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Page 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무 웨잉︱중국농업대학 경영대학원 교수

장 저시︱중국농업대학 경영대학원 교수

R804 연구자료-2

중국 채소 유통시스템 조사 연구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6.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주)프리비

I S BN︱979-11-6149-016-8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예정도서목록(CIP)은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 홈페이지(http://seoji.nl.go.kr)와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lisnet)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 CIP2017007594)

Page 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i

요 약

채소는 중국 전 국민의 먹거리이고, 채소산업은 중국 농촌의 기간산업이자,

농가의 주요 수입원이다. 중국 개혁개방 이후, 농산물 시장 유통시스템이 확립

되고 개선되면서, 채소와 과일의 국내외 유통이 활발해져 중국의 채소 및 과수

산업을 발전시켰고, 규모도 한층 확대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유통의 중요성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전자상거래

등 새로운 유통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베이징과 톈진, 허베이 간 신선농

산물 1시간 물류권”이라는 지역 간 농산물 유통 클러스터가 새로운 과제도 제

기되었다. 이와 함께, 최근 채소 가격이 빈번히 등락하였고(무 웨잉 2013), 이

는 채소 유통문제를 반증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자오 샤오페이 2014). 따라

서 채소 및 과일 유통이 각계의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통계 데이터와 현지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을 실시하여 중국 채소 유통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검토해 보았다. 이

를 통하여 채소 주산지의 유통체계와 운영시스템 현황을 중점적으로 비교 분

석하고, 정책 변화와 발전 동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 단계에서 어떤 채소 유통모델을 택해야 할지, 과학적이고 효과적

인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채소 유통의 질적 양적 성장을 촉진하고자 한다.

Page 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Page 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iii

차 례

제1장 중국 채소산업의 현주소

1. 농업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1

2. 국민 먹거리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4

3. 국제무역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6

제2장 채소 유통역사 및 현황

1. 채소 유통역사 ·······························································································9

2. 채소 유통현황 ·····························································································16

제3장 주산지 채소 유통방식과 유통경로

1. 농가의 특징 및 판매행위 ··········································································27

2. 채소 유통모델 및 채널 ··············································································37

3. 채소 유통방식의 비교 ················································································47

4. 채소 유통모델의 발전변화 ········································································50

제4장 채소 유통시스템의 신동향 및 대응책

1. 채소 유통시스템 신동향 ············································································54

2. 채소 유통시스템이 직면한 문제 ·······························································58

3. 채소 유통시스템의 대응책 건의 ·······························································61

참고문헌 ··············································································································64

Page 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iv

표 차례

제2장

<표 2-1> 중국 농산물 유통정책체제 변천 ··················································11

<표 2-2> 베이징 신파디 시장의 채소 유통경로 ·········································19

제3장

<표 3-1> 5개 성 시 농가 특징 및 판매경로 ··············································26

<표 3-2> 5개 성 시 채소전문합작사가 농민 채소판매에 미치는 영향 ··· 28

<표 3-3> 5개 성 시 협동조합 가입농민 만족도 평가 ·······························29

<표 3-4> 농가 채소 판매루트 군집분석 지표체계 ·····································30

<표 3-5> 4가지 채소 유통방식과 가격형성 비교 ·······································42

제4장

<표 4-1> 전형적인 채소 유통절차의 평균가격과 증가율 ··························52

Page 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v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1> 중국 채소 생산 변동추이 ····························································2

<그림 1-2> 중국 농 림 목 어업 및 채소 생산액 변화 ·······························3

<그림 1-3> 중국 주민 일인당 채소 소비량 변동현황 ·································4

<그림 1-4> 중국 주민 채소 소비량 변동현황 ···············································5

<그림 1-5> 중국 채소 수출품종 ·····································································6

<그림 1-6> 4개국이 세계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7

제2장

<그림 2-1> 중국 일반적인 농가의 채소 판매경로 ·····································15

<그림 2-2> 중국 채소 유통방식의 형성요소 ··············································16

<그림 2-3> 중국 채소 유통시스템 현황 ······················································22

제3장

<그림 3-1> 농가 채소 판매 군집분석 결과 ················································31

<그림 3-2> 소규모 농가 중심의 오프라인 유통모델 ·································33

<그림 3-3> 규모화한 생산자 중심의 오프라인 유통모델 ··························35

<그림 3-4> 조사농가의 채소 판매경로 비중 ··············································38

제4장

<그림 4-1> 전형적인 채소 유통절차의 이익 분배 ·····································53

Page 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Page 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제1 장

중국 채소산업의 현주소

중국은 세계 최대 채소 생산국이자, 소비국, 수출국이다. 채소산업의 성장은

중국 농업 농촌, 나아가 전 국민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농업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채소생산은 중국 농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80년대 농산물 유통

시스템 개혁 초반에는 채소 재배규모 확대가 농업 구조조정의 주요 목적이었다.

<그림1-1>의 파종면적을 살펴보면, 1990년 겨우 633만 8,000ha였던 채소 파

종면적이 ‘채소 장바구니 프로젝트’, ‘채소 장바구니 시장책임제’ 정책에 힘입

어 빠른 속도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003년 식량안보를 위한 경종작물의 구조조정이 국가차원으로 진행되었고,

채소 파종 대신 식량작물 재배가 늘어나면서, 채소 재배는 감소추세를 보이다

가 2007년 상승세로 돌아섰다.

2014년 채소 파종면적은 2,140만 5,000ha(12.9%)로 회복되어 식량작물(1억

1,272만 3,000ha, 68.1%) 다음으로 두 번째 작물이 되었고, 연평균 성장률

Page 1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

9.91%에 달하며, 다른 농작물을 크게 상회하였다.

<그림 1-1>의 생산량을 살펴보면, 채소 생산량과 파종면적이 동반 변동을 보

였는데, 1990년 1,951만 8,900톤에서 2014년 7,600만 5,500톤으로 증가하여, 연

평균 성장률 12.06%를 기록하였다.

<그림 1-1> 중국 채소 생산 변동추이

채소 파종 면적 채소 생산량

채소 파

종면적(만 ha

)

채소 생

산량(

만 톤)

자료: 중국국가통계국(각 연도). 중국농촌통계연감; 새중국 육십년 통계자료총집.

Page 1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

<그림 1-2>의 생산액을 살펴보면, 2014년(호박, 오이, 박 등의 과류(瓜類) 포

함) 생산액은 1조 7,570억 1,000만 위안을 기록하면서, 농업 임업 목축업 어업

총생산액(10조 2,226억 1,000만 위안)과 농업 생산액(5조 4,771억 6,000만 위

안)의 각각 17.2%와 32.1%를 차지하였다. 또 경종작물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채소산업은 중국 농업 농촌 발전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림 1-2> 중국 농‧림 ‧목 ‧어업 및 채소 생산액 변화

농,림,목,어업

생산액(

억 위

안)

비중(%

)

농업 채소(과류 포함)재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주: 생산액은 당해 연도 명목치이고, 1999년 이전의 채소 생산액 데이터는 없음.

자료: 중국국가통계국(각 연도). 중국농촌통계연감. 중국통계출판사.

Page 1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

2. 국민 먹거리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채소는 국민식생활에 불가결한 식재료이고, 풍부한 영양과 개운한 맛으로 국

민식탁에서 빠지지 않고 올라오는 재료이자, 식량 소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한다. 2012년 1인당 채소 소비량을 살펴보면, 중국 도시주민은 112.3kg, 농촌

지역주민은 84.7kg에 달한다.

<그림 1-3>을 살펴보면, 현재 인구구조, 소비구조, 소비패턴의 끊임없는 변

화로 인하여 1인당 채소 소비량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1-3> 중국 주민 일인당 채소 소비량 변동현황

채소구입/

소비량(kg

)

도시가정 1인당 채소구매량 농촌가정 1인당 채소구매량

자료: 중국국가통계국(각 연도). 중국농촌통계연감. 중국통계출판사.

Page 1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

<그림 1-4>와 같이 중국의 채소 총소비량을 살펴보면, 인구 증가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주민의 채소 소비량은 증가 추세인 반면, 농촌은 인구

이동과 소득 향상에 따른 음식 소비구조 변화로 인하여 채소 소비량이 감소 추

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중국 주민의 채소 소비량은 증감을 거듭하나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비량은 여전히 많고, 2012년 중국 채소 소비량

은 1억 3,433만 3,400톤으로 세계 최대의 채소 소비국임은 변함이 없다.

<그림 1-4> 중국 주민 채소 소비량 변동현황

도시、

농촌 채

소 소

비량(

만 톤)

도시 주민 채소 소비총량 농촌 주민 채소 소비총량 전국 주민 채소 소비총량

전국 채

소 소

비량(

만 톤)

자료: 중국국가통계국(각 연도). 중국농촌통계연감. 중국통계출판사.

Page 1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6

3. 국제무역에서 채소가 차지하는 위치

채소 등 노동집약형 농산물은 중국 농산물 수출에서 우위를 차지한다. 2010

년, 중국은 처음으로 네덜란드, 멕시코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채소 수출국

이 되었다. <그림 1-5>를 살펴보면, 2003년 21억 2,217만 달러였던 채소 수출

액은 2015년 790억 2,640만 달러로 4.3배 증가하면서, 연평균 12.8%의 성장율

을 보이며 해마다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5년 중국의 채소 수출

액이 세계 채소 총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5%에 달하는 등 성장세는

지금도 이어나가고 있다.

<그림 1-5> 중국 채소 수출품종

기타 채

소 수

출상품(

천만 달

러)

채소즙 신선보관 채소 냉동 채소

채소즙(

천만 달

러)

가공 채소 건조 채소

자료: 유엔 UN Comtrade 데이터베이스(http://comtrade.un.org: 2016. 8. 6.).

Page 1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7

수출 품종으로 살펴보면, 신선채소 조리가공채소 건조채소가 주를 이루는데,

2015년 중국 채소 총수출액 중 각각 34.7%, 28.7%, 26.9%를 차지하였다.

1차 가공채소의 수출은 중국이 가지는 노동집약형 우위가 빛을 발하는 분야

이다. 신선채소의 해외시장 점유율은 44%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50%

를 넘긴 해도 있었다.

가공채소의 해외시장 점유율도 30%선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이들 두 품종

이 해외시장에서 강한 경쟁력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채소 수출은

농가 소득 증대와 중국의 비교우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림 1-6> 4개국이 세계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나라별 수

출비중(%

)

일본 베트남 한국 말레이시아

자료: 유엔 Comtrade 데이터베이스(http://comtrade.un.org/: 2016. 8. 6.).

Page 1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8

대(對)일본 채소 수출액을 살펴보면, 조리가공채소(37.9%)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냉동채소(27.0%), 신선채소(18.1%) 순이다. 2015년 일본에 수출한 신

선채소는 53만 3,000톤으로, 양파류 마늘류 서양부추 기타 파류 당근 무 등이

주요 수출품목으로 꼽히고 있다.

유엔 Comtrade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이 해외로 수출한 양파는 87만 톤으로,

그 중 일본이 27만 8,000톤으로 전체 1/3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량 상

위 3성으로는 산둥 광시 장쑤성으로, 각각 중국 전체 양파 수출량의 44.0%,

19.5%, 18.7%를 차지하며, 이 3개 성이 전체 양파 수출량의 약 80%를 차지한다.1

<그림 1-6>을 살펴보면, 중국 채소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일본으로, 2015년

21억 9,000만 달러에 달하며, 중국 채소 수출의 17.1%를 차지하였다.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2004년 이후 일본 수출 비중이 감소하고, 대신 베트남

과 말레이시아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변화가 크지 않다.

