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7일(화) 조간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신사 및 온라인은 일월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거 시] 산업통계분석본부 민성환 연구위원 (044) 287-3127 [산 업] 산업경쟁력연구본부 이임자 연구위원 (044) 287-310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2018. 1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보도자료

본 자료는 11월 27일(화) 조간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신사 및 온라인은 26일(월) 15시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 의

[거 시] 산업통계분석본부 민성환 연구위원 (044) 287-3127

[산 업] 산업경쟁력연구본부 이임자 연구위원 (044) 287-310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2018. 11.

Page 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차 례

< 요 약 > ·························································································· i

Ⅰ. 거시경제 전망 ·········································································· 1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 1

2. 대외여건 전망························································································ 3

3. 2019년 국내경제 전망 ········································································ 11

<참고 1>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과 향후 변수················································ 19

<참고 2> 최근의 수출 동향 및 특징································································ 31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35

1. 2018년 동향·························································································· 35

2.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 43

3. 2019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49

4. 정책적 시사점······················································································ 60

Page 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① -

|요 약|

Ⅰ.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수출 둔화 ․ 내수는 소비 둔화와 투자 감소로 하락세

○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내수도 소비 둔화와 투

자의 감소 전환 등의 영향으로 완연한 하락세

- 내수는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크게 감소하면서 급속한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소비도 연 2%대 증가율로 떨어지면서 둔화세

- 수출은 물량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단가는 기저효과로 인한 유

가 상승폭 축소 등의 영향으로 상승률이 떨어지면서 증가세가 둔화

□ 세계경제 : 하방 리스크 요인에 따른 제한적 성장 전망

○ 2019년 세계경제는 선진권의 경기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률 정체가 예

상되는 가운데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인해 제한적 성장이 예상

- 선진권은 미국경제의 성장률 하락이 예상되며, 일본과 유로권도 전

년보다는 약간 낮은 성장률에 그칠 전망

- 중국은 연 6%대 초반까지 성장률 하락이 예상

□ 유가 및 환율 : 연평균 유가 보합, 환율 소폭 상승 예상

○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와 미 달러화 가치

상승 등 금융 요인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나, OPEC의 감산 지속과 지

정학적 불안정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연평균 보합 예상

○ 원/달러 환율은 미 달러화의 강세 기조가 2019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

Page 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② -

이나, 하반기에는 유럽 등지의 통화긴축 전환과 미국경기 둔화 등의 영

향들로 인한 달러화의 약세 전환으로 연평균 기준 소폭 상승 예상

□ 2019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성장률 2.6% 전망

○ 2019년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소

폭 증가에 그치고, 소비가 전년대비 둔화세를 보이면서 2018년보다 약

간 낮은 2.6%의 성장률이 예상

- 전년동기비 성장률로는 상반기와 하반기가 서로 비슷한 수준 예상

- 2018년 실질GDP는 민간소비가 전년보다 약간 더 확대되나, 설비투자와

건설투자가 동반 급감하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율로 떨어지면서

2017년(3.1%)보다 낮은 2.7% 성장률이 예상

○ 대외적으로는 국가간 통상마찰 심화 여부와 글로벌 통화긴축 기조의

영향, 신흥권의 경기 불안 지속 여부 등이,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한은

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여부와 고용 여건의 개선 여부, 정부 정책 효

과의 발현 정도 등이 주요 관건으로 작용

□ 민간소비 : 연 2%대 중반 수준의 증가율 예상

○ 소비는 실질소득 감소와 고용 부진 등이 예상되고, 대외 불확실성으

로 인한 체감경기 약화로 증가세가 둔화되나, 정부 정책(보건·복지·고용 지출 확대, 유류세 인하 등)은 실질구매력 제고에 긍정적 요인

□ 투자 : 설비투자 1.9% 증가, 건설투자 3.1% 감소 전망

○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제한적인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도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과 SOC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전망

Page 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③ -

□ 수출입 : 수출물량 둔화와 단가 하락 영향으로 수출 3.7% 증가 전망

○ 2019년 수출은 세계경기 성장세 둔화로 인해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에

그치고, 반도체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으로 수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연간 증가율이 2018년보다 낮은 3.7% 전망

○ 수입은 유가 상승폭 둔화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수입 증가세 둔화와

국내경기 성장세 약화 등으로 연간 증가율이 4%대 중반 수준 예상

- 수출보다는 수입이 약간 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8년보다 다소 줄어들 전망

주요 거시경제 지표 전망

단위: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7년2018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3.1 2.8 2.5 2.7 2.5 2.7 2.6

민간소비 2.6 3.2 2.4 2.8 2.4 2.8 2.6

설비투자 14.6 1.9 -6.8 -2.5 -0.1 3.8 1.9

건설투자 7.6 -0.1 -5.2 -2.7 -3.6 -2.6 -3.1

통관 수출

(억 달러, %)

5,737

(15.8)

2,967

(6.3)

3,136

(6.4)

6,104

(6.4)

3,088

(4.1)

3,242

(3.4)

6,330

(3.7)

통관 수입

(억 달러, %)

4,785

(17.8)

2,654

(13.3)

2,694

(10.5)

5,348

(11.9)

2,776

(4.6)

2,814

(4.5)

5,590

(4.5)

무역수지 952 314 442 756 312 428 740

자료:산업연구원.

Page 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 중국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주의 등 부정적

영향 지속

○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 글로벌 경기의 제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반

도체, 정보통신기기, 이차전지는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 증가세 전망

-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체 수요는 지

속적으로 증가 전망

- 정보통기기의 스마트폰 시장은 5G폰 및 폴더블폰 수요로 부진이 개선

되고, PC 시장은 6년 부진에서 벗어나 소폭 성장 전망

- 대형 이차전지 세계 수요는 세계 주요국의 노후 전력계통 인프라 교체

수요 및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확산 등으로 큰 폭의 성장 지속 전망

○ (중국 성장세 둔화) 중국 성장세가 둔화하더라도 수요가 안정적으로 확

대되고 있는 반도체, 이차전지 수출에의 영향은 제한적인 반면, 나머지

산업에서 수출에의 부정적 영향 예상

- 자동차는 중국 성장세 둔화로 경쟁력이 강화된 중국 로컬업체들과 외자

합작업체들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자동차 수요 하락 전망

- 조선은 LNG 수요 증가세 둔화와 미중무역 분쟁에 따른 미중간 해상물

동량 감소로 인해 전방산업인 해운시황과 LNG운반선 시장에 간접적

인 악영향 예상

- 중국 성장 둔화시 일반기계는 대중 수출 둔화, 철강은 철강가격 하락과

중국의 대세계 수출 확대로 부정적인 영향 예상

- 정유는 아스팔트와 고부가가치 경질유의 대중 수출 부진, 석유화학은

Page 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⑤ -

중국내 전방산업의 저성장으로 수요 위축 등 우려

○ (보호무역 기조 강화) 2019년에도 보호무역 강화로 일반기계, 철강, 석

유화학, 가전, 이차전지, 음식료, 자동차, 섬유 등에서 부정적 영향 예상

- 자동차는 수입자동차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보류로 직접적 영향은 적

지만,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양국 경기 둔화시 자동차 수요 위축 등

간접적 영향 우려

- 일반기계는 NAFTA 재협상, 미·중 통상분쟁 장기화 등 미국 보호무역

확대에 따른 교역 불확실성 리스크에 의한 대중 수출량 감소 우려

- 철강은 보호무역주의가 EU 및 신흥국으로 확산, 섬유는 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섬유소비 위축 우려, 석유화학은 국산 화학 중간재의 대중

수출이 감소하며 아시아시장 내 공급과잉 우려

- 이차전지는 2016년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중국의 자국 배터리 위주(한

국기업 보조금대상 제외)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 등 보호무역 강화가 수

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2019년 국내 주요 경제지표의 부진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부정적 영향

예상

○ (국내 경기 부진) 2019년 국내경기 부진시 소비 위축으로 자동차, 섬유,

가전, 음식료 등 소비재와 석유기반 산업의 업황 위축

-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및 가계소득 감소는 일차적으로 자동

차, 의류, 가전,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등 소비재의 수요 위축 야기

- 산업활동 위축으로 전후방산업간 선순환 파급효과가 낮아지고, 특히

철강, 정유, 석유화학, 섬유소재 등 소재산업의 생산에 부정적 영향

○ (소비 둔화) 2019년 민간소비 위축 전망으로 자동차, 가전 등 소비재의

Page 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⑥ -

업황 위축이 예상되며, 정유 및 디스플레이의 연쇄 부진 전망

- 자동차 및 가전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처분소득

감소에 따른 신규 수요 감소, 디스플레이는 세트제품의 판매 부진으로

수요위축을 초래할 전망

- 의류는 중저가 제품 수요 및 수입 확대, 중국인 단체관광객 확대 등으

로 소비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음식료는 경기 비탄력적인 특

성상 소비 둔화의 영향은 다소 제한적

- 정유는 산업용 비중이 높은 석유화학용 석유제품의 소비 확대가 둔화하

여 부정적 영향 예상

○ (국내 투자) 자동차, 일반기계, 섬유의 국내 투자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IT산업, 석유화학, 음식료산업의 투자 확대 전망

- 자동차산업 부진이 지속되면서 부품업체 투자 감소, 섬유는 내수 및 수

출 부진 전망으로 국내 생산 투자 소극적

- 일반기계는 SOC 예산 축소에 따른 설비투자 위축, 반도체산업 주도의

대규모 설비투자 마무리 등으로 투자 부진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생

산시설을 확충하고,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대비하여 기술 초격

차 전략을 위해 첨단제품 개발 및 생산 설비 증설 예상

- 디스플레이는 OLED 신규 및 추가투자 확대, 이차전지는 중대형 이차전

지 중심의 R&D 투자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해외투자) 해외투자 확대로 자동차, 일반기계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

되는 반면, 글로벌 밸류체인이 빠르게 진전된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등에서 부정적 영향 예상

Page 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⑦ -

- 자동차는 ’19년 하반기 인도에 기아차 생산공장 신규 가동예정으로 국

내 부품수요 증가 예상

- 일반기계는 기아차 인도공장 건설시 현지 생산공장의 자동차 생산설비

는 대부분 국내에서 공급하는 등 수요기업의 해외 현지공장 신설에 따

른 국내 기계류 수출 증대 기대

○ (고 용) 반도체, 이차전지 등 경영실적이 좋은 산업에서 고용이 지속 확

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나머지 업종들의 고용은 부진할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공급부족에 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 생산 설비 확충으

로 고용 증가, 이차전지 역시 국내 투자 확대로 고용 증가 예상

- 조선은 수주회복기의 물량생산, LNG운반선 등의 본격생산, 친환경기자

재 시장 확대 등으로 고용의 증가세 전환 전망

- 2019년 생산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동차, 철강, 섬유, 가전 등에

서 고용이 지속 감소 예상

자동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고용 조정, 섬유 및 가전은 해외생산

확대,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으로 국내 생산 물량이 지속 감소하여

일자리 창출 효과 지속 저하

Page 1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⑧ -

2. 2019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수출은 2018년 5.2% 증가에서 증가폭이 둔화하여 3.6% 증가

○ 13대 주력산업의 2019년 수출은 선진권의 경기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

정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강화, 국제유가 횡보에 따른 수

출단가 상승폭 제한, 반도체 가격 인하 등 요인으로 증가세 둔화

- 미 중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 정책 강화가 지속되고, 글로벌 경쟁 심화,

해외 생산 확대 등으로 성장 동력이 약화하며 수출 증가세는 전년

(5.2%) 대비 다소 둔화 전망

○ (기계산업군) 조선은 고가에 수주받은 LNG운반선의 건조와 생산량 증

가로 13.8% 증가 전환, 일반기계는 글로벌 성장세 둔화,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증가세 둔화

- 주요 선진시장의 자동차 수요 감소 및 신흥시장 수요가 크게 둔화하여

완성차 수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어 0.2% 감소 예상

○ (소재산업군) 정유는 국제유가의 안정화로 석유제품 수출단가 상승폭

제한, 글로벌 석유제품의 수요확대 추세 둔화 및 주요국의 대규모 정제

설비 가동으로 인한 공급확대 추세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6.1% 증가

- 석유화학은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수출단가 보합세가 유지되며 0.4%

증가, 철강은 수출경쟁이 심화되고 단가 하락으로 3.3% 감소 전망

- 섬유는 글로벌 경기 성장세 둔화에 따른 글로벌 섬유 수요 부진과 수출

단가 인상 제약으로 0.3% 소폭 감소세 전망

○ (IT산업군) IT산업군은 가전, 디스플레이의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

도체, 이차전지, 정보통신기기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대비 6.1% 증가

가 예상되나, 2018년(14.9%)보다는 증가세가 크게 둔화

Page 1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⑨ -

-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하락 전망 불구, 4차 산업혁명 관련 신

산업 발달로 인한 수요 증가로 9.3%의 수출 증가세 유지

- 이차전지는 중대형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폭발적 수요 증가 및 대형 이

차전지의 높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출 증가율은 8.6% 전망

- 정보통신기기 수출은 SSD의 호조세 지속과 5G폰, 폴더블폰 등 차세대

스마트폰 출시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4%의 소폭 증가 전환

- 디스플레이 수출은 중국 대비 LCD의 경쟁력 약화, 패널가격 하락, 중

국기업들의 생산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등으로 전년대비 2.5% 감소, 가

전 수출은 해외생산 확대와 글로벌 경쟁심화 등으로 7.5% 감소

○ 음식료 수출은 대중국 수출 시장 회복 및 新남방, 新북방 등 신흥국의

한국산 가공식품 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대비 4.3% 증가세 유지

<그림 Ⅱ-1> 2019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생산은 수출 둔화 및 국내 경기 부진에 따른 내수 위축이 주력산업의

성장을 제약하여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부진 전망

○ 조선, 철강, 가전의 생산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석유화학,

Page 1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⑩ -

섬유, 디스플레이의 생산 감소세 지속, 반도체, 이차전지, 일반기계 등의

생산 증가세가 소폭 둔화하면서 생산 증가를 제약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생산은 자동차를 제외한 수출 증가에도 불구

하고 내수 부진 및 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생산 부진 전망

- 자동차 생산은 수출 및 내수 부진 지속, 최저임금 인상 폭 확대 및 근로

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 강화 영향으로 중소 부품업체들의 생산이 위축

되어 전년대비 2.3% 감소

- 조선은 2017년 이후 수주회복기 수주분의 본격 건조와 기저효과로 증가

세로 반등하는 반면, 일반기계는 수출 증가세 둔화 및 내수경기 위축으

로 생산이 전년대비 소폭 증가에 그침.

