) (0.000)

Landlocked dummy -0.476*** -0.449*** -0.318*** -0.256***

(0.042) (0.038) (0.041) (0.038)

Cruide oil producing country dummy 0.332*** 0.182*** 0.380*** 0.126***

(0.051) (0.044) (0.059) (0.043)

Air distance to big cities (log) -0.230*** -0.187*** -0.202*** -0.146***

(0.022) (0.019) (0.022) (0.018)

Colony dummy -0.168*** -0.139*** -0.091*** -0.085**

(0.036) (0.034) (0.035) (0.034)

East Asia dummy 0.186*** 0.070* 0.217*** 0.036

(0.038) (0.037) (0.039) (0.036)

Residuals 1.000*** 1.000*** 1.000*** 1.000***

(0.084) (0.079) (0.101) (0.097)

Constant 11.747*** 10.572*** 12.002*** 9.742***

(0.893) (0.881) (1.062) (0.943)

Number of observations 278 278 220 220

R2 0.724 0.723 0.741 0.735

Notes: 1. All estimates include year dummies, but they are not reported for brevity. 2. Shown in parentheses are t-statistics. 3. ***, **, and * denote one, five, and ten percent level of significance, respectively, for a two-tailed test.

All sample Without African countries

- 참고: 이현훈 외(2008), Huh, Lee, and Lee(2012)은 세계 7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한 패

널 분석에서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비중이 증가하게 되면 경제성장이 감소하는 소위 인

구부담(demographic burden)을 확인.

Table 4.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on GDP Growth: XTFEVD Model

출처: Huh, Hyeon-seung, Hyun-Hoon Lee, Young-Youn Lee (2012),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Economic Growth: A Panel Analysis”, mimeo.

Page 4: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7 -

출처: OECD (2012), 한국경제보고서, 한국어판.

2.2. 사회적 불평등의 확대

-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평등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음.

- 8 -

Page 5: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9 -

2.3. 환경의 지속가능성 위협 확대

- 한국의 일인당 생태용량(biocapacity)에 비하여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는 급속도

록 증가해 오면서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세계에서 1인당 생태적자(ecological deficit)가

가장 큰 나라 중 하나임.

- 일본의 일인당 생태발자국은 70년대 이후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계

속해서 증가 중임.

- 10 -

2.4. 삶의 만족도 감소와 사회적 불만 증대

- 삶의 만족도가 감소하면서 자살자 수는 매년 증가하여, 2009년 현재 인구 10만명 당 31

명이 자살하여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음.

- 아울러 사회적 불만이 증대하면서 범죄 발생건수와 살인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임.

- 이로써 삶의 만족도는 일인당 소득수준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

Page 6: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1 -

-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지수는 높은 수준이 아님.

- 12 -

순위 1870년 2011년 2050년

1 중국 미국 중국

2 인도 중국 미국

3 영국 일본 인도

4 미국 독일 일본

5 러시아 프랑스 브라질

6 독일 브라질 러시아

7 프랑스 영국 영국

8 이태리 이태리 독일

9 일본 러시아 프랑스

10 스페인 인도 이태리

출처: 1870년은 Wikipedia, 2011년은 World

Bank's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50년은

Goldman Sachs 예측

세계 10대 경제 대국

3. 외부 환경의 변화

3.1. 세계화와 지역화의 가속화

- 전 세계는 더욱 긴밀한 단일시장으로 전환

- 아시아 국가들의 부상과 지역 통합 가속화

- 중국, 인도 등의 등장으로 개도국의 입장 강화

출처: The Economist(2011)

Page 7: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3 -

3.2. 첨단 기술 혁신의 가속화

3.3. 자원 전쟁의 가속화

3.4. 기후변화의 가속화

3.5. 남북한 간의 새로운 관계 전개

- 14 -

4. 지속가능 발전 전략 I:포용성장

4.1. 소득불평등 확대의 원인

(1) 신자유의적 구조개혁

- 1997년 외환위기 이후 IMF 구조조정으로 경쟁 환경은 강화된 만면 사회안전망 구축은 상

대적으로 미흡

-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 심화

(2) 글로벌화(Globalization)

- 전세계의 경제가 한 단위로 묶이면서 전면적인 경쟁 환경 조성과 승자에 대한 파이 증대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증가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임: 전 세계를 한 국가로

했을 때 최근 들어 소득 불균형은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전 세계의 주요 국가들 각각을

대상으로 할 때 소득 불균형은 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음.

