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4, Vol. 22, No. 1, pp.67-87.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김 희 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요 약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학교조직의 이상형 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을 대안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는데 있다. 오늘날 학교교 육은 행정관리 체제라는 고전적 조직 개념에서 탈피하지 못한 채 과거의 행태 를 답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시대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교실 수업과 교사들의 학습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체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한계를 제 시하고, 학교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 전략으로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종합분석하여 학교조직에 적용하고자 한다. 아울러 교단의 학습조직화가 학 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조명해 보는데 있다. [주제어] 학습조직, 개인학습, 조직학습, 학교교육 . 서론 현재 조직들은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체의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분야에서도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학교를 개혁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학교가 감당해야 할 과제는 창의성과 개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 적응하고 그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을 기르는 일이다. 앞으로 학교교육은 시키고 받는 타율적 인 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길러주는 자율적인 학습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 되고 있다. 이에 학교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학생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4, Vol. 22, No. 1, pp.67-87.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김 희 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요 약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학교조직의 이상형

이라 불리는 학습조직을 대안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는데 있다. 오늘날 학교교

육은 행정관리 체제라는 고전적 조직 개념에서 탈피하지 못한 채 과거의 행태

를 답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시대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교실 수업과 교사들의 학습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체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한계를 제

시하고, 학교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 전략으로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종합․분석하여 학교조직에 적용하고자 한다. 아울러 교단의 학습조직화가 학

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조명해 보는데 있다.

[주제어] 학습조직, 개인학습, 조직학습, 학교교육

Ⅰ. 서론

현재 조직들은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체의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분야에서도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학교를 개혁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학교가 감당해야 할 과제는 창의성과 개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 적응하고

그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인간을 기르는 일이다. 앞으로 학교교육은 시키고 받는 타율적

인 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길러주는 자율적인 학습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

되고 있다. 이에 학교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습자들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학생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2: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68

위주의 학습활동이라는 본질적인 개념에 접근하고 있다(Corcoran,1995; Hanson, 2001; Hoy

& Miskel, 2001).

학생의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환경체제로서의 학교조직은 그 중심이 학생의 역량 제고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교과 및 학년 중심의 교사 학습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학교장의

지도성이나 학교환경만을 강조하는 수동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모든 학교 구성원들이 보다

역동적으로 정보와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조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합한 조직의 개념으로 조직을 유기체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학습조직이

대두되었다.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이란 조직내의 개개인이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개개인의 지식이 조직차원에서 공유되어 조직의 문제 해결력을 끊임없이

향상시켜 나가는 조직을 의미한다(Marquardt, 1996; Argyris와 Schon, 1996; Senge, 2000).

학습조직이론은 학습이론 , 조직이론, 사회체제이론 등 다학문적인 측면을 근간으로 하면

서,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를 철학적 기반으로 학습과 조직을 통합적 관점에서 접근

하고 있다. 이 이론의 등장 배경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의 역량을 강화

하고, 조직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학습행위를 통해 언제라도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조직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학습조직은 학습을 통한 조직변화의 대응 방안으로 기업조직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교에서는 학습조직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는 탐색적 연구에 국한

되어 있다. 학교조직도 학습조직으로의 전환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더구나 지식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학교교육의 기본 철학 및 방법론에 일대 변혁을 가하는 교육 개혁안이 학습

조직이 추구하는 아이디어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교를 개

혁하기 위한 종합적인 혁신 전략이기도 한 학습조직은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개념 수준에

서 학습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실천 과정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Ikehara,1999; Karsten 외2, 2000).

지금의 학교조직은 지속적인 변화와 학습행위가 일상화되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

는 조직의 구축이 요구되므로 학습하는 학교조직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학습

조직이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조직을 학습조직화 하는데 필요한 제반 구축 전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Senge(1990)의 학습조직이론을 기초로

한 것은 현실적으로 학습조직이 정착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이론으로 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의 패러다임과 이에 따른 한계를 제시하고,

학교조직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안적으로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분석하여 학교조직에 적

용하고자 한다. 아울러 학습조직이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조명해 보는데 있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3: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69

Ⅱ. 기존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한계

지식기반사회로 특징 지워지는 21세기는 산업사회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모습으로 시작

되고 있다. 지식의 생성과 소멸이 빠른 속도로 일어남에 따라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사회에

적용하는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정보 혁명에 따라 사회의 모든 부분은 근본적인 변

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 속에서 우리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화하는

소위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허숙, 2001:3-4).

하지만 현행 학교교육은 교육의 주체를 교육을 주도하는 교사에 두고 있으며, 교육을 일

정한 장소인 학교와 교육내용이 담긴 교과서를 토대로 일정한 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

처럼 전통적으로 학교교육을 지배해왔던 패러다임은 제한된 틀 내에서 어디서, 누가, 무엇

을 지도하는지의 세 가지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학교라는 제도화된 장소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교교육이다. 학교교육하면 제일 먼

저 머리 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학교라는 개념이다. 우리는 흔히 가르치는 일은 학교만의

전유물로 생각해 왔다. 그러나 지금의 교육은 학교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 정보화의 진전으로 학교 이외에도 인터넷 등 다양한 지식과 정보의 원천이 존

재하고 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오직 학교

교육을 통해서만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아니다. 가정교육과 사회교육, 평생교육의 몫이 크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만이 유일하게 모든 교육을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다는 고립된

교육의 장에서 탈피하여 가정이나 지역사회와 긴 한 상호작용 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학교교육은 학생의 다양한 적성과 능력을 개발시켜 주는 곳

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정진곤, 1999). 이러한 격변 상황에서도 원하는 대안을 선택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주는 교육이 미래교육이다.

