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5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 디자인 (미국, 베트남, 중국, 캐나다)

2012 서비스업 디자인125.131.31.47/Solars7DMME/004/207960.pdf · 의류디자인, 패션디자인, 복장디자인, 모피디자인, 보석디자인, 조명디자인, 신발디자인,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 디자인 (미국, 베트남, 중국, 캐나다)

  • 전 세계적인 경기불황이 아직까지도 그 끝을 알 수 없는 상

    황 속에서도 무역규모가 2년 연속 1조 달러 달성을 눈앞에 두

    며 선전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서비스산업이 수출 한국의

    새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전체 수출은 10월말까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서비스 수출은 912

    억 달러로 18%나 증가 했습니다. 이로 인해 올해는 서비스수출

    1천억 달러를 여는 해이자, 서비스 수지가 14년만에 흑자로 반

    전이 되는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산업의 변신은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한

    한국의 글로벌 인지도 확대에 이어, 최근 K-Pop 등을 통해 재

    조명받고 있는 한류 열기를 타고 문화 콘텐츠 수출이 늘고, 관

    광객 증가 등 여행수지가 개선되면서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제 서비스 분야의 수출산업화는 전 세계적인 저성장 환경

    속에 기존의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뿐만아니라, 내수 진작

    및 고용창출에 대한 사회적 요구까지 포괄하는 시대적 요청사

    항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수많은 서비스 업종 중 ‘선택과 집중’ 원

    칙하에 어떤 핵심 업종에 역량을 집중할 것인가는 가장 먼저

    풀어야할 숙제가 되었고, 이에 정부와 KOTRA는 2011년 의료

    서비스, 이러닝, 콘텐츠, 엔지니어링 등 4대 분야를 선정하여 분

    야별 해외진출 가이드를 발간하여 서비스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을 위한 초석을 마련한 바 있습니다.

    머리말

  • 2012년에는 2011년 조사 분야의 지역을 인도 등 8개 국가로

    추가 확대하고, 신규로 엔터테인먼트, 스마트콘텐츠, 디자인, 프

    랜차이즈 등 4대 업종을 해외진출 유망 서비스업으로 선택하여

    베트남, 필리핀 등 14개 유망 진출국에 대한 가이드북을 내놓게

    되었습니다.

    가이드북은 분야별로 시장 개황, 유통 구조, 주요 기업, 정부

    규제 및 관련 법규, 소비자 성향 및 트렌드, 진출 전략 및 진출

    사례 등 진출단계에 필요한 정보를 포괄함으로써 우리 업계의

    해외진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미진하나마 이러한 노력들이 우리 서비스 기업들의 해외진출

    시, 경험과 정보의 부재에서 오는 시행착오를 줄여, 서비스업의

    수출산업화를 앞당기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 책자를 낼 수 있도록 적극 도와주신 지식경제부, KOTRA

    해외무역관, 컨설팅팀, 지식서비스사업단 및 기업 관계자 여러

    분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2012년 12월

    KOTRA 전략마케팅본부장

    김 병 권

  • 미 국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

  • 미 국 ▮ 3

    목 차

    I. 디자인산업 개관 9

    1. 산업 규모 및 전망 9

    (1) 미국 디자인 산업 분류 기준 9

    (2) 디자인 산업 규모 및 전망 11

    II. 디자인 적용 전방(기초)산업 동향 15

    1. 디자인 적용대상 현지산업 개관 15

    (1) 미국 산업구조 개황 15

    (2) 주요 디자인 적용대상 산업 동향 16

    2. 상품제조업 17

    (1) 생산동향 17

    (2) 유통구조 및 디자인적용 18

    (3) 미국 제조업의 최근 트렌드 : "Re-shoring" 19

    3. 의류(패션) 산업 25

    (1) 생산동향 25

    (2) 산업구조 및 디자인 적용 26

    (3) 미국 패션산업의 업태별 특징 27

    (4) 최근 미국 패션업체들의 생산 트렌드 35

    4. 민간공공 건축 및 조경산업 35

    (1) 산업동향 및 전망 35

    III. 분야별 디자인 시장동향 39

    1. 산업(제품) 디자인 39

    (1) 산업동향 39

    (2) 주요기업 및 인력 현황 41

    (3) 수출입 동향 43

    (4) 시장전망 44

    2. 패션디자인 47

    (1) 산업동향 및 전망 47

    (2) 디자인 외주 동향 48

  • 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3) 주요기업 현황 49

    (4) 미국 패션산업의 최근 트렌드 51

    3. 환경디자인 55

    (1) 조경디자인 55

    (2) 인테리어 디자인 58

    4. 최근 디자인 산업의 트렌드 :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62

    (1) 교육기관의 디자인적 사고 강조 65

    (2) 기업의 디자인적 사고 적용 68

    (3)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69

    (4) 풀 서비스 기업(Full Service Enterprise) 70

    IV. 디자인 정책 및 보호 제도 72

    1. 특허 등 지재권 관련 법령 및 제도 72

    (1) 디자인 특허신청 및 심사 72

    (2) 저작권(Copyright) 81

    (3) 상품 의장권(Trade Dress) 84

    2. 디자인 산업 및 인력 양성 정책 85

    (1) 연방정부 차원 디자인 정책 85

    (2) 주정부 차원 디자인 정책 87

    (3) 민간단체 주요활동 88

    3. FTA등 자유무역협정 88

    V. 현지화 및 마케팅 전략 89

    1. 현지화전략 89

    (1) 올바른 타깃 선정 89

    (2) 아시아 인구 공략 89

    (3) 아시안 디자이너의 활약 90

    (4) 친환경 90

    (5) 신기술 및 시스템 91

    2. 마케팅전략 91

    3. 협력전략 93

    (1) 제품디자인과 패션디자인 93

  • 미 국 ▮ 5

    (2) 환경디자인 95

    4. 향후 전망 97

    (1) 제품디자인 98

    (2) 패션디자인 98

    (3) 환경디자인 99

    5. 현지 디자인 관련 업체 인터뷰 결과 : 뉴욕 무역관 자체 작성항목 100

    (1) Marc Jacobs 100

    (2) Damee New York 103

    디자인 관련 주요기관 및 기업 연락처 109

  • 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그림 목차

    [그림 1] 북미표준산업분류체계의 디자인 산업 분류방식 10

    [그림 2]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 분류체계 11

    [그림 3] 산업별 GDP 비중 15

    [그림 4] 제조업 유통구조 18

    [그림 5] 2012년 1/4분기 주요국의 제조업 생산 현황 20

    [그림 6]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 중 셰일가스 비중 22

    [그림 7] 셰일가스와 천연가스 소비 비용 차이 23

    [그림 8] 미국의 패션산업 구조 26

    [그림 9] 제조업체 구조 및 특징 27

    [그림 10] 벤더 구조 및 특징 29

    [그림 11] 미국 백화점 구조 29

    [그림 12] 미국 백화점 품목별 점유율 30

    [그림 13] 편집형태 전문 유통체인 구조 31

    [그림 14] 자체 브랜드 형태 전문 유통체인 구조 31

    [그림 15] 직매입을 통한 유통구조 32

    [그림 16] PL 제품 유통구조 33

    [그림 17] 미국 온라인 시장 매출액 추이 33

    [그림 18] 미국 건설업 생산액 및 증감률 추이 36

    [그림 19] 민간‧공공 건축 및 조경 산업 세분화 현황 36

    [그림 20] 산업디자인 분야 세부분야별 비중 41

    [그림 21] 2011년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디자인 시장의 부문별

    점유율 현황 46

    [그림 22] 패션디자인 산업 분야별 점유율 현황 50

    [그림 23] 테크니컬 디자이너가 갖춰야 할 조건 55

    [그림 24] 2011 인테리어 디자인산업 하위 분야별 점유율 59

    [그림 25] 2011년 인테리어 디자인 적용대상별 점유율 60

    [그림 26] 스탠포드 대학 디자인 혁명 다이어그램 66

    [그림 27] 미국특허신청 및 승인 현황 75

    [그림 28] 미국 디자인 특허 신청서 양식 78

    [그림 29] NEA 교부금 신청 절차 86

  • 미 국 ▮ 7

    표 목 차

    [표 1] 미국 디자인 산업 매출액 추이 12

    [표 2] 산업디자인 및 기타 특화디자인 분류체계 13

    [표 3] 제조업 주요 분야별 생산 동향 16

    [표 4] 미국 제조업 생산액 추이 17

    [표 5] 미국 주요 제조업체들의 Re-shoring 사례 24

    [표 6] 미국 의류산업 생산액 추이 25

    [표 7] 미국 산업디자인 산업 동향 39

    [표 8] 미국 특화 디자인 수출입 동향 43

    [표 9] 미국 패션디자인 산업 동향 47

    [표 10] 미국 조경디자인 산업 동향 56

    [표 11] 미국 인테리어 디자인 산업 동향 59

  • 미 국 ▮ 9

    I. 미국 디자인산업 개관

    미국은 전 세계 디자인 산업을 선도해 나가고 있는 디자인

    강국이며 세계 최고의 경제력을 자랑하는 자본주의 국가답게

    상업적 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다. 즉, 실생활의 요구를 만족

    하는 기능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실용주의적인 디자인이 미국

    산업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미국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정부차원의 디자인 정책을 총괄

    하는 부서나 공공기관은 없으나, ‘디자인매니지먼트협회(DMI;

    Design Management Institute)’, ‘산업디자이너협회(IDSID;

    International Council of Societies of Industrial Design)’ 등

    민간단체들이 디자인 산업을 이끌어가고 있다.

