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ISSN 2287-3708(Print) ISSN 2287-3716(Onli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3; 38(2): 23-35 Corresponding Author: Kyoung Ok 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sung University, 1 Dahak-ro, Jungmi-myung, Dangjin, Chungnam 343-861, Korea. Tel:+82-41-350-1499 E-mail: [email protected] [접수일: 2013년 07월 31일, 수정일: 2013년 11월 07일, 게재확정일: 2013년 11월 25일] Abstract Kyoung Ok Yun 윤경옥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sung University 신성대학교 치위생과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related to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the refresher training conference held by the Daejeon City Commission in October 2012. A total of 17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Cross-tabulation analysis (χ2) which significance level was 0.05 was applied to the data in order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urvey method. Results: In terms of compliance with general routine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in dental office,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who chose the answer ‘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 for apparatus washing’ was the largest (77.7%), 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chose the answer ‘always pretreat apparatus with disinfection solutions’ was equivalent to 49.1%. Regarding disinfection to the surface of dental unit chair and waterline, the respondents who chose the answer ‘I sometimes perform surface disinfec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64.3%, and those who chose the answer ‘I do not cover surfaces’ accounted for 43.3%. Conclusions: Based upon the findings summariz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preventive and proactive actions made and taken by dental hygienists for the sake of dental infection control contribute greatly to preventing nosocomial cross infections and providing safer hospital settings for both patients and dental care professionals. Keywords: Dental hygienist, Dental infection, Dental waterline, Surface disinfection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ISSN 2287-3708(Print) ISSN 2287-3716(Online)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2013; 38(2): 23-35

† Corresponding Author: Kyoung Ok 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sung University, 1 Dahak-ro, Jungmi-myung, Dangjin, Chungnam 343-861, Korea. Tel:+82-41-350-1499 E-mail: [email protected]

[접수일: 2013년 07월 31일, 수정일: 2013년 11월 07일, 게재확정일: 2013년 11월 25일]

Abstract

Kyoung Ok Yun†

윤경옥†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sung University

신성대학교 치위생과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related to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offic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the refresher training conference held by the Daejeon City Commission in October 2012. A total of 17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Cross-tabulation analysis (χ2) which significance level was 0.05 was applied to the data in order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urvey method.

Results: In terms of compliance with general routine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in dental office,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who chose the answer ‘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 for apparatus washing’ was the largest (77.7%), 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chose the answer ‘always pretreat apparatus with disinfection solutions’ was equivalent to 49.1%. Regarding disinfection to the surface of dental unit chair and waterline, the respondents who chose the answer ‘I sometimes perform surface disinfec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64.3%, and those who chose the answer ‘I do not cover surfaces’ accounted for 43.3%.

Conclusions: Based upon the findings summarized above, it is concluded that preventive and proactive actions made and taken by dental hygienists for the sake of dental infection control contribute greatly to preventing nosocomial cross infections and providing safer hospital settings for both patients and dental care professionals.

Keywords: Dental hygienist, Dental infection, Dental waterline, Surface disinfection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dex in Dental Office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Page 2: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24

1. 서 론

치과진료실 감염관리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

되고 있다. 이는 감염에 취약하고 면역력이 약

한 환자와 소아·노인 등의 환자들이 동시에 혼

재되어 있어 치과이용 자체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1]. 또한 치과진

료의 특성상 진료 시술자의 손이 환자 입안에 직

접 접촉하는 상황들이 많기 때문에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2]. 병원 내 감

염위험을 줄이는 것은 환자뿐만 아니라 병원 내

직원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감염

에 대해 우리 신체는 피부나 점막과 같은 물리적

인 방벽이나 수동 또는 능동면역에 의해 미생물

의 침입에 대해 방어를 하고 있으나,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들이나 감염성 질환에 노출

되어 있는 의료종사자들은 원내감염이나 기회감

염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

을 마련해야한다 [3].

구강 내에 발생되는 대부분의 질환은 세균, 곰

팡이,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다.

감염의 원인균들은 치아주위조직에 분포되어 있

는 혈관망을 통해 우리 몸 신체내부의 장기들과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어 구강 내 미생물과 관련

된 치과치료를 수행하는 치과관련 종사자들은

감염예방에 대해 많은 주의를 가져야한다 [4].

특히 국민의 구강건강을 담당하는 치과위생사들

에게 치과 진료실에서 감염관리 실천의 중요성

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치과 종사자들을 감염성 질환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국가

적 수준에서 권장사항과 규제를 마련하여 치과

의료기관 감염관리를 관장하고 있다 [4]. 미국

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2003년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감염관리(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

care setting) 지침서를 제정하여 병원 내에서

환자와 직원을 보호하고 의료의 질과 안전을 위

해 감염관리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CDC나 미

국치과의사협회(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를 중심으로 치과 의료기관의 감염관리도

환자와 직원에게 병원 노출에 대한 안전한 치

과처치를 강조하여 표준지침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또한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에

서도 근로자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 활동

을 보장하고 인적자원을 보호하고자 치과 의료

기관 종사자에 대한 강력한 안전기준을 제시하

고 이에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5].

