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2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교육 2014-10

이해와 활용 - textilesol.orgtextilesol.org/upload_file/T_TEXTILE_BOARD_NEW/S10000000585_0.pdf · 및 소재, 품목분류협정(hs협정), 그리고 회계 및 생산자료관리에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대치동) 섬유센터 16층 한국섬유산업연합회

    Tel 02-528-4043/54 Fax 02-528-4071 www.ftatex.or.kr, www.kofoti.or.kr

    K O R E A F E D E R A T I O N O F T E X T I L E I N D U S T R I E S K O R E A F E D E R A T I O N O F T E X T I L E I N D U S T R I E S

    교육 2014-10

    섬유 FTA 표지최종안.indd 1 2014-06-26 오후 1:24:30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K O R E A F E D E R A T I O N O F T E X T I L E I N D U S T R I E S

  • 시작하기에 앞서

    섬유패션산업은 FTA별 원산지 기준이 매우 상이하고 복잡하며, 실에서 의류완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정이 수반되기 때문에 FTA 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섬유소재별

    특성과 생산공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번에 발간된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은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인 HS 코드를 기준으로 50류에서 63류에

    해당되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섬유와 의류제품의 분류체계와 원산지 판정기준에 대한

    설명을 주로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을 시작하기에 앞서 섬유관련 용어들에 대해 사전적인 이해를 돕고자 자주 인용

    되는 용어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간략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1. ‘섬유’를 단독으로 표시할 때에는 실의 원료로 사용되는 ‘화이버(Fiber)’를 의미하지만

    ‘섬유산업’으로 표기될 때에는 섬유에서 의류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됩니다.

    2. 본 책자에서 ‘Polyester’의 한글 표기는 ‘폴리에스터’로 표기하되 협정문 또는 HS

    품목분류표를 인용할 때에는 원문에 표기된 ‘폴리에스테르’를 그대로 인용하였습

    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는 일본식 표기로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관세분류표기

    개정시 ‘폴리에스터’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정부측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습니다.

    3. ‘원사(原絲)’ 또는 ‘사(絲)’는 ‘실’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다만, 원단에 사용되

    는 실은 ‘원사’ 또는 ‘사’로 표기되지만 의류를 봉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은 ‘재봉

    사(Thread)’로 표기됩니다. 또한 원면, 양모 등의 천연섬유와 방사공정(Extrusion)

    을 통해 제조된 필라멘트를 방적을 위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인조단섬유(HS

    5501~5507) 등으로 만들어진 실은 ‘방적사’로 표기하였습니다.

  • 4. ‘방적(紡績)’은 면화와 양모 또는 면화나 양모 길이만큼 짧게 절단된 화학 섬유의

    단섬유를 적당한 굵기의 연속된 실로 만드는 공정(Spinning)을 의미하며, ‘방사(紡

    絲)’는 플라스틱제의 수지 등을 용해 또는 용융한 후 방사구(Spinneret)라는 작은

    구멍을 통해 가늘고 길게 뽑는 공정(Extrusion)을 의미합니다. ‘방적’과는 달리 사

    용되는 ‘방직(紡織)’은 실을 만드는 공정(Spinning)과 직물류를 만들기 위해 수행되

    는 제직(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공정을 모두 포함하는 공정을 의미합니다.

    5. 의류에 사용되는 ‘원단(Fabrics)’은 직조방식에 따라 ‘직물(Woven fabrics)’과 ‘편물

    (Knit Fabrics)’로 구분되는데 ‘직물’이 문맥상 광의의 의미로 쓰일 때에는 ‘원단’의

    개념과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6. ‘의류’는 사용되는 원단의 종류에 따라 ‘직물제 의류(Woven apparel)’와 ‘편물제 의

    류(Knit apparel)’로 구분되는데 ‘직물제 의류’는 HS 62류에 해당되는 품목들로 편

    물제 이외의 의류를 언급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에는 FTA 활용상의 서류작성 방법, 원산지 관리, 원산지 사후

    검증 대응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고 있지 않는데 이러한 내용들은 교육과 세미나

    및 추가 발간 자료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해 드릴 예정입니다. 아울러 한국섬유산업

    연합회(www.kofoti.or.kr) 및 섬유산업 FTA지원센터(www.ftatex.or.kr), 또는 동 책자

    마지막에 언급된 FTA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해 관련 정보들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동 책자와 관련하여 세부 내용과 형식, 용어의 정의, 참고문헌 등에 대한

    질의나 의견이 있으실 경우 아래로 문의해 주시면 향후 추가 발간시 적극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 문의처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FTA지원센터(T: 528-4043/54, [email protected])

  • 목 차

    Ⅰ. FTA 기본 이해 ··········································································································· 1

    1. 섬유 ․ 의류제품의 FTA 활용을 위해 이해가 필요한 연관 규정 ····························· 42. 섬유 ․ 의류 산업에 대한 기술적 이해 ······································································· 4

    (1) 개요 ··························································································································· 4

    (2) 섬유 ․ 의류제품 소재 ·································································································· 5(3) 섬유 ․ 의류제품 생산과정의 주요 공정 ····································································· 10

    3. 섬유 ․ 의류제품과 품목분류 ······················································································ 13(1) 품목분류표의 이해 ·································································································· 14

    (2) 섬유 ․ 의류제품의 품목분류 ······················································································ 16(3) 혼방제품의 품목분류 ······························································································· 21

    (4) 제11부에 분류되는 목적으로 ‘제품으로 된 것(made up)’의 정의 ····························· 23

    (5) 섬유 ․ 의류제품이 분류되는 각 류의 호 체계와 품목분류 사례 ································ 244. FTA와 원산지결정기준 ····························································································· 41

    (1) 원산지와 원산지결정기준 ························································································· 41

    (2) 기본원칙 ·················································································································· 44

    (3) 분야별 특례 ············································································································· 47

    (4) 품목별기준 (PSR) ···································································································· 49

    5. FTA 협정의 구분과 그 특징 ···················································································· 74

    Ⅱ. 사(絲)류 (Yarns) ······································································································· 751. 사(絲)류(Yarns)의 품목분류표상 분포 ····································································· 762. 한-미, 한-칠레, 한-페루 원산지결정기준 ····························································· 76

    (1) 품목별원산지결정기준의 특징 ·················································································· 76

    (2) “세번변경+예외규정”의 이해 ··················································································· 77

    3. 한-EU, 한-터키, 한-EFTA 원산지결정기준 ·························································· 79

    4. 한-아세안, 한-인도, 한-싱가포르 원산지결정기준 ············································· 80

  • 5. 협정별 사(絲)류(Yarns) 원산지판정 사례 ······························································ 81(1) 면과 레이온 혼방 방적사 (면:레이온 65:35) ···························································· 81

    (2) 레이온 스테이플섬유의 사 ······················································································· 83

    Ⅲ. 직물류 (Fabrics) ······································································································· 85

    1. 직물류(Fabrics)의 품목분류표상 분포 ····································································· 86

    2. 한-미, 한-칠레, 한-페루 원산지결정기준 ····························································· 87

    (1) 품목별원산지결정기준의 특징 ·················································································· 87

    (2) “세번변경+예외규정”의 이해 ··················································································· 87

    3. 한-EU, 한-터키, 한-EFTA 원산지결정기준 ·························································· 90

    4. 한-아세안, 한-인도, 한-싱가포르 원산지결정기준 ············································· 92

    5. 협정별 직물류(Fabrics) 원산지판정 사례 ······························································ 94

    (1) 면 방적사의 직물 ····································································································· 94

    (2) 면 방적사의 편물 ···································································································· 96

    (3) 아세테이트 직물의 원산지판정과 활용 ···································································· 97

    Ⅳ. 의류 (직물제 의류, 편직제 의류 등 HS 61, 62류 품목) ···························· 101

    1. 한-미국, 한-칠레, 한-페루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02

    (1) 미국 ······················································································································· 102

    (2) 칠레 ······················································································································ 136

    (3) 페루 ······················································································································ 142

    2. 한-EU, 한-터키, 한-EFTA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44

    (1) EU ·························································································································· 144

    (2) 터키 ······················································································································ 152

    (3) EFTA ····················································································································· 152

    3. 한-아세안 FTA, 한-인도 CEP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55

    (1) 아세안 ···················································································································· 155

    (2) 인도 ······················································································································ 158

  • Ⅴ. 기타 섬유제품 (펠트, 부직포, 자수포 등 HS 56, 57, 58, 59, 63류) ····· 159

    1. 의류를 제외한 기타 섬유제품 중 주요 수출 품목 ··············································· 160

    2. 한-미국, 한-칠레, 한-페루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61

    (1) 미국 ······················································································································· 161

    (2) 칠레 ······················································································································ 168

    (3) 페루 ······················································································································ 173

    3. 한-EU, 한-터키, 한-EFTA FT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82

    (1) EU ·························································································································· 182

    (2) 터키 ······················································································································ 192

    (3) EFTA ····················································································································· 192

    4. 한-아세안 FTA, 한-인도 CEPA의 원산지 결정기준 ·········································· 196

    (1) 아세안 ···················································································································· 196

    (2) 인도 ······················································································································ 199

    Ⅵ. FTA별 활용 사례 ··································································································· 201

    1. 폴리에스터장섬유직물을 인도네시아로 수출시 FTA 활용사례 ·························· 202

    2. 스판덱스 5% 이상 포함된 편물을 터키로 수출시 FTA 활용사례 ····················· 207

    3.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합성섬유제 직물을 미국으로 수출시 FTA 활용사례 ····· 210

