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교사용)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 Upload
    ukddong

  • View
    342

  • Download
    31

Embed Size (px)

DESCRIPTION

학교폭력 예방 종합포털사이트에서 다운로드받은 자료입니다.이것은 교사를 위한 또래조정 운영매뉴얼입니다.

Citation preview

Page 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또래조정운영 매뉴얼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교사용)

Page 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또래조정의 이해

1. 또래조정이란? 9

2. 또래조정 프로그램의 학교 도입 이유 11

3. 또래조정의 장점과 기대 효과 12

4. 또래조정의 성공 조건 14

5. 또래조정의 발달과 국내 도입경과 15

또래조정 절차

1. 또래조정의 전과정 19

2. 또래조정 준비 과정 20

3. 또래조정 본 조정 절차 24

CONTENTS | 목차 |

제1장

제2장

Page 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1.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단계 34

2. 1단계 : 준비 36

3. 2단계 : 선발 40

4. 3단계 : 교육 53

5. 4단계 : 운영 57

6. 5단계 : 평가 66

7. 계획서 작성 74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1. 동아리 단위 78

2. 학급 단위 90

3. 학생회 105

4. 기타 110

참고문헌 117

Q & A 118

제3장

제4장

Page 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 표 목차 |

<표 1> 또래조정 절차 및 전과정 19<표 2>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단계별 주요 내용 34<표 3> 준비단계 핵심 요소 및 주요 내용 36<표 4> 적용대상별 특징 37<표 5> 교육시간 운영형태별 특징 38<표 6> 운영·관리 단위별 특징 39<표 7> 요소별 주요 내용 40<표 8> 시기별 홍보 중점 사항 41<표 9> 대상별 홍보 내용 42<표 10> 요소별 주요 내용 53<표 11> 조정자 기초교육 주제 및 차시 54<표 12>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주제 및 차시 56<표 13> 요소별 주요 내용 57<표 14> 운영준비 주요 내용 58<표 15> 발대식 식순별 진행 내용 58<표 16> 운영관리 주요 내용 62<표 17> 추수지도 주제 및 차시 65<표 18> 요소별 주요 내용 66<표 19> 운영과정 평가의 주요 내용 67<표 20> 사례평가 주요 내용 70<표 21> 조정자역량평가 주요 내용 72

Page 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 예시 목차 |

[예시 1]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 5단계 요소별 체크리스트 35[예시 2] 또래조정프로그램 안내 가정통신문 43[예시 3] 교사연수자료 44[예시 4] 또래조정자 선발 절차 47[예시 5]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앞면 48[예시 6]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뒷면 49[예시 7] 또래조정자 선발을 위한 면접 지침 50[예시 8] 또래조정자 면접 심사표 51[예시 9] 또래조정자 1차 선발 집계표 51[예시 10] 또래조정자 임명장 52[예시 11] 또래조정자 교육 일지 55[예시 12] 조정자교육 출석부 55[예시 13] 또래조정자 표식 59[예시 14] 또래조정자 선서문 59[예시 15] 또래조정자 신청서 60[예시 16] 또래조정자 수첩 구성 61[예시 17] 또래조정자 합의서 64[예시 18] 또래조정 업무담당자 평가서 68[예시 19] 또래조정 참가자 평가서 68[예시 20] 또래조정 운영 설문지 69[예시 21] 또래조정 사례 평가지 71[예시 22] 또래조정자 조정역량 설문지 73[예시 23] 또래조정 운영계획서 74[예시 24] A 초등학교에서의 동아리 조직 기초조사표 82[예시 25] A 초등학교에서의 동아리 조직표 83[예시 26] A 초등학교 또래조정 운영계획서 84[예시 27] B 초등학교 또래조정 운영계획표 88[예시 28] C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또래조정 운영계획표 93[예시 29] D 초등학교에서의 교과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98[예시 30] 중학교 교과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104[예시 31] E 초등학교에서의 학생회 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109[예시 32] F 초등학교에서의 또래조정훈련 토요프로그램 가정통신문 113[예시 33] F 초등학교에서의 또래조정훈련 토요프로그램 가정통신문 114

Page 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Page 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또래조정이란?

2. 또래조정 프로그램의 학교 도입 이유

3. 또래조정의 장점과 기대 효과

4. 또래조정의 성공 조건

5. 또래조정의 발달과 국내 도입경과

또래조정의 이해제1장

Page 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Page 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

1 또래조정이란?

1) 조정(mediation)1)2)이란

�갈등당사자들이�중립적인�제3자의�지원�하에�자발적으로�대화함으로써�당면한�

문제를�해결해가는�과정이다.

- �갈등상황에�대해�각자의�관점에서�설명함으로써�상대방의�입장을�이해할�기회를�갖는�

한편,�공통의�문제를�규명한�후�합의를�이루어가는�단계로�진행된다.

-�조정자(mediator)는�해결방안에�대해�조언하거나�해결책을�강요하지�않는다.

2) 또래조정(peer mediation)이란

�또래�사이에�발생한�갈등상황에�대해�또래들�간에�조정과정을�진행하는�것을�말한다.

- �일반적으로�선발된�소집단을�대상으로�갈등해결교육�및�또래조정자�훈련을�실시한다.

-�훈련받은�또래조정자(peer�mediator)들이�또래들�간�갈등해결을�돕는다.�

1) 조정(mediation)에는평가적(evaluative)조정,지원적(facilitative)조정,전환적(transformative)조정과같이다양한방식이

존재한다.평가적조정이란조정자가당면한이슈에대한전문가로서최적의해결책이무엇인지를판단해주는방식이고,지원적

조정은조정자가결정을내리는것이아니라갈등당사자들이정해진단계에맞춰스스로문제해결방안을모색하고합의에이를

수있도록돕는방식이며,전환적조정이란조정자가조정의단계를강조하는대신갈등당사자들이문제를둘러싼이해당사자들의

다양한관점을이해할수있는역량을기를수있도록돕는데초점을맞추는방식이다(AsianPacificAmericanDispute

ResolutionCenter,2012).이러한맥락에서볼때현재국내에서시범운영되고있는또래조정의방식은지원적(facilitative)

조정의방식을따른다고할수있다.

2) mediation을우리말로어떻게해석할지에대해의견이나뉘고있다.대안적갈등해결방식에는협상(negotiation),

중재(arbitration),조정(mediation)이대표적인데,내용구분을위해각방식을간략히구조화하면협상(negotiation)은당사자

간의문제해결방식,중재(arbitration)는중립적제3자가결론(판결)을내려주는방식,조정(mediation)은중립적제3자의도움을

얻어당사자들스스로합의점에도달하는방식이다.국내에서는환경갈등조정위원회와같이조정이라는표현을쓰지만,실제로는

중재(arbitration)를주요기능으로하는경우가많아조정과중재라는용어가혼용되어사용되고있다.이에대해1990년대후반

국내에peermediation을소개한사람가운데한명인강영진박사는조정대신거중조정(居中調整)의줄임말인중조라는용어를

제안하고있다.이방식이mediation의본뜻을나타내는데적절하다고본것이다.이러한배경에서peermediation도또래중재,

또래조정,또래중조와같은다양한용어로해석되고있다.이연구에서는교육부사업명칭인또래조정을사용하는데,peer

mediation이또래간갈등에대해다른또래가해결방식을제시해주는방식이아니라,갈등당사자들이대화를통해문제를해결할

수있도록훈련받은중립적또래가도와주는방식이라는점을인지하는것이무엇보다중요하다. 

Page 1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 제1장 또래조정의 이해

3) 기본 가정

�학생들의�삶에서�갈등은�필연적�현상이며,�해결�방식에�따라�결과가�좌우된다.

- �방치된�갈등은�갈등당사자인�학생,�친구,�가족,�이웃들에게�피해를�주지만,�창의적으로�

해결하면�성장과�변화의�원동력이�되고�더�깊은�관계�발전의�계기가�된다.

�학생들도�적절한�훈련과�지속적�지원�받으면�자신들의�갈등을�스스로�해결할�수�

있다.

-�학생들�스스로�자신들의�감정과�행동을�통제할�수�있는�책임감을�지니게�된다.

�본래�교육은�창의적이고�협력적인�문제해결�역량을�키우는�데�목적을�두어야�한다.

-�또래조정�훈련�통해�학생들은�소통하고�협력하는�기술을�익히게�된다.�

4) 또래조정의 원칙

�자발성의�원칙

- �갈등당사자들은�조정에�자발적으로�참여해야�하며,�언제�또는�어떤�이유에서건�조정을�

중단할�수�있다.�

�협력의�원칙

- �갈등당사자들은�힘을�합쳐�문제를�해결해야�하며,�자신들이�생각하기에�가장�공정하면

서도�건설적인�합의를�이루도록�노력해야�한다.�

Page 1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1

2

�통제의�원칙

- �갈등당사자들은�모든�결정권한을�가지게�된다.�조정의�전�과정에서�갈등당사자들은�

자신들의�의견을�관철시킬�수�있고�어떠한�강요도�받지�않는다.�

�비밀보장의�원칙

- �열린�분위기에서�정직하게�소통하기�위해서는�조정과정에서�다뤄진�얘기에�대해�

비밀보장이�담보되어야�한다.�

�중립성의�원칙

- �조정자는�양�갈등당사자를�공평하게�대해야�한다.�따라서�갈등�당사자들은�조정자가�

공평하지�않다고�느낄�경우�문제를�제기할�수�있다.�

또래조정 프로그램의3) 학교 도입 이유

1) 학교폭력의 예방

�학교는�모든�학생들이�안전함을�느끼고�각자의�가치를�인정받을�수�있는�공간이어야�

한다.

- �이를�위해서는�학교폭력의�예방이�기본적으로�전제되어야�하는데,�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의�하나로서�또래조정의�효과는�경험적으로�검증된�바�있다.��

2) 민주시민으로서 학생들의 역량 강화

�자신을�표현하고�갈등을�해결하는�역량은�민주시민으로서의�중요한�덕목이다.�

3) 또래조정프로그램이란학교내에서발생한갈등을해결하는방식으로또래조정자들에의한조정이이루어질수있도록또래

조정자들을훈련시키고지원하는프로그램을의미한다(TheAssociationforConflictResolution,2007).

Page 1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2 제1장 또래조정의 이해

3

- �학교는�학생들이�타인과�어울려�사는�법을�익히고,�민주사회의�책임�있는�시민으로�

성장할�수�있도록�지원하는�공간으로서�기능해야�한다.�

- �갈등해결�교육과�또래조정�훈련을�통해�비폭력적인�방식으로�문제를�해결할�수�있는�

역량�형성의�기회를�제공한다.

또래조정의 장점과 기대 효과

1) 또래조정의 장점

�문제의�빠른�해결

-�문제가�법적�공방으로�이어짐으로써�문제해결이�지연되는�것을�방지한다.�

�상호�만족하는�결과의�도출

- �누군가의�판결에�의하기보다는�당사자들이�합의해�문제를�해결했을�때�결과에�대한�

만족도가�높다.

�합의결과의�높은�준수�가능성�

-�자발적으로�도출한�합의안이므로�합의결과를�준수할�가능성이�높다.�

�종합적이고�상황에�맞는�합의안�도출

- �조정과정에서�절차적�문제와�심리적�문제�등이�종합적으로�다뤄지므로�포괄적이면서�

맥락에�맞는�최적의�결과�도출이�가능하다.�

�결과에�대해�통제와�예측이�용이

- �중재(arbitration)�등에�비해�조정과정에서는�얻게�될�편익과�비용에�대한�통제와�

예측이�용이하다.�

�개인�역량의�강화

-�상대와의�협상과정에서�스스로의�힘을�발견하거나�역량을�증진시킬�수�있다.�

Page 1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3

�지속적�관계의�유지

- �대결방식이�아닌�협력적�문제해결방식을�추구하므로�상대와의�지속적�관계�유지가�

가능하고,�관계를�끝내는�경우라�하더라도�우호적�분위기를�유지하는�것이�가능하다.�

�합의안에�대한�높은�이행가능성

- �조정과정에서�실행을�위한�구체적인�전략�등이�논의되기�때문에�합의�결과에�대한�이행�

가능성이�높다.�

2) 또래조정의 기대효과

�학교폭력의�예방�효과

- �또래들의�문제를�조기에�발견해�해소함으로써�사소한�갈등이�심각한�사고로�발전하지�

않도록�예방한다.�

�평화로운�학교�분위기�조성

- �서로의�차이를�인정하는�가운데�상호�신뢰를�쌓음으로써�안전하고�밝은�학교�분위기를�

조성한다.

�문제해결�능력�향상과�대인관계의�질�개선

-�삶의�기술(life�skill)로서�문제해결과�갈등해결�능력을�함양한다.�

-�자신은�물론�상대방에�대한�깊은�이해를�통해�대인관계의�질을�개선한다.

Page 1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4 제1장 또래조정의 이해

4 또래조정의 성공 조건

1) 일정 수준의 또래조정 신청 사례

�또래조정에�대한�신청�사례가�없을�경우�또래조정자들이�조정�기회를�갖지�못하며,�

그�결과�또래조정�프로그램이�학교에�정착되기�어렵다.�

*�최소�1주에�1건�수준의�또래조정�신청�사례가�유지되면�좋다.�

2) 학교관리자의 의지와 지원

�또래조정�프로그램에�대한�학교구성원들의�저항�내지�프로그램�운영을�막는�학교

규정�등��구조적�걸림돌�극복에�대한�관리자의�관심과�의지가�필요하다.�

- �갈등사안에�대해�또래조정이�적용될�수�있는�여건�마련과�또래조정자의�노력을�

인정하는�학교분위기�조성이�필요하다.�

* �교직원�대상�또래조정�훈련�실시�또는�일반�교과과정에�갈등해결�교육�반영하는�방안�등도�

고려할�수�있다.�

3) 또래조정 운영담당자(coordinator)의 전문성

�또래조정�프로그램의�운영�전반을�관리하는�인력�필요

- �또래조정�프로그램에�대한�운영담당자의�깊은�이해와�프로그램�운영을�위한�시간이�더�

많이�확보될수록�프로그램�운영의�성공가능성은�높아진다.�

Page 1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5

5 또래조정의 발달과 국내 도입경과

1) 또래조정의 발달과정

�양차대전�이후�학교�내�평화교육�및�갈등해결�교육�필요성�고조되었다(1960-70s).

- �가족갈등,�지역사회갈등,�직장�내�갈등�해결�관련해�대안적갈등해결방식(ADR:�

Alternative�Dispute�Resolution)이�유용성�인정받으면서�교내�갈등해결교육�도입이�

탄력을�받게�되었다.

* �미네소타�대학�D.�Johnson과�R.�Johnson에�의해�TSP(Teaching�Students� to�be�����������

Peacemakers)�프로그램이�개발되었다.

*�퀘이커�교사들에�의한�비폭력�트레이닝이�진행되었다.�

�학교�내�또래조정�프로그램의�체계적�운영이�확산되었다(1980s).

-�지역사회�조정센터(mediation�center)�등이�교내�갈등해결�교육�체계화에�기여하였다.�

*�San�Francisco�Community�Board의�Conflict�Managers라는�프로그램이�대표적�예이다.

- �NAME(National�Association�for�Mediation�in�Education,�1984)�설립�통해�갈등해결�

교육�프로그램의�교내�도입이�지원되었다.

*�NAME�설립�4년�뒤인�1988년�또래조정�프로그램�수가�200여개로�증가되었다.�

- �NAME에서�주최한�회의가�또래조정이�캐나다,�오세아니아,�유럽�등으로�확산되는�

계기로�작용하였다.�

�갈등해결과�또래조정이�학습역량�증진과�함께�필수적인�교육과정으로�인정되었다.

-�’03년�기준�미국의�초·중·고교의�75%에서�또래조정�프로그램�운영되었다.�

2) 국내 도입경과

�‘학교폭력�해결을�위한�또래중재프로그램과�갈등해결교육’이라는�신동아�기사�통해�

최초�소개되었다(’99년)�.

�민족회의,�여성연합,�평화를�만드는�여성회�공동�주최로�진행된�‘갈등해결�전문가�

훈련�프로그램’에서�또래조정이�소개되었다(’99-’01).

Page 1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6 제1장 또래조정의 이해

�평화를�만드는�여성회�부설�갈등해결센터에서�서울시교육청의�의뢰를�받아�또래조정�

워크숍�교사�직무연수를�실시하였다(’04).

* �평화여성회�갈등해결센터에서는�’04년에서�’11년까지�10여개�초·중·고교�대상�또래조정�

교육프로그램을�운영하였다.

�정부차원에서는�최초로�경기도교육청에서�도내�10개�중·고교를�대상으로�또래조정�

프로그램�시범사업을�운영하였다(’11).

�교육부�주관�전국단위�79개�초·중·고�학생�1,304명을�대상으로�또래조정�프로그램�

제1차�시범사업을�운영�하였다(’12).

- �90개�초·중·고교�학생�1,800명을�대상으로�또래조정�제2차년도�사업을�시행�

하였다(’13).

Page 1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또래조정의 전과정

2. 또래조정 준비 과정

3. 또래조정 본 조정 절차

또래조정 절차제2장

Page 1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Page 1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9

1 또래조정의 전과정

<표 1> 또래조정 절차 및 전과정

단계 주요 활동

1.갈등발생 또래사이에 갈등 발생

2.조정신청 자발적 신청 및 신청 권유

3.분류, 조정자 배정 또래조정가능여부 판별, 희망 조정자 배정, 임의 배정, 2인 공동 배정

4.갈등확인, 동의확보 갈등에 관한 사실관계 파악, 개별 면담, 조정동의

5.조정준비 조정 계획(시간, 장소) 세우고 당사자 초대

6.본 조정

1단계: 소개와 대화 규칙 만들기

2단계: 이야기하기 및 듣기

3단계: 문제 찾기

4단계: 갈등해결책 탐색

5단계: 합의

6단계: 평가

7.이행여부 모니터링 합의이행여부 관찰, 필요에 따라 재조정 권유

갈등확인, 동의확보

조정준비

본조정

이행여부 모니터링

갈등발생

조정신청

분류, 조정자 배정

1

2

3

4

5

6

7

Page 2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0 제2장 또래조정 절차

2 또래조정 준비 과정

1) 조정신청

학교�내�갈등이�발생하였을�때,�갈등조정은�갈등당사자�또는�관련자의�조정�신청이�

있는�경우에�개시될�수�있다.�학교에서의�또래조정이�제도화(공식화)되어�있을�경우,�

일반적으로�갈등의�한쪽�당사자가�조정�권한이�있는�또래조정팀�또는�또래조정�

지도교사에게�갈등�발생�일자,�갈등관련�학생,�갈등이�발생한�장소,�간략한�사건의�

진술,�조정�신청인의�성명�등이�기재된�문서로�갈등�조정을�신청할�수�있다.�일반적으로�

신청서가�접수되면�또래조정�지도교사�또는�또래조정팀에서는�상대�당사자를�만나�

조정신청�사실을�알리고,�조정을�통해�갈등을�해결할�의사가�있는지�확인�과정을�

거치게�된다.4)

또래조정의�신청은�갈등당사자의�자율적�신청이�기본이지만,�또래조정�지도교사,�

일반교사나�상담교사,�교내�행정가,�학부모,�갈등당사자�학생들의�친구�등이�

또래조정을�권유하거나�신청할�수도�있다.�또는�갈등�현장에서�또래조정자가�

즉각적으로�개입하여�조정을�권유하거나�실시할�수도�있다.�갈등�현장에서�

또래조정자가�우발적으로�개입할�경우�또래조정�과정은�약식으로�진행되어�현장에서�

해결될�수도�있다.�갈등이�어느�정도�정리된�이후,�사후적으로�또래조정�과정을�활용할�

수�있다.�또한�학교�선도�절차�또는�학교�교칙과�연계하여,�학생들의�선도과정에서�

갈등당사자들을�조정에�회부하는�방안이�있을�수도�있다.

그러나�또래조정이�성립되는�것은�자발적�요청에�의한�것이든,�권유에�의한�것이든,�

또는�선도과정에서�회부되는�것이든�갈등(갈등)당사자�모두의�동의가�있어야�한다.�

4) 현재한국에서는또래조정팀을별도로구성하지않고또래조정지도교사가또래조정과정을총괄감독하고진행하는것이현실적

이다.이후또래조정프로그램이활성화·제도화되면또래조정과정을또래조정팀또는또래조정위원회에서총괄하여감독·진행

할수있다.이하에서는또래조정과정을또래조정지도교사가총괄하는것으로가정하고설명한다.

Page 2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21

또래조정�요청서와�신청함은�모든�교실,�주요�학교�사무실,�프로그램�지도교사�사무실,�

또래조정�게시판,�조정�센터,�그리고�학생들이�쉽게�접근�가능한�장소�등에�비치되어야�

한다.�또래조정�지도교사는�적어도�하루에�한�번,�각�신청함으로부터�신청서를�

수거하는�것이�바람직하다.�

2) 분류

또래조정�지도교사가�조정�신청을�기록·정리한다.�또래조정�지도교사는�또래조정�

절차를�진행하기�전에�우선�갈등�자체가�또래조정에�적합한�사안인지�그렇지�않은지�

판단해야�한다.�예를�들어�아래와�같이�학교�폭력이나�범죄에�해당하는�심각한�

문제들은�또래조정에서�다룰�수�없다.

-�심각한�정신적,�육체적�폭력�행위(민·형사상�소송�제기�등)

-�성�관련�문제(성범죄�또는�성희롱)

-�금품갈취,�심한�따돌림�등

다음과�같은�문제들은�상대적으로�또래조정�대상이�될�수�있다.

