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발 간 등 록 번 호 NIER-GP2013-083 11-1480523-001487-01 조류와 체류시간과의 관계 자료집 (Ⅰ) 2013. 8

조류와 체류시간과의 관계 자료집 (Ⅰ)webbook.me.go.kr/DLi-File/NIER/09/019/5567573.pdf · 2015-11-03 · 발 간 등 록 번 호 nier-gp2013-083 11-1480523-001487-01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발 간 등 록 번 호NIER-GP2013-083

11-1480523-001487-01

조류와 체류시간과의 관계

자료집 (Ⅰ)

2013. 8

- i -

번 호 제 목 발행기관 분 류

R-I-1Toxic cyanobacteria in water : A guide to their public healthconsequen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WHO Report

R-I-2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blooms of blue-green algaein freshwaters in Tasmania

Tasmania,Australia

R-I-3WSUD(Water Sensitive Urban Design) engineeringprocedures for stormwater management in Tasmania 2012.Appendix D. Cyanobacterial growth in constructed water bodies

EPA Tasmania,Australia 〃

R-I-4Hunter Regional Algal Coordinating Committee,Blue-green algal blooms in the Myall Lakes

New SouthWales, Australia 〃

J-I-1Harmful freshwater algal blooms, with an emphasison cyanobacteria

-ReviewArticle

J-I-2 How green is my river? A new paradigm ofeutrophication in rivers

-ReviewArticle

J-I-3Numerical simulation for impacts of hydrodynamic conditionson algae growth in Chongqing section of Jialing River, China

-ResearchArticle

J-I-4Physico-chemical factors alone cannot simulate phytoplanktonbehavior in a lowland river

- 〃

J-I-5Factors regulating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biomassin temperate rivers

- 〃

J-I-6Suspended chlorophyll in the River Nene, a smallnutrient-rich river in eastern England: long-term andspatial trends

- 〃

J-I-7Factors controlling the seasonal development and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lowlandcourse of a large river in Northern Italy (River Adige)

- 〃

J-I-8 Chlorophyll-a in the rivers of eastern England - 〃

J-I-9Hydrologic variability, water chemistry, andphytoplankton biomass in a large floodplain of theSacramento River, CA, U.S.A

- 〃

J-I-10The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lower part ofhypertrophic Nakdong River (Mulgum), South Korea

- 〃

J-I-11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bacteria and heterotrophicflagellates at two banks near Magdeburg in the River Elbe(Germany)

- 〃

J-I-12 The impact of transfers on water quality and the disturbanceregime in a reservoir

- 〃

J-I-13Cyanobacterial blooms: Statistical models describing riskfactors for national-scale lake assessment and lakemanagement

- 〃

J-I-14Nutrient sources and composition of recent algal blooms andeutrophication in the northern Jiulong River

- 〃

J-I-15A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of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growth in a stratified lake with buoyant incoming flow

- 〃

목 차

- ii -

번 호 제 목 발행기관 분 류

J-I-16Three-dimensional model for analysis of spatial and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in Tucuruíreservoir, Pará, Brazil

- 〃

J-I-17The role of a eutrophic lowland reservoir in shapingthe composition of river phytoplankton

- 〃

J-I-18Physical factors control phytoplankton productionand nitrogen fixation in eight Texas Reservoirs

- 〃

J-I-19The importance of nutrient source in determining theinfluence of retention time on phytoplankton: anexplorative modelling study of a naturally well-flushed lake

- 〃

J-I-20Effect of nutrient loading and retention time onperformance of high rate algal ponds

- 〃

J-I-21 Effect of flow velocity on phytoplankton biomassand composition in a freshwater lake

- 〃

J-I-22The effects of water transfer from Swakoppoort andOmatako dams on the water quality of Von Bachdam, Namibia

- 〃

J-I-23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phytoplanktoncommunities along a regulated river system, theNakdong River, Korea

- 〃

J-I-24Water level as the main driver of the alternationbetween a free-floating plant and a phytoplanktondominated state : A long-term study in a floodplain lake

- 〃

J-I-25

Forty years of monitoring water quality in Grasmere(English Lake District) : separating the effects ofenrichment by treated sewage and hydraulic flushingon phytoplankton ecology

- 〃

J-D-1 팔당호의 장기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추이 - DomesticArticle

J-D-2 장마기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 〃

J-D-3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특징

- 〃

J-D-4 금강 하류에서 녹조류 녹색소구체목의 개체군 동태 - 〃

J-D-5 육수학적 특성에 따른 국내 저수지의 부영양화 유형분석생태와 환경

- 〃

J-D-6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에서 플랑크톤군집의생태학적 특성

- 〃

J-D-7강우기 및 평수기의 팔당호 유기물 수지산정 생태와환경

- 〃

J-D-8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 〃

J-D-9 팔당호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생리·생태학적특성에 관한 연구

- 〃

J-D-10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 〃

- iii -

번 호 제 목 발행기관 분 류

J-D-11 팔당호의 조류 발생 특성 - 〃

J-D-12북한강 수계에서 이취미를 유발하는 남조류(Anabaena spiroides)의증식 특성

- 〃

J-D-13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t the eutrophicdown reach of a regulated river(the Han River, Korea)

- 〃

J-D-14운문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변동과 수화현상의 수문학적발생원인

- 〃

J-D-15 수온에 따른 영산강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 〃

기타-1 Harmful algal blooms (HAB)

Centers forDisease Controland Prevention,Georgia, USA

Homepage

기타-2 What causes algal bloomsNew South

Wales,Australia

기타-3 Blue-green algae in freshwater Queensland,Australia

기타-4 Managing the growth of blue-green algae

Hawke's BayRegional

Council, Newzealand

조류와 체류시간(유속)과의 관계

- 보 고 서 -

- 3 -

번 호 R-I-1 Report

제 목

Toxic cyanobacteria in water: A guide to their public

health consequen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물에서 독성남조류 : 공중보건, 모니터링, 관리 안내서

발행기관 WHO, 1999

저 자

요 약

❍ 남조류 성장 특성과 조건을 기술한 WHO 안내서

- 남조류는 다른 조류 군집에 비해 성장속도가 느리므로

대발생을 이루기 위해서는 충분한 체류시간이 필수

- 대부분 남조류 성장속도 0.3-1.4 doublings/day,

규조류는 0.8-1.9 doublings/day, 녹조류는 1.3-2.3

doublings/day (Van Liere & Walsby, 1982)로 체류시간

짧은 수체에서 남조류 대발생은 일어나지 않음

"(Growth rate) The growth rate of cyanobacteria is usually much lower than that of many algal species (Hoogenhout and Amesz, 1965; Reynolds, 1984). At 20°C and light saturation, most common planktonic cyanobacteria achieve growth rates of 0.3-1.4 doublings per day, while diatoms reach 0.8-1.9 doublings per day and growth rates of up to 1.3-2.3 doublings per day have been observed for single-celled green algae (Van Liere and Walsby, 1982). Slow growth rates require long water retention times to enable a bloom of cyanobacteria to form. Therefore cyanobacteria do not bloom in water with short retention tim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mechanisms determining the growth rates of planktonic algae and cyanobacteria under different field conditions is available in Reynolds (1997)."