둘째, 교사중심의 시키고 받는 타율적인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이다. 교사의 질적

수준은 학교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체이며 잘 가르쳐야 잘 배울 수 있다는 학

교의 교육적 이미지를 구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교사위주의 지식 전수에는 학

교장의 경 철학과 상위 수준의 교육행정기관의 규제위주의 운 방식도 한 몫을 하고 있

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대학입시라는 막중한 과제에 힘입어 학부모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지나친 요구도 무시할 수 없는 일이다. 또한 교사는 전문성 개발을 위해 동료들과 협력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교사 개개인의 자율성과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만 다른

교사들과 협력한다(Lortie,1975; Rosenholtz, 1988; Hargreaves, 1988). 창조적인 지식인을 양

성하려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학교행정가 자신이 먼저 창조적 지식인이 될 필요

가 있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4: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70

셋째, 교과서 중심의 주입식 교육의 학교교육이다. 교과서는 유일한 聖書라는 인식에 탈

피하여 다양한 삶의 실제를 반 하는 학생 주도적인 수업 방식이 전개되어 할 것이다.

Hargreaves(1988)는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

히 기울려 왔음에도 불구하고 타율적인 주입식 수업 방법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교사들

이 처한 현실적인 근무여건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교사문화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개인주의, 고립주의, 고도의 자율성, 보수주의 등으

로 개념화되고 있다. 고정된 틀 내에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창의적으로 운 하는 데는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조건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주어진 교과서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탈피해야 한

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교과서 위주의 교육은 더 이상 시대적 상황에 맞지 않는다.

<표 1> 학교교육 패러다임 전환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 자율적인 학습 패러다임

ꋪ타율/획일

․가르치는 교사 중심 ․교육기능 및 형식 중심

․학습자의 집단 특성 중심

․교육내용/방법 획일

ꋪ자율/다양

․배우는 학습자 중심 ․삶과 연계된 내용 중심

․학습자의 창의, 개성 중심

․학습내용/방법 차별화

ꋪ집권화

․TOP-DOWN 사고 방식

․학교 중심

․일률적 규격화 교육

․소품종 다량 교육과정

ꋪ분권화

․BOTTOM-UP 사고방식

․삶의 현장 중심

․다원화된 현장-적시 교육

․다품종 소량 교육과정

ꋪ닫힌교육

․국내수준 교육 경쟁력 ․교육 시/공간 제약

․정규 교육과정 중심

․가치 교육중심

ꋪ열린교육

․세계수준 교육 경쟁력 ․교육 시/공간 초월

․비정규적 현장학습 확대

․외부기관과의 연계 확대

자료: 유 만(1996). 학교조직과 창조적 파괴: 교육개혁의 학습조직적 재해석과 실천방향(Ⅰ),

교육정보연구 23, p.111.

이와 같이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보았을 때, <표 1>과 같이 기존의 학교교육에 대한 고정

관념을 창조적으로 파괴하고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로 방향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학교교육

의 변화양상은 타율/획일에서 자율로, 중앙집중에서 분산화 또는 탈중심화, 닫힌교육에서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5: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71

열린교육(유 만, 1996)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요약될 수 있다. 기존의 학교교육에 대

한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차원의 총체적인 경 혁신 전략이자 조직발전의 대

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학습조직은 일선 학교에 많은 의미를 것이다.

Ⅲ. 대안적 관점에서의 학습조직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기존의 학교교육에 대

한 대안적 이론으로 등장한 Senge의 학습조직 이론을 학교조직에 적용하고자 한다.

1. 학습조직에 대한 개념적 논의

학습조직에 대한 개념 정의는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학교에서의 학습

은 전통적인 교육의 장면을 연상시키는 학문적 의미로서 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행동의 변

화를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내에서 학습의 의미는 경 현장에서 일어나는 업무 그

자체이며, 현장에서 요구되는 성과를 얻기 위하여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처럼

학습조직에 대한 통일된 개념은 아직까지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학습조직의 대표자인 Senge(1990a), Garvin(1993), Marquardt(1996), Huber(1991) 등의 정

의를 살펴보면, 그 중심 개념은 지속적인 학습, 자기개발, 학습수준, 환경의 적응, 조직성과

등이다. 이를 토대로 학습조직을 잠정적으로 정의하면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

직의 각 수준에서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자기 개발과 숙련을 통하여 새로운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조직”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직의 목적’이란 포괄적

으로 조직 효과성과 같은 개념이고, ‘조직 각 수준의 학습’이란 개인, 팀, 조직 단위에서 형

성되는 학습을 의미한다. ‘자기 개발과 숙련’은 구성원을 비롯하여 팀이나 조직이 어떤 상황

이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기설계 또는 자기 조직화가 가능함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학습조직의 수준이란 구성원들이 조직의 학습에 대해 지각하고 있는 정도로서 학습조직을

형성하는 기반을 측정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게 된다.