-�친구들�간�소문이나�험담으로�인한�오해

-�친구들�간�관계

-�편견�또는�선입견으로�인한�갈등

학생들 간의 갈등이 학교폭력으로 분류되는 사안일 경우 법적 절차에 따라 학교폭력대책자치

위원회에 신고 및 자체 절차를 밟는다.

tip

Page 2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2 제2장 또래조정 절차

3) 조정자 배정

또래조정�지도교사는�해당�갈등에�적합한�또래조정자를�찾기�위해�또래조정자�목록을�

점검한다.�경우에�따라,�여학생은�여학생이�남학생은�남학생이�조정하는�것이�적합하고�

도움이�될�수도�있다.�

또래조정�지도교사는�또래조정자와�갈등당사자의�관계,�조정자와�갈등당사자의�학년과�

나이,�조정자의�조정�경험�빈도�등도�고려하여�또래조정자를�배정해야�한다.�적합한�

또래조정자의�선발은�누가�갈등에�관련되어�있고�이슈가�무엇이냐에�따라�달라진다.�

만약,�특정�또래조정자�권유�또는�또래조정자의�갈등�현장�개입으로�또래조정이�

시작되는�경우에는�특정�또래조정자가�조정활동을�진행할�수도�있다.

또래조정은�1인�조정자에�의해서�진행될�수도�있고�2인이�공동으로�조정활동을�진행할�

수도�있다.�일반적으로�저학년,�또래조정�초기에는�공동�진행이�효과적일�수�있다.�

공동�진행의�경우�조정자�간의�장·단점을�서로�보완할�수�있는�장점이�있다.�2인이�

공동조정을�하게�될�경우�주진행과�보조�진행(조정과정�기록,�관찰,�제한적�조정절차�

참여�등)으로�역할을�나누어서�진행하게�된다.�공동�진행의�경우�공동�진행자간의�

파트너십이�중요하기�때문에�사전에�또래조정�지도교사는�이를�주지시킬�필요가�있다.

또래조정자 배정 방안(미국사례)

- 사례별 배정(case-by-case assignment): 지도교사가 인종, 성, 사회적 다양성 등을 고려하여

특정 사례에 가장 적합한 조정자를 선발한다.

- 기간-팀 배정(period-team assignment): 공동 조정자들의 팀이 일정한 시간 동안 매일

할당된다. 이 경우 배정된 팀은 갈등 사례가 무엇이든 그들의 담당 시간 동안에 조정을 하게 된다.

4) 갈등 확인, 동의확보

또래조정자의�배정이�끝난�후,�또래조정자는�또래조정을�시작하기�위한�사전�준비를�

하여야�한다.�또래조정을�시작하기�전에�또래조정자는�갈등�당사자들과�따로�만나,�

tip

Page 2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23

문제�해결을�위해�또래조정을�실시할�것에�대한�동의를�받고�갈등에�관한�사실관계�

등�정보를�수집한다.�학생들은�또래조정이�자발적�과정이라는�것을�알�필요가�있다.�

만약�갈등�당사자�쌍방이�만나기를�희망하면,�또래조정자는�또래조정�계획을�수립하기�

시작한다.�

갈등�당사자들의�또래조정의�신청이�있은�후,�또래조정�지도교사와�또래조정자는�

가능한�빠른�시간�내에(최소�1일~3일)�신청이�접수되었다는�사실을�또래조정�

신청자에게�알려주어야�한다.�또래조정�프로그램�지도교사와�또래조정자는�신청서가�

접수된�후�5일~7일�이내에�또래조정의�개시�또는�거부�여부를�결정하여�또래조정�

신청자에게�알려주어야�한다.��

또래조정�지도교사와�또래조정자는�한�학생이�다른�학생에�의해�협박이나�위협당하지�

않도록�안전을�보장할�필요가�있으며,�이는�양쪽에�생산적인�경험이�될�수�있다.�

또래조정자는�갈등�당사자�쌍방의�일정�및�또래조정자의�일정을�확인한�후,�몇�가지�

가능한�시간과�날짜를�지정하여�관련자들에게�선택하게�한다.�이�과정에서�또래조정�

초청장을�작성하여�대상자에게�전달할�수�있다.�또래조정�시간이�불가피하게�수업시간�

내에�진행될�수도�있다.�만일,�수업시간을�활용할�경우에는�수업시간에�또래조정이�

개최될�것임을�교사에게�알리고�협조를�구한다.��

갈등으로 힘든 친구들은 신청해보세요~너도 혼자 고민하지

말고 신청해봐~

Page 2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4 제2장 또래조정 절차

3 또래조정 본 조정 절차

갈등당사자간�조정에�대한�합의가�있은�후에�또래조정자와�갈등�당사자�등은�

또래조정을�실행하기�위해�한자리에�모이게�된다.�이때�또래조정�활동에�대한�또래조정�

지도교사의�지도나�또래조정자의�훈련과�학습을�위해�또래조정�과정을�일부�공개하는�

경우,�갈등�당사자들의�사전�동의가�필요하다.�또래조정은�한�명의�또래조정자가�

조정을�진행할�수도�있으며,�두�명�이상이�팀을�이루어�조정을�진행할�수�있다.�각�

학교별로�적합한�모델을�선정하여�진행하면�된다.�또래조정은�일반적으로�다음과�같은�

단계를�거친다.

1단계:소개와 대화 규칙만들기 2단계:이야기하기 및 듣기

3단계:문제 찾기4단계:갈등해결책 탐색

5단계:합의 6단계:평가

Page 2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25

1) 1단계: 소개와 대화 규칙 만들기

또래조정자�및�참여자를�소개한다.�객관적이고�공식적으로�또래조정자�자신과�다른�

또래조정자�또는�협력자가�있다면�협력자,�그리고�조정에�참여하는�모든�사람들을�

소개한다.

또래조정자 모형

•단일 조정자 모형: 한 명의 조정자가 갈등을 조정함.

•공동 조정자 모형: 두 명 이상의 조정자가 갈등을 조정함. 예를 들어, 네 명이 하나의 조정 팀을

이루는 경우, 두 명의 조정자는 실제 조정을 하고, 세 번째 조정자는 합의

사항을 정리하여 적고, 마지막 네 번째 조정자는 조정 후에 보고할 관찰

보고서를 작성함.

또래조정자 소개(예시)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의 조정자 __________입니다. 제 이름은 __________이고, 저와 함께 할

또래조정자(또는 협력자)는 __________입니다. 이미 서로 알고 있기는 하지만 각자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단계에서는�또래조정�과정의�일반적�특성과�또래조정자의�역할을�소개한다.�조정은�

당사자들의�동의에�의해�시작되고,�당사자들�스스로�문제를�해결해�나가는�과정이며,�

또래조정자는�중립적으로�당사자들의�의사소통�및�문제해결을�돕고,�또래조정�

과정에서�일어나는�일이나�이야기들에�대한�비밀이�보장된다는�이야기를�한다.�그리고�

또래조정자는�조정자로서�자신의�역할을�설명한다.�즉�조정�과정은�갈등�당사자들의�

의지에�따라�진행되는�것이며,�문제해결을�결정하는�것은�당사자들의�역할이며�

책임이라는�점을�이야기�한다.�그러나�또래조정의�전�과정을�진행하고,�통제하는�것은�

조정자임을�설명함과�동시에�행동으로�보여주어야�한다.

tip

Page 2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6 제2장 또래조정 절차

또래조정의 일반적 특성 및 또래조정자의 역할 소개(예시)

“여러분은 오늘의 이 조정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둘 다 만족할만한 합의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조정자인 우리는 여러분의 문제를 풀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이 스스로 창조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또한 이 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비밀이 보장됩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 모두 이

과정에서 있었던 자세한 내용은 자신만 알고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약속하실 수 있나요?”

“또래조정자는 누구의 편도 들지 않으며, 조정과정에만 집중합니다. 또래조정자는 중립적이고,

모두를 평등하게 대우하며, 조언을 하지 않고, 모든 일들에 대해 비밀을 유지할 것입니다.”

또래조정�과정의�규칙에�대한�소개�또는�함께�정한�후에�동의를�받는다.�조정이�

진행되는�동안�갈등�당사자들이�함께�지킬�기본�규칙(Ground�Rule)에�대해�소개하거나�

또는�함께�정한�후�동의를�받는다.�기본�규칙으로는�문제�상황이나�사실을�규명하고자�

노력하기,�문제해결을�위해�노력하기,�진실을�말하기,�상대방의�이야기에�끼어들지�

않기,�서로�존중하기,�비방하지�말기�등을�들�수�있다.

또래조정 과정의 기본 규칙(예시)

“오늘 우리가 서로 만족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규칙을 정하기로 합니다. 첫째,

갈등 당사자들은 양쪽 모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둘째, 갈등 당사자들 모두 진실을

말하고자 해야 합니다. 셋째,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여기 있는 모든 사람들을 존중하여

상대방을 조롱하거나 거친 말로 비난 또는 험담하지 않습니다. 서로 욕하지 말고 협박하거나

비난하지 않습니다. 넷째, 한 번에 한사람씩 말하고 다른 사람이 말할 때 끼어들지 않습니다.

다섯째, 분노를 폭발하지 말고 비폭력적 방법으로 느낌을 이야기합니다. 만약 화를 참지 못할

경우엔 일시 중지를 요청하거나 이야기를 다음 순서로 연기해도 좋습니다. 여섯째, 서로가 합의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합니다. 이러한 규칙에 모두 동의하십니까? 혹시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규칙이 있다면 더 말씀해 주셔도 됩니다.”

또래조정의�과정(절차)에�대한�설명을�한다.�또래조정자는�조정을�시작하면서�갈등�

당사자들간에�우호감과�친밀감을�조성하여�합의에�도달할�것이라는�희망을�갖게�

하면서�긍정적인�분위기를�만들어야�한다.

Page 2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27

또래조정 과정(절차)에 대한 설명(예시)

“오늘의 조정은 모두 여섯 단계의 과정을 밟을 것입니다. 지금은 소개 과정이구요. 다음 단계에서

여러분은 방해를 받지 않고 자기 입장에서 돌아가며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 여러분은 풀어야 할 문제를 함께 논의할 것입니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대안

탐색 단계로, 문제를 풀 방안에 대해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함께 나눌 것입니다. 다섯째 단계는

제시된 해결책들을 평가하고, 해결방안들 중 갈등 당사자들을 만족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하여 합의서를 쓰게 될 것입니다. 여섯 번째는 새로운 출발인데, 여기에서 우리는 추후 실행할

일들에 대해 확인하고, 모든 평가를 끝낼 것입니다.”

참가자들에게�질문이�있는지�물어보고,�도입�단계를�마친다.

2) 2단계: 이야기하기 및 듣기

각�당사자들이�차례로�갈등의�원인,�진행과정,�이에�대한�자신의�입장과�요구,�감정�

등을�이야기하도록�한다.�이때�조정자는�다른�당사자가�이야기�도중�끼어들거나�하지�

않도록�기본�규칙을�상기키시고,�집행하는�것도�중요하다.

조정자는�적극적�듣기(Active�Listening)를�하여�당사자들이�존중감을�느끼면서�

이야기를�할�수�있도록�하고�갈등이�무엇인지를�파악한다.�조정자는�각�당사자들이�

서로�잘�이해할�수�있도록�바꾸어�말하기(Paraphrasing)를�통해�감정적,�인신�공격적�

말에�가시를�빼고�당사자들의�갈등과�요구하는�바를�중립적으로�드러낸다.�효과적인�

질문을�통해�드러난�갈등�외에도�묵은�감정이나�숨은�이익,�요구들을�당사자들이�

표현할�수�있도록�도와준다.

서로의�입장을�나누는�이야기하기�및�듣기는�조정과정의�가장�핵심적인�단계라고�할�수�

있다.�따라서�충분한�시간을�배분해야�한다.�이�단계를�통해�당사자들이�함께�문제를�

풀어갈�신뢰를�형성하고,�문제를�풀어갈�준비를�하는�단계이기�때문이다.�또한�갈등이�

발생하게�된�배경,�갈등의�역사,�서로의�관계,�강한�감정과�편견�등�갈등상황에서의�각�

Page 2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8 제2장 또래조정 절차

당사자들이�생각하는�바들을�드러내는�과정이기�때문이다.�문제가�무엇인지�자신의�

이야기뿐�아니라�상대의�이야기까지�충분히�드러내지고,�충분히�이해되어야�갈등의�

원인을�찾고,�해결�방법을�모색할�수�있기�때문이다.

조정을�하다보면�언제가�3단계로�넘어갈�수�있는�적절한�시점인가에�대해�헷갈려�하는�

경우가�종종�있는데,�조정자가�자신의�모든�직관,�판단,�그리고�육감을�이용하면�느낄�

수�있다.�때때로�3단계로�넘어간�뒤�다시�당사자들이�논쟁하고,�강한�감정을�표현할�

수도�있다.�이는�2단계�이야기�나누기�단계가�충분하지�않았음을�입증하는�것이다.�

그럴�때�다시�2단계로�되돌아오는�것을�두려워할�필요는�없다.�다시�여러�소통기술을�

이용해�당사자들의�이야기를�더�충분히�나눌�수�있도록�시간을�배분하는�것이�

필요하다.�

조정자는�당사자들이�충분히�이야기를�나눴다고�판단이�되면�“그럼�우리가�함께�

풀어야�할�문제를�규명하는�3단계로�넘어가볼까요”�하고�질문해볼�수�있다.�당사자들이�

동의하면�자연스럽게�다음�단계로�나아갈�수�있을�것이다.

3) 3단계: 문제 찾기

3단계는�갈등�당사자들의�쟁점이�무엇인지,�앞으로�함께�풀어야�할�문제가�무엇인지�

당사자�간에�합의를�보는�단계이다.

우선�당사자들이�갈등에�대해�공통적으로�인식하는�것과�서로�다르게�인식하는�것을�

구분하며�정리하고,�무엇을�중심으로�해결을�위한�논의를�해야�하는지�확인한다.�

이�과정에서�조정자는�당사자들�각자의�이해관계(Interests),�요구(Needs),�

문제(Problem)가�무엇인지�드러내고�함께�해결해야�할�쟁점이�무엇인지�명확히�할�수�

있도록�바꾸어�말하기,�질문을�통해�도와야�한다.�당사자들의�이해관계,�요구�등은�많은�

경우�숨겨져�있기�때문에�그것을�드러내도록�하는�질문은�쟁점규명�단계에서도�매우�

중요한�조정자의�기술이다.

Page 2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29

쟁점 규명 단계에서의 질문(예시)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어떤 것인가요?

오늘 여기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다른 사람이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길 바라나요?

3단계에서�조정자는�서로의�공통�기반을�찾는�노력을�하여야�한다.�조정자는�공통된�

기반을�중심으로�요약,�바꾸어�말하기를�통해�갈등�당사자들이�서로�원하는�것의�

공통점을�느끼고�논의에�더�적극적으로�참여할�수�있도록�도와야�한다.

4) 4단계: 갈등해결책 탐색

4단계의�목적은�갈등을�해결하기�위한�방안들을�찾는�것이다.�갈등의�근본원인을�

해소하고�당사자들이�받아들일�수�있는�해결책을�함께�모색한다.�

많은�경우�이�단계에서�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아이디어�탐색과�아이디어�

평가를�분리해서�현실성이�없는�아이디어라도�평가하지�않고�수용하여�창의적인�

대안(아이디어)을�찾아내는�방법)이�이용된다.�브레인스토밍은�당사자들의�창의성을�

북돋우고�여러�가지�선택적�옵션을�만들어내기�때문에�종종�이용된다.�이�단계에서�

당사자들은�문제를�해결하기�위한�다양한�가능한�해결책이�있을�수�있다는�가능성에�

대해�알게�하는�것이�중요하다.

5) 5단계: 합의

5단계는�대안�탐색�과정에서�나온�창의적�대안들을�평가하고,�양�당사자�모두�만족할�

만한�실행�가능한�합의안을�만드는�단계이다.

가능한�해결책들의�목록을�평가하기�위해�조정자는�갈등�당사자들이�각각의�제시안을�

고려하도록�도와야�한다.�제시안들이�양쪽�당사자�모두에게�공정한지,�실행가능한지,�

Page 3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0 제2장 또래조정 절차

실용적인지,�그리고�동의할�수�있는�것인지�결정해야�한다.�적절한�해결안을�

평가하는데�갈등당사자들을�돕기�위해�조정자는�다음과�같은�질문을�할�수�있다.

“이 내용에 동의하나요?”

“이 제안의 어느 부분이 유용하다고 생각하나요?”

“이 제안의 어느 부분에 동의할 수 있겠어요?”

갈등�당사자들이�실행가능성이�낮은�대안을�선택하려고�할�때�다음과�같이�질문을�

할�수�있다.�이는�당사자들이�보다�가능성�있고�구체적인�합의를�할�수�있도록�돕는�

것이다.

“그것이 실행 가능하나요?”

“그것을 어떻게 실행하시려고 하나요?”

“언제 그것을 할 예정인가요?”

“언제까지 해서 완성하려는 계획인가요?”

만약�한쪽이�비논리적인�요구를�바꾸려고�하지�않을�때�다음과�같이�질문할�수�있다.

“다른 사람은 이 안을 통해서 어떤 혜택을 볼 수 있지요?”

“이 내용이 그 쟁점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요구를 어떻게 만족시킬 수 있나요?”

또한�토론자�모두가�다른�사람의�요구에�동의하지�않으면�다음과�같이�질문할�수�있다.

“이 합의의 어떤 부분에 반대하나요?”

“이 내용에 대해 왜 하고 싶지 않은지 이유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줄래요?”

“당신이 기꺼이 할 수 있도록 추가하고 싶은 내용이 있나요?”

Page 3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31

해결책에�대한�합의는�당사자�모두�만족하는�내용이어야�한다.�만약�한쪽이�더�

주도적이거나�더�힘이�세다고�느낄�때�약자�쪽�당사자가�그의�요구를�간과한�합의안에�

동의하기�쉽다.�조정자는�합의안이�균형�있고�공평하도록�최선을�다해야�한다.�

모든�절차가�원만하게�이루어지고�합의�사안들이�동의되어�합의문을�작성하는�단계에�

이르면�갈등�당사자들은�자필로�주어진�합의문에�최종적으로�서명한다.�합의서는�6하�

원칙에�따라서�구체적으로�작성해야�한다.�노력한다든가,�잘�해보자든가�하는�추상적�

표현이�아니라,�누가�언제�어디서�무엇을�어떻게�할�것인지�일시�장소�등을�비롯해�

구체적으로�서술해야�한다.�합의가�지켜지지�않을�때�어떻게�할�것인지에�대해서도�

합의한다.�합의서는�다양한�양식이�존재할�수�있다.

또래조정자는�합의문을�복사해서�갈등�당사자에게�나누어주고�본인도�한�부�보관한다.�

합의에�도달하지�못했을�경우,�조정자는�조정을�통해서�합의안에�도달하지�못한�결과에�

대해�토론하도록�당사자들을�이끌�수�있다.�합의에�도달하지�못했다고�해서�조정이�

실패했다는�것을�의미하는�것은�아니다.�비록�합의는�하지�못했다�하더라도�갈등�

당사자들이�서로�대화하는�공간을�제공하고,�다른�이들에게�자신의�갈등과�문제를�

이야기할�수�있었다는�것만으로도�조정�이전보다는�당사자들의�관계에�있어서�진전을�

가져올�수�있다.�또한�조정�과정에서�조정자가�다른�사람의�의견을�존중하며�듣고,�

해결책을�찾아가는�방법을�알려주었다는�것으로도�보람을�느낄�수�있다.�

당사자들이�조정을�통해서�합의에�도달하지�않기로�결정했다면,�그것�역시�당사자들의�

권리의�표현이므로�존중해야�한다.�합의에�이르지�못하는�과정을�통해�조정자는�또한�

모든�갈등이�조정자의�노력과�상관없이�조정을�통해�해결되는�것은�아니라는�사실을�

확인하고,�인정할�필요가�있다.

Page 3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2 제2장 또래조정 절차

6) 6단계: 평가

6단계의�목적은�종결과�완료의�느낌을�제공하는�것이다.�조정자는�참가자들에게�

조정과정에서�보여준�노력에�대해�감사와�격려를�표하면서�합의안을�강조하는�기회를�

가지게�된다.�

6단계에서는�조정과정에�대해�갈등당사자들이�평가서를�작성하며�조정과정에서�

문제해결에�도움을�받은�것과�또래조정자가�얼마나�공평하고�중립적으로�진행했는가에�

대한�기록을�하게�된다.�이�기록은�또래조정자의�활동에�대해�갈등�당사자의�생각을�

읽을�수�있는�귀중한�자료가�된다.�

또래조정자들은�갈등�당사자들이�평가서를�쓰는�시간에�개인일지와�조정자�

자기평가서를�작성한다.�일지는�또래조정자가�자기�경험을�되돌아보며,�무엇을�잘했고,�

어떤�기술을�더�향상시켜야�하는지�반성할�수�있는�기회가�된다.

Page 3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단계

2. 1단계 : 준비

3. 2단계 : 선발

4. 3단계 : 교육

5. 4단계 : 운영

6. 5단계 : 평가

7. 계획서 작성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제3장

Page 3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4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1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단계

1)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5단계

�또래조정�프로그램을�단위학교에�적용하기�위해서는�기본적으로�[준비]-[선발]-

[교육]-[운영]-[평가]의�5단계의�과정이�필요하다.

�각�단계의�시행�내용과�적용�시기는�운영�형태�및�단위학교의�여건에�따라�조정이�

가능하다(4장�운영형태별�주요�내용�참조).

�각�단계에서�이루어지는�주요�활동은�다음�표와�같다.

