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Making a better world together 4호┃2013.12월 이슈리포트 산업에너지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품질관리 - 개도국 발전단계별 사업기획 방안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Making a better world together

4호┃2013.12월

이슈리포트산업에너지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품질관리

- 개도국 발전단계별 사업기획 방안

Page 2: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본 이슈리포트는 개도국 발전단계별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기획 시 고려할 품질관리 요소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국가공간정보체계(SDI, Space Data Infrastructure) 사업은

국토공간 정보수집, 개발계획 수립, 그리고

국토공간개발사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지원과정을 지원하는

기초로서 국가 기간시설 및 사회간접시설 건설과 유지보수,

각종 재난 및 자연재해 대응에 긴요하게 활용되어 개도국

국가경제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여기서는 이러한

국가공간정보체계(SDI)사업의 품질관리를 위해 사업기획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중심으로 SDI 구축지원전략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본 이슈리포트가 향후 KOICA 의

국토관리기반조성 관련 사업 발굴 및 수행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품질관리

- 개도국 발전단계별 사업기획 방안

목 차

1. 들어가며 ……………… 1

2. 관련 배경 및 현황 ……… 2

3. SDI 구축 지원 전략 … … 10

4. 결론 및 시사점 ……… 21

Page 3: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 들어가며1

개발도상국의 자립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등 사회적 개발과 함께 개발도상국 내에서 자생적인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수 있는 경제인프라의 개발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히 저개발 국가에서는

이러한 경제인프라를 개발할 기본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 국토 공간활용

및 관리를 위한 기반조성에 대한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토공간 활용 및 관리 기반조성의 첫 단계로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공간정보 수집을 위한

공간계획수립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체계(Space Data Infrastructure, SDI)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개도국은 국토관리를 위한 측량기준점도 제대라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축적 1/25,000 이하의 소축적 지도를 기본도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응용시스템을 개발할 전문인력도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와 같이

열악한 국토관리 인프라 환경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개도국 경제 및 산업발전을 위한 도로,

항만, 산업단지 등 기간 인프라 구축을 지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은 개도국의 경제성장 및 자생적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원조사업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동 사업은 개발계획 수립 및

시범시스템 구축뿐만이 아니라 실제 시스템 확산과 활용을 위한 후속사업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무상 연계 및 다자기구 재원 확보, 민간투자 유치 등 개도국 정부의

재원마련 방안 등이 동시에 고려될 때 사업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동 이슈리포트에서는 향후 KOICA 의 동 영역 사업 기획 및 수행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기획단계 품질관리 요소를 개도국 발전단계별 개발수요에

따라 제시하고자 한다.

1 동 이슈리포트는 국토연구원(2012)의 “개발도상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및 활용연구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과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작성됨.

국가공간정보체계 지원사업 품질관리 The Quality Assurance of National Space Data Infrastructure (SDI) Project

Page 4: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

2. 관련 배경 및 현황

국토공간 개발사업은 국가 기간시설 및 사회간접시설의 건설과 유지보수 및 각종 재난 및

자연재해 예방과 대책수립에 긴요하게 활용되어 개발도상국 국가경제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아울러 국토공간개발은 물리적 공간의 변화를 유발하여, 잘못 개발되었을 경우 막대한

사회적 비용과 국가예산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지원 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개발계획과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1) 공간정보체계(SDI) 구축 및 활용 구조

국토공간 개발사업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도입을 위한 국토공간 개발계획 수립 시 다양한

공간정보의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처럼 국토공간 정보수집, 국토공간 개발계획 수립

그리고 국토공간 개발사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지원과정을 공간계획지원체계(Space

Planning Support System)라고 한다.

▌ SDI 역할 및 중요성

이러한 공간계획지원체계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체계(Space Data Infrastructure, SDI) 구축

및 활용 메커니즘은 국가 경제, 사회, 기술 등 다양한 특성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아래

<그림 1 2 >의 인과루프지도와 같이 구성된다. 해당 인과루프지도를 참고하면, 한 국가의

국민소득이 많으면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도 증가하여 구축 환경 및 수준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 사회문제 해결에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비율도

증대하여 국가발전 및 경제성장에 기여하게 되며, 이는 다시 공간정보 구축 투자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나게 된다.

2 그림에서 ‘+’로 표시된 양의 링크는 두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을 의미한다. 이는 연결된 변수 중 한 변수가

감소하면 이와 ‘+’로 연결된 다른 변수도 감소하는 것을 뜻한다. ‘-‘는 두 변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을 의미한

다. 다시 말해, 한 변수가 증가하면 이와 ‘-‘로 연결된 다른 변수는 감소한다.

Page 5: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3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그림 1> 공간정보체계(SDI) 구축 및 활용 인과루프 지도

▌ 개도국 SDI 구축 및 활용 구조

개발도상국의 경우 경제적 측면에서 국민소득수준이 낮아 SDI 구축 투자환경(투자예산, 기술,

전문인력, 법제도 등)이 제대로 조성되어 있지 않다. SDI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원조지원으로 충당하고 있어 자국예산을 활용할 때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자금확보가

힘들다. 아울러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축적(축적 5만~1백만분의 1) 지형도만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 공간정보를 현장 실무에 적용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 그러나 경제적

환경이 좋지 않아 많은 비용과 인력이 필요한 대축적 공간정보 구축이 어려우며,

소축적마저도 갱신주기가 10여년 정도로 길고 비정기적이다. 아울러 R&D 투자자금 및 현지

전문인력 확보가 어려워 자국기술보다는 해외 상용소프트웨어나 개방형 공개기술을 이용하여

공간정보관련 DB 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등 인프라 구축환경이 열악하다.

Page 6: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4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그림 2> 개도국 공간정보체계(SDI) 구축 및 활용 인과루프 지도

앞서 제시된 이유들로 인해 <그림 2>에서와 같이 개도국의 인과루프 지도에서는 SDI

구축환경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이 낮아 SDI 인프라 수준이 낮아지는 악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악순환은 ‘낮은 국민 소득→SDI 구축 투자재원

부족→SDI 구축환경 열악→낮은 SDI 인프라 구축 수준→낮은 공간정보 활용수준→낮은

국가경제성장→낮은 국민소득’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개도국 SDI 활용 루프 역시 악순환 구조를 보이고 있다. SDI 활용에 있어서 악순환은

‘낮은 국민소득→공간정보 활용투자 재원부족→공간정보 활용환경 열악→낮은 공간정보 활용

수준→문제해결의 비효율성→낮은 문제해결 수준→낮은 국가경제성장→낮은 국민소득’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낮은 국민소득에 따라 공간정보 활용환경(투자예산, 기술, 전문인력,

법제도 등) 조성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원조자금 지원은 이러한 악순환 구조의 근본 원인인 ‘낮은 국민소득’을 극복할 수 있는

일차적 해결책은 될 수 있지만 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할 환경(인터넷망, 컴퓨터 및 이동전화

Page 7: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5

등 정보통신인프라 구축 등)이 이와 같이 개선되지 않으면 일회적이고 단기적인 수준에 그칠

우려가 있다.