<그림 Ⅱ-2> 2019년 주요 산업별 생산 증가율 전망

단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소재산업군) 철강 및 정유 생산이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석유

화학 및 섬유 생산 감소로 소재산업 생산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 전망

- 철강은 상반기 내수의 부진 여파로 생산이 소폭 감소하지만 하반기에

판재류 수출 영향으로 소폭 증가가 예상되면서 전년 수준의 생산 전망

Page 1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⑪ -

- 정유 생산은 대규모 신규설비 확장 계획이 부재한 가운데 고도화 설비

중심의 투자확대가 이루어지고, 글로벌 공급확대로 수출주도 생산 확

대가 어렵고 재고 증가 우려로 전년대비 약 2.8% 확대 전망

- 석유화학은 전방산업의 내수 부진 지속 및 수출물량 증가율 정체로 가

동률도 하락하고, 섬유는 지속적인 해외투자 및 수출 부진과 수입급증

으로 국내 생산이 소폭 감소 전망

○ (IT산업군) 정보통신기기 생산 확대 불구, 생산을 주도하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생산 증가세가 둔화하고 디스플레이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IT산업군 생산은 전년대비 소폭 둔화

- 반도체 생산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

여 국내 생산 설비를 확충 및 수출 확대 영향으로 6.8% 증가 전망

공급과잉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급자 지위 강화로 공급량 조절이 가

능하며,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공급 부족 현상으

로 생산 증가 지속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5G 통신기기, 폴더블폰 등 신제품 출시, SSD 등을

중심으로 생산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높은 해외생산 비중으로 전

년대비 4.2% 제한적 성장

- 이차전지 생산은 수출증가 추세에 힘입어 중대형 이차전지 중심의 R&D

투자 및 국내 신규설비라인 구축을 통한 생산 확대로 8.5% 증가 지속

-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업체들의 OLED 패널 채용 속도가 느리고 생산

구조조정에 따른 LCD 공급 감소, 패널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3.0%

감소 예상

○ 음식료는 수출 확대, 내수의 견실한 성장 기조, 소비자 대응 신제품 개

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1.0% 증가 예상

Page 1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⑫ -

□ 내수는 소비재 중심의 증가세가 이어지는 반면, 소재부품산업의 내수

가 부진하며 전반적인 내수 위축 전망

○ 자동차,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등 소비재의 높은 수입 확대

로 내수가 증가하고, 수요산업의 국내생산 부진에 따라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재부품류의 내수 둔화 전망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내수는 일반기계 내수 부진이 자동차 내수증

가로 만회하면서 전년 수준 유지

- 자동차 내수는 경기 침체, 고용 불안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

구하고 완성차업체들의 내수 판매 전략 강화 및 정부의 내수시장 활성

화 대책으로 0.7% 소폭 증가 전망

- 조선은 국내 해운사가 2017년부터 국내 조선사에 발주한 선박의 건조가

2019년에 실현되기 시작하면서 큰 폭의 회복세 시현

- 일반기계는 내수는 정부의 SOC 투자 감소와 반도체산업이 주도했던 기

계류 설비투자가 마무리되고, 설비투자 위축으로 전년대비 1.1% 감소

○ (소재산업군) 수요산업 부진으로 철강 및 석유화학 내수가 부진하고 섬

유 내수는 보합, 정유 및 섬유 내수가 미증에 그치면서 전년대비 둔화

- 철강은 자동차, 기계 등 수요 산업의 생산 활동 둔화, 건설투자 하락세

전환 등 내수 부진과 수출 위축으로 전년대비 1.0% 감소

- 정유는 민간소비 및 운송부문 주도의 내수 증가 추세가 지속되겠지만

산업부문의 소비는 소폭 감소하며 전년대비 1.8% 증가 예상

- 석유화학은 생산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자동차, 섬유, 건설산업 등 수

요산업의 업황 개선이 불투명하여 석유화학 중간재 수요 위축 등으로

는 3.7% 감소 전망

Page 1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⑬ -

- 섬유는 섬유 내수는 수입 주도의 섬유수요 확대로 1.0% 증가세 예상

○ (IT산업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내수부진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 정

보통신기기, 가전 주도의 내수 성장 전망

- 이차전지 내수는 소비심리 일부 개선 및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확산 정

책 기조 강화 등의 요인으로 전년대비 9.3% 증가 전망

- 정보통신기기 내수는 5G 이동통신서비스가 본격 상용화되고 관련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6.9% 증가

- 가전 내수는 건강가전과 프리미엄 시장 확대, 다양한 IoT 가전 신제품

출시, 스마트홈 서비스 확대 등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2.8% 증가 전망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는 주요 수요산업의 국내 소비량 축소 및 해외 생

산 확대로 감소 예상

○ 음식료 내수는 신제품 출시에 따른 가격 인상 기조가 유지되고 고급 기

호식품에 대한 수입이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0.9% 성장 전망

<그림 Ⅱ-3> 2019년 주요 산업별 내수 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1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⑭ -

□ 수입은 소재산업을 제외하고 소비재와 IT 부품 수입 확대에 힘입어

4.3% 증가세 유지 전망

○ 13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수출 성장세 둔화 및 내수 및 국내 생산 부진

에도 불구하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증가

세를 보이며 전년대비 4.3% 증가 예상

○ (기계산업군) 자동차, 조선 등 수송기기 부문의 수입이 확대되었으나,

내수부진에 따른 일반기계 수입 감소로 기계산업 수입은 0.7% 확대

- 자동차는 수입차 업체들의 가격인하와 다양한 신모델 출시, AS부품 수

요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4.9% 증가 전망

-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선박수입과 외국 기자재를 많이 사용하는 LNG운

반선과 같은 고기술선박의 생산에 따른 기자재 수입으로 10.9% 증가

- 일반기계는 수입수요를 견인하는 기계류 설비투자 위축이 심화되면서

2.7% 감소

<그림 Ⅱ-4> 2019년 주요 산업별 수입 증가율 전망

단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Page 1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⑮ -

○ (소재산업군) 정유와 섬유 수입 증대에 힘입어 소재산업의 수입은 전년

대비 2.4% 증가 전망

- 정유 수입은 산업용을 중심으로 한 내수 부진으로 석유제품 수입 물량

확대폭 축소와 수입단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5.3% 확대로 증가세 둔화

- 섬유는 해외생산 의류의 역수입 지속 확대, 중저가 섬유소재 수입 확대,

합리적 소비 확산에 따른 중저가 섬유제품의 수요 증가로 증가 예상

- 철강은 수요산업 부진 및 건설투자 위축 등 국내 수요 부족, 석유화학

은 국제유가의 보합세에 따른 수입단가 안정세 등으로 수입 감소 예상

○ (IT산업군) IT산업 수입은 제품 및 부품 수입이 동시에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8.4% 확대되어 총수입 증가를 견인

- 이차전지 수입은 저렴한 저가 중국산 부분품 및 완제품 수입이 계속 증

가하여 15.0% 증가 전망

- 반도체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용 반도체, 전력 반도체 등 신규 산

업에서 시스템반도체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10.9% 증가 전망

- 가전은 국내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제품(개도국)과 프리미엄

제품(선진국) 수입 수요의 동반 성장으로 전년대비 2.3% 증가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외산 스마트폰, PC와 완제품 제조용 부품 등을 중심으

로 확대되어 전년대비 7.0% 증가 전망

○ 음식료는 맥주, 고급 유가공품 등 고급 기호식품에 대한 수입수요 증가,

주요 원자재의 국제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로 전년대비 1.7% 증

가 예상

Page 1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⑯ -

2019년 산업전망 기상도

수 출 생 산 내 수 수 입

기계산업군

자동차 ☂ ☁ 조 선 ☼☼ ☼ ☼☼ ☼☼일반기계 ☁ ☁

소재산업군

철 강 ☁ ☁ ☁정유 ☼ ☼

석유화학 ☁ ☁ ☁섬 유 ☁ ☁ ☼

IT제조업군

가 전 ☂ 정보통신기기 ☼ ☼

반도체 ☼ ☼ ☁ ☼☼디스플레이 ☁ ☁ ☁ 이차전지 ☼ ☼ ☼ ☼☼

음식료 주 1)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기준, ☂☂ -10% 이하, ☂ -5%∼-10, ☁ -5∼0%, 0∼5%, ☼ 5∼10%, ☼☼ 10% 이상. 2) 생산과 내수의 경우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3) 수출과 수입은 모든 업종에서 달러화 가격 기준.

Page 1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 -

I. 거시경제 전망

1. 국내 실물경제 동향

□ 수출 둔화 ․ 내수는 소비 둔화와 투자 감소 속에서 완연한 하락세

○ 국내 실물경기는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도 소비

둔화와 투자의 감소 전환 등 영향으로 부진해지면서 완연한 하락세

- 민간소비가 올 2분기부터 증가율이 2%대로 떨어지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역시 크게 감소하면서 급속한 조정 양상

- 수출(통관 기준)도 지난해 두 자릿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떨어지는 양상

* GDP(전기비, %) : (’17.4/4) -0.2 → (’18.1/4) 1.0 → (2/4) 0.6 → (3/4) 0.6* GDP(전년동기비, 이하 同, %) : (’18.1/4) 2.8 → (2/4) 2.8 → (3/4) 2.0* 민간소비(%) : (’17.4/4) 3.4 → (’18.1/4) 3.5 → (2/4) 2.8 → (3/4) 2.6* 설비투자(%) : (’17.4/4) 8.6 → (’18.1/4) 7.3 → (2/4) -3.0 → (3/4) -7.7* 건설투자(%) : (’17.4/4) 3.8 → (’18.1/4) 1.8 → (2/4) -1.5 → (3/4) -8.6* 통관수출(%) : (’17.4/4) 8.4 → (’18.1/4) 9.8 → (2/4) 3.1 → (3/4) 1.7

<그림 Ⅰ-1> 국내경제 성장률과 부문별 성장기여도 추이

자료 : 한국은행. 주 : 내수는 민간소비와 총고정자본형성의 합.

Page 2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 -

○ 광공업생산이 제조업 생산의 부진 여파로 올 3분기에 다시 감소세

를 보이고, 서비스업생산도 하반기 들어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

* 광공업(전년동기비, %) : (’17.4/4) -3.8 → (’18.1/4) -2.2 → (2/4) 0.7 → (3/4) -1.7

* 서비스(전년동기비, %) : (’17.4/4) 0.9 → (’18.1/4) 2.6 → (2/4) 2.3 → (3/4) 0.8

<그림 Ⅰ-2> 광공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증가율 추이

자료 : 통계청.

○ 경기지수는 선행지수와 동행지수 모두 2017년 하반기부터 하락세

* 선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 (’18.6월) -0.1 → (7월) -0.2 → (8월) -0.4 → (9월) -0.2

* 동행 순환변동치 전월차 : (’18.6월) -0.2 → (7월) -0.3 → (8월) -0.2 → (9월) -0.3

<그림 Ⅰ-3> 경기종합지수 추이

자료 : 통계청.

Page 2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 -

2. 대외여건 전망

(1) 세계경제

□ 2018년 동향 : 연초 이후 성장세 둔화

○ 세계 실물경기는 올 들어 선진권 경기가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

역에서 둔화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며, 개도권 경기도 둔화 양상

- 선진권은 미국이 세제개혁 등 확장적 재정정책 등에 힘입어 성장

률이 연 2%대 중반까지 높아진 반면에, 일본이 투자 확대 등에도

성장률이 전년보다 낮아지고, 유로권에서도 내수 부진으로 둔화세

- 개도권은 중국이 올 들어 내수와 수출이 현저히 둔화되면서 성장

률이 연 6%대 중반 수준까지 떨어지고, 브라질도 경기 정점을 지

난 국면이며,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성장 추세를 유지

- 전세계 산업생산은 올 초에 신흥권의 경기 호조에 힘입어 2014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동월비 증가율이 4%선을 돌파한 이후 하락세

* 세계 산업생산 : (’17) 3.4% → (’18.상반기) 3.7% → (’18.7∼8월) 2.9%

· 선 진 권 : (’17) 3.0% → (’18.상반기) 3.1% → (’18.7∼8월) 2.3%

· 개 도 권 : (’17) 3.8% → (’17.하반기) 4.2% → (’18.7∼8월) 3.6%

<그림 Ⅰ-4> 세계 권역별 산업생산 증가율 추이

-4

-2

0

2

4

6

8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세계 산업생산 선진국 개도국

(%, 전년동월비)

자료 : CPB Netherlands Bureau for Economic Policy Analysis.

Page 2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 -

□ 2019년 전망 : 하방 리스크 요인에 따른 제한적 성장

○ 2019년 세계경제는 선진권의 경기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률 정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호무역 기조 심화, 금리인상 기조 확산, 정치적

불확실성 등의 하방 리스크 요인들이 성장을 제한할 가능성

- 미국경제는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확장적 재

정정책의 영향이 점차 소멸되고, 노동시장 호조와 관세 인상 등에

따른 인플레 압력이 강화되면서 성장률이 전년보다 낮아질 전망

- 일본과 유로권은 통화정책의 정상화 과정에서 전년 수준의 성장률

을 기록하는 데 그칠 전망,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분쟁 영향 등으로

실물경기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어 경기 부양책 효과가 주요 관건

- 세계경기 향방의 주요 변수들로는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의 영향과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통화긴축 강도, 정치적 불확실성(브렉시트 협

상, 日 소비세 인상, 중동 정정 불안 등) 완화 여부 등이 주요 관건

<표 Ⅰ-1> 세계 권역별 및 주요국의 성장률 추이와 전망

단위 : %, 전년동기비(전기비 연율)

2017년 2018년 2019년 전망치 조정폭

상반기 하반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연간(f) 연간(f) 2018 2019

세 계 3.7 3.7 3.7 ▲0.2 ▲0.2

선진권 2.4 2.8 2.3 2.6 2.5 2.4 2.4 2.1 0.0 ▲0.1

미 국 2.0 2.5 2.22.6(2.2)

2.9

(4.2)

3.0

(3.5)2.9 2.5 0.0 ▲0.2

일 본 1.6 2.0 1.7 1.1 1.4 0.3 1.1 0.9 0.1 0.0

유 로 2.3 2.7 2.5 2.4 2.2 1.7 2.0 1.9 ▲0.2 0.0

개도권 4.7 4.7 4.7 ▲0.2 ▲0.4

중 국 6.9 6.8 6.9 6.8 6.7 6.5 6.6 6.2 0.0 ▲0.2

세계교역 5.2 4.2 4.0 ▲0.6 ▲0.5

자료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18.10월) 등. 주 : 전망치 조정폭은 2018.7월과의 변화폭이며, ▲는 하향조정을 의미.

Page 2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 -

<그림 Ⅰ-5> OECD 산업생산 및 경기선행지수 변화율 추이

-2

-1.5

-1

-0.5

0

0.5

1

1.5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4

-2

0

2

4

6

8

10

OECD 전산업생산지수(우) OECD 경기선행지수(좌)

(%, 전년동월비) (%, 전년동월비)

<표 Ⅰ-2> OECD와 주요국의 경기선행지수(CLI) 추이

경기선행지수

(장기 추세=100)

전월비 변화율

(%)

전년

동월비경기 전망**

2018 201818.9월

5월 6월 7월 8월 9월 5월 6월 7월 8월 9월

OECD 100.0 99.9 99.8 99.6 99.5 -0.11 -0.11 -0.12 -0.12 -0.13 -0.82 성장세 둔화

유로권 100.2 100.0 99.9 99.7 99.6 -0.14 -0.13 -0.14 -0.15 -0.16 -1.11 성장세 둔화

아시아 개도권* 99.5 99.5 99.6 99.6 99.7 0.02 0.02 0.03 0.04 0.10 -0.39 안정적 성장세

선진권(G7) 100.0 100.0 99.9 99.8 99.7 -0.07 -0.07 -0.07 -0.08 -0.09 -0.43 안정적 성장세

캐나다 99.8 99.8 99.7 99.6 99.5 -0.09 -0.08 -0.08 -0.08 -0.09 -0.91 안정적 성장세

프랑스 100.0 99.9 99.8 99.6 99.4 -0.10 -0.10 -0.12 -0.16 -0.20 -1.22 성장세 둔화

일 본 99.9 99.8 99.8 99.7 99.7 -0.04 -0.05 -0.05 -0.04 -0.04 -0.52 안정적 성장세

독 일 100.3 100.2 100.1 100.0 99.9 -0.15 -0.12 -0.10 -0.09 -0.10 -1.12 성장세 둔화 조짐

이탈리아 100.3 100.1 100.0 99.9 99.8 -0.15 -0.16 -0.15 -0.13 -0.08 -0.75 성장세 둔화

영 국 99.5 99.4 99.3 99.1 98.9 -0.08 -0.11 -0.13 -0.17 -0.20 -1.45 성장세 둔화

미 국 100.1 100.0 100.0 99.9 99.9 -0.05 -0.05 -0.05 -0.05 -0.06 0.09 안정적 성장세

브라질 103.3 103.0 102.8 102.5 102.3 -0.12 -0.19 -0.24 -0.25 -0.24 0.58 성장세 둔화

중 국 98.9 99.0 99.0 99.1 99.3 0.02 0.04 0.06 0.08 0.19 -0.85 안정적 성장세

인 도 100.7 100.8 101.0 101.1 101.3 0.16 0.15 0.14 0.14 0.13 1.93 성장모멘텀 강화

러시아 100.6 100.5 100.4 100.3 100.2 -0.08 -0.10 -0.11 -0.11 -0.11 -0.16 성장세 둔화 조짐

자료 : OECD.주 1) 한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2) 지수가 100 이상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expansion(또는 downturn), 반대로 100미만(음영 부문)에서 상승(또는 하락)하면 recovery(또는 slowdown)를 의미.

Page 2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 -

<그림 Ⅰ-6> 세계 주요국별 경기선행지수 추이

(a) 미 국 (b) 유 로

(c) 일 본 (d) 중 국

(e) 브라질 (f) 러시아

자료 : OECD.

Page 2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7 -

(2) 유 가 : 배럴당 70달러대 초반 예상

○ 국제유가는 지난해 6월 이후에 점차적으로 상승하면서 2018년 10월

중순 한때 배럴당 80달러 수준까지 오르고, 11월 현재는 두바이유 기

준으로 66달러 수준까지 재차 급락

- 지난해 중순 이후의 유가 상승세는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원유수요

증가와 OPEC의 높은 감산 이행으로 인한 공급 부족 등 복합적 요인

에 기인

- 반면에 최근의 가격 급락세는 미국의 이란 제제 영향에도 우리나라

를 비롯한 일부 국가들의 예외 인정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 해소와

러시아 등의 증산 계획 발표 등 공급측 요인에 기인

<그림 Ⅰ-7> 최근 국제유가 추이

자료 : 한국석유공사.

주 : 음영 부문은 연간 변동 범위(최소값~최대값)임.