- 4 -

번 호 R-I-2 Report

제 목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blooms of blue- green algae in freshwaters in TasmaniaTasmania 담수 중 남조류 관리

발행기관 Tasmania, Australia저 자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Water & Environment

요 약

< 조류대발생 경보대응 체계 >

❍ 조류대발생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조기 경보지표를

검출해 내는 종합적인 가이드라인 표준 프로토콜 제공(p.6)

❍ 남조류는 다른 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하지만 다음

조건에서 우점함

- 높은 영양염류(인) 수준

- 낮은 탁도 (수체로 빛 투과가 좋음)

- 오랜 기간동안 기상조건이 안정함

- 물이 안정하고 난류가 작음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tential for algal blooms in Tasmania and that the relevant State Agencies and water management authorities need to have a comprehensive and agreed set of guidelines for detecting early warning signs of algal outbreaks and for managing outbreaks in an effective manner." (p.6)

"Blue-green algae are relatively slow growing in comparison with true algae, but may dominate a water body’ biomass (ie bloom) when : Nutrient levels, particularly Phosphorus, are high; There is low turbidity (good sunlight penetration into the water body); Weather conditions are stable for a long time; Water is still and turbulence is low." (p.6)

- 5 -

번 호 R-I-3 Report

제 목

WSUD(Water Sensitive Urban Design) engineering procedures

for stormwater management in Tasmania 2012.

Appendix D. Cyanobacterial growth in constructed

water bodies

부록 D : 인공수체에서 남조류 성장

발행기관 EPA Tasmania, Australia 저 자

요 약

❍ 남조류의 성장과 관련하여 빛, 온도, 영양분, 수체역학

(hydrodynamics), 번식률, 번식범위, 온도효과, 체류시간,

모델 매개변수, 모델 결과 등 설명

- 수온은 호주 남조류 발생에 매우 주요한 요인이며 남조류는

녹조나 규조류에 비하여 높은 적정 성장 수온을 가짐

- 성층화 기간은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용출로 조류가 성장

하는데 작용, 저지대하천, 호소에서 남조류는 성층이

지속되고 낮은 유속을 갖는 조건에서 더 발생

- 체류시간이 3일 보다 작을 경우는 인 부하의 영향이 없으며

중형호소에서 조류발생 제어를 위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30일미만으로 제안

"Tempera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ny cyanobacterial bloom occurences in Australia. Cyanobacteria tend to have high optimal growth temperatures compared to green algae and diatoms and achieve maximum growth rates at aroud 25℃(Chorus and Bartram, 1999)."

"Periods of stratification of a water body can also facilitate the release of nutrients from the sediments which can act to support algal growth. In lowland rivers and lakes, cyanobacterial blooms are more prevalent during periods of persistent stratification, a condition associated with low flows(Sherman et al., 1998)"

"The most sensitive lakes being those with a detention time of greater than 30 days. Lakes with a detention time of 3–30 days are only slightly sensitive to changes in external phosphorus loads, while lakes with a detention time of less than 3 days are not at all sensitive to changes in phosphorous loads(Reynolds, 2003)."

"Wagner-Lotkowska et al(2004) recommend a hydraulic detention time of less than 30 days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s in medium sized reservoirs." (p.D-8)

- 6 -

번 호 R-I-4 Report

제 목Blue-green algal blooms in the Myall Lakes

Myall 호수 남조류

발행기관 New South Wales, Australia, 2012저 자 Hunter Regional Algal Coordinating Committee

요 약

❍ Broadwater의 수질악화와 Myall 호수의 남조류 번성의

원인은 상류의 오염원과 매우 긴 체류시간으로 설명

(p.3)

"These pollution sources, coupled with long water retention times, explain the decline in the health of the Broadwater and its susceptibility to blue-green algal blooms." (p.3)

조류와 체류시간(유속)과의 관계

- 논 문 -

- 9 -

번 호 J-I-1 Review Article

논 문 명

Harmful freshwater algal blooms, with an emphasis on cyanobacteria남조류 중심의 유해한 담수 조류대발생

학 회 지 The Scientific World, 1, pp.76-113, 2001저 자

Hans W. Paerl, Rolland S. Fulton, Pia H. Moisander, Julianne Dyble

요 약

❍ 남조류 대발생의 주요 물리적 환경요인은 수체 체류시간

(water residence or flushing time)과 난류혼합(turbulence and mixing)임 (p.85)

- 조류군집들은 일반적으로 긴 체류시간과 난류확산이 적은

환경, 혼합이 잘 안 되는 조건 선호(수체 안정)(p.88 표4) - 남조류 대발생 관리방안으로 영양염류 제어와 수직적

혼합도의 증가 외에, 체류시간 감소를 위한 flushing이효과적(단, 상류 저류지에 flushing을 위한 여유 유량이 존재할 때)

"The environmental factors mediating cyanobacterial bloom include: N and P, organic matter, iron and trace elements, conductivity and salinity, turbulence, water residence(flushing) times, water column vertical stratification and stability, human introduction and displacement of species, climate change." (p.85)

"(Table 4.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cyanobacterial growth and bloom formation) Turbulence and mixing : Most bloom genera prefer low turbulence over a range of spatial scales, poorly mixed condition are favorable. Water residence time : Long residence times preferred by all genera." (p.88)

"In some systems where hydrologic manipulations (ie. plentiful water supplies) are possible, reducing the water residence time by enhanced flushing and artificial mixing (in conjunction with nutrient input constraints) can be particularly effective alternatives." (p.76)

- 10 -

번 호 J-I-2 Review Article

논 문 명

How green is my river? A new paradigm of eutrophication in rivers 하천에서 부영양화에 대한 새로운 파라다임 고찰

학 회 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5, pp.66-83, 2006저 자

John Hilton, Matthew O'Hare, Michael J. Bowes, J. Iwan Jones

요 약

❍ 하천 부영양화 주요 요인으로 하천 체류시간(retention time or travel time, p.70)과 유속(velocity, p.74) 언급

- 조류의 개체수 증식시간(doubling time) 〉체류시간

영양염류 조건에 상관없이 녹조 대발생에 이르는 조류 성장은

발생하지 않음(성장되기 전에 하류로 씻겨 흘러가기 때문)- 대하천, 깊고 정체된 하천은 조류 증식시간〈 체류시간

하천 중 하류 구간에서 고농도 식물플랑크톤 발생

- 수체 체류시간이 4-6일보다 길 경우, 식물성 플랑크톤 우점에 따른 녹조 발생의 가능성이 커짐

"Vollenweider(OECD, 1982)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lake retention time as a major control on the ability of planktonic algae to utilise nutrients. If the retention time of a lake, which is assumed to be completely mixed, is shorter than the doubling time of planktonic algae in the system, then the development of a biomass of planktonic algae large enough to cause nuisance conditions will not occur irrespective of the nutrient conditions, because the algae are flushed out at a rate faster than they can grow." (p.70)

"Conversely large rivers and deep, impounded rivers (including canals) have long retention times, of similar order to the range of lake retention times, which are much longer than algal doubling times so that a large biomass of phytoplankton can develop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river." (p.70)

"Reynolds(1984) suggested that the maximum doubling rate of planktonic algae is of the order two days, and hence the lower end of the range of retention times covering the transition range is likely to be between 4– 6 days transit time." (p.70)