2) 개발도상국 공간정보체계(SDI) 세부 현황

개도국 다수의 경우, 국토공간에 대한 기초적 자료구축 및 활용 역량이 부족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국토개발 및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에 따라 국토공간 개발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사업경험뿐만이 아니라 국가공간정보체계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정의도 명확히 정리되지 않은

국가가 많아 국토공간 개발사업 지원 이전에 국토공간 개발계획 및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기반 구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 SDI 구축 및 활용 수요

SDI 구축 및 활용 수요 3 파악을 위해 국토연구원(2012)에서는 국토공간 개발수준

1~2 단계에 해당하는 30 개국 4 대상으로 공간계획 수립현황, 주요 국책사업 현황,

정보활용시스템 구축현황, 공간정보 시장현황을 조사하였다. 동 이슈리포트에서는 조사대상

30 개국 중 국토공간개발과 연관성 있는 중점협력분야(CPS 자료 참고)를 가진 11 국(몽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에티오피아, 우간다, 카메룬, 볼리비아, 페루,

우즈베키스탄)5의 조사결과를 아래(<표 1>~<표 3>)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3 SDI 활용수요란 공간정보에 대한 소비측면 수요로서 개도국 공간계획(국토계획, 도로계획 등) 및 지역개발, 재난관

리 등을 위한 공간정보 활용 수요(잠재 수요)를 의미한다. SDI 구축수요란 공간정보에 대한 공급측면 수요로서 개도

국이 사회현안 및 정책과제를 위하여 기본공간정보, 유통망 및 표준화 구축하는 수요(직접 수요)을 의미한다.

4 공간정보인프라 수요조사 대상 국가로 아시아 지역 네팔, 몽골,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필리핀, 태

국, 베트남, 아프리카 지역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카메룬, 콩고, 짐바브웨, 나이지리아, 케냐, 코트디브아르, 마다가스

카르, 튀니지, 우간다, 중남미 지역 볼리비아, 과테말라, 페루, 니카라과, 중동지역 예멘, 바레인, 이라크, 모로코, 중앙

아시아 지역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30여국이 선정되었다(국토연구원, 2012).

5 해당 11국의 중점협력전략(Country Partnership Strategy) 상 국토공간개발과 연관된 중점협력분야는 다음과 같다.

ㅇ 몽골 : (2) 국토의 균형적 성장과 도시의 지속 가능한 개발 지원

ㅇ 스리랑카 : (1)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경제․사회기반 시설강화

ㅇ 인도네시아 : (2) 지역 균형성장을 위한 경제인프라 확충

ㅇ 캄보디아 : (2) 지속적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산업인프라

ㅇ 필리핀 : (1)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기반강화

ㅇ 에티오피아 : (4)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인프라 확충

ㅇ 우간다 : (2) ICT 지원을 통한 효율적인 국가 운영 및 민간부문 발전 기여

Page 8: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6

<표 1> 개도국(11 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활용수요 1)

국토계획 지역계획 도시계획

1 몽골 1 ㅇ(프로젝트 1 건) 수립 수립 수립

2 스리랑카 2 - 수립 수립 수립

3 인도네시아 2 ㅇ(프로젝트 2 건) 수립 수립 수립

4 캄보디아 1 ㅇ(프로젝트 2 건) - 수립 수립

5 필리핀 2 - 수립 수립 수립

6 에티오피아 1 - 수립 수립 수립

7 우간다 1 - 수립 - 수립

8 카메룬 1 - 수립 수립 수립

9 볼리비아 1 - 수립 수립 수립

10 페루 2 - 수립 수립 수립

11 우즈베키스탄 2 - 수립 - 수립

* 국토공간 개발 수준 : 1 단계(최저)~4 단계(최고)로 구분

* 표기 : ㅇ(유), -(무)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원, 2011; 단내 사업자료

<표 1>에 따르면 조사대상 11 국 모두 1 개 이상의 공간계획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몽골,

스리랑카, 필리핀, 카메룬, 볼리비아, 페루는 국토계획, 지역계획 및 도시계획이 모두 있어

공간정보인프라 활용수요가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표 2> 개도국(11 국) 주요 국책사업

번호 국가명

주요국책분야(공간정보인프라 활용수요 2)

비 고 자원탐사

(광산,유전)

인프라

(철도,교통) 에너지 농 업 관 광

ICT

(전자정부)

1 몽골 ㅇ ㅇ - - - - -

2 스리랑카 - ㅇ - - ㅇ ㅇ 전자정부

3 인도네시아 - ㅇ - - - - 인프라서밋

4 캄보디아 - ㅇ - ㅇ - - -

5 필리핀 - ㅇ - - - - -

6 에티오피아 - - ㅇ ㅇ - - WB 지원의지

7 우간다 ㅇ - - - - - -

ㅇ 카메룬 : (2) 산업에너지 시스템 및 공공행정시스템 개선을 통한 포괄적 성장 가속화

ㅇ 볼리비아 : (1) 사회통합과 경제구조 혁신 및 중장기 성장기반 구축

ㅇ 페루 : (3) ICT 인프라 확충을 통해 국토발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

ㅇ 우즈베키스탄 : (3) 행정 정보화 및 경제 관련 제도 정비를 통한 시장경제체제 기반 강화

Page 9: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7

8 카메룬 - ㅇ ㅇ ㅇ - - -

9 볼리비아 ㅇ - - - - - 국유화 조치

10 페루 ㅇ ㅇ - - - - -

11 우즈베키스탄 ㅇ ㅇ - - - - 국가공간정보계획

* 표기 : ㅇ(유), -(무)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표 2>는 조사대상국 주요 국책사업 중 SDI 활용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로 몽골,

스리랑카,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카메룬을 제시하고 있다. 몽골의 경우 외국인 투자규제

완화로 광산개발 및 인프라 건설을 시행 중이며, 스리랑카 정부는 ICT 산업육성의지가

강하다. 아울러 캄보디아는 교통, 관개 등 사회인프라구축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경우 2010 년부터 5 개년 개발계획을 추진하면서 댐 및 도로 등 기간 인프라

건설에 주력하고 있고, 카메룬의 경우 철도개발, 송유관 및 원유수출 부두건설, 가스 및

수력발전 등 대규모 에너지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어서 국토공간정보체계 구축 수요가

확인되고 있다.

