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997;36: 1013-1019 CT · · · · . : CT : CT 1) : 3.6cm, .05). .05). .05). -12). tran - sitional 1 7 -1 5). CT 12). 1013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전용선 · 검미영 · 서창해 · 청원균 · 검경래2 . 김경국2. 신용운3

목 적 : 장관 폐쇄가 의성되는 환자에서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를 구분할 수

있는 CT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수술과 임상적 소견에 대한 정보 없이 기계적 장폐쇄 24예와 마비성 일레우

스 19예의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진단은 26예에서는 수술로 확인하였고, 17예에는 임상 증상과 방사선학적 소견, 추적 검사로 진단하였다.CT 소견을 1) 확장된 소 장의 최대 직경, 벽 두께, 조영증강 형태, 2) 하대 결장의 최대 직경, 소장 대 대장의 최대 직

경의 비, 3 ) 이행부위의 수, 길이, 두께, 4) 복수의 동반 유무와 분포로 분류하여 두 군을 비

교하였다.

결 과 : 확장된 소장의 최대 직경의 펑균은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3.6cm, 마비성 일레우스

군에서는 2.9cm로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의미 있게 확장되었다(p< .05). 확장된 소장 벽의 평균 두께는 기계적 장폐쇄군이 4.0mm로서 마비성 일레우스군의 2.4mm보다 두꺼웠고, 동

반된 과녁형 조영증강은 기계적 장폐쇄군(11예, 46% )에서 마비성 일레우스군(3예, 16%)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p<.05) . 하행 결장의 최대 직경의 평균은 두 군사이에 통계적 유의

성이 없었으나 확장된 소장 대 대장의 버의 평균은 기계적 장폐쇄에서 2.9와 마비성 일레우

스에서 1.9로서 두 군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이행부위의 존재는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23예 (96%) ,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9예 (47%) 있었고, 이행부위의 길이는

기계적 장폐쇄군이 평균 2.0cm로서 마비성 일레우스군의 평균 3.4cm보다 짧았다(p< .05).

이행부위의 두께,복수의 동반유무와분포는통계적 차이가없었다.

결 론 :CT 상 확장된 소장의 최대 직경, 벽 두께와과녁형 조영 증강, 확장된 소장 대 하

행 결장의 직경의 비, 이행부위의 수와 길이가 기계적 장폐쇄와 마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

단에 유용한소견이었다.

복부 팽만과 통증을 동반한 장폐쇄 환자에서 단순 복부 촬영

과 바륨조영술은 병변의 위치와 정도, 원인 등을 진단하는데 널

리 이용되어 왔으나 기계적 장폐쇄의 정도와 시기에 따라 마비

성 일레우스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기도 하므로 두질환의 감별

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1 -6). CT는 장폐쇄의 유무, 원인, 동반

병변뿐 아니라 장관의 생육성 (viability) 유무를 진단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알려져있다(7 -12).

장폐쇄의 진단에 있어 CT상 확장된 근위부 장관과 정상 또

는 허탈된 원위부 장관, 연속적인 소장의 확장, 이행부위( tran­

sitional zone)의 존재는 기계적 장폐쇄의 특정적 인 소견으로

서 90-95%의 높은 진단율이 보고되 었고, 마비성 일레우스에

1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일반외과학교실 3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 논문은 1996년도 인하대학교 연구비 보조로 이루어졌음 이 논문은 1997년 1월 6일 접수하여 1997년 5월 9일에 채택되었음

서는 CT상 소장과 대장의 균등한 확장과 이행부위가 없는 것

이 주된 소견으로 알려져 있다(1, 7 -15). 그러나 기계적 장폐

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에 있어 CT상 확장된 소장이

나 허탈된 대창의 직경이나 두께 측정에 대한 보고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행부위의 수, 길이 등이 두 질환의 감별

에 실제로 얼마나 유용한 진단 기준인가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또한 CT 진단은 연동운동에 의해 수축된 부위를 이행부위로 오인할 수 있고, 장관의 종단면을 스캔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

며 이로 인해 이행부위가 보이지 않거나 두 개 이상인 경우, 소

장과 대장의 팽창이 있으나 불연속적인 경우에는 감별이 쉽지

않다(7, 12).