○ 2019년 국제유가는 세계경기 약세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와 미국 금

리 인상 및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인한 금융 요인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나, 사우디를 비롯한 OPEC 국가들의 감산 지속과 이란, 베네

수엘라 등지에서의 지정학적 불안정 요인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면

Page 2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8 -

서 배럴당 연평균 70달러대 초반 수준이 예상

- 수요 측면에서는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IMF 3.9% → 3.7% 하향 조

정)으로 인해 석유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사우디의 경우 미국 중간선거 이후 다시 감산으로 전환할 것을 결정

하였으나, 이란 석유를 대체하여 시장 점유율을 올리려는 러시아가

이에 동참할지의 여부가 주요 관건

○ 두바이유 기준 유가는 2019년 상반기 71.0달러(전년동기비 4.4% 상

승), 하반기 72.0달러(전년동기비 1.6% 하락) 수준으로 연간 전체로는

71.5달러(전년동기비 1.3% 상승) 내외가 예상

<표 Ⅰ-3> 2018년 및 2019년 국제유가 전망(EIA 기준)

단위 : 달러/배럴

2018년 2019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WTI유 62.9* 67.9* 69.5* 63.3 65.9 62.0 63.3 66.6 67.0 64.8

브렌트유 67.2* 75.0* 75.8* 73.3 70.6 71.0 72.6 73.0 71.0 71.9

자료 : EIA 단기에너지전망 보고서(2018.11월).

주 : *는 실측치.

<표 Ⅰ-4> 유가 전망(국내경제 전망을 위한 전제)

단위 : 달러/배럴, 기간 평균

2018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두바이유68.0*

(32.6)

73.2

(33.6)

70.6

(32.9)

71.0

(4.4)

72.0

(-1.6)

71.5

(1.3)

주 : ( )는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Page 2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9 -

(3) 환 율 : 전년대비 소폭 상승 전망

○ 2018년 원/달러 환율은 연초 미 달러화의 약세 기조 이후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 일부 신흥국 금융 불안 요인 등의 영향과 미

국 경제 확장세 등으로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면서 우상향

- 연초 달러화 약세와 원화 강세 기조가 이어지며 하락세를 보이다 2월

이후 美·中 무역 갈등, 美 금리 상승과 인플레 우려 등의 상승 요인과

한미 FTA 재협상 타결, 남북 정상회담, 북한 비핵화 관련 낙관론 등

의 하락 요인이 혼재하면서 원/달러 환율 역시 박스권에서 횡보

* ’18년 상반기 최고치(1,092.1원, 2.9일), 최저치(연중 최저점, 1,054.2원, 4.3일)

- 6월 들어 신흥국 금융 불안 확산과 미·중간 무역 분쟁 심화 등으로

미 달러화와 채권 등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강화되면서 원/달러

환율 역시 급격한 상승세(美 달러화 가치 상승)로 전환

- 3분기 이후에는 미·중 무역분쟁 전개 양상, 북·미 관계 개선 기대감,

일부 신흥국 금융 불안, 미국경기의 나홀로 확장세, 금리 급등세 등의

요인들로 인해 원/달러 환율은 새로운 박스권에서 등락

* ’18년 하반기 최고치(연중 최고, 1,144.4원, 10.11일), 최저치(1,108.6원, 8.30일)

<그림 Ⅰ-8> 최근 원/달러, 원/엔(100엔), 엔/달러 환율 추이

자료 : 한국은행.

Page 2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0 -

○ 2019년 원/달러 환율은 미국경기 호조 지속과 연준의 금리 인상 및

미·중 무역 분쟁 심화 등에 따른 신흥국의 금융 불안 우려 등으로 미

달러화 강세가 상반기까지 지속되다, 하반기에 들어서는 유럽과 주요

신흥국들의 통화긴축 전환, 미국경기 둔화 등의 영향들로 인해 달러

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2018년 수준보다는 소폭 상승 예상

- ECB와 BOJ의 통화정책 기조 유지 속에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의지는 달러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나, 美 트럼프 정부의 약달

러 정책 옹호와 美 금리인상 여파에 따른 신흥국들의 비자발적 긴축

등이 미 달러화의 추가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전망

- 우리나라의 경우에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국가신용등급 상향, 경상

수지 흑자 추세 지속으로 인한 풍부한 외환유동성 확보 등은 원화 강

세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미·중 무역 갈등, 신흥국들의 금융 불안과 중

동 등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지속 여부 및 향후 전개 양상에 따라 원

/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어 보이는 가운데, 2019년

연평균 환율은 전년보다 소폭 상승한 수준이 예상

○ 2019년 원/달러 환율은 상반기 1,135원(전년동기비 5.5% 상승), 하반

기 1,115원(전년동기비 0.9% 하락), 연간 전체로는 1,125원(전년동기비

2.2% 상승) 내외 예상

<표 Ⅰ-5> 원/달러 환율 전망

2018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1,076.1

(-5.7)

1,124.8

(0.5)

1,100.5

(-2.4)

1,135

(5.5)

1,115

(-0.9)

1,125

(2.2)

주 1) ( )는 전년동기비 기준, 단위 %. 2) 2018년 하반기는 2018년 11월 현재 기준.

Page 2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1 -

3. 2019년 국내경제 전망

(1) 경제성장

○ 2019년 국내경제는 투자와 수출이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치는 가운데 소비가 전년대비 둔화세를 보이면서

2018년보다 약간 낮은 2.6% 성장률이 예상

- 설비투자가 전년도 급감 이후 반등하면서 소폭 증가세로 전환되

고, 건설투자도 감소 폭이 다소 축소될 것이나, 수출과 소비가 대

외 여건의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전년동기비 기준으로는 상·하반기 서로 비슷한 성장률 수준 예상

- 2018년 실질GDP는 민간소비가 전년보다 약간 더 확대되나, 설비

투자와 건설투자가 모두 급감하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율로 떨

어지면서 2017년(3.1%)보다 낮은 2.7% 성장률이 예상

○ 수출은 2019년중 세계경기 둔화 영향으로 수출물량 증가세가 소폭

에 그치고, 반도체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의 영향으

로 수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지면서 연간 증가율이 3%대가 예상

- 2019년 수출은 약 3.7%, 수입은 약 4.5% 증가하고, 무역흑자는 전

년보다 약간 줄어든 약 740억 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 2019년 내수는 소비가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체감경기 약화와 소

득 여건의 부진 등으로 전년보다 낮은 증가율이 예상되고, 설비투

자는 소폭 증가에 그치며, 건설투자 감소세도 좀 더 이어질 전망

- 소비는 실질소득 감소와 고용 여건의 부진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대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체감경기 약화로 증가세가 둔화되나, 정

Page 3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2 -

부의 보건·복지·고용 관련 예산 확대와 유류세 인하 등 정책은 실

질구매력 제고를 통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해 제한적 증가세가 예상되며, 건설투자도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과 SOC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예상

○ 대외적으로는 국가간 통상마찰 심화 여부와 글로벌 통화긴축 기조

의 영향, 신흥권의 경기 불안 지속 여부 등이,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한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여부와 고용 여건의 개선 여부, 정부

정책 효과의 발현 정도 등이 주요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

<표 Ⅰ-6> 주요 거시경제 지표 전망

단위: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7년2018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실질GDP 3.1 2.8 2.5 2.7 2.5 2.7 2.6

민간소비 2.6 3.2 2.4 2.8 2.4 2.8 2.6

설비투자 14.6 1.9 -6.8 -2.5 -0.1 3.8 1.9

건설투자 7.6 -0.1 -5.2 -2.7 -3.6 -2.6 -3.1

통관 수출

(억 달러, %)

5,737

(15.8)

2,967

(6.3)

3,136

(6.4)

6,104

(6.4)

3,088

(4.1)

3,242

(3.4)

6,330

(3.7)

통관 수입

(억 달러, %)

4,785

(17.8)

2,654

(13.3)

2,694

(10.5)

5,348

(11.9)

2,776

(4.6)

2,814

(4.5)

5,590

(4.5)

무역수지 952 314 442 756 312 428 740

자료:산업연구원.

Page 3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3 -

(2) 부문별 전망

1) 민간소비

○ 민간소비는 유가 상승 등의 여파로 실질총소득(GDI)이 감소세로 전

환되면서 특히 내구재 소비를 중심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

- 소비와 동행하는 실질총소득(GDI)은 유가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

승과 이로 인한 교역조건의 악화로 ’17년 3분기를 기점으로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올해 3분기는 역성장

* 국제유가(두바이유, 달러/배럴): (’16.12월) 52.1 → (’17.12월) 61.6 → (’18.9월) 77.2

* 수입물가(한국은행, 달러 기준): (’16.1/4) 72.9 → (’17.4/4) 86.5 → (’18.3/4) 92.7

- 재화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 소비는 증가세가 유지되는 반면, 승용

차 등 내구재 소비가 위축

<표 Ⅰ-7> 민간소비 추이

단위 : 전년동기비, %

2016년2017년 2018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민간소비 2.52.1 2.4 2.6 3.4

2.63.5 2.8 2.6

(0.5) (1.0) (0.8) (1.0) (0.7) (0.3) (0.6)

소매판매액지수 3.91.6 1.0 3.2 2.1

1.95.0 4.7 3.9

(3.1) (0.9) (0.2) (1.0) (3.0) (0.7) (-0.5)

실질GDI 4.32.4 2.9 5.2 2.8

3.32.3 1.5 -0.2

(2.3) (0.0) (1.8) (-1.3) (1.8) (-0.9) (0.2)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 )안은 계절조정 자료의 전기비.

Page 3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4 -

<그림 Ⅰ-9> 재화별 소비 증가율 추이

자료: 통계청, 서비스업동향조사.

○ 고용 여건은 취업자 증가 폭이 점차 축소되고 고용률도 떨어지는 등

다소 부진한 가운데 소비심리도 1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그림 Ⅰ-10> 전산업 취업자 수 <그림 Ⅰ-11> 소비자심리지수

자료 : 통계청. 자료 : 한국은행.

○ 또한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등이 소비제약 요인으로 작용

Page 3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5 -

<그림 Ⅰ-12> 가계부채 및 대출금리 추이

자료 : 한국은행.

○ 민간소비는 실질 소득 감소와 고용 여건 부진, 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

금 부담 증가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외부적으로는 미-중 무역 갈등,

미국과의 금리 역전, 신흥국 경제 불안 등이 소비자들의 체감 경기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증가세가 다소 낮아질 전망

- 다만, 기초연금인상과 아동수당 지급, 유류세 인하 등의 정부 정책들

은 실질구매력을 확대시켜 민간소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그림 Ⅰ-13> 보건복지고용 예산 추이 <그림 Ⅰ-14> 국내 휘발유 가격 추이

[30.8] [31.9] [32.3] [33.7] [34.5]

8.7

6.7

4.9

11.712.2

24

26

28

30

32

34

36

38

2015 2016 2017 2018 2019

0

2

4

6

8

10

12

14

[보건·복지·고용 예산 비중](좌) 증가율(우)

(%, 총지출 대비) (%)

1,500

1,550

1,600

1,650

1,700

1,750

1,800

18/01 18/02 18/03 18/04 18/05 18/06 18/08 18/09 18/10 18/11

-20

-15

-10

-5

0

5

10

15

20

주유소 휘발유 가격(무연보통, 좌) 전년동기비 상승률(우)

(원) (%)

유류세 인하 →(11.6일)

자료 : 기획재정부. 자료 : 한국석유공사.

Page 3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6 -

2) 투 자

□ 설비투자

○ 설비투자는 지난 2017.4분기부터 증가율이 빠르게 떨어지고, 전년도

의 높은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로 올 2분기부터는 감소세로 전환

○ 형태별로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동시에 부진한 모습

- 일반기계류가 지난해 두 자릿수 증가에서 올 들어서는 한 자릿수

증가율로 떨어지고, 전기비 기준으로도 지난해 4분기와 올 2분기에

모두 감소세로 전환

- 자동차 등 운송장비도 올 1분기에 일시 증가세를 보인 이후에 2분

기에 다시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고, 전기비 기준으로는 2분기에

약 9%대 감소율을 기록

<표 Ⅰ-8> 설비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7년 2018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1)

전년동기비

설비투자 16.1 17.9 16.3 8.6 7.3 -3.0 -7.7

기계류 28.9 29.3 23.4 12.5 9.4 0.7 -

운송장비 -8.0 -2.1 -1.3 -1.4 1.9 -11.6 -

전기비

설비투자 4.5 4.3 0.2 -0.7 3.4 -5.7 -4.7

기계류 7.1 3.9 2.4 -1.2 4.0 -4.5 -

운송장비 -1.7 5.3 -5.5 0.8 1.9 -9.3 -

자료 : 한국은행. 주 1) 속보치.

Page 3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7 -

<표 Ⅰ-9> 부문별 설비투자지수 증가율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8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1) 9월1)

총 지 수 21.5 9.5 0.1 1.6 -3.5 -14.7 -10.1 -11.3 -19.3

기 계 류 26.7 11.6 -3.0 4.5 -5.5 -19.5 -16.6 -18.4 -19.6

일반기계류 34.9 16.9 -1.6 6.2 -10.8 -27.3 -25.9 -29.2 -24.1

전기 및 전자기기 15.7 6.5 -4.7 -3.2 4.9 -6.9 -5.1 -3.0 -14.7

정밀기기 23.3 9.0 1.7 17.8 5.1 2.5 8.3 3.2 -4.6

기타기기 -0.4 -13.6 -20.5 -9.4 5.3 -6.0 3.4 3.8 -17.8

운송장비 6.4 3.6 8.8 -6.4 2.4 -0.3 8.3 8.5 -18.4

자 동 차 17.7 -2.6 5.2 3.2 4.3 -5.2 1.7 12.6 -23.2

기타운송장비 -25.5 23.6 23.3 -33.8 -5.4 20.7 29.5 -3.8 3.0

자료 : 통계청.

주 1) 잠정치.

<그림 Ⅰ-15> 설비투자 추이

(a) 설비투자 증가율 추이 (b) 설비투자지수 증가율 추이

(%, 전년동기비) (%, 전년동월비)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설비투자지수는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을 이용.

○ 2019년 설비투자는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과 대내 구조적 취약성 등

의 영향들로 한 자릿수의 제한적인 증가세가 예상

- 미-중 통상마찰과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지속, 신흥국 경제 불안

Page 3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8 -

등의 불확실성 요인들이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부정적으로 작용

- 또 대내적으로는 반도체 등 일부 IT산업에 편중된 구조적 불균형과

운송장비 부문의 부진 등이 투자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

- 다만, 설비투자 관련 선행지표인 기계수주액이 올 2분기 이후에는

추가적인 감소세가 진정되고, 설비투자조정압력도 지난해보다는 다

소 덜하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는 반등 가능성도 기대

- 업종별로는 반도체 등 일부 IT부문과 화학 부문에서 올해보다 낮은

폭의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운송장비 등 기계류 업종을 중심으로

는 올해에 이어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

<그림 Ⅰ-16> 설비투자 선행지표 추이

(a) 설비투자 선행지수 증가율 추이 (b) 제조업 설비투자 전망 BSI

(%, 전년동월비) (BSI, 기준=100)

자료 : 통계청, 한국은행. 주 1) 기계수주(불변, 선박을 제외한 국내수요)와 설비투자조정압력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2) 설비투자조정압력 = 제조업 생산지수 증감률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감률.3) 설비투자 전망은 다음 달 전망.

○ 설비투자 증가율은 기저효과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2019년 상반기

중 -0.1%, 하반기에는 3.8%로 연평균 약 1.9% 수준이 예상

Page 3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19 -

< 참고 1 >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과 향후 변수

ㅇ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투자

수요 역시 올 들어서 특히 중반 이후에 빠르게 위축되면서 국내경

기 향방도 매우 불투명해지고 있는 상황

- 국내경제 성장률이 올 3분기에 전년동기비 2% 수준까지 떨어진

것도 설비투자가 지난 분기보다 감소폭이 크게 확대된 영향에 기

인(’18.2분기 –3.0% → 3분기 –7.7%)

- 기업들의 투자 활동은 고용 수요 등과도 연계되어 가계 부문의 소

득이나 소비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거시경제적

으로 중요도가 매우 높은 변수

<그림> 실질GDP와 설비투자 증가율 <그림> 실질 설비투자의 장기 추이

0

2

4

6

8

10

12

10 11 12 13 14 15 16 17 18

-20

-10

0

10

20

30

40

실질GDP(좌) 설비투자(우)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15

20

25

30

35

40

45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설비투자(계절조정) 추세선(H-P필터)

(조원)

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주: 추세선은 호드릭-프레스컷(Hodrick-Prescott) 필터를 이용하여 추출.

□ 국내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

ㅇ 최근 국내 설비투자 부진의 원인으로는 ① 글로벌 경기 약세 지속

② 제조업 내수 부진의 지속 ③ 제조업 내 업종간 불균형 구조 심

화 등을 들 수 있음.

