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37 1. 서 론 1) 우리나라는 2005년 환경친화적산업 구조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재제조 기술 지원, 재제조품 품질인증, 자금지원, 우선구매요청 등 재제조산업에 대한 정부지원 근거를 규정하였 . 또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 후 제품을 원료로 하여 체계 적인 재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우수 재제조 제 품의 최소한의 품질과 성능을 보장해 주는 소비자 보호제도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료에 의하 면 우리나라 재제조시장의 규모는 2010년 약 7,500억 원에서 20158,330억 원 수준으로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제조 대상분야는 현재까지는 자동차부품 및 저자 (E-mail: [email protected]) 토너카트리지 중심에서 생활가전제품과 화학촉매 제품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였다. 20166월 건설 기계 부품 재제조 협회가 창립되어 우리나라에 등 록된 건설기계 48만대 중 약 년간 12만대 가량이 대부분이 재제조 되지 않고 폐차되거나 유휴 장비 상태로 동남아 등으로 수출 또는 폐기되어 환경 오 , 자원 손실, 에너지 사용 증가, 부가가치 재창출 기회 손실, 고용 창출 기회 손실 등 많은 사회적 기 회 손실이 발생되어지고 있는 현실을 바로 잡고자 건설기계 부품에 대한 재제조 공정 기술을 국내 재 제조 기업 및 연구 기관과 함께 개발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재제조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사 회적 손실을 줄여 기회로 만들어 우리나라 경제 성 장에 기여하고자 건설기계 부품 산업 활성화에 대 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시장 창출을 기대 해 본다.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최 병 운 한국 건설 기계 부품 재제조협회 Development Strategy of Domestic Construction Machinery Remanufacturing Industry Byung Woon Choi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Parts Remanufacture Association 13-13 Hayang-ro Hayang-eup, Gyeongsan-si, Gyeongbuk-do, Korea Abstract: 현재 국내 건설기계 부품의 대부분이 수명 시간이 도래한 중고 장비가 동남아시아 등지로 재제조 되지 않고 수출되거나 폐기되고 있다. 이를 재제조함으로써 자원순환이란 관점에서의 많은 경제적 환경적 이점들을 충족하고자 하며, 선진국들과 중국도 일찍이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 사업을 장려하고 있다. 재제조 사업은 부가가치가 높아 여러 국가의 유명 완성차 업체가 직접 참여하여 재제조함으로써 많은 건설 시공사와 수요처들에게 판매하고 있고, 수익성도 높아 완성차 제조 기업 중 재제조 사업으로 총 매출 중 20%를 차지할 만큼 적극적이다. 그러나 국내는 이제 2016건설기계 부품 재제조 협회를 창립하면서 음성적으로 재제조하여 왔던 기업을 양성화함은 물론 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선진 기업과의 조속히 격차를 줄여 나가고 있다. 또한 재제조에 대한 공정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전국 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산업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건설기계 부품 산업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본 기고에 제시하여 보았다. Keywords: Remanufacturing, Reverse engineering, Core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37

1 서 론1)

우리나라는 2005년 환경친화적산업 구조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법률의 개정을 통해 재제조 기술

지원 재제조품 품질인증 자금지원 우선구매요청

등 재제조산업에 대한 정부지원 근거를 규정하였

다 또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lsquo사용 후 제품rsquo을 원료로 하여 체계

적인 재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우수 재제조 제

품의 최소한의 품질과 성능을 보장해 주는 소비자

보호제도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료에 의하

면 우리나라 재제조시장의 규모는 2010년 약

7500억 원에서 2015년 8330억 원 수준으로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제조 대상분야는 현재까지는 자동차부품 및

저자 (E-mail cbw830hanmailnet)

토너카트리지 중심에서 생활가전제품과 화학촉매

제품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였다 2016년 6월 건설

기계 부품 재제조 협회가 창립되어 우리나라에 등

록된 건설기계 48만대 중 약 년간 12만대 가량이

대부분이 재제조 되지 않고 폐차되거나 유휴 장비

상태로 동남아 등으로 수출 또는 폐기되어 환경 오

염 자원 손실 에너지 사용 증가 부가가치 재창출

기회 손실 고용 창출 기회 손실 등 많은 사회적 기

회 손실이 발생되어지고 있는 현실을 바로 잡고자

건설기계 부품에 대한 재제조 공정 기술을 국내 재

제조 기업 및 연구 기관과 함께 개발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재제조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사

회적 손실을 줄여 기회로 만들어 우리나라 경제 성

장에 기여하고자 건설기계 부품 산업 활성화에 대

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시장 창출을 기대

해 본다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최 병 운

한국 건설 기계 부품 재제조협회

Development Strategy of Domestic Construction Machinery

Remanufacturing Industry

Byung Woon ChoiKorea Construction Equipment Parts Remanufacture Association

13-13 Hayang-ro Hayang-eup Gyeongsan-si Gyeongbuk-do Korea

Abstract 현재 국내 건설기계 부품의 대부분이 수명 시간이 도래한 중고 장비가 동남아시아 등지로 재제조 되지 않고

수출되거나 폐기되고 있다 이를 재제조함으로써 자원순환이란 관점에서의 많은 경제적 환경적 이점들을 충족하고자

하며 선진국들과 중국도 일찍이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 사업을 장려하고 있다 재제조 사업은 부가가치가 높아 여러

