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KIC News, Volume 14, No. 2, 2011 39 고온 PEMFC 기술 현황 및 전망 조 장 호 LS산전 중앙연구소 Smart Renewables 연구팀 Status and Perspective of High Temperature PEMFC Technology Jang-Ho Jo Smart Renewables Team, R&D Center, LS Industrial Systems Abstract: 최근 시장 진입기에 들어선 연료전지는 가격과 신뢰성 문제로 도전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 로 주목 받기 시작한 기술이 바로 고온 PEMFC이다. 이 기술은 전해질 막의 프로톤 전도 메커니즘이 물에 의존하지 않아 가습기가 필요 없고, 높은 운전 온도로 인해 CO에 대한 내성이 강해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여, 연료전지 의 가격과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온 PEMFC의 기술적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외 기술 현황 및 그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fuel cell, high temperature, PEMFC, PBI, phosphoric acid 1. 서 1) 최근 연료전지가 시장 진입기에 들어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장 진입기 의 선두에 선 기술은 아무래도 저온 PEMFC (Po- 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라고 할 수 있으며, 두 연료전지는 각각 가정용 연료전지와 발전용 연 료전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비록, 기술을 이용한 제품은 모두 국내의 경우 정부의 지원 하에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나, 국내 최 초로 일반인이 사용하는 전기를 연료전지가 공급 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시장 진입기에는 대개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파 악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 및 제품에 대한 개선점 등이 드러나기 마련인데, 연료전지의 경우 도 예외가 아니다. 연료전지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드러나기 시작한 심각한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주저자 (E-mail: [email protected]) 요약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고가인 연료전지의 가격이며, 둘째는 연료전지의 신뢰성이다. 사실, 이 두 문제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도 어느 정도 이 슈화되어 알려져 있었지만, 시장에 진입하면서부 터 그 문제의 심각성이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가정용과 건물용 연료전지의 기술로 주로 적용 되어온 저온 PEMFC도 위에서 언급한 가격과 신 뢰성 문제가 시장 진입과 더불어 그 심각성이 대 두되기 시작하여, 이의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노 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PEMFC가 가 진 기술적 한계로 인해 그 결과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으로 예상하는 견해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이 바로 고온 PEMFC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 메커니즘이 물 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가습기가 필요 없고, 높은 운전 온도로 인해 CO에 대한 내성이 강해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여, 연료전지의 가격과 신뢰 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 [1].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온 PEMFC의 기술적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외 기술 현황 및 그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KIC News, Volume 14, No. 2, 2011 39

고온 PEMFC 기술 현황 및 전망

조 장 호†

LS산전 중앙연구소 Smart Renewables 연구팀

Status and Perspective of High Temperature PEMFC Technology

Jang-Ho Jo†

Smart Renewables Team, R&D Center, LS Industrial Systems

Abstract: 최근 시장 진입기에 들어선 연료전지는 가격과 신뢰성 문제로 도전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

로 주목 받기 시작한 기술이 바로 고온 PEMFC이다. 이 기술은 전해질 막의 프로톤 전도 메커니즘이 물에 의존하지

않아 가습기가 필요 없고, 높은 운전 온도로 인해 CO에 대한 내성이 강해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여, 연료전지

의 가격과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온 PEMFC의 기술적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외 기술 현황 및 그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fuel cell, high temperature, PEMFC, PBI, phosphoric acid

1. 서 론

1)

최근 연료전지가 시장 진입기에 들어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장 진입기

의 선두에 선 기술은 아무래도 저온 PEMFC (Po-

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와 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라고 할 수 있으며,

두 연료전지는 각각 가정용 연료전지와 발전용 연

료전지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비록, 두

기술을 이용한 제품은 모두 국내의 경우 정부의

지원 하에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긴 하나, 국내 최

초로 일반인이 사용하는 전기를 연료전지가 공급

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시장 진입기에는 대개 연구개발 단계에서는 파

악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문제점 및 제품에 대한

개선점 등이 드러나기 마련인데, 연료전지의 경우

도 예외가 아니다. 연료전지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드러나기 시작한 심각한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주저자 (E-mail: [email protected])

