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이학석사 학 논문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 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향

재활과학과

김 희

지도교수 조 성 재

2007년 12월

구 학교 학원

Page 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Page 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 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향

이 논문을 이학석사 학 논문으로 제출함.

재 활 과 학 과

김 희

지도교수 조 성 재

김희 의 이학석사 학 논문을 인 함.

2007 년 12 월

심사 원장 (인)

심 사 원 (인)

심 사 원 (인)

구 학교 학원

Page 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Page 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i -

목 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 ························································································ 5

3. 용어의 정의 ························································································ 5

4. 연구의 제한 ···················································································· 6

Ⅱ. 이론 배경 ························································································ 7

1. 산업재해(산재)장애인의 특성과 황 ········································ 7

2. 산재장애인의 고용에 한 연구 ················································ 13

3.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 ································································· 18

Ⅲ. 연구방법 ···························································································· 27

1. 연구 상 ·························································································· 27

2. 주요 변수와 측정도구 ··································································· 29

3. 조사 차 ···························································································· 33

4. 분석방법 ···························································································· 34

Ⅳ. 연구결과 ···························································································· 35

1. 연구 상자들의 인구통계학 특성 ·········································· 35

2.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고용결과간의 계 ··················· 41

3. 장애정도 장애부 와 고용결과간의 계 ························· 43

Page 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ii -

Ⅴ. 결론 제언 ···················································································· 45

1. 결론 ···································································································· 45

2. 제언 ···································································································· 47

참고문헌 ··································································································· 48

Abstract ··································································································· 54

부록 ············································································································ 56

Page 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iii -

표 차 례

표 1. 산재발생 황 ················································································· 11

표 2. 연도별․ 수별 산재장애인 실태 ············································· 12

표 3. 산재장애인 고용 황 ··································································· 14

표 4. 연도별 직업복귀율 ······································································· 15

표 5. 2005년 연령별 산재장애인 직업복귀율 ··································· 16

표 6. 조사 상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 28

표 7. 설문지 구성내용 ··········································································· 32

표 8. 장애수용척도 구성 내용 ····························································· 32

표 9. 연구 상자들의 일반 특성 ····················································· 36

표 10. 연구 상자들의 장애정도 ························································· 37

표 11. 연구 상자들의 산재이 종사 직종 고용형태 ············· 39

표 12. 장애수용척도간의 상 계 ····················································· 41

표 13. 장애수용이 고용 측에 미치는 향 ····································· 42

표 14. 장애정도 장애부 와 고용결과와의 계 ······················· 44

Page 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 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향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정도 장애부 가 이들의 고용결과에

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 이 있다. 본 연구는 국 산재장

애인 회 산하 9개 지회 소속 산재장애인 210명을 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조사된

설문지에 해서는 빈도분석, 상 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 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장애수용도의 네 가지 하 척도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와 통계 으로 유의미한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를 해당 역의 제한으로 한정하는 산재장애인들은 장애의 향을

삶의 다른 역으로까지 확산시키는 태도를 보이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1.293배정

도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치 역의 확 ,

신체 조건의 수용,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의 이 세 가지요인은 산재장애인들

의 고용결과 측과 유의미한 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카

이 검정 분석 결과 장애등 과 장애부 는 직업복귀와 통계 으로 유의미한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의 부정 효과의 차단이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정 향을 다는 에 착안하여 이들의 장애에 한 심리사회 응을 돕고

자신의 장애에 해 정 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담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장애의 발생 부 나 장애 정도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에 요한 향을 수 있음으로 장애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와 고

용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많은 사람들에게 직업은 요한 삶의 요소 하나이다. 경쟁 인 노동시장

에서 직업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이를 통한 경제 부의 추구 능력은 인간에

게 있어 요한 삶의 목표가 되기 때문이다.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자신과 가

족을 부양하며, 규칙 이고 상가능한 일상에 몰두하고, 직업 만족과 자존

감의 고취를 경험하는 행 이다.

직업세계에 한 진입은 장애인의 사회 통합과 경제 독립에 있어서 매

우 요하다(Houtenville, 2003). 직업재활의 목표는 장애인들의 성공 인 고용

과 경제 안정의 유지를 한 능력 부여에 있다.

이에 따라 직업재활서비스는 주로 장애인들의 경쟁 인 노동시장에서의 고

용 획득과 유지가 요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성공 인 고용이 장애인들에

게 독립생활과 경제 자립을 통한 능동 인 사회참여를 견인한다. 이러한

을 고려해 볼 때, 장애인들의 성공 인 고용을 가져다 요인 측 연구가

지난 수 십년간 직업재활 분야의 주된 심사 다는 사실은 당연한 귀결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애인들의 성공 인 고용결과를 이끈 요인들을 알면

그것을 재활상담 장에 용하여 이들의 고용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장애인들의 삶에 있어 고용이 차지하는 역할의 요성에도 불구

하고, 우리나라 장애인들은 심각한 수 의 실업, 불안정한 고용, 혹은 임

등의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컨 , 근로복지공단의 장해 정자의 취업실태조

사 결과에 따르면, 2005년도에 새롭게 장해 정을 받은 31,719명 42.3%만

이 직업에 복귀했으며, 원직복귀의 경우 2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

년 3만 여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인해 장해 정을 받고 있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산재장애인들의 직업복귀율은 매우 조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근로복

지공단, 2006).

Page 1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 -

산업화는 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속한 근 화와 산업화는 국민의 경제 윤택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수많은 정 결과를 가져다 주었지만, 산업재해로 인한 다수의 장애인을 배

출하기도 했다. 즉, 근로복지공단의 노동통계자료를 보면, 1996년부터 2005년

까지 지난 10년간 산업재해로 인한 총 재해자수는 746,767명으로, 이들 사

망자는 23,037명이고 노동력 상실율 100%를 의미하는 산재 1~3 재해자 수

도 5,464명에 달하 다(이승욱, 2006). 이 같은 조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재로 인한 장애의 증화는 심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 같은 장애의

증화는 직업복귀를 모색하는 산재장애인들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다.

산재장애인은 선천성 장애인과는 달리 비장애인으로 생활을 한 경험이 있으

므로 산재로 인해 장애를 입게 된 후에도 자신이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수용하

기 어려우며, 갑작스러운 신체기능의 상실로 인해 생활 응에 더 많은 곤란을

경험하게 된다(이달엽, 2004). 장애의 발생과 이에 수반된 좌 과 새로운 환경

에 한 응상의 어려움은 산재장애인들에게 경제 , 정서 곤란을 야기한

다. 더욱이, 장애에 한 응과 재활이 이루어졌다 해도 산재장애인들은 원직

장 복귀의 어려움과 경제 궁핍으로 인해 좌 과 낮은 자존감 등의 문제를

보이곤 한다. 따라서, 원직장 복귀나 타직종으로의 성공 인 고용을 통한 경제

자립, 자신감의 회복 사회로의 재통합은 산재장애인들의 성공 인 재활

에 있어 선결되어야 할 가장 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한, 이러한 산재장애인들의 고통은 그 당사자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정문

제로 확 될 수 있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즉, 가장의 실업으로 인한

경제 곤란, 장애로 인한 역할변화 가족구성원들의 역할 과부담으로 인한

만성 인 스트 스 등, 갑작스럽게 닥치는 복합 인 문제들로 인해 구성원들

간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가정이 경에 이르는 경우도 지

않다(김소진, 2005).

장애 수용은 심리사회 응이나 신체 건강유지를 한 필수 인 단계로

재활상담에서 요한 재 상으로 고려되어왔다(Naugle, 1991). 신체 인 손

상 그 자체만큼이나 장애에 한 인식수 이나 수용정도는 장애인의 응이나

Page 1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 -

사회통합에 정 인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lgrave의 연구에서는

장애에 한 인식수 이 장애에 한 응을 측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밝 졌으며, Lee와 그의 동료들은(1985) 산재장애인들의 경우 손상정도보다는

손상정도에 한 인식이 사회 심리 응이나 직업상의 응에 더 많은 향

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박수경(1997)은 산재장애인의 장애등 이나 일상생활능력을 통제한 상태에

서도 장애에 한 인식이 지역사회통합에 유의미한 향을 미친다고 지 했

다. 의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애에 한 수용 정도는 장애인의 응과

지역사회통합에 큰 향을 미치는 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앞에서도 지 한 바와 같이, 산재장애인들은 과거 비장애인으로서 직장생활

을 한 경험이 있으므로 산재로 인해 장애를 입게 된 후에도 자신이 장애인이

라는 사실을 수용하기 어려우며, 갑작스러운 신체기능의 상실로 인해 생활

응에 더 많은 곤란을 경험하게 된다. 만성 인 스트 스와 심리 갈등을

겪게 되며 특히 자존감이 하되어 모든걸 포기하는 심정에 빠지게 되는 경우

가 많다(근로복지공단, 2005).

일반 으로 장애정도는 장애인의 고용에 있어 여 히 결정 인 역할을 한다

(Bolton, 2000).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면 장애정도는 성공 인 직업배치나 고

용가능성을 높이는데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itzgerald,

McGowan, Kutner, and Winger, 1981; Linch, 1981: 박수경, 1999; 이승렬,

2005). 를 들어, 산재장애인을 상으로 한 박수경(1999)의 연구를 보면, 장

애정도와 일상생활의 제약과 같은 신체 인 요인이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에

요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산재장애인의 장해 정 이 의 취

업력을 분석한 이승렬의 연구(2005)를 보면 증장애인의 경우 장애 정 이

에 높은 퇴직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원직 복귀가 더 어려운 것으로 나

타났다.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를 보면 장애인이 취업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서 체 장애인의 45.0%가 심한장애로 일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 라고

답하고 있어 장애인 당사자 역시 신체 인 제한을 취업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장애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그러나 장애발생이후에는 실제 장애정도보다 장애에 한 스스로의 인식수

Page 1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 -

이 성공 인 재활에 더 많은 향을 끼친다. 장애수용은 유사한 기능 제

한을 가진 장애인들이 다른 직업재활성과를 나타내는 차이를 설명하는데

하다. Belgrave(1991)의 연구에 따르면 장애에 한 인식수 은 장애에 한

응을 측하는 심리사회 인 변수들(사회 지원, 자존감, 장애에 한 인

식) 가장 강력한 측요인으로 밝 졌다. 산재장애인들의 경우 손상정도보

다는 손상정도에 따른 인식이 심리 응이나 직업상의 응에 더 많은 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Ho, Tsang, Cheng, Leung, Cheng &

Lei-MAk, 1985). 따라서 산재장애인의 손상정도가 심할 수록 사회생활에

응력이 낮은 것은 손상정도로 인한 직 인 기능상의 문제에서 기인한다기보

다는 손상에 한 인식 때문이라는 것이다. Asbury(1996)는 장애인의 태도와

고용성과 사이의 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에 한 태도가 정 인 사람일 수

록 취업욕구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 다. 박수경(1999)의 연구에서도 산재장

애인의 경우 장애정도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장애에 한 인식정도가 산재

장애인의 재취업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에 있어 장애

로 인한 심리 요인의 요성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에 한

수용 정도와 장애 정도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측에 있어 반드시 다루

어져야 할 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애의 수용과 장애발생 원인은 장애인들의 성공

인 재활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요한 요인이다. 즉, 산재장애인들의 장애

수용 정도를 알면 재활의 궁극 목표라 할 수 있는 성공 인 고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장애 수용 정도에 한 연구는 재활 장에서

용가능한 실제 이고 효과 인 장애 수용 진을 한 상담 재 안 마련

을 진할 수도 있다. 끝으로, 장애의 증화와 도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장애발생정도와 고용결과간의 계에 한 규명은 산업 장에서의 재해 발생

이나 산재 후 장애유형에 따른 맞춤형 재활 로그램의 제공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이다.

Page 1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 -

2 . 연구의 목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의 정도 장애부 가 고용결과

에 미치는 향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 이 있다. 이 같은 목 을 달성하기

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수용 정도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는가?

둘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 정도 장애부 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

한 계가 존재하는가?

3 . 용 어 의 정 의

1) 산재장애인(industrially injured workers)

산업재해로 인하여 구 인 신체장애(산재보험법 제 31조 제 1항에 의거한

신체장해등 1 ~14 )를 갖게 된 사람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산재장애인 는 산재근로자로 칭하기로 한다.

2) 장애수용(acceptance of disability)

장애에 한 성공 인 수용을 경험한 사람은 장애로 인해 신체가 손상되거

나 상실되어 불편하고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자신들의

잔존 능력을 정 으로 검토하고 개발한다. 이러한 장애수용 단계에 도달하

는 것은 한 개인이 성공 으로 가치변화를 겪을 때 성취될 수 있다(Wright,

1983).

Page 1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6 -

3) 성공 고용(successful employment)

직업재활 분야에서는 취업 후 90일 동안 동일 직장에서 고용을 유지하는 것

을 성공 고용으로 간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같은 기 을 그 로

용하기로 한다.

