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저소득가구의 특성과 소득 및 지출 실태 2016.6.27.(월) 황 선 자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6.6.27.(월) 황 선 자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6.6.27.(월) 황 선 자

저소득가구의 특성과 소득 및 지출 실태

2016.6.27.(월)

황 선 자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Page 2: 2016.6.27.(월) 황 선 자

- 1 -

제1장 들어가며

-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

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최저임금법 제1조).

• 법정 최저임금의 영향률은 2016년 기준 『경제활동인구조사부가조사』에 의하면

임금노동자의 18.2%,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에 의하면 8.7%로 나타남(<표

1> 참조).

<표 1> 최저임금영향률1)(1인 이상 전산업 기준) (단위: 천명, %)

주: 1) 최저임금영향률이란 새로이 적용될 최저임금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추

정되는 대상근로자의 비율(예측치)임. 영향률=대상근로자수/적용대상임금근로자수*100

2) 동일한 시계열간 자료비교를 위해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 기준 2003년 이후, 고용형태별근로

실태조사는 2009년 이후 자료임.

출처: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http://www.minimumwage.go.kr/stat/statEffect.jsp)

- 최저임금법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최저임금의 결정기준으로 ‘근로자의 생계비,

유사 근로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및 소득분배율 등을 고려’하여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음(제저임금법 제4조1항).

• 그러나 가장 핵심적 기준인 ‘근로자의 생계비’는 적극적으로 고려되거나 반영되지

않고 있음. 최저임금 심의시 근로자의 생계비는 참고용으로만 고려되고 있을 뿐이

고 그마저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에 기초하고 있음.

•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 조정안에서도 ‘근로자의 생계비’는 실질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음. 201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을 위해 마련한 공익위원 조정안에서는 활

용 지표로 유사근로자 임금 수준을 반영하는 협약임금인상률, 소득분배 개선분, 그

리고 협상조정분을 사용하였음2).

1) 유의사항 ① 임금상승률 예측치가 낮을수록 임금분포의 우측이동 정도가 작기때문에 최저임금 영향률은 높게

도출됨.

2) 2016년 적용 최저임금 인상률 8.1% = 6월말 기준 협약임금 인상률(4.3%)과 임금인상전망치(4.5%)의 중간값 4.4%

+ 소득분배 개선분 2.1% + 협상조정분 1.6%

연도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적용대상

근로자수혜근로자 영향률

적용대상

근로자수혜근로자 영향률

2016 18,776 3,420 18.2 13,962 1,212 8.7

2015 18,240 2,668 14.6 13,471 804 6.0

2014 17,734 2,565 14.5 12,971 839 6.5

2013 17,510 2,582 14.7 12,588 1,073 8.5

2012 17,048 2,343 13.7 11,889 1,214 10.2

2011 16,479 2,336 14.2 11,214 1,088 9.7

2010 16,103 2,566 15.9 10,867 897 8.3

2009 15,882 2,085 13.1 8,667 442 5.1

Page 3: 2016.6.27.(월) 황 선 자

- 2 -

• 일부에서는 최저임금노동자가 가구내에서 주요소득원이 아닌 보조소득원이라고

주장하며 최저임금의 인상을 반대하고, 최저임금제도의 소득불평등과 근로빈곤 완

화 효과가 크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음.

- 2016년 현재 최저임금은 시급 6,030원, 월급 1,260,270원(209시간 기준)으로

이는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함. 2015년 최저임금 수준은 미혼단신

노동자 생계비의 70% 수준에 불과함.

<표 2>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대비 최저임금 수준 (단위: 원, %)

적용년도

최저임금

미혼단신근로자생계비 최저임금 충족률시간급

월급

(209시간 기준)

2015 5,580 1,166,220 1,673,803 69.7

2014 5,210 1,088,890 1,553,390 70.1

2013 4,860 1,015,740 1,506,179 67.4

2012 4,580 957,220 1,512,717 63.3

2011 4,320 902,880 1,410,748 64.0

2010 4,110 858,990 1,312,755 65.4

2009 4,000 836,000 1,233,419 67.8

- 유엔사회권위원회와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기구에서도 최저임금으로 ‘노동자

와 그 가족의 생활안정’을 위한 임금을 제공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ILO 협약에서는 “최저임금수준 결정에 고려할 요소는 근로자와 가족들의 필요,

경제발전 필요성 및 높은 고용수준유지를 포함한 경제적 요소”라고 명시하고 있

음3). 즉 “당해 국가에서의 일반적 임금수준, 생계비, 사회보장급여 및 다른 사회집

단의 상대적인 생활수준을 고려한 근로자 및 가족의 생활상 필요”를 반영할 것을

명시하고 있음.

- 최저임금의 효과와 ‘근로자의 생계비’, 즉 노동자와 그 가족들의 필요 실태를 제

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노동자가구, 특히 저소득가구의 특성과 소득 및 지출 등

경제적 실태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이에 기초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본고는 최저임금 이하 가구를 비롯한 저소득가구의 특성과 소득 및 지출 등 경제

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2015년 연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함.

• 본고에서는 2015년 연간 『가계동향조사』 자료의 근로자가구를 대상으로 먼저

※ 협상조정분은 소득격차 해소, 소득주도 성장, 소득분배개선, 임금의 양극화 해소, 생계비 충족 등 임금과 관련된

다양한 요구를 암묵적으로 모두 포함되었다고 설명됨.

3) ILO 제131호 협약 [제3조] 국내 관행 및 국내사정에 따라 가능하고 적당한, 최저임금수준의 결정에 있어서는

다음 각호를 포함하여야 한다. ㈎ 당해 국가에서의 일반적 임금수준, 생계비, 사회보장급여 및 다른 사회집단

의 상대적인 생활수준을 고려한 근로자 및 가족의 생활상 필요 ㈏ 경제개발의 필요성, 생산성의 수준 및 높은

수준의 고용을 달성하고 유지함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포함한 경제적 요소

Page 4: 2016.6.27.(월) 황 선 자

- 3 -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특성과 소득․소비 실태를 분석함. 이어 저소득

가구의 특성과 경제적 실태를 분석함. 저소득가구는 근로소득이 2015년 월 최저임

금 이하 가구, 가계지출(생계비)이 2015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 근

로소득이 2015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 그리고 상대적 빈곤가구(소

득이 전체가구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가구)를 중심으로 살펴봄.

제2장 가구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특성과 소득 및 지출 실태

1. 가구당 가구원 수와 취업인원 현황

- 2015년 연간 『가계동향조사』에 의하면, 2인 이상 가구가 대다수이고, 평균적

으로 1인 취업자가 본인을 포함한 2인의 생계를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남.

- 전체 9,700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2,009가구(20.7%)이고, 2인 이상 가구는

7,700가구(79.3%)임. 평균 가구원4) 수는 2.6명이고, 평균 취업인원은 1.3명임.

- 전체 가구 가운데 근로자가구(사무직, 생산직)5)는 5,391가구(55.5%)이고 근로자

외 가구(자영자‧무직포함)는 4,318가구(44.5%)임.

- 근로자가구 가운데 1인 가구는 813가구(15.1%)인데 비해 2인 이상 가구는

4,578가구(84.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근로자가구의 평균 취업인원은 1.5명인

데 비해 평균 가구원 수는 2.9명으로 나타남.

<표 3> 전체가구의 가구원수와 취업인원 현황

출처: 통계청(2015), 『가계동향조사』 2015 원자료

- 근로자가구의 절반 이상이 취업자가 1인이고, 가구원이 2인 이상인 가구가

84.9%에 이름. 취업자가 1인인 경우 2인 이상 가구가 대다수를 차지함. 취업인원

4) 주민등록 등재여부와는 관계없이 실제 가구 구성원(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직업군인 포함)

5) 가구주가 정부나 기업(준법인기업 포함)에 고용되어 정신적 또는 육체적 노동을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 가구

임. 『가계동향조사』에서 가구구분은 별도로 조사하지 않고 가구주의 종사상지위와 직업분류를 조합하여 생

산하고 있음. 가구주가 무급종사자인 경우에도 근로자가구로 분류하고 있음.

가구구분 1인 가구 2인 이상 가구 총합평균

가구원수

평균

취업인원

근로자가구813

(15.1)

4,578

(84.9)

5,391

(100.0)2.9 1.5

근로자외 가구1196

(27.7)

3122

(72.3)

4,318

(100.0)2.3 0.9

전체2,009

(20.7)

7,700

(79.3)

9,709

(100.0)2.6 1.3

Page 5: 2016.6.27.(월) 황 선 자

- 4 -

별 가구원수 현황을 살펴본 결과, 취업인원이 많을수록 평균 가구원 수도 많고, 취

업인원보다 가구원의 수가 더 많음이 확인되었음. 이는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가구

내 취업인원을 늘임으로써 소득을 보완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줌.

- 근로자가구 가운데 가구주가 유일한 소득원인 경우, 즉 취업인원이 1인인 경우가

55.4%(2,988가구)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인 38.2%(2,060가구), 3인 5.5%(295가

구)의 순으로 나타났음. 근로자 가구 가운데 가구원수가 2인인 가구가 27.7%(1495

가구)로 가장 많고, 4인 가구 25.7%(1,384가구), 3인 가구 24.7%(1334가구), 1인

가구 15.1%(813가구)의 순으로 나타났음.

- 취업자가 1인인 경우 가구원 수 분포를 살펴보면, 1인가구는 27.2%(813명)에 불

과하고 2인이상 가구가 72.8%(2,715개)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 가구원수별 취업자수를 살펴보면 가구원수가 늘어남에 따라 평균 취업자수도 늘

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즉 가구원이 2인인 경우 취업자 수는 평균 1.4명이고

5인 이상인 경우 평균 취업자 수는 1.9명으로 나타났음.

- 취업인원별 가구원수를 살펴본 결과 대체로 가구내 취업인원이 많을수록 평균 가

구원 수가 많고, 취업인원보다 가구원 수가 더 많음이 확인되었음. 즉 취업자가 1

인인 경우 평균 가구원수는 2.5명, 2인의 경우 3.3명, 3인의 경우 3.7명, 4인의 경

우 4.5명, 5인 이상의 경우 6.4명으로 나타났음.

