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5 2-842 서울시 구로구 가마산로 2 5길 2 1 Tel. (02 )6209- 5 900 / Fax. (02 )6209- 5 99 9 E-mail . contact@ arte.o r.kr www.arte.o r.kr KACES-1251-R002 KACES-1251-R00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 Upload
    arte

  • View
    259

  • Download
    4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12세종학당 연계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5 2-842 서울시 구로구 가마산로 25길 21Tel. (02 )6209- 5900 / Fax. (02 )6209- 599 9E-mail. [email protected]

KACES-1251-R002

KACES-1251-R002

2012 세종

학당

연계

한국

문화

교육

매뉴

얼 개

Page 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Page 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발행인박재은

발행일2013.1.

발행처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국제교류팀장 김자현

국제교류팀 박보연

등록KACES-1251-R002

문의Tel. (02)6209-5900

Fax. (02)6209-5999

E-mail. [email protected]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

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Page 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김선아 한양대학교 응용미술교육과 교수

공동연구자김선영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강의교수

김혜진 국립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교수

민경원 순천향대학교 영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변계원 숙명여대 한국문화교류원 시간강사

연구보조원장민정 한양대학교 교양학부 시간강사

강혜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age 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Page 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목차|i

목차

Ⅰ. 서론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 내용 6

3. 연구 절차 및 방법 9

Ⅱ. 선행 연구 분석 16

1. 세계화와 한국문화교육 16

2.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 18

3. 예술교육과 문화적 감수성 21

Ⅲ. 지역 특성화 방안 28

1. 지역별 특성화의 필요성 28

2. 기초조사 결과 분석 29

3. 지역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59

Ⅳ.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84

1. 매뉴얼 개발 방향 84

2. 매뉴얼의 구성 85

3. 지역별 매뉴얼의 내용 89

4. 매뉴얼 활용 방안 118

Ⅴ. 시범사업 평가 123

1. 시범사업의 내용 123

2. 시범사업 평가 모형 128

3. 시범사업 결과 및 논의 139

ⅤI. 결론 및 제언 145

1. 요약 145

2. 제언 146

3. 기대효과 150

참고문헌 157

Page 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표 I-1> 사업 추진 체계 11

〈표 I-2〉 단계별 내용과 방법 13

〈표 Ⅲ-1〉 기초조사 절차 30

<표 Ⅲ-2> 응답자 분포 30

<표 Ⅲ-3> 수강생의 구성 비율 31

<표 Ⅲ-4>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31

<표 Ⅲ-5> 수강생의 관심도 32

<표 Ⅲ-6> 수강생의 예상 참여도 32

<표 Ⅲ-7>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한 선호도 33

<표 Ⅲ-8> 교육과정 내 한국문화교육의 유무 33

<표 Ⅲ-9> 교육과정에 포함된 한국 문화 내용 34

<표 Ⅲ-10> 한국 문화 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이유 34

<표 Ⅲ-11> 한국 문화예술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상관성 35

<표 Ⅲ-12>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35

<표 Ⅲ-13> 문화 예술 교육의 실시 의지 36

<표 Ⅲ-14> 한국 문화와 예술 중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싶은 순위 36

<표 Ⅲ-15>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교육 효과 37

<표 Ⅲ-16> 한국 문화예술교육 실시를 위한 지원 37

<표 Ⅲ-17>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구성 비율 38

<표 Ⅲ-18>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경험 시간 38

<표 Ⅲ-19>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39

<표 Ⅲ-20>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 39

<표 Ⅲ-21> 학습자의 한국문화 경험도 40

<표 Ⅲ-22> 교육과정 내 한국 문화 교육의 경험 40

<표 Ⅲ-23> 교육과정에 포함된 한국 문화 내용 41

표 목차

Page 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목차|iii

<표 Ⅲ-24> 문화예술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상관성 41

<표 Ⅲ-25>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42

<표 Ⅲ-26>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 의지 42

<표 Ⅲ-27> 한국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 이유 43

<표 Ⅲ-28> 참여하고 싶은 한국 문화와 예술 교육 프로그램 43

<표 Ⅲ-29> 선호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4 44

<표 Ⅲ-30> FGI 참여자 및 주요 내용 45

<표 Ⅲ-31> 한국어 전문가 FGI 48

<표 Ⅲ-32> 세종학당 운영자 및 강사 FGI 50

<표 Ⅲ-33>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베트남 52

<표 Ⅲ-34>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영국 53

<표 Ⅲ-35>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미국 54

<표 Ⅲ-36>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중국 56

<표 Ⅲ-37>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터키 57

<표 Ⅲ-38>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케냐 58

〈표 Ⅳ-1〉 공통 프로그램 개요 86

〈표 Ⅳ-2〉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90

〈표 Ⅳ-3〉 영국 런던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95

〈표 Ⅳ-4〉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100

〈표 Ⅳ-5〉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105

〈표 Ⅳ-6〉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109

〈표 Ⅳ-7〉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114

〈표 Ⅴ-1〉 시범사업 평가의 단계 127

〈표 Ⅴ-2〉 시범사업 만족도 평가 모형 128

〈표 Ⅴ-3〉 설문조사 문항 128

〈표 Ⅴ-4〉 응답자 분포 130

〈표 Ⅴ-5〉 한국어 사용 능력 131

〈표 Ⅴ-6〉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 131

Page 1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표 Ⅴ-7〉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132

〈표 Ⅴ-8〉 선호하는 수업 방법 132

〈표 Ⅴ-9〉 다음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133

〈표 Ⅴ-10〉 문화 교류에의 기여 134

〈표 Ⅴ-11〉 세종학당 한국 문화교육의 개선점 134

〈표 Ⅴ-12〉 평균과 표준 편차 135

〈표 Ⅴ-13〉 만족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35

〈표 Ⅴ-14〉 지속의지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136

〈표 Ⅴ-15〉 한국어 수준에 따른 차이 136

〈표 Ⅴ-16〉 한국 문화에 예술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른 차이 137

〈표 Ⅴ-17〉 예술강사 FGI 요약 140

〈표 VI-1〉 차년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운영 로드맵: 씨앗형 147

〈표 VI-2〉 차년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운영 로드맵: 역량강화형 148

Page 1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목차|v

<그림 I-1> 세계에 설치된 세종학당 현황 5

〈그림 I-2〉 연구 내용 9

〈그림 I-3〉 연구 추진 절차 10

〈그림 Ⅳ-1〉 내용 선정의 범위-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89

〈그림 Ⅳ-2〉 내용 선정의 범위- 영국 런던 세종학당 94

〈그림 Ⅳ-3〉 내용 선정의 범위-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99

〈그림 Ⅳ-4〉 내용 선정의 범위-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104

〈그림 Ⅳ-5〉 내용 선정의 범위-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109

〈그림 Ⅳ-6〉 내용 선정의 범위-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114

〈그림 VI-1〉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실행 모델 146

그림 목차

Page 1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약

□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문화가 자유롭게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21세기는 소프트 파워의 경쟁 시대이다.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언어와 문화의 전파를 통해 국가 브랜드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

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 변화와 한류 열풍 등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적 영향력과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시점이다. 이때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설정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

다. 대한민국 정부는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이라는 문화 정책 목표 하에 ‘문화, 예술 그

자체의 완성도와 가치 제고’, ‘한글 등 전통문화의 현대적 가치 확립 및 산업에의 적용’, ‘인문학

을 바탕으로 한 소프트파워 강화’, ‘사회적 약자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

다. 한국은 글로벌 시대 다른 국가들의 자국문화 세계화 노력에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

로 한국문화를 한글을 통해 소개하고 국외로 널리 보급하려는 정책을 꾀하고 있다.

외국에서 한국문화 전파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세종학당이다. 세종학

당은 외국어 또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고 교육하는 기관이다. 문화 상호주의에 입각한 문화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실용 한국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한국 정부의 ‘한글을 통한 국가브랜드 육성’ 정

책의 일환으로 한국어교육 대표 브랜드 육성 및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 09월 현재

세종학당 90개소, 세종교실 40개소로 전 세계 총 130개소가 개설되어 있다.

최근 세종학당은 국외 한글 보급의 주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한국어교육에

서 논의되어 오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은 주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한국어교육의 보조수단

으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의 논의가 주로 한국내의 한국어교육에 주한점이

맞추어져 있어, 국외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 연구 성과

가 미흡하다.

세종학당의 급속한 외적 성장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 교육 인력 확충 등 문화 외교의 장으로

서의 역할을 십분 수행하기 위한 기반은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교육프로그램 등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국외에 소재한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국제문화교류를

증진하고, 현지 문화와 상호 교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할 수 있는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 로드맵의 설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Page 1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약|vii

첫째,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을 연구한다.

둘째, 문화외교의 차원에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을 위한 로드맵과 기초를 마련한

다.

셋째, 거점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예술 네트워크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한국문화교육

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연구한다.

넷째, 거점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매뉴얼을 개발한다.

다섯째, 거점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 연구 방법 및 내용

1) 연구 방법

본 사업은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세종학당에서 한국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할 수 있는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교육 효과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이에 문헌조사와 현황조사, 설문조사와 FGI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

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종합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헌조사

본 사업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문헌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의 개념 정립에서 교육 콘텐츠 개발에 이르기까지 연구 전반에서 이론적 고찰이 기초가 되

었다. 1단계의 기본 방향 수립에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

한 학문 분야의 문헌을 간학문적으로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여 개념화하였다. 2단계에서는 거

점 지역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분석하였다. 각 세종학당의 운영

현황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문서와 함께 지역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3단계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세종학당에서 실시할 수 있는 한

국의 문화원형과 현대 문화예술의 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를 외국인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변환하기 위한 문헌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매뉴얼에 포함될 교수학습자료와 관련된

다양한 문서 자료들과 정보를 수집하여 조직화하였다.

현황 및 요구조사

지역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해 현지 현

황 및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차

Page 1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i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설문조사 및 현지 문화단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6개 지역 세종학당 담당자와의 온라인 서신

및 전화면담을 통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를 위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

여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특수성을 파악하되 세종학당의 보편적 특성을 밝힐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가 협의회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FGI와 전문가 협의회의 두 가지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활용하였다. 1단계에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FGI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 토론을 통하여 본 사업의 취지에

입각한 기본 방향과 개념을 논의하였다. 현지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6개 지역 세종학당의 운

영자 및 교수자와의 FGI와 수강생 FGI를 각 1회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현

지의 인식을 파악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지는 지역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

한, 6개 지역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과 지역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에 체류하는

현지인들로 구성된 FGI를 지역별로 1회, 총 6회 실시하였다. 시범사업 후에는 사업 운영자 FGI

와 전문 예술강사 FGI를 각 1회 실시하여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매뉴얼와 프로그램 개발의 과정에서 한국문화교육 전문가, 선정 장르별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한국어교육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조직하여 2회 이상의 자문회의를 개최하였다. 3

단계의 결과물인 매뉴얼와 프로그램의 기본 틀이 도출된 이후에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실행

자, 교육강사 등을 포함한 전문가에게 서면자문을 받아 매뉴얼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2회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 거점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수성과

수요자 요구 파악을 위해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

였다. 이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차 설문조사를 기초로 하여 설문대상자를 수강생으로 확장

하여 실시함으로써, 실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4단계의 시범사업 평가에서는 2

개 지역 시범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설문지는 현지어로 번역

하여 정확한 응답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세종학당에서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현재의 프로그램이 무엇을 교육

하고, 어떻게 교육할지에 대한 동의가 없는 상황에서 산발적, 분산적으로 생산되어 왔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전 세계 세종학당에서 두루 실행될 수 있는 보편적이고, 성취도 높은 문화

Page 1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약|ix

예술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로드맵 마련

본 사업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드맵을 마련하기에 앞서 문화외교의 차원에서 한국어교육

과 한국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개념화하기 위해 기초연구

를 실시하였다. 세종학당 거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문화적 요소, 예술분야 네

트워크, 인적ㆍ물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지역화된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습대상과의 거리를 좁히고, 자생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으로 정착되도록 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지역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세부 연구 내용은 세 가지 방향

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베트남, 런던, 미국, 중국, 터키, 케냐에 설치된 세종학당의 각 지역이

가지는 문화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역의 인구, 경제, 종교, 문화, 교육 등 기초적인 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문화교류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한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지역의 요구를 다각도로 파악하였다. 지역의 내부자적 관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6개 지역의 특성화된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세종학당 수강생을 대상을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

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6개 지역의 문화예술과 연계한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

하였다. 현지의 주요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활동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 문화와 연계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본 사업에서는 6개 지역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매뉴얼을 개발하였

다.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보다는 세계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지역화 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가이드 하는 실행 매뉴얼을 제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

을 두었다.

본 사업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매뉴얼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가진다.

• 상호 국제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경험이 가능하도록 하

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 안내

•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 세종학당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에 기초하여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제시

Page 1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 각 지역 세종학당 수강생 요구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학습 주제 및 콘텐츠 제시

• 각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을 핵심 용어를 통하여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한

국문화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

•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와 관련한 다양한 교수ㆍ학습자

료 수록

시범사업 평가 및 운영 방안 마련

11~12월 중 터키와 미국에 소재한 세종학당에서 시범사업을 실시 한 결과를 다면적으로 평가

하여 매뉴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시범사업의 평가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수강생에게는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고 교육강사 및 운영자에게는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교육 효과 및 운영상의 어려움을 파악하

였다. 참여자들 인터뷰와 프로그램 결과물을 통해 질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시범사

업의 사례로 매뉴얼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범사업 평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초기에 개발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 로드맵의 타당

성과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여 수정, 보완하고,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교육정책 등 다양한 분

야의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 로드맵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기본 방향을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등 전체적인 내용을 점검, 조율하여 매뉴얼 제작에 반영하였다.

또한, 시범사업에서 나타난 현지의 어려움, 운영상의 문제점 등에 대한 대안과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차년도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업의 시작 단계임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문

제 해결을 위해 어떤 방향의 노력들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중장기적인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더불어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이 지속적으로

연구,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 결과 및 제언

1) 연구 결과

본 사업의 결과는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이 상호문화교

류와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산업화를 통한 경제 강국

의 이미지를 넘어서 한국의 높은 문화적 수준과 역량을 외국인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

Page 1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약|xi

는 해외 문화교류의 거점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은 국가적 중요성을 가짐

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심미적, 정서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적 언어

교육을 넘어서 실제적인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난 10여 년간 문화예술교육은 사회 전반에서 그 역할을 새롭게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확장

해왔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창작을 넘어서, 사회 다양한 계층의 문화적 권리와 참여를 보장

하기 위한 노력이 정책적, 실천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사업은 문화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국가적, 세계적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

다. 즉 세계 속에서 한국문화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고 나누는 가운데 문화적 다양성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새롭게 조명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한국문화교육이 확산되고 발전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 세종학당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세계 속 한국문화교육의 거점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2) 제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본 사업은 수요자 중심, 지

역 중심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한국에서 개발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세계 여러 지역 세종학

당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네트워크를 기초로 수강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Page 1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i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프로그램이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성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보다 전문적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깊이 있는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확장함과 동시에, 지역에서 자생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도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상호문화적

관점의 한국문화교육을 개념화하고 담론화하여, 이를 뒷받침하는 언어교육 및 예술교육의 간학

문적 연구의 지원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세종 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내용 및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고 성공적인 사례를 축적해 감으로써 다양한 모습의 한국문화교

육이 정착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한 단

체 혹은 개인이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관 간의 연계와 협력

이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예술 기

관 및 문화예술 인력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전문 예술인, 악

기, 재료 및 매체 등은 미적 경험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해외

세종학당에서 이를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과 자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전문 인력의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예술강사를 발굴하고,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맥락에서 예술 교육의 콘텐츠를 개발

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전문 인력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강사의 협력적

교수활동이 필수적이므로, 세종학당 강사의 한국문화교육 및 문화예술교육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자생력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초가 되

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매뉴얼 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앞으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기틀이 마련되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세종학당이 문화외교의 장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ge 1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Abstract|xiii

Abstract

Development of A Manual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in Sejong

Institutions

Kim, SunahProfessor, the Department of Applied Art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Cultures freely crossing borders between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has created an era

of soft power of competition. The major countries of the world are seeking to expand

their national brands through propagating their language and culture. Interest in and

influence of Korean culture worldwide is increasing because of Korea's international status

being changed and the Hanlyu(Korean wave) that has entered many countries. Due to this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initiated several policies under their slogan of 'A High Quality Cultural

Country, South Korea' such as 'Completeness and Enhancement of the Value of Arts and

Culture', Hangul , Establishing Modern Value of the Cultural Traditions such as Hangul

and Application to Industry', 'Empowerment of Soft Power through Humanitie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rough Hangul, Korea has introduced the

Korean culture and spread it worldwide in response to the efforts of other countries in the

race for cultural globalization.

Sejong Institution is one of the bridgeheads of Korean culture propagation in foreign

countries. It is an organization that educates people about the Korean culture and is aimed

at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 a second language. It's goal

is to improve Korean culture reciprocity and cultural exchanges, and is focused on practical

Korean education. Moreover, it aims to spread the national brand of Korean education

through 'Korean Education representative brand nurturing and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As of September 2012, there are 90 Sejong Institution locations and 40

classroom locations around the world for a total of 130 open locations.

Page 2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iv|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Currently, Sejong Institution is playing a spindle role in the overseas dissemination of

Hangul. However, the traditional direction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tended to

regard it as secondar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mainly centered around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previous studies discuss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was

mostly done domestically in Korea, so research results regarding overseas Korean education

are insufficient.

Sejong Institution is in a situation of not being prepared well enough internally compared

to its rapid outward growth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training personnel for the

expansion of the field of cultural diplomacy. The variety of software that can be utilized in

an educational or real-world situation should be develop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are especially needed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based arts

education, and a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 roadmap is urgently required to

promote the continuous interacted growth with the local cultur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was set up.

First, research the basic concept and dire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econd, lay the foundation and devise a roadmap for Sejong Instituti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ultural diplomacy.

Third, researc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rts and cultural network of Sejong

Institution.

Fourth, develop a manual to support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ejong Institution.

Fifth, evaluate the effect and outcome of the pilot project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at 2 Sejong Institutions.

□ Methods and Content

1) Methods

This project was aimed at first, to develop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contents

and method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Sejong Institution which can be used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second, to research its validity and educational effects. A

Page 2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Abstract|xv

variety of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including a literature review, surveys,

questionnaires and FGI. The data was collected, analyzed, and a comprehensive study was

derived.

Literature Review

A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throughout the whole study, ranging from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cept sett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first step was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s

concept and direction being conceptualized and its meaning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nd review of interdisciplinary literature of various disciplines. The second step was the

analysis of the various docum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ocations. Various documents regarding cultural backgroun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Sejong

Institution. The third step is devising an educational program, which consists of finding

Korea's intangible cultural identity and contemporary culture of the art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literature to develop the overseas educational program. Various document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collected to be included in the

manual.

Situation and Needs Assessment

Local situation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al program and a manual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each local Sejong I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search of the local cultural organizations conduct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regional Sejong Institution representatives through online correspondence and telephone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grasped the uniqueness of the area while grasping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Sejong

Institutions.

Professional Council

In this study several types of FGI were conducted to formulate the concept of the

Page 2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v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Sejong Institutions. First, a group of exper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iscussed the basic direction and concept of Korean culur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primary purpose of Sejong Institutions. In another FGI,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6 different regions to conduct two FGIs once each, one

using loca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another one using students. Through these

FGIs, local awareness of Korean culture were foun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Moreover, in order to further analyze the

awareness of Korean culture in six different regions, FGIs were conducted using local

participants representing each region once for a total of six FGIs. After the pilot project,

FGIs for administrators and art teachers were conducted once each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utilized.

The organization of the Advisory Council was held more than two times by an advisory

committee consisting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exper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perts of each genre, and Korean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process of manual and

program development.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manual and program framework, a

written advisory was collected from experts including arts education planners, executors,

training instructors. According to advisory, the manua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Survey

In this study, two surveys were conducted. Firs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to find out Sejong Institutions’ regional particularities and identify customer

needs and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needs of actual users based on the primary survey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by extending subjects to include the learners. Second, as the evaluation

of the Pilot Project,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wo regional pilot project

participants. 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the local languages to lead

to a proper response.

2) Research content

Cultural education of Sejong Institution roadmap

Page 2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Abstract|xvii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enabl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at the level of cultural diplomacy ahead of the long process of creating a roadmap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arts education. The method of using

local cultural elements, the field of art, network,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ere

identified so as to utilize them for Sejong Institu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is is

an integral part for settl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be continued

and for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stud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localized Korean cultural education.

Detailed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direction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jong Instituti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Firs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Sejong Institution installed in the regions of Vietnam, London, the

United States, China, Turkey, and Kenya were investigated. Through basic sociological

surveys such as the region's population, economy, religion, culture, and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exchanges.

Second, the needs of the local Korean culture were investigated from various angles. Basic

data to identify the demand of six regions of the Korean culture was provided through

analysis and re-characterization insider perspectives on various aspects. A needs analysi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targeting students

in Sejong Institutions.

Third,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ix regional arts and cultures. Materials to develop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the local culture were collected

through maj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local agency activities.

○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manual

In this project,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manual was developed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of six regional Sejong Institutions. A comprehensive guide to using the manual

was developed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running a

localized educational program rather than to support and develop a program that can only

be applied in batches. Moreover, the aim of this manual is to provide a variety of

materials to support the manual.

Page 2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vii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The manual develop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projec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the guide of Sejong Institu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with its basic concepts and

direction for the mutual goal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experienc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 Suggestions of program opera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lcoal student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Sejong Institutions in the 6 countries

of Vietnam,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China, Turkey, and Kenya.

• Suggestion of education topics and cont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inducing

interests of learner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the student needs in each

local Sejong Institution.

• Guide for in-depth education on the Korean culture arts through the key terms which

should be presented clearly.

• provi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educational content which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program details.

○ Preparations for the Evaluation of the Pilot Project and Management Plan

Multi-faceted evaluation of the results from pilot project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and Turkey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were used to revise the manual and verify the

field applicability. The evaluation of the pilot project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educational instructors and operators identifi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Case summary of program results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pilot project were collected so that they can be presented in

the manual.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 roadmap

were check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The

roadmap was developed through a council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ternational exchanges, and educational policy. The basic direction on

the basis of inspection,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 and coordination was reflected in

the production of the manual.

The pilot project identified local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problems, and these results

Page 2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Abstract|xix

were utilized to improve operating plans for the next year. The project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rection for a long-term problem-solving efforts considering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and established a mid-and long-term management plan. In addition, a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is presented and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

can be spread and studied consistently.

□ Results and Implications

1) Results

Results showed that Korean cultural education can play a positive role for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through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Sejong Institutions.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ys a national importance in terms of providing

overseas cultural exchanges for foreigners to experience South Korea's high cultural level

and competencies over the image of an industrialization economic powerhouse. Especially

through providing the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 beyond a functional language

education, results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y showing the actual Korean cultural

education plan.

In the past decade,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constantly expanded and formed its

new role in society as a whole. Beyond personal creativity, efforts have progressed in the

policy and practical sense to ensure the cultural rights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layers

of society. According to this viewpoint, this project has laid the foundation of the social

meaning of cultural arts that can be extended to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In

other words, it show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s culture in the world and puts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a new light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that can spread and develop Korean cultural education continuously. Also,

Sejong Institution proposed measures that can help it to be a stronghold in the world

through arts and culture education as follows:

Page 2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x|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 Implications

This project, which found ways for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of culture, was aimed at providing a practical guide

for executing and directing consumer-centered, regional-center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 program developed in Korea does not apply to many areas of the world in

batches, but one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tudents in local network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based on a cross-cultur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n-depth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hrough

more professional arts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should make a basis to develop the

local indigenous arts and culture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are proposed.

First, continuous resear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ejong Institu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Korean cultural education regarding cross-cultural perspective should

be conceptualized and discussed, and language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supporting

these should continue to provide interdisciplinary research.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ettled by developing practical contents and methods

Page 2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Abstract|xxi

consistently and accumulating successful practices.

Second, Sejong Institu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systems should be

developed. Sejong Institution’s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structural features that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have a difficulty performing. Therefore, linka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agencies will play a key role in increas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s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network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institutions and the cultural arts workforce. Moreover, professional

artists, instruments, materials, and media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Support systems and resources should be found in the overseas Sejong

Institution.

Thir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ersonnel competence is required. Professional

arts instructors for foreigners should be found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staff who can

lead the development and content of arts education regarding Sejong Institution’s Korean

arts education is required. Because Korean education instructor cooperative activities are

essential overseas,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Sejong Institution instructors. This can be a basis to ensure a

self-sustain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operation in Sejong Institution.

By starting this manual development project, the basis of Sejong Institution's Korean

cultural education was found and Sejong Institution is expected to be activated as an

organization of cultural diplomacy through various exampl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age 2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xxii|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Page 2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절차 및 방법

Page 3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여백

Page 3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3

I.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오늘날은 지식정보화의 시대이면서 동시에 문화의 시대, 세계화의 시대이다. 정보기술의 발

달은 국경이라는 지역적 경계를 허물며 역동적인 문화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인종, 언어, 문화 등의 경계를 초월하여 다양한 가치들이 서로 평화적,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사회‧문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일은 21세기를 살아가는 모든 사회

의 당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대에 개인들은 주어진 문화적 테두리에서의 지식이

나 관습을 수동적으로 습득하고 배우는 것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고, 능동적이며

자율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문화가 자유롭게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21세기는 소프트 파워 경쟁의 시대이다. 세계의

주요 국가들은 언어와 문화의 전파를 통해 국가 브랜드의 확대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

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 변화와 한류 열풍 등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적 영향력과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세종학당의 설립 및 운영 등을 통해 한국어 및 한

국문화를 국외 보급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기존의 한국어교육에서 논의되어 오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은 주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한국어교육의 보조수단으로 취급되는 경향

이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의 논의가 주로 한국내의 한국어교육에 주한점이 맞추어져 있어, 국외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그 필요성에 비해 연구 성과가 미흡하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방향 설정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세계화시대에는 엄밀한 의미에서 외부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은 고유한 문화는 사실상 존재

하기 어렵다. 크고 작은 강물이 서로 연결되어 있듯이 문화 역시 끊임없이 흐르고 뒤섞이는 상

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진화하고 발전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국에서 향유되는 한국문화 또한,

세계 속에 흐르는 우리 문화의 한줄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문화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와 한류

의 영향으로 이제 한국문화는 외국인들이 자국에서 발견하고, 즐기며, 표현하는 수준으로 확산

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문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소비하는 것을 넘어서 세계 속의 한국문

화를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해 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적, 기술적, 경제

적, 문화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와 같은 지구촌의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적극적인 한국

문화교육이 요구된다.

이제까지의 대외 정책에서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한 부분 가운데 하나가 문화외교라 할 수

Page 3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있다(조부근, 2009). 문화홍보를 위하여 한국문화원, 한국학교, 한국교육원등이 해외에 설치되어

있으나 종합적인 기획, 전문 인력, 예산, 교류 프로그램 등의 체계상 한계로 인해 효과적인 문

화 외교를 펼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1) 또한, 문화외교를 실행하는 데에는 한국학, 지역학,

문화예술, 한국어교육 등 간학문적인 영역의 연계와 협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보다 거시적인 관

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영역, 기관, 지역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

로 한 문화외교 체계를 갖추기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정부는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이라는 문화 정책 목표 하에 ‘문화, 예술 그

자체의 완성도와 가치 제고’, ‘한글 등 전통문화의 현대적 가치를 찾아 산업에 적용’, ‘인문학 바

탕으로 소프트파워 강화’, ‘사회적 약자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2)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전 세계적인 자국문화 세계화 노력의 일환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한국은 한글을 통해 한국문화

를 소개하고 국외로 널리 보급하려는 정책을 꾀하고 있다.

한국문화 전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의 일환으로서 설립된 세종학당은 국외 한글 보급에 있어

주축이 되고 있다. 세종학당은 외국어 또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알리고 교육하는 기관이다.3)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

단이 지원하는 대표적인 한국어 교육 기관으로, 나이, 학력, 직업 등에 상관없이 한국어를 배우

고자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화 상호주의에

입각한 문화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실용 한국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세종

학당은 한국 정부의 ‘한글을 통한 국가브랜드 육성4)’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교육 대표 브랜드

육성 및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 09월 현재 세종학당 90개소, 세종교실 40개소로 전

세계 총 130개소가 개설되어 있다.5)<그림 Ⅰ-1>

1)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의 국외 한국어 교육기관으로는 한국학교와 한국교육원이 있으며, 외교통상부

소속에는 한글학교,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는 한국문화원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교실 즉, 세종교

실과 세종학당이 있다. 이들 한국어 교육기관 중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의 ‘한국교육원’과 문화체육

관광부 소속의 ‘한국문화원’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강좌의 경우 부처 간 협의를 통하여 일괄 ‘세종

교실’로 명칭을 전환하여 브랜드의 통일을 꾀하고 있다(김아영, 2011, p.22).

2) 문화체육관광부 정책 기조 연설문(2008.09.08.)

3) 세종학당 홈페이지(http://www.Sejong Institution.org/nuri/sjs/form/SJS_AboutUs) 참조

4) Korean Daily Los Angeles(2012.05.22.)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413957

5) 세종학당은 2010년까지 22개소였던 것이, 2011년 60개소, 2012년 90개소로 빠른 속도로 개설소

를 확장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한국

정부는 세종학당 지원을 통해 ‘한글을 통한 전 세계로 국가브랜드를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

다. 2012년 5월 15일 국무회의에서 세종학당재단 설립이 의결되었고, 이 기관은 한글 세계화의 중

심을 담당하게 된다.

Page 3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5

<그림 Ⅰ-1> 세계에 설치된 세종학당 현황

세종학당의 급속한 외적 성장만큼 교육 프로그램, 교육 인력 확충 등 문화 외교의 장으로서

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한 기반은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교육프로그램 등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국외에 소재한 세

종학당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국제문화교류를 증진하고, 현지 문화와 상

호 교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할 수 있는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 로드맵의 설정

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을 연구한다.

둘째, 문화외교의 차원에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을 위한 로드맵과 기초를 마련한

다.

셋째, 거점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예술 네트워크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한국문화교

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연구한다.

넷째, 거점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매뉴얼을 개발한다.

다섯째, 거점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한다.

Page 3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문화교

육이 산발적, 분산적으로 시행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세종학당에서 실행될 수 있

는 한국문화교육의 한 형태로서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가능성과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문화에 대한 수요에 주목하여, 한국문화교육의 세계화를 위한 새로운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그동안 외국에서 한국문화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

던, 일회성, 행사성 프로그램의 성격을 극복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지속가능한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교육의 실제적인 개선에 기여하고, 향후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한국문화교

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6개 지역 세종학당의 성격에 맞는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해외 세종학당

에서 향후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자생적인 발전 방향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로드맵 마련

본 사업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로드맵을 마련하기에 앞서 문화외교의 차원에서 한국어교

육과 한국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개념화하기 위해 기초연

구를 실시하였다. 언어교육, 문화교육, 예술교육, 다문화교육, 국제교류 등 다양한 관련 영역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세종학당 거점 한국문화교육이 기초하여야 할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전통문화와 예술이 가지는 고유한 상징체계를

학습하는 경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즐기는 태

도를 형성하고자 할 때에 고려해야 할 개념과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세종학당 거점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문화적 요소, 예술분야 네트워크, 인적

ㆍ물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지역화 된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함으로

써 학습대상과의 거리를 좁히고, 자생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착되

도록 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권역별, 지역별로 한국어교육,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가 다양함을 감안하여, 수요자 중심의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지역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세부 연구 내용은 세 가지 방

향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베트남, 런던, 미국, 중국, 터키, 케냐에 설치된 세종학당의 각 지역이

가지는 문화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역의 인구, 경제, 종교, 문화, 교육 등 기초적인 사회학적

Page 3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7

조사를 통하여 문화교류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한국문화에 대한 지역의 요구를 다각도로 파악하였다. 거점 세종학당의 담당자와의 서

면, 이메일, 인터뷰를 통하여 지역의 요구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6개 지역의 특성화된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또한, 세종학당 수

강생을 대상을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셋째, 6개

지역의 문화예술과 연계한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

의 주요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 활동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 문화와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였다.

지역 특성에 대한 위의 기초 조사는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로드맵이 현지 문화와의

연계성을 갖도록 하고, 각 세종학당에서 지역화 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장기적인 방안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역 문화↔세종학당, 한국 관련 기관↔세종

학당, 세계 다른 지역의 세종학당 간의 협력관계를 다각도로 구축하여 세종학당이 문화외교의

허브로서 한국 문화 확산의 교두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

다.

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본 사업에서는 6개 지역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매뉴얼을 개발하였

다.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보다는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예술교육의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지역화 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종

합적인 가이드로서 실행 매뉴얼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본 사업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매뉴얼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가진다.

첫째, 세종학당의 역할과 위상이 한국어 교육을 넘어서 해외 문화 교류의 거점으로 확장될

수 있는 방안을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제시하고 이를 위한 운영 전략을 제시하는 매뉴얼이 되도

록 하였다. 즉 상호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경험이 가능하

도록 하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을 수립하여 제시한다.

둘째,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 세종학당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에 기초하

여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와 상호 교류하고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셋째, 6개 지역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

태를 제시하여, 현지의 상황에 맞게 번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넷째, 6개 지역 세종학당 수강생의 요구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를 유

Page 3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학습 주제와 콘텐츠를 제시하고 각각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가

치를 명확하게 기술한다. 특히 각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을 핵심 용어를 통하여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실제 운영자와 교육 강사를 고려하여, 교육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와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한다. 또한, 매뉴얼에 제시된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한

사례를 제시하여,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구체화함으로써 활용

성을 높인다.

다. 시범사업 평가 및 운영 방안 마련

11~12월 중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과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 실시한 시범사업의 결

과를 다면적으로 평가하여 매뉴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시범사업의

평가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수강생의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강사 및 운영자는 인터뷰를 통해 교육 효과 및 운영상의 어려움을 파

악하였다. 참여자들 인터뷰와 프로그램 결과물을 통해 질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시

범사업의 사례로 매뉴얼에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범사업 평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 로드맵의 타당성을

점검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확정된 기본 방향을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등 전체적인 내용

을 점검, 조율하여 최종 매뉴얼 제작에 반영하였다. 또한, 시범사업에서 나타난 현지의 어려움,

운영상의 문제점 등에 대한 대안과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차년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

였다. 사업의 시작 단계임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방향의 노력들이 필요한

지를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중장기적인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의 방향

을 제시하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이 지속적으로 연구,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Page 3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9

본 사업의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그림 Ⅰ-2〉와 같다.

〈그림 Ⅰ-2〉연구 내용

3. 연구 절차 및 방법

본 사업은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세종학당에서 한국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할 수 있는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교육 효과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이에 문헌조사와 현황조사, 설문조사와 FGI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

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 연구 추진 절차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기본 방향 수립에서 시범사업 평가에 이르는 본 사업은 개념화에서

실제 적용에 이르는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 진행상의 내용적 연계성과 체

계성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었다.

1단계에서는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6개 지역 세종학당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세

종학당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방향을 수립하였다. 1단계에서 수립한 기본

방향을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과 시범사업 평가 결과에 이르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재검토하고

수정ㆍ보완하였다.

2단계에서는 지역 특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지 세종학당의 요구를 다각도로 조사

분석하였다. 세종학당 운영자와 교수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현지인과 수강생의 인식과

Page 3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구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수립하였다.

3단계에서는 세종학당에서 실시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국문화

교육의 교수요목과 한국의 문화원형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전통과 현대의 문화예술 콘텐

츠를 활용한 교육 내용을 개발하였다. 또한,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단계에서는 시범사업 운영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매뉴얼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시범

사업의 운영자와 참여자의 경험을 토대로 차년도 운영 방안을 도출하고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이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와 같은 본 사업의 추진 절차는 〈그림 Ⅰ

-3〉과 같이 진행되었다.

〈그림 Ⅰ-3〉연구 추진 절차

Page 3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11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를 포괄하고, 한국어 교육의 맥락에서 문화교육을 실시하되 수요자 중

심의 복합적인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 추진 체계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추진체계는 <표 Ⅰ-1>와 같다.

〈표 Ⅰ-1〉 사업 추진 체계

나. 연구 방법

1) 문헌조사

본 사업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문헌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의 개념 정립에서 교육 콘텐츠 개발에 이르기까지 연구 전반에서 이론적 고찰이 기초가 되

었다. 1단계의 기본 방향 수립에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다양

한 학문 분야의 문헌을 간학문적으로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여 개념화하였다. 2단계에서는 거

점 지역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분석하였다. 각 세종학당의 운영

현황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문서와 함께 지역의 문화적 배경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3단계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세종학당에서 실시할 수 있는 한

국의 문화원형과 현대 문화예술의 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를 외국인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변환하기 위한 문헌과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매뉴얼에 포함될 교수학습자료와 관련된

다양한 문서 자료들과 정보를 수집하여 조직화하였다.

Page 4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 현황조사

지역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해 현지 현

황 및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차

설문조사 및 현지 문화단체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6개 지역 세종학당 담당자와의 온라인 서신

및 전화면담을 통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를 위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

여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특수성을 파악하되 세종학당의 보편적 특성을 밝힐 수 있도록 하였다.

3)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FGI와 전문가 협의회의 두 가지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활용하였다. 1단계에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하여 전문가 FGI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FGI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 토론을 통하여 본 사업의 취지에

입각한 기본 방향과 개념을 논의하였다. 한국문화교육과 관련된 전문가, 학계 인사들을 대상으

로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세종학

당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한국문화교육의 지속적 개선

과 발전, 관리, 활용방안에 대한 토의를 토대로, 중장기적인 교육프로그램 구축하는 데에 활용하

였다.