국가의 유명 완성차 업체가 직접 참여하여 재제조함으로써 많은 건설 시공사와 수요처들에게 판매하고 있고 수익성도

높아 완성차 제조 기업 중 재제조 사업으로 총 매출 중 20를 차지할 만큼 적극적이다 그러나 국내는 이제 2016년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 협회를 창립하면서 음성적으로 재제조하여 왔던 기업을 양성화함은 물론 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선진 기업과의 조속히 격차를 줄여 나가고 있다 또한 재제조에 대한 공정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전국 인프라

구축을 통하여 산업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건설기계 부품 산업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여 본 기고에 제시하여 보았다

Keywords Remanufacturing Reverse engineering Core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사용 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시장

21 국내amp해외건설기계sdot부품 시장 현황 및 전망

985172재제조산업은 선진국 특히 미국과 EU 국가들

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왔으며 특히 재제조 분야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국내는 자동차 부

품 재제조와 더불어 신산업 창출 분야이다

bull 미국 재제조 시장은 약 430억 달러 규모

bull 유럽의 재제조 시장은 약 390억 달러 규모

bull 국내 재제조 시장규모는 083조원 규모985173재제조(Remanufacturing)는 사용 후 제품이나

부품을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sdot조정 재

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성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재제조산업은

자원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 대체로 공정과

정에서 노동집약적 특성으로 인해 고용 창출 효과

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제품과 동일한 품질

의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므

로 신제품 시장 및 중고 제품과는 다른 새로운 시

장을 창출한다

재제조산업에 있어서 가장 앞선 미국은 자발적

인 시장수요에 의해 1920년대부터 재제조산업이

형성되었다 연방무역위원회는 1998년 재제조 기

업이 제품에 lsquoRemanufactured in the USArsquo라고 표

시하는 것을 규정하였다 미국무역위원회자료에

의하면 재제조시장 규모(2011년)는 약 430억 달러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규모별로 보면

항공기 HDOR (Heavy Duty amp Off ndashRoad

Vehicles) 자동차 부품 기계류 IT제품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은 타 국가와의 무역장벽

을 최소화하여 자국의 재제조품 수출 강화 노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유럽국가들도 재제조를 자원 보전 비용 절감

환경 보호 등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

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EC지침을 통해 유럽 내

재제조 시장의 형성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유럽

주요국들의 재제조시장 규모는 약 300억 유로수준

으로 조사되었으며(ERN 2015) 국가별로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항공sdot우주분야가 124억 유로 자

동차 74억 유로 HDOR 41억 유로 전기sdot전자 31

억 유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able 1은 세계주요 건설기계 업체별 재

제조 특징을 비교하였다

22 국내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기술 개발 현황

과 추진 내용

국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기술 개발에 대한

본격적인 시작은 2016년 6월 건설기계sdot부품 재

제조 협회가 창립되어 정부 지원 RampD 사업을 통

한 국내 생산이 많은 굴삭기 및 지게차부터 협회

가 주도하여 다음과 같은 재제조 기술 개발을 추

업체명(국적) 생산품목과 주요 특징 비고

캐터필라

(미국)

∙ 건설기계 종합 생산 기업으로서 세계시장 1위이며 재제조 분야에서도 선두 주자임∙ 2013년을 기점으로 2020년까지 매출의 20를 재제조사업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미국 유럽 인도 브라질 싱가포르 등에 재제조 공장이 있음

코마츠

(일본)

∙ 굴삭기 로더 등 30여 종의 기종을 생산하고 있음∙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서 재제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 한해 전문 재제조 중소

기업과 협력하여 생산하고 있음

Wealdstone ENG(영국)

∙ 유럽 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건설기계 및 캐터필라 장비에 대한 재제조 전문 기업

볼보

(스웨덴)

∙ 굴삭기 광산 건설기계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재제조은 신품 대비 65 가격의 가이드라인을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음∙ 스웨덴 미국 브라질 인도 등에 8개 재제조공장이 있으며 약 450명이 근무하고 있음∙ 보증 기간은 1년으로 하고 있음

Table 1 세계 주요 건설기계 업체별 재제조 특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39

진 중에 있다

221 건설기계 완성차sdot부품의 재제조 기술

개발

1) 재제조 완성차 신차 대비 성능 90 이상 품

질 수준 확보(Table 2)

- 중형급(14~32톤) 굴삭기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2) 재제조 부품 신품 대비 성능 95 이상 품질

수준 확보(Table 3)

- 중형급(14~32톤) 굴삭기의 주요 기능 부품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의 주요 기능 부품

기술 개발 대상 품목

- 중형급(14~32톤) 굴삭기 트랜스미션 엑슬

MCV Swivel Joint 실린더 유압모터 유압

펌프 등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트랜스미션 엑

슬 실린더 Mast MCV 드라이브 모터 파워

모터 스타트 모터 제너레이터 브레이크 밸

브 유압모터 등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및

기술 보급sdot확산

1)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 체계 확대

2)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추진

222 확보 기술 개발 내용

국내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Table 4) 및

코어의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개발

- 코어의 손상 없는 고도화 분해 기술

-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성능 복원 기술

- 코어의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Reverse

engineering) 기술

- 유압 및 동력 관련 부품의 수명 연장 기술

- 재제조 제품의 친환경 도장 기술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생산 시스템 구축