Page 8: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5 -

(3) IT 기술 혁신

- 이에 따른 사람들 간의 기술격차 증대와 이에 따른 임금 격차 심화.

(4) 교육기회의 불평등 확대

- 글로벌화, 급변하는 기술혁신, 유연한 고용시장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연수가 매우

중요함.

- 그러나, 그동안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확대되어 왔으며 이는 소득의 불평등 확대로 이어져

왔음: 참고자료: 김영철(2012)

- 16 -

- 참고자료: 김영철(2012),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 KDI Focus,

11월 5일.

- 중 2때의 내신등급(9등급)과 고 3시기 수능등급(9등급)의 격차, 즉 ‘등급 변동분’의 결정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부모의 사회적 지위(10분위)가 1분위 낮으면 0.03만큼 등급의

하락이 초래되고, 거주지의 학습환경지수(5점 만점)가 1점 낮으면 무려 0.46만큼의 등급

하락이 나타났음. 또한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광역시 거주에 비해 0.2만큼 등급상승이 기

대되나, 중소도시나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광역시 거주에 비해 각각 -.19와 0.57만

큼의 등급하락이 나타났음. 아울러 수능등급을 종속변수로 한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

- 또한, 4년제 대학 진학의 경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학습환경지수가 높을수록 진

학 확률이 높으며, 중소지역 및 읍면지역 학생들의 진학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출처: 김영철(2012),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 KDI Focus, 11월 5일.

Page 9: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7 -

4.2. 일인당 소득수준과 소득불균형과의 관계 – 쿠츠네츠 커브?

- “소득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는 소득불균형이 점차 심화되다가(즉, 지니계수값이 점

차 커지다가) 소득수준이 어느 수준을 넘으면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소득불균형이 점차

해소된다(즉, 지니계수값이 점차 감소한다)”는 역 U자형의 쿠츠네츠 커브는 많은 실증연

구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음.

- 조윤제 외(2012)는 전세계 108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쿠츠네츠 커브를 발견할 수 있

으나 OECD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면 정반대의 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

- 그러나, 많은 연구는 각국의 시계열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이러한 쿠츠네츠 커브는

발견하기 어려움을 확인.

- 18 -

4.3. 소득불균형과 경제성장과의 관계

- 적당한 소득불균형은 일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음.

- 그러나, 소득불균형이 너무 확대되면 사회적 불만과 불안이 야기되고, 고용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축소함으로써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실증연구들은 소득불균형의 증가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그룹과,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그룹으로 양분되어 있음.

- 그러나 교육과 고용에서의 성적 불균형(gender inequality)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다수 존재함. 예: Klassen(2008).

- 아울러, 최근 몇몇 연구들은 소득이라는 결과의 불균형이 아니라 기회의 불균형

(inequality of opportunities)의 확대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

고하고 있음.

- 예 1: Merrero and Rodriguez (2012)는 미국의 각 주별 경제적 기회지수(Economic

opportunity index)를 계산한 후, 이를 각 주별 경제성장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경

제적 기회가 높은 주일수록 경제성장이 빠른 것을 확인하였음.

- 예 2: Molina et al(2012)는 인간기회지수(Human opportunity index)로 추정된 교육기회

가 낮을수록 경제성장이 늦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 따라서,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면서 경제성장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교육과 고용에서

남녀, 소득, 지역 등 간의 형평성을 높이는 소위 포용성장(Inclusive Growth) 전략이 필요

함.

4.4. 포용성장의 배경

- 세계은행(World Bank)과 많은 국가들이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성장정책으로서

친서민 성장(Pro-poor growth)을 제시함.