<표 3> 개도국(11 국) 공간정보 활용시스템 구축현황

번호 국가명 활용시스템 통합시스템 네트워크

스피드

자국

웹포털

회사수(개)

스마트기기

사용자(명)

네비게이션

보급율(%)

공간정보

활용형태

1 몽골 ㅇ x(준비중) 10mb/s 2 200 만 10 수치지도

(GIS 활용)

2 스리랑카 n/a n/a n/a n/a n/a n/a n/a

3 인도네시아 ㅇ ㅇ 25mb/s n/a n/a 30% 수치지도

(GIS 활용)

4 캄보디아 n/a n/a n/a n/a n/a n/a n/a

5 필리핀 ㅇ ㅇ 25mb/s 2 2,300 만 n/a 수치지도

6 에티오피아 n/a n/a n/a n/a n/a n/a n/a

7 우간다 n/a n/a n/a n/a n/a n/a n/a

8 카메룬 n/a n/a n/a n/a n/a n/a n/a

9 볼리비아 n/a n/a n/a n/a n/a n/a n/a

10 페루 n/a n/a n/a n/a n/a n/a n/a

11 우즈베키스탄 ㅇ x n/a n/a n/a n/a 수치지도

* 표기 : ㅇ(유), n/a(무응답)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Page 10: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8

<표 3>에 제시된 응답국가에 한하여 활용시스템 구축으로는 오픈소스 또는 글로벌

공간정보기업인 ESRI 사의 ArcGIS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축비용은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자원조기금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몽골의 경우 네덜란드와 협력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환경정보시스템(1998-2007)을

구축하였으며, ArcGIS 를 기반으로 한 국가토지정보시스템(2002), 오픈소스 기반의

통계공간정보시스템구축(2010) 및 울란바토르 건물도시개발시스템(2010),

광산지적관리시스템, 웹기반 재난관리시스템(2011) 및 기본공간정보(2012-2016)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활용시스템을 기반으로 환경, 도시정보, 울란바토르 공간정보 등

대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건설교통부 도심지 도로관리시스템(1996),

공간계획시스템(2004), 수자원관리시스템(2007), 주택관리시스템(2008)을 미국 ESRI 사

ArcGIS 및 ArcIMS 제품을 사용하여 구축하였다. 몽골과 인도네시아는 활용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할 공간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 또한 구축하였다. 그러나 응답 국가 중 네비게이션

보급률은 30% 이하로 대체적으로 저조하였다.

▌ SDI 구축 환경

대상국은 공간정보인프라 활용수요와 동일하며, 관련 법제도, 공간정보구축 현황, 시장현황

등을 조사하였다(<표 4>, <표 5> 참고).

<표 4> 개도국(11 국) 공간정보 법제도 및 계획, 공간정보 구축현황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단계

법제도

유무

SDI 추진

유무 공간정보(수치지도) 구축현황

1 몽골 1 ㅇ ㅇ 1/10 만 및 1/25 만 지형도, 울란바타르시 1/1,000

지형도

2 스리랑카 2 - ㅇ -

3 인도네시아 2 ㅇ ㅇ 1/25 만 지형도(전국), 1/5 만 해안지형,

1/1 만 도심지, 1/25 천 공간계획도 등

4 캄보디아 1 - ㅇ 1/5 만 및 1/10 만 지형도

갱신 어려움.

5 필리핀 2 ㅇ - 지형도 및 주제도 보유

6 에티오피아 1 - ㅇ -

7 우간다 1 - ㅇ -

8 카메룬 1 - - 1/5 만 지형도 작성중

9 볼리비아 1 - - -

10 페루 2 ㅇ ㅇ 1/10 만 지형도(전국), 1/25 천 지형도,

Page 11: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9

1/1 천, 1/5 천 지적도

11 우즈베키스탄 2 ㅇ ㅇ

1/1 만, 1/25 천, 1/10 만, 1/20 만, 1/50 만,

1/1 백만 지형도(전국),

1/2 천 지형지적도(도심지)

* 국토공간 개발 수준 : 1 단계(최저)~4 단계(최고)로 구분

* 표기 : ㅇ(유), -(무 또는 무응답)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표 4>에 따르면 SDI 중장기계획을 수립(예정 포함)한 국가는 몽골,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7 개국으로 나타났으며, 몽골, 인도네시아,

필리핀, 페루, 우즈베키스탄 5 개국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또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몽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카메룬, 페루, 우즈베키스탄

7 개국의 경우 전국단위 소축적(5 만~1 백만) 수지지형도 이상을 구축하고 있었으나,

갱신주기가 비정기적이었다. 대부분의 공공부문 공간정보는 유상으로 공급되고 있었고,

메타데이타는 부분적으로 구축되어있었다. 상기 11 국 모두 대학에 공간계획관련

인력양성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 향후 공간정보 구축 및 업데이트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5> 개도국(11 국) 공간정보 시장현황

번호 국가명 자국 GIS

엔진(개) R&D 기업수

측량

기업수

콘텐츠

기업수

정부지원

(세금감면) 한국기업 진출현황

1 몽골 0 6 100 2 x 시스템 부문/

대한석탄공사, 한전

2 스리랑카 n/a n/a n/a n/a n/a -

3 인도네시아 n/a n/a 100 n/a x -

4 캄보디아 n/a n/a n/a n/a n/a 측량, 컨설팅 부문/

삼부기술

5 필리핀 n/a n/a n/a n/a ㅇ -

6 에티오피아 n/a n/a n/a n/a n/a -

7 우간다 n/a n/a n/a n/a n/a -

8 카메룬 n/a n/a n/a n/a n/a -

9 볼리비아 n/a n/a n/a n/a n/a -

10 페루 n/a n/a n/a n/a n/a -

11 우즈베키스탄 2 25 14 64 ㅇ 수치지도, 컨설팅 부문/

SKC&C

* 표기 : ㅇ(유), -(무), n/a(무응답)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Page 12: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0

<표 5>와 같이 공간정보기술 독립성과 기업수, 한국기업 진출 등을 통해 시장현황을 살펴본

결과, 우즈베키스탄이 유일하게 자국 공간정보엔진을 보유하고 있어 공간정보기술의

독립성과 자체 조달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ESRI 사가 제공하는

ArcGIS, 몽골의 경우 오픈 소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응답 국가 모두

측량기업의 규모가 가장 큰 반면, 콘텐츠 및 R&D 등 고급기술 개발 기업의 규모는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개도국 공간정보체계(SDI) 구축 지원 전략

1) 발전단계별 수요분석

▌ 경제발전단계별 국토공간 개발 현황 및 수요

국가단위 공간정보 현대화 과정은 경제발전 수준과 단계에 따라 아래 <표 6>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국가의 국토공간 개발수준은 국가발전지수, 도시화율, 초고속인터넷 가입률,

국토계수당 도로 및 철도길이, 도로 포장률, 인당 발전량, 식수보급률 등 7 가지 지표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김영표 외 2010).