현지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6개 지역 세종학당의 운영자 및 교수자와의 FGI와 수강생

FGI를 각 1회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현지의 인식을 파악하고, 문화예술교육

에 대한 지역별 요구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6개 지역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과

지역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로 구성된 FGI를 지역별로 1회,

총 6회 실시하였다.

3단계의 결과물인 매뉴얼 개발 이후에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예술 분야별 전문가, 교육강

사 등을 대상으로 서면 자문의견서를 받아 검토의견을 반영하였다. 4단계의 평가 진행 및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해 교육학 및 통계 관련 전공자의 자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4) 설문조사

본 연구에서는 2회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 거점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수성

과 수요자 요구 파악을 위해 2012년 세계 한국어교육자 대회에 참석한 세종학당 수강생 67명

과 교육 강사 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다. 4단계의

시범사업 평가에서는 2개 지역 시범사업 참여자 58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단계별 내용과 방법을 요약하면 〈표 Ⅰ-2〉과 같다.

Page 4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 서론 |13

〈표 Ⅰ-2〉 단계별 내용과 방법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내용 세종학당 한국문화

교육 방향성 정립 세종학당 현황분석

거점 지역 특성화 방안 모색

현지 인적, 물적 자원 조사

프로그램 개발 교수학습자료 개발 매뉴얼 개발

시범사업 운영 결과분석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 운영 방안 마련

연구 방법

문헌분석 현황에 관한 자료

분석 거점지역 세종학당

운영자 전화인터뷰 전문가 FGI 1회 자문회의 1회

거점지역 문화 관련 문헌 및 자료 분석

거점지역 세종학당 운영 관련 자료 분석

현지인 FGI 6회 운영자 FGI 1회 수강생 FGI 1회 요구조사

문헌분석 자문회의

시범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

자문회의

연구 성과 1차 중간보고 2차 중간보고 결과 보고서 초안 최종 보고서 및

매뉴얼

Page 4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1. 세계화와 한국문화교육

2.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

3. 예술교육과 문화적 감수성

Page 4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15

Page 4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1. 세계화와 한국문화교육

최근 세계화라는 용어가 보편화되면서, 한국 혹은 한국인이라는 인식도 세계와 교류하는 가

운데 새롭게 구성되고 있다. 더 이상 안에서만 바라본 우리가 아니라, 우리 밖에서 본 우리 문

화를 통해 한국이라는 정체성과 이미지를 찾아가야 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황인교, 2004). 앤

소니 기든스(A. Giddens)가 세계화는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정치적이고 기술적이며 문화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국가 간의 경계를 초월하여

정치, 사회, 기술, 문화 등의 차원에서 상호교류와 상호연계성이 빠르게 강화되어 가고 있다. 이

런 시기와 맞물려 전 세계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도 비약

적으로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 장기적

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여야 하는 도전을 제시하고 있다.

국제화가 ‘국경을 넘어선’ 경제활동의 지역적 확대를 의미한다면, 세계화는 ‘국경 없는’ 세계

경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이재기, 2009). 이처럼 세계화는 국가 간의 교류를 넘어서 지

구 전체가 통합되며 상호의존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20세기의 국제화가 주

로 경제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것과 달리 21세기의 세계화는 교육, 정치, 문화, 환경이

얽힌 총체적인 현상으로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특히 문화와 경제의 상호연관성이 커지면서, 개

인적 삶의 질을 결정하고 사회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가 핵심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계화시대 문화는 “단편적ㆍ획일적인 문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원적인 민족적ㆍ국지적 문화들의 조화가 이루어진 개방된” 성격을 가지게 된다(이재기, 2002:

36). 따라서 세계화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세계 문화 형성에 한국문화가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국가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은 우리 문화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의미들의 다층성과 함께 보편성

을 고려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박노자(2000)는 외국 대학에서 한국어 및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

으로 교육할 때, 한국문화를 단순화, 축소화하지 않고 다양한 모습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

함을 강조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김주관(2007, 2008)은 한국어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하는

문화교육의 범위를 지정하면서, 언어교육에서 광범위한 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문화가

오히려 단순화, 소품화 되는 경향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선이(2007)는 국가 간 경계가 약

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는 문화 교류, 상호 문화 이해의 차원에서 탈 근대적 문화 개념에 입각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한국문화만의 개별성과 세계 보편적인 보편성을 융화해감으로

Page 4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17

써, 한국문화교육을 통해 창조적 공간을 생산해 나아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세계화는 특수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지향한다. 이에 세계화라는 현상 아래 지역적 특수성은

세계적 보편성과 대립하지 않고 상호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어떤 특정 문화, 혹은 문화의 특수

성에 대한 개념도 글로벌화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 한국문화 역시 단독으로 존재하는 개별

적인 대상이 아니라 세계의 다른 문화와 교류하는 가운데 형성되고 성장하는 복합적, 유동적 문

화이다. 따라서 세계화시대의 한국문화교육은 일방적 교육이 아닌 상호소통의 교육이 되어야 한

다.

김동환(2008, 2009)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생산적 교육방법론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와 학습자의 모문화 사이에 공유하는 텍스트를 찾아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공유텍스트’, ‘징검다리 문화’ 등의 개념을 통해 일방적

문화교육이 아닌, 상호문화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임경순(2006)의 연구는 문화 중심의 언어문화 통합 교육, 그리고 문화전문가에 의한 문화교

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유사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문화교육의 의의

를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문화교육을 통해 자신의 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자신의 정체

성을 확립하여 세계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전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범위와 목표를 라혜민과 우혜민(2001: 165)의 연구에서는 다음

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진정한 문화교육의 목표는 언어의 실용적 차원 외에도 이념적 차원, 예술적 차원에서의 인식을 바탕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곧 외국인 학습자와 목표 언어 사용자 사이의 정신적인 이해와 공감, 예술을 바탕으로 하는 두 민족 문화 사이의 친밀한 교감이 궁극적인 외국인 문화 교육의 목표일 것이다.

이는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의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는 단락이다.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

서 변계원(2011)은 지역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문화교육을 제안한다. 해외 국악 보급 및 세계화

방안을 마련하는 그의 연구에서 지역 차별화 정책을 위하여 해외에 설립되어 있는 해외 문화원,

문화홍보관,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한국학 개설대학, 해외 초ㆍ중등학교, 각 지역 한인회, 재

외동포 신문사, 태권도장, 개인교육기관 등과 연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비전문가와 전문가 강사의 배치, 사이버학습 환경 구축, 국내 교육기관과의 연계 등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총체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예

술교육의 학문적인 경계를 넘어서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이라는 맥락에서 융합되고 협력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age 4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위의 연구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세계화의 관점에서 상호문화교류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구체적인 방안과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특히 세계화시대의 융합 현상은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언어, 문화, 예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된 교육

을 통해 한국문화를 통합된 전체(wholeness)로 해외 학습자에게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

다. 반면 한국의 고유한 정체성을 담아내되, 지역문화와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현지 학습자의 학

습동기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적인 문화교육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한국어 교육과 문화교육

언어와 문화가 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째, ‘언

어의 본질이 무엇인가’의 관점에서 언어를 하나의 체계이자 행동이며 문화로 볼 수 있다. 둘째,

다른 측면에서 보면 언어는 사고의 수단이자 소통의 매재이고 예술의 재료이다. 이것은 ‘언어의

기능이 무엇인가’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분명히 드러난다. 이때 문화의 역할은 화자가 사용하는

언어의 다양성, 화자에게 주어지는 언어의 기능 그리고 서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이론적

체계와 관련이 있다고 정의된다(Berns, 2012; 17). 이와 같이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언어와 문화

는 서로 뒤섞여있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최근 언어교육학자들은 이런 결

합을 나타내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Kramsch(1993)의 ‘Linguaculture’,

Agar(1994)의 ‘languaculture’, Byram & Morgan(1994)의 ‘language-and-culture’이 그것이다.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고려할 때, 외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단순한 목표 언어의 습득을 넘

어 목표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와의 접촉을 의미한다. 이때 새로운 문화와의 접촉은 긍정적 의미

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학습자에게 거리감이나 거부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외국어 학

습에서 학습자에게 이러한 위협적인 감정 요소는 언어 학습에 주요한 장애가 된다(Valdes,

1986). 또한,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의 이해 없이 언어 학습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

Kramsh(1993)의 견해처럼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는 제2언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은 점차

필수적인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어교육에서 심리적 거리감을 최소화하고, 맥락적

인 이해를 통하여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국문화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90년대 중반 이후 외국어교육에서 교수-학습

(teaching-learning)의 개념을 언어적, 간문화적능력의 차이를 허용하거나 조정하는 것으로 보는

인본주의적(humanistic) 관점6)이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하였다(윤여탁, 2011).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목표와 방향설정, 교수 내용과 방법론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

으로 이루어졌다.

6) 서로 다른 문화들 사이의 차이를 결핍(deprivation)이 아닌 차이(difference)로 보는 관점이다.

Page 4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19

우선 문화 일반을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내용으로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연구들을 찾

아볼 수 있다(박영순, 2006; 권오경, 2009). 이와 같은 연구들에서는 한국문화를 정신문화, 언어

문화, 생활문화, 예술 문화 등으로 분류하고 하위 범주화하여, 문화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영역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실제 언어교육에서 다루기에는 너무 광범위한 범주를 다루고

있어 개념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수 방법론에 대한 논의로는 조항록(2000), 조현용(2003), 민현식(2006) 등의 연구가 주목

된다. 조항록(2000)은 문화 교육 방법으로 다섯 가지를 들고 있는데, ①어법 표현 교육과 문화

교육의 병행과, ②신문 자료, TV 뉴스 및 드라마 활용 등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를

학습하게 하는 것, ③한국 역사, 문학, 사회, 현대 정치와 다양한 영역을 한국어로 강의하고 토

론하는 것, ④현장 학습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⑤수업 후 과제 또는 주말 과제의 형식으로 학

습자들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그것이다.

조현용(2003)은 한국어 문화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내용으로 한

글과 한국 문화,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예절, 한국인의 사고와 표현 등을 제시하였고, 교수학

습 방안으로 설명을 통해 언어예절, 관용 표현 등을 이해시키는 직접교육과 한국문화와 관련된

교재 내용을 활용한 간접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민현식(2006)은 한국문화교육이 교육과정, 교재, 교수 학습 방법에서 한국어 습득을 목표로

언어와 문화가 통합된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기본 문화교육 내용을 11개 영역

에 걸쳐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올바른 한국어 문화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한국학의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계에서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 도구로서가 아닌 그 자체로서

의 교육 가치를 지닌 문화에 대해 논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최정순(2004)과 이진숙(2005)

은 외국어 교육의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언어를 도구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넘어 사용하는 언

어를 통해 상대를 이해하고 나아가 타인과의 관계를 맺어 나의 세계를 확장할 수 있는 단계로

까지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한편 학습자의 요구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교육에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문화교육

의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강승혜(2002, 2003)

는 재미동포 학습자, 일본인 학습자,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교육의 내용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 예술에서 재미동포는 ‘고전무용> 사물놀이> 판소리> 탈춤’을 선호

하는 것으로, 일본인이나 중국인은 ‘사물놀이> 고전무용> 판소리> 탈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리고 한국 현대문화에 대해 재미동포는 ‘현대 일상생활 문화> 가족관계> 정치, 사회

제도> 빠른 산업화와 한국에 미친 영향> 교육> 한국의 연예’ 순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

고, 일본인은 ‘급속한 산업화와 그 영향> 가족관계> 한국의 TV 오락 프로그램> 교육’ 순으로,

중국인은 ‘급속한 산업화와 그 영향> 한국의 TV 오락 프로그램> 가족관계> 교육’의 순으로 선

Page 4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최근의 연구에서 한국어 교육은 도구적 기능을 넘어서 언어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자신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목표와 이념 아래,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으로 그 방향을 설정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화교육은 한국어교

육의 또 다른 측면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실제 현장에서는

문화교육이 아직 개념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주로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도구적 측면

에서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민현식(1996)은 한국인의 전 생활 영역과 학문 영역에서 한국학 관련 성과에서 얻어지는 ‘국

어’관련 요소들을 ‘국어 문화 요소’라고 칭하며, 이를 어휘 차원의 문화 어구와 구절·문장 차원

의 문화 어구로 분류하여 각각의 하위 영역을 다시 분류하는 세밀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는

이 연구에서 문화 요소를 12개 영역으로 나누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다룰 내용이나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인의 언어관과 심리관 등을 설명하며 이를 교수할 내용으로 속담, 인사말, 숙

어, 관용어 등을 예시로 들고 있다. 특히 어원이나 외래어 차용어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

부분은 한국어의 심층적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필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박영준(2000)은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해 문화적 어휘·표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정립되

어야 하고, 문화적 어휘·표현의 학습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단순히 한국문화에

관련된 어휘가 아니라 동일한 대상에 대해 한국문화의 배경으로 차이가 드러나는 문화적 어휘

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용을 분류하고 있다. 속담의 의미를 영어와 일본어 속담과 비교하여 문

화 차원에서 설명하고, 사용 맥락이나 관점에 의해 달리 사용되는 단어도 영어나 한자 등을 함

께 제시해 분류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기존의 거시적 관점의 연구가 아닌 미시적 관점의 연구

이며, 미숙한 한국어 숙달도 학습자를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속담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수법 연구로 안경화(2001)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외

국인 학습자들이 사전적 의미만으로 속담의 의미를 알기 어렵고, 문화 교육 자료로서 유용하면

서 내용 파악을 위해 별도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속담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다

루고 있다. 기존의 속담 관련 연구들이 속담의 분류에서 그쳤다면 안경화(2001)은 속담의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속담의 구조와 수사 방식, 화용적 기

능을 고려하여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고, 이를 현장에서 실제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석주(2002)는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 언어문화의 특성을 찾아

내, 그 내용 목록을 작성하고 단계별로 분류하여 등급화 하였다. 이 연구는 화용적 차원에서 접

근하여 언어 예절과 언어 내용을 다루었다. 한국어의 언어 예절이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에서

Page 4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21

생겨난 것임을 강조하며, 겸손하게 말하기, 부탁하기와 거절하기, 칭찬에 답하기, 모임에서 말하

기 등 상황별 대화법에 대해 분류하고 언어 내용으로 대우법, 호칭어와 지칭어 등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문법적인 특성이나 대우법의 일부분만 다룬 것과 달리 학습자의 언어 숙달

도에 따라 배워야 할 언어문화의 특징을 단계화·등급화 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는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의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학습자의 변인에 따라, 대화의 상황별 교수 방법 등으로 구

체화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현용(2003)의 연구도 볼 수 있는데, 기존의 연

구들이 문화 교육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제시하고 규정하고 있는데 반해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

의 연계성에서 접근하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들이 하는 고민인 교재에서 다루고 있

는 문화요소가 한국어 학습과 직접적인 연관을 맺지 못한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경희대학교, 연

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글과 한국 문화,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 예절, 한국인의 사고와 표현 등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한국어문화 교육의 내용을 제시하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가치가 중요시되고 그 의미가 강조되고 있음에서 연

구의 결과는 경어법, 호칭법, 속담, 관용어, 문학 등의 내용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진 경향이 있

다.

한국어교육의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에서 주의하여야 할 또 다른 점

은 언어교육의 단계와 수준에 따라 문화교육의 내용을 한정하고 범주화하려는 접근이다. 이는

한국문화교육의 논의가 언어교육에서 출발하였다는 태생적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언어 숙달도와 문화적 성숙도가 반드시 비례 관계에 놓이지 않는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언어교육의 도구

혹은 그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지는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개념화의

수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문화교육의 형태를 구체화하되,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수준을 고려한 상호 소통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3. 예술교육과 문화적 감수성

유홍준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아는 만큼 보인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안다’는 것

은 지식을 주로 뜻하지만, ‘보인다’고 하는 것은 지성뿐 아니라 감성적으로 다가가 느끼고 즐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같은 것을 보아도 보는 사람마다 달리 보고, 다르게 느끼는 것은 지성

과 감성의 공조 능력 즉, 문화적 감수성(cultural sensibility)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적

감수성의 차이는 문화적 수용 능력의 차이와도 직결된다. 세계화시대의 문화적 감수성은 타문화

를 이해하고 타문화와 소통하는 능력을 위해서도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Page 5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문화적 감수성은 텍스트 내적 구성 원리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관계성과도 연관된다. 텍스트

관계성이란 크리스테바(Kristeva)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의 기호체계가 다른 기호체

계로 바뀌는 과정이다. 이는 두 가지 과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새로운 의미화 체계가

동일한 의미화 재료로 생산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의미와 체계가 다른 의미화 재료

를 빌려 오는 경우이다. 즉 의미화체계가 전위하면, 주체와 텍스트 속 대상의 관계가 바뀌어 관

점의 변화, 느낌의 변화, 사고의 변화 등이 유발된다.

감수성(sensibility)은 외부 대상을 감각하는 능력이므로 수용 국면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생산

자에게도 요구되는 개념이다. 작품을 해독하려면 관찰자가 문화적 약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

고, 그것이 작품을 가능케 한 문화적 약호와 통합되어야 한다(이영욱, 1996; 87). 그리고 생산

자도 주어진 형식에 해당하는 약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해독을 위한 해석틀

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손병우, 2011). 이는 한국문화를 단순히 소개하는 데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서는 외국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상호 문화성이

있어야 함을 논의하는 데도 성립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문화교육에 대해 논해왔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깊이 있

는 고찰을 해오지 못했다. 특히 상호문화 소통의 관점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체계적인 가

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방향성이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에 그 필

요성을 언급한 Seelye(1993)의 문화 교수 목표에 대한 언급은 문화교육의 방향성 제시라는 측면

에서 가치가 있다. 그는 문화교육 활동도 목적 지향적이어야 한다고 보고 그 목표를 상위 목표

로 세부적인 하위 목표로 나누고 있는데, 상위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어 사회에 합당하게 행동하고 그 구성원들과 원활히 의사소통하는 데에 필요한 문화

적 이해, 태도, 행동기술 등을 발전시킨다(Seelye, 1993; 29).

이에 대해 육하원칙에 근거한 구체적인 하위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① 흥미, ② 누가, ③ 무

엇을. ④ 어디서와 언제, ⑤ 왜, ⑥ 탐구가 그것이다. 특히 마지막 목표인 탐구는 배우고자하는

문화영역을 탐색하고, 기존의 문화 지식에 대해 근거자료를 평가하는 훈련을 하는 것으로, 상대

문화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가 그 진위 여부를 평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상호문화성에 필요한 능력이다.

이와 같이 문화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태도와 학습자가 스스로 그 문화에 대해 부

여한 의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적 감수성에 따라 문화 교육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그

런데 문화적 감수성은 선천적 차이에 의한 것보다는 환경적 요인 또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고

려가 수반되어야 한다. Williams(1997)는 지배적 문화, 잔존문화, 떠오르는 문화 등이 한 사회

안에서 공존한다고 분석함으로써, 문화의 구성이 복합적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적

Page 5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23

인 요소들은 시간이나 공간에 따른 문화 구성의 변화를 설명한다. 차이는 단절을 불러오고, 시

간의 차이에 따른 변화는 세대 간의 단절로, 공간의 차이는 문화의 단절로 나타난다.

의사소통은 공동체 안에서 광범위하게 공유되는 정서의 구조에 의존하는데, 세대 간 소통의

단절, 혹은 세계화시대에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이 한 공간에 있게 되면서 생기는 소통의 문제

등은 바로 정서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은 ‘서로 다른 표현 방

식의 만남’으로, 이는 ‘표현 방식의 변화’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변화를 경험하고 관

계의 재설정을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정서의 구조는 사회의 변화에 대해 새로운

세대가 새로운 방식으로 반응하면서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세계화시대는 특수성과 보편성이 공존하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홀(Hall)은 문화의 혼용화

(hybridization), 융합주의(syncretism) 등의 용어를 통하여, 세계화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결과 민

족문화 정체성이 소멸되어 가는 한편 이에 대한 반발과 저항으로 지역적, 민족적, 또는 혼용적

인 새로운 문화정체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게 됨을 지적하였다(1980). 또한 피터스(Pieterse)는

문화의 융화과정에 주목하면서 시공간적인 교차와 문화의 혼용성과 유동성이 새로운 초문화적

정체성을 낳는다고 보고 있다(2000).

과거 개인들에게 안정감을 주었던 정체성은 세계화시대 사회구조와 제도의 변화로 흔들리기

시작했다. 정체성은 더 이상 고정된 것이 아니라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아를 인식하고

새롭게 자아를 완성해 가는 진행형의 동일화(identification)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계

화는 정체성의 위기를 의미하기보다는, 상호적인 교류 속에서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혼성 정체

성을 만드는 기회이자 장(場)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문화적 다양성이 훼손되고 한 집단에 의해 문화가 획일적으로 점유되고 강요되는 상

태는 생태계 파괴만큼이나 인류에게 위험한 일이 될 수 있다(신승환, 2007). 문화다양성이 인류

의 공동유산임을 밝히고, 다양한 문화가 평화롭게 서로 공존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표명한 유

네스코의 ‘문화 다양성 선언’(2001. 11. 2)은 이의 심각성에 대한 범국가적 대응이라 할 수 있

다. 여기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어떠한 보편적 함의도 없이 모든 문화를 정당화하는 절대적 상대

주의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문화의 특수성은 인간의 보편적 원리와 가

치 안에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수성과 보편성의 긴장 관계 속에서 문화가 융합

되고 변용될 때 문화적 다양성이 보장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문화가 차이를 유지하면서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보호하기 위한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성을 인정할 수 있는 문화감수성을 키우는데 예술은 핵심적인 역

할을 한다. 한 집단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재현하는 표상(representation)의 하나로

서 예술은 다문화 교육의 핵심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미지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넘어서 스스로 우리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영향을 준다. 더 나아가 이미

지는 한 개인이나 소외된 집단이 주류 사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하지 못하도록 하

Page 5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Hooks, 1992). 이처럼 한 집단의 종합적인 이미지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문화예술은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을 탐구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예술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사고방식을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

고, 경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체화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김진엽(2006)은 다원론적 미학의 가치를 다름을 인정하고 상생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이상

을 예술을 통해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단지 조형적, 내재적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은 서로 다른 표현이 모두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다르다는 것이 오답이 아닌 또 다른 해답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수많은 해답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문화예술을 통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문화를 내용이 아닌 과정으로 접근할 때 문화를 가능하게 하는 개개인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으며, 거기에서 문화의 역동성이 나타날 수 있다(김중순, 2010). 따라서 문화적 다

양성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맥락을 제공한다. 그리고 한 개인은 예술을 통하여 문화적 다

양성을 인식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주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차이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기

르고 나아가 사고의 유연성을 통해 문화적 감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행의 개념을 중심으로 다문화미술교육을 개념화하였던 Condon(2011: 24)은 “그들이 낯선

공간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새로운 생각에 마음을 열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복잡성과 차이에

편안함을 찾는 것이 오늘날 다문화 미술교육의 핵심”이라고 적고 있다. 이와 같이 예술을 통한

타인과의 조우는 다른 문화에 대한 마음을 열도록 하며, 차이에서도 즐거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조형 작업은 시적, 문화적 차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창조적 상상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정신적 유동성’을 촉진한다. Lagoutte 외(2011)에 따르면 “상상력은 이미지들의 내적ㆍ발

산적 작업이다. 상상력은 변형시키며, 이동시키며, 응축시키며, 다각적으로 결정하며, 감속하며,

혼합하며 역동화시킨다.” 또한 Seltzer-Kelly 외(2010)가 지적한 바와 같이 차이를 인정하는 데

에는 온전히 이해하거나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므로, 인지,

정서, 감각을 총동원한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술을 통한 정서적 교감은 타인을

대상화하지 않고 수용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준다. 따라서 예술은 시공간을 떠나서 언어와 문화

적 차이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매개체라 할 수 있다.

Page 5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 선행 연구 분석 |25

Page 5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1. 지역별 특성화의 필요성

2. 기초조사 결과 분석

3. 지역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Page 5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27

여백

Page 5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1. 지역별 특성화의 필요성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 각 지역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설한 바와 같이 세계화시대 문화교류에 있어 한국 문화의 보

편성과 특수성이 적절한 긴장과 균형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빠른 정보의 교환은 문화가 전파되고, 수용되고, 발전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국

경을 넘어서 이동하는 한국문화 또한, 단지 소개되고 알려지는 것을 넘어서, 외국인에 의하여

선택되고 해석되고, 그 지역의 문화와 어우러지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세종학

당의 한국문화교육 또한, 이와 같은 세계화시대 문화교류의 역동성과 유연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 못지않게 교육 대상이 ‘어디’의 ‘누구’인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와 분석에 기초하여야만 세종학당의 한국문화교육이 상호

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현지에서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김만석(2010: 22)은 우리 문화원형

에 관하여 언급하면서 “이미 다른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서 표출된 이미지들이 개인이나 집단의

심층적 이미지들과 공명을 일으킬 때 바로 감동으로 이어지고 동시에 그러한 이미지들에 빠져

들기도 하고 열광하기도 한다.”라고 적고 있다. 즉 다른 문화와의 조우에 있어 자기 자신의 문

화와의 공명 즉 소통이 중요한 요소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문화원형을 알리고 교

육하는 방식은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이야기하는 것과 동시에 인간으로서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문화의 일면을 발견하게 하는 문화적 체험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박신의(2002)는 국내 공연의

해외 진출이 실패한 요인에 대하여 언급하면서, 국제적 관점이 부재하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

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는 태도에서 출발한 국내 공연예술의 기획 방식

이 한국 문화가 국제 시장에서 이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채워주는 민속 예술 정도로 취급되도

록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전통 문화에 매몰되어 있는 일방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현

지의 지역과 상호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되기 위해서 세종학당이 위치한 각 지

역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수업의 환경은 어떤 성격과 범위의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가를 결정하는 데에 직접적인 영향

을 준다. 문화예술교육은 교재와 필기구만 가지고 실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재료,

악기, 교구, 기자재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이 수반하는 이와 같은 물리적 환경의

측면은 적극적인 교육 활동을 계획하는 데에 장애가 되기도 하지만, 반면에 문화예술교육이 가

Page 5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29

지는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감각적인 재료나 악기를 직접 만지고 활용하는 심화된 미적 경험으

로 체득되고 기억 속에 오래 지속된다는 측면에서 교육의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교육학적 측면에 있어서도 현지의 교육 환경과 학습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

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Palmer(2005: 128)는 교사에게 “학생

과 교사가 동시에 가르치고 배우는 상황을 공동 창조하는 능력”이 요구된다고 역설한다. 이는

교육이 교사에게서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춤을 추듯 함께 발맞추어 나아

가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원리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내용의 선정

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에 있어 가르침과 배움이 상호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은 분명하다.

특히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한국어 수준과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 경험 수준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문화와 예술의 내용을 선정하여야 한다. 한국 문화와 예술을 접

할 때에 실패의 경험을 최소화하고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도록 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이 이해로 확장되고, 문화의 수용자에서 적극적인 참여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실행 매뉴얼을 개발하는 본 연구에서 지역의

특성에 대한 조사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호적인 문화교류를 목표로

6개 지역 세종학당에서 실제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지의 특성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매뉴얼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2. 기초조사 결과 분석

가. 기초조사의 내용 및 방법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실행 매뉴얼

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방법으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전문가, 한국체류자, 세종학당 운영자와 수강생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기초조사는 〈표 Ⅲ-1〉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Page 5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표 Ⅲ-1〉기초조사 절차

나. 설문 조사 분석

세종학당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2012년 세계 한국어교육자대회에 참여한 한국어교육자 가운데 세종학당 관련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운영자 및 교육강사 44명과 수강생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분포

는 <표 Ⅲ-2>와 같다.

응답자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강사 수강생

참여자 수 44개소 44명 67명

<표 Ⅲ-2> 응답자 분포

1)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강사 설문 조사

세종학당 수강생의 특성에 대한 의견

Page 5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31

[Q1] 현재 운영하고 있는 세종학당 수강생의 구성 비율은 <표 Ⅲ-3>에서 나타난 바와 같

이 20~30세가 1순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는 20세 미만과 30~40

세가 동일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순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30~40세였으며,

4순위가 40~50세, 5순위가 50세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세종학당 수강생의 연령층은 대

체로 20~30대, 30~40대인 것을 알 수 있다.

순위 연령 빈도 퍼센트

1순위 20~30세 30 68.2

2순위20세 미만 15 34.1

30~40세 15 34.1

3순위 30~40세 18 40.9

4순위 40~50세 23 52.3

5순위 50세 이상 26 59.1

<표 Ⅲ-3> 수강생의 구성 비율

[Q2] 수강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이유에 관한 질문에서는 ‘K-pop, 한류 등으로 한

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와 ‘취업을 위해서’가 1순위로 높게 나타났다. 2순위로는 ‘취

업을 위해서’와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가 다음으로 많은

응답을 보였고, 3순위로는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와 ‘취업

을 위해서’가 높은 응답을 보였다. 따라서 한류 등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 취업, 한국 문화예

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의 세 가지 목적이 세종학당 교수자들이 생각하는 수강생들의 한국어

학습 이유라 할 수 있다.<표 Ⅲ-4>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24 54.5

취업을 위해서 9 20.5

2순위취업을 위해서 15 34.1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11 25.0

3순위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13 29.5

취업을 위해서 10 22.7

<표 Ⅲ-4>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Page 6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Q3] 한국 문화에 예술에 대한 수강생들의 관심도에 대한 질문에는 <표 Ⅲ-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렇다’가 43.2%로 가장 높았고 ‘매우 그렇다’는 응답도 40.9%로 나타났다. 이를 합

하면 긍정적인 반응이 84.1%로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수강생의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18 40.9

그렇다 19 43.2

보통이다 5 11.5

그렇지 않다 0 0

매우 그렇지 않다 1 2.3

무응답 1 2.3

합계 44 100.0

<표 Ⅲ-5> 수강생의 관심도

[Q4] 한국 문화와 예술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 참여도에 대한 질문에는 <표 Ⅲ-6>과

같이, ‘높을 것이다’에 대한 응답이 52.3%, ‘매우 높을 것이다’가 40.9%의 응답을 보여, 긍정적

인 반응이 92%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현지의 수요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높을 것이다 18 40.9

높을 것이다 23 52.3

보통이다 3 6.8

낮을 것이다 0 0

매우 낮을 것이다 0 0

합계 44 100.0

<표 Ⅲ-6> 수강생의 예상 참여도

[Q5] 한국문화와 예술의 선호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1‧2순위 모두 ‘대중음악’과 ‘드라마, 영

화’가 1‧2위의 응답을 차지했고, 3순위에서는 ‘음악, 국악, 축제’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문

화에 대한 관심도는 대중문화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통적인 것으로 영역을 확장해 가는 것으로

Page 6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33

볼 수 있다. <표 Ⅲ-7>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대중음악(K-pop) 22 50.0

드라마, 영화 15 34.1

2순위드라마, 영화 24 54.5

대중음악(K-pop) 12 27.3

3순위

음악 9 20.5

국악 7 15.9

축제 7 15.9

<표 Ⅲ-7>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한 선호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의견

[Q7]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에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내용이 있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는 응답이 72.7%로 ‘아니다’는 25.0%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였다. <표 Ⅲ-8>

응답 빈도 퍼센트

그렇다 32 72.7

아니다 11 25.0

무응답 1 2.3

합계 44 100.0

<표 Ⅲ-8> 교육과정 내 한국문화교육의 유무

[Q7-1] 현재 세종학당 교육과정에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내용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

<표 Ⅲ-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40.9%가 ‘세종학당의 홍보를 위한 한국문화와 관련된 행사’

가 실시되고 있다고 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을 하면서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 예술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한다는 응답은 52.3%,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

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응답은 40.9%, ‘한국 문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활용의 기회 확대’에

대한 응답은 36.4%로 나타났다.

Page 6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한국 문화 내용 빈도 퍼센트

세종학당의 홍보를 위한 한국 문화와 관련한 행사 실시아니다 25 56.8

그렇다 18 40.9

한국어 교육을 하면서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 예술에 관련한 내용을

포함

아니다 20 45.5

그렇다 23 52.3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제공

아니다 25 56.8

그렇다 18 40.9

한국 문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활용의 기회 확대아니다 27 61.4

그렇다 16 36.4

<표 Ⅲ-9> 교육과정에 포함된 한국 문화 내용

[Q7-2] 현재 세종학당 교육과정에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내용이 없는 경우 그 이유는

<표 Ⅲ-10>과 같이 ‘교육인력이 없어서’, ‘교육 콘텐츠나 교수학습 자료가 부족해서’가 가장 높

았고,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이나 물적 자원이 없어서’가 2순위, ‘수강생들의 관

심이 없어서’가 3순위로 나타났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교육 인력이 없어서 4 9.1

교육 콘텐츠나 교수학습 자료가 부족해서 4 9.1

2순위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이나 물적 자원이 없어서 3 6.8

3순위 수강생들의 관심이 없어서 1 2.3

<표 Ⅲ-10> 한국 문화 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이유

[Q8] 한국 문화예술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표 Ⅲ-11>과 같이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50.0%로 가장 높았고, ‘그렇다’는 응답이

40.9%를 보여,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90%를 넘었다.

Page 6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35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22 50.0

그렇다 18 40.9

보통이다 3 6.8

그렇지 않다 0 0

매우 그렇지 않다 0 0

무응답 1 2.3

합계 44 100.0

<표 Ⅲ-11> 한국 문화예술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상관성

[Q9]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표 Ⅲ

-12>와 같이 ‘한국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는 응답이 54.5%로 가장 높았고, ‘한국

의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해 본다’는 응답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강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가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경험하도록 하는 교

육목표를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 한국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24 54.5

2순위 한국의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해 본다 6 13.6

3순위 세계화시대에 문화적 감수성을 기른다 3 6.8

<표 Ⅲ-12>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Q10]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의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그렇다’는 응답이

54.5%로 가장 높았고,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40.9%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이 전혀 없을 정도로,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운영자와

교육강사의 의지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Ⅲ-13>

Page 6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18 40.9

그렇다 24 54.5

보통이다 1 2.3

그렇지 않다 0 0

매우 그렇지 않다 0 0

무응답 1 2.3

합계 44 100.0

<표 Ⅲ-13> 문화 예술 교육의 실시 의지

[Q11] 만약 지원이 되면, 어떤 한국 문화예술을 교육과정에 넣고 싶은가의 질문에 <표

3-14>와 같은 응답을 보였다. 1순위 ‘대중음악’과 ‘드라마, 영화’ 2순위 ‘드라마, 영화’와 ‘대증

음악’를 보여 <표 Ⅲ-7>의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강사가 파악하고 있는 수강생의 선호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대중음악(K-pop) 13 29.5

드라마, 영화 10 22.7

2순위드라마, 영화 10 22.7

대중음악(K-pop) 8 18.2

3순위

음악 6 13.6

드라마, 영화 6 13.6

전통공예 5 11.4

<표 Ⅲ-14> 한국 문화와 예술 중 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싶은 순위

[Q12]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한 프로그램이 앞으로 세종학당을 운영하는 데에 어떻게 기여

를 할 것으로 기대하는가의 질문에 <표 Ⅲ-15>과 같이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

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이다’는 응

답이 22.7%로 그 뒤를 따랐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문화예술교육이 세종학당의 운영을 넘어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6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37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 16 36.4

2순위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이다 10 22.7

3순위 한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6 13.6

<표 Ⅲ-15>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교육 효과

[Q13] 세종학당에서 한국문화교육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때 지원되어야 할 요소에

대한 질문에서, 1순위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와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이, 2순위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구’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3순위로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구’와 ‘세종학당 교강사 및 운영자 연수 및 교육’으로 나타났

다. <표 Ⅲ-16>에서 나타나듯이, 각각의 요소들은 각 순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세종

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육목표, 내용, 방법을 제시하는 프로그

램 및 교수학습자료가 가장 시급하게 지원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교구가 갖추어져야 하는 상황이며, 한국어교사가 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이

반드시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교재 및 교수학습 방법) 13 29.5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교육 목표 및 내용) 10 22.7

2순위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구(악기, 재료, 기자재, 소품 등) 12 27.3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교재 및 교수학습 방법) 10 22.7

3순위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구(악기, 재료, 기자재, 소품 등) 11 25.0

세종학당 교강사 및 운영자 연수 및 교육 9 20.5

<표 Ⅲ-16> 한국 문화예술교육 실시를 위한 지원

2) 세종학당 학습자 요구 조사

세종학당 학습자의 특성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구성 비율은 <표 Ⅲ-1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20~30세가 1순위

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는 30~40세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세종학당의 수강생이

Page 6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0~30세가 가장 많은 것과 동일한 결과로 본 설문 조사가 실제 수강생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

다고 할 수 있다.