- 11 -

번 호 J-I-3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Numerical simulation for impacts of hydrodynamic conditions on algae growth in Chongqing section of Jialing River, China중국 Jialing 강에서 조류성장에 대한 유체역학적 조건

영향 시뮬레이션

학 회 지 Ecological Modelling, 222, pp.112-119, 2011저 자 Tian-yu Long, Lei Wu, Guo-hu Meng, Wei-hua Guo

요 약

❍ 중국 양쯔강 삼협댐(Three Gorges dam) 완공 이후, 하천 본류의 수위가 높아지고 지류의 말단부 유속이 감소, 하천의 자정능력이 저감되면서 조류 증식에 호조건 형성

되어 비정상적 조류발생 증가(p.112) ※ 삼협댐은 중국 양쯔강 중상류인 후베이성 이창의 협곡을 잇는

댐으로 최대저수량 390억톤의 세계 최대 규모 댐

- 실측 조류 농도와의 모의를 통해 조류 성장에 유리한

유량범위와 최적 유속(4 cm/s) 제시

- Jialing River 대부분 구간(유속이 매우 낮은 일부분

구간을 제외) 유속이 조류성장 최적 유속보다 높아

유역 전반에 걸친 대규모 조류발생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p.118)

※ Jialing River는 삼협호의 최대 지류

"Because of the increasing water level in the main stream, the flow velocity of backwater section in tributaries slows down, the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water body decreases, that provides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occurrence of algae growth, abnormal proliferation phenomenon of algae bloom of tributaries continuously breaks out, and this phenomenon shows increasing trend recently (Shen and Qun, 2009)." (p.112)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0.04 m/s was the optimal velocity for algae growth, and the occurrence of algae blooms in large scale is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relatively high water flow velocity for Jialing River." (p.112)

"The occurrence of algae bloom in large scale is almost impossible because of relatively high flow velocity in the reach, but possible in some places near the shore with very low flow velocity." (p.118)

- 12 -

번 호 J-I-4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Physico-chemical factors alone cannot simulate phytoplankton behavior in a lowland river

학 회 지 Journal of Hydrology, 497, pp.223-233, 2013저 자

A.J. Waylett, M.G. Hutchins, A.C. Johnson, M.J. Bowes, M. Loewenthal

요 약

❍ 하천수질모형(QUESTOR)을 이용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화학적 요인은 유속, 수온, 복사량임을 제시 (p.223)

- 체류시간 기반한 유속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장 및 쇠

퇴에 큰 영향이 있음 (p.232)

"The river quality model (QUESTOR) was run for a 45 km stretch of the upper Thames for 2009-2011. The factors for controlling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were found to be flow, temperature, and radiation." (p.223)

"Of these controlling factors, river flow has the larger effect on depletion or build-up of phytoplankton, based on residence time." (p.232)

- 13 -

번 호 J-I-5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Factors regulating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biomass in temperate rivers온대성 하천에서 식물플랑크톤과 동물성플랑크톤 생체

량 제어요인

학 회 지 Limnology and Oceanography, 41(7), pp.1572-1577, 1996저 자 Ben K. Bum, Frances R. Pick

요 약

❍ 온대성 하천(동부 캐나다)에서의 Chl-a, 동물성 플랑크톤

생체량, 영양염류 농도, 체류시간 상관관계 분석(p.1572) - Chl-a와 총인과는 정의 상관관계(R2=0.76), 체류시간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으나 하천에서 체류시간 3일이상일 때 영양염 농도에 영향 받음 (p.1575)

- 동물성 플랑크톤 생체량과 체류시간과는 정의 상관관계, Chl-a 와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p.1575)

"By measuring Chl-a, zooplankton biomass, nutrient concentrations, and water residence time in 31 rivers in eastern Canada..." (p.1572)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TP(R2=0.76), and no relationships between Chl-a and residence time." (p.1575)

"It seems likely that in rivers, when the residence time is > 3 d, algal biomass (chl-a) is regulated by nutrient concentrations rather than by residence time." (p.1575)

"Zoo plankton biomass was positively related to water residence time. There was only a weak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zooplankton biomass" (p. 1575)

- 14 -

번 호 J-I-6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Suspended chlorophyll in the River Nene, a small nutrient-rich river in eastern England: long-term and spatial trends영국 동부 Nene 강 유역 내 클로로필 생장의 장기간에 걸친

공간적 경향 분석

학 회 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51/252, pp.401-421, 2000저 자 David M. Balbi

요 약

❍ 하천에서의 부유 조류 공간적 분포

- Reynolds(1994)에 따르면 하류로 갈수록 생체량이 증가함

- 체류시간 증가로 사수역(dead zone) 효과 발생 (p.401)

- 본 연구에서는 중하류 구간에서 하천

형상과 유속, 수온 등의 영향으로 급격히 농도가 증가함(그림) (p.402)

❍ Nene강 클로로필 농도 변화에 유량, 수온, 광량이 중요한 요인

- 1~6월 사이에 더욱 명백히 나타났고, 하천 내 클로로필의

공간적 경향은 강바닥의 모양, 체류시간, 유속 및 수온의

수직적 차이에 기인 (p.414, p.476)"Spatial trends were attributed to changes in channel morphology, retention

time and longitudinal variations in velocity and temperature." (p.401)"Reynolds(1994b) attributed longitudinal increases in biomass to the role of

‘dead zones’, which facilitate enhanced growth by providing increased retention time, although, downstream biomass increases in the Trent are thought to occur without the aid of such mechanisms(Skidmore et al., 1998.)." (p.402)

"Chlorophyll concentration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retention time approximately doubling with daily increases in estimated retention." (p.414)

"Discharge, temperature and ligh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particularly between January and June. Spatial trends were attributed to changes in channel morphology, retention time, and longitudinal variations in velocity and temperature." (p.476)

- 15 -

번 호 J-I-7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Factors controlling the seasonal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lowland course of a large river in Northern Italy (River Adige)이탈리아북부 Adige강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분포에

미치는 요인

학 회 지 Aquatic Ecology, 42, pp.533-545, 2008저 자 Nico Salmaso, Maria G. Braioni

요 약

❍ 식물성 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Water discharge 및 수문과 관련된 변수임 (p.533) - 조류의 생체량이 가장 높은 시기는 낮은 유속과 높은

수온을 기록했던 이른 봄임 (p.537) -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는 high water discharge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체량이 감소하였고, 겨울철의 낮은 조류의 생체량은 낮은 수온과 광량의 감소 때문임

(p.542)

"The most critical forcing factors were mainly water discharge and other variables related to hydrology." (p.533)

"Higher algal biomass was recorded in early spring, in conditions of lower flow velocity and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p.537)

"In late spring and summer, higher water discharge caused a decrease in phytoplankton biomass. Low biomass in winter was mainly related to low water temperatures and shorter photoperiod." (p.542)

- 16 -

번 호 J-I-8 Research Article

논 문 명Chlorophyll-a in the rivers of eastern England영국 동부 하천에서의 Chl-a분포 분석

학 회 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5, pp.84-104, 2006저 자

Colin Neal, John Hilton, Andrew J. Wade, Margaret Neal, Heather Wickham

요 약

❍ 영국 동부 2대강(Humber 와 Thames)에서 Chl-a 농도의

변이 분석 (p.84) - 농지, 도시 및 산업지역 등 다양한 점오염원/비점오염원의

토지이용이 Chl-a의 생장에 영향 요인

- 유속과 Chl-a의 관계가 가장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체류시간이 하천 내 플랑크톤 생장에 영향을 미침