<표 6> 경제발전단계별 국토공간 개발 현황6

개발 전단계

(전통 단계)

개발 I 단계

(이행 단계)

개발 II 단계

(도약 단계)

개발 III 단계

(성숙 단계)

개발 IV 단계

(대량 소비)

경제 현황

농업중심

자급자족

물물교환

제한적 자본

제한적 기술

공업개발투자

분업 및 특화

무역량 증가

교통 인프라

경공업투자

경제팽창

국토개발전략

GNP10%투자

산업/상업확장

중공업 발달

대량생산

경제다각화

산업기술발전

소비재 중심

서비스산업

국가발전지수 - 101 위 이하 61~100 위 31~60 위 1~30 위

도시화율 - 40% 미만 40~60% 60~80% 80% 이상

초고속인터넷가입률 - 5% 미만 5~10% 10~20% 20% 이상

국토계수당도로∙철도길이 - 30 미만 30~50 50~100 100 이상

6 Rostow에 의해 1960년대 처음 제시된 경제발전단계이론(Stages of Economic Growth)은 국가의 경제발전이 단계적

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전통(traditional society), 이행(transitional stage), 도약(take-off), 성숙(drive to maturity), 그리

고 대량소비(high-mass consumption)의 5단계로 구분하여 국가경제발전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Page 13: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1

도로포장률 - 30% 미만 30~50% 50~80% 80% 이상

인당발전량 - 1,000Kwh 미만 1,000~2,000Kwh 2,000~5,000Kwh 5,000Kwh 이상

식수보급률 - 70% 미만 70~80% 80~90% 90% 이상

* 출처: 국토연구원, 2011; 김영표 외, 2010; Rostow, 1960

<표 6>에 따라 개발수준 I 단계 국가의 경우 1) 국토조사계획 수립, 2) 국토조사

프로젝트(토지, 하천, 수력) 및 3) 교통인프라(도로, 철도, 항만 등) 신설을 위한

공간프로젝트와 4) 정책 자문, 공무원 역량강화, 전문가 훈련 등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발수준 II 단계 국가의 경우 1) 공간계획 수립(경제개발계획, 국토종합계획,

도시계획 등), 2) 국토개발 관련 법규 정비, 3) 기간인프라(고속도로, 항만, 댐, 관광단지 등)

건설을 위한 국토개발 프로젝트, 4) 국토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지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제작, 5) 경제개발 선도 국토 프로젝트(공단개발, 수자원 개발,

경제특구 개발 등) 등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수준 III 단계 국가의 경우 1) 공간계획 구체화, 2) 난개발 방지를 위한 개발규제, 3)

환경문제를 고려한 국토개발(법규, 체계, 조직 신설), 3) 관련 행정 정보화, 4) 대형 국토개발

프로젝트(대규모 주택건설, 신도시 개발, 생활환경 정비 등), 4) 연구역량강화, 5) 계획적

국토관리를 위한 법규 재정비 등의 수요가 다수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발수준 IV 단계

국가의 경우 1) 지역주민 및 시민참여 공간 프로젝트, 2) 지방분권, 균형발전을 위한

공간정책, 3) 첨단산업단지 개발, 4)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간개발 시 문화 컨텐츠 개발, 5)

기후변화, 녹색성장 등 글로벌 이슈, 6) 개도국 공간개발 지원 등의 수요가 발생 가능하다.

<표 7> 경제발전단계별 국토공간 개발 수요

개발 I 단계

(이행 단계)

개발 II 단계

(도약 단계)

개발 III 단계

(성숙 단계)

개발 IV 단계

(대량 소비)

지형지물의

단순경계/위치표시

생활편의 공간정보

비즈니스 공간정보

ㅇ 국토조사기본계획 수립

- 토지, 하천, 수력

ㅇ 교통인프라 시설

ㅇ 기초적 국토공간개발

ㅇ 정책자문, 공무원역량강화

ㅇ 관련 법률 제정

ㅇ 국토종합계획, 도시계획

ㅇ 국토개발 법체제 정비

ㅇ 경제개발 프로젝트

ㅇ 기간인프라건설

- 고속도로/항만/관광단지

ㅇ 국토정보데이터베이스

- 지도(GIS) 제작

ㅇ 경제개발선도 국토개발

ㅇ 공간계획 구체화

ㅇ 난개발 방지를 위한 규제

ㅇ 환경적 지속가능성 고려

ㅇ 행정 정보화, DB 전산화

ㅇ 대형 국토개발사업

- 대규모주택, 신도시개발

ㅇ 연구소설립, 민간부문지원

ㅇ 정책/법규 신설, 정비

ㅇ 시민참여 공간계획

ㅇ 균형발전 공간계획, 정책

ㅇ 환경보호를 위한 규제

- 기후변화, 녹색성장

ㅇ 첨단융복합산업단지개발

ㅇ 개도국 지원

* 출처: 국토연구원, 2011; 김영표 외, 2010; Rostow, 1960

Page 14: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2

▌ 국가발전단계별 공간정보 활용 수준

공간정보 이용수준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고도화된다(Crain, 1984; 국토연구원,

2011). 이에 따라 공간정보 이용을 구축 단계, 분석 단계, 경영 단계로 나누어 고찰해볼 수

있다(<그림 2>). 첫 번째 구축단계는 아날로그 형식으로 존재하는 기존 공간정보(종이지도)를

전자형태로 확장, 구축하는 수준의 공간정보 활용이 진행된다. 자료 입력 및 저장, 편집,

간단한 검색 등 기초적 자료수집 기능을 이용하는 수준으로 공간정보 구축의 기본이 되는

자료를 최대한 많이,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요구된다.

분석단계는 저장된 자료를 특정 목적을 위해 분석하고 결과를 이용하는 수준을 의미한다.

구축단계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을 포함하여 고급 검색, 임의 질의 등 발전된 기능을 활용하여

공간정보 자료 업데이트,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세싱, 그래픽 활용 분석결과 도출 등이

수반된다. 마지막 경영단계는 단순한 자료수집 및 분석을 넘어 의사결정도구로서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는 수준으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향후 전만 예측 및 계획

수립 작업이 진행되며, 지역 간 중복되는 자료를 통합하여 종합 DB 구축을 진행한다.

* 출처: Crain 외, 1984; 국토연구원, 2011

* 왼쪽 S-곡선은 공간정보시스템 구축 정도를, 오른쪽 S-곡선은 공간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통계분석 및

자료조작에 대한 수요를 나타냄.