Senge(1990)의 5가지의 원칙은 학습 리더에게 종래의 사고 방식과 조화로부터 새로운 패

러다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Draft, 1997). 이를 기초로 해서 Tobin(1993), Watkins와

Marsick(1993), Greenwood(1993), Weston(1994), O'Brien(1994) 등은 구성원의 자세와 활

동, 학습문화 및 제도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학습조직이나 조직학습에 관하여 거론하는

대부분의 논자들은 급속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책으로 학습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6: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72

학습이라는 기재를 통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려는 조직체의 생존전략으로 학습조

직의 기본적인 개념은 학습이며 그러한 학습이 조직에서도 이루어진다. 조직에서의 학습은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개인과 집단 및 팀과 조직 전체의 수준에서 개인학습, 팀 혹은

집단학습, 조직학습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학습(혹은 개별학습)은 조직의 가장 기본이 되는 조직 구성원 개개인이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모든 학습을 말한다(Marquardt, 1997). 개인학습은 개인차원에서 전개되는 모든

배움의 활동이며, 이러한 개인학습의 결과로 얻어진 조직구성원의 경험, 새로운 사실의 발

견,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해석활동이 모든 조직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될 때 조직학습이 이

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개인학습은 조직의 학습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조건이긴 하지

만, 그것으로서 조직의 학습이 완성되는 충분조건은 아니다.

집단 및 팀학습은 집단 또는 팀 등 조직의 하위 단위들에 의해서 수행되는 모든 학습을

말한다. 집단학습은 경험의 공유를 통해서 가장 빈번히 이루어진다. 집단학습은 집단이나

팀의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학습과 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집단의 능력을 개발하고 조정

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조직학습은 우선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위한 조직차원에서의 지속적인 학습활동을 의미

한다. 따라서 조직학습은 과정(process)개념이며 학습조직은 결과(outcome)개념이다. 그러

나 결과로서의 학습조직 개념은 모든 조직학습 활동이 원히 종료된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단계의 학습활동을 전개하기 위한 중간 결과물이라는 사실이다

(유 만, 1995). 조직학습은 개인학습과 연관되지만, 개인학습의 단순한 합으로 조직학습이

이룩되지는 않으며 조직학습이 곧 학습조직을 가져오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조직학습은 조

직 전체의 전략과 시스템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Ray Stata는 조직학습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측면에서 개인 및 집단/팀학습과는 다르다고

주장한다.(Marquardt와 Reynolds, 1994)

첫째, 조직학습은 구성원들 사이에서 공유된 통찰력과 지식 및 정신모델을 통해 발생한

다. 둘째, 조직학습은 전체 조직이 축적한 과거의 지식과 경험, 즉 정책․전략․분명한 모델

과 같은 교육적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조직의 기억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① ∑개인학습≠집단학습, ∑집단학습≠조직학습(단순한 합이 아님)

② 학습: 문제 해결력 증진(Learning>Training)

따라서 개인학습, 집단/팀학습, 조직학습은 상호 접한 관계를 갖는다. 개인학습은 집단

학습을 일어나게 하고, 집단학습은 조직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요소가 되며, 개인학습이 직

접 조직학습에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조직학습이 개인학습이나 집단학습을 촉진하고 지원

하기도 한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7: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73

이상과 같이 학습조직은 조직 전체의 차원에서 지식이 창출되고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환경 적응력과 경쟁력을 증대시켜 가는 조직 자체를 일컫는다. 따라서 학습조직은 [그림 1]

에서와 같이 개인학습, 집단 및 팀학습, 조직학습의 활성화를 통해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다.

조직학습

집단학습

개인학습

학습조직

[그림 1] 학습조직의 기본 체계

자료: 권석균(1996b).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조직학습의 이론과 논쟁”, 삼성경제연구소, 31.

2. Senge의 학습조직이론

Senge(1990)는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이 기초가 되어 개인의 학습이 조직의 힘으로써 그

시너지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5가지의 기본 원칙이 필요하다고 하 다.

가. 개인 숙련(Personal Mastery)

개인 숙련(PM)은 개인이 추구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개인적 역량을 지

속적으로 넓혀가고 심화시켜나가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것은 실천과 자기 분석, 그리고 반

성하고 개선과정을 통해서만이 이루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Hodgkinson, 2000). 개

인 숙련은 자신의 비전과 현재 상태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메우기 위하여 끊임없이 학습

활동을 전개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전문가의 수준에 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의 자기

숙련을 위해서는 자아 효능감(self-efficacy)에 기초한 개개인의 권한강화(empowerment)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8: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74

나. 정신 모델(Mental Model)

정신모델(MM)은 주변에서 발생하는 현상들을 이해하는 인식체계로서 학습조직을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서, 무엇을 어떻게 보느냐를 결정하고 어떻게 행동할지를 이끈다. 이것은

현실인식과 행동양식에 향을 미치는 기본 가정, 일반화된 인식기반, 그리고 인지적 심층

구조를 의미한다. 이는 개인과 조직의 사고체계와 행동양식에 직접적인 향을 미치며, 이

러한 철학적 기반을 부단히 성찰(reflective)함으로써 새로운 사고의 전환을 기할 수 있게 된

다. 일단 개인의 세계관이 정립되면 그것을 바꾸는 일은 쉽지 않으나, 학습문화 속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정신모델을 지키고 정당화하려는 요구에서 벗어나 새로운 정신

모델에 도전하고 시도해 볼 수 있다.