순위 연령 빈도 퍼센트

1순위 20~30세 38 71.1

2순위 30~40세 6 9.0

3순위 20세 이하 4 6.0

4순위 40~50세 3 4.5

5순위 50세 이상 1 1.5

<표 Ⅲ-17>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구성 비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경험은 <표 Ⅲ-18>과 같이 1순위 ‘1년’, 2순위 ‘2년’, 3순위 ‘3년’, 4

순위 ‘6개월’, 5순위 ‘5년’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이 대

체적으로 1년 이상인 학습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순위 시수 빈도 퍼센트

1순위 1년 11 16.4

2순위 2년 9 13.4

3순위 3년 8 11.9

4순위 6개월 6 9.0

5순위 5년 5 7.5

<표 Ⅲ-18>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 경험 시간

[Q1]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 학습자들은 1순위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취업을 위해서 ’라는 순서로 응답을 하였고, 2순위로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3순위 ‘취업을 위해서’라는 순서로 응답하

고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이유는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취업이

대표적인 목표이며, 동시에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관심도 주요한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표 Ⅲ-19>

Page 6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39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15 22.4

취업을 위해서 12 17.9

2순위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18 26.9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10 14.9

3순위취업을 위해서 12 17.9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10 14.9

<표 Ⅲ-19>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Q3]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지도에 대한 질문에는 <표 Ⅲ-20>에서 나타난 바

와 같이 ‘많이 알고 있다’ 7.6%, ‘알고 있다’ 32.8%의 응답도를 보였다. ‘보통이다’에 대한 응답

도가 37.3%로 가장 높았는데,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중간 이상인 정도

임을 고려할 때,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많이 알고 있다 5 7.5

알고 있다 22 32.8

보통이다 25 37.3

모른다 1 1.5

전혀 모른다 0 0

무응답 14 20.9

합계 67 100.0

<표 Ⅲ-20>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

[Q4]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해본 빈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표 Ⅲ-21>과 같이 ‘드라마,

영화’가 31.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대중음악’ ‘음악과 사진’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대

부분 한국의 문화 예술을 ‘드라마, 영화, 대중음악’등 최근의 대중문화를 통해 접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보다 폭넓은 한국문화교육이 요구됨을 나타낸다.

Page 6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드라마, 영화 21 31.3

대중음악(K-pop) 14 20.9

2순위대중음악(K-pop) 16 23.9

드라마, 영화 16 23.9

3순위음악 13 19.4

사진 8 11.9

<표 Ⅲ-21> 학습자의 한국문화 경험도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의견

[Q5]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내용을 배우고 있는가의 질문에

는 ‘그렇다’는 응답이 56.7%로 ‘아니다’는 11.9%에 비해 높은 비중을 보였다. <표 Ⅲ-22>

응답 빈도 퍼센트

그렇다 38 56.7

아니다 8 11.9

무응답 21 31.3

합계 67 100.0

<표 Ⅲ-22> 교육과정 내 한국 문화 교육의 경험

[Q5-1] 현재 세종학당 교육과정에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내용을 배우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 어떤 교육 경험이 있는가의 질문에 <표 Ⅲ-2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에 참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41.8%로 참여한 적이 없다는 28.4%보다 높은 비율

을 보였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해 한국 문화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23.9%,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참여

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11.9%에 그치고 있어, 한국 문화와 예술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Page 6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41

한국 문화 내용 빈도 퍼센트

한국 문화예술관 관련된 행사에 참여한 적이 있다아니다 28 41.8

그렇다 19 28.4

한국어 교육 과정 중 한국문화에 대한 내용이 들어 있다아니다 18 26.9

그렇다 29 43.3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해 한국 문화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적이 있다. 아니다 31 46.3

그렇다 16 23.9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적이 있다.

아니다 39 58.2

그렇다 8 11.9

<표 Ⅲ-23> 교육과정에 포함된 한국 문화 내용

[Q6] 한국 문화예술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표 Ⅲ-24>와 같이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35.8%로 가장 높았고, ‘그렇다’는 응답이

28.4%를 보여, 문화예술교육이 한국어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84.2%로 높게 나타났

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24 35.8

그렇다 19 28.4

보통이다 7 10.4

그렇지 않다 0 0

매우 그렇지 않다 0 0

무응답 17 25.4

합계 44 100.0

<표 Ⅲ-24> 문화예술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상관성

[Q7] 한국에 관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느냐 질문

에 <표 Ⅲ-25>와 같이 ‘한국어를 보다 잘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는 응답이 36.4%로 가장 높

았고, 그 다음으로 ‘한국에 대해 더 가깝게 느낄 것이다’고 응답했으며 3순위로 ‘한국에 대해 관

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고 응답했다. 이는 교수자의 응답이었던, <표 Ⅲ-15>와 차이를 보이는

데, 교수자는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는 응답을 36.4%로 가장 높게 보았다. 이

Page 7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를 통해 학습자들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학습과 한국에 대한 친

밀감 형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 한국어를 보다 잘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 16 36.4

2순위 한국에 대해 더 가깝게 느낄 것이다. 10 22.7

3순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 6 13.6

<표 Ⅲ-25>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Q8]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한다면 참여할 의지를 물어본 질문에서는 ‘매우 그렇

다’는 응답이 32.8%로 가장 높았고, ‘그렇다’는 응답이 23.9%로 그 다음으로 나타나, 학습자의

참여 의지가 비교적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표 Ⅲ-26> 운영자 및 교육강사의 경우 ‘그렇다’

는 응답이 54.5%,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40.9%로 나타나 실시 의지가 95%가 넘는 것으로 나

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현지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22 32.8

그렇다 16 23.9

보통이다 9 13.4

그렇지 않다 1 1.5

매우 그렇지 않다 0 0

무응답 19 28.4

합계 67 100.0

<표 Ⅲ-26>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 의지

[Q9] 세종학당에서 제공하는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표 Ⅲ

-27>과 같이 ‘한국의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는 응답이 20.9%로 가장 높았다. 그

리고 ‘세계화시대에 다른 문화에 대한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는 응답이 뒤를 따랐으며, 3순위

로 ‘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다’와 ‘음악, 미술, 무용 등 관심 있는 한국

예술의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응답이 각각 7.5%로 동일하게 응답되었다. 이는 운영자

및 교육강사의 경우 ‘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다’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

Page 7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II. 지역 특성화 방안 |43

답한 것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학습자의 경우 한국 문화예술의 직접적인 체험을 원하고,

이를 통해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세계화시대 문화적 감수성을 기르는 것까지

기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 한국의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14 20.9

2순위 세계화시대에 다른 문화에 대한 문화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 9 13.4

3순위한국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다. 5 7.5

음악, 미술, 무용 등 관심 있는 한국 예술의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5 7.5

<표 Ⅲ-27> 한국 문화예술교육에의 참여 이유

[Q10] 어떤 한국 문화예술을 배우고 싶은가의 질문에 <표 Ⅲ-28>과 같은 응답도를 보였다.

1순위‧2순위 모두 ‘드라마, 영화’와 ‘대증음악’으로 나타났고, 3순위에서 ‘음악’과 ‘현대미술’을 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순위에서 ‘서예’와 ‘사진’ 등의 응답도 보여, 학습자의 관심이 비단

대중음악과 드라마, 영화 에만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외의 영역에도 퍼져 있음을 볼 수 있었

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드라마, 영화 10 14.9

대중음악(K-pop) 8 11.9

2순위드라마, 영화 11 16.4

대중음악(K-pop) 8 11.9

3순위

음악 8 11.9

드라마, 영화 6 9.0

현대미술 6 9.0

<표 Ⅲ-28> 참여하고 싶은 한국 문화와 예술 교육 프로그램

[Q11] 한국문화교육을 배울 기회가 된다면 어떤 교육 내용에 참여하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

에서, 1순위로 ‘생활 속 문화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2순위로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

로그램’, 3순위로는 ‘한 가지 분야의 표현 능력을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이 나타났

다. <표 Ⅲ-29>에서 나타나듯이, 1순위와 2순위의 순서가 같으며, 3순위에서도 유사한 응답을

Page 7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보이는데, 이를 통해 보아, 학습자는 한국문화교육에서 배우고자 하는 것이 ‘생활 속 문화’ 그리

고 ‘다양한 예술 체험으로서의 문화’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의 [Q9]에서 한국 문화예술교육에

의 참여 이유로 ‘직접 체험’에 대한 높은 응답을 보인 것과 같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습

자들이 자신의 생활과 연계된 다양한 예술적 체험을 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순위 빈도 퍼센트

1순위생활 속 문화와 연계된 프로그램 22 32.8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9 13.4

2순위생활 속 문화와 연계된 프로그램 12 17.9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10 14.9

3순위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10 14.9

한 가지 분야의 표현 능력을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9 13.4

<표 Ⅲ-29> 선호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다. FGI 분석

본 연구에서는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수립하고 지역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한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6개 지역 세종학당 관련자로 구성된 집중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한국어교육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FGI에서는 집단 토론을

통하여 세종학당과 한국어 교육의 취지에 입각한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방향과 개념을 논의하였

다. 6개 지역 세종학당의 운영자 및 교수자와의 FGI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세종

학당의 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

를 조사하였다. 또한, 6개 지역 세종학당 수강생들로 구성된 FGI를 1회 실시하고, 6개 지역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과 지역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로 구

성된 FGI를 지역별로 각 1회, 총 6회 실시하였다. 지역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FGI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표 Ⅲ-30>과 같다.

Page 7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45

횟수 참여자 주요 내용

한국어교육 전문가

FGI1회 한국어 교육 전문가 4인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현황 및 방향

세종학당 운영자

FGI1회

6개 지역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강사 6인운영 현황 및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

세종학당 수강생

FGI1회 6개 지역 세종학당 수강생 6인 수강생 특성 및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요구

국가별 체류자 FGI 6회6개 지역 출신의 국내 체류자

4~5인지역적 특성 및 한국 문화교육 수요도

<표 Ⅲ-30> FGI 참여자 및 주요 내용

다양한 대상으로 구성된 여러 그룹의 FGI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비교 분석 가능한

자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한국문화교육의 현황, 필요성, 방향, 지역화 방안, 프로그램 개발 방향

의 다섯 가지 공통 영역에서 핵심 질문을 마련하고 이를 중심으로 반구조화 된 인터뷰를 진행

하였다.[부록 3]

1) 한국어교육 전문가 FGI 분석

한국어교육 전문가 FGI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근본적인 주제들이 논의

되었다. 세종학당의 정체성 측면에서 왜 문화교육을 세종학당에서 담당하여야 하는가, 누가 가

르쳐야 하며, 과연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등에 관한 심층적인 대화를 통하여 세종학당 한국문

화교육의 기본 방향 수립을 위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왜 문화교육인가: 세종학당의 역할 제고

세종학당 연계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 인터뷰에서 세종학당의 정체성과 역

할에 관한 이슈가 가장 우선적으로 논의되었다. FGI에 참여한 한국어 전문가들은 세종학당이

곧 한국어교육 기관으로 활동내용과 범위가 한정되고 있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수강생)은 문화에 대해 관심이 있어왔는데, 정작 배우는 것은 문법 배우고 어휘 배우고 이런 쪽으로 가다보니까…그럼 문화에 대한 것들도 (교육)해달라 하면 선생님은 그냥 문화에 대해 피상적으로 이런 것이 문화다, 한복 입어보고 장구 같은 거 한번 쳐보고, 명절 되면 절해보고…이런 부분들에서 학생들이 목적을 가지고 오는 부분들과 수업에서 괴리가 생기는 거죠.

Page 7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세종학당에서 문화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문화상호주의에 입각한 본래 설립 취지에 부합되는

것으로 그 필요성에 모두 공감하고 있었다.

세종학당의 설립 추진에 있어 중요한 본질을 구성하는 것은. 이를 통하여 우리를 세계에 알리는 것이고 여기에 문화가 실리는 것이 당연한 거죠. 세종학당 초기에 설립할 때 기본적 원리가 몇 가지 있었어요. 일반 엘리트 교육을 떠나서 대중교육을 지향한다. 아래로 확산되어 내려간다. 두 번째는 문화상호주의를 지향한다. 언어를 보급하면서 함께 우리 문화를 보급하면서 일방향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문화도 우리 쪽에 유입될 수 있는 창구가 되도록 한다는 것이죠. 이는 문화교육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지만, 세종학당에서 문화교육을 중요한 활동의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거든요.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세종학당이 한국문화와 현지의 문화가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사랑방’

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언급도 있었다.

언어만이 아니라 한국에 대해 알릴 수 있는 콘텐츠가 제공되고 빛이 되어서 투영되는 공간…사랑방과 같이…이러한 콘셉트 안에서 예술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한국어 전문가들은 현재 세종학당에서 한국어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동기가 분명하고 한국에 대해 우호적인 사람”들이기 때문에, 세종학당이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알리는 데에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전공자 혹은 이민, 취업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진 외국인이 아니더라도 현지의 일반인들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계 속 한국 문화의 저변을 넓혀갈 수 있어야 한다.

누가 가르칠 것인가: 교육 인력의 전문성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을 통한 심층적인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 인터뷰에 참여한

한국어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예상하는 문제점은 누가 가르칠 것인가이다. 한국어 강사의 경우

문화인류학 혹은 예술교육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가진 ‘기본 상식’적인 수준에서 문

화교육을 실시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세종학당에서의 문화교육이 한복 입어보기, 세

배하기 정도의 단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인 가운데 하나는 교육 인력의 전문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 분들(한국어 교육강사)이 한국문화 전문가가 아니세요. 문화는 모르고 그냥 여기서 살아오면서 부딪히고 접했던 문화를 그 정도 선에서 그분들이 설명하시고 그 정도 선에서

Page 7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47

학생들에게도 이정도만 알면 돼. 이렇게 깊이 설명 못하시는 거죠. 이런 측면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부분은 사실은 필요하다. 근데 문제는 누가 가르칠 것인가. 사실 사물놀이와 같은 문화가 굉장히 많은데 그럼 그 선생님들이 그걸 다 배워야 하는가. 이런 문제가 생기는 거죠.

하지만 한국어 교육 강사에게 한국문화와 예술에 대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타당하지도 않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심화하는 한편,

전문 인력이 투입되어 전문적인 예술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미술이든 음악이든 단순히 팩트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해석해야 하는데 그럴 능력이 없다는 거죠. 콘텐츠 개발이 아니고 콘텐츠를 활용해서 현지에서 한국을 소개시키고 이해시키고 설명할 수 있는 인력이 같이 가지 않으면 별 의미가 없겠다(고 생각합니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현지의 특성과 수요에 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어떤 수준과 범위의 한국문화교육을 원하는지의

대상에 대한 이해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

역 특성에 대한 연구와 시범사업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어떤 조건과 환경이 제공되었을 때에 세

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성공적인지, 어떤 유형의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

다. 따라서 지역별로 특성화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현지 학습자들이 한국문화를 통하여 교감하고 상호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

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은 ‘한국문화의 정수’를 무엇으로 정의

하고 재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한류의 경우 한국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는 하나

의 ‘동기’로서 의미를 가지지만, 그것 자체가 한국 문화의 전부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다. 따라서 프로그램에서 다루고자 하는 핵심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학습하는 가

운데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국에 대한 이해에 필요한 주요한 콘셉트를 잡아서…그것을 바탕으로 좀 더 한 단계씩 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접근하여야 합니다.

프로그램의 방향을 수립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인지

에 대한 고민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문화에 대한 개념을 가르칠 것인

지, 감상하게 할 것인지, 체험하고 향유하도록 할 것인지, 표현 방법을 배워서 스스로 활용할

Page 7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4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현황

▪ 세종학당의 정체성과 역할에 관한 재고찰 및 자리매김이 요구되는 상황임.

- 문화교육의 차원에서 외국인 대상의 문화적 접근으로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음을 상기하여야 함.

- 한국 문화로 현지인 문화와 서로 소통하면서 한국을 알리는 기관이 되어야 함.

▪ 현재 한국어 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공간 및 시수에 있어 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

어 있지 못함.

- 시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도 콘텐츠가 부족하여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 세종학당 별로 현지의 상황이 매우 상이하여 문화콘텐츠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움.

▪ 세종학당 교육강사에게 문화교육은 피상적인 문화체험 정도로 인식되고 있고, 교원 연수에서도 문화교육의

내용은 공연 관람 정도의 체험에 불과함.

▪ 전문적인 관점에서 문화예술로 한국어교육에 접근한 예가 전무함.

필요성

▪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와 일관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함.

▪ 문화예술의 전문가들이 언어와 관련된 문화를 넘어서 한국문화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관

점을 제공할 수 있음

▪ 언어교육을 넘어선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수요가 높음.

방향 ▪ 기본 상식의 수준을 넘어선 한국 문화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문화교육을 실시하여야 함.

<표 Ⅲ-31> 한국어 전문가 FGI

수 있도록 것이지 등에 관한 판단이 요구된다. 또한, 일상문화와 예술문화 사이에서 어느 정도

의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포함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하나의

방향으로만 규정되기 어려운 것으로 지역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

다. 이를 통해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이 “같이 공존하면서, 같이 체험하고, 같이 공유하는 기회”

를 가짐으로써, 문화상호주의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문화교육, 한국어교육, 예술교육이 적절히 융합되고 균형을 이루어야 하겠지만, 인터뷰에 참

여한 한국어 전문가들은 문화예술에 초점을 두고 세종학당 문화교육의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문화교육은 너무 광범위하고 이미 상당 분분은 진전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그것과 관련해서 활동하고 있고…(이 사업은) 문화예술 쪽에 초점을 두고 확장하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한국어 전문가의 인터뷰를 종합할 때,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은 문화예술을 직접 경험하면서

“한국문화의 정수 같은 것을 맛보고, 공연을 보았을 때 감정 이입이 되고, 동화되고, 이런 가운

데 교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앞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보다 전문화된 체험 기회를 주고 점진적으로 세종학당의 자생적인 한국 문화

교육 역량을 키워가야 함을 알 수 있다. <표 Ⅲ-31>

Page 7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49

- 주요 컨셉을 선정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영역을 단계적으로 넓혀나갈 수 있도록 함.

▪ 문화상호주의에 입각하여 한국 문화를 통하여 교감하고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

▪ 전문적인 문화예술에 초점을 맞추어 세종학당 문화교육의 영역을 확장함.

지역화

▪ 학습자 연령, 한국어 학습의 목적, 배경, 문화적 수준 등 수강생의 다양성과 특성을 고려하여야 함.

▪ 6개 세종학당의 특성을 분류하여 이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을 유형화할 수 있음.

▪ 수요자 조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함.

프로

그램

▪ 세종학당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초로, 체험하고 즐기는 가운데 한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음.

▪ 문화예술 전문가의 참여를 통하여 심층적인 한국 문화와 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함.

▪ 체험-이해, 일상문화-예술문화, 언어교육-예술교육 등 다각도의 측면에서 어디에 초점을 두어야 할지에 대

한 고민이 요구됨.

2) 지역별 국내 체류 외국인 FGI 분석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현지의 수요

현지 세종학당 운영자와 강사와의 FGI에서는 우선적으로 현지에서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수

요와 요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름대로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들을 활용하고 있으나,

학습자들의 기대나 강사들의 의도만큼 충분히 깊이 있게 실시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

를 느끼고 있는 상황이었다. 특히 수강생들이 한국어에 대한 학문적 관심보다는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세종학당에 다니고 있고, 한국이라는 나라, 한국 문화 전반을 알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

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과연 내가 한국어를 계속 배워야 하나 하는, 마음이 상실되고 속상한 학생들...너무 좋아하는데 할 수 없는 그런 학생들이 너무 많이 있더라구요. ...학생들이 너무 많이 하고 싶어 하는데, 저희들이 그것을 제공해주는 것이 무척 힘들었어요.

저희 강사분이 하나하나 계획 다 짜고, 선생님끼리 모여서 연습해보고 하는 거잖아요. 그런 과정이 조금 줄어들면, 저희가 수업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호 문화교류로서 문화예술교육

Page 7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현황

▪ 현지 상황에 맞추어 조금씩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케냐: 가야금, 사물놀이 선생님이 있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악기 등 교구 수급에 어려움이 있음. 명절,

음식 문화 등을 제재로 문화교육을 실시해옴.

- 터키: 학기 중 마지막 주를 항상 문화수업으로 실시함.

- 영국: 문화원에서 주로 문화 행사가 진행되고 있어, 이에 참여하도록 추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 미국: 한국 영화, 민속놀이, 음식 만들기, 캘리그래피 등을 수업 시간에 접목하여 실시함.

- 중국: 서예 전시회, 한국 문화 체험관 등 한글, 음식문화, 전통 문화를 주제로 한 문화 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

음.

필요성

▪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수요는 많으나, 재료∙교구 혹은 전문 강사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실시하지 못하였음.

▪ 한국 문화 전파는 지역 경제 등 여러 측면에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

▪ 현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이에 관련한 정보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여야 함.

방향

▪ 전문가가 와서 보다 심도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야 함.

▪ 전시, 공연 등 ‘밖으로’ 나가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에서 한국 문화와 세종학당을 알리는 역할을 할 수 있

어야 함.

지역화

▪ 현지 교육과정을 파악하여 기간, 참여자 규모 등 실질적인 문제들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하여야 함.

- 중국: 강사가 장기 체류하면서 현지 교육과정과 맞물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야 함.

- 터키: 학기 마지막주 문화수업에서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임.

- 미국: 비용, 인원 등 현지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

<표 Ⅲ-32> 세종학당 운영자 및 강사 FGI

FGI에 참여한 강사들은 세종학당에서 새롭게 제공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한 맛보

기를 넘어서, 상호 문화 이해와 교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미국 샌프란

시스코와 영국 런던의 경우 이미 크고 작은 공연은 많이 제공된 바 있어 수강생들에게 크게 새

롭게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면서 보다 가까이에서 한국 문화를

통해 서로 공감하고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음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강사의 설명은 장기적으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하여야 할 바를 잘 요약하고

있다.

그 사람들이 우리보다 못해서 우리 문화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류를 통해서 서로가 국제적으로 안목을 넓혀가는 것이고 학생들이 꿈을 키워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은 것...

FGI를 통해 논의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필요성, 방향은 <표 Ⅲ-32>와 같다.

Page 7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51

▪ 정서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예술을 접목시키면 효과적일 수 있음.

▪ 지역의 문화 기관(문화원, 대학, 미술관 등)과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음.

프로

그램

▪ 한국문화 캠프 등 문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호 교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자기 문화를 가르쳐주면서 더 깊이 한국 문화를 사랑하게 될 수 있음.

▪ 한지 공예, 음식 문화 등을 주제로 한 것은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음.

Page 8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현황

▪ 자국에 비해 높은 기술, 경제 수준으로 인해 한국문화는 세련되고, 능동적이고, 현대적이라는 이미지를 가

지고 있음.

▪ 인터넷 등으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드라마, K-pop을 통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갖게 됨.

▪ 중국, 일본과는 다른 독특하고 신선한 점이 있음.

▪ 한국 기업의 진출과 함께 한국어 학과가 대학에 신설되는 등 한국어 수요가 늘어남.

필요성

▪ 문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 베트남의 부족한 문화를 한국 문화로 채울 수 있음.

▪ 한국 문화에 대한 편중된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음.

- 한류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의 단면만 보게 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방향

▪ 너무 전문적이지 않은 단기간의 체험 위주의 교육이 효과적임.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수요층의 연령이 어린 점을 고려하여야 함.

▪ 아직 소개되지 않은 ‘좋은’ 한국 문화를 소개하여 관심 영역을 확장하여야 함.

지역화

▪ 가야금과 같은 전통 악기는 이질감이 없이 친숙함.

▪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에는 수상인형극이 있음.

프로

그램

▪ 전통 문화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함.

- 카드. 부채 등 집에 가져가거나 선물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활동

▪ 일상 문화를 포함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을 다룰 수 있음.

- 요리, 한지공예, 부채춤, 한복, K-pop 가야금 연주, 패션.

<표 Ⅲ-33>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베트남

3) 지역별 국내 체류 외국인 FGI 분석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자국의 문화콘텐츠에 비해 선진화된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호감으로 인해 한

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개발도상국으로서 아직 문화에 대한 사

회적 투자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의 대중문화가 문화적으로 느끼는 부족함을 채워주고 있

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인식에 대한 질문에 FGI에 참여한 베트남 사람들은 ‘스

트레스 해소’, ‘미래 희망’, ‘한국 사람처럼, 잘 살수 있다는 꿈을 꾸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한

국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이러한 한국의 경제적, 문화적으로 선진화된 국가라는 인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에 비해 한국 전통과 역사에 대한 인식은 아직 부족한 상황

이라 할 수 있다.

Page 8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53

주제 내 용

인식

▪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 문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국제도시 런던에서 한국 문화는 수많은 다양한 문화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음.

필요성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런던에서 한국 문화의 독창성을 알리고 상호 교류함.

- 세계 문화의 보편성과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비교 문화적으로 학습할 수 있음.

▪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활용하되, 중국, 일본과 구별되는 한국 문화 교육이 필요함.

방향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런던에서 한국 문화의 독창성을 알리고 교류함.

▪ 예술을 매개로 열린 마음으로 한국 문화를 즐기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한국 문화를 단순히 체험하는 것을 넘어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함.

지역화

▪ 지역 대학의 민족 음악학 전공자들과의 연계가 가능함.

▪ 런던 거주 전문 예술 인력 활용이 가능함.

프로

그램

▪ 한국의 절기와 명절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함.

- 명절의 풍습, 음식 등 생활 문화와 예술 문화의 통합적 교육 과정

▪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 전통과 현대의 모습을 통시적으로 보여 줌.

- 사극 등의 대중문화 자원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과 역동적인 현대 사회를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과정

<표 Ⅲ-34>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영국

영국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집결되어 있는 영국은 문화적 흐름을 주도하는 국제적인 도시라

할 수 있다. 자국의 문화적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여 아시아에 비해 한류나 한국 문화에 대

한 관심은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의 경제 성장으로 중국을 비롯한 일본,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회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의 역사와 전통을

소개하고 교류하여야 할 시점이다. 또한 다국적인 도시로서 다양한 문화에 대한 포용력이 높은

만큼, 차별화된 전략으로 한국 문화를 알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한국문화원, 지역

의 한국학 관련 학과 등과 연계하여 풍부한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만날 수 있는 문화예술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Page 8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인식

▪ 많은 중국인의 비율로 동아시아 문화 전반에 대한 인식이 높음.

▪ 100년이 넘는 한인 이민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한국 문화의 접촉 기회가 많음.

필요성

▪ 베이 지역에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관이 많지 않음.

-교회를 중심으로 한 여름 야영 등 단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문화적 도시로 샌프란시스코는 서부 지역의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에 있

음.

방향▪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와 적극적인 교류가 가능하도록 함.

▪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체험이 가능하도록 함.

지역화▪ 수준 높은 전시, 공연 공간의 활용이 가능함.

▪ 한국 유학생 혹은 샌프란시스코 거주 전문 예술 인력 활용이 가능함.

프로

그램

▪ 한국어 수준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 초급의 경우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체험적, 활동적 프로그램

- 고급의 경우 한국 문화의 역사와 뿌리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 학기 말 발표회를 통하여 학습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

-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적인 표현을 발표회를 통하여 전시하고 지역 사회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표 Ⅲ-35>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미국

미국

중국인 등 아시아 이민자들의 높은 비율을 보이는 샌프란시스코는 한국인 이민 역사도 100

여년이 넘는 지역이다.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요구에 비해 이를 배울 수 있는 기관이 근처에

많이 있지 않고, 교회 등을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

술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지역 내 대학이나 미술관, 공연장 등 연계할 수 있는 문화 기

관이 다수 있어, 심화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지역 공동체와 교류하고 한국 문화를 적극적으

로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다양한 배경과 문화적 수준을 고

려하여 깊이 있는 전통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되, 현재 샌프란시스코의 지역성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다.

Page 8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55

중국

중국에서는 주로 한류를 통하여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드라

마를 통해서 보이는 현재 한국 사람들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반해 전통 문

화에 대해서는 자신들의 문화와 공통점이 많다고 생각하여 상대적으로 호기심이나 관심이 낮은

편이다.

솔직히 한국문화랑 중국문화가 비슷한 점이 많잖아요. 비슷하지만 사실 같은 건 아니에요. 그래서 다른 점을 발견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서…근데 저는 아무래도 대중문화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있는 것 같아요.

중국과 한국은 사실 옛날부터 교류가 있었어요. 비슷한 부분도 있고. 저희는 한국어를 전문적으로 배운 사람들이어서 비슷한 부분이 무엇인지,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고 필요하죠. (하지만) 대중들에게 이런 어려운 강의는 할 필요 없잖아요?

참여자들이 스스로의 전통 문화에 대하여 어렵고, 신비롭고, 일반인과는 거리가 있으며, 요즘

사람에게 지루한 내용이 될 수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한국 전통문화도 비슷할

것으로 전제하고 있었다. 또한, 악기 연주 혹은 그림에 있어 높은 수준의 결과물이 나와야 한다

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예술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이를 가르치는 것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요즘 사람들 컴퓨터 많이 사용해서 붓글씨 같은 거 잘 못써요. …노래는 괜찮아요. 다 좋아하니까. 연극도 표현이니 그것도 괜찮은데 서예는 안되요. 공예를 하라고 하면 못해요. 여건이 안 돼요. 전문가가 해야죠. …(비전문가가 가르치게 되면) 한국 서예는 이런 건가 보다 이미지가 나빠지는 거예요. …괜히 문화적으로 어설피 접근하면 역효과나요. …좋은 분 모셔야 해요.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생활 전반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한국의

전통을 비교문화적으로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전통문화

의 경우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설명이 있는 전시회 혹은 연주회’ 형식이

가능하다. 공자 학당의 경우 한국학생과 중국학생이 함께 교육을 받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교류

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국학생들은 친구도 사귀고 친해지면서 선생님 역할을 하게

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현지 한국인들이 자연스럽게 세종학당에 참여하고 현지인들과 교

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Page 8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인식

▪ 한국 드라마, 영화, K-pop 등 한류를 통해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게 됨.

▪ 취직을 위해 한국어를 선택함.

▪ 예절바름, 온순한 여성상, 음식 등 드라마를 통해 한국문화의 이미지를 형성함.

▪ 온돌, 선후배, 존경, 가족 관계 등 일상 문화에 관심이 높음.

▪ 한국 제품의 브랜드 가치로 인해 한국 문화를 선호하기도 함.

필요성

▪ 세계화시대 국가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고 교류하여야 함.

▪ 언어뿐만 아니라 한국을 정확하게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교육이 필요함.

- 한류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의 단면만 보게 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방향

▪ 한국문화교육을 통한 한국인과 중국인이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자원 봉사 등으로 현지 한국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예술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

지역화

▪ 차문화, 서예, 도예, 경극과 하회탈, 산수화, 연, 놀이 등 비교문화적으로 접근할 수 있음.

▪ 현지에서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내용과 수준을 조정하여야 함.

- 현지에서도 교육 강사가 가르칠 수 있는 범위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함.

프로

그램

▪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임.

한국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음.

드라마 장면을 체험하면서 한국 문화를 쉽게 익히도록 함.

▪ 미술과 공예 등 비슷한 부분이 많은 전통적인 것은 보급하기 어려울 수 있음.

전통 악기를 배우기보다는 감상할 수 있는 설명이 있는 전통 음악회 등이 효과적임.

<표 Ⅲ-36>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중국

터키

한국에 대해 역사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가진 국가라는 인식이 있어왔다. 이와 더불어 한국

기업의 진출에 따른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합쳐져, 현재 터키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가수들의

인기가 매우 높다. 하지만 태권도, 한글 등 단편적으로만 한국 문화를 알고 있어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터키와 한국은 항상 관계가 있었는데, 전쟁 때부터 아니면 중앙아시아에서 터키인들이 살 때부터 물론 관계가 있었어요. 제 생각에 조금 더 깊은 관계는 터키에서 먼저 시작했어요.

Page 8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57

주제 내 용

인식

▪ 역사적인 교류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우호적임.

- 참전용사인 할아버지 등 어려서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성장함.

▪ 드라마, K-pop을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한국 기업 진출 등으로 취업 등의 기회가 들어나고 있음.

필요성

▪ 한국,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접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나 창구가 없음.

▪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것을 넘어선 한국사회와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 한국 문화교육을 통하여 ‘뿌리’와 같은 배경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방향

▪ 한국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음.

▪ 한국 문화와 예술 속에 담긴 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지역화 ▪ 한국 문화와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찾아 친밀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

프로

그램

▪ 유대감과 친밀감을 토대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사물놀이, 부채춤, 탈춤, 음식 만드는 법

▪ 전통 악기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한국문화를 경험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함.

<표 Ⅲ-37>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터키

터키인들은 항상 한국에 관심이 있으니까…한국 사람들은 터키에 들어갈 때 더 쉽게 들어갈 수 있어요.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서 유럽으로 가는 다리처럼 터키는 쓸 수 있는 거 같아요.

태권도하는 사람들 터키에 너무 많아요. 그런데 한국문화에 대하여 아무것도 몰라요. 그 태권도가 한국 것인지 몰라요.

한국에 대해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정확하고 폭넓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 SNS 등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드라마를 통해 보이는 모습에 한정되어 있어, 한국 문화의 이면에 담긴 전통과 사

상 등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제 생각에 탈춤, 그런 것을 가르칠 때는 일단, 탈춤을 가르치고, 그 대음에 한국 사람들은 왜 탈춤을 하는지, 이유가 무엇인지, 역사적으로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니까…그런 것을 다 가르칠 수 있어요.

Page 8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인식

▪ 유럽이나 미국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함.

▪ 한국문화를 전혀 모른 상태에서 선교사 등을 통해 한국에 대하여 알게 됨.

▪ 태권도, 발전된 기술(LG, 삼성)이라는 한국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필요성▪ 케냐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케냐로 유입되는 한국인도 증가하고 있음.

▪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한 실정으로 다양한 것을 소개하여야 함.

방향

▪ 서구의 문화와는 다른 ‘한국적’ 전통과 미에 대한 소개가 가능하도록 함.

▪ 한국 문화교육을 통하여 현지의 한국인과 케냐인이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

지역화

▪ 학습자의 경제적 수준을 고려하여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함.

- 공예, 부채 등은 상류층은 흥미로워하지만, 일반인을 어려울 수 있음.

▪ 인터넷 보급이 미흡한 데 반해 지역 공동체의 결속력이 강함.

프로

그램

▪ ‘같이하고 같이 먹을 수 있는’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주말 프로그램을 선호함.

- 한복, 한식 체험, 축제 등의 이벤트 형식.

<표 Ⅲ-38> 지역 특성 파악을 위한 FGI - 케냐

케냐

케냐는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한국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적었으나, 최근 한국 기업이나 선교

사들의 진출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한국 드라마가 방송되면서, 한국의 발전상

과 기술적인 위상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 오게 된 동기 중 하나는 한국 스토리를 들었죠. …예를 들면 새마을 운동 얘기를 해주고. 되게 재미있는 스토리예요. 어떤 목표가 나라를 세우고…그때부터 호기심이 생긴 거죠. …경복궁가서 보고 우리는 그냥 왕에 대해서 소설책에서 많이 읽었는데, 근데 실제로 보고 어떻게 살았는지 처음이었어요. 그런 경험. 사실은 다 좋은 경험이었어요. 다 매일매일 계속 놀랐어요.

미국 아니면 유럽에 가려고 했는데, 저는 새로운 것 하는 것을 좋아해서 (한국에) 왔어요. …K-pop 처음에 들으면 미국스타일 거의 섞여 있잖아요. …이것은 한국 음악인지, 미국 음악인지. …전통 옷은 매우 흥미롭고, 전통적인 집이나 궁궐 같은 것이 멋있어요. 미국드라마와 다른 배경 때문에 더욱 흥미로워요.

케냐인들이 유럽이나 미국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로서 한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

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한국 문화의 고유성과 예술교육도 이전에 접해보지 못한 새로

운 문화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8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59

3. 지역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기초 조사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각 국가별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하노이, 영국 런

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하이웨이, 터키 앙카라, 케냐 나이로비의 6개 지역 세종학당에서

한국문화교육을 개발하고 실행할 때에 고려해야 할 문화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각 세

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요구되는 이유와 강약점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논의

하였다. 다음에 제시되는 국가별 특징은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한국문화를 중심으

로 지역 문화와 연계되고 상호교류하는 문화적 고유성과 보편성이 균형을 이룬 방식으로 개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의 성격을 가진다.

가.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특성

현황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선진 문화로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호감을 가지고

있거나, 취업이나 이주 등의 실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최근 베트남의

경제 개발과 기술 발전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문화를 동경하고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하노이 세종학당의 학생들은 외국과의 문화 접촉이 많은 상태로 현대적이고 세련

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다. 예를 들어 현지에서 이미 프랑스 문화원과 일본 문화원과의 활동

이 매우 활발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공될 문화 프로그램이 기존의 문화적 경험에 부응할 수 있

는 수준을 유지할 때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하노이 세종학당의 수강생들은 대부분 젊은 계층으로 한국의 문화 중에서도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젊은 연령층의 수강생들로 구성되어 K-pop에 대한 인기가

매우 높으며, 대부분의 학생이 여기로부터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점도 주목해야 한다.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는 대중문화에 대한 투자가 적어 상대적으로 질 높은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이나 드라마를 선호한다. 따라서 한국 대중문화의 요소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높은 관심과 수업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이에 따른 취업 기

회의 확대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적이

고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된 문화에 대하여 알고자 하는 욕구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 문화원에서 운영되는 한국 문화에 관한 교육으로 설날, 가정의 달, 한가위, 한글날

과 같은 특정한 날의 ‘연중행사’를 통한 한국 문화 체험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국 음

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 ‘요리 수업’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을 위주로 한 한국 문화

체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문화에 관한 심도 깊은 경험이나 수업은 아직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Page 8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북부 베트남 사람들이 대개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하노이 세종학당에서

는 좀 더 활동적이고 참여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동기 유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적극적인 홍보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참고로 베트남은 보통 7시

에 학교가 시작하고 4~6시 사이에는 교통 체증이 매우 심해, 이 시간에 행사를 진행할 경우 학

생들의 참여가 어려울 수 있다.