    4. 합성섬유제 양말을 미국으로 수출시 FTA 활용사례 ·········································· 215

    5. 여성용 우븐 드레스를 영국으로 수출시 FTA 활용사례 ····································· 218

    FTA 관련 정보 인터넷 사이트 ······································································ 222

  • IFTA 기본 이해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

    Ⅰ. FTA 기본 이해

    우리나라는 한-칠레 FTA (2004.4.1.발효)를 필두로 2014년 4월 현재 세계 47개국과

    9개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하여 발효 ․ 적용 중이다. 모든 회원국에게 최혜국대우(Most-Favoured-Nation Treatment)를 보장해 주는 다자주의 원칙이 적용되는 WTO

    협정과 달리, 양자주의 및 지역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특혜무역체제 중 하나인 FTA는

    회원국 간에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반면, 비회원국에게는 WTO협정이 허용하는 범

    위에서 기본 관세율을 유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상대국 협상 경과 발효 의의

    칠레1999.12 협상개시

    2003.2 서명2004.04

    최초의 FTA중남미 시장 교두보

    싱가포르2004.1 협상개시

    2005.8 서명2006.03 ASEAN 시장의 교두보

    EFTA2005.1 협상개시

    2005.12 서명2006.09

    유럽시장교두보(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ASEAN2005.2 협상개시

    단계적 서명2006.08

    우리나라의 제2위 교역대상 (2011 기준. 아세안 10개국)

    인도2006.3 협상개시

    2009.8 서명2010.01 BRICs 국가, 거대시장

    EU2007.5 협상개시

    2010.10 서명2011.07 세계 최대 경제권 (GDP기준)

    페루2009.3 협상개시

    2011.3 서명2011.08 자원부국, 중남미 진출 교두보

    미국2006.6 협상개시2010.12 추가협상

    2012.03 거대 선진경제권

    터키2010.4 협상개시

    2012.8 서명2013.05 유럽 ․ 중앙아시아 진출 교두보

    표 1 우리나라의 FTA 추진 현황 (http://www.fta.go.kr)

    섬유 ․ 의류제품의 수출입교역에 참여하는 우리나라의 생산자 ․ 수출자 및 수입자는 관세인하 효과에 따른 수출확대 및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FTA를

    활용한다. 우리나라와 FTA협정을 맺은 상대국은 자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섬유 ․ 의류제품 중 우리나라를 원산지로 하는 물품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관세율 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하거나 그 관세를 영구히 철폐한다. 예를 들어, EU회원국은 폴리에

  • Ⅰ. FTA 기본 이해

    3

    스터장섬유직물의 경우 수입가의 4%에 해당하는 관세를 수입자가 납부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한민국을 원산지로 하는 물품을 우리나라 수출자가 수출한 경우에는 0%의

    관세 특혜를 적용해 준다는 것이다. 상대국 수입자는 자연스럽게 FTA 협정 체결국으

    로부터 물품을 수입하고자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생산자 ․ 수출자에게 보다 많은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수입국의 관세인하

    효과가 바로 상품교역에 있어 FTA 활용을 촉진하게 되는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원산지에 따라 관세를 낮추거나 철폐하는 것은 일종의 ‘특혜’ 규정이다. FTA 협정을

    활용하여 특혜를 얻고자 하는 자(생산자 ․ 수출자 및 수입자)들에게는 이러한 혜택에 대비하여 특별히 요구되는 것이 있으니 그 중 하나가 바로 원산지규정의 준수 의무이

    다. FTA협정에 규정된 원산지규정을 따른 경우에는 특혜를 적용하되 그러하지 아니

    하는 경우에는 해당 특혜를 적용하지 못한다. 원산지규정은 협정국을 원산지로 하는

    상품과 그러지 아니한 상품을 차등 대우하는 기준이 됨으로써, 특혜조치(관세인하조

    치)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수단이다.

    FTA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출자 그리고 수입자는 특혜제도의 활용에 앞서 FTA 원산

    지규정을 준수하도록 스스로 강제되어야 한다. 왜냐면 잘못된 FTA의 활용은 특혜의

    부적절한 이용으로 판정되게 되고, 수입자의 경우 납부하지 아니한 관세를 수입관세

    당국으로부터 사후 추징당하고, 수출자의 경우 상대국 수입자와의 비즈니스 관계가

    단절되거나 사업 손실에 대한 배상청구에 처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섬유 ․ 의류제품의 경우에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나, 이러한 ‘자율적인 의무’가

    있음을 알지 못하여 FTA 활용에 애로점을 겪거나 관세 등 처벌 위험에 처해지는 경

    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본 책자는 FTA를 활용하고자 하는 섬유 ․ 의류제품의 생산자 ․ 수출자 ․ 수입자의 FTA 원산지규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업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FTA와 원산지의 기본개념에서 각 원사 ․ 직물 및 의류 등 제품에 대한 FTA 협정별 원산지기준을 알아보고 개별 적용 사례 등을 통하여 FTA에 대

    한 이해를 높여 안전한 FTA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4

    1. 섬유 ․ 의류제품의 FTA 활용을 위해 이해가 필요한 연관 규정섬유 ․ 의류제품의 FTA 활용과 원산지결정기준의 이해를 위해 연관된 법령 ․ 규정의 체계는 단순하지 않다. 원산지결정기준이 기술되어 있는 FTA 협정 뿐 아니라 제품

    및 소재, 품목분류협정(HS협정), 그리고 회계 및 생산자료관리에 대한 이해 또한 필

    요하기 때문이다. 본 책자에서는 기초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섬유 ․ 의류 제품 및 소재에 대한 정의와 품목분류협정, 원산지결정기준에 대한 일반 사항을 제시한 후

    개별 품목에 대한 원산지판정 및 원산지활용 방법의 순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관련 규정 또는 지식 체계 관련 분야

    섬유 ․ 사 ․ 직물 등에 사용되는 섬유소재에 대한 이해

    원산지판정 및 원산지결정기준의 적용섬유소재의 품목분류

    섬유 ․ 의류제품의 생산과정에 수행되는 주요 공정에 대한 이해

    원산지판정 및 원산지결정기준의 이해

    품목분류협약(HS협약)원산지결정기준의 적용 및 원산지판정

    (FTA활용의 기초)

    FTA협정문 중 관세인하 또는 철폐가 기재되는 양허세율표

    FTA활용에 따른 관세 혜택 확인(FTA 활용 여부의 판단)

    FTA협정문 중 원산지결정기준 및 원산지적용절차 관련 규정

    FTA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의 충족여부 (FTA적용의 실질성 및 절차성)

    원재료 ․ 제품의 입출고와 관련된 회계처리 및 생산자료관리 정책

    원산지결정기준의 충족여부 검토 및 원산지사후검증 대응

    표 2 섬유 ․ 의류제품의 FTA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식 체계와 관련 규정

    2. 섬유 ․ 의류 산업에 대한 기술적 이해(1) 개요

    섬유 ․ 의류제품의 FTA 특혜활용을 위한 원산지규정, 특히 원산지결정기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섬유 ․ 의류제품에 사용되는 소재와 적용되는 공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섬유 ․ 의류제품의 소재에 대한 이해는 원산지결정기준의 적용에 있어 필요한 수출입물품의 품목분류(일반적으로 HS Code 또는 품목분류라 불림)와

    관련이 있고, 적용되는 공정에 대한 이해는 원산지의 판정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의 정의부터 원산지판정과 품목분류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 Ⅰ. FTA 기본 이해

    5

    (2) 섬유 ․ 의류제품 소재섬유 ․ 의류제품의 생산과정에 소요되는 주요한 소재(원재료)는 섬유, 사, 직물 등이 있다. 가늘고 짧은 섬유를 이용하여 길고 연속적이며 요구되는 강성 등의 물성을

    지닌 사를 생산(1차원 직선상의 물품)하고, 이를 이용해 제직(Weaving) 또는 편직

    (Knitting) 공정을 통해 직물(2차원 평면상의 물품)을 생산한 후, 다시 재단 ․ 봉제를 거쳐 형상을 갖춘 의류 등 최종 제품(3차원 입체상의 물품)이 생산된다. 단추, 지퍼,

    장식용 악세사리 등의 다양한 물품들 역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나, 일반적으로 섬

    유 ․ 의류 제품의 원산지규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섬유 ․ 사 ․ 직물이라는 대표 소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 섬유

    섬유(纖維)란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가늘고 유연한 형상을 하고 있는 소재를 말하며

    영어로는 ‘Fibers’라 표현된다. 섬유(Fibers)는 재질과 형상에 따라 구분되며, 품목분류

    및 FTA 규정의 활용을 위하여 각각의 종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 재질에 따른 구분

    섬유(Fibers)는 소재에 따라 천연섬유(Natural Fibers)와 인조섬유(Man-made Fibers)

    로 구분되며, 천연섬유는 식물성섬유와 동물성섬유로, 인조섬유는 합성섬유(Synthetic

    Fibers)와 재생 ․ 반합성섬유(Artificial or Regenerated Fibers)로 구분된다.

