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 1 - 터넷 터넷 터넷 터넷 토론 토론 토론 토론 중 중(public) (public) (public) (public) 분화와 분화와 분화와 분화와 에 에 영향 영향 영향 영향 미는 미는 미는 미는 요 요 분석 분석 분석 분석 초록 본 연 목적 터넷 토론 참여들 토론 간 주제 성격에 따라 형화하, 서로 다른 형간 차에 영향 미는 요들 밝히는 데에 다. 토론 참여 600명 대상로 설조사를 실시한 , 허 중, 재적 중, 슈 중, 전통적 중 등 4가 지 형 나타났다. 본 연는 가데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재적 중 적 토론 시도하는 슈 중로, 더 나아가 적 토론방에 참여하는 전통 적 중로 변화할 수 다 가정했다. 따라서 토론 참여들 사회학적 특성, 정 적 특성, 토론방 용 동기, 토론방 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식 등 변 들 사용해 형 집단 간 차를 예해 보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 재적 중 슈 중 간에는 정 심도, 류 동기, 밀감, 동체식 등 미한 예요 로 밝혀졌다. 들 요들 강화되어야 재적 중에서 슈 중로 변화할 수 시사한다. 슈 중 전통적 중로 변화하는 데에는 정 강도와 정보추 동기 가 강화되어야 하는 반면, 오락추 동기와 토론방 용 횟수는 감소해야 하는 것로 나타 났다.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 -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중공중공중(public)(public)(public)(public)의 의 의 의 분화와 분화와 분화와 분화와 이에 이에 이에 이에 영향 영향 영향 영향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요인 요인 요인 요인 분석분석분석분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을 토론 공간과 주제의 성격에 따라 유형화하고,

서로 다른 유형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 데에 있다. 토론 참여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허위 공중, 잠재적 공중, 이슈 공중, 전통적 공중 등 4가

지 유형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가운데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잠

재적 공중이 공적 토론을 시도하는 이슈 공중으로, 더 나아가 공적 토론방에 참여하는 전통

적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따라서 토론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

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

들을 사용해 유형 집단 간 차이를 예측해 보았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 간에는 정치 관심도, 의견 교류 동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이 유의미한 예측요

인으로 밝혀졌다. 이들 요인들이 강화되어야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데에는 정치 강도와 정보추구 동기

가 강화되어야 하는 반면, 오락추구 동기와 토론방 이용 횟수는 감소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Page 2: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 -

1. 1. 1. 1. 서론 서론 서론 서론

공론장과 공중에 대한 논의는 숙의민주주의를 비롯한 정치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매우 중

요하다. 롤즈나 하버마스의 전통적 공론장은 공적 주제에 대해 합리적 토론이 벌어지는 이

상적인 토론 공간이다(Ralws, 1999; Habermas,1992). 하지만 최근 이러한 공론장이 비현

실적이라는 반성과 함께 다양한 공론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감성적 공론장(김예란,

2010)이나 준정치적 영역(sub-political arena, Jones, 2002) 등 감성이 표출되거나 사적

주제와 환경이 관찰되는 토론 공간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러한 공론장의 분화나 파편화

는 인터넷이 수많은 토론 공간을 제공하는 현대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이에 대

해, 하버마스는 부정적이지만, 오히려 다양한 관점 제공과 정치권에 대한 다각화된 감시 기

능 수행 등 긍정적인 견해도 나타나고 있다(Keane, 1998). 공론장의 분화는 토론 주체인

공중의 분화로 이어진다.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애매해지는 상황이다

(Dayan, 2001; Livingstone, 2005). 이와 같은 공론장과 공중의 분화에는 인터넷 등 뉴미

디어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토론 공간의 등장이 중심에 있다. 인터넷이 가지는 개방성과 상

호작용성 등의 기제는 예측불가능한 새로운 토론 공간과 공중의 탄생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관찰되는 공중이 어떤 유형으로 분화되

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 공간의 공적인 성격과

토론 주제의 공공성을 기준으로 공중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허위 공중, 잠재

적 공중, 이슈 공중, 전통적 공중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분류는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에 대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증될 것이다.

최근 인터넷 토론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사적 공론장이 공적 공론장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논의하고 있다(김상배, 2008; 김예란, 2010; 이준웅, 2009), 예를 들어, 2008년 미국산 쇠

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촛불 집회에 스포츠 동호회나 요리 커뮤니티 등 사적 토론방 구성원

들이 관심을 보였다. 토론 주제가 그들만의 취미나 사적 관심사를 넘어 공적 주제로 변한

것이다. 이런 경우를 ‘네트워크화된 사적 공간(networked private sphere)’으로 볼 수 있지

만, 전통적 공적 공론장(public sphere)으로 간주하기에는 무리일 수 있다(김상배, 2008).

하지만 현실적으로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로 토론하던 사람들이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

하기 시작하거나, 아예 공적 토론방으로 활동 영역을 옮기거나 넓히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

다. 요리 관련 토론방 회원이 선거 관련 토론을 하기 시작하거나, 아예 다음 아고라 선거

토론방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촛불집회가 발생할 만큼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

이 나타나면 이러한 변화는 더 자주 관찰될 것이다. 본 연구가 제시한 공중 유형에 따르면,

잠재적 공중이 이슈 공중으로, 이슈 공중이 다시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숙의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공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전통적 공중을 바람직한

단계로 설정한다면,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을 거쳐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일종의 공중의 발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검증된 공중 집단들의 차이를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

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결과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을 사용해 예측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공중의 변화나 발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

을 미치는 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 공중의 분화를 관찰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미디어를 바탕으로 더욱 복잡해지는 인

터넷 토론 공중과 공론장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Page 3: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3 -

2. 2. 2. 2.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논의 논의 논의 논의

1) 공중의 분화

공중(公 , public)은 사회 이슈에 직면해 있고, 이슈에 따라 입장이 양분되며, 이슈에 대

해 자발적으로 참여해 상호작용하는 집단으로 정의되어 왔다 (Dewey, 1927; Blumer,

1937). 민주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공중은 민주적 정치 체제를 공유하고 주권을 행사하는

개인의 집합이다(Barber, 1985; Dahl, 1989).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에 영향력을 행

사한다는 점에서 공중은 단순히 무리지어 있는 대중과 구분되며, 더 나아가 공중은 시민적

능력과 덕성을 갖춘 개인들의 집합이다(이준웅, 2007). 리빙스톤(Livingstone, 2005)에 따

르면, 대체적으로 공중은 사회적 집단이며, 세계관을 공유하는 집합체이며, 토론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정치적 의제를 생성해 내고, 사회적 활동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는 집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공중과 다른 개념으로 대중(大 ), 군중(群 ), 관중(觀 , audience) 등이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구성원간 상호작용과 조직력이 약하며 사회 참여에 소극적인 집단이

라고 할 수 있다 (Livingstone, 2005).

현대에 와서 이러한 공중과 관중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으며, 공중을 세분화한 연구가 활

발하다. 리빙스톤(Livingstone, 2005)은 미디어의 발달로 공중과 관중의 관계가 애매해졌다

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거실에서 정치적 사안에 대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이에

대해 가족들과 토론하는 경우, 이들이 공중인지 관중인지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다이안(Dayan, 2001)도 공중이 ‘공중’이라는 명사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중적인’이

라는 형용사로도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명사로서의 공중은 안정적이고 인식 가능한 실재적

집단이지만, 형용사로서의 공중은 공적 의견이나 행동을 표현하는 양식을 뜻하며 이런 양식

은 다양한 집단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적 주제에 대해 합리적 토론을 벌이는 전

통적 공중 이외에 허위 공중(make-believe public)과 일시적 공중(public for the day) 등

다양한 공중이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허위 공중에 속하는 팬 카페 회원들은 함께 활동하며

공중의 성격을 갖지만 사회적 이슈에 관심 가지고 영향을 행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시

적 공중은 텔레비전 앞에서 축구 경기를 함께 시청하는 집단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중은

동시다발적이며 집중적이고 빨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나, 공적 주제에 관

여도가 낮고 지속적이지 못한 단점도 가지고 있다.

리빙스톤(Livingstone, 2005)은 공중에 대해 너무 엄격한 정의를 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논의들을 무시하거나 현실적으로 공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게

된다고 지적한다. 공적 주제에 대한 합리적 토론 주체로 공중을 지나치게 이상적 존재로 제

한하는 데에서 오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공중이냐 아니냐하는 논의를 넘어, 어떤 공중으로 나뉘어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러한 유연한 접근이 인터넷 토론 공중의 실체 파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2) 공론장의 분화

공중이 모여 함께 토론하는 가시적 공간이 필요한데, 이러한 공간을 하버마스는 공론장

(public sphere)으로 명명했다. 공론장 논의에 숙의민주주의는 빠지지 않는 개념이다. 숙의

(deliberation)는 구성원간 조정과 협의가 없으면 해결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성적 대화의 과정(Bohman, 1996)이며, 상호이해를 목적으로 정치적 토론을 활성화

Page 4: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4 -

해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Smith & Wales, 2000)이다. 성공적 숙의민주주의를 위해서는 공

적 주제에 대해 공중간 합리적 의사소통이 있어야 한다(Bohman, 1996; Chambers, 2003;

Gastil, 2000).