<표 2>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단계별 주요 내용

단계 주요 활동

1단계 : 준비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형태 및 방법 결정

2단계 : 선발 또래조정 홍보 및 조정자 선발

3단계 : 교육 또래조정자 교육,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4단계 : 운영 또래조정활동 시행 및 관리, 추수지도

5단계 : 평가 또래조정운영, 사례, 조정자 역량 평가

또래조정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단계에서 의도하는 핵심적인

내용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2) 운영 5단계 요소별 체크리스트 작성

다음�체크리스트를�작성하면서�이어지는�각�단계의�세부내용을�확인하면�

또래조정운영의�흐름을�쉽게�파악하고�세부�운영�계획을�세울�수�있다.��

tip

Page 3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35

예시 1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 5단계 요소별 체크리스트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 5단계 요소별 체크리스트

단계 요소 내용

1.준비

1) 적용대상 학교사업 특정학년 : ( )학년 특정학급 : ( )반

2) 조정자교육시간 일과 후 교과연계 :( ), ( ) ,( ) 창·체 : ( )회

3) 운영관리단위 동아리: 담당교사( ) 학급

2.선발

1) 또래조정 홍보

① 홍보시기 :1차 : ( )부터 ~ ( )까지

2차 : ( )부터 ~ ( )까지

② 대상 및 방법

교사 :

학부모 :

학생 :

2) 조정자 선발

① 선발대상 ( )학년 / 학급당 ( )명

② 선발기준 1. 2. 3.

③ 선발과정 ( ) ▶ ( ) ▶ ( ) ▶ ( )

3.교육

1) 조정자교육

담당자:( )

① 회기(시기) ( )회기 / ( )부터 ~ ( )까지

② 중점

③ 차시별내용 1. 2. 3.

2)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① 회기(시기) ( )회기 / ( )부터 ~ ( )까지

② 교육중점

③ 차시별내용 1. 2. 3.

4.운영

1) 운영준비

① 발대식 요일 : ( ) / 장소 : ( )

② 환경조성

신청함: ( )개 / 위치 : ( )

신청서 위치: ( )

조정실 : ( )실 / 이용시간 ( )

2) 운영관리

① 신청관리 접합성 판별 기준 1. 2. 3.

② 조정자 배정 원칙 1. 2. 3.

③ 합의문 확인 방법 접합성 판별 기준 1. 2. 3.

3) 추수지도

매주 ( )요일

: ~ :

① 회기(시기) ( )회기 / ( )부터 ~ ( )까지

② 중점 1. 2. 3.

③ 교육주제 1. 2. 3.

5.평가

1) 운영과정평가 ① 평가과정(시기) ( )월

2) 사례평가

② 평가자료 1. 2. 3.

① 평가과정(시기) ( )월

② 평가자료 1. 2. 3.

3) 조정자역량평가① 평가과정(시기) ( )월

②평가자료 1. 2. 3.

Page 3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6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2 1단계 : 준비

1) 준비 단계의 핵심

또래조정�프로그램을�단위학교에�적용시키기�위한�가장�기초�적인�단계이다.�여기서는�

또래�조정�프로그램을�적용하는�목적과�단위�학교의�환경적�요건을�고려하여�1)�

적용대상,�2)�조정자교육�시간,�3)�운영관리단위의�3가지�요소에�대한�세부적�운영�

형태를�선정해야�한다.�

<표 3> 준비단계 핵심 요소 및 주요 내용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인성함양을 위한 학교전체 사업 중 하나로 운영

특정학년 특정학년(학년 군)에서 관심을 가지고 적용

특정학급 특정학급의 담임교사가 관심을 가지고 적용

조정자 교육시간

일과 후 방과 후, 주말 또는 방학을 이용하여 집중교육

교과 연계 관련교과 시간을 이용하여 교육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교육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별도의 담당교사를 두고 운영·관리

학급 학급담임이 운영·관리

준비단계에서 결정하는 요소별 운영 형태에 따라서 나머지 단계에 필요한 행정사항이나

운영 방법이 달라지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하며, 특히 학사일정을 고려하여 반드시 [조정자

교육시간]을 철저히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적용대상�

또래조정�프로그램을�적용하고자�하는�주체에�따라�1)�학교사업,�2)�특정�학년,�3)�특정�

학급으로�분류�할�수�있으며,�형태별�특징은�다음�표와�같다.��

tip

Page 3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37

<표 4> 적용대상별 특징

적용대상 특징

학교사업

예산 확보가 용이

별도의 업무진행 담당자가 필요

교육시간 확보가 용이 (학교교육과정 편성 시 시수 확보)

특정학년

교육시간 확보가 용이

(학년 군 교육과정 편성 시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활동 시수 확보)

동아리형태로 운영 시 담당교사 지정 가능

특정학급담임교사 의지가 필요

상대적으로 교육시간 확보가 어려움

�[학교사업]이나�[특정 학년]�단위로�운영�

- �교육과정�편성�시�또래조정자�교육을�위한�창의적�체험활동�시간을�편성할�수�있기�

때문에�[특정�학급]단위의�운영보다�교육시간�선택의�폭이�넓은�편이다.�

�[특정학급]�단위로�운영�

- �교육을�위한�시간확보나�예산확보가�학교사업이나�특정학년에�운영할�때보다�

상대적으로�어려움이�있다.�

-�담임교사의�프로그램운영에�관한�의지가�필요하다.�

3) 교육시간

�조정자�교육�시간(최소15회기)은�학생들이�교육을�받는�시간에�따라�1)�일과�후,�

2)�교과�연계,�3)�창의적�체험활동�시간으로�분류�할�수�있다.

�조정자�교육�시간�선정�시에는�반드시�그에�적합한�교육�담당자도�함께�계획해야�

한다.�특히�학교에�Wee�클래스�전문상담사가�있을�경우�적극�활용한다.

�학교의�여건에�따라�2가지�형태를�혼합하여�운영할�수도�있다.�

���(예:�기본�조정교육은�교과와�연계하며,�조정�실습은�일과�후)

�조정자�교육�교사용�지도서를�참고해�교육내용에�대해�분석한�뒤�각�학교�여건에�

적합하게�선정한다.

Page 3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8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표 5> 교육시간 운영형태별 특징

운영형태 특징 교육 담당자

일과 후

· 사전에 철저히 공지가 되어야 함

· 참여 학생들의 오후 일정 조정

· 학부모 동의 필요 (안정상 문제)

· 단기간 집중 교육이 가능

전문상담사

담임교사

업무 담당자

교과 연계

· 별도의 시간 확보 없이 가능

· 조정자교육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해, 관련 교과 단원을 탐색

하고 재구성을 해야 함

· 모든 학생에게 또래조정에 관한 교육을 동시 진행가능

담임교사

창의적 체험활동· 주 단위로 체계적 교육 가능

· 교육과정 편성 시 반드시 시수를 확보해야 함

전문상담사

동아리 담당

�[일과 후]에�조정자�교육을�진행할�경우

-�조정자�교육을�단기간�집중지도가�가능하다(방학,�방과�후,�주말�집중지도).

-�짧은�시간의�교육을�종료하고�조기에�또래�조정프로그램을�운영하는�것이�가능하다.

-�학생들의�일정에�따라�방과�후�학생들을�교육에�참가시키기가�어렵다.�

-�안전상의�문제로�반드시�학부모의�사전�동의가�필요하다(모집�시�안내장에�명시).�

�[교과 연계]로�조정자�교육을�진행할�경우�

-�별도의�시간�확보�없이�지도가�가능하다.�

-�사전에�철저한�지도내용�분석과�관련하여�교과�단원�탐색�및�재구성이�필요하다.�

- �조정자로�선발된�학생뿐만�아니라�전체�학급�학생에게�동시에�또래조정�프로그램에�

대한�교육이�가능하다.�

�[창의적 체험활동]�‘동아리�활동’시간에�교육을�진행할�경우

- �학교�또는�학년�교육과정�편성�시�반드시�조정자�교육에�필요한�시수만큼(15시간)을������

‘동아리�활동’�시간에�편성하는�사전�작업이�요구된다.�

- �일반적으로�주�단위로�정기적�교육이�가능하기�때문에�1학기는�교육을,�2학기는�실제�

운영이�가능하다.�

Page 3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39

교육시간을 [일과후]로 선정했을 경우, 적용범위가 [특정학년]이나 [특정학급]에 한정될 경우,

조정자 교육을 위한 강사료 확보가 어렵다. 다만 적용범위가 [학교사업]이고, 교육시간을

[일과후]로 선정했을 경우, 연말 학교예산편성에 조정자 교육을 위한 강사료,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운영비를 편성할 수 있다.

4) 운영·관리 단위�

운영·관리�단위는�조정자�교육을�마친�조정자들이�실제�또래조정활동을�하는�것을�

운영·관리하기�위해�필요하며,�1)�동아리�형태�또는�2)�학급�단위로�구분할�수�있다.

<표 6> 운영·관리 단위별 특징

운영형태 특징

동아리 형태- 담당(지도)교사 지정이 필요 (ex 전교 학생어린이회)

- 운영·관리를 위해 주1회 정도 정기적 모임이 필요

학급단위- 교육담당자와 운영·관리 담당자를 분리

- 조정자 교육은 함께 하더라도, 교육 후 또래 조정활동 운영·관리는 학급담임이 담당

�[동아리 형태]

-�적용대상이�[학교사업]�또는�[특정학년]�인�경우

- �담당교사(Wee�클래스�전문�상담사�적극�활용)를�두고�전교�학생어린이회와�같이,�각�

반에서�선발된�조정자를�운영·관리�하는�형태이다.�

�[학급]

- �실제�적용�단위가�어떠하든,�조정자로�선발된�학생이�조정자�교육을�마치고�나서부터는�

담임교사가�실제�조정활동을�운영·관리�하는�형태이다.�

[동아리형태]로 운영될 경우 별도의 담당자가 지정된 업무운영의 효율성은 높아진다. 하지만

담당자의 업무부담감이 커지기 때문에 담임교사의 협조는 반드시 필요하다. 운영 관리 형태가

[동아리형태]이든 [학급단위]이든 담당교사, 전문상담사 및 담임교사의 상호 협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내용은 반드시 사전협의를 해야 한다.

tip

tip

Page 4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0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3 2단계 : 선발

1) 선발단계의 핵심

또래조정�프로그램의�핵심인�조정자를�모집하고�선발하는�단계이다.�이�단계에서는�

1)�또래조정�프로그램에�대한�홍보를�통해�학부모와�학생의�관심을�증진시키고�많은�

참여를�이끌어내야�하며,�일정한�과정을�거쳐�2)�또래조정자를�선발해야�한다.�

<표 7> 요소별 주요 내용

요소 내용

또래조정

프로그램 홍보

홍보시기1차 : 조정자 모집 전

2차 : 또래조정활동 운영 전(조정자 교육 후)

홍보대상 및 방법

학생 : 홍보동영상 및 담임교육

교사 : 자체연수 실시

학부모 : 연초 교육과정 설명회시 적극 홍보

또래조정자

선발

선발대상 초등 4학년 이상

선발기준 자체선발기준 설정

선발과정 모집공고 ▶ 면접 ▶ 1차 선발 ▶ 조정자교육 ▶ 최종선발

또래조정에 대해 충분한 사전 홍보가 이루어져야 또래조정자 선발 및 모집이 용이하다. 특히

교육과정 설명회나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에게 조정자로 선발되었을 때의 장점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관심을 이끌어 내야 한다(생활기록부기재 및 봉사활동 점수 등). 선발안내 시에는 반

드시 [조정자교육]시간을 명시하여, 신청 학생이 미리 일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ip

Page 4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41

2) 또래조정 프로그램 홍보시기

또래조정�프로그램은�홍보는�1)�조정자를�모집�전�그리고�조정자�교육이�끝나고�2)�

본격적인�또래조정활동을�운영할�때�반드시�필요하다.�

<표 8> 시기별 홍보 중점 사항

시기 홍보 중점

1차

조정자 모집 전

·또래조정 프로그램의 효과

·조정자로 선발되었을 때의 장점

·조정자 모집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2차

본격적 운영 전

·또래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 및 긍정적 사례

·고민을 가진 학생들이 많이 신청할 수 있도록 유도

�[1차: 조정자 모집 전]

-�중점:�또래조정�프로그램�및�조정자로�선발되었을�때의�장점을�홍보한다.�

- �목적: �학부모와�학생들을�대상으로�집중적으로�홍보하여�관심을�가지고�조정자�모집에�������

많이�참여할�수�있도록�유도하는데�초점을�둔다.�

-�방법:�운영교사�중심으로�가정통신문과�기존�제작된�홍보�영상�등을�적극�활용�한다.�

�[2차: 조정자 교육이 끝나고 또래조정활동을 본격적으로 운영 전]

-�중점:�실제�또래조정이�이루어지는�과정과�사례를�중심으로�홍보한다.�

- �목적: �특히�학생과�교사를�대상으로�집중적으로�홍보하여�고민을�가지고�있는�학생들이�

또래조정을�신청할�수�있도록�유도하는데�초점을�둔다.

-�방법:�조정자로�선발된�학생을�중심으로�친구들에게�적극�홍보할�수�있도록�한다.�

3) 또래조정 프로그램 홍보방법

또래조정�프로그램이�효과를�얻기�위해서는�학생,�학부모�및�교사�모두의�관심이�

필요하다.�구체적�홍보�날짜�및�내용에�대해서도�미리�계획해야한다.

Page 4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2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학생]

- �반드시�담임교사의�협조가�필요하며,�아침�독서시간,�친구사랑주간을�활용하여�

또래조정�전반에�관한�홍보가�필수적이다.�

�[학부모]

- �학부모의�관심과�학생들의�참여는�비례하므로�또래조정과�조정자의�장점을�가정통신문,�

학교�홈페이지�및�교육과정설명회�등에서�반드시�홍보하여야�한다.�

�[교사]

-�직원연수를�통해�또래조정프로그램�이해와�담임교사의�역할을�홍보한다.�

<표 9> 대상별 홍보내용

대상 홍보 내용

학생· 또래조정 프로그램 및 조정자 장점

· 또래조정 절차 및 신청 방법

학부모

· 생활기록부에 조정자 활동 내용을 기재

· 봉사활동점수 인정

· 최근 입시제도에서 학생들의 인성부분을 강조

교사· 또래조정 프로그램의 장점, 적용 일정

· 운영·관리를 위한 역할 및 홍보 자료 배부

조정자 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이 또래조정 교육을 받는 동안 결과물로 다양한 포스터 및

또래조정관련 자료를 제작한다. 이러한 자료를 교육 종료 후 복도 등에 게시하거나 작은 사이즈로

복사해 조정자들에 직접 홍보하도록 하면 효과적이다.

tip

Page 4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43

예시 2 또래조정프로그램 안내 가정통신문

또래조정프로그램 안내 가정통신문

◯◯학교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본교는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또래조정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또래 조정은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갈등을 대화로 풀어나가는 과정입니다. 조정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차이점과 갈등을 이해하고, 건전한 학교문화를 조성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우리 자녀들의 또래조정프로그램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또래조정이란?

• 학생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또래’학생이 조정자가 되어 대화를 통해 해결하도록 돕는

과정 및 활동으로 또래조정자가 중립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어주는 역할 수행

▶또래조정절차

▶또래조정자 선발 혜택

※ 또래 조정자로 활동하면 이런 점이 좋아요

-전문적인조정자훈련프로그램을무료로받을수있습니다.

-친구들의조정자로서조정활동을통해리더쉽과배려심을키울수있습니다.

-봉사활동점수를받고조정자활동내용이생활기록부에기록됩니다.

-방학동안또래조정자캠프에참가할수있습니다.

-지방법원견학등다양한활동에참여할수있습니다.

201◯년 ◯월 ◯일

◯◯학 교 장

갈등확인, 동의확보

조정준비

본조정

이행여부 모니터링

갈등발생

조정신청

분류, 조정자 배정

1

2

3

4

5

6

7

Page 4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4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3 교사연수자료

교사연수자료

○초등학교또래조정 프로그램 교사연수

담 당

연수일: ○○○

▶또래조정이란?

• 학생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또래’학생이 조정자가 되어 대화를 통해 해결하도록 돕는

과정 및 활동

• 또래조정자가 중립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대화를

이어주는 역할 수행

▶또래조정장점

• 학교폭력 조기에 발견 예방

• 자율적인 학교폭력예방 및 갈등 예방 시스템 구축

• 지속운영시, 대화를 통한 갈등 해결 문화 형성

▶또래조정절차

▶또래조정 운영일정 및 협조사항

단계 일정 세부내용 협조사항

조정자 선발 ○월○일

조정자 교육 ○월○일

일반학생 교육 ○월○일

발대식 ○월○일

운영 ○월○일

평가 ○월○일

갈등확인, 동의확보

조정준비

본조정

이행여부 모니터링

갈등발생

조정신청

분류, 조정자 배정

1

2

3

4

5

6

7

Page 4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45

4) 또래조정자 선발대상

�또래조정자는�학생�발달�특성을�고려했을�때,�초등학교�4학년�이상�학생을�대상으로�

선발하는�것이�좋다.

��1단계에서�선정된�적용범위,�각�학교급�특성�및�학교여건을�고려하여�세부�

선발대상은�조정�가능하다.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의 경우 가치기준이 성립되고 있는 시기로 실제 또래조정자로 활동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또래조정 프로그램의 조정자 교육내용 중 분노조절이나 의사소통 방법

등의 학습은 대화를 통한 갈등해결의 밑거름이 될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

5) 또래조정자 선발기준

�또래조정자가�지녀야할�자질을�중심으로�선정된�일반적인�선발기준은�다음과�같다.

<또래조정자 선발 기준>

①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 학생

② 의사소통 기술이 있는 학생

③ 리더십을 발휘하는 학생

④ 책임감이 강한 학생

⑤ 신뢰성과 공정성을 가진 학생

⑥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여 들어주는 학생

⑦ 타인에 대한 관심과 돕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표현하는 학생

⑧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학생

⑨ 문제(갈등)를 대화로 풀 수 있다고 믿는 학생

⑩ 또래조정 참여에 있어서 관심이 많고 자발적인 학생 등

tip

Page 4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6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실제�위와�같은�자질을�모두�가진�학생을�선발하는�것은�어려움이�있기�때문에�

선발과정에서�지원한�학생의�담임교사�추천�및�면접을�통해�또래조정자의�자질과�

참여의지를�파악하는�것이�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시된 기준에 근접한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조정자로 선발되어 조정자 활동을 통해 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관리 운영교사의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6) 또래조정자 선발절차

�또래조정�선발�과정은�①�모집공고,�②�학생�신청(+학부모동의),�③�담임추천,�

④�면접,�⑤�1차�선발,�⑥�최종선발�및�임명으로�구분할�수�있다.

�또래조정자�선발절차는�학교여건과�신청자�수에�따라�수정가능하다.

tip

또래조정자선발면접

Page 4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47

예시 4 또래조정자 선발 절차 ��

모집공고

학생신청(+학부모동의)

담임추천(생략가능)

면접

1차 선발 후 조정자 교육

조정자 교육 완료 후 최종 선발

� [모집공고]

-�또래조정자�모집을�위해�가정통신문을�배부한다.

-�또래조정프로그램에�대한�소개와�조정자의�장점을�명시한다.

- ��반드시�조정자�교육시간을�명시하고,�조정자�교육을�이수�하지�못할�시�조정자로�선정될�

수�없음�명시한다.�

Page 4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8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5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앞면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앞면)

○○학교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본교는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또래조정프로그램의 조정자 학생을

모집합니다. 또래 조정자로 선발된 학생은 전문적인 조정자 교육을 받게 되고, 한 해 동안

친구들의 갈등 해결을 도와주는 조정자로써 활동하게 됩니다. 조정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차이점과 갈등을 이해하고, 리더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우리 자녀들의 또래조정자 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모집인원 : 4~6학년 / 각 반 2명

▶선발절차 : 학생신청(학부모동의) → 담임추천 → 면접(1차선발) → 조정자교육 → 최종선발

▶또래 조정자 교육 : ○월 ○일부터 ~ ○일까지 / 방과후 오후 3:00~5:00 (1일 2시간)

※ 주의: 선발 학생은 반드시 교육에 참가해야하고, 교육이 종료된 후 최종 선발여부 결정

▶신청서 제출 : 뒷면에 작성 후 ○월 ○일까지 각 반 담임선생님께 제출

▶또래조정자 선발 혜택

※ 또래 조정자로 활동하면 이런 점이 좋아요

-전문적인조정자훈련프로그램을무료로받을수있습니다.

-친구들의조정자로서조정활동을통해리더쉽과배려심을키울수있습니다.

-봉사활동점수를받고조정자활동내용이생활기록부에기록이됩니다.

-방학동안또래조정자캠프에참가할수있습니다.

-지방법원견학등관련진로탐색에대한다양한활동에참여할수있습니다.

201◯년 ◯월 ◯일

◯◯학 교 장

� [학생신청]�

-�모집�가정통신문�뒷면에�신청서�양식을�첨부한다.

-�조정자를�신청하는�이유와�장점을�적도록�하여�면접�시�활용한다.�

- �조정자�교육시간에�개인적인�이유로�빠지지�않고�성실히�참여한다는�신청학생과�

학부모�모두의�동의를�반드시�확인한다.�

Page 4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49

예시 6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뒷면

또래조정자 모집 가정통신문 (뒷면)

또래조정자 신청서

학반 : __________________

이름 : __________________

1. 나는 또래조정자가 되기를 원합니다. 그 이유는

2. 훌륭한 또래조정자가 되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을 적어 보세요.

※ 만약 선발된다면, 나는(나의 자녀가) 또래조정자로서 다음의 항목에 모두 동의합니다.

① 또래조정자가 되는데 필요한 모든 교육훈련 과정을 학원시간등의 이유로 빠지지 않고, 성실히

이수한다.

② 계획(일정)에 따라 또래조정자로서 봉사한다.

③ 또래조정 교육훈련 또는 활동으로 인해 놓친 수업이나 과제가 있다면, 이를 성실히 보충한다.