다. 공유 비전(Shared Vision)

공유 비전(SV)는 지속적인 학습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에너지를 제공한다. 조직이 추구하

는 방향이 무엇이며, 그것이 왜 중요한 것인지에 대해 모든 조직 구성원들이 공감대를 형성하

는 것이다. 따라서 비전은 특정 개인이나 소수 집단에 의하여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의 비전과 리더의 비전간에 끊임없는 대화를 통하여 형성된다. 기존의 사고방식을 뛰

어 넘어 새로운 전략적 기회를 발견해 내는 생성적 학습을 위해서는 비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라. 팀 학습(Team Learning)

팀 학습(TL)은 개인수준에서 학습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개인학습의 합보다 더 큰 학습효

과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팀 학습은 구성원들간에 대화와 공동사고로부터 시작되며,

대화(dialogue)와 토론(discussion)이 팀 학습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팀 학습은 개개인의 노

력보다는 팀 구성원들의 합쳐진 노력이 단순한 개인의 합을 더한 것보다 나은 시너지

(synergy) 효과를 가져온다. 이를 위해서는 팀 구성원들이 합의된 마음을 가지고 노력할 필

요가 있다. 팀 학습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개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 혁신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서로의 학습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팀 학습

이 개인학습과 조직학습을 연결해 줌으로써 학습조직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마.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

시스템 사고(ST)란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수단이다. 이러한

사고는 단순한 선형적인 관계가 아닌 복잡한 변인 사이의 상호의존 관계를 이해하고 역동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9: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75

적 변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둔다. 또한 시스템 사고는 전체를 인지하고 이에 포함된

부분들 사이의 순환적 인과관계 또는 역동적인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사고의 틀을 의

미한다.

Senge는 5가지 기반 가운데 시스템 사고를 토대로 나머지 네 가지 기반을 유기적으로 연

결시켜 전체를 직관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입체적 사고 논리로서 시스템 사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그는 시스템 사고를 제5의 학문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하게

부각시키면서 조직의 학습능력을 배양하는 가

공유 비전

정신모델시스템

사 고

팀 학습개인숙련

▪Strategic

Thinking

▪Perception

▪Motivation

▪Empowerment

▪Self-Efficacy

▪Leadership

▪Culture

▪System

Dynamics

▪Group Dynamics

▪Team Building

[그림 2] Senge의 학습조직 구성 모형

이러한 원리들은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조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하 다. 개인

학습에 비롯되는 개인 숙련의 이론적 배경은 동기이론과 권한 강화, 자아 효능감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정신모델은 전략적 사고와 인지 이론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집단학

습에 기초를 두고 있는 비전 공유는 조직 행동론의 리더십 역과 기업문화의 연구에서, 팀

학습은 집단역학에서의 문제 해결과정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끝으로 학습조직

의 핵심인 시스템 사고의 이론적 배경은 시스템 역학에서 비롯되었다(손태원, 1996).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학습조직이 되려면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정신모델), 개인

의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위해 노력하며(개인적 숙련), 조직의 시스템에 완벽한 이해를 바탕

으로(시스템 사고),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미래의 이미지를 설정하여 공유하고(공유 비전),

조직 구성원들이 개개인의 능력을 뛰어넘어 지혜와 능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야 한다는(팀 학습) 것을 알 수 있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0: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76

3. 학교에서의 학습조직이론의 적용

본 연구에서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기초로 한 것은 우선, 현실적으로 학습조직이 정착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이론으로 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한 역동적인 학교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조직 시스템보다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기존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조직 구성원 개인의 행동특성을 강조한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토대

로 학교조직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가. 개인 숙련(Personal Mastery)

학습조직의 일반적 개념으로는 개인의 본질적인 가치 추구를 위한 현재 자기 능력의 지

속적인 심화를 뜻한다. 학교조직에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수업의 질 관리가 최우선

과제이다. 즉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 및 자기 개선을 위한 행위로서 자기개발을 의미하며 학

교 구성원들이 직무나 교육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

한 현직연수 및 장학활동을 말한다.

Senge의 5가지 원칙을 학교조직에 적용해 보면, 개인 숙련은 학교 행정가를 포함하여 모

든 학교 구성원들이 직무나 교육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학교구성원들은 직무수행 및 교육활동에 필요한 제반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수를 받을 필요가 있다. 대부분 학교구성원의 전문적 역

량 부족은 자기개발에 따른 학습의 부족에 기인한다. 학교구성원들의 능력개발은 학교문화

에 있어서 중심역할을 한다. 학교구성원들을 위한 교육과 자기개선에 대한 활력있는 자율

연수를 조장하고 지원해야 한다. 재교육 및 구성원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요구

되는 것이다(Collins, 2002). 따라서 우선 교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식견을 지니고 있어야만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곧 교사 자

신의 부단한 자기개발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이다.