    재질 구분 설명 사례

    천연섬유(Natural)

    식물성섬유자연계에서 얻어질 수 있는

    섬유로서 식물성의 것면, 아마, 대마, 황마

    동물성섬유자연계에서 얻어질 수 있는

    섬유로서 동물성의 것견(silk), 양모, 캐시미어,

    앙고라 등

    인조섬유(Man-made)

    합성섬유(Synthetic)

    석유 등 유기물의 합성을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것

    폴리에스터1), 나일론, 아크릴 등

    재생 ․ 반합성 섬유(Artificial or

    Regenerated)

    천연물질(특히 셀룰로오스 계열)에 화학적 변성 등을 가하여 얻어낸 인공 소재

    레이온, 탁텔, 텐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표 3 섬유의 재질에 따른 구분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6

    섬유장에 따른 분류 모양 사례

    장섬유(필라멘트,

    Filaments)

    길이가 폭에 비해 거의 무한대로 긴 형상

    견(Silk), 각종 합성수지 또는 재생 ․ 반합성 소재를 이용하여 길게 뽑아낸 것

    단섬유(스테이플섬유, Staple Fibers)

    길이가 수 내지 십여 센티미터 정도의 가늘고 긴 형상

    면, 양모 등의 천연섬유,장섬유(필라멘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것

    표 4 섬유의 섬유장에 따른 구분

    ② 섬유장(길이)에 따른 구분

    섬유는 폭(두께)에 비하여 길이가 무한히 긴 형상의 것을 장섬유(Filaments)로, 그리

    고 일반적으로 섬유장이 수 내지 십여 센티미터의 길이의 것을 단섬유(Staple Fibers)

    로 구분한다. 영어식 표현에 따르면 단섬유는 명확히 섬유(Fibers)로 칭하나 장섬유의

    경우는 별도로 섬유(Fibers)로 칭하지 않고 단지 필라멘트(Filaments)로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한 가닥의 필라멘트(Mono-Filament) 단독으로도 충분히 실(絲,

    Yarns)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장섬유(Filaments)의 용어에 굳이 섬유(Fibers)라

    는 표현을 쓰지 아니하는 것이다.

    인조섬유(Man-made Fibers)는 플라스틱제의 수지 또는 천연 셀룰로오스의 변성물

    등을 용해 또는 용융한 후 방사구(spinneret)를 통하여 토출, 가늘고 긴 장섬유

    (Filaments)를 만들고, 이를 다시 필요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잘라 단섬유(Staple

    Fibers)로 가공한다.

    2) 사(絲, 실, Yarns)

    단섬유 또는 장섬유 여러 가닥을 길게 늘어선 형태로 집속한 후 축에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여 꼬거나 기타 다른 공정을 통하여 이후의 제직 또는 편직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강성 ․ 유연성 및 기타 성질을 부여한 물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실’을 지칭한다.

    1) 본 책자에서는 Polyester의 한글 표기를 ‘폴리에스터’로 하되, 품목분류표 등 원문에 ‘폴리에스테르’ 등 다른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원문 그대로를 인용한다.

  • Ⅰ. FTA 기본 이해

    7

    ① 원료 및 용도에 따른 분류

    실을 만들 때 사용된 원료의 종류에 따라 크게 순사(pure Yarns), 혼방사(blended

    Yarns), 교연사(combined Yarns) 등으로 분류하며, 순사의 경우 명칭은 원료의 이름

    으로 하고, 혼방사의 경우는 사용된 원료 중 함유량이 많은 순서대로 혼용율을 표기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② 섬유장에 따른 분류

    실을 제조하는 방법은 방적(Spinning)과 방사(Extrusion)2)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방

    적(Spinning)은 천연섬유 또는 인조스테이플섬유와 같은 짧은 섬유를 모아 꼬임을 가

    하여 실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실은 단섬유사(Staple Yarns)

    또는 방적사(Spun Yarns)라 한다. 방사(Extrusion)는 플라스틱제의 수지 또는 천연

    셀룰로오스의 변성물을 용해 또는 용융시켜 액체상으로 만든 후 작은 구멍을 통해

    방사(Extrusion)하여 연속적인 장섬유 형태로 만드는 공정을 말하며, 이 방법으로 만

    든 실을 장섬유사(필라멘트사, Filaments)라고 부른다. 장섬유사(Filaments)는 한 가닥

    의 장섬유(Mono-Filament)로 구성된 것 역시 실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닥의 장섬유를 모아서 꼬는 연사공정(Twist)을 통해 다양한 굵기와 성질을 지닌 실

    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일반적인 방적사(Spun Yarns)나 연사(Twisted Yarns) 이외에도 장식성과 패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조되는 실로 장식사(Fancy Yarns)가 있다. 슬럽사(Slub Yarns), 루

    프사(Loop Yarns), 셔닐사(chenille Yarns), 코어방적사(Core-spun Yarns), 커버링사

    (Covered Yarns), 짐프사(Gimped Yarns) 등이 이에 해당된다.

    ③ 꼬는 횟수에 따른 구분

    단사(single Yarns)란 1회의 꼬는 조작을 통하여 만든 사(Yarns)을 말하고, 복합사(연

    2) 용융 또는 용해된 플라스틱 수지 등을 방사구(Spinneret)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 가늘고 긴 섬유상의 소재를 얻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방사 또는 압출로 불리며, FTA 원산지결정기준 상 용어로는 압출(Extrusion)이 사용되나, 일반 섬유업계에서는 방사라는 용어로 사용됨. 원산지결정기준 상 영문 용어와의 혼선을 피하기 위하여 본 자료에서는 “방사(Extrusion)”로 통일한다.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8

    합사)(multiple folded Yarns)란 둘 이상의 단사(모노필라멘트사 포함)를 1회의 접는

    (Folding) 조작으로 합연(Twist)한 사(이연합사, 삼연합사, 사연합사)를 말한다. 케이

    블사(Cable Yarns)이란 둘 이상의 사(적어도 한 개의 사가 복합사(연합사)인 경우)가

    1회 이상의 접는 과정에서 서로 꼬인 것을 발한다.

    3) 직물(Fabrics, 천)

    실(絲, Yarns)을 이용하여 2차원 평면상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직물과

    편물로 구분된다.

    ① 직물(Woven Fabrics)3)

    경사(Warp)와 위사(Weft)를 직각으로 교차하여 만들어진 길이와 폭을 가진 섬유소재

    로 정확한 명칭은 편물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직물(Woven Fabrics)이라고도 부른다.

    실과 실 간의 공간이 완성된 직물은 유연성이 있으며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직

    물의 성질은 실의 종류 및 직물 조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독특한 특징을 만들

    어 낸다.

    직물(Woven Fabrics)은 조직에 따라 평직(plain weave), 능직(twill weave), 주자직

    (satin weave) 등으로 구분하며 자카드 직기(jacquard weaving machine)를 이용한 복

    잡한 무늬의 것도 있다.

    ② 편물(Knitted Fabrics)4)

    일반적으로 니트(knit)라 하며 한 가닥의 실로 직접 루프를 형성하며 이 루프를 연결

    시켜 만들어지는 원단의 전체적인 명칭이다. 천의 방향을 구분하기 위해서 세로방향

    3) ‘직물(Fabric)’은 직물(Woven Fabric)과 편물(Knit Fabric)을 통칭하는 광의의 개념으로도 사용되며, 특별히 제직(Weaving) 공정에 의해 제조된 직물을 일컫는 협의의 개념으로도 사용된다. 본 책자에서는 산업 종사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씨실과 날실을 교차하는 방식의 직물 제조공정을 “제직공정”(Weaving)으로, 이렇게 생산된 직물을 “직물”(Woven Fabric)로 표현한다. 다만, 용어 상 ‘직물’이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직물(Woven or Knit Fabric)”과 같이 영문을 병기한다.

    4) 니트(Knit) 제조 공정을 “편직공정”(Knitting)으로, 이렇게 생산된 직물을 “편물”(Knit Fabric)로 표현한다.

  • Ⅰ. FTA 기본 이해

    9

    은 웨일(wale) 또는 코, 가로 방향은 코스(course) 또는 단으로 부른다. 편물은 형성하

    는 루프의 배열방법에 따라 위편(weft knit)과 경편(warp knit)으로 나누어지며, 위편

    은 횡편과 환편으로 다시 분류된다.

    위편물은 조직에 따라 평편(plain stitch), 펄편(prul stitch), 리브편(rib stitch), 인터록

    편(interlock knit) 등으로 구분되며, 경편물 역시 조직에 따라 트리코트(tricot), 라셀

    (rachel) 등이 있다.

    ③ 파일직물(Pile Fabrics)

    제직 또는 편직공정을 통해 직물 표면에 기모를 나타낸다거나 루우프 형상을 나타내

    도록 만든 직물을 특별히 파일직물(Pile Fabrics)이라 한다. 특별한 제직기를 이용하여

    이중직물(Double woven fabrics)을 짜고 그 경사 또는 위사 일부를 적당한 위치에서

    잘라내거나, 직물 표면 위에 형성된 루우프(Loop)에 집속된 섬유다발을 집어 넣은 후

    절단하는 방식 등으로 제조한다.

    표면의 기모(Pile) 또는 루우프(Loop) 형상 부분의 아래 기재의 형상에 따라 파일직물

    (Pile woven fabrics)과 파일편물(Pile knit fabrics)로 나뉜다. 위사(Weft)에서 파일

    (Pile)을 형성하는 코듀로이(Corduroy), 벨베틴(Velveteen)과 경사(Warp)에서 파일을

    형성하는 벨벳(Velvet) 등이 파일직물에 해당된다. 하이파일(High pile), 테리(Terry),

    벨루어(Velour) 등은 파일편물이다.