<그림 3> 공간정보 구축-분석-관리 단계

Page 15: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3

국가 경제발전단계와 국토공간 개발수준을 연계해보면 다음 <그림 4>와 같은 함의를

도출해볼 수 있다. 첫째, 국가발전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국가 산업이 농업-공업-서비스업으로

고도화되면서 공간정보 구축 대상범위가 확대되고 다양한 경제활동에 따라 공간정보 또한

다층적으로 구축, 통합된다. 둘째, 국가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초기단계 제한적

공강정보시스템 활용에서 벗어나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석 및 분석결과를 이용한

의사결정(경영)도 확대되는 공간정보 활용의 질적 고도화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국토개발,

경제개발 등 활동과 공간정보를 별개로 인식하는 초기단계에서 벗어나 국가 행정, 기업경영,

국민생활 등 사회전반으로 공간정보 활용이 확산되고 내재화된다7.

* 출처: Crain 외, 1984; 국토연구원, 2011

<그림 4> 국가발전단계별 공간정보 활용 수준

2) 개도국 공간정보체계(SDI) 지원 모델

▌ 개도국 SDI 구축 및 개선 전략

국별 발전단계에 맞는 SDI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앞서 제시된 개도국 SDI 구축

및 활용 인과루프 상 병목현상이 무엇이고, 어디서 발생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7 예를 들어 국가발전 초기단계에서는 도로 건설 시 물리적 도로와 도로 건설에 사용되는 설계도를 별개로 생각하지

만, 발전단계가 고도화되면서 설계도는 도로를 관리하는 정보로 인식되고 도로관리활동에 내재화된다(국토연구원,

2011).

Page 16: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4

SDI 지원은 국토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국가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지원 대상국 내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관련 정책과 법제도, 규제 등을 파악하여야 한다. 셋째, SDI 구축

관련 사회, 경제, 기술, 정책 등 다양한 배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현지 수요와

개발환경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 공간정보기업의 기술, 지식 등

국내 역량을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동 이슈리포트에서는 아래 <그림 5>에 제시된 개도국 SDI 사업 구성 내용별로 사업기획단계

품질관리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상기 개도국 발전단계별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동 모델에

따르면 개도국 공간정보체계 구축 지원 시, 국내 사업추진역량을 확보 및 개도국 수요

분석이 우선 진행되게 되고, 이에 기반하여 SDI 개발계획 수립 지원, SDI 시스템 개발,

관리자 역량강화 등을 주요활동으로 사업이 진행되게 된다.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그림 5> 개도국 SDI 지원 모델

Page 17: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5

▌ 국내 사업추진 역량분석

[SDI 정책] 개도국과의 국토공간개발사업 협력 관련 관련 국내 법률로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제 16 조는 ‘공간정보산업의 국제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하기 위하여 관련 기술 및

인력 교류, 전시회, 공동연구개발 등의 사업의 지원’을 명시하고 있다(국토연구원, 2012).

그러나 시행세부 규정이나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당 법령 및 관련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정부부처 및 공공 기관] 국내 SDI 관련 정부부처로 국토해양부(국토정보정책관),

국토지리정보원, 대한지적공사 및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이 있으며 각 기관의 활동은 다음 <표

8>과 같다.

<표 8> SDI 관련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관련 기관 고유 업무 국제협력 활동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

ㅇ 국가공간정보정책

ㅇ 지적제도개선

ㅇ 국가공간정보센터 운영

ㅇ MOU 체결(몽골, 아제르바이잔,

칠레, 카자흐스탄)

ㅇ 서울선언문(SDI 국제협력강화)

ㅇ 실무협력단(칠레, 우루과이,

페루)

ㅇ 한국형 공간정보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ㅇ 국제회의, 포럼 다수 개최

ㅇ 최근 해외지원 다각화

ㅇ 일회성 지원, MOU 체결

등으로 실질적 지원정책 미약

국토지리정보원 ㅇ 국토측량(항공사진 촬영)

ㅇ 국가기본도, 수치지도 제작

ㅇ 국토지리, 지형관련 연구

ㅇ MOU 체결(몽골, 남수단, 이란,

알제리, 베트남)

ㅇ 기술연수(KOICA, 16 국, 21 명)

ㅇ GGIM-Korea 포럼(UN) 개최

ㅇ 최근 해외지원 다각화

ㅇ 일회성 지원, MOU 체결

등으로 실질적 지원정책 미약

대한지적공사 ㅇ 지적측량 및 지적제도 연구

ㅇ 지적정보체계구축

ㅇ 해외진출지원센터 신설예정

- KOTRA, 해외건설협회 협력

- 해외정보망 구축

- 입찰정보수집

-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제공

ㅇ KOTRA 공동마케팅(측량,

지적산업 분야)

ㅇ MOU 체결(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버냉, 자메이카,

투르크메니스탄, 말레이시아, 모로코)

ㅇ 기술연수(7 개국)

ㅇ 무유상 지적사업 참여

ㅇ 국제회의 및 심포지엄 개최

ㅇ ODA 사업 자금을 활용한

측량, 지도제작, HW 및

SW 납품, 공무원 연수 진행 등

사업경험 다수

ㅇ 일회성 지원 다수

ㅇ 제한적 예산규모

공간정보 ㅇ 공간정보산업진흥 ㅇ 중소 SDI 기업 해외진출 지원 ㅇ 2012 년 출범

Page 18: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6

산업진흥원 ㅇ 청년일자리 창출 - 진출대상국분석

- 지원전략수립

- 수출유망업체 선정 등

ㅇ 현재 해외진출 현황 미약

ㅇ 향후 기업진출 지원 예정

* 출처: 국토연구원, 2012.

[국내 SDI 기업 현황] 국내 SDI 기업의 해외 진출사례는 총 26 개국, 59 건으로 2007 년

이후 매해 평균 9 건으로 진출이 증가하였다. 진출 국가 중 19 국이 아시아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개도국 국가별 진출 건수로는 중국(11 건), 캄보디아(8 건), 베트남(3 건),

아제르바이잔(3 건) 순으로 집계된다. 아울러 진출국 26 개국 중 15 개국이 국토공간개발수준

I, II 단계에 해당한다(나이지리아, 동티모르, 라오스, 몽골, 아프가니스탄, 캄보디아, 콩고,

모로코, 베트남, 아제르바이잔, 알제리, 우즈베키스탄, 이란, 중국, 투르크메니스탄). 해외사업

참여 방식은 민간단독(39 건), 공공단독(14 건), 그 외 민관협력(3 건), 민간 대 민간

협력(3 건)으로 집계되고 있다.