<표 4> 근로자 가구의 취업인원별 가구원수 분포

2. 가구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특성과 소득 및 지출 현황

1)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특성

가구원수

취업인원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전체

평균

가구원수

1인813

(27.2)

843

(28.2)

597

(20.0)

596

(20.0)

139

(4.7)

2,988

(100.0)2.5

2인0

(0.0)

652

(31.7)

590

(28.6)

653

(31.7)

165

(8.0)

2,060

(100.0)3.3

3인 0

(0.0)

0

(0.0)

147

(49.8)

105

(35.6)

43

(14.6)

295

(100.0)3.7

4인0

(0.0)

0

(0.0)

0

(0.0)

30

(65.2)

16

(34.8)

46

(100.0)4.5

5인 이상0

(0.0)

0

(0.0)

0

(0.0)

0

(0.0)

2

(100.0)

2

(100.0)6.4

전체813

(15.1)

1,495

(27.7)

1,334

(24.7)

1,384

(25.7)

365

(6.8)

5,391

(100.0)2.9

평균

취업자수

1.0

(0)

1.4

(19.0805)

1.7

(28.3186)

1.7

(33.7107)

1.9

(38.9742)

1.5

(28.8637)

Page 6: 2016.6.27.(월) 황 선 자

- 5 -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수 분포를 살펴본 결과, 가구의 월평균 근로

소득이 2015년 월 최저임금(1,166,220원) 이하 가구가 14.0%(755가구), 최저임금

이상~200% 미만 20.3%(1,092가구), 최저임금의 200% 이상이 65.7%(3,544가구)

로 나타났음.

<표 5>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수준별 가구 수

-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원 수 분포를 살펴본 결과, 근로소득수준이 낮을수록 1인가

구의 비율이 높고 2인 이상 가구의 비율이 높음. 그러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70% 미만인 가구에서도 1인 가구의 비율은 47.7%로 절반에 못미침.

<표 6>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가구원 수

-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취업인원 분포를 살펴본 결과,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이

월 최저임금의 200% 미만인 가구의 대다수(72.3%~87.5%)가 취업자가 1인, 즉 가

구주가 유일한 소득원으로 나타났음.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200%

이상인 가구만 취업자가 2인 이상인 가구가 57.3%로 더 높게 나타났음.

<표 7>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취업인원

구분

수(가구) 비율(%)평균

가구원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이상

가구

전체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이상

가구

전체

0~70% 232 177 50 21 6 486 47.7 36.4 10.3 4.3 1.2 100.0 1.6

70~90% 68 75 20 11 3 177 38.4 42.4 11.3 6.2 1.7 100.0 1.8

90~100% 20 47 20 4 1 92 21.7 51.1 21.7 4.4 1.1 100.0 2.2

100~110% 30 42 16 2 2 92 32.6 45.7 17.4 2.2 2.2 100.0 1.9

110~130% 69 105 40 14 3 231 29.9 45.5 17.3 6.1 1.3 100.0 2.0

130~200% 172 305 177 93 22 769 22.4 39.7 23.2 12.1 2.9 100.0 2.3

200% 이상 222 744 1011 1239 328 3,544 6.3 21.0 28.5 35.0 9.3 100.0 3.3

전체 813 1495 1334 1384 365 5,391 15.1 27.7 24.7 25.7 6.8 100.0 2.9

가구구분 가구수 비율0~70% 486 9.070~90% 177 3.390~100% 92 1.7100~110% 92 1.7110~130% 231 4.3130~200% 769 14.3

200% 이상 3,544 65.7전체 5,391 100.0

Page 7: 2016.6.27.(월) 황 선 자

- 6 -

-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보면,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 가구주가 임시‧일용직인 비율이 높고, 상용근로자인 비율이 낮음.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

임금의 70% 미만인 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극소수(8.6%)만이 상용근로자이고, 대다

수(84.8%)가 임시‧일용근로자인데 비해, 최저임금의 200% 이상인 가구는 대다수가

상용근로자(83.8%)임.

<표 8>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

- 근로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노인가구의 비율이 높고, 대체로 맞벌이가구의 비율은

낮음.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70% 미만인 가구의 경우 노인가구가

51.0%, 맞벌이가구가 10.7%인데 비해 최저임금의 200% 이상인 가구의 경우는 노

인가구가 0.4%에 불과하고 맞벌이가구는 45.5%에 이름.

<표 9> 근로소득수준별 노인가구와 맞벌이가구 비율

구 분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 전체

0~70% 8.6 69.6 21.6 0.2 100.0

70~90% 26.6 53.1 20.3 0.0 100.0

90~100% 28.3 55.4 16.3 0.0 100.0

100~110% 33.7 46.7 19.6 0.0 100.0

110~130% 52.0 34.6 13.4 0.0 100.0

130~200% 53.3 32.4 14.2 0.1 100.0

200% 이상 83.8 11.2 5.0 0.0 100.0

전체 67.6 23.2 9.1 0.0 100.0

구분

취업인원 비율(%)평균

취업

인원1인 2인

3인

이상전체 1인 2인

3인

이상전체

0~70% 425 59 2 486 87.5 12.1 0.4 100.0 1.1

70~90% 147 29 1 177 83.1 16.4 0.6 100.0 1.2

90~100% 78 14 0 92 84.8 15.2 0.0 100.0 1.1

100~110% 72 15 5 92 78.3 16.3 5.4 100.0 1.3

110~130% 197 33 1 231 85.3 14.3 0.4 100.0 1.2

130~200% 556 190 23 769 72.3 24.7 3.0 100.0 1.3

200% 이상 1513 1720 311 3,544 42.7 48.5 8.8 100.0 1.7

전체 2988 2060 343 5,391 55.4 38.2 6.4 100.0 1.5

Page 8: 2016.6.27.(월) 황 선 자

- 7 -

- 가구주의 성별을 살펴본 결과,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130% 미만

인 가구까지는 가구주가 여성인 비율이 더 높음. 최저임금의 130% 이상인 가구부

터는 가구주가 남성인 비율이 더 높은데, 특히 최저임금의 200% 이상인 가구의 경

우 대다수(90.0%)가 남성임.

<표 10>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주 성별

- 가구주의 연령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수준이 낮을수록 60세 이상의 비율이 높은데

비해, 근로소득수준이 높을수록 30~50대의 비율이 높음.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

이 최저임금의 70% 미만인 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가

68.9%에 달하는데 비해, 최저임금의 200% 이상인 가구에서는 7.5%에 불과하고

30~50대가 89.4%에 이름.

<표 11>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주 연령대

구 분 노인가구 맞벌이가구

0~70% 51.0 10.7

70~90% 26.6 11.9

90~100% 17.4 10.9

100~110% 15.2 14.1

110~130% 13.0 10.8

130~200% 5.1 18.3

200% 이상 0.4 45.5

전체 7.6 34.8

구 분 남성 여성 전체

0~70% 37.2 62.8 100.0

70~90% 38.4 61.6 100.0

90~100% 47.8 52.2 100.0

100~110% 34.8 65.2 100.0

110~130% 47.6 52.4 100.0

130~200% 63.7 36.3 100.0

200% 이상 90.0 10.0 100.0

전체 76.3 23.7 100.0

Page 9: 2016.6.27.(월) 황 선 자

- 8 -

- 가구주의 종사 산업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가구주는 주로 보

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

원 서비스업,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음. 이에 비해 근로소득수준이 높은 가구의 가구주는 제조

업(31.2)에 종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

<표 12>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주 종사 산업 분포

구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농업‧임업‧어업 2.7 1.7 2.2 7.6 2.2 0.8 0.5 1.0

광업 0.0 0.0 0.0 0.0 0.0 0.0 0.1 0.1

제조업 5.6 9.6 14.1 13.0 10.0 19.0 31.2 24.9

전기가스증기및수도업 0.0 0.0 0.0 0.0 0.0 0.3 1.0 0.7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환경복원업 0.2 0.6 1.1 0.0 0.9 0.3 0.6 0.5

건설업 4.1 6.8 14.1 4.4 9.1 12.5 10.1 9.7

도매소매업 8.0 10.7 9.8 5.4 8.7 11.8 7.7 8.5

운수업 1.7 2.3 6.5 6.5 5.6 6.1 5.5 5.2

숙박음식점업 7.0 7.9 13.0 13.0 8.7 9.5 2.6 4.8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0.6 1.1 0.0 1.1 1.3 2.0 3.7 2.9금융보험업 0.4 1.1 0.0 0.0 1.7 0.8 3.0 2.2

부동산임대업 1.9 6.8 3.3 3.3 3.9 4.0 2.1 2.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0.8 1.1 0.0 3.3 0.9 1.8 4.3 3.3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7.6 19.2 16.3 9.8 22.1 10.3 4.5 7.1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18.1 5.1 2.2 4.4 3.5 1.0 8.5 7.8

교육서비스업 4.1 2.8 3.3 3.3 3.9 5.1 6.0 5.4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24.1 11.9 10.9 15.2 12.1 7.8 3.8 7.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1.0 1.1 0.0 1.1 0.9 0.7 0.6 0.7

협회단체수리기타개인서비스업 8.4 7.3 3.3 6.5 4.8 5.7 4.2 5.0

가구내고용활동등 3.5 2.8 0.0 2.2 0.0 0.7 0.1 0.6

국제외국기관 0.0 0.0 0.0 0.0 0.0 0.0 0.1 0.1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구 분 29세 이하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전체

0~70% 4.5 7.6 7.8 11.1 68.9 100.0

70~90% 3.4 10.7 18.1 18.6 49.2 100.0

90~100% 6.5 6.5 21.7 23.9 41.3 100.0

100~110% 4.4 6.5 16.3 25.0 47.8 100.0

110~130% 7.4 10.8 23.4 23.8 34.6 100.0

130~200% 6.9 21.2 22.4 25.9 23.7 100.0

200% 이상 3.1 27.3 35.4 26.7 7.5 100.0

전체 4.1 22.7 29.4 24.7 19.2 100.0

Page 10: 2016.6.27.(월) 황 선 자

- 9 -

- 가구주의 직업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가구주는 단순노무자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이외에 서비스 종사자인 비율이 높았음. 이와 반대로 근로소득

수준이 높은 가구의 가구주는 사무종사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의 비율이 높았음.