이에 저자들은 임상적으로 장관 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복

부 CT상 팽창된 근위부 장관과 허탈된 원위부 장관의 직경 빛

그 비 (ratio)와 팽 창된 장관의 두께를 분석하고 이행부위의 수,

길이, 두께를 비교하여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

1013

Page 2: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전용선 요1: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버설 일레루스의 감별진단

별에 CT 진단기준이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및방법

1993년 3월부터 1996년 9월까지 복부 통증과 구토, 복부 팽

창 등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앙와위와 정립상 단순 복부 촬영을

시행한 결과 성한 소장 팽창과 물-공기 층(air-fluid !evel)이

나타나 장폐쇄를 의심하였던 43명 (남자 27명, 여자 16명 )의 복

부 CT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기계적 장폐쇄군이 24예(남

자 15예, 여자 9예)로 연령 분포는 3세에서 81세로 평균 40세였

고, 마비성 일레우스군이 19예(남자 12예, 여자 7예)로 연령 분

포는 1세에서 84세로 평균 31세였다.

기계적 장폐쇄 24예중 21예는 수술로 확진되었고, 3예는 임

상적 경과와 방사션학적 소견으로 진단하였다. 수술로 장폐쇄

가 확인된 21예의 원인은 수술 후 장유착이 12예, 원발성 종양

이 4예, 위석 (bezoar)이 2예, 에켈씨 게실이 1예, 이물질에 의

한 폐쇄가 2예였다. 수술을 하지 않은 3예의 장폐쇄의 원인은

장유착으로 3예 모두 복부 수술을 한 과거력이 있고 이 중 2예

는 장 괴사에 의해 사망하였다. 마비성 일레우스는 19예로서 5

예는 수술시 폐쇄부위를 찾을 수 없었고, 14예는 임상적 경과와

방사선 소견으로 기계적 폐쇄를 배제하여 보존적 요법으로 완

쾌되었다. 마비성 일레우스의 원인은 장염이 5예, 복강내 농양

이 2예, 악성종양에 의한 복막염이 2예, 기타 폐렴과 동반된 마

비성 일레우스가 l예, 외상이 l예, 수술 후 마비성 장이 1예, 충

수돌기염이 1예, 혜장염이 1예, 난관염 1예와 원언을 알지 못하

는 경우 4예였다.

CT 기종은 GECT / T 9800 HL(GE Medica! System,

Mi!waukee, USA)을 사용하여 횡격막 상부부터 치골결합의직

하부까지 5mm 절편 두께 및 10mm 절편 간격으로 시행하였

다. 전 예에서 경정맥 조영제 Iopromide(Ultravist, 300

mgI / m!, Schering, Seou!, Korea)를 100m! 정적 주업 (Drip

infusion)후 CT촬영을 시행하였고 CT 진단은 2인의 방사선과

의사가 후향적으로 임상소견이나 수술소견에 대한 정보 없이

따로 판독하여 결과가 일치한 경우를 채택하였고, 의견이 일치

하지 않은 경우는 합의하여 결정하였다.

CT 소견은 1) 확장된 소장의←최대 직경, 벽 두께, 조영증강

Table 1. CT Fingdings of Small and Large Bowels in Mechanica! Ob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Mechanical ileus Paralytic ileus p va!ue (n = 24) (n = 19)

SB diameter 3.6 ::!:: 0.83 cm 2.9 ::!:: 1. 22 cm < .05 SB wall thickness 4.0 ::!:: 1. 51 mm 2.8 ::!:: 1.73 mm < .05 SB target enhancement n = 11 (46 %) n = 3 (16 %) < .05

LB diameter 1.6 ::!:: 1. 27 cm 1.9 ::!:: 1.02 cm > .05 Ratio SB/LB diameter 2.9 ::!:: 1. 26