해외수출 콘텐츠는 측량(14 건), SW/서비스(12 건), 수치지도(11 건), 시스템 구축(10 건),

컨설팅(7 건), HW/하드웨어(5 건) 순으로 집계되었다. 2007 년 이전에는 SW/서비스가,

이후에는 시스템 및 하드웨어 수출이 증가하였다. 특히 국토공간 개발수준이 낮은

국가일수록 측량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지도 구축, SW/서비스, 시스템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아울러 수치지도 구축과 컨설팅, 하드웨어와 시스템, 측량과

하드웨어, 측량과 컨설팅, SW/서비스와 시스템 등을 결합하여 수출하는 경우가 다수 있었다.

▌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 / FS) 시 고려사항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SDI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 우선 개도국마다 상이한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현황 및 다양한 공간정보 수요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타당성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공부문 공간정보 수요는 국가발전단계 및 공간정보인프라(SDI) 환경 개발 정도에 따라

국가공간정보인프라(SDI) 구축, 국토정보화, SDI 활용체계개발, 도시계획 및 재난대응에

공간정보 활용 및 공간정보 산업화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수요에 따라 필요한 타당성조사의 범위 및 내용도 달라지게 된다(<표 9>

참고). 예를 들어 기본개발계획을 수립하는 사업의 경우 국가공간정보 일반에 대한 현황 및

환경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별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이라면 해당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을 중심으로 해당업무에 집중된 현황 및 환경조사를 통한 정보화

전략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 ISP) 수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Page 19: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7

<표 9> SDI 사업 특성에 따른 수요조사 프레임워크(안)

수요

사업 형태

구축 및 활용 수요 구축 환경

기본공간계획 국책사업 활용 시스템 관련 법제도 SDI 시장현황 SDI 추진경험

공간정보 기본계획 수립 ∨ ∨ ∨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 ∨ ∨ ∨

활용체계 구축 ∨ ∨ ∨ ∨ ∨ ∨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 ∨ ∨ ∨ ∨ ∨

* 출처: 본인 작성, 2013

[현지 정책 환경] 국가공간인프라 구축 및 개선 관련 개발 수요는 특히 개도국 정부의 당면

개발과제나 개발목표와 관련되어 결정되므로 해당국가의 정책 과제 및 정책 환경과 연계하여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그림 6> 참고). 아울러 보다 거시적으로는 대상국 경제발전

또는 새천년개발목표 달성 등에 대한 동 사업의 기여도를 파악하는 분석 또한 이행되어야

한다.

* 출처: 본인 작성, 2013; 국토연구원, 2012

<그림 6> 사업 형태별 정책 고려 사항

Page 20: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8

[수원기관 추진 의지] 효율적인 사업 기획 및 이행을 위해서 SDI 사업 지원 타당성 조사 시

우리 측과 협력국 측 역할분담사항을 명확히 하고 해당국 수원총괄기관, 해당 사업

수원책임기관, 관련 부처 및 기관 등의 사업 도입 및 추진의지에 대한 면밀한 확인이

필요하다. 양측 역할분담 시 우리 측은 고급기술자, 운영 및 관리 인력, 시스템 기술, 기자재

등을 지원하며, 협력국은 현지 운영 및 관리 인력, 초급 기술자, 장소 및 행정 지원을

책임진다(<표 10>). 특히 인력 운용 시 현지 초급 기술자 및 운영진이 시스템 개발 및

프로그램 운영 전 단계에 되도록 같이 참여하여 사업과정 중 자연스러운 기술이전 및 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

<표 10> 사업 투입요소별 역할분담사항

투입요소 우리측 분담사항 개도국 분담사항

인적자원 사업 운영 및 관리 책임자, 고급기술자, 전문가

파견, 연수 강사 등

현지 관리인, 프로그램 운영 지원 인력,

초급기술자, 초급 기능사, 인부 등

프로그램 초청연수, 현지 워크샵 등 교육과정 제공 교육 장소 제공, 현지 행정 지원

시스템 SDI S/W 시스템 기술 및 제반 서비스 시스템 도입 인프라(인터넷 연결, 전력 공급 등)

기자재 지원 SDI H/W 시스템 및 기자재 기자재 통관 및 면세 등 행정지원, 협조

기타 운영예산 지원, 차량지원 등 사무실 공간 제공 등

* 출처: 본인 작성, 2013

아울러 현지 관련 정부부처 및 기관 방문 면담을 통해 협력국 사업 추진 의지를 확인하게

되는데, 수원총괄기관 면담의 경우 유사사업 수원 사례, 현지 사업 수행 시 협조를 구할 유관

부처 및 기관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사업 수원책임기관과의 면담 시에는 국가차원의

SDI 개발계획 및 사업추진현황, 기관 내 사업추진 책임기구 및 책임자 확인 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데 우선순위를 둔다. 아울러 사업 이행 시 지원이 필요한 행정적, 기술적

부문에 대한 실무회의도 진행하여 사업환경 및 위험요소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SDI

사업의 경우 사전 타당성조사 시 수원총괄기관과의 협의에서 지원이 필요한 기자재와 이와

관련한 통관 및 세금, 지원 SDI 시스템 수준(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SDI 인프라 현황 및

기존 SDI 인프라와의 연계 가능성 등에 대한 세밀한 정보 및 이에 대한 수원기관의 지원

범위가 협의 결과로 도출되어야 한다. 아울러 SDI 관련 전문기관이 있을 경우, 방문하여

기술 수준, 인력 현황, 지원 가능성 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타 원조기관에서 유사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을 경우 해당기관을 방문하여 사업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관련 경험 및

노하우를 확보해야 한다.

Page 21: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19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악된 개도국 공간정보 개발 수요는 실제 사업 계획 수립 및 집행 시

활용될 수 있도록 SDI 개발수요 분석 결과서(부록 1)를 제시할 수 있다. 동 결과서는 조사

대상국의 공간정보인프라 현황 조사를 위한 기본공간정보목록, 기본도의 축척, 표준체계

보유유무 등을 객관적 수치와 함께 제시하여 해당국의 기본공간정보구축 정도, 표준체계

수립 수준 등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SDI 구축 및

개선 시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 파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에 기반한 사업 기획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다.