우리나라는 2006년 7월 보건복지부에서 치

과진료실 감염관리 기준을 발표하여 치과 진료

실에서 사용되는 치과진료기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멸균 등의 취급을 정하고 이를 실천하여

진료실의 위생수준을 향상시키고 치과진료실에

서의 교차 감염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2007년

12월에 대한치과의사협회에서 CDC 지침서 및

OSHA의 규제를 참조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치

과 의료기관 감염관리프로그램을 발표하여 환

자와 치과 종사자들의 건강보호를 목적으로 감

염관리, 직무안전, 감염성 폐기물(의료폐기물)

의 취급 등을 규정하여 치과 진료실의 감염을

예방하고 억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

로 국내 치과 의료기관의 감염관리는 매우 열악

한 수준에 머물러 있고 실제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이 필요한 실용적인 감염관

리방법을 찾기는 쉽지 않아 임상현장에서 적극

적으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근

거가 명확하고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

적인 치과감염관리방법과 치과감염관리 프로그

램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또한 국내 치과 의료

기관 감염관리에 대한 평가제도는 법적인 의무

도 없어 제도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치과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필요성과 문제점이 제기

되어왔다 [6]. 치과진료실에서 환자와 치과 의

Page 3: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25

과진료실 감염관리기준을 수정, 보완하여 이용

하였으며 치과 유닛 체어 표면 및 수관 감염관

리 실천정도는 Shin [8]의 치과 의료기관 평가인

준 중 감염관리지표를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

과 취지에 맞게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Cronbach’s α 는

0.84로 나타났다.

3)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의

실천정도, 치과 유닛 체어 및 수관 감염관리 실

천의 빈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

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간 및 감염교육

여부에 따른 감염방지 실천과 치과 유닛 체어

표면 및 수관관리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

차분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

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 수준은 0.05이

었다.

3. 연구 결과

1)연구대상자의일반현황

연구대상자는 171명이었다. 근무처의 규모는

치과의원급이 78.4% (135명)로 높았으며, 치과

병원급 21.6% (37명)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은

1년 미만이 20.5% (35명), 1년 이상∼3년 미만

26.3% (45명), 3년 이상∼5년 미만 22.2% (38

명), 5년 이상 31.0% (53명)로 나타났다. 치과 감

염관리 교육에 대한 경험은 78.4% (134명)가 있

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21.6% (37명)는 없는 것

으로 응답하였다 (Table 1).

료종사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는 수준의 감

염관리가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와 의료기관, 교

육기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무엇보

다도 임상현장에서 감염관리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치과 의료종사자의 적극적 인식과 실천이

요구되고 있다 [7].

따라서 본 연구는 치과진료실의 오염실태에

대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감염관리를 위한 구

체적인 관리기준이나 감염관리 지침이 마련되

어 있지 않으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치과 진료실

감염예방 노력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치과

진료 시 발생가능한 감염의 위험성을 파악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줄여 치과 의료기관에서 감염

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1)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2년 10월 현재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은 편의추출방법으로 하여 대전시회 보수교

육자 치과위생사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

하고 동의한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

였으며, 186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

는 자기기입방식으로 작성하였고 불성실한 15명

의 설문지를 제외한 171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2)연구도구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설문문항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근무처, 근무경력, 교육경험이 3문항,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지표 7문항, 표면소독 등

에 관한 6문항으로 총 16문항이었다. 이 중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의 일반적 준수사항 실천

정도는 2006년 7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치

Page 4: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26

항 실천은 기구 세척 시 보안경 및 에이프런 착

용을 안 한다가 77.7%로 가장 많았으며 가끔 한

다 14.0%, 항상 한다 8.2%이었고, 기구 소독액

전처리는 항상 한다 49.1%, 안 한다 32.8%, 가끔

한다 18.1%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구 세척 시 두

꺼운 고무장갑 착용은 항상 한다 81.3%, 가끔 한

다 9.4%, 안 한다 9.4%이었으며, 기구포장은 개

별포장 57.3%, 세트포장 22.2%, 안 한다 20.5%

의 순이었다. 인상체 및 교합체 소독을 안 한다

90.1%, 한다 9.9%이었고, 기공물 세척 및 소독

을 안 한다 57.9%, 한다 42.1%이었으며, 환자의

소공포 및 보안경 사용을 항상 한다 62.0%, 가

끔 한다 36.8%, 안 한다 1.2%의 순으로 나타났

다 (Table 2).