- 사용 후 코어의 상태 진단 및 세척 시스템 구축

- 재제조를 위한 마모 및 개조 부품 설계 및 생

산 공정 설계

- 재제조 생산 공정별 JIG amp Fixture 설계 및 개발

- 사용 후 완성차 및 코어의 회수 체계 구축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품질 평가 기술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맞춤형 품질 평가 장비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품질 평가 기준 개발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개발

bull 재제조품 양산 성능 평가 기술

bull 재제조품 양산 내구 확보 진단 기술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검사 시스템 개발

- 사용 후 건설기계 성능 상태 진단 검사 기술

- 재제조 양산 건설기계sdot부품 검사 체계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 건설기계 재제조 대상 품목 발굴 및 범위 선정

- 품목별 재제조 품질인증기준(안) 개발

- 재제조 가이드라인 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협력 및 보급sdot제도

개선

- 국내외 건설기계 재제조 시장 및 기술 동향

실태 조사 분석(해외 주요 국가에 미국 유럽

일본 등을 포함)

- 재제조산업 정책 및 제도 조사 분석

- 재제조 기술 개발의 재제조 시장에 대한 파급

효과 분석

-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시스템 마련

- 선진 재제조 기술 벤치마킹 및 관련 기관과

협력체제 마련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발전 전략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개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0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200 h 600 h 이상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000 h 500 h 이상

Table 2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완성차 기준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내구 시험(B10) h 2000 1000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내구 시험(B10) h 1800 900

Table 3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부품 기준

연도

건설기계명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rsquo14 rsquo15 rsquo16 rsquo176

총계 374904 387988 400307 414658 430094 445722 455399 478243

1 불도저 4262 4190 4125 4049 3972 3880 3792 3761

2 굴삭기 117306 121847 126065 130449 133388 136244 138064 143247

3 로더 16686 17325 18267 19403 20624 21979 22470 23747

4 지게차 125107 132975 140455 147798 156612 164983 168585 177163

5 스크레이퍼 19 19 22 22 21 21 21 21

6 덤프트럭 54981 55695 55029 54436 54395 55023 57021 60296

7 기중기 8633 8681 8770 9049 9410 9758 9932 10471

8 모터그레이더 784 784 788 779 768 753 743 724

9 롤러 6149 6277 6343 6384 6397 6417 6408 6454

10 노상안정기 1 1 1 1 1 1 1 1

11 콘크리트뱃칭플랜트 40 42 43 45 52 52 54 77

12 콘크리트피니셔 131 129 126 125 124 125 123 141

13 콘크리트살포기 4 4 4 4 4 4 4 4

14 콘크리트믹서트럭 22179 21493 21616 22146 23179 23785 24809 26257

15 콘크리트펌프 5044 5104 5230 5475 5816 6370 6442 6885

16 아스팔트믹싱플랜트 12 11 11 9 7 7 7 4

17 아스팔트피니셔 781 795 806 835 869 903 911 933

18 아스팔트살포기 90 84 80 78 82 81 83 85

19 골재살포기 1 1 1 1 1 1 1 1

20 쇄석기 426 415 419 421 426 421 415 414

21 공기압축기 4299 4265 4251 4232 4333 4546 4485 4499

22 천공기 3261 3371 3454 4290 4820 5013 5052 5361

23 항타 및 항발기 667 697 729 747 770 808 831 910

24 자갈채취기 36 38 33 32 29 26 26 22

25 준설선 251 244 235 237 231 228 223 211

26 특수건설기계 431 468 504 538 592 620 625 645

27 타워크레인 3323 3033 2900 3073 3171 3673 4271 5909

Table 4 국내 건설기계 등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1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만

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산업 조기 활성화를 촉

진시킬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추진되어야

한다

1)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

개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Figure 3)

1차 경북 경산시 추진 중(Figure 1)

2차 호남권(광주광역시 나주시) 수도권(경

기 김포시) 등과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

문 단지 구축(7개년 계획으로 추진 완성)

- 지역별 재제조 모범 선도 기업육성

- 권역별 재제조 전문 단지 입주 기업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 센터 구축

Figure 1 경북 경산시 건설기계 전문 단지 조성 조감도

Figure 2 품질 체계 FLOW

Figure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전략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2: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사용 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시장

21 국내amp해외건설기계sdot부품 시장 현황 및 전망

985172재제조산업은 선진국 특히 미국과 EU 국가들

을 중심으로 발전되어왔으며 특히 재제조 분야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국내는 자동차 부

품 재제조와 더불어 신산업 창출 분야이다

bull 미국 재제조 시장은 약 430억 달러 규모

bull 유럽의 재제조 시장은 약 390억 달러 규모

bull 국내 재제조 시장규모는 083조원 규모985173재제조(Remanufacturing)는 사용 후 제품이나

부품을 회수하여 분해 세척 검사 보수sdot조정 재

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원래의 성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재제조산업은