4) 장애정도와 장애부

본 연구에서는 14개로 이루어진 산재장애 등 을 네 개(1 ~3 , 4 ~7 ,

8 ~14 , 요양 )로 재구성하 는데 기 으로는 MDS상의 직업 기능수

에 따라 1 ~3 의 노동력 상실도는 100%, 4 ~7 의 노동력 상실도는 5

6%~92%, 8 ~14 의 노동력 상실도는 5%~45%의 기 으로 나뉘었다. 장

애부 는 총 기타와 복을 포함하여 16개로 이루어졌으나 신체부 별로 5개(

상지장애와 허리, 하지장애와 신경계통장애와 기타)로 재구성하 다.

4 . 연구의 제 한

첫째,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 회에 소속된 일부 회원들만을 상으로 진행

되었는바,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체 산재장애인들에게 용하는 데는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둘째, 산재장애인의 성공 고용에 미치는 향을 단지 장애 수용도와 장애

의 정도만으로 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셋째, 연구 상자 상당수가 연 수령이나 직업능력 상실 등의 이유로

인해 직업복귀에 소극 인 산재 1 ~3 산재장애인이라는 은 본 연구의

결과 해석에 한계로 작용했다.

Page 1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7 -

Ⅱ. 이 론 배 경

1. 산 업 재 해 ( 산 재 ) 장 애 인 의 특 성과 황

1) 산재의 개념

일반 으로 사용하는 ‘산업재해(산재)’라는 말은 산업 장에서 일하다가 폭

발이나 추락, 기감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체 손상이나 사망을 의미

하는 용어로 재해의 주체인 노동자의 육체 , 정신 손상이나 사망을 표 하

기 보다는 공장의 화재나 폭발과 같은 산업 장의 재해를 의미했다. 이는 자

본주의 생산, 노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재해를 ‘산업화’에 따른 필연 이고 불

가피한 산물로 인식하게 만들어 재해의 원인을 사회 문제가 아닌 노동 상

의 조건에 한 ‘개인 부주의나 부 응’탓으로 돌리는 결과를 낳았다(노동자

건강사업단, 2001).

산업재해의 용범주는 차 확 되고 있으나, 반 인 노동과정에서 발생

하는 재해의 성격과 범주를 올바로 정의하는 주체 심의 포 인 개념을 지

칭하는 ‘노동재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동재해는 노동과정 에 모든 노동자들에게 발생하는 신체 , 정신 손상

등의 건강상 장애나 사망 등을 일컫는 것으로, 공업이나 제조업, 건설업 등

의 산업 장에서의 육체 노동과 사무직, 서비스직, 문직 등에서의 정신

노동으로 인한 직업병을 포함한다. 이는 직업병의 원인을 개별 작업환경만

이 아니라 집단 작업환경으로 바라보는 확장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김소

진, 2005).

산재의 발생원인은 근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즉, 환경 조건이나 설비결함, 작업환경 불량 등으로 인한 외 요인과 인간의

소질이나 근로자의 정신상태, 리자의 리감독 소홀 등의 내 요인으로 크

게 나 어 볼 수 있다. 혹은 물 요인과 인 요인, 그리고 환경 요인 등으

로 나 기도 하고 학자에 따라서는 직업과 조직 환경의 특성과 개인의 심리와

Page 1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8 -

행동 특성의 두 가지로 구분하기도 한다(Oliver, Cheyne, Tomas, & Cox,

2002).

2) 산재장애인의 특성

산재장애인이란 일반장애인과는 달리 산업 장에서 업무상 재해로 인해 부

상 는 질병으로 치료 후에도 구 인 장애를 갖게 되는 도 장애인을 일

컫는다. 우리나라의 경우 업무상 재해를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 고

있다. 첫째, 일반 인 개념으로써 여기에는 산업재해(industrial injuries), 공해,

교통사고, 직업병 등이 포함된다. 두 번째는 법률상의 개념으로서 업무상 재해

와 직업상의 재해로 정의되며 이는 우리가 통상 사용하는 산업재해

(occupational injuries)개념이다(김재기, 2004).

재해로 인해 노동자들은 신체 기능의 손실과 심리 문제, 사회 변화,

경제 인 어려움, 직업복귀의 어려움 등에 처하게 된다. 이는 사회 계의 단

로 이어져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결과를 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재해 노동자

들의 특성을 구체 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신체 특성

재해로 인한 신체기능의 손실은 노동자가 재해 발생 이 의 가정, 직장, 사

회에서 수행하던 역할을 제한하고 사회 계의 손실을 래하여 사회복귀를 어

렵게 만드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정원미, 박정일, 구정완, 노 만, 2003). 산재

장애인의 신체 손상은 일상생활에 한 응에 어려움을 래한다. 특히, 왜

곡된 신체상이나 자아상을 갖게 할 수 있으며, 감각마비, 운동기능 인지능

력 하, 배뇨조 불능 그리고 성 기능 상실 등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래하

기도 한다.

자동화와 기계화로 인해 산업재해 형태는 다양해지고 형화되어 가고 있

다. 이로 인해 노동능력이 완 히 는 상당부분 손상된 재해근로자의 비

율이 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임성욱, 이숙자, 2002). 이러한 증화는 직

Page 1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9 -

업복귀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져다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Brolin(1972)는 재활서비스의 요성을 조사하면서 성공 인 고용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의 하나로서 건강 상태를 들고 있고, 이선우(1997)도 주 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장애인의 취업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함으로써 장애정도

가 직업복귀에 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익섭과 곽지 (2003)의

연구에서도 일상생활의 제약정도가 낮을수록 지역사회 통합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정도와 신체기능 수 은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2) 사회․심리 특성

산재장애인들은 도에 장애를 입게 되면서 사고로 인한 충격과 공포, 불안

증상, 가족 내 스트 스, 결혼생활 갈등 등으로 우울증, 알코올 약물남용과

같은 정신과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산재장애인과 같이 도장애인들의 경

우 선천 인 경우보다 심리 인 충격을 훨씬 더 받게 되며, 산재장애인과 같

은 경우 1차 으로 사회 심리 재활이 아주 요하다. 산재 이후에 발생하는

정신과 인 문제는 다른 일반재해의 경우와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산재라는 특

수성 때문에 몇 가지 문제를 더 가지고 있는데, Mason(2002)는 산재로 인한

부상자들은 다른 원인에 의한 부상자들에 비해 부상자체는 덜 심각하더라도

법정인 소송문제와 외상 후 스트 스 장애증상으로 더 고통을 받으며 정신․

사회 인 증상과 더불어 직장으로 복귀가 더 안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지 했다. 이처럼 장애를 입게 되면 심리 불안, 자존감 하, 조, 수면장

애, 우울감 등을 경험하게 되므로, 이들의 심리 안정과 일상생활에 한

응력을 높이기 해서는 사회․심리 인 문제에 한 재활상담이 치료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김소진, 2005).

따라서, 이러한 산재장애인에게 있어 필수 인 재활서비스는 이들이 지닌

능력의 극 화를 통한 산재이 의 기능 회복과 심리 부 응상태로부터의 탈

피를 지원하는 데에 역 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김종인, 2001).

Page 1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0 -

(3) 경제 특성

산재장애인의 문제는 산재장애인 당사자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가정문

제로 확 되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실제로 산재장애인의 약 90%정도가 남

자이고 30 이상의 경우가 78%, 한 가정의 주소득원인 가장인 경우가 부분

이므로 경제 인 어려움에 직면한다.

산재보험 요양 차의 개선방안에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산재 요양기간

63%가 가계소득이 어들었으며, 평균 감소액은 72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

사되었고, 산재장애인의 58.7%가 100만원 미만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재이후에 소득수 이 더 낮아진 것으로 밝 졌다(박수경, 1997).

한, 실업으로 인한 가족스트 스는 경제 인 곤란에 의해 진된다(Broman,

1990). 산재장애인의 재활은 산업인력의 노동력 상실로 인한 경제 손실의

최소화라는 에서 요한 의미를 갖는다(김재기, 2004).

(4) 직업 특성

산재 장애인은 재해로 인한 장애나 직업병으로 인해 체로 원직복귀나 취

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재치료 종결 후 취업여부에 한 조사결과를 보

면, 산재요양 종결 후 41.1%가 원직장이나 타직장에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권 , 양정옥, 김용규, 2005). 한 재해 장애인들의 재취업 희망여부

에 한 조사에서 응답자 1,105명 740(67.1%)명이 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동능력의 상실 정도가 가벼울수록 취업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들은 취업이 어려운 이유들로 장애나 건강 이외에 장애인에 한

편견, 경쟁력부족, 정보의 부재 등을 들고 있다(이 주, 윤순녕, 최정명, 혜

진, 백은 , 2001).

이처럼 산재장애인들은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노동능력 상실의 회복

직을 한 직업훈련, 직업상담이나 직업정보 등의 서비스가 제 로 제공되

지 않아서 직업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이 안정된 직업을 갖고 사회에 재

통합되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 인 직업재활 서비스가 요구

된다.

Page 2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1 -

3) 산재장애인발생 황

표. 1은 MDS상의 직업 기능수 에 따라 1999년부터 2007년 4월 사이에

발생한 산재근로자(사망자 제외)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1996년부터 2005년

까지 지난 10년간 산업재해로 인한 총 재해자 수는 746,767명이다. 이 사망

자는 26,037명(3.5%)이며, 치료 종결 후 구 는 부분 으로 신체 장애가

남은 산재장애인은 273,891명(36.7%)이다. 산재발생건수를 나타내는 재해율은

1996년 0.88%에서 2005년 0.71%로 낮아졌지만 사망과 신체 장애 등의

재해율은 2000년 에 들어서면서 증가하여 2005년에는 약 3만 7천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력 상실도 100%인 1 ~3 은 5,464(2.0%)명으로

나타났으며 노동능력상실도 56%~92%인 4 ~7 은 30,595(11.2%)명, 노동능

력상실도 5%~45%인 8 ~14 은 237,832(86.8%)명으로 나타났다.

표 1. 산업재해 발생 황 (단 : 명)

피보험

근로자수

재해자

(I)

재해

사망

자수

(E)

산재장애인 수 사망

장애인

(F=D+E)

(F/I)

(D/I)%

1∼3

(A)

4∼7

(B)

8∼14

(C)

1996 8,156,894 71,548 0.88 2,470 27,394 511 2,411 24,472 30,3064 42.0

1997 8,236,641 66,770 0.81 2,742 28,854 499 2,751 25,604 31,596 47.3

1998 7,582,479 57,514 0.68 2,212 24,759 389 2,594 21,776 26,971 52.4

1999 7,441,160 55,405 0.74 2,291 19,591 357 2,109 17,125 21,882 39.0

2000 9,485,557 68,976 0.73 2,528 19,784 346 2,087 17,351 22,312 32.3

2001 10,581,186 81,434 0.77 2,748 25,360 498 2,907 21,955 28,108 34.5

2002 10,571,279 71,911 0.77 2,605 26,354 534 3,065 22,755 28,950 35.3

2003 10,599,345 94,924 0.90 2,923 30,356 633 3,449 26,374 33,279 35.1

2004 10,473,090 88,874 0.85 2,825 34,320 754 4,099 39,467 37,145 41.8

2005 12,069,599 85,411 0.71 2,496 37,119 943 5,123 31,053 39,612 46.4

2006 11,688,797 89,911 0.77 2,453 39,028 1,210 5,812 32,006 41,481 46.1

합계 106,886,027 836,678 0.78 25,490 312,919 6,674 36,407 269,838 341,400 40.8

출처: 근로복지공단 노동통계자료 재구성

Page 2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2 -

표 2. 연도별⦁ 수별 산재장애인 실태 (단 : 명)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합계

계 19,894 20,169 25,471 26,614 30,552 34,451 37,277 39,029233,458

(100%)

1 94 88 110 123 151 152 221 2585,408

(2.3%)2 116 122 183 207 254 348 356 500

3 193 157 215 245 248 252 363 452

4 118 113 150 169 225 215 220 26412,499

(12.4%)

5 399 422 521 641 700 719 959 1,075

6 918 896 1,196 1,273 1,482 1,680 2,250 2,368

7 792 749 1,076 1,096 1,162 1,501 1,726 2,105

8 1,553 1,793 2,259 2,420 2,592 2,647 3,023 3,269

199,870

(85.6%)

9 992 977 1,203 1,254 1,394 1,496 1,675 1,852

10 2,799 2,850 3,448 3,578 3,975 4,097 4,441 5,010

11 2,467 2,598 3,116 3,078 3,383 3,416 3,473 3,481

12 4,487 4,204 5,501 5,762 6,411 7,151 8,229 8,694

13 1,066 1,192 1,354 1,260 2,261 3,689 2,930 2,056

14 3,900 4,009 5,139 5,508 6,315 7,088 7,410 7,644

출처: 근로복지공단 내부자료(1999년부터 2006년까지 재해 사망자를 제외한 산재장애인 수)

노동부의 산업재해분석 보고서 한산업보건 회의 2005년도 보고서에

따르면 2001년부터 매년 산재사고에 따라 발생하는 산재장애인수는 8만명 정

도이고, 2003년 9만 4천여명에서 2004년 다소 감소를 보이지만 여 히 재해자

는 무려 8만 8천여명에 이르며, 2002년을 시작으로 매년 10조 이상의 경제

손실을 래하고 있다(정우석, 2006).