Note ; SB-small bowel, LB-Iarge bowel

Fig. 1. 28-year-old female with mechanical small bowel obstruction due to post-operative adhesion of distal il­eum. CT scan shows diffuse dilated, fluid -filled small bowel loops and collapsed colon(arrow). The diameter of dilated small bowel (3.8cm) and the ratio of dilated small bowel to large bowel diameter (3 .2) are highly suggested of mechanical obstruction

1.9 ::!:: 0.91 < .05

Fig. 2. 56-year-old male with mechanical small bowel ob­struction due to post-operative adhesion. CT scan shows beaking shaped transitional zone(large arrow), dilated small bowel loops with target-like enhancement(small arrows), and collapsed colon.

- 1014 -

Page 3: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대한방사선의학호|지 1997 ; 36: 1013-101 9

형태 2) 허탈된 하행 결장의 최대 직경, 소장 대 대장의 최대 직

경의 비, 3) 이행부위의 수, 길이, 두께, 4) 복수의 동반 유무를

분석하였다. 장관의 최대 직경 측정은 Fukuya 등(8)과 같이

가장 많이 늘어난 소장과 하행결장의 최외측(outer wall) 에서

최외측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확장된 소장 장관의 벽 두께

는 가장 두꺼워진 소장 벽의 최외층에서 내층까지 측정하였다.

이행부위는 CT상 확장된 근위부 장관과 허탈 혹은 정상의 원

위부 장관이 있는 경우로서 두께는 한쪽 장관 벽을 측정하였다.

복수의 위치는 횡격막하, 간하, 장간막, 양측 대장방(paracolic

gutter ), 골반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CT 소견을 기계적 장폐쇄 군과 마비성 일레우스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unpaired t-test와 X2 test를 이

용하여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기계적 장폐쇄 24예와 마비성 일레우스 19예의 늘어난 소장

의 최대 직경의 평균은 각각 3.6cm(범위 2.5cm -6.0cm)과 2.8

cm(범위 l.Ocm - 5.8cm)로 기계척 장폐쇄군에서 마비성 일레

우스군보다 더욱 확장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5)(Table 1). 기계적 장폐쇄군의 15예에서는 공장이, 9

Table 2. Small Bowel Diameter for the Diagnosis of Mechanical Obstruction.

SB diameter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Negative predictive

value{ %) value{ %)

> 3.0 cm 71 % 58% 68 % 61 % > 3.2 cm 63 % 68% 71 % 59%

> 3.4 cm 63 % 74% 75 % 81 %

> 3.6 cm 46 % 84% 79 % 55 %

> 3.8 cm 33% 84% 73 % 50%

Note ; SB-small bowel

Table 3. Small Bowel Wall Thickness for the Diagnosis of Mechanical Obstruction.

SB wall Sensitivity (%) Specificity (%)

Positive predictive Negative predictive

thickness value (%) value (%)

> 2mm 96 % 43 %

> 3mm 88 % 63 %

> 4mm 21 % 84 %

Note ; SB-small bowel

Fig. 3. 24-year-old female with paralytic ileus due to post-opeative paresis. CT scan shows diffusely dilated, fluid-filled small bowel loop, dilated cecum{C) and sig­moid colon{SC). The ratio of dilated small bowel to large bowel diameter is 0.5.

83 % 16 % 75 % 80 % 63 % 46 %

Fig. 4. 35-year-old male with paralytic ileus due to enter­itis . CT scan shows diffusely dilated small bowel loops and fluid-filled descending colon{.). The ratio of dilated small bowel to large bowel diameter is 1.6.

- 1015 -

Page 4: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전용선 오1: CT 소견싣 기계적 장떠|쇄와 마비성 일레루스의 감별진단

& 、‘“"J 、 “‘

않싼;‘

뽑;; 훌훌혐

훨쫓!* *;% Fig. S. 51-year-old rnale with paralytic ileus due to enteritis. A, B. CT scans show two transitional zones(arrows) . How­ever, these zones were proved to be false positive by operation.

