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Disclaimers-space.snu.ac.kr/bitstream/10371/124820/1/000000020959.pdf · 본 연구에서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3차에 걸쳐 자료수 집이 이루어졌다. 1차 설문지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간호학석사학위논문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

2014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고 하 나

i

국문 초록

노인복지관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접근성이 좋은 노인복지시설로 노인

인구수의 증가에 따라 시설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용자도 증가하

고 있다.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은 비교적 건강하지만 대부분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고 상당한 시간을 노인복지관에서 보내기

때문에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건강서비스는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전문간호사 제도는 국내에서 2003

년 법제화되어 전문간호사 중 가장 많은 수가 배출 되었으나 아직 훈련

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활동장소가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노인

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활용할 것을 기대하며 델파이 기법을 활용

하여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역

량에 적합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 결과는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가 사회통합적 보건 전달체계 내에서 비용효

과적으로 건강서비스를 제공하여 훈련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4년 01월 08일부터 2014년 04월 11일까

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3차에 걸쳐 자료수

집이 이루어졌다. 1차 설문지에 사용된 노인전문간호사 역량은 한국간호

평가원에서 개발된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지침이었다. 본 연구의 델파이

패널은 대학의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7인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10인으로 구성되었다.

ii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중요 직무는 9개의 임무(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응급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와 임무의 하위

요소로 총 38개의 일, 일의 하위요소로는 137개 요소가 추출되었다.

둘째, 9개의 임무 별 비중에 대한 조사결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25.00%)’, ‘교육 및 상담(18.53%)’ 순으로 건강증진의 비중이 가장 높

았으며, 가장 비중이 낮은 임무는 ‘연구(5.50%)’였다.

셋째, 일의 요소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은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4.94 .24)’였으며, 가장 중요도가 낮은 것은 ‘연구계획하기(3.94 .66)’

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관 일반간호사역할에 비해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차별화

되는 역할 영역은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p=.00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 나타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는

현재의 한국간호평가원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지침영역에 비해 치료적 중

재는 축소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교육 및 상담이 강화된 직무기술

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주요 역할은 교육

과 상담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이다. 그리고 정신건강을 포함한

건강위험군을 선별하는 상급수준의 전문간호업무가 요구되며 낮은 비중

이지만 연구도 노인전문간호사의 고유영역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세부 직무에 해당하는 일과

일의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할을 개발하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이 연구의 제한 점으로 생각되는 것은 델파이 패널에 현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1명 밖에 포함되

iii

지 못하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 실무 경력자가 적게 포함된

점이다. 이는 현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지관 근무자를 찾기 어려

운 이유이었으나 추후에는 노인전문간호사자격증을 소지한 노인복지관

실무 경력자를 패널로 한 타당성 검증이나 영역분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전문간호사가 각 항목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

는 시간과 빈도를 측정하여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 특성을 현장에서 검

증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

관 노인전문간호사는 일반간호사보다 확장된 전문적 상급간호 업무와 연

구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근거 자료가 제시되었다고 본다.

주요어: 노인전문간호사, 노인복지관, 역할, 델파이 기법

학 번: 2011-20452

iv

목 차

국문초록 ......................................................................................... i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5

3. 용어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1. 노인전문간호사의 현황 및 활동 .................................................. 7

2.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특성과 건강요구 ................................... 10

3. 노인복지관에서의 간호서비스.................................................... 12

Ⅲ. 연구방법 ....................................................................................... 16

1. 연구 설계 .................................................................................. 16

2. 연구 대상자 ............................................................................... 16

3. 연구 절차 .................................................................................. 18

4. 연구 도구 .................................................................................. 22

5. 자료수집 방법 ........................................................................... 24

6. 자료분석 방법 ........................................................................... 24

v

Ⅳ. 연구결과 ....................................................................................... 27

1. 델파이 패널의 일반적 특성 ....................................................... 27

2.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 29

3.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 34

4.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 43

5.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 역할비교 .................. 62

Ⅴ. 논의 ............................................................................................. 66

Ⅵ. 결론 및 제언 ............................................................................... 78

참고문헌 ........................................................................................... 81

Appendix ......................................................................................... 87

Abstract .......................................................................................... 162

vi

List of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elphi Panel ..................... 28

Table 2. Duty Modification of Task and Task Elements by the

First Round Delphi Survey ................................................. 30

Table 3. Results of the Second Round Delphi Survey ....................... 36

Table 4. Modifications Based on the Second Delphi Survey ............. 42

Table 5. Desirable Weight of Duty Rated by the Panel ..................... 43

Table 6. Results of the Third Round Delphi Survey .......................... 45

Table 7. Comparison of Importance Rating of Task Element

Between the Gerontological Health Educator Panel Group

and Field Practitioner Panel Group .................................... 53

Table 8. Comparison of the GNP Role Between KABONE and

this Study ............................................................................. 54

Table 9. Difference of Task Elements Importance Rated when

Assuming GNP or RN Role by Field Practitioner .............. 65

vii

List of Figures

Figure 1. Process of this research ..................................................... 21

List of Appendixes

부록 1. 연구대상자 보호 심의 결과 통보서 ......................................... 87

부록 2. 연구참여 동의서 ...................................................................... 88

부록 3. 1차 델파이 설문지 .................................................................. 89

부록 4. 2차 델파이 설문지 ................................................................ 100

부록 5. 3차 델파이 설문지 ................................................................ 116

부록 6.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 138

부록 7. 노인전문간호사교육자 패널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경력자

패널 간의 지각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차이 ....... 144

부록 8. 노인복지관 간호사의 역할수행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비교

............................................................................................. 151

부록 9. 최종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 157

부록 10. 델파이 패널 수에 따른 내용타당도비율(CVR)최소값 .......... 161

- 1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2012년 11.8%로 세

계적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2050년 37.4% 수준에 이를 것으

로 전망되고, 또한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 비율도 2012 0.9%에서 2050

년 7.7%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통계청, 2012) 노인의 복지요

구가 중요한 정책 이슈가 되고 있다. 노인인구 중 대다수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으므로 1981년 노인복지법의 제정과 함께 정부의 노인복지

정책이 이전의 시설보호 중심에서 가정에 있는 노인에 대한 보호와 지원

을 강화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보건복지부b, 2014). 이와 함께 지역노

인복지사업의 일환으로 1989년 사회복지관 설치운영규정이 전면 개정되

면서 노인종합복지관 설립이 증가되어 2013년까지 전국에 노인복지관이

300개로 크게 증가하였다(보건복지부c, 2013). 노인복지관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비용효과적으

로 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시설이며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건강증진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적합한 시설이라 할 수 있다(김선호, 2005). 그러나 노인복지관은

노인복지법에 노인여가복지시설로 구분되어 노인의 교양·취미생활 및 사

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 및 질

병예방과 소득보장·재가복지, 그 밖에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스

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로서(노인복지법, 2007) 여가 프로그램

- 2 -

이 주가 되고 있다.

지역사회 노인의 44.4%가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부정적 건강인식과 함께 노인의 88.5%가 만성질환을 갖고 있고 평균

2.5개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어(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지속적인 건강지지가 요구된다. 노인은 건강 문제가 있을 때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고 다장기 만성질환이 있는 매우 취약한 집단으로 노인복

지관에서는 이러한 이용 노인의 건강특성에 맞는 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

할 필요가 있다.

노인복지관에 대한 인력규정(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26조)에는 시설장

(사회복지사) 이외에 상담지도원 2인 이상, 물리치료사, 사무원, 조리원,

관리인 1인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간호사를 배치하도록 하는 규정

은 없어서 2005년 조사에 의하면 간호사가 없는 복지관이 전체 복지관

의 50%에 이른다(김선호, 2005). 그러나 노인복지관에서는 다양한 건강

관련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건강검진 등의 건강관리프

로그램과(88.9%) 건강체조(86.7%)등의 비율이 높았다(정경희, 변재관,

오형희, & 이윤경, 1999). 이 중 건강검진서비스는 관내 보건소에서 진

행되는 검진사업에 의존하거나 자원봉사자 의사에 의해 서비스가 운영되

고 있어, 검진 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 등 체계적인 건강서비스는 매우

취약하다. 노인복지관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종사자의 전문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이은주, 2002) 이러한 문제는 복지관 이용 노인

들이 수준 높은 질적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높지만(강창현, 2002;

은영 et al., 2001)만족도는 요구에 미치지 못한다는(조현 & 서화숙,

2004; 김선호, 2005) 조사결과에도 반영되어 있다.

2003년에 우리나라 석사과정에서 교육되는 노인전문간호사제도가 법

- 3 -

제화 된 후 2013년까지 자격증을 획득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숫자는

1,743명으로 13개 전문간호사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배출하였

다(한국간호평가원c, 2014). 노인전문간호사 영역은 미래의 노인인구 증

가를 감안하여 처음부터 전문간호분야에 포함되어 많은 수가 배출된 것

이다. 그러나 노인시설의 노인전문간호사의 고용에 대한 법이나 규정이

없고 노인복지, 요양 등 노인관련 시설의 간호사 근무조건이 병원보다

나빠서 대부분의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자가 급성기 병원에서 근무

하고 있어(한국간호평가원a, 2008), 훈련된 역량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

다. 이는 국가적인 자원의 낭비이며, 동시에 노인건강 분야의 제도적인

맹점으로 생각된다. 노인전문간호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

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데(김금순, 박연

환, & 임난영, 2008; 이경자 et al., 2004; 이미진, 2005; 임경민 & 서지

민, 2014; 임경춘, 2005) 이는 노인전문간호사가 활동할 현장에 따른 차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미국의 노인 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전문간호사의 활동영역은 예

방적 건강증진 서비스로 건강문제 Screening, 예방접종, 청력검사, 가정

방문 및 교육이 포함되어 있다(Kern, 1990). 또한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을 위해 건강사정, 주간보호, 응급대처, 다양한 협력체계 조정 및 관리

등의 활동도 하고 있고 이에 대한 이용 노인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알

려져 있다(임경춘, 2005; Caffrey, 2005; Morilla-Herrera et al., 2013;

Schoenfelder, Specht, & Maas, 2005; Thompson, Lang, & Annells,

2008).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노인복지관에서도 여가 활동지원 외에 노

인전문간호사의 역량을 활용한 간호서비스가 제공된다면 현재의 노인복

지관의 건강서비스를 상당 수준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4 -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효율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 우선적

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일반간호사의 역할 및 직무와는 차별화된 전문

간호사의 역할 및 직무지침 마련이다(김금순 et al., 2008; 홍정희, 2004;

Galarneau et al., 2005; McMillan et al., 1995).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직무기술서는 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이 있으나 병원이나 의료기관 중심의 역할이 초점이 되어있어 비

교적 기능적 건강상태가 양호하나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이 이용하는 노

인복지관에서의 전문간호사의 역할로는 적절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노인들의 대상자특성

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역량에 적합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를 개발하고

자 한다. 이 연구결과는 노인전문간호사가 사회통합적 보건 전달체계 내

에서 훈련된 전문간호사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고 노인복지관을 이용하

는 노인들에게 최선의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5 -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으로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건강요구

에 부합하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임무, 일, 일의 요소를

기술한다.

2)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요구되는 각 임무의 비중을 평가한다.

3)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게 기대되는 각 임무의 일의 요소 중

요도를 평가한다.

4)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일반간호사와 차별화되는 역할기대

영역을 도출한다.

3. 용어 정의

1) 노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은 노인복지법 제 36조에 따라 노인의 교양·취미생활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소득보장·재가복지, 그 밖에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

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노인복지법, 2007)을 말한다.

2) 노인전문간호사

노인전문간호사는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시

- 6 -

행하는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보건복지법, 2002)를 말한

다. 보건복지부장관 명의의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

는 대학원과정에서 규정된 학점을 이수하여야 한다. 또한 노인전문간호

사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최근 10년 이내 노인간호 관련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이 요구된다.

3) 역할 개발

직무기술서 (Standard- based Job description)는 직무에 따른 명백한

역할기대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를 기반으로 직무오리엔테이션과 역량교

육, 업무수행평가서(performance appraisal)등을 개발할 수 있는 기준이

다(Swansburg & Swansburg, 1999). 따라서 본 연구의 역할 개발 내용

은 직무기술서에 포함된 역할 수행과 관련된 과업 및 직무행동을 직무요

건을 중심으로 임무(duty), 일(task) 및 일의 요소(task element)로 단계

적으로 분류하여 기술함으로써 역할에 관한 내용과 특성이 무엇인지 조

사하고 각각의 중요도를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 7 -

Ⅱ. 문헌고찰

1. 노인전문간호사의 현황 및 활동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의 기원은 1973년 의료법에 의해 보건,

마취, 정신간호 분야의 분야별 간호사 조항이 신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990년에 분야별 간호사에 가정간호사가 추가되고, 2000년 의료법 개정

과 함께 전문간호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첨단의학 기술의 발달과

질병유형의 변화, 노령화에 따른 인구구조변화 등으로 전문영역의 간호

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2003년에 응급, 산업, 감염관리,

노인, 중환자, 호스피스 6개 분야의 전문간호사 영역이 추가되어 10개

영역에 대해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표준 교육내용에 대해 단일화된 표

준과 자격증 기준을 마련하였다. 2006년에는 종양, 임상, 아동영역의 전

문간호사분야가 추가되어 총 13개 분야로 전문간호사 영역이 확대되었

다(보건복지부a, 2008). 이 중에서도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속도의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와 국가로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직무 개

발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이 인식되었다(김금순 et al., 2008; 임경민 &

서지민, 2014; 임경춘, 2005).

노인전문간호사 표준교육 내용과 자격시험에서 중요시 되는 영역은,

임상 실무 능력과 전문직 능력이다. 즉, 임상 실무 능력으로 전문가적

간호 실무 제공자로서 자료수집,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과정을 통하

여 폭넓은 지식과 기술을 기초로 대상자에게 상급 실무를 제공한다. 임

상 실무 능력의 주요 내용은 노인질환 간호로 질병 사정(검진), 검사, 치

- 8 -

료, 약물관리, 재활 등이 포함되어 있고, 노인 건강증진 영역으로 노인영

양, 수면, 안전, 여가관리 등이 포함 되어 있다(한국간호평가원b, 2013).

또한 전문직 능력으로는 교육 및 상담, 연구, 리더쉽, 자문 및 협동으로

변화를 촉진하고 관리능력을 함양하여 일반 간호사가 할 수 있는 실무

영역보다 훨씬 전문화된 역량을 갖도록 훈련되고 있다.

2013년까지 자격증을 획득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숫자는 1,743명으로

13개 전문간호사 분야 중에서 가장 많은 자격자를 배출하였다(한국간호

평가원c, 2014). 그러나 노인전문간호사제도 계획 단계에서 노인복지시

설과 일반병원 중심의 노인전문간호사 수요추계 연구(신성례 & 오복자,

2003)에서는 2011년 노인전문간호사 수요추계로 노인복지시설 1,777명,

일반병원 561~835명으로 총 2,338~2,612명을 제시하여 아직도 이 추

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노인전문간호사의 고

용이 법이나 규정으로 강제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노인복지,

요양 등 건강관련 시설은 근무조건이 나빠 노인전문간호사는 자격 취득

후에도 급성기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어, 배출된 노인전문간호사들이 훈

련된 역량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의 미국간호자격인증센터(American Nurses Credentialing Center:

ANCC)에서 인정하는 노인전문간호사(G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GNP)란 노인 간호 분야에서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최소 5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과 함께 석사 과정의 노인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

고 미국간호협회 산하의 간호자격인증센터(ANCC)에서 주관하는 자격시

험에 합격한 자에게 사용하는 명칭이다(ANCC, 2001). 그러나 미국은 주

정부에서 전문간호사자격을 주기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전문간호사 면허

제도가 존재한다. 미국전문간호사는 주(州)마다 제정된 법령(state's

- 9 -

nurse practice act)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진료권과 처방권을 갖고 있

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주로 지역사회시설이나 외래를 중심으로 의사나

다른 건강 전문가와 협력하여 노인에게 만성질환의 예방, 신체 사정과

진단, 약물 처방을 포함하는 일차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급 실

무를 담당하고 있다. 업무를 자세히 살펴보면 노인과 그 가족을 대상으

로 직접적인 임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 증진 및 유지,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건강 상태의 사정 및 간호 진단을 통해 간호 및 치료 계획

을 개발하고 이행한다. 노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대해 노인에게 교육

도 실시한다. 더불어 모든 건강 분야의 전문가들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존중하며 노인을 위한 새로운 공적 서비스 개발에 참여하고 노인 지원체

계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 양질의 비용효과가 높은 간호를 이용할 수 있

도록 중재하고 있다. 또한, 문화적 배경에 따른 특별한 요구를 수용하고

환자와 가족 간의 상호작용에도 주의를 기울인다(Fitzpatrick, Gitelson,

Andereck, & Sue Mesbur, 2005). 따라서 미국의 노인전문간호사는 의

사보다 환자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진료시간을 제공하여 의료소

비자를 만족시키고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담당자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임경춘, 2005; Caffrey, 2005; Morilla-Herrera et al., 2013;

Schoenfelder, Specht, & Maas, 2005; Thompson, Lang, & Annells,

2008). 이러한 미국노인전문간호사의 활동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전문간호사들이 활동영역을 넓혀갈 여지가 매우 많다고 생각된다.

- 10 -

2.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특성과 건강요구

1971년 우리나라의 첫 번째 노인복지관이 인천에서 개관한 이후 노인

복지관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노인복지관의 수가

300개로 증가되었다(보건복지부c, 2013). 고령자관련 통계결과(통계청,

2012)에 의하면 지역사회 고령자들이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사회복지시설(41.1%)이 가장 많아서 앞으로 노인

복지관의 요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 노인실태조사(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에 따

르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남자노인보다 여자노

인이 약간 많지만(62.7%) 개인별 이용일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약간 높

고, 향후 이용 희망률도 남자 노인이 약간 높다. 연령별로는 70~74세군

이 노인복지관을 가장 많이(60%) 이용하고 있다. 노인 자신의 건강상태

에 대한 평가는 44.4%가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는데 건강이 나쁜 편이라

고 응답한 경우가 37.6%로 가장 많았고, 건강이 매우 나쁘다고 응답한

경우도 6.8%나 되었다. 반면 매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자는 전체노인의

2.5%에 불과하였다. 또한 만성질환 유병률은 88.5%로 2008년에 82.4%

이었던 것에 비해 더욱 높아졌다. 만성질환이 2개 이상인 복합 이환율도

2008년에 57%이었으나 2011년에 68.3%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중에는 고혈압의 유병률이 54.8%로 가장 많았고, 골관절염 및

류머티즘 관절염(40.4%), 당뇨병(20.5%)의 순이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았다. 그러나 기능상의 측면에서는 비교적 문제가 없는 노인

이 대부분이다. 신체적 기능상태를 일상생활수행능력(ADL)평가도구로

평가한 자료(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에 의하면 92.8%

- 11 -

가 완전자립능력을 갖추고 있고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은 86.2%

가 완전자립능력을 갖추고 있어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이 대부분 기능상으

로는 문제가 없었다. 노인복지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은 건강관리로 88.9%의 시설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다음은 건강체조로

86.7%의 시설에서 제공되었다. 또한 노인들이 가장 중요한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한 내용은 건강생활을 위한 교육 43.2%이며, 가장

도움이 많이 된 과목 역시 건강관리와 건강체조로 건강관련 서비스가 노

인들이 가장 선호하고 실제로도 가장 도움을 많이 받는 프로그램이었다

(정경희, 변재관, 오형희, & 이윤경, 1999).

실제로 복지관 이용노인의 건강관련 서비스 요구조사 연구(은영 et al.,

2001)에 의하면 건강교육 주제에 대한 요구조사결과 치매예방, 기억력

및 정신능력의 유지, 노인의 영양과 운동, 노화에 따른 변화에 대한 교

육을 많이 원하였으며, 받고자 하는 서비스는 건강검진, 건강상담, 질병

의 진단과 치료, 건강교육, 만성질병에 대한 검사와 관리 순으로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비교적 건강상태가 좋고,

일상활동에 지장이 없는 노인을 위해서는 건강검진과 운동프로그램 외에

는 체계적으로 건강관심과 건강책임을 증진시키도록 건강교육과 상담을

건강증진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관련 교육 및 상담 내용으로 성공적 노화, 영양관리, 운동, 스트레스

관리, 기억력 및 정신능력 유지, 건강문제와 자가간호, 가족 및 친구관계

등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은영 et al., 2001).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

인들은 시설 자체 보다는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더 많으며,

지역사회와 가정과 연계된 건강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높다(박혜자,

2007; 이환범, 이수창, & 임중한, 2005). 그러나 노인복지관에 이러한

- 12 -

건강 서비스를 담당하는 인력이 없거나 충분한 훈련이 되지 못하여 체계

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복지관의 건강서비스 실태조사를 한 김선호(2005)의 연구에 의하

면 건강서비스는 주로 건강교육(약물사용, 당뇨, 고혈압, 치매)과 건강상

담, 건강검진(혈당검사, 혈압측정, 신체검사, 예방접종)의 서비스가 실시

되고 있었으나 질병진단 및 치료서비스, 정기적 건강상담 시행비율은 낮

아 높은 요구에 비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부족하였다. 또한 노인복지관이

주로 도시지역에 편중되고 간호사 배치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여 건

강교육 및 상담을 강화하고 질환 별 자조모임, 신체활동 강화를 위한 인

력을 배치하여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

하였다. 여기서는 체계적 건강서비스 장애요인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전

문강사의 확보, 전문적인 교육의 부족이 지적되었다.

3. 노인복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

급속도로 고령사회로 이동하는 우리나라의 현 실정에서 전문적 사정기

술과 진단, 전문적 상담 및 치료간호능력을 가지도록 훈련된 노인전문간

호사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노인관련 기관이

나 시설 별로 요구되는 노인 전문 간호사의 구체적 직무개발에 대한 연구

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이경자 et al., 2004). 그러나 지금까지 노인복

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사회 간호사들의 역할은 목표의 범위에 따라 대상자중심, 전달체

계 중심, 인구 중심의 역할로 구분된다(Clark, 1996). 대상자 중심의 역

- 13 -

할은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으로 서비스의 대상은 주로

지역주민이 되지만 필요에 따라 동료나 기타 전문가, 혹은 관련 학문의

실습생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지역사회 간호사의 대상자 중심 및 전달

체계 중심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특정 대상자의 간호에 관련되어 있다.

때로 이러한 역할은 단체 또는 지역사회 간호로 확장 될 수 있으며, 주

민 전체의 건강에 관심을 두어 인구 중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지역사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기대를 조사한 연구(이미진, 2005)

에 의하면 가정과 지역사회를 통합하는 개념으로서 지역사회에서 노인전

문간호사에게는 일차건강간호제공자의 역할이 중요도가 높고 그 중에서

도 포괄적인 건강사정을 통한 개별적 간호진단과 감별진단 수립, 전문적

상급간호 직접 수행, 노인 만성질환 관리의 역할이 적절성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심전도의 측정과 판독, 비만도 검사, 혈당검사의

항목과 투약수행, 폐활량 검사 등 일차적인 검사나 단순 수기를 요하는

간호의 제공은 전문가적 간호실무로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어,

전문간호사에게는 단순한 간호제공자의 역할보다는 전문적인 실무기술이

요구되는 간호제공의 역할이 기대되어 노인전문간호사의 실무영역이 광

범위 하고 포괄적인 수준에서 이루어 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을 위한 김금순 등

(2007)의 연구에서는 전문가적 간호 실무 제공, 교육, 상담, 연구, 리더

십, 자문과 협동의 5가지 임무에 대한 빈도, 중요도, 난이도를 분석한 결

과 빈도와 중요도가 가장 높은 임무는 전문가적 간호 실무 제공이었으며,

난이도가 가장 높은 임무는 연구였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전

문간호사의 직무는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에 대한 체계적인 사정을 통한

상급 수준의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이 중심이 되며 노인전문병원, 노인

- 14 -

복지관등의 시설 별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이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

하였다.

2005년도 조사된 국내 노인복지관 간호사의 서비스 제공실태는(김선

호, 2005) 물리치료, 혈당검사, 혈압측정, 당뇨 교육, 고혈압 교육은 비

교적 높은 실시율을 보인 반면, 일반 건강교육(음주, 금연, 스트레스관리,

낙상 및 사고예방, 약물사용), 혈당검사와 혈압측정을 제외한 검진서비스,

질병 진단 및 치료서비스, 정기적 상담은 비교적 낮은 실시율을 보였다.

이는 외국의 전문간호사가 시행하는 영역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미국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우리나라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고찰한

연구(송미순, 1990)에 의하면 한국 노인복지관은 미국의 Senior center

와 비슷하고 접근성이 좋고 비교적 건강한 노인들이 이용하므로 미국의

노인전문간호사가 활동하는 것처럼 한국에서도 노인전문간호사가 일한다

면 건강증진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잠재력이 높고 서비스 제공 시

비용효과적인 장소가 될 수 있는 시설로 제안하였다. 또한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특성을 고려하면 노인전문간호사는 건강한 노인을 위한 역할

과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위한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하며 일차건강관

리를 목적으로 하는 노인건강교육, 운동프로그램의 지도, 예방적 처치

이외에 응급 사고 시 적절한 대처와 연구자로서 역할도 포함되어야 한다

고 하였다.

한편 외국의 Senior center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건

강서비스의 내용으로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질병의 진행을 막기 위

하여 제공되는 건강검진 서비스(고혈압, 당뇨, 암, 녹내장, 난청, 치과질

환, 족부질환 등), 노인 예방접종(독감, 파상풍, 폐렴), 청력검사, 건강관

- 15 -

련교육(음주, 금연, 스트레스관리, 낙상 및 사고예방, 약물사용에 대한

교육, 영양교육), 만성질환 자가관리, 신체활동강화 서비스 등이다

(Campbell & Aday, 2001).

이러한 Senior center에서 노인건강간호서비스를 제공하였을 때 긍정

적인 효과들이 보고되었다(Morilla-Herrera et al., 2013; Thompson et

al., 2008). Campbell 과 Aday(2001)은 Senior center에서 전문간호사

주도의 건강프로그램에 참여 하여 주기적으로 상담한 노인은 건강지식이

증가되고 건강행위를 더 많이 하며,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함에 있

어 자신감이 증가되었다고 하였다. 20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간호사가

만성질환 자가관리와 불구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한 결과(Leveille et al.,

1998)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이 참여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 만성질환

으로 인한 입원일수 감소와 신체활동 수준의 증가, 정신약물 사용빈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전문간호사의 전문적인 간호 서

비스의 제공은 잠재적인 건강위험과 만성 질환 및 그로 인한 합병증 및

생활장애를 가진 노인들에게 비용 효과적으로 수준 높은 질적 간호를 제

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므로 국내노인 복지관에 질 높은 건강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으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개발을 시도하는 것

은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된

다.

- 16 -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개발하기 위해 전

문가 집단의 의견을 모아 합의를 이끌어내는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서술

적 조사연구이다. 델파이 기법은 일련의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합의를 도출해 내는 연구기법이다(이종성,

2001).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관련 분야의 전

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역할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타당하다

는 판단을 통해 본 연구에 이 기법을 적용하였다.

2. 연구패널선정

델파이 패널의 선정은 연구문제와 관련된 분야 전문가들의 대표성, 적

절성, 전문적 지식과 능력, 참여의 성실성, 적정한 인원수가 고려되어야

한다(이건남, 2008; 이종성, 2001). 델파이 전문가 집단의 크기와 관련하

여 표준이 되는 준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Ludwig(1997)가 이전의

델파의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주로 15~20명으로 선정하는 것이 일반적

이었다. Dalkey(1981)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최대화 시키기 위

해 최소 10명 이상의 패널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Delbecq(1975)는

10명에서 15명으로 선정할 것을 권고하였는데 너무 적으면 주제에 충분

한 의견 합의가 어렵고, 너무 많으면 회수율도 적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 17 -

문제가 있어 15~20명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Dalkey & Rourke,

1971; Delbecq, Van de Ven, & Gustafson, 1975; Hsu & Sandford,

2007; Lugwig,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 중요 주제는 노인전문간호사와 노인복지관이므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전문가를 선정하였다.

1.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노인의학, 간호학전공자로서 노인전문간호

사 교육에 5년이상 참여한 대학교수

2.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경력자- 노인전문간호사는 노인복지관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간호사로서 2년이상

노인복지관, 지역사회 노인건강관련 실무경력 있는 자

위와 같은 선정 기준을 가지고 패널을 구성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7인: 연구자의 지도교수(노인간호교육 20년

경력, 노인전문간호사교육 10년 경력)가 패널후보자를 추천하고 각

후보패널에게 연구자가 접촉 하여 허락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노인

전문간호사 교육을 현재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 자격이 있는 간호대

학 교수 6인(이 중 2명은 노인전문간호사, 1명은 사회복지사 자격

을 동시에 소지함), 노인병 인증의 의사 1인(노인전문간호사 강의에

5년이상 참여)이 포함되었고 전체 패널들이 3차 설문지까지 참여하

였다.

2)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10인: 2013년 10월 서울시 노인복

지관 협회에서 시행한 복지관 건강담당인력 보수교육에 참석한 간호

사 2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내용과 목적을 설명하고 이 패널연구

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실무 경력기준에 맞는 간호사 12명을 패널에

포함 시켰다. 패널 참여를 허락한 복지관 간호사 12명 중 2명은 1차

- 18 -

설문지부터 응답을 하지 않았고 나머지 10명(이 들 중 1명은 노인전

문간호사 자격증, 3명은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은 3차까지 응답

하였다.

3. 연구절차

1)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자료수집을 시작하기 전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대상

자보호심사위원회 (SNUCON IRB)’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2013년

12월 19일 연구 승인을 받았다(부록 1). 그리고 델파이 패널은 연구자

로부터 연구의 목적과 방법 빛 내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를 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 하기를 동의하

였다 하더라도 연구 진행 중 언제든 연구참여를 중단하거나 거절할 수

있음을 사전에 충분히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처리과정은 익

명성을 보장하고, 연구 목적을 위해서만 이용하며, 이중 잠금장치가 있

는 곳에 보관하고, 연구논문이 인쇄자료로 발표된 후에는 분쇄 폐기할

예정이다(부록 2.).

2) 1차 델파이 조사

1차 델파이 조사는 2014년 01월 08일부터 2014년 02월 19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패널참가 허락을 받은 17명에게 우편과 이메일로

전달되었으며, 회신도 우편과 이메일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1차 델파이

조사의 회신 결과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증이 있는 간호대학 교수 2인과,

- 19 -

노인복지관 실무경력이 5년이상인 노인전문간호사 1인, 노인병 의사1인,

노인복지관 현장 연구 경험 및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

수 4인, 노인복지관 간호사 9인이 포함된 총 17명으로부터 답변을 회수

하였다.

제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직무기술서 의

임무 9가지와 각 임무에 해당하는 일(42개)와 일의 요소(160개)가 표시

된 직무기술서를 기초로 각 내용의 적절성, 부분 명칭의 적절성, 부분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통합의 필요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1차 델파이

응답자료를 분석하여 패널의 의견과 문헌고찰 내용을 반영하여 간호평가

원 직무기술서의 1차 수정안을 구성하였다.

3) 2차 델파이 조사

제2차 델파이 조사는 2014년 02월 21일부터 2014년 03월 14일에

걸쳐 시행하였다. 제2차 델파이 조사패널은 1차 델파이 조사와 동일하였

다. 2차 조사에도 17명 패널 전원이 응답하여 100%의 참여율을 나타냈

다.

제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결과를 통합한 직무기술서

1차 수정안을 배부하고 각 항목별 중요도 점수를 통해 평균값, 표준편차,

사분위 점수, 타당도, 신뢰도, 합의도, 수렴도, 변이계수를 구하였다. 또

한 각 항목에 대한 패널들의 추가의견과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

한 내용을 바탕으로 2차 델파이 응답자료를 분석하여 2차 수정안을 구

성하였다.

- 20 -

4) 3차 델파이 조사

제3차 델파이 조사는 2014년 03월 20일부터 2014년 04월 11일에 걸

쳐 시행하였다. 제3차 델파이 조사도 동일한 패널에게 시행되고 100%가

응답하였다. 3차 설문지에는 직무기술서 2차 수정안에 노인복지관에서 노

인전문간호사의 임무 중 업무별 비중에 대한 조사가 추가되었다.

업무요소의 중요도는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그룹과 노인복지관 노인

간호실무경력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현장 간호사 그룹에게는 노인전문간

호사의 역할뿐 아니라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일반간호사 역할을 비교하도

록 하였다. 최종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는 추가의견의

내용분석과 함께 항목별 중요도 점수를 통해 평균 및 표준편차, 사분위

점수, 타당도, 신뢰도, 합의도, 수렴도, 변이계수를 구하고, CVR 값은

0.49이상, 평점일치도 0.80이하, 합의도 0.75이상, 수렴도 0.50미만으로

정하여 역할을 개발하였다.

- 21 -

단계 내용 방법

도구의

구성요소

… 문헌고찰 …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

↓ ↓ ↓

연구설계

및 심의

…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설계

윤리적 고려

… 연구동의서 및 연구윤리 준수

연구대상자보호심사위원회심의

↓ ↓ ↓

패널 선정 … 패널 선정 및 패널 의뢰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7인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10인)

… 전문가선정 후 직접 방문과

이메일로 의뢰

↓ ↓ ↓

1차

델파이

조사

…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배부 … 반구조화된 개방형설문지

(한국간호평가원 노인전문간호사

직무기술서: 9개 임무, 42개 일,

160개 일의 요소)

↓ ↓ ↓

1차

델파이

응답분석

… 1차조사결과

노인전문간호사의 임무, 일,

일의 요소 정리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설계

… 9개 임무, 39개 일, 144개 일의

요소로 자료 정리

노인전문간호사 직무기술서

1차 수정안 완성

↓ ↓ ↓

2차

델파이

조사

…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배부 … 1차 수정안 이용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항목별

중요도: Likert 5점 척도

↓ ↓ ↓

2차

델파이

응답분석

… 각 일의 요소 내용 분석 및

중요도 분석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설계

… 통계분석2차 수정안 완성

(9개의 임무, 38개의 일, 144개

일의 요소로 자료)

↓ ↓ ↓

3차

델파이

조사

…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배부

(노인전문간호교육자 VS

현장실무 경력자)

… 2차 수정안 이용

업무의 비중 및 중요도: 백분위

와 Likert 5점 척도

↓ ↓ ↓

3차

델파이

응답분석

… 내용 최종 분석 및 결과 도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

… 통계분석(항목별 내용타당도,

평점일치도)

임무의 비중, 역할 비교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역할 최종 수정안 완성

(9개 임무, 38개 일, 137개 일의 요소)

Figure 1. Process of this research

- 22 -

4. 연구도구

1)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현재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제시한 것은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

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가 유일하므로 이 직무기술서의 9개 임

무(Duty)와 42개의 일(Task), 160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를 설

문지에 포함시키고, 각 임무, 일, 일의 요소 설정의 적절성, 부분 명칭의

적절성, 부분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통합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서술

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여 반구조화된 개방형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용하였다(부록 3).

