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測量學의 意義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測量學의 - contents.kocw.or.krcontents.kocw.or.kr/.../2013/gacheon/PARKHonggi/1.pdf · 2016-09-09 · (1/3,000 및 1/10,000 현황도)를 제작 -> 우리의 본격적인 측량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測量學의 意義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박 홍 기

  • 2 가천대학교 박홍기

    측량

    측량(測量)이란 측천양지(測天量地)의 준말로, 중국 전한(前漢)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저술한 회남자(淮南子)에 나온다. 중국 고대 삼황오제 중의 초기 신에 해당하는 복희와 여와라는 남매신이 규(規; 콤파스)와 구(矩; 곱자)를 가지고 ‘하늘을 재고 땅을 헤아려’ 세상을 만들었다는 천지창조에 관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기 하본기(夏本紀)』

    에서는 중국 고대 요(堯), 순(舜)임금에 이어 등극한 우(禹)임금이 황하(黃河)의 홍수를 다스리기 위해 운하를 뚫는 과정에서 자신의 신장과 체중으로 길이와 질량의 표준을 정하고 동시에 규구준승(規矩準繩) 등 측량도구를 사용하여 하늘과 땅을 측량하였으며, 이것이 바로 측천양지(測

    天量地)의 시초라고 기록하고 있다. (http://zhengjian.org/zj/articles/2005/6/25/32863.html)

    http://zhengjian.org/zj/articles/2005/6/25/32863.html

  • 3 가천대학교 박홍기

    測量學의 意義

    측량학(Surveying)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각 점간의 상호 위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이며, 점 상호간의 거리, 방향, 높이를 관측하고 도시하여 지도제작 및 모든 구조물의 위치를 정량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 및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정성적으로 해석하는 제반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다.

  • 4 가천대학교 박홍기

    Definitions of Geomatics As defined by the Canadian Institute of Geomatics in their quarterly journal "Geomatica":

    Geomatics is a field of activities which, using a systemic approach, integrates all the means

    used to acquire and manage spatial data required as part of scientific, administrative, legal and

    technical operations involved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information.

    The definition of geomatics is evolving. A working definition might be "the art, science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geographically-referenced information." Geomatics

    includes a wide range of activities, from th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site-specific spatial data

    in engineering and development surveys to the application of GI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It includes cadastral surveying, hydrographic

    surveying, and ocean mapping,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d administration and land

    use management.

    [from UNB ] which is a very good read in whole.

    Geomatics is concerned with the measurement, representation, analysis, management, retrieval

    and display of spatial data concerning both the Earths physical features and the built

    environment. The principal disciplines embraced by Geomatics include the mapping sciences,

    land manage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environmental visualisation, geodesy,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urveying.

    [from the Dept. of Geomatics at Univ. of Melbourne]

    gopher://unbmvs1.csd.unb.ca:1570/0EXEC%3aCANGET UNB.GEOMATIC.DEFNhttp://www.sli.unimelb.edu.au/about.html

  • 5 가천대학교 박홍기

    Definitions of Geomatics Geomatics is the modern scientific term referring to the integrated approach of measurement,

    analysis, management, storage and display of the descriptions and location of Earth-based data,

    often termed spatial data. These data come from many sources, including earth orbiting

    satellites, air and sea-borne sensors and ground based instruments. It is processed and

    manipulated with state-of-the-art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It has applications in all disciplines which depend on spatial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studies, planning, engineering, navigation, geology and geophysics,

    oceanography, land development and land ownership and tourism. It is thus fundamental to all

    the geoscience disciplines which use spatially related data.

    [from the School of Geomatic Engineering, Univ. of New South Wales]

    Geomatics comprises the science, engineering, and art involved in collecting and managing

    geographically-referenced information. Geographical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tivities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management of land and marine resources, and

    real estate transactions.

    [from the Dept. of Geodesy and Geomatics Engineering at UNB]

    The science of Geomatics is concerned with the measurement, representation, analysis,

    management, retrieval and display of spatial information describing both the Earth's physical

    features and the built environment. Geomatics includes disciplines such as:

    Surveying, Geodesy, Remote Sensing & Photogrammetry, Cartograph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lobal Positioning Systems

    [from the Dept. of Survey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 at the Univ. of Tasmania

    http://www.gmat.unsw.edu.au/whatis.htmlhttp://www.unb.ca/GGE/WhoAreWe.htmlhttp://info.utas.edu.au/docs/geomatics/geomatics_exp.html

  • 6 가천대학교 박홍기

    첨단기술구분 주요 기기 주요 기술

    원격탐사 (RS)

    지구관측위성, 수신시설, 항공기, 센서, 영상처리장치, 자료저장장치

    위성기술, 센서기술, 영상처리, 데이터 저장기술, 응용기술

    지리정보시스템 (GIS)

    디지타이저, 스캐너, 전자계산기, 도형/영상출력장치, GIS소프트웨어

    데이터 처리, 검색, 데이터베이스관리, 공간분석, 기하학, 디지털매핑기술, 응용기술

    범지구측위시

    스템 (GPS) GPS안테나, 무선통신장치, 전자계산기, GPS소프트웨어

    통신/수신 기술, 융합기술, 오차조정, 응용기술

    수치사진측량 (DP)

    항측용카메라, 영상디지타이저, 디지털카메라, 수치사진측량 워크스테이션

    점 자동인식, 이미지 매칭, 표정, 영상이해, 응용기술

    전자광학측량 (EOS)

    토탈스테이션, 레이저 거리측량기, 전자 레벨, 레이저 스캐너, 펜컴퓨터

    전자광학측정기술, 측량데이터 처리기술, 디지털 매핑기술, 응용기술

    Geomatics 관련 기술

  • 7 가천대학교 박홍기

    측량의 역사 이집트에서는, 측량사들이 측정하는 데 로프를 사용한다고 하여 그들을 “rope stretchers”라고 불렀다.

