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Page 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 -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 나라의 산림은 매우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1900년대 초의 일제강점기에 무분별한 벌목에 의해 많은 산림이 피폐해지게 되었으며, 1950년대의 6.25전쟁을 겪으며, 더욱 황량하게 변하게 되었다. 그러나, 산림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산림을 육성해오다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해 산림면적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감소된 산림면적의 다른 용도로 변화되는 경향은, 1970년대 말에는 초지 및 농지로, 1980년대에는 공업용지로, 1990년대에는 휴양 및 위락시설용지로의 전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근래에 이르러서는 농․산촌지역의 인구가 감소되어, 농경지가 휴경으로 인해 초지 및 녹지로 환원되는 경우가 증가되는가 하면, 도시주변의 그린벨트지역의 산림은 인구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수요증가로 인해 각종 전용 및 개발압력이 점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각종 개발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자연환경을 적극적으로 보전․관리하기 위하여 1999년 5월에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동법 제2조 16항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습지, 호소, 농지, 도시, 해양 등에 대하여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 한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동법 제34조에서는 제32조 및 제33조에 의해 매10년 또는 매5년마다 조사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을 1등급 권역, 2등급 권역, 3등급 권역과 별도관리지역의 4개 권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생태․자연도의 작성을 명시하고 있다. 현재 국토이용변경협의,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협의, 평가시 자연환경분야의 경우 녹지자연도를 활용하고 있으나, 조사 및 구축시기의 차이와 구축방법론의 차이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2000년에 수행한 “자연환경종합 GIS-DB 구축사업”에서 전국 206개 권역중 86개 권역의 식생부문 평가는 완료하였으나, 2003년 까지 나머지 120개 권역에 대해서는 생태․자연도를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국 생태․자연도 완성 전까지 국토 난개발 방지, 국토이용체계 개편시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생태․자연도의 구축이 시급

Page 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 -

히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 생태․자연도의 구축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2. 연구의 범위 및 흐름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 부문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나, 이를 연구의 성격에 따라 정리하면, 이론적 연구를 통해 철새도래지 및 우수습지의 생태․자연도 등급설정기준을 설정하는 부분과, 기존자료의 검토를 수행하는 부분, 기초생태․자연도 구축부분의 3부분으로 < 그림 Ⅰ-1 >과 같이 정리된다.

기초생태자연도 구축

기존자료의 검토이론적 검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설정

기초 생태자연도 제작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른 등급화 및경계설정

정밀식생도 제작

기존자료의 검토

식생지수 및 토지피복분류의 이론적 고찰

독일의 경관생태도

생태자연도 등급경계 설정 원칙 및 기준제시

< 그림 Ⅰ-1 > 연구의 흐름

생태․자연도 등급경계 설정 원칙 및 기준제시부문에서는 야생동물서식지, 철새도래지, 우수습지 등 생태우수지역에 대한 경계기준 설정원칙을 제시하며, 도면화

Page 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 -

방법은 기존의 생태․자연도와 동일하게 제작한다. 기존자료의 검토부분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되는 임상도,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등의 주제도 DB, 좌표계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Scanning Map 중첩, 인접검사, Level 검사 등을 실시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한다. 정밀식생도 제작부문에서는 임상도와 현존식생도(제1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중첩하여 임상정보와 식생정보를 통합한 DB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정밀식생도의 경우 제작연도가 상이하여 최근의 개발로 인한 산림지역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최근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산불이나 개발로 인하여 변화된 지역을 검출하여 표시한다.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른 등급화 및 경계 설정에서는 2000년 생태․자연도가 작성된 권역(86개 권역)과 그 외의 대상지역에 대하여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라 대상범위를 선정하여 도면에 등급별 세부경계를 설정한다. 기초 생태․자연도 제작부분에서는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고 주제도를 작성한다.

Page 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 -

Ⅱ. 이론 연구

이론적 연구부분에서는 기초 생태․자연도 작성에 필요한 각 부문별 이론적 고찰사항을 3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정리․분석하였다. 첫째, 식생경계의 파악을 위해 활용되는 식생지수와 토지피복분류도를 정리하였으며, 둘째, 생태․자연도와 유사한 개념의 독일 경관생태도를 정리하였으며, 셋째, 철새도래지 및 우수습지 지역에 대한 등급설정 기준과 원칙을 제시하였다.

1. 식생지수

1.1. 식생지역의 광학적 특성

나뭇잎을 이루고 있는 세포는 수분이 풍부한 세포와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 사이에 반사지수가 큰 대조를 이루기 때문에 빛을 매우 효과적으로 산란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잎에 있는 Chlorophyll, protochlorophyll, Xanthophyll 등은 높은 빛 흡수율 때문에 가시광선영역인 400~700nm에서 어둡게 보이며, 파장대 550nm부근에서는 반사정도가 조금씩 증가하는데 이는 이들 색소가 이곳에서 최소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파장대 700-1,300nm의 스펙트럼 범위에서 식물은 매우 밝게 보이는데, 이는 나뭇잎을 이루고 있는 세포와 스펙트럼간의 특이한 관계 때문이다. 다른 물체들은 이 파장대 범위에서 강한 흡수가 없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식물은 강하게 분산한다. 또한 파장대 1,300~2,500nm 영역에서 식생은 비교적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대개 잎 내부의 수분이 이 파장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이다. 셀룰로오스, 리그라 그리고 다른 식물물질들도 이 스펙트럼 범위에서 역시 흡수한다. < 그림 Ⅱ-1 >과 같이 잎에 투과된 빛 중에서 Blue와 Red Band는 클로로필에 의해 흡수되며, Green band는 클로로필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된다. Infrared band는 mesophyll에 있는 세포벽에 의해 강하게 산란되며, 반사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것이 식생지수들로 식생지수를 이용할 경우 식생의 활력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식생의 경계를 추출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는 등 여러 가지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Page 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 -

< 그림 Ⅱ-1 > 나뭇잎과 광선과의 관계 모식도자료 : Floyd F. Sabins(1996), Remote Sensing Principles and Interpretation,

Third edition, p.57

1.2. 식생지수의 정의

식생지수들은 위성영상자료들의 몇 가지 band 값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지수이며, 주어진 이미지 화소(TV화상 등을 구성하는 것 : Pixel)에서 식생의 양에 대한 몇 가지 관계를 가지고 있다.

1.3. 식생지수 산출시 이용 가능한 위성자료

기본적으로 식생의 경우 파장대 700~1,300nm 범위 영역에서 밝게 나타난다. 따라서 Landsat TM(Ther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해서 식생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band 4와 band 5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Landsat MSS(Multi Spectral Scanner)의 경우는 band 6과 band 7이 가장 적합하다. SPOT Multispectral의 경우는 band 3과 band 2의 조합이 많이 활용된다.

Page 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 -

1.4. 식생지수 사례

1.4.1. 기본적인 지수

1.4.1.1. 비율식생지수

비율식생지수(RVI : Ratio Vegetation Index)는 Jordan(1969)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것으로, 녹색식물의 반사율이 적색영역에는 대체로 작고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높다는 것을 이용하여 두 분광대 영상이 가진 화소간의 비율을 구하며, 식생의 밀집도 등을 나타내기 위한 지수이다. < 표 Ⅱ-1 >은 인공위성영상자료별 로 사용 가능한 비율식생지수를 보여주고 있다.

< 표 Ⅱ-1 > 위성영상자료별 비율식생지수 LANDSAT MSS의 경우

RVI65 = MSS BAND6 / MSS BAND 5 RVI75 = MSS BAND7 / MSS BAND 5

LANDSAT TM의 경우 RVI = TM BAND4 / TM BAND 3

SPOT의 경우 RVI = SPOT BAND3 / SPOT BAND 2

NOAA AVHRR의 경우 RVI = AVHRR BAND2/ AVHRR BAND 1

1.4.1.2. 정규식생지수

정규식생지수(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의 개념은 Krigler(1969)에 의해 처음으로 설명되었으며, Rouse et al(1973) 등이 처음으로 활용사례를 제안하였다. 정규식생지수(NDVI)는 사람들이 식생지수를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으로, 비율식생지수(RVI)가 0에서 무한까지의 범위인 반면 이 지수는 -1과 1사이의 값으로 산출된다. 비율식생지수(RVI)와 정규식생지수(NDVI)는 기능적으로 동일하지만 다음의 (식 Ⅱ-1)과 같은 관계가 있다. < 표 Ⅱ-2 >는 인공위성영상자료별로 정규식생지수와 비율식생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간략히 보여주고 있다.

Page 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 -

NDVI=RVI-1RVI+1

(식Ⅱ-1)

< 표 Ⅱ-2 > 위성자료별 NDVI와 RVI LANDSAT MSS의 경우

ND 6 = MSS BAND 6-MSS BAND 5MSS BAND 6+MSS BAND 5

ND 7 = MSS BAND 7-MSS BAND 5MSS BAND 7+MSS BAND 5

TVI 6 = ND6+0.5

TVI 7 = ND7+0.5

LANDSAT TM의 경우ND =

TM 4 - TM 3TM 4 + TM 3

SPOT의 경우ND =

SPOT BAND 3 - SPOT BAND 2SPOT BAND 3 + SPOT BAND 2

NOAA AVHRR의 경우ND =

AVHRR BAND 2 - AVHRR BAND 1AVHRR BAND 2 + AVHRR BAND 1

1.4.1.3. 적외선비율식생지수

적외선비율식생지수(IPVI : Infrared Percentage Vegetation Index)는 Crippen(1990)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것으로 분자(분수)에서 Red를 빼기는 부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수를 제안하였다. 적외선비율식생지수(IPVI)와 정규식생지수(NDVI)는 기능적으로는 동일하지만 다음 식과 같은 관계가 있다.

IPVI=NDVI+12

=NIR

NIR+RED (식 Ⅱ-2)

1.4.1.4. 차이식생지수

차이식생지수(DVI :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Richardson과 Everitt(1992)의 몇몇 최근 논문에서 기술되고 있으나, 이를 처음으로 제안한 것은 Lillesand 와 Kiefer(1987)로 이들은 식생지수 (VI:Vegetation Index)로서 제안하였다. Lillesand 와 Kiefer는 이것의 사용가능성을 언급하였으나, 특별한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다.

Page 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 -

녹색식물의 반사율이 높은 근적외선의 영상과 반사율이 낮은 적색영역 영상의 두 분광대에서 관측한 영상이 가진 차이를 구하여 녹색식물의 반사특성을 강조하는 변환식이다. 차이식생지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한다.

DVI=NIR-RED (식 Ⅱ-3)

이를 위와 같은 원리 하에 이를 변형하여 다음과 같은 변형식을 만들어 냈다.

•Ashburn 의 식 : DVI = 2.0 MSS7 - MSS5 •Richardson and Wiegand 의 식 : DVI = 2.4 MSS7 - MSS5

1.4.1.5. 수직식생지수

수직식생지수(PVI :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는 Richardson과 Wiegand(1977)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수직식생지수는 대기편차에 매우 민감하여 다른 날에 취하여진 자료와 수직식생지수 값을 비교하는 것은 자료에 대기적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오차가 크게 날 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 않다.

PVI= sin(a)NIR- cos(a)RED (식 Ⅱ-4)1)

1.4.1.6. 가중차이식생지수

가중차이식생지수(WDVI : Weight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Clevers(1988)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가중차이식생지수는 대기적 편차에 매우 민감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한다.

WDVI=NIR-g*RED (식 Ⅱ-5)2)

1.4.2. 토양간섭(Soil Noise)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모든 토양들은 반사특성이 고유하여, 서로 다른 토양들은 서로 다른 반사스펙트럼을 가진다. 토양간섭의 문제는 식생피복도가 낮을 때 매우 민감하다. 다음에 제시1) 여기서 a 는 토양선과 NIR축의 상이 각도를 말함.2) 여기서 g는 토양선의 기울기임.

Page 1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 -

된 지수들은 토양간섭을 최소화시키는 지수들로서, 대부분이 비율척도지수이다. 이들 지수들은 식생피복이 낮은 상황에서 정규식생지수보다 식생피복에서의 편차에 더욱 민감하다. 그러나 이들 지수들은 수직식생지수보다는 덜 민감하다.

1.4.2.1. 토양보정식생지수

토양보정식생지수(SAVI :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는 Huete(1988)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비율척도지수와 수직식생지수를 혼용한 것이으로, 토양보정식생지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SAVI=NIR-RED

NIR+RED+L(1+L) (식 Ⅱ-6)3)

1.4.2.2.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TSAVI : Transform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는 Baret(1989)과 Naret and Guyot(1991)에 의해 발전된 지수로 토양선이 임의의 기울기와 절편을 가졌음을 가정하고, 이들 숫자들을 식생지수의 보정에 주로 사용한다. 보정변수 X는 토양배경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정된다. 그러나 아직 보정변수를 찾아내는 임의적이지 않은 방법을 찾지 못하여 경험적인 수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학술논문에 보고된 이 값은 0.08이다.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TSAVI)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TSAVI=s(NIR- s×RED+ a)

a×NIR+RED- a×s+X×( 1+ s×s) (식 Ⅱ-7)4)

1.4.2.3.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MSAVI : 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는 Qi(1994)등에 의해 발전된 것으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토양보정식생지수(SAVI)에 대한 보정변수 L은 식생피복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수정된 토양

3) 여기서 L은 수정요소로서 매우 높은 식생피복의 0과 매우 낮은 식생피복의 1의 범위이다. 가장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숫자는 0.5이다.

4) 여기서 a는 토양선 절편, s는 토양선기울기, X는 토양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정변수(0.08)임

Page 1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 -

보정식생지수의 기본적 원리는 다양한 교정요소(Correction factor)L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용되는 교정요소는 정규식생지수와 가중차이식생지수의 조합에 의해 계산된다.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MSAVI)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MSAVI=NIR-REDNIR+RED+L

(1+L) (식 Ⅱ-8)5)

1.4.2.4.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 2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 2(MSAVI2 : 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2)는 Qi(1994)에 의해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를 귀납적으로 발전시켜 개발한 두 번째 지수이다. MSAVI2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MSAVI 2=2(NIR+1)- (2×NIR+1)2-8(NIR-RED)

2 (식 Ⅱ-9)

1.4.3. 대기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대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며 모든 원격탐사센서는 대기를 통과하여 반사된 빛을 측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대기는 빛을 약화시키고, 떠다니는 연무질은 빛을 산란시키므로 인해 반사된 빛이 변하게 되며, 특히 기복이 많은 지역에서 그 영향이 지대하다. 이것은 기기에 의해 보여지는 빛을 변화시키고, 식생지수의 편차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날에 대한 식생지수를 비교하는데 문제가 있다. 다음의 지수들은 대기적으로 수정된 자료 없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지수들이다. 이 지수들은 정규식생지수보다 식생피복에서의 변화에 대해 덜 민감하나, 토양배경에는 매우 민감하다.

1.4.3.1. 지구환경모니터지수

지구환경모니터지수(GEMI : Global Environment Monitoring Index)는 Pinty와 Verstraete(1991)에 의해 발전된 지수로 그들은 식생지수에 대한 “Stock"대기적 수정을 실시함으로서 자세한 대기적 수정 필요성을 없앴다. 지구환경모니터지수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5) 여기서 L은 1-2s×NDVI×WDVI이며 s는 토양선의 기울기이다.

Page 1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 -

GEMI=eta(1-0.25×eta)-red-0.1251-red

(식 Ⅱ-10)

여기서 eta는 다음과 같다.

eta=2(NIR

2-RED

2)+1.5×NIR+0.5×RED

NIR+RED+0.5 (식 Ⅱ-11)

1.4.3.2. 대기저항식생지수

대기저항식생지수(ARVI :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는 Kanfman and Tante(1992)에 의해 소개된 것으로 정규식생지수(NDVI)에서 red band의 반사율을 대치하여 이용된다. Qi 등은 이 지수들이 지구환경모니터지수(GEMI)보다 식생피복에서의 변화에 더욱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중간에서 높은 식생피복에 대해서는 지구환경모니터지수(GEMI)보다 대기나 토양에 덜 민감함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대기 및 토양에 대해 영향을 덜 받는 특징으로 인해 식생피복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매우 큰 오차를 보인다. 대기저항식생지수(ARVI)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ARVI=NIR-rbNIR+rb

(식 Ⅱ-12)6)

1.4.4. 다른 지수

Kauth와 Thomas(1976)는 MSS에 대한 4-영역변형을 개발하였고, Crist와 Cicone(1984)은 TM에 대한 6-영역변형을 개발하였으며, Jackson(1983) 은 n-영역변형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MSS에 대한 녹생식생지수(GVI : Green Vegetation Index)의 계산은 다음과 같다.

GVI=-0.29×MSS 4-0.56×MSS 5+0.60×MSS 6+0.49×MSS 7 (식 Ⅱ-13)

TM에 대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6) rb= red-gama(blue-red), 여기서 gamma는 1의 숫자를 가짐.

Page 1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 -

GVI=-0.2848×TM 1-0.2435×TM 2-0.5436×TM 3+0.7243×TM 4+0.0840×TM 5-0.1800×TM 7

(식 Ⅱ-14)

Rouse(1973, 1974)등은 NDVI+0.5의 제곱근의 사용을 제안하였고, Goetz(1975)등은 Log 비율을 이용한 지수를 제안하였으며, Wecksung과 Breedlove(1977)는 Arctangent 비율을, Tucker(1979)는 NIR/red의 제곱근을 이용한 지수를 제안하였다.

1.5. 본 연구에의 활용

본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식생지수를 산출하여 식생지역의 경계를 산출하는 것으로 비용 효과측면에서 정규식생지수(NDVI)가 가장 적합하며, 이는 식생지역을 제외한 타 지역의 면적비율이 변화하여도 식생지수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2. 토지피복분류

2.1. 토지피복분류의 정의

토지피복분류도는 원격탐사자료 중 가장 중요한 응용자료 중 하나이다. 토지피복(land cover)은 숲, 초지,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대지 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업지, 주거지, 농경지 등과 같은 토지이용과는 다른 개념이다.

2.2. 토지피복분류도 및 경년변화

환경부는 1998년부터 1999년까지 1차 토지피복분류 사업에서 수행하였다. 이 사업에서는 남한지역의 1990년대 말 Landsat TM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습지, 나지, 물의 7가지 분류항목에 대하여 토지피복분류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2000년말부터 2001년 6월까지 2차 토지피복분류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Page 1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 -

이 사업에서는 남한지역의 1980년대 말과 북한지역의 1980년말, 1990년말 토지피복분류도를 1차사업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있다. < 그림 Ⅱ-2 >는 남한지역의 80년대말과 90년대말 토지피복분류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 말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컬러합성(밴드 3,2,1)7)

1990년대 말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컬러합성(밴드 3,2,1)8)< 그림 Ⅱ-2> 남한지역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 컬러합성도

7) Landsat TM 1987년 5월 20일 자료를 이용하여 1:50,000 도엽명 안양지역을 분류한 것임8) Landsat TM 1999년 5월 21일 자료를 이용하여 1:50,000 도엽명 안양지역을 분류한 것임

Page 1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 -

< 표 Ⅱ-3 > 남한 지역의 토지피복 경년변화비교

분류항목 1987년도 1999년도 비고면적(㎢) 비율(%) 면적(㎢) 비율(%)

시가화건조지역 109.62 17.90 161.52 26.36

- 안산시(산업단지 및 주거단지개발), 안양시(평촌개발), 인천(갈산택지개발), 김포시(택지개발)로 약 50㎢ 증가

농업지역 159.94 26.11 117.74 19.21 - 각종 택지개발과 산업단지 개발로 약 40㎢ 감소

산림지역 218.28 35.64 224.23 36.59초 지 54.28 8.86 38.15 6.22습 지 14.10 2.30 28.80 4.70 - 시화호 매립으로 인해 수역이

감소하고 습지 증가

나 지 26.17 4.27 34.86 5.69- 수원시(택지개발), 안산시

(택지개발)의 개발사업중인 면적으로 인해 증가

수 역 29.78 4.86 7.60 1.24기 타 0.30 0.05 0.00 0.00합 계 612.48 100.00 612.89 100.00

남한지역의 비교결과 시가화건조지역이 약 50km2정도 증가하였으며, 농업지역과 초지가 대부분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개발사업이 진행중인 결과 나지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북한지역은 남한과 같이 급격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각의 토지피복항목들이 소폭 변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가화건조지역의 주변에 위치한 야산은 < 그림 Ⅱ-3 >와 같이 식생이 소멸되고 있으며, 경작이 가능한 산림지역은 다락밭 사업으로 인해 개간되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그림 Ⅱ-3 > 청진시내 인근 야산의 모습(좌)과 다락밭 개간 모습(우)

Page 1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 -

1980년대 말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컬러합성(밴드 3,2,1)9)

1990년대 말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컬러합성(밴드 3,2,1)10)< 그림 Ⅱ-4 > 북한지역 토지피복분류도 및 RGB 컬러합성도(밴드 3,2,1)

북한지역의 피복경년변화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 그림 Ⅱ-4 >와 < 표 Ⅱ-4 >에서와 같이 산림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점과 나지의 경우 특히, 도로개설로 인해 많은 증가가 분석되고 있다.

9) Landsat TM 1989년 10월 23일 자료를 이용하여 1:50,000 도엽명 은률지역을 분류한 것임10) Landsat TM 1997년 5월 22일 자료를 이용하여 1:50,000 도엽명 은률지역을 분류한 것임

Page 1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 -

< 표 Ⅱ-4 > 북한지역의 토지피복 경년변화

분류항목 1989년도 1997년도 비고면적(㎢) 비율(%) 면적(㎢) 비율(%)시가화/

건조지역 19.85 3.29 20.80 3.45

농업지역 174.11 28.87 208.14 34.54- 시가화/건조지역 인접의 산

림 개간에 의한 농경지역 증가

산림지역 276.25 45.81 248.87 41.29초 지 31.83 5.28 23.08 3.83습 지 6.72 1.11 8.32 1.38나 지 5.83 0.97 16.03 2.66 - 도로개설, 시가화건조지역의

확대 등에 의한 나지 증가수 역 86.23 14.30 75.34 12.50기 타 2.27 0.38 2.11 0.35합 계 612.48 100.00 602.69 100.00

2.3. 본 연구에의 활용

위의 피복분류사례에서와 같이 토지피복분류도는 산림의 경계를 추출하므로 본 연구에서 변화된 산림지역의 경계를 파악하는데 매우 용이하다. 특히 환경부에서 1차 사업으로 구축한 남한지역은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Landsat TM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한 것으로 최근의 산림경계를 잘 반영하고 있으므로 산림경계의 수정에 활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독일의 경관생태도

3.1. 경관생태도의 개요

생물상 보전을 위한 경계의 원칙은 가능하면 많은 생물자원이 확보될 수 있는 넓은 핵심부(core)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핵심부의 확보는 각각의 생태계와 경관 구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개별 생태계에 따른 경계 원칙이 설립되어야

Page 1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7 -

한다. 또한, 하나의 서식지(비오톱, 혹은 숲 패치)는 그 존재만으로 생태적 기능을 원만하게 할 수 없으므로 생태적으로 여러 개의 패치를 생태통로로 연결시켜 동물의 이동과 식물의 분산을 원활하게 돕는다. 따라서, 주변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생태계를 최대한 확보하여 더욱 많은 생물상이 공존할 수 있도록 경계를 설정하여야 한다. 독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지역, 국토, 주, 도시, 마을 단위로 비오톱 도면을 작성하여 생태계를 관리하고 있다. 비오톱은 동질한 생물서식공간(혹은 생물군집)으로서 최소의 생물보전 및 환경계획의 관리단위로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위별 비오톱의 생태적인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생태계의 생물적(biotope), 물리․환경적(physiotope), 그리고 인간활동(anthrotope)의 제반 사항을 도면화 시킨 경관생태적인 구조와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경관생태도(ecotope map, 그림 Ⅱ-5 참조)를 작성하여 경관네트워크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미생물 관목, 교목

지하수

LAI

생산성

종다양성

녹지비율/구조

곤충상

조류상

풍속

기권

양서류

어류

습도,온도

radiation

대기질

지표수

DBH

수질

경사

토양

DEM

종다양성

기타 식물 동물 인공권지권수권기권

Ecosystem

Biotic Abiotic

건물

포장정도

특정개발

경작형태

< 그림 Ⅱ-5 > 경관생태도의 기본도면작성법

Page 1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8 -

< 표 Ⅱ-5 > 독일의 보호구역 내역범주 내용

자연보호

구역

◦특정 야생동식물의 생물군집이나 비오톱을 보호

◦학문적, 자연사적, 지역학적 근거 내지는 희귀성 특히 특별한 고유성이

나 뛰어난 풍경 때문에 보호

◦국립공원과 함께 자연보호법에 의해 법적으로 보호되는 구역

◦파괴, 훼손, 변경, 구성성분의 일부를 취하는 행위 금지

◦전 국토면적의 약 1.9%

#경관의

일부

지역

보호

◦자연균형의 효율을 높이고 지역 및 경관특성의 보호 및 관리와 경관

또는 환경에 해로운 향을 막기 위해 필요한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지

는 자연과 경관의 일부 (갈대림, 작은 물웅덩이와 같이 전체가 아닌 일

부지역을 보호)

◦희귀하거나 높은 생태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특정 비오톱은 법적으로

보호된다. 연방자연보호법 제20c조에 의하여 자연에 가까운 그리고 사

라질 위기에 처한 비오톱이 이에 속한다.

- 늪지, 습지, 갈대밭, 사초가 많이 자라고 물웅덩이가 많은 습원, 수원

지(샘)주변, 자연에 가까운 불투수성 포장이 되지 않은 도랑과 수역,

정수에서 메워져 육지가 된 부분

- 대체적으로 식생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계곡의 사구, 자연암벽, 관목

림과 노간주나무림, 거친 잔디초원, 건조초원, 건조고온 지역의 숲과

덤불

- 습지산림

- 해안절벽, 해안의 급경사지, 사구와 같은 해안제방, 해안의 염습지와

모래톱

- 노출되어있는 암벽, 알프스의 초지, 알프스 지역의 눈 덮인 계곡과 눈

잣나무림

◦이러한 비오톱을 훼손하거나 비오톱에 지속적인 변화가 야기될 수 있

는 사업은 허용되지 않는다. 공공의 이익에 근거하여 예외적인 경우에

는 보정사업이나 대체사업이 이루어진다.

경관보호

구역

◦자연보호구역과 국립공원보다는 법적인 기준이 약함

◦큰 면적의 공간에 대하여 인위적인 행위를 허용

◦자연균형의 생태적인 효율성이 유지 혹은 재생

◦경관특성의 다양함, 고유성, 아름다움이 유지

◦휴양을 위한 경관의 의미가 확고

◦1991년 말 현재 약 6,200개의 경관보호구역이 있으며 이는 독일 전역의

약 1/4에 해당한다.

Page 2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9 -

< 표 Ⅱ-5 > 독일의 보호구역 내역(계속)범주 내용

천연

기념물

◦학문적, 자연사적, 지역학적 근거 내지는 희귀성, 고유성, 아름다움 때문에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법적구속력을 가지는 개별적인 자연물

◦이러한 규정은 천연기념물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환경을 포함한다. 대

부분 나무, 암석, 수원지(샘), 폭포 등

자연공원

◦상당히 큰 면적이며 대개 경관보호구역이거나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

◦휴양을 위한 경관을 전제

◦휴양, 장거리교통을 위한 공간정비와 경관계획의 기본원칙, 목적을 고려

◦현재 68개의 자연공원, 그 전체면적은 55,000㎢

◦자연보호와 경관관리의 다양한 과제 뿐 아니라 문화환경의 보호와 환

경교육을 충족

국립공원

◦자연보호구역의 기본전제를 만족시키는 큰 면적의 보호구역

◦인간 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 고유한 생물종이 다양하게 보호

◦교란되지 않는 자연개발의 기준을 충족

◦환경, 자연보호, 원자로안전을 위한 연방부서(환경부)와 공간정비, 건설,

도시건설을 위한 연방부서(건교부)의 승인

◦12개의 국립공원, 전 국토의 2%정도에 해당

경관 내의 원활한 생태적 기능은 어느 정도로 넓은 경계, 또한 어느 정도 넓은 면적의 핵심부를 가진 경관구조를 확보하는가에 달려있다. 이러한 핵심부 패치의 생태적 사항은 서로 다른 생태계를 연결시켜주는 생태통로(생울타리 숲, 하천, 수변림 등)와 완충지역을 도면 경계 내에 확보함으로 생태네트워크가 더욱 증진된다. 생태계의 공간구조는 인접한 생태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영향을 준다 (boundary effect). 특히 패치의 유형(모양새, 크기, 가장자리 길이의 장단, 가장자리/내부 면적비율)은 그 패치가 가지는 토양성질 및 미기후를 결정하며, 식물 분포(매토종자), 생산량과 같은 식물생태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패치와 주변 생태계 사이의 동물상(조류, 포유류 등) 이동과 분포에 영향을 준다. 생물상은 다양한 서식지를 이용한다. 따라서 위성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이질적이며 다양한 유형의 생태네트워크를 포함시킨다. 대표적 조류서식지인 갯벌의 경우, 갯벌을 비롯하여 주변의 논과 이차림, 담수저수지 및 하천 수변림은 조류의 서식지 및 생활권이므로 가능하면 함께 경계 내에 두도록 한다. 습지경계는 그곳에 서식하는 식물이나 동물11)을 구분하여 각 생물상에 맞는 경

11) 표 징 종 : 시민들에게 친숙한 종, 우점하는 식물 및 특징적인 동식물 생 태 지 표 종 : 자연환경의 지표가 되는 종 Umbrella종 : 먹이연쇄의 상위에 위치하는 종으로 그 종이 서식하면 하위의 종들도 서

식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종

Page 2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0 -

계를 확보한다. 식물의 경우, 개체수, 서식지 및 생태적 역할에 대한 정보가 비교적 확실하게 얻어지는 표징종의 서식지 혹은 행동권을 보전지역의 경계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물의 경우는 논란이 많다. 즉, 경관생태계획에서 각 생태계의 경계를 설정하는 경우 동물은 주체가 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biotope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경관을 형성하는 주체는 아니다. 따라서 실제로 동물의 서식지 및 활동영역을 공간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결국 동물은 ecotope map내의 주체가 아닌 각 ecotope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체로서 다루어진다. 앞으로 생물다양성 보전전략은 생물상 중심의 보전 뿐 아니라 서식지 혹은 다른 생태계의 집합체인 경관네트워크의 보전과 연결시켜 진행되어야 한다.

3.2. 본 연구에의 시사점

이와 같은 독일의 경관생태도는 우리 나라의 생태․자연도와 유사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어, 향후 생태․자연도의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우리 나라의 생태․자연도는 식물과 동물상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으나, 독일의 경관생태도는 우리 나라에서 반영하지 않고 있는 기권에 대하여 고려를 하고 있다. 특히 기상상태는 모든 생물종에게 많은 기회와 영향을 주는 인자이므로, 향후 생태․자연도의 개선 및 추가 구축 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잎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와 같은 지수는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할 경우 객관적으로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수이다. 또한 잎면적지수를 이용할 경우 식물의 생산량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성영상자료의 활용방안 역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4. 생태․자연도 등급설정 원칙 및 기준 습지는 생물종 다양성이 풍부한 생물공간의 서식처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습지의 생태․자연도 등급을 설정하기 위하여 습지를 이루는 유형별로 경계를 설정하였다.

