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발간등록번호 11-1480523-002454-01 NIER-RP2015-17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 환경건강연구부 환경보건연구과 유승도 박충희 이보은 김대선 김수진 남상훈 홍수연 김도현 201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23-002454-01 NIER-RP2015-17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

환경건강연구부 환경보건연구과

유승도, 박충희, 이보은, 김대선, 김수진, 남상훈, 홍수연, 김도현

Study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Environmental Health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Seungdo Yu, Choonghee Park, Boeun Lee, Daeseon Kim,

Suejin Kim, Sanghoon Nam, Sooyeon Hong, Dohyun Kim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Division

Environmental Health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Page 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i

목 차

목차 ···························································································································· ⅰ

표목차··························································································································ⅲ

그림목차······················································································································ⅳ

Abstract ························································································································ⅴ

Ⅰ. 서 론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

1.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문제 현황 ·································································2

2. 국제협력방안 ·····································································································2

3. 환경보건평가 적용방안 ···················································································3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

1.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문제 ···········································································4

가. 아시아 지역 및 국가의 현황 ·······································································4

(1) 아시아 지역 및 국가별 특성 ······································································4

(2) 아시아 지역 국가의 분류 및 현황 ····························································4

나. 국제기구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환경보건사업 현황 ···················17

(1) 세계보건기구(WHO) ·················································································17

(2) 유엔환경계획(UNEP) ················································································19

다. 국제협력사업 현황 ·······················································································19

(1) 국가간 회의 ································································································19

(2) 정부기관에서 추진중인 국제 환경협력사업 ········································20

2.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국제협력방안 마련 ·················································21

가. 환경보건 문제 도출 및 우선순위 검토 ···················································21

(1) 아시아 지역의 환경보건 문제 검토 ························································21

Page 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ii

(2) 주요 개발도상국의 환경보건 문제와 수요 ··········································22

(3) 환경보건 문제해결 이행 가능성 평가를 통한 우선순위 검토 ········24

나. 장단기적 협력방안 마련 ·············································································25

(1) 국제협력 모형 검토 ····················································································25

(2) 접근방안 및 협력체계 구성 검토 ····························································28

다. 전문인력 양성교육 상호협력방안 검토 ···················································29

(1) 전문인력 양성 지원방안 검토 ··································································29

(2) 환경 및 환경보건기반 기술교육 지원방안 검토 ··································29

3. 광산지역 등 취약지역 환경보건평가 적용방안 마련 ·······························30

가. 개발도상국의 광산현황 파악 ·····································································30

(1) 환경 및 지리학적 특성 ··············································································31

(2) 오염도 자료 ······························································································33

(3) 학술지검색 ····································································································33

나. 환경보건평가 적용 방안 마련 ···································································34

(1) 예비 타당성 검토 ························································································34

(2) 예비평가 기준의 마련 ················································································35

다. 개발도상국 취약지역 환경보건평가 시범평가 ·······································37

(1) 조사대상 선정 ······························································································37

(2) 조사내용 및 방법 ························································································39

(3) 기존 조사결과의 재분석 ············································································40

Ⅳ. 결 론 ···················································································································44

참고문헌 ······················································································································46

부 록 ··························································································································49

Page 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iii

표 목 차

<Table 1> Characteristics of classified groups of Pacific island countries ·········16

<Table 2> Maj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by groups of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22

<Table 3> Maj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24

<Table 4> Priority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future research actions ····································································25

<Table 5>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27

<Table 6> Types of minerals and its development in strategic mines in

Mongolia ······································································································32

<Table 7> Publications on mining areas in Mongolia ·············································34

<Table 8> Scoring scale of each item for Mongolian mines ······························38

<Table 9> Modification of scoring scale considering human exposure ·············40

<Table 10> Scoring results after the modification of scoring scale ····················41

<Table 11> The number of mines of each group in the former data ··············41

<Table 12> Changes in rankings and the number of mines after the modification

of each group ···························································································42

<Table 13> List of mines subject to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considering

human exposure ························································································43

Page 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iv

그 림 목 차

<Figure 1> Classification of Asian countries ···························································2

<Figure 2> Framework of the southeast and East Asia ministerial forum on

environment and health ········································································18

<Figure 3> Location of strategic mines in Mongolia ···········································32

<Figure 4> Flowchart for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37

<Figure 5> Adjacent areas to Erdenet mine ·························································39

Page 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Abstract❚

vi

Abstract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re facing a range of environmental health

issues, but many of them lack funding and capacity to voluntarily take

action. Thus,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urgently required to seek

fundamental solutions of environmental health.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priority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seeking a cooperation model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nvironmental health.

In view of geograph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East Asian countries

were classified into landlocked, peninsula, island and Pacific island countries.

We identified maj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each country and

prioritized these issues based on feasi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ambient

and indoor air pollution, sanitation and climate change were determined as

priority issues in need of the cooperation and support. In addition, effective

approach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were presented by analyzing

development principles for the successful cooperation and identifying

barriers of existing cooperative projects. With regards to environmental

health capacity building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active platforms such

as training, symposiums and workshops were suggested. Furthermore, we

presented a flowchart for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to consider

amounts of tailings and mine waste rock, generation of dust scattering, water

and soil pollution levels and residence within affected areas, which can be

applied to mining areas in developing countries. We also identified needs to

take account potential effects of mining-driven environmental pollution on

human health in prioritizing issues of the assess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dentifying priority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Asian countries and presenting effective approaches that can be

referenc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promote environmental health.

Page 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Ⅰ. 서 론❚

1

Ⅰ. 서 론

세계보건기구 (WHO)에서는 전 세계 사망의 1/4이 개선 가능한 환경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경우 1/3이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발표하였다1.

경제수준이 낮은 국가의 경우, 환경요인이 질병의 발생이나 사망원인에

상당 부분 기여하고 있으며 국가의 정책방향을 경제발전에 맞추고 있어,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아시아 지역은 아프리카-유라시아 대륙에서 유럽과 아프리카를 제외한 부분

으로 대륙과 인도양 및 태평양의 인접 군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세계의 전체 인구

중 약 60% 정도가 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은 개발수준에

따라 도시화·저급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바이오 연료로 인한 실내 공기오염,

광산개발에 따른 중금속 오염, 하수나 폐수처리 시설의 미비로 인한 수질오염,

전자폐기물에 의한 화학물질 오염 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 전반에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토양변화, 매개동물에 의한 전염성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시아지역의 국가들은 지리적, 경제․문화적 특성 등

에 따라 대기, 수질 및 토양 등 다양한 분야의 환경보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70년대 이후 경제발전과 동시에 환경문제를 겪었으나, 현재에는

환경오염의 관리는 선진국 수준으로, 특히 환경보건 분야는 선진국으로 평가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쌓은 경험과 기술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한다면 국제

환경협력 분야에 큰 기여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WHO 협력센터로서

아시아지역 개발도상국의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고, 환경보건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Page 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

Ⅱ. 연구내용 및 방법

1.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문제 현황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환경보건 문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시아 지역 각

국가의 지리적 위치 및 경제개발 수준 등을 고려하여 특성별로 분류하였다(그림

1). 국가별 특성 및 환경과 보건문제는 국가프로파일(Country Health Profile),

WHO 심포지엄 자료 및 국제회의에서 발표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2,3.

또한, 인터넷과 국제학술지 등에서 환경 및 보건문제와 관련된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국가 단위 또는 지역적인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국제기구에서 아시아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보건사업 현황은 WHO,

UNEP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타 주요 국제회의의 발표내용을 참고하였다. 또한,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소에서 진행한 아시아 환경보건포럼, 아시아 환경보건 장관

회의, 고위급회의 및 학술회의의 발표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진행한 국제협력 현황은 WHO 협력센터 등 국제기구를 통한

협력, 한·중·일 회의 등 국가 간 회의, 환경부에서 추진 중인 국제협력사업과

비정부단체 및 학계에서 추진 중인 국제환경협력사업 등을 검토하여 정리하였다.

<Figure 1> Classification of Asian countries.

2. 국제협력방안

Page 9: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Ⅱ. 연구내용 및 방법❚

3

국제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리, 사회·경제조건이 유사한 국가들을

그룹화한 후, 주요 환경문제를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및 실내공기오염

등으로 분류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환경보건 문제를 도출하였다. 환경보건 분야

국제협력방안 마련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하였으며(’15.4.3),

여기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제협력 방향을 설정하고 협력모형을 마련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방안을 도출하였으며, 협력체계의 구성

을 위한 국제협력의 효율성, 효과, 파급효과 및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제협력의 일환으로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전문 인력 양성교육 및 상호협력

방안을 검토하였다. 각 국가의 환경 또는 보건 공무원, 대학교 및 공인된

연구소 근무자를 대상으로 환경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기술, 건강영향평가를

위한 기초교육, 심포지움 및 전문가 공동 워크숍 등 인력양성 방안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국가별 특성에 맞는 환경유해인자 분석기술 교육 등 국제협력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3. 환경보건평가 적용방안

국제협력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아시아지역 광산을 대상으로 환경보건평가를 적용

하기 위한 방법과 실행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환경보건평가 대상 지역으로

광산이 주요 산업이며 대규모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는 몽골의 광산을 선정하

였다. 몽골은 노천채굴이 주된 광업방식이며, 이로 인하여 대기 중으로 분진이

확산되고 있으며 광산주변 지역의 하천 및 지하수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환경보건평가를 위하여 몽골 광산지역의 일반현황, 환경오염현황 및 영향인구

등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간략화한 환경보건평가

도구를 마련하였다. 이 환경보건평가도구는 미국독성물질 질병등록국(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의 환경보건평가서4를 기초로

하여 활용 가능한 몽골의 광산자료를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몽골지역의 광산과 관련하여 오염물질의 발생과 인체노출

관점에서 환경보건평가를 모의하였다. 또한, 자료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방식의

제한점 및 실제 현지 평가 전 단계에서 현지의 전문가나 몽골의 국가기관을 활용

하여 환경보건평가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age 10: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4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문제

가. 아시아 지역 및 국가의 현황

(1) 아시아 지역 및 국가별 특성

아시아 지역의 개발도상국은 먹는 물 및 실내공기오염을 포함하는 위생시설의

미비로 인한 환경보건 문제부터, 급속한 경제개발과 산업화로 환경오염의 증가

와 관리체계 미흡에 따른 인체노출과, 이로 인한 건강영향 등 다양한 환경

보건 문제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는 농촌인구의 약 80%가 농업활동에 종사하고 있

으며, 선진국에서 사용이 금지된 디디티(DDT)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같은 화학물질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1. 또한 석탄, 나무, 동물 배설물과 같

은 고체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환기시설이 없어 입자상

물질,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벤젠, 톨루엔, 및

포름알데히드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공기

질을 나쁘게 만들고 있다.

필리핀, 몽골 등 일부 국가에서는 대규모 광업 및 비인가 금 채굴 작업 등

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광산 활동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의한 호흡기 건강과

수은에 오염된 물과 생물섭취로 인한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5,6.

또한, 아시아지역 전반에 걸쳐 기후변화로 인해 기후, 지표수 및 토양특성의

변화와 모기와 진드기 같은 매개동물에 의한 전염성 질병이 증가 및 안전한 식수

의 부족으로 인한 설사, 콜레라 등 수인성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다.