▌ 사업 활동별 기획단계 품질관리 요소

[마스터플랜 수립] 협력국 SDI 인프라 현황을 고려하여 국가공간정보체계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과 관련 법률제정을 협력국 발전단계에 맞춰 지원한다. 아울러 기존 유관사업

수원사례의 경험과 노하우를 적극 도입하고 기존에 협력국내 구축된 SDI 인프라(도면,

수치자료 등)을 최대한 활용한다. 이에 기반하여 협력국 국가발전 단계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국토개발 사업 추진 시 활용 가능한 국토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인프라를 지원하여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 창출을 도모한다. 아울러 표준 제정(SDI 공통 데이터 포맷, 데이터

유통체계, 국가기본도 표준 정립 등), 관련 제도적 기반 정비(법률 제정, 제도 개선, 지원

연구 등), 유관기관 협력체계 수립(민관 협력, 전문 인력 양성 등)을 통해 사업의 효과적,

효율적인 이행을 지원한다. 국가발전단계별 마스터플랜 수립 세부추진뱡향은 다음 <표

11>과 같다.

<표 11> 국가발전단계별 SDI 마스터플랜 수립 세부추진방향

국토공간

개발수준 해당 국가 SDI 마스터플랜 수립 세부추진방향

I 단계 몽골,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카메룬, 볼리비아

ㅇ 국토조사기본계획 수립

ㅇ 기초공간정보 구축 및 기본지도 제작 : 국가기본도, 지적도,

지형도, 각종 주제도, 수치지도 제작

ㅇ 표준안 제정 : 지도제작 및 공간 데이터 구축과 유통 표준안

ㅇ 전문인력 양성 : 수치지도 구축 및 종이지도 변환 기술전수

ㅇ 제도 정비 : 관련 법률 제정

II 단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필리핀, 페루, 우즈베키스탄

ㅇ 국토종합계획 수립, 국토개발 세부계획(도시계획 등)과 연계

ㅇ SDI 확대 : 수치지도 제작, 국토정보데이터베이스(GIS) 구축,

공간정보 활용체계 구축

ㅇ 응용 및 활용 시스템 구축 : 기간인프라 건설(고속도로, 항만,

관광단지 등)에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응용시스템 구축

Page 22: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0

ㅇ 전문인력 양성 : 국토공간정보 전산화, 고도화 기술전수

ㅇ 제도 정비 : 관련 법률 재개정, 제도 개선

ㅇ 민간부문 활성화 기반 마련 : 공간정보를 활용한 민간산업육성

* 출처: 캄보디아 국가기본도 제작 및 국가공간정보체계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집행계획안, 2010

** 개도국의 경우 국토공간개발수준이 I 또는 II 단계에 머물고 있음.

*** 해당 국가는 앞서 제시된 ‘개도국 SDI 현황’에서 국별중점협력분야를 고려하여 선정된 11 국에 국한됨.

[데이터 구축 및 시스템 개발] 기초공간정보 구축 및 기본도 제작에서부터 종합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구축, 수치지도 제작, 공간정보

활용체계 구축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협력국 국토공간개발수준에 맞춰 지원한다. 시스템

개발의 경우 예산대비 효과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모의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범

운영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며 향후 유상자금 또는 후속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시스템

확산을 지원할 수 있다. 국토공간개발수준별 지원 세부내용은 다음 <표 12>와 같다.

<표 12> 국가발전단계별 SDI 데이터 구축 및 시스템 지원

국토공간

개발수준 해당 국가 SDI 데이터 구축 및 시스템 지원 방안

I 단계 몽골,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카메룬, 볼리비아

ㅇ 기초공간정보 구축 : 국토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ㅇ 국가 기본도 제작(국가단위/측량, 수치도화 포함)

- 국가기본도 구축이 전무/열악한 경우 : 소축적 지도 제작

- 이후 대축적 지도(1:5,000, 1:25,000) 제작 지원

II 단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필리핀, 페루, 우즈베키스탄

ㅇ 통합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전산화

ㅇ 국가 기본도 제작(지역별/측량, 수치도화 포함)

ㅇ SDI 응용 및 활용을 통한 국토정보화 시스템 구축 : 도시개발

(관광단지, 산업단지 등), 지역개발, 기간인프라개발(도로, 항만)

등에 국토공간정보 활용

- 공간데이터관리 통계시스템, 수요분석 및 예측시스템 등 개발

* 출처: 캄보디아 국가기본도 제작 및 국가공간정보체계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집행계획안, 2010

[역량강화 연수] 관련 연수 및 교육과정 제공은 정책결정자급과 실무자급, 전문가급,

현지사용자 교육 워크숍 등으로 구성된다. 사업의 목표와 예산범위에 맞게 연수 과정을

구성하되, 정책결정자급과 실무자급 초청연수는 필수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사업 홍보 및

후속사업발굴을 위한 수요확보에 효과적이다. 정책결정자급 연수는 국장, 부국장급

고위직으로 구성되며, 국가발전과정에서 SDI 구축의 정책적 중요성, 관련 제도개선 방안 및

선진사례 소개, 공간정보를 활용한 의사결정방안 제시 등 정책적 인식제고를 중점으로

Page 23: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1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 초청 시 관련 세미나 참석, 전문기관 방문 등을 적극

활용한다.

실무자급 연수는 부국장, 팀장, 부팀장급을 대상으로 SDI 구축 실무와 관련 기초학문(측량,

측지, GPS, 사진측량, GIS, 지도학 등)에 대한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아울러 한국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공간정보인프라 활용 선례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등 본국으로

귀국 후 실제 업무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적 지식과 경험을 공유해야 한다. 이 외에도 현지

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술교육이나 SDI 활용도 제고를 위한 사용자 교육 등이 현지에서

병행될 수 있다.

4. 결론 및 시사점

현재 KOICA 는 개별 개도국의 수요 요청에 의거, 인도네시아 자바 북부해안 공간정보시스템

구축사업(2013-2015 년/350 만불)을 진행 중이다. 또한 SDI 지원과 관련하여 캄보디아

국가기본도 제작 및 국가공간정보체계 마스터플랜 수립사업(2010-2011 년/250 만불)을

지원한 경험이 있다. KOICA SDI 사업 지원 비율은 낮지만, 2013 년 사업 기준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32%(41.4 억원) 8 를 차지하는 ‘국토관리 기반조성’에 해당하는 사업(공단 조성

타당성 조사, 도시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등)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사업으로서 사업 기획단계 품질관리 및 내용 개선이 중요하다.