    최근 정부 산하의 공공기관을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디자인

    기업을 육성하는 유럽 국가들이 국제적 규모의 디자인 단체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미국도 연방

    정부 차원의 디자인 산업 육성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업계로

    부터 제기되고 있다.

    1. 산업 규모 및 전망

    (1) 미국 디자인 산업 분류 기준

    디자인 산업 규모 및 전망 기술에 앞서 미국에서는 디자인

    산업이 어떻게 분류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산업분류 기준인 ‘북미표준산업분류체계(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s; NAICS)'에 따르면 미국의

    디자인 산업은 아래와 같이 분류되고 있다.

  • 10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그림 1] 북미표준산업분류체계의 디자인 산업 분류방식

    출처 : U.S. Census Bureau

    상기 분류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 디자인 산업은

    NAICS 코드 54인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산업에 속하며 ’건축디자인(NAICS 541310)‘, ’조경

    디자인(NAICS 541320)‘, ’인테리어 디자인(NAICS 541410)‘, ’

    산업디자인(NAICS 541420)‘, ’기타 특화디자인(NAICS 541490)'

    등이 디자인산업으로 분류된다.

    반면,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 분류방식은 미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상업적인 측면의 디자인산업을

    ‘산업디자인’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산업디자인에는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포장디자인, 환경디자인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미 국 ▮ 11

    [그림 2] 우리나라의 디자인산업 분류체계

    출처: 한국디자인진흥원(www.kidp.or.kr)

    (2) 디자인 산업 규모 및 전망

    미국 디자인 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극심한 침체를

    보였다. 2008년 한해 매출액이 621억 달러에 달했던 미국

    디자인 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이 본격화된 2009년

    에는 매출액이 전년(08) 대비 20.5% 급감한 바 있다.

    2010년까지 침체되어 있던 미국 디자인 산업은 2011년 이후

    미국 경제가 불황에서 벗어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보이나, 2011년 이후 통계자료 부재로 정확한 경기진단은

    어려운 상황이다.

    미국 현지 디자인 산업 종사자들의 경우, 최근 미국 디자인

    산업이 경기바닥을 지나 회복국면에 진입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 12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표 1] 미국 디자인 산업 매출액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건축디자인 32,587 37,150 37,759 29,802 26,050

    조경디자인 4,085 4,365 4,365 3,385 3,058

    인테리어

    디자인8,899 9,799 9,290 6,814 6,394

    그래픽

    디자인8,342 8,281 8,286 7,133 7,478

    산업디자인주 2,307 2,474 2,387 2,233 2,237

    합계 56,220 62,069 62,087 49,367 45,217

    주: 산업디자인에는 기타 특화디자인(Other Specialized Design Service) 포함

    출처: U.S. Census Bureau

    1) 제품디자인

    미국은 디자인산업 분류 체계상 제품디자인이라는 개념은

    없으며 ‘산업디자인’과 ‘기타 특화디자인’에 나뉘어서 포함되어

    있다. ‘기타 특화디자인’은 상당 부문이 의류 및 섬유 관련

    디자인을 의미하지만 조명, 보석 등 다른 제품 디자인들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좁은 의미에서의 제품디자인은 산업디자인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자동차 산업 디자인(Automobile

    industrial design), 가구디자인 (Furniture design), 도구산업

    디자인(Tool industrial design), 포장산업 디자인(Packaging

    industrial design) 등을 포함하고 있다.

  • 미 국 ▮ 13

    2) 패션디자인

    미국 디자인산업 분류체계상 패션디자인은 ‘기타 특화디자

    인(Other Specialized Design Service, NAICS 코드 5414)에

    포함되어 있는데, 동 산업분류에 속해있는 디자인들은 의류

    디자인(Clothing design), 패션디자인(Fashion design), 복장

    디자인(Costume design), 모피디자인(Fur design), 보석디자인

    (Jewelry design), 조명디자인(Lighting design), 신발디자인

    (Shoe design), 섬유디자인(Textile design) 등이 있다.

    [표 2] 산업디자인 및 기타 특화디자인 분류체계

    NAICS

    CODE디자인 유형 하위산업 디자인

    541420 산업디자인자동차 산업디자인, 가구디자인 ,

    도구산업 디자인, 포장산업 디자인

    541490기타

    특화디자인

    의류디자인, 패션디자인, 복장디자인,

    모피디자인, 보석디자인, 조명디자인,

    신발디자인, 섬유디자인

    출처: U.S. Census Bureau

    2010년 기준, 산업디자인 및 기타 특화디자인 분야의 매출액은

    2,237백만 달러로 2009년(2,233백만 달러)과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전체 디자인 산업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에 불과하다.

    3) 환경디자인

    미국은 디자인산업 분류체계상 환경디자인이라는 항목은

    없으나, 환경디자인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고려하면 건축 서비스

    (Architectural services), 조경서비스(Landscape architectural

    services), 인테리어디자인(Interior design services) 등으로

    정의할 있다.

  • 1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미국의 환경디자인은 전체 디자인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큰 주요 디자인 부문인데, 2010년 기준 환경디자인

    분야의 매출액은 35,502백만 달러로서 전체 디자인산업 매출

    액의 78.5%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디자인 중에서는 건축디자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10년 기준 건축디자인 분야의 매출액은 26,050백만

    달러로 전체 환경디자인(건축디자인/조경디자인/인테리어

    디자인) 매출액의 73.4%를 차지하고 있다.

  • 미 국 ▮ 15

    II. 디자인 적용 전방(기초)산업 동향

    1. 디자인 적용대상 현지산업 개관

    (1) 미국 산업구조 개황

    미국은 서비스산업 위주의 전형적인 선진국형 산업구조를

    가지도 있다. 산업별 GDP 중 3차 산업으로 불리는 서비스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기준 68.1%에 달하고 있으며

    1~2차 산업 비중은 18.7%이다. 서비스산업 중에서는 금융‧

    부동산 분야의 비중이 19.9%로 가장 높으며 개인서비스(12.6%),

    제조업(12.2%) 순이며 IT산업 비중은 4.6% 이다.

    [그림 3] 산업별 GDP 비중

    출처: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 1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2) 주요 디자인 적용대상 산업 동향

    건축, 조경, 인테리어 디자인이 적용되는 건설업은 지난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침체를 보이고 있다.

    2011년 기준 건설시장규모는 5,203억 달러로 2008년에 비해

    15.3% 감소했다. 최근 미국 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지났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건설경기도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회복단계에 들어서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디자인의 경우, 자동차, 전자제품, 의류 등 제조업 분야에

    적용되는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금융업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산업에 밀려 제조업이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제조업이 미국 경기회복을 주도해

    나가면서 제조업의 위상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미국 제조업은 금융위기의 여파로 2009년에는 생산액이 전년

    대비 5.4% 감소하였으나 2010년 이후 회복세를 지속하면서

    2011년에는 1조 8,370억 달러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였다.