(2) 아시아 지역 국가의 분류 및 현황

(가) 내륙국

Page 1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5

1) 몽골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3백만 명이며, 인구밀도는 1.92명/km2으로 인

구밀도가 가장 적은 나라이다. 으로 전체 인구의 약 27%가 15세 미만이며, 15-64세

69%, 65세 이상 인구는 4%를 차지한다. 인구성장률은 1.31%, 조출생률은 천 명당

21 명, 평균수명은 69.3세이다3. 최근 도시화와 경제발전에 따른 개발 증가로 인해

농촌에서 대도시 및 중소도시로의 이주가 증가하여 농촌지역 거주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28%에 불과하다.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160만 km2로 지리적으로 동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에 속한

다. 산악국가로 영토의 80%가 해수면 1,000m 높이에 위치해 있다. 전형적인 대륙

성기후로 각종 전염병, 풍토병이 자주 발생한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GDP는 증가추세로 2014년 1인당 11,900달러였으며 2010년 공업총생산

액 구성비는 광산업 및 채석업이 66.7%, 제조업 23.9%, 전자·열에너지 및 물공급

산업이 0.4%를 차지하고 있다. 광산업은 몽골의 국가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제 통화 기금(IMF)에서는 몽골 수입의 71% 가 광산업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

하고 있다.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약 30 %로 나타났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국가 총 전력 생산량의 97%를 석탄 화력발전소서 생산하고 있는데, 탈

황시설이 없거나 연소가스의 부적절한 배출이 이루어지고 있어 대기오염의 주원

인이 된다. 또한, 울란바토르 인구의 1/4이 펠트천막으로 만든 전통가옥인 게르

에서 거주하며 석탄이나 나무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고 있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은 상·하수 처리, 난방 및 샤워 시설 등 위생

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환경보건 상태가 취약하다.

Page 1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6

광산업의 특성상 많은 광미나 폐석들이 주변지역에 방치되어 비산먼지,

지하수 등을 통해 토양과 식수를 오염시키고 있으며 수중생물과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8.

2) 네팔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3천 2백만 명이며 전체 인구의 약 31%가 15

세 미만이며, 15-64세 65%, 65세 이상 4.6%를 차지한다. 인구성장률은 1.79%, 조출생

률은 천 명 당 21명, 평균수명은 67.5세이다. 전체 인구 중 약 81.4%가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15만 km2 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산악지대, 언덕지대, 습지

대로 구분된다. 중국 국경지대에는 히말라야 산맥이 존재하며 고산기후를 나타

내고, 인도 국경지역은 평원지대이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GDP는 2014년 기준 1인당 2,400달러였으며, 15세 이상 문맹률이 2015년

기준 36%로 높은 편이다.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11년 기준으로 약 25%로 나타났다.

외국인 투자 우선분야는 수력발전, 운송, 인프라(고속도로, 철도 등), 농업기반시설

및 약초 가공 산업, 관광, 광업, 제조업 등이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식수 및 이와 관련된 위생시설 개선이 시급한 문제이며, 실내 및 도

시공기오염문제 또한 심각하다. 이와 더불어 의료폐기물 처리, 살충제, 산업용

화학물질, 지진으로 이한 건축자재 석면노출 또한 주요 환경보건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9.

Page 1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7

(나) 반도국

1) 라오스(라오인민민주공화국)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7백만 명으로 25세 미만의 인구가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성장률은 1.55%, 조출생률은 천 명 당 25명, 평균수명 63.9세

이다. 47개의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의 약 39%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24만 km2로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내

륙부에 속한다. 산악지대가 전 국토의 약 70%를 차지하며, 농경지는 약 11%에

불과하다. 고온다습한 전형적인 열대몬순기후로 각종 전염병, 풍토병이 자주

발생한다.

다) 사회·경제학적 특성

GDP는 2014년에 7.4%의 성장률을 보여 1인당 5,000달러였다. 이는

광업 및 수력발전과 같은 천연자원 부문 서비스 분야로 인한 것이다. 농업종사

인구가 2012년 기준 전체의 73%로 농업 의존율이 높고 공업발달은 저조한 상태

이다.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13년 기준 전체 인구의 22%로 나타났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전염성 질병이 상병 및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최근에는 생활습관과

관련된 비전염성 질병(Non-communicable diseases, NCDs)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시 주민의 약 60%만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농촌의 경우, 위생적

인 식수 공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온도와 습도가 변화하고

있으며 태풍과 같은 극단적 자연재앙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10.

숲의 상업적 이용, 메콩강 댐 건설 등은 라오스 뿐 아니라 메콩강 하류 지역의

캄보디아, 베트남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Page 1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8

2) 미얀마

가) 인구학적 특성

총 인구는 약 5천5백만 명으로 추정되며 인구밀도는 75명/km2이다.

말레이시아 및 인도, 타이, 방글라데시의 국경을 따라 난민촌이 존재하는데,

보수적인 추정에 의하면 미얀마의 난민은 약 30만 명이 넘고, 대부분이 로힝기야족,

카렌족 등이며 주로 미얀마-타이 국경을 따라 거주한다3.

나) 지리적 특성

미얀마 면적은 약 68만 km2로 한반도의 세 배 정도이며, 인도차이나

반도의 서단에 위치하고 있고, 남쪽과 남서쪽으로 벵골 만 및 안다만 해에 이르는

1,930 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지형적으로는 서부의 아라칸 산맥, 북부의

고산지대, 중부의 저지, 동부의 샨 및 테나세림 산지가 펼쳐져 있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GDP는 2013년 기준 1인당 약 914 달러로 추정되고, 농업이 주요 산

업이며 전체 경지 면적의 약 60%에서 쌀을 재배하고 있다. 석유·주석·텅스텐 등의

광물자원이 풍부하나, 전쟁과 계속되는 내란 때문에 생산량은 미미한 편이다.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고무이고 그 외에는 콩, 면화 등의

농산물과 수산물, 목재(티크재), 광물(보석) 등이며 공산품은 주로 수입하고 있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살충제, 산업 폐기물, 의료 폐기물 등이 환경보건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의료 폐기물은 처리작업자와 일반 국민에게 감염 위험성과 항생제

내성, 유해화학물질과 의약품이 관련된 위해성도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화장실

및 정화조 부족 등 부적절한 위생상태로 인한 감염성질병 발생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민이 식수로 빗물, 강 및 연못물을 사용하고 있어 비위생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11.

Page 1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9

3) 베트남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인구는 약 8천 4백만 명이며, 0-14세 인구는 감소추세로

전체인구의 약 24%이나 감소추세이고 반면,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5.8%이며 같은

기간 동안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당한 인구가 농촌에서 도시지역으로

이주하고 있어, 도시와 농촌의 인구성장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평균수명은 약 73

세(남성 71세, 여성 76세)이며 조출생률은 인구 천 명당 16명이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33만 km2로 인도차이나반도 가장자리에 위치한 S자 모양의

영토이며 북쪽은 산악지대와 홍강 삼각주(Red river delta), 중앙지역은 산악지역,

해안 저지대, 남쪽은 메콩강1) 삼각주(Mekong delta)로 구성되어 있다. 열대 저지대

및 언덕, 숲이 밀집한 고지대가 대부분으로 평지는 영토의 20%에 불과하다. 연간

습도가 84%에 이르는 아열대 습윤기후이나, 위도에 따라 기후가 다르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1인당 GDP는 2014년 기준 5,700달러이며, 성장률은 6%를 나타내었다.

빈곤율은 1993년 58%에서 2008년 14.5%로 감소하였으며,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12년 기준 약 11%로 나타났다. 매년 평균 180만 명의 인구가 빈곤에서 벗어나

1993년 빈곤인구 4,000만 명에서 2008년 1,250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며, 공장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도시화에 따른 자동차·오토바이 등의 배출가스가 주요한 대기오염원

이다12.

약 3,000개의 공장에서 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1) 메콩강 : 중국 티베트에서 발원하여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는 강으로, 길이는 약 4,180 km로 세계에서 12번째로 길다.

Page 1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0

있다. 광산 활동으로 인한 Ku Cing강 오염과 공장페수에 의한 Hong강 오염 등이

대표적인 수질오염 지역이다. 또한, 하노이에는 300여 개 이상의 산업체가 운영

중이나 대부분의 하수처리장 및 배수장이 노화되어 심각한 환경보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12.

4) 캄보디아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전체 인구는 1,570만 명이며 인구의 약 80%가 농촌지역에

거주한다. 전체 인구 중 15세 미만은 31%, 65세 이상은 4.04%이다. 평균수명은

남성의 경우 2015년 62세, 여성의 경우 2015년 67세로 나타났으며, 조출생률은

인구 1,000명 당 24명이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18만 km2로 인도차이나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톤레삽 유

역(Tonle Sap basin)의 중앙 저지대 평원과 국토를 양분하는 메콩강을 비롯하여

산맥으로 둘러싸인 특성을 갖고 있다. 메콩강은 캄보디아 내에서 450 km에 이르

며, 국토 중앙에 위치한 톤레삽 호수에 물을 공급한다. 국토 대부분이 열대 사바나

기후이며 내륙은 열대계절풍 기후로 1년 내내 기온과 습도가 높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1993년 이후 거시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2009년 세계적인

경제위기 이후에도 2010년 6.7 %의 성장률을 보였다. 농업(쌀)이 GDP의 약 30%

를 차지하며 노동인구의 약 49%가 농업에 종사한다. 2014년 GDP 성장률은 7%

로 1인당 GDP는 3,300달러이며, GDP 성장과 더불어 빈곤선 이하 인구 또한

2009년 약 28%에서 2012년 17.7%로 감소하였다. 30년 내전과 심각한 국내 갈등

으로 20세기 말 심각한 빈곤과 인력손실을 초래하여 2011년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열악한 인적자원 개발지수를 보였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Page 1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1

전염성 질병은 여전히 주요 사망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급성

호흡기감염과 급성 설사가 주요 질병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0년 전체 인구의 61%만이 안전한 식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된 위생시설을 사용하는 인구는 전체의 29%에 불과했다. 식수의 세균오염,

지하수에 함유된 비소 또한 주요한 환경보건 문제이다.

전체 인구의 98%가 요리와 난방을 위해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고 있어

실내·외 공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며, 금지된 살충제 및 농약 사용으로 인한

식량과 수질오염의 우려가 높다. 또한 의료폐기물을 포함한 고형유해폐기물도

환경보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13.

(다) 도서국

1) 말레이시아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3백만 명이며, 인구의 약 29%가 15세 미만이

며, 15-64세가 66%, 65세 이상 인구가 5.65%를 차지한다. 조출생률은 천 명 당 17.9명,

평균수명은 74.8세 이다.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75%를 차지한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33만 km2로 남동아시아에 위치하며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중국해에 의해 2개의 유사한 크기의 지역으로,

말레이시아 반도(서말레이시아)와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동말레이시아), 구분되어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17개 메가다양성(megadiverse) 국가 중의 하나로 많은

풍토종들이 존재한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말레이시아는 선진국 및 고소득 국가로의 진입을 목표로 2010년 신경

제모델 및 10차 말레이시아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014년 기준 GDP 성장률은 6

%로 1인당 GDP는 25,100달러이다. 빈곤율은 1985년 6.9%에서 2010년 0.7%로 감소

Page 1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2

하였고 빈곤선 이하 인구비율은 1980년 32%에서 2009년 3.8%로 감소하였다.

2014년 총 고용 인구는 약 1,400만 명으로 추정되며 실업률은 2.9%이었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대기오염원으로 산업지역, 자동차, 노지연소 및 월경성 오염 등이

있다. 안전한 식수 공급, 위생적인 식품 관리, 위생상태의 향상으로 인해 지난 20

년간 식품, 물, 위생관련 질환이 감소하였다.

수질오염의 원인은 가정하수, 산업시설 및 농업으로 인한 오염물질, 토지공사

작업에서의 유출물, 개간, 제조업에서의 폐수 등을 포함한다.