<표 13> 근로소득수준별 가구주 직업 분포

구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관리자 0.0 0.0 0.0 0.0 0.0 0.7 3.3 2.2

전문가및관련종사자 6.6 5.1 8.7 7.6 10.8 11.3 21.6 17.3

사무종사자 6.4 6.2 8.7 4.4 14.7 12.7 23.0 18.6

서비스종사자 13.8 15.8 10.9 18.5 12.1 11.7 6.0 8.4

판매종사자 4.5 7.3 4.4 5.4 3.5 6.4 4.4 4.8

농림어업숙련종사자 0.0 0.0 0.0 0.0 0.9 0.8 0.2 0.3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 4.3 7.9 8.7 6.5 8.2 15.3 14.4 12.9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 3.9 7.9 14.1 10.9 9.1 16.0 18.8 16.1

단순노무종사자 60.5 49.7 44.6 46.7 40.7 25.1 7.9 19.1

직업군인 0.0 0.0 0.0 0.0 0.0 0.0 0.5 0.3

전체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근로소득수준별 소득과 지출 현황

(1) 가계수지

-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수준별 가계수지 현황을 살펴보면, 가구의 근로소득이 최

저임금의 90~100% 수준까지는 가계지출(생계비), 소비지출, 비소비지출이 증가하

다 100~110% 수준에서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여 최저임금의 200% 이상 수준

가구에서는 대폭 증가함. 생계비가 최저임금의 90~100% 수준이 100~110% 수준

과 110~130% 수준보다 높은 것은 가구원 수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판단됨.

- 가구의 월평근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0~70% 수준인 가구와 비교하여 200% 이

상인 가구의 경우 소득은 3.8배, 생계비는 3.2배, 소비지출은 2.8배, 비소비지출은

4.6배, 처분가능소득은 3.6배, 그리고 흑자액은 8.2배 수준임.

- 대체로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 흑자율이 낮고, 평균소비성향, 적자가구비

율, 상대빈곤율이 높음.

Page 11: 2016.6.27.(월) 황 선 자

- 10 -

<표 14> 근로소득수준별 가계수지 현황 (단위:천원, %)

주: 처분가능소득: 소득-비소비지출

흑자액: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흑자율: (흑자액/처분가능소득)x100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소득과 생계비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

서 소득중 가계지출(생계비)과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음. 생계비의 구성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음.

<표 15> 근로소득수준별 소득과 생계비의 구성비

(2) 소득

- 근로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커지다가 최저임금의

110~130% 수준에서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함. 근로소득은 점차 증가하고, 이전

소득은 근로소득이 낮은 가구에서 더 많음.

구분 소득

가계

지출

(생계

비)

   처분

가능

소득

흑자액 흑자율

평균

소비

성향

적자

가구

비율

상대

빈곤율소비

지출

비소비

지출

0~70% 1430 1264 1029 236 1195 166 13.9 86.1 36.2 77.2

70~90% 1813 1474 1197 277 1536 339 22.1 77.9 23.7 60.5

90~100% 2119 1844 1534 310 1809 275 15.2 84.8 29.4 46.7

100~110% 2222 1695 1394 301 1922 527 27.4 72.5 25.0 48.9

110~130% 2035 1738 1429 309 1725 296 17.2 82.8 27.3 44.6

130~200% 2663 2141 1729 412 2252 523 23.2 76.8 22.1 4.3

200% 이상 5370 4015 2920 1095 4275 1355 31.7 68.3 13.1 0.0

전체 4325 3288 2441 847 3478 1037 29.8 70.2 17.9 13.1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가계지출

(생계비)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0~70% 100.0 88.4 72.0 16.5 100.0 81.4 18.7

70~90% 100.0 81.3 66.0 15.3 100.0 81.2 18.890~100% 100.0 87.0 72.4 14.6 100.0 83.2 16.8100~110% 100.0 76.3 62.7 13.5 100.0 82.2 17.8110~130% 100.0 85.4 70.2 15.2 100.0 82.2 17.8130~200% 100.0 80.4 64.9 15.5 100.0 80.8 19.2

200% 이상 100.0 74.8 54.4 20.4 100.0 72.7 27.3

전체 100.0 76.0 56.4 19.6 100.0 74.2 25.8

Page 12: 2016.6.27.(월) 황 선 자

- 11 -

-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200% 이상인 가구는 70% 미만 가구에 비

해 소득이 3.8배, 경상소득이 4.0배, 근로소득이 11.7배에 이름. 이전소득은 70%

미만 가구가 200% 이상 가구의 3.9배에 이름.

<표 16>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 대체로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 소득 가운데 근로소득의 비중이 낮고 이전

소득의 비중이 높음.

• 최저임금의 70% 미만 가구의 경우 소득 중 근로소득이 28.8%, 이전소득이

52.7%에 이르는데 비해, 최저임금의 200% 이상 가구는 근로소득이 90.1%에 이르

고 이전소득은 3.6%에 불과함.

<표 17>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구성비

-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에서 이전소득 가운데 공적 이전소득과 가구간 이전소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0~70% 1430 1317 412 138 14 754 113

70~90% 1813 1682 932 139 26 586 13190~100% 2119 2026 1110 143 19 754 92100~110% 2222 2145 1228 244 8 665 77110~130% 2035 1965 1403 114 21 427 70130~200% 2663 2524 1919 179 12 414 139

200% 이상 5370 5213 4837 172 13 191 157

전체 4325 4181 3694 167 14 306 144

구분 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0~70% 100.0 92.1 28.8 9.7 1.0 52.7 7.9

70~90% 100.0 92.8 51.4 7.7 1.4 32.3 7.2

90~100% 100.0 95.6 52.4 6.7 0.9 35.6 4.3

100~110% 100.0 96.5 55.3 11.0 0.4 29.9 3.5

110~130% 100.0 96.6 68.9 5.6 1.0 21.0 3.4

130~200% 100.0 94.8 72.1 6.7 0.5 15.5 5.2

200% 이상 100.0 97.1 90.1 3.2 0.2 3.6 2.9

전체 100.0 96.7 85.4 3.9 0.3 7.1 3.3

Page 13: 2016.6.27.(월) 황 선 자

- 12 -

득이 많음. 최저임금의 70~90% 수준과 100~110% 수준에서는 공적 이전소득보다

가구간 이전소득액이 더 많음. 가구간 이전소득은 최저임금의 100~110% 수준 가

구가 가장 크고, 공적 이전소득은 최저임금의 90~100%가 가장 큼.

<표 18>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

주: 공적 이전소득=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 가구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100~110% 수준 가구에서는 이전소득 중 가구간

이전의 비율이 66.0%에 이름.

<표 19>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의 구성비

주: 공적 이전소득=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 소득은 근로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함.

근로소득수준별로 근로소득의 차이는 주로 가구주 소득으로부터 기인함. 최저임금

의 70% 미만 가구와 비교하여 200% 이상 가구는 근로소득이 11.7배, 가구주 소득

이 9.7배, 배우자 소득이 40.1배, 기타 가구원 소득이 44.3배에 이름.

구분이전

소득

   공적

이전

소득공적

연금

기초

노령

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환

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

혜택

기타

이전

소득

0~70% 754 193 117 53 15 1 373 0 1 380

70~90% 586 117 66 53 13 0 336 1 0 24990~100% 754 214 73 123 14 0 328 2 0 425100~110% 665 130 54 39 2 0 439 0 2 225110~130% 427 159 43 33 6 2 183 1 0 243130~200% 414 107 28 72 19 2 181 1 3 229

200% 이상 191 34 11 40 8 24 70 1 3 117

전체 306 69 26 47 10 17 133 1 2 170

구분이전

소득

   공적

이전

소득공적

연금

기초노

령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환

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혜

기타

이전

소득

0~70% 100.0 25.6 15.5 7.0 2.0 0.1 49.5 0.0 0.1 50.4

70~90% 100.0 20.0 11.3 9.0 2.2 0.0 57.3 0.2 0.0 42.5

90~100% 100.0 28.4 9.7 16.3 1.9 0.0 43.5 0.3 0.0 56.4

100~110% 100.0 19.5 8.1 5.9 0.3 0.0 66.0 0.0 0.3 33.8

110~130% 100.0 37.2 10.1 7.7 1.4 0.5 42.9 0.2 0.0 56.9

130~200% 100.0 25.8 6.8 17.4 4.6 0.5 43.7 0.2 0.7 55.3

200% 이상 100.0 17.8 5.8 20.9 4.2 12.6 36.6 0.5 1.6 61.3

전체 100.0 22.5 8.5 15.4 3.3 5.6 43.5 0.3 0.7 55.6

Page 14: 2016.6.27.(월) 황 선 자

- 13 -

<표 20>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 근로소득수준별 근로소득 구성비를 살펴보면, 대체로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

에서 가구주 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최저임금의 130% 미만인 가구의 경우 근

로소득 중 가구주 소득의 비율이 90%를 넘음. 한편, 근로소득수준이 높은 가구에서

배우자 소득의 비율이 높음.

<표 21>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구성비

[그림 1] 근로소득수준별 근로소득의 구성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0~70% 412 386 18 8

70~90% 932 847 26 5990~100% 1110 1070 21 19100~110% 1228 1106 49 73110~130% 1403 1324 45 33130~200% 1919 1695 117 108

200% 이상 4837 3762 721 354

전체 3694 2626 509 260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0~70% 100.0 93.7 4.4 1.9

70~90% 100.0 90.9 2.8 6.3

90~100% 100.0 96.4 1.9 1.7

100~110% 100.0 90.1 4.0 5.9

110~130% 100.0 94.4 3.2 2.4

130~200% 100.0 88.3 6.1 5.6

200% 이상 100.0 77.8 14.9 7.3

전체 100.0 71.1 13.8 7.0

Page 15: 2016.6.27.(월) 황 선 자

- 14 -

(3) 지출

- 가구 근로소득이 최저임금의 90~100% 수준인 가구에서 보건비의 지출이 가장

많음. 소비지출액이 가장 적은 최저임금의 0~70%수준 가구와 비교하여 최저임금

의 200%이상 가구의 소비지출은 2.8배에 이름.

<표 22>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의 경우 대체로 식료품‧비주류음료비와 주거‧수도‧광열비

의 지출비율이 높음.