날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서명 (학 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보호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면접]

-�신청자의�신청서와�심층면접을�통해�조정자�교육대상자를�선발한다.�

- �실제�면접�질문�전�조정자�교육일정과�책임을�설명하고�조정자�교육�및�조정자의�

역할에�충실히�임할�것을�다짐�받는다.�

-�질문을�통해�신청자의�의사소통능력�및�조정자로써의�기초능력을�점검한다.�

Page 5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50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7 또래조정자 선발을 위한 면접 지침

또래조정자 선발을 위한 면접 지침5)

① 맞이하기

② 프로그램 설명

○ 조정자의 책임 사항을 설명하고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말해 준다.

○ 교육 일정을 알려준다.

○ 또래조정자 협약을 상기시킨다.

○ 다음의 조건이 다시확인 한다.

- 매 교육에 참석할 것

- 학교에서 조정에 참여할 것

- 조정으로 인해 빼먹은 일을 보충 할 것

- 프로그램을 위해 때때로 수업 전이나 후에 시간을 낼 것 등

○ 질문이 있는지 물어본다.

③ 지원자의 지원서를 확인한다.

④ 다음의 질문을 한다.

○ 친구의 문제를 조정해 본 경험이 있나요?

○ 당신이 좋은 조정자가 될 거라고 생각하나요? 그렇다면 어떤 점 때문인가요?

○ 친구들이 문제가 있을 때 당신을 찾아옵니까? 어떤 종류의 문제인가요?

그럴 때는 어떻게 행동 하나요?

○ 만일 두 명의 학생이 소문으로 인해 다투고 있다면 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잘 듣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 비밀유지가 무엇인지 알고 있나요? 당신이 비밀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 만일 자신이 갈등을 겪고 있다면 또래조정을 신청하겠어요?

⑤ 또래조정에 대한 지원자의 질문에 답한다.

⑥ 인터뷰에 응해 준 데 고마움을 표시하고 최종 선발 일정을 알려준다.

5) 교육과학기술부·경실련(사)갈등해소센터(2013).학교또래조정프로그램운영매뉴얼p.51

Page 5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51

예시 9

예시 8 또래조정자 면접 심사표

또래조정자 면접 심사표

심사자 : (인)

순 학반 이름 의사소통능력(30) 갈등이해(30) 참여의지(40) 합계

1

2

3

[1차 선발]

-�면접을�통해�또래조정자�교육대상자를�1차적으로�선정한다.�

- �교육대상자는�실제�임명될�조정자�인원보다�많은�수를�선발하고,�교육에�참여하는�태도������

등을�고려하여�예비조정자로�활용하거나�최종탈락�시킨다.�

또래조정자 1차 선발 집계표

또래조정자 1차 선발 집계표

심사자 1 : (인)

심사자 2 : (인)

순 학반 이름 신청서 심사자1(면접) 심사자2(면접) 합계 선발여부

1 선발

2

3

4

면접 후 바로 또래조정자를 선정하고 임명을 하는 것 보다는 교육 대상자로 먼저 선정한다. 이는

조정자 교육에 참여태도가 최종 선발 기준이 된다는 점을 공지하고, 교육이 종료된 후 조정자로

최종 임명을 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조정자 교육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tip

Page 5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52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10

[최종선발] �

- �조정자교육이�완료된�후,�교육의�참여태도�등을�감안하여�최종�선정하고�조정자로�

임명한다.�교육에�불참하거나�참여태도가�극히�불량하여�조정자로서의�자질이�부족한�

학생은�탈락시킨다.�

- �최종�선발된�학생에게는�임명장�및�표식을��4단계�[운영]�단계의�발대식에서�학부모�및�

학생들�앞에서�공식적으로�수여한다.�

또래조정자 임명장

또래조정자 임명장

제20○○-○○호

임 명 장

제 ◯학년 ◯반

◯◯◯

위 학생은 소정의 또래조정자 양성과정을 이수하였으며, 학생간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성실히 이행하기로 약속하였기에 학교 내 평화문화 정착을

위한 또래조정자로 임명합니다.

20◯◯년 ◯월 ◯◯일

◯◯학교장 ◯◯◯

또래조정자 임명은 발대식을 열어 학부모를 초청하고, 학생 및 교사 앞에서 조정자 선서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조정자들의 사기를 높이고 책임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래조정자 발대식에 관련된

사항은 [4단계: 운영]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

Page 5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53

4 3단계 : 교육

1) 교육단계의 핵심

또래조정자가�교육을�통해�갈등과�조정을�이해하고�또래조정자로서�활동할�수�있는�

능력을�기르는�단계이다.�이�단계에서는�1)�조정자�기초교육을�통해�조정자로서의�

기본�능력을�기르고,�일반학생을�대상으로�2)�또래조정에�대한�이해교육을�실시하여�

또래조정�참여를�유도하고�효과를�높인다.

<표 10> 요소별 주요 내용

요소 내용

조정자

기초교육

최소회기 15차시 이상

교육중점 기초 조정능력

교육주제

마음열기 / 갈등에 대한 이해 / 조정절차에 대한 이해 / 의사소통

/ 문제를 규명하고 대안을 설계하기 / 합의안 작성 준수하기 /

또래조정 운영 단계 / 전체과정 실습 / 수료식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최소회기 5차시 이상

교육중점 갈등과 조정에 대한 이해

교육주제 갈등에 대한 이해, 조정절차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2012년~2013년 또래조정 시범사업결과 조정자로 선발된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에게도

조정자 교육의 일부(분노조절 및 의사소통방법)를 함께 교육할시 훨씬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조정자 기초교육

선발된�학생들이�조정자로서�기본적인�역량을�갖추기�위해서는�최소�15차시�이상의�

교육이�필요하다.��

tip

Page 5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54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표 11> 조정자 기초교육 주제 및 차시

차시 주제 주요 내용

1 마음열기 자기소개(ice-breaking) / 수업 기대나누기

2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 시청각 교육 / 수업규칙 정하기 / 갈등과 대화

3 갈등이해 갈등의 개념 / 갈등 다루기

4 갈등해결방법 이해 갈등 해결 방법 / 역할극

5 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조정의 특성 / 또래조정자의 태도와 기술

6 조정 절차 이해 본조정의 절차 / 본조정 단계별 또래조정자의 역할

7 도입단계 실습 조정 도입 단계의 규칙 / 실습

8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 열린 질문하기

9 느낌과 감정 표현하기 나 전달법 (i-message) / 바꾸어말하기 (paraphrasing)

10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양파분석 / 삼각형 분석 입장 /입장-실익 구분

11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 실습

12 합의문 만들고 지키기 합의안 작성 및 평가 / 실습

13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또래조정 전 과정 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과정

조정자�기초�교육은�예비�조정자들이�갈등�해결에�대한�올바른�가치관과�기본적인�

조정활동�기법을�익히는데�중점을�둔다.

구체적인�내용은�‘또래조정자�훈련�지도서’를�참고한다.

[조정자 기초교육] 15차시는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여건을 고려한 최소 회기이다. 따라서 교육

대상자의 기본 역량에 따라 더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15차시

이상의 충분한 교육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 2012년~2013년 전국 또래조정시범사업 기초교육 : 24차시

- 미국사례 : 12~18시간 (The Association for Conflict Resolution, 2007: 18)

tip

Page 5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55

예시 11

예시 12

또래조정자 교육 일지

조정자 교육일지

조정자 교육일지

수업일 수업시간

수업자 주강사 : (인) 보조강사 : (인)

회기 출결 총원( ) / 참석( )

수업 주제

및 내용

특이 사항

담당 교사

확인

조정자교육 출석부

조정자교육 출석부

조정자교육 출석부

이름 학반 ○월○일 ○월○일 ○월○일 ○월○일 ○월○일 ○월○일 ○월○일

Page 5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56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3)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또래조정활동에�참여를�유도하고,�또래조정�프로그램의�효과를�얻기�위해서는�

조정자로�선정된�학생뿐만�아니라�일반학생들도�또래조정에�관한�이해교육이�

필요하다.

갈등과�조정에�대한�기초교육으로�최소�5회기�이상�실시한다.

<표 12>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주제 및 차시

순 주제 차시

1 갈등에 대한 이해 1, 2차시

2 조정절차에 대한 이해 3차시

3 의사소통 4, 5차시

일반학생�또래조정�이해교육은�조정자�기초교육의�지도내용에서�필요한�주제를�

추출하여�지도할�수�있다.

적용범위가�[학교사업]이고,�또래조정프로그램을�지속적으로�적용하고자�할�경우�

학년(학년�군)�별로�주제와�차시를�조정해�단계별�심화�지도가�가능하다.

특히�또래조정을�신청하고�참여하는�전�과정을�역할극을�통해�체험해보는�과정이�

반드시�필요하다.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시간 확보가

가장 용이한 시기는 매년 3월과 9월 셋째주에

시행되는 [친구사랑주간]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학교폭력예방업무 담당교사와 사전

협의하여, 외부강사를 초빙하거나 담임교사가

또래조정자 교육 매뉴얼을 이용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사전 교육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tip

Page 5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57

5 4단계 : 운영

1) 운영단계의 핵심

또래조정자가�실제�조정활동을�실시하는�단계이다.�이�단계에서는�1)�운영준비를�

통해�많은�학생들이�또래조정활동에�참여할�수�있도록�유도한다.�지도(운영)교사는�

2)�운영관리를�통해�또래�조정활동이�이루어지는�전반적인�과정을�관찰하고�

지도하며,�3)추수지도를�통해�지속적으로�조정자들의�역량을�강화한다.��

<표 13> 요소별 주요 내용

요소 내용

운영준비발대식 또래조정자 소개, 조정자 표식 수여

환경조성 신청함, 신청서 배치, 조정실, 과정안내

운영관리

신청관리 신청방법 다양화, 신청내용 점검

조정자배정 신청자 요청, 지도(운영)교사 임의분류

합의문확인 내용 확인, 이행여부 확인

추수지도

최소차시 12차시 이상

교육중점 조정역량 강화

교육주제 실제 사례를 중심

[추수지도]는 [기초교육]처럼 별도의 집중 교육시간을 편성하지 않고 4단계: 운영을 진행 하면서

조정자 학생들과 정기적으로 만나는 시간을 가지며 자연스럽게 실시할 수 있다. 실제 조정사례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피드백을 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조정자로서의 역량을 기를 수 있다.

tip

Page 5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58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2) 운영준비

또래조정활동에�많은�학생들의�참여를�유도하기�위해서는�사전에�다음과�같은�철저한�

준비가�필요하다.�

<표 14> 운영준비 주요내용

요소 내용

발대식 식순국민의례 → 또래조정소개 → 경과보고 → 임명장 및 표식 수여 →

조정자 선서

환경조성

신청함 설치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

조정실 설치 별도 조정실 및 조정실 이용시간 정하기

신청서 배치 각 반 배치

조정자 수첩 조정자수칙, 조정 과정, 과정별 시나리오

[발대식]은�본격적인�또래조정활동을�시작�전,�또래조정에�대한�관심유도와�조정자�

소개에�필요한�활동이다.

<표 15> 발대식 식순별 진행 내용

순 내용

1.국민의례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제창

2.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의미, 또래조정이점, 또래조정과정

3.경과보고 일정별 경과(신청자 모집, 선발, 기초교육)

4.임명장 및 표식 수여 또래조정자 임명장 수여, 표식(뱃지등) 수여

5.조정자 선서 조정자 개별 소개 및 선서

[조정자표식]은 또래조정자의 사기와 책임감을 높이고, 조정이 필요한 학생들이 조정자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조정자 표식은 ‘뱃지’ ‘명찰’등 다양한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tip

Page 5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59

예시 13

예시 14

또래조정자 표식

또래조정자 표식

뱃지 명찰

또래조정자 선서문

또래조정자 선서문

또래조정자로서 나, ___________는 _____________학교의 학생들이 서로의 갈등을 평화적으로

풀어가는 것을 도와줄 것을 약속하며 다음 사항을 지킬 것을 약속합니다.

첫째. 나는 조정과정을 통해 알게 된 모든 내용에 대해 비밀을 유지할 것을 약속합니다.

둘째. 나는 또래조정자로서 중립성을 지킬 것을 약속합니다.

셋째. 나는 조정과정에서 당사자들이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넷째. 나는 더 나은 조정자가 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20○○년 ○월 ○일

또래조정자 대표 ○○○

[환경조성]은�신청서�배치,�신청함�및�조정실�설치�등�학생들의�또래조정활동�참여�

유도를�위하여�반드시�필요하다.

- �신청서�: �또래조정�신청서는�학생들이�쉽게�접근할�수�있도록�각�반�교실에�배치(신청서가�

있는�장소에는�반드시�또래조정과정이�소개된�포스터를�함께�부착)한다.

Page 6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60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15 또래조정자 신청서

또래조정자 신청서

신청일자 : 20◯◯년 월 일

▶ 신청자 정보

이름 :____________ 학반 : ___________ 연락처 : ______________

▶ 조정 상대자 (누구와 일어난 일인가요?)

이름 :____________ 학반 : ___________

▶ 갈등 유형 (무엇에 관련된 갈등입니까?)

소문 싸움 놀림 물건 손실 또는 분실

관계 욕설 기타

▶ 갈등 내용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있었나요?)

▶ 조정하고자 하는 내용 (어떻게 조정을 했으면 좋을지 적어보세요)

▶ 희망 또래조정자 (구체적으로 조정받기를 원하는 조정자가 있으면 적어보세요)

또래조정자( ) 또래조정자+선생님( , )

[신청서]양식은 각 학교의 운영여건과 참여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신청함�:�신청함은�학생들의�접근이�용이한�장소에�최소한으로�설치한다.

[신청함]은 학생들이 가장 접근하기 쉬운 장소에 최소한으로 설치하는 것이 운영 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신청함]을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경우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도 있지만, 신청서

수거 및 확인이 어려워 오히려 운영에는 방해가 되기도 한다.

tip

tip

Page 6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61

예시 16

- �조정실�: �Wee클래스가�설치된�학교는�Wee클래스를�조정실로�활용한다.�여건상�

별도의�조정실�설치가�어려운�경우�특별실(또는�교실)�중�하나를�일과�중�

정해진�시간동안�조정실로�활용한다(이때�시간과�장소는�반드시�학생들에게�

공지).

- �조정자�수첩�: �또래조정자들이�조정과정에서�참고할�수�있도록,�또래조정�수칙,�

또래조정과정,�과정별�시나리오�등을�포함한다.�

또래조정자 수첩 구성

또래조정자 수첩 구성

▶ 수첩내용 순서

1. 앞표지 ▶ 2. 또래조정자 수칙 ▶ 3. 또래조정의 과정 ▶ 4. 단계별 시나리오 ▶ 5. 주의점

▶ 6. 갈등 개입방법 ▶ 7. 돌발상황 대처방법 ▶ 8. 메모지 ▶ 9. 뒷표지

앞표지 또래조정자 수칙

또래조정자들이 이수하는 [기초교육]만으로 실제 조정과정에서 각 단계별 순서와 유의점을

지키기는 어렵다. 조정자수첩은 조정자를 위한 하나의 지침서로서 실제 조정과정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별도의 비용을 들여 제작하기보다 프린터로 인쇄해서 활용하는 것이 좋다.

tip

(앞표지)

또래조정자수첩

○○학교

또래조정반

또래조정자수칙

참여

나는조정참가자들이그들자신의문제를스스로풀기위해

적극적으로참여하도록돕는다.

존중

당사자들의다른생각과느낌을존중한다.옳고그른답은없으며,

다른관점이있을뿐이다.

중립

나는당사자누구의편을들지않고중립적으로당사자들이문제를

풀어가도록돕는다.

지원

나는당사자들이새로운생각을나누고위기를잘다룰수있도록

지원한다.

비밀유지

나는조정과정에서나온이야기를다른사람들에옮기지않고

비밀을지킨다.단당사자와관련한범죄행위,폭행,위협등

사안,조정자로서나의안전에대해걱정이되는사안의경우

지도교사에게알린다.

Page 6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62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3) 운영관리

또래조정활동이�긍정적�효과를�얻기�위해서는�일정�수준에서�다음과�같은�교사의�

개입이�반드시�필요하다.�

<표 16> 운영관리 주요내용

요소 내용

신청관리신청방법 자발적 신청, 신청 권유

신청분류 또래조정 사례로 적합한지 판단

조정자배정

신청자 요청 신청자가 원하는 조정자

임의 배정 담당(지도)교사에 의한 임의 분류

공동 조정 조정자 2인이 공동으로 조정활동

합의문확인내용확인 합의 내용의 적합성 판별

이행여부확인 실제 이행여부 확인 및 권장 방법 강구

[신청관리]에서는�학생들이�또래조정을�신청하는�방법과�신청내용에�대해�일부�

교사개입이�필요하다.

- �신청방법�: �또래조정활동의�초기에는�학생들의�자발적인�신청�수가�적다.�따라서�일부�

사안에�대해서는�교사�또는�조정자들이�또래조정참여를�권유하는�과정이�

필요하다.�

2012년~2013년 전국 또래조정 시범사업 결과 또래조정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생 수는

많지 않았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갈등은 1차적으로 또래조정으로 해결한다는 규칙을

세우는 등 학생들이 또래조정과정과 효과에 익숙해지는 기간 동안에는 교사 또는 조정자들의

권유가 반드시 필요하다.

-�신청분류�: �갈등자체가�또래조정으로�해결하기�적합한�사안인지를�판별해야�한다.�

학교폭력으로�분류되는�사안에�대해서는�또래조정을�적용할�수�없음에�

유의해야한다.

tip

Page 6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63

신청된 사안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의해 학교폭력사안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학교폭력사안처리절차에 따라 해결해야 한다. 다만 또래조정을 [담임종결사안]이나

학교폭력사안처리절차의 [추가적인 후속조치]로 활용하여 긍정적 효과를 높일 수는 있다.

[조정자배정]에서는�각�신청내용에�따라�성별,�학년�등을�고려하여�적합한�조정자를�

배정해야�한다.

-�신청자�요청�: �또래조정이�학생들의�자발성을�추구한다는�점에서�신청자가�원하는�

구체적인�조정자가�있을�경우�해당�조정자를�배치한다(단,�해당�조정자가�

조정활동에�부정적인�영향을�미칠�가능성이�있는�경우는�제외).

-�임의�배정�: �신청자가�특별히�원하는�조정자가�없거나,�신청�내용에�따라�특별한�

조정자가�필요한�경우�신청자의�학년,�신청내용,�조정자의�조정�경험�빈도�

등을�고려하여�조정자를�배치한다.�

-�공동�조정�: �조정자의�경험이�부족한�또래조정�초기에는�조정자�2인(주�조정자,�보조�

조정자)이�공동으로�조정활동을�진행하는�것이�가능하다.�

조정자 2인이 공동으로 조정활동을 진행할 경우에는 조정자 간의 장 단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공동 조정자간에 파트너쉽이 중요하기 때문에 담당(지도)교사는 적절한 공동

조정자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주조정자와 보조조정자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 주 조정자: 조정활동 진행

- 보조 조정자: 조정활동 기록, 관찰, 제한적 참여

[합의문확인]에서는�갈등당사자간�작성한�합의문이�현실적으로�이행가능한지를�

판별하고,�최대한�이행할�수�있도록�돕는�과정이다.

-�내용�확인�: �합의문의�현실적�이행�가능성,�중립성을�판별.�또래�조정자에게�미리�

합의문의�중요성을�인지시키고�조정과정에서�최대한�이행�가능한�합의를�

이끌어�낼�수�있도록�해야�한다.�

-�이행�여부확인�: �합의문의�이행여부를�확인하고�미�이행시�최대한�이행할�수�있도록�

독려한다.

tip

tip

Page 6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64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17 또래조정자 합의서

또래조정자 합의서

날짜 : _______________________

우리는 자발적으로 또래 조정에 참가했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공평하고 합리적인 합의 내용을

만들었으며, 우리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만약 여기서 합의안 내용이

이행되지 않거나 우리가 우리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면, 다시 또래 조정에 임할

것임을 약속합니다.

이름(학반) _____________________ 이름(학반) ______________________

서 명 _____________________ 서 명 _____________________

조정자 서명 ___________________

갈등당사자들이 합의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담임교사의 관심이 필요하다.

합의문을 작성할 때, 합의내용 공개 여부와 범위를 반드시 확인하고, 만약 공개에 동의한다면

담임교사에게 전달하여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도와주도록 해야 한다.

tip

Page 6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65

4) 추수지도

기초교육만으로는�충분한�조정활동을�진행하기�어렵기�때문에�최소�12차시�이상의�

추수지도를�반드시�병행해야�한다.

추수지도는�기초교육처럼�별도의�시간을�편성하기보다는�또래조정을�운영하면서�

주1회�정도�정기적으로�또래조정자와�만나는�시간을�가지며�자연스럽게�진행한다.

<표 17> 추수지도 주제 및 차시

순 주제 차시

1 또래조정사례 공유

1~12차시

2 조정의 어려웠던 점 공유

3 필요한 조정기술 확인

4 모의조정시나리오 작성하기

5 모의조정실습

매�차시�특정�주제를�미리�정하고�지도하기보다,�실제�사례를�공유하면서�조정자들이�

필요로�하는�점을�확인하고�피드백�한다.�

이러한�점들을�중심으로�모의조정시나리오를�작성하고,�실습하는�과정을�거쳐�

조정자들에게�필요한�역량을�강화한다.

