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ANNUAL REPORT 2011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6. 교 육 훈련 6.1 사서교육훈련 6.2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 6.3 내부강사양성교육 운영 6.4 예비사서 실무수습

6. 교육 훈련 - nl.go.kr · 립 중 앙 도 서 관 연 보 ... 통보받은 각 기관은 교육이수사항을 인사기록카드에 기록하여 인사에 반영하고 있다

  • Upload
    others

  • View
    4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ANNUAL REPORT 2011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6. 교 육 ‧ 훈 련

6.1 사서교육훈련

6.2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

6.3 내부강사양성교육 운영

6.4 예비사서 실무수습

117

6․교육․훈련

사서교육훈련

6 교육․훈련

6.1 사서교육훈련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직 교육훈련은 「도서관법」 제19조(업무)제1항 제5호(도서관직원의

교육훈련 등 국내 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협력) 및 「동법 시행령」 제9조(도서관직원

의 교육훈련)의 규정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며, 또한 「공무원교육훈련법」 제4조(전문교육

훈련기관)와 「동법」 제10조(소속공무원에 대한 교육훈련의무)에 근거를 두고 있다.

사서직 교육훈련 대상은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훈련 운영규정 제4조(교육훈련대상자)

에 의거, 1. 도서관법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사서직원 등 2. 제1호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도서관직원 3. 기타 다른 행정기관, 단체, 민간기업체의 위탁교육 대상자 등이다.

6.1.1 사서교육훈련 목표

2011년도 사서교육훈련은 도서관 선진화를 이끌 창의적 도서관 인재 양성을 목표로, 미래

환경변화에 대비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본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실무 교육을

확대하고,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기본방향은

창조적 실용주의 및 디지털 정보환경에 부응하는 교육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강사진을 편성․운영하며, 교육 효과의 제고를 위하여 단계별(기초․

심화) 교육과정 개발 및 토론․참여 가능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하는 등 성과창출형 교육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도서관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의 다양화,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교육 확대 등 온․오프라인 직무병행교육을

개설하여 수요자중심의 교육을 개발하며,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을 통한 자기주도적

경력개발 및 상시학습체제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6.1.2 교육훈련 운영

1) 교육대상

2011년도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직 교육훈련 대상은 각종 도서관의 직원 15,803명이며,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중앙행정기관, 국립대학(교) 소속 국가공무원,

118

2011

국립중앙도서관연보

구분 교육과정명 대상 교육일정교육일수

횟수교육인원

비고계획 실적

총 계 (61개 과정) 219 69 5700 8,345

기본 기본

신임사서기본 신규사서직원 6. 13 ~ 6. 24 10 1 30 24

(사이버)신임사서실무 각종 도서관 직원 9. 6 ~ 9. 26 2 1 70 77사이버

시․도 소속, 시․도교육청 소속 지방공무원, 기타 정부투자기관, 사립공공도서관, 사립대학(교),

기업체 자료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작은도서관 직원 등이다.

2011년도 교육훈련대상자 수요조사를 한 결과, 총수요 364개처 9,407명이 교육을 신청

하였으며, 364개처 8,270명을 교육대상자로 배정하였다.

2) 교육훈련실적

2011년도 사서교육훈련은 총61개 과정을 69회 운영하였으며,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법원도서관 등 전국 국․공립도서관 사서 8,345명이 수료하였다.

특히 도서관환경변화에 부응하는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여 사서의 직무역량 강화에 힘

썼으며, 취약한 관종 도서관에 대한 교육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작은도서관, 학교도서관은

물론 병영도서관과 교도소도서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사이버교육에 대한 급증하는 요구에 부응하여 좀 더 편리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자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3) 교육평가

교육평가는 사서교육훈련 운영규정 제16조(성적평가)에 의거하여 기본교육과정인 「신임

사서실무과정」은 연구실적평가와 객관식학습평가, 근무태도평가로 나누어 평가하고, 전문

교육과정은 근무태도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과정별 교육생의 성적은 수료 후 10일 이내에 소속기관에 교육결과를 통보하고

통보받은 각 기관은 교육이수사항을 인사기록카드에 기록하여 인사에 반영하고 있다.

교육훈련에 대한 자체 평가는 교육훈련 인적․물적 인프라 현황, 교육생 설문조사와

교육과정별 교육훈련실적, 교육훈련성과, 교육운영 및 강사현황, 예산집행, 시설운영관리에

대한 평가내용을 종합하여 실시하고 있다.