요약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고가인 연료전지의

가격이며, 둘째는 연료전지의 신뢰성이다. 사실,

이 두 문제는 연구개발 단계에서도 어느 정도 이

슈화되어 알려져 있었지만, 시장에 진입하면서부

터 그 문제의 심각성이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가정용과 건물용 연료전지의 기술로 주로 적용

되어온 저온 PEMFC도 위에서 언급한 가격과 신

뢰성 문제가 시장 진입과 더불어 그 심각성이 대

두되기 시작하여, 이의 해결을 위한 여러 가지 노

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 PEMFC가 가

진 기술적 한계로 인해 그 결과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으로 예상하는 견해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이 바로 고온 PEMFC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 메커니즘이 물

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가습기가 필요 없고, 높은

운전 온도로 인해 CO에 대한 내성이 강해 단순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여, 연료전지의 가격과 신뢰

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

다[1].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온 PEMFC의 기술적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국내외 기술 현황 및 그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Page 2: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0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항목 고온 PEMFC 기술 저온 PEMFC 기술

전해질 막 소재

운전 온도

주 운전 방식

가습기

스택 내 Flooding 현상

응축수 처리 장치

CO 내성

CO 제거 장치

배열 온도

Coolant

PBI(polybenzimidazole)계

120∼180도

연속운전

불필요

미발생

불필요

1% 이하

불필요

100도 이하

불소계 또는 오일계

PFSA(perfluoro-sulfonic acid) 계

60∼80도

시동/정지 가능

필요

발생

필요

10 ppm 이하

필요

60도 이하

초순수

Table 1. 고온 PEMFC와 저온 PEMFC기술의 비교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고온 PEMFC 기술의 특징

고온 PEMFC와 저온 PEMFC와 가장 큰 차이점

은 바로 운전온도와 전해질 막이다. 저온 PEMFC

에 사용되는 전해질막은 주로 Nafion과 같은 PFSA

(perfluoro-sulfonic acid) 계인데 반해, 고온 PEMFC

에 주로 사용되는 전해질 막은 인산이 첨가된 PBI

(polybenzimidazole)계이다. PFSA계 전해질 막에

서는 프로톤 전도 메카니즘이 물에 의존적이기 때

문에 운전온도가 물의 끓는점에 가까울수록 전해

질막 내 수분 함유율이 감소하여 이온전도도가 급

격히 강하하면서 연료전지의 운전이 불가능해진

다. 반면, 인산이 첨가된 PBI계 전해질 막에서는

프로톤 전도 메커니즘이 물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물의 끓는 점 이상에서도 전해질 막의 이온전도도

가 높게 유지되며, 따라서 100도 이상의 온도에서

도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톤 전도 메커니즘

이 물에 의존하지 않는 이유로 하여, 기존 저온

PEMFC에서는 반드시 필요했던 가습기가 고온

PEMFC에서는 필요 없게 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저온 PEMFC에서는 flooding 현상과 같은 응축수

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스택 및 공정에서 발생

하는데 반해, 고온 PEMFC는 높은 운전온도로 인

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스택의 설계

가 수월해지고, 시스템에서는 water trap과 같은

응축수 처리 장치가 필요없게 되었다.

높은 운전온도로 인해 고온 PEMFC가 갖는 장

점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전지의 전기화학 반응은 온도가 높을수록 향

상되는 경향이 있어, 기존의 저온 PEMFC 대비 활

성화 과전압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물질전달 저항도 줄어들어 농도분극 또

한 감소한다.