CO2 배출량은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구 및 소비 증가에 따라 1991년에서 2000년 사이에 폐기물 발생이 매년 평균

3.2% 증가하였다. 지방자치단체 고체폐기물의 약 24%가 불법 폐기되거나 배수구,

운하 및 강에 투기되고 있다14.

2) 인도네시아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2억 5000만 명이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다. 전체 인구의 약 26%가 15세 미만, 65세 이상이 6.6%를 차지한다.

평균수명은 72.5세, 조출생률은 16.7명, 인구성장률은 0.92%이고, 자바섬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이다3.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한반도의 약 9 배인 약 1,900만km2 이다.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

아에 걸쳐 있는 섬나라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약 18,000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대성 기후이며 계절풍대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도 자카르타는

높은 기온과 많은 강우량이 특징이며 습도도 연평균 75-85%로 상당히 높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Page 19: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3

인도네시아의 GDP 성장률은 2014년 기준 5%로, 1인당 GDP는 10,700달

러였으며, 빈곤선 이하 인구는 약 11%이다. 다양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수출 품목은 석탄, 연탄, 석유, 팜오일, 고무 등이 있고, 농업분야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인도네시아 공업은 정부 경제계획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있으나

자금 및 숙련공이 부족하여 어려운 상태에 있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인도네시아의 주요 도시에서 가장 큰 대기오염원은 차량의 배기가스

이며 최근 자동차의 증가로 인해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제조업 등 산업

분야의 공장과 같은 점 오염원들은 최근 급증하고 있는 대도시의 대기 중

SO2 농도증가의 주된 원인이다.

인도네시아는 환경규제에 대한 법적 강제성이 약하고, 강우 및 지하수 자원의

변화와 노상분뇨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생활용수 공급이 불안

정하여 대다수의 국민들이 빗물, 비위생적 우물 또는 강·호수에서 정수처리가

되지 않은 물을 사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폐기물 최종 처리시설의 부족 및 매립공간 부족으로 거리에

무단 투기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최종처리 시설의 부적절한 관리

로 메탄가스 폭발 및 침출수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생활폐기물의 40%는 최종처리장에서 처리되며 35%는 소각처리 되고, 나머지

는 처리과정을 거치치 않은 채 방치되고 있다15.

3) 필리핀

가) 인구학적 특성

2015년 기준 총 인구는 약 1억 명이며, 평균 인구증가률은 2.0%

(2000-2007)로 1960년대 이후로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여 2015년 기준 1.61%까지

감소하였다. 필리핀의 0-14세 인구는 약 34%, 65세 이상 인구는 4.28%로 젊은

층의 인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조출생률은 천 명당 24.3명, 조사망률

은 천 명당 6.1명이고, 평균수명은 68세이다3.

Page 20: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4

나) 지리적 특성

면적은 약 30만 km2로 7,100여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사람이 사는 섬은 약 880여개다. 기후는 열대성기후로 연평균 기온은 26

℃이고 우기(6-11월), 건기(12-5월)로 나뉜다. 몬순과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건기에는 덥고 건조한 기후가 계속되고, 고산지대는 일교차가 매우 큰 편이다.

또한 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양한

자연재해에 직면해 있다.

다) 사회·경제적 특성

GDP는 증가추세로 2014년 성장률은 6.1%, 1인당 GDP는 6,985달러이다.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이 성장세를 보이고 산업과 서비스 분야도 지속적으로 성장

하고 있다. 수출품은 반도체 및 전자제품, 수송장비, 의류, 구리제품 등이다.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12년 기준 약 25%로 나타났다.

라) 주요 환경보건 문제

필리핀은 산악지형과 여러 섬들이 흩어져 있어 교통 기반시설이 낙

후되어 있으며 대표적 대중교통 수단인 지프니(Jeepney)와 삼륜차(Tricycle)는 대기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특히, 북부 루존 지역은 산업화로 인해 연료가 목재에서 석탄으로 변화되면서

대기오염의 심각한 도시가 되었다. 또한 가정에서 폐기물을 불법 소각하는 경우

가 많아, 수도 마닐라의 경우 대기 중 분진농도는 총 11개 지점 중 10개 지점에서

환경 기준치인 90㎍/m3 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16.

식수의 80%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으며, 불안정한 하수처리로 폐수방류가

수질오염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7%만이 적절하게

처리되고 있다.

마닐라를 중심으로 수도권의 폐기물 수거율은 전체의 40% 이하로 폐기물이

강이나 바다, 도로에 버려지고 있다. 마닐라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고형폐기물은

6,720톤에 이르며 이 가운데 25%는 플라스틱 폐기물이다. 마닐라만에 떠다니는

Page 2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5

폐기물중 76%가 플라스틱 폐기물이며, 생물학적 분해가 가능한 폐기물은 13%에

불과하다. 또한 2000년 마닐라 지역에 폐기물 처리장이 폐쇄됨에 따라 단순매립이

급증하고 있다16.

(라) 태평양 도서국가

1) 지역적 특성

태평양 주변 국가들은 지구 총 면적의 약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소규모 섬나라이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 자연재해 등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다. 태평양 도서국은 지리·문화적으로 멜라네시아(Melanesia),

폴리네시아(Polynesia), 미크로네시아(Micronesia)로 구분되며 특징은 표 1과 같다.

Page 2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6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바누아투

- 낮은 인구밀도(10~16명/km2)- 풍부한 자연자원(석유, 커피, 금 등)- 낮은 인간개발지수(HDI)(0.314~0.425)- 높은 빈곤지수(46.6~52.2)- 높은 인구성장률(2.5~3.4%)- 높은 실업률- 공공부문역량 취약- 호주의 주요 지원대상국

쿡제도, 피지, 사모아, 통가

- 높은 기술력과 노동유동성- 양호한 경제성장- 높은 인구밀도(44~142명/km2)- 해외이주로 인한 낮은 인구성장률(0.3~1.1)- 양호한 인간개발지수(0.590~0.822)- 낮은 빈곤지수(5.9~8.6)

미크로네시아연방, 마샬군도, 팔라우

- 높은 경제성장- 양호한 인간개발, 빈곤지수- 프랑스, 미국(미크로네시아, 마샬군도, 팔라우)

등의 해외영토로 경제원조 혜택

키리바시, 나우루, 니우에, 토켈라우, 투발루

- 산호섬 구조로 규모가 작고, 고립됨 - 기후변화에 취약성이 높고, 부족한 자연자원 - 낮은 빈곤지수(4.8~12.13)- 뉴질랜드의 해외영토(니우에, 토켈라우)

<Table 1> Characteristics of classified groups of pacific island countries

2) 사회 경제적 특성

1975년 이래 연평균 GDP성장률이 0.5%에 머무르고 있어 경제성장이

더디고, 국제금융위기, 식량 및 에너지위기 등에 취약한 구조이다. 이는 도서국가

로서 경제규모가 작고 1차와 3차 산업에 의존하고 있는 산업구조, 지역적인

고립성, 공공·민간 역량의 부족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3) 주요 환경보건 문제

유엔환경계획(UNEP)의 보고서에 의하면 태평양도서국의 해수면은

1945부터 2004년까지 매년 2mm 정도 상승하고 있으며, 또한 과도한 연안개발과

Page 2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7

인구집중, 해양생물자원의 남획, 해양쓰레기 및 오염물질의 유입, 육상쓰레기

투기 등으로 생태계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구성 국가들과 파트너

국가의 기후변화 관련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7.

나. 국제기구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환경보건사업 현황

(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세계보건기구에서 수행하는 환경과 보건부서의 주요 연구 분야는 1)

실내공기오염 2) 대기오염 3) 화학물질안전 4) 어린이 환경보건 5) 전자기장

6) 재난·응급상황에서의 환경보건 7) 환경건강영향평가 8) 기후변화와 건강 9)

건강과 환경 연계 계획 10) 건강도시, 건강 학교 등 건강한 생활환경 11) 전리방

사선 12) 직업보건 13) 환경보건영향의 정량화 14) 자외선 15) 수질과 위생이며 환

경보건 분야 장관급 회의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지역별로 UNEP와 공동

주최로 진행되고 있다.

(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사무소(WHO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 지역사무소의 환경보건 전략의 목표는 1) 환경

보건 위해성 평가와 관리 분야의 국가별 역량을 강화하고 2) 환경과 보건

분야의 협조에 있어 사회경제 개발 분야와의 공조를 강화하며 3) 국가간 공통

또는 월경성 환경보건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간 협력을 촉진하는 것이다.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소에서는 지역 국가간 환경보건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동남아 및 아시아 국가의 고위급 회의(High-level meeting), 아시아 환경

보건 지역포럼(Regional forum on environment and health in Southeast

and East Asian countries)을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과 환경, 지속가능성,

빈곤 및 세계적 협력 관계를 이루고 협력체계 구축하여, 참여국과 동남아시아

및 아시아 국가의 환경보건 통합관리 체계 마련, 환경보건 위해성의 우선순위

평가 및 비용효과적인 국가 환경보건 이행계획(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Action Plans, NEHAP) 을 수립하며, 그 계획을 관련자에게 전파하고 있다.

아시아 환경보건 지역포럼의 구성은 그림 2와 같으며 수질 및 위생 등 7개

Page 2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8

우선 사업 분야에 대해 TWGs (Thematic Working Groups)를 구성하여 운영

하고 있다.

<아시아 환경보건 지역포럼>

◇ 기후변화 건강영향 등 아시아 환경보건 문제 논의

◇ 아시아 14개국의 환경보건 분야 정부부처 및 사무국(WHO, UNEP)으로 구성

- 장관급 회의(매3년), 고위급 및 자문단 회의(매1.5년), TF 회의(수시)

※ TWG(Thematic Working Group) : 7개 환경보건 분야의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

<Figure 2> Framework of the Southeast and East Asia ministerial forum on

environment and health.

(나) 세계보건기구 유럽 지역사무소(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WHO 유럽 지역사무소 환경보건정책의 제도적 틀은 2010년 제5차 장관

회의(Parma Conference)에서 채택된 유럽 환경과 보건절차(The European

Environment and Health Process, EEHP) 로 국가별 도입과 국제정책 사이의

적절한 조화, 적당한 수준의 모니터링과 적용, 정치적 문제해결 등을 제시하

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유럽 지역사무소의 환경보건 핵심 주제는 대기질, 기후

변화, 건강영향평가, 주거와 보건, 소음, 직업보건, 교통과 보건, 도시보건, 수질과

위생분야이며, 유럽 환경보건 정책 구현의 핵심에는 제1차 장관회의 결과 설

립된 유럽 환경보건센터(The European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ECEH)가 있다. 유럽환경보건센터는 정책제안과 대기질, 소음 등의 국제 가이

Page 2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9

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정부, 전문가 및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유럽의

환경보건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2)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유엔환경계획은 UN내의‘환경전담 국제정부간 기구’로서 지구환경을

감시하고 정부와 국제사회가 환경동향에 따른 조치를 위한 환경정책합의를 조정

하는 역할을 한다.