Page 3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0 -

- (글로벌 경기의 약세 지속) 올해 들어서 전세계 보호무역 기조 확

산 등 영향으로 글로벌 경기의 실물지표와 체감지표 모두 약세 흐

름을 보이면서 국내 기업들의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

- (제조업 내수 부진의 지속) 전산업생산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매우

미약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제조업 경기는 올 들어 특히

내수 부문을 중심으로 부진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투자수

요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그림> 전세계 생산 및 교역 추이 <그림> 국내 설비투자와 내수출하 추이

0

1

2

3

4

5

6

2015 2016 2017 2018

산업생산 상품교역

(%, 전년동기비)

-25

-20

-15

-10

-5

0

5

10

15

20

25

2014 2015 2016 2017 2018

-8

-6

-4

-2

0

2

4

6

8

설비투자(좌) 내수출하(우) 수출출하(우)

(%, 전년동기비) (%, 전년동기비)

자료: 네덜란드 경제정책분석국(CPB). 자료 : 통계청.

- (업종간 불균형 구조 심화) 반도체 등 일부 소수 IT 업종에서의 투

자 확대와 조선 등 운송장비 업종에서의 투자 축소 영향으로 제조

업 내 업종간 불균형 구조가 심화되면서 투자 부진이 지속

<그림> 반도체 및 관련 업종 투자 비중 <그림> 제조업과 운송장비 생산능력 추이

24.9 23.4 24.9 23.925.7

28.025.9

35.6

46.343.3 44.1

42.4 41.4 41.844.5

53.1

0

10

20

30

40

50

6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반도체 비중 전기및전자기기 비중

(%, 제조업 대비)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제조업(좌) 자동차및트레일러(우) 기타 운송장비(우)

(지수, 2015년=100) (지수)

자료: 한국은행. 자료 : 통계청.

Page 3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1 -

□ 향후 설비투자의 주요 변수

ㅇ 국내 설비투자의 향방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는 ① 대외 불확실성

해소 여부 ② 제조업 내 공급과잉 완화 여부 ③ 해외투자 둔화 및

외국인투자 유입 지속 여부 ④ 민관 투자계획 효과의 발현 여부 등

을 들 수 있음.

- (대외 불확실성 해소 여부) 미-중 통상마찰 심화, 미국 등 선진국

에서 시작된 금리 인상 기조 확산, 브렉시트 협상 결과, 중동 지역

의 정정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 요소들이 적지 않게 남아 있어 이

들 요인의 해소 여부가 주요 관건으로 작용할 전망

<그림> 미국과 한국의 국채금리 추이 <그림> 글로벌 정책 불확실성 지수

1

1.5

2

2.5

3

3.5

4

2014 2015 2016 2017 2018

미국 국채금리(10년) 한국 국채금리(10년)

(%)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지수)

자료 : Reuters/Datastream. 자료 : www.policyuncertainty.com.

- (제조업 내 공급과잉 완화 여부) 산업 구조조정 문제와 관련해서

제조업 내 공급과잉 완화 여부를 살펴보면, 제조업 투자조정압력

이나 제조업 재고율 등 일부 지표상 공급과잉 문제가 일정 부문

해소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

- (해외투자 둔화 및 외국인투자 유입 지속 여부) 지난 2010년 이전

에는 해외투자가 크게 확대되고, 외국인투자 유입이 더디게 늘어

난 반면에, 2010년 이후에는 해외투자 확대 속도가 둔화되고, 외국

인투자 유입이 일정 수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투자 회

복을 위한 외국인투자 유치 노력에 더욱 경주할 필요

Page 4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2 -

<그림> 제조업 재고율 추이 <그림> 외국인투자유입과 해외직접투자

85

90

95

100

105

110

115

2014 2015 2016 2017 2018

(2015년=100)

0

20

40

60

80

100

120

01 03 05 07 09 11 13 15 17

외국인투자 해외직접투자

(억달러)

자료 : 통계청.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출입은행.

- (민관 투자계획 효과의 발현 여부) 정부와 기업들이 발표한 각종

투자 관련 계획들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투자 회복으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내 기업의 투자 심리 안정화 및 투자수요 회

복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효과 기대

□ 시 사 점

ㅇ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의 투자수요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어 그 배경과 원인을 면밀히 살펴보고, 보다 근

본적인 처방과 대책이 필요한 시점

ㅇ 우리 경제가 특히 해외경기 변화에 민감한 구조임을 감안하여 대외

여건의 변화를 주시하면서 선제적으로 대응토록 하고, 대내적으로

는 과잉 문제 해소를 위한 산업 구조조정을 원활하게 추진

- 외국 기업들이 국내 경영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사

항들을 세밀히 검토하여 대처토록 하고, 민관이 추진하는 투자계

획들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강구

ㅇ 나아가 투자환경 개선 및 규제혁신 등을 통해 성장과 투자의 선순

환 체계가 구출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

Page 4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3 -

□ 건설투자

○ 건설투자는 2017년 2분기부터 증가세가 둔화되고, 올 2분기부터는

감소세로 전환되어 3분기에는 1999.1분기(-8.8%) 이후 최대 폭 감소

- 주거용 건물건설이 그 동안의 공급과잉 여파로 지방 미분양이 확

대되면서 2012.4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토목건설도

SOC 투자 부족 등의 영향으로 6분기 연속 감소세

* 건설경기 관련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액도 전년동기비 감소세가 지속

<표 Ⅰ-10> 건설투자 추이

단위 : %, 전년동기비

2017년 2018년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1)

전년동기비

건설투자 11.3 8.5 8.0 3.8 1.8 -1.5 -8.6

형태별

건물건설 16.7 13.8 11.9 7.5 3.5 -0.2

주거용 건물 20.7 16.0 15.2 9.5 6.5 -0.6

비주거용 건물 12.4 11.6 9.0 5.6 0.0 0.2

토목건설 -1.5 -3.6 -3.3 -4.8 -3.1 -4.9

주체별민 간 12.6 9.3 6.2 3.5 3.1 -2.6

정 부 3.3 4.5 14.3 4.9 -7.1 4.3

전기비

건설투자 4.2 0.9 1.1 -2.3 1.8 -2.1 -6.4

형태별

건물건설 4.5 2.4 1.9 -1.6 0.7 -1.1

주거용 건물 5.6 2.5 2.6 -1.8 3.0 -4.2

비주거용 건물 3.3 2.2 1.3 -1.5 -1.7 2.2

토목건설 3.5 -3.0 -1.2 -4.2 5.3 -4.7

주체별민 간 4.1 1.3 -1.3 -0.8 4.0 -4.6

정 부 4.7 -0.9 11.9 -8.4 -7.3 10.2

자료 : 한국은행. 주 1) 속보치.

Page 4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4 -

<그림 Ⅰ-17> 건설투자와 건설기성액 (전년동기비)

(a) 건설투자 증가율 추이 (b) 건설기성액 증가율 추이

(%, 전년동기비) (%, 전년동월비)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 건설기성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 건설경기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 증가율과 부동산 심리지수는 장기

적으로 하향하는 추세에서 올 하반기 들어 일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상승세로 전환시킬 만한 요인은 아직 부재한 상황

* 최근의 건설수주액 증가는 토목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증가

○ 2019년 건설투자는 정부의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과 SOC 예산 감

축 등의 영향으로 2018년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

- 다만, SOC 예산의 경우에 최근 국내 실물경기 악화로 생활 SOC를

포함하여 부분적으로 확충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는 증액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2019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3.6%와 2.6%의 감소율이 예상

Page 4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5 -

<그림 Ⅰ-18> 건설투자 선행지표 추이

(a) 건설수주액 증가율 추이 (b) 부동산 심리지수 추이

(%, 전년동월비) (기준=100)

자료 : 통계청, 국토연구원.

주 : 건설수주액은 3개월 중심항 이동평균.

Page 4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6 -

3) 수출입

□ 2018년 동향 : 연초 이후 증가율 계속 둔화

○ 지난해 두 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던 수출입이 올 들어서도 증

가세는 유지되고 있으나, 기저효과와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 등으로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는 모습

* 수출 증가율(%) : (’17.3/4) 24.0 → (’18.1/4) 9.8→ (2/4) 3.1→ (3/4) 1.7

* 수입 증가율(%) : (’17.3/4) 17.9 → (’18.1/4) 13.7→ (2/4) 12.8→ (3/4) 7.8

<그림 Ⅰ-19> 수출입 및 무역수지 추이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수출은 지난 10월까지 전년동기비 6.4% 증가에 그쳐 지난해의 15.8%

증가와 비교하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되었으나, 월평균 수출이 6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상회하는 등 양호한 흐름을 아직까지는 유지

- 수출 증가가 주로 반도체와 석유화학·석유제품 등 일부 품목에 의존하

고 있으며, 13개 수출 주력품목 중 절반 정도는 오히려 작년보다 수출

이 감소하는 등 수출품목의 집중도와 불균형도 심화는 문제로 대두

Page 4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7 -

○ 수출을 단가와 물량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수출물량은 글로벌 경제성

장에 힘입어 일정 수준의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수출단가는 기

저효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폭 축소와 반도체 가격의 하락 반전 등

으로 상승률이 점차 낮아지는 모습

<그림 Ⅰ-20> 수출단가 및 수출물량 추이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DB. 주 : 수출단가지수는 수출금액지수를 수출물량지수로 나누어 산정.

○ 산업별로는 반도체·컴퓨터·석유제품·석유화학이 두자릿 수의 높은

증가세를 보인 반면, 조선·자동차 등 전통 주력상품과 디스플레이·무

선통신기기·가전 등은 감소하는 등 산업별 수출 양극화가 특징

- 반도체는 4차산업 혁명 관련 기업용 서버 수요 증가와 스마트폰의

메모리 탑재용량 확대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수출비중이

올 들어 20%를 상회하는 등 우리 수출을 주도

- 석유제품·석유화학도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으로 지난해에

이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일반기계도 주요국의 건

설경기 호황 및 설비투자 확대로 수출이 확대

- 반면, 조선은 지난 2016년 선박 수주 감소의 영향으로 올들어 수출이

Page 4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8 -

전년대비 58.8%나 대폭 감소하였으며, 자동차 및 부품·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가전도 해외생산 확대와 부분품 현지조달 확대, 세계

시장 경쟁 격화로 수출이 크게 감소

- 기여율 측면에서는 올 들어 10월까지 수출은 조선산업에서의 228억

달러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체(285억 달러), 석유관련제품(106억 달

러)의 호조에 힘입어 전년동기비 303억 달러(6.4%) 증가

<표 Ⅰ-11> 산업별 수출 증가율과 비중단위 : 전년동기비, %

 수출 증가율 수출 비중

2016년 2017년 2018(1~10) 2016년 2017년 2018(1~10)

반도체 -1.1 57.4 36.2 12.6 17.1 21.2

석유제품 -17.3 32.0 37.6 5.3 6.1 7.7

컴퓨터 8.5 9.5 24.5 1.7 1.6 1.8

석유화학 -4.3 23.5 15.0 7.3 7.8 8.4

일반기계 -6.6 11.3 12.6 8.8 8.5 8.8

섬유류 -3.5 -0.5 4.1 2.8 2.4 2.3

철 강 -5.5 20.0 -0.6 5.8 6.0 5.7

자동차부품 -4.6 -9.5 0.1 5.2 4.0 3.8

자동차 -11.2 3.8 -4.4 8.1 7.3 6.6

디스플레이 -15.3 9.0 -10.8 5.1 4.8 4.1

무선통신기기 -9.0 -25.5 -19.3 6.0 3.9 2.9

가 전 -9.1 -22.1 -18.9 2.3 1.5 1.2

선 박 -14.6 23.1 -58.8 6.9 7.4 3.2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지역별로는 중국, 일본 등지에 대한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하고, 미

국·EU·아세안에 대한 수출이 소폭 증가에 그친 반면, 중동지역에

대한 수출은 지난해보다 오히려 감소

- 올 들어 반도체와 석유제품·석유화학의 수출 호조로 중국·일본의 비중

이 상승한 반면, 미국은 보호주의 조치에 따른 수출여건 악화로, EU는

조선의 수출 급감으로, 중남미·중동은 성장세 둔화로 비중이 하락

Page 4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29 -

<표 Ⅰ-12> 지역별 수출 증가율과 비중단위 : 전년동기비, %

  수출 증가율 수출 비중

2016년 2017년 2018(1~10) 2016년 2017년 2018(1~10)

중 국 -9.3 14.2 19.6 25.1 24.8 27.1

일 본 -4.8 10.1 16.3 4.9 4.7 5.0

ASEAN -0.4 27.8 4.7 15.0 16.6 16.3

미 국 -4.8 3.2 4.4 13.4 12.0 11.8

E U -3.1 15.9 3.6 9.4 9.4 8.3

중남미 -17.1 10.4 0.8 5.1 4.9 4.7

중 동 -13.8 -7.0 -7.5 5.3 4.2 3.7

자료 : 한국무역협회.

○ 수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유 등 1차산품 수입이 대폭 증가하고,

소비재도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입이 급증하면서 두 자릿수 증가

- 중간재 수입도 양호한 수출 흐름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자본재는 미·중 분쟁 여파와 정부 정책의 불확

실성에 따른 투자 위축 등으로 오히려 소폭 감소

<표 Ⅰ-13> 가공단계별 수입 증가율

단위 : 억 달러, %

2017년 2018년(1~10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비중

총수입 4,785 17.8 4,442 13.0 100.0

1차산품 1,050 33.0 1,074 25.6 24.2

(원유) 596 34.6 664 38.5 14.9

중간재 2,323 12.0 2,128 10.9 47.9

자본재 792 33.7 651 0.7 14.7

소비재 597 -0.2 568 15.6 12.8

자료 : 한국무역협회.

□ 2019년 전망 : 경기 둔화 및 가격 효과 축소로 수출입 증가율 둔화 전망

○ 2019년 수출은 세계경기 성장세 둔화로 수출물량 증가세가 소폭에

그치는 데다, 반도체 가격 하락과 국제유가의 횡보 전망 등으로 수

Page 4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0 -

출단가도 하락 압력이 커 증가율이 2018년보다 낮은 3.7% 전망

- 세계경기는 미국의 금리인상·유로권의 양적완화 축소 등 통화긴

축 기조로의 전환과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 확대에 따른 신흥국

경제 불안,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인한 세계무역 위축 등 둔화

요인이 더 강한 편

- 품목별로는 석유관련제품은 국제유가의 상승폭 축소로, 그리고 반

도체는 공급 확대와 성장 둔화에 따른 가격 하락 압력으로 증가세

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

- 반면, 조선은 2017년 이후 선박수주 회복으로 수출이 회복세로 전

환될 전망이며, 디스플레이도 TV 및 휴대폰에서 OLED 비중 확대

로 2017년보다는 다소 하락폭이 둔화될 전망

○ 수입도 유가 상승폭 둔화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수입 증가 둔화와

국내경기 성장세 약화 등으로 4%대 중반으로 증가율이 둔화될 전

- 수출입 증가율이 동반 둔화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8

년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낼 전망

<표 Ⅰ-14> 2019년 수출입 전망

단위 : 전년동기비, %, 억 달러

2018년 2019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통관 수출2,967

(6.3)

3,136

(6.4)

6,104

(6.4)

3,088

(4.1)

3,242

(3.4)

6,330

(3.7)

통관 수입2,654

(13.3)

2,694

(10.5)

5,348

(11.9)

2,776

(4.6)

2,814

(4.5)

5,590

(4.5)

무역수지 314 442 756 312 428 740

주 : ( )안은 증가율.

Page 4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1 -

< 참고 2 > 최근의 수출 동향 및 특징

○ 최근 우리나라 수출은 6개월 연속 500억 달러를 상회하는 등 양호

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수출구조와 전망에 대해서는

우려의 시각이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

○ 이는 반도체에 대한 지나친 수출의존도, 수출품목 및 지역의 집중도

심화, 해외생산 확대 등에 따른 주력 산업의 수출 부진, 글로벌 보

호주의 확산, 수출의 국내 파급효과 축소 등 여러 문제점에 기인

□ 반도체에 대한 지나친 수출의존도

○ 반도체 수출의 급증으로 우리 수출에서 차지하는 반도체의 비중이

금년 21%를 넘어서면서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을 왜곡시킬 우려

-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규모는 지난해 4분기 이후 오히려 감소세로,

반도체 수출과 반도체 제외 품목의 수출 증가율간의 괴리도는 최

근 들어와 더욱 확대

<그림> 총수출과 반도체 제외 수출의 증가율 추이

자료 : 한국무역협회.

○ 내년 반도체 산업의 수급상의 불균형 완화와 수출단가 하락전망이

대두되고 있는 것도 향후 우리 수출에 다소 불안한 요인

Page 5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2 -

□ 품목별·지역별 수출집중도 확대

○ 품목별로는 반도체 및 석유관련제품, 지역별로는 대중국 수출의 급

증으로 품목별, 지역별 수출집중도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수출의

불안정성 확대가 우려

- 수출집중도가 높으면, 해당 품목의 경기 사이클이나 해당 국가의

경기변동, 해당 지역과의 무역분쟁 등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

<그림> 품목별·지역별 수출집중도 변화

자료 : 한국무역협회(지역별 HHI) 및 UN, Comtrade(품목별 HHI)에 의거하여 필자 작성.