숙의민주주의와 결부되어 공론장은 전통적으로 엘리트들이 참여해 공적 사안에 대해 이성

적 논리적으로 토론하는 매우 이상적인 공간으로 정의되었다. 롤스(Rawls, 1999)는 공적

이성을 가진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이 공공의 선을 달성하기 위해 공적 사안에 대해 합리

적으로 토론하는 정치적 공간을 공론장으로 보았다. 대법원 판사들의 논변, 정부관료/입법가

들의 논변, 공직 후보자들의 공적 연설, 정당 강령, 정치적 발언 등 공적 정치 토론장

(public political forum)들이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성에 근거해 공적 사안을 토론하는

곳으로 공론장을 규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인간의 비이성적 속성과 사적 주제에 대한

관심을 배제한 논의는 비현실적이기 때문이다. 하버마스(Habermas, 1992)는 2개의 공론장

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론장은 롤즈의 논의와 유사한 것으로, 제도화된 절차에 따라 공론을

형성하고 중요한 정치적 사안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공적인 공론장이다. 민주적 절차에 따

른 공정한 협상과 타결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된 결론이 도출되어야 하는 상위 공론

장이다. 둘째 공론장은 롤즈의 배경문화(background culture)와 비공식적 정치문화의 영역

과 유사한 것으로, 개방적이고 다원적 구조를 가지고 절차적 규제가 없어 다양한 여론이 자

유롭게 형성되는 사적인 공론장이다. 이는 하위 공론장으로서 새로운 문제를 민감하게 지각

하고 상위 공론장에 의견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하위 공론장은 구조적 불안정,

권력의 불평등성, 의사소통의 왜곡, 의견 합의의 어려움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2

개의 공론장이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대에는 전통적인 공적 공론장 이외에 다양한 성격의 공론장이 관찰되고 있다. 앞서 논

의한 공중의 분화와 파편화가 사적 공론장을 포함한 다양한 공론장을 출현시키며 이는 다양

한 토론 문화로 이어지는 것이다(Keane, 1998). 이같은 공중의 분화와 비( )공적 공론장의

출현은 어떻게 보면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과거 정치 토론이 커피숍이나 선술집 등에서 활

발했던 점을 고려하면, 사적 공간에서 공적 토론을 하거나 토론의 주제가 사적에서 공적으

로 변화하는 것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현상이다(조항제·박홍원, 2010). 존스(Jones, 2002)

는 현대사회에서 사회 이슈들에 대한 논의는 전통적 공중의 영역(public arena)에서 보다

준정치 영역(sub-political arena)에서 많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준정치 영역은 3가지 특

징을 가지고 있다(Jones, 2002). 우선, 이 영역은 새로운 사람들의 정치 토론에의 참여를

용이하게 한다. 둘째, 제도적으로 인정되는 담론의 범위를 벗어나는 토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성적 토론 이외에 감정적 호소력이 통하는 공간이다. 셋째, 새로운 토론 커뮤니티

(discourse community)의 형성이 자유롭다.

앞의 논의들은 공중의 분화와 같이 공론장도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론장에

대한 유연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의 공중으로서의

성격을 관찰하면서, 이들이 참여하는 토론 공간의 성격에 대해서도 주목해 보고자 한다.

3) 인터넷 토론에서 공중 유형의 분류

인터넷은 이미 많은 정치적 토론이 벌어지는 주요 무대가 되었다. 수많은 인터넷 토론방

이나 사이트들이 공론장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활약하는 수많은 토론 참여자들이

공중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토론 주제, 토론 공간의 성격, 토론 방식 등이 다양해진 만

큼,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은 이미 매우 다양한 공중으로 분화되어 존재한다고 보아야 할 것

Page 5: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5 -

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에서 나타나는 공론장 및 공중에 대해 논의를 집중하고자 한

다.

우선 인터넷 환경과 기술이 토론 공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

다. 첫째, 인터넷의 개방성과 상호작용성이 새로운 공론장의 탄생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탈

중심적이고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조, 시공간적 제약의 탈피, 익명성과 쌍방향성으로 인

한 자유롭고 평등한 참여 등의 이유로 인터넷은 하버마스적 공론장도 구현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모으기도 하였다(Ess, 1996). 또, 인터넷 공간은 정보 접근성이 높고 평등한 참여와

다양한 토론 주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적 토론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Papacharissi, 2002). 반면, 인터넷 커뮤니티가 개인적 취향이나 관심사를 토대로 파편화

되고 집단간 차별을 강화시키는 점은 갈등 사안에 대한 합리적 토론이 필요한 공론장 출현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김종길, 2005).

둘째, 인터넷이 공론장의 분화를 가속화하고 있는 점이 많이 지적된다. 김종길(2005)은

사이버 공론장의 분화를 공식영역, 준공식영역, 사적영역 등 복수의 공론장이 출현하고 있

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조항제·박홍원(2010)은 인터넷 공론장을 공공성의 수준(공적영역/

사적영역)과 이성의 수준(이성적 영역/감성적 영역)을 기준으로 4개 유형으로 분류했다. ‘정

치적 공론장(공적 영역*이성적 차원)’은 정치 지식이 풍부하고 시민적 능력을 갖춘 소수 엘

리트들이 공적 주제에 대해 진지한 토론을 하는 공간이다. ‘대중주의(공적 영역*감성적 차

원)’는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면서 때때로 감성적 접근이 사용되는 공간에서 나타난다.

‘차이/다원주의(사적 영역*이성적 차원)’에서는 사적 영역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면서 이에

대한 이성적 학습과 차이의 이해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사적 친밀/프라이버시(사적 영역*

감성적 차원)’는 사적 주제에 대해 대화하며 감성적 교류와 사적 친밀이 형성되는 경우를

뜻한다. 이들 4가지 공론장은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한 개인이 서로 다른 공론장에

참여할 수도 있다.

셋째, 인터넷 환경에서는 공론장의 분화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다양한 공

중으로 분화되며 다른 공중으로 변화되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공중은 비( )공중에서 공중

으로 갑자기 전환되지 않는다. 개개인이 공중이 될 수 있는 잠재적 속성을 갖고 있고, 특별

한 상황에서 그것이 발현될 때 비로소 공중이 된다. 이준웅(2009)은 ‘공적 자아’라는 개념으

로 공중의 잠재적 속성을 설명한다. 개인들이 공유하는 ‘공적 자아’가 인터넷 토론을 통해

표현되고 전달됨으로써 그들간 ‘연결’이 이루어질 때 공중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한편, 인

터넷 이용자들이 사적 자아의 결합으로 취향을 공유하면 관중이 될 수 있고, 욕구나 상품

정보를 공유하면 소비자 집단이 될 수도 있다. 이들이 특별한 상황에서 ‘공적 자아’를 발휘

하게 되면 관중을 넘어 공중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정치와 무관한 요리 정보 공유 사이트인

‘82쿡’의 주부 회원들이나 클래식음악 동호회 ‘고클래식’ 회원들이 미국산 소고기 반대 집회

에 나오고 이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 그 사례이다. 사적 공론장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

하거나, 아예 공적 공론장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배미경(2003)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공중 형성 과정을 2단계로 설명하였다. 첫번째는 ‘서

퍼(surfer)’의 단계로 특정 이슈로부터 영향 받을 수 있는 개인들이 인터넷 토론 공간을 방

문하지만 정보 검색이나 구경의 흔적을 남기는 경우이다. 이를 거쳐 두번째 ‘온라인 공중’의

단계가 되면, 개인들은 이슈 관련 기관이나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토론에 참여해

담론 구성에 개입한다. 이는 개인이 공중을 형성하고 그 공중의 성격이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개인이 공중으로의 속성을 발휘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의 공중의 특성

Page 6: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6 -

토론방의 공간적 성격

공적 공론장 사적친밀/프라이버시 공간

토론

주제의

특성

(공공성)

높음 전통적 공중 이슈 공중

낮음 허위 공중 잠재적 공중

이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위 논의들을 바탕으로 현재 국내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어떤 공중으로 나뉘

어 존재하는지 관찰해 보고자 한다. 인터넷 공론장과 공중의 논의에서 선행연구들이 사용한

핵심 개념은 공공성이라고 할 수 있다(이준웅, 2009; 조항제·박홍원, 2010). 본 연구는 인

터넷 토론의 2가지 측면에서 공공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인터넷 토론방의 공간적 특성(공적

/사적)과 토론 주제의 특성(공적/사적)이다. 토론이 벌어지는 물리적 환경과 토론의 내용이

함께 고려되는 셈이다. 요컨대, 본 연구는 이 2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4가지의 인터넷 공중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전통적 공중(공적 공론장*공적 주제), 이슈 공중(사적

공론장*공적 주제), 잠재적 공중(사적 공론장*사적 주제), 허위 공중(공적 공론장*사적 주제)

이 그것이다(<표 1> 참조).