자원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 대체로 공정과

정에서 노동집약적 특성으로 인해 고용 창출 효과

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제품과 동일한 품질

의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므

로 신제품 시장 및 중고 제품과는 다른 새로운 시

장을 창출한다

재제조산업에 있어서 가장 앞선 미국은 자발적

인 시장수요에 의해 1920년대부터 재제조산업이

형성되었다 연방무역위원회는 1998년 재제조 기

업이 제품에 lsquoRemanufactured in the USArsquo라고 표

시하는 것을 규정하였다 미국무역위원회자료에

의하면 재제조시장 규모(2011년)는 약 430억 달러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규모별로 보면

항공기 HDOR (Heavy Duty amp Off ndashRoad

Vehicles) 자동차 부품 기계류 IT제품 등의 순으

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은 타 국가와의 무역장벽

을 최소화하여 자국의 재제조품 수출 강화 노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유럽국가들도 재제조를 자원 보전 비용 절감

환경 보호 등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

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EC지침을 통해 유럽 내

재제조 시장의 형성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유럽

주요국들의 재제조시장 규모는 약 300억 유로수준

으로 조사되었으며(ERN 2015) 국가별로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항공sdot우주분야가 124억 유로 자

동차 74억 유로 HDOR 41억 유로 전기sdot전자 31

억 유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able 1은 세계주요 건설기계 업체별 재

제조 특징을 비교하였다

22 국내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기술 개발 현황

과 추진 내용

국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기술 개발에 대한

본격적인 시작은 2016년 6월 건설기계sdot부품 재

제조 협회가 창립되어 정부 지원 RampD 사업을 통

한 국내 생산이 많은 굴삭기 및 지게차부터 협회

가 주도하여 다음과 같은 재제조 기술 개발을 추

업체명(국적) 생산품목과 주요 특징 비고

캐터필라

(미국)

∙ 건설기계 종합 생산 기업으로서 세계시장 1위이며 재제조 분야에서도 선두 주자임∙ 2013년을 기점으로 2020년까지 매출의 20를 재제조사업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미국 유럽 인도 브라질 싱가포르 등에 재제조 공장이 있음

코마츠

(일본)

∙ 굴삭기 로더 등 30여 종의 기종을 생산하고 있음∙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서 재제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 한해 전문 재제조 중소

기업과 협력하여 생산하고 있음

Wealdstone ENG(영국)

∙ 유럽 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건설기계 및 캐터필라 장비에 대한 재제조 전문 기업

볼보

(스웨덴)

∙ 굴삭기 광산 건설기계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재제조은 신품 대비 65 가격의 가이드라인을

책정하여 판매하고 있음∙ 스웨덴 미국 브라질 인도 등에 8개 재제조공장이 있으며 약 450명이 근무하고 있음∙ 보증 기간은 1년으로 하고 있음

Table 1 세계 주요 건설기계 업체별 재제조 특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39

진 중에 있다

221 건설기계 완성차sdot부품의 재제조 기술

개발

1) 재제조 완성차 신차 대비 성능 90 이상 품

질 수준 확보(Table 2)

- 중형급(14~32톤) 굴삭기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2) 재제조 부품 신품 대비 성능 95 이상 품질

수준 확보(Table 3)

- 중형급(14~32톤) 굴삭기의 주요 기능 부품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의 주요 기능 부품

기술 개발 대상 품목

- 중형급(14~32톤) 굴삭기 트랜스미션 엑슬

MCV Swivel Joint 실린더 유압모터 유압

펌프 등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트랜스미션 엑

슬 실린더 Mast MCV 드라이브 모터 파워

모터 스타트 모터 제너레이터 브레이크 밸

브 유압모터 등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및

기술 보급sdot확산

1)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 체계 확대

2)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추진

222 확보 기술 개발 내용

국내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Table 4) 및

코어의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개발

- 코어의 손상 없는 고도화 분해 기술

-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성능 복원 기술

- 코어의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Reverse

engineering) 기술

- 유압 및 동력 관련 부품의 수명 연장 기술

- 재제조 제품의 친환경 도장 기술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생산 시스템 구축

- 사용 후 코어의 상태 진단 및 세척 시스템 구축

- 재제조를 위한 마모 및 개조 부품 설계 및 생

산 공정 설계

- 재제조 생산 공정별 JIG amp Fixture 설계 및 개발

- 사용 후 완성차 및 코어의 회수 체계 구축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품질 평가 기술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맞춤형 품질 평가 장비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품질 평가 기준 개발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개발

bull 재제조품 양산 성능 평가 기술

bull 재제조품 양산 내구 확보 진단 기술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검사 시스템 개발

- 사용 후 건설기계 성능 상태 진단 검사 기술

- 재제조 양산 건설기계sdot부품 검사 체계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 건설기계 재제조 대상 품목 발굴 및 범위 선정

- 품목별 재제조 품질인증기준(안) 개발

- 재제조 가이드라인 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협력 및 보급sdot제도

개선

- 국내외 건설기계 재제조 시장 및 기술 동향

실태 조사 분석(해외 주요 국가에 미국 유럽

일본 등을 포함)