Table 4. CT Findings of Transitional Zone in Mechanical Ob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Mechanical ileus Tranitional Zone (n = 24)

Nurnber 0 1 (4 %) l 23 (96 %) 2 o (0 %)

Length 2.0 ::t 1. 55 crn Thickness 6.5 ::t 4.53 rnrn

예에서는 회장이 가장 확장되었다. 마비성 일레우스에서는 모

두 회장이 최대 직경이였다. 늘어난 소장의 직경의 기준을 3crn

에서 0.2crn씩 증가시키면서 진단률을 비교한 결과, 3.4 crn이상

을 기계적 장폐쇄로 정하였을 때 민감도는 63 % 이고 특이도는

74%이며 양성 기대치가 75%, 음성 기대치가 81 %로 높게 나

타났다(Table 2)(Fig. 1).

확장된 소장 벽의 평균 두께는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4.0mrn

(범위 2mrn - 6mrn) ,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2.4rnm(범위 2

mrn-7mm)로서 기계적 장폐쇄가 더 두꺼웠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5)(Table 1). 확장된 장관 벽 두께를 각

각 2mrn, 3mm, 4mrn의 진단기준으로 정하였을 때 3mrn 이상

의 두께를 기계적 장폐쇄로 진단시 민감도가 88 %, 특이도가

6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창관 벽의 과녁

형( target) 조영 증강은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11예 (46% ) , 마

비성 일레우스군에서 3예(16%)에서 있었고 두 군사이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Table l) (Fig. 2).

하행결장의 최대 직경의 평균은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1.6 cm(범위 0.6cm -6cm)이고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는 평균 1.9

cm(범위 0.6cm -4.7cm)로서 두 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1). 늘어난 소장과 대장의 최대 직경 비

(ratio)의 평균은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2.9와 마비성 일레우스

군에서 1.9로서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5)

(Table 1) (Fig. 3, 4) . 소장 대 대장 최대 직경비가 2.5이상인

Paralytic ileus p value

(n = 19)

10 (52 %) 6 (31 %) < .05 3 (17 %)

3.4 ::t 2.17 crn < .05 4.4 ::t 0.10 rnrn > .05

경우를 기계적 장폐쇄로 진단할 때 민감도가 75%이고, 특이도

는 84%였다.

이행부위의 수는 기계적 장폐쇄군의 24예 가운데 23예 (96

%)가 1개 였고, 1예 (4% )에서는 이행부위를 찾을 수 없었다

(Table 4). 마비성 일레우스군은 19예 가운데 6예 (31 % )가 1

개, 3예(17% )가 2개, 10예 ( 52% )는 이행부위가 없었으며 기계

적 장폐쇄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Table 3)(Fig.

5).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위양성으로 나타난 이행부위 9예

가운데 3예는 이행부위가 2개로 나타났으며 각각 장염 2예, 난

관염 1예 였다. 이행부위의 평균 길이는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2.0cm(범위 1cm -l1 cm) ,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3.4cm(범위

1cm -8cm)로서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길게 나타났고 통계

적 유의성이 있었다(p< .05) (Table 4). 이행부위의 벽 두께의

평균은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6.5mrn(범위 4mm - 9mm) , 마비

성 일레우스군에서 4.4 mrn( 범위 3mrn - 6mm)로서 통계적 차

이가 없었다(Table 4).

복수는 기계적 장폐쇄군에서는 18예 (75% )에서 동반되었고

복수의 위치는 횡격막하에 3예(13% ) , 간하에 5예 (21 % ) , 장간

막에 16예 (67% ) , 골반강에 9예 (38%) , 대장방(paracolic gut­

ter) 에 10예 (42% ) 의 분포를보였다.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는

13예 (68% )에서 복수가 있었고 각각 횡격막하에 3예(16% ) ,

간하에 6예 ( 32% ) , 장간막에 9예 (47% ) , 골반강에 7예 (37%) ,

대장방에 9예 (47% )로서 복수의 동반 유무와 분포위치는 두 군

- 1016 -

Page 5: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대한밤시선의학호|지 1997; 36: 1013-1019

사이에서 통계적 차이는없었다.