<표 23>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구성비

구 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소 비 지 출 1029 1197 1534 1394 1429 1729 2920 2441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203 222 261 229 231 254 366 324

주 류 ․ 담 배 12 17 25 23 28 29 36 32

의 류 ․ 신 발 55 62 85 87 79 101 195 158

주 거 ․ 수 도 ․ 광 열 195 200 216 210 241 245 288 268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36 38 67 44 60 66 122 100

보 건 116 127 150 94 111 133 176 159

교 통 80 95 125 148 137 192 386 307

통 신 52 75 87 91 93 113 161 138

오 락 ․ 문 화 55 65 98 70 72 91 181 147

교 육 59 67 126 82 86 113 344 262

음 식 ․ 숙 박 90 130 173 195 185 245 416 340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76 100 121 119 106 147 249 206

구 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소 비 지 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19.7 18.5 17.0 16.4 16.2 14.7 12.5 13.3

주 류 ․ 담 배 1.2 1.4 1.6 1.6 2.0 1.7 1.2 1.3

의 류 ․ 신 발 5.3 5.2 5.5 6.2 5.5 5.8 6.7 6.5

주 거 ․ 수 도 ․ 광 열 19.0 16.7 14.1 15.1 16.9 14.2 9.9 11.0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3.5 3.2 4.4 3.2 4.2 3.8 4.2 4.1

보 건 11.3 10.6 9.8 6.7 7.8 7.7 6.0 6.5

교 통 7.8 7.9 8.1 10.6 9.6 11.1 13.2 12.6

통 신 5.1 6.3 5.7 6.5 6.5 6.5 5.5 5.7

오 락 ․ 문 화 5.3 5.4 6.4 5.0 5.0 5.3 6.2 6.0

교 육 5.7 5.6 8.2 5.9 6.0 6.5 11.8 10.7

음 식 ․ 숙 박 8.7 10.9 11.3 14.0 12.9 14.2 14.2 13.9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7.4 8.4 7.9 8.5 7.4 8.5 8.5 8.4

Page 16: 2016.6.27.(월) 황 선 자

- 15 -

- 비소비지출액이 가장 적은 최저임금의 0~70%수준 가구와 비교하여 최저임금의

200%이상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4.6배에 이름.

<표 24> 근로소득수준별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 전반적으로 비소비지출 가운데 가구간 이전지출의 비율이 가장 높고 최저임금의

100% 미만 가구에서는 이장비용의 비율이 높음.

<표 25>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구성비

(4)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 대체로 근로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110~130% 수준 제외),

공적 비소비지출이 증가함.

구 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비 소 비 지 출 236 277 310 301 309 412 1095 847

경 상 조 세 16 18 22 32 27 37 225 161

비 경 상 조 세 2 7 2 2 5 6 20 15

연 금 7 22 24 27 35 54 186 136

사 회 보 험 22 31 45 41 45 65 166 127

이 자 비 용 26 41 57 30 33 47 101 81

가 구 간 이 전 지 출 102 106 108 120 117 139 274 225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61 52 52 49 48 63 124 103

구 분0~

70%

70~

90%

90~

100%

100~

110%

110~

130%

130~

200%

200%

이상전체

비 소 비 지 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경 상 조 세 6.8 6.5 7.1 10.6 8.7 9.0 20.5 19.0

비 경 상 조 세 0.8 2.5 0.6 0.7 1.6 1.5 1.8 1.8

연 금 3.0 7.9 7.7 9.0 11.3 13.1 17.0 16.1

사 회 보 험 9.3 11.2 14.5 13.6 14.6 15.8 15.2 15.0

이 자 비 용 11.0 14.8 18.4 10.0 10.7 11.4 9.2 9.6

가 구 간 이 전 지 출 43.2 38.3 34.8 39.9 37.9 33.7 25.0 26.6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25.8 18.8 16.8 16.3 15.5 15.3 11.3 12.2

가계지출 중 가구간 이

전 지 출 의 비 율8.1 7.2 5.9 7.1 6.7 6.5 6.8 6.8

Page 17: 2016.6.27.(월) 황 선 자

- 16 -

<표 26>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주: 1)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2)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3)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4)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근로소득수준이 낮은 가구가 소득중 시장소득의 비율이 낮고 공적 이전소득의 비

율이 크게 높음. 그리고 가계지출(생계비) 중 공적 비소비지출의 비율이 낮고, 가구

간 이전지출의 비율이 높음.

<표 27> 소득 중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의 비중

제3장 저소득가구의 특성과 소득 및 지출 실태

1. 저소득가구의 특성

- 이하에서는 가구의 근로소득이 2015년 최저임금 1,166,220원(월급, 209시간 기

구분

소득 중 비중 가계지출 중 비율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가구간

이전지출

0~70% 65.5 88.8 26.6 3.7 8.1

70~90% 79.0 88.4 13.7 5.3 7.2

90~100% 75.5 91.1 20.1 5.0 5.9

100~110% 86.4 91.9 10.1 6.0 7.1

110~130% 84.6 91.1 11.9 6.4 6.7

130~200% 86.1 88.6 8.6 7.6 6.5

200% 이상 94.8 85.9 2.2 14.8 6.8

전체 92.7 86.5 3.9 13.4 6.8

구분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0~70% 937 1270 380 47

70~90% 1432 1603 249 7890~100% 1600 1931 425 93100~110% 1919 2042 225 101110~130% 1721 1853 243 111130~200% 2292 2359 229 162

200% 이상 5092 4613 117 596

전체 4008 3739 170 439

Page 18: 2016.6.27.(월) 황 선 자

- 17 -

준) 이하인 가구, 가계지출(생계비)이 2015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6)이하인 가구,

근로소득이 2015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 그리고 상대적 빈곤가구,

즉 소득이 전체가구 중위소득(3,334,935원)의 50%(1,667,468원) 미만인 가구를 중

심으로 저소득가구의 특성에 대해 살펴봄.

- 저소득가구는 근로자가구의 13.1~22.7%를 차지함.

• 근로자가구(5,391가구) 가운데, 근로소득이 2015년 최저임금(1,166,220원) 이하

인 가구는 14.0%, 생계비(가계지출)가 2015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1,673,803

원) 이하인 가구는 21.8%, 근로소득이 2015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

는 22.7%, 소득이 전체가구 중위소득(3,334,935원)의 50%(1,667,468원) 미만인

가구는 13.1%임.

<표 28> 저소득가구의 분포

- 저소득가구의 대다수가 취업인원이 1인, 즉 근로소득자인 가구주가 유일한 소득

원이고 가구원 수는 2인 이상이 더 많음.

•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755가구) 가운데 취업인원이 1인인 경우가

86.1%(650가구)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인 13.5%(102가구), 3인 0.4%(3가구)의

순으로 나타났음. 가구당 평균 취업인원은 1.1명임. 최저임금 이하 가구 가운데 가

구원수가 1인인 가구가 42.4%(320가구), 2인 이상인 가구가 57.6%(435명)임. 가

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1.8명임.

•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1,177가구) 가운데 취업인원이 1인인

경우가 81.7%(961가구)로 가장 많고, 2인 이상인 가구는 18.3%(216가구)로 나타

났음(<부표 1> 참조). 가구당 평균 취업인원은 1.2명임.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가운데 가구원수가 1인인 가구가 45.5%(535가구), 2인 이상인

가구가 54.5%(642가구)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1.6명임.

•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1,225가구) 가운데 취업인원이 1인

6) 한국통계학회(2016), 『미혼 단신근로자 생계비 분석보고서』에 의하면 2015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는 월

평균 1,673,803원임.

구분 가구 수 비율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 755 14.0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 4,636 86.0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가구 1,177 21.8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생계비 초과 가구 4,214 78.2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가구 1,225 22.7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생계비 초과 가구 4,166 77.3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 706 13.1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이상 4,685 86.9

Page 19: 2016.6.27.(월) 황 선 자

- 18 -

인 경우가 84.8%(1,039가구)로 가장 많고, 2인 이상인 가구는 15.2%(186가구)로

나타났음(<부표 2> 참조). 가구당 평균 취업인원은 1.1명임.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

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가운데 가구원수가 1인인 가구는 37.7%(462가구), 2인 이

상인 가구가 62.3%(763가구)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1.9명임.

• 상대적 빈곤가구(706가구) 가운데 취업인원이 1인인 경우가 90.7%(640가구)로

가장 많고, 2인 이상인 가구는 9.3%(66가구)로 나타났음(<부표 3> 참조). 가구당

평균 취업인원은 1.1명임. 상대적 빈곤가구 가운데 가구원수가 1인인 가구는

54.3%(383가구), 2인 이상인 가구가 45.7%(377가구)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1.5명임.

<표 29>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취업인원별 가구원수 분포

-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대다수가 임시․일용근로자(68.3%~84.7%)로 나타났음.

<표 30> 저임금 가구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

- 노인가구7)의 비율이 저소득가구(28.0~41.2%)의 경우 높은데 비해 그 외 가구

7) 18세 이상 65세 미만 가구원을 포함하지 않고, 가구원 중 1인 이상 65세 이상 노인인 가구.

가구원수

취업인원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전체

평균

가구원수

1인320

(49.2)

227

(34.9)

73

(11.2)

24

(3.7)

6

(0.9)

650

(100.0)1.6

2인0

(0.0)

72

(70.6)

14

(13.7)

12

(11.8)

4

(3.9)

102

(100.0)2.7

3인 0

(0.0)

0

(0.0)

3

(100.0)

0

(0.0)

0

(0.0)

3

(100.0)3

전체320

(42.4)

299

(39.6)

90

(11.9)

36

(4.8)

10

(1.3)

755

(100.0)1.8

평균

취업자수1 1.2 1.2 1.3 1.7 1.1

구 분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무급

가족종사자전체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15.2 64.0 20.7 0.1 100.0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31.7 49.7 18.6 0.0 100.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

자 생계비 이하 가구26.9 54.7 18.4 0.1 100.0

상대적 빈곤가구 19.1 59.2 21.7 0.0 100.0

Page 20: 2016.6.27.(월) 황 선 자

- 19 -

(0.9~2.9%)는 낮음.

<표 31> 저소득가구의 노인가구 비중

- 맞벌이의 비중이 저소득가구(7.4~11.8%)는 낮은데 비해, 그 외 가구

(38.7~41.8%)는 크게 높음.

<표 32> 저소득가구의 맞벌이가구 비중

- 저소득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다수가 여성(52.5~65.4%)인데 비해, 그 외 가구는

남성(82.4~86.4%)이 대다수를 차지함.

<표 33>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성별 분포

구 분 노인가구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 41.2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 2.1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28.0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1.8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30.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0.9

중위소득의 50% 미만 가구 38.5

중위소득의 50% 이상 가구 2.9

구 분 맞벌이가구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 11.0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 38.7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11.8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41.2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11.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41.8

중위소득의 50% 미만 가구 7.4

중위소득의 50% 이상 가구 38.9

구 분 남성 여성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 38.8 61.2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 82.4 17.6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47.5 52.5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84.4 15.6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42.0 58.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86.4 13.6

중위소득의 50% 미만 가구 34.6 65.4

중위소득의 50% 이상 가구 82.6 17.4

Page 21: 2016.6.27.(월) 황 선 자

- 20 -

- 저소득가구의 경우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경우가 46.4%~60.9%로 대다수를 차

지함. 그 외 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대다수가 30대~50대(82.5~86.6%)임.