유엔환경계획의 주요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 관련 기술

및 정책을 마련하고 생태계에 기반한 유엔 기후변화 협약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과 새로운 환경문제에 대한 정보

를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에 명확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 국제협력사업 현황

(1) 국가간 회의

(가)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동(북)아시아 지역 차원에서의 환경 및 기후변화 협력을 촉진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월경성 환경오염 문제를 논의하는 동시에 다자 지역주의

발전을 심화를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환경정보 공유, 공동

정책 개발, 공동 환경사업 실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2015년 4월에는 상하이에서‘제17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개최되어

미세먼지 등을 포함한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대응방안, 생물다양성 분야 협력,

해양폐기물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나) 유엔환경계획(UNEP) 아시아·태평양 환경장관회의

RIO+20 (’12.6)의 유엔환경계획(UNEP) 역할 강화·격상 결정에 따라,

짝수 년은 UN 환경총회, 홀수 년은 지역 장관급회의를 개최하여 세계 및 지역

현안 문제를 논의한다. 제1차 유엔환경계획(UNEP) 아·태 환경장관회의(’15.5,

태국)에서는 Post-2015 지속가능개발 의제(agenda) 및 지속가능발전 목표

(SDGs)와 아·태 지역의 환경 지속가능성, 환경전망, 환경과 보건 연계 등을

Page 2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0

논의하였다.

(다) 태평양 도서국 보건장관회의

1995년 태평양도서국 보건장관회의를 시작으로 격년제로 개최되고 있으며,

“건강한 섬(Healthy Islands)”비전을 토대로 보건정책 추진 방향 등을 논의한다.

각 도서국들은 환경 및 보건 분야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광범위한 영향에 대응

하기 위해서 공여국의 지원 및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제11차 태평양도서국

보건장관회의(’15.4.15, 피지)에는 세계보건기구(WHO), 태평양공동체사무국(SPC),

19개 태평양도서국,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였다.

(라) 한·중 환경협력 공동위원회

한·중 양국의 환경협력 증진을 위해 체결된 한·중 환경협력협정

(’93.10.28)에 따라 매년 양국이 교대로 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 제19차 한·중

환경협력 공동위원회(’14.12, 제주)에서는 최신 환경정책과 지역 및 글로벌

환경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기존 협력사업 및 신규 사업을 검토하였다.

(마) 한·중·일 환경과학원장 회의

한·중·일 환경과학원의 연구협력을 위해 3국이 교대로 개최한다. 제

11차 한중일 환경과학원장회의(’14.11, 일본)에서는 각국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존 협력사업의 추진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미세먼지 부문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2) 정부기관에서 추진 중인 국제 환경협력사업

한국환경공단에서는 미얀마·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에서 매립장 가스를

이용한 발전, 유해폐기물 관리,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장 등 기반시설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필리핀

등에서 하·폐수 처리, 폐기물 자원화, 대기오염 저감 등 기술 실증 사업을

Page 2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1

주로 진행하고 있다(부록 2).

그 외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2011년부터 국제환경평가교류 협력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외교부에서는 기후변화대응 특별연수, 필리핀 지역 폐기물 관리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2. 아시아 지역 환경보건 국제협력방안 마련

가. 환경보건 문제 도출 및 우선순위 검토

(1) 아시아 지역의 환경보건 문제 검토

아시아 국가를 지역 특성별로 분류하면, 내륙국가, 반도국가, 도서국가

및 태평양 도서국으로 분류할 수 있다(표 2).

내륙국가로는 몽골, 네팔 등이 있으며, 몽골은 초원, 네팔은 히말라야 산맥과

인접하고 있다. 내륙국가는 석탄 및 바이오매스 등 실내에서 사용하는 연료로

인한 실내공기오염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몽골의 경우, 초지의 파괴와

광산개발에 의한 분진이 주요 환경보건 문제이다.

해안을 접하고 있는 반도국가로는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등이

있으며, 이들 국가는 열대기후와 불안전한 식수로 인한 곤충매개 및 수인성

전염병이 공통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무분별한 산업발달에 따른 자동차

및 공장에 의한 대기오염, 사용 금지된 농약의 경작지 사용 등이 환경보건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도서국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륙국가

및 반도국가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한 국가들이다. 도서국가는 이동수단 및

산업발달에 의한 대기오염이 주된 환경보건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태평양 도서국가는 주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의한 거주면적의

감소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해양투기 및 해양오염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Page 2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2

구분 국가 세부내용

내륙국가 - 몽골

- 네팔

- 석탄사용(SOx, NOx, PM10), 실내공기오염(석탄, 나무), 수질오염(광산침전물), 토양오염 및 생태계 파괴

- 식수 및 위생시설 개선, 실내 및 도시공기오염

반도국가 - 라오스

- 미얀마

- 베트남

- 캄보디아

- 열대기후(전염병 및 풍토병), 식수, 태풍, 산림훼손, 댐건설

- 살충제 사용, 산업폐기물, 의료폐기물 처리 미비, 부적절한 위생상태(화장실, 정화조 등 부족)

- 대기오염(이륜차, 시멘트공장), 수질오염(산업공장 폐수, 하수처리장 미비)

- 안전한 식수(수인성 전염병), 실내공기오염(연료), 사용금지 살충제의 사용, 폐기물처리 미비

도서국가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대기오염(공장, 자동차), 고체폐기물 처리

- 대기오염(공장, 자동차), 안전한 식수, 수질오염(하수처리 미비), 폐기물처리 미비

- 대기오염(지프니, 삼륜차, 석탄사용, 폐기물 매각), 안전한 식수(지하수 오염), 폐기물 처리

태평양

도서국가

- 기후변화에 따른 해면상승, 연안개발, 해양폐기물

<Table 2> Maj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by groups of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2) 주요 개발도상국의 환경보건 문제와 수요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주요 환경보건 문제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보면, 산

업화 및 교통관련 도시환경 문제, 실내공기오염, 먹는 물 및 하수처리, 폐기

물 및 광산 등 기타 분야로 나눌 수 있다(표 3).

도시의 대기오염 문제는 삼륜차(tricycle) 등 매연저감 장치가 없거나 노후

화된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그리고 공장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로 인한

것이며, 주로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실내

공기오염은 난방 및 조리에 사용하는 석탄, 나무 및 바이오매스 등을 사용하여

발생되며 라오스, 캄보디아, 몽골 등 주로 저개발 국가의 공통적인 문제이다.

Page 29: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3

수자원과 관련하여 상수도와 하수도 시설 부족, 위생시설 부족 및 지하수

오염에 따른 환경보건 문제는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전반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폐기물 처리시설의 미비에 따른 비위생 매립 및 가정폐기물의 소각

그리고 사용 금지된 살충제 사용에 따른 독성화학물질의 노출 또한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주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기타 분야로 광산업, 전자폐기물

(E-waste) 등과 관련된 토양오염 및 대기오염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환경보건

문제는 주로 몽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Page 30: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4

구분 세부내용 해당국가

도시환경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화로 인한 공기오염

 - 삼륜차(tricycle)의 노후화된 엔진사용 

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 필리핀

실내공기 고체연료 사용

- 주 에너지원 바이오매스 - 나무소비율 증가추세(총 사용량의 78%)- 조리 시 주로 석탄 사용

라오스캄보디아

몽골수자원 관리 위생시설 부족 상수도 시설 부족

- 위생 수준, 도·농촌간 격차 

베트남필리핀

하수처리 시설 부족 - 생활하수 부적절한 처리로 인한 지하수 오염

- 하수도 보급률 매우 낮음 (생활하수, 산업폐수하천으로 무단방류) - 하수처리시설 부족, 생활용수공급 불안정

라오스필리핀

캄보디아인도네시아

부적절한 폐수처리 - 사업장 폐수처리시설 미설치(시설부족 또는 무단방류

- 편재된 물공급 정책, 수도권 외 지역처리시설 존재하지 않음

베트남캄보디아

인도네시아필리핀

폐기물처리시설 미비 (소각, 비위생매립)

- 매립처리시설 부족, 재활용처리수준 낮음- 가정폐기물 불법소각

캄보디아인도네시아

필리핀베트남

독성화학물질 노출 부적절한 살충제 사용

- 많은 국가들이 금지하고 있는 살충제 수입 사용

캄보디아라오스

기타 광산업 전자폐기물(E-waste)

   

몽골인도네시아캄보디아

<Table 3> Major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3) 환경보건 문제해결 이행 가능성 평가를 통한 우선순위 검토

수요조사를 통한 우선순위는 표 4와 같다. WHO 통계에서는 측정이 가능

한 부분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각국의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Page 3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5

있다. 본 사업에서는 이행가능성 평가를 통해 국제협력 사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협력 가능한 분야는 기후-환경-건강 모니터링 및 건강증진사업, 어린이 환경보건

네트워크 구축, 환경보건 미래세대 양성 분야이다.

건강위해 문제점 연구방안 취약계층

실내·외 공기오염

실내공기오염은 도시보다 촌락이 더 심함

인접한 국가간 협력이 필요함

대부분의 아시아 개발도상국에 해당함

각국에 상황에 대한 문헌 요청

직접적인 측정 및 연구를 통한 상황파악

실내공기오염은 15세 이상 남성에 비해 촌락여성과 5세미만의 어린이가 더 취약함

위생시설

안전한 식수에 대한 부분은 몇몇 아시아 국가들은 이미 달성한 목표

위생시설 및 위생에 대한 접근방식 변화필요

위생에 대한 동일한 접근방식 유도

5세미만 어린이는 설사 등의 수인성질병에 대해 취약함

기후변화

가능한 넓은 범위로 국가들의 협력 필요

각 국 정부의 협력이 요청됨

기후와 질병사이의 직접적인 원인 규명 어려움

협력을 통한 협약 진행

직간접적으로 모든 지역, 모든 계층에 영향

<Table 4> Priority environmental health issues in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and future research actions

나. 장단기적 협력방안 마련

(1) 국제협력 모형 검토

국제협력에는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국제개발협력(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이 있으며, 개발재원을

기준으로 공적개발원조, 기타공적자금, 민간자본 및 민간 증여가 있으며, 지원

형태는 무상과 유상으로 구분된다. 공적개발원조란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를 의미하며,

Page 3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6

개발도상국 정부 및 지역, 또는 국제기구에 제공되는 자금이나 기술협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국제개발협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또는 개발도상

국 내에 존재하는 개발 및 빈부격차를 줄이고 개발도상국의 빈곤문제 해결을

통해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려는 국제사회의 노력과 행동이다.

환경분야의 국제협력은 국가간 환경협력 또는 협정, 양해각서 등 양자간

협력과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 동북아 환경협력, 동북아 장거리 대기오염

물질 공동연구 등 정부주도의 다자간 협력의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정부이외에 학계, 연구기관 및 민간 환경단체에서도 분야별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기존에 진행하였던 환경분야의 협력은 주로 수질오염,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외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사막화,

산림파괴 등과 관련된 교육 및 기술지원 사업이 주를 이루었다18.

우리나라에서 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협력사업을 진행하

였으나 일부 사업을 제외하면 협력사업의 효과가 의문시되며 실질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협력 국가 간의 정치, 경제적 이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협력사업의 목표와 이행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한 것이 그 한 원인이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국제협력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사업을 분석하고 평가

하여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도출하고 극복 방안을 담은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의 환경 분야 협력사업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협력의 성공을 위한 요인을

사업의 발굴 및 형성단계, 수행단계, 관리단계로 나누어 평가를 하였다19. 사업의

발굴 및 형성 단계에서는 수원국의 수요와 추진의지가 성공요인으로, 공여국의

필요에 따른 지원, 수원국의 제도를 고려하지 않은 사업계획, 수원국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부재, 경제상황에 따른 환경인식 부재를 실패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수행단계에서는 사전조사를 통한 계획, 양국 간의 의사소통 체계, 재정 및 이해

관계자의 파악과 협조체제의 구축이 성공요인으로, 공여국의 기술만 고려하고

수원국의 실정에 맞지 않은 수준의 기술도입, 단발성 사업, 담당자의 기술이나 운영

능력부족 등을 실패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관리단계에서는 수원국 지역사회의 인식

제고 및 참여, 시민사회의 모니터링, 사업초기부터 작성된 성과관리 프로그램 등을

성공 요인으로, 사업의 관리 조직 부재 및 예산 부족을 실패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분석하여 적용함으로써 협력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협력체계의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Page 3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7

국제협력의 모형으로 논리모형 접근법과 프로젝트 사이클 관리법이 있다(표

5). 논리모형 접근법은 이해관계자 분석, 문제분석, 목표분석을 통해 전략을

도출한 후, 프로젝트의 대체적인 형태를 선택하는 절차를 참여적 방법으로 진

행하며, 프로젝트 사이클 관리방법은 위험 분석이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를 강화한 방법으로 각 단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프로젝트의 일관성

유지 및 계획과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형으로 사용된다20.