기존의 저온 PEMFC에서는 개질가스 내 CO로

인한 MEA의 피독 및 이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

하고자 개질기 후단에 CO 농도를 10 pp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CO 제거 장치가 반드시 필요했

다. 그러나, 고온 PEMFC에서는 운전온도인 160

∼180도 정도에서 CO의 피독으로 인한 MEA의

성능저하 현상이 급격히 줄어들어, 경우에 따라서

는 CO 농도 3% 정도까지도 내성을 보이며 CO 제

거 장치가 필요 없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H2S와

같은 연료 내 황화합물에 대해서도 10 ppm까지

내성을 보여[2], 기존 저온 PEMFC에서는 반드시

요구되었던 까다로운 연료의 순도가 많이 완화되

었다.

고온 PEFMC의 또 다른 장점은 배열 온도가 높

다는 것이다. 기존 저온 PEMFC의 배열 온도는 약

60도 부근으로, 온수로는 활용이 가능하였으나,

건조나 냉방용으로는 온도가 낮아 활용이 불가능

했다. 반면, 고온 PEMFC는 약 100도에 달하는 높

은 배열 온도가 가능해, 건조 및 냉방에도 활용 가

능하여,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열의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결국, 고온 PEMFC에서는 가습기와 CO 제거

장치가 필요 없게 되어, 기존 저온 PEMFC보다 싸

Page 3: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고온 PEMFC 기술 현황 및 전망

KIC News, Volume 14, No. 2, 2011 41

고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해

지며, 높은 배열 온도로 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

다는 점이 이 기술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저온 PEMFC 기술에 대한 고온 PEMFC

기술의 차이점을 정리하면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3. 국외 현황

고온 PEMFC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미국의

Plug Power 사는 1999 년도부터 고온 PEMFC 시

스템 연구를 시작하여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약 10여 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GenSys Blue

라는 고온 PEMFC 기술을 적용한 5 kW급 연료전

지 제품을 개발하였다. 이 제품은 미국 내 23개소

에서 실증시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시스템 전기효

율 30%, 총 효율 80%에 자열개질 방식의 개질기

가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1은

GenSys Blue의 외관이다.

6여 년 전 고온 PEMFC 시스템 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ClearEdge Power사는 2010

년 CE5라는 5 kW급 고온 PEFMC 제품을 출시했

다. 이 시스템은 전기효율 37%, 총 효율 85%의

성능에 수증기 개질 방식의 개질기가 채용되어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2는 CE5의 외관

이다.

덴마크의 SerEnergy사는 고온 PEMFC 기술이

적용된 공랭 방식의 스택 모듈을 개발하였는데(상

품명 Serenus), 1 kW급과 3 kW급 두 종류를 제품

화하여 판매하고 있다[3] (Figure 3). 이 제품은 50

∼70 mbar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99.9% 이상의 수

소 또는 CO 농도 5% 이하의 reformate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1 kW는 65셀, 3 kW급은 89셀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택 모듈의 parasite power

는 약 137 W일 것으로 추정되며, 시스템 효율은

최대 57%라고 한다.

고온 PEMFC용 MEA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BASF와 Advent Technologies 두 회사에서만 판

매를 하고 있다. 먼저, BASF에서 시판 중인

모델 개발 내용

1999년 Alpha 시스템 개발

- PBI 고분자막의 기능적 시험

2002년 Beta 시스템 개발

- 부품 시험

- 고온 스택 재료 시험

2004년 Gamma 시스템 개발

- 모듈 시험

- 고온 시스템을 위한 최적화된

연료처리장치 개발

2006년 Delta 개발

- Gamma 시스템의 최적화

- 고객맞춤의 전력, 공기와 연료

모듈

- 스택 수명 5,000 h 이상

2008년 EOS개발

- 가정용 CHP를 위한 Delta의 최

적화 모델

- 선택적으로 보조 보일러 장착

- 전기효율 30%, 총 효율 80%

Table 2. Plug Power사 고온 PEMFC 시스템 개발 이력

Figure 1. Plug Power 사의 5 kW급 고온 PEMFC GenSys

Blue.

