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교육프로그램 개발 1차 드래프트 1046040 남유경, 13 양지혜 13 박주연 13 송재은 1. 입학사정관제와 그 도입 취지 입학사정관제는 2009 년 선도대학에 집중 투자하여 내실화를 도모하기 시작한 이후 선도대학 이외의 대학에도 정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성적위주의 학생선발이 가진 부작용인 지나친 점수 경쟁과, 대학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의 한계점에 대해 대학의 학생선발 권한의 확대 및 교육 정상화를 꾀한다. 성적 위주의 획일적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이념 및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동시에 다양한 전형요소의 해석이 가능한 대입전형 전문가 활용의 목적을 가지고 도입되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정보 홈페이지) (입학사정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대학을 중심으로, 남형우, 2012) 2. 입학사정관제의 변질 초기 도입목적과는 달리 최근 입학사정관제도의 변질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복잡함, 자기소개서의 비통일성 등으로 수험생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입학사정관제 컨설팅 학원의 성행과 스펙을 허위 조작하는 브로커의 등장, 그리고 부정입학 문제가 기승을 부리는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성적보다는 잠재력으로 대학신입생을 뽑는 입학사정관제가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부모의 경제력에 좌우되고 있으며 서울과 지방의 스펙 격차로 인한 문제 또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향신문/2013.01.07 이혜리 기자) (동아일보/2012.07.19 남경현 기자) (동아일보/2012.07.19 윤석만 기자) (한겨레/2011.08.17 노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4 학년) (경향신문/2012.12.04 송현숙 기자) 3. 우리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 현재 입학사정관제를 대비하기 위한 설명회, 컨퍼런스, 워크숍, 토론 프로그램, 학생 동아리 그리 고 논술학교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그리고 독서관련 프로그램이나 대학생 멘토링 등 우리가 기획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비슷한 컨텐츠를 갖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많다. 그러나 그것들 전부를 연계해 종합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은 없다. 그렇다 보니 학생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도움을 받아가며 스펙을 쌓기에는 힘든 점이 많다고 생각했다. 또한 위에서 지적했듯이, 입학사정 관제의 변질로 인해 부모의 경제력이 학생들의 입학을 좌우하고 있는 현실에서 경제력을 이유로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가능성을 아예 접어두어야만 했던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되었다.

1st draft

  • Upload
    jihyeee

  • View
    86

  • Download
    3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1st draft

교육프로그램 개발 1차 드래프트

1046040 남유경, 13 양지혜

13 박주연 13 송재은

1. 입학사정관제와 그 도입 취지

입학사정관제는 2009 년 선도대학에 집중 투자하여 내실화를 도모하기 시작한 이후 선도대학

이외의 대학에도 정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성적위주의 학생선발이 가진 부작용인 지나친 점수 경쟁과, 대학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의 한계점에 대해 대학의 학생선발 권한의 확대 및 교육 정상화를 꾀한다. 성적 위주의

획일적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이념 및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동시에 다양한 전형요소의 해석이 가능한 대입전형 전문가 활용의 목적을 가지고 도입되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정보 홈페이지)

(입학사정관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대학을 중심으로, 남형우, 2012)

2. 입학사정관제의 변질

초기 도입목적과는 달리 최근 입학사정관제도의 변질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입학사정관제 전형의 복잡함, 자기소개서의 비통일성 등으로 수험생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이로 인해 입학사정관제 컨설팅 학원의 성행과 스펙을 허위 조작하는 브로커의

등장, 그리고 부정입학 문제가 기승을 부리는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성적보다는

잠재력으로 대학신입생을 뽑는 입학사정관제가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부모의 경제력에

좌우되고 있으며 서울과 지방의 스펙 격차로 인한 문제 또한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경향신문/2013.01.07 이혜리 기자)

(동아일보/2012.07.19 남경현 기자)

(동아일보/2012.07.19 윤석만 기자)

(한겨레/2011.08.17 노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4 학년)

(경향신문/2012.12.04 송현숙 기자)

3. 우리 프로그램이 필요한 이유

현재 입학사정관제를 대비하기 위한 설명회, 컨퍼런스, 워크숍, 토론 프로그램, 학생 동아리 그리

고 논술학교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그리고 독서관련 프로그램이나 대학생 멘토링 등

우리가 기획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비슷한 컨텐츠를 갖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많다. 그러나 그것들

전부를 연계해 종합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은 없다. 그렇다 보니 학생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도움을 받아가며 스펙을 쌓기에는 힘든 점이 많다고 생각했다. 또한 위에서 지적했듯이, 입학사정

관제의 변질로 인해 부모의 경제력이 학생들의 입학을 좌우하고 있는 현실에서 경제력을 이유로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가능성을 아예 접어두어야만 했던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되었다.

Page 2: 1st draft

4. 프로그램의 구성

- 대상 :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 장소와 시간 : 구청, 청소년 센터의 강당이나 강의실 대여, 매주 토요일

- 내용 : 교육공학과 내에 ‘하모니티’ 라는 가상의 봉사동아리를 조직하고, 동아리 회원으로 인문,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한다. 매주 인문,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

중 한 가지 테마를 정하고, 테마에 맞는 전공자를 그 날의 담당자로 일임한다. 담당자는 다른 동

아리 회원의 도움을 받아 이번 테마에 맞는 영화, 다큐멘터리와 같은 영상자료, 관련 신문기사,

미술작품이나 문학작품 등 공부 자료를 준비한다. 수업시간 동안 다양한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들이 그 주의 테마에 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과정 속에는

독서 후 토론, 주제별 글쓰기, 조 구성 후 조 발표와 같은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포함되어야만 한다. 토요 학교가 끝난 후 학생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여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이렇게 쌓여가는 포트폴리오와 함께 학생은 자신이 진정으로 흥미 있어 하는 분야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8주에 한 번 전공 탐색의 날을 정해서 해당 전공 대학생 선배와의 대화, 전공 기초

내용 강의 등을 통해 학생이 관심 있어 하는 전공에 관한 구체적인 길을 제시한다. 이 과정 속에

서 학생은 폭 넓고도 심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고, 멘토는 자신의 전공분야를 활용한 지식 나눔

을 할 수 있다. 또한 장소를 제공해 주는 지역 구청 담당자는 그 지역의 교육 사각지대에 놓여진

소외된 학생을 돌보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다.

5. 프로그램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

우선 대상 학생들이 인문, 사회과학을 넓고 깊게 학습할 수 있다. 학습 과정에 포함된 토론, 발

표, 글쓰기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피상적인 학습이 아닌 심도 있는 학습이 이뤄질 수 있기 때

문이다. 학생의 창의력과 논술 실력 또한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조별활동을 통

해 리더십과 사회성을 배양할 수 있으며 학습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전공 탐색의 날에는 학생이 자신에게 맞는 전공과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착실하게 학습과정을 따라오는 학생이라면 포트폴리오 작성에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매번 수업 동안 배운 내용과 느낀 점을 잘 정리해 두는 것만으로도 값진 포트폴리오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우리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과 차이를 두려고 하는 점인 사교

육비 경감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Page 3: 1st dr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