    4) 부직포 및 코팅 ․ 적층직물① 부직포 (Non-woven)

    2차원 평면상의 형상을 하고는 있으나 일반적인 제직(Weave)이나 편직(Knit)공정이

    아닌 단순한 섬유 또는 실의 집속을 통하여 만들어진 물품으로 부직포가 있다.

    장섬유 또는 단섬유를 준비하고 평평하고 넓은 웹(Wep) 형상으로 만든 후 열과 수분,

    압력 등을 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섬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비교적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10

    단순한 압축만을 가한 것을 워딩(Wadding), 니들룸(Needle-loom) 공정을 통해 바늘

    등으로 마찰 또는 중압과 타격 작용을 가하여 보다 단단한 층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진

    것을 펠트(Felt), 장섬유(Filaments)를 이용하거나 단섬유(Staple fibers)로 만들어진 웹

    (Web)에 가열 또는 접착제 등을 가하여 보다 강한 결합력을 유지토록 한 것을 부직

    포(Non-woven)라 한다.

    부직포 제조방식에 따라 만들어진 물품 중 인조피혁(Artificial leathers)이 있는 데, 스

    웨이드타입의 극세사를 활용한 다양한 물품이 생산된다.

    ② 코팅 ․ 적층직물 (Coated or Laminated Fabrics)

    기재(Base Fabrics)가 직물(Woven Fabrics), 편물(Knit Fabrics) 또는 부직포(Non-

    Wovens)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 또는 뒷면을 플라스틱제의 수지 등으로 도포하거나

    코팅, 또는 적층한 물품을 코팅(Coated) 또는 적층(Laminated) 직물Woven or Knit

    Fabric)이라 한다.

    섬유 ․ 의류제품의 종류와 소재에 대한 정의와 이해 없이는 이후에 기술할 품목분류는 물론 FTA 활용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섬유가 장섬유사(Filament Yarns)이냐 단섬유사

    (Staple-Fiber Spun Yarns)이냐에 따라 동일한 혼방율로 구성된 직물(Woven Fabrics)도

    서로 상이한 원산지결정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대상 제품이 단섬유직물인지 장섬유직물인지

    구분하여 품목분류를 적정히 하지 못한다면 원산지판정의 시도조차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3) 섬유 ․ 의류제품 생산과정의 주요 공정섬유 ․ 의류제품은 섬유(Fibers), 사(Yarns), 직물(Fabrics) 등의 생산 공정은 물론 염색․ 날염 ․ 후가공 및 재단 ․ 봉제 등의 다양한 일련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FTA 원산지결정기준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주요 섬유 ․ 의류제품 생산 및 가공공정은 다음과 같다. 이 단락에서 지칭하는 ‘생산’이라 함은 섬유 ․ 사 ․ 직물 등의 제조공정을 말하며, ‘가공’이라 함은 이렇게 생산된 섬유 ․ 사 ․ 직물에 가하는 연신 ․ 연사 ․ 염색 ․ 날염 ․ 후가공 등의 공정을 지칭할 때 사용하기로 한다.

  • Ⅰ. FTA 기본 이해

    11

    1) 인조장섬유의 생산: 방사(紡絲, Extrusion) 공정

    주로 인조섬유(Man-made Fibers)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합성 플라스틱 수지 또는 천연

    셀룰로오스 또는 그의 화학적 변성물을 용해 또는 용융시켜 작은 토출구(Spinneret or

    spinning nozzle)를 통해 방사(Extrusion)시키고, 이후 환원 ․ 건조 ․ 냉각시켜 가늘고 긴 연속상의 장섬유(Filaments) 사(Yarns)를 얻게 된다.

    2) 방적사의 생산: 방적(紡績, Spinning) 공정

    단섬유(Staple Fibers)를 집속하여 꼬는 방식으로 사(실, Yarns)을 만드는 공정을 의미

    한다.

    3) 사(실, Yarns) 가공 공정

    ① 연신(Drawing)

    장섬유(Filaments)를 원길이의 3배 또는 4배로 늘여서 섬유내 분자가 필라멘트

    (Filaments) 축방향으로 모이게 하여 이의 장력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사례: POY(Partially Oriented Yarns)사 – 폴리에스터 장섬유를 일부 연신하여 부분배향구조를 가지게 만든 제품)

    ② 연사(Twisting) 및 합연

    2 가닥 이상의 필라멘트사를 꼬아서 단사를 제조하는 공정을 연사(Twist), 2 가닥 이

    상의 사(Yarns)을 합치고 꼬아서 한 가닥의 실을 만드는 공정을 합연이라 부른다. 1종

    의 순사를 2 가닥 이상 합치고 꼬아서 만든 실을 합연사, 2종 이상의 순사를 연사

    공정을 통하여 만든 실을 교연사 라고도 한다.

    ③ 텍스쳐링(Texturing)

    합성섬유는 소재의 특성상 천연섬유에 비해 벌크감(Bulkiness) 등의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섬유(Filaments)에 코일, 크림프, 루프 등의 모양을 만들어 여러 가지 표면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12

    변화와 신축성 등을 준 실을 만들기 위해 적용하는 공정이 텍스쳐링 가공이다. (사례:

    DTY (Drawn Textured Yarns) – 폴리에스터 장섬유의 POY사를 추가적인 연신 및 벌키(Bulky) 가공을 통해 만든 제품)

    4) 직물 및 편물의 생산: 제직(Weaving) 또는 편직(Knitting)

    경사와 위사를 직각으로 교차하여 천을 만드는 것을 제직(Weaving), 한 가닥의 실을

    연속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고 이를 연결하여 천을 만드는 것을 편직(Knitting)이라 한다.

    5) 날염(Printing)과 염색(Dyeing)

    사(실, Yarns)나 직물(Fabrics)을 염료가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는 염색욕에 넣고 가열

    ․ 후처리하여 전체에 균일한 색상을 부여하는 공정이 염색(Dyeing)공정이다. 이에 반하여 천을 접거나 묶는 조작 이후 염색욕에 담그거나 실크스크린 인쇄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늬 또는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는 가공공정이 날염(Printing)공정이다. 염

    색(Dyeing)과 날염(Printing)을 혼돈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6) 기타 가공: 후가공(Finishing)

    직물의 표면을 브러시에 접촉시켜 미세한 섬유가닥을 형성시키는 브러시가공

    (Brushing), 불에 타지 않거나 불이 전파되지 아니하도록 특수한 약품을 처리하는 방

    염가공(Flame-retardant), 직물이 세탁 등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축

    가공(Shrink proofing), 직물에 주름이 잘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추가공(Crease

    resistant finishing), 섬유 표면에 흙이나 부유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잘 붙지 않거나

    한번 붙은 오염물질이 잘 떨어지도록 하는 방오가공(Anti-dust or anti-soil finishing),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대전방지가공(Anti-static finishing) 등의 다양한

    공정들을 일반적으로 후가공(Finishing)이라 통칭한다.

    7) 의류 및 제품의 생산: 재단(Cut) 및 봉제(Sewn) 또는 편성(Knit-to-Shape)

    직물(Woven or Knit Fabrics)을 이용하여 의류 및 섬유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정

    한 폭과 너비의 천을 형상에 따라 재단(Cut)하고 이를 코바늘, 접착제(adhesive) 또는

  • Ⅰ. FTA 기본 이해

    13

    재봉사를 이용한 봉제(Sewn)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제조한다. 양말이나 장갑처럼

    별도의 추가적인 재단 ․ 봉제 없이 편직(Knitting)을 통해 그대로 최종 제품의 형상을 만들 수도 있는데 이를 특별히 편성(Knit-to-Shape)이라 구분한다.

    섬유 ․ 의류제품의 제조과정에 수반되는 다양한 생산공정 및 가공공정 중 어떤 단계 이후의 공정을 FTA 협정당사국에서 수행하였는지가 제품의 원산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핵심적 요인이다.

    예를 들어, 한-EU FTA에 따르면 Polyester DTY는 한국에서 사를 제조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만 FTA를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단순한 가연 ․ 연사 ․ 텍스쳐링 등의 가공 공정만 수행해도 되는 것을 의미하는 지 아니면 장섬유(Filaments)의 생산 공정인 방사(Extrusion) 단계

    부터 수행되어야 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원산

    지의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공정과 그러지 아니한 공정을 구분해 냄으로써 원산지

    판정을 손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3. 섬유 ․ 의류제품과 품목분류품목분류란 전 세계에서 거래되는 각종 물품을 세계관세기구(WCO)가 정한 국제통

    일상품분류체계(HS)에 의거 하나의 품목번호(Heading)에 분류하는 것으로, 국제통일

    상품분류체계에 관한 국제협약5)에 의해 HS체계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품목분류를

    수행하여야 한다.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는 관세 ․ 무역통계 ․ 운송 ․ 보험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든 다목적 상품분류제도로서 상품분류 체계의 통일을 기하여 국

    제무역을 원활히 하고 관세율 적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HS협약에 가입한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 체약국들은 수입물품이 분류되는 품목

    번호마다 관세율 ․ 규제법령 ․ 관세환급 등을 미리 정해 놓는다. 따라서 정확한 품목분류가 선행되어야 납부할 관세액과 적용법령에 따른 요건확인 여부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정확한 관세의 납부는 물론 수출입 무역활동의 기초는 바로 올바른 품목분류에

    서 시작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5)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관한 국제협약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일명 “HS협약”으로 불림.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14

    FTA협정은 체약 당사국 간의 약속이며 우리나라 국내법적으로 볼 때 법률에 해당한

    다.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하는 상대국 역시 HS협약 체약국이다. 따라서 FTA협정

    을 맺는 당사국들은 HS협약에 따른 품목분류체계를 그대로 수용, 관세율의 인하 ․ 철폐안이 담긴 관세양허표와 개별 품목에 따른 FTA 원산지결정기준에 대한 약속을 HS

    협약에 따른 품목번호(Heading)에 따라 규정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수출입하고자 하는 물품이 FTA 특혜를 받을 수 있는 특혜원산지 지위

    를 가지고 있느냐의 문제는 바로 해당 물품이 어떤 품목번호에 분류되는 물품이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FTA 원산지결정기준을 논하기 전에 섬유 ․ 의류제품의 품목분류가 어떤 체계에 따라 이루어지는지 알아야 한다.