중 추 종 :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

Page 2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1 -

4.1. 생태계 유형별 경계설정 개요

4.1.1. 생태계의 개념

자연의 단위는 생태계이다. 생태계 안에서 구성원은 먹이그물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 과정을 통하여 물질순환과 에너지흐름이 일어난다. 그런데 이러한 일을 하는 계를 자연에서 하나의 단위로서 찾고 정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우물과 같이 물리적인 경계역을 기준으로 쉽게 그 경계역을 정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드물고, 오히려 생태계 대부분은 산림생태계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주변부에서도 점진적으로 변하여 그 한계역을 규정하기가 더욱 힘든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생태계의 구성원은 시간적으로 변함은 물론, 생물은 반작용을 통하여 그 물리적인 환경까지를 변화시킨다. 더욱이 생산자나 분해자는 지역적인 생태계 내에 분포하지만, 새나 포유류 같은 대형 소비자들은 여러 지역간의 생태계를 넘나든다. 즉 이러한 대형소비자들은 다양한 생태계를 통하여 먹이그물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자연의 기능이 일어난다. 자연의 기능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생물자원이 확보될 수 있는 넓은 핵심부(core)를 확보하는 것이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핵심부를 적절히 설정하여 보호하고 필요하다면 적절한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핵심부의 설계를 위해서는 생육장소의 분단․고립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즉 단편화된 서식지 패치(patch)내 보전대상 생물개체군 및 생물군집에 대한 환경조건의 변화와 외래종 침입과 같은 생물학적 침투(biological invasion) 등 단편화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핵심부 서식지 패치의 면적, 수, 형태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이 있으나 우선 유념해야 할 부분은 면적과 보전효과와의 관계 및 가장자리 효과(edge effect, boundary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의 설정이다. 또한 외부의 교란으로부터 교란과 가장자리 효과에 의한 외래종 침입을 막기 위한 완충지역의 설치이다. 끝으로 대형 서식지 패치가 여러 개의 소형 서식지 패치로 단편화되는 경우 서식지 패치의 면적-가장자리 비율(area-perimeter ratio)은 서식지 패치의 면적이 작아질 수록 저하한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볼 때 생태계는 아래와 같은 소개념으로 이루어진다.

- 물리적 개념 : 지리, 지형학적인 경계역 포함 - 구성원적 개념 : 생물의 분포, 생태행동학적 내용 포함 - 기능적 개념 : 먹이그물을 통한 생태계 구성원간의 연결성 포함

Page 2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2 -

이 지침서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생태계의 개념을 생태․자연도 작성 시 일어나는 등급의 경계에 적용하여 작성한 것이다.

4.1.2. 경계 설정 원칙

생태․자연도 등급 간 경계역의 기준은 생태․자연도 작성 지침에 준하며, 핵심지역의 면적, 배치, 형태 등은 다음의 내용을 참고한다.

4.1.2.1. 보호구의 면적과 수

같은 조건하에서 잔존하는 숲 또는 특별한 생육장소 중 가장 큰 면적의 서식지 패치를 보호구로 결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속 가능한 개체군을 유지함에 있어서 큰 면적을 필요로 하는 대형 포유류들도 함께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선택된 대면적의 핵심지역만으로는 완벽한 보전을 확보할 수 없을 때에는 완충지역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침은 규모가 작은 여러 개의 핵심지역보다도 하나의 대형 핵심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생물다양성 보전측면에서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4.1.2.2. 보호구의 배치

몇 개의 대형 보호구를 서로 근접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하는 소형 서식지 패치의 핵심지역을 배치하거나 혹은 서식지 통로(corridor)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징검다리 또는 서식지 통로가 정말로 종의 분산경로로서 기능을 하는지의 여부를 충분히 검증한 다음 배치한다.

4.1.2.3. 보호구의 형태

보호구의 형태는 실제로 지역 조건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지만 별도의 제약이 없고 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면 가장자리효과(edge effect)12)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원형이 어렵다면 가능한 한 단순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12) 가장자리효과(Edge Effects)란 생태계 서식처의 경우 외부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므로 외부와 접하는 경계가 작을수록 서식환경보호가 용이하며, 클수록 영향을 받는 지역이 많아져 서식환경보호가 곤란한 효과를 말한다.

Page 2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3 -

4.1.3. 경계설정 부원칙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으로부터 경계역을 명확히 규정할 수 없거나,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항목이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생태계개념(ecosystem concept)을 적용하여 만든 부원칙을 근거로 경계역을 설정한다.

1) 하나의 경계역은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정한다.

(1) 생태계는 기질(substance), 지리와 지형 등의 물리적인 경계로 나눈다. 가. 경계가 불명확한 곳은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가) 생태계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곳(ecotone)은 하나의 생태계로 묶고 같은 등

급을 부여한다. 나) 생태계 구성원의 생태학적 행동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가) 구성원 중 가장 취약한 생물의 특성을 반영한다. (나) 구성원 중 가장 넓은 행동반경을 갖는 것으로 한다.

(2) 생태계는 생물학적인 경계로도 나눌 수 있다. 가. 생태계 구성원의 특성에 의하여 구획할 수 있다.

(3) 생태계는 상기 (1)과 (2)의 연합체이다.

(4) 생태계의 구성원간의 연결은 먹이그물로 연결되어 있다. 가. 생산자나 소비자 중 한쪽만이 생태․자연도 지침에서 고려할 대상일 때 다

른 한 쪽의 서식처도 같은 등급에 포함시킨다.

(5) 생태계는 구성 생물의 멸종과 감소를 막아야 한다.

(6) 생태계는 건전하고 지속가능하여야 한다.

2) 각 생태계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토록 한다. (1) 구성 종의 먹이처, 휴식처와 산란처를 포함시킨다.

3) 생태․자연도 지침에서는 언급이 되어 있지 않지만, 우리 나라에서 희귀성이 인정되는 생태계는 경계역13) 안에 둔다.

Page 2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4 -

4.2. 유형별 경계설정기준

4.2.1. 산

4.2.1.1. 물리적 경계

◦ 고립된 산지 - 산에서 발원하여 생긴 하천(주변 산지로부터 발원하여 합쳐지는)까지를 경계역

으로 한다. - 지형도 상에서 지정된 산이 포함된 집수역을 포함시킨다. ․ 집수역은 양서류의 산란장소나 대형 동물(파충류, 조류, 포유동물)의 물과

먹이의 공급원이고, 수서생물의 서식처이다 - 산이 단절된 지역 ․ 산과 하천사이에 포장도로가 있으면 포장도로를 포함시킨다. ․ 생태계가 심하게 단절되어 하천이 제기능을 할 수 없다고 판단될 때 도로

를 경계역으로 나눈다.

◦ 연속적 산지 - 산과 산의 경계역은 산의 연결부 중 낮은 능선을 기준으로 한다. - 산으로부터 발원되는 산간계류를 근거로 나눈다.

4.2.1.2. 생태학적 경계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수계변의 식생을 포함시킨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산간 계류변의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14)

- 어류

13) 이 경계역을 결정되는데 고려되어야 할 생물은 생태․자연도지침에서 그 등급판정의 기준이 되는 종을 지칭한다.

14) 잠자리의 경우 서식반경이 약 1 km이다.

Page 2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5 -

․ 1차 담수어 중 1급수에서 사는 종이 고려대상일 때 수질의 보호를 위하여 그 종이 서식하고 있는 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간계류의 상류지역의 지류도 포함시킨다.

․ 회귀성 어류가 사는 지역은 강하구에서부터 상류의 산란장소까지를 포함한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15)

< 그림 Ⅱ-6 > 계절에 따라서 농촌의 다양한 서식지(논, 밭, 숲, 하천)를 이동하는 곤충의 행동

◦ 양서류 - 행동반경을 고려하여 산간계류로부터 500m까지를 포함시킨다.

◦ 파충류 - 행동반경이 넓지 않으나 변온동물로 개방지와 임연부(forest edge)가 생

15) 붉은점모시나비의 경우는 기린초만을 먹는다. 이러한 기린초는 숲속에 있지 않고 숲외곽(자연도가 낮은 곳)에 분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식생도의 등급이 낮더라도 생태․자연도는 높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Page 2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6 -

존과 서식처에 필수적이므로 이부분을 포함시킨다.

◦ 포유류 - 이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가 최소 개체군크기로 유지될 수 있는 행동반경16)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키고, 박쥐의 경우 서식처가 되는 동굴을 포함시킨다.

- 식생도 상의 등급이 낮은 곳이 행동반경 안에 있는 경우 이를 포함시킨다. ․ 식생이 매우 불량할 경우 주 이동통로를 포함시킨다.

◦ 조류 - 철새 ․ 철새는 장거리를 이동하고, 채식장소,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 다르므

로 산에서 이동통로가 중요하다. 철새의 주요한 이동통로를 포함시킨다.

- 텃새 ․ 생태․자연도 지침에서 정한 텃새는 서식처와 산란장소가 장령림이므로

식생이 양호한 산이 있는 장소를 중심으로 행동권17)을 포함시킨다. ․ 조류의 먹이가 되는 딱정벌레가 사는 고사목(decaying bole)이 출현하

는 지역을 포함시킨다.

4.2.2. 산지습지

산지습지는 산지에 있는 습지 중 습지보전법상의 정의를 기준으로 하고, 이 법에 명시되지 않는 항목이나 내용은 Ramsar협약의 기준에 따른다.18) 산지습지의 경계는 다음의 각 항에 속하는 곳으로 한다.

4.2.2.1. 식물지리적 경계

이토가 발달하는 장소와 지하수위와의 상호관계, 생육하는 식물상의 차이에 따라

16) 각 동물의 행동반경을 반영해야 하나, 우리 나라의 경우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구체적인 행동반경을 설정하기 곤란하다.

17) 각 텃새의 행동반경을 반영해야 하나, 우리 나라의 경우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구체적인 행동반경을 설정하기 곤란하다.

18) 갯벌은 한국 습지보전법에는 수심이 표현되지 않으나 Ramsar협약에는 간조시 수심6 m 이하의 땅으로 제한하고 있다.

Page 2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7 -

서 저층습원(fen), 중간습원(transition), 그리고 고층습원(bog)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 저층습원 - 하천으로부터 물이 흘러 들어가 발단된 지역 - 하천 및 호소의 주변 - 습원의 주변부위에서 발달. - 다양한 영양분이 공급되는 부영양화된 지역 - 대표적인 식물인 갈대가 있는 지역

◦ 중간습원 - 저층습원과 고층습원 사이에 위치 - 지하수위의 변동이 심한 곳에 성립 - 해빙기나 여름 호우 시에는 수중에 있으나 건조 시에는 물이 없는 경우도

있음 - 진퍼리새, 황새풀 등이 생육하는 지역

◦ 고층습원 - 저층습지와 중간습지에 둘러싸여 발달 - 주변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고립된 장소에 발달 - 물이끼 덩어리인 불트(bult)가 발달 - 물이끼가 대표적인 식물

따라서 산지습지의 경계는 고층습원과 중간습원을 포함할 수 있는 저층습원이 최소경계가 되며, 저층습원에 물을 공급하여 주는 수원지와 수원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오리나무군락의 범위도 경계 내에 포함시킨다.

◦ 평가시의 유의점 - 핵심지 경계 : 수면지역과 갈대군락지역, - 제1완충지 : 육지화 과정에서 생기는 천이지역, 오리나무 침투지역, 수원지 - 제2완충지 : 토지이용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주변의 경관생태 네트워크 요소가

포함된 지역

4.2.2.2. 생태학적 경계

Page 2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8 -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수계변의 식생을 포함시킨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하천변의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

- 어류 ․ 위의 수서곤충에 준한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양서류 - 행동반경이 짧으므로 습지경계로부터 500m까지로 한다.

◦ 파충류 - 행동반경이 넓지 않으나 변온동물로 개방지가 서식처에 필수적이므로 나지

를 포함시킨다.

◦ 포유류 - 포유류가 물을 얻는 장소는 습지이다. 따라서 그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의 행

동반경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킨다.

◦ 조류 - 텃새가 물과 먹이를 얻는 장소이므로 발견되는 조류의 행동권을 포함한 지

역까지 포함시킨다. - 철새는 습지에서 채식을 하고 장거리를 이동하며,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르다. 따라서 산란장소나 휴식장소가 습지에 연속하여 있거나 인접하여 있을 때는 이를 포함시킨다.

4.2.3. 하천

4.2.3.1. 물리적 경계

Page 3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29 -

◦ 하천의 구성은 수로, 둔치와 육상(제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천의 경계역은 이 세부분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시킨다.

◦ 하천은 수문학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집수역의 개념을 포함시킨다.

◦ 제방과 인접하여 논이나 호소같은 습지가 있을 때 이를 포함시킨다.

◦ 수서생물종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하여 물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될 수 있도록 집수역(유역)을 포함시킨다.

◦ 주기적으로 생기는 범람원을 포함시킨다.

4.2.3.2. 생물학적 경계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수계변의 식생을 포함시킨

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하천변의 식생이 있는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

- 어류 ․ 1차 담수어 중 1급수에서 사는 종이 고려대상일 때 수질의 보호를 위하여

그 종이 서식하고 있는 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류지역의 지류도 포함시킨다.

․ 회귀성 어류가 있는 지역은 강하구에서부터 하천 상류의 산란장소까지를 포함하는 이동통로를 포함시킨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양서류

Page 3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0 -

- 겨울잠을 잘 수 있고, 채이장소가 있는 하천주변의 식생이 있는 지역을 포함시킨다.

◦ 파충류 - 행동반경이 넓지 않으나, 변온동물로 개방지가 서식처에 필수적이므로 광을

직접받을 수 있는 나지를 포함시킨다.

◦ 포유류 - 포유류가 물을 얻는 장소는 하천이다. 따라서 그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의 행

동반경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킨다. - 수달과 같이 수계에서 먹이를 주로 얻고 집이 수계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는 집으로부터 수계에 이르는 전구간의 지역을 포함시킨다.

◦ 조류 - 텃새가 물과 먹이, 노는 장소이므로 발견되는 조류의 행동권을 포함한 지역

까지 포함시킨다. - 둥지를 토벽에만 트는 새는 법사면이나 절개지를 포함시킨다. - 철새는 하천에서 채식을 하고 장거리를 이동하며,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르다. 따라서 산란장소나 휴식장소가 하천에 연속하여 있거나 인접하여 있을 때 이를 포함시킨다.

4.2.4. 하구

하구는 하천 상류, 중류로부터 육수에 의하여 운반된 영양분이 퇴적되는 지역인 동시에 주기적으로 해수의 영향을 받는 곳이다. 그러므로 하구는 육수와 해수의 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4.2.4.1. 물리적 경계

◦ 육수와 해수가 주기적으로 섞이는 지역을 포함한다. ◦ 장마시 육수가 해안에 영향을 주는 범위로 한다.19) ◦ 장마시 육수에 의하여 퇴적물이 쌓이는 하류지역을 포함시킨다.20)

19) 강의 입구에서 바다쪽으로 1 km20) 강의 입구에서 상류쪽으로 1 km

Page 3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1 -

◦ 하류의 범람원을 포함시킨다. ◦ 육수와 해수가 주기적으로 섞이는 지역 중 염습지식생이 분포하는 곳을 포함시

킨다.

4.2.4.2. 생태학적 경계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수계변의 식생을 포함시킨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하천변의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 ․ 바다쪽의 하구는 바닷물이 상고조시 포말되는 지역(모래, 점토, 자갈, 바

위)까지 포함시킨다.

- 어류 ․ 1차 담수어 중 1급수에서 사는 종이 고려대상일 때 수질의 보호를 위하여

그 종이 서식하고 있는 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류지역의 지류도 포함시킨다.

․ 회귀성 어류가 있는 지역은 강하구에서부터 하천 상류의 산란장소까지를 포함시킨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양서류 - 겨울잠을 잘 수 있고, 채이장소가 있는 하천주변의 식생이 있는 지역을 포함

시킨다.

◦ 파충류 - 산란장소와 서식장소를 행동반경 안에 든 지역을 포함시킨다.

◦ 포유류 - 포유류가 물을 얻는 장소는 하천이다. 따라서 그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의 행

동반경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킨다.

Page 3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2 -

◦ 조류 - 텃새가 물과 먹이를 얻는 장소이므로 발견되는 조류의 행동권을 포함한 지

역까지 포함시킨다. - 둥지를 토벽에만 트는 새는 법사면이나 절개지를 포함시킨다. - 철새는 하구에서 채식을 하고 장거리를 이동하며,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르다. 따라서 산란장소나 휴식장소가 하구에 연속하여 있거나 인접하여 있을 때는 이를 포함시킨다.

4.2.5. 호소

호소는 내륙습지이다. 따라서 호소는 습지보전법상의 습지의 정의를 사용한다. 호소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생태계이다. 생태계의 구성 종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려하여야 한다.

4.2.5.1. 식물지리적 경계

◦ 물이 고여 있거나 항상 물기가 있는 지역

◦ 수생(수변, 습지)식물이 생육하는 곳을 말한다. - 수생식물은 초본이나 관목, 목본까지 포함한다. - 수생식물이 주로 분포하는 곳에 중생식물이나 건생식물이 불규칙하게 분포

하는 것은 무시한다.

4.2.5.2. 생태학적 경계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호소변의 식생을 포함시킨

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호소변의 식생이 있는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

Page 3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3 -

- 어류 ․ 상류에서 산란하는 어류의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양서류 - 겨울잠을 잘 수 있고, 채이장소가 있는 호소변 식생이 있는 지역을 포함시킨다. - 호소주변에 인접하여, 혹은 연속적으로 있는 논과 같은 양서류의 산란장을

포함시킨다.

◦ 파충류 - 행동반경이 넓지 않으나 변온동물로 개방지가 서식처에 필수적이므로 나지를

포함시킨다.

◦ 포유류 - 포유류가 물을 얻는 장소는 호소이다. 따라서 그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의 행

동반경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킨다.

◦ 조류 - 텃새가 물과 먹이를 얻는 장소이므로 발견되는 조류의 행동권을 포함한 지

역까지 포함시킨다. - 철새는 습지에서 채식을 하고 장거리를 이동하며,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르다. 따라서 산란장소나 휴식장소가 습지에 연속하여 있거나 인접하여 있을 때는 이를 포함시킨다.

4.2.6. 석호

석호는 해안습지이다. 따라서 호소는 습지보전법상의 습지의 정의를 사용한다. 석호는 육수와 해수의 영향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받는 곳이다.

4.2.6.1. 식물지리적 경계

◦ 물이 고여 있거나 항상 물기가 있는 지역

Page 3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4 -

◦ 수생(수변, 습지)식물이 생육하는 곳을 말한다. - 수생식물은 초본이나 관목, 목본까지 포함한다. - 수생식물이 주로 분포하는 곳에 중생식물이나 건생식물이 불규칙하게 분포

하는 것은 무시한다.

◦ 사구식생이 분포하는 곳을 포함한다.

◦ 첫 번째 항이나 두 번째 항을 담고 있는 제방(자연적)을 포함한 지역

◦ 해수나 육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수문지역을 포함한다.

◦ 다섯 번째 항의 수문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석호주변의 육지와 바다를 포함시킨다.

4.2.6.2. 생태학적 경계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 등급의 기준이 되는 종의 생태학적 특성을 반영한다.

◦ 수서생물 - 수서곤충 ․ 유충의 먹이인 낙엽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석호변의 식생을 포함시킨

다. ․ 성체시 서식처와 채식처가 육상이므로 석호변의 식생이 있는 육상환경을

포함시킨다 - 어류 ․ 회귀하는 어류의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육상곤충 -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 분포하는 서식처를 포함시킨다.

◦ 양서류 - 겨울잠을 잘 수 있고, 채이장소가 있는 석호변의 식생이 있는 지역을 포함시

킨다. - 석호주변에 인접하여, 혹은 연속적으로 있는 습지를 포함시킨다.

Page 3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5 -

◦ 파충류 - 개방지를 포함시킨다. - 도마뱀과 같은 종이 출현하는 사구를 포함시킨다.

◦ 포유류 - 포유류가 물을 얻는 장소는 석호이다. 따라서 그 곳에서 발견된 포유류의 행

동반경을 포함한 지역까지 포함시킨다.

◦ 조류 - 텃새가 물과 먹이를 얻는 장소이므로 발견되는 조류의 행동권을 포함한 지

역까지 포함시킨다. - 철새는 습지에서 채식을 하고 장거리를 이동하며, 산란장소 및 휴식공간이

다르다. 따라서 산란장소나 휴식장소가 삭호에 연속하여 있거나 인접하여 있을 때는 이를 포함시킨다.

4.2.7. 갯벌 및 해안간석지

간석지에 대한 개념은 <干潮時에 노출하는 모래와 이토성질의 평탄한 지형>, <간만주기에 따라 노출과 수몰의 사이클을 반복하는 평탄한 모래와 이토성질의 지대> 등으로 정의되며, 간조시에 물이 빠지고 만조시에 수몰하는 연안 공유수면 지역을 조간대라고 한다. 그 곳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을 고려할 때 인접하는 배후의 海邊구역과 淺海구역을 경계에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갯벌 및 간석지 습지의 인공적 변경 등으로 인하여 경관경계가 바뀌었을 경우, 환경부의 생태․자연도 등급기준에 따라서 특정 야생생물상의 분포와 생물다양성 기준에 따라서 변화된 내륙의 토지 이용(논과 양식장 등)도 가능한 포함시킬 수 있다(그림 Ⅱ-7 참조). 또한 인접한 주변 식생 중 식생보전등급 V 또는 IV에 해당하는 산림을 포함하여 조류의 서식지로 가능한 습지 전면으로 연결된 산림식생(이차림 포함)과 집수역도 경계 내에 포함한다.

◦ 평가시의 유의점 - 핵심지 경계 : 조간대와 배후 해변 및 천해구역 - 제1완충지 : 습지 주변의 이질적 경관유형 (담수호, 양식장 및 염전) - 제2완충지 : 도로를 포함한 인간활동 지역, 제 3완충지: 습지 전면으로 연결

된 산림식생

Page 3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6 -

< 그림 Ⅱ-7 > 해안간석지 습지와 석호의 경계

Page 3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7 -

Ⅲ. 기존자료의 검토

본 연구는 자연환경종합 GIS-DB구축사업에서 구축된 지역을 제외한 지역의 생태․자연도를 작성하는 것으로 생태․자연도의 작성을 위해서는 1차 식생조사한 도면을 정리한 현존식생도와 임상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기존 현존식생도, 녹지자연도, 임상도의 속성정보 정확성 및 경계 정확성을 < 그림 Ⅲ-1 >과 같은 흐름에 따라 검토하였다.

< 그림 Ⅲ-1 > 현존식생도, 임상도, 녹지자연도 검토 흐름도

< 표 Ⅲ-1 > 검토대상 자료 현황주제도 자료량 축척 자료형태

현존식생도 223 1/50,000 mpd (MGE)임상도 745 1/25,000 mdb

(GeoMedia Spatial Data)녹지자연도 전국 mdb

Page 3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8 -

1. 도엽별 인접 검토

인접지역의 오류는 크게 두 가지로 디지타이징 시 경계선이 누락된 것과, 경계선의 정합이 맞지 않는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러한 인접지역 도면의 일치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 그림 Ⅲ-3 >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1:25,000 축척의 임상도 745도엽과 1:50,000축척의 식생도 223도엽을 검수하였다.

수치화 된 식생도 식생도 Scanning Map

부분확대< 그림 Ⅲ-2 > 인접하는 두 도면을 Attach하여 데이터의

연속성확인(식생도)

Page 4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39 -

2. 속성정보의 검토

본 연구에 사용되는 현존식생도는 제1차 전국기초조사에서 작성된 주제도로 현재 진행중인 제2차 자연환경조사에서의 식생도와 그 속성정보의 표기형태 상이하나, 조사지침 및 도면작성이 변경으로 인한 것이므로 본 주제도의 속성정보를 제2차 자연환경조사의 속성정보 표기방법을 기준으로 갱신하였다.

Scanning Map과 비교 오류지역의 확인

데이터 누락오류 발생 데이터 입력범위 초과오류 발생< 그림 Ⅲ-3 > 조사도면-Scanning Map을 이용하여 입력오류 검출

Page 4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0 -

정확한 생태․자연도 등급의 산정과 설정을 위해서는 각각의 주제도의 정확한 속성과 경계는 필수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되는 주제도의 DB, 좌표계, Graphic Element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Scanning Map 중첩, 인접검사, Level 검사 등을 < 그림 Ⅲ-3 >과 같이 실시하였다. 기존의 수치지도를 스캐닝하여 벡터라이징할 경우 벡터라이징 하는 작업자들의 숙련도와 입력 vertex 등의 간격, 성실도 등에 의하여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검증하고 수정하는 작업자들이 일관된 수준의 자료로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가장 많은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 그림 Ⅲ-3 >과 같이 조그만 패치의 속성에 대한 그래픽작업이 누락되거나, 패치내부에 다른 패치가 있는 경우 충분한 배율로 확대하지 않고 디지타이징하여 발생하는 경계의 부정합이다. 이와 같은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임상도, 녹지자연도, 식생도 등 기존 식생자료의 오류를 검토하고 오류 발견시 수정하였다.

3. 녹지자연도 등급산출 기존의 녹지자연도는 1㎞ 격자형 자료로 구축되어 있어 각종 개발사업의 평가 및 국토계획 등과 같은 공간계획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서도 녹지자연도 매우 중요한 평가인자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환경부는 1998년 “인공위성영상자료와 GIS를 이용한 녹지자연도 등급판정기법개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제시된 < 표 Ⅲ-2 >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영급이며, 다음으로는 수관밀도이다. 이러한 등급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재, 6등급의 경우는 수종에 관계없이 모든 인공림을 6등급으로 판정한다. 둘째, 7등급은 수종에 관계없이 수관밀도가 50%이하인 2영급 산림과, 수관밀도가 50%이상이며, 2영급의 소나무우점 천연림, 활엽수혼효림, 침활혼효림, 참나무우점 천연림이 대상지역이다. 셋째, 8등급지역은 수관밀도가 50%이하이며, 영급이 3영급과 4영급인 소나무우점 천연림, 활엽수혼효림, 침활혼효림, 참나무우점 천연림과, 수관밀도가 50%이상인 3영급, 4영급의 소나무우점 천연림, 활엽수혼효림, 침활혼효림, 참나무우점 천연림이 대상지역이다. 넷째, 9등급은 수종에 관계없이 수관밀도가 50%이하인 5영급, 6영급의 산림과 수관밀도가 50%이상인 5영급, 6영급의 산림이 대상지역이다. 이러한 등급판정기준을 이용하여 전국차원의 녹지자연도를 재편집하였다.

Page 4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1 -

< 표 Ⅲ-2 > 녹지자연도 등급판정 기준

구분 잠정적 녹지자연도 설 명

제 외 임상도내에 포함된 무립목지6 6 수종에 관계없이 모든 인공림

7A 7 수종에 관계없이 수관밀도가 50% 이하인 II영급 산림 8A-D

8수관밀도가 50% 이하인 III, IV영급의 소나무우점 천연림

8A-H 수관밀도가 50% 이하인 III, IV영급의 활엽수혼효림8A-M 수관밀도가 50% 이하인 III, IV영급의 침활혼효림8A-Q 수관밀도가 50% 이하인 III, IV영급의 참나무우점 천연림

9A 9 수종에 관계없이 수관밀도가 50% 이하인 V, VI영급 산림7B-D

7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영급의 소나무우점 천연림

7B-H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영급의 활엽수혼효림7B-M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영급의 침활혼효림7B-Q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영급의 참나무우점 천연림8B-D

8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I, IV영급의 소나무우점 천연림

8B-H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I, IV영급의 활엽수혼효림8B-M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I, IV영급의 침활혼효림8B-Q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III, IV영급의 참나무우점 천연림

9B 9 수종에 관계없이 수관밀도가 50% 이상인 V, VI영급 산림

8등급이상 정밀조사지역 등급판정기법에 의한 녹지자연도< 그림 Ⅲ-4 > 녹지자연도 등급산출

8등급이상지역과 등급판정에 따른 8등급 9등급이상지역의 면적차이는 < 그림 Ⅲ-4 >와 < 표 Ⅲ-4 >에서와 같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환경부에서 제작한 8등급이상지역 정밀녹지자연도에서는 11,023㎢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Page 4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2 -

구축한 녹지자연도에서는 8등급지역과 9등급지역을 더할 경우 23,209㎢으로 약 2배정도 많게 산출되고 있다. 광역시도별로는 강원도의 경우 환경부에서 조사한 자료(6144.44㎢)와 본 연구에서 구축한 녹지자연도(5,838.41㎢) 유사하게 산출되었으나, 나머지 광역시도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유로는 임상도의 제작시기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환경부기준에서는 임상도의 영급기준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를 < 그림 Ⅲ-5 >와 같이 세부지역으로 확대하여 보면, 8등급이상지역과 등급판정에 의해 산출된 녹지자연도와는 큰 경계형태는 유사하게 보이고 있으나, 세부 경계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외곽보다는 산림내부에 7등급이하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자연생태계조사시 이 부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8등급이상 정밀조사지역 등급판정기법에 의한 녹지자연도< 그림 Ⅲ-5 > 녹지자연도 도곽비교

본 연구에서 구축된 녹지자연도는 7등급지역에 대한 실선경계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생태․자연도의 식생등급도 작성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장조사시 조사자료로 활용한다면, 적은 수고로 녹지자연도의 실선 경계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Page 4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3 -

< 표 Ⅲ-3 > 등급판정에 따른 녹지자연도 면적과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지역 면적비교면적(㎢)비율(%)

등급판정에 따른 녹지자연도면적 녹지자연도(8등급이상)면적(비율)

행정구역면적

6등급면적(비율)

7등급면적(비율)

8등급면적(비율)

9등급면적(비율)

서울특별시 607.84 10.93(1.8)

12.94(2.1)

96.73(15.9)

1.50(0.2)

3.35(0.5)

부산광역시 750.07 24.22(3.2)

100.59(13.4)

216.23(28.8)

2.46(0.3)

3.84(0.5)

인천광역시 986.00 39.25(4.0)

129.17(13.1)

61.92(6.3)

0.31(0.0)

22.31(2.3)

대전광역시 540.67 89.43(16.5)

108.97(20.2)

64.86(12.0)

0.00(0.0)

0.88(0.2)

대구광역시 882.49 60.29(6.8)

228.94(25.9)

104.47(11.8)

2.52(0.3)

6.05(0.7)

울산광역시 1,056.28 81.02(7.7)

344.71(32.6)

208.39(19.7)

1.48(0.1)

17.36(1.6)

광주광역시 497.75 14.18(2.8)

41.74(8.4)

123.72(24.9)

1.07(0.2)

-(0.0)

강원도 16,928.51 2,663.13(15.7)

3,585.76(21.2)

4,928.19(29.1)

910.22(5.4)

6,144.44(36.3)

경기도 10,038.53 1,746.63(17.4)

1,523.88(15.2)

1,878.35(18.7)

28.52(0.3)

1,165.10(11.6)

경상북도 19,052.08 1,658.60(8.7)

5,847.10(30.7)

4,393.49(23.1)

144.52(0.8)

1,208.55(6.3)

경상남도 10,522.40 975.32(9.3)

3,013.24(28.6)

2,134.65(20.3)

157.64(1.5)

516.47(4.9)

충청북도 7,445.19 1,114.60(15.0)

1,712.95(23.0)

1,733.31(23.3)

53.94(0.7)

793.98(10.7)

충청남도 8,621.37 1,242.27(14.4)

1,445.90(16.8)

1,044.28(12.1)

6.66(0.1)

155.27(1.8)

전라북도 7,969.97 1,049.53(13.2)

1,045.45(13.1)

1,698.18(21.3)

125.50(1.6)

393.77(4.9)

전라남도 12,112.72 1,353.84(11.2)

1,862.50(15.4)

2,704.57(22.3)

107.95(0.9)

344.72(2.8)

제주도 1,847.55 143.35(7.8)

129.74(7.0)

234.27(12.7)

39.87(2.2)

247.60(13.4)

총 합계 99,859.40 12,266.61(12.3)

21,133.57(21.2)

21,625.61(21.7)

1,584.15(1.6)

11,023.70(11.0)

Page 4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4 -

Ⅳ. 정밀식생도 제작

본 장에서는 정밀식생도 제작을 위해 사용된 임상도와 현존식생도 등 식생 관련자료의 현황을 고찰하고, 제1차 자연환경조사에서 구축된 식생도와 임상도의 속성통합방안을 고려하여 정밀식생도를 제작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식생의 경계와 관련하여 임상도의 경우 1994년에 제작된 것으로 현재 시점과 약 7년의 시차가 있으며, 현존식생도의 경우는 10년이상의 시차가 있어, 식생의 경계를 검토하고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대규모 개발로 인해 식생이 제거된 지역의 경계를 도출하고, 제거 원인을 DB화하였다.