<표 34>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연령대별 분포

-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종사 산업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4.7%~19.6%)에 종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

원 서비스업(11.4%~13.8%)에 많이 종사하며,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 제조업

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35>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종사 산업별 분포

구 분29세

이하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전체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 4.5 8.2 11.9 14.4 60.9 100.0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 4.0 25.1 32.2 26.4 12.4 100.0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6.8 10.9 14.4 21.5 46.4 100.0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3.3 26.0 33.6 25.6 11.6 100.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4.9 9.6 15.8 18.2 51.5 100.0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 3.8 26.6 33.4 26.6 9.7 100.0

중위소득의 50% 미만 가구 6.7 8.4 12.3 18.6 54.1 100.0

중위소득의 50% 이상 가구 3.7 24.9 32.0 25.6 13.9 100.0

구분

근로소득이 최

저임금 이하 가

생계비가 미혼

단신근로자 생

계비 이하 가구

근로소득이 미

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중 위 소 득 의

50% 미만 가

농업‧임업‧어업 2.4 2.4 2.5 3.5

광업 0.0 0.0 0.0 0.0

제조업 7.6 12.9 9.8 7.8

전기가스증기및수도업 0.0 0.1 0.0 0.0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환경복원업 0.4 0.4 0.5 0.7

건설업 6.0 8.1 6.9 6.4

도매소매업 8.9 8.4 8.7 8.5

운수업 2.4 3.7 4.2 2.1

숙박음식점업 8.1 10.2 9.1 11.1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0.7 1.1 0.7 1.0

금융보험업 0.5 0.8 0.8 0.9

부동산임대업 3.2 3.4 3.3 2.1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0.8 1.3 1.1 1.3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11.4 13.0 13.8 12.6

Page 22: 2016.6.27.(월) 황 선 자

- 21 -

-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직업은 단순노무종사자(47.9%~56.0%)가 대다수이고, 서비

스종사자(13.3%~15.6%)와 사무종사자인 것으로 나타났음.

<표 36>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직업별 분포

2. 저소득가구의 소득과 지출 현황

1)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소득과 지출

(1) 가계수지

-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이하인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는 139만 3천원, 처분

가능소득은 135만 9천원이었음. 흑자액은 22만 1천원, 흑자율은 16.3%, 적자가구

비율은 32.5%, 상대빈곤율은 69.5%에 달함.

•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61만 4천원, 소비지출은 113만 8

천원, 비소비지출은 25만 5천원이었음.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13.1 7.8 9.1 11.3

교육서비스업 3.7 3.1 3.8 2.7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19.6 14.7 16.3 18.8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0.9 0.5 0.8 0.6

협회단체수리키타개인서비스업 7.6 6.0 6.5 6.2

가구내고용활동등 2.9 2.2 2.0 2.4

국제외국기관 0.0 0.0 0.0 0.0

전체 100.0 100.0 100.0 100.0

구 분근로소득이 최저

임금 이하 가구

생계비가 미혼단

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근로소득이 미혼

단신근로자 생계

비 이하 가구

중 위 소 득 의

50% 미만 가

관리자 0.0 0.2 0.0 0.0

전문가및관련종사자 6.5 6.5 7.9 5.1

사무종사자 6.6 7.2 8.3 6.9

서비스종사자 13.9 13.3 13.7 15.6

판매종사자 5.2 4.6 5.3 4.8

농림어업숙련종사자 0.0 0.2 0.2 0.0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 5.7 9.1 6.4 6.1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 6.1 11.1 7.9 5.2

단순노무종사자 56.0 47.9 50.2 56.2

직업군인 0.0 0.0 0.0 0.0

전체 100.0 100.0 100.0 100.0

Page 23: 2016.6.27.(월) 황 선 자

- 22 -

<표 37>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가계수지 현황

주: 처분가능소득: 소득-비소비지출

흑자액: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흑자율: (흑자액/처분가능소득)x100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가계수지 구성을 살펴보면, 최저임금 초과 가구와 비교하여 최저임금 이하 가구

의 소득중 생계비(가계지출)와 소비지출의 비중이 크게 높음. 이에 비해 비소비지출

의 비중은 최저임금 초과 가구가 약간 높음. 생계비 구성을 살펴보면, 최저임금 이

하 가구의 경우 최저임금 초과 가구와 비교하여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고, 비소비지

출의 비중이 낮음.

<표 38>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소득과 생계비의 구성비

(2) 소득

- 최저임금 이하 가구와 초과가구의 소득 격차는 주로 근로소득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남.

-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경우 161만 4천원인데 비해 최저임

금 초과가구는 2.9배인 472만 4천원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최저임금 이하

가구는 62만 9천원,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6.6배인 414만 5천원으로 나타났음. 이

에 비해 이전소득은 최저임금 이하 가구가 71만 5천원으로 최저임금초과 가구의

2.9배에 이름.

<표 39 >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

구분 소득 가계지출

(생계비)

    처분가능소득

흑자액 흑자율

평균소비성향

적자가구 비율

상대빈곤율

소비지출

비소비지출

최저임금 이하 1614 1393 1138 255 1359 221 16.3 83.7 32.5 69.5

최저임금 초과 4724 3567 2632 935 3790 1157 30.5 69.4 15.5 3.9

전체 4325 3288 2441 847 3478 1037 29.8 70.2 17.9 13.1

구분 소득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가계지출

(생계비)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최저임금 이하 100.0 86.3 70.5 15.8 100.0 81.7 18.3

최저임금 초과 100.0 75.5 55.7 19.8 100.0 73.8 26.2

전체 100.0 76.0 56.4 19.6 100.0 74.2 25.8

Page 24: 2016.6.27.(월) 황 선 자

- 23 -

- 최저임금이하 가구는 소득의 가장 많은 부분을 이전소득에 의존하고, 이전소득

가운데서도 특히 가구간 이전소득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최저임금 이하 가구는 소득 가운데 이전소득(44.3%)의 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

로 근로소득(39.0%)의 비중이 높은데 비해,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근로소득

(87.7%)의 비중이 가장 높고 이전소득(5.2%)의 비중은 매우 낮음.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경우 가구간 이전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2.1%에 달함. 이

에 비해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2.1%에 불과함.

<표 40>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구성비

-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을 살펴본 결과,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경우 가구간 이전

소득(35만 8천원)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공적연금(17만 8천원), 기초노령연금(9만

9천원), 사회수혜금(6만 3천원), 사회적 현물이전(1만 5천원)의 순으로 나타남. 최

저임금 초과가구와 비교하여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간 이전소득은 3.6배, 공적

연금은 3.4배, 기초노령연금은 6.2배에 달함.

<표 41>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최저임금 이하 가구 1614 1500 629 139 17 715 114

최저임금 초과 가구 4724 4576 4145 172 13 246 148

전체 4325 4181 3694 167 14 306 144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최저임금 이하 100.0 92.9 39.0 8.6 1.1 44.3 7.1

최저임금 초과 100.0 96.9 87.7 3.6 0.3 5.2 3.1

전체 100.0 96.7 85.4 3.9 0.3 7.1 3.3

구분이전

소득

   

공적

연금

기초노

령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환

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혜

기타

이전

소득

최저임금 이하 715 178 99 63 15 1 358 1 1

최저임금 초과 246 53 16 45 9 19 100 1 2

전체 306 67 26 47 10 17 133 1 2

Page 25: 2016.6.27.(월) 황 선 자

- 24 -

-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최저임금 이하 가구와 최저임금초

과 가구 모두 가구간 이전소득의 비중이 각각 50.1%와 40.7%로 가장 높고, 다음으

로 공적연금(각각 24.9%, 21.5%)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표 42>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의 구성비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이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5.6배인

326만 9천원이고, 배우자 소득은 29배인 58만원임.

<표 43>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최저임금이하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93.5%로 주로 가구주소득에 의존하고 있음

을 보여줌. 배우자소득은 3.2%에 불과함. 이에 비해 최저임금초과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의 비중이 78.9%, 배우자소득 14.0%로 나타남.

<표 44>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최저임금 이하 가구 629 588 20 21

최저임금 초과 가구 4145 3269 580 295

전체 3694 2626 509 260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최저임금 이하 가구 100.0 93.5 3.2 3.3

최저임금 초과 가구 100.0 78.9 14.0 7.1

전체 100.0 71.1 13.8 7.0

구분이전

소득

   

공적

연금

기초노

령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

환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

혜택

기타

이전

소득

최저임금 이하 가구 100.0 24.9 13.8 8.8 2.1 0.1 50.1 0.1 0.1

최저임금 초과 가구 100.0 21.5 6.5 18.3 3.7 7.7 40.7 0.4 0.8

전체 100.0 21.9 8.5 15.4 3.3 5.6 43.5 0.3 0.7

Page 26: 2016.6.27.(월) 황 선 자

- 25 -

(3) 지출

- 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경우 식료품․비주류음료비(19.0%),

주거․수도․광열비(17.5%), 보건비(10.8%)의 지출비중이 높은데 비해,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음식․숙박비(14.2%). 식료품․비주류음료비(12.9%), 교통비(12.9%)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45>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과 구성비

구 분

소비지출 구성비

최저임금

이하 가구

최저임금

초과 가구전체

최저임금

이하 가구

최저임금

초과 가구전체

소 비 지 출 1138 2632 2441 100.0 100.0 100.0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216 339 324 19.0 12.9 13.3

주 류 ․ 담 배 15 34 32 1.3 1.3 1.3

의 류 ․ 신 발 61 172 158 5.4 6.5 6.5

주 거 ․ 수 도 ․ 광 열 199 278 268 17.5 10.6 11.0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41 109 100 3.6 4.1 4.1

보 건 123 165 159 10.8 6.3 6.5

교 통 89 339 307 7.8 12.9 12.6

통 신 62 149 138 5.4 5.7 5.7

오 락 ․ 문 화 63 160 147 5.5 6.1 6.0

교 육 70 290 262 6.2 11.0 10.7

음 식 ․ 숙 박 111 374 340 9.8 14.2 13.9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87 223 206 7.6 8.5 8.4

- 비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최저임금 이하 가구는 가구간이전지출비(40.8%)에 가장

많이 지출하고, 다음으로 비영리단체로 이전(22.7%), 이자비용(13.3%)의 순으로 많

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최저임금 초과 가구는 가구간이전지출

(25.9%), 경상조세(19.5%), 연금(16.6%)의 순으로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Page 27: 2016.6.27.(월) 황 선 자

- 26 -

<표 46> 최저임금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과 구성비

구 분

현황 구성비

최저임금

이하 가구

최저임금

초과 가구전체

최저임금이

하 가구

최저임금

초과 가구전체

비 소 비 지 출 255 935 847 100.0 100.0 100.0

경 상 조 세 17 182 161 6.7 19.5 19.0

비 경 상 조 세 3 16 15 1.2 1.7 1.8

연 금 13 155 136 5.1 16.6 16.1

사 회 보 험 27 142 127 10.6 15.2 15.0

이 자 비 용 34 88 81 13.3 9.4 9.6

가 구 간 이 전 지 출 104 242 225 40.8 25.9 26.6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58 110 103 22.7 11.8 12.2

(4)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 최저임금 이하 가구와 비교하여 최저임금 초과 가구가 시장소득은 3.9배, 가처분

소득은 2.8배, 공적 비소비지출은 8.3배에 이르는데 비해, 공적 이전소득은 최저임

금 이하 가구가 2.5배 많음.