추수지도는 실제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므로, 사례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비밀유지에 대해 반드시

주의를 환기시켜야 한다. 피드백의 중심은 조정자 상호간 이루어지게 하고 교사는 적절한 조언과

진행을 담당하고 필요한 내용을 기록한다.

tip

Page 6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66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6 5단계 : 평가

1) 평가단계의 핵심

또래조정활동의�전반적인�내용을�평가하고,�개선점을�도출하는�단계이다.�이�단계에

서는�1)�운영과정�평가를�통해�또래조정프로그램�적용의�전반적인�내용�분석�및�

개선점을�도출하고,�2)�사례�평가를�통해�학교�내�갈등의�유형과�특성을�파악하며,�

3)조정자�역량�평가를�통해�조정자가�필요한�능력을�분석하고�조정자교육을�개선해야

한다.

<표 18> 요소별 주요 내용

요소 내용

운영과정평가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자체평가, 설문지, 참가자 평가서

사례평가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신청서·합의서 분석, 참가자 평가서

조정자역량평가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참가자 평가서, 조정자 설문지, 추수지도자료

일반적인 업무추진과정에서 [평가]단계는

생 략 되 거 나 간 과 하 기 쉽 다 . 하 지 만

또래조정프로그램에 있어 [평가]단계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뿐만이 아니라,

학교 내 갈등 유형 및 특성 분석이라는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매뉴얼에

제시된 각 설문지 양식은 예시 자료로

운영학교의 여건과 특성에 맞추어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ip

Page 6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67

2) 운영과정평가

운영과정평가는�또래조정프로그램�적용의�전반적인�부분을�점검하고�분석하여,�

프로그램�적용의�개선점을�도출하는데�목적이�있다.

<표 19> 운영과정 평가의 주요 내용

요소 내용

평가과정

분석 평가자료 분석

평가 운영 단계별 내용 적절성, 효과성 평가

개선점 도출 운영 단계별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담당교사 자체평가 운영 단계별 체크리스트 작성

설문지 운영 단계별 적절성 설문지(교사, 조정자)

참가자 평가서 각 사례별 신청자 평가서 질적 분석

[평가과정]은�분석�▶ 평가�▶ 개선점�도출�단계로�진행된다.

-�분석�:�담당교사�자체평가,�설문지,�참가자�평가서를�수집하고�분석한다.

-�평가�: �수집한�자료를�바탕으로�운영�단계별�내용�적절성,�효과성,�미흡한�점�등을�

평가한다.

-�개선점�도출�:�평가�내용을�바탕으로�운영�단계별�개선점�도출한다.�

[운영과정평가]는 다음 해 또래조정프로그램 계획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출된 개선점을

중심으로, 각 단계별 운영 내용과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

[평가자료]

-�담당교사�자체평가�: �또래조정�업무담당자로서,�체크리스트를�통해�각�단계별�내용의�

적절성�및�효과성을�점검한다.�

tip

Page 6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68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18

예시 19

또래조정 업무담당자 평가서

또래조정 업무담당자 평가서

단계 평가항목평가

개선 필요사항적절 보통 미흡

1단계 : 준비

또래조정 적용대상

또래조정 교육시간

운영·관리단위

2단계 : 선발또래조정 홍보

또래조정자 선발

3단게 : 교육조정자 기초교육

전체학생 교육

4단계 : 운영

운영준비

운영관리

추수지도

-�참가자�평가서�:��또래조정�참가자�평가서를�통해�질적�분석

또래조정 참가자 평가서

또래조정 참가자 평가서

이름(학반): _______________ 날짜: __________________ 조정자: _____________________

1. 당신은 이전에 또래 조정에 참여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예 (횟수: ) 아니오

2. 조정과정에서 조정자는 나의 말을 잘 들었다. 예 아니오

나의 갈등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예 아니오

공정하게 행동했다. 예 아니오

3. 또래 조정 과정에 참여할 때, 상대방에 대한 당신의 감정은 어떠했습니까?

4. 지금 당신은 상대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만약 당신이 합의에 도달 했다면, 합의 내용에 만족하십니까? 예 아니오

6. 만약 당신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당신의 대안은 무엇입니까?

7. 다음에도 참여하실 의향이 있습니까? 예 아니오

8. 또래조정에 참가해본 소감을 적어보세요.

Page 6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69

예시 20

-�설문지:�또래조정�단계별�내용에�관한�교사와�조정자�설문�분석

또래조정 운영 설문지

또래조정 운영 설문지

이 설문은 한 해 동안 운영된 또래조정프로그램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입니다.

단계별 문항을 자세히 읽고 솔직하게 대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문 참가자는 조정자 담임교사 입니다.

1단계 : 준비 1. 또래조정 적용 대상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적절하지 않았다면 몇 학년을 대상으로 하면 좋을까요? ( )2. 또래조정 교육은 적절한 시간에 진행되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적절하지 않다면 원하는 시간과 이유를 적어보세요. 시간: ( ) 이유: ( )

3. 또래조정활동 운영·관리 방법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2단계 : 선발 4. 또래조정 홍보는 잘 이루어졌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어떤 방법으로 홍보하면 좋을까요? ( )5. 또래조정자 선발인원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6. 또래조정자 선발방법은 공정하고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선발의 어떤 방법이 부적절 했나요? ( )

3단계 : 교육 7. 또래조정자 기초교육시간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몇 시간 하는 것이 적당할까요? 15차시 이하 15차시 이상8. 또래조정자 교육내용은 조정활동을 하기에 충분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어떤 내용을 보충하는 것이 좋을까요? ( )9.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조정이해교육은 효과가 있었나요? 매우 있다 보통 없다10.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조정교육시간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몇 시간 하는 것이 적당할까요? 5차시 이하 5차시 이상

4단계 : 운영 11. 또래조정 준비를 위한 신청서, 신청함, 조정실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어떤 점을 보충하면 좋을까요? ( )12. 또래조정 운영을 위한 조정자 선정은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13. 또래조정후 작성한 합의문들이 잘 이행되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이유가 무엇일까요? ( )14. 또래조정자 역량강화를 위한 추수지도는 적절했나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어떤 점을 보충하면 좋을까요? 추수지도시간 내용 방법

5단계 : 평가 15. 또래조정 참가자 평가서 문항은 적절한가요? 매우 적절 보통 미흡

그렇지 않다면 어떤 점을 물어보면 좋을까요? ( )

Page 7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70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3) 사례평가

[사례평가]는�또래조정활동에�참가한�사례를�분석하여�학교의�갈등�유형과�특징을�

파악하는데�그�목적이�있다.

<표 20> 사례평가 주요 내용

요소 내용

평가과정

분석 평가 자료 분석

평가 성공 사례 및 실패 사례 분석, 유형 분석

개선점 도출 유형별 갈등해결을 위한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신청서 질적 분석

합의서 합의방법, 이행여부 분석

참가자 평가서 질적 분석

[평가과정]은�분석�▶�평가�▶ 개선점�도출�단계로�진행된다.

-�분석�:�신청서,�합의서,�참가자�평가서를�수집하고�분석한다.

-�평가�: �수집한�자료를�바탕으로�신청횟수,�성공사례�및�실패�사례,�갈등의�유형�및�

특징을�평가한다.

-�개선점�도출�:�유형별�갈등해결을�위한�개선점을�도출한다.

[사례평가]는 또래조정활동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한 학교 내 갈등

유형과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또래조정프로그램 뿐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갈등 해결 및

인성지도를 위한 대책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평가자료]

-�신청서�: �총�신청횟수,�성공사례�횟수,�실패사례�횟수,�갈등�유형�및�특징�등을�분석·

평가한다.

-�합의서�:�갈등에서�학생들이�원하는�해결방안�등을�분석·평가한다.�

-�참가자�평가서�:�유형별�갈등해결을�위한�개선점에�대해�분석·평가한다.�

tip

Page 7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71

예시 21 또래조정 사례 평가지

또래조정 사례 평가지

▶ 운영기간 : ~

▶ 조정실적

총 신청건수 ( ) 성공사례 ( 건) 실패사례 ( 건)

▶ 갈등 유형별 횟수

소문 ( 건) 싸움 ( 건) 놀림 ( 건) 물건 손실 또는 분실 ( 건)

관계 ( 건) 욕설 ( 건) 기타 ( 건)

▶ 갈등의 주요 특징

▶ 갈등 유형별 원하는 합의방향 요약

소문 :

싸움 :

놀림 :

물건 손실 또는 분실 :

관계 :

욕설 :

기타 :

▶ 주목할만한 갈등 사례와 시사점

사례번호 : 시사점 :

사례번호 : 시사점 :

사례번호 : 시사점 :

사례번호 : 시사점 :

Page 7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72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4) 조정자역량평가

조정자역량평가는�또래조정자교육�프로그램의�효과성을�점검하고�개선하기�위한�

평가이다.

<표 21> 조정자역량평가 주요 내용

요소 내용

평가과정

분석 평가 자료 분석

평가 조정자의 능력을 평가

개선점 도출 조정자교육 프로그램 개선점 도출

평가자료

참가자 평가서 참가자가 느끼는 조정자의 역량 평가

조정자 설문지 조정자가 느끼는 조정자 역량 평가

추수지도 자료 추수지도 사례를 통한 조정자 역량 평가

[평가과정]은�분석�▶�평가�▶ 개선점�도출�단계로�진행된다.

-�분석�:�참가자�평가서,�조정자�설문지,�추수지도�자료를�수집하고�분석한다.

-�평가�: �갈등이해,�또래조정�과정�준수,�중립성�준수,�당사자의�자율성�존중,�비밀유지,�

의사소통�기술,�적극성을�평가한다.�

-�개선점�도출�:�평가�내용을�바탕으로�조정자�교육�프로그램의�개선방안을�도출한다.�

[조정자역량평가]는 또래조정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에서 시행할 수도 있지만, 또래조정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동안에도 수시로 평가하여 추수지도에 반영하는 등, 조정자 교육이 끝나는 시점부터

지속적으로 평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가자료]

-�참가자�평가서�:�신청자가�필요로�하는�조정자의�능력을�분석한다.

-�조정자�설문지�:�조정자가�스스로�느끼는�역량을�분석한다.�

-�추수지도자료�:�사례별�추수지도�내용을�분석하여�부족한�조정자역량�분석

tip

Page 7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73

예시 22 또래조정자 조정역량 설문지

또래조정자 조정역량 설문지

이 설문은 조정자 여러분의 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단계별 문항을

자세히 읽고 솔직하게 대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 또래조정 경력은 얼마인가요? 1년 2년 3년

▶ 갈등에 대해 잘 알고 있나요? 잘 알고 있음 보통 잘 모름

▶ 또래조정과정과 절차에 대해 잘 알고 있나요? 잘 알고 있음 보통 잘 모름

▶ 조정활동에 있어 중립성을 잘 지켰나요? 잘 지켰음 보통 잘 지키기 않았음

▶ 갈등 당사자들이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존중해 주었나요?

의견을 존중했음 보통 의견을 존중하지 않았음

▶ 조정한 내용에 대해 비밀을 잘 지켰나요? 잘 지켰음 보통 잘 지키기 않았음

▶ 조정과정에서 갈등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잘 이끌었나요?

잘 지켰음 보통 잘 지키기 않았음

▶ 신청 받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노력했나요?

적극적으로 노력했음 보통 노력하지 않았음

▶ 조정과정에서 가장 힘들고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age 7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74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예시 23

7 계획서 작성

1) 운영 계획서 작성

완성된�체크리스트를�바탕으로�운영계획서를�작성한다.��

또래조정 운영계획서

또래조정 운영 계획서

○초등학교○○ 학년도 또래조정반 운영 계획서

담 당

○○부 ○○○

1. 목적

학생들에게 갈등 및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고, 또래들의 적극적인 갈등 조정역할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며, 학교 내 갈등을 대화, 토론 및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 해결하는 건전한

또래문화 조성

2. 개요

가. 운영기간: ○○월 ~ ○○월

나. 적용대상: ○학년 ~ ○ 학년 / 각반 ○○명

다. 조정자교육시간: 일과 후 / ○○일부터 ○○일까지 3:00~4:00

라. 운영·관리: 동아리형태 / 담당교사: ○○○○

3. 세부운영계획

가. 또래조정 홍보

1) 홍보시기 및 방법

시기 기간 대상 및 방법

1차

2차

Page 7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3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75

나. 또래조정자 선발

1) 선발 대상: ○○학년/ 학급당 2명

2) 선발 기준: 신청서(30) + 면접(의사소통능력(30), 갈등이해(30), 참여의지(40))

3) 선발 과정: 모집공고 ▶ 면접 ▶ 1차 선발 ▶ 조정자 교육 ▶ 최종 선발

4) 모집 기간: ○○월 ○○일 ~ ○○월 ○○일

다. 또래조정자 기초교육

1) 교육 차시: ○○월 ○○일 ~ ○○월 ○○일 / 15차시 / 장소: ○○○실

2) 교육 담당: 담임교사 (Wee클래스 전문 상담사)

3) 교육 주제

순 주제 차시

라. 일반학생 또래조정 이해교육

1) 교육 회기: ○○월 ○○일 ~ ○○월 ○○일 / 5회기 / 장소: 각반 교실

2) 교육 담당: 담임교사

3) 교육 주제

순 주제 차시

마. 또래조정자 운영준비

1) 발대식: ○○월 ○○일 장소:

2) 환경조성

내용 배치장소 비고

신청서

또래조정실

신청함

조정자 수첩

바. 또래조정자 운영관리

1) 신청관리: 또래조정 적합성 판별 / 담당교사 직접 판별

※ 학교폭력 관련 신청 건은 또래조정으로 해결 불가

2) 조정자배정: 1.신청자 희망 조정자 우선 / 2.담당교사 임의분류 / 3.2인 공동 조정

3) 합의문 확인: 합의 내용 적합성 판별(담당교사)

Page 7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76 제3장 또래조정 프로그램 운영

사. 추수지도

1) 추수지도 차시: 12차시 이상 / 매주 수요일 오후 2:00~3:00

2) 장소: Wee클래스 상담실

3) 추수지도 주제 및 내용

순 주제 차시

1

1~12차시2

3

4. 운영내용 평가 계획

가. 운영과정평가

1) 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2) 평가자료: 운영담당자 자체평가 / 설문지 / 참가자 평가서

3) 평가내용: 운영단계별 내용 적절성 및 효과성 평가, 개선점 도출

나. 사례평가

1) 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2) 평가자료: 신청서 / 합의서 / 참가자 평가서

3) 평가내용: 학교 갈등의 유형 및 특징 평가

다. 조정자역량평가

1) 평가과정: 분석 → 평가 → 개선점 도출

2) 평가자료: 참가자 평가서 / 조정자 설문지 / 추수지도 자료

3) 평가내용: 조정자 교육 프로그램 개선 내용 도출

5. 기대되는 효과

가.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이 또래학생들에게 손쉽게 도움 요청 및 문제해결의 힘을 얻을 수 있음.

나. 긍정적이고 보살피는 학교문화 형성에 기여

다. 학생들 스스로 문제 상황을 해결함으로써 리더쉽 및 자기주도적 문제해결 능력 신장

Page 7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 동아리 단위

2. 학급단위

3. 학생 자치회

4. 기타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제4장

* 본장의또래조정예시(안)들은초등학교를기본으로한것으로,중·고등학교의경우그실정에맞게적절하게조정해서운영할수있다.

Page 7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78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1

또래조정반을�운영하기�위해서는�우선�교육훈련�및�또래조정이�이루어질�수�있는�시간

을�확보하는�것이�중요하다.�가능한�정해진�시간에�교육훈련�및�또래조정이�이루어지면�

좋겠지만,�학교�상황에�따라�자유롭게�활용할�수�있다.�

수업시간�내의�운영은�창의적�체험활동�부서별(또래조정동아리),�학급별(또래조정�시간

배분),�교과연계(국어,�도덕,�사회)�등을�들�수�있겠고,�교과시간�외의�운영은�학생동아

리(또래조정동아리),�학생회�활동(또래조정부)을�생각할�수�있다.�또,�토요휴업일을�활

용하거나�방학�중�집중기간을�잡아�운영할�수�있고,�또래조정만을�위한�행사를�기획하

거나�다른�행사와�연계해서�운영하는�방안도�있다.�

운영형태에�따라�교육훈련에�집중이�되든지(예:�방학�중�집중운영)�또래조정에�집중이�

될�수�있다(예:�또래조정의�날�등�학교�행사).�어떤�형태이든�체계적인�또래조정�프로그

램�운영이�될�수�있도록�정기적인�모임을�가지는�것이�좋다.

동아리 단위

1. 창의적 체험활동 부서별(또래조정 동아리)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v

특정학년 v

특정학급

조정자 교육시간

일과 후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v

운영 · 관리 단위동아리 v

학급

Page 7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79

가. 운영의 개요

▶ �활동�시간들이�띄엄띄엄�띄어져�있을�수�있어서�훈련내용의�연속성이�부족할�것을�

감안한다.

▶ 활동이�40분�단위로�운영되므로�교육내용을�구조화시키는�것이�중요하다.

▶ �운영시간이�확보되므로�방과�후�별도의�시간을�할애하지�않아도�된다는�것과�

안정적으로��운영된다는�것은�큰�장점이다.

동아리�결성�시�특성

-�또래조정이�생소해서�지원자가�적을�수�있다는�것을�감안한다.

- �의견표현을�분명하게�하지�않는�소극적인�학생들이�다른�부서에서�밀려서�지원하게�될�

가능성도�고려해서�준비하는�것도�좋다.

집단�특성

-�여러�학년을�묶는�수직조직이라면�낮은�학년에�초점을�두고�운영한다.

-�또래조정동아리는�가능하면�같은�학년으로�구성하는�것이�좋다.�

기타�특성

- �부서별�활동은�각각�다른�학년,�다른�반에서�모여들기�때문에�수업의�시작�시각은�

늦어질�가능성이�높고,�수업이�마치는�시각은�맞추어서�끝내어야�하므로�계획된�활동을�

충분히�못할�가능성도�감안해서�계획을�수립한다.

- �2시간씩�집중운영을�하는�학교의�경우,�학교별�실정에�맞게�수정,�통합하는�등�상황에�

맞추어�운영�가능하다.

- �또래조정부의�활동의�목표를�또래조정�훈련인지�실제의�또래조정인지에�따라�수업의�

내용을�더�확충하거나�통합하여�운영할�수�있다.�

- �창의적�체험활동�동아리�시수가�15시간에�미치지�못할�경우에는�방과후�수업,�

토요휴업일�집중훈련을�활용하는�방안도�생각해�본다.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A�초등학교�5-6학년�창의적�체험활동�시간�중�부서별�활동을�예시로�

작성해�본�것으로,�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A초등학교는�

수직조직을�하고�있으며,�매주�수요일�5교시마다�1시간씩�동아리수업을�운영한다.

Page 8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80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1)�준비

- �누가�운영할�것인가를�정한다.�A�학교는�또래조정업무담당교사가�또래조정동아리를�

운영한�사례이다.

- �A�학교에서는�창의적�체험활동�동아리를�조직하기�전에�기초조사서를�배부하여�개인의�

의견을�수렴한�후�동아리를�신설하거나�폐강하는�등�조정�작업을�하므로�조정�작업에�

걸려�폐강되지�않도록�홍보하는�일이�중요하다.

- �창의적�체험활동시수를�확인한다.�A초등학교는�1학기에�9시간,�2학기에�7시간을�

배정되어�있고,�시수는�월별로�보면�아래와�같다.

월구분

4월 5월 6월 9월 10월 11월시수합계

5-6학년 3, 10, 17, 24 29 5, 12, 19, 26 4, 11, 25 16, 23 7, 14, 16

- �동아리�조직을�하기�전�또래조정부에�대해�홍보를�할�수�있다.�아침방송�시간에�

또래조정�홍보�동영상을�보여주고,�학급별로�담당교사가�방문을�해서�또래조정에�대해�

홍보한다.

2)�선발

-�창의적�체험활동의�동아리활동이므로�활동자의�자발성을�최대한�존중한다.

- �2인�1조로�적극적�듣기연습,�3명�1조로�모의조정연습�할�것을�생각하면�2와�3의�

공배수인�12명이�좋다.�하지만�8명이�온다면�4인�1조로,�6명이�온다면�3인�1조로�두�

모둠을�만든다면�활동에�대한�피드백을�나누는�것�까지�충분히�40분�안에�할�수�있을�

것을�생각할�수�있다.�전체�인원을�생각해서�학급별로�인원을�배분할�수도�있지만,�15명�

이내라면�크게�달라질�점이�없다.�남녀비율이�균형을�이루면�좋지만�굳이�맞출�필요는�

없다.

3)�교육

- �동아리�수업이�들은�날은�아침부터�학급으로�메신저를�보내어�일찍부터�수업을�시작할�

수�있게�학생을�보내어�달라고�부탁할�수�있는데�교육시간을�확보하기�위한�방법�중�한�

가지다.�동아리�수업이�5교시이므로�5교시�준비종이�칠�때�수업을�시작할�수�있도록�

함으로써�교육시간을�5분씩�더�확보하고,�5교시�마치는�시각보다�5분�더�수업을�

함으로써�실제�훈련시간을�50분�확보한다.

Page 8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81

- �담당교사가�운영계획을�수립하며�목표를�설정한다.�또래조정에�초점을�맞출�것인지�

훈련에�초점을�맞출�것인지에�따라�약간씩�다르게�설정이�가능하다.

- �또래조정�매뉴얼대로�교육을�하는�것보다�학생들의�생각과�말을�적극적으로�경청하고�

공감하는�교사의�태도가�더�요구된다.�또래조정부에서는�누가�말을�하더라도�경청하는�

태도를�가질�것을�첫�시간부터�알려주고,�교사�또한�또래조정자의�모델링이�되도록�

공감적으로�반응하고�대화하는�것이�바람직하다.

- �수업�중에�갈등상황이�벌어진다면�그�상황을�활용하여�조정활동을�해�본다.�두�학생이�

갈등상황을�일으키거나,�개인적인�갈등상황을�말할�때�공감적으로�경청하고�조정하는�

연습을�통해�실생활에�적용하는�방법을�더�잘�배우게�된다.