구 분 단 계 내 용

논리모형 접근법(Logical Framework Approach)

이해관계자분석(Stakeholder analysis)

프로젝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확인, 영향, 담당하는 역할, 영향력 등을 분석

문제분석(Problem analysis)

입수가능한 정보로 프로젝트 대상지역과 분야에 현존하는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들을 분석·정리

목표분석(Objective analysis)

문제분석 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된 결과들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전환하여 목표 설정

프로젝트 선택(Selection of a implement strategy)

여러 가지 프로젝트 안을 비교·검토해 실행 프로젝트안을 채택하는 작업

프로젝트 사이클 관리방법(Project Cycle Management)

기획(Programming) 중장기 전략 수립, 기관 또는 국가의 전체적인 국제협력의 틀을 형성하는 단계

발굴(Identification)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발굴, 중장기전략 또는 단기 전략목표를 함께 고려

심사(Appraisal) 발굴된 사업의 시행여부를 심의하는 과정

승인(Decision) 기관이 정한 적법한 절차에 따라 프로젝트의 시행과 이에 따른 비용 승인

시행(Implementation) 발굴과 심의를 거쳐 설계한 절차대로 시행

평가 및 결과의 환류(Monitoring & Evaluation)

후속사업 및 다른 사업, 정책의 변화 등 의사 결정에 반영

<Table 5>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국제협력의 문제점 분석과 모델개발을 위한 개발모형을 기반으로 OECD 등

외국의 국제협력 사업 평가를 고찰하여 구체적인 협력모형의 제시가 가능할 것

이다.

Page 3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8

OCED/DAC 회원국의 국제협력 사업의 평가기준은 적절성(relevance), 효율성

(efficiency), 효과성(effectiveness), 영향력(impact), 지속가능성(substantiality) 등

5가지를 기본요소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 평가기준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을 가지고 OECD/DAC는 평가원칙으로 공정성(impartiality), 독립성

(independence), 신뢰성(credibility), 유용성(usefulness) 및 파트너쉽 (partnership)을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다20.

(2) 접근방안 및 협력체계 구성 검토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현황 분석 결과, 성공적인 협력을 위하여 중요한

공통요인은 수원국의 능력을 배양 시키는 것과 수원국의 인력이 협력에 직접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원국의 환경보건 분야에 대한 문제인식과 해결능력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는

환경보건 분야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그룹별로 협력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추진

대상 프로젝트 구성 및 프로그램 간 연계 추진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우리

나라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분야 및 사업의 실행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협력

대상국의 수요를 결합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사업의 선정 및 진행을 위하여 상대국의 환경보건 수요와 이와 관련된 제도와

정책, 경제상황에 따른 인식 등을 분석하고 상대국의 협조와 추진의지를 확인

할 필요가 있다. 사업의 주제는 성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주제로 선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상대국과의 의사소통

을 위한 협조체계와 이해당사자의 파악 및 상대국의 경제를 고려한 수준의

기술로 달성이 가능하도록 사업을 구성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이

종료된 후에는 상대국에서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업과정

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사업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 또는 담당 인력개발과 프로그램 보급 등 소프트웨어적인

지원, 지속적 관계형성 및 자료공유/공동사업, 수원국의 인프라 구축 등 장·단

기적으로 협력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국제협력의 실패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양국의 이해와 수요에 대한 평가와 함

께 협력을 진행하는 주체간의 의사소통 체계의 마련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Page 3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29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특성을 분석하여 환경보건을 담당하는 정부조직, 학계 및

NGO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협력사업의 명확한 주체를 확인하여야 한다.

협력에 있어 당사국에서 조직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었는지 또는 구축이 필요하

다면 어떻게 조직구성을 지원할 것인지 명확히 하여야 한다.

환경보건 협력분야로 취약계층 실태조사사업, 환경보건 지표 및 환경성 질병

부담 산출, 데이터관리/통계처리 능력제고, 감시체계 구축 등이 고려 가능하다.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관련 질환, 화석연료의 실내사용에 따른 공기

오염, 토양 및 광산 등의 중금속오염 문제, 특히 어린이 환경보건과 관련하여

각종 환경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성장발달·인지기능 발달·영양·모자보건·

알레르기질환 등 건강영향에 대한 부분을 주요 협력 분야로 검토할 수 있다.

다. 전문인력 양성교육 상호협력방안 검토

(1) 전문인력 양성 지원방안 검토

각 국가의 환경 또는 보건 공무원, 대학교 및 공인된 연구소 근무자 등을

위한 대상별, 목적에 맞는 연수과정 및 초청연수를 개발하여 분야별 능력배양

교육·훈련 프로그램, 심포지엄, 전문가 공동 워크숍 등을 통한 환경보건인력

역량 강화를 지원 한다. 연수 프로그램은 개발도상국의 다양한 상황을 반영

하여, 기초적인 기술교육에서 맞춤형 전문교육 등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환경측정, 노출평가, 인체노출평가 및 건강영향 분야로 구분하여

개발도상국의 수요를 분석해야 한다.

이외에 학계와 연계한 환경보건 분야 석·박사 학위과정을 지원하거나, 환경

부의 교육체계를 활용한 분야별 전문가 과정 등 연수 프로그램의 신설 및 운영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2) 환경 및 환경보건기반 기술교육 지원방안 검토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환경보건 특성에 따라, 실내공기오염, 식수 또는 토

양의 중금속오염,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 등을 주제로 오염현황, 노출

평가 및 건강영향 등 세부적인 기술사항을 검토하여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Page 3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0

상대국에서 환경보건학적 의미가 크다고 평가하는 분야에 대하여 우리나라와

의 협력 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토하여 협력대상 사업을 선정하고, 상대국과의

공동연구 또는 전문가 지원이나 상대국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세부 기술교육을

추진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성이 아닌 상대국의 경제·기술 수준

및 환경보건연구 인프라를 평가하여 교육의 수준과 범위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상대국의 환경보건 인식을 제고 하고 정책수립 능력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3. 광산지역 등 취약지역 환경보건평가 적용방안 마련

아시아 지역은 경제적으로 선진국에 비하여 2, 3차 산업보다는 농업, 광업 등

1차 산업이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규모가 크다. 또한, 산업활동 과정에서 유해

인자의 인체노출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고농도 또는 넓은 지역에

걸쳐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한다. 1980년대 방글라데시아와 인도의 벵갈주에서

비소로 인한 대규모의 식수오염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중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도 대규모의 비소오염 지역이 발견되었다.

아시아 개발도상국은 광산업 등 1차 산업을 국가산업으로 양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몽골도 그러한 국가 중의 하나이다. 몽골은 세계 10대 자원부국

으로 광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GDP의 18.6%, 산업생산의 67.1%, 수출의 91.3%

정도로 국가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21. 최근 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해

외국 자본이 몽골로 다량 유입되고 있는 반면에 체계적인 광해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광산개발이 종료된 이후 오염된 환경을 복구하는 데에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소요되는 점을 살펴볼 때, 친환경적 광산개발 및 광해관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러한 대규모의 개발사업은 산림면적 및 토지활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사막화를 유발하고 이로 인한 황사발생, 토양 및 수질오염을 통하여 사람 및

가축의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

가. 개발도상국의 광산현황 파악

(1) 환경 및 지리학적 특성

Page 3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1

한국 광해관리공단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 까지 몽골에 있는 광산 중

334 개의 광산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22. 이중 금광은 218개 였고 조사

대상 금광 중 185개 광산은 노천 채굴방식이었으며, 164개 광산이 휴·폐광

이었고, 사금광산은 약 82%인 178개로 조사되었다. 현재 가행중인 사금광산은

37개로 사금광산의 매장량이 거의 고갈되어가면서 휴·폐광이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몽골에서 선정한 전략광산 15개소에 금광은 단 2개소로 상대적으로 차지

하는 규모가 작다. 금광 주변 토양시료 중 95% 이상이 As 토양기준을 초과하였

으며, 일부 시료는 Cd, Cu, Pb 등이 초과되었다. 금 채굴 특성상 수은오염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대상 석탄광은 34개로, 모두 노천채굴 방식이었다. 현재 가행광산은 불법

개발 광산을 포함하여 26개소, 폐광은 6개소, 휴지광산은 2개소로 조사되었다.

토양기준을 초과한 중금속은 As, Cu, Pb, Zn 등이었고 As의 경우 전체시료

중 약 45%에서 토양기준을 초과하였다.

형석은 세계에서 매장량기준으로 몽골이 3위권이며, 광산은 총 26개소이었다.

형석 광산의 주 오염원은 광물찌꺼기와 비산먼지이다. 석재광산은 총 12개소이

며 1개소를 제외하고 모두 노천채굴방식이다. 가행중인 광산은 4개소이며, 폐광

이 5개소, 휴광이 3개소이다. 석재광산 주변지역은 환경오염상태가 다른 광산지

역에 비하여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몽골의 토양 및 관리특성상 대상시료 중 약

30%에서 As가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외에 중석광산 10개소이다.

몽골의 전략광산 분포는 동부, 남부, 중부 및 서북부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표 6), 각 광산의 위치는 그림과 같다(그림 3). 동부권역은 4개의 광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매장량 100만 톤 규모의 아연광산과 3개의 우라늄광산이 있다.

남부권역은 매장량 총 75억 톤 규모의 석탄광산 3개와 총 500만 톤 규모의 동

광산 2개가 위치하고 있다. 중부권역은 동·몰리브덴, 석탄, 철광석 및 금광 등

4개의 광산이 있으며, 북부권역은 매장량 4,000만 톤 규모의 인광산과 2,000 톤

규모의 은광산이 있다. 다만, 몽골의 전략광산 정보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고 있어

일부 단편적인 정보이외의 정보는 확인이 어려웠으며 광해관리공단 사업에서

도 제외되어 실질적으로 광산으로 인한 오염도, 환경측정자료, 주변 영향인구 자료

Page 3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Ⅲ. 연구결과 및 고찰❚

32

지역 전략광산 광종 현황 매장량(톤)

중부

에르데넷 구리, 몰리브덴 생산 12억바가누르 석탄 생산 6억토모테이 철광석 생산 1억 2,100만

보로 금 생산 39

서북부아스갓 은 탐사 2,000부렌칸 인 개발 4,000만

동부

도르노드 우라늄 타당성조사 24,000마다이 우라늄 탐사 1,000

거반블라그 우라늄 타당성조사 8,000토모테인오브 아연 생산 100만

남부

쉬브오브 석탄 생산 6억나란수카이트 석탄 생산 3억 9,000만타반톨고이 석탄 생산 65억

오유톨고이 구리, 금개발 생산

구리 400만, 금 33

짜간수바르가 구리, 몰리브덴 진행사항없음구리 100만몰리브덴 43,000

<Table 6> Types of minerals and its development in strategic mines in Mongolia

등을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Figure 3> Location of strategic mines in Mongolia22.