    제조업 중 주요 디자인 적용대상 산업이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포함), 의류 등의 최근 동향1)을 살펴보면, 자동차 산업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자제품, 의류 산업은 산업

    생산이 감소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표 3] 제조업 주요 분야별 생산 동향(단위 : 억 달러)

    구분 2008 2009 2010

    자동차 681 288 548

    전자제품 496 512 442

    의류 133 133 118

    출처: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1)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자료검색 결과, 하위 산업별

    생산액에 관한 가장 최신통계는 2010년 자료

  • 미 국 ▮ 17

    2. 상품제조업

    (1) 생산동향

    美 상무부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 자료에

    따르면, 2011년 기준 미국 GDP의 12.2%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11년 기준 제조업 생산액

    (부가가치 기준)은 1조 8,7370억 달러로 전년대비 4.3%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중 기계설비, 구축물, 공작물, 가구 등을 포함하는

    내구재(Durable goods)는 2010년 17%의 성장을 기록한 후

    2011년에도 7.9%의 성장세를 보였으며 식료품, 의류, 의약품

    등 비내구재(Nondurable goods)는 2010년에는 5.1%라는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지만 2011년에는 0.3% 성장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미국 제조업 생산액 추이(단위 : 억 달러)

    구분 2008 2009 2010 2011

    제조업 전체 16,285 15,402 17,019 18,370

    내구재 9,041 8,004 9,145 9,893

    비내구재 7,244 7,398 7,874 8,478

    출처: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이러한 제조업의 성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의

    중요성을 인식한 미국이 제조업의 중요성을 피력하며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일부 미국

    대기업 해외 공장의 국내 회귀, 대외 여건 갱선 등 미국 내의

    제조업에 관한 변화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제조업 관련 산업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

  • 18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미국에서 제조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제조업이

    향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다시 재조명받고 있기 때문인데,

    첫째, 제조업의 높은 국제 경쟁력 유지 및 이를 통한 양질의

    해외 수출확대이 가능하고 둘째, 제조업에 집중된 연구개발

    및 이에 따른 여타 산업의 기술혁신을 주도하며 셋째, 제조업

    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및 간접 고용 유발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미국은 'Made in USA'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제조업 생

    산을 적극 장려하는 분위기이며 일부에서는 미국 제조업의

    부활이 도래했다는 의미로 '제조업의 르네상스'라고 평가하는

    등 제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가 한껏 높아지고 있다.

    (2) 유통구조 및 디자인적용

    미국 제조업의 유통 채널은 세부제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크게 제조업체에서 디스트리뷰터 혹은 에이

    전트, 또는 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기업을 포함하는 최종

    수요자에 이르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림 4] 제조업 유통구조

  • 미 국 ▮ 19

    유통과정에서 중간상인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신규 업체의 제품보다는 브랜드 인지도가 있거나 시장 內

    제품 품질이 검증된 업체와의 거래를 선호하는 성향이 강하며

    특히, 신제품의 경우 기술력 검증이 우선시되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 디자인이 적용되는 시기 및 범위는 제품의

    특징 및 제조형식에 따라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제조社는

    디자인 기업의 형태로 생산에서 유통까지의 전 과정을 자체

    내에서 해결하는 방식으로 최종소비자를 공략할 수 있으며,

    ‘인하우스(In-house)’ 디자인팀이 없는 기업의 경우, 외부 디자

    이너를 통해 제품을 디자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종 소비자가 기업일 경우 원하는 디자인을 적용하는 단계에

    따라 미리 제조사에 의뢰하거나 각 파트를 조립하는 단계

    혹은 소비자에게 나가기 직전의 최종단계에서 적용되기도

    한다.

    (3) 미국 제조업의 최근 트렌드 : "Re-shoring"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오랜 경기침체로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시급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오바마 행정부는 그

    동안 중국으로 이전했던 생산기지를 다시 미국으로 가져오는

    이른바 “Re-shorting”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 된 반면, 미국은 금융

    서비스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하여 경제를 이끌어 나갔다. 미국은

    IT 버블붕괴와 중국의 등장으로 제조업 기반이 빠르게 침식

    되어갔지만 서비스업, 특히 금융관련 서비스업을 바탕으로

    경제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 2008년 불어 닥친 글로벌 금융

    위기는 미국 경제를 큰 위기에 빠뜨렸으며 이로 인하여

    현재까지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20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경제를 부활시킬 대안으로

    미국 제조업 성장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정부차원의 지원을

    선언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장려정책은 중국 인건비 상승

    과 함께 미국으로 제조업 생산시설 기반을 다시 옮기는

    Re-shorting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최근 미국 상무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제조

    업의 생산 및 투자가 금융위기 직전 수준에 근접할 정도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미국의 경제전문

    업체인 Bloomberg에서 발표한 2012년 1/4분기 간 주요국

    제조업 생산 현황을 살펴보며 미국이 전년 동기대비 5.5%의

    성장률을 보이며 다른 국가와는 확연히 다른 성장세를 기록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5] 2012년 1/4분기 주요국의 제조업 생산 현황

    출처: Bloomberg

    1) 중국과의 인건비 격차 축소

    중국의 등장은 글로벌 제조업의 공급 사슬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노동집약 산업을

    시작으로 자본 및 기술 집약 산업까지 빠른 속도로 중국으로

    생산 기반을 옮겼다.

  • 미 국 ▮ 21

    노동인구가 풍부하고 인건비도 상당히 저렴한 것이 중국으로의

    생산공장 이전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정부의

    정책변화로 인건비가 크게 오르고 있다. 2012년 7월에 프랑스

    은행 내틱스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임금 상승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고 향후 4년 내에 중국의 노동비가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보스턴 컨설팅에서 2011년 8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을 기준으로 중국 제조업 근로자 임금 수준은 미국

    근로자의 3%에 불과했으나 2010년 미국 노동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27달러 중국은 2.4달러로 9%가 상승했고 이러한 미국과

    중국의 임금 격차는 향후 더욱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로 2015년 이후에는 미국과 중국의

    노동비용 차이가 10%미만으로 줄어들고 중국의 노동비용이

    5년 후에는 유로존과 7년 후에는 일본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급격한 노동비용 상승으로 중국의

    가장 큰 경쟁력인 노동비용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사실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 제조 업계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2) 오바마 행정부의 제조업 지원정책

    오바마 행정부의 경제철학을 정의하는 '제조업의 부활'은

    미국 경제의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특히, 일자리는 오바마 행정부의 가장 큰 골칫

    거리인데, ‘고용 없는 성장(Joblee Recovery)’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경기가 회복되는 속도만큼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러한 실업문제는 이번 대선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여서 오바마 행정부는 일자리 창출에 모든 노력을 쏟아

    붓고 있으며 해외로 나갔던 미국 제조업체들의 국내유턴이

    중요한 정책과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 22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오바마 행정부는 미국으로 돌아오는 제조업체들을 위해서

    인프라 개선, 법인세 인하, 의료보험 부담 완화 등과 같은

    각종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국내로 복귀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이전비용의 20%를 현금지원하고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기간도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오바마 대통령은 법인세율을 35%에서 28%로,

    특별히 제조업은 25%로 인하하는 세제 개편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 아웃소싱 기업에 대해서는 그동안 제공해 왔던

    혜택을 축소 또는 철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3) 셰일가스로 생산 확대에 따른 미국 내 제조원가 하락

    채굴기술의 발달로 최근 미국 내 셰일가스 개발 급격히 확대

    되고 있다. 2005년까지 0.1조 큐빅피트(Cubic feet)에 불과하던

    미국 내 셰일가스 생산량은 2010년에 5조 큐빅 피트까지

    급격히 확대되었다. 셰일가스 개발 확대로 미국 전체 천연가스

    생산에서 셰일가스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4%에서 2010년

    에는 23%까지 급증하였다.

    [그림 6]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 중 셰일가스 비중

    (단위 : 조 Cubic feet, %)

    출처 : p 에너지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 미 국 ▮ 23

    이러한 셰일가스 개발 붐에 힘입어 미국은 2009년 이후에

    러시아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부상한

    바 있다.

    美 에너지정보청(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따르면,

    미국 내 셰일가스 개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35년에는

    전체 천연가스 생산에서 셰일가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50%에

    달할 전망이다.

