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비에이치아이(주) 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신규검토 보완사항 83 4. 굴착 및 발파공사

4. 굴착 및 발파공사 - csi.go.kr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3

4. 굴착 및 발파공사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4

나. 굴착공사 및 발파공사

1) 지하수 변동 및 흐름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여 보완

- 공공하수처리시설 굴착공법 검토

2.4.2 지반굴착 계획

가. 기본방향

굴착공사를 안전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굴토벽면의 붕괴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구조물은 안전성과 시공성은 물론 경제성 등 현장여건에 맞는 공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주 변 현 황 안 전 성 시 공 성 경 제 성

⋅지질 상태

⋅지하수 상태

⋅인접 구조물 현황

⋅지장물 현황

⋅구조적 안정

⋅매설물 보호

⋅주변지반 침하

⋅인접 구조물 피해

⋅굴착 형상 및 심도

⋅장비 사용여건

⋅구조물 시공시

작업공간 확보

⋅공사 기간

⋅공사 비용

⋅민원 발생

⋅대민 보상

<표 2-102> 기본방향

나. 굴착공법 선정

구 분자연터파기 공법

(OPEN CUT)

가시설 공법

H-PILE+토류판 공법 SHEET PILE 공법

개 요 도

공 법

개 요

∙ 인력 및 기계를 이용하여

자립 가능한 자연사면을

형성하면서 굴착하는 공법

∙ 지중에 엄지말뚝을 삽입 후

토류판을 엄지 말뚝 사이에

끼워넣어 흙막이벽을 시공

∙ SHEET-PILE의 이음부를

물리게 하여 지중에 타입하여

연속된 흙막이벽체 형성

특징

장점

∙ 부지의 여유가 있을 경우 매

우 경제적임

∙ 시공 및 품질관리가 가장 용이함

∙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단축 가능

∙ 지층이 단순하고 지하수위가

낮은 경우 적용성이 우수

∙ 차수와 흙막이를 겸할 수 있음

∙ 강재 차수벽으로 차수효과 양호

단점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별도의

차수대책 필요

∙ 사면경사로 인해 부지 필요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별도의

차수대책 필요

∙ 주변지반 침하 발생가능

∙ 공사비 고가

∙ 인발시 흙부착

기존 구조물

굴착공법∙ 기존 처리시설 굴착공법 : OPEN CUT 공법(일부 구조물 차수용 sheet pile 병행)

선 정 증설 처리시설 - -

선 정

사 유

∙ 처리시설(증설)의 경우 부지여유 있는 현장조건, 하천에 인접하며 굴착 대상층에 지하수위가

분포하는 조건, 굴착심도, 지반조사결과 등을 고려하여 기존 구조물 굴착공법과 동일하게 경제

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OPEN CUT 공법(+차수용 sheet pile)을 계획함.

<표 2-103> 굴착공법 검토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5

다. 비탈면 안정성 검토

1) 비탈면 해석 기법

가) Fellenius법

Fellenius 방법은 절편법 가운데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절편의 양측에 작용하는 힘은 절편의 저면에

평행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절편 저면과 수직한 방향의 힘의 평형만을 고려한다. 이렇게 구한 수

직력은 다음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N W cos

이러한 기본가정을 근거로 하여 모멘트 평형 조건을 만족시키는 안전율 계산식은 아래 식과 같다.

Fs Wsin

′tanø′Wcos

나) Bishop법

이 방법은 절편간 전단력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전체 수직력은 각 절편 바닥의 중앙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며, 각 절편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이 수직력을 구하면 다음 식과

같다.

Fs W․sin․

․′․bWtanø′

M cos Fs

tanø′×tan

(a) 가상파괴면 (b) n번째 절편에 작용하는 힘

<그림 2-104> 일반적인 절편법에 의한 사면안정해석

다) 적용 해석방법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6

앞에서 언급한 Fellenius 방법과 Bishop 간편법 중 Fellenius 방법은 공식을 유도하는데 있어 전제된

가정 때문에 정해는 아니며, 소량의 오차를 내포하나 오차가 안전측 오차이며 계산 과정이 간단하고

Bishop 간편법은 시행착오법을 써서 안전율(Fs)을 결정하므로 Fellenius 방법보다 훨씬 복잡하나 계

산된 안전율은 거의 정확치에 가깝다. 이 두 방법에 의한 해석에는 간극수압, 단위중량, 강도정수와

같은 물성치가 필요하다.

본 토층사면 분석에 이용된 계산방법은 Bishop 간편법으로서 사용된 전산 프로그램은 SLOPE/W을

이용하였다.

2) 해석 Program(SLOPE/W)

가) 개 요

가상활동면을 가정하여 한계평형법으로 비탈면의 안정성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으로서 Bishop 간편법

등의 절편법 해석이 가능하다.

나) 프로그램 특징

◦ 가상활동면을 가정하여 한계평형법을 사용한 해석.

◦ 한계평형 해석이론은 Coulomb 이론에 기초하며, 기본적으로 부정정 방정식이 되기 때문에 사면

내부절편의 측면에 작용하는 토압과 활동 파괴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 Bishop은 Fellenius의 절편법을 수정하여 원호 파괴양상의 비탈면에 대하여 절편 사이의 수직력을

무시하는 가정을 도입하였으며, Morgenstern & Price는 비원호 파괴비탈면에 대하여 절편사이의

수평력과 수직력과의 관계를 일정한 함수로 가정하였고, Spencer는 비원호 비탈면에 대하여 절편

사이의 수평력과 수직력을 무시하거나 수평력의 작용점을 가정하였다.

3) 비탈면 안전율 기준

비탈면의 허용안전율은 지역과 공사 내용, 사면의 중요도, 비탈면 파괴시 주변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

성에 따르며, 비탈면 안정해석에 앞서 허용안전율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안전율을 계산에 있어

서 지하수의 흐름과 토질의 물리적, 역학적인 성질(전단 강도)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안전율은 상당

한 차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사업지역의 사면안정 검토를 위한 기준 안전율은 ‘국가건설기준(KDS 11 70 05, 쌓기․깎기

설계기준), 국토교통부’에 의거하여 단기시 F.S > 1.1을 적용하였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7

구 분 허용안전율 관 련 문 헌

깎기사면 단기 Fs ≥ 1.10 ∙ 쌓기·깎기 설계기준(KDS 11 70 05 : 2016)

<표 2-106> 적용 기준 안전율

4) 터파기 기울기 선정

터파기 기울기는 ‘국가건설기준(KDS 11 70 05, 쌓기․깎기 설계기준), 국토교통부’ 등을 참고하고 지

층조건, 지하수위조건, 상재하중 조건, 기존 설계사례 등을 고려하여 계획하였음.

토질조건 비탈면 높이(m) 기 울 기 비 고

모 래 1:1.5 이상 SW, SP

사질토

밀실한 것5 이하 1:0.8∼ 1:1.0

SM, SP5 ∼10 1:1.0∼ 1:1.2

밀실하지 않고

입도분포가 나쁨

5 이하 1:1.0∼ 1:1.2

5 ∼10 1:1.2∼ 1:1.5

자갈 또는

암괴 섞인

사질토

밀실하고

입도분포가 좋음

10 이하 1:0.8∼ 1:1.0

SM, SC10 ∼15 1:1.0∼ 1:1.2

밀실하지 않거나

입도분포가 나쁨

10 이하 1:1.0∼ 1:1.2

10 ∼15 1:1.2∼ 1:1.5

점 성 토 0 ∼10 1:0.8∼ 1:1.2 ML, MH, CL, CH

암괴 또는 호박돌 섞인 점성토5 이하 1:1.0∼ 1:1.2

GM, GC5 ∼10 1:1.2∼ 1:1.5

풍 화 암 - 1:1.0∼ 1:1.2 시편이 형성되지 않는 암

<표 2-107> 토사원지반 깎기비탈면 표준 기울기 (쌓기·깎기 국가설계기준)

구 분 구 조 물 터파기 기울기

기존

처리시설

생물반응조(h=4.4m), 이차침전지(h=4.6m), 유량조정조 및

공동구(h=8.4~8.9m)1 : 1.5

유입맨홀((h=2.8m) 1 : 1.0

<표 2-108> 기존 설계사례(대곡하수처리장)

구 분 적용시추공 지 층 구 성 굴착심도(m) 터파기 기울기

증설

처리시설BH-15

점토(N=3), 실트질모래(N=5)

, 실트(N=5~6)

9.29 1 : 1.5

5.85 1 : 1.0

<표 2-109> 적용 터파기 기울기

주) 굴착심도가 가장 깊은 대표단면을 선정하여 안정성 검토를 수행함.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8

5) 적용 지반정수

구 분 단위중량(kN/m3) 점착력(kN/㎡) 내부마찰각( 。)

매 립 층 17.0 18.75 0

퇴 적 층 18.0 5.0 21

풍 화 토 18.0 30.0 0

성 토 재 19.0 15.0 25

<표 2-110> 적용 지반정수(BH-15)

주) 금회 지반조사결과 및 지반정수 산정내용은 보고서 3장 현지조사편 참조

6) 사면안정 검토결과

구 분 굴착심도(m) 터파기 기울기 검토안전율 허용안전율 판정

증설

처리시설

9.29m 1 : 1.5 1.120 1.10 O.K

5.85m 1 : 1.0 1.501 1.10 O.K

<표 2-111> 검토결과

해석결과(처리시설 9.29m 굴착) 해석결과(처리시설 5.85m 굴착)

7) 시공시 유의사항

◦ 본 설계는 건기시 굴착조건이므로 굴착공사는 반드시 우기를 피하여 건기시에 시공하여야 한다.

◦ 시공시 갑작스런 게릴라식 강우나 폭우 등이 출현할 경우 공사를 중지하고 법면부 및 굴착배면에

방재대책(비닐덮개 등)을 수립하여 표면보호를 실시하고 필요시 마대쌓기 등으로 사면부를 보강하

여야 하며, 계측관리를 수행하여 굴착면 안정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 본 설계는 제한된 수량의 지반조사결과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시공시 시험터파기 등을 수행하여

설계시 지반조건과 상이할 경우 감독관과 협의하여 설계에 변경하여야 한다.

◦ 공사전에 주변의 줄파기 등을 통해 지중매설물 조사를 시행하고, 별도의 보강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시방서 및 일반적인 관련 규정에 의해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89

- 관로공사 굴착공법 검토

6.1.2 맨홀펌프장 굴착공법 계획

1) 굴착공법 선정

가) 공법선정시 고려사항

공법선정시

고려사항

소음․진동에 의한 주변영향 지하수위 및 공사시기 및 기간

관련사업의 조사 공사용기기 및 재료의 반입에 관한 조사

지질상태 및 굴착심도 경제성 및 시공성

지하 및 지상지장물 도로 및 교통상황

나) 공법선정

본 사업에서 계획한 맨홀펌프장 굴착공법 선정을 위해 상기 조건 등을 고려하여 맨홀펌프장 가시설

공법을 적용하였다.

