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68 기획 01 중국의 도시전략으로 부상한 ‘스마트도시’ 2000년 중국과학원이 신설한 국제디지털지구학회에서는 ‘디지털중국(Digital China, 數碼中國)’이라는 건설이념을 제기했다. 이것은 중국의 스마트도시 발전의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건설에 요구되는 공간정보 기술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디지털중국발 전 고위급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중국 건설부에서도 매년 ‘국제 디지털도시 기술 워크숍 및 디지털설비 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8년 IBM이 ‘스마트 지구(Smart Planet)’라는 비전을 제기한 이후, 중국도 국가 정보화의 목표를 기존의 ‘디지털 중국’에서 ‘스마트 중국(智慧中國)’으로 바꿨 다. 전자가 정부 관리와 비즈니스에 있어서 전자화를 목표로 한 수준에 그쳤다면, 후자는 새로이 등장한 클라우드· 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는 개념이다. 특히 도시기초건설에 관련된 정보의 탐지·획득·전송·처리 정도를 넘어 정치, 경제, 문화, 사회생활 등 모든 영역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는 방향으 로 전개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스마트도시 발전 추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도시정보 기초시설 측면에서 고속화, 융합화, 무선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람 및 사 물과 연결될 수 있다. 둘째, 클라우드·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통해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시각 이미지에 의한 도시관리가 가능해졌다. 개혁기에 접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 박철현 [email protected]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68기획

01 중국의도시전략으로부상한‘스마트도시’

2000년 중국과학원이 신설한 국제디지털지구학회에서는 ‘디지털중국(Digital

China, 數碼中國)’이라는 건설이념을 제기했다. 이것은 중국의 스마트도시 발전의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건설에 요구되는 공간정보 기술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매년 ‘디지털중국발

전 고위급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중국 건설부에서도 매년 ‘국제 디지털도시 기술

워크숍 및 디지털설비 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8년 IBM이 ‘스마트 지구(Smart Planet)’라는 비전을 제기한 이후, 중국도

국가 정보화의 목표를 기존의 ‘디지털 중국’에서 ‘스마트 중국(智慧中國)’으로 바꿨

다. 전자가 정부 관리와 비즈니스에 있어서 전자화를 목표로 한 수준에 그쳤다면,

후자는 새로이 등장한 클라우드· 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활용하는

개념이다. 특히 도시기초건설에 관련된 정보의 탐지·획득·전송·처리 정도를

넘어 정치, 경제, 문화, 사회생활 등 모든 영역에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는 방향으

로 전개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스마트도시 발전 추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도시정보 기초시설 측면에서 고속화, 융합화, 무선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람 및 사

물과 연결될 수 있다. 둘째, 클라우드·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통해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시각 이미지에 의한 도시관리가 가능해졌다. 개혁기에 접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

박철현 [email protected]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Page 2: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69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어들어 농민공을 비롯한 많은 외지인들이 도시로 유입되고 있는 사정을 고려할 때

중국의 이러한 스마트도시 기술을 응용한 도시관리 능력의 제고는 매우 중요한 의

미를 지닌다. 셋째, 스마트도시 기술을 사용하여 도시주민들의 생활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인터넷 쇼핑·오락·가사 분야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비패턴을 창출함으로써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한 도시정부의 정보시스템을 통합 구축함으로써 의료·교육·

전기·난방·가스·은행 등의 공공서비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이상과 같이 도시관리, 공공서비스, 생활편의에 스마트 기술을 적

용하는 과정에서 클라우드·사물인터넷·빅데이터 등 관련 산업의 발전을 계획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중국 경제발전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술은 행정기관의 업무적 효율을 제고하고, 주민들의 생활

편의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의 개발과 응용을 통해 커다란 경제적 효과

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중국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스마트도시 관련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정책포럼 및 산업박람회 개최를 통해 스마트도시의 확산에 집중하

고 있다.

그림12016중국스마트도시산업전략정상회담

자료 http://www.ccit.org.cn/

Page 3: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0기획

02 중국의대표적인스마트도시들

현재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둥, 닝보, 난징 등이다.