- 그러나 친서민 성장정책은 성장과실의 분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성장의 잠재력을 저해

하고 사회적 형평성의 제고에도 실패함에 따라 최근 들어 동반성장(Shared growth) 또는

포용성장(Inclusive growth)의 개념을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ADB)를 비롯해서 많은 국가

들이 추진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정권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유사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나, 포괄적인 의

Page 10: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19 -

Inclusive growth Pro-poor growth

Target High growth and low inequality

Low inequality

Focus of policy Productive employment Income redistributionIncome equity More focus on absolute

increase in income of the poor

Not only on absolute increase but also relative increase in income of the poor

Time perspective Longer term Shorter-termFocus of the population group

Both poor and middle class Poor class only

Main player More market-driven More government driven

미의 포용성장 정책은 아님.

è 김대중정부: "생산적 복지"

è 노무현정부: "참여복지"

è 이명박정부: "동반성장", "공생발전"

4.5. 포용성장의 원칙(Principle)

- 경제적 기회의 균등화를 통하여 소득불등도 해소하고 경제성장에도 기여하는 윈윈

(Win-Win)의 정책 (참고자료: Klasen, Stephen(2010), “Measuring and Monitoring

Inclusive Growth: Multiple Definitions, Open Questions, and Some Constructive

Proposals”ADB Sustainable Development Working Paper Series.

참고자료: Inclusive growth와 Pro-poor growth의 비교

Source: Ianchovichina and Lundstrom (2009), “What is Inclusive Growth?” mimeo, World Bank.

4.6. 포용성장의 3가지 전략

(1) 교육 기회의 평형성 제고

- 우리나라는 부모의 소득수준, 사회적 지위, 출신지역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현저하게 다르

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대학 진학의 차별로 나타나고, 결국 평생 동안의 직업선택과

임금수준에서의 차별로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격차 확대는 결국 사회적 형평성의 불균형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 인적자본

육성의 효율성을 저해함으로써 결국 성장잠재력을 훼손하고 있음.

- 따라서 양질의 교육기회를 남녀, 소득, 지역, 장애 여부 등과 상관없이 공평하게 제공하

는 정책이 필요함.

- 20 -

- 이를 위해서는 저소득층 아동에 대한 고품질 유아 교육 및 보육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개

선, 사교육에 대한 의존 축소, 저소득 대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및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확대, 지방의 학습 환경 대폭 개선 등이 필요함.

(2) 고용기회의 형평성 제고

- 여성의 근로환경 대폭 개선을 통한 노동시장 참여 확대(참고자료: 노동시장 참여율 국가

간 비교)

-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훈련기회 확대 및 개선

- 고령인구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3) 생산적 사회안정망 확충

-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사회보장 범위의 확대 및 개선

- 선택적 복지를 통한 근로 의욕 고취

Page 11: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21 -

참고자료: 노동시장 참여율 국가간 비교

출처: Hausmann, Ricardo, Laura D. Tyson, and Saadia Zahidi (2012),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2, World Economic Forum.

- 22 -

5. 지속가능 발전 전략 II: 녹색성장

5.1. 일인당 소득수준과 환경의 지속가능성과의 관계 – 환경의 쿠츠네츠 커브?

- 소득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는 환경훼손이 점차 심화되다가 소득수준이 어느 수준을

넘으면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환경훼손이 점차 해소된다는 역 U자형의 결과를 일부 실증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음. 예: Grossman and Krueger(1994).

- 그러나 이러한 역 U자형의 연구는 일부 공기 및 수질 관련 공해물질 배출량과 소득수준

과의 관계에서만 나타나고, 환경지속성에 중요한 지구온난화 관련 물질의 배출량 등과 소

득수준 간에는 이러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 이는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일인당 자

원과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임. 예: Stern,

D.I.(2003); Lee, et al (2005).

- 일인당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GDP 한 단위당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은 감

소하나, 국민 일인당 생태발자국은 증가함. (참고자료: 일인당 소득수준 vs. 생태발자국,

Lee(2011)).

- 따라서 환경의 지속가능성이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경제성장 전략이 필요함.