1. 정밀식생도 제작 개요

1.1. 임상도 개요

임상도는 1:15,000 축척으로 항공촬영된 항공사진을 판독하고, 현지의 임상과 대조한 후, 1:25,000축척의 지형도 위에 도화자겅버을 거쳐 도화되며, 항공사진 최종적으로 대조되는 과정을 거쳐 임상도로 편집된다. 현재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임상도는, 제3차 전국산림자원조사에 의하여 제작된 임상도를 전산화하여 속성자료와 함께 수치지도로 제작된 것이다. 임상도는 산림을 임상, 경급, 영급, 그리고 소밀 기준에 의하여 동일한 속성을 갖도록 구획된 임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임분은 교목의 울폐도가 30%이상인 지역으로 임상도에서는 이 임분을 대상으로 각종 속성이 분석되고 제작된다. 임상도의 임상은 < 표 Ⅳ-1 >과 같이 크게 인공림(식재림)과 천연림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인공림은 다시 식재 수종에 따라서 구분된다. 천연림의 경우 보통 다양한 수종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종에 의한 구분보다는 침엽수혼효림, 활엽수혼효림, 침활혼효림 등으로 우점하는 비율에 따라 구분되어 있다 한 예로, 침엽수림은 침엽수 수관점유 면적이 75%이상되는 임분이며, 활엽수는 활엽수 수관점유 면적이 75%이상되는 임분이고, 침활혼효림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수관점유 면적이 25~75%되는 임분을 의미한다.

Page 4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5 -

< 표 Ⅳ-1 > 임상도의 임상별 구분기준임 상 부호 구 분 기 준

입목지

인공림

소나무림 D단독 수종에 의한 수관의 점유면적 또는 입목본수 비율이 전체의 75% 이상인 임분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공조성된 식재림)

소나무 인공림 PD잣나무림 PK낙엽송림 PL리기다소나무림 PR참나무림 Q포푸라림 PQ밤나무인공림 Ca

천연림

침엽수혼효림 C 침엽수 혼효림의 수관 점유면적 또는 입목 본수 비율이 75% 이상인 임분

활엽수혼효림 H 활엽수 혼효림의 수관 점유면적 또는 입목 본수 비율이 75% 이상인 임분

침활혼효림 M 침엽수와 활엽수의 수관 점유면적 또는 입목 본수 비율이 각각 25%이상, 75% 미만인 임분

무립목지

벌채적지 F 일시적으로 입목이 제거된 곳미입목지 O 지피와 수관의 총 피복도가 50% 이상인 임지황폐지 E 지피와 수관의 총 피복도가 50% 이하인 임지초지 LP 초지경작지 L 과수원, 기타 농경부지, 묘포장 등이 임지내에 있

는 농용지역

제 지R 도로, 암석지, 묘지 및 군사시설 부지 등 임목 육

성에 쓰이지 않는 임지U 건물 부지 또는 주택지W 하천, 소택지 또는 수면

임간나지 ⓓ 임목지로서 지피와 수관의 총 피복도가 50%

임상도의 영급은 < 표 Ⅳ-2 >와 같이 수령에 따라 1영급부터 6영급의 6가지로 구분된다. 한 예로, 1영급은 수령1년생부터 10년생까지를 의미하며, 2영급은 11년생부터 20년생까지를 의미한다.

< 표 Ⅳ-2 > 임상도 영급별 구분기준영 급 부호 구 분 기 준1영급 I 입목지로서 수령 1-10년생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 2영급 Ⅱ 입목지로서 수령 11-20년생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3영급 Ⅲ 입목지로서 수령 21-30년생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4영급 Ⅳ 입목지로서 수령 31-40년생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5영급 Ⅴ 입목지로서 수령 41-50년생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6영급 Ⅵ 입목지로서 수령 51년생 이상 입목의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

Page 4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6 -

경급은 수목의 흉고지경에 의해 < 표 Ⅳ-3 >과 같이 치수, 소경림, 중경림, 대경림의 4가지로 구분된다. 한 예로, 치수는 흉고직경 6cm미만의 입목 수관점유 비율이 50%이상인 임분을 의미한다.

< 표 Ⅳ-3 > 임상도 경급별 구분기준경 급 부 호 구 분 기 준치 수 0 흉고직경 6cm 미만의 입목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소경림 1 흉고직경 6-16cm의 입목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중경림 2 흉고직경 18-28cm의 입목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대경림 3 흉고직경 30cm이상의 입목 수관점유 비율이 50% 이상인 임분

소밀도는 교목의 수관점유 면적비율에 의해 < 표 Ⅳ-4 >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된다. 한 예로, 소밀도는 교목의 수관점유 면적이 50%이하인 임분을 의마한다.

< 표 Ⅳ-4 > 임상도 수관밀도별 구분기준 소밀도 부 호 구 분 기 준

소 , 교목의 수관점유 면적이 50%이하인 임분중 ,, 교목의 수관점유 면적이 51-70%인 임분밀 ,,, 교목의 수관점유 면적이 71% 이상인 임분

1.2. 현존식생도 개요

현존식생도는 1986년부터 제1차 자연생태계 조사에 의해 조사된 각종 식생의 분포현황을 정리하여 지도화한 것으로 1:50,000축척의 지도상에 식생의 군락단위로 조사사항이 지도화되어 있다. 현존식생도는 크게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림, 상록활엽수림, 식재림, 초지의 5가지로 구분되며, 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을 포함하여 101개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을 포함하여 46개의 유형,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군락을 포함하여 28개의 유형, 식재림은 은사시나무군락을 포함하여 42개의 유형, 초지는 갈대군락을 포함하여 11개의 유형로 분류되어 총 228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를 5가지의 대유형으로 분류한 것은 < 그림 Ⅳ-1 >과 같으며, 5가지의 대유형별 세부유형은 < 표 Ⅳ-5 >와 같다.

Page 4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7 -

< 그림 Ⅳ-1 > 현존식생도

Page 4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8 -

< 표 Ⅳ-5 > 현존식생도 범례기호 군락명

낙엽활엽수림 A0 신갈나무 군락A1 신갈나무 - 졸참나무 군락A2 신갈나무 - 소나무 군락A3 신갈나무 - 히어리 군락A4 신갈나무 - 상수리나무 군락A5 신갈나무 - 굴참나무 군락A6 신갈나무 - 떡갈나무 군락A7 신갈나무 - 단풍나무 군락A8 신갈나무 - 조록싸리 군락A9 신갈나무 - 조릿대 군락A10 신갈나무 - 철쭉꽃 전형하위 군락A11 신갈나무 - 철쭉꽃 곰취하위 군락A12 신갈나무 군락 - 철쭉꽃 산앵도나무하위 군락B0 졸참나무 군락B1 졸참나무 - 갈참나무 군락B2 졸참나무 - 상수리나무 군락B3 졸참나무 - 소나무 군락B4 졸참나무 - 신갈나무 군락B5 졸참나무 - 서어나무 군락B6 졸참나무 - 개서어나무 군락B7 졸참나무 - 곰솔군락B8 졸참나무 - 동백나무 군락C0 굴참나무 군락C1 굴참나무-신갈나무 군락C2 굴참나무 - 졸참나무 군락C3 굴참나무 - 갈참나무 군락C4 굴참나무 - 떡갈나무 군락C5 굴참나무 - 상수리나무 군락C6 굴참나무 - 소나무 군락C7 굴참나무- 서어나무 군락C8 굴참나무 - 동백나무 군락C9 굴참나무 - 구실잣밤나무 군락C10 굴참나무 - 단풍나무 군락D0 갈참나무 굴락D1 갈참나무 - 소나무 군락D2 갈참나무 - 신갈나무 군락E0 상수리나무 군락E1 상수리나무 - 졸참나무 군락E2 상수리나무 - 굴참나무 군락E3 상수리나무 - 소나무 군락E4 상수리나무 - 곰솔 군락E5 상수리나무 - 신갈나무 군락E6 상수리나무 - 대나무 군락E7 상수리나무 - 측백나무 군락F0 떡갈나무 군락

Page 5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49 -

< 표 Ⅳ-5 > 현존식생도 범례(계속)기호 군락명

낙엽활엽수림 F1 떡갈나무 - 신갈나무 군락G0 사스래나무 군락H0 서어나무 군락H1 서어나무 - 까치박달 군락H2 서어나무 - 졸참나무 군락H3 서어나무 - 물참나무 군락H4 서어나무 - 개어서나무 군락H5 서어나무 - 소나무 군락H6 서어나무 - 소사나무 군락H7 서어나무 - 동백나무 군락H8 마가목군락I0 개서어나무 군락I1 개서어나무 - 서어나무 군락I2 개서어나무 - 졸참나무 군락J0 소사나무 군락K0 느티나무 군락K1 느티나무 - 고로쇠나무 군락K2 느티나무 - 소사나무 군락K3 느티나무 - 비목나무 군락L0 물푸레나무 군락L1 쇠물푸레 군락M0 오리나무 군락N0 때죽나무 군락O0 버드나무 군락O4 너도밤나무P0 물참나무 군락P1 물참나무 - 서어나무 군락P2 물참나무 - 구상나무 군락P3 느티나무 - 소나무 군락Q0 황철나무 군락R0 굴피나무 군락S0 가래나무 군락T0 박달나무 군락U0 거제수나무 군락V0 자작나무 군락V1 자작나무 - 주목군락W0 팽나무 군락X0 고로쇠나무 군락X1 우산고로쇠 군락Y0 들메나무 군락Z0 층층나무 군락

AA0 찰피나무 군락AA1 섬피나무군락AB0 곰의말채 군락AC0 예덕나무 군락AF0 털진달래 군락AF1 진달래 군락

Page 5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0 -

< 표 Ⅳ-5 > 현존식생도 범례(계속)기호 군락명

낙엽활엽수림 AG0 철쭉꽃 군락AG1 철쭉꽃 - 진달래 군락AH0 산철쭉 군락AH1 산철쭉 - 털진달래 군락AI0 미선나무 군락AJ0 망개나무 군락AO0 단풍나무 군락AP0 당단풍 - 신갈나무 군락XH0 우산고로쇠 - 마가목 군락

침엽수림 A0 소나무 군락A1 소나무 - 신갈나무 군락A2 소나무 - 졸참나무 군락A3 소나무 - 굴참나무 군락A4 소나무 - 갈참나무 군락A5 소나무 - 상수리나무 군락A6 소나무 - 굴피나무 군락A7 소나무 - 밤나무 군락A8 소나무 - 곰솔 군락A9 소나무 - 리기다소나무 군락A10 소나무 - 동백나무 군락A11 소나무 - 노간주나무 군락A12 소나무 - 서어나무 군락A13 소나무 - 오리나무 군락A14 소나무 - 아까시나무 군락B0 곰솔군락B1 곰솔 - 신갈나무 군락B2 곰솔- 상수리나무 군락B3 곰솔- 졸참나무 군락B4 곰솔 - 굴참나무 군락B5 곰솔 - 오리나무 군락B6 곰솔 - 소나무 군락B7 곰솔 - 리기다소나무 군락B8 곰솔 - 삼나무 군락B9 곰솔 - 구실잣밤나무 군락B10 곰솔 - 모밀잣밤나무 군락B11 곰솔 - 동백나무 군락B12 곰솔 - 진달래 군락C0 분비나무 군락C1 분비나무 - 구상나무 군락D0 구상나무 군락D1 구상나무 - 굴참나무 군락D2 구상나무 - 신갈나무 군락E0 주목군락F0 눈측백 군락G0 전나무 군락G1 전나무 - 신갈나무 군락

Page 5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1 -

< 표 Ⅳ-5 > 현존식생도 범례(계속)기호 군락명

침엽수림 H0 잣나무 군락J0 눈향나무 군락J1 눈향나무 - 시로미 군락K0 시로미 군락L0 눈잣나무 군락M0 측백나무 군락M1 측백나무 - 소나무 군락N0 노간주나무 군락T0 비자나무 군락

상록활엽수림 A0 동백나무군락A1 동백나무 - 억새군락A2 동백나무 - 구실잣밤나무 군락A3 동백나무 - 굴거리 군락A4 동백나무 - 사스레피나무 군락A5 동백나무 - 까마귀쪽나무 군락B0 구실잣밤나무 군락B1 구실잣밤나무 - 모밀잣밤나무 군락B2 구실잣밤나무 - 가시나무 군락B3 구실잣밤나무 - 동백나무 군락B4 구실잣밤나무 - 붉가시나무 군락C0 모밀잣밤나무 군락C1 모밀잣밤나무 - 굴참나무 군락C2 모밀잣밤나무 - 후박나무 군락C3 모밀잣밤나무 - 사스레피나무 군락D0 붉가시나무 군락D1 붉가시나무 - 동백나무 군락D2 붉가시나무 - 구실잣밤나무 군락D3 붉가시나무 - 사스레피나무 군락E0 후박나무 군락F0 가시나무 군락G0 감탕나무 군락G1 감탕나무 - 동백나무 군락H0 굴거리 군락I0 까마귀쪽나무 군락I1 까마귀쪽나무 - 동백나무 군락J0 보리밥나무 - 찔레꽃 군락K0 생달나무 - 후박나무 군락

식새림 A0 은사시나무 군락B0 아까시나무 군락B1 아까시나무 - 소나무 군락C0 이태리포플러 군락C1 왕버들 군락D0 물오리나무 군락D1 두메오리나무 군락E0 전나무 군락F0 잣나무 군락

Page 5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2 -

< 표 Ⅳ-5 > 현존식생도 범례(계속)기호 군락명

식재림 F1 잣나무 - 일본잎깔나무 군락G0 일본잎깔나무 군락G1 일본잎깔나무 - 신갈나무 군락G2 일본잎깔나무 - 갈참나무 군락G3 일본잎깔나무 - 소나무 군락G4 일본잎깔나무 - 잣나무 군락H0 리기다소나무 군락H1 리기다소나무 - 졸참나무 군락H2 리기다소나무 - 상수리나무 군락H3 리기다소나무 - 소나무 군락H4 리기다소나무 - 곰솔군락H5 리기다소나무 - 일본잎깔나무 군락I0 낙우송 군락J0 대나무 군락K0 곰솔 군락L0 구주소나무 군락M0 삼나무 군락N0 편백 군락O0 밤나무 군락O1 밤나무 - 졸참나무 군락O2 밤나무 - 소나무 군락O3 밤나무 - 곰솔 군락P0 일본목련 군락Q0 오동 군락R0 왕대 군락R1 솜대 군락S0 뽕나무 군락T0 왕벚나무 군락T1 왕벚나무 - 소나무 군락U0 감나무군락V0 개나리 군락V1 개나리 - 물오리나무 군락X0 독일가문비 군락

초지 A0 갈대 군락B0 억새 군락C0 참억새 군락D0 잔디 군락E0 제주조릿대 군락F0 가는오이풀 군락G0 왕모시풀 군락H0 실새풀 - 새 군락I0 새 군락K0 초지L0 벌채지역

Page 5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3 -

1.3. 제2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의 정밀식생도

제2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의 경우 < 그림 Ⅳ-2 >와 같이 임상도의 임상(녹색선)과, 식생도 식생정보(주황색선)가 많은 부분에서 경계가 일치하여, 두 자료를 통합하여 새로운 정밀식생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성에 기초를 두고 임상도와 식생도를 통합한 정밀식생도를 자연환경 GIS-DB구추사업을 통하여 일부지역을 구축하였다. 한 예로, D23C의 경우는 소나무군락으로서, 경급은 2로 이는 중경목을 의미하며, 영급은 3으로 21~30년의 수령을 가지고, 밀도는 C로 고밀도 라는 형태로 정밀식생도 제작이 가능하였다.

< 그림 Ⅳ-2 > 임상도와 식생도(제2차 자연환경조사)주 : D23C(임상/경급/영급/밀도), 녹색선(임상도경계), 주황색선(식생도경계)

2. 정밀식생도 제작

2.1. 제1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의 문제점

제1차 자연환경조사의 식생도는 < 그림 Ⅳ-3 >과 같이 식생도와 임상도의 경계가 복잡하게 중첩되어 유사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제2차 자연환경조사지역

Page 5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4 -

과 같이 정밀식생도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2차 자연환경조사의 경우 임상도를 참조자료로 하여 조사하였으나, 1980년대말에 수행된 제1차 자연환경조사에서 제작된 현존식생도는 조사자에 따라 임상도를 사용하기도 하고, 임상도를 사용하지 않고, 지형도 위에 현장조사지에서 식생군락을 지도화하고, 속성을 입력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식생조사시 제2차 자연환경조사와 같이 임상도를 기반으로 속성정보를 조사하며, 필요에 따라 경계를 수정 재편집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그림 Ⅳ-3 > 임상도와 식생도(제1차 자연환경조사)주 : 녹색선(임상도경계), 주황색선(식생도경계)

2.2. 제1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의 정밀식생도 제작

< 그림 Ⅳ-3 >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어 2차 조사지와 같은 경계수정을 통한 정밀식생도의 제작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식생경계는 임상도의 경계를 따르고, 식생군락의 정보는 식생도에서 차용하여 정밀식생도를 제작하는 환경부의 지침인 < 표 Ⅳ-6 >을 이용하여 정밀식생도를 제작하였다.

Page 5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5 -

< 표 Ⅳ-6 > 정밀식생도 신규속성정의 지침

임상도 식생도 새로운 식생정보대분류 군락정보

소나무림 D - 침엽수림 소나무림침엽수림 C - 침엽수림 Null

활엽수림 H, Q

활엽수림 활엽수림 식생군락혼효림 혼효림 식생군락

침엽수림 활엽수림 Null식재림 활엽수림 Null초지 활엽수림 Null

침활혼효림 M

활엽수림 활엽수림 식생군락혼효림 혼효림 식생군락

침엽수림 침엽수림 식생군락식재림 혼효림 Null초지 혼효림 Null

식재림 PD, PK, PL, PQ, Ca - 식재림 PD, PK, PL,

PQ, CaR 식생이 존재할 경우 암벽식생 Null

무임목지 F, O, E,LP, L - 무임목지 F, O, E,

LP, L제지 U, W - 제지 U, W

임간나지 ⓓ - 임간나지주 : 1. 임상정보가 있으면서 식생정보가 없는 경우 임상정보를 따른다. 2. 임상정보가 없고 식생정보가 있는 영역의 경우 영역을 버린다.(삭제)

< 표 Ⅳ-6 >과 같이 임상도의 임상이 소나무림이며, 식생도는 군락명이 없는 경우는 새로운 식생정보로 대분류는 침엽수림으로 설정하고 군락정보는 소나무림으로 설정하였다. 임상도의 임상이 침염수림이고 식생도는 군락명이 없는 경우는 대분류는 침엽수림으로 하고, 군락정보는 입력하지 않아 향후 생태계조사에서 조사된 내용을 입력하도록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정밀식생도 신규속성정의 지침에 따라 새롭게 재편집된 식생도는 < 그림 Ⅳ-4 >와 같다. 식생의 경계가 1차 연도 식생도에 비해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전체적인 패턴은 유사하게 재편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패턴에 대분류 식생정보와 군락정보가 입력되어 향후 생태계조사시 유용하게

Page 5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6 -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차년도 식생도 재편집 식생도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식재림

< 그림 Ⅳ-4 > 1차년도 식생도와 재편집된 식생도

3.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식생경계 수정

정밀식생도의 식생경계는 항공사진과 현지조사를 통해 작성된 임상도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임상도의 경우 현재와 비교해볼 때 조사 및 제작시기가 거의 10여년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경계부분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식생경계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최근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지도화하고, 이의 발생원인을 분석하였다. 사용하는 인공위성인 Landsat 위성은 1972년에 지구자원탐사위성(ERTS : Earth Resource Technology Satellite)프로그램에서 최초로 ERTS-1이라는 이름으로 1호가 발사되었고, Seasat Program의 시작으로 인해 이와 구분하기 위하여, 2호 위성을 앞둔 시점에서 Landsat Program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어 7호까지 발사되었으며, 현재 5호와 7호가 운용중에 있다. Landsat 5호와 7호는 16일의 주기로 지방

Page 5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7 -

태양시로 오전 9시 45분에 적도를 통과하고, 북극과 약 9〫정도 기울어진 궤도를 운행하며, 위성궤도 평면이 태양에 대하여 불변하는 태양동주기(sun-synchronous) 위성이다. Lnadsat 5호에는 TM(Thematic Mapper)이라는 센서가 탑재되어 있으며, 7호에는 ETM+(Enhanced Thematic Mapper)라는 센서가 탑재되어 지표면상의 여러 가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산림경계가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부분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면적이 감소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며, 증가하는 것은 임상도에는 나지 또는 산림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이나 환경측면에서는 산림으로 표시되는 지역이다. 이와 같이 식생경계의 변화가 발생한 지역을 분석하여 수정하는데 사용한 Landsat TM 인공위성영상자료는 < 표 Ⅳ-7 >과 같다.

< 표 Ⅳ-7 > 이용 가능한 Landsat TM위성영상자료Sensor Path-Row 날짜 비고

TM 114-34 1998. 05. 20.1997. 05. 17.

바다쪽 구름존재

TM 114-35 1998. 05. 20.1997. 05. 17.

비행 잔흔 존재TM 114-36 1997. 05. 17.TM 115-33 1999. 05. 30.TM 115-34 1998. 10. 02.

1999. 03. 27.구름, striping 존재

TM 115-35 1998. 10. 02. banding 존재TM 115-36 1998. 10. 02.

1994. 05. 16.banging 존재

TM 115-37 1998. 10. 02. 구름 존재TM 116-33 1998. 09. 07.

1999. 05. 30. gcp 없음TM 116-34 1999. 05. 21.

1997. 06. 16. 서해쪽 연무 존재TM 116-35 1999. 05. 21.

1997. 06. 16.TM 116-36 1997. 05. 31.

임상도와 위성영상자료를 Overlay기법으로 변화가 심한 지역 색출하며, 이의 사례는 < 그림 Ⅳ-5 >와 같이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나 임상도에서는 임상의 정보를 그대로 가지고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 그림 Ⅳ-6 >과 같이 지형도에서도 개발이 이루어진 후 경과된 시간이 얼

Page 5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8 -

마 되지 않는 경우나, 현재 개발계획이 확정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 등은 그 내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Landsat 영상 Landsat 영상 부분확대< 그림 Ⅳ-5 > 임상도와 위성영상간의 차이

지형도 RGB합성 위성영상< 그림 Ⅳ-6 > 지형도와 위성영상자료간의 차이

Page 6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59 -

3.1. 경계수정범위

본 수정방법론에 의하여 다음의 3가지 경계수정도면을 구축하였다. 첫째, 임상도와 위성영상에서 산림으로 판단되는 지역간의 단순경계 비교를 통하여 산림이 증감한 지역 추출 및 통계자료 작성하였다. 둘째, 현재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최소 표현면적기준인 62,500㎡을 이용하여 단순 필터링 후 산림이 증감한 지역 추출 및 통계자료 작성하였다. 셋째, 증감지역별로 경계를 수정한 후 확인 가능한 증감사유를 포함하여 최종적인 경계수정도면을 구축하고 통계자료 작성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생성되는 결과물은 향후 환경부에서 전국적으로 조사하는 생태계 조사시 집중적인 조사를 요하며, 이를 통해 산림경계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2. 사례검토에 사용한 위성영상

사례검토에 사용한 영상은 Landsat TM 1999년 5월 21일 영상으로 그 지리적 위치를 표시한 것은 < 그림 Ⅳ-7 >과 같다.

< 그림 Ⅳ-7 > 사례검토지역

Page 6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0 -

3.3. 작업흐름도

본 작업은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므로 전처리과정을 거치며, 식생지수를 산정하여 식생의 경계를 추출하며, 식생경계추출이 부적한 계절자료의 경우 환경부에서 1999년에 제작한 토지피복분류도의 식생경계를 이용하여 식생의 경계를 조정하였다. 식생경계의 수정은 크게 3단계를 거친다. 1단계로 인공위성영상자료로부터 추출된 산림경계와 임상도의 경계를 비교하여 경계가 차이나는 지역을 추출한다. 2단계는 생태․자연도 최소면적기준인 62,500㎡이상 면적이 증가하였거나 감소한 지역을 추출한다. 3단계는 추출된 면적의 유형을 확인하며, 속성을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이의 흐름은 < 그림 Ⅳ-8 >과 같다.

영상의 기기적 오차 및 대기보정ꀻ

기하보정(Geometric correction)ꀻ

임상도 오류검토식생지수 및 토지피복분류도 이용ꀻ

산림지역 추출(Reclass) ꀻꀻ 자료형 변환

(Vector to Raster)육안검토ꀻ ꀻ

중첩 (overlay)ꀻ

경년변화지역 검출(1단계 검출)ꀻ

백터화(Grid to Vector)ꀻ

최소면적(62,500㎡)에 의한 Filtering(2단계 검출)ꀻ

육안검수(3단계 검출을 통한 속성 입력)ꀻ

주제도 작성< 그림 Ⅳ-8 > 작업흐름도

Page 6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1 -

< 그림 Ⅳ-8 >의 작업흐름도중 영상의 기기적 오차 및 대기보정 부분과 기하보정, 토지피복분류도 제작부분은 1999년에 수행된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도”연구사업에 의해 수행되었으므로 분 연구에서는 임상도 경계와 인공위성영상자료에서 합성된 영상과의 육안비교를 통해 수정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부분에서부터 연구를 수행하였다.

3.4. 육안 검출

본 부분에서는 영상자료의 밴드조합에 의해 육안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인위적 개발지역을 검출하였다. 검출지역에 대한 범위는 주로 골프장이나 스키장으로 판단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Landsat TM 위성영상자료의 경우 < 그림 Ⅳ-9 >와 같이 321밴드를 조합할 경우 자연색 합성이 되어 사람이 하늘에 떠서 바라보는 것과 같은 색을 재현할 수 있으며, 431조합은 식생부분을 강하게 강조하여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식생경계의 확인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조합과 육안검수에 의해 약77개소에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21 밴드조합

431 밴드조합< 그림 Ⅳ-9 > 작업지역의 식생경계 차이 사례(골프장지역)

Page 6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2 -

3.5. 산림지역의 정규식생지수(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산출

식생지수는 근적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얻어지는 상대적 반사값의 차이를 그 합으로 나눔으로써, 식생과 관련된 정보를 산출하는 기법이다. 원래 -1.0에서 1.0까지의 값을 갖지만 아래와 같이 8bit 자료형의 영상자료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이 경우 NDVI의 값은 -1에서 1의 범위가 아닌 0부터 255까지의 정수값을 갖게 된다.

NDVI=( TM4-TM3TM4+TM3+1)×128

식생지수는 촬영시기 및 지역에 따라 지수값에 변동이 있게 되어 본 과제에서는 Landsat TM Full Scene 단위로 영상을 처리하였다. 위성영상자료의 촬영시기가 5월인 경우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식생경계를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였으나, 3월의 경우 잎이 나오기 전으로 인해 식생지수만으로 식생경계를 적절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환경부에서 1998년부터 1999년에 걸쳐 구축한 토지피복분류도의 산림경계와 식생지수처리결과를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Full Scene 단위로 분석한 식생지수처리결과는 < 그림 Ⅳ-10 >, < 표 Ⅳ-8 >과 같다.

전체영상 히스토그램

431 밴드조합< 그림 Ⅳ-10 > 식생지수 결과도면

Page 6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3 -

< 표 Ⅳ-8 > 식생지수 통계 처리 결과평균값 표준편차 최고값 최저값

식생지수 127.14 42.97 202 61

산림지역식생지수 RGB 컬러합성

< 그림 Ⅳ-11 > 식생지수 처리결과

Page 6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4 -

산림지역의 식생지수 처리결과를 보면 < 그림 Ⅳ-11 >과 같이 산림의 밀도가 높고 양호한 지역은 붉은 색을 띠며, 산림의 상태가 열악할수록 파란색을 띠게 된다. 이와 같이 식생지수는 식생의 질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이를 이용해 식생지역의 추출에도 활용가능하다. 우선, 식생지수 값에 근거하여 산림이 아닌지역, 식생지수 값은 낮지만 산림으로 판단되어 질 수 있는 지역, 식생지수 값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NDVI 영상과 칼라합성영상을 직접 비교하여 산림지역을 최종 결정하였다.

< 표 Ⅳ-9 > 산림지역의 식생지수 결정NDVI Reclass 분류 내용

1~ 154 0 산림이 아닌 지역155 ~ 169 2 식생지수가 낮은 곳으로 육안검토를 통해 산림여부

판별지역169 ~ 1 산림지역

본 사례연구에 사용한 Landsat TM 116-34지역은 1999년 5월21일 영상으로서 우리 나라의 경우 5월의 영상이 산림과 농경지역의 구분 등에 매우 적절하다는 경험적 이론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3월이나 10월 이후의 영상을 사용할 경우 활엽수림은 나뭇잎이 나오지 않아 매우 낮은 식생지수값을 나타내므로 식생지역을 추출하는데 부적합하다. 개발 및 훼손된 지역과 생장이 불량한 식생과의 구분은 NDVI영상과 칼라합성영상을 동시에 화면에 출력시킨 후 직접 육안으로 비교하면서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물은 < 그림 Ⅳ-12 >와 같이 골프장이 건설된 지역은 골프장의 형태에 따라 많은 산림지역이 제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골프장 및 스키장과 같은 리조트시설과 고속도로 및 국도 건설 등은 그 표현형태가 선형으로 뚜렷하여 분별이 용이하나, 산림경계내외부에서 개발진행중이거나, 소규모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그 속성을 파악하기 곤란하다. 특기할 점은 벌채가 진행중인 산림지역은 321조합에 의해 표현할 경우 짙은 고등색을 띠고 있어 식생지수뿐만이 아니라 색만으로도 식생이 제거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역은 원래 산림이 있었던 지역이므로 분석시 산림지역으로 분석하였다.

Page 6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5 -

진녹색(산림), 연두색(초지)

파악된 산림 경계 위성영상컬러합성< 그림 Ⅳ-12 > 육안 검수를 통하여 파악된 산림지역 경계

3.6. 중첩분석(Raster Overlay)(1단계 검출)

위에서 추출된 식생경계와 임상도를 중첩분석하여 증감지역을 판별한 결과는 <

Page 6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6 -

그림 Ⅳ-13 >과 같으며, 수원지역을 확대하여 정리한 것은 < 그림 Ⅳ-14 >와 같다.