<표 1> 인터넷 토론방의 4가지 공중 유형

이 분류에서 ‘전통적 공중’은 공적 토론을 목적으로 형성된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집단이다. 이는 전통적인 공중의 정의와 가장 가까운 유형으로, 대체로 사회단체

나 이익집단의 지도자들이나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해 개인적 시간과 노력을 기꺼이 바칠

각오가 되어 있는 핵심 지지자들(close followers)인 경우가 많다(차동필, 2002). 이러한 전

통적 공중이 토론하는 공간은 정부나 시의회 등과 같이 정책 결정을 내리고 집행하는 공식

기관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와 비영리 시민단체와 이익단체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운영하는

준공식 영역(quasi-official sphere)의 사이트를 포함한다(김종길, 2005). 각종 언론사 토론

방과 다음 ‘아고라’와 같이 사회 이슈 토론용 공간도 이 유형의 공중이 활동하는 곳으로 간

주될 수 있다. 전통적 공중의 토론방은 조항제·박흥원(2010)이 제시한 공적 이성적 차원의

공론장과도 유사하다. ‘잠재적 공중’은 사적 공론장에서 사적인 주제에 대해 대화하는 집단

이다. 개인적 관심사와 취미를 공유하며 정보를 나누고 친목을 쌓는 인터넷 커뮤니티 회원

들이 사례이다. ‘취향공중’(Gans, 1972)이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사적이고 감성적인 부분이

많아 공론장의 토론 주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Habermas, 1961/1996;

Barber, 1985; Dahl, 1989; Ess,1996; Rawls, 1999; Dalberg, 2001; 김종길, 2001;

Livingstone, 2005). 하지만, 본 연구는 인터넷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상당수가 이와 같이

사적인 면이 강한 공중의 모습을 하거나, 적어도 커뮤니티 활동 초기에는 이같은 공중으로

출발한다고 본다. 이 공중의 모습이 공적인 면을 강화하며 다른 공중으로 변화하기 위한 출

발 단계일 수 있기에 ‘잠재적 공중’으로 명명되었다.

한편, ‘이슈 공중’은 사적 공론장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집단이다. 패션에 관한

Page 7: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7 -

사적 취향을 나누는 커뮤니티인 ‘소울드레서’에서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정치 광

고를 냈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토론 내용이 사적 관심사에서 정치 이슈로 전환되었음에

주목해, 본 연구는 이들을 ‘이슈 공중’으로 명명하였다. 이들의 등장으로 우리 사회의 주요

이슈에 대해 인터넷을 중심으로 토론 참여자와 찬반 토론의 범위와 강도가 넓고 깊어졌다.

이준웅(2005)이 제시한 ‘비판적 담론공중’의 형성에도 이들이 역할이 중요했다고 생각된다.

‘이슈 공중’의 등장은 갑작스런 출현이 아니라 ‘사적 영역’으로부터의 등장이라는 점에서 더

욱 흥미롭다. ‘잠재적 공중’이 특정 이슈에 반응하여 ‘이슈 공중’의 모습으로 변화 발전한 것

이다. 마지막 ‘허위 공중’은 공적 공론장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집단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참여하는 공적 토론방의 정체성을 의식하고 참여하고 있지만, 스스로 공적 이슈에

는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다. 스스로 공적 이슈 토론에 참여하는 전통적 공중이라고 착각

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숙의민주주의 차원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 허위적 존재이다.

본 연구는 논의한 바대로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4가지 공중의 유형으로 분화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검증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인터넷 토론방의 공

간적 특성(공적/사적)과 토론 주제의 특성(공적/사적)을 기준으로, 인터넷 토론 공중의 분화

양상을 검증해 보도록 하겠다.

연구문제연구문제연구문제연구문제1: 1: 1: 1: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토론 공중은 공중은 공중은 공중은 토론방의 토론방의 토론방의 토론방의 공간적 공간적 공간적 공간적 특성특성특성특성((((공적공적공적공적////사적사적사적사적))))과 과 과 과 토론 토론 토론 토론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주제의

특성특성특성특성((((공적공적공적공적////사적사적사적사적))))을 을 을 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기준으로 기준으로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어떻게 분화되어 분화되어 분화되어 분화되어 있는가있는가있는가있는가? ? ? ?

4) 공중 분화에 대한 예측변인들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4가지 공중들이 독립적이고 항상 변하지 않는 성격을 가지고 있

다고 전제하지 않는다. 앞서 예로 든 패션 커뮤니티 회원들은 사적 관심사에서 정치적 사안

으로 토론 주제를 바꾸면서,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으로 변화한 것이다. 또, 정치적

사안에 대해 본격적인 토론에 참여하고자 한 회원들은 아예 정치 토론방으로 활동 무대를

옮기거나 넓혔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경우는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한 것이

다. 숙의민주주의의 관점에서 이같은 변화는 토론 공간에서 공공성의 확대를 의미하므로 바

람직한 발전의 과정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

중’으로, ‘이슈 공중’에서 ‘전통적 공중’으로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숙의민주주의

관점에서 공중의 발전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공중 유형간 차

이와 변화에 주목하면서, 이러한 차이를 예측하는 요인들을 찾아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으로 토론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

도, 토론 결과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의 변인들을 예측요인으로 설정해 검토한다.

(1) 정치적 특성

정치적 특성으로 토론 참여자의 정치 효능감, 정치 관심도, 정치적 성향 강도 등 3가지

변인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정치 효능감은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

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andura, 1977)을 정치 분야에 적용한 것

이다. 개인이 자기 공동체의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주관적 평가(내적 효능

감)와 자신이 속한 사회가 자신의 주장과 요구를 수용할 것이라는 믿음(외적 효능감)으로

정의된다(Converse, 1972). 정치 효능감은 시민의 정치 참여 행위를 예측하는 변수로 잘

알려져 있다(McLeod, Scheufele, & Moy, 1999; Scheufele, Nisbet, & Brossard, 2003 ;

Page 8: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8 -

Wolfsfeld, 1986). 자신이 정치적 행위를 통해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신념이 증가되면 그

행위에 대한 의지를 작동시키는 인지적 기반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인터넷 토론에서도 정치

효능감이 높은 참여자들은 정치 토론 참여라는 일종의 참여 행위 의지가 더 강할 것이다.

이 때문에 사적 토론방보다 공적 토론방에 참여하고자 할 것이며, 사적 주제 보다 공적 주

제에 대해 토론하고 싶어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정치적 효능감이 높은 토론 참여자들은 잠

재적 공중보다 이슈 공중, 이슈 공중보다 전통적 공중에 해당될 확률이 더 높다고 할 수 있

다. 정치 관심도 역시 민주주의 시민이 갖춰야 할 기본적 자질로 간주되며, 정치적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적 관심이 높은 사람은 정치적 뉴스를 많이

이용하고(박선희, 2004), 정치 참여에 매우 적극적이다(민영·주익현, 2007). 또 다른 변인인

정치적 성향 강도도 토론 논점에 대한 이해와 정치 참여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

다(Mutz, 2002). 이와 같은 논의는 정치 관심도와 정치적 성향 강도가 인터넷 토론에서 공

적 토론방과 공적 토론 주제를 선호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2) 토론방 이용 동기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의 이용 동기에 따라 어떤 토론방에서 어떤 주제로 토론하는지가 달

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이용 동기에 대해 선행연구들은 정보검색 동기, 타인과 교류

하고 관계 맺고자 하는 커뮤니케이션 동기, 흥미와 여가 선용을 위한 오락적 동기 등을 꼽

고 있다(구교태, 2005; 김유정, 2005). 특히 정보검색 동기는 인터넷 이용자간 상호작용과

토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터넷의 정보교환적 이용이 사회적

신뢰 형성이나 시민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Shah, Kwak, & Holbert,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자본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강내원, 2005).