    품목분류번호(HS코드)

    세율의 적용 기본 관세율이 HS코드에 따라 책정

    세액감면 여부 수입세액 감면여부를 결정

    적용 법령 각종 규제 (환경 ․ 식품 등) 적용간이환급액 수출품에 대한 간이환급률 결정

    FTA 양허세율 수입국의 관세 양허 여부 결정

    FTA 원산지결정기준 품목별 원산지기준을 결정

    표 5 품목분류의 중요성

    (1) 품목분류표의 이해

    1) HS코드의 구조

    HS(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부호란 수출입물품

    에 대해 HS협약에 의해 부여되는 상품분류코드로서 6자리까지는 국제적으로 공통

    으로 사용하는 코드이며,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이를 세분하여 10자리까지 사용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0자리를 사용하며 이를 HSK(HS of Korea)라 한다. FTA

    협정이 국제협약인 점을 감안할 때, FTA협정마다 규정된 원산지결정기준 등은 국

    제공통인 6자리 코드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한-미 FTA는 미국 8

    자리에 따름)

  • Ⅰ. FTA 기본 이해

    15

    HS코드의 구조: 5407.52 염색된 폴리에스터 텍스쳐드사의 직물

    54: 류(Chapter) → 인조필라멘트사의 사와 직물이 분류되는 류

    5407: 호(Heading) → 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이 분류되는 호

    5407.52: 소호(Sub-Heading) → 텍스쳐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

    의 85이상인 직물로 염색한 것이 분류되는 소호

    2) 품목분류표의 기본 구조

    품목분류표는 품목분류의 기본원칙인 이른바 ‘통칙(GRI, General Rules of Interpretation)’

    과 각 류 및 호의 분류범위 및 용어정의와 서로 상이한 HS코드로 분류될 수 있는

    물품인 경합물품의 분류한계를 설명하는 ‘주(Legal Note)’, 그리고 ‘호(Heading)’로 구

    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품목분류번호를 참조하게 되면 일련의 6자리 또는 10자리 번호체계로 구

    성되어 있는 것이 품목분류표의 전부인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어떤 물품이 어떤

    HS코드로 분류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통칙’, ‘주’, ‘호의 용어’와 이의 상세

    사항이 기술된 해설서 등을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통칙 (GRI)· 통칙1~통칙6까지 구성· 법적 구속력 있음

    주 (Legal Note)

    · 부, 류, 소호에 설정 (444개)· HS협약주와 국내주로 구성· 법적 구속력 있음· 부, 류, 호의 분류범위 및 용어 정의와 경합물품 표시

    호 (Heading)· 류를 세분화한 4단위로 1,224개· 호의 용어는 법적 구속력 있음

    소호 (Sub-Heading)· 호를 세분류한 5,6 단위로 5,205개· 소호까지 국제공통 사용· 소호의 용어는 법적 구속력 있음

    부 (Section)· 대분류 제1부~21부· 부의 표제는 법적 구속력이 없음

    류 (Chapter)· 중분류. 제1류~97류· 류의 표제는 법적 구속력이 없음

    절 (Sub-Chapter)· 한정된 류에만 있고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임· 표제는 법적 구속력이 없음

    표 6 품목분류표의 기본 구조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16

    3) 품목분류표의 확인 등

    세계관세기구(WCO) 및 각국 관세청에서는 자국의 수입관세율을 규정한 품목분류표

    를 공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관세청 인터넷 사이트6) 등을 통해 품목분류표

    를 확인할 수 있다.

    품목분류표에 기재된 품명을 검색하거나 업계의 관행에 따라 품목분류를 하게 되면

    분류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분류하는 소위 ‘주관적’ 품목분류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품목분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품목분류와 안전

    한 FTA활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품목분류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거나, 관세청이나

    세관과 같은 과세관청의 유권해석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2) 섬유 ․ 의류제품의 품목분류본 책자는 품목분류에 대한 상세 사항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섬유의류제품의 FTA원

    산지결정기준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그 목적 달성에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섬유 ․ 의류제품의 품목분류에 대하여 안내하기로 한다. 1) 품목분류표 류 체계

    0 1 2 3 4 5 6 7 8 9

    산동물 육 어패류 낙농품 동물성생산품산수목

    꽃 채소과실 ․견과류

    커피 ․향신료

    10 곡물 밀가루 ․곡분 종자 ․ 인삼 식물성엑스 식물성생산품 동물성유지 육 ․ 어류제품 당류 ․설탕과자 코코아 곡물 ․곡분제품20 채소과실제품 조제식료품

    음료주류 사료 연초

    토석류 ․소금

    광 ․ 슬랙 ․회 광물성연료

    무기화학품

    유기화학품

    30 의료용품 비료 염료 ․페인트 향료 ․화장품 비누 ․ 왁스 단백질 ․전분 화약류 ․성냥 필름 ․인화지 화학공업제품 플라스틱40 고무 가죽 가죽제품․ 가방 모피제품 목재 코르크 조물제품 펄프 지 ․ 판지 서적 ․ 신문50 견 양모 ․ 수모 면 식물성섬유 인조필라멘트 인조스테이플 워딩 ․부직포 양탄자 특수직물 도포직물60 편물 편물제의류

    편물제 이외 의류

    기타섬유제품 신발 모자

    우산 ․지팡이

    우모 ․인모제품 석 ․ 시멘트 도자제품

    70 유리 귀석 ․귀금속 철강 철강제품 동 니켈 알루미늄 (유보) 납 아연80 주석 기타금속 금속공구 금속제품 기계류 전기제푸 철도차량 일반차량 항공기 선박

    90 광 ․ 정밀기기 시계 악기 무기 가구 완구 ․운동용구 잡품 예술 ․골동품표 7 품목분류 속견표

    6) http://www.customs.go.kr

  • Ⅰ. FTA 기본 이해

    17

    품목분류표의 류(Chapter)는 제01류에서 제97류까지로 구성된다. 섬유 ․ 의류제품이 주로 분류되는 류는 제50류 내지 제63류이며, 특별히 해당 류를 통칭하여 제11부라

    부른다. 물론 방직용 섬유와 그 제품(Textile and Textile Articles)은 제11부에 해당하

    는 류 이외에도 제4202호의 가방, 제64류의 신발, 제65류의 모자, 제94류의 침구류

    등에 분류될 수도 있으나 제11부 및 제65류의 일부 모자를 제외한 다른 류와 호에

    분류되는 물품의 품목분류에 대해서는 비중 있게 다루지 아니한다.

    2) 제11부의 구성

    제11부는 크게 제50류 내지 제55류까지는 재질과 섬유장에 따라 섬유 ․ 사 ․ 직물이 분류되고, 제60류에는 재질 등에 상관없이 편물이 분류되며, 제61류 및 제62류에는 의

    류, 제63류에는 기타 제품 등이 분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류 설명 내용

    제50류 견(Silk)

    - 재질에 따른 류 구분- 제54류 ․ 제55류는 섬유장 구분- 각류는 섬유 ․ 사 ․ 직물로 구성- 혼방은 최대중량에 따라 류 결정

    제51류 양모(Wool), 기타 동물성 섬유

    제52류 면(Cotton)

    제53류 마, 기타 식물성 섬유

    제54류 인조필라멘트

    제55류 인조스테이플섬유

    제56류 워딩, 펠트, 부직포- 부직포류(Non-woven)- 고무사, 금속드리사, 짐프사 등 일부 특수사

    제57류 양탄자

    제58류 특수직물, 레이스, 자수포 - 파일직물, 테리타올지 등

    제59류 침투 ․ 도포직물 - 플라스틱 침투 ․ 도포 ․ 피복직물제60류 편물(Knit Fabrics)

    - 재질 ․ 섬유장에 상관없이 편직 방식으로 제조된 직물이 분류

    제61류 편물제 의류 - 외관이 편물로 구성된 의류

    제62류 편물제 이외의 의류 - 외관이 편물제 이외의 소재로 구성된 의류

    제63류 기타제품, 세트, 중고의류

    표 8 제11부의 구성 일람표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18

    3) 섬유 ․ 사 ․ 직물 및 편물 등의 류 분류 구분① 섬유(Fibers)의 분류

    섬유(Fibers)는 재질에 따라 제50류 내지 제55류에 분류되며, 이 중 인조섬유(Man-made

    Fibers)는 섬유장에 따라 인조필라멘트는 제54류에, 인조스테이플섬유는 제55류에 분

    류된다. 참고로, 인조섬유를 생산하기 위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수지 등 합성원료는

    제39류에 분류된다.