구 분 자연터파기 공법가 시 설 공 법

H-PILE+토류판 공법 SHEET PILE 공법

개 요

ㆍ인력 및 기계를 이용하여 자

립 가능한 자연사면을 형성

하면서 별도의 지보공 없이

굴착하는 공법

ㆍH-PILE을 항타 및 천공후

삽입하여 터파기를 진행하면

서 토류판을 H-Pile 사이에

끼워 넣는 공법

ㆍSHEET-PILE을 지상에서 연

속적으로 항타 및 천공후 삽

입하여 흙막이벽 및 차수벽

을 형성하는 공법

특 징

∙ 부지의 여유가 있을 경우

매우 경제적임

∙ 시공 및 품질관리가 용이함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별도

의 차수대책 필요

∙ 지층이 단순하고 지하수위가

낮은 경우 공사비 저렴

∙ 시공이 단순하여 공기가 단축

∙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별도

의 차수대책 필요

∙ 차수효과 우수하며 벽체 강

성이 큼

∙ 흙막이 벽체가 차수벽체 역

할을 병행함으로 별도의 차

수대책 불필요

∙ 공사비 고가

선 정 ◎

선 정

사 유

∙ 금회 지반조사 결과 높은 지하수위 조건 등을 고려하여 지층은 단순하지만 지하수위 높아

차수에 강한 SHEET PILE 공법으로 계획함.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0

다. Sheet-Pile 안정성 검토

공사여건, 토질여건 및 지하수위를 고려하여 굴착고 4.0m이상 구간 중 지하수위의 영향이 있는 구간과

지하수위가 높은 구간에 대하여 Sheetpile 흙막이 공법을 선별 적용

설계에서 검토된 Sheet-Pile 흙막이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흙막이 공법 가시설 부재 사양(mm)

Sheet-Pile 공법

Sheet-Pile SP-IIIA: 400×150×13 SY295

띠 장 H-300×300×10×15 SS400

버팀보 H-300×300×10×15 SS400

1) 검토단면

맨홀 가시설 맨홀 가시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1

2) 검토현황

<표 7-37> 맨홀 펌프장 가시설 구간

구 분 H1(m) H2(m) H3(m)굴착고 근입장 적 용

공 번비 고

H4(m) H5(m)

DK-01 0.50 2.00 2.10 4.60 2.60 BH-12

DK-02 1.00 0.00 2.30 3.30 2.00 BH-12

WA-01 0.50 2.00 1.70 4.20 2.30 BH-10

WA-02 1.00 0.00 2.30 3.30 2.00 BH-11

SC-01 0.50 2.00 1.90 4.40 2.70 BH-8

OGP-100 0.50 2.00 2.25 4.75 3.50 BH-1

JCP-100 0.50 2.00 2.25 4.75 3.50 BH-2

JCP-200 1.00 0.00 2.50 3.50 3.00 BH-2

YGP-100 1.00 0.00 2.50 3.50 3.00 BH-5

3) 안정성 검토결과

<표 7-38> 맨홀펌프장(DK-01)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31.43 208.20 114.68 270.00

8.37 1.2 O.K압축응력 53.21 225.62 - - - -

전단응력 - - 42.22 120.00 - -

<표 7-39> 맨홀펌프장(DK-02, WA-02)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7.70 208.20 33.44 270.00

8.77 1.2 O.K압축응력 32.90 225.62 - - - -

전단응력 - - 10.37 120.00 -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2

<표 7-40> 맨홀펌프장(WA-01)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28.40 208.20 92.38 270.00

7.93 1.2 O.K압축응력 50.60 225.62 - - - -

전단응력 - - 38.15 120.00 - -

<표 7-41> 맨홀펌프장(SC-01)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22.48 208.20 71.30 270.00

8.19 1.2 O.K압축응력 45.54 225.62 - - - -

전단응력 - - 30.19 120.00 - -

<표 7-42> 맨홀펌프장(OGP-100, JCP-100)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37.08 208.20 167.22 270.00

1.84 1.2 O.K압축응력 58.04 225.62 - - - -

전단응력 - - 49.82 120.00 - -

<표 7-43> 맨홀펌프장(JCP-200, YGP-100)

구 분사보강버팀보(MPa) 띠장(MPa) Sheet-Pile(MPa) 근입장

판정발생 허용 발생 허용 발생 허용 계산 허용

휨 응력 0.46 214.20 8.76 208.20 35.65 270.00

2.67 1.2 O.K압축응력 33.02 225.62 - - - -

전단응력 - - 10.56 120.00 -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3

2) 되메우기 및 다짐공사 시공 상세도면(단면도 포함) 및 안전시공절차 보완

(4) 되메우기

➀ 되메우기는 설계도면과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➁ 되메우기 공간이 1m 이내로서 다짐이 곤란할 경우에는 사질토를 사용하여 물다짐을 시행한다.

➂ 물다짐이 어렵거나 현장발생토사를 활용하여야 하는 구간에서의 뒷채움재 재료로 유동화

처리토인 CLSM(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또는 동등이상의 자재를 적용한 다짐

시공을 적용하여 적정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다짐으로부터 제약을 받는 구간에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다.

➃ 되메우기에 사용하는 흙은 공사시방서에 따르며, 달리 명시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른다.

가. 최대치수 100mm

나. No.4 (4.75mm)체 통과량 : 25~100%

다. No.200 (75μ)체 통과량 : 15% 이하

라. 소성지수 (PI) : 10% 이하

마. 수침 CBR (%) : 10% 이상

➄ 되메우기는 전체가 균일한 다짐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되메우기 각 층은 다짐 종료 후

공사감독자의 검사를 받은 후, 다음 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➅ 면적이 좁고 층고가 낮아, 로울러(roller)에 의한 다짐이 곤란한 장소에서는

래머(rammer)나 진동식 다짐장비, 기타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은 다짐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➆ 다짐 장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짐에 의한 충격이 주변 구조물과 흙막이 벽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➇ 다짐시의 함수비는 KS F 2312에 의한 최적함수비(O.M.C.)부근과 다짐곡선의 90% 밀도에

대응하는 습윤측 함수비 사이로 한다. 특히 우수나 지하수 유입에 따라 되메우기 흙의

함수비가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배수로 및 집수정 등의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➈ 버팀대(strut) 사이를 다짐하는 경우에는 다짐에 의한 충격이나 편토압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➉ 버팀대 상부에서 다져지는 흙의 영향을 받게되는 버팀대 하부와 흙막이 벽체가 접한 부분의

다짐에 유의하여야 하며, 다짐이 충분히 되지 않을 경우에는 소일시멘트 등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 첨부 : 되메우기작업계획

FGL.(+)24.50 FGL.(+)24.50EL.(+)24.80

EL.(+)19.00

EL.(+)22.40

<덤프트럭 충돌방지대책>

1. 덤프트럭 후진시 전락방지를 위하여 스토퍼를 설치한다.

2. 운전자의 방향확보를 위하여 스토퍼 양측에 라바콘을 설치한다.

3. 스토퍼에는 노랑, 검정 페인트를 칠하여 시야확보에 유리하도록 한다.

4. 기타 통행 안전시설물(드럼, 위험테이프, 안내판 등)을 설치한다.

[ 덤프트럭 스토퍼 상세도 ]

STEEL STOPPER∮ = 145, L = 4,000(페인트 노랑+검정)

라바콘(H = 1,000)(운전자의 방향확보를 위하여 필요)

<페이로다 작업방법>

1. 차량유도자의 신호에 의하여 작업 및 이동한다.

2. 후진 시 경보장치 및 후방감시카메라 상태를 확인한다.

3. 유자격 운전자를 배치한다.

4. 작업구역내 타근로자의 접근을 통제한다.

<덤핑작업 방법>

1. 덤핑은 유도자의 신호에 의하여 실시한다.

2. 덤핑시 고압선 등 지장물 여부를 확인한다.

3. 덤핑작업시 타근로자의 접근을 통제한다.'

4. 덤핑장치 고장으로 인한 차량수리는

현장 밖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 유도자의 위치(가시범위안) >

사각지대

사각지대

가시범위

안전난간대 설치

안전난간대 설치

경사법면 보호덮개 설치

경사법면 보호덮개 설치스토퍼 설치

< 되메우기 작업 계획 >

<차량스토퍼 상세도>

1. 덤프트럭 후진시 전락방지를 위하여 스토퍼를

설치한다.

2. 운전자의 방향확보를 위하여 스토퍼 양측에

라바콘을 설치한다.

3. 스토퍼에는 노랑, 검정 페인트를 칠하여 시야확보에

유리하도록 한다.

4. 기타 통행 안전시설물(드럼, 위험테이프,

안내판 등)을 설치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4

2-2-2. 안전시공절차

1) 구조물 뒤채움

(1) 다짐장비

다짐기 종류

진동롤러 1톤 소형롤러 람마 컴팩트

(2) 시공일반

가) 시공자는 균일하고 효율적인 다짐을 위해 그레이더 등으로 면고르기를 하며, 흙의 함수비를 실내다짐

시험의 최적함수비 허용범위 이내로 조절한 후 다져야한다

나) 시공자는 공정계획에 따라 다짐을 할 장비의 종류, 대수, 장비조합 등에 대한 시공계획서를 제출하여

감독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작업을 수행한다.

다) 강우 등으로 인하여 함수비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결빙이 되는 동절기에는 다짐작업 중지 하여야 한다.

(3) 다짐범위

가) 흙쌓기 공사를 할경우 다짐의 범위는 차도부, 길어깨 및 비탈면이 포함되며, 다짐도에 도달 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한다.

나) 땅깎기부의 흙쌓기(다짐도 95%), 횡방향 흙쌓기, 땅깎기의 접속부(편절, 편성부)와 종방향 흙쌓기

땅깎기의 접속부(절, 성경계부)등도 다짐도에 도달할 때까지 고르게 다져야한다.

(4) 장비

가) 흙쌓기 다짐장비는 전구간에 걸쳐 시험 시공시와 동일한 수준의 다짐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다짐

장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험시공을 재실시하여 감독원의 확인을 받아야한다.

나) 구조물에 인접한 부분과 같이 좁은 면적 또는 구조물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는 감독원의 화인을 받은 소형 다짐 장비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다져야 한다.

다) 흙쌓기 비탈면을 감독원의 확인을 받은 다짐 장비를 사용하여 다져야한다.

(5) 다짐기준 및 두께

가) 흙쌓기(다짐도90%)

흙쌓기(다짐도90%)부의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30cm이하 이어야 하며, 각층마다KS F2312의 A또는

B방법에 의하여 정해진 최대 건조밀도의 90%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한다,

평판재하시험을 실시 할 경우에는 표3에 따른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5

나) 흙쌓기(다짐도95%)

흙쌓기(다짐도95%)부의 1층 다짐 완료 후 두께는 20cm이하 이어야 하며, 각층마다KS F2312의 C, D

또는 E 방법에 의하여 정해진 최대 건조밀도의 95% 이상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다져야한다,

평판재하시험을 실시 할 경우에는 표3에 따른다.

표3 다짐시험의 판정기준

구분흙쌓기(다짐도 90%) 흙쌓기

(다짐도 95%)비고

암쌓기 일반쌓기

1층 다짐 완료후의 두께(cm) 30 30 20

다짐도(%) - 90이상 95이상

- A, B C, D, E

평판

재하

아스팔트

포장

침하량(cm) 0.125 0.25 0.25

지지력계수(kg/㎠) 20 15 20

시멘트 포장침하량(cm) 0.125 0.125 0.125

지지력계수(kg/㎠) 20 10 15

(6) 다짐도 검사

가) 시공자는 흙쌓기의 각 단계마다 재료의 품질 및 다짐도를 본 절 3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를

감독원의 확인을 받은 후 다음단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한다.

나) 흙쌓기시 충격다짐으로 정확한 함수비-밀도곡선과 최대건조밀도를 구할 수 없거나, 점성이 없고 배수가

잘되는 흙의 밀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KS F 2345에 따르며, 이때에도 감독원의 확인을 받아야한다.

다) 현장다짐도 및 함수량 시험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장비(RI)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현장에서 측정한 비교시험 데이터와 함께 원자력법 및 방사선피폭관리 업무규정에 적합한 인원 및

시설에 관련하여 적법하게 처리한 서류를 감독원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후 사용 하여야 한다.

라) 다짐도 시험에 필요한 함수량 시험방법은 KS F 2306에 따르며, 급속함수량시험, 적외선 수분계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측정장비(RI)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시험방법에 따른 보정값에 대하여

감독원의 확인의 받아야한다.