"Chl-a concentration variations are described for two major river basisns in England, the Humber and Thames." (p.84)

"There may well be a complex series of factors influencing residence time across the catchments due to features such as inhomogeneous flow, and differences in planktonic inoculation sources(both non-point and point sources)." (p.84)

"A key control on Chl-a concentration may be the input of canal and reservoir waters during the growing period: this too relates to issues of residence times." (p.84)

- 17 -

번 호 J-I-9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Hydrologic variability, water chemistry,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a large floodplain of the Sacramento River, CA, U.S.A미국 세크라멘토강의 대범람시 수리학적 변동, 이화학,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

학 회 지 Hydrobiologia, 513, pp.129-139, 2004저 자

Laurence Edward Schemel, Ted R. Sommer, Anke B. Müller-Solger, William C. Harrell

요 약

❍ Sacramento강 주요 범람시기 전․중․후의 Yolo Bypass 범람원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수문 및 이화학적

수질 관계를 분석

- Chl-a 농도는 범람원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량이 높을 때

낮았으나 유입량이 감소할 때 빠르게 증가

"Our objective was to evaluate variability in discharges, sources of water, and water chemistry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Yolo Bypass floodplain before, during, and after a major inundation by the Sacramento River." (p.130)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low (< 4 μg/L) during inundation by the river when flow through the floodplain was high, but concentrations rapidly increased as river inflow decreased and the floodplain drained. Therefore, hydrologic conditions in the weeks following inundation by river inflow appeared most important for producing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floodplain." (p.129)

- 18 -

번 호 J-I-10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e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lower part of hypertrophic Nakdong River(Mulgum), South Korea낙동강(물금)에서 식물플랑크톤 천이

학 회 지 Hydrobiologia, 369/370, pp.217-227, 1998저 자 Kyong Ha, Hyun-Woo Kim, Gea-Jae Joo

요 약

❍ 낙동강 물금 지역 조류 모니터링(‘93~’95) 분석

- 여름철 식물플랑크톤 군집 형성과 규모는 하천 유량의

패턴에 따라 크게 달라짐(p.225) - 여름철 남조류(Mycrocystis spp.) 대발생은 낙동강의

수문학적 흐름 특성에 의해 결정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pattern of discharge. During the heavy rain period (summer of 1993), the phytoplankton density was low." (p.225)

"The Microcystis bloom observed in the Nakdong River is a rare phenomenon for eutrophicated river-reservoir systems.... Overall, the phytoplankton periodicity in the Nakdong River was simultaneously affected by hydrologic regime and eutrophication." (p.226)

- 19 -

번 호 J-I-11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Bacteria and Heterotrophic Flagellates at Two Banks near Magdeburg in the River Elbe (Germany)독일 엘베강에서 식물플랑크톤, 박테리아, 편모상조류

학 회 지 Limnologica, 31, pp.93-107, 2001

저 자Bernhard Karrasch, Maren Mehrens, Yvonne Rosenlocher, Karla Peters

요 약

< 하천에서의 Cyanobacteria 분포 >❍ 여름철에는 녹조류, 겨울철에는 Cyanobacteria가 우점

(Fig 6. & Fig. 7)❍ 갈수기 플랑크톤 성장 계절에 박테리아가 고농도로

나타났으며, 겨울과 초봄에는 정체 경향을 보임(결론) - 풍수기에는 개체수 및 생체량 증가가 관측되지 않음

"Regarding abundance, the phytoplankton composition was dominated during summer by green algae and during the winter months by cyanobacteria (Figs. 6 and 7)." (p.97)

"In this investigation, the highest bacterial densities were recorded during the phytoplankton growth season at low water periods, whereas in winter and early spring only low bacterial standing stocks were found. In fact, no rise in bacterial numbers or biomass was observed during the period of high discharge." (p.103)

- 20 -

번 호 J-I-12 Research Article

논 문 명The impact of transfers on water quality and the disturbance regime in a reservoir

학 회 지 Water Research, 45, pp.5873-5885, 2011저 자 Roberta Fornarelli, Jason P. Antenucci

요 약

< 양수로 인한 교란이 Cyanobacteria에 미치는 영향 >❍ 양수로 인해 호수 내 물리적 교란이 발생하면 Cyanobacteria의

성장이 둔화되고 양수량이 적어 교란이 줄어 들면 성장속도가

커짐(Fig. 8 ~ Fig. 9)

Fig. 8. Diatoms and cyanobacteria biovolume(a), pumped flow rate and monthly silica concentrations(b) from June 2006 to May 2007.

"The cessation of pumping in November 2006 resulted in a drop in silica concentrations and a substantial increase in cyanobacteria biovolume as the diatom bloom declined to values lower than 1 mm3 L-1."

“On the other hand, when pumping occurred for the whole year, diatom biovolume during summer months was twice the value of summer 2006-2007 whilst the cyanobacteria summer bloom did not occur. Note that the only cyanobacteria peak occurred during 2007-2008 matched exactly with the decrease in pumped flow rate and diatom biovolume in November 2007." (p.5881)

- 21 -

번 호 J-I-13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Cyanobacterial blooms: Statistical models describing risk factors for national-scale lake assessment and lake management대규모 호소 남조류 증식 유발요소의 통계적 분석

학 회 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9, pp.5353–5358, 2011저 자

Laurence Carvalho, Claire A. Miller, E. Marian Scott, Geoffrey A. Codd, P. Sian Davies, Andrew N. Tyler

요 약

❍ 영국 134개 호소환경에서 연구된 부영양화에 대한 주요

영향 요인들의 통계분석을 통해 부영양화 상관성 검토

자료 제시(p.5354) - 호소의 부영향화 주요인은 체류시간과 TP 농도의 증가

- 조류제어를 위해 유역에서 영양염 유입을 줄이는 것과

여름철 플러싱을 통해 체류시간 조정 제시(p.5357)

"Some lakes were represented in the dataset by samples from different months in the same year. The 262 samples were taken from 134 lakes, with 63 lakes having more than one monthly sample in a particular year." (p.5354)

"In these lakes, cyanobacterial abundance generally increases with increasing retention time and TP concentrations. The analysis, therefore, supports management aimed at reducing nutrient loads from catchments. In addition to this, in many lakes with controlled outflows, it may also be possible that lake retention times can be manipulated to maximise summer flushing." (p.5357)

- 22 -

번 호 J-I-14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Nutrient sources and composition of recent algal blooms and eutrophication in the northern Jiulong River, Southeast China

학 회 지 Marine Pollution Bulletin, 63, pp.249–254, 2011저 자 Ying Li, Wenzhi Cao, Caixia Su, Huasheng Hong

요 약

<부영양화와 조류증식의 영향요소 검토>❍ 중국 남동쪽에 위치하며 120여 개의 발전시설을 가진

지우롱강(Jiulong River)의 ‘하천’에서 ‘댐’으로 하천특성이 변화되어 지속적인 영양염 유입 및 저류, 영양염 내부용출에

따른 부영양화 상관성 규명

- 댐화(Damming)로 체류시간이 최대 1.1일 까지 증가, 이로 인해 용존질소는 보다 적게 용존인은 보다 많이 저류

하여 조류증식의 주 원인으로 제시(p.253)