2015년 일본의 국가별 채소 수입액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태국, 한국과 이

탈리아 순이다. 여러 해 동안 중국은 일본의 최대 채소수출국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2015년 일본이 수입한 전체 채소와 신선채소는 각각 257만 9,000톤,

82만 7,000톤으로, 그 가운데 중국으로부터 수입은 각각 135만 5,000톤, 51만

5,000톤에 달한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채소 생산 및 소비, 해외수출에 있어서 성장의 근간은 채

소 유통에 있으며 채소 유통의 질적 성장이야말로 채소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채소 유통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1 무 웨잉(2015).

Page 1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제2 장

채소 유통역사 및 현황

1949년 중화민국 건국 이래, 중국의 채소 유통 분야는 개혁 개편 보완을 거

치며 ‘시장 주도 정부 조절형’ 시스템이 형성되면서, 참여주체의 다원화, 운영

시스템의 통합화, 상호보완성을 갖추었다.

1. 채소 유통역사

1980년대 중반 이후 농산물 마케팅체계의 변화와 더불어 채소 유통체계도

점차 변화하였으며, 유통모델도 비교적 크게 변화하였다.

1.1. 채소 유통체제 개혁

중국채소 유통제도는 농산물 유통정책체계 개혁에 근거하므로, 변화 과정도

농산물 유통정책체계와 일치한다.

Page 1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0

1.1.1. 중국 농산물 유통정책체계 변화

중국 농산물 유통정책체계는 크게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2대 구분)로, 또한

이를 다시 세분한 1949~1952년, 1953~1978년, 1978~1984년, 1992년 이후(4단

계)로 구분된다. 즉 농산물 유통체제 개혁 이전, 국가의 수급조절하에서 일괄구

매판매(統購统銷)하던 시기와, 농산물 유통체제 개혁 이후의 이원화(two track

双軌制) 및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 심화시기이다. 각각의 정책목표와 수단, 효

과 등을 정리하면 <표 2-1>과 같다.

1.1.2. 채소 유통체제 개혁 역사

중국 채소 유통체제는 농산물 유통체제 개혁과 그 방향을 같이 하였다. 크게

자유경제, 완전계획경제, 계획적인 상품경제, 이원화경제, 배회(徘徊)경제, 시

장경제 5단계로 나뉜다.

(1) 자유경제단계(1949~1952년)

1949년 중국인민공화국 성립부터 1952년까지 채소 등 농 부산물 유통은 시

장에 의해 조절되었고, 가격이 시장의 수요 공급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중 국영기업(國營商業), 반사회주의 성격을 지닌 협동조합(合作社商業),

민족자본주의기업, 개인기업, 국가자본주의기업이 유통주체였지만, 자본주의

기업과 개인기업 등 민간기업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

고 있었다.

그러나 후기에는 물가 안정와 투기자본 규제를 위해 1951년 도시의 도매시

장을 전면적으로 없애고, 국영기업과 협동조합을 확대하고 나섰다.

Page 1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1

<표 2-1> 중국 농산물 유통정책체제 변천

정책

단계

농산물 유통체제 개혁 이전 농산물 유통체제 개혁 이후

1949~1952년 1953~1978년 1978~1984년 1992년~현재

정책

목표

농산물공급 보장,

시장가격 안정

농산물공급 보장,

시장가격 안정,

사회주의 개조 뒷받침

사회주의 상품경제 발전,

농민생산 적극성 제고,

농산물 공급 보장

시장경제 확립과 발전,

생산효율 제고, 농가소득

보장, 소비자권익 보호,

국가경쟁력 제고

정책

내용국가개입하의 수급조절 일괄구매판매 대대적인 개혁

사회주의 시장경제제도 개혁

심화, 국제시장과 연결

정책

수단

농산물 비축과 시장조절,

농산물판매가격차 조절을

통한 시장정상화

계획적 농산물 수매 및

공급, 개인의 농산물 매매를

엄격하게 금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농산물

공동관리

생산량 대폭 증가, 농업생산

분야 개혁 성공을 전제로

농산물 유통제도 개혁 시작

정부의 간접 개입,

농산물가격형성을 국가에서

한층 시장메커니즘으로

전환, 단 정부의 보호정책은

시행

정책

효과농산물 공급의 비약적 성장 농업의 공업지지 역할 발휘

농민의 생산 적극성을

유도하여 농산물 수급불균형

완화

농산물 공급 보장, 농민의

적극성 제고, 농산물 광역

유통 추진, 농산물

국제경쟁력 향상

(2) 완전계획경제단계(1953~1977년)

1953~1977년, 중국은 계획경제제도를 시행하면서, 농산물은 ‘일괄구매 판

매’시대에 진입했다.

채소가 자유롭게 판매 구매되는 대신, 국영기업이 계획적으로 판매하였다.

곡물 면화 식용유 등 주요 농산물도 일괄적으로 구매 판매되었으며, 가격도

국가가 통일적으로 결정하였다.

국가 경제와 민생에 직접 연관된 농 부산물과 공업원료에 대해서는 ‘생산대

대와 농민 간의 계약할당에 따른 판매(合同派購)’를 강제 시행하였고, 일반적

으로 전액을 지불하고 구매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일부 농산물의 경우 가격협상제도를 시행하면서, 정부가 시장가격에

개입하였다. 이 단계에서 상품의 교환가치를 부정하고, 시장에 의한 사회자원

Page 2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2

배분이 왜곡되면서, 기업과 노동자의 생산적극성, 주도성, 창조성이 심각히 저

해되었다. 이는 농업 생산력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3) 시장제도 개혁 시작단계(1978~1984년)

농산물 유통제도 개혁이 시작되면서 ‘일괄 구매 판매’ 범위와 품목이 다시

지정되었다. 1979년, 채소생산집단조직(蔬菜社隊)의 ‘자율 생산 판매’방식이

일부 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었고, 각지에서도 재래시장 거래가 회복되었

다. 1984년 말까지, 70~80%를 차지하는 ‘그 계절에 흔한 채소(粗菜)’는 국가

계획에 의하여 구매와 가격형성이 이루어졌고, 20~30% ‘구하기 힘든 채소(细

菜)’의 민간매매를 허락하였다.

(4) 시장경제단계(1985년~현재)

주요 채소 품종은 국영채소회사와 채소 농가들이 채소 매입계약을 체결하고,

그렇지 않은 품종은 판매가격과 수량을 자율화하였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도시

와 농촌 간 농산물 시장이 끊임없이 확대되면서, 집산 기능을 갖춘 전문화된

도매시장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파급효과가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도매

시장 거래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대형 도매시장이 생산과 구매

를 적절히 연결하여, 수급불균형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으며, 도매시장이 해마

다 늘어나기 시작했다. 부식물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장바구니

프로젝트(菜籃子工程)’를 실시하기 시작했다.

중국 경제는 국유 집단 개인 사영 외자 등 다양한 소유제 구조가 형성되었

고, 백화점, 슈퍼마켓 대리점 편의점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형태가 공존하는

새로운 상업유통구조가 구축되었다.

Page 2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3

1.2. 채소 유통모델의 변화

채소 유통체제 변화와 더불어 채소 유통모델도 끊임없이 변하여, 자율경쟁

유통, 명령형 직선(指令性直線) 유통, 주된 것과 부수적인 것이 전도된(主輔錯

位) 유통, 다원주체 유통, 전체적으로 뒤섞여 경쟁하는(綜合交錯的競爭) 유통

으로 나눌 수 있다.

1.2.1. 자율경쟁 유통모델(1949~1955년)

과거에는 농촌주민은 자신이 생산하여 수요를 만족시켰고 도시주민은 재래

시장을 통해 구매하여,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한 1차원적인 ‘생산과 판매가 직

접 만나는’ 유통모델이 형성되었다. 시간이 지나 경제 성장, 도시 및 광공업지

역의 인구 급증으로 채소 재배면적이 점차 줄어들었다. 이에 대도시 외곽의 농

가들이 채소를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도시근교농업이 크게 발전하여 채소 공급

이 강화되었다.

채소 생산 공급량 증가에 따라 일부 대 중도시의 국영기업과 협동조합(供銷

合作社)들이 채소 유통서비스에 발을 들여놓기 시작하면서, 산지에서 소비지

까지의 유통이 발전하였다.

1.2.2. 명령형 직선 유통방식(1978~1977년)

대 중도시와 광공업지역을 대상으로 ‘주로 현지에서 생산하고, 타지 생산으

로 보충하는’ 채소공급정책이 발표되었다. 채소 생산 및 유통을 국영기업이 일

괄적으로 관리하여, 공급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가는 채소 재배에

많은 보조금을 제공하였고, 정부의 구매가격이 판매가격보다 높아져서 정부는

엄청난 재정적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도시 규모와 판매 성수기 및 비

성수기를 고려하여, 채소 판매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그러나 채소의 수급

계획제도는 여전히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았다.

Page 2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4

1.2.3. 주객전도형 유통방식(1978~1984년)

왜곡된 농산물 수급관계를 바로잡으려고, 국가는 시장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일괄 할당 구매범위와 수량을 축소하였다. 이런 가운데 채소 판매에 대해서는

‘큰 것만 관리하고, 작은 것은 놔둔다(大管小活)’는 조치를 취하여, ‘국영채소

시장을 주로하면서 채소생산집단조직(蔬菜社隊)이 생산한 것은 스스로 판매한

다’는 주보착위(主輔錯位) 유통모델이 형성되었다. 이 모델은 채소시장 활성화

및 자원배치 개선과 시민의 장바구니를 더욱 넉넉히 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이원화로 인하여 두 종류의 시장에 두 가지 가격이 공

존하여, 생산자는 자신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좋은 채소는 자기가 팔고, 나쁜

채소는 국가에 판매를 떠맡기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런 가운데 지대추구(rent

seeking)까지도 나타났다.

1.2.4. 다원화 주체의 유통방식(1985~1991년)

‘이완화 제도’ 단계에서 ‘계약범위 내 규제, 범위 외 완화’ 모델이 시행되면

서, 게다가 우한(武漢)등의 도시에서 ‘경영과 가격규제 완화’가 시범적으로

진행되었다. 정책적 완화와 격려로, 다수의 농산물 거래시장 및 도매시장이 출

현하였으며, 다양한 유통주체가 출현하였다.

1.2.5. 전체적으로 뒤섞여 경쟁하는(綜合交錯的競爭)유통방식(1992년부터 지금까지)

1992년부터 현재까지, 채소 등 농산물에 있어, 전면적인 시장개방과 가격개

방이 이루어지는 자율유통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1994년 도매시장이 채소 유

통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면서, 거래규모 비중이 전체 50%를 넘어섰다. 그

후 유통주체들은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끊임없는 협력과 혁신을 통하여, 도매시

장을 중심으로 한 채소 유통모델, 생산과 판매가 직접 이루어지는 모델, 슈퍼마

Page 2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5

켓을 중심으로 한 ‘생산자와 슈퍼마켓이 농산물을 직접거래하는 모델’ 등을 구

축하였다.

2. 채소 유통현황

현재 각 지역에서 생산된 채소는 유통경로가 각각 다르다. 동일한 지역이라

도, 대규모 생산자와 소규모 생산자의 유통경로가 다르다. 대규모 생산자는 직

접 채소를 도매시장에 배달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지만, 반면 소규모 생산자는

보통 중간상인을 통하여 채소를 판매한다. <그림 2-1>은 일반 농가가 생산한

채소의 유통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2-1> 중국 일반적인 농가의 채소 판매경로

일괄매입 주문판매협동조합 회사

전문매장 판매

자료: 무 웨잉(2013). 베이징시 채소산업 경제연구. 중국농업출판사.