2)치과진료실감염관리지표

(1) 일반적 준수사항 실천 정도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지표 중 일반적 준수사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able 2. General routine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in dental office

Classification Variables N (%)Working place Dental hospitals 37 (21.6)

Dental clinics 135 (78.4)

Career Less than 1 year 35 (20.5)

1-2.99 year 45 (26.3)

3-4.99 year 38 (22.2)

More than 5 year 53 (31.0)

Education experience about infection control

Yes 134 (78.4)

No 37 (21.6)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Variables N (%)

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 during apparatus washing Always 14 (8.2)

Sometimes 24 (14.0)

Never 133 (77.7)

Pretreat apparatus with disinfection solutions Always 84 (49.1)

Sometimes 31 (18.1)

Never 56 (32.8)

Wear thick rubber gloves during apparatus washing Always 139 (81.3)

Sometimes 16 (9.4)

Never 16 (9.4)

Apparatus packaging Unitary packaging 98 (57.3)

Set packaging 38 (22.2)

Never 35 (20.5)

Impression bodies and occlusion bodies disinfection Yes 17 (9.9)

No 154 (90.1)

Wash and disinfect dental prostheses Yes 72 (42.1)

No 99 (57.9)

Use face drapes for patients and protective goggles Always 106 (62.0)

Sometimes 63 (36.8)

Never 2 (1.2)

Total 171 (100.0)

Page 5: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27

면덮개를 ‘항상 사용’, ‘가끔 사용’, ‘사용 않음’의

응답률이 치과병원급은 18.9%, 56.8% 및 24.3%

이고 치과의원급은 16.4%, 35.1% 및 48.5%로 조

사되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24) (Table 4).

(2)근무기간에따른실천정도

근무기간에 따른 실천 정도는 인상체 및 교합

체 소독을 ‘하지 않음’의 응답률이 근무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이 91.4%, 100.0%, 84.2%, 84.9%로 조사

되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p=0.045). 수관 물빼기는 ‘항상 한다’, ‘가

끔 한다’, ‘하지 않음’의 응답률이 근무기간 1년 미

만이 11.4%, 54.3%, 34.3%, 1년 이상~3년 미만

은 4.4%, 46.7%, 48.9%, 3년 이상~5년 미만은

7.9%, 50.0%, 42.1%, 5년 이상이 20.8%, 49.1%,

(2) 치과 유닛 체어 표면 및 수관 감염관리 실

천도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실천은 표면소독을 가

끔 한다가 64.3%로 가장 많았으며 항상 한다

20.5%, 안 한다 15.2%이었으며, 표면덮기는

안 한다 43.3%, 가끔 한다 39.8%, 항상 한다

1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수시스템은 사용

한다 88.9%, 안 한다 11.1%이었고, 수관물 빼기

는 가끔 한다 49.7%, 안 한다 38.6%, 항상 한다

11.7%이었다. 수관소독을 한다는 50.3%, 안 한

다 49.7%이었으며, 수관검사를 안 한다 49.1%,

업체에 의뢰한다 42.7%,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다 2.3%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3).

3)치과진료실감염관리지표의실천정도

(1) 병원규모에 따른 실천 정도

병원규모에 따른 실천 정도를 분석한 결과 표

Table 3. Disinfection to surface of dental unit chair and waterline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Variables N (%)Surface disinfection Always 35 (20.5)

Sometimes 110 (64.3)

Never 26 (15.2)

Cover surfaces Always 29 (17.0)

Sometimes 68 (39.8)

Never 74 (43.3)

Us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Yes 152 (88.9)

No 19 (11.1)

Drain water off dental waterlines Always 20 (11.7)

Sometimes 85 (49.7)

Never 66 (38.6)

Disinfect dental waterlines Yes 86 (50.3)

No 85 (49.7)

Test dental waterlines Microbial test 4 (2.3)

Referred to companies 73 (42.7)

Never 84 (49.1)

Others 10 (5.8)

Total 171 (100.0)

Page 6: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28

Requirements for infection prevention VariablesHospital size

p-valueDentalhospitals

Dentalclinics

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during apparatus washing

Always 3 (8.6) 11 (8.3)0.266Sometimes 8 (22.9) 16 (12.1)

Never 24 (68.6) 105 (79.5)Pretreat apparatus with disinfection solutions

Always 15 (42.9) 69 (53.5)0.420Sometimes 9 (25.7) 22 (17.1)

Never 11 (31.4) 38 (29.5)Wear thick rubber gloves duringapparatus washing

Always 32 (86.5) 107 (79.9)0.599Sometimes 2 (5.4) 14 (10.4)

Never 3 (8.1) 13 (9.7)Apparatus packaging Unitary packaging 25 (67.6) 73 (55.7)

0.301Set packaging 8 (21.6) 30 (22.9)Never 4 (10.8) 28 (21.4)