    다국적 컨설팅업체인 Price Waterhouse Coopers(PwC)에

    따르면, 셰일가스 생산증가에 힘입어 천연가스 가격이 안정

    될 경우 미국 제조업체들이 천연가스 구입에 지출하는 비용이

    2025년까지 연간 116억 달러, 2035년까지는 연간 112억 달러가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7] 셰일가스와 천연가스 소비 비용 차이

    출처: EIA, PWC

  • 2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4) 미국 제조업체들의 “Re-shoring" 사례

    오바마 행정부의 제조업 유턴정책에 힘입어 해외에 있던

    미국기업의 제조공장이 다시 회귀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메이커 중 하나인

    Ford는 12,000개의 일자리를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옮기는

    계획을 발표하였고, GE사는 10억 달러 규모의 신규 가전공

    장을 켄터키 주의 루이빌에 짓기로 결정하고 온수기 생산

    부분을 중국에서 이전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미국 기술 대기업 NCR은 2014년 중국 공장을 미국 조지아

    주로 옮겨 870명을 고용할 계획임을 밝혔으며 아디다스도

    최근 중국내 유일한 직영 공장의 폐쇄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 밖에도 미국의 Boeing, Caterpillar, Master Lock,

    Dupont, Sleek Audio, Wham-O, NCR, Seesmart LED 등

    기업들이 미국으로의 복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표 5] 미국 주요 제조업체들의 Re-shoring 사례

    기업명투자액

    (억 달러)주요내용

    Ford 160.0 멕시코로부터 트럭제조공장 국내 이전

    Intel 80.0 신규 공장 건설

    GM 26.0 자동차 공장 증설

    GE(예정) 10.0켄터키주의 루이빌에 신규 가전제품

    생산공장 설립

    출처: Merrill Lynch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Accenture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본사를 둔 제조 기업 중 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287개 기업의

    경영자 중 61%가 ‘공급지와 수요지 일치를 위해 현재 제조

    분야와 공급분야를 미국으로 옮길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Re-shoring 추세는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 미 국 ▮ 25

    3. 의류(패션) 산업

    (1) 생산동향

    美 상무부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 자료에

    따르면, 의류산업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신통계인 2010년 기준 미국의 의류제품 생산액은 118억

    달러로 전년(09) 대비 1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미국 의류산업 생산액 추이

    (단위 : 억 달러)

    구분 2008 2009 2010

    생산액

    (부가가치기준)133 133 118

    출처: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최신 통계가 발표되지 않아 통계상으로는 확인이 불가능

    하지만 미국 경기불황으로 직격탄을 받은 패션산업은 최근

    완만한 경기회복과 주요 업체들의 공격적인 마케팅 등에 힘입어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패션업체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되어 있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해왔다. 최신

    트렌드를 대변하는 빠른 생산력과 회전율을 자랑하는 Fast

    Fashion, 他 유명디자이너와의 협업으로 자신만의 특별함을 찾고

    싶은 사람을 위한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 명품디자이너의

    브랜드 가치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대중적인 이미지의 세컨드

    브랜드(Second Brand) 출시 등으로 경기불황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패션계의 선전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여전히

    Fast Fashion이 업계에서 성황을 이루고 있고, 점차 경제가

    나아짐에 따라 패션업계 매출도 점점 늘어갈 것이라 전문가

    들은 예측하고 있다.

  • 2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2) 산업구조 및 디자인 적용

    미국의 패션산업은 글로벌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면서 세계

    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와 함께 패션관련 업체들의

    경영방식도 우리나라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다수 패션업체들이 재고를 포함한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것에 반해 미국은 전문 소매 기업이

    제조업체들로부터 제품을 사들인 후 판매하는 형태가 일반

    적이다.

    최종 소매기업이라 할 수 있는 백화점의 경우 한국은 매장을

    각 브랜드별로 임대하고 수수료를 받는 것과 달리 미국의

    백화점들은 제품의 80% 이상을 자체구매 후 판매하며 재고

    책임도 백화점이 부담하고 있다.

    미국 패션산업은 매장형태와 규모, 영업 방식, 주요 취급품목,

    생성역사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나, 크게 원자재

    생산단계인 Primary Level, 제조단계인 Second Level, 소매

    단계인 Retail Level 등 3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림 8] 미국의 패션산업 구조

    출처: p상무부

  • 미 국 ▮ 27

    (3) 미국 패션산업의 업태별 특징

    1) Primary Level(원자재 생산단계)

    Primary level은 초기단계로 의류생산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원자재를 생산하는 공정단계가 해당하며 이 단계에는 디자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2) Secondary Level(제조단계)

    Secondary Level에 해당하는 업체들은 제조업체, 도매업체,

    컨트랙터(Contractor), 벤더(Vendor) 등인데, 각 업체들로 다소

    상이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 제조업체

    제조업체는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내부에서 기획 및 생산

    과정을 모두 관리하는 형태로 이들 기업은 자체 유통망을

    통하여 생산 후 백화점을 포함하는 전문소매기업에 판매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림 9] 제조업체 구조 및 특징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 28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제조업체들은 내부의 디자이너를 통해 자체 상품개발을 한

    다음 자체생산 또는 위탁생산 등을 통해 제조된 제품을

    백화점 등 소매업체에 판매한다. 즉, 여러 브랜드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판매하는 백화점 혹은 전문 소매기업 내에서 볼 수

    있는 브랜드들은 이러한 제조사 브랜드들이라 볼 수 있다.

    □ 도매업체

    도매업체의 일반적 형태로는 브로커(Broker), 에이전트(Agent),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 등이 있는데 이들은 중‧소규모

    판매상에게 직접 대량으로 판매하는 역할을 한다. 브로커와

    에이전트는 생산기업과 판매기업의 중간상인으로 상품의

    매매를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취급상품의 소유권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디스트리뷰터는 제품의 소유권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업체를 운영하는 서비스 도매상이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범위와 종류도 다양하다.

    □ 컨트랙터(Contractor)

    컨트랙터는 상품생산 과정 중 제한된 서비스만 제공하는

    중간 매개상이며 제품의 최종 품질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제조업체가 공급능력을 초과하는 주문을 받거나 일회성

    주문을 진행할 때 한시적으로 활용된다. 최근 생산 공정에

    직접 디자이너 및 품질관리(Quality Control) 전문가가 개입

    하면서, 이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 벤더(Vendor)

    벤더들은 주로 생산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중간 관리상의

    역할을 하는데, 글로벌 브랜드의 경우에는 자사의 글로벌

    에이전트가 벤더를 관리한다. 바이어가 담당 글로벌 에이전트

    에게 오더 패키지를 전달하면 에이전트는 벤더를 통하여 생산을

    진행 시키는 것일 일반적인 구조이다.

  • 미 국 ▮ 29

    [그림 10] 벤더 구조 및 특징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3) Retail Level(소매단계)

    □ 백화점

    미국 백화점은 타깃 소비자의 연령층, 생활수준, 선호 이미지

    등 총체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제품을 직접 선별한다. 가령

    최고급 백화점의 경우는 소비자의 소득 및 생활수준을 상으로

    책정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대에 맞춘 디자인을 선호한다.

    [그림 11] 미국 백화점 구조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 30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미국 백화점은 종류에 따라 취급하는 품목 다양하여 품목별

    점유율을 논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규모가 큰 대표적인 백

    화점을 토대로 품목별 점유율을 추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12] 미국 백화점 품목별 점유율

    출처: Department Stores in the US industry (2010 IBIS World)

    □ 전문 유통체인(Speciality Store)

    전문 유통체인은 취급상품을 전문화한 소매상으로 소비자의

    구체적인 욕구에 맞춰 상품을 배열한다. 전문 유통체인의 특징은

    하나의 기업이 공급자와 제조자의 통합을 지향하며 대규모

    전문 유통체인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문 유통체인은

    자체 기업이 깊이 관여하여 통제하는 집약적 프로세스 때문

    에 소수의 제조업자와의 거래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전문 유통체인은 운영 및 판매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편집형태의 전문 유통체인으로 여러 브랜드의

    상품을 편집하여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편집형태의

    스토어는 디자인이 제품군 선택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며

  • 미 국 ▮ 31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전문 유통체인은 앤트로폴로지(anthropologie), 어반 아우피터

    (Urban Outfitters)등이 해당된다.

    [그림 13] 편집형태 전문 유통체인 구조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두 번째는 디자인 기업이 기획, 생산, 유통까지의 모든 프로

    세스를 아우르며 관리하는 형태이다. 자체 브랜드의 스토어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하우스 디자이너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한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갭

    (gap), 아베크롬비앤피치(Abercrombie & Fitch)등이 있다.

    [그림 14] 자체 브랜드 형태 전문 유통체인 구조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 32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개인의 소비능력이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로 구분되는 전문

    유통체인은 트렌드를 따르는 적절한 상품구성 및 마케팅 활동이

    가장 중요한 경영전략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즌별

    트렌드에 맞춘 디자인의 비주얼적인 프레젠테이션이 중요하며

    매장 마다의 독특한 특성으로 그 브랜드만의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할인체인점(Discount Stores)

    월마트(Walmart)와 타깃(Target)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할인

    체인점은 소비자의 원스톱 쇼핑을 가능하게 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대에 판매하는 것이 특징이다.