Page 39: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3

(2) 오염도 자료

몽골의 광산지역 조사자료는 석탄광산, 석재광산, 중석광산 및 기타자료가

활용 가능하였으며, 이들 광산지역의 토양, 수질 중 중금속 측정자료, 산림훼손

면적, 광미적치 및 거주지 유무자료도 포함되어 있다.

- 석탄광산

· 중금속(토양) : pH, As, Cd, Cu, Pb, Zn, Pl

· 중금속(수질) : Al, As, Fe, Mn, Pb, Zn, SO4, Pl

- 석재광산

· 산림훼손면적, 폐석적치면적, 폐석유실, 식생상태, 산림복구, 먼지날림

· 중금속(토양) : pH, As, Cd, Cu, Pb, Zn, Pl

- 중석광산

· 중금속(수질) : Al, As, Fe, Mn, Pb, Zn, SO4, Pl

· 산림훼손면적, 폐석적치면적, 폐석유실, 식생상태, 산림복구, 먼지날림

· 광미적치 : 광미량, 수계이격거리, 먼지날림, 복구현황

· 중금속(토양) : pH, As, Cd, Cu, Pb, Zn, Pl

- 기타자료 : 채굴방식, 지반침하, 광미적치, 거주지유무

(3) 학술지검색

몽골광산에 대한 정보수집을 위하여 science-direct, google 등을 통하여

‘mongolia’, ‘mine’, ‘pollution’ 등으로 검색한 결과, 가용한 자료는 소수였다.

Page 40: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4

광산지역 광종/매장량 자료명 내용

에르데넷(Erdenet)/중부

구리, 몰리브덴/12억 톤

Contamination of water and soil by the Erdenet copper-molybdenum mine in Mongolia23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구리-몰리브덴 광산 중 하나

- 광산활동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 환경의 잠재적 영향을 평가

- 수질 및 토양오염으로 인한 영향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보루(Boroo)/중부

금/39톤

Geochemical distribution of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vicinity of Boroo gold mine, Selenge Province, Mongolia24

- 토양, 수질, 광미 댐 침전물 농도평가를 통해 광산활동으로 인한 환경영향 평가 실시

- 현재 환경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향후 오염원이 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보임

오유톨고이(Oyu Tolgoi)

구리/금/구리 400만 톤,

금/335만 톤

Survey of Arsenic in Drinking Water in the Southern Gobi region of Mongolia25

- 광산 주변 수자원의 비소농도 측정- 현재를 비롯하여 향후 잠재적인 비소노출이 상당히 크게 나타남

- 해당지역 식수의 비소농도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음

쉬브오브(ShiveeOvoo)

/남부

석탄/6억 톤Environmental reconnaissance of the Shivee-Ovoo coalmine area, Mongolia26

- 광산활동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환경의 잠재적 영향을 평가

- 사막화의 가능성을 비치고 있음- 그러나 현재 인근 주변에 끼치는 명백한 환경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임

<Table 7> Publications on mining areas in Mongolia

나. 환경보건평가 적용 방안 마련

(1) 예비 타당성 검토

환경보건평가 실행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활용한 광해관리공단

자료는 4개 범주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자료목록을 기반으로 광산

관련 환경오염원, 광산 주변지역의 환경오염가능성, 영향권역내 거주인구 및 노출

가능성 등을 종합하여 해당 지역의 광해복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있다. 광해

관리공단의 자료는 광해특성과 오염상태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도록

점수화 되어 있어서 이들 지역의 실질적 환경보건 수준을 반영하지는 않는 것

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광해관리공단의 현지조사 자료를 재분석하여 환경보건

평가에 활용하여 이들 지역의 환경보건 수준에 따른 협력 순위를 재설정 할

필요가 있었다.

Page 4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5

- 배경정보

· 광산 소재지, 위치, 채굴대상 광종, 채굴 개시일, 현장운영 및 역사,

환경오염관련 규제, 환경오염 예방조치, 토지이용 정보

- 광산오염 가능성

· 채굴장 개수, 광물찌꺼기(광미)/페석 여부, 현장 제련, 채굴로 인한

침출수, 채굴 구조물 설치, 광미/폐석의 유실, 침출수 유출 가능성,

오염물질의 하천유입 가능성, 토양 오염도, 수질 오염도, 분진(비산

먼지) 측정

- 노출가능성

· 지형정보, 오염범위, 광산인근 가구 수 및 거주 인원, 광산으로부터

거주지까지 거리, 식수원 위치/용수의 활용, 오염물질의 하천유입

가능성

- 인구 및 건강자료

· 주민의 연령 분포, 민원(청원) 여부, 건강자료

(2) 예비평가 기준의 마련

(가) 수집 자료의 분석 및 불확실성 평가

수집 가능한 또는 수집된 자료는 자료 출처원에 따라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한다. 환경오염원과 관련된 정부기관 또는 학술지에 발표된 자료가 일차적인

자료 출처이며, 이들 자료는 환경보건평가를 위한 신뢰성이 있는 자료로 분류된

다. 다만, 이들 자료가 갖는 한계점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기관

의 자료는 광산시설에서 행정기관에 보고한 자료에 기반한 것이며, 학술지의

경우 문제가 없는 지역의 연구결과는 잘 출판되지 않는다.

인터넷 자료는 행정기관에서 수집하는 것보다 빠르게 수집될 수 있으며, 다양

하고, 광범위한 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보출처가 분명한 자료

는 행정기관에서 발표한 자료 수준의 신뢰성이 있다. 다만, 인터넷을 통한 자료

의 수집과 출처에 대한 검증이 자료의 신뢰성 평가에 필수적이다.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 등을 통한 광산주변의 상황평가 자료는 수집이 가능하

다면 현지에 대한 보다 생생한 정보가 될 것이다. 대기, 수질 및 토양시료를

Page 4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6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시료채취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나,

현지주민이 느끼는 환경상황은 그 평가 기준이 명확하다면 현지의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자료이다. 다만, 개인에 의한 평가이므로 설문과정에서의 표준화와

응답기준의 명확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나) 환경보건평가 방안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의 환경보건평가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한다(그림 4).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 및 질에 대한 평가는 필수조건이다.

환경보건평가에 필요한 최소의 자료로 광미 및 폐석 적치량, 비산먼지 발생여부,

수질 및 토양 오염도, 거주지 이격 거리, 주민 수 등이 있다.

광미 및 폐석의 적치량이 일정 기준이상이 되며 영향거리 이내에 일정 수 이상의

주민이 거주한다면, 설문조사나 소변 등 생체시료를 이용한 생체지표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이 조사결과 특정물질의 인체노출이 기준치나 참고치를 초과한다면 정밀

건강영향조사가 필요하며, 기준치나 참고치를 초과하지 않고 노출원에 변화가

없다면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지역의 노출수준에 대한 감시를 추진한다.

여기에서는 환경보건평가 결정 흐름도를 바탕으로 자료의 성격에 따라 항목

별 점수화한 것을 적용하여 환경보건평가 결정을 위한 순위평가에 활용하고자

한다.

Page 4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7

<Figure 4> Flowchart for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다. 개발도상국 취약지역 환경보건평가 시범평가

(1) 조사대상 선정

몽골의 광산과 관련된 자료는 현재 수집이 불가능하여, 한국광해방지공단

이 몽골과 국제협력 사업으로 진행한 광산의 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을 선정

하고 환경보건평가를 시범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광미 및 폐석 적치량, 침

출수 유량, 산림훼손 등 광산 및 광산활동 관련 특성자료와, 수질 및 토양오염

자료, 적치장에서의 비산먼지 날림 여부, 거주지 이격거리 및 인구수 등 노출특성

자료 등 이었다

한국광해방지공단 자료는 총점 100점 만점에 광해특성이 50점, 오염상태가

20점, 오염영향가능성에 30점이 배정되어 있었다. 인체노출과 관련하여 광해

특성 항목 중 비산먼지 날림이 있으며, 오염영향가능성 항목에서 거주지와의 이격

거리, 인구집단의 크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오염상태는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들의 배점이 비산먼지는 4점, 거주지

Page 4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8

이격거리는 4점 및 인구집단 크기가 5점으로 전체 배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로 매체 오염도초과 배점을 모두 포함하여도 33%이다. 따라서 광해특성

배점이 상대적으로 큰 이들 순위를 인체노출 상황에 맞추어 재분석하여 원자료와

비교할 필요가 있다.

전체 광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광해점수의 비율이 58%이며, 거주지 입지

는 12%, 비산먼지 날림은 9%, 토양 및 수질오염 초과는 22%로 인체노출과 관련된

항목의 배점비율이 낮은 편이었다. 생산광종 별로 분석하였을 때, 거주지 입지

조건은 석유가 47%, 석재와 형석이 23%, 주석과 중석이 약 17%의 비율이었으며,

비산먼지는 준 보석류가 57%, 몰리브덴 17%, 석재 15% 순으로 나타났다.

비산먼지와 거주지 입지조건으로만 분석할 경우, 준 보석류 57%, 석유

47%, 몰리브덴 17% 순으로 나타났다.

광종 계 광해상태 수질상태 토양상태 비산먼지 입지조건

평균 58.0 5.6 16.1 9.1 12.2

금 100 60.8 4.8 15.4 8.4 11.3

납 100 36.6 19.5 29.3 9.8 7.3

몰리브덴 100 31.4 0.0 60.0 17.1 5.7

석고 100 81.0 0.0 9.5 9.5 0.0

석유 100 29.4 0.0 11.8 0.0 47.1

석재 100 60.9 0.6 7.5 14.9 23.7

석탄 100 56.4 12.4 10.1 8.8 12.1

석회석 100 79.5 0.0 6.8 9.1 4.5

아연 100 43.3 13.3 30.0 10.0 1.7

우라늄 100 54.9 13.7 23.5 5.9 0.0

주석 100 49.7 5.5 21.3 6.6 16.9

준보석 100 57.1 0.0 28.6 57.1 0.0

중석 100 48.7 1.7 28.7 6.5 16.5

철 100 61.1 2.5 16.8 11.4 3.6

형석 100 46.4 3.7 19.7 13.6 23.2

<Table 8> Scoring scale of each item for Mongolian mines

Page 4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39

(2) 조사내용 및 방법

몽골의 주요 광산을 대상으로 활용가능 자료를 검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오염원, 오염현황 및 영향인구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오염원 : 광종, 채굴량, 채굴기간, 채굴방식(노천/지하), 광미/폐석 적치량

- 오염현황 : 수질오염, 토양오염, 대기오염(먼지날림 여부)

- 영향인구 : 거주주민수, 이격거리

<Figure 5> Adjacent areas to Erdenet mine (Google Map).

광산에 의한 환경오염이 인체에 노출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야별로

점수화를 하였으며, 자료의 불확실성 및 미비점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주요 광산에 대한 점수화와 이를 그룹화 하였다.

한국광해방지 공단은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배점을 50점을

주었으며, 매체는 20점, 그리고 사람에 대한 노출가능성을 30점으로 하였다.

반면, 환경보건 관점에서는 직접 영향을 받는 거주주민 수 및 광산과의 거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오염원의 배점을 거주지 입지여건 배점으로 변경하여 재평가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기존 조사점수를 기초로 인체

노출에 초점을 맞추어 재평가하기 위하여 거주지 이격거리와 주민수를 50점

으로, 노출경로인 매체를 30점으로, 매체 내 수질, 토양 및 비산먼지 날림은

각각 10점 씩 총 30점으로 변경, 광미나 폐석 규모 등 오염원을 20점으로 재분류

하여 평가를 하였다.