Impression bodies and occlusionbodies disinfection

Yes 5 (13.5) 12 (9.0)0.412

No 32 (86.5) 122 (91.0)Wash and disinfect dental prostheses Yes 14 (37.8) 58 (43.3)

0.553No 23 (62.2) 76 (56.7)

Use face drapes and protective goggles for patients

Always 28 (75.7) 78 (58.2)0.136Sometimes 9 (24.3) 54 (40.3)

Never 0 (0.0) 2 (1.5)Surface disinfection Always 6 (16.2) 29 (21.6)

0.232Sometimes 28 (75.7) 82 (61.2)No 3 (8.1) 23 (17.2)

Cover surfaces Always 7 (18.9) 22 (16.4) 0.024*Sometimes 21 (56.8) 47 (35.1)

No 9 (24.3) 65 (48.5)Us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Yes 30 (81.1) 122 (91.0)

0.088No 7 (18.9) 12 (9.0)

Drain water off dental waterlines Always 4 (10.8) 16 (11.9)0.836Sometimes 20 (54.1) 65 (48.5)

No 13 (35.1) 53 (39.6)Disinfect dental waterlines Yes 15 (41.7) 70 (52.6)

0.243No 21 (58.3) 63 (47.4)

Test dental waterlines Microbial test 2 (5.4) 2 (1.5)

0.204Referred to companies 16 (43.2) 57 (42.5)Never 15 (40.5) 69 (51.5)Others 4 (10.8) 6 (4.5)

Table 4. Comparison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degree betwee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clinics N(%)

p-value by chi-square or exact test.

*p<0.05

Page 7: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29

Requirements for infectionprevention Variables

Careerp-valueLess than

1 yr 1-2.99 yr 3-4.99 yr More than 5 yr

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during apparatus washing

Always 2 (5.7) 3 (6.7) 5 (13.2) 4 (7.5)0.414Sometimes 6 (17.6) 3 (6.7) 8 (21.1) 7 (13.2)

Never 27 (77.1) 39 (86.7) 25 (65.8) 42 (79.2)Pretreat apparatus withdisinfection solutions

Always 16 (45.7) 21 (46.7) 21 (55.3) 26 (49.1)0.573Sometimes 9 (25.7) 5 (11.1) 6 (15.8) 11 (20.8)

Never 10 (28.6) 19 (42.2) 11 (28.9) 16 (30.2)Wear thick rubber gloves duringapparatus washing

Always 24 (68.6) 41 (91.1) 30 (78.9) 44 (83.0)0.313Sometimes 5 (14.3) 2 (4.4) 4 (10.5) 5 (9.4)

Never 6 (17.1) 2 (4.4) 4 (10.5) 4 (7.5)Apparatus packaging Unitary packaging 24 (68.6) 23 (51.1) 23 (60.5) 28 (52.8)

0.424Set packaging 6 (17.1) 12 (26.7) 10 (26.3) 10 (18.9)Never 5 (14.3) 10 (22.2) 5 (13.2) 15 (28.3)

Impression bodies and occlusionbodies disinfection

Yes 3 (8.6) 0 (0.0) 6 (15.8) 8 (15.1) 0.045*

No 32 (91.4) 45 (100.0) 32 (84.2) 45 (84.9)Wash and disinfect dentalprostheses

Yes 20 (57.1) 18 (40.0) 14 (36.8) 20 (37.7)0.243

No 15 (42.9) 27 (60.0) 24 (63.2) 33 (62.3)Use face drapes and protective goggles for patients

Always 23 (65.7) 32 (71.1) 23 (60.5) 28 (52.8)0.468Sometimes 11 (31.4) 13 (28.9) 15 (39.5) 24 (45.3)

Never 1 (2.9) 0 (0.0) 0 (0.0) 1 (1.9)Surface disinfection Always 8 (22.9) 9 (20.0) 8 (21.1) 10 (18.9)

0.912Sometimes 22 (62.9) 29 (64.4) 22 (57.9) 37 (69.8)No 5 (14.3) 7 (15.6) 8 (21.1) 6 (11.3)

Cover surfaces Always 7 (20.0) 9 (20.0) 7 (18.4) 6 (11.3)0.562Sometimes 13 (37.1) 14 (31.1) 14 (36.8) 27 (50.9)

No 15 (42.9) 22 (48.9) 17 (44.7) 20 (37.7)Us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Yes 34 (79.1) 37 (82.2) 33 (86.8) 48 (90.6)

0.191No 1 (2.9) 8 (17.8) 5 (13.2) 5 (9.4)

Drain water off dental waterlines Always 4 (11.4) 2 (4.4) 3 (7.9) 11 (20.8) 0.040*Sometimes 19 (54.3) 21 (46.7) 19 (50.0) 26 (49.1)