이들 도시에 나타난 스마트도시 건설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징은 ‘글로벌 시티(Global City)’라는 개념을 미래의 도시 위상으로 설정하

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징시 정부는 이미 2009년 ‘베이징 정보화 기초시설 제고

계획’을 세워 기존의 ‘디지털 베이징’ 정책에서 ‘스마트 베이징(智慧北京)’ 정책으

로 이행하기 시작했다. 2012년 3월에는 ‘스마트 베이징 행동강령’을 만들어 도시관

리·시민생활·기업·정부 서비스·정보 기초시설·관련 산업발전 등에 관한 세

부계획을 집행 중이다.

상하이는 2010년 상하이 엑스포(EXPO) 개최를 계기로 도시관리에 중점을 둔

스마트도시 건설을 가속화하고 있다. 2010년 4월 ‘상하이 사물인터넷 산업발전추

진 행동방안’을 발표하여 교통·의료·안전·물류를 포함하는 10개 영역에서 사물

인터넷 건설을 추진하고, 이것을 공공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계하는 과업을 추진하

고 있다. 특히 상하이 스마트도시 건설은 ‘스마트 푸둥(智慧浦東)’을 내세운 푸둥신

구에 집약되어 있다.

닝보와 난징에서도 위의 두 도시와 마찬가지로 정부관리, 산업발전, 공공서비

스 등이 강조된 스마트도시 건설에 목표를 두고 있지만, 사실상 스마트도시와 관

련한 산업단지의 발전이나 교통·통신 등 주민생활 서비스에 좀 더 치중하고 있

다. 이는 다른 도시들에 비해 외지인 거주민이 그리 많지 않은 특성상 스마트 기술

을 이용한 도시관리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덜한 탓이다. 따라서 닝보에서는 항구도

시의 장점을 살려서 물류·제조·무역·에너지·교통·거주·문화 등과 관련된

스마트산업 발전을 계획 중이고, 난징에서는 스마트산업을 동력으로 난징의 산업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광둥은 2010년부터 ‘스마트 광둥(智慧廣東)’이라는 슬로건 아래 발전계획을 진

행하고 있는데, 광저우·포산·선전 등 도시별로 스마트도시 건설이 추진되고 있

다. 광둥은 개혁기 초창기에 경제특구를 유치한 지역으로, 장기간에 걸친 제조업

기술이 축적되어 있는 만큼 관련 산업발전, 주민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

도시 건설을 지향하고 있다. 그런 한편 전체인구 중 외지인의 비율이 높은 도시적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관리’1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기도 하다.

1 사회관리(Social Management)란

국가가 사회를 관리한다는 의미로 중

국의 사회정책에서 발달한 개념이며

노동자로서의 사회활동, 일반적인 사

회 활동, 공청단 내의 사회활동을 포

괄한다.

Page 4: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1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2 동베이 현상이란 중화학공업 부문 중

대형 국유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지

닌 동북지역에서 나타난 1990년대의

경기 침체 현상이다. 시장화 개혁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들이 줄지어 도산

하고 노동자 해고가 이어져 지역사회

경제가 크게 저하되었다.

3 소유권 개혁이란, 기존의 '기업의 주

인은 노동자 계급'이라는 이념적 규정

에 대한 개혁으로, 보유한 주식만큼만

기업의 소유권을 행사하는 현대적 주

식회사로 바꾸고 노동자의 지위를 노

동계약에 근거한 임금노동자로 변경

시킨 것이다.

4 인터넷플러스(internet+)란 기존 인

터넷이 단지 통신 부문에 머무르던

것을 탈피하여, 사물인터넷·빅데이

터·클라우드 등의 신기술을 매개로

정보통신기술, 현대적인 제조업, 서비

스산업을 상호 결합시켜서 시너지 효

과를 내고, 이를 통해서 중국의 산업

구조를 질적으로 도약시키려는 국가

적 차원의 산업구조 전환 프로젝트

03 스마트도시로거듭나는선양

선양의 스마트도시 건설 전략

앞서 소개한 중국의 도시들은 저마다의 사회적·경제적 배경을 반영하여 스마

트도시를 건설하고 있다. 이제부터 중점적으로 살펴볼 선양의 정책 방향도 그러

한 선상에 있다. 선양은 중국의 대표적인 중공업 도시로, 1950년대 중화인민공화

국 수립 이후 중대형 중공업 국유기업들이 밀집한 곳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개