- 재제조산업 정책 및 제도 조사 분석

- 재제조 기술 개발의 재제조 시장에 대한 파급

효과 분석

-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시스템 마련

- 선진 재제조 기술 벤치마킹 및 관련 기관과

협력체제 마련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발전 전략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개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0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200 h 600 h 이상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000 h 500 h 이상

Table 2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완성차 기준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내구 시험(B10) h 2000 1000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내구 시험(B10) h 1800 900

Table 3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부품 기준

연도

건설기계명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rsquo14 rsquo15 rsquo16 rsquo176

총계 374904 387988 400307 414658 430094 445722 455399 478243

1 불도저 4262 4190 4125 4049 3972 3880 3792 3761

2 굴삭기 117306 121847 126065 130449 133388 136244 138064 143247

3 로더 16686 17325 18267 19403 20624 21979 22470 23747

4 지게차 125107 132975 140455 147798 156612 164983 168585 177163

5 스크레이퍼 19 19 22 22 21 21 21 21

6 덤프트럭 54981 55695 55029 54436 54395 55023 57021 60296

7 기중기 8633 8681 8770 9049 9410 9758 9932 10471

8 모터그레이더 784 784 788 779 768 753 743 724

9 롤러 6149 6277 6343 6384 6397 6417 6408 6454

10 노상안정기 1 1 1 1 1 1 1 1

11 콘크리트뱃칭플랜트 40 42 43 45 52 52 54 77

12 콘크리트피니셔 131 129 126 125 124 125 123 141

13 콘크리트살포기 4 4 4 4 4 4 4 4

14 콘크리트믹서트럭 22179 21493 21616 22146 23179 23785 24809 26257

15 콘크리트펌프 5044 5104 5230 5475 5816 6370 6442 6885

16 아스팔트믹싱플랜트 12 11 11 9 7 7 7 4

17 아스팔트피니셔 781 795 806 835 869 903 911 933

18 아스팔트살포기 90 84 80 78 82 81 83 85

19 골재살포기 1 1 1 1 1 1 1 1

20 쇄석기 426 415 419 421 426 421 415 414

21 공기압축기 4299 4265 4251 4232 4333 4546 4485 4499

22 천공기 3261 3371 3454 4290 4820 5013 5052 5361

23 항타 및 항발기 667 697 729 747 770 808 831 910

24 자갈채취기 36 38 33 32 29 26 26 22

25 준설선 251 244 235 237 231 228 223 211

26 특수건설기계 431 468 504 538 592 620 625 645

27 타워크레인 3323 3033 2900 3073 3171 3673 4271 5909

Table 4 국내 건설기계 등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1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만

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산업 조기 활성화를 촉

진시킬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추진되어야

한다

1)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

개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Figure 3)

1차 경북 경산시 추진 중(Figure 1)

2차 호남권(광주광역시 나주시) 수도권(경

기 김포시) 등과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

문 단지 구축(7개년 계획으로 추진 완성)

- 지역별 재제조 모범 선도 기업육성

- 권역별 재제조 전문 단지 입주 기업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 센터 구축

Figure 1 경북 경산시 건설기계 전문 단지 조성 조감도

Figure 2 품질 체계 FLOW

Figure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전략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3: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39

진 중에 있다

221 건설기계 완성차sdot부품의 재제조 기술

개발

1) 재제조 완성차 신차 대비 성능 90 이상 품

질 수준 확보(Table 2)

- 중형급(14~32톤) 굴삭기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2) 재제조 부품 신품 대비 성능 95 이상 품질

수준 확보(Table 3)

- 중형급(14~32톤) 굴삭기의 주요 기능 부품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의 주요 기능 부품

기술 개발 대상 품목

- 중형급(14~32톤) 굴삭기 트랜스미션 엑슬

MCV Swivel Joint 실린더 유압모터 유압

펌프 등

- 중sdot소형급(15~5톤) 지게차 트랜스미션 엑

슬 실린더 Mast MCV 드라이브 모터 파워

모터 스타트 모터 제너레이터 브레이크 밸

브 유압모터 등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및

기술 보급sdot확산

1)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 체계 확대

2)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추진

222 확보 기술 개발 내용

국내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Table 4) 및

코어의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개발

- 코어의 손상 없는 고도화 분해 기술

-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 완성차 및 코어의 성능 복원 기술

- 코어의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Reverse

engineering) 기술

- 유압 및 동력 관련 부품의 수명 연장 기술

- 재제조 제품의 친환경 도장 기술

사용 후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생산 시스템 구축

- 사용 후 코어의 상태 진단 및 세척 시스템 구축

- 재제조를 위한 마모 및 개조 부품 설계 및 생

산 공정 설계

- 재제조 생산 공정별 JIG amp Fixture 설계 및 개발

- 사용 후 완성차 및 코어의 회수 체계 구축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및 코어의 재제조