반면, 오락을 위한 인터넷 이용은 사회적 연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준웅·김은

미·문태준, 2005). 미국 쇠고기 수입반대에 대한 인터넷 토론 참여 동기를 Q-방법론으로

분석한 연구는 정보추구 참여형, 비판적 심사숙고 참여형, 긍정적 시민의식 참여형 등 3가

지를 제시하였다(조민경, 2009). 정보추구 참여형은 인터넷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고자 토론

에 참여하는 유형이다. 비판적 심사숙고 참여형은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고 토론에 참여하며

정치적 신념이 강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 시민의식 참여형은 관련 문제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며 의견 표명이 올바른 정책 개발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부류이다. 이런

논의를 종합하면, 이슈에 대한 정보추구나 의견 표명 및 교환의 동기는 공적 토론방에서 공

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려는 성향을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오락 추구 동기

는 공적 주제 보다 사적 주제에 대해 사적 토론방에서 자유롭게 토론하려는 유형에서 더 강

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

(3)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

인터넷 토론 참여 활동은 토론 상대에 대한 신뢰나 친밀감, 그리고 공동체의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을 갖게 된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은 토론방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프라이스와 카펠라는

(Price & Cappella, 2002)의 실험연구는 공동체 참여나 사회적 신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인 사람들은 온라인 토론에 더 자주 참여함을 밝혔다. 민영·주익현(2007)의 연구도 시민

적 결사체 참여 정도와 사회신뢰 간 긍정적 관계를 보여 주었다. 신뢰는 사회 구성원을 통

합하고 정보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공통의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이

Page 9: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9 -

러한 관심은 정부 정책에 대한 개입 등 광범위하게 정치 참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

다(장수찬, 2001; Boix & Posner, 1998).

인터넷 토론방 활동을 통해 형성된 결속력과 공동체 의식도 정치적 참여를 강화시킨다.

토크빌(Tocqueville, 1937)은 일찍이 시민들을 공동의 의제와 관심사로 결속시키는 것이

시민들의 개인주의를 극복하고 공적 영역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클라인

(Kline, 1999)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정책 토론회(Telecommunication Policy

Roundtable-Northeast)라는 온라인 토론을 통해 시민들간 연대가 어떻게 정치적인 세력으

로 발전해 가는지 연구하였다. 이 토론회는 리스트서브(listserv)를 통해 공동의 정체성을

발달시켜 결속력을 강화시키도록 했다. 그 결과 회원들의 적극적인 토론 참여와 정책 결정

에의 개입도 이어졌다. 김예란(2010)의 ‘감성 공론장’에 해당되는 여성커뮤니티 카페들에서

는 유대감과 결속력이 강하게 관찰된다. 이 커뮤니티 회원들이 정치적 집회인 촛불 시위에

참여하게 한 원동력이 회원들간 강한 공동체 의식과 감성적 활동이라는 것이다. 커뮤니티

회원들은 각종 이벤트를 통해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귤 한 상자나 김치 한통 전달했는

데, 받는 회원들은 마치 친정 엄마의 선물과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김예란(2010)은

이렇게 오랜 기간 누적된 정서적 연대감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에 대해 순식간에 공동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게 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살펴보면, 인터넷 토론방에서 형성된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이 토

론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토론방 참여가 적극적으로 변화될 뿐 아니

라, 토론 활동의 내용에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한 토론이 시도되며 공동의 정치 참여로까지 발전되는 것은 공중의 성격이 변화할 수 있

음을 시사한다. 다시 말하면, 토론의 결과로 갖게 되는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이 공중의

유형별로 다를 수 있으며, 공중의 유형이 변화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논의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 공중 유형 간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

떤 예측요인이 공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도록 하겠다.

연구문제 연구문제 연구문제 연구문제 2: 2: 2: 2: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토론 공중 공중 공중 공중 유형간 유형간 유형간 유형간 차이에 차이에 차이에 차이에 어떤 어떤 어떤 어떤 요인들이 요인들이 요인들이 요인들이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미치는가미치는가미치는가미치는가? ? ? ? 다시 다시 다시 다시 말하말하말하말하

면면면면, , , , 잠재적 잠재적 잠재적 잠재적 공중이 공중이 공중이 공중이 이슈 이슈 이슈 이슈 공중으로공중으로공중으로공중으로, , , , 이슈 이슈 이슈 이슈 공중이 공중이 공중이 공중이 전통적 전통적 전통적 전통적 공중으로 공중으로 공중으로 공중으로 변화하는 변화하는 변화하는 변화하는 데에는 데에는 데에는 데에는 어떤 어떤 어떤 어떤 요요요요

인들이 인들이 인들이 인들이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영향을 미치는가미치는가미치는가미치는가????

3. 3. 3. 3.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방법방법방법방법

1) 설문조사

제시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만16세에서 63세까지의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전문 조사회사를 통해 성별, 나이, 지역별 실제 인구 분포에 따른

비례할당추출법을 통해 응답자들이 표집되었다. 표집 결과, 남성과 여성이 같은 비율로 각

300명씩 설문에 참여했으며, 응답자의 평균 나이는 35.4세였다. 특히 본 연구의 조사 대상

이 인터넷 토론 참여자이기 때문에, 응답자 자격을 한 달에 1회 이상 토론 게시판에 정치사

회적 이슈에 대한 글을 작성하거나 다른 사람의 글에 댓글을 단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 한정

하였다.

Page 10: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0 -

2) 측정 변인들

본 연구는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을 토론방과 토론 주제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공중으

로 분류하고, 이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들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우선, 인터넷 토론 참여

자들에 대한 공중 유형 분류를 위해 측정된 변인들은 ‘토론방 성격’과 ‘토론 주제의 성격’이

다. 이어서 공중 유형의 차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변인들이 측정

되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나이, 학력, 소득), 개인의 정치적 특성(정치 강도, 정치 관

심도, 정치 효능감),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신

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이다. 각 변인들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① 인터넷 공론장 분류: 자주 방문하는 인터넷 토론방을 적게 한 뒤, 해당 토론방의 성격이

공적이면 1을, 사적이면 2를 부여했다. 공적 토론방은 공공 이슈나 정보 제공 및 토론을 목

적으로 만들어진 토론 게시판으로 정의하였다(김종길, 2001). 아고라, 언론사 관련 게시판,

정치 정당 사이트, 노노데모 등 개인이 만든 정치토론 사이트 등이 이에 포함되었다. 사적

토론방은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토론이 아닌 특정 취미 공유나 친목 도모 등의 목적을 가

진 게시판을 의미한다. 토론방의 성격이 불분명한 일부 경우에는 게시된 글들이 공적 이슈

를 자주 다루고 있는지(최근 일주일간 정치사회 이슈에 대한 언급의 유무)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분류하였다. 자주 방문하는 토론방에 토론 기능이 없는 사이트를 적은 경우나 포털사

이트 이름만 적어 구체적 토론방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

과, 52명이 제외되고 최종 548명의 응답 내용이 데이터에 포함되었다.

② 토론 주제의 성격: 토론 주제가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것으로 특정 개인이나 집단 보

다 공공이 관련된 부분이 얼마나 강한지로 측정되었다. 읽는 글과 작성해 올리는 글에 대해

물어 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 문항은 ‘내가 읽는 글은 대부분 개인이나 집단보다

공공을 위한 내용이다’와 ‘내가 올리는 글은 대부분 개인이나 집단보다 공공을 위한 내용이

다’로, 7점 리커트 척도로 답하도록 되었다.

③ 인구사회학적 변인: 성별 여부가 설문조사 항목에 포함되었으며, 나이는 현재 2012년에

서 출생연도를 빼는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학력은 초졸 이하, 중학교 재학이나 중퇴, 중졸,

고등학교 재학이나 중퇴, 고졸, 대학교 중퇴, 대학교 재학, 대졸, 대학원 이상 등으로 1~9점

으로 측정되었다. 소득은 100만원 이하, 101~200만원, 201~300만원, 301~400만원,

401~500만원, 501~600만원, 601~700만원, 701만원 이상 등으로 1~8점으로 측정되었다.

④ 개인의 정치적 특성 변인: 정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매우 보수, 보수, 중립, 진보, 매우

진보 등 5점 척도로 응답자의 정치 성향을 먼저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중립은 0으로, 보수

와 진보는 1로, 매우 보수와 매우 진보는 2로 재코딩해 정치 강도 값을 만들었다. 정치 관

심도 측정에는 송근원(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정치 관련 사안들에 대해 늘 관심을 가지

고 있다’와 ‘정치 관련 최신 기사나 정보를 찾아보는 편이다’ 등 2가지 설문항목과 7점 리

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또, 정치 효능감 측정을 위해 ‘나 같은 사람은 정부의 정책 결정과

정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와 ‘내가 누구를 투표 한다고 해도 별다른 영향이 없

다고 생각한다’ 등 2가지 항목과 7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표 2> 참조>). 정치적 효

능감은 안형기와 신범순(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14개의 측정문항 중 대표적인 문항을 선

정하여 2개의 문항으로 수정하여 측정했다.