(7) 되메우기 작업 안전대책

∘작업전 사용장비 안전점검

- 각종 안전장치, 주유상태, 타이어 등

∘작업전 안전교육 실시

- 작업방법, 작업내용, 보호구 착용

- 긴급사태 발생시 대처요령

- 기타 안전작업에 필요한 사항

∘덤프트럭으로 되메우기 흙을 하차시 하부근로자 출입통제

- 불시 하역으로 하부근로자 매몰사고 방지

∘신호수, 유도원 배치∘되메우기 재료는 시방서에 명기된 재료사용 준수

- 녹지구간의 되메우기는 식목의 생육심도 높이 감안하여 원토 되메우기 시행

∘작업전 사용장비 안전점검

- 각종 안전장치, 주유상태, 타이어 등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6

∘작업전 안전교육 실시

- 작업방법, 작업내용, 보호구 착용

- 긴급사태 발생시 대처요령

- 기타 안전작업에 필요한 사항

∘덤프트럭으로 되메우기 흙을 하차시 하부근로자 출입통제

- 불시 하역으로 하부근로자 매몰사고 방지

∘신호수, 유도원 배치∘되메우기 재료는 시방서에 명기된 재료사용 준수

- 녹지구간의 되메우기는 식목의 생육심도 높이 감안하여 원토 되메우기 시행

∘되메우기시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시공

- 운반차로 부터 직접투하 절대 금지

∘층별 다짐이 될 수 있도록 층별 되메우기

∘1층 다짐두께는 15~30cm를 표준으로 하고 충분한 다짐 실시

∘되메우기시 양질의 토사를 이용하며 소요밀도가 되도록 각층마다 진동기와 전압기로 충분한 다짐

- 다짐이 편토압이 발생치 않도록 유의

∘모래되메우기의 경우 충분한 다짐을 실시하여 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

∘되메우기시 굴착토가 도로 성토재로 사용 가능한 양질의 토사일 경우 유용하여야 하며 타 현장의 토사에

대하여도 유용 검토

∘되메우기는 포장충전까지만 사용토록하고 포장공에 대해서는 포장 특기시방서 따름

∘기타 다짐작업 시방서 기준 준수

(8) 덤핑 작업 안전대책

1. 덤핑은 유도자의 신호에 의하여 실시한다.

2. 덤핑시 고압선 등 지장물 여부를 확인한다.

3. 덤핑작업시 타근로자의 접근을 통제한다.'

4. 덤핑장치 고장으로 인한 차량수리는 현장 밖에서 실시하도록 한다.

5. 덤프트럭 후진시 전락방지를 위하여 스토퍼를 설치한다.

6. 운전자의 방향확보를 위하여 스토퍼 양측에 라바콘을 설치한다.

7. 스토퍼에는 노랑, 검정 페인트를 칠하여 시야확보에 유리하도록 한다.

8. 기타 통행 안전시설물(드럼, 위험테이프, 안내판 등)을 설치한다.

< 차량 스토퍼 상세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7

3) 굴착지 내의 지하수, 유입수 등 용수처리계획 보완(집수정, 배수로, 양수기,외부관로 연결계획 등 도면

표기)

1) 양수기 설치계획

※ 첨부 : 양수기 설치계획

굴착 단부 토사 다이크 설치

굴착 단부 안전난간대 설치

< 양수기 설치 계획 >

배수량 및 배수펌프 검토

- 500ha 미만의 굴착공사에서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방법이며,

- 지체되지 않는 조건에서의 산정이므로, 실제 공사시 배수량은 약간의 편차를 두고

판단하여 배수시설을 운영할 수 있음.

<배수량 검토>

▸ 검토식 : Q = 1/360 C*I*A

Q : 최대계획 우수유출량(m^3/sec)

C : 유출계수 ==> 0.3 적용(자연배수 적용)

I : 유달시간(T)내의평균강우강도(mm/hr)

==> 전체년도 1시간 강수량 최고수위

A : 배수면적(hr)

▸ 산출 결과

⇒ Q = (1/3.6)×C×I×A [굴착면적 : 2239.44㎡ → 0.2239ha]

= (1/360) × 0.3 × 80mm/hr × 0.2239ha = 0.01492666667㎥/sec

≒ 0.01492666667 ㎥/sec = 0.8956 ㎥/min

- 양수기 설치수량

⇒ HS-15H Pump [출력-1.5마력] 사용시 양수량 Q = 0.25㎥/min[토출량]

→ 굴착구간 양수기 설치 대수 : HS-15 : 4대 보유

양수기 관리 계획 1) 양수기 안전관리

① 누전차단기 설치. ② 분전반 시건장치.

③ 안전표지판 설치. (“감전위험, 관계자 외 촉수금지”)

④ 단자연결부 절연커버 또는 마닐라로프 사용.

⑤ 케이블선 사용. ⑥ 양수기 인양로프는 마닐라로프 사용.

2) 집수정 주변 안전 Fence 설치 또는 방호울 설치

3) 유입수

◦ 굴착 상부 배수로 설치.(표면수가 굴착구간 안으로 유입방지.)

4) 표면수 (강우)

◦ 강우시 소단 보호.

- 소단 및 경사부 비닐시트, 부직포 등으로 보호.

- 작업중지 시, 야간에 강우시 소단 붕괴 방지.

범 례

NO 가설물명 표시 수량 및 면적

1 굴착 구간 2239.44㎡

2 양수기 12개소

3 임시 집수정 12개소

4 현장내부 유도배수

5 도로부 유도배수

굴착면적 : 2239.44㎡

< 집수정 및 양수기 설치 위치 >

유도배수

※ 전 구간 집수정(양수기)으로 유도배수 실시하여 도로부로 배출.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8

2) 외부 유입수 방지대책

구분 내 용

목적◦ 현장 토사다이크 설치 및 배수로 설치로 지반의 붕괴 및 토석의 낙하등의 의한 근로자 보호

◦ 외부 유입수로 발생하는 침수 방지대책

설치 위치

설치사진

< 굴착단부 토사 다이크 설치 >

< 흙막이 배수로 설치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99

4) 적절한 계측관리를 위하여 계측시스템 전반에 대한 관리지침을 마련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하여

보완

¡ 변형률계, 하중계의 설치 개소별 설치 단수 표기

¡ 취약구간(우각부)에 계측기 추가 설치 여부 검토

¡ 계측기기 관리기준(평시 계측주기, 상황별 계측 빈도조절, 계측기기별 종료기준 등)

¡ 관리기준 대비 변위발생 시 대응 계획 수립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0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설치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설치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도로침하계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균열 측정계, 건물경사계

균열 측정계, 건물경사계

지중경사계, 지하수위계 도로침하계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1

2.4.3 계측관리계획

가. 계측관리 목적

굴토공사의 토류구조물 설계는 현장에서의 대표적인 지점에 대한 토질성과를 기초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시방에 규정된 충분한 안전율을 고려한다고 하나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국부적인 취약부가 있는

경우 예기치 못한 위험요소가 시공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반은 굴토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응력재배치-평형』의 단계가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발생하므로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흙막이시설의 응력상태 및 배면지반의 거동을 정밀한 계측기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

하여 시공정도를 판단하고 설계와의 비교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일반적으로 계측의 목적은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계와 시공사이의 기술적인 격차를 최소화함으

로 안전성, 경제성, 합리성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대별

할 수 있다.

◦ 설치된 계측기기를 통해 토류구조물, 배면지반 및 인접구조물의 거동을 관찰하여 위험요소를 조기

에 발견함으로서 공사진행 속도를 조절하고 신속한 보강대책을 강구토록 한다.

◦ 계측자료를 분석하여 설계의 과다, 과소 여부를 판단함으로 경제적인 설계를 위한 보강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 얻어진 자료를 역해석(Back Analysis)하여 설계시 가정된 토질정수와 비교함으로써 현장에 맞는

적절한 토질조건을 규정할 수 있다.

◦ 축적된 자료를 통해 차후 설계에 적용하여 합리적인 설계가 되도록 하며 또한, 계측자료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이용된다.

◦ 1차적 목적

① 해당공사에 활용

② 시공 전 : 지반상태를 조사하여 설계 및 시공계획에 반영

③ 시공 중 : 굴토에 따른 주변지반 및 인접구조물의 거동과 구조물 자체의 효과를 파악 후 설계

및 시공법의 변경, 시공 및 품질관리 등에 반영

④ 시공 후 : 사고예방이나 피해감소를 위한 유지관리 및 경보체제의 구축에 반영함으로써 안전성

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2

◦ 2차적 목적

① 차후 공사에 활용

② 장래의 공사에 관한 실적자료의 확보

③ 현장계측 기술의 발전에 의한 부수적인 안전성과 경제성을 확보

◦ 부수적 목적

① 피해보상에 관한 법적인 근거 확보

② 홍보관계의 증진 - 소송, 보상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나. 계측기 배치계획

구 분 지하수위계 지중경사계 건물경사계 균열측정계 도로침하계

증설 처리시설 4개소 4개소 2개소 2개소 2개소

<표 2-127> 계측기 계획수량

다. 계측관리시 주의사항

◦ 가설공사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2014), 시공 중 지반계측 표준시방서(KCS 11 10 15 : 2016, 국

토교통부) 등에 따라 계측관리를 철저히 수행하여야 한다.

◦ 신설되는 구조물의 굴착공사시 인접 도로에 계획된 침하계 등의 계측관리계획을 철저히 수행하여

인접한 기존 시설물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또한, 굴착공사 전, 중, 후 기존 구조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통해 기존 시설물의 변형여부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을 실시하여야 한다.

◦ 굴착공사는 반드시 우기를 피하여 건기시에 시공하여야 하며, 강우나 장마 등의 변수에 의해 설계

조건과 현장조건이 상이한 경우 대책방안을 수립하고, 철저한 계측관리를 수행하여 안정성을 확인

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3

1) 흙막이 구조물 현장의 계측항목 및 사용목적

계측항목 사용계기 계측장소 계측목적 계측형태

지표침하 측정침하측정 Pin과

측량장비가시설물 주변지역

주변지반의 침하, 인접구조물

및 굴착면 영향예측측량 후 전산처리

지 중 수 평

변 위 측 정경사계(Inclinometer)

가시설구조물의 자체

및 그 주변의 지반

가시설물의 주변 수평변위를

심도별로 파악, 각각의

횡적거동 파악

수동계측 후 전산처리

토 압 측 정 Pressure Cell

가시설벽의 대표단면(각

Strut의 위치와 같은

심도)

가시설벽체에 가하여지는

실토압측정, 설계치비교 및

부재평가

수동 또는 자동계측

Strut의

Load 측정

Strut Load Cell 설치용

Assembly각 단 Strut의 단부

각단 Strut에 가하여지는

Load의 추이를 압력단위로

직접 측정(kg/cm2)

수동 또는 자동계측

부재변형 측정온도계 내장형 Strain

gauge(표면부착형식)가시설 부재

Strut부재, 가시설벽체의 변형

파악, 부재평가수동 또는 자동계측

간극수압 측정 간극수압계가설벽 인접지점

(암반층 및 clay층)

주변지반의 심도별 수압추이

파악, 공학적 특성 파악수동 또는 자동계측

수위 측정관측정내

전기식 측정기

가설벽 및 주변구조물

인접지역

주변지반의 지하수위 변동 파

악, 설계기준 평가수동계측 후 전산처리

Earth Anchor

축력 측정Load Cell

Earth Anchor의

Bracket 설치지점

E/Anchor의 가시설벽체 고정/

지지효과 및 인장도의 파악수동 또는 자동계측

구조물 기울기

및 균열측정계

Tiltmeter와 DEMEC

Crack Gauge

가시설벽체 및

인근구조물벽면

가설벽 및 인근구조물의 경사

변화량과 Crack영향 계측수동 또는 자동계측

Rockbolt

축력 측정

Vibrating wire or

Mechanical Type

Rockbolt 측정감도가

좋고,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진동현

방식이 바람직하다

Rockbolt 설치 지점

(흙막이벽체 하단)

Rockbolt의 축력 파악(지지효

과) 굴착자유면의 안전성 진단

전기식센서 사용한

자동 또는 수동계측

발 파 진 동/

작 업 진 동/

소 음 측 정/

진 동 / 소 음 측 정

기와 소음/음압측정용

각각 별도 Microphone

작업환경영향권내의 우

선순위에 따름

환경영향을 고려한 제어발파/

작업중장비 동원 조절을 통하

여 작업장 인접시설물의 위해

방지 및 민원 사전대비

수동 또는 자동계측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4

2) 계측항목에따른 안전율 판정기준

측정항목안전․위험의

판정기준

판정표

지표(관리기준) 위험 주의 안전

측압

설계시에

이용한

토압분포

(지표면 에서

각단계

근입깊이)

F1=설계시 이용한 토압

F1〈 0.8 0.8≤F1≤1.2 F1〉1.2 실측에 의한 측압(예측)

벽체변형설계시의

추정치F2=

설계시의 추정치F2〈 0.8 0.8≤F21≤1.2 F2〉1.2

실측의 변형량(예측)

토류벽내

응력

철근의

허용인장

응력

F3=철근의 허용인장력

F3〈 0.8 0.8≤F3≤1.2 F3〉1.2 실측의 인장응력(예측)

토류벽의

허용휨

모멘트

F4=허용 휨 모멘트

F4〈 0.8 0.8≤F4≤1.2 F4〉1.2 실측에의한 휨모멘트(예측)

STRUT

축력

부재의

허용축력F5=

부재의 허용축력F5〈 0.7 0.7≤F5≤1.2 F5〉1.2

실측의 축력 (예측)

굴착저면

HEAVING

T.W LAMBE에 허용 HEAVING량

실측결과가

위험 영역에

PLOT되는

경우

실측결과가

주입영역에

PLOT 되는

경우

실측결과가

안전 영역에

PLOT 되는

경우

침하량각 현장마다

허용치를 결정

각 현장상황에 맞는 허용침하량은 지정하고, 그 허용침하량을 넘으면,

위험 또는 주의신호로 판단한다.