2)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1차 델파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간호

평가원 직무기술서를 1차 수정한 것으로 9개의 임무(Duty)와 39개의 일

(Task), 144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로 구성되어 있다(부록 4). 각

영역의 중요한 정도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되 각 점수의

상대점수 범위를 제시하여 판단에 기준이 되도록 하였다. 패쇄형 설문지

의 한계를 보완하고 패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기 위해 각 노인전문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추가의견을 기술하거나, 항목에 대해 수정, 삭제,

첨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3 -

3)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2차 델파이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만든 노

인전문간호사 직무기술서 2차 수정안을 이용하였다. 3차 설문지에 추가

된 내용으로는 전체 업무를 100%으로 보고 9개의 임무가 어떤 비율로

수행 되는 것이 적절한지 %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 설문지에

서 역할의 중요도 평가결과 도출된 각 일의 요소의 평균 및 표준편차,

중앙값을 보여주고 이와 더불어 사분점간 범위는 로, 해당 응답자

의 2차 응답은 로 하여 제공하였다. 이는 3차 응답 시 전체 응답자의

의견과 본인의 의견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응답자는 자신의 의

견이 사분점간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대다수의 의견과 달리하는 이유를

밝히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 수정안의 일의 요소 144개의 항목에 대한

패널들의 반응은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그룹과 노인복지관 간호실무경

력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그룹에게는

각 일의 요소에 대해서는 중요도를 Likert 5점 척도에 표시하도록 하였

다. 이때 응답자는 2차 응답 시 같거나 다르게 할 수 있음을 알려주어

비교, 재고, 수정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인복지관 간호실무경력자 그룹

에게는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업무기대의 차이를 비교할 목적으로 현재

일반간호사로써 수행하는 일의 요소의 중요도와 노인전문간호사가 복지

관 업무를 수행할 때 기대하는 중요도를 각 일의 요소에 동시에 표시하

도록 하였다(부록 5).

- 24 -

5.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직접방문과 전화, 혹은 이메일을 통해 조사하고

자 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패널참여를 의뢰여 허락을 받은 후 3차례의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부와 회수는 설문지와 반송봉

투를 동봉한 우편 혹은 이메일의 방법 중 패널이 원하는 방법대로 이용

하였다. 설문 항목 답변의 누락에 대한 문의나 응답이 늦어지는 경우,

재응답 부탁은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하였다. 절차 반복에 따른 패널의

이탈 방지를 위해 패널 선정 시 최종회까지의 조사에 동의한 경우에 패

널로 선정하고, 그 후에도 진행 시 마다 계속적인 연락 등을 통해 패널

이탈 방지를 최소화 하도록 노력하여 이탈자는 한명도 없었다.

6.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과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전산 처리하였다.

1) 1차 델파이 자료는 응답자가 일과 일의 요소에 대해 서술적으로 응

답한 질적 자료가 수집되어 이 자료를 내용분석을 하였다. 각 일과

일의 요소를 1) 그대로 두거나 2) 용어수정하거나 3) 항목 추가하

거나 4) 항목 제외시키거나 통합하였다.

2) 2차 3차 델파이 조사결과 자료는 일의 요소에 대해 Likert 5점 척

도로 중요도를 평가하였기 때문에 수집된 자료는 항목별 평균 및

표준편차, 사분위 점수를 산출하였다.

3) 일의 요소의 타당도: 이는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 25 -

CVR)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즉, 도출된 내용이 타당하다고 응답

한 경우가 전체 응답 패널의 50%이상일때, 그 문항은 내용 타당도

가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며, 타당하다고 응답한 패널수가 50%보

다 적을 때, CVR은 음수, 50%일 때, CVR은 0, 100%일 때 1이 된

다. 타당하다고 응답한 패널수가 50~100%사이일 때 CVR은 0과

1.00사이가 된다. CVR은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 수에

따라 최소값이 정해지며 유의도 .05수준에서 최소값 이상의 CVR

값을 가진 항목들 만이 내용 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Lawshe, 1975; 이건남, 2008). 내용 타당도(CVR) 값을 구하는 공

식은 다음과 같다.

CVR=

여기서 Ne는 타당하다고 응답한 패널수 , 즉 Likert 척도에서 각각

의 항목이 각 영역별로 타당하다고 4,5에 응답한 응답자들의 빈도

를 의미한다. N은 연구에 참여한 전체 델파이 패널의 수를 의미한

다. 본 연구에서는 2차, 3차 패널수가 17인이므로 CVR값의 최소값

은 0.49로 정하여 내용 타당도를 판단하였다(부록 10).

4) 일의 요소의 평점일치도: 이는 전문가 패널들 간의 의견이 일치하

여 응답결과를 수용할 수 있는 기준치를 말한다. 평점일치도는 최

종 델파이 조사의 표준편차가 전체 응답범위의 20%보다 크지 않으

면 그 문항의 일치도가 높다고 규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의견 일치

가 낮다고 규정한다(이건남, 2008). 본 연구에서는 평점일치도 기준

치를 표준편차 0.80이하(전체 응답범주(5점 Likert 척도) 4의 20%

선인 0.80)로 설정하였다. 또한 의견 합의도(Degree of Consensus:

- 26 -

DoCs)와 수렴도(Degree of Convergence: DoCv)를 이용하여 델파

이 패널의 의견이 어느 정도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2차, 3차 델파이 조사에서 중요도에 대한 패널

의견의 합의와 수렴 정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이건남, 2008;

이종성, 2001).

합의도(DoCs)=1-

수렴도(DoCv)=

여기서 Mdn은 중앙값이며, Q1, Q3은 각각 제1사분위와 제3사분위

계수로서 전체 사례수의 누적값 중, 25%, 75%의 값을 의미한다.

합의도는 Q1과 Q3가 일치하여 합의 되었을 때, 1의 값을 갖고, 수

렴도는 0의 값을 가질 때 의견이 수렴된다. 본 연구에서는 합의도

는 0.75 이상을 기준으로 수렴도는 0.50 미만을 기준으로 정하였

다(이건남, 2008; 이승희, 2012; 이영순, 2012; 이종성, 2001).

5) 전체 직무기술서 내용의 신뢰도: 이는 Cronbach ’s α로 0.7이상일

경우 신뢰성 있는 결과로 설정하고, 안정도는 변이계수(Confficient

of variation: CV)를 측정하여 0.8이상일 경우 추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정하였다(이건남, 2008).

6)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패널 그룹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 실무경력

자 패널 그룹간의 지각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차이와

복지관 간호사들의 현재 역할 수행정도와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의 차이는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 27 -

Ⅳ. 연구결과

1. 델파이 패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델파이 패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았다. 패

널 17명 중 남성 1명(5.9%), 여성 16명(94.1%)으로 나타났다. 현직은

노인복지관 간호사가 9명(52.9%)으로 가장 많았고, 노인 간호 분야에서

의 경력은 평균 11.47 7.06)년으로 나타났다. 소지하고 있는 자격증은

간호사자격증 16명(94.1%), 사회복지사자격증 4명(23.5%), 노인전문간

호사 3명(17.6%), 노인병 의사 1명(5.9%)이었는데 4명의 간호사는 사회

복지사자격증을 동시에 소지하고 있었다.

- 28 -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elphi Panel (N=17)

Categories

(Gender)

Current position Credentials Career

(yr)

Geron-

tological

Health

Educators

1(M) Family practice physician

2(F) Nursing Professor

3(F) Nursing Professor

4(F) Nursing Professor

5(F) Nursing Professor

6(F) Nursing Professor

7(F) Nursing Professor

MD, PhD

RN, PhD, GNP

RN, PhD

RN, PhD

RN, PhD, Social Worker

RN, PhD

RN, PhD, GNP

18

8.4

6

29.2

7

14

9.5

Field

Practitioner

8(F) Health Center Nurse

(previously senior center

worker)

9(F) Senior Center Nurse

10(F) Senior Center Nurse

11(F) Senior Center Nurse

12(F) Senior Center Nurse

13(F) Senior Center Nurse

14(F) Senior Center Nurse

15(F) Senior Center Nurse

16(F) Senior Center Nurse

17(F) Senior Center Nurse

RN, GNP, Social Worker

RN, Social Worker

RN, Nursery teacher

RN

RN

RN

RN, Social Worker,

School health teacher,

Care worker

RN

RN

RN

6.3

19

13

17.9

15

2

12.6

3.8

10.9

2.4

Mean SD 11.47 7.06

- 29 -

2.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임무, 일, 일의 요소내용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를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맞게 패널들이 개방

형으로 답하였는데 406개의 서술형 응답이 있었다. 그 내용을 분석하고

항목별로 대표 군집으로 묶어서 그에 해당되는 표본의 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를 기초로 평가원 직무기술서의 내용 수정이 이루어졌는데 2명

이상의 전문가 패널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것을 중심으로 문헌고찰 내용

과 패널들의 의견을 근거로 수정하였다. 2명이상의 패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일과 일의 요소는 크게 (1)명칭 수정 및 내용의 수정이 필요한

사항, (2)추가되어야 할 사항, (3)삭제 및 통합되어야 할 사항이었다(부록

6). 결과적으로는 만성질환이 있으나 비교적 건강한 노인이 이용하는 노

인복지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교육 및 상담

의 영역이 강화된 직무 내용으로 수정되었다(Table 2). 41개의 항목에서

명칭 수정 및 내용 세분화가 이루어져, 49개의 일의 요소가 추가되었고,

22개의 일의 요소는 삭제 및 통합되어 2차 델파이 조사 설문 지가 도출

되었다(부록 4).

- 30 -

Table

2. D

uty

Modific

ation o

f T

ask a

nd T

ask E

lem

ents

by t

he F

irst

Round D

elp

hi Surv

ey

(N

=17)

Rew

ord

ing o

f T

erm

s A

dditio

ns

Dele

tions

& Inte

gra

tion

자료

수집

Ⅰ-1 건

강력

조사

하기

Ⅰ-2 대

상자

의 건

강상

태 관

찰하

Ⅰ-2-1)건

강상

태변

화 관

찰하

2)건

강상

태 추

후관

리하

Ⅰ-3-1)신

체상

태사

정하

(신체

검진

, 영

양상

태사

정)

2)기

능상

태평

가하

(AD

L,IA

DL)

3)정

신건

강평

가하

(인지

기능

평가

/3개

월주

기,

정서

기능

평가

,

물질

남용

조사

)

4)사

회환

경적

평가

하기

(가족

및 사

회지

지체

계,

낙상

위험

과 주

거환

경사

정)

Ⅰ-2-3)건

강문

제의

조기

발견

및 대

처하

Ⅰ-3-5)노

인학

대 조

사하

Ⅰ-3 신

체검

진하

Ⅰ-4 정

신,

사회

, 영

적 건

강사

정하

-3 노

인포

괄평

가(C

GA

)시행

하기

로 통

임상

의사

결정

Ⅱ-2-1)신

체적

건강

문제

진단

하기

(실제

적/잠

재적

)

2)기

능적

건강

문제

진단

하기

(실제

적/잠

재적

)

Ⅱ-3 대

상자

구분

하기

Ⅱ-4 간

호중

재 계

획하

기,

Ⅱ-4-6)건

강유

지 및

증진

을 위

한 교

육계

획하

7)간

호 목

표와

연계

하여

계획

하기

8)자

원연

계 및

활용

계획

하기

9)간

호계

획 기

록하

10)계

획 수

정 및

보완

하기

Ⅱ-5 간

호중

재 평

가하

Ⅱ-5-3)간

호중

재 결

과 및

상담

기록

평가

하기

4)간

호중

재 목

표달

성 평

가하

5)평

가결

과에

근거

하여

간호

중재

의 지

속적

수정

보완

하기

Ⅱ-3-1)건

강위

험군

선별

하기

2)건

강관

리군

선별

하기

Ⅱ-1-1)임

상검

사결

과 확

인 및

해석

하기

2)특

수진

단검

사결

과 확

인 및

해석

하기

3)문

진내

용 평

가하

-1-1)병

원검

사결

과확

인 및

자료

해석

하기

2)포

괄적

사정

결과

평가

하기

Ⅱ-4-4)최

신 노

인간

호 실

무 반

영하

기 6

)효과

노인

간호

중재

확인

하기

7)최

신 노

인전

문간

호 이

및 연

구 중

심으

로 구

체화

하기

9)퇴

원계

포함

하기

10)간

호계

획 수

립 시

대상

자가

족,

주돌

봄자

, 건

강관

리제

공자

포함

여부

평가

하기

11)평

가 가

능한

목표

진술

여부

평가

하기

-4-4)최

신 노

인전

문간

호 및

지역

사회

간호

바탕

으로

계획

하기

Ⅱ-5-2)간

호수

행에

대한

대상

자와

가족

의 반

응 평

가하

6)간

호수

행 과

정의

자율

성 유

지여

부 평

가하

Table

2. (c

ontinued)

(N

=17)

- 31 -

Duty

Rew

ord

ing o

f T

erm

s A

dditio

ns

Dele

tions

& Inte

gra

tion

치료

적 중

-1 건

강행

위 증

진하

Ⅲ-1-1)건

강한

식생

활 증

진하

2)신

체활

동증

진하

3)스

트레

스 관

리 증

진하

4)사

회활

동 강

화하

Ⅲ-2 건

강위

험군

관리

하기

Ⅲ-2-1)노

쇠위

험성

진단

하기

2)건

강위

험인

자 관

리증

진하

3)인

지기

능 증

진하

4)낙

상예

방하

Ⅲ-3 건

강집

중관

리군

관리

하기

Ⅲ-3-1)건

강수

첩배

부하

2)혈

당 및

혈압

측정

하기

3)필

요한

검사

시행

과 결

과해

석하

4)적

절한

약물

복용

지도

및 모

니터

링하

5)상

처 및

통증

관리

하기

6)응

급상

황 대

처능

력 증

진하

기 추

Ⅲ.

치료

적 중

. 건

강증

진 및

질병

예방

중재

응급

상황

관리

Ⅳ-3-1)상

황별

(저혈

당쇼

크,

의식

저하

)응급

처치

및 시

술하

2)필

요시

상급

의료

기관

에 이

송하

Ⅳ-4 응

급지

원시

스템

구축

하기

Ⅳ-4-1)가

용한

응급

자원

파악

하기

,

2)기

관내

응급

상황

대응

매뉴

얼 기

획하

3)응

급지

원체

계 활

용하

-2-2)전

문심

폐소

생술

시행

하기

3)심

폐소

생술

유지

간호

하기

-2-2)병

원이

송 매

뉴얼

에 따

환자

이송

하기

Table

2. (c

ontinued)

(N

=17)

- 32 -

Duty

Rew

ord

ing o

f T

erm

s A

dditio

ns

Dele

tions

& Inte

gra

tion

교육

및 상

Ⅴ-1 건

강교육하기

Ⅴ-2 건

강상담하기

Ⅴ-3-1)건강증진

및 질

병예방지침

제시하기

2)대상자

지지하기

Ⅴ-4-1)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리스트

관리하기

)

Ⅴ-1-2)건

강교육

사정하기

3)건

강교육계획

수립하기

4)건

강교육프로그램

및 자

료개발하기

5)건

강교육시행하기

6)건

강교육결과

평가하기

(사전

/사후

)

Ⅴ-2-2)건

강상담요구

사정하기

4)건

강상담실시하기

Ⅴ-4-2)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질병관리용

건강증진

/ 기능강화용

건강증진

)

-5-1)호흡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재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

만성페색성

폐질환

, 폐렴

,폐암

,)

2)심혈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 심부전

,

허혈성심질환

, 부정맥

, 말초혈관장애

)

3)소화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 대장암

, 간경변

,

간암

)

4)근골격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 퇴행성

관절염

, 골절

)

5)비뇨생식기계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

전립선비대

, 요실금

, 전립선암

)

6)내분비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 당뇨병

)

7)신경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 파킨슨병

, 치매

)

8)정신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살

, 알코올

중독

, 섬망

,

우울

)

9)감각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 녹내장

, 난청

)

10)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욕창

, 피부염

, 대상포진

)

11)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 보철

)

Table

2. (c

ontinued)

(N

=17)

- 33 -

Duty

Rew

ord

ing o

f T

erm

s A

dditio

ns

Dele

tions

& Inte

gra

tion

환경

자원

관리

Ⅵ-1 연

중 프

로그

램기

획하

Ⅵ-2-1)문

서관

리하

(프로

그램

계획

서,

평가

서,

업무

일지

, 운

영일

지 등

)

Ⅵ-3-1)팀

구성

및 배

치,

자원

봉사

모집

및 관

리하

Ⅵ-4 의

료 물

품 관

리하

Ⅵ-4-1)의

약품

및 소

모품

관리

하기

Ⅵ-5-3)복

지관

직원

대상

응급

상황

대처

법 교

육하

Ⅵ-6-3)예

방접

종하

5)지

역사

회의

료기

관 연

계하

기추

Ⅵ-1-1)사

업조

직 설

계하

3)사

업활

동 계

획하

-1)연

간 프

로그

램 계

획하

Ⅵ-4-1)시

설 및

물품

관리

하기

Ⅵ-5 재

정관

리하

-1-2)예

산수

립하

전문

발전

참여

-5-2)노

인복

지관

실습

강사

역할

하기

Ⅶ-6-5)학

회 및

연수

참여

하기

Ⅶ-1-2)표

준진

료지

침 개

발하

-1-1)노

인간

호 표

준업

무지

개발

하기

Ⅶ-4-2)치

료적

의사

결정

에 노

인과

가족

참여

시키

조정

협동

Ⅷ-2-1)노

인의

자문

에 응

하기

Ⅷ-3 유

관기

관 및

전문

가에

자문

하기

Ⅷ-4-2)대

상자

와 협

조체

계 구

축하

Ⅷ-1-6)사

례회

의하

Ⅷ-3-3)프

로그

램 운

영에

대한

자문

하기

Ⅷ-4-4)지

역의

료협

력사

업 연

계하

연구

Ⅸ-2-4)연

구결

과 발

표 및

학회

참석

Ⅸ-3-3)연

구결

화 프

로그

램에

반영

하기

- 34 -

3.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 노인전문간호사 역할 중요도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수정하여 (144개 일의 요

소포함) 일의 요소의 중요도에 대해 평가한 2차 델파이 조사의 자료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임무Ⅰ 자료수집의 일의 요소 중 ‘Ⅰ-1-1)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

기’, ‘Ⅰ-3-4)사회환경적평가하기’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Ⅰ-1-3)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와 ‘Ⅰ-3-3)정신건강

평가하기’이었다.

임무Ⅱ 임상의사결정에서는 ‘Ⅱ-1-1)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

하기’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

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Ⅱ-3-1)건강위험군 선별

하기’이었다.

임무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에서는 ‘Ⅲ-1-3)스트레스 관리 증

진하기’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Ⅲ-3-2)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이었다.

임무Ⅳ 응급상황관리에서는 모든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

당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Ⅳ-3-1)

상황별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이었다.

임무Ⅴ 교육 및 상담에서는 ‘Ⅴ-5-1)3)5)9)10)11)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감각계, 피부계,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를 제

- 35 -

외한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

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Ⅴ-1-5)건강교육시행하기’이었다.

임무Ⅵ 환경 및 자원관리에서는 ‘Ⅵ-3-3)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Ⅵ-리더십 적용 및 전략개발’, ‘Ⅵ-4-2)비용효율화 도모하기’, ‘Ⅵ-6-3)

예방접종하기’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Ⅵ-1-1)연간프로

그램 계획하기’이었다.

임무Ⅶ 전문직 발전참여에서는 ‘Ⅶ-4-1)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

기’, ‘Ⅶ-4-2)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Ⅶ-6-1)자기계발하기’이었다.

임무Ⅷ 조정 및 협동에서는 ‘Ⅷ-2-4)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

관련 자문제공하기’를 제외한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Ⅷ-4-2)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이었다.

임무Ⅸ 연구에서는 ‘Ⅸ-1-1)간호이론 적용하기’, ‘Ⅸ-2-1)2)연구계획,

수행하기’, ‘Ⅸ-2-3)공동연구 참여하기’, ‘Ⅸ-2-4)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

참석’을 제외한 일의 요소가 CVR 0.49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Ⅸ-3-1)연구결과 프로그램 반영

하기’이었다.

- 36 -

Table

3. Resu

lts o

f th

e S

econd R

ound D

elp

hi Surv

ey: Im

port

ance o

f T

ask E

lem

ent

(N

=17)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s

DoCv

CV

Ⅰ.

자료

수집

1.

건강

조사

하기

1)

인구

사회

학적

자료

조사

하기

2)

현병

력,

과거

력 및

가족

력 수

집하

3)

복용

약물

조사

하기

4)

건강

행위

조사

하기

3.5

3

.87

4.4

7

.71

4.6

.61

4.5

.51

4.0

0

5.0

0

5.0

0

5.0

0

3~

4

4~

5

4~

5

4~

5

0.0

6*

0.7

6

0.8

8

1.0

0

0.7

5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5

0

0.2

5

0.1

6

0.1

3

0.1

1

2.

대상

자의

건강

상태

변화

지속

적 관

찰하

1)

건강

상태

변화

관찰

하기

2)

건강

상태

추후

관리

하기

3)

건강

문제

의 조

기발

견 및

대처

하기

4.4

1

.62

4.4

1

.62

4.4

7

.62

4.0

0

4.0

0

5.0

0

4~

5

4~

5

4~

5

0.8

8

0.8

8

0.8

8

0.7

5

0.7

5

0.8

0

0.5

0

0.5

0

0.5

0

0.1

4

0.1

4

0.1

4

3.

노인

포괄

평가

(CG

A)시

행하

1)

신체

상태

사정

하기

(신

체검

진,

영양

상태

사정

)

2)

기능

상태

평가

하기

(A

DL, IA

DL)

3)

정신

건강

평가

하기

(인

지기

능평

가-3개

월주

기,

정서

기능

평가

, 물

질남

조사

)

4)

사회

환경

적평

가하

기 (

가족

및 사

회지

지체

계,

낙상

위험

과 주

거환

경평

가)

5)

노인

학대

조사

하기

4.5

3

.62

4.4

1

.71

4.4

7

.62

3.8

8

.93

4.0

.71

5.0

0

5.0

0

5.0

0

4.0

0

4.0

0

4~

5

4~

5

4~

5

3~

5

3.5

~4.5

0.8

8

0.7

6

0.8

8

0.2

9*

0.5

3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5

0

0.5

0

1.0

0**

*

0.5

0

0.1

4

0.1

6

0.1

4

0.2

4

0.1

8

Ⅱ.

임상

의사

결정

:

진단

,

계획

,

평가

1.

주관

적,

객관

자료

확인

해석

하기

1)

병원

검사

결과

확인

및 자

료해

석하

2)

포괄

적 사

정결

과 평

가하

3)

평가

내용

기록

하기

3.9

4

.90

4.4

7

.72

4.4

7

.72

4.0

0

5.0

0

5.0

0

3~

5

4~

5

4~

5

0.4

1*

0.7

6

0.7

6

0.5

0**

0.8

0

0.8

0

1.0

0**

*

0.5

0

0.5

0

0.2

3

0.1

6

0.1

6

2.

간호

진단

내리

1)

신체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2)

기능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4.6

5

.49

4.5

.51

5.0

0

5.0

0

4~

5

4~

5

1.0

0

1.0

0

0.8

0

0.8

0

0.5

0

0.5

0

0.1

1

0.1

1

3.

대상

구분

하기

1)

건강

위험

군 선

별하

2)

건강

관리

군 선

별하

4.7

7

.44

4.7

1

.47

5.0

0

5.0

0

4.5

~5

4~

5

1.0

0

1.0

0

0.9

0

0.8

0

0.2

5

0.5

0

0.0

9

0.1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

하기

2)

간호

의 우

선순

위 결

정하

3)

대상

자,

가족

, 주

돌봄

자,

건강

관리

제공

자와

함께

목표

수립

하기

4)

최신

노인

전문

간호

및 지

역사

회간

호를

바탕

으로

계획

하기

5)

지역

사회

의 특

성과

문화

를 고

려하

여 계

획하

6)

건강

유지

및 증

진을

위한

교육

계획

하기

7)

간호

목표

와 연

계하

여 계

획하

8)

자원

연계

및 활

용계

획하

4.4

1

.62

4.4

.71

4.1

2

.70

4.1

8

.81

4.1

2

.80

4.7

1

.47

4.4

1

.51

4.5

9

.51

4.0

0

5.0

0

4.0

0

4.0

0

4.0

0

5.0

0

4.0

0

5.0

0

4~

5

4~

5

4~

5

3.5

~5

3.5

~5

4~

5

4~

5

4~

5

0.8

8

0.7

6

0.6

5

0.5

3

0.5

3

1.0

0

1.0

0

1.0

0

0.7

5

0.8

0

0.7

5

0.6

3**

0.6

3**

0.8

0

0.7

5

0.8

0

0.5

0

0.5

0

0.5

0

0.7

5**

*

0.7

5**

*

0.5

0

0.5

0

0.5

0

0.1

4

0.1

6

0.1

7

0.1

9

0.1

9

0.1

0.1

1

0.1

1

Table

3.

(Continued)

(N

=17)

- 37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9)

간호

계획

기록

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

완하

4.5

9

.62

4.3

.61

5.0

0

4.0

0

4~

5

4~

5

0.8

8

0.8

8

0.8

0

0.7

5

0.5

0

0.5

0

0.1

3

0.1

4

5.

간호

중재

평가

하기

1)

평가

요소

반영

하기

2)

간호

수행

과정

의 윤

리적

고려

여부

평가

하기

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

담기

록 평

가하

4)

간호

중재

목표

달성

평가

하기

5)

평가

결과

에 근

거하

여 간

호중

재의

지속

적 수

정 보

완하

4.4

1

.62

4.0

6

.70

4.3

5

.62

4.4

1

.62

4.4

1

.62

4.0

0

4.0

0

4.0

0

4.0

0

4.0

0

4~

5

4~

4.5

4~

5

4~

5

4~

5

0.8

8

0.6

5

0.7

6

0.8

8

0.8

8

0.7

5

0.8

8

0.7

5

0.7

5

0.7

5

0.5

0

0.2

5**

*

0.5

0

0.5

0

0.5

0

0.1

4

0.1

6

0.1

6

0.1

4

0.1

4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

행위

증진

하기

1)

건강

한 식

생활

증진

하기

2)

신체

활동

증진

하기

3)

스트

레스

관리

증진

하기

4)

사회

활동

강화

하기

4.2

4

.83

4.4

1

.87

4.0

6

.97

4.0

0

.87

4.0

0

5.0

0

4.0

0

4.0

0

4~

5

4~

5

3~

5

3.5

~5

0.7

6

0.7

6

0.4

1*

0.5

3

0.7

5

0.8

0

0.5

0**

0.6

3**

0.5

0

0.5

0

1.0

0**

*

0.7

5**

*

0.2

0.2

0.2

4

0.2

2

2.

건강

위험

관리

하기

1)

노쇠

위험

성 진

단하

2)

건강

위험

인자

관리

증진

하기

3)

인지

기능

증진

하기

4)

낙상

예방

하기

4.2

4

.90

4.3

5

.79

4.2

9

.85

4.4

1

.87

4.0

0

4.0

0

4.0

0

5.0

0

4~

5

4~

5

4~

5

4~

5

0.6

5

0.8

8

0.7

6

0.7

6

0.7

5

0.7

5

0.7

5

0.8

0

0.5

0

0.5

0

0.5

0

0.5

0

0.2

1

0.1

8

0.2

0.2

3.

건강

집중

관리

관리

하기

1)

건강

수첩

배부

하기

2)

혈당

검사

및 혈

압측

정하

3)

필요

한 검

사시

행과

결과

해석

하기

4)

적절

한 약

물복

용지

도 및

모니

터링

하기

5)

상처

및 통

증 관

리하

6)

응급

상황

대처

능력

증진

하기

4.1

2

.93

4.4

7

.87

4.0

6

.90

4.4

1

.80

3.8

2

1.1

9

4.2

9

.92

4.0

0

5.0

0

4.0

0

5.0

0

4.0

0

5.0

0

3.5

~5

4~

5

3.5

~5

4~

5

3.5

~5

4~

5

0.5

3

0.7

6

0.5

3

0.8

8

0.5

3

0.6

5

0.6

3**

0.8

0

0.6

3**

0.8

0

0.6

3**

0.8

0

0.7

5**

*

0.5

0

0.7

5**

*

0.5

0.7

5**

*

0.5

0

0.2

3

0.2

0.2

2

0.1

8

0.3

1

0.2

1

Ⅳ.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

하기

1)

상황

별 응

급상

(예,

외상

, 호

흡곤

란,

쇼크

및 의

식저

하)

사정

하기

4.7

6

.44

5.0

0

4.5

~5

1.0

0

0.9

0

0.2

5

0.0

9

2.

심폐

소생

시행

1)

기본

심폐

소생

술 시

행하

2)

병원

이송

매뉴

얼에

따른

환자

이송

하기

4.6

5

.61

4.5

9

.62

5.0

0

5.0

0

4~

5

4~

5

0.8

8

0.8

8

0.8

0

0.8

0

0.5

0

0.5

0

0.1

3

0.1

3

3.

응급

처치

시술

하기

1)

상황

별(저

혈당

쇼크

, 의

식저

하)응

급처

치 및

시술

하기

2)

필요

시 상

급의

료기

관에

이송

하기

4.8

2

.53

4.7

1

.47

5.0

0

5.0

0

5

4~

5

0.8

8

1.0

0

1.0

0

0.8

0

0.0

0

0.5

0

0.1

1

0.1

4.

응급

지원

시스

템 구

축하

1)

가용

한 응

급자

원 파

악하

2)

기관

내 응

급상

황 대

응 매

뉴얼

기획

하기

3)

응급

지원

체계

활용

하기

4.5

6

.62

4.4

7

.72

4.5

3

.62

5.0

0

5.0

0

5.0

0

4~

5

4~

5

4~

5

0.8

8

0.7

6

0.8

8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1

3

0.1

6

0.1

4

Table

3.

(Continued)

(N

=17)

- 38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Ⅴ.

교육

상담

1.

건강

교육

하기

1)

학습

준비

상태

확인

하기

2)

건강

교육

요구

사정

하기

3)

건강

교육

계획

수립

하기

4)

건강

교육

프로

그램

및 자

료개

발하

5)

건강

교육

시행

하기

6)

건강

교육

결과

평가

하기

(사전

/사후

)

4.1

8

.81

4.4

7

.62

4.5

3

.62

4.6

5

.70

4.8

2

.39

4.5

9

.62

4.0

0

5.0

0

5.0

0

5.0

0

5.0

0

5.0

0

3.5

~5

4~

5

4~

5

4.5

~5

5

4~

5

0.5

3

0.8

8

0.8

8

0.7

6

1.0

0

0.8

8

0.6

3

0.8

0

0.8

0

0.9

0

1.0

0

0.8

0

0.7

5

0.5

0

0.5

0

0.2

5

0.0

0

0.5

0

0.1

9

0.1

4

0.1

4

0.1

5

0.0

8

0.1

4

2.

건강

상담

하기

1)

관계

형성

및 의

사소

통하

2)

건강

상담

요구

사정

하기

3)

문제

해결

을 위

한 대

안선

택 돕

4)

건강

상담

실시

하기

(전

화상

담,

내관

상담

, 가

족상

담 등

)

5)

추후

관리

하기

4.5

3

.62

4.3

5

.70

4.2

4

.75

4.7

6

.44

4.5

3

.51

5.0

0

4.0

0

4.0

0

5.0

0

5.0

0

4~

5

4~

5

4~

5

4.5

~5

4~

5

0.8

8

0.7

6

0.6

5

1.0

0

1.0

0

0.8

0

0.7

5

0.7

5

0.9

0

0.8

0

0.5

0

0.5

0

0.5

0

0.2

5

0.5

0

0.1

3

0.1

6

0.1

8

0.0

9

0.1

1

3.

코칭

하기

1)

건강

증진

및 질

병예

방지

침 제

시하

2)

대상

자 지

지하

3)

자조

집단

관리

하기

4.3

5

.61

4.3

5

.61

4.4

7

.62

4.0

0

4.0

0

5.0

0

4~

5

4~

5

4~

5

0.8

8

0.8

8

0.8

8

0.7

5

0.7

5

0.8

0

0.5

0

0.5

0

0.5

0

0.1

4

0.1

4

0.1

4

4.

건강

증진

프로

젝트

운영

하기

1)

건강

문제

가 있

는 대

상자

확인

하기

(건강

실태

조사

를 통

한 질

환별

리스

트 관

리하

기)

2)

건강

증진

프로

그램

개발

하기

(질병

관리

용 건

강증

진/기

능강

화용

건강

증진

)

3)

건강

증진

프로

그램

운영

하기

4.5

3

.62

4.5

9

.51

4.6

5

.61

5.0

0

5.0

0

5.0

0

4~

5

4~

5

4~

5

0.8

8

1.0

0

0.8

8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1

4

0.1

1

0.1

3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

호흡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호흡

기계

감염

예방

, 만

성폐

색성

폐질

환,

폐렴

, 폐

암,)

2)

심혈

관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고혈

압,

심부

전,

허혈

성심

질환

, 부

정맥

, 말

초혈

관장

애)

3)

소화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위염

, 대

장암

, 간

경변

, 간

암)

4)

근골

격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골다

공증

, 퇴

행성

관절

염,

골절

)

5)

비뇨

생식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궁

탈출

, 전

립선

비대

, 요

실금

, 전

립선

암)

6)

내분

비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갑상

선 질

환,

당뇨

병)

7)

신경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뇌

졸중

, 파

킨슨

병,

치매

)

3.8

2

.95

4.3

5

.79

3.5

3

.94

4.5

3

.80

3.8

2

.95

4.4

1

.87

4.3

5

.93

4.0

0

4.0

0

3.0

0

5.0

0

4.0

0

5.0

0

5.0

0

3~

5

4~

5

3~

4

4~

5

3~

5

4~

5

4~

5

0.1

8*

0.8

8

-.0

6*

0.8

8

0.1

8*

0.7

6

0.6

5*

0.5

0**

0.7

5

0.6

7**

0.8

0

0.5

0**

0.8

0

0.8

0

1.0

0**

*

0.5

0

0.5

0

0.5

0

1.0

0**

*

0.5

0

0.5

0

0.2

5

0.1

8

0.2

7

0.1

8

0.2

5

0.2

0.2

1

Table

3.

(Continued)

(N

=17)

- 39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8)

정신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살

, 알

코올

중독

, 섬

망,

우울

)

9)

감각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백

내장

, 녹

내장

, 난

청)

10)

피부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욕

창,

피부

염,

대상

포진

)

11)

치과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치

주염

, 보

철)

4.2

4

.75

3.8

8

.86

3.5

3

1.0

0

3.7

6

.90

4.0

0

4.0

0

4.0

0

4.0

0

4~

5

3~

4.5

3~

4

3~

4.5

0.8

8

0.4

1*

0.0

6*

0.1

8*

0.7

5

0.6

3**

0.7

5

0.6

3**

0.5

0

0.7

5**

*

0.5

0

0.7

5**

*

0.1

8

0.2

2

0.2

9

0.2

4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

프로

그램

기획

하기

1)

연간

프로

그램

계획

하기

2)

예산

수립

하기

4.7

6

.44

4.5

3

.72

5.0

0

5.0

0

4.5

~5

4~

5

1.0

0

0.7

6

0.9

0

0.8

0

0.2

5

0.5

0

0.0

9

0.1

6

2.

정보

관리

하기

1)

문서

관리

하기

(프

로그

램 계

획서

, 평

가서

, 업

무일

지,

운영

일지

등)

2)

표준

양식

확인

, 적

용 및

개발

하기

3)

문서

보안

관리

하기

4.5

9

.51

4.4

1

.71

4.5

3

.62

5.0

0

5.0

0

5.0

0

4~

5

4~

5

4~

5

1.0

0

0.7

6

0.8

8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1

1

0.1

6

0.1

4

3.