산재장애인은 자신의 과거 직업에 한 명확한 인식이 있으며, 과거 자신이

수행하던 직업에서의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에 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산

재와 장애라는 변수로 인하여 이 까지 지니고 있었던 스스로의 인식에 변화

가 일어날 수 있다. 한 과거에 요하게 여기든 여기지 않았던 간에 자신

주변의 자원과 기반에 한 인식은 산재와 장애라는 생애변화에 있어서 요

한 변인으로 작용하게 된다(이달엽, 2006).

임성욱과 이숙자(2002)에 따르면, 산재장애인 재해 이 의 직장으로 복귀

하는 비율은 약 10.5%이며, 다른 직장에 재취업하거나 자 업을 운 하는 경

우는 21.5%에 불과하다. 복귀자의 취업직종은 서비스 분야(36.9%)와 사무 리

분야(25.1%), 그리고 기계장비 분야(20.8%)에 집 되어 있다.

Page 2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3 -

2 . 산 재 장 애 인 고 용 에 한 연구

1) 산재장애인의 고용에 한 연구동향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가 이들의 재활에서 갖는 치의 요성에도 불구하

고 국․내외를 통틀어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국내의 경우를 심으로 보면

1994년, 1995년, 1997년에 산재근로자의 취업실태조사를 실시하 으며, 근로복

지공단에서 내부 으로 치료종결자를 상으로 조사를 해 오고 있다. , 이

주(2001), 박수경(1999),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1998), 고덕기(1997) 등이 산

재장애인의 고용에 한 연구를 실시하 다. 먼 근로복지공단의 2006년 자

료에서는 최근 들어 매년 3만 여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인해 장해 정을

받고 있으며, 이 반이 안 되는 근로자만이 직업으로 복귀하고 있다. 2005

년 장해 정자 31,719명을 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신규 장해 정자

42.3%가 직업에 복귀했으며 원직장 복귀의 경우 2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근로복지공단, 2006).

표 3는 산재장애인의 고용 황에 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서 산재장애인의 고용 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 고덕기(1997)는

국 산재병원에 입원 인 산재환자 511명을 상으로 1996년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별면 을 통하여 치료 이후 원직장 복귀 의사를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해 조사하 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511명 가운데 189명이 원직장에

복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여 체의 37%에 이르고 있다(고덕기,

1997).

Page 2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4 -

표 3. 산재장애인 고용 황

연구자 조사 상 조사기간 재취업실태 주요분석결과

고덕기

(1997)

1996년 7월~8월 국 산재병

원입원환자 511명취업희망자 37%

높은 연령층, 높은 학력, 가족

부양 책임이 있는 경우, 장기

입원 환자, 재해발생의 책임이

회사에 있다고 보는 경우, 업

이외의 산업에 종사한 경우, 사

업장 규모가 큰 직장에서 근무

한 경우, 장기 근속기간이 직업

복귀 의사에 정 향을 미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1998)

1997년 산재장행 보상 종결

자15세~55세 752명취업자 26.6%

조사 당시 취업 인 것으로 나

타난 산재근로자 181명 가운데

피재 당시의 직장에 재취업한

경우는 65명으로 35.9%에 이르

고 있다.

박수경

(1999)

1996년~1997년 신규장해 정

자 1,060명취업자 28.6%

여성, 높은 연령층, 미혼자, 높

은 장애정도, 장애에 한 낮은

인식 정도가 재취업에 부정

인 향을 미친다.

이 주

(2001)

1999년~2000년 산재보험 신규

장해 정자 2,199명취업자 48.4%

근로복지공단

(2002)

2001년 7월~12월 신규 장해등

정자 응답자 2,493명

취 업 희 망 자

74.2%

근로복지공단

(2006)

2005년 장해 정자 응답

자 31,719명취업자 42.3%

두 번째로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에 의한 산재근로자 취업실태 조사(1998)

는 199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산업재해 장해보상 종결자

33,648명 가운데 장애인 복지법에 해당하면서 연령이 15세 이상 55세 이하인

6,537명 주소지가 악된 6,264명을 상으로 수조사를 실시하 다. 조사

결과 조사 응답자 752명 가운데 재 취업 인 산재근로자는 200명으로 체

26.6%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사 당시 취업 인 것으로 나타난 산재근

로자 181명 가운데 피재 당시의 직장에 재취업한 경우는 65명으로 35.9%에

Page 2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5 -

년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7년 평균

복귀율 37% 41.6% 40% 40.2% 42.0% 42.3% 45.5% 41.2%

이르고 있다(한국 고용 진공단, 1998).

세 번째로 박수경(1999)은 1996년 1월 1일에서 1996년 12월 31일까지 신규

장해 정자인 56,802명에서 1,060명을 표본 추출하여 화면 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에서 ‘ 재 직장에 취업 ’이라고 응답한 산재근로

자는 25.7%이며 자 업의 경우는 2.9%를 차지하여 취업자는 체의28.9%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악 되었다(박수경, 1999).

네 번째로 이 주(2001)는 1998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신규

장해등 정을 받은 산재근로자 64,134명에서 2,247명의 표본을 추출(유효응

답자는 2,203명), 화설문을 실시한 결과 직업의 유무에 응답한 2,199명 에

1,064명이 직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체의 48.4%가 취업자인 것으로 악

되었다.

다섯 번째 근로복지공단(2002)의 조사에서는 2001년 7월~12월 신규 장해등

정자 가운데 2,493명에 하여 조사한 결과, 자 업을 포함하여 취업을

희망하는 산재장애인이 1,859명으로 74.2%이른다. 이처럼 산재장애인의 직업

복귀에 한 여러 조사와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직업복귀를 희망하는 산재장

애인의 수는 체의 3/4에 이를 정도인데도 실 으로 직업복귀에 성공한 산

재장애인이 과반수에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표 4와 표 5는 연도별 연령별에 따른 산재장애인들의 직업복귀율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노동부자료에 따르면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율은 재활사업이

도입된 2000년 이후로 꾸 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40% 에 머물

러 미국의 70% 와는 큰 차이가 있다. 미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볼 때 다양한

서비스와 안들을 통해 더 많은 산재장애인을 사회에 복귀시킬 수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다(노동부, 2007).

표 4. 연도별 직업복귀율

근로복지공단(2007). 근로복지공단 내부자료

Page 2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6 -

합계 10 20 30 40 50 60

장애인수 37,119 30 2,739 7,936 11,587 9,157 5,670

복귀자수 15,680 4 1,232 4,502 5,640 3,454 848

복귀율 42.3 13.3 45.0 56.7 48.7 37.7 15.0

연령별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율을 보면 2005년도 장해 정자 37,119명에

한 취업실태조사에서도 30 취업률이 56.7%로 가장 높았고, 10 와 60

이상이 13.3%와 15.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uck(1983)의 연구에서도 고령

자보다는 은 사람일수록 직장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고 나타났다(근로복지

공단, 2006a).

박수경(1999)의 연구에서 산재장애인들은 30 를 기 으로 취업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2005년 연령별 산재장애인 직업복귀율

근로복지공단(2006). 근로복지공단 내부자료

2) 산재장애인의 직장복귀 련요인

(1) 인구통계학 특성요인

성별은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역에서도 고용에 향을 미치는

요한 요인이다. 실제로 여성과 유색인종은 남성이나 백인에 비해 성공 으로

고용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rrett, Collignon, Dodson,

Langlosis, Rogers, & Sea, 1978 참조). 근로복지공단의 자료에서도 남성 산재

근로자의 원직장 복귀율은 29.0%, 여성의 경우는 22.6%로 나타나 남성의 원직

장 복귀율이 높은 것으로 밝 졌다(근로복지공단, 2006). 이승렬(2005)은 장

해 정을 받은 산재장애인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장해 정 이 에 높은 퇴

직성향을 보여 직장복귀의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연령 한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요한 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박

수경(1997)의 연구에서는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이 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승렬(2005)연구에서는 장애 정 이 산재

장애인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퇴직하는 성향이 높아 연령과 취업가능성과는

Page 2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7 -

한 계를 보인다고 지 했다. Tuck(1983)도 고령자보다는 연령이 을수

록 직장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지 하 다.

결혼상태도 요한 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실제로 배우자가 있는 경우 그

지 않은 사람보다 취업할 확률이 더 높다(이선우, 1997; 유동철, 2000). 이는

결혼을 하여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보다 생계유지를 해 취

업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는 주장을 뒷받침 한다.

학력과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사이의 계를 보면, Smith와 Crissler

(1985)는 산재보험 여 상자 공식 인 교육을 받은 이 없는 사람은 직

장복귀 가능성이 낮고 다른 직업으로 이 역시 용이 하지 않다고 지 하

다. Srause(1992) 역시 재취업을 한 산재장애인은 그 지 못한 장애인에 비해

교육수 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승렬(2005)의 연구에서도 교육정도가

낮은 산재장애인은 장해 정 이 에 퇴직하는 성향이 높아 원직 복귀율이 낮

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이 높을수록 직을 선택하며, 퇴직보다는 원직복귀

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등

은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율을 측할 수 있는 유력한 변수 들이다.

(2) 산업재해 련 특성요인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는 산재 련 특성과 한 련이 있다. 특성으로는

장애정도, 산재 후 경과시간, 장애에 한 인식수 등이 있다.

먼 , 장애정도는 장애인의 고용에 있어 여 히 결정 인 역할을 한다

(Bolton, 1981). 즉, 많은 연구들이 장애정도는 성공 인 직업배치나 고용가능

성을 높이는 데 결정 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Fitzgerald, McGowan, Kutner, & Winger, 1981; Linch, 1981; 박수경, 1999;

이승렬, 2001). 나아가, 장애정도와 일상생활의 제약과 같은 신체 인 요인이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에 요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수경, 1999).

증장애인의 경우 장애 정 이 에 높은 퇴직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원직복귀가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이승렬, 2005). 2005년 장애인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취업을 하지 않은 이유로 체 응답자의 45.0%가 심한

Page 2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8 -

장애로 인해 일하기가 어려운 것 같아서라고 응답하여 장애정도가 취업에 가

장 심각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산재 후 경과시간 한 고용에 커다란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국노동연구원의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이나 직업훈련이 치료

종결 후 1년 이내에 이루어지는 비율은 66%로 요양이 장기화 되거나 치료종

결 이후 공백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활 의욕이 감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윤조덕, 박수경, 박정란, 권선진, 이 주, 진혜랑, 2001).

끝으로, 장애발생 이후, 실제로 장해 정도보다 장애에 한 스스로의 인식수

이 고용을 포함한 재활 반에 더 많은 향을 미친다. 장애수용은 유사한

기능 제한을 가진 장애인들이 다른 직업재활성과를 나타내는 차이를 설명하

는데 하다(박수경, 안치민. 2006). Belgrave(1991)은 장애에 한 인식수

은 장애에 한 응을 측하는 심리 사회 인 변수들, 사회 지원, 자존감,

장애에 한 인식 가장 강력한 측요인이라고 제안했다. Asbury(1996)는

장애인의 태도와 고용성과 사이의 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에 한 태도가

정 인 사람일수록 취업욕구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박수경(1999)의 연구

에서도 산재장애인의 경우 장애정도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장애에 한 인

식정도가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에 유의미한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

에 있어 장애로 인한 심리 요인의 요성이 확인된 바 있다.

3 . 산 재 장 애 인 의 장 애 수 용

1) 장애에 한 심리 부 응 원인

선천 장애인은 어릴 때부터 자신의 장애를 신체 조건의 일부로 간주하

기 때문에 비장애아동과 크게 다르지 않게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사회화 과

정에서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면

서 이러한 것들이 자아개념 형성에 향을 미치며 자신이 비장애인과 달리 특

별하다는 느낌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특성이 바탕이 되어 가족구성원의 지

Page 2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19 -

지에 따라 장애가 상처가 될 수도 있고 동시에 장애가 발생하게 된 원인과 의

미를 해석하게 된다. 특히 장애는 오랫동안 갈등으로 남기 쉽고 특히 왜곡된

신체상의 자아상을 갖기도 한다(Lussier, 1980).

후천 장애의 경우 신체 정서 장애에 따른 심리 충격이 반드시

수반된다. 감각마비, 운동 성 기능 상실, 신체부분의 상실, 인지능력 하,

그리고 소변 조 불능 같은 신체 장애는 정서 혼란, 직무수행, 미래와

재의 목표 수정, 자존심 축등과 같은 심리 장애를 야기한다.

산재장애인은 선천 장애인과는 달리 과거 비장애인으로 생활한 경험이 있

으므로 산재로 인해 장애를 입게 된 이후에도 자신이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수

용하기가 어려우며, 갑작스러운 신체기능의 상실로 인해 생활 응에 더 많은

곤란을 경험하게 된다. 한 이러한 신체기능의 손실은 산재 발생 이 에 가

정, 직장, 사회에서 수행하던 역할을 제한하고 사회 계의 손실을 래하여 산

재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어렵게 만든다(박수경, 1997).