부등침

하량

건물의

허용부등

침하량

기둥간격에 대한 부등침하량의비1/300

이상1/300∼1/500

1/500

이하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5

3) 관리기준치(1) 최대 변위량

계측기명 1차 관리기준 2차 관리기준 비 고

경사계

(수평변위 = mm)0.002H 0.003H H = 굴착고

LOAD CELL

(어스앵커 반력 = ton)Design force Jacking force

STRANG GAUGE

(버팀보 축력 = ton)

Design force (80%) Design force (100%) 스크류잭일 경우

Design force (110%) Design force (120%) 유압잭일 경우

STRANG GAUGE

(nail 축력 = ton)항복하중 (80%) 항복하중 (100%)

건물경사계

(tiltmeter = mm)0.0024 S 0.003s S = 기둥간격

토압계

(total pressure cell)

Design Earth Pressure

(80%)

Design Earth Pressure

(100%)

4) 관리기준치(2) 최대 변위량

계측기명 안 전 기 준 특별관리 비 고

경사계

(수평변위 = mm)3mm / 7일 3∼5mm/ 7일 5∼10mm/7일

10mm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LOAD CELL

(어스앵커 반력 = ton)5ton / 7일 5∼8ton/ 7일 8∼10ton/7일

10ton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STRANG GAUGE

(버팀보 축력 = ton)10ton / 7일 10∼15ton/ 7일 15∼20ton/7일

20ton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STRANG GAUGE

(nail 축력 = ton)1.0ton / 7일 1.0∼3.5ton/ 7일 3.5∼6.0ton/7일

6.0ton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건물경사계

(tiltmeter = mm)0.0003s/7일 0.0003∼0.0005s/7일 0.000∼0.001s/7일

0.001s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지하수위계

(Piezometer = m)0.5m / 7일 0.5∼1.0m/7일 1.0∼3.0m/7일

3.0m 이상은 시급한

대책 필요

토압계

(total pressure cell)3ton/㎡/ 7일 3∼5ton/㎡/7일 5∼8ton/㎡/7일

8ton/㎡이상은 시급

한 대책 필요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6

5) 시공 중 계측관리

대 책 측정항목 측정기구 또는 방법 비 고

흙막이

구조물

흙막이벽

두부변위(수평방향) 트랜시트, 피아노선

◦ 굴착면보다 상부의

휨측정 굴착전보다

벽 전체의 변위가

측정 가능

두부변위(수직방향) 레벨

휨 변 형 피아노선과 내림추, 경사계

벽체응력 변형계

지 보 공

버팀보축력 하중계, 변형계 등 ◦ 주로 강재버팀보,

매일 정기적으로 2회

이상 측정버팀보의 신축 변위계

근 접

구조물

근 접

구 조 물

침 하 레벨, 침하계

수평변위 트랜시트와 테이프, 피아노선

경 사 내림추, 경사계

매 설 관

침 하 레벨

관로의 손상 가스 검지기 등

지 반

굴착지반

지하수위 수위계

지반팽창 층별 변위계

주변지반

침 하 레벨

◦ 도로, 매설물의

안전관리상 필요

◦ 강제 배수시공의

경우에는 반드시

지표면 수평변위 트랜시트, 변위계

지중 수평변위 경사계

지하수위 수위계

지반균열 육안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7

6) 관리기준 변위발생시 보강대책

항 목 내 용

예상발생

문제점

◦ 굴착에 따른 인접지반 침하

- 배면토의 이동 및 배수불량

- Boiling, Heaving, Piping, 기타

- 엄지말뚝 인발시 진동 및 인발 후의 처리 불량

- 2차적인 원인으로서 위에 열거한 1차적인 침하로 인한 상하수도관

파손으로 토사의 대량 유출로서 발생하는 침하

◦ 굴착시 진동

◦ 지하수 유출

◦ 인접구조물 피해(침하, 균열 등)

◦ 벽 구조체 붕괴사고

보강 및

안전대책

◦이상 징후 발생시 즉시 작업중지

- 띠장, STRUT 변형, 좌굴, 침하

- 실제 굴착시 강우 등으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거나, 지표수 유입시 토사가

유출되어 주변 침하 요인 발생시

◦ 되메우기 등의 조치

◦ 뒤채움 등의 철저

- 양질의 토사 또는 Soil Cement

- 각 단계의 최상단부 뒤채움은 Soil Cement가 곤란하므로 Cement Grouting

◦ 근입장 깊이 확보

◦ 인접지반(도로) 등의 침하

- 지하구조물(도시가스, 상․하수도, 통신 Cable, 전력Cable 등) 받침방호, 매달기 방호

안전 조치

- 단순지반 침하일시 Grouting 등의 조치 강구

◦ 버팀보 설치 이전에 다음 단계 무리한 굴착 금지

◦ 인접구조물 기초 Underpinning

- Over Cutting으로 인한 토류벽의 변형량 최소화

- 설계도면과 같이 단계별 굴착

- 버팀보의 해체는 인접건물 및 토류벽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감리자와

협의하여 검토 후 작업

◦ 비상사태 발생시 근로자, 장비 신속대피

◦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협의하여 보강대책 및 안전대책 수립

◦ 설계변경(발주자와 협의)

- 차수, 지수공법 (실제 시공 중 토층 구성이 지질조사 보고서 내용과 상이할 경우)

◦ 피해예방 및 각종 피해복구 대책 수립

◦ 사안이 중대한 경우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안전진단 실시

◦ 계측관리 철저 (계측기 추가 배치하여 측정)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8

7) 관리기준 초과시 행동지침

구 분 내 용

관리기준 단계 착 수 1차관리기준 (주의상황) 2차관리기준 (위험상황)

기술적 조치

▫ 현장 상황 파악

▫ 공사 관련 자료 습득

▫ 계측기 초기치 측정

▫ 계측기기 점검 및 재측정

▫ 변형 발생원인 분석

▫ 계측 주기 조정

▫ 계측기 추가 설치 계획수립

▫ 2차관리 기준 도달시 대처

방안 점검

▫ 설계와 상이한 시공현황

점검

▫ 구조물 보강 방안 수립

▫ 원인분석 후 보강실시

▫ 관리기준 재설정

공통

▫ 현장 담당자에 통보

▫ 공정상 Risk 유무 파악

▫ 전반적인 시공상태 점검 후

계속진행

▫ 현장점검 후 필요시 공사

일시중지

▫ 주변구조물 피해예방

작업 시행

벽체

▫ 육안 관찰에 의한 벽체점검

▫ Cap Beam의 균열상태 점검

▫ 토사 및 지하수 유출여부

점검

▫ 점검 후 보수, 보강 (필요시)

▫ 해당구간 배면의 상재하중

제거 (컨테이너 등 중량물)

▫ 수압분산용 배수공 설치

(필요시)

▫ 배면지반 수직 또는 수평

그라우팅 실시 (필요시)

지보공

▫ 육안관찰에 의한 변형 여부

점검

▫ 브라켓의 상태 점검

▫ ANCHOR의 상태 점검

▫ Strand 뽑힘 상태 점검

▫ 점검 후 보수, 보강 (필요시)

▫ 지보공 상태 정밀점검

▫ 기존 지보공에 대한

보강 실시

▫ 계측기 없는 구간 축력test

→ Reloading 실시

▫ 보강용 지보공 추가설치

주변지반 및

구조물

▫ 구조물의 변형 관측

▫ 주변지반 침하 및 균열점검

▫ 주변구조물의 균열․침하점검

▫ 주변 지하 지장물 점검

▫ 점검 후 보수, 보강 (필요시)

▫ 안전점검 실시 (필요시)

▫ 주변구조물에 계측기 추가

설치 (필요시)

▫ 주변지반 침하 보수

(필요시)

▫ 지하 매설물 상태 확인

▫ 피해구조물 정밀 안전 점검

실시 (필요시)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09

8) 계측기 관리 계획(경사변화그래프)

※ 계측기 설치 후 계측결과 값을 확인하여 경시변화 그래프로 관리 예정.

(아래는 타 현장의 주간 계측결과보고서의 변형률계 그래프 예시임.)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0

9) 계측기 망실시 보완대책(유지관리대책)

(1) 제조업자측이 제공하는 매뉴얼로 일상유지절차를 수립함.

(2) 기기의 일상점검을 통해 기기오염 및 고장시 즉각적인 보수, 교체를 실시함.

(3) 섬세한 기기의 경우 운반 및 관리시 충격과 손상방지를 위해 패드와 같은 충격완화 재를 설치함.

(4) 계측기는 시공 중에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공장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시설과 눈에 뛰는

표지를 설치하여 파손을 예방하고 중요 부위의 계측은 여분의 계측기를 매설하여 파손에 따른 자료

손실에 대비한다.

한편, 연약지반상에 침하, 간극수압, 지중변위 등의 계측치는 초기치 및 성토시공이 개시되는 시점이

중요 하다. 이는 계측관리를 통하여 침하 및 안정관리를 수행 함에 있어 계측기설치 초기 계측값은

침하량, 압밀도 등의 예측과 시공 중 위험의 징후를 파악하는데 중요하며, 초기치 설정이 이루어져야

성토시공 중 과잉간극수압, 지중변위 등의 변화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1

5) 안전 점검표 보완(Sheet-Pile, Strut 등 현장적용 공법별 및 시공순서별로 작성)

2) Sheet Pile 시공 단계별 유의사항

1) 작업흐름도

(1) 시공에 앞서 설계도서 및 현장의 각종 상황(매설물, 가공물, 도로구조물, 지반, 노면교통 등)을

고려한 작업 계획서를 수립하여야 한다.

(2) 작업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흙막이공사를 위한 상세한 위치, 사용기계 및 공정, 매설물 처리방법 등

나. 토질조건, 흙막이구조, 지하매설물의 유무, 강널말뚝의 시공순서와 시공시간 간격에 관한 계획

등을 고려한 본 구조물의 시공법, 인접구조물 등과의 관련을 고려하여 공정의 각 단계에서 충분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흙막이 구조물 시공계획

다. 강널말뚝의 재질, 배치, 치수, 설치시기, 시공순서, 시공방법, 장비계획, 매설물 철거 및 보호공

계획, 임시배수로 및 안전시설 설치계획 등

라. 설계도면과 현장조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 처리대책으로서 전문기술자가 작성한 수정도면,

계산서, 검토서, 시방서 등을 포함하는 설계검토 보고서에 의한 관리감독자가 승인한 설계도면

마. 흙막이공사에 의한 공사구간의 교통 처리계획, 교통안전요원의 운영계획 및 관련 기관과 협의된

사항 등이 포함된 교통 처리계획

바. 그 밖에 관리감독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3) 흙막이 작업 시 불가피하게 설계도면과 다르게 시공하여야 할 경우에는 공사를 중단하고 대체

방안을 강구한 이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4) 강우에 의한 지하수위변화, 지하수 유출, 지반의 이완 및 침하, 각종 부재의 변형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보강하며, 그에 따른 안정성을 추가로 검토 하여야 한다.