인력

관리

하기

1)

팀 구

성 및

배치

, 자

원봉

사자

모집

및 관

리하

2)

동기

부여

및 e

mpow

erm

ent

환경

조성

하기

3)

갈등

및 스

트레

스 관

리하

4)

리더

십 기

술 적

용 및

전략

개발

하기

4.1

8

.88

4.1

2

.93

4.0

0

.94

4.0

0

1.0

6

4.0

0

4.0

0

4.0

0

4.0

0

4~

5

3.5

~5

3~

5

3~

5

0.6

5

0.5

3

0.4

1*

0.4

1*

0.7

5

0.6

3**

0.5

0**

0.5

0**

0.5

0

0.7

5**

*

1.0

0**

*

1.0

0**

*

0.2

1

0.2

3

0.2

3

0.2

7

4.

의료

물품

관리

하기

1)

의약

품 및

소모

품 관

리하

2)

비용

효율

화 도

모하

4.1

8

.81

3.7

6

.83

4.0

0

4.0

0

4~

5

3~

4

0.7

6

0.2

9

0.7

5

0.7

5

0.5

0

0.5

0

0.1

9

0.2

2

5.

환경

안전

관리

하기

1)

안전

사고

방지

하기

2)

안전

대책

수립

하기

3)

복지

관 직

원대

상 응

급상

황대

처법

교육

하기

4.2

9

.92

4.1

2

.99

4.4

1

.87

5.0

0

4.0

0

5.0

0

4~

5

4~

5

4~

5

0.6

5

0.6

5

0.7

6

0.8

0

0.7

5

0.8

0

0.5

0

0.5

0

0.5

0

0.2

1

0.2

4

0.2

6.

감염

관리

하기

1)

감염

관리

지침

및 규

정준

수하

2)

오염

폐기

물 관

리하

3)

예방

접종

하기

4)

전염

성 질

환 관

리하

5)

지역

사회

의료

기관

연계

하기

4.0

6

1.0

9

3.9

4

.97

2.9

4

1.4

3

4.2

4

1.0

9

4.4

1

.87

4.0

0

4.0

0

3.0

0

5.0

0

5.0

0

4~

5

3.5

~5

2~

4

3.5

~5

4~

5

0.6

5

0.5

3

-.1

7*

0.5

3

0.7

6

0.7

5

0.6

3**

0.3

3**

0.7

0

0.8

0

0.5

0

0.7

5**

*

1.0

0**

*

0.7

5**

*

0.5

0

0.2

7

0.2

5

0.4

9

0.2

6

0.2

Ⅶ.

전문 직

발전

참여

1.

실무

표준

개발

하기

1)

노인

간호

표준

업무

지침

개발

하기

4.2

4

.66

4.0

0

4~

5

0.7

6

0.7

5

0.5

0

0.1

6

2.

간호

의 질

관리

하기

1)

질 관

리 프

로그

램 개

발 및

참여

하기

2)

질 평

가도

구 개

발하

3)

질 향

상 활

동계

획 수

행 평

가하

4.0

0

.71

3.9

4

.66

4.0

0

.71

4.0

0

4.0

0

4.0

0

3.5

~4.5

3.5

~4

3.5

~4.5

0.5

3

0.5

3

0.5

3

0.7

5

0.8

8

0.7

5

1.0

0**

*

0.2

5

1.0

0

0.1

8

0.1

7

0.1

8

Table

3.

(Continued)

(N

=17)

- 40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2)

전문

직 단

체활

동 참

여하

4.0

0

.71

4.1

2

.78

4.0

0

4.0

0

3.5

~4.5

3.5

~5

0.5

3

0.5

3

0.7

5

0.6

3**

1.0

0**

*

0.7

5**

*

0.1

8

0.1

9

4.

법적

, 윤

리적

업무

수행

하기

1)

노인

의 권

리와

자율

성 보

장하

2)

문화

적 다

양성

이해

하기

3)

윤리

적 의

사결

정하

3.9

4

.75

3.9

4

.90

4.0

6

.90

4.0

0

4.0

0

4.0

0

3~

4.5

3~

5

3.5

~5

0.4

1*

0.4

1*

0.5

3

0.6

3**

0.5

0**

0.6

3**

0.7

5**

*

1.0

0**

*

0.7

5**

*

0.1

9

0.2

3

0.2

2

5.

보건

의료

인력

교육

코칭

하기

1)

프리

셉터

, 멘

토 역

할 수

행하

2)

노인

복지

관 실

습강

사역

할하

4.0

6

1.0

3

4.0

6

.90

4.0

0

4.0

0

3.5

~5

3.5

~5

0.5

3

0.5

3

0.6

3**

0.6

3**

0.7

5**

*

0.7

5**

*

0.2

5

0.2

2

6.

자기

계발

전문

향상

시키

1)

자기

계발

하기

2)

간호

수행

성과

평가

하기

3)

계속

교육

을 통

한 전

문성

향상

시키

4)

다학

제간

연구

및 교

육활

동 참

여하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4.5

9

.51

4.4

7

.51

4.5

9

.62

4.5

3

.62

4.2

9

.77

5.0

0

4.0

0

5.0

0

5.0

0

4.0

0

4~

5

4~

5

4~

5

4~

5

4~

5

1.0

0

1.0

0

0.8

8

0.8

8

0.6

5

0.8

0

0.7

5

0.8

0

0.8

0

0.7

5

0.5

0

0.5

0

0.5

0

0.5

0

0.5

0

0.1

1

0.1

2

0.1

3

0.1

4

0.1

8

Ⅷ.

조정

협동

1.

사례

관리

하기

1)

사례

관리

대상

자 발

견 및

등록

하기

2)

사례

관리

대상

자 사

정하

3)

사례

관리

계획

하기

4)

사례

관리

수행

하기

5)

사례

관리

평가

하기

6)

사례

회의

하기

4.4

1

.71

4.4

1

.71

4.4

7

.62

4.4

7

.62

4.4

7

.62

4.4

1

.62

5.0

0

5.0

0

5.0

0

5.0

0

5.0

0

4.0

0

4~

5

4~

5

4~

5

4~

5

4~

5

4~

5

0.7

6

0.7

6

0.8

8

0.8

8

0.8

8

0.8

8

0.8

0

0.8

0

0.8

0

0.8

0

0.8

0

0.7

5

0.5

0

0.5

0

0.5

0

0.5

0

0.5

0

0.5

0

0.1

6

0.1

6

0.1

4

0.1

4

0.1

4

0.1

4

2.

자문

제공

하기

1)

노인

의 자

문에

응하

2)

노인

복지

관 실

무자

자문

제공

하기

3)

지역

사회

기관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련 자

문 제

공하

4.3

5

.70

4.3

5

.70

4.2

9

.77

3.4

7

1.0

7

4.0

0

4.0

0

4.0

0

4.0

0

4~

5

4~

5

4~

5

2.5

~4

0.7

6

0.7

6

0.6

5

0.0

6*

0.7

5

0.7

5

0.7

5

0.6

3**

0.5

0

0.5

0

0.5

0

0.7

5**

*

0.1

6

0.1

6

0.1

8

0.3

1

3.

유관

기관

전문

가에

자문

하기

1)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자

문의

뢰하

2)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대

상자

의뢰

하기

3)

프로

그램

운영

에 대

한 자

문하

4.3

5

.61

4.4

1

.62

4.4

7

.62

4.0

0

4.0

0

5.0

0

4~

5

4~

5

4~

5

0.8

8

0.8

8

0.8

8

0.7

5

0.7

5

0.8

0

0.5

0

0.5

0

0.5

0

0.1

4

0.1

4

0.1

4

4.

협동

관계

구축

및 유

지하

1)

타전

문인

과 의

사소

통하

2)

대상

자와

협조

체계

구축

하기

3)

국내

외 유

관단

체와

협동

하기

4)

지역

의료

협력

사업

연계

하기

4.4

7

.62

4.5

9

.51

4.3

5

.86

4.5

9

.62

5.0

0

5.0

0

5.0

0

5.0

0

4~

5

4~

5

4~

5

4~

5

0.8

8

1.0

0

0.7

6

0.8

8

0.8

0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5

0

0.1

4

0.1

1

0.2

0.1

3

Table

3.

(Continued)

(N

=17)

- 41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Ⅸ.

연구

1.

이론

을 실

무에

활용

하기

1)

간호

이론

적용

하기

2)

노화

이론

적용

하기

4.0

0

.79

4.1

8

.73

4.0

0

4.0

0

3~

5

4~

5

0.4

1*

0.6

5

0.5

0**

0.7

5

1.0

0**

*

0.5

0

0.2

0.1

7

2.

연구

수행

하기

및 연

구 참

여하

1)

연구

계획

하기

2)

연구

수행

하기

3)

공동

연구

참여

하기

4)

연구

결과

발표

및 학

회참

3.8

2

.81

3.8

8

.86

3.9

4

.75

3.8

8

.78

4.0

0

4.0

0

4.0

0

4.0

0

3~

4

3~

4.5

3~

4.5

3~

4.5

0.4

1*

0.4

1*

0.4

1*

0.2

9*

0.7

5

0.6

3**

0.6

3**

0.6

3**

0.5

0

0.7

5**

*

0.7

5**

*

0.7

5**

*

0.2

1

0.2

2

0.1

9

0.2

3.

연구

결과

실무

에 적

용하

1)

연구

결과

프로

그램

에 반

영하

2)

연구

결과

간호

정책

에 반

영하

4.3

5

.61

4.1

8

.73

4.0

0

4.0

0

4~

5

4~

5

0.8

8

0.6

5

0.7

5

0.7

5

0.5

0

0.5

0

0.1

4

0.1

7

Note

. SD

=sta

ndard

devia

tion,

Md=M

edia

n,

IQR=in

terq

uart

ile r

ange,

DoC

s=degre

e o

f consensus,

DoC

v=degre

e o

f converg

ence,

CV

=conff

icie

nt

of

vari

ation, C

ronbach’s

alp

ha o

f T

ota

l item

s =

.98

*: C

VR

0.4

9 , *

*:D

oC

s<0.7

5, **

*:D

oC

v>0.5

0

- 42 -

2) 2차 델파이 조사결과에 따른 수정

2차 델파이 조사를 분석한 결과 2명이상의 패널들이 일과 일의요소에

대해 지적한 사항들은 (1)그대로 둘 것, (2)용어 수정이 필요한 것, (3)추

가되어야 할 것, (4)삭제 및 통합해야 할 것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수

정 사항들은 Table 4과 같다. 이에 따라 다시 일과 일의 요소를 수정 보

완하여 3차 델파이 조사 설문항목은 9개의 임무(Duty), 38개의 일

(Task), 144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로 구성되었다(부록 5).

Table 4. Modifications Based on the Second Round Delphi Survey

(N=17)

Rewording of Terms

(n)

Additions

(n)

Deletions &

Integrations(n)

Ⅱ-4-8)가용한 지역

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

계획하기

(2)

Ⅲ-1-3)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2)

Ⅵ-6-3)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

제공하기

(5)

Ⅲ-2-5)자살위험

사정하기

(2)

Ⅳ-2심폐소생술 시행

3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Ⅳ-2.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2)

- 43 -

4.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 전체 직무 중 각 임무의 비중

1, 2차 델파이 조사결과 수정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9가지

임무에 대해 패널들이 100분율로 응답한 업무의 비중은 Table 5과 같았

다. 전체업무 중에 가장 비중이 높아야 한다고 응답한 것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였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 및 상담’이 비중이 높았다.

가장 비중이 낮은 임무는 ‘연구’였다.

Table 5. Desirable Weight of Duty Rated by the Panel (N=17)

Duty Importance(Mean)%

Intervention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25.00

18.53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10.88

Assessment 9.82

Managing and using resources 8.94

Clinical decision making 8.53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6.59

Leadership 6.21

Research 5.50

SUM 100%

- 44 -

2) 일과 일의 요소에 대한 중요도 재평가

144개의 일의 요소에 대한 3차 델파이 분석결과 Table 6과 같이 전

체적으로 2차 조사 때 보다 각 항목의 표준편차가 축소되었으며, 합의도

와 수렴도도 범위들이 좁혀져 합의점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3차 델파이 조사결과에서 일의 요소 중 CVR 값이 0.49이하이면서 합

의도 0.75이상, 수렴도 0.5이하를 기준하였을 때 삭제되어야 하는 일의

요소는 ‘Ⅰ-1-1)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Ⅵ-6-3)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하기’이었다. 그리고 CVR값이 0.49이하이나 합의 또는 수렴

이 이뤄지지 않은 일의 요소는 ‘Ⅱ-1-1)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

하기’, ‘Ⅴ-5-3)10)소화기계, 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Ⅵ-

4-2)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Ⅷ-2-4)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

련 자문제공하기’이었다. 한편, ‘Ⅴ-5-1)5)호흡기계,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Ⅵ-3-3)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의 일의

요소는 내용타당도는 확보되었으나 합의도 0.75이하, 수렴도 0.5이상으

로 패널간 의견의 차이를 보였지만 변이계수 0.8이하로 확보되어 최종

선정항목에 포함하였다.

- 45 -

Table

6. Resu

lts o

f th

e T

hir

d R

ound D

elp

hi Surv

ey

(N=17)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Ⅰ.

자료

수집

1.

건강

조사

하기

1)

인구

사회

학적

자료

조사

하기

2)

현병

력,

과거

력 및

가족

력 수

집하

3)

복용

약물

조사

하기

4)

건강

행위

조사

하기

3.7

6

.66

4.6

5

.49

4.7

.47

4.7

.44

4.0

0

5.0

0

5.0

0

5.0

0

3~

4

4~

5

4~

5

4~

5

0.2

9*

1.0

0

1.0

0

1.0

0

0.7

5

0.8

0

0.8

0

0.9

0

0.5

0.5

0.5

0.5

0.1

8

0.1

1

0.1

0

0.0

9

2.

대상

자의

건강

상태

변화

지속

관찰

하기

1)

건강

상태

변화

관찰

하기

2)

건강

상태

추후

관리

하기

3)

건강

문제

의 조

기발

견 및

대처

하기

4.5

9

.51

4.5

9

.51

4.6

5

.49

5.0

0

5.0

0

5.0

0

4~

5

4~

5

4~

5

1.0

0

1.0

0

1.0

0

0.8

0

0.8

0

0.8

0

0.5

0.5

0.5

0.1

1

0.1

1

0.1

1

3.

노인

포괄

평가

(CG

A)시

행하

1)

신체

상태

사정

하기

(신

체검

진,

영양

상태

사정

)

2)

기능

상태

평가

하기

(A

DL, IA

DL)

3)

정신

건강

평가

하기

(인

지기

능평

가-3개

월주

기, 정

서기

능평

가, 물

질남

용 조

사)

4)

사회

환경

적평

가하

기 (

가족

및 사

회지

지체

계,

낙상

위험

과 주

거환

경평

가)

5)

노인

학대

조사

하기

4.7

1

.47

4.5

9

.51

4.7

6

.44

4.2

4

.75

4.4

.51

5.0

0

5.0

0

5.0

0

4.0

0

4.0

0

4~

5

4~

5

4.5

~5

4~

5

4~

5

1.0

0

1.0

0

1.0

0

0.6

5

1.0

0

0.8

0

0.8

0

0.9

0

0.7

5

0.7

5

0.5

0.5

0.2

5

0.5

0.5

0.1

0

0.1

1

0.0

9

0.1

8

0.1

1

Ⅱ.

임상

의사

결정

:

진단

,

계획

,

평가

1.

주관

적,

객관

자료

확인

및 해

하기

1)

병원

검사

결과

확인

및 자

료해

석하

2)

포괄

적 사

정결

과 평

가하

3)

평가

내용

기록

하기

3.9

4

.75

4.6

5

.49

4.6

5

.49

4.0

0

5.0

0

5.0

0

3~

4.5

4~

5

4~

5

0.4

1*

1.0

0

1.0

0

0.6

3**

0.8

0

0.8

0

0.7

5**

*

0.5

0.5

0.1

9

0.1

1

0.1

1

2.

간호

진단

내리

1)

신체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2)

기능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4.7

1

.47

4.7

.47

5.0

0

5.0

0

4~

5

4~

5

1.0

0

1.0

0

0.8

0

0.8

0

0.5

0.5

0.1

0

0.1

0

3.

대상

자 구

하기

1)

건강

위험

군 선

별하

2)

건강

관리

군 선

별하

4.9

4

.24

4.7

1

.47

5.0

0

5.0

0

5

4~

5

1.0

0

1.0

0

1.0

0

0.8

0

0.0

0

0.5

0.0

5

0.1

0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

하기

2)

간호

의 우

선순

위 결

정하

3)

대상

자,

가족

, 주

돌봄

자,

건강

관리

제공

자와

함께

목표

수립

하기

4)

최신

노인

전문

간호

및 지

역사

회간

호를

바탕

으로

계획

하기

5)

지역

사회

의 특

성과

문화

를 고

려하

여 계

획하

6)

건강

유지

및 증

진을

위한

교육

계획

하기

7)

간호

목표

와 연

계하

여 계

획하

8)

가용

한 지

역자

원 N

etw

ork

개발

및 활

용계

획하

9)

간호

계획

기록

하기

4.5

9

.51

4.6

5

.49

4.4

7

.51

4.5

9

.51

4.4

1

.51

4.8

2

.39

4.5

9

.51

4.7

6

.44

4.7

1

.47

5.0

0

5.0

0

4.0

0

5.0

0

4.0

0

5.0

0

5.0

0

5.0

0

5.0

0

4~

5

4~

5

4~

5

4~

5

4~

5

5

4~

5

4.5

~5

4~

5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0.8

0

0.8

0

0.7

5

0.8

0

0.7

5

1.0

0

0.8

0

0.9

0

0.8

0

0.5

0.5

0.5

0.5

0.5

0.0

0

0.5

0

0.2

5

0.5

0

0.1

1

0.1

1

0.1

2

0.1

1

0.1

1

0.0

8

0.1

1

0.0

9

0.1

0

Table

6. (C

ontinued)

(

N=17)

- 46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

완하

4.5

.51

5.0

0

4~

5

1.0

0

0.8

0

0.5

0

0.1

1

5.

간호

중재

평가

하기

1)

평가

요소

반영

하기

2)

간호

수행

과정

의 윤

리적

고려

여부

평가

하기

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

담기

록 평

가하

4)

간호

중재

목표

달성

평가

하기

5)

평가

결과

에 근

거하

여 간

호중

재의

지속

적 수

정 보

완하

4.4

7

.62

4.1

8

.53

4.5

9

.62

4.7

1

.47

4.6

5

.49

5.0

0

4.0

0

5.0

0

5.0

0

5.0

0

4~

5

4~

4.5

4~

5

4~

5

4~

5

1.0

0

0.8

8

0.8

8

1.0

0

1.0

0

0.8

0

0.8

8

0.8

0

0.8

0

0.8

0

0.5

0

0.2

5

0.5

0

0.5

0

0.5

0

0.1

4

0.1

3

0.1

3

0.1

0

0.1

1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

행위

증진

하기

1)

건강

한 식

생활

증진

하기

2)

신체

활동

증진

하기

3)

스트

레스

대처

강화

하기

4)

사회

활동

강화

하기

4.3

5

.61

4.5

9

.51

4.2

9

.77

4.1

8

.53

4.0

0

5.0

0

4.0

0

4.0

0

4~

5

4~

5

4~

5

4~

4.5

0.8

8

1.0

0

0.6

5

0.8

8

0.9

0

0.8

0

0.7

5

0.8

8

0.5

0

0.5

0

0.5

0

0.2

5

0.1

4

0.1

1

0.1

8

0.1

3

2.

건강

위험

관리

하기

1)

노쇠

위험

성 진

단하

2)

건강

위험

인자

관리

하기

3)

인지

기능

증진

하기

4)

낙상

예방

하기

5)

자살

위험

사정

하기

4.5

9

.51

4.5

9

.51

4.4

7

.51

4.5

3

.51

4.3

5

.61

5.0

0

5.0

0

4.0

0

5.0

0

4.0

0

4~

5

4~

5

4~

5

4~

5

4~

5

1.0

0

1.0

0

1.0

0

1.0

0

0.8

8

0.8

0

0.8

0

0.7

5

0.8

0

0.7

5

0.5

0

0.5

0

0.5

0

0.5

0

0.5

0

0.1

1

0.1

1

0.1

2

0.1

1

0.1

4

3.

건강

집중

관리

관리

하기

1)

건강

수첩

배부

하기

2)

혈당

검사

및 혈

압측

정하

3)

필요

한 검

사시

행과

결과

해석

하기

4)

적절

한 약

물복

용지

도 및

모니

터링

하기

5)

상처

및 통

증 관

리하

기(촉

탁의

및 병

원연

계하

기)

6)

응급

상황

대처

능력

증진

하기

4.2

9

.47

4.5

9

.51

4.1

8

.53

4.5

3

.51

4.2

4

.66

4.5

9

.51

4.0

0

5.0

0

4.0

0

5.0

0

4.0

0

5.0

0

4~

5

4~

5

4~

4.5

4~

5

4~

5

4~

5

1.0

0

1.0

0

0.8

8

1.0

0

0.7

6

1.0

0

0.7

5

0.8

0

0.8

8

0.8

0

0.7

5

0.8

0

0.5

0

0.5

0

0.2

5

0.5

0

0.5

0

0.5

0

0.1

1

0.1

1

0.1

3

0.1

1

0.1

6

0.1

1

Ⅳ.

응급

상황

관리

1.응

급상

사정

하기

1)

상황

별 응

급상

태 (

예,

외상

, 호

흡곤

란,

쇼크

의식

저하

)사정

하기

4.8

8

.33

5.0

0

5

1.0

0

1.0

0

0.0

0

0.0

7

2.

심폐

소생

술 시

행 1)

기본

심폐

소생

술 시

행하

2)

상황

별(저

혈당

쇼크

, 의

식저

하)응

급처

치 및

시술

하기

3)

병원

이송

매뉴

얼에

따른

상급

의료

기관

에 이

송하

4.7

6

.44

4.8

8

.33

4.8

2

.39

5.0

0

5.0

0

5.0

0

4.5

~5

5

5

1.0

0

1.0

0

1.0

0

0.9

0

1.0

0

1.0

0

0.2

5

0.0

0

0.0

0

0.0

9

0.0

7

0.0

8

3.

응급

지원

시스

구축

하기

1)

가용

한 응

급자

원 파

악하

2)

기관

내 응

급상

황 대

응 매

뉴얼

기획

하기

4.5

9

.51

4.6

5

.49

5.0

0

5.0

0

4~

5

4~

5

1.0

0

1.0

0

0.8

0

0.8

0

0.5

0

0.5

0

0.1

1

0.1

1

Table

6. (C

ontinued)

(

N=17)

- 47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3)

응급

지원

체계

활용

하기

4.5

9

.51

5.0

0

4~

5

1.0

0

0.8

0

0.5

0

0.1

1

Ⅴ.

교육

상담

1.

건강

교육

하기

1)

학습

준비

상태

확인

하기

2)

건강

교육

요구

사정

하기

3)

건강

교육

계획

수립

하기

4)

건강

교육

프로

그램

및 자

료개

발하

5)

건강

교육

시행

하기

6)

건강

교육

결과

평가

하기

(사전

/사후

)

4.3

5

.61

4.5

9

.51

4.7

1

.47

4.8

2

.39

4.8

2

.39

4.6

5

.49

4.0

0

5.0

0

5.0

0

5.0

0

5.0

0

5.0

0

4~

5

4~

5

4~

5

5

5

4~

5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0.7

5

0.8

0

0.8

0

1.0

0

1.0

0

0.8

0

0.5

0

0.5

0

0.5

0

0.0

0

0.0

0

0.5

0

0.1

4

0.1

1

0.1

0

0.0

8

0.0

8

0.1

1

2.

건강

상담

하기

1)

관계

형성

및 의

사소

통하

2)

건강

상담

요구

사정

하기

3)

문제

해결

을 위

한 대

안선

택 돕

4)

건강

상담

실시

하기

(전

화상

담,

내관

상담

, 가

족상

담 등

)

5)

추후

관리

하기

4.7

1

.47

4.5

9

.51

4.3

5

.61

4.8

2

.39

4.6

5

.49

5.0

0

5.0

0

4.0

0

5.0

0

5.0

0

4~

5

4~

5

4~

5

5

4~

5

1.0

0

1.0

0

0.8

8

1.0

0

1.0

0

0.8

0

0.8

0

0.7

5

1.0

0

0.8

0

0.5

0

0.5

0

0.5

0

0.0

0

0.5

0

0.1

0

0.1

1

0.1

4

0.0

8

0.1

1

3.

코칭

하기

1)

건강

증진

및 질

병예

방지

침 제

시하

2)

대상

자 지

지하

3)

자조

집단

관리

하기

4.4

7

.51

4.5

3

.62

4.5

9

.51

4.0

0

5.0

0

5.0

0

4~

5

4~

5

4~

5

1.0

0

0.8

8

1.0

0

0.7

5

0.8

0

0.8

0

0.5

0

0.5

0

0.5

0

0.1

2

0.1

4

0.1

1

4.

건강

증진

프로

젝트

운영

하기

1)

건강

문제

가 있

는 대

상자

확인

하기

(건강

실태

조사

를 통

한 질

환별

리스

트 관

리하

기)

2)

건강

증진

프로

그램

개발

하기

(질병

관리

용 건

강증

진/기

능강

화용

건강

증진

)

3)

건강

증진

프로

그램

운영

하기

4.7

1

.47

4.7

1

.47

4.7

6

.44

5.0

0

5.0

0

5.0

0

4~

5

4~

5

4.5

~5

1.0

0

1.0

0

1.0

0

0.8

0

0.8

0

0.9

0

0.5

0

0.5

0

0.2

5

0.1

0

0.1

0

0.0

9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

호흡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호흡

기계

감염

예방

, 만

성폐

색성

폐질

환,

폐렴

, 폐

암,)

2)

심혈

관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고혈

압,

심부

전,

허혈

성심

질환

, 부

정맥

, 말

초혈

관장

애)

3)

소화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위염

, 대

장암

, 간

경변

, 간

암)

4)

근골

격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골다

공증

, 퇴

행성

관절

염,

골절

)

5)

비뇨

생식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궁

탈출

, 전

립선

비대

, 요

실금

, 전

립선

암)

4.1

2

.78

4.4

7

.51

3.8

2

.81

4.5

3

.51

4.0

6

.75

4.0

0

4.0

0

4.0

0

5.0

0

4.0

0

3.5

~5

4~

5

3~

4.5

4~

5

3.5

~5

0.7

6

1.0

0

0.1

8*

1.0

0

0.5

3

0.6

3

0.7

5

0.6

3**

0.8

0

0.6

3**

0.7

5

0.5

0

0.7

5**

*

0.5

0

0.7

5**

*

0.1

9

0.1

2

0.2

1

0.1

1

0.1

8

Table

6. (C

ontinued)

(

N=17)

- 48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6)

내분

비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갑상

선 질

환,

당뇨

병)

7)

신경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뇌

졸중

, 파

킨슨

병,

치매

)

8)

정신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살

, 알

코올

중독

, 섬

망, 우

울)

9)

감각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백

내장

, 녹

내장

, 난

청)

10)

피부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욕

창, 피

부염

, 대

상포

진)

11)

치과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치

주염

, 보

철)

4.5

3

.51

4.7

1

.47

4.4

1

.51

4.0

0

.71

3.8

2

.88

4.0

0

.71

5.0

0

5.0

0

4.0

0

4.0

0

4.0

0

4.0

0

4~

5

4~

5

4~

5

3.5

~4.5

3~

4.5

3.5

~4.5

1.0

0

1.0

0

1.0

0

0.5

3

0.2

9*

0.5

3

0.8

0

0.8

0

0.7

5

0.7

5

0.6

3**

0.7

5

0.5

0

0.5

0

0.5

0

0.5

0

0.7

5**

*

0.5

0

0.1

1

0.1

0

0.1

1

0.1

8

0.2

3

0.1

8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

프로

그램

기획

하기

1)

연간

프로

그램

계획

하기

2)

예산

수립

하기

4.7

6

.44

4.6

5

.49

5.0

0

5.0

0

4.5

~5

4~

5

1.0

0

1.0

0

0.9

0

0.8

0

0.2

5

0.5

0

0.0

9

0.1

1

2.

정보

관리

하기

1)

문서

관리

하기

(프

로그

램 계

획서

, 평

가서

, 업

무일

지, 운

영일

지 등

)

2)

표준

양식

확인

, 적

용 및

개발

하기

3)

문서

보안

관리

하기

4.5

9

.51

4.6

5

.49

4.7

1

.47

5.0

0

5.0

0

5.0

0

4~

5

4~

5

4~

5

1.0

0

1.0

0

1.0

0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1

1

0.1

1

0.1

0

3.

인력

관리

하기

1)

팀 구

성 및

배치

, 자

원봉

사자

모집

및 관

리하

2)

동기

부여

및 e

mpow

erm

ent

환경

조성

하기

3)

갈등

및 스

트레

스 관

리하

4)

리더

십 기

술 적

용 및

전략

개발

하기

4.2

4

.56

4.2

9

.59

4.0

6

.75

4.0

6

.66

4.0

0

4.0

0

4.0

0

4.0

0

4~

5

4~

5

3.5

~5

4~

4.5

0.8

8

0.8

8

0.5

3

0.6

5

0.7

5

0.7

5

0.6

3**

0.8

8

0.5

0

0.5

0

0.7

5**

*

0.2

5

0.1

3

0.1

4

0.1

8

0.1

6

4.

의료

물품

관리

하기

1)

의약

품 및

소모

품 관

리하

2)

비용

효율

화 도

모하

4.4

1

.62

3.8

8

.78

4.0

0

4.0

0

4~

5

3~

4.5

0.8

8

0.2

9*

0.7

5

0.6

3**

0.5

0

0.7

5**

*

0.1

4

0.2

0

5.

환경

안전

관리

하기

1)

안전

사고

방지

하기

2)

안전

대책

수립

하기

3)

복지

관 직

원대

상 응

급상

황대

처법

교육

하기

4.5

9

.51

4.4

1

.62

4.5

9

.51

5.0

0

4.0

0

5.0

0

4~

5

4~

5

4~

5

1.0

0

0.8

8

1.0

0

0.8

0

0.7

5

0.8

0

0.5

0

0.5

0

0.5

0

0.1

1

0.1

4

0.1

1

6.

감염

관리

하기

1)

감염

관리

지침

및 규

정준

수하

2)

오염

폐기

물 관

리하

3)

예방

접종

홍보

및 정

보제

공하

4)

전염

성 질

환 관

리하

5)

지역

사회

의료

기관

연계

하기

4.4

1

.62

4.2

9

.59

3.7

6

.83

4.5

3

.51

4.7

1

.47

4.0

0

4.0

0

4.0

0

5.0

0

5.0

0

4~

5

4~

5

3~

4

4~

5

4~

5

0.8

8

0.8

8

0.2

9*

1.0

0

1.0

0

0.7

5

0.7

5

0.7

5

0.8

0

0.8

0

0.5

0

0.5

0

0.5

0

0.5

0

0.5

0

0.1

4

0.1

4

0.2

2

0.1

1

0.1

0

Ⅶ.

전문

발전

참여

1.

실무

표준

개발

하기

1)

노인

간호

표준

업무

지침

개발

하기

4.5

9

.62

5.0

0

4~

5

0.8

8

0.8

0

0.5

0

0.1

3

2.

간호

의 질

관리

하기

1)

질 관

리 프

로그

램 개

발 및

참여

하기

2)

질 평

가도

구 개

발하

4.0

6

.56

4.1

2

.60

4.0

0

4.0

0

4

4~

4.5

0.7

6

0.7

6

1.0

0

0.8

8

0.0

0

0.2

5

0.1

4

0.1

5

Table

6. (C

ontinued)

(

N=17)

- 49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3)

질 향

상 활

동계

획 수

행 평

가하

4.1

2

.60

4.0

0

4~

4.5

0.7

6

0.8

8

0.2

5

0.1

5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2)

전문

직 단

체활

동 참

여하

4.0

0

.50

4.2

4

.44

4.0

0

4.0

0

4

4~

4.5

0.7

6

1.0

0

1.0

0

0.8

8

0.0

0

0.2

5

0.1

3

0.1

0

4.

법적

, 윤

리적

업무

수행

하기

1)

노인

의 권

리와

자율

성 보

장하

2)

문화

적 다

양성

이해

하기

3)

윤리

적 의

사결

정하

4.0

0

.71

4.0

0

.71

4.1

2

.70

4.0

0

4.0

0

4.0

0

3.5

~4.5

3.5

~4.5

4~

5

0.5

3

0.5

3

0.6

5

0.7

5

0.7

5

0.7

5

0.5

0

0.5

0

0.5

0

0.1

8

0.1

8

0.1

7

5.

보건

의료

인력

교육

코칭

하기

1)

프리

셉터

, 멘

토 역

할 수

행하

2)

노인

복지

관 실

습강

사역

할하

4.2

9

.77

4.4

1

.62

4.0

0

4.0

0

4~

5

4~

5

0.8

8

0.8

8

0.7

5

0.7

5

0.5

0

0.5

0

0.1

8

0.1

4

6.

자기

계발

전문

성 향

상시

키기

1)

자기

계발

하기

2)

간호

수행

성과

평가

하기

3)

계속

교육

을 통

한 전

문성

향상

시키

4)

다학

제간

연구

및 교

육활

동 참

여하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4.5

9

.51

4.6

5

.49

4.8

2

.39

4.7

6

.44

4.5

3

.62

5.0

0

5.0

0

5.0

0

5.0

0

5.0

0

4~

5

4~

5

5

4.5

~5

4~

5

1.0

0

1.0

0

1.0

0

1.0

0

0.8

8

0.8

0

0.8

0

1.0

0

0.9

0

0.8

0

0.5

0

0.5

0

0.0

5

0.2

5

0.5

0

0.1

1

0.1

1

0.0

8

0.0

9

0.1

4

Ⅷ.

조정

협동

1.

사례

관리

하기

1)

사례

관리

대상

자 발

견 및

등록

하기

2)

사례

관리

대상

자 사

정하

3)

사례

관리

계획

하기

4)

사례

관리

수행

하기

5)

사례

관리

평가

하기

6)

사례

회의

하기

4.5

3

.51

4.7

1

.47

4.7

1

.47

4.7

1

.47

4.7

6

.44

4.7

1

.47

5.0

0

5.0

0

5.0

0

5.0

0

5.0

0

5.0

0

4~

5

4~

5

4~

5

4~

5

4.5

~5

4~

5

1.0

0

1.0

0

1.0

0

1.0

0

1.0

0

1.0

0

0.8

0

0.8

0

0.8

0

0.8

0

0.9

0

0.8

0

0.5

0

0.5

0

0.5

0

0.5

0

0.2

5

0.5

0

0.1

1

0.1

0

0.1

0

0.1

0

0.0

9

0.1

0

2.

자문

제공

하기

1)

노인

의 자

문에

응하

2)

노인

복지

관 실

무자

자문

제공

하기

3)

지역

사회

기관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련 자

문 제

공하

4.4

7

.62

4.4

1

.62

4.4

7

.62

3.5

9

.71

5.0

0

4.0

0

5.0

0

3.0

0

4~

5

4~

5

4~

5

3~

4

0.8

8

0.8

8

0.8

8

-.0

6*

0.8

0

0.7

5

0.8

0

0.6

7**

0.5

0

0.5

0

0.5

0

0.5

0

0.1

4

0.1

4

0.1

4

0.2

0

3.