산재장애인들은 비장애인으로 살아오다가 갑자기 일어난 사고로 장애를 입

게 됨으로써 심리 갈등으로 실의에 빠지게 되며 자신이 장애인이라는 사실

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특히, 생명의 을 느낄 정도의 심한 장애를 입게

되면 공포스러운 외상 후 스트 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를 겪

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심리 공황상태를 빨리 회복

할 수 있도록 심리재활에 주력해야 한다.

산재장애인은 장애에 한 스트 스 우울증, 좌 감 등이 더 크며, 일반

장애인들이 갖는 사회심리 인 특성 외에 다음과 같이 추가 인 특성을 갖는

다.

첫째, 불안, 우울의 문제이다. 이는 장애인에게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 응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신체, 사회, 직업, 경제 능력의 상실로 인해 자존감이

하되고 무기력해지며 삶에 한 회의와 미래에 한 불안을 심하게 느낀다.

이로 인해 실에 순응하지 못하고 재활동기가 하되기도 한다.

둘째, 부정 자아개념으로 열등감이나 불확실감, 회피성향을 보이게 되며

자신의 존재를 가치 있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부정 인 자아상을 갖게 되기도

한다.

Page 2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0 -

셋째, 강한 의존성과 재활동기의 부족으로 자신의 장애에 해 비 하거나

불만을 나타내고 의존행동을 강하게 보일 수 있다. 재활동기가 높은 사람은

장애와 환경에 잘 응하고 성공 인 재활에 이를 수 있지만 장애에 한 낙

담이나 비 , 무력감 등은 재활동기를 하시킬 수 있다.

넷째, 가족 계와 인 계 문제로 장기 입원으로 인해 가족이나 인 계

가 소원해 질 수도 있고 자신이나 타인에 한 부정 인 태도는 본인뿐만 아

니라 가족을 포함한 주변인들을 힘들게 만들 수 있다. 증 산재장애인의 가

족은 장애인을 돌보아야 하는 과도한 부담으로 인해 정서 사회 스트 스

가 유발될 수 있다.

다섯째, 직업 응상의 문제로 생산 으로 사회에 기여하고 싶은 욕망은 연

령, 장애발생 이 의 직장경험과 사회활동 정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러한 욕망의 충족을 해서는 어느 정도의 재활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들은 두드러진 하나의 문제로 복합 으로 상호 작용하여 산재장

애인의 직장복귀나 직업재활을 방해하기도 하며, 문제가 간단하게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세계 많은 나라들은 산재장애인의 건강상태와 직업

능력을 회복하도록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재활체계가 종료된 후 연 을 지

하도록 하고 있다(이 주 등, 2003). 우리나라에서도 재 1 에서 9 까지의

산재근로자 1년 이상 고용 사업주들을 상을 직장복귀 지원 제도를 시행하

고 있다.

따라서 산재장애인은 재활상담을 통해 장애 수용, 응력 향상, 재활의욕 배

양을 이루어 성공 인 고용, 사회복귀에 도달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

다.

2) 장애 수용과 련 요인들에 한 고찰

장애 수용과 여러 가지 성격 요인들 간의 계를 악하기 한 많은 연구

들이 이루어져 왔다. 자존감, 성 역할 특성, 청각장애 청년들의 그룹에서 읽기

능력과 련하여 장애 수용을 조사하는 연구에서, Heinemann 과

Page 3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1 -

Shontz(1982)는 장애 수용과 자존감과 정 인 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 냈다. Linkowski와 Dunn(1974)은 55명의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상으

로 진행한 연구에서 장애 수용과 두 가지 자아개념(자존감, 사회 계에

한 만족도) 사이의 정 상호 련성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Dodds 등

(1991) 한 장애에 한 높은 수 의 수용이 낮은 근심, 불안, 우울함의 부재,

높은 자존감, 높은 자아효능감, 장애인에 한 정 태도 등을 가져다 다

고 보고하기도 했다.

Li와 Moore(1998)는 장애 수용과 다양한 성격들 간의 련성을 연구하기

하여 연방-주재활기 (State-Federal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의 서

비스를 이용했던 1,266명의 인구 통계학 변수, 장애 상태, 사회심리 요인

과 이들의 장애수용 정도간의 계를 조사했다. 그들은 연령이 낮고 기혼이

며 높은 수입을 가진 사람들일 수록 장애 수용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게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한 사회 차별 우의 인식이

장애 수용에 아주 요한 향을 가짐을 발견하 다. 끝으로, 하나의 장애를

지니거나 선천 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복장애 후천 장애인들에 비

해 보다 높은 수 의 수용 정도를 보여주었다(Li&Moore, 1998).

Hampton과 Crystal(1999)은 장애 수용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

하는지를 알아내기 하여 57명의 연방-주직업재활기 이용자들을 연구하

다. 그들은 여성 참여자들이 남성 참여자들에 비해 낮은 수용 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 다. 이같은 그들의 연구결과는 장애 수용과 성별

간에 상 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Joiner, Lovett, 와 Goodwin(1989) 의 연

구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끝으로, 스트 스 평가 과정, 처 성향, 장애 수용

정도 사이의 계들에 한 Groomes와 Leahy(2002)의 연구에서는 장애 수용

과 처 성향 사이에는 요한 계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장애 수용

의 수 과 스트 스 평가 과정의 두 가지 국면(즉, 그 상황으로 부터, 그

상황과 련한 과거의 경험에서부터 얻고 도 하는) 사이에서도 요한 계

가 발견 되었다(Groomes & Leahy, 2002).

장애의 발생은 개인의 가치와 세상을 보는 시각에 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러한 시각에서 장애인과 그와 련된 많은 주변사람들이 장애를 수용하고, 그

Page 3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2 -

들이 장애로 인해 수반되는 많은 변화에 기꺼이 응하고자 할 때 성공 인

재활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게 되어 장애의 극복을 진하게

될 것이다(Marinelli & Dellorto, 1984). 이들이 사회 통합에 어려움을 겪는 원

인은 사고로 인해 장애를 입게 된 후에도 과거의 경험 때문에 자신이 장애인

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신체상실에 따라 장애발생 이 의 가정,

사회, 직장에서 수행하던 역할에 제약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활 상담사는 먼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고 장애의 수용을 하여 자신의 요성을 인식시키

고, 타인에 한 비교가치보다는 자신에게 있어서의 가치를 요시하도록 개

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김성회, 2000).

Butts와 Shontz(1962)는 비교지 평가의 사용과 확산 간의 상 성을 살펴

본 결과 이들은 장애를 더 잘 극복하는 사람일수록 자신과 타인과의 비교보다

는 자신이 가진 장 에 해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 다. 이

들의 연구 결과는 자신에 한 장 을 평가하는 것이 보다 효과 으로 장애

를 극복하게 한다는 Wright(1983)의 견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Dembo와 그의 동료들(1975)은 그들의 연구에서 모든 장애를 입은 사람에게

서 공통 으로 나타나는 특성은 가치상실이라고 주장했다. 장애를 불행한 사

건으로 받아들일 경우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잔존 능력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

고, 타인의 존재에 한 가치를 요하지 않게 생각한다. 그러나 장애를 수용

하게 되면 장애에 수반되는 상실감은 남아 있더라도 남아 있는 잔존능력에

한 가치를 부정 으로 생각하지 않게 된다. 즉, Dembo와 Wright가 주장하는

개인의 장애수용이란 장애를 부정 인 사건으로 생각하지 않으므로서 개인을

활성화 시킨다는 것이다(Marinelli & Dell Orto, 1984).

Wright(1983)는 장애에 한 성공 인 응을 해서는 네 가지 분야에서

가치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 가치 역의 확 , 2)다른 가치와

련시켜 신체 조건의 수용, 3)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 4) 비교가치의 내

인 환. 이러한 가치변화는 상호의존 이라는 사실을 가정하고 있다(Keany

& Glueckauf, 1993). 구체 으로 내용을 설명하면 첫째, 한 개인이 일상생활과

능력, 그리고 삶의 목표 등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때 가치의 역이 확

되고 있으며, 둘째, 장애에 수반되는 신체 손상 그 자체보다 우정, 지성,

Page 3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3 -

직업, 창조성과 같이 생활에서 보다 요한 가치를 강조하게 되면 가치가 확

된다. 셋째, 장애 효과의 차단은 장애를 개인 인 특성으로 간주하기보다 소

유물로 생각하게 한다면 신체장애에 한 가치 확산은 피할 수 있다는 에

을 맞추고 있으며 넷째, 비교가치의 내 인 환은 장애를 가진 개인이

자신의 능력이나 자질을 그 지 않은 사람과 비교하면 자신의 장애에 따른 신

체 가치는 어들게 되므로 비애감을 갖게 된다는 을 강조하고 있다. 따

라서 신체 손상에서 수반되는 다양한 특성들이 유용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

면, 자신의 상황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보다는 개인이나 그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에 을 맞추어 그 개인을 평가하고 그에 한 가치를 갖게 된다.

3) 장애수용단계

산재로 인한 신체 , 정신 충격은 산재근로자 자신의 삶에 한 의욕상실

뿐만 아니라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 주변인에게도 경제 , 심리 부담을 주

게 된다. 직업생활에 있어서도 건강 회복 후 다시 사업장으로 복귀할 수 있

을지에 한 두려움과 그로 인한 가장으로서의 역할 상실에 해 걱정하게 된

다.

사람들은 일반 으로 삶의 기 상황에 처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실에 응해 간다. 처음에는 험한 사건을 부정하다 시간이 지나면 분노하

게 되고 이어서 실에 응하는 과정으로서 상을 하게 되는 데 이때 우울

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우울감에서 벗어나 사건

을 수용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면 비로써 상황에 응이 되었다고 할 수 있

다. 는 이와는 달리 처음에는 낙 인 마음을 갖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실의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비 으로 되어 차츰 상황을 운명으로 받아

들이면서 응해 나가기도 한다(근로복지공단, 2006).

Page 3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4 -

한 개인이 그의 장애를 받아들이는 정도는 신체 손상이나 장애를 가진 산

재장애인을 이해하는데 요한 요인으로서 리 받아들여지고 있다(Dodds et

al., 1991; Dodds 외, 1993).

장애 수용 척도(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AD})는 1969년에 처음 개

발된 이래, 장애를 입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장애 응의 측정 도구로 리 활

용되어 오고 있다(Bolton, 1994; Dodds 외, 1991; Dodds 외,1993; Groomes &

Leahy, 2002; Heinemann & Shontz, 1982 ; Li & Moore, 1998 ; Linkowski &

Dunn, 1974). 를 들어, 장애를 입은 사람들의 응 척도의 정당성을 검증하

기 한 연구에서, Dodds 등(1993)은 높은 장애수용도를 보이는 사람일수록

낮은 수 의 불안과 근심, 우울감의 해소, 높은 자존감, 높은 자아효능감, 회복

에 한 높은 책임감, 장애인들에 한 정 태도 등을 들어낸다고 주장했

다. Li와 Moore(1998)는 장애 수용과 다양한 성격들 간의 련성을 연구하기

하여 주(state)의 VR 서비스를 이용했던 1,266명의 성인을 인구 통계학

변수, 장애 상태, 사회 심리 요인을 고려하여 추출하 다. 이러한 연구자들

은 연령이 낮고, 기혼이고, 높은 수입을 가지는 사람들일 수록 장애 수용에

하여 더 우호 인 반응을 보여 다는 것을 발견하 다(Li & Moore, 1998) 게

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한 사회 차별 우의 인식이 장애 수용에 아

주 요한 향을 가짐을 발견하 다(Li & Moore, 1998).

끝으로, 스트 스 평가 과정, 처 성향, 장애 수용 정도 사이의 계들에

한 Groomes와 Leahy(2002)의 연구에서는 장애 수용과 처 성향 사이에는

요한 계가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장애 수용의 수 과 스트 스 평가

과정의 두 가지 국면(즉, 그 상황으로 부터, 그 상황과 련한 과거의 경험

에서부터 얻고 도 하는) 사이에서도 요한 계가 발견 되었다(Groomes &

Leahy, 2002).

장애수용을 조사하는 여러 이론가들은 장애는 개인의 자존감에 심각한 향

을 끼치고, 최근에 장애를  입게  된 사람은 응과정 동안 잇따라 일어나는

여러 단계를 경험하게 된다고 주장한다(Carroll, 1961; Cholden, 1958; Tuttle,

1984). 그들은 개인이 수용의 단계에 이를 때까지 재활에 들어가서는 안된다

고 주장한다. 를 들어, Tuttle(1984)은 개인이 겪어야 할 장애의 수용과정을

Page 3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5 -

7개의 단계로 설명한다; (a) 정신 외상, (b) 충격과 부정, (c) 슬픔과 퇴행,

(d) 굴복과 우울, (e) 재평가와 재확인, (f) 처와 동원, (g) 자아수용/자존감.