(5) 해상 또는 하상에 강널말뚝을 시공 시 해일이나 폭우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수해에 대한

방지대책을 철저히 검토하여야 한다.

(6) 흙막이 벽 배면에 설계하중 이상의 상재하중이 적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7) 흙막이공사 진행 중 주변 구조물에 피해가 예상되면 주변 구조물의 기초와 구조물 하부 지반을

조사하고, 균열·변위·변형의 진행 여부와 하중의 증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계측장비를 설치하여

관찰, 기록 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2

2) 작업단계별 안전사항

(1) 강널말뚝 사전작업

가. 준비 및 줄파기 작업

가) 작업계획서에 따라 공사가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장비, 기계ㆍ기구, 자재 및 가설재를

준비하여야 한다.

나) 작업계획서에 확인된 위험요소에 안전표지판, 차단기, 조명 및 경고신호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 주요 시설물에 대해서는 관계 법령에 따라 시설물 관리자에게 사전 통보하여 굴착 작업 시에 입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주요시설이 훼손되거나 부분적인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즉각 응급조치를

하고 관리감독자에게 통보하여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라) 지하매설관의 절곡부, 분기부, 단관부, 기타 특수부분 및 관리 감독자가 특별히 지시한 직관부의 이음

부분은 이동 또는 탈락방지 등의 보강대책을 세워야 하며, 기타 특별한 사항에 대해서는 관리감독자

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마) 흙막이와 인접하여 작동되는 천공장비 등 건설기계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필요시에는

흙막이를 보강하거나 지반을 보강 또는 개량하여야 한다.

바) 지반굴착을 위한 천공 또는 항타 전에 천공위치에 따라 지하매설물 심도이상 줄파기를 하여 지하

매설물의 유무 및 위치를 확인하여야 한다.

<줄파기로 인한 지장물 노출>

사) 가능한 적은 범위 내에서 줄파기를 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보도경계선에 가설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아) 줄파기 작업시에는 부근의 노면건조물, 매설물 등에 피해가 없도록 하고, 지반이 이완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필요시에는 가복공 또는 가포장 하여야 한다.

자) 시험굴착 및 줄파기는 강널말뚝박기 진행을 고려하여 소정의 범위 밖에서 시행하여야 하며, 작업완료

후 조속히 표준도에 따라 복구하여 교통소통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복구 후 노면을 유지 보수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3

나. 강널말뚝의 운반 및 보관

가) 강널말뚝의 적재 운반과정에서 도장면(塗裝面), 이음부와 하단부에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단면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비틀림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 강널말뚝의 운반과정 >

나) 도로 운행시 도로교통법 등 제반법규를 준수하고, 돌출부에는 빨간 깃발을 다는 등 위험표시를 하여

다른 차량의 교통에 지장을 주지 말아야 한다.

다) 운반차량에 적재할 때는 적당한 간격으로 받침목 및 받침대를 배열하고 와이어로프 등으로 견고하게

묶어서 운반도중 충격이나 요동에 의해 강널말뚝에 손상 또는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라) 반입되는 장비 및 자재의 하역작업은 중량 및 적재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하역방법을 선정

하여야 한다.

마) 하역작업 시에는 신호수를 배치하여 정해진 신호에 따라야 하며 신호는 장비운전원이 잘 볼 수 있는

곳에서 하여야 한다.

바) 지게차에 강널말뚝을 실을 때에는 허용하중을 초과하여 적재하여서는 안되며, 무게중심을 확보하여 전도의

위험을 방지하여야 한다.

사) 지게차로 강널말뚝 운반시 전방 시야가 나쁘므로 전후좌우를 충분히 관찰 하여야 하며 사각지대의

안전을 확보한 뒤에 이동하여야 한다.

아) 강널말뚝의 보관 장소는 평탄한 곳으로서 강널말뚝의 조작, 출하, 소운반, 보수 등 작업하기에 충분한

넓이를 확보할 수 있고, 배수가 잘 되고, 강널말뚝의 자중에 의해 침하가 발생하지 않는 장소라야

한다.

자) 강널말뚝을 쌓아 놓을 때 받침목의 배열간격은 4미터 이내로 하고 적치높이는 2미터이하로, 포개

쌓는 매수는 5장 이하로 하여야 한다. 또 강널말뚝과 강널말뚝 사이는 조작하기 편리하게

30∼50센티미터 정도 띄워 놓아야 한다.

< 강널말뚝의 보관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4

차) 강널말뚝은 유형별, 종류별, 규격별로 구분하여 반출 순서에 맞추어 쌓아 놓아야 한다. 장기간

적치할 경우에는 방수포 등을 덮어 눈이나 비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2) 강널말뚝 박기

가. 강널말뚝 박기 준비

가) 강널말뚝박기 구역에 대한 지하수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항타지점에 지장물이 있으면 사전에

제거하여야 하며 공사구역을 표시하는 등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나) 강널말뚝 박을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준점과 관측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강널말뚝에 형식, 길이 번호를 표시하고 백색 페인트로 50센티미터 간격으로 눈금을 표시하여

항타기록 등 강널말뚝박기 공사관리의 편리를 도모하여야 한다.

라) 항타 전 강널말뚝의 연결부 부위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며 강널말뚝의 연결부 부위를 깨끗이 정리

후 지수재를 도포하여야 한다.

마) 벤토나이트 계열 지수재는 유해물질이나 중금속류 성분이 없으므로 작업시 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피 팽창을 막는 것이 외에는 특별한 유의사항은 없다.

나. 기준틀의 매기

가) 강널말뚝을 박기 위해서는 타입 법선의 휘어짐을 방지하고 강널말뚝 개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견고한 기준틀을 매어야 한다.

나) 기준틀의 위치가 구조물의 법선을 결정하게 되므로 기준틀의 위치는 계획법선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를 잡아야 한다. 위치를 정할 때는 관리감독자의 검측을 받아야 한다.

< 기준틀 시공전경 >

다) 기준틀은 버팀공이 될 때까지 강널말뚝의 수평외력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므로 지지말뚝은 상당한

깊이까지 견고하게 박아야 한다.

다. 강널말뚝 세우기

가) 강널말뚝 세우기 작업시 크레인의 수평도를 확인하고, 아웃트리거를 설치할 위치의 지반 상태를

점검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5

< 강널말뚝 세우기 >

나) 작업 시작 전에 권과방지장치나 그 밖의 방호장치의 기능, 브레이크, 클러치 및 조정장치의 기능,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

다) 크레인의 인양 반경에 따른 크레인 인양 능력을 사전에 검토하여야 한다.

라) 크레인 인양 작업시 신호수를 배치하여야 하며, 운전원과 신호수의 신호방법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신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크레인 인양 작업 시 신호수 배치 >

마) 크레인의 회전반경내에 안전 휀스, 출입금지 표지판 설치 등 관계자외 출입을 금지하는 조치 여부를

점검하여야 한다.

바) 세우기는 기준틀을 이용하고, 직각 2방향에서 트랜싯으로 기준하여 강널말뚝의 위치와 연직성을 수정

하면서 세워나가야 한다.

사) 세우기 작업시 해머의 타격은 최초에는 가급적 가볍게 치고 강널말뚝이 연직으로 세워진 것을

확인한 뒤에 소정의 타격력으로 타입한다.

아) 세운 강널말뚝과 가이드 빔에 간격이 있을 경우에는 쐐기를 삽입하여 말뚝의 흔들림을 방지하여야 한다.

라. 강널말뚝 박기

< 강널말뚝 박기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6

가) 강널말뚝항타 장비의 운전원은 자격을 갖춘 자로 하여야 한며, 크레인 및 항타기의 운전은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여야 한다.

나) 강널말뚝항타 장비를 이동할 경우에는 장비의 뒤집힘 및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통로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부딪힘 및 끼임 등의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경로에는

출입통제를 하여야 한다.

다) 항타장비를 이동할 때는 반드시 해머와 리더를 내리고 이동하며, 항타작업을 할 때에는 붐을 60˚

이하로 세우는 것을 금지한다.

라) 지반이 단단하거나 또는 지지층의 기복이 심한 경우에는 세우기와 동시에 항타작업을 한다. 이 경우

강널말뚝의 뒤틀림, 경사, 법선에 대한 굴곡 및 옆 강널말뚝을 몰고 내려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세심한 주의를 한다.

마) 강널말뚝항타 작업 중 경사의 경향이 보이면 즉시 수정하여야 한다. 수정이 불가능하면 쐐기형의

이형 강널말뚝을 제작하여 박아 경사를 수정한다. 쐐기형 이형 강널말뚝은 연속하여 또는 단부,

우각부, 접속부 및 그 부근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바) 강널말뚝항타 도중에 이음부의 이탈이나 손상이 확인되면 즉시 이탈된 강널말뚝을 빼내고 다시

박아야 한다. 다시 박기가 불가능 할 경우는 보강대책을 수립하여 관리감독자와 협의하여야 한다.

사) 항타 중에는 비산 먼지 및 소음이 심하므로 근로자에게는 방진마스크 및 귀마개를 착용하도록 하고,

항타 작업장에는 비산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집진장치 또는 분진 방지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마. 이어박기 및 용접

가) 강널말뚝의 이음은 외부 작업장에서 용접 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한 사유로 박기작업 도중 이음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맞게 정밀하게 용접하여야 한다. 이음작업은 상부 강널말뚝과

하부 강널말뚝의 이음부가 일치하여야 하며 중심축이 일직선이 되게 하여야 한다.

< 강널말뚝 이음에서의 용접과정 >

나) 용접 작업시 용접기, 전선 등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주의하며, 용접기는 소요 규격에 적합한

전격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작업 및 주변 근로자에게 절연용 보호구(전기용 고무장갑, 전기용 안전모, 전기용 고무소매 등)를

착용시키고 특히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할 것

라) 용접작업은 인화성, 가연성 물질의 격리 후 이루어져야 하며, 도장 작업 장소에는 동시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마) 유해광선이나 비산되는 물질로부터 눈이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용접면을 착용 및 용접용 가죽장갑,

긴소매의 옷, 다리보호대, 가죽소재 등의 보호구를 사용해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7

바. 기준틀의 매기

가) 강널말뚝 시공 완료 전에 보일링(Boiling)과 히빙(Heaving)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여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흙막이 변형, 붕괴, 주변 지반함몰, 등의 대형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규격에 대한 검사는 강널말뚝의 위치, 방향, 높이, 기울기 및 법선에 대한 굴곡 을 확인하여야 한다.

다) 수급인은 관리감독자에 의해 불합격을 받은 부분은 즉시 재시공 또는 보완조치를 하고 재검사를

요청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강널말뚝 설치완료 >

라) 강널말뚝의 매립여부를 사전에 결정하고 인발할 경우에는 인접 구조물의 조사, 부지 상황 및 인근

주변 환경의 조사 등 충분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마) 강널말뚝 인발 작업은 편압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하며, 인발 장비(바이브로 해머,

유압식 압입 인발기 등)는 타입의 양부, 타입 후의 시간경과 정도, 클립의 상태 등을 감안하여 사전에

정하여야 한다.