"Damming, as a sustainable management of natural water resources, is ubiquitous along the Jiulong River, and it is reported that the maximum of 120 power stations has been reached. The most obvious impact is a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bodies from ‘‘river’’ to ‘‘lake’’, not only the physical, but also the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Five sub-watersheds with power stations at the outlets (within which the XZK sub-watershed had algal blooms) were sele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damming on nutrient retention. Obviously, because of damming, the residence time of river water was prolonged, up to 1.1 d at the longest. That meant nutrient particles as well as dissolved nutrients received a longer time to be retained in these ‘‘reservoirs’’, and so these particles might finally settle to the sediment beneath the water. Calculations showed that the retention efficiencies of DN were ranged from 1.8% to 18.2%, which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DP (44.1–5.9%) at the five power stations." (p.253)

- 23 -

번 호 J-I-15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A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of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growth in a stratified lake with buoyant incoming flow성층 호수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

학 회 지 Ecological Modelling, 199, pp.298-314, 2006저 자 Eun Hye Na, Seok Soon Park

요 약

❍ 팔당호에 3차원적 유체역학·수질 모델 적용 및 식물

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패턴 제시

- 수문학적 변동에 의하여 인 부하가 조절되며 이는 식물

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침(p.298) - 체류시간이 가장 길었을 때 팔당호의 남쪽 지류와 경안천

에서는 인 부하가 2배로 증가하였으며 평균 chl-a 농도는

약 25~33% 증가하였음(p.298)

"From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incorporating hydrodynamic processes could successfully simulate phytoplankton response to changes in nutrient loads and that it could become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the essential factors determining phytoplankton growth and for developing the best management policy for algal blooms in Lake Paldang." (p.298)

"In the downstream region of the South Branch and in the area south of South Island, which have the longest residence time, however, the mean Chl-a concentrations increased by 33 and 25%, respectively, when the phosphorus loadings from the South Branch and Kyoungan Stream were doubled." (p.298)

- 24 -

번 호 J-I-16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ree-dimensional model for analysis of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hytoplankton in Tucuruí reservoir, Pará, Brazil식물플랑크톤 시공간 패턴 분석을 위한 3차원 모델

학 회 지 Ecological Modelling, 253, pp.28-43, 2013

저 자

Ricardo Deus, David Brito, Isabella Ascione Kenov, Marcelo Lima, Vanessa Costa, Adaelson Medeiros, Ramiro Nevesb, C.N. Alves

요 약

<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패턴 연구 >❍ 모델링을 이용하여 Brazil, Pará State, Tucuruí 저수지

식물플랑크톤 시공간적 패턴 제시

-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체류시간 언급(p.41) - 시뮬레이션 결과, 짧은 체류시간으로 인해 chl-a의 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p.36) 짧은 체류시간으로 인하여 식물

플랑크톤이 씻겨 내려갈 가능성이 높음(p.39)

"Model results suggest that even if the Tucurui reservoir is a phosphorus limited system occur decreasing gradient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present, showing that the hydrodynamics in the reservoir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phytoplankton growth, i.e., eutrophication conditions(Thomann and Muller, 1987)." (p.41)

"Simulated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are low throughout the simulation period, because the Tucurui reservoir has a low water residence time, impairing algal growth." (p.36)

"This suggests that the water is rapidly flushed out by high incoming flow and that phytoplankton growth is constrain by the short residence time, allowing the nutrients disposition to the water surface layer occurred through excretion of the phytoplankton by cell lysis." (p.39)

- 25 -

번 호 J-I-17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e role of a eutrophic lowland reservoir in shaping the composition of river phytoplankton

학 회 지 Ecohydrology & Hydrobiology, 12(3), pp.231~242, 2012저 자 Magdalena Grabowska

요 약

<하천 및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성요인 분석>❍ 우점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장기간 및 계절적 변동성의

원인을 규명하고 하천 및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을 구성하는데 있어 각각의 역할을 연구

- 저수지에서 남조류의 군집 발달을 돕는 요인으로 체류

시간을 언급(p.231) - 저수지의 체류시간(3~28개월)과 가을철(9~10월) 식물

플랑크톤 세포밀도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p.238) - 얕은 댐 저수지에서 체류시간이 3개월을 초과할 때

남조류의 군집이 발달하고 하천수질이 악화되어 피해

증가 확인(p.231)

"Water retention time, daily water outflow and molar TN:TP ratio were the factors favouring mass development of Cyanobacteria in the reservoir." (p.231)

"There are also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water retention time in the reservoir(3-28 months) and PB in autumn(September-October), and between average daily outflow(0.87-3.76 m3/s) from the reservoir and PB at the fi rst two downstream stations (ONR 4-5)." (p.238)

"The study demonstrated that water retention time exceeding 3 months in shallow dam reservoir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isk of river water quality deteriorating as a result of mass development of Cyanobacteria." (p.231)

- 26 -

번 호 J-I-18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Physical Factors Control Phytoplankton Production and Nitrogen Fixation in Eight Texas Reservoirs8개 텍사스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산과 질소 고정하는 물질적 요소

학 회 지 Ecosystems, 11, pp.1181-1197, 2008저 자

Margaret G. Forbes, Robert D. Doyle, J. Thad Scott, Jacob K. Stanley, Hui Huang, Bryan W. Brooks

요 약

<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산과 질소고정을 조절하는 물리적인 요소에 대한 연구 >

❍ 통계분석(regression tree analyse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을 통해서 물리적 요소, 토지 이용도 및 수질과의

관계 분석

- 질소고정 남조류는 느리게 성장하고 빠르게 흐르는 수체

에서의 성장이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긴 체류시간을 선호함(p.1194)

"Cyanobacteria growth was higher in areas with longer HRTs which also had relaxed phosphorus limitation. Thus, longer retention times may favor N2 fixing cyanobacteria because they are slower growing and thus may be at a disadvantage in faster flushing systems." (p.1194)

- 27 -

번 호 J-I-19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e importance of nutrient source in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retention time on phytoplankton: an explorative modelling study of a naturally well-flushed lake

학 회 지 Hydrobiologia, 627, pp.129-142, 2009저 자 J. Alex Elliott, Ian D. Jones, Trevor Page

요 약

< 체류시간이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영양염류의 중요성을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 >❍ 체류시간, 영양염류 및 Chl-a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Vollenweider 모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모델(PROTECH)을 사용

- 동계시 평균 Chl-a는영양염류에 관계없이체류시간이 감소함에

따라항상감소하였으나, 하계시에는영양염류에의존

- 하계 시 영양염류 인이 제한된 point source system에서 물의

흐름이 느리다면 Chl-a는 증가할 것이며, 반대로 diffuse system에서는 감소할 것이라고 제시(p.141)

"The first model was a derivation of the Vollenweider model and the second wa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model, PROTECH." (p.129)

"Winter mean chlorophyll always declined with decreasing retention time, regardless of nutrient source, but the summer mean curves were source dependent and similar to those produced by the adapted Vollenweider model." (p.129)