Page 2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6

2.1. 채소시장 유통특징

2.1.1. 다양한 유통경로 및 주체가 공존하는 완전경쟁에 가까운 채소시장

1980년대, 중국의 농산물 유통제도 개혁에 따라, 기존 국가소유의 채소기업

의 독점적 지위가 사라지고, 개인도매상 중간상인 소매상 민영기업이 시장에

출현하면서, 유통주체의 다원화, 유통시장의 자유경쟁구도가 형성되었다.

2.1.2. 지역 간 유통

<그림 2-2>는 중국 채소 유통방식의 형성요인을 나타낸 것이다. 채소 생산에

는 지역적 차이와 계절 차이가 존재한다. 한 지역 내에서 생산된 채소는 계절

적 수급불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드시 지역 간 유통이 필요하다.

인프라, 교통 통신의 발달도 지역 간 유통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도 농 소득격차, 도시화에 따른 교외 농업공간을 축소시켜, 도시의 채소

수급불균형을 야기했고, 채소 원거리 생산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그림 2-2> 중국 채소 유통방식의 형성요소

생산의 지역성, 계절성 생산, 거래 주체 수량 규모 특징

도매시장의 핵심 지위다경로 유통

지역 간 유통

생산지, 소비지 구조변화

도시화

도농 소득격차지역 간 소득격차

자료: 선 천‧무 웨잉(2013: 5-9). “중국 채소시장 유통 특징 및 요인 분석.” 중국채소.

Page 2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7

지역 간의 원거리 유통은 상품 수급균형을 실현하고, 생산의 지역성 및 계절

성과 수요의 보편성 및 주년성(週年性)간의 불균형을 해결했지만, 정보의 빠

른 전달을 방해하여 정보수집 비용을 늘리고, 시장유통 리스크도 증가시켰다.

2.2. 채소시장 유통시스템 구조 및 현황

농산물 유통제도 변화와 유통방식 다양화로 인하여 중국 채소 유통은 끊임

없이 개선되고 있다. 또한 시장수요를 원동력으로 하고 기술 확산을 기폭제로

하며 정부규제를 추진력으로 내세운 유통시스템이 완성되었고, 선진화된 시장

주체, 시장시스템, 현대화된 물류시스템, 현대 기간산업 및 정책시스템이 결합

되면서 현대화를 실현하였다.

2.2.1. 다원화된 현대 시장주체

시장주체는 현대 채소 유통과정에서 발생한 이익관계 주체(stakeholder)로서,

전통시장 주체는 주로 농가, 도매상, 소매상 등을 포함하는 반면, 새로운 시장

주체는 주로 농업협동조합, 농업 분야 기업, 대형마트 및 기타 이익관계자 등을

포함한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다수 소규모 생산자와 변화무쌍한 큰 시장이

긴밀히 연계하면서, 효과적인 시장분업이 일어났다. 시장주체의 유기적인 결합

은 다양한 채소 공급체인을 형성하였고, 새로운 유통방식과 유통업 형태가 끊

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2.2.2. 도매시장의 주된 역할

시장시스템은 채소 유통시스템의 중요한 매체로서, 주로 재래시장, 농산물시

장, 도매시장, 전문시장, 소매시장 및 현대화 네트워크 가상시장(선물시장, 전

Page 2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8

자상거래 플랫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양한 차원의 유통매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적 기능과 공조를

통하여, 도매유통은 생산지 및 집산지, 소비지의 도매시장이 유통의 중심이 되

었다. 한편 소매유통은 도시의 농산물시장 및 슈퍼마켓, 동네 가게, 농촌의 재

래시장이 유통의 중심이 되었다. 여기에 인터넷 쇼핑몰이라는 개성적인 형태가

보완하고 있다.

채소 유통은 신속히 발전하였다. 2014년 중국통계연감에 따르면, 2013년 거래

액 1억 위안(RMB) 이상의 채소거래시장 312개, 진열장 22만 3,435개, 경영면적

1,596만 2,000㎡, 거래액 2,828억 2,000만 위안이었다. 그중 도매시장은 3,703억

6,000만 위안, 소매시장은 1,334억 6,000만 위안에 달한다. 이러한 발전으로 수요

와 공급이 연결되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주고 있다.

베이징 선전 상하이 광저우 청두 등 대도시의 농산물 유통을 예로 들면,

80%에 가까운 채소 과일 수산물이 농산물 도매시장 등 시장을 통해 유통되고,

20% 정도가 기업과 농가의 기지방식(公司加農戶基地) 혹은 슈퍼마켓을 통하

여 유통되고 있으며, 10% 정도가 기타 점포, 좌판 등을 통하여 판매되었다.2

소비지에서는 50~70%의 채소가 도매시장을 통하여 다수의 소매시장, 슈퍼마

켓, 채소가게, 요식업 등에 분산되므로, 도매시장은 전체 채소 유통에서 핵심

위치를 차지한다.

중국 농가는 생산규모가 작고 조직화 정도도 낮다. 소매시장의 많은 개인 소

매상들은 경영규모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원거리 유통에서 거래규모가 작고

제품 운송원가가 너무 높기 때문에, 농가와 소매상의 직거래 원가부담이 크다.

소규모 농가는 품종 다양화에 어려움을 겪는데다가 채소가 갖는 계절성으로

인하여 시장에 지속적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기 어렵다. 반면 판매상과 소

비자의 수요는 연속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소매상과 생산자의 직접 거래가

지속되기 힘들어지고, 안정적인 거래를 저해한다. 도매는 소매에 비하여 많은

2 기업이 농가에게 생산자재 및 기술지도 등을 제공하고, 농가는 기업의 요구에 따라

생산하는 생산계약(production contract).

Page 2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19

채소량을 확보하고, 단일상품의 운송원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거래원가도

줄일 수 있다

도매시장은 생산지 도매시장과 소비지 도매시장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현

재 산둥의 서우광(寿光) 채소 도매시장은 중국에서 제일 큰 생산지 도매시장이

다. 산둥성 서우광시는 주요 산지이다. 이를 기반으로 생산지 도매시장을 구축

하였고, 현재 산둥 서우광 도매시장은 채소 집산지로서, 산둥성 채소 외에도 다

른 성에서 온 채소들도 이곳에서 팔리고 있다. 베이징 신파디(新发地) 도매시

장은 전국에서 제일 큰 소비 도매시장이다. 신파디에서는 채소를 파는 주체는

고정된 점포가 있지만, 대부분이 채소운반 트럭을 주차위치에 세워둔 채로 거

래한다. 일부 화물들을 종이상자 혹은 대나무 바구니에 놓아 차 옆에 진열하여,

구매자가 샘플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한다.

<표 2-2> 베이징 신파디 시장의 채소 유통경로

채소 판매 비율(%)

원산지에서 매입외지 27.3

베이징 27.3

외지 도매시장 39.4

베이징 도매시장 3.0

온라인 주문 3.0

자료: 2012년 7월과 8월 실제 현지조사 및 연구.

<표 2-2>를 살펴보면, 현재 신파디에서 파는 채소 대부분은 베이징 외의 지

역에서 반입되고 있다. 신파디 시장 채소의 54.6%는 생산지 농가의 밭에서 직

접 매입하였고, 그중 외지와 현지가 각각 절반씩 차지한다. 39.4%는 외지의 도

매시장에서 구입하고 3.0%는 베이징의 도매시장에서 들여오며, 나머지 3.0%

는 온라인으로 주문한 후 물건을 신파디 시장까지 직접 운송해 와서 주문한 업

체에 전달한다.

신파디 시장의 채소는 주로 네 곳으로 유통된다. 첫째, 하급 도매시장이다.

Page 2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0

신파디 시장이 1급 도매시장이기는 하지만, 하급 도매시장이 신파디에서 입하

하는 양은 신파디 총거래량의 25~27%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그중 겨울철 3

0~40%, 여름철 19~21%를 차지한다. 둘째, 소매시장이다. 소매시장이 신파디

에서 입하하는 양은 신파디 총거래량 40%를 차지한다. 셋째, 소비자이다. 학

교, 기관 등의 식당 또는 호텔 등 대형 소비자까지 포함하면,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채소는 신파디 총거래량의 11~12%를 차지한다. 대량구입 소비자를

제외한, 소규모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채소는 신파디 총거래량의 3~4%를 차지

한다. 넷째, 베이징 이외의 시장이다. 베이징 신파디 시장은 전국 농산물의 중

요한 집산지로서, 베이징 시민들에게 채소를 공급하고 있나, 이외에도 21~

24%를 전국 각지 소비자에게 전송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는 하얼빈 등

시장으로 전송되고, 여름철에는 광저우, 상하이 등으로 전송된다.

그 밖에 소비지 도매시장에는 2급 도매시장이 있다. 1급 도매시장의 채소는

2급 도매시장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슈퍼마켓 또는 지역사회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소매시장으로 유통될 수도 있으며, 물류센터를 통해 직접 소비자 손에 전

달될 수도 있다. 2급 도매시장도 이와 마찬가지다. 다만 각 경로별 유통량이 적

을 뿐이다.

2.2.3. 저온유통(Cold Chain)을 핵심으로 하는 현대 물류시스템

물류시스템은 채소 유통서비스시스템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화된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지역물류자원을 통합하고, 운송 창고 하역 운반 포장 관

련 정보 서비스를 통하여, 생산지로부터 소비지까지 채소의 시 공간적, 기능적

유통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중에서 저온유통은 현대 물류시스템의 포인트이다. 2010년 국가발전개혁

위원회에서는 “농산물 저온유통 발전계획”을 발표하며, 각 지방의 냉동고, 채

소 산지 냉장냉동시설 등 신선물류 구축을 강조한 바 있다.

중국저온유통위 중국물류기술협회(2013) 데이터에 따르면, 2012년 중국 냉동

Page 2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1

탑차 수량은 6만 5,000대, 2013년 냉동창고는 2만 개, 저온유통 고정자산투자는

1,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동시에 콜드체인 건설은 더욱 확충되고 있다. 콜드체

인 기반시설과 물류기업의 농산물 콜드체인이 발전한 지방 대도시(二線城市: 대

련, 청도 등)와 발전 중인 지방 대도시(三線城市: 장춘, 하얼빈, 쿤밍 등)로 확산

되고 있다.

2.2.4. 개선된 현대 기간산업

기간산업은 현대 채소 유통시스템 형성 과정에서 버팀목이 된다. 중요한 것

으로는 현대적인 농업, 물류업, 금융업, 정보서비스업 등을 포함하는데, 기반산

업의 성장 정도가 유통시스템의 발전과 방식을 결정짓는다. 농업기술의 현대

화, 농민 소액대출 간편화, 신속한 시장정보서비스, 대형 집합운송센터, 3자 물

류, 전 과정 콜드체인이 진행되면서 채소 생산량과 품질 제고는 물론 손실과

감모도 줄어들고 있다. 또한 기간산업의 발달은 생산자가 시장수요를 신속히

파악하여 제품의 빠른 출하가 가능하게 하고, 가격을 안정시키며, 전국적인 수

급균형과 시장 리스크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2.2.5. 시대 부합적인 정책시스템 확립

정책 제도 규정은 중앙정부의 각 부처 및 위원회, 각급 지방정부, 농산물 유

통관리기관 등이 유통시스템을 관리하는 법적 경제적 행정적 수단으로, 채소

유통시스템의 건전한 운영의 중요한 기반이다.