<표 47>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주: 1)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2)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3)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4)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최저임금이하 가구의 경우 소득중 시장소득의 비율이 낮고 공적 이전소득의 비율

이 크게 높음. 그리고 가계지출(생계비) 중 공적 비소비지출의 비율이 낮고, 가구간

이전지출의 비율이 높음.

<표 48> 소득 중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의 비중

구분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최저임금 이하 가구 1144 1439 355 60

최저임금 초과 가구 4429 4077 143 495

전체 4008 3739 170 439

구분소득 중 비중 가계지출 중 비중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가구간

Page 28: 2016.6.27.(월) 황 선 자

- 27 -

2)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

(1) 가계수지

- 가구 생계비(가계지출)가 2015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는 111만 9천원, 처분가능소득은 150만 2천원이었음. 흑자액은 58만

6천원, 흑자율은 39.0%, 적자가구비율은 15.3%, 상대빈곤율은 53.2%에 달함.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2015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70만 5

천원, 소비지출은 91만 6천원, 비소비지출은 20만 3천원이었음. 이에 비해 미혼단

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소득은 2.9배인 499만 8천원, 생계비는 3.4배인 384

만 5천원, 소비지출은 3.1배인 283만 2천원, 비소비지출은 5배인 101만 3천원, 처

분가능소득은 2.7배인 298만 5천원임. 흑자액은 2배인 115만 3천원임.

<표 49> 생계비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계수지 현황

주: 처분가능소득: 소득-비소비지출

흑자액: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흑자율: (흑자액/처분가능소득)x100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가계수지 구성을 살펴보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와 비교하여 미혼단

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소득중 생계비(가계지출)와 소비지출 비중이 낮음. 가

구당 월평균 생계비(가계지출) 구성을 살펴보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

의 경우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고, 비소비지출의 비중이 낮음.

<표 50> 생계비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소득과 생계비의 구성비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처분

가능소득

(A-C)

흑자액

(A-C

-B)

흑자율

평균

소비성향

B/(A-C)

×100

적자

가구

비율

상대

빈곤

소비지출

(B)

비소비

지출

(C)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705 1119 916 203 1502 586 39.0 61.0 15.3 53.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4998 3845 2832 1013 3985 1153 28.9 71.1 18.6 1.9

전체 4325 3288 2441 847 3478 1037 29.8 70.2 17.9 13.1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가계지출

(생계비)   

이전지출

최저임금 이하 가구 70.9 89.2 22.0 4.3 7.5

최저임금 초과 가구 93.8 86.3 3.0 13.9 6.8

전체 92.7 86.5 3.9 13.4 6.8

Page 29: 2016.6.27.(월) 황 선 자

- 28 -

(2) 소득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와 초과가구의 소득 격차는 주로 근로소득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남.

-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경우 164만 8천원인

데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가구는 2.9배인 499만 8천원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월평균 132만 2천원, 미혼단신노

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3.3배인 430만 5천원으로 나타났음. 이전소득도 미혼단신

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가 31만 2천원으로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보다

많음.

<표 51>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

- 소득 가운데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근로소득이 77.0%, 이전소득이

16.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

는 근로소득의 비중이 86.1%, 이전소득의 비중이 6.2%로 나타났음.

<표 52>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구성비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705 1648 1312 45 9 283 57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4998 4832 4305 199 15 312 166

전체 4325 4181 3694 167 14 306 144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00.0 65.6 53.7 11.9 100.0 81.9 18.1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76.9 56.7 20.3 100.0 73.7 26.3

전체 100.0 76.0 56.4 19.6 100.0 74.2 25.8

Page 30: 2016.6.27.(월) 황 선 자

- 29 -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3.3배 수준인 430만 5천원임. 가구주 소득은 2.9배인 338만

원, 배우자소득은 10.3배인 62만 3천원임.

<표 53>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88.1%로 주로 가구주소득

에 의존하고 있음. 배우자소득은 4.9%에 불과함. 이에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의 비중이 78.5%, 배우자소득 14.5%로 나

타남.

<표 54>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

(3) 지출

- 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비, 주거․수도․광열비, 음식․숙박비의 지출비중이 높음.

<표 55>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과 구성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1312 1156 64 9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4305 3380 623 303

전체 3694 2626 509 260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00.0 96.7 77.0 2.6 0.5 16.6 3.3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96.7 86.1 4.0 0.3 6.2 3.3

전체 100.0 96.7 85.4 3.9 0.3 7.1 3.3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100.0 88.1 4.9 7.0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100.0 78.5 14.5 7.0

전체 100.0 71.1 13.8 7.0

Page 31: 2016.6.27.(월) 황 선 자

- 30 -

구 분

현황 구성비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전체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전체

소 비 지 출 916 2832 2441 100.0 100.0 100.0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176 361 324 19.2 12.7 13.3

주 류 ․ 담 배 22 34 32 2.4 1.2 1.3

의 류 ․ 신 발 46 187 158 5.0 6.6 6.5

주 거 ․ 수 도 ․ 광 열 174 292 268 19.0 10.3 11.0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27 119 100 2.9 4.2 4.1

보 건 74 181 159 8.1 6.4 6.5

교 통 79 365 307 8.6 12.9 12.6

통 신 63 157 138 6.9 5.5 5.7

오 락 ․ 문 화 40 175 147 4.4 6.2 6.0

교 육 15 325 262 1.6 11.5 10.7

음 식 ․ 숙 박 131 394 340 14.3 13.9 13.9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69 241 206 7.5 8.5 8.4

- 비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가구는 가구간이전지출비

(31.5%)의 비율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사회보험(18.7%), 비영리단체로 이전

(15.8%)의 순으로 지출비율이 높았음.

<표 56>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구 분

현황 구성비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전체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비 소 비 지 출 203 1013 847 100.0 100.0 100.0

경 상 조 세 20 197 161 9.9 19.4 19.0

비 경 상 조 세 2 18 15 1.0 1.8 1.8

연 금 31 163 136 15.3 16.1 16.1

사 회 보 험 38 150 127 18.7 14.8 15.0

이 자 비 용 15 98 81 7.4 9.7 9.6

가 구 간 이 전 지 출 64 266 225 31.5 26.3 26.6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32 121 103 15.8 11.9 12.2

(4)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 가구 생계비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와 비교하여 미혼단신노동자 생

계비 초과 가구가 시장소득은 3.2배, 가처분소득은 2.8배, 공적 비소비지출은 5.7배

에 이르는데 비해, 공적 이전소득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가 1.2배 많

Page 32: 2016.6.27.(월) 황 선 자

- 31 -

음.

<표 57>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주: 1)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2)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3)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4)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가구 생계비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경우 소득중 시장소득의 비율

이 낮고 공적 이전소득의 비율이 높음. 그리고 가계지출(생계비) 중 공적 비소비지

출의 비율이 낮음.

<표 58> (생계비)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소득 중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의 비중

3) 근로소득이 2015년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

(1) 가계수지

-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1,673,803원) 이하 가구의 경우 2015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는 154만 6천원, 처분가능소득은 156만 1천원이었음. 흑자액

은 29만 7천원, 흑자율은 19.0%, 적자가구비율은 29.6%, 상대빈곤율은 57.6%에

달함. 평균소비성향은 81.0%에 이름.

•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2015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

구분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1448 1556 200 9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4665 4299 162 528

전체 4008 3739 170 439

구분

소득 중 비중 생계비(가계지출) 중 비중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가구간

이전지출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84.9 91.3 11.7 8.2 5.7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93.3 86.0 3.2 13.7 6.9

전체 92.7 86.5 3.9 13.4 6.8

Page 33: 2016.6.27.(월) 황 선 자

- 32 -

득은 184만 3천원, 소비지출은 126만 4천원, 비소비지출은 28만 2천원이었음. 이

에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소득은 2.7배인 500만 9천원, 생계비

는 2.4배인 376만 8천원, 소비지출은 2.2배인 276만 5천원, 비소비지출은 3.6배인

100만 3천원, 처분가능소득은 2.6배인 400만 6천원임. 흑자액은 4.2배에 달하는

124만 1천원임.

<표 59>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계수지 현황

주: 처분가능소득: 소득-비소비지출

흑자액: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흑자율: (흑자액/처분가능소득)x100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가계수지 구성을 살펴보면,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와 비교

하여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소득중 생계비(가계지출)와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음.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가계지출) 구성을 살펴보면, 미혼단신노동자 생

계비 이하 가구의 경우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고, 비소비지출의 비중이 낮음.

<표 60>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생계비와 소비지출의 구성비

(2) 소득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와 초과가구의 소득 격차는 주로 근로소득으로

구분 소득

가계

지출

(생계비)

   처분

가능

소득

흑자액흑자율

평균

소비

성향

적자

가구

비율

상대

빈곤

소비

지출

비소비

지출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843 1546 1264 282 1561 297 19.0 81.0 29.6 57.6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5009 3768 2765 1003 4006 1241 31.0 69.0 14.5 0.0

전체 4325 3288 2441 847 3478 1037 29.8 70.2 17.9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가계지출

(생계비)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00.0 83.9 68.6 15.3 100.0 81.8 18.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75.2 55.2 20.0 100.0 73.4 26.6

전체 100.0 76.0 56.4 19.6 100.0 74.2 25.8

Page 34: 2016.6.27.(월) 황 선 자

- 33 -

인한 것으로 나타남.

-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경우 184만 3천원인

데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가구는 2.7배인 500만 9천원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월평균 95만 7천원, 미혼단신노동

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4.6배인 444만 9천원으로 나타났음. 이전소득은 미혼단신노

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가 62만원으로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의 2.9배임.

<표 61>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소득 가운데 근로소득(51.9%) 다음으로 이

전소득(33.6%)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

과 가구는 근로소득의 비중이 88.8%, 이전소득의 비중이 4.4%로 나타남.