변화없음(산림) 식생소멸지역 식생추가지역< 그림 Ⅳ-13 > 임상도와 영상(Landsat TM)를 이용하여 추출된 경년변화지

식생이 소멸된 지역은 대부분 산림과 기타 토지이용도와의 경계지역이며, 식생이 추가된 지역은 대부분 산정상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수원 도엽의 경우 외곽고속도로 개설로 인해 식생이 소멸한 지역이 띠의 형태로 동서로 가로 지르고 있으며, 골프장의 신설, 확장으로 인해 소멸된 지역이 많다.

Page 6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7 -

임상도 영상

변화없음(산림) 식생소멸지역 식생추가지역

중첩결과(변화지역)< 그림 Ⅳ-14 > 37709, 수원 지역 경년변화 (1/50,000)

Page 6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8 -

3.6.1. 식생 소멸 지역

변화유형에는 도로건설, 도시화의 확대, 골프장이나 스키장 개발 및 주변지역으로의 확대 등이 주로 나타났으며, 그 사례는 < 그림 Ⅳ-15 >와 같다.

사례 1(골프장 및 도로개설) 사례2(주거지 확장)

사례 3(공항건설) 사례4(서해안고속도로 건설)< 그림 Ⅳ-15 > 식생소멸지역 사례

3.6.2. 식생 추가 지역

식생이 추가된 것으로 파악된 지역은 대부분 산정상부의 무임목지이며, 이 지역

Page 7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69 -

은 환경측면에서는 암벽식생으로 분류되어 산림지로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상도에서는 R(암석지, 도록 묘지 등 임목육성에 쓰이지 않는 임지)로 분류되어 임목지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 그림 Ⅳ-16 >이다.

< 그림 Ⅳ-16 > 임상도에서 R로 분류되어 임목지에서 제외된 경우

< 그림 Ⅳ-17 > 초지의 경우

초지의 경우 영상자료를 이용한 식생지수 분석에서는 산림지로 포함되는 경우가

Page 7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0 -

많았으나, RGB컬러 합성을 통한 육안검수를 할 경우 < 그림 Ⅳ-17 >와 같이 초지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환경부에서 구축한 토지피복분류도와 RGB 컬러 합성 결과물을 같이 이용하여 초지와 산림을 구분하였다.

3.6.3. 변화된 지역의 통계자료

변화된 지역의 통계자료를 정리한 것은 < 표 Ⅳ-10 >으로 전체적으로 62,500㎡이하의 변화면적이 매우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국적으로 약 8,173㎢의 산림 추가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6,200㎢가 소멸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면적이 가장 많이 추가된 지역은 경상북도로 임상도대비 약1,705㎢의 면적이 추가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강원도가 1,079㎢, 경상남도가 991㎢의 순으로 면적이 추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면적의 소멸지역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은 경상북도로 약 1,041㎢의 면적이 감소하였으며, 경기도가 994㎢, 전라남도가 879㎢의 순으로 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기서 경기도의 식생면적이 감소는 매우 높은 비율로 과도한 개발에 의해 식생지역이 매우 빠르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광역지자체별로 보면, 서울특별시의 경우 식생추가면적이 약 59.17㎢이며, 식생소멸지역이 20.70㎢으로 파악되었으며, 인천광역시는 94.45㎢가 추가되고, 61.67㎢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천광역시의 경우 식생추가는 주로 강화군(39.54㎢)과 옹진군(28.13㎢)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식생감소는 강화군(28.15㎢)과 중구(10.88㎢)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전광역시는 유성구(23.75㎢)에서 식생이 추가되었으며, 식생소멸역시 유성구(21.54㎢)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어 유성구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기장군(18.78㎢)에서 식생면적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으며, 감소역시 기장군(19.51㎢)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대구광역시는 달성군(45.23㎢)과 동구(23.71㎢)에서 식생추가면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식생소멸면적 역시 달성군(13.55㎢)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는 광산구(9.85㎢)에서 식생추가지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식생소멸지역 역시 광산구(17.20㎢)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산광역시의 경우 울주군(54.25㎢)에서 식생추가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식생감소 역시 울주군(73.34㎢)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1단계 면적비교결과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식생지역소멸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경기도 지역에 특히 식생지역 소멸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age 7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1 -

< 표 Ⅳ-10 > 1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서울특별시

강남구 3.62 0.8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1.29 1.59강동구 2.11 1.01 서초구 4.04 2.07강북구 3.47 0.66 성동구 0.72 0.16강서구 1.98 1.42 성북구 2.62 1.04관악구 1.56 1.58 송파구 3.66 0.85광진구 1.79 0.53 양천구 1.16 1.17구로구 0.97 1.12 영등포구 1.27 0.03금천구 0.41 0.21 용산구 1.24 0.18노원구 5.48 1.42 은평구 6.79 1.87도봉구 2.22 0.50 종로구 5.17 0.99

동대문구 0.62 0.14 중구 0.64 0.12동작구 1.36 0.56 중량구 3.28 0.37마포구 1.69 0.34

서울특별시 합계 59.17 20.79

인천광역시

강화군 39.54 28.15인천

광역시

서구 6.78 9.55계양구 2.58 3.26 안산시 0.00 0.03남구 0.38 0.69 연수구 0.84 1.30

남동구 3.85 3.30 옹진군 28.13 2.71동구 0.06 0.00 중구 11.25 10.88

부평구 1.04 1.79인천광역시 합계 94.45 61.67대전

광역시대덕구 7.46 2.70 대전

광역시유성구 23.75 9.04

동구 15.30 4.13 중구 6.21 1.49서구 10.43 4.18

대전광역시 합계 63.14 21.54

부산광역시

강서구 7.51 4.30

부산광역시

사상구 1.52 2.33금정구 5.37 4.54 사하구 2.09 5.14기장군 18.78 19.51 서구 0.49 0.50남구 0.83 2.99 수영구 0.27 0.73동구 0.17 0.47 연제구 0.34 0.90

동래구 0.44 1.03 영도구 0.49 1.63부산진구 0.79 2.38 중구 0.08 0.11

북구 1.94 2.42 해운대구 2.98 5.91부산광역시 합계 44.10 54.89대구

광역시남구 1.00 0.22 대구

광역시북구 6.82 3.94

달서구 3.13 2.81 서구 0.59 0.37달성군 45.23 13.55 수성구 9.65 2.85동구 23.71 3.99 중구 0.14 0.05

대구광역시 합계 90.28 27.78광주

광역시광산구 9.85 17.20 광주

광역시북구 7.52 6.16

남구 4.39 3.22 서구 1.93 4.10동구 4.18 1.16

광주광역시 합계 27.88 31.86

Page 7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2 -

< 표 Ⅳ-10 > 1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울산

광역시남구 2.94 10.44 울산

광역시서구 2.37 5.05

동구 1.20 4.77 울주군 54.25 73.34북구 9.37 14.44

울산광역시 합계 70.13 108.04

강원도

강릉시 56.78 63.35

강원도

인제군 64.91 63.90고성군 29.82 35.93 정선군 83.94 22.55동해시 12.00 10.00 철원군 70.26 63.17삼척시 63.71 48.60 춘천시 18.87 26.60속초시 11.12 6.36 태백시 71.09 46.91양구군 39.09 13.16 평창군 19.32 19.02양양군 38.08 18.01 홍천군 120.76 61.16영월군 102.00 40.45 화천군 135.26 49.26원주시 64.91 63.90 횡성군 42.85 23.71

강원도 합계 1,079.68 660.81

경기도

가평군 48.61 43.17

경기도

안양시 2.59 3.51고양시 27.18 30.87 양주군 29.12 35.07과천시 3.86 1.32 양평군 59.79 58.04광명시 2.49 3.10 여주군 36.09 83.21광주군 29.39 38.57 연천군 61.48 75.32구리시 3.90 1.51 오산시 3.64 4.83군포시 2.89 3.30 용인시 48.04 82.15김포시 19.27 29.07 의왕시 4.89 3.76

남양주시 31.78 40.75 의정부시 12.24 6.45동두천시 6.17 6.57 이천시 27.95 67.98부천시 2.50 2.54 파주시 56.31 64.78성남시 9.88 11.70 평택시 21.13 40.10수원시 6.31 8.69 포천군 51.93 62.76시흥시 9.50 12.40 하남시 4.71 7.53안산시 11.41 16.68 화성군 55.77 86.40안성시 40.77 62.43

경기도 합계 731.59 994.55

경상북도

경산시 34.57 31.92

경상북도

영덕군 45.50 33.86경주시 85.17 96.15 영양군 39.54 33.64고령군 32.30 16.02 영주시 59.77 95.17구미시 52.69 32.20 영천시 59.31 91.06군위군 80.80 18.29 예천군 94.61 27.18김천시 102.84 33.62 울진군 59.99 42.94문경시 111.69 16.76 의성군 156.92 37.70봉화군 75.05 99.43 청도군 70.87 34.71상주시 155.86 27.03 청송군 49.55 51.16성주군 63.21 24.05 칠곡군 45.52 21.63안동시 180.93 67.98 포항시 49.31 109.13

경상북도 합계 1705.98 1041.63

Page 7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3 -

< 표 Ⅳ-10 > 1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경상남도

거제시 33.98 22.91

경상남도

의령군 49.44 13.72거창군 86.61 22.35 진주시 56.38 68.17고성군 32.90 38.78 진해시 8.49 9.48김해시 40.60 23.66 창녕군 60.87 26.50남해군 41.10 20.97 창원시 27.20 16.74마산시 25.65 17.77 통영시 38.61 16.68밀양시 70.13 44.43 하동군 44.05 45.39사천시 29.00 39.11 함안군 55.02 15.24산청군 75.92 31.36 함양군 85.14 19.17양산시 33.57 30.06 합천군 96.50 38.41

경상남도 합계 991.17 560.90

충청북도

괴산군 113.17 28.56

충청북도

제천시 86.84 54.41단양군 75.04 40.44 진천군 30.70 29.63보은군 63.95 13.05 청원군 93.07 41.53영동군 105.90 18.25 청주시 15.56 8.95옥천군 70.88 16.37 충주시 97.43 72.80음성군 44.07 61.31

충청북도 합계 796.60 385.31

충청남도

공주시 53.40 98.20

충청남도

아산시 42.07 38.99금산군 90.67 22.71 연기군 32.33 34.48논산시 49.61 33.30 예산군 25.13 39.56당진군 44.22 63.62 천안시 50.84 52.97보령시 25.69 52.09 청양군 16.66 52.61부여군 27.37 72.45 태안군 24.69 71.34서산시 38.80 62.05 홍성군 18.70 50.48서천군 13.68 47.27

충청남도 합계 553.86 792.10

전라북도

고창군 11.84 66.95

전라북도

완주군 66.58 26.62군산시 18.38 29.74 익산시 11.71 41.31김제시 12.51 35.61 임실군 68.50 37.49남원시 69.41 44.11 장수군 55.19 18.15무주군 66.32 9.99 전주시 10.07 11.53부안군 29.05 25.50 정읍시 28.72 50.42순창군 45.94 27.92 진안군 95.05 28.60

전라북도 합계 589.27 453.94

Page 7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4 -

< 표 Ⅳ-10 > 1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전라남도

고층군 1.12 0.71

전라남도

여천군 21.13 22.81고흥군 47.34 82.76 여천시 8.32 9.62곡성군 43.29 24.29 영광군 17.20 40.22광양시 24.61 29.04 영암군 36.88 38.55구례군 22.14 15.62 완도군 23.76 26.01나주시 38.12 46.86 우이군 1.29 4.37담양군 34.80 20.78 장성군 20.28 43.29목포시 1.93 2.74 장흥군 53.46 35.26무안군 25.38 39.48 진도군 26.18 36.97보성군 46.49 57.82 함평군 18.72 31.53순천시 66.11 68.11 해남군 53.29 75.08신안군 22.02 61.86 화순군 69.75 26.90여수시 30.78 12.11

전라남도 합계 792.23 879.85제주도 남제주군 168.48 35.10 제주도 서귀포시 79.26 8.51

북제주군 167.11 52.83 제주시 69.32 8.01제주도 합계 484.16 104.46

총 합계 8173.68 6200.11

1단계 식생변화지역을 나타낸 것은 < 그림 Ⅳ-18 >과 같으며, 추가지역 및 소멸지역은 전국토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그림 Ⅳ-18 > 1단계 식생추가지역(좌) 및 소멸지역(우)

Page 7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5 -

3.7. 생태․자연도 최소면적 기준에 의한 변화지역추출(2단계검출)

1단계 중첩분석에 의하여 도출된 식생변화지역을 생태․자연도 최소면적기준인 62,500㎡를 이용하여 2단계 변화지역을 추출하였다. 추출결과는 < 표 Ⅳ-11 >과 같으며, 전국차원에서 약 3,137㎢이 추가되어 1단계 처리후 면적인 8,173㎢ 약 5,000㎢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식생소멸지역은 1단계처리후인 6,200㎢보다 약 3,600㎢이 감소한 1,356㎢이 소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추가 및 소멸지역의 면적이 전체적으로 크게 줄어든 것은 첫재, 임상도의 경계와 위성영상자료의 경계가 차이나는 것에 기인하여 산림주변분에 소규모 패치의 형태로 변화지역이 발생한 것이 대부분 삭제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소규모 산림지역의 소멸 및 추가는 최소면적 기준에 의하여 대부분 삭제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2단계 변화추출에 의하면 지역별로는 < 그림 Ⅳ-19 >와 같이, 경상북도(670㎢), 강원도(499㎢), 경상남도(379㎢)의 순으로 식생추가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기도(325㎢), 경상북도(230㎢), 강원도(182㎢)의 순으로 식생소멸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의 식생감소면적인 최고인 점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많은 산림지역이 개발대상지역으로 편인됩어 식생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그림 Ⅳ-19 > 2단계 식생추가지역(좌) 및 소멸지역(우)

Page 7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6 -

< 표 Ⅳ-11 > 2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서울특별시

강남구 0.54 0.0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0.19 0.72강동구 0.12 0.08 서초구 1.11 0.56강북구 2.77 0.15 성동구 0.10 0.00강서구 0.36 0.59 성북구 1.67 0.50관악구 0.63 0.47 송파구 0.66 0.37광진구 1.03 0.11 양천구 0.08 0.53구로구 0.00 0.08 영등포구 0.21 0.00금천구 0.00 0.00 용산구 0.41 0.00노원구 4.19 0.31 은평구 6.08 0.51도봉구 1.58 0.00 종로구 4.27 0.21

동대문구 0.25 0.00 중구 0.23 0.00동작구 0.30 0.11 중량구 2.72 0.07마포구 0.85 0.00

서울특별시 합계 30.36 5.39

인천광역시

강화군 22.62 7.65인천

광역시

서구 0.55 3.15계양구 0.80 1.23 안산시 0.00 0.00남구 0.00 0.34 연수구 0.00 0.22

남동구 0.73 0.65 옹진군 26.79 0.63동구 0.00 0.00 중구 6.04 5.79

부평구 0.14 0.72인천광역시 합계 57.65 20.39대전

광역시대덕구 2.83 0.81 대전

광역시유성구 9.39 1.72

동구 7.75 0.15 중구 2.77 0.09서구 3.59 0.78

대전광역시 합계 26.33 3.55

부산광역시

강서구 1.19 0.80

부산광역시

사상구 0.41 1.24금정구 1.33 0.69 사하구 0.37 2.87기장군 5.06 3.28 서구 0.07 0.00남구 0.00 0.98 수영구 0.00 0.38동구 0.00 0.18 연제구 0.00 0.26

동래구 0.07 0.31 영도구 0.08 0.93부산진구 0.00 1.44 중구 0.00 0.00

북구 0.47 1.17 해운대구 0.95 2.39부산광역시 합계 10.00 16.90대구

광역시남구 0.27 0.00 대구

광역시북구 1.76 1.06

달서구 0.66 1.58 서구 0.00 0.10달성군 25.39 1.42 수성구 5.16 0.08동구 15.36 0.79 중구 0.00 0.00

대구광역시 합계 48.59 5.03광주

광역시광산구 1.30 2.76 광주

광역시북구 2.65 1.44

남구 0.80 0.54 서구 0.09 1.40동구 1.87 0.03

광주광역시 합계 6.72 6.18

Page 7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7 -

< 표 Ⅳ-11 > 2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울산

광역시남구 0.39 7.00 울산

광역시서구 0.07 1.49

동구 0.16 2.60 울주군 10.76 19.66북구 1.37 3.18

울산광역시 합계 12.75 33.93

강원도

강릉시 14.23 21.16

강원도

인제군 52.70 5.33고성군 15.16 16.60 정선군 25.67 20.81동해시 3.37 2.62 철원군 6.63 12.12삼척시 19.11 13.71 춘천시 27.25 11.45속초시 7.45 2.49 태백시 9.41 7.60양구군 21.25 0.42 평창군 67.39 16.03양양군 12.27 3.60 홍천군 69.08 6.24영월군 66.73 11.41 화천군 16.67 3.25원주시 17.90 19.37 횡성군 46.99 8.71

강원도 합계 499.24 182.93

경기도

가평군 17.37 9.02

경기도

안양시 0.41 1.05고양시 10.10 14.90 양주군 11.13 12.55과천시 1.18 0.00 양평군 14.27 10.43광명시 0.00 0.76 여주군 2.76 28.72광주군 5.13 11.68 연천군 30.69 32.42구리시 1.60 0.00 오산시 0.18 0.59군포시 0.44 0.80 용인시 7.28 32.15김포시 5.63 13.95 의왕시 1.07 0.34

남양주시 5.55 11.53 의정부시 9.13 2.46동두천시 1.57 2.06 이천시 1.03 26.64부천시 0.14 0.48 파주시 17.23 30.58성남시 1.85 3.74 평택시 1.04 10.65수원시 0.41 2.28 포천군 13.95 18.49시흥시 0.86 3.85 하남시 0.77 2.39안산시 2.67 5.21 화성군 4.16 17.79안성시 4.54 18.32

경기도 합계 174.14 325.84

경상북도

경산시 11.80 8.64

경상북도

영덕군 7.41 2.73경주시 16.49 22.11 영양군 7.79 2.51고령군 16.04 2.96 영주시 16.14 39.74구미시 20.29 6.77 영천시 14.37 30.91군위군 46.34 2.17 예천군 32.98 1.19김천시 40.94 2.47 울진군 12.43 5.36문경시 62.18 0.76 의성군 86.59 1.40봉화군 20.47 20.55 청도군 37.91 4.79상주시 81.84 0.98 청송군 12.50 12.99성주군 29.16 2.13 칠곡군 23.69 7.15안동시 67.83 11.69 포항시 5.56 40.44

경상북도 합계 670.75 230.44

Page 7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8 -

< 표 Ⅳ-11 > 2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경상남도

거제시 10.83 1.95

경상남도

의령군 21.47 0.83거창군 44.13 2.01 진주시 9.76 11.51고성군 3.49 1.99 진해시 2.42 4.08김해시 14.94 6.11 창녕군 27.38 2.39남해군 12.17 0.83 창원시 11.89 2.30마산시 7.85 1.58 통영시 21.03 1.56밀양시 21.76 8.36 하동군 9.11 6.88사천시 2.96 5.00 함안군 25.76 0.82산청군 33.74 4.32 함양군 47.41 1.69양산시 13.37 9.24 합천군 38.35 5.80

경상남도 합계 379.82 79.25

충청북도

괴산군 64.15 2.69

충청북도

제천시 32.74 7.84단양군 34.91 11.47 진천군 4.12 6.79보은군 27.68 0.07 청원군 28.53 5.56영동군 52.94 0.47 청주시 3.55 1.51옥천군 31.11 0.74 충주시 33.57 13.91음성군 7.53 17.10

충청북도 합계 320.83 68.14

충청남도

공주시 13.59 18.66

충청남도

아산시 5.72 6.01금산군 46.26 1.91 연기군 6.20 5.94논산시 21.08 4.83 예산군 1.19 3.18당진군 5.27 10.67 천안시 5.24 13.53보령시 4.25 11.17 청양군 0.35 9.93부여군 0.96 16.55 태안군 4.81 14.96서산시 6.00 10.88 홍성군 0.40 6.58서천군 0.62 10.67

충청남도 합계 121.95 145.48

전라북도

고창군 1.55 19.83

전라북도

완주군 24.65 2.48군산시 10.43 9.49 익산시 0.54 10.65김제시 1.48 5.60 임실군 22.69 3.28남원시 23.07 3.22 장수군 26.50 1.79무주군 35.26 0.96 전주시 1.48 2.41부안군 15.72 5.03 정읍시 5.10 11.04순창군 13.37 1.06 진안군 49.99 3.31

전라북도 합계 231.82 80.15

Page 8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79 -

< 표 Ⅳ-11 > 2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전라남도

고층군 0.56 0.09

전라남도

여천군 4.52 2.05고흥군 5.98 10.80 여천시 3.13 4.12곡성군 9.99 1.31 영광군 1.46 8.24광양시 3.71 7.54 영암군 17.61 6.65구례군 4.81 1.55 완도군 4.71 2.80나주시 6.40 8.09 우이군 0.25 1.58담양군 9.11 2.03 장성군 2.39 7.53목포시 0.00 0.89 장흥군 20.59 2.62무안군 6.68 4.84 진도군 3.87 7.00보성군 8.56 7.77 함평군 0.68 3.61순천시 13.21 10.66 해남군 16.00 10.85신안군 0.21 5.05 화순군 23.59 1.58여수시 20.24 2.20

전라남도 합계 201.85 123.74제주도 남제주군 124.07 12.16 제주도 서귀포시 68.40 1.29

북제주군 99.51 14.72 제주시 53.10 0.69제주도 합계 345.08 28.85

총 합계 3,137.88 1,356.19

3.8. 변화된 지역의 최종 확인 및 속성입력(3단계 검출)

3.8.1. 변화지역 확인 지침

1) 공통 지침

◦ 선형으로 나타나는 유형의 경우 변화지에서 제외시키는 것으로 하였다.21) (선형 : 폭이 1-3cell를 이루면서 62,500㎡이상지역 , 도로는 제외))

◦ 하천에 나타나는 것은 변화지역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하였다.

◦ 유형 2가지가 하나의 폴리곤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다시 나누어서 각각의 유형21) 이와 같은 선형변화지역은 임상도의 경계와 위성영상자료의 경계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실제적으로 식생지역이 추가되거나 소멸된 것은 아님

Page 8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0 -

별로 별도의 속성정보로 입력하였다. - 시가화지 & 도로 : 혼합유형1 - 기타개발 & 도로 : 혼합유형2 - 자연나지 & 도로 : 혼합유형3 - 농경지 & 나지 , 시가화지 : 혼합유형4

< 표 Ⅳ-12 >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사례식생추가지역 식생소멸지역

ADN

산정상부

DFN

골프장산주변부 스키장섬 섬도심녹지 초지농경지 자연나지(벌채) => 수정임상도부재 시가화지

기타

농경지도로임도개발기타

구름 경계 불일치< 그림 Ⅳ-20 > 공통적으로 변화지역에 삭제하는 경우

2) 식생추가지역 지침

◦ 산림내 암석이나 인공지물에 의해서 제외되는 경우는 모두 암벽식생으로서 산림으로 처리하였다.

Page 8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1 -

< 그림 Ⅳ-21 > 식생추가지역 사례 산정산부(좌), 초지지역(우)

3) 식생소멸지역 지침

◦ 골프장과 스키장 개발에 의한 변화유형은 새로 개발이 된 곳이 있는 반면 기존(임상도제작이전)부터 있었던 곳에서 확장이 이루어 진 경우 2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는 구분없이 골프장 또는 스키장으로 명시하였다.

< 그림 Ⅳ-22 > 식생소멸지역 사례 : 골프장개발(신규/확장)

◦ 자연적인 경년변화유형(산불, 병충해)의 경우는 판독이 어려워 ‘자연나지’ 형태로 분류하도록 하며, 향후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정보내용을 조정하였다.

Page 8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2 -

< 그림 Ⅳ-23 > 식생소멸지역 사례 : 자연나지(벌채)

◦ 도로의 경우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수정하였다.

< 그림 Ⅳ-24 > 식생소멸지역 사례 : 도로건설 및 도시화

◦ 도로유형 중 임도가 추출되는 경우는 1차적으로는 구분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하고 이 지역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 그림 Ⅳ-25 > 식생소멸지역 사례 : 농경지

Page 8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3 -

< 그림 Ⅳ-26 > 식생소멸지역 사례 : 기타개발-1

< 그림 Ⅳ-27 > 식생소멸지역 사례 : 기타개발-2

3.8.2.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의 통계 작성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은 < 그림 Ⅳ-28 >과 < 표 Ⅳ-13 >에서 보는 것과 같다. 식생추가지역의 경우 경상남도가 256㎢가 추가되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상북도(226㎢), 강원도(165㎢)의 순으로 추가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소멸지역의 경우, 경기도가 269㎢로 가장 많이 소멸되었으며, 경상북도(132㎢), 충청남도(126㎢)의 순으로 식생소멸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경우 전체소멸면적의 25.4%를 차지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많은 개발사업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경상남도에 전체 식생추가면적의 약2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age 8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4 -

< 그림 Ⅳ-28 > 3단계 식생추가지역(좌) 및 소멸지역(우)

< 표 Ⅳ-13 >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서울특별시

강남구 0.09 0.0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0.17 0.72강동구 0.00 0.08 서초구 0.42 0.56강북구 2.69 0.15 성동구 0.10 0.00강서구 0.10 0.59 성북구 1.60 0.50관악구 0.39 0.47 송파구 0.14 0.37광진구 1.03 0.11 양천구 0.00 0.46구로구 0.00 0.08 영등포구 0.11 0.00금천구 0.00 0.00 용산구 0.02 0.00노원구 3.73 0.31 은평구 5.05 0.26도봉구 1.34 0.00 종로구 4.13 0.21

동대문구 0.18 0.00 중구 0.08 0.00동작구 0.19 0.11 중량구 2.72 0.07마포구 0.06 0.00

서울특별시 합계 24.34 5.07

인천광역시

강화군 21.04 7.10인천

광역시

서구 0.09 2.83계양구 0.53 1.14 안산시 0.00 0.00남구 0.00 0.34 연수구 0.00 0.22

남동구 0.18 0.55 옹진군 26.79 0.46동구 0.00 0.00 중구 5.61 5.39

부평구 0.14 0.72인천광역시 합계 54.38 18.77

Page 8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5 -

< 표 Ⅳ-13 >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대전

광역시대덕구 2.51 0.81 대전

광역시유성구 8.30 1.72

동구 0.72 0.15 중구 1.40 0.09서구 1.62 0.78

대전광역시 합계 14.55 3.55

부산광역시

강서구 0.91 0.80

부산광역시

사상구 0.34 1.24금정구 0.88 0.62 사하구 0.37 2.85기장군 2.87 3.24 서구 0.05 0.00남구 0.00 0.98 수영구 0.00 0.37동구 0.00 0.11 연제구 0.00 0.23

동래구 0.07 0.31 영도구 0.00 0.93부산진구 0.00 1.44 중구 0.00 0.00

북구 0.22 1.17 해운대구 0.59 2.19부산광역시 합계 6.29 16.46대구

광역시

남구 0.27 0.00대구

광역시

북구 1.22 1.02달서구 0.57 1.58 서구 0.00 0.10달성군 15.91 1.24 수성구 3.46 0.08동구 1.98 0.72 중구 0.00 0.00

대구광역시 합계 23.40 4.75광주

광역시광산구 0.52 2.76 광주

광역시북구 1.81 1.44

남구 0.20 0.54 서구 0.09 1.40동구 1.19 0.03

광주광역시 합계 3.82 6.18울산

광역시남구 0.23 6.47 울산

광역시서구 0.00 1.13

동구 0.08 2.53 울주군 5.71 13.56북구 0.69 2.83

울산광역시 합계 6.71 26.52

강원도

강릉시 2.80 16.67

강원도

인제군 20.09 1.00고성군 2.57 14.02 정선군 6.37 9.14동해시 2.30 2.58 철원군 3.40 11.76삼척시 5.59 10.38 춘천시 4.22 10.63속초시 6.29 2.49 태백시 2.66 4.28양구군 5.99 0.32 평창군 34.32 5.17양양군 3.32 3.04 홍천군 18.45 4.11영월군 25.64 5.75 화천군 5.18 2.59원주시 3.31 15.19 횡성군 13.40 6.77

강원도 합계 165.90 125.88

Page 8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6 -

< 표 Ⅳ-13 >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경기도

가평군 5.88 7.56

경기도

안양시 0.11 0.98고양시 6.31 14.30 양주군 8.24 11.79과천시 0.32 0.00 양평군 4.59 5.54광명시 0.00 0.76 여주군 0.63 21.69광주군 0.67 7.94 연천군 23.28 31.48구리시 1.57 0.00 오산시 0.00 0.43군포시 0.00 0.80 용인시 1.26 25.02김포시 2.00 13.77 의왕시 0.15 0.34

남양주시 1.98 6.82 의정부시 8.91 2.37동두천시 1.26 2.27 이천시 0.24 19.59부천시 0.00 0.48 파주시 7.52 28.05성남시 0.61 3.10 평택시 0.30 8.69수원시 0.18 2.28 포천군 8.91 15.01시흥시 0.54 3.85 하남시 0.00 1.49안산시 2.17 4.74 화성군 0.83 15.91안성시 0.76 12.21

경기도 합계 89.23 269.26

경상북도

경산시 5.26 5.08

경상북도

영덕군 4.07 0.79경주시 11.53 16.27 영양군 5.17 0.83고령군 6.70 1.66 영주시 1.62 15.83구미시 6.41 4.50 영천시 6.41 15.60군위군 9.98 1.53 예천군 7.10 0.67김천시 12.92 1.74 울진군 3.18 2.71문경시 18.47 0.37 의성군 20.00 0.98봉화군 8.36 9.36 청도군 23.66 2.04상주시 19.61 0.49 청송군 8.14 4.76성주군 18.01 1.16 칠곡군 8.78 6.44안동시 16.37 4.33 포항시 4.29 35.32

경상북도 합계 226.05 132.47

경상남도

거제시 10.68 1.86

경상남도

의령군 13.77 0.24거창군 22.34 1.66 진주시 5.62 9.05고성군 2.98 1.73 진해시 2.21 4.08김해시 13.13 6.11 창녕군 11.76 1.05남해군 11.41 0.62 창원시 10.26 2.07마산시 4.60 1.51 통영시 20.93 1.13밀양시 11.03 5.72 하동군 6.43 5.45사천시 2.22 4.23 함안군 18.80 0.68산청군 25.03 3.50 함양군 31.97 1.61양산시 10.99 8.24 합천군 19.89 4.56

경상남도 합계 256.05 65.13

Page 8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7 -

< 표 Ⅳ-13 > 3단계 식생추가지역 및 소멸지역 면적(계속)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구분 (면적:㎢ ) 식생추가 식생소멸

충청북도

괴산군 17.82 2.18

충청북도

제천시 10.70 4.30단양군 8.61 6.36 진천군 1.44 6.52보은군 3.18 0.07 청원군 11.74 5.24영동군 15.47 0.38 청주시 3.55 1.51옥천군 8.84 0.21 충주시 7.62 8.75음성군 3.28 14.04

충청북도 합계 92.26 49.58

충청남도

공주시 13.26 16.21

충청남도

아산시 4.65 5.59금산군 26.83 1.83 연기군 5.84 5.41논산시 4.98 4.72 예산군 0.77 2.56당진군 5.20 10.33 천안시 3.34 12.64보령시 2.43 8.61 청양군 0.14 6.89부여군 0.81 13.96 태안군 3.49 13.84서산시 3.10 9.75 홍성군 0.32 5.00서천군 0.07 8.98

충청남도 합계 75.24 126.31

전라북도

고창군 1.55 18.68

전라북도

완주군 6.83 2.03군산시 9.27 9.24 익산시 0.16 10.39김제시 0.39 4.85 임실군 9.66 2.00남원시 11.39 1.62 장수군 9.32 1.42무주군 13.93 0.95 전주시 0.64 1.91부안군 15.72 4.27 정읍시 2.14 10.31순창군 9.85 0.19 진안군 18.04 3.17

전라북도 합계 108.89 71.03

전라남도

고층군 0.56 0.09

전라남도

여천군 4.44 2.05고흥군 4.18 8.63 여천시 3.13 4.12곡성군 4.25 0.88 영광군 1.17 7.51광양시 1.73 6.79 영암군 16.35 6.65구례군 2.04 1.40 완도군 4.25 2.12나주시 1.26 5.40 우이군 0.25 0.33담양군 6.41 1.95 장성군 2.35 7.12목포시 0.00 0.89 장흥군 11.76 2.14무안군 0.08 4.24 진도군 3.64 3.11보성군 7.95 7.18 함평군 0.46 1.70순천시 7.84 8.54 해남군 7.00 10.32신안군 0.21 4.34 화순군 7.86 1.50여수시 20.24 1.94

전라남도 합계 130.77 102.77제주도 남제주군 0.19 12.61 제주도 서귀포시 4.15 1.31

북제주군 2.70 15.83 제주시 0.93 0.71제주도 합계 7.96 30.47

총 합계 1.285.83 1,054.18

Page 8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8 -

Ⅴ.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른 등급화 및 경계설정

1. 개요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라 식생등급도와 생물종 다양성 등급도를 작성하였다. 식생등급의 경우 자연환경 GIS-DB 구축사업에서 전국토의 42%(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제작지역)를 기구축하였으므로, 이를 제외한 58%지역에 대하여 작성하였으며, 이는 < 그림 Ⅴ-1 >과 같다.