    서기 Djeserkeresonb의 무덤, B.C 1400-1390

  • 8 가천대학교 박홍기

    헤로도토스의 역사 헤로도토스가 기원전 440년경에 쓴 《역사》는 서양 최초의 역사책으로 여겨진다. 전 9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항쟁 유래로부터 페르시아 전쟁의 종결에 이르기까지 저술되어 있는데, 제 9권은 미완성이다. According to the Herodotos(Heroditus) the Nile flooded its banks each year, obliterating the markings for fields.

    He wrote, "This king divided the land . . . so as to give each one a quadrangle of equal size and . . . on each imposing a tax. But everyone from whose part the river tore anything away . . . he sent overseers to measure out how much the land had become smaller, in order that the owner might pay on what was left . . . In this way, it appears to me, geometry originated, which passed thence to Greece.

    이집트 제12대 왕조(BC1991-BC1784)의 “Sesostris왕은 모든 이집트인들에게 똑같은 넓이의 네모난 토지를 각각 나누어주어 경작하게 하고 그 토지에서 얻은 수입의 일부를 매년 세금으로 바치게 했다. 나일갈에 대홍수가 일어나 소유지의 일부를 잃은 자가 있는 경우 해당자는 왕 앞에 출두하여 그 사실을 호소하였고, 왕은 관리를 보내어 토지의 감소분을 측량하게 한 후 세금을 재조정하여 그에 합당한 납세율로 세금을 바치게 했다. 생각하건데 이러한 동기에서 측량술이 창설하게 되고 후에 그리스로 전파된 것 같다.” (측량사, 김추윤, 제3공간, 2006)

  • 9 가천대학교 박홍기

    삼국시대의 지도

    고구려 영류왕 11년(628년)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봉역도』라는 고구려 지도를 보냈다고 에 기록, 1953년 북한의 평남 순천군에서 발견된 고구려 고분에서 요동성시의 그림지도가 발견

    백제의 지도와 지리에 대한 관심은 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고, 가 편찬되었던 고려시대에도 백제지리지가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음

    신라의 경우 등에 문무와 11년(671년) 7월에 김흥순이 당에서 돌아와 신라와 백제간의 경계를 지도에 의하여 살펴보았다고 기록, 통일신라 경덕왕때에는 신라구주현총도(新羅九州縣總圖)를 제작

  • 10 가천대학교 박홍기

    고려시대의 지도

    의종 2년(1148년)에는 이심, 지지용 등이 송나라 사람과 공모하여 고려지도를 송의 진회에게 보내려다가 들켜서 처벌

    현종 때에는 행정구역을 10도에서 5도 양계로 개편하고『5도양계도』작성, 이는 조선 전기 지도 제작에 많은 영향

    『청구도』의 범례에 의하면 고려말에 유공식의 집에도 지도가 있었으며, 공민왕 때에는 나홍유가 고려지도를 만들어 왕께 바쳤다고 기록

    고려 말에 제작된 나홍유의 『5도양계도』는 조선 태조 5년(1396)에 이첨이 그린 『삼국도』와, 태종 2년(1402)에 이회가 그린 『팔도도』의 기본도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

  • 11 가천대학교 박홍기

    조선시대의 지도

    조선 초기- 세계의 지리에 관한 자료를 과학적으로 수집하여 편집한 지도와 전통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지도로 구분

    조선 후기- 간접적이긴 하나 서양의 현대적 지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

    혼일강리역대국도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일 뿐 아니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약 1/160,000 축척으로써 지형.교통.취락 등의 요소를 모두 갖춤과 동시에 산줄기와 물줄기를 사실적으로 그려 넣어 지표의 기복을 충분히 전달하고 있으며 그림기호를 범례로 제시함

  • 13 가천대학교 박홍기

    고종의 측량계획

    1895년(고종32년) 3월 26일 칙령 제53호로 「내부관제」 공포

    "판적국(版籍局)에서 지적사무(地籍事務)를 본다“

    1898년 전국의 토지를 측량하기 위해 양지아문(量地衙門)을 설치

    1899년 대한제국시대에 최초의 현대식 지도인 를 발간

    •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지도 중 최초로 경위선을 지도의 좌표로 사용)

    1909년 토지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지형도.지적도와 같은 근대지도의 제작에 착수하였으나, 일제의 강점으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함

  • 14 가천대학교 박홍기

    국토지리정보원

    광복 후, 일제의 지도제작 성과를 미군정청에서 인수하여 1/50,000 지도원판 722매와 조선총독부에서 사용하던 를 대한민국 육군공병감실에서 인수

    국방부 지리연구소(1958~1961) 발족 1961년 2월 15일 내무부 국립건설연구소(측량과,지도과)로 이관

    측량업무는 주로 파괴된 측량기준점의 복구와 재설계획의 수립

    1961년 12월 31일 측량법(제938호) 공포시행 건설부 국립건설연구소(1962~1974)로 이관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첫사업인 울산공업단지 조성

    계획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해 지형측량을 실시하여 지도(1/3,000 및 1/10,000 현황도)를 제작 -> 우리의 본격적인 측량 및 지도제작의 시초

    1966년 8월 13일 [한화협동항공사진측량사업] 협정 1974년 11월 1일 건설부 국립지리원의 독립기구로 이관 2003년 7월 26일 국토지리정보원(건설교통부, 국토해양부)으로

    명칭 변경

  • 15 가천대학교 박홍기

    The End

    ../../../All%20Users/Documents/재미있는%20동영상/Lion_seul.m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