<표 62>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구성비

-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을 살펴본 결과,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경

우 가구간 이전소득(31만 1천원)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공적연금(16만 1천원), 기

초노령연금(7만 7천원), 사회수혜금(5만 5천원), 사회적 현물이전(1만 4천원)의 순

으로 나타남.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가구와 비교하여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간 이전소득은 3.7배, 공적연금은 3.7배, 기초노령연금은 5.8배에

달함.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843 1741 957 147 17 620 10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5009 4854 4449 173 13 220 156

전체 4325 4181 3694 167 14 306 144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00.0 94.5 51.9 8.0 0.9 33.6 5.5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96.9 88.8 3.5 0.3 4.4 3.1

전체 100.0 96.7 85.4 3.9 0.3 7.1 3.3

Page 35: 2016.6.27.(월) 황 선 자

- 34 -

<표 63>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

-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의 구성비를 살펴보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

의 경우 가구간 이전소득의 비율이 50.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공적연금(26.0%)

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표 64>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이전소득의 구성비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초과 가구는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4.6배인 444만 9천원임. 가구주 소득은 3.9배인 348만 5천원,

배우자소득은 22.1배인 64만 1천원임.

<표 65>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를 살펴본 결과,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93.6%로 주로 가구주소득

에 의존하고 있음. 배우자소득은 3.0%에 불과함. 이에 비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957 896 29 31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4449 3485 641 323

전체 3694 2626 509 260

구분이전

소득

   

공적

연금

기초노

령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환

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혜

기타

이전

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620 161 76 55 14 1 311 1 1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220 44 13 45 9 21 84 1 2

전체 306 67 26 47 10 17 133 1 2

구분이전

소득

   

공적

연금

기초노

령연금

사회

수혜금

사회적

현물

이전

세금

환급금

가구간

이전

할인

혜택

기타

이전

소득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100.0 26.0 12.3 8.9 2.3 0.2 50.2 0.2 0.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20.0 5.9 20.5 4.1 9.5 38.2 0.5 0.9

전체 100.0 21.9 8.5 15.4 3.3 5.6 43.5 0.3 0.7

Page 36: 2016.6.27.(월) 황 선 자

- 35 -

초과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의 비중이 78.3%, 배우자소득 14.4%로 나

타남.

<표 66>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

(3) 지출

- 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비, 주거․수도․광열비, 음식․숙박비의 지출비중이 높음.

<표 67>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과 구성비

구 분

현황 구성비

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생계비 초과 전체

단신근로자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생계비 초과 전체

소 비 지 출 1264 2765 2441 100.0 100.0 100.0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222 351 324 17.6 12.7 13.3

주 류 ․ 담 배 19 35 32 1.5 1.3 1.3

의 류 ․ 신 발 69 183 158 5.5 6.6 6.5

주 거 ․ 수 도 ․ 광 열 210 283 268 16.6 10.2 11.0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47 115 100 3.7 4.2 4.1

보 건 119 170 159 9.4 6.1 6.5

교 통 111 361 307 8.8 13.1 12.6

통 신 75 155 138 5.9 5.6 5.7

오 락 ․ 문 화 68 169 147 5.4 6.1 6.0

교 육 77 313 262 6.1 11.3 10.7

음 식 ․ 숙 박 146 394 340 11.6 14.2 13.9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99 235 206 7.8 8.5 8.4

- 비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는 가구간이전지출비

(38.7%)에 가장 많이 지출하고, 다음으로 비영리단체로 이전(22.7%), 이자비용과

사회보험(12.4%)의 순으로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68>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과 구성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100.0 93.6 3.0 3.2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100.0 78.3 14.4 7.3

전체 100.0 71.1 13.8 7.0

Page 37: 2016.6.27.(월) 황 선 자

- 36 -

구 분

현황 구성비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전체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100.0

비 소 비 지 출 282 1003 847 100.0 100.0 100.0

경 상 조 세 22 199 161 7.8 19.8 19.0

비 경 상 조 세 4 18 15 1.4 1.8 1.8

연 금 22 168 136 7.8 16.7 16.1

사 회 보 험 35 152 127 12.4 15.2 15.0

이 자 비 용 35 93 81 12.4 9.3 9.6

가 구 간 이 전 지 출 109 256 225 38.7 25.5 26.6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55 116 103 19.5 11.6 12.2

(4)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 근로소득이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인 가구와 비교하여 미혼단신노동자 생계

비 초과 가구가 시장소득은 3.3배, 가처분소득은 2.6배, 공적 비소비지출은 6.5배에

이르는데 비해, 공적 이전소득은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가 2.3배 많음.

<표 69>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주: 1)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2)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3)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4)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경우 소득중 시장소득의 비율이 낮고 공적

이전소득의 비율이 높음. 그리고 가계지출(생계비) 중 공적 비소비지출의 비율이 낮

고, 가구간 이전지출의 비중이 약간 높음.

<표 70> (근로소득) 미혼단신노동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소득 중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의 비중

구분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1432 1656 307 83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4718 4312 132 537

전체 4008 3739 170 439

구분소득 중 비중 가계지출 중 비중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가구간

Page 38: 2016.6.27.(월) 황 선 자

- 37 -

4) 상대적 빈곤가구(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가구)

(1) 가계수지

- 상대적 빈곤가구의 2015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는 108만 8천원, 처분가

능소득은 98만 4천원이었음. 흑자액은 6만 3천원, 흑자율은 6.4%, 적자가구비율은

36.8%, 평균소비성향은 93.7%에 달함.

•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의 2015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115만 1천원, 소

비지출은 92만 2천원, 비소비지출은 16만 6천원이었음. 이에 비해 중위소득의

50% 이상 가구는 소득은 4.2배인 479만 1천원, 생계비는 3.3배인 361만원, 소비

지출은 2.9배인 266만 3천원, 비소비지출은 5.7배인 94만 3천원, 처분가능소득은

3.9배인 384만 3천원임. 흑자액은 118만원으로 무려 18.7배임.

<표 71>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계수지 현황

주: 처분가능소득: 소득-비소비지출

흑자액: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흑자율: (흑자액/처분가능소득)x100

평균소비성향: (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x100

- 가계수지 구성을 살펴보면, 상대적 빈곤가구의 경우 소득중 생계비(가계지출)와

소비지출 비중이 크게 높음. 가구당 월평균 생계비(가계지출) 구성을 살펴보면, 상

대적 빈곤가구의 경우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고, 비소비지출의 비중이 낮음.

<표 72> 상대적 빈곤가구의 소득과 생계비의 구성비

구분소득

(A)

가계지

(생계

비)

   

처분

가능소

(A-C)

흑자

(A-C

-B)

흑자

평균

소비성

B/(A-C

)

×100

적자

가구

비율

상대

빈곤

소비지

(B)

비소비

지출

(C)

중위소득의

50% 미만1151 1088 922 166 984 63 6.4 93.7 36.8 100.0

중위소득의

50% 이상4791 3610 2663 947 3843 1180 30.7 69.3 15.0 0.0

전체 4325 3288 2441 847 3478 1037 29.8 70.2 17.9

이전지출

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77.7 89.9 16.7 5.4 7.1

단신근로자 생계비

초과 가구94.2 86.1 2.6 14.3 6.8

전체 92.7 86.5 3.9 13.4 6.8

Page 39: 2016.6.27.(월) 황 선 자

- 38 -

(2) 소득

- 상대적 빈곤가구와 그 외 가구 간의 소득 격차는 주로 근로소득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남.

-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상대적 빈곤가구의 경우 115만 1천원인데 비해 그 외 가

구는 4.2배인 479만 1천원임.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은 상대적 빈곤가구의 경우

81만 9천원인데 비해 그 외 가구는 5배인 411만 5천원으로 나타났음.

<표 73>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

- 상대적 빈곤가구는 소득 가운데 근로소득(71.2%) 다음으로 이전소득(21.7%)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에 비해 그 외 가구는 근로소득(85.9%)의 의존도가

높고, 이전소득의 비중이 6.6%로 상대적으로 낮음.

<표 74>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구성비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중위소득의

50% 미만1151 1100 819 29 2 250 50

중위소득의

50% 이상4791 4633 4115 188 15 315 158

전체 4325 4181 3694 167 14 306 144

구분소득

           

경상

소득

        비경상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중위소득의

50% 미만100.0 95.6 71.2 2.5 0.2 21.7 4.3

중위소득의

50% 이상100.0 96.7 85.9 3.9 0.3 6.6 3.3

전체 100.0 96.7 85.4 3.9 0.3 7.1 3.3

구분소득

(A)

가계지출

(생계비)

   

가계지출

(생계비)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소비지출

(B)

비소비지출

(C)

중위소득의

50% 미만100.0 94.5 80.1 14.4 100.0 84.7 15.3

중위소득의

50% 이상100.0 75.3 55.6 19.8 100.0 73.8 26.2

전체 100.0 76.0 56.4 19.6 100.0 74.2 25.8

Page 40: 2016.6.27.(월) 황 선 자

- 39 -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격차는 주로 가구주소득 차이에서 발생하고, 다음으로

배우자 소득, 기타 가구원소득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남.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소득이 상대적 빈곤가구는 78만 6천원인

데 비해 그 외 가구는 4.1배인 323만 9천원임. 상대적 빈곤가구와 비교하여 그 외

가구의 배우자소득은 34.2배인 58만 1천원, 기타가구원소득은 17.4배인 29만 5천

원임.

<표 75>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

-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을 살펴본 결과, 상대적 빈곤가구는 근로소득 가

운데 가구주소득의 비중이 96.0%로 주로 가구주소득에 의존하고 있음. 배우자소득

은 2.1%에 불과함. 이에 비해 중위소득 50% 이상 가구는 근로소득 가운데 가구주

소득의 비중이 78.7%, 배우자소득 14.1%로 나타남.

<표 76>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근로소득의 구성비

(3) 소비

- 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상대적 빈곤가구는 주거․수도․광열비, 식료품․비주류음료비,

음식․숙박비의 지출비중이 높음.