혁·개방 시대가 시작되자 기업경쟁력이 낮은 국유기업들은 시대의 변화에 적응

하지 못했고, 1990년대 중후반에 이르자 선양은 ‘실업의 도시’라고 불릴 정도로

기업 도산과 노동자 해고 사태가 잇따르는, 이른바 ‘동베이 현상(東北現象)’을 나

타냈다.2

이에 중국 당국은 2003년부터 낙후한 동북지역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노후

공업기지 개조를 골자로 한 ‘동북진흥’ 정책을 실시했다. 결국 선양에서는 산업 구

조조정과 소유권 개혁을3 중심으로 한 국유기업 개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사회와 경제는 호전되는 듯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동북지역 전체로 볼 때

또다시 신(新)동베이 현상이 발생했고, 급속한 인구 유출을 보이는 가운데 지역총

생산(GRDP)이 전국 주요 도시 중 최하위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선양은 기존 ‘중공업 부문 중대형 국유기업 위주의 산업구조’라는 한

계를 극복하여 기존 제조업을 ‘고기술 고부가가치’로 전환시키고 클라우드·사물

인터넷·빅데이터 등의 스마트 기술을 통해 북방의 ‘노후 공업도시’라는 한계를 벗

어나 ‘생태와 문명의 스마트도시’로 거듭난다는 목표 아래 스마트도시 전략을 추진

하고 있다.

선양의 스마트도시 건설 전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중심도시라는 위상을 다시 회복하고, 새로운 ‘동북진흥’ 정책이라

는 기회를 이용하여 ‘인터넷 플러스(internet+)’4를 스마트도시 건설의 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그 실현 단계로써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 정부서비스 제공능력의 제

고, 시민의 생활편의 증대를 설정했다.

둘째,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7개의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즉 휴

대폰 접속 정부포탈, 도시 기초시설 네트워크, 도시자원 클라우드, 시민 서비스카

드, 도시관리 포털, 도시기초시설 데이터,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중공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바꾸는 것, 즉

선양의 경제발전 방식을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빅데이터

Page 5: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2기획

관련 제품, 업종 및 새로운 경제모델, 새로운 산업사슬을 구축한 뒤에 중앙정부 차

원에서 추진하는 ‘제4차 산업혁명(工業4.0)’ 및 ‘중국제조(中國製造) 2025’와 연계

하여 장비제조업 위주의 기존 산업구조를 빅데이터·클라우드·사물인터넷 등 신

기술을 이용한 산업구조로 바꾸겠다는 전략이다.

선양의 스마트도시 건설 추진과정

이와 같은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정부기구를 창설한다. 시장/부시장을 대표

로 하고 관련 부처의 인원을 차출한 시정부 차원의 조직을 구성하고, 스마트도시

건설 실행방안을 발표하고, 기존 부처들 사이의 협조기구를 만드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구상을 실천하기 위한 스마트도시 총체규획을 확정한 후 스마트

도시 건설의 기초시설 확충에 집중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로드밴드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강화하고 유선 TV망과 와이파이를 시 전역에 설치하고, 이

들 기초시설을 모두 시정부 차원의 ‘스마트도시 종합관리플랫폼’ 및 ‘클라우드 지

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시킨다.

셋째, 이러한 시정부 차원의 종합관리 플랫폼 및 클라우드 지리정보 시스템

을 구축하여 기존 정보와 데이터를 집중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렇게 구

축된 정보와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여 시민들의 생활편의를 도모하고 공공서

비스의 효율을 제고하고 관련 산업발전을 유도한다. 시민들은 ‘나의 선양(My

Shenyang)’,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시민 핫라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시정부의

정보와 데이터에 접속하고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도시 관련 산업정책의 육성책들

앞서 소개했듯이, 선양의 스마트도시는 기존 산업구조를 업그레이드한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한 육성책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클라우드·인터넷·사물인터넷·모바일인터넷 등

의 신기술이 접목된 지식과 데이터를 생산요소로 삼아 디지털화 또는 네트워크화

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산업은 아래 일곱

가지로 나뉜다.