    ② 사(Yarns)의 분류

    일반적인 방적사나 (합)연사 등은 모두 제50류 내지 제55류에 재질과 섬유장에 따라

    분류된다. 인조섬유로 제조된 사(Yarns)는 구성섬유의 섬유장에 따라 인조필라멘트사

    는 제54류에, 인조스테이플사는 제55류에 분류된다. 이와는 별도로 특별히 제56류에

    는 고무사(제5604호), 금속드리사(제5605호), 짐프사(제5606호)가 분류되므로 유의하

    여야 한다.

    ③ 직물(Woven Fabrics)의 분류

    경사와 위사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일반적인 직물(Woven Fabrics)

    은 역시 구성 섬유의 재질과 섬유장에 따라 제50류 내지 제55류에 분류된다. 단, 기재

    가 제직(Weaving)방식으로 제조된 직물 중 파일직물(Pile Woven Fabrics)은 제5801

    호에, 테리타올지(Terry woven Fabrics)은 제5802호에, 금속사 또는 금속드리사의 직

    물은 제5809호에 분류된다.

    ④ 플라스틱 침투 ․ 도포 ․ 적층 직물(Woven or Knit Fabrics)의 분류

    플라스틱을 침투 ․ 도포 ․ 피복 또는 적층한 직물은 제5903호에, 고무가공을 한 직물은 제5906호에, 기타의 방법으로 침투 ․ 도포 또는 피복한 방직용 섬유의 직물류는 제5907호에 분류된다.

  • Ⅰ. FTA 기본 이해

    19

    ⑤ 편물(Knit Fabrics)의 분류

    편직공정에 의해 제조된 직물인 편물(Knit Fabrics)은 재질과 섬유장, 파일 유무에 관

    계없이 제60류에 분류된다. 파일편물(Pile Knit Fabrics)은 파일직물(Pile Woven

    Fabrics)과 달리 제6001호에 분류된다.

    ⑥ 부직포(Non-Woven)의 분류

    워딩(Wadding)은 제5601호, 펠트는 제5602호, 그리고 부직포는 제5603호에 분류

    된다.

    4) 의류 및 제품 등의 류 분류 구분

    ① 편물제 의류

    일반적으로 외관이 편물(Knit Fabrics)으로 이루어진 의류는 제61류에 기능과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단,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으로 침투 ․ 도포 ․ 피복 또는 적층한 직물류인 제5603호 ․ 제5906호 또는 제5907호에 해당하는 직물로 제조한 의류는 제6113호에 특별히 분류된다.

    ② 편물제 이외의 의류

    일반적으로 외관이 편물 이외의 직물 등으로 구성된 의류는 제62류에 기능과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단, 여성용 내의류는 편물제인지의 여부에 분문하고 제61류가 아닌

    제62류의 제6212호에 분류된다.

    ③ 기타 제품

    섬유제품으로서 의류를 제외한 모포, 린넨, 커튼 등 실내용품 및 중고의류 등은 제63

    류에, 일부 침구류는 제94류에, 방직용섬유제의 모자는 제65류에 분류된다.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0

    5) 제50류 내지 제55류 및 제60류의 호 분류 경향

    제50류 내지 제55류는 재질 및 섬유장에 따라 섬유 ․ 사 ․ 직물이 분류된다 하였다. 각 류 내의 호 분류체계의 경향을 살펴 보면, 호 번호가 낮은 것에서 높은 순으로 섬유

    (Fibers) → 사(Yarns) → 직물(Woven Fabrics)이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품목분류체계가 섬유 ․ 의류제품의 가공단계를 일부 반영하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케 하는 부분이다.

    원료 섬유 사 직물

    제50류 누에고치 5001-5003 5004-5006 5007제51류 양모, 동물성 재료 5101-5105 5106-5110 5111-5113제52류 면(Cotton) 5201-5203 5204-5207 5208-5212제53류 기타 식물성 재료 5301-5305 5306-5308 5309-5311제54류 고분자 중합체 5401-5406 5407-5408제55류 고분자 중합체 5501-5507 5508-5511 5512-5516

    ※제5604호 고무사, 제5605호 금속드리사, 제5607호 짐프사※편물은 재질 등에 관련없이 모두 제60류에 분류

    표 9 섬유 ․ 사 ․ 직물의 호 분류 체계

    즉, 재배나 사육 또는 합성수지의 방사(Extrusion)을 통해 섬유(Fiber)를 제조하고, 이

    를 방적이나 연사 등의 과정을 통해 사(Yarns)를 제조한 후 직물(Woven Fabrics)을

    제조하는 순차적 생산 ․ 가공공정이 호 번호 체계에 반영되어 있다.

    6) 제61류 및 제62류의 호 분류 경향

    의류제품은 모두 제61류 및 제62류에 분류된다. 세부적으로는 남성용 ․ 여성용으로 구분하고, 일부 유아용 의류나 플라스틱 등을 도포한 의류 등을 특별히 우선적으로 각

    각 해당 호에 분류한다. 재질이나 섬유장에 따른 구분이 아닌 기능과 용도에 따른 구

    분 경향을 띈다.

    제61류 및 제62류 각 류의 주에는 “슈트”, “앙상블”, “티셔츠”, “유아용 의류”, “스키

    슈트” 등의 정의와 분류 한계가 지정되어 있으니 이를 참고하여야 한다. 일상적으로

    어떤 의류에 대하여 ‘티셔츠’라 부른다 하더라도 해당 물품이 품목분류표 상의 “티셔

    츠”에 분류되지는 아니할 수 있기 때문이다.

  • Ⅰ. FTA 기본 이해

    21

    (3) 혼방제품의 품목분류

    제50류 내지 제55류에 섬유 ․ 사 ․ 직물이 재질별로 분류되며, 나머지 류 역시 세부적인 호나 소호 단위에서 재질별로 물품을 구분한다. 섬유 ․ 의류제품은 소비자의 기호와 제품의 물성조절을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섬유소재를 함께 사용하는 소위 ‘혼방

    (Mixed)’이 일반적이다. 이때, 혼방 섬유 ․ 의류제품이 재질별로 구분된 류 ․ 호 ․ 소호 단위에서 어떤 HS코드에 분류되어야 할지를 결정하여야 할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품목분류표에서는 제11부 주2와 제11부 소호 주2를 통해 혼방제품의 품목분류 기준

    을 제시하고 있다.

    1) 제11부 주 2. 와 소호 주 2.

    제11부 주 2.

    가. 제50류부터 제55류까지 ․ 제5809호나 제5902호로 분류되는 물품으로서 두 가지 이상의 방직용 섬유재료로 구성된 물품은 구성하는 방직용 섬유 중 최대중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된 물품으로 분류한다. 구성하는 방직용 섬유 중 최대중량을 차지하는 섬유가 없을 경우에는 동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호 중에서 가장 마지막 호에 해당하는 물품으로 분류한다.

    나. 가목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1) 짐프한(gimped) 말의 털로 만든 실(제5110호)과 금속드리사(metallised쟹arn)(제

    5605호)는 하나의 방직용 섬유재료로 보며, 그 중량은 이를 구성하는 중량의 합계에 따른다. 또한 직물의 분류에서는 직물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사도 방직용 섬유재료로 본다.

    2) 해당 호의 결정은 우선 류를 결정한 후, 그 류에 속하는 적절한 호를 결정하여야 하며, 해당 류로 분류되지 않는 재료는 고려하지 않는다.

    3) 제54류와 제55류는 그 밖의 다른 류와의 관계에서 하나의 류로 본다. 4) 동일한 류나 호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방직용 섬유재료는 그 밖의 다른 류나 호와의

    관계에서 하나의 방직용 섬유재료로 본다. 다. 가목과 나목은 주 제3호부터 주 제6호까지에서 규정한 실에도 적용한다.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2

    제11부 소호 주 2.

    가. 둘 이상의 방직용 섬유로 구성된 제56류부터 제63류까지의 물품은 동일한 방직용 섬유재료로 구성된 제50류부터 제55류까지나 제5809호의 품목분류에 관한 이 부의 주 제2호에 따라 최대중량으로 구성된 방직용 섬유제품으로 간주한다.

    나. 이 규정을 적용하는  경우 1) 통칙 제3호에 따라 해당 품목분류를 결정하는 데에만 고려하여야 한다. 2) 바탕천 ․ 파일(pile) ․ 고리(loop)의 면으로 조성된 방직용 섬유제품에서는 바탕천은 고

    려하지 않는다. 3) 제5810호의 자수천과 자수천으로 만들어진 물품에서는 바탕천만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바탕천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자수천과 자수천으로 만들어진 물품은 자수사만을 고려하여 분류하여야 한다.

    2) 혼방제품의 품목분류방법과 사례

    ① 혼방제품의 분류 - 최대중량 ․ 최종호 분류원칙

    2종 이상의 상이한 방직용 섬유로 구성된 물품은 최대중량을 가진 방직용 섬유로 된

    물품으로 분류된다. 만일 구성하는 방직용 섬유 중 최대 중량을 차지하는 섬유가 없

    을 경우에는 동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호 중에서 최종호(last in numerical order)에

    해당하는 물품으로 분류된다.