고 찰

장관 폐쇄는 장관 내용물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경

우로서 장관 내외의 물리적 폐쇄에 의한 기계적 장폐쇄와 기능

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비성 일레우스로 구분되며 전

반적인 장관 팽창으로 나타난다(16). 가계적 장폐쇄의 원인은

유착이 50%, 탈장이 15%, 종괴가 15%, 나머지 복합적 원인이

알려져 있으나(17) , 초기 또는 폐쇄가 경미한 경우 마비성 일레

우스와 감별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술 후 마비성 일레우스나 복

강내 농양, 악성 종양,훼장염,위궤양등과임상적 증상과증후

가 비슷하므로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

다(1, 2, 7, 10, 17).

장폐쇄의 방사선학적 진단은 단순 복부촬영과 경직장 항문

바륨장관조영 검사, 소장관장법과 같은 조영제를 이용한 검사,

초음파 검사법, CT 등이 이용되며 이러한 검사 방법은 환자의

임상 증상과 상태에 따라 선택된다(4, 7, 11, 12). 단순 복부촬

영은 기계적 장폐쇄의 50-60% 정도를 진단할 수 있으나 20%

이상에서 폐쇄의 증거를 찾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3, 4,

12, 17, 18). 단순촬영상 나타나는 공기팩체층의 높이 차이

(different air -fluid level)는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

스에서 같이 나타날 수 있으며 (2, 5, 6), Harlow 등(19)은 공기

-액체층의 높이가 20rnrn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기계적 장폐

쇄를 더 시사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단순 촬영만으로는 두 질

환의 감별이나 장폐쇄의 유무, 위치와 원인, 정도(severi ty) , 괴

사(strangulation)의 유무, 수술적 치료 혹은 보존적 치료의

선택 등의 중요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20, 2 1). 바륨관장검사는

단순 복부촬영에서 진단하기 어려웠던 장유착, 종양, 탈장에 의

한 장폐쇄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장관의 운동성이

감소된 경우진단을위해 많은시간이 소요되며 수술이 필요한

경우 높은 밀도의 바륨은 적합하지 않다( 3, 7, 17).

CT는 다른 검사 방볍보다 장관의 운동성에 의존하지 않으며

장관 밖의 병변을 보는데 장점이 있고 장관벽의 형태와 두께 변

화와 괴사를 예측할 수 있다(7, 11, 12, 22, 23). Fukuya 등( 8)

은 CT 상 소장폐쇄 환자 30예와 소장폐쇄가 없는 30예와의 비

교한 결과 2.5cm 이상 확장된 소장과 정상 또는 허탈된 원위부

장관이 있을 때 소장 폐쇄의 90%를 진단 했고 위양성은 없었

다고 하였다. 그러나 Fukuya 등(8)의 연구 기준은 소장폐쇄와

소장폐쇄가 없는 정상 환자의 비교였고, 저자들의 예에서는 기

계적 장폐쇄의 100%에서, 마비성 일레우스의 68%에서 2.5cm

이상의 소장 확장이 나타나 두 질환의 감별에 적합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확장된 소장직경이 3.4 cm 이상일 경우를 기계

적 장폐쇄로 진단할 때 가장 높은 민감도(63%) , 특이도(74

%), 양성 기대치 (75%) , 음성 기대치 (81 %)를 보였다.

확장된 장관 벽의 두께와 과녁형 조영 증강은 장관 벽의 점막

하부종에 의한소견으로장관의 병리 조직학적 상태를반영한

다(23, 24). 장관의 유착이나 닫힌 고리 (closed loop) 에 의한

장간막 압박시 혈액 공급과 배액에 장애가 일어나 장관의 부종

과 허혈을 일으키며, CT에서 장관 벽의 비후나 과녁형 조영 증

강, 창간막의 국소성 복수를 동반하게 된다(7, 12, 23, 24).