Page 6: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3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① 빅데이터 제품 -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관련 솔루션

② 빅데이터 운영관리

③ 빅데이터 서비스 - 공업 데이터서비스, 농업 데이터서비스, 상업 데이터서비스

④ 클라우드 제품 - 업종 클라우드(공업, 농업, 전자비즈니스, 물류), 민생 클라우

드(의료, 여행, 교통) 등의 클라우드 솔루션

⑤ 모바일인터넷 -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설비, 모바일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이동통신

⑥ 물류네트워크 - 사물인터넷 제조와 서비스

⑦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 업종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공업 소프트웨

어 및 지능형 제조 솔루션

둘째, 선양의 이러한 빅데이터 중심의 산업발전은 다음과 같은 강점을 가지고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선양은 원래부터 제조업 기반을 갖춘 도시이기 때문에

시정부 차원에서 기존 중공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탈피하여 고기술 고부가가치 산

업구조로 전환한다는 측면에서 지능형 제조, 현대적 서비스업, 신기술의 신속한

발전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다. 또한 산업수요의 측면에서 볼 때도 기존 제조업의

업그레이드와 스마트도시 건설은 상호보완적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선양에는 스마

트 기술 발전의 과학연구 기반이 되는 대학과 연구소 등이 대거 소재할 뿐만 아니

라, 산업현장에 적용해볼 수 있는 중대형 기업들도 집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중

앙정부 차원의 ‘동북진흥’ 정책의 중심도시 중 하나라는 점도 스마트도시 기술 관

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좋은 조건이다.

셋째, 이러한 빅데이터 관련 산업발전에는 시정부 차원의 협조기구가 필수적인

만큼 선양은 시정부 산하에 ‘빅데이터 관리국(大數據管理局)’을 설치하고, 관련 산

업발전에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관리·제공한다. 또한 구(區)정부, 현(縣)

정부마다 빅데이터 관리 산하기구를 설치하여 아래로부터의 정보와 데이터 관리

를 강화한다.

아울러 기초시설 건설과 산업발전에 요구되는 투자유치는 다원화된 방식을 동

원한다. 현재와 같은 정부투자 위주가 아니라 분야에 따라서 시장을 통한 자금동

원도 허용하고, 특히 정부는 데이터만 제공하고 기업이 자금투자와 운영까지 전담

하는 모델도 시행 중이다.

Page 7: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4기획

04 선양의스마트도시시범구,훈난신구

‘스마트 훈난’의 목표와 구성

이상과 같은 선양의 스마트도시 건설과 관련 산업발전은 선양시 동남부에 위치

한 훈난신구에서 본격 가동되고 있다. 2014년 8월 1일에 정식 수립된 훈난신구는

중국 정부가 지정한 ‘전국스마트도시시점(全國智慧城市試點)’ 중 하나로, 이는 선

양의 스마트도시 건설 시범지역을 뜻한다. 훈난신구 정부는 스마트도시 건설 관리

사무실을 제정하고 ‘스마트 훈난(智慧渾南)’이라는 기치 아래 향후 5년 이내 전국

적인 수준의 스마트도시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스마트 훈난’의 이

상과 목표 그리고 주요 구성과 세부사업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도시를 하나의 생태계로 보는 거시적 인식을 토대로 하여 시민·교통·에

너지·상업·통신·수자원 분야를 생태계의 구성요소로 규정하고 있다. 말하자면

클라우드·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도시의 물리적 기초시설,

정보 기초시설, 사회적 기초시설, 상업 기초시설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스마트도시

의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정보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사물인터넷 구현, 인텔리전트 관리, 스마트 비즈니스를 시행하고, 교육·의료·위

생·도시관리·교통·환경·거주 등 도시 전반적인 측면에서 자원 이용과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전통적인 낙후된 생산방식과 생활방식을 현대화하는 것이다.

그림2훈난스마트산업단지착공식

자료 http://www.kongzhi.net/corp/article_127411.html

Page 8: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5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스마트 훈난’의 구성 영역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스마트 기초시설

건설이다. 즉 정보·교통·전기 등 도시의 기초시설을 포함하여 도시주변의 교통

과 환경 및 자원에 스마트 기술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는 스마트정부 건설

이다. 스마트정부란 인터넷에 각종 기술을 결합시킨 전자정부 공공서비스 시스템

을 기업과 시민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사회관리를 강화하고 자원을 통합하고 종합

적인 행정력을 제고할 수 있다. 이렇듯 정부직능을 전환하여 시민들에게 보다 효

율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적으로는 종합정무 플랫폼과 정무 데이

터센터를 신설했다. 셋째는 스마트 서비스다. 스마트도시의 기본은 완벽하고 효율

적인 도시 공공서비스 구축이기 때문에 의료·커뮤니티·교육·보험·안전·생

태 등에 관련된 공공서비스 실현에 역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 훈난’의 10개 세부사업

첫째는 스마트 공공서비스와 도시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취업·의료·문화·

거주 등 전문적인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시건설과 관리를 지능화하고, 도시의

각종 자원을 모든 시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인구·물자·정보·자금 등의 흐름을

조화시키는 기제를 창출한다.