유관

기관

전문

가에

자문

하기

1)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자

문의

뢰하

2)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대

상자

의뢰

하기

3)

프로

그램

운영

에 대

한 자

문하

4.4

1

.51

4.5

3

.51

4.5

9

.51

4.0

0

5.0

0

5.0

0

4~

5

4~

5

4~

5

1.0

0

1.0

0

1.0

0

0.7

5

0.8

0

0.8

0

0.5

0

0.5

0

0.5

0

0.1

1

0.1

1

0.1

1

Table

6. (C

ontinued)

(

N=17)

- 50 -

Duty

T

ask

Tas

k e

lem

ent

Mean

SD

M

d

IQR

CV

R

DoC

s D

oCv

CV

4.

협동

관계

구축

및 유

지하

1)

타전

문인

과 의

사소

통하

2)

대상

자와

협조

체계

구축

하기

3)

국내

외 유

관단

체와

협동

하기

4)

지역

의료

협력

사업

연계

하기

4.5

9

.51

4.7

1

.47

4.5

3

.62

4.7

1

.47

5.0

0

5.0

0

5.0

0

5.0

0

4~

5

4~

5

4~

5

4~

5

1.0

0

1.0

0

0.8

8

1.0

0

0.8

0

0.8

0

0.8

0

0.8

0

0.5

0

0.5

0

0.5

0

0.5

0

0.1

1

0.1

0

0.1

4

0.1

0

Ⅸ.

연구

1.

이론

을 실

무에

활용

하기

1)

간호

이론

적용

하기

2)

노화

이론

적용

하기

4.1

2

.70

4.3

5

.61

4.0

0

4.0

0

4~

5

4~

5

0.6

5

0.8

8

0.7

5

0.7

5

0.5

0

0.5

0

0.1

7

0.1

4

2.

연구

수행

하기

및 연

구 참

여하

1)

연구

계획

하기

2)

연구

수행

하기

3)

공동

연구

참여

하기

4)

연구

결과

발표

및 학

회참

3.9

4

.66

4.0

0

.61

4.1

2

.60

4.1

2

.60

4.0

0

4.0

0

4.0

0

4.0

0

3.5

~4

4

4

4

0.5

3

0.6

5

0.7

6

0.7

6

0.8

8

1.0

0

0.8

8

0.8

8

0.2

5

0.0

0

0.2

5

0.2

5

0.1

7

0.1

5

0.1

5

0.1

5

3.

연구

결과

실무

에 적

용하

1)

연구

결과

프로

그램

에 반

영하

2)

연구

결과

간호

정책

에 반

영하

4.3

5

.49

4.2

9

.47

4.0

0

4.0

0

4~

5

4~

5

1.0

0

1.0

0

0.8

0

0.8

0

0.5

0

0.5

0

0.1

1

0.1

1

Note

. SD

=sta

ndard

devia

tion,

Md=M

edia

n,

IQR=in

terq

uart

ile r

ange,

DoC

s=degre

e o

f consensus,

DoC

v=degre

e o

f converg

ence,

CV

=conff

icie

nt

of

vari

ation, C

ronbach’s

alp

ha o

f T

ota

l item

s =

.98

*: C

VR

0.4

9, **:D

oC

s<0.7

5, **

*:D

oC

v>0.5

0

- 51 -

제 3차 델파이 조사결과를 임무 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임무Ⅰ 자료수집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Ⅰ-1-4)건강행위 조

사하기’와 ‘ Ⅰ-3-3)정신건강평가하기 ’ 이었으며,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Ⅰ-3-4)사회환경적평가하기’이었다.

임무Ⅱ 임상의사결정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Ⅱ-3-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이었으며,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Ⅱ-5-2) 간호수

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이었다.

임무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Ⅲ

-1-2)신체활동증진하기’, ‘Ⅲ-2-1)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Ⅲ-2-2)건강

위험인자 관리하기’, ‘Ⅲ-3-2)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Ⅲ-3-6)응급

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이었으며, 낮은 일의 요소는 ‘Ⅲ-1-4)사회활동

강화하기’, ‘Ⅲ-3-3)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이었다.

임무Ⅳ 응급상황관리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Ⅳ-1-1)상황별

응급상태사정하기’, ‘Ⅳ-3-1)상황별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이었으며, 낮

은 일의 요소는 ‘Ⅳ-3-1)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Ⅳ-3-3)응급지원

체계 활용하기’이었다.

임무Ⅴ 교육 및 상담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Ⅴ- 1-4)건강교

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Ⅴ-1-5)건강교육시행하기’이었으며, 낮은

일의 요소는 ‘Ⅴ-5-9)11)감각계,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이었다.

임무Ⅵ 환경 및 자원관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Ⅵ-

1-1)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Ⅵ-3-3)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이었다.

임무Ⅶ 전문직 발전참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Ⅶ-6-

- 52 -

3)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이었으며, 중요도가 낮은 일의

요소는 ‘Ⅶ-4-1)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Ⅶ-4-2)문화적 다양

성 이해하기’ 이었다.

임무Ⅷ 조정 및 협동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Ⅷ-1-5)

사례관리 평가하기’ 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Ⅷ-2-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이었다.

임무Ⅸ 연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Ⅸ-3-1)연구결과

프로그램 반영하기’ 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Ⅸ-2-1)

연구계획하기’ 이었다.

3)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와 노인복지관 노인간호 실무경력자 간의

지각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차이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패널

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 실무 경력자 패널의 응답에 차이가 있는지 일의

요소에 대한 중요도 결과를 비교하였다(부록 7).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일의 요소는 Table 7과 같다. ‘Ⅰ-1-3)복용약물 조사하기’, ‘Ⅲ-

2-5)자살위험 사정하기’, ‘Ⅲ-3-6)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Ⅴ-5-

10)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Ⅵ-4-2)비용효율화 도모하기’,

‘Ⅵ-6-2)오염폐기물 관리하기, 4)전염성 질환 관리하기’, ‘Ⅶ-3-1)노인관

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Ⅶ-6-5)학회 및 연수참여하기’, ‘Ⅷ-1-6)사

례회의하기’, ‘Ⅷ-2-4)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

기’, ‘Ⅷ-4-4)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 53 -

Table

7.

Com

pari

son o

f Im

port

ance R

ating o

f T

ask E

lem

ent

Betw

een t

he G

ero

nto

logic

al

Health E

ducato

r

Panel G

roup a

nd F

ield

Pra

ctitioner

Panel G

roup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

tors

(n=7)

Fie

ld p

ract

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Ⅰ 자

료수

1.

건강

력 조

사하

3)

복용

약물

조사

하기

6.6

4

46.5

0

10.6

5

106.5

0

18.5

0

.042*

Ⅲ 건

강증

진 및

질병

예방

2.

건강

위험

군 관

리하

5)

자살

위험

사정

하기

5.2

9

37.0

0

11.6

0

116.0

0

9.0

0

.004**

3.

건강

집중

관리

군 관

리하

6)

응급

상황

대처

능력

증진

하기

6.4

3

45.0

0

10.8

0

108.0

0

17.0

0

.040*

Ⅴ 교

육 및

상담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0)

피부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욕창

, 피

부염

, 대

상포

진)

6.0

7

42.5

0

11.0

5

110.5

0

14.5

0

.034*

Ⅵ 환

경 및

자원

관리

4.

의료

물품

관리

하기

2)

비용

효율

화 도

모하

6.2

9

44.0

0

10.9

0

109.0

0

16.0

0

.048*

6.

감염

관리

하기

2)

오염

폐기

물 관

리하

4)

전염

성 질

환 관

리하

5.7

1

5.7

1

40.0

0

40.0

0

11.3

0

11.3

0

113.0

0

113.0

0

12.0

0

12.0

0

.010*

.010*

Ⅶ 전

문직

발전

참여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6.8

6

48.0

0

10.5

0

105.0

0

20.0

0

.049*

6.

자기

계발

및 전

문성

향상

시키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6.2

9

44.0

0

10.9

0

109.0

0

16.0

0

.048*

Ⅷ 조

정 및

협동

1.

사례

관리

하기

6)

사례

회의

하기

6.6

4

46.5

0

10.6

5

106.5

0

18.5

0

.042*

2.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자문

제공

하기

6.0

7

42.5

0

11.0

5

110.5

0

14.5

0

.026*

4.

협동

관계

구축

및 유

지하

4)

지역

의료

협력

사업

연계

하기

6.6

4

46.5

0

10.6

5

106.5

0

18.5

0

.042*

*: p<.0

5, **

: p<.0

1

- 54 -

4) 본 연구 결과와 한국간호평가원 직무기술서 비교

본 연구결과 확정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와한국간

호평가원의 직무기술서를 비교하면 Table 8과 같다. 9개의 한국간호평가

원 직무기술서 영역 중 Ⅲ 치료적 중재 영역은 이 연구결과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영역으로 변경되었고 이 영역에 가장 많은 내용수정이 있었다.

Table 8. Comparison of the GNP Roles Between KABONE and this Study

KABONE This study

자료

수집

1. 건강력 조사하기

1)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2)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3) 복용약물 조사하기

4) 건강행위 조사하기

자료

수집

1. 건강력 조사하기

1)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수집하기

2) 복용약물 조사하기

3) 건강행위 조사하기

2. 대상자의 상태변화 지속적 감시하기

1) 관찰하기

2) 모니터링하기

2. 대상자의 건강상태변화 지속적 관찰하기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

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3. 신체검진하기

1) 노인건강사정 도구 적용하기

2) 신체상태사정하기

3. 노인포괄평가(CGA)시행하기

1) 신체상태사정하기

(신체검진, 영양상태 사정)

2) 기능상태평가하기 (ADL, IADL)

3) 정신건강평가하기

(인지기능평가-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조사)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평가)

5) 노인학대 조사하기

4. 정신, 사회, 영적 건강사정하기

1) 정신사회상태 조사하기

2) 인지상태 조사하기

3) 영적상태 조사하기

4)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조사하기

5) 의사소통양상 조사하기

6) 물질남용 조사하기

임상

의사

결정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임상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2) 특수진단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3) 문진내용 평가하기

4)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5) 평가내용 기록하기

임상

의사

결정

1. 주관적, 객관적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2) 평가내용 기록하기

Table 8. (continued)

- 55 -

KABONE This study

임상

의사

결정

진단

계획

평가

2. 간호진단내리기

1) 실제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2) 잠재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임상

의사

결정

진단

계획

평가

2. 간호진단내리기

1) 신체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잠재적)

2) 기능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잠재적)

3. 감별진단하기

1) 주소견 및 유사진단 기술하기

3. 대상자 구분하기

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4. 치료 및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

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4) 최신 노인간호 실무 반영하기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6) 효과적 노인간호중재 확인하기

7) 최신 노인전문간호 이론 및 연구

중심으로 구체화하기

8)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포함하기

9) 퇴원계획 포함하기

10) 간호계획 수립 시 대상자와 가족,

주돌봄자, 건광관리제공자 포함여부

평가하기

11) 평가 가능한 목표 진술여부 평가하기

12) 간호계획 수립시 간호 목표와의

연계성 여부 평가하기

13) 자원 활용 여부 평가하기

14) 간호계획 기록 평가하기

15) 계획 재사정하기

4.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

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 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계획하기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8) 가용한 지역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계획하기

9) 간호계획 기록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

5. 치료 및 간호 수행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2) 간호수행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반응 평가하기

3)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4) 간호수행 및 결과 기록 평가하기

5) 가족, 건강관리 제공자와 함께

5. 간호중재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2)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3) 간호중재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보완하기

Table 8. (continued)

- 56 -

KABONE This study

간호수행 목표달성 여부 평가하기

6) 간호수행 과정의 자율성 유지여부

평가하기

7)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내용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기

중재

1. 진단적 검사 시행 및 관련 간호하기

1) 처방된 검사 시행하기

2) 위임된 검사 시행하기

3) 검사결과 해석 및 협의

4) 검사지도

5) 검사 전 후 간호수행하기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행위 증진하기

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2) 신체활동증진하기

3) 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4) 사회활동 강화하기

2. 약물요법 적용하기

1) 처방된 약물요법 수행하기

2) 위윔된 약물 처방하기

3) 투약된 약물효과 평가하기

4) 투약관련 간호 및 지도

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1)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2)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 낙상예방하기

5) 자살위험 사정하기

3. 치료적 처치, 시술하기

1) 상급간호 제공하기

2) 위임된 치료 제공하기

3) 독자적 치료제공하기

4) 보완대체요법 적용하기

5) 가족간호 제공하기

6) 심리간호 제공하기

4. 특수간호 제공하기

1) 신대체요법 적용하기

2) 인공호흡기 적용하기

3) 정신요법 제공하기

4) 장기이식 관련 간호하기

5) 상처관리하기

6) 통증관리하기

7) 수술 후 간호하기

8) 재활간호하기

9) 임종간호하기

10) 임종노인 가족 간호하기

11) 사별가족 간호하기

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1) 건강수첩배부하기

2)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 적절한 약물복용지도 및 모니터링하기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

(촉탁의 및 병원연계하기)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5. 질환별 간호 제공하기

1) 호흡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만성폐색성 폐질환, 폐렴, 폐암)

Table 8. (continued)

- 57 -

KABONE This study

2) 심혈관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소화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4) 근골격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5)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6) 내분비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갑상선질환, 당뇨병)

7) 신경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8) 정신질환 노인 간호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9) 감각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10) 피부계질환노인 간호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사정하기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사정하기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

2. 심폐소생술 시행

1) 기본심폐소생술 시해하기

2) 전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3) 심폐소생술 후 유지간호하기

2.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기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2) 상황별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저혈당 쇼크, 의식저하)

3)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

3.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상황별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쇼크, 의식저하)

4. 응급자원 활용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활용하기

3.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2) 기관내 응급상황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

교육

상담

1. 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2) 교육요구 사정하기

3) 교육계획 수립하기

4) 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교육

상담

1. 건강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2) 건강교육요구 사정하기

3) 건강교육계획 수립하기

4)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Table 8. (continued)

- 58 -

KABONE This study

5) 교육시행하기

6) 교육결과 평가하기

5) 건강교육시행하기

6) 건강교육결과 평가하기(사전/사후)

2. 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2) 상담요구 사정하기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 상담실시하기

5) 추후관리하기

2. 건강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2) 건강상담요구 사정하기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 건강상담실시하기

(전화상담, 내관상담, 가족상담 등)

5) 추후관리하기

3. 코칭하기

1) 예방차원 지침 제시하기

2) 대상자, 가족 격려 및 지지하기

3) 자조집단 관리하기

3. 코칭하기

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

2) 대상자 지지하기

3) 자조집단 관리하기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인구집단 확인하기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4. 건강증진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질병관리용 건강증진/기능강화용

건강증진)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5.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하기

1) 호흡기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COPD, 폐렴, 폐암)

2) 심혈관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근골격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4) 비뇨생식기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5) 내분비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6) 신경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7) 정신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8) 감각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Table 8. (continued)

- 59 -

KABONE This study

9) 치과계질환노인 자가관리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환경

자원

관리

1. 기획하기

1) 사업조직 설계하기

2) 예산수립하기

3) 사업활동 계획하기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프로그램 기획하기

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

2) 예산수립하기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 정리하기

2) 표준양식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3) 문서보안 관리하기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관리하기(프로그램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3) 문서보안 관리하기

3. 인력 관리하기

1) 인적자원 조성 및 관리하기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조성하기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3. 인력 관리하기

1) 팀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모집 및

관리하기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

조성하기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개발하기

4. 물품 관리하기

1) 시설 및 물품 관리하기

2) 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4. 의료 물품 관리하기

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

5. 재정 관리하기

1) 재무관리하기

2) 수가관리하기

5.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2) 안전대책 수립하기

3) 복지관직원대상 응급상황 대처법

교육하기

6.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2) 안전대책 수립하기

6. 감염관리하기

1) 감염관리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 전염성 질환 관리하기

4)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7. 감염관리하기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 전염성질환 관리하기

발전

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2) 표준진료지침 개발하기

발전

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Table 8. (continued)

- 60 -

KABONE This study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2) 치료적 의사결정에 노인과 가족

참여시키기

3)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4)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2)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3)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5.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5. 보건의료인력교육 및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3) 계속교육을 통한 전문성향상시키기

4) 다학제간연구 및 교육활동참여하기

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조정

협동

1. 사례관리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 사례관리 수행하기

5) 사례관리 평가하기

조정

협동

1. 사례관리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 사례관리 수행하기

5) 사례관리 평가하기

6) 사례회의하기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이나 가족의 자문에 응하기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4)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기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3. 자문의뢰하기 및 대상자 의뢰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의뢰하기

3. 유관기관 및 전문가 자문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의뢰하기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2) 노인대상자와 가족과 협동하기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Table 8. (continued)

- 61 -

KABONE This study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2) 연구수행하기

3) 공동연구 참여하기

4) 연구결과 발표하기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2) 연구수행하기

3) 공동연구 참여하기

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 62 -

5.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역할비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

를 기준으로 연구과정 중 보건소로 이직한 1명을 제외한 노인복지관 노

인간호실무경력자 9명에게 현재 노인복지관의 일반간호사로서 각 역할

중요도 정도와 노인전문간호사가 근무할 때의 각 역할 중요도를 평가하

도록 한 후 비교하였다(부록 8).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항목만 제시하면 Table 9과 같다.

임무Ⅰ 자료수집에서는 ‘Ⅰ-2-3)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의

평균순위가 동일하고 이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Ⅰ-3-3)정

신건강평가하기’, ‘Ⅰ-3-4)사회환경적평가하기’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

할에 대한 기대순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임무Ⅱ 임상의사결정에서는 ‘Ⅱ-2 간호진단내리기’의 일의 요소에서

평균순위가 동일하고 이를 제외한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Ⅱ-4-3)대

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Ⅱ-4-4)최

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에서 노인전문간

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순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임무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에서는 ‘Ⅲ-2-3)인지기능 증진하기’,

‘Ⅲ-2-4)낙상예방하기’, ‘Ⅲ-3-1)건강수첩배부하기’, ‘Ⅲ-3-2)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Ⅲ-3-3)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는 오히려

간호사의 업무수행 평균순위가 더 높았으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는 않았다.

- 63 -

임무Ⅳ 응급상황관리에서는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수준과 간

호사의 역할수행 정도가 비슷하거나 평균순위가 약간 높은 수준이나 유

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임무Ⅴ 교육 및 상담에서는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

한 역할기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Ⅴ-5-10)피부

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

대순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임무Ⅵ 환경 및 자원관리에서는 ‘Ⅵ-1연중프로그램 기획하기’의 일의

요소에서 평균순위가 동일하고, ‘Ⅵ-4-1)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는

오히려 간호사의 업무수행 평균순위가 더 높았으나, 모든 항목에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임무Ⅶ 전문직 발전참여에서는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Ⅶ-1-1)노

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Ⅶ-3-1)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

기’, ‘Ⅶ-5-1)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Ⅶ-5-2)노인복지관 실습강

사역할하기’, ‘Ⅶ-6-4)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Ⅶ-6-5)학

회 및 연수참여하기’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순위가 유

의하게 높았다.

임무Ⅷ 조정 및 협동에서는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

한 역할기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Ⅷ-2-4)노인

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제공하기’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순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임무Ⅸ 연구에서는 모든 일의 요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역할기

대가 현재 간호사의 업무수행보다 높았다. 특히 ‘Ⅸ-1-1)간호이론 적용

- 64 -

하기’, ‘Ⅸ-1-2)노화이론 적용하기’, ‘Ⅸ-2-3)공동연구 참여하기’, ‘Ⅸ-2-

4)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순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 65 -

Table

9. Sig

nific

antly D

iffe

rence o

f T

ask E

lem

ents

Im

port

ance R

ate

d w

hen A

ssu

min

g G

NP o

r RN

Role

by

Fie

ld P

ractitioner

(N=9)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Ⅰ 자

수집

3.

노인

포괄

평가

(CG

A)

시행

하기

3)

정신

건강

평가

하기

4)

사회

환경

적평

가하

12.0

0

11.9

4

108.0

0

107.5

0

7.0

0

7.0

6

63.0

0

63.5

0

18.0

0

18.5

0

.022*

.029*

임상

의사

결정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3)

대상

자,

가족

, 주

돌봄

자,

건강

관리

제공

자와

함께

목표

수립

하기

4)

최신

노인

전문

간호

및 지

역사

회간

호를

바탕

으로

계획

하기

11.8

3

11.8

3

106.5

0

106.5

0

7.1

7

7.1

7

64.5

0

64.5

0

19.5

0

19.5

0

.041*

.041*

Ⅴ 교

육 및

상담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0)

피부

계 질

환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욕창

, 피

부염

, 대

상포

진)

12.0

6

108.5

0

6.9

4

62.5

0

17.5

0

.030*

Ⅶ 전

문직

발전

참여

1.

실무

표준

개발

하기

1)

노인

간호

표준

업무

지침

개발

하기

11.8

3

106.5

0

7.1

7

64.5

0

19.5

0

.039*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12.0

6

108.5

0

6.9

4

62.5

0

17.5

0

.015*

5.

보건

의료

인력

교육

코칭

하기

1)

프리

셉터

, 멘

토 역

할 수

행하

2)

노인

복지

관 실

습강

사역

할하

12.6

7

11.8

3

114.0

0

106.5

0

6.3

3

7.1

7

57.0

0

64.5

0

12.0

0

19.5

0

.005**

.041*

6.

자기

계발

및 전

문성

향상

시키

4)

다학

제간

연구

및 교

육활

동 참

여하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12.3

3

11.8

3

111.0

0

106.5

0

6.6

7

7.1

7

60.0

0

64.5

0

15.0

0

19.5

0

.014*

.039*

Ⅷ 조

정 및

협동

2.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련 자

제공

하기

12.2

2

110.0

0

6.7

8

61.0

0

16.0

0

.017*

Ⅸ.

연구

1.

이론

을 실

무에

활용

하기

1)

간호

이론

적용

하기

2)

노화

이론

적용

하기

12.3

3

12.4

4

111.0

0

112.0

0

6.6

7

6.5

6

60.0

0

59.0

0

15.0

0

14.0

0

.010*

.007**

2.

연구

수행

하기

및 연

참여

하기

3)

공동

연구

참여

하기

4)

연구

결과

발표

및 학

회참

11.8

3

12.1

7

106.5

0

109.5

0

7.1

7

6.8

3

64.5

0

61.5

0

19.5

0

16.5

0

.039*

.020*

*: p<.0

5, **:

p<.0

1

- 66 -

Ⅴ. 논의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건강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1. 델파이 기법을 통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

국내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Clark(1999)의 지

역사회 간호사 역할에 근거하여 대상자 중심의 역할, 전달체계 중심역할,

인구중심 역할로 제시하거나(이미진, 2005) 한국간호평가원의 직무분류

를 근거로 전문가적 간호실무제공, 교육 및 상담, 연구, 리더십, 자문 및

협동의 5개 임무로 분류하였고(김금순 et al., 2008), 미국간호협회

(2001), 미국보건복지부(2002), 미국간호대학협회(2004)에서 제시한 노

인전문간호사의 직무분류를 근거로 추가하여 사정, 진단, 계획 및 수행,

평가, 교육, 자문 및 협동, 리더십, 연구, 자원 활용 및 관리의 9개 임무

로 분류하였다(임경민 & 서지민. 2014). 이에 본 연구는 제1차 델파이

조사연구 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량을 한국간호평가원에서 2006년에 제

시한 직무기술서를 사용하였다. 이에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특성과 요

구에 적합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에 대한 406개의 의견이 도출

되었고, 문헌고찰 내용과 제 2차 3차의 델파이 조사과정을 통해 내용타

당도 검증을 통한 최종 9개의 임무(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응급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

- 67 -

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에 따른 38개의 일, 137개의 일의

요소로 구성된 직무로 개발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CVR값을 측

정하여 Lawshe(1975)가 제시한 내용타당도 비율에 따라 0.49이상의 일

의 요소를 채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에 있어 CVI값으로 기준을 정하

여 0.8~1.0의 항목을 채택하는 연구(이미진, 2005; 임경민 & 서지민,

2014)들이 있으나 델파이 연구기법을 이용한 연구(Lawsh, 1975; 이건

남, 2008; 이영순, 2012; 이종성, 2001)들에서는 CVR값으로 델파이 전

문가 패널의 수에 따른 명확한 기준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도 내용타당

도 비율(CVR)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델파이 기법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

가는 방법으로서 대표성을 띤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

다(이건남, 2008; 이종성, 2001).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하

여 노인복지관과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가진 노인전문간

호사교육자 7인과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경력자 10인을 포함하였고,

Ludwig(1997)이 제안한 15~20명 사이인 17명으로 그 수도 적절하였으

며 자발적 참여로 인한 참여의 성실성이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 68 -

2.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임무, 일, 일의 요소

3차에 걸친 조사결과 최종 9개의 임무(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건강

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응급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에 따른 38개의 일, 137개의 일의

요소로 구성된 직무로 개발하였다. 9개의 임무 중 수정 및 보완, 삭제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한국간호평가원 직무지침서의 임무 Ⅲ 치료적 중재는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임상검사 및

퇴원계획 등은 일과 일의 요소는 삭제되었는데 이는 노인복지관은 여가

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로 의료행위가 시행될 수 없는 곳이므로 의

료행위에 가까운 역할들은 제외된 것으로 이해된다. 현재상황은 촉탁의

가 있어도 물리치료 처방위주로 활동하고 있어 예방접종 및 검사, 약물

투여 등의 간단한 의료행위도 어려운 제한적인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여

겨진다. 반면, 임무 중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교육과 상담과 관련

된 일의 요소는 세분화 및 추가되었다. 이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

인들이 비교적 건강하고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들이 많아 노인전문간호사

의 역할의 핵심은 교육과 상담을 통한 만성질환 자가관리를 증진하여 건

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노

인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전문간호사의 활동(Kern, 1990)과 비슷하

며, 지역사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로 교육자와 상담자의 역할이

타당도가 높게 나온 연구(이미진, 2005)와도 일치한다.

- 69 -

3.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임무의 비중

임무의 비중을 평가한 결과 가장 업무의 비중이 높은 것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 및 상담의 비중이 높았다. 한편

가장 비중이 낮은 임무는 연구였다. 이는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에

게는 대상자가 병원 및 요양원과는 달리 지역사회의 대부분 건강상태가

좋고, 일상활동에 지장이 없는 노인이 이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상자

를 바라보는 관점과 간호의 목표부터 달리 임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말해

준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 분석을 한 연구(임경

민 & 서지민, 2014)와 노인요양시설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한

연구(김금순 et al., 2008)에서는 전문가적 간호실무제공이, 지역사회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기대를 살펴본 연구(이미진, 2005)에서는 일차적

간호제공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임무로 나타난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

타난 것이다. 또한 교육과 상담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역할은 노

인전문간호사 교육과정에서 일반간호사가 할 수 있는 임상실무능력 보다

훨씬 전문화된 역량을 갖도록 전문직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 및 상

담기술을 강화해야 함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

사는 체계적으로 건강관심과 건강책임을 증진시키도록 건강상담을 강화

하면서, 건강증진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체계

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70 -

4.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일의 요소의 중요도

각 임무 별 일과 일의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 임무Ⅰ 자료

수집의 일의 요소 중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건강행위 조사하기와

정신건강평가하기’이었으며,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사회 환경적평가하

기’이었다. 한편 타당도가 낮게 합의와 수렴이 이뤄져 삭제된 항목은 ‘인

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에게 있어 초기사

정 시 건강행위 조사하기와 정신건강평가하기가 건강관리 계획 수립할

때 매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기 때문이며,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의

경우는 노인복지관 등록 시 사회복지사가 하는 업무이므로 노인전문간호

사의 역할로 전환할 필요성이 없었음으로 해석된다.

임무Ⅱ 임상의사결정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건강위험

군 선별하기’이었으며,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이었다. 한편 타당도가 낮게 합의와 수렴이 이뤄져

삭제된 항목은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이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의사 결정시 건강위험군을 잘 선별하여 대상자를 구분하여야 임상의

사결정을 잘 할 수 있기 때문이며 평가할 때에 윤리적 고려여부까지 평

가하기는 중요하지만 실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나타낸다. 병

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 의 경우는 현재 여가시설인 노인복지

관에서 불가능한 업무로써 모든 전문가패널이 역할로 부적절하다고 지적

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임경춘, 2005)에는 지역의료기관과 network

가 잘 되어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가 임상결과를 확인하고 해석

하여 대상자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및 교육, 상담을 하는 연계자(Hub) 및

일차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급 실무를 하고 있어 추후 발전적인

- 71 -

방향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

임무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신체활동증진하기’,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혈

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이었으며, 낮은

일의 요소는 ‘사회활동 강화하기’,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이었

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노인 건강관련 중재의 특성을 잘 반영해 준다

고 생각하며, 노인일자리 사업 및 노인인력을 활용하는 방안을 잘 모색

할 필요가 있다.

임무Ⅳ 응급상황관리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상황별 응급상

태사정하기’, ‘상황별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이었으며, 낮은 일의 요소는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이었다. 이러한 결

과는 응급상황 시 가장 중요한 역할은 빠른 사정과 시술하는 것이며 비

교적 응급지원시스템 구축이 잘 되어 있어 자원파악이나 활용면에서 역

할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임무Ⅴ 교육 및 상담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건강교육프로그

램 및 자료개발하기’, ‘건강교육시행하기’이었으며, 낮은 일의 요소는 ‘감

각계,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이었다. 한편타당도가 낮게 합

의와 수렴이 이뤄져 삭제된 항목은 ‘소화기계, 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

리 증진하기’이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복지관의 건강서비스의 실태조사

(김선호, 2005)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건강교육과 상담이 복지관의 주

요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외부인력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인력으로 전문적 지식을 함양한 노인전문간호사의 활용이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에 포함되었던 소화

기계와 피부계질환의 급성단계의 노인들은 문제발생시 복지관 보다는 병

- 72 -

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역할은 삭제로 응답한 것으로 생각된다.

임무Ⅵ 환경 및 자원관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이었다. 한편, 타당도가 낮게 합의와 수렴이 이뤄져

삭제된 항목은 ‘비용효율화 도모하기’, ‘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하기’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것이 노인전문간호사로서

환경자원관리 시 중요한 행정적 업무임을 시사하며, 비용효율의 역할은

시설장의 역할로 생각하고 있으며, 예방접종 홍보 빛 정보제공의 경우는

감염관리의 중요한 일의 요소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의견이 반영되어 추

가되었으나 2차 조사시 비의료기관으로 타당도가 떨어져 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으로 수정되었으나 결국 전문가들에게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

하고 삭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무현장에 있는 간호사들이 패널에 다

수 포함되어 있어 이들은 예방접종에 대한 책임문제로 비의료기관인만큼

실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이미진(2005)

의 연구에서도 예방접종하기는 타당도가 낮아 삭제된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Kern(1990)은 미국의 경우 처방권이 있어 노인의 건강관리에 있

어 예방접종하기가 중요한 역할로 여기고 있고, 노인요양시설(김금순 et,

al., 2008)이나 병원(임경민 & 서지민, 2014)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에서는 포함되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예방접종의 경우는 병원이나 보건

소에서 실시하는 현 상황이지만 홍보 및 정보제공의 역할은 노인복지관

에서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역할이 노인전문간호사에게 기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무Ⅶ 전문직 발전참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이었고, 중요도가 낮은 일의 요소는 ‘노

- 73 -

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이었다. 이는 노

인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을 한 연구(임경민 & 서지민, 2014)에서 리더

십에 해당하는 일의 요소로 노인전문간호사는 변화촉진자로 계속적으로

전문성을 향상시켜 실무표준을 개발하고(이경자 et, al,. 2004), 간호의

질을 높이며 정책개발 및 수행에서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합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임무Ⅷ 조정 및 협동에서 중요도가 높은 일의 요소는 ‘사례관리 대상

자 사정, 계획, 수행하기, 사례회의하기’와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이었다. 이는 노인전문간호사는 사례관리나

실무에 있어 유관기관 및 다른 건강관리자와 협조해야 함(임경춘, 2005)

을 반영하는 것이다.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이었다. 한편 타당도가 낮고 합의와 수렴이 이뤄지지 않아 삭제된 항목

은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제공하기’이다. 자문제공하

기가 중요도가 낮고 삭제된 것은 노인복지관 간호사들이 패널에 많이 포

함되어 있어 자문제공하기가 일반적으로 하는 업무가 아니라고 생각된

이유로 생각된다.

임무Ⅸ 연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일의 요소는 ‘연구결과 프로그램

반영하기’이었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일의 요소는 ‘연구계획하기’었다.

그러므로 패널들은 석사학위가 있는 노인전문간호사들이 실제 연구계획

을 하기보다는 연구결과를 프로그램에 잘 반영하여 임상실무와 교육, 연

구의 차이를 줄이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 74 -

5. 일반간호사와는 차별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를 중심으로 현직 노

인복지관의 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가

근무할 때의 각 역할 중요도와 일반간호사로서 각 역할 중요도를 평가하

도록 한 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일반간호사와는 달

리 기대하는 일의 요소는 16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전문간호

사의 역할이 일반간호사의 역할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기 쉬우나

이러한 차이가 연구도구 상의 문제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종양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의 업무수행 비교를 한 연구(홍정희, 2004)

에서도 업무수행 빈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나 연구도구상의 문

제로 여겨 같은 종류의 역할이라도 전문간호사가 수행했을 때의 깊이와

복잡성을 반영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실제로 노

인복지관의 주요 업무로써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와 응급상황관리,

건강교육 및 상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

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건강한 노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인복지관

이라는 상황을 고려할 때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는 간호사들의 업무

로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노인복지관에서 응급상

황은 발생빈도가 높지 않고, 발생시 주로 빠른 병원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종합병원과 노인전문병원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분석을 한 연구(임경민 & 서지민, 2014)에서는

노인 질환이 만성질환의 특성이 높기 때문에 간호사들이 만성건강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응급상황 관리는 의사의 직무로 인식하고 있어 수행빈

도와 적절성이 낮게 나왔다. 그리고 건강 교육 및 상담은 노인복지관에

- 75 -

서 주로 하는 건강서비스(김선호, 2005)로써 잘 수행하고 있어 역할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지는 않으나 만성질환관리프로그램은 현재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모두 외부인력으로 연계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전문강사의 확

보가 쉽지 않고 간호사들은 전문적인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므로 시

행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노인전문간호사가 활동하는 경우 역량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16개의 역할을 살펴보면 노인복지관

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정신건강평가 및 사회환경적 평가는 사회복지

사의 업무로 인식하여 실제로 잘 수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인포괄평

가(CGA)의 일의 요소인 정신건강평가 및 사회환경적 평가에 있어서 평

가 방법이나 기준에 대한 교육받지 못해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갖춘 노인

전문간호사에게 기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은 복지

관 이용노인의 건강서비스요구조사(은영 et al., 2001)에서도 정신건강과

관련된 치매, 기억력, 정신능력유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던 것으로 볼

때 전문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노인전문간호사에게 더욱 기대되는 역할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간호사들은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한 체 표

준 업무지침도 없어 간호사의 개인적인 역량에 따라 복지관 마다 상이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간호사들끼리 소통하거나 모니터링을 하는

노인복지관 간호사들끼리의 모임이나 보수교육 조차 없다. 따라서 노인

전문간호사에게는 표준업무지침 개발, 질관리, 정책개발 참여 및 보건의

료인력의 교육등의 전문성이 향상된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연구는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로 적절하지만 현재 노인복지관에

서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로써는 수행빈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

라서 이러한 영역은 전문간호사의 고유영역으로 선행연구(김금순 et al.,

- 76 -

2008; 이미진, 2005; 임경민 & 서지민, 2014; 홍정희, 2002)에서도 나

타난 내용이며 노인전문간호사 교육 시 이러한 내용을 더욱 강화하고 역

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한다. 한편 임상의사결정의 ‘대상자, 가족, 주

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

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조정 및 협동의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제공하기’,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의 역할은

간호사들은 개인별 간호중재를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

들이 많아 간호사 1인으로써는 개인적 중재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임

상의사결정의 역할이 어려우며, 사회복지사가 사례관리를 하고 있어 이

러한 역할 수행정도가 낮았으나 노인전문간호사는 사례관리 및 행정에

관하여 자문 및 협조체계 구축을 통하여 이러한 실무를 더 잘 수행할 것

이라는 기대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간호사와의 역할 차

이는 본 연구에서는 패널에 참여한 간호사 9명의 자료만 분석하여 대표

성에 제한이 있다.