한국 예술 문화와 관련하여 연계 가능한 분야와 장소로는 베트남 예술 대학, 전통 마을, 대

사관과 한인회 등이 있다. 베트남의 예술 대학과 연계하여 전통 음악이나, 전통 무용, 대중음악

에 관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전통 마을과 연계하여 전통 도자기, 판화, 실크 등을 이용한

미술, 공예 활동을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사관과 한인 조직을 통해서는 서

예, 태권도, 전통 악기 등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강사 등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어 교육과 연계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혹은 문화 예술이

중심이 된 행사형 프로그램의 개발을 희망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될 경우 세종학당의

정규 수업이 오전과 오후 두 차례의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요일 오

후 5시부터 ‘작은 예술제’가 진행되므로 이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행사형 프로그램도 효과

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주중에 오전 오후반을 나누어 진행할 정도로 활발하게 수업이 운영되고 있는 점과 많은 학

생들의 참여를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을 하노이 세종학당의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지속적인 프로

그램 개발이 가능하며 이를 활용할 경우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여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

된다. 그만큼 한국 문화 확산 및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특히 하노이 세종학당은

한국 문화원에 위치하고 있어 기본적인 문화 행사가 자주 마련되어 있다. 학생들에게 한국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방안으로 설날에는 <새해맞이 잔치>, 5월 가정의 달에는 <한국 신문 만

들기 대회>, 9월 <한가위 행사>, 10월 베트남 연합 <한글날 행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중

행사가 단순한 체험을 넘어서, 심도 있는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 기회로 발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학기 중 수업 단계에 맞는 다양한 한국 음식 만들기 수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요리

를 통한 한국 문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루어질 경우 학습자들의 참여와 관심이 매우 높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세종학당의 수강생들이 인터넷을 통한 한국 대중문화와의 접촉 기회가 많

았던 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다중 매체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한국 문화 예술의 내용을 담은 사이트나 링크를 소개하여 대중문화에 집중된 학습자

들의 관심을 풍부한 한국 문화 전반으로 확장할 수 있다. 다중 매체 활용에 대한 수강생들의 관

심과 준비도는 전문 예술 강사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Page 8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61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고려하여야 할 약점은 한국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관

심이 대중문화에 편중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 문화의 원형이나 뿌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친근감을 가지고 접근할 방안이 필요하

다. 베트남 전통문화 혹은 한국 대중문화와의 연계를 통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야 할 것이다.

기대 효과

베트남은 한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전반적으로 한국에 관한

관심이 높고 한국 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경우 큰 효과

를 기대할 수 있는 국가이다. 특히 자국에서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문화 콘텐츠를 한류를 통

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다양한 문화 예술에 대하여 배울 수 있는 기

회가 제공된다면, 현지에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현재 진행 중인 연중행사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심화하고 내실화한

다면 세종학당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지역에서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세종학당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매우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정규 수업과 연계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시도해 볼 수 있다. 이

와 같이 행사형과 정규 프로그램 연계형의 다양하고 종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확산하는 데에 다른 아시아 지역과

협력해 나갈 수 있는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하노이 세종학당에서 진행될 프로그램은 수강생들의 ‘미래 희망’과 관련 있는 실제적인 문화

이해를 중심으로 개발할 때 효과적일 수 있다. 기술 경제 개발로 급변하고 있는 베트남의 미래

지향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의 소재를 다룰 때에

는 이를 현대적 차원에서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방향에서 내용과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경우 단기간의 기초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심화시켜 나가는 것

이 바람직하다. 2~3주 단위의 K-pop과 연계된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수준별로 구성하여 5~6개

의 모듈로 진행한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 전통 예술 분야에 있어서는 가야금, 부채춤, 한지 공

예에 대한 관심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야금은 베트남 자국의 악기 구조와 비슷한 점이 많

아 거부감 없는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대중음악의 가락을 가야금으로 배우는 식으로 K-pop과

연결하여 전통 악기를 다루게 된다면 학생들의 적극적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 전통문화

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age 9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연중행사를 활용한 프로그램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행사’가 설날, 가정의 달, 한가위,

한글날 진행되고 있다. 설날에는 <새해맞이 잔치>, 5월 가정의 달에는 <한국 신문 만들기 대

회>, 9월 <한가위 행사>, 10월 베트남 연합 <한글날 행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중행사에

대한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면 많은 효과와 참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각 명절의 주제

를 활용하여 한국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접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

어 설날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한지 복주머니 만들기, 한글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서예 부채

만들기,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강강술래 배우기 등을 제공하면 한국 전통 미술, 음악, 무용 등

을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한국인의 삶에 있어서 전통 명절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하여 느끼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면 프로그램의 효

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중행사 중 공연이나 전시를 기획한다면, 지역 사회에 한국 문화를

확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성취감과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과의 연계 과정

하노이 세종학당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의 방향 중 하나는 한글과의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이

다. 따라서 한글과 연관 지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글 서예

를 쓰면서 선비의 정신을 배운다거나,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 한지 공예품을 만들고 한글

로 꾸미는 등의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다. 학습자가 관심 있어 하는 K-pop이나 드라마를 한

글과 연계하여 학습할 경우 흥미롭게 참여할 것이다. 다만 노래 가사 혹은 드라마의 대사를 배

우고 따라하는 데에 그치지 말고 자신의 이야기를 한글에 담아내고 음악이나 연극으로 표현하

는 등 교육적 목표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전문 예술 강사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다양한

전통문화의 소재를 학습자의 관심과 한국어 학습에 접목하여 기존의 프로그램을 심화하고 발전

시키는 데에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한류를 활용한 프로그램

K-pop은 하노이 세종학당의 수강자들이 가장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한 계기이자 가장 인기

있는 한국 문화의 부분이다. 이처럼 친숙한 한류 문화 자원과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드라마나 영화에 대

한 관심이 높은 만큼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 예술 문화의 프로그램도 좋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회견하고 영상물로 제작하기’, ‘드라마 속 대사 익히고 영상으로 찍기’ 등의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정규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하노이 세종학당의 활

동을 홍보할 수 있는 자료 제작이 가능하다.

Page 9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63

나. 영국 런던 세종학당의 특성

현황

영국의 수도인 런던은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총집결되어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창조해

내는 세계 문화의 중심지이다. 또한 영국은 자국의 문화적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다. 반면

영국인들이 한국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영국과 한국은 지리적으

로 멀리 자리하고 있고, 직접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진 시기도 상당히 늦었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대영 제국이라 칭하는 국호에 어울리지 않게 기울

어 가는 경제 규모와 낮지 않은 실업률,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은 콧대 높은 영국인들이 자

세를 낮추고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에 관심을 갖게 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영국 내에서는

중국 문화와 중국에 대한 관심이 최고점에 달하고 있다. 서점에는 중국과 관련된 서적들이 전면

에 배치되고, 각 대학에서도 많은 수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받아들여 계속적인 경제적, 문화적

교류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분위기는 세종학당에서 적극적

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하기도 한다.

런던 세종학당을 발판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시켜 나가기 위하여서는 영국 내의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런던의 특수성을 올바로 파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런

던은 전 세계 다양한 문화와 사람들이 어우러져 영국 내에서 가장 영국답지 않은 도시로 탈바

꿈한 곳이다. 영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유색 인종이 살고 있는 도시이며, 비영국인들이 자신의

문화와 종교를 고집하며 살아 나간다. 이처럼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용광로에 녹여져 전혀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조해 내고 있다. 즉 아주 영국적인 것과 비영국적인 것, 이 두 갈래가 합

쳐지고 갈라져 만들어진 다국적 문화들이 공존하고 있는 도시이다.

런던에 위치하고 있는 세종학당에는 영국인은 물론 타문화 출신의 유색 인종도 많이 참가하

고 있으며, 이러한 개개인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분야도 천차만별

일 것으로 파악된다. 다양한 관심 분야와 각기 다른 수강생의 이해 수준과 요구를 어떻게 종합

할지가 런던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21세기는 문화 경쟁력의 시대이다.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 국가의 발전 전략으로 문화 영역의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시장 확대와 경제적인 부가 가치 창출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 시점에 국제도시인 런던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것은 시기적절한 일이

Page 9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라 할 수 있다. 특히 일본과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특수성과 독특함을 잃지 않고 오늘

날까지 이어져 내려온 우리 문화의 독창성은 아시아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진 런던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오늘날 문화는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비물질적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인들은 지극히 개인주의적이고, 쉽게 마음을 터놓는 친구로 발전하기 어려운 성향을 가

지고 있다. ‘신사의 나라 영국’이라고 불리는 것도 한 발짝 떨어져서 감정 개입 없이 주변인들

과 접하고, 겉으로는 서로 좋은 얘기만을 하는 그들의 언어 관습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표면

적으로는 남의 일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영국인들의 속성을 고려할 때, 그들과 소통하

고 교류하는 데에 예술적 교감은 매우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특

성을 가진 영국인들이 좀 더 열린 마음으로 한국을 이해하도록 하고 한국 문화와 정서적 교감

을 쌓아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친밀하고 깊은 관계 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거점으로서 세종학당의 강약점 

런던 세종학당은 서유럽 국가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물론 문화예술교육의 거점으로 최상의 지

리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끊임없이 교류하고 공존하는 도시이므로 세

계 여러 문화와 보편적 특성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우리만의 독특함과 아름다움을 더욱 선명하

게 드러내며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곳이 바로 런던이라 할 수 있다. 하지

만, 이러한 배경은 또한 이 지역의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너무도 다양한 문화 유

입의 홍수 속에서 정작 영국인들은 우리 문화의 독특함을 찾아내지 못하고 중국, 일본 문화와

비슷한 동양 문화의 일부분으로만 인식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 일본 문화와 차별성

있게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기대 효과

런던은 국제도시이며,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위

치의 런던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순조로이 진행된다면 다른 도시에서 얻어 내지

못하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런던은 영국의 타 도시와 달리 전 세계 다양한 인종들

이 모여 런던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내며 살아가고 있는 곳이다. 2012년 올림픽의 개최와

함께 전 세계의 이목이 또다시 집중되었던 세계 도시이기도 하다. 런던의 세종학당을 발판으로

성공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우리 문화

의 우수성과 가치가 전 세계 다양한 도시로 전파될 수 있는 튼튼한 교두보가 마련될 것이다.

Page 9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65

프로그램 개발 방향

런던 세종학당에서 전개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제까지 포장되고 이미지화된 한국 문

화의 소개와는 달리, 실제 한국의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주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영국인들의 문화적 수준을 고려해 볼 때 단

순한 체험보다는 문화적 깊이를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더욱 적합하다고 할 수 있

다. 이와 더불어 한국 사회가 보여 준 빠른 변화의 원동력을 문화적 특징에서 찾아 소개하는 것

도 영국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좋은 내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 문화의 근

원이 되는 요소들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접근에서, 역동적인 현대 한국 사회를 보여 주는 방식까

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다.

한국 고유의 명절에 따른 한국 전통 풍습과 전통 음식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전통적으로 농경 사회였기 때문에 예로부터 계절의 변화에 민감

할 수밖에 없었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한국 고유의 명절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음식, 전

통 놀이 문화, 풍습과 관련된 행사 등에 대해 통합적으로 배운다면 일 년 동안 다양한 체험뿐

아니라 한국의 민속 문화 전반에 걸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고유 명절과 그에

따른 미술, 음악, 놀이 문화, 음식, 풍습, 축제, 의복과 관련된 통합적 프로그램이 이론 교육과

체험 학습의 적절한 조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면 매년 시기에 맞추어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지침으로 정착될 것이다.

대중문화를 활용한 전통과 현대

사극 드라마나 사극 영화의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전통 의상, 생활 방식, 음식 문화, 사

회적 관계, 한국인의 예절 등을 주제로 하는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무척 흥미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뿐 아니

라 한국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또한, 실제로

많은 외국인들이 K-pop을 통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므로 K-pop 따라 부르기,

K-pop 춤 따라 하기 등의 체험 수업도 한국에 대해 친숙해지고 학습의지를 고취시키는 데 긍

정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생각한다.

영국 거주 전통 예술인 재능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 사물놀이와 한국의 장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일회성이 아닌 지속 가능하고, 단계적

으로 수준별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 한국에서 파견되는 전

문 예술 인력에 모든 프로그램을 의존하기보다, 현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영국 거주 전통

Page 9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예술 전문인들 발굴하여 그들의 재능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 향후 지속

적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 대학교 SOAS 내의 음악 대학 민족

음악 학과에는 한국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몇몇은 한국 전통 악기 강습을 다

년간 지도할 수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근무하고 있는 나미 모리슨 양

은 수년간 런던과 케임브리지에서 사물놀이를 지도하고 있고 김덕수의 제자로 그 실력이 뛰어

나다. 이러한 영국 거주 전문 예술 인력을 적극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한국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의 연속성과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올바른 방향이 될 것이다.

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특성

현황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은 1년에 3학기로 구성되어 초급 4개 반과 중급 2개 반으로 이루어

져 있다. 학생 수는 73명이고 강사는 총 6명이다. 2011년 개원하여 운영 기간은 길지 않으나

캘리포니아 국제 문화 대학의 독립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1991년 설립된 이곳의 한

국어 강좌 및 한국학 석사 과정의 운영 이점을 그대로 전수받아 활용하고 있다. 다른 기관에 부

속되어 있지 않고 독자적인 한글 교육 기관으로서 독립되어 있는 것 또한 특징적이다, 다양한

직업과 다양한 인종의 수강생들이 늘고 있어 활발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업은 일주일에

한 번 목요일 저녁에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어 일을 마친 후 모

여서 수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별도로 시간을 내어 수업을 진행하거나 주말을 이용한 행사 등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수업도 목요일 이외에 학생들이 모이는 것은 쉽지 않다.

고급반과 중급반의 경우는 한국 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우수

학생 면접에 참여했던 수강생이 현재의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의 고급 수준의 한국어와 한국 문

화 교육이 없는 것을 아쉬워할 만큼 심도 깊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았으며,

K-pop의 열풍과는 또 다른 관심을 보였다.

현재 진행 중인 한국 문화 교육은 주로 수업 가운데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를 포함하는 형태

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영화 감상이나 노래 학습, 구연동화 속에서의 한국 문화 체험이 이루

어진다. 서예, 국악 아카펠라 등의 전통 예술 문화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진 바 있다. 15주 단위

학기말에는 마지막 수업에서 각 반의 발표회 형식으로 공연이 있으므로 이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수업 방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는,

먼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 1935~2003)가 지적한 바와 같이 오리엔탈리즘의 영

향, 중국인 등의 아시아 이민자들의 높은 비율, 미국 서부의 전반적인 아시아에 대한 높은 관심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란 동양이 서양인의 정체성을 확립

Page 9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67

해 주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며 열등한 동양이 존재하기에 우월한 서양이 존재한다고 생각한 주

장이다(Said, 2007). 그러나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의 지식인들 사이에 동양에 관한 신비

주의적 관심을 불어넣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관심은 아시아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을

요구하는 경향을 만들어 냈다. 더욱이 샌프란시스코의 경우 금문교의 건설 당시 이민해 정착한

중국인들의 비율이 매우 높고, 태평양과 연접한 지리적 요인으로 아시아에 관한 관심이 미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도 이러한 영향 아래 놓여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 학생들의 연령이나 인종, 직업 등의 분석을 보면, 다른 지역에 비

해 3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직업도 학생보다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으며, 한인과 관련된 가족 관계와 대등하게 중국인과 관련된 가족, 친구 관계가 매우 높은 것

을 알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높은 중국인의 비율로 인하여 아시아 문화 전반에 높은 관심과

이해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그중에서 개인적인 이유, 예를 들어 중국어보다는 한글이 배우기

쉽다거나 가족 중에 한국과 관련된 사람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세종학당을 다니고 있는 수강생

이 많다. 따라서 아시아 문화 전반에서 한국 문화의 위치와 가치 등에 관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

하다. 또한, 다른 세종학당과의 차이점으로는 학생들의 연령대가 비교적 높고 직장인이 많아 활

동적인 대중음악에 관한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세종학당이 빌려 쓰고 있는 건물 자체도 지나친

소음이나 활동에는 제약이 있어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Asian Art Museum이나 San Francisco Symphony 등의 수준 높은 전

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심도 깊은 전통 미술이나 전통 음악의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전시나 공연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준 높은 공연은 세종학당뿐 아니라 샌프란시스코 한인 사회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생들의 한국 문화에 관한 지적인 요구도 많아 심도 깊은 프로그

램을 제공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중국인 등의 아시아 이민자들의 비율이 높은 인구 분포학적 특

성과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으로 한․중․일의 아시아 문화에 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높다. 한․중․일 아시아 문화 중 한글은 배우기가 쉽고 과학적이어서 한글을 배우기 위해 세종학

당을 찾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 아시아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이미 하고 있으며,

심도 깊은 한국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학습자 스스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글 이외에

내용이 깊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게 매우

필요한 사항이다.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온 외국인 면접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와 그 주변인 베이 지역에 한

국 문화를 소개하고 배울 수 있는 기관은 그렇게 많지 않으며, 주로 교회를 중심으로 여름 야영

등에서 일시적이고 단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한국 문화에

Page 9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6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샌프란

시스코가 주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와 인적 요소,

문화 기관을 갖추고 있으므로 샌프란시스코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이 활성화될 경우 그 주변의

넓은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강점은 지역 문화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과 접촉 기회가 많아 차별화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있다. 세종학당이 전시 가능하다고 밝힌 Asian Art Museum이나, 국

악 공연이 가능한 San Francisco Symphony 경우 그 규모나 수준이 매우 높은 곳으로 학생들이

전시나 공연을 통해 성취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샌프란시스코의 예술 대학들은 미국 서부 중에서도 한국 유학생이 많다. 이러한 인력을 강사

로 활용할 경우 전문적인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회화나 영상, 음악 계통의 유학생들

이 많아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약점으로는 학생의 대부분이 직장인이어서 수업 시간 이외의 별도

의 시간을 내기는 어렵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따라서 한글 수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제시될

수업 내용이나, 별도의 고급반을 위한 한국 예술 문화의 심화 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며, 학기

말 발표회의 기회를 적절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기대 효과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 심도 깊은 문화예술교육이 실행된다면 현지인, 이민자, 유학생의

활발한 교류를 통한 한국 문화 교류의 거점으로 세종학당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

다. 샌프란시스코의 문화예술교육은 미국 내 아시아 문화 중에서 한국 문화의 특성과 가치를 알

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실제로 샌프란시스코에 소개되는 아시아 문화는 일본과 중

국의 예술품이 대부분이며, Asia Art Museum에 전시되어 있는 한국의 예술품은 매우 적고, 수

준 높은 작품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세종학당의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한국 문화만의 특성과 가치에 대해 미국 내에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 주변인 베이 지역의 교회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한인 사회의 중심부로

서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주변 지역에는 많은 한인들이

거주하지만 실제적인 한국 문화교육이나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곳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될 경우 샌프란시스코뿐 아니라 그 지역을 아우르는 효과를

Page 9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69

볼 수 있다.

한류의 열풍으로 미국 내에 한국에 관한 긍정적인 관심이 높은 시기에 효과적이고 적절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발과 실행은 한국의 국가 인상과 한국 문화를 구체적이고 긍정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대중적인 현대 문화

보다 깊이 있는 전통 한국 문화에 관한 요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종학당의 학당장 면접에

서도 ‘탈춤, 판소리를 배워서 한인의 날에 발표하기’, ‘국악 아카펠라를 배워서 San Francisco

Symphony 와 공연하기’, ‘서예 수업과 한지, 부채를 활용한 예술 활동을 통해 Asian Art

Museum에서 전시하기’ 등 질 높은 수업과 수준 높은 발표의 연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성향이 학구적이어서 신체 활동이 적극적인 대중문화보다 정적인 문화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업의 내용은 전통 미술과 전통 음악에 바탕을 둔 깊이 있

는 한국 예술 문화의 제시가 적당해 보인다. 예를 들어 한국 회화의 전통 미의식 중의 하나인

문인화의 정신을 소개하면서 간단한 사군자를 배워 부채에 그린 후 Asian Art Museum에서 전

시하기 등의 수업을 제시할 수 있다.

수업의 구성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처음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초급 학생

을 대상으로 하는 1~2주 정도의 단위로 구성된 깊이 있지만, 간단한 실습 내용을 포함한 수업

의 구성이다. 둘째는 한글의 고급 단계로 한국 문화의 깊이 있는 체험을 한 학기 동안 지속적으

로 체험할 수 있는 수업이다. 이 수업은 한글을 오래 배운 학생들의 경우, 고급반이 없어서 아

쉽다는 우수 학생과의 면접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초보 단계의 수업은 1~2교시 단위로 구성하

여 4~5개 정도를 제공하는 것이 적당해 보이며, 고급반의 경우 한 학기 동안 진행되는 내용으

로 2~3가지 정도로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경우 Asia Art Museum 등 주변의 아시아

와 관련된 고급 발표 장소를 감안하여 수준 높은 수업을 제시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또한, 이

러한 심도 깊은 수업을 위해서는 지역의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깊이 있는 문화예술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급반을 위한 프로그램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초급반을 위한 수업 내에 진행될 프로그램들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별도의 교육이 어려운 점과, 한글 수업에 관한 열정이 많아 한글 교육

에 깊이를 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점을 감안하여 한글 교육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 이미 실행된 바 있는 서예에 관한

심도 깊은 프로그램으로 한글 교육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민화

Page 9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7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작업을 통한 한글의 상징적 의미 교육 등이 이루어지는 식으로 한글과 간단한 한국 문화, 예술

체험이 직접적으로 연계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고급반을 위한 프로그램

고급반에 있는 학생들의 경우 더 이상의 고급 과정이 없는 것을 아쉬워하고 있는 현 실정에

서, 한국 문화와 예술을 중심으로 심화된 고급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은 샌프란시스코 세종학

당의 교육 과정을 심화하고 체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고급반 프로그램의 경우 한국

전통문화의 다양한 분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회화, 서예, 공예, 국악, 영상, 대중음악, 전통 무

용의 다양한 분야를 2~3주 정도의 분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분야가 가지는 전통적이고

심도 깊은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낼 정도로 작업하여 전시하거나 공연하는

등의 활동을 하면 파급 효과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진경산수의 부감시, 화첩 형식,

시서화 일체 등은 어려운 내용이 될 수 있지만, 이를 화첩 만들기, 화첩을 중심으로 이미지 만

들기, 이미지 모아 진경산수 만들기 등의 구성으로 흥미롭게 편성하면 깊이 있는 한국의 조형

의식을 체험하면서 좋은 작품으로 전시할 수 있는 효과까지 얻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각 분야

에 걸친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학기 말 발표회를 위한 프로그램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학기 말 발표회가 열린다. 각 반이 발표를 하게 되는데 이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제시할 경우 활용도와 참여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의 프로그

램은 수업 중에 조금씩 연습하여 이룰 수 있는 공연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현 강사진이 소화할

수 있는 내용과 수준이 적절할 것이다. 공연과 결합하여 효과적인 한국 전통 예술을 연계하여

개발하고 제시하면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라.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

현황

웨이하이(위해, 중국어: 威海, 병음: Wēihǎi)는 산둥 반도의 동쪽에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

러싸여 있어서, 북․동․남쪽은 황해에 면해 있고, 북쪽 방향은 랴오둥 반도와 가깝고, 동쪽 방향은

한반도와 아주 가깝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중국 내 18개 세종학당 중 한 곳으로, 산동 대학교

위해 분교로 2008년 11월에 개원했다.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이하이는 한국 교

민, 한국 기업이 상당수 진출하여 한중 양국이 공존하는 곳이다. 따라서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 한국어 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다. 현재 웨이하이에는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한

국 문화 테마파크가 건설 중에 있다.

Page 9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71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1년 2학기 구성으로 1학기는 2월 말부터 6월까지, 학기는 9월부터 12

월까지 운영된다. 현재 초급 7개 반, 중급 1개 반 총 272명의 학생에 10명의 강사가 수업을 담

당하고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학기별 3회 한국 문화 특강을 하고 있으며, 한국어 말하기

노래 대회나 한국 문화 체험 행사 등을 연 2회 개최, 한글날 기념 백일장도 연 1회 개최하는

등 문화 행사가 다양하며, 주말 사물놀이반을 운영해 각종 행사에 초청되어 공연을 하고 있다.

수강생은 20~29세가 주를 이루고, 현지 한국 교민과 교류를 하거나, 한국 기업에 취업하기 위

해 수강하는 학생이 많다. 한국 드라마, 음식 등 한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여성 수강생이 압

도적으로 많아 감성적인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대중음악이나 전통 공예를 배우고 싶어 한다. 특

히 웨이하이 지역 내 한국인의 수가 3만 명에 달하는 만큼, 한국 문화와 중국 현지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생활 속의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1996년 최민수, 하희라 주연의 텔레비전 드라

마 〈사랑이 뭐길래>가 CCTV에서 방영되어 기록적인 시청률(4.2%)을 올리면서 시작되었다.

1997년 한국 음악을 소개하는 ‘서울음악실’ 방송을 통해 시작된 한류 열풍이 1998년 말 NRG,

클론 등 한국 가수 공연을 계기로 ‘폭발’했다. 그 이후, 1999년 국내 인기 드라마 <별은 내 가

슴에>가 중국에 소개되어 인기를 얻으면서부터 중국 내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시작되었다.

‘한류(韓流)’는 중국인들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광을 표현하기 위해 2000년 2월 중국 언

론이 사용한 말이다. 이후 한국 대중문화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타이완, 홍콩, 베트남, 타이, 인

도네시아, 필리핀, 몽골 등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드라마와 가요,

영화 등의 대중문화뿐 아니라 김치, 고추장, 라면, 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에 대한 선호 현

상도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한류 바람에 힘입어 웨이하이 지역은 2010년을 기준으

로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등 약 1,500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약 3만 명의 한국 교민

과 600여 명의 유학생이 생활하고 있다. 연간 한국인 관광객 수는 약 60만 명 안팎이다. 이처

럼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은 한국 교민과 한국 기업이 상당이 많으며 한국과도 지리적으로

아주 가깝다는 점이다. 자연스럽게 한국어의 수요도 높을 수밖에 없다. 그와 더불어 한국 문화

에 대한 관심도 상당히 높게 조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사물놀이 교육에 집중하여 지역에 한국의 소리가 울려 퍼지는

데 많은 공헌을 했다고 자부할 정도로 다양한 활동을 해 왔다. 그리고 서예 전시회, 한복 입기,

김치 만들기 등 한국 전통문화를 중국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웨이하이

세종학당 수강생들은 대부분이 직장인과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어 낮 시간 동안 시간을 내어

문화 수업에 참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그러나 저녁에 진행되는 수업에는 참여도가 높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상황이다.

Page 10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7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경우 한류의 영향과 현지 한국 기업의 활발한 기업 활동과 취업 등으

로 한국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한국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 한글을 배우는 젊은이들이

많이 있다. 한류의 원산지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서는 한국 문화 자원에 대한 관심이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한국 드라마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과 사랑은 한국 내에서의 관심

과 사랑을 넘어선다. 중국인들은 K-드라마를 통해 한국을 배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한국의 문화적 생태를 드라마를 통해 배우고 있고 동경하고 있다. 특히 드라마 속에 비친

한국의 예절에 깊은 관심과 존경을 표하고 있다. 아마도 과거에는 중국에도 있었는데 지금은 사

라져 버린 예절 문화에 대한 그리움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K-드라마와 더불어 한류의

원조이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극대화되고 있는 K-pop은 웨이하이 지역뿐 아니라 중국 전 지

역에서 초미의 관심사다. 예전에는 노래 자체를 즐겼다면 지금은 노래와 춤을 동시에 즐기는 형

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시기를 적절히 활용하여

한국 예술 문화 교육을 시행할 경우 한국어 교육의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중국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배경으로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생활 문화에 관한 관심은

상당이 높다. 그중에서도 한국 문화는 그들에게 특별히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드라마, 영화,

K-pop에 관한 관심은 점차적으로 전통문화인 사물놀이, 탈춤, 전통 놀이, 서예 등으로 그 깊이

를 더해 가고 있다. 웨이하이뿐 아니라 중국 전역에서 한국 문화는 자랑스러운 아시아의 선진

문화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한다면 현지 교육

수요자들에게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형성된 한국 문화에 대한 긍

정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한글 교육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면 한

국 문화의 자긍심을 웨이하이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중국 전역에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강점은 한국에서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기업과

교민들이 상당수 진출하여 ‘코리아타운’이 형성될 정도로 한국 문화가 많이 노출되어 있다는 것

이다. 약 272명의 등록 학생과 10명의 강사진 등이 활발하게 한국어와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

고 있다. 그리고 ‘한중 우호 한마음 잔치’ 행사를 지역이 주축이 되어 시행하고 있을 정도로 현

지 문화와 한국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학기별 문화 특강과 더불어 다채로운 문화 행

사를 주관하고 있다. 주말에는 사물놀이반과 같은 특별반을 운영하여 주중에 배우기 힘든 문화

예술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주중 저녁에 주로 수업을 진행하고 많은 학생

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

한 실정이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이 처한 상황의 특성상 기본적인 한국 문화 행사가 자주 마련되

Page 10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73

어 있어서 학생들은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 생활 문화 행사(설날, 한가위, 한글날 등)

를 한국에서처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중행사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경우 많은 효과와 참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에서 주최한 한국 문화 행사에서 송편 만들기, 김치 만들기 등의 인기가

높았다. 줄을 서야 할 정도로 인기를 높았는데, 그것을 준비하면서 사람들에게 보여 줄 문서 자

료를 구하기가 너무 어려웠다고 한다. 인터넷으로 자료를 제공하여 강사들이 쉽게 뽑아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유팩같이 현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첨성대 만들기를

얼마든지 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품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길잡이 같은 것을 개발하여 각 언

어별로 제공하면 강사들이 언제든지 인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지 공예 같은 것도 간단

한 설명 자료를 개발하여 자료실을 구축해 놓으면 현지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자료실 제공은 심도 깊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자료 수급이 어려운 현지 상황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기대 효과

누구나가 인정하듯이 중국은 한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고 중국을 중심으로 주변 국가로

점진적으로 확산되었을 정도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극대화되어 있다. 한국과 한국

기업,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웨이하이는 지역적으

로도 한국과 가깝고 한국 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취업을 위해서라도 한국어 교육이 필

요한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 문화 교육을 시행할 경우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이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한글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

어 한글 교육과 연관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수강생들의 참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

된다.

서예 전시회를 한 번 개최했는데 한글이 참 아름답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한글

을 통한 세계 전파,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

로…. 사물놀이나 부채춤, 소고춤 같은 우리 전통문화 교육을 통한 공연… 현대적

인 태권도인 태무 추면 굉장히 멋지거든요. 한국 문화가 전파되면 한국 문화 강사

가 전 세계적으로 고용이 창출되는 효과도 있고 한국의 얼도 알릴 수 있는 부수적

인 효과도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세종학당

관계자 FGI 중 중국 관계자)

위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한국 드라마와 K-pop 등 대중문화에 국한된 관심에서 벗

어나 한국의 고유한 전통문화에까지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심도 있는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할 경우 현지 수강생들에게 더 깊이 있는 관심과

Page 10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7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웨이하이 세종학당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연중행사를 교육과

접목하여 실행한다면 다양한 기대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프로그램은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교육 과정에 맞게 매주 토요일 특별

강좌를 개설하든지 저녁에 16주 정규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웨

이하이 세종학당은 정규 교육 과정으로 1년에 학기별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체제가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 일정을 고려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야 효율적인 진행

이 가능할 것이다. 16주 정규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거나 16주를 4주 혹은 8주로

나누어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매주 토요일은 자체적으로 문화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만약에 단기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효과를 보기 위

해서는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적합하다는 의견이다.

서예 교육을 통한 서예 전시회를 개최, 사물놀이나 부채춤, 소고춤 같은 한국

전통문화 교육을 통한 공연, 현대적인 태권도인 태무 교육 및 공연, K-pop, 비보

이, 난타, 아카펠라 등 일주일이나 열흘 정도 연습하여 공연이 가능한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 등을 선호하고 있고요…. (세종학당 관계자 FGI 중 중국 관계자)

한국 기업들의 활동과 한국인들의 거주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노출시키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중국의 젊은이들이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과 기타 프로그램에 대해 큰 기대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모든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경향은 비슷해 보이지만,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전통

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고 생각된다.

드라마와 영화 감상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기

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자원이다. 현지 젊은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드

라마를 이용하여 드라마의 한 부분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는다. ‘드라마 한국어’, ‘영화 한국어’

등의 수업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대

장금>의 일부 장면을 보여 주고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학생들이 역할을 나누어 한국

어로 연기를 하여 한국어를 익히고 이를 연습하여 역할극을 무대에 올릴 수도 있으며, 영상으로

만들어 상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체험하게 되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K-pop 노래와 춤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Page 10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75

K-pop은 드라마와 함께 한류를 이끈 문화 콘텐츠이다. 이미 한국어로 노래하는 것이 어색하

지 않을 정도로 K-pop은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K-pop

을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으로 만들면 노랫말 알기와 따라 부르기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

국어와 현재의 한국 문화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노래 따라 부르기와 함께 흥겨운 춤 따라

추기도 병행하면 수강생들이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참여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학습자끼리 노

래 부르기 대회를 개최하거나 춤 경연 대회를 개최하여 학습자들의 참여를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K-pop을 배우고 난 후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를 하고 서로 감상하는 기회를 갖는다면

한국 문화에 대해 거부감 없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한글 서예 쓰기를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자신의 이름을 한국어로 써 보는 서예를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어도 익히고 한국의 서예도

익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 이름을 잘 쓰게 되면 ‘이름 꽃 만들기’ 수업에서 한글 이름을 한국

화와 접목시켜 ‘꽃 그림’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아름다운 시를 한글로 써 보기 수

업은 한국의 시와 한국어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최종 결과물을 전시하여

수강생들에게 뿌듯함을 안겨 주는 기회도 제공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업이

될 것이다.

중국 현지 문화와 연계하는 ‘탈춤’ 프로그램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한중 우호 한마음 잔치’를 통해 사물놀이를 길거리에서 공연할 만큼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 크다. 깊이 있는 한국의 전통문화에 관심이 많으며 이러한 수요

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지에서 한국 문화를 알리고 전

파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현지 문화와 연계하여 교육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중국의 ‘경극’과 한국의 ‘탈춤’을 연계하여 학습할 경우 학습자가 흥미롭게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전통문화인 ‘경극’과 ‘탈춤’의 접목은 현지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모든 세종학당이 한국 문화 교육에만 집중하다 보면 현지

인들에게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는 역부족이다. 융복합 시대에 문화 예술 또한 다양

한 방법으로 융복합 교육을 실시하여야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를 사랑하게 될 것이

다. 그러한 측면에서 현지 문화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세종학당의 미

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Page 10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7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마.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현황과 특성

현황

터키 국민은 이슬람 문화와 오스만 제국의 영광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히 크다. 터키는 이슬

람을 상징하는 대표적 국가이지만, 기독교 문명을 대표하는 유럽에 편입되어 유럽 공동체(EU)

의 회원으로 가입되기를 수년전부터 갈망해 왔다. 터키 국토의 서북쪽은 러시아 등 유럽 국가들

과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동남쪽으로 광대한 영토가 펼쳐져 있고 인구의 대다수가 동남쪽에 모

여 있어 터키의 수도인 앙카라도 아시아 쪽에 있다. 이처럼 동서양 문명의 교차점이자, 글로벌

기업들의 경연장이기도 한 터키에서 한국 기업들이 최근 들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2010년 이후 현대 차가 내수 시장 1위에 오르며 터키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고,

LG전자는 현지 합작사를 통해 2009년 이후 에어컨 시장의 55%를 점유, 사실상 시장을 평정했

다. TV 부문에서도 LG전자와 삼성전자는 현지 토종 업체와 네덜란드의 필립스, 일본의 소니를

누르고 판매 1, 2위를 다투고 있다. 최근에는 원전 건설과 방위 산업 부문까지 우리 기업의 진

출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 외에도 최근 5~6년 사이 CJ, KCC, 대양금속, 현대로템, 효성 등이

유럽 시장을 겨냥하여 단독 진출 방식으로 터키에 둥지를 틀기 시작한 상태이다. 최근 한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것도 한국 기업 진출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더

불어 한국에서 학부, 석사 과정을 공부하고 터키로 돌아가 한국 기업에 취직하기를 원하는 터키

의 젊은이들이 늘어나는 현상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기업의 진출에 따른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은 기본적으로 그들이 갖고 있던 아

시아적인 감성과 합쳐져, 현재 터키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가수들의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종학당이 한국어 교육뿐 아니라, 한국 문화 교육을 병행한다면, 터키 내에서 한국의

위상과 인지도를 높이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거점으로서 자리매김해 나

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쟁 참전으로 ‘형제의 나라’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이다. 또

한, 터키어는 한국어와 같은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어순이 같기 때문에 한국어를 쉽고 친숙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들은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한국 문화 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이점이

될 수 있다. 반면 엄격한 이슬람 국가인 터키에 한국 문화를 전파하기 위하여서는 우선적으로

이슬람 문화에 대한 일정 정도의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것들이 무엇인지 반드시 미리 숙지해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에서도 종교적, 문화적 갈등을 불러

일으킬 만한 요소를 제거하고 신중하게 내용을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 문화의

경우 조심스럽게 접근하여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Page 10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77

터키는 지리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의 접경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는 유럽인이라

고 생각하고 있지만 동시에 아시아적 감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한국인들의 친절에 감사하고,

동양적 예절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러한 그들의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소가족 중

심의 개인주의보다는 대가족 중심의 포용성을 더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사회이기도 하다.