둘째는 스마트 사회관리 시스템이다. 시민 공공서비스 센터를 구축하여 생산·

생활·정책·법률 등 측면에서 자동응답·팩스·이메일 등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법 행정 법률구제 플랫폼, 노동자권리보장 플랫

폼 등 전문적인 공공서비스 플랫폼을 설치하여 시민들의 다양한 민원을 해소하도

록 한다. 나아가 기존의 진료 카드, 의료보험 카드, 교통 카드 등의 기능을 통합한

사회보장 카드를 만든다.

셋째는 기업 서비스 제공 플랫폼이다. 행정심사 및 기타 공공행정 서비스에 관

한 ‘인터넷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정보공개의 수준과 온라인서비스 제

공력을 향상한다. 또한 세무·공상·세관·환경보호·은행·법원 등 기업과 관련

된 공공서비스의 온라인 처리를 실현한다. 특히 중소기업 대상의 공공서비스 플랫

폼을 구축함으로써 이들 기업의 연구개발·생산·판매·물류 활동을 뒷받침하도

록 한다.

넷째는 스마트 거주이다. 몇 개의 주민 커뮤니티를 지정해서 기능에 따라 공공

구역, 비즈니스 구역, 거주 구역으로 구분한 다음 사물인터넷·모바일인터넷·이

동통신 등의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아파트관리·감시카메라·안

전관리·비즈니스에 적용함으로써 지능화된 생활편의 시스템을 조성한다.

Page 9: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6기획

다섯째는 스마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다. 서비스 기업의 전통적인 경영 및

관리방식을 전환하여 현대적인 서비스 형태를 개발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스

마트 물류, 스마트 무역, 스마트 서비스업 시범기지 건설 등으로 구체화된다.

여섯째는 스마트 건강보장 시스템이다. 먼저 위생서비스 네트워크와 커뮤니티

위생서비스 체계를 세운 후, 도시 전역의 위생정보 관리센터의 정보 플랫폼과 연

동시켜서 수직적 수평적 정보교류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

의 병력 및 병원의 관리를 전산화하여 모든 주민의 건강정보 시스템을 마련하고,

병원 간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서 접수·진료·비용결제 등의 진료과정에 관한 정

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는 스마트 교통이다. 이는 교통의 종합관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으로, 감시카메라 및 교통량 분석이 가능한 디지털 체계를 구축하여 공안·도시관

리·도로 등의 정보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덟째는 신(新)농촌 건설을 위한 공공서비스 정보 플랫폼이다. 농업·농민·

농촌의 동반 발전을 위해 농업 관련 정책이나 보험서비스 등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농민들의 생활과 직결

된 취업·기술·교육·기상·사회보장·의료·정무에 관한 정보 제공에 있다.

아홉째는 스마트 안전시스템이다. 이는 기존 사회치안 감시시스템에 스마트 기

그림3훈난신구에서바라본선양시전경

자료 Coronare Modestus Faust, China’s Urban Boom (Part 11) Building A Century in Fifteen Years, 2011.5.2. https://spfaust.wordpress.com/

Page 10: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7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술을 응용하여 치안 정보의 탐지·수집·분류·분석·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관리정보 플랫폼은 기층에서부터 상층에 이르기까

지 총체적인 사회치안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구체적으로는 응급지휘 계통, 돌발공

공사건 예측정보 시스템, 자연재해와 홍수방지 시스템, 안전생산 시스템 등이 포

함된다.

열째는 정보의 종합관리 플랫폼이다. 기존에 토지·세관·세금·공상·식품·

보건·약품·의료 등 각 분야의 정보관리를 통합하는 시스템으로, 시정부 차원에

서 진행된다.