Page 12: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23 -

참고자료: 일인당 소득수준 vs. 생태발자국

AfghanistanBangladesh

Cambodia

China

India

Indonesia

Iran

ROK

Laos

MalaysiaMongolia

Nepal

Pakistan

PNG

PhilippinesSri Lanka

Thailand

Timor

Vietnam

-10

12

3

6 7 8 9 10 11log_gdppc

footprint_capita Fitted values

Afghanistan

BangladeshCambodia

Indonesia

Iran

ROK

Laos

Malaysia

Mongolia

Nepal

Pakistan

PNG

PhilippinesSri Lanka Thailand

Timor Vietnam

-23

-22

-21

-20

-19

6 7 8 9 10 11log_gdppc

footprint_gdp Fitted values

그림 1: 일인당 소득수준 vs. GDP 한 단위당 생태발자국

그림 2: 일인당 소득수준 vs. 일인당 생태발자국

출처: Lee, Hyun-Hoon (2011), “Towards Green Growth in Asia and the Pacific”, A

keynote paper for a Round Table “Prosperity for Asia’s Billions: Green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at the 14th General Conference of UNIDO, Vienna, Austria,

November.

- 24 -

5.2. 녹색성장의 배경

- 그 동안 환경보전 정책은 성장의 잠재력을 훼손한다는 관점에 따라 많은 나라에서

환경보전은 경제성장보다 우선순위에서 밀려 왔음.

- 이로써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위기 심화 및 글로벌 에너지 고갈위기에 처하게 되었음.

- 이에 대한 반성으로 2005년 3월 UNESCAP의 아태지역 환경및 개발에 관한

장관회의에서 녹색성장을 새로운 경제성장 패러다임으로 채택하였음.

-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이명박대통령이 8.15 기념연설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적

아젠다로 선언하였음.

- OECD, ADB, World Bank, G20 등에서 주요 아젠다로 채택

5.3. 녹색성장의 원칙(Principle)

(1) 경제성장과 환경의 지속가능성 간의 시너지 창출

- 환경보전은 경제성장의 부담요인이 아니라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가. 공공부문에서의 시너지 창출

- 환경 기본시설에 대한 투자를 통한 고용 창출과 경제성장

- 유류, 전기 등 사용에 대한 보조금 감축 등을 통한 이중정부실패(double government

failure) 축소

- 이중시장실패(double market failure)에 따른 민간의 환경보전 관련 투자 부족을 회피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및 환경 규제 강화

참고: Porter 가설: 환경규제가 환경관련 R&D 투자 등을 촉진함으로써 기업들의 경쟁력의

강화로 이어짐 (예: Porter, 1991; Porter and van der Linde, 1995)

나. 시장에서의 시너지 창출

- 환경관련 산업은 그 자체로서 새로운 미래의 성장산업

- 녹색상품, 녹색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이 경쟁력 강화

Page 13: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25 -

Wastes and Pollutants

Consumers’UtilityInputs Output

Wastes and Pollutants

Production Consumption

Wastes and Pollutants

Consumers’UtilityInputs Output

Wastes and Pollutants

Production Consumption

(2) 생태효율성(eco-efficiency) 제고

- Word 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WBCSD)가 적은 자원의 사용으로

보다 많은 생산을 창출함으로써 기업의 환경적인 책임도 강화하고 이윤도 추구하려는 차

원에서 1992년 처음 사용하기 시작.

- 그러나, 생태효율성은 생산측면 뿐만 아니라 소비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함. 즉, 생태 효율

성은 다음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해야 함.

- (i) 양보다는 질적인 풍요를 통한 소비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Achieving high-quality life in terms of consumption mainly through a focus on ‘qualitative sufficiencies’ rather than from ‘quantitative sufficiencies’),

- (ii) 적은 양의 자원과 에너지 사용, 적은 오염물질 배출을 통한 보다 많은 부가가치 생산

(Creating more value added with less use of materials and energy and with reduced emissions.) - 출처: Lee(2011).