<표 77>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과 구성비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중위소득의 50% 미만 819 786 17 17

중위소득의 50% 이상 4115 3239 581 295

전체 3694 2626 509 260

구분 근로소득   

가구주소득 배우자소득 기타가구원소득

중위소득의 50% 미만 100.0 96.0 2.1 2.1

중위소득의 50% 이상 100.0 78.7 14.1 7.2

전체 100.0 71.1 13.8 7.0

Page 41: 2016.6.27.(월) 황 선 자

- 40 -

구 분

현황 구성비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위소득의

50% 이상전체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위소득의

50% 이상전체

소 비 지 출 922 2663 2441 100.0 100.0 100.0

식 료 품 ․ 비 주 류 음 료 178 345 324 19.3 13.0 13.3

주 류 ․ 담 배 16 34 32 1.7 1.3 1.3

의 류 ․ 신 발 47 174 158 5.1 6.5 6.5

주 거 ․ 수 도 ․ 광 열 182 280 268 19.7 10.5 11.0

가 정 용 품 ․ 가 사 서 비 스 32 110 100 3.5 4.1 4.1

보 건 90 170 159 9.8 6.4 6.5

교 통 76 341 307 8.2 12.8 12.6

통 신 56 150 138 6.1 5.6 5.7

오 락 ․ 문 화 44 162 147 4.8 6.1 6.0

교 육 32 296 262 3.5 11.1 10.7

음 식 ․ 숙 박 103 375 340 11.2 14.1 13.9

기 타 상 품 ․ 서 비 스 66 226 206 7.2 8.5 8.4

- 비소비지출 비목 가운데 상대적 빈곤가구는 가구간이전지출비(38.0%)에 가장 많

이 지출하고, 다음으로 비영리단체로 이전(17.5%), 사회보험(15.1%)의 순으로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표 78> 상대적 빈곤가구의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과 구성비

구 분

현황 구성비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위소득의

50% 이상전체

중위소득의

50% 미만

중위소득의

50% 이상100.0

비 소 비 지 출 166 947 847 100.0 100.0 100.0

경 상 조 세 11 183 161 6.6 19.3 19.0

비 경 상 조 세 1 17 15 0.6 1.8 1.8

연 금 17 154 136 10.2 16.3 16.1

사 회 보 험 25 142 127 15.1 15.0 15.0

이 자 비 용 19 90 81 11.4 9.5 9.6

가 구 간 이 전 지 출 63 248 225 38.0 26.2 26.6

비 영 리 단 체 로 이 전 29 114 103 17.5 12.0 12.2

(4)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 상대적 빈곤가구와 비교하여 중위소득의 50%이상 가구는 시장소득은 4.8배, 가

처분소득은 4.0배, 공적 비소비지출은 8.8배에 이르는데 비해, 공적 이전소득은 상

대적 빈곤가구가 더 큼.

Page 42: 2016.6.27.(월) 황 선 자

- 41 -

<표 79> 상대적 빈곤가구의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

주: 1)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2)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3)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4)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상대적 빈곤가구의 경우 소득중 시장소득의 비율이 낮고 공적 이전소득의 비율이

높음. 그리고 가계지출(생계비) 중 공적 비소비지출과 가구간 이전소득의 비율이 다

른 가구에 비해 낮음.

<표 80> 상대적 빈곤가구의 소득 중 시장소득과 사회적 소득의 비중

제4장 시사점

- 앞에서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첫째, 가구생계비가 적극 반영되어야 함. 가구생계비를 반영하지 않은 낮은 수준의

최저임금은 기업이 지불해야 할 노동력 재생산 비용을 가계와 정부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임.

- 저소득가구의 대다수가 가구주가 유일한 소득원이고, 본인외 1인 이상의 부양가

구원을 가진 가구가 더 많음. 저소득가구는 근로소득만으로 가구를 부양할 수 없기

때문에 소득의 많은 부분을 이전소득, 즉 공적 지원과 다른 가구로부터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음. 이는 기업이 지불해야 할 노동력 재생산 비용을 가계와 정부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음. 따라서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통해 기업이

자신이 고용한 노동자 가구의 재생산에 필요한 비용을 지불하도록 해야 할 것임.

구분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

중위소득의 50% 미만 920 1044 180 56

중위소득의 50% 이상 4460 4133 169 495

전체 4008 3739 170 439

구분

소득 중 비중 가계지출 중 비중

시장소득 가처분소득  공적 이전소득 공적 비소비지출가구간

이전지출

중위소득의 50% 미만 79.9 90.7 15.6 5.1 5.8

중위소득의 50% 이상 93.1 86.3 3.5 13.7 6.9

전체 92.7 86.5 3.9 13.4 6.8

Page 43: 2016.6.27.(월) 황 선 자

- 42 -

- 둘째,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은 소득불평등 완화에 기여할 것임.

• 대다수의 저소득가구의 경우 가구주가 유일한 소득원이고, 가구원이 2인 이상인

가구가 더 많으므로 최저임금의 인상은 다른 가구원의 생활 개선 효과도 가짐. 따

라서 최저임금 인상이 다른 가구원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면 최저임금인상의

효과는 알려진 것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저소득가구 가구주의 대다수가 임시‧일용직, 여성, 60세 이상이 많고, 노인가구의

비율이 높으므로 종사상지위에 따른 격차, 성별격차, 노인빈곤문제 해소에 기여할

것임.

• 저소득가구의 경우 상대빈곤률이 높기 때문에 빈곤 감소에 기여할 것임.

- 셋째, 저소득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이 높으므로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은 내수활성

화에 기여할 것임.

Page 44: 2016.6.27.(월) 황 선 자

- 43 -

<부록>

<부표 1> 생계비가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취업인원별 가구원수 분포

* 평균 아래 ()의 내용은 표준편차임.

<부표 2> 근로소득이 미혼단신근로자 생계비 이하 가구의 취업인원별 가구원수 분포

* 평균 아래 ()의 내용은 표준편차임.

<부표 3> 상대적 빈곤가구의 취업인원별 가구원수 분포

* 평균 아래 ()의 내용은 표준편차임.

가구원수

취업인원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전체

평균

가구원수

1인535

(55.7)

317

(33.0)

77

(8.0)

25

(2.6)

7

(0.7)

961

(100.0)

1.5

(31.6863)

2인0

(0.0)

143

(71.1)

40

(19.9)

16

(8.0)

2

(1.0)

201

(100.0)

2.4

(27.0411)

3인 이상0

(0.0)

0

(0.0)

11

(73.3)

3

(20.0)

1

(6.7)

15

(100.0)

3.4

(29.6599)

전체535

(45.5)

460

(39.1)

128

(10.9)

44

(3.7)

10

(0.9)

1,177

(100.0)

1.6

(35.3264)

평균

취업자수

1

(0)

1.3

(16.9595)

1.5

(16.7364)

1.7

(20.0998)

1.8

(27.3310)

1.2

(18.2532)

가구원수

취업인원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전체

평균

가구원수

1인462

(44.5)

392

(37.7)

125

(12.0)

46

(4.4)

14

(1.4)

1039

(100.0)

1.7

(39.9764)

2인0

(0.0)

118

(68.2)

32

(18.5)

15

(8.7)

8

(4.6)

173

(100.0)

2.7

(39.4991)

3인 이상0

(0.0)

0

(0.0)

10

(76.9)

1

(7.7)

2

(15.4)

13

(100.0)

3.6

(50.9562)

전체462

(37.7)

510

(41.6)

167

(13.6)

62

(5.1)

24

(2.0)

1,225

(100.0)

1.9

(42.9697)

평균

취업자수

1

(0)

1.2

(15.2006)

1.3

(25.7125)

1.3

(22.2840)

1.7

(29.2658)

1.1

(16.3507)

가구원수

취업인원1인 2인 3인 4인 5인 이상 전체

평균

가구원수

1인383

(59.8)

191

(29.8)

51

(8.0)

11

(1.7)

4

(0.6)

640

(100.0)

1.4

(32.3553)

2인0

(0.0)

44

(67.7)

15

(23.1)

5

(7.7)

1

(1.5)

65

(100.0)

2.4

(23.5647)

3인 이상0

(0.0)

0

(0.0)

1

(100.0)

0

(0.0)

0

(0.0)

1

(100.0)

3

(.)

전체383

(54.3)

235

(33.3)

67

(9.5)

16

(2.3)

5

(0.7)

706

(100.0)

1.5

(33.3045)

평균

취업자수

1

(0)

1.2

(13.8456)

1.2

(18.5777)

1.2

(19.1916)

1.1

(8.3843)

1.1

(10.8692)

Page 45: 2016.6.27.(월) 황 선 자

- 44 -

<개념정리>

- 시장소득: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 이전소득(가구간 이전)

- 가처분소득: 시장소득+공적 이전소득-공적 비소비지출

• 공적 이전소득: 공적연금+기초노령연금+사회수혜금+사회적현물이전+연말정산환급금

• 공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비경상조세+연금+사회보장

- 이전소득: 근로의 제공이나 자산의 임대 등에 따른 반대급부가 아닌 것으로써 공적연금,

정부, 비영리단체 및 타 가구로부터 받는 보조금 등이 포함됨.

•공적연금: 국민연금 또는 이를 대신하는 특정직업군에 속했던 사람이 매월 일정액을 반복

적으로 지급받는 금액

•기초노령연금: 기여금 적립없이 연령,소득,부 등의 상태를 평가하여 일정조건을 만족한 경

우에 받는 수혜금

•사회수혜금: 기초노령연금 이외에 기초생활보장수급자,모자가구,차상위계층,노인가구 등 사

회적 약자에게 지급하는 현금,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으로부터 현금수혜

•사회적 현물이전: 정부 및 비영리단체 등이 특정지출 목적을 지정하거나, 직접 현물을 구

입하는 등 현물형태로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

•연말정산 환급금: 근로 및 사업소득에 대한 원천징수 소득자의 세액환급액

•가구간이전: 타가구로부터 정기적으로 보조받는 생활비,교육비 등 이전

•할인혜택: 카드 및 무료쿠폰 이용 등은 이용시에 대상이 되는 상품과 서비스를 시가로 처

•기타이전소득: 위에 분류되지 않는 이전소득

-비소비지출: 조세,공적연금,사회보험 등 공적 비소비지출 및 가구간이전, 비영리단체로의

이전 등의 사적 비소비지출

•경상조세: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 직접세로 경상적으로 부과되는 세금

•비경상조세: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 직접세로 비경상적으로 부과되는 세금

•연금: 각종 연금법에 따라 매월 일정액을 납입하는 연금보험료

•사회보장: 각종 연금법에 따라 매월 일정액을 납입하는 연금보험료

•이자비용: 위의 항목에 분류되지 않은 이전적 성격의 비소비지출

•가구간 이전지출: 가구간 이전하는 현금지출로 국내에 송금하는 경우, 경상적 송금은 국내

학생가구송금, 기타송금에 분류하고 비경상적인 현금지출은 교제비에 분류함. 외국에 송금

하는 경우에는 경상․비경상을 구분하지 않고 국외학생 및 환자에 대한송금, 기타송금(국외)

으로 구분

•비영리단체로 이전: 종교단체, 정당, 종중, 사회운동단체, 자생상조회 등으로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