    저가 중심의 가격지향적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특정

    업체들과 독점계약을 체결하기도 한다. 타깃(Target)은 최근

    유명 디자이너와의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해 저렴한

    가격대의 패션에 트랜디한 이미지를 입히는데 성공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할인체인점은 기획, 생산 및 판매 구조의 특징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직매입을 통한

    구조는 바이어가 직접 구매하여 유통하는 것이다.

    [그림 15] 직매입을 통한 유통구조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 미 국 ▮ 33

    두 번째 유형은 자체 브랜드 제품(Private Label)을 취급하는

    것인데, 벤더가 유통과정에서 깊게 관여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때 디자이너 및 상품개발팀과 함께 상품을 구성하여 제품을

    원활히 유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림 16] PL 제품 유통구조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 온라인 쇼핑몰

    최근 인터넷 및 스마트,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 보급

    확대에 따라 온라인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온라인 쇼핑몰은

    기업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림 17] 미국 온라인 시장 매출액 추이

    출처 : State of the U.S. Online Retail Economy in Q22012, ComScore

  • 3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먼저, 최근 미국 온라인 시장동향에 대해 살펴보면 2012년

    상반기 미국 온라인 시장(여행업 제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87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미국 온라인 시장

    매출액은 11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며, 7분기 연속

    두 자리대의 높은 성장세 지속하고 있다.

    미국은 온라인 매출 증가율이 일반 소매매출 증가율을 크게

    앞서고 있는 상황인데, 2012년 2분기 중 미국 소매매출(자동차,

    가솔린 및 식음료 제외)은 전년 동기대비 불과 2% 증가에

    그친 반면, 온라인 매출 증가율은 이보다 무려 7배 이상 높은

    15%를 기록하였다.

    높은 온라인 매출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전체 소매매출에서

    온라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6월말 기준 8.7%까지

    상승하였는데, 이는 2년 전인 2010년 2분기(7.1%)와 비교해

    2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1.6%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온라인 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업체들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속화됨에 따라 실제로 웹 기반 온라인 스토어뿐 만이 아니라

    미국 내 오프라인 매장을 소유한 소매체인 및 제조업체의

    합세로 온라인 스토어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스토어는 미디어를 통한 구매의 특성상 고객서비스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는데, 이를 통한 고객관리가 매우

    중요한 마케팅 포인트이며 소비자 개인정보, 구매행동분석,

    지출규모, 관심분야, 생활수준 등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수집과

    분석이 필수이다.

    기업이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할 때에는 효과적인 물류운영

    으로 인한 저비용운영과 효율적인 프로그램 및 시스템의 적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미 국 ▮ 35

    (4) 최근 미국 패션업체들의 생산 트렌드

    외주를 통한 대량생산이 중요시되는 패션산업의 특성 상

    패션업체들은 인건비 상승, 운송수단 및 통신시스템 발달 등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효율적인 생산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미국 업체의 구매담당자들은 한국을 비롯한 동남

    아시아 등지에 에이전트를 두고 무역회사인 벤더 회사와

    거래하여 제품의 관리와 부자재의 수급을 충당하고 있다.

    중국으로 대표되는 저임금 국가에 현지 법인 및 공장을 설립

    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해외 대형 체인

    스토어나 의류회사를 바이어로 두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기도 한다. 이들은 과거의 단순생산만 하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수출방식에서 벗어나

    제품생산의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er; 제조자 디자인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ODM 방식은 제조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며, 유통업체는 자사에 맞는 제품을 선택한다.

    4. 민간‧공공 건축 및 조경산업 (1) 산업동향 및 전망

    미국경제 불황은 부동산에 악영향을 끼치며 최근까지도 많은

    건설회사의 파산을 초래하고 있다. 美 상무부 경제분석국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자료에 따르면 최신통계인

    2011년 생산액은 5,203억 달러로 전년(10) 대비 1.7% 감소하였다.

    부동산 경기침체, 각종 원자재 가격 인상, 프로젝트 감소,

    정부의 지원 부족 등으로 미국의 건설시장이 오랜 침체기를

    겪으면서 조경, 인테리어, 민간 및 공공 건축 산업도 그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 3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그림 18] 미국 건설업 생산액 및 증감률 추이

    (단위 : 십억 달러, %)

    출처: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민간‧공공 건축‧조경 산업을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전체 산업의

    24%는 주택건설(Residential Buildings), 24%는 고속도로 등

    토목공사, 22%는 상업용건물(Commercial and Institutional Buildings),

    나머지 22%는 공공휴양시설(Public Recreation Facilities and

    Conservation) 등으로 구분된다.

    [그림 19] 민간‧공공 건축 및 조경 산업 세분화 현황

    출처: Landscape Designer in the US (IBIS World 2012)

  • 미 국 ▮ 37

    건설업이 침체되어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고속도로

    등 경기부양 프로젝트들은 그 동안 침체되어 있던 조경디자인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고속도로 등 도로

    건설에 대한 보조금 투입으로 토목(조경) 산업이 점차 활성화

    됨과 동시에 여러 도로 조경에 필요한 세부적인 요소를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조경관련 디자이너를 고용하는 등 조경 디자인

    산업이 점차 활기를 되찾고 있는 양상이다.

    연방정부 뿐만 아니라 州정부 또는 市정부 산하의 프로젝트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주정부 혹은 시정부의 크고 작은

    프로젝트는 주로 공원건설 및 기차 트레일 건설에 관련된

    프로젝트가 대부분이다. 정부산하의 프로젝트는 규모가 상대적

    으로 큰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미국 조경디자인은 동남아시아, 중국, 오스트리아 등지의

    호텔관련사업 및 공공조경 쪽에 다수가 진출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에도 미국의 대형 조경 디자인 회사들이 외국

    에서 발주하는 대규모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추진 중

    이기는 하지만 조경 디자인 라이선싱 관련 규정이 외국과

    상이하여 그 나라의 실정을 잘 알고 있는 현지기업과 경쟁을

    해야 하는 불리한 입장에서 전반적인 조경 디자인 수출입

    규모는 제한적이다.

    기본적으로 민간건축 관련 산업은 소비자의 이동과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미국 경기침체가 부동산 침체를 초래했고

    이로 인해 새집마련이 힘들어진 일반 소비자들이 거주지를

    옮기지 않으면서 관련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altors에 따르면 기존

    주택의 매매비율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간 4.8% 감소

    했으며 RealtyTrac에서 집계한 주택 소유비율은 2006년

    68.8%에서 2011년 67.2%로 감소했다.

  • 38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건설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2008년부터 2010년 사이 부동산

    관련 산업은 심각한 침체를 겪게 되었다. 민간 건축 관련 산업은

    개인 소득에 비례하는데 미국 경제 고용지수가 낮아지고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소유주가 주택에 대한 지출을 축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제가 회복되고 개인 연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민간‧

    공공 건축 및 조경 산업도 점차 활기를 띌 전망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은 미국 경기에 예민한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며

    주택건설경기가 나아지고 이에 따른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에 기인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의

    정책 중 하나인 주택관련 투자 및 건설에 이자율을 낮게 책정

    하는 등의 정부 정책도 앞으로의 부동산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건설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업계 불황이 미국 경제가

    나아짐에 따라 2012년을 기점으로 조금씩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내 가장 큰 건설업 컨설팅 업체인 FMI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건설업 경기는 2012년 1분기부터 회복

    되기 시작하면서 건설고용지수도 개선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북미 건설업 협회(The Associated General Contractors of

    America, AGC)는 총 33,000개의 건설업 회사 중 32%의 업체가

    올해 안에 신규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사실은 작년 37%의 업체가 고용자를 줄일 계획이라 말한 것과

    상반되며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미 국 ▮ 39

    III. 분야별 디자인 시장동향

    미국은 분야별 디자인 시장에 대한 세부 통계자료를 발표

    하고 않지 않아서 시장조사 전문기관 등에서 발표한 자료들을

    참고하여 이 가이드를 작성했다. 고용인력 등과 같은 통계자료는

    미국 통계청(U.S. Census Bureau) 및 노동통계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발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 산업(제품) 디자인

    (1) 산업동향

    미국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BIS World’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산업디자인 매출액은 2006~2011년까지 5년 동안

    연평균 0.1% 정도의 하락세를 보이면서 2011년에는 약 17.5억

    달러까지 감소하였다.