6. 간호학적 의의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세부 직무에 해당하는 일

과 일의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할을 개발하는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비교적 건강한 노인이 이용하는 노인복지관 특성에

맞춰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교육 및 상담 중심으로 개발된 최종 노인복

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내용대로 업무가 수행된다면 노인복지관의

건강서비스가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

- 77 -

거한 적절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인전문간호사의 교과과정에 현재

노인전문간호사 실습기관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는 노인복지관을 실습지

로 포함시켜야 하며, 교육 및 상담, 자문 및 협동, 연구분야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전문간호사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은 국가적 차원에

서 노인건강관리의 체계에서 의료기관, 지역사회 건강체계, 지역사회 건

강시설 중에서도 보건소, 노인요양원, 노인복지관, 노인주간보호소 등 많

은 노인 건강관련 기관들에 대한 큰 틀에서의 역할규정이 확실해진다면

더욱 명확해지고 효율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7.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간호업무는 현재 간호사의 업무를 포함하여 관리

자의 역할까지 그 역할의 범위가 넓어 1인의 업무일 경우 업무부담이

과중할 우려가 있으나 업무량의 과다에 대한 내용은 본 연구에서 다루기

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패널 중에 노인전문간호사인 노인간호실무경

력자는 1명에 불과하여 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현장실무자의 이해가

충분하지 않았을 수가 있다. 그리고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활동할 때 순회이거나 상주하는 운영방법에 따라 역할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78 -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한국간호평가원에서 개발된 노인전문간호사 직

무지침을 기본으로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 7인(간호대학 교수 6인, 노인

병의사1인),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10인 총 17명을 델파이조

사 패널로 하여 3차례의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제시한 노인전문간호사 직무지침에 포함된 9개

의 임무 중 치료적 중재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로 변화되었

다. 본 연구결과 9개의 임무(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응급상황 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

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에 따른 38개의 일, 137개의 일

의 요소로 구성된 직무를 규명하였다.

2. 업무의 비중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의 비중이 25%로 가장 높았으

며, 교육 및 상담(18.53%)이 다음 순위였고, 연구는 가장 비중이

낮았다(5.50%).

3.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 일의 요소 중 패널들이 일치되게 중요

하다고 한 것은 자료수집 시 건강행위와 정신건강평가를 통하여 임

상의사 결정을 위한 건강위험군 선별이 중요하며, 건강증진 및 질

병예방을 위해서는 신체활동증진하고 노쇠 위험성 진단하여 건강위

험인자를 관리하고,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 및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 등의 역할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급상황 관리 시

- 79 -

에는 상황별 응급상태사정을 통한 응급처치 및 시술하는 것이 중요

하며,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하여 건강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환경 및 자원관리 임무에는 연간 프로그램 계획

하는 것이 중요하며,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사례

관리 시 조정 및 협동을 하는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연구영역의 일의 요소로 연구 결과를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역할

이 요구되나 중요도는 낮게 나타났다.

4. 노인복지관 일반간호사가 기대하는 노인전문간호사에게 차별화되는

일의 요소는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정신건강 및 사회환경적 평가

와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간호중재를 계

획하는 것이었다. 또한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및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 등의 상급실무에 대한 기대도 나타났다. 또한 프리셉

터 및 멘토, 노인복지관 실습강사로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학회 및 연수참여를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역할도 요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복지관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은 교육과 상담을

통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17명의 델파이 패널 중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

중 노인전문간호사는 1명만 포함되어 현장 업무 이해가 높은 노인

전문간호사의 참여가 부족하였다. 현재 노인전문간호사로서 노인복

지관 근무자가 적으나 추후 연구에서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노인

전문간호사를 패널로 확보하여 연구를 한다면 연구결과의 타당도가

- 80 -

높아질 것이다.

2. 각 일의 요소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빈도를 정확히 측정하

여 노인전문간호사의 업무 특성을 좀 더 명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가 이 개발된 직무 지침서를 근거하

여 역할을 직접수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 노인복지관에 노인전문간호사 인력을 포함하는 것이 법제화되도록

간호계의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81 -

참고문헌

강창현. (2002). 지역복지공급거버넌스연구. 한국행정학보, 36(2), 313-

332.

김금순, 박연환, & 임난영. (2008). DACUM 기법을 이용한 노인 전문 간

호사의 직무 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

한간호학회지, 38(6), 853-865.

김선호. (2005). 노인복지회관의 건강서비스 실태조사. (국내석사학위논

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박영애. (2007).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Development of

Job Standards for Neonatal Nurse Practitioner in Korea]. 임상

간호연구, 13(1), 127-141.

박혜자. (2007). 일 복지관 이용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노인복지서

비스 요구 조사.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Elders Utilizing a Welfare Center]. 한국농촌

간호학회지, 2(1), 24-32.

보건복지부a. (2008). 보건인력의 수급 및 정책추진방향(전문간호사제도

를 중심으로).

보건복지부b. (2014). 노인보건복지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c. (2013). 노인복지시설 현황.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송미순. (1990). 미국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한국 간호에의 적용. 대

한간호 = The Korean nurse, 29(4), 32-37.

- 82 -

신성례, & 오복자. (2003). 노인복지시설과 일반병원중심의 노인전문간

호사 수요추계연구. [A Study on the Projected Need for

Geriatric APNs]. 노인간호학회지, 5(2), 218-227.

은영, 구미옥, 김은심, & 강영실. (2001). 복지관과 경로당 노인의 건강

상태 및 건강서비스 요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Health

State and Need of Health-related Service between Elderly

Attend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and Elderly Attending

the Senior Citizens' Club]. 노인간호학회지, 3(1), 7-21.

이건남. (2008). 고등학생의 대학전공선택 프로그램 모형 개발. (국내박

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경자, 공은숙,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김희경, . . . 최경숙. (2004). 노

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Roles and Functions of the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노인간호학회지, 6(1),

125-133.

이미진. (2005). 지역사회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 역할기대. (국내석사학

위논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서울.

이승희. (2012).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재가간호 서비스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천.

이영순. (2012). 델파이 기법에 기반한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 규명.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은주. (2002). 노인복지관 의료서비스에 대한 노인들의 이용 만족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서울.

이종성. (2001). 델파이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이환범, 이수창, & 임중한. (2005). 일반논문 : 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시

- 83 -

설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rticles : A Study

on Improvement of Senior Welfare in Local Government:

Based on User Satisfaction for Leisure Facilities, Programs,

and Services, 39(3), 137-159.

임경민, & 서지민. (2014).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 분석. 글로벌 건강과

간호, 4(1), 37-47.

임경춘. (2005). 노인 전문 간호사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Perspectives for the Role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노인간호학회지, 7(2), 213-220.

장윤경. (2004). 사회복지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

관 간호사의 역할.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정경희, 변재관, 오형희, & 이윤경. (1999). 노인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실태 조사 분석 연구. (보건 사회연구원).

조현, & 서화숙, (2004). 노인종합복지관 이용자들의 욕구와 복지관 프

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한국노년학회지, 13, 113-130

통계청. (2012). 고령자 통계.

한국간호평가원a. (2008). 전문간호사 근무현황 조사.

한국간호평가원b. (2013). 전문간호사 사업실적 및 역할.

한국간호평가원c. (2014). 2013 APN Annual Report.

홍정희. (2004). 국내 종양전문간호사의 역할분석 및 일반간호사 역할과

의 비교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Caffrey, R. A. (2005). The Independent Nurse Role in Community

Care Gerontological Nursing: Special Series-Part 2. Journal of

- 84 -

Gerontological Nursing, 31(7), 4.

Campbell, J., & Aday, R. H. (2001). Benefits of a nurse-managed

wellness program. A senior center model. Using community-

based sites for older adult intervention and self-care

activities may promote an ability to maintain an independent

lifestyl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3), 34-43.

Clark, M. J. D. (1996). Nursing in the community: Appleton & Lange

Stamford, CT.

Dalkey, N. C., & Rourke, D. L. (1971). Experimental assessment of

Delphi procedures with group value judgments: Rand.

Delbecq, A. L., Van de Ven, A. H., & Gustafson, D. H. (197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 group

and Delphi processes: Scott, Foresman Glenview, IL.

Fitzpatrick, T. R., Gitelson, R. J., Andereck, K. L., & Sue Mesbur, E.

(2005). Social support factors and health among a senior

center population in southern Ontario, Canada. Social work in

health care, 40(3), 15-37.

Galarneau, L. D., Campton, T. K., Hart, B. D., Jodoin, A. M. (2005).

Gerontological nursing roles within the Southern Regional

Geriatric Program. Perspectives, 29, 5-11

Hsu, C.-C., & Sandford, B. A. (2007). The Delphi technique: making

sense of consensu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2(10), 1-8.

Kern, S. (1990). The geriatric nurse practitioner in a multipurpose

- 85 -

senior center. Philadelphia: Lippin cott Co.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Leveille, S. G., Wagner, E. H., Davis, C., Grothaus, L., Wallace, J.,

LoGerfo, M., & Kent, D. (1998). Preventing disability and

managing chronic illness in frail older adults: a randomized

trial of a community-based partnership with primary care. J

Am Geriatr Soc, 46(10), 1191-1198.

Lugwig, B. (1997). Predicting the future: Have you considered using

the Delphi methodology? Journal of Extension, 35(5), 1-4.

McMillan, S. C., Heusinkveld, K. B., & Spray, J. (1995). Advanced

Practice in Oncology Nursing: A role Delineation Study.

Oncology Nursing forum, 22(1), 41-50.

Morilla-Herrera, J. C., Morales-Asencio, J. M., Martín-Santos, F. J.,

Garcia-Mayor, S., Rodríguez-Bouza, M., & González-Posadas,

F. (2013). Effectiveness of advanced practice nursing

interventions in older people: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9(7), 1652-1659. doi: 10.1111/jan.12030

Schoenfelder, D. P. P. R. N., Specht, J. K. P. R. N. F., & Maas, M. L. P.

R. N. F. (2005). The Independent Nurse Role in Community

Care Gerontological Nursing.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4), 4.

Swansburg, R. C., & Swansburg, R. J. (1999). Introductory

- 86 -

Management and Leadership for Nurses (2 ed.). Sudbury,

Massachusetts: Jones and Bartlett

Thompson, P., Lang, L., & Annells, M. (2008).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in-home community nurse led

interventions for the mental health of older perso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1), 1419-1427. doi: 10.1111/j.1365-

2702.2008.02287.

- 87 -

부록 1.

- 88 -

부록 2. 연구참여 동의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에서 성인간호학 노인전문간호사 석사과정을 수료한 고하나입니다. 본 설문은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을 위한 설문입니다.

노인복지관은 건강한 노인과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허약한 노인 등 건강의 요구가 다양화 되어 지고 있

고, 또한 노인들의 교육수준 향상 및 정보화와 전문화 요구에 맞추어 수준 높은 건강서비스 요구가 있어 이

에 대처할 인력으로 노인전문간호사의 활용이 시의적절 하다고 보여집니다. 그러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이와 관련하여 역할 개발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있으신 전문가분

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조사는 1~3차 까지 단계별로 진행될 예정

으로, 1차는 전문가들의 주관적인 의견을 묻는 개방형 설문지로 작성할 계획이며, 2차와 3차는 폐쇄형 설문

지로 전회차에서 도출한 항목들에 대해 적절성을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을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입니다.

작성하신 설문지는 본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참여도중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중단

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은 거의 없으며, 1차조사 자료에 포함된 여러

분의 연락처와 개인 정보는 연구 책임자 1인만 알 수 있도록 처리하여 잠금 장치가 있는 곳에 보관하고, 2차

3차 연구시에는 익명성이 보장됩니다. 또한 연구논문이 인쇄자료로 발표된 후에는 분쇄 폐기 처리될 것입니

다.

따라서 귀하의 성의 있는 응답은 본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오며, 본 설문에는 정답이나 바람직한 응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평소에 느끼시던 바를 가감없이 응답해 주시면 됩니다.

다시 한번 바쁘신 가운데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설문지 작성에 적극 협조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2014년 1월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대상자 보호 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성인간호학

석사과정: 고하나

지도교수: 송미순

“본인은 이 연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들었으며,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합니다. 본인은 18세 이상

이며,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은 본 연구에 참여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소정의 선물을 받았음을 확인합니다.”

성명(서명): 날짜: 년 월 일

전화번호: E-mail:

연구책임자: 고 하 나

연락처: 010-9198-1326

- 89 -

부록 3.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관한 전문가 조사

Delphi 1차 조사

노인인구 중 대다수는 지역사회에 거주함에 따라 1980년 중반부터 정부도 노인에 대한

시설보호 중심에서 가정에 있는 노인에 대한 보호와 지원으로 복지정책을 전환할 필요성

을 인식하고(보건복지부a, 2013) 이에 대한 지역복지사업을 전개하여 왔으나 고령자의

49.4%는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여 건강문제가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2011년에도 고령자의 94.9%가 복지서비스를 받기 원하고 특히 건강검진(33.3%)

서비스를 받기 원하는 것(통계청, 2012)으로 보아 아직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 생각됩니

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복지관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비

용효과적으로 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시설로서 이를 활용한 건

강서비스 제공은 노인의료비를 감소시키고 건강증진효과를 가져오는 매우 적합한 시설이

라 할 수 있겠습니다.

노인복지관은 건강한 노인과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 허약한 노인 등 건강의 요구가 다

양화 되어 지고 있고, 또한 노인들의 교육수준 향상 및 정보화와 전문화 요구에 맞추어

수준 높은 건강서비스 요구가 있어 이에 대처할 인력으로 노인전문간호사의 활용이 시의

적절 하다고 보여집니다. 그러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

은 상태이며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에도 병원에서의 업무가 대부분이어서 노인복지

관의 상황과 맞지 않아 이와 관련하여 역할 개발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있으신 전문가분

들께서,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가 수행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역할에 대해 평소

에 가지고 계신 의견을 솔직하게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4년 1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성인간호학

석사과정: 고하나

지도교수: 송미순

본 조사에 대한 문의 및 의문사항은 다음으로 연락주십시오.

E-mail: [email protected]

FAX: (02)764-8457

전화: 010-9198-1326

- 90 -

한국간호 평가원에서 제시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는 아래의

<표1>과 같이 9개의 임무(Duty)와 42개의 일(Task), 160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무 일 일의 요소

자료수집 4 14

임상의사결정 5 30

치료적 중재 5 36

응급상황관리 4 6

교육 및 상담 4 17

환경 및 자원관리 7 19

전문직 발전 참여 6 16

조정 및 협동 4 14

연구 3 8

9 42 160

I. 임무(Duty)에 대한 의견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관한 9개 임무(Duty: 자료수집,

임상의사결정, 치료적중재, 응급상황관리, 교육 및 상담, 환경 및 자원관리,

전문직 발전참여, 조정 및 협동, 연구) 설정의 적절성, 부분 명칭의 적절성,

부분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통합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기재하여 주십시

오.

- 91 -

II. 일(Task)에 대한 의견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에 관한 42개의 일(Task)의 설정의

적절성, 일 명칭의 적절성, 일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통합 필요성 등의 의견

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임무(Duty) 일(Task) 일(Task)의 검토의견

Ⅰ. 자료수집 1. 건강력 수집하기

2. 대상자의 상태변화 지속적 감시하기

3. 신체검진하기

4. 정신, 사회, 영적 건강사정하기

Ⅱ. 임상

의사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2. 간호진단내리기

3. 감별진단하기

4. 치료 및 간호중재 계획하기

5. 치료 및 간호 수행 평가하기

Ⅲ. 치료적

중재

1. 진단적 검사 시행 및 관련 간호하기

2. 약물요법 적용하기

3. 치료적 처치, 시술하기

4. 특수간호 제공하기

5. 질환별 간호 제공하기

Ⅳ. 응급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하기

2. 심폐소생술 시행

3.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 응급자원 활용하기

Ⅴ. 교육 및

상담

1. 교육하기

2. 상담하기

3. 코칭하기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Ⅵ. 환경 및

자원관리

1. 기획하기

2. 정보 관리하기

3. 인력 관리하기

4. 물품 관리하기

5. 재정 관리하기

6.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7. 감염관리하기

- 92 -

임무(Duty) 일(Task) 일(Task)의 검토의견

Ⅶ. 전문직

발전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5.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코칭하기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Ⅷ. 조정 및

협동

1. 사례관리하기

2. 자문 제공하기

3. 자문 의뢰하기 및 대상자 의뢰하기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 93 -

Ⅲ. 일의 요소(Task element)에 대한 의견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일의 요소(Task element)에 대한 설정의

적절성, 일의 요소 명칭의 적절성, 일의 요소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 통합의

필요성 등의 의견을 기재하여 주십시오.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Ⅰ. 자료수집 1. 건강력

수집하기

1)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2)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3) 복용약물 조사하기

4) 건강행위 조사하기

2. 대상자의

상태변화

지속적

감시하기

1) 관찰하기

2) 모니터링하기

3. 신체검진하기 1) 노인건강사정 도구 적용하기

2) 신체상태사정하기

4. 정신, 사회,

영적

건강사정하기

1) 정신사회상태 조사하기

2) 인지상태 조사하기

3) 영적상태 조사하기

4)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조사하기

5) 의사소통양상 조사하기

6) 물질남용 조사하기

Ⅱ. 임상

의사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임상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2) 특수진단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3) 문진내용 평가하기

4)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5) 평가내용 기록하기

2. 간호진단내리기 1) 실제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2) 잠재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3. 감별진단하기 1) 주소견 및 유사진단 기술하기

4. 치료 및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 94 -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4) 최신 노인간호 실무 반영하기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6) 효과적 노인간호중재 확인하기

7) 최신 노인전문간호 이론 및 연구

중심으로 구체화하기

8)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포함하기

9) 퇴원계획 포함하기

10) 간호계획 수립 시 대상자와

가족, 주돌봄자, 건광관리제공자

포함여부 평가하기

11) 평가 가능한 목표 진술여부

평가하기

12) 간호계획 수립시 간호 목표와의

연계성 여부 평가하기

13) 자원 활용 여부 평가하기

14) 간호계획 기록 평가하기

15) 계획 재사정하기

5. 치료 및 간호

수행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2) 간호수행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반응 평가하기

3)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4) 간호수행 및 결과 기록 평가하기

5) 가족, 건강관리 제공자와 함께

간호수해 목표달성 여부 평가하기

6) 간호수행 과정의 자율성 유지여부

평가하기

7)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내용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기

Ⅲ. 치료적

중재

1. 진단적 검사

시행 및 관련

간호하기

1) 처방된 검사 시행하기

2) 위임된 검사 시행하기

3) 검사결과 해석 및 협의

4) 검사지도

5) 검사전 후 간호수행하기

2. 약물요법

적용하기

1) 처방된 약물요법 수행하기

2) 위윔된 약물 처방하기

- 95 -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3) 투약된 약물효과 평가하기

4) 투약관련 간호 및 지도

3. 치료적 처치,

시술하기

1) 상급간호 제공하기

2) 위임된 치료 제공하기

3) 독자적 치료제공하기

4) 보완대체요법 적용하기

5) 가족간호 제공하기

6) 심리간호 제공하기

4. 특수간호

제공하기

1) 신대체요법 적용하기

2) 인공호흡기 적용하기

3) 정신요법 제공하기

4) 장기이식 관련 간호하기

5) 상처관리하기

6) 통증관리하기

7) 수술 후 간호하기

8) 재활간호하기

9) 임종간호하기

10) 임종노인 가족 간호하기

11) 사별가족 간호하기

5. 질환별 간호

제공하기

1) 호흡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만성폐색성 폐질환, 폐렴, 폐암)

2) 심혈관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소화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4) 근골격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5)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6) 내분비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갑상선질환, 당뇨병)

7) 신경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8) 정신질환 노인 간호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 96 -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9) 감각계질환 노인 간호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10) 피부계질환노인 간호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Ⅳ. 응급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예,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 사정하기

2. 심폐소생술

시행

1) 기본심폐소생술 시해하기

2) 전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3) 심폐소생술 후 유지간호하기

3.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상황별(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 응급자원

활용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활용하기

Ⅴ. 교육 및

상담

1. 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2) 교육요구 사정하기

3) 교육계획 수립하기

4) 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5) 교육시행하기

6) 교육결과 평가하기

2. 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2) 상담요구 사정하기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 상담실시하기

5) 추후관리하기

3. 코칭하기 1) 예방차원 지침 제시하기

2) 대상자, 가족 격려 및 지지하기

3) 자조집단 관리하기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인구집단

확인하기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Ⅵ. 환경 및

자원관리

1. 기획하기 1) 사업조직 설계하기

2) 예산수립하기

3) 사업활동 계획하기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 정리하기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 97 -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3) 문서보안 관리하기

3. 인력 관리하기 1) 인적자원 조성 및 관리하기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조성하기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4. 물품 관리하기 1) 시설 및 물품 관리하기

2) 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5. 재정 관리하기 1) 재무관리하기

2) 수가관리하기

6.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2) 안전대책 수립하기

7. 감염관리하기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 전염성질환 관리하기

Ⅶ. 전문직

발전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2) 표준진료지침 개발하기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2)치료적 의사결정에 노인과

가족참여시키기

3)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4)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5.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 98 -

임무 일 일의 요소(Task element) 일의 요소 검토의견

Ⅷ. 조정 및

협동

1. 사례관리

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 사례관리 수행하기

5) 사례관리 평가하기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이나 가족의 자문에 응하기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4)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기

3. 자문 의뢰하기

및 대상자

의뢰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

의뢰하기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2) 노인대상자와 가족과 협동하기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2) 연구수행하기

3) 공동연구 참여하기

4) 연구결과 발표하기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 99 -

다음은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1.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만 ( )세

2.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 ② 여

3. 교육 정도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 고등학교 졸업

② 전문대학교 졸업

③ 4년제 대학교 학사과정 졸업

④ 대학원 이상

4. 직위는 무엇입니까? ① 노인병의사

② 노인전문간호사

③ 교수

④ 노인복지관 간호사

⑤ 노인복지관 실무자

5. 선생님의 경력은 얼마나

되십니까?

( )년 ( )개월

6. 소지하고 계신 자격증(면허증)이

있으시면 표시해 주십시오.

① 의사

② 간호사

③ 전문간호사

④ 사회복지사

⑤ 기타 ( )

♣수고하셨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100 -

부록 4.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관한

전문가 조사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성인간호학 노인전문간호사과정 고하나입니다.

바쁘신 가운데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대한 1차 델파이 설문

조사에 소중한 의견을 내어 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보내주신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다시 전문가들의 의

견을 모을 수 있도록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였습니다.

내용 수정은 1차 델파이 전문가 패널 응답자 17명 중 2명이상의 전문가 패널이 공통

적으로 지적한 부분을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였습니다. 2명이상의 패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사항들로는 (1)명칭 수정 및 내용의 부적절, (2)추가되어야 할 사항, (3)삭제 및

통합의 필요성이었습니다. 이러한 수정 사항에 대해 (1)명칭 수정 및 내용 세분화, (2)추

가, (3)삭제 및 통합을 하였습니다. (붙임 1 참조)

이렇게 수정 및 보완한 2차 설문지는 5단계 척도 항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각 항목에 대한 귀하의 의견을 말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요시간은 약20분 정도

소요될 것이며, 주신 의견은 다른 전문가의 의견과 함께 통계적으로 정리되어, 그 결과

와 함께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로 보내드릴 것입니다.

본 설문은 무기명으로 실시되고 익명성이 보장됩니다. 또한 응답하신 설문의 내용은

학술적인 목적 이외에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델파이 연구의 번거로운 응답방식과 여러 차례에 걸친 조사 과정에도 불구하고, 바쁘

신 가운데 귀중한 시간을 내시어, 기꺼이 참여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

립니다.

2014년 2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성인간호학

석사과정: 고하나

지도교수: 송미순

본 조사에 대한 문의 및 의문사항은 다음으로 연락주십시오.

E-mail: [email protected]

FAX: (02)764-8457

전화: 010-9198-1326

- 101 -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9개의 임무(Duty)와 39개의 일(Task), 144개의 일의 요소

(Task elemen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 1. 1차 델파이 자료 통합결과>

임무 일 일의 요소

자료수집 3 12

임상의사결정 5 22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중재 3 14

응급상황관리 4 8

교육 및 상담 5 28

환경 및 자원관리 6 19

전문직 발전 참여 6 16

조정 및 협동 4 17

연구 3 8

9 39 144

자세한 1차 델파이 조사의 결과 분석은 <붙임1>을 참조하시길 바

랍니다.

- 102 -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규명을 위한 2차 설문지

2차 설문지는 1차 델파이설문지를 종합하여 구성한 직무기술서의 평가

입니다. 노인복지관에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로서 각 항목의 중요성을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바에 표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각 항목

에 대한 기타의견은 빈칸에 적어주십시오.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Ⅰ. 자료수집 1. 건강력 조사하기 1)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1 2 3 4 5

2)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1 2 3 4 5

3) 복용약물 조사하기 1 2 3 4 5

4) 건강행위 조사하기 1 2 3 4 5

2. 대상자의 건강상태변화

지속적 관찰하기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1 2 3 4 5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 1 2 3 4 5

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1 2 3 4 5

3. 노인포괄평가(CGA)

시행하기

1) 신체상태사정하기

(신체검진, 영양상태 사정)

1 2 3 4 5

2) 기능상태평가하기

(ADL, IADL)

1 2 3 4 5

3) 정신건강평가하기

(인지기능평가-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

조사)

1 2 3 4 5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평가)

1 2 3 4 5

5) 노인학대 조사하기 1 2 3 4 5

Ⅰ에 대한 추가의견

1-전혀 중요하지 않다(5%이하) 2- 중요하지 않다(6~35%)

3- 다소 중요하다(36~65%) 4- 중요하다(66~95%) 5- 매우 중요하다(96%이상)

- 103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Ⅱ. 임상의사

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

1 2 3 4 5

2)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1 2 3 4 5

3) 평가내용 기록하기 1 2 3 4 5

2. 간호진단내리기 1) 신체적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잠재적)

1 2 3 4 5

2) 기능적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잠재적)

1 2 3 4 5

3. 대상자 구분하기 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1 2 3 4 5

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1 2 3 4 5

4.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1 2 3 4 5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1 2 3 4 5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1 2 3 4 5

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1 2 3 4 5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1 2 3 4 5

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계획하기

1 2 3 4 5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1 2 3 4 5

8) 자원연계 및 활용계획하기 1 2 3 4 5

9) 간호계획 기록하기 1 2 3 4 5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 1 2 3 4 5

5. 간호중재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1 2 3 4 5

2)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1 2 3 4 5

3) 간호중재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1 2 3 4 5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1 2 3 4 5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

보완하기

1 2 3 4 5

Ⅱ에 대한 추가의견

- 104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1. 건강행위 증진하기 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1 2 3 4 5

2) 신체활동증진하기 1 2 3 4 5

3) 스트레스 관리 증진하기 1 2 3 4 5

4) 사회활동 강화하기 1 2 3 4 5

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1)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1 2 3 4 5

2) 건강위험인자 관리

증진하기

1 2 3 4 5

3) 인지기능 증진하기 1 2 3 4 5

4) 낙상예방하기 1 2 3 4 5

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1) 건강수첩배부하기 1 2 3 4 5

2)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1 2 3 4 5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1 2 3 4 5

4) 적절한 약물복용지도 및

모니터링 하기

1 2 3 4 5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 1 2 3 4 5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1 2 3 4 5

Ⅲ에 대한 추가의견

Ⅳ. 응급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예,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 사정하기

1 2 3 4 5

2. 심폐소생술 시행 1) 기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1 2 3 4 5

2)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환자이송하기

1 2 3 4 5

3.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2 3 4 5

2) 필요시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

1 2 3 4 5

4.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1 2 3 4 5

2) 기관 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1 2 3 4 5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

1 2 3 4 5

Ⅳ에 대한 추가의견

- 105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Ⅴ. 교육 및

상담

1. 건강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1 2 3 4 5

2) 건강교육요구 사정하기 1 2 3 4 5

3) 건강교육계획 수립하기 1 2 3 4 5

4)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1 2 3 4 5

5) 건강교육시행하기 1 2 3 4 5

6) 건강교육결과 평가하기

(사전/사후)

1 2 3 4 5

2. 건강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1 2 3 4 5

2) 건강상담요구 사정하기 1 2 3 4 5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1 2 3 4 5

4) 건강상담실시하기

(전화상담, 내관상담,

가족상담 등)

1 2 3 4 5

5) 추후관리하기 1 2 3 4 5

3. 코칭하기 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

1 2 3 4 5

2) 대상자 지지하기 1 2 3 4 5

3) 자조집단 관리하기 1 2 3 4 5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1 2 3 4 5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질병관리용 건강증진/

기능강화용 건강증진)

1 2 3 4 5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1 2 3 4 5

5.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하기

1) 호흡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폐색성폐질환, 폐렴,

폐암)

1 2 3 4 5

- 106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2) 심혈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1 2 3 4 5

3) 소화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1 2 3 4 5

4) 근골격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1 2 3 4 5

5)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1 2 3 4 5

6) 내분비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1 2 3 4 5

7) 신경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1 2 3 4 5

8) 정신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1 2 3 4 5

9) 감각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1 2 3 4 5

10) 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1 2 3 4 5

11)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1 2 3 4 5

Ⅴ에 대한 추가의견

- 107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Ⅵ. 환경 및

자원관리

1. 연중프로그램 기획하기 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 1 2 3 4 5

2) 예산수립하기 1 2 3 4 5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관리하기

(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

1 2 3 4 5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1 2 3 4 5

3) 문서보안 관리하기 1 2 3 4 5

3. 인력 관리하기 1) 팀 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

1 2 3 4 5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

조성하기

1 2 3 4 5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1 2 3 4 5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1 2 3 4 5

4. 의료 물품 관리하기 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 1 2 3 4 5

2) 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1 2 3 4 5

5.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1 2 3 4 5

2) 안전대책 수립하기 1 2 3 4 5

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1 2 3 4 5

6. 감염관리하기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

준수하기

1 2 3 4 5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1 2 3 4 5

3) 예방접종하기 1 2 3 4 5

4) 전염성질환 관리하기 1 2 3 4 5

5)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1 2 3 4 5

Ⅵ에 대한 추가의견

Ⅶ. 전문직

발전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1 2 3 4 5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1 2 3 4 5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1 2 3 4 5

- 108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1 2 3 4 5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1 2 3 4 5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1 2 3 4 5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1 2 3 4 5

2)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1 2 3 4 5

3)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1 2 3 4 5

5.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1 2 3 4 5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1 2 3 4 5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1 2 3 4 5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1 2 3 4 5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1 2 3 4 5

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1 2 3 4 5

Ⅶ에 대한 추가의견

Ⅷ. 조정 및

협동

1. 사례관리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1 2 3 4 5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1 2 3 4 5

3) 사례관리 계획하기 1 2 3 4 5

4) 사례관리 수행하기 1 2 3 4 5

5) 사례관리 평가하기 1 2 3 4 5

6) 사례회의하기 1 2 3 4 5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1 2 3 4 5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1 2 3 4 5

4)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기

1 2 3 4 5

- 109 -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3. 유관기관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1 2 3 4 5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 의뢰하기

1 2 3 4 5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1 2 3 4 5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1 2 3 4 5

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1 2 3 4 5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1 2 3 4 5

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1 2 3 4 5

Ⅷ에 대한 추가의견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1 2 3 4 5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1 2 3 4 5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1 2 3 4 5

2) 연구수행하기 1 2 3 4 5

3) 공동연구 참여하기 1 2 3 4 5

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 1 2 3 4 5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1 2 3 4 5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1 2 3 4 5

Ⅸ에 대한 추가의견

♣기타의견;

♣수고하셨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 110 -

<설문지 붙임 1> 1차 델파이 조사결과 요약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명칭

수정

내용

세분화

Ⅰ-1 건강력 수집하기

(3)

표현이 명확하지 않고 수집하기라는 표현은 부적절함

Ⅰ-1 건강력 조사하기로 수정

Ⅰ-2 대상자의 상태변화 지속적

감시하기

(4)

표현이 명확하지 않고 감시하기라는 표현은 부적절함

Ⅰ-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하기로 수정함

Ⅰ-2-1) 관찰하기

2) 모니터링하기

(5)

Ⅰ-2의 수정으로 인한 수정 및 세분화의 필요성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로 수정

Ⅰ-3-1) 노인건강사정 도구

적용하기

(5)

표현이 모호하며 Ⅰ-3 의 수정에 따른 재진술,

인지기능평가의 경우 3개월 주기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

Ⅰ-3-1) 신체상태사정하기(신체검진, 영양상태사정),

2) 기능상태평가하기(ADL,IADL),

3) 정신건강평가하기(인지기능평가-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조사),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사정)으로 수정

Ⅱ-2-1) 실제적건강문제 진단하기

2) 잠재적건강문제 진단하기

(2)

신체적, 기능적 건강문제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Ⅱ-2-1) 신체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 잠재적),

2) 기능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 잠재적)로 수정

Ⅱ-3 감별진단하기

(6)

노인복지관에서는 건강진단 보다는 건강관리가 더

중요하므로 이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Ⅱ-3 대상자 구분하기로 수정

Ⅱ-4 치료 및 간호중재계획하기

5 치료 및 간호수행평가하기

(7)

치료는 복지관 상황과 맞지 않고 간호중재로 일관성 있게

수정할 필요가 있음

Ⅱ-4. 간호중재 계획하기,

5. 간호중재 평가하기로 수정

Ⅱ-4-8)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포함하기

12) 간호계획 수립시 간호

목표와의 연계성 여부

평가하기

13) 자원활용 여부 평가하기

14) 간호계획 기록 평가하기

15) 계획 재사정하기

(7)

계획의 단계로써 용어 수정이 필요함

Ⅱ-4-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 계획하기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8) 자원연계 및 활용 계획하기

9) 간호계획 기록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로 수정

Ⅱ-5-4) 간호수행 및 결과 기록

평가하기

5) 가족, 건강관리제공자와

표현이 모호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음

Ⅱ-5-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 111 -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함께 간호수행 목표달성

여부 평가하기

7) 평과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내용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기

(7)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

보완하기로 수정

Ⅳ-3-1) 상황별(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

노인복지관 상황에 맞는 대처로 수정할 필요

1)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2) 필요시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로 수정

Ⅳ-4 응급자원활용하기

(6)

노인복지관에서는 연계하는 업무가 더 중요하므로 이를

포함한 명칭수정이 필요함

Ⅳ-4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로 수정

Ⅳ-4-1)가용한 응급자원 활용하기

(5)