정신 외상의 단계는 실제 상실 그 자체를 말한다. 충격과 부정의 단계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실들이 확산되어 가는 기간  동안 자아(ego)를 보호하는

심리학 방어기제의 동원에 의한 것이 특징이다. 슬픔과 퇴행 단계는 개인이

상실이 갖는 실제 의미를 인식하게 되면서 나타난다. 개인이 심각하게 한계

들을 인식함에 따라 그들은 장애에 굴복하게 되고, 우울함이 그에 뒤따른다.

재평가와 재확인의 단계 동안에는 개인이 장애에 동행하는 한계들 어떤 것

이 극복 가능한가를 결정한다. 처와 동원의 행동은 개인이 실제 으로 장애

로 인하여 가치 감되는 자신의 태도를 바꾸기 하여 한계들을 극복하기 시

작함에 따라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자아수용/자존감의 단계는 개인이 장애를

자신의 개인 인 특성들 의 하나로서 받아들이게 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Tuttle, 1984).

단계 모형들과 함께, Dembo, Leviton, and Wright(1956)에 의해 개된 장

애수용의 모형도 장애 수용의 개념을 연구할 때 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Linkowski, 1971). 이 모형은 한 개인에게 체념과 자아가치 하를 가져오는

참을 수 없는 장애를 수용하게 됨을 의미하며, 그것의 요성은 장애를 가지

게 된 개인에게 그 장애의 주체 의미와 련된 감정들과 가치들에 있다

(Dembo 등, 1956; Wright, 1983). 이러한 에서 볼 때, 장애는 불편하고 제

한 인 것으로 보여 질 수도 있으나, 신체가 손상되거나 상실되었다 해도 자

신들의 그러한 상태를 인정한 사람들은 여 히 자신들 삶의 한 면을 향상시키

려고 힘쓴다. 그러한 수용단계에 도달하는 것은 한 개인이 성공 으로 일련의

가치 변화를 겪을 때 성취될 수 있다(Wright, 1983). 즉, 자신의 장애에 해

높은 수 의 수용을 보여주는 이들은 (a) 남아있는 가치들에 한 만족과 상

실한 것에 한 인정을 보여주며(가치 역의 확 : enlarging scope of

values), (b) 신체 외 이 인격보다 덜 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기 시작하며

매사에 최선을 다하고(신체 조건의 수용: subordination of the physique),

(c) 장애가 그들의 삶의 다른 부분에 실제 손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힘쓰

고(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 containment of disability effects), (d) 한계와

Page 3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6 -

책임의 역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고 그들 자신의 강

과 능력을 강조한다(비교 가치에서 내 가치로의 환: transforming

comparative values to assett values)(Wright, 1983).

Page 3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7 -

Ⅲ. 연구방 법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의 정도 부 가 이들의 고용

결과에 미치는 향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 이 있다. 이 같은 목 을 달성하

기 해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수용 정도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는가?

둘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 정도 장애 부 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

한 계가 존재하는가?

이 장에서는 연구 상, 연구에 사용된 도구, 연구방법, 그리고 분석에 사용

된 통계 기법에 한 내용에 해 기술하고자 한다.

1. 연구 상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노동자 회와 한국산재장애인 복지진흥회 회원 산

재로 인해 요양 이거나 치료가 종결된 210명의 산재장애인들을 상으로 하

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토 로 이루어졌는바 증장애로

인해 문항을 읽고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응답자는 기 의 담당자의 조

하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사용된 종속변수는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고용결과)이며 본 연

구에서 직업복귀는 조사당시 취업여부(미취업=0, 취업=1)로 규정하 다.

1) 연구 상의 인구통계학 특성

표 6은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상자들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나타낸 것이

Page 3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8 -

다. 연구에 참여한 210명 남자는 181명(86.2%)이었고 여자는 29명(13.8%)

이었다. 상자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40 와 50 가 각각 71명(35%)을 차지

하고 있었다. 20 와 60 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 으로 게 나타났다. 결혼

상태를 살펴보면 160명(76.9%)이 기혼자 고 미혼자와 이혼자는 각각 28명

(13.5%)와 13명(6.3%) 으며 사별한 경우는 4명(1.9%) 있었다. 끝으로, 가장

많은 연구 상자들(117명)이 경상도에 거주하고 있었고, 충청도(31명), 라도

(27명), 강원도(13명)가 그 뒤를 이었다.

표 6. 조사 상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구분 빈도

성별남 181

여 29

연령

20 5

30 30

40 71

50 71

60 26

학력

무학 4

졸 19

졸 52

고졸 101

문 졸이상 34

결혼상태

기혼 160

미혼 28

이혼 13

사별 4

기타 3

종교유무있다 135

없다 75

거주지역

서울․경기 19

충청도 31

라도 27

경상도 117

강원도 13

기타 3

Page 3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29 -

2 . 주 요 변 수 와 측 정 도 구

1) 장애수용 척도(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Revised: AD-R)

장애에 한 수용 이론에 기 하여 (Dembo et al., 1956; Wright, 1983),

Linkowski(1971)는 장애의 수용 정도를 측정하기 한 도구를 개발했다. 장애

수용척도(acceptance of disability: AD)는 여러 재활 연구에 있어 매우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Dodds et al., 1991; Dodds et al., 1993; Groomes &

Leahy, 2002; Heinemann & Shontz, 1982; Li & Moore, 1998; Linkowski &

Dunn, 1974) 장애에 한 응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리 받아들여져 오고 있

다(Groomes & Linkowski, In press). 본래의 장애수용척도는 50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질문지이며, 6 Likert 척도를 사용한다. 각 수들을

합산함으로서 개인의 장애 수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애수용

척도에서 높은 수를 기록한 사람은 장애에 한 수용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Groomes & Leahy,2002).

Groomes와 Linkowski(In press)는 기존의 장애수용척도를 개량하여 4개의

하 척도와 32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장애수용척도 수정본(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Revised; AD-R)을 개발하 다. 원본과는 달리 장애수용척도

수정본은 4 Likert 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원본과 수정본은 둘 다 비교 높

은 내 일 성(internal consistency)을 보여주고 있다(Groomes &Linkowski,

In press).

를 들어, Linkowski(1971)는 직업 교육 평가와 재활 계획 단계에 있는 46

명의 지체장애인을 상으로 그의 장애수용척도를 시행한 결과 .93이라는 높

은 내 일 성을 얻었다고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수용 척도 수정본을 사용하여 산재장애인들의 장애수용

정도를 측정하 다(Groomes & Linkowski, in press). 장애수용 척도 수정본의

수행에는 략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잘 확립된 심리측정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Groomes & Linkowski, In press). 자기수용 척도 수정본은

Page 3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0 -

Wright(1983)의 가치변화 이론에 기 하고 있으며, 4개의 하 척도와 32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치변화 이론은 장애를 겪고 있으면서 자신의 장애

를  받아들인 사람들은 일련의 가치변화 과정을 거친 후에도 여 히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기 해 노력한다고 주장한다. 장애수용척도 수정본의 네 가지

하 척도들은 가치변화 이론을 형성하는 네 가지 구성요소들을 반 한 것으로

서, 개인의 성공 인 장애수용 여부를 측정하는 데 리 활용되어 왔다.

(1) 가치 역의 확 (Enlarging the Scope of Values: e)

첫 번째 하 척도는 가치 역의 확 이다. 이 척도는 자신에게 여 히 남

아있는 가치에 한 만족과 상실한 가치에 한 단의 수 을 측정한다( :

장애의 유무와 상 없이 나는 만족스러운 삶을 릴 수 있다).

(2) 신체 조건의 수용(Subordination of Physique: s)

두 번째 하 척도는 신체 조건의 수용이다. 이 척도는 자신들의 장애에

따라서 한 개인이 신체 능력과 외모에 을 두는 정도를 측정한다( : 훌

륭한 외모와 신체 능력은 인생의 가장 요한 것들이다).

(3)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Containment of Disability Effects: c)

세 번째 하 척도는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이다. 이는 장애의 향이 실

제 이상으로 삶의 다른 역까지 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 내가 할

수 없는 일들을 다른 장애인들이 해내는 것을 보노라면 기분이 매우 좋지 않

다).

Page 4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1 -

(4) 비교 가치에서 내 가치로의 환(Transformation from Comparative

Values to Asset Values: t)

네 번째 하 척도는 비교 가치에서 내 가치로의 환이다. 이 척도는 개

인이 자신의 한계들이 아니라 강 과 능력을 시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한다

( : 장애로 인해 나는 비장애인들이 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하지 못한다).

장애수용척도 수정본은 4 척도(1 = 그 지 않다, 4 = 매우 그 다)

를 사용한다. 각각의 하 척도에서 나온 수의 합산은 그 사람의 장애수용

수 을 나타내는데, 높은 수일수록 더 높은 수 의 수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장애수용척도 수정본의 32개 문항 22개((1, 2, 4, 5, 7, 8, 9, 10, 11, 13, 14,

15, 17, 19, 20, 22, 23, 24, 26, 27, 30, 31)의 수는 거꾸로 계산해야 한다, 이

들 22개 항목의 답변은 Likert 척도에서 역채 (reverse score) 방식을 사용

해야 한다. 즉, 각각의 22개 항목에 있어서, 1의 수는 4가되고, 2의 수는 3

이 되고, 3의 수는 2, 4의 수는 1이 된다. Groomes와 Linkowski(In press)

는 .93의 높은 신뢰도 수(Cronbach's alpha)을 보이는 장애수용척도 수정본

을 사용하여 내 일 성 계수를 측정하 다. 이들은 .71(s 하 척도), .82(e

하 척도), .88(t와 c 하 척도)라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는 장애수용척도 수

정본의 네 가지 하 척도가 비교 높은 내 일 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었다(Groomes & Linkowski, In press).

본 연구의 분석을 해 실시된 Cronbach 상 계수 검사의 결과 장애수용

척도 수정본 체에 한 내 일 성 계수는 .74 다. 각 하 척도의 내 일

성 척도를 살펴보면 .72(e 하 척도), .81(s 하 척도), .78(c 하 척도),

.72(t 하 척도) 다. 일반 으로 사회과학에서는 알 계수가 .6 이상이면 신

뢰성이 있다고 간주되는 바(강병서와 김계수, 2007),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애

수용척도 수정 본은 산재장애인들의 장애수용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신뢰성

있는 도구라고 볼 수 있다. 조사 상자들의 장애수용도 평균 수를 보면

가치 역의 하 척도의 평균은 2.6(SD = .57), 신체 조건의 수용 척도의 평

균은 3.0(SD = .61),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 척도의 평균 수는 3.0(SD =

Page 4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2 -

범주 내용문항

수문항번호 신뢰도

수용도

수(M/DS)

장애수용

가치 역확 9문항3, 6, 12, 16, 18,

21, 25, 29, 32 .72

.74

2.6 .57

신체 조건의 수용 9문항 5, 9, 14, 24, 31 .81 3.0 .61

장애의 부정 효과의 차단 9문항1, 8, 11, 15, 17,

20, 22, 27, 30 .78 3.0 .56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 5문항 2, 4, 7, 10, 13,

19, 23, 26, 28.72 2.9 .49

.56),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 척도의 평균 수는 2.9(SD = .49)로 나타

나 평균 수를 보면 모든 척도에서 높은 수 의 장애수용을 보이고 있다.

표 7. 설문지 구성내용

항목 질문내용 문항수

장애

수용도

척도

가치 역의 확 , 신체 조건의 수용,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32문항

인구

통계학

특성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거주 지역 6문항

장애정도 산재이후경과시간, 장해부 , 산재발생원인, 산업재해 장해등 , 4문항

고용 련산재이 직업, 산재이 고용형태, 산재이 여, 재직업의 유무,

직업희망여부, 희망월수입8문항

계 50문항

표 8. 장애수용척도 세부 구성 내용

Page 4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3 -

2) 장애 정도와 장애 부

본 연구에서 장애의 정도는 산재보상법상의 산재장애 등 에 근거하고 있

다. 연구의 목 을 달성하기 해 본 연구에서는 14개로 이루어진 산재장애

등 을 네 개(1 ~3 , 4 ~7 , 8 ~14 , 요양 )로 재구성하 는데 기

으로는 MDS상의 직업 기능수 에 따라 1 ~3 의 노동력 상실도는 100%,

4 ~7 의 노동력 상실도는 56%~92%, 8 ~14 의 노동력 상실도는 5%~

45%의 기 으로 나뉘었다. 장애부 는 총 기타와 복을 포함하여 16개로 이

루어졌으나 신체부 별로 5개(상지장애와 허리, 하지장애와 신경계통장애와

기타)로 재구성하 다.

3) 고용결과

본 연구에서 고용결과는 조사당시 취업여부(미취업=0, 취업=1)로 규정하고

있다.

3 . 조 사 차

한국산재장애인 노동자 회와 한국산재장애인 복지진흥회 산하 9개 지회(경

기, 경남, 부산, 울산, 구, 충북, 북, , 강원지역) 회원들을 상으로 우

편조사를 실시했다. 발송된 250부의 설문지 220부가 회수되었다. 이들 ,

답을 기입하지 않았거나 유효한 자료로 활용하기에 부 한 것들을 제외한

210부(84%)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산재장애인노동자 회와 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산하 16

개 지부 본 연구의 목 에 동의한 9개지부의 조를 받아 2007년 5월 순

부터 10월 말일까지의 5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Page 4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4 -

4 . 분 석 방 법

조사 상자들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악하기 해 빈도분석을 포함하는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했다.