‘97 - ’99 제작지역 (생물다양성적용지역) 기초생태자연도 제작지역< 그림 Ⅴ-1 > 생태․자연도 작성 대상지역도

Page 9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89 -

경계를 구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축척으로 어느 정도 축척의 도면에 작성하여 GIS에 입력하여야 하는가가 문제이다. 이 문제는 대상이 되는 항목의 시공간적 스케일을 파악하여 해결할 필요가 있다. 자연에서의 생태계의 크기는 다양하다. 산림이나 갯벌 등 대면적을 점하는 식생으로 대표되는 생태계는 수십ha까지 확장되지만, 범람원이나 소규모의 습지처럼 수십㎡에서 수㎡의 크기를 가진 생태계도 있다. 앞의 것은 1:50,000이나 1:25,000의 생태․자연도에서 표현이 되나 작은 것은 대축척 지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식생도 작업이 표준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유럽 각국에서는 1:25,000의 축척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식물사회학(식생군락 구분)에서는 산림식생의 조사 방형구 크기가 20㎡에서부터 10㎡이 최소면적이며 (즉, 이 크기 이하의 경우, 균질한 산림이라 말할 수 없으며 따라서 ecotope가 아님) , 이 크기는 1: 25,000지도위에서 그려질 수 있는 최소면적(1㎟ 정도 : 실제는 625㎡)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 스케일로서 1:25,000의 지도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서 대축척의 도면을 이용한다. 현 사업에서는 환경부 자연보전국의 생태․자연도 작성 지침에 따라서 1: 25,000도엽을 기본으로 하고 최소면적을 62,500㎡으로 한다.

2. 식생등급도

2.1. 작성방법

제2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은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라 등급을 평가하고, 등급도를 작성하나, 제1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없다. 따라서 기초 생태․자연도의 식생등급은 < 표 Ⅴ-1 >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 표 Ⅴ-1 > 제1차 자연환경조사지역의 식생등급산정 기준기초생태․자연도 식생등급 녹지자연도 임상도

1등급 8등급 실선조사지역 자연림으로 4영급이상지역2등급 자연림으로 2.3 영급지역

식새림으로 2영급이상지역3등급 기초생태․자연도 1등급과 2등급을 제외한 지역주 : 환경부 내부기준

Page 9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0 -

2.2. 작성내용 및 분석결과

부록 Ⅰ에 제시된 생태․자연도 평가지침에 따라 식생부문의 식생등급도를 분석한 결과 < 그림 Ⅴ-2 >와 < 표 Ⅴ-2 >에서와 같다.

1등급 2등급 3등급 < 그림 Ⅴ-2 > 식생부문 생태․자연도 등급도

1등급지역은 백두대간의 중심축인 강원도 태백산맥지역을 중심으로 하나의 축을 형성하며, 남북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남부지방의 지리산지역이 커다란 면형태로

Page 9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1 -

자리잡고 있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강원도의 1등급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 38.4%를 차지하고 있으며, 제주도, 15.1%, 충청북도 11.2%, 경기도 10%의 순으로 1등급비율의 순서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절대면적으로는 강원도가 역시 6,498.6㎢로 가장 넓은 면적이 위치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1,721.6㎢, 경기도 1,003.6㎢, 경상남도 722.9㎢의 순으로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전국으로 환산할 경우 전국토 면적대비 약 12.2%인 12,227.4㎢가 1등급지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기할 점은 경기도의 경우 우리 나라 전체인구의 거의 50%가 밀집되어 있어 개발면적이 매우 넓으며, 이와 함께 경기도 동쪽지역과 북부지역의 보전이 강하게 이루어져 비교적 높은 1등급면적비율을 점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등급지역은 면적비율은 울산광역시가 52.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상북도 50.0%, 경상남도 48.7%, 대전광역시 46.3%의 순으로 면적비율이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절대면적으로는 경상북도가 9,524.4㎢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점하고 있으며, 경상남도 5,119.7㎢, 전라남도 5,045.9㎢, 강원도 4,626.3㎢의 순으로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전국으로 환산할 경우 전국토 면적대비 약 40.2%인 40,106.6㎢가 2등급지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장 이상적인 2등급지역의 분포는 제주도에서와 같은 형태이다. 1등급지역의 외곽에 환상의 형태로 위치하며, 1등급지역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2등급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생물종의 서식처 및 완충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3등급지역의 면적비율은 강원도가 13.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상북도 11.2%, 경상남도 10.2%, 울산광역시 9.9%의 순으로 면적비율이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절대면적으로는 강원도가 2,294.2㎢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점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2,125.1㎢, 전라남도 1,198.9㎢, 경상남도 1,069.0㎢의 순으로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전국으로 환산할 경우 전국토 면적대비 약 9.5%인 9,484.3㎢가 3등급지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등급외지역의 면적비율은 인천광역시가 7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울특별시 16%, 제주도 68%, 광주광역시 62%의 순으로 면적비율이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절대면적으로는 경상북도가 5,681㎢로 가장 넓은 면적으로 점하고 있으며, 전라남도 5,520㎢, 충청남도 4,646㎢, 경기도 4,570㎢의 순으로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전국으로 환산할 경우 전국토 면적대비 약 38%인 38,041㎢가 등급외지역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의 경우는 기개발지역의 매우 넓어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제주도와 광주광역시의 경우는 농경지역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부문 등급도를 지역별로 보면 광역시들의 1등급비율은 대부분 1%정도이며, 광역도들은 지형특성에 의해 백두대간이 위치한 강원도지역과 충북지역이 매우 높

Page 9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2 -

게 나타나며, 그 이외의 지역들은 대부분 10%이하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 표 Ⅴ-2 > 식생부문 생태․자연도 등급별 면적1등급 2등급 3등급 3등급(기타지역) 산림

면적(㎢)구분 행정구역

면적(㎢)면적(㎢)

비율(%)

면적(㎢)

비율(%)

면적(㎢)

비율(%)

면적(㎢)

비율(%)

서울 607.8 7.2 1.2 115.8 19.0 20.2 3.3 465 76 143부산 750.1 4.6 0.6 322.3 43.0 44.1 5.9 379 51 371인천 986.0 17.1 1.7 183.5 18.6 21.9 2.2 764 77 222대전 540.7 6.4 1.2 250.5 46.3 21.5 4.0 262 49 278대구 882.5 32.9 3.7 373.3 42.3 73.3 8.3 403 46 479울산 1,056.3 23.1 2.2 557.7 52.8 104.6 9.9 371 35 685광주 497.8 4.8 1.0 171.2 34.4 13.2 2.7 309 62 189경기 10,038.5 1,003.6 10.0 3,763.3 37.5 701.2 7.0 4,570 46 5,468강원 16,928.5 6,498.4 38.4 4,626.3 27.3 2,294.2 13.6 3,510 21 13,419충남 8,621.4 197.5 2.3 3,273.2 38.0 504.4 5.9 4,646 54 3,975충북 7,445.2 834.8 11.2 3,386.1 45.5 692.9 9.3 2,531 34 4,914경남 10,522.4 722.9 6.9 5,119.7 48.7 1,069.0 10.2 3,611 34 6,912경북 19,052.1 1,721.6 9.0 9,524.4 50.0 2,125.1 11.2 5,681 30 13,371전남 12,112.7 347.5 2.9 5,045.9 41.7 1,198.9 9.9 5,520 46 6,592전북 7,970.0 526.3 6.6 3,127.1 39.2 560.0 7.0 3,757 47 4,213제주 1,847.6 278.7 15.1 266.4 14.4 39.9 2.2 1,263 68 585총합 99,859.4 12,227.4 12.2 40,106.6 40.2 9,484.3 9.5 38,041 38 61,818

3. 생물종 다양성도

3.1. 작성 방법

생물다양성 주제도 산출을 위한 작업흐름도는 < 그림 Ⅴ-3 >과 같으며, 평가단위별로 등급을 산출하여 주제도를 산출하는 작업흐름을 따르고 있다. 작업대상권역은 1997~1999년 사이에 조사된 동․식물 분포도에서 멸종위기동․식물 및 보호종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곤충류, 식물상 5항목에 대해서 하였으며, 이를 표현한 것은 < 그림 Ⅴ-3 >과 같다. 조사지역은 강원도, 경상북도 등 전국에 고루 분포하며, 주로 산림지역이 우세한 지역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Page 9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3 -

멸종위기동․식물 및 보호종 추출

식생우수지역

ꀻ추출된 종분포도와 권역도(평가단위) 중첩

ꀻ평가단위별 등급산출

ꀻ평가단위내 산림 등급판정

ꀻꀻ생물다양성 주제도 산출

ꀻ생태․자연도 등급판정

< 그림 Ⅴ-3 > 생물다양성 등급판정 작업흐름도

< 그림 Ⅴ-4 > '97~'99 조사된 멸종위기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의 분포

Page 9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4 -

3.2. 작성내용 및 분석결과

생태․자연도 평가기준 중 생물다양성부문에 대해서 실시하였고 생물다양성 부문에서도 산림의 경우에 대해서 평가를 시도하였다. 평가기준은 환경부에서 제시된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을 따랐다. 평가는 우선 평가단위별로 등급을 판정하였다. 지침안에 따라 한 평가단위 내에 조사된 멸종위기동식물 및 야생동식물에 종을 파악하여 그 종수에 따라 등급화를 시행하였다. 1등급지역에 대해서는 식물을 제외한 4종에 대해서 종을 파악하였고, 2등급지역은 식물을 포함하여 5종에 대해서 종을 파악하였다. 자료의 누락으로 평가단위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보류지역으로 < 표 Ⅴ-3 >과 같이 별도정리하였다.22)

< 표 Ⅴ-3 > 조사지역에 대한 평가단위별 등급산출 결과표전국

(조사지역) 1등급 2등급 3등급 총합계 비고(보류지역)

평가단위 248(*28) 62 111(173) 46(219) 219 29비율 25% 45%(70%) 19% 12%

주 : 비율은 조사가 된 지역에 대한 비율로 산정하였음.(일반조사지역에서 조사외지역은 제외됨)

분포도 조사의 경우 일부 조사자가 조사지를 벗어나 인접지역까지 조사한 경우가 나타났다. 이 경우도 보류지역으로 별도정리하였다. 일반조사지23)의 경우 조사가 대표산에 한해서만 조사가 되었다. 그러므로 일반조사지역의 경우는 대표산에 대한 등급만 산출되었다. 평가단위별 등급 산출을 마친 후 등급별 평가단위내의 해당 산림의 등급을 부여하므로써 산림부문 생물다양성의 등급 산출을 수행했으며, 일부 지역을 선정하여 생물다양성 적용전과 적용후 등급변동을 살펴보았다. 검증지역으로는 ‘8-33 보성’권역 과 ‘1-12 홍천-평창’권역을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보성지역은 오봉산, 용두산, 제암산, 황아산 평가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멸종위기 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이 2종이상 5종미만으로 조사되므로써 4지역 모두 산림부문 생물다양성 2등급으로 평가되어졌다. < 그림 Ⅴ-5 >는 보성권역과 홍천-평22) 평가단위가 정의되어 있지 않는 권역은 주로 우선조사지역이다. 식생평가시에는 이 지

역이 모두 조사지역이므로 동일한 기준하에 식생우수지역에 대한 등급을 산출하였다.23) 일반조사지역 : 35권역/76권역

Page 9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5 -

창권역의 생물다양성 평가그림이다.

< 그림 Ⅴ-5 > 생물다양성 산림부문 등급산출결과(좌: 8-33 보성, 우:1-12 홍천-평창)

< 그림 Ⅴ-6 > 보성권역의 생물다양성 적용전(좌)과 적용후(우)

< 표 Ⅴ-4 > 보성권역의 생물다양성 적용전과 후의 면적비교생물다양성 적용 전 생물다양성 적용 후 증감율(%)등급 면적(㎢) 비율 등급 면적(㎢) 비율

1등급 1.80 0.5% 1등급 1.80 0.5% 02등급 166.6 44.7% 2등급 230.45 61.8% +63.9(17.1%)3등급 71.1 19.1% 3등급 7.26 1.9% -63.9(17.1%)

3(산림외) 133.1 35.7% 3(산림외) 133.1 35.7%총 합계 372.7 총 합계 372.7

Page 9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6 -

홍천․평창지역은 덕수산, 맹현봉, 봉복산, 아미산, 태기산, 흥정산․회령산 6개의 평가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평가단위 등급은 덕수산, 봉복산, 아미산, 흥정산․회령산은 1등급으로 평가되었고, 나머지 맹현봉, 태기산는 2등급지역으로 평가되었다.

< 그림 Ⅴ-7 > 홍천․평창지역의 생물다양성 적용전(좌)과 적용후(우)

< 표 Ⅴ-5 > 홍천․평창지역의 생물다양성 적용전후 면적비교생물다양성 적용 전 생물다양성 적용 후 증감율(%)등급 면적(㎢) 비율 등급 면적(㎢) 비율

1등급 252.9 27.9% 1등급 447.69 49.4% +194.8(21.5%)2등급 399.9 44.2% 2등급 324.35 35.8% -75.6(8.3%)3등급 128.1 14.1% 3등급 15.21 1.7% -112.89(12.5%)

3(산림외) 124.6 13.8% 3(산림외) 124.6 13.8%소권역면적 905.5 총 합계 905.5

이와 같이 생물다양성을 적용하여 수정한 등급도는 < 그림 Ⅴ-8 >과 같으며, 지

Page 9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7 -

역별 생물다양성 적용 전 면적은 < 표 Ⅴ-6 >과 같으며, 생물다양성 적용 후 면적은 < 표 Ⅴ-7 >과 같다.

< 그림 Ⅴ-8 > 생물다양성 적용 전(상위), 후(아래)

< 표 Ⅴ-6 > 생물다양성 적용 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

연도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1- 1 고성인제 1998 우선 609.0 264.8 43.5 190.5 31.3 14.9 2.41- 6 인제양양 1997 우선 453.0 328.1 72.4 64.1 14.2 28.8 6.41-10 인제양양 1997 일반 454.5 348.6 76.7 63.3 13.9 22.8 5.01-11 강릉평창 1998 우선 1,078.5 607.7 56.3 190.8 17.7 103.9 9.61-12 홍천평창 1998 우선 905.5 252.9 27.9 399.9 44.2 128.1 14.11-13 홍천횡성 1998 우선 453.2 121.7 26.8 201.1 44.4 54.3 12.01-15 양평홍천 1998 우선 541.8 68.1 12.6 229.0 42.3 125.4 23.11-16 양평 1997 일반 279.6 91.6 32.8 112.4 40.2 34.4 12.31-20 평창정선 1998 우선 602.2 280.4 46.6 151.3 25.1 91.3 15.21-23 원주횡성 1999 우선 868.6 176.0 20.3 340.5 39.2 78.8 9.11-26 제천단양 1999 일반 343.6 30.1 8.8 192.6 56.0 43.8 12.81-29 정선태백 1999 우선 678.2 234.0 34.5 228.1 33.6 132.8 19.61-30 동해삼척 1997 우선 706.3 155.0 22.0 346.1 49.0 102.9 14.62- 1 봉화태백 1999 우선 538.8 223.0 41.4 208.7 38.7 61.1 11.32- 2 봉화영월 1998 우선 520.5 94.1 18.1 219.6 42.2 80.0 15.42- 3 영주단양 1999 우선 801.0 168.1 21.0 336.1 42.0 82.6 10.32- 4 단양예천 1998 일반 520.4 67.6 13.0 204.1 39.2 59.6 11.5

Page 9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8 -

< 표 Ⅴ-6 > 생물다양성 적용 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계속)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

연도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2- 5 안동예천 1998 우선 753.2 15.2 2.0 316.9 42.1 118.6 15.82- 6 충주제천 1997 일반 892.1 108.1 12.1 472.3 52.9 89.8 10.12- 9 상주문경 1999 일반 345.7 1.6 0.5 217.5 62.9 20.7 6.02-13 청원보은 1997 우선 447.6 6.5 1.5 193.3 43.2 40.5 9.12-16 보은옥천 1999 일반 294.0 1.8 0.6 156.2 53.1 40.1 13.62-17 옥천상주 1999 일반 400.9 22.1 5.5 209.4 52.2 35.6 8.92-18 상주 1999 일반 658.6 8.1 1.2 346.5 52.6 35.6 5.43- 1 구미 1998 일반 271.3 12.8 4.7 112.7 41.5 7.0 2.63- 6 무주거창 1999 우선 943.3 197.1 20.9 475.7 50.4 71.3 7.63- 8 장수함양 1997 우선 692.8 65.1 9.4 382.5 55.2 51.2 7.43-10 거창산청 1998 우선 643.3 12.4 1.9 337.3 52.4 101.9 15.83-13 남원구례 1997 일반 492.5 114.1 23.2 197.1 40.0 25.8 5.24- 4 가평춘천 1998 우선 420.4 73.6 17.5 216.3 51.5 73.1 17.44- 5 포천철원 1997 우선 216.0 118.3 54.8 38.8 18.0 22.0 10.24- 7 철원포천 1999 우선 401.9 2.9 0.7 190.3 47.3 97.0 24.14- 9 남양주가평 1999 우선 507.2 17.5 3.5 302.0 59.5 56.5 11.14-11 포천동두천 1999 일반 345.1 25.3 7.3 168.5 48.8 39.4 11.44-12 포천서울 1997 일반 285.9 41.4 14.5 87.4 30.6 17.5 6.14-14 파주연천 1999 일반 468.5 30.8 6.6 190.8 40.7 50.9 10.94-15 고양양주 1999 일반 481.5 25.5 5.3 171.7 35.7 25.4 5.35- 1 광주양평 1998 일반 243.1 108.6 44.7 66.1 27.2 10.9 4.55- 5 용인화성 1999 일반 395.5 0.1 0.0 158.2 40.0 27.2 6.95-11 김포인천 1999 일반 519.4 3.6 0.7 103.8 20.0 8.7 1.75-12 강화 1998 일반 397.8 16.5 4.1 127.6 32.1 13.7 3.46- 3 천안청원 1998 우선 768.8 - 0.0 385.7 50.2 35.2 4.66- 4 공주연기 1998 일반 355.6 8.8 2.5 177.4 49.9 11.0 3.16- 9 예산홍성 1999 우선 488.2 2.8 0.6 161.5 33.1 22.3 4.66-11 예산서산 1997 우선 382.6 4.2 1.1 129.3 33.8 12.9 3.46-12 홍성 1997 우선 214.8 - 0.0 78.8 36.7 10.5 4.96-13 서산당진 1997 일반 788.5 2.6 0.3 226.9 28.8 24.4 3.17- 6 논산-완주 1997 우선 417.1 0.6 0.1 135.5 32.5 45.1 10.87- 7 익산 1997 우선 371.5 0.0 0.0 41.0 11.0 5.5 1.57-11 전주김제 1999 일반 285.8 6.7 2.4 83.7 29.3 10.8 3.87-13 전주완주 1999 일반 209.0 3.7 1.8 115.6 55.3 23.9 11.47-16 완주진안 1998 우선 511.3 38.0 7.4 353.0 69.0 23.2 4.57-17 진안전주 1998 일반 348.9 5.5 1.6 192.3 55.1 35.0 10.07-18 진안임실 1998 일반 536.8 52.9 9.9 265.3 49.4 65.3 12.27-20 남원임실 1999 우선 415.3 17.2 4.1 196.3 47.3 27.7 6.78- 6 고창 1997 우선 333.1 0.1 0.0 106.8 32.1 5.9 1.88- 7 고창,장성 1997 우선 495.6 - 0.0 206.9 41.7 46.1 9.3

Page 10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99 -

< 표 Ⅴ-6 > 생물다양성 적용 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계속)

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연도

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8- 8 영광 1998 우선 753.1 - 0.0 300.6 39.9 32.4 4.38-12 곡성순천 1998 일반 333.2 13.2 4.0 192.9 57.9 35.8 10.88-13 순천광양 1999 우선 745.8 - 0.0 420.8 56.4 108.3 14.58-16 보성순천 1998 우선 441.2 2.2 0.5 259.5 58.8 37.8 8.68-18 고흥 1997 일반 291.8 1.7 0.6 111.3 38.2 48.1 16.58-25 신안 1997 우선 190.2 - 0.0 56.5 29.7 1.2 0.68-26 영암강진 1999 우선 418.4 17.3 4.1 181.0 43.3 45.2 10.88-31 진도 1998 일반 403.3 15.3 3.8 167.3 41.5 16.8 4.28-33 보성 1999 우선 372.7 1.8 0.5 166.6 44.7 71.1 19.19- 1 김해 1998 일반 324.7 3.9 1.2 143.9 44.3 19.0 5.99- 2 김해창원 1998 일반 454.7 25.2 5.5 168.5 37.1 25.2 5.59- 4 고성함안 1999 우선 732.3 4.5 0.6 348.5 47.6 73.5 10.09- 5 고성사천 1999 우선 527.9 0.4 0.1 242.4 45.9 81.1 15.49- 6 충무고성 1997 일반 303.8 4.4 1.4 127.5 42.0 19.6 6.49- 7 거제 1997 우선 433.6 0.1 0.0 275.0 63.4 26.2 6.010- 1 삼척 1997 일반 722.8 388.1 53.7 191.0 26.4 71.8 9.910- 5 영양울진 1999 우선 989.6 242.0 24.5 543.6 54.9 22.4 2.310- 6 안동영양 1997 우선 837.7 84.1 10.0 528.5 63.1 70.1 8.410- 7 의성 1999 우선 766.3 3.5 0.5 321.6 42.0 156.5 20.410- 9 청송 1997 일반 462.8 47.0 10.2 266.1 57.5 76.6 16.510-10 청송 1999 우선 440.0 83.8 19.0 247.2 56.2 25.2 5.710-11 포항 1997 우선 744.5 38.2 5.1 386.1 51.9 95.6 12.810-13 청송영천 1998 우선 412.6 16.7 4.1 222.1 53.8 80.4 19.510-14 군위영천 1998 우선 628.6 19.8 3.1 345.6 55.0 89.4 14.210-17 대구군위 1998 우선 714.7 9.6 1.3 450.1 63.0 28.7 4.010-18 대구달성 1997 우선 1,012.5 54.3 5.4 392.9 38.8 151.3 14.910-26 창녕밀양 1998 우선 1,054.6 16.7 1.6 467.9 44.4 79.7 7.6합계 합계 합계 합계 44,308.6 5,777.9 13.0 19,298.2 43.6 4,319.6 9.7

< 표 Ⅴ-7 > 생물다양성 적용 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

연도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3등급(기타지역)

비율(%)

1- 1 고성인제 1998 우선 609.0 347.4 57.0 121.6 20.0 1.1 0.2 138.9 22.81- 6 인제양양 1997 우선 453.0 352.4 77.8 62.7 13.8 5.9 1.3 31.9 7.11-10 인제양양 1997 일반 454.5 349.0 76.8 68.3 15.0 17.3 3.8 19.8 4.41-11 강릉평창 1998 우선 1,078.5 784.5 72.7 83.4 7.7 34.3 3.2 176.2 16.31-12 홍천평창 1998 우선 905.5 442.9 48.9 323.7 35.7 14.3 1.6 124.6 13.8

Page 10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0 -

< 표 Ⅴ-7 > 생물다양성 적용 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계속)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

연도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3등급(기타지역)

비율(%)

1-13 홍천횡성 1998 우선 453.2 274.0 60.5 100.6 22.2 2.4 0.5 76.2 16.81-15 양평홍천 1998 우선 541.8 99.0 18.3 306.9 56.7 16.5 3.1 119.3 22.01-16 양평 1997 일반 279.6 91.6 32.8 129.9 46.5 17.0 6.1 41.2 14.71-20 평창정선 1998 우선 602.2 290.7 48.3 193.3 32.1 38.9 6.5 79.3 13.21-23 원주횡성 1999 우선 868.6 235.0 27.1 344.7 39.7 15.7 1.8 273.2 31.51-26 제천단양 1999 일반 343.6 30.1 8.8 192.6 56.0 43.8 12.8 77.1 22.41-29 정선태백 1999 우선 678.2 234.0 34.5 309.6 45.6 51.3 7.6 83.4 12.31-30 동해삼척 1997 우선 706.3 155.1 22.0 381.4 54.0 67.6 9.6 102.2 14.52- 1 봉화태백 1999 우선 538.8 348.5 64.7 137.7 25.6 6.7 1.2 46.0 8.52- 2 봉화영월 1998 우선 520.5 94.7 18.2 256.3 49.2 42.7 8.2 126.8 24.42- 3 영주단양 1999 우선 801.0 271.2 33.9 308.8 38.5 6.9 0.9 214.1 26.72- 4 단양예천 1998 일반 520.4 97.6 18.8 193.4 37.2 40.3 7.8 189.0 36.32- 5 안동예천 1998 우선 753.2 24.8 3.3 406.7 54.0 19.2 2.5 302.5 40.22- 6 충주제천 1997 일반 892.1 108.7 12.2 484.7 54.3 76.7 8.6 221.9 24.92- 9 상주문경 1999 일반 345.7 1.6 0.5 217.5 62.9 20.7 6.0 105.9 30.62-13 청원보은 1997 우선 447.6 6.5 1.5 199.7 44.6 34.1 7.6 207.3 46.32-16 보은옥천 1999 일반 294.0 1.8 0.6 171.9 58.5 24.4 8.3 95.9 32.62-17 옥천상주 1999 일반 400.9 22.1 5.5 209.4 52.2 35.6 8.9 133.8 33.42-18 상주 1999 일반 658.6 8.1 1.2 346.8 52.7 35.3 5.4 268.5 40.83- 1 구미 1998 일반 271.3 12.8 4.7 116.9 43.1 2.8 1.0 138.7 51.13- 6 무주거창 1999 우선 943.3 225.4 23.9 479.7 50.9 38.9 4.1 199.3 21.13- 8 장수함양 1997 우선 692.8 65.3 9.4 402.7 58.1 30.8 4.4 194.0 28.03-10 거창산청 1998 우선 643.3 101.0 15.7 332.1 51.6 18.5 2.9 191.7 29.83-13 남원구례 1997 일반 492.5 114.1 23.2 197.1 40.0 25.8 5.2 155.5 31.64- 4 가평춘천 1998 우선 420.4 73.6 17.5 272.5 64.8 16.9 4.0 57.4 13.64- 5 포천철원 1997 우선 216.0 118.3 54.8 38.8 18.0 21.9 10.1 37.0 17.14- 7 철원포천 1999 우선 401.9 97.8 24.3 183.7 45.7 8.7 2.2 111.7 27.84- 9 남양주가평 1999 우선 507.2 17.5 3.5 326.7 64.4 31.8 6.3 131.2 25.94-11 포천동두천 1999 일반 345.1 25.3 7.3 181.0 52.5 26.9 7.8 111.9 32.44-12 포천서울 1997 일반 285.9 41.4 14.5 88.5 31.0 16.3 5.7 139.7 48.94-14 파주연천 1999 일반 468.5 30.8 6.6 190.8 40.7 50.9 10.9 196.0 41.84-15 고양양주 1999 일반 481.5 27.0 5.6 171.0 35.5 24.6 5.1 258.9 53.85- 1 광주양평 1998 일반 243.1 108.6 44.7 72.4 29.8 4.5 1.9 57.5 23.75- 5 용인화성 1999 일반 395.5 0.1 0.0 158.2 40.0 27.2 6.9 210.0 53.15-11 김포인천 1999 일반 519.4 3.6 0.7 108.7 20.9 3.8 0.7 403.4 77.75-12 강화 1998 일반 397.8 16.5 4.1 128.8 32.4 12.5 3.2 239.9 60.36- 3 천안청원 1998 우선 768.8 0.0 404.5 52.6 16.4 2.1 347.9 45.36- 4 공주연기 1998 일반 355.6 8.8 2.5 177.5 49.9 10.9 3.1 158.4 44.56- 9 예산홍성 1999 우선 488.2 2.8 0.6 161.5 33.1 22.3 4.6 301.6 61.8

Page 10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1 -

< 표 Ⅴ-7 > 생물다양성 적용 후 권역별 등급별 면적비교(계속)권역코드 소권역명 조사

연도조사구분

권역면적(㎢)

1등급면적(㎢)

비율(%)

2등급면적(㎢)

비율(%)

3등급면적(㎢)

비율(%)

3등급(기타지역)

비율(%)