터키의 노동력은 80~90년대 이전까지 대다수 독일로 유입되었지만, 현재에는 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진출하는 다국적 기업들로 인해 이전과 다른 경제․산업 구조를 만들어 나가고 있

다. 최근 더 많은 한국 기업이 유럽 시장의 창구로서 터키에 거점을 확보해 놓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증대시켜 놓았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일

일 것이다. 이는 한국 기업의 성장에 힘을 실어 주고 날개를 달아 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한국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

국가 상표 가치를 높여 한국 경제의 힘을 더욱 성장시키는 결과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를 통하

여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국가 경쟁력과 상호 문화 교류의 원천이 만들어질 수 있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터키의 강점은 지리적 위치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 문명의 교차점이자, 글로벌 기업들이 포

진한 도시이기도 하다. 앙카라에서 성공적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수행한다면, 이후 전 세계적으

로 넓게 파급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터키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성공적인 사례

는 추후 다른 이슬람 국가와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문화 교류를 시작할 수 있는 길

을 열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터키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은 이미 진출한 한국 기업들과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점에서, 거시적으로 경제적인 부가 가치 창출도 기대해 볼 수 있는 부분

이다. 이에 반하여, 이슬람 문화와 종교가 가지고 있는 일면 배타적인 성격을 잘 이해하지 못하

고 섣불리 공격적인 한국 문화 교육의 진출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역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따라

서 터키 문화와 종교를 대하는 데 있어 신중하게 프로그램을 검토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 전쟁 참전 등 역사적 관계성에서 출발하기

한국 전쟁 참전으로 인하여 한국과 친밀한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가족이나 어른으로부

터 한국 전쟁 참전 이야기를 들어 와서, 젊은 사람들도 한국을 낯설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

다. 따라서 한류 등 최근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전통에 대

한 호기심도 높다. 드라마나 영화를 이용하여 흥미를 잃지 않고 한국어 심화 학습을 실시하도록

Page 10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7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하고,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한국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게 해 보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터키의 국영 방송에서 방영된 드라마와 한국의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통하여 전통 문화 예술과 역사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공예품 만들기

유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한 예절에 대해 설명하고,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발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한국 문화의 사상적 배경을 보다 친숙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색종

이 혹은 한지로 한복을 만들어 보고, 동양적인 염색과 무늬의 끈과 옷감을 이용하여 전통적 공

예품(컵 받침, 식탁보, 손수건 천연 염색 등) 등을 만드는 체험적인 공예 활동을 활용한다. 프로

그램의 결과물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문화 교육이 끝난 이후에도 오래도록

한국 문화에 대한 기억을 지우지 않고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부채 위에 간단한 붓 그림

으로 멋글씨를 쓰거나 수묵화 등으로 표현하고, 이를 직접 사용하거나 선물하여 주변에 한국 문

화를 알리는 메신저 역할을 담당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좋은 결과를 얻어 낼 것이다.

대중문화의 활용

K-pop 노래를 따라 부르고 같이 공부한 학습자끼리 대회를 열어 한국 발음에 가장 가까운

사람을 선정하는 등의 경연 대회식의 교육은 언어 학습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좋은 주제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K-pop 춤을 배우고 이를 UCC로 만들어 서로 감상하며 즐겁게 한국 문

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면 지루하지 않게 한국어를 익히고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바.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의 특성

현황

케냐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과거로 인해 한국과는 완연히 다른 문화를 형성하고 있고 아시아

자체에 관심조차 없었던 지역이었다. 케냐 지역에 선교를 위해 건너간 선교사들을 계기로 한국

에 대하여 조금씩 알게 되었다. 현재는 한국에 대한 정보도 과거에 비해 많아지고 무엇보다 한

국 드라마가 방송되면서 한국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방송이 보여 준 한국의

발전상과 기술적인 위상들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반 케냐인들이 한국에 쉽게 유학을 오거나 여행을 올 수 없으므로 한국에 대해 공부하고

정보를 얻어서 가능한 장학금을 받아 한국에 유학 오고자 하는 젊은 케냐인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 대한 정보가 한정적이고 전혀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현지에서 얻은 정보

가 극히 제한적이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한국에 와서야 본인들이 생각하는 한국과

Page 10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79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고 한다.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학업을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가면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매우 높다 보니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세종학당에도 많은 관심이 모이는 상황이다.

케냐 세종학당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한국을 잘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으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은 있으나 악기를 구할 수 없는 등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관심에 비해 정보가 부족하며 자료 관리의 체계화

가 필요하다.

한국과 거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한국적인 재료나 악기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하드

웨어, 소프트웨어의 자원을 원활히 제공받기가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케냐 세종학당은 케냐의

젊은이들에게 한국의 우수한 문화를 알리고 아프리카의 관문인 케냐에 우리 문화를 깊이 접목

하여 궁극적으로 양국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아시아에서 중국에 편향된 케냐의 정치 경제에 한

국이 뿌리 깊게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케냐 세종학당은 한국어 교육에 치

중하지 않고 한국 문화라는 전체에 예술 문화, 생활 문화 등 전반을 다루려고 노력해 왔다는 특

성을 가지고 있다.

케냐 인들은 감정 이입을 잘하고 격동적 동작이나 리듬감이 매우 강하여 문화예술교육 시

국악이나 탈춤 등 움직임이 강한 프로그램의 호응도가 높을 듯하다. 또한, 한국 전통 한복을 활

용한 공예 예술 등이 적합한 프로그램이라 생각되며 한국의 가면무용에 가야금, 아쟁, 피리 등

의 고유 악기와 케냐의 격동적인 춤과 연계를 한다면 많은 호응을 얻어 낼 수 있으리라 기대된

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케냐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해당 교육 기관의 교육 철학과 목표와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케냐 현지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정의와 상황을 인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에 단선적인 구조가 아닌, 입체적인 구조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주요 쟁점은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지속력을 높이고 다중 매체 교재 개발 및 교사 지침서 개발이 시

급하며 내용적으로는 내용의 단순성, 문화 항목의 선형적 제시, 현지화의 문제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시범 사업이 끝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하더라도 지속적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개

발이 이루어져야 케냐 현지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케냐 세종학당의 문은 현지 일반인 모두에게 열려 있어야 하며 교육의 전개 방식에 있어서

일방적이 아닌 케냐의 문화를 존중하고 상호 교류하고자 하는 문화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Page 10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8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케냐는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의 관문 역할을 하며, 여러 나라 중 핵심적인 위상을 보여주는

국가이다. 따라서 케냐에 한국을, 한국 문화를 알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케냐 세종학당이 예술을 통한 일방적인 문화 소개가 아닌 상호 이해와 문화 다양성 존중을 지

향하며, 전문 기획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대상국 간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 예술을 주제로 또는 매개체로 활용하여 국제 사회에 있어 국가 이익의 옹호,

증대를 추구하는 외교의 한 영역으로서 자국의 이미지를 세련되고 긍정적이게 고양시키려는 노

력이 가능하다.

문화 예술과 외교라는 복잡, 미묘한 영역의 합작을 통해 특정 국가의 현실적 목표를 성취하

는 고도의 수단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인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마땅히 수행해야 할 순수한 과

제라는 측면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상대의 문화를 깊게 이해함으로써 문화

전반을 효과적으로 엮어 내어 이것이 자연스럽게 세계에 대해 한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

는 역할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문화를 통하여, 상대방의 문화와 자국의 문화가 함께 발전할

수 있어 국가 간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다.

기대 효과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 증진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수 있으며 예술로 정서적

공감이 가능하여 학당 밖으로 한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와의 접목을 통하여 문화를 주고받는 시간이 될 수 있으며 한국

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학습 중 자연스럽게 자국 문화와

한국의 생활 문화 저변의 가치(가족, 예절, 친절, 존중)의 비교는 매우 흥미로운 관점이 될 것이

며 한국어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케냐 현지 학습자들에게

정확하고 심도 있는 학습 단계를 제공할 수 있어 한국의 과거, 현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화의 발전 단계

로 볼 때 동아프리카 문화 교류의 거점으로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격동적 동작, 강한 리듬을 좋아하는 성향

한국 어울림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전통 가면무용, 탈춤 등이 현지 정서와 만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케냐의 격동적인 전통 민속춤과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에 의한 문화 연계가 가

능하다.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의 도구로 탈 공예, 한삼, 탈춤, 한복, 가야금, 아쟁을 이용

하며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Page 10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81

케냐 문화와의 만남을 시도하여 자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도 높이고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호감을 유발시킨다. 한지를 이용한 탈 공예, 한삼에 아프리카 문양 그리기, 한국 전통 탈춤 동

작을 케냐 전통 춤과 연계하여 배우고 재해석하기, 만든 탈과 한삼을 이용하여 탈춤 공연용 이

야기의 줄거리 기획하기, 공연하기 등 다양한 형태로 수업이 가능하며 수업의 난이도에 따라 초

급, 중급, 고급의 수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새로운 미의식의 발견

미국, 유럽과는 다른 한국의 미의식, 아름다운 자연의 영향 아래 발전되어 온 옛 어른들의

슬기롭고 은근한 미가 있는, 우리나라의 자연 풍토에 따라 발전해 온 한국의 미에 대해 알아보

는 시간을 가져 본다. 사군자 따라 그리기, 부채에 먹으로 그리기, 먹과 한지를 이용한 멋글씨

쓰기, 학습자의 이름을 한글로 써 주고 따라 쓰기 등을 통해 먹과 한지의 번지는 느낌, 붓글씨

의 매력을 느끼게 한다. 다시 말해 한지에 번지는 먹의 느낌은 한국의 미를 잘 표현하는 것임을

느끼게 한다.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한글이 그림처럼 보이는 것을 이용하여, ‘홋’ 자는 모자 쓴

사람으로 보인다든지 하는 등으로 한글을 유형화하여 새로운 그림을 완성하게 한다. 한글에 대

한 친근한 이미지를 주고 자연스럽게 한국적 정서를 느끼게 한다.

한류를 이용한 전통과 현대

사극 드라마나 사극 영화 속의 다양한 한복 의상에 대한 학습과 한복, 전통 예복 입어 보기

체험, 옷고름 매는 법, 큰절하기, 다도, 한국인의 예절 등 한국 전통 생활 문화를 이용하여 한국

배우기가 가능하다. K-pop 따라 부르기, K-pop 춤 연습하고 경연 대회, 현대 드라마의 일부분

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아 역할극을 통한 언어 체험 등은 한국어를 따라 하면서 한국에 대해

친숙해지게 하고 학습 의지를 고취시킨다. 한국의 전통 놀이(비사치기, 투호, 주사위 놀이, 팽이

치기, 제기차기, 공기, 구슬치기, 알까기, 오목 등)와 한국어로 된 놀이를 즐기면서 한국의 정서

와 재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Page 11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1. 매뉴얼 개발 방향

2. 매뉴얼의 구성

3. 지역별 매뉴얼의 내용

4. 매뉴얼 활용 방안

Page 11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83

Page 11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8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

1. 매뉴얼 개발 방향

본 연구의 기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하노이, 영국 런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하

이웨이, 터키 앙카라, 케냐 나이로비의 6개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 실행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방법과 절차에 따라 지역의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

였지만, 국내에서 현지의 구체적인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매뉴얼에는 지역에 보다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를 통해서 그 과정을 보여 주고, 이후 유사한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

한 현지의 관심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 지역화 된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갈 수 있도

록 안내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매뉴얼에 제시된 지역별 프로그램은 현지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는 기본 골격이라고 할 수 있다. 상세한 지도안이 아닌 지역 세종학당에서 수립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와 이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요, 핵심 개념, 교수ㆍ학습단계 등을 개괄

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지에서 매뉴얼이 제안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세부적인 내

용을 덧붙이고, 수강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하여 자율적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매뉴얼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을 실행하여 세종학당이 추

구하는 본래의 교육적 목적을 보다 충실히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에 초점을 맞추었다. 보다 생생하고 역동적인 한국문화교육 방안으로 한국의 문화와 예술에 주

목하였고, 현지의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실행가능 하도록 하는 교육프로그램 틀을 개발

하고자 한 것이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은 지역과 현지 세종학당을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실행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지역별로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 개

발에 앞서 지역의 특성을 살린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하여야 하며, 어떤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여섯 가지 기본 방향에 따라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첫째, 상호 국제 문

화 교류를 목표로 한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에 따라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경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각 지역 세종학당 수강생 요구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Page 11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85

자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학습 주제 및 콘텐츠를 제시한다.

넷째,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을 핵심 용어를 통해 명확하게 제시하여,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섯째,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 수록

한다. 여섯째, 매뉴얼에 제시된 프로그램의 실제 운영 사례를 상세하게 기술하여 세종학당에서

의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구체화한다.

2. 매뉴얼의 구성

가. 매뉴얼의 주요 내용

매뉴얼에서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수강생들과 한국으로

의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 비유하고, 이를 위한 계획과 실천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총 5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 2장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및 운영

2장에서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고려하고 점검

하여야 할 사항들을 소개하였다. 매뉴얼은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가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의 설계자이자 공동 개발자라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즉 외부 전문가에 의해 완전히 구성된

대본을 그대로 따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전문 기관, 예술 강사, 세종학당, 한국

어 교육 강사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에 참여하게 될 다

양한 주체들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공유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방향과 원리

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2장에서는 한국 문화로의 여행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 분명한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세

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목표를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한국 문화 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교수요목을 소개하였다. 이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어떤

방향에서 접근하여야 하며, 어떤 내용과 단계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

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 3장 경험 만들기 I: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3장에서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여러 세종학당에서 공통으로 활

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공통 프로그램은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며, 4장에서 제시된

Page 11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8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지역별 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기초 활동으로 구성된다. 세종학당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간단한 활동을 통해서도 한국 문화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문화 체험이 가능한 교육 내

용을 주로 다루었다. 또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핵심 용

어를 한글과 영어로 제시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표 Ⅳ-1〉 공통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이름 수준 주요 내용

바람에 실린 시:

한글 시로 부채 만들기기초

문인화는 그리는 사람의 인격과 학문이 그림에 그대로 드러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그림과 시를 동일한 정신성의 표현으로 간주하

는 한국 문인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체험한다.

한국의 문화:

영화로 만나는

한국 문화의 이해

기초

전통과 현대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한국 영화를 감상한다. 영화에

서 찾아 볼 수 있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다양한

한국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한다.

흥겨운 노래와 몸짓:

전통 민요와 장단기초

한국 전통 민요의 장단과 가락을 익히고, 한국인의 흥과 자연스러

운 몸짓을 체험한다.

제 4장 경험 만들기 II: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4장에서는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 세종학당의 특성과 각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강약점, 기대 효과, 프로그램 개발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세종학당에서 지역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세부 목표를 수립하고,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을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각 프로

그램의 핵심 용어를 한국어와 현지어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개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제 프

로그램 운영 시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참고 자료를 수록하였다.

각 지역의 세종학당은 지역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이 각각 두 개씩 개발되었다.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은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기존의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한가위-달에게 기원하기: 강강술래’와 한국의 문양과 일상

을 소재로 한 ‘뚜껑을 열어 일상의 담다: 한지 함 만들기’가 개발되었다.

영국 런던 세종학당은 위치조건상 한국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다수 재학 중이고, 사물놀

이를 지도할 수 있는 교수가 있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전통 악기 강습, 민요 등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한국 절기의 의미와 동지에

Page 11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87

전해지는 풍습을 알아보는 ‘복을 기원하며 새해를 채비하는 한국의 절기: 동기’와 사물놀이 그

룹의 공연을 감상하고 익히는 ‘한국의 장단: 사물놀이’ 프로그램으로 특화되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은 주변의 수준 높은 전시 공간을 활용하거나 공연이 가능한 점

과 학생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지적 요구를 반영하여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산수화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공간을 보여주는 ‘한국화로 보여주는 샌프란

시스코- 도시 이야기’와 대표성 있는 한국문화를 주제로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한국의 색을 영

상에 담다: 한국문화 다큐멘터리’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한류에 대한 높은 인기와 현지 젊은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특화되었다. ‘한국인의 생활 속

으로: 드라마와 한국어’와 K-pop을 통해 한국 젊은이의 감각을 체험하고 문화 소통 구조를 이

해하는 ‘미래의 K-pop 스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고, 한국전통

문화와 터키 문화의 공통점을 통해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

이 개발되었다. 한국의 도자기, 한복, 건축 등에서 나타난 곡선을 이해하는 ‘한국의 선: 곡선의

아름다움’과 한국의 오방색에 담겨 있는 정신과 사상을 이해하고 탈춤을 통해 교감하는 ‘한국의

몸짓: 탈춤마당’으로 구성되었다.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은 한국과 지리상의 물리적 거리감을 서로간의 공유되는 신명과 소리

로 좁히며 서로간의 문화를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그네와 씨름 등을 통해 한

국의 민속놀이를 배우는 ‘신나게 놀자: 한국의 민속놀이’와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인 난타를 감상

하고 이해하는 ‘신명나는 한국 문화: 새롭게 태어나는 난타’가 프로그램으로 특화되었다.

제 5장 추억 만들기: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사례

5장에서는 이 운영 안내서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의 기본 틀에 따라 실행된 문화예술교육 실

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문서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실제를 생생한 경험과 이야기로 서술함

으로써,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어떤 의미와 가능성이 있는지를 구체적으

로 보여 주기 위함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과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실시한 시범

사업의 결과를 중심으로 운영 안내서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적인 교육 활동으로 구현되었

을 때 참여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수업 결과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사례

는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였는지의 육하원칙에 따라 현실감 있는 이야기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수업에 사용되었던 상세 수업 계획, 학습 자료, 활동사진, 예술 강사 소감

문 등을 통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 매뉴얼의 핵심 요소

Page 11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8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 지역 특성화 전략

본 연구는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의 세종학당의 특성을 설문조사와 그

룹인터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각 세종학당에서의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기대효과, 프

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각 지역의 특

성과 목적에 맞는 세부 목적을 수립하고 이에 적절한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핵

심 용어를 한국어와 현지어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개념을 명확히 파

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세종학당의 목표인 상호문화 교류에 부합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일방적으로 공통프로그

램을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실사용자의 목소리와 요구를 반영하여 현지에 필요한 것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부터 한국의 문화를 교육하고 전달하는 것을 넘

어 상호 소통이 가능한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2) 핵심 용어

본 매뉴얼에서는 효, 예절, 절, 한류, 수공예, 한국화, 탈춤, 한지, 문방사우, 신명, 하나 됨,

장단, 즉흥성, 태권도, 한복, 사물놀이, 한, 정, 혼례, 어울림 등 매뉴얼에서 제시한 문화예술교육

을 실시할 때에 다루어야할 핵심 용어를 선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현지어로 번역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핵심 용어의 제시는 예술 분야에 전문가가 아닌 강사라도 해당 프로그램에서 반드시 가르쳐

야 할 주요 개념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예술강사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할 때에 예술의 기술적인 측면 이외에 한국 문화와 예술의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강조하고 이해시켜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사례

세종학당에서 본 매뉴얼의 기본 틀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현지 세종학당 수

강생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운영상의 어려움은 없는지,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지 세종학당에서 실행해 보고 이를

사례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샌프란시스코와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각각 프로그램을 진행하였

고, 각 사례들의 실제적인 운영 과정을 6하 원칙에 따라 구성하여 매뉴얼 안에 담았다. 이를 통

해 전 세계 각 세종 학당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개발할 때 생생한 현장이야기를 듣고 참

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직 낯선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연구된 틀에

따라 실행하고 그 실천 과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age 11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89

3. 지역별 매뉴얼의 내용

가.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하노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세계화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가치를 알리고, 상호 교류하는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깊이 있는 문화적 이해를 도모한다.

첫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이해한다.

둘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전통과 현대의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향유한다.

셋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하노이 세종학당은 젊은 연령층의 수강생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외국과의 문화접촉

이 많은 상태로 현대적이고 세련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다.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

심이 많은 베트남의 특성을 살려 전통과 현대의 문화를 접목하여 보다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그림 Ⅳ-1〉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베트남의 전통문화를 프로그

램에서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함께 접할 수 있다면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Ⅳ-1〉 내용 선정의 범위-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요는 〈표 Ⅳ-2〉와 같다.

Page 11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9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표 Ⅳ-2〉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지역별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수준 주요 내용

한가위-달에게 기원하기: 강강

술래심화

강강술래를 배우면서 한가위 명절의 의미를 이

해하고 한국의 장단과 흥을 체험한다.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

지 함 만들기심화

한지로 된 함을 만들면서 일상생활에 사용된 한

국의 문양과 색을 체험한다.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행사’가 설날, 가정의 달, 한가

위, 한글날 진행되고 있다.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강강술래 배우기 등을 제공하면 한국의

전통 미술, 음악, 무용을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1) 한가위-달에게 기원하기: 강강술래

프로그램 개요

한국의 가장 큰 명절의 하나인 추석, 한가위에는 강강술래를 하면서 달에게 소원을 빌고 조

상에게 감사했다. 한국 명절인 한가위와 강강술래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한국인의 ‘흥’과 장

단이 주는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한가위는 크다는 의미의 ‘한’과 가운데라는 의미의 ‘가위’가 합해진 용어로 가을의 한가운데

가장 큰 명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한가위 명절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손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달을 맞이하였다. 이때 강강술래는 한 해의 기원과 감사를 함께 나누고 서로 하나

됨을 느끼게 하는 마을 축제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따라서 베트남 세종학당의 연중행사 가운

데 하나인 추석에 강강술래를 배우고 여러 수강생이 함께 한다면, 한국인의 정서를 느끼는 것뿐

만 아니라 다른 한국어 학습자들과 교감하고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강강술래의 노랫말은 달에 기원하였던 한국의 민속 신앙을 잘 나타낸다. 세종학당 학습자들

이 한 해 동안 자신의 소원을 담아 노랫말을 제작하고 함께 나누는 과정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연계할 수 있다. 강강술래를 돌 때 처음에는 느리다가 점점 빨라지는 전통 무용은 한국의 장단

인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의 무

용과 장단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강술래는 서로를 등지지 않고 마주 보

며 원을 그리기 때문에 호흡을 같이하는 한국인의 ‘하나 됨’의 문화와 한국 무용의 흥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심화된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세종학당 연중행사의 참여자들이

하나 됨을 체험한다면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이 될 것이다.

Page 11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91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한국의 기원:

강강술래 노랫말

짓기

한가위의 유래와 의미를 배운다.

강강술래 때 부를 노랫말을 4․4조 운율로 지어 본다.

2단계

2~3차시

한국의 장단: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배우기

강강술래의 기본 장단을 배운다.

느리게 돌 때의 진양조장단과 빠르게 돌 때의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배운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하나 됨:

강강술래 돌아

보기

강강술래의 대형으로 원을 그려 돌아본다.

서로 마주 보고 원을 그리며 손을 잡고 돌면서 한국의

하나 됨의 문화를 체험한다.

4단계

6~7차시

한국의 ‘흥’:

강강술래 돌아

보기

노랫말을 덧붙여 강강술래를 돌아본다.

처음에는 느리다가 점점 빨라지는 장단에 맞추어 강강

술래를 하면서 한국의 ‘흥’을 느껴 본다.

학습 목표 및 핵심 용어

첫째, 한가위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고 달의 기원을 담은 노랫말을 제작할 수 있다.

둘째,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의 장단을 배우고 강강술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셋째, 서로 마주 보고 원을 그리며 도는 강강술래를 하면서 서로 하나 됨의 한국의 정서와

‘흥’을 느낄 수 있다.

핵심 용어: 한가위, 강강술래, 흥, 한국 장단, 하나 됨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2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9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지 함 만들기

프로그램 개요

다양한 사물을 보관하기 위한 ‘함’의 문화는 한국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발달해 왔다. 결혼할

때 신랑이 신부에게 보내는 함은 주로 화각이나 나무로 만들었으며, 소품을 정리하기 위해서 한

지로 함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처럼 단순한 상자를 넘어서 함은 그 용도와 재료에 있어 매우 다

양하게 발달해 왔다. 이 과정에서는 한국의 문양을 넣은 한지 함을 제작하면서, 재질감과 형태

를 통하여 한국의 장식적 미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시아에서 공예는 주로 집이라는 작업 환경에서 이루어지면서 여성의 일상과 관련되어 있

다. 베트남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베트남의 공예는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공예 마

을(Craft Village)이라고 불리는 전통 공예 마을이 2,017개에 달할 만큼 발달한 나라이다. 또한

공예는 세계화시대 국제 여행 산업 가운데 하나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쏟는 분야이기

도 하다.

베트남의 공예에 대한 관심을 고려할 때 한지를 활용한 전통 공예 프로그램은 세종학당 수

강생들이 큰 거부감이나 어려움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목공예나

칠기 공예는 베트남에서도 흔하게 접할 수 있으나, 한지는 한국 문화의 독특한 멋을 지니고 있

어 새로운 한국의 미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재료를 다루기가 쉬워서 전문가가 아니라도 다양

한 방식으로 응용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자신의 소중한 물건을 담거나, 소중한 사람에게 선물하고 싶은 함을 제작한다.

학습 목표

첫째, 한국 문양을 담은 한지 함을 제작하면서 한국의 장식미를 경험한다.

둘째, 한지가 주는 재질감을 느끼고 활용하면서, 한지의 특성을 이해한다.

셋째, 함을 만들고 서로 나누면서, 함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이해한다.

핵심 용어: 한지, 함, 한국의 문양, 한국의 색, 한국의 장식

Page 12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93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한국의 함: 한지

상자 만들기

육각이나 사각으로 한지 상자를 만들어 본다.

한국의 함이 가지는 형태적인 장식미를 느껴 본다.

2단계

2~3차시

한지의 멋:

한지 초배하기

상자에 배색을 맞추어 한지를 바른다.

한지가 주는 재질감을 느끼고 한국의 색을 살려 배색하

여 초배지를 발라 본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문양:

문양 만들어

붙이기

한국의 문양이 가지는 특징과 아름다움을 이해한다.

귀면문, 보상화 문양, 모란 문양을 기초로 창의적인 문

양을 제작하여 붙인다.

4단계

6~7차시

일상을 담기:

함에 본인의

소중한 물건

담고 토론하기

한국의 일상 중 소중한 것들을 보관하는 문화를 체험한

다.

본인의 소중한 물건을 담고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프로그램의 단계

나. 영국 런던 세종학당

런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한 가치를 알리고, 상호 문화 교류를 통하여

한국 국가 상표의 가치를 높이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첫째,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인의 삶과 문화에 대한 한국어 학

습자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영국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양국 간의 상호 문화 교류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이 현지 문화와 조화롭게 융합되어

Page 12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9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영국 런던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하여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유럽에 알릴 수 있

는 발판을 마련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런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한국 전통 문화와 전통 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대한 현대적인 재해석을 논의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선정하며, 이로 인하여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활동에 주안점을 둔다.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체험보다는 이해중심의 수업을 진행하며, 예술문화와 생활

문화가 고루 섞인 교육과정을 설계한다. 장기 프로그램으로 정규적으로 운영하며, 초급과정은

교육강사가 심화과정은 전문가가 직접 교수하여, 학습자의 참여기회를 높이는 동시에 자료제공

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Ⅳ-2〉 내용 선정의 범위- 영국 런던 세종학당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국 런던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는 〈표 Ⅳ-3〉와 같다.

Page 12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95

〈표 Ⅳ-3〉 영국 런던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지역별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수준 주요 내용

복조리를 만들며 새해 채비를

하던 날: 동지기초

절기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과 전통 물

품을 알아본다. 팥죽과 복조리를 만들며 한국의

민속 신앙과 정서를 경험한다.

한민족 신명의 가락: 사물놀이 심화

사물놀이 단체의 공연을 감상하고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다양한 악기에 대해 배운다. 한국의

가락을 익혀 지역 공동체에서 공연한다.

*런던은 세계적인 도시이다. 런던의 세종학당은 영국인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사

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전파할 수 있는 최적의 요새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곳이다. 런던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문화 관련 예술 인력들과 협력하여 정기적인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

고, 런던 소재 한국 문화원의 한국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며, 지원을 받거나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복조리를 만들며 새해 채비를 하던 날: 동지

프로그램 개요

한 국가나 민족이 자연적, 계절적, 민속적, 역사적 특징에 따라 중요한 의미를 부여해 큰 행

사와 제사를 지내는 날을 명절이라 한다. 세계 각 나라와 지역의 명절을 통해 우리는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그 민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각 민족이 즐기는

다양한 음식과 놀이, 풍습 등의 다채로운 영역이 모두 명절에 포괄적으로 함축되고 표현되기 때

문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을 맞아 겨울 채비를 하

고 새해를 준비하는 ‘동지’를 맞이하는 우리의 모습과 풍습을 알리고, 그와 관련된 옛이야기와

전통 공예를 직접 체험해 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서의 명절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 동지와 관련된 전통 물품을

알아보고, 동지의 대표 음식인 팥죽을 소개하며 그 재료와 조리법도 추가로 설명한다. 이와 더

불어 팥죽이나 동지와 더불어 우리에게 전해지는 옛이야기를 소개함으로써 한글 교육과 병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으로 복을 기리며 동지에 제작하였던 복조리를

만들어 보고 우리 조상들이 복을 빌었던 여러 가지 풍습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Page 12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9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만남:

한국의 명절과

동지 이해하기

동양의 24절기에 대해 소개하고, 동지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진 여러 가지 풍습에 대해 설명한다.

2단계

2~3차시

전통 물품과

음식 소개:

팥죽, 동지 부적,

버선, 복조리

동지와 관련 있는 여러 가지 물품에 대해 그 쓰임을 알

아본다.

동지의 대표 음식인 팥죽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

고 그 조리법을 배운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옛이야기: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고 타

문화와 비교

팥죽이나 동지와 관련된 옛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감상

한다.

옛이야기에 녹아 있는 우리 고유의 권선징악과 두레 정

신, 사필귀정에 대해 이해하며 한국인의 감성과 정서를

이해한다.

더 나아가기: 감상한 한국 전통의 옛이야기를 바탕으로

본인의 나라에서 겨울에 전해지는 풍습과 관련된 옛이

야기를 서로 공유한다.

학습 목표

첫째, 조상을 섬기고 가족과 공동체의 화합을 다지는 명절을 통해 우리 문화의 핵심적인 특징

과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본 수업은 강의 이해와 이야기하기, 공예품 제작 체험 등의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한

다.

셋째, 겨울에 전해진 영국의 전통 풍습에 대해 이야기하며 동서양 문화의 차이와 공통점에 대

해 알아본다.

핵심 용어 : 동지, 책력, 팥죽, 동지 부적, 버선, 복조리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2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97

4단계

6차시

한국의 美와

기복 사상 이해:

복조리를 통한

자연적 美와

한국인의 감성

이해

복조리 만들기 - 자연적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전통적으

로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죽사(竹絲)로 엮어서 만

들었지만, 다양한 재료와 색깔로 현대적 복조리를 만들

어 본다.

5단계

7차시

문화 나눔:

복조리와 함께

복을 빌며 팥죽

나누어 먹기

다 함께 팥죽을 조리하여 나누어 먹고, 자신의 복조리

를 전시하며 새해에 이룰 복을 빌어 한국적 기원 사상

과 공동체 의식을 체험하며 마무리한다.

2) 한민족 신명의 가락: 사물놀이

프로그램 개요

한국의 사물놀이는 한국 전통 음악 갈래 가운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음악 갈래이다. 사물놀이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음악 가운데 하나이고, 엄청난 음량과 강한

박자에서 나오는 역동감 때문에 듣는 사람을 신명의 경지에 빠지게 만드는 음악이다. 아무리 넓

은 축구장에서 경기가 벌어져도 사물놀이 한 단체만 있으면 한국 응원단을 다른 나라 응원단이

제칠 수 없듯이, 사물놀이가 내는 소리의 역동성과 강도는 다른 나라의 악기가 감히 따라갈 수

없다.

전통 음악인 농악과 풍물을 변형하여 탄생한 사물놀이의 가락에는 한민족 특유의 신명과 흥

의 기운이 듬뿍 배어 있다. 본 수업에서는 사물놀이의 음악 구성에서 가장 배우기 쉬운 영남 농

악 가락을 중심으로 길군악부터 시작하여 별달거리, 법고놀이 등 사물놀이의 대표적인 장단을

배우고 익히며, 약 10~15분의 합동 연주가 가능한 정도의 연주 실력을 연마한다. 이러한 수업

을 통하여 한민족 신명의 장단을 익히고, 그것을 연주하며 한민족 고유의 두레 정신과 흥에 대

해 직접 경험해 본다. 본 수업은 전문 교육 강사가 필요한 수업이며, 적어도 10회 이상의 수업

이 필요하다.

학습 목표

첫째, 사물놀이의 유래와 악기의 특징, 한국적 장단의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둘째, 전문 강사의 지도로 여러 학생들이 다 함께 참여하여 사물놀이 연주를 실현한다.

Page 12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9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만남:

사물놀이 공연

감상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하고, 각 악기의 특징, 음악 갈래

의 기원, 의미 등에 대해 이해한다.

2단계

2차시

영남 농악 특징

이해하기

영남 농악의 짜임새를 이해하고 장구, 북, 징을 잡는

법을 배우며, 길군악부터 가락을 익히기 시작하다. 꽹과

리는 오랜 시간 배움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지도자가 가

락 익힘을 이끌어 간다.

3단계

3~8차시사물놀이 체험

각자 자신의 악기를 정하고(장구, 북, 징), 영남 농악

가락을 익힌다. 악기별로 가락을 따로 익히며 동시에

함께 어우러지는 합주를 병행한다. 최소한 5~6회 정도

의 가락 익히기 수업이 진행되어야 영남 농악 전 바탕

의 가락을 배울 수 있다. 1.길군악, 2.반길군악, 3.다드

래기, 4.영산다드래기, 5.연결채, 6.별달거리, 7.열람채,

8.법고놀이, 9.쌍진풀이, 10.맺음

4단계

9차시한국의 두레 정신

네 가지 악기의 어울림과 서로 협동하여 가락을 만들어

나가고 다음 가락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함께 어

울리는 공동체 의식을 경험한다.

5단계

10차시

공연: 한민족

신명의 가락을

연주하며 흥에

빠진다.

다 함께 영남 농악을 연주하며 한민족 고유의 신명과

여러 명이 함께 사물놀이 장단을 연주하며 ‘신명’과 ‘흥’

을 체험하며 마무리한다.

셋째, 한민족의 두레 정신과 신명과 흥을 직접 경험해 본다.

핵심 용어 : 꽹과리, 징, 북, 장고, 장단, 사물, 흥, 신명, 가락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2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99

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한국적의 고유한 미의식을 이해하고, 다양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경험을 한다. 세종학당에서 제공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지역 내 한국 문화 교류에 주

체적으로 참여한다.

첫째, 한국의 고유한 미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심도 깊은 한국 문화를 경험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 내 한국 문화 교류에 참여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대중문화에 치중하기

보다는 깊이 있는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인 재해석이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에 대

한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다. 다양한 직업과 다양한 인종의 수강생이 활

발히 참여하는 학당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해 중심의 교육이 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예술

문화 중심의 교육과정은 정규로 편성하여 전문가가 직접 교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들이 직

업인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은 단기행사로 진행하되 심화과정으로 운영하며, 풍부한 참

여기회를 보장하고 차후에 더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 자료제공도 함께 한다.

〈그림 Ⅳ-3〉 내용 선정의 범위-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Page 12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의 개요는 〈표 Ⅳ-4〉와 같다.

〈표 Ⅳ-4〉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특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도시 이야기심화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산수화의 표현 방

법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감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한다.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심화

대표성 있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유튜브 등과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

(SNS)에 소개한다.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Asian Art Museum이나 San Francisco Symphony 등의 수준 높

은 전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심도 깊은 전통 미술이나 전통 음악의 프로그램을 제

작할 경우 전시나 공연이 가능하다. 학생들의 한국 문화에 관한 지적인 요구도 많아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한국화로 보여주는 샌프란시스코-도시 이야기

프로그램 개요

본 수업은 한국 회화에서 보이는 수묵화(먹과 물의 조합으로 이뤄지는 그림 양식)의 표현 양

식을 소개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샌프란시스코의 풍경들을 한국화의 산수화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주요 내용을 한다. 실기 수업에서는 개인적인 소묘와 자료들을 화첩에 표현하고, 조 단위

의 단체 작품으로 제작하여 전시를 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동양의 3국(한국, 중국, 일본) 문화 중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들이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한국적인 미감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상호 문화적인 교류와

함께 시공간을 초월한 정신적인 공감을 얻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주로 하게 될 작업은 한국의 전통 회화 재료인 한지 위에 먹과 물, 붓을 사용하는

수묵 작업이다. 중국과 일본의 미감과는 달리, 한국은 ‘자연 그대로의 꾸밈없는 미감’을 추구해

왔으며, 이것은 수묵 그림에 있어서 ‘자유로움’과 ‘감정의 즉흥적인 표현’으로 발전되어 왔다. 학

생들은 그리고 싶은 풍경들에 감성을 담아서 먹과 붓으로 자유롭게 그림으로 표현을 하고, 도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야기나 시, 단어들을 한글의 형태와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개성적으

Page 12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01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한국의 자연관과

시서화 일치:

화첩 제작하기

한국화에서 산수화를 그리기 전 제작되는 화첩의 방식

을 이해하고 샌프란시스코의 풍경을 모아 화첩을 제작

하면서 한국의 자연관과 시서화 일치를 이해한다.