품질 평가 기술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맞춤형 품질 평가 장비 개발

- 재제조 완성차sdot부품 품질 평가 기준 개발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개발

bull 재제조품 양산 성능 평가 기술

bull 재제조품 양산 내구 확보 진단 기술

재제조 건설기계 완성차 검사 시스템 개발

- 사용 후 건설기계 성능 상태 진단 검사 기술

- 재제조 양산 건설기계sdot부품 검사 체계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개발

- 건설기계 재제조 대상 품목 발굴 및 범위 선정

- 품목별 재제조 품질인증기준(안) 개발

- 재제조 가이드라인 개발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협력 및 보급sdot제도

개선

- 국내외 건설기계 재제조 시장 및 기술 동향

실태 조사 분석(해외 주요 국가에 미국 유럽

일본 등을 포함)

- 재제조산업 정책 및 제도 조사 분석

- 재제조 기술 개발의 재제조 시장에 대한 파급

효과 분석

- 건설기계 재제조 기술 보급sdot확산 시스템 마련

- 선진 재제조 기술 벤치마킹 및 관련 기관과

협력체제 마련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발전 전략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개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0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200 h 600 h 이상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000 h 500 h 이상

Table 2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완성차 기준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내구 시험(B10) h 2000 1000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내구 시험(B10) h 1800 900

Table 3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부품 기준

연도

건설기계명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rsquo14 rsquo15 rsquo16 rsquo176

총계 374904 387988 400307 414658 430094 445722 455399 478243

1 불도저 4262 4190 4125 4049 3972 3880 3792 3761

2 굴삭기 117306 121847 126065 130449 133388 136244 138064 143247

3 로더 16686 17325 18267 19403 20624 21979 22470 23747

4 지게차 125107 132975 140455 147798 156612 164983 168585 177163

5 스크레이퍼 19 19 22 22 21 21 21 21

6 덤프트럭 54981 55695 55029 54436 54395 55023 57021 60296

7 기중기 8633 8681 8770 9049 9410 9758 9932 10471

8 모터그레이더 784 784 788 779 768 753 743 724

9 롤러 6149 6277 6343 6384 6397 6417 6408 6454

10 노상안정기 1 1 1 1 1 1 1 1

11 콘크리트뱃칭플랜트 40 42 43 45 52 52 54 77

12 콘크리트피니셔 131 129 126 125 124 125 123 141

13 콘크리트살포기 4 4 4 4 4 4 4 4

14 콘크리트믹서트럭 22179 21493 21616 22146 23179 23785 24809 26257

15 콘크리트펌프 5044 5104 5230 5475 5816 6370 6442 6885

16 아스팔트믹싱플랜트 12 11 11 9 7 7 7 4

17 아스팔트피니셔 781 795 806 835 869 903 911 933

18 아스팔트살포기 90 84 80 78 82 81 83 85

19 골재살포기 1 1 1 1 1 1 1 1

20 쇄석기 426 415 419 421 426 421 415 414

21 공기압축기 4299 4265 4251 4232 4333 4546 4485 4499

22 천공기 3261 3371 3454 4290 4820 5013 5052 5361

23 항타 및 항발기 667 697 729 747 770 808 831 910

24 자갈채취기 36 38 33 32 29 26 26 22

25 준설선 251 244 235 237 231 228 223 211

26 특수건설기계 431 468 504 538 592 620 625 645

27 타워크레인 3323 3033 2900 3073 3171 3673 4271 5909

Table 4 국내 건설기계 등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1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만

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산업 조기 활성화를 촉

진시킬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추진되어야

한다

1)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

개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Figure 3)

1차 경북 경산시 추진 중(Figure 1)

2차 호남권(광주광역시 나주시) 수도권(경

기 김포시) 등과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

문 단지 구축(7개년 계획으로 추진 완성)

- 지역별 재제조 모범 선도 기업육성

- 권역별 재제조 전문 단지 입주 기업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 센터 구축

Figure 1 경북 경산시 건설기계 전문 단지 조성 조감도

Figure 2 품질 체계 FLOW

Figure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전략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4: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0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성능 시험 100 90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200 h 600 h 이상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완성차 내구 시험(MTBF) h 1000 h 500 h 이상

Table 2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완성차 기준

핵심기술제품 성능지표 단위 신품 기준 달성 목표

1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2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성능 시험 100 95 이상