첫 번째 가설인 장애수용 척도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간의 계를

악하기 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했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범주형 성격을 갖는 종속변수(산재장애인들의 고용

결과)와 지속 성격을 갖는 독립변수(장애수용도)간의 계 규명에 매우 유

용한 통계기법으로 리 활용되고 있다(홍세희, 2005).

끝으로, 장애의 정도 장애부 와 고용결과간의 계를 규명하기 해 교

차분석에 의한 카이검정을 실시하 다. 카이검정은 범주형 성격을 지닌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계 규명에 리 사용되는 통계 기법이다.

자료의 분석에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12.0』 한

국어 버 을 활용하 다. 한, 가설의 검증에 사용되는 1종 오류는 5%로

결정하 음을 밝 둔다.

Page 4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5 -

Ⅳ. 연구결 과

1. 연구 상 자 들 의 인 구통 계 학 특 성

1) 일반 특성

본 연구는 국 산재 회에 소속되어 있는 회원 250명을 상으로 실시되었

다. 발송된 250부의 설문지 220부가 회수되었고 여기서 분석에 부 합한

10부를 제외한 총 210부가 연구의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상자의 성별은 표 9와 같이 남자가 181(86.2%)명, 여자가 29(13.8%)

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6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40 (40세~

49세)와 50 (50세~59세)가 각각 71명(35%)이었고, 30 (30세~39세)가 30명

으로 체 14.8%, 60 (60세~66세)가 26명 체 12.8%, 20 (20세~29세)가 5

명으로 체 2.5% 다. 연구 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48.02(SD = 9.55)세로, 40

~50 의 산재 발생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다.

연구 상자들의 학력은 표 9에 나타나 있듯이 고졸이 101명(48.1%)으로, 졸

이 52명(24.8)이고, 문 졸이상이 34명(16.2%)이고, 졸이 19명(9.0%)이고,

무학이 4명(1.9%)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160명(79.9%)으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 으며, 미

혼이 28명(13.5%), 이혼이 13명(6.3%), 사별이 4명(1.9%), 기타가 3명(1.4%)으

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연구 상자의 70.0%가 40 ~50 인 을 감안할 때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종교유무를 살펴보면,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응

답한 응답자가 135명(64.3%)으로 나타났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

한 응답자가 75명(35.7%)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상자들의 거주 지역은 경상도가 117명(55.7%)로 가장 많았고, 충청도

31명(14.8%), 라도27명(12.9%), 서울․경기19명(9.0%), 강원도13명(6.2%)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설문지를 보낸 산재장애인 회의 지회 9곳

( 구, 부천, 창원, 울산, 부산, 군산, , 태백, 단양) 4군데가 경상도에

Page 4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6 -

구분 빈도(N) 백분율(%)

성별남 181 86.2

여 29 13.8

연령

20대 5 2.5

30대 30 14.8

40대 71 35.0

50대 71 35.0

60대 26 12.8

학력

무학 4 1.9

초졸 19 9.0

중졸 52 24.8

고졸 101 48.1

전문대졸이상 34 16.2

결혼상태

기혼 160 76.9

미혼 28 13.5

이혼 13 6.3

사별 4 1.9

기타 3 1.4

종교유무있다 135 64.3

없다 75 35.7

거주지역

서울․경기 19 9.0

충청도 31 14.8

전라도 27 12.9

경상도 117 55.7

강원도 13 6.2

기타 3 1.4

소재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산된다.

표 9. 연구 상자들의 일반 특성

*결측치는 분석에서 제외

Page 4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7 -

구분 빈도(N) 백분율(%)

요양기간

1년 이내 21 10.1

1년~5년이내 56 27.1

5년~10년이내 56 27.1

10년~15년이내 37 17.9

15년이상 37 17.9

장애등급

1급~3급 112 53.3

4급~7급 47 22.4

8급~14급 27 12.9

요양 중 24 11.4

산재발생원인사고성 재해 158 77.1

업무상 질병 47 22.9

상해부위

상지 42 24.0

허리 77 44.0

하지 21 12.0

신경계통 21 12.0

기타 14 8.0

2) 장애정도

표 10. 연구 상자들의 장애정도

*결측치는 분석에서 제외

본 연구의 연구 상자의 요양기간은 표 10과 같이 1년~5년 사이와 5년~10

년 사이가 각각 56명(27.1%)으로 나타났으며, 10년~15년이 37명(17.9%)이고,

15년 이상이 37명(17.9%), 1년 이내가 21명(10.1%)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등

1 에서 3 까지의 비율이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낸 만큼 한 산재 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요양기간이 나온 것으로 단된다.

장해 정자들의 장애등 은 1 ~3 이 112명(53.3%), 4 ~7 이 47명

(22.4%)으로 , 8 ~14 이 27명(12.9%), 요양 이 24명(11.4%)으로 나타났다.

Page 4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8 -

연구 상자들의 장애발생원인을 표 10을 통해보면 사고성 재해가158명

(77.1%), 업무성 질병이 47명(22.9%)로 나타나 직업병보다는 직 인 사고로

인한 산재 발생빈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연구 상자들 장애 정을 받은 사람의 수는 체 연구 상 210명 186

명(88.6%)를 차지하고 있었다. 장애 정을 받은 연구 상자들의 장애부 는

허리(척추)가 77명(44.0)%, 상지가 42명(24.0%), 하지와 신경계통이 각각 21명

(12.0%), 기타가14명(8.0%)나타났다.

3) 산재 이 종사 고용 형태

연구 상자들의 고용유형을 살펴보면 다음 표 11과 같다. 산재이 직업으

로는 기술직 문가가 60명(28.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기능원

리기능종사자가 31명(14.8%), 단순노무종사자가 27명(12.9%), 장치․기계

조작 조리종사자 25명(12.0%), 기타가 14명(6.7%), 사무종사자가 13명

(6.2%) 등이었다(표 11 참조).

산재이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138명(67.6%), 비정규직이 66명(32.4%)으로

나타나, 정규직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재이 의 여는 100만원~200만원이 79명(39.1%), 200만원~300만원이

73명(36.1%), 100만원 이하는 34명(16.8%), 300만원~400만원은 11명(5.4%),

400만원이상이 5명(2.5%)로 조사되었다.

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지에 한 질문에는 163명(78.7%)가 재 직업이

없다고 응답했고 44명(21.3%)의 응답자는 재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 미래의 직업 희망 여부에 한 설문에 해서는 직업을 가지고 싶다고

밝힌 응답자가 123명(72.8%), 아니라고 밝힌 응답자가 46명(27.2%)로 나타나,

산재장애인들 다수가 취업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 희망 직종으로는 기타가 31명(21.5%), 사무 리가 22명(15.3%), 서비스

가 19명(13.2%), 기계가 18명(12.5%), 건설업이 17명(11.8%), 기, 자, 통신

업이 10명(6.9%) 등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희망 고용형태로는 아무거나 상

Page 4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39 -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70명(47.0%), 시간제가 40명(26.8%), 일제가 39명

(26.2%)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표 11. 연구 상자들의 산재 이 종사 직종 고용 형태

구분 빈도(N) 백분율(%)

산재이 직업

고 임직원

리자 5 2.4

문가 11 5.3

기술직 문가 60 28.7

사무 종사자 13 6.2

서비스 종사자 10 4.8

매 종사자 6 2.9

농업, 임업 어업 7 3.3

기능원

련종사자31 14.8

장치, 기계조작, 조립 25 12.0

단순노무종사자 27 12.9

기타 14 6.7

산재이 고용형태정규직 138 67.6

비정규직 66 32.4

산재이 여

100만원 이하 34 16.8

100만원∼200만원 79 39.1

200만원∼300만원 73 36.1

300만원∼400만원 11 5.4

400만원∼500만원 5 2.5

재직업유무있다 44 21.3

없다 163 78.7

미래직업희망여부123 72.8

아니오 46 27.2

Page 4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0 -

구분 빈도 백분율(%)

미래희망 직종

건설업 17 11.8

속, 공 7 4.9

융 5 3.5

기계 18 12.5

농, 어업 6 4.2

사무 리 22 15.3

서비스 19 13.2

의료 3 2.1

기, 자, 통신 10 6.9

환경 6 4.2

기타 31 21.5

미래고용형태

일제 39 26.2

시간제 40 26.8

아무거나 상 없음 70 47.0

미래 희망 여

100만원 이하 14 9.3

100만원∼200만원 61 40.4

200만원∼300만원 55 36.4

300만원∼400만원 16 10.6

400만원∼500만원 5 3.3

*결측치는 분석에서 제외하 음

희망 여액은 100만원~200만원이 61명(40.4%), 200만원~300만원이 55명

(36.4%), 300만원~400만원이 16명(10.6%), 100만원 이하가 14명(9.3%), 400만

원이상이 5명(3.3%) 다.

Page 5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1 -

가치 역의 확 신체 조건의 수용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

가치 역의 확

신체 조건의 수용 .392**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 -.228*

-.300*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 .261

*.216

*-.137

2 . 산 재 장 애 인 의 장 애 수 용 도 와 고 용 결 과 간 의 계

1) 장애수용척도간의 다 공선성

장애수용도가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에 미치는 향을 악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각 변수들 사이의 독립성과 다 공선성

(multicollinearity) 문제의 여부를 조사하기 해 상 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 다.

장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독립변수인 장애수용도는 4가지 하 척도로 구

성되어 있다. 표 12는 이들 네 개의 하 척도간의 상 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2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치 역의 확 와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이

(.228), 신체 조건의 수용과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이(.300),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과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137)의 비교 낮은 상 계를

보이고 있다. 한편, 가치 역의 확 와 신체 조건의 수용(.392), 가치 역의

확 와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261), 신체 조건의 수용과 비교가치

에서 내 가치로 환(.216)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노형진, 정한열(2001)은 /r/

< 0.4이며 거의 상 없다고 정의한다. 이 같은 결과에서 보듯, 본 연구에 사용

된 독립 변인들 간에는 다 공선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로지

스틱 회귀분석에 이들 네 개의 하 척도를 사용하는 것은 통계상 아무런 문제

가 없다고 볼 수 있다.

표 12. 장애수용척도간의 상 계

*p<.05, **p<.01

Page 5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2 -

B S.E. Wald(Z) df sig. Odds Ratio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 .113 .033 11.514 1 .001 1.293

상수 -1.705 .882 3.734 1 .053 .182

-2 Log likeihood 202.377(a)

cox & Snell R2

.055

Nagelkerke R2

.086

Chi-square 11.797

분류의 정확도(%) 78.7

2) 장애수용과 고용결과 간의 계

산재장애인의 고용 측에 한 요인으로 장애수용척도의 하 척도인 가치

역의 확 , 신체 조건의 수용,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 환을 투입하 다.

표 14는 이항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Wald검증을 실시

한 결과(Z = 11.514, p = .001)가 제시되어 있고 통계 으로 유의미하다. 회귀

식에서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의 계수(p<.01)가 유의미하며 고용할 가능성이

1.293배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2 참조). 즉, 자신의 장애를 필요 이상

으로 확 하지 않고 있는 그 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그 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고용될 확률이 1.293배 높은 것이다.

분석결과 독립변수가 없고 편만 있는 기 모형에 비해 통계 으로 유의미

한 개선은 나타나지 않았고 (x2

= 11.797, p = .001), Cox & Snell(R2

= .055),

Nagelkerke(R2

= .086)로 나타나 종속변수의 설명력은 5.5%~8.6%로 나타났

다. 측된 결과 측 값을 비교한 분류의 정확도는 78.7%로 나타났다.

표. 13 장애수용이 고용 측에 미치는 향

투입된 장애수용 요인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만이 산재장애인의 직업복

귀에 한 유의미한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B = .113, P<.01), 장애의

부정 효과 차단 값이 증가할수록 직업복귀 승산비가 1.293배 증가하는 것으

Page 5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3 -

로 나타났다(Exp = 1.293). 즉, 장애를 해당 역의 제한으로 한정하는 산재장

애인들은 장애의 향을 삶의 다른 역으로까지 확산시키는 태도를 보이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1.293배정도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것은 산재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자신을 비교해서 자신이 하지 못하는 부분

에 한 부정 인 인식이 나타나므로 직업에 한 욕구 직업복귀가 어려워

지는 것으로 사료되는바 이에 한 심리 지원 등을 통해서 부정 인 장애인

식을 개선시켜 심리사회 인 응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 장 애 정 도 장 애 부 와 고 용 결 과 간 의 계

카이검정의 분석 결과, 장애등 과 장애부 는 산재장애인의 고용결과와 통

계 으로 유의미한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등 에 따른 고용율의 차이를 보면, 1 ~3 은 고용 13.5%, 미고용

86.5%, 4 ~7 은 고용 26.1%, 미고용 73.9%, 요양 은 고용 26.1%, 미고용

73.9%, 8 ~14 은 고용 40.7%, 미고용 59.3%로 나타났다. 카이검정 분석 결

과 장애 정도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 졌다(X 제곱 = 11.062, df =3, p =.011).