No 12 (34.3) 22 (48.9) 16 (42.1) 16 (30.2)Disinfect dental waterlines Yes 21 (60.0) 19 (42.2) 19 (50.0) 27 (50.9)

0.475No 14 (40.0) 26 (57.8) 19 (50.0) 26 (49.1)

Test dental waterlines Microbial test 1 (2.9) 0 (0.0) 1 (2.6) 2 (3.8)

0.655Referred to companies 14 (40.0) 16 (35.6) 20 (52.6) 23 (43.4)Never 18 (51.4) 24 (53.3) 16 (42.1) 26 (49.1)Others 2 (5.7) 5 (11.1) 1 (2.6) 2 (3.8)

Table 5. Infection control practice degree according to dental office duty career N (%)

을 ‘항상 한다’와 ‘가끔 한다’가 52.2%, 19.4%로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46). 그

러나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없는 자가 있는 자보다

환자의 소공포 및 보안경 사용을 ‘항상 한다’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24). 감

30.2%로 조사되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p=0.040) (Table 5).

(3) 감염관리 교육유무에 따른 실천정도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이 세척 전 용액

p-value by chi-square or exact test.

*p<0.05

Page 8: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30

않음’이 18.7%, 43.3%, 38.1%로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나타났다 (p=0.032). 감염관리교육 경험

이 없는 사람이 수관검사를 ‘실시하지 않는다’가

67.6%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

났다 (p=0.018) (Table 6).

염관리교육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자보다 표

면소독을 ‘항상 한다’와 ‘가끔 한다’가 20.9%,

68.75%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p=0.004). 또한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있는 사

람이 표면덮기를 ‘항상 한다’와 ‘가끔 한다’, ‘하지

Table 6. Comparison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by dental hygienists who experienced or non-experienced about infection control N(%)

p-value by chi-square or exact test.

*p<0.05

Requirements for infectionprevention Variables

Education experience about infection control p-value

Yes NoUse protective goggles and apronduring apparatus washing

Always 11 (8.2) 3 (8.1)0.496Sometimes 21 (15.7) 3 (8.1)

Never 102 (76.1) 31 (83.8)Pretreat apparatus with disinfection solutions

Always 70 (52.2) 14 (37.8) 0.046*Sometimes 26 (19.4) 5 (13.5)

Never 38 (28.4) 18 (48.6)Wear thick rubber gloves duringapparatus washing

Always 112 (83.6) 27 (73.0)0.237Sometimes 10 (7.5) 6 (16.2)

Never 12 (9.0) 4 (10.8)Apparatus packaging Unitary packaging 78 (58.2) 20 (54.1)

0.803Set packaging 30 (22.4) 8 (21.6)Never 26 (19.4) 9 (24.3)

Impression bodies and occlusionbodies disinfection

Yes 15 (11.2) 2 (5.4)0.298

No 119 (88.8) 35 (94.6)Wash and disinfect dental prostheses Yes 58 (43.3) 14 (37.8)

0.553No 76 (56.7) 23 (62.2)

Use face drapes and protective goggles for patients

Always 83 (61.9) 23 (62.2) 0.024*Sometimes 51 (38.1) 12 (32.4)

Never 0 (0.0) 2 (5.4)Surface disinfection Always 28 (20.9) 7 (18.9)

0.004*Sometimes 92 (68.7) 18 (48.6)No 14 (10.4) 12 (32.4)

Cover surfaces Always 25 (18.7) 4 (10.8) 0.032*Sometimes 58 (43.3) 10 (27.0)

No 51 (38.1) 23 (62.2)Us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Yes 120 (89.6) 32 (86.5)

0.559No 14 (10.4) 5 (13.5)

Drain water off dental waterlines Always 18 (13.4) 2 (5.4)0.227Sometimes 68 (50.7) 17 (45.9)

No 48 (35.8) 18 (48.6)Disinfect dental waterlines Yes 67 (50.0) 19 (51.4)

0.884No 67 (50.0) 18 (48.6)

Test dental waterlines Microbial test 2 (1.5) 2 (5.4)

0.018*Referred to companies 65 (48.5) 8 (21.6)Never 59 (44.0) 25 (67.6)Others 8 (6.0) 2 (5.4)

Page 9: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31

되므로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용액에 미리 담근

기구와 세척 전 용액은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고

매일 세척 전 용액을 교환해야 한다 [10]. 기구

세척 전 용액에 대한 실천도(항상 한다 49.1%)