3 중형급 굴삭기 재제조 부품내구 시험(B10) h 2000 1000

4 중sdot소형급 지게차 재제조 부품 내구 시험(B10) h 1800 900

Table 3 기술개발 주요 성능 개발 목표부품 기준

연도

건설기계명 rsquo10 rsquo11 rsquo12 rsquo13 rsquo14 rsquo15 rsquo16 rsquo176

총계 374904 387988 400307 414658 430094 445722 455399 478243

1 불도저 4262 4190 4125 4049 3972 3880 3792 3761

2 굴삭기 117306 121847 126065 130449 133388 136244 138064 143247

3 로더 16686 17325 18267 19403 20624 21979 22470 23747

4 지게차 125107 132975 140455 147798 156612 164983 168585 177163

5 스크레이퍼 19 19 22 22 21 21 21 21

6 덤프트럭 54981 55695 55029 54436 54395 55023 57021 60296

7 기중기 8633 8681 8770 9049 9410 9758 9932 10471

8 모터그레이더 784 784 788 779 768 753 743 724

9 롤러 6149 6277 6343 6384 6397 6417 6408 6454

10 노상안정기 1 1 1 1 1 1 1 1

11 콘크리트뱃칭플랜트 40 42 43 45 52 52 54 77

12 콘크리트피니셔 131 129 126 125 124 125 123 141

13 콘크리트살포기 4 4 4 4 4 4 4 4

14 콘크리트믹서트럭 22179 21493 21616 22146 23179 23785 24809 26257

15 콘크리트펌프 5044 5104 5230 5475 5816 6370 6442 6885

16 아스팔트믹싱플랜트 12 11 11 9 7 7 7 4

17 아스팔트피니셔 781 795 806 835 869 903 911 933

18 아스팔트살포기 90 84 80 78 82 81 83 85

19 골재살포기 1 1 1 1 1 1 1 1

20 쇄석기 426 415 419 421 426 421 415 414

21 공기압축기 4299 4265 4251 4232 4333 4546 4485 4499

22 천공기 3261 3371 3454 4290 4820 5013 5052 5361

23 항타 및 항발기 667 697 729 747 770 808 831 910

24 자갈채취기 36 38 33 32 29 26 26 22

25 준설선 251 244 235 237 231 228 223 211

26 특수건설기계 431 468 504 538 592 620 625 645

27 타워크레인 3323 3033 2900 3073 3171 3673 4271 5909

Table 4 국내 건설기계 등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1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만

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산업 조기 활성화를 촉

진시킬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추진되어야

한다

1)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

개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Figure 3)

1차 경북 경산시 추진 중(Figure 1)

2차 호남권(광주광역시 나주시) 수도권(경

기 김포시) 등과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

문 단지 구축(7개년 계획으로 추진 완성)

- 지역별 재제조 모범 선도 기업육성

- 권역별 재제조 전문 단지 입주 기업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 센터 구축

Figure 1 경북 경산시 건설기계 전문 단지 조성 조감도

Figure 2 품질 체계 FLOW

Figure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전략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5: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1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만

이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산업 조기 활성화를 촉

진시킬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추진되어야

한다

1) 지역 거점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한 전국 6

개 권역별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Figure 3)

1차 경북 경산시 추진 중(Figure 1)

2차 호남권(광주광역시 나주시) 수도권(경

기 김포시) 등과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전

문 단지 구축(7개년 계획으로 추진 완성)

- 지역별 재제조 모범 선도 기업육성

- 권역별 재제조 전문 단지 입주 기업 기술 및

비즈니스 지원 센터 구축

Figure 1 경북 경산시 건설기계 전문 단지 조성 조감도

Figure 2 품질 체계 FLOW

Figure 3 재제조산업의 활성화 전략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6: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2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2)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품질인증체계 구축

- Figure 2은 KS품질 인증 규격 재정에 적합한

재제조 품질 관리 체계 FLOW를 정리해보았다

3)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

축 및 수출지원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 해외 마케팅 체계

구축 및 수출지원을 위해서 Figure 4와 같이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를

갖추고 Figure 5처럼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에 대한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을 갖추어야 한다 이럴 경우 Table 5와 같

이 해당 산업에 대한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

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 관련 유관 기관과의 해외 수출 협력 지원 체계도

Figure 5 국내 주요 재제조 기종 해외 주요 국가별 수출처 및 판매망 구축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7: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3

4) 건설기계sdot부품 재제조기업과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체계 구축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재제조산업 활성화에

대한 상생 협력(MOU체결 및 음성적 재제조

기업 양성화 논의)

- 국내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및 지역 거점 기

반 구축 사업으로 재제조에 대한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Table 6과 같이 국내 재제조 기

술 수준도 선진국과 동등 수준으로 발전하여

부가가치 있고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 될 것

으로 판단된다

4 건설기계 부품 재제조산업 활성화 효과

41 건설기계 부품 전문 단지 육성 효과

시범적으로 2개 권역을 전문 단지로 구축하

여 추진한다면 국제적인 재제조 단지로서의

HUB역할은 물론 Table 7과 같이 경제적인

구분 (t-4)년 (t-3)년 (t-2)년 (t-1)년 t년 비고

수출

국내 총수출 5176 5365 4420 4345 3215

해당산업 수출 107 106 114 121 132

비중 206 197 258 278 410

생산

국내 총생산 73990 74570 61635 58164 51090

해당산업 생산 3717 3633 3666 3385 3354

비중 502 487 595 582 656

고용

국내 총종업원 29832 30452 31200 31770 32352

해당산업 종업원 4520 4660 4700 5375 5720

비중 151 153 150 169 177

굴삭기 지게차 기준

출처 건설기계산업 정책 연구 중 세계 재제조산업의 현황 및 대응방안 전략기술경영연구원 2015

Table 5 해당산업의 경제적 비중(국내지역) (단위 백만불 억 원 )

분야 기술항목

현재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수준

부족다소

부족동등 우월

보다

우월

재제조 단계별

공정 기술

고도화 분해 기술 친환경 고효율 세척 기술 상태 진담 및 복원 기술

대체 요소 부품 역설계공학 기술 친환경 도장 기술

재제조 생산 시스템

코어의 상태 진단 기술 재제조 부품 및 생산공정 설계 기술

JIG amp FIX 설계 및 제작 기술 재제조 품질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굴삭기 지게차) 시험 장비 설계제작 성능내구 시험평가 기술