"If summer flows were low in a point source system limited by phosphorus, chlorophyll is likely to increase and conversely in a diffuse system, it would decrease." (p.141)

- 28 -

번 호 J-I-20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Effect of nutrient loading and retention time on

performance of high rate algal ponds

조류가 많은 연못에서의 오염원 부하 및 지체시간의 효과

학 회 지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9, pp.301-309, 1997저 자 Nancy J. Cromar, Howard J. Fallowfield

요 약

❍ 스코틀래드 농업대학 온실에서 작은 실험연못에서 오염원

제거와 건조물의 생체량에 의해 연못의 C : N : P 부하율과

체류시간의 변화 효과 연구

- 장기적인 체류시간은 총 생체량 농도 및 조류의 생체량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질소 제거율도 증가(p.303)

"These results reflect the lower initial loading rates of both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pond. The rate of nitrification in the control pond increased when the retention time was increased from 4 to 7 days. The trend in the experimental pond was similar, but not so marked. The improved efficiency of nitrification may be due to the relatively low growth rates of nitrifying bacteria, which achieved a higher density at the longer retention time and thus effected a more complete conversion to nitrate." (p.303)

- 29 -

번 호 J-I-21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Effect of flow velocity on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position in a freshwater lake

담수호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조성에 대한 유속 영향

학 회 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47, pp.64-71, 2013저 자

Li Feipeng, Zhang Haiping,⁎Zhu Yiping, Xiao Yihua, Chen Ling

요 약

< 식물플랑크톤 성장과 유속의 상관관계 연구 >

❍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조성에 대한 유속의 영향 연구

- Chl-a의 농도와 flow velocity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

- 유속이 가장 빠른 구간에서 가장 낮은 Chl-a 농도

(35.24 ug/L), 유속이 가장 느린 구간에서 다른 구간

보다 Chl-a 농도가 9.1-31.7% 높게 나타남 (p.67)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R2=−0.618, n=222, P<0.001) was found between Chl-a concentration and flow velocity." (p.64)

"The north watercourse with the highest flow velocity had the lowest average Chl-a concentration(35.24 μg/L) in all watercourses. While the south watercourse with the lowest flow velocity had the highest average Chl-a concentration, 9.1–31.7% higher than other water courses." (p.67)

- 30 -

번 호 J-I-22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The effects of water transfer from Swakoppoort and Omatako dams on the water quality of Von Bach dam, Namibia

학 회 지Combating water scarcity in Southern Africa, pp.79-118, 2013

저 자 J. J. Sirunda, D. Mazvimavi

요 약

❍ 조류 대발생(Algal bloom)은 9개 요인의 조합에 의해

발생(pp.84-85)

1) 수온 20℃↑ 상승

2) 경쟁과 포식의 부족

3) 빛

4) 긴 체류시간

5) 낮은 세척률

6) 영양염류

7) 강한 수직 성층화

8) 기온

9) 수층의 안정화

"Algal blooms occur when there is a correct combination of nine factors: (i) elevated water temperature of 20 ℃; (ii) lack of competition and predation; (iii) light; (iv) long residence time; (v) low flushing rate; (vi) nutrients; (vii) strong vertical stratification; (viii) temperature and (ix) water column stability." (pp.84-85)

- 31 -

번 호 J-I-23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Spatial and tempor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long a regulated river system, the Nakdong River, Korea

학 회 지 Hydrobiologia, 470, pp.235-245, 2002저 자 Kyong Ha, Min-Ho Jang, Gea-Jae Joo

요 약

< 낙동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시계열 변화 연구 >❍ 높은 영양염류 조건에서 낮은 유속과 정체기간 중에 높은

밀도의 조류 군집 발생

- 건기 긴 체류시간 동안 낙동강 하구언 상류 27 km지역

에서 Microcystis 풍부도(abundance)가 7~8배 높음

(p.243)

"This community consistently had high density in the period of water stagnation and low water velocity at high nutrient conditions. In this 2-year study of the Nakdong River, 7–8 times of higher abundance of Microcystis 27 km upward the estuary dam than at other study sites were observed during long water residence time in dry summer season." (p.243)

- 32 -

번 호 J-I-24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Water level as the main driver of the alternation between a free-floating plant and a phytoplankton dominated state: a long-term study in a floodplain lake

학 회 지 Aquatic Sciences, 73, pp.275-287, 2011

저 자

Inés O'Farrell, Irina Izaguirre, Griselda Chaparro, Fernando Unrein, Rodrigo Sinistro, Haydée Pizarro, Patricia Rodríguez, Paula de Tezanos Pinto, Ruben Lombardo, Guillermo Tell

요 약

❍ 호수 범람원에서 부유식물과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상태와 수위변동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체류시간 증가, 가뭄 증가, 기온 증가 등 기후변화가

부영양화된 물에서 사이아노박테리아 대발생을 일으킴

(p.284)

"Paerl and Huisman(2009) asserted that climatic changes favour harmful cyanobacteria blooms in eutrophic waters because of various mechanisms that enhance cyanobacteria growth over other algae. These include increased water retention times, increased droughts and increased temperatures." (p.284)

- 33 -

번 호 J-I-25 Research Article

논 문 명

Forty years of monitoring water quality in Grasmere (English Lake District) : separating the effects of enrichment by treated sewage and hydraulic flushing on phytoplankton ecologyGrasmere 40년간 수질모니터링

학 회 지 Freshwater Biology, 57, pp.384-399, 2012저 자

Colin S. Reynolds, Stephen C. Maberly, Julie E. Parker, Mitzi M. de Ville

요 약

< 호수 플랑크톤 동태연구 >❍ 40년 간 Grasmere에서 플랑크톤 동태와 수질의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영양염 부하와 수문 변동성이 생물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최대 Chl-a 농도와 방류량 간의 분명한 음의 관계가

나타남(p.392) - 체류시간이 짧을 때에는 영양염의 가용 기간이 감소하고

영양염의 질이 낮아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감소됨

(p.393)

"There is a clear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and the discharge." (p.392)

"Our data reveal several contributory mechanisms interacting in a complex way, including the fact that the period of availability of nutrient decreases with shorter residence times, having the effect of making the medium less fertile." (p.393)

- 34 -

번 호 J-D-1 Domestic Article논 문 명 팔당호의 장기간 식물플랑크톤 발생 추이

학 회 지 한국물환경학회지, 19(6), pp.673-684, 2003

저 자 박혜경, 정원화

요 약

❍ 팔당호에서 댐 방류량 및 수문 조작에 따른 수리학적

체류시간(Hydraulic retention time)은 오염물질의 유출입, 오염물질을 이용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 ‘96~’02년 남조류 발생시기인 6-9월 팔당호 남조류

발생은 댐 방류량, 즉 체류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p.680) - 풍수기 팔당호의 남조류 대량발생을 제어하는데 상류

댐에서의 적절한 수문조작에 의한 수량 조절이 중요

- 35 -

번 호 J-D-2 Domestic Article논 문 명 장마기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학 회 지 한국육수학회지, 35(3), pp.160-171, 2002