Page 3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2

<그림 2-3> 중국 채소 유통시스템 현황

시장변화

산업기반

현대농업

현대 물류업

현대 금융업

현대

정보서비스업

기술 확산 정부 지원

시장주체

일반농가

합작조직

도‧소매상인

농업분야

기업

대형마트

이익

관련자

물류시스템

제도적 지원

현대 법률적

제도

시장제도

신용제도

재무회계제도

공공 관리제도

그간 중국 정부는 시대 흐름에 맞는 다양한 산업경제정책을 마련하여 경제활

동에 개입해 왔다.

2000년부터 농산물시장 확충, 농산물 유통효율 증가, 농산물 수급 안정화, 국

민 생활수준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였고, 농촌시장 활성화를 위

하여, 다양한 시장주체 구조 채널의 현대화된 물류유통네트워크를 구축하였

다. 또한 콜드체인시스템 구축을 통한 유통효율을 제고하고, 생산과 판매를 연

결하는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함으로써, 유통시스템의 전반적

인 성장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왔다.

<그림 2-3>과 같이, 현대 시장주체, 시장시스템, 물류시스템, 기간산업, 정책

시스템은 중국 광역의 유통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이자 중요한 플랫폼이다.

Page 3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제3 장

주산지 채소 유통방식과 유통경로

최근 몇 년, 채소 유통에서 생산과 판매 간 원활성 부족, 가격 변동, 수급 불

균형 등 문제가 대두하였다. 이는 채소 유통방식 선별, 유통경로 확충 여부, 유

통시스템 완전성 여부에 달려 있다. 채소 유통은 여러 분야 이익에 관련되며

산업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분야의 관심대상이기도 하다. 그 때문

에 채소 유통방식 및 경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현재는 채소 생산의 지역

화, 전문화 추세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들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예

를 들어, 국가적 지원을 받아 대도시 채소 긴급공급이 가능한 베이징, 톈진 생

산구역, 다른 산지의 모범이 되는 중국 최대 채소공급지 산둥, 전문성을 갖춘

대표적 북방 경제구역인 랴오닝 생산지역, 인구는 많고 땅과 자원이 부족한 허

베이 생산지가 여기에 속한다. 2015년 베이징 톈진 산둥 랴오닝 허베이 등 5

개 지역의 농가를 대상으로 한 채소 재배, 판매경로에 관한 현지조사 및 연구

자료를 근거로, 농가의 생산자 특징 및 판매행위에 대해 기초적 통계를 산출한

후, 각 지역의 유통모델 및 경로를 종합 비교하여, 다양한 채소 유통모델의 전

망을 제시하였다.

Page 3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4

1. 농가의 특징 및 판매행위

연구조사 데이터는 모두 베이징 톈진 산둥 랴오닝 허베이 5개 성, 91개 촌,

506농가 샘플이다. 이 샘플데이터를 분석하였다.

1.1. 농가 가계 특징 및 채소 생산

농가 가계의 특징은 2~3세대가 동거하며, 중년 부부와 신체 건강한 노인이

주된 농업노동력이다. 채소는 노동집약형 경제작물이기 때문에, 농가의 모든

농업노동력이 채소생산에 투입되며, 가계소득 대부분을 채소 재배로 얻고 있

다. 농가의 채소 수입은 톈진이 1위, 랴오닝, 산둥, 허베이, 베이징의 순이다.

고령화, 여성화, 낮은 농업 노동력 자질 등 중국 농업의 현대화 발전과 자원

배치의 최적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호주(户主)의 특징에서 알

수 있듯이, 남성은 여전히 농업생산의 중요한 의사결정자로서, 호주가 남성인

가정은 전체 샘플의 80%를 차지한다.

호주 연령은 주로 45〜55세로, 베이징이 채소 농가 고령화 수준이 가장 심하

고, 그 다음으로 허베이, 톈진, 랴오닝, 산둥 순이다. 호주의 학력은 대부분 초

등학교와 중학교 졸업으로, 교육수준이 낮은 편이다. 산둥만이 중학교 이상이

고, 베이징, 허베이, 톈진, 랴오닝은 중학교 이하다.

채소산업은 노동집약형, 기술집약형산업인데, 고령화와 낮은 교육수준은 노

동력 투입, 신기술 적용, 새로운 판매방식 개척을 어렵게 하며 농민 생산과 소

득을 감소시킨다. 장기간 채소 생산과 하우스 재배에 종사하면, 생산 노하우를

얻고 낮은 노동력 수준 문제를 개선하여 전문성을 높일 수는 있지만, 새로운

정보의 수용 및 적용에는 독이 된다. 베이징, 산둥 농가의 채소재배 연수가 가

장 길고, 랴오닝과 베이징은 하우스 채소의 재배기간 경험이 가장 많다.

Page 3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5

생산 현황을 살펴보면, 현재 중국의 경영규모는 소규모이고, 앞으로 당분간

은 소규모에 머물 것이다. 5개 성과 시의 샘플 농가의 가구당 평균 경작지 면적

은 5~15무(약 0.33~1ha), 채소 경작지 면적은 5~8무(약 0.33~0.53ha)이다.

그 중 동북부에 위치한 랴오닝은 비옥한 토지와 넓은 면적을 기반으로 가구

당 평균 경작지 면적이 가장 넓고, 규모화, 경영세대 교체, 농업 현대화에 앞서

있으며, 채소 공급에 있어 가장 큰 잠재력을 보이고 있다.

면적(1무)당 투입산출 현황을 살펴보면, 투입산출비(투입비용에 대한 산출액

비율)는 1.7~3.5이다. 톈진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랴오닝, 산둥, 베이징, 허베

이다. 그중에서 톈진, 산둥, 랴오닝은 고투입, 고산출 유형이다. 허베이는 중간

수준 투입과 산출을 보이며, 베이징은 낮은 투입, 낮은 산출을 보인다.

투입구조로 살펴보면, 물질 자본이 여전히 제일 큰 부분을 차지하여, 전체 투

입의 50~86%이다. 산둥성은 85.59%로 가장 높고, 허베이성은 50.30%으로 최

저를 기록했다.

고용 노동력 투입은 최근 해마다 늘어나, 5개 성과 시의 노동고용지출이 전

체 투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8~29%를 기록했다. 그중 허베이성이 28.2%

로 가장 많고, 산둥성이 최저로 9.12%이다. 즉, 산둥성은 자본이 노동력을 대체

하는 자본집약형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허베이성은 여전히 노동투입

에 의존하는 전통생산단계에 있음을 뜻한다.

Page 3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6

항 목 단위 베이징 톈진 산둥 랴오닝 허베이

포전 판매 % 49.83 37.84 14.18 21.78 63.09

도매시장 판매 % 27.81 46.25 64.57 77.56 34.47

농산물시장 판매 % 15.96 7.16 10.88 0.66 2.33

농가와 마트 직거래 % 0.00 0.00 0.07 0.00 0.00

협동조합 조달 % 4.33 0.00 4.84 0.00 0.11

회사, 학교 주문 % 1.67 1.70 3.26 0.00 0.00

기타 % 0.83 1.59 0.05 0.00 0.00

1.2. 농가채소 판매행위 분석

유통은 농가가 채소 상품을 가치화하는 기본경로이다. <표 3-1>을 살펴보면,

현재 농민들은 이미 자급자족에서 벗어났으며, 시장은 농민들이 상품을 팔고

수익을 얻고, 상품을 구매하는 중요한 생계공간이 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3-1> 5개 성‧시 농가 특징 및 판매경로

1.2.1. 농가 채소 판매채널

소규모 채소 유통채널은 생산현장, 도매시장, 농산물시장의 소매상, 농가와

마트의 직거래, 노동조합, 기업, 학교 주문 등 다양한 경로를 보유한다. 그중 생

산현장(중간상 구매), 도매시장은 생산지 농민의 가장 중요한 판매채널로서, 이

두 경로는 교통이 편리하고, 유연하게 거래상대를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

지고 있어, 경쟁력과 시장정보력이 취약한 농가가 쉽게 선택하는 경로이다. 그

중 일부 중개상은 생산농가에서 출발한 케이스인데, 판매 노하우를 높이고 있

다. 또한 소비자를 직접 만날 수 있는 농산물시장은 유통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채소 농가에게는 더 많은 소득을 가져다주고 주민은 신선한 채소를 얻을 수 있

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협동조합, 기업, 학교 등은 걸음마 단계인데, 향후

Page 3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7

농산물 수량과 품질을 보장하고, 생산 및 유통의 자원배분에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다. 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농가는 주로 포전판매를 주로 하고, 산둥 랴오

닝 농가는 도매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산둥은 중국 최대 채소 산지이자 집산지

로서, 해당 지역의 도매시장은 가격형성, 정보전달, 자원배분에서 선도적인 역

할을 하고 있다.

1.2.2. 채소전문합작사가 농가 채소 판매에 미치는 영향

상기 채널 중, 소규모 농가와 시장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농가와 중간상(생산현지 조달), 농가와 도매상(도매시장 판매), 농가와 소비자

(농산물시장 소매상), 농가와 대형조직(기업, 학교 주문)의 경우 소규모 농가들

은 대형 시장에서 각종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첫째, 농산물 공급체인의 취약한

이익배분 메커니즘으로 인하여 이익과 리스크 간 부담, 배분이 불공정하다. 소

농가는 자연과 시장이라는 이중 리스크 속에서 그들의 소득은 리스크와 노동

을 감당하기 힘들다. 둘째, 새롭게 떠오르는 마트 등 신형공급체인이 요구하는

디자인 품질 식감 포장 안전 거래시간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는 분산된 소

농가의 능력 밖의 일이다. 마지막으로 현대 물류업의 지속적인 발전 및 배송센

터의 확산으로 채소 운송비용과 거래가격이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규모화를

이룬 경영주체에게 원가절감의 가능성과 여지를 주는 반면 분산된 소농가는

이러한 유통체인에 끼어들기 어렵게 되었다. 결국 시장가격을 낮추게 만드는

압력을 받게 되면 이들의 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금 기술 정보가 취약하고 경영비용이 높은 편인 농가가 기업 등

규모화한 경영주체의 경쟁력에 훨씬 뒤떨어진다. 따라서 맞서기 공급체인과 시

장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의 조직화가 필연적인 선택이다.

이에 농가의 자발적 조직과 농촌 간부, 능력 있는 농가들로 구성된 채소전문

협동조합이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합작사 규칙에 근거하여 농가를 조직하고

농가의 소규모 생산과 농업의 규모화 경영을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분산된 소

Page 3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8

항목 단위 베이징 톈진 산둥 랴오닝 허베이

조합을 통한 판매 비율 % 4.33 0.000 4.84 0.00 0.11

조합설립 비율 % 57.14 77.78 81.82 54.84 70.00

촌민 가입률 % 76.36 70.00 71.43 55.00 75.00

농가에 정보와 기술의 채널을 열어 농업의 현대화를 이루고 소농가를 대신하

여 시장에 진입하여 농가소득 증가에 힘이 되고 있다.

이로써 농민의 안전감과 리스크 대응 능력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규모

화 생산, 채소 품질 보장, 브랜드 효과가 농민의 협상력과 지위를 향상시켜 농

민은 더 많은 몫을 획득하고 있으며 더 이상 가격결정에 있어 단순한 수용자

(price taker)가 아니다.

또한 합작사는 소농가의 시장거래비용을 낮추고 거래비용 절감으로 얻어진

경제적 이익을 농업 내부로 흡수함으로써, 채소 생산 잠재력과 역량을 강화하

고 있다. 이는 농가소득 증가와 전체 채소산업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채소전문합작사는 지역사회에서 취약한 결집력과 조직의 불완전성,

자금제한, 뒤떨어진 서비스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로 인해 농민의 판매를

뒷받침할 힘이 부족하고, 농민으로 하여금 조합가입을 망설이게 한다.