완성차sdot부품 검사 시스템 설계제작 재제조 품질평가시스템 재제조 제품 품질인증 시스템

Table 6 선진국 대비 국내 재제조 기술 수준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8: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44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2017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균형있는 재제조산업 발전을 위하여

총 6개 권역으로 재제조 전문 단지 구축을

시도 하여야 하며 완성 시 효과는 다음과 같

이 예상된다

- 신규 고용 창출 5000명 이상

- 고용 인원 21600명 이상

- 재제조 매출액 54조 원

노후 건설기계의 안전성 확보로 재난재해로

부터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함(Figure 6)

① 인적 물적 사회적 손실 금액 (7년) = 632명

times 12억명 = 7584억 원

② 인적 물적 사회적 년간 평균 손실 금액 =

(632명7년) times 12억명 = 1080억

재제조산업은 대체로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고용창출 효과(Figure 7)가 소

비재 산업과 비슷한 수준이며 철강 산업의

2배를 상회함

재제조는 또한 신제품과 같은 품질과 성능을 갖

춘 제품을 신제품보다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 기회

를 확대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질 것

으로 추산하고 있다

5 맺음말

우리나라의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에 종사하는 기

업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

규모 기업은 대략 1000여 개 기업 이상으로 추정되

사업 기간 (2017년-현재) (2019~2020년) (2022년)

재제조 품질 검사 기관 0개 1개(3) 1개(6)

재제조 대상 기종(완성차) 확대 2기종 11기종 27기종

재제조 대상 고시 품목(부품)확대 3품목 30품목 43품목

재제조 기술수준(선진국 대비) 50 90 100

재제조 선도 기업 육성(전국) 2개사 9개사 30개사

재제조 회원 기업수 확대(전국) 30개사 100개사 200개사

재제조 전문 단지 조성 3만 평 6만 평 10만 평

신규 고용 창출 인원(직접) 0명 740명 1600명

고용 인원 1260명 3200명 7200명

재제조 매출액 3800억 원 8000억 원 18조 원

Table 7 2개 권역 기반 구축 시 기준 효과

7년간 (rsquo09~rsquo15) 간 전체 건설기계 안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632명(2016년 산업안전관리공단)

Figure 6 건설기계sdot장비 관련 사망재해발생 현황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

Page 9: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기획특집: …기획특집: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위한 재제조 기술 38 공업화학 전망, 제20권 제5호,

국내 건설기계 재제조산업의 발전전략

KIC News Volume 20 No 5 2017 45

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이 수리 보수하는 수준이

며 건설기계의 재제조(유지보수 포함) 시장은 신규

시장 대비 약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국내 재제조 시장은 2015년 기준 3800억 원 시장

규모로 추정된다 신제품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 원

재료 등 생산요소의 상당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요소생산성 극대화가 가능하다(원재료 저감률은

70 내외)

- 재제조 주력 제품은 굴삭기 로더 지게차가

주종이며 관련 부품은 엔진 TM AXLE 유

압펌프 유압 모터 MCV 감속기 유압 실린

더 전장 용접구조물 등 국내 재제조 기술수

준은 공정 순서에 따라 ① 수집sdot분류 ② 분해 ③ 세척 ④ 검사 ⑤ 보수sdot조정 ⑥ 재조

립 등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시설

검사장비 부족 등으로 체계적인 작업 이행이

어려운 실정으로 선진국에 비해 재제조 품질

이 떨어져 재제조가 수행되지 않은 코어 상태

로 수출 또는 폐기되고 있다 재제조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필

요 부품에 대한 설계 가공 및 성능 시험 기술

이 필요하나 이러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기

업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 재제조 작업

실태는 재제조 표준공정이 확립되어 있지 않

고 품질관리가 미흡한 실정으로 재제조 제품

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정을 지역 거점기반 인

프라구축 사업을 통하여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전문 단지를 구축하여 선진국의 기술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환경 개선 자원 절약

신규 고용 창출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조속

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한국 건설기계 산업 협회의 건설기계 생산 및

수출 관련 통계 (2016)

2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의 자원 순환 기술 동향

(2017)

3 한국 산업 안전 관리 공단 산업 재해 현황

(2016)

4 국토 교통부 건설기계 국내 등록 및 폐기현황

(2017)

5 산업 은행 건설기계 특화 단지 구축 보고서

(2011)

6 산업 연구원 우리나라 재제조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7)

7 전력 기술 연구원 건설기계 산업 정책 연구

보고서 (2015)

8 R T Lund ldquoRemanufacturing Industry

Hidden Giantldquo Boston University (1996)

최 병 운1983 조선대학교 공학 학사

1985 조선대학교 공학 석사

1985~1999 기아자동차 (주) 과장

2000~2003 프라임포텍(주) 부장

2003~2011 성보 PampT (주) 연구소장 상무

2012~2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협력단장

2016~현재 한국건설기계부품 재제조협회

상근이사기술본부장

2017 석탑 산업 훈장 수훈

(부품 소재 기술상)

Figure 7 미국의 산업별 매출액과 고용인원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