주 : 수출집중도는 허핀달지수(Hirschman-Herfindahl Index)로 추정하며, 산출방식은 개별 품목(지역)의 수출비중을 제곱하여 합계한 후 이를 제곱근한 값으로 정의.

□ 해외생산 확대의 부정적 영향 증대

○ 국내기업들의 해외생산 비중이 국내생산을 초과하는 품목이 확대되

면서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가전 등의 수출이 최근 들어 계속 감소

- 해외생산 비중 : 휴대폰 93.2%, TV 97.1%, 냉장고 80.3%, 세탁기 86.9%,

자동차 56.0% 등

○ 해외생산이 국내 수출을 대체하는 수출대체효과가 해외생산으로 인

한 중간재 수출의 증가라는 수출유발효과를 초과. 이는 관련 중간재

생산기업의 동반 진출과 현지 중간재 조달 증가 등에 기인

Page 5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3 -

□ 전통 주력산업의 수출 부진 심화

○ 자동차, 조선, 디스플레이 등 전통적인 주력 산업의 수출은 중국기

업의 부상에 따른 공급과잉과 우리 기업의 경쟁력 하락 등으로 최

근 들어 수출 부진이 심화

○ 특히 고용 등 국민경제 파급효과가 큰 자동차산업의 경우 2015년

이후 미국, 중국에서의 시장점유율이 급속히 하락하는 등 심각한

경쟁력 하락에 직면한 것으로 평가

- 조선산업의 경우 최근의 수주 증가로 향후 수출이 회복될 여지가

크나,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과잉투자와 가파른 추격으로 향후에도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

□ 보호주의 확산의 영향은 아직 제한적

○ 미·중간 무역분쟁 등 보호주의의 확산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는 제한적이나, 장기화될 경우 글로벌 교역과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우리 수출에의 타격이 우려

- 중국의 대미수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은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 이

는 위안화 절하가 미국의 관세부과 효과를 부분 상쇄하고 있고 대중수

출 주력품목이 미국의 제재대상에서 제외되어 영향이 미미하였기 때문

□ 수출의 국내경제 파급효과 축소

○ 최근 수출이 지속적으로 좋은 실적을 달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체감하는 수출경기가 그다지 좋지 않은 것은, 수출증가가

고용증가로 이어지지 못하는 수출구조상의 변화도 한 요인

- 고용유발계수(6.6∼7.8)가 훨씬 높은 선박, 자동차, 섬유의복 등 전통

산업의 수출비중은 하락한 반면, 고용유발계수(1.4∼3.0)가 낮은 반

Page 5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4 -

도체, 석유화학, 석유제품의 수출비중이 크게 올라갔기 때문

<그림> 주요 산업의 수출 비중과 고용유발계수

자료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수출비중),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14(고용유발계수).

주 : 고용유발계수는 특정상품에 대한 최종수요(예: 수출)가 1단위(10억원) 발생시, 해당상품을 포함한 모든 상품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피용자 수를 나타냄.

□ 향후 과제

○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우선 수출품목 및 수출

시장의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

- 수요 증가나 신기술을 반영한 새로운 수출품목을 꾸준히 발굴하는

한편, 중국시장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아세안, 인도 등 신흥국에 대

한 가치사슬의 재구성 등을 통해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고 확대

○ 주력 산업의 해외생산 확대나 경쟁력 저하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

○ 미국의 통상압력이나 글로벌 보호주의 확산에 대한 대응책 마련도

필요

○ 수출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수출의 고용유발

효과가 더 큰 중소/중견 기업의 수출역량을 강화할 필요

Page 5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5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8년 동향

□ 수 출 : 반도체, 정유, 석유화학, 일반기계, 이차전지 등이 수출 견인

○ 13대 주력산업 수출은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단가 상승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기저효과 및 미국을 제외한 선진권의 경기 둔화

로 증가세는 둔화하여 전년대비 5.2% 증가율 기록

- 반도체가 30.9%의 높은 수출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정유 및 석유화

학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차전지도 괄목할 만한 성

장세 기록

- 반면 자동차, 가전, 정보통신기기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조선은 2016

년 선박 수주 감소 영향으로 대폭 감소하여 수출 확대를 제약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은 조선의 2016년 수주절벽의 영향 및 자동차

의 주요 수출시장에서의 수요 부진으로 전년대비 13.5% 감소

- 조선 수출은 2016년 수주절벽 영향과 2017년 해양플랜트의 대량 인도에

따른 기저효과로 58.0% 감소

- 자동차는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국내업체들의 현지생산 증가로 우리 부

품 수요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의

완성차 수요 부진으로 4년 연속 하락세 지속

최근 국내 자동차산업 수출 부진은 엔화 하락으로 일본차와의 가격경

쟁력이 약화되고 SUV 등 글로벌 수요 변화에 대응이 미흡한 것에서

기인

Page 5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6 -

- 일반기계는 주요 수출국의 제조업 및 건설경기가 안정적 기조를 유지하

면서 건설투자 확대, 노후설비 교체, 생산시설 확충 지속으로 9.4%의

견고한 성장세 유지

2019년 완공 예정인 기아자동차 인도현지 생산 공장의 신규 설비투

자와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제조업 부흥 정책 추진에 따른 투자 유

치 활성화로 대인도 수출은 전년대비 50% 이상 급증

국내 주요 기업들의 베트남 현지 생산설비 투자 마무리 및 범용 저

가 기계류의 중국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대베트남 수출 큰 폭 감소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 수출은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글로

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회복으로 전년대비 14.9% 증가

- 정유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전년대비 34.4% 확대 지속

- 석유화학 역시 수출단가 상승에 힘입어 하반기 정기보수 진행에도 불구

하고 전년대비 14.6% 증가

중국정부의 환경규제 강화 정책에 따라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규

모가 급감하며 국산 플라스틱 제품의 수출량 증대

인도 자동차산업의 업황이 호전되며 국산 PVC 수입수요가 증가했

고, 아세안 및 CIS 지역으로의 수출량도 고르게 확대

- 섬유 수출은 세계 실물경기 성장세 둔화 및 글로벌 경쟁 격화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 제한으로 소폭 증가

- 철강은 미국의 수입규제 등 부정적 여건 속에서도 세계 철강가격 상승

세의 지속과 수출 대체시장 확보 등의 노력으로 전년보다 소폭 증가

○ (IT제조업군) IT 완제품 및 디스플레이의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반도

체와 이차전지 수출 확대로 전년대비 14.9%의 큰 폭 증가

Page 5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7 -

- 반도체는 IT제품 고사양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 및 고용

량화 등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급 부족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의

단가 상승으로 30.9%의 고성장세 지속

- 이차전지 수출은 피스톤식 엔진 시동용의 연산 축전지 수출 둔화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설치 확산

등에 따른 리튬이온축전지의 수출 호조로 17.6% 고성장

-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시장의 OLED 수요 둔화에 따른 OLED 패널 수

출 증가세 둔화, 수출 주력제품인 LCD 패널의 공급과잉 및 단가 하락,

중국 생산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8.6% 감소

- 가전수출은 해외생산 및 부품의 현지조달 확대, 중국기업과의 경쟁 심

화,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17.0% 감소

중국 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TV, 세탁기 등 주요 가전의 글로벌

경쟁 심화

- 정보통신기기는 SSD 등 컴퓨터·주변기기가 호조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폰 및 부품의 해외생산 확대, 주요시장에서 한 중 미 제품간 경쟁심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7% 감소

○ 음식료 수출은 중국향 수출 회복 및 신흥시장에서의 한국산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 호조에 따라 8.7% 확대

□ 생 산 : 반도체, 이차전지, 정보통신기기 등 IT제품 수출 주도 생산 증가

○ 수출 실적이 좋은 반도체, 이차전지, 정유, 일반기계 등에서 생산 증가세

를 시현

○ (기계산업군) 수출 부진으로 자동차, 조선 등 운송기기의 생산이 지속적

으로 감소하였고, 일반기계는 내수 위축으로 증가세 둔화

Page 5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8 -

- 일반기계는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제조업의 업

황 부진이 설비투자 감소로 이어지면서 전년대비 1.6% 증가에 그침.

- 자동차 생산은 내수 및 수출이 모두 감소하고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여파 등으로 전년대비 3.3% 하락

- 조선은 2016년 수주절벽 영향으로 전년대비 28.2% 감소

○ (소재산업군) 정유 생산이 소폭 증가한 데 반해, 철강, 석유화학, 섬유

생산이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부진

- 정유는 수출 및 내수 물량이 동시에 확대되며 전년대비 2.6% 증가

- 석유화학은 상반기에 제품가격 상승, 경쟁국 생산시설의 가동률 저하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생산량이 유지되다 하반기에는 역내 공급 증가

에 따라 하락세 전환하여 연간 생산 물량은 전년대비 1.7% 감소 전환

- 섬유는 수출 확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 수입 급증, 해외생산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0.7% 감소

- 철강은 건설업 및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의 부진에 따른 내수 위축과

수출 정체로 전년대비 3.4% 감소

○ (IT제조업군) 대내외 수요가 크게 증가한 반도체, 이차전지의 생산이 크

게 확대되었고, SSD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정보통신기기 수출이 미증한

반면, 디스플레이 및 가전 생산은 감소

- 반도체는 기존 생산라인에서 미세공정 전환 및 수율 향상, 글로벌 공급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생산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24.2% 증가

- 이차전지는 내수시장 수요 확대 및 세계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수요 확

대로 인한 생산 설비라인 증설 및 신규 구축 등 설비투자의 증가로 전년

대비 10.7% 증가

Page 5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39 -

- 가전은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과 IoT 신제품 시장 확대, 프리미엄 신제

품 호조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0.6% 감소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스마트폰 수출 부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SSD 등

컴퓨터·주변기기 수출호조에 힘입어 전년대비 1.1% 증가

○ 음식료 생산은 수출증가세 회복, 최저임금 인상을 기폭제로 다소비 가

공식품의 가격인상 효과, 1인 가구를 목표로 한 HMR 품목군 확대 및

PB 제품의 유통 채널 다변화 등 신제품 수요가 증가로 1.7% 증가

□ 내 수 : 소비재 및 IT부품 내수가 증가한 반면, 운송기기와 소재산업

내수 부진으로 전년대비 내수 경기는 둔화

○ 민간소비 유지에 따른 가전,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섬유 등 소비재와 IT

제품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이차전지의 내수 증가

○ (기계산업군) 경기 부진으로 자동차 내수는 강보합세 및 일반기계 내수

는 전년대비 감소세

- 자동차 내수는 8월 이후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와 수입차 판매 증가 등

의 요인으로 증가하여 상반기 자동차 내수 부진을 만회하며 전년 수준

을 유지

건설경기 침체와 경기부진에 따른 소상공업 위축으로 트럭 등 상용

차 판매 감소세 지속

승용차는 소형 및 중형 SUV 등 SUV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세단형

승용차는 전반적으로 부진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매가 큰 폭의 증가세

- 일반기계는 전년 내수 확대의 기저효과와 설비투자 부진의 영향으로 전

Page 5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0 -

년대비 3.7% 감소

2017년 내수 성장을 견인했던 반도체 분야의 대규모 설비투자가 마

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자동차 및 조선을 비롯한 수요산업의 경기

둔화로 내수 부진세 심화

○ (소재산업군) 철강 및 석유화학 내수가 감소하고, 산업 수요 증가와 민간소

비 증가로 정유 및 섬유의 내수가 소폭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전년대

비 부진세

- 정유는 석유화학, 가정, 상업 및 발전용 석유제품의 소비는 증가하였으

나 건설, 수송, 도로 및 해운용 소비는 감소하고 하반기 들어 국내 경기

의 하락세로 수요가 위축되어 1.1%로 증가세 둔화

- 섬유 내수는 하반기 들어 의류 민간소비의 견고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생산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부동산 규제 강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부정적 요인으로 1.0% 증가하여 증가세 둔화

- 철강 내수는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산업의 경기가 둔화되면서

8.1% 감소, 석유화학 전방산업(자동차, 건설, 전기/전자)의 업황 부진으

로 출하량이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하여 3.3% 감소 기록

○ (IT제조업군) 수요산업의 성장 둔화 영향을 받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산업의 내수 증가

- 이차전지 내수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른 에너지저장시스

템 설치 수요 확대 및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힘입어 11.0% 고성장

- 디스플레이는 주요 수요산업인 TV, 스마트폰 시장의 내수성장 둔화 및

OLED TV 시장 미성숙,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재고 증가 등이 요인으로

5.1% 감소 전환

- 가전은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공기청정기, 건조기 등 건강가전 수요 급

Page 5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1 -

증과 프리미엄 가전 판매 확대, 소형가전 수요 확대에 따라 4.4% 증가

- 정보통신기기는 스마트폰 및 PC시장 포화에도 불구하고 신형 스마트

폰, 초슬림형 노트북PC 등 신제품 교체수요 등에 힘입어 6.6% 증가

- 반면 반도체 내수는 주요 수요 산업인 스마트폰, 컴퓨터, 가전 등의 해

외 현지생산 증가로 국내 수요가 줄어 전년대비 0.2% 미증

○ 음식료는 내수는 가격 인상 효과, 매출원 다변화, 유통망 확대 및 수입

산 가공식품 소비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6% 증가

□ 수 입 : 단가 상승 및 수입물량 확대로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높은 증가세를 보여 전년대비 6.7% 증가

○ (기계산업군) 자동차 및 조선 수입 확대로 기계산업군 수입은 전년대비

1.8% 증가

- 자동차는 전반적인 내수부진과 BMW 연쇄 화재사건 등의 부정적 요인

에도 불구하고 전년 실적 부진에 따른 기계적 반등과 폭스바겐 판매재

개의 영향으로 6.5% 증가

- 일반기계 수입은 전년도 수입수요 급증(10.0%)에 따른 기저효과와 기계

류 설비투자 감소, 내수부진 등 여건 악화로 전년대비 0.8% 감소

- 조선은 대일 탱커 수입과 대중 벌크선 및 페리선이 수입, LNG운반선과

같은 고기술선박의 생산에 따른 기자재 수입으로 2.3% 증가세 전환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군 수입은 철강 수입 부진에도 불구하고 국제 유

가 상승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 영향으로 6.7% 증가

- 정유는 수입물량 및 수입단가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전년대비 42.2% 증

Page 6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2 -

- 석유화학은 제품가격 상승과 더불어 수입량이 하반기부터 큰 폭으로 증

가하며 전년대비 8.5% 증가

- 섬유는 국제유가 및 원부자재 조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단가 인상,

해외생산품의 역수입 확대, 수입 물량 확대 등으로 수입액이 10.5% 증

- 철강 수입은 내수 침체로 인한 수입수요의 감소와 주요 수입품이었던

중국산 제품의 단가 인상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약화로 2.4% 감소

○ (IT제조업군)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수입증가세를 보

여 IT제조업군 수입은 전년대비 4.6% 증가

- 이차전지 수입은 중국으로부터의 저렴한 이차전지 부분품 및 완제품 수

입 증가에 따라 전년대비 75.9% 증가

- 가전은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중소형 프리미엄 제품 수요 확대, 개도

국의 중저가 제품 수입과 역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3.8% 증가

- 정보통신기기는 아이폰 시리즈 출시효과에도 불구하고 높은 제품가격

과 교체주기 지연으로 스마트폰 및 부품의 수입수요가 부진하고, PC,

보조기억장치 등의 수요에 힘입어 전년대비 1.8% 증가

- 반도체는 IoT, AI,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고 수입의존도가 높

은 시스템반도체 수입 증가로 5.9% 확대

- 디스플레이는 전년 수입 급증의 기저효과(83.9%)와 국내 생산 여건 악

화 및 수출 감소로 6.2% 감소

○ 음식료는 수입산 주류에 대한 수요 증가, 차류, 초콜릿류, 유제품 등 고

급 기호식품의 소비 증가, 반려동물산업 확대에 따른 사료 수입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5.8% 증가

Page 6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3 -

2.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 중국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주의 등 부정적

영향 지속

○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 글로벌 경제의 제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반

도체, 정보통신기기, 이차전지는 수요 확대에 따른 수출 증가세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라 반도체를 소비하는 전자산업의 위축