Fukuya 등(8) 의 연구에서 장관 벽의 비후는 비특이적인 소견

이라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장폐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욱 두꺼웠으며 확장된 소장의 장관 벽의 두께가 3 mm 이상인 경우 기계적 장폐쇄로 진단했을 때 민감도(88%)

와 특이도(63% )가 높았다. 결국 장관 벽의 두께와 조영 증강

형태는 기계적 장폐쇄군과 마비성 일레우스군에서 두군의 감별

에 유용한진단기준으로사료된다.

장관 폐쇄시 이행부위의 존재는 기계적 장폐쇄를 시사하는

매우 중요한 소견으로 알려져 있다(1, 7 -13) . 그러나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마비성 일레우스의 9예에서 이행부위가 관찰되

었고 이 중 3예는 이행부위가 2개로 나타났으나 기계적 장폐쇄

전예에서는 2개 이상의 이행부위는 없었다. 위양성으로 나타난

이행부위는 장관의 연동운동에 의 해서 수축된 부분으로서 정적

인 (static) 영상을 나타내는 CT의 제한점이며 결국 CT 상 장

관 팽창이 연속적이지 않거나 2개 이상의 이행부위가 존재 할

때는 마비성 일레우스를 더 시사하는 중요한 소견이라 사료된

다. Gazelle 등(1)도 CT에서 소장 폐쇄와 다른 원인에 의한 소

장 확장을 비교한 결과 연속적 인 소장의 확장이 소장 폐쇄에서

유의하게 많았다고 하였다. CT에서 확장된 장관이 급격히 좁

아 질 경우 이행부위의 추적이 용이하지만 점진적인 경우 찾기

가 용이하지 않으며 경구용 조영제를 사용했을 경우 CT 추적

검사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8) . 수술후 장유착에

의한 기계적 장폐쇄의 경우 약 13- 15%에서 이행부위로 나타

나는 유착부위를 찾을 수 없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7, 8). 본

연구에서 CT상 이행부위가 보이지 않았던 기계적 장폐쇄 1예

도 수술후 장유착으로 확장된 근위부 장관과 허탈된 원위부 장

관이 명백히 관찰되지 않았던 예였다. 이와 같이 전에 수술한

병력이 있고 장 유착에 의한 폐쇄가 의섬 되지만 CT에서 유착

대가 관찰되지 않을 때는 소장과 대장의 확장의 유무와 소장대

대장의 비가진단에 도움이 되리라사료된다.또한본연구결과

이행 부위의 길이가 짧을수록 기계적 장폐쇄를 시사했고 통계

적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나 이행부위의 벽 두께는 두군의 감별

에 의미가없었다.

복수는 두 군에서 공히 복강내 장간막, 양측 대장방, 골반강,

간하,횡격막하순으로복강내 위치하였고이는다른병변에 의

한 자유 복수의 분포와 차이가 없었다. 수술 소견상 장폐쇄에

의한 복수는 장액혈액성 (serosangineous)이였으며 격막에 의

한 소방형성 없이 중력과 복강내 함요(recess)를 따라 분포하

였다.

결론적으로 장관 팽창이 있는 환자에서 기계적 장폐쇄와 마

비성 일레우스를 감별진단할 때 CT상 확장된 소장의 직경이 3.

4cm 이상이고 두께가 3rnrn 이상이며 과녁형 조영증강의 소견

이 나타나면 기계적 장폐쇄를 강력히 시사할 수 있으며, 이행부

위의 길이가 짧고 한 부위에서 나타났을 때 기계적 장폐쇄를 진

단할 수 있는 중요한 소견이 될 수 있다.