4)�운영의�목표

가)�생활�속에서�갈등을�대하는�본인의�태도를�인식한다.

나)�갈등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방법이�있음을�안다.

다)�또래조정방법을�익혀�친구�사이의�갈등을�조정할�수�있음을�안다.

라)�갈등�당사자�두�사람을�연결하는�올바른�또래조정�방법을�안다.

5)�운영

-�기본�훈련과정이�끝난�후에는�갈등사례를�제시한�후�모의조정�훈련을�한다.

- �모의조정을�할�때에는�의자를�세�개�<ㄷ>자�모양으로�두고�조정자와�갈등�당사자의�역��

할극을�해�보는�것도�도움이�된다.

- �매�차시�수업마다�활동에�대한�피드백을�나누는�것이�좋은데,�이해나�수용정도를�파악할�

수�있기�때문이다.�

Page 8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82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24

6)�운영계획표�예시자료

A 초등학교에서의 동아리 조직 기초조사표

동아리 조직을 위한 기초조사서(5-6학년)

※ 매주 수요일 5교시에 5~6학년의 동아리 활동이 운영됩니다. 아래의 표는 우리학교에서 개설

계획 중인 부서입니다. ①~⑨중에서 희망하는 부서를 세 가지 정해서 차례대로 적어주세요.

이 표에 없지만 꼭 하고 싶은 부서가 있으면 신설부서 자리에 적어주세요. 또 동아리 활동관련

의견은 기타의견에 써 주세요.

※ 부서별 희망인원이 너무 적으면 폐강할 수 있습니다.

※ 기초조사서는 어린이 여러분의 의견을 모으기 위한 자료이며, 동아리부서 확정은 아닙니다. 추후,

부서가 정해진 후 다시 희망서를 받겠습니다.

1. 개설예정 동아리

영역 부서명적정인원(학급별)

부서 소개

학술

문예

① 영어동화부 2~3명 영어동화를 읽고 다양하게 독후활동

② 발명부 3~4명 아이디어를 계발하고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발명 활동

③ 또래조정부 3~4명 친구사이의 갈등을 조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힘

2. 희망서

신청자 희망순위 신설희망 부서명

(신설희망이 있을 경우)학반 이름 1 2 3

② 발명부

3. 기타 의견

Page 8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83

예시 25 A 초등학교에서의 동아리 조직표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조직표(5-6학년)

※ 매주 수요일 5교시에 5~6학년의 동아리 활동이 운영됩니다. 아래의 표는 기초조사서의 의견을

모은 결과 개설이 확정된 부서입니다. ①~⑦중에서 희망하는 부서를 세 가지 정해서 차례대로

적어주세요.

※ 부서확정은 담임선생님께서 최종 적어주실 자리이므로 어린이 여러분은 적지 않도록 합니다.

1. 개설 확정 동아리

영역 부서명적정인원(학급별)

부서 소개

학술

문예

① 발명부 3~4명 아이디어를 계발하고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발명 활동

③ 또래조정부 2~3명 친구사이의 갈등을 조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힘

2. 활동부서

신청자 희망부서

학반 1희망

이름2희망

3희망

부서확정(선생님기록)

Page 8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84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26 A 초등학교 또래조정 운영계획서

( 또래조정 )부 연간 지도 계획

2013년 1학기지도교사 ( ) (인)

순 날짜(요일) 주제 활동 내용 준비물

1 4월 1주 마음열기 ice-breaking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4월 2주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 Ground-rule 정하기

3 4월 3주 갈등이해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 갈등이 삶의 일부임

을 이해, 갈등이 긍정적 변화의 계기될 수 있음

4 4월 4주갈등해결방법

이해자신의 갈등해결스타일(5개 유형) 알기 / 특징 이해

5 5월 3주조정이란,

조정자 역할조정에 대한 이해 (방식, 원칙 등) / 조정자의 자질

6 6월 1주 조정 절차 이해 조정절차 비디오 시청 / 단계별 내용 이해

7 6월 2주 도입단계 실습 house warming / 조정자 도입부 멘트

8 6월 3주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내용을 이해하고 실습

9 6월 4주느낌과 감정

표현하기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에 초점

1학기 계 9시간

2학기지도교사 ( ) (인)

순 날짜(요일) 주제 활동 내용 준비물

10 9월 1주갈등분석과

문제규명입장/실익 구분 실습

11 9월 2주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실습

12 9월 3주합의문 만들고

지키기합의안 작성 실습 (합의안 평가)

13 10월 3주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10월 4주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11월 1주또래조정

전 과정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방안

16 11월 2주 수료식 또래조정 수료식, 소감 나누기

2학기 출석계 7일, 2013년 5-6학년 동아리활동 출석계 16일(16시간)

Page 8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85

또래조정훈련 시수 확보 방안

다양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40분 동안 한 주제를 소화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동아리 구성원이 10명

이상이라면 더욱 시간이 부족하다. A초등학교의 경우 5교시에 운영하므로 점심시간 중 수업시작

전 5분과 마친 후 쉬는 시간 5분을 붙여서 50분으로 운영하면 활동시간을 10분씩 더 확보할 수

있다.

2. 방과 후 학생동아리(또래조정 동아리)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v

특정학년

특정학급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v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v

학급

가. 운영의 개요

시간�운영�특성

- �방과�후�학생의�움직이는�동선을�담임교사와�학부모가�알고�있어야�하므로�활동할�수�

있는�요일과�시간을�정해�규칙적으로�운영하도록�한다.

-�시간운영계획(변경사항�포함)은�미리�학급과�가정에�알려야�한다.�

또래조정�지도교사�팀으로�운영

- �운영교사는�동료교사나�Wee클래스�상담사와�협력할�수�있는�체제를�마련하여�

운영교사의�출장�등이�발생할�경우에�도움을�받을�수�있도록�한다.

-�(2월)�학교교육계획�수립�시�의사결정합의,�또래조정�동아리�운영교사�확보

-�(3~4월)�또래조정동아리�홍보,�선발,�운영계획수립,�또래조정동아리�결성

tip

Page 8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86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4~7월)�또래조정�훈련�15시간�이상

-�(9~12월)�또래조정�운영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B초등학교에서의�방과후�또래조정동아리�활동을�예시로�작성해�본�

것으로,�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

1)�준비

- �누가�운영할�것인가를�정한다.�B초등학교는�또래조정업무담당교사가�또래조정동아리를�

운영한�사례이다.

- �B초등학교에서는�학교폭력을�예방하고�친구들�사이에�일어나는�갈등을�조정하는�

기술을�배우는�또래조정�훈련과정에�참여할�아동을�가정통신문과�방송을�통해�홍보하고�

특별한�자격조건�없이�본인이�원하면�또래조정동아리에�자유롭게�모집하였다.�학교별�

실정에�맞게�또래상담가라든지�친구의�추천,�담임교사의�추천�등의�방법을�활용할�수�

있다.

- �B초등학교에서는�또래조정훈련�학생들이�참가�가능한�방과�후�시간을�확보하는�것이�

우선이다.�B�초등학교에서는�주�1회�요일과�시간을�정해�정기적으로�운영하였다.�

집중운영�보다는�규칙적으로�시간을�정해�운영하는�것이�효과적이다.

-�조정훈련학생의�보호자와�통화를�해서�정해진�시간을�알려주고�연락처를�확보한다.

- �한편,�또래조정�훈련이�있는�날은�6교시�마치자마자�학생을�보내달라는�부탁을�

담임선생님께�구하고,�기획위원회,�생활부�업무에�또래조정반을�운영할�것임을�알리는�

등,�또래조정훈련과정에�대해�알리고�필요한�선생님의�협조를�구하는�것도�좋다.�

동료교사들이�잘�알고�잘�협력할수록�또래조정도�잘�운영된다.

- �학년�초�바쁜�업무가�몰리는� 3월은�피하고� 4월부터�시작하여�운영가능한�

시수를�알아본다.�B초등학교에서는�학기별�12시간씩�운영이�가능하였다.�방과�

후�프로그램이므로�담당교사가�출장이�생기는�날에�대비하는�것이�좋은데,�

B초등학교에서는�Wee클래스의�상담사의�도움을�받아�담당교사가�출장을�갈�경우�

복습활동을�하거나�의사소통�훈련으로�계획을�세웠다.

2)�선발

-�자유로�참여의사를�밝힌�5~6학년�학생�10여명�내외

Page 8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87

3)�교육

- �훈련기간과�운영기간을�기획한다.�또래조정훈련이�처음이라면�훈련기간이�좀�길어도�

괜찮고,�또래조정이�운영되고�있는�학교라면�훈련기간이�짧아도�무리가�없다.�

- �훈련과정에서�중요한�것을�갈등을�다루는�교사의�방식이다.�훈련에�참여하는�

학생들에게�일상생활�속의�갈등�상황을�수집하도록�하고,�그런�갈등에�있을�때�본인의�

느낌에�집중하는�훈련도�겸한다.

-�매�훈련마다�수집한�갈등사례들을�모아�두었다가,�모의조정의�제재로�활용할�수�있다.�

4)�운영의�목표

가)�생활�속에서�갈등을�대하는�본인의�태도를�인식한다.

나)�갈등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방법이�있음을�안다.

다)�올바른�또래조정�방법이�있음을�안다.

라)�또래조정방법을�익혀�친구�사이의�갈등을�조정해�본다.

5)�운영

- �또래조정�훈련이�있는�날은�당일�학교�일지에�홍보하고,�담임교사에게도�메신저를�

보내어�제�시각에�훈련이�시작될�수�있게�조처를�취한다.�

- �부득이한�사유가�생겨�수업을�할�수�없는�일이�발생했다고�하더라도�일주일을�그냥�

보내지�않고�아침시간이나�방과�후를�이용해서�잠시라도�모임을�갖는�것이�좋다.

- �또래조정훈련이�중반부로�접어들면�생활�속에서�또래갈등상황에�개입할�수�있도록�

격려하고�훈련시간�중에�개입한�문제를�다루어보는�것도�효과적이다.

- �방과�후�수업이더라도�초등학생의�경우�가정에�예고된�시간에�마쳐야�한다.�만약�수업이�

길어져서�30분�이상�늦어졌다면�담임교사�및�가정에�알리는�것이�좋다.

Page 8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88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27

6)�운영계획표�예시자료

B 초등학교 또래조정 운영계획표

또래조정 운영계획

1. 운영 목적

학생 주도의 또래조정 활동을 통하여 학생 간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토론을 통한 갈등해결을 모색함으로써 폭력 없는 학교를 만들고자 함.

2. 또래조정 훈련 및 활동계획

가. 실시대상 및 방법

1) 대상 : 또래조정자를 지원한 학생 10여명

2) 일시 : 04.23-11.26. 매주 화요일 14:40-15:20

3) 방법 : 또래조정 훈련을 통해 또래조정자의 소양을 익혀 실제상황에서 또래조정을 운영하도록 함

나. 운영프로그램

회 날짜(요일) 주제 활동 내용

1 04.23(화) 마음열기 ice-breaking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04.30(화)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 Ground-rule 정하기

3 05.07(화) 갈등이해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 갈등이 삶의 일부임을 이해, 갈등이 긍정적 변화의 계기될 수 있음

4 05.14(화) 갈등해결방법 이해 자신의 갈등해결스타일(5개 유형) 알기 / 특징 이해

5 05.21(화) 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조정에 대한 이해 (방식, 원칙 등) / 조정자의 자질

6 05.28(화) 조정 절차 이해 조정절차 비디오 시청 / 단계별 내용 이해

7 06.04(화) 도입단계 실습 house warming / 조정자 도입부 멘트

8 06.10(화)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내용을 이해하고 실습

9 06.11(화) 느낌과 감정 표현하기 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에 초점

10 06.25(화)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입장/실익 구분 실습

11 07.02(화)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실습

12 07.09(화) 합의문 만들고 지키기 합의안 작성 실습 (합의안 평가)

13 09.10(화)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09.17(화)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09.24(화) 또래조정 전 과정 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방안

Page 8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89

회 날짜(요일) 주제 활동 내용

16 10.01(화) 모의조정 조정절차에 맞추어 조정연습

17 10.08(화) 모의조정 접수하기와 조정 시작하기

18 10.15(화) 모의조정 2인 1조로 갈등당사자 공감하기

19 10.22(화) 모의조정 3인 1조로 문제규명 실습하기

20 10.29(화) 모의조정 3인 1조로 브레인스토밍 실습

21 11.05(화) 모의조정 3인 1조로 합의문 만들기 실습

22 11.12(화) 모의조정 3인 1조로 모의조정 전체실습

23 11.19(화) 모의조정 3인 1조로 실제사례 전체실습

24 11.26(화) 수료식 실천선언문, 수업평가, 수료식

3. 기대되는 효과

가. 또래조정훈련을 통해 공감적 경청을 통한 갈등해결방법을 익히게 되어 평소에도 친구들의 말을

잘 들어주게 되고,

나. 실제 또래조정활동을 통해 실제 갈등상황에서 회피하지 않고 적극 개입하게 되어 학교폭력의

가능성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임.

방과 후 동아리는 운영 예산이 필요하다. 간식비 등의 운영비가 꼭 필요하고, 학교폭력예방교육,

상담실 운영, 자치활동, 학생동아리 등의 예산을 활용할 수 있다.

또래조정반 예산의 사용용도

- 또래조정반 간식비, 교재 및 유인물 제작비

- 임명장, 뺏지, 수첩 제작, 티셔츠 등 필요물품 구입비

- 외부전문강사 섭외 및 강사비

또래조정자 보상체계

- 또래조정자 임명장 수여 : 학교장 명의로 수여함으로써 명예 부여

- 봉사활동 점수 인정 : 학교 별로 교내봉사활동 점수항목으로 반영

- 생활기록부에 기록 : 훈련을 받거나 활동을 한 내용을 기록함

tip

tip

Page 9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90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2 학급 단위

1. 창의적 체험활동(학급단위)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특정학년 √

특정학급 √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학급 √

가. 운영의 개요

운영상의�특성

- �동�학년�수준에서�의사결정이�있어야�하며,�연속적으로�운영되지�않을�수�있음을�염두에�

두어야�한다.

- �학급별�창의적�체험활동시간을�활용할�경우,�동아리�활동과�달리�또래조정에�대한�

관심도가�서로�다르다는�것,�학생�수가�많다는�것,�학생들�수준을�고려해야�한다는�것을�

유념해야�한다.

운영의�목적

- �핵심요원을�또래조정자로�훈련시키는�것과�다르게�모든�학생들이�갈등을�건설적으로�

다루고�관리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 �또래조정자의�활동�보다는�학생들의�갈등을�다루는�방법,�조정하는�방법,�또래�갈등에�

개입하는�방법�등이�핵심활동이�되어야�한다.

운영�방법

- �창의적�체험활동�주제별�담당교사를�정한�후�교환�수업으로�운영할�수도�있다.�만약�

Page 9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1

수업교환형태로�운영한다면�동�학년의�창의적�체험활동시간의�시간표를�고정해서�

운영해야�한다.

- �1학기�동안�10시간�내외를�배정해서�운영한다면�훈련과정에서의�연속성을�도모할�수�

있고,�2학기부터는�별도의�시간배정�없이�생활지도�중�또래조정을�활용할�수�있다.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C�초등학교에서의�창의적�체험활동�중�또래조정훈련부분을�예시로�

작성해�본�것으로,�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1)�준비

- �2월,�교육계획을�기획하면서�또래조정을�특정�학년에서�운영하기로�결정했다면�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배정하고�교육계획서에�반영한다.�또래관계가�우선되기�시작하는�

5학년에서의�또래조정수업은�사회성�발달이나�인지발달단계에도�적절한�시점으로�

파악된다.

- �교무,�생활부,�연구부�및�5학년�담임교사가�함께�협의해서�운영시수를�확보하고,�

전체적인�운영�세부사항은�업무담당교사와�함께�협의한다.

- �5학년의�교육과정에는�갈등을�직접�다루는�단원이�있는데(도덕�2,3단원)�창의적�

체험활동�또래조정수업내용과�연계해서�운영할�수�있다.

- �외부전문코치를�초빙하여�수업시간에�도움을�받게�된다면,�외부강사섭외,�강사비지출�

등의�업무를�맡을�사람이�필요하다.�외부강사�초빙의�경우�예산이�확보되어�있어야�

함은�물론이다.

- �창의적�체험활동시간을�15시간�모두�배정할�수�없다면,�일정시간은�창의적체험

활동시간을�배정하고,�아침자습이나�방과후�시간을�활용하여�보충할�수�있다.�Wee

클래스가�있다면�또래조정�수업에�전문상담사의�도움을�받을�수도�있다.�

�2)�선발

- �C�초등학교는�5학년을�대상으로�운영하기로�하였으므로�5학년�전체가�교육대상이�

된다.

�3)�교육

- �훈련�15회기�중�앞부분에�좀�더�집중하거나�길게�한다.�학급�단위�수업이라�개인차가�

나기도�하지만�학습동기가�부족한�학생도�있기�마련이므로�불편한�마음을�표현할�경우�

적극적으로�공감함으로써�본인의�갈등을�다루어�준다.

Page 9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92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 �학생들의�질문은�수집해�두는�것이�좋다.�학생들이�장난스럽게�낸�사례라도�수집해�두면�

끄집어내어�사용할�때가�있다.

-�매�훈련마다�수집한�갈등사례들을�모아�두었다가,�모의조정의�제재로�활용할�수�있다.�

�4)�운영의�목표

가)�생활�속에서�갈등을�대하는�본인의�태도를�인식한다.

나)�갈등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방법이�있음을�안다.

다)�또래조정을�위한�기술을�익혀�올바른�또래조정�방법을�안다.

라)�또래조정방법을�익혀�친구�사이의�갈등을�조정해�본다.

�5)�운영

- �업무담당교사,�담임교사,�전문상담사의�긴밀한�협조체계가�필요하다.�시간표의�변경,�

학교�행사로�인한�수업�결손�등이�발생했을�때�서로�연락하고�보완할�수�있어야�한다.

- �수업을�마친�후�다른�특별실로�이동을�해야�하는�경우가�있다.�담임교사들은�다음�

시간의�수업을�염두에�두고�조금�일찍�마치는�등�시간을�확보하는데�비해�전문상담사는�

그�학급의�다음�시간표를�미처�알지�못하기�때문에�쉬는�시간까지�수업을�하는�경우도�

있으므로�담임교사가�미리�챙겨야�한다.

- �전문상담사가�또래조정�수업을�운영하는�것이�교사에�비해�좋은�점은�학생들이�

교사보다는�상담사와�더�쉽게�소통하는�것이다.

- �만약�전문상담사가�수업을�진행하거나�외부코치가�수업을�한다고�하더라도�담임교사는�

반드시�임장해서�안전사고�등이�발생하지�않도록�대비한다.

학급단위 수업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

“저는 상담사 될 것도 아닌데 왜 또래조정을 배워야 해요?”라는 질문을 학생에게 받을 경우, 그

학생의 느낌과 욕구에 공감함으로써 조정의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 시간을 좀 더

재미있게 공부하고 싶니?” 라든가, “네가 원하는 공부를 했으면 좋겠다는 말이니?”, 또는 “네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는 것도 또래조정의 일부란다.”

tip

Page 9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3

예시 28

6)�운영계획표�예시자료

C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또래조정 운영계획표

회 날짜 (시간) 주제 활동 내용

1 04.03(수) 1교시 마음열기 ice-breaking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04.10(수) 1교시 또래조정소개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 Ground-rule

정하기

3 04.17(수) 1교시 갈등이해

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 갈등이

삶의 일부임을 이해, 갈등이 긍정적 변화의

계기될 수 있음

4 ★방과후 04.22-05.07 갈등해결방법 이해자신의 갈등해결스타일(5개 유형) 알기 /

특징 이해

5 05.08(수) 1교시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조정에 대한 이해 (방식, 원칙 등) /

조정자의 자질

6 ★방과후 05.13-05.16 조정 절차 이해 조정절차 비디오 시청 / 단계별 내용 이해

7 ★방과후 05.20-05.24 도입단계 실습 house warming / 조정자 도입부 멘트

8 ★방과후 05.27-05.31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내용을 이해하고 실습

9 06.05(수) 1교시느낌과 감정

표현하기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에 초점

10 06.12(수) 1교시갈등분석과

문제규명입장/실익 구분 실습

11 06.19(수) 1교시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실습

12 06.26(수) 1교시합의문 만들고

지키기합의안 작성 실습 (합의안 평가)

13 ★방과후 06.27-07.05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방과후 07.06-07.11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07.12(금) 4교시 또래조정 전 과정 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방안

Page 9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94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2. 교과연계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특정학년

특정학급 √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교과 연계 √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학급 √

가. 운영의 개요

시간�운영�특성

- �또래조정을�학급단위로�운영하고자�한다면�교과�간�재구성�혹은�또래조정�프로그램과�

관련교과(국어,�사회,�도덕)와의�융합을�시도해�볼�수�있다.

-�또래조정관련�단원의�시수를�재구성해서�늘려�운영할�수�있다.

운영의�목적�

- �또래조정을�목적으로�하기�보다는�다양성과�차이를�존중하고�공감하는�대화를�통해�

학급에서�발생하는�갈등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방식을�소개하는�등�조정의�기초가�

되는�품성을�쌓는�것을�목적으로�둘�수�있다.

운영�방법

관련교과(국어,�사회,�도덕)�특성

- �국어(말하기�듣기)의�3단원은�다른�생각들을�비교하고�토의하는�단원으로서�또래조정의�

기초가�되는�차이와�다양성을�인정하고�의견을�표현하는�기초를�익히는�수업으로�주로�

조정의�기초에�해당이�된다.