나. 정신 모델(Mental Model)

정신모델은 학습조직을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 인식과 사고의 내면의 준거틀이나 전제,

마인드 세트(mindset)을 의미한다. 학교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교직에 대한 몰입정도와 직무수행의 만족 정도를 나타내는 교직관을 의미한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현상들을 이해하는 인식체계로서 정신모델을 의미한다. 즉 자연섭리

에 관한 우리의 생각들을 제한하는 잠재의식(고정관념)이나 당연시 여기는 믿음이다. 우리

는 지식의 본능에 관한 정신모델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고, 이런 모델 내에서의 교사와 학생

의 임무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정신모델로부터 시작할 수도 있다. 교육개혁의 주체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1: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77

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교행정가와 교사들은 학교를 변화시키기 위한 능력이 제한되어 있

을 뿐만 아니라 실수에 대한 두려움으로 적극적인 도전의식이 결여되어 있다(Senge외,

2000; Steiner, 1998). 학생들과의 관계에서도 교사의 권위는 존중되어야 하지만, 학생들의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경직되어서는 안 된다. 또 교육의 목표

는 인본주의의 실현이므로 규칙과 규정의 적용에 있어서도 그것을 무조건 철칙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융통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구성원 상호간에 신뢰의 체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 공유 비전(Shared Vision)

교육의 목표와 비전을 명료화하여 모든 구성원들이 인식할 수 있는 공감대를 형성한다.

학교조직에서는 모든 구성원들로 하여금 학교가 추구하는 목표, 가치, 사명 등에 대한 공감

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학교 구성원들의 지식 공유와 전이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정보 제공 뿐 만 아니라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조직이 추구하는 방향이 무엇이며, 그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

육목표와 과업을 명료하게 하고 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는 것은 구성원들에게 힘을 실어주

고 혁신적인 조직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학교가 추구하는 목적과 과업에 대해 구

성원들이 광범위하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을 때 이들은 보다 주도적으로 책임을 지고 참

여하려고 할 것이다. 미래의 비전을 공유하게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 개개인의 가치, 관심,

열망 등이 통합된 개인적인 비전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고무시켜야 한다. 이렇게

창출된 개인적인 비전을 토대로 조직 전체가 추구하는 방향을 참고하여 비전을 공유해야

한다. 학교가 추구하는 비전과 교육목표는 다수가 공감하는 의견수렴 가운데 설정되고 이

러한 비전과 목표는 학교행정가,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 학교 교육목

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Snyder, 1997b; Hodgkinson, 2002). 따라

서 교육과정과 교육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비전과 목표의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

다. 이와 같이 학교에서 유지되어야 할 우선 과제는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비전과 목표의

공유이다.

라. 팀 학습(Team Learning)

교사문화의 특징으로 고립주의와 개인주의를 지적할 수 있듯이 학습조직에서는 팀워크

와 집단적 협동학습이 강조된다. 팀 학습은 팀 구성원들의 의도적, 체계적, 지속적인 학습행

위로서 학년 및 교과 단위의 팀 활동은 지식의 공유뿐만 아니라, 다양한 의사교환의 기회를

확대하여 공동체 형성에도 기여한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2: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78

팀 학습은 개인적 숙련과 공유 비전을 바탕으로 설립될 수 있다. 대화를 통해 복잡한 문

제와 정신 모델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서로 나눌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유 비전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함께 토론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데 많은 시간과 지원과 연습이 필

요하다. 대부분 직원연수 프로그램은 개별단위의 학습으로만 이루어져 있다(Issacson와

Bamburg, 1992). 대부분 신임교사들은 교단에 임했을 때 수업준비를 위해 교재연구를 한다.

하지만 경력교사가 동료교사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은 무능력자로 인식되고 있다(Karsten,

Voncken와 Voorhtuis, 2000). 교사 공동체는 학생의 학습을 위한 명확하고 지속적인 목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서로 협조하고 책임을 지도록 함으로써 학교교

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학생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Newmann과

Wehlage, 1995). 일선 학교에서는 이러한 분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우선 과제일 것이다.

학교 구성원들은 팀 단위로 일하면서 문제 해결에 집단적인 기술과 지식을 동원하고 조

직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게 된다. 팀이 효과적으로 운 되기 위해서는 다양

한 기능 분야의 직원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의 통합성을 강조하는 초등학교

의 학급담임제는 교과학습지도 및 생활지도를 동학년 중심으로 운 하여 다양한 지식 및

정보를 교환하여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교사들간에 공유한 지식

은 학생들에 전달하는 방법, 학생들에 대한 정보, 전인교육의 방법에 대한 서로의 의견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팀 내에서 대화로 이루어지는 의견과 생각의 공유는 공동 목표를 달

성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낸다. 협력적인 학습활동은 개인이 가진 능력을 전체 팀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욱 강력한 힘이 조직 내에 작용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학교조직에

서는 동학년 교사간의 팀(혹은 교과별 교사간의 팀) 등 다양한 협력학습을 통해 개인의 잠

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마.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

시스템 사고는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단편적인 접근 태도를 버리고 전체적인 유기체로서

문제를 파악하는 사고의 틀을 말한다. 학년, 교과, 부서별 부문주의를 극복하는 길이 학교를

학습조직화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Senge의 학습조직의 다섯 가지 기반 가운데 시스템 사고를 토대로 나머지 네 가지 기반

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체를 직관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입체적 사고 논리로서 시스템

사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학교는 지역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함