바) 인발 작업시 각 인발장비에 따른 소음, 진동, 분진, 인발재의 떨어짐· 맞음 등에 대한 문제점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세심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 강널말뚝의 인발작업 >

사) 인발 작업시 진동이 심하여 인접 구조물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을 경우는 감독관에게 보고하고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중지하고 적합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아) 인발된 강널말뚝의 적재 위치는 차량 통행에 지장이 없는 장소로 사전에 정하고 적재방법은 안전한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자) 강널말뚝 작업완료 후 되메우기는 양질의 토사를 사용하여 주변지반 및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충분히 다짐을 실시하여 원상복구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8

3) 강관 / 강재 버팀보 설치, 해체 작업시 재해방지대책

(1) 강재가시설(WALE, STRUT) 설치 작업 안전대책

구 분 내 용

1. 시공 순서

◦ 띠장, 버팀대 설치흐름도

( )차 굴착 완료

보받침

브래킷 부착

띠장 가설

↓ 안전로프 설치

띠장 수평 수정

틈메움 콘크리트 거푸집제작 강관/강재버팀대, 가설

↓ ↓안전로프

설치

틈메움 콘크리트 타설 강관/강재버팀대 수평 수정

↓ ↓

양 생 버팀대 조립철물 등 임시설치

잭설치 가압

볼트 조임

각철물 본격 설치

이음새 설치

승강 계단 등 설치

( )차 굴착 개시

< 흙막이 지보공 가설순서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19

구 분 내 용

2. 공법 개요

◦ 기존의 H형강 버팀보보다 좌굴강성이 큰 원형 강관을 사용하여 흙막이의지지

범위를 증가시킴으로서 하부작업공간을 확대하고 시공기간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꾀할 수 있는 개선공법임.

◦ 붕괴예방측면으로 볼 때 외국 적용사례가 많고 국내에서 확대 시공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입증한다 할 수 있지만 국내 기술자의 경험적 노하우가 축적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설계에 기준하여 보다 철저한 시공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관리 예정임.

◦ 또한, 원형강관설치 해체시 추락위험이 매우 높은바, 되도록 버팀보 상부를

이동하거나 올라타지 않도록 작업방법을 개선(하부 발판, 장비사용 등)하는

방향으로 지속적 관리 예정.

3. 지보공

설치 시

고려사항

◦ 지보공 설치 시 고려사항

- 굴착순서 및 지하매설물 위치

- 본체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순서

- 본체구조물의 벽체철근의 이음위치

4. 시공순서 강관운반 → 강관-띠장 연결 → 강관-강관연결 → 강관-중간말뚝연결 →

잭킹 및 시공검사 → 설치 완료

5. 단계별

시공 시

안전대책

1. 1단 띠장 설치를 위한 초기 굴착

<초기 굴착>

▹초기 굴착시 안전대책

- 자장물 손상에 유의하며, 인력굴착 실시

- 과잉굴착 유의, 소단 구배 준수 (토사층으로 1:1 구배)

- 용접기 전격방지기 설치, 작동 유무 확인

- 작업자 보호구 착용(보안면, 용접장갑, 앞치마 등)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0

구 분 내 용

5. 단계별

시공 시

안전대책

2. 1단 띠장, 버팀보 설치

▹1단 띠장, 버팀보 설치시 안전대책

- 띠장/ 버팀보 설치 작업시 소단의 폭 확보(최소 3m 이상)

- 띠장/ 버팀보 설치 전 과굴착 금지

- 띠장/ 버팀보 설치시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

- 띠장/ 버팀보 설치시 하카 사용 금지(클램프 사용)

- 띠장/ 버팀보 인양시 반드시 2줄 걸이로 인양 설치 할 것

- 신호수 배치 및 관리감독자 확인 철저

- 띠장/ 버팀보 인양 작업시 충돌 및 협착주의 (라바콘 등 설치)

<주형보 설치>

3. 2단 띠장 설치를 위한 굴착

<굴착 및 굴착토 반출>

▹2단 띠장 설치를 위한 굴착시 안전대책

- 토사 반출구간 상, 하부 신호수 배치 (토사반출 구간 근로자 출입금지)

- 과잉굴착 유의, 소단 구배 준수

- 지하수 용출유무 및 용출량 체크

- 가설 계단 설치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1

구 분 내 용

5. 단계별

시공시

안전대책

4. 2단 띠장 / 버팀보 설치

<버팀보 설치> <버팀보 설치작업자 안전대 체결>

▹2단 띠장 / 버팀보 설치시 안전대책

- 『1단 띠장, 버팀보 설치시 안전대책』참조

- 버팀보 설치시 수평 확인 후 인양, 설치 작업 실시

- 버팀보 설치 작업자 안전대 걸이시설에 안전대 체결 철저

- 띠장 / 버팀보 설치 작업시 충돌 및 협착 주의

(작업자 굴삭기 회전반경 및 작업구역내 출입금지 조치- 라바콘 등 설치)

5. 반복 작업 진행(굴착/ 띠장, 버팀보 설치)

▹반복 작업시시 안전대책

- 굴착 → 띠장, 버팀보 설치 작업 반복 실시

- 지하수 용출유무 및 용출량 체크

- 하부 이상 유무 확인(인접지반 침하 유무 확인

- 흙막이 변형유무 확인(띠장, STRUT 변형, 좌굴, 침하)

- 교차부 접합은 시공상세도를 준수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2

(2) 가시설(WALE, STRUT) 해체작업 안전대책

구 분 내 용

해체계획

◦ 해체작업 계획서 작성

◦ 구조물과 간섭여부 확인

◦ 장비, 근로자 작업동선 고려

◦ Con'c 양생기간, 작업조건 종합적 검토

◦ 구조체에 진동, 충격 주지 않는 공법 적용

◦ 단계별 해체계획

안전교육◦ 해체 작업 전 특별안전교육 실시

◦ 해체 순서 작업원에게 교육

작업 전

준 비

◦ 해체작업 당일에는 철근이나 먹메김 작업 등이 겹치지 않도록 공정협의

◦ 해체작업 책임자의 안전작업계획에 대해 약식 브리핑 시간을 갖고 안전한 작업에

대해 협의 협조

◦ 해체물의 반출을 위한 장비작업동선 확인

◦ 해체물의 반출, 적치 및 운반공간 확보

◦ 띠장 해체시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하중을 구체나 되메우기 재료로 지지되게 한 후

시행

작업 중

안전작업

사항

◦ 관리감독자 직접 지휘하에 작업 진행

◦ 안전보호구 반드시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

◦ 해체순서 작업원에게 교육

◦ 자재, 기구 등을 인양시는 달줄이나 달포대를 사용, 신호자의 신호에 따라 작업

◦ 인양작업 중에는 작업반경내 관계자외 출입 엄금

◦ 2개 이상의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의 띠장을 절단, 해체

◦ 해체작업 전 특별안전교육 실시

◦ 가시설의 해체, 절단작업자는 숙련공으로 배치하고 해체 시 반력으로 인한 불안전한

행동 유발 및 낙하․비래물에 대한 주의를 기하여 작업

◦ 산소 절단기의 호스나 LPG, 산소 압력용기는 해체부재와 충돌 또는 압착되지 않도록

위치 지정 및 보관장소를 안전하게 선택

◦ 장비를 이용한 해체 부재의 반출시 긴 부재를 먼저 반출

- 클램프(하카) 사용금지

- 전용 샤클 사용

◦ 작은 부재나 잔여부재 등은 인양박스 이용하여 반출

◦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확인, 안전대 착용

◦ 가시설 해체작업구간 하부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작업자(타 작업공종 포함)가 접근

하지 못하도록 감시 철저

◦ 띠장 해체시 하부에 진동, 충격 완화 조치고려

- 폐타이어 이용 등

◦ 띠장/버팀보는 크레인 이용하여 반출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3

구 분 내 용

지보공

반출, 적재

◦ 해체 즉시 반출 (부득이 단기간 적재시 분산 조치)

◦ 반출장소, 시간은 해체 계획시 사전 검토

작업

종료 시

안전사항

◦ 작업 후에는 잔여 부재가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제거

- 특히, 띠장 받침용 브라켓 일부

◦ 해체물의 임시 적치장에는 이동용 휀스 등을 설치하여 자재의 전도․낙하 등으로

인한 재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조치

◦ 작업 중 유해위험 요소 및 작업방법 에러 등에 대하여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전파

작업동선

◦ 해체 계획시 근로자, 장비 작업동선 계획

- 작업구역 구분하여 근로자 통제 조치

- 작업장 진출입로는 사전에 별도 설치하여 작업 동선이 혼선되지 않게 조치(해체

근로자와 구조체공사 근로자 출입로 구분)

- 안전울 설치, 안전 Fence 등 설치

- 경계표시, 주의표시, 안내표지 등 설치

- 유도자, 신호수 배치하여 근로자 진출입 통제

- 작업복장 차별화 (해체근로자 안전모에 식별표시 부착 등의 조치)

- 해체 2∼3일전 안내방송 실시하여 모든 근로자들이 해체작업 일정을 알게끔 주지

◦ 이동식크레인 기사 작업 전 동선관계 주지

- 자재 인양, 반출시 회전반경 제한

- 구조체 공사(철근, 형틀) 구역으로 Boom대 침범하지 않게 작업 전 주지 등의 조치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4

□ 하수도공사

1) 관로공사 안전시공계획 보완

¡ 관로공사 시 하천 및 암거, 기존도로 횡단(압입공법, 매달기 공법 등)구간을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이에 대

한 안전시공계획 보완(압입공사, 도로횡단없음)

¡ 강관 추진(압입)공사의 구체적인 안전시공계획 보완(해당없음)

¡ 관로공사 굴착 시 굴착토사의 구체적인 적치계획(전량 적치장 적치 후 되메우기 유용토 운반)

- 굴착면의 상부 끝 가장자리에서 굴착심도, 굴착지반, 토질상태, 지하수위, 주변현장여건등을 고려하여 결

정된 이격거리 준수

- 굴착면의 붕괴, 강우에 의한 토사침식 및 유출 방지를 위한 조치(굴착구간 간이흙막이 이동설치하여작업

예정)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5

4) 관로 작업 시 안전대책

(1) 관로 및 맨홀 터파기 작업시 안전관리대책

관로 터파기(매설) 작업

(중장비 작업시 협착)

굴착구간 토사붕괴가 중점관리point이며 도로부에서 작업진행시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외부 차량 진행과 병행하여 작업 진행이

이루어지므로 교통사고, 협착사고에 대한 예방이 주요 관리사항임

작 업 순 서 위험요인 안전대책

1. 터파기

ㅇ 장비 협착사고

- 굴삭기

ㅇ 장비 전도사고

§ 장비 작업시행시(터파기) 장비 신호수 배치

§ 장비 작업반경내 근로자 출입제한

§ 장비 후진 경보등 설치 (back hoe)

§ 터파기 구간 안전휀스 및 라바콘 설치

§ 교통신호수 배치 : 지속적인 교육 및 신호지시

관리

2. 사면보호조치

(방수포 설치)

ㅇ 자재 협착사고

ㅇ 토사붕괴 사고

§ 관로 인양작업시 숙련공외 작업 금지

§ 터파기 상부 자재 야적 및 방치 금지

§ 간이 흙막이 자재 인양시 신호수 배치

§ 터파기 안전구배 준수

§ 사면붕괴 예방위한 방수포 설치

§ 지반 조사 사전 확인 및 수시 점검 시행

§ 안전점검대 설치후 수시 확인

3. 접합 작업

ㅇ 토사붕괴 사고

ㅇ 레미콘차량

전도사고주의

§ 안전통로 이용 이동

§ 안식각 유지하여 소단 형성

§ 굴착부 사면 주변 자재 및 토사 적치 금지

4. 되메우기 작업 ㅇ 장비 협착사고

§ 장비 작업시(되메우기) 장비 신호수 배치

§ 장비 작업반경내 근로자 출입제한

§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 수행 금지

§ 장비 도로부 이동시 장비 신호수 배치

§ 도로부 장비 이동 시간 최소화

§ 도로부 작업 통제 : 노견부 작업 시행

5. 위험경고

테이프 시공

작업

§ 덤프트럭 이동통로 지정관리

§ 덤프트럭 이동시 신호수 배치

6. 포장작업ㅇ 장비 협착사고

ㅇ 교통사고

§ 장비 후진부 작업 금지

§ 장비 후진 경고음 및 경광등 설치

§ 도로부 인접 작업 시행 자재

§ 교통신호수 배치 후 차량 서행 지시

■ 터파기 작업 및 관로 용접작업시 굴착구배 준수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6

(2) 굴착 작업 시 안전시설 설치 계획

■ 트렌치 굴착 작업시 안전시설 설치도(접근금지 시설)

- 2.0m미만 또는 굴착구배 확보시

< 오픈컷 굴착 개념도 >

1:1

- 2.0m초과 또는 굴착구배 미확보시(간이흙막이 등 흙막이지보공 설치 후 작업)

<간이흙막이 굴착 개념도>

접근금지 시설

[ 굴착면의 구배 준수 ]

구 분 지반의 구분 구 배

보 통 흙습 지 1:1 ~ 1:1.5

건 지 1:0.5 ~ 1:1

암 반

풍 화 암 1:0.8

연 암 1:0.5

경 암 1:0.3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7

n 간이흙막이 설치시 시공순서

1. 약 0.5~1.5m 예굴 후 빔

세움2. 판넬을 끼워 세움 3. 판넬에 기둥을 끼워 세움

4. 판넬 내 부 흙을 파냄5. 굴토중 기둥, 판넬 순서로

눌러 박음

6. 하부판넬(약2.3m)

이상깊이일 경우 상부 판넬

끼워 넣음

7. 기초관 부설 8. 되메움 후 판넬 뽑음 9. 기둥 뽑음

§ 관로 굴착 작업시 붕괴 방지 안전대책

∙ 굴착면의 구배기준을 준수하도록 한다.