⑤ 토론방 이용 동기: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한 인터넷 토론방 이용 동기 17가지를 설문항목

으로 만들었으며, 응답 결과를 요인분석하였다(김유정, 200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age 11: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1 -

 변인 평균표준

편차

나이 35.17 11.52

학력 7.21 1.47

소득 4.62 1.78

정치강도 .68 .56

정치관심도 (Cronbach's Alpha=.86) 5.10 1.19

- 정치 관련 사안들에 대해 늘 관심을 가지고 있다. 5.07 1.25

- 정치 관련 최신 기사나 정보를 찾아보는 편이다. 5.14 1.30

정치효능감 (Cronbach's Alpha=.65) 4.54 1.49

- 나 같은 사람은 정부의 정책 결정과정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역코딩)4.21 1.66

- 내가 누구를 투표 한다고 해도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생각한다.(역코딩)4.87 1.80

토론방 이용 정도: 한 달 평균 토론방 방문 횟수 14.44 16.09

신뢰 (Cronbach's Alpha=.80) 4.24 1.09

- 토론 참여자들은 믿을 만하다. 4.29 1.17

- 토론 참여자들은 공정하다. 4.18 1.22

친밀감 (Cronbach's Alpha=.87) 4.86 .94

- 나는 토론 참여자들에게 대체로 친밀감을 느끼는 편이다. 4.85 1.14

-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대체로 유대감을 느끼는 편이다. 4.82 1.13

-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동료의식을 공유하는 편이다. 4.83 1.12

의견 교류, 정보 추구, 오락 추구 등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⑥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에 얼마나 자주 참여하느냐를 묻는 변인으로, 한 달 평균 토론방

방문 횟수를 답하도록 하였다.

⑦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토론 참여자들이 토론 상대와 우리 사회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살펴보고자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을 측정하였다. 신뢰는 한혜경(2005)의 연구

에서 사용한 일반적인 타인에 대한 신뢰를 측정한 문항을 토론 참가자에 대한 신뢰를 묻는

형태로 바꿔서 ‘토론 참여자들은 믿을 만하다’와 ‘토론 참여자들은 공정하다’ 등 2가지 문항

으로 측정되었다. 친밀감은 ‘나는 토론 참여자들에게 대체로 친밀감을 느끼는 편이다’,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대체로 유대감을 느끼는 편이다’,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동료의식을 공유

하는 편이다’,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힘을 합칠 용의가 있다’, ‘나는 토론 참여자들에게서

감정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등 김동윤(2007)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문항 7개 중 선택하

여 5가지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또, 공동체의식은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는 나에게 매우 중

요하다’, ‘나는 도움이 필요하거나 위험에 처한 사람을 보면 기꺼이 돕는다’, ‘나는 단체 활

동에서 다른 사람들과 열심히 협력한다’, ‘나는 자발적으로 기초 생활질서(교통질서, 분리수

거 등)를 잘 지킨다’, ‘공동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중요하다’ 등 한혜경(2005)의 연구에

서 사용된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두 7점 리커트 척도로 답하도록 설계되었다(<표

2> 참조>).

<표 2>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N=400)

Page 12: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2 -

- 나는 토론 참여자들과 힘을 합칠 용의가 있다. 5.04 1.10

- 나는 토론 참여자들에게서 감정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 4.76 1.11

공동체의식 (Cronbach's Alpha=.78) 5.09 .85

- 다른 사람을 돕는 행위는 나에게 매우 중요하다. 5.05 1.14

- 나는 도움이 필요하거나 위험에 처한 사람을 보면 기꺼이 돕는다. 5.16 1.11

- 나는 단체 활동에서 다른 사람들과 열심히 협력한다. 5.27 1.05

- 나는 자발적으로 기초 생활질서(교통질서, 분리수거 등)를 잘 지킨다. 5.37 1.14

- 공동의 이익이 개인의 이익보다 중요하다. 4.61 1.37

평균 표준편차

이용이용이용이용동기동기동기동기1 1 1 1

이용이용이용이용동기동기동기동기2 2 2 2

이용이용이용이용동기동기동기동기3 3 3 3

이용 이용 이용 이용 동기동기동기동기1: 1: 1: 1: 의견교류 의견교류 의견교류 의견교류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Alpha=.89)Alpha=.89)Alpha=.89)Alpha=.89) 4.02 1.06 - 나의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방문한다. 3.38 1.44 .81 .81 .81 .81 -.12 .18 - 나의 지식을 인정받기 위해서 방문한다. 3.75 1.45 .79 .79 .79 .79 -.06 .21 - 상대방을 설득시키고 싶어 방문한다. 3.79 1.41 .79 .79 .79 .79 .08 .11 - 내 존재를 확인시켜 주기 위해 방문한다. 3.73 1.60 .79 .79 .79 .79 -.06 .13 - 나만의 의견을 알리고 싶어 방문한다. 4.35 1.39 .73 .73 .73 .73 .09 .02 - 다른 사람 의견에 대해 반박하고 싶어 방문한다. 3.88 1.44 .67 .67 .67 .67 .12 .13 - 다른 사람들을 돕고 격려하기 위해서 방문한다. 4.35 1.39 .65 .65 .65 .65 .24 .02 - 올바른 토론이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 때문에 방문한다. 4.43 1.44 .65 .65 .65 .65 .34 -.18 - 이슈에대한개인적감정을표출하고싶어방문한다. 4.48 1.41 .61 .61 .61 .61 .20 .25 이용 이용 이용 이용 동기동기동기동기2: 2: 2: 2: 정보추구 정보추구 정보추구 정보추구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Alpha=.77)Alpha=.77)Alpha=.77)Alpha=.77) 5.44 .87 - 현안 이슈를 자세히 알기 위해 방문한다. 5.75 1.08 -.11 .81 .81 .81 .81 .14 - 여론을 확인하기 위해 방문한다. 5.49 1.09 .01 .77 .77 .77 .77 .15 - 다른 사람 의견과 내 의견을 비교하고 싶어 방문한다. 5.29 1.12 .17 .72 .72 .72 .72 .08 - 나와 다른 의견들을 확인하고 싶어 방문한다. 5.23 1.21 .26 .68 .68 .68 .68 .01 이용동기이용동기이용동기이용동기3: 3: 3: 3: 오락추구 오락추구 오락추구 오락추구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Cronbach's Alpha=.76)Alpha=.76)Alpha=.76)Alpha=.76) 4.43 1.21 - 심심할 때 시간보내기 위해 방문한다. 4.54 1.47 .11 .01 .85 .85 .85 .85 - 습관적으로 방문한다. 4.84 1.35 .11 .17 .79 .79 .79 .79 - 스트레스해소를 위해 방문한다. 3.91 1.59 .54 .00 .63 .63 .63 .63 - 재미있어서 방문한다. 5.20 1.22 .07 .40 .58 .58 .58 .58 아이겐값 5.13 2.69 2.35 설명된 변량(%) 3.18 15.85 13.82

* 명목변인인 성별은 남자 203명, 여자 197명으로 나타났다.

<표 3> 토론방 이용 동기 측정변인들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 분석

본 연구의 첫번째 목적은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을 토론방과 토론 주제의 성격에 따라 유

Page 13: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3 -

전통공중

(n=154)

이슈공중

(n=121)

잠재공중

(n=125)

허위공중

(n=147)

토론방

성격1=공적 2=사적 1 2 2 1

토론

주제의

성격

내가 읽는 글은 대부분 개인

이나 집단보다 공공을 위한

내용이다. (7점 척도)*

5.56 5.50 3.69 3.74

내가 올리는 글은 대부분 개

인이나 집단보다 공공을 위한

내용이다.(7점 척도)**

5.60 5.13 3.82 3.90

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단계 군집분석(two-step cluster analysis)이 실시되었다. 두

번째 연구 목적은 분류된 유형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유형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이에 대한 예측변인들을 검증해보는

로지스틱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이 실시되었다.

4. 4. 4. 4. 연구 연구 연구 연구 결과결과결과결과

우선, 본 연구가 사용한 변인과 요인들에 대한 기술적 통계량들은 앞서 <표 2>와 <표 3>

에 정리되어 있다. 앞서 연구문제 1은 인터넷 토론방과 토론 주제의 성격을 기준으로 참여

자들이 어떤 공중 유형으로 분화되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2단계 군집분석에는 구체적으로

토론방 성격(공적/사적) 변인과 토론 주제의 성격(공적/사적) 관련 2개 변인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 군집이 예상대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전통적 공중’은 공적 토론방을 주로 찾고, 읽고 쓰는 글의 주제도 비교적 공공성

이 있는 집단이다. 자주 찾는 곳이 공적 토론방에 해당되었으며, 읽고 쓰는 글의 공공성 정

도도 평균보다 높았다. 두 번째 군집은 ‘이슈 공중’으로 사적 토론방을 주로 찾지만 공적 토

론 주제도 자주 다루는 집단이다. 개인의 취미와 관심사에 알맞은 토론방을 자주 찾지만,

사회정치적 공공성 있는 이슈에 대한 토론도 평균 이상으로 자주 한다. 세 번째 군집인 ‘잠

재적 공중’은 사적 토론방을 주로 방문하며 토론 주제도 사적인 것이 많은 집단이다. 자주

찾는 곳이 사적 토론방으로 분류되며, 토론 주제의 공공성 수준이 평균보다 낮다. 마지막

‘허위 공중’은 공적 토론방을 자주 찾지만 토론 주제가 사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공적 토론

방을 자주 찾지만, 토론 주제의 공공성은 평균 이하로 낮은 수준이다. 이런 결과는 당초 본

연구가 가정한 4가지 유형의 공중이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 사이에 실제로 존재함을 뜻한다.