<그림: 생산과 소비의 흐름도>

출처: UNESCAP, State of Environment, 2005, Bangkok

5.4. 녹색성장의 3가지 전략

가. 환경비용의 시장 가격메카니즘에 내재화(internalization)

- 환경보전을 위한 비용이 시장이 가격메카니즘에 내재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시행

- 26 -

- 예 1: 녹색세제 개혁(Green tax reform)

- 예 2: 각종 환경 비친화적인 보조금 감축과 환경 관련 R&D 투자에 대한 정부 보조금

증대

나. 장기적 측면에서의 자원 재배분

- 환경 보전과 관련한 비용은 단기적인 반면, 환경 보전의 이익은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러한 갭을 메울 수 있는 정부의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보조금 지급과 규제

다. 녹색성장과 관련한 국제협력

- 환경의 지속가능성 관련 문제는 일 국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인 문제이므

로, 국제협력이 필수적

Page 14: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27 -

6. 맺음말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

- 경제성장에 따라 소득이 증가하고 물질적 소비가 증가하더라도, 소득 불평등도가

심화되고 환경이 파괴되면 국민이 예전보다 불행하다고 느낄 수 있음.

- 따라서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은 다음 세 가지를 포함해야 함.

è (1) 경제성장의 지속을 통한 소득 증대

(2) 사회적 형평성제고

(3) 환경보전

- 이상의 세 가지를 함축하는 개념이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 성적표

-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비판

(1) 비판 1: 세 가지 축의 동시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정책수단은 매우 제한적

(2) 비판 2: 이들 세 가지 축의 달성을 위한 각각의 정책은 서로 배타적일 수 있음

è 따라서 지속가능발전을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각을 별도로 대상으로 하거나 세

가지를 동시에 추구하기 보다는 2개 축의 달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성장전략 대두

- 28 -

그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포용성장과 녹색성장

출처: Lee, Hyun-Hoon (2011), “Towards Green Growth in Asia and the Pacific”, A keynote paper for a Round Table “Prosperity for Asia’s Billions: Green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at the 14th General Conference of UNIDO, Vienna, Austria, November.

참고자료: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 추진 연혁

2000년 9월: 김대중정부 시절 제1기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발족

2003년 12월: 노무현정부 시절 제3기 참여정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위원장 고철환)

2005년 6월: 국가 지속가능발전 비전(경제와 사회, 환경이 균형있게 발전하는 선진국가)

발표

2006년 6월: 제4기 참여정부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위원장 김상희)

2006년 10월: 국가 지속가능발전 전략 및 이행계획('06~'10) 발표 - 48개 이행과제

2008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기념 연설에서 “저탄소 녹색성장 "을 국가적 아젠다로

선언

2009년 2월: 녹색성장위원회 출범 - 기존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유명무실화

2010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기념 연설에서 “공정사회”를 핵심 국정기조로 제시

2010년 12: 동반성장(Shared Growth)위원회 출범

2011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이 8.15 기념 연설에서 “공생발전(Ecosystemic

Development)을 핵심 국정기조로 제시

Page 15: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29 -

외환위기 이전(1962-1996) 외환위기 이후(1998 – 현재) 새로운 발전 모형

• 후진국 경제 규모와 산업구조 • 중진국 경제 규모와 산업구조 • 성장잠재력 약화

• 양호한 노동의 질과 저렴한 노동비용 • IMF 체제에 따른 신자유주의적 구조개혁 • 사회적 불평등의 확대

• 높은 교육열과 양호한 기초교육체제 • 남북한 경제협력의 제한적 전개 • 환경의 지속가능성 위협 확대

• 미국의 원조 • 자연환경 훼손 • 삶의 만족도 감소와 사회적 불만 증대

• 남북한 분단과 대립

• GATT 체제하의 무역자유화 • WTO 및 OECD 회원국으로서 전면적 무역자유화 • 세계화와 지역화의 가속화

• 미국의 자유무역주의 • 지역주의 경향 확대 • 첨단 기술 전쟁의 가속화

• 동아시아에서의 일본 선도의 “날아가는 기러기 패턴‘ 성장 • 일본이 하강과 중국의 부상 • 자원 전쟁의 가속화

• 국제 금융시장의 급속한 확대와 불안정성 확대 • 기후변화의 가속화

• 세계적인 정보통신산업의 발달과 지식혁명 • 남북한 간의 새로운 관계 전개

• 시장경제체제의 점진적 확대 • 시장경제의 경쟁체제 확립 • 포용성장

• 정부의 시장개입 • 기업, 금융, 공공부문에 대한 투명한 감시 및 견제 • 녹색성장

• 대외 수출지향 • 주요 교역국과의 경제통합 확대 •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