에도 불구하고 유기적인 관계형성이 되어있지 않고 독립적인 조직으로 남아 있다. 학교공

동체를 역설하지만 학교 구성원과 지역 사회인과의 사고의 차이를 극복하기에는 많은 시간

이 요구되고 있다. 하물며 자기 학급만을 경 하는 담임교사는 고립된 역 속에서 외부의

정보공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부서별 업무 및 학교의 공동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3: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79

목표는 통합적 시각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만 성실히 수행하는 분절된

사고가 새로운 학교변화를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학

교 경 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분보다는 전체적인 안목을 제시하는 학교장은 구성원

들에게 희망을 줄뿐만 아니라 꿈이 있는 학교를 만들기도 한다(Green, 2000). 또한 학교급별

(초, 중, 고)간의 상호관계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시스템 사고는 학교 구성원

들이 큰 그림을 그리고 그 속에서 부분들간의 유기적인 상호관계를 지속적으로 이루어 나

가는 것이 중요하다(Senge외, 2000). 조직과 조직의 시스템, 조직의 프로세스와 조직의 연관

관계를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토대로 학교조직에 적용해 보면 학습하는 학교조

직 모형은 [그림 3]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개인 숙련

(PM)

▪교사의 동기부여

▪교사의 재량권 확대

▪전문성 개발

정신 모델

(MM)

▪개인의 신념체계

▪실험정신과 도전의식

▪개방적 의사소통

학습하는

학교조직

공유 비전

(SV)

▪목표와 비전의 공유

▪유연한 조직구조

▪학습리더의 지도성

팀 학습

(TL)

▪지식․정보 공유체제

▪부문간의 협력체제

▪팀단위 연수활동

시스템 사고

(ST)

▪부문주의 극복

▪환경분석과 대응능력

▪편협한 사고방식

[그림 3] 학습하는 학교조직 모형

학교조직이 학습조직으로 된다는 것은 학교조직의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거치고, 학교조직 차원의 정보와 지식을 창출, 축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교사 스스로의 성장을 위한 교사간 학습관계는 교사들의 학습에 필수

적인 요건이 된다. 이 구조가 구축되지 않는다면 그의 교육활동의 원동력도 소멸되는 것이

다.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는 ‘학습조직’으로 다시 탄생해야 하며, 그 안에서 교사는 학생

과 마찬가지이고 ‘먼저 난 학습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4: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80

Ⅳ. 학습조직화가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 학습조직형 학교교육이 전개된다는 것은 모두에게 다양한 의미를 부

여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조직, 교사의 역할 중심으

로 살펴볼 것이다.

1. 학교 환경

교단이 학습조직화 되기 위해서는 창의적이 융통성 있는 교육활동이 전개될 수 있는 환경

조성도 필요하다. Goodlad(1984)는 대부분의 교실에서 고도의 사고 기술을 요하는 학습활동

이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지적하 다. 대부분 교실 수업은 교사위주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

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Sasason, 1995). 더구나 다양한 형태의 토론학습과 협동학습은 거

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를 학습조직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구조화된 공식적인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일상적인 업무 수행과정에서 동료교사와

팀워크를 이루거나 학습 결과를 전체 교사들이 공유할 수 있는 구조와 풍토가 형성되어야 한

다. 학교조직 구조는 다소 유연하게 운 되고, 전체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복합적인 관리 시스

템이 권장되어 진다. 또한 국가 수준에서는 기본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단위학교에서는 세부

적인 운 에 대한 자율권을 부여하며(Hargreaves, 1995), 학교는 외부환경과 개방적 시스템을

유지하며 각종 정보 공유와 수요자의 교육활동에 참여에 인색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2. 교육 과정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동시에 지식의 반감기를

급속도로 짧아지고 있다.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지식의 생명력이 빠른 속도록 떨어짐에 따

라 효용가치는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과거보다 빠른 시간 안에 개발될

필요성을 제기하며, 개발된 교육과정의 수정 및 보완도 빈번하게 전개함을 강조하는 것이

다(유 만, 1996). 또한 학교는 교실로 구조화되어 있으며, 다른 집단과 별다른 접촉 없이 대

부분 학기 중에 소외된 집단 속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생활한다. 학생의 능력에 따라

집단이 형성되고, 교육내용에 제한된 시간 내에 세분화되어 있다. Gardner(1991)는 학교에

서 제시된 교육과정의 요소들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면 많은 학생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것

이라고 역설하 다. 현재의 교육과정은 교과의 개념을 재대로 살리지 못해서, 근본적인 교

육의 이해를 높이는데 실패하 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을 자율과 창의에 바

탕을 둔 참여와 체험위주의 학습으로 재편함으로써 수업활동 이전에 가졌던 문제의식을 공

유하는 학습의 장이 필요하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5: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81

3. 교육 내용

지식기반사회에 적응하고 그 요구에 부응하려면 무엇보다도 방법론적인 학습능력, 대인

관계 능력, 그리고 매체활용 능력과 같은 핵심기초 능력이 필요하다(강무섭, 2001). 방법론

적 학습능력은 지식의 생명주기의 점차적인 감소와 일의 세계와 사회의 수요 변화, 그리고

개인이 책임을 지게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한다. 지식사회에서는 정보의

수집, 분류, 평가의 능력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사회 심리적 능력의 중요성은 원만한 관계

형성을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개방적 태도를 지니게 함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

다.