다 회귀 분석에서 설명력을 나타내는(R2

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카이 검

정의 이값(Phi = .231)의 제곱은 .053으로 나타났다). 즉, 산재장애인들의 고

용결과 측에 있어 장애 정도는 약 5%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다고 볼 수 있

다.

장애부 에 따른 고용율의 차이를 보면 상지는 고용 22.4%, 미고용 78.8%

으며, 허리는 27.3%, 미고용 72.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하지는 고용

33.3%, 미고용 66.7%로 나타났으며, 신경계통에서는 미고용가 100%로 나타났

으며, 기타는 고용이 10.5%, 미고용이 89.5%로 나타났다(표 14 참조).

Page 5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4 -

표 14. 장애정도 장애부 와 고용결과와의 계

구분직업복귀 여부

df x2 P Phi고용(%) 미고용(%) 계(%)

장애

1 ~3 15(13.5%) 96(86.5%) 111(100%)

3 11.062a .011 .2314 ~7 12(26.1%) 34(73.9%) 46(100%)

8 ~14 11(40.7%) 16(59.3%) 27(100%)

요양 6(26.1%) 17(73.9%) 23(100%)

장애

상지 9(22.4%) 33(78.6%) 42(100%)

4 9.855 .043 .277

허리 21(27.3%) 56(72.7%) 77(100%)

하지 7(33.3%) 14(66.7%) 21(100%)

신경계통 14(100% 21(100%)

기타 4(10.5%) 34(89.5%) 14(100%)

장애부 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사이에는 통계 으로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고 있음이 밝 졌다(X2

= 9.855 df = 4, p = .043). 한편 이값(Phi =

.277)의 제곱 값인 .076을 통해 장애부 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측에

있어 약 7%정도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Page 5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5 -

Ⅴ. 결 론 제 안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정도 장애부 가 산재장애인

들의 고용결과에 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 이 있다.

이 같은 목 을 달성하기 해 다음의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 다.

첫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수용 정도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는가?

둘째, 산재장애인들의 장애 정도 장애 부 와 고용결과 사이에는 유의

미한 계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국 산재장애인 회 산하 9개 지회 소속 산재장애인 210명을

상으로 실시되었다.

1. 결 론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추론이 가능할 것이

다.

첫째,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장애수용도의 네 가지 하 척도

장애의 부정 효과차단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와 통계 으로 유의미한

계가 있는 것으로 밝 졌다. 장애의 부정 인 효과를 차단하는 정도가 높아

질수록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아 질 것으로 상된다. 즉, 장애를

해당 역의 제한으로 한정하는 산재장애인들은 장애의 향을 삶의 다른 역

으로까지 확산시키는 태도를 보이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1.293배정도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에 한

태도가 정 인 사람일수록 취업욕구가 높다는 사실을 입증한 Anbury(1996)

의 연구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한편, 가치 역의 확 , 신체 조건의 수용, 비교가치에서 내 가치로의

이 세 가지요인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측과 유의미한 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 졌다. 이는 내 가치로의 환이나 가치 역의 확

Page 5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6 -

등이 고용을 포함하는 재활의 여러 가지 측면에 정 인 향을 미친다는 기

존의 연구결과들과 배치되는 것으로서, 심층 연구를 통해 이들 척도들이 산재

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미치는 향에 해 면 히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한, 장애의 부정 효과의 차단이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정

향을 다는 에 착안하여 이들의 장애에 한 심리사회 응을 돕고 자신

의 장애에 해 정 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심리 상담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정도 장애 부 와 고용결과사이에 유의미한 계가 존재하는

지에 해 살펴본 결과 장애등 과 장애부 가 직업복귀와 통계 으로 유의미

한 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에 따른 직업복귀율을 보면 1 ~

3 은 고용 13.5%, 미고용 86.5%, 4 ~7 은 고용 26.1%, 미고용 73.9%, 요

양 은 고용 26.1%, 미고용 73.9%, 8 ~14 은 고용 40.7%, 미고용 59.3%로

나타나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업복귀율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부 에 따른 직업 복귀율을 보면 허리(51.2%), 상지장애(21.9%), 하지(

17.0%), 기타가(9.7%)로 나타나고 있으며 허리를 다친 사람의 직업복귀율이

48.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 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성공 인 고용에 향을 미치는 변수 의 하나로서 건

강상태를 들고 있는 Brolin(1972)의 연구와 주 인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장

애인의 취업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한 이선우 (1997)의 연구결과와 그 맥을 갗

이하고 있다.

박수경(1999)은 산재장애인의 장애정도와 일상생활능력정도에 따라 직업복귀

가능성이 높다고 하 다. 그리고 이익섭, 박수경, 곽지 (2003)의 연구에서도

일상생활의 제약정도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정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는바,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의 정도와 부 가 산재장애인의 고용 측에 주요한 변수

라는 이들의 연구결과들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의

발생 부 나 장애 정도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요한 향을 수 있

음으로 장애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와 고용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 장애부 에 따라 고용결과에 차이가 나타남으로 장애부 를

Page 5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7 -

고려한 직업배치 직무재구조화(job restructuring)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때, 재활상담사는 작업치료사나 물리치료사

등의 문가들과 다학문 재활서비스 을 구성하여 장애정도와 부 가 상이

한 산재장애인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요약하면, 장애의 수용정도와 장애정도 장애 부 는 산재장애인들의 성

공 인 고용결과에 향을 미치고 있음으로,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

활상담사들은 이들의 장애에 한 심리사회 응 상태나 장애로 인한 지각

된 혹은 실제 기능 손상, 그리고 장애 부 등을 총체 으로 고려한 재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 제 언

이상의 연구결론을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의 고용결과에 정 인 향을 주

기 한 후속연구를 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산재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정 인 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측면에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산재장애인과 같은 도장애인의 경우 장애에 한 정 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심리 상담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장애정도와 장애부 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요한 향을 미

치는 바, 고용율을 높이기 한 안으로서의 새로운 직업경험 제공,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의 개발, 재활공학기기 지원 등의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어

야 할 것이다.

Page 5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8 -

참 고 문 헌

강병서, 김계수 (2007). 한 SPSS 12K 사회과학통계분석. 서울: 한나래

강 , 나운환 (2001). 직 업 재 활 개 론. 서울: 나눔의 집.

고덕기 (1997). 산 재 병 원 입 원 환 자 들 의 직 장 복 귀 의사 에 향 을 주 는 요인 .

미간행 연세 학교 보건 학원 석사학 청구논문.

근로복지공단 (2002). 산 재 근 로 자 재 활 사 업 을 한 설 문 조 사 결 과 . 근로복지

공단.

근로복지공단 (2005). 재 활 상 담 가 이 드 .

근로복지공단 (2006). 산 재 근 로 자 상 담 매 뉴얼.

근로복지공단 (2006). 산 재 근 로 자 직 장 복 귀 를 한 직 업 평 가 도 구개 발 에

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2006). 2 0 0 5 년 도 장 해 정 자 취 업 실 태 조 사 결 과 분 석 .

김성회 (2000). 장애유형과 귀인 양식에 따른 장애수용 우울 반응. 장 애 인

고 용 3 8 호 .

김소진 (2005). 산 업 재 해 장 애 인 의 재 활 실 태 와 서비 스 요구도 에 한 연구.

미간행 구 학교 재활과학 학원 석사학 청구논문.

김재기 (2004). 산 업 재 해 장 해 인 을 한 직 업 재 활 서비 스 가 직 업 복 귀 에 미 치

는 향 에 한 연구. 미간행 경기 학교 학원 박사학 청구논문.

김종인(2001). 산 재 장 애 인 의 사 회 심 리 재 활 . 한국산재노동자 회부서 재활복지

연구소.

노동부 (2007). 재 활 여 도 입 방 안 연구: 직 장 복 귀 직 업 훈 련 지 원 을 심

으 로 . 서울: 미간행 노동부.

노동자건강사업단 (2001). 노 동 보 건 운 동 의 역 사 와 이 념 . 노동자건강사업단.

노형진, 정한열 (2001). 한 SPSS 10.0 기 에서 응용까지. 서울: 형설출 사.

박석돈 (2004). 장 애 인 의 진 로 와 고 용 . 구: 외.

박수경 (1997). 산 업 재 해 장 애 인 의 사 회 통 합 에 향 을 미 치 는 요인 에 한

연구. 미간행 연세 학교 학원 박사학 청구논문.

Page 5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49 -

박수경 (1999). 산재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재활정책의 과제. 장애인고용 3 2 호.

박수경 (1999). 산재장애인의 재취업실태와 향요인 분석. 한 국 사 회 복 지 학

4 2 , pp. 290-313.

박수경 (2006).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측요인. 사 회 복 지 정 책 , 2 6 , pp.

177-194.

유동철 (2000). 장애인에 한 직업훈련이 취업 소득에 미치는 향. 한 국

사 회 복 지 학 , 3 7 ( 4 ) , pp. 171-192.

윤덕조, 박수경, 박정란, 권선진, 이 주, 진혜랑 (2001). 산 재 보 험 재 활 사 업 의

장 기 발 략 .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이달엽 (2004). 산 재 장 애 인 직 업 재 활 상 담 원 의 문 성제 고 를 한 교 육 로

그 램 과 제 도 개 선 에 한 연구.

이달엽 (2006).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달체계 연구. 특 수 교 육 ,

7 ( 4 ) , pp. 283-305.

이선우 (1997). 장애인의 취업 취업형태에 향을 미치는 용인에 한 분

석: 로빗을 이용한 분석. 한 국 사 회 복 지 학 , 3 3 , pp. 287-313.

이승렬 (2002). 산 재 근 로 자 의 직 업 복 귀 실 태 와 결 정 요인 분 석 . 서울: 한국노동

연구원.

이승렬 (2005). 산 재 근 로 자 의 노 동 이 동 에 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이승욱 (2006). 산 재 근 로 자 직 업 복 귀 에 향 을 미 치 는 요인 에 한 연구.

미간행 구 학교 학원 박사학 청구논문.

이익섭, 박수경. 곽지 (2003). 시각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실태와 련요인.

한 국 사 회 복 지 학 , 5 4 , pp. 149-176.

이 주, 윤순 , 최정명, 혜진, 백은 (2001). 재 가 장 애 인 의 재 활 로 그 램

에 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이 주, 정홍주, 김창섭, 이홍무, 에자와마사히코, 김도훈(2003). 주 요국 의 산 재

보 험 여 체 계 비 교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임성욱, 이숙자 (2002). 산재장애인의 효율 인 직업재활에 한연구. 한 국 직

업 재 활 학 회 12 , pp. 115-145

정우석 (2006). 산 재 장 애 인 의 직 업 심 리 특 성 연구. 미간행 구 학교

Page 5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0 -

학원 석사학 청구논문.

정원미, 박정일, 구정완, 노 만 (2003).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측요인.

한 산 업 의학 회 지 , 15 (2), PP.119-1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2 0 0 0 년 장 애 인 실 태 조 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2 0 0 5 년 장 애 인 실 태 조 사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1998). 산 업 재 해 장 애 인 취 업 실 태 조 사 .

홍세희 (2005). 이 항 다 항 로 지 스 틱 회 귀 분 석 . 서울: 교육과학사.

Asbury, C. A., S. Walker, V. Maholmes, L. Green, and F. Belgrare (1996).

Attitudinal and perceptual correlates of Employment Status among

African America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60(2),

pp,28-32.

Barrett, Collignon, Dodson, Langlosis, Rogers, & Sea (1978). Implementing

the Rehabilitation Act of 1973 : The VR Program Response . Berkeley

Planning Associates.

Belgrave, F. Z. (1991). Psychological predictors of adjustment to disability

in americans. Journal of Rehabilitation, 57(1), 37-40

Berkowitz, M, V. Englander, J. Rubin, & J. D. Worall (1975). An

Evaluation of Policy-related Rehabilitation Research. New York:

Praeger.

Bolton, B. (1994). 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In D. J. Keyser & R. C.

Sweetland(Eds.), Test Critiques(Vol. 10, pp.8-12). Austin, Texas:

Pro-Ed.

Bolton, B., Bellini, J. L., & Brooking, J. B. (2000). Predicting client

employment outcomes from personal history, functional limitations, and

rehabilitation service.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4(1), 43-47.

Brolin, D. (1972). Value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correlates of

vacational success with the mentally retarded.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76, 644-651

Carroll, T. J. (1961). Blindness: What it is, what if does, and how to live

Page 6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1 -

with if (1 st ed.). Boston, MA: Little.

Dembo. T., Leviton, G l, & Wright, B. A., & Cavenaugh, B. S. (1965).

Adjustment to misfortune: A problemof social-psychological

rehabilitaion. Artificial Limbs, 3, 4-62.