• 남북한 경제교류의 제한적 확대 •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서의 선도적 역할

• 환경정책과 경제정책의 통합정책 시도

• 빠른 산업화와 경제성장 •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한 전 계층의 삶의 만족도 증대

• 절대빈곤계층의 감소

• 빠른 산업화와 중진국 대열 진입 • 성장잠재력 약화

• 절대빈곤계층의 감소 • 사회적 불평등 증대

• 전반적인 사회적 후생수준 증대 • 환경의 지속가능성 위협 확대

• 환경의 지속가능성 위협 증대

최종결과

내부환경

외부환경

정책변수

목표 • 5개년 경제개발계획의 폐기와 함께 중장기 목표 상실?

표: 새로운 발전 모형

참고: 본 발표 자료에서는 새로운 발전모형에서 주요 정책 변수로 제시된 4가지 전략 중에

서 남북한 경제통합 추진과 동아시아 경제통합 전략은 생략하였음.

- 30 -

참고문헌

김영철(2012), “대학 진학 격차의 확대와 기회형평성 제고방안” KDI Focus, 11월 5일.

이현훈, 이영련, 허현승(2008), :인구구조의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경제발전연구, 제14권 2호, 25-56.

Ali, Ifzal (2007) “Inequality and the Imperative for Inclusive Growth in Asia”,Asian Development Review, 24(2), pp.1-26.

Grossman, G. M. and A. B. Krueger (1994), “Economic Growth and the Environ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0, 353-377.

Harvie, Charles and Hyun-Hoon Lee (2002), Korea’s Economic Miracle – Fading or Reviving?, Palgrave Macmillan, London, UK.

Harvie, Charles, Hyun-Hoon Lee, and Junggun Oh eds. (2004), The Korean Economy: Post-Crisis Policies, Issues and Prospects, Edward Elga, Cheltenham, UK.

Hausmann, Ricardo, Laura D. Tyson, and Saadia Zahidi (2012),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12, World Economic Forum.

Huh, Hyeon-seung, Hyun-Hoon Lee, Young-Youn Lee (2012),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Economic Growth: A Panel Analysis”, mimeo.

Ianchovichina, Elena and Susanna Lundstrom (2009), “What is Inclusive Growth?” mimeo, World Bank.

Klasen, Stephen (2008), “The Impact of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 and Employment on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Updates and Extensions”, EUDN Working Paper 2008-10.

Lee, Hyun-Hoon (2006),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efficiency of Consumption and Income”, presented at UNESCAP 2nd Green Growth Policy Dialogue, Beijing, China, May.

Lee, Hyun-Hoon (2010), “Strategy for Asia-Pacific Prosperity (Inclusive Growth)” APEC Japan 2010 Symposium, Tokyo, Japan, December.

Lee, Hyun-Hoon (2011), “Towards Green Growth in Asia and the Pacific”, A keynote paper for a Round Table “Prosperity for Asia’s Billions: Green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at the 14th General Conference of UNIDO, Vienna, Austria, November.

Lee, Hyun-Hoon, Rae Kwon Chung, and Chung Mo Koo (2005),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paper presented to the Eminent Environmental Economists Symposium, The 5th Ministeri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Seoul, Korea, March.

Lee, Hyun-Hoon, Minsoo Lee, and Donghyun Park (2011), "Growth Policy and Inequality in Developing Asia: Lessons from Korea", Background paper for A Collected Volume on the Equality of Opportunity and Inclusive Growth in Developing Asia, Asian Development Bank.

Porter, M. (1991), “America’s Green Strategy,”Scientific American, 28, 1-28.

Page 16: 성은 계속 약화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경제 ...cc.kangwon.ac.kr/~hhlee/paper/lee_121112.pdf · 2012-11-13 · -이로써 소득 불균형의

- 31 -

Porter, M. and C. van der Linde (1995),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Competitiveness Relationship,”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 97-118.

Stern, D.I.(2003), “The Rise and Fall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Working Paper No.0302, October.

UNESCAP, State of Environment, 2005, Bangk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