<표 3-2>를 살펴보면, 5개 성 시 농가가 합작사를 통해 판매한 금액은 채소

총판매액의 5%를 넘지 않으며, 조사 대상 중 조합 설립 비율은 54.84〜81.82%,

농민의 조합가입률은 55.00〜76.36%에 그친다. 이로 볼 때 효율보다는 규모를

중시하는 채소전문합작사의 내재적 문제가 조합의 기능 발휘와 지속가능한 발

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

<표 3-2> 5개 성‧시 채소전문합작사가 농민 채소판매에 미치는 영향

<표 3-3>의 결과가 조합 서비스 기능 개선이 시급함을 입증하고 있다. 절반

에 가까운(56.47%) 가입농민이 조합 서비스 만족도가 낮고, 충분한 도움을 얻

Page 3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29

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도움이 크지 않다’와 ‘도움이 크다’ 비율이 각각

20.45%, 33.09%로, 그중 조합이 자신에게 큰 도움이 된다고 답변한 농가의 절

대다수가 ‘기술지도, 농업자재의 공동구매 효과가 명확하다’고 대답한 반면,

‘판매에 있어 도움이 컸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산둥성 농민뿐이었다. 채소전문

합작사의 발전수준과 서비스 기능 발휘에 있어, 일본 농협과 커다란 격차를 보

이고 있으며 전면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다.

<표 3-3> 5개 성 ‧시 협동조합 가입농민 만족도 평가

구분 단위 1. 도움이 크다 2. 도움이 크지 않다 3. 도움이 안 된다 샘플 합계

베이징 % 30.91 23.64 45.45 55

허베이 % 29.17 30.56 40.28 72

랴오닝 % 30.00 11.25 58.75 80

산둥 % 61.90 16.67 21.43 42

톈진 % 5.00 20.00 75.00 20

합계 % 33.09 20.45 46.47 269

1.2.3. 농가 채소 판매채널 군집분석

농가 판매행위는 생산과 유통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현재 소농가의

채소 판매채널 선택은 ‘유통채널 다원화, 전통유통방식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

진다. 판매채널마다 농가수요 만족도가 다르기 때문에, 소농가는 자신의 부존

자원을 결합하여 판매채널을 선택함으로써 효용과 경제이익을 최대화해야 한

다. 다양한 유형의 판매채널이 농가효용 및 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

면, 정부가 농가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여 농민 효용과 소득을 올리는 데 기

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농가에 대한 효용, 농가경제수익에 대한 영향, 농가자

질에 대한 요구 3가지 항목으로 농가 판매채널을 군집분석(cluster analysis)하

였다. 군집항목, 의미, 지표는 <표 3-4>와 같고, 채널별 농가에 대한 영향의 수

량화는 Experts Grading Method(전문가 채점법)를 이용하였다.

Page 3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0

<표 3-4> 농가채소 판매루트 군집분석 지표체계

항목 의미 지표

수치

배당

범위

채널1 채널2 채널3 채널4 채널5 채널6

농가효용에

대한 영향

농산물판매 편리성거래상대와연결편

리성1-5 5 4 4 3 5 3

농가가 직면한

시장리스크

협력방식

(계약체결

밀착정도)

1-5 4 4 5 3 2 3

농가경제에

대한 영향

농산물 브랜드화 브랜드 유무 1-5 1 1 1 5 4 2

농가의 이윤배분

참여정도시장 직거래 여부 0-1 1 1 1 0 0 1

농가

부존자원에

대한 요구

판매자산에 대한

투입요구운송수단 보유 0-1 0 1 1 1 0 1

전문화생산수준

요구규모화 생산 1-3 2 2 1 3 1 3

주: 채널 1-생산현지 판매, 채널 2-도매시장 판매, 채널 3-농산물시장 소매상, 채널 4-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채널 5-

협동조합 구매, 채널 6-회사 ‧학교 주문.

Q-type(분류대상은 샘플) 군집분석법을 통하여 농가 채소 판매루트 군집분

석 결과는 <그림 3-1>과 같다.

Page 3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1

<그림 3-1> 농가 채소 판매 군집분석 결과

단방향연결 '수지도(Dendrogram)'거리재조정을 통한 군집통합

도매시장 판매

농산물시장

소매

생산현지 판매

기업, 학교 주문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합작사

그중 ‘현지판매, 농산물시장 소매상, 도매시장’은 1 클러스터,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협동조합 구매’는 2 클러스터, ‘기업, 학교주문’은 3 클러스터로 나누었다.

상기와 같이, 생산현지 판매, 농산물시장 소매상, 도매시장 판매는 농가 부존

자원에 대한 요구수준이 낮고, 농가와 시장(거래상대) 거래가 편리하며, 방식이

유연하다. 대체로 1회성 거래로 계약체결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브랜드 수준이 낮아 농가는 유통체인의 가장 낮은 수준에 위치하며,

Page 4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2

소득이 낮고 시장리스크는 가장 크다. 그러므로 ‘저투자 저수익 고리스크’ 판

매채널에 속한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와 합작사 구매, 이 두 가지 채널은 제품 수량 및 품질

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고, 농가 자질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다. 농가와 마트 간

안정적인 계약관계가 성립하므로, 농가는 조합회원으로서 합작사 규칙을 준수

해야 하고 농가와 거래대상 간에 긴밀한 협력관계가 유지되면서, 거래계약을

통하여 수량, 품질, 가격 등을 규정하므로 시장리스크를 피할 수 있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방식에 비하면, 조합은 회원농가를 대표하여 큰 발언

권을 행사하고, 농가의 유통체인 참여 정도가 높고, 이익배분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므로 ‘고투자 고수익 저리스크’ 판매채널이라 할 수 있다.

기업, 학교 주문방식은 2 클러스터와 유사하다. 그러나 기업, 학교는 분산된

농가와 느슨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거래원가가 높고 시장가격 등락이 있기

때문에, 농가와 기업 간에 계약을 위약할 수도 있다. 농가는 유통체인에서 피지

배 위치에 있고 리스크가 크다. 그러므로 ‘저투자 고수익 고리스트’ 채널에 속

한다.

현재 소농가는 1 클러스터 판매채널을 주로 선택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와

계약의 부재로 채소의 품질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고 발언권이 취약하여, 판매

체널의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농가소득과 리스크가 서로 맞지 않아 채소시장

의 파동을 유발할 수 있다.

3 클러스터도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므로 정부는 2 클러스터의 채널

을 장려하고,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모델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채소 분야 전

문협력조직을 구축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권익을 도모하도록 한다.

Page 4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3

2. 채소 유통모델 및 채널

농가의 채소 판매채널에 대한 연구는 농가 채소판매를 전반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판매채널 개념, 단계, 특징의 시점에서 각 유통모델을 고찰하

는 것은 문제 발견, 기회 포착,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림 3-2> 소규모 농가 중심의 오프라인 유통모델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산지소비자

생산지소비자

산지시장

농가 중

간상

협동조합、

농업기업

생산지

도매시장

산지

농산물시장、

마트

소비지

도매시장

소비지

농산물시장、

마트

도매시장

주: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리.

Page 4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4

지역 간 유통모델 및 발전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그림 3-2>와 같이,

대형 도매시장, 생산지시장,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전자상거래 4가지 유통모

델로 구분할 수 있다. 유통기점으로서 채소 공급자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채소를 생산하는 소규모 농가와 인프라, 재배규모, 기술

비축, 관리능력, 자금력, 브랜드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우위에 있는 협동조합, 기

업, 단지 등의 규모화한 생산자로 나눌 수 있다.

2.1. 대형 도매시장 유통모델

대형 도매시장 유통모델은 생산지 및 소비지 도매시장을 핵으로 하여 생산

조직과 소매조직이 연결되어 있다. 정보 및 물류 시스템에 의거하여 유통서비

스 기능을 모두 갖춘 유통방식이다. 도매시장은 채소 유통 중에서 주도적 역할

을 발휘하고, 채소의 집산과 분리 기능을 가진다. 최종 시장에 따라 다양한 유

통경로가 형성된다. 산둥, 랴오닝 등 채소 주산지의 채소 유통은 대형 도매시장

이 중심이다.

2.1.1. 대형 도매시장모델의 유통단계

- 1단계: 채소 생산자(농가, 규모화된 생산자)에서 생산지 도매시장까지. 작

고 분산된 농가가 수확한 채소를 중간상인이 현지 구매하여 대리판매점까지

운송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소형 운송수단(농업용 삼륜차, 전동차)을 이용하여,

생산지 도매시장에 운송하여 판매한다. 하지만 규모화 생산자는 주로 직접 혹

은 농업기업을 통하여 산지 도매시장까지 대형차로 대량 운반하여 판매한다.

- 2단계: 생산지 도매시장에서 소비지 도매시장까지.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

식 중,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단계이다. 우선 생산지 도매상은 소비지 도매상이

요구한 상품을 구색에 맞게 생산현지 또는 생산지 도매시장에서 구매하여, 포

장 혹은 1차 가공하여 대형 화물차에 싣는다. 마지막으로 장거리 트럭으로 채

Page 4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5

소를 생산지 도매시장에서 소비지 도매시장으로 운송한다. 일부 경제력과 브랜

드를 갖춘 생산자는 생산지 도매상을 생략하고, 자체 혹은 임대 대형트럭으로

소비지 도매시장으로 직접 운반한다.

<그림 3-3> 규모화한 생산자 중심의 오프라인 유통모델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산지소비자

생산지소비자

협동조합、

단지、

기업、

기타

대기업

생산지

도매시장

산지

소매시장

소비지

도매시장

소비지

소매시장

직거래 직거래

농가

협동조합, 단지, 기업 등

협동조합, 기업

제3자플랫폼

자체 플랫폼

소비자

주: 조사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리.

- 3단계: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소매시장까지. 소매시장은 보통 마트와 농산

물 시장 두 가지다. 그러나 이 두 소매의 거래방식이 다소 다르다. 일반적으로

마트는 마트와 판매지 도매시장을 연결하는 고정적인 공급자를 가진다. 거래방

식에 따라 공급자가 사전에 마트에 견적을 내면, 마트는 검토 후에 공급자에게

Page 4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6

오더를 내린다. 공급자는 받은 주문대로 소비지 도매시장에 가서 구입하고, 차

에 싣고 다음날 새벽 마트에 물건을 납품한다. 농산물시장 노점상인들이 물건

을 들여오는 방식은 비교적 자유롭다. 상인들은 보통 자가 운송수단을 이용하

여 소비지 도매시장(또는 가까운 2급 소매지 도매시장)에서 물건을 들여와서

판매한다.

- 4단계: 소매시장에서 소비자에게. 소비자가 농산물시장과 마트에서 채소를

구입하면, 채소 유통은 끝난다.

2.1.2. 대형 도매시장 모델의 유통특징

도매시장 주도형 유통방식은 채소의 유통범위와 지역이 넓다. 이 방식의 특

징은 일반적으로 3~5단계의 유통단계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유통시간

이 오래 걸리고, 채소 유통단계별 참여자가 늘어나 비용을 지불하여, 이 때문에

유통비용이 높아진다. 전체 유통과정에서 주체 간 거래관계는 비교적 느슨하

고, 일반적으로 계약서가 없다. 거래 당사자 간의 상대거래이고 서로가 자신의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협력관계가 단단하지 못하며, 거래가격이

그때그때 정해지므로 가격 등락폭이 크다.