현재 개별 수원국의 수요요청에 의거하여 국가별로 진행되는 KOICA SDI 지원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사업의 품질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동 이슈리포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발전에 맞는 SDI 구축 및 활용 방안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가공간관리체계가 전무하거나 열악한 저개발국가(개발 I, II 단계)를 대상으로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KOICA 가 향후 각 개도국 발전 정도에 맞는 SDI 구축 및 활용을

단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국내 사업추진 역량 및 개도국의 다양한 개발

수요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기반하여 마스터플랜 수립, 시스템 지원 및

역량강화 연수 등 사업 내용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SDI 사업 품질 관리 시 기술적, 재정적, 제도적 요소 세 가지가 균형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우선 현지 정부 및 지역사회 이해에 기반한 개발수요 분석, 안전성 및 환경

8 잠정 통계 기준

Page 24: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2

영향 평가 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개도국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기술적 영역이다. 또한 실제 인프라 개발을 위한 재원 확보가 필수적인데, 대부분 인프라

투자를 위한 대규모 재원은 무상원조만으로 조달하는데 한계가 있어 민간투자 또는

유상원조와의 연계방안 확보가 사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재정적

요소를 사업 기획 단계부터 적극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지역의 개발수요에

맞는 민간투자 및 원조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지원하는 것 또한 주요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Page 25: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3

▌참고문헌

최병남 외(2012). 개발도상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및 활용 연구 :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최병남 외(2011). 개도국의 공간정보기술(GIS) 수요특성과 대응전략. 국토연구원

김영표 외(2010). 글로벌 연성국토를 향한 공간프로젝트 해외진출 전략. 국토연구원

한국국제협력단(2010). 캄보디아 국가기본도 제작 및 국가공간정보체계 마스터플랜 수립사업

관련 내부자료. 한국국제협력단.

한국국제협력단(2012). 인도네시아 자바 북부해안 공간정보시스템 구축사업 관련 내부자료.

한국국제협력단.

Page 26: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4

▌ 부록. SDI 개발수요 분석 결과서9

I. Current State in Construction of Geospatial Data

[Table 1] Current State in Construction of Geospatial Data

Data Type Scale Coverage Renewal

Cycle

Production

Organization

Production

Method Medium Main User

Level of

Utilization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Topographic

Map 1/25000 Nationwide

Periodic

(5 yr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erial

Survey Paper

Government

Organization High

Topographic

Map 1/5000

Urban

Areas

Periodic

(3 yrs)

Local

Government

Aerial

Survey Digital

Local

Government Very High

Cadastral

Map 1/1000 Nationwide Occasional

Local

Government

Plane Table

Survey Paper Citizen Very High

1. What are the legal systems that create and manage all the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in your

country?

2. What are the basic geospatial data that are currently used to create thematic maps in your country?

3. How can users acquire each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in your country(online/offline)?

4. How long does it take for users to acquire each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in your country?

9 최병남 외(2012), 개발도상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및 활용연구: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Page 27: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5

5. Do users pay fo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data in your country?

5-1. If yes, how much does it cost for the data acquisition?

6. Do you make metadata for all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7. Are all the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produced by applying certain standard?

8. If the standard is applied, then is the standard in domestic standard or international standard or a

mixture of the both?

9. What is the name of organization/institute in your countr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omestic

standards on all the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10. What is the name of organization/institute in your countr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all the geospatial data listed above?

10-1. What is the level of proficiency of the organization/institute on the geospatial data?

11. What is the approximate number of annual graduates from colleagues, who are capable of

developing information systems using geospatial data?

II. Current State in Utilization of Geospatial Data

[Table 2] Current State in Utilization of Geospatial Data

Name of

Information

System

Built Year Primary

Duties

DB Primary

Content

Organization

built the

system

Used GIS

S/W Budget

① ② ③ ④ ⑤ ⑥ ⑦

e.g., LMIS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996 Land

transaction

Cadastral map,

topographic

map, land price

Local

government

ArcGIS

(Foreign made) $100,000

Page 28: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6

1. Do the administrative service information systems you listed above have the system, which is

integrated by the government for various organizations to share the geospatial data?

2. Do the administrative service information systems provide Civil Information Services via internet

portal?

3. Select the distribution rate of PC(Personal Computer) for government officials to carry out

national administrative works in your country?

a) 1 PC per 1 Civil Servant

b) 1 PC per 2 Civil Servants

c) Others ( )

4. Write down the communication network speed used for sharing geospatial data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national administrative works

5. What is the number of domestic web-portal companies that provide geospatial data in your country?

# of companies ( ) / list names of domestic web-portal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What is the approximate number of log-in frequency per day in the representative domestic web-

portal in your country?

7. What is the distribution rate of car navigation system in your country? (e.g., 50%)

8. Can you use geospatial information provided by domestic companies in your country anytime and

anywhere using smart devices (smart phone, table PC, etc.) without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provided bu global companies like Google?

8-1. How many people use smart devices in your country? (write down distribution rate of smart

devices)

Page 29: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7

9. Select the type of geospatial data that engineering companies in your country mostly utilize.

a) digital geospatial data using CAD

b) manual works using paper map

c) others ( )

III. Current State of Geospatial Data Industry

1. What is the number of GIS engine techniques that are originally developed by domestic experts?

2. What is the approximate number of R&D compani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2-1. What is the average size of manpower in each R&D company?

3. How many land survey companiesdo you have in your country?

3-1. What is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working for the companies?

4. What is approximate number of CP(Content Providers) companies that process geospatial data in

your country?

4-1. What is the average size of employees in each CP company?

5. Does your government provide any supports like providing subsidy and tax exemption for the

develop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5-1. If your government does not provide any supports, is the government planning to support in

the future?

5-2. In particular, does your government support for the R&D of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5-3. If yes(5-2), hoe much does the government support annually? _____________dollars/year

6. Do private sectors in your country use geospatial data produced by the government for their

business?

7. Do you have to pay if yo uneed to use geospatial data owned by the government?

7-1. If yes, how much you need to pay for the use of geospatial data?

Page 30: 산업에너지 이슈리포트 - ODA  개도국(11국) 공간계획 보유여부 번호 국가명 국토공간 개발수준 koica 지원 유무 공간계획(공간정보인프라

28

IV. General Information of the Country

[Table 3] General Information of the Country

General Information 2000yr 2005yr 2010yr

Land Area(km2)

Urbanization(%)

Population (in 1 thous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1 thousand)

GDP (thousand dollar)

GDP Growth Rate (%)

Central Government Budget

(thousand dollar)

Index of Industrial Product (%)

Degree of dependence

upon foreign trade (%)

Road Length (km)

Pavement Rate (%)

Railroad Length (km)

Per capita generation (kw)

Portable Water Supply (%)

Car Fleet (thousand)

Housing Supply (thousand)

The Number of Inernet Users

(thousand)

High-speed Internet

Subscription Rate (%)

The Number of Mobile Phone

Subscribers (thousand)

Line Telephone

Subscription (thousand)

Information&Communications

related spending (thousand dollar)

1. Select upcoming plans that apply to your country? (Can choose more than one)

a) Planning on land development

b) Planning on regional development

c) Planning on urban development

d) No development plan yet

1-1. It there are development plans, what kinds of plans are they(list name of each plan purpose of

each plan, target areas, budget for each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