<표 6-1> 2011년도 교육훈련 실적

119

6․교육․훈련

사서교육훈련

구분 교육과정명 대상 교육일정교육일수

횟수교육인원

비고계획 실적

전문

도서관행정

도서관경영실무(A) 국립․공공도서관 직원 3. 21 ~ 3. 25 5 1 50 73

집합

도서관경영실무(B) 대학․전문도서관 직원 4. 18 ~ 4. 22 5 1 50 38

도서관공간구성 각종 도서관 직원 6. 7 ~ 6. 10 4 1 80 83

도서관문제해결 각종 도서관 직원 7. 11 ~ 7. 13 3 1 60 56

도서관최고경영자 전국 도서관장 7. 4 ~ 7. 8 5 1 40 34

도서관홍보(A) 국립․공공도서관 직원 6. 20 ~ 6. 24 5 1 70 78

도서관홍보(B) 대학․전문도서관 직원 9. 26 ~ 9. 30 5 1 80 39

전문도서관경영(도서관서비스) 대학․전문도서관 직원 11. 2 1 1 30

핵심워크숍(상반기) 각종 도서관 직원 2. 28 1 1 100 149

핵심워크숍(하반기) 각종 도서관 직원 8. 29 1 2회 80 23

(사이버)도서관경영전략 각종 도서관 직원 11. 23~12. 13 2 1 200 232 사이버(사이버)도서관공간구성 각종 도서관 직원 7. 5 ~ 7. 25 2 1 250 328

디지털 및IT

도서관스마트서비스-1기 각종 도서관 직원 5. 3 ~ 5. 4 2 1 80 85

집합

도서관스마트서비스-2기 각종 도서관 직원 9. 1 ~ 9. 2 2 2회 80 73

디지털도서관운영 각종 도서관 직원 11. 14~11. 18 5 1 70 56

디지털정보자원관리 각종 도서관 직원 4. 11 ~ 4. 15 5 1 80 84

메타데이터활용 각종 도서관 직원 10. 24~10. 26 3 1 40 33

전자출판과 저작권 각종 도서관 직원 12. 5 ~ 12. 7 3 1 50 39

어린이

(사이버)아동문학의 이해 각종 도서관 직원 9. 6 ~ 9. 26 2 1 100 136

사이버

(사이버)어린이독서상담 각종 도서관 직원 6. 2 ~ 6. 22 2 1 100 300

(사이버)어린이서비스의 기초 각종 도서관 직원 3. 3 ~ 3. 23 2 1 100 283

(사이버)어린이와의커뮤니케이션

각종 도서관 직원 5. 3 ~ 5. 23 2 1 100 349

(사이버)어린이책서평 각종 도서관 직원 8. 3 ~ 8. 23 2 1 100 207

(사이버)어린이책에대한이해-1기

각종 도서관 직원 4. 6 ~ 4. 26 2 1 100 282

(사이버)어린이책에대한이해-2기

각종 도서관 직원 10. 6 ~ 10. 26 2 2회 100 119

(사이버)책함께읽기-1기 각종 도서관 직원 7. 5 ~ 25 2 1 100 169

(사이버)책함께읽기-2기 각종 도서관 직원 11. 3 ~ 11. 23 2 2회 100 158

120

2011

국립중앙도서관연보

구분 교육과정명 대상 교육일정교육일수

횟수교육인원

비고계획 실적

이용서비스

도서관다문화서비스 각종 도서관 직원 5. 11 ~ 5. 13 3 1 80 80

집합

도서관문화프로그램 각종 도서관 직원 10. 4 ~ 10. 7 4 1 80 77

도서관자료서평쓰기-1기 각종 도서관 직원 3. 30 ~ 4. 1 3 1 40 63

도서관자료서평쓰기-2기 각종 도서관 직원 11. 23~11. 25 3 2회 40 42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각종 도서관 직원 9. 26~ 9. 28 3 1 40 32