    [표 7] 미국 산업디자인 산업 동향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매출

    (백만 달러)1,813.4 1,688.3 1,727.1 1,751.3 1,784.6

    사업체 수(개) 1,963 1,945 1,952 1,970 1,990

    종업원 수(명) 12,898 12,266 12,143 12,253 12,424

    출처: Industrial Designers in the US (IBIS World 2011)

    경제위기가 본격화된 2009년 16.9억 달러에 비해서는 매출액이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경제위기 이전 수준은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06년 6.4% 수준이었던 디자인 프로젝트

    계약체결율도 2011년 5.3%로 하락했다. 최근 5년간의 하락세는

    미국에 불어 닥친 경제 불황이 가장 큰 원인이라 판단되는데,

    불황으로 인한 소비자의 구매력 저하가 미국 산업디자인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 40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산업 디자인 분야를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IT 및 가전제품

    디자인이 총 산업디자인의 30%를 차지하고 있어서 전자제품

    시장의 불황이 미국 산업디자인 업계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조다.

    특히 컴퓨터, MP3, 비디오게임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매출의 하락세는 곧바로 산업 디자인 업계의 수익 하락을

    가져오게 된다. 이런 상관관계는 역으로 산업디자인이 전자

    제품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는 애플 사례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애플은 디자인을 포함한 첨단기기의 혁신을 통해 전자산업

    전반에 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디자인과 기타

    산업이 서로에게 갖는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애플의 신제품 전자기기의 매출이 다른 회사들의 신제품

    출품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며, 신제품을 출품하는 데에

    있어서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을 통해서, 현재

    미국에서 첨단기기를 생산하는 회사와 제품 디자인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이너의 역량이 매출에 직결되는 전자기기 분야는 물론

    산업디자인 전체 규모의 25%를 차지하는 교통수단 디자인

    분야에서도 시장의 불황은 곧바로 디자이너들의 고용상황과

    산업디자인 수요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GM과 Chrysler의

    경우 2009년 파산신청 후 또 다른 대표적 기업인 Ford와 함께

    기업 내 디자인 R&D 지출을 대대적으로 삭감하였고 외부

    디자인 회사와의 파트너십을 축소하고 기업 내 최소의 디자

    이너들과 사업을 이끌어가는 등 디자인 관련 비용을 대대적

    으로 축소한 바 있다.

  • 미 국 ▮ 41

    [그림 20] 산업디자인 분야 세부분야별 비중

    출처: Industrial Designers in the US (IBIS World 2011)

    (2) 주요기업 및 인력현황

    1) 주요기업

    미국 산업디자인 시장은 소형업체 혹은 프리랜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분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몇몇의 대기업 외에는 대다수의 프리랜서를 포함

    하는 소규모 업체들은 프로젝트 위주로 영업을 하고 있다.

    □ IDEO

    IDEO는 미국 내 최대 규모의 산업디자인 및 컨설팅 서비스

    업체로서 1991년에 설립되었다. IDEO는 LA본사를 비롯하여

    미국, 유럽, 중국, 싱가포르 등에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55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애플, Steelcase, Palm

    등과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으며 삼성, Nestle, Ford 등이

    주요 고객사이다.

  • 42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IDEO는 브랜드 가치와 시장 내의 인지도가 급격하게 성장

    하고 있으며, 관련 단체와 시상식 등도 주관하고 있다. 2007년

    약 9,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2011년 매출액은 약 1억 달러에 달했다.

    최근 계속되는 경기불황으로 매출 증가율이 다소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여전히 글로벌 리더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미국 내 총 산업디자인 매출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 Frog Design Inc

    Frog Design은 글로벌 제품디자인 업체로 1969년 독일에서

    설립 되었다. 최근 산업디자인 관련 컨설팅까지 그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디즈니, 마이크로 소프트, 지멘스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동사는 전자제품 디자인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애플의 컴퓨터 디자인으로 유명하다. 2011년 매출액은

    약 5,000만 달러로서 전체 산업디자인 매출액의 약 2.1%를

    점유하고 있다.

    □ Herbst Lazar Bell Inc.

    1963년 시카고에서 창업된 동사는 HLB라고도 불리며 제품

    디자인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글로벌 디자인 기업이다. 산업

    디자인, 제조업 매니지먼트, 시장조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카고, 보스톤, LA 등지의 오피스에 1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Dell, HP, Sunbeam, Stanley Tool, Kodak,

    Motorola, Whirlpool 등이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불황은

    회사에 심한 타격을 입혔으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힘입어

    차츰 회복되는 추세이다. 동사의 2011년 매출액은 약 3,500

    만 달러로 전체 산업디자인 매출액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 미 국 ▮ 43

    2) 인력현황

    미국 산업디자인 시장은 가장 큰 규모의 4개 기업들이

    총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의 10%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상당히 분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

    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전체 산업디자인 전문기업의

    92.3%가 20명 미만의 디자이너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기업 내의 디자이너 수도 감소하기 시작하여, 평균 디자이너 수가

    2007년 7명에서 2010년에는 6명까지 줄어들었다.

    이러한 추세는 경기불황으로 대규모 디자인 업체들이 고용자

    수를 조정하면서 해고된 디자이너들이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시작함에 따라서 자영업 혹은 프리랜서 디자이너들이 증가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인력대체가 가능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영업 형태의 기업유지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소규모 기업

    수가 늘어남에 따라 시장 내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3) 수출입 동향

    미국의 서비스수출 통계를 발표하는 美 상무부 경제분석국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자료 분석 결과, 산업

    (제품) 디자인에 대한 서비스 수출입통계는 발표되지 않고 있다.

    다만, 특화디자인(Specialized Design Service, NAICS 코드

    54149)에 대한 수출입 통계자료는 공개되고 있는데 가장 최근

    통계인 2009년 기준 특화 디자인 수출액은 20억 달러인 반면,

    수입액은 9,900만 달러에 그쳤다.

    [표 8] 미국 특화 디자인 수출입 동향

    구분 2006 2007 2008 2009

    수출(백만 달러) - - - 2,040

    수입(백만 달러) 50 64 68 99

    주: 2006~2008년 동안의 수출액은 공개되어 있지 않음

    출처: p 상무부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 4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미국 산업디자인 시장은 지배적인 회사가 없는 분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외국 기업들이 진출하기에 유리한 여건이다.

    이에 따라서 외국 기업들의 미국시장 진출이 확대되고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데, 최근 5년 간 자국에서의 경쟁을 피해서

    해외로 이전하는 미국계 산업디자인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4) 시장전망

    최근 5년간 나타난 산업디자인 업계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BIS World는 향후 미국 산업디자인

    시장에 대해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IBIS World에

    따르면 미국 산업디자인 분야는 2011~2016년까지 5년 동안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16년에는 매출이 21억 달러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경제가 점차 회복됨에 따라 투자가들은 새로운 제품

    개발과 연구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확대할 것이며 신제품

    개발에 있어 불가분한 요소인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점차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도 위와 같은 긍정적 전망을

    가능케 한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의 디자인 하우스가 소규모의 디자인 하우스보다 더

    높은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되며 디자이너의 소득도 연간

    3.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용인원 수는 2016년까지

    연평균 3.7% 성장률을 기록하며 14,726명의 신규 고용이 창출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은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보되면서 개인 디자이너

    또는 소규모 디자인 하우스를 시작으로 디자인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초하고 있다. 산업디자인 시장 전반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보다 혁신적이고 획기적인 상품의 개발과

    동시에 소비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디자인을 구상하여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

  • 미 국 ▮ 45

    1) 자동차 디자인

    자동차로 대표되는 교통수단 디자인 시장 역시 향후 5년간

    점차 경제가 회복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라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신기술

    자동차 시장이 확대될 전망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

    하여 연비 개선효과가 큰 자동차 디자인 개발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이런 자동차 시장에서 성능과 분리하여 타깃 소비계층에게

    정확하게 어필하는 데에는 자동차의 디자인이 절대적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고급 스포츠카 브랜드인

    이탈리아 ‘Ferrari’는 소비시장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디자인 전문회사인 Pininfarina와 합작하여 스포츠카를 생산

    하고 있다.

    2) 전자제품 디자인

    컴퓨터나 핸드폰 등으로 대표되는 전자제품 디자인 시장도

    2011~2016년 간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컴퓨터나

    휴대폰 기기는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젊은 층의 소비가 많은

    제품들이며 또 급격히 발전하는 첨단기술로 인하여 상대적

    으로 회전율이 빠르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을 끊임없이 개발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 제품들의 경우 개인의 취향이

    더욱 많이 반영되는 추세이며 앞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살린 디자인이 시장에서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

    적이다. 컴퓨터 전문 브랜드 HP(Hewlett-Packard)의 경우는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컴퓨터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도하여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은 바 있다.