역시 기구 세척 전 용액 과정의 중요성에도 불구

하고 실천율이 저조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기구 세척에 관한 취급법을 새로

운 교육항목으로 추가하여 효과적인 소독과 멸

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포장 작업은 세척된 기구를 정리하고 싸거나

멸균 주머니, 봉투, 트레이 또는 카세트에 넣어

두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멸균 과정 전 기

구를 포장하는 작업의 의미는 멸균 후 기구를 보

관하는 동안, 기구를 진료대로 운반할 때 오염되

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포장 재료는 다양

한 형태의 카세트, 합성수지나 종이의 봉투, 멸

균포장 등이 있는데, 사용할 멸균 과정의 종류에

맞게 포장 재료들을 선택한다 [10]. 본 연구의 기

구포장의 실천도 조사 결과, 포장을 하지 않는다

는 응답(20.5%)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기구의 적절한 멸균과 포장을 위해 멸

균재료에 대한 올바른 선택과 멸균된 기구의 취

급법에 대한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과 의사나 치과 종사자들은 감염성 질환에

이환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임상에서

간과하고 지나가는 인상체도 환자의 타액과 혈

액으로 오염되어 있고, 또한 이것으로부터 제작

되는 모형은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바이러스성 질환들은 전파속도가 빠르고 환자가

감염사실을 모르고 있더라도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으며 예후가 불량하므로 주의를 기울일 필

요가 있다 [11]. 이처럼 인상체 및 교합체는 미생

물학적으로 세균오염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치

과기공소로 보내어지기 때문에 진료지역이 아니

라고 소홀하게 생각하여 본 연구에서 인상체 및

교합체 소독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은 90.1%로

매우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인상

4. 고 찰

치과치료는 구강 내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료과정에서 환자의 혈액 및 타액이 다양한 종

류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날카로운 기구 또는 주사바늘에 찔리고 노

출된 신체의 상처를 통하거나, 에어로졸 형태의

여러 경로를 통해 감염이 가능하며, 환자의 분

비물로 인해 실내가 오염될 경우 감염의 매개

장소가 되기도 한다 [9]. 그러므로 적절한 소독

과 멸균은 병원감염관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작

용한다. 부적절한 소독과 멸균은 병원감염을 일

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치과진료실에서 사용되는

치과진료기재 및 장비에 대한 소독·멸균·취급

등의 지침을 정하여 이를 실천함으로써 치과진

료실의 위생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일반적 준수사항 실천

정도를 살펴본 결과, 치과 기구 세척 시 보안경

및 에이프런 착용을 한다는 응답(8.2%)이 매우

낮았으나, 두꺼운 고무장갑 착용 실천도(81.3%)

는 비교적 높았다. 기구들은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멸균 또는 고도의 소독하기 전에 먼저

철저하게 세척해야 하며, 기구들을 세척하고 재

처리하는 과정에 감염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

으므로 기구 세척 시 보안경 및 에이프런 착용을

해야 하지만 실천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보안

경 및 에이프런 착용은 번거롭지만 두꺼운 고무

장갑 착용은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

료된다. 또한 기구 세척 시 오염물질이 손에 직

접 접촉하므로 두꺼운 고무장갑의 실천도는 높

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개인보호 장

구 착용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고 개인보호 장구의 접

근이 용이 하도록 물품을 배치해야 할 것으로 판

단된다.

기구를 사용한 후 즉시 세척할 수 없는 경우는

세척 전 용액에 넣어 타액이나 혈액이 굳지 않게

Page 10: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32

나오는 물에서 악취가 나며 수관이 부분적으로

막혀 물이 제대로 나오지 않기도 한다. 그러므로

매 환자마다 치료가 끝나면 적어도 20∼30초간

핸드피스나 초음파치석제거기, 3way syringe를

공회전으로 작동시켜 관속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유기물질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역류방지밸브

를 수관에 달아 역류현상을 방지하거나 주기적

으로 소독하여 생물막을 제거하여야 한다 [15].

본 연구에서 수관물 빼기를 살펴 본 결과, ‘항

상 한다’와 ‘가끔 한다’를 포함하여 61.4%의 실

천도를 나타냈다. Bae [14]의 연구와 Choi [16]

의 연구에서도 55.8%와 86.0%로 나타나 비슷한

실천도를 보였다. 수관관리의 필요성과 각 병원

에 맞는 효율적인 수관관리 지침에 대한 적극적

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치과 감염관리 교육에 대한 경험은 78.4%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21.6%는 없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Jeon [12]의 연구에서 부산지역 대

상자의 감염교육 이수여부에 대해 76.2%가 이

수했다고 응답하였고, Kim [17]의 서울 경기 대

상의 연구에서의 82.6%, Kim [18]의 대구지역

대상의 연구에서의 80.0%, 2011년 Choi [16]의

80.3%,보다는 낮았다. 2005년 Ahn [19]의 대

전지역 종사자 대상의 연구에서의 63.0%, Yim

[20]의 연구에서 보고된 70.2%, Cho et al. [21]

의 62.9%, Nam et al. [22]의 42.9%의 결과 보

다는 비교적 높은 교육 경험률을 보였다.