6-11 예산서산 1997 우선 382.6 37.8 9.9 103.6 27.1 4.9 1.3 236.2 61.76-12 홍성 1997 우선 214.8 0.0 89.1 41.5 0.2 0.1 125.5 58.46-13 서산당진 1997 일반 788.5 2.6 0.3 227.0 28.8 24.3 3.1 534.6 67.87- 6 논산-완주 1997 우선 417.1 9.4 2.2 156.7 37.6 15.1 3.6 235.9 56.67- 7 익산 1997 우선 371.5 0.0 0.0 43.7 11.8 2.9 0.8 324.8 87.47-11 전주김제 1999 일반 285.8 6.7 2.4 83.7 29.3 10.8 3.8 184.6 64.67-13 전주완주 1999 일반 209.0 3.7 1.8 115.6 55.3 23.9 11.4 65.7 31.57-16 완주진안 1998 우선 511.3 93.0 18.2 313.6 61.3 7.6 1.5 97.1 19.07-17 진안전주 1998 일반 348.9 5.6 1.6 192.8 55.3 34.5 9.9 116.0 33.37-18 진안임실 1998 일반 536.8 90.0 16.8 244.1 45.5 49.4 9.2 153.3 28.67-20 남원임실 1999 우선 415.3 17.2 4.1 209.8 50.5 14.2 3.4 174.1 41.98- 6 고창 1997 우선 333.1 0.1 0.0 106.9 32.1 5.9 1.8 220.3 66.18- 7 고창,장성 1997 우선 495.6 0.0 233.7 47.2 19.2 3.9 242.7 49.08- 8 영광 1998 우선 753.1 0.0 330.1 43.8 2.9 0.4 420.1 55.88-12 곡성순천 1998 일반 333.2 13.5 4.1 214.9 64.5 13.6 4.1 91.3 27.48-13 순천광양 1999 우선 745.8 192.6 25.8 282.8 37.9 53.8 7.2 216.6 29.08-16 보성순천 1998 우선 441.2 2.2 0.5 265.4 60.2 31.9 7.2 141.6 32.18-18 고흥 1997 일반 291.8 1.7 0.6 111.3 38.2 48.1 16.5 130.6 44.88-25 신안 1997 우선 190.2 0.0 56.6 29.7 1.1 0.6 132.5 69.78-26 영암강진 1999 우선 418.4 17.3 4.1 181.0 43.3 45.2 10.8 174.9 41.88-31 진도 1998 일반 403.3 15.3 3.8 168.5 41.8 15.6 3.9 203.9 50.58-33 보성 1999 우선 372.7 1.8 0.5 209.7 56.3 28.1 7.5 133.1 35.79- 1 김해 1998 일반 324.7 3.9 1.2 147.1 45.3 15.9 4.9 157.9 48.69- 2 김해창원 1998 일반 454.7 25.2 5.5 175.6 38.6 18.0 4.0 235.8 51.99- 4 고성함안 1999 우선 732.3 68.9 9.4 347.7 47.5 9.9 1.4 305.7 41.79- 5 고성사천 1999 우선 527.9 0.4 0.1 283.5 53.7 40.0 7.6 204.1 38.79- 6 충무고성 1997 일반 303.8 4.4 1.4 127.5 42.0 19.6 6.4 152.3 50.19- 7 거제 1997 우선 433.6 0.1 0.0 290.5 67.0 10.8 2.5 132.2 30.510- 1 삼척 1997 일반 722.8 388.1 53.7 190.6 26.4 72.2 10.0 71.9 9.910- 5 영양울진 1999 우선 989.6 360.2 36.4 433.0 43.8 14.7 1.5 181.7 18.410- 6 안동영양 1997 우선 837.7 84.1 10.0 552.2 65.9 46.3 5.5 155.0 18.510- 7 의성 1999 우선 766.3 3.5 0.5 321.6 42.0 156.5 20.4 284.6 37.110- 9 청송 1997 일반 462.8 47.0 10.2 305.4 66.0 37.3 8.1 73.1 15.810-10 청송 1999 우선 440.0 253.5 57.6 97.4 22.1 5.3 1.2 83.9 19.110-11 포항 1997 우선 744.5 38.2 5.1 476.0 63.9 5.7 0.8 224.6 30.210-13 청송영천 1998 우선 412.6 16.7 4.1 296.6 71.9 5.9 1.4 93.4 22.610-14 군위영천 1998 우선 628.6 19.8 3.1 360.2 57.3 74.8 11.9 173.8 27.710-17 대구군위 1998 우선 714.7 107.4 15.0 369.5 51.7 11.6 1.6 226.2 31.610-18 대구달성 1997 우선 1,012.5 54.3 5.4 463.4 45.8 80.7 8.0 414.1 40.910-26 창녕밀양 1998 우선 1,054.6 55.0 5.2 493.0 46.8 16.2 1.5 490.4 46.5합계 합계 합계 합계 44,308.6 7,803.6 17.6 19,416.0 43.8 2,176.1 4.9 14,912.9 33.7

Page 10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2 -

4. 생태계 변화관찰 대상지역 등급도

4.1. 작성방법

환경부에서 제시한 100곳의 생태계 변화관찰 대상지역에 대한 지역별 판별방법은 크게 현장조사와 문헌조사, 문헌조사와 전문가 면담에 의한 방법으로 < 그림 Ⅴ-9 >과 같은 흐름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하는 100개 지역의 경계설정을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4게절 이상의 조사와 검증을 거쳐 최종 경계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나, 연구기간이 5개월로 한정되어 있어 주로 문헌조사와 전문가면담에 의하여 경계를 설정하였으며, 특히 앞에서 기술한 경계기준 중 물리적 기준과 식물지리적 기준을 적용하여 경계를 설정하였다. 경계설정시 일차적인 기준은 도로가 되었으며, 다음으로 하천을 경계기준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경계 설정 시 가능한 한 민가 지역은 제척시키도록 하였으나, 불가피한 경우는 포함시켰다. 위와 같은 원칙에 의해 설정된 대상지역별 경계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구축하는 생태․자연도에서 최종적으로 검증하는 단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계설정 원칙 및 기준제시

경계기준 확정

필요시 현장검증

경계기준 적용문헌조사 및 전문가(조사단)

면담

< 그림 Ⅴ-9 > 경계기준설정

Page 10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3 -

4.2. 작성내용 및 분석결과

4.2.1. 대상지역 개요

100개의 생태계 변화관찰 대상지역을 표시한 것은 < 그림 Ⅴ-10 >과 같으며, 이를 유형별로 정리한 것은 < 표 Ⅴ-7 >과 같이 산림 38개지역, 하천 21개지역, 섬 9개지역 등 총 100개 지점이다.

< 그림 Ⅴ-10 > 대상지점 분포도

Page 10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4 -

100개의 대상지역은 생태계 변화관찰 지침에 의하여 지역별로 1년내지 2년동안 조사된 지역으로 각 지역별 생태계 현황, 법정보호종, 기타 주요생물종 및 특기사항이 조사되어 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생태․자연도 작성지침에 따라 등급을 설정하였으며, 등급별 경계를 설정하였다. 관리청별로는 원주지방환경관리청이 28개소로 가장 많으며, 전주지방환경관리청이 8개소로 가장 적으며, 경인지방환경관리청, 금강환경관리청, 낙동강환경관리청, 대구지방환경관리청은 13개소이다.

< 표 Ⅴ-7 > 대상지점 분류

산림 농지 산지습지 하천 강하구 호소 석호 갯벌 해안 섬 합계

경인지방환경관리청 4 1 1 1 2 1 3 13

금강환경관리청 4 3 1 1 1 1 2 13

낙동강환경관리청 5 1 1 1 3 2 13대구지방

환경관리청 7 4 1 1 13영산강

환경관리청 5 1 2 1 3 12원주지방

환경관리청 10 1 1 11 5 28전주지방

환경관리청 3 2 1 1 1 8총합계 38 1 4 21 4 7 5 5 6 9 100

4.2.2. 대상지역별 판별기준

현장조사는 각각의 유형과 지역별 안배를 감안하여 < 표 Ⅴ-7 >과 같이 18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계설정원칙과 기준에 의해 설정된 지역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장 사례대상이 많은 산림유형, 하천유형은 3개소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섬지역은 대부분 전체지역이 대상으로 선정되어 현장조사에서 제외되었다.

Page 10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5 -

< 표 Ⅴ-8 > 지역별 판별방법문헌조사,

현장조사 및 검증문헌조사 및조사단 면담 합계

산 림 3 35 38농 지 0 1 1

산지습지 3 1 4하 천 3 18 21강 하 구 2 2 4호 소 1 6 7석 호 3 2 5갯 벌 2 3 5해 안 1 5 6

섬 0 9 9합 계 18 82 100

4.2.2.1. 경인지방환경관리청 : 13개지역

경인지방환경관리청은 13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9 >와 같다.

< 표 Ⅴ-9 > 경인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1 포천 백운산,광덕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임상도 3영급이상 또는 녹지자연도 8

등급이상․맹꽁이의 주 서식처인 수철저수지와

풍세천 포함

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

2 경기 광주 태화산 산림 ․지형도상 산을 둘러싸는 도로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

3 한강 밤섬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사구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

Page 10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6 -

< 표 Ⅴ-9 > 경인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게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4 반월 칠보산 산지습지

․지형도상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지역으로 도로가 경계

․수계를 포함

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5 미금 백봉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

․인접 산(봉우리)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

6 강화도 남단 갯벌 갯벌

․철새도래지로서 적합한 인근 갯벌 포함․갯벌의 경계는 수심을 고려하여 수로

의 중앙을 선택․갯벌과 인접한 농경지, 염전, 양식장

포함․간척지인 경우 간척지 포함․2차선 포장도로 이하의 도로(비포장)

를 포함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환경부, 2000)

7 전호산 산림 ․지형도상의 산 전체와 인근 농경지․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

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8 옹진 신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모래사장, 갯벌

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9 웅진 백아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모래사장, 갯벌

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10 백령도 해안 해안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해안 일대

․해안은 물범 서식지를 고려해 설정자연생태계변화관찰

지역보고서

11 시화호 호소

․방조제 내 호소 전체와 갯벌, 사구 포함․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포함․갯벌과 인접한 야산․2차선 포장도로 이하의 도로(비포장)

를 포함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환경부, 2000)

12 한강 하구 강하구

․공유 수면 전체와 강변의 사구, 습지, 초지 포함

․현재 도로 확장이나 준설 등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도 잠재 보전 지역으로 포함

․강 주변의 일부 농경지 및 야산 포함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환경부, 2000)

Page 10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7 -

< 표 Ⅴ-9 > 경인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게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13 남양만 갯벌

․방조제 외부의 갯벌 전체와 내의 남양호 전체

․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일부․갯벌과 인접한 농지․갯벌과 이어진 야산․남양만 주변 하천 유역 (갈대군락을

포함)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환경부, 2000)

4.2.2.2. 원주지방환경관리청

원주지방환경관리청은 28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0 >과 같다.

< 표 Ⅴ-10 >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1 고성 화진포 석호․석호 내부․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야산․석호의 수계와 연결된 해안 모래사장 및

사구 일부

․ 자 연 생태 계 변 화관 찰 지 역보고서․ 전 국 내륙 습 지 조사 지 침 ( 환 경 부 , 2000)

2 평창 가리왕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 자 연 생태 계 변 화관 찰 지 역보고서

Page 10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8 -

< 표 Ⅴ-10 >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3 평창강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4 횡성 압곡리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하천을 포함한 주변 농경지 일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5 삼척 소한천 하천 ․위치 파악 못함

6 정선군 오대천 합류점 하천 ․하천 주변 도로 안쪽

․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7 양양 남대천 황이리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8 두타산, 청옥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9 양평 용문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0 조종천 상류 및명지산, 청계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1 점봉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Page 11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09 -

< 표 Ⅴ-10 >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12 홍천 내면 계곡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13 홍천 계방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4 대암산 용늪 산지습지

․지형도상 산정상부의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지역

․수계를 포함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5 양구 두타연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6 철원평야 농지․지형도 상의 농경지와 절개된 숲․농경지 및 농가와 인접한 완만한 사면

의 야산․농지 주변의 하천과 연결된 소하천

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 (환경부, 2000)

17 평창군 대화, 봉평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8 영월 동강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9 송지호 석호

․석호 내부 및 해안 일대․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야산 및

농경지․석호의 수계와 연결된 해안 모래사장

및 사구 일부

․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겨울철조류동시센서스(환경부, 2000)

Page 11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0 -

< 표 Ⅴ-10 >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20 영랑호 석호

․석호 내부․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야산 및

농경지․석호의 수계와 연결된 해안 모래사장

및 사구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1 청초호 석호

․석호 내부․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야산 및

농경지․석호의 수계와 연결된 해안 모래사장

및 사구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2 경포호 석호

․석호 내부․석호를 둘러싸고 있는 인접한 야산 및

농경지․석호의 수계와 연결된 해안 모래사장

및 사구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3 오십천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4 진동계곡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5 미천골계곡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Page 11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1 -

< 표 Ⅴ-10 > 원주지방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26 양양 포매리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7 원주 주산리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28 인제 내린천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전국내륙습지조사지침(환경부, 2000)

4.2.2.3. 금강환경관리청

금강환경관리청은 13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1 >과 같다.

< 표 Ⅴ-11 > 금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1 천안 광덕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1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2 -

< 표 Ⅴ-11 > 금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2 칠갑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25번국도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3 격렬비열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모래사장, 갯벌․섬 주변 해안 일대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4 금강 미호천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하천 주변 산림 일부․510지방도와 제방을 경계로 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5 금강 옥천유역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기린초가 자랄 수 있는 인접수역주위의

능선부 포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6 영동 민주지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임상도 3영급이상 또는 녹지자연도8등급이상지역

․남생이와 수달의 서식처인 초강천, 저수지 포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7 청원 선도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512번 도로를 경게로 설정

․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한계저수지 포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8 금강하구 강하구

․공유 수면 전체와 갯벌, 습지, 초지 포함․갯벌의 경우 만조시 드러나는 곳․강 주변의 일부 농경지․21번국도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1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3 -

< 표 Ⅴ-11 > 금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9 서산 A․B지구 호소․방조제 내 호소 전체와 갯벌, 사구 포함․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포함․갯벌과 인접한 야산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철 새 동시센서스

10 대호 방조제 갯벌

․철새도래지로서 적합한 인근 갯벌 포함․갯벌의 경계는 수심을 고려하여 수로의 중

앙을 선택․갯벌과 인접한 농경지, 염전, 양식장

포함․인접한 운산1지 포함․간척지인 경우 간척지 포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철 새 동시센서스

11 태안 신두리․학암포 해안

․해안가 갯벌을 포함한 해안 일대․주변 농경지 및 인근 야산․두웅소류지와 인근산지의 사구사면포함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2 보령 삽시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모래사장, 갯벌․섬 주변 해안 일대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3 대전 갑천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금강환경관리청보고(2000)

4.2.2.4. 낙동강 환경관리청

낙동강환경관리청은 12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2 >와 같다.

< 표 Ⅴ-12 > 낙동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1 함양 백운산 산림․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1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4 -

< 표 Ⅴ-12 > 낙동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2 창녕 우포늪 호소․호소 전체․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포함․갯벌과 인접한 야산․67번국도를 경계로 함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3 주남저수지 호소․저수지 전체와 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포함․호소와 인접한 야산․105번국도를 경계로 함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4 함안 여황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5 가지산(울산, 밀양)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생태자연도 평가기준에 해당하는 동물사항이 없으므로 식생평가등급에 따라 설정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6 밀양 천황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생태자연도 평가기준에 해당하는 동물사항이 없으므로 식생평가등급에 따라 설정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7 낙동강 하구(을숙도 일대)

강하구

․공유 수면 전체와 갯벌, 습지, 초지 포함․강 주변의 일부 농경지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8함안 자연늪(대평늪, 질날늪, 유전늪)

호소 ․지형도상 늪지 경계․인근 농경지 포함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1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5 -

< 표 Ⅴ-12 > 낙동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조자료

9 울산 신불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야생동물이 없으므로 식생보전등급평가기준 적용

․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0 무제치늪 산지습지

․지형도상 산 정상부의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지역

․수계를 포함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1 거제시 개안마을 해안 ․지형도상 해안가에 위치한 산림 일대․주변 농경지 및 인근 야산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2 김해 월천․초정리 수로 하천

․지형도상 하천 경계․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

부 및 인근 야산․69번국도을 경계로 함

낙동강환경관리청보고(2000)

4.2.2.5. 대구지방환경관리청

대구환경관리청은 12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3 >과 같다.

< 표 Ⅴ-13 > 대구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

번호 지역명 지역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1 울진군 소광리 산림 ․위치 확인 못함

2 봉화 청량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Page 11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6 -

< 표 Ⅴ-13 > 대구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게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3 봉화 백천계곡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주변 산림 지역 일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4 영일 내연산 산림․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5 주흘산 산림․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6 불영사 계곡 하천 ․지형도상 하천 경계․주변 산림 지역 일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7 울릉도, 독도 섬 ․관련 영상, 스캔맵 부재

8 영덕, 영일 동대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9 대덕산․금대봉 산림․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0 태백산 산림․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1 울진왕피․남대천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및 해안 일대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2 장기곶 등대주변 해안 ․해안가 해안선을 경계로 한 해안 일대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13 대구 달성 습지 하천 ․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

자연생태계변화관찰지역보고서

Page 11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7 -

4.2.2.6. 영산강환경관리청

영산강환경관리청은 12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4 >와 같다.

< 표 Ⅴ-14 > 영산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1 광양 백운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865번도로와 하천․인접한 지리산국립공원과 연계․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2 해남 대둔산․두륜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생태자연도 평가기준에 해당하는 동물사항이 없으므로 식생평가등급에 따라 설정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3 영광 불갑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24번국도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삵의 서식지가 되는 김계제, 구계저수지를 포함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4 승주 조계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호남고속도로와 27번국도, 857번 지방도와 하천

․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5 고흥 팔영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855번지방도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수달이 사는 저수지를 포함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1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8 -

< 표 Ⅴ-14 > 영산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계속)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6 제주 우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해안 일대영산강

환경관리청보고(2000)

7 서귀포 문섬, 범섬,숲섬 일원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해안 일대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8 신안 소흑산도 섬 ․섬 전체를 포함한 주변 해안 일대영산강

환경관리청보고(2000)

9 순천만 갯벌․철새도래지로서 적합한 인근 갯벌 포함․갯벌과 인접한 농경지, 염전 포함․간척지인 경우 간척지 포함․2번국도를 경계로 함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0 고천암호 호소․호소 전체․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및

간척지 포함영산강

환경관리청보고(2000)

11 제주 물영아리 산지습지 ․지형도상 산 정상부 지역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환 경 부 제 주 물 영아 리 오 름 자 연 환 경조사(1999)

12 남해군 남해도(창선도 포함) 해안 ․해안선을 경계로 한 해안 일대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13 복용저수지 호소․저수지 전체․철새도래지로 적합한 인근 농경지 포함․갯벌과 인접한 야산

․영산강환경관리청보고(2000)․ 철 새 동시센서스

4.2.2.7. 전주지방환경관리청 : 8개지역

전주환경관리청은 12개 지역이 해당되며, 경계설정에 이용된 참조자료로는 자연생태계 변화관찰 지역보고서와 자연생태계 기초조사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각 지역별 경계설정기준은 < 표 Ⅴ-15 >와 같다.

Page 12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19 -

< 표 Ⅴ-15 > 영산강환경관리청 관할 대상지역의 경계설정기준 및 참고자료번호 지역명 지역

특성 경계설정기준 참고자료

1 진안 운장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수달의 서식가능서이 있는 운상저수지,

신궁저수지, 봉곡저수지와 학산제를 포함하며, 운장산의 집수역을 포함시킴

전주지방환경관리청 보고(2000)

2 무주 남대천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30번 국도와 제방뚝을 경계로 함

전주지방환경관리청 보고(2000)

3 금강 하구 강하구 ․중복지역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4 완주 동상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5 임실 사선대 하천․하천내 공유수면, 둔치 포함․하천 주변 토지이용(경작지, 마을) 일부․708번 지방도를 경계로 함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6새만금지구( 만 경 강 ․ 동 진강)

갯벌․철새도래지로서 적합한 인근 갯벌 포함․갯벌과 인접한 농경지, 염전 포함․해안 경계는 현재 진행중인 새만금지구

방조제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7 장수 장안산 산림

․산을 둘러싸고 있는 도로와 하천․인접 산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

․생태자연도 평가기준에 해당하는 동물사항이 없으므로 식생평가등급에 따라 설정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8 격포 채석강(곰소만 포함) 해안

․곰소만을 포함한 해안 일대․주변 농경지 및 인근 야산․30번국도를 경계로 함

전주지방환경관리청보고(2000)

Page 12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0 -

Ⅵ. 도첩제작

도첩제작 부분은 V장에서 제작된 기초 생태․자연도를 1:25,000도곽 크기에 따라 < 그림 Ⅵ-1 >과 같이 도첩으로 제작하였다.

< 그림 Ⅵ-1 > 기초 생태․자연도 도첩제작

Page 12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1 -

Ⅶ. 참고문헌

동양문헌송인주, 『베를린 자연보호구역의 현황과 관리』 서울시정개발연구원신준환,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생태지역 구분의 필요성, 자연보존, 1996, 94:32-36.전성우, 정성문,『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연구 Ⅰ:토지피복

분류도 구축을 중심으로』, 199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전성우, 정휘철,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연구 Ⅱ:식생분

류도 구축을 중심으로』, 199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전성우외 2인,『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연구 Ⅲ:습지분류

도 구축을 중심으로』, 200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의정외, “식생지수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997,

6(1):47-54 홍선기, 김동엽,『토지 모자이크: 지역 및 경관생태학』, 2000성균관대학교 출판부.홍선기, 임영득, 中越 信和, 장남기. 2000. 농촌경관 내에서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관 구조와 이질성 및 다양성의 최근변화: 경관의 보전과 복원과의 관련. 한국생태학회 23: (인쇄중)

홍성태,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삼림식생분류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환경부,『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상 :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만들기』, 1995.

환경부, 서울대학교,『도시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 조성기술의 개발』, 1997.

환경부. 2000. 생태․자연도 작성지침.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생태과.

沼田 Z. 1996. 景4生態學. 朝倉書店. 178p.中越 信和. 1995. 景觀のグランドデザイン. 共立出版株式會社. 178p. 鷲谷いずみ, 矢原 徹一. 1997. 保存生態學入門. 文一總合出版. 270p.

Page 12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2 -

서양문헌

Andren, H and P. Angelstam 1988. Eleavated predation rates as an edge effect in habitat islands: experimental evidence. Ecology 69:544-547.

Baret, F. and Guyot, G., Potentials and limits of vegetation indices for LAI and APAR assess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91, 35:l6l-173

Baret, F., Guyot, G., and Major, D., TSAVI: A Vegetation Index Which minimizes soil brightness effects on LAI or APAR estimation, in 12th Canadian Symposium on Remote Sensing IGARSS J990. Vancouver, Canada, 1989, July 10-14.

Bart, J., and E.D. Forsman. 1992. Dependence of northern spotted owls Strix occidentalis caurina on old-growth forests in the western USA. Biological Conservation 62:95-100.

Belovsky, G.E 1987. Extinction Models and mammalian persistence. In Viable populations for conservation. ed by M.E. Soule, pp.35-57. Cama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Benedetti R. and Palol Rossini, On the Use of NDVI Profiles as a Tool for Agricultural Statistics Ⅱ, The Case Study of Wheat Yield Estimate and Forecast in Emilia Romagna, Remote Sensing Environment, 1992, 45:311-326

Carey, A.B., S.P.Horton, and B.L. Biswell. 1992. Northern spotted owls: influence of prey-base and landscape character. Ecological Monographs 62:223-250.

Cox, G.W. 1993. Conservation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352p.

Crippen, R. E., Calculating the Vegetation Index Faste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90, 34:71-73.

Diamond, J.M. 1976. Island biogeography and conservation: Strategy and limitations. Science 193:1027-1029.

Elvidge, C. D. and Z. Chen, Comparison of Broad-Band and Narrow-Band Red and Near-Infrared Vegetation Indices,

Page 12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3 -

Remote Sensing Environment, 1995, 54:38-48.Forman, R.T.T. and S.K. Collinge. 1996. The spatial solution to

conserving biodiversity in landscapes and regions. In R.M. DeGraaf and R.I. Miller (eds.), Conservation of faunal diversity in forested landscapes. Chapman & Hall. pp. 537-568.

Gittleman, J.L., and P.H.Harvey. 1982 Carnivore home-range size, metabolic needs and ecology. Behav.Ecol.Socialbiol.10:57-63.

Goldsmith, F.B. 1991.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temperate communities for conservation. ed by I.F. Spellerberg, F.B. Goldsmith and M.G. Morris. Published for the British Ecological Society b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Haber, W. 1994. System ecological concepts for environmental planning. In F. Klijn (ed.).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Kluwer Academic Publisher, The Netherlands. pp. 49-67.

Hong, S.K. 1999. Cause and consequence of landscape fragmentation and changing disturbance by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mountain landscape system of South Korea. J. Environ. Sci. 11: 181-187.

Huete, A. R., A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88, 25:295-309.

Jack, K. Saunders, JR. 1965. Movements and activities of the lynx in newfoundland. J. of wildlife management, Vol 27(3): 390-400.

Kanfman, Y. J., Tanre, D.,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 (ARVI) for EOS-MODIS, in Proc. IEEE Int. Geosci. and Remote Sensing Symp. '92, IEEE, New York, 1992, 261-270.

Lande, R 1988. Demographic models of the northern spotted owl(strix occientalis caurina). Oecologia 75:601-607

Lande, R and G.F. Barrowclough 1987. Effective population size, genetic variation, and their use in population management. In Viable populations for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Leprieur, C., Verstraete, M.M., Pinty, B., Chehbouni, A.,

Page 12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4 -

'NOAA/AVHRR Vegetation indices : Suitability for Monitoring Fractional Vegetation Cover of the Terrestrial Biosphere, in Proc. of Physical Measurements and Signatures in Remote Sensing, ISPRS, 1994, pp.1103-1110.

Matthews E., Global Vegetation and Land Use : New High-Resolution Data Bases for Climate Studies,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1983, 22:474-487.

Menges, E.L 1990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for an endanged plant. Conservation Biology 5:52-62.

Nakagoshi, N. and M. Hikasa. 1999. The Methodology to assess ecosystems for new law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in Japan. J. Jpn. Soc. 24: 130-136.

Naveh, Z. 1994. From biodiversity to ecodiversity: A landscape-ecology approach to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Restoration Ecol. 2: 180-189.

Newmark, W.D. 1985. Legal and biotic boundaries of western North American natinal Parks: A problem of congruence. Biological Conservation 33:197-208.

Pinty, B. and Verstraete, M. M., GEMI : A Non-Linear index to Monitor Global Vegetation from Satellites, Vegetation, 1991, 101:15-20.

Qi, J., Chehbouni, A., Huete, A. R., and Kerr, Y. H., 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MSAV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94, 48:119-126.

Qi, J., Kerr, Y,, and Chehbouni, A., 'External Factor Consideration in Vegetation Index Development,' in Proc. of Physical Measurements and Signatures in Remote Sensing, ISPRS, 1994, pp.723-730.

Rabinowitz, A. 1990. Notes on the behavior and movements of leopard cats, Felis benalensis, in a dry tropical forest mosaic in Thailand. Biotropoca 22(4):397-403.

Running S. W., Thomas R. Loveland Et al, A Remote Sensing Based Vegetation Classification Logic for Global Land Cover Analysis, Remote Sensing Environment, 1995, 51:39-48.

Page 12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5 -

Soule', M.E. 1987. Viable populations for conservation. Cama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Spellerberg, I.F. 1996. Conservation Biology. Longman. England. 242pp.

Szaro, R.C. and D.W. Johnston. 1996. Biodiversity in Managed Landscapes. Theory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778pp.

Tucker, C. J., 1979, Red and Photographic infra-red Linear Combinations for Monitoring Veget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127-150.

van Dorp, D. and P.F.M. Opdam. 1988. Effects of patch size, isolation and regional abundance on forest bird communities. Landscape Ecol. 1: 59-73.

Wiegand C. L., A. J. Richardson et al., Vegetation Indices in Crop Assess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991, 35:105-119

Zavala, M.A., Oria, J.A., Preserving biological diversity in managed forest: a meeting point for ecology and fores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31, 1995, pp.366-368

Page 12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6 -

부록 1 : 생태․자연도 작성지침

제1장 총칙제1조(목적) 이 지침은 자연환경보전법시행령 제3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국의 자연환경

을 생태․자연도로 작성함에 있어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평가권역”이라 함은 법 제32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전국자연환경조사(‘97~

2002) 실시를 위하여 작성되어진 별표 1의 전국자연환경조사권역을 기준으로 면적․지형․식생상황 등을 고려하여 세분한 권역을 말한다.

2. “습지”라 함은 습지보전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습지를 말한다. 3. “식생”이라 함은 지표면을 덮고 있는 나무, 풀 등의 식물을 말한다. 4. “식생보전등급”이라 함은 식생을 자연성, 희귀성 및 분포상황에 따라 보전가

치를 별표 2와 같이 구분한 등급을 말한다. 5. “녹지자연도등급”이라 함은 녹지의 자연성에 따라 별표 3과 같이 구분한 등급

을 말한다. 6. “임상도”라 함은 수목의 나이(이하 “영급”이라 한다. 임상도에서 영급의 구분

은 별표 4와 같다), 수목 밀도, 식생의 종류 등의 임상 정보를 표시한 지도를 말한다.

7. “특정생물”이라 함은 자연환경보전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을 제외한 동․식물중 보호의 필요성이 있는 별표 5의 생물을 말한다.

8. “지형경관”이라 함은 지질․지형 및 경관을 말한다. 9. “하천”이라 함은 하천법시행령 제4조의 규정에 의한 국가하천, 지방1급하천

및 지방2급하천을 말한다.

제3조(생태․자연도의 축척 등) 생태․자연도는 25,000분의 1의 지형도에 점, 선 또는 면으로 작성한다. 다만,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대하여는 25,000분의 1이상의 지형도로 작성할 수 있

Page 12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7 -

다.

제4조(평가항목) 생태․자연도를 작성하고자 하는 자(이하 “작성자”라 한다)는 생태․자연도의 등

급을 식생, 야생동․식물, 생물다양성 및 지형경관을 기준으로 다음 각호와 같이 평가한다.

1. 식생의 경우 별표 2의 식생보전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다만, 식생보전등급에 대한 자료가 없는 지역의 경우 녹지자연도는 별표 3의 등급, 임상도는 별표 4의 영급(齡級)으로 평가한다.

2. 야생동․식물의 경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호야생동․식물 및 별표 5의 특정생물의 서식현황으로 평가한다.

3. 생물다양성의 경우 산림․습지 및 농경지에 서식하는 전체 생물의 현황으로 평가한다.

4. 지형경관의 경우 지질․지형 및 경관에 대해 보전가치 여부로 평가한다.

제5조(평가의 자료) 작성자는 다음 각호의 자료를 활용하여 생태․자연도를 작성하여야 한다. 1. 식생 : 현존식생도, 녹지자연도, 임상도 등 식생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

료 2. 야생동․식물 :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무인도서 및 습지조사보고서 포함),

철새동시센서스보고서, 조수실태조사보고서 등 야생동․식물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3. 생물다양성 :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철새동시센서스보고서, 조수실태조사보고서, 습지조사보고서 등 생물다양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4. 지형경관 :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관련 조사연구보고서 등 지형경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5. 기타 항공사진, 위성자료 등 생태․자연도의 작성을 위해 필요한 자료

제6조(등급평가의 최소면적) 생태․자연도 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최소면적은 62,500㎡ 이다. 다만, 생태적․

역사적․문화적․자연적으로 중요한 식생, 야생동․식물 및 지형경관 등의 경우에는 그 이하의 면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7조(등급평가의 방법)

Page 12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8 -

①생태․자연도 등급을 평가할 때 평가권역 내의 평가대상에 대하여만 평가를 한다. 다만, 평가대상이 2이상의 평가권역에 걸쳐 있는 경우에는 그 걸쳐진 평가권역을 포함하여 평가할 수 있다.

②하천의 등급평가는 수계중심으로 하되 다음 각호의 1의 방법에 따라 평가한다. 1. 하천의 본류․지류 1개 지점만 평가한 경우에는 그 지점의 평가등급을 하천의

본류․지류 전 구간의 등급으로 한다. 2. 하천의 제1차 지류에서 평가한 경우 그 등급을 그 이상의 지류 (제1차․제2

차․제3차 등의 지류) 전 구간의 등급으로 한다. 제2차 및 그 이상의 지류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다.