Page 4: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Power 사의 5 kW급 고온 PEMFC 제품.

Figure 3. SerEnergy 사의 1 kW급 / 3 kW급 고온 PEMFC

스택 모듈.

Celtec-P 1000 MEA는 120∼180도에서 운전 가능

하며, Figur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reformate로

운전 시, 0.2 A/sq.cm 전류밀도에서 약 0.65 V 정

도의 성능을 보여준다. 내구성은 20,000 h 동안 약

6 µV/hr 정도의 셀전압 강하율을 보인다고 한다

[4]. BASF는 자신의 MEA에 대해 시동/정지 내구

성도 시험했는데, 12 h 운전, 12 h 정지를 반복하

여 총 6,000 h 동안 240회 시동/정지하여 열화율

을 측정하였으며, 이 시험결과에 따르면, 시동/정

지 회수당 약 0.2 mV 가량의 열화속도를 보인 것

으로 보고되었다[5]. 최근 동사에서 P 1000보다

개선된 MEA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공

개 자료에 의하면 I-V 성능은 기존 P 1000과 거의

유사하나, 시동/정지에 의한 카본부식이 두 배 가

량 저감되었으며, 정전류 내구시험에서도 기존 대

Figure 4. BASF사 Celtec-P 1000의 I-V 데이터.

Figure 5. Advent Technologies사 MEA의 I-V 데이터(Test

조건: Temperature 180 ℃, Ambient pressure, Feed H2/Air,

Anode Stoic. 1.2, Cathode Stoic. 2.0).

비 셀전압 강하율이 약 2.4배 낮아진 것으로 알려

져 있다.

그리스 회사인 Advent Technologies사 역시 고

온 PEMFC용 MEA를 판매하고 있는데, polybenzi-

midazole base인 BASF사의 MEA와는 달리, 이

회사의 MEA는 pyridine base aromatic polyether

에 인산이 도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능은

Figur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BASF사의 P 1000과

유사하다. 연속운전에 대한 내구성은 4,000 h 동

안 약 9 µV/hr 정도의 셀전압 강하율을 보인다고

Page 5: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고온 PEMFC 기술 현황 및 전망

KIC News, Volume 14, No. 2, 2011 43

Figure 6. Advent Technologies사 MEA의 thermal cycle 데

이터(Test 조건: Applied Voltage: 0.5 V, Ambient pressure,

Feed H2/Air, Anode Stoic. 1.2, Cathode Stoic. 2.0).

하며, thermal cycle에 대한 내구성은 Figur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30회 동안 눈에 띄는 성능 열화

가 없을 정도라고 한다[6].

유럽은 일찌감치 고온 PEMFC 기술에 대해 관

심을 가졌었고, 그 일환으로 유럽공동체(EU)를 주

축으로 CARISMA (Coordination Action for Re-

search on Intermediate and high temperature

Specialize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라는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수행하고 있는데, 이는

중-고온 MEA 연구를 위한 것으로 산도핑계 PBI

막 등 고온 PEMFC 소재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EU는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미국 DOE

와 유럽연합간 최초 협동 프로그램인 Next Gen

Cell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마이크로 CHP (Combined Heat and Power) 응용

을 위한 고온 PEMFC 기술의 공동 개발을 목적으

로 하고 있다.

덴마크의 IRD Fuel Cell은 2006년에 1 kW급

고온 PEMFC 스택을 개발하였는데(Figure 7), 여

기에는 Danish Power Systems사의 PBI계 MEA를

채용하였으며, 4개의 셀마다 냉각판을 두어 전체

스택 온도를 제어하고, 스택 냉각제로는 오일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리판 재료로는 흑

연 복합재료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독일 Juelich Research Center에서도 2007년에

Figure 7. IRD의 1 kW급 40셀 스택.

Figure 8. Juelich Research Center의 1 kW급 스택.