2.2. 생산지 시장 유통모델

생산지 시장 유통모델은 생산지 채소 유통의 주된 모델이다. 그 지역 채소생

산자는 수확한 채소를 그 지역 소매시장에 판매하는데, 이런 채소시장은 채소

재배지가 집중된 마을 외곽이나 마을 어귀에 있으며, 소도시의 농산물시장과

채소종합시장도 이런 시장에 포함된다. 생산지 시장은 채소 생산자들이 채소를

판매하는데 편리하고 산지상인이 채소를 조달하는 데도 편리하며, 농촌 취업문

제를 해결하는 기능도 있다. 또한 산지 소매시장은 그 지역의 채소를 공급하며,

Page 4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7

농가소득 증대의 중요한 경로이다. 각 지역의 생산지 시장은 현지 채소공급에

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2.2.1. 생산지 시장 모델 유통단계

- 1단계: 채소 생산자에서 산지시장까지. 채소 생산자는 수확한 채소를 중간

상인을 통하거나 혹은 자신이 소유하는 소형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농산

물시장에 운반하거나 협동조합, 농업기업과의 직거래를 통하여 현지 소매시장

에 반입한다. 대형 도매시장의 유통방식과 다른 것은 생산지 시장 유통은 대형

도매시장을 거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 2단계: 생산지 시장으로부터 소비자에게. 시민, 구매량이 많은 음식점, 하

급 채소 소매상은 농산물시장과 채소 종합시장의 주요 소비집단이다.

2.2.2. 생산지 시장 모델 유통특징

생산지 시장 주도형 유통방식은 유통범위가 좁은 지역성을 가진다. 이 모델

의 유통채널은 단계와 절차가 적어, 유통시간이 짧고, 유통원가가 낮으며, 유통

효율이 높다. 전체 유통과정에서 주체 간 거래관계는 비교적 느슨하고, 일반적

으로 계약서가 없다. 거래 당사자는 자신의 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협력관계가 단단하지 못하고, 거래가격이 그때그때 결정되어, 가격의 등락폭이

크다.

소규모 채소농가는 시장 거래에 참여하기 힘들어, 정확한 시장정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 조절이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임의적으로 생산하게 되고

공급이 불안정하여, 도매시장의 거래원가와 운영리스크를 증가시킨다. 이런 상

황에서 채소 생산지에서는 도매상, 중간상인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도매시장과

생산지 공급을 원활히 하고 있다. 도매상은 생산지의 생산정보를 신속히 얻고

거래시간을 단축시켜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유통비용과 리스크를 크게

줄여 유통효율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Page 4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8

<그림 3-4> 조사농가의 채소 판매경로 비중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本地农贸市场 中间商收购 送批发市场 合作社收购 其他현지 농산물시장 중간상인 매입도매시장으로

운반협동조합 구매 기타

자료: Mu Yue-ying(2013). 베이징시 채소산업 경제연구. 중국농업출판사.

채소를 시장에 내놓는 주체는 중간 매입상이다. <그림 3-4>의 베이징, 랴오

닝, 허베이와 산둥 농가의 조사연구 데이터에 따르면, 농가의 판매채널 중에서,

중간상인을 통한 판매가 가장 많았고, 조합을 선택한 농가는 극히 일부였다. 중

간상인은 분산된 농가와 도매시장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농가로부터 매입한 채

소를 도매시장 또는 기타 시장으로 보낸다.

중간상인 매입은 한편으로는 소규모 분산형 생산이 갖는 유통채널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매시장에 상주하면서 대규모로 거래하는

상인의 채소를 충당할 수 있다. 중간상인들이 매입한 채소는 소매시장으로 운

반되기도 하고, 일부 중간상인들은 스스로 노점을 차려 판매하기도 한다.

2.3.‘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모델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는 일종의 농가+합작사+마트가 결합된 농산물 유통

Page 4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39

모델이다. 마트와 채소전문합작사는 장기 구입 판매합의를 체결하고, 조합은

매매합의에 따라, 농가의 생산을 지도하고 마트에 직접 채소를 공급한다.

이러한 유통방식으로 마트는 경제력, 기술, 관리, 시장정보 등 우위를 활용하

여, 채소 생산과 판매 전 과정에 참여하고, 생산 기술, 물류 배송, 시장정보 컨

설팅, 상품 판매 등 모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작은 생산과 큰 시장’을 효

과적으로 연결한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방식은 어느 정도 높은 시장 수준과 양자 간의 신뢰

가 필요하다. 산둥, 베이징, 톈진 등 시장 수준과 생산기술력이 높고 외부 서비

스 제공이 가능한 지역에서, 이 모델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2.3.1.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방식의 유통절차

- 1단계: 농가에서 조합까지. 조합은 마트 수요에 맞춰, 농가에 채소를 주문

하고, 농가는 주문서의 품종, 규격, 수량, 품질 요청에 따라 생산한 채소를 규정

된 시간에 조합에 납품한다.

- 2단계: 조합에서 마트까지. 조합은 마트와의 계약에 따라 매입한 채소를 차

에 싣고 마트 물류센터로 운송 또는 직접 마트 각 지점으로 배달한다. 일반적

으로 채소전문합작사와 마트 채소기업 마트 3자 간에 연합운영방식을 취한다.

즉, 채소합작사, 채소기업이 마트의 매장을 임차하여, 구매해 온 채소를 팔고,

임차비, 서비스 비용, 관리비를 지불한다.

- 3단계: 마트에서 최종 소비자까지. 진열된 신선한 채소는 소비자에게 판매

되고, 유통은 완료된다.

2.3.2.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방식의 유통특징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방식은 로컬유통을 위주로 하나, 일부는 주산지 채

소와 소비지 마트를 연결하는 원거리 유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방식의 유

Page 4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0

통경로는 단계와 절차가 많지 않아, 유통시간이 짧다는 특징을 가진다.

조합은 ‘입찰’을 통해 마트와 계약하므로 중간단계가 없어 유통비용이 낮다.

동시에 채소가 조합에서 직접 마트 소재지에 배송되어 신선도와 품질이 보장

된다. 한편, 소비자는 지출을 줄이고 구매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

전체 유통과정에서 농가 조합 채소기업이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안정된 매

매가 성립되어 유통효율 제고는 물론, 채소 품질정보를 추적 관리하는 데 용이

하다. 마트와 채소합작사의 사전계약한 합의에 가격 등의 내용이 포함되기 때

문에, 시장시세와 상관없이 합작사와 마트 모두 반드시 매매를 실행하고, 가격

이 사전에 확정되어 변동폭이 작다.

2.4. 전자상거래 유통모델

채소 전자상거래 유통모델은 인터넷 정보기술과 온라인쇼핑 성장에 힘입어

동반성장한 일종의 신형 온라인 채소 유통모델이다. 유통절차가 짧고 정보전달

이 빨라, 채소 생산경영자와 소비자를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소비자 입맛에 맞

는 제품을 공급하여 채소의 광역판매를 촉진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유통모델은

농민 경쟁력, 정보기술 진보, 물류시스템 구축, 소비수준 향상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베이징 톈진 산둥 등 경제와 기술, 물류 시스템이 비교적 잘 정비된 지

역에 적합한 모델이다.

2.4.1. 전자상거래 모델의 유통절차

- 1단계: 생산자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까지. 농가 생산자는 생산규모가 작

고, 자금력과 인터넷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구축할 여력

이 없다. 그 때문에 제3자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판매를 하거나, 채

소합작사 혹은 채소기업과 함께 제3자 전자 플랫폼(또는 합작사 및 채소기업

Page 4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1

자체 플랫폼)을 통하여 판매한다. 하지만 채소합작사, 채소생산단지, 채소기업

등 규모를 갖춘 생산자의 경우, 규모화, 전문화 생산, 자금력, 인터넷기술을 기

반으로 각자가 제3자 전자상거래 혹은 자체 플랫폼을 통하여 인터넷에 판매 정

보를 공개한다.

- 2단계: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소비자까지. 소비자가 인터넷 플랫폼으로부

터 채소 판매정보를 보고 원하는 제품을 주문하면, 생산자는 자체 물류망 혹은

제3자 물류망을 통해 소비자에게 배달한다.

2.4.2. 전자상거래의 유통특징

전자상거래 유통모델은 유통범위가 넓기 때문에, 채소의 원거리 유통을 활성

화시켰다. 이 방식은 유통경로가 짧고 절차가 적으며 유통시간이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채소는 즉시 신선하게 먹어야 하고 쉽게 부패되는 제품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식감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다. 따라서 빠른

운송 속도, 엄격한 신선도 요구로 콜드체인 확충, 간이가공에 대한 투자가 채소

가격 상승을 초래하였다. 전체 유통과정에서 농가와 채소합작사, 농가와 채소

기업 사이에는 비교적 안정된 계약관계(채소합작사 및 채소기업이 주문 형식

으로 농가로부터 채소를 구매)가 있다. 농가, 채소합작사 및 채소기업과 제3자

전자상거래 플랫폼 및 제3자 물류 사이는 느슨한 계약관계에 있으며(농가, 채

소협동조합 및 채소기업은 제3자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채소를 판매하며,

제3자 전자상거래 플랫폼 규정을 준수한다. 제3자 물류는 상품 배달서비스를

제공한다), 협력관계가 견고하지 않다. 또한 해당 유통모델에서, 생산자는 소비

트렌드에 더욱 민감해지고 정보획득이 더욱 빠를 뿐만 아니라, 인터넷 플랫폼

을 통해 직접 소비자를 만나고 비교적 큰 가격 결정권을 가진다. 인터넷 판매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가격결정에 비교적 민감해지고 있다.

Page 5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2

3. 채소 유통방식의 비교

4가지 채소 유통방식 간에는 유통범위, 주체, 절차, 시간, 비용, 거래종류, 가

격형성방식, 유통단계 수, 가격변동 정도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표 3-5>는 4가지 채소 유통방식이 상기 9개 측면의 차이를 정리하였다.

<표 3-5> 4가지 채소 유통방식과 가격형성 비교

구분 대형도매시장 생산지 시장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전자상거래

유통

방면

유통범위 광범지역 국한지역 국한+광범위 국한+광범위

유통주체

생산지 도매상

+소비지 도매상

+소매상

규모경영자+소매상 합작사+마트

규모경영자

+전자상거래

제3자 물류

유통절차 4개 2~3개 3개 2~3개

유통시간 비교적 길다 비교적 짧다 비교적 짧다 보통

유통비용 비교적 높다 비교적 낮다 비교적 낮다 비교적 높다

가격

형성

방면

거래유형시장 안에서

거래시장 안에서 거래 계약 계약+합작

형성 방식 시장가격 경쟁 시장가격 경쟁 경매+계약 계약+시장가격 경쟁

형성 횟수4차 혹은 그

이상3차 정도 2차 정도 1차 정도

등락 폭 크다 크다 적다 보통

유통방면의 유통영역을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이 전국범위로, 가

장 광범한 유통방식이고, 생산지 시장은 현지 생산, 현지 판매 위주로, 지역 채

소 자급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채소 수요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구성 부분이

며,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와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은 신흥 유통방식인데, 신

선채소는 쉽게 부패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한된 지역의 유통을 위

주로 하였으나, 콜드체인시스템의 끊임없는 발전에 힘입어 유통범위가 부단히

확대되고 있다.

Page 5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3

유통주체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의 유통주체는 적어도

생산지 도매상, 판매지 도매상과 소매상 3개가 있고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유통방식(2개), 전자상거래 유통방식(2개)과 생산지 시장 유통방식(1/2개) 이상

이 있어야 한다.

유통단계 수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모델의 단계는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생산지시장 유통, 전자상거래 모델보다 많다.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은 ‘채소 생산자→생산지 도매시장→소비지 도매시장→소매시장→소

비자’, 4단계 과정을 거친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는 주로 ‘채소 재배자→협동조합→소매시장→소비

자’, 3단계 과정을 거친다.