- �사회의�관련단원에서는�갈등상황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방법을�배우고�평화적이고�

건설적으로�갈등을�해결한�사례들을�학습하는데,�이는�주로�조정�기초에�해당�된다.

- �도덕에서는�또래조정의�기초가�되는�다양한�인성�덕목들을�몸으로�익힌다.�특히�

5학년의�2단원�‘감정,�내�안에�있는�친구’에서�분노를�다루는�것은�조정의�기초로서�

분노를�다루는�활동이다.�3단원�‘갈등을�대화로�풀어가는�삶’에서는�갈등을�건설적으로�

Page 9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5

다루는�방법으로�또래조정(도덕�교과서�:�‘또래중재’)을�조정기술과�조정실습을�익힐�수�

있는�내용으로�구성되어�있다.

�� 또래조정�관련�교과-국어

학년학기

관련단원 차시별 수업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 훈련관련

4-13. 이 생각

저 생각

(1-6차시)

토의절차

익히기

토의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적극적

듣기

토의할 때에 지켜야 할 점 알아보기

토의 절차에 따라 토의하는 방법 알아보기

서로 다른 의견을 비교하며 토의에 참여하기

서로 다른 의견을 비교하며 토의에 참여하기

토의 절차에 따라 토의하기

4-23. 서로 다른

의견

(1-6차시)

학급회의 절차

익히기

어떤 경우에 학급 회의를 하면 좋은지 알아보기

적극적

듣기

학급회의 절차 알아보기

학급회의 절차 알아보기

학급회의의 절차에 따라 학급회의에 참여하기

학급회의의 절차에 따라 학급회의에 참여하기

학급회의 결과를 실천하고 점검하기

5-13. 생각과

판단

(1-6차시)

토론의 절차와

방법

토론의 특성 알아보기

적극적

듣기

토론할 때 지켜야 할 점

토론의 절차와 방법

토론을 듣고 주장에 대한 근거 정리하기

토론주제를 정하고 근거 찾기

토론 절차와 규칙을 지키며 토론하기

5-23. 의견과

주장

(1-6차시)

토론할 때

말하는 태도와

방법

주장에 알맞은 근거를 마련하는 방법 알기

적극적

듣기

토론을 할 때에 상대편의 주장을 반박하는 방법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료를 찾는 방법 알기

토론을 할 때의 말하는 태도와 방법 알기

토론 주제를 정하여 토론하기

토론 주제를 정하여 토론하기

6-13. 다양한

주장

(1-6차시)

토의절차에

따라 토의하기

토의가 필요한 상황에 대하여 알기

적극적

듣기

학습 상황에서 토의할 때의 절차 알기

학습 상황에서 토의할 때의 절차 알기

학습 상황에서 해결하여야 할 문제 토의하기

토의 절차에 따라 토의 마무리하기

토의 내용 발표하기

Page 9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96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또래조정�관련�교과�-�사회

학년 관련단원 차시별 수업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 훈련관련

4-1

2(3)우리

시도의 문제와

해결

(10차시) 지역문제의 해결과정

알아보기

•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기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4-2

3(5) 사회의

다양성과

소수자의 권리

(13차시) 우리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

• 우리사회가 다양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안다

• 우리 사회의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찾아보고 그 이유를 안다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5-2

3(3)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하여

(11차시) 인류의 평화와

문화발전을 위한 노력• 평화통일의 길에 대해 안다.

브레인

스토밍

6-1

3(4)

지역개발과

합리적

의사결정

(15-16차시)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따른 갈등

해결 방안 탐색

• 문제인식-대안만들기-대안

평가-대안선택의 합리적 의사

결정과정에 따른 해결방안을

탐색한다.

브레인

스토밍

6-2

3(4) 인류와

공동 번영의

(12차시) 지구촌의 여러 갈등

사례

• 지구촌 갈등과 갈등이

일어나는 지역과 갈등의

원인을 안다. 갈등분석과

문제규명(13차시) 지구촌의 갈등과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 지구촌의 갈등을 현명하게

해결한 사례를 안다.

또래조정�관련�교과�-�도덕

학년 관련단원 차시별 수업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 훈련관련

5

2. 감정,

내 안에 있는

친구

(1차시) 내 안의 소중한 친구,

감정감정의 의미와 중요성 알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5(2차시)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요?

‘화’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 표현하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5 (3차시) 좋은 감정을 길러요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여

자기 감정 표현하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5

3. 갈등을

대화로

풀어가는 삶

(1차시) 갈등과 그 해결,

올바로 알기갈등의 종류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5(2차시)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대화방법 익히고 표현하기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5(3차시) 갈등을 함께

해결하기또래중재로 갈등해결하기 브레인스토밍

5 5. 우리는 하나(2차시) 하나가 되기 위한

발걸음갈등해결을 위한 행동 선택

합의안 만들고

지키기

59. 서로 돕고

힘을 모아(3차시) 여럿이 함께 해 봐요

협동을 실천하려는 의지

다지기

합의안 만들고

지키기

Page 9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7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D�초등학교에서의�교과연계한�또래조정훈련을�예시로�작성해�본�

것으로써�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1)�준비

-�교과간�관련단원을�찾아�재구성함으로써�시수를�확보할�수�있다.�

- �국어�듣기·말하기·쓰기의�3단원�6차시를�활용하여�조정을�위한�기초로써�적극적�

듣기와�대화절차를�익힐�수�있다.

- �도덕의�2단원�3차시를�활용하여�분노다루기,�3단원�3차시를�활용하여�갈등다루기를�한�

후,�도덕�3단원을�1시간�증배해서�심화활동으로�또래조정�실습을�할�수�있다.

- �창의적�체험활동의�자치활동을�2시간�배정하여,�첫�회기의�마음열기와�마지막�회기의�

또래조정�모의실습을�할�수�있다.

- �도덕의�3단원을�1시간�늘리는�부분을�교육과정�재구성으로�잡고,�학급교육과정의�

주제를�또래조정으로�잡아�학급교육계획서를�완성한다.�이때,�학급교육과정의�핵심을�

또래조정으로�하고�생활지도와�연계해서�운영할�수�있다.

교과 국어 3단원 도덕 2단원 도덕 3단원 창·체(자치) 수업시수 계

시수 6시간 3시간 4시간 2시간 15시간

2)�운영

- �국어과의�토론수업은�또래조정을�위한�기초로서도�중요하지만�5학년�수준에서�

이루어져야�할�토의토론�수업의�기초로서도�매우�중요하다.�차례를�지켜�말하는�것,�

다른�사람의�말을�경청하는�것,�감정이�아니라�관찰에�근거하여�반박하거나�찬성하는�

것�등을�익힐�수�있도록�한다.

- �도덕교과에서의�두�단원은�또래조정�교육의�기저가�되는�중요한�단원으로써�나의�

감정을�표현하는�방법,�갈등을�다루는�것을�충분히�하도록�한다.�무엇보다도�도덕�

시간에서는�수업을�운영하는�교사의�태도가�본보기가�되므로�학생의�말에�공감적으로�

반응하는�것이�중요하다.�특히�수업�중�발생하는�사소한�갈등사례를�그냥�넘기지�않고�

갈등�당사자의�마음을�공감해�줌으로써�갈등조정이�생활�속에서�이루어지는�것임을�

보여준다.

3)�교과연계�또래조정�수업의�목표

가) �(국어)�토의·토론�하는�방법을�익혀�본인의�의견을�또렷한�목소리로�말할�수�있고,�

Page 9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98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29

타인의�의견을�귀�기울여�듣는�태도를�익혀�다른�이가�이야기할�때�경청하는�태도를�

실천할�수�있다.

나)�(도덕)�본인의�기분을�적절하게�표현하는�방법인�나�전달법을�익혀�활용할�수�있다.

다) �(도덕)�갈등해결을�평화적으로�해결하기�위한�또래조정�방법을�알고�생활�속에서�

활용할�수�있다.

4)�운영계획표�예시자료

D 초등학교에서의 교과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회일정(교과)

단원(차시) 주제 또래조정 훈련과정

14월 2주

(창체/자치)마음열기 개인소개/기대나누기 조정이해, 수업약속

24월 3주(국어)

3. 생각과 판단(1/6)

토론의 특성 알아보기 적극적 듣기

34월 3주(국어)

3. 생각과 판단(2/6)

토론할 때 지켜야 할 점 적극적 듣기

44월 3주(국어)

3. 생각과 판단(3/6)

토론의 절차와 방법 조정자 역할

54월 4주(국어)

3. 생각과 판단(4/6)

토론을 듣고 주장에 대한 근거 정리하기

문제규명

64월 4주(국어)

3. 생각과 판단(5/6)

토론주제를 정하고 근거 찾기 브레인스토밍

74월 4주(국어)

3. 생각과 판단(6/6)

토론 절차와 규칙을 지키며 토론하기

적극적 듣기

85월 1주(도덕)

2. 감정, 내 안에 있는 친구(1/3)

감정의 의미와 중요성 알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95월 2주(도덕)

2. 감정, 내 안에 있는 친구(2/3)

‘화’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찾아 표현하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105월 3주(도덕)

2. 감정, 내 안에 있는 친구(3/3)

다른 사람의 감정을 고려하여 자기감정 표현하기

느낌과 감정표현하기

115월 4주(도덕)

3.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1/3)

갈등의 종류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126월 1주(도덕)

3.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2/3)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대화방법 익히고 표현하기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136월 2주(도덕)

3.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3/3)

또래중재로 갈등해결하기 브레인스토밍

146월 3주(도덕)

3.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심화)

또래중재로 갈등해결하기 합의안 만들고 지키기

157월 1주

(창체/자치)자치활동

(조정의 전과정)또래조정의 전 과정 조정 실습하기

Page 9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99

3. 중학교에서의 교과연계

가. 운영의 개요

시간�운영�특성

- �또래조정의�기초를�탄탄하게�하기�위하여�교과와�연계한�또래조정�수업을�시도해�볼�수�

있다.

-�또래조정관련�단원의�시수를�증감하여�운영할�수�있다.

운영의�목적�

- �또래조정의�활성화를�목적으로�다양성과�차이를�존중하고�공감하는�연습을�통해�

학교에서�발생하는�갈등을�평화적으로�해결하는�문제해결�능력을�기르고�행복한�

학교생활을�영위하게�하는�데�그�목적이�있다.

관련교과(국어,�사회,�도덕)�특성

- �1학년�국어의�관련단원에는�문학작품을�읽고�갈등�과정을�파악하는�부분이�있다.�

또래조정의�기초가�되는�차이와�다양성을�인정하고�공감하며�듣고�말하는�연습을�하는�

수업으로�조정의�기초에�해당이�된다.�

- �2학년�국어의�관련단원은�주장하는�글을�읽고�주장의�타당성을�평가하며�사회의�다양한�

문제에�대한�논리적인�주장을�익히는�부분이�포함되어�있고�풍자물에�담긴�현실�비판�

내용과�방식을�파악하고�논리전개�연습을�하는�수업으로�조정의�기초에�해당이�된다.�

- �3학년�국어에는�조언이나�충고하는�글쓰기와�사회�문제에�대한�다양한�의견을�

비판적으로�수용하고�자신의�의견을�논리적으로�제시하면서�공감을�이끌어�내는�연습을�

하는�단원이�있어�또래조정의�기술�연마에�도움이�될�수�있다.

- �사회의�관련단원에서는�사회에서�타인과�더불어�살아가는�우리가�다른�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발생하는�차이와�차별의�의미를�배우고,�합리적인�의사결정에�따른�

갈등해결�능력을�학습하는데,�이는�조정의�기초에�해당�된다.

- �도덕은�여러�과목�중�또래조정�능력�및�갈등해결�능력�향상과�가장�밀접하게�관련되어�

있는�과목이다.�좋은�친구�만들기와�우정�쌓기,�이웃에�대한�배려와�봉사활동,�갈등의�

원인�탐색과�평화적인�해결방법�모색,�그리고�그�핵심�대안으로�또래조정(도덕�교과서�:�

‘또래중재’)이�등장하며�조정을�해본�후�보고서를�작성하는�내용으로�구성되어�있다.

Page 10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0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또래중재? 또래조정?

또래조정은 또래 간 갈등에 대해 갈등당사자들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훈련 받은

중립적 또래가 도와주는 방식을 말하는데, 도덕교과서에서의 ‘또래중재’라는 말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래조정�관련�교과�-�사회

학년 단원(차시) 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훈련과정

1개인의 사회적 성장

(1차시)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며

사회 속에서의 인간 이해

사회화의 의미와 역할

사회화와 자아 정체성

갈등 이해

적극적 듣기

1

2. 인간의 사회적

관계

(2차시)

인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와 역할 이해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의 사회적 관계

갈등 이해

적극적 듣기

1

3. 사회생활과

불평등

(3차시)

우리 사회 속의 차별,

불평등 해결을 위한 노력

차이와 차별

사회 불평등

갈등 이해

갈등분석과

문제 규명

3

다양한 이익 충돌과

민주적 해결

(1차시)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따른 갈등 해결 방안 탐색

사회의 다원화와 갈등

정치 과정을 통한 갈등

해결

갈등분석과

문제 규명

브레인스토밍

3

정치과정의

참여주체

(2차시)

시민이 정치 문제의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주체

현대의 정치문제 해결

다양한 정치 참여 주체

또래조정

전과정

tip

Page 10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01

또래조정�관련�교과-국어

학년학기

단원(차시) 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훈련과정

1-1

5. 생각과

마음을

나누는 글

(1-3차시)

글을 읽고 주장과 근거 예측,

의미있는 체험 바탕 글쓰기

차이를 넘어- 심재현, 사랑해

현실을 넘어- 농업을 살릴 방책을

올립니다

감동과 즐거움을 주는 글쓰기

1-2

3. 갈등에서

공감으로

(4-6차시)

문학 작품 속 갈등 과정

파악,공감하며 듣고 말하기

너랑 나랑은, 동백꽃

꿈을 위한 고민, 달리는 차은

공감을 나누는 대화

2-1

3. 비판의

기술

(1-3차시)

풍자의 사회적 역할 이해,

풍자물에 담긴 현실비판 내용과

방식에 대하여 자기주장 표현

더 많이 가졌으면 좋겠어-수학이

모르는 지혜

더 높아졌으면 좋겠어-양반전

요즘 우리 사회는-깨달음, 대화가

필요해

2-2

2. 우리의

생활을

바꾸는 행동

(4-6차시)

주장하는 글을 읽고 주장의

타당성 평가, 사회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논리적 주장

내가 바꾸는 세상-나부터 실천하는

이웃 사랑

우리에게 필요한 변화

우리는 한마음

3-1

5. 사람,

그리고 세상

(1-3차시)

조언이나 충고하는 글쓰기,주변

인물이나 상황에 대한 표현

나, 더불어 사는 삶-의미 있는 삶을

위한 꿈

만화 속에 비친 세상-행복

남산골 샌님-딸깍발이

3-2

5. 우리

사회의 힘

(4-6차시)

사회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

비판적 수용, 자신의 의견

논리적 제시, 공감 이끌어내기

실수의 힘-실수

과학의 힘-현대사회와 과학

다양성의 힘-대한민국 2%의 꿈

Page 10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2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또래조정�관련�교과�–�도덕

학년 단원(차시) 주제 수업 내용또래조정훈련과정

1

2. 친구와

우정의 의미

(1-4차시)

청소년기에 친구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나의 친구관계를 마인드맵으로

표현하기

1친구간의 갈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학교생활과 친구간의 갈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방법 찾기갈등이해

1집단따돌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학교생활에서의

집단따돌림이해하고 해결하기갈등이해

1어떻게 하면 진정한 친구를 사귈 수

있을까?

우정을 쌓아가는 방법

우정에 관한 공익광고 만들기

1

3. 이웃에

대한 관심과

배려

(1-4차시)

이웃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나와 이웃의 관계 갈등이해

1좋은 이웃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이웃 간의 갈등과 해결

적극적

듣기

1 진정한 배려는 어떤 것일까?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방법적극적

듣기

1 진정한 봉사활동이란 무엇인가? 이웃을 위한 봉사활동브레인

스토밍

2

2. 평화적

해결과 폭력

예방

(1-4차시)

갈등은 왜 발생하며 갈등이 커지는

이유는 무엇일까?갈등이 발생하는 이유 갈등이해

2어떤 폭력이 일어나며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어떤 특징이 있나?폭력의 문제점

조정기술:

분노다루기

2학교폭력, 어떻게 예방할 수 있으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하는 방법

적극적

듣기

2(4차시) 평화적인 갈등 해결을 위해

어떻게 대화해야 하나?

평화적인 갈등 해결 방법

협상과 중재의 의미, 또래조정

또래조정

실습

Page 10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03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중학교에서�교과와�연계한�또래조정훈련을�예시로�작성해�본�것으로�

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1)�사전작업�및�준비

- �국어�과목�6차시를�활용하여�조정을�위한�기초를�익히고,�도덕의�2단원�3차시를�

활용하여�분노다루기,�3단원�3차시를�활용하여�갈등다루기를�한�후,�도덕�3단원을�1시간�

증배해서�심화활동으로�또래조정�실습을�해�보기로�한다.�창의적�체험활동의�자치활동을�

2시간�배정하여,�첫�수업의�들어가기와�마지막�수업의�총정리를�해�보기로�한다.

- �도덕의�3단원을�1시간�늘리는�부분을�교육과정�재구성으로�잡고,�학급교육과정의�

주제를�또래조정으로�잡아�학급교육계획서를�완성한다.

교과 국어 3단원 도덕 2단원 도덕 3단원 창체(자치) 수업시수 계

시수 6시간 3시간 4시간 2시간 15시간

2)�운영계획서�작성�시�유의사항

- �또래조정은�또래조정이라는�주제를�학습하는�교육과정이기도�하고�본�학급의�

생활지도의�핵심이기도�해서�올해의�학급교육과정의�핵심�사업으로�설정한다.

- �국어과의�독서수업은�또래조정을�위한�기초로서도�중요하지만�중학교�수준에서�

이루어져야�할�글쓰기�및�토론�수업의�기초로서도�매우�중요하다.�

- �학급에서�소소하게�벌어지는�갈등상황을�관찰해서�기록해�두었다가�또래조정�수업에�

사례로서�활용할�수�있다.

3)�교과연계�또래조정�수업의�목표

가) �(국어)�글쓰기와�토론하는�방법을�익혀�본인의�의견을�명확하게�표현할�수�있고,�

문학작품과�풍자물�속에서�공감하는�방법�및�풍자하는�법을�배우고�적극적�듣기와�

바꿔�말하기를�실천할�수�있다.

나) �(사회)�합리적인�의사결정에�따른�갈등�해결�방안을�탐색하여�효과적인�의사소통

기법을�익힐�수�있다.

다) �(도덕)�갈등해결을�평화적으로�해결하기�위한�또래조정�방법을�알고�학교생활�속에서�

활용할�수�있다.

Page 10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4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30 중학교 교과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회 일정(교과) 단원(차시) 주제 또래조정 훈련 차시별 주제

14월 2주

(창체/자치) 마음열기

24월 3주(국어)

5. 생각과 마음을 나누는 글

(1/6)

문학작품 읽으며 다양성과 차이 이해하기

또래조정 소개

34월 3주(국어)

5. 생각과 마음을 나누는 글

(2/6)

글을 읽고 주장과 근거 예측하기

갈등 이해

44월 3주(국어)

5. 생각과 마음을 나누는 글

(3/6)

의미있는 체험 바탕으로 글쓰기

갈등해결방법 이해

54월 4주(국어)

3. 갈등에서 공감으로(4/6)

문학 작품 속에서 갈등과 분노 파악하기

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64월 4주(국어)

3. 갈등에서 공감으로(5/6)

문학작품 읽으며 꿈을 위한 고민과 갈등 분석하기

조정절차 이해

74월 4주(국어)

3. 갈등에서 공감으로(6/6)

문학작품 속에서 공감하며 듣고 말하기

도입단계 실습

85월 1주(도덕)

2. 친구와 우정의 의미(1/3)

친구관계 마인드맵 표현하기 적극적 듣기

95월 2주(도덕)

2. 친구와 우정의 의미((2/3)

우정을 쌓아가는 방법 익히기 느낌과 감정 표현하기

105월 3주(도덕)

2.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3/3)

갈등의 의미와 갈등의 발생 이유 알기

갈등분석과 문제 규명

115월 4주(도덕)

2.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1/3)

폭력의 종류와 폭력 행사하는 사람의 특징 이해하기

브레인스토밍

126월 1주(도덕)

2.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2/3)

폭력예방 및 대처법 알기 합의문 만들고 지키기

136월 2주(도덕)

2. 평화적 해결과 폭력예방(3/3)

평화적인 갈등해결방법의 탐색-또래조정하기

실습

146월 3주(도덕)

3. 갈등을 대화로 해결하기(심화)

또래조정으로 갈등해결하기 실습

157월 1주

(창체/자치)자치활동 또래조정 전과정

Page 10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05

3 학생회6)

학생회에�또래조정부를�배치하게�되면�또래조정을�학교�차원에서�운영하는�기반이�될�

것이다.�또래조정이�아직�자리를�잡지�못한�시작단계에서�학생회의�활동은�상징적인�

의미가�있고,�일상적인�또래조정을�가능하게�하는�기반이�된다는�점에서�큰�의의가�

있다.�

하지만�학교에서�누구보다도�바쁜�학생들이�어린이회�임원들이다.�학교�방송반이나�

동아리�활동,�학교�대표활동등�대�내외적으로�몸이�바쁜�학생들을�모아서�훈련을�

시키기�위해�시간을�확보하는�일이�쉽지�않다.�

단위학교에서�또래조정훈련을�받은�학생들이�일정수가�확보되어�있어서�

또래조정활동을�일상적으로�할�수�있다면,�학생회에�또래조정부를�두면�안정적으로�

상시�운영이�가능할�것이다.