- 1017

Page 6: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전용선 오I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루스의 감별진단

jt~ τ.!;긍 등4 C그 -‘'-'-

1. Gazelle GS , Goldberg MA , Wittenberg J , H띠pern EF. Pinkney

L, Mueller PR. Efficacy of CT in distinguishing small-bowel ob­

struction from other causes of small-bowel dilatation. AJR 1994

; 162: 43-47

2. Baker SR. Plain film radiology of the intestine and appendix. In;

Baker SR, ed. The abdominal plain film. Norwalk ; Appleton &

Lange, 1990; 155-241

3. Nelson SW, Christoforides AJ. The use of barium sulfate sus

pension in the study of suspected mechanical obstruction of

the small intestine. AJR 1967 ; 101: 367-368

4. Dunn JT, Halls JM, Berne TV. Roentgenographic contrast

studies in acute small bowel obstruction. Arch Surg 1984; 119:

1305-1308

5. Eisenber RL. Gastrointestinal radiology; a pattern approach,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1990 ; 411-429

6. Swrtz SS.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intestinal obstruction

Semin Roentgenol 1973; 8: 327-338

7. Megibow A, Balthazar E, Cho K. Medwid S, Birnbawn B, Noz

M. Bowelobsσuction; evaluation with CT. Radiology 1991; 180

: 313-3 18

8. Fukuya T, Hawes DR, Lu Cc, Chang PJ, Barloon T. CT diag­

nosis of small bowel obstruction: efficacy in 60 patients. AJR

1992 ; 158:765-769

9. Maglinte DDT , Gage SN, Harmon BH. et al. Obstruction of

small intestine ; accuracy and role of CT in diagnosis. Radiology

1993;188 ’ 61 -64

10. Balthazar EJ. CT of small bowel obstruction. AJR 1994; 162:

255-261

11. Ru besin SE, Herlinger H. CT evaluation of bowel obstruction : a

landmark article-implications for the future . Radiology 1991;

180: 307-308

12. Megibow AJ. Bowel obstruction evaluation with CT. Radiol

Clin North Am 1994;32:861-870

13. Taourel PG, Fabre JM, Pradel JA, Seneterre EJ, Megibow AJ,

Bruel JM. Value of CT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uspected acute small-bowel obstruction. AJR 1995; 165 ; 1187-1192

14. Frager D, Medwid SW, Baer JW. CT of small bowel obstruction

: value in establishing the diagnosis and determining the degree

and cause. AJR 1994; 162 : 37-41

15. Frager DH. Baer JW , Rothpearl A. et al. Distinction between

postoperative ileus and mechanical small bowel obstruction:

value of CT compaired with clinical and other radiographic

findings. AJR 1995; 164: 891-894

16. Rohrmann, Jr CA. Functional disorder of the gastrointestinal

tmct. In Gore RM, Levin MS, Laufer 1. Textbook of gastrointes­tinal radiology. Philadelphia: Saunders, 1994; 2649-2651

17. Mucha P. Small intestinal obstruction. Surg Clin North Am

1987; 67: 597-620

18. Lo AM, Evans WE, Carey LC. Review of small bowel obstruc­

tion at Milwakee County General Hospita l. Am J Surg 1986; 11

: 884-887

19. Harlow CL, Stears RLG, Zeligman BE, Archer PG. Diagnosis of

bowel obstruction on pl허n abdominal radiographs: significance

of air- f1uid levels at different heights in the same loop of

bowel. AJR 1993; 161: 291-295

20. Herlingner H, Maglinte DDT. Small bowel obstruction. In

Herlinger H. Maglinte DDT, eds. Clinical radiology of the small

bowel. Philadelphia: Saunders, 1989 ; 479-509

21. Maglinte DDT, Herlinger H, Turner WM JR, et al. Radiologic

management of small bowel obstruction; a practical approach

Emergency Radio11994; 1: 138-149

22. Lund EC, Han SY, Holley HC. Berland LL. Intestinal Jschemia :

comparison of plain radiographic findings and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RadioGraphics 1988; 8 ’ 1083-1108

23. Balthazar EJ, Birnbaum BA, Megibow AJ, Gordon RB, Whelan

CA, Hulnick DH. Closed- loop and strangulating intestinal ob­

struction ’ CT signs. Radiology 1992; 185: 769-775

24. Willis JS . Closed-loop and strangulating obstruction of the

small intestine: a new twist. Radiology 1992; 185 : 635-636

- 1018 -

Page 7: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H한방시선의학호|지 199?; 36: 1013-1019