2단계

2~3차시

한국의 필묵의

정신성:

한지에 그리고 시

쓰기

화첩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지에 자유롭게 그리고 시를

써 본다.

한지, 붓, 먹의 작용을 통해 미세한 숨결과 감정을 전

달하는 필묵의 정신성에 관하여 체험한다.

로 표현하는 한글 멋글씨 작업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한국의 전통 회화 표현 방식들이 그리는

사람의 주관적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는 데 효과적임을 체험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쓸 때에 한국화 붓을 활용하여 미세한 숨결과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단체 작업을 통하여 화면 속에 함께 표현되는 글

과 그림들이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관객들에게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을 전시 기회를 통해 확인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역 공동체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활

을 뒤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학습 목표

첫째, 샌프란시스코 풍경화 제작을 통해 한국의 하늘에서 본 듯한 산수화의 시각법과 화첩 제

작, 시서화 일치의 조형 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한국화의 재료를 사용하여 한지, 먹, 붓의 운용 방법을 익히고 필묵의 표현이 가지는 미

세한 숨결과 감정 전달에 탁월한 정신성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다.

셋째, 한국화 제작을 통해 중국, 일본과 다른 한국의 미감인 자연성, 즉흥성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

핵심 용어 : 자연성, 필묵의 정신성, 즉흥성, 화첩, 시서화 일치, 산수화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3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단계

4~5차시

한국화의 자연성,

즉흥성:

장지에 산수화

만들기

한지의 그림을 모아 장지에 오려 붙이고 산수화 방식으

로 단체 작품을 만든다.

수묵과 붓의 운용을 통해 그리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내

는 방식을 체험하고 한국의 미감인 자연성, 즉흥성을

이해한다.

4단계

6~7차시

한국화 전시:

전시하기

단체 작업과 화첩을 모아 전시한다.

영상 작품으로 그림, 풍경, 작업 모습을 같이 상영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2)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문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개요

한국 음식(불고기, 비빔밥, 김치, 갈비, 잡채, 떡볶이 등),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예,

K-pop 등 대표성 있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유튜브 등과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SNS)에 소개한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수강생의 시각에서 본 한국 문화의 특징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스토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한다. 또한 시각적으로도 한국 문화 예술에서 받

은 인상과 느낌이 보이도록 효과적으로 영상물을 제작한다.

다양한 생활 문화 가운데에서도 조형적이고 예술적인 주제 하나를 선정하여 깊이 있게 관찰

하고 표현한다면 보다 심도 있는 한국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

는 다양한 생활 문화 속에 담긴 한국의 색채를 찾아 이를 강조하는 영상을 제작한다. 한국의 전

통 색채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발견하는 가운데 다양한 일상생활 문화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한국 사람들의 생활양식에 영향을 주는지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첫째, 한국 문화를 수동적으로 감상하고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의 시

각을 통하여 새롭게 보여 준다.

둘째, 누리소통망 서비스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세계 곳곳

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른 지역의 세종학당이나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집단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각 지역을 하나로 묶는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공모전을 누리소통망 서비스를 통해 개최

Page 13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03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2차시

한국 문화 주제

정하기

한국 문화 찾기 <문화 열차 만들기>를 통하여 한국 문

화에 대한 경험을 토론,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무엇을

할 것인지 주제를 정한다.

2단계

3~4차시

다큐멘터리 제작

계획 세우기

조별로 결정된 한국 문화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완성한

다. 정해진 이야기에 맞는 촬영 계획표를 완성한다.

3단계

5차시감상하고 토론하기

완성된 동영상을 감상하고 한국 문화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하여 적극적으로 한국 문화를 알리는 계기를 마련한다.

핵심 용어: 한국의 색, 음식,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예, K-pop, SNS, 유튜브, 인터넷,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단계

라.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웨이하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한국 문화 예술이 가지는 독

자적 가치를 체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중국 현지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다양한 형식의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중화권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이하이는 한국교민, 한국기업이 상당수 진출하여 한중

Page 13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양국이 공존하는 곳이다. 따라서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 한국어 수요가 매우 높은 편

이다. 한국 드라마, 음식 등 한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여성 수강생이 압도적으로 많아 감성

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

시할 때 한국의 전통문화보다는 대중문화 등을 중심으로 현대에 공감하고 교류할 수 있는 내용

을 선정한다. 미래 지향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학습자 스스로 상상해 보고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문화 예술의 경험이 되도록 한다.

젊고 한국문화에 관심이 높은 학습자가 많은 특징을 반영하여 체험 중심의 교육과 현재 생

활문화를 알릴 수 있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운영하며 정규과

정으로 편성한다. 한국어를 중급 이상 할 수 있는 학습자들이 많아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림 Ⅳ-4〉 내용 선정의 범위-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요는 〈표 Ⅳ-5〉와 같다.

Page 13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05

〈표 Ⅳ-5〉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특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라

마 한국어기초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대사를 숙지하여 생활 한

국어를 익힘과 동시에 드라마 상황을 재현하여 역

할극을 완성한다. 완성된 역할극을 간단한 기기를

활용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감상하고 토론한다.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심화

K-pop 노래 따라 부르기와 춤 따라 추기를 통해

한국의 젊은 문화를 체험하고 신세대 문화 소통

구조를 이해한다. 모둠별로 K-pop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거나 공연을 통해 재미있는 한국 문화를 체

험한다.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

기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자원이다. 대중문화 자원을 활용하여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생활과 문화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1)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라마 한국어

프로그램 개요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기

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이다. 현지 젊은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드라마를 이용하여 드라마의 한 부분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는다. ‘드라마 한국어’, ‘영화 한국

어’ 등의 수업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대장금>의 일부 장면을 보여 주고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학생들이 역할을 나누어

한국어로 연기를 하여 한국어를 익히고, 이를 연습하여 역할극을 무대에 올릴 수도 있으며, 영

상으로 만들어 상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체험하

게 되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대사를 활용하여 생활 한국어를 익힘과 동시에 드라마 상황을 재현

하여 역할극을 완성한다. 완성된 역할극을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 아이패드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감상하고 토론한다.

Page 13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한국 드라마

감상하기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이해한다.

2단계

2~3차시

한국 드라마

대본 만들기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 드라마의 대사 특성을 이해한다.

드라마 등장인물의 대사를 대본을 만든다.

3단계

4~5차시

한국 드라마

따라 하기

완성된 대본을 가지고 드라마 속 주인공들의 역할을 따

라 연기해 본다.

각자 역할을 나누어 대본을 외운다.

4단계

6~7차시

한국 드라마

따라 찍고

감상, 토론하기

각자의 역할을 단막극으로 보여 준다.

보여 준 단막극을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촬영한다.

동영상을 감상하며 드라마를 통한 한국어 경험에 대하

여 이야기 나눈다.

학습 목표

첫째, 드라마를 활용하여 한국의 일상 문화를 이해한다.

둘째, 드라마 속 장면을 체험하면서 한국어를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한다.

셋째, 역할극, 영상 제작 등을 통하여 생활 속 한국인의 모습을 재현해 보고 공감한다.

핵심 용어: 생활 문화, 한국드라마, 한국영화, 역할극, 동영상

프로그램의 단계

2)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프로그램 개요

K-pop은 한류의 대명사가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10억 뷰가 넘어 유튜

브에서 가장 많이 본 뮤직비디오로 등극하면서 K-pop은 더욱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한국

Page 13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07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2차시

K-pop의

이해와 따라

부르기

K-pop에 대한 소개와 현지에서 현재를 기점으로 혹은

최근에 가장 인기 있는 K-pop을 듣고, 뮤직비디오를

감상한다.

1차시에서 감상한 K-pop의 노래 가사를 보며 따라 부

르기를 한다. 따라 부르기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가

사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해 본다.

2단계

3~4차시

K-pop 가사

바꾸어 부르기

K-pop 가사를 통해 한국어의 의미를 되새겨 보며 한국

어로 가사를 써 본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K-pop 가사를 자신의 이야기에 맞게 한국어로 개사를

해 보며 한국어와 좀 더 친숙해진다. K-pop을 통한 한

대표의 문화 자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K-pop이 좋아서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사랑하

게 될 정도가 된 것이다. 노래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므로

K-pop을 이용한 교육은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이다. 본 수업은 K-pop을 따라 부르고, 춤을

따라 하고,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를 하며 즐거운 K-pop 놀이를 통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수

업으로 진행된다. 수업 이후에 K-pop 경연 대회나 자신들이 만든 뮤직비디오를 감상하며 즐겁

게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특히, K-pop은 K-드라마와 함께 웨이하이 세종학당 수강생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

한 계기이자 가장 인기 있는 한국 문화이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대중음악과 연계하여 교육

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수강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높은 참여도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학습 목표

첫째, K-pop을 따라 부르며 가사를 외운다. K-pop 가사 내용을 이해하고 직접 써 본다.

둘째, 동료들과 함께 K-pop 춤을 익히며 공감하고 협동한다.

셋째, K-pop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보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한다.

핵심 용어: 한국의 색, 음식,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예, K-pop, SNS, 유튜브, 인터넷,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3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0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국어 체험.

3단계

5~6차시

K-pop 춤

체험하기

K-pop 뮤직비디오 혹은 인터넷 가요 방송을 통해

K-pop 스타들이 노래와 함께 추는 춤을 따라 배운다.

4단계

7~8차시

K-pop 뮤직비디오

만들기

1단계와 2단계를 체험한 후, 모둠별로 K-pop 뮤직비디

오 따라 찍기 계획을 세운다. (*세종학당의 여건에 따

라 공연 기획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각 모둠 혹은 단체가 모두 참여하여 자신들만의 뮤직비

디오를 촬영한다. 간단한 편집을 거쳐 완성하고 상영한

다. (*세종학당의 여건에 따라 공연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마.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앙카라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변화하는 세계화시대에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속적, 미래 지향적, 왜곡되지 않은 바른 방

향으로 우리 문화가 가지는 독창성과 가치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체계적으로 세계에 알리고

이해함을 목표로 삼는다.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터키 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터키 현지 문화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유럽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한국과 역사적 관계가 깊은 터키에 위치한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한국에 대한 기억, 감정 등을 떠올리며 어울림, 유대감 등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지점에 주목하여 내용을 선정한다.

터키는 한국과의 지리적인 거리가 있어,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한국의

물품이나 문화를 체험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체험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예술문화 중심의 프로그램이 적당하다. 그리고 초급 학습자들이 많은 것에 초점을

Page 13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09

특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한국인의 결혼:

백년해로의 약속기초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이해하면서 전

통 사회에서의 결혼의 의미와 오늘날의 변화된 모습과 의

미를 알아보고 터키에서의 그것들과 비교하여 과거와 현

대, 한국과 터키의 결혼의 의미와 풍습의 유사성과 차이점

을 올바르게 이해한다.

한국의 몸짓:

한복과 탈춤 마당심화

한국 오방색에 담겨 있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과 동양의 유교 정신, 음양오행 사상에 대해 이해하고, 탈춤을 배워 봄으로써 한국적 ‘어울림’으로 터키 문화와의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한국 기업의 진출 등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터키 현지인들이 한

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한국 전통문

화와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찾아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유대감을 강

화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두어, 단기 행사 형태의 문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며, 한국에서 전문가가 직접가지 않아도 교육

강사가 시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무엇보다 종교, 문화적인 특성이 짙은 점을 신

중하게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림 Ⅳ-5〉 내용 선정의 범위-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

요는 〈표 Ⅳ-6〉와 같다.

〈표 Ⅳ-6〉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Page 13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1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 한국인의 결혼: 백년해로의 약속

프로그램 개요

오늘날에는 사랑으로 미래를 약속한 남녀가 그 결실을 얻기 위해 가정을 꾸리는 것이 일반

적인 결혼의 의미이다. 한국의 전통 사회는 지금과 달리 남녀 구별이 엄격한 유교 사회로 중매

결혼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중매에는 남자와 여자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자로 궁합을 맞

추고, 혼사가 정해지면 혼서지와 예물을 담은 납폐함을 보내 약혼을 증명하였다.

과거의 혼례는 비록 서로 사랑하는 감정으로 인연이 시작된 것은 아니었으나, 두 집안 간의

성스러운 의식과 절차를 통해 서로에게 지아비로서, 지어미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며 정을

쌓아 가며 가정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그 시대의 결혼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

의 결혼에서는 남녀가 서로 사랑하는 감정으로 만났지만, 두 남녀의 사랑을 매개로 두 가정이

사돈의 예를 갖추고, 남편으로서 아내로서의 (사위로서, 며느리로서의) 의무와 책임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백년해로란 부부가 백 년 동안 함께한다는 의미로, 부부가 서로 혼인하여 자손을 낳고 백 년

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오랜 세월 동안 갈라지지 않고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인생의 동반자로

행복한 삶을 꿈꾸며 함께 걸어가고자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모든 이들의

바람일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이해하면서 전통 사회에서의 결혼

의 의미와 오늘날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를 알아보고 터키에서의 그것들과 비교하여 과거와 현

대, 한국과 터키의 결혼의 의미와 풍습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올바르게 이해한다.

학습 목표

첫째,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배우면서 전통 사회에서의 결혼의 의미를 이해한

다. 터키의 전통 혼례 풍습과 비교하며 두 문화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둘째, 오늘날의 결혼 풍습에 남아 있는 전통 혼례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 현대적

의미를 이해한다.

셋째, 여성을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였던 전통 장신구를 만들어 보면서 한국 전통

공예의 독창성을 경험한다.

핵심 용어 : 전통 혼례, 폐백, 백년해로, 전통 장신구

Page 13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11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2차시

한국의 전통 결혼:

백년해로

한국의 전통 결혼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부부의 인연

을 맺어 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낸다는 백년해로에 대해

이해한다. 터키의 전통 결혼 풍습과 비교한다.

2단계

3~5차시

전통 혼례 복식과

조선 여인의

장신구

전통 혼례 복식을 감상하고, 조선 여인들의 장신구에

대해 알아본다. 터키의 공예품과 비교한다.

혼례에 신는 꽃고무신을 오방색 한지를 이용하여 만든

다.

3단계

6~7차시

현대 속 전통

혼례의 모습

한국 사회의 현대 혼례에 대해 배우고, 오늘날까지 이

어진 전통 풍습과 변화된 모습에 대해 이해한다. 터키

결혼 풍습의 변화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한다.

프로그램의 단계

2) 한국의 몸짓: 한복과 탈춤마당

프로그램 개요

본 프로그램은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의 도구로 탈 공예, 한삼, 탈춤을 이용하며 자

연스럽게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한다. 한국 색 문화

의 기본이 되는 다섯 가지 색, ‘오방색’에 담겨 있는 한국 사람들의 근원적 문화 코드를 이해

하고, 그것이 일상생활 및 놀이, 특히 탈춤에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 배운다. 더불어 한국의

놀이 문화 중 하나인 봉산 탈춤을 배우고 여러 가지 탈에 담긴 풍자적인 등장인물, 옛 한국

사람들의 모습을 체험하며 한국의 ‘이야기’에 한껏 빠져들 수 있다.

조별로 간단한 이야기를 구성하고 각 인물의 특징을 완성하는 탈춤의 기본 동작을 배우고

터키의 전통 무용 동작을 응용한 이야기를 만들 것이다. 현지 터키 문화와의 만남은 자국 문화

에 대한 자존감도 높이며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호감을 유발한다.

함께 완성한 탈춤 이야기는 학습자들의 가족과 친구들 및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시와 공연의 형태로 보일 것이다.

Page 14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1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만남: 전통 탈 공예,

탈춤을 통한 한국 문

화 이해하기

한복, 탈, 춤이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2단계

2~3차시

한국의 얼굴:

전통 탈 만들기

전통 탈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한지와 오방색의 특성을 살려 나만의 탈을 만든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옷:

한복 체험하고

한삼에 그림

그리기

한복을 감상하고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한삼에 자신을 나타내는 문양이나 그림을 그리고 멋글

씨로 표현한다.

4단계

6~7차시

한국의 몸짓:

춤사위 익히기

타령 장단과 디딤을 배운다.

탈춤의 기본 동작을 익힌다.

5단계

8차시

문화 나눔:

탈춤 마당 열기 탈춤을 공연하고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한국의 흥과 신명을 경험할 수 있으며 한국-터키 전통 색상

과 가면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며, 더욱 친밀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이다.

학습 목표

첫째, 한국의 공예와 봉산 탈춤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한다.

둘째, 직접 탈을 만들어 탈춤을 추면서 한국 문화를 통합적으로 체험한다.

셋째, 자신의 경험을 담은 봉산 탈춤 이야기를 만들면서 터키 문화와의 관련성을 발견한다.

핵심 용어 : 탈 공예, 한삼, 탈춤, 한복, 어울림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4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13

바.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나이로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초국가적인 상호 영향력이 심화되고 있는 시대에 한국의 풍부한 문화 예술을 체계적으로 교

육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동아프리카에 알리고, 케냐와 한국의 상호 문화교류를 활성화

한다.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문화적인 감수성을 형성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케냐 현지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동아프리카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프로그램 방향 설정

한국드라마가 방송되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에 유학 오고자 하는

젊은이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고, 현지에서 얻

은 정보가 한정적이어서 잘못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다. 세종학당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

서 한국을 잘 알릴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

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한국의 전통문화와 케냐의 전통문화가 자연스럽게 조화

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한국 문화와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에 주안점을 둔다.

케냐는 한국과의 물리적 거리차가 상당해서, 한국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 한국의 물

품이나 문화를 체험하기 쉽지 않다. 또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급증한 상태여서 고급 학

습자보다는 초급 학습자가 많은 점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체험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직접 참

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예술문화 중심의 프로그램이 적당하다. 그리고 단기·행사 형태의 문

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며, 한국에서 전문가가 직접가지 않아도 교육강사가 시연할 수 있는 프

로그램으로 구성한다.

Page 14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1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그림 Ⅳ-6〉 내용 선정의 범위-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위의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요는 〈표 4-7〉와 같다.

〈표 Ⅳ-7〉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특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신 나게 놀자: 한국의 민속놀

이기초

그네를 뛰고 씨름을 하며 부채를 만들었던 단오를 중심으로 한국의 놀이 문화를 이해한다. 단오선을 만들어 서로에게 선물하며 단오의 세시 풍속을 경험한다.

신명 나는 한국 문화: 새롭게

태어나는 두드림 난타심화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인 난타의 동영상을 감상

하고 그 안에 담긴 한국의 고유 장단과 소리를

이해한다. 현지의 타악기를 이용하여 장단과 박

자, 상황만으로 구성된 새로운 난타를 공연한다.

*한국적인 재료나 악기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자원을 원활히

제공받기가 힘든 상황으로 현지에서도 가능한 한국 전통 놀이를 통하여 문화를 이해하도

록 한다.

케냐 인들은 감정 이입을 잘하고 격동적 동작이나 박자 감각이 매우 강하여 현대 음악,

국악, 탈춤 등 박자 감각과 율동이 강한 프로그램의 호응도가 높다.

Page 14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15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만남:

정서 이해하기

단오에 대하여 알아보고 전통 음악, 국악, 한복, 춤이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의 전통 놀이의 종류를 알아보고 한 가지씩 체험해

본다. 케냐의 전통 놀이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본다.

1) 신나게 놀자: 한국의 민속놀이

프로그램 개요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아주 특별한 우리나라 세시 풍속인 단오를 소개하고 단오에 사용하

는 단오선과 전통 놀이를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 체험하며 어울림 한마당으로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는 데 있다. 세시 풍속은 때가 되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의례로 농경문화와 밀접한 관련

을 맺고 있다. 농사를 시작하기 전이나 수확하고 나서 풍년에 대한 기원과 감사하는 의미로 신

들에게 제사 지내고 농사의 중간마다 생활의 활력을 위하여 휴식과 놀이판을 벌렸다. 케냐의 주

술적 기원의 의미를 담은 작은 공예품을 단오선과 접목함으로써 케냐의 정서가 한국의 단오선

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다. 단오 민속놀이인 그네뛰기와 씨름, 윷놀이 등을 통하여 한국의

흥과 정서를 배우고 느끼며, 케냐 전통 놀이와의 융합은 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현지 상황에 따라서 놀이 선택이 가능하며 단오에 대한 자료와 전통

놀이에 대한 규칙만 파악된다면 특별 강사가 없어도 수업이 가능하다.

학습 목표

첫째, 단오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농사일을 격려하는 정서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둘째, 다양한 문화 예술적 요소를 활용하여 전통 놀이와 어울림의 정서를 체험한다.

셋째, 케냐 놀이와 연관 지어 보면서 한국 문화와 케냐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한다.

핵심 용어 : 어울림, 전통놀이, 단오, 단오선(부채), 씨름, 그네뛰기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4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1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2단계

2~3차시

한국의 미:

단오 공예품

단오선 만들어

선물하기

단오선의 유래와 특징을 이해한다. 케냐의 공예품에서

도 비슷한 의미의 것이 있는지 비교하여 알아본다.

한지의 특성을 살려 먹의 번짐을 이용한 나만의 단오선

을 만든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

씨름

씨름의 유래와 어원을 알아보고 종류와 규칙을 이해한

다. 전통 놀이 씨름 감상을 하고 케냐 무예의 의미와

방법을 비교하여 이야기해 본다.

샅바와 씨름 반바지를 착용해 보고, 씨름의 기본 규칙

을 적용하여 겨뤄 본다.

4단계

6~7차시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

그네뛰기

그네뛰기의 유래와 어원을 알아보고, 그네뛰기의 종류

와 놀이 규칙을 알아본다.

기존의 그네뛰기 놀이 규칙을 응용하여 개인별, 조별로

겨뤄 본다.

5단계

8차시

문화 나눔:

어울림 마당

열기

제작된 공예품인 단오선과 사진 자료를 전시한다.

놀이의 마무리 과정으로, 씨름과 그네뛰기를 통해 선발

된 모둠 및 개인에게 시상하며 함께 어우러지는 장을

갖는다.

2) 신명나는 한국 문화: 새롭게 태어나는 두드림 난타

프로그램 개요

본 프로그램은 사물놀이의 장단을 소재로 한 비언어극으로서 한국적 뮤지컬이라 할 수 있다.

이야기 중심의 극에서 과감히 언어를 제외한 비언어극을 선보이므로 언어의 소통으로 발생하는

교감의 장애물을 과감하게 제거하여 정서적 교감을 이끌어 내는데 매우 용이하다. 난타는 마당

극과 사물놀이 등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이끌어 낸 ‘신명’을 현대적 에너지로 변용, 확장하여 공

감을 이끌어 낸다. 한국 연극이 현대화 과정 이후 해외 관객들에게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드러

Page 14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17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1단계

1차시

만남:

난타 감상

두드림 난타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본 장단을 배워 본

다.

영상을 보며 한국인의 흥, 신명, 동작을 통하여 정서를

느껴 본다.

2단계

2~3차시

한국의 리듬:

난타 기본 장단

치기

한국적 장단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난타 동작을 배워 본다.

뮤지컬 난타와 국악 프로그램 난타를 체험한다.

내기 위해 ‘샤머니즘’ 혹은 ‘한’을 전달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면 난타는 한국 고유의 ‘신명’

을 전경화함으로써 에너지와 활력이 넘치는 한국성의 또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

장단을 조화롭게 연결한 곡의 연주를 통하여 어려운 장단의 곡도 쉽게 연주해 낼 수 있다는 자

신감을 가지게 된다. 전통 장단을 난타로 연주하면서 특정한 전문가만이 연주할 수 있다는 고정

관념을 벗어 버리게 되고 즉흥적인 박자감과 다양하게 연결된 장단의 곡을 연주할 때마다 성취

감이 고조된다.

본 프로그램으로 창작과 문화 활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와 자발

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창의성이 발휘, 다양한 아이디어로 창작된다. 또한

갖가지 생활용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리와 장단, 박자감을 표현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한국인

의 끈끈한 ‘정’과 신명 나는 ‘흥’을 체험하고 한국 전통 사회가 가지고 있던 ‘함께’의 의미에 대

해서도 이해하게 되며 양국 간의 만남의 축제가 될 것이다.

학습 목표

첫째, 한국의 박자감을 배우면서 한국적인 흥과 신명을 이해한다.

둘째, 사물놀이 장단의 이해를 통하여 한국 전통도 학습하고 비언어극으로서 현대 대중문화의

새로운 공연 양식을 체험한다.

셋째, 공연을 통하여 한국과 케냐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이 가능하다.

핵심 용어 : 두드림, 어울림, 신명, 흥, 난타, 국악

프로그램의 단계

Page 14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1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3단계

4~5차시

한국의 즐거움:

모방을 통한 난타

즉흥 연주

난타의 특성을 살려 나만의 동작과 연주를 만든다.

4분의4 박자를 중심으로 한 모둠별 장단 창작

장단 창작 후 연결하여 연주하기

모둠별 난타의 장단 조합하기 (자유로운 재료)

4단계

6~7차시

문화 나눔:

어울림 마당 열기 난타를 연주회를 하고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4. 매뉴얼 활용 방안

가.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측면

• 이 매뉴얼은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를 문화예술교육의 설계자로 가정하고 있다. 세

종학당에서 직접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료로 개발된 것이

다. 전문 예술 강사가 수업을 진행하더라도, 세종학당에서 현지 수강생들의 특성에 맞는 교

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한국 전통문화는 단기간에 그 아름다움이나 멋을 체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여

러 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새롭게 발견하고 그것에 매료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 매뉴얼에 제시된 프로그램 가운데 지역에 알맞은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신중하게

결정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수강생들이 심도 있는 한국 전통문화에 관심이 있는지, 한류에

따른 대중문화와 일상을 알고 싶어 하는지, 음악, 미술, 무용 등 어떤 예술 분야에 관심이

많은지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와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매뉴얼을 바탕으로 서로 연계되는 주제를 다루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제시된 동지에 대한 프로그램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또 다른 명

Page 14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IV.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매뉴얼 개발|119

절인 정월 대보름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최근에는 한국 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동영상이나 음원을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 참고 자료로 제시된 것 이외

에도 현지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시청각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현지 담당자는 각 프로그램을 교육함에 있어서 현지의 일정과 기후, 관습 등을 바탕으로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측면

• 전문 예술 강사가 필요한 프로그램인 경우 한국 혹은 지역의 예술 강사를 요청해 수업을

진행하여야 교육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전문 예술 강사가 한국에서 파견된다면 현지 한

국어 강사나 학당장과 사전에 충분히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고,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

과 수준이 미리 계획될 수 있도록 상호 간의 긴밀한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한 전문적인 용어의 경우 현지어로 번역되어 사전에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문화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

다. 또한, 각 수업에 관한 상세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번역하여 미리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 환경은 중요한 요소이다. 마음껏 붓질을 할 수 있는 넓은 책상이

필요하고, 멀리 움직일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큰 소리로 이야기하고 노

래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상적인 환경이 없다고 문화

예술교육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교육 환경과 특성에 따라 가능한 범위와 내용의 문화예

술교육을 선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육인 만큼 재료의 준비와 수급이 프로그램의 성패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재료를 보급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과 동시에 지

역에서 대체할 수 있는 재료가 무엇인지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 참여 학생 수에 따라 교육 강사의 수가 조절되어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Page 14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 시범사업의 내용

2. 시범사업 평가 모형

3. 시범사업 결과 및 논의

Page 14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21

Page 15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2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 시범사업 평가 방법

가. 시범사업의 내용

본 연구에서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윤곽을 그려내기 위하여 매뉴얼 연구를 통

하여 개발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2개를 선정하여 현지 세종학당에서 실행

하였다. 시범사업은 매뉴얼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세종학당 운영자 및 수강생의 만족도를 살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매뉴얼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적인 교

육 활동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으며, 참여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현지 세종학당의 참여와 홍보 과정을 통하여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지역적 관심과 기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하였다.

1) 시범사례 1: 한국의 오방색과 탈춤 한마당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경우, 지역의 요구 조사 결과 한국의 탈춤 및 전통문양 등을 비롯한

체험형 공예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앙카라 세종학당 교육강사

인터뷰 결과 문화예술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범사업

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의지가 높아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 배경

터키 내에 세종학당은 앙카라를 포함하여 현재 총 4곳이 있으며, 터키의 앙카라 세종학당은

재외공관 연계형 모델로 앙카라대학교부설 언어학원 TÖMER에 2010년 11월 개원되었다. 학기

는 9월부터 다음해 6월까지 학기 구성없이, 한 강좌를 2개월(8주)단위로 운영하고 있으며, 초급,

중급 70여명으로 구성되어 강사 3명이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 학기당 3시간 내외의 문화교육 시간을 편성하여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

램을 운영하고 있다.

터키 국민은 이슬람문화와 오스만 제국의 영광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히 크며 한국전에 참전

했던 터키와 ‘형제의 나라’라는 개념을 갖고 있어서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이라 할 수 있다.

Page 15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23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아시아적인 감성이 있으며 한류와 한국 기업의

진출 등으로 한국드라마의 인기가 매우 높다. 수강생의 주요 연령대는 20-29세로 한국 대중문

화부터 전통문화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한국문화에 관심을 보인다. 터키 현지에서는 한국 문

화 체험의 기회가 방송, 미디어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상황이라 실제적 체험이 가능한 프

로그램을 선호하며 한글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주길 원하고 있다.

○ 일정

‘한국의 오방색과 탈춤 한마당’이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프로그램은

2012년 11월 14일(수) 16일(금), 17일(토) 3일간의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워크숍 전 1주간 한

국 문화에 대한 현지 교사들의 사전 수업이 있었고, 워크숍 기간에는 하루에 3시간씩, 토요일에

는 오후 공연까지 포함하여 총 12차시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마지막 날에는 150명의 관람객이

참여한 가운데 탈춤 공연을 가졌다. 또한, 워크숍의 내용과 관련한 한지, 오방색, 한복, 전통 공

예품, 봉산탈춤 공연 사진 등이 2012년 11월 12(월) ~ 30일(금)까지 터키 앙카라 한국 문화원

에 전시되었다.

○ 운영자 및 교육 강사

전통공예 및 탈춤 분야의 전문가를 확보하고 있는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사업 운영

을 총괄하였다. 사업의 주관 단체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매뉴얼의 기본 수업 내용을 구체화하

고, 이에 필요한 교수학습 자료와 재료를 준비하여 실제적인 교육 활동으로 살을 붙여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지 세종학당과의 소통을 통하여 교육 장소 및 공연 및 전시 장소,

수업 기간 등을 조정하고 준비하였다. 동시에 현지 세종학당에서는 참여자를 모집하고 홍보하는

가운데 가능한 한 많은 수강생들이 본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터키 앙

카라 세종학당에 다니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체험 프로그램을 구성, 전시와 공연에 가족

과 친구, KOREA-FANS 메일링 서비스, 앙카라 한인회, 문화원 공식 홈페이지 홍보 및 문화원

공식 메일링 서비스, SNS를 통한 홍보가 진행되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가 자원봉사자 및 조

별 리더로 참가하여, 사전 점검회의에도 참석하고 원활한 교육운영에 기여한 점은 의미 있는 시

도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한국문화교육에 직접 참여하고 기여하면서 보다 상호적으로 한국

사람들의 방식들을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경우 공예 전문가와 봉산 탈춤 전문가가 함께 교육 강사로 참여하여 더욱 전

문적이고 의미 있는 한국 체험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한국의 색을 이용하여 자신의 탈을

만들고, 한글이 담긴 한삼을 제작하여, 직접 탈춤을 배우고 공연하는 과정에서 두 명의 예술가

가 전문 강사로 협업하여 지도함으로써 통합적인 경험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수업의

전 과정은 탈춤이라는 하나의 제재에서도 한국문화를 총체적이고 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Page 15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2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기회가 되었다. 즉 공예, 무용, 한글이 하나로 어우러져 한국적 정서를 담아내는 것을 직접 체

험하였던 것이다. 두 예술강사는 수업시간을 나누어 공예와 탈춤의 전문 영역을 깊이 있게 지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연을 통해 두 영역의 학습 경험이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참가자들이 수업 시간 중 던지는 성숙한 질문에 예술강사들은 풍부한 경험을 통하여 심도

있는 답을 제공하였으며, 학습 결과물에 대한 시의 적절한 피드백을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와 만

족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시범사업은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한글 공부를 하고 있는 초, 중급의 학습자 중 선착순 50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발적인 신청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3일의 수업 진행 과정에서 참여

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한국 문화에 관심 있는 터키인들과 현지 교포들 150여명이 마지막 날

의 탈춤 공연 관람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따라서 공연과 전시를 포함하여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수업 참가자에 국한되지 않은 폭넓은 현지인들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

에 따른 파급효과도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프로그램 내용

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내용은 매뉴얼에 제시된 틀에 따라 진행되었다. 현지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일방적인 한국 문화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참가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경험을 통해 터키 문화와 접점을 찾도록 함으로

써 상호적인 문화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1주 동안 현지 교사들의 사전 수업 후 총 3일 간 진행되었다. 예술 강사가

진행한 첫째 날 수업에서는 공예 수업으로 한국 공예의 우수성과 탈 공예 대한 강의를 시각자

료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직접 오방색을 활용하여 탈을 만든 후, 한글 캘리그라피를 담은 한삼

을 만들면서 한국적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날에는 종합 예술인 탈춤을 배우면서 한국의 춤, 음악, 언어를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기

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고유성과 정통성을 단시간에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었다.

마지막 날에는 팀별로 공연스토리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금까지

배운 한국 정서와 터키 정서가 접목되었으며, 참가자들이 직접 만든 내용으로 최종 공연스토리

를 완성하였다.

Page 15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25

2) 시범사례 2: 미국 샌프란시스코

○ 배경

100년이 넘는 이민 역사를 갖고 있는 샌프란시스코는 미주 지역 독립운동의 횃불이 된 장인

환, 전명운 의사와 여러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했던 곳이며 미국인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도시

중의 하나로 주변은 UC 버클리(UC Berkeley), 스탠포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가 있으며,

시내에는 UC 샌프란시스코(UCSF: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와 샌프란시스코 주

립대학교(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등 세계 최고의 대학들이 자리 잡고 있는 교육도시이

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은 캘리포니아국제문화대학과 연계한 독립형 모델이라 할 수 있다.

2011년 9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 1.5세, 2세와 3세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폭 넓고 깊게 보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기초반, 고급반 그리고 회

화반까지 폭 넓게 운영되고 있으며, 뉴스레터 만들기, 캘리그라피 수업, 한국요리 만들기, 한국

노래배우기, 동화구연대회 등을 통하여 한국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

다. 샌프란시스코의 경우, 자체 문화프로그램 중 캘리그라피, 시낭송 수업과 연계한 후속 심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교육과정 영상·사진 기록물 제작을 통해 지속적으로 본 사업

에 대한 홍보 등을 진행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 일정

프로그램은 2012년 12월 06일(목) ~ 08일(토)까지 3일간의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3일간의

워크숍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 예약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목요일, 금

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전에 수업과 발표가 이루어졌다. 수업은 3시간씩 진행되었으며, 발표회까

지 포함하여 프로그램은 총10차시로 구성되었다.

○ 운영자 및 교육 강사

시범사업의 주체는 운영자, 교육강사, 수강생의 3그룹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운영자는 한국

에서 시범사업을 기획하고 주관하는 운영자와 현지 세종학당에서 워크숍을 준비하는 운영자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두 운영기관의 소통과 공감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성공적으로 진행

하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어 교육 환경을 직접 확인하

기 어려운 상황에서 워크숍 일정, 참여자 규모와 요구, 교실환경, 전시공간 등을 사전에 파악하

고 조율하는 데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워크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현지 세종학당에서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한다는 의식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언어

적, 문화적 경계를 극복하고 예술을 통하여 공감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데에 현지 세종학당

Page 15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2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의 운영자 및 강사의 가교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수강생이 깊이 있는 한국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워크숍을 진행하는 예술강사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산수화를 주제로 한 이번 시범사업에서는 동양화를 전공한 예술가이자

전문강사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국에서 온 전문적인 예술강사가 한국화의 정신을 설명하고,

붓과 먹을 사용하는 시범을 보이며, 수강생의 작품에 전문적인 비평을 해줄 때에 수강생들은 한

국문화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예술강사를 통해 수강생들은 단지 한국문화에 대해 전해 듣

는 것이 아니라, 체화된 한국문화를 만나고 상호작용하는 데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는

워크숍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예술강사에 대한 언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수강생 및 지역 한인 25명과 강사 및 Staff 10명

으로 총 35명이 수업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 재외 동포 등으

로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여러 연령층의 수강생으로 구성되었다. (통계결과) 수강생들은 4개

의 긴 테이블에 5-6명의 조로 나누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서로의 작품을 보고 이야기하며 토론

을 통해 공동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수강생들은 자연스럽게 산수화와 샌프란시스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었다.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예술 매체를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서로를 알게 되는 과정 자체가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프로그램 내용

첫날에는 지필묵, 음양, 천지인, 여백 등 한국화의 조형요소에 대한 강의를 듣고 실제 붓과

먹으로 실험을 한 후 각자 가지고 온 샌프란시스코의 이미지를 참고로 하여 개인 화첩을 시작

하였다.

둘째 날에는 작은 한지에 자신의 주제로 시화를 수묵으로 그리고 조별로 대형한지에 콜라주

작업을 시작하였다. 조별로 예술강사에게 조금씩 다른 표현 방법을 지도받고 이를 응용하여 샌

프란시스코의 도시 풍경을 담은 공동 작품을 제작하였다.

셋째 날에는 조별 작업과 개인 화첩을 마무리하고, 부채에 수묵화를 그리는 활동으로 프로그

램을 정리하였다. 제작된 모든 작품을 세종학당 벽에 전시하고, 수묵으로 쓴 시를 낭독하며 소

감을 나누는 시간으로 워크숍이 마무리되었다.