Ⅳ-4의 수정으로 인한 명칭변경 및 세분화 필요

Ⅳ-4-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2) 기관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로 세분화

Ⅴ-1 교육하기

2 상담하기

(6)

건강교육이 주요 일이므로 이를 세분화 명료화 하여

명칭수정이 필요함

Ⅴ-1 건강교육하기, Ⅴ-2 건강상담하기,

Ⅴ-1-2)3)4)5)6) 건강추가

Ⅴ-2-2)4) 건강추가하여 수정

Ⅴ-3-1) 예방차원 지침 제시하기

(5)

너무 간결하여 이를 재진술 할 필요있음

Ⅴ-3-1)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로 수정

Ⅴ-3-2) 대상자, 가족 격려 및

지지하기

(5)

노인복지관은 대상자가 주로 이용하며 이를 지지하는

업무가 매우 중요함

Ⅴ-3-2)대상자 지지하기로 수정

Ⅴ-4-1) 건강문제가 있는 인구집단

확인하기

(5)

표현이 모호하여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Ⅵ-1 기획하기

(4)

노인복지관에서는 연간계획하기의 일이 포함되어져야 한다

Ⅵ-1 연중 프로그램기획하기로 수정

Ⅵ-2-1)문서정리하기

(2)

표현이 모호하여 수정이 필요함

Ⅵ-2-1) 문서관리하기 (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으로 수정

Ⅵ-3-1) 인적자원 조상 및 관리하기

(4)

관련 업무 수행 인력의 관리하는 업무로 세부화할 필요가

있음

Ⅵ-3-1) 팀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로

수정

Ⅵ-4 물품관리하기

(2)

의료 물품으로 세분화하여 명시할 필요가 있음

Ⅵ-4 의료 물품 관리하기로 수정

Ⅷ-2-1) 노인이나 가족의 자문에

응하기

(3)

노인복지관은 노인대상자만 주로 이용하므로 수정필요

Ⅷ-2-1)노인의 자문에 응하기로 수정

- 112 -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Ⅷ-3 자문의뢰하기 및 대상자

의뢰하기

(2)

중복에 따른 표현이 모호함

Ⅷ-3 유관기관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수정

Ⅷ-4-2) 노인대상자와 가족과

협동하기

(5)

중복에 따른 수정 필요

Ⅷ-4-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Ⅸ-2-4) 연구결과 발표하기

(3)

학회에 참석하여 발표하는 것도 중요함

Ⅸ-2-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로 수정

Ⅸ-3-1) 연구결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2)

중복에 따른 수정의 필요

Ⅸ-3-3) 연구결화 프로그램에 반영하기로 수정

추가 Ⅰ-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하기

(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과 동시에 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가 함께 이뤄져야 함

Ⅰ-2-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추가

Ⅰ-3-5)노인학대 조사하기

(4)

노인학대도 최근 노인문제에 큰 문제로 사정할 필요가 있음

Ⅰ-3-5) 노인학대 조사하기 추가

Ⅱ-3-1) 주소견 및 유사진단

기술하기

(6)

Ⅱ-3의 수정으로 인한 삭제 후 추가

Ⅱ-3-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Ⅱ-3-2)건강관리군

선별하기 추가

Ⅴ-4-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2)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질병관리용 건강증진/ 기능강화용 건강증진)

Ⅴ-5 만성질환 자기관리증진하기

(17)

만성질환 자기관리증진이 매우 중요한 일의 요소로 Ⅲ-5의

통합에 따른 추가의 필요성

Ⅴ-5-1) 호흡기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페색성 폐질환, 폐렴,

폐암)

2) 심혈관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소화기계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4) 근골격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5) 비뇨생식기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6) 내분비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7) 신경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8) 정신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 113 -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9) 감각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10) 피부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11) 치과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추가

Ⅵ-4-1) 시설 및 물품관리하기

(2)

Ⅵ-4의 수정으로 인한 삭제 후 추가

Ⅵ-4-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로 추가

Ⅵ-6-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3)

직원대상으로 안전교육이 중요함

Ⅵ-5-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추가

Ⅵ-7. 감염관리하기

(2)

감염관리시 예방접종은 복지관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업무이며, 지역의료기관연계 업무도 포함되어져야

Ⅵ-6-3) 예방접종하기,

5)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추가

Ⅶ-5-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이 중요한 일의 요소임

Ⅶ-5-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추가

Ⅶ-6-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3)

꾸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최신 학회 및 연수참여가

필요함

Ⅶ-6-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추가함

Ⅷ-1-6) 사례회의하기

(2)

노인복지관에서는 사회복지사등 다른 팀과의 사례회의의

업무가 중요함

Ⅷ-1-6) 사례회의하기 추가

Ⅷ-3-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2)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이 필요함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추가

Ⅷ-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3)

노인복지관에서는 지역의료사업과의 연계협동이 중요한

일의 요소임

Ⅷ-4-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추가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15)

노인복지관의 특성상 건강한 노인과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가 포함되어져야

Ⅲ-1 건강행위 증진하기,

Ⅲ-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Ⅲ-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추가

Ⅲ-1-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2) 신체활동증진하기,

3) 스트레스 관리 증진하기,

4) 사회활동 강화하기

- 114 -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Ⅲ-2-1) 노쇠위험성 진단하기,

2) 건강위험인자 관리 증진하기,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 낙상예방하기

Ⅲ-3-1) 건강수첩배부하기,

2) 혈당 및 혈압측정하기,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 적절한 약물 복용지도 및 모니터링하기,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추가

삭제

통합

Ⅰ-3 신체검진하기

Ⅰ-4 정신, 사회, 영적 건강사정하기

(10)

노인대상자는 신체검진과 함께 기능상태 사정이 자료수집시

중요한 사항임. 영적상태 조사하기는 도구도 명확치 않고

복지관 상황에서 적합하지 않음으로 삭제해야 함.

Ⅰ-3 노인포괄평가(CGA)시행하기로 통합

Ⅱ-1-1) 임상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2) 특수진단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9)

노인복지관은 의료기관 미등록으로 병원의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함

Ⅱ-1-1)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로 통합

Ⅱ-1-3) 문진내용 평가하기

(9)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 후 통합

Ⅱ-1-2)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로 통합

Ⅱ-4-4) 최신 노인간호 실무

반영하기

6) 효과적 노인간호중재

확인하기

7) 최신 노인전문간호 이론 및

연구 중심으로 구체화 하기

(10)

내용의 중복에 따른 삭제 후 통합의 필요성

Ⅱ-4-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로 통합

Ⅱ-4-9) 퇴원계획 포함하기

10) 간호계획 수립 시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 포함여부

평가하기

11) 평가 가능한 목표진술

여부 평가하기

(15)

노인복지관에서는 입퇴원 절차가 없음

삭제

Ⅱ-5-2) 간호수행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반응 평가하기

6) 간호수행 과정의 자율성

유지여부 평가하기

(7)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의 필요성

삭제

- 115 -

의견

분류

임무(Duty)/일(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표본의 수)

수정 이유 및 내용

Ⅲ. 치료적 중재

(17)

노인복지관에서는 치료적 중재보다는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중재가 더욱 중요하므로 이를 삭제 후 통합할 필요가 있음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로 삭제 후 통합

Ⅳ-2-2) 전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3) 심폐소생술 후

유지간호하기

(7)

복지관 환경 특성상 불가능한 일로 전문기관에 신속한

응급환자 이송이 더 중요하므로 삭제 후 통합의 필요성

2)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환자이송하기로 통합

Ⅵ-1-1) 사업조직 설계하기

3) 사업활동 계획하기

(4)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 및 통합의 필요성

Ⅵ-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로 수정

Ⅵ-4-1) 시설 및 물품관리하기

(2)

시설관리는 시설장의 역할임

삭제

Ⅵ-5 재정관리하기

(7)

노인복지관에서 재정관리는 총무과 담당임

삭제 후 Ⅵ-1-2) 예산수립하기로 통합

Ⅶ-1-2) 표준진료지침 개발하기

(5)

노인복지관에서는 진료지침은 없음

삭제 후 Ⅶ-1-1) 통합

Ⅶ-4-2) 치료적 의사결정에 노인과

가족 참여시키기

(4)

노인복지관에서는 치료적 의사결정이 없음

삭제

- 116 -

부록 5. 3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

(1) 노인복지관 노인간호실무 경력자용

「노인복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관한

전문가 조사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성인간호학 노인전문간호사 석사과정 고하나입니다.

노인복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대한 1, 2차 델파이 설문 조사에 주

신 소중한 의견에 감사 드립니다.

이번 3차 설문지는 이 델파이 연구의 마지막 설문조사 단계입니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 응답결과를 기초로 수정, 보완하여 5단계 척도 항목으로 구

성하였습니다. 이번 3차 설문지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현재 역할 수행 정도와 노인전

문간호사가 업무를 맡았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역할 정도를 함께 조사하는 형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차 설문 패널들의 응답결과(사분위수 범위, 중앙값)와 선생님의 2차 의견은 첨부로

제공하오니 응답 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P11.붙임 1 참조). 3차 설문지에 대한

답은 2차와 같이 하실 수도 있고 변경하실 수도 있습니다.

응답하신 설문의 내용은 학술적인 목적 이외에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델파이 연구의 복잡한 응답방식과 여러 차례에 걸친 조사 과정에 귀중한 시간을 내시

어, 기꺼이 참여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감사 드리며 최종 결과를 보

내드릴 것을 약속 드립니다.

2014년 3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성인간호학

석사과정: 고하나

지도교수: 송미순

본 조사에 대한 문의 및 의문사항은 다음으로 연락주십시오.

E-mail: [email protected]

FAX: (02)764-8457

전화: 010-9198-1326

- 117 -

지난 2회의 델파이 조사결과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수행하는 역

할은 다음의 9가지 임무로 나타났습니다. 이 각각의 업무가 전체 간호사 업

무 중에 어떤 비중으로 수행 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 %로 적어주

시기 바랍니다.

임무 업무의 비중(%)

자료수집 _____%

임상의사결정 _____%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중재 _____%

응급상황관리 _____%

교육 및 상담 _____%

환경 및 자원관리 _____%

전문직 발전 참여 _____%

조정 및 협동 _____%

연구 _____%

합계: 9 100

• 2차 설문의 결과(붙임 1) 참조

설문 1. 업무의 비중

- 118 -

3차 설문지에는 2차조사의 패널들의 응답결과 (일의 요소문항아래-평균 표

준편차, 중앙값), (우측 답지아래- 사분위수 범위 (평균을 중심으로 전

체50%의 응답자가 모여있는 범위), 선생님의 2차 응답 )가 표시되어 있

습니다.

• 응답방법: 왼쪽 응답란에는 현재 선생님께서 간호사로서 일하면서 각 일에

대해 생각하시는 중요도를 √표시 표시하여 주십시오. 오른쪽 응답란에는 2

차 설문과 동일하게 노인전문간호사에 대한 의견을 √표시 하여 주시면 됩

니다. 선생님의 금회 (3차) 응답이 2차응답의 사분위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이유를 빈칸에 간단히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노인전문간호사”란 2003년 개정된 의료법에 따라 노인전문간호사 자격증

획득에 필요한 석사과정의 교육과 자격증 시험에 통과한자로써 노인간호의

전문적 지식과 실무능력을 갖춘 새로운 인력의 간호사를 말합니다.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Ⅰ. 자료수집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1. 건강력 조사하기

1 2 3 4 5 1)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3.53 .87, Md4)

1 2 3 4 5

1 2 3 4 5 2)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4.47±.71 Md:5)

1 2 3 4 5

1 2 3 4 5 3) 복용약물 조사하기

(4.65 .61 Md:5)

1 2 3 4 5

1 2 3 4 5 4) 건강행위 조사하기

(4.59 .51 Md:5)

1 2 3 4 5

2. 대상자의 건강상태변화 지속적 관찰하기

1 2 3 4 5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4.47 .62 Md:5)

1 2 3 4 5

3. 노인포괄평가(CGA)시행하기

왼쪽 응답란

현재 본인이 간호사로써 노인복지관에서

수행하는 일의 요소 중 중요성 정도를 해

당란에 표시해 주십시오.

설문 2. 일의 요소 중요도

오른쪽 응답란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업무를

수행할 때 각 일의 요소 중요성을 판단하

시어 해당란에 표시해 주십시오.

- 119 -

1 2 3 4 5 1) 신체상태사정하기

(신체검진, 영양상태 사정)

(4.53 .62 Md:5)

1 2 3 4

5

1 2 3 4 5 2) 기능상태평가하기(ADL, IADL)

(4.41 .71 Md:5)

1 2 3 4

5

1 2 3 4 5 3) 정신건강평가하기(인지기능평가-

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조사)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평가)

(3.88 .93 Md:4)

1 2 3 4 5

1 2 3 4 5 5) 노인학대 조사하기

(4.00 .71 Md:4)

1 2 3 4 5

Ⅱ. 임상의사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2 3 4 5 1)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

(3.94 .90 Md:4)

1 2 3 4 5

1 2 3 4 5 2)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4.47 .72 Md:5)

1 2 3 4 5

1 2 3 4 5 3) 평가내용 기록하기

(4.47 .72 Md:5)

1 2 3 4 5

2. 간호진단 내리기

1 2 3 4 5 1) 신체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4.65 .49 Md:5)

1 2 3 4 5

1 2 3 4 5 2) 기능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4.59 .51 Md:5)

1 2 3 4 5

3. 대상자 구분하기

1 2 3 4 5 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4.77 .44 Md:5)

1 2 3 4 5

1 2 3 4 5 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4.71 .47 Md:5)

1 2 3 4 5

4. 간호중재 계획하기

1 2 3 4 5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4.4 .71 Md:5)

1 2 3 4 5

1 2 3 4 5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4.12 .70 Md:4)

1 2 3 4 5

1 2 3 4 5 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4.18 .81 Md:4)

1 2 3 4 5

1 2 3 4 5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4.12 .80 Md4)

1 2 3 4 5

1 2 3 4 5 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계획하기

(4.71 .47 Md:4)

1 2 3 4 5

- 120 -

1 2 3 4 5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4.41 .51 Md:4)

1 2 3 4 5

1 2 3 4 5 8) 가용한 지역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계획하기 (4.59 .51 Md:5)

1 2 3 4 5

1 2 3 4 5 9) 간호계획 기록하기

(4.59 .62 Md:5)

1 2 3 4 5

1 2 3 4 5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

(4.35 .61 Md:4)

1 2 3 4 5

5. 간호중재 평가하기

1 2 3 4 5 1) 평가요소 반영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2)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4.06 .70 Md:4)

1 2 3 4 5

1 2 3 4 5 3) 간호중재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35 .62 Md:4)

1 2 3 4 5

1 2 3 4 5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보완하기 (4.41 .62 Md:4)

1 2 3 4 5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1. 건강행위 증진하기

1 2 3 4 5 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4.24 .83 Md:4)

1 2 3 4 5

1 2 3 4 5 2) 신체활동증진하기

(4.41 .87 Md:5)

1 2 3 4 5

1 2 3 4 5 3) 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4.06 .97 Md:4)

1 2 3 4 5

1 2 3 4 5 4) 사회활동 강화하기

(4.00 .87 Md:4)

1 2 3 4 5

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1 2 3 4 5 1)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4.24 .90 Md:4)

1 2 3 4 5

1 2 3 4 5 2)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4.35 .79 Md:4)

1 2 3 4 5

1 2 3 4 5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29 .85 Md:4)

1 2 3 4 5

1 2 3 4 5 4) 낙상예방하기

(4.41 .87 Md:5)

1 2 3 4 5

1 2 3 4 5 5) 자살위험 사정하기

신설

1 2 3 4 5

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1 2 3 4 5 1) 건강수첩배부하기

(4.12 .93 Md:4)

1 2 3 4 5

1 2 3 4 5 2)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4.47 .87 Md:5)

1 2 3 4 5

- 121 -

1 2 3 4 5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06 .90 Md:4)

1 2 3 4 5

1 2 3 4 5 4) 적절한 약물복용지도 및 모니터링 하기

(4.41 .80 Md:5)

1 2 3 4 5

1 2 3 4 5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촉탁의 및

병원연계하기) (3.82 1.19 Md:4)

1 2 3 4 5

1 2 3 4 5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4.29 .92 Md:5)

1 2 3 4 5

Ⅳ. 응급상황관리

1. 응급상태 사정하기

1 2 3 4 5 1) 상황별 응급상태 (예,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사정하기

(4.76 .44 Md:5)

1 2 3 4 5

2.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1 2 3 4 5 1) 기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4.65 .61 Md:5)

1 2 3 4 5

1 2 3 4 5 2)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82 .53 Md:5)

1 2 3 4 5

1 2 3 4 5 3)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 (4.71 .47 Md:5)

1 2 3 4 5

3.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

1 2 3 4 5 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4.56 .62 Md:5)

1 2 3 4 5

1 2 3 4 5 2) 기관 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4.47 .72 Md:5)

1 2 3 4 5

1 2 3 4 5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

(4.53 .62 Md:5)

1 2 3 4 5

Ⅴ. 교육 및 상담

1. 건강교육하기

1 2 3 4 5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4.18 .81 Md:4)

1 2 3 4 5

1 2 3 4 5 2) 건강교육요구 사정하기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3) 건강교육계획 수립하기

(4.53 .62 Md:5)

1 2 3 4 5

1 2 3 4 5 4)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4.65 .70 Md:5)

1 2 3 4 5

1 2 3 4 5 5) 건강교육시행하기

(4.82 .39 Md:5)

1 2 3 4 5

1 2 3 4 5 6) 건강교육결과 평가하기(사전/사후)

(4.59 .62 Md:5)

1 2 3 4 5

2. 건강상담하기

1 2 3 4 5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4.53 .62 Md:5)

1 2 3 4 5

- 122 -

1 2 3 4 5 2) 건강상담요구 사정하기

(4.35 .70 Md:4)

1 2 3 4 5

1 2 3 4 5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24 .75 Md:4)

1 2 3 4 5

1 2 3 4 5 4) 건강상담실시하기

(전화상담, 내관상담, 가족상담 등)

(4.76 .44 Md5)

1 2 3 4 5

1 2 3 4 5 5) 추후관리하기

(4.53 .51 Md:5)

1 2 3 4 5

3. 코칭하기

1 2 3 4 5 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

(4.35 .61 Md:4)

1 2 3 4 5

1 2 3 4 5 2) 대상자 지지하기

(4.35 .61 Md:4)

1 2 3 4 5

1 2 3 4 5 3) 자조집단 관리하기

(4.47 .62 Md:5)

1 2 3 4 5

4. 건강증진프로젝트 운영하기

1 2 3 4 5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4.53 .62 Md:5)

1 2 3 4 5

1 2 3 4 5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질병관리용 건강증진/기능강화용

건강증진) (4.59 .51 Md:5)

1 2 3 4 5

1 2 3 4 5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4.65 .61 Md:5)

1 2 3 4 5

5.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하기

1 2 3 4 5 1) 호흡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폐색성폐질환,

폐렴, 폐암) (3.82 .95 Md:4)

1 2 3 4 5

1 2 3 4 5 2) 심혈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4.35 .79 Md:4)

1 2 3 4 5

1 2 3 4 5 3) 소화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3.53 .94 Md:3)

1 2 3 4 5

1 2 3 4 5 4) 근골격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4.53 .8 Md:4)

1 2 3 4 5

1 2 3 4 5 5)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3.82 .95 Md:4)

1 2 3 4 5

1 2 3 4 5 6) 내분비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4.41 .87 Md:5)

1 2 3 4 5

1 2 3 4 5 7) 신경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4.35 .93 Md:5)

1 2 3 4 5

- 123 -

1 2 3 4 5 8) 정신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4.24 .75 Md:4)

1 2 3 4 5

1 2 3 4 5 9) 감각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3.88 .86 Md:4)

1 2 3 4 5

1 2 3 4 5 10) 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3.53 1.00 Md:4)

1 2 3 4 5

1 2 3 4 5 11)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3.76 .90 Md:4)

1 2 3 4 5

Ⅵ. 환경 및 자원관리

1. 연중프로그램 기획하기

1 2 3 4 5 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

(4.76 .44 Md:5)

1 2 3 4 5

1 2 3 4 5 2) 예산수립하기

(4.53 .72 Md:5)

1 2 3 4 5

2. 정보관리하기

1 2 3 4 5 1) 문서관리하기(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 (4.59 .51 Md:5)

1 2 3 4 5

1 2 3 4 5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4.41 .71 Md:5)

1 2 3 4 5

1 2 3 4 5 3) 문서보안 관리하기

(4.53 .62 Md:5)

1 2 3 4 5

3. 인력관리하기

1 2 3 4 5 1) 팀 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 (4.18 .88 Md:4)

1 2 3 4 5

1 2 3 4 5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 조성하기

(4.12 .93 Md:4)

1 2 3 4 5

1 2 3 4 5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00 .94 Md:4)

1 2 3 4 5

1 2 3 4 5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4.00 1.06 Md:4)

1 2 3 4 5

4. 의료 물품 관리하기

1 2 3 4 5 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

(4.18 .81 Md:4)

1 2 3 4 5

1 2 3 4 5 2) 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3.76 .83 Md:4)

1 2 3 4 5

5.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2 3 4 5 1) 안전사고 방지하기

(4.29 .92 Md:5)

1 2 3 4 5

1 2 3 4 5 2) 안전대책 수립하기

(4.12 .99 Md:4)

1 2 3 4 5

1 2 3 4 5 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4.41 .87 Md:5)

1 2 3 4 5

- 124 -

6. 감염관리하기

1 2 3 4 5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4.06 1.09 Md:4)

1 2 3 4 5

1 2 3 4 5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94 .97 Md:4)

1 2 3 4 5

1 2 3 4 5 3) 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하기

(2.94 1.43 Md:3)

1 2 3 4 5

1 2 3 4 5 4) 전염성질환 관리하기

(4.24 1.09 Md:5)

1 2 3 4 5

1 2 3 4 5 5)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4.41 .87 Md:5)

1 2 3 4 5

Ⅶ. 전문직발전 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2 3 4 5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4.24 .66 Md:4)

1 2 3 4 5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2 3 4 5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4.00 .71 Md:4)

1 2 3 4 5

1 2 3 4 5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3.94 .66 Md:4)

1 2 3 4 5

1 2 3 4 5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4.00 .71 Md:4)

1 2 3 4 5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2 3 4 5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4.00 .71 Md:4)

1 2 3 4 5

1 2 3 4 5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4.12 .78 Md:4)

1 2 3 4 5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2 3 4 5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3.94 .75 Md:4)

1 2 3 4 5

1 2 3 4 5 2)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3.94 .90 Md:4)

1 2 3 4 5

1 2 3 4 5 3)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4.06 .90 Md:4)

1 2 3 4 5

5.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코칭하기

1 2 3 4 5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4.06 1.03 Md:4)

1 2 3 4 5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4.06 .90 Md:4)

1 2 3 4 5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2 3 4 5 1) 자기계발하기

(4.59 .51 Md:5)

1 2 3 4 5

1 2 3 4 5 2) 간호 수행성과 평가하기

(4.47 .51 Md:4)

1 2 3 4 5

- 125 -

1 2 3 4 5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4.59 .62 Md:5)

1 2 3 4 5

1 2 3 4 5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4.53 .62 Md:5)

1 2 3 4 5

1 2 3 4 5 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4.29 .77 Md:4)

1 2 3 4 5

Ⅷ. 조정 및 협동

1. 사례관리하기

1 2 3 4 5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4.41 .71 Md:5)

1 2 3 4 5

1 2 3 4 5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4.41 .71 Md:5)

1 2 3 4 5

1 2 3 4 5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4) 사례관리 수행하기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5) 사례관리 평가하기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6) 사례회의하기

(4.41 .62 Md:4)

1 2 3 4 5

2. 자문 제공하기

1 2 3 4 5 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

(4.35 .70 Md:4)

1 2 3 4 5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4.35 .70 Md:4)

1 2 3 4 5

1 2 3 4 5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4.29 .77 Md:4)

1 2 3 4 5

1 2 3 4 5 4)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기 (3.47 1.07 Md:4)

1 2 3 4 5

3. 유관기관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기

1 2 3 4 5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4.35 .61 Md:4)

1 2 3 4 5

1 2 3 4 5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 의뢰하기

(4.41 .62 Md:4)

1 2 3 4 5

1 2 3 4 5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4.47 .62 Md:5)

1 2 3 4 5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2 3 4 5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4.47 .62 Md:5)

1 2 3 4 5

1 2 3 4 5 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4.59 .51 Md:5)

1 2 3 4 5

1 2 3 4 5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4.35 .86 Md:5)

1 2 3 4 5

- 126 -

1 2 3 4 5 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4.59 .62 Md:5)

1 2 3 4 5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2 3 4 5 1) 간호이론 적용하기

(4.00 .79 Md:4)

1 2 3 4 5

1 2 3 4 5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4.18 .73 Md:4)

1 2 3 4 5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2 3 4 5 1) 연구계획하기

(3.82 .81 Md:4)

1 2 3 4 5

1 2 3 4 5 2) 연구수행하기

(3.88 .86 Md:4)

1 2 3 4 5

1 2 3 4 5 3) 공동연구 참여하기

(3.94 .75 Md:4)

1 2 3 4 5

1 2 3 4 5 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

(3.88 .78 Md:4)

1 2 3 4 5

3.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2 3 4 5 1)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4.35 .61 Md:4)

1 2 3 4 5

1 2 3 4 5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4.18 .73 Md:4)

1 2 3 4 5

♣기타의견;

♣수고하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127 -

(2) 노인전문간호사 교육자용

「노인복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관한

전문가 조사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성인간호학 노인전문간호사 석사과정 고하나입니다.

노인복지관에서의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개발에 대한 1, 2차 델파이 설문 조사에 주

신 소중한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이번 3차 설문지는 이 델파이 연구의 마지막 설문조사 단계입니다. 3차 설문지는 2차

설문지 응답결과를 기초로 수정, 보완하여 5단계 척도 항목으로 구성하였습니다. 3차

설문지에는 패널들의 2차 응답 결과 (사분위수 범위, 중앙값)와 선생님의 2차설문시

응답을 표시하여 선생님이 이번 설문지에 응답하실 때 참고하실 수 있도록 구성하였

습니다.

각 항목을 보시고 다시 한번 귀하의 의견을 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차 설문에

대한 응답은 2차와 같이 하실 수도 있고 변경 하실 수도 있습니다).

응답하신 설문의 내용은 익명성이 보장되고 학술적인 목적 이외에 어떠한 다른 용도

로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델파이 연구의 복잡한 응답방식과 여러 차례에 걸친 조사 과정에 귀중한 시간을 내시

어, 참여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감사 드리며 최종 연구 결과를 보내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2014년 3월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성인간호학

석사과정: 고하나

지도교수: 송미순

본 조사에 대한 문의 및 의문사항은 다음으로 연락주십시오.

E-mail: [email protected]

FAX: (02)764-8457

전화: 010-9198-1326

- 128 -

지난 2회의 델파이 조사결과 노인전문간호사가 노인복지관에서 수행하는 역

할은 다음의 9가지 임무로 나타났습니다. 이 각각의 업무가 전체 간호사 업

무 중에 어떤 비중으로 수행 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지 %로 적어주

시기 바랍니다.

임무 업무의 비중(%)

자료수집 _____%

임상의사결정 _____%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중

_____%

응급상황관리 _____%

교육 및 상담 _____%

환경 및 자원관리 _____%

전문직 발전 참여 _____%

조정 및 협동 _____%

연구 _____%

합계: 9 100

• 2차 설문의 결과(붙임 1) 참조

설문 1. 업무의 비중

- 129 -

• 3차 설문지에는 2차조사의 패널들의 응답결과 (좌측일의 요소문항아래-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우측 답지아래- 사분위수 범위 (평균을 중심으로

전체50%의 응답자가 모여있는 범위), 선생님의 2차 응답 )가 표시되어 있

습니다.

• 응답방법: 2차 설문과 동일하게 선생님의 답을 오른쪽에 √표시하여 주세요.

선생님의 금회 (3차) 응답이 2차응답의 사분위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이유를 빈칸에 간단히 기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임무 일

(task)

일의 요소(Task element)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다소

중요

하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2차 결과- (평균표준편차M SD, 중앙값Md) 5%

이하

6~35

%

36~65

%

66~95

%

96%

이상

Ⅰ.

자료

수집

1. 건강력

조사하기

1) 인구사회학적 자료 조사하기

(3.53 .87 Md:4)

1 2 3

4 5

2)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4.47 .71 Md:5)

1 2 3 4

5

3) 복용약물 조사하기

(4.65 .61 Md:5)

1 2 3 4

5

4) 건강행위 조사하기

(4.59 .51 Md:5)

1 2 3 4

5

2. 대상자의

건강상태

변화

지속적

관찰하기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4.41 .62 Md:4)

1 2 3 4

5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

(4.41 .62 Md:4)

1 2 3 4

5

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4.47 .62 Md:5)

1 2 3 4

5

3. 노인포괄

평가(CGA)

시행하기

1) 신체상태사정하기(신체검진, 영양상태 사정)

(4.53 .62 Md:5)

1 2 3 4

5

2) 기능상태평가하기(ADL, IADL)

(4.41 .71 Md:5)

1 2 3 4

5

3) 정신건강평가하기(인지기능평가-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 조사)

(4.47 .62 Md:5)

1 2 3 4

5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평가)

(3.88 .93 Md:4)

1 2 3 4 5

5) 노인학대 조사하기

(4.00 .71 Md:4)

1 2 3 4 5

설문 2. 일의 요소 중요도

- 130 -

Ⅱ.

임상

의사

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해석하기

1)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

(3.94 .90 Md:4)

1 2 3 4 5

2)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4.47 .72 Md:5)

1 2 3 4

5

3) 평가내용 기록하기

(4.47 .72 Md:5)

1 2 3 4

5

2. 간호진단

내리기

1) 신체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4.65 .49 Md:5)

1 2 3 4

5

2) 기능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4.59 .51 Md:5)

1 2 3 4

5

3. 대상자

구분하기

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4.77 .44 Md:5)

1 2 3 4

5

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4.71 .47 Md:5)

1 2 3 4

5

4.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4.41 .62 Md:4)

1 2 3 4

5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4.41 .71 Md:5)

1 2 3 4

5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4.12 .70 Md:4)

1 2 3 4

5

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4.18 .81 Md:4)

1 2 3 4

5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4.12 .80 Md4)

1 2 3 4

5

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계획하기

(4.71 .47 Md:4)

1 2 3 4

5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4.41 .51 Md:4)

1 2 3 4

5

8) 가용한 지역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계획하기 (4.59 .51 Md:5)

1 2 3 4

5

9) 간호계획 기록하기

(4.59 .62 Md:5)

1 2 3 4

5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

(4.35 .61 Md:4)

1 2 3 4

5

5. 간호중재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4.41 .62 Md:4)

1 2 3 4

5

2)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4.06 .70 Md:4)

1 2 3 4 5

3) 간호중재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35 .62 Md:4)

1 2 3 4

5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4.41 .62 Md:4)

1 2 3 4

5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 보완하기 (4.41 .62 Md:4)

1 2 3 4

5

- 131 -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행위

증진하기

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4.24 .83 Md:4)

1 2 3 4

5

2) 신체활동증진하기

(4.41 .87 Md:5)

1 2 3 4

5

3) 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4.06 .97 Md:4)

1 2 3 4 5

4) 사회활동 강화하기

(4.00 .87 Md:4)

1 2 3 4

5

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1)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4.24 .90 Md:4)

1 2 3 4

5

2)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4.35 .79 Md:4)

1 2 3 4

5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29 .85 Md:4)

1 2 3 4

5

4) 낙상예방하기

(4.41 .87 Md:5)

1 2 3 4

5

5) 자살위험 사정하기

신설

1 2 3 4 5

3. 건강집중

관리군

관리하기

1) 건강수첩배부하기

(4.12 .93 Md:4)

1 2 3 4 5

2)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4.47 .87 Md:5)

1 2 3 4

5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06 .90 Md:4)

1 2 3 4

5

4) 적절한 약물복용지도 및 모니터링 하기

(4.41 .80 Md:5)

1 2 3 4

5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촉탁의 및

병원연계하기) (3.82 1.19 Md:4)

1 2 3 4

5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4.29 .92 Md:5)

1 2 3 4

5

Ⅳ.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예, 외상, 호흡곤란, 쇼크

및 의식저하) 사정하기 (4.76 .44 Md:5)

1 2 3 4

5

2. 응급처치

시술하기

1) 기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4.65 .61 Md:5)

1 2 3 4

5

2)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82 .53 Md:5)

1 2 3 4 5

3)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 (4.71 .47 Md:5)

1 2 3 4

5

3. 응급지원

시스템

구축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4.56 .62 Md:5)

1 2 3 4

5

2) 기관 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4.47 .72 Md:5)

1 2 3 4

5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

(4.53 .62 Md:5)

1 2 3 4

5

- 132 -

Ⅴ.

교육

상담

1. 건강

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4.18 .81 Md:4)

1 2 3 4

5

2) 건강교육요구 사정하기

(4.47 .62 Md:5)

1 2 3 4

5

3) 건강교육계획 수립하기

(4.53 .62 Md:5)

1 2 3 4

5

4)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4.65 .70 Md:5)

1 2 3 4

5

5) 건강교육시행하기

(4.82 .39 Md:5)

1 2 3 4 5

6) 건강교육결과 평가하기(사전/사후)

(4.59 .62 Md:5)

1 2 3 4

5

2. 건강

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4.53 .62 Md:5)

1 2 3 4

5

2) 건강상담요구 사정하기

(4.35 .70 Md:4)

1 2 3 4

5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24 .75 Md:4)

1 2 3 4

5

4) 건강상담실시하기(전화상담, 내관상담,

가족상담 등) (4.76 .44 Md5)

1 2 3 4

5

5) 추후관리하기

(4.53 .51 Md:5)

1 2 3 4

5

3. 코칭하기 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

(4.35 .61 Md:4)

1 2 3 4

5

2) 대상자 지지하기

(4.35 .61 Md:4)

1 2 3 4

5

3) 자조집단 관리하기

(4.47 .62 Md:5)

1 2 3 4

5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4.53 .62 Md:5)

1 2 3 4

5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질병관리용

건강증진/기능강화용 건강증진)

(4.59 .51 Md:5)

1 2 3 4

5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4.65 .61 Md:5)

1 2 3 4

5

5.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하기

1) 호흡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폐색성폐질환,

폐렴, 폐암) (3.82 .95 Md:4)

1 2 3 4 5

2) 심혈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4.35 .79 Md:4)

1 2 3 4

5

3) 소화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3.53 .94 Md:3)

1 2 3

4 5

- 133 -

4) 근골격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4.53 .80 Md:4)

1 2 3 4

5

5) 비뇨생식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3.82 .95 Md:4)

1 2 3 4 5

6) 내분비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4.41 .87 Md:5)

1 2 3 4

5

7) 신경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4.35 .93 Md:5)

1 2 3 4

5

8) 정신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4.24 .75 Md:4)

1 2 3 4

5

9) 감각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3.88 .86 Md:4)

1 2 3 4 5

10) 피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3.53 1.00 Md:4)

1 2 3

4 5

11)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3.76 .90 Md:4)

1 2 3 4 5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

프로그램

기획하기

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

(4.76 .44 Md:5)

1 2 3 4

5

2) 예산수립하기

(4.53 .72 Md:5)

1 2 3 4

5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관리하기(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 (4.59 .51 Md:5)

1 2 3 4

5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4.41 .71 Md:5)

1 2 3 4

5

3) 문서보안 관리하기

(4.53 .62 Md:5)

1 2 3 4

5

3. 인력

관리하기

1) 팀 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 (4.18 .88 Md:4)

1 2 3 4

5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 조성하기

(4.12 .93 Md:4)

1 2 3 4

5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00 .94 Md:4)

1 2 3 4

5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4.00 1.06 Md:4)

1 2 3 4

5

4. 의료 물품

관리하기

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

(4.18 .81 Md:4)

1 2 3 4

5

2) 비용 효율화 도모하기

(3.76 .83 Md:4)

1 2 3

4 5

5. 환경 및

안전관리

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4.29 .92 Md:5)

1 2 3 4

5

2) 안전대책 수립하기

(4.12 .99 Md:4)

1 2 3 4

5

- 134 -

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4.41 .87 Md:5)

1 2 3 4

5

6. 감염관리

하기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4.06 1.09 Md:4)

1 2 3 4

5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94 .97 Md:4)

1 2 3 4

5

3) 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하기

(2.94 1.43 Md:3)

1 2 3 4 5

4) 전염성질환 관리하기

(4.24 1.09 Md:5)

1 2 3 4

5

5)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4.41 .87 Md:5)

1 2 3 4

5

Ⅶ.