∙ 수분을 많이 함유한 지반의 경우나 뒷채움 지반인 경우 또는 차량의 통행으로 붕괴되기 쉬운 경우에는반드시 흙막이지

보공을 설치한다.

∙ 토사지반으로서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굴착 깊이는 1.5m 이하로 한다.

∙ 굴착토사는 굴착바닥에서 45도 이상 경사선 밖에 적치하도록 하고 건설기계가 통행하는 장소에는 별도의 통행로를

설치한다.

∙ 작업 개시 전, 작업완료 후, 비온 후, 지진 및 인근에서의 발파 작업전ㆍ후에는 반드시 점검한다.

∙ 흙막이지보공을 설치하여 관로 굴착시 흙막이 종류에 따른 시공순서를 준수한다.

(4) 관로 인양 안전작업계획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8

1) 관로 인양 계획

- 중량물은 카고크레인 등 장비를 사용한다.

- 인양시 관로자재가 회전하지 않도록 2줄이상 걸이를 하여야 하며 주변의 작업자는 피해야 한다.

- 작업 반경 내에는 불필요한 사람의 접근을 금지시킨다.(바리케이트, 감시자 지정)

- 작업 전에 지반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 관로재 인양한 채 운전석 이탈을 절대로 금한다.

- 인양물과 인양장비 능력을 검토하여야 한다.

- 인양 작업 전 로프의 안전성검토를 하여야 한다.

- 후크에는 해지장치를 부착하여 로프의 이탈을 방지한다.

- 관로를 들어 올릴 때 후크의 위치는 관로의 무게중심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 신호수, 유도자, 접근금지감시인을 배치한다.

- 관로 작업시 근로자 손가락이나 발 등 협착 위험이 있으므로 백호 운전자와 사전에 신호를 통일하도록 교육한다.

2) 중량물 하역 운반 작업 시 안전보건조치 사항(KOSHA GUIDE - 관로매설공사 안전보건작업 기술지침)

(1) 중량물의 종류, 형태, 취급방법, 순서,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등을 고려하여 다음 내용이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가) 주변에 지장물 등을 고려한 자재 적치 장소 확보

(나) 자재 적치방법, 적치 높이기준 준수

(다) 경사면에 원형 등의 중량물을 적치할 때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① 구름 멈춤대, 쐐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동요나 이동 방지

②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래에 근로자의 출입 금지

(라) 굴착면 상부에 자재적치 금지

(2)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자재반입, 운반작업을 통제하여야 한다.

(3)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는 적정 장비용량,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등 안전 장치와 아웃트리거 사용여부

등을 확인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며 작업시 조치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인양용 와이어로프 및 훅 해지장치 검사

(나) 운전자(조종원) 운전면허 자격 여부

(다)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및 안전표지판 설치

(라) 인양작업시 2줄걸이 등의 방법으로 자재 떨어짐 예방

(마) 신호수 배치 및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실시

(4) 중량물을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취급 또는 운반하는 때에는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을

하여야 한다.

< 버킷 이탈방지 안전핀 부착 >< 두줄 걸이 작업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29

3) 관로 인양 작업 시 협착재해 예방대책

· 관로 부설 작업시에는 2줄걸이를 실시함.

- 관리부설 작업시 서서히 올려 지상 약 10㎝ 지점에서 정지하고 확인함. 이 경우에 매달린 물체에

접근하지 않아야 함

- 와이어로프 등은 후크중심에 걸어야 함.

- 근로자는 매달린 관로에 접근하지 않도록 통제요원(감시자) 배치함.

- 낙하위험구역 내에 출입금지조치를 하고 감시인을 배치한다.

- 와이어로프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함.

· 관로 부설시 설치위치에 배열하고, 관의 양쪽을 완충용 목재난 모래 주머니,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받침을 하여, 관외면 도복부가 자갈이나 암석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함.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0

(5) 굴삭기 작업 충돌, 협착 예방계획

� 백호우 작업 중 충돌, 협착 예방대책

- 작업 반경 내 신호․유도자 배치하여 근로자 출입통제

- 다수의 장비 작업구간 유도자 배치

- 협소한 작업구간 내 장비 및 근로자 과 투입 금지(작업동선 고려)

- 백호우 운전원 하차 시 시동정지 및 브레이크 등 안전장치 고정

- 장비투입 전 안전장치 점검(후진경보음 작동 및 후사경 탈락여부)

- 터널 등 어두워 시야확보가 어려운 곳에는 야광안전표지판 및 경광등 설치

- 차량운전자는 제한속도를 준수하고 면허를 가진 운전자가 운전해야 한다.

- 작업 전 통행로를 확보해야 한다.

작업지휘자 배치 유도자 배치

< 후방카메라 장착 >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1

(6) 도로부 작업 시 안전시설 설치 예

n 도로 굴착 작업시 작업계획도(기존도로 작업 필요시)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2

(7) 관로매설공사 작업별 안전조치 사항

구 분 내 용 비 고

포장절단

운반작업

(1) 포장 절단작업 전 좌표측량에 의한 관로동선을 관리감독자와 협의하고 결정한다.

(2) 작업 장소에 지장물 상태를 확인하고, 포장 절단작업을 할 때에는 포장하부의

매설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 절단기의 작동상태 및 방호설비 부착여부를 확인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4) 절단 작업 시 절단기의 냉각수의 주입상태, 절단날의 덮개 상태를 확인하고 절단날

파손 시 파편이 비래할 위험이 있는 방향에는 근로자 출입을 통제하여야 한다.

(5) 도로측면 작업 시 작업구역 주변에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작업하여야 한다.

(6) 교통신호 및 통제를 위한 신호수와 절단기, 굴삭기, 덤프트럭 등 장비 유도자를

배치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하여야 하며, 지시ㆍ안내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7) 절단된 포장재를 반출ㆍ운반할 때에는 주변도로 상황 및 시간대별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작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8)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절단된 포장재를 반출ㆍ운반할 때에는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자재

운반작업

(1) 작업 전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자격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차량계 하역 운반기계의 후진경보기 등 안전장치 부착,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3) 크레인 등 건설장비의 아웃트리거 인출 및 와이어로프의 상태, 해지장치 부착여부

등 안전장치를 확인하여야 한다.

(4) 공사관계자 외 출입을 금지할 수 있도록 안전표지판을 설치하고 신호수를 배치

하여야 한다.

(5) 자재 하역 및 적치장소를 적정하게 유지ㆍ관리하고 작업반경내 근로자가 출입하지

않도록 통제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6) 자재 하역 및 적치 장소는 굴착면에서 충분히 이격된 평탄하고 다짐이 충분한

안전한 장소를 지정하고, 자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받침목 설치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굴착작업

(1) 일일작업 전 준비사항

(가) 근로자에게 작업계획서의 내용을 주지시켜야 한다

(나) 작업전에 작업장소의 불안전 유무를 점검하고 미비점이 있을 경우 즉치

조치하여야 한다.

(다) 근로자의 안전모 착용 및 복장상태,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고소작업자는 안전대를

착용하고 있는가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라) 근로자가 사용하는 기계ㆍ공구 확인, 당일작업량, 작업방법, 작업단위별 순서 등

안전상의 문제점을 근로자에게 교육하여야 한다.

(마) 굴착된 흙을 차량으로 운반할 경우 통로를 확보하고, 굴착작업자와 차량 운전원이

상호연락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바) 야간작업이 필요할 경우 충분한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사) 지장물, 매설물(가스관, 상하수도관 등)등의 유무를 사전조사 하고, 작업구간 내

지장물이 있는 경우 방호대책을 수립 후 작업을 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3

구 분 내 용 비 고

굴착작업

(2) 굴착작업 시 안전조치 사항

(가) 관리감독자의 작업지휘 하에 작업을 하여야 한다.

(나) 지반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진 굴착면의 높이와 기울기 기준을 따른다.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

구분 지반의 종류 기울기

보통흙습 지

건 지

1:1 ~ 1:1.5

1:0.5 ~ 1:1

암반

풍화암

연 암

경 암

1:0.8

1:0.5

1:0.3

※ 암반 굴착면 기울기를 적용할 경우에는 특정 불연속면을 고려한다.

(다) 굴착토사나 자재 등을 굴착면 및 흙막이 상단에 쌓아 두지 않도록 한다.

(라) 용수 등의 유입수가 있는 경우 반드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굴착면 및 배면에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우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마) 수중 펌프나 벨트콘베이어 등 전기기계ㆍ기구를 사용할 경우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작동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바)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작업장소는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적정한 공기가

유지되도록 환기를 하거나 근로자에게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를 지급ㆍ착용

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 도시가스, 메탄가스 등의 인화성가스 누출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화기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바)호에 따른다.

(아) 상부에서 붕괴ㆍ낙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을 금지하여야 한다.

(자) 상ㆍ하부 동시작업은 금지하여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 다음 각목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① 견고한 낙하물 방호시설 설치

② 부석 제거

③ 작업장소에 불필요한 기계 등의 방치 금지

④ 신호수 및 담당자 배치

(차) 굴착면이 높은 경우는 소단을 두어 굴착하고, 소단의 폭은 수평거리 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카) 굴착 깊이가 1.5미터 이상인 경우는 20미터 이내마다 1개소 이상 사다리,

계단 등의 통로를 설치하고 쓰러지지 않도록 상ㆍ하부를 단단히 고정하여야 하며,

장기간 공사 시에는 비계 등을 설치 하여야 한다.

(타) 우천 또는 해빙으로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작업 전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굴착면 상단에는 중량물의 적치를금지하고 대형 건설기계

통과 시에는 적절한 조치를 실시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4

구 분 내 용 비 고

중량물

하역

운반작업

안전조치

사항

(1) 중량물의 종류 및 형태, 취급방법 및 순서,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등을 고려하여

다음내용이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한다.

(가) 주변에 지장물 등을 고려한 자재 적치 장소 확보

(나) 자재 적치방법, 적치 높이기준 준수

(다) 경사면에 원형 등의 중량물을 적치할 때 다음 사항을 준수한다.

① 구름 멈춤대, 쐐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의 동요나 이동 방지

② 중량물의 구름방향인 경사면 아래에 근로자의 출입 금지

(라) 굴착면 상부에 자재적치 금지

(2) 작업지휘자를 지정하여 자재반입, 운반작업을 통제하여야 한다.