주목할 부분은 토론 참여자의 유형이 참여 토론방의 성격에 맞춰 단순하게 분류되지 않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공적 토론방에서 공적 토론 주제만, 사적 토론방에서는 사

적 토론 주제만 이야기되는 단절적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공적 토론방에서 사적 대화를

하거나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토론이 시도되는 경우가 실재하고 있다.

<표 4> 인터넷 토론방과 토론 주제의 성격에 따른 공중의 분류 (군집분석 결과)

* 군집간 평균 비교 ANOVA: F(3,543)=254.95, p<.001

* 군집간 평균 비교 ANOVA: F(3,543)=111.54, p<.001

Page 14: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4 -

이러한 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연구문제 2에서 각 유형별 차이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

치는지 살펴보도록 했다. 우선,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 사이에 어떤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자. <표 5>는 ‘잠재적 공중/이슈 공중’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예측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치적 특성, 토론방 이용 동기, 토론방 이용 정도,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등 5개 블록을 포함시킨 분석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블록별 특성을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치적 특성은 개인 고유의 변하기 어려운 성향을 나타내며 토론방 이

용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출발점으로 기능한다고 하겠다. 토론방 이용 과정은 특정

이용 동기가 이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용 뒤에 토론 상대나 사회에 대한 인식이 재정

리되는 시간적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논리를 바탕으로 개인적 성향 변인에 이

어 토론방 이용 동기, 이용 정도, 이용 결과 인식의 변화의 순으로 모델내 블록을 설정했다.

이와 같은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잠재적 공중보다 이슈 공중에

속할 확률이 더 많게 나타났으나(b=.02, p<.05, Exp(b)=1.02), 다른 변인들을 추가하면서

이 영향력은 사라졌다. 정치적 특성 가운데에는 정치 관심도가 유의미한 요인으로 모델2에

서 4까지 나타났다. 모델4를 살펴보면, 정치 관심도가 1단위 늘어나면 잠재적 공중보다 이

슈 공중에 속할 가능성이 1.3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 가운데는 의견 교류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마지막 종합모델(모델5)에서도 나타났다(b=.38, p<.05,

Exp(b)=1.47). 의견 교류의 동기가 1단위 높아지면 잠재적 공중보다 이슈 공중에 속할 확

률이 1.47배 증가한다는 것이다. 마지막 블록인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에서는 친밀

감과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친밀감 1단위 향상은 잠재적 공중보다 이슈 공중

에 속할 확률을 1.59배, 공동체의식 1단위 향상은 이 확률을 1.56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어서 ‘이슈 공중’과 ‘전통적 공중’의 차이를 가르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 보자. <표

6>은 ‘이슈 공중/전통적 공중’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앞서 <표 5>에서와 같은 예측변인들로

구성된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서는 두 공중

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치적 특성에서는 정치강도가 두 공중 집단을 나누

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분석되었다(모델5에서 b=.61, p<.05, Exp(b)=1.83). 정치강도가

1단위 높아질수록 이슈 공중에 속할 확률보다 전통적 공중에 속할 확률이 1.83배 증가한다

는 것이다. 토론방 이용 동기에서는 정보추구와 오락추구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정보추구 동기가 많을수록 이슈 공중 보다 전통적 공중에 속할 확률이 높아

지는(b=.39, p<.05, Exp(b)=1.48) 반면, 오락추구 동기가 많아지면 전통적 공중보다 이슈

공중에 속할 확률이 높아진다(b=-.43, p<.01, Exp(b)=.65).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토론을

벌이던 이슈 공중이 공적 토론방의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되려면 오락추구 동기를 줄이고 정

보추구 동기를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 토론방 이용 정도도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b=-.02, p<.05, Exp(b)=.98). 토론방 방문 횟수는 전통적 공중이 이슈

공중보다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토론방 이용 결과 나타나는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에서는 두 공중 집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5 -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모델5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인구사회학

적 특성

성별 -.34 .27 .71 -.25 .28 .78 -.28 .30 .76 -.28 .30 .75 -.37 .31 .69 나이 .02* .02* .02* .02* .01 .01 .01 .01 1.02 1.02 1.02 1.02 .02 .01 1.02 .02 .01 1.02 .01 .01 1.01 .01 .01 1.01 학력 -.10 .09 .90 -.11 .10 .89 -.12 .10 .89 -.14 .10 .87 -.13 .11 .88 소득 .01 .07 1.01 -.01 .08 .99 -.04 .08 .96 -.03 .08 .97 -.08 .09 .92

정치적 특성

정치강도 -.35 .24 .71 -.45 .25 .64 -.50 .25 .61 -.52 .27 .60 정치관심 .39* .39* .39* .39* .12 .12 .12 .12 1.47 1.47 1.47 1.47 .30* .30* .30* .30* .14 .14 .14 .14 1.35 1.35 1.35 1.35 .30* .30* .30* .30* .14 .14 .14 .14 1.35 1.35 1.35 1.35 .17 .15 1.19 정치효능감 -.08 .10 .92 -.02 .10 .98 -.04 .10 .96 -.07 .11 .93

토론방 이용

동기

의견교류 .53** .53** .53** .53** .17 .17 .17 .17 1.70 1.70 1.70 1.70 .55** .55** .55** .55** .17 .17 .17 .17 1.73 1.73 1.73 1.73 .38* .38* .38* .38* .19 .19 .19 .19 1.47 1.47 1.47 1.47 정보추구 .35 .19 1.41 .31 .19 1.37 .10 .21 1.10 오락추구 -.10 .15 .91 -.14 .15 .87 -.13 .16 .88

토론방 이용

정도이용 횟수 .02 .01 1.02 .02 .01 1.02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신뢰 .13 .16 1.14 친밀감 .46* .46* .46* .46* .22 .22 .22 .22 1.59 1.59 1.59 1.59 공동체의식 .45* .45* .45* .45* .21 .21 .21 .21 1.56 1.56 1.56 1.56

모델 X2 (블록 X2)  6.33 18.44* (12.109**)  38.38** (19.94**) 42.43** (4.05*) 58.43** (16.00**)

분류정확도(%)   57.3 63.8  67.9  66.7  68.3 

Nagelkerk R2  .034  .096  .193  .211  .282

<표 5>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의 차이를 예측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잠재적 공중=0, 이슈 공중=1)

* p<.05, ** p<.01 (고딕체)

초기 -2LL=340.96, 초기 분류정확도=50.8%

Page 16: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6 -

모델1 모델2 모델3 모델4 모델5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B SE Exp(B)

인구사회학

적 특성

성별 .05 .25 1.05 .10 .26 1.11 .20 .28 1.23 .21 .28 1.24 .27 .28 1.31 나이 .00 .01 1.00 .00 .01 1.00 -.01 .01 .99 -.01 .01 .99 -.01 .01 .99 학력 .14 .09 1.15 .13 .09 1.14 .10 .10 1.10 .11 .10 1.12 .13 .10 1.13 소득 .03 .07 1.03 .03 .07 1.03 .05 .08 1.05 .05 .08 1.05 .05 .08 1.05

정치적 특성

정치강도 .55* .55* .55* .55* .24 .24 .24 .24 1.74 1.74 1.74 1.74 .54* .54* .54* .54* .25 .25 .25 .25 1.72 1.72 1.72 1.72 .57* .57* .57* .57* .25 .25 .25 .25 1.76 1.76 1.76 1.76 .61* .61* .61* .61* .25 .25 .25 .25 1.83 1.83 1.83 1.83 정치관심 .18 .11 1.19 .11 .12 1.12 .13 .12 1.14 .15 .12 1.16 정치효능감 .14 .08 1.15 .06 .09 1.07 .07 .09 1.07 .08 .09 1.09