전문

발전

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4.24 .66 Md:4)

1 2 3 4

5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4.00 .71 Md:4)

1 2 3 4

5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3.94 .66 Md:4)

1 2 3 4

5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4.00 .71 Md:4)

1 2 3 4

5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4.00 .71 Md:4)

1 2 3 4

5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4.12 .78 Md:4)

1 2 3 4

5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3.94 .75 Md:4)

1 2 3

4 5

2)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3.94 .90 Md:4)

1 2 3 4

5

3)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4.06 .90 Md:4)

1 2 3 4

5

5. 보건의료

인력 교육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4.06 1.03 Md:4)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4.06 .90 Md:4)

1 2 3 4

5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4.59 .51 Md:5)

1 2 3 4

5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4.47 .51 Md:4)

1 2 3 4

5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4.59 .62 Md:5)

1 2 3 4

5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4.53 .62 Md:5)

1 2 3 4

5

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4.29 .77 Md:4)

1 2 3 4

5

- 135 -

Ⅷ.

조정

협동

1. 사례관리

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4.41 .71 Md:5)

1 2 3 4

5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4.41 .71 Md:5)

1 2 3 4

5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47 .62 Md:5)

1 2 3 4

5

4) 사례관리 수행하기

(4.47 .62 Md:5)

1 2 3 4

5

5) 사례관리 평가하기

(4.47 .62 Md:5)

1 2 3 4

5

6) 사례회의하기

(4.41 .62 Md:4)

1 2 3 4

5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

(4.35 .70 Md:4)

1 2 3 4

5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4.35 .70 Md:4)

1 2 3 4

5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4.29 .77 Md:4)

1 2 3 4

5

4) 노인시설과 기관의 창업 및 운영관련

자문 제공하기 (3.47 1.07 Md:4)

1 2 3 4

5

3. 유관기관

전문가에게

자문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4.35 .61 Md:4)

1 2 3 4

5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 의뢰하기

(4.41 .62 Md:4)

1 2 3 4

5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4.47 .62 Md:5)

1 2 3 4

5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4.47 .62 Md:5)

1 2 3 4

5

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4.59 .51 Md:5)

1 2 3 4

5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4.35 .86 Md:5)

1 2 3 4

5

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4.59 .62 Md:5)

1 2 3 4

5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4.00 .79 Md:4)

1 2 3 4 5

2) 노화이론 적용하기

(4.18 .73 Md:4)

1 2 3 4

5

2. 연구수행

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3.82 .81 Md:4)

1 2 3

4 5

2) 연구수행하기

(3.88 .86 Md:4)

1 2 3 4 5

3) 공동연구 참여하기

(3.94 .75 Md:4)

1 2 3 4 5

- 136 -

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

(3.88 .78 Md:4)

1 2 3 4 5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4.35 .61 Md:4)

1 2 3 4

5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4.18 .73 Md:4)

1 2 3 4

5

♣기타의견;

♣수고하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137 -

<설문지 붙임 1> 2차 설문 분석 결과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한 노인전문간호사의 직무기술서는 아래의 <표1>과 같이 9개의

임무(Duty)와 39개의 일(Task), 144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 1. 2차 델파이 자료 통합결과>

임무 일(n) 일의 요소(n)

자료수집 3 12

임상의사결정 5 22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중재 3 15

응급상황관리 3 7

교육 및 상담 5 28

환경 및 자원관리 6 19

전문직 발전 참여 6 16

조정 및 협동 4 17

연구 3 8

9 38 144

2차 델파이 조사에서 2인이상의 의견을 다시 수렴하여 수정 보안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2차 델파이 조사에 따른 수정 이유 및 내용>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

(n)

Modification reasons and details

명칭

수정

내용의

세분화

Ⅱ-4-8) 자연연계 및

활용계획하기

(2)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세분화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음.

Ⅱ-4-8) 가용한 지역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계획하기로 세분화함.

Ⅲ-1-3) 스트레스 관리

증진하기

Ⅲ-2-2) 건강위험인자 관리

증진하기

Ⅲ-3-5) 상처 및

통증관리하기

(2)

표현이 모호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으며

보건소의 방문서비스와 구별하여 복지관에서 할

수 있는 영역을 세분화하여 명시할 필요가 있음.

Ⅲ-1-3) 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Ⅲ-2-2)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Ⅲ-3-5) 상처 및 통증관리하기(촉탁의 및 병원

연계하기)으로 수정함

Ⅵ-6-3) 예방접종하기

(5)

예방접종은 의료기관 미등록(부작용 및

문제발생시 책임소지여부)기관으로

실시불가능함.

Ⅵ-6-3) 예방접종 홍보 및 정보제공하기

추가 Ⅲ-2-5) 자살위험 사정하기

(2)

건강 위험 노인의 자살위험이 높아 이를 사정할

필요가 있음

추가함

삭제

통합

Ⅳ-2 심폐소생술 시행

3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2)

내용 중복에 따른 통합의 필요성 있음.

Ⅳ-2.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로 통합하여

하위요소로 통합함.

- 138 -

부록 6.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명칭수정

내용

세분화

Ⅰ-1 건강력 수집하기

(3)

표현이 명료하지 않고 수집하기라는 표현은

부적절함

Ⅰ-1 건강력 조사하기로 수정

Ⅰ-2 대상자의 상태변화 지속적

감시하기

(4)

표현이 명료하지 않고 감시하기라는 표현은

부적절함

Ⅰ-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하기로 수정함

Ⅰ-2-1) 관찰하기

2) 모니터링하기

(5)

Ⅰ-2의 수정으로 인한 수정 및 세분화의

필요성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로 수정

Ⅰ-3-1) 노인건강사정도구

적용하기

(5)

표현이 모호하며 Ⅰ-3 의 수정에 따른

재진술, 인지기능평가의 경우 3개월 주기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

Ⅰ-3-1) 신체상태사정하기(신체검진,

영양상태사정),

2) 기능상태평가하기(ADL,IADL),

3) 정신건강평가하기(인지기능평가-

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조사),

4) 사회환경적평가하기(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사정)으로 수정

Ⅱ-2-1) 실제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2) 잠재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2)

신체적, 기능적 건강문제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Ⅱ-2-1) 신체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

잠재적),

2) 기능적 건강문제 진단하기 (실제적,

잠재적)로 수정

Ⅱ-3 감별진단하기

(6)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특성 및

요구도(강창현,2002; 김선호, 200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은영

et al., 2001)

Ⅱ-3 대상자 구분하기로 수정

Ⅱ-4 치료 및 간호 중재 계획하기

5 치료 및 간호 수행 평가하기

(7)

여가복지시설로 의료행위 불가(노인복지법,

2007)

Ⅱ-4. 간호중재 계획하기,

5. 간호중재 평가하기로 수정

- 139 -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명칭수정

내용

세분화

Ⅱ-4-8)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포함하기

12) 간호계획 수립 시 간호

목표와의 연계성 여부

평가하기

13) 자원활용 여부 평가하기

14) 간호계획 기록 평가하기

15) 계획 재사정하기

(7)

계획의 단계로써 용어 수정이 필요함

Ⅱ-4-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

계획하기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8) 자원연계 및 활용 계획하기

9) 간호계획 기록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로 수정

Ⅱ-5-4) 간호수행 및 결과 기록

평가하기

5) 가족,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간호수행 목표달성

여부 평가하기

7) 평과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내용을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기

(7)

표현이 모호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으며

복지관 이용 노인은 자발적 내원으로 가족의

참여가 현실적으로 어려움.

Ⅱ-5-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 보완하기로 수정

Ⅳ-3-1) 상황별(쇼크, 의식저하)

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4)

여가복지시설로 의료행위 불가(노인복지법,

2007)

1)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2) 필요시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로 수정

Ⅳ-4 응급자원활용하기

(6)

노인복지관 사업특성(보건복지부b, 2014;

Kern, 1990)

Ⅳ-4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로 수정

Ⅳ-4-1) 가용한 응급자원 활용하기

(5)

Ⅳ-4의 수정으로 인한 명칭변경 및 세분화

필요

Ⅳ-4-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2) 기관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로 세분화

Ⅴ-1 교육하기

2 상담하기

(6)

건강교육이 주요 일이므로 이를 세분화

명료화 하여 명칭수정이 필요함

Ⅴ-1 건강교육하기, Ⅴ-2 건강상담하기,

Ⅴ-1-2)3)4)5)6)건강추가

Ⅴ-2-2)4)건강추가하여 수정

Ⅴ-3-1) 예방차원 지침 제시하기

(5)

너무 간결하여 이를 재진술 할 필요있음

Ⅴ-3-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로 수정

- 140 -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명칭수정

내용

세분화

Ⅴ-3-2) 대상자, 가족 격려 및

지지하기

(5)

노인복지관이용 노인 특성(이미진, 205)

Ⅴ-3-2) 대상자 지지하기로 수정

Ⅴ-4-1) 건강문제가 있는 인구집단

확인하기

(5)

표현이 모호하여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로 세분화

Ⅵ-1 기획하기

(4)

노인복지관 사업특성(보건복지부b, 2014; Kern,

1990)

Ⅵ-1 연중 프로그램기획하기로 수정

Ⅵ-2-1) 문서정리하기

(2)

표현이 모호하여 수정이 필요함

Ⅵ-2-1) 문서관리하기 (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으로 수정

Ⅵ-3-1) 인적자원 조상 및 관리하기

(4)

관련 업무 수행 인력의 관리하는 업무로 세부화할

필요가 있음

Ⅵ-3-1) 팀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로 수정

Ⅵ-4 물품관리하기

(2)

의료 물품으로 세분화하여 명시할 필요가 있음

Ⅵ-4 의료 물품 관리하기로 수정

Ⅷ-2-1) 노인이나 가족의 자문에

응하기

(3)

노인복지관이용 노인 특성(이미진, 205)

Ⅷ-2-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로 수정

Ⅷ-3 자문의뢰하기 및 대상자

의뢰하기

(2)

중복에 따른 표현이 모호함

Ⅷ-3 유관기관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수정

Ⅷ-4-2) 노인대상자와 가족과

협동하기

(5)

중복에 따른 수정 필요

Ⅷ-4-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Ⅸ-2-4) 연구결과 발표하기

(3)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이미진, 2005;Clark,

1996)

Ⅸ-2-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으로 수정

Ⅸ-3-1) 연구결과 간호실무에

적용하기

(2)

중복에 따른 수정의 필요

Ⅸ-3-3) 연구결화 프로그램에 반영하기로 수정

추가

Ⅰ-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하기

(2)

대상자의 건강상태 관찰과 동시에 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가 함께 이뤄져야 함

Ⅰ-2-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추가

Ⅰ-3-5) 노인학대 조사하기

(4)

노인문제(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Ⅰ-3-5) 노인학대 조사하기 추가

- 141 -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추가

Ⅱ-3-1) 주소견 및 유사진단

기술하기

(6)

Ⅱ-3의 수정으로 인한 삭제 후 추가

Ⅱ-3-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Ⅱ-3-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추가

Ⅴ-4-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2)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

(질병관리용 건강증진/ 기능강화용 건강증진)

Ⅴ-5 만성질환 자기관리증진하기

(17)

노인복지관 이용노인 특성(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Ⅴ-5-1) 호흡기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재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페색성 폐질환,

폐렴, 폐암)

2) 심혈관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소화기계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위염, 대장암, 간경변, 간암)

4) 근골격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5) 비뇨생식기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6) 내분비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갑상선 질환, 당뇨병)

7) 신경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8) 정신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9) 감각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백내장, 녹내장, 난청)

10) 피부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욕창, 피부염, 대상포진)

11) 치과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치주염, 보철) 추가

Ⅵ-4-1) 시설 및 물품관리하기

(2)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이미진, 2005;Clark,

1996)

Ⅵ-4-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로 추가

Ⅵ-6-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3)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이미진, 2005;Clark,

1996)

Ⅵ-5-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추가

Ⅵ-7. 감염관리하기

(2)

감염관리업무(송미순, 1990; Kern, 1990)

Ⅵ-6-3) 예방접종하기, 5)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추가

- 142 -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추가

Ⅶ-5-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2)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이미진, 2005;Clark,

1996)

Ⅶ-5-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추가

Ⅶ-6-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3)

전문성 향상(임경춘, 2005)

Ⅶ-6-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추가함

Ⅷ-1-6) 사례회의하기

(2)

노인복지관사업특성(보건복지부b, 2014; Kern,

1990)

Ⅷ-1-6) 사례회의하기 추가

Ⅷ-3-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2)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이 필요함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추가

Ⅷ-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3)

노인복지관사업특성(보건복지부b, 2014; Kern,

1990)

Ⅷ-4-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추가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

(15)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특성 및

요구도(강창현,2002;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은영 et al., 2001)

Ⅲ-1 건강행위 증진하기,

Ⅲ-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Ⅲ-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추가

Ⅲ-1-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2) 신체활동증진하기,

3) 스트레스 관리 증진하기,

4)사회활동 강화하기

Ⅲ-2-1) 노쇠위험성 진단하기,

2) 건강위험인자 관리 증진하기,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 낙상예방하기

Ⅲ-3-1) 건강수첩배부하기,

2) 혈당 및 혈압측정하기,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 적절한 약물 복용지도 및 모니터링하기,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추가

Ⅰ-3 신체검진하기

Ⅰ-4 정신, 사회, 영적 건강사정하기

(10)

노인의 건강특성(김선호, 2005: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Ⅰ-3 노인포괄평가(CGA)시행하기로 통합

Ⅱ-1-1) 임상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2) 특수진단검사결과 확인 및

해석하기

(9)

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

Ⅱ-1-1) 병원검사결과 확인 및 자료해석하기로

통합

- 143 -

category Duty/Task/Task element(n) Modification for 2nd survey Questionnaire

삭제

통합

Ⅱ-1-3) 문진내용 평가하기

(9)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 후 통합

Ⅱ-1-2)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로 통합

Ⅱ-4-4) 최신 노인간호 실무 반영하기

6) 효과적 노인간호중재

확인하기

7) 최신 노인전문간호 이론 및

연구 중심으로 구체화 하기

(10)

내용의 중복에 따른 삭제 후 통합의 필요성

Ⅱ-4-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로 통합

Ⅱ-4-9) 퇴원계획 포함하기

10) 간호계획 수립 시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

제공자 포함여부 평가하기

11) 평가 가능한 목표진술 여부

평가하기

(15)

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

삭제

Ⅱ-5-2) 간호수행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반응 평가하기

6) 간호수행 과정의 자율성

유지여부 평가하기

(7)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의 필요성

삭제

Ⅲ. 치료적 중재

(17)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특성 및 요구도

(강창현,2002; 김선호, 2005;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은영 et al., 2001)

Ⅲ.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중재로 삭제 후 통합

Ⅳ-2-2) 전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3) 심폐소생술 후 유지간호하기

(7)

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

2)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환자이송하기로 통합

Ⅵ-1-1) 사업조직 설계하기

3) 사업활동 계획하

(4)

내용 중복에 따른 삭제 및 통합의 필요성

Ⅵ-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로 수정

Ⅵ-4-1) 시설 및 물품관리하기

(2)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노인복지법 (보건복지부a,

2014)

삭제

Ⅵ-5 재정관리하기

(7)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노인복지법 (보건복지부a,

2014)

삭제 후 Ⅵ-1-2)예산수립하기로 통합

Ⅶ-1-2) 표준진료지침 개발하기

(5)

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

삭제 후 Ⅶ-1-1)통합

Ⅶ-4-2) 치료적 의사결정에 노인과

가족 참여시키기

(4)

여가복지시설(노인복지법, 2007)

삭제

- 144 -

부록

7.

노인

전문

간호

사교

육자

패널

과 노

인복

지관

노인

간호

실무

경력

자 패

널 간

의 지

각된

노인

복지

관 노

인전

문간

호사

역할

차이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Ⅰ.

자료

수집

1.

건강

력조

사하

1)

인구

사회

학적

자료

조사

하기

2)

현병

력,

과거

력 및

가족

력 수

집하

3)

복용

약물

조사

하기

4)

건강

행위

조사

하기

7.7

9

7.1

4

6.6

4

9.7

9

54.5

0

50.0

0

46.5

0

68.5

0

9.8

5

10.3

0

10.6

5

8.4

5

98.5

0

103.0

0

106.5

0

84.5

0

26.5

0

22.0

0

18.5

0

29.5

0

.356

.126

.042*

.466

2.

대상

자의

건강

상태

변화

지속

관찰

하기

1)

건강

상태

변화

관찰

하기

2)

건강

상태

추후

관리

하기

3)

건강

문제

의 조

기발

견 및

대처

하기

8.8

6

7.6

4

7.1

4

62.0

0

53.5

0

50.0

0

9.1

0

9.9

5

10.3

0

91.0

0

99.5

0

103.0

0

34.0

0

25.0

0

22.0

0

.909

.278

.126

3.

노인

포괄

평가

(CG

A)

시행

하기

1)

신체

상태

사정

하기

(신체

검진

, 영

양상

태 사

정)

2)

기능

상태

평가

하기

(AD

L, IA

DL)

3)

정신

건강

평가

하기

(인지

기능

평가

-3개

월주

기,정

서기

능평

가,

물질

남용

조사

)

4)

사회

환경

적평

가하

기(가

족 및

사회

지지

체계

, 낙

상위

험과

주거

환경

평가

)

5)

노인

학대

조사

하기

10.2

9

10.0

7

9.7

9

6.8

6

7.9

3

72.0

0

70.5

0

68.5

0

48.0

0

55.5

0

8.1

0

8.2

5

8.4

5

10.5

0

9.7

5

81.0

0

82.5

0

84.5

0

105.0

0

97.5

0

26.0

0

27.5

0

29.5

0

20.0

0

27.5

0

.267

.391

.466

.114

.391

Ⅱ.

임상

의사

결정

:

진단

,

계획

,

평가

1.

주관

적,

객관

자료

확인

해석

하기

1)

병원

검사

결과

확인

및 자

료해

석하

2)

포괄

적 사

정결

과 평

가하

3)

평가

내용

기록

하기

6.6

4

10.7

9

9.5

7

46.5

0

75.5

0

67.0

0

10.6

5

7.7

5

8.6

0

106.5

0

77.5

0

86.0

0

18.5

0

22.5

0

31.0

0

.083

.141

.638

2.

간호

진단

내리

1)

신체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2)

기능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10.2

9

10.2

9

72.0

0

72.0

0

8.1

0

8.1

0

81.0

0

81.0

0

26.0

0

26.0

0

.267

.267

3.

대상

자구

분하

1)

건강

위험

군 선

별하

2)

건강

관리

군 선

별하

9.5

0

10.2

9

66.5

0

72.0

0

8.6

5

8.1

0

86.5

0

81.0

0

31.5

0

26.0

0

.403

.267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

하기

2)

간호

의 우

선순

위 결

정하

10.0

7

9.5

7

70.5

0

67.0

0

8.2

5

8.6

0

82.5

0

86.0

0

27.5

0

31.0

0

.391

.638

- 145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3)

대상

자,

가족

, 주

돌봄

자,

건강

관리

제공

자와

함께

목표

수립

하기

4)

최신

노인

전문

간호

및 지

역사

회간

호를

바탕

으로

계획

하기

5)

지역

사회

의 특

성과

문화

를 고

려하

여 계

획하

6)

건강

유지

및 증

진을

위한

교육

계획

하기

7)

간호

목표

와 연

계하

여 계

획하

7.4

3

7.6

4

9.1

4

10.5

0

10.0

7

52.0

0

53.5

0

64.0

0

73.5

0

70.5

0

10.1

0

9.9

5

8.9

0

7.9

5

8.2

5

101.0

0

99.5

0

89.0

0

79.5

0

82.5

0

24.0

0

25.5

0

34.0

0

24.5

0

27.5

0

.215

.278

.909

.121

.391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8)

가용

한 지

역자

원 N

etw

ork

개발

및 활

용계

획하

9)

간호

계획

기록

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

완하

7.3

6

10.2

9

8.1

4

51.5

0

72.0

0

57.0

0

10.1

5

8.1

0

9.6

0

101.5

0

81.0

0

96.0

0

23.5

0

26.0

0

29.0

0

.127

.267

.499

5.

간호

중재

평가

하기

1)

평가

요소

반영

하기

2)

간호

수행

과정

의 윤

리적

고려

여부

평가

하기

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

담기

록 평

가하

4)

간호

중재

목표

달성

평가

하기

5)

평가

결과

에 근

거하

여 간

호중

재의

지속

적 수

정 보

완하

8.4

3

7.7

1

10.4

3

10.2

9

9.5

7

59.0

0

54.0

0

73.0

0

72.0

0

67.0

0

9.4

0

9.9

0

8.0

0

8.1

0

8.6

0

94.0

0

99.0

0

80.0

0

81.0

0

86.0

0

31.0

0

26.0

0

25.0

0

26.0

0

31.0

0

.659

.271

.245

.267

.638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

행위

증진

하기

1)

건강

한 식

생활

증진

하기

2)

신체

활동

증진

하기

3)

스트

레스

대처

강화

하기

4)

사회

활동

강화

하기

9.4

3

11.2

9

8.2

1

7.5

0

66.0

0

79.0

0

57.5

0

52.5

0

8.7

0

7.4

0

9.5

5

10.0

5

87.0

0

74.0

0

95.5

0

100.5

0

32.0

0

19.0

0

29.5

0

24.5

0

,741

.067

.560

.199

2.

건강

위험

군 관

리하

기 1)

노쇠

위험

성 진

단하

2)

건강

위험

인자

관리

하기

3)

인지

기능

증진

하기

4)

낙상

예방

하기

5)

자살

위험

사정

하기

11.2

9

10.0

7

8.6

4

9.3

6

5.2

9

79.0

0

70.5

0

60.5

0

65.5

0

37.0

0

7.4

0

8.2

5

9.2

5

8.7

5

11.6

0

74.0

0

82.5

0

92.5

0

87.5

0

116.0

0

19.0

0

27.5

0

32.5

0

32.5

0

9.0

0

.067

.391

.778

.778

.004**

- 146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3.

건강

집중

관리

관리

하기

1)

건강

수첩

배부

하기

2)

혈당

검사

및 혈

압측

정하

3)

필요

한 검

사시

행과

결과

해석

하기

4)

적절

한 약

물복

용지

도 및

모니

터링

하기

5)

상처

및 통

증 관

리하

기(촉

탁의

및 병

원연

계하

기)

6)

응급

상황

대처

능력

증진

하기

10.1

4

10.0

7

7.7

1

8.1

4

6.5

0

6.4

3

71.0

0

70.5

0

54.0

0

57.0

0

45.5

0

45.0

0

8.2

0

8.2

5

9.9

0

9.6

0

10.7

5

10.8

0

82.0

0

82.5

0

99.0

0

96.0

0

107.5

0

108.0

0

27.0

0

27.5

0

26.0

0

29.0

0

17.0

5

17.0

0

.323

.391

.271

.499

.058

.040*

Ⅳ.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

상태

사정

하기

1)

상황

별 응

급상

태 (

예,

외상

, 호

흡곤

란,

쇼크

및 의

식저

하)

사정

하기

8.7

9

61.5

0

9.1

5

91.5

0

33.5

0

.793

2.

심폐

소생

술 시

1)

기본

심폐

소생

술 시

행하

2)

상황

별(저

혈당

쇼크

, 의

식저

하)응

급처

치 및

시술

하기

3)

병원

이송

매뉴

얼에

따른

상급

의료

기관

에 이

송하

8.5

7

8.7

9

9.2

9

60.0

0

61.5

0

65.0

0

9.3

0

9.1

5

8.8

0

93.0

0

91.5

0

88.0

0

32.0

0

33.5

0

33.0

0

.691

.793

.768

3.

응급

지원

시스

구축

하기

1)

가용

한 응

급자

원 파

악하

2)

기관

내 응

급상

황 대

응 매

뉴얼

기획

하기

3)

응급

지원

체계

활용

하기

7.6

4

7.1

4

7.6

4

53.5

0

50.0

0

53.5

0

9.9

5

10.3

0

9.9

5

99.5

0

103.0

0

99.5

0

25.5

0

22.0

0

25.5

0

.278

.126

.278

Ⅴ.

교육

상담

1.

건강

교육

하기

1)

학습

준비

상태

확인

하기

2)

건강

교육

요구

사정

하기

3)

건강

교육

계획

수립

하기

4)

건강

교육

프로

그램

및 자

료개

발하

5)

건강

교육

시행

하기

6)

건강

교육

결과

평가

하기

(사전

/사후

)

8.7

1

8.8

6

9.0

7

9.2

9

9.2

9

9.5

7

61.0

0

62.0

0

63.5

0

65.0

0

65.0

0

67.0

0

9.2

0

9.1

0

8.9

5

8.8

0

8.8

0

8.6

0

92.0

0

91.0

0

89.5

0

88.0

0

88.0

0

86.0

0

33.0

0

34.0

0

34.5

0

33.0

0

33.0

0

31.0

0

.826

.909

.951

.768

.768

.638

2.

건강

상담

하기

1)

관계

형성

및 의

사소

통하

2)

건강

상담

요구

사정

하기

3)

문제

해결

을 위

한 대

안선

택 돕

4)

건강

상담

실시

하기

(전

화상

담,

내관

상담

, 가

족상

담 등

)

5)

추후

관리

하기

7.8

6

8.8

6

8.7

1

8.0

7

7.1

4

55.0

0

62.0

0

61.0

0

56.5

0

50.0

0

9.8

0

9.1

0

9.2

0

9.6

5

10.3

0

98.0

0

91.0

0

92.0

0

96.5

0

103.0

0

27.0

0

34.0

0

33.0

0

28.5

0

22.0

0

.323

.909

.826

.338

.126

- 147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3.

코칭

하기

1)

건강

증진

및 질

병예

방지

침 제

시하

2)

대상

자 지

지하

3)

자조

집단

관리

하기

9.8

6

8.5

7

10.0

7

69.0

0

60.0

0

70.5

0

8.4

0

9.3

0

8.2

5

84.0

0

93.0

0

82.5

0

29.0

0

32.0

0

27.5

0

.499

.736

.391

4.

건강

증진

프로

젝트

운영

하기

1)

건강

문제

가 있

는 대

상자

확인

하기

(건강

실태

조사

를 통

한 질

환별

리스

트 관

리하

기)

2)

건강

증진

프로

그램

개발

하기

(질병

관리

용 건

강증

진/기

능강

화용

건강

증진

)

3)

건강

증진

프로

그램

운영

하기

9.0

7

10.2

9

9.7

9

63.5

0

72.0

0

68.5

0

8.9

5

8.1

0

8.4

5

89.5

0

81.0

0

84.5

0

34.5

0

26.0

0

29.5

0

.951

.267

.466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

호흡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호흡

기계

감염

예방

, 만

성폐

색성

폐질

환,

폐렴

, 폐

암,)

2)

심혈

관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고혈

압,

심부

전,

허혈

성심

질환

, 부

정맥

, 말

초혈

관장

애)

3)

소화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위염

, 대

장암

, 간

경변

, 간

암)

4)

근골

격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골다

공증

, 퇴

행성

관절

염,

골절

)

5)

비뇨

생식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궁

탈출

, 전

립선

비대

, 요

실금

, 전

립선

암)

6)

내분

비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갑상

선 질

환,

당뇨

병)

7)

신경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뇌

졸중

, 파

킨슨

병,

치매

)

8)

정신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살

, 알

코올

중독

, 섬

망,

우울

)

9)

감각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백

내장

, 녹

내장

, 난

청)

10)

피부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욕

창,

피부

염,

대상

포진

)

11)

치과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치

주염

, 보

철)

8.2

9

8.6

4

8.4

3

9.3

6

6.8

6

8.1

4

10.2

9

7.9

3

7.1

4

6.0

7

8.0

7

58.0

0

60.5

0

59.0

0

65.5

0

48.0

0

57.0

0

72.0

0

55.5

0

50.0

0

42.5

0

56.5

0

9.5

0

9.2

5

9.4

0

8.7

5

10.5

0

9.6

0

8.1

0

9.7

5

10.3

0

11.0

5

9.6

5

95.0

0

92.5

0

94.0

0

87.5

0

105.0

0

96.0

0

81.0

0

97.5

0

103.0

0

110.5

0

96.5

0

30.0

0

32.5

0

31.0

0

32.5

0

20.0

0

29.0

0

26.0

0

27.5

0

22.0

0

14.5

0

28.5

0

.602

.778

.677

.778

.115

.499

.267

.391

.163

.034*

.486

- 148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

프로

그램

기획

하기

1)

연간

프로

그램

계획

하기

2)

예산

수립

하기

8.5

7

8.3

6

60.0

0

58.5

0

9.3

0

9.4

5

93.0

0

94.5

0

32.0

0

30.5

0

.691

.596

2.

정보

관리

하기

1)

문서

관리

하기

(프

로그

램 계

획서

, 평

가서

, 업

무일

지,

운영

일지

등)

2)

표준

양식

확인

, 적

용 및

개발

하기

3)

문서

보안

관리

하기

8.8

6

8.3

6

7.8

6

62.0

0

58.5

0

55.0

0

9.1

0

9.4

5

9.8

0

91.0

0

94.5

0

98.0

0

34.0

0

30.5

0

27.0

0

.909

.596

.323

3.

인력

관리

하기

1)

팀 구

성 및

배치

, 자

원봉

사자

모집

및 관

리하

2)

동기

부여

및 e

mpow

erm

ent

환경

조성

하기

3)

갈등

및 스

트레

스 관

리하

4)

리더

십 기

술 적

용 및

전략

개발

하기

9.2

9

9.9

3

8.6

4

7.6

4

65.0

0

69.5

0

60.5

0

53.5

0

8.8

0

8.3

5

9.2

5

9.9

5

88.0

0

83.5

0

92.5

0

99.5

0

33.0

0

28.5

0

32.5

0

25.5

0

.816

.465

.793

.294

4.

의료

물품

관리

하기

1)

의약

품 및

소모

품 관

리하

2)

비용

효율

화 도

모하

7.7

9

6.2

9

54.5

0

44.0

0

9.8

5

10.9

0

98.5

0

109.0

0

26.5

0

16.0

0

.352

.048*

5.

환경

안전

관리

하기

1)

안전

사고

방지

하기

2)

안전

대책

수립

하기

3)

복지

관 직

원대

상 응

급상

황대

처법

교육

하기

7.6

4

7.1

4

7.6

4

53.5

0

50.0

0

53.0

0

9.9

5

10.3

0

9.9

5

99.5

0

103.0

0

99.5

0

25.5

0

22.0

0

25.5

0

.278

.155

.278

6.

감염

관리

하기

1)

감염

관리

지침

및 규

정준

수하

2)

오염

폐기

물 관

리하

3)

예방

접종

홍보

및 정

보제

공하

4)

전염

성 질

환 관

리하

5)

지역

사회

의료

기관

연계

하기

8.2

9

5.7

1

8.5

0

5.7

1

7.8

6

58.0

0

40.0

0

59.5

0

40.0

0

55.0

0

9.5

0

11.3

0

9.3

5

11.3

0

9.8

0

95.0

0

113.0

0

93.5

0

113.0

0

98.0

0

30.0

0

12.0

0

31.3

0

12.0

0

27.0

0

.584

.010**

.714

.010**

.323

Ⅶ.

전문

발전

참여

1.

실무

표준

개발

하기

1)

노인

간호

표준

업무

지침

개발

하기

8.1

4

57.0

0

9.6

0

96.0

0

29.0

0

.486

2.

간호

의 질

관리

하기

1)

질 관

리 프

로그

램 개

발 및

참여

하기

2)

질 평

가도

구 개

발하

3)

질 향

상 활

동계

획 수

행 평

가하

7.5

7

7.2

1

7.2

1

53.0

0

50.5

0

50.5

0

10.0

0

10.2

5

10.2

5

100.0

0

102.5

0

102.5

0

25.0

0

22.5

0

22.5

0

.224

.150

.150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2)

전문

직 단

체활

동 참

여하

6.8

6

7.0

0

48.0

0

49.0

0

10.5

0

10.4

0

105.0

0

104.0

0

20.0

0

21.0

0

.049*

.063

- 149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4.

법적

, 윤

리적

업무

수행

하기

1)

노인

의 권

리와

자율

성 보

장하

2)

문화

적 다

양성

이해

하기

3)

윤리

적 의

사결

정하

7.1

4

7.1

4

8.1

4

50.0

0

50.0

0

57.0

0

10.3

0

10.3

0

9.6

0

103.0

0

103.0

0

96.0

0

22.0

0

22.0

0

29.0

0

.163

.163

.519

5.

보건

의료

인력

교육

코칭

하기

1)

프리

셉터

, 멘

토 역

할 수

행하

2)

노인

복지

관 실

습강

사역

할하

7.5

7

7.1

4

53.0

0

50.0

0

10.0

0

10.3

0

100.0

0

103.0

0

25.0

0

22.0

0

.270

.155

6.

자기

계발

및 전

문성

향상

시키

1)

자기

계발

하기

2)

간호

수행

성과

평가

하기

3)

계속

교육

을 통

한 전

문성

향상

시키

4)

다학

제간

연구

및 교

육활

동 참

여하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8.8

6

9.5

7

8.0

7

8.5

7

6.2

9

62.0

0

67.0

0

56.5

0

60.0

0

44.0

0

9.1

0

8.6

0

9.6

5

9.3

0

10.9

0

91.0

0

86.0

0

96.5

0

93.0

0

109.5

0

34.0

0

31.0

0

28.5

0

32.0

0

16.0

0

.909

.638

.338

.691

.033*

Ⅷ.

조정

협동

1.

사례

관리

하기

1)

사례

관리

대상

자 발

견 및

등록

하기

2)

사례

관리

대상

자 사

정하

3)

사례

관리

계획

하기

4)

사례

관리

수행

하기

5)

사례

관리

평가

하기

6)

사례

회의

하기

6.9

3

7.8

6

7.8

6

9.0

7

8.5

7

6.6

4

48.5

0

55.0

0

55.0

0

63.5

0

60.0

0

46.5

0

10.4

5

9.8

0

9.8

0

8.9

5

9.3

0

10.6

5

104.5

0

98.0

0

98.0

0

89.5

0

93.0

0

106.5

0

20.5

0

27.0

0

27.0

0

34.5

0

32.0

0

18.5

0

.102

.323

.323

.951

.691

.042

2.