Page 4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0

구분노출 노출경로 오염원

거주지 수질 토양 광미·폐석 비산먼지

기존조사 19 8 12 46 4

인체노출 50 10 10 20 10

변화배율 2.63 1.25 0.83 0.35 2.5

<Table 9> Modification of scoring scale considering human exposure

다만, 기존자료에서 거주지 입지와 관련하여 거주지와의 거리 및 인구수

등을 별도의 자료로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광해방지공단의 점수를 활용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료의 불확실성을 이해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의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간이조사나 몽골현지 관계자 활용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기존 조사결과의 재분석

기존 점수를 새로운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총점에서는 기존총점의

64~149%가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배점에 따른 거주지 입지여건별

영향 비율은 광종별로 석유 96%, 석재 69%, 금, 형석이 50% 대, 중석, 주석이

40% 대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비산먼지 항목은 몰리브덴 류가 44%, 철,

석회석이 30%대로 높았으며 대부분이 20%대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표 10).

Page 4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1

광종 배점 광미폐석 비산먼지 수질오염 토양오염 거주지

평균 13 23 6 16 42

금 100 10 20 5 12 52

납 100 3 26 26 26 20

몰리브덴 100 0 44 0 33 23

석유 100 0 0 0 4 96

석재 100 7 21 1 3 69

석탄 100 14 21 14 8 42

석회석 100 31 31 0 5 33

아연 100 29 26 13 26 7

주석 100 18 16 7 17 43

중석 100 15 16 2 20 47

철 100 22 33 4 23 18

형석 100 5 25 2 12 55

<Table 10> Scoring results after the modification of scoring scale

또한, 기존 순위를 점수별로 그룹화하여 그룹간 순위 변동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표 11).

구분 그룹1 그룹2 그룹3 그룹4 그룹5

점수 61~40 39~30 29~20 19~10 10미만

광산수 19개소 24개소 57개소 43개소 4개소

재분류 후광산수

21개소 44개소 38개소 41개소 13개소

<Table 11> The number of mines of each group in the former data

신규로 분류된 그룹1에는 기존 조사의 그룹1이 12개소로 평가되었으며, 그룹2로

분류된 광산이 9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2와 그룹4은 50%이상이 그룹

순위가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2에서 그룹1로 변화가 된 비율은 약 13.6%로,

그룹 3에서 상위그룹으로 평가된 비율은 13.1%, 그룹4에서 상위그룹으로 평가된

비율이 43.9%로 나타났다(표 12).

Page 48: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2

재평가 그룹 기존그룹 개수 그룹 변동 비율(%)

11 12 변동없음 57.1

2 9 -1 42.9

2

1 6 +1 13.6

2 19 변동없음 43.23 18 -1 40.94 1 -2 2.3

3

1 1 +2 2.6

2 4 +1 10.5

3 19 변동없음 50.04 14 -1 36.8

4

2 1 +2 2.4

3 17 +1 41.5

4 20 변동없음 48.8

5 3 -1 7.3

5

2 1 +3 7.7

3 3 +2 23.1

4 8 +1 61.5

5 1 변동없음 7.7

<Table 12> Changes in rankings and the number of mines after the

modification of each group

광산 중 기존조사에서 비산먼지와 거주지 배점이 0인 광산을 제외하고, 총

144개의 광산을 대상으로 순위를 정하였다(표 13). 석유광산의 경우, 비산먼지로

인한 인체노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에서는 제외되었으나, 거주지 여건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유기물질의 노출을 고려할 때

에는 별도의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49: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3

순위 광산명 아이막 광종

1 khugkhan Khentii 주석

2 tsagaanchuluut Selenge 금

3 khugikhan Khentii 주석

4 ulziit teel Arkhangai 금

5 khar Ovoo Dornogovi 금

6 baynmod am Khentii 주석

7 Ulaan tolgoi Dornogovi 금

8 boroo Selenge 금

9 Mukhar ereg Dornogovi 금

10 khar tarvagatai Uvs 석탄

11 Shin shin Dornod 아연

12 Ulaan toirom Dornogovi 금

13 Zadiin tsav Umnugovi 금

14 baynteeg uvurkhangai 석탄

15 khavtgai-1 Khentii 형석

16 zaisansalaa Uvs 금

17 ulaanam-1 Uvs 금

18 Bosgo Umnugovi 금

19 tsagaantsakhir Bayankhongor 금

20 Naramdal Ord Ulaanbaatar 석재

<Table 13> List of mines subject to environmental health assessment

considering human exposure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여 보면, 광산의 현황에 대한 평가와 인체노출

을 고려한 평가지표 차이가 광산의 환경보건평가를 위한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들 광산에 대한 환경보건평가를 진행하기 전에 몽골

정부 또는 연구기관을 활용하여 광산지역 거주민 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생체지표 조사 등을 조사하여 확정할 필요가 있다.

인체노출을 고려한 배점으로 재분류한 광산을 대상으로 우선 환경보건평가

를 진행하는 것이 사람의 건강을 고려한 보다 타당한 방안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들 순위는 기존 자료를 재평가하여 분석한 것으로 기존자료의 한계점 극복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Page 50: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Ⅳ. 결 론❚

44

Ⅳ. 결 론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 (WHO) 협력센터의 역할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개발

도상국의 환경보건 문제 해결에 협력하기 위하여,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특성 및

환경보건 문제를 도출하고 협력모형을 개발하여 국제협력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아시아 국가의 지리·경제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내륙국가, 반도국가, 도서

국가 및 태평양 도서국가로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환경보건 문제를 확인하였다.

· 몽골, 네팔 등 내륙국가는 석탄 및 바이오매스 등 실내에서 사용하는 연료로

인한 실내공기오염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몽골의 경우 초지의 파괴

와 광산개발에 의한 분진이 주요 환경보건 문제이다.

·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등 반도국가는 열대기후와 안전하지 못한

식수로 인한 전염병이 공통 문제이며 자동차 및 공장에 의한 대기오염, 사용

금지된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토양오염 등이 나타나고 있다.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및 브루나이 등 도서국에서는 대기오염이

주된 환경오염문제이며, 태평양도서국가는 기후변화, 해양투기 및 해양오염

문제 등이 주요 이슈이다.

2. 국제기구 및 우리나라의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환경, 환경보건 분야 협력

사업을 정리·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환경분야 협력은 주로 수질오염, 대기

오염 등 환경오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기후변화와 관련된 사막화, 산림

파괴 등과 관련된 교육 및 기술지원 사업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주요 개발도상국가의 환경보건 문제를 목록화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행

가능성 평가를 통한 우선순위를 검토하였으며, 실내·외 공기오염, 위생시설,

기후변화 분야가 우선 협력 및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 파악되었다.

4. 국제협력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모형개발 원칙을 검토하고 기존의 협력사업의

Page 51: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Ⅳ. 결 론❚

45

문제점을 파악하여 접근방안 및 협력체계를 검토한 결과, 우선 수원국의

이해와 수요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고 상호 의사소통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는 환경보건 분야의 우순순위를 도출하고 그룹별로

협력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5. 환경측정, 노출평가, 인체노출평가 및 건강영향 등 세부 분야별 개발도상국의

수요를 분석하고 기초적인 기술교육부터 맞춤형 전문교육으로 연수과정이나

초청연수를 개발·운영함으로써 개발도상국 환경보건인력의 역량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6. 개발도상국 광산지역 환경보건평가를 위해서는 최소한 광미 및 폐석 적치량,

비산먼지 발생여부, 수질 및 토양 오염도, 거주지 이격거리, 주민 수 등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환경보건평가 결정 흐름도를 제안하였다.

7. 광산 환경오염에 의한 인체 노출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광해관리공단의 분야별

조사 점수를 재점수화 및 그룹화하여 조사우선 순위를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평

가지표 차이가 광산 환경보건평가를 위한 순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그러나, 향후에는 기존자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Page 52: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6

참 고 문 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reventing disease through healthy

environments ; A Global assessment of the burden of disease from

environmental risks, 201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stern pacific country health

information profiles, 2011.

3. 2015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resources/the-world-factbook/, 2015년 6월.

4.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Public health

assessment guidance manual (Updated), 2005.

5. T. Pless-Mulloli, D. Howel, A. King, I. Stone, J. Merefield, J. Bessell, R.

Darnell, Living near opencast coal mining sites and children's respiratory health,

Occup Environ Med, 2000, 57(3), 145-51.

6. J.E. Gray, V. Rimondi, P. Costagliola, O. Vaselli, P. Lattanzi, Long-distance

trasport of Hg, Sb, and As from a mined area, conversion of Hg to

methyl-Hg, and uptake of Hg by fish on the Tiber River basin, west-central

Italy, Environ Geochem Health, 2014, 36(1), 145-157.

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Country cooperation strategy for

Mongolia 2010-2015, 2010.

8.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Changes in the state of

democratic governance in Mongolia 2009-2010, 2010.

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untry office for Nepal, WHO Country

cooperation strategy for Nepal, 2013-2017, 2013.

10.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port FY

2009-2010, 2010.

11. 2014 Myanmar Essential Health Services Access Project,

Page 53: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7

http://www.moh.gov.mm/file/World%20Bank/WB/Environmental%20Management%20

Plan_English.pdf, 2015년 6월.

12. Asia society 60 years, The real cost of developing Vietnam

http://asiasociety.org/policy/ environment/ climate-change-and-energy/

real-cost-developing-vietnam. 2015년 6월.

13. Ministry of Environment/ UNDP Cambodia, Cambodia human development

report 2011 –Building resilience(The future for rural livelihoods in the face of climate change), 2011.

14. M.B. Mokhtar, M.W. Murad, Issues and framework of environmental

health in Malaysi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2010, 72(8), 24-29.

15. M. Chaerul, M. Tanaka, A.V. Shekdar, J,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Indonesia : Status and the strategic actions, Journal of the

Faculty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007, 12(1), 41-49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untry cooperation strategy for the

Philippines 2011-2016, 2011.

17. 대외정책연구원, 국제사회의 태평양도서국 지원현황과 우리의 대응방안, 2011.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제환경협력사업 내실화를 위한 국가전략 개발,

2012, 38-40.

19. 동아시아연구원, 글로벌 개발협력 거버넌스와 한국, 2012.

20. 한국국제협력단, 국제개발협력의 이해, 2013.

2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몽골 광물자원 개발현황과 한국의 진출방안, 2011.

22. 한국광해관리공단, 몽골 광해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3, 13-15.

23. B. Battogtokh, J. M. Lee, N. Woo, Contamination of water and soil by the

Erdenet copper-molybdenum mine in Mongolia, Environ Earth Sci,2014, 71, 3363-3374.

24. E. Inam, S. Khantotong, K. W. Kim, B. Tumendemberel, S, Erdenetsetseg,

T. Puntsag, Geochemical distribution of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vicinity of Boroo gold mine, Selenge Province, Mongolia, Environ

Geochem Health, 2011, 33 Suppl 1, 57-69.

Page 54: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48

25. B. Purevdorj, Olkhanud, Survey of Arsenic in Drinking Water in the

Southern Gobi region of Mongolia, 2012.

26. B. Battogtokh. N. Woo, B. Nemer, Environmental reconnaissance of the

Shivee-Ovoo coalmine area, Mongolia Environ Earth Sci, 2012, 67, 1927-1938.