나. 시범사업 평가 방법

시범사업 평가를 위해 질적, 양적 자료의 수집을 사업 실행의 단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행

함으로써 다면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수강생, 예술강사, 사업 운영자,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 등 자료 수집의 대상을 다각화하여 보다 종합적인 의견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였

다. 또한, 인터뷰와 결과물에 대한 질적 자료 분석과 함께, 수강생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시

Page 15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27

범사업 참여자들의 실제적 경험을 파악하고 해석함과 동시에 이를 양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시범사업 평가의 단계와 자료 수집 방법은 〈표 Ⅴ-1〉과 같이 요

약될 수 있다.

〈표 Ⅴ-1〉시범사업 평가의 단계

2. 시범사업 만족도 조사

가. 평가 모형

시범사업의 참여자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두 가지 가설을 포함하는 평가 모형을 수립하

였다. 수업내용, 수업운영, 교육효과가 참여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참여자 만족도가 지속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수업내용, 수업운영, 교육효과가 참여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수업내용은 참여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수업운영은 참여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교육효과는 참여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참여자 만족도는 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Page 15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2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요인 측정 항목

수업내용

1) 전체 프로그램의 내용이 흥미롭게 구성되었다.

2) 수업에서 새로운 재료, 악기 등을 활용하였다.

3) 수업 내용은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4) 미술, 공예,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을 함께 배울 수 있었다.

수업운영

1) 교실 환경은 문화예술교육에 적절하였다.

2) 수업 시간은 너무 길거나 짧지 않고 적절하였다.

나. 설문 조사 방법

1) 설문 문항 개발

본 연구에 초기에 실시한 요구조사의 설문 문항과 교육만족도 조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재구성하여 본 평가 모형에 적합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만족도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인적 사항은 성별, 나이, 수강기간, 한국어 수준,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 정도, 한국어 학습의 이유를 묻는 문항으로 설문 대상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한 문항으로 수업내용, 수업운영, 교육효과, 만족도, 지속의지의 다섯 개 하위영역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표 Ⅴ-3> 셋째, 차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배우고 싶은 문화예술 영역, 프로그램의 성격, 개선점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부록 4-6]

<표 Ⅴ-3> 설문조사 문항

〈표 Ⅴ-2〉시범사업 만족도 평가 모형

Page 15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29

3) 표현활동을 위해 제공된 재료, 악기가 적절하였다.

4) 제시된 자료는 활동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교육효과

1) 한국 문화를 잘 이해하게 되었다.

2)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하여 잘 알게 되었다.

3) 한국과 우리나라의 공통점을 느끼게 되었다.

4) 세계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5) 한국의 문화에 예술에 대하여 새로운 것을 알게 되었다.

만족도

1)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나에게 유익하였다.

2)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다.

3) 나는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4) 친구나 지인에게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싶다.

지속의지

1) 다음에도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나는 참여할 것이다.

2) 세종학당에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실시된다면 계속 등록할 것이다.

3) 한국의 문화와 예술에 관하여 스스로 찾아보고 배우고 싶다.

4)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더 열심히 공부하고 싶다.

2) 조사 대상 및 실시

설문조사는 앙카라 시범사업의 참여자 41명, 샌프란시스코 시범사업 참여자 17명, 총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범사업이 종료되는 날인 2012. 11. 17(앙카라)와 2012. 12. 08(샌프란시스

코)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상자들은 3일 간의 워크숍에 모두

참여하였던 세종학당 수강생으로서, 시범사업에 대한 충분한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설문에 응

하였다고 할 수 있다.

3) 자료 분석

평가 모형의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 평가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성 분석(reliability test)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시된 항목들이 하나의 요

인으로 분리 도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을 구성하

는 항목들 간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s alpha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신뢰성 분석 이후에 가설 검정을 위해서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

Page 15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3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로 국가, 한국어 수준, 한국에 대한 이해 정도 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4) 조사 결과

설문 대상자 특성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에 참여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한 본 설문조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인 분포는 <표 Ⅴ-4>와 같다.

응답자 세종학당 빈도 퍼센트 N

성별남 7 12.1

58여 51 87.9

연령

10~20세 14 24.6

58

21~30세 29 50.9

31~40세 11 19.3

41~50세 2 3.5

51세 이상 1 1.8

무응답 1

수강기간

6개월 미만 22 39.3

58

6개월~1년 8 14.3

1년~3년 25 44.6

3년~5년 1 1.8

5년 이상 0 0

무응답 2

<표 Ⅴ-4> 응답자 분포

[Q4] 본인의 한국어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48.3%로 가장 많았고, ‘잘하는 편이다’라는 응답도 29.3%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시범 사업에

참여한 수강생들의 대부분이 평균 이상의 한국어 사용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표

Ⅴ-5>

Page 15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31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잘한다 1 1.7

잘하는 편이다 17 29.3

보통이다 28 48.3

못하는 편이다 10 17.2

전혀 못한다 2 3.4

합계 58 100.0

<표 Ⅴ-5> 한국어 사용 능력

[Q5]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보통이

다’라는 응답이 56.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많이 알고 있다’는 응답과 ‘잘 모른다’는 응

답이 동일하게 20.7%로 나타났다.<표 Ⅴ-6> 따라서 본 시범 사업에 참여한 수강생들의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가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수준에서 잘 모르고 있는 수준으로 고르게 분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많이 알고 있다 1 1.7

어느 정도 알고 있다 12 20.7

보통이다 33 56.9

잘 모른다 12 20.7

전혀 모른다 0 0

합계 58 100.0

<표 Ⅴ-6>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

[Q6]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에 관한 질문에는 <표 Ⅴ-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의 경

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가 31.5%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는 응답이 18.5%로 높게 나타났

다. 따라서 시범 사업에 참여한 수강생들이 취업이나 이민과 같은 실용적인 이유보다는 한국 문

화와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응답의 분포를

통하여 볼 때, 어느 한 가지 이유에 집중되기 보다는 모든 항목에 일정 부분은 해당하는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강생들이 다양한 이유로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운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Page 16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3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응답 빈도 퍼센트

취업을 위해서 5 9.3

한국으로 이민을 희망해서   7 13.0

현지 한국교민들과의 교류를 위해서 5 9.3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10 18.5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17 31.5

입양, 이민 등으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cultural identity) 찾기 위해서 4 7.4

기타 6 11.1

무응답 4

합계 58 100

<표 Ⅴ-7>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기술 통계 결과

[Q11] 이번 시법 사업에서 가장 좋았던 수업 방법에 관한 질문에는 <표 Ⅴ-8>과 같이, ‘한

국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자료의 활용’에 대한 응답이 30.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만들기, 체험, 공연 등 다양한 활동의 통합적 활용’에 25.0%가 응답하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예술 활동을 위한 재료와 교구를 보여주고 관련 시각자료를 통해 한국 문화를 실제적으로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한 점이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창작활동과 공연 등의 통합적 예술

활동도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강의 8 14.3

다른 수강생들과 함께하는 협동 학습 10 17.9

가족과 친구와 함께 한 전시 혹은 공연 7 12.5

한국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자료의 활용 17 30.4

만들기, 체험, 공연 등 다양한 활동의 통합적 활용 14 25.0

무응답 2

합계 58 100

<표 Ⅴ-8> 선호하는 수업 방법

Page 16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33

[Q14] 다음에 참여한다면 어떤 프로그램을 선택할 것인가의 질문에는 <표 Ⅴ-9>과 같이,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응답이 25.5%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생활 속 문화와 연계된 프로그램’에 23.6%가 응답하였다. 하지만 ‘높은 수준의 한국 문화예술

을 감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문화예술을 통해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도

21.8% 로 나타나 ‘한 가지 분야의 표현 능력을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4

가지 유형의 모든 프로그램에 고른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수준과 범위의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응답 빈도 퍼센트

생활 속 문화와 연계된 프로그램 13 23.6

다양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14 25.5

높은 수준의 한국 문화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21.8

문화예술을 통해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12 21.8

한 가지 분야의 표현 능력을 깊이 있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2 3.6

기타 2 3.6

무응답 3

합계 58 100

<표 Ⅴ-9> 다음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

[Q15] 세종학당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이 자국과 한국의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의 질문에는 ‘매우 그렇다’는 응답이 63.2%, ‘그렇다’는 응답이 33.3%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교류에 있어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하여 97%정도가 긍정

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Ⅴ-10> 시범 사업에 참가한 수강생들의 대부분이 문화

예술교육을 통한 문화 교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Page 16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3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응답 빈도 퍼센트

매우 그렇다 36 63.2

그렇다 19 33.3

보통이다 1 1.8

그렇지 않다 1 1.8

무응답 1

합계 58 100.0

<표 Ⅴ-10> 문화 교류에의 기여

[Q17] 세종학당 한국 문화교육에서 개선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표 Ⅴ-11>에서 나

타난 바와 같이 43.1%가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가르치는 수업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하

였다. 그 다음으로는 ‘좀 더 다양한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다루어야 한다’는 응답이 21.6%, 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문화 내용 빈도 퍼센트

좀 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4 7.8

좀 더 다양한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다루어야 한다. 11 21.6

터키/미국 문화와 관련성 있는 문화와 예술을 가르쳐야 한다. 4 7.8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가르치는 수업 시간을 늘려야 한다. 22 43.1

좀 더 전문적인 한국 문화와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3.9

좀 더 쉽고 흥미롭게 한국 문화와 예술을 이해할 수 있게 가르쳐야 한다. 8 15.7

무응답 7

합계 58 100

<표 Ⅴ-11> 세종학당 한국 문화교육의 개선점

가설 검증 결과

교육내용, 교육운영, 교육효과, 만족도, 지속의지에 관하여 Likert의 5단계 척도로 ‘매우 그렇

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화한

Page 16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35

설문 문항에 대한 분석 결과 대체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

한 평균이 4.616로 가장 높았으며, 지속의지가 4.535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5개 항목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Ⅴ-12〉와 같다.

항목 평균 표준편차 N

교육내용 4.495 .570 58

교육운영 4.218 .620 58

교육효과 4.498 .562 58

만족도 4.616 .432 58

지속의지 4.535 .485 58

<표 Ⅴ-12> 평균과 표준 편차

교육내용, 교육운영, 교육효과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이 채

택되었다.〈표 Ⅴ-13〉 특히 교육내용과 교육효과에 있어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세종

학당 수강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콘텐츠 개발과 함께 교육적 결과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모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유의확률B 표준 오차 오류 Beta

1(Constant) 2.076 .415 4.998 .000

교육내용 .249 .100 .329 2.498 .016

교육운영 .047 .081 .067 .575 .568

교육효과 .278 .105 .361 2.635 .011

R2 = 0.428, 수정된 R2 = 0.396, 표준오차 = 0.33585, N=58

<표 Ⅴ-13> 만족도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만족도가 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가 채택되었다.〈표 Ⅴ-1

4〉따라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이후 세종학당과 관련한 한국문화교육

에 참여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Page 16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3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영역 한국어 수준 *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교육내용>=3 40 4.413 .554

-1.620 .115<3 18 4.676 .579

교육운영>=3 40 4.233 .637

.278 .782<3 18 4.185 .597

교육효과>=3 40 4.297 .583

-2.100 .040**

<3 18 4.622 .449

만족도>=3 40 4.606 .463

-.288 .774<3 18 4.634 .366

지속의지>=3 40 4.450 .516

-.337 .024**

<3 18 4.722 .352

모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유의확률B 표준 오차 오류 Beta

1(Constant) 1.277 .541 2.359 .022

만족도 .706 .177 .628 6.046 .000

R2 = 0.395, 수정된 R2 = 0.384, 표준오차 = 0.38093, N=58

<표 Ⅴ-14> 지속의지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교육내용, 교육운영, 교육효과, 만족도, 지속의지에 대한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

기 위하여 한국어 수준과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 정도와 각 영역의 응답이 유의미한 차

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다.

한국어 수준이 보통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참여자와 보통 이하라고 생각하는 참여자 간에 교

육효과와 지속의지에 있어 95%의 신뢰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Ⅴ-15> 따라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세계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형성하는 본 시범사업의 교육효

과는 한국어 수준이 높은 응답자들에게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 수준이 높은 응답

자들이 시범사업을 통하여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지와 한국 문화 및 한국

어 학습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어 수준이 높

은 참여자들에게서 보다 높은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세종학당에서 지속적으로 한국문화

와 한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데 문화예술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는 결과

라 할 수 있다.

<표 Ⅴ-15> 한국어 수준에 따른 차이

*‘매우 잘 한다’ ~ ‘전혀 못 한다’를 5단계 척도로 ①~⑤까지 표시하도록 한 문항이다. 중간치를 ‘③보통이다’로 두고 >=3은 한국어 수준을 보통 이상인 것으로 응답한 경우와 <3은 한국어 수준을 보통 이하로 응답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Page 16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37

영역한국 문화와 예술

이해 수준 * N 평균 표준편차 t 유의확률

교육내용>=3 45 4.504 .574

.217 .828<3 13 4.464 .580

교육운영>=3 45 4.141 .642

-2.161 .040

<3 13 4.487 .464

교육효과>=3 45 4.455 .529

1.298 .076<3 13 4.200 .648

만족도>=3 45 4.644 .408

.919 .362<3 13 4.519 .515

지속의지>=3 45 4.617 .397

2.508 .015**

<3 13 4.250 .654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참여자와 보통 이하로 알

고 있다고 생각하는 참여자 간에 지속의지에 있어 95%의 신뢰 수준에서, 교육운영에 있어

90%의 신뢰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Ⅴ-16> 따라서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

해 수준이 높은 응답자들이 본 시범사업의 교육효과, 교육 내용. 교육 운영에 대하여 보다 높은

비율로 긍정하고 있으며, 시범사업을 통하여 다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지와 한

국문화 및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가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표 Ⅴ-16>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른 차이

*‘매우 잘 한다’ ~ ‘전혀 못 한다’를 5단계 척도로 ①~⑤까지 표시하도록 한 문항이다. 중간치를 ‘③보통

이다’로 두고 >=3은 한국어 수준을 보통 이상인 것으로 응답한 경우와 <3은 한국어 수준을 보통 이하로

응답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3. 시범사업 결과 분석

가. 앙카라 세종학당 시범사업

이번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들의 한국어 구사능력은 중급 정도였지만, 언어 능력이

곧 문화적 수준과 일치하지 않음을 수업 기간 동안 참가자들이 보여준 몰입과 성숙한 토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 문화예술에 관심이 높았으나 그동안 충분한 기회를 얻지 못하였던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한국문화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스

Page 16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3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럽게 자신의 문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게 되는 다문화적 감수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설

문조사에도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이와 같은 경험의 기회를 자주 갖게 되기를 희망하였고, 기회

가 된다면 다시 참여할 의지가 있으며 지인에게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추천하고 싶다고 응

답하였다. 이번 시범사업은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기회였다.

시범사업이 어떤 면에서 앙카라 세종학당에 기여하였는가에 대하여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로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현지인들에게 전문적인 예술강사에게 교육을

받고 그들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는 의미 있는 기억으로 남을 수 있다. 세종학당의 수강

생들 가운데에는 한국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제로 한 번도 한국에

방문해 볼 수 없는 사람들이 다수 있다. 이들에게 한국문화의 정통성을 보여주는 한복, 탈, 복

주머니와 같은 전시물과 한지와 같은 양질의 재료, 더 나아가 한국 문화를 이어가는 전문 예술

강사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쉽게 잊히지 않는 강력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

지 찾아가 보여주는 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 함께 어우러지고 흥겹게 즐기는 한국문화

는 현지 수강생들에게 한국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에서

는 한복4종, 탈춤 사진, 탈, 복 주머니, 한지5종, 각종 자료물 등 준비해간 전시물과 재료, 그리

고 탈춤 더거리(탈춤의상 1벌)를 세종학당에 기부하여 이러한 한국 문화에 대한 추억이 상기되

고 이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로 이번 시범사업에서 성공적이었던 부분은 현지 교육강사와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드

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현지 교육강사들은 사전 교육의 과정에서 스스로 한국

공예와 탈춤에 대하여 학습하고 지도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로 직접 참여

하여 이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교육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매뉴얼와

교수학습자료가 제공된다면 자신들도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교육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은 수강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매개자 교육의 기능

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현지의 자생력 차원에서 핵심적인 부분이

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실행의 전 과정에서 현지 한국어강사

들의 역할을 미리 설정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강사들의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나.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시범사업

전반적인 참가자의 반응을 볼 때 시범사업은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판단할 수 있

다. 시범사업 후 평가회에서 현지 한 세종학당 강사는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here &

now’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실제로 본 매뉴얼은 제3장에서 제시하

Page 16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39

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세종학당의 여건을 조사하여 지역적, 문화적 특성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을 고안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샌프란시스코의 도시 이야기’라는 프로그램의 제목도 워크숍

의 내용이 오늘 그곳에서의 삶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시범사업의 결과는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이 앞으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개발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이제까지 한국문화교육이라고 하면 수강생의 입장에서는 먼 옛날 한국이

라는 나라의 전통과 문화를 배우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프로그램은 현

재 샌프란시스코를 살아가는 수강생들 자신의 삶을 산수화라는 한국문화에 투영하여 새롭게 표

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공동 작업을 하면서 수강생들은 각기 경험한 다양한 샌프란시

스코의 모습을 담아내면서 같고도 다른 그들의 생활공간을 재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수묵

화 표현에 몰입하고 공감하면서 한국과 미국, 다르지만 같음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왜 필요한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번 사업에서 부분적이나

마 찾아볼 수 있다. 한국문화교육을 통하여 세종학당이 한국어 교육 기관과 차별화된 문화교류

의 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시범사업의 만족도 조사에서 문화예술교

육이 자국과 한국의 문화 교류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 응답이 높았고, 나

아가 향후 세종학당의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방형

질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참가자들은 이번 워크숍을 영적인 강의, 대단한 경험, 심층적인

토론, 열정적인 강사와 같은 용어로 서술하였다.

예술매체는 보다 직감적이고 감각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내는 데에 유

용한 도구가 된다. 자신의 감각과 신체를 움직여 탐색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단지 한국문화를 아

는 것을 넘어 한국문화에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따라서 짧은 시간의 교육을 통해서도 몰입

도가 높고 친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묵화는 특히 효과적인

표현 매체로 활용되었다. 워크숍에서는 붓과 먹을 다루는 올바른 방법보다는 긴 털을 가진 한국

붓이 제공하는 자유로운 감정 표현과 먹이 가지는 즉흥적이고 유연한 표현을 즐기도록 하는 데

에 주안점을 두었다. “Language is no barrier.”라는 한 참가자의 소감과 같이 예술은 언어적이

고 인지적인 장벽을 넘어서 문화 간 공감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소통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이번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서 예술강사는 한국문화와 샌프란시스코의 참가자들을 이어주

는 연결고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예술강사의 경험과 조언은 이후 세종학당

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 운영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다. 예술강사 FGI 분석

이번 시범사업의 평가에서 예술강사는 교육 효과와 참여자 만족도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Page 16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4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주제 내 용

교육

목표

▪ 표피적으로 접한 한국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차별화된,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 한국 문화와 예술의 속 깊은 맛과 멋을 가르치고자 함.

▪ 예술 분야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들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

사업

운영

▪ 현지의 종교적, 문화적 성향, 교육 장소, 참여자 특성 등 지역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함.

▪ 현지 운영자 및 교육강사를 대상으로 한 사전 교육이 필요함.

- 수업을 지원하는 교육강사, 자원봉사자들과 수업 계획을 안내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효과적이었음.

▪ 사전 준비를 위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함.

▪ 한국어 강사들은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연수가 필요함.

소통

▪ 한국 문화와 전문적인 예술용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통역이 필요함.

- 한국 문화의 상징성 측면에서 예술강사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표 Ⅴ-17> 예술강사 FGI 요약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의견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 ‘전문적인 선생님을 통해 교육

을 받는 것이 좋았다.’는 반응이 다수 나타났다. 샌프란시스코의 한 참여자는 이에 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었다. 정말 즐긴 것 같다. 예술강사는 매우 능력 있고 좋은 선생님이다. 그의 미술가적 자질 때문에 그가 나의 선생님이라는 것에 매우 행운이라고 느껴졌다. 그는 나에게 매우 훌륭한 강의와 조언을 해주었다. 그것은 매우 열정적이었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 그리고 다른 선생님들과 방문자들도 매우 친근하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 배우는 것과 그림을 그리는 것에 많은 자극받았다.

예술강사는 단지 수업을 진행하는 역할을 넘어서 정통성을 가진 한국문화와 예술의 체화된

대상으로서 인식되었다. 예술강사는 한국의 정체성, 전통성, 예술적 전문성을 그 자체로 보여주

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하여 확실한

개념을 가르친다는 신뢰를 주었고, 이는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

다. 또한, 참여자들은 예술강사와 직접 상호작용하고 대화를 나누는 것 자체에 많은 의미를 부

여하게 된다. 따라서 차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전문적인 예술강사의 참여는 지속적으

로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범사업 평가의 일환으로 시범사업에서 교육을 담당했던 예술강사 세 명과 연구진이 FGI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표 Ⅴ-17>

Page 16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 시범사업 평가 |141

▪ 현지 교육강사와 예술강사 간의 사전 조율과 소통이 필요함.

▪ 연령, 직업, 한국어 능력, 문화적 수준에 있어 다양한 학습자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함.

통합

▪ 예술강사의 협업을 통한 다양한 예술분야가 통합된 프로그램이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

▪ 행사형 프로그램 이외에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진행되는 프로그램도 모색되어야 함.

- 흥, 신명 등과 같은 한국적 정서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가 정규 수업 시간을 통해 일정 수준 이루

어진다면, 단기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라도 보다 깊은 예술적 체험이 가능함.

▪ 이해와 경험이 통합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음.

- 참여자들이 한국 문화를 알게 되고, 직접 제작하고, 발표하는 과정에 많은 흥미를 느낌.

상호

문화

교류

▪ 한국의 예술적 표현 방식을 현지 사람들의 생활 경험에 접목시키도록 함.

- 결과적으로 한국문화를 통하여 현지 수강생들이 자신의 표현 방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

▪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자신의 문화와 접목시켜 결과물에 새롭고 흥미로운 표현이 나타남.

- 참여자가 직접 스토리텔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여 표현함.

Page 17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 결론 및 제언

1. 요약

2. 제언

3. 기대효과

Page 17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 결론 및 제언|143

VI. 결론 및 제언

1. 요약

세계화시대에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문화뿐만 아니라

타문화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문화적 감수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문화홍보를 위

하여 한국문화원, 한국학교, 한국교육원 등이 해외에 설치되어 있으나 종합적인 기획, 전문 인

력, 예산, 교류 프로그램 등의 체계상 한계로 인해 효과적인 문화 외교를 펼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문화를 알리는 해외 여러 기관 가운데 세종학당은 한국문화교육의 교두보 역할

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지원하는 대표적인 한국어

교육 기관으로, 나이, 학력, 직업 등에 상관없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이면 누구나 한

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2012년 09월 현재 세계 43개국 90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도구적, 기능적 차원을 넘어서 문화를 총괄적으로 이해하고 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확장하고자 하는 논의가 지속 되어왔다. 세종학당의 특성 상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가 한국어에 대한 언어적 지식보다 한국에 대한 문화적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국 문화교육의 차원에서 세종학당의 역할을 확장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본 사업에서는 지역, 계층, 성별 등이 다양한 대상에게 한국 문화를 중심

으로 다양성을 교육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문화예술교육

에 주목하였다. 외국인들이 한국문화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표현하고 참여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문화예술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의 실제적인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사업은 세계화시대 한국문화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을 연구하고, 문화 외교의 차원에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베트남, 영국, 미국, 중

국, 터키, 케냐의 6개 지역을 선정하여, 세종학당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예술 네트워크에 관하여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지역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연구하

였다. 또한, 매뉴얼에 따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2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 평가하였다. 본 사업의 연구 결과는 「세

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라는 제목의 매뉴얼 형태로 제작하여 세

종학당에 배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기본 방향 수립에서 시범 사업 평가에 이르는 본 사업의 내용은

개념화에서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사업 진행상의 내용적 연

계성과 체계성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었다. 특히 세종학당의 실제적 상황을 고려한 타당성 있는

Page 17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4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문화예술교육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해 다각도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 설문조사, FGI, 전문가협의회 등을 통하여 세종학당 운영자 및 강사, 수강생을 비롯

하여 한국어교육 전문가,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강사, 6개 지역 출신의 현지 체류자 등 세종학

당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매뉴얼 개발 및 시범사업에

반영하였다.

본 사업의 결과로 제작된 매뉴얼인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

이」는 수요자 중심,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질적

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지역 네트워크를 기초로 수강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

영할 수 있을 때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의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한국

문화예술의 핵심을 다루되 현지에서 유연하게 조정하고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시범사업의 결과는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이 상호문화

교류와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개의 시범 사업 모두

새로운 문화로서 한국에 대하여 알게 되는 것을 넘어서, 예술 매체를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과정 자체가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수강생들 은 자신

의 삶을 한국 문화에 투영하여 새롭게 발견하고 표현할 수 있었으며, 공동 작업을 하면서 수강

생들은 자신의 문화와 한국 문화의 같고 다름 못지않게, 그들 안에서의 문화적 다양성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이번 시범 사업은 단지 찾아가 보여 주는 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함께 어우러지고 흥겹게

즐기는 한국 문화를 펼쳐 보임으로써 현지 수강생들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

하게 하였다. 또한, 현지 교육 강사들과 자원 봉사자들이 사전 교육의 과정에서 스스로 한국 공

예와 탈춤에 대하여 학습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이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직접 수강생

들을 대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운영 안내와 교수 학습 자

료가 제공된다면 자신들도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교육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을 나타내었

다. 이처럼 시범 사업의 결과는 수강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매개자 교육의 기능

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현지의 자생력

을 높이는 차원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사업은 기능적 언어교육을 넘어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심미적, 정서적 경험

을 제공하여 실제적인 한국문화교육이 세종학당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보여주었다는 점

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제언

Page 17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 결론 및 제언|145

가.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실행 모델

본 사업은 한국의 높은 문화적 수준과 역량을 외국인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외

문화교류의 거점을 마련하는 데 있어 세종학당 한국 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국가적 중요성을 분명하게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보

다 전문적인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심화ㆍ확장함과 동시에,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장기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 가능한 로드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기관에서의 지원이 중복되지 않도

록 하고,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살린 한국 문화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토대

가 된다. 장기적으로 지속발전 가능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세종학당의 특성과 맥락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필

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개념화하고,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한국어교육 및 예술교육의 간학문적 기초 연구

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별로 특성화된 세종 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

실시하고 성공적인 한국 문화교육 사례를 축적해 감으로써, 문화 외교의 거점으로서 세종학당의

역할과 위치에 대한 인식을 넓혀 나가야 한다. 세종학당 한국 문화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높은 수준의 콘텐츠 개발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한국 문화교육의 깊이와

폭을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차원에서 전문 인력의 역량 개발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전

문 인력이란 예술 강사와 이를 기획, 운영, 지원할 수 있는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 강사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예술강사를 발굴

하고,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맥락에서 예술 교육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전

문 인력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 강사의 협력적 교수활동이 필수적이므로,

세종학당 강사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 및 문화예술교육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

해 온라인, 오프라인 연수 프로그램의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

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자생력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초가 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지원 시스템 마련이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한 단체 혹은

개인이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관 간의 연계와 협력이 프로그

램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예술 기관 및 문

화예술 인력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전문 예술인, 악기, 재료

및 매체 등은 미적 경험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외 세

종학당에서 이를 지원받을 수 있는 시스템과 자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7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4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본 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제안하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실행 모델은 〈그림 Ⅵ-1〉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그림 Ⅵ-1〉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실행 모델

나. 차년도 운영 방안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기관과 주체가 협력적 관

계 속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과 문화예술교육, 문화

단체 및 기관이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공유하고, 동일한 이해에 기초하여, 지역적 조

건을 반영한 특성화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차원에서 차년도 운영을 위한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문 예술강사를 중심으로 한 씨앗형과 현지 교육 강사를 중심으로 한 역량 강화형으로 요약될

수 있는 다음의 운영 방안들은 해당 세종학당의 상황과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되거나, 2

가지 모두를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1) 씨앗형: 전문 예술 강사 중심

씨앗형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전문적이고 심화된 한국의 문화예술을 단기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여 지역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세종학당에서 한국 문화교육의 가능성

Page 17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 결론 및 제언|147

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여러 가지 한계 상황으로 실시하지 못하였던 예술적

경험을 전문 예술 강사가 진행하는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세종학당의 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학습 결과물의 공연ㆍ전시 등을 통

하여 지역에서 한국 문화와 예술이 가지는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한국 문

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과 동시에 세종학당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 강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씨앗형의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조사하

여 파악하는 것과 현지 세종학당과 소통하여 수강생의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 Ⅵ-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다양한 주체들

이 단계적으로 협력해 가는 가운데, 국내에서 파견된 예술 강사가 현지 수강생들과 소통하고 공

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현지 교육 강사들에게 충분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예술 강사의 교수 방법과 수업

진행 노하우를 차후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단기 워크숍의 형태로 진행되는 씨앗

형 프로그램이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세종학당의 교육 콘텐츠로 발전될 수 있

을 것이다.

〈표 Ⅵ-1〉 차년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운영 로드맵: 씨앗형

2) 역량 강화형: 현지 교육강사 중심

역량 강화형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 관련 단체에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필요한 제반 사항을 지원하여, 현지의 교육 강사들이 이를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역량 강화형의 경우 지역의 문화

Page 17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4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적 특성과 현지 세종학당의 교육과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

능성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한국 문화교육에 대한 운영 의지가 분명한 세종학당을 선정하는 것이 사업의 효과를 높이는 중

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역량 강화형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그 결과를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로 종합, 정리하고 대내외적으로 공유한다면,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한 한국

문화교육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현지 교육 강사가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

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강사가 실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

고, 현지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우수한 재료와 교구를 제공하여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

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그램의 수준과 범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교

육 강사와 수강생이 한국 문화를 관람자가 아닌 주체적 참여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

는 것이다. 역량 강화형은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를 사업 이후에도 프로그램에 대한 컨설팅과 교수ㆍ학습자

료 혹은 재료 및 교구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표 Ⅵ-2〉

〈표 Ⅵ-2〉 차년도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운영 로드맵: 역량강화형

3. 기대효과

세계화시대 한국 문화교육의 방향 제시

본 사업은 세계 속에서 한국문화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고 나누는 가운데 문화적 다양성을

Page 17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VI. 결론 및 제언|149

향유할 수 있는 기회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새롭게 조명하여, 한국 문화교육을 세계적 차원에서

실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시범 사업의 결과는

세계화시대 한국의 국가 브랜드를 문화적 차원에서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높은 문화적 수준과 역량을 외국인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산

업화를 통한 경제 강국의 이미지를 넘어서 문화적 역사과 전통을 가진 국가적 이미지를 제고하

였다. 또한, 매뉴얼 개발을 통하여 전통과 현대의 문화예술을 아우르는 폭넓은 한국 문화교육의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에 따라 편중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확장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매뉴얼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한 세종

학당에서 실시된다면, 공연, 전시, 행사 등을 통하여 한국 문화가 지역 사회에 보이고 공유되는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 확장

지난 10여 년간 문화예술교육은 사회 전반에서 그 역할을 새롭게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확장

해왔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창작을 넘어서, 사회 다양한 계층의 문화적 권리와 참여를 보장

하기 위한 노력이 정책적, 실천적 차원에서 진행되어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사업은 문화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국가적, 세계적 수준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즉 세계 속에서 한국문화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고 나누는 가운데 문화적 다양성을 향유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사업을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이 개인의 의미 있는

삶과 민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에 중요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세계 속에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 함께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본 사업은 실질적이 가이드

를 제공하여 세종학당의 역할과 성격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

미가 있다. 이는 본 연구의 결과물인 매뉴얼이 한국에서 개발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세계 여러 지역 세종학당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수강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보다 전문적인 문

화예술교육을 통한 깊이 있는 한국 문화교육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역에서 자생적인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시도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의미와 방향, 원리와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각 세종학당에서 운

Page 17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5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영 의지를 가지고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매뉴얼 개발 사업을 시작으로 앞으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의 기틀이 마련되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세종학당이

문화외교의 장으로서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ge 17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참고문헌

Page 18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여백

Page 18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참고문헌|153

참고문헌

단행본

김만석. (2010). 『컨버전스 시대 전통문화원형의 문화콘텐츠화 전략』. 서울: 북코리아

박신의. (2002). 『문화예술 경영 이론과 실제』. 서울: 생각의 나무.

박영순. (2006).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서울: 한림출판사.

신승환. (2007).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 지평』. 서울: 한길아트.

오만석. (2003) 「21세기 한국문화교육의 새 패러다임 탐색」. 김복수 외, 『문화의 세기, 한국의 문화

정책』. 보고사.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2005), 『세계시민을 위한 국제이해교육 』.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이재기. (2002). 『국제지역학의 이해』. 서울: 두남.

이재기. (2009). 『신중동.아프리카 경제론』. 서울: 형지사.

임경순. (2009).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조부근. (2009). 『글로벌 시대의 문화산업과 문화교류』. 서울: 민속원.

최준식. (2011). 『세계인과 함께 보는 한국문화 교과서』. 서울:소나무

홍순석김호연 편. (2009). 『한국문화와 콘텐츠』. 채륜. p.19

Anthony, G.(2000). 『질주하는 세계』. (박찬욱, 옮김). 서울: 생각의 나무. (원서출판 1998).

Berns, M. S. (2012). 『의사소통능력과 맥락』. (전한성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 (원서출판 1990).

Byram, M.(1989), 『Cultural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Hirsch, E. D.(1987), 『Cultural literacy: What every American needs toknow』. Boston: Houghton

Mifflin.

Hofstede, G. H. (1995), 『세계의 문화와 조직』. (차재호 ․ 나은영 옮김). 서울: 학예사.(원서출판

1991).

Hooks, B. (1992). 『Black look: Race and representation』. MA: South End Press.

Kramsch, C. J.(1993),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Lagoutte, D. et al.(2011). 『조형예술 교육론: 내용, 목표, 긍극 목적』. (김현수 옮김). 서울: 나남,

Page 18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5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원서출판 1999).

Pieterse, J. N. (2009). 『Globalization and culture: Global mélang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Palmer, P. J. (2005).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옮김). 서울: 한문화. (원서출판 1998).

Said, E. (2007). 『오리엔탈리즘』. (박홍규 옮김). 서울: 교보문고(원서출판 1978).

Seelye, H. (1993). 『Teaching culture: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ird Edition.

Lincolnwood』, IL: National Textbook Company.

Valdes, J. M.(1986), 『Culture Bound: bridgeing the cultural gap in langage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학술지

강승혜. (2002). 재미교포 성인 학습자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연구. 한국어교육,

13(1), 1-25.

강승혜. (2003). 한국문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요구분석. 한국어교육, 14(3), 1-29.

권오경. (2006).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어문론총, 45, 389-431.

권오경. (2009).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언어와 문화, 5(2), 49-72.

김동환. (2008).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31, 297-321.

김동환. (2009). 서사 모티프의 문화 간 이야기화 양상과 한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35, 189-212.

김아영. (2011). 한국어 국외 보급 정책으로서의 세종학당 연구 : 세계 주요 국가 자국어 보급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상명대학교.

김주관. (2007). 언어를 통한 문화 교육(1): 민족과학 방법의 적용. 언어와 문화, 3(3), 73-94.

김주관. (2008). 언어를 통한 문화 교육(2):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방법의 적용. 언어와 문화, 4(1),

129-150.

김중순. (2010). 다문화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교사교육의 방향. 한국언어문화학, 7(1), 81-116.

김진엽. (2006). 디지털 미술: 무관심성에서 상호작용으로. 철학과 현실 70, 41-52.

라혜민‧ 우인혜. (2001). 중급 교재 내의 문화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1차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민현식 (1996). 국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론의 내용구성 연구. 한국말교육 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1-142.

Page 18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참고문헌|155

민현식. (2006).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한국언어문화학, 3(2), 137-180.

박노자. (2000).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어교육, 11(2).

박영준. (2000). 한국어 숙달도 배양을 위한 문화적 어휘, 표현의 교육. 한국어교육, 11(2), 89-110.

변계원. (2011). 해외 국악교육의 실태 분석과 세계화 방안 고찰. 한국음악연구, 49, 121-139.

안경화. (2001). 속담을 통한 한국 문화의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 12(1), 143-163.

오지혜. (2007).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한국언어

문화학, 4(2), 83-120.

윤여탁. (2011). 한국어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언어와 문화, 7(3), 163-181.

이석주(2002). 한국어 문화의 내용별, 단계별 목록 작성 시고. 이중언어학 21, 이중언어학회, 20-44.

이선이. (2007). 문화인식과 문화교육-한국문화교육을 위한 제언. 언어와 문화, 3(1), 49-66.

이진숙. (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 국어교육연구,

331-350.

임경순. (2006). 문화중심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19, 293-320.

조항록. (2000). 초급 단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한국어교육, 11(1), 153-173.

조현용. (2003). 한국문화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22, 이중언어학회, 343-364.

최정순. (2004).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의 등가적 통합. 언어와 문화, 1, 63-81.

황인교. (2004). 한국어 교육과 한국문학. 이화어문논집, 22, 5-29.

Agar, M. (1994). The intercultural fram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8(2),

221-237.

Condon, K .(2011). 다문화 미술교육: 여행, 진정성, 그리고 타인과의 조우에 대한 성찰. 미술과 교육.