6) 본매뉴얼에서전교어린이회는‘학생회’,학급어린이회는‘학급회’로명칭을통일하여사용한다.

학생회(또래조정부)

Page 10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6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가. 운영의 개요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

특정학년

특정학급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

학급

1)�학생회(또래조정부)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

특정학년

특정학급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

학급

학생회�산하�또래조정부서를�두어�운영한다.

- �또래조정자들을�모두�또래조정부에�배치하여�또래조정활동을�학생회�활동으로�운영이�

가능하다.

-�또래조정�요일과�시간을�정해�운영하도록�하며,�또래조정결과를�학생회에서�보고한다.

Page 10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07

2)�학급회(또래조정부)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특정학년

특정학급 √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학급 √

학급회�산하�또래조정부서를�두어�운영함

- �또래조정을�하고자�하는�학생이�있을�경우�학생회�또래조정부와�연결하거나�사전조정을�

한다.

-�학생회의�또래조정부�활동을�학급회에�전달하기도�한다.

-�또래조정에�대한�주의를�환기시키게�되며,�또래조정활동에�대한�관심을�제고하게�된다.

나.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E�초등학교에서의�학생회를�활용한�또래조정훈련�및�운영을�예시로�

작성해�본�것으로써�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1)�준비

- �또래조정훈련을�위한�시수확보가�우선이다.�또래조정�기초훈련을�받았다고�하더라도�

실제�또래조정활동을�위해서는�조정의�절차를�익히고�모의조정을�하는�등�훈련이�더�

필요하기�때문이다.

- �또래조정을�위한�신청함,�조정실등의�물리적�환경이�구비되어야�하고,�신청서를�

접수해서�실제�조정을�할�때�까지�필요한�제반여건을�갖추어야�한다.

-�약간의�운영비를�책정하여,�참여학생들의�간식을�준비하는�것도�좋다.

-�10시간�정도는�훈련을�하고�이후부터는�조정활동에�주력한다.

Page 10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08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2)�선발

-�솔리언�또래상담가�훈련을�받은�학생이�있다면�우선�선발한다.

-�학생회의�회장,�부회장�등의�간부를�대상자로�선발한다.

3)�교육

가)�기본훈련과정�교육

-�갈등�당사자들이�하고자�하는�말을�말할�수�있도록�조정의�과정을�복습한다.

-�10회기를�계획하여�조정의�절차를�반복�훈련시킨다.

나)�또래조정자�보수교육

-�기본훈련과정이�완료되면�모의조정을�연습한다.

-�실제�갈등사례가�있을�때�조정하는�과정을�함께�연습한다.

-�또래조정자들이�각�학급에서�갈등�조정한�사례가�있으면�공유한다.

-�같은�갈등사례로�반복해서�연습하는�것도�도움이�된다.

-�또래조정부에�접수된�조정사례로�모의조정�연습을�한다.

4)�운영

-�또래조정�매뉴얼을�참고하여�운영한다.

-�학생회에서�나온�안건으로�또래조정을�운영하기도�한다.

5)�운영의�목표

가)�또래조정�활동이�또래갈등해결에�평화적으로�기여하는�바를�알린다.

나) �또래조정�활동이�공식적인�활동으로�인정되어�갈등해결의�방법에�전�학교적으로�

관심을�가질�수�있게�된다.�

Page 10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09

예시 31

6)�운영계획표�예시자료

E 초등학교에서의 학생회 활용 또래조정훈련 운영계획표

회 날짜 (요일) 주제 목표 활동 내용

1 4월 1주(수) 마음열기 수업에 대한 기대 나누기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4월 2주(수)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소개하기 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3 4월 3주(수) 조정자 역할조정자의 역할과 태도

알아보기조정이해 (방식, 원칙 등)

4 4월 4주(수) 조정 절차 이해 또래조정의 과정 이해하기 조정절차 단계별 내용 이해

5 5월 1주(수) 도입단계 실습 또래조정 시작하기 조정자 도입부 멘트

6 5월 2주(수) 적극적 듣기 듣는 태도의 중요성 알기 적극적 듣기 이해 및 실습

7 5월 3주(수)느낌과 감정

표현당사자의 생각과 느낌 듣기 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8 5월 4주(수)갈등분석,

문제규명당사자의 실질적 이해 찾기 입장/실익 구분 실습

9 6월 1주(수) 합의문 만들기 합의문, 지킬 약속 정하기 합의안 작성 실습

10 6월 2주(수) 모의조정 모의조정실습하기, 수료식 모의조정실습하기, 수료식

Page 11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10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4 기타

1. 토요휴업일 및 방학 활용

요소 운영 형태

적용대상

학교사업 v

특정학년

특정학급

조정자 교육시간

(15회기)

일과 후 v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관리 단위동아리 v

학급

토요휴업일을�활용할�경우

-�또래조정�지도교사와�또래조정자들의�개인적인�헌신이�필요하다.

-�훈련시간을�집중적으로�운영할�수�있다는�장점이�있다.

-�여러�학년�학반이�섞여�있을�경우�토요휴업일을�활용하면�시간�맞추기가�좋다.

방학�활용

-�집중적으로�또래조정�교육훈련을�실시할�수�있다.�

- �자체적인�교육훈련이�이루어질�수도�있으며,�외부�전문기관과�협력하여�지역별�또는�

전국적인�집중교육훈련이�이루어질�수도�있다.�

토요휴업일�또는�방학�활용시�유의점

-�또래조정�활동�보다는�또래조정자�훈련과정으로�운영하게�된다.

-�실제�또래조정�운영은�학기�중�방과�후에�하게�된다.

-�훈련과�별개로�학기�중에�정기모임을�갖는�것이�바람직하다.

- �한�번�결석하게�되면�4시간�가량의�훈련과정이�결손되어�또래조정자로서의�훈련에�

결손을�가져�오므로�결석하지�않도록�최대한�출석을�독려한다.

Page 11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11

- �토요휴업일은�가정에서의�행사�등이�있어서�출석률을�100%�기대하기�어렵고,�지각을�

하는�경우도�염두에�두고�기획해야�한다.�

가. 운영의 실제

본�예시안은�F�초등학교에서의�토요휴업일을�활용한�또래조정훈련�및�운영을�예시로�

작성해�본�것으로써�학교�실정에�맞게�보완하여�사용할�수�있다.

1)�준비

-�참여자�선정,�시수확보,�강사섭외�등의�굵직한�일들을�처리해야�한다.�

- �토요프로그램�업무담당자에게�미리�알려�사용할�교실을�확보한다.�가정통신문을�내어�

참여자를�모집하고,�참여�학생의�부모�동의서를�받아두어야�하며,�지각하거나�결석할�

경우를�대비해서�확실한�연락처를�확보한다.

- �사용할�수�있는�예산을�확보해서,�강사비는�물론이고�토요프로그램에�참여한�학생들의�

간식을�준비하는�것이�좋다.�교육을�모두�마친�학생들을�위한�수료식과�수료선물,�문자�

보내는�것�등등�경비도�필요하다.

- �담임교사의�협조가�가장�필요하다.�토요휴업일을�앞두고�금요일�마다�출석을�독려해�줄�

든든한�후원자가�담임교사이기�때문이다.

- �토요프로그램�담당교사와의�협력,�토요휴업일에�사용할�수�있는�공간,�업무담당교사가�

급한�일이�생겼을�때�협력할�수�있는�동료교사�등이�필요하다.

- �외부강사를�섭외한�후�강사와의�시간을�정하고,�수업�일정등을�학생�개인,�가정통신,�

담임들께�두루�공지한다.

- �토요일�수업이�들어있는�주에는�금요일�오후에�개별적으로�연락을�취하여�토요일�

출석을�할�수�있도록�독려한다.�

- �토요일�사용할�준비물은�금요일�미리�준비해�둔다.�토요일�수업�시�컴퓨터가�말썽을�

부리거나�복사기�등이�고장을�일으킬�수�있고,�도와줄�인력이�없기�때문이다.

2)�선발

-�담임교사�추천�혹은�희망자,�담당교사가�선택한다.

3)�운영의�목표

가)�또래조정훈련을�통해�또래조정자를�배출한다.

나)�또래조정자를�활용하여�또래조정을�운영할�수�있다.

Page 11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12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4)�운영

- �교육프로그램은�1차로�작성한�후�외부강사와�협의한다.�외부강사가�해�주었으면�

좋겠다고�생각한�부분을�알려주고�협의하고�조정한다.

- �토요일�수업의�시작이�정확하게�9시에�시작되기�어렵고,�중간에�가야�한다는�학생도�

있으며,�늦게�오는�학생도�있어서�4시간을�제대로�운영하기에�어려움이�있다는�점을�

염두에�둔다.�제�시간에�학생들이�출석할�수�있도록�동기를�부여하는�노력이�필요하다.�

- �담당교사와�외부강사가�수업을�나누어서�진행할�경우,�담당교사는�맡은�진도를�해야�

한다는�압박감을�느낄�수도�있다.�계획된�대로�진행이�안�될�경우에는�외부강사와�

조정작업을�거친다.

- �외부강사가�학교를�못�찾아서�지각을�하는�경우도�왕왕�있다.�학교의�위치가�불편한�

곳에�있다면�미리�도착할�것을�요청해서�강사가�지각하는�일을�방지한다.

- �외부강사가�너무�이른�시각에�도착해서�바깥에서�서성거리는�것도�담당교사로�민망한�

일이므로�담당교사는�프로그램�운영시각보다�일찍�학교에�도착해서�준비상황을�

점검하고�출석을�체크한다.

Page 113: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13

예시 32

5)�운영계획표,�가정통신문�예시자료

F 초등학교에서의 또래조정훈련 토요프로그램 가정통신문

F 교육통신 90 호 2013.03.20

또래조정 훈련과정 참여안내발행인 : 교장 김◯◯발행처 : F 초등학교

창의인성부 Wee클래스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본교에서는 친구 사이의 갈등을 조정하는 리더십을 키우기 위한 <또래조정훈련과정>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고자 하며, 참가 희망자를 모집합니다. 아래 알림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귀 자녀의 참여를 원하시면 신청서에 날인하셔서 본교상담실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 운영기간 : 4월 6일(토) ~ 5월 18일(토) 1,3주 토요일 09:00-12:102. 참가대상 : 본교 학생 중 신청서를 제출하는 학생, 선착순 10명임.3. 강사 : 또래조정 전문강사 초빙4. 운영장소 : Wee클래스(집단상담실)5. 참가비 : 무료(수업자료는 모두 학교에서 준비합니다)6. 문의처 : 박◯◯ 010-0000-1111 본교 Wee클래스 ☏ 101-1010(내선 108)7. 또래조정훈련 프로그램

회 날짜(시간) 주제 활동 내용

1

4월 1주차(토요일)

마음열기 ice-breaking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 Ground-rule 정하기

3 갈등이해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 갈등이 삶의 일부임을 이해, 갈등이 긍정적 변화의 계기될 수 있음

4 갈등해결방법 이해 자신의 갈등해결스타일(5개 유형) 알기 / 특징 이해

5

4월 3주차(토요일)

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조정에 대한 이해 (방식, 원칙 등) / 조정자의 자질

6 조정 절차 이해 조정절차 비디오 시청 / 단계별 내용 이해

7 도입단계 실습 house warming / 조정자 도입부 멘트

8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내용을 이해하고 실습

9

5월 1주차(토요일)

느낌과 감정 표현하기 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에 초점

10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입장/실익 구분 실습

11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실습

12 합의문 만들고 지키기 합의안 작성 실습 (합의안 평가)

135월 3주차(토요일)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또래조정 전 과정 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절 - - - - 취 - - - - 선 - - - - - - - - - - - - - - - - - - - - - - - - -

저는 <또래조정훈련과정>에 참여를 원하며, 열심히 참여하겠습니다.

F 초등학교 학년 반 번 성명

보호자 (인) 보호자 연락처☏

F 초 등 학 교 장 귀 하

Page 114: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114 제4장 운영형태별 또래조정 운영

예시 33 F 초등학교에서의 또래조정훈련 토요프로그램 가정통신문

‘또래조정 훈련과정’ 운영계획표

1. 운영기간 : 4월 6일(토) ~ 5월 18일(토) 1,3주 토요일 09:00-12:10. 15회기

2. 참가대상 : 본교 학생 중 신청서를 제출하는 학생, 선착순 10명임.

3. 강사 : 또래조정 전문강사 초빙

4. 운영장소 : Wee클래스(집단상담실)

5. 목적

학생 주도의 또래조정 활동을 통하여 학생 간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토론을 통한 갈등해결을 모색함으로써 폭력 없는 학교를 만들고자 함.

6. 프로그램 개요

회 날짜(시간) 주제 활동 내용

1

4월 1주차(토요일)

마음열기 ice-breaking (개인소개) / 기대 나누기

2 또래조정소개 또래조정 비디오 시청 / Ground-rule 정하기

3 갈등이해갈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 , 갈등이 삶의 일부임을 이해, 갈등이 긍정적 변화의 계기될 수 있음

4 갈등해결방법 이해 자신의 갈등해결스타일(5개 유형) 알기 / 특징 이해

5

4월 3주차(토요일)

조정이란, 조정자 역할 조정에 대한 이해 (방식, 원칙 등) / 조정자의 자질

6 조정 절차 이해 조정절차 비디오 시청 / 단계별 내용 이해

7 도입단계 실습 house warming / 조정자 도입부 멘트

8 적극적 듣기 적극적 듣기, 내용을 이해하고 실습

9

5월 1주차(토요일)

느낌과 감정 표현하기 나 전달법 / 바꾸어말하기 에 초점

10 갈등분석과 문제규명 입장/실익 구분 실습

11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 실습

12 합의문 만들고 지키기 합의안 작성 실습 (합의안 평가)

135월 3주차(토요일)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4 실습 또래조정 전과정 실습

15 또래조정 전 과정 교내 또래조정프로그램 운영방안

7. 기대효과

가. 또래조정훈련을 통해 공감적 경청을 통한 갈등해결방법을 익히게 되어 평소에도

친구들의 말을 잘 들어주게 되고

나. 실제 또래조정활동을 통해 실제 갈등상황에서 회피하지 않고 적극 개입하게 되어

학교폭력의 가능성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임.

8. 또래조정 훈련과정 운영교사

이름 소속 역할 비고

박◯◯ 본교교사 또래조정 기획, 운영 또래조정 업무담당

정◯◯ 본교교사 참가아동 생활지도 생활지도부장

김◯◯ 경실련 또래조정훈련 수업 또래조정 코치

Page 115: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4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또래조정 운영 매뉴얼 115

2. 학교행사 연계

학교행사와�연계하여�또래조정활동을�강화할�수�있다

-�친구사랑주간�중�또래조정의�날�운영

-�모의�또래조정�대회�운영

-�다양한�학생동아리와�함께�캠프�등을�운영할�수�있다.

-�(7월)�또래조정캠프��

-�(9월)�친구사랑주간�또래조정의�날

-�(11월)�모의�또래조정대회

Page 116: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Page 117: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경실련�갈등해소센터.�(2013).�학교또래조정�프로그램��

� 운영매뉴얼.

Acedo,�R.�&�Byrn,�A.�(2004).�Peer�Mediation�in�Grades�K-12:�An��

� Extensive�Literature�Review.

Alexion,�S.�(2013).�Increasing�the�Effectiveness�of�Peer�Mediation:��

� A�Program�Guide�for�Elementary�Schools.

Asian�Pacific�American�Dispute�Resolution�Center�(2012).�Peer��

� Mediators:�Implementation�Guide.�

Barginsky.�W.�(2004).�Peer�Mediation�in�the�UK:�a�Guide�for��

� Schools.�The�National�Society�for�the�Prevention�of��

� Cruelty�to�Children.

Block,�M.�&�Blazej,�B.�(2005).�Resolving�Conflict�with�a�Peer��

� �Mediation�Program:�A�Manual�for�Grades�4-8.�A��

collaborative�project�of�the�Peace�Studies�Program,�

University�of�Maine,�and�Maine�Law�&�Civics�Education,�

University�of�Southern�Maine,�with�support�from�the�

Division�of�Family�Health,�Maine�CDC,�Department�of�

Health�and�Human�Service

The�Association�for�Conflict�Resolution�(2007).�Recommended��

� Standards�for�School-Based�Peer�Mediation�Program.

Page 118: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Q2

Q1

Q3

또래조정자 학생의 활동내용을 어떻게 생활기록부에 기록하나요?

학교생활기록부Ⅱ의�‘행동특성�및�종합의견’에�행동특성으로�기록할�수�있습니다.��

<예시>�(갈등관리)�또래조정자로서�갈등해결�및�문제해결�능력을�함양하여�또래들의�

적극적인�갈등�조정�역할을�통해�학교폭력을�조기에�발견하고�예방하는�데�적극�

기여한다.�모의또래조정대회�또래조정�연극�분야에서�갈등해결에�대한�연극에�훌륭한�

능력을�보인다.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시수가 15차시가 아닌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교마다�창의적�체험활동�동아리�시수는�다르게�배정됩니다.�15차시보다�많이�배정된�

학교인�경우,�제시된�15차시�이외에는�조정�실습과�추수프로그램을�진행하면�됩니다.�

15차시보다�적게�배정된�학교의�경우,�①마음열기,�②갈등에�대한�이해,�③조정절차에�

대한�이해,�④의사소통,�문제를�규명하고�대안을�설계하기,�⑤합의안�작성�준수하기,�

⑥또래조정�운영�단계�이해,�⑦전체과정�실습,�⑧수료식은�반드시�지도�내용에�

포함시킬�수�있도록�계획을�세웁니다.

학급 단위 또래조정자 훈련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급단위�또래조정자를�훈련하려면,�한�학급에�2명�정도�학생을�선발하는�게�좋습니다.�

선발�방식은�일반적�또래조정자�선발방식을�따르면�됩니다.�시간은�방과�후�시간을�

활용하는�것이�좋습니다.�가급적�한�학교에�2개�이상의�학급이�운영을�하면�각�학급의�

또래조정자를�모아서�훈련을�할�수�있습니다.�또래조정�프로그램을�운영하게�되는�

학급은�기본�15차시의�또래조정�프로그램�안내�교육을�받도록�합니다.�

A1

A2

A3

Q A

Page 119: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Q4

A4

Q5

Q6

Q7

A5

A6

A7

또래조정자 선발 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또래조정자는�자율적�의지로�참여를�희망하는�학생이어야�합니다.�또한�다른�

사람들과�잘�어울리고�친구들을�도와�함께�문제를�해결할�의지와�태도를�갖춘�사람이�

적합합니다.�따라서�성적순,�교사나�학부모,�다른�학생의�일방적인�추천만으로�

선발하지�않도록�합니다.�특히�또래조정자는�조정기술과�지식을�갖추어야�하므로�선발�

이후�교육�이수�여부에�따라�최종�선발�여부를�결정하는�것이�바람직합니다.�������

또래조정자에게 어떤 보상을 줄 수 있나요?

임명장�수여,�교내�봉사활동�인정,�표창�등�시상,�생활기록부에�활동�내용�기입�등의�

제도적�보상체계를�마련할�수�있습니다.�다만�또래조정�교육�훈련과�활동을�통해�

기대되는�인격적�성숙이�가장�큰�보상이라�할�수�있습니다.�따라서�심리적�보상�외의�

부차적인�보상이�또래조정활동의�유인으로�작용할�경우�부작용이�발생할�수�있으므로�

주의가�필요합니다.���

또래조정은 어떤 종류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적합한가요?

또래조정은�주로�학생�간의�관계에�영향을�미치는�문제를�해소하는�데�적합합니다.�즉,�

험담이나�뒷담화,�악화된�친구�관계�내지�이성�관계,�사소한�수준의�왕따,�부정행위,�

인종·문화·종교�차이�등과�같은�문제들을�둘러싼�갈등이�이에�해당합니다.�반면,�

무기�소지나�심각한�수준의�물리적�폭력과�성폭력,�그리고�법적�조치를�요하는�수준의�

문제에�대해서는�또래조정보다는�교직원이나�외부�소관�기관의�도움을�받아�해결하는�

것이�바람직합니다.

또래조정에서 논의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을 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만약 또재조정자가 조정과정에서 위험하거나 위급한 상황을 인지하게 된

경우에도 비밀을 유지해야 하나요?

또래조정에서�비밀유지�원칙은�갈등당사자인�학생들이�서로를�위협하지�않고,�누구라도�

위험한�상황에�처해�있지�않다는�전제가�있을�때에만�유효합니다.�따라서�또래조정자는�

조정과정에서�갈등당사자들이�서로를�위협하거나,�위급한�상황이�전개된다고�여겨질�

때에는�담당�교사와�같은�어른의�도움을�요청하는�것이�바람직합니다.

Page 120: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Page 121: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2013 갈등해결을 위한 또래조정자 활동교재 개발단

기획

김�영�진� (교육부�학교폭력대책과�과장)

김�영�재� (교육부�학교폭력대책과�연구관)

신�재�한� (교육부�학교폭력대책과�연구사)

양�계�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위원)

김�지�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위원)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부연구위원)

집필진(가나다순)

김�지�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부연구위원)

김�지�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연구위원)

박�재�근� (국민대통합위원회�사무관)

박�필�녀� (서현중학교�교사)

이�은�경� (묵동초등학교�교사)

정�난�숙� (대저초등학교�교사)

최�병�익� (화진초등학교�교사)

Page 122: (최종)또래조정_운영매뉴얼(교사용)

인 쇄 2014년 1월

발 행 2014년 1월

발행처 교육부, 전라남도교육청,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디자인 및 인쇄 (주)계문사 02-725-5216

※ 무단복제 방지, 모든 판권은 교육부에 있습니다.

또래조정운영 매뉴얼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교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