자문

제공

하기

1)

노인

의 자

문에

응하

2)

노인

복지

관 실

무자

자문

제공

하기

3)

지역

사회

기관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련 자

문 제

공하

8.4

3

7.7

9

8.4

3

6.0

7

59.0

0

54.5

0

59.0

0

42.5

0

9.4

0

9.8

5

9.4

0

11.0

5

94.0

0

98.5

0

94.0

0

110.5

0

31.0

0

26.5

0

31.0

0

14.5

0

.659

.352

.659

.026*

3.

유관

기관

전문

가에

게 자

문하

1)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자

문의

뢰하

2)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대

상자

의뢰

하기

3)

프로

그램

운영

에 대

한 자

문하

7.9

3

8.1

4

7.6

4

55.5

0

57.0

0

53.5

0

9.7

5

9.6

0

9.9

5

97.5

0

96.0

0

99.5

0

27.5

0

29.0

0

25.5

0

.391

.499

.278

- 150 -

Duty

T

ask

Tas

k e

lem

ent

Educato

rs

(n=7)

Fie

ld

pra

ctitio

ner

(n=10)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4.

협동

관계

구축

유지

하기

1)

타전

문인

과 의

사소

통하

2)

대상

자와

협조

체계

구축

하기

3)

국내

외 유

관단

체와

협동

하기

4)

지역

의료

협력

사업

연계

하기

7.6

4

7.8

6

7.4

3

6.6

4

53.5

0

55.0

0

52.0

0

46.5

0

9.9

5

9.8

0

10.1

0

10.6

5

99.5

0

98.0

0

101.0

0

106.5

0

25.5

0

27.0

0

24.0

0

18.0

5

.278

.323

.217

.042*

Ⅸ.

연구

1.

이론

을 실

무에

활용

하기

1)

간호

이론

적용

하기

2)

노화

이론

적용

하기

6.4

3

7.5

7

45.0

0

53.0

0

10.8

0

10.0

0

108.0

0

100.0

0

17.0

0

25.0

0

0.5

3

.270

2.

연구

수행

하기

및 연

참여

하기

1)

연구

계획

하기

2)

연구

수행

하기

3)

공동

연구

참여

하기

4)

연구

결과

발표

및 학

회참

7.5

0

8.0

0

8.1

4

8.1

4

52.5

0

56.0

0

57.0

0

57.0

0

10.0

5

9.7

0

9.6

0

9.6

0

100.5

0

97.0

0

96.0

0

96.0

0

24.5

0

28.0

0

29.0

0

29.0

0

.246

.421

.489

.489

3.

연구

결과

를 실

무에

적용

하기

1)

연구

결과

프로

그램

에 반

영하

2)

연구

결과

간호

정책

에 반

영하

9.6

4

7.7

1

67.5

0

54.0

0

8.5

5

9.9

0

85.5

0

99.0

0

30.5

0

26.0

0

.596

.267

*: p<.0

5, **

: p<.0

1

- 151 -

부록

8.

노인

복지

관 간

호사

의 역

할수

행과

노인

전문

간호

사의

역할

비교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Ⅰ.

자료

수집

1.

건강

력 조

사하

1)

인구

사회

학적

자료

조사

하기

2)

현병

력,

과거

력 및

가족

력 수

집하

3)

복용

약물

조사

하기

4)

건강

행위

조사

하기

10.6

7

10.5

0

10.5

0

10.5

0

96.0

0

94.5

0

94.5

0

94.5

0

8.3

3

8.5

0

8.5

0

8.5

0

75.0

0

76.5

0

76.5

0

76.5

0

30.0

0

31.5

0

31.5

0

31.5

0

.285

.331

.270

.357

2.

대상

자의

건강

상태

변화

지속

관찰

하기

1)

건강

상태

변화

관찰

하기

2)

건강

상태

추후

관리

하기

3)

건강

문제

의 조

기발

견 및

대처

하기

10.5

0

11.0

0

9.5

0

94.5

0

99.0

0

85.5

0

8.5

0

8.0

0

9.5

0

76.5

0

72.0

0

85.5

0

31.5

0

27.0

0

40.5

0

.357

.169

1.0

00

3.

노인

포괄

평가

(CG

A)

시행

하기

1)

신체

상태

사정

하기

(신

체검

진,

영양

상태

사정

)

2)

기능

상태

평가

하기

(A

DL, IA

DL)

3)

정신

건강

평가

하기

(인지

기능

평가

-3개

월주

기,정

서기

능평

가,

물질

남용

조사

)

4)

사회

환경

적평

가하

기 (

가족

및 사

회지

지체

계,

낙상

위험

과 주

거환

경평

가)

5)

노인

학대

조사

하기

10.5

0

10.5

0

12.0

0

11.9

4

10.7

2

94.5

0

94.5

0

108.0

0

107.5

0

96.5

0

8.5

0

8.5

0

7.0

0

7.0

6

8.2

8

76.5

0

76.5

0

63.0

0

63.5

0

74.5

0

31.5

0

31.5

0

18.0

0

18.5

0

29.5

0

.357

.357

.022*

.029*

.274

Ⅱ.

임상

의사

결정

:

진단

,

계획

,

평가

1.

주관

적,

객관

자료

확인

해석

하기

1)

병원

검사

결과

확인

및 자

료해

석하

2)

포괄

적 사

정결

과 평

가하

3)

평가

내용

기록

하기

10.7

2

10.5

0

10.0

0

96.5

0

94.5

0

90.0

0

8.2

8

8.5

0

9.0

0

74.5

0

76.5

0

81.0

0

29.5

0

31.5

0

36.0

0

.265

.357

.638

2.

간호

진단

내리

1)

신체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2)

기능

적건

강문

제 진

단하

기(실

제적

,잠재

적)

9.5

0

9.5

0

85.5

0

85.5

0

9.5

0

9.5

0

85.5

0

85.5

0

40.5

0

40.5

0

1.0

00

1.0

00

3.

대상

자 구

분하

1)

건강

위험

군 선

별하

2)

건강

관리

군 선

별하

11.0

0

10.0

0

99.0

0

90.0

0

8.0

0

9.0

0

72.0

0

81.0

0

27.0

0

36.0

0

.125

.638

4.

간호

중재

계획

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

하기

2)

간호

의 우

선순

위 결

정하

3)

대상

자,

가족

, 주

돌봄

자,

건강

관리

제공

자와

함께

목표

수립

하기

4)

최신

노인

전문

간호

및 지

역사

회간

호를

바탕

으로

계획

하기

5)

지역

사회

의 특

성과

문화

를 고

려하

여 계

획하

10.7

2

11.1

7

11.8

3

11.8

3

10.5

6

96.5

0

100.5

0

106.5

0

106.5

0

95.0

0

8.2

8

7.8

3

7.1

7

7.1

7

8.4

4

74.5

0

70.5

0

64.5

0

64.5

0

76.0

0

29.5

0

25.5

0

19.5

0

19.5

0

31.0

0

.274

.136

.041*

.041*

.353

- 152 -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6)

건강

유지

및 증

진을

위한

교육

계획

하기

7)

간호

목표

와 연

계하

여 계

획하

8)

가용

한 지

역자

원 N

etw

ork

개발

및 활

용계

획하

9)

간호

계획

기록

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

완하

11.1

7

10.2

2

9.5

6

9.6

7

10.1

7

100.5

0

92.0

0

86.0

0

87.0

0

91.5

0

7.8

3

8.7

8

9.4

4

9.3

3

8.8

3

70.5

0

79.0

0

85.0

0

84.0

0

79.5

0

25.5

0

34.0

0

40.0

0

39.0

0

34.5

0

.136

.518

.936

.873

.537

5.

간호

중재

평가

하기

1)

평가

요소

반영

하기

2)

간호

수행

과정

의 윤

리적

고려

여부

평가

하기

3)

간호

중재

결과

및 상

담기

록 평

가하

4)

간호

중재

목표

달성

평가

하기

5)

평가

결과

에 근

거하

여 간

호중

재의

지속

적 수

정 보

완하

9.9

4

11.1

7

9.7

2

10.1

7

10.1

7

89.5

0

100.5

0

87.5

0

91.5

0

91.5

0

9.0

6

7.8

3

9.2

8

8.8

3

8.8

3

81.5

0

70.5

0

83.5

0

79.5

0

79.5

0

36.5

0

25.5

0

38.5

0

34.5

0

34.5

0

.684

.112

.841

.537

.537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

행위

증진

하기

1)

건강

한 식

생활

증진

하기

2)

신체

활동

증진

하기

3)

스트

레스

대처

강화

하기

4)

사회

활동

강화

하기

10.5

0

11.3

3

11.5

0

11.2

2

94.5

0

102.0

0

103.5

0

101.0

0

8.5

0

7.6

7

7.5

0

7.7

8

76.5

0

69.0

0

67.5

0

70.0

0

31.5

0

24.0

0

22.5

0

25.0

0

.395

.111

.091

.146

2.

건강

위험

군 관

리하

기 1)

노쇠

위험

성 진

단하

2)

건강

위험

인자

관리

하기

3)

인지

기능

증진

하기

4)

낙상

예방

하기

5)

자살

위험

사정

하기

10.7

8

10.5

0

9.0

0

8.5

0

10.0

0

97.0

0

94.5

0

81.0

0

76.5

0

90.0

0

8.2

2

8.5

0

10.0

0

10.5

0

9.0

0

74.0

0

76.5

0

90.0

0

94.5

0

81.0

0

29.0

0

31.5

0

36.0

0

31.5

0

36.0

0

.237

.357

.647

.357

.638

3.

건강

집중

관리

관리

하기

1)

건강

수첩

배부

하기

2)

혈당

검사

및 혈

압측

정하

3)

필요

한 검

사시

행과

결과

해석

하기

4)

적절

한 약

물복

용지

도 및

모니

터링

하기

5)

상처

및 통

증 관

리하

기(촉

탁의

및 병

원연

계하

기)

6)

응급

상황

대처

능력

증진

하기

9.0

0

8.5

0

9.0

0

10.5

0

10.5

0

10.0

0

81.0

0

76.5

0

81.0

0

94.5

0

94.5

0

90.0

0

10.0

0

10.5

0

10.0

0

8.5

0

8.5

0

9.0

0

90.0

0

94.5

0

90.0

0

76.5

0

76.5

0

81.0

0

36.0

0

31.5

0

36.0

0

31.5

0

31.5

0

36.0

0

.609

.331

.638

.357

.357

.609

Ⅳ.

1.

응급

상태

사정

하기

1)

상황

별 응

급상

태 (

예,

외상

, 호

흡곤

란,

쇼크

및 의

식저

하)

사정

하기

9.5

0

85.5

0

9.5

0

85.5

0

40.5

0

1.0

00

- 153 -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응급

상황

관리

2.

심폐

소생

술 시

1)

기본

심폐

소생

술 시

행하

2)

상황

별(저

혈당

쇼크

, 의

식저

하)응

급처

치 및

시술

하기

3)

병원

이송

매뉴

얼에

따른

상급

의료

기관

에 이

송하

9.5

0

9.5

0

10.0

0

85.5

0

85.5

0

90.0

0

9.5

0

9.5

0

9.0

0

85.5

0

85.5

0

81.0

0

40.5

0

40.5

0

36.0

0

1.0

00

1.0

00

.609

3.

응급

지원

시스

구축

하기

1)

가용

한 응

급자

원 파

악하

2)

기관

내 응

급상

황 대

응 매

뉴얼

기획

하기

3)

응급

지원

체계

활용

하기

9.5

0

10.0

0

10.0

0

85.5

0

90.0

0

90.0

0

9.5

0

9.0

0

9.0

0

85.5

0

81.0

0

81.0

0

40.5

0

36.0

0

36.0

0

1.0

00

.609

.638

1.

건강

교육

하기

1)

학습

준비

상태

확인

하기

2)

건강

교육

요구

사정

하기

3)

건강

교육

계획

수립

하기

4)

건강

교육

프로

그램

및 자

료개

발하

10.5

6

11.1

7

10.6

1

9.7

2

95.0

0

100.5

0

95.5

0

87.5

0

8.4

4

7.8

3

8.3

9

9.2

8

76.0

0

70.5

0

75.5

0

83.5

0

31.0

0

25.5

0

30.5

0

38.5

0

.353

.136

.286

.808

Ⅴ.

교육

상담

1.

건강

교육

하기

5)

건강

교육

시행

하기

6)

건강

교육

결과

평가

하기

(사전

/사후

)

9.6

1

9.9

4

86.5

0

89.5

0

9.3

9

9.0

6

84.5

0

81.5

0

39.5

0

36.5

0

.903

.692

2.

건강

상담

하기

1)

관계

형성

및 의

사소

통하

2)

건강

상담

요구

사정

하기

3)

문제

해결

을 위

한 대

안선

택 돕

4)

건강

상담

실시

하기

(전

화상

담,

내관

상담

, 가

족상

담 등

)

5)

추후

관리

하기

9.6

1

10.1

7

10.2

8

10.5

6

11.1

1

86.5

0

91.5

0

92.5

0

95.0

0

100.0

0

9.3

9

8.8

3

8.7

2

8.4

4

7.8

9

84.5

0

79.5

0

78.5

0

76.0

0

71.0

0

39.5

0

34.5

0

33.5

0

31.0

0

26.0

0

.903

.537

.482

.248

.136

3.

코칭

하기

1)

건강

증진

및 질

병예

방지

침 제

시하

2)

대상

자 지

지하

3)

자조

집단

관리

하기

9.7

8

10.6

7

10.7

2

88.0

0

96.0

0

96.5

0

9.2

2

8.3

3

8.2

8

83.0

0

75.0

0

74.5

0

38.0

0

30.0

0

29.5

0

.804

.291

.274

4.

건강

증진

프로

젝트

운영

하기

1)

건강

문제

가 있

는 대

상자

확인

하기

(건강

실태

조사

를 통

한 질

환별

리스

트 관

리하

기)

2)

건강

증진

프로

그램

개발

하기

(질병

관리

용 건

강증

진/기

능강

화용

건강

증진

)

3)

건강

증진

프로

그램

운영

하기

11.6

1

10.5

0

10.0

0

104.5

0

94.5

0

90.0

0

7.3

9

8.5

0

9.0

0

66.5

0

76.5

0

81.0

0

21.5

0

31.5

0

36.0

0

.056

.357

.609

5.

만성

질환

자가

관리

증진

하기

1)

호흡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호흡

기계

감염

예방

, 만

성폐

색성

폐질

환,

폐렴

, 폐

암,)

10.8

3

97.5

0

8.1

7

73.5

0

28.5

0

.262

- 154 -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2)

심혈

관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고혈

압,

심부

전,

허혈

성심

질환

, 부

정맥

, 말

초혈

관장

애)

3)

소화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위염

, 대

장암

, 간

경변

, 간

암)

4)

근골

격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골다

공증

, 퇴

행성

관절

염,

골절

)

5)

비뇨

생식

기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궁

탈출

, 전

립선

비대

, 요

실금

, 전

립선

암)

6)

내분

비계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갑상

선 질

환,

당뇨

병)

7)

신경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뇌

졸중

, 파

킨슨

병,

치매

)

8)

정신

질환

노인

자가

관리

증진

하기

(자살

, 알

코올

중독

, 섬

망,

우울

)

9)

감각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백

내장

, 녹

내장

, 난

청)

10)

피부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욕

창,

피부

염,

대상

포진

)

11)

치과

계질

환 노

인 자

가관

리 증

진하

기(치

주염

, 보

철)

9.9

4

9.7

2

9.7

2

10.6

7

10.1

7

11.1

7

11.6

7

11.0

6

12.0

6

10.6

1

89.5

0

87.5

0

87.5

0

96.0

0

91.5

0

100.5

0

105.0

0

99.5

0

108.5

0

95.5

0

9.0

6

9.2

8

9.2

8

8.3

3

8.8

3

7.8

3

7.3

3

7.9

4

6.9

4

8.3

9

81.5

0

83.5

0

83.5

0

75.0

0

79.5

0

70.5

0

66.0

0

71.5

0

62.5

0

75.5

0

36.5

0

38.5

0

38.5

0

30.0

0

34.5

0

25.5

0

21.0

0

26.5

0

17.5

0

30.5

0

.692

.850

.841

.311

.537

.136

.062

.169

.030*

.337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

프로

그램

기획

하기

1)

연간

프로

그램

계획

하기

2)

예산

수립

하기

9.5

0

9.5

0

85.5

0

85.5

0

9.5

0

9.5

0

85.5

0

85.5

0

40.5

0

40.5

0

1.0

00

1.0

00

2.

정보

관리

하기

1)

문서

관리

하기

(프

로그

램 계

획서

, 평

가서

, 업

무일

지,

운영

일지

등)

2)

표준

양식

확인

, 적

용 및

개발

하기

3)

문서

보안

관리

하기

10.0

0

10.6

1

10.0

0

90.0

0

95.5

0

90.0

0

9.0

0

8.3

9

9.0

0

81.0

0

75.5

0

81.0

0

36.0

0

30.5

0

36.0

0

.638

.286

.609

3.

인력

관리

하기

1)

팀 구

성 및

배치

, 자

원봉

사자

모집

및 관

리하

2)

동기

부여

및 e

mpow

erm

ent

환경

조성

하기

3)

갈등

및 스

트레

스 관

리하

4)

리더

십 기

술 적

용 및

전략

개발

하기

10.1

7

11.3

9

10.2

8

11.3

9

91.5

0

102.5

0

92.5

0

102.5

0

8.8

3

7.6

1

8.7

2

7.6

1

79.5

0

68.5

0

78.5

0

68.5

0

34.5

0

23.5

0

33.5

0

23.5

0

.569

.103

.491

.103

4.

의료

물품

관리

하기

1)

의약

품 및

소모

품 관

리하

2)

비용

효율

화 도

모하

9.0

6

10.4

4

81.5

0

94.0

0

9.9

4

8.5

6

89.5

0

77.0

0

36.5

0

32.0

0

.654

.425

5.

환경

안전

관리

하기

1)

안전

사고

방지

하기

2)

안전

대책

수립

하기

3)

복지

관 직

원대

상 응

급상

황대

처법

교육

하기

10.1

7

9.7

2

10.5

0

91.5

0

87.5

0

94.5

0

8.8

3

9.2

8

8.5

0

79.5

0

83.5

0

76.5

0

34.5

0

38.5

0

31.5

0

.537

.841

.357

- 155 -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6.

감염

관리

하기

1)

감염

관리

지침

및 규

정준

수하

2)

오염

폐기

물 관

리하

3)

예방

접종

홍보

및 정

보제

공하

4)

전염

성 질

환 관

리하

5)

지역

사회

의료

기관

연계

하기

10.5

0

11.6

7

11.2

8

10.6

1

10.5

0

94.5

0

105.5

0

101.5

0

95.5

0

94.5

0

8.5

0

7.3

3

7.7

2

8.3

9

8.5

0

76.5

0

66.0

0

69.5

0

75.5

0

76.5

0

31.5

0

21.0

0

24.5

0

30.5

0

31.5

0

.357

.053

.118

.286

.331

Ⅶ.

전문

발전

참여

1.

실무

표준

개발

하기

1)

노인

간호

표준

업무

지침

개발

하기

11.8

3

106.5

0

7.1

7

64.5

0

19.5

0

.039*

2.

간호

의 질

관리

하기

1)

질 관

리 프

로그

램 개

발 및

참여

하기

2)

질 평

가도

구 개

발하

3)

질 향

상 활

동계

획 수

행 평

가하

11.1

7

11.5

0

11.5

0

100.5

0

103.5

0

103.5

0

7.8

3

7.5

0

7.5

0

70.5

0

67.5

0

67.5

0

25.5

0

22.5

0

22.5

0

.113

.068

.068

3.

관련

정책

개발

참여

하기

1)

노인

관련

정책

개발

및 평

가하

2)

전문

직 단

체활

동 참

여하

12.0

6

11.6

1

108.5

0

104.5

0

6.9

4

7.3

9

62.5

0

66.5

0

17.5

0

21.5

0

.015*

.073

4.

법적

, 윤

리적

업무

수행

하기

1)

노인

의 권

리와

자율

성 보

장하

2)

문화

적 다

양성

이해

하기

3)

윤리

적 의

사결

정하

10.7

8

10.7

8

10.3

9

97.0

0

97.0

0

93.5

0

8.2

2

8.2

2

8.6

1

74.0

0

74.0

0

77.5

0

29.0

0

29.0

0

32.5

0

.271

.271

.450

5.

보건

의료

인력

교육

코칭

하기

1)

프리

셉터

, 멘

토 역

할 수

행하

2)

노인

복지

관 실

습강

사역

할하

12.6

7

11.8

3

114.0

0

106.5

0

6.3

3

7.1

7

57.0

0

64.5

0

12.0

0

19.5

0

.005**

.041*

6.

자기

계발

및 전

문성

향상

시키

1)

자기

계발

하기

2)

간호

수행

성과

평가

하기

3)

계속

교육

을 통

한 전

문성

향상

시키

4)

다학

제간

연구

및 교

육활

동 참

여하

5)

학회

및 연

수 참

여하

10.1

7

10.6

7

11.0

0

12.3

3

11.8

3

91.5

0

96.0

0

99.0

0

111.0

0

106.5

0

8.8

3

8.8

3

8.0

0

6.6

7

7.1

7

79.5

0

75.0

0

72.0

0

60.0

0

64.5

0

34.5

0

30.0

0

27.0

0

15.0

0

19.5

0

.537

.291

.125

.014*

.039*

Ⅷ.

조정

협동

1.

사례

관리

하기

1)

사례

관리

대상

자 발

견 및

등록

하기

2)

사례

관리

대상

자 사

정하

3)

사례

관리

계획

하기

4)

사례

관리

수행

하기

5)

사례

관리

평가

하기

6)

사례

회의

하기

10.6

7

11.1

1

10.6

1

10.1

7

10.6

1

11.0

6

96.0

0

100.0

0

95.5

0

91.5

0

95.5

0

99.5

0

8.3

3

7.8

9

8.3

9

8.8

3

8.3

9

7.9

4

75.5

0

71.0

0

75.5

0

79.5

0

75.5

0

71.5

0

30.0

0

26.0

0

30.5

0

34.5

0

30.5

0

26.5

0

.291

.136

.286

.537

.286

.115

- 156 -

Duty

T

ask

Tas

k e

lem

ent

GN

P R

ole

RN

Role

U

P

Mean

Ran

k

Ran

k

Sum

Mean

Ran

k

Ran

k

Sum

2.

자문

제공

하기

1)

노인

의 자

문에

응하

2)

노인

복지

관 실

무자

자문

제공

하기

3)

지역

사회

기관

자문

제공

하기

4)

노인

시설

과 기

관의

창업

및 운

영관

련 자

문 제

공하

11.0

0

11.0

0

11.0

0

12.2

2

99.0

0

99.0

0

99.0

0

110.0

0

8.0

0

8.0

0

8.0

0

6.7

8

72.0

0

72.0

0

72.0

0

61.0

0

27.0

0

27.0

0

27.0

0

16.0

0

.192

.192

.192

.017*

3.

유관

기관

전문

가에

게 자

문하

1)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자

문의

뢰하

2)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에 대

상자

의뢰

하기

3)

프로

그램

운영

에 대

한 자

문하

10.7

2

10.6

7

10.1

1

96.5

0

96.0

0

91.0

0

8.2

8

8.3

3

8.8

9

74.5

0

75.0

0

80.0

0

29.5

0

30.0

0

35.0

0

.274

.291

.535

4.

협동

관계

구축

유지

하기

1)

타전

문인

과 의

사소

통하

2)

대상

자와

협조

체계

구축

하기

3)

국내

외 유

관단

체와

협동

하기

4)

지역

의료

협력

사업

연계

하기

10.6

7

11.1

1

9.8

3

9.5

6

96.0

0

100.0

0

88.5

0

86.0

0

8.3

3

7.8

9

9.1

7

9.4

4

75.0

0

71.0

0

82.5

0

85.0

0

30.0

0

26.0

0

37.5

0

40.0

0

.291

.136

.750

.936

Ⅸ.

연구

1.

이론

을 실

무에

활용

하기

1)

간호

이론

적용

하기

2)

노화

이론

적용

하기

12.3

3

12.4

4

111.0

0

112.0

0

6.6

7

6.5

6

60.0

0

59.0

0

15.0

0

14.0

0

.010*

.007**

2.

연구

수행

하기

연구

참여

하기

1)

연구

계획

하기

2)

연구

수행

하기

3)

공동

연구

참여

하기

4)

연구

결과

발표

및 학

회참

11.7

8

11.7

8

11.8

3

12.1

7

106.0

0

106.0

0

106.5

0

109.5

0

7.2

2

7.2

2

7.1

7

6.8

3

65.0

0

65.0

0

64.5

0

61.5

0

20.0

0

20.0

0

19.5

0

16.5

0

.053

.053

.039*

.020*

3.

연구

결과

를 실

무에

적용

하기

1)

연구

결과

프로

그램

에 반

영하

2)

연구

결과

간호

정책

에 반

영하

10.1

7

11.6

1

91.5

0

104.5

0

8.8

3

7.3

9

79.5

0

66.5

0

34.5

0

21.5

0

.552

.072

*: p<.0

5, **

: p<.0

1

- 157 -

부록 9. 최종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

Duty Task Task element

Ⅰ.

자료

수집

1. 건강력 조사하기 1) 현병력, 과거력 및 가족력 수집하기

2) 복용약물 조사하기

3) 건강행위 조사하기

2. 대상자의 건강상태변화

지속적 관찰하기

1) 건강상태변화 관찰하기

2) 건강상태 추후관리하기

3) 건강문제의 조기발견 및 대처하기

3. 노인포괄평가

(CGA)시행하기

1) 신체상태사정하기 (신체검진, 영양상태 사정)

2) 기능상태평가하기 (ADL, IADL)

3) 정신건강평가하기 (인지기능평가-3개월주기, 정서기능평가, 물질남용

조사)

4) 사회환경적평가하 (가족 및 사회지지체계, 낙상위험과 주거환경평가)

5) 노인학대 조사하기

Ⅱ.

임상

의사

결정:

진단,

계획,

평가

1. 주관적, 객관적

자료확인 및 해석하기

1) 포괄적 사정결과 평가하기

2) 평가내용 기록하기

2. 간호진단내리기 1) 신체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2) 기능적건강문제 진단하기(실제적,잠재적)

3. 대상자 구분하기 1) 건강위험군 선별하기

2) 건강관리군 선별하기

4. 간호중재 계획하기 1) 중재 계획 요소 작성하기

2)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하기

3) 대상자, 가족, 주돌봄자, 건강관리제공자와 함께 목표수립하기

4) 최신 노인전문간호 및 지역사회간호를 바탕으로 계획하기

5)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6)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교육계획하기

7) 간호 목표와 연계하여 계획하기

8) 가용한 지역자원 Network 개발 및 활용계획하기

9) 간호계획 기록하기

10) 계획 수정 및 보완하기

5. 간호중재 평가하기 1) 평가요소 반영하기

2) 간호수행과정의 윤리적 고려여부 평가하기

3) 간호중재결과 및 상담기록 평가하기

4) 간호중재 목표달성 평가하기

5)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중재의 지속적 수정 보완하기

Ⅲ.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중재

1. 건강행위 증진하기 1) 건강한 식생활 증진하기

2) 신체활동증진하기

3) 스트레스 대처 강화하기

4) 사회활동 강화하기

2. 건강위험군 관리하기 1) 노쇠 위험성 진단하기

2) 건강위험인자 관리하기

3) 인지기능 증진하기

4) 낙상예방하기

5) 자살위험 사정하기

- 158 -

Duty Task Task element

3. 건강집중관리군

관리하기

1) 건강수첩배부하기

2) 혈당검사 및 혈압측정하기

3) 필요한 검사시행과 결과해석하기

4) 적절한 약물복용지도 및 모니터링 하기

5) 상처 및 통증 관리하기(촉탁의 및 병원연계하기)

6) 응급상황 대처능력 증진하기

Ⅳ.

응급

상황

관리

1. 응급상태 사정하기 1) 상황별 응급상태 (예, 외상, 호흡곤란, 쇼크및 의식저하) 사정하기

2. 심폐소생술 시행 1) 기본심폐소생술 시행하기

2) 상황별(저혈당 쇼크, 의식저하)응급처치 및 시술하기

3) 병원이송 매뉴얼에 따른 상급의료기관에 이송하기

3. 응급지원시스템

구축하기

1) 가용한 응급자원 파악하기

2) 기관 내 응급상황 대응 매뉴얼 기획하기

3) 응급지원체계 활용하기

Ⅴ.

교육

상담

1. 건강교육하기 1) 학습 준비상태 확인하기

2) 건강교육요구 사정하기

3) 건강교육계획 수립하기

4) 건강교육프로그램 및 자료개발하기

5) 건강교육시행하기

6) 건강교육결과 평가하기(사전/사후)

2. 건강상담하기 1)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하기

2) 건강상담요구 사정하기

3)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선택 돕기

4) 건강상담실시하기 (전화상담, 내관상담, 가족상담 등)

5) 추후관리하기

3. 코칭하기 1)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지침 제시하기

2) 대상자 지지하기

3) 자조집단 관리하기

4. 건강증진 프로젝트

운영하기

1) 건강문제가 있는 대상자 확인하기

(건강실태조사를 통한 질환별 리스트 관리하기)

2)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하기

(질병관리용 건강증진/기능강화용 건강증진)

3)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하기

5. 만성질환 자가관리

증진하기

1) 호흡기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호흡기계감염예방, 만성폐색성폐질환, 폐렴, 폐암,)

2) 심혈관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고혈압, 심부전,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말초혈관장애)

3) 근골격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골절)

4) 비뇨생식기계 질환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

(자궁탈출, 전립선비대, 요실금, 전립선암)

5) 내분비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갑상선 질환, 당뇨병)

6) 신경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7) 정신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자살, 알코올 중독, 섬망, 우울)

8) 감각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백내장, 녹내장, 난청)

9) 치과계질환 노인 자가관리 증진하기(치주염, 보철)

- 159 -

Duty Task Task element

Ⅵ.

환경

자원

관리

1. 연중프로그램 기획하기 1) 연간 프로그램 계획하기

2) 예산수립하기

2. 정보 관리하기 1) 문서관리하기 (프로그램 계획서, 평가서, 업무일지, 운영일지 등)

2) 표준양식 확인, 적용 및 개발하기

3) 문서보안 관리하기

3. 인력 관리하기 1) 팀 구성 및 배치, 자원봉사자 모집 및 관리하기

2) 동기부여 및 empowerment 환경 조성하기

3) 갈등 및 스트레스 관리하기

4) 리더십 기술 적용 및 전략 개발하기

4. 의료 물품 관리하기 1) 의약품 및 소모품 관리하기

5. 환경 및 안전관리하기 1) 안전사고 방지하기

2) 안전대책 수립하기

3) 복지관 직원대상 응급상황대처법 교육하기

6. 감염관리하기 1) 감염관리 지침 및 규정준수하기

2) 오염폐기물 관리하기

3) 전염성 질환 관리하기

4) 지역사회의료기관 연계하기

Ⅶ.

전문직

발전

참여

1. 실무표준 개발하기 1) 노인간호 표준업무지침 개발하기

2. 간호의 질 관리하기 1) 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하기

2) 질 평가도구 개발하기

3) 질 향상 활동계획 수행 평가하기

3. 관련 정책개발

참여하기

1) 노인관련 정책 개발 및 평가하기

2) 전문직 단체활동 참여하기

4. 법적, 윤리적 업무

수행하기

1)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 보장하기

2) 문화적 다양성 이해하기

3) 윤리적 의사결정하기

5. 보건의료인력교육 및

코칭하기

1) 프리셉터, 멘토 역할 수행하기

2) 노인복지관 실습강사역할하기

6.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시키기

1) 자기계발하기

2) 간호수행 성과 평가하기

3) 계속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시키기

4) 다학제간 연구 및 교육활동 참여하기

5) 학회 및 연수 참여하기

Ⅷ.

조정

협동

1. 사례관리하기 1) 사례관리 대상자 발견 및 등록하기

2) 사례관리 대상자 사정하기

3) 사례관리 계획하기

4) 사례관리 수행하기

5) 사례관리 평가하기

6) 사례회의하기

2. 자문 제공하기 1) 노인의 자문에 응하기

2) 노인복지관 실무자 자문 제공하기

3) 지역사회기관 자문 제공하기

- 160 -

Duty Task Task element

3. 유관기관 및

전문가에게 자문하기

1)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자문의뢰하기

2) 지역사회 유관기관에 대상자 의뢰하기

3)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하기

4. 협동관계 구축 및

유지하기

1) 타전문인과 의사소통하기

2) 대상자와 협조체계 구축하기

3) 국내외 유관단체와 협동하기

4) 지역의료협력사업 연계하기

Ⅸ.

연구

1. 이론을 실무에

활용하기

1) 간호이론 적용하기

2) 노화 이론 적용하기

2. 연구수행하기 및 연구

참여하기

1) 연구계획하기

2) 연구수행하기

3) 공동연구 참여하기

4) 연구결과 발표 및 학회참석

3. 연구 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1)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반영하기

2) 연구결과 간호정책에 반영하기

- 161 -

부록 10.

델파이 패널 수에 따른 내용타당도 비율(CVR)의 최소값(Lawshe, 1975)

패널수 CVR 최소값

5 0.99

6 0.99

7 0.99

8 0.75

9 0.78

10 0.62

11 0.59

12 0.56

13 0.54

14 0.51

15 0.49

20 0.42

25 0.37

30 0.33

35 0.31

40 0.29

- 162 -

Abstract

Development of Roles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in the Senior centers

Ko, Ha Na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Because senior center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community as

become an issue due to the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the

number of senior centers and their us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ecause senior centers are being used by both relatively healthy

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community elderly can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outcomes.

GNPs started to be legally institutionalized in 2003, GNPs are the

largest number of professional nurses, but they have few places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their training activities.

Therefore, to develop senior center GNPs role which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ompetencies of GNPs,

- 163 -

this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Delphi techniqu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senior center GNPs make

possible to exert competence in the integrated healthcare delivery

system by providing cost-effective health service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done from Jan 08, 2014 to

Apr 11, 2014, and the job description wa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KABON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nd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hree times through the Delphi-

panel composed of 17 people who had a thorough understanding of

senior centers and GNP ro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description of senior center GNPs consisted of 9

duties(Assessment, Clinical decision making,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Emergency situation management,

Education and counseling, Managing and using resources, Leadership,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and Research), 38 tasks and 137 task

elements.

Second, the highest weight for all 9 duty rates was ‘Intervention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5.00%)’ followed by

‘Education and counseling (18.53%)’. However, ‘Research (5.50%)’

had the lowest weight for the duty rate.

Third, the highest duty element was ‘Screening of the health risk

(4.94 .24)’, and the lowest duty element was ' Planning of research'

(3.94 .66).

- 164 -

Fourth, in the comparison of roles between GNPs and Nurses,

‘Perform role as a clinical practice preceptor and mentor (p=.0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senior center GNPs roles should focus o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asks, they were required to provide advanced nursing tasks

from mental health to the screening of health risks. Research was

less important, but it ascertained the unique areas of GNPs ro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is is a first attempt analysis for

the elements of duty in developing the role of senior center GNP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by targeting all licensed GNP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enior center GNPs, how many are

needed and the frequency needed on duty. Through this study, it is

presented basis of data that the senior center GNPs can more

extended professional nursing than the general nurse with advanced

nursing practice and research can performed.

keywords :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Senior center, Role,

Delphi Technique

Student Number : 2011-2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