    단, 어떤 류 또는 어떤 호에 상이한 방직용 섬유재료로 구성된 물품이 분류되는 경우

    에는 그 재료들은 다른 재료와 혼합된 재료를 포함한 유사물품을 분류하기 위해 모두

    합쳐져야 한다. 해당 호의 분류는 우선 류를 결정하고, 그 다음 그 류에 속하는 적절

    한 호를 결정하여야 하며 해당 류에 분류되지 않는 재료는 고려하지 아니한다.

    ② 적용 사례 1

    합성스테이플 섬유의 중량이 40%, 소모사의 중량이 35%, 코움한 섬수모의 중량이 25%인 직물

    제5515호(기타 합성스테이플 섬유의 직물)에 분류되지 아니하고 제5112호(소모사 또

    는 코움한 섬수모의 직물)에 분류된다. 왜냐하면 본 사례의 경우, 같은 류에 분류되는

  • Ⅰ. FTA 기본 이해

    23

    재질인 양모와 섬수모의 중량 비율을 합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③ 적용 사례 2

    면의 중량이 전중량의 40%, 재생 또는 반합성스테이플섬유의 중량이 30%, 합성스테이플섬유

    의 중량이 30%인 중량 210g/㎡인 직물

    제5211호(면의 중량이 전중량의 85% 미만이고, 주로 인조섬유와 혼방한 것으로서 중량

    이 200g/㎡을 초과하는 면직물)나, 제5514호 (합성스테이플 섬유의 중량이 전중량의

     85%미만이고, 주로 면과 혼방한 것으로서 중량이 170g/㎡을 초과하는 합성스테이플

    섬유직물)에 분류되지 아니하고, 제5516호(재생 또는 반합성스테이플섬유직물)에 분류

    된다. 이러한 분류는 먼저 관련 류(본 사례의 경우 합성스테이플 섬유와 재생 또는 반합

    성스테이플섬유의 중량을 합산하여야 하므로 관련 류는 제55류가 됨)를 결정하고 다음

    에 그 결정된 류안에서 해당 호인 제5516호(본 사례의 경우 여러 호에 해당된다고 인정

    되는 호 중 최종호)를 결정한다.

    ④ 적용 사례 3

    아마의 중량이 35%, 황마의 중량이 25%, 면의 중량이 40%로 된 직물

    제5212호(기타 면직물)에 분류되지 아니하고 제5309호(아마직물)에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는 먼저 관련 류(본 사례의 경우 아마와 황마를 합해야 하므로 관련 류는 제53류가 

    됨)를 결정하고 다음에 결정된 류 안에서 해당 호인 제5309호(아마의 중량이 황마의 중

    량을 초과하며 제11부 주 제2호 나목(2)에 의거 면의 함유량은 고려하지 않으므로)를 결

    정한다.

    (4) 제11부에 분류되는 목적으로 ‘제품으로 된 것(made up)’의 정의제11부에는 소위 ‘제품으로 된 것’과 그렇지 아니한 물품들이 분류되며, 호의 용어에

    ‘제품으로 된 것’이라는 표현이 있지 아니하면 해당 호에는 제11부 주7에 따른 ‘제품

    으로 된 것’이 분류될 수 없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직물들이 분류되는 제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4

    50류 내지 제55류의 해당 호에는 ‘제품으로 된 것’이라는 표현이 없으므로, 제11부 주7

    에 해당되는 물품은 제50류 내지 제55류의 직물이 분류되는 호에 분류되지 못한다.

    제11부 주7.

    이 부에서 “제품으로 된 것”이란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외의 모양으로 재단한 물품 나. 봉제나 그 밖의 가공 없이 완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간사를 절단함으로써 단지 분

    리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예: 더스터(duster) ․ 타월 ․ 탁상보 ․ 정사각형 스카프 ․ 모포] 다.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물품으로서, 최소한 하나의 가장자리를 눈에 뜨일 정도로 끝을 가늘게

    하거나 압착하여 열봉합하고, 다른 가장자리들은 이 주의 그 밖의 다른 목에서 규정한 대로 처리를 한 것(열 절단이나 그 밖의 간단한 방법으로 그 절단된 가장자리가 풀리지 않도록 된 직물은 제외한다)

    라. 가장자리를 접어 감치거나 단을 댄 물품이나 가장자리에 결절술을 댄 물품(직물의 절단된 가장자리를 감치거나 그 밖의 단순한 방법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은 제외한다)

    마.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물품으로서 드로온 드레드워크(drawn thread work)를 한 것 바. 봉제 ․ 풀칠 ․ 그 밖의 방법으로 이어붙인 물품[동종의 직물류를 두 가지 이상 끝과 끝을 이어 붙

    인 천과 두 가지 이상의 직물류를 적층하여 만든 천(속을 채운 것인지에 상관없다)은 제외한다] 사. 특정 모양의 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분리된 부분이나 특정 길이의 여러 모양으로 제

    시되었는지에 상관없다)

    이 이외에도 제11부 품목분류표에는 다양한 분류규정과 체계가 존재하나 본 책자에

    서는 해당 사항을 상세히 다루는 것 보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 혼방제품의 분류규정을

    제시하고, 기타 섬유 ․ 의류제품의 품목분류에 있어 자주 발생되는 사례를 제시한다. 그러므로 FTA활용대상 섬유 ․ 의류제품 및 해당 제품을 구성하는 원재료의 품목분류는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에 근거하기를 다시 한 번 강조한다.

    (5) 섬유 ․ 의류제품이 분류되는 각 류의 호 체계와 품목분류 사례제11부 각 류의 호 체계 및 특정 물품의 분류 사례, 그리고 섬유산업 현장에서 잘못

    알려진 품목분류사례 및 분류 특이점에 대하여 안내한다.

    특별히 제50류 내지 제55류의 호 분류체계를 볼 때, 호의 번호가 낮은 것으로부터

    높은 것에 이르는 순서에 따라 섬유(Fibers) → 사(Yarns) → 직물(Woven Fabrics)의

    순으로 소위 ‘가공도’에 따라 구분되어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Ⅰ. FTA 기본 이해

    25

    1) 제50류 견

    호 호의 용어 비고

    5001 누에고치(생사를 뽑는데 적합한 것에 한한다) 원료

    5002 생사(꼰 것을 제외한다)섬유

    5003견웨이스트(생사를 뽑는데 적합하지 아니한 누에고치 ․ 사웨이스트 및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5004 견사(견웨이스트로 만든 견방사와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사5005 견방사(견웨이스트의 것에 한하며,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006 견사 ․ 견방사(소매용의 것에 한한다) 및 누에의 거트5007 견직물(견웨이스트의 것을 포함한다) 직물

    표 10 제50류 호 분류 체계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상태의 것을 생사 또는 생견이라 하고, 이의 표면처리 후 한 가

    닥 또는 두 가닥 이상을 함께 가연한 견연사를 견사라 한다. 견방사란, 견 웨이스트

    (silk waster)를 이용하여 방적한 사(Yarns spun from silk waste)를 뜻한다.

    2) 제51류 양모 ․ 동물의 부드러운 털이나 거친 털 ․ 말의 털로 만든 실과 직물호 호의 용어 비고

    5101 양모(카드 또는 코움한 것을 제외한다)

    섬유

    5102 섬수모 또는 조수모(카드 또는 코움한 것을 제외한다)

    5103양모 ․ 섬수모 또는 조수모의 웨이스트(실의 웨이스트를 포함하며, 가아넷스톡을 제외한다)

    5104 양모 ․ 섬수모 또는 조수모의 가아넷스톡5105

    양모 ․ 섬수모 또는 조수모(카드 또는 코움한 것에 한하며, 코움한 단편상의 양모를 포함한다)

    5106 카드한 양모사(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107 코움한 양모사(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108 섬수모사(카드 또는 코움한 것에 한하며,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109 양모사 또는 섬수모사(소매용의 것에 한한다)

    5110 조수모사 또는 마모사(짐프한 마모사를 포함하며, 소매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5111 직물(카드한 양모 또는 섬수모의 것에 한한다)

    직물5112 직물(코움한 양모 또는 섬수모의 것에 한한다)

    5113 직물(조수모 또는 마모의 것에 한한다)

    표 11 제51류 호 분류 체계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6

    양모는 교역량이 많아 카드 ․ 코움 여부에 따라 4단위 호를 세분화 하고 있다. 짐프사는 제5606호에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짐프한 마모사(gimped horsehair yarn)은

    제5110호에 분류된다.