저 자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요 약

❍ 1997년 여름철(6-8월) 낙동강 하류 물금 지역에서 수질

측정조사를 통해, 장마 전후 조류 Chl-a 농도의 급격한

변화 보고

- 낙동강 하류 구간에서 장마의 영향으로 일부 일사량

감소로 조류 일차생산력이 감소할 뿐 아니라 강우로 인한

유량 증가로 유속이 증가하여 체류시간이 감소하여

조류생체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기술(p.166)

- 36 -

번 호 J-D-3 Domestic Article논 문 명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 군집 대발생의 특징

학 회 지 Algae, 18(4), pp.255-262, 2003

저 자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요 약

❍ 한강 하류(팔당댐 하류~행주대교) 2001-02년까지 조류발생

- 여름철 집중강우로 많은 유량과 짧은 체류시간에 의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희석되어 낮아지고, 건기인 동절기에

부영양화 수역에서 긴 체류시간으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을

보임

-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변동은 유량과 유속이 크게

기여

- 한강 하류는 부영양화 수역임에도 수온이 상승하는 여름철

몬순기후에 따른 집중강우로 짧은 체류시간이 남조류

대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

※ 부영양화수역인 한강하류는 짧은 체류시간에 따라 전반적인

남조류의 대발생은 부분 억제되고 있음(p.261)

- 37 -

번 호 J-D-4 Domestic Article논 문 명 금강 하류에서 녹조류 녹색소구체목의 개체군 동태

학 회 지 Korean J. Limnology, 31(3), pp.219-224, 1998

저 자 김준태, 부성민

요 약

❍ 금강하구언 폐쇄에 따라 유수역에서 정수역으로 변해가는

과정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개체군 동태 변화 규명

- 금강 수계에서 녹조 녹색소구체목 식물플랑크톤은 총

8과 28속 73종으로 이는 하구언 폐쇄 이전에 감조수역

에서 보고한 9종 보다 훨씬 다양(p.220)

- 계절에 따른 현존량의 변화는 춘계와 추계에 높았고,

하계와 동계와 낮음. Bimodal형의 동태 변화는 안정된

정체수역에서 계절에 따라 일어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임 (p.222)

- 38 -

번 호 J-D-5 Domestic Article논 문 명

육수학적 특성에 따른 국내 저수지의 부영양화 유형분석

생태와 환경

학 회 지 한국육수학회지, 37(2), pp.213-226, 2004

저 자 김호섭, 황순진

요 약

❍ 전국 저수지를 조류발생특성별로 유형화하여 형태학적

인자, 유역 내 오염원의 종류, 오염발생 부하량과 수질과의

상관관계 분석

- 체류시간이 짧고 상대적으로 조성된 시기가 오래되지

않은 저수지 등이 엽록소a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임

(p.216)

- 39 -

번 호 J-D-6 Domestic Article

논 문 명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에서 플랑크톤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학 회 지 Korean J. Limnology, 37(3), pp.263-271, 2004

저 자 이욱세, 한명수

요 약

❍ 체류시간이 서로 다른 부영양 수계(경안천, 석촌호수)

생물조사 및 환경요인조사 수행(‘00. 12월~’01. 8)

- 석촌호수는 5월 초순부터 Microcystis가 우점하였고

경안천의 최고 10배 이상 높은 밀도로 9월 말까지 지속

- 정체성 호소인 석촌호수가 경안천에 비해 소형 군체형

남조류가 많았으며, 경안천은 잦은 강우와 팔당댐 방류로

인하여 수체이동이 빨라져 정체성 남조류 밀도가 낮았던

것으로 판단( p.266)

- 40 -

번 호 J-D-7 Domestic Article논 문 명 강우기 및 평수기의 팔당호 유기물 수지산정 생태와 환경

학 회 지 한국육수학회지, 37(3), pp.272-281, 2004

저 자 박혜경, 이유희, 정동일

요 약

❍ 정체수역(팔당호)에서 강우기 및 평수기의 유기물 부하

중 내부생성유기물 기여도 평가

- 평균 체류시간이 짧으면(각각 3.4, 2.3일) 조류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평균 체류시간이 길어짐(6.3일)에 따라

정체로 조류증식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보임(p.

274-275)

- 체류시간이 길고 수체 내 클로로필 a 농도가 높은 6월에

모든 지점에서 생산력이 높았고 강우에 의해 체류시간이

짧고 조류 현존량이 적은 4월과 8월에는 내부생산에

의한 유기물 부하는 7%(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여도는

5%)로 매우 낮음 (p.280)

- 41 -

번 호 J-D-8 Domestic Article논 문 명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학 회 지 대한환경공학회지, 34(6), pp.421-429, 2012

저 자 안창혁, 권재형, 주진철, 송호면, 조경제

요 약

❍ 화포천 본류의 수질 분석 및 공간적 상관성 분석

- 보가 있는 상류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하류

에서는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유량이 적은 1,2월에 증가

- 체류시간이 정체 수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428), 식물플랑크톤은 6월에 보와 습지 등 정체구간에서

높게 나타남

- 42 -

번 호 J-D-9 Domestic Article

논 문 명팔당호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학 회 지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저 자 최광현

요 약

❍ 팔당호와 유입지천 대상으로 2003년 월 1회 식물플랑크톤

발생현황 조사, 시기별 조류발생 패턴을 분석

- 수온이 올라가는 6월부터 시작하여 8월에 탁류가 유되는

시기 전까지 높은 현존량을 보임

- 경안천의 인 농도와 부하량이 팔당호 조류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임

- 조류의 성장은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불규칙성, 외부

영양염류 및 부유성 현탁물질 유입,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영양염류 이용성의 영향을 받음

- 43 -

번 호 J-D-10 Domestic Article논 문 명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학 회 지 Algae, 17(4), pp.275-281, 2002

저 자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요 약

❍ 팔당호 등 10개 댐호수를 대상,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수화 발생 현황, 수질 영양단계 평가

- 팔당호는 년중 수화 상태(식물플랑크톤 5,000 cells·ml–1

이상)에 있으나 짧은 체류시간으로 남조류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으며 8월과 10월에 타 호수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증가는 그다지 크지 않음(p. 280)

- 팔당호는 8월과 10월 높은 수온기에도 남조류가 아닌

갈색편모조강과 규조강의 종들이 이례적으로 수화의

원인 종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남조류의 생육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체류시간 때문임(p.280)

- 44 -

번 호 J-D-11 Domestic Article논 문 명 팔당호의 조류 발생 특성

학 회 지 대한환경공학회지, 31(5), pp.325-331, 2009

저 자 김진근, 이송희, 방호희, 황수옥

요 약

❍ 팔당호 ‘06-’08년 이화학적 환경요인, 조류현존량, 2-MIB

및 geosmin 측정

- 팔당댐은 상류의 소양강댐, 충주댐 등과는 달리 홍수조절

기능이 거의 없어 체류시간은 강우에 의한 유입유량의

변동 및 팔당댐 방류량에 의해서 결정

- 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특성상 기상조건에 매우 민감하므로

강우특성 및 일조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체류

시간이 길고 일조시간이 길수록 조류발생량이 많음(p.327)