3. 하천의 본류․지류 2개이상의 지점을 평가하여 각 지점의 등급이 서로 다를 경우 거리상 중간에서 등급을 구분한다.

제8조(표지) 작성자는 생태․자연도를 작성할 때 식생,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호야생동․

식물, 특정생물 및 지형경관의 표지를 만들어 생태․자연도에 범례로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장 생태․자연도작성위원회제9조(생태․자연도작성위원회) 환경부장관은 생태․자연도 등급의 평가 및 동일 등급의 경계획정(劃定) 등 생

태․자연도 작성을 위하여 생태․자연도작성위원회 (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설치한다.

제10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생태․자연도 등급 평가에 관한 사항 2. 생태․자연도에서 동일 등급의 경계획정에 관한 사항 3. 기타 생태․자연도 작성에 관한 사항

제11조(위원회의 구성) ①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위원장은 자연보전국장이 되며, 위원은 식생, 야생동식물, 생물다양성 및 지형

Page 13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29 -

경관 등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전문가 또는 공무원 중에서 환경부장관이 위촉한다.

③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고, 담당공무원의 경우 당해직에 재직하는 기간으로 한다.

제12조(소위원회의 구성․운영) ①위원회는 생태․자연도 작성의 전문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위원회의 산하

에 분야별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소위원회는 10인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소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장이 지명하는 자로 한다.

②소위원회는 외부 전문가를 참석하게 하여 의견을 들을 수 있다.

제13조(회의) ①위원회의 회의는 위원장이 소집하며, 위원장이 그 의장이 된다. ②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3분의 2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

다.

제14조(간사) ①위원회의 서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위원회에 간사 1인을 둔다. ②간사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자로 한다.

제15조(운영세칙) 본 지침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는 위원회에서 별도로 정할 수 있다.

제3장 생태․자연도 등급의 평가기준제16조(생태․자연도 1등급 기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생태․자연도 1등급으로 평가한다. 1. 식생 가. 식생보전등급을 평가한 지역은 식생보전 Ⅴ등급 또는 Ⅳ등급에 해당하는

지역 나. 식생보전등급을 평가하지 않은 지역은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 또는 자연식

생으로 임상도 4영급이상에 해당하는 지역

Page 13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0 -

2. 야생동․식물 가. 멸종위기야생동물 중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

향노루, 크낙새, 장수하늘소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 나. 가목의 생물을 제외한 멸종위기야생동물 및 보호야생동물의 출현 빈도가

높은 지역 또는 번식이 확인된 지역 다.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보호야생식물의 군락지 라. 특정동물의 대규모 서식지 및 특정식물의 군락지

3. 생물다양성 가. 산림의 경우 멸종위기야생동물 또는 보호야생동물이 5종이상 서식하는 지

역으로서 식생이 식생보전 Ⅲ등급, 임상도 3영급 또는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인 지역

나. 습지의 경우 (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이 3종이상 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과 보호야생

동․식물이 6종이상 서식하는 습지 (2) 물새 20,000마리이상 또는 물새 한 종의 개체수의 1%이상이 정기적으

로 도래하는 습지 (3) 조사지점에서 어류가 20종이상 서식하거나 특정어류가 5종이상 서식하

는 습지 (4) 어류의 산란장 또는 생육장 등으로 중요한 습지와 회유성 어류의 이동통

로․산란장인 습지 (5) 해안무척추동물이 50종이상 또는 해조류가 35종이상 서식하는 습지 (6) 습지인 농경지의 경우 가) 멸종위기야생동물이 2종이상 또는 멸종위기야생동물과 보호야생동물

이 4종이상 서식하는 농경지 나) 철새 10,000 마리이상 또는 철새 한 종의 개체수의 1%이상이 정기

적으로 도래하는 농경지

4. 자연환경보전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해 실시된 자연환경조사결과 지형경관이 V등급인 지역

5. 식생․야생동식물 및 지형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각종 보호지역, 국제협약․기구에 등록된 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을 위한 국가간 협력사업 대상지역

Page 13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1 -

6. 생태적․역사적․문화적․자연적으로 중요한 식생․야생동․식물 및 지형경관

제17조(생태․자연도 2등급 기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생태․자연도 2등급으로 평가한다.

1. 식생보전 Ⅲ등급에 해당하는 지역과 임상도 2영급이상에 해당하는 지역

2. 야생동․식물 가. 멸종위기야생동물 또는 보호야생동물이 서식하는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의 경계로부터 2,000m이내의 산림․습지 및 농경지 나. 멸종위기야생식물ㆍ보호야생식물 또는 특정동물이 생육․서식하는 생태․

자연도 1등급 권역의 경계로부터 1,000m이내 지역의 산림․습지 및 농경지

다. 특정식물이 생육하는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의 경계로부터 250m이내의 산림․습지 및 농경지

3. 생물다양성 가. 산림의 경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또는 보호야생동․식물 2종이 서식하는

경우의 임상도 1영급 지역 나. 습지의 경우 (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이 2종이내 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과 보호야생

동․식물이 2~5종 서식하는 습지 (2) 물새 5,000~20,000 마리가 정기적으로 도래하는 습지 (3) 어류가 11~19종 서식하거나 특정어류 2~4종 서식하는 습지 (4) 해안무척추동물이 21~49종 또는 해조류가 16~34종 서식하는 습지 (5) 습지인 농경지의 경우 가)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이 포함된 농경지 나) 멸종위기야생동물이 1종 또는 보호야생동물이 2~3종 서식하는 농경

지 다) 철새 1,000~10,000 마리가 정기적으로 도래하는 농경지 라) 조류의 대량 서식으로 생태․자연도 1등급으로 평가된 습지의 경계로

부터 1,000m이내의 농경지 및 산림

제18조(생태․자연도 3등급의 기준)

Page 13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2 -

생태․자연도 1등급 권역, 2등급 권역을 제외한 지역을 생태․자연도 3등급 권역으로 평가한다.

제19조(별도관리지역에 대한 생태․자연도 작성) 작성자는 별도관리지역에 대하여도 필요한 경우 생태․자연도를 작성할 수 있다.

부 칙이 지침은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Page 13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3 -

< 별표 1 > 전국자연환경조사권역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2002년)는 자연환경보전법 제32조에 의해 매 10년마다 실시하고 있는 사업으로 제1차 조사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실시하였다. 제2차 조사는 1차 조사결과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고 자연환경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전국 생태․자연도 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2차 조사의 특징인 권역 구분은 전국을 육지와 해안선으로 크게 구분하고, 육지는 백두대간(산)을 중심으로, 해안선은 해안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즉, 육지의 경우 전국을 자연․생태적 특성, 산줄기와 하천의 분포, 지역의 크기 및 상호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11개 대권역 206개 소권역으로 구분하였고, 해안선의 경우 해안생물의 구계, 해양환경의 특성 및 행정구역의 경계를 고려하여 6개 대권역 145개 소권역으로 구분하였다.

< 그림 ) 자연환경조사권역도

Page 13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4 -

< 별표 2 > 식생보전등급

등급 수직식생대 상 관 녹지자연도 주요 식생유형

고산대 고산대관목림/고산대초원 10 고산히이드, 풍충초원, 눈밭식생, 자연초

원, 암극식생아고산대 아고산대초원 10 자연초원산지대 산지대초원 10 자연초원, 풍충초원, 고경초원

구릉대-산지대 암벽식생 10 암벽의 식생군락

각 식생대 공통 습원 10 저층습원, 중간습원, 고층습원〃 습지식생 10 자연습지지역의 식생군락〃 수생식물군락 10 부엽·침수식물군락, 달뿌리풀군락, 물억새군락 등〃 염소지식생 10 거머리말군락, 퉁퉁마디-지채군락, 해홍

나물-갯질경군락 등〃 사구식생 10 해당화군락, 갯마늘-통보리사초군락, 갯

금불초군락 등〃 석회암지식생 10 회양목군락, 측백나무군락 등〃 해안초본식생 10 해안변의 초본식생군락〃 해안단애식생 10 해안절벽의 식생군락〃 자연나지 10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지

고산대 고산대관목림 9 들쭉나무군락, 월귤-눈잣나무군집아고산대 아고산침엽수림 9

분비나무-가문비나무군목/분비나무-가문비나무군단, 구상나무군단 소속의 군집 및 군락

〃 아고산하록활엽수림 9 사스레나무군락/자작나무군락

〃 아고산하록활엽수이차림 9 사스레나무군락 등

산지대 산지하록활엽수림 9 당단풍-신갈나무군목/생강나무군단 소속의 군집 및 군락

〃 산지침엽수림 9 전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 산지계곡림 9 느티나무군락 등〃 산지습성림 9 느릅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등〃 산지하천변림 9 개키버들군락 등〃 산지풍충암각지

관목림 9 설악눈주목군락, 흰참꽃군락 등〃 산지하록활엽수

이차림 9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등구릉대 상록활엽수림 9 동백나무군강/모밀잣밤나무군단 소속의

군집 및 군락〃 계곡림 9 느티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등〃 상록해안풍충관목림 9 돈나무-졸가시나무군집, 사철나무-돈나무군집 등〃 하반림, 습성림 9 팽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등〃 저지대하천변림 9 왕버들군락, 선버들군집, 갯버들군집 등

Page 13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5 -

< 별표 2 > 계속

등급 수직식생대 상 관 녹지자연도 주요 식생유형

산지대 하록활엽수림 8 신갈나무군락 등구릉대-산

지대 상록침엽수림 8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등구릉대 상록활엽수이차림 8 구실잣밤나무 및 정가시나무맹아림/약령림

구릉대-산지대 하록활엽수이차림 7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개서어나무, 자작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 등

구릉대-산지대 상록침엽수이차림 7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등

산지대 산지선구성관목림 7 붉은병꽃나무군락 등구릉대 대나무림 7 죽순대군락, 왕대군락 등

산지대-아고산대 이차초원 5 억새초원 등

각 식생대 공통

하록활엽수림상록침엽수림 7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갈참나무

군락, 소나무군락 등〃 상록침엽수조림 6 소나무, 곰솔, 편백, 측백, 삼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구상나무조림 등〃 낙엽침엽수조림 6 일본잎갈나무조림 등〃 상록활엽수조림 6 녹나무조림 등〃 낙엽활엽수조림 6 상수리나무, 밤나무조림 등

구릉대 조릿대초원, 군락 5 조릿대류군락구릉대 임연성관목-덩

굴군락 5 산과 마을 등 경계지역의 관목-덩굴군락구릉대 이차초원 5 억새초원구릉대 이차관목림 5 교란지역에서 관목림군락

각 식생대 공통 벌채지군락 4 벌채지에서의 식물군락〃 휴경지잡초군락 4 미경작지에서의 잡초군락 〃 이차초원 4 잔디초원, 왕포아풀군락〃 길가잡초군락 4 칡-환삼덩굴군락, 쑥군락〃 휴경지 4 망초군락, 개망초군락 등〃 목초지 4 목장이나 목초 재배지〃 과수원 3 사과나무, 배나무 등의 각종 과수원〃 농경지 2 논, 밭 등의 경작지

Page 13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6 -

< 별표 3 > 녹지자연도 등급의 구분 녹지자연도

등급 구분1등급 시가지: 녹지식생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지구2등급 농경지: 논 또는 밭등의 경작지구3등급 과수원: 경작지이나 과수원, 묘포지 등과 같이 비교적 녹지 식생의

분량이 우세한 지구4등급 2차초원(A): 잔디군락이나 인공초지(목장) 등과 같이 비교적 식생의

키가 낮은 2차적으로 형성된 초원지구5등급 2차초원(A): 갈대, 조릿대군락 등과 같이 비교적 식생의 키가 높은

2차 초원지구6등급 조림지: 각종 활엽수 또는 침엽수의 식생지구7등급 2차림: 1차적으로 2차림이라 불리우는 대생식생지구8등급 2차림: 원시림 또는 자연림에 가까운 2차림지구 (소위 장령림으로

20-50년생)9등급 자연림: 다층의 식물사회를 형성하는 천이의 마지막에 이르는

극상림지구10등급 고산자연초원: 자연식생으로서 고산성 단층의 식물사회를 형성하는

지구

< 별표 4 > 임상도에서 영급의 구분

영급 구분 수목의 나이1영급 1~10년생2영급 11~20년생3영급 21~30년생4영급 31~40년생5영급 41~50년생6영급 51~60년생

Page 13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7 -

< 별표 5 > 특정생물

1. 포유류대 상 종 (22종) 큰발윗수염박쥐, 고슴도치, 제주땃쥐, 쇠큰수염박쥐, 검은토끼박쥐, 긴날개박쥐(긴가락박쥐), 뿔박쥐(관코박쥐), 무산흰족제비, 긴꼬리윗수염박쥐, 오소리, 갈밭쥐, 큰첨서, 큰수염박쥐, 긴꼬리수염박쥐, 아무르박쥐, 우수리박쥐, 안주애기박쥐, 멧박쥐, 대구양박쥐, 참긴귀박쥐, 뿔박쥐, 쇠고래

2. 조류대 상 종 (90종) <종(species)> 개개비사촌, 검은등뻐꾸기, 검은딱새, 금눈쇠올빼미, 꾀꼬리, 노랑때까치, 되지빠귀, 두견이, 들꿩, 따오기, 매사촌, 먹황새, 무당새, 물레새, 물총새, 민댕기물떼새, 밀화부리, 바다꿩, 바다쇠오리, 바위종다리, 발구지, 벙어리뻐꾸기, 북방쇠찌르레기, 붉은가슴흰죽지, 붉은배새매, 붉은왜가리, 붉은해오라기, 뻐꾸기, 뿔논병아리, 뿔종다리, 뿔호반새, 새매, 섬개개비, 소쩍새, 솔부엉이, 솔잣새, 쇠검은머리쑥새, 쇠뜸부기사촌, 쇠부리도요, 쇠부엉이, 쇠칼새, 쏙독새, 알락뜸부기, 알락쇠오리, 염주비둘기, 오색딱다구리, 왕새매, 원앙, 원앙사촌, 청딱다구리, 청호반새, 칡부엉이, 칼새, 큰논병아리, 큰물떼새, 큰소쩍새, 큰오색딱다구리, 큰회색머리아비, 파랑새, 학도요, 한국뜸부기, 할미새사촌, 호반새, 홍여새, 황조롱이, 회색머리아비, 흑로, 흑비둘기, 흰가슴숲제비, 흰기러기, 흰날개해오라기, 흰눈썹황금새, 흰부리아비, 흰줄박이오리, 뿔매, 헨다슨매, 흰올빼미 <집단서식지> 괭이갈매기, 쇠제비갈매기, 슴새, 바다제비, 민물가마우지, 가마우지, 해오라기, 황로, 중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왜가리, 흰물떼새.

3. 양서파충류대 상 종 (22종)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물두꺼비, 도마뱀붙이, 도마뱀, 표범장지뱀, 실뱀, 대륙유혈목이, 비바리뱀, 자라, 제주도롱뇽, 수원청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산개구리(북방산개구리),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계곡산개구리, 북도마뱀, 바다거북, 장수거북, 가죽거북

Page 13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8 -

4. 어류대 상 종 (61종)철갑상어, 칼상어, 무태장어, 연준모치, 버들가지, 금강모치, 납줄개, 모샘치, 가는돌고기, 점몰개, 어름치, 꾸구리, 돌상어, 얼룩새코미꾸리, 북방종개, 종개(낙동강), 종어, 열목어, 연어, 둑중개(낙동강), 남방동사리, 구굴무치, 좀구굴치, 숨이망둑, 미유기, 말뚝망둥어, 칠성장어, 쌀미꾸리, 드렁허리, 버들붕어, 왜매치, 금강모치, 연준모치, 한둑중개, 중고기, 참중고기, 됭경모치, 새미, 버들매치, 큰납지리, 싱어, 왜몰개(낙동강), 눈불개, 대황어, 쉬리, 여울마자, 배가사리, 수수미꾸리, 남방종개, 동방종개, 밀자개, 송어, 산천어, 등줄숭어, 가시고기, 잔가시고기(낙동강, 형산강), 둑중개, 사백어, 제주모치망둑, 짱뚱어, 황복

5. 곤충대 상 종 (154종)가는실잠자리, 강도래붙이, 강변길앞잡이, 강하루살이, 개야길앞잡이, 고운점박이푸른부전나비, 광대노린재, 그물강도래, 그물강도래붙이, 금강산귤빛부전나비, 긴다리소똥구리, 긴다리호랑꽃무지, 긴촉각범하늘소, 꼬리강도래, 꼬마강도래, 꼬마넓적사슴벌레, 꼬마민강도래, 꼬마붙이검정풍뎅이, 꽃매미, 나비잠자리, 남해우리딱장벌레, 넓은가슴강도래, 넓적송장벌레, 네눈박이송장벌레, 노란실잠자리, 노란측범잠자리, 노란허리잠자리, 녹색강도래, 닮은애호랑하늘소, 닮은털보하늘소, 대구잎벌레, 대만왕사슴벌레, 대왕노린재, 대왕팔랑나비, 덕유멋조롱박딱장벌레, 두눈강도래, 두점하루살이, 둥근꼬리민강도래, 루리송곳벌, 마틴피에라똥풍뎅이, 먹그림나비, 먹나비, 멀구슬애기잎말이나방, 무늬강도래, 무늬반디하늘소, 무늬하루살이, 물방개, 물장군, 뭉퉁강도래, 민날개강도래, 민다리뿌리잎벌레, 민무늬강도래, 바다소금쟁이, 파파리반딧불이, 애반딧불이, 운문산반딧불이, 북방반딧불이, 왕꽃반딧불이, 꽃반딧불이, 늦반딧불이, 큰흑갈색반딧불이, 밤오색나비, 뱀잠자리, 부산풍뎅이, 부채장수잠자리, 북방각시하늘소, 북방점박이푸른부전나비, 불개미, 뿔소뚱구리, 사슴벌레부치, 사슴풍뎅이, 사슴하늘소, 산부전나비, 삼새민강도래, 삼줄강도래, 소나무비단벌레, 알밤색하늘소, 애강도래, 애민무늬강도래, 애호랑나비, 얼룩강도래붙이, 얼룩민강도래, 여린녹색강도래, 오렌지빛애기잎말이나방, 왕나비, 왕노린재, 왕딱정벌레, 왕사슴벌레, 왕소똥구리, 왕오색나비, 왜메추리강도래, 우수리물명나방, 울도하늘소, 유리창나비, 작은녹색부전나비, 장수말벌, 장수풍뎅이, 점등무늬강도래, 점박이알락명나방, 점박이잎벌레, 제주그물눈검정풍뎅이, 제주잎벌레, 제주풍뎅이, 진강도래, 집게강도래, 짧은꼬리민강도래, 참나무하늘소, 창언조롱박먼지벌레, 청줄하늘소, 총채민강도래, 큰곰보하늘소, 큰등그물강도래, 큰물자라, 큰수리팔랑나비, 큰점박이푸른부전나비,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토우민강도래, 한국강도래, 한국큰그물강도래, 한라산큰두꺼비딱정벌레, 홍색알락나방, 홍줄노린재, 황갈물명나방, 흰점노랑물명나방, 물땡땡이

Page 14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39 -

5. 곤충(계속)대 상 종 (154종)반날개하늘소, 은점박쥐나방, 노랑연줄애기잎말이나방, 황띠애기잎말이나방, 흑점무늬애기잎말이나방, 큰점애기잎말이나방, 젤러리원뿔나방, 회식점원뿔나방, 선비들명나방, 흰눈박이검은들명나방, 은빛들명나방, 붉은머리비단명나방, 붉은무늬알락명나방, 왕물결나방, 큰주홍부전나비, 암어리표범나비, 금빛어리표범나비, 큰은점선표범나비, 흑백알락나비, 어리세줄나비, 작은송장벌레, 무늬검정송장벌레, 작은무늬송장벌레, 굽은넓적송장벌레, 노랑털검정반날개, 왕반날개, 검정반날개, 금딱지검정반날개, 재빛난날개

6. 담수무척추동물대 상 종 (16종) 플라나리아, 산골플라나리아, 장님플라나리아, 콩조개(콩재첩), 구슬알다슬기, 산골조개, 도끼조개, 옆새우류*, 징거미새우, 가재, 동남참게, 애기참게, 남방참게, 참게, 큰논우렁이, 염주알다슬기 ※ 옆새우류* : 많은 종이 있으나 편의상 1종으로 계산

7. 식물( )는 종수

과 명 대 상 종 (338종)석송과 (3종) 좀다람쥐꼬리, 줄석송, 개석송

고사리삼과(2종) 다시마고사리삼, 산고사리삼풀고사리과(1종) 암풀고사리처녀이끼과(3종) 수염이끼, 누운괴불이끼, 괴불이끼고사리과(4종) 돌잔고사리, 돌토끼고사리, 비고사리, 큰반쪽고사리

물고사리과(1종) 물고사리꿩고사리과(1종) 섬꿩고사리

면마과(13종)두메우드풀, 검정개관중, 가는쇠고사리, 좀쇠고사리, 톱지네고사리, 좀사다리고사리, 가는잎처녀고사리, 개톱날고사리, 검정비늘고사리, 섬잔고사리, 암고사리, 산비늘고사리, 거꾸리개고사리

새깃아재비과(1종) 새깃아재비꼬리고사리과(6종) 눈썹고사리, 선녀고사리, 숫돌담고사리, 쪽잔고사리, 수수고사

리, 지느러미고사리

Page 14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0 -

7. 식물(계속)과 명 대 상 종 (338종)

고란초과(8종) 나사미역고사리, 밤일엽, 밤잎고사리, 큰고란초, 층층고란초, 숟갈일엽, 버들일엽, 주걱일엽

일엽아재비과(2종) 일엽아재비, 섬일엽아재비주목과(1종) 설악눈주목

소나무과(4종) 눈잣나무, 섬잣나무, 잎갈나무, 솔송나무측백나무과(2종) 눈측백, 측백나무삼백초과(1종) 약모밀

버드나무과(4종) 황철나무, 쪽버들, 들버들, 제주산버들소귀나무과(1종) 소귀나무자작나무과(2종) 덤불오리나무, 두메오리나무참나무과(1종) 너도밤나무

느릅나무과(2종) 비술나무, 왕느릅나무쐐기풀과(5종) 제주큰물통이, 우산물통이, 복천물통이, 펠리온나무, 털긴잎모

시풀마디풀과(8종) 물여뀌, 가는범꼬리, 이른범꼬리, 눈범꼬리, 참개싱아, 왕호장

근, 큰옥매듭풀, 이삭마디풀명아주과(1종) 바늘명아주자리공과(1종) 섬자리공석죽과(8종) 가는동자꽃, 제비동자꽃, 분홍장구채, 한라장구채, 가는다리장

구채, 끈끈이장구채, 울릉장구채, 개벼룩수련과(2종) 왜개연꽃, 가시연꽃

미나리아재비과(13종)세바람꽃, 좁은잎사위질빵, 분홍할미꽃, 섬노루귀, 국화바람꽃, 홀아비바람꽃, 회리바람꽃, 쌍동이바람꽃, 바람꽃, 큰제비고깔, 백부자, 승마, 만주바람꽃

매자나무과(1종) 삼지구엽초목련과(2종) 목련, 흑오미자

녹나무과(1종) 녹나무양귀비과(1종) 매미꽃현호색과(6종) 좀현호색, 섬현호색, 갈퀴현호색, 난장이현호색, 점현호색, 흰현호

색십자화과(6종) 왜갓냉이, 벌깨냉이, 참고추냉이, 구슬갓냉이, 섬바위장대, 애기장

대돌나물과(3종) 대구돌나물, 애기기린초, 태백기린초

Page 14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1 -

7. 식물(계속)과 명 대 상 종 (338종)

범의귀과(7종) 도깨비부채, 톱바위취, 가지괭이눈, 헐떡이풀, 애기물매화, 꼬리말발도리, 바늘까치밥나무

장미과(25종)

왕벚나무, 너도양지꽃, 채진목, 이노리나무, 지리터리풀, 나도국수나무, 눈양지꽃, 제주양지꽃, 섬개벚나무, 산복사, 시베리아살구나무, 섬벚나무, 생열귀나무, 흰인가목, 둥근인가목, 검은딸기, 가시딸기, 오엽딸기, 단풍딸기, 섬딸기, 긴오이풀, 당마가목, 떡조팝나무, 덤불조팝나무, 나도양지꽃

콩과(14종)털새동부, 왕자귀나무, 탐라황기, 자주황기, 정선황기, 꽃싸리, 해녀콩, 잔디갈고리, 비진도콩, 선연리초, 솔비나무, 들완두, 달구지풀, 등

쥐손이풀과(3종) 삼쥐손이, 섬쥐손이, 좀쥐손이원지과(2종) 원지, 병아리다리대극과(2종) 낭독, 조도만두나무

시로미과(1종) 시로미노박덩굴과(1종) 섬회나무단풍나무과(2종) 산겨릅나무, 우산고로쇠갈매나무과(3종) 청사조, 먹넌출, 돌갈매나무담팔수과(1종) 담팔수

다래나무과(1종) 섬다래제비꽃과(2종) 선제비꽃, 큰졸방제비꽃

팥꽃나무과(2종) 피뿌리풀, 아마풀바늘꽃과(1종) 분홍바늘꽃

두릅나무과(3종) 산삼, 땃두릅나무, 섬오갈피나무산형과(10종) 털기름나물, 서울개발나물, 가는바디, 갯강활, 등대시호, 왜방

풍, 독미나리, 섬바디, 제주피막이, 반디미나리매화오리나무과(1종) 매화오리

진달래과(7종) 들쭉나무, 꼬리진달래, 산진달래, 흰참꽃, 참꽃나무, 산매자나무, 월귤

앵초과(4종) 뚜껑별꽃, 참좁쌀풀, 홍도까치수영, 금강봄맞이노린재나무과(2종) 섬노린재, 검은재나무때죽나무과(1종) 좀쪽동백나무

물푸레나무과(7종) 만리화, 산개나리, 제주광나무, 상동잎쥐똥나무, 버들쥐똥나무, 섬쥐똥나무, 꽃개회나무

용담과(6종) 닻꽃, 비로용담, 조름나물, 좀어리연꽃, 대성쓴풀, 큰잎쓴풀

Page 14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2 -

7. 식물(계속)과 명 대 상 종 (338종)

협죽도과(1종) 개정향풀지치과(1종) 산지치꿀풀과(4종) 전주물꼬리풀, 가는잎향유, 흰꽃광대나물, 섬쥐깨풀현삼과(7종) 구름송이풀, 민구와말, 등포풀, 애기물꽈리아재비, 만주송이풀,

섬꼬리풀, 선주름잎참깨과(1종) 수염마름열당과(1종) 개종용쥐꼬리망초과(2종) 방울꽃, 물잎풀꼭두서니과(3종) 중대가리나무, 수정목, 긴잎갈퀴인동과(6종) 말오줌나무, 줄댕강나무, 털댕강나무, 각시괴불나무, 섬괴불나

무, 구슬댕댕이마타리과(2종) 돌마타리, 넓은잎쥐오줌풀산토끼꽃과(1종) 산토끼꽃초롱꽃과(5종) 진퍼리잔대, 섬잔대, 섬초롱꽃, 금강초롱꽃, 홍노도라지

국화과(17종)산흰쑥, 단양쑥부쟁이, 섬쑥부쟁이, 눈갯쑥부쟁이, 버들잎엉겅퀴, 물엉겅퀴, 동래엉겅퀴, 흰잎엉겅퀴, 민망초, 금혼초, 왜솜다리, 개머위, 사창분취, 금강분취, 제주진득찰, 긴갯금불초, 갯금불초

흑삼릉과(1종) 긴흑삼릉자라풀과(1종) 자라풀벼과(9종) 좀새풀, 왕김의털, 큰달뿌리풀, 선포아풀, 섬포아풀, 청포아풀,

섬조릿대, 장억새, 물잔디

사초과(11종)진퍼리사초, 층실사초, 여우꼬리사초, 청피사초, 장성사초, 좀도깨비사초, 갈사초, 화산곱슬사초, 무등풀, 층층고랭이, 작은황새풀

천남성과(4종) 대반하, 우산천남성, 앉은부채, 애기앉은부채

백합과(12종)섬말나리, 칠보치마, 실꽃풀, 한라돌창포, 돌창포, 흑산도비비추, 다도해비비추, 큰원추리, 날개하늘나리, 큰솔나리, 층층둥굴레, 연령초

수선화과(1종) 문주란붓꽃과(3종) 부채붓꽃, 난장이붓꽃, 솔붓꽃

난초과(16종)방울난초, 주름제비난, 큰제비난, 한라천마, 제주무엽란, 청닭의난초, 개미난초, 차걸이난, 자란, 흑난초, 참나리난초, 두잎약난초, 탐라난, 비자란, 거미난, 나비난초

Page 14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3 -

8. 해안생물

가. 특정 해안무척추동물분류군 대 상 종 (233종)

해면동물 주황해변해면, 보라해면, 검정해변해면, 황록해변해면, 회색해변해면자포동물 곤봉히드라, 민테히드라, 검정꽃해변말미잘, 측해변말미잘, 담황줄말미

잘, 갈색꽃해변말미잘, 풀색꽃해변말미잘, 태평양꽃해변말미잘태형동물 자주빛이끼벌레, 셋방가시이끼벌레, 한구멍이끼벌레완족동물 개맛, 세로줄조개사돈성구동물 뿔별벌레

연체동물

줄군부, 군부, 애기털군부, 마대오분자기, 오분자기, 장수삿갓조개, 애기삿갓조개, 둥근배무래기, 개울타리고둥, 밤고둥, 구멍밤고둥, 명주고둥, 팽이고둥, 보말고둥, 눈알고둥, 갈고둥, 황해비단고둥, 비단고둥, 대추귀고둥, 총알고둥, 큰뱀고둥, 갯고둥, 댕가리, 대수리, 두드럭고둥, 피뿔고둥, 왕좁쌀무늬고둥, 포도고둥, 민챙이, 군소, 검은테군소, 굴, 토굴, 진주담치, 민들조개, 개량조개, 동죽, 가리맛조개, 맛조개, 대맛조개, 돌고부지, 떡조개, 백합, 가무락조개, 갈색새알조개, 살조개, 바지락, 애기바지락, 일본재첩, 낙지, 주꾸미, 큰구슬우렁이, 기수갈고둥, 둥근얼룩총알고둥, 좁쌀무늬총알고둥, 따가리, 비단군부, 좀털군부, 참털군부, 털군부, 낮은구멍삿갓조개, 진주배말, 애기배말, 호롱애기배말, 두드럭배말, 애기두드럭배말, 배무래기, 흰삿갓조개, 구멍밤고둥, 각시고둥, 얼룩고둥, 두줄얼룩고둥, 깨알밤고둥, 산팥알고둥, 분홍유리고둥, 좁쌀무늬총알고둥, 둥근얼룩총알고둥, 가는줄깨고둥, 빨강기수우렁이, 기수우렁이, 동다리, 검정비틀이고둥, 비틀이고둥, 갯비틀이고둥, 점갯고둥, 침배고둥, 뚱뚱이짚신고둥, 갯우렁이, 어깨뿔고둥, 맵사리, 뿔두드럭고둥, 보살고둥, 빗살무늬무륵, 검은줄좁쌀무늬고둥, 두드럭갯민숭달팽이, 고랑딱개비, 꽃고랑딱개비, 피조개, 새꼬막, 꼬막, 흑인대복털조개, 복털조개, 털담치, 격판담치, 굵은줄격판담치, 종및, 왜홍합, 개굴잠쟁이, 꼬마돌사리조개, 파도가재더부사리조개, 왜접시조개, 농조개, 짝돌속살이조개, 갈색새알조개, 말뿌리꼬마우럭, 우줄기, 운모조개

환형동물

가는석회관갯지렁이, 우산석회관갯지렁이, 석회관갯지렁이, 굵은석회관갯지렁이, 동그라미석회관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눈썹참갯지렁이, 흰이빨참갯지렁이, 치로리미갑갯지렁이, 경남넓적발참갯지렁이, 넓적발참갯지렁이, 짧은미륵비늘갯지렁이, 원참갯지렁이, 깃발다리참갯지렁이, 깨점박이참갯지렁이, 얼룩염주발갯지렁이, 굵은앞더듬이참갯지렁이, 참갯지렁이, 실참갯지렁이, 네모부채발갯지렁이, 괴물유령갯지렁이, 마당비유령갯지렁이, 털보집갯지렁이, 긴다리송곳갯지렁이, 긴자락송곳갯지렁이, 노란솜털갯지렁이, 바위털갯지렁이, 고리털갯지렁이, 가는실타래갯지렁이, 명주실타래갯지렁이, 홍점갯지렁이, 납작얼굴갯지렁이, 모자갯지렁이

Page 14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4 -

가. 특정 해안무척추동물(계속)분류군 대 상 종 (233종)

절지동물

조무래기따개비, 검은큰따개비, 거북손, 고랑따개비, 얼룩모래무지벌레, 제주잔벌레, 갯가잔벌레, 낙동잔벌레, 둥근아가미바다대벌레, 뾰족머리바다대벌레, 짧은채찍해조숨이옆새우, 긴채찍해조숨이옆새우, 긴털모래옆새우, 두가시육질꼬리옆새우, 네모손멜리타옆새우, 발성육질꼬리옆새우, 태평양참옆새우, 무늬발게, 풀게, 사각게, 바위게, 꽃부채게, 뿔물맞이게, 엽낭게, 달랑게, 길게, 범게, 그물무늬금게, 칠게, 농게, 민꽃게, 방게, 참방게, 세스랑게, 펄털콩게, 넓적콩게, 도둑게, 말똥게, 참게, 동남참게, 참집게, 긴발가락참집게, 쏙붙이, 쏙, 가재붙이, 금게, 그라비새우, 붉은줄참새우, 줄새우아재비, 홈발딱총새우, 딱총새우, 자주새우

극피동물 별불가사리, 아므르불가사리, 긴팔거미불가사리, 짧은가시거미불가사리, 말똥성게, 둥근성게, 보라성게, 돌기해삼, 가시닻해삼, 거진꼬리해삼, 파우손모조해삼

척색동물 미더덕

나. 특정 해안식물분류군 대 상 종 (63종)

하등식물(해조류)

매생이, 그레빌레홑파래, 참홑파래, 잎파래, 모란갈파래, 구멍갈파래, 염주말, 솜대마디말, 흐린대마디말, 참깃털말, 떡청각, 청각, 패, 넓패, 바위두둑, 불레기말, 미역쇠, 고리매, 바위수염, 가위갯쇠털, 미역, 감태, 참그물바탕말, 부챗말, 삼나무말, 외톨개모자반, 뜸부기, 톳, 알쏭이모자반, 모자반, 괭생이모자반, 지충이, 잇바디돌김, 둥근돌김, 참국수나물, 우뭇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개우무, 참산호말, 작은구슬산호말, 미끌지누아리, 참도박, 개도박,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참곱슬이, 참가시우무, 꼬시래기, 부챗살, 진두발, 돌가사리, 마디잘록이, 참사슬풀, 굵은석묵, 비단풀사촌, 잇바디가지, 갈고리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 새우말,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류

분류군 대 상 종 (12종)고등식물 칠면초, 퉁퉁마디, 갈대, 통보리사초, 갯그령, 순비기나무, 모래지치, 갯

질경, 지채, 갯방풍, 모감주나무, 번행초

Page 14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5 -

부록 2 : 생태계 변화관찰 대상지역 적용사례

1. 산 산림지역의 습지 및 철새도래지는 도로와 하천이 일차적인 경계가 되며, 정상을 기준으로 일정거리에 접해있는 모든 수계를 포함하는 집수역과, 집수역을 포함하는 능선을 기준으로 집수역이 최소3-5개 이상, 최대 10-15개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인접한 산과의 경계는 하천과 능선을 기준으로 나누었으며, 영일내연산과 영덕 영일 동대산 인접지역의 적용사례는 < 그림 Ⅱ-8 >과 같다.