토론방 이용

동기

의견교류 -.02 .15 .98 -.04 .15 .96 .06 .17 1.06 정보추구 .35 .18 1.42 .40* .40* .40* .40* .18 .18 .18 .18 1.49 1.49 1.49 1.49 .39* .39* .39* .39* .20 .20 .20 .20 1.48 1.48 1.48 1.48 오락추구 -.49** -.49** -.49** -.49** .14 .14 .14 .14 .61 .61 .61 .61 -.45** -.45** -.45** -.45** .14 .14 .14 .14 .63 .63 .63 .63 -.43** -.43** -.43** -.43** .15 .15 .15 .15 .65 .65 .65 .65

토론방 이용

정도이용 횟수 -.02* -.02* -.02* -.02* .01 .01 .01 .01 .98 .98 .98 .98 -.02* -.02* -.02* -.02* .01 .01 .01 .01 .98 .98 .98 .98

토론 상대와

사회에 대한

인식

신뢰 -.12 .14 .89 친밀감 -.21 .19 .81 공동체의식 .12 .20 1.13

모델 X2 3.07  15.75* (12.68**) 34.67** (18.92**)  40.02** (5.35*)  43.23** (3.21)

분류정확도(%)  54.9  61.8  65.5  66.5  65.5 

Nagelkerk R2 .015 .075 .159 .181  .195 

<표 6> 이슈 공중과 전통적 공중의 차이를 예측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슈 공중=0, 전통적 공중=1)

* p<.05, ** p<.01 (고딕체)

초기 -2LL=377.26, 초기 분류정확도=56.0%

Page 17: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7 -

5. 5. 5. 5. 결론 결론 결론 결론 및 및 및 및 논의 논의 논의 논의

본 연구는 공중과 공론장의 분화가 인터넷 토론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관찰해 보고자 시작

되었다. 공중은 군중, 대중, 관중과 반대로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자발적으

로 참여해 토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민적 능력과 덕성을 가진 집단으로 정의되어

왔다 (Barner, 1985; Dahl, 1989; 이준웅, 2007). 하지만 현대에 와서 이러한 공중과 관중

의 경계가 무너지고, 공중 또한 다양한 성격이 집단으로 분화하게 되었다 (Dayan, 2001:

Livingstone, 2005). 공론장도 본래 이성적 합리적인 토론이 일어나는 공적 토론 공간으로

정의되었으나(Barber, 1985; Dahl, 1989; Rawls, 1999), 최근에는 사적 공론장을 포함한

다양한 공간들이 논의되는 상황이다(Jones, 2002).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허위

공중, 잠재적 공중, 이슈 공중, 전통적 공중 등 4가지 유형으로 분화 가능한 공중의 모델을

제시하였고, 실제 검증을 통해 이들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도 공론장의 분화에

대해 개념적으로 논의하였으나(조항제·박홍원, 2010; 이준웅, 2006), 이를 실제 검증한 시

도는 거의 없었다.

이들 공중 유형 가운데 ‘허위 공중’은 공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사람

들이다. 조항제·박흥원(2010)의 대중주의적 공론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유형이다. 공적 토

론방을 사적 토론의 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은 토론 주제의 공공성을 전제하는 숙의민주주의

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겠다. ‘잠재적 공중’은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유형으로 사적 취미나 관심사의 공유를 통해 구성된다. 구성원간 친밀하게 교류하

고 강한 결속력을 보이기는 하지만, 사회 이슈에 영향력을 행사하기에는 공적 문제의식이

부족하다(Dayan, 2001). 그럼에도 본 연구가 이 유형에 ‘잠재적’이란 용어를 붙인 이유는

이 유형의 공중이 인터넷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이들이 사회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논의를 시도하게 되면 숙의민주주의가 요구하는 다른 형태의 공중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믿

기 때문이다. ‘전통적 공중’은 공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유형으로, 롤스

(Rawls, 1999)의 공적 공중에 가깝다. 전통적으로 숙의민주주의 이론가들이 바람직하게 생

각하는 공중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공중은 ‘이슈 공중’이다. 이슈 공중은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유형이다. 존스(Jones, 2002)의 준정치 영역(sub-political arena), 하버마스

(Habermas, 1992)의 사적 하위 공론장, 김예란(2010)의 감성 공론장 등에서 관찰할 수 있

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많은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나 취미와 관련된

토론방에서 활동한다. 정치적 관심이 많은 사람들도 이같은 사적 토론방에서 활동하다 중요

한 사회 이슈가 부각되면 정치사회 토론방으로 이동해 토론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사적 토론방 내에서 ‘공적 자아’(이준웅, 2009)를 발휘해 공적 이슈에 대해 토론을 시도하기

도 한다. 이러한 공중은 미국산 소고기 반대 촛불시위와 같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대

두되었을 때 출현하였다(김예란, 2010; 이준웅, 2009; 김상배, 2008).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검증된 공중 유형간 차이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보는 것이었다. 우리는 앞서 관찰된 공중 유형들이 영원히 고착화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고 보지 않는다. 오히려 시간의 흐름과 사회 변화에 발맞춰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이 하나의

유형에서 다른 유형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 숙의민주주의 관점에서 전통적 공중이 가

장 발전된 단계라면, 잠재적 공중이 이슈 공중으로 변화 발전할 수 있고, 이슈 공중이 전통

적 공중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잠재적 공중

Page 18: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8 -

이 이슈 공중으로,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는 데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우선, 잠재적 공중과 이슈 공중 사이에는 정치 관심도와 의견 교류 중

심의 토론방 이용 동기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치 이슈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자

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다른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어보려는 동기가 강해야, 잠재적 공중에서

이슈 공중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사적 토론방에서 사적 주제를 뛰어넘어 공적 주제에 대

해 토론하려면 정치 관심도가 높고 의견 교류하려는 동기가 강해지는 경우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토론 상대나 사회에 대한 인식의 경우, 친밀감과 공동체의식이 강해지면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도 토론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미나 팬클럽 등의 사적 토론방에서 상

대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고, 공동체의식이 향상되었을 때 비로소 공적 주제가 이야기꺼리로

올라온다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토론방을 통해 진실되고 친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

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월더(Walther, 1992, 1996)가 제시한 사회적 정보처리 이론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등 많은 연구에서 인터넷 매체가 맥락단서 부족이

나 실재감의 부족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는 대인관계의 발전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김예란(2010)도 감성 공론장에 속한 사람들이 친밀감이나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정치적 토론을 하게 되고, 긍극적으로 정치 참여를 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듯 친밀감은

사적 토론 상대와 정치적 이슈를 토론하게 되는 데에 매우 필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

다.

본 연구는 이어서 이슈 공중과 전통적 공중의 차이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정치적 특성

요인 가운데 정치 강도가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보수이든 진보이든 정치 성향이

뚜렷하고 강한 사람이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토론방으로 옮겨 공적 주제에 대해 본격적 토

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실제 인터넷 게시판에는 특정 이슈에 대해 세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 장문의 글들을 자주 접할 수 있다. 이른바 ‘논객’들이 활동하는 것이다. 보

수이든 진보이든 논객들은 상대적으로 강한 정치성향을 가지고 공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

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거침없이 밝히고 상대를 설득하고자 한다. 사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

제에 대해 토론하는 이슈 공중과 비교해 정치적 신념이 강할 수 밖에 없다.

토론방 이용 동기 가운데는 정보추구와 오락추구가 이슈 공중과 전통적 공중의 차이를 가

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들은 인터넷에 대한 정보탐색 동기가 사회적 상호작용,

토론, 사회자본 형성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Shah, Kwak, & Holbert, 2001;

강내원, 2005). 이슈 공중에서 전통적 공중이 되는 것은 공적 주제에 대해 본격적인 토론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게 됨을 의미한다. 정보추구의 동기는 공적 토론방에서 본격적인 토론

에 참여하고자 하는 데에 동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또, 공적 주제에 대한 새롭고 깊이

있는 정보들이 사적 토론방 보다 공적 토론방에 많이 존재하는 사실이 정보추구 욕구가 강

한 이슈 공중으로 공적 토론방으로 유인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반면, 오락추구 동기는

이슈 공중이 전통적 공중으로 성장하는 데에 저해 요인으로 밝혀졌다. 선행연구들도 인터넷

의 오락적 이용이 사회적 연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강내원, 2005; 이준웅,

김은미, 문태준, 2005).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사람들이 정치토론이 흥미 위주로 진행

되는 것을 경계하는 경우도 있다(조민경, 2009). 이는 공적 토론방에서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전통적 공중들은 오락추구의 동기가 매우 낮으며, 사적 토론방의 이슈 공중이 전

통적 공중으로 변화하려면 오락적 동기를 이들과 같은 수준으로 낮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토론방 이용 횟수에서는 전통적 공중이 이슈 공중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적 토

Page 19: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19 -

론방내 이슈 공중들은 요리, 음악, 스포츠 등 다른 구성원들과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며

사적 친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공적 토론방내 전통적 공중들은 공적 주제에 대해 토론

하며 때때로 다투기도 한다. 개인적 친분 형성은 어렵다고 봐야 한다. 이러한 차이가 소속

토론방 방문 횟수의 차이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토론 상대에 대한 신뢰,

친밀감, 공동체의식 등은 이슈 공중과 전통적 공중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 논의를 종합하면, 전통적 공중이 관찰되는 토론방은 정치적 성향이 강하고, 정보추구

동기가 강한 동시에 오락추구 동기가 약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임을 알 수 있다. 또, 전통적

공중은 이슈 공중에 비해 토론방을 덜 방문하며, 상대에 대한 신뢰나 친밀감을 더 느끼지

않는 사람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통적 공중은 롤즈의 이성적 공론장(Rawls,

1999)이나 하버마스의 공적 공론장(Herbermas, 1992)에 잘 어울리는 유형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숙의민주주의 관점에서 전통적 공중을 가장 높은 발전단계로 상정한 뒤 공중

유형의 변화 발전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어떤 공중이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사적 공론장에 대해서도 여전히 많은 학

자들이 이를 과연 공론장으로 볼 수 있는지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와 함의가 이러한

공론장과 공중에 대한 논의에 도움되는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Page 20: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0 -

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참고문헌

김동윤 (2007).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 토론참여와 의견불일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5호, 138~167.