도서관커뮤니케이션 각종 도서관 직원 9. 5 ~ 9. 8 4 1 60 61

독서지도심화 각종 도서관 직원 3. 8 ~ 3. 11 4 1 80 47

독서치료 각종 도서관 직원 5. 23 ~ 5. 27 5 1 80 79

(사이버)도서관문화행사 각종 도서관 직원 6. 1 ~ 6. 21 2 1 150 331

사이버

(사이버)도서관이용자관리 각종 도서관 직원 4. 5 ~ 4. 25 2 1 250 359

(사이버)도서관장애인서비스 각종 도서관 직원 9. 1 ~ 9. 21 2 1 150 349

(사이버)독서지도기초 각종 도서관 직원 4. 1 ~ 4. 21 2 1 250 322

자료관리

분류목록최신동향-1기 각종 도서관 직원 4. 5 ~ 4. 6 2 1 30 54

집합

분류목록최신동향-2기 각종 도서관 직원 9. 1 ~ 9. 2 2 2회 30 30

장서개발 각종 도서관 직원 11. 28 ~ 12. 2 5 1 80 72

통합서지용KORMARC형식(도서)-1기

각종 도서관 직원 4. 25 ~ 4. 29 5 1 40 44

통합서지용KORMARC형식(도서)-2기

각종 도서관 직원 7. 18 ~ 7. 22 5 3회 40 43

통합서지용KORMARC형식(도서)-3기

각종 도서관 직원 10. 31 ~ 11. 4 5 1 40 43

통합서지용KORMARC형식(비도서)

각종 도서관 직원 5. 24 ~ 5. 27 4 1 40 29

DDC자료분류심화 각종 도서관 직원 12. 1 ~ 12. 2 2 1 20 22

KDC자료분류 각종 도서관 직원 6. 27 ~ 7. 1 5 1 60 54

kdc자료분류 (협력과정 : 경상북도교육연수원)

경상북도공공도서관직원 3. 28~3. 30 3 1 0 37

(사이버)도서관과저작권 각종 도서관 직원 3. 3 ~ 3. 23 2 1 150 321

사이버

(사이버)도서관장서관리 각종 도서관 직원 2. 24 ~ 3. 16 2 1 200 270

(사이버)자료보존 각종 도서관 직원 5. 3 ~ 5. 23 2 1 250 241

(사이버)DDC자료분류 각종 도서관 직원 7. 1 ~ 7. 21 2 1 150 112

(사이버)KDC5판자료분류 각종 도서관 직원 10. 4 ~ 10. 24 2 1 200 279

121

6․교육․훈련

사서교육훈련

구분 교육과정명 대상 교육일정교육일수

횟수교육인원

비고계획 실적

주제전문

주제전문사서심화(법학) 각종 도서관 직원 11. 7 ~ 11. 11 5 1 20 12

집합

주제전문사서심화(사회과학) 각종 도서관 직원 10. 10~10. 14 5 1 30 27

주제전문사서심화(인문과학) 각종 도서관 직원 5. 16 ~ 5. 20 5 1 40 58

주제전문사서심화(자연과학) 각종 도서관 직원 9. 19 ~ 9. 23 5 1 20 23

주제전문사서초급 각종 도서관 직원 3. 14 ~ 3. 18 5 1 80 79

(사이버)주제전문사서기초 각종 도서관 직원 6. 1 ~ 6. 21 2 1 150 428사이버

기타

기타

(사이버)작은도서관운영 각종 도서관 직원 8. 9 ~ 8. 29 2 1 100 250

(사이버)학교도서관운영 각종 도서관 직원 10. 11~10. 31 2 1 50 106

교도소도서관운영 교도소도서관 담당자 7. 11 ~ 7. 12 2 1 20 51

집합

병영도서관운영 병영도서관 담당자 7. 19 1 1 20 23

작은도서관운영 작은도서관운영자 5. 20 1 1 30 26

학교도서관운영 학교도서관 담당자 7. 25 ~ 7. 29 5 1 50 121

학교도서관운영(A) 학교도서관 담당자 1. 10 ~ 1. 14 5 1 11

구 분 대 상 교 육 과 정 2011년도 이수자(명) 총 누계(명)

공무원 사서직공무원

공통전문교육 - 5,461

전문교육 6,003 27,806

민간사서

사립대학(교),

전문․특수 도서관

사서직원

민간교육 2,110 9,028

사서교사

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운영교사

사서교사과정

학교도서관운영과정132 1,722

4) 교육훈련 이수자 DB 구축

교육훈련이수자들의 개인별 교육이수정보로서 성명, 소속기관, 근무처, 생년월일, 수료여부,

성적 등 학적부를 DB로 구축하여 이수자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표 6-2> 2011년 교육훈련 이수자 DB구축 현황

122

2011

국립중앙도서관연보

구 분 대 상 교 육 과 정 2011년도 이수자(명) 총 누계(명)

작은

도서관

담당자

문고종사자 및

자원봉사자자원봉사활동과정 - 899

작은도서관

담당자작은도서관운영과정 26 147

병영,

교도소

도서관

담당자

병영도서관

담당자병영도서관운영과정 23 23

교도소도서관담

당자교도소도서관운영과정 51 51

총 계 8,345 45,137

※ 참고사항 : 2005년 공무원교육훈련지침에 의거 공통전문교육과 선택전문교육이 전문교육과정으로 통합 운영

문고운영과정은 2010년부터 작은도서관운영과정으로 과정명 및 교육 대상 변경

5) 우수강사 DB 구축

2011년도 사서교육훈련은 도서관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무위주의 교육에

목표를 두고 각 분야별 전문가 뿐 아니라 현장 사서를 강사로 도입함으로써 균형 있는

강사로 구성 운영하였다.