< 그림 Ⅱ-8 > 산 사례(5-4 영일 내연산과 5-8 영덕, 영일 동대산 인접 지역)

2. 농지 습지중 유일하게 농지로 구분된 철원평야는 전적으로 조사자의 조사에 의존하였으며, 철새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경계로 설정하였으며, 경계설정시

Page 14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6 -

가능한한 인가가 있는 지역은 배제하였다. 농지사례를 철원평야지역에 적용한 사례는 < 그림 Ⅱ-9 >와 같다.

< 그림 Ⅱ-9 > 농지 사례(2-16 철원평야)

3. 산지습지 산지습지는 그 규모가 매우 작으며, 경계를 지도화하기 매우 곤란하다. 구체적인 지명과 위치에 의존하여 경계를 설정하며, 그 완충범위를 현장조사에 의존하여 설정하였다. 산지습지인 사례지역인 무제치늪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동․웅촌면에 위치한 정족산(해발 700m) 북동부 능선을 따라 양측의 완만한 경사의 계곡에 발달하고 있는 늪지대로 10곳이 확인되었으며, 탄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연대측정에 의하면 약 6,000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무제치습원이 위치한 정족산 일대에는 습지형식물 50종을 포함해서 257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식생유형은 억새-소나무군락, 졸참나무-은방울꽃군락, 오리나무군락, 진퍼리새-큰방울새난군락, 바늘골-끈끈이주걱군락, 골풀-사마귀풀군락 등이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제치늪에 적용한 사례는 < 그림 Ⅱ-10 >과 같다.

Page 14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7 -

< 그림 Ⅱ-10 > 산지습지 사례(4-10 무제치늪)

4. 하천 일반 하천은 공유수면과 하천 내 내륙습지를 포함하는 강둑과 제방을 경계로 설정하였다. 완충지역은 주변의 영향범위에 따라 이격거리를 설정하였으며, 대부분 농경지가 완충지역에 포함되었다. 사례적용 하천인 내린천은 해발 고도가 높고 하천의 경사도가 급하며 유속이 빠른 편이다. 하상은 기반암과 자갈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량이 많고 어류상이 풍부한 청정수역이다. 하천지역인 인제 내린천에 적용한 것은 < 그림 Ⅱ-11 >과 같다.

Page 14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8 -

< 그림 Ⅱ-11 > 하천사례(2-28 인제 내린천)

5. 강하구 하구지역의 경우 Ⅰ등급은 공유수면, 간척지로 하였으며, Ⅱ등급은 그 외 농경지 및 산림 지역으로 경계를 설정하였다. 경계지역의 설정 시 시가화지역은 도로와 기타 지형구조를 감안하여 제외하였다. 사례적용지역은 남양만 지역으로 해안선 대부분이 제방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약 5~10m는 사질로 되어 있으나, 이외에는 모두 갯벌이다. 주변에 대단위 오염 배출원이 없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철조망으로 인하여 갯벌이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받고 있다. 이를 지도화 한 사례는 남양만 지역으로 < 그림 Ⅱ-12 >와 같다.

Page 15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49 -

< 그림 Ⅱ-12 > 하구 사례(1-13 남양만지역)

6. 호소 호소의 경우 공유수면과 간척지가 우선적으로 경계에 포함되었다. 완충지역은 호소의 현황에 따라 경계를 설정하였으며, 대부분 농경지와 산림이 포함되었다. 호소사례를 적용한 시화호는 방조제가 건설되기 전에는 200㎢ 의 갯벌이 펼쳐져 있던 지역이었으나 1994년 12.4㎞의 방조제가 건설되면서 경기만 외해와 격리되어 형성되었다. 처음에는 농업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조성되었으나 주변 도시와 공단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해 자정능력을 잃고 오염이 심각해져 담수화를 포기하게 되었으며, 담수화 포기로 차츰 생태계의 기능을 찾아가고 있다. 시화호에 적용한 것은 < 그림 Ⅱ-13 >과 같다.

Page 15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0 -

< 그림 Ⅱ-13 > 호소 사례(1-11 시화호)

7. 석호 석호의 경우 공유수면이 Ⅰ등급이 되며, 그 주변의 농경지와 해안이 완충지역으로 설정되었다. 완충지역 설정 시 민가, 산림, 도로가 일차적인 경계가 되었다. 해안의 경우 동해안은 해안으로부터 약 500m이내가 되며, 서해안의 경우는 간조시 노출되는 갯벌을 포함하여 갯벌이 나눠지는 수로의 중앙 또는 갯벌 바깥쪽 수심 약 3m까지를 경계로 설정하였다. 석호 사례적용지역인 영랑호는 속초시 영랑동 서북쪽 1km 지점에 동서로 길게 놓여 있는 석호로 야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둘레가 7.8km, 수심이 8.5m(만수시 15m)이다. 수로가 동해와 통해 있어 폭풍이 몰아쳐 해일이 일어나면 해수가 넘쳐들어 민물고기뿐만 아니라 바닷고기도 많이 서식한다. 청초호는 강원도 속초시 청초동 일대에 있는 자연석호로 수심 3.1-4.7m 이며 완전 폐쇄되지 않고 항아리 모양으로 생겼는데 자루의 주머니 모양을 한 어귀쪽은 동해에 잇대어 있다. 설악동에서 발원한 소야천이 청초호로 유입되며 속초시의 도시하수와 호반에 널려진 소규모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공장폐수, 고깃배에서 나오는 유류 등이 유입되어 오염이 심화되었다. 이전에는 숭어, 감성돔, 황어, 전어, 청어와 같은 바닷고기의 산란장이었지만 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적조현상이 일어나거나 기형의 물고기가 잡

Page 15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1 -

히기도 한다. 영랑호와 청초호에 적용한 것은 < 그림 Ⅱ-14 >와 같다.

< 그림 Ⅱ-14 > 석호사례(2-20 영랑호, 2-21 청초호)

8. 갯벌과 해안 해안 및 섬지역의 경우 습지기준은 RAMSA 기준에 따르면 육지로부터 6m 거리의 수역, 수심을 고려하여 설정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동해안과 서해안의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데 곤란하다. 동해안의 경우 해안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수심이 급격히 깊어지는 반면, 서해안의 경우는 갯벌이 발달하여 해안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수심은 완만하게 변하며,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드러나는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여 동해안의 경우는 해안선으로 부터 약 500m를 경계로 설정하였으며, 서해안의 경우는 간조시 노출되는 갯벌을 포함하여 갯벌이 나눠지는 수로의 중앙 또는 갯벌 바깥쪽 수심 약 3m까지를 경계로 설정하였다. 이를 지도화 한 것은 장기곶 등대주변의 < 그림 Ⅱ-15 >와 강화도 남단갯벌의 < 그림 Ⅱ-16 >

Page 15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2 -

과 같다.

< 그림 Ⅱ-15 > 5-12 장기곶 등대주변

< 그림 Ⅱ-16 > 1-6 강화도 남단 갯벌

9. 섬 섬의 경우 섬 전체를 포함하며, 해안 경계는 갯벌 및 해안과 같다. 섬의 사례적용

Page 15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3 -

지역인 삽시도의 해안지형은 주로 간석지와 사빈, 해안사구, 암석해안으로 구성되어 있어 섬 전체가 독특한 자연경관을 지니고 있다. 특별한 오염원이 없고 갯벌을 이용한 양식업도 활발하지 않아서 우리 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지역으로 생물다양성 및 풍부성이 상당히 높다. 섬의 사례를 보령 삽시도에 적용한 것은 < 그림 Ⅱ-17 >과 같다.

< 그림 Ⅱ-17 > 섬 사례(1-8 보령 삽시도)

Page 15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4 -

1. 송지호, 경포호, 화진포호

< 송지호 주변의 식생들은 대규모 산불이후 조림되고 있음 >

2. 경포호

< 경포호 도로변의 갈대군락, 호안 점이대가 대규모 유락시설로 단절됨 >

3. 화진포

Page 15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5 -

< 화진포 주변의 토지이용 갈대군락 인접 경작지 및 내수면 >

4. 대구 달성습지

< 천이과정에 있는 하천변 식생주변의 토지이용과 하천변의 대규모 경작지 >

5. 점봉산 계곡

Page 15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6 -

6. 강화도 남단

Page 15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7 -

< 강화도 화도면 여차리 철새도래지 갯벌로 인공제방으로 둘러싸여 있음 >

< 인공제방 안쪽의 갈대군락 >

Page 15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8 -

< 화도면 장화리, 여차리 일대의 경관 경작지 주변에서 일부 갈대군락이 서식함 >

남양만

< 인공제방에 의해 점이대가 단절된 해안습지와 주변 소나무 식생경관 >

Page 16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59 -

< 남양만으로 유입되는 하천, 내륙습지와 해안습지의 인위적 경계 >

< 농업기반공사를 위한 방조제 내부 >

Page 16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0 -

< 방조제 밖의 갯벌 경관 >

< 방조제 내부의 매립 예정지, 현재는 갯벌로 남아있음 >

Page 16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1 -

부록 3 : 산림부문 생물다양성

● 생물다양성 산림부문 1등급 평가단위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1-1큰까치봉 7 고니, 구렁이, 까치살모사, 저어새, 큰고니, 혹고니,

흰꼬리수리1-6 가리봉 7 남생이,담비,삵,수달,올빼미,하늘다람쥐,호랑이1-6 가칠봉 7 가막딱다구리,담비,말똥가리,수달,여우,올빼미,하늘다

람쥐1-6 점봉산 8 가막딱다구리,반달가슴곰,사향노루,산양,수달,올빼미,

하늘다람쥐,한계령풀1-6 한석산 5 담비,사향노루,수달,올빼미,하늘다람쥐1-11만월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11소계방산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사향노루, 산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1-11오대산 10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

양,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11운계봉 13 고니,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물수리, 삵, 새

홀리기, 수달, 잿빛개구리매, 참매, 큰고니, 하늘다람쥐1-11철갑령 10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사향노루, 산양, 삵, 새홀

리기,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1-11황병산 10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삵, 소똥구리, 수달, 하늘다람쥐1-12덕수산 8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늑대, 담비, 삵, 새홀리기, 수

달, 여우1-12봉복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수달, 하늘다람쥐1-12아미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새홀리기1-12흥정산, 회령봉 9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벌매, 삵, 새홀

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13공작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수달, 하늘다람쥐1-13무장봉 5 까치살모사, 삵, 수달, 올빼미, 하늘다람쥐1-13발교산 5 가막딱다구리, 말똥가리, 삵, 잿빛개구리매, 하늘다람쥐1-13어답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벌매, 삵, 수달, 잿빛개구리매1-13응봉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1-15매봉산 6 까치살모사, 담비, 산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1-20백운산 7 검독수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새홀리기, 여우,

표범1-23남태봉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1-23석고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벌매, 삵, 수달1-23용두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

Page 163: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2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1-23치악산 7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

달, 수리부엉이2-1구룡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여우, 하늘

다람쥐2-1비룡산 9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산

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2-1왕두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삵, 새홀리기, 큰말똥가리2-1청옥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

다람쥐2-1태백산 9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산

양, 새홀리기, 수리부엉이, 하늘다람쥐2-3대마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2-3박봉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2-3소백산 15

가막딱다구리, 검독수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 새홀리기, 수달, 수리부엉이, 여우, 올빼미, 하늘다람쥐

2-3용산봉 10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

2-3응방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2-3형제봉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수달, 수리

부엉이, 하늘다람쥐2-4도솔봉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산양,

삵, 수달2-5학가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새홀리기, 여우3-6덕유산 5 까치살모사, 삵, 수달, 표범, 하늘다람쥐3-10감악산 8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여우, 표범, 하늘다람쥐,

호랑이3-10관술령 6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3-10망일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수달, 여우3-10송의산 7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 여우3-10정수산 8 까치살모사, 남생이, 늑대, 담비, 매, 삵, 여우, 표범3-10황매산 6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4-7관음산 6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삵, 여우, 호랑이4-7대승봉 5 담비, 사향노루, 삵, 수달, 여우4-7명성산 9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산양, 삵, 수달, 여우, 하늘다

람쥐, 호랑이4-7보장산 10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산양, 삵, 새홀리기, 수달, 여

우, 하늘다람쥐, 호랑이4-15기간봉 5 독수리, 말똥가리, 재두루미, 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6-11가야산 10 개구리매, 말똥가리, 뿔종다리, 삵, 삼광조, 새홀리

기, 수달,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큰말똥가리6-11일월산 6 삵, 삼광조, 새홀리기, 알락개구리매, 여우, 잿빛개구

리매

Page 164: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3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7-6 석봉산 5 담비,말똥가리,삵,수리부엉이,큰덤불해오라기7-16 운장산 5 구렁이,까치살모사,담비,삵,수달7-18성수산 6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8-13도솔봉 8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매, 새홀리기, 수달, 올

빼미, 하늘다람쥐8-13둥주리봉 5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삵8-13백운산 8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매, 사향노루,

삵, 하늘다람쥐8-13용계산 5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잿빛개구리매9-4여항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붉은박쥐, 삵9-4연화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붉은점모시나비, 삼광조10-5백암산 6 까치살모사, 담비, 산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10-10비봉산 6 까치살모사, 사향노루, 삵, 수달, 수리부엉이, 하늘다

람쥐10-10주왕산 8 구렁이, 까치살모사, 사향노루, 산양, 삵, 수달, 수리

부엉이, 표범10-10태행산 6 까치살모사, 삵, 수달, 수리부엉이, 표범, 하늘다람쥐10-17가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10-26종남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말똥가리, 삵

Page 165: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4 -

● 생물다양성 산림부문 2등급 평가단위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1-1매봉산 2 구렁이, 까치살모사1-1칠절봉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솜다리1-1큰까치봉 7 고니, 구렁이, 까치살모사, 저어새, 큰고니, 혹고니,

흰꼬리수리1-1향로봉 3 까치살모사, 솜다리, 큰연령초1-6 북암령인근 4 가막딱다구리,말똥가리,수달,올빼미1-10방태산 2 산작약, 올빼미1-11계방산 4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새홀리기1-11만월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11소계방산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사향노루, 산양, 삵, 수

달, 하늘다람쥐1-11오대산 11 구렁이, 까치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담비, 반달가슴

곰, 사향노루, 산양,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11운계봉 13

고니,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물수리, 삵, 새홀리기, 수달, 잿빛개구리매, 참매, 큰고니, 하늘다람쥐

1-11철갑령 10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사향노루, 산양, 삵, 새홀리기,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

1-11황병산 10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산양, 삵, 소똥구리, 수달, 하늘다람쥐

1-12덕수산 8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늑대, 담비, 삵, 새홀리기, 수달, 여우

1-12맹현봉 3 담비, 말똥가리, 삵1-12봉복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수달, 하늘다람쥐1-12아미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새홀리기1-12태기산 2 말똥가리, 하늘다람쥐1-12흥정산, 회령봉 10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벌매, 삵, 새홀

리기, 수달, 큰연령초, 하늘다람쥐1-13공작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수달, 하늘다람쥐1-13무장봉 6 까치살모사, 삵, 수달, 올빼미, 하늘다람쥐, 황기1-13발교산 5 가막딱다구리, 말똥가리, 삵, 잿빛개구리매, 하늘다

람쥐1-13어답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벌매, 삵, 수달, 잿빛개구리매1-13응봉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 황기1-15깍근봉 4 담비, 삵, 수달, 하늘다람쥐1-15도일봉 4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여우1-15매봉산 6 까치살모사, 담비, 산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1-15장약산 2 담비, 삵1-16중미산 2 까치살모사, 말똥가리1-20가리왕산 4 말똥가리, 새홀리기, 참매, 큰연령초1-20금당산 2 새홀리기, 수달

Page 166: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5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1-20백운산 7 검독수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새홀리기, 여

우, 표범1-23감악봉 2 까치살모사, 삵1-23남태봉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1-23석고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벌매, 삵, 수달1-23용두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1-23죽림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1-23치악산 7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

수달, 수리부엉이1-291234고지 2 수리부엉이, 올빼미1-29고양산 2 노랑무늬붓꽃, 올빼미1-29기우산 4 사향노루, 새홀리기, 수리부엉이, 연잎꿩의다리1-30덕정산 2 새홀리기, 솔나리1-30두타산 2 올빼미, 천마2-1구룡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여우, 하

늘다람쥐2-1비룡산 9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산

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2-1왕두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삵, 새홀리기, 큰말똥가리2-1청옥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삵, 새홀리기, 수달, 하

늘다람쥐2-1태백산 13

구렁이, 기생꽃, 까치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산양, 새홀리기, 수리부엉이, 자주솜대, 하늘다람쥐, 한계령풀

2-2문수산 4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2-2선달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천마2-2어래산 2 말똥가리, 삵2-3대마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

쥐2-3박봉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

2-3소백산 17가막딱다구리, 검독수리, 구렁이, 까치, 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늑대,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 새홀리기, 수달, 수리부엉이, 여우, 올빼미, 자주솜대, 하늘다람쥐

2-3용산봉 10 가막딱다구리,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

2-3응방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하늘다람쥐2-3형제봉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수달, 수

리부엉이, 하늘다람쥐2-4도솔봉 10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산양,

삵, 솔나리, 수달, 천마2-5봉수산 2 까치살모사, 삵2-5와룡산 3 구렁이, 삵, 새홀리기

Page 167: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6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2-5용두산 4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 새홀리기2-5천등산 3 까치살모사, 늑대, 삵2-5학가산 7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새홀리기, 여우, 천마2-6 월악산 6 망개나무,사향노루,삵,새홀리기,솔나리,하늘다람쥐2-6 박달산 3 말똥가리,삵,새홀리기2-6 주흘산 2 삵,잿빛개구리매2-6 박달산 3 말똥가리,삵,새홀리기2-6황장산 2 새홀리기, 천마2-13선도산 4 삼광조, 새홀리기, 천마, 팔색조2-16국사봉 2 매, 참매3-1금오산 3 삵, 세뿔투구꽃, 솔나리3-6거칠봉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사향노루3-6덕유산 7 까치살모사, 삵, 수달, 자주솜대, 천마, 표범, 하늘

다람쥐3-6적상산 2 수달, 천마3-8 백운산 2 담비,삵3-8 장안산 2 산작약,삵3-8 삼봉산 2 담비,삵3-10감악산 8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여우, 표범, 하늘다람쥐,

호랑이3-10관술령 6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3-10망일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늑대, 삵, 수달, 여우3-10송의산 7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

여우3-10정수산 8 까치살모사, 남생이, 늑대, 담비, 매, 삵, 여우, 표범3-10황매산 7 까치살모사, 늑대, 담비, 삵, 수달, 여우, 천마4-4가덕산 2 까치살모사, 새홀리기4-4계관산 3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새홀리기4-4삼악산 2 까치살모사, 새홀리기4-4화악산 3 말똥가리, 새홀리기, 참매4-7관음산 6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삵, 여우, 호랑이4-7대승봉 5 담비, 사향노루, 삵, 수달, 여우4-7명성산 9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산양,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

쥐, 호랑이4-7보장산 10 늑대, 담비, 사향노루, 산양, 삵, 새홀리기, 수달, 여

우, 하늘다람쥐, 호랑이4-9운길산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새홀리기4-9천마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잿빛개구리매4-9축령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4-11소요산 2 새홀리기, 천마4-15기간봉 5 독수리, 말똥가리, 재두루미, 잿빛개구리매, 큰기러기5-1양자산 4 삵, 새홀리기, 천마, 하늘다람쥐5-11계양산 2 말똥가리, 매5-11무수산 2 검은머리물떼새, 새홀리기

Page 168: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7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5-12마니산 4 매화마름, 삵, 여우, 잿빛개구리매6-3동림산 3 말똥가리, 삵, 수리부엉이6-3만뢰산 2 말똥가리, 삵6-3성거산 4 늑대, 말똥가리, 삵, 새홀리기6-11가야산 10 개구리매, 말똥가리, 뿔종다리, 삵, 삼광조, 새홀리

기, 수달,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큰말똥가리6-11수덕산 4 말똥가리, 뿔종다리, 산양, 큰말똥가리6-11일월산 6 삵, 삼광조, 새홀리기, 알락개구리매, 여우, 잿빛개

구리매6-12봉화산 3 말똥가리, 수리부엉이, 잿빛개구리매6-12청룡산 4 말똥가리, 새홀리기,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7-6 천호산 2 고란초,삵7-7미륵산 2 고란초, 삵7-16 구봉산 2 까치살모사,삵7-16안수산 2 삵, 하늘다람쥐7-18성수산 6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수달, 여우, 하늘다람쥐7-20고리봉 2 구렁이, 말똥가리7-20천황산 4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7-20풍악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8-7방장산 2 남생이, 삵8-7소요산 3 남생이, 삵, 새홀리기8-7수련산 2 남생이, 호랑이8-8군유산 3 말똥가리, 삵, 알락개구리매8-8봉화령 3 까치살모사, 벌매, 삵8-8불갑산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삵8-8태청산 4 개구리매, 대흥란, 매, 벌매8-12수리봉 3 까치살모사, 삵, 여우8-12희아산 3 남생이, 담비, 수달8-13도솔봉 8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매, 새홀리기, 수달, 올

빼미, 하늘다람쥐8-13둥주리봉 5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삵8-13백운산 11 까치살모사, 나도승마, 남생이, 담비, 말똥가리, 매,

사향노루, 삵, 세뿔투구꽃, 천마, 하늘다람쥐8-13용계산 5 까치살모사, 담비, 말똥가리, 삵, 잿빛개구리매8-16 망일봉 3 구렁이,까치살모사,삵8-31첨찰산 3 까치살모사, 매, 애기등8-33용두산 3 까치살모사, 삵, 수달8-33제암산 3 까치살모사, 삵, 수달8-33황아산 2 삵, 수달8-34 2 잿빛개구리매, 참매9-1신어산 3 고란초, 구렁이, 까치살모사9-2불모산 5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수달, 천마9-4기대산 3 까치살모사, 삵, 수달

Page 169: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8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9-4방어산 2 까치살모사, 삵9-4여항산 8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담비, 붉은박쥐, 삵,

세뿔투구꽃, 천마9-4연화산 6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붉은점모시나비,

삼광조, 세뿔투구꽃9-4월아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9-4천제봉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9-5봉대산 3 남생이, 삵, 새홀리기9-5와룡산 4 까치살모사, 담비, 삵, 여우9-5향로봉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삵9-7계룡산 6 말똥가리, 매, 벌매, 삼광조, 섬천남성, 수달9-7망산 2 고란초, 수달10-5국사당산 2 말똥가리, 삵10-5백암산 7 까치살모사, 담비, 산양, 삵, 솔나리, 수달, 하늘다람쥐10-5운서산 2 까치살모사, 삵10-5주산 4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삵, 솔나리10-5칠보산 4 삵,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0-5형제봉 2 삵, 하늘다람쥐10-6일월산 2 남생이, 삵10-6청량산 2 남생이, 올빼미10-6홍림산 2 까치살모사, 남생이10-9구암산 5 구렁이, 노랑무늬붓꽃, 말똥가리, 솔나리, 수달10-10무포산 3 삵, 수달, 수리부엉이10-10비봉산 6 까치살모사, 사향노루, 삵, 수달, 수리부엉이, 하늘

다람쥐10-10주왕산 14 구렁이, 까치살모사, 사향노루, 산양, 삵, 수달, 수리

부엉이, 연잎꿩의다리, 표범10-10태행산 8 까치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둥근잎꿩의비름, 삵, 수

달, 수리부엉이, 표범, 하늘다람쥐10-11내연산 9 고란초, 노랑무늬붓꽃, 담비, 둥근잎꿩의비름, 망개

나무, 산작약, 삼광조, 수달, 올빼미10-11도음산 2 담비, 삵10-11바데산 5 담비, 둥근잎꿩의비름, 망개나무, 산양, 수달10-11비학산 2 담비, 매10-11침곡산 3 담비, 매, 수달10-13고모산 4 구렁이, 담비, 삵, 하늘다람쥐10-13기룡산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수달10-13보현산 5 까치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담비, 삵, 수달10-13수석봉 3 새홀리기, 수달, 하늘다람쥐10-14방가산 3 남생이, 늑대, 삵10-17가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말똥가리, 사향노루, 삵10-17도덕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10-17매봉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10-17봉화산 3 구렁이, 까치살모사, 삵10-17팔공산 4 까치살모사, 노랑무늬붓꽃, 말똥가리, 삵

Page 170: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69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10-18비슬산 3 사향노루, 하늘다람쥐, 호랑이10-18선의산 2 삵, 하늘다람쥐10-18청룡산 4 깽깽이풀, 늑대, 삵, 수달10-26대니산 3 구렁이, 남생이, 수달10-26영취산 2 구렁이, 까치살모사10-26종남산 5 구렁이, 까치살모사, 남생이, 말똥가리, 삵10-26화악산 3 까치살모사, 남생이, 삵

Page 171: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70 -

● 생물다양성 산림부문 3등급 평가단위평가단위 종수 분포종

1-15 용문산 1 하늘다람쥐1-20 백석산 1 수달1-20 백적산 1 표범1-20 삿갓봉 1 가막딱다구리1-26 금수산 1 수리부엉이1-30 상월산 1 천마2-2 풍락산 1 삵2-5 나부산 1 천마2-6 사봉 1 천마2-6 하설산 1 하늘다람쥐2-6 계명산 1 삵2-13 구룡산 1 호랑이2-13 구여산 1 삼광조2-13 인경산 1 팔색조2-18 백학산 1 참매3-8 사두봉 1 수달4-5 강씨봉 1 참매4-5 광덕산 1 하늘다람쥐4-5 백운산 1 산작약4-9 개위산 1 호랑이4-9 백봉 1 까치살모사5-13 백령도 1 잿빛개구리, 매6-3 운주산 1 새홀리기6-3 환희산 1 늑대6-4 국사봉 1 삵6-9 봉수산 1 수달7-6 봉실산 1 삵7-6 옥녀봉 1 담비7-13 경각산 1 까치살모사7-13 오봉산 1 말똥가리7-16 702고지 1 수달7-17 만덕산 1 수달7-17 묵방산 1 말똥가리7-18 내동산 1 가창오리7-20 교룡산 1 말똥가리8-6 경수산 1 참매8-6 금정산 1 삵8-7 문수산 1 새홀리기8-13 국사봉 1 수달8-16 백이산 1 까치살모사8-16 운동산 1 삵8-18 팔영산 1 새홀리기8-25 돈대산 1 말똥가리8-25 삼암봉 1 남생이8-26 상은적산 1 삵

Page 172: webbook.me.go.kr/DLi-File/019/129375.pdf · 2015-10-30 · 에 의하면, “생태․자연도는 산, 하천,

- 171 -

평가단위 종수 분포종8-33 오봉산 1 애기등9-5 무량산 1 삵9-2 보배산 1 까치살모사10-1 응봉산 1 삵10-7 건지봉 1 남생이10-7 백자봉 1 삵10-7 봉암산 1 담비10-7 천등산 1 말똥가리10-14산정봉 1 삵10-14선암산 1 수달10-17환성산 1 삵10-18병풍산 1 까치살모사10-18학일산 1 수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