병원규모에 따른 실천 정도를 분석한 결과 치

과 진료실 감염관리 일반적 준수사항 실천도는

치과병원급이 치과의원급보다 전반적으로 실천

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실제 감염관리에 있어

병원의 전반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이 개인의 실

천율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각 병원장들의 감염관리 필요성이 강조

된 교육과 감염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여건 마

련이 필요하며, 치과 의료기관 평가에서도 감염

관리 지침에 대한 보다 명확한 법적인 규제 마

체 및 교합체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을 전혀 인

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감염관리 기준

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치과의사협회에서

는 모든 인상체를 30분 이내의 소독시간으로 침

적 소독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고무 인상체 및

아가 인상체와 알지네이트 인상체를 아이오도퍼

(iodophor) 용액에 처리하여 소독하였을 때, 인

상체의 변형은 미국치과의사협회의 규격에 명시

된 허용 변형률 0.5%이내라고 하였다. 아이오

도퍼 소독제의 분무소독이 알지네이트 인상체에

유의할만한 체적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는 기공물들은

구강 내에서 맞추어 보기 전에 청결히 소독하여

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기공물 세척 및 소

독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은 57.9%로 높게 나

타나 구강 내에 장착되는 기공물들의 소독 실천

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

이다.

치과진료실에 있는 장비, 기구, 재료 등의 표

면은 여러 가지 경로로 오염될 수 있다. 진료과

정에서 필연적으로 오염될 수밖에 없는 표면은

반드시 멸균해야겠지만 나머지 진료실 내 표면

들은 소독만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12]. 본 연구의 결과, ‘항상 한다’와 ‘가끔

한다’를 포함한 표면소독 실시율은 84.8%이었

다. Kim et al. [13]의 연구에서 표면소독 실시율

은 46.9%, Bae [14]는 72.1%로 비교적 표면소독

실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면소

독을 ‘항상 한다’는 응답률은 20.5%로 미비한 수

준이라 할 수 있으므로 병원상황에 맞는 표면관

리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치과수관은 환자의 혈액, 타액, 삼출물 등이

역류하여 들어갔다가 고속핸드피스나 초음파치

석제거기 핸드피스를 통하여 다시 나와 공기나

주위 표면을 오염시키기도 한다. 치과수관에서

Page 11: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33

염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

만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없는 사람이 환자에게

소공포 및 보안경 사용을 항상 한다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치과위생사 개

인의 감염 보호 장비가 아니라 치과 병원급이 소

공포 및 보안경 사용을 ‘항상 한다’와 같이 병원

의 전반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이 개인의 실천율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 근무기간이 많고 감염교육을 경

험함에 따라 감염관리 실천도가 더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치과 진료실에 감염관리의 주체

인 치과위생사들은 각 병원의 관례에 따라 이

루어지는 감염관리에서 벗어나, 전문화되고 체

계적인 감염관리 교육으로 치과진료실의 특성에

맞는 감염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치과진

료실의 전문적인 감염관리 담당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염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관리기준이나 감염관리 지침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현실적인 차원에서 지켜갈

수 있는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를 통해 치과 감염관리를 강화 할 수 있

는 계기가 마련되어 안전하고 질 높은 치과진료

가 제공 되어야 한다. 또한 치과 진료실에서 발

생 가능한 감염원의 차단 및 오염물질에 대한 체

계적인 관리 운영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전지역 일부 치과위생사

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전체 치과위생사를 대

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근무처별 감염관

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표본수가 적어

특성을 평가하지 못했다. 치과진료실에서 감염

관리 실천정도와 치과 오염도를 실험을 통해 과

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지 않고 설문조사를 통해

진료실 감염의 위험성을 분석하여 연구의 제한

점이 있다. 향후 근무처별 감염관리 실천에 따른

진료실의 세균정도를 실험을 통해 감염의 위험

성을 구체적으로 평가하여 효과적인 감염관리방

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는 실제 감염관리

에 있어 표면 덮개나 표면 소독에 필요한 물품

이 병원 차원에서 지원이 되어야 하므로 병원의

전반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이 개인의 실천율 보

다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각 병원장들의 감염관리 필요성이 강조된 교육

과 감염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여건 마련이 필

요하며, 치과 의료기관 평가에서도 감염관리 지

침에 대한 보다 명확한 법적인 규제 마련이 필요

하리라 사료된다.

근무기간에 따른 실천정도를 분석한 결과 근

무기간이 짧은 1년 이상에서 3년 미만이 인상체

및 교합체 소독을 ‘하지 않음’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병원의 전반적인 관

리와 업무를 담당함으로써 감염관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Nam et al. [22]의 연

구에서 근무경력이 5~7년이 감염예방 실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염방지실

천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근무기간 1년 차부

터 감염방지실천을 위한 교육적 시스템과 정기

적 감염방지실천 교육이 있어야 한다.