2011년도 각 과정별 교육생 설문결과와 교수요원의 평가를 통하여 73명(85%이상의

만족도)이 신규 우수강사로 선정되었다.

우수강사 총743명(문헌정보일반 7명, 장서개발 14명, 정보조직 46명, 도서관경영 90명,

정보서비스 37명, 독서 94명, 주제전문 62명, 문화행사 25명, 이용자연구 17명, 디지털도서관

59명, IT 47명, 자료보존기록관리 15명, 저작권 15명, 학교도서관 24명, 문고작은도서관

20명, 어린이 63명, 교양일반 88명, 기타 20명)에 대한 DB가 구축되어 있다.

6.1.3 교육시설 및 기자재 보강

사서연수관의 연수시설 개․보수(도색, 액자 등), 교육장내 빔 프로젝트 교체, 교육용

모니터링 장비 설치 등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교육시설 및 환경

을 개선하였다.

123

6․교육․훈련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

6.2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 교육 패러다임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상시학습체계 구축을 위하여 2005년부터 매년 사이버코스웨어를 개발하였다.

2011년에는 급증하는 사이버 교육인원에 따른 다양한 교육요구와 교육수용자와 소통하

는 보다 편리한 교육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학사관리시스템을 포함

하는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개발 사업은 전문가

자문 및 기술평가회의 등을 거쳐 2011년 9월∼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웹 접근성 및 U-러닝

으로의 서비스 확대 및 시스템 고도화 등의 향후 추진사항 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전국 도서관 사서직원의 교육훈련을 전담하는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디지털시대에 부응한 개방형, 협력형, 맞춤형 사서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그림 6-1] 사이버 사서교육시스템

124

2011

국립중앙도서관연보

6.3 내부강사양성교육 운영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 유일의 사서교육훈련기관으로서 분야별 핵심 인재 및 사서교육

의 졍쟁력을 확보하고자 내부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 운영하였다. 각과의 추천

을 받은 14개 분야 19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12월(5회, 17시간)까지 1차 교육과정을

실시했으며, 2012년 1월~2월(3회, 9시간)에 2차 교육과정이 진행된다. 내부강사 교육과정

은 효과적인 수업전략과 운영, 강의스킬 향상을 위하여 멘토링 방식의 참여형 토론 수업

으로 전개되었다.

주요내용으로는 성공수업사례 공유 및 분석, Teaching Tips & 실습, 수업계획서 작성

및 수업자료 제작, Microteaching(참가자들이 강의자에게 장․단점의 피드백 제공), 팀별

강의 콘텐츠 개발(Lesson Study), 강의 리허설 등으로 구성하여 교육하였다. 본 교육과정

을 통해 도서관 핵심업무 분야별 내부 강사진 구축 계기를 마련하고, 향후 국내 도서관

발전을 주도해 가는 사서교육훈련 강사로 활동할 예정이다.

[그림 6-2] 팀별 Lesson Study 및 강의시연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성찰(총평)

단체사진

[그림 6-3] 내부강사양성교육 운영

125

6․교육․훈련

예비사서

실무수습

6.4 예비사서 실무수습

국립중앙도서관은 전국 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사서 실무수습을

실시하고 있다. 2011년도에는 총 52명 대상으로 대학(교)별로 2011년 4월부터 2011년 8월

까지 9기로 편성하여 2∼4주간의 실무를 수습하였다. 실무수습 방식은 과별 순환식으로

운영하여 국립중앙도서관 전반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도왔다.

<표 6-3> 예비사서 실무수습 현황

구 분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기간2011.

4.4~4.29

2011.

4.18~5.13

2011.

5.2~5.27

2011.

5.9~5.27

2011.

5.24~6.7

2011.

6.27~7.22

2011.

7.4~7.29

2011.

7.11~7.29

2011.7.18~8.12

대상

동덕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중부대학교

경기대학교

대진대학교

전주대학교

▲숭의여자

대학교

명지대학교

대구가톨릭

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충남대학교

인원 6명 5명 10명 3명 7명 11명 3명 4명 3명

※ 3주간 실무수습학교 ▲ 2주간 실무수습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