가능성이 상존하지만,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반도

체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전망

- 정보통기기의 경우 스마트폰 시장은 5G폰 및 폴더블폰 수요로 부진이

개선되고, PC 시장은 6년 부진에서 벗어나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

어 경기 중립적

- 세계 주요국의 노후 전력계통 인프라 교체 수요 및 스마트그리드 인프

라 확산 등 대형 이차전지 세계 수요는 2019년에도 큰 폭의 성장이 예상

되므로 글로벌 경기의 제한적 성장은 이차전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

○ (중국 성장세 둔화) 중국 성장세가 둔화하더라도 수요가 안정적으로 확

대되고 있는 반도체, 이차전지 수출에의 영향은 제한적인 반면, 나머지

산업에서 수출에의 부정적 영향 예상

- 반도체는 고사양화, 고가의 전자제품에의 채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성장세 둔화는 우리 반도체 수출에 미치는 영향 미미

- 중국 정부의 강력한 전기차 확산 및 자국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 추진,

중국 이차전지 기업들의 가격 및 기술경쟁력 대폭 향상 등으로 인해 중

국 성장세 둔화는 이차전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

- 가전은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 감소로 부정적 영향 제한적

Page 6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4 -

- 자동차는 중국 성장세 둔화로 경쟁력이 강화된 중국 로컬업체들과 외자

합작업체들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동차 수요

하락 전망

- 조선은 LNG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미중무역 분

쟁에 따른 해상물동량 감소는 전방산업인 해운시황과 LNG운반선 시

장에 악영향을 줄 전망

- 일반기계는 경기위축 국면으로 수출둔화가 예상되나 정부주도의 건설

투자 확대는 대중국 수출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 중국 성장 둔화는 철강가격 하락과 수출 확대로 부정적인 영향 예상,정유는 아스팔트와 고부가가치 경질유의 대중 수출 부진, 석유화학은

중국내 전방산업의 저성장으로 수요 위축 우려

○ (보호무역 기조 강화) 보호무역 기조는 2019년에도 지속되며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가전, 이차전지, 음식료, 자동차, 섬유 등에 부정적 영향

을 미칠 전망

- 자동차는 수입자동차에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보류로 직접적 영향은

적지만,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양국 경기 둔화시 자동차 수요 위축

등 간접적 영향 우려

- 일반기계는 NAFTA 재협상, 미·중 통상분쟁 장기화 등 미국 보호무역

확대에 따른 교역 불확실성 리스크에 의한 대중 수출량 감소 우려

- 철강은 보호무역주의가 EU 및 신흥국으로 확대되면서 철강 수출 위축

우려, 석유화학은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국산 화학 중간재의 대중

수출이 감소하며 아시아 시장 내 공급과잉 우려

Page 6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5 -

<표 Ⅱ-1> 글로벌 여건 변화가 13대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

세계경제의 제한적 성장

중국 성장세 둔화

보호무역 강화 종합 평가

자동차 × × × ×

조 선 × × □ □

일반기계 × × × ×

철 강 × × × ×

정 유 × × □ ×

석유화학 × × × ×

섬 유 × × × ×

가 전 × □ × ×

정보통신기기 □ × □ ○

반도체 □ □ □ ○

디스플레이 × × □ ×

이차전지 □ □ × ○

음식료 × × × ×

주 : 매우 긍정적 ◎, 긍정적 ○, 중립 □,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해당사항 없음 -.

- 미중 무역분쟁에 의한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품목에서 의류가 제외되

어 의류용 섬유소재 수출 중심의 우리나라 수출에의 직접적 영향 미미

양국의 경기 둔화에 따른 섬유소비 위축 우려

- 이차전지는 2016년 말부터 지속되고 있는 중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중 전기자동차 배터리 보조금 지급 대상에 한국기업들이 포함되고 있지

않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 보조금 이슈는 여전히 존재

‧ 중국의 자국 배터리 위주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 등 보호무역 강화

기조는 이차전지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 음식료 부분의 비관세 장벽 강화는 수출에 부정적 영향, 특히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우리 음식료산업에 수급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수출에의

부정적 영향 초래

Page 6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6 -

□ 2019년 국내 주요 경제지표의 부진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부정적 영향

예상

○ (국내 경기 부진) 2019년 국내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자동차,

섬유, 가전, 음식료 등 소비재와 석유기반 산업의 업황 위축 우려

-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악화 및 가계소득 감소는 일차적으로 자동

차, 의류, 가전,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등 소비재의 수요 위축 요인으로

작용

- 소비재 등 최종재재산업의 산업활동 위축으로 전후방산업간 선순환 파

급효과가 낮아지고, 특히 철강, 정유, 석유화학, 섬유소재 등 소재산업

의 생산에 부정적 영향

○ (소비 둔화) 2019년 민간소비 위축 전망으로 자동차, 가전 등 소비재의

업황 위축이 예상되며, 정유 및 디스플레이의 연쇄 부진 전망

- 자동차는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성숙시장으로 수요증가

한계에 직면해 민간소비 위축 예상

- 가전은 최저임금 향상과 정부지원책은 필수가전과 소형가전에 대한 수

요가 지탱됨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으로 인한 가

처분소득 감소로 대형 가전의 신규 수요 감소로 부정적 영향 예상

- 반면 의류는 중저가 제품 수요 및 수입 확대, 중국인 단체관광객 확대

등으로 소비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음식료는 경기 비탄력적인

특성상 소비 둔화의 영향은 다소 제한적

- 정유는 정부의 내수 활성화로 가정·상업, 수송 및 발전부문의 소비가

증가할 것이나, 산업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유화학용 석유제품의 소

비 확대가 둔화하여 부정적 영향 예상

- 디스플레이는 세트제품의 판매 부진으로 수요 위축을 초래할 전망

Page 6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7 -

○ (국내 투자) 자동차, 일반기계, 섬유의 국내 투자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IT산업, 석유화학, 음식료산업의 투자 확대 전망

- 자동차산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부품업체 투자 감소, 섬유는 신제품

개발을 위한 R&D, 4차 산업혁명 대응 등 일부 진행될 예정이나 전반적

으로 국내 생산 투자는 내수 및 수출 부진 전망으로 소극적

- 일반기계는 SOC 예산 축소에 따른 설비투자 위축, 반도체산업 주도의

대규모 설비투자가 마무리됨에 따라 일부생산 능력 확대 및 유지의 목

적을 위한 보수적 투자만 진행될 것으로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부족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대비하여 기술 초격차

전략을 위해 첨단제품 개발 및 생산 설비 증설 예상

- 디스플레이는 LCD 생산라인의 구조조정, OLED 신규 및 추가 투자 등

설비투자 요인 발생

- 이차전지는 생산설비 관련 투자는 생산 설비라인 증설 및 신규 구축 중

심으로 소폭 증가가 예상되며, 중대형 이차전지 중심의 R&D 투자는 크

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조선은 환경규제, ICT 기술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친환경선박,

스마트야드 등에 대한 R&D는 증가하나, 생산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아

설비투자는 제한적

○ (해외투자) 해외투자 확대로 인해 자동차, 일반기계는 궁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글로벌 밸류체인이 빠르게 진전된 섬유, 가전, 정보통신

기기 등에서 산업에의 부정적 영향 예상

- 자동차는 ’19년 하반기 인도에 기아차 생산공장 신규 가동예정으로 국

내 부품수요 증가 예상

Page 6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8 -

- 일반기계는 기아차 인도공장 건설시 현지 생산공장의 자동차 생산설비

는 대부분 국내에서 공급하는 등 수요기업의 해외 현지공장 신설에 따

른 국내 기계류 수출수요 증대 기대

○ (고 용) 반도체, 이차전지 등 업황이 좋은 산업에서 고용이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나머지 업종들의 고용은 부진할 전망

- 반도체는 글로벌 공급부족에 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 생산 설비 확충으

로 고용 증가, 이차전지 역시 국내 투자 확대로 고용 증가 예상

- 조선은 수주회복기의 물량생산, LNG운반선 등의 본격생산, 친환경기자

재 Retrofit 시장 확대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던 고용은 증가세로 전

환될 전망

- 2019년 생산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동차, 철강, 섬유, 가전 등에

서 고용이 지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

자동차 수출 및 국내 경기여건 부진으로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고용

조정 예상

철강은 고임금 산업으로 최저임금 인상 효과는 제한적이나 근로시

간 단축은 교대제 개편 및 신규 고용 확대 등 생산 비용 상승 요인

및 고용에의 부정적 효과

섬유 및 가전은 해외생산 확대, 내수 및 수출 부진 등으로 국내 생

산 물량이 지속 감소하여 일자리 창출 효과 지속 저하

Page 6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49 -

<표 Ⅱ-3> 국내 여건 변화 전망 및 영향 평가

국내경기

소비 국내 투자

해외 투자

고용 종합 평가

자동차 × × × ○ ×× ×

조 선 □ □ □ □ ○ □

일반기계 × □ × ○ × ×

철 강 □ × □ □ × ×

정 유 × × □ - □ ×

석유화학 × □ ○ □ × □

섬 유 × □ × × × ×

가 전 × × ○ ×× × ×

정보통신기기 □ ○ ○ × □ ○

반도체 □ ○ ○ □ ◎ ○

디스플레이 □ × ○ ×× × ×

이차전지 □ □ ○ × ○ ○

음식료 × □ ○ □ □ □

주:매우 긍정적 ◎, 긍정적 ○, 중립 □, 부정적 ×, 매우 부정적 ××, 해당사항 없음 -.

3. 2019년 주력산업 부문별 전망

□ 수출은 2018년 5.2% 증가에서 증가폭이 둔화하여 3.6% 증가

○ 13대 주력산업의 2019년 수출은 선진권의 경기 둔화와 개도권의 성장

정체가 예상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강화, 국제유가 횡보에 따른 수

출단가 상승폭 제한, 반도체 가격 인하 등 요인으로 증가세 둔화

- 미 중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 정책 강화가 지속되고, 글로벌 경쟁 심화,

해외 생산 확대 등으로 성장 동력이 약화하며 수출 증가세는 2018년

(5.2%) 대비 다소 둔화 전망

○ (기계산업군) 자동차 수출이 부진하고 일반기계 수출은 증가세가 크게

둔화한 가운데 조선 수출이 기저효과로 증가전환하면서 기계산업군 수

Page 6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0 -

출은 전년대비 2.4% 증가 전환 예상

- 조선은 고가에 수주 받은 LNG운반선의 건조와 생산량 증가로 전년

58.0% 감소에서 2019년 13.8% 증가 전환 전망

- 일반기계는 미국, 중국, 인도 등의 제조업 및 건설경기 상승세가 유지되

고 있으나, 글로벌 성장세 둔화,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지정학적 리

스크 확산, 전년 기저효과 및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증가세 둔화

- 주요 선진시장의 자동차 수요 감소 및 신흥시장 수요가 크게 둔화하여

완성차 수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소형 대형 SUV의 신규

모델 투입 및 부품 수출 증가로 0.2% 감소 예상

<그림 Ⅱ-1> 2019년 주요 산업별 수출 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 (소재산업군) 소재산업군 수출은 국제유가 횡보에 따라 수출단가 상승

이 제한적이고 글로벌 경기 성장세 둔화에 따른 수요 확대 추이가 둔화

되면서 전년 14.9% 증가에서 2019년 1.3% 증가로 둔화

- 정유는 국제유가의 안정화로 석유제품 수출단가 상승폭 제한, 글로벌

석유제품의 수요확대 추세 둔화 및 주요국의 대규모 정제설비 가동으

Page 6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1 -

로 인한 공급확대 추세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6.1% 증가

- 석유화학은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수출단가 보합세가 유지되며 0.4%

증가하여 전년대비 횡보

- 섬유는 글로벌 경기 성장세 둔화에 따른 글로벌 섬유 수요 부진과 수출

단가 인상 제약으로 0.3% 소폭 감소세 전망

- 철강은 수출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신흥국, 중동 등 신시장 수출 확대

와 아연도 강판과 같은 주력 품목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수출물량은 전

년도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단가 하락으로 수출액은 3.3% 감소 전망

○ (IT산업군) IT산업군은 가전, 디스플레이의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

도체, 이차전지, 정보통신기기 수출 확대에 힘입어 전년대비 6.1% 증가

가 예상되나 전년대비(14.9%) 증가세는 크게 둔화

-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전망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발달로 인한 수요 증가로 9.3%의 수출 증가세 유지

- 이차전지는 중대형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폭발적 수요 증가가 예측되며,

대형 이차전지 시장에서의 높은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국내 업체들

의 약진으로 수출이 전년대비 8.6% 성장 전망

- 정보통신기기 수출은 SSD의 호조세 지속과 5G폰, 폴더블폰 등 차세대

스마트폰 출시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2.4%의 소폭 증가 전환

- 디스플레이 수출은 OLED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중국 대비 LCD의

경쟁력 약화, 패널가격 하락, 중국기업들의 생산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등 악재로 전년대비 2.5% 감소 전망

- 가전 수출은 IoT 가전 신제품 출시와 프리미엄 제품에서의 경쟁력 확보

에도 불구하고, 해외생산 확대와 글로벌 경쟁심화 등으로 7.5% 감소

Page 7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2 -

○ 음식료 수출은 대중국 수출 시장 회복 및 新남방, 新북방 등 신흥국의

한국산 가공식품 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대비 4.3% 증가세 유지

<표 Ⅱ-4> 2019년 13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주요 요인

증감률(%)수출 증감 주요 요인

2018 2019

증가세둔 화

반도체 30.9 9.3 -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발달로 인한 수요 증가

이차전지 17.6 8.6 - 중대형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폭발적 수요 증가

정 유 34.4 6.1- 글로벌 석유제품의 수요확대 추세 둔화- 주요국의 대규모 정제설비 가동으로 인한 공급확대 추세 가속화

석유화학 14.6 0.4-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둔화 및 수출단가 보합세

일반기계 9.4 1.8- 글로벌 성장세 둔화,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전년 기저효과 및 미중무역분쟁 장기화로 증가세 둔화

음식료 8.7 4.3- 대중국 수출 시장 회복 및 新남방, 新북방 등 신흥국의 한국산 가공식품 수요 확대

증가세전 환

조 선 -58.0 13.8 - 고가에 수주 받은 LNG운반선의 건조와 생산량 증가

정보통신기기

-5.7 2.4- SSD의 호조세 지속과 5G폰, 폴더블폰 등 차세대 스마트폰 출시

감소세지 속

자동차 -1.8 -0.2- 주요 선진시장의 자동차 수요 감소 및 신흥시장 수요 큰 폭 둔화

가 전 -17.0 -7.5 - 해외생산 확대와 글로벌 경쟁 심화

디스플레이 -8.6 -2.5- 중국 대비 LCD의 경쟁력 약화, 패널가격 하락, 중국기업들의 생산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감소세전 환

철 강 0.2 -3.3 - 수출경쟁 심화 및 단가 하락

섬 유 2.5 -0.3- 글로벌 경기 성장세 둔화에 따른 글로벌 섬유 수요 부진과 수출단가 인상 제약

□ 생산은 수출 둔화 및 국내 경기 부진에 따른 내수 위축이 주력산업의

성장을 제약하여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부진 전망

○ 조선, 철강, 가전의 생산증가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석유화학,

섬유, 디스플레이의 생산 감소세 지속, 반도체, 이차전지, 일반기계 등의

생산 증가세가 소폭 둔화하면서 생산 증가를 제약

Page 7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3 -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생산은 자동차를 제외한 수출 증가에도 불구

하고 내수 부진 및 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생산 부진 전망

- 자동차 생산은 수출 및 내수 부진 지속, 최저임금 인상 폭 확대 및 근로

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 강화 영향으로 중소 부품업체들의 생산이 위축

되어 전년대비 2.3% 감소

- 조선은 2017년 수주 회복기 이후 수주분의 본격 건조와 기저효과로 전

년대비 8.4% 증가

- 일반기계는 생산은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내수경기 위축이 생산 확대

를 제약하여 전년대비 1.1% 증가

<그림 Ⅱ-2> 2019년 주요 산업별 생산 증가율 전망

단위:%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소재산업군) 철강 및 정유 생산이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석유

화학 및 섬유 생산 감소로 소재산업 생산은 소폭 감소 전망

- 철강은 상반기 내수의 부진 여파로 생산이 소폭 감소하지만 하반기에

판재류 수출 영향으로 소폭 증가가 예상되면서 전년 수준의 생산 전망

- 정유 생산은 대규모 신규설비 확장 계획이 부재한 가운데 고도화 설비

Page 7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4 -

중심의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고, 글로벌 공급확대로 수출주도 생산 확

대가 어렵고 재고 증가 우려로 전년대비 약 2.8% 확대 전망

- 석유화학은 전방산업의 내수 부진 지속 및 수출물량 증가율 정체, 가동

률도 하락 영향으로 전년대비 2.1% 감소 전망

- 섬유는 지속적인 해외투자 및 수출 부진, 내수 증가를 수입 확대와 신

규 투자보다는 그간 부진했던 가동률 상승을 통해 대응하면서 국내 생

산은 0.5% 소폭 감소 전망

○ (IT산업군) 정보통신기기 생산 확대 불구, 생산을 주도하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생산 증가세가 둔화하고 디스플레이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IT산업군 생산은 전년대비 소폭 둔화