Page 55: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부록 1] 아시아지역 국가의 특성 및 환경보건 현황

구분 국가 인구학적 특성 지리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주요 환경보건 문제

내륙국

몽골 `·총 인구 : 약 3백만 명

·전체 인구의 27.3%가 15세 미만, 65세 이상 3.9%

·조출생률은 천명당 23.8, 평균수명은 67.9세

·면적 : 약 160만 km2

·산악국가로 영토의 80%가 해수면 1,000 m 높이에 위치

·대륙성기후로 각종 전염병, 풍토병이 자주 발생

·2010년 공업총생산액 구성비율은 광산업 및 채석업이 66.7 %,

제조업 23.9%, 전자·열에너지 및 물공급 산업이 0.4 %

·석탄화력(SOx, NOx, PM10)

·실내공기오염(석탄, 나무)

·수질오염(광산침전물)

·토양오염 및 생태계 파괴

네팔 ·총 인구 : 약 3천2백만 명

·14세 이하 39%, 65세 이상 3.7%

·동쪽에서 서쪽으로 산악 지대, 언덕지대, 습지대로 나눔

·중국 국경지대에는 히말라야 존재, 고산기후

·인도 국경지역은 평원지대

·문맹률이 높은 편임

·외국인투자 우선분야는 수력발전, 운송, 인프라(고속도로, 철도 등), 농업 기반 및 약초 가공 산업, 관광, 광업, 제조업

·안전한 물, 관련 시설과 위생 개선

·실내 및 도시 공기 오염

·의료폐기물 처리

·살충제, 산업관련

화학물질의 피해

·지진 후 건축자재 내 석면 노출

반도국

라오스 ·총 인구 : 약 6천7백만 명

· 20세 미만의 인구가 55% 차지

·조출생률은 천명당 30.7(2009), 평균수명 66.7세

·인구의 32%가 도시에 거주

·면적 : 약 24만 km2

·산악지대가 전 국토의 약 70%를 차지

·고온다습한 열대몬순기후로 각종 전염병, 풍토병이 자주 발생

·국내총생산은 2012년에 8.3%의 성장률을 보임

·국민 생활이 전적으로 농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공업발달은 저조한 상태

·열대기후(전염병 및 풍토병)

·안전한 식수

·기후변화(태풍 등 자연재앙증가)

·산림훼손, 댐건설

미얀마 ·총 인구 : 약 5천5백만 명

·인구밀도 : 75명/km2

·인도차이나 반도의 서단에 위치

·지형적으로는 서부의 아라칸 산맥, 북부의 고산지대, 중부의 저지, 동부의 샨 및 테나세림 산지가 펼쳐져 있음

·농업이 주요 산업, 주요 농산물은 쌀

·석유·주석·텅스텐 등의 광물자원이 풍부

·대표적인 수출품목은 고무

·살충제, 산업폐기물, 의료폐기물

·부적절한 위생상태(감염성질병)

베트남 ·총 인구 : 8천4백만 명

·65세 이상 인구(노년층) 증가 추세

·기대수명 : 남성 70.2세, 여성 75.6세, 조출생률은 인구 천명당 17.6명

· 인도차이나반도 가장자리에 위치

·열대 저지대 및 언덕, 숲이 밀집한 고지대가 대부분으로 평지는 영토의 20%

·아열대습윤기후(연간 습도 84%)

·사회주의 지향의 자유시장경제 체제 도입

·빈곤율: 1993년 58.1%에서 2008년 14.5%로 감소

·대기오염(이륜차, 시멘트 공장)

·수질오염

(산업공장폐수, 광산활동, 하수처리장 미비)

Page 56: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50

구분 국가 인구학적 특성 지리적 특성 사회·경제적 특성 주요 환경보건 문제

캄보디아 · 총 인구 : 1,570만 명· 인구 80%가 농촌지역에 거주· 평균수명: 남성 62세, 여성 67세 · 출산율: 여성 한명 당 3명

·면적: 약 18만 km2

·인도차이나반도에 위치, 톤레삽 유역의 중앙 저평원과 국토를 양분하는 메콩강, 산맥으로 둘러싸임

·국토 대부분이 열대 사바나 기후, 내륙은 열대계절풍기후

·농업(쌀)이 GDP의 30%를 차지, ·빈곤선 이하 인구는 2009년 28%에서 2012년 17.7%로 감소

·안전한 식수(세균오염, 지하수 비소)·실내공기오염(바이오매스연료)·사용금지 살충제 및 농약 사용,

폐기물처리 미비

도서국말레이시아 ·총 인구 : 약 3백만 명

·전체 인구의 29%가 15세 미만, 65세 이상이 5.65%·조출생률 천명당 17.9명

·면적: 약 33만 km2

·남동아시아에 위치,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령으로 구성

·말레이시아 반도(서말레이시아)와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동말레이시아)으로 구분

·2015년에 9.9%의 GDP 성장을 보임·빈곤율은 1985년 6.9%에서 2010년 0.7%로 감소

·빈곤선 이하 인구는 1980년 32%에서 2009년 3.8%로 감소

·대기오염(공장,자동차)·고체폐기물 처리·하천오염(가정하수, 산업·농업 오염물질)·고형폐기물 처리

인도네시아 ·총 인구 : 약 2억 5천만 명·전체 인구의 26%가 15세 미만, 65세 이상이 6.6%

·평균수명 : 72.5세

·면적: 약 1,900만 km2

·약 18,000개의 섬으로 구성·열대성 기후, 계절풍대의 특성

·다양한 천연자원을 보유·주요 수출 품목: 석탄, 연탄, 석유, 팜오일, 고무 등

·대기오염(자동차,공장)·안전한식수·수질오염(하수처리 미비)·폐기물처리 미비

필리핀 ·총 인구 : 약 1억 명·0-14세 인구 34%, 65세 인구는 4.28%·조출생률 천명당 24.3, 조사망률 천명당 6.1

·평균수명 : 68세

·면적: 약 30만 km2

·7,100여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구성·열대성기후로 우기(6-11월), 건기(12-5월)로 나뉨

·몬순과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음·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한 환태평양조산대에 위치

·산업과 서비스 분야 지속적 성장·수출품 : 반도체 및 전자제품, 수송장비, 의류, 구리제품 등

·대기오염(지프니,삼륜차:석탄사용, 폐기물 매각)·안전한 식수(지하수 오염)·폐기물 처리

태평양 도서국가

PNG, 솔로몬, 바누아투

·낮은 인구밀도(10~16명/km2), 풍부한 자연자원(석유, 커피, 금 등)·낮은 인간개발지수(HDI)(0.314~0.425), 높은 빈곤지수(46.6~52.2), 인구성장률 (2.5~3.4%), 실업률·공공부문역량 취약 - 호주의 주요 지원대상국

·기후변화에 따른 해면상승·연안개발·해양폐기물

쿡제도, 피지, 사모아, 통가

·높은 기술력과 노동유동성, 양호한 경제성장·높은 인구밀도(44~142명/km2), 해외이주로 인한 낮은 인구성장률 (0.3~1.1)·양호한 인간개발지수(0.590~0.822)·낮은 빈곤지수 (5.9~8.6)

미크로네시아연방, 마샬군도, 팔라우, French Pacific

·높은 경제성장, 양호한 인간개발, 빈곤지수·프랑스, 미국(미크로네시아, 마샬군도, 팔라우) 등의 해외영토로 경제원조 혜택

키리바시, 나우루, 니우에, 토켈라우, 투발루

·산호섬(atoll) 구조로 규모가 작고, 고립됨, 기후변화에 취약성이 높고, 부족한 자연자원 ·낮은 빈곤지수 (4.8~12.13)·뉴질랜드의 해외영토 (니우에, 토켈라우)

Page 57: 아시아 개발도상국 주요 환경보건 문제와 접근방안에 대한 기초조사(I)webbook.me.go.kr/DLi-File/NIER/06/022/5611248.pdf · 걸쳐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부록 2] 정부기관에서 추진중인 국제환경협력사업

담당기관 상대국 협력 사업명 사업 내용

한국환경공단

미얀마 미얀마 양곤시 매립가스 발전사업 ·매립장 가스 발전 사업, 감리 등

베트남

베트남 유해폐기물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사업 ·베트남 유해폐기물관리시스템 및 관제센터 구축, 국내초청연수, 현지 권역별 교육, 전문가파견지원 등

베트남 CAN THO시 환경-도로 복합기반시설사업

·ThotNot지구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장(10,000㎥/일), OMon지구 하수관거 및 하수처리장(10,000㎥/일)

한국환경공단-베트남 기술혁신청간 업무협약 ·환경사업 발굴 및 기술교류 분야 협력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환경측정망 사업 ·기존 환경측정망 현대화 및 확충, 환경데이터센터(EDC) 구축·운영 등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캄보디아 개발도상국 환경자문관 파견사업 ·환경 전문가 개발도상국(캄보디아) 환경부파견(파견기간2년)·개발도상국환경개선정책모델및기술전수,향후협력사업발굴․추진지원

몽골상하수도개선 마스터플랜수립 ·몽골 상하수도 개선 마스터플랜 사업 추진몽골 대기오염 저감기술 실증 ·몽골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연소촉진제 배합설비 공동 실증몽골 폐기물 재활용기술 실증 ·몽골 폐자동차 해체 및 재활용설비 공동 실증

방글라데시 환경개선(상하수도, 폐기물) 마스터플랜수립 지원사업 ·방글라데시 환경개선(상하수도, 폐기물) 마스터플랜 사업추진미얀마 환경개선(상하수도, 폐기물) 마스터플랜수립 지원사업 ·미얀마 환경개선(상하수도, 폐기물) 마스터플랜 사업추진라오스 상하수도 마스터플랜수립 지원사업 ·라오스 상하수도 마스터플랜 사업추진

베트남

베트남 환경개선 역량강화 시범사업

·베트남껀터(CanTho)시 빙타잉(VinhThanh)지역 내 정수시설 설치(2,600m3/day)·사업예산 14억원(한국5억원,베트남9억원)·한국은 정수시설 제작 및 설치, 시운전/베측은 공사부지 및 기반시설, 행정절차 (통관포함) 제공

베트남 측정장비 기술 실증 ·베트남 현지에 적합한 수질(TOC, TN/TP) 자동측정시스템 공동 실증베트남 하․폐수처리 기술 실증 ·베트남 하․폐수처리에 적합한 생물학적 고도처리기술 공동 실증베트남 토양정화 기술 실증 ·베트남 토양특성에 적합한 난분해성 유해화학물질 오염지역 정화기술 공동 실증

베트남 하․폐수처리 기술 기술 실증 ·(아)열대 기후환경에 적합한 MBR 패키지시스템 공동 실증

베트남 정수처리 기술 실증 ·고농도 오존수 제조장치를 이용한 베트남내 공공시설 고도정수처리설비 공동 실증

베트남 폐기물 자원화 기술 실증 ·베트남 기후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복합 분해성 펠릿수지 및 플라스틱 소재 제조 기술 공동 실증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폐기물 자원화 기술 실증 ·연속식 고액분리 및 압밀장치를 이용한 팜오일 전처리 기술 공동 실증캄보디아 캄보디아 폐기물 자원화 기술 실증 ·저온탄화공정을 이용한 착유 부산물 연료화 기술 공동 실증

필리핀

필리핀 정수처리 기술 실증 ·필리핀 수질특성에 적합한 정수처리용 침전설비 공동 실증

필리핀 대기오염 저감 기술 실증·필리핀 고매연, 고유황 배기가스 특성에 적합한 디젤차량 매연저감(DPF) 및

처리시스템 공동 실증

한-필 공동검증 시범사업 ·한국-필리핀 공동검증 시범사업 추진('14~)

대만 녹색건축자재 인증제도 협력 ·친환경 건축자재 관련 인증제도 신뢰성 인정 및 검증 대행 협력