고온 PEMFC 스택을 개발하였는데, 이 스택은 효

율이 32%이고, Fumatech에서 제공한 PBI계 MEA

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gure 8은 Juelich

Research Center에서 개발한 1 kW급 고온 PEMFC

스택의 모습이다.

미국 Maryland 대학의 Jackson과 Young은 액

체연료를 사용하고 스팀 개질방식의 개질기가 적

용된 5 kW급 고온 PEMFC 시스템 시작품을 발표

했다[7]. Figures 9와 10은 각각 시스템 구성도와

실제 제작된 모습인데, Jackson과 Young은 이 시

스템의 효율을 5 kW 출력에서 약 32%가 될 것으

로 예측했다. 스택에 사용된 MEA는 Advent

Technologies사의 것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Page 6: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4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9. Maryland 대학의 5 kW급 고온 PEMFC 시스템 구성도.

Figure 10. Maryland 대학의 5 kW급 고온 PEMFC 시스템 실제 모습.

4. 국내 현황

국내에서 고온 PEMFC 연구를 가장 오래 해온

기관은 삼성종합기술원이다. 이미 2000년대 초반

부터 고온 PEMFC 기술에 대한 가능성을 미리 알

아보고 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2006년도에는 국

내 최초로 1 kW급 고온 PEMFC 시스템(Figure

11) 및 스택(Figure 12)을 개발한 바 있다.

정부도 고온 PEMFC 기술의 활용도 및 전망을

높게 평가하고, 빠른 시간 내 고온 PEMFC 기술에

대한 세계적 우위를 점하고 상용화에 앞장서고자,

두 개의 국책과제를 기획하고 사업화하여 이를 지 Figure 11. 삼성종합기술원 1 kW급 고온 PEMFC 시스템.

Page 7: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고온 PEMFC 기술 현황 및 전망

KIC News, Volume 14, No. 2, 2011 45

Figure 12. 삼성종합기술원 1 kW급 고온 PEMFC 스택.

원하고 있다. 그 중 첫 번째는 고온 PEMFC의 핵

심기술 중 하나인 MEA에 대한 지원으로 삼성종

합기술원에서 주관하는 ‘고온 고분자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국산화 및 양산기술’이라는 과제가

그것이다. 이 과제는 삼성전자, 한화, 삼성 SDI,

KIST, KIER 등이 참여하여 2009년부터 2014년까

지 총 5개년 간 수행되며, 이온전도도 0.07 S/cm

인 전해질 막과 0.7 V에서 출력밀도가 0.2 W/cm2

인 MEA에 대한 양산화 제조 기술을 개발하는 것

을 목표로 하고 있다[8].

두 번째는 고온 PEMFC용 스택, 개질기 등 핵심

부품 기술에 대한 지원으로 ‘고온 PEMFC 핵심부

품 기술 개발’ 과제가 그것이다. 이 과제 역시 삼

성종합기술원 주관으로 한국가스공사, LS산전,

GS Fuel Cell, KIER, KIST 등이 참여하여 2010년

부터 2015년까지 총 5개년 간 수행되며, 효율

57%, 성능 감소율 20 µV/hr 이하의 고온 PEMFC

스택과 열효율 89% 이상인 개질기의 개발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5. 맺음말