생산지시장 유통은 ‘채소 재배자→(중간상, 조합, 채소기업)→소매시장→소

비자’, 2(3)단계 과정을 거친다.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은 ‘채소 생산자→(조합, 채소기업)→(제3자)전자상거래

플랫폼→소비자’, 모두 2(3)단계 과정을 거친다.

유통시간은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의 유통시간이 전자상거래,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산지 시장 모델보다 길다.

유통비용은 많은 단계와 높은 요구 수준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인하여 대형

도매시장 유통모델과 전자상거래의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가 생산지시장 유

통모델보다 많이 든다.

가격형성 방면의 거래유형에서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은 도매시

장 거래를 위주로, 생산지 시장 유통방식은 생산지 시장 거래를 위주로 하고,

이 두 가지 유형의 거래는 모두 시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시장 내 거래로 요약할

수 있는데, 관계가 비교적 느슨하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유통방식의 거래는 계약에 의하므로 계약거래라고

할 수 있겠다. 이와 유사하지만,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의 거래는 농가 채소합작

사, 농가 채소기업 사이의 거래는 계약에 의하지만, 농가 채소협동조합 채소

기업은 제3자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하여 채소를 판매하고, 제3자 물류를 통

하여 배송하는데, 관계는 적당히 느슨한 상태이다.

Page 5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4

가격형성방식에서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과 생산지시장 유통방

식은 경쟁가격을 통해서 형성된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유통방식은 계약

을 통해 일정 기간 고정되고,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은 계약 혹은 계약과 경매를

통해 형성된다.

가격형성 횟수로 본다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은 생산자가격, 생산지 도

매가격, 소비지 도매가격 및 소매가격 등 4가지 가격을 형성하고, 생산지 시장

유통방식은 생산자가격(합작사 판매가격), 채소시장 소매가격 등 2(3)가지 가

격을 형성한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유통방식은 합작사의 출하가격(중간 표준가격)과

마트의 소매가격 등 2가지 가격을 형성하고,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은 인터넷 판

매가격과 추가운임을 더한 소비자 구매가격을 형성하였다.

가격변동 정도를 살펴보면, 대형 도매시장 유통방식과 생산지 시장 유통방식

은 상대거래를 위주로 하므로, 가격이 시세에 따라 형성되어 변동폭이 비교적

크다.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유통방식은 계약의 형식으로 일정 기간 동안 고정

되어 가격이 비교적 안정되며, 전자상거래 유통방식은 계약과 시장경쟁가격에

의해 형성되므로 변동 폭은 보통이다.

4. 채소 유통모델의 발전변화

각각의 채소 유통방식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사 단계에

서 서로 다른 기능을 발휘하였으며 시장과의 적합성도 달랐다. 이에 따라 4가

지 채소 유통방식을 전망하여 보고자 한다.

Page 5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5

4.1. 도매시장 유통방식의 발전변화

도매시장은 진입 문턱이 낮고, 대부분의 현금결제방식을 취하고 있어, 현재

중국의 비교적 낮은 농업 생산력 수준과 농가의 거래 습관에 맞다. 분산된 생

산자와 분산된 소매상(점)을 긴밀히 연계시켜, 조직화 정도가 낮은 소규모 생

산자가 대규모 시장을 상대로 채소를 판매가능하게 하였다. 당분간은 중국 채

소의 가장 주요한 유통방식이 될 것이다.

하지만 도매시장에 참여하는 주체의 조직화, 전문화 정도가 낮을 뿐만 아니

라 시장의 거래시설이 낡고 서비스가 낙후하여 거래비용을 크게 증가시켰다.

그뿐만 아니라 도매시장 유통방식은 유통단계가 많고 각 단계마다 이윤을 남

기고 있다. 또한 지나치게 긴 유통체인으로 보관과 운송을 까다롭게 만들고, 중

국물류기술 특히 콜드체인 수준이 여전히 비교적 낮아서 유통비용이 높다. 유

통경로의 단축과 마진 절감은 미래 발전의 큰 추세다.

4.2. 생산지 시장 유통방식의 발전변화

생산지 시장은 그 수가 많고 널리 분포하며 문턱이 낮고 규모가 비교적 작다

는 특점을 가지고 있어, 분산적인 중국 채소 생산 및 판매의 특성과 잘 부합한

다.

따라서 한동안은 이 유통방식으로 채소를 공급할 것이며, 채소 재배 농민의

수입을 높일 것이다. 하지만 생산지 시장도 거래 시설이 노후하고, 뒤떨어진 서

비스 수준 및 무질서한 관리의 문제가 존재하며, 거의 대부분이 주먹구구식으

로 운영하고 있다.

시장에서 채소의 손모도 비교적 많고 위생 상황이 나쁘며 품질을 보증하기

어렵다. 끊임없이 업그레이드하는 소비자는 당연히 규범화된 유통경로의 실현

을 요구할 것이다.

Page 5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6

4.3.‘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유통방식의 발전변화

‘리스크에 공동대응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것’이야말로 ‘농가와 마트 간 직

거래’ 모델의 핵심이다. 이 유통방식에서는 농가 협동조합 마트가 긴밀한 이익

공동체를 형성한다. 이로서 효과적으로 상품의 생산 공급 판매를 일체화하여

유통단계를 줄이고 시장 위험에 대응하며, 더 많은 이윤을 생산자에게 속하게

하고, 소비자에게도 이익을 준다.

그뿐만 아니라 원스톱 쇼핑은 물류 손실을 감소시키고, 마트 자체도 비교적

좋은 경제 이익을 얻어서 트리플 공동이익을 실현한다. 이외에도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주문방식은 비교적 높은 품질을 요구하고, 전문화된 물류배송을 채

택하여 최대한도로 채소의 품질을 보장하였다. 그 때문에 ‘농가와 마트 간 직

거래’ 유통방식은 미래 채소 유통의 주요한 방식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 중국

개인농가의 분산 경영방식은 채소 표준화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야채의

규격화 및 표준화, 생산방식의 현대화, 높은 투입 및 높은 산출의 생산방식은

개인농가의 생산비용을 높여서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방해하고 있다.

게다가 수집 기능을 발휘하는 조합의 조직화 정도가 비교적 낮아서 확대 발

전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 현존하는 합작사도 대다수가 소규모이며 기능이

단일하여 농가의 전문화 생산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농산물의 검사 등급

가공 포장 배송 등 작업을 실행하여 마트와 연결하기 어렵다. 경로 주체의 조

직화, 규모화는 효과적으로 생산과 판매를 연결하여, 서로가 윈윈(win-win)하

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4.4. 전자상거래 유통모델의 발전변화

정보화와 농업 현대화는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끊임없는 발전을 추진하였다.

농산물 전자상거래는 제품 판매의 지역적 계절적 한계를 극복하고, 거래 기회

와 효율을 제고시켰다. 또한 중간유통업체와 점포 등 여러 가지 중간 절차를

Page 5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47

감소시켜, 거래비용을 낮추고 구매 욕구를 자극하였다. 정보화는 생산자 의사

결정 시, 정보의 지연성 및 부정확성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농업정책을 가능하

게 하였으며, 생산자가 시장가격과 소비자 정보를 얻어 과학적인 생산 운영을

실현하고, 농민들이 스스로 가격을 결정하여 수입을 늘리는 것을 가능성하게

했다. 또 온라인 시장의 치열한 경쟁이 오프라인을 업그레이드하였다. 즉 전자

상거래는 생산 표준화, 운영 브랜드화 및 서비스 우수화 등을 가져왔다. 하지만

농산물 자체 특성과 현재 물류 조건의 한계로 말미암아, 온라인 채소 판매에서

선택할 수 있는 종류가 제한적이고 품질 보증이 어려워, 소비자 위험이 가중되

고 채소 브랜드화도 힘들다. 유통채널의 현대화는 유통시스템의 필수적인 개혁

방향이다.

Page 5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Page 57: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제4 장

채소 유통시스템의 신동향 및 대응책

상기 분석 및 다년간의 현지조사와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중국 채소 유통시

스템이 직면한 문제와 향후 발전 대응책을 서술하였다.

1. 채소 유통시스템 신동향

앞에서 서술한 중국 채소 유통현황, 특징 및 유통방식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

였고, 아래에 최근 몇 년 동안 나타난 새로운 유통방식 및 채소 무역 방면의

새로운 추세에 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1. 새로운 유통방식의 탄생

첫째는 농가+합작사+농업(채소)기업의 채소 유통이다. 베이징 순이(順義) 지

역 다쑨거좡전(大孫各庄鎮)의 뤼아오(綠奧) 채소전문합작사와 농업기업인 베

이징 톈안(天安) 농업을 사례 분석하였다. 뤼아오 채소합작사는 출발, 발전, 성

Page 58: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0

숙이라는 발전단계를 거쳐, 현재는 생산기술 지도, 채소 판매, 생산자료 구입

모니터링, 시장정보 전달 등을 책임지고 있다. 협동조합은 농가의 채소들을 모

아 톈안농업에 판매하고, 톈안농업은 재판매를 통해서 다시 각 마트에 판매한

다. 뤼아오 채소합작사는 7개 마을, 360가구를 조직하여, 1500무(亩)의 채소를

재배하고 있다. 연간 뤼아오 합작사를 통하여 판매하는 채소는 300만 kg에 달

하며, 7개 농촌의 채소 총량의 3/4를 차지한다. 그만큼 합작사는 채소 판매 유

통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는 주문 농업, 농가과 마트 간 직거래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주문 판매

또는 ‘농가과 마트 간 직거래'가 나타났다. 농가와 연결하는 기존 마트, 호텔

등 대형 수요자들도 있는데, 전국에는 2,000여 개의 소매 기업이 ‘농가과 마트

간 직거래’를 진행하고 있다.3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는 판로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판매가격도 보장하였

다. 베이징시 순이취(順義區) 양전(楊鎮) 쑹거좡춘(松各庄村)에는 채소를 재배

하는 농가가 167개 있는데, 채소 경작지 면적은 1,000무(亩)다. 농가는 마트나

패스트푸드점과 판매 계약하고, 2011년부터 이 마을에서 재배한 상추의 20%

를 이런 방식으로 판매하였다. 농가가 생산한 야채는 신선한 상태 혹은 가공되

어, 맥도널드, KFC, 피자헛 등 패스트푸드점에 공급되었다.

셋째는 채소 전자상거래다. 지금 전자상거래는 많은 분야에 진출하여, 농산

물 전자상거래도 나타나기 시작됐다. 형식은 다양하다. 첫 번째는 농민 전문인

합작사가 전자상거래를 통해 채소를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여 ‘농가와 주택

의 도킹’을 실현하였다. 두 번째는 농업회사가 농가에서 채소를 구입한 후 전

자상거래를 통해 채소를 판매한다. 세 번째는 마트가 일부분의 채소를 전자상

거래를 통해서 판매한다. 네 번째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회사가 채소를 판매하

는데, 중국의 이무위안(一亩園)회사 등 전문회사는 전자상거래 형식을 통해 채

소 등 농산물을 매매한다.

3 Shen Chen, My Yue-ying. 2013. 중국채소시장의 유통 특징 및 원인분석.

Page 59: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1

1.2. 중국 채소 거래의 새로운 추세

첫째로 중국의 채소 수출국이 다원화하고 있다. 유엔 Comtrade 데이터에 의

하면, 최근 10년 동안 중국 채소의 수출은 수입에 비하여 훨씬 많으며, 순수출

(net export)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채소의 수출국(또는 지역)은 다원화 추세를 나타낸다.