매체활용 능력은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점증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다룰 수 있

는 능력이 필요하다. 각종 매체활용 능력은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지식을 습득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4. 교육 방법

학교교육 부문의 학습조직화가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이

개편됨과 동시에 이를 전달하는 형태나 방법측면에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동시에 수반되고

있다. 특히 학습사회의 도래는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

인 학습, 팀 단위 학습 그리고 프로젝트에 기반한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학습조직이 학습사회의 축소판이라면 학습활동을 학교교육 이외의 부가적인 활동으로

생각하는 풍토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 공식적인 학교교육이 점차 줄어들면서 삶의 현장에

서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시기에 하는 교육정보나 지식을 적시에 충족시

킬 수 있는 적시교육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순히 기존의 교육방법이나 형태

를 바꾸기 앞서 고정관념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 한다. 교육형태 및 방법은 어디까지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5. 교육 조직

학교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갖는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이유

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제 학교조직은 삶의 현장과 긴 한 의사소통의 채널을 통해 보다

현장감 있는 학습용 소프트를 제공하고 학습장의 학습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학습 컨설팅 팀으로 그 역할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유

만, 1996).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6: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82

일상적인 업무 수행과정에서 동료교사들과 팀워크를 이루거나 또는 비공식적으로 상호

작용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학습을 촉발하고 학습 결과를 교사 전체가 공유

할 수 있는 구조와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김 화, 2001).

따라서 조직 내부에서 학습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명령통제 중심의 수직적 조직구조에서

조직 구성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되는 수평적 팀조직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

6. 교사의 역할

학습사회로의 진화는 교육과정 참여자의 새로운 역할과 임무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

러한 발전은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에 큰 향을 줄 것으로 기된다. 시키고 받는 타율적인

학습형태에서 탈피하여 교사는 지식습득과정에서 정보를 제공하며, 우선적으로 학습자를

책임감 있고 자율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자극하고, 지원하고, 고무하는 조언자의 역할

을 담당하여야 한다. 또한 팀별 학습에서 학습을 조직하고 지원하며, 학습자간, 교사와 학생

간, 교사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개자가 되어야 한다.

끝으로 학습과정 속에서의 적극적인 학습자, 동반자가 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교사, 학

생 모두에게 지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노종희, 1994). 그리고

교사는 학교가 변화의 핵심부서로서 부각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활동

을 촉진시키는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7. 학교 행정가의 역할

학교장의 리더십은 학습조직화 수준에 미치는 상당한 향을 미친다(Leithwood, 2000).

학교장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의 역량을 확대시키는 설계자, 교사, 안내자

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장의 경 관에 따라 편성․운 되는

것보다는 모든 교사들이 참여하고 인식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반조성이 필요하다. 학교장

의 역할이 감시, 통제적 의미에서 조정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어 진다. 교사들에게 업무 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함께 보상제도를 활성

화하여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7: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83

Ⅴ. 결론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학습조직이론을 대안적 관점에

서 조명해 보았다. 오늘날 학교조직은 행정관리 체제라는 고전적 조직 개념에 탈피하지 못

한 채 과거의 행태를 답습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대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학

교는 교실 수업과 교직원의 학습을 통한 통합적인 환경체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외부의

환경변화에 비추어 보았을 때 학습조직은 과거의 경 혁신 기법처럼 한때의 유행으로 끝날

수 없다. 왜냐하면 학습은 곧 삶이요, 일 자체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학교조직은 과거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

을 지닌 역동적인 학교조직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 개개인의 행

동 특성에 변화와 더불어 여건 조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의 학습능

력과 자발성을 신뢰하고 존중되며, 주체적 학습활동이 정당화될 수 있는 학습하는 학교조

직이 요구되어 진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을 적극적으로 지향하는 교원문화가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제 학교교육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문을 굳게 닫은 채 전개되는 공식적인 제도교육만을 지칭하지 않

는다. 학교 밖에서 일상적 삶과 관련지어 일어나는 다양한 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발달에

향을 미치는 측면에서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학교 밖에서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활동이 적

극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평생학습의 필요성 및 실천적 방안이 제도적

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활동의 학습활동에 대한 상대적 우월성을 탈피해야 할 것이다. 학습조직에서

학습이 시사하는 바는 단순한 개념상의 변화가 아니라 교육철학의 변화이며 패러다임의 변

화를 의미한다. 타율적인 교육에서 자율적인 학습으로서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교원들에게

보다 많은 역할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셋째, 학습조직의 구축 전략으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신속한 전

파 공유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자신들이 축적한 각종 Know-How나 가치로운 지식은 동료

교사들간에 서로 공유될 수 있는 협력체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조직에 미래지향적인 학습조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핵심 리더인 학교

장의 지도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학교장의 역할은 기존의 행정이나 관리면

보다 수업을 지원하는 지도성에 강조되고 있다. 이에 교장은 교사의 수업지원과 권한부여,

현직연수를 통한 전문성 개발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성숙된 학습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육활동의 핵심주체인 교사의 사회․심리

학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8: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84

여섯째, 유연한 학습조직의 구축으로 인해 교장과 교사에게 의식전환을 요구하며, 나아가

교직원 상호간에 신뢰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학습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

다.