- 반도체 생산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

여 국내 생산 설비를 확충 및 수출 확대 영향으로 6.8% 증가 전망

공급과잉 우려 불구 공급자 지위 강화로 공급량 조절이 가능, 메모

리 반도체 가격 하락 불구 공급 부족현상으로 생산 지속 증가

- 정보통신기기 생산은 5G 통신기기, 폴더블폰 등 신제품 출시, SSD 등을

중심으로 생산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지만, 높은 해외생산 비중으로 전

년대비 4.2% 제한적 성장

- 이차전지 생산은 수출증가 추세에 힘입어 중대형 이차전지 중심의 R&D

투자 및 국내 신규설비라인 구축을 통한 생산 확대로 8.5% 증가 지속

-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업체들의 OLED 패널 채용 속도가 느리고 생산

구조조정에 따른 LCD 공급 감소, 패널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3.0%

감소 예상

○ 음식료는 수출 확대, 내수의 견실한 성장 기조, 소비자 대응 신제품 개

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1.0% 증가 예상

Page 7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5 -

<표 Ⅱ-5> 2019년 주력산업의 생산 변화 주요 요인

증감률(%)생산 증감 주요 요인

2018 2019

증가세지속

정보통신기기

1.1 4.2- 5G 통신기기, 폴더블폰 등 신제품 출시, SSD 등 생산 확대

정 유 2.6 2.8-고도화 설비 중심의 투자확대, 글로벌 공급확대로 수출주도 생산 확대가 어렵고 재고 증가 우려

증가세전환

조 선 -28.2 8.4- 2017년 수주회복기 이후 수주분의 본격 건조와 기저효과로 증가

철 강 -3.4 0.4- 상반기 내수의 부진 여파로 생산이 소폭 감소, 하반기에 판재류 수출 영향으로 소폭 증가

가 전 -0.6 0.9 - 프리미엄 가전 생산 증가

증가세둔화

반도체 24.2 6.8-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공급부족 대응 국내 생산 설비를 확충 및 수출 확대

이차전지 10.7 8.5- 수출 증가 추세에 힘입어 중대형 이차전지 중심의 R&D 투자 및 국내 신규설비라인 구축

일반기계 1.6 1.1-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내수경기 위축이 생산 확대를 제약

음식료 1.7 1.0- 수출 확대, 내수의 견실한 성장 기조, 소비자 대응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설비 투자 확대

감소세둔화

자동차 -3.3 -2.3 - 수출 및 내수 부진 지속, 중소 부품업체들의 생산 위축

섬 유 -0.7 -0.5- 지속적인 해외투자 및 수출 부진, 내수 증가를 수입 확대로 대응

디스플레이 -7.6 -3.0- 스마트폰 업체들의 OLED 패널 채용 속도가 느리고 생산 구조조정에 따른 LCD 공급감소, 패널 가격 하락

감소세 지속

석유화학 -1.7 -2.1- 전방산업의 내수 부진 지속 및 수출물량 증가율 정체, 가동률도 하락

□ 내수는 소비재 중심의 증가세가 이어지는 반면, 소재부품산업의 내수

가 부진하며 전반적인 내수 위축 전망

○ 자동차, 섬유, 가전,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등 소비재가 높은 수입 확대

로 내수가 증가하고, 수요산업의 국내생산 부진에 따라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소재부품류의 내수 둔화 전망

○ (기계산업군) 기계산업군 내수는 일반기계 내수 부진을 자동차와 조선

의 내수 증가로 만회하면서 전년 수준 유지

Page 7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6 -

- 자동차 내수는 경기 부진, 고용 불안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에도 불

구하고 완성차업체들의 내수 판매 전략 강화 및 정부의 내수시장 활성

화 대책으로 0.7% 소폭 증가 전망

- 조선은 국내 해운사가 2017년부터 국내 조선사에 발주한 선박의 건조가

2019년에 실현되기 시작하면서 큰 폭의 회복세 시현

- 일반기계는 내수는 정부의 SOC 투자 감소와 반도체산업이 주도했던 기

계류 설비투자가 마무리 되고,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수요산업의 부진

여파로 설비투자가 위축되면서 전년대비 1.1% 감소 전망

○ (소재산업군) 수요산업 부진으로 철강 및 석유화학 내수가 부진하고 섬

유 내수는 보합, 정유 및 섬유 내수가 미증에 그치면서 전년대비 둔화

- 철강은 자동차, 기계 등 수요 산업의 생산 활동 둔화, 건설투자 하락세

전환 등 내수 부진과 수출 위축으로 전년대비 1.0% 감소

- 정유는 민간소비 및 운송부문 주도의 내수 증가 추세가 지속되겠지만

산업부문의 소비는 소폭 감소하며 전년대비 1.8% 증가 예상

- 석유화학은 생산물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자동차, 섬유, 건설업 등 수요

산업의 업황 개선이 불투명하여 석유화학 중간재 수요 위축 등으로

3.7% 감소 전망

- 섬유는 섬유 내수는 경제 성장세 부진 및 부동산 시장 안정화 대책 지

속에 따른 민간소비의 위축 전망에도 불구하고 수입 주도의 섬유수요

확대로 1.0% 증가세 예상

○ (IT산업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 정

보통신기기, 가전 주도의 내수 성장 전망

- 이차전지 내수는 소비심리 일부 개선 및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확산 정

책 기조 강화 등의 요인으로 전년대비 9.3% 증가 전망

Page 7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7 -

정부의 강한 친환경 에너지 보급 정책 등에 의해 지속적인 주파수

조정 및 전력 저장용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국내 설치 증가로 대용량

이차전지 내수가 성장 주도

중형 이차전지의 경우 당초 계획을 밑도는 전기자동차 보급으로

큰 폭의 내수 확대는 기대난

- 정보통신기기 내수는 5G 이동통신서비스가 본격 상용화되고 관련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6.9% 증가

- 가전 내수는 건강가전과 프리미엄 시장 확대, 다양한 IoT 가전 신제품

출시, 스마트홈 서비스 확대, 프리미엄 TV로의 교체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2.8% 증가할 전망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는 주요 수요산업의 국내 소비량 축소 및 해외 생

산 확대로 감소 예상

<그림 Ⅱ-3> 2019년 주요 산업별 내수 증가율 전망

단위 : %

주 :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석유화학은 3대 유도품, 정유는 석유제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 음식료 내수는 전반적인 경기 부진 흐름 속에서 신제품 출시에 따른 가

격 인상 기조가 유지되고 고급 기호식품에 대한 수입이 확대되면서 전

년대비 0.9% 성장 전망

Page 7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8 -

□ 수입은 소재산업을 제외하고 소비재와 IT 부품 수입 확대에 힘입어

4.3% 증가세 유지 전망

○ 13대 주력산업의 수입은 수출 성장세 둔화 및 내수 및 국내 생산 부진

에도 불구하고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증가

세를 보이며 전년대비 4.3% 증가 예상

○ (기계산업군) 자동차, 조선 등 수송기기 부문의 수입이 확대되었으나,

내수부진에 따른 일반기계 수입 감소로 기계산업 수입은 0.7% 확대

- 자동차는 수입차 업체들의 지속적인 가격인하와 다양한 신모델 출시,

수입차 증가에 따른 AS부품과 안전 편의 관련 첨단기능 구현 수입부품

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4.9% 증가 전망

- 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선박수입과 LNG운반선과 같은 고기술선박의 생

산에 따른 기자재 수입으로 10.9% 증가

외국 기자재를 많이 사용하는 LNG운반선의 건조 증가로 기자재 수

입이 증가

- 일반기계는 수입수요를 견인하는 기계류 설비투자 위축이 심화되면서

2018년의 감소세가 확대되어 2.7% 감소

○ (소재산업군) 정유와 섬유 수입 증대에 힘입어 소재산업의 수입은 전년

대비 2.4% 증가 전망

- 정유는 산업용을 중심으로 한 내수 부진으로 인해 석유제품의 수입 물

량 확대폭 축소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단가 하락으로 석유제품

수입액은 전년대비 5.3% 확대로 증가세 둔화

- 섬유는 해외생산 의류의 역수입 지속 확대, 국내 생산업체들의 채산성

개선을 위한 중저가 섬유소재 수입 확대, 합리적 소비 확산에 따른 중

저가 섬유제품의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5.9% 증가 예상

Page 7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59 -

- 철강은 수요산업의 부진 및 건설투자 위축 등 국내 수요 부족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 지속

- 석유화학은 국제유가의 보합세에 따른 수입단가 안정세 및 국내 업체들

의 중간재 수입수요 감소로 1.2% 감소 예상

○ (IT산업군) IT산업 수입은 제품 및 부품 수입이 동시에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8.4% 확대되어 총수입 증가를 견인

- 이차전지 수입은 저렴한 저가 중국산 부분품 및 완제품 수입이 계속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기저효과로 증가폭은 다소 둔화하여 15.0% 증가

전망

- 반도체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용 반도체, 전력 반도체 등 신규 산

업에서 국내 제작이 어려운 시스템반도체 수요 증가로 전년대비 10.9%

증가 전망

- 디스플레이는 국내생산의 구조조정 추진의 영향을 받아 중국, 베트남

등 해외공장으로부터의 역수입 증가로 전년대비 1.0% 증가세 전환 예상

- 가전은 국내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제품(개도국)과 프리미엄

제품(선진국) 수입 수요의 동반 성장으로 전년대비 2.3% 증가 예상

- 정보통신기기는 외산 스마트폰, PC와 완제품 제조용 부품 등을 중심으

로 확대되어 전년대비 7% 증가 전망

○ 음식료는 맥주, 고급 유가공품 등 고급 기호식품에 대한 수입수요 증가,

주요 원자재의 국제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로 전년대비 1.7% 증

가 예상

Page 7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0 -

<그림 Ⅱ-4> 2019년 주요 산업별 수입 증가율 전망

단위:%

주 1) 달러 표시 가격 기준. 2)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

외 기준

4. 정책적 시사점

□ 내수 진작을 위한 공공 및 민간소비 확대

○ 2019년 경제성장률이 정체되고 고용 부진 및 소비 심리 위축 등으로 민

간 소비가 위축될 전망으로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민간소비의 회

복 여부가 관건

- 따라서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창출, 공정경쟁 및 혁신 성장 등의 체계

적인 추진과 더불어 강력한 내수 진작책 필요

- 환경문제 해결과 연계하여 노후차 교체 시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 구입

하는 경우 구매지원금을 확대하는 등의 소비 진작책 도입 필요(자동차)

- 석유제품 유통시장 구조의 효율화를 통한 소비 확대(정유)

- 내수 진작 및 한국 제품 홍보 활성화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쇼핑관광

축제를 기획하고 홍보하는 등 체계적 준비가 가능하도록 시스템화(의류)

Page 7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1 -

- 초중등 학교에 학습용 패드, AR/VR기기 보급 확대, OLED TV의 공공

부문 구매 확대(디스플레이)

- 유통 시장 진입장벽 완화를 통한 유통 채널 확대 등을 통해 내수 회복

(음식료)

□ 고부가 및 유망 신산업 성장 촉진을 통한 경쟁력 제고 및 내수 활성

○ 수출은 2019년에도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과 달리

수출 확대와 국내 생산간 선순환 연계가 약화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극

복하고 성장을 견인할 만한 내수 진작책이 필요

○ 정부는 내수 회복을 통해 견고한 수요가 유지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제

조기반 강화를 통해 제조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 추진 필요

○ 주력 제조업이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고부가 및 유망 신산업 부문으로의

충분한 투자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 필요

- ‘첨단제조로봇’, ‘3D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장비’ 등 아직

시장 형성 단계에 있는 첨단 기계분야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와 시장

확대를 위한 R&D 투자와 시범·보급사업 정책 마련(일반기계)

- 기존의 수요산업 이외에도 헬스케어, 항공우주 등 신산업에 필요한 신

제품 개발, 환경 부담이 적은 플라스틱 제품을 출시하고 플라스틱 폐기

물을 재생/재활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 투자 확대(석유화학, 섬유)

- 웨어러블, 폴더블, 플렉서블 등 다양한 형태의 Post-스마트기기와 AI,

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정보통신기기)

- 상대적으로 취약한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4차 산업혁명

신산업에 최적화된 반도체 생산 지원(반도체)

Page 80: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2 -

- 국적 노후선박의 친환경선박으로의 대체발주 확대와 국적선대의 친환

경 대응을 위한 Retrofit 사업추진과 국내 기자재사·수리조선사 협력지

원 등(조선)

- IoT 기반의 가전제품 혁신과 1~2인 가구 중심의 소형 가전 시장 확대

트렌드에 적극 대응한 신제품 개발과 디자인 혁신(가전)

- 차량용, 의료용, 웨어러블, 투명 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기술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샤이니지, 인터렉티브 화이트보드, 가상/증강 현실 등

의 미래 신시장을 창출(디스플레이)

- 국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통한 견고한 내수 시장 확보 및 해외 완

성차 업체 등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안정적 전기차 배터리

수출처 발굴이 매우 중요(이차전지)

□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 주력 수출시장 포화와 경쟁심화에 따른 성장 한계 극복을 위해 신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유망 중소·중견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 지원

- 국내 완성차업체의 전속 거래 완화를 통한 협력업체의 해외 진출 확대

지원 및 국내 협력업체들의 납품선 다변화를 통한 수출 증대를 추진(자

동차)

- 글로벌 환경규정 강화로 창출되는 신조/개조시장의 공략을 위한 기자

재 및 중소조선 업체 지원, 대형조선사와 기자재/수리조선사 네트워크

구축(조선)

- ICT 융합 및 4차 산업혁명 대응 등을 위한 국내 중소협력업체들의 신분

야 진출 및 사업 다각화에 대하여 기술·시장정보, 컨설팅, 자금 지원 등

을 강화(정보통신기기)

Page 81: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3 -

<표 Ⅱ-6> 산업별 내수 활성화 방안

내수 활성화 방안

자동차 - 개별소비세 인하, 노후차 교체비용 지원 등 내수진작 정책

조 선

- 해운재건을 위한 장기적 관점의 선박 도입 계획 수립- 국내 주요 항만의 배출규제해역(ECA) 설정- 관공선 및 군함·해경 등 공공발주- 국적 노후선박의 친환경선박으로의 대체발주 확대와 국적선대의 친환경 대응을 위한 Retrofit 사업추진과 국내 기자재사·수리조선사 협력지원

일반기계- 첨단 제조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 유망분야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추진

철 강- 인프라 투자 활성화

- 남북경협의 원활한 추진을 통한 철강 수요 확대

정 유- 원유 및 석유제품에 부과되는 비효율적인 관세 및 세금 검토

- 석유제품 유통시장 구조의 효율화를 통한 소비 확대

석유화학 - 친환경성 제품 출시 확대

섬 유- 섬유소재의 고부가가치화 지원- 저소득층 의류 구매비용 소득공제를 통한 의류 소비 활성화- 남북 경협 활성화

가 전

- IoT가전 및 스마트홈 시장 확대를 위해 시험인증 및 실증사업 확대 추진

- 중소기업의 스마트홈 플랫폼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표준 및 관련 기술 지원 확대

정보통신기기- 5G 상용화, 5G와 AI, IoT를 활용한 응용서비스 확산- 개인정보 규제 완화, 규제 샌드박스 효율적 추진 등 규제·제도 정비

반도체-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육성- 대기업의 신제품 개발 사업에 중소 시스템반도체 기업이 참여하

여 국산 제품 채용 증가

디스플레이

- 초중등 학교에 학습용 패드, AR/VR기기 보급 - OLED TV의 공공부문 구매 확대

- 센서 내장형(UPS) 디스플레이의 공공부문 보급 확대

이차전지­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정책 강화­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 실증·시범사업의 지속적 확대

음식료­산업 진입 장벽 완화를 통한 신규 사업자 진출 확대­유통 시장 진입 장벽 완화를 통한 유통 채널 확대

Page 82: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4 -

□ 수출품목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수출 확대 전략

○ 주력 수출품목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생산기반 약화에 대응하고 미래

성장동력 분야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투자 강화 중요

- 국내 완성차업체 수출 차종의 스마트화와 고급화를 통해 수출단가 상승

으로 수출물량 감소에 대응(자동차)

- 자율운항선박 등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 및 실증 사업 추진

(조선)

- 잔사유 고도화 콤플렉스 등의 고도화설비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위한 투자 확대(정유)

- 차세대 TV, 실감형 TV, IoT가전, 실버 도우미 로봇 가전 등 첨단기술

및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차세대 신제품 출시(가전)

- 폴더블폰, 컨버터블 PC 등 Post-스마트기기 선제적 투자로 제품 차별화

촉진, 인공지능 등 SW 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제품·서비스 차별화

(정보통신기기)

- AI, IoT, Cloud, Big Data 등 4차 산업혁명 주도 산업 성장에 대응하는

차세대 반도체 개발 및 공급(반도체)