- 체류시간의 급격한 감소에 의한 수체교체 효과 등으로

조류 증식이 제한을 받아 클로로필-a 농도 감소

- 45 -

번 호 J-D-12 Domestic Article

논 문 명북한강 수계에서 이취미를 유발하는 남조류(Anabaena

spiroides)의 증식 특성

학 회 지 Korean J. Ecology and Environment, 46(1), pp.135-144, 2013

저 자 유경아, 변명섭, 윤석제, 황순진, 류덕희

요 약

❍ 상류 의암호부터 하류 팔당호까지의 조사구간에서 2011년

11월 28일부터 12월 30일지까지 저수온기

- 수온 상승과 체류시간 증가 등의 물리학적 수환경 변화가

남조류 Anabaena spiroides의 과다증식에 영향을 미침

- 북한강 수계의 갈수현상과 하천유량 감소는 북한강 수계

하류에 위치한 각 댐호의 유입·방류량 감소 및 체류시간

증가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남조류 Anabaena spproides의

과다 증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

- 46 -

번 호 J-D-13 Domestic Article

논 문 명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t the

eutrophic down reach of a regulated river(the Han

River, Korea)

한강 부영양수역 식물플랑크톤 1차 생산성

학 회 지 Korean J. Limnology, 34(4), pp.267-276, 2001

저 자 남궁현, 황길손, 김범철, 김갑수

요 약

❍ 부영양한 한강 하류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1차 생산

조사를 통해,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변동과 유량의 변화의

관련성 조사

- Chl-a 농도는 유속이 증가할 때 감소하며 유속에 의존

- 47 -

번 호 J-D-14 Domestic Article

논 문 명경상북도 청도군, 운문호의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변동과

수화현상의 수문학적 발생원인

학 회 지 Algae, 22(4), pp.261-271, 2007

저 자 김미경, 이순화, 이철희

요 약

❍ 운문호 2004년 5~12월 이화학적 수환경 요인과 식물

플랑크톤의 종조성 및 현존량 조사

- 정체수역에서 표층과 수심 10 m에서 엽록소 a의 농도는

운문댐 수문학적인 특징(정체수역의 체류시간 증가, 유효

저수량 증가 등)과 강우량 감소(10.9mm/월평균)로 높게

나타남(p.267)

- 여름뿐만 아니라 가을인 10월에도 Aulacoseira sp.의 발생을

차단하고 조류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예방대책은 방류량을

증가시키는 것임

- 48 -

번 호 J-D-15 Domestic Article논 문 명 수온에 따른 영산강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학 회 지 Korean J. Environ. Biol., 28(2), pp.56-63, 2010

저 자 정은정, 나정은, 김규만, 심성순, 이학영

요 약

❍ 영산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생물량과

여러 환경인자들과의 관계 파악

-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 Chl-a 농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집중 강우로 본류의 유량이 크게 늘어나고 유속이 빨라져

체류시간이 짧아지고 탁수의 유입으로 광투과도가 감소

하였기 때문임(p.59)

조류와 체류시간(유속)과의 관계

- 기 타 -

- 51 -

번 호 기타-1 Homepage

제 목Harmful algal blooms (HAB)유해 조류 대발생

발행기관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eorgia, USA저 자 http://www.cdc.gov/nceh/hsb/hab/default.htm

요 약

< 독소를 생산하는 조류 발생 >❍ 남조류 대발생

- 대발생은 표면에서 부유하고, 하안 가까이 수 cm 두께존재

- 남조류 대발생은 따뜻하고 천천히 움직이는 물에서 발생

(비료유출또는 정화조 월류에 의해 영양염류가풍부한 경우) - 남조류 대발생은 늦여름 또는 초가을에 자주 발생

"The blooms usually float to the surface and can be many inches thick, especially near the shoreline. Cyanobacterial blooms can form in warm, slow-moving waters that are rich in nutrients such as fertilizer runoff or septic tank overflows. Blooms can occur at any time, but most often occur in late summer or early fall."

- 52 -

번 호 기타-2 Homepage

제 목What causes algal blooms조류 대발생 원인

발행기관 New South Wales, Australia 저 자

http://www.water.nsw.gov.au/Water-Management/Water-quality/Algal-information/

요 약

< 조류대발생을 일으키는 조건 >❍ 담수조류 대발생은 영얌염류, 수온, 빛, 탁도, 안정한 정도

등에 의해 발생

- 남조류는 작은 유속, 긴 체류시간, 약한 풍속, 최소한의 난류 선호

- 성층화에 의해 층간 혼합이 멈추고 수체가 안정화되면

남조류가 성장

"Blue–green algae prefer stable water conditions with low flows, long retention times, light winds and minimal turbulence."

"Another consequence of stable conditions is thermal stratification of the water body. Thermal stratification occurs when the top layer of the water column becomes warmer and the lower layer remains cooler. When the two layers stop mixing, the upper layer becomes more stable and the growth of blue–green algal blooms is encouraged. Often water with low levels of oxygen(anoxic) result in bottom waters when a water body is stratified, which may lead to increased nutrient release from the sediments."

- 53 -

번 호 기타-3 Homepage

제 목Blue-green algae in freshwater

발행기관 Queensland, Australia저 자 http://www.nrm.qld.gov.au/water/blue_green/blue_green.html

요 약

< 남조류 대발생 >❍ 남조류의 우점 및 대발생 조건

- 질소및인등의영양염류수준이개체성장을지원하기에 충분함

- 물이 안정하고 난류(turbulence)가 작음 (혼합이 부족함) - 기상 패턴이 오랜 기간동안 안정함

- 날씨가 따뜻함 (조류대발생은 선선한날씨에도 발생할 수 있음)

"Species of blue-green algae may dominate and increase excessively in water when the: nutrient levels, particularly phosphorus and nitrogen are sufficient to support the population growth; water is still and turbulence is low (lack of mixing); weather patterns are stable for a long time; weather is warm (although blooms can occur in cooler weather too)."

- 54 -

번 호 기타-4 Homepage

제 목Managing the Growth of Blue-Green Algae남조류 성장 관리

발행기관 New zealand저 자 Hawke's Bay Regional Council

요 약

< 남조류 관리방법 >❍ 남조류 성장에 필요한 주요 요인

- 유동 안정성 : 플러싱 없이 장기간 안정화

- 기질 크기 : 안정성

- 유속 : 지점 유속

❍ 남조류 성장을 억제하려면 주요 요인에 변화를 줌

"(Reducing algae and slime) The key known drivers of Phormidium growth are : flow stability - long accrual period, absence of flushing flow, substrate size - stability, velocity - point velocity." (p.1)

"(Flushing flows as a management tool) Flushing flows will probably remove a proportion of the biomass, but complete removal of firmly attached mats may not occur." (p.1)

조류와 체류시간과의 관계 자료집 (Ⅰ)

■ 인 쇄 : 2013년 08월■ 발 행 : 2013년 11월■ 발 행 인 : 김삼권■ 발간위원 :

(물 환 경 연 구 부 ) 류덕희(물환경공학연구과) 유순주․정동환․박창희․신기식

박우상․김현우 김웅기(유역생태연구팀 ) 이수형․유경아․송미애․박혜진(수질총량연구과 ) 김용석․신동석․김홍태(수질통합관리센터) 김경현․나은혜․민중혁

■ 발 행 처 : 국립환경과학원■ I S B N : 978-89-6558-217-5  93530

※ 본 자료집의 내용을 무단 전재하는 것을 금하며,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 합니다.

※ 본 자료집에 대한 문의사항은 아래 연락처로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032-560-7427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