(3) 차량게 하역 운반기계는 적정 장비용량,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등 안전장치,

아웃트리거 사용여부 등을 확인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며 작업시

조치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인양용 와이어로프 및 훅 해지장치 검사

(나) 조종원 운전면허 자격 여부

(다)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및 안전표지판 설치

(라) 인양작업시 2줄걸이 등의 방법으로 자재낙하 예방

(마) 신호수 배치 및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 실시

(4) 중량물을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취급 또는 운반하는 때에는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고,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을 하여야 한다.

(5) 인력운반 작업 시에는 적정한 중량(남자20~30kg, 여자 10~20kg이하)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근로자의 목, 허리 등 근골격계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아니하여야 하며,

신체에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세를 근로자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관로

매설 및

청소작업

안전조치

사항

(1) 굴삭기 등 건설장비 사용 시에는 사용 전 점검을 실시하고 아전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가) 굴삭기 등 건설장비 운전원의 자격유무를 확인하고, 경험도를 고려하여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 충돌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 굴삭기 버켓의 연결부, 용접된 인양고리의 체결, 용접상태 등 견고성을 사전에

확인하고 작업을 하여야 한다.

(다) 굴삭기 등 건설장비 작업 중량에 따라 토사붕괴 위험이 없도록 굴착면에서

충분히 떨어진 장소에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라) 자재 등 중량물의 인양은 크레인을 사용하고, 크레인의 전도방지를 위해

평탄하고 견고한 지반위에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작업하여야 한다.

(마) 자재 인양용으로 사용하는 와이어로프, 훅의 해지장치 등은 파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줄걸이 방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2) 굴착면 상부의 부석, 토사 등을 제거하여야 하며, 지하수 및 지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굴삭기 등 장비작업 시에는 유도자를 배치하고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시행하여 근로자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5

구 분 내 용 비 고

관로

매설 및

청소작업

안전조치

사항

(4) 관 등을 인력으로 운반 및 위치변경 시에는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안전한

작업자세로 작업하도록 하여야 한다.

(5) 관 등을 올리고 내려놓을 때에는 작업자가 매달린 관의 하부에 출입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 굴착면 상단부에는 굴러 떨어질 위험이 있는 관 등의 자재를 적치하지 않는다.

(7) 관 연결 작업 시 손 끼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을 손으로 잡지 않고 로프를

이용한다.

(8) 산소결핍 및 유해가스에 의한 질식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작업할 때에는 작업전에

산소 및 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하여 작업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 호흡용 보호구를 지급하고 항상 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나) 작업전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연락 및 대피용 기구를 비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9) 관 내부 청소 등 작업 시 갑작스런 폭우에 따른 익사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업 전 일기 예보를 확인하고, 양수기 등의 가동상태를 점검하여 항상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10) 야간작업 시에는 KOSHA GUIDE C-24-2004(건설공사 야간작업 지침)를 준용한다.

되메우기

다짐작업

(1) 되메우기 및 다짐장비의 운행경로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시 장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작업 중 교통처리 계획을 수립하여 신호수를 배치, 신호방법을 정하여 신호하는 등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건설기계 작업반경내 근로자가 출입하지 않도록 출입금지 조치를 하고 유도자를

배치, 신호방법을 정하여 신호하여야 한다.

*첨부 : 구간별 터파기 표준도(1)~(2)

조립식간이흙막이 상세도

지장물 보호공 상세도(1)~(2)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6

<표 7-4> 오수관로 설계기준

구 분 설 계 기 준 금 회 적 용

토량기준

∙토량환산 계수

L=흐트러진상태의토량

자연상태의토량 C=

다져진상태의토량자연상태의토량

구 분 L C 비 고

토 사 1.25 0.875 사질토

모 래 1.15 0.9

잡석, 보조기층 1.175 0.95

풍 화 암 1.30 1.05

연 암 1.40 1.15

기계

장비조합

∙도로폭별 장비조합

구 분 도로 1.5m이하 도로 2.5m이하 도로 4m이하 도로 4m초과

터파기 인력 100%기계 70

+ 인력 30%

기계 90

+ 인력 10%기계 100%

깨기 소형브레이커대형브레이커

+ 굴삭기 0.12㎥

대형브레이커

+ 굴삭기 0.4㎥

대형브레이커

+ 굴삭기 0.7㎥

소운반 리어카(100%) 리어카(100%) - -

상차(DT) B.H0.4㎥ B.H0.4㎥ B.H 0.4㎥ B.H 0.7㎥

보조기층 인력식 소규모장비 인력식 소규모장비 인력식 소규모장비 인력식 소규모장비

운반장비 D.T 4.5톤 D.T 4.5톤 D.T 8.0톤 D.T 15.0톤

발 생 토 전량 적치장 적치 후 되메우기 유용토 운반

되메우기,

관주위 인력 100%

기계 70

+ 인력 30%

기계 90

+ 인력 10%

기계 90

+ 인력 10%

관 상 단 인력 100%기계 70

+ 인력 30%기계 100% 기계 100%

사토 적치장 → 사토장 (상차 : 로더 1.72㎥, 덤프 24톤)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7

<표 7-5> 맨홀 설계기준

구 분 설 계 기 준 금 회 적 용

표준형맨홀

설치

∙관로의 기점, 방향, 관경변경 시점

∙단차 또는 관로의 합류지점

∙관로내 점검, 청소 등 유지관리 필요지점

∙맨홀최대설치간격 : 75m(1호 맨홀기준)

∙설계기준 동일 적용

소형맨홀

설치

∙기존 협소도로 및 골목길 등의 장비투입

이 어려운 경우

∙기존 지장물 이설이 곤란한 경우

∙설계기준 동일 적용

터파기

여유폭

∙Open Cut구간

- 맨홀외벽+30~50cm(한쪽여유폭)

∙가시설 구간

- 맨홀외벽+50~70cm(한쪽여유폭)

∙Open Cut구간 : 20cm(한쪽여유폭)

∙가시설 구간 : 70cm(한쪽여유폭)

터파기구배∙토사, 풍화암 : 1 : 0.3

∙하천구간 : 1 : 1.0

∙터파기 구배 1 : 0.3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8

2) 하천과 인접한 지반조건, 굴착깊이 등을 고려하여 계측관리 적용 여부에대한 검토 필요

5.1.2 자연터파기 구간 안정 검토

가. 비탈면 허용안전율

비탈면안정 검토에 있어서 안전율 기준은 설계조건 및 현장여건, 발주기관에 따라 상이하나, 본 검토에

서는 국토교통부(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2016)의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관로 매설을 위한 터파기

공사가 극히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율 기준은 Fs = 1.1을 적용하여 자립 가능한 굴착

경사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표 7-29> 깎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국토교통부, 2016)

구 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 기 FS > 1.5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우 기

FS > 1.2

또는

FS > 1.3

∙토층 및 풍화암으로 구성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은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

석하는 방법 또는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방법 사용 가능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석하는 경우에는 현장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건 및

배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하수위를 결정하고 안정해석을 수행

하며, 지하수위츨 결정한 근거를 명확히 기술 (Fs=1.2적용)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실시하는 경우(Fs=1.3적용)

지진시 FS > 1.1∙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하수위는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단 기 FS > 1.1∙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시공중 포함)

∙지하수 조건은 장기안정성 검토의 우기시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

나. 교통하중 기준

<표 7-30> 교통하중 적용

구 분 상재하중(kN/m³) 비 고

도 로 13.0 적 용

다. 비탈면안정 해석방법

비탈면 안정 해석이란 비탈면을 구성하는 흙의 자중 또는 기타 내ㆍ외적 하중조건 등에 의해 발생하려

는 활동파괴면상의 활동력과 이때 발휘되는 흙의 전단강도에 의한 한계평형상태를 해석함으로 활동력

에 대해 저항하려는 힘의 비를 산정하여 전체 비탈면의 안정성 유무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때 주어진

단면 및 지반조건하에서 무수히 많은 활동면에 대하여 평형해석을 실시하여 산정된 안전율 중 최소치를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39

그 비탈면의 활동파괴에 대한 안전율로 정하며 해석방법은 Fellenius 및 Bishop 등의 다양한 해석이론

적용이 가능하고, 현재 널리 범용되고 있는 SoilWorks를 이용하여 Bishop법으로 검토하였다.

∘ Bishop 법

Fs ∑Wn sin

∑cbn Wn tan △T tan m

n

ma n cosn Fs

tan × sin n

여기서, W : 절편 흙의 전체중량(= rㆍbㆍh)

α : 경사각(°)

c : 흙의 점착력(kN/m2)

b : 절편폭(m)

: 흙의 내부 마찰각(°)

△T : Tn - Tn+1

(a) 가상파괴면 (b) n번째 절편에 작용하는 힘

<그림 7-3> 일반적인 절편법에 의한 안정해석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0

다. 자연터파기 비탈면 안정검토 결과

터파기 비탈면에 대한 검토는 현상태(전구간, 상시수위) 및 지하수위 상승(대표단면 선정)을 고려하여

각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준안전율(단기) 이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굴착을

통한 관매설 후 되메우기를 즉각 실시하여 공사 중 안전성을 확보토록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7-31> 자연터파기 비탈면 안정검토 결과

구 간 적용공번 굴착심도(m) 비탈면경사 안전율 기준안전율 판 정

현 수 위 시

BH-1 2.0 1 : 0.3 2.372 1.1 O.K

BH-2 2.0 1 : 0.3 2.211 1.1 O.K

BH-3 2.0 1 : 0.3 2.547 1.1 O.K

BH-4 2.0 1 : 0.3 2.530 1.1 O.K

BH-5 2.0 1 : 0.3 2.530 1.1 O.K

BH-6 2.0 1 : 0.3 6.085 1.1 O.K

BH-7 2.0 1 : 0.3 2.773 1.1 O.K

BH-8 2.0 1 : 0.3 2.508 1.1 O.K

BH-10 2.0 1 : 0.3 2.162 1.1 O.K

BH-11 2.0 1 : 0.3 2.217 1.1 O.K

BH-13 2.0 1 : 0.3 2.422 1.1 O.K

만 수 위 시

(포 화 시)

BH-2 2.0 1 : 0.3 1.469 1.1 O.K

BH-10 2.0 1 : 0.3 1.477 1.1 O.K

BH-11 2.0 1 : 0.3 1.534 1.1 O.K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1

<표 7-32> 현수위시 터파기 비탈면 안정 검토결과(1/3)

BH-1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372 > 1.1(단기) ∴ O.K

BH-2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211 > 1.1(단기) ∴ O.K

BH-3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547 > 1.1(단기) ∴ O.K

BH-4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530 > 1.1(단기) ∴ O.K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2

<표 계속> 현수위시 터파기 비탈면 안정 검토결과(2/3)

BH-5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530 > 1.1(단기) ∴ O.K

BH-6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6.085 > 1.1(단기) ∴ O.K

BH-7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773 > 1.1(단기) ∴ O.K

BH-8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508 > 1.1(단기) ∴ O.K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3

<표 계속> 현수위시 터파기 비탈면 안정 검토결과(3/3)

BH-10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162 > 1.1(단기) ∴ O.K

BH-11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217 > 1.1(단기) ∴ O.K

BH-13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2.422 > 1.1(단기) ∴ O.K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4

<표 7-33> 만수위시(포화시) 터파기 비탈면 안정 검토결과

BH-2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1.469 > 1.1(단기) ∴ O.K

BH-10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1.477 > 1.1(단기) ∴ O.K

BH-11 검토결과 (터파기 기울기=1:0.3, h=2.0m)

∙ Fs = 1.534 > 1.1(단기) ∴ O.K

비에이치아이(주)안전관리계획서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신규검토 보완사항

145

3) 부단수차단 공법 계획 시 이에 대한 세부 안전관리계획 수립(해당없음)

¡ 해당 공법에 대한 시공순서 및 방법 등을 나타내는 시공 상세도면 추가

¡ 안전시공 절차 및 주의사항 등 안전시공계획 추가

¡ 누수 발생여부 확인 및 비상조치계획 추가

¡ 부단수차단 공법에 따른 안전성 검토 자료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