- 단기적으로 프리미엄 LCD의 개발력 강화, post-LCD 기술력 축적, 장기

적으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차량용 건축용 의료용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형 디스플레이의 핵심기술력 및 양산력 확보(디스플레이)

□ 산업의 강건성 제고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

○ 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생산 인프라의 혁신성 제고

- 환경규정 강화에 따라 급격히 발생할 수 있는 개조시장의 공략을 위한

Page 83: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5 -

기자재 및 중소·수리 조선사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대형조선사와 기자

재/수리조선사의 연계를 통한 선박의 전주기 관리 사업모델 구축(조선)

-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제조혁신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산업내,

산업간 협력의 유인체계를 확보하여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필

요(철강)

- 최종재에 사용된 소재 및 원료의 혁신성 제고를 위해 정부의 지원과 최

종재 가치사슬 내 수요산업과 협력 체계 구축(섬유, 석유화학)

- 중소 가전기업의 설비 스마트화를 통한 생산기반 여건 개선, 스마트홈

플랫폼 또는 표준기술 지원(가전)

- 5G 국제표준화 대응 지속과 함께, 주요국 5G 시장에 긴밀한 대응으로

5G 단말, 부품, 장비 등 산업생태계 역량을 강화(정보통신기기)

- 반도체 생산 장비의 경우 국산화율이 20%에 불과하여 국내 반도체 산

업이 사상누각과 같은 형태라고 지적되어지고 있으므로 반도체 장비산

업 육성 발전(반도체)

-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대형 이차전지 시장에서의 지속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미국, 호주 및 유럽 등 해외 주요국의 스마트그리드 공공시장

참여 및 글로벌 중전기기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이차전지)

□ 신흥 개도국 수출시장 적극 발굴

○ 기존 수출시장의 경쟁심화에 따른 성장한계 극복을 위해 신시장 진출

등의 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 동남아, 아프리카, 신남 북방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수요분석을

통한 신규시장 개척 전략 강화(자동차, 섬유, 정보통신기기, 음식료)

- 한류연계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섬유, 음식료)

Page 84: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6 -

- 아세안 수출시장 여건 변화 및 산업육성 정책 방향을 고려한 첨단 기계

장비, 자동화설비, 지능형 생산시스템 등 수출품목 변화에 대한 모니터

링 및 수출확대 대응전략 마련(일반기계)

□ 내수활성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한 기업환경 개선

○ 국내 생산 및 내수의 활성화를 위한 법 제도 정비, 금융, 규제 완화 등

제반 인프라 재정비를 통한 기업환경 개선

- LNG벙커링 사업추진, 관공선 및 민간선의 LNG연료추진선 발주 및 개

조 사업 지원을 위한 eco-ship 펀드조성(조선)

-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한 국내 산업의 가격경쟁력 제고 및 수요 확대(철

강, 섬유)

- 수입원유 관세(3%) 및 나프타 제조용 원유 할당관세(0.5%)의 하향조정

과 석유제품 탄력세 자동적용 등에 대한 검토 필요(정유)

- 인공지능, IoT, 5G 등을 활용한 융합제품·서비스를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개인정보보호 등 규제와 제도 정비(정보통신기기)

- 시장 진입 장벽 수준에 대한 전반적 검토 및 신규 진입 장벽 완화를 통

한 신규 사업자 진출 확대(음식료)

Page 85: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7 -

<표 Ⅱ-7> 산업별 수출 촉진 방안

수출 촉진 방안

자동차- 수출차종의 고급화 및 첨단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국내 부품업체들의 납품선 다변화와 해외 OEM과의 협업 모색

조 선

- 범용 선박 및 중형조선사 원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 K야드 기술개발

- 자율운항선박, LNG연료추진선·수소연료추진선 등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수주 촉진을 위한 선박금융 강화 및 R/G 제공- 환경규정 강화 대응 개조시장의 공략 목적의 기자재 및 중소·수리 조선사의 협력네트워크 구축, 대형조선사와 기자재/수리조선사의 연계를 통한 선박의 전주기 관리 사업모델 구축

일반기계 - 국가별 맞춤형 수출 전략품목 선정 및 수출지원 방안 마련

철 강- 상수출입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으로 철강수입규제에 선제적 대응- 해외 진출시 연관 소재·부품 업체의 공동진출 방안 마련

정 유

- 고도화 설비투자 확대, 원유도입처 다변화 등을 통한 원가경쟁력 강화

- 수출시장 다변화 및 해외 저장·유통·판매 인프라 구축을 통한 안정적 수요처 확보 및 수익성 강화

석유화학- 공급과잉 상황에 대비한 신제품 개발 투자- 국제유가 변동 리스크에 대비한 원료 다변화로 가격경쟁력 유지- 범용제품군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가 절감

섬 유- 한류 연계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지원- 4차 산업혁명 대응 섬유소재 및 제품 개발 지원

가 전

- 중소 가전기업의 설비 스마트화와 가전산업 스마트공장 특화 지원을 통해 국내기업의 생산성과 수출경쟁력 제고

- 중소형 IoT가전 신제품 개발 및 디자인 혁신을 지원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 가전기업 육성

정보통신기기

- 5G 국제표준화 대응 지속, 주요국 5G 시장에 긴밀한 대응으로 5G 단말, 부품, 장비 등 산업생태계 역량을 강화

- 폴더블폰, 컨버터블 PC 등 Post-스마트기기 선제적 투자- 인공지능 등 SW 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적인 제품·서비스 차별화

반도체-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개발로 글로벌 시장 수요 견인- 지속적인 R&D 연구개발로 기술격차 및 시장 우위 유지

디스플레이

- 융복합 디스플레이 응용기기 개발의 시범/공모 사업 추진 - 융복합 디스플레이 생산 인프라 구축- 중국, 미국 등 핵심시장의 마케팅 및 전방수요기업 제휴 지원 -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선점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지원

이차전지

­해외 완성차 업체 등 글로벌 수요기업과의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안정적 수출처 발굴

­미국, 호주, 유럽 등 해외 주요국 에너지 공공시장 참여 확대­원천 소재 개발 및 제품의 경제성·안정성 제고를 위한 R&D 확대

음식료­수출지역 맞춤형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확대­2자녀 정책 등 중국의 경제·사회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신남방‧신북방 등 Post-China 시장에 대한 신시장 개척활동 강화

Page 86: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8 -

2019년 13대 주력산업의 수출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2017 2018 2019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64,824 31,869 31,785 63,655 31,723 31,795 63,518

(-1.4) (-4.5) (1.1) (-1.8) (-0.5) (0.0) (-0.2)

조 선42,182 10,813 6,902 17,716 11,062 9,093 20,154

(23.1) (-54.8) (-62.2) (-58.0) (2.3) (31.7) (13.8)

일반기계48,607 26,267 26,910 53,177 27,180 26,980 54,160

(10.1) (8.6) (10.2) (9.4) (3.5) (0.3) (1.8)

철 강34,211 16,789 17,488 34,277 16,621 16,516 33,137

(19.9) (-0.5) (0.8) (0.2) (-1.0) (-5.6) (-3.3)

정 유35,037 22,001 25,072 47,073 24,768 25,192 49,960

(32.4) (34.2) (34.5) (34.4) (12.6) (0.5) (6.1)

석유화학44,688 24,962 26,271 51,233 25,960 25,457 51,417

(23.6) (13.2) (16.1) (14.6) (4.0) (-3.1) (0.4)

섬 유13,742 7,177 6,908 14,085 7,215 6,831 14,046

(-0.5) (5.0) (0.1) (2.5) (0.5) (-1.1) (-0.3)

가 전8,830 3,692 3,636 7,328 3,445 3,330 6,775

(-22.1) (-18.4) (-15.6) (-17.0) (-6.7) (-8.4) (-7.5)

정보통신기기31,867 14,721 15,342 30,063 15,011 15,780 30,791

(-16.7) (-4.7) (-6.6) (-5.7) (2.0) (2.9) (2.4)

반도체97,952 61,278 66,911 128,189 65,080 75,030 140,110

(57.4) (42.9) (21.5) (30.9) (6.2) (12.1) (9.3)

디스플레이27,379 11,131 13,889 25,020 11,298 13,097 24,395

(9.1) (-15.7) (-2.0) (-8.6) (1.5) (-5.7) (-2.5)

이차전지5,950 3,385 3,614 6,999 3,737 3,862 7,599(19.7) (20.0) (15.5) (17.6) (10.4) (6.9) (8.6)

음식료4,726 2,533 2,605 5,138 2,670 2,690 5,360

(8.0) (11.8) (5.9) (8.7) (5.4) (3.3) (4.3)

13대 합계459,995 236,618 247,333 483,953 245,770 255,653 501,422

(16.3) (5.3) (5.1) (5.2) (3.9) (3.4) (3.6)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

Page 87: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69 -

2019년 13대 주력산업의 생산 전망

단위 : %

20172018 2019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

(천 대)

4,115 2,005 1,973 3,978 1,938 1,949 3,887

(-2.7) (-7.3) (1.1) (-3.3) (-3.3) (-1.2) (-2.3)

조 선

(만 CGT)

1,057 446 314 759 454 370 823

(-14.3) (-25.1) (-31.3) (-28.2) (1.8) (17.8) (8.4)

일반기계

(10억원)

105,106 53,425 53,340 106,765 54,195 53,795 107,990

(6.4) (1.8) (1.4) (1.6) (1.4) (0.9) (1.1)

철 강

(천 톤)

77,073 37,962 36,515 74,477 37,836 36,939 74,775

(3.7) (-1.2) (-5.5) (-3.4) (-0.3) (1.2) (0.4)

정 유

(10만배럴)

12,297 6,143 6,472 12,615 6,337 6,636 12,973

(6.2) (3.1) (2.1) (2.6) (3.2) (2.5) (2.8)

석유화학

(천 톤)

21,976 10,817 10,777 21,594 10,581 10,551 21,132

(4.3) (-0.1) (-3.3) (-1.7) (-2.2) (-2.1) (-2.1)

섬 유

(10억원)

78,085 39,470 38,100 77,570 39,050 38,132 77,182

(4.9) (1.6) (-2.9) (-0.7) (-1.1) (0.1) (-0.5)

가 전

(10억원)

42,095 21,374 20,468 41,842 21,588 20,631 42,219

(-1.1) (0.7) (-1.9) (-0.6) (1.0) (0.8) (0.9)

정보통신기기

(10억원)

56,147 27,607 29,133 56,740 28,575 30,553 59,128

(5.4) (1.3) (0.9) (1.1) (3.5) (4.9) (4.2)

반 도 체

(10억원)

111,495 68,226 70,284 138,510 72,310 75,610 147,920

(38.4) (42.6) (10.4) (24.2) (6.0) (7.6) (6.8)

디스플레이

(10억원)

70,676 31,212 34,065 65,277 30,982 32,329 63,311

(2.1) (-12.5) (-2.6) (-7.6) (-0.7) (-5.1) (-3.0)

이차전지

(10억원)

11,960 6,222 7,016 13,238 6,894 7,468 14,362

(10.5) (13.1) (8.6) (10.7) (10.8) (6.4) (8.5)

음 식 료

(10억원)

86,755 43,750 44,500 88,250 44,080 45,020 89,100

(3.6) (2.4) (1.1) (1.7) (0.8) (1.2) (1.0)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정유는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3대 유

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88: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70 -

2019년 13대 주력산업의 내수 전망

단위 : %

20172018 2019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 동 차

(천 대)

1,794 897 897 1,795 910 897 1,807

(-1.8) (-0.8) (0.9) (0.0) (1.4) (0.0) (0.7)

조 선

(만 CGT)

104 45 32 77 45 56 101

(-1.0) (-10.0) (-40.7) (-26.0) (0.0) (75.0) (31.2)

일반기계

(10억원)

84,117 41,490 39,550 81,040 40,009 40,113 80,122

(5.9) (-0.7) (-6.6) (-3.7) (-3.6) (1.4) (-1.1)

철 강

(천 톤)

56,314 26,707 25,052 51,759 26,338 24,903 51,241

(-1.3) (-6.5) (-9.8) (-8.1) (-1.4) (-0.6) (-1.0)

정 유

(10만배럴)

9,401 4,681 4,820 9,501 4,757 4,911 9,668

(1.7) (1.9) (0.3) (1.1) (1.6) (1.9) (1.8)

석유화학

(천 톤)

11,631 5,691 5,554 11,245 5,448 5,382 10,830

(3.6) (-1.5) (-5.1) (-3.3) (-4.3) (-3.1) (-3.7)

섬 유

(10억원)

79,727 40,056 40,482 80,538 40,221 41,073 81,294

(6.0) (3.1) (-0.9) (1.0) (0.4) (1.5) (0.9)

가 전

(10억원)

39,580 21,348 19,970 41,318 21,973 20,518 42,491

(9.9) (7.6) (1.1) (4.4) (2.9) (2.8) (2.8)

정보통신기기

(10억원)

50,929 26,117 28,189 54,306 27,650 30,376 58,026

(18.8) (6.8) (6.5) (6.6) (5.9) (7.8) (6.9)

반 도 체

(10억원)

47,338 24,971 22,439 47,410 25,197 21,787 46,984

(-6.9) (18.0) (-14.3) (0.2) (0.9) (-2.9) (-0.9)

디스플레이

(10억원)

45,558 22,175 21,079 43,254 21,405 20,563 41,969

(3.9) (-6.7) (-3.3) (-5.1) (-3.5) (-2.4) (-3.0)

이차전지

(10억원)

6,546 3,378 3,887 7,265 3,689 4,255 7,944

(15.3) (9.8) (12.0) (11.0) (9.2) (9.5) (9.3)

음 식 료

(10억원)

94,852 47,827 48,639 96,466 48,273 49,104 97,377

(3.8) (2.0) (1.2) (1.6) (0.9) (1.0) (0.9)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자동차는 완성차, 조선은 건조량, 철강은 철강재, 정유는 석유제품, 석유화학은 3대 유

도품 기준이고 여타 업종은 금액 기준.

Page 89: 2019년 경제·산업 전망 - KECCtechplatform.kecc.co.kr/month/201901(06).pdf · - ④ - Ⅱ. 13대 주력산업 전망 1. 2019년 주요 여건 변화와 산업별 영향 세계경제의

- 71 -

2019년 13대 주력산업의 수입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2017 2018 2019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자동차16,475 9,156 8,383 17,540 9,482 8,914 18,396

(2.9) (15.7) (-2.1) (6.5) (3.6) (6.3) (4.9)

조 선2,466 1,269 1,253 2,522 1,458 1,338 2,796

(-24.4) (-2.5) (7.7) (2.3) (14.9) (6.8) (10.9)

일반기계30,042 15,175 14,630 29,805 14,525 14,485 29,010

(10.0) (2.5) (-4.0) (-0.8) (-4.3) (-1.0) (-2.7)

철 강21,885 11,020 10,347 21,367 10,891 10,289 21,180

(9.5) (-5.9) (1.7) (-2.4) (-1.2) (-0.6) (-0.9)

정 유15,118 9,965 11,540 21,505 11,092 11,563 22,655

(26.0) (31.2) (53.3) (42.2) (11.3) (0.2) (5.3)

석유화학13,774 7,076 7,871 14,947 7,387 7,383 14,771

(15.7) (-0.5) (18.1) (8.5) (4.4) (-6.2) (-1.2)

섬 유15,194 7,710 9,074 16,784 8,265 9,537 17,802

(4.7) (12.6) (8.7) (10.5) (7.2) (5.1) (6.1)

가 전6,608 3,668 3,192 6,860 3,789 3,227 7,016

(16.2) (11.0) (-3.4) (3.8) (3.3) (1.1) (2.3)

정보통신기기27,353 13,337 14,513 27,850 14,185 15,611 29,796

(12.0) (2.6) (1.1) (1.8) (6.4) (7.6) (7.0)

반도체41,176 21,115 22487 43,602 22,250 26,100 48,350

(12.5) (9.6) (2.7) (5.9) (5.4) (16.1) (10.9)

디스플레이5,142 2,733 2,326 5,059 2,755 2,352 5,107

(69.3) (-0.9) (-2.4) (-1.6) (0.8) (1.1) (1.0)

이차전지893 742 828 1,570 878 928 1,806

(26.5) (87.4) (66.6) (75.8) (18.3) (12.1) (15.0)

음식료11,926 6,322 6,290 12,612 6,410 6,420 12,830

(8.9) (7.0) (4.6) (5.8) (1.4) (2.1) (1.7)

13대 합계208,052 109,288 112,734 222,023 113,367 118,147 231,515

(11.6) (7.2) (6.2) (6.7) (3.7) (4.8) (4.3)

주 1) ( )은 전년동기비 증가율. 2) 수치는 통관 기준. 3) 자동차는 자동차부품 포함(MTI 741, 742). 4) 일반기계는 사무기기(MTI 714)와 광학기기(715) 제외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