12(1), 15-26.

Hall, S. (1980). Cultural studies: Two paradigms, Media, culture and society, 2(1), 57-72.

Seltzer_Kelly, D.ㆍWestwood, S. J.ㆍPena_Guzman, D. M.(2010). 「Deweyan multicutural

democracy, Rotian solidaity, and popular arts: Krumping into presence」. 『Study of

Philosophy in Education』, 29, 441-457.

Page 18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여백

Page 18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 록

Page 18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여백

ㅇ 부록 기본 글자체 : 본문 원고 작성법과 동일

Page 18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59

안 녕 하 십 니 까 ?

한 양 대 학 교 에 서 는 한 국 문 화 예 술 교 육 진 흥 원 의 지 원 을 받 아 『새 종 학 당 연 계 한 국 문

화 교 육 매 뉴 얼 개 발 』연 구 를 수 행 하 고 있 습 니 다 . 본 연 구 에 서 는 세 종 학 당 과 연 계 하 여 한

국 전 통 문 화 의 정 신 과 가 치 를 접 할 수 있 는 예 술 교 육 프 로 그 램 을 제 공 함 으 로 써 한 국 어 -

한 국 문 화 교 육 을 통 합 적 이 고 효 과 적 으 로 지 원 하 고 자 합 니 다 . 이 번 설 문 은 향 후 현 지 전

문 인 력 을 중 심 으 로 자 생 적 인 한 국 문 화 교 육 이 지 속 적 으 로 실 행 될 수 있 도 록 하 기 위 하

여 한 국 문 화 교 육 에 대 한 세 종 학 당 의 요 구 를 파 악 하 기 위 한 것 입 니 다 . 본 조 사 의 결 과 는

현 지 세 종 학 당 의 공 간 적 ․인 적 인 프 라 를 활 용 한 토 착 화 된 한 국 문 화 교 육 운 영 시 스 템 마

련 에 중 요 한 토 대 를 제 공 하 게 될 것 입 니 다 . 해 당 사 항 에 ∨ 표 해 주 시 고 , 자 유 의 견 의 경

우 에 는 자 세 하 게 적 어 주 시 면 감 사 하 겠 습 니 다 . 2 0 1 2 . 0 8 .

연 구 책 임 자 한 양 대 학 교 김 선 아

※ 이 번 조 사 에 대 하 여 궁 금 하 신 사 항 이 나 의 문 이 있 으 신 분 들 께 서 는 아 래 로 문 의 하

여 주 시 기 바 랍 니 다 .

◦ 연 구 책 임 자 : 김 선 아

◦ 전 화 : 0 1 0 -2 4 1 1 -2 6 4 7

◦ E -m a il: sa k im 2 2 @ h a n ya n g .a c .k r

부록

[부록 1] 기초조사 설문지 – 교육강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 요구 조사

- 교 육 강 사 용 -

세종학당 운영현황

1. 운영 기관 2. 개원일

3. 강사현황 4. 등록 학생수

Page 18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0|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Part 1 세종학당 수강생의 특성 (1~6번)

1. 수강생들의 구성에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순으로 적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 (4순위: ) - (5순위: )

① 20세 미만 ② 20세~30세 ③ 30세~40세 ④ 40세~50세 ⑤ 50대 이상2. 수강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이유에 관한 질문입니다. 우선순위에 따라 3가지를 골라 적어주십시

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이 높아서 ②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배우고 싶어서③ 취업 등 한국으로의 이주를 준비하기 위해서 ④ 현지 한국교민들과의 교류를 위해서⑤ 입양, 이민 등으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⑥ 기타( )

3. 수강생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4. 한국문화에 관한 체험 중심 프로그램을 세종학당에서 제공했을 때 수강생의 참여도는 어떠할 것으로 생

각하십니까?

□① 매우 높을 것이다. □② 높을 것이다. □③ 보통이다□④ 낮을 것이다. □⑤ 매우 낮을 것이다.

5. 현지인들이 어떤 형태의 문화ㆍ예술을 선호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에 따라 3가지를 골라 적어주

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음악 ② 미술 ③ 공예④ 무용 ⑤ 연극 ⑥ 영화⑦ 축제 ⑧ 대중음악 ⑨ 드라마⑩ 기타 ( )

Page 18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61

6. 한국문화에 관한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현지 수강생의 특성은 무엇입니까?

Part 2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의견 (7~10번)

7.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까?

□① 그렇다(4-1 문항으로) □② 아니다(4-2 문항으로)7-1. (4. 문항에서 ‘그렇다’로 답한 경우) 현재 포함하고 있는 한국 문화에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로 표

시하여 주십시오.

□① 세종학당의 홍보를 위해 한국 문화와 관련한 행사 실시□② 한국어 교육을 하면서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의 내용을 포함 □③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 제공□④ 한국 문화를 활용하여 한국어 활용의 기회 확대□⑤ 기타( )

7-2. (4. 문항에서 ‘아니다’로 답한 경우) 프로그램에 한국 문화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않는 이유를 한 가지만 골라 표시하여 주십시오.

□① 교육 인력이 없어서□② 수강생들의 관심이 없어서□③ 한국어 교육과 관련성이 없어서 □④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물적 자원이 없어서□⑤ 기타( )

8. 한국 문화예술에 관한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9. 한국문화에 관한 프로그램이 앞으로의 세종학당 운영에 어떤 부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한국에 대하여 호감과 친밀감을 갖도록 할 것이다. ② 한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③ 세종학당의 수강생이 증가할 것이다. ④ 한국 문화ㆍ예술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이다. ⑤ 기타( )

Page 19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2|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10. 만약 지원이 된다면 포함하고 싶은 한국 문화ㆍ예술을 우선순위에 따라 3가지만 적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국악 ② 현대음악 ③ 대중음악④ 전통미술 ⑤ 현대미술 ⑥ 전통공예⑦ 서예 ⑧ 사진 ⑨ 영상⑩ 전통무용 ⑪ 현대무용 ⑫ 축제⑬기타( )

Part 3 현지 문화예술의 현황(11~2번)

11. 현재 세종학당에서 연계하고 있는 지역의 문화예술 단체가 있습니까?

□① 있다(6-1 문항으로) □② 없다

11-1. (11. 문항에서 ‘있다’로 답한 경우)현재 세종학당에서 연계하고 있는 지역의 문화예술 단체를 모두

적어 주십시오.

12. 현지 세종학당에서 한국 문화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발굴하여 활용할 수 있는 한국 문화, 예술 관련

인력(예술가, 학자 등)이 있습니까?

□① 있다(6-1 문항으로) □② 없다

12-1. (12. 문항에서 ‘있다’로 답한 경우)발굴하여 활용할 수 있는 한국 문화, 예술 관련 인력에 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모두 적어주십시오.

Page 19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63

자유

의견♣ 현지 세종학당의 입장에서 바라는 한국문화교육에 관하여 자유롭게 적어주십시오.

13.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현지의 문화적 특성이 있다면 모두 적어 주십시오.

14. 한국어교육, 한국문화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현지의 고유한 문화ㆍ예술이 있다면 모두 적어 주십시오.

감 사 합 니 다

Page 19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4|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안 녕 하 십 니 까 ?

한 양 대 학 교 에 서 는 한 국 문 화 예 술 교 육 진 흥 원 의 지 원 을 받 아 『세 종 학 당 연 계 한 국

문 화 교 육 매 뉴 얼 개 발 』연 구 를 수 행 하 고 있 습 니 다 . 본 연 구 에 서 는 세 종 학 당 과 연 계 하 여

한 국 전 통 문 화 의 정 신 과 가 치 를 접 할 수 있 는 예 술 교 육 프 로 그 램 을 제 공 함 으 로 써 한

국 어 -한 국 문 화 교 육 을 통 합 적 이 고 효 과 적 으 로 지 원 하 고 자 합 니 다 . 이 번 설 문 은 향 후 현

지 전 문 인 력 을 중 심 으 로 자 생 적 인 한 국 문 화 교 육 이 지 속 적 으 로 실 행 될 수 있 도 록 하

기 위 하 여 한 국 문 화 교 육 에 대 한 세 종 학 당 의 요 구 를 파 악 하 기 위 한 것 입 니 다 . 본 조 사

의 결 과 는 현 지 세 종 학 당 의 공 간 적 ․인 적 인 프 라 를 활 용 한 토 착 화 된 한 국 문 화 교 육 운 영

시 스 템 마 련 에 중 요 한 토 대 를 제 공 하 게 될 것 입 니 다 . 해 당 사 항 에 ∨ 표 해 주 시 고 , 자 유

의 견 의 경 우 에 는 자 세 하 게 적 어 주 시 면 감 사 하 겠 습 니 다 .

2 0 1 2 . 0 8 .

연 구 책 임 자 한 양 대 학 교 김 선 아

※ 이 번 조 사 에 대 하 여 궁 금 하 신 사 항 이 나 의 문 이 있 으 신 분 들 께 서 는 아 래 로 문 의 하 여 주 시 기 바 랍 니 다 .

◦ 연 구 책 임 자 : 김 선 아

◦ 전 화 : 0 1 0 -2 4 1 1 -2 6 4 7

◦ E -m a il: sa k im 2 2 @ h a n ya n g .a c .k r

이름: 소속 세종학당:

국적: 연령:

한국어교육 경험:(_____ 년)

[부록 2] 기초조사 설문지 – 수강생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 프로그램 요구 조사

- 수 강 생 용 -

인 적 사 항

Page 19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65

Part 1 세종학당 수강생의 특성 (1~6번)

1.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선 순위에 따라 3가지를 골라 적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이 높아서 ②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배우고 싶어서③ 취업 등 한국으로의 이주를 준비하기 위해서 ④ 현지 한국교민들과의 교류를 위해서⑤ 입양, 이민 등으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⑥ 기타( )

2. 본인에게 한국 문화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까?

3.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① 많이 알고 있다. □② 알고 있다. □③ 보통이다□④ 모른다. □⑤ 전혀 모른다.

4. 어떤 형태의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알고 계십니까? 우선순위에 따라 3가지를 골라 적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국악 ② 현대음악 ③ 대중음악④ 전통미술 ⑤ 현대미술 ⑥ 전통공예⑦ 서예 ⑧ 사진 ⑨ 영상⑩ 전통무용 ⑪ 현대무용 ⑫ 축제⑬기타( )

Page 19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6|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Part 2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의견 (7~10번)

5. 현재 배우는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까?

□① 그렇다(4-1 문항으로) □② 아니다5-1. (4. 문항에서 ‘그렇다’로 답한 경우) 현재 포함하고 있는 한국 문화에 해당하는 항목에 모두 √로 표

시하여 주십시오.

□① 한국 문화와 관련한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음.□② 한국어 교육 과정 중 한국 문화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③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해 한국 문화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음. □④ 한국어 교육과정 이외에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

음.□⑤ 기타( )

6. 한국 문화예술에 관한 프로그램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7. 한국문화에 관한 예술 프로그램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우선순위에 따라 3가

지를 골라 적어주십시오.

(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다.② 한국어를 보다 잘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 ③ 한국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이다.④ 한국에 대하여 호감과 친밀감이 생길 것 같다. ⑤ 기타( )

8. 한국문화와 예술에 관한 체험 중심 프로그램을 세종학당에서 제공했을 때 참여할 의사가 있으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Page 19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67

9. 어떤 형태의 한국 문화와 예술을 배우고 싶으십니까? 우선순위에 따라 3가지를 골라 적어주십시오.(1순위: ) - (2순위: ) - (3순위: )

① 국악 ② 현대음악 ③ 대중음악④ 전통미술 ⑤ 현대미술 ⑥ 전통공예⑦ 서예 ⑧ 사진 ⑨ 영상⑩ 전통무용 ⑪ 현대무용 ⑫ 축제⑬기타( )

10. 한국 문화예술에 관한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고려해야 할 현지의 문화적 특성은 무엇입니까?

자유

의견

♣ 세종학당 수강생의 입장에서 한국문화교육에 관하여 바라는 점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적어주

십시오.

감 사 합 니 다

Page 19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68|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분석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부록 3] FGI 핵심 질문

한국어교육 전문가 FGI 세종학당 운영자 FGI 현지인/수강생 FGI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 있어 한국

문화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한국문화 교육 차원에서 실시하거나 계획 중

인 활동은 무엇입니까?

- 어떤 계기로 한국

게 되셨습니까?

-현지에서 한국문화

지고 있습니까?

한국문화교육을 위해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

육을 실시하는 것의 장점과 한계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교육 강사의 입장에서 세종학당에서 한국문

화교육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

까?

-한국문화교육을 위해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십니까?

세계화 시대 한국 문

악, 미술, 공예, 드라마

예술교육이 필요하다고

유는 무엇입니까?

세계화 시대 한국어교육을 통한 한국문화교육을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실시하고자 할 때 무엇을 가

장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 문화교류를 위해 세종학당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글로컬 문화교육의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이 현

지의 지역의 문화 혹은 공동체와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지역 문화와 관련성을 갖도록 하고 현지인이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적

요소(현지의 예술/예술가, 문화 기관, 풍습 등)에

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 있는 지역의 문화

니까?

한국문화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어교육과 문화예

술교육이 어떤 방식으로 통합되고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세종학당의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은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현지인들이 관심을

문화의 내용은 무엇입니

Page 19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69

[부록 4] 시범 사업 만족도 조사 설문지 – 한글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조사

-수강생용-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 조사는 세종학당에서 실시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여러분이 얼마나 만족하였는지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질문들을 읽고 생각하고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답해 주기 바랍니다.

아래 질문들을 꼼꼼히 읽고 자신의 생각에 해당되는 곳에 ∨표를 하기 바랍니다.

보기 1)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무엇인가요?

□① 노란색 □② 빨간색 □③ 흰색 □④ 파란색

2) 써야 할 곳에는 솔직하게 여러분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1. 여러분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2. 여러분의 나이는?

□① 10~20세 □② 21~30세 □③ 31~40세

□④ 41~50세 □⑤ 51세 이상

3. 세종학당에 다닌 기간은? □① 6개월 미만 □② 6개월~1년 □③ 1년~3년

□④ 3년~5년 □⑤ 5년 이상

4.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가장 중요한 이유 1개만 선택하여 주세요.

□① 취업을 위해서

□② 한국으로 이민을 희망해서 

□③ 현지 한국교민들과의 교류를 위해서

□④ K-POP,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있어서

□⑤ 한국의 경제, 문화, 예술에 대하여 깊이 있게 배우고 싶어서

□⑥ 입양, 이민 등으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cultural identity) 찾기 위해서

□⑦기타( )

Page 19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7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5.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많이 알고 있다. □② 조금 알고 있다. □③ 보통이다.

□④ 잘 모른다. □⑤ 전혀 모른다.

6.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① 매우 만족한다. □② 조금 만족한다. □③ 보통이다

□④ 조금 만족하지 않는다. □⑤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

7.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음의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1) 전체 프로그램의 내용은 나에게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2) 강사의 수업 진행 방식이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3) 수업의 내용이 너무 쉽거나 어렵지 않고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4) 수업 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지 않고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5) 표현활동을 위해 제공된 재료가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6) 교실 환경은 문화예술교육에 적절하였다. □① □② □③ □④ □⑤

8.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흥미로웠던 부분에 대한 다음의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1) 새로운 한국문화에 대하여 알게 되는 것이 흥미로웠다. □① □② □③ □④ □⑤

2) 한국의 미술, 무용 등 다양한 예술을 함께 배우는 것이 흥미로웠

다. □① □② □③ □④ □⑤

3) 만들기, 체험, 공연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이 흥미로웠다. □① □② □③ □④ □⑤

4) 새로운 재료를 체험해 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① □② □③ □④ □⑤

5)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공연을 통해 발표할 수 있어서 흥미로웠

다.□① □② □③ □④ □⑤

6) 다른 수강생들과 함께 교류할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① □② □③ □④ □⑤

7) 기타( )

Page 19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71

9.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선호하는 수업 방식에 대한 다음의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1) 한국 문화에 대하여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2) 한국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자료를 볼 수 있어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3) 직접 만들거나 춤을 추는 표현 활동을 할 수 있어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4)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며 학습하는 활동이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5) 가족, 친구 앞에서 전시하고 공연할 수 있어 좋았다. □① □② □③ □④ □⑤

6) 기타( )

10.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다음의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매우

그렇다그렇다

보통

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1) 한국의 문화에 예술에 대하여 새로운 점을 알게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2) 한국의 다른 문화와 예술도 찾아보고 싶어졌다. □① □② □③ □④ □⑤

3) 한국 문화를 친숙하게 느끼게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4) 한국어를 더 열심히 배우고 싶어졌다. □① □② □③ □④ □⑤

5)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하여 잘 알게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6) 한국과 우리나라의 공통점을 느끼게 되었다. □① □② □③ □④ □⑤

7) 기타( )

11.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을 1개만 선택하여 주세요.

□① 한국에 문화와 예술을 가르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② 좀 더 다양한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다루어야 한다.

□③ 좀 더 쉽고 흥미롭게 한국 문화와 예술을 이해할 수 있게 가르쳐야 한다.

□④ 터키 문화와 관련성 있는 문화와 예술을 가르쳐야 한다.

□⑤ 좀 더 전문적인 한국 문화와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⑥ 좀 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⑦ 기타 ( )

Page 20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7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자유

의견

♣ 이번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기억에 남는 부분이나 좋았던 점을 자

유롭게 적어주십시오.

자유

의견♣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개선해야 할 점에 관하여 자유롭게 적어주십시오.

12. 이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졌다고 생각하

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3. 세종학당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이 터키와 한국의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

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4. 다음에도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참여하고자 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15. 친구나 가족에게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권유하시겠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매우 그렇지 않다

- 감 사 합 니 다 -

Page 20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73

Hello, everyone?

This survey is to find out how satisfied you are with the culture/art programs offered by

Sejong Institution. Please read the questions below and tell us what you really think.

Read the questions below carefully and check (∨) the sentence that best matches your

answer.

Example 1: What is your favorite color?

□①yellow □②red □③white □④blue

1.What is your gender? □①Male □②Female

2.What is your age? □① 10~19years old □② 20~29years old □③ 30~39years old

□④ 40~49years old □⑤ 50years old or above

3. How long have

you studied in Sejong

Institution?

□① less than 6 months □② 6 months~1 year □③ 1 year~3 years

□④ 3 years~ 5 years □⑤ More than 5 years

□①Very fluent □②Good □③Average

□④Poor □⑤Very poor

□①Very familar □②Somewhat familar □③Average

□④Not so familar □⑤Not at all familiar

[부록 5] 시범 사업 만족도 조사 설문지 – 영어

Satisfaction Survey of Culture/Art Programs in Sejong Institution

Notice

4. How do you rate your Korean skills?

5. In your opinion, what is your level of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and art?

Page 20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7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ClassContentCompletel

y agreeAgree

Neither

agree

nor

disagre

e

Disagr

ee

Totally

Disagr

ee

1) Overall program is organized to be

interesting.□① □② □③ □④ □⑤

2) New materials and instruments were

used in class.□① □② □③ □④ □⑤

3) Class was not too easy or difficult but

appropriately challenging.□① □② □③ □④ □⑤

4) Class helped me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① □② □③ □④ □⑤

5) I could learn various fields of art

including find art, craft, music, dance, etc.□① □② □③ □④ □⑤

Ways ClassesWere RunCompletel

y agreeAgree

Neither

agree

nor

disagre

e

Disagr

ee

Totally

Disagr

ee

1) Class environment was appropriate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① □② □③ □④ □⑤

2) Lectures in classes were done in a way

that was easy to understand. □① □② □③ □④ □⑤

3) Class duration was not too short or long

but appropriate..□① □② □③ □④ □⑤

4) Materials and musical instruments

provided for creative activities were □① □② □③ □④ □⑤

6. What is your reason for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Please select onlyone answer.

□①To get a job

□②To immigrate to Korea

□③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Korean community in my country

□④ I am interested in Korean pop culture due to K-POP, the Korean Wave, etc.

□⑤To learn more about the Korean economy, culture, and art

□⑥To find my cultural identity due to adoption, immigration, or other reason

□⑦Other (please specify)

7. Please carefully read the statements below about the culture/art program, and tell us how much you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f the following.

8. Please carefully read the statements below about the way the culture/art programs classes were run, and tell us how much you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f the following.

Page 20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75

appropriate.

5) Provided materials we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activities.□① □② □③ □④ □⑤

Educational EffectCompletel

y agreeAgree

Neither

agree

nor

disagre

e

Disagr

ee

Totally

Disagr

ee

1) It helped me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① □② □③ □④ □⑤

2) It helped me to understand “Korea” well. □① □② □③ □④ □⑤

3) It helped me to se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my country. □① □② □③ □④ □⑤

4) It helped me to develop an attitude to

respect various cultures in the world.□① □② □③ □④ □⑤

5) I learned something new about Korean

culture and art. □① □② □③ □④ □⑤

Satisfaction RateCompletel

y agreeAgree

Neither

agree

nor

disagre

e

Disagr

ee

Totally

Disagre

e

1) This culture/art programs was very useful

for me.□① □② □③ □④ □⑤

2) In general, I am satisfied with the

culture/art programs.□① □② □③ □④ □⑤

3) I do not regret registering for the

culture/art programs.□① □② □③ □④ □⑤

4) I would like to recommend the Sejong

Institution culture/art programs to my friends

or family.

□① □② □③ □④ □⑤

9. Please carefully read the statements below about the effect of the culture/art programs classes, and tell us how much you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f the following

10. Please carefully read the statements below about your satisfaction rate for the culture/art programs classes, and tell us how much you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f the following

Page 204: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76|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① □② □③ □④ □⑤ □⑥

Willingness to JoinComplet

ely agreeAgree

Neith

er

agree

nor

disagr

ee

Disagr

ee

Totall

y

Disagr

ee

1) If another culture/art program will be

offered by Sejong Institution next time, then I

will join the program.

□① □② □③ □④ □⑤

2) If Sejong Institution will offer a range of

culture/art programs, then I will keep on

registering for such courses.

□① □② □③ □④ □⑤

3) I would like to find and learn about

Korean culture and art on my own.□① □② □③ □④ □⑤

4) I would like to study Korean language

more deeply and in more detail in Sejong

Institution.

□① □② □③ □④ □⑤

11. Please select all teaching methods and approaches in the culture/art programs that you enjoyed.

□① Explanation and lecture on Korean culture

□② Team activities with other students in class

□③ Exhibition or performance with family and friends

□④Use of various visual materials on Korean culture

□⑤ Integrated use of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making, experience, performance, etc.

□⑥Others (please specify )

11-1. If you were to select one teaching method that you prefermost from the

above, which would it be?

12. Please carefully read the statements below about the future culture/art programs

of Sejong Institution, and tell us how much you agree or disagree with each of the

following.

13. If you join a culture/art program from Sejong Institution next time, then what

types of Korean culture and art would you like to learn? Please select all that apply.

Page 205: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77

□①Traditional Korean music □②Music □③Popular music(K-Pop)

□④Traditional Korean art □⑤Fine art □⑥Traditional craft

□⑦Caligraphy □⑧Photo □⑨Drama, movie

□⑩Traditional dance □⑪modern dance □⑫festival

□⑬Others(Please specify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① □② □③ □④ □⑤ □⑥

□①Completely agree □②Agree□③Neither agree nor

disagree

□④Disagree □⑤Totally Disagree

13-1. If you were to select one field of art from the above that you prefermost, then which would it be?

14. If you participate in a culture/art program from Sejong Institution next time, then what types of Korean programs would you choose? Please select all that apply.

□①Program related to culture in daily life

□②Program that enables you to experience various arts

□③Programs that enables you to appreciate the finest Korean culture and art

□④Program that enables you to understand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culture and art

□⑤Program to develop creative ability in one field

□⑥Others (Please specify)

14-1. If you were to select one program from the above that you prefermost, then

what would it be?

15. Do you agree with the idea that the culture and art program offered by

Sejong Institution can contribute to cultural exchange between Turkey and

Korea?

Page 206: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78|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16. Please select all that you think t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culture/art

program by Sejong Institution.

□①It should provide more diverse materials.

□②A greater variety of Korean culture and art should be introduced.

□③It should provide a culture and art program that is relevant to American culture.

□④The hours for Korean culture and art study should be increased.

□⑤It should enable students to learn more professional Korean culture and art .

□⑥Teaching of Korean culture and art should be easier and more interesting to help

students understand.

□⑦Others (Please specify)

16-1. If you were to select one issue from the above that you think is the most

urgent, which would it be?

17. If you really like something or have a favorite memory in the culture/art

program offered by Sejong Institution, then please share it with us.

- Thank you -

Page 207: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79

Merhaba, Baylar ve Bayanlar

Bu anket, Sejong Okulu’nda gerçekleştirilen Kültür ve Sanat Eğitimi ile ilgili olarak sizin bu eğitimden ne kadar memnun olduğunuza dair materyaller oluşturmak için yapılmaktadır. Sorulari okuyup, size uygun olduğunu düşündüğünüzü cevaplayınız.

Aşağıda verilen soruları dikkatlice okuyup, size uygun olan seçeneği işaretleyiniz.

Örnek:1. En çok sevdiğiniz renk nedir?

1.Sarı 2.Kırmızı 3. Beyaz 4.Mavi

□ ①. 10 -20 yaş arası □ ②. 21-30 yaş arası □ ③. 31-40 yaş arası

□ ④. 41-50 yaş arası □ ⑤. 51 yaş ve üzeri

□ ①. 6 ay ve altı □ ②. 6 ay-1 yıl arası □ ③. 1-3 yıl arası

□ ④. 3-5 yıl arası □ ⑤ . 5 yıl ve üzeri

□ ①.Çok iyi biliyorum □ ②.İyi sayılırım □ ③.Orta düzeyde

□ ④. Neredeyse hiç yapamıyorum

□ ⑤.Hiç yapamıyorum

□ ①.Çok iyi biliyorum. □ ②.Çok az biliyorum. □ ③.Orta düzeyde.

□ ④. İyi biliyorum. □ ⑤.Hiç bilmiyorum.

[부록 6] 시범 사업 만족도 조사 설문지 – 터키어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İ MEMNUNİYET ANKETİ

BİLDİRİ

1. Cinsiyetiniz? □ ①.Erkek □ ②.Kadın

2. Yaşınız?

3.Sejong Okulu’nda eğitim aldığınız süre?

4.Korece yeteneğinizin ne düzeyde olduğunu düşünüyorsunuz?

5.Kore Kültürü ve Sanatı hakkında bilginizin ne kadar olduğunu düşünüyorsunuz?

Page 208: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80|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 ①.İşe girmek için

□ ②.Kore’ye gitmek isteğim olduğu için

□ ③.Yerli Korelilerle ticaret yapabilmek için

□ ④. K-POP ve Kore akımından dolayı popüler kültüre ilgim olduğu için

□ ⑤.Kore’nin ekonomisi, kültürü ve sanatına dair öğrenmek istediğim için

□ ⑥. Evlat edinmek, göç etmek vs.sayesinde kendi kültürel kimliğimi bulmak için

□ ⑦ . Diğer

DERS İÇERİĞİ Çok katılıyorum

Katılıyorum

Az katılıyorum

Katılmıyorum

Hiç katılmıyorum

1.Tüm programın konusu ilgi çekiciydi.

□ 1 □2 □3 □4 □5

2.Derste birçok yeni materyaller ve çalgı a l e t l e r i n d e n . yararlandım.

□ 1 □2 □3 □4 □5

3.Dersin içeriği çok kolay da değil, çok zor da değildi.

□ 1 □2 □3 □4 □5

4.Dersin içeriği Kore kültürünü anlamam konusunda yardımcı oldu.

□ 1 □ 2 □ 3 □ 4 □ 5

5.Sanat, el sanatları,müzik, dans vs çeşitli birçok sanat alanını öğrenebildim.

□ 1 □ 2 □ 3 □ 4 □ 5

Dersin işleniş yöntemi Ç o k katılıyorum

Katılıyorum A z katılıyorum

Katılmıyorum

H i ç katılmıyorum

1. Sınıf ortamı, kültür ve sanat eğitimi için uygundu.

□ 1 □ 2 □ 3 □ 4 □ 5

2.Eğitmen, ders anlatımını kolayca anlaşılabilecek şekilde gerçekleştirdi.

□ 1 □ 2 □ 3 □ 4 □ 5

3.Ders süresi çok uzun da değil, çok kısa da değildi.

□ 1 □ 2 □ 3 □ 4 □ 5

4.Anlatımsal faaliyetler için kullanılan malzemeler ve müzik aletleri uygundu.

□ 1 □ 2 □ 3 □ 4 □ 5

6.Koreceyi öğrenme sebebiniz nedir? Sadece 1 tane seçiniz.

7. Sanat eğitim programının içeriği ile ilgili aşağıdaki soruları yanıtlayınız.

8.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ın ders işleniş yöntemine dair aşağıda verilen soruları cevaplayınız.

Page 209: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81

5.Kullanılan materyaller etkinliğin içeriğini anlamam konusunda yardımcı oldu.

□ 1 □ 2 □ 3 □ 4 □ 5

Eğitimsel etkileri Ç o k katılıyorum Katılıyorum A z

katılıyorumKatılmıyorum

H i ç katılmıyorum

1.Kore kültürünü anlamış oldum. □ 1 □ 2 □ 3 □ 4 □ 5

2.”Kore” denilen ülke’yi tanımış oldum. □ 1 □ 2 □ 3 □ 4 □ 5

3.Kore ve kendi ülkem arasındaki benzer tarafları hissetmiş oldum.

□ 1 □ 2 □ 3 □ 4 □ 5

4.Dünyadaki farklı kültürlere dair saygı duyma eylemini edinmiş oldum.

□ 1 □ 2 □ 3 □ 4 □ 5

5. Kore kültürü ve sanatı hakkında yeni şeyler öğrenmiş oldum.

□ 1 □ 2 □ 3 □ 4 □ 5

MEMNUNİYETİNİZ Ç o k katılıyorum

Katılıyorum

A z katılıyorum

Katılmıyorum

H i ç katılmıyorum

1. Bu sanat eğitimi programı benim için faydalı oldu. □ 1 □ 2 □ 3 □ 4 □ 5

2. Bu sanat eğitimi programı oldukça tatmin ediciydi. □ 1 □ 2 □ 3 □ 4 □ 5

3. Ben, bu sanat eğitim programlarına kayıtlı olduğum için pişman değilim. □ 1 □ 2 □ 3 □ 4 □ 5

4.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 programını arkadaşlarımı ve tanıdıklarımı tavsiye etmek istiyorum.

□ 1 □ 2 □ 3 □ 4 □ 5

9.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ın etkileri hakkındaki aşağıda verilen soruları cevaplayınız.

10. 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a dair ne kadar memnun olduğunuz ile ilgili olan aşağıdaki soruları yanıtlayınız.

11. Kültür ve sanat eğitim programında dersin işlenişi ile ilgili olarak beğenmiş olduğunuz madderleri seçiniz.

□ ①. Kore kültürüne dair açıklama ve anlatım,

□ ②. Diğer ögrencilerle beraber işbirliğine dayalı öğrenim,

□ ③. Ailem ve arkadaşlarımla beraber yaptığım sergi ve gösteri,

□ ④. Kore kültürüne dair çeşitli görsel malzemelerden yararlanmak,

□ ⑤. Oluşturma, deneyim edinme ve sergileme gibi çeşitli aktiviteleri biraya getirmek,

□ ⑥. Diğer ( )

Page 210: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82|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SÜREKLİLİK SÖZÜ Ç o k katılıyorum

Katılıyorum

A z katılıyorum

Katılmıyorum

H i ç katılmıyorum

1.İlerde de Sejong okulu’nda kültür ve sanat eğitim programı gerçekleşirse katılmayı düşünüyorum.

□ 1 □ 2 □ 3 □ 4 □ 5

2.Sejong Okulu’nda çeşitli sanat ve eğitim programı gerçekleştirilirse sürekli katılacağım.

□ 1 □ 2 □ 3 □ 4 □ 5

3. Kore’nin kültürü ve sanatı hakkında kendim araştırıp, öğrenmek istiyorum.

□ 1 □ 2 □ 3 □ 4 □ 5

4. Sejong Okulu’nda Korece’yi gayretle çalışmak istiyorum.

□ 1 □ 2 □ 3 □ 4 □ 5

11.1 Yukarıda belirtilmiş olan öğeler içerisinde en çok sevmiş olduğunuz ders yöntemi kaç numaradır? ( )

12.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inin geleceği ile ilgili aşağıdaki soruları yanıtlayınız.

13. İlerde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a katılırsanız, Kore kültürü ve sanatı hakkında ne öğrenmek istersiniz? Size uygun olan maddeleri seçiniz.

□ ① Geleneksel Müzik □ ② müzik □ ③ popüler müzik (K-Pop)

□ ④ geleneksel sanat □ ⑤ Çağdaş Sanat □ ⑥ geleneksel el sanatları

□ ⑦ kaligrafi □ ⑧ Fotoğraf □ ⑨ drama, film,

□ ⑩ geleneksel dans □ ⑪ modern dans □ ⑫ Festivali

□ ⑬ Diğer

13.1 Yukarıda belirtilen öğeler arasında en çok iyi olduğunu düşündüğünüz sanat alanı kaç numaradır? ( )

14. İlerde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a katılırsanız, hangi programı seçmek istersiniz? Size uygun olan seçenekleri seçiniz.

□ ① Yaşam içerisindeki kültürle ilgili olan program,

□ ② Çeşitli sanatları tecrübe edebileceğim program,

□ ③ Üst düzeyde Kore kültürü ve sanatını değerlendirebileceğim program,

□ ④ Kültür ve sanat aracılığıyla tarihsel arka planı anlayabileceğim program,

□ ⑤ Bir alana dair ifade becerisini derinlemesine öğrenebileceğim program,

□ ⑥ Diğer ( )

Page 211: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83

□① Biraz daha çeşitli materyallerin sunulması gerekiyor.

□② Çeşitli Kore kültür ve sanatlarına yer verilmesi gerekiyor.

□③ Türk kültürü ile ilgili olan kültür ve sanatın öğretilmesi gerekiyor.

□④ Kore’nin kültür ve sanatını öğreten ders saatlerinin arttırılması gerekiyor.

□⑤ Profosyonel Kore kültür ve sanatını karşılamaya yönelik olması gerekiyor.

□⑥ Kore kültürü ve sanatını kolay ve eğlenceli bir şekilde anlamaya yönelik ders

verilmelidir.

□⑦ Diğer

16.1 Yukarda belirtilen seçenekler arasında en çok önemli olarak düşündüğünüz

hangisidir? ( )

17. Sejong Okulu kültür ve sanat eğitimi programına katılmayı düşünürseniz, sevdiğiniz

taraf ve geliştirilmesini düşündüğünüz noktalar hakkındaki düşüncelerinizi yazınız.

14.1 Yukarda gösterilen maddeler arasında en çok seçmek istediğiniz hangisidir?

( )

15. Sejong Okulu’nda yürütülen Sanat eğitiminin, Kore ve Türkiye’nin kültür ilişkisine katkıda bulunduğunu düşünüyor musunuz?

□① Kesinlikle katılıyorum □② Katılıyorum □③ Az katılıyorum

□④ Katılmıyorum □⑤ Hiç katılmıyorum

16.Sejong Okulu’nda Kore kültür eğitimi’nin geliştirilmesi gerektigini düşündüğünüz seçenekleri seçiniz.

TEŞEKKÜRLER.

Page 212: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184|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조 항 록 상명대 한국언어문화교육원 원장이 삼 형 한양대 국어교육과 교수김 재 욱 한국외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주임교수최 정 순 배재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부교수이 주 원 한양대 건축학과 겸임교수서 승 미 경인교대 음악교육과 교수이 왕 용 강남대 회화디자인학부 교수황 정 옥 경성대 무용학과 외래교수김 상 규 영화예술강사서 반 석 영화예술강사

<베트남>NGUYEN LAN PHUONG 숙명여자대학교/대학생DANG QUYNH TRANG 숙명여자대학교/대학생NGUYEN THI THANH TAM 이화여자대학교/대학생LE HUYEN CHAU 연세대학교NGUYEN THI HA MAI 이화여자대학교/대학생

<영국>PURVES RICHARD 서울대학교WERRET SAMUEL JOHN DAVID 중학교(서울) 교사LLOYD SMITH LINSAY ROBERT 서강대학교/교수LISTER DAVID 영어강사

<미국>Robinson Tammy Ko 한양대학교/교수Mueller Anders Riel University Of CopenhagenBlesse Matthew So Fulbright Commission, 고등학교(전주) 교사Kim Susan J 고등학교(서울) 교사

<중국>LI FANG 순천향대학교/공자아카데미 부원장SUN JIANXIU 순천향대학교/공자아카데미 강사LI XIAN 순천향대학교/공자아카데미 강사WANG DANDAN 순천향대학교/공자아카데미 강사

자문위원

< 외부전문가(자문) >

< 외부전문가(FGI) >

Page 213: 2012 세종학당 연계 한국문화교육 매뉴얼 개발

부록|185

<터키>Evrensel Pelin Evrim 한양대학교/대학생Baltaci Fatma Gulsah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생Ozel Turgut Alp 한양대학교/대학생Orhan Erdinc 한림대/대학생

<케냐>GACHEWE JOSEPHINE WARIGIA 이화여자대학교/대학생SEDA CINDY NICOLE ADHIAMBO 이화여자대학교/대학생MUTUKU EVA MUTILE 이화여자대학교/대학생ROTICH MARK CHEMJOR 강남대학교졸업/취업준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