지금까지 고온 PEMFC 기술의 특징과 장점 및

국내외 기술 현황을 살펴보았다. 고온 PEMFC는

저온 PEMFC 대비 상당히 장점이 많아 기대되고

있는 기술이긴 하나, 저온 PEMFC 비해 본격적인

상용화에 이르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

제들이 몇 가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 MEA의 내구

성과 성능인데, 현재 저온 PEMFC의 경우, 그 내

구성을 약 40,000 h 정도로 보는 견해가 많은 데

반해, 고온 PEMFC에 있어서 시스템 수준에서 검

증된 내구성은 아직 수천시간 대에 불과하다. 또

한, 운전온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MEA 성능도

아직까지는 저온 PEMFC용 MEA에 비해 낮아서,

같은 효율/출력의 스택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약 2

배의 스택용량 증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저온 PEMFC용 MEA의 발

전 이력이 보여 주듯이, 고온 PEMFC용 MEA의

성능은 MEA 수요 증대와 고온 PEMFC용 MEA

업체 수의 증대에 따라서 수년 내 획기적인 성능

향상이 이루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러

한 기대가 가능한 것은 앞서 고온 PEMFC 기술의

특징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운전온

도가 저온 PEFMC 대비 100도 가량 높아 반응론

적으로 상당한 가능성을 이미 보유하고 있기 때문

이다. 단지, 내구성 부분은 저온 PEMFC 대비 높

은 운전온도로 인해 불리할 가능성이 있어, 인산

유출을 억제하고, 고온 조건에서 재료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MEA 소재의 개발 및 개선과 내구

성 향상을 위한 운전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

러나, 이 역시 BASF나 삼성과 같은 대기업 및 관

련 연구소들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노력에 의해 빠

른 시일 내에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에서 언급한 현재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연료

전지 상용화에 상당한 걸림돌이 되고 있는 비싼

가격과 신뢰성 문제 해결을 위해 고온 PEMFC 기

술을 적용한 제품이 이미 두 개나 출시되어 있고,

이러한 추세는 제품이 출시된 5 kW 분야 뿐만 아

니라, 5 kW보다 낮거나 높은 용량의 분야로도 빠

르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고온 PEFMC

의 높은 배열 quality로 인해 가까운 시일 내에 20

kW 이하 저온 PEMFC 분야를 완전히 대체할 것

Page 8: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 CHERIC · 2014-08-13 ·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2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2. ClearEdge

기획특집: 건물용 연료전지 발전

46 공업화학 전망, 제14권 제2호, 2011

Figure 13. 고정형 연료전지 기술 전망.

으로 예상되며, Figure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

후 열이용이 높은 곳은 고온 PEMFC가, 열이용이

낮은 곳은 SOFC가 적용되는 형태로 20 kW 이하

시장을 SOFC와 함께 양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본 고의 작성에 자료 제공 및 조언을 주신 한국

가스공사 박달령 박사님, KIER 양태현 박사님, 삼

성종합기술원 최경환 박사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참 고 문 헌

1. 5 kW급 고온 PEMFC용 핵심부품 및 시스템 개발

상세기획 보고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0).

2. V. P. McConnell, High-Temperature PEM Fuel

Cell: Hotter, Simpler, Cheaper, Fuel Cell Bulletin,

Dec., 12 (2009).

3. SerEnergy 社 홈페이지 www.serenergy.com.

4. Celtec MEAs Product Catalog, BASF (2010).

5. T. J. Schmidt and J. B. Baurmeister, Properties of

High-Temperature PEFC Celtec®-P 1000 MEAs in

Start-Stop Operation Mode, J. Power Sources, 176,

428 (2008).

6. Advent Technologies 社 홈페이지 www.adven-

tech.gr.

7. G. Jackson, I. Yang, P. Hearn, C. Tesluk, B. Habi-

bzadeh, M. Lyubovsky, A. Bhargav, L. Long, and

D. Mase, Influence of System Architecture in

Achieving Low Cost and Efficient PEM Fuel Cell

Systems, Fuel Cell Seminar 2010 (2010).

8. 장혁, 고온 고분자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국산

화 및 양산기술개발, 연료전지 심포지움 2010 논문

집, 연료전지 기술 Vol. 16, No. 1, 한국전기화학회,

319 (2010).

조 장 호

1993 한양대 화학공학과 학사

1995 한양대 화학공학과 석사

2000 한양대 화학공학과 박사

2000∼20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턴연구원

2001∼2002 (주)세티 과장

2003∼2009 현대자동차 선임연구원

2009∼현재 LS산전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