김상배 (2008). 『인터넷과 한국정치: 네트워크의 부상과 지식질서의 변동』. 인터넷@한국

사회, 한국사회@인터넷 한국 인터넷 문화의 특성과 발전방안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163~197.

김예란 (2010). 감성공론장: 여성 커뮤니티, 느끼고 말하고 행하다. 『언론과사회』, 18권 3

호, 146~191.

김유정 (2005). 사이버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291~317.

김종길 (2005). 사이버공론장의 분화와 숙의민주주의 조건. 『한국사회학』, 39권 2호,

34~68.

김현석·이준웅 (2007). 인터넷 정치 토론의 담론적 특성. 『한국언론학보』, 51권 4호.

356~384.

박기순 (2000).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배미경 (2003). 온라인 공중: 개념, 특성, 공중세분화에 관한 논의. 『홍보학연구』, 7권2호,

213~245.

성동규·라도삼 (2001). 사이버네틱 영상미디어의 발전에 대한 사회적 '거리' 변화에 관한 연

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5권, 75~105.

송근원 (2003). 16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정치적 관심도. 『사회과학연구』, 창립 25주년 기

념 여름 특집호, 51~75.

안형기·신범순 (2006). 정치참여 결정요인으로서의 인지적 효능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권 1호, 27~49.

이준웅 (2005). 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과 언론에 대한 공정성 요구: 공정한 담론규범 형

성을 위하여. 『방송문화연구』, 17권 2호, 139~172.

이준웅 (2009). 인터넷 공론장의 매개된 상호가시성과 담론 공중의 역할. 『언론정보연구』,

49권 2호. 5~32.

Page 21: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1 -

이준웅·김은미 (2006). 인터넷 정치 토론과 정치토론 효능감. 『한국언론학보』, 50권 3호,

394~424.

조항제·박홍원 (2010). 공론장-미디어 관계의 유형화.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50호,

5~28.

주창윤 (2010). 『(대한민국) 컬처코드 : 문화코드를 알면 트렌드가 보인다』. 파주 : 북이

십일 21세기북스.

차동필 (2002). 그루닉과 할라한의 공중 분류 모델 비교 연구. 『홍보학연구』, 6권 2호,

96~127.

최영재 (2008). 『인터넷 공론장의 가능성과 숙의 민주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정기학술

대회. 성신여자대학교 성신관.

한혜경 (2005). 인터넷 이용자의 시민적 자질들과 가상공간의 숙의 경험의 관계에 관한 연

구. 『한국방송학보』, 19권 4호, 604~643.

홍성구 (2001). 『인터넷과 정치적 공론영역의 복원: 숙의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고려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용석 (2001). 인터넷 이용과 정치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45권 3호.

421~456.

Barber, B. (1985). Strong democrac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arnes, H., & Kasse, M., et al. (1979).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Beverly Hills. CA: Sage.

Bohman, J. F. (1996). Public deliberation: Pluralism, complexity, and democracy.

Cambridge, MA: MIT Press.

Blumler, J. (1999). Political communication systems all change: A response to Kees

Brants.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14(2), 241-249.

Blumer, H. (1971). Social Problems as Collective Behavior. Social Problems, 18,

298-306.

Calhoun, C. (1992).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Cambridge: The MIT Press.

Campbell, A., Gurin, G., & Miller, W. E. (1954). The voter decides. Oxford, England:

Page 22: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2 -

Row, Peterson, and Co.

Chambers, S. (2003). Deliberative democratic theory.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6, 307–326.

Dahl, R. A. (1989). Democracy and its critic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Dahlberg, L. (2001). Computer-d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public sphere: A

critical analysi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7(1).

Dahlgren, P. (1995).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Citizenship, democracy

and the media. London: Sage.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Free Press.

Dewey, J. (1927/1954). The public and its problems. Chicago: Swallow Press.

Dayan, D. (2001). The peculiar public of television. Media, Culture & Society, 23(6),

743-765.

Eley, G. (1992).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Cambridge: The MIT Press.

Ess, C. (1996). The political computer: Democracy, CMC, and Habermas. In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d. C. Es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Gans, H. J. (1979). Deciding What's News. New York: Pantheon.

Gastil, J. (2000). Is Face-to-Face Citizen Deliberation a Luxury or a Necessity?

Political Communication, 17(4), 357-361.

Habermas, J. (1962/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T. Burger (Tr.).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Keane, J. (1998) Civil Society: Old Images, New Visions. Cambridge: Polity Press.

Kline, H. K. (1999). Tocquevile in cyberspace: Using the Internet for citizen

associations. The Information Society, 15, 213-220.

Page 23: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3 -

Kim, J. H., Wyatt, R. O., & Katz, E. (1999). News, talk, opinion, participation: The

part played by conversation in deliberative democracy. Political communication,

16(4). 361-385.

Kovach,B., & Rosenstiel, T. (2001). The elements of journalism: What news 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New York: Crown.

Livingstone, S. (2005). On the relation between audiences and publics. In S.

Livingstone(ed.), Audiences and publics. Bristol: Intellect.

Lyotard, J. F. (1984).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Univ Of

Minnesota Press.

McLeod, J. M., Scheufele, D. A., & Moy, P. (1999). Understanding Deliberation The

Effects of Discussion Networks on Participation in a Public Forum. Communication

Research, 26(6), 743-774.

Milbrath, L. W., & Goel, M. L. (1977).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 Co.

Papacharissi, Z. (2002). The virtual sphere The internet as a public sphere. New

Media & Society, 4(1). 9-27.

Peters, B. (2008) Public deliberation and public culture: The writings of Bernhard

Peters, 1993-2005. H. Wessler (ed.) and with a foreword by Jürgen Habermas.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Price, V., & Cappella, J. N. (2002). Online deliberation and its influence: The

electronic dialogue project in campaign 2000. Society, 1(1), 303-329.

Rawls, J. (1999).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 Press.

Scheufele, D. M., Nisbet, M. C., & Brossard, D. (2003). Pathways to Political

Participation? Religion, Communication Contexts, and Mass Media.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5(3). 300-324.

Verba, S., & Nie, N. H. (1987). Participation and political equality: A seven-nation

compari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ojcieszak, M. E., & Mutz, D. C. (2009). Online groups and political discourse: do

online discussion spaces facilitate exposure to political disagreement?. Journal of

Page 24: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4 -

Communication. 59(1). 40-56.

Wolfsfeld, G. (1986). Political Action Repertoires: The Role of Efficacy.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19(1), 104-129.

Page 25: 인터넷 인터넷 토론 토론 토론 공중공공중중공중(public) …blog.adic.co.kr/data/sem/pdfdata/0120426_01.pdf · 심지어 공중과 대중, 군중, 관중의 경계까지

- 25 -

Differentiation Differentiation Differentiation Differentiation of of of of Internet Internet Internet Internet discussion discussion discussion discussion public public public public and and and and its its its its predictorspredictorspredictorspredicto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fferent groups of Internet discussion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publicness of discussion boards and topics and to

figure out what variables predict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After we analyzed

survey data of 600 Internet discussion participants, we observed four groups of

publics: false public, latent public, issue public, and traditional public. Then,

demographic variables, political characteristics, motivations of Internet discussion

participation, actual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toward discussion colleagues were

employed to predict the difference of Internet discussion publics. Between latent

public and issue public, political interest, opinion exchange motivation, intimacy,

sense of commun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The potential change

from issue public to traditional public required increases in political strength,

information seeking motivation and decreases in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frequency of discussion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