학습조직은 변화와 혁신을 암시한다. 변화를 활용하는 길은 학교 구성원 개개인의 잠재

적인 역량을 결집시키는데 있다. 조직 구성원들이 학습문화를 체질화할 때만이 학교의 학

습조직화는 가속화될 것이다.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19: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85

참고문헌

강무섭 (2001). 학습조직과 인적자원 개발. 교육마당 21(3).

권석균 (1996).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조직학습의 이론과 논쟁”, 삼성경제연구소, (31).

김 화 (2001). 평생학습사회와 교단의 학습조직화. 교육마당 21(5).

노종희(1994). 초우량 학교 건설을 위한 전략적 리더십. 교육월보(9),

박광량 (1996).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박수연 (2001). 미래의 학교지도자가 가져야 할 가치관. 교육행정학연구,19(4).

손태원 외(1996). “학습군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분류적 접근”, 한국인

사조직학회, (5).

유 만 (1996). 학습조직과 창조적 교육파괴. 교육연구정보, 23(3).

유현숙 외(1999).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 정책방향과 과제. KEDI 연구보고,

99-10.

이군현 (1997). 학습조직이론의 교육조직에의 적용에 관한 탐색연구. 교육행정학 연

구, 15(3),

정진곤 (1999).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교수․학습목표와 내용의 혁신. 교육

마당 21(6).

허숙 (2001). 초등학교 교실의 문제와 진단. 한국초등교육학회, (10), 3-4.

Anderson, B. L (1993). The stages of systemic change. Educational Leadership,

51(1), 14-17.

Argyris, C. (1991). Teaching smart people how to learn. Harvard Business

Review, 69(3), 99-109.

Argyris, C., & Schon, D. P(1996). Organization Learning A Theory of Action

Perspective, MA Addison Wesley.

Beck, L. G. School-Based Management as School Reform. CORWIN PRESS, 1995.

Burrel, G., & Morgan, G. Sociological Paradigm and Organizational Analysis.

London: H.E.B, 1980.

Draft, R. L.,(1997). 8 Management, 4th, Dryden Press.

Garvin, David A.(1993). "Building a learning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pp.79-91.

Gardner, H. (1991).The unschooled mind: How children think and how schools

teach. New York: Basic Books.

Goodlad, J. (1984). A place called school: Prospects for the future. New York:

McGraw-Hill.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20: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敎育行政學硏究86

Hargreaves, A.(1988). "Teaching Quality: A Sociological Analysi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3). pp.211-131.

Huber, G P.(1991) "Organization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 and

Literature", Organization Science, vol 2, pp. 88-115.

Hoy, W. K., & Miskel, C. G(2001).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th ed.). N.Y: McGraw-Hill.

Lortie, K. S. et al.(1996). "Putting Teachers at the Center of Reform: Learning

School and Professional communities". NASSP Bulletin, 80(580). pp.9-21.

Isaacson, N., & Bamburg, J. (1992). Can schools become learning organizations?

Educational Leadership, 50(3), 42-44.

Marquardt, M. T.(1996). Builb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McGraw-Hill

Mayer, R. E.(1998). Models for understandi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

43-64.

Leithwood, K., & Aitken, R.(2000). Making Schools Smarter. California: Corwin

Presss, Inc.

O'Neil, J. (1995). On schools as learning organizations: A conversation with Peter

Senge. Educational Leadership, 52(7), 20-23.

Pedler, M., Burgoyne, J & Boydell, T.(1991). The Learning Company: A Strate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ondon. McGrow-Hill.

Rosenholtz, S.(1988). Teachers' Workplace. New York: Longman.

Sarason, S. B.(1995). Somer reactions to what we have learned. Phi Delta Kappan,

77(1), 84-85.

Senge, P. M.(1990a).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urrency Doubleday.

Senge, P. M.(1990b). The fifth discipline fieldbook :The leader's new work:

Building Learning organizations. Sloan, Management Review: Reprint Series,

32(1).

Senge, P. M.(2000), A fifth discipline: schools that learn New York: Currency

Doubleday.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

Page 21: 4FOHF D ß # Ò I ÿ D ß ® x À à Ë ³¹€희규.pdf · 2017. 1. 9. · *orvjsjoh gps bqqmzjoh -fbsojoh 0shboj[bujpo 5ifpsz jo 4dippm)ff ,zv ljn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의 학교 적용에 관한 연구 87

ABSTRACT

Inquiring for apply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in School

Hee- Kyu kim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possibilities for inquiry into the dynamics of a

learning organization in school by an alternative plan of existing paradigm to the

school settings.

For 21st century, school organizations need to acquire new information,

process it, make it a new knowledge creatively, shared it with all faculty within

the school, further to apply it to their real job settings promptly.

Accordingly learning organization is a system that creates new values, which

is focused on changes. also it is holds a learning models in common in every

dimension. The individual enterprise try to cope with a change in economic

circumstance, but public organization doesn'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varying scholars'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s of the five

key discipline by Peter Senge to build the learning organization: personal

mastery, shared vision, mental model, team learning, system thinking.

The findings noted that the initial object of change in education is not

students, the classroom, or the system; it is the attitudes and conceptions of

educators themselves. this remind that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things; it is a

people situation

Not just administrator, parents, community but also the groups of people

that most influence on learning in school- the educators and learners.

Copyright (C) 2003 NuriMedia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