2003년 상위 5위국 수출이 중국 채소 총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3%에

달하였으나, 2013년에는 46.7%로 낮아졌다.

이런 다원화 추세는 대일본 수출 비중이 2003년 37.5%에서 2013년 20.2%로

낮아졌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국가에 수출하는 비

중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4

한국 미국 러시아 등 전통적으로 수출하던 나라에 대한 수출은 변화가 크지

않다. 아세안 국가에 수출이 증가하였는데, 한 가지 원인은 아세안과 중국의

“10+1” FTA가 2010년 1월 1일에 정식으로 발효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농산물

에 대해 관세를 철폐하여, 중국의 대아세안 채소 수출을 촉진하였다.

둘째, 채소 품질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채소 생산과정에는 비료와 농약

을 사용하고, 또한 채소는 신선 제품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갈수록 품질

안전성 문제가 여러 방면으로 중시되고 있다.

2003년부터 중국 정부는 ‘전국 무공해 농산물(경종작물) 생산시범기지현(縣)

육성’을 실시하고 있는데, 그중 60개 채소기지(현, 시 또는 지역)에서 대해서는

투입하는 농자재에 대해 감독을 강화하였다.

특히, 사용 금지농약, 독성이 강한 농약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친환경 생

산기술을 보급하였다. 또한 생산이력추적제도를 도입하여, 무공해 농산품 및

자재의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부는 무공해 채소 생산 기지인

증제도, GAP 인증제도, 무공해 농산물 인증제도 등을 제정 실시하고 이런 정

책과 제도는 채소의 품질 안전성 제고를 촉진하고 있다.

4 Mu Yue-ying. 2015. 중국이 일본에 대한 채소 수출 무역 현황 및 변동추세.

Page 60: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2

품종 산지가격도매시장 마트

평균가격 마진율 평균가격 증가율

토마토 1.23 3.87 214.6% 4.54 17.3%

오이 1.00 3.70 270.0% 4.42 19.4%

가지 1.10 2.70 145.4% 5.02 85.9%

피망 1.20 2.00 66.6% 3.23 61.5%

쟝더우(豇豆) 1.70 2.00 17.6% 6.35 217.5%

2. 채소 유통시스템이 직면한 문제

2.1. 유통방식 단계 수가 많고, 유통비용이 너무 높고, 소모가 많다.

전통 유통방식의 유통단계는 적어도 생산자, 중간상인, 도매시장, 소매시장

등이 포함되고, 유통반경이 비교적 넓어 종종 몇 백 km, 심지어는 수천 km를

초과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서 소모가 많다.

<표 4-1> 전형적인 채소 유통절차의 평균가격과 증가율

단위: 위안/500g

2012년 8월 전형적인 채소를 대상으로, 베이징의 생산자 가격, 인근 도매시

장 가격, 베이징시 주요 마트 체인점 소매가격을 추적조사 연구하였다. 조사한

도매시장은 베이징시 펑타이 웨거좡(豐台 岳各庄) 도매시장, 순이시먼(順義石

門) 도매시장, 다양루(大洋路) 도매시장 및 다싱(大興)구역 생산지 도매시장(사

워[沙窩] 도매시장)이다. <표 4-1>, <그림 4-1>은 베이징 농가가 생산한 채소가

현지에서 매입되어 도매시장을 거쳐 소매시장까지 단계별 가격과 마진율을 나

타낸다.

Page 61: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3

<그림 4-1> 전형적인 채소 유통절차의 이익 분배

농가 가격 도매시장 가격 소매시장 가격

짱또우

피망

가지

오이

토마토

자료: Mu Yue-ying(2013). 베이징시 채소산업 경제연구. 중국농업 출판사.

<표 4-1>과 <그림 4-1>과 같이 토마토, 오이, 가지는 농가와 도매시장 마진

율이 도매시장과 마트 마진율보다 높고, 쟝더우(豇豆)는 농가와 도매시장 마진

율이 도매시장과 마트 마진율보다 낮으며, 피망은 비슷하다. 채소 유통 각 단계

에서 이익분배구조는 모든 채소에서 농가가 가장 낮고, 소매단계의 마트가 비

교적 높았다. 다만, 같은 날, 같은 시간, 같은 종류 채소이더라도 마트 간의 가

격 차이가 크기 때문에 마트 평균가격은 대표성이 떨어진다.

Page 62: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4

2.2. 정보전달 부재, 시장리스크 증가

전국 범위의 대형 채소시장, 대형 유통구조, 분할식 생산과 판매는 정보의 빠

른 확산을 저해하고 정보수집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심지어는 시장의 수급

균형을 방해하였고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변동이 나타나 유통리스크가 커

졌다. 비록 각 지역 각 부문, 도매시장, 기업이 서로 간의 채소 정보시스템을

갖추었지만, 미시적 정보가 많고 거시적 정보가 적어, 계통성과 연속성, 즉효성

이 취약하여, 생산과 유통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농민은 상황에 따라 재

배하고, 판매상은 경험에 의하여 시장을 판단하고, 정부는 계측에 의거하여 시

장을 컨트롤하려고 한다. 이렇게 해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3. 채소 유통시스템의 대응책 건의

중국 채소시장 유통시스템에 내제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건의하고자 한다.

첫째, 한 중 일 3국 협력을 통한, 채소 정보플랫폼을 구축하여, 국가 간 시장

유통시스템을 마련한다. 기존의 국제무역 유통경로와 거래형식을 기반으로, 전

자상거래의 국제무역 중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강화하여, 채소 국제무역 유통효

율을 높이고 국제무역을 촉진한다.

둘째, 안전한 채소 생산을 강화하여, 중국 채소의 국내외 시장의 수요를 확대

한다. 현재 일부 지역에 국한하여 실시하고 있는 채소 품질추적시스템을, 전국

으로 확대 보급한다.

셋째, 채소 도매시장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확충하고 도매시장의 기능

을 활발히 하여, 도매시장이 채소 유통과정 중에 핵심 역할을 발휘하게 한다.

일본 도매시장 기능 가운데 하나가 가격형성 기능이다. 도매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은 전체 채소거래에 반영되어, 생산자가격 및 소매가격과도 연결된다. 이

Page 63: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5

렇게 되면, 생산에서 소비까지 각각 균형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 밖에 도매

시장 정보 통계와 발표 역시 중요하다. 많은 도매시장이 채소 생산지를 체계적

으로 등록하지 않아, 채소 유통은 물론, 채소 품질의 안전관리를 저해한다.

넷째, 유통절차를 간소화하고, 소매시장을 활성화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마트

의 체인화는 향후 지속될 것이다. 우선 마트 유통은 식품안전, 브랜드 판매 등에

서 모두 우위를 지닌다.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큰 오늘날, 마트 유

통은 소비자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마트 판매

는 편리성과 신속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경제사회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리듬이 빨라지면서, 마트는 소비자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소비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향후 소비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다. 마

트 유통은 소규모의 소매경영형태를 바꾸며 미래 유통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이

다. 유통방식의 전환을 실현하려면, 채소 생산 및 소매의 특징을 고려하여, 소규

모 생산과 소매 간의 연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마트체인경

영이 발전하면서, 소매상이 점차 유통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농가 마트 간

직거래’를 활성화하려면, 생산자의 조직화 수준을 높여, 농민 협동경제조직 건

설을 추진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제품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부가 지지하는 농가는 농민 전문합작사를 통하여 통일적으로 채소

를 판매하게 한다. 농민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완성하여, 농민 조직화 정도를 높

이고 농가 채소의 안정한 판매루트를 형성한다. 현재 농가 채소의 주요 판매루

트는 중간상인이 되고 있는데, 중간상인은 고정적 계획적 체계적인 매입이 불

가능하여, 안정적인 농가소득을 얻기 힘들다. 분산되어 경영하는 농가는 협동

조합을 통하여 도매시장 또는 다른 루트를 연결하여, 채소의 안정적인 판매 루

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정부는 농가가 협동조합을 통해 채소를 통합 판매

하도록 지원하고, 일본과 같이 통합판매장려금을 주어, 채소협동조합이 통합

판매를 통하여 농가의 채소 판로를 확보하고 도매시장의 채소 공급원을 확보

할 있도록 한다. 최근 몇 년, 정부가 추진하는 ‘농가와 마트 간 직거래’ 정책

사례로 알 수 있듯이, 농가는 분산되어 경영하고 있기 때문에 협동조합은 농가

와 마트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Page 64: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6

여섯째, 정부의 채소 가격조절이다. 정부의 채소 가격통제는 전통적인 강제

수단이 아니라, 출하량과 공급량 조정을 통한 시장 메커니즘에 의한 간접조절

을 의미한다. 그 외, 정부는 기존 채소 유통 지원정책을 기초로 유통채널에 대

한 정부조치를 보장하는 것을 고려하여 각 유통단계에 대한 정부계획, 생산지

의 품종과 출하량 및 가격 등 신속한 공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나아가서는 채소 유통에 관련된 콜드체인시스템에 재정적 투자를 확대하고, 채

소품질 안전과 생산이력추적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Page 65: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

57

참고 문헌

Cheng Guo-qiang. 2007. “중국 농촌 유통시스템 건설 현황, 문제와 정책 건의.” 농업경제문제.

Hong tao. 2000. “중국 채소 생산과 판매 체제 연구.” 중국농촌경제.

Li Chong-guang, Xiao Xiao yong, Zhang You-wang. 2015. “채소 유통의 다른 방식 및 그

가격의 형성 비교—산둥 서우광(寿光)부터 베이징의 채소 유통 추적 고찰.” 중국농

촌경제.

Li Zhi-bo, Mi Xin-li, An Yu-fa. 2013. 농산물 유통 정책 시스템의 현황, 문제 및 발전 방향,

가격 이론과 실천.Liu Tian-jun, Hu Hua-ping, Zhu Yu-chun, Huo Xue-xi. 2013. 중국 농산물 현대 유통시스템

메카니즘 연구. 농업경제문제.

Mu ue-ying. 2013. 베이징시 채소산업 경제 연구. 중국농업 출판사.

Mu ue-ying. 2015. “중국이 일본에 대한 채소 수출 무역 현황 및 변동 추세.” 중국채소.Shen Chen, Mu Yue-ying. 2013. “중국 채소시장의 유통 특징 및 요인 분석.” 중국채소.Yang Qing-song. 2011. 농상품 유통방식 연구.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생학원.

Yang Qi-rong. 1999. “생산지 시장건설을 대대적으로 구축하여 농산물 시장체계를 하루 빨리

완성하자.” 중국농촌경제.

Wang Xiu-qing. 1996. “대도시 교외의 채소산지 경쟁 전략 문제.” 중국농촌경제.

Zeng Yi-wu, Wan Li, Guo Hong-dong. 2016. “농업 전자상거래의 국내외 연구현황과 전망.”

중국농촌관찰.

Zhao Xiao-fei. 2014. “채소 유통 경로 중의 가격 변동 규칙과 이익 조절 메카니즘.” 중국

유통 경제.

중국저온유통위 중국물류기술협회. 2013. “중국저온유통 발전 보고.”

중국국가통계국. 각 연도. 새중국 육십년 통계자료총집.. 각 연도. 중국농촌통계연감. 중국통계출판사.

유엔 Comtrade 데이터베이스. <http://comtrade.un.org>. 검색일: 2016. 8. 6.

중국물류및조달연합회. <www.chinawuliu.com.cn>. 검색일: 2016. 8. 15.

Page 66: 연구 담당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820/1/중국...연구 담당 김병률︱선임연구위원 전창곤︱선임연구위원 박성진︱부연구위원 채상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