감염관리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실천정도를 분

석한 결과 감염관리 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치과

위생사들의 전반적인 감염관리 실천율이 높아지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있

는 사람이 교육 경험이 없는 자보다, 세척 전 용

액을 ‘항상 한다’와 ‘가끔 한다’가 52.2%, 19.4%

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염관리교육 경험이 있

는 사람이 없는 자보다 표면소독을 ‘항상 한다’

와 ‘가끔 한다’가 20.9%, 68.75%로 높게 나타났

다. Lee et al. [23]의 연구에서도 감염관리 교육

을 경험한 치과위생사들이 감염관리 실천도 점

수가 높게 나타났고, 진료 시 감염관리 교육이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감염관리 교육을 정기적으로 시행하

여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효과적인 감

Page 12: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윤경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8권 제2호

34

Kit 2003; 47-55. (Korean)[4] Cho SH, Lee CK, Kim BO.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ntists towards infection control. Oral Biology Research 2011; 35(1): 33-40. (Korean)

[5] Kohn WG, Colins AS, Cleveland JL, Harte JA, Eklund KJ, Malvitz DM.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care setting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3, pp. 38-40.

[6] Bae S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at dental hos-pit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1.

[7] Choi HN, Bae HS, Cho YS. Literature review of dental infection control in Korea (1988~2009).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0; 10(4): 199-209. (Korean)

[8] Shin HS.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demon-stration projec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 148(February): 64-75. (Korean)

[9] Hardie J. Concern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recommendations for dental practice. Journal of Canadian Dental Association 1992; 58(5): 377-386.

[10] Ryu MH. Cross-infection in dental clinic and infection control. The Journal of Namseoul University 2005; 11(1): 157-172. (Korean)

[11] Oh NS, Seo JM, Kim SH, Youn YA, Shim JS. Agar-alginate combined impression technique and dimensional change resulting from idophor is infec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 Society 2004; 42(1): 21-29. (Korean)

[12] Jeon JS. Status of infection control behaviors of dental hygienist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2.

5. 결 론

본 연구는 치과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치과위생사들의 실천정도를 분석하여 치과 의료

기관에서 감염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마

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2012년 10월

대전시회 보수교육에 참여한 치과위생사 171명

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었다.

첫째, 병원규모에 따른 실천정도를 살펴 본 결

과, 표면덮개의 소독 실천율은 치과병원급이 치

과의원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기간에 따른 실천정도는 근무기간 5

년 이상의 대상자가 수관 물빼기의 실천율이 높

게 나타났으며, 1년 이상~3년 미만의 대상자가

인상체 및 교합체 소독의 실천율이 매우 낮게 나

타났다.

셋째, 감염관리 교육 유무에 따른 실천도를 살

펴 본 결과,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의 기구

세척 전 용액, 표면소독 및 수관물 빼기 등의 실

천율이 높게 나타났다. 감염관리 교육을 경험한

치과위생사들이 전반적인 감염관리 실천율 점수

가 높게 나타나 감염관리 교육이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 Kim KK.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s.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1994; 32(6): 398-399. (Korean)

[2] Kwom KH. Oral & Maxillofacial Surgery, Dae-han Narae, 2008, pp. 126-140. (Korean)

[3] Jeong SY. Blood parameters and disease exposure cases survey.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inter Conference

Page 13: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A Study on …e-jhis.org/upload/pdf/21400567.pdf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치과 진료실 감염관리 지표에 대한 실천정도의 연구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8, No. 2, 2013

35

[19] Ahn K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 among dental health care worker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5.

[20] Yim YS. Statu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hygienists,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Korea, 2007.

[21] Cho YJ, Yoon SJ, Ahn HS, Kim SD, Park HK. A study 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mong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3; 10(2): 190-203. (Korean)

[22] Nam YS, Yoo JS, Park MS.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for prevention of infections by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7; 7(1): 1-7. (Korean)

[23] Yoon MS, Choi MS. The analysis of prevention against virus infection in dental hygienists at medical treatmen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2007; 7(2): 101-106. (Korean)

[13] Kim KM, Jung JY, Hwang YS. A study on the stat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clinic.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 Society 2007; 7(3): 213-230. (Korean)

[14] Bae MR. Cognition and performance on infection control of the clients and staffs in dental healthcare,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Korea, 2011.

[15] Cha SR, Kim KJ. Protocol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dental clinic.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2013; 51(3): 130-137. (Korean)

[16] Choi SJ. A study on the status of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s in dental staff,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Korea, 2011.

[17] Kim SK. A study on th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dissertaion]. Dankook University; Korea, 2000.

[18] Kim HJ. Dental hygienists’ dental treatment in Daegu region actual state in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