  • 4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이렇듯 컴퓨터 및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평범하고 식상한 디자인을 탈피하여 HP와 같이 소비자가

    직접 컴퓨터의 외형을 디자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개인의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제품의 외형을 맞춤형으로 디자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제조회사 내부의 디자이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디자인 인력에 대한 투자도 확대될 전망이다.

    3) 공산품디자인

    전체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디자인 시장(Products and

    Services Segmentation)’에서 제품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약 45%에서 2011년에는 60.2%까지 증가하였다. 제품과

    서비스 관련 디자인 시장은 제품디자인 이외에도 관련 컨설팅

    서비스, 광고디자인과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나머지 제품관련

    서비스(Other products and service, 8.2%)가 포함되어 있다.

    [그림 21] 2011년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디자인 시장

    부문별 점유율 현황

    출처: Industrial Designers in the US (IBIS World 2011)

    컨설팅 서비스에는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인 투자자 도는

    소비자들이 구체적인 신규 브랜드 출시 등에 필요한 정보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경험, 요구 등을 알고자 할 때 자문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 미 국 ▮ 47

    2. 패션디자인

    (1) 산업동향 및 전망

    미국 패션디자인 매출액은 2006~2011년 동안 연평균 0.1%

    라는 상당히 낮은 성장률을 보이며 거의 정체되어 있는 상황

    이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극심한 경기침체의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낮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패션 디자인 업계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신제품으로 꾸준히 소비자의 관심을 유도

    하여 점차 수익을 내고 있으며 느리지만 회복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특히, 불황 속에서도 샤넬, 루이비통, 프라다 등으로 대변되는

    고가 명품 브랜드의 선전으로 2010년 1.2%의 성장률을 보였

    으며 2011년에는 1.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또한 2011년

    기준으로 향후 5년간 패션 디자인 산업은 연평균 2.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그 매출규모가 1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 9] 미국 패션디자인 산업 동향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매 출

    (백만 달러)1,001.7 977.5 989.4 1,003.5 1,020.8

    사업체 수(개) 1,735 1,709 1,721 1,740 1,763

    종업원 수(명) 6,824 6,609 6,691 6,856 7,019

    출처: Fashion Designers in the US (IBIS World 2011)

  • 48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패션디자인은 통상 여성 겉옷이나 내의로 대표되는 의류

    디자인이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패션업계의 수익률은 통상 의류의 매출액

    으로 대변된다. 또한 패션 디자이너 업계에서는 의류소매업과

    디자인 하우스가 패션디자인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패션디자인 업계는 2009년 미국을 강타한 경기침체로

    닫힌 소비자의 지갑을 열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고심하

    였고 이는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

    세컨드 브랜드(Second Brand) 출시라는 패션업계의 또 다른

    트렌드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패션 디자인 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시장이지만

    앞으로도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 판단되는데 이는 조금씩

    회복되고 있는 경제와 디자인에 관한 수요의 증가, 그리고

    경쟁과 혁신, 아이디어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미국 시장문화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외주(Outsourcing) 동향

    패션디자인의 외주동향은 산업구조 특성상 생산레벨에서

    정해지는데 디자이너 브랜드들은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고자

    인하우스(In-house) 디자인 구조를 유지하고 고유의 디자인

    가치를 유지하는 반면, 그 외의 많은 기업들은 해외에서 외주

    디자이너를 고용하여 대처하기도 한다.

    일부 디자이너 브랜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이 아웃소싱

    형태로 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효율성을 위해 현지 디자이너

    업체와 계약을 맺고 생산과정에 투입시키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서비스만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전문 기업은

    고객기업의 환경 및 특성에 따라 다른데 가령 타깃 소비자에

    맞춰 특정한 취양의 디자인을 의뢰하는 소규모 부티크 경우

    시즌별로 한시적인 외주를 통해 디자이너를 고용한다.

  • 미 국 ▮ 49

    이때 고객기업의 특성에 따라 고용자수 및 규모가 달라지며

    디자인 전문 기업과 고객기업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지속적

    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중요시 된다.

    (3) 주요기업 현황

    패션디자인 시장에서는 독점기업이 사실상 부재하고 여러

    브랜드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향후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전망인데 최근 5년 동안 패션디자인 관련 업체

    수가 2.8% 감소하는 등 시장 내 업체수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시장 세분화 현황을 살펴보면 총 패션디자인 시장 내

    6%만이 개인적인 디자인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디자이너를

    고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006년 35%였던 패션디자인

    산업 중 의류제조업체의 비중은 최근 시장을 리드하는

    H&M이나 Zara 같은 패스트 패션의 강세로 40%까지 늘어

    났다.

    구찌(Gucci)나 마크제이콥스(Marc Jacobs) 등과 같은 명품

    브랜드의 경우, 자신들의 이미지를 지키고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인하우스(In-house) 디자인팀을 고집하지만

    소규모 업체들의 경우 원활한 최신 트렌드 디자인 보급을

    위해 외주를 활용하고 있다.

    소규모 부티크의 비중은 15% 정도인데, 이들은 소비자의

    취향에 맞춘 디자인을 위해 디자이너를 별도로 고용한다.

    이러한 업체들은 시즌 기간 내에 고용시간을 늘리고 더 많은

    디자이너들을 한시적으로 고용하여 수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있다. 10%를 차지하는 백화점 또한 회사 자체적으로

    디자이너들을 고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 50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그림 22] 패션디자인 산업 분야별 점유율 현황

    출처: Fashion Designers in the US (IBIS World 2011)

    1) 주요기업 동향

    □ Moet Hennessy Louis Vuitton

    전체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Moet Hennessy Louis

    Vuitton사는 프랑스 기업으로 패션, 가죽, 시계, 보석 등을

    취급하며 루이비통, 마크 제이콥스, 셀린느, 지방시, 엠포리오

    푸치 등의 디자이너 브랜드들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내 매

    출은 2011년 기준 314억 달러로 기업 총매출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The Gucci Group

    구찌는 이탈리아 기업으로 1921년에 설립되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2009년 매출액은 36억

    달러에 달했다. 핸드백과 가죽제품이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총매출의 1/3알 차지하는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각지에 200여개의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 미 국 ▮ 51

    (4) 미국 패션산업 트렌드

    1) 패스트패션(Fast Fashion)

    미국의 오랜 경기불황으로 소비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필수

    소비가 아닌 패션관련 지출을 축소하려는 소비자의 심리를

    반영한 "Fast Fashion"은 저렴한 가격으로 고가의 브랜드의

    트렌드를 추구하는 경향을 지칭한다.

    SPA브랜드(Speciality Retailer’s Store of Private Label

    Apparel) 라고도 불리는 패스트 패션은 최신 유행을 즉시

    반영한 디자인, 저렴한 가격, 빠른 상품 회전율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놓치지 않고 반영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패스트 패션은 불황 속 가장 큰 경쟁력인 가격을 전면에

    내세우며 최근 패션시장을 이끌고 있는데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제품 출시 주기를 단축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중간상을 없앤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패스트 패션브랜드들은 옷을 직접 기획, 생산하고

    자체 유통망을 통하여 직영 매장에서 판매함으로써 생산, 유통,

    판매 기능을 수직적으로 통합한 시스템을 가지고 빠른 제작

    과 저렴한 가격측정으로 시장에서 호황을 누리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H&M, Zara, Forever 21, 유니클로

    (UNIQLO) 등이 있다.

    2) 콜레보레이션(Collaboration)

    2009년 미국을 강타한 경기 불황으로로 미국 패션 디자인

    업계는 닫힌 소비자의 지갑을 열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고심하였고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는 "Collaboration" 이라

    불리는 他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52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다른 사람과의 협업은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며 기존에

    갖고 있지 않았던 이미지를 흡수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게 하는 등 패션시장에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이런 협업은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도 활용되었다.

    콜래보레이션은 급변하는 패션업계에서 불황을 이길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되며 최근에는 업종과 분야의 경계를 뛰어넘어

    디자이너, 예술가, 스타, NGO단체까지 다양한 분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인 패스트 패션의 성공은 콜레보레이션과

    맥을 함께 하는데 이러한 패스트 패션과 콜래보레이션의

    선두주자는 단연 H&M라 할 수 있다. 세계적인 유명 디자이너인

    랑방, 베르사체, 마르니 등과 콜래보레이션 라인을 선보이며

    저렴한 가격에 유명 디자이너의 옷을 구입할 수 있다는

    소비자의 심리를 간파한 H&M의 전략은 이슈를 일으키며

    매출을 끌어올렸다.