J Korean Radiol Soc 199?; 36: 1013-1019

Differential Diagnosis of Mechanical Bowel O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on CT Features1

Yong Sun Jeon, M.D. , Mi Young Kim, M.D. , Chang Hae Suh, M.D., Won Kyun Chung, M.D. Kyung Rae Kim, M.D. 2, Kyung Kook Kim, M.D.2, Yong Woon Shin, M.D. 3

1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Inha Univers띠 College of Medicine

2 Department of General Surgeηι l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 Department of 1 nternal Medicinκ l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rpose: To evaluate CT finding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Materials and Methods: Without information relating to clinical or operative finding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T scans of 24 patients with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19 patients with paral ytic ileus. Final diagnosis was confirmed by operation (n = 26), or by clinical symptoms, radiologic findings and follow-up study CT findings were obtained: 1) the diameter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small bowel, and the thickness and enhancing pattern of the dilated small bowel walr; 2) the diameter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descending colon and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small bowel to that of the descending colon; 3) the number of transitional zones, length and thickness and 4) associated ascites and its location.

Results: The mean diameters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small bowel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were 3.6cm and 2.9cm,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small bowel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was significantIy greater than in paralytic ileus(p< .05). The mean thickness of dilated small bowel wall was 4.0mm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2.4mm in paralytic ielus, and target-like enhancement was prominent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46 %)(p < .05). The mean diameter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descending col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at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small bowel, but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small bowel to that of the colon was 2.9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1.9 in paralytic ileus, respectivel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5). A transitional zone was seen in 23 cases(96 %) of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in nine (47 %) of paralytic ileus. In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mean transitional zone length was 2cm, shorter than that of paralytic ileus(3 .4cm)(p < .05) The thickness of transitional zone and the presence of ascites and its locations were not signifi­cantIy different between mechanical bowel obstrction and paralytic ileus.

Conclus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and paralytic ileus, the following CT findings were considered useful: diameter of the most dilated part of the small bowel; thickness and target-like enhancing pattern of dilated small bowel wall;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small bowel to that

Index Words: Intestines, CT Intestines, stenosis or 0 bstruction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i Young Kim, M.D., Department of Radiology, lnha University HospitaL Taepyung-dong # 7336, Sujong-gu Songnam City, Kyunggi-do 461-192, Korea

Tel : 82-342-720-5225 Fax: 82-342-755-2812

1019 -

Page 8: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마비성 일레우스의 감별진단1 - KoreaMed · 2016-12-26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7;36: 1013-1019 ct 소견상 기계적 장폐쇄와

핍 박

제목 : Hale-Bobb 혜성 뒤에 UFO는 없고 Comet tail sign만 있다!

2A 28

2C 20

1020

그림 1. 1997년 3월 16일 오후 8시

경기도 미사리에서 Hale-Bobb 혜

성 관찰. Nikon F3, 200mm 망원

렌즈, F =4.0, Kodak ASA 1600

color film, 1/30 노출. 최근 찾아

온혜성중가장크고멋진혜성입

니다.

그림 2A. 갑상션암 때 흔히 오는

미세석회화 병변으로 여러개의

comet tail을 보이 는 고에 코 영 상

이 초음파검사때 관찰된다.유성

우(流星雨)때 흔히 보이는 광경

과흡사합니다.

그림 28. 담낭에 cholesterol

polyp이 나 adenomyomatosis가

있을 때 comet tail sign이 흔히

보이 며 증례 는 cholesterol polyp

으로 인해 담낭 내로 향한 comet

tail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그림 2C. 유방암에서도 흔히

comet tail sign이 보일 수 있으

며, 증례에서 아래쪽으로 향한 뿔

처럼 생긴 2개의 comet tail이 관

찰되고있습니다.

그림 20. Round atelectasis가 있

을 때 폐실질과 혈관들이 말려 들

어가면서 comet tail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증례에서 오른쪽 앞에

서 round atelectasis쪽으로 끌려

가는 혈관들이 comet tail처 럼 보

업니다.

제공 : 연세의대 진단방사선과

정 태 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