Dembo. T., Leviton, G l, & Wright, B. A. (1975). Adjustment to

misfortune: A Problem of social-psychological Rehabilitation

Psychology, 22, 1-100.

Dodds, A. G., Bailey, P., Pearson, A., & Yates, L. (1991). Psychological

factors in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 development of a scale of

adjustment.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85, 306-310.

Dodds, A. G., Flamingan, H., & NG, L. (1993). The Nottingham adjustment

scale; A validation study. International Jou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 1177-1184.

Ennals, S. (1991). Industrial injuries benefits. BMJ, 302, 16-17.

Fizgerald, T., D. McGowan, M. Kutner, and N. Winger (1981).

Demographic determinants of success in vacational rehabilitation of

cardiac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48, 35-38.

Groomes, D. A. G., & Leahy, M. J. (2002).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ress appraisal process, coping disposition, and level of acceptance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Counseling, 30(1), 16-21.

Groomes, D. A. G., & Linkowski, D. C. (In Press). Revision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 An explorato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Hampton, N. Z., & Crystal, R. (1999). Gender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disabilities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consumers.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30(1), 16-21.

Heinemann A. W., & Shontz. F. C (1982).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esteem. Sex Role Identity and Reading Aptitude in Deaf

Adolescents. Rehabilitation Counseling Billetin 25. pp.197-203.

Page 61: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2 -

Houtenville, A. J. (2003). A comparison of the economic status of

working-age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ose of other

groups. Jou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7(3), 133-148.

Jacobs, L. (1996). Shame in the therapeutic dialogue. In R. Lee and G.

Wheeler(Ed), The voice of shame. San Francisco: Jossey-Bass.

Joiner, J. G., Lovett, P. S., & Goodwin, L. K. (1998). Positive assertion and

acceptance among perso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55(3).

Keany, K. C. M-H. (1993). Disability & value change: A review of the

adjustment to misforture theo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Invent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rdue

School of Science, Indiana University-Purdue University at Indianapolis.

Lee, P.W., E. S. Ho, A. K. Tsang, J. C. Cheng, P. C. Leung, Y. H. 둫, &

F. F. Lei-Mak (1985). Psychological Adjustment of victions of

Occupational Hand Injuries. Social & Medicine 20(5), pp,493-497.

Li. L., & Moore. D. (1998).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Science Psychology 38, pp,13-25.

Linkowski, D. C. (1971). A scale to measure acceptance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14, 236-244.

Linkowski, D. C., & Dunn, M. A. (1974). Self-concept & acceptance of

disability.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17, 28-32.

Lussier, A. (1980). The physical handicap and body ego.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analysis 61, 179-185.

Marinelli, R. P., & Dellorto. A. E. (1984).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impact of physical disability.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

Magrega, D. J., Spencer, W. A., & McDaniel, R. S. (1993). Factors

involved in time taken in returning to work after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59(2), 13-17.

Oliver, A., Cheyne, A,. Tomas, J. M,. & Coy, S (2002). The effects of

Page 62: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3 -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on occupational accid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5.

Smith, J., & Crissler, J. (1985).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utcome of chronic low back pain individual.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64, 22-24.

Tate, D. G. (1992). Factors Influencing injured employees return to work.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23(2), 17-20.

Tuck, M. (1983).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aspects of industrial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48(3), 20-25.

Tuttle, D. W. (1984). Self-esteem and adjusting with blindness: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life's demands. Springfield, Ill., U.S.A.: C. C. Thomas.

Wright, B. A. (1983). Physical disability: A psychological approach. New

York: Harper & Row.

http://www.kepad.or.kr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http://www.freeget.co.kr (한국장애인재활 회)

http://www.riss4u.net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http://www.samyook.org (삼육재활센터)

Page 63: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4 -

Predicting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from Acceptance,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Kim, Hee-Young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Taegu University

Ky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Jo, song-Ja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to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Two-hundred and ten people who were industrially injur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containment of

disability effects subscale. That is, those who limit his/her disability effects to

impaired areas of his/her life will be 1.293 times more likely to achieve and

maintain a gainful employment as compared to those who unnecessarily spread his

or her disability effects to other areas of life.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enlarging the scope of value,

subordination of physique, and transformation of comparative values to asset

values.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and body part of disability and employment outcomes

among people with industrial injury. In other words, those with mild disability

and those with back injury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acquire and maintain

Page 64: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5 -

a gainful employment than those with more severe injury and those with

disabilities other than back injur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the

rehabilitation practice are discussed.

Page 65: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6 -

산 재 장 애 인 의 고 용 결 과 측 에 한 연구

안녕하십니까

저는 대구대학교 직업재활 석사과정 김희영입니다.

제가 석사논문으로 산재장애인의 고용결과 예측에 관한 연구를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그에 필요한 몇 가지 사항을 파악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자 합니다.

직장인으로서 안정된 삶을 영위하시다가 갑작스러운 산업재해로 인하여 귀하께

서 겪으신 어려움에 대하여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설문내용에 대한 여러분의 답변은 숫자로 처리되어 본 논문에 필요한 데이터로

만 사용될 것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의 응답내용이나 신상정보는 철저히 비밀에 부

쳐질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본 설문지는 단지 여러분의 의견을 알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평소 생

각하시는 대로, 끝까지 정성스럽고 솔직하게 답변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바쁜

중에도 시간을 내 주셔서 감사드리며 여러분의 성의 있는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본 조사에 관한 궁금하신 사항이나 의문사항이 있으시면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

하여 주시면 언제든지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2007. 9.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직업재활전공

석사과정: 김 희 영

지도교수: 조 성 재

연 락 처: 010-3579-8402, 053-650-8266

E - Mail: [email protected]

Page 66: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7 -

Ⅰ. 장애수용 : 다음은 귀하의 장 애 수 용 에 한 내 용 입니다. 아래의 문항들을

읽어보시고 자신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V표 해주세요.

호질 문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그 다

매우

그 다

1 장애는 나의 삶 반에 걸쳐 한 향을 미친다. c

2장애로 인해, 나는 비장애인들이 할 수 있는 많은 일들을

하지 못한다. t

3장애의 유무와 상 없이 나는 만족스런 삶을 릴 수 있

다. e

4장애로 인해 나는 다른 사람들 앞에 별로 내세울 것이

없어졌다.t

5훌륭한 외모와 신체 능력은 인생의 가장 요한 것들

이다. s

6비록 장애가 여러가지 면에서 인간의 삶을 제한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애인들은 부분의 분야에서 얼마든지 자신의 일을 해 낼 수 있다. e

7내가 아무리 열심히 노력하고 무언가를 성취한다 해도,

나는 결코 비장애인들보다 더 잘할 수는 없다. t

8내가 할 수 없는 일들을 다른 장애인들이 해내는 것을

보노라면 기분이 매우 좋지 않다.c

9 세상에서 가장 요한 것은 신체 능력이다. s

10장애로 인해, 나의 인생은 다른 사람들의 그것에 비해 의

미를 잃게 되었다.t

11 장애로 인해 나는 부분의 시간을 내가 불행하다고 느

끼면서 지낸다.c

12 비록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나는 내 삶에 만족한다. e

13장애인으로서의 나의 삶과 살아오면서 내가 이룩한 것들은 비

장애인들의 삶에 견주어 보면 덜 요하다고 생각한다.t

14 신체상의 장애는 인간의 정신 능력에도 향을 미친다. s

15내가 하고자 하는 거의 모든 일들에 방해가 된다는 에서, 사

실상 장애는 항상 나의 모든 신경을 기울이게 한다.c

16세상에는 나와 유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도 많이 있다. e

Page 67: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8 -

호질 문 그 지

않다

그 지

않다

보통

이다그 다

17장애는 내가 가진 그 어떤 특징보다 나에게 큰 향을

미친다.c

18인간의 삶에 있어 다른 많은 것들이 신체 능력과 외

모보다 훨씬 요하다.e

19 내 인생의 거의 모든 길들이 막 버렸다. t

20장애는 내가 하고자 했던 모든 일을 할 수 없게 만들었고, 내

가 원했던 사람이 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c

21장애로 인한 여러가지 제약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삶

이 의미있다고 생각한다.e

22 장애는 나의 삶에 가장 요한 부분에 향을 미친다. c

23내가 가진 장애는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최악의 사건

이다.t

24 건강하고 완 한 신체는 건강한 정신의 선행조건이다. s

25가끔 나는 내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완 히

잊어버리곤 한다.e

26장애인이 되지 않았다면, 아마도 나는 보다 나은 사람

이 되었을 것이다. t

27장애에 해 생각할 때마다, 그로 인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사실이 나를 슬 고 화나게 만든다. c

28 장애인들도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 t

29나는 재 내가 가진 능력에 만족하고 있으며, 내 장애

는 나에게 있어 그다지 커다란 문제가 되지 않는다.e

30 모든 부분에 있어, 장애는 나를 무나 힘들게 만들

고, 삶을 온 히 즐기지 못하게 만들었다. c

31건강한 신체와 외모는 그 사람의 정신과 성격을 결정

한다.s

32나는 나의 장애로 인해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이 무엇

인지 잘 알고 있지만, 만족스러운 삶을 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e

Page 68: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59 -

Ⅱ. 일반 사항 : 다음은 귀하의 일반 사항에 련한 사항입니다. 다음 문항을 잘

읽으시고 해당사항에 V표 하거나 간단히 기입해주세요.

1. 귀하의 성별은?(    )

☐➀여자 ☐➁남자

2. 귀하의 나이는?(만    세 )

3. 귀하는 결혼을 하셨습니까?( )

☐➀기혼 ☐➁미혼 ☐➂이혼 ☐➃사별 ☐➄기타( )

4. 귀하는 종교를 가지고 있습니까?(    )

☐➀ ☐➁아니오

5. 귀하의 최종학력은?( )

☐➀무학 ☐➁ 졸 ☐➂ 졸 ☐➃고졸 ☐➄ 문 이상

6. 귀하의 거주지역은?(    )

☐➀서울⦁경기 ☐➁충청도 ☐➂ 라도 ☐➃경상도 ☐➄강원도 ☐➅제주도

☐➆기타

7. 귀하는 산재를 당한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

☐➀1년이내 ☐➁1~5년사이 ☐➂5~10년사이 ☐➃10~15년사이 ☐15년이상

8. 산재보험법상 장해등 은 몇 등 입니까?

( )

9. 산재 발생원인는 무엇입니까?(    )

☐➀사고성 재해(추락, 도, 단, 착, 감 , 화재, 폭발 등)

☐➁업무상 질병(직업성 질환-진폐, 난청, 근골격계 등)

Page 69: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60 -

☐➀두부(머리) ☐②안면부 ☐③눈 ☐④목

☐➄어깨 ☐⑥팔 ☐⑦손, 손가락 ☐⑧가슴, 등

☐⑨허리(척추) ☐⑩엉덩이 ☐⑪다리 ☐⑫발, 발가락

☐⑬신체내부기관 ☐⑭신경계통 ☐⑮기타( )

10. 상해부 는?(    )

11. 산재이 의 귀하의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    )

☐① 고 임직원 리자

☐② 문가

☐③ 기술직 문가

☐④ 사무 종사자

☐⑤ 서비스 종사자

☐⑥ 매 종사자

☐⑦ 농업, 임업 어법숙련 근로자

☐⑧ 기능원 련 기능 종사자

☐⑨ 장치, 기계조작 조립 종사자

☐⑩ 단순노무 종사자

☐⑪ 기타( )

12. 귀하의 산재이 고용형태는?( )

☐① 정규직 ☐② 비정규직

13. 귀하의 산재이 월 여는?(    )

☐①100만원이하 ☐②100~200만원사이 ☐➂200~300만원사이 ☐➃300~400만원사이

☐➄400만원이상

14. 귀하는 재 직업이 있으십니까?(    )

☐① ☐② 아니오

* 14 번 문 항 에 ② 아 니 오 라 고 응 답 한 응 답 자 만 15 번 문 항 부 터 18 번 문 항 까 지 응 답

하 여 주 시 면 됩니 다 .

Page 70: 이학석사 학위논문 · 2017-11-22 ·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 61 -

☐➀건설 ☐②금속, 공예 ☐③금융 ☐④기계

☐➄농, 어업 ☐⑥사무관리 ☐⑦서비스 ☐⑧섬유

☐⑨의료 ☐⑩전기, 전자, 통신 ☐⑪환경 ☐⑫기타(   )

15. 귀하는 앞으로 일을 하고 싶습니까?(    )

☐① ☐② 아니오

16. 직업을 가지고 싶다면 어떤 직종을 가지고 싶습니까?(    )

17. 직업을 가지게 된다면 어떤 고용형태를 원하십니까?( )

☐➀ 일제 ☐➁시간제 ☐➂아무거나 상 없음

18. 직업을 가지게 된다면 희망 여는 어느 정도 입니까?( )

☐①100만원이하 ☐②100~200만원사이 ☐➂200~300만원사이 ☐➃300~400만원사이

☐➄400만원이상

긴 설 문 에 응 답 하 여 주 셔서 단 히 감 사 드 립 니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