    자신들의 강점인 세계적인 유통망과 세계 유명 디자이너들의

    강점인 브랜드 가치를 서로에게 제공하여 저렴하지만 트렌디한

    이미지로 윈윈(Win-Win)한 H&M의 콜래보레이션의 성공은

    유니클로(UNIQLO)와 같은 또 다른 패스트 패션 브랜드가

    유명 디자이너와의 콜래보레이션에 뛰어들게 한 계기가 되었다.

    콜래보레이션 열풍은 단순히 디자이너와 의류브랜드의 결합

    뿐만이 아니라 모든 생활용품을 한 곳에 모아둔 ‘One-Stop'

    쇼핑이 가능한 할인 체인점에도 영향을 al쳤는데 이중 가장

    활발하게 콜래보레이션을 추진한 곳은 타깃(Taget)이다.

  • 미 국 ▮ 53

    명품 브랜드인 미소니(Missoni)와 새로이 떠오르는 신진

    디자이너인 제이슨 우(Jason Wu)와 손을 잡고 성공적으로

    의류관련 콜래보레이션을 성사시킨 타깃(Target)은 저렴한

    이미지의 자사의 의류제품의 이미지를 쇄신함과 동시에 경기

    불황 속에서도 자신만의 특별함을 찾고 싶어 하는 이들에게

    친근하게 어필하며 패션산업 매출을 증가시켜 나갔다.

    이러한 콜래보레이션 전략은 단순히 패션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결합을 뛰어넘어 사회에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다방면의

    업계에서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3) 세컨드 브랜드(Second Brand) 출시

    경기불황과 더불어서 물가상승 요인이 겹치면서, 미국 패션

    디자인 업계에서는 유명 고각 브랜드를 사용하면서도 상대적

    으로 저가인 제품을 출시하여 시장을 공략하는 세컨드 브랜드

    전략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세컨드 브랜드들은 불황 속 고가의 명품 브랜드를 대중화

    시킴과 동시에 친숙한 이미지를 각인 시키며 기존 명품라인의

    손해를 만회하고 더 나아가 매출을 끌어올리는 대안으로 해석

    되고 있다. 명품으로 인식 되는 고가의 디자이너 브랜드들이

    고급스런 이미지는 유지하되 실질적으로 같은 디자이너의

    옷을 좀 더 젊고 캐주얼한 느낌의 브랜드로 출시하여 불경기에

    대처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세계적인 브랜드인 루이비통의 수석 디자이너로

    자신의 이름을 딴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론칭시킨 마크 제이

    콥스 (Marc Jacobs)이다. 마크 제이콥스는 마크 바이 마크

    제이콥스 (Marc by Marc Jacobs)라는 세컨드 브랜드를 통하여

    대중적인 명품 이미지를 창출하고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 54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세컨드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의 젊은 층을

    겨냥한 영 캐주얼로 불황 속에서도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창조하며 입지를 굳혔다. 이렇듯 세컨드 브랜드들은 기존 고가

    브랜드들의 생산양식에서 벗어나 대량생산과 보다 저렴한

    원자재 사용으로 가격은 낮추면서 기존 브랜드의 고급스런

    이미지와 감성은 그대로 유지하는 전략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매출과 이익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고가의 명품 브랜드가 세컨드 브랜드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불황에 맞섰다면 명품 브랜드를 제외한 기존 인기 브랜드의

    경우, 기존의 품목에서 더 나아가 다른 품목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여 브랜드를 거대화 시키는 전략으로 수익을 창출해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젊은 층을 겨냥한 캐주얼 브랜드

    Rebecca Minkoff의 경우 가방 및 액세서리 품목에서 브랜드

    입지를 다진 후, 의류브랜드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4) 테크니컬 디자이너(Technical Designer)

    글로벌화 진전에 따라 디자인과 생산, 품질의 관리 등 전체

    프로세스를 아우르는 통합된 생산기술 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패션디자인 업계에서도 세분화, 분업화

    된 전문성을 기본으로 더 나아가 통합된 시스템 하에서의

    종합적인 매니지먼트가 가능한 테크니컬 디자이너라는 신개념의

    디자이너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테크니컬 디자이너는 바이어인 대형의류업체와 ODM 방식의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과 지시를 통하여 완

    성품을 만들어내는 총체적인 역할을 한다.

    기존의 디자인 작업만 하던 디자이너의 한정된 역할에서

    탈피해서 패턴사와 생산관련 구성원 사이에서 원활한 협의를

    진행하는 업무를 하며 총체적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경쟁

    력이 있는 전문 직업으로서 그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 미 국 ▮ 55

    [그림 23] 테크니컬 디자이너 자격요건

    출처: KOTRA 뉴욕 무역관

    3. 환경디자인

    (1) 조경디자인

    1) 산업동향 및 전망

    미국 조경디자인 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미국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많이 위축되어 있는 실정이다. 조경 디자인은

    주거환경에서는 주거지를 제외한 그 밖의 실외 공간, 그 외의

    상업건물 및 빌딩과 공공장소 등의 디자인을 포함한다.

    경기침체와 이로 인한 부동산 침체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조경 디자인 산업의 어려움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

    적이다. 실제로 주택건설과 상업건축시장의 극심한 불황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조경 디자인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다. 상업 및 기관, 주택 건설 등의 불황으로 조경디자인

    산업의 총 매출액은 최근 5년간 하락세를 보이며 2008년 60억

    달러에서 2012년에는 42억 달러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 56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최근 1차적인 디자인을 벗어나 확대된 통합 디자인 솔루션을

    추구하는 기업들이 건축디자인, 건설업, 조경업 등의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면서 조경 디자이너들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표 10] 미국 조경디자인 산업 동향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매출

    (백만 달러)5,962.6 4,697.8 4,304.0 4,116.1 4,167.2

    사업체 수(개) 40,791 40,392 41,567 42,588 43,781

    종업원 수(명) 68,356 62,218 64,619 66.320 67,285

    출처: Landscape Designer in the US (IBIS World 2012)

    미국 조경디자인 산업의 대부분은 소규모의 디자인 하우스

    및 개인사업자가 차지하고 있는데, 이중 10명 미만의 소규모

    업체들이 87.8%를, AECOM Technology Corporation,

    Stantec Inc, The Dewberry Companies 등의 대기업들이 약

    6.7%를 점유하고 있다.

    소규모의 조경디자인 업체는 통상 개인주택 소유주 혹은

    건설업자와 계약을 하게 되는데, 개인주택과 계약이 성사된

    조경디자이너는 주로 마당과 정원을 책임지게 된다. 총 산업

    에서 1/3를 차지하는 개인주택 프로젝트의 불황은 개인주택의

    정원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소규모 업체의 고전으로 이어

    지고 있다.

    2007년부터 디자인 하우스의 수는 연평균 1.2% 감소하면서

    2012년에는 43,781개로 집계되었다. 또한 주로 업체 및 기업

    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규모가 큰 디자인 하우스 역시

    주요 고객인 기업들과의 계약수가 줄어드는 등 경기불황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 미 국 ▮ 57

    경매를 통해 프로젝트를 획득하는 업계의 특성상 가격을

    하향 조정하는 디자인 하우스들 간의 경쟁이 과열되자 낙찰

    되어도 큰 이익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조경디자인 하우스만의 고유의 서비스가 조경 산업업체, 관련

    기술업체, 건축디자인 하우스 등에서도 제공되기 시작하면서

    전체 관련 산업에서 조경디자인 업체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2012년에는 미국 경기가 점차 회복됨과 동시에 프로젝트들이

    증가하면서 디자인 하우스들이 2012년 한해에만 1.2%의

    성장률을 보이며 4.8%의 매출액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된다. 앞으로 5년간 건설경기 회복이 본격화되면서 2017년에는

    4.9%의 성장률을 보이며 조경 산업 전체의 매출이 5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는 개인주택 프로젝트의 역할이 매우

    큰데 개인주택 소유주의 조경디자인 서비스지출은 통상 개인의

    소득과 연계하여 추정하기 때문에 향후 개인연봉의 상승으로

    조경디자인 매출액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주요 조경업체 현황

    □ Aecom Technology Corporation

    LA에 본사가 위치한 동사는 엔지니어링, 건축, 조경디자인

    및 계획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990년에 설립

    되었으며 미국, 영국, 아시아, 오스트리아, 뉴질랜드 등지에

    45,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2년 런던올림픽을 비롯

    하여 대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전체 조경시장의

    4.3%를 차지하고 있는 동사는 앞으로 연평균 11.5%의 매출

    신장이 기대되고 있다.

  • 58 ▮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디자인)

    □ Stantec Inc

    동사는 캐나다 기업으로 건축, 엔지니어링, 인테리어, 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