    3) 제52류 면

    호 호의 용어 비고

    5201 면(카드 또는 코움한 것을 제외한다)

    섬유5202 면웨이스트(사웨이스트와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5203 면(카드 또는 코움한 것에 한한다)

    5204 면 재봉사(소매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5205면사(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이상인 것에 한하며, 재봉사와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206면사(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미만인 것에 한하며, 재봉사와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207 면사(재봉사를 제외하며 소매용의 것에 한한다)

    5208면직물(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이상인 것으로서 1제곱미터당 중량이 200그램 이하인 것에 한한다)

    직물

    5209면직물(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이상인 것으로서 1제곱미터당 중량이 200그램을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

    5210면직물(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미만이고 주로 인조섬유와 혼방한 것으로서 1제곱미터당 중량이 200그램 이하인 것에 한한다)

    5211면직물(면의 함유량이 전중량의 100분의 85 미만이고 주로 인조섬유와 혼방한 것으로서 1제곱미터당 중량이 200그램을 초과하는 것에 한한다)

    5212 기타 면직물

    표 12 제52류 호 분류 체계

    천연섬유 소재 중 가장 큰 교역량을 차지하는 인류와 가장 친숙한 섬유소재 중 하나

    가 면(cotton)이다. 면은 카드 또는 코움에 따라 4단위 호를 구분하고, 면직물의 경우

    특별히 중량과 혼방 비율에 따라 4단위 호가 구분된다. 호의 용어에 나타나 있는 면

    의 함유량에도 불구하고 제11부 주 2 및 소호주 2의 혼방제품에 대한 분류규정이 우

    선 적용되어야 한다. 즉, 제5211호의 면 함유량이 전 준량의 100분의 85 미만인 인조

    섬유와 혼방된 직물이 분류된다 하더라도, 우선 제52류에 분류되기 위해서는 류 단위

    에서 최대중량이 면(Cotton)인 경우에만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이다.

  • Ⅰ. FTA 기본 이해

    27

    참고로, 제5204호, 제5401호, 제5508호에 나타나는 “재봉사”란 의류 등의 제조 시 재

    봉용으로 사용된 실을 의미하는 업계관행상 용어가 아니라 제11부 주 5에 따르는 특

    정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Yarns)를 지칭하는 품목분류표상 용어이다.

    제11부 주 5.

    제5204호 ․ 제5401호 ․ 제5508호에서 “재봉사”란 다음 각 목의 요건에 모두 해당하는 복합사(연합사)나 케이블사를 말한다.

    가. 실패(예: 릴 ․ 튜브)에 감은 실로서 한 개의 중량(실패의 중량을 포함한다)이 1천그램 이하의 것.나. 재봉사로 사용되는 드레스한 실

    다. 최종꼬임이 “제트”꼬임인 실

    4) 제53류 그 밖의 식물성 방직용 섬유, 종이실(Paper Yarn, ‘지사’라고도 함)과 종이실로 만든 직물

    호 호의 용어 비고

    5301아마(생 것이거나 또는 가공은 하였으나 방적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와 아마의 토우 및 웨이스트(사웨이스트와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섬유

    5302대마(생 것이거나 가공은 하였으나 방적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와 대마의 토우 및 웨이스트(사웨이스트와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5303황마와 기타의 방직용 인피섬유(아마 ․ 대마 및 라미를 제외하며, 생 것이거나 가공은 하였으나 방적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와 이들 섬유의 토우와 웨이스트(사웨이스트와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5305

    코코넛, 아바카(마닐라마), 라미와 기타 식물성 방직용 섬유(다른 곳에 열거되지 아니하거나 포함되지 아니하는 것에 한하며, 생 것이거나 가공은 하였으나 방적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 및 이들의 토우 ․ 노일 및 웨이스트(사웨이스트와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5306 아마사

    사5307 제5303호의 황마 또는 기타 방직용 인피섬유사

    5308 기타 식물성 섬유사와 지사

    5309 아마직물

    직물5310 제5303호의 황마 기타 방직용 인피섬유의 직물

    5311 기타 식물성 방직용 섬유의 직물과 지사의 직물

    표 13 제53류 호 분류 체계

    천연 식물성 섬유 소재의 것으로 특별히 면(Cotton)의 것은 제52류에 분류하며 그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28

    이외의 것은 모두 제53류에 분류한다. 아마는 흔히 린넨(linen)이라 부르는 섬유소재

    이다. 제5304호는 사용하지 아니하는 호이며, 과거 사용되던 호 였으나 품목분류협약

    의 개정 등으로 인하여 삭제되거나 세분화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사용하지 아니하

    는 호로 남겨두게 된다.

    지사(paper yarn)란, 식물성소재로 만든 종이를 가늘고 길게 자른 후 몇 가닥 꼬아서

    만드는 실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닥나무를 원료로 지사와 지

    사로 만든 의류제품 등이 생산된다.

    5) 제54류 인조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의 스트립(strip)과 이와 유사한 것

    호 호의 용어 비고

    5401 인조필라멘트의 재봉사(소매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5402합성필라멘트사(재봉사와 소매용의 것을 제외하며, 67데시텍스 미만의 합성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5403재생 또는 반합성필라멘트사(재봉사 및 소매용의 것을 제외하며, 67데시텍스 미만의 재생 또는 반합성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5404합성모노필라멘트(67데시텍스 이상의 것으로서 횡단면의 치수가 1밀리미터 이하인 것에 한한다) 및 방직용 합성섬유재료의 스트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예 : 인조스트로)(시폭이 5밀리미터 이하인 것에 한한다)

    5405재생 또는 반합성모노필라멘트(67데시텍스 이상의 것으로서 횡단면의 치수가 1밀리미터 이하인 것에 한한다) 및 재생 또는 반합성방직용 섬유재료의 스트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예 : 인조스트로)(시폭이 5밀리미터 이하인 것에 한한다)

    5406 인조필라멘트사(재봉사를 제외하며, 소매용의 것에 한한다)

    5407 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제5404호 재료로 직조한 직물을 포함한다)직물

    5408 재생 또는 반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제5405호의 재료로 직조한 직물을 포함한다)

    표 14 제54류 호 분류 체계

    앞서 인조섬유란, 합성섬유와 재생 ․ 반합성 섬유를 의미하고, 필라멘트(Filaments)란 섬유장이 긴 섬유(또는 모노필라멘트사)라고 언급하였다. 인조섬유소재의 섬유 ․ 사 ․직물을 분류할 때에는 구성 섬유의 섬유장이 긴 것이 제54류에, 짧은 것이 제55류에

    분류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5402호에는 특별히 탄성사(제5402.44호)가 분류될 수 있는데, 품목분류표에서 탄성

    사(Elastomeric Yarn)란, ‘합성섬유로 만든 필라멘트사(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며 텍스

  • Ⅰ. FTA 기본 이해

    29

    처드사는 제외한다)로서 원래의 길이의 3배로 늘려도 끊어지지 않고, 원래의 길이의 2

    배로 늘린 후 5분 이내에 원래의 길이의 1.5배 이하로 되돌아가는 실’로 정의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스판덱스라고 불리며, 듀폰 사의 라이크라(Lycra)가 그 시초이다. 제5604

    호의 고무사와 구분되어야 한다.

    ① 품목분류사례: 에어커버드사(Air-Covered Yarn)

    일련의 스판덱스 장섬유사를 중심으로 그 주위를 나일론 장섬유(Filaments)가 뒤덮고 있는 형

    상의 실로 소위, 에어젯(Air Jet) 기기에서 토출되는 스판덱스 사 주위를 나일론 등의 장섬유가

    감싸게 만드는 ‘에어 커버링(Air Covering)’공정을 통해 제조된 실

    제조된 실의 형상이 마치 짐프사(Gimped Yarn)과 유사하여 제5606호의 짐프사에 분

    류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품목분류에서 짐프사는 전통적인 짐프(conventional

    gimp)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가운데 실(Yarns)을 다른 실(Yarns)이 빙빙 둘러가며

    (winding) 감싼 형태의 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어커버링 방식으로 제조되고, 가운데

    실(core Yarns)을 외부에서 불규칙한 형상으로 감싸고 있는 에어커버드사는 짐프사에

    해당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구성 섬유가 모두 합성필라멘트에 해당되므로 일견 제54

    류의 실(Yarns)이 분류되는 호에 구성 섬유의 중량 등에 따라 분류된다.

    ② 품목분류사례: POY사, DTY사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등을 기재로 한 장섬유사의 일종으로 방사(Extrusion)되어

    생산된 장섬유를 일부 연신(Drawing)하여 분자 내부구조에 부분적인 방향성을 부여

    한 실을 ‘부분연신사’(POY, Partially Oriented Yarn)라 한다. 추가적인 연신 ․ 텍스쳐링 ․ 가연 작업 등을 통해 특수한 목적의 실을 제조하는 중간제품인 경우가 많다. ‘연신가공사’(DTY, Drawn Textured Yarn)는 폴리에스터 등 장섬유를 추가적인 연신

    가공 등을 통해 제조한 텍스쳐드사이다. 폴리에스터 장섬유로 만든 POY는 제

    5402.46호에 분류되고, DTY는 제5402.33호에 분류된다. 반면, 나일론 장섬유로 만든

    POY는 제5402.45호, DTY는 제5402.31호에 분류된다.

  • 섬유패션산업의 FTA 이해와 활용

    30

    6) 제55류 인조스테이플 섬유

    호 호의 용어 비고

    5501 합성필라멘트토우

    섬유

    5502 재생 또는 반합성필라멘트토우

    5503 합성스테이플섬유(카드 ․ 코움 또는 기타의 방적준비 처리를 한 것은 제외한다)5504

    재생 또는 반합성스테이플섬유(카드 ․ 코움 또는 기타의 방적준비 처리를 한 것을 제외한다)

    5505 인조섬유의 웨이스트(노일 ․ 사웨이스트 및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5506 합성스테이플섬유(카드 ․ 코움 또는 기타의 방적준비 처리를 한 것에 한한다)5507 재생 또는 반합성스테이플섬유(카드 ․ 코움 또는 기타의 방적준비 처리를 한 것에 한한다)5508 인조스테이플섬유의 재봉사(소매용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사5509 합성스테이플섬유사(재봉사 및 소매용의 것을 제외한다)

    5510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