훈난신구 정부는 ‘스마트 훈난’ 건설을 위한 세부사업에 단계별 목표를 세워놓

고 있다. 우선 1기에는 ‘녹색, 과학기술, 인문’을 내세운 기초적인 사업을 하고, 2

기에는 ‘편안한 거주, 산업발전, 상업발전’을 달성하고, 마지막 3기에는 훈난을 ‘선

양 경제의 핵심지역으로 부상’시킨다는 목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보면, 1기(2013)에는 도시공공정보 플랫폼, 스마트 교통, 스마트

건강, 스마트 커뮤니티, 스마트 도시관리, 스마트 정무, 스마트 도시발전체험센터,

스마트 안전보장, 스마트 시정, 스마트 전국체전 선수촌 등 ‘10대 스마트 공정’을 완

료했다. 2기(2013~2015)에는 스마트 도시종합관리 서비스센터, 클라우드서비스 공

정, 스마트 정보서비스 공정, 스마트 아파트서비스 공정, 사물인터넷 산업서비스 공

자료 Dennis Deng, 2013.9.14, http://www.flickriver.com/

그림4선양시훈난경전철

Page 11: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8기획

정 등을 완료했다. 마지막 3기(2015~2017)에는 산업 업그레이드, 농업 현대화, 문화

창의산업, 도·농 통합, 민생 발전, 창의 혁신 등 여섯 가지 전략을 실현하여 훈난신

구를 스마트 정보 허브로 만들고 선양 경제의 중심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05 제언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중국의 스마트도시 건설은 도시관리의 효율 제고, 시

민에 대한 공공서비스 품질 제고, 산업발전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는 면에

서 각 도시의 차이를 넘어서는 공통점을 지니며, 이는 다른 외국의 사례와도 비슷

하다. 하지만 베이징·상하이·난징·닝보·광둥 등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도시

건설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각 지역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한 목표와 전

략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기본적으로 개혁기에 접어들면서부터 도시 발전

전략에 대한 시정부의 자율성이 증대되었고, 개별 도시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조

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 자세히 살펴본 선양은 오랫동안 사회주의 중국을 대표해온 중공업

도시로서, 개혁기 들어 총체적 침체를 맞았다. 2000년대 초반 중앙정부 차원의

‘동북진흥’ 정책을 통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듯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의 지역총

생산은 전국 도시들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인구도 감소되고 있어 신

‘스마트 훈난’의 열 가지 세부 산업

1. 스마트 공공서비스와 도시관리 시스템

2. 스마트 사회관리 시스템

3. 기업 서비스 제공 플랫폼

4. 스마트 거주 시스템

5. 스마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6. 스마트 건강보장 시스템

7. 스마트 교통

8. 신(新)농촌 건설을 위한 공공서비스 정보 플랫폼

9. 스마트 안전시스템

10. 정보의 종합관리 플랫폼

Page 12: ‘스마트 선양’으로 거듭나고 있는 선양의 도시발전 전략„¸계와도시14호 기획2 .pdf · 이후 베이징대학 디지털중국연구원에서는 디지털중국

79 중국의 도시정책 동향 : 스마트 도시와 혁신 클러스터

(新)동베이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선양시 정부의 ‘스마트도시’ 건설은 도시관리 효율제고와 시민에 대한

공공서비스 품질 제고라는 목적도 있지만, 기존의 ‘저기술 장비제조 부문 중공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고기술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스마트도시 건설을 통한 산업구조 전환이 기존 중공업 업종의 폐

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선양시 정부는 스마트기술 관련 신산업을 발

전시키는 동시에, 기존 우위를 점하던 중공업 분야에 클라우드·빅데이터·사물

인터넷 등의 신기술을 결합시켜 ‘고기술 제조업’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훈난신구는

이러한 선양 스마트도시 건설 정책이 앞서 살펴본 열 가지 사업으로 실현되고 있

는 곳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기업들이 선양의 스마트도시 건설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선양에서 우위를 점하던 기존의 중공업 분야 중 어떠한 업종이 스마트 기술과 결

합 가능한지를 면밀히 연구한 후, 관련 업종에 특화된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는 노

력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 孫貞文, 2013, 智慧瀋陽, 渾南先行, 中國公共安全, 17期

- 逢金玉, 2011, 智慧城市, 中國特大城市發展的必要選擇, 經濟與管理硏究, 12期

- 張永民, 2012, 如何建設智慧中國(上), 分析, 路徑, 對策和建議, 中國信息界, 3期

- 張永民, 2012, 如何建設智慧中國(上), 分析, 路徑, 對策和建議, 中國信息界, 4期

- 編輯部, 2016, 瀋陽智慧城市建設與大數據産業發展探索與實踐, 智能城市, 1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